• 로그인
  • 나의사건현황
  • 전화기변호사상담 접수 1800-7905
  • 인재채용
  • AI대륜
법무법인(유한)대륜대륜소개대륜소개대륜의 강점오시는 길통합검색업무사례주요 업무사례판결분석법률정보법률지식인고객후기업무분야해외이민 업무전체구성원 소개해외이민전문변호사소식/자료언론보도공지사항법률서식뉴스레터/브로슈어
법무법인(유한)대륜

대륜소개

  • 대륜의 강점
  • 오시는 길
  • 통합검색
  • AI대륜

업무사례

  • 주요 업무사례
  • 판결분석
  • 법률정보
  • 법률지식인
  • 고객후기

업무분야

  • 해외이민 업무
  • 전체

구성원 소개

  • 해외이민전문변호사

소식/자료

  • 언론보도
  • 공지사항
  • 법률서식
  • 뉴스레터/브로슈어

대륜법률상담예약

  • 대륜법률상담예약
인재채용
만화로 보는 사례
고객만족센터
나의 사건 검색법무법인(유한) 대륜 공식블로그법무법인(유한) 대륜 카카오톡채널법무법인(유한) 대륜 유튜브법무법인(유한) 대륜 인스타그램
페이지 타이틀 배경 모바일 버전

언론보도

다수의 언론매체에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전문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대륜 소속 변호사 인터뷰·법률자문·칼럼을 확인해 보세요.
머니투데이
2025-10-23
보험사기 규모 3년 연속 '1조원 대'…연루 시 변호사 조력은?
보험사기 규모 3년 연속 '1조원 대'…연루 시 변호사 조력은?
보험사기 적발 규모가 3년 연속 1조원을 넘어서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사고나 병원 진료 과정에서 보험금을 좀 더 받으려는 안일한 생각이 되돌릴 수 없는 결과를 만들어내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1조 1164억원에 달했으며, 이 중 자동차보험과 상해·질병보험 관련 사기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했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광덕 변호사는 "보험사기의 경우 특별법이 적용돼 더욱 세심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나도 모르게 억울한 경우가 발생하는 사례도 왕왕 있기 때문에 소수의 범죄로만 생각할 것이 아닌 평범한 개인도 언제든지 연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Q. 주로 발생하는 자동차 및 의료 보험사기의 유형은 어떤 것이 있나.A. 자동차 보험사기는 고의로 사고를 내거나, 실제 사고보다 피해를 부풀려 과도한 수리비나 합의금을 청구하는 방식이 가장 흔하다. 경미한 접촉사고임에도 불필요하게 장기 입원하거나, 동승자를 추가해 합의금을 요구하는 행위가 대표적이다. 의료 보험사기의 경우, 실제로는 받지 않은 진료를 받은 것처럼 서류를 꾸미거나, 입원이 필요 없는 상태임에도 허위로 입원하는 수법이 많다. 최근에는 특정 병원과 환자가 공모해 고가의 비급여 치료를 집중적으로 시행하고 실손보험금을 타내는 조직적인 사기 행태도 증가하는 추세다.Q.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이 일반 사기죄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A. 일반 사기죄는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할 때 성립하지만,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은 '보험사고의 발생, 원인 또는 내용에 관하여 보험자를 기망하여 보험금을 청구하는 행위' 자체를 처벌 대상으로 규정하여 더 좁고 명확한 범위를 가진다. 가장 큰 차이는 처벌 수위다.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제8조에 따르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상습범은 혐의가 가중되고, 취득한 이득액이 5억원 이상일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까지 선고될 수 있어 일반 사기죄보다 무겁게 처벌된다.Q. 병원이나 차량 정비업체에서 권하는 대로 하여 공범으로 몰렸다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되나.A. 본인은 그럴 의도가 없었더라도, 병원이나 정비업체의 제안이 사기임을 인지했거나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묵인하고 이익을 얻었다면 공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도 다 이렇게 한다'는 생각으로 안일하게 따랐다가 주범과 동일한 처벌을 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보험사기는 사기죄의 가중적 구성요건으로 해석된다. 재판부는 범행의 주도 여부, 가담 정도, 취득한 이익의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형량을 결정하지만, 단순 가담이라 할지라도 벌금형은 물론 실형까지 선고될 수 있다. 억울하게 연루되었다면, 고의가 없었음을 입증하고 범행에 가담하게 된 구체적인 경위를 법리적으로 소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Q. 보험사 특별조사팀(SIU)에서 조사를 받으러 오라는 연락을 받았을 때 어떻게 진술해야 불이익이 없나.A. 보험사 특별조사팀(SIU)의 조사는 사실상 경찰 수사의 전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이 단계에서의 진술은 모두 기록으로 남아 향후 형사 절차에서 매우 불리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섣불리 혐의를 부인하거나, 기억에 없는 사실을 추측하여 진술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히 모른다고 답변하고, 본인의 진술이 어떤 법적 결과를 가져올지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부터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예상되는 질문에 대비하고, 진술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변호인 동석 하에 조사를 받는 것 역시 피의자의 당연한 권리다.Q. 혐의를 일부 인정하고 보험사와의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A. 명백한 증거가 있어 혐의를 부인하기 어려운 경우, 범행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부당하게 취득한 보험금 전액을 보험사에 반환하고 원만히 합의하는 것은 재판에서 가장 중요한 양형 감경 사유로 작용한다. 보험사와의 합의는 단순히 돈을 돌려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험사가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피의자의 선처를 구하는 내용의 합의서를 제출하도록 이끌어내는 과정이 핵심이다. 보험사기의 경우 대게 피해 금액이 큰 편이 많기 때문에 실형을 면하기 위해 합의를 고려하곤 한다. 다만 보험사가 여러 곳일 경우 민사상 부당이득금 반환청구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동오 기자 (canon35@mt.co.kr) [기사전문보기] 보험사기 규모 3년 연속 '1조원 대'…연루 시 변호사 조력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10-23
보험사기 규모 3년 연속 '1조원 대'…연루 시 변호사 조력은?
보험사기 규모 3년 연속 '1조원 대'…연루 시 변호사 조력은?
보험사기 적발 규모가 3년 연속 1조원을 넘어서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사고나 병원 진료 과정에서 보험금을 좀 더 받으려는 안일한 생각이 되돌릴 수 없는 결과를 만들어내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1조 1164억원에 달했으며, 이 중 자동차보험과 상해·질병보험 관련 사기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했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광덕 변호사는 "보험사기의 경우 특별법이 적용돼 더욱 세심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나도 모르게 억울한 경우가 발생하는 사례도 왕왕 있기 때문에 소수의 범죄로만 생각할 것이 아닌 평범한 개인도 언제든지 연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Q. 주로 발생하는 자동차 및 의료 보험사기의 유형은 어떤 것이 있나.A. 자동차 보험사기는 고의로 사고를 내거나, 실제 사고보다 피해를 부풀려 과도한 수리비나 합의금을 청구하는 방식이 가장 흔하다. 경미한 접촉사고임에도 불필요하게 장기 입원하거나, 동승자를 추가해 합의금을 요구하는 행위가 대표적이다. 의료 보험사기의 경우, 실제로는 받지 않은 진료를 받은 것처럼 서류를 꾸미거나, 입원이 필요 없는 상태임에도 허위로 입원하는 수법이 많다. 최근에는 특정 병원과 환자가 공모해 고가의 비급여 치료를 집중적으로 시행하고 실손보험금을 타내는 조직적인 사기 행태도 증가하는 추세다.Q.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이 일반 사기죄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A. 일반 사기죄는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할 때 성립하지만,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은 '보험사고의 발생, 원인 또는 내용에 관하여 보험자를 기망하여 보험금을 청구하는 행위' 자체를 처벌 대상으로 규정하여 더 좁고 명확한 범위를 가진다. 가장 큰 차이는 처벌 수위다.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제8조에 따르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상습범은 혐의가 가중되고, 취득한 이득액이 5억원 이상일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까지 선고될 수 있어 일반 사기죄보다 무겁게 처벌된다.Q. 병원이나 차량 정비업체에서 권하는 대로 하여 공범으로 몰렸다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되나.A. 본인은 그럴 의도가 없었더라도, 병원이나 정비업체의 제안이 사기임을 인지했거나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묵인하고 이익을 얻었다면 공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도 다 이렇게 한다'는 생각으로 안일하게 따랐다가 주범과 동일한 처벌을 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보험사기는 사기죄의 가중적 구성요건으로 해석된다. 재판부는 범행의 주도 여부, 가담 정도, 취득한 이익의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형량을 결정하지만, 단순 가담이라 할지라도 벌금형은 물론 실형까지 선고될 수 있다. 억울하게 연루되었다면, 고의가 없었음을 입증하고 범행에 가담하게 된 구체적인 경위를 법리적으로 소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Q. 보험사 특별조사팀(SIU)에서 조사를 받으러 오라는 연락을 받았을 때 어떻게 진술해야 불이익이 없나.A. 보험사 특별조사팀(SIU)의 조사는 사실상 경찰 수사의 전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이 단계에서의 진술은 모두 기록으로 남아 향후 형사 절차에서 매우 불리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섣불리 혐의를 부인하거나, 기억에 없는 사실을 추측하여 진술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히 모른다고 답변하고, 본인의 진술이 어떤 법적 결과를 가져올지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부터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예상되는 질문에 대비하고, 진술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변호인 동석 하에 조사를 받는 것 역시 피의자의 당연한 권리다.Q. 혐의를 일부 인정하고 보험사와의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A. 명백한 증거가 있어 혐의를 부인하기 어려운 경우, 범행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부당하게 취득한 보험금 전액을 보험사에 반환하고 원만히 합의하는 것은 재판에서 가장 중요한 양형 감경 사유로 작용한다. 보험사와의 합의는 단순히 돈을 돌려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험사가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피의자의 선처를 구하는 내용의 합의서를 제출하도록 이끌어내는 과정이 핵심이다. 보험사기의 경우 대게 피해 금액이 큰 편이 많기 때문에 실형을 면하기 위해 합의를 고려하곤 한다. 다만 보험사가 여러 곳일 경우 민사상 부당이득금 반환청구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동오 기자 (canon35@mt.co.kr) [기사전문보기] 보험사기 규모 3년 연속 '1조원 대'…연루 시 변호사 조력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등 4곳
2025-10-23
"법률시장 혁신 필요한 때"…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
"법률시장 혁신 필요한 때"…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
인증 절차 및 기준 없는 전면 금지에…"공정거래법 위반 소지" 대한변호사협회의 인공지능(AI) 광고 제한 관련 규정이 과도한 규제에 해당해 제재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신고서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접수됐습니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2일 대한변협의 공정거래법 위반 정황이 담긴 사업자단체 금지행위 신고서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앞서 대륜은 올해 초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법률 서비스인 'AI 대륜'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 바 있습니다.이에 대한변협은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엄정 대응에 나서겠다며 징계 의사를 내비쳤습니다.이후 대륜은 "변협의 광고 규정이 직업수행의 자유 등을 침해하고 있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습니다.현재 헌법재판소는 해당 사건을 전원재판부에 회부해 심리 중입니다.대한변호사협회가 제정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에 따르면, 변호사 등은 소비자가 인공지능 등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게 하거나 소비자에게 인공지능 등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방식·내용의 광고를 할 수 없습니다. 아울러 변협은 해당 규칙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 제6조를 통해, 규칙 5조에 따라 변호사 등은 자신의 업무에 인공지능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경우, 협회 인증기준에 따라 해당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전에 등록하도록 했습니다. 대륜은 대한변협의 이러한 인공지능 광고 규제가 변호사 광고 규제의 핵심 원리인 '최소 규제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했다고 판단했습니다.또한 대한변협은 변호사의 AI프로그램 사용 사실을 광고할 경우 협회의 인증기준을 반드시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현재 제대로 된 인증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전면 금지와 다름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이날 공정위에 신고서를 제출한 대륜 손계준 변호사는 "AI 기술을 통해 정보 취약계층도 신속하고 정확한 법률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려 했지만 대한변협의 현재 규정은 이를 외부에 알릴 수조차 없게 만들어 소비자의 알 권리를 심각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손 변호사는 "법률 시장도 혁신이 필요한 시대다. 미국, 영국 등 글로벌 법률시장에서는 이미 AI 기반 법률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있다. 국내 법조계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야 하고, 소비자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며 "AI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왔음에도 변협이 규제를 통해 이를 원천 차단하고 있다. 이 신고는 합리적인 규제를 통해 법률 시장이 건강하게 성장하길 바라는 바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대한변협 #AI광고 #공정거래위원회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KBC광주방송 - "법률시장 혁신 필요한 때"…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 (바로가기) 국제신문 - 법무법인 대륜, 변협 ‘AI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과도한 규제” (바로가기) 경기일보 -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신고’ 공정위 접수…"소비자 알 권리·법률 혁신 제한"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률시장 혁신 긴요한데 제재라니~”…대륜, 辯協 ‘AI 광고 제한’ 행위 공정위에 고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등 4곳
2025-10-23
"법률시장 혁신 필요한 때"…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
"법률시장 혁신 필요한 때"…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
인증 절차 및 기준 없는 전면 금지에…"공정거래법 위반 소지" 대한변호사협회의 인공지능(AI) 광고 제한 관련 규정이 과도한 규제에 해당해 제재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신고서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접수됐습니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2일 대한변협의 공정거래법 위반 정황이 담긴 사업자단체 금지행위 신고서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앞서 대륜은 올해 초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법률 서비스인 'AI 대륜'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 바 있습니다.이에 대한변협은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엄정 대응에 나서겠다며 징계 의사를 내비쳤습니다.이후 대륜은 "변협의 광고 규정이 직업수행의 자유 등을 침해하고 있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습니다.현재 헌법재판소는 해당 사건을 전원재판부에 회부해 심리 중입니다.대한변호사협회가 제정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에 따르면, 변호사 등은 소비자가 인공지능 등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게 하거나 소비자에게 인공지능 등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방식·내용의 광고를 할 수 없습니다. 아울러 변협은 해당 규칙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 제6조를 통해, 규칙 5조에 따라 변호사 등은 자신의 업무에 인공지능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경우, 협회 인증기준에 따라 해당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전에 등록하도록 했습니다. 대륜은 대한변협의 이러한 인공지능 광고 규제가 변호사 광고 규제의 핵심 원리인 '최소 규제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했다고 판단했습니다.또한 대한변협은 변호사의 AI프로그램 사용 사실을 광고할 경우 협회의 인증기준을 반드시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현재 제대로 된 인증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전면 금지와 다름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이날 공정위에 신고서를 제출한 대륜 손계준 변호사는 "AI 기술을 통해 정보 취약계층도 신속하고 정확한 법률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려 했지만 대한변협의 현재 규정은 이를 외부에 알릴 수조차 없게 만들어 소비자의 알 권리를 심각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손 변호사는 "법률 시장도 혁신이 필요한 시대다. 미국, 영국 등 글로벌 법률시장에서는 이미 AI 기반 법률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있다. 국내 법조계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야 하고, 소비자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며 "AI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왔음에도 변협이 규제를 통해 이를 원천 차단하고 있다. 이 신고는 합리적인 규제를 통해 법률 시장이 건강하게 성장하길 바라는 바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대한변협 #AI광고 #공정거래위원회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KBC광주방송 - "법률시장 혁신 필요한 때"…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 (바로가기) 국제신문 - 법무법인 대륜, 변협 ‘AI광고 제한’ 공정위에 신고…“과도한 규제” (바로가기) 경기일보 - 대한변협 ‘AI 광고 제한 신고’ 공정위 접수…"소비자 알 권리·법률 혁신 제한"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률시장 혁신 긴요한데 제재라니~”…대륜, 辯協 ‘AI 광고 제한’ 행위 공정위에 고발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10-22
유료 성인물방 입장해 ‘아청법’ 위반 기소된 10대 무죄…법원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인식 단정 못 해”
유료 성인물방 입장해 ‘아청법’ 위반 기소된 10대 무죄…법원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인식 단정 못 해”
성인물을 유포하는 텔레그램 자료방 접속 링크를 돈을 주고 구매한 10대가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 구매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게시된 사실을 몰랐다는 점을 소명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법 원주지원은 지난달 26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10대 남성 A군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군은 지난해 6월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다수 있는 텔레그램 자료 공유방 접속 링크를 구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해당 자료방에는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을 포함해 1100여개의 파일이 게시돼 있었다.A군은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있는지 몰랐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텔레그램 채널에 올라온 자료방 광고를 보고 일반 성인물을 보려고 관리자에게 접속 링크를 구매했을 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게시된 사실은 알지 못했다는 것이다.재판부도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있다는 사실을 A씨가 알았던 것으로 단정할 수 없다고 봤다. 수사기관이 증거로 제출한 자료방 광고 캡처는 A씨가 링크를 구매한 날 이후에 수집돼 A씨가 본 것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A씨가 자료방 관리자와 나눈 대화 내용 등 증거는 없었기 때문이다.A씨를 대리한 길세철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소사실이 증명되려면 행위자가 범죄사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용인하고 있어야 한다”면서 “A군이 해당 자료방에 접속할 당시의 공지글만으로는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성실히 소명해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유료 성인물방 입장해 ‘아청법’ 위반 기소된 10대 무죄…법원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인식 단정 못 해”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10-22
유료 성인물방 입장해 ‘아청법’ 위반 기소된 10대 무죄…법원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인식 단정 못 해”
유료 성인물방 입장해 ‘아청법’ 위반 기소된 10대 무죄…법원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인식 단정 못 해”
성인물을 유포하는 텔레그램 자료방 접속 링크를 돈을 주고 구매한 10대가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 구매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게시된 사실을 몰랐다는 점을 소명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법 원주지원은 지난달 26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10대 남성 A군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군은 지난해 6월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다수 있는 텔레그램 자료 공유방 접속 링크를 구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해당 자료방에는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을 포함해 1100여개의 파일이 게시돼 있었다.A군은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있는지 몰랐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텔레그램 채널에 올라온 자료방 광고를 보고 일반 성인물을 보려고 관리자에게 접속 링크를 구매했을 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게시된 사실은 알지 못했다는 것이다.재판부도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있다는 사실을 A씨가 알았던 것으로 단정할 수 없다고 봤다. 수사기관이 증거로 제출한 자료방 광고 캡처는 A씨가 링크를 구매한 날 이후에 수집돼 A씨가 본 것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A씨가 자료방 관리자와 나눈 대화 내용 등 증거는 없었기 때문이다.A씨를 대리한 길세철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소사실이 증명되려면 행위자가 범죄사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용인하고 있어야 한다”면서 “A군이 해당 자료방에 접속할 당시의 공지글만으로는 해당 자료방에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성실히 소명해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유료 성인물방 입장해 ‘아청법’ 위반 기소된 10대 무죄…법원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인식 단정 못 해” (바로가기)
세정일보
2025-10-22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AI시대 ‘리걸테크’는 시대적 숙명, 辯協의 제재는 구태다”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AI시대 ‘리걸테크’는 시대적 숙명, 辯協의 제재는 구태다”
헌법상 직업수행의 자유, 표현자유 등 침해…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제기 리걸테크 도입 규제는 불공정 행위 ‘공정거래위원회에도 고발’…조사 촉구설립 9년 만에 '10대 로펌' 우뚝…“미래 키워드는 ‘글로벌 메가 로펌’ 도약”서울 여의도에 주사무소·35개 분사무소…미국 뉴욕·워싱턴 현지법인 구축 “AI가 인간 지능을 능가한 시대, 전 세계 법률시장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AI 기술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며 ‘리걸테크’를 활용하는데, 대한변호사협회만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 대표는 최근 변협(辯協)의 규제 조치에 반발하며 이렇게 항변한다.그러면서 김 대표는 “이미 10여 년 전 AI가 바둑 시연에서 우리나라 최고의 국수 이세돌 9단을 이긴 것은 충격이었죠. 그로부터 AI 지능은 날로 진화하며 사람의 지능을 능가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자연스러운 기술의 발전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이며, 아집에 가까운 처사인 것입니다.”“2024년 2월17일 미국 민간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 회사의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가 달나라 착륙에 성공하자 세계가 경의를 표했다. 이미 지난해 우주 관광상품 티켓 1장에 45만달러(약 6억원)에 팔려 나갔으며, 멀지 않아 달나라 여행이 실현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습니다. 이는 과거 공상영화나 꿈에서 그리던 환상 여행이었지만, 이젠 그 꿈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변협의 처사는 민간 우주기업의 달나라 여행 실현에 대해 현실이 아니라며 부정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행동인 것”이라고 지적한다.법무법인 대륜은 변협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리걸테크’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지난해 매출 1127억원을 올려 설립 9년만에 10대 로펌반열에 올랐다. 2016년에 ‘대륜 종합법률 사무소’로 문을 연 이후 최단기 10대 로펌 타이틀을 품는 영광이었다.대륜의 리걸테크와 법률 서비스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22일 김국일 경영 대표(여의도 파크원타워1 35층)를 만났다.그는 “전 세계 법률시장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AI발전에 발맞춰 대처방안에 골몰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역시 변화에 발 빠른 대처로 2025년 ‘AI 대륜’개발에 성공하여 고객들에게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알려준다.이어 그는 “세계 리걸테크 법률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AI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하비(Harvey) AI’이다. 앨런 앤 오버리(Allen & Overy) 등 글로벌 로펌들은 해당 AI를 도입해 규제 리서치, 계약서 조항 점검 등의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강조했다. ▶급속히 발전하는 AI시대, 대륜의 발 빠른 대처가 시장개척에 실질적 도움을 준 것이군요.=세계 법률시장의 흐름에 따라 대륜은 오래 전부터 AI 기술을 법률사무에 도입하는 방안을 강구해 왔다. 전문적인 법률정보를 법조인만이 향유하는 현 상황을 타개하고,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법조시장 전체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륜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AI 리걸테크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작업에 몰두해 왔고, 그 결과 올해 초 ‘AI대륜’을 선보인 바 있다. ▶법률시장은 고비용 구조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고품질-고효율 서비스 향상에 걸림돌인 고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륜은 조직 운영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 구조를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AI대륜 서비스를 통해 업무 처리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고소장이나 답변서 등 복잡한 서면을 작성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며 변호사로 하여금 핵심 법리를 보완하고 전략을 세우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결국 고비용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대륜이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인 'AI 대륜'에 대해 궁금합니다.=‘AI대륜’은 의뢰인에게 24시간 365일 빠르고 정확한 법률 정보를 제공하고, 변호사와의 상담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연계해주는 고객 맞춤형 법률서비스다. 단순한 법률정보 전달에 그치지 않고, 이용자들의 질문 사안을 빠르게 분석·검토해 이용자에게 필요한 답변을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나아가 대법원 판례와 양형기준 등 공개된 법령 및 하급심 판결례를 중심으로 학습하여 서비스를 개발하였고, 소속 전문 변호사들이 직접 검수와 자문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AI 대륜의 법률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였다. 또한 ‘AI대륜’은 내부적으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변호사들이 판례 검색이나 서면 초안 작성, 법리 검토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때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반복적이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업무를 AI의 도움을 받아 해결함으로써, 변호사들이 보다 본질적인 전략 수립과 고객 대응에 힘쓸 수 있게 되어 업무수행에 많은 도움이 된다.앞으로는 사건 전산 시스템과 AI를 본격적으로 통합할 계획도 갖고 있다. 향후 변호사들이 사건의 전 과정에서 AI 보조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않을까 믿어 의심치 않는다. ▶‘AI대륜’에 대해 변협이 여러 제재를 가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변협의 부당한 점과 대응 방안은?=대한변호사협회는 지속적으로 ‘리걸테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얼마전 법무법인(유한) 대륙아주가 ‘AI대륙아주’를 출시하자, 변협은 징계 개시 청구를 하였고, 이에 대륙아주는 변협 조사위원회의 요구에 따라 수차례에 걸쳐 소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징계절차에 착수한 지 불과 2개월 만에 대표 변호사 등에게 500만 원에서 1000만 원의 과태료 징계가 내려졌다.이어 대륜에 대한 제재도 이어졌다. ‘AI대륜’ 출시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징계 절차에 착수하겠다는 뜻을 밝혀온 것이다. 규정을 통한 제재 역시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바로, 지난해 10월 신설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이다. 해당 규칙에는 변협이 인증하고 감독하는 AI 프로그램 외에는 이를 업무에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5조 1항). 아울러 변협은 소비자가 직접 AI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하거나, 소비자에게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방식·내용의 광고도 금지하고 있다(5조 2항). 저희는 이러한 변협의 규칙과 징계시도가 헌법상 직업 수행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을 침해한다고 판단해 헌법소원을 제기했으며, 현재 이 사건은 전원재판부로 회부돼 심리가 진행되고 있다.이에 변협은 지난 6월 ‘AI 프로그램을 업무에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수 없다’는 일부 조항을 삭제했다. 그러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소비자가 AI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5조 2항은 아직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대륜은 5조 2항의 위헌 여부를 계속 다퉈볼 계획이다. ▶리걸테크 발전을 이끌기 위해, 공정위에 조사를 촉구한 배경 도 말씀해 주시죠?=대륜은 지난 22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변호사협회를 상대로 사업자단체금지행위 신고서를 제출했다. 해당 신고서에는 대한변협이 제정한 인공지능 관련 광고 규칙이 변호사 광고 제도가 본래 의도했던 ‘최소 규제’ 원칙과 명백히 상충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변호사 광고 규제는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허위·과장 광고만을 선별적으로 규제하는 방향으로 운영돼야 하지만, 현재의 규정은 불합리한 수준으로 과잉 억제에 해당하는 취지다.아울러 대한변협은 광고 규칙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 제6조를 통해, 변호사 등이 업무에 인공지능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경우 협회 인증기준에 따라 해당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전에 등록하도록 했는데, 현재 인증기준 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인증을 위해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협회에 제공할 경우, 의뢰인의 비밀정보를 비롯해 광범위한 영업비밀이 누설될 우려도 있다.대륜은 이러한 점들을 지적하며, 법률서비스 시장에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혁신적 시도를 불합리하게 가로막는 행위에 대한 엄중한 규제를 공정위 측에 요청했다. ▶대륜의 미래 키워드. 법조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궁금합니다.=대륜이 내세우고 있는 슬로건은 ‘글로벌 메가 로펌’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적 로드맵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알려져 있듯 대륜은 본래 세계 최대 로펌인 ‘베이커 앤 맥킨지’의 선진 시스템을 국내 실정에 맞게 도입해 운영해 왔다. 주사무소 중심의 통합 시스템을 통해 전국 곳곳에 있는 사무소를 하나의 유기적 조직으로 관리하며 높은 송무 품질을 구현해 왔는데, 이를 해외 법률 시장으로 확대하려고 한다. ▶대륜의 전국 지점 및 분점, 해외 지점망 구축과 중국진출 계획은?=대륜은 현재 여의도 주사무소 및 35개 분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해외 진출에도 힘쓰고 있다. 이러한 기조를 바탕으로 올해 미국 뉴욕과 워싱턴D.C.에 현지 법무법인을 설립했다. 또한 해외 법률 자문에 특화된 미국 변호사와 관세전문위원 등 전문 인력을 다양하게 영입하고 있으며,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글로벌 기업과 고객들을 대상으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 진출의 경우 현재 계획을 수립 중인 단계다.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는 누구?199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34회(1992)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1995년 사법연수원(24기)을 수료했다. 1998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법조계에 첫 발을 내디뎠으며, 서울중앙지검, 광주지검, 수원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이후 전주지검 남원지청장을 시작으로 광주지검 목포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장을 역임했고, 사법연수원 교수로 근무하며 법조인 양성에도 앞장서 왔다.2020년 법복을 벗고 변호사 업계로 들어선 김 변호사는 국토교통부 혁신자문위원, 경기도 오산시, 경기주택도시공사, 대한체육회 법률 고문으로 활동하며 공공 분야의 혁신을 도모했고, 지난 2023년 대륜의 최고 총괄 변호사로 합류한 이후 2024년 경영대표에 선임됐다. [기사전문보기]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AI시대 ‘리걸테크’는 시대적 숙명, 辯協의 제재는 구태다” (바로가기)
세정일보
2025-10-22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AI시대 ‘리걸테크’는 시대적 숙명, 辯協의 제재는 구태다”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AI시대 ‘리걸테크’는 시대적 숙명, 辯協의 제재는 구태다”
헌법상 직업수행의 자유, 표현자유 등 침해…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제기 리걸테크 도입 규제는 불공정 행위 ‘공정거래위원회에도 고발’…조사 촉구설립 9년 만에 '10대 로펌' 우뚝…“미래 키워드는 ‘글로벌 메가 로펌’ 도약”서울 여의도에 주사무소·35개 분사무소…미국 뉴욕·워싱턴 현지법인 구축 “AI가 인간 지능을 능가한 시대, 전 세계 법률시장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AI 기술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며 ‘리걸테크’를 활용하는데, 대한변호사협회만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 대표는 최근 변협(辯協)의 규제 조치에 반발하며 이렇게 항변한다.그러면서 김 대표는 “이미 10여 년 전 AI가 바둑 시연에서 우리나라 최고의 국수 이세돌 9단을 이긴 것은 충격이었죠. 그로부터 AI 지능은 날로 진화하며 사람의 지능을 능가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자연스러운 기술의 발전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이며, 아집에 가까운 처사인 것입니다.”“2024년 2월17일 미국 민간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 회사의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가 달나라 착륙에 성공하자 세계가 경의를 표했다. 이미 지난해 우주 관광상품 티켓 1장에 45만달러(약 6억원)에 팔려 나갔으며, 멀지 않아 달나라 여행이 실현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습니다. 이는 과거 공상영화나 꿈에서 그리던 환상 여행이었지만, 이젠 그 꿈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변협의 처사는 민간 우주기업의 달나라 여행 실현에 대해 현실이 아니라며 부정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행동인 것”이라고 지적한다.법무법인 대륜은 변협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리걸테크’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지난해 매출 1127억원을 올려 설립 9년만에 10대 로펌반열에 올랐다. 2016년에 ‘대륜 종합법률 사무소’로 문을 연 이후 최단기 10대 로펌 타이틀을 품는 영광이었다.대륜의 리걸테크와 법률 서비스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22일 김국일 경영 대표(여의도 파크원타워1 35층)를 만났다.그는 “전 세계 법률시장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AI발전에 발맞춰 대처방안에 골몰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역시 변화에 발 빠른 대처로 2025년 ‘AI 대륜’개발에 성공하여 고객들에게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알려준다.이어 그는 “세계 리걸테크 법률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AI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하비(Harvey) AI’이다. 앨런 앤 오버리(Allen & Overy) 등 글로벌 로펌들은 해당 AI를 도입해 규제 리서치, 계약서 조항 점검 등의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강조했다. ▶급속히 발전하는 AI시대, 대륜의 발 빠른 대처가 시장개척에 실질적 도움을 준 것이군요.=세계 법률시장의 흐름에 따라 대륜은 오래 전부터 AI 기술을 법률사무에 도입하는 방안을 강구해 왔다. 전문적인 법률정보를 법조인만이 향유하는 현 상황을 타개하고,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법조시장 전체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륜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AI 리걸테크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작업에 몰두해 왔고, 그 결과 올해 초 ‘AI대륜’을 선보인 바 있다. ▶법률시장은 고비용 구조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고품질-고효율 서비스 향상에 걸림돌인 고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륜은 조직 운영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 구조를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AI대륜 서비스를 통해 업무 처리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고소장이나 답변서 등 복잡한 서면을 작성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며 변호사로 하여금 핵심 법리를 보완하고 전략을 세우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결국 고비용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대륜이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인 'AI 대륜'에 대해 궁금합니다.=‘AI대륜’은 의뢰인에게 24시간 365일 빠르고 정확한 법률 정보를 제공하고, 변호사와의 상담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연계해주는 고객 맞춤형 법률서비스다. 단순한 법률정보 전달에 그치지 않고, 이용자들의 질문 사안을 빠르게 분석·검토해 이용자에게 필요한 답변을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나아가 대법원 판례와 양형기준 등 공개된 법령 및 하급심 판결례를 중심으로 학습하여 서비스를 개발하였고, 소속 전문 변호사들이 직접 검수와 자문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AI 대륜의 법률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였다. 또한 ‘AI대륜’은 내부적으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변호사들이 판례 검색이나 서면 초안 작성, 법리 검토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때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반복적이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업무를 AI의 도움을 받아 해결함으로써, 변호사들이 보다 본질적인 전략 수립과 고객 대응에 힘쓸 수 있게 되어 업무수행에 많은 도움이 된다.앞으로는 사건 전산 시스템과 AI를 본격적으로 통합할 계획도 갖고 있다. 향후 변호사들이 사건의 전 과정에서 AI 보조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않을까 믿어 의심치 않는다. ▶‘AI대륜’에 대해 변협이 여러 제재를 가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변협의 부당한 점과 대응 방안은?=대한변호사협회는 지속적으로 ‘리걸테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얼마전 법무법인(유한) 대륙아주가 ‘AI대륙아주’를 출시하자, 변협은 징계 개시 청구를 하였고, 이에 대륙아주는 변협 조사위원회의 요구에 따라 수차례에 걸쳐 소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징계절차에 착수한 지 불과 2개월 만에 대표 변호사 등에게 500만 원에서 1000만 원의 과태료 징계가 내려졌다.이어 대륜에 대한 제재도 이어졌다. ‘AI대륜’ 출시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징계 절차에 착수하겠다는 뜻을 밝혀온 것이다. 규정을 통한 제재 역시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바로, 지난해 10월 신설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이다. 해당 규칙에는 변협이 인증하고 감독하는 AI 프로그램 외에는 이를 업무에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5조 1항). 아울러 변협은 소비자가 직접 AI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하거나, 소비자에게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방식·내용의 광고도 금지하고 있다(5조 2항). 저희는 이러한 변협의 규칙과 징계시도가 헌법상 직업 수행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을 침해한다고 판단해 헌법소원을 제기했으며, 현재 이 사건은 전원재판부로 회부돼 심리가 진행되고 있다.이에 변협은 지난 6월 ‘AI 프로그램을 업무에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수 없다’는 일부 조항을 삭제했다. 그러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소비자가 AI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5조 2항은 아직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대륜은 5조 2항의 위헌 여부를 계속 다퉈볼 계획이다. ▶리걸테크 발전을 이끌기 위해, 공정위에 조사를 촉구한 배경 도 말씀해 주시죠?=대륜은 지난 22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변호사협회를 상대로 사업자단체금지행위 신고서를 제출했다. 해당 신고서에는 대한변협이 제정한 인공지능 관련 광고 규칙이 변호사 광고 제도가 본래 의도했던 ‘최소 규제’ 원칙과 명백히 상충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변호사 광고 규제는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허위·과장 광고만을 선별적으로 규제하는 방향으로 운영돼야 하지만, 현재의 규정은 불합리한 수준으로 과잉 억제에 해당하는 취지다.아울러 대한변협은 광고 규칙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 제6조를 통해, 변호사 등이 업무에 인공지능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광고할 경우 협회 인증기준에 따라 해당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전에 등록하도록 했는데, 현재 인증기준 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인증을 위해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협회에 제공할 경우, 의뢰인의 비밀정보를 비롯해 광범위한 영업비밀이 누설될 우려도 있다.대륜은 이러한 점들을 지적하며, 법률서비스 시장에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혁신적 시도를 불합리하게 가로막는 행위에 대한 엄중한 규제를 공정위 측에 요청했다. ▶대륜의 미래 키워드. 법조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궁금합니다.=대륜이 내세우고 있는 슬로건은 ‘글로벌 메가 로펌’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적 로드맵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알려져 있듯 대륜은 본래 세계 최대 로펌인 ‘베이커 앤 맥킨지’의 선진 시스템을 국내 실정에 맞게 도입해 운영해 왔다. 주사무소 중심의 통합 시스템을 통해 전국 곳곳에 있는 사무소를 하나의 유기적 조직으로 관리하며 높은 송무 품질을 구현해 왔는데, 이를 해외 법률 시장으로 확대하려고 한다. ▶대륜의 전국 지점 및 분점, 해외 지점망 구축과 중국진출 계획은?=대륜은 현재 여의도 주사무소 및 35개 분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해외 진출에도 힘쓰고 있다. 이러한 기조를 바탕으로 올해 미국 뉴욕과 워싱턴D.C.에 현지 법무법인을 설립했다. 또한 해외 법률 자문에 특화된 미국 변호사와 관세전문위원 등 전문 인력을 다양하게 영입하고 있으며,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글로벌 기업과 고객들을 대상으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 진출의 경우 현재 계획을 수립 중인 단계다.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는 누구?199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34회(1992)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1995년 사법연수원(24기)을 수료했다. 1998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법조계에 첫 발을 내디뎠으며, 서울중앙지검, 광주지검, 수원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이후 전주지검 남원지청장을 시작으로 광주지검 목포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장을 역임했고, 사법연수원 교수로 근무하며 법조인 양성에도 앞장서 왔다.2020년 법복을 벗고 변호사 업계로 들어선 김 변호사는 국토교통부 혁신자문위원, 경기도 오산시, 경기주택도시공사, 대한체육회 법률 고문으로 활동하며 공공 분야의 혁신을 도모했고, 지난 2023년 대륜의 최고 총괄 변호사로 합류한 이후 2024년 경영대표에 선임됐다. [기사전문보기]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AI시대 ‘리걸테크’는 시대적 숙명, 辯協의 제재는 구태다”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10-22
대륜, 美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와 MOU…유학생 종합 컨설팅 확대
대륜, 美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와 MOU…유학생 종합 컨설팅 확대
법무법인 대륜이 미국 명문 사립학교인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 서울(Veritas Collegiate Academy Seoul, 이하 VCA 서울)과 글로벌 교육 및 법률 융합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21일 대륜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박동일 대표 변호사와 손동후 미국변호사가 참석했으며, VCA 서울 측에서는 Brian Kim 총괄이사, 장재호 법인대표, 신가인 학교 원장 등 실무진이 참석했다. VCA 서울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한 국제학교로, 미국 버지니아주 워싱턴 D.C.에 본교를 둔 명문 사립 교육기관의 한국 캠퍼스다. 미국 본교는 Niche 랭킹에서 버지니아주 최고의 사립 고등학교 부문 1위를 차지하는 등 권위 있는 교육 시스템을 자랑하고 있다. VCA 서울은 미국 현지 교육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 유학 희망 학생들의 미국 명문대 진학을 지원하고 학술적 역량과 인성 교육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대륜은 최근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에 법무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변호사를 채용하며 해외 투자와 이민, 국제 분쟁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인 및 기업 고객에게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양 기관은 미국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과 가족들에게 법률 및 비자 관련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유학 환경을 구축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미국 유학 희망자 대상 법률 자문 및 비자 송무 서비스 확대 △VCA 학생 및 가족 대상의 종합 법률 컨설팅 제공 △미국 내 주택 매입 및 임대 등 유학생 주거 관련 컨설팅 및 서비스 연계 △영어 및 미국 문화 세미나 공동 개최를 통한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을 위해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Brian Kim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 대표는 “VCA 서울은 미국 명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유학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지원을 모색해왔다”라며 “대륜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학생과 가족들이 겪을 수 있는 모든 법적, 주거적 문제를 미리 해결하고 안정적인 유학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김국일 대륜 경영 대표는 “이번 VCA 서울과의 협력은 대륜의 전문성을 글로벌 교육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는 중요한 발판”이라며 “단기적으로는 유학 희망자들에게 필수적인 출입국 및 비자 송무 역량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과 법률이 융합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국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美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와 MOU…유학생 종합 컨설팅 확대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10-22
대륜, 美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와 MOU…유학생 종합 컨설팅 확대
대륜, 美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와 MOU…유학생 종합 컨설팅 확대
법무법인 대륜이 미국 명문 사립학교인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 서울(Veritas Collegiate Academy Seoul, 이하 VCA 서울)과 글로벌 교육 및 법률 융합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21일 대륜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박동일 대표 변호사와 손동후 미국변호사가 참석했으며, VCA 서울 측에서는 Brian Kim 총괄이사, 장재호 법인대표, 신가인 학교 원장 등 실무진이 참석했다. VCA 서울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한 국제학교로, 미국 버지니아주 워싱턴 D.C.에 본교를 둔 명문 사립 교육기관의 한국 캠퍼스다. 미국 본교는 Niche 랭킹에서 버지니아주 최고의 사립 고등학교 부문 1위를 차지하는 등 권위 있는 교육 시스템을 자랑하고 있다. VCA 서울은 미국 현지 교육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 유학 희망 학생들의 미국 명문대 진학을 지원하고 학술적 역량과 인성 교육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대륜은 최근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에 법무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변호사를 채용하며 해외 투자와 이민, 국제 분쟁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인 및 기업 고객에게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양 기관은 미국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과 가족들에게 법률 및 비자 관련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유학 환경을 구축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미국 유학 희망자 대상 법률 자문 및 비자 송무 서비스 확대 △VCA 학생 및 가족 대상의 종합 법률 컨설팅 제공 △미국 내 주택 매입 및 임대 등 유학생 주거 관련 컨설팅 및 서비스 연계 △영어 및 미국 문화 세미나 공동 개최를 통한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을 위해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Brian Kim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 대표는 “VCA 서울은 미국 명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유학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지원을 모색해왔다”라며 “대륜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학생과 가족들이 겪을 수 있는 모든 법적, 주거적 문제를 미리 해결하고 안정적인 유학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김국일 대륜 경영 대표는 “이번 VCA 서울과의 협력은 대륜의 전문성을 글로벌 교육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는 중요한 발판”이라며 “단기적으로는 유학 희망자들에게 필수적인 출입국 및 비자 송무 역량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과 법률이 융합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국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美 베리타스 컬리지잇 아카데미와 MOU…유학생 종합 컨설팅 확대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10-22
[전문가기고] 사기냐 단순 채무불이행이냐…판단 기준은 ‘처음’에 있다
[전문가기고] 사기냐 단순 채무불이행이냐…판단 기준은 ‘처음’에 있다
실무에서 “돈을 빌려줬는데, 사기였다”는 이야기를 빈번히 듣는다. 그러나 차용금을 돌려받지 못했다고 해서 모두 사기죄가 되는 것은 아니다.사기죄가 성립하려면 상대방의 기망행위와 이에 따른 피해자의 착오, 그리고 착오로 인한 금전 교부가 있어야만 한다. 즉, 돈을 빌릴 당시부터 갚을 의사와 능력이 없었음에도 거짓말로 돈을 빌린 경우에만 사기죄가 성립된다. 반대로 변제의사나 능력이 있었으나 이후 경제 사정의 악화로 갚지 못한 경우라면, 이는 단순한 민사상 채무불이행에 불과하다.문제는 현실에서 그 경계가 매우 모호하다는 점이다. 예컨대 돈을 빌릴 때 “다음 달 월급이 들어오면 갚겠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직장이나 수입이 없었다면 법원은 이를 기망행위로 볼 수 있다. 반대로 사업 확장을 위해 자금을 빌렸으나 예상치 못한 거래 중단이나 채권 회수 실패로 돈을 갚지 못한 경우처럼 차용 이후 경제 사정의 변화나 예기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갚지 못하게 됐다면 민사상 채무불이행에 불과할 뿐이다.이미 차용 당시 채무초과 상태에 있었거나, 변제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이를 숨기고 돈을 빌린 경우, 차용금의 용도나 자금 마련 방법에 관하여 사실대로 고지했더라면 상대방이 돈을 빌려주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기죄가 성립한다.결국 판단의 핵심은 돈을 빌릴 당시의 의사와 상황이다.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돈을 빌려줄 당시 상대방의 재산 상태, 소득, 기존 채무를 파악하고, 차용의 경위와 목적, 조건 등을 기록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돈을 빌리는 사람 역시 차용 당시 변제의사와 변제능력이 있었음을 입증할 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이후 이자나 원금의 일부를 변제한 사실이 있다면 이는 처음부터 속일 의도가 없었다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사기와 채무불이행은 결과보다 그 출발점이 다르다. 즉, ’갚지 못했다‘는 결과보다 중요한 것은 ’빌릴 당시 어떤 의사와 사정이 있었으냐‘다. 따라서 금전거래 시에는 차용의 경위, 목적, 조건 등을 명확히 기록으로 남기고, 상대방의 경제적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분쟁 예방과 사후 입증에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사기냐 단순 채무불이행이냐…판단 기준은 ‘처음’에 있다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10-22
[전문가기고] 사기냐 단순 채무불이행이냐…판단 기준은 ‘처음’에 있다
[전문가기고] 사기냐 단순 채무불이행이냐…판단 기준은 ‘처음’에 있다
실무에서 “돈을 빌려줬는데, 사기였다”는 이야기를 빈번히 듣는다. 그러나 차용금을 돌려받지 못했다고 해서 모두 사기죄가 되는 것은 아니다.사기죄가 성립하려면 상대방의 기망행위와 이에 따른 피해자의 착오, 그리고 착오로 인한 금전 교부가 있어야만 한다. 즉, 돈을 빌릴 당시부터 갚을 의사와 능력이 없었음에도 거짓말로 돈을 빌린 경우에만 사기죄가 성립된다. 반대로 변제의사나 능력이 있었으나 이후 경제 사정의 악화로 갚지 못한 경우라면, 이는 단순한 민사상 채무불이행에 불과하다.문제는 현실에서 그 경계가 매우 모호하다는 점이다. 예컨대 돈을 빌릴 때 “다음 달 월급이 들어오면 갚겠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직장이나 수입이 없었다면 법원은 이를 기망행위로 볼 수 있다. 반대로 사업 확장을 위해 자금을 빌렸으나 예상치 못한 거래 중단이나 채권 회수 실패로 돈을 갚지 못한 경우처럼 차용 이후 경제 사정의 변화나 예기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갚지 못하게 됐다면 민사상 채무불이행에 불과할 뿐이다.이미 차용 당시 채무초과 상태에 있었거나, 변제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이를 숨기고 돈을 빌린 경우, 차용금의 용도나 자금 마련 방법에 관하여 사실대로 고지했더라면 상대방이 돈을 빌려주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기죄가 성립한다.결국 판단의 핵심은 돈을 빌릴 당시의 의사와 상황이다.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돈을 빌려줄 당시 상대방의 재산 상태, 소득, 기존 채무를 파악하고, 차용의 경위와 목적, 조건 등을 기록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돈을 빌리는 사람 역시 차용 당시 변제의사와 변제능력이 있었음을 입증할 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이후 이자나 원금의 일부를 변제한 사실이 있다면 이는 처음부터 속일 의도가 없었다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사기와 채무불이행은 결과보다 그 출발점이 다르다. 즉, ’갚지 못했다‘는 결과보다 중요한 것은 ’빌릴 당시 어떤 의사와 사정이 있었으냐‘다. 따라서 금전거래 시에는 차용의 경위, 목적, 조건 등을 명확히 기록으로 남기고, 상대방의 경제적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분쟁 예방과 사후 입증에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사기냐 단순 채무불이행이냐…판단 기준은 ‘처음’에 있다 (바로가기)
머니S
2025-10-22
"무심코 답했다가 팀 전체 입국 거부"… 미국 입국심사 금지어는
"무심코 답했다가 팀 전체 입국 거부"… 미국 입국심사 금지어는
미국 비자 심사 강화로 해외 출장 인력 관리가 기업 경영의 핵심 리스크로 부상했다. 조지아주 한국인 체포·구금 사태 이후 유효 비자 소지자도 공항에서 입국이 거부되는 사례가 늘었다.미 국무부는 최근 비이민 비자 신청자의 인터뷰 면제 범위를 대폭 축소했다. 단기상용(B1), 주재원(L1), 투자(E2) 등 기업 활동 관련 비자에도 대면 심사를 의무화했다. 면접 장소를 국적 또는 거주지로 제한해 제3국을 통한 신속 면접 전략도 어렵게 됐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기업의 출장, 투자 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에 국내 대형 로펌들은 비자 및 출입국 전담 조직을 강화하는 추세다. 기업의 해외 파견 목적 검증, 위기 대응 매뉴얼, 영문 인터뷰 코칭 등 실무 중심의 자문을 확대하고 있다. 기업 활동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법적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움직임이다.'검수' 대신 '근무' 로 말해 팀 전체 입국 거부 이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중 대응체계' 구축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대륜은 국내 사전 관리와 해외 현지 대응을 동시에 진행하는 구조다. 국내에서는 산업별 비자 리스크 진단, 체류 관리 솔루션, 영문 Q&A 인터뷰 코칭 등을 제공한다. 해외에서는 뉴욕, 워싱턴 D.C. 사무소를 기반으로 현지 변호사가 비자 심사, 이민 절차, 투자 자문 등을 실시간 연계한다.대륜 소속 김미아 미국변호사(워싱턴 D.C.주)는 "미국 비자는 단순한 입국 허가를 넘어 기업의 신뢰를 평가받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김 변호사는 최근 한 대기업 기술 인력이 미국 설비 검수 목적으로 출장을 갔다가 입국 심사에서 제지된 사건을 소개했다. 이 인력은 ESTA로 입국하며 '검수'(Inspection)를 '근무'(Working)로 표현해 불법 근로로 오해받았다. 결국 출장단 전원이 입국을 거부당했다.김 변호사는 이후 출장 목적과 증빙 자료를 보완해 B1 비자 승인을 다시 받아낸 사례를 제시하며 "단어 하나가 입국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다른 사례로, 국내 중견기업 대표가 과거 경미한 범죄 이력으로 ESTA 입국이 거절된 경우도 있었다. 김 변호사는 사건 경위와 재범 위험 부재 자료를 준비해 미국대사관의 웨이버(Waiver) 절차를 진행했고, B1/B2 비자를 승인받았다.김 변호사는 "최근 미국 내 법인을 설립해 인력을 파견하는 대기업 하청업체의 비자 문의가 늘었다"며 "기업의 투명성, 고용 계획, 사업 목적까지 함께 평가되는 추세다. 여러 변수에 사전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비자 심사 강화와 함께 해외 사업 인력의 현지 규제 대응 등 복합적 리스크가 동시 발생한다. 이에 따라 로펌의 역할은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돕는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를 잡고 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무심코 답했다가 팀 전체 입국 거부"… 미국 입국심사 금지어는 (바로가기)
머니S
2025-10-22
"무심코 답했다가 팀 전체 입국 거부"… 미국 입국심사 금지어는
"무심코 답했다가 팀 전체 입국 거부"… 미국 입국심사 금지어는
미국 비자 심사 강화로 해외 출장 인력 관리가 기업 경영의 핵심 리스크로 부상했다. 조지아주 한국인 체포·구금 사태 이후 유효 비자 소지자도 공항에서 입국이 거부되는 사례가 늘었다.미 국무부는 최근 비이민 비자 신청자의 인터뷰 면제 범위를 대폭 축소했다. 단기상용(B1), 주재원(L1), 투자(E2) 등 기업 활동 관련 비자에도 대면 심사를 의무화했다. 면접 장소를 국적 또는 거주지로 제한해 제3국을 통한 신속 면접 전략도 어렵게 됐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기업의 출장, 투자 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에 국내 대형 로펌들은 비자 및 출입국 전담 조직을 강화하는 추세다. 기업의 해외 파견 목적 검증, 위기 대응 매뉴얼, 영문 인터뷰 코칭 등 실무 중심의 자문을 확대하고 있다. 기업 활동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법적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움직임이다.'검수' 대신 '근무' 로 말해 팀 전체 입국 거부 이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중 대응체계' 구축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대륜은 국내 사전 관리와 해외 현지 대응을 동시에 진행하는 구조다. 국내에서는 산업별 비자 리스크 진단, 체류 관리 솔루션, 영문 Q&A 인터뷰 코칭 등을 제공한다. 해외에서는 뉴욕, 워싱턴 D.C. 사무소를 기반으로 현지 변호사가 비자 심사, 이민 절차, 투자 자문 등을 실시간 연계한다.대륜 소속 김미아 미국변호사(워싱턴 D.C.주)는 "미국 비자는 단순한 입국 허가를 넘어 기업의 신뢰를 평가받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김 변호사는 최근 한 대기업 기술 인력이 미국 설비 검수 목적으로 출장을 갔다가 입국 심사에서 제지된 사건을 소개했다. 이 인력은 ESTA로 입국하며 '검수'(Inspection)를 '근무'(Working)로 표현해 불법 근로로 오해받았다. 결국 출장단 전원이 입국을 거부당했다.김 변호사는 이후 출장 목적과 증빙 자료를 보완해 B1 비자 승인을 다시 받아낸 사례를 제시하며 "단어 하나가 입국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다른 사례로, 국내 중견기업 대표가 과거 경미한 범죄 이력으로 ESTA 입국이 거절된 경우도 있었다. 김 변호사는 사건 경위와 재범 위험 부재 자료를 준비해 미국대사관의 웨이버(Waiver) 절차를 진행했고, B1/B2 비자를 승인받았다.김 변호사는 "최근 미국 내 법인을 설립해 인력을 파견하는 대기업 하청업체의 비자 문의가 늘었다"며 "기업의 투명성, 고용 계획, 사업 목적까지 함께 평가되는 추세다. 여러 변수에 사전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비자 심사 강화와 함께 해외 사업 인력의 현지 규제 대응 등 복합적 리스크가 동시 발생한다. 이에 따라 로펌의 역할은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돕는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를 잡고 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무심코 답했다가 팀 전체 입국 거부"… 미국 입국심사 금지어는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10-21
"복도서 졸고 있길래..." 합석 여성 집으로 데려간 20대, 감금 '무혐의'
"복도서 졸고 있길래..." 합석 여성 집으로 데려간 20대, 감금 '무혐의'
술자리서 합석했던 여성 감금 및 추행 혐의검찰 “강제로 데리고 왔을 만한 증거 없어” 만취한 여성을 자신의 집으로 끌고갔다 감금한 혐의를 받은 20대 남성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9일 감금 및 강제추행 등 혐의로 송치된 2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5월 술에 만취한 30대 여성 B씨를 자신의 주거지로 강제로 끌고 가 3시간 가량 감금한 혐의를 받았다. 하지만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자신 역시 만취상태였고 귀가 후에야 정신이 들었으며, B씨가 복도에서 졸고 있기에 집으로 데려왔을 뿐이라고 진술했다.A씨는 “윗층에 집주인이 살고 있었고, B씨가 현관문 바로 앞에 있어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해 합의하에 집으로 들어갔다”고 해명했다.검찰은 A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검찰은 “CCTV 등 확인 결과, 피의자가 고소인 합석 당시부터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진술과 부합한다”며 “당시 녹음본에서도 피의자가 강제로 집으로 데리고 왔을만한 뚜렷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안권섭 변호사는 “어떤 행위가 범죄로 성립하려면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켜야 하고, 감금은 특정 구역에서 나가는 것을 불가능하게 해야 하는데, 의뢰인의 경우는 이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녹음 기록을 통해 ‘수면에 빠지는 의식상실(Passing Out)’과 ‘단편적인 기억 상실인 알코올 블랙아웃(Black Out)’의 차이를 설명했으며, 의뢰인의 접촉이 부축 등으로 한정됐다는 점을 성실히 소명하여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복도서 졸고 있길래..." 합석 여성 집으로 데려간 20대, 감금 '무혐의'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10-21
"복도서 졸고 있길래..." 합석 여성 집으로 데려간 20대, 감금 '무혐의'
"복도서 졸고 있길래..." 합석 여성 집으로 데려간 20대, 감금 '무혐의'
술자리서 합석했던 여성 감금 및 추행 혐의검찰 “강제로 데리고 왔을 만한 증거 없어” 만취한 여성을 자신의 집으로 끌고갔다 감금한 혐의를 받은 20대 남성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9일 감금 및 강제추행 등 혐의로 송치된 2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5월 술에 만취한 30대 여성 B씨를 자신의 주거지로 강제로 끌고 가 3시간 가량 감금한 혐의를 받았다. 하지만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자신 역시 만취상태였고 귀가 후에야 정신이 들었으며, B씨가 복도에서 졸고 있기에 집으로 데려왔을 뿐이라고 진술했다.A씨는 “윗층에 집주인이 살고 있었고, B씨가 현관문 바로 앞에 있어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해 합의하에 집으로 들어갔다”고 해명했다.검찰은 A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검찰은 “CCTV 등 확인 결과, 피의자가 고소인 합석 당시부터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진술과 부합한다”며 “당시 녹음본에서도 피의자가 강제로 집으로 데리고 왔을만한 뚜렷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안권섭 변호사는 “어떤 행위가 범죄로 성립하려면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켜야 하고, 감금은 특정 구역에서 나가는 것을 불가능하게 해야 하는데, 의뢰인의 경우는 이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녹음 기록을 통해 ‘수면에 빠지는 의식상실(Passing Out)’과 ‘단편적인 기억 상실인 알코올 블랙아웃(Black Out)’의 차이를 설명했으며, 의뢰인의 접촉이 부축 등으로 한정됐다는 점을 성실히 소명하여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복도서 졸고 있길래..." 합석 여성 집으로 데려간 20대, 감금 '무혐의'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5곳
2025-10-20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
법무법인 대륜이 국내 로펌 최초로 '송무품질보증제도'를 도입하며 책임 있는 법률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아울러 멤버십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 환불 가능한 '대륜멤버스 보증제'를 함께 시행하며, 이른바 '이중 보증제' 운영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송무품질보증제도'는 의뢰인이 사건 진행 과정에서 불만족을 표시할 경우 즉시 시정 조치를 취하고, 그럼에도 불만족이 해소되지 않으면 수임료를 환불하는 제도다. 로펌이 스스로 법률 서비스의 품질을 보증한다는 점에서 국내 법률시장에서는 전례 없는 시도로 평가된다.법률 서비스 품질을 보증하고, 고객 불만 발생 시 즉각 대응 및 환불까지 가능한 체계를 스스로 마련해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고, 법률 서비스의 책임 문화를 확산시키겠다는 취지다. 전문적인 사건 수행, 투명한 절차, 충실한 소통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합리적인 방식으로 책임지는 구조를 설계했다는 것이 대륜 측의 설명이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오래 전부터 환불과 관련한 문제 의식을 갖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왔다. 최근 일부 로펌의 소통 부재, 3일 이후 환불 불가 등 행태에 대해서는 같은 업계 종사자로서 문제 의식을 갖고 있다는 입장"이라며 "법률 서비스의 중심이 돼야 하는 건 고객이라는 원칙 아래 스스로 책임 구조를 명문화하고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이와 함께 대륜은 환불 관련 담당 팀을 별도로 운영해 의뢰인으로부터 환불 의사가 접수될 경우 사건 진행 정도를 확인하고 기준에 따라 공제액을 산정한다. 절차는 최대한 간소화해 의뢰인의 불편을 줄이는 한편, 환불 후에는 원인 분석을 통해 서비스 품질 개선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김 대표는 "단기적으로 일부 비용 부담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고객 신뢰를 쌓는 투자"라며 "대부분의 환불 요청 의뢰인은 경제적 사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다시 형편이 나아지면 꼭 대륜을 찾겠다'며 떠나시는 모습을 보면 그것만으로 충분히 보람을 느낀다"고 설명했다.이어 "지향점은 '환불이 필요 없는 구조'"라며 "로펌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뢰인이 신뢰 속에서 사건을 맡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 (바로가기) MBN - “고객 만족을 품질로 증명”…대륜,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도 시행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송무 품질 보증제’ 도입…불만족 땐 환불까지 책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 법무법인 대륜, 법률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증' 선언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법률서비스 품질 보증’ 선언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5곳
2025-10-20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
법무법인 대륜이 국내 로펌 최초로 '송무품질보증제도'를 도입하며 책임 있는 법률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아울러 멤버십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 환불 가능한 '대륜멤버스 보증제'를 함께 시행하며, 이른바 '이중 보증제' 운영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송무품질보증제도'는 의뢰인이 사건 진행 과정에서 불만족을 표시할 경우 즉시 시정 조치를 취하고, 그럼에도 불만족이 해소되지 않으면 수임료를 환불하는 제도다. 로펌이 스스로 법률 서비스의 품질을 보증한다는 점에서 국내 법률시장에서는 전례 없는 시도로 평가된다.법률 서비스 품질을 보증하고, 고객 불만 발생 시 즉각 대응 및 환불까지 가능한 체계를 스스로 마련해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고, 법률 서비스의 책임 문화를 확산시키겠다는 취지다. 전문적인 사건 수행, 투명한 절차, 충실한 소통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합리적인 방식으로 책임지는 구조를 설계했다는 것이 대륜 측의 설명이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오래 전부터 환불과 관련한 문제 의식을 갖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왔다. 최근 일부 로펌의 소통 부재, 3일 이후 환불 불가 등 행태에 대해서는 같은 업계 종사자로서 문제 의식을 갖고 있다는 입장"이라며 "법률 서비스의 중심이 돼야 하는 건 고객이라는 원칙 아래 스스로 책임 구조를 명문화하고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이와 함께 대륜은 환불 관련 담당 팀을 별도로 운영해 의뢰인으로부터 환불 의사가 접수될 경우 사건 진행 정도를 확인하고 기준에 따라 공제액을 산정한다. 절차는 최대한 간소화해 의뢰인의 불편을 줄이는 한편, 환불 후에는 원인 분석을 통해 서비스 품질 개선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김 대표는 "단기적으로 일부 비용 부담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고객 신뢰를 쌓는 투자"라며 "대부분의 환불 요청 의뢰인은 경제적 사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다시 형편이 나아지면 꼭 대륜을 찾겠다'며 떠나시는 모습을 보면 그것만으로 충분히 보람을 느낀다"고 설명했다.이어 "지향점은 '환불이 필요 없는 구조'"라며 "로펌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뢰인이 신뢰 속에서 사건을 맡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 (바로가기) MBN - “고객 만족을 품질로 증명”…대륜,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도 시행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송무 품질 보증제’ 도입…불만족 땐 환불까지 책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 법무법인 대륜, 법률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증' 선언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국내 로펌 최초 ‘법률서비스 품질 보증’ 선언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10-20
동료 앞에서 상관 모욕한 군인, 강등 징계에…法 “지나친 처분”
동료 앞에서 상관 모욕한 군인, 강등 징계에…法 “지나친 처분”
상관 성희롱한 병사, ‘강등’ 처분 받아 취소 소송…“중의적 의미로 1회만 발언”재판부 “한 차례 저지른 것 감안…가장 무거운 징계인 강등, 비례 원칙 어긋나” 동료 병사들에게 상관을 한 차례 모욕했다는 이유로 강등 징계를 내린 것은 지나친 처분이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의정부지방법원 제2-3행정부는 지난달 30일 20대 남성 A씨가 육군 관계자를 상대로 낸 강등처분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군복무중이던 지난 2022년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두 명을 성희롱했다는 이유로 지난해 강등 처분을 받았다.하지만 A씨는 처분이 적법하지 이뤄지지 않았다며 항고를 제기했다. 특정인을 지칭하며 모욕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고, 중의적인 표현으로 한 차례만 발언했다는 것이다. 사안을 검토한 군은 이를 기각했고 A씨는 법원에 행정소송을 냈다.이에 군은 A씨가 이미 전역을 했기에 소 제기 자체가 부적법하다고 반박했다. 강압적인 조사 또한 없었으며 A씨가 피해자들의 이름을 특정해 모욕적인 발언을 했다고도 강조했다.법원은 결국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먼저 A씨의 소 제기에 대해 "원고는 강등된 이후 전역할 때 까지 삭감된 급여를 지급받았다"면서 "처분이 취소되면 금전적 불이익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적법하다고 판단했다.이어 "원고의 발언 중 일부에서는 피해자들의 이름을 언급하며 성적 모욕을 저지른 비위의 정도가 가볍다고 할 수는 없다"면서도 "병사들만 있는 자리에서 한 차례만 저지른 것을 감안하면 가장 무거운 징계인 강등 처분은 지나쳐 비례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허성국 변호사는 "징계위원회는 '심한 성적 굴욕감', '동일기회 수회 희롱' 등을 이유로 가중사유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다만 A씨의 이같은 발언이 1회에 그쳐 오히려 '성적 언동이 일회성에 그친 경우'로서 감경 요소에 해당함을 강조해 승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동료 앞에서 상관 모욕한 군인, 강등 징계에…法 “지나친 처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10-20
동료 앞에서 상관 모욕한 군인, 강등 징계에…法 “지나친 처분”
동료 앞에서 상관 모욕한 군인, 강등 징계에…法 “지나친 처분”
상관 성희롱한 병사, ‘강등’ 처분 받아 취소 소송…“중의적 의미로 1회만 발언”재판부 “한 차례 저지른 것 감안…가장 무거운 징계인 강등, 비례 원칙 어긋나” 동료 병사들에게 상관을 한 차례 모욕했다는 이유로 강등 징계를 내린 것은 지나친 처분이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의정부지방법원 제2-3행정부는 지난달 30일 20대 남성 A씨가 육군 관계자를 상대로 낸 강등처분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군복무중이던 지난 2022년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두 명을 성희롱했다는 이유로 지난해 강등 처분을 받았다.하지만 A씨는 처분이 적법하지 이뤄지지 않았다며 항고를 제기했다. 특정인을 지칭하며 모욕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고, 중의적인 표현으로 한 차례만 발언했다는 것이다. 사안을 검토한 군은 이를 기각했고 A씨는 법원에 행정소송을 냈다.이에 군은 A씨가 이미 전역을 했기에 소 제기 자체가 부적법하다고 반박했다. 강압적인 조사 또한 없었으며 A씨가 피해자들의 이름을 특정해 모욕적인 발언을 했다고도 강조했다.법원은 결국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먼저 A씨의 소 제기에 대해 "원고는 강등된 이후 전역할 때 까지 삭감된 급여를 지급받았다"면서 "처분이 취소되면 금전적 불이익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적법하다고 판단했다.이어 "원고의 발언 중 일부에서는 피해자들의 이름을 언급하며 성적 모욕을 저지른 비위의 정도가 가볍다고 할 수는 없다"면서도 "병사들만 있는 자리에서 한 차례만 저지른 것을 감안하면 가장 무거운 징계인 강등 처분은 지나쳐 비례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허성국 변호사는 "징계위원회는 '심한 성적 굴욕감', '동일기회 수회 희롱' 등을 이유로 가중사유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다만 A씨의 이같은 발언이 1회에 그쳐 오히려 '성적 언동이 일회성에 그친 경우'로서 감경 요소에 해당함을 강조해 승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동료 앞에서 상관 모욕한 군인, 강등 징계에…法 “지나친 처분” (바로가기)
뉴시스
2025-10-20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 도입한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인터뷰]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 도입한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인터뷰]
"고객과의 다음 인연을 위한 투자"로펌 손에만 맡기던 업계 관행에 변화 생길지 주목 법무법인 대륜이 20일 국내 로펌 최초로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을 선언했다. 또 멤버십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언제든 환불 가능한 '대륜멤버스 보증제'를 함께 시행한다고 덧붙였다.대륜의 이번 조치로 그동안 사건을 맡기면 결과가 나올 때까지 로펌의 손에만 맡기던 업계의 관행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이날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제도의 방점은 환불이 아닌 보증에 찍혀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단순히 환불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 아니라 법률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제도화한 체계를 마련했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다음 김국일 경영대표와의 일문일답.-송무품질보증제도에 대해 쉽게 설명해 달라."말 그대로, 대륜이 제공하는 법률 서비스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다. 전문적인 사건 수행, 투명한 절차, 충실한 소통을 약속하고, 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합리적인 방식으로 책임을 지는 구조를 설계했다는 의미다. 만약 의뢰인이 법률 서비스에 불만을 표하면, 만족할 수 있도록 즉시 조취를 취한다. 그래도 불만족할 경우 수임료를 돌려주는 것이다. 수임 이후 대응 전략 수립, 의견서 작성 등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절차가 진행됐다면, 그 정도에 따라 최소한의 공제가 이뤄질 예정이다."-업계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이유는 무엇인가."그동안 국내 로펌 시장에서 법률 서비스는 늘 일방적으로 제공돼 왔다. 의뢰인이 사건을 맡기면,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모든 걸 로펌의 손에만 맡겨야 하는 구조였다. 수행 과정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의뢰인이 할 수 있는 일은 사실상 없었다. 때문에 실제 다른 로펌에 사건을 맡겼던 일부 의뢰인들이 "수임 뒤 연락이 끊겼다", "일방적으로 환불을 거부당했다"며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러한 무책임한 현실은 국내 법률시장 전체의 신뢰를 약화시킨다고 본다. 대륜은 그 신뢰를 회복하고자 했다. 언제든 환불을 요청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의뢰인에게 법률 서비스 품질에 대한 확신과 심리적 안정을 동시에 주는 셈이다."-최근 법조계에서는 환불 문제로 인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변호사 단체 등에서도 일부 로펌의 환불 규정을 문제 삼으며 제재를 암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분위기를 고려한 제도라고 봐도 되나."그렇지 않다. 대륜은 훨씬 오래 전부터 환불과 관련한 문제 의식을 갖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왔다. 지금까지 업계에선 로펌과 의뢰인 사이의 환불 문제를 '사인(私人) 간의 갈등'으로 여겨왔다. 민사적 사안이라 본 것이다. 환불 규정과 관련된 변호사협회 차원의 가이드라인 역시 없었다. 대륜 역시 시행착오를 거쳐왔다. 결국 중심이 돼야 하는 건 '고객'이라고 생각했고, 이번에 스스로 원칙을 세우고, 책임 구조를 명문화 한 셈이다."-환불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요청할 수 있나."환불 관련 전담팀을 마련했다. 의뢰인으로부터 환불 의사가 접수되면, 먼저 담당팀이 사건의 진행 정도를 확인한다. 사건 검토나 서면 작성 등 이미 작성된 업무에 대해서는 사전에 마련된 기준에 따라 공제액을 산정하게 된다. 심사 절차는 최대한 간소화해 의뢰인이 추가적인 불편을 겪지 않도록 설계했고, 여러 피드백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정해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환불 절차가 완료되고 난 뒤에는 세부적인 분석 작업에 돌입한다. 의뢰인이 어떤 부분에서 만족하지 않았는지, 환불까지 이르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를 전반적으로 돌아보는 것이다.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다."-경영상 부담도 될 것 같은데."단기적으로는 일부 비용이 발생할 수는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고객과의 다음 인연을 위한 투자라고 본다. 고객의 신뢰가 쌓이면 사건 재의뢰와 추천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무엇보다 환불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체계적인 품질 관리가 이뤄지는 것이 목표다."-송무품질보증제도를 통해 지향하는 바가 있다면."이 제도의 목적은 환불이 아니다. 환불은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일 뿐이다. 대륜의 최종 목표는 '환불이 필요 없는 구조'를 촘촘하게 세워나가는 것이다. 로펌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높은 수준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뢰인은 그 신뢰 속에서 사건을 맡길 수 있는 것, 이것이 바로 송무품질보증제도가 지향하는 목표다."백재현 기자(itbrian@newsis.com) [기사전문보기]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 도입한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인터뷰] (바로가기)
뉴시스
2025-10-20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 도입한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인터뷰]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 도입한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인터뷰]
"고객과의 다음 인연을 위한 투자"로펌 손에만 맡기던 업계 관행에 변화 생길지 주목 법무법인 대륜이 20일 국내 로펌 최초로 '송무품질보증제도' 도입을 선언했다. 또 멤버십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언제든 환불 가능한 '대륜멤버스 보증제'를 함께 시행한다고 덧붙였다.대륜의 이번 조치로 그동안 사건을 맡기면 결과가 나올 때까지 로펌의 손에만 맡기던 업계의 관행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이날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제도의 방점은 환불이 아닌 보증에 찍혀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단순히 환불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 아니라 법률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제도화한 체계를 마련했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다음 김국일 경영대표와의 일문일답.-송무품질보증제도에 대해 쉽게 설명해 달라."말 그대로, 대륜이 제공하는 법률 서비스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다. 전문적인 사건 수행, 투명한 절차, 충실한 소통을 약속하고, 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합리적인 방식으로 책임을 지는 구조를 설계했다는 의미다. 만약 의뢰인이 법률 서비스에 불만을 표하면, 만족할 수 있도록 즉시 조취를 취한다. 그래도 불만족할 경우 수임료를 돌려주는 것이다. 수임 이후 대응 전략 수립, 의견서 작성 등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절차가 진행됐다면, 그 정도에 따라 최소한의 공제가 이뤄질 예정이다."-업계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이유는 무엇인가."그동안 국내 로펌 시장에서 법률 서비스는 늘 일방적으로 제공돼 왔다. 의뢰인이 사건을 맡기면,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모든 걸 로펌의 손에만 맡겨야 하는 구조였다. 수행 과정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의뢰인이 할 수 있는 일은 사실상 없었다. 때문에 실제 다른 로펌에 사건을 맡겼던 일부 의뢰인들이 "수임 뒤 연락이 끊겼다", "일방적으로 환불을 거부당했다"며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러한 무책임한 현실은 국내 법률시장 전체의 신뢰를 약화시킨다고 본다. 대륜은 그 신뢰를 회복하고자 했다. 언제든 환불을 요청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의뢰인에게 법률 서비스 품질에 대한 확신과 심리적 안정을 동시에 주는 셈이다."-최근 법조계에서는 환불 문제로 인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변호사 단체 등에서도 일부 로펌의 환불 규정을 문제 삼으며 제재를 암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분위기를 고려한 제도라고 봐도 되나."그렇지 않다. 대륜은 훨씬 오래 전부터 환불과 관련한 문제 의식을 갖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왔다. 지금까지 업계에선 로펌과 의뢰인 사이의 환불 문제를 '사인(私人) 간의 갈등'으로 여겨왔다. 민사적 사안이라 본 것이다. 환불 규정과 관련된 변호사협회 차원의 가이드라인 역시 없었다. 대륜 역시 시행착오를 거쳐왔다. 결국 중심이 돼야 하는 건 '고객'이라고 생각했고, 이번에 스스로 원칙을 세우고, 책임 구조를 명문화 한 셈이다."-환불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요청할 수 있나."환불 관련 전담팀을 마련했다. 의뢰인으로부터 환불 의사가 접수되면, 먼저 담당팀이 사건의 진행 정도를 확인한다. 사건 검토나 서면 작성 등 이미 작성된 업무에 대해서는 사전에 마련된 기준에 따라 공제액을 산정하게 된다. 심사 절차는 최대한 간소화해 의뢰인이 추가적인 불편을 겪지 않도록 설계했고, 여러 피드백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정해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환불 절차가 완료되고 난 뒤에는 세부적인 분석 작업에 돌입한다. 의뢰인이 어떤 부분에서 만족하지 않았는지, 환불까지 이르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를 전반적으로 돌아보는 것이다.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다."-경영상 부담도 될 것 같은데."단기적으로는 일부 비용이 발생할 수는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고객과의 다음 인연을 위한 투자라고 본다. 고객의 신뢰가 쌓이면 사건 재의뢰와 추천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무엇보다 환불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체계적인 품질 관리가 이뤄지는 것이 목표다."-송무품질보증제도를 통해 지향하는 바가 있다면."이 제도의 목적은 환불이 아니다. 환불은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일 뿐이다. 대륜의 최종 목표는 '환불이 필요 없는 구조'를 촘촘하게 세워나가는 것이다. 로펌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높은 수준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뢰인은 그 신뢰 속에서 사건을 맡길 수 있는 것, 이것이 바로 송무품질보증제도가 지향하는 목표다."백재현 기자(itbrian@newsis.com) [기사전문보기] 국내 첫 송무품질보증제 도입한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인터뷰]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10-20
“세대호출, 비정상적 출입 아냐”…주거침입 30대 남성 ‘무혐의’
“세대호출, 비정상적 출입 아냐”…주거침입 30대 남성 ‘무혐의’
공동현관문 열고 피해자 찾아간 혐의檢 “고의·착수 있었다고 보기 어려워” 아파트 공동 현관문을 열고 피해자의 주거지 현관 앞까지 찾아간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은 지난달 2일 주거침입 혐의로 송치된 30대 남성 A 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 씨는 지난 8월 2차례에 걸쳐 아파트 공동 현관문으로 출입해 피해자 B 씨의 집 앞까지 찾아간 혐의를 받았다. B 씨는 수차례 거부 의사를 밝혔는데도 A 씨가 협박을 목적으로 찾아왔다고 주장했다.반면 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 씨에게 방문 전 문자를 보냈고, 협박이 아닌 대화를 목적으로 만나려 했다고 설명했다. A 씨는 “B 씨 가족과 대면해 오해를 풀고 생각을 밝히기 위해 거주지로 찾아간 것”이라며 “피해자가 방문 직전까지도 자신과 활발히 연락을 주고받는 등 명확한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 씨의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피의자가 비밀번호 입력이 아닌 세대 호출 방식을 통해 공동 현관문으로 출입했다”며 “피해자가 피의자와 함께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오거나 피의자가 피해자 집 안으로 들어가려는 시도를 한 정황이 확인되지 않는 점 등을 미뤄볼 때 주거 침입의 고의나 착수가 있었다고 보긴 어렵다”고 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김진원 변호사는 “주거침입죄는 주거의 평온을 해치는 객관적·외형적으로 드러난 행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며 “A 씨의 행위가 비정상적인 출입 방식이 아닌 점을 성실히 소명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세대호출, 비정상적 출입 아냐”…주거침입 30대 남성 ‘무혐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10-20
“세대호출, 비정상적 출입 아냐”…주거침입 30대 남성 ‘무혐의’
“세대호출, 비정상적 출입 아냐”…주거침입 30대 남성 ‘무혐의’
공동현관문 열고 피해자 찾아간 혐의檢 “고의·착수 있었다고 보기 어려워” 아파트 공동 현관문을 열고 피해자의 주거지 현관 앞까지 찾아간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은 지난달 2일 주거침입 혐의로 송치된 30대 남성 A 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 씨는 지난 8월 2차례에 걸쳐 아파트 공동 현관문으로 출입해 피해자 B 씨의 집 앞까지 찾아간 혐의를 받았다. B 씨는 수차례 거부 의사를 밝혔는데도 A 씨가 협박을 목적으로 찾아왔다고 주장했다.반면 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 씨에게 방문 전 문자를 보냈고, 협박이 아닌 대화를 목적으로 만나려 했다고 설명했다. A 씨는 “B 씨 가족과 대면해 오해를 풀고 생각을 밝히기 위해 거주지로 찾아간 것”이라며 “피해자가 방문 직전까지도 자신과 활발히 연락을 주고받는 등 명확한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 씨의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피의자가 비밀번호 입력이 아닌 세대 호출 방식을 통해 공동 현관문으로 출입했다”며 “피해자가 피의자와 함께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오거나 피의자가 피해자 집 안으로 들어가려는 시도를 한 정황이 확인되지 않는 점 등을 미뤄볼 때 주거 침입의 고의나 착수가 있었다고 보긴 어렵다”고 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김진원 변호사는 “주거침입죄는 주거의 평온을 해치는 객관적·외형적으로 드러난 행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며 “A 씨의 행위가 비정상적인 출입 방식이 아닌 점을 성실히 소명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세대호출, 비정상적 출입 아냐”…주거침입 30대 남성 ‘무혐의’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10-20
[기고] 의사 창업가들에 알려 주고 싶은 최신 창업 동향과 창업 상식
[기고] 의사 창업가들에 알려 주고 싶은 최신 창업 동향과 창업 상식
대륜 이일형 변호사 "치별화 강점 활용... 디지털 헬스케어-신약개발 분야 활발 창업""성공적 사업 발전 위해 기술 이해, 지원책 활용, 법률 이해, 규제 환경 파악 등 다방면 준비 필요" 기고자: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일형 변호사(ilhyunglee@naver.com)변호사/약사/변리사/미국 회계사(Maine)시험 합격(前)셀트리온 국내법무팀 변호사(現)법무법인(유한) 대륜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 1. 들어가며 기고자는 최근 의료인 출신 창업가들의 상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헬스케어 산업 패러다임이 ‘디지털 헬스케어’ 쪽으로 급변하면서, 의사들의 창업 관심도와 문의가 급증하는 추세다. 정부 역시 제약바이오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어, 의사들의 의료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창업 생태계는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본고에서는 최근 의사 창업 동향과 함께, 창업 과정에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법률 지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최근 의사 창업 주요 분야 의사 창업가들은 임상 경험과 의학 지식이라는 차별화된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것 같다. 최근 의사들이 활발히 창업하고 있는 분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다. AI 기반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원격 의료 플랫폼, 디지털 치료제(DTx) 등이 대표적이다. 의사들은 풍부한 임상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실제 의료 현장의 문제점(pain point)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우위를 갖는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성능은 학습 데이터 질에 좌우되므로, 방대한 양의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의사의 경쟁력은 막강하다. 둘째, 신약 개발 분야다. 충족되지 않은 의료 수요(Unmet Medical Needs)가 존재하는 질환군, 예컨대 희귀질환이나 난치성 질환에 대한 신약 개발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의사 출신 창업가들은 질병 메커니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치료 타깃을 발굴하고 있으며, 임상시험 설계에서도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다. 3. 스타트업을 꿈꾸는 의사 창업가에게 알려드리고 싶은 창업 상식 (1) 기술 이해도 제고의 필요성 만약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창업을 준비하고 계시다면,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지식 습득을 권장한다. 기고자 경험상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이해가 있는 상태에서 개발자와 소통하는 것과, 관련 지식이 전무한 상태로 소통하는 것은 결과물의 질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전문 개발자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 개념과 용어에 대한 이해는 제품 개발의 효율성과 완성도를 크게 높인다. (2) 정부 지원 프로그램 적극 활용 제약바이오 분야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육성 의지로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이 대폭 확대됐다. 투자 유치 지원은 물론, 법률·재무·회계·창업 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초기 자금과 전문 지식이 부족한 창업가에게 이러한 지원책은 가뭄의 단비와도 같다. 현업으로도 많이 바쁘시겠지만 창업 초기에는 이런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탐색해서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3) 초기 법률 관계 정립의 중요성 창업이 첫번째라면 가급적이면 초기 단계부터 법률 전문가 조언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는 계약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미국 경우 창업 초기 멤버들 간 '주주간 계약'을 체계적으로 체결해 법적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고자 경험상 회사 경영 과정에서 '신뢰'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 정서상 다소 무미건조해 보일 수 있으나, 지분 구조, 의사결정 방법, 권한과 책임 범위 등을 사전에 명확히 합의하고 문서화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갈등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실제로, 초기 지분 구조를 잘못 세팅해 제대로 된 시작조차 못했다거나(VC들은 창업자 지분이 너무 낮으면 투자를 꺼려 한다), 공동창업자들 사이 의견이 맞지 않아 사업이 공중분해 되는 사례는 생각보다 너무나 흔하다. 초기 법률 자문은 이러한 사태를 예방하고 경영자가 경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단이 되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을 권장한다. (4) 규제 환경에 대한 이해 주지하시듯이 제약바이오 산업은 의료법, 약사법, 의료기기법, 개인정보보호법, 생명윤리법 등 복합적인 규제 체계 속에서 운영되는 강력한 규제 산업이다. 아무리 좋은 사업모델이라도 법에 저촉된다면 사장되고 만다. 따라서 사업모델이 현행 법규에 저촉되지 않는지, 필요한 인허가는 무엇인지는 반드시 사전에 검토되어야 한다. 4. 맺음말 의사 창업가들은 의학 전문성이라는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성을 성공적인 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이해, 정부 지원책 활용, 법률 이해, 규제 환경 파악 등 다방면의 준비가 필요하다. 기고자는 의사 출신 창업가들의 도전이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확신하고 이를 응원하고 있다. 이에 본고를 시작으로 의사 창업가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법률 지식을 지속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사 창업가들에 알려 주고 싶은 최신 창업 동향과 창업 상식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10-20
[기고] 의사 창업가들에 알려 주고 싶은 최신 창업 동향과 창업 상식
[기고] 의사 창업가들에 알려 주고 싶은 최신 창업 동향과 창업 상식
대륜 이일형 변호사 "치별화 강점 활용... 디지털 헬스케어-신약개발 분야 활발 창업""성공적 사업 발전 위해 기술 이해, 지원책 활용, 법률 이해, 규제 환경 파악 등 다방면 준비 필요" 기고자: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일형 변호사(ilhyunglee@naver.com)변호사/약사/변리사/미국 회계사(Maine)시험 합격(前)셀트리온 국내법무팀 변호사(現)법무법인(유한) 대륜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 1. 들어가며 기고자는 최근 의료인 출신 창업가들의 상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헬스케어 산업 패러다임이 ‘디지털 헬스케어’ 쪽으로 급변하면서, 의사들의 창업 관심도와 문의가 급증하는 추세다. 정부 역시 제약바이오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어, 의사들의 의료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창업 생태계는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본고에서는 최근 의사 창업 동향과 함께, 창업 과정에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법률 지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최근 의사 창업 주요 분야 의사 창업가들은 임상 경험과 의학 지식이라는 차별화된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것 같다. 최근 의사들이 활발히 창업하고 있는 분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다. AI 기반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원격 의료 플랫폼, 디지털 치료제(DTx) 등이 대표적이다. 의사들은 풍부한 임상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실제 의료 현장의 문제점(pain point)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우위를 갖는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성능은 학습 데이터 질에 좌우되므로, 방대한 양의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의사의 경쟁력은 막강하다. 둘째, 신약 개발 분야다. 충족되지 않은 의료 수요(Unmet Medical Needs)가 존재하는 질환군, 예컨대 희귀질환이나 난치성 질환에 대한 신약 개발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의사 출신 창업가들은 질병 메커니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치료 타깃을 발굴하고 있으며, 임상시험 설계에서도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다. 3. 스타트업을 꿈꾸는 의사 창업가에게 알려드리고 싶은 창업 상식 (1) 기술 이해도 제고의 필요성 만약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창업을 준비하고 계시다면,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지식 습득을 권장한다. 기고자 경험상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이해가 있는 상태에서 개발자와 소통하는 것과, 관련 지식이 전무한 상태로 소통하는 것은 결과물의 질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전문 개발자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 개념과 용어에 대한 이해는 제품 개발의 효율성과 완성도를 크게 높인다. (2) 정부 지원 프로그램 적극 활용 제약바이오 분야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육성 의지로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이 대폭 확대됐다. 투자 유치 지원은 물론, 법률·재무·회계·창업 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초기 자금과 전문 지식이 부족한 창업가에게 이러한 지원책은 가뭄의 단비와도 같다. 현업으로도 많이 바쁘시겠지만 창업 초기에는 이런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탐색해서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3) 초기 법률 관계 정립의 중요성 창업이 첫번째라면 가급적이면 초기 단계부터 법률 전문가 조언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는 계약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미국 경우 창업 초기 멤버들 간 '주주간 계약'을 체계적으로 체결해 법적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고자 경험상 회사 경영 과정에서 '신뢰'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 정서상 다소 무미건조해 보일 수 있으나, 지분 구조, 의사결정 방법, 권한과 책임 범위 등을 사전에 명확히 합의하고 문서화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갈등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실제로, 초기 지분 구조를 잘못 세팅해 제대로 된 시작조차 못했다거나(VC들은 창업자 지분이 너무 낮으면 투자를 꺼려 한다), 공동창업자들 사이 의견이 맞지 않아 사업이 공중분해 되는 사례는 생각보다 너무나 흔하다. 초기 법률 자문은 이러한 사태를 예방하고 경영자가 경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단이 되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을 권장한다. (4) 규제 환경에 대한 이해 주지하시듯이 제약바이오 산업은 의료법, 약사법, 의료기기법, 개인정보보호법, 생명윤리법 등 복합적인 규제 체계 속에서 운영되는 강력한 규제 산업이다. 아무리 좋은 사업모델이라도 법에 저촉된다면 사장되고 만다. 따라서 사업모델이 현행 법규에 저촉되지 않는지, 필요한 인허가는 무엇인지는 반드시 사전에 검토되어야 한다. 4. 맺음말 의사 창업가들은 의학 전문성이라는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성을 성공적인 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이해, 정부 지원책 활용, 법률 이해, 규제 환경 파악 등 다방면의 준비가 필요하다. 기고자는 의사 출신 창업가들의 도전이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확신하고 이를 응원하고 있다. 이에 본고를 시작으로 의사 창업가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법률 지식을 지속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사 창업가들에 알려 주고 싶은 최신 창업 동향과 창업 상식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10-19
주차장서 정산 중인 여성 추행한 50대…법원 판단은?
주차장서 정산 중인 여성 추행한 50대…법원 판단은?
피고인 "주차 정산 키오스크 이동 중 접촉"法 "피해자 가방에 걸려 접촉" 무죄 선고 주차장 키오스크에서 정산 중인 여성을 추행했다는 이유로 재판에 넘겨진 50대가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광주지방법원은 지난달 17일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광주의 한 마트 주차장에서 주차 정산 키오스크 기계 앞에 서 있던 여성 B씨의 신체를 만진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습니다. 평소 앓던 지병으로 신체 움직임에 문제가 있었는데, 정산중인 B씨가 옆 기계를 이용하라고 말해 이동하던 중 우연히 맞닿은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또 사건 당시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있었고 자신의 배우자까지 함께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범행을 저지를 이유가 없다고도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현장을 촬영한 CCTV 영상을 봤을 때 피해자가 메고 있던 가방에 피고인의 팔이 걸려 신체가 접촉된 것은 확인할 수 있다"면서도 "피고인이 추행의 고의를 가지고 접촉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이어 "매우 가까운 거리에 피고인의 배우자가 있었으며, 다수의 사람들이 지나가던 상황에서 피해자와 대화를 나눈 직후 강제추행 범행을 저질렀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성익 변호사는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추행의 고의가 있었다는 점에 대해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 없는 증명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A씨는 B씨에게 의도적으로 접근을 한 것이 아니라 정산을 위해 이동하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해 고의가 없었음을 입증했다"고 설명했습니다.#광주지법 #추행 #무죄 #사건사고 #광주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주차장서 정산 중인 여성 추행한 50대…법원 판단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10-19
주차장서 정산 중인 여성 추행한 50대…법원 판단은?
주차장서 정산 중인 여성 추행한 50대…법원 판단은?
피고인 "주차 정산 키오스크 이동 중 접촉"法 "피해자 가방에 걸려 접촉" 무죄 선고 주차장 키오스크에서 정산 중인 여성을 추행했다는 이유로 재판에 넘겨진 50대가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광주지방법원은 지난달 17일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광주의 한 마트 주차장에서 주차 정산 키오스크 기계 앞에 서 있던 여성 B씨의 신체를 만진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습니다. 평소 앓던 지병으로 신체 움직임에 문제가 있었는데, 정산중인 B씨가 옆 기계를 이용하라고 말해 이동하던 중 우연히 맞닿은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또 사건 당시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있었고 자신의 배우자까지 함께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범행을 저지를 이유가 없다고도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현장을 촬영한 CCTV 영상을 봤을 때 피해자가 메고 있던 가방에 피고인의 팔이 걸려 신체가 접촉된 것은 확인할 수 있다"면서도 "피고인이 추행의 고의를 가지고 접촉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이어 "매우 가까운 거리에 피고인의 배우자가 있었으며, 다수의 사람들이 지나가던 상황에서 피해자와 대화를 나눈 직후 강제추행 범행을 저질렀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성익 변호사는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추행의 고의가 있었다는 점에 대해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 없는 증명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A씨는 B씨에게 의도적으로 접근을 한 것이 아니라 정산을 위해 이동하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해 고의가 없었음을 입증했다"고 설명했습니다.#광주지법 #추행 #무죄 #사건사고 #광주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주차장서 정산 중인 여성 추행한 50대…법원 판단은? (바로가기)
뉴스핌
2025-10-19
[사기범죄 급증]㉓로맨스스캠 '이렇게 대응해야'…"신속 신고·계좌 정지·증거 확보"
[사기범죄 급증]㉓로맨스스캠 '이렇게 대응해야'…"신속 신고·계좌 정지·증거 확보"
"수치심에 신고 미루면 회복 어려워…피해자가 공범되기도""'수수료 내면 환불' 또 다른 덫, 추가 송금 요구 응해선 안 돼" 20대 대학생이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갔다가 지난 8월 고문당해 숨진 채 발견된 사실이 알려지며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 범죄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현지에서 발생한 범행 대부분은 중국계 범죄 조직이 장악하고 있다. 이들은 온라인 사기 형태로 범행을 벌이고 있다. 로맨스스캠은 이들이 행하는 범죄 중 하나로 최근 국내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 "사랑인 줄 알았다"…로맨스 스캠 피해액 8개월 새 847억 원 19일 경찰청에 따르면 로맨스스캠 피해는 지난해 212월 1265건·675억 원에서 올해 18월 1357건·847억 원으로 급증했다. 피해액 기준으로 25% 이상 늘어나며 불과 8개월 만에 지난해 전체 규모를 넘어섰다. 범행 전 신뢰를 쌓는 수법은 다양하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알고 계신다"며 종교를 이용해 운명처럼 느끼게 하거나 "당신에게 충성을 다하겠다","당신을 실망시키지 않겠다"며 관계를 특별하고 가치 있게 만든다. "남편의 건강은 어떠냐"며 개인적이고 세심한 질문을 한다. 단순한 대화 상대가 아니라 '당신을 이해하고 있다'는 식의 인식을 심는 것이다. 돈을 뜯어내는 방식도 여러 가지다. "테러리스트가 내 캠프를 공격하러 왔다. 돈이 필요하다", "하루빨리 당신에게 가고 싶다. 입국에 필요한 돈을 달라", "좋은 투자처가 있으니 소개해 주겠다" 등이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범죄인 만큼 피해자들은 피해를 알게 된 후 오히려 수치심, 자기 비난, 대인기피증 등 후유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피해 사실을 진술하기 어려워 신고를 망설이는 경우도 있다. ◆ "부끄러워 숨기면 피해금 못 찾아"…전문가가 말하는 로맨스스캠 대응법 전문가들은 로맨스 스캠을 피해를 입었다면 즉각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계좌 정지다. 신용훈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송금한 계좌의 해당 은행에 연락해 바로 계좌 사용을 정지시켜야 한다"며 "해당 계좌는 명의자가 불상이거나 대포통장인 경우가 많고 빠르게 돈이 인출되는 만큼 은행의 신속한 조치를 요청해야 한다"고 했다. 수사기관에 제출할 증거로는 입금 내역과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내역을 확보해야 한다. 오동현 변호사(법률사무소 뉴로이어)는 "은행 앱에서 거래 확인서나 이체 확인서를 확인할 수 있고 은행에서 직접 발급받을 수도 있다"며 "이체 내역과 로맨스 스캠 상대방과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나 연락 내역을 수사기관에 제출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신 변호사는 "사기 사건은 내가 어떤 말에 속아서 돈을 주었는지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피해자의 심리를 이용한 추가 피해도 주의해야 한다. 오 변호사는 "'수수료를 입금하면 돈이 환급될 수 있다'는 식으로 추가 입금을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며 "로맨스스캠 가해자와 대화를 끊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것이 어렵더라도 상대방 요구에 절대 응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더 심각한 것은 피해자가 오히려 범죄에 연루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오 변호사가 다룬 사례 중에는 로맨스 스캠 피해자가 보이스피싱 범죄의 공범이 된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에게 '피해 금액 회복을 위해서는 통장 명의가 필요하다'며 통장 명의와 비밀번호를 요구해 가져간 것이다. 이 피해자는 자신도 모르게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된 가해자가 됐다. 오 변호사는 "로맨스 스캠 조직원들은 하나의 범죄만 하는 것이 아니어서 피해자를 오히려 공범으로 유도할 수 있다"며 "돈 뿐 아니라 명의, 통장 비밀번호 등 개인만 알 수 있는 정보를 넘겨주면 안 된다"고 했다. 신속한 피해 신고도 강조됐다. 신 변호사는 "부끄러움을 이유로 신고를 주저한다면 피해금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은 더욱더 떨어지게 된다"며 "신고조차 하지 않는다면 그 피해는 온전히 피해자가 감당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오 변호사는 "형사고소를 비롯해 경우에 따라서는 민사소송을 통해 피해 금액을 회복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사기범죄 급증]㉓로맨스스캠 '이렇게 대응해야'…"신속 신고·계좌 정지·증거 확보" (바로가기)
뉴스핌
2025-10-19
[사기범죄 급증]㉓로맨스스캠 '이렇게 대응해야'…"신속 신고·계좌 정지·증거 확보"
[사기범죄 급증]㉓로맨스스캠 '이렇게 대응해야'…"신속 신고·계좌 정지·증거 확보"
"수치심에 신고 미루면 회복 어려워…피해자가 공범되기도""'수수료 내면 환불' 또 다른 덫, 추가 송금 요구 응해선 안 돼" 20대 대학생이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갔다가 지난 8월 고문당해 숨진 채 발견된 사실이 알려지며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 범죄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현지에서 발생한 범행 대부분은 중국계 범죄 조직이 장악하고 있다. 이들은 온라인 사기 형태로 범행을 벌이고 있다. 로맨스스캠은 이들이 행하는 범죄 중 하나로 최근 국내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 "사랑인 줄 알았다"…로맨스 스캠 피해액 8개월 새 847억 원 19일 경찰청에 따르면 로맨스스캠 피해는 지난해 212월 1265건·675억 원에서 올해 18월 1357건·847억 원으로 급증했다. 피해액 기준으로 25% 이상 늘어나며 불과 8개월 만에 지난해 전체 규모를 넘어섰다. 범행 전 신뢰를 쌓는 수법은 다양하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알고 계신다"며 종교를 이용해 운명처럼 느끼게 하거나 "당신에게 충성을 다하겠다","당신을 실망시키지 않겠다"며 관계를 특별하고 가치 있게 만든다. "남편의 건강은 어떠냐"며 개인적이고 세심한 질문을 한다. 단순한 대화 상대가 아니라 '당신을 이해하고 있다'는 식의 인식을 심는 것이다. 돈을 뜯어내는 방식도 여러 가지다. "테러리스트가 내 캠프를 공격하러 왔다. 돈이 필요하다", "하루빨리 당신에게 가고 싶다. 입국에 필요한 돈을 달라", "좋은 투자처가 있으니 소개해 주겠다" 등이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범죄인 만큼 피해자들은 피해를 알게 된 후 오히려 수치심, 자기 비난, 대인기피증 등 후유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피해 사실을 진술하기 어려워 신고를 망설이는 경우도 있다. ◆ "부끄러워 숨기면 피해금 못 찾아"…전문가가 말하는 로맨스스캠 대응법 전문가들은 로맨스 스캠을 피해를 입었다면 즉각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계좌 정지다. 신용훈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송금한 계좌의 해당 은행에 연락해 바로 계좌 사용을 정지시켜야 한다"며 "해당 계좌는 명의자가 불상이거나 대포통장인 경우가 많고 빠르게 돈이 인출되는 만큼 은행의 신속한 조치를 요청해야 한다"고 했다. 수사기관에 제출할 증거로는 입금 내역과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내역을 확보해야 한다. 오동현 변호사(법률사무소 뉴로이어)는 "은행 앱에서 거래 확인서나 이체 확인서를 확인할 수 있고 은행에서 직접 발급받을 수도 있다"며 "이체 내역과 로맨스 스캠 상대방과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나 연락 내역을 수사기관에 제출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신 변호사는 "사기 사건은 내가 어떤 말에 속아서 돈을 주었는지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피해자의 심리를 이용한 추가 피해도 주의해야 한다. 오 변호사는 "'수수료를 입금하면 돈이 환급될 수 있다'는 식으로 추가 입금을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며 "로맨스스캠 가해자와 대화를 끊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것이 어렵더라도 상대방 요구에 절대 응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더 심각한 것은 피해자가 오히려 범죄에 연루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오 변호사가 다룬 사례 중에는 로맨스 스캠 피해자가 보이스피싱 범죄의 공범이 된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에게 '피해 금액 회복을 위해서는 통장 명의가 필요하다'며 통장 명의와 비밀번호를 요구해 가져간 것이다. 이 피해자는 자신도 모르게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된 가해자가 됐다. 오 변호사는 "로맨스 스캠 조직원들은 하나의 범죄만 하는 것이 아니어서 피해자를 오히려 공범으로 유도할 수 있다"며 "돈 뿐 아니라 명의, 통장 비밀번호 등 개인만 알 수 있는 정보를 넘겨주면 안 된다"고 했다. 신속한 피해 신고도 강조됐다. 신 변호사는 "부끄러움을 이유로 신고를 주저한다면 피해금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은 더욱더 떨어지게 된다"며 "신고조차 하지 않는다면 그 피해는 온전히 피해자가 감당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오 변호사는 "형사고소를 비롯해 경우에 따라서는 민사소송을 통해 피해 금액을 회복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사기범죄 급증]㉓로맨스스캠 '이렇게 대응해야'…"신속 신고·계좌 정지·증거 확보"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7
암투병 친언니 사망 전 1억원 타인 계좌로 '꿀꺽'…檢 "혐의없음"
암투병 친언니 사망 전 1억원 타인 계좌로 '꿀꺽'…檢 "혐의없음"
암 투병 중인 친언니의 재산을 빼돌린 혐의를 받은 50대 여성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22일 절도 및 사기 등 혐의로 송치된 50대 여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해 12월 암으로 투병하던 언니 B씨의 예금 등 1억 2000만원 상당의 재산을 자신과 제3자의 계좌로 옮기고 부의금을 가로챈 혐의로 고소당했다. 고소인은 B씨의 남편이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A씨는 언니 B씨가 자신의 재산과 관련된 모든 일을 자신에게 맡겨 그 뜻을 따랐을 뿐이라고 진술했다. A씨는 “언니의 남편은 알코올 중독자에 사업 빚도 상당해 언니가 내게 많이 의지했다”고 밝혔다. 가족 등이 아닌 타인 계좌에 15회 걸쳐 입금한 계기에 대해서도 “한 번에 돈이 입금되면 증여세 문제가 있으니 당초 협의해 진행한 것”이라고 덧붙였다.검찰은 A씨를 불기소 처분했다.검찰은 "피의자가 장례식 기간 중 망인의 계좌에 있는 돈을 여러 명에게 이체한 사실은 다툼이 없다"며 "피의자가 생전 망인의 전세 보증금 문제 등 재산 전반을 주도적으로 처리했고, 유언 형식의 동영상에서 망인이 피의자에게 재산 배분 일체를 위임한다는 내용을 언급한 점 등을 미뤄볼 때 혐의를 인정하기에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이하늘 변호사는 "A씨가 고인의 치료비를 지원하고 상주로서 장례를 주관하는 등 재산을 가로챌 의도가 없었음을 성실히 소명했다"며 "고인의 명확한 위임 의사가 있었기에 절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재판부에 적극적으로 피력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암투병 친언니 사망 전 1억원 타인 계좌로 '꿀꺽'…檢 "혐의없음"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7
암투병 친언니 사망 전 1억원 타인 계좌로 '꿀꺽'…檢 "혐의없음"
암투병 친언니 사망 전 1억원 타인 계좌로 '꿀꺽'…檢 "혐의없음"
암 투병 중인 친언니의 재산을 빼돌린 혐의를 받은 50대 여성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22일 절도 및 사기 등 혐의로 송치된 50대 여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해 12월 암으로 투병하던 언니 B씨의 예금 등 1억 2000만원 상당의 재산을 자신과 제3자의 계좌로 옮기고 부의금을 가로챈 혐의로 고소당했다. 고소인은 B씨의 남편이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A씨는 언니 B씨가 자신의 재산과 관련된 모든 일을 자신에게 맡겨 그 뜻을 따랐을 뿐이라고 진술했다. A씨는 “언니의 남편은 알코올 중독자에 사업 빚도 상당해 언니가 내게 많이 의지했다”고 밝혔다. 가족 등이 아닌 타인 계좌에 15회 걸쳐 입금한 계기에 대해서도 “한 번에 돈이 입금되면 증여세 문제가 있으니 당초 협의해 진행한 것”이라고 덧붙였다.검찰은 A씨를 불기소 처분했다.검찰은 "피의자가 장례식 기간 중 망인의 계좌에 있는 돈을 여러 명에게 이체한 사실은 다툼이 없다"며 "피의자가 생전 망인의 전세 보증금 문제 등 재산 전반을 주도적으로 처리했고, 유언 형식의 동영상에서 망인이 피의자에게 재산 배분 일체를 위임한다는 내용을 언급한 점 등을 미뤄볼 때 혐의를 인정하기에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이하늘 변호사는 "A씨가 고인의 치료비를 지원하고 상주로서 장례를 주관하는 등 재산을 가로챌 의도가 없었음을 성실히 소명했다"며 "고인의 명확한 위임 의사가 있었기에 절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재판부에 적극적으로 피력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암투병 친언니 사망 전 1억원 타인 계좌로 '꿀꺽'…檢 "혐의없음" (바로가기)
머니S
2025-10-15
"월세 3개월 밀렸으니 가게 비우세요"… 계약서 살펴보니 '무효'
"월세 3개월 밀렸으니 가게 비우세요"… 계약서 살펴보니 '무효'
임대차 계약 시 임대료를 내는 단위와 연체로 인한 계약 해지 단위를 다르게 정했다면 임차인에게 불리한 불공정 계약이므로 효력이 없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인천지방법원 제11민사부는 지난달 11일, 카페 운영업체 A사가 인천관광공사를 상대로 낸 '임대차계약관계 존재확인 소송'에서 원고인 A사의 손을 들어줬다고 밝혔다.사건은 20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A사는 인천의 한 관광시설에 입주하기 위해 인천관광공사와 10년짜리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계약 조건에는 매년 초 1년 치 월세를 미리 내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하지만 예상과 달리 방문객 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A사는 재정난에 부딪혔고 지난해 임대료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이에 공사 측은 올해 초 A사에 임대료 지급을 촉구하며 내용증명을 보냈다. 내용증명에는 연체를 이유로 계약을 해지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 계약서에 '월세 연체액이 3개월분에 달하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조항을 근거로 삼은 것이다. 현행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차임 연체액이 3기에 달하면 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A사는 즉각 반발했다. 임대료는 '1년 단위'로 한번에 내기로 약정해놓고 계약 해지 조건은 '월 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주장이었다. 결국 A사는 임대차 계약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법원은 A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계약상 임대료를 1년 단위로 지급하기로 약정한 반면, 연체 시 해지 기준을 3개월분으로 정한 것은 그 자체로 임차인에게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따라서 해당 연체 해지 조항은 효력이 없으므로 공사 측이 보낸 내용증명으로 인해 임대차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됐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A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김성찬 변호사는 "계약서의 해지 사유에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 의해 차임 연체액이 3기에 달하는 경우'라고만 명시돼 있었다"며 "재판 과정에서 '1년 단위로 차임을 지급하기로 한 경우 3기의 차임은 곧 3년분'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해 임차인에게 불리한 계약임을 인정받고 승소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월세 3개월 밀렸으니 가게 비우세요"… 계약서 살펴보니 '무효' (바로가기)
머니S
2025-10-15
"월세 3개월 밀렸으니 가게 비우세요"… 계약서 살펴보니 '무효'
"월세 3개월 밀렸으니 가게 비우세요"… 계약서 살펴보니 '무효'
임대차 계약 시 임대료를 내는 단위와 연체로 인한 계약 해지 단위를 다르게 정했다면 임차인에게 불리한 불공정 계약이므로 효력이 없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인천지방법원 제11민사부는 지난달 11일, 카페 운영업체 A사가 인천관광공사를 상대로 낸 '임대차계약관계 존재확인 소송'에서 원고인 A사의 손을 들어줬다고 밝혔다.사건은 20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A사는 인천의 한 관광시설에 입주하기 위해 인천관광공사와 10년짜리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계약 조건에는 매년 초 1년 치 월세를 미리 내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하지만 예상과 달리 방문객 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A사는 재정난에 부딪혔고 지난해 임대료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이에 공사 측은 올해 초 A사에 임대료 지급을 촉구하며 내용증명을 보냈다. 내용증명에는 연체를 이유로 계약을 해지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 계약서에 '월세 연체액이 3개월분에 달하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조항을 근거로 삼은 것이다. 현행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차임 연체액이 3기에 달하면 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A사는 즉각 반발했다. 임대료는 '1년 단위'로 한번에 내기로 약정해놓고 계약 해지 조건은 '월 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주장이었다. 결국 A사는 임대차 계약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법원은 A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계약상 임대료를 1년 단위로 지급하기로 약정한 반면, 연체 시 해지 기준을 3개월분으로 정한 것은 그 자체로 임차인에게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따라서 해당 연체 해지 조항은 효력이 없으므로 공사 측이 보낸 내용증명으로 인해 임대차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됐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A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김성찬 변호사는 "계약서의 해지 사유에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 의해 차임 연체액이 3기에 달하는 경우'라고만 명시돼 있었다"며 "재판 과정에서 '1년 단위로 차임을 지급하기로 한 경우 3기의 차임은 곧 3년분'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해 임차인에게 불리한 계약임을 인정받고 승소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월세 3개월 밀렸으니 가게 비우세요"… 계약서 살펴보니 '무효'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5
‘집단 사이버불링’ 징계 받은 중학생...법원서 "취소" 판결
‘집단 사이버불링’ 징계 받은 중학생...법원서 "취소" 판결
단체 메신저 대화방에서 집단 사이버불링을 했다는 이유로 사회봉사 징계처분을 받은 중학생이 처분 취소 소송을 내 승소했다.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0일 중학생 A군이 경북 울진교육지원청교육장을 상대로 낸 학교폭력 징계처분 취소 소송에서 “피고가 원고에게 한 사회봉사 6시간 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했다.A군은 지난해 메신저 대화방에서 같은 학교 학생들과 함께 B군에게 욕설을 하고 허위 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학교폭력 대책 심의위원회에 회부됐다. 사건을 조사한 교육청은 A군에게 사회봉사 6시간 조치 처분을 내렸다.이에 불복한 A군은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자신은 욕을 한 사실이 없고, 대화방의 맥락을 파악하지 못한 채 소극적으로 가담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교육청이 사회봉사 처분을 내리는 과정에서 '학교폭력으로 인정되는 행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았다고도 주장했다.교육청 측은 이를 반박했다. A군이 다른 가해학생들의 말에 동조하며 B군에 대한 사이버 따돌림에 동조했다는 이유에서다. 또 학폭위 통지 과정에서 심의 대상이 된 행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표시했다고도 강조했다.법원은 A군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원고가 대화방에서 한 발언들은 피해학생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모욕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단순히 맞장구를 치거나 대화를 정리하는 등의 소극적·부수적 발언일 뿐, 실질적인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피해자를 비난하는 발언을 했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다만 처분사유를 특정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원고 측은 학폭위에 출석해 자신들의 의견을 충분히 진술했고, 이 과정에서 사회봉사 처분이 어떤 근거와 이유로 이뤄졌는지 충분히 알 수 있었을 것"이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A군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전형오 변호사는 "학교폭력예방법상 학교폭력에 해당하는 명예훼손 또는 모욕을 검토할 때는 형법상의 구성요건인 공연성을 갖추고 있는지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대화방에서 A군이 했던 발언들은 모욕 내지 명예훼손 등 어떠한 형사적 구성요건에 비춰봐도 이를 만족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집단 사이버불링’ 징계 받은 중학생...법원서 "취소" 판결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5
‘집단 사이버불링’ 징계 받은 중학생...법원서 "취소" 판결
‘집단 사이버불링’ 징계 받은 중학생...법원서 "취소" 판결
단체 메신저 대화방에서 집단 사이버불링을 했다는 이유로 사회봉사 징계처분을 받은 중학생이 처분 취소 소송을 내 승소했다.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0일 중학생 A군이 경북 울진교육지원청교육장을 상대로 낸 학교폭력 징계처분 취소 소송에서 “피고가 원고에게 한 사회봉사 6시간 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했다.A군은 지난해 메신저 대화방에서 같은 학교 학생들과 함께 B군에게 욕설을 하고 허위 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학교폭력 대책 심의위원회에 회부됐다. 사건을 조사한 교육청은 A군에게 사회봉사 6시간 조치 처분을 내렸다.이에 불복한 A군은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자신은 욕을 한 사실이 없고, 대화방의 맥락을 파악하지 못한 채 소극적으로 가담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교육청이 사회봉사 처분을 내리는 과정에서 '학교폭력으로 인정되는 행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았다고도 주장했다.교육청 측은 이를 반박했다. A군이 다른 가해학생들의 말에 동조하며 B군에 대한 사이버 따돌림에 동조했다는 이유에서다. 또 학폭위 통지 과정에서 심의 대상이 된 행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표시했다고도 강조했다.법원은 A군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원고가 대화방에서 한 발언들은 피해학생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모욕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단순히 맞장구를 치거나 대화를 정리하는 등의 소극적·부수적 발언일 뿐, 실질적인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피해자를 비난하는 발언을 했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다만 처분사유를 특정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원고 측은 학폭위에 출석해 자신들의 의견을 충분히 진술했고, 이 과정에서 사회봉사 처분이 어떤 근거와 이유로 이뤄졌는지 충분히 알 수 있었을 것"이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A군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전형오 변호사는 "학교폭력예방법상 학교폭력에 해당하는 명예훼손 또는 모욕을 검토할 때는 형법상의 구성요건인 공연성을 갖추고 있는지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대화방에서 A군이 했던 발언들은 모욕 내지 명예훼손 등 어떠한 형사적 구성요건에 비춰봐도 이를 만족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집단 사이버불링’ 징계 받은 중학생...법원서 "취소" 판결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10-14
안정적 자산 관리, 기업 미래 가르는 결정적 요소
안정적 자산 관리, 기업 미래 가르는 결정적 요소
최근 국내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매출채권 규모가 급격히 불어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매출채권은 2021년 말 18조 4,0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3조 8,000억원으로 증가했다. 불과 3년 만에 83.5%나 늘어난 것이다. 미수채권의 증가 흐름은 비단 건설업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경기 침체, 공급망 불안정, 세계 정세 변화 등 복합적인 대외 변수 속에서 제조업·유통업·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에서의 대금 회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기업 관점에서의 채권추심은 회수를 통한 금전 확보를 넘어 유동성 관리, 재무 건전성, 나아가 사업의 연속성과도 직결되는 문제다. 채권 회수에 실패하면 재무구조가 흔들리고 협력업체나 하도급 업체, 심지어 금융기관까지 도미노처럼 타격을 입게 된다. 따라서 채권추심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경영 전략으로 이해해야 한다.문제는 회수가 늦어지거나 실패하게 되는 경우, 재무제표에는 자산으로 기록되더라도 실질적인 자금 유입이 이뤄지지 않아 기업 전체의 현금 흐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현금 유입이 막히면 기업은 부족한 유동성을 메우기 위해 단기 차입에 의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자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늘어난 비용은 수익성을 저해하고 결국 재무 지표 악화로 이어져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외부 자금조달마저 어려워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채권 회수 절차에 돌입해야 하는데,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면 형사처벌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신뢰도와 이미지에도 치명적인 손상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법적으로 허용된 범위 내에서 정당한 절차와 전략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내용증명을 통해 채무이행 의무를 알리는 절차로 시작해 지급명령 신청이나 민사소송을 통해 권리를 확보해야 한다. 만약 소송에서 이겼다면, 필요한 경우 강제집행을 통해 실질적인 회수를 시도할 수 있다. 채무자가 이미 회생이나 파산 절차에 돌입했다면 배당에 참여해 권리를 행사해야 한다.이와 동시에 처음부터 채권 발생 위험을 줄이는 사전적 리스크 방지에도 힘쓸 필요가 있다. 먼저 계약 단계에서 대금 지급 기한과 지연 이자 및 분쟁 발생 시 이뤄질 조치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기재하는 것이 좋다. 거래 금액이 크거나 프로젝트가 장기간에 걸쳐 진행될 경우, 선급금과 중도금 및 잔금을 정리하고 선결제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며 미수금 발생 시 손해를 최소화 하도록 대비해야 한다.기업의 생존은 결국 현금흐름에서 나온다. 그리고 이 흐름을 지켜내는 첫걸음은 미수채권을 방치하지 않고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 방치된 미수채권이 내일의 위기로 돌아올 수 있다.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는 오늘날의 경제 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자산 관리가 곧 기업의 미래를 가르는 결정적 요소가 될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안정적 자산 관리, 기업 미래 가르는 결정적 요소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10-14
안정적 자산 관리, 기업 미래 가르는 결정적 요소
안정적 자산 관리, 기업 미래 가르는 결정적 요소
최근 국내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매출채권 규모가 급격히 불어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매출채권은 2021년 말 18조 4,0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3조 8,000억원으로 증가했다. 불과 3년 만에 83.5%나 늘어난 것이다. 미수채권의 증가 흐름은 비단 건설업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경기 침체, 공급망 불안정, 세계 정세 변화 등 복합적인 대외 변수 속에서 제조업·유통업·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에서의 대금 회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기업 관점에서의 채권추심은 회수를 통한 금전 확보를 넘어 유동성 관리, 재무 건전성, 나아가 사업의 연속성과도 직결되는 문제다. 채권 회수에 실패하면 재무구조가 흔들리고 협력업체나 하도급 업체, 심지어 금융기관까지 도미노처럼 타격을 입게 된다. 따라서 채권추심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경영 전략으로 이해해야 한다.문제는 회수가 늦어지거나 실패하게 되는 경우, 재무제표에는 자산으로 기록되더라도 실질적인 자금 유입이 이뤄지지 않아 기업 전체의 현금 흐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현금 유입이 막히면 기업은 부족한 유동성을 메우기 위해 단기 차입에 의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자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늘어난 비용은 수익성을 저해하고 결국 재무 지표 악화로 이어져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외부 자금조달마저 어려워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채권 회수 절차에 돌입해야 하는데,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면 형사처벌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신뢰도와 이미지에도 치명적인 손상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법적으로 허용된 범위 내에서 정당한 절차와 전략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내용증명을 통해 채무이행 의무를 알리는 절차로 시작해 지급명령 신청이나 민사소송을 통해 권리를 확보해야 한다. 만약 소송에서 이겼다면, 필요한 경우 강제집행을 통해 실질적인 회수를 시도할 수 있다. 채무자가 이미 회생이나 파산 절차에 돌입했다면 배당에 참여해 권리를 행사해야 한다.이와 동시에 처음부터 채권 발생 위험을 줄이는 사전적 리스크 방지에도 힘쓸 필요가 있다. 먼저 계약 단계에서 대금 지급 기한과 지연 이자 및 분쟁 발생 시 이뤄질 조치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기재하는 것이 좋다. 거래 금액이 크거나 프로젝트가 장기간에 걸쳐 진행될 경우, 선급금과 중도금 및 잔금을 정리하고 선결제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며 미수금 발생 시 손해를 최소화 하도록 대비해야 한다.기업의 생존은 결국 현금흐름에서 나온다. 그리고 이 흐름을 지켜내는 첫걸음은 미수채권을 방치하지 않고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 방치된 미수채권이 내일의 위기로 돌아올 수 있다.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는 오늘날의 경제 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자산 관리가 곧 기업의 미래를 가르는 결정적 요소가 될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안정적 자산 관리, 기업 미래 가르는 결정적 요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10-13
“고객정보 소유권 없어”…‘숍인숍’ 정보 삭제한 미용실 대표 무혐의
“고객정보 소유권 없어”…‘숍인숍’ 정보 삭제한 미용실 대표 무혐의
태블릿 PC 내 고객 정보 무단 삭제‘업무 방해’ 혐의 등으로 검찰 송치檢 “확약서상 ‘인수인계’ 조항 있어…피해자 소유 주장 인용 어려워” 매장 내 입점한 네일숍의 고객 정보가 담긴 태블릿 PC를 가져갔다는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겨진 미용실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의정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8일 재물손괴 및 업무방해 혐의로 송치된 30대 미용실 대표 A 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 씨는 지난 1월 자신의 미용실에 입점해 있던 네일숍 원장 B 씨의 고객 정보가 담긴 태블릿 PC를 무단으로 가져가 정보를 삭제한 혐의를 받았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해당 태블릿 PC가 B 씨의 개인 소유가 아닌 공용 물품이었다고 주장했다. 고객 정보를 삭제한 것은 B 씨가 미용실 인근에 새 네일숍을 차리면서 기존 상호명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A 씨는 “B 씨가 우리 매장 고객을 자신의 새 매장으로 빼돌리고, 상호명 도용을 시정해 달라는 정당한 요구도 무시해 강제로 정보를 삭제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검찰은 A 씨의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두 사람이 함께 작성한 확약서에 ‘계약 종료 시 관리하던 모든 고객 정보는 A 씨 측에 인수인계한다’는 조항이 있다”며 “B 씨 역시 이 조항을 알고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삭제된 고객 정보가 B 씨의 소유라고 보기 어렵다”고 불기소 이유를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허성국 변호사는 “재물손괴죄가 성립하려면 타인의 소유물을 침해한다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며 “오히려 계약상 비밀유지 의무를 위반한 쪽은 B 씨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소명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고객정보 소유권 없어”…‘숍인숍’ 정보 삭제한 미용실 대표 무혐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10-13
“고객정보 소유권 없어”…‘숍인숍’ 정보 삭제한 미용실 대표 무혐의
“고객정보 소유권 없어”…‘숍인숍’ 정보 삭제한 미용실 대표 무혐의
태블릿 PC 내 고객 정보 무단 삭제‘업무 방해’ 혐의 등으로 검찰 송치檢 “확약서상 ‘인수인계’ 조항 있어…피해자 소유 주장 인용 어려워” 매장 내 입점한 네일숍의 고객 정보가 담긴 태블릿 PC를 가져갔다는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겨진 미용실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의정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8일 재물손괴 및 업무방해 혐의로 송치된 30대 미용실 대표 A 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 씨는 지난 1월 자신의 미용실에 입점해 있던 네일숍 원장 B 씨의 고객 정보가 담긴 태블릿 PC를 무단으로 가져가 정보를 삭제한 혐의를 받았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해당 태블릿 PC가 B 씨의 개인 소유가 아닌 공용 물품이었다고 주장했다. 고객 정보를 삭제한 것은 B 씨가 미용실 인근에 새 네일숍을 차리면서 기존 상호명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A 씨는 “B 씨가 우리 매장 고객을 자신의 새 매장으로 빼돌리고, 상호명 도용을 시정해 달라는 정당한 요구도 무시해 강제로 정보를 삭제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검찰은 A 씨의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두 사람이 함께 작성한 확약서에 ‘계약 종료 시 관리하던 모든 고객 정보는 A 씨 측에 인수인계한다’는 조항이 있다”며 “B 씨 역시 이 조항을 알고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삭제된 고객 정보가 B 씨의 소유라고 보기 어렵다”고 불기소 이유를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허성국 변호사는 “재물손괴죄가 성립하려면 타인의 소유물을 침해한다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며 “오히려 계약상 비밀유지 의무를 위반한 쪽은 B 씨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소명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고객정보 소유권 없어”…‘숍인숍’ 정보 삭제한 미용실 대표 무혐의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10-13
'묵시적 합의' 종언…프랜차이즈 업계 뒤흔든 차액가맹금 판결 [대륜의 Biz law forum]
'묵시적 합의' 종언…프랜차이즈 업계 뒤흔든 차액가맹금 판결 [대륜의 Biz law forum]
서울고법, '한국피자헛' 사건 판결로가맹산업 구조적 투명성 문제 드러나"본부, 신뢰 기반 경영 구축 우선해야" 서울고등법원은 이른바 '한국피자헛 사건'(2022나2024467)에서 가맹본부가 가맹점들로부터 걷은 차액가맹금이 부당이득이라며 반환을 명령했다. 단순한 금전 분쟁을 넘어 프랜차이즈 산업의 구조적 투명성 문제를 정면으로 드러낸 결정이라는 평가다. 이 판결을 기점으로 가맹본부는 단기 수익보다 법적 리스크 관리와 신뢰 기반 경영 체계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하게 됐다. "관행상 합의 있었다" 논리 원천 차단 차액가맹금은 가맹본부가 원·부자재를 공급하면서 도매가격을 초과해 취하는 금액, 즉 납품 마진을 뜻한다. 본래 가맹본부는 품질 통일과 물류 효율화를 이유로 가맹점에 특정 공급 업체를 지정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마진을 취득하면 법적으로는 가맹금의 일종으로 간주된다.이는 가맹사업법 시행령에 이미 구체적으로 정의돼 있다. 정보공개서에도 가맹점당 평균 차액가맹금 매출 대비 비율을 명시하는 게 규정이다. 하지만 법원은 이번 판결에서 "차액가맹금은 단순한 유통 마진이 아니라 계약상 합의가 전제돼야 하는 가맹금"이라며 명확히 선을 그었다. 가맹계약서에 관련 조항이 없고, 가맹점이 그 존재를 몰랐다면 명백한 부당이득이라는 것이다. 가맹본부는 오랜 기간 원·부자재 대금에 차액가맹금을 포함했다. 그러나 이를 정당화할 조항이나 개별 합의가 없다면 부당이득이라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재판부가 판결문에 "정보공개서 기재만으로는 계약상 합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명시한 부분은 업계 전반에 큰 의미를 지닌다."오랜 거래 관행상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는 가맹본부 측 논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한 셈이기 때문이다. 가맹점의 분명한 인식이나 동의 없는 차액가맹금 수취는 더 이상 관행이 아닌 법 위반 행위가 됐다. 운송비·관리비 등으로 명목을 바꾸더라도 입증이 부족하면 차액가맹금으로 간주된다. 프랜차이즈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장 이번 판결은 프랜차이즈 산업에 구조적 경고를 던진다. 차액가맹금과 관련해 가맹본부가 유념해야 할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① 가맹계약서 명시 의무 강화 : 2024년 7월 3일 개정된 가맹사업법은 계약서 필수 기재 사항에 '공급가격 산정 방식'을 포함한다. 단순한 가격 공개를 넘어 마진 구조와 산출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란 의미다. 이를 기재하지 않거나 불투명하게 처리하면 부당이득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② 정보공개서만으로는 면책 불가 : 정보공개서 등록은 단지 행정 절차에 불과하다. 법원은 '정보공개서 제공이 가맹점의 동의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정보공개서와 계약서 간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법원은 가맹본부 책임을 우선으로 판단할 것이다.③ 관행·묵시적 동의 불인정 : 가맹점 측의 교섭력이 약한 점을 고려해 법원은 가맹본부 측의 '묵시적 합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가맹본부가 합법적 구조를 유지하려면 사전 고지·서면 동의·가격 공개의 3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가맹본부, 단기 수익보다 '신뢰' 앞세워야 판결이 대법원에서 확정되면 향후 가맹본부의 영업·회계·법무 전 부문에 미칠 영향은 상당하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 대응책은 다음과 같다.① 공급 계약의 전면 재점검 : 협력 업체와의 납품 계약 구조, 물류비 산정 방식, 마진율을 투명하게 재설계해야 한다. 불명확한 계약은 향후 소송에서 불리한 증거가 된다.② 계약서와 정보공개서의 일치성 확보 : 두 문서 간 수치나 표현이 다르면 법원은 '고의 은폐'로 간주할 수 있다.③ 회계 구조의 명확화 : 물류비·관리비·수수료 등 항목별 회계 코드를 분리하고 '공급가 일괄 처리' 관행을 없애야 한다.④ 가맹점 사전 동의 절차 제도화 : 공급 단가 및 마진 근거를 문서화하고 가맹점의 서명 또는 전자 동의를 확보해야 한다.⑤ 정보공개서의 정기적 갱신 : 실제 운영과 다른 정보공개서는 허위 기재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매년 갱신이 필수다. 이번 판결은 한국피자헛 하나의 브랜드에 국한되지 않는다. 외식, 뷰티, 교육, 서비스 등 대부분의 프랜차이즈 산업이 동일한 가맹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다. 특히 가맹본부가 가맹 수수료 대신 납품 마진으로 수익을 내는 '물류 중심형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기준이 강화될 가능성도 높다. 차액가맹금이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거나 가맹점에 고지되지 않았다면, 단순 민사 문제가 아니라 행정 제재와 과징금 부과 사유까지 될 수 있다는 얘기다.프랜차이즈 산업의 본질은 확장이 아니라 '신뢰'다. 가맹본부가 수익 구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가맹점과의 신뢰를 회복할 때 비로소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이 마련된다. 그런 의미에서 '차액가맹금'은 단순한 재무 항목이 아니라 법적 리스크의 바로미터이자 브랜드 평판의 지표가 되고 있다. 수익의 구조보다 신뢰의 구조를 먼저 설계하는 것, 그것이 향후 프랜차이즈 산업이 살아남는 유일한 길이다. [기사전문보기] '묵시적 합의' 종언…프랜차이즈 업계 뒤흔든 차액가맹금 판결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10-13
'묵시적 합의' 종언…프랜차이즈 업계 뒤흔든 차액가맹금 판결 [대륜의 Biz law forum]
'묵시적 합의' 종언…프랜차이즈 업계 뒤흔든 차액가맹금 판결 [대륜의 Biz law forum]
서울고법, '한국피자헛' 사건 판결로가맹산업 구조적 투명성 문제 드러나"본부, 신뢰 기반 경영 구축 우선해야" 서울고등법원은 이른바 '한국피자헛 사건'(2022나2024467)에서 가맹본부가 가맹점들로부터 걷은 차액가맹금이 부당이득이라며 반환을 명령했다. 단순한 금전 분쟁을 넘어 프랜차이즈 산업의 구조적 투명성 문제를 정면으로 드러낸 결정이라는 평가다. 이 판결을 기점으로 가맹본부는 단기 수익보다 법적 리스크 관리와 신뢰 기반 경영 체계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하게 됐다. "관행상 합의 있었다" 논리 원천 차단 차액가맹금은 가맹본부가 원·부자재를 공급하면서 도매가격을 초과해 취하는 금액, 즉 납품 마진을 뜻한다. 본래 가맹본부는 품질 통일과 물류 효율화를 이유로 가맹점에 특정 공급 업체를 지정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마진을 취득하면 법적으로는 가맹금의 일종으로 간주된다.이는 가맹사업법 시행령에 이미 구체적으로 정의돼 있다. 정보공개서에도 가맹점당 평균 차액가맹금 매출 대비 비율을 명시하는 게 규정이다. 하지만 법원은 이번 판결에서 "차액가맹금은 단순한 유통 마진이 아니라 계약상 합의가 전제돼야 하는 가맹금"이라며 명확히 선을 그었다. 가맹계약서에 관련 조항이 없고, 가맹점이 그 존재를 몰랐다면 명백한 부당이득이라는 것이다. 가맹본부는 오랜 기간 원·부자재 대금에 차액가맹금을 포함했다. 그러나 이를 정당화할 조항이나 개별 합의가 없다면 부당이득이라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재판부가 판결문에 "정보공개서 기재만으로는 계약상 합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명시한 부분은 업계 전반에 큰 의미를 지닌다."오랜 거래 관행상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는 가맹본부 측 논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한 셈이기 때문이다. 가맹점의 분명한 인식이나 동의 없는 차액가맹금 수취는 더 이상 관행이 아닌 법 위반 행위가 됐다. 운송비·관리비 등으로 명목을 바꾸더라도 입증이 부족하면 차액가맹금으로 간주된다. 프랜차이즈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장 이번 판결은 프랜차이즈 산업에 구조적 경고를 던진다. 차액가맹금과 관련해 가맹본부가 유념해야 할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① 가맹계약서 명시 의무 강화 : 2024년 7월 3일 개정된 가맹사업법은 계약서 필수 기재 사항에 '공급가격 산정 방식'을 포함한다. 단순한 가격 공개를 넘어 마진 구조와 산출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란 의미다. 이를 기재하지 않거나 불투명하게 처리하면 부당이득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② 정보공개서만으로는 면책 불가 : 정보공개서 등록은 단지 행정 절차에 불과하다. 법원은 '정보공개서 제공이 가맹점의 동의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정보공개서와 계약서 간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법원은 가맹본부 책임을 우선으로 판단할 것이다.③ 관행·묵시적 동의 불인정 : 가맹점 측의 교섭력이 약한 점을 고려해 법원은 가맹본부 측의 '묵시적 합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가맹본부가 합법적 구조를 유지하려면 사전 고지·서면 동의·가격 공개의 3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가맹본부, 단기 수익보다 '신뢰' 앞세워야 판결이 대법원에서 확정되면 향후 가맹본부의 영업·회계·법무 전 부문에 미칠 영향은 상당하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 대응책은 다음과 같다.① 공급 계약의 전면 재점검 : 협력 업체와의 납품 계약 구조, 물류비 산정 방식, 마진율을 투명하게 재설계해야 한다. 불명확한 계약은 향후 소송에서 불리한 증거가 된다.② 계약서와 정보공개서의 일치성 확보 : 두 문서 간 수치나 표현이 다르면 법원은 '고의 은폐'로 간주할 수 있다.③ 회계 구조의 명확화 : 물류비·관리비·수수료 등 항목별 회계 코드를 분리하고 '공급가 일괄 처리' 관행을 없애야 한다.④ 가맹점 사전 동의 절차 제도화 : 공급 단가 및 마진 근거를 문서화하고 가맹점의 서명 또는 전자 동의를 확보해야 한다.⑤ 정보공개서의 정기적 갱신 : 실제 운영과 다른 정보공개서는 허위 기재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매년 갱신이 필수다. 이번 판결은 한국피자헛 하나의 브랜드에 국한되지 않는다. 외식, 뷰티, 교육, 서비스 등 대부분의 프랜차이즈 산업이 동일한 가맹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다. 특히 가맹본부가 가맹 수수료 대신 납품 마진으로 수익을 내는 '물류 중심형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기준이 강화될 가능성도 높다. 차액가맹금이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거나 가맹점에 고지되지 않았다면, 단순 민사 문제가 아니라 행정 제재와 과징금 부과 사유까지 될 수 있다는 얘기다.프랜차이즈 산업의 본질은 확장이 아니라 '신뢰'다. 가맹본부가 수익 구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가맹점과의 신뢰를 회복할 때 비로소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이 마련된다. 그런 의미에서 '차액가맹금'은 단순한 재무 항목이 아니라 법적 리스크의 바로미터이자 브랜드 평판의 지표가 되고 있다. 수익의 구조보다 신뢰의 구조를 먼저 설계하는 것, 그것이 향후 프랜차이즈 산업이 살아남는 유일한 길이다. [기사전문보기] '묵시적 합의' 종언…프랜차이즈 업계 뒤흔든 차액가맹금 판결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10-13
수면제 먹고 잠든 직장 후배 간음한 50대…무혐의 항고 끝에 실형
수면제 먹고 잠든 직장 후배 간음한 50대…무혐의 항고 끝에 실형
수면제를 먹고 잠든 직장 후배를 성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다.13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1부는 지난달 12일 준강간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또 40시간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와 3년간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취업제한도 명령했다.A씨는 2021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수면제를 먹고 잠이 든 직장 후배 B씨를 간음한 혐의로 기소됐다. B씨는 A씨의 범행 사실을 알게 된 뒤 몇 차례 A씨를 용서했지만, 같은 일이 계속 반복되면서 결국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제출했다.A씨는 B씨가 항거불능 상태에 있지 않았으며, 합의 후 관계를 맺은 것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이후에도 B씨와 계속 함께 일했고,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면서 고소가 허위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찰과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항고하면서 재판이 시작됐다.재판부는 A씨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A씨와 B씨 사이 대화 내용을 보면 업무적인 친분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 내용만 보일 뿐, 연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미루어 판단할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소장 접수 이후 한동안 함께 근무한 사실 만으로 피해자인 B씨 진술의 증명력을 배척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B씨가 여러 차례 항의한 사실은 존재하나, 합의로 관계를 가졌다는 증거는 존재하지 않기에 A씨가 B씨가 잠든 것을 인식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볼 수 있다”고 판결했다.재판부는 “A씨의 범행이 2년에 걸쳐 여러 차례 일어난 만큼 죄책이 무겁고, 범행에 대해 진지하게 반성하지 않는 점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B씨를 대리한 장은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오랜 기간 알고 지낸 A씨로부터 여러 차례 성범죄 피해를 보면서 관계상 B씨의 대처가 미흡했을 수 있지만, 진술 내용의 주요한 부분이 일관되고 모순되는 점이 없었다. A씨가 B씨의 상사였기에 생계를 위해 친분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으며, 범행 후 용서를 구하는 상황 등 구체적이고 전체적인 맥락을 입증한 덕분에 진술의 신빙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수면제 먹고 잠든 직장 후배 간음한 50대…무혐의 항고 끝에 실형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10-13
수면제 먹고 잠든 직장 후배 간음한 50대…무혐의 항고 끝에 실형
수면제 먹고 잠든 직장 후배 간음한 50대…무혐의 항고 끝에 실형
수면제를 먹고 잠든 직장 후배를 성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다.13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1부는 지난달 12일 준강간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또 40시간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와 3년간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취업제한도 명령했다.A씨는 2021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수면제를 먹고 잠이 든 직장 후배 B씨를 간음한 혐의로 기소됐다. B씨는 A씨의 범행 사실을 알게 된 뒤 몇 차례 A씨를 용서했지만, 같은 일이 계속 반복되면서 결국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제출했다.A씨는 B씨가 항거불능 상태에 있지 않았으며, 합의 후 관계를 맺은 것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이후에도 B씨와 계속 함께 일했고,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면서 고소가 허위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찰과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항고하면서 재판이 시작됐다.재판부는 A씨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A씨와 B씨 사이 대화 내용을 보면 업무적인 친분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 내용만 보일 뿐, 연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미루어 판단할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소장 접수 이후 한동안 함께 근무한 사실 만으로 피해자인 B씨 진술의 증명력을 배척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B씨가 여러 차례 항의한 사실은 존재하나, 합의로 관계를 가졌다는 증거는 존재하지 않기에 A씨가 B씨가 잠든 것을 인식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볼 수 있다”고 판결했다.재판부는 “A씨의 범행이 2년에 걸쳐 여러 차례 일어난 만큼 죄책이 무겁고, 범행에 대해 진지하게 반성하지 않는 점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B씨를 대리한 장은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오랜 기간 알고 지낸 A씨로부터 여러 차례 성범죄 피해를 보면서 관계상 B씨의 대처가 미흡했을 수 있지만, 진술 내용의 주요한 부분이 일관되고 모순되는 점이 없었다. A씨가 B씨의 상사였기에 생계를 위해 친분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으며, 범행 후 용서를 구하는 상황 등 구체적이고 전체적인 맥락을 입증한 덕분에 진술의 신빙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수면제 먹고 잠든 직장 후배 간음한 50대…무혐의 항고 끝에 실형 (바로가기)
데이터넷
2025-10-13
스마트제조혁신협회,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 개최
스마트제조혁신협회,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 개최
중기부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 우수사례 소개K-뷰티 수출 관련 지원 기관 사업 소개 및 전문가 관세 관련 이슈·해법 제시스마트제조혁신협회(회장 강철규)는 오는 22일 aT센터에서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와 네트워킹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K-뷰티의 수출 역량 강화 및 초격차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우수사례와 관련기관의 수출지원정책, 부처협업형 사업개선 논의 등으로 구성됐다.인도네시아할랄청 지정 할랄인증기관인 ’비아이씨할랄코리아‘ 김채리 총괄이사가 ’글로벌 할랄 산업 잠재력 및 생존전략‘,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김종현 팀장이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화장품 수출 지원사업‘,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전동하 선임연구원이 ’화장품 수출 지원 글로벌 코스메틱 비즈니스 센터‘에 대해 발표한다. 또 법무법인 대륜 명재호 관세사가 ’美 트럼프시대, K-뷰티 수출 관련 이슈와 해법‘에 대해 다룬다.2025 부처협업형 사업을 진행 중이며 올리브영 및 다이소 입점, 해외 다수 유통채널 입점 등으로 관심받고 있는 삼성메디코스가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기업과 K-뷰티 전문가가 부처협업형 사업 관련 고도화에 대한 제안을 하는 시간도 마련돼 있다.이번 행사는 화장품제조 관련 협단체 관계자, 화장품제조 관련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업 관계자, 스마트공장 도입사 관계자, K-뷰티 얼라이언스 전문가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한편 스마트제조혁신협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으로 제조혁신 현장의 목소리를 빠르게 정책에 전달하고 기업들의 수평적·개방적 연대를 지원하며 교육, 컨설팅, 표준, 오픈 이노베이션, 스마트제조 관련 간행물 발간 등 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스마트제조혁신협회,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데이터넷
2025-10-13
스마트제조혁신협회,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 개최
스마트제조혁신협회,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 개최
중기부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 우수사례 소개K-뷰티 수출 관련 지원 기관 사업 소개 및 전문가 관세 관련 이슈·해법 제시스마트제조혁신협회(회장 강철규)는 오는 22일 aT센터에서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와 네트워킹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K-뷰티의 수출 역량 강화 및 초격차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우수사례와 관련기관의 수출지원정책, 부처협업형 사업개선 논의 등으로 구성됐다.인도네시아할랄청 지정 할랄인증기관인 ’비아이씨할랄코리아‘ 김채리 총괄이사가 ’글로벌 할랄 산업 잠재력 및 생존전략‘,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김종현 팀장이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화장품 수출 지원사업‘,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전동하 선임연구원이 ’화장품 수출 지원 글로벌 코스메틱 비즈니스 센터‘에 대해 발표한다. 또 법무법인 대륜 명재호 관세사가 ’美 트럼프시대, K-뷰티 수출 관련 이슈와 해법‘에 대해 다룬다.2025 부처협업형 사업을 진행 중이며 올리브영 및 다이소 입점, 해외 다수 유통채널 입점 등으로 관심받고 있는 삼성메디코스가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기업과 K-뷰티 전문가가 부처협업형 사업 관련 고도화에 대한 제안을 하는 시간도 마련돼 있다.이번 행사는 화장품제조 관련 협단체 관계자, 화장품제조 관련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업 관계자, 스마트공장 도입사 관계자, K-뷰티 얼라이언스 전문가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한편 스마트제조혁신협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으로 제조혁신 현장의 목소리를 빠르게 정책에 전달하고 기업들의 수평적·개방적 연대를 지원하며 교육, 컨설팅, 표준, 오픈 이노베이션, 스마트제조 관련 간행물 발간 등 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스마트제조혁신협회, ‘K-뷰티, 함께 하는 글로벌 도약’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로리더
2025-10-10
[기고] K-팝, K-컬처, 다음은 K-로펌 수출
[기고] K-팝, K-컬처, 다음은 K-로펌 수출
이제 법도 수출시대, 대한변협과 정부의 동행이 필요하다 세계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자산 규범, ESG 확산, 비자문제 등은 경제를 넘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울러 리걸테크의 부상은 글로벌 법률시장의 흐름까지 바꾸고 있다.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해외 취업과 유학, 이민을 준비하는 개인, 투자에 나서는 일반인 모두가 영향을 받고 있다. 비자, 국제 세금, 디지털 저작권 같은 법률문제는 이미 우리의 일상이 되었다. 최근 미국 비자 사태는 대기업은 물론 개인까지 불안정한 국제 법률 환경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남았다.이런 상황에서 법무법인 대륜은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에 현지 법무법인을 설립했다. 단순한 사무소 확장이 아니라 현지 기반을 마련해 글로벌 기업을 상대로 ‘원펌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마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륜은 본사에서 모든 지점을 본사 체계 안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어느 사무소를 찾더라도 같은 품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돼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이 요구하는 표준화와 신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더불어 해외 진출 과정에서의 복잡한 서류와 인허가, 현지 인재 채용, HR시스템 같은 실무적인 과제도 직접 해결하며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는 법률서비스를 넓히는 차원을 넘어 해외 로펌 조직 운영 전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는 과정이다. 또한 앞으로 해외 진출에 도전하려는 국내 다른 로펌에도 중요한 정보이자, 자산이 될 것이다.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제도와 문화의 차이, 예기치 못한 규제, 언어와 업무 방식의 차이 등 넘어야 할 벽이 많다. 이러한 과정에서 얻은 경험은 대륜만의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국내 법조계 전체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이며, 다른 로펌과 변호사들에게도 실질적인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해외 진출을 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고, 인력과 비용, 시간이 들었지만 이 모든 노하우를 관련 업계에 공유할 계획이다.하지만 민간 로펌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국내 로펌이 해외 시장에서 자리를 잡고 변호사가 국제 경쟁력을 키우려면 국가적 지원과 대한변협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 해외 로펌 설립과 운영 지원, 국제 분쟁·투자 분야 인재 양성,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가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이미 미국과 유럽, 아시아 주요국은 법률서비스를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국내 법조시장의 대처가 늦으면 기회는 경쟁국으로 넘어간다.국내 법률시장은 한미 FTA와 외국법자문사법 시행을 통해 이미 단계적으로 개방해 왔다. 현재 글로벌 대형 로펌들이 진출해 국내 기업과 민간에 많은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 국세청 조사에 의하면 한국 기업 등이 2024년 외국 로펌에게 법률서비스 비용으로 사상 최대인 3조 1,280억 원을 지급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 조사결과만으로도 국내외 로펌 시장의 불균형이 어느 정도인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그렇기에 대륜의 뉴욕·워싱턴 사무소 설립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국내 리걸테크 기업도 투자와 해외 진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계약 검토, 전자증거개시(e-Discovery) 솔루션, 디지털 송무 플랫폼 등은 이미 아시아와 북미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협력 모델을 확장하는 중이다.따라서 이러한 개별 성과가 우리 법조계 전체의 자산으로 자리 잡으려면, 대한변협의 제도적 뒷받침과 국가 차원의 정책, 경제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국내 법조계는 더 이상 국내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국제무대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기회를 만들어갈 때, 국내 법률시장은 K-컬처와 K-뷰티의 성공을 잇는 ‘K-법률의 시대’를 열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K-팝, K-컬처, 다음은 K-로펌 수출 (바로가기)
로리더
2025-10-10
[기고] K-팝, K-컬처, 다음은 K-로펌 수출
[기고] K-팝, K-컬처, 다음은 K-로펌 수출
이제 법도 수출시대, 대한변협과 정부의 동행이 필요하다 세계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자산 규범, ESG 확산, 비자문제 등은 경제를 넘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울러 리걸테크의 부상은 글로벌 법률시장의 흐름까지 바꾸고 있다.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해외 취업과 유학, 이민을 준비하는 개인, 투자에 나서는 일반인 모두가 영향을 받고 있다. 비자, 국제 세금, 디지털 저작권 같은 법률문제는 이미 우리의 일상이 되었다. 최근 미국 비자 사태는 대기업은 물론 개인까지 불안정한 국제 법률 환경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남았다.이런 상황에서 법무법인 대륜은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에 현지 법무법인을 설립했다. 단순한 사무소 확장이 아니라 현지 기반을 마련해 글로벌 기업을 상대로 ‘원펌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마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륜은 본사에서 모든 지점을 본사 체계 안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어느 사무소를 찾더라도 같은 품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돼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이 요구하는 표준화와 신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더불어 해외 진출 과정에서의 복잡한 서류와 인허가, 현지 인재 채용, HR시스템 같은 실무적인 과제도 직접 해결하며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는 법률서비스를 넓히는 차원을 넘어 해외 로펌 조직 운영 전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는 과정이다. 또한 앞으로 해외 진출에 도전하려는 국내 다른 로펌에도 중요한 정보이자, 자산이 될 것이다.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제도와 문화의 차이, 예기치 못한 규제, 언어와 업무 방식의 차이 등 넘어야 할 벽이 많다. 이러한 과정에서 얻은 경험은 대륜만의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국내 법조계 전체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이며, 다른 로펌과 변호사들에게도 실질적인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해외 진출을 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고, 인력과 비용, 시간이 들었지만 이 모든 노하우를 관련 업계에 공유할 계획이다.하지만 민간 로펌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국내 로펌이 해외 시장에서 자리를 잡고 변호사가 국제 경쟁력을 키우려면 국가적 지원과 대한변협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 해외 로펌 설립과 운영 지원, 국제 분쟁·투자 분야 인재 양성,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가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이미 미국과 유럽, 아시아 주요국은 법률서비스를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국내 법조시장의 대처가 늦으면 기회는 경쟁국으로 넘어간다.국내 법률시장은 한미 FTA와 외국법자문사법 시행을 통해 이미 단계적으로 개방해 왔다. 현재 글로벌 대형 로펌들이 진출해 국내 기업과 민간에 많은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 국세청 조사에 의하면 한국 기업 등이 2024년 외국 로펌에게 법률서비스 비용으로 사상 최대인 3조 1,280억 원을 지급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 조사결과만으로도 국내외 로펌 시장의 불균형이 어느 정도인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그렇기에 대륜의 뉴욕·워싱턴 사무소 설립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국내 리걸테크 기업도 투자와 해외 진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계약 검토, 전자증거개시(e-Discovery) 솔루션, 디지털 송무 플랫폼 등은 이미 아시아와 북미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협력 모델을 확장하는 중이다.따라서 이러한 개별 성과가 우리 법조계 전체의 자산으로 자리 잡으려면, 대한변협의 제도적 뒷받침과 국가 차원의 정책, 경제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국내 법조계는 더 이상 국내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국제무대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기회를 만들어갈 때, 국내 법률시장은 K-컬처와 K-뷰티의 성공을 잇는 ‘K-법률의 시대’를 열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K-팝, K-컬처, 다음은 K-로펌 수출 (바로가기)
한국경제 등 2곳
2025-10-09
"탈모 고민에 약 먹다가…" 치과의사 면허 정지된 사연
"탈모 고민에 약 먹다가…" 치과의사 면허 정지된 사연
보건복지부, '무면허 의료행위'라며 제재법원 "의료법상 무면허 의료행위 아냐" 직접 복용할 것을 목적으로 발모제를 주문한 치과의사가 ’무면허 의료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다가 소송을 내 이겼다.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제6부(나진이 부장판사)는 치과의사 A씨가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낸 의사 면허 자격정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지난 8월 29일 복지부가 해당 처분을 취소해야 한다고 판결했다.A씨는 서울 강북구에서 뉴욕치과의원을 운영하는 치과의사다. 그는 2021년 2월과 4월 두 차례 모발용제를 구입해 복용했다.복지부는 지난해 9월 A씨가 구(舊) 의료법 27조 1항을 위반했다며 치과의사 면허 자격을 1개월 15일간 정지하는 처분을 내렸다. 해당 조항은 의료인이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 A씨는 이 처분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다.법원은 치과의사가 발모제를 구입해 직접 복용한 것을 의료법 27조 1항에서 규정하는 무면허 의료행위로 볼 순 없다는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재판부는 A씨의 행위가 “원칙적으로 의료행위”라면서도 “타인이 아닌 자신에 대해 의료행위를 하는 것은 타인의 생명·신체나 일반 공중위생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큰 관련성이 없는 개인적인 영역”이라며 무면허 의료행위 규제의 취지에 어긋나지는 않는다고 봤다.또 “환자는 헌법 10조에서 규정한 개인의 인격권과 행복추구권에 의해 자신의 생명과 신체의 기능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하고 의료행위를 선택할 권리를 보유한다”는 대법원 판례를 인용해 “환자가 의료인을 매개하지 않고 자신에 대해 직접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권리가 배제된다고 볼 특별한 근거는 없다”고 판단했다.재판부는 “의료법의 취지나 목적,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조화롭게 해석할 때 비의료인이 자신에게 하는 의료행위를 의료법이 전면 금지하겠다는 취지로 보이진 않는다”며 “같은 취지에서 의료인이 자신에게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한 경우도 무면허 의료행위로 규율할 수 없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정창민 변호사(변호사 시험 12회)는 “자기 신체에 대한 침습 행위가 형사처벌이나 공법상 규제 대상에 해당하기 위해선 마약류관리법 등 특별한 규정이 있어야 하는 점 등이 인정됐다”고 설명했다.복지부 측이 항소해 이 사건은 2심 판단을 받게 됐다.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 - "탈모 고민에 약 먹다가…" 치과의사 면허 정지된 사연 (바로가기) 서울경제 - "아, 또 우수수 빠졌네"…탈모약 먹다가 '면허정지' 된 치과의사 그 후 (바로가기)
한국경제 등 2곳
2025-10-09
"탈모 고민에 약 먹다가…" 치과의사 면허 정지된 사연
"탈모 고민에 약 먹다가…" 치과의사 면허 정지된 사연
보건복지부, '무면허 의료행위'라며 제재법원 "의료법상 무면허 의료행위 아냐" 직접 복용할 것을 목적으로 발모제를 주문한 치과의사가 ’무면허 의료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다가 소송을 내 이겼다.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제6부(나진이 부장판사)는 치과의사 A씨가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낸 의사 면허 자격정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지난 8월 29일 복지부가 해당 처분을 취소해야 한다고 판결했다.A씨는 서울 강북구에서 뉴욕치과의원을 운영하는 치과의사다. 그는 2021년 2월과 4월 두 차례 모발용제를 구입해 복용했다.복지부는 지난해 9월 A씨가 구(舊) 의료법 27조 1항을 위반했다며 치과의사 면허 자격을 1개월 15일간 정지하는 처분을 내렸다. 해당 조항은 의료인이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 A씨는 이 처분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다.법원은 치과의사가 발모제를 구입해 직접 복용한 것을 의료법 27조 1항에서 규정하는 무면허 의료행위로 볼 순 없다는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재판부는 A씨의 행위가 “원칙적으로 의료행위”라면서도 “타인이 아닌 자신에 대해 의료행위를 하는 것은 타인의 생명·신체나 일반 공중위생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큰 관련성이 없는 개인적인 영역”이라며 무면허 의료행위 규제의 취지에 어긋나지는 않는다고 봤다.또 “환자는 헌법 10조에서 규정한 개인의 인격권과 행복추구권에 의해 자신의 생명과 신체의 기능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하고 의료행위를 선택할 권리를 보유한다”는 대법원 판례를 인용해 “환자가 의료인을 매개하지 않고 자신에 대해 직접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권리가 배제된다고 볼 특별한 근거는 없다”고 판단했다.재판부는 “의료법의 취지나 목적,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조화롭게 해석할 때 비의료인이 자신에게 하는 의료행위를 의료법이 전면 금지하겠다는 취지로 보이진 않는다”며 “같은 취지에서 의료인이 자신에게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한 경우도 무면허 의료행위로 규율할 수 없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정창민 변호사(변호사 시험 12회)는 “자기 신체에 대한 침습 행위가 형사처벌이나 공법상 규제 대상에 해당하기 위해선 마약류관리법 등 특별한 규정이 있어야 하는 점 등이 인정됐다”고 설명했다.복지부 측이 항소해 이 사건은 2심 판단을 받게 됐다.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 - "탈모 고민에 약 먹다가…" 치과의사 면허 정지된 사연 (바로가기) 서울경제 - "아, 또 우수수 빠졌네"…탈모약 먹다가 '면허정지' 된 치과의사 그 후 (바로가기)
여성조선
2025-10-07
이제는 ‘심리전’이다!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
이제는 ‘심리전’이다!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
보이스피싱이 더 창의적이고, 교묘하고, 정교하게 진화하고 있다. 고도화된 수법 앞에서, 언제까지 보이스피싱이 ‘남 얘기’에 불과할지는 미지수. 보이스피싱 형사 사건을 다수 맡아온 법무법인 대륜 오시온 선임변호사를 만나, 최신 수법과 예방·대응 방안을 들어봤다.한때 보이스피싱의 고정 레퍼토리는 ‘김미영 팀장’이었다. 어눌한 말투에 대본을 읊는 듯한 허술함으로, 개그 소재나 ‘밈’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범죄 조직은 AI 음성 합성과 딥페이크 기술을 동원해 수법을 정교하게 다듬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조직 운영을 통해 피해자를 압박하며 수사망을 피해가고 있다.피해 규모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건당 평균 피해 금액은 무려 5204만원에 달한다. 한순간에 삶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액수다. 극단적인 선택으로 내몰리는 피해자도 적지 않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스미싱 피해액은 전년 대비 106% 증가한 9525억이었으며, 올해는 상반기에만 8000억원 가까운 피해가 발생했다. 발생 건수는 이미 1만6000건을 훌쩍 넘었다. 이런 배경에는 피해자들을 향한 ‘정신적 압박’이 있었다. 현 범죄 조직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피해자의 불안감과 죄책감을 파고드는 교묘한 심리전과 공포심 조장이다.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도록 ‘셀프 감금’을 종용하기도 한다. 지난 9월에도 대구에 거주하던 20대 남성이 검사를 사칭한 범죄자의 협박과 지시를 믿고 대전 모텔에서 반성문을 쓰며 기다리다 구조된 사례가 있었다.# 젊다고 안심? 피해자 절반이 20·30대이처럼 오늘날의 보이스피싱 범죄는 전화금융사기를 넘어 피해자의 심리를 통제하는 ‘가스라이팅 범죄’로 진화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오시온 변호사는 “보이스피싱은 한 발짝 떨어져 보면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실제 상황에 처하면 극심한 심리적 압박을 받아 냉정한 판단을 잃게 된다”고 설명했다.최근 어떤 범죄 유형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나요? 실제 사례가 가장 많은 건 검찰·경찰·금융감독원이나 가족을 사칭하는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AI 음성 합성과 딥페이크 영상을 활용해 더욱 정교해지고 있죠.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사기 링크를 보내는 메신저 피싱,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한 금융사기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접근성이 높고 방심하기 쉬우니까요,20·30대에서 피해가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디지털에 익숙한 청년층은 ‘나는 속지 않을 것’이란 착각에 빠집니다. 하지만 취업난과 경제적 압박으로 취업·대출·금융 혜택 유혹에 쉽게 노출되죠. 실제로 가짜 회사를 꾸려 취업 플랫폼에서 지원자를 모집한 뒤 청년들을 전달책이나 수거책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보이스피싱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졌는데도 실제 피해는 왜 급증할까요? 일단 경제적 어려움을 이유로 들 수 있습니다. 저금리 대출 같은 제안이 들어오면 순간적으로 판단력이 흐려지죠. 여기에 조직이 ‘가스라이팅’을 가해 피해자를 고립시킵니다. 권위 있는 기관을 사칭해 공포심을 조성하고, 가족·지인과의 연락을 끊게 만들어 외부 도움을 차단합니다. 동시에 끊임없이 전화를 걸고 메시지를 보내 심리적 압박을 가해 스스로 판단할 여유를 빼앗죠. 최근 피해자가 외부와 연락을 끊고 숙박업소에 머무는 ‘셀프 감금’도 같은 맥락입니다.가스라이팅이 금전적인 손실뿐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피해로까지 이어진 사례도 있나요? 실제 맡았던 사건 중에 20대 여성 의뢰인이 대출을 해준다는 말에 속아 개인정보와 돈뿐만 아니라 자신의 나체 영상까지 넘겼던 일이 있었습니다. 조직원과의 오랜 대화 끝에 회유와 협박에 굴복해 영상을 전달했고, 이후 유포 협박에 시달리며 조직에 완전히 종속됐죠. 의뢰인 명의로 대포통장 개설과 유심이 개통되어 결국 가해자 신분으로 재판을 받았습니다.# 누구나 당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는? 보이스피싱의 가장 큰 문제는 피의자가 검거되더라도 실상은 ‘또 다른 피해자’인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본인도 모르게 대포통장·대포폰 명의자로 이용되거나 전달책·수거책으로 연루되는 식이다. 법원은 이를 ‘미필적 고의’로 판단해 형사 처벌을 내린다. 그래서 오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사건에서 변호사의 주요 역할은 돈을 되찾는 ‘피해 회복’보다는 의뢰인도 조직에 속은 피해자였음을 입증하는 데 집중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가장 먼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신속히 금융기관에 ‘계좌 지급 정지’를 신청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후 송금 내역, 통화 기록 등 증거를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해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추가로 본인 명의로 대포통장이나 대포폰이 개설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휴대폰에 원격조종앱이나 악성앱이 설치되지 않았는지도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피해금을 되찾거나 범인을 잡을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송금 직후 지급 정지를 걸어 인출되지 않았다면 희망이 있지만, 대부분 빠르게 돈을 빼돌려 회수율은 낮습니다. 또 해외 콜센터를 기반으로 조직이 운영돼 검거 자체가 어렵기도 하고요. 검거되더라도 피해 회복으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중국 등 외국 기관과의 공조를 강화하는 법적 근거 마련이 가장 시급한 이유죠. 조직적인 범죄는 개인의 힘만으로는 해결이 힘드니까요.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보이스피싱 무과실 배상책임제’는 무엇인가요? 피해자가 금융사에 피해 사실을 신고하면, 금융사가 사실관계를 검토해 범위 내에서 배상하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무과실’이라고 해도 모든 피해를 보상하는 것은 아닙니다. 피해자의 중대한 과실이 인정되면 배상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죠. 그럼에도 제도가 시행되면 피해자 구제 가능성이 넓어지고, 금융사 역시 예방책임을 한층 강화할 것입니다. 물론 금융사 부담 비용이 높아져 금융소비자의 부담도 함께 오를 위험이 있겠지만요.일상에서 꼭 기억해야 할 보이스피싱 범죄 신호가 있다면요? 보통 공공기관의 이름으로 자금 전수조사·임시 보호관찰 등을 언급하며 공포심을 유발하고, 긴급 상황을 조성하곤 합니다. ‘엠바고(특정 기간 동안의 비밀 엄수)’를 지켜야 한다거나 조사를 위해 격리가 필요하다고도 하죠. 이후 앱 설치·개인정보 제공·현금 인출·대출 실행·안전계좌 이체 등의 요구가 이어집니다. 어떤 정부기관도 전화로 개인정보와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긴급한 상황처럼 보이더라도 휘말리면 안 됩니다. 일단 끊고, 한 번 더 확인하세요. [기사전문보기] 이제는 ‘심리전’이다!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 (바로가기)
여성조선
2025-10-07
이제는 ‘심리전’이다!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
이제는 ‘심리전’이다!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
보이스피싱이 더 창의적이고, 교묘하고, 정교하게 진화하고 있다. 고도화된 수법 앞에서, 언제까지 보이스피싱이 ‘남 얘기’에 불과할지는 미지수. 보이스피싱 형사 사건을 다수 맡아온 법무법인 대륜 오시온 선임변호사를 만나, 최신 수법과 예방·대응 방안을 들어봤다.한때 보이스피싱의 고정 레퍼토리는 ‘김미영 팀장’이었다. 어눌한 말투에 대본을 읊는 듯한 허술함으로, 개그 소재나 ‘밈’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범죄 조직은 AI 음성 합성과 딥페이크 기술을 동원해 수법을 정교하게 다듬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조직 운영을 통해 피해자를 압박하며 수사망을 피해가고 있다.피해 규모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건당 평균 피해 금액은 무려 5204만원에 달한다. 한순간에 삶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액수다. 극단적인 선택으로 내몰리는 피해자도 적지 않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스미싱 피해액은 전년 대비 106% 증가한 9525억이었으며, 올해는 상반기에만 8000억원 가까운 피해가 발생했다. 발생 건수는 이미 1만6000건을 훌쩍 넘었다. 이런 배경에는 피해자들을 향한 ‘정신적 압박’이 있었다. 현 범죄 조직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피해자의 불안감과 죄책감을 파고드는 교묘한 심리전과 공포심 조장이다.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도록 ‘셀프 감금’을 종용하기도 한다. 지난 9월에도 대구에 거주하던 20대 남성이 검사를 사칭한 범죄자의 협박과 지시를 믿고 대전 모텔에서 반성문을 쓰며 기다리다 구조된 사례가 있었다.# 젊다고 안심? 피해자 절반이 20·30대이처럼 오늘날의 보이스피싱 범죄는 전화금융사기를 넘어 피해자의 심리를 통제하는 ‘가스라이팅 범죄’로 진화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오시온 변호사는 “보이스피싱은 한 발짝 떨어져 보면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실제 상황에 처하면 극심한 심리적 압박을 받아 냉정한 판단을 잃게 된다”고 설명했다.최근 어떤 범죄 유형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나요? 실제 사례가 가장 많은 건 검찰·경찰·금융감독원이나 가족을 사칭하는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AI 음성 합성과 딥페이크 영상을 활용해 더욱 정교해지고 있죠.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사기 링크를 보내는 메신저 피싱,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한 금융사기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접근성이 높고 방심하기 쉬우니까요,20·30대에서 피해가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디지털에 익숙한 청년층은 ‘나는 속지 않을 것’이란 착각에 빠집니다. 하지만 취업난과 경제적 압박으로 취업·대출·금융 혜택 유혹에 쉽게 노출되죠. 실제로 가짜 회사를 꾸려 취업 플랫폼에서 지원자를 모집한 뒤 청년들을 전달책이나 수거책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보이스피싱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졌는데도 실제 피해는 왜 급증할까요? 일단 경제적 어려움을 이유로 들 수 있습니다. 저금리 대출 같은 제안이 들어오면 순간적으로 판단력이 흐려지죠. 여기에 조직이 ‘가스라이팅’을 가해 피해자를 고립시킵니다. 권위 있는 기관을 사칭해 공포심을 조성하고, 가족·지인과의 연락을 끊게 만들어 외부 도움을 차단합니다. 동시에 끊임없이 전화를 걸고 메시지를 보내 심리적 압박을 가해 스스로 판단할 여유를 빼앗죠. 최근 피해자가 외부와 연락을 끊고 숙박업소에 머무는 ‘셀프 감금’도 같은 맥락입니다.가스라이팅이 금전적인 손실뿐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피해로까지 이어진 사례도 있나요? 실제 맡았던 사건 중에 20대 여성 의뢰인이 대출을 해준다는 말에 속아 개인정보와 돈뿐만 아니라 자신의 나체 영상까지 넘겼던 일이 있었습니다. 조직원과의 오랜 대화 끝에 회유와 협박에 굴복해 영상을 전달했고, 이후 유포 협박에 시달리며 조직에 완전히 종속됐죠. 의뢰인 명의로 대포통장 개설과 유심이 개통되어 결국 가해자 신분으로 재판을 받았습니다.# 누구나 당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는? 보이스피싱의 가장 큰 문제는 피의자가 검거되더라도 실상은 ‘또 다른 피해자’인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본인도 모르게 대포통장·대포폰 명의자로 이용되거나 전달책·수거책으로 연루되는 식이다. 법원은 이를 ‘미필적 고의’로 판단해 형사 처벌을 내린다. 그래서 오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사건에서 변호사의 주요 역할은 돈을 되찾는 ‘피해 회복’보다는 의뢰인도 조직에 속은 피해자였음을 입증하는 데 집중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가장 먼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신속히 금융기관에 ‘계좌 지급 정지’를 신청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후 송금 내역, 통화 기록 등 증거를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해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추가로 본인 명의로 대포통장이나 대포폰이 개설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휴대폰에 원격조종앱이나 악성앱이 설치되지 않았는지도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피해금을 되찾거나 범인을 잡을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송금 직후 지급 정지를 걸어 인출되지 않았다면 희망이 있지만, 대부분 빠르게 돈을 빼돌려 회수율은 낮습니다. 또 해외 콜센터를 기반으로 조직이 운영돼 검거 자체가 어렵기도 하고요. 검거되더라도 피해 회복으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중국 등 외국 기관과의 공조를 강화하는 법적 근거 마련이 가장 시급한 이유죠. 조직적인 범죄는 개인의 힘만으로는 해결이 힘드니까요.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보이스피싱 무과실 배상책임제’는 무엇인가요? 피해자가 금융사에 피해 사실을 신고하면, 금융사가 사실관계를 검토해 범위 내에서 배상하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무과실’이라고 해도 모든 피해를 보상하는 것은 아닙니다. 피해자의 중대한 과실이 인정되면 배상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죠. 그럼에도 제도가 시행되면 피해자 구제 가능성이 넓어지고, 금융사 역시 예방책임을 한층 강화할 것입니다. 물론 금융사 부담 비용이 높아져 금융소비자의 부담도 함께 오를 위험이 있겠지만요.일상에서 꼭 기억해야 할 보이스피싱 범죄 신호가 있다면요? 보통 공공기관의 이름으로 자금 전수조사·임시 보호관찰 등을 언급하며 공포심을 유발하고, 긴급 상황을 조성하곤 합니다. ‘엠바고(특정 기간 동안의 비밀 엄수)’를 지켜야 한다거나 조사를 위해 격리가 필요하다고도 하죠. 이후 앱 설치·개인정보 제공·현금 인출·대출 실행·안전계좌 이체 등의 요구가 이어집니다. 어떤 정부기관도 전화로 개인정보와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긴급한 상황처럼 보이더라도 휘말리면 안 됩니다. 일단 끊고, 한 번 더 확인하세요. [기사전문보기] 이제는 ‘심리전’이다!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 (바로가기)
쿠키뉴스
2025-10-07
추석 귀성·귀경길 ‘졸음쉼터’ 사고…책임은 누구 몫?
추석 귀성·귀경길 ‘졸음쉼터’ 사고…책임은 누구 몫?
안전시설 ‘졸음쉼터’가 오히려 분쟁 유발…제한적인 당국 책임론도전문가들 “관리 주체 안전장치 구조 개선 및 안내 강화해야” 민족 대이동이 펼쳐지는 추석 연휴. 피로가 쌓인 운전자들이 잠시 숨을 고르는 공간이 있다. 바로 ‘졸음쉼터’다.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 안전시설이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사고 위험과 책임 공방의 불씨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안전공간이 ‘책임 사각지대’로추석 연휴에는 장거리 운전으로 졸음운전과 2차 사고에 특히 취약하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설·추석 연휴 교통사고는 총 167건 발생했다. 이 중 졸음·주시 태만으로 인한 사고가 109건(65.3%)이었다. 같은 기간 명절 교통사고로 총 13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3명은 일반 사고보다 치사율이 6배 이상 높은 2차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문제는 이런 사고를 예방해야 할 졸음쉼터가 또 다른 위험지대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졸음쉼터는 단순 주차장이 아니라 임시 휴게 공간으로 분류된다. 짧고 급격한 진·출입로, 불분명한 내부 동선, 부족한 조명 등 구조적 문제를 가진 곳이 많아 진입·후진·끼어들기 과정에서 추돌사고가 잦다.실제로 졸음쉼터에서는 명절 연휴 기간에 진입 차량과 후진 차량이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 피해자 측이 시설의 구조적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분쟁 과정에서는 운전자 부주의가 더 큰 과실로 책정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현재 고속도로 졸음쉼터의 관리 주체는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다. 하지만 시설 관리상의 중대한 하자가 명백히 입증되지 않는 한, 쉼터 내 사고에 대한 관리 주체의 책임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사고가 운전자 부주의로 귀결되는 탓에 피해자는 제대로 된 보상 없이 책임 공방에 휘말리기 쉽다.교통사고 전문 변호사들은 피해자 보호의 사각지대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민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졸음쉼터 설치·관리상 하자가 사고 원인이 된 경우라면 민법상 ‘영조물 설치·관리자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며 “하지만 대부분은 운전자의 과실이 우선적으로 고려돼 관리 주체의 책임이 인정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전문가 “시설 개선·안내 강화해야”전문가들은 관리 주체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허억 가천대 안전교육연수원장은 “졸음쉼터는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는 만큼 사고 사례를 유형화해 운전자에게 알리고, 보차도 분리대·과속 방지턱 등 안전장치를 충분히 갖춰야 한다”며 “진입 시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사고 발생 시 즉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이에 대해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졸음쉼터 내 사고 예방을 위해 안내 표지와 차로 유도 컬러레인 등 안전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시 현장 안전관리와 처리 지원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과실 비율 산정 등 분쟁 해결은 보험사 소관”이라고 선을 그었다. [기사전문보기] 추석 귀성·귀경길 ‘졸음쉼터’ 사고…책임은 누구 몫? (바로가기)
쿠키뉴스
2025-10-07
추석 귀성·귀경길 ‘졸음쉼터’ 사고…책임은 누구 몫?
추석 귀성·귀경길 ‘졸음쉼터’ 사고…책임은 누구 몫?
안전시설 ‘졸음쉼터’가 오히려 분쟁 유발…제한적인 당국 책임론도전문가들 “관리 주체 안전장치 구조 개선 및 안내 강화해야” 민족 대이동이 펼쳐지는 추석 연휴. 피로가 쌓인 운전자들이 잠시 숨을 고르는 공간이 있다. 바로 ‘졸음쉼터’다.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 안전시설이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사고 위험과 책임 공방의 불씨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안전공간이 ‘책임 사각지대’로추석 연휴에는 장거리 운전으로 졸음운전과 2차 사고에 특히 취약하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설·추석 연휴 교통사고는 총 167건 발생했다. 이 중 졸음·주시 태만으로 인한 사고가 109건(65.3%)이었다. 같은 기간 명절 교통사고로 총 13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3명은 일반 사고보다 치사율이 6배 이상 높은 2차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문제는 이런 사고를 예방해야 할 졸음쉼터가 또 다른 위험지대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졸음쉼터는 단순 주차장이 아니라 임시 휴게 공간으로 분류된다. 짧고 급격한 진·출입로, 불분명한 내부 동선, 부족한 조명 등 구조적 문제를 가진 곳이 많아 진입·후진·끼어들기 과정에서 추돌사고가 잦다.실제로 졸음쉼터에서는 명절 연휴 기간에 진입 차량과 후진 차량이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 피해자 측이 시설의 구조적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분쟁 과정에서는 운전자 부주의가 더 큰 과실로 책정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현재 고속도로 졸음쉼터의 관리 주체는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다. 하지만 시설 관리상의 중대한 하자가 명백히 입증되지 않는 한, 쉼터 내 사고에 대한 관리 주체의 책임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사고가 운전자 부주의로 귀결되는 탓에 피해자는 제대로 된 보상 없이 책임 공방에 휘말리기 쉽다.교통사고 전문 변호사들은 피해자 보호의 사각지대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민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졸음쉼터 설치·관리상 하자가 사고 원인이 된 경우라면 민법상 ‘영조물 설치·관리자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며 “하지만 대부분은 운전자의 과실이 우선적으로 고려돼 관리 주체의 책임이 인정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전문가 “시설 개선·안내 강화해야”전문가들은 관리 주체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허억 가천대 안전교육연수원장은 “졸음쉼터는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는 만큼 사고 사례를 유형화해 운전자에게 알리고, 보차도 분리대·과속 방지턱 등 안전장치를 충분히 갖춰야 한다”며 “진입 시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사고 발생 시 즉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이에 대해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졸음쉼터 내 사고 예방을 위해 안내 표지와 차로 유도 컬러레인 등 안전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시 현장 안전관리와 처리 지원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과실 비율 산정 등 분쟁 해결은 보험사 소관”이라고 선을 그었다. [기사전문보기] 추석 귀성·귀경길 ‘졸음쉼터’ 사고…책임은 누구 몫?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곳
2025-10-02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서 미래 법조인에 노동법 강의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서 미래 법조인에 노동법 강의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30일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미래 법조인을 대상으로 ‘노동사건의 이해’를 주제로 한 강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이 강의는 지난해 대륜과 서강대 법전원이 체결한 MOU에 따라 마련됐다. 정상혁 대륜 기업법무그룹 변호사(변시 10회)가 ‘일하는 자 법을 알지어다-노동사건 실무 A to Z’를 주제로 노동법의 개요와 구조, 핵심 쟁점 등을 소개했다.정 변호사는 이날 “노동법의 본질은 상대적 약자인 근로자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자유로운 계약을 중시하는 민사법과 달리, 노동법은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 힘의 불균형을 전제한다”면서 “이 때문에 근로자에게 불리한 계약 내용은 법적으로 무효가 되는 편면적 강행규정이 대원칙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근로계약서에 서명하면 모든 조건에 동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최저임금이나 퇴직금, 연차휴가 등 법이 보장한 최소한의 기준은 계약 내용보다 우선한다는 것이다. 정 변호사는 “노동법은 모든 커리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활형 법률’이다. 법을 알아야 부당한 상황에서 자신을 지킬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강의에서 정 변호사는 이론 설명과 더불어 실제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대응 전략도 제시했다. 직장내 괴롭힘·성희롱, 해고·강등 등 각종 징계, 임금 및 퇴직금 체불, 산업재해 등 실무 사례를 소개하면서 각 상황에 맞는 법적 구제 절차를 상세하게 안내했다. 특히 “임금체불 등 노동법 위반 사안은 경찰이 아닌, 특별사법경찰관의 지위를 가진 근로감독관이 있는 노동청에 신고해야 처리가 가능하다”며 실무적인 조언을 덧붙였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기업자문·기업회생파산·M&A·자산운용·인사노무·경영권분쟁 등 세분한 센터를 운영해 사건 특성에 맞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 변호사는 “이번 강의에서 근로자들이 마주할 노동 환경의 제도적 변화를 조망하고 그 중요성을 다각적으로 설명했다”며 “미래 법조인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서 미래 법조인에 노동법 강의 (바로가기) 로리더 - 대륜, 서강대 로스쿨 ‘알바생부터 신입사원까지, 내 권리 지키는 노동법 강의’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곳
2025-10-02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서 미래 법조인에 노동법 강의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서 미래 법조인에 노동법 강의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30일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미래 법조인을 대상으로 ‘노동사건의 이해’를 주제로 한 강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이 강의는 지난해 대륜과 서강대 법전원이 체결한 MOU에 따라 마련됐다. 정상혁 대륜 기업법무그룹 변호사(변시 10회)가 ‘일하는 자 법을 알지어다-노동사건 실무 A to Z’를 주제로 노동법의 개요와 구조, 핵심 쟁점 등을 소개했다.정 변호사는 이날 “노동법의 본질은 상대적 약자인 근로자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자유로운 계약을 중시하는 민사법과 달리, 노동법은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 힘의 불균형을 전제한다”면서 “이 때문에 근로자에게 불리한 계약 내용은 법적으로 무효가 되는 편면적 강행규정이 대원칙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근로계약서에 서명하면 모든 조건에 동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최저임금이나 퇴직금, 연차휴가 등 법이 보장한 최소한의 기준은 계약 내용보다 우선한다는 것이다. 정 변호사는 “노동법은 모든 커리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활형 법률’이다. 법을 알아야 부당한 상황에서 자신을 지킬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강의에서 정 변호사는 이론 설명과 더불어 실제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대응 전략도 제시했다. 직장내 괴롭힘·성희롱, 해고·강등 등 각종 징계, 임금 및 퇴직금 체불, 산업재해 등 실무 사례를 소개하면서 각 상황에 맞는 법적 구제 절차를 상세하게 안내했다. 특히 “임금체불 등 노동법 위반 사안은 경찰이 아닌, 특별사법경찰관의 지위를 가진 근로감독관이 있는 노동청에 신고해야 처리가 가능하다”며 실무적인 조언을 덧붙였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기업자문·기업회생파산·M&A·자산운용·인사노무·경영권분쟁 등 세분한 센터를 운영해 사건 특성에 맞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 변호사는 “이번 강의에서 근로자들이 마주할 노동 환경의 제도적 변화를 조망하고 그 중요성을 다각적으로 설명했다”며 “미래 법조인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서 미래 법조인에 노동법 강의 (바로가기) 로리더 - 대륜, 서강대 로스쿨 ‘알바생부터 신입사원까지, 내 권리 지키는 노동법 강의’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10-02
[기고] 美 수출물품가격, 공제 비용·절차 확인해 전략적 대응해야
[기고] 美 수출물품가격, 공제 비용·절차 확인해 전략적 대응해야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CAFC)은 현지시간 8월 29일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른 상호관세 부과조치를 위법으로 판결했다. 지난 5월 국제무역법원(CIT)은 IEEPA를 근거로 하는 행정명령을 전면 무효화하고 집행금지를 내렸는데, 이번 항소심에서 연방순회항소법원은 마약관세와 상호관세의 위법성을 동일하게 인정한 것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순회항소법원의 판결에 곧바로 항소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연방대법원 사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건이다", "우리나라는 다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부유해질 기회가 있지만, 이 사건을 이기지 못하면 다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가난해질 수 있다"고 말하며 한국 등 다른 나라와 체결한 무역합의가 무효로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만약 연방대법원에서 상호관세 조치를 위법으로 판결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은 통상법 제122조, 무역확장법 제232조, 관세법 제338조, 통상법 제301조 등 다른 법령으로 상호관세를 대체할 수 있어 관세 부과조치는 트럼프 대통령 임기 중에 계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다.따라서 국내 수출기업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철회될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피해를 최소화해야 함과 동시에 미국 관세 규정에 맞춰 수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먼저 수출물품의 HS code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수출물품의 HS code에 따라 알루미늄·철강, 자동차·자동차 부품에 부과되는 품목별 관세에 해당되는지, 또는 상호관세 부과대상인지 결정되기에 반드시 확인을 거쳐야 한다.그리고 수출물품의 원산지를 확인해야 한다. 원산지는 FTA와 같은 특혜를 받기 위한 '특혜 원산지'와 상호관세 부과와 같은 비특혜 목적의 '비특혜 원산지'로 구분된다. 원산지를 구분하는 목적이 다르므로 FTA 원산지 결정 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판정되더라도 미국의 비특혜 원산지 결정기준에 따라 중국산으로 판정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관세는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에 관세율을 곱해 산정된다. 관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관세율을 낮추거나 과세가격을 낮춰야 한다. 수출물품의 HS code 확인과 원산지 확인은 정확한 관세율을 확인하기 위함인데, 공급망 변경 등으로 관세율을 낮추기 어려운 경우 과세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현재 국내 수출기업들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가격에 포함된 마진을 줄여 수출가격을 낮추고 있다. 다만 임의로 가격을 조정하는 방법은 미국 세관에서 해당 조정을 비정상적인 할인으로 보아 수입신고 가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그렇다면 합법적으로 과세가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미국은 한국과 다르게 FOB(Free on Board) 가격을 기준으로 과세가격을 산정한다. 한국은 CIF(Cost, Insurance, Freight) 기준으로 과세해 국제 운송 운임과 보험료가 과세되나, FOB 기준인 미국은 국제운송 운임과 보험료는 과세 가격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미국 관세법에서는 EXW(Ex Works) 조건 판매 시 수출국에서 발생한 내륙 운임 및 기타 서비스 비용이 가격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국제 운송 운임으로 보아 과세하지 않는다. 그리고 EXW 이외의 다른 인코텀즈 조건 판매인 경우, 수출국 내륙 운임 및 기타 서비스 비용이 별도로 명시되고 또 상품이 미국으로 수출되기 위해 운송업체에 배치된 이후 발생하는 비용의 경우, 국제 운송되는 운임으로 보아 과세하지 않는다.해당 규정을 활용한다면 한국에서 발생하는 내륙운임, 터미널 비용, 포워더 비용, 서류 발급 비용을 미국 수입신고 시 과세가격에서 제할 수 있어 관세를 절감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해당 규정뿐만 아니라 미국 관세법에서는 과세가격에서 공제 가능한 비용을 규정하고 있어 국내수출기업들은 수출가격에 포함되는 비용을 검토해 공제 가능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美 수출물품가격, 공제 비용·절차 확인해 전략적 대응해야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10-02
[기고] 美 수출물품가격, 공제 비용·절차 확인해 전략적 대응해야
[기고] 美 수출물품가격, 공제 비용·절차 확인해 전략적 대응해야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CAFC)은 현지시간 8월 29일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른 상호관세 부과조치를 위법으로 판결했다. 지난 5월 국제무역법원(CIT)은 IEEPA를 근거로 하는 행정명령을 전면 무효화하고 집행금지를 내렸는데, 이번 항소심에서 연방순회항소법원은 마약관세와 상호관세의 위법성을 동일하게 인정한 것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순회항소법원의 판결에 곧바로 항소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연방대법원 사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건이다", "우리나라는 다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부유해질 기회가 있지만, 이 사건을 이기지 못하면 다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가난해질 수 있다"고 말하며 한국 등 다른 나라와 체결한 무역합의가 무효로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만약 연방대법원에서 상호관세 조치를 위법으로 판결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은 통상법 제122조, 무역확장법 제232조, 관세법 제338조, 통상법 제301조 등 다른 법령으로 상호관세를 대체할 수 있어 관세 부과조치는 트럼프 대통령 임기 중에 계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다.따라서 국내 수출기업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철회될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피해를 최소화해야 함과 동시에 미국 관세 규정에 맞춰 수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먼저 수출물품의 HS code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수출물품의 HS code에 따라 알루미늄·철강, 자동차·자동차 부품에 부과되는 품목별 관세에 해당되는지, 또는 상호관세 부과대상인지 결정되기에 반드시 확인을 거쳐야 한다.그리고 수출물품의 원산지를 확인해야 한다. 원산지는 FTA와 같은 특혜를 받기 위한 '특혜 원산지'와 상호관세 부과와 같은 비특혜 목적의 '비특혜 원산지'로 구분된다. 원산지를 구분하는 목적이 다르므로 FTA 원산지 결정 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판정되더라도 미국의 비특혜 원산지 결정기준에 따라 중국산으로 판정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관세는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에 관세율을 곱해 산정된다. 관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관세율을 낮추거나 과세가격을 낮춰야 한다. 수출물품의 HS code 확인과 원산지 확인은 정확한 관세율을 확인하기 위함인데, 공급망 변경 등으로 관세율을 낮추기 어려운 경우 과세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현재 국내 수출기업들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가격에 포함된 마진을 줄여 수출가격을 낮추고 있다. 다만 임의로 가격을 조정하는 방법은 미국 세관에서 해당 조정을 비정상적인 할인으로 보아 수입신고 가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그렇다면 합법적으로 과세가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미국은 한국과 다르게 FOB(Free on Board) 가격을 기준으로 과세가격을 산정한다. 한국은 CIF(Cost, Insurance, Freight) 기준으로 과세해 국제 운송 운임과 보험료가 과세되나, FOB 기준인 미국은 국제운송 운임과 보험료는 과세 가격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미국 관세법에서는 EXW(Ex Works) 조건 판매 시 수출국에서 발생한 내륙 운임 및 기타 서비스 비용이 가격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국제 운송 운임으로 보아 과세하지 않는다. 그리고 EXW 이외의 다른 인코텀즈 조건 판매인 경우, 수출국 내륙 운임 및 기타 서비스 비용이 별도로 명시되고 또 상품이 미국으로 수출되기 위해 운송업체에 배치된 이후 발생하는 비용의 경우, 국제 운송되는 운임으로 보아 과세하지 않는다.해당 규정을 활용한다면 한국에서 발생하는 내륙운임, 터미널 비용, 포워더 비용, 서류 발급 비용을 미국 수입신고 시 과세가격에서 제할 수 있어 관세를 절감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해당 규정뿐만 아니라 미국 관세법에서는 과세가격에서 공제 가능한 비용을 규정하고 있어 국내수출기업들은 수출가격에 포함되는 비용을 검토해 공제 가능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美 수출물품가격, 공제 비용·절차 확인해 전략적 대응해야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10-01
변호사가 전하는 유사수신 사기 대처법은?
변호사가 전하는 유사수신 사기 대처법은?
1일 경찰청의 ‘연도별 기소 전 몰수·추징 보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이 몰수·추징 보전한 범죄 수익은 1조 2684억원으로 2023년(5060억)원에 비해 151% 늘었다. 이는 다단계, 보이스피싱, 유사수신 투자 등 다중피해사기 범죄가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다중사기범죄 보전액의 경우 2023년 3154억원에서 2024년 8156억원으로 1년 새 약 160%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유사수신행위는 법률에 의한 인허가를 받지 않고 투자금을 유치하는 모든 자금 조달 행위를 뜻하는데 피해액과 규모가 커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합법적 투자’와 ‘불법적 투자’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태가 터지고 나서야 사기를 당했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많다.금융 법무분야에 특화된 법무법인 대륜 윤정현 변호사는 이같은 범죄에 피해를 봤다면 “신속한 증거 확보와 가해자 재산에 대한 가압류 신청이 빠르게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아래는 관련 질의 응답.-법적으로 ‘유사수신행위’의 특징과 일반적인 사기죄와 처벌은 어떻게 다른가.▲사기죄는 기망행위를 통한 재산상 이익 편취를 요건으로 하지만, 유사수신행위는 인허가 없이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불특정 다수에게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 자체로 성립한다. 유사수신행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지며, 편취액이 5억원 이상일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중처벌된다.-일반인이 합법 투자와 구분할 수 있는 핵심 특징이나 위험 신호가 있다면.▲인가받지 않은 업체가 ‘원금 보장’과 ‘확정 고수익’을 동시에 약속하는 것은 불법 유사수신행위의 핵심 특징이다. 이 외에도 불분명한 사업 모델, 신규 투자자 유치 시 수당 지급, 금융당국 인허가 부재, 유명인사의 이미지의 지나친 활용, 수익금 지급 후 추가 투자 유도 등은 등은 대표적인 위험 신호다.-유사수신행위 사기를 당했다는 걸 알았을 때, 피해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이며 형사 고소 말고 투자금을 돌려받을 현실적인 방법도 있는지.▲피해 발생 때 투자계약서, 입금내역 등 증거자료를 확보해 신속히 형사 고소를 진행해야 한다. 형사처벌과 별개로 피해금 회수를 위해서는 민사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이 필요하다. 소송 전 가해자의 재산을 묶어두는 가압류, 가처분 등 보전처분을 신청하는 것이 현실적인 피해 회복 방법이다.-요즘은 신종 유사수신행위가 많던데, 이런 최신 사기 수법의 특징은 무엇인가.▲최신 유사수신행위는 가상자산,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RWA(실물 연계 자산) 등 전문적인 기술 용어를 내세워 사업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특징이 있다. 그럴듯한 홈페이지나 백서를 제작하고, 유명 거래소 상장을 미끼로 투자금을 유치한 뒤 ‘락업(Lock-up)’ 기간을 설정해 투자자들의 자금을 묶어두는 수법을 주로 사용한다.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 손실을 매꿀 수 있다며 문자나 카톡으로 단체방에 신규 회원을 초대하는 경우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합법적인 투자 유치랑 불법 유사수신행위의 경계가 애매한 경우가 있는데, 둘의 차이를 구분하려면.▲가장 명확한 구분 기준은 ‘원금 보장 약정’의 유무다. 합법적인 투자는 원금 손실의 가능성을 반드시 고지해야 하는 반면, 유사수신행위는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모집한다. 또한 합법적인 투자 중개 업체는 금융당국에 등록돼 관리·감독을 받는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전하는 유사수신 사기 대처법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10-01
변호사가 전하는 유사수신 사기 대처법은?
변호사가 전하는 유사수신 사기 대처법은?
1일 경찰청의 ‘연도별 기소 전 몰수·추징 보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이 몰수·추징 보전한 범죄 수익은 1조 2684억원으로 2023년(5060억)원에 비해 151% 늘었다. 이는 다단계, 보이스피싱, 유사수신 투자 등 다중피해사기 범죄가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다중사기범죄 보전액의 경우 2023년 3154억원에서 2024년 8156억원으로 1년 새 약 160%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유사수신행위는 법률에 의한 인허가를 받지 않고 투자금을 유치하는 모든 자금 조달 행위를 뜻하는데 피해액과 규모가 커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합법적 투자’와 ‘불법적 투자’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태가 터지고 나서야 사기를 당했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많다.금융 법무분야에 특화된 법무법인 대륜 윤정현 변호사는 이같은 범죄에 피해를 봤다면 “신속한 증거 확보와 가해자 재산에 대한 가압류 신청이 빠르게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아래는 관련 질의 응답.-법적으로 ‘유사수신행위’의 특징과 일반적인 사기죄와 처벌은 어떻게 다른가.▲사기죄는 기망행위를 통한 재산상 이익 편취를 요건으로 하지만, 유사수신행위는 인허가 없이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불특정 다수에게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 자체로 성립한다. 유사수신행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지며, 편취액이 5억원 이상일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중처벌된다.-일반인이 합법 투자와 구분할 수 있는 핵심 특징이나 위험 신호가 있다면.▲인가받지 않은 업체가 ‘원금 보장’과 ‘확정 고수익’을 동시에 약속하는 것은 불법 유사수신행위의 핵심 특징이다. 이 외에도 불분명한 사업 모델, 신규 투자자 유치 시 수당 지급, 금융당국 인허가 부재, 유명인사의 이미지의 지나친 활용, 수익금 지급 후 추가 투자 유도 등은 등은 대표적인 위험 신호다.-유사수신행위 사기를 당했다는 걸 알았을 때, 피해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이며 형사 고소 말고 투자금을 돌려받을 현실적인 방법도 있는지.▲피해 발생 때 투자계약서, 입금내역 등 증거자료를 확보해 신속히 형사 고소를 진행해야 한다. 형사처벌과 별개로 피해금 회수를 위해서는 민사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이 필요하다. 소송 전 가해자의 재산을 묶어두는 가압류, 가처분 등 보전처분을 신청하는 것이 현실적인 피해 회복 방법이다.-요즘은 신종 유사수신행위가 많던데, 이런 최신 사기 수법의 특징은 무엇인가.▲최신 유사수신행위는 가상자산,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RWA(실물 연계 자산) 등 전문적인 기술 용어를 내세워 사업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특징이 있다. 그럴듯한 홈페이지나 백서를 제작하고, 유명 거래소 상장을 미끼로 투자금을 유치한 뒤 ‘락업(Lock-up)’ 기간을 설정해 투자자들의 자금을 묶어두는 수법을 주로 사용한다.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 손실을 매꿀 수 있다며 문자나 카톡으로 단체방에 신규 회원을 초대하는 경우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합법적인 투자 유치랑 불법 유사수신행위의 경계가 애매한 경우가 있는데, 둘의 차이를 구분하려면.▲가장 명확한 구분 기준은 ‘원금 보장 약정’의 유무다. 합법적인 투자는 원금 손실의 가능성을 반드시 고지해야 하는 반면, 유사수신행위는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모집한다. 또한 합법적인 투자 중개 업체는 금융당국에 등록돼 관리·감독을 받는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전하는 유사수신 사기 대처법은?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5-09-30
법무법인 대륜, K&Y 회계법인과 MOU…국제 조세·규제 대응
법무법인 대륜, K&Y 회계법인과 MOU…국제 조세·규제 대응
법무법인 대륜이 미국 최대의 한인 회계법인 중 하나로 꼽히는 Ko & Yun 회계법인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앞서 체결식은 지난 26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렸으며, 이날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박동일 대표, 안일환 고문, 유정연 회계사와 K&Y 회계법인의 고성환 대표, GROUP X 이진경 대표 등이 참석했다.K&Y 회계법인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현재 텍사스와 뉴저지·미시간 등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아울러 세계 151개국이 참여하는 BDO Alliance USA 회원사로서 국제 회계·세무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전국 36개 사무소를 운영하는 국내 대형 로펌 중 하나로, 분야별 전문 변호사 협업 체계와 AI·IT 기반 사건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기업법무, 소송, 인권 보호 등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보안·경호팀과 소프트웨어 개발팀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을 활용한 '토탈 법률 서비스' 모델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은 대륜의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과 해외 투자자의 한국 내 활동을 지원하는 '글로벌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데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구체적으로 ▲해외 법인 설립 및 국제 조세·규제 대응 자문 협력 ▲국제 소송 및 분쟁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 체계 구축 ▲글로벌 투자자 대상 세무·법률 통합 서비스 제공 ▲ESG·컴플라이언스 기반 경영 자문 공동 추진 ▲ 온라인 기반 국제 회계·법률 콘텐츠 공동 제작 및 세미나 개최 ▲인재 교류 및 공동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위해 힘쓸 계획이다.K&Y 회계법인 고성환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경을 넘나드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고객이 직면하는 회계·세무 및 법률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며 "양사의 협력은 글로벌 고객 만족도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K&Y 회계법인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통해 대륜의 서비스 영역이 미국 및 국제 시장으로 한층 확장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 기술과 대륜의 토탈 서비스 모델을 접목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K&Y 회계법인과 MOU…국제 조세·규제 대응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미국 K&Y회계법인과 MOU 체결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5-09-30
법무법인 대륜, K&Y 회계법인과 MOU…국제 조세·규제 대응
법무법인 대륜, K&Y 회계법인과 MOU…국제 조세·규제 대응
법무법인 대륜이 미국 최대의 한인 회계법인 중 하나로 꼽히는 Ko & Yun 회계법인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앞서 체결식은 지난 26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렸으며, 이날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박동일 대표, 안일환 고문, 유정연 회계사와 K&Y 회계법인의 고성환 대표, GROUP X 이진경 대표 등이 참석했다.K&Y 회계법인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현재 텍사스와 뉴저지·미시간 등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아울러 세계 151개국이 참여하는 BDO Alliance USA 회원사로서 국제 회계·세무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전국 36개 사무소를 운영하는 국내 대형 로펌 중 하나로, 분야별 전문 변호사 협업 체계와 AI·IT 기반 사건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기업법무, 소송, 인권 보호 등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보안·경호팀과 소프트웨어 개발팀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을 활용한 '토탈 법률 서비스' 모델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은 대륜의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과 해외 투자자의 한국 내 활동을 지원하는 '글로벌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데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구체적으로 ▲해외 법인 설립 및 국제 조세·규제 대응 자문 협력 ▲국제 소송 및 분쟁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 체계 구축 ▲글로벌 투자자 대상 세무·법률 통합 서비스 제공 ▲ESG·컴플라이언스 기반 경영 자문 공동 추진 ▲ 온라인 기반 국제 회계·법률 콘텐츠 공동 제작 및 세미나 개최 ▲인재 교류 및 공동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위해 힘쓸 계획이다.K&Y 회계법인 고성환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경을 넘나드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고객이 직면하는 회계·세무 및 법률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며 "양사의 협력은 글로벌 고객 만족도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K&Y 회계법인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통해 대륜의 서비스 영역이 미국 및 국제 시장으로 한층 확장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 기술과 대륜의 토탈 서비스 모델을 접목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K&Y 회계법인과 MOU…국제 조세·규제 대응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미국 K&Y회계법인과 MOU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9-30
대륜-스위스 로펌 PST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대륜-스위스 로펌 PST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블록체인·AI 등 신기술 및 국제 자문 분야 협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스위스 로펌 PST Legal & Consulting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제 조달과 계약법, AI 리스크 관리, 국경 간 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며, 유럽 현지 기업과 국내 기업 모두에 글로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지난 24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손동후 미국변호사, 유정연 회계사와 PST Patrick Storchenegger(패트릭 스토치네거) 대표 변호사, 박민영 변호사, Natalie Sella-Rolando(나탈리 셀라 롤란도) 매니저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PST Legal & Consulting은 스위스 주크(Zug)에 본사를 둔 독립 로펌으로, 30년 이상의 전문성과 국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개인·기관·기업 고객에게 융합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법, 조세법, 금융·자본시장법, 부동산·건설, 이민·노동, 지식재산권, 형사 및 컴플라이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췄고, 특히 블록체인, 인공지능(AI), FinTech 등 신기술 기반 산업에 특화된 자문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대륜은 국내 36개 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미국 뉴욕과 워싱턴DC 등 국제 시장 확장에 나서고 있다. 특히, 법률 서비스 외에도 소프트웨어 개발팀, 온라인 마케팅팀, 디지털포렌식센터, 경호센터 등 다양한 내·외부 전문 인력과 협업해 ‘토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국제 조달 및 글로벌 계약법 관련 법률 자문 협력 ▲AI 기반 계약 분석 및 규제 리스크 예측 시스템 공동 개발 ▲한-유럽 간 기업 진출 및 법률 자문 연계 서비스 제공 ▲글로벌 자산 보호 및 조세 구조 설계 자문 협력 ▲ESG 및 컴플라이언스 기반의 윤리경영 컨설팅 공동 추진 ▲온라인 기반 국제 법률 콘텐츠 공동 제작 및 마케팅 협력 ▲정책 포럼, 국제 세미나 공동 개최 및 법률 인재 교류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PST Patrick Storchenegger 대표는 "한국의 유능한 로펌인 대륜과 협력함으로써 유럽 클라이언트에게도 보다 신뢰도 높은 아시아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한국은 블록체인, AI 등 디지털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라며 "크로스보더 협력 모델을 통해 양측 모두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PST는 유럽 각국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보유한 만큼, 대륜의 글로벌 서비스 범위를 유럽 전역으로 확장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며 "AI 기술, 온라인 마케팅, 그리고 대륜만의 토탈 법률 서비스 모델을 바탕으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이라고 말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크로스보더 법률 서비스 플랫폼 구축, 공동 마케팅, 유럽 진출 국내 기업 지원 등 중장기 협력 모델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한편, 대륜은 PST 외에도 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의 로펌, 회계법인과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고객 맞춤형 국제 자문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스위스 로펌 PST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바로가기) 로리더 - 대륜, 스위스 로펌 PST와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스위스 로펌 PST Legal & Consulting과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스위스 로펌 PST와 전략적 업무협약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9-30
대륜-스위스 로펌 PST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대륜-스위스 로펌 PST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블록체인·AI 등 신기술 및 국제 자문 분야 협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스위스 로펌 PST Legal & Consulting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제 조달과 계약법, AI 리스크 관리, 국경 간 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며, 유럽 현지 기업과 국내 기업 모두에 글로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지난 24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손동후 미국변호사, 유정연 회계사와 PST Patrick Storchenegger(패트릭 스토치네거) 대표 변호사, 박민영 변호사, Natalie Sella-Rolando(나탈리 셀라 롤란도) 매니저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PST Legal & Consulting은 스위스 주크(Zug)에 본사를 둔 독립 로펌으로, 30년 이상의 전문성과 국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개인·기관·기업 고객에게 융합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법, 조세법, 금융·자본시장법, 부동산·건설, 이민·노동, 지식재산권, 형사 및 컴플라이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췄고, 특히 블록체인, 인공지능(AI), FinTech 등 신기술 기반 산업에 특화된 자문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대륜은 국내 36개 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미국 뉴욕과 워싱턴DC 등 국제 시장 확장에 나서고 있다. 특히, 법률 서비스 외에도 소프트웨어 개발팀, 온라인 마케팅팀, 디지털포렌식센터, 경호센터 등 다양한 내·외부 전문 인력과 협업해 ‘토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국제 조달 및 글로벌 계약법 관련 법률 자문 협력 ▲AI 기반 계약 분석 및 규제 리스크 예측 시스템 공동 개발 ▲한-유럽 간 기업 진출 및 법률 자문 연계 서비스 제공 ▲글로벌 자산 보호 및 조세 구조 설계 자문 협력 ▲ESG 및 컴플라이언스 기반의 윤리경영 컨설팅 공동 추진 ▲온라인 기반 국제 법률 콘텐츠 공동 제작 및 마케팅 협력 ▲정책 포럼, 국제 세미나 공동 개최 및 법률 인재 교류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PST Patrick Storchenegger 대표는 "한국의 유능한 로펌인 대륜과 협력함으로써 유럽 클라이언트에게도 보다 신뢰도 높은 아시아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한국은 블록체인, AI 등 디지털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라며 "크로스보더 협력 모델을 통해 양측 모두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PST는 유럽 각국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보유한 만큼, 대륜의 글로벌 서비스 범위를 유럽 전역으로 확장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며 "AI 기술, 온라인 마케팅, 그리고 대륜만의 토탈 법률 서비스 모델을 바탕으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이라고 말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크로스보더 법률 서비스 플랫폼 구축, 공동 마케팅, 유럽 진출 국내 기업 지원 등 중장기 협력 모델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한편, 대륜은 PST 외에도 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의 로펌, 회계법인과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고객 맞춤형 국제 자문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스위스 로펌 PST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바로가기) 로리더 - 대륜, 스위스 로펌 PST와 맞손···아시아-유럽 잇는 크로스보더 법률 협력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스위스 로펌 PST Legal & Consulting과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스위스 로펌 PST와 전략적 업무협약 (바로가기)
경기일보 등 2곳
2025-09-30
상환능력 없이 사업 자금 빌리고 안 갚았는데 ‘무죄’...이유가
상환능력 없이 사업 자금 빌리고 안 갚았는데 ‘무죄’...이유가
피고인측, 혐의 부인…"변제 능력 충분했다" 반박재판부 "높은 수익 기록…차용금 변제 능력 있었다고 보여" 변제 능력 없이 사업 자금을 빌린 뒤 갚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업주들이 무죄를 선고받았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은 지난 12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 A씨 등 2명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A씨 등은 지난 2017년부터 약 1년 동안 회사 경영난으로 인해 변제 능력이 없는 상태에서 대부업자 B씨로부터 사업 자금 명목으로 약 6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A씨 측은 “경영난을 겪은 회사 외에 다른 개인 사업을 통해 상당한 매출을 올리고 있었기에 변제 능력은 충분했다”며 “B씨와 정상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혐의를 부인했다.또한 “금전거래 과정에서 B씨의 요구로 제3자 명의의 통장을 이용하기도 했는데, 해당 계좌를 통해 지속적으로 돈을 상환했다”며 “이같은 차명계좌 거래 내역을 모두 합하면 대여금보다 훨씬 많은 금액이 변제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법원은 이러한 A씨 등의 주장을 받아들여 무죄를 선고했다. 공소사실 기간 당시 A씨는 개인 사업체를 운영하며 높은 수익을 기록하고 있었고, 빌린 금원도 대부분 해당 개인 사업체에 사용한 것으로 보여 차용금을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있었다고 볼 수 있었다고 것이 법원 판단이다.또한 거래 과정에서 정확한 정산을 하지 않고 차명계좌를 이용해 금전 거래 내역이 더욱 복잡해졌다는 것도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재판부는 “이같은 상황에서 변제가 이뤄졌을 가능성까지 배척하기는 어렵다”면서 “그동안의 거래를 봐도 피고인들이 지속적으로 피해자에게 상환했던 점을 감안하면, 해당 금원에 대해서만 기망의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A씨 측을 대리한 박정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일반적으로 반복되는 금전거래를 통한 사기 범행은 신뢰를 쌓다가 빌리는 금액을 점차 늘리면서 변제를 중단하는 양태를 보인다”며 “다만 A씨 측은 B씨와 거래한 모든 기간에서 변제한 금액이 대여한 금액보다 많았기에 이를 토대로 변제 의사가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미지 기자 (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경기일보 - 상환능력 없이 사업 자금 빌리고 안 갚았는데 ‘무죄’...이유가 (바로가기) 서울경제 - "사업 자금 '6억'이나 빌리고 못 갚았는데"…法 '무죄' 판결 내린 이유는 (바로가기)
경기일보 등 2곳
2025-09-30
상환능력 없이 사업 자금 빌리고 안 갚았는데 ‘무죄’...이유가
상환능력 없이 사업 자금 빌리고 안 갚았는데 ‘무죄’...이유가
피고인측, 혐의 부인…"변제 능력 충분했다" 반박재판부 "높은 수익 기록…차용금 변제 능력 있었다고 보여" 변제 능력 없이 사업 자금을 빌린 뒤 갚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업주들이 무죄를 선고받았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은 지난 12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 A씨 등 2명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A씨 등은 지난 2017년부터 약 1년 동안 회사 경영난으로 인해 변제 능력이 없는 상태에서 대부업자 B씨로부터 사업 자금 명목으로 약 6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A씨 측은 “경영난을 겪은 회사 외에 다른 개인 사업을 통해 상당한 매출을 올리고 있었기에 변제 능력은 충분했다”며 “B씨와 정상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혐의를 부인했다.또한 “금전거래 과정에서 B씨의 요구로 제3자 명의의 통장을 이용하기도 했는데, 해당 계좌를 통해 지속적으로 돈을 상환했다”며 “이같은 차명계좌 거래 내역을 모두 합하면 대여금보다 훨씬 많은 금액이 변제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법원은 이러한 A씨 등의 주장을 받아들여 무죄를 선고했다. 공소사실 기간 당시 A씨는 개인 사업체를 운영하며 높은 수익을 기록하고 있었고, 빌린 금원도 대부분 해당 개인 사업체에 사용한 것으로 보여 차용금을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있었다고 볼 수 있었다고 것이 법원 판단이다.또한 거래 과정에서 정확한 정산을 하지 않고 차명계좌를 이용해 금전 거래 내역이 더욱 복잡해졌다는 것도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재판부는 “이같은 상황에서 변제가 이뤄졌을 가능성까지 배척하기는 어렵다”면서 “그동안의 거래를 봐도 피고인들이 지속적으로 피해자에게 상환했던 점을 감안하면, 해당 금원에 대해서만 기망의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A씨 측을 대리한 박정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일반적으로 반복되는 금전거래를 통한 사기 범행은 신뢰를 쌓다가 빌리는 금액을 점차 늘리면서 변제를 중단하는 양태를 보인다”며 “다만 A씨 측은 B씨와 거래한 모든 기간에서 변제한 금액이 대여한 금액보다 많았기에 이를 토대로 변제 의사가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미지 기자 (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경기일보 - 상환능력 없이 사업 자금 빌리고 안 갚았는데 ‘무죄’...이유가 (바로가기) 서울경제 - "사업 자금 '6억'이나 빌리고 못 갚았는데"…法 '무죄' 판결 내린 이유는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9-29
[기고] 의료기 업체 미국 진출시 꼭 알아야 할 내용 - FDA 허가 절차·진출 전략
[기고] 의료기 업체 미국 진출시 꼭 알아야 할 내용 - FDA 허가 절차·진출 전략
대륜 이일형 변호사 " FDA, AI와 IoT 기반 의료기 규제 강화-마케팅 규제 엄격""FDA 허가 절차 복잡하지만 예측 가능 영역...컴플라이언스 투자 선택 아닌 필수" 기고자와 약업신문은 「의료기기」와 관련된 시리즈를 기획했다. 이번 기고에서는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의 미국 시장 진출 시 법적 규제와 진출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들어가며 최근 한국 의료기기 업체들의 미국 진출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K-뷰티 성공에 이어 K-메디컬의 글로벌 확산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을 만나보면 FDA 허가 절차의 복잡함과 다양한 진출 전략 옵션 앞에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기고자는 최근 코엑스 상담부스 행사를 통해 수십 개 업체와 상담을 진행하면서, 실무진실무진들이 궁금해하는 내용들이 대부분 겹친다는 점을 인식하고 핵심 사항들을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번 기고에서는 FDA 허가 절차와 검증된 진출 전략을 중심으로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2. FDA 허가 절차, 생각보다 까다롭다 미국 FDA는 의료기기를 환자에게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Class I, II, III로 나누어 관리한다. 각 등급별로 요구되는 허가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무엇보다 자사 제품이 어느등급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관문이다.Class I 제품 경우 비교적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대부분 510(k)는 면제되지만 FDA 시설등록과 기기목록 등록은 반드시 해야 하고, 품질시스템 준수도 필수다. 특히 국내에서는 의약외품이나 화장품으로 분류되는 제품도 미국에서는 의료기기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Class II 제품이 가장 많은 업체들이 고민하는 영역이다. 510(k)를 통해 기존 승인 제품과의 동등성을 입증해야 하는데, 여기서 핵심은 적절한 Predicate Device를 찾는 것이다. 같은 기능을 하는 제품이라도 predicate device 선정에 따라 허가 가능 여부가 갈릴 수 있다. FDA 검토 기간은 공식적으로 90일이지만, 추가 자료 요청이나 보완 과정을 거치면 실제로는 4-6개월이 소요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Class III 제품은 가장 까다로운 영역이다. 필러류가 대표적인데, PMA(시판 전 승인)를 받기 위해서는 대규모 임상시험 데이터가 필요하다. 허가 기간도 최소 180일에서 수년까지 소요될 수 있어 충분한 시간적, 재정적 여유를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3. 직납이냐 간납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한국 의료기기 업체들이 가장 고민하는 지점은 진출 전략이다. 크게 병원에 직접 판매하는 직납 방식과 유통업체를 활용하는 간납 방식으로 나뉜다. 직납의 가장 큰 매력은 수익성이다. 유통업체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마진을 극대화할 수 있고, 브랜드 관리와 고객 관계도 직접 통제할 수 있다. 또한 병원과 의료진으로부터 직접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제품 개선이나 시장 동향 파악에도 유리하다. 그러나 직납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미국 전역에 영업 인력을 배치하고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 각 주마다 다른 규제를 이해하고 대응해야 하는 부담도 만만치 않다. 한 대형 의료기기 회사도 처음에는 직판을 시도했지만 결국 파트너 사와 제휴하는 방향으로 선회했을 정도다. 반면 간납은 신속한 시장 진입이 최대 장점이다. 이미 구축된 유통망과 고객 관계를 활용할 수 있어 초기 투자 부담이 적고, 복잡한 규제나 물류 절차도 유통업체가 담당한다. 다만 유통업체 수수료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지고, 브랜드 관리나 고객 관계를 직접 통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간납의 경우 GPO(Group Purchasing Organization)나 Distribuotr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다만 이들은 가격 경쟁력, 제품 경쟁력, 공급 안정성을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우선이다. 4. 성공 사례에서 찾는 실무 노하우 기고자가 상담한 업체들의 사례를 보면 몇 가지 패턴이 확인된다. 희귀질환이나 독특한 질환을 다루는 제품의 경우 직납이 유리했다. 환자 수가 제한적이고 전문성이 중요한 영역에서는 직접 접근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일반적인 소모품이나 범용 의료기기는 간납이 나은 경우가 많았다.한 의료기기 회사는 세계 최초 개발사라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 법인을 설립해 직납을 시도하고 있었다. 반면 일회용 의료기기 제조사는 정부 입찰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전략을 택했다. 비교적 정보가 공개되어 있고 진입 장벽이 낮은 정부 시장에서 경험을 쌓은 후 민간 시장으로 확장하는 방식이다. 5. 최신 규제 동향, 놓치면 안 되는 포인트들 최근 FDA는 AI와 IoT 기반 의료기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AI 알고리즘의 경우 기존 510(k) 체계로는 관리가 어려워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 중이다. 이런 제품을 개발하는 업체들은 규제 변화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마케팅 규제도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다. FDA 허가받은 적응증을 벗어난 용도로 광고하거나 과장된 효과를 주장하면 엄중한 제재를 받을 수 있다. UDI(Unique Device Identifier)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Class I 제품이라도 UDI 부착과 GUDID 등록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사전에 정확한 요구사항을 파악해야 한다. 6. 결론 및 제언 미국 의료기기 시장은 분명 매력적이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수다. 무엇보다 자사 제품의 특성과 회사 역량을 정확히 파악한 후 그에 맞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FDA 허가 절차는 복잡하지만 예측 가능한 영역이다. 충분한 사전 준비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최근처럼 규제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는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투자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한국 의료기기 업계 기술력은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 이제는 체계적인 진출 전략과 규제 대응 능력을 갖춘다면 미국 시장에서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료기 업체 미국 진출시 꼭 알아야 할 내용 - FDA 허가 절차·진출 전략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9-29
[기고] 의료기 업체 미국 진출시 꼭 알아야 할 내용 - FDA 허가 절차·진출 전략
[기고] 의료기 업체 미국 진출시 꼭 알아야 할 내용 - FDA 허가 절차·진출 전략
대륜 이일형 변호사 " FDA, AI와 IoT 기반 의료기 규제 강화-마케팅 규제 엄격""FDA 허가 절차 복잡하지만 예측 가능 영역...컴플라이언스 투자 선택 아닌 필수" 기고자와 약업신문은 「의료기기」와 관련된 시리즈를 기획했다. 이번 기고에서는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의 미국 시장 진출 시 법적 규제와 진출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들어가며 최근 한국 의료기기 업체들의 미국 진출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K-뷰티 성공에 이어 K-메디컬의 글로벌 확산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을 만나보면 FDA 허가 절차의 복잡함과 다양한 진출 전략 옵션 앞에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기고자는 최근 코엑스 상담부스 행사를 통해 수십 개 업체와 상담을 진행하면서, 실무진실무진들이 궁금해하는 내용들이 대부분 겹친다는 점을 인식하고 핵심 사항들을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번 기고에서는 FDA 허가 절차와 검증된 진출 전략을 중심으로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2. FDA 허가 절차, 생각보다 까다롭다 미국 FDA는 의료기기를 환자에게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Class I, II, III로 나누어 관리한다. 각 등급별로 요구되는 허가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무엇보다 자사 제품이 어느등급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관문이다.Class I 제품 경우 비교적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대부분 510(k)는 면제되지만 FDA 시설등록과 기기목록 등록은 반드시 해야 하고, 품질시스템 준수도 필수다. 특히 국내에서는 의약외품이나 화장품으로 분류되는 제품도 미국에서는 의료기기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Class II 제품이 가장 많은 업체들이 고민하는 영역이다. 510(k)를 통해 기존 승인 제품과의 동등성을 입증해야 하는데, 여기서 핵심은 적절한 Predicate Device를 찾는 것이다. 같은 기능을 하는 제품이라도 predicate device 선정에 따라 허가 가능 여부가 갈릴 수 있다. FDA 검토 기간은 공식적으로 90일이지만, 추가 자료 요청이나 보완 과정을 거치면 실제로는 4-6개월이 소요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Class III 제품은 가장 까다로운 영역이다. 필러류가 대표적인데, PMA(시판 전 승인)를 받기 위해서는 대규모 임상시험 데이터가 필요하다. 허가 기간도 최소 180일에서 수년까지 소요될 수 있어 충분한 시간적, 재정적 여유를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3. 직납이냐 간납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한국 의료기기 업체들이 가장 고민하는 지점은 진출 전략이다. 크게 병원에 직접 판매하는 직납 방식과 유통업체를 활용하는 간납 방식으로 나뉜다. 직납의 가장 큰 매력은 수익성이다. 유통업체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마진을 극대화할 수 있고, 브랜드 관리와 고객 관계도 직접 통제할 수 있다. 또한 병원과 의료진으로부터 직접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제품 개선이나 시장 동향 파악에도 유리하다. 그러나 직납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미국 전역에 영업 인력을 배치하고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 각 주마다 다른 규제를 이해하고 대응해야 하는 부담도 만만치 않다. 한 대형 의료기기 회사도 처음에는 직판을 시도했지만 결국 파트너 사와 제휴하는 방향으로 선회했을 정도다. 반면 간납은 신속한 시장 진입이 최대 장점이다. 이미 구축된 유통망과 고객 관계를 활용할 수 있어 초기 투자 부담이 적고, 복잡한 규제나 물류 절차도 유통업체가 담당한다. 다만 유통업체 수수료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지고, 브랜드 관리나 고객 관계를 직접 통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간납의 경우 GPO(Group Purchasing Organization)나 Distribuotr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다만 이들은 가격 경쟁력, 제품 경쟁력, 공급 안정성을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우선이다. 4. 성공 사례에서 찾는 실무 노하우 기고자가 상담한 업체들의 사례를 보면 몇 가지 패턴이 확인된다. 희귀질환이나 독특한 질환을 다루는 제품의 경우 직납이 유리했다. 환자 수가 제한적이고 전문성이 중요한 영역에서는 직접 접근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일반적인 소모품이나 범용 의료기기는 간납이 나은 경우가 많았다.한 의료기기 회사는 세계 최초 개발사라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 법인을 설립해 직납을 시도하고 있었다. 반면 일회용 의료기기 제조사는 정부 입찰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전략을 택했다. 비교적 정보가 공개되어 있고 진입 장벽이 낮은 정부 시장에서 경험을 쌓은 후 민간 시장으로 확장하는 방식이다. 5. 최신 규제 동향, 놓치면 안 되는 포인트들 최근 FDA는 AI와 IoT 기반 의료기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AI 알고리즘의 경우 기존 510(k) 체계로는 관리가 어려워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 중이다. 이런 제품을 개발하는 업체들은 규제 변화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마케팅 규제도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다. FDA 허가받은 적응증을 벗어난 용도로 광고하거나 과장된 효과를 주장하면 엄중한 제재를 받을 수 있다. UDI(Unique Device Identifier)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Class I 제품이라도 UDI 부착과 GUDID 등록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사전에 정확한 요구사항을 파악해야 한다. 6. 결론 및 제언 미국 의료기기 시장은 분명 매력적이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수다. 무엇보다 자사 제품의 특성과 회사 역량을 정확히 파악한 후 그에 맞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FDA 허가 절차는 복잡하지만 예측 가능한 영역이다. 충분한 사전 준비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최근처럼 규제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는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투자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한국 의료기기 업계 기술력은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 이제는 체계적인 진출 전략과 규제 대응 능력을 갖춘다면 미국 시장에서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료기 업체 미국 진출시 꼭 알아야 할 내용 - FDA 허가 절차·진출 전략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9-29
디지털자산, 규제냐 유연성이냐…"신뢰받는 시장 구축해야"
디지털자산, 규제냐 유연성이냐…"신뢰받는 시장 구축해야"
스테이블코인의 부상으로 디지털자산 패권 주도와 규제를 둘러싼 국제적 논의가 심화되는 가운데, 각국의 한인 법조인들이 신뢰받는 시장을 만들 필요성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9월 25일 서울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 로스쿨에서 열린 IAKL 제32차 정기총회에서 배태준(사법연수원 37기) 법무법인 린 변호사는 지난해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두고 "한국식 보호 규제는 지나치다는 비판이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사기·해킹 사고에 대비해 디지털자산 이용자의 예치금을 은행에 신탁하게 의무화했다. 유동성 저하로 투자가 위축되고 국제적인 지급결제 수단으로 쓰일 가능성도 떨어진다는 반발이 있었다. 국회에는 디지털자산기본법도 여럿 발의돼 있다. 디지털자산 발행과 유통 공시의무를 부과하고, 불공정거래를 금지하는 등 규제를 담고 있다. 배 변호사는 "한국에서 규제는 사회적이거나 정치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이 있다"며 "변화를 앞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도 디지털자산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이다. 우선 규제를 일원화하고 있다. 손동후 법무법인 대륜 외국변호사(미국 뉴욕주)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와 상품거래위원회가 공동성명을 낸 것은 디지털자산을 규율하려는 강력한 의지"라고 말했다. 두 기관은 디지털자산이 증권인지, 상품인지를 놓고 관할 다툼을 해오다 2025년 9월 규제 협력을 공식화했다. 규제를 강화하는 건 디지털자산에 대한 신뢰도 높은 시장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다. 박완기 리버티챔버스(Liberty Chambers) 외국변호사(홍콩)는 규제받는 플랫폼에 대한 대중의 신뢰도가 비규제 플랫폼보다 20% 이상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홍콩은 암호화폐 시장의 '와일드 웨스트'(서부, 무질서의 상징)가 아니라 '월스트리트'가 되려 한다"고 말했다. 홍콩은 전문 투자자가 아닌 일반인은 금융당국의 규제를 받는 디지털자산에만 투자할 수 있게 접근권을 제한하고 있다. 유연한 대응을 하는 국가도 있다. 스위스는 기존 민법·금융법 체계 안에서 디지털자산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융통성을 보이고 있다. 박민영(변호사시험 2회) 법무법인 세담 변호사는 "어떤 디지털자산은 초기에는 스위스에서 토큰을 발행하고 이후 소비자보호 규정이 엄격한 EU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박 변호사는 그러면서도 "스위스는 유연성이 크지만 실제 사업을 영위하려는 시장의 규제는 반드시 따라야 한다"며 "단순히 규제가 느슨하다고 이를 회피 수단으로만 활용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기사전문보기] 디지털자산, 규제냐 유연성이냐…"신뢰받는 시장 구축해야"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9-29
디지털자산, 규제냐 유연성이냐…"신뢰받는 시장 구축해야"
디지털자산, 규제냐 유연성이냐…"신뢰받는 시장 구축해야"
스테이블코인의 부상으로 디지털자산 패권 주도와 규제를 둘러싼 국제적 논의가 심화되는 가운데, 각국의 한인 법조인들이 신뢰받는 시장을 만들 필요성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9월 25일 서울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 로스쿨에서 열린 IAKL 제32차 정기총회에서 배태준(사법연수원 37기) 법무법인 린 변호사는 지난해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두고 "한국식 보호 규제는 지나치다는 비판이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사기·해킹 사고에 대비해 디지털자산 이용자의 예치금을 은행에 신탁하게 의무화했다. 유동성 저하로 투자가 위축되고 국제적인 지급결제 수단으로 쓰일 가능성도 떨어진다는 반발이 있었다. 국회에는 디지털자산기본법도 여럿 발의돼 있다. 디지털자산 발행과 유통 공시의무를 부과하고, 불공정거래를 금지하는 등 규제를 담고 있다. 배 변호사는 "한국에서 규제는 사회적이거나 정치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이 있다"며 "변화를 앞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도 디지털자산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이다. 우선 규제를 일원화하고 있다. 손동후 법무법인 대륜 외국변호사(미국 뉴욕주)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와 상품거래위원회가 공동성명을 낸 것은 디지털자산을 규율하려는 강력한 의지"라고 말했다. 두 기관은 디지털자산이 증권인지, 상품인지를 놓고 관할 다툼을 해오다 2025년 9월 규제 협력을 공식화했다. 규제를 강화하는 건 디지털자산에 대한 신뢰도 높은 시장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다. 박완기 리버티챔버스(Liberty Chambers) 외국변호사(홍콩)는 규제받는 플랫폼에 대한 대중의 신뢰도가 비규제 플랫폼보다 20% 이상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홍콩은 암호화폐 시장의 '와일드 웨스트'(서부, 무질서의 상징)가 아니라 '월스트리트'가 되려 한다"고 말했다. 홍콩은 전문 투자자가 아닌 일반인은 금융당국의 규제를 받는 디지털자산에만 투자할 수 있게 접근권을 제한하고 있다. 유연한 대응을 하는 국가도 있다. 스위스는 기존 민법·금융법 체계 안에서 디지털자산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융통성을 보이고 있다. 박민영(변호사시험 2회) 법무법인 세담 변호사는 "어떤 디지털자산은 초기에는 스위스에서 토큰을 발행하고 이후 소비자보호 규정이 엄격한 EU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박 변호사는 그러면서도 "스위스는 유연성이 크지만 실제 사업을 영위하려는 시장의 규제는 반드시 따라야 한다"며 "단순히 규제가 느슨하다고 이를 회피 수단으로만 활용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기사전문보기] 디지털자산, 규제냐 유연성이냐…"신뢰받는 시장 구축해야"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9-29
[기고] 대리처방, 환자 편의와 안전성의 균형
[기고] 대리처방, 환자 편의와 안전성의 균형
치매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가 환자를 대신해 병원을 찾았다가 '환자 본인이 직접 오셔야 한다'는 말을 듣고 발길을 돌리는 사례는 낯설지 않다. 거동이 불편한 고령 환자, 만성질환으로 의약품의 장기 복용이 필요한 환자에게 대리처방, 정확히는 '처방전의 대리수령'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치료 연속성의 핵심 요소다.현행 의료법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에게 직접 진찰을 받은 환자만이 처방전을 수령할 수 있다고 정하면서도, 예외적으로 환자의 의식이 없는 경우 또는 거동이 현저히 곤란하고 동일한 상병(傷病)에 대해 장기간 같은 처방이 이뤄지는 경우와 같이 매우 제한적 상황에서만 처방전을 대리 수령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환자의 직계존·비속, 배우자 및 배우자의 직계존속, 형제자매 등만이 대리수령자가 될 수 있다. 약사법 또한 원칙적으로 환자 본인의 직접 수령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규정은 환자와 가족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장거리 이동이 어려운 농어촌 고령 환자, 돌봄과 생업을 병행해야 하는 보호자에게는 더 큰 문제다.'처방전의 대리수령'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이유는 분명하다. 2024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고 치매나 암,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의료취약지 문제와 맞물리면서 단순 재진이나 약 처방을 위해 환자가 직접 내원해야 하는 현 제도는 환자 중심의 의료 흐름과 괴리를 보인다.그렇다고 무분별한 허용이 결코 능사는 아니다. 우선적으로 의사의 환자에 대한 대면 진료가 전제돼야 한다. 환자가 직접 진료를 받지 않으면 의사가 정확한 임상적 증상과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고, 약물 부작용이나 오남용의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약이 제3자에게 잘못 전달되거나 환자의 동의 없이 수령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물론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요즘은 마약류인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한 처방과 대리수령으로 인해 마약 유통과 약물 오남용 등 사회적 문제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편의성과 안전성의 균형을 찾는 것이 관건이다.따라서 제도적인 보완이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환자 동의 기반의 엄격한 보호자 등록제를 도입해 가족들이 합법적으로 대리수령하는 방안을 제도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안들이 야기할 수 있는 부작용들을 면밀히 검토해 병원 진료·처방·약국 단계에서의 종합적인 제도적 해법을 마련한다면, 환전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균형의 문제와 관련해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대리처방, 즉 처방전의 대리수령 문제는 환자 편의와 안전성, 의료인의 책임과 환자의 권리가 복합적으로 얽힌 영역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것이 환자의 삶의 질, 나아가 사회 전체의 돌봄 체계와 직결된 문제라는 점이다. 환자의 안전을 담보하면서도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는 제도적 해법을 마련하는 것, 그것이 초고령 사회로 향하는 우리 의료계가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대리처방, 환자 편의와 안전성의 균형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9-29
[기고] 대리처방, 환자 편의와 안전성의 균형
[기고] 대리처방, 환자 편의와 안전성의 균형
치매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가 환자를 대신해 병원을 찾았다가 '환자 본인이 직접 오셔야 한다'는 말을 듣고 발길을 돌리는 사례는 낯설지 않다. 거동이 불편한 고령 환자, 만성질환으로 의약품의 장기 복용이 필요한 환자에게 대리처방, 정확히는 '처방전의 대리수령'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치료 연속성의 핵심 요소다.현행 의료법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에게 직접 진찰을 받은 환자만이 처방전을 수령할 수 있다고 정하면서도, 예외적으로 환자의 의식이 없는 경우 또는 거동이 현저히 곤란하고 동일한 상병(傷病)에 대해 장기간 같은 처방이 이뤄지는 경우와 같이 매우 제한적 상황에서만 처방전을 대리 수령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환자의 직계존·비속, 배우자 및 배우자의 직계존속, 형제자매 등만이 대리수령자가 될 수 있다. 약사법 또한 원칙적으로 환자 본인의 직접 수령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규정은 환자와 가족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장거리 이동이 어려운 농어촌 고령 환자, 돌봄과 생업을 병행해야 하는 보호자에게는 더 큰 문제다.'처방전의 대리수령'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이유는 분명하다. 2024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고 치매나 암,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의료취약지 문제와 맞물리면서 단순 재진이나 약 처방을 위해 환자가 직접 내원해야 하는 현 제도는 환자 중심의 의료 흐름과 괴리를 보인다.그렇다고 무분별한 허용이 결코 능사는 아니다. 우선적으로 의사의 환자에 대한 대면 진료가 전제돼야 한다. 환자가 직접 진료를 받지 않으면 의사가 정확한 임상적 증상과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고, 약물 부작용이나 오남용의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약이 제3자에게 잘못 전달되거나 환자의 동의 없이 수령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물론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요즘은 마약류인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한 처방과 대리수령으로 인해 마약 유통과 약물 오남용 등 사회적 문제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편의성과 안전성의 균형을 찾는 것이 관건이다.따라서 제도적인 보완이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환자 동의 기반의 엄격한 보호자 등록제를 도입해 가족들이 합법적으로 대리수령하는 방안을 제도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안들이 야기할 수 있는 부작용들을 면밀히 검토해 병원 진료·처방·약국 단계에서의 종합적인 제도적 해법을 마련한다면, 환전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균형의 문제와 관련해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대리처방, 즉 처방전의 대리수령 문제는 환자 편의와 안전성, 의료인의 책임과 환자의 권리가 복합적으로 얽힌 영역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것이 환자의 삶의 질, 나아가 사회 전체의 돌봄 체계와 직결된 문제라는 점이다. 환자의 안전을 담보하면서도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는 제도적 해법을 마련하는 것, 그것이 초고령 사회로 향하는 우리 의료계가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대리처방, 환자 편의와 안전성의 균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29
만취한 채 잠들었다 차량 3대 '쾅'…혈중알콜농도 0.1% 경찰 판단은?
만취한 채 잠들었다 차량 3대 '쾅'…혈중알콜농도 0.1% 경찰 판단은?
운전자 "수면 취하다 가속 페달 헛디뎌"경찰 "고의로 운전할 정황 보이지 않아" 만취 상태로 잠이 든 채 주차된 차량 3대를 파손시킨 혐의를 받던 운전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충북 청주청원경찰서는 지난 7월 청주시 한 도로에서 술에 취한 채 차량을 10m가량 운전해 전방에 주차된 차량들을 충격한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고 29일 밝혔습니다.당시 A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 이상으로 면허 취소 수준이었습니다.A씨는 술을 깨기 위해 잠을 자던 도중 몸을 뒤척이게 됐고, 의도치 않게 가속 페달을 밟게 됐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A씨는 "당시 만취상태였기 때문에 엑셀을 밟고 충돌이 일어난 것 역시 인지하지 못했다"며 "음주 상태에서 운전을 하다 발생한 사고가 아니다"라고 해명했습니다.경찰 관계자는 "피의자가 술을 마신 뒤 운전석에 앉아 시동과 라이트를 켰고, 그 상태에서 차량이 앞으로 밀려 피해 차량과 부딪힌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피해 차량의 전방 블랙박스 현장 주변 CCTV 영상을 확인했을 때 피의자가 고의로 운전을 할 만한 정황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동은 변호사는 "도로교통법상 운전은 '도로에서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므로 고의로 운전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며 "A씨의 경우 운전하기 위해 시동을 건 것이 아닌 술을 깰 목적으로 잠을 자기 위한 목적으로 차량에 탑승했으며, 고의가 아닌 무의식적 행동의 결과임을 밝혀 불송치를 이끌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사건사고 #음주운전 #무혐의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만취한 채 잠들었다 차량 3대 '쾅'…혈중알콜농도 0.1% 경찰 판단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29
만취한 채 잠들었다 차량 3대 '쾅'…혈중알콜농도 0.1% 경찰 판단은?
만취한 채 잠들었다 차량 3대 '쾅'…혈중알콜농도 0.1% 경찰 판단은?
운전자 "수면 취하다 가속 페달 헛디뎌"경찰 "고의로 운전할 정황 보이지 않아" 만취 상태로 잠이 든 채 주차된 차량 3대를 파손시킨 혐의를 받던 운전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충북 청주청원경찰서는 지난 7월 청주시 한 도로에서 술에 취한 채 차량을 10m가량 운전해 전방에 주차된 차량들을 충격한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고 29일 밝혔습니다.당시 A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 이상으로 면허 취소 수준이었습니다.A씨는 술을 깨기 위해 잠을 자던 도중 몸을 뒤척이게 됐고, 의도치 않게 가속 페달을 밟게 됐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A씨는 "당시 만취상태였기 때문에 엑셀을 밟고 충돌이 일어난 것 역시 인지하지 못했다"며 "음주 상태에서 운전을 하다 발생한 사고가 아니다"라고 해명했습니다.경찰 관계자는 "피의자가 술을 마신 뒤 운전석에 앉아 시동과 라이트를 켰고, 그 상태에서 차량이 앞으로 밀려 피해 차량과 부딪힌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피해 차량의 전방 블랙박스 현장 주변 CCTV 영상을 확인했을 때 피의자가 고의로 운전을 할 만한 정황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동은 변호사는 "도로교통법상 운전은 '도로에서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므로 고의로 운전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며 "A씨의 경우 운전하기 위해 시동을 건 것이 아닌 술을 깰 목적으로 잠을 자기 위한 목적으로 차량에 탑승했으며, 고의가 아닌 무의식적 행동의 결과임을 밝혀 불송치를 이끌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사건사고 #음주운전 #무혐의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만취한 채 잠들었다 차량 3대 '쾅'…혈중알콜농도 0.1% 경찰 판단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9-29
급증한 '현대판 장발장' 소액 절도죄 합의하려면
급증한 '현대판 장발장' 소액 절도죄 합의하려면
10만 원 이하 소액 절도죄가 최근 다시 급증하는 추세다.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최고치를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하며 지난 2018년에는 4만583건을 기록했지만, 코로나19 이후 점차 상승 추세를 타더니 지난해에는 10만 7138건을 기록하며 15년여 만에 10만 건을 다시 돌파했다.이처럼 소액 절도가 빈번하게 발생하다 보니 해당 범죄를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도 있겠으나,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피해 금액이 적다고 해도, 소액 절도죄 역시 일반 절도죄와 동일한 법의 잣대로 처벌받기 때문이다.절도죄는 타인의 재물을 소유자의 동의 없이 불법적으로 취득하는 행위다. 범죄 성립 요건의 핵심은 타인이 소유 혹은 점유 중인 ‘재물’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토지나 건물처럼 물리적 이동이 불가능한 부동산은 절도죄의 객체가 되지 않는다.또한 행위자에게는 타인의 재물을 불법적으로 영득하려는 명백한 의사, 즉 ‘불법영득의사’가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단순 호기심으로 물건을 가져왔더라도 이후 반환할 생각 없이 개인적 이익을 위해 사용하거나 처분하려는 마음이 생겼다면 이 또한 절도죄로 볼 수 있다.형량의 경우 구체적인 범행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기본적인 유형인 단순 절도는 6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는다. 만약 야간에 타인의 주거에 침입해 재물을 훔쳤다면 ‘야간주거침입절도죄’가 적용되어 10년 이하의 징역형으로 더 무겁게 처벌된다.특히, 상습범의 경우 죄질을 불량하게 보아 법정형의 2분의 1까지 가중 처벌이 가능하다. 이에 더해 흉기를 사용하거나 2인 이상이 공모하여 범행했다면 특수절도죄가 성립돼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그렇다면 한순간의 실수로 절도 혐의를 받게 된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형량을 결정하는 핵심은 ‘피해 회복을 위한 진심 어린 노력’과 ‘재범 위험성이 없음’을 수사기관과 재판부에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가장 결정적인 감경 요소는 단연 ‘피해자와의 합의’다. 절도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아니므로 합의가 처벌을 완전히 면하게 하지는 않지만, 형량을 낮추는 데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단순히 훔친 물건의 가치를 변제하는 것을 넘어, 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를 포함한 금액으로 합의를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합의가 성사되면 반드시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긴 처벌불원서를 받아 제출해야 실질적 감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피해자가 가해자와의 직접 소통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변호사를 통해 정중하게 합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피해자와의 합의와 더불어, 자신의 잘못을 깊이 뉘우치는 태도를 보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범행에 이르게 된 배경과 그로 인해 피해자가 겪었을 고통,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다짐을 담은 반성문을 제출하는 것이 좋다.더불어 선처를 받아야만 하는 객관적인 상황을 ‘양형 자료’로써 증명해야 한다. 가족이나 지인이 작성한 탄원서는 피고인이 본래 성실한 사회 구성원임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또한, 생계의 어려움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면 부채증명원이나 실직 관련 서류를, 충동 조절 장애 등 정신과적 문제가 원인이었다면 관련 진단서 및 치료 내역서를 제출하여 선처를 호소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이기준 변호사는 “결국, 절도죄의 감형은 피해 회복, 진지한 반성, 재범 방지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소액 절도라 할지라도 안일하게 대응하면 실형을 선고받을 수 있는 엄연한 범죄다. 따라서 사건 초기부터 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피해자와의 합의부터 양형 자료 준비까지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한순간의 실수가 인생의 큰 오점으로 남는 것을 막는 현명한 길이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급증한 '현대판 장발장' 소액 절도죄 합의하려면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9-29
급증한 '현대판 장발장' 소액 절도죄 합의하려면
급증한 '현대판 장발장' 소액 절도죄 합의하려면
10만 원 이하 소액 절도죄가 최근 다시 급증하는 추세다.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최고치를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하며 지난 2018년에는 4만583건을 기록했지만, 코로나19 이후 점차 상승 추세를 타더니 지난해에는 10만 7138건을 기록하며 15년여 만에 10만 건을 다시 돌파했다.이처럼 소액 절도가 빈번하게 발생하다 보니 해당 범죄를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도 있겠으나,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피해 금액이 적다고 해도, 소액 절도죄 역시 일반 절도죄와 동일한 법의 잣대로 처벌받기 때문이다.절도죄는 타인의 재물을 소유자의 동의 없이 불법적으로 취득하는 행위다. 범죄 성립 요건의 핵심은 타인이 소유 혹은 점유 중인 ‘재물’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토지나 건물처럼 물리적 이동이 불가능한 부동산은 절도죄의 객체가 되지 않는다.또한 행위자에게는 타인의 재물을 불법적으로 영득하려는 명백한 의사, 즉 ‘불법영득의사’가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단순 호기심으로 물건을 가져왔더라도 이후 반환할 생각 없이 개인적 이익을 위해 사용하거나 처분하려는 마음이 생겼다면 이 또한 절도죄로 볼 수 있다.형량의 경우 구체적인 범행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기본적인 유형인 단순 절도는 6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는다. 만약 야간에 타인의 주거에 침입해 재물을 훔쳤다면 ‘야간주거침입절도죄’가 적용되어 10년 이하의 징역형으로 더 무겁게 처벌된다.특히, 상습범의 경우 죄질을 불량하게 보아 법정형의 2분의 1까지 가중 처벌이 가능하다. 이에 더해 흉기를 사용하거나 2인 이상이 공모하여 범행했다면 특수절도죄가 성립돼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그렇다면 한순간의 실수로 절도 혐의를 받게 된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형량을 결정하는 핵심은 ‘피해 회복을 위한 진심 어린 노력’과 ‘재범 위험성이 없음’을 수사기관과 재판부에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가장 결정적인 감경 요소는 단연 ‘피해자와의 합의’다. 절도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아니므로 합의가 처벌을 완전히 면하게 하지는 않지만, 형량을 낮추는 데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단순히 훔친 물건의 가치를 변제하는 것을 넘어, 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를 포함한 금액으로 합의를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합의가 성사되면 반드시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긴 처벌불원서를 받아 제출해야 실질적 감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피해자가 가해자와의 직접 소통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변호사를 통해 정중하게 합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피해자와의 합의와 더불어, 자신의 잘못을 깊이 뉘우치는 태도를 보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범행에 이르게 된 배경과 그로 인해 피해자가 겪었을 고통,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다짐을 담은 반성문을 제출하는 것이 좋다.더불어 선처를 받아야만 하는 객관적인 상황을 ‘양형 자료’로써 증명해야 한다. 가족이나 지인이 작성한 탄원서는 피고인이 본래 성실한 사회 구성원임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또한, 생계의 어려움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면 부채증명원이나 실직 관련 서류를, 충동 조절 장애 등 정신과적 문제가 원인이었다면 관련 진단서 및 치료 내역서를 제출하여 선처를 호소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이기준 변호사는 “결국, 절도죄의 감형은 피해 회복, 진지한 반성, 재범 방지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소액 절도라 할지라도 안일하게 대응하면 실형을 선고받을 수 있는 엄연한 범죄다. 따라서 사건 초기부터 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피해자와의 합의부터 양형 자료 준비까지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한순간의 실수가 인생의 큰 오점으로 남는 것을 막는 현명한 길이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급증한 '현대판 장발장' 소액 절도죄 합의하려면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9-29
“저작권 협박 탓 출판 중단” 번역가 손배 청구…법원 “증거 없어” 기각
“저작권 협박 탓 출판 중단” 번역가 손배 청구…법원 “증거 없어” 기각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송치된 뒤 무혐의 처분을 받은 번역가가 자신을 고소한 다른 번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가 패소했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법 서부지원은 지난달 20일 번역가인 50대 남성 A씨가 또 다른 번역가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사건은 2016년 A씨가 중국 고전 철학서를 번역해 출간하면서 시작됐다. 2004년 같은 번역서를 출간했던 B씨가 내용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A씨를 저작권 법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B씨가 문제를 제기한 이후 A씨 측 출판사는 서적 전량을 회수하고 출판을 중단했다.하지만 검찰이 번역 과정에서의 유사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A씨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이에 A씨는 B씨가 출판사 대표를 협박해 책 출간이 중단됐다고 주장하면서 인세와 재발행 비용, 정신적 피해 등 5000만원을 배상하라고 소송을 제기했다.이 소송에서 B씨는 A씨 측 출판사 대표에게 협박한 적 없고, 정당한 문제를 제기했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A씨 측 출판사 대표가 문제를 인정하고 사과해 출판을 중단한 것이라고 반박했다.법원은 B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출간 중단 등 최종 결정은 A씨 측 출판사 대표가 결정한 것이고, A씨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B씨가 협박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B씨를 대리한 신민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A씨는 손해 발생 원인이 B씨의 협박이라고 주장했지만, 출판사 대표가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한 통화 내용을 증거로 제출해 협박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저작권 협박 탓 출판 중단” 번역가 손배 청구…법원 “증거 없어” 기각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9-29
“저작권 협박 탓 출판 중단” 번역가 손배 청구…법원 “증거 없어” 기각
“저작권 협박 탓 출판 중단” 번역가 손배 청구…법원 “증거 없어” 기각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송치된 뒤 무혐의 처분을 받은 번역가가 자신을 고소한 다른 번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가 패소했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법 서부지원은 지난달 20일 번역가인 50대 남성 A씨가 또 다른 번역가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사건은 2016년 A씨가 중국 고전 철학서를 번역해 출간하면서 시작됐다. 2004년 같은 번역서를 출간했던 B씨가 내용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A씨를 저작권 법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B씨가 문제를 제기한 이후 A씨 측 출판사는 서적 전량을 회수하고 출판을 중단했다.하지만 검찰이 번역 과정에서의 유사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A씨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이에 A씨는 B씨가 출판사 대표를 협박해 책 출간이 중단됐다고 주장하면서 인세와 재발행 비용, 정신적 피해 등 5000만원을 배상하라고 소송을 제기했다.이 소송에서 B씨는 A씨 측 출판사 대표에게 협박한 적 없고, 정당한 문제를 제기했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A씨 측 출판사 대표가 문제를 인정하고 사과해 출판을 중단한 것이라고 반박했다.법원은 B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출간 중단 등 최종 결정은 A씨 측 출판사 대표가 결정한 것이고, A씨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B씨가 협박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B씨를 대리한 신민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A씨는 손해 발생 원인이 B씨의 협박이라고 주장했지만, 출판사 대표가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한 통화 내용을 증거로 제출해 협박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저작권 협박 탓 출판 중단” 번역가 손배 청구…법원 “증거 없어” 기각 (바로가기)
머니S 등 3곳
2025-09-26
대륜, AI 혁신 선도… 인공지능협회·스카이즈와 '삼각 협력' 체계 구축
대륜, AI 혁신 선도… 인공지능협회·스카이즈와 '삼각 협력' 체계 구축
법무법인 대륜이 인공지능(AI) 시대의 법률 서비스 혁신과 정책 대응을 위해 산업계 및 민간 기업과 손을 잡았다. 2026년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이라는 거대한 제도적 변화를 앞두고, 법률 전문가와 산업계, 기업이 함께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첫 선제적 행보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5일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사)한국인공지능협회, ㈜스카이즈코리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I 기반 법률 서비스 혁신과 정책 대응을 위한 삼각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박동일 대표와 최이선 대표, 한국인공지능협회의 김현철 회장, 김건훈 상근부회장, 스카이즈코리아의 김희진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업무협약은 인공지능의 활용이 법률 분야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했다. 최근 법률 문서 작성, 계약 분석 등에서 AI가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법률 서비스의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2026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은 산업계와 법조계 모두에게 큰 제도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하위 법령 마련 과정에서 협회·기업·법률 전문가 간 긴밀한 협력이 요구된다.협약 당사자들은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산업-법률-정책을 아우르는 융합 모델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협회가 보유한 1600여개 회원사 네트워크, 스카이즈코리아의 컨설팅·마케팅 역량, 대륜의 법률 서비스 전문성이 결합해 AI 생태계 전반을 지원할 수 있는 협력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세 기관은 AI 활용 능력을 법률 전문가의 핵심 경쟁력으로 발전시키고, AI를 단순한 대체재가 아니라 법률 서비스를 보완하고 강화하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협력한다. 또한 AI 기본법 시행에 맞춰 규제 샌드박스 참여, 입법 지원 등 법률·정책 대응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기업 맞춤형 AI 도입 컨설팅과 정부 사업 연계 지원을 강화하고 협회의 회원사 네트워크를 활용해 AI 솔루션 확산을 촉진한다. 동시에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법률 쟁점과 규제 문제에 대해 자문을 제공하고 공동 정책 제안과 규제 개선 활동도 이어간다.인공지능협회 김현철 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협회가 법률 전문가 및 기업과 함께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 규제 대응에 나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대륜 박동일 대표는 "AI와 법률 서비스의 융합은 새로운 글로벌 경쟁력을 창출할 것이다. 협회와 기업과 함께 산업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머니S - 대륜, AI 혁신 선도… 인공지능협회·스카이즈와 '삼각 협력' 체계 구축 (바로가기) 포인트데일리 - '한국인공지능협회, 대륜·스카이즈코리아와 AI 생태계 발전 협력 MOU' (바로가기) 인공지능신문 - 한국인공지능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함께 AI 기업에 법률·마케팅 원스톱 솔루션 제공 (바로가기)
머니S 등 3곳
2025-09-26
대륜, AI 혁신 선도… 인공지능협회·스카이즈와 '삼각 협력' 체계 구축
대륜, AI 혁신 선도… 인공지능협회·스카이즈와 '삼각 협력' 체계 구축
법무법인 대륜이 인공지능(AI) 시대의 법률 서비스 혁신과 정책 대응을 위해 산업계 및 민간 기업과 손을 잡았다. 2026년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이라는 거대한 제도적 변화를 앞두고, 법률 전문가와 산업계, 기업이 함께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첫 선제적 행보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5일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사)한국인공지능협회, ㈜스카이즈코리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I 기반 법률 서비스 혁신과 정책 대응을 위한 삼각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박동일 대표와 최이선 대표, 한국인공지능협회의 김현철 회장, 김건훈 상근부회장, 스카이즈코리아의 김희진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업무협약은 인공지능의 활용이 법률 분야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했다. 최근 법률 문서 작성, 계약 분석 등에서 AI가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법률 서비스의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2026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은 산업계와 법조계 모두에게 큰 제도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하위 법령 마련 과정에서 협회·기업·법률 전문가 간 긴밀한 협력이 요구된다.협약 당사자들은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산업-법률-정책을 아우르는 융합 모델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협회가 보유한 1600여개 회원사 네트워크, 스카이즈코리아의 컨설팅·마케팅 역량, 대륜의 법률 서비스 전문성이 결합해 AI 생태계 전반을 지원할 수 있는 협력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세 기관은 AI 활용 능력을 법률 전문가의 핵심 경쟁력으로 발전시키고, AI를 단순한 대체재가 아니라 법률 서비스를 보완하고 강화하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협력한다. 또한 AI 기본법 시행에 맞춰 규제 샌드박스 참여, 입법 지원 등 법률·정책 대응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기업 맞춤형 AI 도입 컨설팅과 정부 사업 연계 지원을 강화하고 협회의 회원사 네트워크를 활용해 AI 솔루션 확산을 촉진한다. 동시에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법률 쟁점과 규제 문제에 대해 자문을 제공하고 공동 정책 제안과 규제 개선 활동도 이어간다.인공지능협회 김현철 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협회가 법률 전문가 및 기업과 함께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 규제 대응에 나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대륜 박동일 대표는 "AI와 법률 서비스의 융합은 새로운 글로벌 경쟁력을 창출할 것이다. 협회와 기업과 함께 산업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머니S - 대륜, AI 혁신 선도… 인공지능협회·스카이즈와 '삼각 협력' 체계 구축 (바로가기) 포인트데일리 - '한국인공지능협회, 대륜·스카이즈코리아와 AI 생태계 발전 협력 MOU' (바로가기) 인공지능신문 - 한국인공지능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함께 AI 기업에 법률·마케팅 원스톱 솔루션 제공 (바로가기)
KNN
2025-09-25
국가계약법_KNN
'국책사업 발목' 현대건설 제재 왜 안돼? '분노 확산'
[앵커]수의계약 당사자인 현대건설이 가덕신공항 공사를 일방적으로 포기했지만 국가계약법 소관부처인 기획재정부는 제재를 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요.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국책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준 현대건설이 부정당업체로 지정 받지 않는다면 국가계약법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선례가 될 거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김민욱 기자가 소식 보도합니다. [기자]지난 5월, 수의계약 우선협상대상자인 현대건설은 가덕신공항 공사를 일방적으로 포기했습니다.입찰 공고상에 나온 공기 84개월 대신 108개월을 요구하다 일방적인 철회를 한 것인데 국가계약법 위반 논란이 불거졌습니다.국가계약법 27조에 따르면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의 체결 또는 이행 관련 행위를 하지 않으면 부정당업체로 입찰 참가 자격 제한을 받습니다.즉 '정당한 이유'가 있었는지 여부가 법적인 쟁점이 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국가계약법 소관 부처인 기획재정부는 법적 제재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기재부는 현대건설이 기본설계도서를 제출한 정도에 불과하고 예비계약도 체결하기 전이므로 계약체결 의무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반면 시민사회단체는 수의계약 진행중에 일방적으로 포기한 업체에 페널티를 주지않는 선례를 남기면 앞으로 모든 국책사업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것이라고 질타했습니다. [이지후/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이사장]“기업의 이윤만을 추구하고 있는 현대건설에 대해서 국가가 제재를 할 수 없다는 이 부분은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법조계에서는 기재부 법령해석과 별개로 계약서, 공모지침서 등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동일/변호사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 체결을 거부한 경우’에도 부정당업자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대건설에 대한 제재 여부는 보다 면밀한 사실관계 검토와 구체적인 판단을 통해 가려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재부 회신을 받은 국토부는 제재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만큼 최종 부정당업체 지정 여부에 관심이 쏠립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기사전문보기] '국책사업 발목' 현대건설 제재 왜 안돼? '분노 확산' (바로가기)
KNN
2025-09-25
국가계약법_KNN
'국책사업 발목' 현대건설 제재 왜 안돼? '분노 확산'
[앵커]수의계약 당사자인 현대건설이 가덕신공항 공사를 일방적으로 포기했지만 국가계약법 소관부처인 기획재정부는 제재를 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요.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국책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준 현대건설이 부정당업체로 지정 받지 않는다면 국가계약법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선례가 될 거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김민욱 기자가 소식 보도합니다. [기자]지난 5월, 수의계약 우선협상대상자인 현대건설은 가덕신공항 공사를 일방적으로 포기했습니다.입찰 공고상에 나온 공기 84개월 대신 108개월을 요구하다 일방적인 철회를 한 것인데 국가계약법 위반 논란이 불거졌습니다.국가계약법 27조에 따르면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의 체결 또는 이행 관련 행위를 하지 않으면 부정당업체로 입찰 참가 자격 제한을 받습니다.즉 '정당한 이유'가 있었는지 여부가 법적인 쟁점이 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국가계약법 소관 부처인 기획재정부는 법적 제재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기재부는 현대건설이 기본설계도서를 제출한 정도에 불과하고 예비계약도 체결하기 전이므로 계약체결 의무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반면 시민사회단체는 수의계약 진행중에 일방적으로 포기한 업체에 페널티를 주지않는 선례를 남기면 앞으로 모든 국책사업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것이라고 질타했습니다. [이지후/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이사장]“기업의 이윤만을 추구하고 있는 현대건설에 대해서 국가가 제재를 할 수 없다는 이 부분은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법조계에서는 기재부 법령해석과 별개로 계약서, 공모지침서 등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동일/변호사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 체결을 거부한 경우’에도 부정당업자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대건설에 대한 제재 여부는 보다 면밀한 사실관계 검토와 구체적인 판단을 통해 가려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재부 회신을 받은 국토부는 제재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만큼 최종 부정당업체 지정 여부에 관심이 쏠립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기사전문보기] '국책사업 발목' 현대건설 제재 왜 안돼? '분노 확산'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25
조지아주구금_머니투데이
계속되는 美 조지아주 구금 사태 여파…손해배상 소송 쟁점은?
미국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한국인 구금 사태의 여파가 계속 지속되고 있다. 특히 당시 구금됐던 노동자들이 '인권 침해'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사태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 모양새다. 먼저 현재 제기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영장없는 체포와 구금'이다. 일부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체포 당시 영장이 없었고 노동자들이 구금된 지 며칠이 지나고서야 관련 서류가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수정헌법 제4조(Fourth Amendment)는 영장 없는 체포와 구금을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민 단속의 경우라 하더라도 단순한 추정이나 막연한 의혹만으로는 체포가 허용되지 않는 건데, 반드시 '합리적 의심(probable cause)'이라는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헌법이 보장하는 절차에 따라 진행돼야 한다.이민세관단속국(ICE)이 단속 근거로 삼은 건 연방이민법 제287조(INA §287, 8 U.S.C. §1357)로 보인다. 해당 조항은 이민 당국에 불법 체류가 의심되는 외국인을 조사하고 일정한 경우에는 영장 없이 체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긴 하다. 그러나 그 전제는 반드시 '합리적 이유'가 존재해야 한다는 점이다. 대규모 단속에서 만약 개별적 사유 없이 일괄적으로 체포가 이뤄졌다면 헌법 제4수정조항(불합리한 수색·체포 금지)과 충돌하므로 위헌적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금됐던 노동자들은 이러한 헌법적 권리 보장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절차적 통지의 결여 역시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이민 절차상 구금된 외국인은 반드시 'Notice to Appear'(NTA)를 받아야 하며, 그 안에는 추방 사유가 명확히 기재되어야 한다. 만약 이민당국이 이를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다면 절차적 하자를 주장해볼 만하다. 아울러 노동자들은 'Motion to Suppress Evidence'(증거배제신청)이라는 법적 수단을 활용해 위법한 체포 과정에서 확보된 증거를 법정에서 배제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단순 구금 절차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구금 과정 중 인권이 침해되는 상황에 놓인 적이 있다면 법적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민 구금은 형사사건처럼 국선 변호인(public defender)이 제공되지는 않지만, 이민법 제292조에 근거해 변호사와 접촉할 권리가 보장된다. 따라서 구금 당시 전화나 면담이 제한됐다면 이는 헌법상 적법절차(Due Process) 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 아울러 구금 시설에서의 과밀수용, 위생 불량, 의료 서비스 미비 문제는 모두 수정헌법 제8조(잔혹·이상형벌 금지)나 제5조의 적법절차 위반으로 다툴 수 있다. 특히 평소 복용하던 약을 지급받지 못한 경우, 중대한 권리 침해로 여겨질 가능성이 크다.실제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던 지난 2020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메사버드 이민자 구치소에서는 한국 국적의 70대 남성이 강제추방 절차를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당시 고인은 평소 당뇨와 고혈압, 심장 질환을 앓고 있었고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이유로 보석을 청구했으나 이민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이후 고인의 유족들은 ICE와 이민자 구치소 운영자를 상대로 의료 방치(medical neglect, deliberate indifference)를 근거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 과정에서는 이 남성이 구금 전부터 앓고 있던 질환과 구금 과정 중 치료가 이뤄졌는지 여부가 쟁점이 됐다. 다만 해당 사건은 법원 판결까지 가지는 않았고, 합의를 통해 사건이 종결됐다.이런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부분은 '소송 제기 가능성'일 듯하다. 답은 '가능하다'이다. 미국 법원은 외국인 원고의 소송을 원칙적으로 허용하며, 위법 행위가 미국 내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관할권도 인정된다. 다만 해외 거주로 인한 증거 확보와 절차 진행의 어려움, 비용 부담이 뒤따를 수 있다.청구 가능한 유형으로는 불법구금, 적법절차 위반, 의료 방치, 민권침해, 불법사망 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금 당시 문서, 의료 자료, 본인 및 동료 진술, 영사관 기록 등 객관적 증거가 필요하다. 또 실무적으로는 미국 내 전문 변호사를 선임하고, 진술 확보 후 관할 연방법원에 소장을 제출하면 된다. 개별 소송도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집단소송이 더 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다.만약 집단소송을 진행할 경우, 승소 가능성 또한 높다. 앞서 언급했던 70대 남성 사망 사건에서 유족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금전적 배상을 받아냈던 것처럼 조지아주 구금 사건에 연루된 노동자들 역시 법적 판단을 받아볼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계속되는 美 조지아주 구금 사태 여파…손해배상 소송 쟁점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25
조지아주구금_머니투데이
계속되는 美 조지아주 구금 사태 여파…손해배상 소송 쟁점은?
미국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한국인 구금 사태의 여파가 계속 지속되고 있다. 특히 당시 구금됐던 노동자들이 '인권 침해'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사태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 모양새다. 먼저 현재 제기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영장없는 체포와 구금'이다. 일부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체포 당시 영장이 없었고 노동자들이 구금된 지 며칠이 지나고서야 관련 서류가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수정헌법 제4조(Fourth Amendment)는 영장 없는 체포와 구금을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민 단속의 경우라 하더라도 단순한 추정이나 막연한 의혹만으로는 체포가 허용되지 않는 건데, 반드시 '합리적 의심(probable cause)'이라는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헌법이 보장하는 절차에 따라 진행돼야 한다.이민세관단속국(ICE)이 단속 근거로 삼은 건 연방이민법 제287조(INA §287, 8 U.S.C. §1357)로 보인다. 해당 조항은 이민 당국에 불법 체류가 의심되는 외국인을 조사하고 일정한 경우에는 영장 없이 체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긴 하다. 그러나 그 전제는 반드시 '합리적 이유'가 존재해야 한다는 점이다. 대규모 단속에서 만약 개별적 사유 없이 일괄적으로 체포가 이뤄졌다면 헌법 제4수정조항(불합리한 수색·체포 금지)과 충돌하므로 위헌적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금됐던 노동자들은 이러한 헌법적 권리 보장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절차적 통지의 결여 역시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이민 절차상 구금된 외국인은 반드시 'Notice to Appear'(NTA)를 받아야 하며, 그 안에는 추방 사유가 명확히 기재되어야 한다. 만약 이민당국이 이를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다면 절차적 하자를 주장해볼 만하다. 아울러 노동자들은 'Motion to Suppress Evidence'(증거배제신청)이라는 법적 수단을 활용해 위법한 체포 과정에서 확보된 증거를 법정에서 배제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단순 구금 절차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구금 과정 중 인권이 침해되는 상황에 놓인 적이 있다면 법적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민 구금은 형사사건처럼 국선 변호인(public defender)이 제공되지는 않지만, 이민법 제292조에 근거해 변호사와 접촉할 권리가 보장된다. 따라서 구금 당시 전화나 면담이 제한됐다면 이는 헌법상 적법절차(Due Process) 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 아울러 구금 시설에서의 과밀수용, 위생 불량, 의료 서비스 미비 문제는 모두 수정헌법 제8조(잔혹·이상형벌 금지)나 제5조의 적법절차 위반으로 다툴 수 있다. 특히 평소 복용하던 약을 지급받지 못한 경우, 중대한 권리 침해로 여겨질 가능성이 크다.실제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던 지난 2020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메사버드 이민자 구치소에서는 한국 국적의 70대 남성이 강제추방 절차를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당시 고인은 평소 당뇨와 고혈압, 심장 질환을 앓고 있었고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이유로 보석을 청구했으나 이민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이후 고인의 유족들은 ICE와 이민자 구치소 운영자를 상대로 의료 방치(medical neglect, deliberate indifference)를 근거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 과정에서는 이 남성이 구금 전부터 앓고 있던 질환과 구금 과정 중 치료가 이뤄졌는지 여부가 쟁점이 됐다. 다만 해당 사건은 법원 판결까지 가지는 않았고, 합의를 통해 사건이 종결됐다.이런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부분은 '소송 제기 가능성'일 듯하다. 답은 '가능하다'이다. 미국 법원은 외국인 원고의 소송을 원칙적으로 허용하며, 위법 행위가 미국 내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관할권도 인정된다. 다만 해외 거주로 인한 증거 확보와 절차 진행의 어려움, 비용 부담이 뒤따를 수 있다.청구 가능한 유형으로는 불법구금, 적법절차 위반, 의료 방치, 민권침해, 불법사망 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금 당시 문서, 의료 자료, 본인 및 동료 진술, 영사관 기록 등 객관적 증거가 필요하다. 또 실무적으로는 미국 내 전문 변호사를 선임하고, 진술 확보 후 관할 연방법원에 소장을 제출하면 된다. 개별 소송도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집단소송이 더 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다.만약 집단소송을 진행할 경우, 승소 가능성 또한 높다. 앞서 언급했던 70대 남성 사망 사건에서 유족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금전적 배상을 받아냈던 것처럼 조지아주 구금 사건에 연루된 노동자들 역시 법적 판단을 받아볼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계속되는 美 조지아주 구금 사태 여파…손해배상 소송 쟁점은?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25
준사기_국제신문
“조현병 환자 속였다”…사기사건 뒤집은 ‘허가권 감정 결과’
전원주택 지으려 의도적 접근시세차익 노린 ‘준사기’ 혐의재판부 “조현병은 인정되나…현저히 싸다고 보기 어려워” 조현병 환자를 속이고 토지 허가권을 시세보다 값싸게 매입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무죄 판결을 받았다. 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28일 준사기 혐의로 기소된 60대 남성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1년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경남 밀양시에 있는 하천점용권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조현병을 앓고 있던 B 씨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해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토지 허가권을 매입한 혐의를 받았다.그러나 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거래 당시 B 씨와 수차례 대화를 나눴는데, B 씨는 권리 처분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A 씨는 “B 씨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파악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재판부는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시가감정결과에 의하면 해당 허가권의 기준 시가는 354만4140원으로, 피고인은 시가 대비 15% 싼 가격에 매수했다”며 “이는 준사기죄가 성립될 정도로 현저히 낮은 가격에 권리를 취득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김경환 변호사는 “준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피고인이 피해자의 심신장애 상태를 인식했는지 여부와 그 고의성이 쟁점”이라며 “B 씨가 조현병을 진단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피고인이 계약 당시 B 씨의 심신장애를 인식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했다. 또 “B 씨가 오히려 A 씨에게 허가권 양도를 먼저 제안하는 등 당시 사리 분별을 할 수 있는 상태였음을 성실히 증명했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현병 환자 속였다”…사기사건 뒤집은 ‘허가권 감정 결과’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25
준사기_국제신문
“조현병 환자 속였다”…사기사건 뒤집은 ‘허가권 감정 결과’
전원주택 지으려 의도적 접근시세차익 노린 ‘준사기’ 혐의재판부 “조현병은 인정되나…현저히 싸다고 보기 어려워” 조현병 환자를 속이고 토지 허가권을 시세보다 값싸게 매입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무죄 판결을 받았다. 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28일 준사기 혐의로 기소된 60대 남성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1년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경남 밀양시에 있는 하천점용권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조현병을 앓고 있던 B 씨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해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토지 허가권을 매입한 혐의를 받았다.그러나 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거래 당시 B 씨와 수차례 대화를 나눴는데, B 씨는 권리 처분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A 씨는 “B 씨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파악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재판부는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시가감정결과에 의하면 해당 허가권의 기준 시가는 354만4140원으로, 피고인은 시가 대비 15% 싼 가격에 매수했다”며 “이는 준사기죄가 성립될 정도로 현저히 낮은 가격에 권리를 취득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김경환 변호사는 “준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피고인이 피해자의 심신장애 상태를 인식했는지 여부와 그 고의성이 쟁점”이라며 “B 씨가 조현병을 진단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피고인이 계약 당시 B 씨의 심신장애를 인식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했다. 또 “B 씨가 오히려 A 씨에게 허가권 양도를 먼저 제안하는 등 당시 사리 분별을 할 수 있는 상태였음을 성실히 증명했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현병 환자 속였다”…사기사건 뒤집은 ‘허가권 감정 결과’ (바로가기)
블로터
2025-09-24
[노란봉투법 로펌 맛집] 대륜, 리스크 줄이고 노사관계 안정화 지원
[노란봉투법 로펌 맛집] 대륜, 리스크 줄이고 노사관계 안정화 지원
로펌들의 노란봉투법 태스크포스를 소개합니다. 법무법인 대륜은 이른바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제2·3조 개정안) 시행 초기부터 기업 고객에게 실질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기 위해 지난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기업 고객이 예측 가능한 경영 전략을 세우고 불필요한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맞춤형 인사 제도와 노사관계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법률 지원에 주력한다.TF는 인사·노무 및 산업재해 자문과 소송 대리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방인태(연수원 41기) 변호사가 총괄하고 있다. 정상혁(변호사시험 10회) 변호사는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인권 침해에 대한 심의·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리스크를 예방하는 데 특화돼 있다. 정창민(변시 12회) 변호사는 기업 관련 민사·산재 사건을 다수 수행했다.IT·서비스·제조·유통업·병의원 분야에서 노무 자문을 수행한 남서혜 노무사, 노동청 및 노동위원회 사건과 직장 내 괴롭힘 조사 대응을 담당한 양희춘 노무사도 TF에 전문성을 보태고 있다.TF는 기업의 법적 리스크 최소화와 노사관계 안정화라는 두 축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란봉투법 핵심 쟁점별 대응 매뉴얼 △기업별 리스크 진단 및 시뮬레이션 △분쟁 발생 시 대응 체계 구축 △사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의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업종과 규모에 따라 기업의 특성이 다른 만큼 일률적 자문이 아닌 기업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TF의 가장 큰 차별점이다. TF는 정기 세미나와 웨비나를 개최해 인사, 노무 담당자 등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예상되는 법적 리스크를 안내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이 과정에서 느낀 현장 분위기에 대해 방 변호사는 "기업 고객을 마주하다 보면 대부분 '법 시행 이후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상당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며 "특히 인사·노무팀은 제도 변화에 맞춰 내부 규정 정비, 노사 협상 전략, 리스크 대응 시나리오 수립까지 준비해야 하므로 구체적인 로드맵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TF는 이러한 현장의 고민을 반영해 법 시행 초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예측·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들이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대응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지침서와 사례집도 준비 중이다.방 변호사는 "정부·학계·노사 단체 등과 협력해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에서 자문하겠다"며 "노란봉투법 시행이 기업에 안정적인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노란봉투법 로펌 맛집] 대륜, 리스크 줄이고 노사관계 안정화 지원 (바로가기)
블로터
2025-09-24
[노란봉투법 로펌 맛집] 대륜, 리스크 줄이고 노사관계 안정화 지원
[노란봉투법 로펌 맛집] 대륜, 리스크 줄이고 노사관계 안정화 지원
로펌들의 노란봉투법 태스크포스를 소개합니다. 법무법인 대륜은 이른바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제2·3조 개정안) 시행 초기부터 기업 고객에게 실질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기 위해 지난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기업 고객이 예측 가능한 경영 전략을 세우고 불필요한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맞춤형 인사 제도와 노사관계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법률 지원에 주력한다.TF는 인사·노무 및 산업재해 자문과 소송 대리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방인태(연수원 41기) 변호사가 총괄하고 있다. 정상혁(변호사시험 10회) 변호사는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인권 침해에 대한 심의·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리스크를 예방하는 데 특화돼 있다. 정창민(변시 12회) 변호사는 기업 관련 민사·산재 사건을 다수 수행했다.IT·서비스·제조·유통업·병의원 분야에서 노무 자문을 수행한 남서혜 노무사, 노동청 및 노동위원회 사건과 직장 내 괴롭힘 조사 대응을 담당한 양희춘 노무사도 TF에 전문성을 보태고 있다.TF는 기업의 법적 리스크 최소화와 노사관계 안정화라는 두 축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란봉투법 핵심 쟁점별 대응 매뉴얼 △기업별 리스크 진단 및 시뮬레이션 △분쟁 발생 시 대응 체계 구축 △사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의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업종과 규모에 따라 기업의 특성이 다른 만큼 일률적 자문이 아닌 기업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TF의 가장 큰 차별점이다. TF는 정기 세미나와 웨비나를 개최해 인사, 노무 담당자 등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예상되는 법적 리스크를 안내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이 과정에서 느낀 현장 분위기에 대해 방 변호사는 "기업 고객을 마주하다 보면 대부분 '법 시행 이후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상당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며 "특히 인사·노무팀은 제도 변화에 맞춰 내부 규정 정비, 노사 협상 전략, 리스크 대응 시나리오 수립까지 준비해야 하므로 구체적인 로드맵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TF는 이러한 현장의 고민을 반영해 법 시행 초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예측·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들이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대응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지침서와 사례집도 준비 중이다.방 변호사는 "정부·학계·노사 단체 등과 협력해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에서 자문하겠다"며 "노란봉투법 시행이 기업에 안정적인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노란봉투법 로펌 맛집] 대륜, 리스크 줄이고 노사관계 안정화 지원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5-09-24
[단독] 은밀한 사이트에 ‘남친과 관계 영상’ 업로드…억대수익 20대 여성, 결국
[단독] 은밀한 사이트에 ‘남친과 관계 영상’ 업로드…억대수익 20대 여성, 결국
英성인용 플랫폼 ‘온리팬스’구독료 받고 노출 영상 올려영상 외부유출·유통 피해에호기심에 접근한 청소년들성 착취 등 범죄 연루 우려도국내선 정보통신망법 위반방심위 시정요구는 올 1건뿐 # 20대 여성 A씨는 생활비와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80여 개의 노출 콘텐츠를 온리팬스에 올려 3억2000만원가량의 수익을 얻었다. A씨는 1000여 명의 구독자에게 매달 5달러가량의 구독료를 받고, 온리팬스를 통해 접한 남성들과 대면 성관계를 하고 1회에 수백만 원에 육박하는 돈을 받기도 했다.# 또 다른 20대 여성 B씨는 취업에 계속 실패하던 중 남자친구의 제안으로 노출 영상이나 성관계 영상을 찍어 온리팬스에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200여 명의 구독자에게 매달 15달러 상당의 구독료를 받은 B씨는 30여 개의 영상을 올려 약 1억원의 수익을 냈다.# 30대 부부 C씨와 D씨도 온리팬스에 월 2만~3만원의 구독료를 받고 본인들의 성관계 영상 30여 개를 업로드해 3억원가량의 수익을 얻었다. 온리팬스는 2016년에 등장해 팬데믹 시기에 급성장하고, 지난해 초 기준 2억3880만명의 사용자와 310만명 이상의 창작자를 보유한 영국의 콘텐츠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월 구독료를 내면 창작자의 사진, 영상, 라이브 방송을 볼 수 있다. 유튜브 멤버십, 인스타그램 멤버십 등과 비슷해 보일 수 있으나, 온리팬스는 성적 콘텐츠를 허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온리팬스에서는 콘텐츠 창작자가 수익의 80%를 가져간다. 해외에서는 이미 유명인들이 온리팬스에 영상을 올려 수억 원씩을 벌어들이고 있다.온리팬스에 가입하는 것 자체는 범죄가 아니지만 음란물을 만들어 올리는 것은 국내법에 저촉된다. 이 때문에 온리팬스에 가입하는 것만으로 나도 모르는 사이 범죄에 빠져들 확률이 높다.특히 성인뿐 아니라 10대 청소년 사이에서 온리팬스의 존재가 알려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호기심에 온리팬스 콘텐츠를 접했다가 성범죄자 등에게 이용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10대 청소년은 “X 등에서 온리팬스 구독을 요청하는 30초짜리 미리보기 미끼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문제는 정부의 규제가 이뤄지기 힘들다는 점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관계자는 “온리팬스는 한국에 지부가 있는 회사가 아니어서 사업자 측에 따로 제재를 가하기 어렵고 온리팬스 측에 얘기해도 반응이 없을 것”이라며 “영상을 올리는 개개인을 경찰에 고발해 형사처벌하는 편이 현실적으로 더 빠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매일경제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심위는 올해 들어 지난 23일까지 딱 1건의 시정요구만을 의결했다. 온리팬스에서 불법 성인물이 유통되면 방심위는 이를 확인해 국내에서는 접속할 수 없게 조치할 수 있지만, 매년 시정요구 건수는 줄어드는 추세다. 방심위는 2021년 20건의 시정요구를 의결했지만 올해는 단 1건에 그친다.온리팬스의 내국인 창작자, 이용자 수나 매출 등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N번방 방지법으로 국내 통신사에는 불법 영상물 유통을 차단하도록 의무화했지만, 온리팬스 등 해외 플랫폼에는 이를 적용할 방법이 없다.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전년 말 기준 직전 3개월간의 일일 평균 이용자 수가 10만명 이상인 사업자, 전년 매출액이 10억원 이상인 사업자는 청소년보호책임자를 지정해야 하지만, 온리팬스는 규모 추산이 안 되고 있기에 해당 조항을 적용해 규제할 수도 없다.규제 사각지대에 있는 만큼 범죄가 발생해도 보호받기 어렵다. A씨는 “온리팬스에 올린 영상이 불법으로 유출돼 정신적 고통을 심하게 겪고 있다”며 “피해자가 속출할 수 있는 만큼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초반에는 창작자에 대해 집행유예나 법원의 선처가 있기도 했으나 온리팬스 사업이 커지며 추징을 강하게 하고 처벌도 강화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며 “주로 20·30대가 돈을 벌기 위해 영상을 올리는데, 생계비 목적으로 시작했다 구속되는 사례까지 생기고 있기에 이용자가 범죄라는 인식과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지혜진 기자(ji.hyejin@mk.co.kr) [기사전문보기] [단독] 은밀한 사이트에 ‘남친과 관계 영상’ 업로드…억대수익 20대 여성, 결국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5-09-24
[단독] 은밀한 사이트에 ‘남친과 관계 영상’ 업로드…억대수익 20대 여성, 결국
[단독] 은밀한 사이트에 ‘남친과 관계 영상’ 업로드…억대수익 20대 여성, 결국
英성인용 플랫폼 ‘온리팬스’구독료 받고 노출 영상 올려영상 외부유출·유통 피해에호기심에 접근한 청소년들성 착취 등 범죄 연루 우려도국내선 정보통신망법 위반방심위 시정요구는 올 1건뿐 # 20대 여성 A씨는 생활비와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80여 개의 노출 콘텐츠를 온리팬스에 올려 3억2000만원가량의 수익을 얻었다. A씨는 1000여 명의 구독자에게 매달 5달러가량의 구독료를 받고, 온리팬스를 통해 접한 남성들과 대면 성관계를 하고 1회에 수백만 원에 육박하는 돈을 받기도 했다.# 또 다른 20대 여성 B씨는 취업에 계속 실패하던 중 남자친구의 제안으로 노출 영상이나 성관계 영상을 찍어 온리팬스에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200여 명의 구독자에게 매달 15달러 상당의 구독료를 받은 B씨는 30여 개의 영상을 올려 약 1억원의 수익을 냈다.# 30대 부부 C씨와 D씨도 온리팬스에 월 2만~3만원의 구독료를 받고 본인들의 성관계 영상 30여 개를 업로드해 3억원가량의 수익을 얻었다. 온리팬스는 2016년에 등장해 팬데믹 시기에 급성장하고, 지난해 초 기준 2억3880만명의 사용자와 310만명 이상의 창작자를 보유한 영국의 콘텐츠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월 구독료를 내면 창작자의 사진, 영상, 라이브 방송을 볼 수 있다. 유튜브 멤버십, 인스타그램 멤버십 등과 비슷해 보일 수 있으나, 온리팬스는 성적 콘텐츠를 허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온리팬스에서는 콘텐츠 창작자가 수익의 80%를 가져간다. 해외에서는 이미 유명인들이 온리팬스에 영상을 올려 수억 원씩을 벌어들이고 있다.온리팬스에 가입하는 것 자체는 범죄가 아니지만 음란물을 만들어 올리는 것은 국내법에 저촉된다. 이 때문에 온리팬스에 가입하는 것만으로 나도 모르는 사이 범죄에 빠져들 확률이 높다.특히 성인뿐 아니라 10대 청소년 사이에서 온리팬스의 존재가 알려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호기심에 온리팬스 콘텐츠를 접했다가 성범죄자 등에게 이용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10대 청소년은 “X 등에서 온리팬스 구독을 요청하는 30초짜리 미리보기 미끼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문제는 정부의 규제가 이뤄지기 힘들다는 점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관계자는 “온리팬스는 한국에 지부가 있는 회사가 아니어서 사업자 측에 따로 제재를 가하기 어렵고 온리팬스 측에 얘기해도 반응이 없을 것”이라며 “영상을 올리는 개개인을 경찰에 고발해 형사처벌하는 편이 현실적으로 더 빠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매일경제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심위는 올해 들어 지난 23일까지 딱 1건의 시정요구만을 의결했다. 온리팬스에서 불법 성인물이 유통되면 방심위는 이를 확인해 국내에서는 접속할 수 없게 조치할 수 있지만, 매년 시정요구 건수는 줄어드는 추세다. 방심위는 2021년 20건의 시정요구를 의결했지만 올해는 단 1건에 그친다.온리팬스의 내국인 창작자, 이용자 수나 매출 등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N번방 방지법으로 국내 통신사에는 불법 영상물 유통을 차단하도록 의무화했지만, 온리팬스 등 해외 플랫폼에는 이를 적용할 방법이 없다.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전년 말 기준 직전 3개월간의 일일 평균 이용자 수가 10만명 이상인 사업자, 전년 매출액이 10억원 이상인 사업자는 청소년보호책임자를 지정해야 하지만, 온리팬스는 규모 추산이 안 되고 있기에 해당 조항을 적용해 규제할 수도 없다.규제 사각지대에 있는 만큼 범죄가 발생해도 보호받기 어렵다. A씨는 “온리팬스에 올린 영상이 불법으로 유출돼 정신적 고통을 심하게 겪고 있다”며 “피해자가 속출할 수 있는 만큼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초반에는 창작자에 대해 집행유예나 법원의 선처가 있기도 했으나 온리팬스 사업이 커지며 추징을 강하게 하고 처벌도 강화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며 “주로 20·30대가 돈을 벌기 위해 영상을 올리는데, 생계비 목적으로 시작했다 구속되는 사례까지 생기고 있기에 이용자가 범죄라는 인식과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지혜진 기자(ji.hyejin@mk.co.kr) [기사전문보기] [단독] 은밀한 사이트에 ‘남친과 관계 영상’ 업로드…억대수익 20대 여성, 결국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9-23
음주운전 면허 취소, 경찰이 처분 잘못 고지해 재측정 포기했다면 ‘무효’
음주운전 면허 취소, 경찰이 처분 잘못 고지해 재측정 포기했다면 ‘무효’
“정지 처분 내려질 것” 재측정 포기에… 1심 “최종 의사 결정은 운전자에 있어”항소심 “법률 전문가 아닌 운전자, 경찰 믿고 재측정 요구 안 해… 위법한 사안” 음주운전 단속 과정에서 경찰이 행정 처분에 대해 잘못 고지해 운전자가 재측정을 포기했다면, 이후 이뤄진 처분은 무효로 봐야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서울고등법원 제4-3행정부는 지난달 27일 30대 남성 A씨가 경기도북부경찰청장을 상대로 낸 자동차 운전면허 취소 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에서 1심 판단을 뒤집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3년 음주운전 단속에 적발돼 이듬해 면허 취소 처분을 받았다. 적발 당시 혈중 알코올 농도는 면허 정지 수준인 0.033%이었으나, 경찰은 A씨가 음주운전 전력이 있다는 이유로 취소 처분을 내렸다.이후 A씨는 측정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며 행정심판을 냈다. 당시 경찰로부터 상대적으로 가벼운 ‘면허 정지’ 처분이 내려질 것이라는 고지를 받았고, 이에 채혈 측정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A씨는 경찰관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재측정요구권을 포기하게 됐기에 취소 처분은 위법하다고 주장했다.그러나 경찰 측은 당시 현장을 단속했던 경찰관이 A씨에게 재측정 권한이 있음을 분명하게 알렸고, 이후 A씨가 관련 서류에 재측정을 포기하겠다는 내용을 직접 기재했다고 반박했다. 나아가 단속 경찰관에게는 법률적 판단을 안내할 의무나 책임이 없기에 최종적인 의사 결정은 A씨 본인의 책임과 판단에 있다고 강조했다.사건을 검토한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A씨의 청구를 기각했다. 이에 A씨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1심 법원은 경찰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경찰관은 정지 처분에 해당하는 행정처분을 받을 것이 예상된다는 취지를 편의상 고지해준 것에 불과하다”며 “경찰관에게 운전자의 음주 전력까지 조사해 예상되는 처분을 안내할 의무가 발생한다고 보기 어렵고, 원고에게 이를 잘못 고지했다고 볼 수도 없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A씨는 즉각 항소했고, 2심 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항소심 재판부는 “음주 재측정 절차를 정한 취지는 경찰공무원이 운전자에게 법적 효과를 명확하게 알려주고 재측정 요구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경찰이 처분 여부를 잘못 고지하고 운전자가 재측정요구권을 포기했다면, 이는 위법한 사안”이라고 판단했다.그러면서 “법률 전문가가 아닌 원고로서는 경찰이 고지한 대로 정지 처분을 예상해 재측정까지 요구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원고는 경찰의 잘못된 정보 제공에 따라 재측정요구권을 포기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신동훈 변호사는 “운전면허 정지와 취소는 처분 당사자에 대한 불이익 정도 차이가 커서, A씨와 같이 혈중 알코올 농도 위반 기준치를 미세하게 초과한 경우에는 재측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라면서 “재판 과정에서 경찰이 권리행사 결정에 중요한 사항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고, 이에 A씨가 재측정 요구권을 포기하게 됐음을 강조해 1심 결과를 뒤집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음주운전 면허 취소, 경찰이 처분 잘못 고지해 재측정 포기했다면 ‘무효’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9-23
음주운전 면허 취소, 경찰이 처분 잘못 고지해 재측정 포기했다면 ‘무효’
음주운전 면허 취소, 경찰이 처분 잘못 고지해 재측정 포기했다면 ‘무효’
“정지 처분 내려질 것” 재측정 포기에… 1심 “최종 의사 결정은 운전자에 있어”항소심 “법률 전문가 아닌 운전자, 경찰 믿고 재측정 요구 안 해… 위법한 사안” 음주운전 단속 과정에서 경찰이 행정 처분에 대해 잘못 고지해 운전자가 재측정을 포기했다면, 이후 이뤄진 처분은 무효로 봐야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서울고등법원 제4-3행정부는 지난달 27일 30대 남성 A씨가 경기도북부경찰청장을 상대로 낸 자동차 운전면허 취소 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에서 1심 판단을 뒤집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3년 음주운전 단속에 적발돼 이듬해 면허 취소 처분을 받았다. 적발 당시 혈중 알코올 농도는 면허 정지 수준인 0.033%이었으나, 경찰은 A씨가 음주운전 전력이 있다는 이유로 취소 처분을 내렸다.이후 A씨는 측정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며 행정심판을 냈다. 당시 경찰로부터 상대적으로 가벼운 ‘면허 정지’ 처분이 내려질 것이라는 고지를 받았고, 이에 채혈 측정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A씨는 경찰관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재측정요구권을 포기하게 됐기에 취소 처분은 위법하다고 주장했다.그러나 경찰 측은 당시 현장을 단속했던 경찰관이 A씨에게 재측정 권한이 있음을 분명하게 알렸고, 이후 A씨가 관련 서류에 재측정을 포기하겠다는 내용을 직접 기재했다고 반박했다. 나아가 단속 경찰관에게는 법률적 판단을 안내할 의무나 책임이 없기에 최종적인 의사 결정은 A씨 본인의 책임과 판단에 있다고 강조했다.사건을 검토한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A씨의 청구를 기각했다. 이에 A씨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1심 법원은 경찰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경찰관은 정지 처분에 해당하는 행정처분을 받을 것이 예상된다는 취지를 편의상 고지해준 것에 불과하다”며 “경찰관에게 운전자의 음주 전력까지 조사해 예상되는 처분을 안내할 의무가 발생한다고 보기 어렵고, 원고에게 이를 잘못 고지했다고 볼 수도 없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A씨는 즉각 항소했고, 2심 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항소심 재판부는 “음주 재측정 절차를 정한 취지는 경찰공무원이 운전자에게 법적 효과를 명확하게 알려주고 재측정 요구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경찰이 처분 여부를 잘못 고지하고 운전자가 재측정요구권을 포기했다면, 이는 위법한 사안”이라고 판단했다.그러면서 “법률 전문가가 아닌 원고로서는 경찰이 고지한 대로 정지 처분을 예상해 재측정까지 요구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원고는 경찰의 잘못된 정보 제공에 따라 재측정요구권을 포기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신동훈 변호사는 “운전면허 정지와 취소는 처분 당사자에 대한 불이익 정도 차이가 커서, A씨와 같이 혈중 알코올 농도 위반 기준치를 미세하게 초과한 경우에는 재측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라면서 “재판 과정에서 경찰이 권리행사 결정에 중요한 사항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고, 이에 A씨가 재측정 요구권을 포기하게 됐음을 강조해 1심 결과를 뒤집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음주운전 면허 취소, 경찰이 처분 잘못 고지해 재측정 포기했다면 ‘무효’ (바로가기)
SBS
2025-09-23
[Y 749회 요약] 조지아 공장 단속 작전 | 숏와이
[Y 749회 요약] 조지아 공장 단속 작전 | 숏와이
궁금한 이야기 Y 749회 (2025. 09. 19. 방송)한국인 집단 구금 사태, 그들은 왜 공장을 습격했나? [기사전문보기] [Y 749회 요약] 조지아 공장 단속 작전 | 숏와이 (바로가기)
SBS
2025-09-23
[Y 749회 요약] 조지아 공장 단속 작전 | 숏와이
[Y 749회 요약] 조지아 공장 단속 작전 | 숏와이
궁금한 이야기 Y 749회 (2025. 09. 19. 방송)한국인 집단 구금 사태, 그들은 왜 공장을 습격했나? [기사전문보기] [Y 749회 요약] 조지아 공장 단속 작전 | 숏와이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9-22
[월요칼럼]인공지능(AI) 시대 변호사의 역할
[월요칼럼]인공지능(AI) 시대 변호사의 역할
최근 몇 년 사이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법조영역에서도 챗봇, 생성형 AI, 법률 검색·분석 시스템 등이 등장하였고, 필자가 속한 로펌을 비롯한 다양한 로펌에서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변호사 뿐만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직종이 AI로 대체될 수 있다는 우려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실제 AI는 방대한 판례 리서치, 초안 작성, 법령 및 법리 분석 등을 통해 변호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판례·법령을 검색하며, 일정한 패턴을 도출하는 데 탁월하다. 변호사가 직접 수십 권의 판례집을 넘기며 사례를 찾던 시절에 비하면, AI는 몇 초 만에 유사 판례와 사건해결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계약서 초안이나 표준화된 서식의 작성, 반복적인 법률 검토 작업에서는 이미 변호사들의 강력한 보조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단순한 법률문서는 곧 AI가 작성하고, 변호사는 점차 필요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는다.그러나 과연 AI가 인간 변호사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까? AI의 역습으로 법조계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여전히 인간 변호사의 역할과 존재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대체가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결론이다.변호사 역할의 핵심은 ‘사람을 대하는 일’이다. 변호사가 하는 많은 업무 중 의뢰인들과 소통하는 것, 의뢰인의 억울함을 이해하는 것은, 완벽한 서면을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변호사와 법률상담을 하면서 자신의 억울함과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는 답답함을 토로하면서, 후련함을 느끼고 정신적인 부분에서까지 치유되는 감정을 느끼시는 의뢰인분들이 많다.AI라면 도저히 수행하지 못할 소송이 실제 존재한다. 필자가 맡은 형사사건 중 1심과 2심을 모두 패소하시고 상고심을 고민하시던 분이 계셨다. 필자는 1심과 2심에서 치열하게 증인신문을 하였고, 다른기관에 증거신청을 하는 등 변호인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은 다 하였음에도 패소하였기에 더 이상 의뢰인분께 상고심을 권하지 않았다. 도리어 대법원 판례나 상고심의 높은 기각률을 고려할 때, 승소할 가능성이 정말 낮다고 솔직하게 말씀드렸다. 처음 의뢰인분은 필자의 의견에 따라 상고심 제출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하셨다가, 상고장 제출말일 3일전부터 수십차례 전화를 하시어 결국 끝까지 다퉈보겠다고 하셨다. 결국 이 사건은 패소하였지만 의뢰인은 “끝까지 열심히 다퉈주셔서 고맙다, 이제 할 수 있는 것은 다해봐서 너무 후련하다”고 감사의 뜻을 필자에게 전하셨다. 과연 AI였다면 이 사건을 수행할 수 있었을까? AI의 방대한 정보와 패턴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이 사건은 도저히 승소할 수 없는 사건에 해당하므로, 시도조차 못하게 하지 않았을까?또한, 사건을 수행하다 보면 사건이 “살아있는 생물”이라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많다. 최초 수임시 전략을 짜고 철저하게 준비를 하여도,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사실관계가 드러나고, 의뢰인이 취하 결정을 한다거나, 조정이 되는 등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도 많다. 어느 한 사건도 완전히 동일한 사건이 존재하지 않으며, 유사한 사건이라도 당사자간 관계, 배경 등에 따라 법적 평가가 달라질 수 있고, 의뢰인의 상황이나 재판부에서 판단하시기에 공평의 관점에서 결론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사건은 단순한 법률정보의 조합이나 패턴 분석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의뢰인의 사건이 AI에게는 같은 패턴의 방대한 사건 중 한 사건에 불과하지만, 의뢰인에게는 인생을 집어삼킬 정도로 중요한 단 하나의 유일한 사건이고, 담당 변호사로서는 의뢰인의 두려움과 억울함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온 힘을 다하여 변론해야 하는 과제이기 때문에 기계적인 사건수행 이상으로 의뢰인에게 이입된 에너지를 쏟아 부어야 하기 때문이다.변호사는 단순히 법률문서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니라, 의뢰인이 원하는 바를 진정성 있게 받아들이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다. AI는 텍스트 데이터에는 능하지만, 인간관계의 미묘한 뉘앙스와 사건이 가진 당사자간의 의미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사건을 수행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따라서 AI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AI가 변호사를 대체한다”가 아니라 “AI가 변호사를 보조한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AI는 변호사의 시간을 절약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줄여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변호사는 더 많은 에너지를 전략구성, 가치판단, 의뢰인과의 소통에 집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AI의 발달은 변호사의 소멸이 아니라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인공지능(AI) 시대 변호사의 역할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9-22
[월요칼럼]인공지능(AI) 시대 변호사의 역할
[월요칼럼]인공지능(AI) 시대 변호사의 역할
최근 몇 년 사이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법조영역에서도 챗봇, 생성형 AI, 법률 검색·분석 시스템 등이 등장하였고, 필자가 속한 로펌을 비롯한 다양한 로펌에서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변호사 뿐만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직종이 AI로 대체될 수 있다는 우려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실제 AI는 방대한 판례 리서치, 초안 작성, 법령 및 법리 분석 등을 통해 변호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판례·법령을 검색하며, 일정한 패턴을 도출하는 데 탁월하다. 변호사가 직접 수십 권의 판례집을 넘기며 사례를 찾던 시절에 비하면, AI는 몇 초 만에 유사 판례와 사건해결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계약서 초안이나 표준화된 서식의 작성, 반복적인 법률 검토 작업에서는 이미 변호사들의 강력한 보조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단순한 법률문서는 곧 AI가 작성하고, 변호사는 점차 필요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는다.그러나 과연 AI가 인간 변호사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까? AI의 역습으로 법조계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여전히 인간 변호사의 역할과 존재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대체가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결론이다.변호사 역할의 핵심은 ‘사람을 대하는 일’이다. 변호사가 하는 많은 업무 중 의뢰인들과 소통하는 것, 의뢰인의 억울함을 이해하는 것은, 완벽한 서면을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변호사와 법률상담을 하면서 자신의 억울함과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는 답답함을 토로하면서, 후련함을 느끼고 정신적인 부분에서까지 치유되는 감정을 느끼시는 의뢰인분들이 많다.AI라면 도저히 수행하지 못할 소송이 실제 존재한다. 필자가 맡은 형사사건 중 1심과 2심을 모두 패소하시고 상고심을 고민하시던 분이 계셨다. 필자는 1심과 2심에서 치열하게 증인신문을 하였고, 다른기관에 증거신청을 하는 등 변호인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은 다 하였음에도 패소하였기에 더 이상 의뢰인분께 상고심을 권하지 않았다. 도리어 대법원 판례나 상고심의 높은 기각률을 고려할 때, 승소할 가능성이 정말 낮다고 솔직하게 말씀드렸다. 처음 의뢰인분은 필자의 의견에 따라 상고심 제출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하셨다가, 상고장 제출말일 3일전부터 수십차례 전화를 하시어 결국 끝까지 다퉈보겠다고 하셨다. 결국 이 사건은 패소하였지만 의뢰인은 “끝까지 열심히 다퉈주셔서 고맙다, 이제 할 수 있는 것은 다해봐서 너무 후련하다”고 감사의 뜻을 필자에게 전하셨다. 과연 AI였다면 이 사건을 수행할 수 있었을까? AI의 방대한 정보와 패턴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이 사건은 도저히 승소할 수 없는 사건에 해당하므로, 시도조차 못하게 하지 않았을까?또한, 사건을 수행하다 보면 사건이 “살아있는 생물”이라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많다. 최초 수임시 전략을 짜고 철저하게 준비를 하여도,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사실관계가 드러나고, 의뢰인이 취하 결정을 한다거나, 조정이 되는 등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도 많다. 어느 한 사건도 완전히 동일한 사건이 존재하지 않으며, 유사한 사건이라도 당사자간 관계, 배경 등에 따라 법적 평가가 달라질 수 있고, 의뢰인의 상황이나 재판부에서 판단하시기에 공평의 관점에서 결론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사건은 단순한 법률정보의 조합이나 패턴 분석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의뢰인의 사건이 AI에게는 같은 패턴의 방대한 사건 중 한 사건에 불과하지만, 의뢰인에게는 인생을 집어삼킬 정도로 중요한 단 하나의 유일한 사건이고, 담당 변호사로서는 의뢰인의 두려움과 억울함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온 힘을 다하여 변론해야 하는 과제이기 때문에 기계적인 사건수행 이상으로 의뢰인에게 이입된 에너지를 쏟아 부어야 하기 때문이다.변호사는 단순히 법률문서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니라, 의뢰인이 원하는 바를 진정성 있게 받아들이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다. AI는 텍스트 데이터에는 능하지만, 인간관계의 미묘한 뉘앙스와 사건이 가진 당사자간의 의미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사건을 수행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따라서 AI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AI가 변호사를 대체한다”가 아니라 “AI가 변호사를 보조한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AI는 변호사의 시간을 절약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줄여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변호사는 더 많은 에너지를 전략구성, 가치판단, 의뢰인과의 소통에 집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AI의 발달은 변호사의 소멸이 아니라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인공지능(AI) 시대 변호사의 역할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22
법원 "정부, 75년 전 '고성 보도연맹 피해' 유족에 배상해야"
법원 "정부, 75년 전 '고성 보도연맹 피해' 유족에 배상해야"
한국전쟁 당시 국민보도연맹 연루 이유로 희생된 피해자법원, 손해배상 소송서 "국가가 유족에 위자료 지급해야" 한국전쟁 당시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희생된 피해자 유족에게 국가가 배상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28일 고성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 A씨 등 3명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에게 1억 6천700여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사건의 희생자이자 A씨 등 3명의 아버지 B씨는 1950년 7~8월경 국민보도연맹에 연루됐다는 이유로 경남 고성 일대에서 경찰에 의해 희생됐다.A씨 측은 진실화해위원회를 통해 지난 2021년 이 사건에 대한 규명 신청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진화위는 지난해 B씨가 고성 국민보도연맹 사건의 희생자임을 확인했다.A씨 등은 정부를 상대로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으나 정부는 배상 청구를 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났다며 소멸시효를 주장했다. 국가배상청구권은 피해자 또는 대리인이 손해 및 가해를 안 날로부터 3년 안에 이뤄져야 한다.그러나 법원은 정부의 주장을 수용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정부의 주장에 대해 "진화위가 중대한 인권침해나 조작·의혹사건에 대해 진실규명 결정을 한 경우, 진실규명결정통지서가 송달된 날부터 손해배상청구권이 발생한다"고 반박하며 A씨 측의 손을 들어줬다.이어 "고인은 피고 소속 경찰에 의해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살해됐다"며 "피고는 유족들의 정신적 고통 및 위자료 등에 대한 배상을 할 책임이 있다"고 부연했다.A씨 측 대리인 박세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A씨 측은 B씨의 사망 이유나 일시 등 정확한 경위를 알지 못한 채 고통스러운 세월을 보내야 했다"며 "진실규명결정을 받고 나서야 정확한 손해 및 가해자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강조해 좋은 결과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기자 (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법원 "정부, 75년 전 '고성 보도연맹 피해' 유족에 배상해야"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22
법원 "정부, 75년 전 '고성 보도연맹 피해' 유족에 배상해야"
법원 "정부, 75년 전 '고성 보도연맹 피해' 유족에 배상해야"
한국전쟁 당시 국민보도연맹 연루 이유로 희생된 피해자법원, 손해배상 소송서 "국가가 유족에 위자료 지급해야" 한국전쟁 당시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희생된 피해자 유족에게 국가가 배상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28일 고성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 A씨 등 3명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에게 1억 6천700여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사건의 희생자이자 A씨 등 3명의 아버지 B씨는 1950년 7~8월경 국민보도연맹에 연루됐다는 이유로 경남 고성 일대에서 경찰에 의해 희생됐다.A씨 측은 진실화해위원회를 통해 지난 2021년 이 사건에 대한 규명 신청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진화위는 지난해 B씨가 고성 국민보도연맹 사건의 희생자임을 확인했다.A씨 등은 정부를 상대로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으나 정부는 배상 청구를 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났다며 소멸시효를 주장했다. 국가배상청구권은 피해자 또는 대리인이 손해 및 가해를 안 날로부터 3년 안에 이뤄져야 한다.그러나 법원은 정부의 주장을 수용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정부의 주장에 대해 "진화위가 중대한 인권침해나 조작·의혹사건에 대해 진실규명 결정을 한 경우, 진실규명결정통지서가 송달된 날부터 손해배상청구권이 발생한다"고 반박하며 A씨 측의 손을 들어줬다.이어 "고인은 피고 소속 경찰에 의해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살해됐다"며 "피고는 유족들의 정신적 고통 및 위자료 등에 대한 배상을 할 책임이 있다"고 부연했다.A씨 측 대리인 박세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A씨 측은 B씨의 사망 이유나 일시 등 정확한 경위를 알지 못한 채 고통스러운 세월을 보내야 했다"며 "진실규명결정을 받고 나서야 정확한 손해 및 가해자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강조해 좋은 결과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기자 (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법원 "정부, 75년 전 '고성 보도연맹 피해' 유족에 배상해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22
"팔 잡고 강제로 앉혀" 30개월 아이 골절상 입힌 어린이집 교사
"팔 잡고 강제로 앉혀" 30개월 아이 골절상 입힌 어린이집 교사
법원 "뼈나 근육이 연약한 아동 과격하게 다뤄" 벌금형 생후 30개월이었던 아이의 정강이뼈를 부러뜨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은 지난 11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어린이집 보조교사 A씨에게 벌금 1,2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10월 어린이집 원생 B군이 같은 반 친구를 따라가 장난을 치려고 하자, B군의 팔을 잡고 강제로 앉혀 골절상을 입힌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당시 A씨는 B군의 팔목을 양손으로 붙잡은 상태로 몸을 들어 올렸다가 바닥으로 눌렀고, 이로인해 B군은 정강이가 부러져 약 14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B군 측은 "A씨는 아이가 고통을 호소하며 울부짖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다른 아동들만 살폈다"며 "상해 정도를 볼 때 A씨의 범행은 감정이 다분히 섞인 고의적 행위라고 볼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뼈나 근육이 연약한 아동을 과격하게 들었다가 앉힘으로써 중한 상해를 입혔고, 그로 인해 피해 아동과 학부모에게 상당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다만 재판부는 "피해 아동의 장난을 막기 위해 훈계하려던 중 한 차례 다소 과한 동작을 한 것으로 비교적 경미한 수준의 폭행에 해당할 뿐"이라며 "피고인이 초범인 점, 이 사건 범행을 인정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덧붙였습니다.B군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보조교사로서 아이를 보호·감독하는 지위에서 그 의무를 다해야 하지만, A씨는 되려 아직 뼈가 다 여물지도 않은 아동에게 상해를 입혔다"며 "피해 아동이 엄중한 처벌을 요청하고 있는 점 등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법원 #아동학대 #어린이집 #사건사고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팔 잡고 강제로 앉혀" 30개월 아이 골절상 입힌 어린이집 교사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22
"팔 잡고 강제로 앉혀" 30개월 아이 골절상 입힌 어린이집 교사
"팔 잡고 강제로 앉혀" 30개월 아이 골절상 입힌 어린이집 교사
법원 "뼈나 근육이 연약한 아동 과격하게 다뤄" 벌금형 생후 30개월이었던 아이의 정강이뼈를 부러뜨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은 지난 11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어린이집 보조교사 A씨에게 벌금 1,2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10월 어린이집 원생 B군이 같은 반 친구를 따라가 장난을 치려고 하자, B군의 팔을 잡고 강제로 앉혀 골절상을 입힌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당시 A씨는 B군의 팔목을 양손으로 붙잡은 상태로 몸을 들어 올렸다가 바닥으로 눌렀고, 이로인해 B군은 정강이가 부러져 약 14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B군 측은 "A씨는 아이가 고통을 호소하며 울부짖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다른 아동들만 살폈다"며 "상해 정도를 볼 때 A씨의 범행은 감정이 다분히 섞인 고의적 행위라고 볼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뼈나 근육이 연약한 아동을 과격하게 들었다가 앉힘으로써 중한 상해를 입혔고, 그로 인해 피해 아동과 학부모에게 상당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다만 재판부는 "피해 아동의 장난을 막기 위해 훈계하려던 중 한 차례 다소 과한 동작을 한 것으로 비교적 경미한 수준의 폭행에 해당할 뿐"이라며 "피고인이 초범인 점, 이 사건 범행을 인정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덧붙였습니다.B군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보조교사로서 아이를 보호·감독하는 지위에서 그 의무를 다해야 하지만, A씨는 되려 아직 뼈가 다 여물지도 않은 아동에게 상해를 입혔다"며 "피해 아동이 엄중한 처벌을 요청하고 있는 점 등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법원 #아동학대 #어린이집 #사건사고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팔 잡고 강제로 앉혀" 30개월 아이 골절상 입힌 어린이집 교사 (바로가기)
블로터
2025-09-19
[로펌 히든 플레이어] 대륜 곽나미·명재호·안일환, 법과 실무 시너지 발휘 [넘버스]
[로펌 히든 플레이어] 대륜 곽나미·명재호·안일환, 법과 실무 시너지 발휘 [넘버스]
로펌은 변호사뿐 아니라 각 분야의 전문위원과 고문들의 역량으로도 움직입니다. 증권사, 금융당국, 은행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로펌의 '숨겨진 조력자'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인터뷰를 통해 소개합니다. 미국 특허 대리인인 곽나미 전문위원은 KBK 특허법인, 삼성메디슨 특허라이선싱팀, 삼성SDI 법무팀, SK하이닉스 비메모리 반도체 연구소 등을 거쳐 대륜에 합류했다.곽 전문위원이 로펌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기업 내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건의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아쉬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로펌에서는 더욱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을 돕는 다리 역할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곽 전문위원은 "특히 대륜은 누가 의뢰하든 합리적인 비용으로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심적인 로펌으로 잘 알려져 있다"며 "이러한 철학에 깊이 공감해 합류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대륜에서 곽 전문위원은 주로 해외 특허 출원, 변호사가 요청한 국내 특허 및 지식재산권 소송 관련 업무를 하고 있다. 해외 변호사와 협력해 사업 개발을 하거나 해외 출원·라이선싱 전략에 대한 고객 상담도 진행한다. 곽 전문위원의 경쟁력은 기술 언어와 법률 언어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는 "대기업, 대학, 대형 특허사무소를 아우르는 실무 경험과 해외 특허소송 대응, 기술 사업화, 가치 평가 등 특허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도움이 된다"고 했다.곽 전문위원은 가장 보람 있었던 경험으로 대학 산학협력단 연구자들의 특허가 사업화 가능성이 있는지 싱가포르 전시회를 통해 검증한 일을 꼽았다. 그는 "연구실에서 나온 아이디어가 단순히 논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특허와 사업화를 통해 세상과 연결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었다"며 "벤처기업들과 협력해 만든 해외 특허 포트폴리오가 특허가치평가에서 A+를 받았던 것도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이어 "결국 가장 의미 있는 건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의뢰인이 특허라는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길을 열 수 있도록 돕는 일"이라며 "이러한 순간들이 일을 계속하게 하는 원동력"이라고 전했다. 명재호 관세전문위원은 약 20년간 관세사로 활동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출컨설턴트, 방위사업청 수출심의위원회 심의위원, 무역안보관리원 자율준수무역거래자(CP) 평가위원, 이랜드 그룹 무역심사팀장 등을 지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좋은 아이디어와 상품성, 자본력을 갖춰도 법규 준수 즉, 컴플라이언스를 간과하면 사업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을 목격했다.명 전문위원은 "컴플라이언스와 관련해 전문적이고 유능한 로펌의 선정 여부 또한 비즈니스의 당락을 가를 만큼 중요하다"며 "이러한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고 로펌에서 근무하게 된 강력한 동기가 됐다"고 밝혔다.명 전문위원의 강점은 실무에 기반한 '맞춤형 컴플라이언스' ;수행이다. 해외 관세 법령 및 제도 자문, 관세 평가, 외국환거래, 전략물자 분야에도 특화돼 있다. 이를 기반으로 그는 대륜에서 법령 자문과 법령 위반 사건 대응, 소송 지원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관세 제도를 포함한 해외 법령 자문 수요가 급증했다.명 전문위원은 미국 GE로부터 계전기를 독점 수입하는 한 중소기업의 한·미 FTA 원산지 조사를 지원한 경험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당시 그는 미국령인 푸에르토리코로 출장 가 현지 생산 사실 등을 입증해야 했다. 출발할 때만 해도 정보보안과 국가안보에 철저한 미국 기업으로부터 영업기밀 자료를 입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GE 측을 적극 설득해 자료를 받았고, 해당 기업에 대한 추징액과 벌금을 대폭 감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명 전문위원은 "낯설고도 아름다웠던 푸에르토리코라는 카리브해의 보석에서 1주일간의 여정은 결코 지워버릴 수 없는 짧지만 강렬한 기억"이라며 "우리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동반자로서 최선을 다했다는 점에서 뿌듯했다"고 전했다. 35년간 공직에 몸담은 안일환 고문은 주로 국가의 예산과 재정, 거시 경제 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경제수석비서관, 기획재정부 차관 등으로 재직하며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경제의 큰 흐름을 읽는 역할도 수행했다.안 고문은 "이러한 경험을 활용해 민간 영역에서 법안과 행정규제에 대한 법적 판단을 돕고 싶었다"며 "로펌의 업무 영역에서도 정책을 이해하고 논리를 구성하는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생각해 대륜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됐다"고 했다.안 고문의 업무는 거시 경제와 금융 시장의 흐름을 읽고 기업이 마주할 법률·정책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외 경제 지표와 금융 시장 동향, 정부의 주요 경제 정책 발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 규제, 공정거래, 인수합병(M&A), 해외 투자와 관련된 자문 회의에서 변호사들과 협업한다.변호사들이 법률적 관점에서 리스크를 분석한다면, 안 고문은 해당 사안이 가져올 경제적 파급 효과와 재무적 영향을 예측해 기업이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법률과 경제, 두 전문 분야가 시너지를 내는 최전선에 있는 셈"이라고 했다.안 고문은 "기업은 종종 복잡한 금융 규제나 예측 불가능한 시장 변동 앞에서 법률 대응만으로는 한계를 느낀다"며 "앞으로도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재무·경영 전략 수립을 돕겠다"고 밝혔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로펌 히든 플레이어] 대륜 곽나미·명재호·안일환, 법과 실무 시너지 발휘 [넘버스] (바로가기)
블로터
2025-09-19
[로펌 히든 플레이어] 대륜 곽나미·명재호·안일환, 법과 실무 시너지 발휘 [넘버스]
[로펌 히든 플레이어] 대륜 곽나미·명재호·안일환, 법과 실무 시너지 발휘 [넘버스]
로펌은 변호사뿐 아니라 각 분야의 전문위원과 고문들의 역량으로도 움직입니다. 증권사, 금융당국, 은행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로펌의 '숨겨진 조력자'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인터뷰를 통해 소개합니다. 미국 특허 대리인인 곽나미 전문위원은 KBK 특허법인, 삼성메디슨 특허라이선싱팀, 삼성SDI 법무팀, SK하이닉스 비메모리 반도체 연구소 등을 거쳐 대륜에 합류했다.곽 전문위원이 로펌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기업 내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건의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아쉬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로펌에서는 더욱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을 돕는 다리 역할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곽 전문위원은 "특히 대륜은 누가 의뢰하든 합리적인 비용으로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심적인 로펌으로 잘 알려져 있다"며 "이러한 철학에 깊이 공감해 합류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대륜에서 곽 전문위원은 주로 해외 특허 출원, 변호사가 요청한 국내 특허 및 지식재산권 소송 관련 업무를 하고 있다. 해외 변호사와 협력해 사업 개발을 하거나 해외 출원·라이선싱 전략에 대한 고객 상담도 진행한다. 곽 전문위원의 경쟁력은 기술 언어와 법률 언어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는 "대기업, 대학, 대형 특허사무소를 아우르는 실무 경험과 해외 특허소송 대응, 기술 사업화, 가치 평가 등 특허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도움이 된다"고 했다.곽 전문위원은 가장 보람 있었던 경험으로 대학 산학협력단 연구자들의 특허가 사업화 가능성이 있는지 싱가포르 전시회를 통해 검증한 일을 꼽았다. 그는 "연구실에서 나온 아이디어가 단순히 논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특허와 사업화를 통해 세상과 연결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었다"며 "벤처기업들과 협력해 만든 해외 특허 포트폴리오가 특허가치평가에서 A+를 받았던 것도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이어 "결국 가장 의미 있는 건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의뢰인이 특허라는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길을 열 수 있도록 돕는 일"이라며 "이러한 순간들이 일을 계속하게 하는 원동력"이라고 전했다. 명재호 관세전문위원은 약 20년간 관세사로 활동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출컨설턴트, 방위사업청 수출심의위원회 심의위원, 무역안보관리원 자율준수무역거래자(CP) 평가위원, 이랜드 그룹 무역심사팀장 등을 지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좋은 아이디어와 상품성, 자본력을 갖춰도 법규 준수 즉, 컴플라이언스를 간과하면 사업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을 목격했다.명 전문위원은 "컴플라이언스와 관련해 전문적이고 유능한 로펌의 선정 여부 또한 비즈니스의 당락을 가를 만큼 중요하다"며 "이러한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고 로펌에서 근무하게 된 강력한 동기가 됐다"고 밝혔다.명 전문위원의 강점은 실무에 기반한 '맞춤형 컴플라이언스' ;수행이다. 해외 관세 법령 및 제도 자문, 관세 평가, 외국환거래, 전략물자 분야에도 특화돼 있다. 이를 기반으로 그는 대륜에서 법령 자문과 법령 위반 사건 대응, 소송 지원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관세 제도를 포함한 해외 법령 자문 수요가 급증했다.명 전문위원은 미국 GE로부터 계전기를 독점 수입하는 한 중소기업의 한·미 FTA 원산지 조사를 지원한 경험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당시 그는 미국령인 푸에르토리코로 출장 가 현지 생산 사실 등을 입증해야 했다. 출발할 때만 해도 정보보안과 국가안보에 철저한 미국 기업으로부터 영업기밀 자료를 입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GE 측을 적극 설득해 자료를 받았고, 해당 기업에 대한 추징액과 벌금을 대폭 감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명 전문위원은 "낯설고도 아름다웠던 푸에르토리코라는 카리브해의 보석에서 1주일간의 여정은 결코 지워버릴 수 없는 짧지만 강렬한 기억"이라며 "우리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동반자로서 최선을 다했다는 점에서 뿌듯했다"고 전했다. 35년간 공직에 몸담은 안일환 고문은 주로 국가의 예산과 재정, 거시 경제 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경제수석비서관, 기획재정부 차관 등으로 재직하며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경제의 큰 흐름을 읽는 역할도 수행했다.안 고문은 "이러한 경험을 활용해 민간 영역에서 법안과 행정규제에 대한 법적 판단을 돕고 싶었다"며 "로펌의 업무 영역에서도 정책을 이해하고 논리를 구성하는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생각해 대륜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됐다"고 했다.안 고문의 업무는 거시 경제와 금융 시장의 흐름을 읽고 기업이 마주할 법률·정책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외 경제 지표와 금융 시장 동향, 정부의 주요 경제 정책 발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 규제, 공정거래, 인수합병(M&A), 해외 투자와 관련된 자문 회의에서 변호사들과 협업한다.변호사들이 법률적 관점에서 리스크를 분석한다면, 안 고문은 해당 사안이 가져올 경제적 파급 효과와 재무적 영향을 예측해 기업이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법률과 경제, 두 전문 분야가 시너지를 내는 최전선에 있는 셈"이라고 했다.안 고문은 "기업은 종종 복잡한 금융 규제나 예측 불가능한 시장 변동 앞에서 법률 대응만으로는 한계를 느낀다"며 "앞으로도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재무·경영 전략 수립을 돕겠다"고 밝혔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로펌 히든 플레이어] 대륜 곽나미·명재호·안일환, 법과 실무 시너지 발휘 [넘버스]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19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기업 맞춤형 국제 자문 확대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기업 맞춤형 국제 자문 확대
김미아·손동후 미국 변호사 중심으로 인·아웃바운드 법률 자문 수요 대응 법무법인 대륜이 글로벌 기업의 한국 진출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아우르는 국제업무를 강화하며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에도 한창인 대륜은 최근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에 법무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변호사를 채용하며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습니다.이번 행보에는 김미아·손동후 미국변호사가 중심에 서 있습니다.김미아 변호사(워싱턴 D.C.주)는 국제수출입거래와 국제세법, 미국법인설립, 미국이민법 분야의 전문가이며, 손동후 미국변호사(뉴욕주)는 9년간 미국 로펌에서 회사법, 자산관리,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송무를 담당한 바 있습니다.또 대륜은 워싱턴 D.C. 사무소에 Kyle Courtnall 미국변호사와 뉴욕 사무소에 Tal Hirshberg 변호사를 영입해 국제업무 저변을 확대하고 있습니다.Kyle 미국변호사는 조지타운 대학교와 존스 홉킨스 MBA, 버지니아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워싱턴 D.C.주 및 버지니아주 검찰청과 로펌에서 근무하며 형사·이민법 등 다양한 사건을 다뤘습니다.또한 Morgan Stanley와 JPMorgan Chase에서 금융 자문을 맡았던 경력을 바탕으로 국제금융·크로스보더 분야에서도 강점을 발휘해 왔습니다.Tal 미국변호사는 스타벅스 Public Affairs와 AOL을 거쳐 Selendy Gay Elsberg PLLC에서 변호사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뉴욕에서 민·형사 사건은 물론 국제크로스보더와 이민법 분야 등 각종 국제업무 분야까지의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탄탄한 실무능력을 갖췄습니다.두 변호사는 앞으로 대륜 미국 사무소에서 관리자급 변호사로 활동하게 됩니다. ;김 변호사는 "이제 대륜은 국내에서의 자문을 넘어 현지 법인을 중심으로 실행력을 확보하는 단계에 들어섰다"며 "현지 실무 경험이 풍부한 Kyle 변호사가 합류하며 업계 대응력이 한층 강화됐다"고 말했습니다.손 변호사도 "뉴욕 사무소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업무 전반을 경험해 온 Tal 변호사가 합류했다"면서 "저와 Tal 변호사가 함께 팀을 이뤄 뉴욕 시장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대륜은 현지 변호사들의 합류에 따라 강화된 기업 밀착형 서비스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늘어나는 투자와 법인 설립, 각종 분쟁에 대한 수요에 적극 조력하겠다는 방침입니다.두 변호사는 특히 최근 해외 기업이 한국에 진출하는 '인바운드'와 한국 기업이 해외에 나가는 '아웃바운드' 모두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손 변호사는 "해외기업의 경우 명품, 의류 등 소비재 산업과 관련해 한국 시장 진출을 많이 시도하는 한편, 한국 기업들은 자산 운용 등 금융업 분야의 해외 진출이 점차 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김 변호사는 "국내 기업의 미국 내 현지 법인 설립에 대한 문의도 많아졌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손 변호사는 "최근 이른바 '플립(Flip)'에 대해 관심을 갖는 스타트업, 중소기업들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플립이란, 기존 한국 법인 위에 해외 모회사를 세우고 한국 법인의 지분을 해외 모회사로 이전하는 전략을 뜻합니다. ;글로벌 투자 유치, 해외 IPO 준비, 외국인 투자자의 세금 부담 완화 등이 플립의 목적으로 꼽힙니다.손 변호사는 "실제 대륜에도 관련 문의가 다수 들어왔다. 플립의 경우 글로벌 투자 및 Exit를 위해 흔히 선택되는 구조지만, 세금과 외환규제, 기존 계약 문제에 대한 꼼꼼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기에 전문가들의 조력이 필수"라고 말했습니다.향후 대륜은 미국을 넘어 해외 주요 시장에서의 네트워크를 더욱 확대하고, 글로벌 기업의 장기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입니다.김 변호사는 "대륜에는 다양한 업종의 법인 설립, 이와 관련한 체류비자 발급 등 수많은 사례를 경험한 변호사들이 다수 포진돼 있다"며 "세계 곳곳의 고객에게 전략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법무법인 #글로벌 #미국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기업 맞춤형 국제 자문 확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19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기업 맞춤형 국제 자문 확대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기업 맞춤형 국제 자문 확대
김미아·손동후 미국 변호사 중심으로 인·아웃바운드 법률 자문 수요 대응 법무법인 대륜이 글로벌 기업의 한국 진출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아우르는 국제업무를 강화하며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에도 한창인 대륜은 최근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에 법무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변호사를 채용하며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습니다.이번 행보에는 김미아·손동후 미국변호사가 중심에 서 있습니다.김미아 변호사(워싱턴 D.C.주)는 국제수출입거래와 국제세법, 미국법인설립, 미국이민법 분야의 전문가이며, 손동후 미국변호사(뉴욕주)는 9년간 미국 로펌에서 회사법, 자산관리,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송무를 담당한 바 있습니다.또 대륜은 워싱턴 D.C. 사무소에 Kyle Courtnall 미국변호사와 뉴욕 사무소에 Tal Hirshberg 변호사를 영입해 국제업무 저변을 확대하고 있습니다.Kyle 미국변호사는 조지타운 대학교와 존스 홉킨스 MBA, 버지니아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워싱턴 D.C.주 및 버지니아주 검찰청과 로펌에서 근무하며 형사·이민법 등 다양한 사건을 다뤘습니다.또한 Morgan Stanley와 JPMorgan Chase에서 금융 자문을 맡았던 경력을 바탕으로 국제금융·크로스보더 분야에서도 강점을 발휘해 왔습니다.Tal 미국변호사는 스타벅스 Public Affairs와 AOL을 거쳐 Selendy Gay Elsberg PLLC에서 변호사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뉴욕에서 민·형사 사건은 물론 국제크로스보더와 이민법 분야 등 각종 국제업무 분야까지의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탄탄한 실무능력을 갖췄습니다.두 변호사는 앞으로 대륜 미국 사무소에서 관리자급 변호사로 활동하게 됩니다. ;김 변호사는 "이제 대륜은 국내에서의 자문을 넘어 현지 법인을 중심으로 실행력을 확보하는 단계에 들어섰다"며 "현지 실무 경험이 풍부한 Kyle 변호사가 합류하며 업계 대응력이 한층 강화됐다"고 말했습니다.손 변호사도 "뉴욕 사무소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업무 전반을 경험해 온 Tal 변호사가 합류했다"면서 "저와 Tal 변호사가 함께 팀을 이뤄 뉴욕 시장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대륜은 현지 변호사들의 합류에 따라 강화된 기업 밀착형 서비스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늘어나는 투자와 법인 설립, 각종 분쟁에 대한 수요에 적극 조력하겠다는 방침입니다.두 변호사는 특히 최근 해외 기업이 한국에 진출하는 '인바운드'와 한국 기업이 해외에 나가는 '아웃바운드' 모두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손 변호사는 "해외기업의 경우 명품, 의류 등 소비재 산업과 관련해 한국 시장 진출을 많이 시도하는 한편, 한국 기업들은 자산 운용 등 금융업 분야의 해외 진출이 점차 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김 변호사는 "국내 기업의 미국 내 현지 법인 설립에 대한 문의도 많아졌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손 변호사는 "최근 이른바 '플립(Flip)'에 대해 관심을 갖는 스타트업, 중소기업들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플립이란, 기존 한국 법인 위에 해외 모회사를 세우고 한국 법인의 지분을 해외 모회사로 이전하는 전략을 뜻합니다. ;글로벌 투자 유치, 해외 IPO 준비, 외국인 투자자의 세금 부담 완화 등이 플립의 목적으로 꼽힙니다.손 변호사는 "실제 대륜에도 관련 문의가 다수 들어왔다. 플립의 경우 글로벌 투자 및 Exit를 위해 흔히 선택되는 구조지만, 세금과 외환규제, 기존 계약 문제에 대한 꼼꼼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기에 전문가들의 조력이 필수"라고 말했습니다.향후 대륜은 미국을 넘어 해외 주요 시장에서의 네트워크를 더욱 확대하고, 글로벌 기업의 장기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입니다.김 변호사는 "대륜에는 다양한 업종의 법인 설립, 이와 관련한 체류비자 발급 등 수많은 사례를 경험한 변호사들이 다수 포진돼 있다"며 "세계 곳곳의 고객에게 전략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법무법인 #글로벌 #미국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기업 맞춤형 국제 자문 확대 (바로가기)
메디파나 등 8곳
2025-09-18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 ‘국적’ 따진다…“‘선제적 설계’ 중요”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 ‘국적’ 따진다…“‘선제적 설계’ 중요”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세미나서 美 정책 진단"R&D 단계부터 관세 설계…'최초판매규정'·'FTZ' 등 활용해야" 미국 통상 정책이 국내 의료기기 가격 경쟁력을 위협하고 있어 법률과 제도를 활용한 고도의 수출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지난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주관으로 열린 법무법인 대륜의 '미국 의료기기 시장 진출 세미나'에서는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해법이 논의됐다.이날 세미나 연사로 나선 법무법인 대륜 명재호 관세전문위원은 "미국의 신(新)관세 정책은 단순히 세율을 높이는 것을 넘어, 제품의 '국적'을 따지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특히 여러 국가의 부품과 기술이 결합되는 첨단 의료기기의 경우, 어느 국가에서 '실질적 변형'이 이뤄졌는지를 입증하지 못하면, 핵심 부품의 원산지 국가를 기준으로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이다.명 위원은 "완제품의 성능과 별개로, 투입된 부품의 원산지가 수출의 발목을 잡는 새로운 무역장벽이 되고 있다"며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을 가진 의료기기 산업의 취약점을 지적했다. 이어 그는 "FDA 승인을 위해 제출한 부품 리스트와 관세 신고를 위한 원산지 증명 자료가 충돌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통합적인 법률 검토가 없다면 더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명 위원은 이런 이중고를 극복할 해법으로 R&D 기획 단계부터 법률 전문가가 참여하는 '선제적 관세 설계'를 제시했다. 그는 "어떤 부품을 사용하고, 어느 국가에서 조립하는지에 따라 최종 관세율이 달라지므로, 제품 개발 초기부터 법률을 활용한 '관세 다이어트' 전략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구체적으로는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품목분류(HS Code)를 고려한 제품 설계 ▲중간 유통마진을 제외한 최초 거래가로 관세를 신고하는 '최초판매규정' 활용 ▲미국 내 보세구역인 '해외무역지대(FTZ)'를 활용한 관세 면제 및 이연 방안 등 전략을 소개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메디파나 -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 ‘국적’ 따진다…“‘선제적 설계’ 중요” (바로가기) 위키트리 - FDA 넘었더니 관세장벽…美 의료기기 수출 ‘이중고’에 해법은 ‘선제적 관세 설계’ (바로가기) 딜사이트경제TV - "원산지가 새 무역장벽…K-의료기기, 관세다이어트로 넘어라" (바로가기) 대구신문 - FDA 넘어 관세장벽 美 의료기기 수출 이중고…'선제적 설계'가 해법 (바로가기) 경상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세미나서 미국 통상고민 해법 제시 (바로가기) 광주매일신문 -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 미국 수출 이중고 (바로가기) 라포르시안 - [KHF 2025] “국산 의료기기 美 수출 ‘선제적 관세 설계’가 해법” (바로가기) 데일리메디 - "K-의료기기, 美 진출 최대 변수는 승인 아닌 관세" (바로가기)
메디파나 등 8곳
2025-09-18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 ‘국적’ 따진다…“‘선제적 설계’ 중요”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 ‘국적’ 따진다…“‘선제적 설계’ 중요”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세미나서 美 정책 진단"R&D 단계부터 관세 설계…'최초판매규정'·'FTZ' 등 활용해야" 미국 통상 정책이 국내 의료기기 가격 경쟁력을 위협하고 있어 법률과 제도를 활용한 고도의 수출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지난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주관으로 열린 법무법인 대륜의 '미국 의료기기 시장 진출 세미나'에서는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해법이 논의됐다.이날 세미나 연사로 나선 법무법인 대륜 명재호 관세전문위원은 "미국의 신(新)관세 정책은 단순히 세율을 높이는 것을 넘어, 제품의 '국적'을 따지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특히 여러 국가의 부품과 기술이 결합되는 첨단 의료기기의 경우, 어느 국가에서 '실질적 변형'이 이뤄졌는지를 입증하지 못하면, 핵심 부품의 원산지 국가를 기준으로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이다.명 위원은 "완제품의 성능과 별개로, 투입된 부품의 원산지가 수출의 발목을 잡는 새로운 무역장벽이 되고 있다"며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을 가진 의료기기 산업의 취약점을 지적했다. 이어 그는 "FDA 승인을 위해 제출한 부품 리스트와 관세 신고를 위한 원산지 증명 자료가 충돌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통합적인 법률 검토가 없다면 더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명 위원은 이런 이중고를 극복할 해법으로 R&D 기획 단계부터 법률 전문가가 참여하는 '선제적 관세 설계'를 제시했다. 그는 "어떤 부품을 사용하고, 어느 국가에서 조립하는지에 따라 최종 관세율이 달라지므로, 제품 개발 초기부터 법률을 활용한 '관세 다이어트' 전략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구체적으로는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품목분류(HS Code)를 고려한 제품 설계 ▲중간 유통마진을 제외한 최초 거래가로 관세를 신고하는 '최초판매규정' 활용 ▲미국 내 보세구역인 '해외무역지대(FTZ)'를 활용한 관세 면제 및 이연 방안 등 전략을 소개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메디파나 -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 ‘국적’ 따진다…“‘선제적 설계’ 중요” (바로가기) 위키트리 - FDA 넘었더니 관세장벽…美 의료기기 수출 ‘이중고’에 해법은 ‘선제적 관세 설계’ (바로가기) 딜사이트경제TV - "원산지가 새 무역장벽…K-의료기기, 관세다이어트로 넘어라" (바로가기) 대구신문 - FDA 넘어 관세장벽 美 의료기기 수출 이중고…'선제적 설계'가 해법 (바로가기) 경상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세미나서 미국 통상고민 해법 제시 (바로가기) 광주매일신문 -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 미국 수출 이중고 (바로가기) 라포르시안 - [KHF 2025] “국산 의료기기 美 수출 ‘선제적 관세 설계’가 해법” (바로가기) 데일리메디 - "K-의료기기, 美 진출 최대 변수는 승인 아닌 관세"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9-18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풍부한 수사 경험·사건 분석력 갖춰, 형사 대응 역량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연명흠(사법연수원 34기) 전 서울서부경찰서장을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하고 형사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연명흠 변호사는 지난 2007년 서울 양천경찰서 수사과장을 시작으로 서울특별시경찰청 특별조사계장, 경기 안성경찰서장, 서울 서부경찰서장 등 핵심 보직을 두루 거쳤다. 20여 년 간 경찰에 재직하며 대형 아파트 리모델링 비리, 유사휘발유 제조 사건 등 굵직한 형사·경제 범죄 사건들을 직접 수사 및 지휘하며 현장 감각과 전문성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특히, 북한 해커조직에 대한 사이버 범죄 수사나 태양광 보조금 부당 수령, 광역시 인사담당자 비리 등 여러 고난도 사건에서도 활약하며 감찰 분야에서도 강한 존재감을 드러냈다.아울러 연 변호사는 2015년 경찰승진시험 출제위원장, 전국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법적 쟁점에 대한 상담 등 경찰 내부 교육에도 폭넓게 기여했다. 또한, 경찰대학에서는 헌법재판 강의 진행하며 수사기관과 사법기관을 잇는 법률 전문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연 변호사는 "수사 현장에서 축적한 경험을 이제는 대형 로펌 대륜에서 국민의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 서비스로 실현하고 싶다"면서 "분쟁의 본질을 꿰뚫고 신속하고 정교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무형 변호사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연 변호사는 오랜 실무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다양한 사건을 지휘하며 깊이 있는 판단력과 통찰을 쌓아온 인재"라며 "풍부한 수사 경험과 사건 분석 능력을 갖춘 연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 대응 역량이 한층 강화됐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강력·경제·공직범죄 등 고난도 형사 사건에 대응하기 위한 형사그룹 및 특별수행본부를 운영하며 수사 초기부터 재판 단계까지 의뢰인 중심의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최고 총괄변호사’로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연명흠 전 서울 서부경찰서장 합류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9-18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풍부한 수사 경험·사건 분석력 갖춰, 형사 대응 역량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연명흠(사법연수원 34기) 전 서울서부경찰서장을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하고 형사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연명흠 변호사는 지난 2007년 서울 양천경찰서 수사과장을 시작으로 서울특별시경찰청 특별조사계장, 경기 안성경찰서장, 서울 서부경찰서장 등 핵심 보직을 두루 거쳤다. 20여 년 간 경찰에 재직하며 대형 아파트 리모델링 비리, 유사휘발유 제조 사건 등 굵직한 형사·경제 범죄 사건들을 직접 수사 및 지휘하며 현장 감각과 전문성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특히, 북한 해커조직에 대한 사이버 범죄 수사나 태양광 보조금 부당 수령, 광역시 인사담당자 비리 등 여러 고난도 사건에서도 활약하며 감찰 분야에서도 강한 존재감을 드러냈다.아울러 연 변호사는 2015년 경찰승진시험 출제위원장, 전국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법적 쟁점에 대한 상담 등 경찰 내부 교육에도 폭넓게 기여했다. 또한, 경찰대학에서는 헌법재판 강의 진행하며 수사기관과 사법기관을 잇는 법률 전문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연 변호사는 "수사 현장에서 축적한 경험을 이제는 대형 로펌 대륜에서 국민의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 서비스로 실현하고 싶다"면서 "분쟁의 본질을 꿰뚫고 신속하고 정교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무형 변호사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연 변호사는 오랜 실무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다양한 사건을 지휘하며 깊이 있는 판단력과 통찰을 쌓아온 인재"라며 "풍부한 수사 경험과 사건 분석 능력을 갖춘 연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 대응 역량이 한층 강화됐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강력·경제·공직범죄 등 고난도 형사 사건에 대응하기 위한 형사그룹 및 특별수행본부를 운영하며 수사 초기부터 재판 단계까지 의뢰인 중심의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최고 총괄변호사’로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연명흠 전 서울서부경찰서장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연명흠 전 서울 서부경찰서장 합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18
“편의점 택배로 받을게요” 중고 명품가방 가로챈 10대 실형 선고
“편의점 택배로 받을게요” 중고 명품가방 가로챈 10대 실형 선고
특수절도 혐의로 기소…징역 6개월재판부 “수법 불량, 피해회복 안 돼” 중고 거래 앱에 매물로 올라온 고가 명품 가방을 살 것처럼 판매자를 속인 뒤 편의점 택배를 이용하도록 유도해 물건을 가로챈 10대가 실형을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은 지난달 28일 특수절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 군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A 군은 지난해 3월 중고 거래 앱에서 ‘590만 원 상당의 명품 가방을 판매한다’는 취지의 게시글을 보고 판매자 B 씨에게 접근해 가방을 편의점 택배로 접수하게 한 뒤 배송 준비 중인 물건을 훔쳐 달아난 혐의를 받는다.수사 결과 당시 A 군은 친구와 함께 편의점을 찾았는데, 친구가 먼저 편의점 냉장고에 있던 소주병을 깨뜨려 종업원의 시선을 끌고 그 틈을 이용해 접수물 보관 탁자 위에 있던 택배 상자를 집어 들고 도망친 것으로 확인됐다.재판부는 A 군이 범행을 인정하지만, 수법이 불량하고 피해자와의 합의 또는 피해 회복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실형 선고를 내렸다. A 군이 동종 범죄로 다수의 소년보호 처분을 받은 전력도 양형에 참고했다.피해자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황서영 변호사는 “A 군은 ‘해외 출장 중 아내의 생일 선물을 사려 한다’며 피해자를 의도적으로 속였고, 직접 거래가 아닌 택배 거래를 유도했다”며 “중고 거래 앱을 이용하려던 피해자가 큰 재산적·정신적 피해를 본 점 등을 호소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편의점 택배로 받을게요” 중고 명품가방 가로챈 10대 실형 선고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18
“편의점 택배로 받을게요” 중고 명품가방 가로챈 10대 실형 선고
“편의점 택배로 받을게요” 중고 명품가방 가로챈 10대 실형 선고
특수절도 혐의로 기소…징역 6개월재판부 “수법 불량, 피해회복 안 돼” 중고 거래 앱에 매물로 올라온 고가 명품 가방을 살 것처럼 판매자를 속인 뒤 편의점 택배를 이용하도록 유도해 물건을 가로챈 10대가 실형을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은 지난달 28일 특수절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 군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A 군은 지난해 3월 중고 거래 앱에서 ‘590만 원 상당의 명품 가방을 판매한다’는 취지의 게시글을 보고 판매자 B 씨에게 접근해 가방을 편의점 택배로 접수하게 한 뒤 배송 준비 중인 물건을 훔쳐 달아난 혐의를 받는다.수사 결과 당시 A 군은 친구와 함께 편의점을 찾았는데, 친구가 먼저 편의점 냉장고에 있던 소주병을 깨뜨려 종업원의 시선을 끌고 그 틈을 이용해 접수물 보관 탁자 위에 있던 택배 상자를 집어 들고 도망친 것으로 확인됐다.재판부는 A 군이 범행을 인정하지만, 수법이 불량하고 피해자와의 합의 또는 피해 회복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실형 선고를 내렸다. A 군이 동종 범죄로 다수의 소년보호 처분을 받은 전력도 양형에 참고했다.피해자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황서영 변호사는 “A 군은 ‘해외 출장 중 아내의 생일 선물을 사려 한다’며 피해자를 의도적으로 속였고, 직접 거래가 아닌 택배 거래를 유도했다”며 “중고 거래 앱을 이용하려던 피해자가 큰 재산적·정신적 피해를 본 점 등을 호소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편의점 택배로 받을게요” 중고 명품가방 가로챈 10대 실형 선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17
불확실성 커지는 美 비자 제도…'리스크 관리' 최우선 과제 삼아야
불확실성 커지는 美 비자 제도…'리스크 관리' 최우선 과제 삼아야
최근 미국의 비자·이민 정책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외국인 투자를 환영한다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불법 체류 등 체류 목적 위반에 대한 단속 조치를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흐름은 미국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불확실성을 키우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현지 시간으로 지난 4일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은 조지아주의 한 공장에서 대규모 단속을 벌여 약 450명을 체포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불법 입국자가 아닌 합법적으로 단기 상용비자(B1)나 전자여행허가제(ESTA)를 통해 입국한 한국 근로자였다. 문제는 출장 명목으로 입국했음에도 실제로는 현장 업무에 투입됐다는 점이었다. 결국 이들은 체류 목적과 실제 활동이 달랐다는 이유로 구금되고 말았다.이로 인해 기업 입장에서는 핵심 인력이 갑작스럽게 이탈하면서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예정된 공장 건설이 지연되는 사태를 맞게 됐다. 비록 정부가 전세기를 동원해 귀국을 지원했으나 행정 절차 등으로 인한 혼란은 쉽게 정리되지 않았다.이번 사태의 본질은 제도의 불확실성에 있다. 미국 정부는 투자 확대와 인재 유치라는 명분을 내세우면서도 동시에 단속의 고삐를 죄고 있다.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비자는 L1·E2(주재원 비자)와 H-1B(전문직 취업비자)가 있는데, 모두 준비 작업이 복잡하고 승인이 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H1-B는 매년 쿼터가 한정돼 있어 요건을 충족해도 추첨에서 탈락하면 기회를 얻지 못한다.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될 경우 반도체·2차전지·조선업 등 미국 진출에서의 핵심 산업 프로젝트가 흔들릴 수 있다. 특히 현장 엔지니어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배터리 분야는 단속 리스크가 곧 생산 차질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미국 비자는 신청 과정에서의 작은 실수 하나가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비자 신청서(DS-160)의 오타, 인터뷰에서의 애매한 답변, 과거 SNS에 남긴 게시글 및 '좋아요'까지도 심사 대상이 된다. 가족 초청 비자 역시 재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즉시 거절된다. 결국 H-1B, L1·E2, O1(예술인 비자) 등 특성에 맞는 비자를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석 차이나 정치적 변수도 고려해야 한다.그렇기에 신청 이전부터 전략적인 방안을 모색해 빈틈없는 준비에 나서야 한다. 신청서와 고용 계약서, 재정 증빙, 학력·경력 자료 등 모든 서류에서 일관성을 확보해야 하며 인터뷰 질문·답변도 철저히 준비하는 것은 필수다. 불리한 요소는 사전에 보완하고 추가 서류 요청에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미국은 세계의 자본과 인재가 몰려드는 중심지다. 그러나 그 문턱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까다로운 규정과 강화된 단속, 예측 불가능한 정책들이 기업과 근로자를 더욱 불안정한 환경으로 몰아넣고 있다. 당분간 관련 규제 및 절차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금의 환경에서, 기업과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기본적인 행동은 비자 문제를 '리스크 관리'의 최우선 과제로 삼는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불확실성 커지는 美 비자 제도…'리스크 관리' 최우선 과제 삼아야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17
불확실성 커지는 美 비자 제도…'리스크 관리' 최우선 과제 삼아야
불확실성 커지는 美 비자 제도…'리스크 관리' 최우선 과제 삼아야
최근 미국의 비자·이민 정책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외국인 투자를 환영한다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불법 체류 등 체류 목적 위반에 대한 단속 조치를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흐름은 미국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불확실성을 키우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현지 시간으로 지난 4일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은 조지아주의 한 공장에서 대규모 단속을 벌여 약 450명을 체포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불법 입국자가 아닌 합법적으로 단기 상용비자(B1)나 전자여행허가제(ESTA)를 통해 입국한 한국 근로자였다. 문제는 출장 명목으로 입국했음에도 실제로는 현장 업무에 투입됐다는 점이었다. 결국 이들은 체류 목적과 실제 활동이 달랐다는 이유로 구금되고 말았다.이로 인해 기업 입장에서는 핵심 인력이 갑작스럽게 이탈하면서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예정된 공장 건설이 지연되는 사태를 맞게 됐다. 비록 정부가 전세기를 동원해 귀국을 지원했으나 행정 절차 등으로 인한 혼란은 쉽게 정리되지 않았다.이번 사태의 본질은 제도의 불확실성에 있다. 미국 정부는 투자 확대와 인재 유치라는 명분을 내세우면서도 동시에 단속의 고삐를 죄고 있다.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비자는 L1·E2(주재원 비자)와 H-1B(전문직 취업비자)가 있는데, 모두 준비 작업이 복잡하고 승인이 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H1-B는 매년 쿼터가 한정돼 있어 요건을 충족해도 추첨에서 탈락하면 기회를 얻지 못한다.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될 경우 반도체·2차전지·조선업 등 미국 진출에서의 핵심 산업 프로젝트가 흔들릴 수 있다. 특히 현장 엔지니어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배터리 분야는 단속 리스크가 곧 생산 차질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미국 비자는 신청 과정에서의 작은 실수 하나가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비자 신청서(DS-160)의 오타, 인터뷰에서의 애매한 답변, 과거 SNS에 남긴 게시글 및 '좋아요'까지도 심사 대상이 된다. 가족 초청 비자 역시 재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즉시 거절된다. 결국 H-1B, L1·E2, O1(예술인 비자) 등 특성에 맞는 비자를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석 차이나 정치적 변수도 고려해야 한다.그렇기에 신청 이전부터 전략적인 방안을 모색해 빈틈없는 준비에 나서야 한다. 신청서와 고용 계약서, 재정 증빙, 학력·경력 자료 등 모든 서류에서 일관성을 확보해야 하며 인터뷰 질문·답변도 철저히 준비하는 것은 필수다. 불리한 요소는 사전에 보완하고 추가 서류 요청에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미국은 세계의 자본과 인재가 몰려드는 중심지다. 그러나 그 문턱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까다로운 규정과 강화된 단속, 예측 불가능한 정책들이 기업과 근로자를 더욱 불안정한 환경으로 몰아넣고 있다. 당분간 관련 규제 및 절차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금의 환경에서, 기업과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기본적인 행동은 비자 문제를 '리스크 관리'의 최우선 과제로 삼는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불확실성 커지는 美 비자 제도…'리스크 관리' 최우선 과제 삼아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5-09-17
법무법인 대륜,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헬스 글로벌 시장 법률 지원’ MOU
법무법인 대륜,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헬스 글로벌 시장 법률 지원’ MOU
바이오 산업내 법률 안정성 및 글로벌 시장 진출 협력대륜 “글로벌 시장 서 법률 리스크 대응 핵심···전략적 동반자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바이오소재 개발사인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뷰티 산업내 법률적 안정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지난 11일 대륜 서울주사무소에서 진행된 체결식에 대륜은 김국일 경영대표, 손동후 변호사와 대륜 미국 현지 변호사인 Kyle Courtnall, Tal Hirshberg가 참석했고 메디코스바이오텍에서는 김순철 대표가 자리했다.㈜메디코스바이오텍은 기능성 바이오소재 개발과 줄기세포·면역세포 기반 원천기술을 보유한 전문기업으로, 항노화·면역증진·피부재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R&D 역량을 축적해 왔다. 특히 의료 미용,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의약바이오 융합 솔루션을 기반으로 아시아 및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한 수출 기반을 지속 확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밀의료 기술과 AI 분석 기반의 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테크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의사·약사 자격을 보유한 변호사가 다수 소속된 의료제약그룹을 중심으로 의료분쟁 조정 및 행정소송, 신의료기술평가, 비대면 진료 등 다양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특히, 바이오 스타트업은 법률·노무·세무·회계 등 사업 운영에 필요한 자문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하는데, 대륜은 토탈 프로그램을 통해 바이오 스타트업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이번 MOU를 통해 양 기관은 ▲기능성 바이오소재 및 의료 미용 기술 관련 법률 리스크 진단 및 자문, ▲바이오 데이터 및 개인정보 보호 체계 구축 및 국제 규제 대응 컨설팅, ▲FDA, EMA 등 해외 인허가 전략 자문 및 글로벌 파트너십 네트워크 연계, ▲공동 세미나·포럼 개최를 통한 바이오헬스 분야 글로벌 법률 인식 제고 및 정책 제안, ▲사업 운영에 필요한 노무·세무·회계 자문 등 국내외 통합 협력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김순철 메디코스바이오텍 대표는 “바이오 기술의 상용화는 과학적 근거뿐 아니라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법적 신뢰성 확보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면서,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는 물론 미국, 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상용화를 더욱 견고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바이오 산업은 국가 간 규제 차이와 복잡한 인허가 절차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법률 리스크 관리가 핵심”이라면서, “메디코스바이오텍의 혁신 역량이 국내외에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대륜이 법률적 파트너십을 넘어 전략적 동반자로서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헬스 글로벌 시장 법률 지원’ MOU (바로가기)
로리더
2025-09-17
법무법인 대륜,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헬스 글로벌 시장 법률 지원’ MOU
법무법인 대륜,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헬스 글로벌 시장 법률 지원’ MOU
바이오 산업내 법률 안정성 및 글로벌 시장 진출 협력대륜 “글로벌 시장 서 법률 리스크 대응 핵심···전략적 동반자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바이오소재 개발사인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뷰티 산업내 법률적 안정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지난 11일 대륜 서울주사무소에서 진행된 체결식에 대륜은 김국일 경영대표, 손동후 변호사와 대륜 미국 현지 변호사인 Kyle Courtnall, Tal Hirshberg가 참석했고 메디코스바이오텍에서는 김순철 대표가 자리했다.㈜메디코스바이오텍은 기능성 바이오소재 개발과 줄기세포·면역세포 기반 원천기술을 보유한 전문기업으로, 항노화·면역증진·피부재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R&D 역량을 축적해 왔다. 특히 의료 미용,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의약바이오 융합 솔루션을 기반으로 아시아 및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한 수출 기반을 지속 확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밀의료 기술과 AI 분석 기반의 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테크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의사·약사 자격을 보유한 변호사가 다수 소속된 의료제약그룹을 중심으로 의료분쟁 조정 및 행정소송, 신의료기술평가, 비대면 진료 등 다양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특히, 바이오 스타트업은 법률·노무·세무·회계 등 사업 운영에 필요한 자문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하는데, 대륜은 토탈 프로그램을 통해 바이오 스타트업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이번 MOU를 통해 양 기관은 ▲기능성 바이오소재 및 의료 미용 기술 관련 법률 리스크 진단 및 자문, ▲바이오 데이터 및 개인정보 보호 체계 구축 및 국제 규제 대응 컨설팅, ▲FDA, EMA 등 해외 인허가 전략 자문 및 글로벌 파트너십 네트워크 연계, ▲공동 세미나·포럼 개최를 통한 바이오헬스 분야 글로벌 법률 인식 제고 및 정책 제안, ▲사업 운영에 필요한 노무·세무·회계 자문 등 국내외 통합 협력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김순철 메디코스바이오텍 대표는 “바이오 기술의 상용화는 과학적 근거뿐 아니라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법적 신뢰성 확보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면서,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는 물론 미국, 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상용화를 더욱 견고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바이오 산업은 국가 간 규제 차이와 복잡한 인허가 절차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법률 리스크 관리가 핵심”이라면서, “메디코스바이오텍의 혁신 역량이 국내외에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대륜이 법률적 파트너십을 넘어 전략적 동반자로서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메디코스바이오텍과 ‘바이오헬스 글로벌 시장 법률 지원’ MOU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9-16
마약 사건, 법률 전문가 조력 여부 중요…변호사가 말하는 사건처벌 대응은?
마약 사건, 법률 전문가 조력 여부 중요…변호사가 말하는 사건처벌 대응은?
지난 4일 대구경찰청은 해외에서 밀수한 마약류를 텔레그램을 통해 전국 각지에 유통한 혐의로 판매 총책 및 운반책 등 17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부산 북부경찰서가 ‘던지기’ 수법으로 필리핀 세부에서 마약류를 운반한 5명을 구속 송치하기도 했다.위 사례에서 보듯이 국내 마약 사건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마약류 사범 적발 건수는 지난 2015년 약 1만 1000여 건에서 2023년 2만 7000여 건으로 10년 새 145% 가까이 늘어났다.마약 사건의 경우 단순 소지에도 무거운 처벌이 예상되는 만큼 관련 경험이 풍부한 법률 전문가 및 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하다.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이같은 사건 연루 피의자에게 “조직적 마약 유통 사건에서는 자신의 가담 정도와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여 방어하는 것이 핵심이므로, 법률 조력을 통해 억울하게 과도한 책임을 지지 않도록 사실관계를 철저히 소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박 변호사는 경찰대를 졸업하고 서울고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 아래는 박 변호사와의 질의응답.-마약 유통과 매매 범죄로 인한 처벌은.▲마약 매매 및 유통은 일반적인 소지나 투약보다 훨씬 엄중히 처벌된다. 대마 등 환각물질의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 필로폰이나 엑스터시, 케타민 등 향정신성의약품은 처벌이 더욱 무겁다.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 만약 매매 횟수가 많거나 범행 경위의 죄질이 무겁다면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도 가능하다.-마약 유통과 매매 범죄에 연루돼 처음 경찰 조사를 앞둔 피의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수사의 연쇄성을 이해해야 한다. 단순히 한 명을 검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판매책과 윗선을 일망타진하는 것이 수사기관의 궁극적 목표다. 그렇기에 마약 수사관의 회유에 섣불리 넘어가 자신에게 불리한 발언을 할 수 있으므로 법률 전문가와 상의 후 답변해야 한다. 만약 마약을 투약했다면 혐의를 무조건 부인하기보다는 ‘상습성’이 없음을 주장하는 전략으로 선회해야 한다.-재판에서 제출하면 유리한 증거 자료는 무엇이 있는지.▲반성문 및 탄원서, 치료 및 재활 의지를 보이는 자료, 재범방지 계획, 수사협조 자료 등이 있다. 특히 마약 관련 범죄는 사회 복귀의 가능성이 있음을 성실히 소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마약 범죄에 연루되기 전 이를 신고하면 보상금이 있다는데.▲마약류 범죄가 발각되기 전에 해당 범죄를 수사기관에 신고·고발하거나 범인을 검거한 사람에게는 보상금이 지급된다. 보상금을 받으려면, 보상금 지급신청서를 관할 지방검찰청 검사장을 거쳐 법무부장관에게 제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범인을 검거하지 못하고 마약류만 압수한 경우에도 보상금 상한액 범위 내에서 지급받을 수 있으며, 상한액은 최소 100만원부터 최대 3억원까지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마약 사건, 법률 전문가 조력 여부 중요…변호사가 말하는 사건처벌 대응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9-16
마약 사건, 법률 전문가 조력 여부 중요…변호사가 말하는 사건처벌 대응은?
마약 사건, 법률 전문가 조력 여부 중요…변호사가 말하는 사건처벌 대응은?
지난 4일 대구경찰청은 해외에서 밀수한 마약류를 텔레그램을 통해 전국 각지에 유통한 혐의로 판매 총책 및 운반책 등 17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부산 북부경찰서가 ‘던지기’ 수법으로 필리핀 세부에서 마약류를 운반한 5명을 구속 송치하기도 했다.위 사례에서 보듯이 국내 마약 사건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마약류 사범 적발 건수는 지난 2015년 약 1만 1000여 건에서 2023년 2만 7000여 건으로 10년 새 145% 가까이 늘어났다.마약 사건의 경우 단순 소지에도 무거운 처벌이 예상되는 만큼 관련 경험이 풍부한 법률 전문가 및 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하다.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이같은 사건 연루 피의자에게 “조직적 마약 유통 사건에서는 자신의 가담 정도와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여 방어하는 것이 핵심이므로, 법률 조력을 통해 억울하게 과도한 책임을 지지 않도록 사실관계를 철저히 소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박 변호사는 경찰대를 졸업하고 서울고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 아래는 박 변호사와의 질의응답.-마약 유통과 매매 범죄로 인한 처벌은.▲마약 매매 및 유통은 일반적인 소지나 투약보다 훨씬 엄중히 처벌된다. 대마 등 환각물질의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 필로폰이나 엑스터시, 케타민 등 향정신성의약품은 처벌이 더욱 무겁다.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 만약 매매 횟수가 많거나 범행 경위의 죄질이 무겁다면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도 가능하다.-마약 유통과 매매 범죄에 연루돼 처음 경찰 조사를 앞둔 피의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수사의 연쇄성을 이해해야 한다. 단순히 한 명을 검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판매책과 윗선을 일망타진하는 것이 수사기관의 궁극적 목표다. 그렇기에 마약 수사관의 회유에 섣불리 넘어가 자신에게 불리한 발언을 할 수 있으므로 법률 전문가와 상의 후 답변해야 한다. 만약 마약을 투약했다면 혐의를 무조건 부인하기보다는 ‘상습성’이 없음을 주장하는 전략으로 선회해야 한다.-재판에서 제출하면 유리한 증거 자료는 무엇이 있는지.▲반성문 및 탄원서, 치료 및 재활 의지를 보이는 자료, 재범방지 계획, 수사협조 자료 등이 있다. 특히 마약 관련 범죄는 사회 복귀의 가능성이 있음을 성실히 소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마약 범죄에 연루되기 전 이를 신고하면 보상금이 있다는데.▲마약류 범죄가 발각되기 전에 해당 범죄를 수사기관에 신고·고발하거나 범인을 검거한 사람에게는 보상금이 지급된다. 보상금을 받으려면, 보상금 지급신청서를 관할 지방검찰청 검사장을 거쳐 법무부장관에게 제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범인을 검거하지 못하고 마약류만 압수한 경우에도 보상금 상한액 범위 내에서 지급받을 수 있으며, 상한액은 최소 100만원부터 최대 3억원까지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마약 사건, 법률 전문가 조력 여부 중요…변호사가 말하는 사건처벌 대응은?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15
실 소유자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한 40대…法 “집값 10억원 배상”
실 소유자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한 40대…法 “집값 10억원 배상”
매매계약 후 아파트 판매하자…“실질적으로 신탁 계약,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했다”재판부 “원고, 대금 곧바로 피고측에 전달·보증금 직접 반환…명의신탁 약정 해당” 친척으로부터 명의신탁 받은 아파트를 임의로 처분한 40대가 10억원이 넘는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게 됐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은 지난달 12일 60대 남성 A씨가 40대 남성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6년 친척 관계인 B씨와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이 소유하던 아파트 명의를 넘겼다. 얼마 지나지 않아 B씨는 이곳에 살던 세입자와 협의 후 전세 계약을 해지하고 자신이 거주하기 시작했다.그런데 이후 2023년 B씨가 아파트를 처분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A씨 측은 해당 부동산 계약이 ‘명의신탁’ 형태로 체결됐고, 따라서 실질적 소유자는 본인임에도 A씨가 무단으로 아파트를 처분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매매 당시 아파트 시가에 해당하는 10억 여원을 돌려받아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B씨는 즉각 반박했다. A씨에게 정상적으로 매매 대금을 지급하고 부동산을 매수했다는 것이다. 기존 세입자와 계약을 해지했을 당시에도, 보증금을 자신이 직접 반환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계약 과정에서 받은 대금을 곧바로 피고 아버지 측에 보낸 사실이 확인되는데, 이는 매매 계약의 형태로 부동산 신탁계약을 했다는 원고 주장에 부합한다"면서 "세입자에게 반환했던 보증금 역시, 피고 아버지는 원고로부터 금원을 받아 피고에게 송금했다고 진술한 반면, 피고는 송금 받게된 경위를 명확히 해명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원고는 세입자가 퇴거할 당시 별도의 금원을 보내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계약 기간이 남아있던 세입자에게 이사비와 중개수수료를 지급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은 사정을 보면 두 사람은 부동산 명의신탁 약정을 체결한 것이고, 피고는 원고 허가 없이 부동산을 처분한 것이기에 이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강대희 변호사는 "명의신탁은 당사자 사이 합치에 의해 명시적으로는 물론 묵시적으로도 성립될 수 있으며, 그 여부는 등기가 마쳐진 경위나 부동산 관리 상태 등을 종합해 판단한다"며 "B씨가 부동산 소유권을 취득했음에도 A씨가 세입자에게 보증금, 퇴거비용 등을 지급했다는 점을 토대로 명의신탁 계약이 있었음을 입증해 승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실 소유자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한 40대…法 “집값 10억원 배상”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15
실 소유자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한 40대…法 “집값 10억원 배상”
실 소유자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한 40대…法 “집값 10억원 배상”
매매계약 후 아파트 판매하자…“실질적으로 신탁 계약,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했다”재판부 “원고, 대금 곧바로 피고측에 전달·보증금 직접 반환…명의신탁 약정 해당” 친척으로부터 명의신탁 받은 아파트를 임의로 처분한 40대가 10억원이 넘는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게 됐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은 지난달 12일 60대 남성 A씨가 40대 남성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6년 친척 관계인 B씨와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이 소유하던 아파트 명의를 넘겼다. 얼마 지나지 않아 B씨는 이곳에 살던 세입자와 협의 후 전세 계약을 해지하고 자신이 거주하기 시작했다.그런데 이후 2023년 B씨가 아파트를 처분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A씨 측은 해당 부동산 계약이 ‘명의신탁’ 형태로 체결됐고, 따라서 실질적 소유자는 본인임에도 A씨가 무단으로 아파트를 처분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매매 당시 아파트 시가에 해당하는 10억 여원을 돌려받아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B씨는 즉각 반박했다. A씨에게 정상적으로 매매 대금을 지급하고 부동산을 매수했다는 것이다. 기존 세입자와 계약을 해지했을 당시에도, 보증금을 자신이 직접 반환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계약 과정에서 받은 대금을 곧바로 피고 아버지 측에 보낸 사실이 확인되는데, 이는 매매 계약의 형태로 부동산 신탁계약을 했다는 원고 주장에 부합한다"면서 "세입자에게 반환했던 보증금 역시, 피고 아버지는 원고로부터 금원을 받아 피고에게 송금했다고 진술한 반면, 피고는 송금 받게된 경위를 명확히 해명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원고는 세입자가 퇴거할 당시 별도의 금원을 보내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계약 기간이 남아있던 세입자에게 이사비와 중개수수료를 지급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은 사정을 보면 두 사람은 부동산 명의신탁 약정을 체결한 것이고, 피고는 원고 허가 없이 부동산을 처분한 것이기에 이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강대희 변호사는 "명의신탁은 당사자 사이 합치에 의해 명시적으로는 물론 묵시적으로도 성립될 수 있으며, 그 여부는 등기가 마쳐진 경위나 부동산 관리 상태 등을 종합해 판단한다"며 "B씨가 부동산 소유권을 취득했음에도 A씨가 세입자에게 보증금, 퇴거비용 등을 지급했다는 점을 토대로 명의신탁 계약이 있었음을 입증해 승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실 소유자 허가 없이 아파트 처분한 40대…法 “집값 10억원 배상”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15
'기저 질환' 이유 유족연금 거부에 법원 "위법"
'기저 질환' 이유 유족연금 거부에 법원 "위법"
광산서 일하다 진폐증으로 요양 중 사망재판부 “폐질환 악화를 사인으로 봐야” 광산에서 일하다 진폐증에 걸려 숨진 노동자에게 기저 질환을 이유로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은 위법하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습니다.서울행정법원 제13부는 지난달 21일 80대 여성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의 남편 B씨는 1982년부터 약 7년간 석탄을 채굴하는 탄광에서 선산부로 근무했습니다.이후 B씨는 2002년 진폐증으로 인한 장해 판정을 받아 요양하던 중 상태가 악화되며 2021년 사망했습니다.시체검안서에 기재된 직접사인은 진폐증이었습니다.이에 A씨는 B씨가 탄광 근무로 진폐증을 앓게 됐고, 이로 인해 사망했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를 청구했습니다.그러나 공단 측은 이를 거부했습니다.B씨가 자택에서 사망한 채 발견돼 정확한 사망 원인을 알 수 없고, 평소 고혈압 등의 지병을 앓았던 만큼 진폐증을 주된 사망 원인으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처분에 불복한 A씨는 심사청구를 했으나 기각됐고, 이어진 재심사청구 역시 같은 이유에서 기각 판정을 받았습니다.이에 A씨는 공단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공단 측이 B씨가 오랜 기간 폐질환을 앓던 사실을 간과한 채 기저질환만을 사망원인으로 내세웠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망인은 사망 전까지 기저질환에 대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며 별다른 후유증 없이 생활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반면 진폐증 및 심폐기능은 점차 악화되고 있었고, 최초로 진폐증을 진단받은 이후 사망 직전까지 입·통원 치료를 반복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이어 "망인의 기저질환 또한 사망에 복합적인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이나, 이로 인해 건강 상태가 악화됐다고 볼만한 정황이 없다"며 "비록 망인의 사망원인을 분명하게 알기 어렵더라도 진폐증 등 폐질환 악화를 사망 원인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단지 사망 장소가 자택이라는 이유만으로 정확한 사인을 특정할 수 없다는 주장은 B씨의 의료 기록, 시체검안서에 객관적으로 기재된 내용 등을 모두 외면한 것"이라며 "의무기록 등을 바탕으로 진폐증의 진행성 악화와 호흡 기능 저하가 사망에 기여했다는 의학적 인과관계를 입증해 법원의 취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법원 #판결 #유족연금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기저 질환' 이유 유족연금 거부에 법원 "위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15
'기저 질환' 이유 유족연금 거부에 법원 "위법"
'기저 질환' 이유 유족연금 거부에 법원 "위법"
광산서 일하다 진폐증으로 요양 중 사망재판부 “폐질환 악화를 사인으로 봐야” 광산에서 일하다 진폐증에 걸려 숨진 노동자에게 기저 질환을 이유로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은 위법하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습니다.서울행정법원 제13부는 지난달 21일 80대 여성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의 남편 B씨는 1982년부터 약 7년간 석탄을 채굴하는 탄광에서 선산부로 근무했습니다.이후 B씨는 2002년 진폐증으로 인한 장해 판정을 받아 요양하던 중 상태가 악화되며 2021년 사망했습니다.시체검안서에 기재된 직접사인은 진폐증이었습니다.이에 A씨는 B씨가 탄광 근무로 진폐증을 앓게 됐고, 이로 인해 사망했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를 청구했습니다.그러나 공단 측은 이를 거부했습니다.B씨가 자택에서 사망한 채 발견돼 정확한 사망 원인을 알 수 없고, 평소 고혈압 등의 지병을 앓았던 만큼 진폐증을 주된 사망 원인으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처분에 불복한 A씨는 심사청구를 했으나 기각됐고, 이어진 재심사청구 역시 같은 이유에서 기각 판정을 받았습니다.이에 A씨는 공단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공단 측이 B씨가 오랜 기간 폐질환을 앓던 사실을 간과한 채 기저질환만을 사망원인으로 내세웠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망인은 사망 전까지 기저질환에 대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며 별다른 후유증 없이 생활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반면 진폐증 및 심폐기능은 점차 악화되고 있었고, 최초로 진폐증을 진단받은 이후 사망 직전까지 입·통원 치료를 반복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이어 "망인의 기저질환 또한 사망에 복합적인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이나, 이로 인해 건강 상태가 악화됐다고 볼만한 정황이 없다"며 "비록 망인의 사망원인을 분명하게 알기 어렵더라도 진폐증 등 폐질환 악화를 사망 원인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단지 사망 장소가 자택이라는 이유만으로 정확한 사인을 특정할 수 없다는 주장은 B씨의 의료 기록, 시체검안서에 객관적으로 기재된 내용 등을 모두 외면한 것"이라며 "의무기록 등을 바탕으로 진폐증의 진행성 악화와 호흡 기능 저하가 사망에 기여했다는 의학적 인과관계를 입증해 법원의 취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법원 #판결 #유족연금 박석호(haitai2000@ikbc.co.kr) [기사전문보기] '기저 질환' 이유 유족연금 거부에 법원 "위법"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9-15
SKT, 해킹 손배 소송에 “기각해야” 답변서…“피해 구제 외면하나”
SKT, 해킹 손배 소송에 “기각해야” 답변서…“피해 구제 외면하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로 피해를 본 가입자들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집단소송에서 SKT 측이 “원고의 청구를 기각해달라”는 답변서를 법원에 제출했다.15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SKT는 지난 3일 서울중앙지법에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소송비용을 원고가 부담한다’는 내용으로 손해배상 청구에 관한 답변서를 제출했다. 대륜은 SKT 유심 해킹 사고로 피해를 본 용자 250여명을 대리해 SKT에 1인당 위자료 100만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답변서에서 SKT는 구체적 반박을 유보했다.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여부와 관련해 개인정보위원회의 의결이 있었지만, 의결서가 송달되지 않아 구체적 이유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이유다. SKT 측은 ‘이 사건에서 다투는 사실관계와 쟁점이 확인되는 대로 준비서면을 통해 상세하게 의견을 개진하겠다’라고 밝혔다.SKT가 방송통신위원회의 가입자 해지 위약금 면제 기간 연장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은 데 이어 손해배상 청구도 거부하면서 해킹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에 대한 보상을 외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앞서 방송통신위원회 분쟁조정위원회는 SKT에 약정 해지 위약금 면제 기간을 올해 말까지 연장하라고 권고했다. SKT는 지난 7월 4일 열흘 뒤까지 약정을 해지한 고객은 위약금을 면제하겠다고 발표했는데, 마감 시한이 너무 짧아 소비자가 충분히 인지하기 어려웠다는 이유다. 그러나 SKT가 회신 기한 내에 의견서를 내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게 됐다.손해배상 집단소송을 이끄는 대륜 특별수행본부(조영곤·여상원·김명철 변호사)는 “SKT가 과징금 1348억 원을 부과받고도 고객 피해에는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 것”이라며 “이번 소송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를 기업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삼는 계기를 마련하고, 기업의 무책임에 경종을 울리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SKT, 해킹 손배 소송에 “기각해야” 답변서…“피해 구제 외면하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9-15
SKT, 해킹 손배 소송에 “기각해야” 답변서…“피해 구제 외면하나”
SKT, 해킹 손배 소송에 “기각해야” 답변서…“피해 구제 외면하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로 피해를 본 가입자들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집단소송에서 SKT 측이 “원고의 청구를 기각해달라”는 답변서를 법원에 제출했다.15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SKT는 지난 3일 서울중앙지법에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소송비용을 원고가 부담한다’는 내용으로 손해배상 청구에 관한 답변서를 제출했다. 대륜은 SKT 유심 해킹 사고로 피해를 본 용자 250여명을 대리해 SKT에 1인당 위자료 100만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답변서에서 SKT는 구체적 반박을 유보했다.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여부와 관련해 개인정보위원회의 의결이 있었지만, 의결서가 송달되지 않아 구체적 이유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이유다. SKT 측은 ‘이 사건에서 다투는 사실관계와 쟁점이 확인되는 대로 준비서면을 통해 상세하게 의견을 개진하겠다’라고 밝혔다.SKT가 방송통신위원회의 가입자 해지 위약금 면제 기간 연장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은 데 이어 손해배상 청구도 거부하면서 해킹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에 대한 보상을 외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앞서 방송통신위원회 분쟁조정위원회는 SKT에 약정 해지 위약금 면제 기간을 올해 말까지 연장하라고 권고했다. SKT는 지난 7월 4일 열흘 뒤까지 약정을 해지한 고객은 위약금을 면제하겠다고 발표했는데, 마감 시한이 너무 짧아 소비자가 충분히 인지하기 어려웠다는 이유다. 그러나 SKT가 회신 기한 내에 의견서를 내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게 됐다.손해배상 집단소송을 이끄는 대륜 특별수행본부(조영곤·여상원·김명철 변호사)는 “SKT가 과징금 1348억 원을 부과받고도 고객 피해에는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 것”이라며 “이번 소송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를 기업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삼는 계기를 마련하고, 기업의 무책임에 경종을 울리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SKT, 해킹 손배 소송에 “기각해야” 답변서…“피해 구제 외면하나” (바로가기)
머니S
2025-09-15
'조지아'발 비자 대란에… 해외 자문 강화 나선 대형 로펌들
'조지아'발 비자 대란에… 해외 자문 강화 나선 대형 로펌들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한국인 노동자 구금사태의 여파가 이어지면서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도 비상이 걸렸다. 미국의 비자 심사 요건 및 불법체류 단속 강화 기조 등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경영 리스크가 현실화 된 것이다. 실제로 이민·비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로펌에 관련 문의가 빗발치는 등 업계에서는 안정적인 인력 운용과 합법적 체류 보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국 기업들이 보다 체계적인 법률 대응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민법 전문 변호사는 "미국의 비자 제도는 복잡할 뿐 아니라 발급 과정도 까다로워 기업들이 그동안 단기 상용 비자(B1)이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체류 자격 문제로 이어져 향후 강제추방이나 처벌의 위험을 떠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같은 상황 속에서 국내 대형 로펌들도 이민 등 국제업무를 주관하는 그룹을 중심으로 관련 역량을 강화하는 흐름이다. 법무법인 지평은 최근 '글로벌 리스크 대응 센터'를 출범하고 국제통상·관세, 해외규제 등 리스크 관리 및 컨설팅에 대한 사전 예방과 자문에 힘쓰고 있다.법무법인 대륜 역시 이민·해외투자그룹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 자문 강화 나섰다. 뉴욕과 워싱턴 D.C.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대륜은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기업의 미국 법인 설립 및 투자 ▲주재원 비자 신청 점검 ▲이민법 및 영주권 취득 자문 등을 지원한다. 특히 국내외 인력 파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법 리스크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한 현지 업체 관계자는 "기업들이 적절한 비자를 발급받지 못해 실제 현장에서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계약이 무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며 "기업 규모와 산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비자를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로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조지아'발 비자 대란에… 해외 자문 강화 나선 대형 로펌들 (바로가기)
머니S
2025-09-15
'조지아'발 비자 대란에… 해외 자문 강화 나선 대형 로펌들
'조지아'발 비자 대란에… 해외 자문 강화 나선 대형 로펌들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한국인 노동자 구금사태의 여파가 이어지면서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도 비상이 걸렸다. 미국의 비자 심사 요건 및 불법체류 단속 강화 기조 등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경영 리스크가 현실화 된 것이다. 실제로 이민·비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로펌에 관련 문의가 빗발치는 등 업계에서는 안정적인 인력 운용과 합법적 체류 보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국 기업들이 보다 체계적인 법률 대응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민법 전문 변호사는 "미국의 비자 제도는 복잡할 뿐 아니라 발급 과정도 까다로워 기업들이 그동안 단기 상용 비자(B1)이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체류 자격 문제로 이어져 향후 강제추방이나 처벌의 위험을 떠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같은 상황 속에서 국내 대형 로펌들도 이민 등 국제업무를 주관하는 그룹을 중심으로 관련 역량을 강화하는 흐름이다. 법무법인 지평은 최근 '글로벌 리스크 대응 센터'를 출범하고 국제통상·관세, 해외규제 등 리스크 관리 및 컨설팅에 대한 사전 예방과 자문에 힘쓰고 있다.법무법인 대륜 역시 이민·해외투자그룹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 자문 강화 나섰다. 뉴욕과 워싱턴 D.C.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대륜은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기업의 미국 법인 설립 및 투자 ▲주재원 비자 신청 점검 ▲이민법 및 영주권 취득 자문 등을 지원한다. 특히 국내외 인력 파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법 리스크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한 현지 업체 관계자는 "기업들이 적절한 비자를 발급받지 못해 실제 현장에서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계약이 무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며 "기업 규모와 산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비자를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로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조지아'발 비자 대란에… 해외 자문 강화 나선 대형 로펌들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5-09-15
[IB토마토](IB&피플)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IB토마토](IB&피플)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파산은 형사 리스크, 회생은 매출 확보가 관건'종합적고려법'·'Pre-ARS'로 회생 활용성 확대 법인의 파산과 회생을 다루는 도산절차는 생소하고 접근하기 쉽지 않은 영역이다. 기업의 존속이 달린 문제인 만큼 채무자의 빚 정리부터 채권자의 손실까지 실익을 종합적으로 따져야 한다. 실무 전문가들은 회사가 도산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되면 빠른 결단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상황을 오래 끌수록 현실적으로 회생 가능성이 낮아지고, 대표자 개인 역시 법적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어서다. 회사가 어느 정도 현금이 있을 때 세금 문제나 근로자 임금, 퇴직금 등의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올해는 도산절차와 관련한 제도 변화가 이어지면서 회생 제도의 활용 폭도 넓어졌다. 는 법무법인 대륜의 김원상 회생파산센터장과 회생·파산 분야의 자문, 절차, 제도 등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은 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이다. -현재 대륜에서 맡고 있는 업무와 분야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법인 회생과 파산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분야가 생소할 수 있는데 넓게는 구조조정을 의미하고, 좁게는 채무자회생법에 규정된 법인 회생·파산을 뜻한다. -해당 분야 자문의 특징이 궁금하다. 특별히 유의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도산절차는 채무자의 빚을 어떻게 청산하느냐에 대한 문제다. 파산과 회생은 비슷하지만 다른 길인데, 파산은 법인을 소멸하는 과정이고 회생은 살리는 과정이다. 법인을 소멸하는 것은 해산 및 청산 절차와 파산 절차 두 가지가 있다. 법인의 자산이 부채보다 클 때는 해산 및 청산 절차를 통해 주주까지 이익을 받아간다. 반대로 부채가 자산보다 클 때는 모든 채권자들에게 변제를 하고 법인을 소멸시킨다. 법인 회생은 빚을 일부 탕감해주고 잔존 채무를 10년간 갚도록 하면서 법인을 살리는 것이다. 채권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채권이 소멸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회생과 파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사기죄나 형사 범죄 등에 대한 성립 가능성도 있어서 채권자와의 관계를 잘 설정해 나가면서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 파산 부문에서 법무법인 역할은 무엇인가. 올바른 파산 절차가 따로 있는지. △채무자를 대리하는 역할이다. 법원에 신청서를 접수하고 그 절차에 따라 송무 과정을 진행한다.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회사는 언제든지 파산을 할 수 있다. 파산을 신청하고자 하는 회사가 매입을 했던 거래처에 대한 빚을 탕감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보니 채무자는 유리한데 채권자는 불리하다. 이 과정에서 형사상 사기 등으로 고소 당할 위험이 있어서 사전에 잘 해결하고 관계를 잘 맺고 절차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파산 절차에 들어갈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대표자가 회사에서 빼간 돈이다. 국내는 1인주주가 많아 회사가 주주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고 회삿돈을 마음대로 쓰는 일도 많다. 도산절차에 들어온 회사는 당연히 힘든 곳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이 문제가 된다. 또한 모든 채권자들에게 평등하게 변제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편파적인 변제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 -회생 자문은 어떤 성격인가.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핵심적인 요인이 있다면. △회생은 회계적인 부분이 크게 작용한다. 매출이 잘 나와야 하는데 그래야 비용을 빼고도 남는 잉여 이익이 생기고 이로써 채무의 일부를 갚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채가 100억원이면 30%만 갚고 70%는 출자전환하게 된다. 30억원을 10년간 갚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평균 1년에 3억원씩이다. 여러 가지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이 그 이상 나와야 하기 때문에 매출이 중요하다. 다만 회생 절차에 들어온 회사들은 매출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오기 때문에 향후 매출처를 어떻게 늘려서 회사를 꾸려나갈 것인지가 중요하다. 매출이 업다면 지적재산권이나 특허 이런 부분에서의 강점으로 인수 대상 회사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회생절차 안에서도 M&A가 가능하다. -기업 회생과 파산 최근 흐름을 살펴보자면 어떠한가. △지난 2023년부터 2024년 하반기까지 기업 회생과 파산 사건 숫자가 상당히 늘었다. 대부분이 향후 경기가 안 좋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선제적으로 준비한 것이다. 가장 최근인 올 상반기부터는 지난해 말보다 조금 줄었다. 그전에는 대출 연장이 어려웠던 부분이 있고 조건도 까다로웠는데, 이러한 부분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깔려있는 것 같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말 ‘종합적고려법’이 도입됐다. 업계에 미친 영향이나 향후 변화 전망은. △회생에 들어가면 담보권과 회생채권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담보권은 100% 갚아야 한다. 반면 채권은 약 30% 정도를 갚고 나머지 70%는 출자전환이다. 기존에는 상대적지분법으로서 이를 기계적으로 계산했다. 그런데 국내는 1인회사나 가족회사가 많기 때문에 대표자가 보유주식 지분이 줄어 과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론적으로 채권자들이 해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경영권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종합적고려법은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과반의 지분을 확보하게 해주는 것이다. 회생 절차에 들어온 대표자들도 경영권 박탈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으니 회생 절차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회생법원을 중심으로 이에 기초한 회생 계획안을 수립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다른 회생법원, 지방법원 파산부에 퍼져나가서 확립되면 많은 회사들이 회생 절차를 더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 특별히 살펴보고 있는 제도적 이슈가 있다면. 쟁점이나 관전 포인트는 무엇인가. △서울회생법원에서는 Pre-ARS(Autonomous Restructuring Support) 제도를 최근에 도입했다. ARS는 조정절차인데, 회생으로 들어간 회사가 절차를 마지막까지 수행하면서 계획을 인가받는 것보다는 채권자들과 원활히 합의해서 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다. 모든 채권자들의 동의를 받고, 그 계획안을 미리 제출하는 것이다.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 통상 7개월8개월 기간이 소요되는데, 이 경우는 2개월3개월 안에 끝낼 수 있다. Pre-ARS는 회생 절차에 들어가지 않아도 회생법원의 조정절차를 통해 채권자들의 동의를 받는 방식으로 계획안을 만들어 빠르게 회생 인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회생 절차를 전제로 하지 않고도 조정절차를 활용해서 채무자를 보호해주는 것이다.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 모든 채권자들이 그 사실을 알게 되고 일종의 낙인 효과가 생길 수 있다. 조정이 유명무실해질 수 있는 셈이다. Pre-ARS는 낙인 효과를 줄여준다. 부채관리도 쉽지 않으니까 채권자들과 미리 감축할 것은 하고 정리한다면, 회생 절차 들어가서 이뤄지는 조정절차보다는 훨씬 유리할 수 있다. 이는 획기적인 제도지만 실무에서 어떻게 구현할지는 별도의 문제로 보인다. 갑작스런 재정 위험 때문에 회생을 고려한다면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앞으로 대륜에서의 계획은. △단순히 회생·파산이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보다는 구조조정이라는 넓은 의미에서 파트를 운영해보고자 한다. 어려운 회사라고 해서 M&A가 안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잘 되는 곳도 있다. 채무자가 빚을 탕감하는 정도가 아니라 M&A 수단까지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5-09-15
[IB토마토](IB&피플)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IB토마토](IB&피플)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파산은 형사 리스크, 회생은 매출 확보가 관건'종합적고려법'·'Pre-ARS'로 회생 활용성 확대 법인의 파산과 회생을 다루는 도산절차는 생소하고 접근하기 쉽지 않은 영역이다. 기업의 존속이 달린 문제인 만큼 채무자의 빚 정리부터 채권자의 손실까지 실익을 종합적으로 따져야 한다. 실무 전문가들은 회사가 도산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되면 빠른 결단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상황을 오래 끌수록 현실적으로 회생 가능성이 낮아지고, 대표자 개인 역시 법적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어서다. 회사가 어느 정도 현금이 있을 때 세금 문제나 근로자 임금, 퇴직금 등의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올해는 도산절차와 관련한 제도 변화가 이어지면서 회생 제도의 활용 폭도 넓어졌다. 는 법무법인 대륜의 김원상 회생파산센터장과 회생·파산 분야의 자문, 절차, 제도 등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은 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이다. -현재 대륜에서 맡고 있는 업무와 분야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법인 회생과 파산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분야가 생소할 수 있는데 넓게는 구조조정을 의미하고, 좁게는 채무자회생법에 규정된 법인 회생·파산을 뜻한다. -해당 분야 자문의 특징이 궁금하다. 특별히 유의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도산절차는 채무자의 빚을 어떻게 청산하느냐에 대한 문제다. 파산과 회생은 비슷하지만 다른 길인데, 파산은 법인을 소멸하는 과정이고 회생은 살리는 과정이다. 법인을 소멸하는 것은 해산 및 청산 절차와 파산 절차 두 가지가 있다. 법인의 자산이 부채보다 클 때는 해산 및 청산 절차를 통해 주주까지 이익을 받아간다. 반대로 부채가 자산보다 클 때는 모든 채권자들에게 변제를 하고 법인을 소멸시킨다. 법인 회생은 빚을 일부 탕감해주고 잔존 채무를 10년간 갚도록 하면서 법인을 살리는 것이다. 채권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채권이 소멸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회생과 파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사기죄나 형사 범죄 등에 대한 성립 가능성도 있어서 채권자와의 관계를 잘 설정해 나가면서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 파산 부문에서 법무법인 역할은 무엇인가. 올바른 파산 절차가 따로 있는지. △채무자를 대리하는 역할이다. 법원에 신청서를 접수하고 그 절차에 따라 송무 과정을 진행한다.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회사는 언제든지 파산을 할 수 있다. 파산을 신청하고자 하는 회사가 매입을 했던 거래처에 대한 빚을 탕감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보니 채무자는 유리한데 채권자는 불리하다. 이 과정에서 형사상 사기 등으로 고소 당할 위험이 있어서 사전에 잘 해결하고 관계를 잘 맺고 절차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파산 절차에 들어갈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대표자가 회사에서 빼간 돈이다. 국내는 1인주주가 많아 회사가 주주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고 회삿돈을 마음대로 쓰는 일도 많다. 도산절차에 들어온 회사는 당연히 힘든 곳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이 문제가 된다. 또한 모든 채권자들에게 평등하게 변제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편파적인 변제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 -회생 자문은 어떤 성격인가.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핵심적인 요인이 있다면. △회생은 회계적인 부분이 크게 작용한다. 매출이 잘 나와야 하는데 그래야 비용을 빼고도 남는 잉여 이익이 생기고 이로써 채무의 일부를 갚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채가 100억원이면 30%만 갚고 70%는 출자전환하게 된다. 30억원을 10년간 갚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평균 1년에 3억원씩이다. 여러 가지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이 그 이상 나와야 하기 때문에 매출이 중요하다. 다만 회생 절차에 들어온 회사들은 매출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오기 때문에 향후 매출처를 어떻게 늘려서 회사를 꾸려나갈 것인지가 중요하다. 매출이 업다면 지적재산권이나 특허 이런 부분에서의 강점으로 인수 대상 회사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회생절차 안에서도 M&A가 가능하다. -기업 회생과 파산 최근 흐름을 살펴보자면 어떠한가. △지난 2023년부터 2024년 하반기까지 기업 회생과 파산 사건 숫자가 상당히 늘었다. 대부분이 향후 경기가 안 좋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선제적으로 준비한 것이다. 가장 최근인 올 상반기부터는 지난해 말보다 조금 줄었다. 그전에는 대출 연장이 어려웠던 부분이 있고 조건도 까다로웠는데, 이러한 부분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깔려있는 것 같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말 ‘종합적고려법’이 도입됐다. 업계에 미친 영향이나 향후 변화 전망은. △회생에 들어가면 담보권과 회생채권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담보권은 100% 갚아야 한다. 반면 채권은 약 30% 정도를 갚고 나머지 70%는 출자전환이다. 기존에는 상대적지분법으로서 이를 기계적으로 계산했다. 그런데 국내는 1인회사나 가족회사가 많기 때문에 대표자가 보유주식 지분이 줄어 과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론적으로 채권자들이 해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경영권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종합적고려법은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과반의 지분을 확보하게 해주는 것이다. 회생 절차에 들어온 대표자들도 경영권 박탈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으니 회생 절차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회생법원을 중심으로 이에 기초한 회생 계획안을 수립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다른 회생법원, 지방법원 파산부에 퍼져나가서 확립되면 많은 회사들이 회생 절차를 더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 특별히 살펴보고 있는 제도적 이슈가 있다면. 쟁점이나 관전 포인트는 무엇인가. △서울회생법원에서는 Pre-ARS(Autonomous Restructuring Support) 제도를 최근에 도입했다. ARS는 조정절차인데, 회생으로 들어간 회사가 절차를 마지막까지 수행하면서 계획을 인가받는 것보다는 채권자들과 원활히 합의해서 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다. 모든 채권자들의 동의를 받고, 그 계획안을 미리 제출하는 것이다.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 통상 7개월8개월 기간이 소요되는데, 이 경우는 2개월3개월 안에 끝낼 수 있다. Pre-ARS는 회생 절차에 들어가지 않아도 회생법원의 조정절차를 통해 채권자들의 동의를 받는 방식으로 계획안을 만들어 빠르게 회생 인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회생 절차를 전제로 하지 않고도 조정절차를 활용해서 채무자를 보호해주는 것이다.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 모든 채권자들이 그 사실을 알게 되고 일종의 낙인 효과가 생길 수 있다. 조정이 유명무실해질 수 있는 셈이다. Pre-ARS는 낙인 효과를 줄여준다. 부채관리도 쉽지 않으니까 채권자들과 미리 감축할 것은 하고 정리한다면, 회생 절차 들어가서 이뤄지는 조정절차보다는 훨씬 유리할 수 있다. 이는 획기적인 제도지만 실무에서 어떻게 구현할지는 별도의 문제로 보인다. 갑작스런 재정 위험 때문에 회생을 고려한다면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앞으로 대륜에서의 계획은. △단순히 회생·파산이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보다는 구조조정이라는 넓은 의미에서 파트를 운영해보고자 한다. 어려운 회사라고 해서 M&A가 안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잘 되는 곳도 있다. 채무자가 빚을 탕감하는 정도가 아니라 M&A 수단까지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9-15
현실이 된 노란봉투법…되려 성장 기회로 삼으려면 [대륜의 Biz law forum]
현실이 된 노란봉투법…되려 성장 기회로 삼으려면 [대륜의 Biz law forum]
내년 상반기 시행…파업 손배 요구 제한당장은 단체교섭 요구 증가 등 리스크↑오히려 노사 협력·신뢰 구축 계기 될수도 지난달 24일 국회를 통과한 후 이달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 이른바 '노란봉투법'이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개정안은 우리나라 노사 관계의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고 있어 향후 법원의 해석과 판례에 따라 그 파급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조 조정·M&A까지 노사 교섭 대상으로 노란봉투법은 2009년 쌍용자동차 파업 사태 이후 사측의 대규모 손해배상 청구에 맞서 시민들이 '노란 봉투'에 성금을 보낸 데서 비롯된 명칭이다. 당초 논의는 노동자를 상대로 한 기업의 과도한 손해배상을 제한하는 데 국한됐으나 국회 논의 과정에서 외연이 크게 확장됐다.핵심을 정리하면 세 가지다.▷사용자 범위의 확대: 근로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근로조건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자는 사용자로 본다. 이에 따라 원청·모기업이 하청·자회사 노조와 교섭해야 할 의무를 질 가능성이 생겼다.▷단체 교섭 및 노동쟁의 대상의 확대: 임금 수준이나 근로 시간뿐 아니라 구조 조정, 인수·합병(M&A) 등 경영상 결정까지 교섭·쟁의 대상이 된다.▷손해배상 책임의 제한: 정당한 쟁의 행위뿐 아니라 기타 노조 활동, 심지어 사용자의 불법 행위에 대한 방어까지 면책 범위가 넓어졌다. '실질적 지배력' 개념의 진화' 실질적 지배력'은 원청의 교섭 의무 인정 여부를 가르는 기준이다. 2010년 현대중공업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청이 하청업체 노조의 노동 조건을 지배·결정할 수 있다면 사용자로 봐야 한다고 최초로 판시했다.이 판결 이후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현대제철, 대우조선해양 등의 사건에서 노동위원회와 법원은 원청의 하청 노조에 대한 교섭 의무를 줄줄이 인정했다. 해당 사건들에서 공통되는 점은 '원청 사업에 하청 근로자의 업무가 필수적이어서 하청 근로자의 근무 조건이나 성과 측정에 원청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경우'라는 점이다. 하청 업체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을 원청이 결정한다고 볼 여지가 클수록 사용자성이 인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십 개 하청 노조 개별 교섭 요구 빗발칠 듯 노란봉투법 시행 후 기업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를 마주할 수 있다.▷단체교섭 요구 증가: 원청은 수십 개에 달하는 하청 노조의 개별적 교섭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교섭 창구 단일화 제도와 충돌해 분쟁이 장기화할 수 있는 요인이다.▷경영 판단 사항의 노사 협의화: 정리 해고, 공장 이전, M&A 등 경영상 결정이 노조 교섭 의제로 오를 수 있다.▷노조와 근로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의 어려움 : 쟁의 과정에서 발생한 손해에 대해 기업이 책임을 묻기는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청과 관계 사전 정비 필요…시나리오별 대응도 기업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하청·자회사와의 관계 정비가 우선이다. 계약서나 작업 지시 체계, 현장 관리 방식에서 원청이 직접 개입하는 요소를 최소화하고 불법 파견 리스크가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노사가 협력하는 경영상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사전에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구조 조정이나 사업장 이전과 같은 중대한 의사 결정 과정에 노조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내재화하는 매뉴얼을 준비하면 좋다.내부 교육과 시뮬레이션도 요구된다. 경영진과 현장 관리자 모두 개정된 법 내용을 숙지해야 하며, 노조의 요구에 시나리오별로 대응하는 훈련이 필수적이다.노란봉투법은 기업과 노조 간 힘의 균형을 재조정하는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기존의 노사 관행을 흔든다는 점에서 기업엔 법적 리스크를 높이는 요인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시에 투명한 경영과 예측 가능한 협력 구조를 정착시킬 기회기도 하다.법이 요구하는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면서 노사 간 자율적 협의와 신뢰 구축을 병행한다면 오히려 기업 입장에선 분쟁 비용을 줄이고 사회적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이 있다. 노란봉투법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새로운 노사 모델 모색의 계기로 활용해보면 어떨까. [기사전문보기] 현실이 된 노란봉투법…되려 성장 기회로 삼으려면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9-15
현실이 된 노란봉투법…되려 성장 기회로 삼으려면 [대륜의 Biz law forum]
현실이 된 노란봉투법…되려 성장 기회로 삼으려면 [대륜의 Biz law forum]
내년 상반기 시행…파업 손배 요구 제한당장은 단체교섭 요구 증가 등 리스크↑오히려 노사 협력·신뢰 구축 계기 될수도 지난달 24일 국회를 통과한 후 이달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 이른바 '노란봉투법'이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개정안은 우리나라 노사 관계의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고 있어 향후 법원의 해석과 판례에 따라 그 파급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조 조정·M&A까지 노사 교섭 대상으로 노란봉투법은 2009년 쌍용자동차 파업 사태 이후 사측의 대규모 손해배상 청구에 맞서 시민들이 '노란 봉투'에 성금을 보낸 데서 비롯된 명칭이다. 당초 논의는 노동자를 상대로 한 기업의 과도한 손해배상을 제한하는 데 국한됐으나 국회 논의 과정에서 외연이 크게 확장됐다.핵심을 정리하면 세 가지다.▷사용자 범위의 확대: 근로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근로조건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자는 사용자로 본다. 이에 따라 원청·모기업이 하청·자회사 노조와 교섭해야 할 의무를 질 가능성이 생겼다.▷단체 교섭 및 노동쟁의 대상의 확대: 임금 수준이나 근로 시간뿐 아니라 구조 조정, 인수·합병(M&A) 등 경영상 결정까지 교섭·쟁의 대상이 된다.▷손해배상 책임의 제한: 정당한 쟁의 행위뿐 아니라 기타 노조 활동, 심지어 사용자의 불법 행위에 대한 방어까지 면책 범위가 넓어졌다. '실질적 지배력' 개념의 진화' 실질적 지배력'은 원청의 교섭 의무 인정 여부를 가르는 기준이다. 2010년 현대중공업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청이 하청업체 노조의 노동 조건을 지배·결정할 수 있다면 사용자로 봐야 한다고 최초로 판시했다.이 판결 이후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현대제철, 대우조선해양 등의 사건에서 노동위원회와 법원은 원청의 하청 노조에 대한 교섭 의무를 줄줄이 인정했다. 해당 사건들에서 공통되는 점은 '원청 사업에 하청 근로자의 업무가 필수적이어서 하청 근로자의 근무 조건이나 성과 측정에 원청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경우'라는 점이다. 하청 업체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을 원청이 결정한다고 볼 여지가 클수록 사용자성이 인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십 개 하청 노조 개별 교섭 요구 빗발칠 듯 노란봉투법 시행 후 기업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를 마주할 수 있다.▷단체교섭 요구 증가: 원청은 수십 개에 달하는 하청 노조의 개별적 교섭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교섭 창구 단일화 제도와 충돌해 분쟁이 장기화할 수 있는 요인이다.▷경영 판단 사항의 노사 협의화: 정리 해고, 공장 이전, M&A 등 경영상 결정이 노조 교섭 의제로 오를 수 있다.▷노조와 근로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의 어려움 : 쟁의 과정에서 발생한 손해에 대해 기업이 책임을 묻기는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청과 관계 사전 정비 필요…시나리오별 대응도 기업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하청·자회사와의 관계 정비가 우선이다. 계약서나 작업 지시 체계, 현장 관리 방식에서 원청이 직접 개입하는 요소를 최소화하고 불법 파견 리스크가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노사가 협력하는 경영상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사전에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구조 조정이나 사업장 이전과 같은 중대한 의사 결정 과정에 노조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내재화하는 매뉴얼을 준비하면 좋다.내부 교육과 시뮬레이션도 요구된다. 경영진과 현장 관리자 모두 개정된 법 내용을 숙지해야 하며, 노조의 요구에 시나리오별로 대응하는 훈련이 필수적이다.노란봉투법은 기업과 노조 간 힘의 균형을 재조정하는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기존의 노사 관행을 흔든다는 점에서 기업엔 법적 리스크를 높이는 요인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시에 투명한 경영과 예측 가능한 협력 구조를 정착시킬 기회기도 하다.법이 요구하는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면서 노사 간 자율적 협의와 신뢰 구축을 병행한다면 오히려 기업 입장에선 분쟁 비용을 줄이고 사회적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이 있다. 노란봉투법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새로운 노사 모델 모색의 계기로 활용해보면 어떨까. [기사전문보기] 현실이 된 노란봉투법…되려 성장 기회로 삼으려면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11
"미국 측 사정" 구금 한국인 귀국 돌연 연기…이유도 일정도 침묵
"미국 측 사정" 구금 한국인 귀국 돌연 연기…이유도 일정도 침묵
미국 이민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의 귀환 일정이 미국 측 사정으로 연기됐다. 일정이 미뤄진 구체적인 이유는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미국 측의 행정절차 지연, 구금자 출국 방식, 외교부 장관 회담 연기 등이 배경으로 꼽힌다. 10일 외교부는 언론 공지를 통해 "미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현지시간 10일 출발은 미국 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며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국 측과 협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귀한 연기와 관련한 구체적인 이유와 예상 일정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미 조지아주에 구금된 한국인들은 당초 10일 새벽 4~5시(현지시간) 석방된 후 같은 날 오후 2시30분경 대한항공 전세기를 통해 애틀랜타 국제공항을 출발해 11일 오후(한국시간) 인천 국제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 전세기는 1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애틀랜타로 향했다. 하지만 미국 출발 예상시간을 10시간가량 앞두고 구금자들의 귀환 일정이 돌연 연기됐다.일각에선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비자 조사 및 확인 절차 등 행정절차가 완료되지 않아 한국인 구금자의 석방이 늦어진 것이 지연 이유일 수 있다고 본다. 김지선 이민법인대양 대표이사는 "어디까지나 예상이고 추정"이라는 전제로 "자진출국에도 행정절차가 있고, 이를 위해 미국에서도 판사의 허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원칙적으로는 돈을 들여서 이를(출국 절차를) 진행해야 하고 법원에 보증금 같은 걸 내야 할 수도 있다"며 "미국 입장에서는 서두를 필요가 없고, 미국의 행정 절차 자체도 빠르지는 않다"고 짚었다.미국 영토 내에서의 호송 절차에서 구금 인원을 결박할지 등 이민 당국의 법 집행 실무 관행이 협상에 걸림돌이 됐을 거란 관측도 있다.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9일 구금 장소와 애틀랜타 공항 간 이동과 관련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버스로 모시고 올 때 현지 법 집행 기관이 고집하는 방식이 있다. 손에 뭘 어떻게 하고, 구금을 하는 등이다. 절대 그런 것을 하지 않는다는 것까지 하나하나 마지막 행정절차 협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는 한국인 구금자의 출국 형태를 둘러싼 한미 간 협의가 완료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정부는 그간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한국인 구금자들을 '자진 출국' 형식으로 이들을 일괄 귀환시킨다는 계획이었다. 이와 관련 미국과의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구금자의 석방에도 차질이 생겼을 수 있다. 김미아 법무법인 대륜 미국 변호사는 "미국 입장에서는 (구금자들 중) 강제추방 대상이 되는 분들도 있어서 일률적으로 (자진출국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국 정부의 입장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미국 이민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의 크리스티 놈 장관은 지난 8일 조지아주 단속에서 구금된 자들이 "추방될 것"이라고 한 바 있다.미국을 방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간 회담이 하루 밀린 것도 귀환 일정에 영향을 줬을 거란 추측도 있다. 외교부 당국자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밤 워싱턴DC에 도착한 조 장관은 당초 9일 중 루비오 장관을 만나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한 미국 측의 신속한 대응과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신설을 위한 입법, 전문직 취업비자(H-1B) 쿼터 확대 등을 요구할 계획이었으나, 두 장관의 회담은 이보다 하루 늦춰졌다. 다만 일정 연기는 이스라엘군의 카타르 공습으로 인해 루비오 장관이 대응에 나서야 했기 때문일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한편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9일 워싱턴 D.C.에서 한국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정부가 조지아주에서 구금된 우리 국민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귀국시키고, 향후 이들이 미국에 재입국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최우선적으로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LG, 현대차 등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대표들은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별도 비자(E-4 비자) 쿼터 신설, 대미 투자 기업 고용인 비자(E-2 비자) 승인율 제고 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요청했다.정혜인 기자 (chimt@mt.co.kr)박진호 기자 (zzino@mt.co.kr) [기사전문보기] "미국 측 사정" 구금 한국인 귀국 돌연 연기…이유도 일정도 침묵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11
"미국 측 사정" 구금 한국인 귀국 돌연 연기…이유도 일정도 침묵
"미국 측 사정" 구금 한국인 귀국 돌연 연기…이유도 일정도 침묵
미국 이민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의 귀환 일정이 미국 측 사정으로 연기됐다. 일정이 미뤄진 구체적인 이유는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미국 측의 행정절차 지연, 구금자 출국 방식, 외교부 장관 회담 연기 등이 배경으로 꼽힌다. 10일 외교부는 언론 공지를 통해 "미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현지시간 10일 출발은 미국 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며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국 측과 협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귀한 연기와 관련한 구체적인 이유와 예상 일정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미 조지아주에 구금된 한국인들은 당초 10일 새벽 4~5시(현지시간) 석방된 후 같은 날 오후 2시30분경 대한항공 전세기를 통해 애틀랜타 국제공항을 출발해 11일 오후(한국시간) 인천 국제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 전세기는 1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애틀랜타로 향했다. 하지만 미국 출발 예상시간을 10시간가량 앞두고 구금자들의 귀환 일정이 돌연 연기됐다.일각에선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비자 조사 및 확인 절차 등 행정절차가 완료되지 않아 한국인 구금자의 석방이 늦어진 것이 지연 이유일 수 있다고 본다. 김지선 이민법인대양 대표이사는 "어디까지나 예상이고 추정"이라는 전제로 "자진출국에도 행정절차가 있고, 이를 위해 미국에서도 판사의 허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원칙적으로는 돈을 들여서 이를(출국 절차를) 진행해야 하고 법원에 보증금 같은 걸 내야 할 수도 있다"며 "미국 입장에서는 서두를 필요가 없고, 미국의 행정 절차 자체도 빠르지는 않다"고 짚었다.미국 영토 내에서의 호송 절차에서 구금 인원을 결박할지 등 이민 당국의 법 집행 실무 관행이 협상에 걸림돌이 됐을 거란 관측도 있다.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9일 구금 장소와 애틀랜타 공항 간 이동과 관련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버스로 모시고 올 때 현지 법 집행 기관이 고집하는 방식이 있다. 손에 뭘 어떻게 하고, 구금을 하는 등이다. 절대 그런 것을 하지 않는다는 것까지 하나하나 마지막 행정절차 협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는 한국인 구금자의 출국 형태를 둘러싼 한미 간 협의가 완료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정부는 그간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한국인 구금자들을 '자진 출국' 형식으로 이들을 일괄 귀환시킨다는 계획이었다. 이와 관련 미국과의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구금자의 석방에도 차질이 생겼을 수 있다. 김미아 법무법인 대륜 미국 변호사는 "미국 입장에서는 (구금자들 중) 강제추방 대상이 되는 분들도 있어서 일률적으로 (자진출국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국 정부의 입장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미국 이민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의 크리스티 놈 장관은 지난 8일 조지아주 단속에서 구금된 자들이 "추방될 것"이라고 한 바 있다.미국을 방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간 회담이 하루 밀린 것도 귀환 일정에 영향을 줬을 거란 추측도 있다. 외교부 당국자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밤 워싱턴DC에 도착한 조 장관은 당초 9일 중 루비오 장관을 만나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한 미국 측의 신속한 대응과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신설을 위한 입법, 전문직 취업비자(H-1B) 쿼터 확대 등을 요구할 계획이었으나, 두 장관의 회담은 이보다 하루 늦춰졌다. 다만 일정 연기는 이스라엘군의 카타르 공습으로 인해 루비오 장관이 대응에 나서야 했기 때문일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한편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9일 워싱턴 D.C.에서 한국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정부가 조지아주에서 구금된 우리 국민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귀국시키고, 향후 이들이 미국에 재입국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최우선적으로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LG, 현대차 등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대표들은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별도 비자(E-4 비자) 쿼터 신설, 대미 투자 기업 고용인 비자(E-2 비자) 승인율 제고 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요청했다.정혜인 기자 (chimt@mt.co.kr)박진호 기자 (zzino@mt.co.kr) [기사전문보기] "미국 측 사정" 구금 한국인 귀국 돌연 연기…이유도 일정도 침묵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11
“고객 피드백, 대륜의 또다른 성장동력”...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인터뷰]
“고객 피드백, 대륜의 또다른 성장동력”...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인터뷰]
로펌 최초 ‘고객만족센터’ 설치...“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서비스 개선” 최근 로펌은 개인이나 기업에게 법적 분쟁 대리 역할을 넘어 폭넓은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법적인 조언과 상담은 물론 소송·중재·계약서 등 필요한 문서 작성과 검토 등 범위와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올해로 설립 9주년을 맞은 법무법인 대륜은 그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국내 법조시장의 신흥강자로 자리매김했다.9일 오전 서울 여의도의 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만난 김국일 경영대표는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서비스를 개선한다’는 모토가 대륜의 성장 동력이었다”면서 인터뷰를 시작했다.김 대표는 ‘고객 중심 법률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모든 사건에 최선을 다하지만 저희 역시 완벽하지 않기에 대륜의 서비스에 실망하는 고객도 있다. 그러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즉시 해당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서비스를 개선해왔다”며 “이런 사례를 전체 시스템으로 확장시켜 다시는 같은 실망이 반복되지 않도록 체계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고객 중심 서비스와 더불어 대륜의 또다른 강점은 ‘도전’이다. ‘변호사 3인 원팀 제도’는 그 도전의 첫 걸음이었다. 당시만 해도 로펌 업계에선 한 명의 변호사가 한 명의 의뢰인 사건만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에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협업이 익숙지 않은 변호사들에게도 생소하긴 마찬가지였다.김 대표는 “변호사 한 명이 모든 사건을 담당하는 멀티태스커는 물리적으로나 전문성 면에서나 한계가 명확했기에 변화가 필요했다”며 “각 변호사들이 제공하는 법률서비스에도 격차가 있었으나 전국에서 동일한 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으로 여기며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은 보완했다”고 전했다.대륜은 이 시기부터 ‘원 펌(One Firm)’ 시스템을 확립했다. 전국에서 접수되는 사건을 모두 주 사무소가 일괄 관리하고 사건 배당 제도도 개편해 사건에 가장 적합한 실력의 변호사를 배치해 전문성을 높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 여긴 부분은 역시나 ‘고객 만족’이었다. 대형로펌 중 최초로 ‘고객만족센터’를 설치한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김 대표는 “고객만족센터를 통해 대륜이 제공했던 법률서비스에 대한 꼼꼼한 피드백을 받았다”며 “귀 기울여 듣지 않으면 개선점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대륜은 올해 초 사건 의뢰인 3천800여명을 대상으로 고객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 중 98%가 ‘만족’ 의견을 밝힌 것에 대해 김 대표는 “고객만족센터를 통해 접수된 부정적 피드백의 대부분을 즉시 개선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한다.김 대표는 “대부분의 의뢰인들은 수사기관에서 수사를 받거나 소송에 휘말렸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큰 부담을 느낀다”며 “사건이 처리되는 과정을 상세히 공개해 의뢰인의 불안을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대륜은 ‘고객 만족도 100% 달성’을 목표로 지난달 고객만족센터를 ‘고객관리본부’로 확대했다. 고객만족센터가 고객들의 ‘사후 의견’에 집중했다면 고객관리센터는 한 발 빨리 사건을 진행 중인 의뢰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예정이다. 또한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의뢰인 사이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7월 출시한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도 활성화 해 고객 만족을 위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한편 최근 법조계에서는 전국에 분사무소를 두고 광고 경쟁을 하며 사건을 대량 수임하는 로펌들이 사건을 부실하게 관리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법률 서비스 피해 구제 신청건수’가 주요 근거다.이에 대해 김 대표는 “대륜에서 진행중인 사건 2만여 건 대비 민원 건수 비율은 0.2% 수준”이라며 “각 법인에서 수행 중인 전체 사건 수와 그 비율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단편적인 민원 건수로만 줄을 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끝으로 김 대표는 “대륜은 고객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며 성장했기에 어떤 고객이 묻더라도 이미 개선된 서비스에 만족한다는 이야기를 전달하고 싶다”며 “부정을 긍정으로 엮어내 ‘고객’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조혜정 기자 (hjcho@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고객 피드백, 대륜의 또다른 성장동력”...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인터뷰]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11
“고객 피드백, 대륜의 또다른 성장동력”...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인터뷰]
“고객 피드백, 대륜의 또다른 성장동력”...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인터뷰]
로펌 최초 ‘고객만족센터’ 설치...“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서비스 개선” 최근 로펌은 개인이나 기업에게 법적 분쟁 대리 역할을 넘어 폭넓은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법적인 조언과 상담은 물론 소송·중재·계약서 등 필요한 문서 작성과 검토 등 범위와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올해로 설립 9주년을 맞은 법무법인 대륜은 그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국내 법조시장의 신흥강자로 자리매김했다.9일 오전 서울 여의도의 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만난 김국일 경영대표는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서비스를 개선한다’는 모토가 대륜의 성장 동력이었다”면서 인터뷰를 시작했다.김 대표는 ‘고객 중심 법률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모든 사건에 최선을 다하지만 저희 역시 완벽하지 않기에 대륜의 서비스에 실망하는 고객도 있다. 그러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즉시 해당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서비스를 개선해왔다”며 “이런 사례를 전체 시스템으로 확장시켜 다시는 같은 실망이 반복되지 않도록 체계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고객 중심 서비스와 더불어 대륜의 또다른 강점은 ‘도전’이다. ‘변호사 3인 원팀 제도’는 그 도전의 첫 걸음이었다. 당시만 해도 로펌 업계에선 한 명의 변호사가 한 명의 의뢰인 사건만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에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협업이 익숙지 않은 변호사들에게도 생소하긴 마찬가지였다.김 대표는 “변호사 한 명이 모든 사건을 담당하는 멀티태스커는 물리적으로나 전문성 면에서나 한계가 명확했기에 변화가 필요했다”며 “각 변호사들이 제공하는 법률서비스에도 격차가 있었으나 전국에서 동일한 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으로 여기며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은 보완했다”고 전했다.대륜은 이 시기부터 ‘원 펌(One Firm)’ 시스템을 확립했다. 전국에서 접수되는 사건을 모두 주 사무소가 일괄 관리하고 사건 배당 제도도 개편해 사건에 가장 적합한 실력의 변호사를 배치해 전문성을 높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 여긴 부분은 역시나 ‘고객 만족’이었다. 대형로펌 중 최초로 ‘고객만족센터’를 설치한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김 대표는 “고객만족센터를 통해 대륜이 제공했던 법률서비스에 대한 꼼꼼한 피드백을 받았다”며 “귀 기울여 듣지 않으면 개선점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대륜은 올해 초 사건 의뢰인 3천800여명을 대상으로 고객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 중 98%가 ‘만족’ 의견을 밝힌 것에 대해 김 대표는 “고객만족센터를 통해 접수된 부정적 피드백의 대부분을 즉시 개선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한다.김 대표는 “대부분의 의뢰인들은 수사기관에서 수사를 받거나 소송에 휘말렸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큰 부담을 느낀다”며 “사건이 처리되는 과정을 상세히 공개해 의뢰인의 불안을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대륜은 ‘고객 만족도 100% 달성’을 목표로 지난달 고객만족센터를 ‘고객관리본부’로 확대했다. 고객만족센터가 고객들의 ‘사후 의견’에 집중했다면 고객관리센터는 한 발 빨리 사건을 진행 중인 의뢰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예정이다. 또한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의뢰인 사이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7월 출시한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도 활성화 해 고객 만족을 위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한편 최근 법조계에서는 전국에 분사무소를 두고 광고 경쟁을 하며 사건을 대량 수임하는 로펌들이 사건을 부실하게 관리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법률 서비스 피해 구제 신청건수’가 주요 근거다.이에 대해 김 대표는 “대륜에서 진행중인 사건 2만여 건 대비 민원 건수 비율은 0.2% 수준”이라며 “각 법인에서 수행 중인 전체 사건 수와 그 비율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단편적인 민원 건수로만 줄을 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끝으로 김 대표는 “대륜은 고객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며 성장했기에 어떤 고객이 묻더라도 이미 개선된 서비스에 만족한다는 이야기를 전달하고 싶다”며 “부정을 긍정으로 엮어내 ‘고객’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조혜정 기자 (hjcho@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고객 피드백, 대륜의 또다른 성장동력”...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인터뷰]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9-11
강화되는 美 비자규제에…대륜 '이민·해외투자그룹 중심' 자문 강화
강화되는 美 비자규제에…대륜 '이민·해외투자그룹 중심' 자문 강화
최근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체포·구금되는 사태가 발생한 이후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도 비상이 걸렸다.미국의 비자 심사 요건 및 불법체류 단속 강화 기조 등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경영 리스크가 현실화된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이민·해외투자그룹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업 자문 강화 나섰다고 11일 밝혔다.실제 이민·비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로펌에 관련 문의가 빗발치는 등 업계에서는 안정적인 인력 운용과 합법적 체류 보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대형 로펌들도 이민 등 국제업무를 주관하는 그룹을 중심으로 관련 역량을 강화하는 흐름이다.뉴욕과 워싱턴 D.C.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대륜은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기업의 미국 법인 설립 및 투자 ▲주재원 비자 신청 점검 ▲이민법 및 영주권 취득 자문 등을 지원한다. 특히 국내외 인력 파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법 리스크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현지 업체 관계자는 "기업들이 적절한 비자를 발급받지 못해 실제 현장에서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계약이 무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며 "기업 규모와 산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비자를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로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국 기업들이 보다 체계적인 법률 대응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한다.이민법 전문 변호사는 "미국의 비자 제도는 복잡할 뿐 아니라 발급 과정도 까다로워 기업들이 그동안 단기 상용 비자(B1)이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체류 자격 문제로 이어져 향후 강제추방이나 처벌의 위험을 떠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강화되는 美 비자규제에…대륜 '이민·해외투자그룹 중심' 자문 강화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9-11
강화되는 美 비자규제에…대륜 '이민·해외투자그룹 중심' 자문 강화
강화되는 美 비자규제에…대륜 '이민·해외투자그룹 중심' 자문 강화
최근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체포·구금되는 사태가 발생한 이후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도 비상이 걸렸다.미국의 비자 심사 요건 및 불법체류 단속 강화 기조 등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경영 리스크가 현실화된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이민·해외투자그룹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업 자문 강화 나섰다고 11일 밝혔다.실제 이민·비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로펌에 관련 문의가 빗발치는 등 업계에서는 안정적인 인력 운용과 합법적 체류 보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대형 로펌들도 이민 등 국제업무를 주관하는 그룹을 중심으로 관련 역량을 강화하는 흐름이다.뉴욕과 워싱턴 D.C.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대륜은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기업의 미국 법인 설립 및 투자 ▲주재원 비자 신청 점검 ▲이민법 및 영주권 취득 자문 등을 지원한다. 특히 국내외 인력 파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법 리스크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현지 업체 관계자는 "기업들이 적절한 비자를 발급받지 못해 실제 현장에서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계약이 무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며 "기업 규모와 산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비자를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로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국 기업들이 보다 체계적인 법률 대응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한다.이민법 전문 변호사는 "미국의 비자 제도는 복잡할 뿐 아니라 발급 과정도 까다로워 기업들이 그동안 단기 상용 비자(B1)이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체류 자격 문제로 이어져 향후 강제추방이나 처벌의 위험을 떠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강화되는 美 비자규제에…대륜 '이민·해외투자그룹 중심' 자문 강화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2곳
2025-09-11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임석필 변호사 영입…형사 부문 강화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임석필 변호사 영입…형사 부문 강화
부산지검 형사2부장검사 등 역임 지적재산권 분야 전문임 변호사 “공직에서 30년 간 실현해 온 사회 정의…의뢰인 권리 지켜낼 것” 법무법인 대륜이 임석필(사법연수원 23기) 대표 총괄변호사를 영입하고 강력범죄 등 형사사건 역량을 강화한다고 10일 밝혔다.임 변호사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제33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1994년 대전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했다. 이후 부산지검, 서울지검 등에서 강력·특수·공안 및 지적재산권 분야의 전문성을 쌓았다.‘강력통’으로 잘 알려진 임 변호사는 30여 년간 검사로 재직하며 살인, 성범죄 등 강력 사건은 물론 공무원 범죄와 해양 사고 등 굵직한 사건들을 수행해왔다. 특히 기상 악화에도 무리하게 조업을 강행해 승선원 60명 중 53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오룡호 침몰사고 당시, 부장검사로서 선사의 안전불감증과 관리 감독 부실이 부른 인재(人災)임을 규명하여 관련자 15명을 기소하기도 했다.이후 법무연수원 교수로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2015년 부산지검 형사2부장검사를 마지막으로 퇴임한 뒤 변호사로 활동해왔다. 개업 후에는 형사 분야를 넘어 공공 부문으로 전문성을 확장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법률고문변호사를 역임했으며, 나아가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임대차조정위원장으로서 복잡한 민생 분쟁 해결에 앞장섰다.임 변호사는 "30여 년의 공직 생활을 통해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노력해왔다"며 "이제 대륜에서 의뢰인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축적된 경험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뢰인의 정당한 권리를 지켜내는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임 변호사는 각종 수사에 정통한 권위자로, 특히 복잡하고 어려운 사건 해결에 있어 독보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라며 “그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 전문성이 한 단계 도약하고, 의뢰인에게 더욱 신뢰도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임석필 변호사 영입…형사 부문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 ‘강력통’ 임석필 전 부산지검 형사2부장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2곳
2025-09-11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임석필 변호사 영입…형사 부문 강화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임석필 변호사 영입…형사 부문 강화
부산지검 형사2부장검사 등 역임 지적재산권 분야 전문임 변호사 “공직에서 30년 간 실현해 온 사회 정의…의뢰인 권리 지켜낼 것” 법무법인 대륜이 임석필(사법연수원 23기) 대표 총괄변호사를 영입하고 강력범죄 등 형사사건 역량을 강화한다고 10일 밝혔다.임 변호사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제33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1994년 대전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했다. 이후 부산지검, 서울지검 등에서 강력·특수·공안 및 지적재산권 분야의 전문성을 쌓았다.‘강력통’으로 잘 알려진 임 변호사는 30여 년간 검사로 재직하며 살인, 성범죄 등 강력 사건은 물론 공무원 범죄와 해양 사고 등 굵직한 사건들을 수행해왔다. 특히 기상 악화에도 무리하게 조업을 강행해 승선원 60명 중 53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오룡호 침몰사고 당시, 부장검사로서 선사의 안전불감증과 관리 감독 부실이 부른 인재(人災)임을 규명하여 관련자 15명을 기소하기도 했다.이후 법무연수원 교수로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2015년 부산지검 형사2부장검사를 마지막으로 퇴임한 뒤 변호사로 활동해왔다. 개업 후에는 형사 분야를 넘어 공공 부문으로 전문성을 확장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법률고문변호사를 역임했으며, 나아가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임대차조정위원장으로서 복잡한 민생 분쟁 해결에 앞장섰다.임 변호사는 "30여 년의 공직 생활을 통해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노력해왔다"며 "이제 대륜에서 의뢰인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축적된 경험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뢰인의 정당한 권리를 지켜내는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임 변호사는 각종 수사에 정통한 권위자로, 특히 복잡하고 어려운 사건 해결에 있어 독보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라며 “그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 전문성이 한 단계 도약하고, 의뢰인에게 더욱 신뢰도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임석필 변호사 영입…형사 부문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 ‘강력통’ 임석필 전 부산지검 형사2부장 영입 (바로가기)
로리더
2025-09-11
AI와 법률의 만남···대륜·타이거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 강화
AI와 법률의 만남···대륜·타이거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 강화
스포츠·의료·공공분야에서의 AI 활용 관련한 법률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대륜 “정기적 실무 협의체 구축·자문 모델 구체화···신뢰받는 기업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이 ㈜타이거인공지능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법률·기술 융합 지원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지난 9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손동후 미국변호사, Kyle Courtnall 미국변호사, Tal Hirshberg 미국변호사와 타이거인공지능 하대수 대표, 손성원 실장, 허정철 연구원 등이 참석했다.㈜타이거인공지능은 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Tiger Fit', 'Tiger Gym' 등 AI 플랫폼을 통해 운동 자세 분석, 실시간 교정, 데이터 기반 피드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초 열린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5'에 참가해 글로벌 기술력을 인정받기도 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스포츠·의료·공공분야에서의 AI 활용과 관련한 법률 리스크 관리 체계를 구축해 ㈜타이거인공지능의 안정적인 성장을 도울 예정이다.구체적으로 ▲개인정보 보호 및 의료데이터 규제 대응 체계 공동 구축, ▲기술사업화·투자계약·라이선스 및 IP보호 법률 지원,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및 현지 네트워크 연계 협력 등 여러 방면에서 협력할 방침이다.㈜타이거인공지능 하대수 대표는 “AI 기술 가치는 책임 있는 활용과 함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MOU는 기술과 법률이 함께 나아가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AI는 혁신이면서도 새로운 법적 과제를 수반한다”면서, “향후 정기적인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AI와 법률 융합 자문 모델을 구체화해 타이거인공지능이 국내외 시장에서 안정적이고 신뢰받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지식재산권 그룹을 운영하면서, 개인정보·데이터 보호 분야에서 특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AI 등 신산업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확장하고 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AI와 법률의 만남···대륜·타이거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 강화 (바로가기)
로리더
2025-09-11
AI와 법률의 만남···대륜·타이거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 강화
AI와 법률의 만남···대륜·타이거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 강화
스포츠·의료·공공분야에서의 AI 활용 관련한 법률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대륜 “정기적 실무 협의체 구축·자문 모델 구체화···신뢰받는 기업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이 ㈜타이거인공지능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법률·기술 융합 지원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지난 9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손동후 미국변호사, Kyle Courtnall 미국변호사, Tal Hirshberg 미국변호사와 타이거인공지능 하대수 대표, 손성원 실장, 허정철 연구원 등이 참석했다.㈜타이거인공지능은 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Tiger Fit', 'Tiger Gym' 등 AI 플랫폼을 통해 운동 자세 분석, 실시간 교정, 데이터 기반 피드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초 열린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5'에 참가해 글로벌 기술력을 인정받기도 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스포츠·의료·공공분야에서의 AI 활용과 관련한 법률 리스크 관리 체계를 구축해 ㈜타이거인공지능의 안정적인 성장을 도울 예정이다.구체적으로 ▲개인정보 보호 및 의료데이터 규제 대응 체계 공동 구축, ▲기술사업화·투자계약·라이선스 및 IP보호 법률 지원,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및 현지 네트워크 연계 협력 등 여러 방면에서 협력할 방침이다.㈜타이거인공지능 하대수 대표는 “AI 기술 가치는 책임 있는 활용과 함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MOU는 기술과 법률이 함께 나아가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AI는 혁신이면서도 새로운 법적 과제를 수반한다”면서, “향후 정기적인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AI와 법률 융합 자문 모델을 구체화해 타이거인공지능이 국내외 시장에서 안정적이고 신뢰받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지식재산권 그룹을 운영하면서, 개인정보·데이터 보호 분야에서 특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AI 등 신산업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확장하고 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AI와 법률의 만남···대륜·타이거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 강화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9-10
"경력보다 중요한 건 고객 눈높이"...‘관록 군단’ 대륜 변호사 3인의 통찰
"경력보다 중요한 건 고객 눈높이"...‘관록 군단’ 대륜 변호사 3인의 통찰
"의뢰인이 원하는 건 전관이라는 타이틀이 아닙니다. 끝까지 뛰어주고, 진심과 실력으로 함께할 때, 비로소 신뢰가 생깁니다."법무법인 대륜 김진원 변호사(사법연수원 21기)는 전관예우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20년 넘게 검찰에 몸을 담다 10년 전 변호사로 새출발한 그는 여전히 매일 수사기관과 법정을 오간다. 의뢰인의 곁에서 힘이 되는 것이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기 때문이다.17년여 동안 검사로 재직한 이일권 변호사(연수원 23기)도 늘 현장에서 직접 의뢰인과 마주한다. 이 변호사는 “많은 의뢰인들은 전관의 ‘이름값’이 아닌 지식과 경험을 신뢰하며 사건을 맡기는 만큼, 이에 부응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부장판사 출신인 김낙형 변호사(연수원 34기)의 하루도 쉴새없이 흘러간다. 3000여 건 이상의 판결문을 작성했던 김 변호사는 이제 변호사로서 의뢰인을 위해 서면 작성에 참여하고 있다.오랜 세월 실무 감각을 유지하고 있는 부산 영남권 세 명의 변호사를 10일 대륜 부산분사무소에서 만났다. 이들은 부장검사, 부장판사를 역임한 변호사들의 역할부터 변호사 시장의 새로운 흐름, 대륜의 ‘담당팀 전원 재판 출석’ 시스템 등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다.아래는 변호사들과의 일문일답-흔히 고연차 변호사들은 이름만 올리거나 뒤에서 조언만 할 것이라는 선입견이 적지 않다. 직접 현장에서 사건에 깊이 관여하는 이유가 있다면.▲김진원(이하 진): 과거에는 소위 ‘전관’들이 이름만 걸어두고, 실제 소송 수행은 후배 변호사가 가는 것이 일부 관행이었다. 지금은 모든 법률 정보와 변호사 투명하게 공개되기 때문에 절대 그렇게 할 수 없다. 의뢰인과의 신뢰 관계는 직접 기록·검토해 발로 뛰는 과정에서 생겨나기 때문에 저는 반드시 현장에 나간다.▲이일권(이하 이): 수사와 재판은 유동성이 심하고, 우발적인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변호사는 순간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할 줄 알아야 한다. 저 같은 경우에는 관련 경험이 보다 더 풍부하기에 순발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대륜의 많은 전관 변호사들이 수사기관, 법정 등 현장에서 실무를 하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의뢰인의 신뢰도와 만족도 역시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김낙형(이하 김) : 변호사에게 사건을 맡기는 대부분의 의뢰인들은 비용에 있어 적지 않은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의뢰인이 그렇게 힘들게 비용을 마련해 맡긴 사건인데, 형식적으로 이름만 올린 채 실제 업무를 처리하지 않는 건 변호사로서 기본적인 의무를 저버린 것이라 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사건 담당팀 전원 재판 참석'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 이런 시스템이 의뢰인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김: 의뢰인 입장에서 수사나 재판은 일생에 한 번 경험할까 말까한 순간이다. 법정에 나오는 것 자체가 두렵고 막막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때문에 여러 명의 변호사가 빈틈없이 법적 보호를 하고 있다는 인식을 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이: 원칙적으로 전원의 재판 출석에 찬성한다. 담당 변호사 전원이 참석하는 것은 의뢰인에게 해당 법무법인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고객 중심’의 가치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도 정착의 과정에서 같은 지역권 내 변호사 배당 등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면 의뢰인에게 필요한 제도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각기 다른 강점을 지닌 변호사가 ‘원팀’으로 구성되는 이유와 시너지를 발휘한 사례가 있다면.▲김: 음란물 사건과 관련, 이일권 변호사와 사건을 수행했다. 이 변호사는 수사 기록 검토, 저는 재판 전략 구성을 주로 맡았다. 증거 기록을 함께 검토하는 과정에서 자백 및 반성 권유 등 법리적 판단과 조언을 제공해 집행유예를 선고 받을 수 있었다.▲이: 원팀을 추구하는 이유는 협업과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대륜의 경우 경험 많은 베테랑 변호사와 주니어 변호사, 중간에 브릿지 역할을 해주는 변호사가 함께 합을 이룬다. 베테랑 변호사들이 경륜과 주니어 변호사들의 기동성이 만나 좋은 시너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주니어 변호사들은 수사 기록 검토, 의견서 작성, 증인 신문 등 실무 작성의 노하우를 지니게 된다. 궁극적으로 원팀을 위한 이 모든 노력은 ‘의뢰인의 신뢰’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한다.-현재는 어떤 변호사에게 어떤 가치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지.▲김: 예전 법조계에는 법원장 출신, 검사장 출신 고위 전관 변호사들은 이름만 내건 뒤 실제 법정에 출석하지도 않고, 심한 경우 사무장들이 서면을 작성하는 등 불합리한 관행이 다소 있었던 것으로 안다. 그러나 로스쿨 도입 이후 수 만 명이 경쟁하고 있다. 전관예우 관행은 이제 찾아볼 수도 없고, 의뢰인들도 전관예우에 기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법조계 현실을 잘 알고 계신다. 그렇기에 현재는 관련 사건에 대한 전문성과 실력은 물론이고 얼마나 ‘고객 중심’으로 변호사가 지닌 노하우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느냐가 유일한 기준이며 이는 역행할 수 없는 시대 방향이다.▲진: 과거에는 전관 타이틀 하나 만으로 모든 것이 통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현재 상황은 전혀 다르다. 오랜 기간의 법조인 경력이 있더라도 ‘실무처리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늘 배우고 익히는 자세를 견지하고자 한다. 그런 노력들이 의뢰인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이: 과거에는 소위 변호사의 ‘이름값’이나 ‘권위’가 중요했다. 그리고 이를 갖춘 변호사를 흔히 ‘전관 변호사’라 불렀다. 변호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방법이 사실상 없었기에, 법조 브로커를 통한 무분별한 전관 변호사 선임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인터넷을 통해 모든 정보가 공개되는 시대다. 의뢰인들이 저희 같은 변호사들에게 원하는 것은 ‘이름값’이 아닌 그들의 지식과 경험일 것이다. 그렇기에 의뢰인에게 자신의 역량을 잘 설명하고, 자연스럽게 변호사를 신뢰하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경력보다 중요한 건 고객 눈높이"...‘관록 군단’ 대륜 변호사 3인의 통찰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9-10
"경력보다 중요한 건 고객 눈높이"...‘관록 군단’ 대륜 변호사 3인의 통찰
"경력보다 중요한 건 고객 눈높이"...‘관록 군단’ 대륜 변호사 3인의 통찰
"의뢰인이 원하는 건 전관이라는 타이틀이 아닙니다. 끝까지 뛰어주고, 진심과 실력으로 함께할 때, 비로소 신뢰가 생깁니다."법무법인 대륜 김진원 변호사(사법연수원 21기)는 전관예우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20년 넘게 검찰에 몸을 담다 10년 전 변호사로 새출발한 그는 여전히 매일 수사기관과 법정을 오간다. 의뢰인의 곁에서 힘이 되는 것이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기 때문이다.17년여 동안 검사로 재직한 이일권 변호사(연수원 23기)도 늘 현장에서 직접 의뢰인과 마주한다. 이 변호사는 “많은 의뢰인들은 전관의 ‘이름값’이 아닌 지식과 경험을 신뢰하며 사건을 맡기는 만큼, 이에 부응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부장판사 출신인 김낙형 변호사(연수원 34기)의 하루도 쉴새없이 흘러간다. 3000여 건 이상의 판결문을 작성했던 김 변호사는 이제 변호사로서 의뢰인을 위해 서면 작성에 참여하고 있다.오랜 세월 실무 감각을 유지하고 있는 부산 영남권 세 명의 변호사를 10일 대륜 부산분사무소에서 만났다. 이들은 부장검사, 부장판사를 역임한 변호사들의 역할부터 변호사 시장의 새로운 흐름, 대륜의 ‘담당팀 전원 재판 출석’ 시스템 등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다.아래는 변호사들과의 일문일답-흔히 고연차 변호사들은 이름만 올리거나 뒤에서 조언만 할 것이라는 선입견이 적지 않다. 직접 현장에서 사건에 깊이 관여하는 이유가 있다면.▲김진원(이하 진): 과거에는 소위 ‘전관’들이 이름만 걸어두고, 실제 소송 수행은 후배 변호사가 가는 것이 일부 관행이었다. 지금은 모든 법률 정보와 변호사 투명하게 공개되기 때문에 절대 그렇게 할 수 없다. 의뢰인과의 신뢰 관계는 직접 기록·검토해 발로 뛰는 과정에서 생겨나기 때문에 저는 반드시 현장에 나간다.▲이일권(이하 이): 수사와 재판은 유동성이 심하고, 우발적인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변호사는 순간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할 줄 알아야 한다. 저 같은 경우에는 관련 경험이 보다 더 풍부하기에 순발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대륜의 많은 전관 변호사들이 수사기관, 법정 등 현장에서 실무를 하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의뢰인의 신뢰도와 만족도 역시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김낙형(이하 김) : 변호사에게 사건을 맡기는 대부분의 의뢰인들은 비용에 있어 적지 않은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의뢰인이 그렇게 힘들게 비용을 마련해 맡긴 사건인데, 형식적으로 이름만 올린 채 실제 업무를 처리하지 않는 건 변호사로서 기본적인 의무를 저버린 것이라 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사건 담당팀 전원 재판 참석'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 이런 시스템이 의뢰인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김: 의뢰인 입장에서 수사나 재판은 일생에 한 번 경험할까 말까한 순간이다. 법정에 나오는 것 자체가 두렵고 막막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때문에 여러 명의 변호사가 빈틈없이 법적 보호를 하고 있다는 인식을 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이: 원칙적으로 전원의 재판 출석에 찬성한다. 담당 변호사 전원이 참석하는 것은 의뢰인에게 해당 법무법인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고객 중심’의 가치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도 정착의 과정에서 같은 지역권 내 변호사 배당 등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면 의뢰인에게 필요한 제도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각기 다른 강점을 지닌 변호사가 ‘원팀’으로 구성되는 이유와 시너지를 발휘한 사례가 있다면.▲김: 음란물 사건과 관련, 이일권 변호사와 사건을 수행했다. 이 변호사는 수사 기록 검토, 저는 재판 전략 구성을 주로 맡았다. 증거 기록을 함께 검토하는 과정에서 자백 및 반성 권유 등 법리적 판단과 조언을 제공해 집행유예를 선고 받을 수 있었다.▲이: 원팀을 추구하는 이유는 협업과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대륜의 경우 경험 많은 베테랑 변호사와 주니어 변호사, 중간에 브릿지 역할을 해주는 변호사가 함께 합을 이룬다. 베테랑 변호사들이 경륜과 주니어 변호사들의 기동성이 만나 좋은 시너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주니어 변호사들은 수사 기록 검토, 의견서 작성, 증인 신문 등 실무 작성의 노하우를 지니게 된다. 궁극적으로 원팀을 위한 이 모든 노력은 ‘의뢰인의 신뢰’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한다.-현재는 어떤 변호사에게 어떤 가치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지.▲김: 예전 법조계에는 법원장 출신, 검사장 출신 고위 전관 변호사들은 이름만 내건 뒤 실제 법정에 출석하지도 않고, 심한 경우 사무장들이 서면을 작성하는 등 불합리한 관행이 다소 있었던 것으로 안다. 그러나 로스쿨 도입 이후 수 만 명이 경쟁하고 있다. 전관예우 관행은 이제 찾아볼 수도 없고, 의뢰인들도 전관예우에 기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법조계 현실을 잘 알고 계신다. 그렇기에 현재는 관련 사건에 대한 전문성과 실력은 물론이고 얼마나 ‘고객 중심’으로 변호사가 지닌 노하우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느냐가 유일한 기준이며 이는 역행할 수 없는 시대 방향이다.▲진: 과거에는 전관 타이틀 하나 만으로 모든 것이 통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현재 상황은 전혀 다르다. 오랜 기간의 법조인 경력이 있더라도 ‘실무처리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늘 배우고 익히는 자세를 견지하고자 한다. 그런 노력들이 의뢰인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이: 과거에는 소위 변호사의 ‘이름값’이나 ‘권위’가 중요했다. 그리고 이를 갖춘 변호사를 흔히 ‘전관 변호사’라 불렀다. 변호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방법이 사실상 없었기에, 법조 브로커를 통한 무분별한 전관 변호사 선임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인터넷을 통해 모든 정보가 공개되는 시대다. 의뢰인들이 저희 같은 변호사들에게 원하는 것은 ‘이름값’이 아닌 그들의 지식과 경험일 것이다. 그렇기에 의뢰인에게 자신의 역량을 잘 설명하고, 자연스럽게 변호사를 신뢰하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경력보다 중요한 건 고객 눈높이"...‘관록 군단’ 대륜 변호사 3인의 통찰 (바로가기)
머니S
2025-09-10
300명 구금 사태로 본 미국 비자 리스크… 'E4 비자' 신설 가능성은
300명 구금 사태로 본 미국 비자 리스크… 'E4 비자' 신설 가능성은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미아 미국변호사 최근 미국에서 불법 체류 혐의로 한국인 노동자 300여명이 구금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기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이민·비자 정책 변화가 중요한 경영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한국 기업들에게는 안정적인 인력 운용과 현지 법률 준수 여부가 중요한 생존 과제가 되고 있다.10일 법무법인 대륜의 김미아 미국 변호사는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을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 강화 정책'에서 찾았다. 그는 전문직 취업 비자(H-1B), 주재원 비자(L1·E2) 등 합법적 근로 비자 발급이 매우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현실을 지적했다. 이로 인해 많은 단기 근로자들이 단기 상용 비자(B1)나 전자여행허가(ESTA)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김 변호사는 "H-1B 비자는 추첨을 통과해도 발급까지 3~4개월이 걸리고, L1이나 E2 비자 역시 전문성 증명 등 까다로운 요건을 충족해야 하기에 발급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그는 일각에서 논의되는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 비자(E4 비자)' 신설에 대해 언급했다. E4 비자는 미국 내 한인 전문 인력의 합법적 취업을 돕고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아직 법제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김 변호사는 "향후 한미관계, 미국 내 숙련 인력 부족 등 다각적 요소가 E4 비자 통과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김 변호사는 특히 대기업과 함께 진출하는 중소 협력업체의 비자 문제를 강조했다. 인력과 자원이 제한적인 중소기업은 비자 문제에 더 취약한 데다 현지 법률에 대한 대응 여력도 부족하기 때문이다.그는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기에 비자 요건에 대한 적합성도 차이가 날 수 있다"며 "이를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신청은 법적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불법 체류는 엄격한 단속 대상이기에 강제 출국이나 처벌을 피하기 어렵다는 경고도 덧붙였다.이번 사건은 해외 진출을 꿈꾸는 기업들에게 비자 문제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철저한 법률 검토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300명 구금 사태로 본 미국 비자 리스크… 'E4 비자' 신설 가능성은 (바로가기)
머니S
2025-09-10
300명 구금 사태로 본 미국 비자 리스크… 'E4 비자' 신설 가능성은
300명 구금 사태로 본 미국 비자 리스크… 'E4 비자' 신설 가능성은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미아 미국변호사 최근 미국에서 불법 체류 혐의로 한국인 노동자 300여명이 구금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기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이민·비자 정책 변화가 중요한 경영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한국 기업들에게는 안정적인 인력 운용과 현지 법률 준수 여부가 중요한 생존 과제가 되고 있다.10일 법무법인 대륜의 김미아 미국 변호사는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을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 강화 정책'에서 찾았다. 그는 전문직 취업 비자(H-1B), 주재원 비자(L1·E2) 등 합법적 근로 비자 발급이 매우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현실을 지적했다. 이로 인해 많은 단기 근로자들이 단기 상용 비자(B1)나 전자여행허가(ESTA)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김 변호사는 "H-1B 비자는 추첨을 통과해도 발급까지 3~4개월이 걸리고, L1이나 E2 비자 역시 전문성 증명 등 까다로운 요건을 충족해야 하기에 발급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그는 일각에서 논의되는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 비자(E4 비자)' 신설에 대해 언급했다. E4 비자는 미국 내 한인 전문 인력의 합법적 취업을 돕고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아직 법제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김 변호사는 "향후 한미관계, 미국 내 숙련 인력 부족 등 다각적 요소가 E4 비자 통과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김 변호사는 특히 대기업과 함께 진출하는 중소 협력업체의 비자 문제를 강조했다. 인력과 자원이 제한적인 중소기업은 비자 문제에 더 취약한 데다 현지 법률에 대한 대응 여력도 부족하기 때문이다.그는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기에 비자 요건에 대한 적합성도 차이가 날 수 있다"며 "이를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신청은 법적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불법 체류는 엄격한 단속 대상이기에 강제 출국이나 처벌을 피하기 어렵다는 경고도 덧붙였다.이번 사건은 해외 진출을 꿈꾸는 기업들에게 비자 문제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철저한 법률 검토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300명 구금 사태로 본 미국 비자 리스크… 'E4 비자' 신설 가능성은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9-09
[전문가기고] 이혼 소송, 양육권 다툼 여자가 유리하다?…자녀 복리가 우선
[전문가기고] 이혼 소송, 양육권 다툼 여자가 유리하다?…자녀 복리가 우선
이혼 소송에서 가장 첨예한 쟁점 가운데 하나는 양육권 문제다.양육권을 서로 가져가겠다고 다투는 경우는 오히려 양호한 편이다. 적어도 부모가 아이를 키우려는 의지가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양육 책임을 떠넘기며 회피하는 경우야말로 난감할 수밖에 없다. 양육권은 단순한 권리 다툼이 아니라 자녀의 삶과 직결된 문제다. 재산분할이나 위자료는 금전으로 정리될 수 있지만, 자녀의 양육권은 부모의 삶은 물론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판단은 신중할 수밖에 없다.그렇다면 법원은 양육권자 지정시 어떤 기준을 적용할까. 흔히들 ‘양육권 다움은 여자가 유리하다’고 말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 법원이 일관되게 강조하는 기준은 ‘자녀의 복리’, 즉 자녀의 안정된 성장과 행복이다.우선 자녀의 나이와 양육 환경의 연속성이 중요하다.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지금까지 아이를 주로 양육해온 부모가 양육권자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다. 경제적으로 다소 불리하더라도 아이와 함께 생활해온 어머니가 양육권자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다음으로 부모의 양육 의지와 능력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소득이 높다고 해서 양육권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얼마나 성실하게 아이를 돌보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직장이나 생활 패턴이 양육에 적합한지 고려한다. 이경우, 경제활동을 하더라도 양육에 협력한 수 있는 조부모 등의 보조 양육자가 있다면 긍정적으로 고려된다.자녀의 의사 역시 존중된다. 법원은 자녀가 누구와 더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였는지, 현재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지 등 직접 의견을 확인하는 경우도 많다.과거에는 자녀가 어릴 경우 어머니에게 양육권을 맡기는 경향이 매우 강했지만, 최근 경향을 보면 부모의 성별보다 실제 양육 참여 정도와 환경을 더욱 중시하는 추세다. 적극적으로 자녀를 돌봐 온 아버지가 양육권자로 지정되는 경우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는 사회적 변화와 가정 내 역할 분담의 변화를 반영하는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이혼 소송, 양육권 다툼 여자가 유리하다?…자녀 복리가 우선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9-09
[전문가기고] 이혼 소송, 양육권 다툼 여자가 유리하다?…자녀 복리가 우선
[전문가기고] 이혼 소송, 양육권 다툼 여자가 유리하다?…자녀 복리가 우선
이혼 소송에서 가장 첨예한 쟁점 가운데 하나는 양육권 문제다.양육권을 서로 가져가겠다고 다투는 경우는 오히려 양호한 편이다. 적어도 부모가 아이를 키우려는 의지가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양육 책임을 떠넘기며 회피하는 경우야말로 난감할 수밖에 없다. 양육권은 단순한 권리 다툼이 아니라 자녀의 삶과 직결된 문제다. 재산분할이나 위자료는 금전으로 정리될 수 있지만, 자녀의 양육권은 부모의 삶은 물론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판단은 신중할 수밖에 없다.그렇다면 법원은 양육권자 지정시 어떤 기준을 적용할까. 흔히들 ‘양육권 다움은 여자가 유리하다’고 말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 법원이 일관되게 강조하는 기준은 ‘자녀의 복리’, 즉 자녀의 안정된 성장과 행복이다.우선 자녀의 나이와 양육 환경의 연속성이 중요하다.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지금까지 아이를 주로 양육해온 부모가 양육권자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다. 경제적으로 다소 불리하더라도 아이와 함께 생활해온 어머니가 양육권자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다음으로 부모의 양육 의지와 능력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소득이 높다고 해서 양육권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얼마나 성실하게 아이를 돌보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직장이나 생활 패턴이 양육에 적합한지 고려한다. 이경우, 경제활동을 하더라도 양육에 협력한 수 있는 조부모 등의 보조 양육자가 있다면 긍정적으로 고려된다.자녀의 의사 역시 존중된다. 법원은 자녀가 누구와 더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였는지, 현재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지 등 직접 의견을 확인하는 경우도 많다.과거에는 자녀가 어릴 경우 어머니에게 양육권을 맡기는 경향이 매우 강했지만, 최근 경향을 보면 부모의 성별보다 실제 양육 참여 정도와 환경을 더욱 중시하는 추세다. 적극적으로 자녀를 돌봐 온 아버지가 양육권자로 지정되는 경우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는 사회적 변화와 가정 내 역할 분담의 변화를 반영하는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이혼 소송, 양육권 다툼 여자가 유리하다?…자녀 복리가 우선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09
펀딩 투자받고 보드게임 ‘미발송 ·환불 불가’…게임사 대표 ‘불송치’
펀딩 투자받고 보드게임 ‘미발송 ·환불 불가’…게임사 대표 ‘불송치’
1년 반 넘게 제품 미발송한 혐의경찰 “수 개월 걸리는 펀딩 방식…피해자들이 몰랐다 보긴 어려워” 보드게임 펀딩 투자를 받은 후 제품을 발송하지 않아 투자자들로부터 고소당한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부산연제경찰서는 지난달 11일 사기 혐의를 받는 게임사 대표 A 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A 씨는 2021년 2월~2023년 9월 자사 홈페이지와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를 통해 보드게임 4종에 대한 펀딩으로 약 770만 원을 모금한 뒤, 제품을 출시하지 않고 투자금을 환불해 주지 않은 혐의를 받았다. 투자자들은 A 씨로부터 펀딩 후 1년 내 물품 지급을 약속받았으나 지급이 이뤄지지 않고 소통이 미흡하자 집단 고소를 진행했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제품 지급이 늦어지긴 했지만 애초 제품을 만들 의사나 능력 없이 자금을 모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A 씨는 “펀딩금으로 실제 제작에 착수했으나 코로나19로 해외 공장이 셧다운되는 바람에 생산하지 못했다”며 “이후 생산을 했는데도 제품 품질 문제 등으로 배송이 지연된 것”이라고 해명했다.경찰은 A 씨에게 사기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경찰 관계자는 “통상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제품 제작은 수개월 이상 소요되는 특성이 있다”며 “고소인들이 펀딩 시작 후 3년 가까이 지난 시점에 피해 신고를 한 점을 고려하면 펀딩 구매 방식의 특성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송 지연에 따른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기망행위가 있었다고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계약 당시 피의자에게 제품을 제작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는 점, 즉 기망의 고의가 입증돼야 한다”며 “A 씨가 원제작사와 체결한 라이선스 계약서와 실제 발주서 등을 증거로 제출해 제작을 위해 노력한 점을 성실히 소명했고, 이를 통해 제품 배송 및 환불 지연에 고의가 없었음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펀딩 투자받고 보드게임 ‘미발송 ·환불 불가’…게임사 대표 ‘불송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09
펀딩 투자받고 보드게임 ‘미발송 ·환불 불가’…게임사 대표 ‘불송치’
펀딩 투자받고 보드게임 ‘미발송 ·환불 불가’…게임사 대표 ‘불송치’
1년 반 넘게 제품 미발송한 혐의경찰 “수 개월 걸리는 펀딩 방식…피해자들이 몰랐다 보긴 어려워” 보드게임 펀딩 투자를 받은 후 제품을 발송하지 않아 투자자들로부터 고소당한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부산연제경찰서는 지난달 11일 사기 혐의를 받는 게임사 대표 A 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A 씨는 2021년 2월~2023년 9월 자사 홈페이지와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를 통해 보드게임 4종에 대한 펀딩으로 약 770만 원을 모금한 뒤, 제품을 출시하지 않고 투자금을 환불해 주지 않은 혐의를 받았다. 투자자들은 A 씨로부터 펀딩 후 1년 내 물품 지급을 약속받았으나 지급이 이뤄지지 않고 소통이 미흡하자 집단 고소를 진행했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제품 지급이 늦어지긴 했지만 애초 제품을 만들 의사나 능력 없이 자금을 모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A 씨는 “펀딩금으로 실제 제작에 착수했으나 코로나19로 해외 공장이 셧다운되는 바람에 생산하지 못했다”며 “이후 생산을 했는데도 제품 품질 문제 등으로 배송이 지연된 것”이라고 해명했다.경찰은 A 씨에게 사기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경찰 관계자는 “통상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제품 제작은 수개월 이상 소요되는 특성이 있다”며 “고소인들이 펀딩 시작 후 3년 가까이 지난 시점에 피해 신고를 한 점을 고려하면 펀딩 구매 방식의 특성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송 지연에 따른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기망행위가 있었다고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계약 당시 피의자에게 제품을 제작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는 점, 즉 기망의 고의가 입증돼야 한다”며 “A 씨가 원제작사와 체결한 라이선스 계약서와 실제 발주서 등을 증거로 제출해 제작을 위해 노력한 점을 성실히 소명했고, 이를 통해 제품 배송 및 환불 지연에 고의가 없었음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펀딩 투자받고 보드게임 ‘미발송 ·환불 불가’…게임사 대표 ‘불송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08
속옷 차림 女 합성 사진·신상정보 SNS 올린 40대 '무죄'...왜?
속옷 차림 女 합성 사진·신상정보 SNS 올린 40대 '무죄'...왜?
A씨, 성명불상자로부터 받은 합성 음란물을 SNS에 게시한 혐의로 기소법원 "성적 부위나 행위가 적나라하게 표현된 건 아냐" 무죄 합성된 음란물을 SNS에 유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은 지난달 22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상 음란물 유포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밝혔습니다.A씨는 지난해 5월 성명불상자로부터 특정 여성의 얼굴과 속옷 차림의 신체 일부가 합성된 사진 등을 전달받아 자신의 SNS 계정에 올린 혐의를 받았습니다.당시 A씨는 해당 여성의 이름과 나이, 신체 조건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습니다.SNS상에서 건네받은 사진 몇 장을 게시한 건 맞지만, 이러한 사진들을 '음란물'로 보기 어렵다는 취지입니다.그러면서 A씨 측은 사진 속에서 성적 행위를 연상시키는 포즈 등이 나타나지는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또 A씨는 해당 사진을 직접 합성한 사실이 없고, 합성 여부를 명확히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사진이 정교하게 합성된 점 등을 고려할 때, 음란성에 고의를 갖고 게시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사진들을 살펴보면, 성적 부위나 성적 행위가 적나라하게 표현 또는 묘사된 것이라 평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속옷을 착용한 전신사진 역시, 여성의 통상적인 속옷 광고 등과 비교해 보더라도 음란물로 평가할 만큼 그 차이가 현격하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변관훈 변호사는 "판례에 의하면 '음란 표현물'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성적인 흥미에 관련돼 저속·문란한 느낌을 준다는 정도만으로 부족하고, 과도하고 노골적인 방법에 의해 성적 부위나 행위가 표현돼야 한다"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해당 게시글이 형사 처벌이 필요한 '음란물'에 해당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음란물유포 #합성음란물 #사건사고 #무죄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속옷 차림 女 합성 사진·신상정보 SNS 올린 40대 '무죄'...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9-08
속옷 차림 女 합성 사진·신상정보 SNS 올린 40대 '무죄'...왜?
속옷 차림 女 합성 사진·신상정보 SNS 올린 40대 '무죄'...왜?
A씨, 성명불상자로부터 받은 합성 음란물을 SNS에 게시한 혐의로 기소법원 "성적 부위나 행위가 적나라하게 표현된 건 아냐" 무죄 합성된 음란물을 SNS에 유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은 지난달 22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상 음란물 유포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밝혔습니다.A씨는 지난해 5월 성명불상자로부터 특정 여성의 얼굴과 속옷 차림의 신체 일부가 합성된 사진 등을 전달받아 자신의 SNS 계정에 올린 혐의를 받았습니다.당시 A씨는 해당 여성의 이름과 나이, 신체 조건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습니다.SNS상에서 건네받은 사진 몇 장을 게시한 건 맞지만, 이러한 사진들을 '음란물'로 보기 어렵다는 취지입니다.그러면서 A씨 측은 사진 속에서 성적 행위를 연상시키는 포즈 등이 나타나지는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또 A씨는 해당 사진을 직접 합성한 사실이 없고, 합성 여부를 명확히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사진이 정교하게 합성된 점 등을 고려할 때, 음란성에 고의를 갖고 게시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사진들을 살펴보면, 성적 부위나 성적 행위가 적나라하게 표현 또는 묘사된 것이라 평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속옷을 착용한 전신사진 역시, 여성의 통상적인 속옷 광고 등과 비교해 보더라도 음란물로 평가할 만큼 그 차이가 현격하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변관훈 변호사는 "판례에 의하면 '음란 표현물'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성적인 흥미에 관련돼 저속·문란한 느낌을 준다는 정도만으로 부족하고, 과도하고 노골적인 방법에 의해 성적 부위나 행위가 표현돼야 한다"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해당 게시글이 형사 처벌이 필요한 '음란물'에 해당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음란물유포 #합성음란물 #사건사고 #무죄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속옷 차림 女 합성 사진·신상정보 SNS 올린 40대 '무죄'...왜? (바로가기)
법조신문
2025-09-08
[판례평석]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보험자의 설명의무
[판례평석]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보험자의 설명의무
대법원 2025. 5. 15. 선고 2025다209662 판결 - 1.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과 설명의무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갑상선암이다(2022년 기준). 갑상선암은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 보험자(보험회사)는 보험계약자에게 갑상선암의 전이암이 발생한 경우 ‘갑상선암 진단 보험금’과 별도로 ‘일반암 진단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암보험계약의 약관 중 ‘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 악성신생물(암)의 경우 일차성 악성신생물(암)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원발부위(최초 발생한 부위)를 기준으로 분류한다’는 내용의 이른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규정하고 있다. 즉, 갑상선암이 림프절로 전이된 경우, 갑상선암을 원발암으로, 림프절 전이암을 이차성 악성신생물로 보아 갑상선암 부위를 기준으로 한 보험금만 지급하고 림프절 전이암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그런데 이런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보험계약의 중요사항에 해당하여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해 오래전부터 다툼이 있어왔다. 이 쟁점과 관련한 대법원 판례는 최근까지 없었고, 하급심 판례는 설명의무의 대상이 된다는 판례들과 그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판례들이 팽팽하게 대립해 있었다.2. 사실관계보험자인 원고와 보험계약자인 피고는 2013년 암 보험계약을 체결하였다.이 사건 보험계약은, 보장개시일 이후 암 진단확정시 암진단비 3000만 원 지급, 보장개시일 이후 소액암 이외의 암 진단확정시 소액암 이외의 암진단비 4000만 원 지급하는 것으로 정하고 있다. 이 사건 보험계약의 암진단비 특별약관에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정하고 있다.피고는 2023년 병원에서 갑상선암(상병코드 C73), 림프절 전이(상병코드 C77)를 진단받고, 갑상선일엽 절제술 및 중심림프절 절제술을 받았다. 피고는 원고에게 갑상선암의 림프절 전이로 인한 일반암 기준 암진단비를 청구하였다.그런데 원고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으로서 보험계약자가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원고는 피고에게 림프절 전이(C77)에 따른 보험금 7000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며 피고를 상대로 채무부존재확인의 소를 제기하였다.3. 제1심 및 원심의 판단제1심은 “①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거래상 일반적으로 공통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고, ②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보험계약자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약관조항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피고는 이 사건 분류기준에 대한 원고의 설명의무위반을 주장할 수 없다”고 하며 원고가 피고에게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설명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보험계약에 기한 원고의 피고에 대한 보험금지급채무는 존재하지 아니한다며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였다. 이에 피고가 항소하였으나, 원심 또한 제1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인정된다며 피고의 항소를 기각하였다.4. 대법원의 판단대법원은 아래의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하며 원심의 판단에는 보험약관 설명의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본 뒤,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는 판결을 하였다.가.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해당“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보험계약에서 무엇을 보험사고로 할지에 관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보험금 지급의무의 존부, 보장 범위 또는 보험금 지급액과 직결되는 보험계약의 핵심적 사항으로서, 보험계약의 체결 여부나 그 대가를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이라고 보아야 한다.”나. 일반인 보험계약자는 전이암을 암으로 보장받을 수 없다는 점을 예상할 수 없음“이 사건 보험계약의 주계약 약관 ‘별표 14’에서는 분류번호 ‘C76~C80’의 불명확한, 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악성신생물’을 독립된 암의 하나로 명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반인으로서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관한 보험자의 설명 없이는 ‘갑상선암에서 전이된 이차성 암이 진단된 경우에는 갑상선암 등 제외조항과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근거하여 암으로 보장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을 예상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실제로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갑상선암 등 이른바 ‘소액암’에서 다른 부위로 전이된 경우를 분류하는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탓에 보험금 지급실무에 발생한 혼선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마련한 보험약관 개선방안에 따라 도입되었다. 이러한 이 사건 보험계약의 약관 내용과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의 도입 경위까지 종합하여 보면,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사항이어서 그에 관한 별도의 설명 없이도 보험계약자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5. 평석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소액암으로 인정되는 부위에서 일반암으로 인정되는 부위로 전이된 암환자의 경우 원발부위 기준 분류특약에 따라 원발부위를 기준으로 소액암 보험금에 한하여 보상받을 수밖에 없는 결과가 초래되므로 이는 ‘일반암 보험금을 제한하는 감액규정 또는 면책규정’에 해당한다.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따르면 이 사건의 경우와 같이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신생물의 경우 암이 최초 발생한 부위인 갑상선을 기준으로 분류하게 되어 일반암 진단비를 지급받을 수 없게 되며, 피고가 위 특약에 관한 설명을 들었더라도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을 체결하였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실질적으로 보험금 지급 여부나 액수를 결정하는 기준에 해당하여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해당하며,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단순히 암의 정의나 분류기준에 관한 확인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없었던 보험계약에서 갑상선에서 림프절 등 다른 부위로 전이된 암을 분류하는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탓에 일반암 보험금 지급 여부를 두고 혼선이 발생하자 금융감독원에서 2011년 4월경 원발부위가 확인되는 전이암의 경우 원발암 기준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보험약관 규정을 개선하도록 지침을 내렸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보험회사에서 암보험 약관에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포함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 갑상선에서 다른 부위로 전이된 암의 일반암 해당 여부에 관하여 보험계약자와 보험회사 사이의 잦은 분쟁이 있었고,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그 특약이 없다면 일반암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전이암을 원발부위 암으로 간주하여 보험금 지급범위를 축소하는 내용인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신생물의 경우 원발부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일반암에서 제외하는 것을 이 사건 보험계약 체결 당시 보험계약자가 알고 있었거나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이어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사항 또는 단순히 의학적 판단 기준을 부연하는 정도에 불과한 사항이라 할 수 없다. 오히려 전이암 분류 방법에 관하여 종래 혼선이 컸다는 것이므로, 보험계약자가 이를 알지 못한 채 보험계약을 체결하여 예측하지 못한 불이익을 받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였다고 보아야 한다.또한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전문적인 용어 등을 포함하고 있어 그 내용이 간단한 것이 아니고, 갑상선과 갑상선 외의 다른 부위에 악성신생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갑상선암으로만 취급한다는 것은 별도의 설명 없이는 알기 곤란하다. 특히 보험계약 조항이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 각각의 해석에 합리성이 있는 등 당해 약관의 뜻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에게 유리하게 해석하여야 한다(대법원 2008다81633 판결 참조).이상의 내용을 고려할 때 대상판결이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해당하여 설명의무의 대상이 된다고 판단한 점은 합리적이다.최근까지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가 없었고 하급심의 판단이 엇갈리고 있었으나, 대법원은 2025년 3월 13일 2023다250746 판결을 시작으로 2022다263813, 2023다273633, 2023다245058 판결과 대상판결인 2025다209662 판결 등을 쏟아내며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대상판결은 위 쟁점과 관련한 통일된 법령해석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대상판결로 인해 향후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분쟁이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기사전문보기] [판례평석]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보험자의 설명의무 (바로가기)
법조신문
2025-09-08
[판례평석]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보험자의 설명의무
[판례평석]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보험자의 설명의무
대법원 2025. 5. 15. 선고 2025다209662 판결 - 1.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과 설명의무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갑상선암이다(2022년 기준). 갑상선암은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 보험자(보험회사)는 보험계약자에게 갑상선암의 전이암이 발생한 경우 ‘갑상선암 진단 보험금’과 별도로 ‘일반암 진단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암보험계약의 약관 중 ‘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 악성신생물(암)의 경우 일차성 악성신생물(암)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원발부위(최초 발생한 부위)를 기준으로 분류한다’는 내용의 이른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규정하고 있다. 즉, 갑상선암이 림프절로 전이된 경우, 갑상선암을 원발암으로, 림프절 전이암을 이차성 악성신생물로 보아 갑상선암 부위를 기준으로 한 보험금만 지급하고 림프절 전이암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그런데 이런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보험계약의 중요사항에 해당하여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해 오래전부터 다툼이 있어왔다. 이 쟁점과 관련한 대법원 판례는 최근까지 없었고, 하급심 판례는 설명의무의 대상이 된다는 판례들과 그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판례들이 팽팽하게 대립해 있었다.2. 사실관계보험자인 원고와 보험계약자인 피고는 2013년 암 보험계약을 체결하였다.이 사건 보험계약은, 보장개시일 이후 암 진단확정시 암진단비 3000만 원 지급, 보장개시일 이후 소액암 이외의 암 진단확정시 소액암 이외의 암진단비 4000만 원 지급하는 것으로 정하고 있다. 이 사건 보험계약의 암진단비 특별약관에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정하고 있다.피고는 2023년 병원에서 갑상선암(상병코드 C73), 림프절 전이(상병코드 C77)를 진단받고, 갑상선일엽 절제술 및 중심림프절 절제술을 받았다. 피고는 원고에게 갑상선암의 림프절 전이로 인한 일반암 기준 암진단비를 청구하였다.그런데 원고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으로서 보험계약자가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원고는 피고에게 림프절 전이(C77)에 따른 보험금 7000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며 피고를 상대로 채무부존재확인의 소를 제기하였다.3. 제1심 및 원심의 판단제1심은 “①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거래상 일반적으로 공통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고, ②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보험계약자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약관조항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피고는 이 사건 분류기준에 대한 원고의 설명의무위반을 주장할 수 없다”고 하며 원고가 피고에게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설명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보험계약에 기한 원고의 피고에 대한 보험금지급채무는 존재하지 아니한다며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였다. 이에 피고가 항소하였으나, 원심 또한 제1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인정된다며 피고의 항소를 기각하였다.4. 대법원의 판단대법원은 아래의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하며 원심의 판단에는 보험약관 설명의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본 뒤,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는 판결을 하였다.가.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해당“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보험계약에서 무엇을 보험사고로 할지에 관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보험금 지급의무의 존부, 보장 범위 또는 보험금 지급액과 직결되는 보험계약의 핵심적 사항으로서, 보험계약의 체결 여부나 그 대가를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이라고 보아야 한다.”나. 일반인 보험계약자는 전이암을 암으로 보장받을 수 없다는 점을 예상할 수 없음“이 사건 보험계약의 주계약 약관 ‘별표 14’에서는 분류번호 ‘C76~C80’의 불명확한, 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악성신생물’을 독립된 암의 하나로 명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반인으로서는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관한 보험자의 설명 없이는 ‘갑상선암에서 전이된 이차성 암이 진단된 경우에는 갑상선암 등 제외조항과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근거하여 암으로 보장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을 예상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실제로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갑상선암 등 이른바 ‘소액암’에서 다른 부위로 전이된 경우를 분류하는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탓에 보험금 지급실무에 발생한 혼선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마련한 보험약관 개선방안에 따라 도입되었다. 이러한 이 사건 보험계약의 약관 내용과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의 도입 경위까지 종합하여 보면,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사항이어서 그에 관한 별도의 설명 없이도 보험계약자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5. 평석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소액암으로 인정되는 부위에서 일반암으로 인정되는 부위로 전이된 암환자의 경우 원발부위 기준 분류특약에 따라 원발부위를 기준으로 소액암 보험금에 한하여 보상받을 수밖에 없는 결과가 초래되므로 이는 ‘일반암 보험금을 제한하는 감액규정 또는 면책규정’에 해당한다.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따르면 이 사건의 경우와 같이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신생물의 경우 암이 최초 발생한 부위인 갑상선을 기준으로 분류하게 되어 일반암 진단비를 지급받을 수 없게 되며, 피고가 위 특약에 관한 설명을 들었더라도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을 체결하였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실질적으로 보험금 지급 여부나 액수를 결정하는 기준에 해당하여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해당하며,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단순히 암의 정의나 분류기준에 관한 확인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없었던 보험계약에서 갑상선에서 림프절 등 다른 부위로 전이된 암을 분류하는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탓에 일반암 보험금 지급 여부를 두고 혼선이 발생하자 금융감독원에서 2011년 4월경 원발부위가 확인되는 전이암의 경우 원발암 기준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보험약관 규정을 개선하도록 지침을 내렸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보험회사에서 암보험 약관에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을 포함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 갑상선에서 다른 부위로 전이된 암의 일반암 해당 여부에 관하여 보험계약자와 보험회사 사이의 잦은 분쟁이 있었고,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그 특약이 없다면 일반암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전이암을 원발부위 암으로 간주하여 보험금 지급범위를 축소하는 내용인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신생물의 경우 원발부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일반암에서 제외하는 것을 이 사건 보험계약 체결 당시 보험계약자가 알고 있었거나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이어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사항 또는 단순히 의학적 판단 기준을 부연하는 정도에 불과한 사항이라 할 수 없다. 오히려 전이암 분류 방법에 관하여 종래 혼선이 컸다는 것이므로, 보험계약자가 이를 알지 못한 채 보험계약을 체결하여 예측하지 못한 불이익을 받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였다고 보아야 한다.또한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전문적인 용어 등을 포함하고 있어 그 내용이 간단한 것이 아니고, 갑상선과 갑상선 외의 다른 부위에 악성신생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갑상선암으로만 취급한다는 것은 별도의 설명 없이는 알기 곤란하다. 특히 보험계약 조항이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 각각의 해석에 합리성이 있는 등 당해 약관의 뜻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에게 유리하게 해석하여야 한다(대법원 2008다81633 판결 참조).이상의 내용을 고려할 때 대상판결이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은 보험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해당하여 설명의무의 대상이 된다고 판단한 점은 합리적이다.최근까지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가 없었고 하급심의 판단이 엇갈리고 있었으나, 대법원은 2025년 3월 13일 2023다250746 판결을 시작으로 2022다263813, 2023다273633, 2023다245058 판결과 대상판결인 2025다209662 판결 등을 쏟아내며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대상판결은 위 쟁점과 관련한 통일된 법령해석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대상판결로 인해 향후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분쟁이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기사전문보기] [판례평석] 원발부위 기준 분류조항에 대한 보험자의 설명의무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6곳
2025-09-08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이서형 변호사 “안전성과 혁신 조화 이끄는 규제 환경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장을 맡고 있는 이서형 변호사가 지난달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고문 변호사로 위촉됐다.식약처 고문변호사는 행정처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를 사전에 검토하고 행정 소송에서 처분의 정당성을 변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새로운 법령이나 규정이 시행될 때 일관된 해석 기준을 제시해 정책 혼선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기도 한다.이 변호사는 앞으로 소송 대응을 비롯해 법령 해석, 계약서 검토 등 식약처 정책 집행 전반에서 법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업무를 맡게 된다. 특히 AI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첨단재생의료, 임상시험 등 신기술 분야에서 명확한 법령 해석과 실무 자문을 통해 정책 집행 과정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이 변호사는 변호사·변리사·약사 자격을 모두 갖춘 융합형 전문가로, 대한의료정보학회 법제이사 및 학술위원, 상급종합병원 IRB 및 DRB 위원, 대한의료법학회 회원,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원, 과기부 산하 미래의학연구재단 자문위원 등 활동을 이어왔다.또한, 보건복지부, 식약처, 질병관리청 및 산하 공공기관 자문을 다수 수행하고, 유관 학회·협회 초청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강연, 생명·의료분야 저서 활동 등 풍부한 경험을 갖췄다.이 변호사는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장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허가 ▲임상시험 ▲GMP(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급여 등재, ▲의료 광고 및 마케팅 등 제품 개발과 시장 진입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법적 이슈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더불어 의료기관의 설립·운영, 기관 인증, 인력 관리와 같은 경영 관련 리스크뿐 아니라, 행정처분 대응, 형사 절차, 개인정보와 의료데이터 활용, 기술이전 및 지식재산권 분쟁까지 아우르며 헬스케어 산업 전반에 대한 예방적 컨설팅과 사후 대응 전략 수립을 맡고 있다.이 변호사는 "새로운 규제 정책이 수립되는 단계에서 법적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이 검증된 혁신 기술이 신속히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라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산업 성장을 지원하는 규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의료법·약사법 등 분야별 전문가가 다수 소속돼 있으며,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의뢰인들에게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메디파나 -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이서형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장, 식약처 고문변호사에 위촉 (바로가기) 데일리팜 - 이서형 변호사(약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6곳
2025-09-08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이서형 변호사 “안전성과 혁신 조화 이끄는 규제 환경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장을 맡고 있는 이서형 변호사가 지난달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고문 변호사로 위촉됐다.식약처 고문변호사는 행정처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를 사전에 검토하고 행정 소송에서 처분의 정당성을 변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새로운 법령이나 규정이 시행될 때 일관된 해석 기준을 제시해 정책 혼선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기도 한다.이 변호사는 앞으로 소송 대응을 비롯해 법령 해석, 계약서 검토 등 식약처 정책 집행 전반에서 법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업무를 맡게 된다. 특히 AI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첨단재생의료, 임상시험 등 신기술 분야에서 명확한 법령 해석과 실무 자문을 통해 정책 집행 과정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이 변호사는 변호사·변리사·약사 자격을 모두 갖춘 융합형 전문가로, 대한의료정보학회 법제이사 및 학술위원, 상급종합병원 IRB 및 DRB 위원, 대한의료법학회 회원,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원, 과기부 산하 미래의학연구재단 자문위원 등 활동을 이어왔다.또한, 보건복지부, 식약처, 질병관리청 및 산하 공공기관 자문을 다수 수행하고, 유관 학회·협회 초청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강연, 생명·의료분야 저서 활동 등 풍부한 경험을 갖췄다.이 변호사는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장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허가 ▲임상시험 ▲GMP(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급여 등재, ▲의료 광고 및 마케팅 등 제품 개발과 시장 진입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법적 이슈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더불어 의료기관의 설립·운영, 기관 인증, 인력 관리와 같은 경영 관련 리스크뿐 아니라, 행정처분 대응, 형사 절차, 개인정보와 의료데이터 활용, 기술이전 및 지식재산권 분쟁까지 아우르며 헬스케어 산업 전반에 대한 예방적 컨설팅과 사후 대응 전략 수립을 맡고 있다.이 변호사는 "새로운 규제 정책이 수립되는 단계에서 법적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이 검증된 혁신 기술이 신속히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라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산업 성장을 지원하는 규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의료법·약사법 등 분야별 전문가가 다수 소속돼 있으며,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의뢰인들에게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메디파나 - 법무법인 대륜 이서형 변호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이서형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장, 식약처 고문변호사에 위촉 (바로가기) 데일리팜 - 이서형 변호사(약사), 식약처 고문변호사 위촉 (바로가기)
로이슈
2025-09-08
군인 성범죄, 처벌은 물론 파면·해임 가능…대응은?
군인 성범죄, 처벌은 물론 파면·해임 가능…대응은?
군부대는 국가 안보와 직결된 중요한 조직으로, 기강과 규율이 엄격하게 유지된다. 특히 군 내부에서 발생하는 성범죄에 대해서는 더 중한 처벌이 이뤄지고 있다.군형법은 일반 형법에 대해 형량이 높은 편으로, 벌금형 없이 징역의 하한만 규정하고 있다. 군형법 제92조의3에 따르면, 군인 또는 이에 준하는 신분을 가진 이들이 폭행이나 협박을 통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행위를 했을 시 벌금형 없이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진다. 따라서 만약 군 복무 중이거나 군무원 등 준군인이라면 이같은 내용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아울러 군대 내 성범죄는 군인 징계 사유에 해당된다. 형사 처벌과 별개로 징계 처분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가중 처벌 요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비교적 가벼운 견책부터 감봉, 강등, 더 나아가 파면·해임까지 중징계에 이르는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필자가 맡았던 사건 중 군인 등 강제추행건을 들어 설명해보겠다. 이 사건은 군무원 신분이던 피의자가 하급자인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한 사안이다. 당시 피의자는 피해자의 얼굴에 자신의 얼굴을 비비는 등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는 신체 접촉을 했다. 피의자는 단순한 장난이었다고 주장했으나, 피해자는 해당 행동으로 인해 성적수치심과 모욕감을 느꼈다며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다.시작은 장난이었을지 몰라도 피의자의 이같은 행동은 큰 파장을 몰고왔다. 형사 처벌은 물론 징계까지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정년에 가까웠던 피의자는 퇴직을 앞두고 연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컸다. 관련 법에 따라 중대한 비리나 범죄 등으로 파면된 경우 연금 지급이 제한될 수 있었다.최대한 낮은 처분을 받아야 했던 피의자를 위해 필자는 사건을 면밀히 살폈다. 정황이 명확하게 입증된 상황이었으므로 반성의 태도가 중요했다. 모든 혐의를 인정하고, 피해자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하는 것을 우선시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피해자의 용서를 받고, 처벌 불원 의사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외에도 재범 방지 교육 수료, 주변인의 탄원 등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살핀 결과, 사건은 기소유예로 일단락됐다.법무법인 대륜 박경옥 군전문변호사는 “이렇듯 군성범죄 사건을 원하는 방향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리인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위 사안과 같은 경우 혼자 사건을 진행하면서 ‘난 잘못이 없다’며 무작정 무죄를 다투는 식의 대응을 했다면, 오히려 가중처벌이라는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았다.”며 “초기의 대응이 결과를 크게 좌우하므로 군전문변호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올바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전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군인 성범죄, 처벌은 물론 파면·해임 가능…대응은? (바로가기)
로이슈
2025-09-08
군인 성범죄, 처벌은 물론 파면·해임 가능…대응은?
군인 성범죄, 처벌은 물론 파면·해임 가능…대응은?
군부대는 국가 안보와 직결된 중요한 조직으로, 기강과 규율이 엄격하게 유지된다. 특히 군 내부에서 발생하는 성범죄에 대해서는 더 중한 처벌이 이뤄지고 있다.군형법은 일반 형법에 대해 형량이 높은 편으로, 벌금형 없이 징역의 하한만 규정하고 있다. 군형법 제92조의3에 따르면, 군인 또는 이에 준하는 신분을 가진 이들이 폭행이나 협박을 통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행위를 했을 시 벌금형 없이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진다. 따라서 만약 군 복무 중이거나 군무원 등 준군인이라면 이같은 내용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아울러 군대 내 성범죄는 군인 징계 사유에 해당된다. 형사 처벌과 별개로 징계 처분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가중 처벌 요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비교적 가벼운 견책부터 감봉, 강등, 더 나아가 파면·해임까지 중징계에 이르는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필자가 맡았던 사건 중 군인 등 강제추행건을 들어 설명해보겠다. 이 사건은 군무원 신분이던 피의자가 하급자인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한 사안이다. 당시 피의자는 피해자의 얼굴에 자신의 얼굴을 비비는 등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는 신체 접촉을 했다. 피의자는 단순한 장난이었다고 주장했으나, 피해자는 해당 행동으로 인해 성적수치심과 모욕감을 느꼈다며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다.시작은 장난이었을지 몰라도 피의자의 이같은 행동은 큰 파장을 몰고왔다. 형사 처벌은 물론 징계까지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정년에 가까웠던 피의자는 퇴직을 앞두고 연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컸다. 관련 법에 따라 중대한 비리나 범죄 등으로 파면된 경우 연금 지급이 제한될 수 있었다.최대한 낮은 처분을 받아야 했던 피의자를 위해 필자는 사건을 면밀히 살폈다. 정황이 명확하게 입증된 상황이었으므로 반성의 태도가 중요했다. 모든 혐의를 인정하고, 피해자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하는 것을 우선시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피해자의 용서를 받고, 처벌 불원 의사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외에도 재범 방지 교육 수료, 주변인의 탄원 등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살핀 결과, 사건은 기소유예로 일단락됐다.법무법인 대륜 박경옥 군전문변호사는 “이렇듯 군성범죄 사건을 원하는 방향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리인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위 사안과 같은 경우 혼자 사건을 진행하면서 ‘난 잘못이 없다’며 무작정 무죄를 다투는 식의 대응을 했다면, 오히려 가중처벌이라는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았다.”며 “초기의 대응이 결과를 크게 좌우하므로 군전문변호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올바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전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군인 성범죄, 처벌은 물론 파면·해임 가능…대응은? (바로가기)
SBS Biz
2025-09-05
KT 쓰는 광명시민 발칵…해킹 의혹 '서버파기' 논란
KT 쓰는 광명시민 발칵…해킹 의혹 '서버파기' 논란
'오비이락' KT…해킹 의혹 '서버 파기' 논란 [앵커] 이런 때에 경기도 광명시에서 새벽에 여러 명의 휴대전화에서 소액결제로 수십만 원이 빠져나가는 무더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최근 불거진 통신사 해킹사태와 연관돼서 경찰 수사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0여 명의 피해자들은 모두 KT 이용자들이라고 하는데, 특히 KT는 이번 해킹 사태와 관련해 서버가 파기된 정황이 국회에서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통신사들이 해킹 자체를 부인하는 상황에서 핵심 증거가 될 수 있는 서버 파기 의혹까지 더해져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조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해킹 의혹이 제기됐음에도 자진 신고하지 않은 KT와 LG유플러스의 행태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최민희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 이 통신사들이 대한민국 과기부를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를 어떻게 보기에 이런 행동을 하나….] 그러면서 KT의 서버 파기 의혹을 제기했고 고의성 여부를 철저히 조사할 것을 주문합니다. [최민희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 KT의 경우는 서버가 파기됐다면서요.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차관) 예, 그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최민희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 하필 이 시점에 좀 이상한 일이잖아요. '해킹 흔적을 없애기 위해 그런 거 아냐? ' 이런 의혹이 생길 수도 있으니….] 이용자 보호 측면에서 사실 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것을 촉구하는 시민단체 목소리도 나옵니다. [한석현 / 서울 YMCA 시민중계실장 : 과기부가 주관 부처로서 조사하는데 한계가 있으면, 그 한계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보호법을 적극적으로 해석해서 이런 사태 유출 피해를….] 서버는 해커가 침투한 경로, 사용한 악성 코드, 유출된 데이터의 종류 등이 담긴 핵심 증거입니다. 의도적으로 파기했다면 증거 인멸 시도로 비칠 수 있습니다. [손계준 /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 (사안을) 나눠 가지고 봐야 할 텐데요. 누가 과연 책임을 지느냐 증거를 따지고, 누가 증거를 파기했는지 특정을 해야겠죠.] KT는 정부 조사에 협조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관련 의혹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한편 경기도 광명에서는 20여 명의 KT 이용자 휴대전화에서 소액 결제로 수십만 원이 빠져나가는 사건이 경찰에 접수돼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SBS Biz 조슬기입니다. 조슬기 기자(skcho@sbs.co.kr) [기사전문보기] KT 쓰는 광명시민 발칵…해킹 의혹 '서버파기' 논란 (바로가기)
SBS Biz
2025-09-05
KT 쓰는 광명시민 발칵…해킹 의혹 '서버파기' 논란
KT 쓰는 광명시민 발칵…해킹 의혹 '서버파기' 논란
'오비이락' KT…해킹 의혹 '서버 파기' 논란 [앵커] 이런 때에 경기도 광명시에서 새벽에 여러 명의 휴대전화에서 소액결제로 수십만 원이 빠져나가는 무더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최근 불거진 통신사 해킹사태와 연관돼서 경찰 수사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0여 명의 피해자들은 모두 KT 이용자들이라고 하는데, 특히 KT는 이번 해킹 사태와 관련해 서버가 파기된 정황이 국회에서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통신사들이 해킹 자체를 부인하는 상황에서 핵심 증거가 될 수 있는 서버 파기 의혹까지 더해져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조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해킹 의혹이 제기됐음에도 자진 신고하지 않은 KT와 LG유플러스의 행태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최민희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 이 통신사들이 대한민국 과기부를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를 어떻게 보기에 이런 행동을 하나….] 그러면서 KT의 서버 파기 의혹을 제기했고 고의성 여부를 철저히 조사할 것을 주문합니다. [최민희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 KT의 경우는 서버가 파기됐다면서요.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차관) 예, 그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최민희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 하필 이 시점에 좀 이상한 일이잖아요. '해킹 흔적을 없애기 위해 그런 거 아냐? ' 이런 의혹이 생길 수도 있으니….] 이용자 보호 측면에서 사실 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것을 촉구하는 시민단체 목소리도 나옵니다. [한석현 / 서울 YMCA 시민중계실장 : 과기부가 주관 부처로서 조사하는데 한계가 있으면, 그 한계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보호법을 적극적으로 해석해서 이런 사태 유출 피해를….] 서버는 해커가 침투한 경로, 사용한 악성 코드, 유출된 데이터의 종류 등이 담긴 핵심 증거입니다. 의도적으로 파기했다면 증거 인멸 시도로 비칠 수 있습니다. [손계준 /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 (사안을) 나눠 가지고 봐야 할 텐데요. 누가 과연 책임을 지느냐 증거를 따지고, 누가 증거를 파기했는지 특정을 해야겠죠.] KT는 정부 조사에 협조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관련 의혹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한편 경기도 광명에서는 20여 명의 KT 이용자 휴대전화에서 소액 결제로 수십만 원이 빠져나가는 사건이 경찰에 접수돼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SBS Biz 조슬기입니다. 조슬기 기자(skcho@sbs.co.kr) [기사전문보기] KT 쓰는 광명시민 발칵…해킹 의혹 '서버파기' 논란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04
‘근무 중 뇌출혈’ 근로자, 손해배상 제기…법원이 기각한 사유는
‘근무 중 뇌출혈’ 근로자, 손해배상 제기…법원이 기각한 사유는
근로자 “업무 경감 등 조치 없었다”사측 “본인 건강상태 알리지 않았다”재판부 “사측, 사고 예측하기 어려워”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진 근로자가 회사 측에 산업재해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했지만 패소했다.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은 지난달 19일 50대 남성 A 씨가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B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A 씨는 2020년 근무하다가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돼 뇌출혈과 희귀 뇌혈관 질환인 ‘모야모야병’을 진단받았다. 당시 근로복지공단은 뇌출혈만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해 A 씨에게 보험금을 지급했다. 모야모야병은 기저 질환으로 봐야 한다는 취지였다.이후 A 씨는 사측을 상대로 산업재해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했다. 사고 발생 전부터 높은 혈압으로 건강이 좋지 않았는데도 B사가 업무 경감 등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A 씨는 교대 근무제, 시끄러운 환경 등 유해한 작업 환경으로 뇌질환이 발병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치료비와 일실수익, 위자료 등을 합쳐 약 2억 원의 배상을 요구했다.B사는 이를 반박했다. 뇌출혈 원인은 A 씨가 앓던 모야모야병이라고 맞섰다. 아울러 A 씨가 자신의 건강 상태에 관해 회사에 알리지 않아 사고를 예측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근로 과정에서도 충분한 휴식 시간을 제공하는 등 안전 배려 의무를 위반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법원은 B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교대 근무임을 고려하더라도 원고의 업무량이 통상적 기준에 비해 과중했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사측은 작업자들에게 청력 보호를 위한 귀마개를 제공하기도 했다”며 “다른 작업자에게서 원고와 같은 증상 또는 질병이 발견된 경우가 없었다”고 밝혔다.이어 “원고에 대한 신체 감정 결과 기저 질환이 뇌출혈의 발병 원인으로 판단되고, 원고 스스로도 사고 전까지 자신의 신체 상태에 대해 알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고 회사가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는데도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아 보호 의무를 위반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B사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송석민 변호사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산재 보상은 사회보장제도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업주의 고의 또는 과실을 전제로 하는 채무 불이행 책임과는 성질이 다르다”며 “B사가 A 씨의 건강 상태를 알지 못했다는 점과 함께 특별한 업무 과중이나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 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추가적 요인을 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근무 중 뇌출혈’ 근로자, 손해배상 제기…법원이 기각한 사유는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9-04
‘근무 중 뇌출혈’ 근로자, 손해배상 제기…법원이 기각한 사유는
‘근무 중 뇌출혈’ 근로자, 손해배상 제기…법원이 기각한 사유는
근로자 “업무 경감 등 조치 없었다”사측 “본인 건강상태 알리지 않았다”재판부 “사측, 사고 예측하기 어려워”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진 근로자가 회사 측에 산업재해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했지만 패소했다.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은 지난달 19일 50대 남성 A 씨가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B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A 씨는 2020년 근무하다가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돼 뇌출혈과 희귀 뇌혈관 질환인 ‘모야모야병’을 진단받았다. 당시 근로복지공단은 뇌출혈만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해 A 씨에게 보험금을 지급했다. 모야모야병은 기저 질환으로 봐야 한다는 취지였다.이후 A 씨는 사측을 상대로 산업재해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했다. 사고 발생 전부터 높은 혈압으로 건강이 좋지 않았는데도 B사가 업무 경감 등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A 씨는 교대 근무제, 시끄러운 환경 등 유해한 작업 환경으로 뇌질환이 발병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치료비와 일실수익, 위자료 등을 합쳐 약 2억 원의 배상을 요구했다.B사는 이를 반박했다. 뇌출혈 원인은 A 씨가 앓던 모야모야병이라고 맞섰다. 아울러 A 씨가 자신의 건강 상태에 관해 회사에 알리지 않아 사고를 예측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근로 과정에서도 충분한 휴식 시간을 제공하는 등 안전 배려 의무를 위반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법원은 B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교대 근무임을 고려하더라도 원고의 업무량이 통상적 기준에 비해 과중했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사측은 작업자들에게 청력 보호를 위한 귀마개를 제공하기도 했다”며 “다른 작업자에게서 원고와 같은 증상 또는 질병이 발견된 경우가 없었다”고 밝혔다.이어 “원고에 대한 신체 감정 결과 기저 질환이 뇌출혈의 발병 원인으로 판단되고, 원고 스스로도 사고 전까지 자신의 신체 상태에 대해 알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고 회사가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는데도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아 보호 의무를 위반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B사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송석민 변호사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산재 보상은 사회보장제도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업주의 고의 또는 과실을 전제로 하는 채무 불이행 책임과는 성질이 다르다”며 “B사가 A 씨의 건강 상태를 알지 못했다는 점과 함께 특별한 업무 과중이나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 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추가적 요인을 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근무 중 뇌출혈’ 근로자, 손해배상 제기…법원이 기각한 사유는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2곳
2025-09-04
“파급효과 다각적 검토”…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
“파급효과 다각적 검토”…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3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개최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4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지난 7월과 8월 연이어 국회 문턱을 넘은 상법 개정안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명 '노란봉투법'의 핵심 쟁점을 점검하고 기업들의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세미나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됐으며 금융업, 건설업, 서비스업, 화물업 등 관련 업계 담당자 및 실무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한 이번 세미나에는 대륜 방인태 변호사(사법연수원 41기), 호규찬 변호사(36기)가 발표자로 나섰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방인태 변호사가 노란봉투법의 주요 내용과 영향에 대해 소개했다. 방 변호사는 사용자 단체교섭 당사자 범위 확대, 쟁의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제한, 교섭 의제 확장 등 이번 개정안이 담고 있는 핵심 쟁점을 짚으며 법 시행 이후 기업들이 맞딱뜨릴 수 있는 리스크를 설명했다.그는 "개정 노동조합법은 기존의 노사관계 관행을 크게 흔들 수 있는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며 "개정된 법의 내용을 임직원 모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노사 간의 신뢰와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호규찬 변호사가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함께 의의에 대해 발표했다. 호 변호사는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상장회사의 사외이사 제도 개선 사항,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도입 등 주요 개정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며 기업 지배구조 변화에 따른 실무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호 변호사는 "이번 개정안으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이 회사를 넘어선 총주주의 이익 보호로 확대되는 등 기업 경영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총주주의 이익이 무엇인지 등 쟁점이 남아있는 만큼 향후 판례나 수사기관의 판단, 법무부의 유권해석 등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이번 세미나는 두 개정안에 따른 제도적 변화를 함께 조망하고 그 파급효과를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자리였다"며 “다가올 환경을 준비하는 데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각 기업의 내일을 전망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파급효과 다각적 검토”…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파급효과 다각 검토"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2곳
2025-09-04
“파급효과 다각적 검토”…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
“파급효과 다각적 검토”…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3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개최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4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지난 7월과 8월 연이어 국회 문턱을 넘은 상법 개정안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명 '노란봉투법'의 핵심 쟁점을 점검하고 기업들의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세미나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됐으며 금융업, 건설업, 서비스업, 화물업 등 관련 업계 담당자 및 실무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한 이번 세미나에는 대륜 방인태 변호사(사법연수원 41기), 호규찬 변호사(36기)가 발표자로 나섰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방인태 변호사가 노란봉투법의 주요 내용과 영향에 대해 소개했다. 방 변호사는 사용자 단체교섭 당사자 범위 확대, 쟁의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제한, 교섭 의제 확장 등 이번 개정안이 담고 있는 핵심 쟁점을 짚으며 법 시행 이후 기업들이 맞딱뜨릴 수 있는 리스크를 설명했다.그는 "개정 노동조합법은 기존의 노사관계 관행을 크게 흔들 수 있는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며 "개정된 법의 내용을 임직원 모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노사 간의 신뢰와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호규찬 변호사가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함께 의의에 대해 발표했다. 호 변호사는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상장회사의 사외이사 제도 개선 사항,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도입 등 주요 개정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며 기업 지배구조 변화에 따른 실무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호 변호사는 "이번 개정안으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이 회사를 넘어선 총주주의 이익 보호로 확대되는 등 기업 경영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총주주의 이익이 무엇인지 등 쟁점이 남아있는 만큼 향후 판례나 수사기관의 판단, 법무부의 유권해석 등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이번 세미나는 두 개정안에 따른 제도적 변화를 함께 조망하고 그 파급효과를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자리였다"며 “다가올 환경을 준비하는 데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각 기업의 내일을 전망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파급효과 다각적 검토”…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세미나 성료…"파급효과 다각 검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03
디지털자산기본법 임박…생존을 위한 3가지 전략은?
디지털자산기본법 임박…생존을 위한 3가지 전략은?
지난 6월, 디지털자산시장의 규제 공백을 메우고 산업의 기틀을 다질 '디지털자산기본법'(이하 기본법)이 발의되며 업계의 모든 시선이 국회로 향하고 있다. 해당 법안에는 먼저 디지털자산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함께 디지털자산 이용자의 권리, 디지털자산 사업자의 의무 등에 대한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법안의 또 다른 핵심 내용 중 하나는 디지털자산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거나 등록 또는 신고를 하도록 하는 것으로, 디지털자산 생태계의 관리·감독 주체가 금융위원회임을 명확히 하는 한편, 시장질서 확립과 금융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부터 시행 중인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이용자 자산 보호와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라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한 1단계 규제였다면, 이번 기본법은 디지털자산업으로의 진입부터 시작해서 디지털자산의 발행·유통·공시·거래지원 규제까지 포괄하는 2단계 종합 규제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즉, 디지털자산산업에 자본시장법과 같은 역할을 할 기본법이 생기며 이젠 관련 기업 모두 새로운 규제와 책임에 마주하게 된 것이다.기본법 시행을 둘러싼 업계의 반응은 엇갈린다. 증권·금융사 및 대형 업체들은 시장 선점과 신사업 진출의 기회를 잡아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 외 다수의 중소업체들은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인적·물적 설비를 갖추고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출되는 막대한 비용이다. 단순히 자본금 요건을 충족하고 전산자원을 갖추는 것을 넘어, 준법감시인·위험관리책임자·정보보호최고책임자 등 전문인력의 채용과 대규모 통제조직의 신설, 자금세탁방지 및 이상거래탐지 시스템 구축 등은 중소사업자에게는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의 부담이다. 이는 결국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 중심의 시장 재편을 가속할 가능성이 높다.또 다른 우려는 국내에 도입될 규제 방식이 글로벌 스탠다드와 상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의 'MiCA'(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법안은 한 회원국에서 인가받으면 다른 회원국에서도 영업 가능한 단일 라이선스 제도('패스포팅')를 도입해 공동의 시장을 형성했다. 그러나 기본법은 한국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해외 기업에 대해서도 인가 등을 포함한 규제를 적용하므로 글로벌 시장과의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그렇다면 디지털자산 관련 기업들이 앞으로 기본법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현 시점에서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첫째, 자사가 취급하고 있는 디지털자산 및 관련 사업구조에 대한 법적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법안에서는 디지털자산의 매매·중개·보관·집합관리·지갑(월렛)관리·일임·자문 등 총 10가지의 디지털자산업을 규정한 후 각 업에 따라 인가를 받거나 등록·신고(이하 인가 등)를 마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간 제도권 밖에 있던 디지털자산업자들이 기본법 통과 이후에는 법에 따른 인적·물적 요건을 갖추고 인가 등을 받아야만 합법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법 시행 시기에 차질 없이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법무법인 등 전문가집단과 상의하여 미리 인가 등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어 적시에 신청절차를 밟는 것이 필요하다.둘째, 금융회사 수준의 지배구조 및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무·경영건전성 및 전산안정성을 위한 리스크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규정을 넘어 기업의 신뢰도와 직결되는 문제이고, 더 나아가 디지털자산생태계에서 제도적으로 퇴출될 수 있는 위험의 문제이다. 디지털자산에 전문성뿐만 아니라 윤리성과 신뢰성을 갖춘 이들로 경영진을 구성하고, 독립적인 준법감시 및 위험관리 조직을 갖추며, 고객확인과 의심거래보고 절차를 기술적으로 구현하여 규제 당국의 실사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마지막으로, 모든 투자계약서와 이용약관, 그리고 자사의 내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기본법에서는 약관의 제정·변경 시 보고절차 및 표준약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바, 이를 계기로 업계 내 계약서 및 약관에 대한 대대적인 감독권 발동이 예상된다. 과거 공정거래위원회가 가상자산사업자의 불공정약관을 대거 시정권고한 사례를 반면교사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규를 금융회사 수준으로 정교하게 정비하고 각 업자별 영업행위 준수사항을 반영하여 일상적인 업무 레벨에서부터 내부통제가 구현되게 만들 필요가 있다.기본법 발의 당시 대표발의자 및 디지털자산위원회에서 연내 통과를 목표로 밝힌 만큼 시간이 많지 않다. 법 시행 후 급하게 대응하기보다는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디지털자산기본법을 '규제'가 아닌 '기회'로 보는 관점의 전환이다. 제도권 편입을 통해 시장의 신뢰도가 높아지면 더 많은 자본과 우수한 인재가 유입될 것이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기업들만이 디지털금융의 미래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디지털자산기본법 임박…생존을 위한 3가지 전략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9-03
디지털자산기본법 임박…생존을 위한 3가지 전략은?
디지털자산기본법 임박…생존을 위한 3가지 전략은?
지난 6월, 디지털자산시장의 규제 공백을 메우고 산업의 기틀을 다질 '디지털자산기본법'(이하 기본법)이 발의되며 업계의 모든 시선이 국회로 향하고 있다. 해당 법안에는 먼저 디지털자산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함께 디지털자산 이용자의 권리, 디지털자산 사업자의 의무 등에 대한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법안의 또 다른 핵심 내용 중 하나는 디지털자산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거나 등록 또는 신고를 하도록 하는 것으로, 디지털자산 생태계의 관리·감독 주체가 금융위원회임을 명확히 하는 한편, 시장질서 확립과 금융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부터 시행 중인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이용자 자산 보호와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라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한 1단계 규제였다면, 이번 기본법은 디지털자산업으로의 진입부터 시작해서 디지털자산의 발행·유통·공시·거래지원 규제까지 포괄하는 2단계 종합 규제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즉, 디지털자산산업에 자본시장법과 같은 역할을 할 기본법이 생기며 이젠 관련 기업 모두 새로운 규제와 책임에 마주하게 된 것이다.기본법 시행을 둘러싼 업계의 반응은 엇갈린다. 증권·금융사 및 대형 업체들은 시장 선점과 신사업 진출의 기회를 잡아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 외 다수의 중소업체들은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인적·물적 설비를 갖추고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출되는 막대한 비용이다. 단순히 자본금 요건을 충족하고 전산자원을 갖추는 것을 넘어, 준법감시인·위험관리책임자·정보보호최고책임자 등 전문인력의 채용과 대규모 통제조직의 신설, 자금세탁방지 및 이상거래탐지 시스템 구축 등은 중소사업자에게는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의 부담이다. 이는 결국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 중심의 시장 재편을 가속할 가능성이 높다.또 다른 우려는 국내에 도입될 규제 방식이 글로벌 스탠다드와 상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의 'MiCA'(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법안은 한 회원국에서 인가받으면 다른 회원국에서도 영업 가능한 단일 라이선스 제도('패스포팅')를 도입해 공동의 시장을 형성했다. 그러나 기본법은 한국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해외 기업에 대해서도 인가 등을 포함한 규제를 적용하므로 글로벌 시장과의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그렇다면 디지털자산 관련 기업들이 앞으로 기본법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현 시점에서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첫째, 자사가 취급하고 있는 디지털자산 및 관련 사업구조에 대한 법적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법안에서는 디지털자산의 매매·중개·보관·집합관리·지갑(월렛)관리·일임·자문 등 총 10가지의 디지털자산업을 규정한 후 각 업에 따라 인가를 받거나 등록·신고(이하 인가 등)를 마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간 제도권 밖에 있던 디지털자산업자들이 기본법 통과 이후에는 법에 따른 인적·물적 요건을 갖추고 인가 등을 받아야만 합법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법 시행 시기에 차질 없이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법무법인 등 전문가집단과 상의하여 미리 인가 등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어 적시에 신청절차를 밟는 것이 필요하다.둘째, 금융회사 수준의 지배구조 및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무·경영건전성 및 전산안정성을 위한 리스크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규정을 넘어 기업의 신뢰도와 직결되는 문제이고, 더 나아가 디지털자산생태계에서 제도적으로 퇴출될 수 있는 위험의 문제이다. 디지털자산에 전문성뿐만 아니라 윤리성과 신뢰성을 갖춘 이들로 경영진을 구성하고, 독립적인 준법감시 및 위험관리 조직을 갖추며, 고객확인과 의심거래보고 절차를 기술적으로 구현하여 규제 당국의 실사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마지막으로, 모든 투자계약서와 이용약관, 그리고 자사의 내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기본법에서는 약관의 제정·변경 시 보고절차 및 표준약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바, 이를 계기로 업계 내 계약서 및 약관에 대한 대대적인 감독권 발동이 예상된다. 과거 공정거래위원회가 가상자산사업자의 불공정약관을 대거 시정권고한 사례를 반면교사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규를 금융회사 수준으로 정교하게 정비하고 각 업자별 영업행위 준수사항을 반영하여 일상적인 업무 레벨에서부터 내부통제가 구현되게 만들 필요가 있다.기본법 발의 당시 대표발의자 및 디지털자산위원회에서 연내 통과를 목표로 밝힌 만큼 시간이 많지 않다. 법 시행 후 급하게 대응하기보다는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디지털자산기본법을 '규제'가 아닌 '기회'로 보는 관점의 전환이다. 제도권 편입을 통해 시장의 신뢰도가 높아지면 더 많은 자본과 우수한 인재가 유입될 것이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기업들만이 디지털금융의 미래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디지털자산기본법 임박…생존을 위한 3가지 전략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9-03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인간의 고통지수를 숫자로 환산하기란 매우 어렵다. 다만, 미국의 저명한 정신의학자홈즈와 라헤가 인간의 스트레스를 점수로 환산하기 위하여 만든 ‘홈즈 라헤 척도’에 따르면, 인간이 겪는 스트레스 수치 1위가 ‘배우자의 사망’이고, 그 바로 뒤가 ‘배우자와의 이혼’, ‘배우자와의 불화’이다. 즉, 배우자와의 이혼 및 불화, 이 두 가지 경험을 한 번에 하게 된다면 가히 인간이 겪을 수 있는 정신적 고통의 최고치를 겪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끔찍한 경험을 동시에 겪게 되는 가장 통상적인 경우는 ‘배우자의 외도로 인하여 이혼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 배우자의 부정행위를 알게 되었을 때 당사자로서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는데, 첫째는 ‘일단 용서하고 참고 산다’이고, 둘째는 ‘즉시 이혼소송과 상간자 손해배상을 제기한다’이다. 상간자에게는 위자료를 받아내고, 배우자에 대해서는 유책성에 따른 위자료를 청구하며 이혼하는 것이다.실무적으로는 첫째의 경우보다는 둘째의 경우가 월등히 많은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안타까운 대목은 아이가 있는 가정이라면 상간녀·상간남으로 인하여 평화롭던 가정이 파탄 나고 결과적으로 아이를 불안정한 환경에서 자라도록 만들게 된다는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 법으로는 가정 파탄 가해자들에 대한 형사 처벌이 불가능하다. 형사적 처벌을 규정했던 간통제는 이미 오래전 폐지되고 말았기 때문이다.이런 상황에서 배우자의 외도 증거를 찾기 위하여 배우자의 휴대전화를 몰래 보게 되면 ‘가장 파탄의 피해자’가 도리어 ‘정보통신망 침해 가해자’가 되어 형사 처벌을 받게 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진다. 결과적으로 기껏해야 민사소송을 통한 ‘위자료’를 받는 방법밖에는 남지 않는데, 이 마저도 청구 금액 전체에 대해 인용 받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전부 승소’라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정행위’ 증거가 합법적인 방법으로 완벽히 수집이 된 것이어야 하며 상간자가 배우자의 기혼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부정행위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객관적 자료’로서 증명해 내야 한다.이 모든 것이 완벽하게 이뤄지면 ‘제3자가 부부의 일방과 부정행위를 함으로써 혼인의 본질에 해당하는 부부공동생활을 침해하거나, 그 유지를 방해하고 그에 대한 배우자로서 권리를 침해하여 정신적 고통을 가하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불법행위를 구성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3므2441 판결)’라고 판시한 대법원 판례에 따라서 상당한 위자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또한, 이혼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840조 제1호에서 정한 부정한 행위라 함은 간통을 포함하되, 그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간통에 이르지는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사회통념상 혼인관계를 지속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부의 정조의무에 충실하지 아니하는 일체의 행위를 포함한다(대법원 1988. 5. 24. 선고 88므7 판결). 더불어 부정한 행위인지 여부는 구체적 사안에 따라 그 정도와 상황을 참작하여 평가하여야 한다(대법원 1992.11.10. 선고 92므68 판결). 이 같은 법리에 따라 위자료 액수가 인정되는 것이며, 그 액수가 전부인용일지 일부인용일지 판단되는 것이다.따라서 ‘증거 수집’이 상간 손해배상 소송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증거 수집 단계에서 불법성을 띄게 되면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가해자로 인정돼 이 부분이 위자료에서 감액 당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법률 전문가가 사건 초기부터 증거 수집 단계를 함께 하여 혼인의 정조 의무를 저버린 부정행위 증거와 상간자가 배우자의 기혼 여부를 알고 있었다는 정황까지 형사적 문제없이 합법적으로 입증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더해 상당한 정신적 피해가 있었음을 증명할 진단서까지 제출하면서 상간자 손해배상에서 ‘청구 금액 전부’를 인용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법무법인 대륜 김잔디 가사전문변호사는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한 이혼은 인간이 겪는 고통지수의 최고치의 합산이어서 시간이 지난들 쉽게 치유되지 않지만 이런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상대방에게 법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를 최대한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배우자의 부정행위를 인지하는 즉시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적법한 증거를 확보하고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내길 바란다.”고 조언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9-03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인간의 고통지수를 숫자로 환산하기란 매우 어렵다. 다만, 미국의 저명한 정신의학자홈즈와 라헤가 인간의 스트레스를 점수로 환산하기 위하여 만든 ‘홈즈 라헤 척도’에 따르면, 인간이 겪는 스트레스 수치 1위가 ‘배우자의 사망’이고, 그 바로 뒤가 ‘배우자와의 이혼’, ‘배우자와의 불화’이다. 즉, 배우자와의 이혼 및 불화, 이 두 가지 경험을 한 번에 하게 된다면 가히 인간이 겪을 수 있는 정신적 고통의 최고치를 겪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끔찍한 경험을 동시에 겪게 되는 가장 통상적인 경우는 ‘배우자의 외도로 인하여 이혼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 배우자의 부정행위를 알게 되었을 때 당사자로서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는데, 첫째는 ‘일단 용서하고 참고 산다’이고, 둘째는 ‘즉시 이혼소송과 상간자 손해배상을 제기한다’이다. 상간자에게는 위자료를 받아내고, 배우자에 대해서는 유책성에 따른 위자료를 청구하며 이혼하는 것이다.실무적으로는 첫째의 경우보다는 둘째의 경우가 월등히 많은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안타까운 대목은 아이가 있는 가정이라면 상간녀·상간남으로 인하여 평화롭던 가정이 파탄 나고 결과적으로 아이를 불안정한 환경에서 자라도록 만들게 된다는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 법으로는 가정 파탄 가해자들에 대한 형사 처벌이 불가능하다. 형사적 처벌을 규정했던 간통제는 이미 오래전 폐지되고 말았기 때문이다.이런 상황에서 배우자의 외도 증거를 찾기 위하여 배우자의 휴대전화를 몰래 보게 되면 ‘가장 파탄의 피해자’가 도리어 ‘정보통신망 침해 가해자’가 되어 형사 처벌을 받게 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진다. 결과적으로 기껏해야 민사소송을 통한 ‘위자료’를 받는 방법밖에는 남지 않는데, 이 마저도 청구 금액 전체에 대해 인용 받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전부 승소’라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정행위’ 증거가 합법적인 방법으로 완벽히 수집이 된 것이어야 하며 상간자가 배우자의 기혼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부정행위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객관적 자료’로서 증명해 내야 한다.이 모든 것이 완벽하게 이뤄지면 ‘제3자가 부부의 일방과 부정행위를 함으로써 혼인의 본질에 해당하는 부부공동생활을 침해하거나, 그 유지를 방해하고 그에 대한 배우자로서 권리를 침해하여 정신적 고통을 가하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불법행위를 구성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3므2441 판결)’라고 판시한 대법원 판례에 따라서 상당한 위자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또한, 이혼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840조 제1호에서 정한 부정한 행위라 함은 간통을 포함하되, 그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간통에 이르지는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사회통념상 혼인관계를 지속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부의 정조의무에 충실하지 아니하는 일체의 행위를 포함한다(대법원 1988. 5. 24. 선고 88므7 판결). 더불어 부정한 행위인지 여부는 구체적 사안에 따라 그 정도와 상황을 참작하여 평가하여야 한다(대법원 1992.11.10. 선고 92므68 판결). 이 같은 법리에 따라 위자료 액수가 인정되는 것이며, 그 액수가 전부인용일지 일부인용일지 판단되는 것이다.따라서 ‘증거 수집’이 상간 손해배상 소송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증거 수집 단계에서 불법성을 띄게 되면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가해자로 인정돼 이 부분이 위자료에서 감액 당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법률 전문가가 사건 초기부터 증거 수집 단계를 함께 하여 혼인의 정조 의무를 저버린 부정행위 증거와 상간자가 배우자의 기혼 여부를 알고 있었다는 정황까지 형사적 문제없이 합법적으로 입증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더해 상당한 정신적 피해가 있었음을 증명할 진단서까지 제출하면서 상간자 손해배상에서 ‘청구 금액 전부’를 인용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법무법인 대륜 김잔디 가사전문변호사는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한 이혼은 인간이 겪는 고통지수의 최고치의 합산이어서 시간이 지난들 쉽게 치유되지 않지만 이런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상대방에게 법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를 최대한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배우자의 부정행위를 인지하는 즉시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적법한 증거를 확보하고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내길 바란다.”고 조언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 고통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9-03
‘SKT 해킹’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손해배상 청구 핵심 근거 될 것”
‘SKT 해킹’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손해배상 청구 핵심 근거 될 것”
대규모 유심(USIM) 해킹 사고를 일으킨 SK텔레콤(이하 SKT)이 1300억원이 넘는 역대 최대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받으면서 SKT를 둘러싼 손해배상 소송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28일 안전조치 의무 위반 및 유출 통지 위반 등 개인정보 보호 법규를 위반한 SK텔레콤을 상대로 과징금 1347억9100만원, 과태료 960만원을 부과했다.3일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SK텔레콤 LTE·5G 서비스 전체 이용자 2324만여명의 휴대전화번호, 가입자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키(Ki) 등 25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해커는 2021년 8월 SK텔레콤 내부망에 처음 침투해 여러 서버에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했는데 SKT는 지난 2022년 해커가 헥심 인증 서버(HSS)에 접속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별도 점검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또 SKT는 인터넷과 관리망, 사내망 등을 모두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해 운영했고, 외부에서 SKT 내부 관리망 서버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없이 허용한 것으로 드러났다.아울러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유출 신고가 지연된 점도 지적했다. SKT가 지난 4월 19일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이를 72시간 안에 위원회 측에 통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후 위원회에서 5월 2일 가입자들에게 유출 사실을 통지하라고 의결했으나, 유출 확정에 대한 통지는 같은달 28일에서야 이뤄졌다.이같은 개인정보위의 발표로 SKT를 둘러싼 각종 소송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4월 말 정보 유출 사태가 세간에 알려진 후 법무법인 대륜 등을 포함한 여러 로펌들은 SKT 가입자들을 대리해 집단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이런 상황에서 정보위의 이번 조사 결과가 현재 진행 중인 손해배상 소송에서 피해자들에게 유리한 근거로 작용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SKT를 대상으로 집단 소송을 이끌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 측은 “개인정보위의 조사 결과, SKT의 총체적 보안 관리 부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며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 결정은 사업자의 책임을 명확히 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는 현재 진행 중인 집단소송에서도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를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가 될 것이며, 이제 피해자 개개인의 권리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신속히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SKT 해킹’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손해배상 청구 핵심 근거 될 것”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9-03
‘SKT 해킹’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손해배상 청구 핵심 근거 될 것”
‘SKT 해킹’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손해배상 청구 핵심 근거 될 것”
대규모 유심(USIM) 해킹 사고를 일으킨 SK텔레콤(이하 SKT)이 1300억원이 넘는 역대 최대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받으면서 SKT를 둘러싼 손해배상 소송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28일 안전조치 의무 위반 및 유출 통지 위반 등 개인정보 보호 법규를 위반한 SK텔레콤을 상대로 과징금 1347억9100만원, 과태료 960만원을 부과했다.3일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SK텔레콤 LTE·5G 서비스 전체 이용자 2324만여명의 휴대전화번호, 가입자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키(Ki) 등 25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해커는 2021년 8월 SK텔레콤 내부망에 처음 침투해 여러 서버에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했는데 SKT는 지난 2022년 해커가 헥심 인증 서버(HSS)에 접속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별도 점검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또 SKT는 인터넷과 관리망, 사내망 등을 모두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해 운영했고, 외부에서 SKT 내부 관리망 서버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없이 허용한 것으로 드러났다.아울러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유출 신고가 지연된 점도 지적했다. SKT가 지난 4월 19일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이를 72시간 안에 위원회 측에 통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후 위원회에서 5월 2일 가입자들에게 유출 사실을 통지하라고 의결했으나, 유출 확정에 대한 통지는 같은달 28일에서야 이뤄졌다.이같은 개인정보위의 발표로 SKT를 둘러싼 각종 소송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4월 말 정보 유출 사태가 세간에 알려진 후 법무법인 대륜 등을 포함한 여러 로펌들은 SKT 가입자들을 대리해 집단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이런 상황에서 정보위의 이번 조사 결과가 현재 진행 중인 손해배상 소송에서 피해자들에게 유리한 근거로 작용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SKT를 대상으로 집단 소송을 이끌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 측은 “개인정보위의 조사 결과, SKT의 총체적 보안 관리 부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며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 결정은 사업자의 책임을 명확히 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는 현재 진행 중인 집단소송에서도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를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가 될 것이며, 이제 피해자 개개인의 권리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신속히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SKT 해킹’ 역대 최대 과징금 부과...“손해배상 청구 핵심 근거 될 것”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9-02
“정부지원 사업인 줄…과장광고에 속았다” 분양대금반환소송 제기…결과는?
“정부지원 사업인 줄…과장광고에 속았다” 분양대금반환소송 제기…결과는?
원고 측, 상가 분양 계약 해지 및 원상회복 의무 주장법원 “사업 취지 등 중요 홍보 내용 사실 부합…착오에 빠지게 할 정도 아냐” 상가 분양 과정에서 홍보물 등을 부풀려 광고했어도 기망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다소 과장된 표현이 있더라도 거짓·과장 광고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제2민사부는 지난 7월 24일 상가 수분양자 A씨 등이 시행사를 상대로 낸 분양대금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앞서 A씨 등은 경기도 시흥시 소재 대규모 상업시설에 상가를 분양받았다. 분양 당시 시행사 측은 카탈로그 등을 통해 해당 상가가 민관 합작 사업이며, 사업 안전성과 경제성이 보장된다는 내용의 홍보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상가 완공 이후 A씨 등은 자신들이 분양 받은 상가가 정부 사업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이에 이들은 시행사의 허위 과장광고에 속아 계약을 체결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는 물론, 분양대금 전액을 돌려줘야 한다는 주장이었다.시행사 측은 “모든 건물에 관해 예산 지원이 있음을 주장하거나 광고한 사실이 전혀 없다”며 “따라서 관련 광고는 사실에 부합할 뿐 허위 과장광고로 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법원 역시 분양홍보 당시 기망행위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봤다. 법원은 “카탈로그 등 모든 홍보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 사건 각 건물 전체에 대해 민관 합작 사업 또는 국책 사업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취지로 홍보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따라서 시행사가 홍보물을 통해 원고들을 기망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시행사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임하연 변호사는 “수분양자들이 기망 행위라고 주장하는 홍보의 대부분은 자체적으로 진행한 것이 아니었고, 아무런 관계가 없는 부동산 관계자가 건물을 분석해 전망한 것일 뿐”이라며 “공식 홍보물에도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자금의 일부를 보조받거나, 기술지원을 할 수 있다는 취지의 법령만 기재돼 있었다”고 설명했다.임 변호사는 “무엇보다 실제로 시행사는 정부사업 공모에서 최종 사업자로 선정돼 사업비를 지원 받을 예정이었다. 이후 범위나 조건이 다소 달라졌어도 이는 허위가 아니었다”며 “따라서 시행사는 분양대금 반환의무나 손해배상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정부지원 사업인 줄…과장광고에 속았다” 분양대금반환소송 제기…결과는?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9-02
“정부지원 사업인 줄…과장광고에 속았다” 분양대금반환소송 제기…결과는?
“정부지원 사업인 줄…과장광고에 속았다” 분양대금반환소송 제기…결과는?
원고 측, 상가 분양 계약 해지 및 원상회복 의무 주장법원 “사업 취지 등 중요 홍보 내용 사실 부합…착오에 빠지게 할 정도 아냐” 상가 분양 과정에서 홍보물 등을 부풀려 광고했어도 기망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다소 과장된 표현이 있더라도 거짓·과장 광고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제2민사부는 지난 7월 24일 상가 수분양자 A씨 등이 시행사를 상대로 낸 분양대금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앞서 A씨 등은 경기도 시흥시 소재 대규모 상업시설에 상가를 분양받았다. 분양 당시 시행사 측은 카탈로그 등을 통해 해당 상가가 민관 합작 사업이며, 사업 안전성과 경제성이 보장된다는 내용의 홍보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상가 완공 이후 A씨 등은 자신들이 분양 받은 상가가 정부 사업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이에 이들은 시행사의 허위 과장광고에 속아 계약을 체결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는 물론, 분양대금 전액을 돌려줘야 한다는 주장이었다.시행사 측은 “모든 건물에 관해 예산 지원이 있음을 주장하거나 광고한 사실이 전혀 없다”며 “따라서 관련 광고는 사실에 부합할 뿐 허위 과장광고로 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법원 역시 분양홍보 당시 기망행위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봤다. 법원은 “카탈로그 등 모든 홍보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 사건 각 건물 전체에 대해 민관 합작 사업 또는 국책 사업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취지로 홍보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따라서 시행사가 홍보물을 통해 원고들을 기망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시행사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임하연 변호사는 “수분양자들이 기망 행위라고 주장하는 홍보의 대부분은 자체적으로 진행한 것이 아니었고, 아무런 관계가 없는 부동산 관계자가 건물을 분석해 전망한 것일 뿐”이라며 “공식 홍보물에도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자금의 일부를 보조받거나, 기술지원을 할 수 있다는 취지의 법령만 기재돼 있었다”고 설명했다.임 변호사는 “무엇보다 실제로 시행사는 정부사업 공모에서 최종 사업자로 선정돼 사업비를 지원 받을 예정이었다. 이후 범위나 조건이 다소 달라졌어도 이는 허위가 아니었다”며 “따라서 시행사는 분양대금 반환의무나 손해배상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정부지원 사업인 줄…과장광고에 속았다” 분양대금반환소송 제기…결과는?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5-09-02
[IB토마토]"계약금 0원"…대상가 차녀, VC 외상 매각 논란
[IB토마토]"계약금 0원"…대상가 차녀, VC 외상 매각 논란
계약금 없는 이례적 거래…UTC인베스트 '외상 인수'수백억 인수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현금, 분납 구조 의문파두 사태 수사·대표 소송까지…법적 불확실성 겹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포레스트파트너스가 UTC인베스트먼트(이하 UTC인베스트)를 인수하는 딜을 두고 업계서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대기업 차기 총수 후보가 개인 소유 중인 벤처캐피탈(VC)을 계약금 조차 받지 않고 외상으로 매각했기 때문이다. 돈 한 푼 받지 않고 회사를 넘기는 일은 업계서도 흔치 않은 사례다. 게다가 인수사인 포레스트파트너스의 경우 지난 2023년 파두사태와 관련한 법적 리스크가 아직 해소되지 않은 데다 회사 대표가 소송에 휘말려 있는 점까지 더해지면서 논란은 확산되는 분위기다. 임상민 대상그룹 차녀, 계약금 없는 매각 구조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일 포레스트파트너스는 임상민 대상(001680) 부사장으로부터 UTC인베스트 주식 전량(100만주)을 이전받았다. 포레스트파트너스는 향후 3년간 세차례 분납을 통해 인수대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인수 규모 및 일정을 밝히지 않았다. 3월 말 기준 UTC인베스트의 순자산이 308억원임을 고려하면, 통상적인 국내 벤처캐피탈 경영권 프리미엄(1530%) 반영 시 UTC인베스트 인수가는 350억400억원 수준으로 업계는 추산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레스트파트너스의 지난해 말 연결기준 유동자산은 약 45억원이다. 현금성자산은 8억원으로 추정 거래대금의 50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이를 고려하면 포레스트파트너스가 펀드나 별도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UTC인베스트먼트 경영권을 인수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업계가 주목하는 지점은 인수자의 자금력 뿐 아니라 거래 방식의 이례성이다. 일반적으로 VC 인수·합병(M&A)은 거래가 산정 후 계약금과 잔금이 순차적으로 지급되면서 주식이 이전된다. 하지만 이번 건은 계약금조차 없는 분납 구조라 "수백억 원대 자산을 사실상 외상으로 넘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벤처투자 업계 한 관계자는 에 "포레스트파트너스가 자체 자금으로 UTC인베스트 인수대금을 치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라며 "향후 유상증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데 납입 주체에 대해 잘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에 "이번 거래가 특정인의 이해관계나 차익 실현을 위한 것이라면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업무상 배임·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 등 문제가 될 수 있다"라며 "핵심은 인수 과정에서의 자금조달 방식이 정당했는지와 인수 이후 회사 자산이 누구를 위해 어떻게 운용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대금 지급과 관련해 포레스트파트너스 측은 "2025~2027년 주요 펀드들을 청산해 투자금을 회수하고 성과보수 등을 수취하고, 만기가 도래하는 2건의 전환사채 회수·비영업용 자산 매각·주주배정 전환사채 등을 통해 추가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매매계약 상 분납구조로 인한 대금 지급 이슈는 없고, 관련해 중소벤처기업부에 대주주 변경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법적 리스크에 외부 개입설까지…커지는 의혹 이번 거래를 둘러싼 또 다른 쟁점은 인수자의 법적 리스크다. 정책기관이 출자사업 GP(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는 경영 안정성이 중요한 평가 지표인데, 포레스트파트너스는 이를 온전히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포레스트파트너스는 지난 2023년 11월 파두의 '어닝 쇼크'에 따른 주가 하락 직전 일주일동안 파두 지분 419억원어치를 집중 매도했다. 이에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과 남부지방검찰청은 파두에서 내부 임직원의 불법거래 정황을 포착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현재도 조사가 진행 중인 상태다. 여기에 오너 리스크도 불거졌다. 지난 8월 UTC인베스트 각자대표로 취임한 한승 포레스트파트너스 대표는 직원 상대 강제추행 관련 소송에 휘말린 상태다. 한승 포레스트파트너스 대표는 에 "대상 측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인수대금을 치를 계획은 전혀 없다"라며 "인수 과정에서 대주주 변경으로 UTC인베스트먼트가 정책기관 출자사업에서 GP를 반납할 가능성에 대해 인지하지 못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본인에 걸려있는 강제추행 등 소송은 2년여 전 퇴사한 한 직원이 앙심을 품고 벌인 일"이라며 "무죄로 결론날 가능성이 높다"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거래 배경에 임 부사장의 배우자인 국유진 블랙스톤 한국 대표가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에선 "국 대표가 친분이 있는 포레스트파트너스를 통해 사실상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실제로 국 대표는 매각 전에도 UTC인베스트먼트 경영에 간섭해왔으며, 내부 임원과도 다툼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거래가 단순 매각을 넘어 편법 증여 구조로 활용될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계약금 없이 외상으로 지분을 넘긴 뒤 향후 유상증자 과정에서 누가 자금을 투입하는지에 따라 실질적인 지배력이 오너 일가에 그대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세무 전문가들은 "특수관계인 사이에 시가보다 낮은 가격이나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지분이 이전될 경우, 국세청이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며 "이번 사례 역시 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포레스트파트너스 관계자는 에 "국유진 대표와 포레스트파트너스 관계가 친밀한 것은 사실"이라며 "포레스트파트너스가 UTC인베스트를 비교적 저가에 인수하는 데는 국 대표와의 친밀한 관계가 영향을 미쳤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 대표는 본업인 PE와 큰 접점없는 부동산 개인법인 ‘아스트라홀딩스’를 보유 중이다. 아스트라홀딩스의 사업목적은 ▲부동산 개발·시행·컨설팅 ▲부동산 임대·전대 ▲경영자문·컨설팅 ▲금융투자·투자자문 등이다. 윤상록 기자 (ysr@etomato.com)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계약금 0원"…대상가 차녀, VC 외상 매각 논란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5-09-02
[IB토마토]"계약금 0원"…대상가 차녀, VC 외상 매각 논란
[IB토마토]"계약금 0원"…대상가 차녀, VC 외상 매각 논란
계약금 없는 이례적 거래…UTC인베스트 '외상 인수'수백억 인수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현금, 분납 구조 의문파두 사태 수사·대표 소송까지…법적 불확실성 겹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포레스트파트너스가 UTC인베스트먼트(이하 UTC인베스트)를 인수하는 딜을 두고 업계서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대기업 차기 총수 후보가 개인 소유 중인 벤처캐피탈(VC)을 계약금 조차 받지 않고 외상으로 매각했기 때문이다. 돈 한 푼 받지 않고 회사를 넘기는 일은 업계서도 흔치 않은 사례다. 게다가 인수사인 포레스트파트너스의 경우 지난 2023년 파두사태와 관련한 법적 리스크가 아직 해소되지 않은 데다 회사 대표가 소송에 휘말려 있는 점까지 더해지면서 논란은 확산되는 분위기다. 임상민 대상그룹 차녀, 계약금 없는 매각 구조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일 포레스트파트너스는 임상민 대상(001680) 부사장으로부터 UTC인베스트 주식 전량(100만주)을 이전받았다. 포레스트파트너스는 향후 3년간 세차례 분납을 통해 인수대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인수 규모 및 일정을 밝히지 않았다. 3월 말 기준 UTC인베스트의 순자산이 308억원임을 고려하면, 통상적인 국내 벤처캐피탈 경영권 프리미엄(1530%) 반영 시 UTC인베스트 인수가는 350억400억원 수준으로 업계는 추산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레스트파트너스의 지난해 말 연결기준 유동자산은 약 45억원이다. 현금성자산은 8억원으로 추정 거래대금의 50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이를 고려하면 포레스트파트너스가 펀드나 별도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UTC인베스트먼트 경영권을 인수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업계가 주목하는 지점은 인수자의 자금력 뿐 아니라 거래 방식의 이례성이다. 일반적으로 VC 인수·합병(M&A)은 거래가 산정 후 계약금과 잔금이 순차적으로 지급되면서 주식이 이전된다. 하지만 이번 건은 계약금조차 없는 분납 구조라 "수백억 원대 자산을 사실상 외상으로 넘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벤처투자 업계 한 관계자는 에 "포레스트파트너스가 자체 자금으로 UTC인베스트 인수대금을 치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라며 "향후 유상증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데 납입 주체에 대해 잘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에 "이번 거래가 특정인의 이해관계나 차익 실현을 위한 것이라면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업무상 배임·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 등 문제가 될 수 있다"라며 "핵심은 인수 과정에서의 자금조달 방식이 정당했는지와 인수 이후 회사 자산이 누구를 위해 어떻게 운용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대금 지급과 관련해 포레스트파트너스 측은 "2025~2027년 주요 펀드들을 청산해 투자금을 회수하고 성과보수 등을 수취하고, 만기가 도래하는 2건의 전환사채 회수·비영업용 자산 매각·주주배정 전환사채 등을 통해 추가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매매계약 상 분납구조로 인한 대금 지급 이슈는 없고, 관련해 중소벤처기업부에 대주주 변경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법적 리스크에 외부 개입설까지…커지는 의혹 이번 거래를 둘러싼 또 다른 쟁점은 인수자의 법적 리스크다. 정책기관이 출자사업 GP(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는 경영 안정성이 중요한 평가 지표인데, 포레스트파트너스는 이를 온전히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포레스트파트너스는 지난 2023년 11월 파두의 '어닝 쇼크'에 따른 주가 하락 직전 일주일동안 파두 지분 419억원어치를 집중 매도했다. 이에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과 남부지방검찰청은 파두에서 내부 임직원의 불법거래 정황을 포착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현재도 조사가 진행 중인 상태다. 여기에 오너 리스크도 불거졌다. 지난 8월 UTC인베스트 각자대표로 취임한 한승 포레스트파트너스 대표는 직원 상대 강제추행 관련 소송에 휘말린 상태다. 한승 포레스트파트너스 대표는 에 "대상 측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인수대금을 치를 계획은 전혀 없다"라며 "인수 과정에서 대주주 변경으로 UTC인베스트먼트가 정책기관 출자사업에서 GP를 반납할 가능성에 대해 인지하지 못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본인에 걸려있는 강제추행 등 소송은 2년여 전 퇴사한 한 직원이 앙심을 품고 벌인 일"이라며 "무죄로 결론날 가능성이 높다"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거래 배경에 임 부사장의 배우자인 국유진 블랙스톤 한국 대표가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에선 "국 대표가 친분이 있는 포레스트파트너스를 통해 사실상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실제로 국 대표는 매각 전에도 UTC인베스트먼트 경영에 간섭해왔으며, 내부 임원과도 다툼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거래가 단순 매각을 넘어 편법 증여 구조로 활용될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계약금 없이 외상으로 지분을 넘긴 뒤 향후 유상증자 과정에서 누가 자금을 투입하는지에 따라 실질적인 지배력이 오너 일가에 그대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세무 전문가들은 "특수관계인 사이에 시가보다 낮은 가격이나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지분이 이전될 경우, 국세청이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며 "이번 사례 역시 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포레스트파트너스 관계자는 에 "국유진 대표와 포레스트파트너스 관계가 친밀한 것은 사실"이라며 "포레스트파트너스가 UTC인베스트를 비교적 저가에 인수하는 데는 국 대표와의 친밀한 관계가 영향을 미쳤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 대표는 본업인 PE와 큰 접점없는 부동산 개인법인 ‘아스트라홀딩스’를 보유 중이다. 아스트라홀딩스의 사업목적은 ▲부동산 개발·시행·컨설팅 ▲부동산 임대·전대 ▲경영자문·컨설팅 ▲금융투자·투자자문 등이다. 윤상록 기자 (ysr@etomato.com)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계약금 0원"…대상가 차녀, VC 외상 매각 논란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02
신혼특공 당첨 후 '유형 바꿔치기'?…주택법 위반 30대 '무혐의'
신혼특공 당첨 후 '유형 바꿔치기'?…주택법 위반 30대 '무혐의'
입주 모집 공고일 기준 신혼부부 해당하지 않자 ‘한부모가족’으로 유형 변경경찰 “유형 변경 피의자가 먼저 요청하지 않아…‘부정한 방법’ 인식 어려워” 아파트 청약에 당첨된 후 자격이 미달되자 임의로 유형을 변경했다는 혐의를 받던 30대 피의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기화성동탄경찰서는 지난달 6일 주택법위반 혐의로 입건된 30대 여성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A씨가 청약에 당첨 된 것은 지난 2023년. 신혼부부 특별공급 청약을 넣어 당첨됐지만, 이후 서류 제출 과정에서 입주자 모집 공고일 이후 혼인신고가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모집 공고일을 기준으로 볼 때 A씨는 신혼부부에 해당하지 않아 원칙대로라면 청약 당첨이 취소됐어야 했지만 계약은 진행됐다. 당첨 유형이 신혼부부에서 ‘한부모 가족’으로 바뀌어 있었기 때문이었다.이를 두고 국토교통부는 A씨가 사업주체 측과 공모해 청약 유형을 임의 변경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의뢰했다. 하지만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시공사 측 관계자로부터 “모집 공고일 당시 임신 상태였기에 사실혼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답변을 들었고, 이에 필요한 자료까지 추가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분양사무소에 재차 방문했을 때 담당자로부터 “한부모 가족 잔여 세대로 당첨됐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이를 그대로 믿고 따랐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청약유형 변경에 대해 먼저 안내한 이는 분양사무소 직원이라는 것이다.경찰은 “직원들은 청약 관련 교육을 받은 전문가”라며 “피의자가 이 같은 유형 변경 안내를 '부정한 방법'이라고 인식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피의자가 먼저 청약 유형 변경을 요청한 것이 아니라 분양대행사 직원의 안내에 따른 것이므로 고의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장은민 변호사는 “주택법 위반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는 행위’에 해당해야 성립한다”며 “A씨는 당시 혼인신고일부터 임신 사실까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이야기했고, 서류 제출 등 필요한 절차도 모두 따랐기에 어떤 고의성도 없었다는 점을 강조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신혼특공 당첨 후 '유형 바꿔치기'?…주택법 위반 30대 '무혐의'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9-02
신혼특공 당첨 후 '유형 바꿔치기'?…주택법 위반 30대 '무혐의'
신혼특공 당첨 후 '유형 바꿔치기'?…주택법 위반 30대 '무혐의'
입주 모집 공고일 기준 신혼부부 해당하지 않자 ‘한부모가족’으로 유형 변경경찰 “유형 변경 피의자가 먼저 요청하지 않아…‘부정한 방법’ 인식 어려워” 아파트 청약에 당첨된 후 자격이 미달되자 임의로 유형을 변경했다는 혐의를 받던 30대 피의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기화성동탄경찰서는 지난달 6일 주택법위반 혐의로 입건된 30대 여성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A씨가 청약에 당첨 된 것은 지난 2023년. 신혼부부 특별공급 청약을 넣어 당첨됐지만, 이후 서류 제출 과정에서 입주자 모집 공고일 이후 혼인신고가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모집 공고일을 기준으로 볼 때 A씨는 신혼부부에 해당하지 않아 원칙대로라면 청약 당첨이 취소됐어야 했지만 계약은 진행됐다. 당첨 유형이 신혼부부에서 ‘한부모 가족’으로 바뀌어 있었기 때문이었다.이를 두고 국토교통부는 A씨가 사업주체 측과 공모해 청약 유형을 임의 변경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의뢰했다. 하지만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시공사 측 관계자로부터 “모집 공고일 당시 임신 상태였기에 사실혼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답변을 들었고, 이에 필요한 자료까지 추가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분양사무소에 재차 방문했을 때 담당자로부터 “한부모 가족 잔여 세대로 당첨됐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이를 그대로 믿고 따랐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청약유형 변경에 대해 먼저 안내한 이는 분양사무소 직원이라는 것이다.경찰은 “직원들은 청약 관련 교육을 받은 전문가”라며 “피의자가 이 같은 유형 변경 안내를 '부정한 방법'이라고 인식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피의자가 먼저 청약 유형 변경을 요청한 것이 아니라 분양대행사 직원의 안내에 따른 것이므로 고의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장은민 변호사는 “주택법 위반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는 행위’에 해당해야 성립한다”며 “A씨는 당시 혼인신고일부터 임신 사실까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이야기했고, 서류 제출 등 필요한 절차도 모두 따랐기에 어떤 고의성도 없었다는 점을 강조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신혼특공 당첨 후 '유형 바꿔치기'?…주택법 위반 30대 '무혐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9-02
폭행 당사자에 “법적 대응” 언급했다 피소당한 공무원…검찰, 혐의없음
폭행 당사자에 “법적 대응” 언급했다 피소당한 공무원…검찰, 혐의없음
식당에서 취객에게 폭행당해 “법적 절차를 밟겠다”라고 했다가 오히려 공갈 미수 혐의로 고소당한 공무원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검은 공갈미수 혐의를 받던 50대 남성 A씨를 불기소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9월 춘천 시내 한 식당에서 술에 취해 소란을 피우던 60대 남성 B씨를 제지하다 폭행당했다. B씨는 사과하겠다며 공무원인 A씨의 근무지로 찾아갔는데, A씨가 손해배상을 제기할 것처럼 압박하며 금품을 요구했다고 주장하면서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제출했다.A씨는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그는 “B씨가 사과하러 와서도 ‘술에 취해 기억나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등 진정성을 보이지 않아 정당한 법적 절차를 밟겠다고 했을 뿐”이라며 “금품을 요구하거나 협박할 의도는 없었다”라고 주장했다.검찰은 B씨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고, A씨가 금품을 요구했다는 사실을 명확히 입증하기 어렵다고 보고 혐의없음으로 판단했다. 또한 만일 A씨가 일정한 수준의 금전적 보상을 받으려 했더라도, B씨로부터 폭행과 욕설 등 범죄 피해를 본 점을 고려하면 사회 통념을 넘어서는 위법 행위로 볼 수 없다고 봤다.A씨의 법률대리인은 한민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갈죄에서 해악의 고지가 정당한 권리 실현 수단으로 사용된 경우, 그 허용 여부는 목적과 수단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 A씨가 소송 이야기를 꺼낸 것은 협박이 아니라 정당한 법적 절차를 통해 권리를 실현할 수 있음을 알린 것이었다는 점을 충실히 소명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폭행 당사자에 “법적 대응” 언급했다 피소당한 공무원…검찰, 혐의없음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9-02
폭행 당사자에 “법적 대응” 언급했다 피소당한 공무원…검찰, 혐의없음
폭행 당사자에 “법적 대응” 언급했다 피소당한 공무원…검찰, 혐의없음
식당에서 취객에게 폭행당해 “법적 절차를 밟겠다”라고 했다가 오히려 공갈 미수 혐의로 고소당한 공무원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검은 공갈미수 혐의를 받던 50대 남성 A씨를 불기소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9월 춘천 시내 한 식당에서 술에 취해 소란을 피우던 60대 남성 B씨를 제지하다 폭행당했다. B씨는 사과하겠다며 공무원인 A씨의 근무지로 찾아갔는데, A씨가 손해배상을 제기할 것처럼 압박하며 금품을 요구했다고 주장하면서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제출했다.A씨는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그는 “B씨가 사과하러 와서도 ‘술에 취해 기억나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등 진정성을 보이지 않아 정당한 법적 절차를 밟겠다고 했을 뿐”이라며 “금품을 요구하거나 협박할 의도는 없었다”라고 주장했다.검찰은 B씨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고, A씨가 금품을 요구했다는 사실을 명확히 입증하기 어렵다고 보고 혐의없음으로 판단했다. 또한 만일 A씨가 일정한 수준의 금전적 보상을 받으려 했더라도, B씨로부터 폭행과 욕설 등 범죄 피해를 본 점을 고려하면 사회 통념을 넘어서는 위법 행위로 볼 수 없다고 봤다.A씨의 법률대리인은 한민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갈죄에서 해악의 고지가 정당한 권리 실현 수단으로 사용된 경우, 그 허용 여부는 목적과 수단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 A씨가 소송 이야기를 꺼낸 것은 협박이 아니라 정당한 법적 절차를 통해 권리를 실현할 수 있음을 알린 것이었다는 점을 충실히 소명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폭행 당사자에 “법적 대응” 언급했다 피소당한 공무원…검찰, 혐의없음 (바로가기)
머니S
2025-09-01
조세심판 1만건 시대… 대형 로펌, 조세그룹 강화 '잰걸음'
조세심판 1만건 시대… 대형 로펌, 조세그룹 강화 '잰걸음'
가업승계·크리에이터 과세 등 시장 변화'사후 대응'→'사전 설계' 패러다임 전환 조세 분야 법률 시장이 급변하면서 국내 주요 대형 로펌들이 조세그룹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조세심판 처리 건수가 증가하는 등 세무 관련 법률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움직임이다.1일 조세심판원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조세심판 처리 건수는 7년 연속 1만건을 웃돌고 있다. 가업상속공제를 받은 기업 역시 2019년 88곳에서 2023년 188곳으로 두배 이상 증가했다. 가업·자산 승계가 늘어나고 크리에이터 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등 신사업의 과세 체계가 복잡해지면서 조세불복이나 경정청구 등 전문적인 법률 대응 수요가 증가했다는 분석이다.10대 대형 로펌들은 고도화되는 시장과 의뢰인의 요구에 맞춰 전문가를 영입하고 조직을 개편하는 등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법무법인 세종은 지난 20일 이창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장마리아 외국변호사, 김태훈 관세전문위원을 신규 영입했다. 장 변호사는 공인회계사 및 미국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모두 갖춘 전문가다. 법무법인 율촌도 지난 2월 조세그룹 공동대표로 전영준, 김근재 변호사를 선임하며 글로벌 관세 갈등, 기업 세무 조사 등 급격한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달 조세행정그룹을 조세그룹과 행정그룹으로 분리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각 분야의 전문성을 극대화해 정밀한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이다. 서울행정법원 판사를 지낸 곽내원 변호사가 행정그룹을, 서울지방국세청에서 근무하며 국세 행정 전반에 깊은 이해를 갖춘 강성권 변호사가 조세그룹을 이끌게 됐다.강 변호사는 "조세 법률 시장의 패러다임이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설계'로 바뀌면서 고객의 요구사항이 다변화됐다"며 "과거에는 억울한 과세 통지를 받고 나서야 변호사를 찾았지만, 최근에는 리스크 없는 최적의 구조를 찾는 경우가 늘었다"고 설명했다.이어 "조세 사건은 회계적·경영적 관점을 복합적으로 파악해야 하기에 변호사는 물론 회계사, 세무전문위원 등 종합적인 조력이 필요하다"며 "의뢰인이 억울한 과세 처분을 받지 않도록 세무조사 단계부터 조세 소송까지 전 과정에 걸쳐 든든한 조력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심판 1만건 시대… 대형 로펌, 조세그룹 강화 '잰걸음' (바로가기)
머니S
2025-09-01
조세심판 1만건 시대… 대형 로펌, 조세그룹 강화 '잰걸음'
조세심판 1만건 시대… 대형 로펌, 조세그룹 강화 '잰걸음'
가업승계·크리에이터 과세 등 시장 변화'사후 대응'→'사전 설계' 패러다임 전환 조세 분야 법률 시장이 급변하면서 국내 주요 대형 로펌들이 조세그룹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조세심판 처리 건수가 증가하는 등 세무 관련 법률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움직임이다.1일 조세심판원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조세심판 처리 건수는 7년 연속 1만건을 웃돌고 있다. 가업상속공제를 받은 기업 역시 2019년 88곳에서 2023년 188곳으로 두배 이상 증가했다. 가업·자산 승계가 늘어나고 크리에이터 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등 신사업의 과세 체계가 복잡해지면서 조세불복이나 경정청구 등 전문적인 법률 대응 수요가 증가했다는 분석이다.10대 대형 로펌들은 고도화되는 시장과 의뢰인의 요구에 맞춰 전문가를 영입하고 조직을 개편하는 등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법무법인 세종은 지난 20일 이창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장마리아 외국변호사, 김태훈 관세전문위원을 신규 영입했다. 장 변호사는 공인회계사 및 미국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모두 갖춘 전문가다. 법무법인 율촌도 지난 2월 조세그룹 공동대표로 전영준, 김근재 변호사를 선임하며 글로벌 관세 갈등, 기업 세무 조사 등 급격한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달 조세행정그룹을 조세그룹과 행정그룹으로 분리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각 분야의 전문성을 극대화해 정밀한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이다. 서울행정법원 판사를 지낸 곽내원 변호사가 행정그룹을, 서울지방국세청에서 근무하며 국세 행정 전반에 깊은 이해를 갖춘 강성권 변호사가 조세그룹을 이끌게 됐다.강 변호사는 "조세 법률 시장의 패러다임이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설계'로 바뀌면서 고객의 요구사항이 다변화됐다"며 "과거에는 억울한 과세 통지를 받고 나서야 변호사를 찾았지만, 최근에는 리스크 없는 최적의 구조를 찾는 경우가 늘었다"고 설명했다.이어 "조세 사건은 회계적·경영적 관점을 복합적으로 파악해야 하기에 변호사는 물론 회계사, 세무전문위원 등 종합적인 조력이 필요하다"며 "의뢰인이 억울한 과세 처분을 받지 않도록 세무조사 단계부터 조세 소송까지 전 과정에 걸쳐 든든한 조력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심판 1만건 시대… 대형 로펌, 조세그룹 강화 '잰걸음' (바로가기)
KBC 광주방송
2025-09-01
거래 대금 2천만 원 빼돌렸다는 의혹 휩싸인 30대, 무혐의
거래 대금 2천만 원 빼돌렸다는 의혹 휩싸인 30대, 무혐의
회사 거래 대금을 빼돌렸다는 의혹에 휩싸였던 30대 회사원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경기 화성서부경찰서는 지난 7월 31일 업무상횡령, 배임 등의 혐의로 입건된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해 선박물류업체 B사에 근무하며 거래처에서 받은 대금 약 2천만 원을 빼돌리고, 서류를 발급하지 말라는 회사의 지시를 무시해 사측에 약 1억 2천만 원가량의 손해를 끼친 혐의 등을 받았습니다.B사 측은 A씨의 행동으로 거래처가 손해를 입게 됐으며, 이를 사측이 배상하면서 손실이 발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거래 대금의 경우 사내 직원을 통해 정상적으로 전달했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다만 직원의 실수로 전달이 되지 않았거나, 사측이 다른 미수액을 처리하며 장부에 이상이 발생해 제대로 된 확인이 불가능해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서류 발급 역시 거래처와 협의를 거쳐 이뤄졌고, 현지 사정으로 인한 장기체화 문제로 보관료가 발생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은 "사측이 자금을 주로 현금으로 관리하고 일괄 입금하고 있는 점을 볼 때, 영업부로부터 송금받은 금원 중 어떤 부분이 피의자가 일부 입금한 금액인지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사측은 개별적인 대금들에 대한 운임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은 채 자금관리를 했으므로, 피의자가 운임 행방을 설명하지 못하거나 자료 제출을 못 한다고 해서 횡령했다고 추단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이어 "거래처 담당자와 피의자의 대화 내용을 봤을 때, 보관료가 발생한 물류가 있던 사실이 확인된다"며 "고소인이 제출한 자료만으로 피의자가 이득을 보거나 제3자에게 이익을 발생하게 하기 위해 범죄를 저질렀다고 볼만한 사정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지민희 변호사는 "B사는 매주 수 차례 미수 대금을 관리하는 업무 회의를 하고 있는데, 이같은 상황에서 미수금이 발생했다면 이미 관리가 됐을 것"이라며 "이같은 상황에서 A씨가 거래 대금을 횡령할 수 있다는 것은 경험칙상 도저히 가능하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건사고 #업무상횡령 #배임 #대륜 고우리 기자 [기사전문보기] 거래 대금 2천만 원 빼돌렸다는 의혹 휩싸인 30대, 무혐의 (바로가기)
KBC 광주방송
2025-09-01
거래 대금 2천만 원 빼돌렸다는 의혹 휩싸인 30대, 무혐의
거래 대금 2천만 원 빼돌렸다는 의혹 휩싸인 30대, 무혐의
회사 거래 대금을 빼돌렸다는 의혹에 휩싸였던 30대 회사원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경기 화성서부경찰서는 지난 7월 31일 업무상횡령, 배임 등의 혐의로 입건된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해 선박물류업체 B사에 근무하며 거래처에서 받은 대금 약 2천만 원을 빼돌리고, 서류를 발급하지 말라는 회사의 지시를 무시해 사측에 약 1억 2천만 원가량의 손해를 끼친 혐의 등을 받았습니다.B사 측은 A씨의 행동으로 거래처가 손해를 입게 됐으며, 이를 사측이 배상하면서 손실이 발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거래 대금의 경우 사내 직원을 통해 정상적으로 전달했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다만 직원의 실수로 전달이 되지 않았거나, 사측이 다른 미수액을 처리하며 장부에 이상이 발생해 제대로 된 확인이 불가능해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서류 발급 역시 거래처와 협의를 거쳐 이뤄졌고, 현지 사정으로 인한 장기체화 문제로 보관료가 발생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은 "사측이 자금을 주로 현금으로 관리하고 일괄 입금하고 있는 점을 볼 때, 영업부로부터 송금받은 금원 중 어떤 부분이 피의자가 일부 입금한 금액인지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사측은 개별적인 대금들에 대한 운임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은 채 자금관리를 했으므로, 피의자가 운임 행방을 설명하지 못하거나 자료 제출을 못 한다고 해서 횡령했다고 추단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이어 "거래처 담당자와 피의자의 대화 내용을 봤을 때, 보관료가 발생한 물류가 있던 사실이 확인된다"며 "고소인이 제출한 자료만으로 피의자가 이득을 보거나 제3자에게 이익을 발생하게 하기 위해 범죄를 저질렀다고 볼만한 사정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지민희 변호사는 "B사는 매주 수 차례 미수 대금을 관리하는 업무 회의를 하고 있는데, 이같은 상황에서 미수금이 발생했다면 이미 관리가 됐을 것"이라며 "이같은 상황에서 A씨가 거래 대금을 횡령할 수 있다는 것은 경험칙상 도저히 가능하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건사고 #업무상횡령 #배임 #대륜 고우리 기자 [기사전문보기] 거래 대금 2천만 원 빼돌렸다는 의혹 휩싸인 30대, 무혐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8-28
블로그에 설계도 올렸다가 ‘SW 무단 사용’ 피소…40대 철골 제작자 불기소
블로그에 설계도 올렸다가 ‘SW 무단 사용’ 피소…40대 철골 제작자 불기소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았으면서도 이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설계도를 업무용 블로그에 게시해 검찰에 송치된 40대 철골 제작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은 지난달 7일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송치된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는 2018년부터 5년간 B사의 모델링 프로그램을 무단 사용하고, 결과물을 블로그에 게시해 저작권을 침해한 혐의를 받았다.B사 측은 A씨가 정품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고 자사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계도를 만든 뒤 이를 업무 관련 광고에 이용했다며 고소했다.A씨는 자신은 철골 제작 업무만 할 뿐, 설계 프로그램은 사용하는 방법조차 모른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철골 제작 의뢰가 들어오면 B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기술자에게 설계 용역을 맞기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방식인데, 자신도 이런 식으로 철골 제작 업무를 했다는 것이다.A씨는 또 블로그는 더 많은 주문을 받기 위해 운영한 것으로, 인터넷에서 내려받거나 업무 과정에서 얻게 된 타인의 설계 결과물을 게시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검찰은 A씨가 다른 설계자를 통해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조사 결과 A씨의 주장처럼 설계 용역을 의뢰하는 것은 일반적인 업계 관행이고, A씨가 실제로 설계를 의뢰한 내역도 있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조민우 변호사는 “무단 복제 소프트웨어인 것을 알면서 업무에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한다. 다만 A씨는 설계가 아닌 제작 업무만 담당하고 있어 B사 프로그램을 사용한 적 없고, 사용법을 알지도 못한다는 점을 강조해 무혐의 결정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블로그에 설계도 올렸다가 ‘SW 무단 사용’ 피소…40대 철골 제작자 불기소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8-28
블로그에 설계도 올렸다가 ‘SW 무단 사용’ 피소…40대 철골 제작자 불기소
블로그에 설계도 올렸다가 ‘SW 무단 사용’ 피소…40대 철골 제작자 불기소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았으면서도 이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설계도를 업무용 블로그에 게시해 검찰에 송치된 40대 철골 제작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은 지난달 7일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송치된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는 2018년부터 5년간 B사의 모델링 프로그램을 무단 사용하고, 결과물을 블로그에 게시해 저작권을 침해한 혐의를 받았다.B사 측은 A씨가 정품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고 자사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계도를 만든 뒤 이를 업무 관련 광고에 이용했다며 고소했다.A씨는 자신은 철골 제작 업무만 할 뿐, 설계 프로그램은 사용하는 방법조차 모른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철골 제작 의뢰가 들어오면 B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기술자에게 설계 용역을 맞기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방식인데, 자신도 이런 식으로 철골 제작 업무를 했다는 것이다.A씨는 또 블로그는 더 많은 주문을 받기 위해 운영한 것으로, 인터넷에서 내려받거나 업무 과정에서 얻게 된 타인의 설계 결과물을 게시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검찰은 A씨가 다른 설계자를 통해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조사 결과 A씨의 주장처럼 설계 용역을 의뢰하는 것은 일반적인 업계 관행이고, A씨가 실제로 설계를 의뢰한 내역도 있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조민우 변호사는 “무단 복제 소프트웨어인 것을 알면서 업무에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한다. 다만 A씨는 설계가 아닌 제작 업무만 담당하고 있어 B사 프로그램을 사용한 적 없고, 사용법을 알지도 못한다는 점을 강조해 무혐의 결정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블로그에 설계도 올렸다가 ‘SW 무단 사용’ 피소…40대 철골 제작자 불기소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28
병원 강제로 옮겨 아버지 치료 받지 못하게 한 60대…검찰 ‘불기소’
병원 강제로 옮겨 아버지 치료 받지 못하게 한 60대…검찰 ‘불기소’
입원 중인 아버지의 병원을 강제로 옮겨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해 숨지게 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여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청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8일 존속유기치사 혐의로 송치된 60대 여성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해 간병료 부담을 이유로 입원중인 아버지 B씨의 병원을 다른 곳으로 옮겨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를 받았다. 담당 주치의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것을 우려해 전원(轉院)을 말렸으나 A씨는 이를 따르지 않았고 결국 B씨는 숨졌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지병을 앓던 B씨가 더 이상 기존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을 원치 않았고, 연명치료 거부 의사를 밝히며 관련 서류에 직접 서명했다는 것이다. 또 기존 병원과 동일한 치료가 가능한 곳을 찾아 이송해 B씨에게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했다고 반박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연명치료 관련 서류에 기재된 서명은 피해자 자필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보이고, 피의자의 압력이 가해졌다는 사정은 보이지 않는다"며 "소견서에도 '환자 및 보호자가 수술을 원치 않는 상태'로 적혀 있는 등 치료 중단 행위가 피해자의 의사에 반한 것이라고 단정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이인준 변호사는 "존속유기치사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기죄가 성립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피의자에게 부조의무를 해태한다는 의식이 있어야만 한다"면서 "A씨는 옮긴 병원에서도 B씨에 대한 치료에 최선을 다했기에 유기죄 혐의 자체가 성립될 수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병원 강제로 옮겨 아버지 치료 받지 못하게 한 60대…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28
병원 강제로 옮겨 아버지 치료 받지 못하게 한 60대…검찰 ‘불기소’
병원 강제로 옮겨 아버지 치료 받지 못하게 한 60대…검찰 ‘불기소’
입원 중인 아버지의 병원을 강제로 옮겨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해 숨지게 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여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청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8일 존속유기치사 혐의로 송치된 60대 여성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해 간병료 부담을 이유로 입원중인 아버지 B씨의 병원을 다른 곳으로 옮겨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를 받았다. 담당 주치의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것을 우려해 전원(轉院)을 말렸으나 A씨는 이를 따르지 않았고 결국 B씨는 숨졌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지병을 앓던 B씨가 더 이상 기존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을 원치 않았고, 연명치료 거부 의사를 밝히며 관련 서류에 직접 서명했다는 것이다. 또 기존 병원과 동일한 치료가 가능한 곳을 찾아 이송해 B씨에게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했다고 반박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연명치료 관련 서류에 기재된 서명은 피해자 자필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보이고, 피의자의 압력이 가해졌다는 사정은 보이지 않는다"며 "소견서에도 '환자 및 보호자가 수술을 원치 않는 상태'로 적혀 있는 등 치료 중단 행위가 피해자의 의사에 반한 것이라고 단정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이인준 변호사는 "존속유기치사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기죄가 성립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피의자에게 부조의무를 해태한다는 의식이 있어야만 한다"면서 "A씨는 옮긴 병원에서도 B씨에 대한 치료에 최선을 다했기에 유기죄 혐의 자체가 성립될 수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병원 강제로 옮겨 아버지 치료 받지 못하게 한 60대…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로리더
2025-08-27
‘상처 생겼다’ 연인 폭행 혐의로 입건된 남성···알고 보니 ‘허위 증거’
‘상처 생겼다’ 연인 폭행 혐의로 입건된 남성···알고 보니 ‘허위 증거’
“목 조르고 강제로 눕혀···평소 주취폭력 심했다” 주장에 “모두 거짓”경찰 “증거 사진 중 일부는 ‘시술 흔적’으로 확인…경위 불분명” 여자친구를 폭행했다는 이유로 입건된 남성이 경찰 수사 끝에 혐의를 벗게 된 사례가 나왔다.서울 동작경찰서는 지난달 29일 폭행 혐의로 입건된 30대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해 연인 관계였던 B씨와 말다툼을 하는 과정에서 B씨의 목을 조르고 바닥에 눕혀 움직이지 못하게 한 혐의를 받았다.B씨는 A씨의 행동으로 신체 여러 부위에 상처가 생겼다고 주장했다. 또한 평소 술에 취하면 폭력을 자주 행사했다며 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반면, A씨는 폭행 사실 자체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당시 술에 취한 B씨가 길거리에서 난동을 피웠는데, 이를 막는 과정에서 상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후 출동한 경찰관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B씨와 함께 귀가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아울러 주취폭력 또한 B씨가 허위 증거를 바탕으로 만들어 낸 거짓 주장이라고 반박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경찰은 “피해자가 제출한 상처, 멍 사진 등을 보면 피의자와 물리적인 충돌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는 한다”면서도, “그러나, 당시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은 피해자 신체에서 상처 부위를 확인할 수 없었고, 피해자로부터 폭행 사실에 대한 이야기도 듣지 않았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이어 “이같은 정황을 모두 고려하면 피해자 몸에 생긴 상처가 피의자의 행위 때문인지, 사건 발생 이전에 생긴 것인지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면서, “폭행의 증거로 제출된 사진 중 일부는 건강 문제로 인한 치료나 미용 시술에 따른 상처임이 피해자의 SNS 계정을 통해 확인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의 유승진 변호사는 “B씨는 A씨로부터 이별을 통보받자 자신의 SNS에 허위 사실을 올려 고소를 당한 상태였는데, 이후 허위 증거까지 만들어내며 A씨를 맞고소했다”면서, “경찰도 B씨가 고소 취하 합의에 이용할 목적으로 무리하게 고소를 진행한 것으로 판단해 무혐의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상처 생겼다’ 연인 폭행 혐의로 입건된 남성···알고 보니 ‘허위 증거’ (바로가기)
로리더
2025-08-27
‘상처 생겼다’ 연인 폭행 혐의로 입건된 남성···알고 보니 ‘허위 증거’
‘상처 생겼다’ 연인 폭행 혐의로 입건된 남성···알고 보니 ‘허위 증거’
“목 조르고 강제로 눕혀···평소 주취폭력 심했다” 주장에 “모두 거짓”경찰 “증거 사진 중 일부는 ‘시술 흔적’으로 확인…경위 불분명” 여자친구를 폭행했다는 이유로 입건된 남성이 경찰 수사 끝에 혐의를 벗게 된 사례가 나왔다.서울 동작경찰서는 지난달 29일 폭행 혐의로 입건된 30대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해 연인 관계였던 B씨와 말다툼을 하는 과정에서 B씨의 목을 조르고 바닥에 눕혀 움직이지 못하게 한 혐의를 받았다.B씨는 A씨의 행동으로 신체 여러 부위에 상처가 생겼다고 주장했다. 또한 평소 술에 취하면 폭력을 자주 행사했다며 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반면, A씨는 폭행 사실 자체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당시 술에 취한 B씨가 길거리에서 난동을 피웠는데, 이를 막는 과정에서 상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후 출동한 경찰관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B씨와 함께 귀가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아울러 주취폭력 또한 B씨가 허위 증거를 바탕으로 만들어 낸 거짓 주장이라고 반박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경찰은 “피해자가 제출한 상처, 멍 사진 등을 보면 피의자와 물리적인 충돌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는 한다”면서도, “그러나, 당시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은 피해자 신체에서 상처 부위를 확인할 수 없었고, 피해자로부터 폭행 사실에 대한 이야기도 듣지 않았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이어 “이같은 정황을 모두 고려하면 피해자 몸에 생긴 상처가 피의자의 행위 때문인지, 사건 발생 이전에 생긴 것인지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면서, “폭행의 증거로 제출된 사진 중 일부는 건강 문제로 인한 치료나 미용 시술에 따른 상처임이 피해자의 SNS 계정을 통해 확인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의 유승진 변호사는 “B씨는 A씨로부터 이별을 통보받자 자신의 SNS에 허위 사실을 올려 고소를 당한 상태였는데, 이후 허위 증거까지 만들어내며 A씨를 맞고소했다”면서, “경찰도 B씨가 고소 취하 합의에 이용할 목적으로 무리하게 고소를 진행한 것으로 판단해 무혐의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상처 생겼다’ 연인 폭행 혐의로 입건된 남성···알고 보니 ‘허위 증거’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26
단골들과 낚시대회 열었다 '사행성 영업' 혐의…법원 판결은?
단골들과 낚시대회 열었다 '사행성 영업' 혐의…법원 판결은?
검찰 “물고기 무게, 등수를 기입한 증표 제공 역할…우연한 승부에 의해 결정”재판부 “증표로 보는 것은 확장해석…낚시 실력 등 노력도 결과에 영향 미쳐” 허가 없이 사행성 낚시대회를 개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낚시터 업주가 무죄를 선고받았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 지방법원은 지난달 10일 사행행위등규제및처벌특례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1년부터 2년간 자신이 운영하는 낚시터에서 사행성 낚시대회를 개최한 혐의를 받았다. 사행행위등 규제 및 처벌 특례법 제30조에 따르면, 당국의 허가 없이 사행행위 영업을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대회에서는 손님들이 잡은 물고기의 총 무게에 따라 순위가 결정됐고, 순위에 따라 낚시터 무료이용권 등의 경품이 지급됐다. 검찰은 이같은 대회가 사행행위등규제및처벌특례법상 ‘경품업’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경품업이란 참가자에게 등수를 기입한 증표를 제공하고 증표에 기재된 등수 등에 따라 당첨금을 교부하는 영업 행위를 뜻하는데, 검찰은 물고기의 무게가 증표 역할을 했다고 봤다. 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물고기 무게는 단순한 평가 기준에 해당할 뿐, '증표'로서의 법적 성질은 없다는 것이다. 또한 해당 대회는 단골 손님들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실시됐고, 본인은 낚시터 입장료 외에 다른 돈을 받지 않아 영리 목적도 없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재판부는 "사행행위규제법에서 말하는 사행행위란 여러 사람으로부터 재물이나 재산상의 이익을 모아 우연적 방법으로 득실을 결정해 재산상 이익이나 손실을 주는 행위"라며 "공소사실의 행위는 사행행위영업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고, 물고기의 무게를 증표로 해석하는 것은 피고인에게 불리한 확장해석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비교적 긴 대회 시간동안 낚시를 해 잡은 물고기 무게를 손님별로 합산하는 이상, 손님들의 낚시 기술과 실력, 노력도 결과에 상당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연에 의한 단순하고 즉각적인 방법으로 승부가 나는 경품업 등과 성격이 달라 사행심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방법을 이용한 영업으로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영민 변호사는 "물고기의 무게는 수치에 의해 수상 여부가 결정되는 기준에 불과하므로 당첨을 증명할 수 있는 증명 또는 증거로 기능하지 못한다"며 "이와 함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에도 승부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강조해 법원의 무죄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단골들과 낚시대회 열었다 '사행성 영업' 혐의…법원 판결은?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26
단골들과 낚시대회 열었다 '사행성 영업' 혐의…법원 판결은?
단골들과 낚시대회 열었다 '사행성 영업' 혐의…법원 판결은?
검찰 “물고기 무게, 등수를 기입한 증표 제공 역할…우연한 승부에 의해 결정”재판부 “증표로 보는 것은 확장해석…낚시 실력 등 노력도 결과에 영향 미쳐” 허가 없이 사행성 낚시대회를 개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낚시터 업주가 무죄를 선고받았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 지방법원은 지난달 10일 사행행위등규제및처벌특례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1년부터 2년간 자신이 운영하는 낚시터에서 사행성 낚시대회를 개최한 혐의를 받았다. 사행행위등 규제 및 처벌 특례법 제30조에 따르면, 당국의 허가 없이 사행행위 영업을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대회에서는 손님들이 잡은 물고기의 총 무게에 따라 순위가 결정됐고, 순위에 따라 낚시터 무료이용권 등의 경품이 지급됐다. 검찰은 이같은 대회가 사행행위등규제및처벌특례법상 ‘경품업’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경품업이란 참가자에게 등수를 기입한 증표를 제공하고 증표에 기재된 등수 등에 따라 당첨금을 교부하는 영업 행위를 뜻하는데, 검찰은 물고기의 무게가 증표 역할을 했다고 봤다. 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물고기 무게는 단순한 평가 기준에 해당할 뿐, '증표'로서의 법적 성질은 없다는 것이다. 또한 해당 대회는 단골 손님들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실시됐고, 본인은 낚시터 입장료 외에 다른 돈을 받지 않아 영리 목적도 없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재판부는 "사행행위규제법에서 말하는 사행행위란 여러 사람으로부터 재물이나 재산상의 이익을 모아 우연적 방법으로 득실을 결정해 재산상 이익이나 손실을 주는 행위"라며 "공소사실의 행위는 사행행위영업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고, 물고기의 무게를 증표로 해석하는 것은 피고인에게 불리한 확장해석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비교적 긴 대회 시간동안 낚시를 해 잡은 물고기 무게를 손님별로 합산하는 이상, 손님들의 낚시 기술과 실력, 노력도 결과에 상당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연에 의한 단순하고 즉각적인 방법으로 승부가 나는 경품업 등과 성격이 달라 사행심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방법을 이용한 영업으로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영민 변호사는 "물고기의 무게는 수치에 의해 수상 여부가 결정되는 기준에 불과하므로 당첨을 증명할 수 있는 증명 또는 증거로 기능하지 못한다"며 "이와 함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에도 승부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강조해 법원의 무죄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단골들과 낚시대회 열었다 '사행성 영업' 혐의…법원 판결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8-26
연인 간 대여금 분쟁…사랑의 대가인가 돌려받을 돈인가
연인 간 대여금 분쟁…사랑의 대가인가 돌려받을 돈인가
"헤어진 전 연인이 그동안 준 것들을 돌려달라고 합니다. 정말 돌려줘야 하나요?"연인 사이에 금전, 물건 등이 오가는 일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인다. 일상적인 생활비부터 결혼을 전제로 한 동거에서 비롯되는 비용까지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문제는 그 관계가 파탄에 이르고, 한 쪽이 금전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을 때다. 반환을 요구하는 당사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돌려받을 돈'이라 여길 수 있으나, 법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민사 소송에서 대여금 반환청구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이를 제기한 원고가 대여 사실을 입증해야만 한다. 상대방에게 송금한 기록, 거래 내역, 입출금 계좌 등 단순 송금 사실 내역 만으로는 대여 의사를 객관적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대여 계약이 성립됐음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차용증 또는 그에 준하는 서면, 상환 약속이 명시된 문자나 이메일, 반환을 요구하거나 갚겠다고 발언한 녹취록 등 의사 합치에 대한 실질적인 자료가 필요하다.그런데 연인 관계의 경우 일반적인 거래관계와 달리 특성상 금전 수수의 배경에 대해 명확한 계약서나 차용증이 존재하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법원 역시 당사자 간 정황과 관계의 경위를 종합적으로 살펴 금원의 성격이 대여에 속하는지, 증여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실제로 필자가 담당한 사건에서도 이와 같은 쟁점이 핵심이 된 적이 있었다. 피고는 원고와 교제하던 시절, 원고로부터 수 차례에 걸쳐 약 5,800만 원을 받았다. 그런데 관계가 종료되자 원고가 이를 돌려달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당시 원고는 피고가 대출금을 갚기 위한 명목으로 돈을 빌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여계약서나 차용증 등 계약의 성립을 입증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는 존재하지 않았다.필자는 우선 '주장하는 자가 증명해야 한다'는 민사소송의 기본 원칙을 일관성있게 강조하며, 증명책임을 철저하게 원고에게 넘겼다. 또 연인 사이에서는 특별한 조건 없이 금전 제공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상황은 대여가 아닌 증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특히, 원고가 금전을 제공한 후 피고의 변제가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금전을 지급한 점, 원고가 스스로 재력을 과시하며 피고를 도와주고 싶다고 말한 점을 강조하며 원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반박했다.그 결과 법원도 원고의 '대여' 주장에 대해 입증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청구를 기각했고, 피고는 무거운 금전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법무법인 대륜 김영민 변호사는 “이처럼 연인 간 대여금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감정적 판단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되며, 사건 초기부터 냉철한 판단으로 관련 법리를 충분히 이해하고 증거 수집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쟁점별로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당사자 진술의 신빙성과 정황 증거의 유기적 해석을 통해 논리적인 주장을 구성해야만 불필요한 분쟁을 줄이고 법적 책임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연인 간 대여금 분쟁…사랑의 대가인가 돌려받을 돈인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8-26
연인 간 대여금 분쟁…사랑의 대가인가 돌려받을 돈인가
연인 간 대여금 분쟁…사랑의 대가인가 돌려받을 돈인가
"헤어진 전 연인이 그동안 준 것들을 돌려달라고 합니다. 정말 돌려줘야 하나요?"연인 사이에 금전, 물건 등이 오가는 일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인다. 일상적인 생활비부터 결혼을 전제로 한 동거에서 비롯되는 비용까지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문제는 그 관계가 파탄에 이르고, 한 쪽이 금전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을 때다. 반환을 요구하는 당사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돌려받을 돈'이라 여길 수 있으나, 법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민사 소송에서 대여금 반환청구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이를 제기한 원고가 대여 사실을 입증해야만 한다. 상대방에게 송금한 기록, 거래 내역, 입출금 계좌 등 단순 송금 사실 내역 만으로는 대여 의사를 객관적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대여 계약이 성립됐음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차용증 또는 그에 준하는 서면, 상환 약속이 명시된 문자나 이메일, 반환을 요구하거나 갚겠다고 발언한 녹취록 등 의사 합치에 대한 실질적인 자료가 필요하다.그런데 연인 관계의 경우 일반적인 거래관계와 달리 특성상 금전 수수의 배경에 대해 명확한 계약서나 차용증이 존재하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법원 역시 당사자 간 정황과 관계의 경위를 종합적으로 살펴 금원의 성격이 대여에 속하는지, 증여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실제로 필자가 담당한 사건에서도 이와 같은 쟁점이 핵심이 된 적이 있었다. 피고는 원고와 교제하던 시절, 원고로부터 수 차례에 걸쳐 약 5,800만 원을 받았다. 그런데 관계가 종료되자 원고가 이를 돌려달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당시 원고는 피고가 대출금을 갚기 위한 명목으로 돈을 빌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여계약서나 차용증 등 계약의 성립을 입증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는 존재하지 않았다.필자는 우선 '주장하는 자가 증명해야 한다'는 민사소송의 기본 원칙을 일관성있게 강조하며, 증명책임을 철저하게 원고에게 넘겼다. 또 연인 사이에서는 특별한 조건 없이 금전 제공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상황은 대여가 아닌 증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특히, 원고가 금전을 제공한 후 피고의 변제가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금전을 지급한 점, 원고가 스스로 재력을 과시하며 피고를 도와주고 싶다고 말한 점을 강조하며 원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반박했다.그 결과 법원도 원고의 '대여' 주장에 대해 입증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청구를 기각했고, 피고는 무거운 금전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법무법인 대륜 김영민 변호사는 “이처럼 연인 간 대여금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감정적 판단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되며, 사건 초기부터 냉철한 판단으로 관련 법리를 충분히 이해하고 증거 수집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쟁점별로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당사자 진술의 신빙성과 정황 증거의 유기적 해석을 통해 논리적인 주장을 구성해야만 불필요한 분쟁을 줄이고 법적 책임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연인 간 대여금 분쟁…사랑의 대가인가 돌려받을 돈인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25
명의만 빌려줬는데...'가짜 석유 판매' 공범 몰린 30대 檢 판단은
명의만 빌려줬는데...'가짜 석유 판매' 공범 몰린 30대 檢 판단은
가짜 석유 판매를 방조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여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 17일 석유및석유대체연료사업법위반방조 혐의를 받는 30대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1년 전 연인인 B씨로부터 주유소 운영에 필요한 사업자 명의를 빌려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당시 B씨는 자신이 신용불량자임을 강조하며 설득했고, 이에 A씨는 응한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이후 B씨는 A씨 명의의 주유소를 운영하며, 이듬해 3월부터 약 2주 동안 2억 3000만원 상당의 가짜 석유를 판매하다 적발됐다. 경찰은 A씨가 일정 대가를 받고 B씨의 가짜 석유 판매 행위를 도운 것으로 판단해 사건을 검찰에 넘겼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명의를 빌려준 것은 사실이지만, 가짜 석유 판매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A씨는 "B씨 사업장의 아르바이트생으로 근무하며 처음 알게 됐고, 결혼까지 생각했던 사이였기에 명의 대여를 가볍게 생각했다"며 "오히려 약속했던 사업장 수익금조차 제대로 받지 못해 B씨에게 여러 차례 폐업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검찰은 “피의자가 금전적 대가를 통해 자신의 명의를 빌려준 것은 확인된다”며 “또한 해당 주유소 영업이 통해 세금 탈루 등 불법적 용도로 사용될 것이라 미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점이 있긴 하지만 여러 정황을 살펴볼 때 피의자가 가짜 석유 판매를 인식하고 본 범행에 가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구 변호사는 “방조 행위는 정범이 범행을 실행하는 점을 알면서 그 실행을 용이하게 해야한다”며 "A씨가 가짜 석유 판매 사실 자체를 알지 못했다는 점을 통신 기록과 통장 입출금 내역 등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면밀히 소명하여 무혐의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명의만 빌려줬는데...'가짜 석유 판매' 공범 몰린 30대 檢 판단은
파이낸셜뉴스
2025-08-25
명의만 빌려줬는데...'가짜 석유 판매' 공범 몰린 30대 檢 판단은
명의만 빌려줬는데...'가짜 석유 판매' 공범 몰린 30대 檢 판단은
가짜 석유 판매를 방조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여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 17일 석유및석유대체연료사업법위반방조 혐의를 받는 30대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1년 전 연인인 B씨로부터 주유소 운영에 필요한 사업자 명의를 빌려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당시 B씨는 자신이 신용불량자임을 강조하며 설득했고, 이에 A씨는 응한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이후 B씨는 A씨 명의의 주유소를 운영하며, 이듬해 3월부터 약 2주 동안 2억 3000만원 상당의 가짜 석유를 판매하다 적발됐다. 경찰은 A씨가 일정 대가를 받고 B씨의 가짜 석유 판매 행위를 도운 것으로 판단해 사건을 검찰에 넘겼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명의를 빌려준 것은 사실이지만, 가짜 석유 판매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A씨는 "B씨 사업장의 아르바이트생으로 근무하며 처음 알게 됐고, 결혼까지 생각했던 사이였기에 명의 대여를 가볍게 생각했다"며 "오히려 약속했던 사업장 수익금조차 제대로 받지 못해 B씨에게 여러 차례 폐업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검찰은 “피의자가 금전적 대가를 통해 자신의 명의를 빌려준 것은 확인된다”며 “또한 해당 주유소 영업이 통해 세금 탈루 등 불법적 용도로 사용될 것이라 미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점이 있긴 하지만 여러 정황을 살펴볼 때 피의자가 가짜 석유 판매를 인식하고 본 범행에 가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구 변호사는 “방조 행위는 정범이 범행을 실행하는 점을 알면서 그 실행을 용이하게 해야한다”며 "A씨가 가짜 석유 판매 사실 자체를 알지 못했다는 점을 통신 기록과 통장 입출금 내역 등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면밀히 소명하여 무혐의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명의만 빌려줬는데...'가짜 석유 판매' 공범 몰린 30대 檢 판단은
KBC광주방송
2025-08-25
'정부 관리' 예술물 철거했다 7억 원대 피소…法 "배상 책임 없다"
'정부 관리' 예술물 철거했다 7억 원대 피소…法 "배상 책임 없다"
건물 공용 공간에 설치된 미술 조형물을 임의로 철거해 7억 원대 손해배상 소송을 당한 오피스텔 상가관리단 전임 대표 등이 1심에서 승소했습니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달 17일 오피스텔 상가관리단이 전임 대표 A씨 등 4명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관리단은 A씨 등이 미술 조형물을 임의로 철거해 오피스텔이 입은 손해 7억 730여만 원을 배상하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씨 등은 지난 2015년 오피스텔 건물 1층 정문 앞에 설치돼 있던 미술 조형물을 철거 후 폐기했습니다.이후 2020년 관할 구청은 관리단 측에 철거된 조형물에 대한 원상복구를 명령했습니다.이같은 조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건축 비용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회화, 조각, 공예 등 미술 장식품 설치에 사용하도록 규정하는 옛 문화예술진흥법 제11조 1항에 따른 것이었습니다.원상복구 지시를 받은 관리단은 당시 폐기를 맡았던 A씨 등이 관할 구청의 허가 없이 조형물을 철거했고, 집합건물법상 필요한 구분소유자 2/3 이상의 동의를 받지 않아 오피스텔에 손해를 입혔다고 주장했습니다.반면 A씨 등은 배상 책임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관리규약에 따르면 고의 또는 중과실로 인해 손해를 끼친 경우에만 손해배상 책임을 부담하도록 돼 있는데, 자신들은 당시 의무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는 겁니다.당시 입주민들의 민원에 따라 조형물 철거가 이뤄졌고, 관리소장 역시 그 과정에서 법적 절차 등에 대한 내용을 고지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섭니다. 법원은 A씨 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피고들이 집합건물법에서 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안건을 상정해 철거한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이 행위가 사적인 이익이 아니라 노후 시설 정비와 미관 개선 등 입주자들의 이익을 위한 조치로 볼 여지가 크다"고 봤습니다.그러면서 "피고들은 법률 전문가가 아닌 데다 철거 시 피고와 소통했던 전문 위탁관리업체마저 법적 문제를 지적하지 않은 이상, 이들의 주의의무 위반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피고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박정규 변호사는 "이번 사건의 쟁점은 관리규약이 요구하는 '고의 또는 중과실'이라는 책임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였다"며 "관리단 구성원들은 단지 동별 대표자에 해당하는 '일반인'으로서 이 사건 조형물과 관련한 법령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고, 조형물의 법적 성격이나 설치 근거 등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점을 소명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사전문보기] '정부 관리' 예술물 철거했다 7억 원대 피소…法 "배상 책임 없다"
KBC광주방송
2025-08-25
'정부 관리' 예술물 철거했다 7억 원대 피소…法 "배상 책임 없다"
'정부 관리' 예술물 철거했다 7억 원대 피소…法 "배상 책임 없다"
건물 공용 공간에 설치된 미술 조형물을 임의로 철거해 7억 원대 손해배상 소송을 당한 오피스텔 상가관리단 전임 대표 등이 1심에서 승소했습니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달 17일 오피스텔 상가관리단이 전임 대표 A씨 등 4명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관리단은 A씨 등이 미술 조형물을 임의로 철거해 오피스텔이 입은 손해 7억 730여만 원을 배상하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씨 등은 지난 2015년 오피스텔 건물 1층 정문 앞에 설치돼 있던 미술 조형물을 철거 후 폐기했습니다.이후 2020년 관할 구청은 관리단 측에 철거된 조형물에 대한 원상복구를 명령했습니다.이같은 조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건축 비용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회화, 조각, 공예 등 미술 장식품 설치에 사용하도록 규정하는 옛 문화예술진흥법 제11조 1항에 따른 것이었습니다.원상복구 지시를 받은 관리단은 당시 폐기를 맡았던 A씨 등이 관할 구청의 허가 없이 조형물을 철거했고, 집합건물법상 필요한 구분소유자 2/3 이상의 동의를 받지 않아 오피스텔에 손해를 입혔다고 주장했습니다.반면 A씨 등은 배상 책임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관리규약에 따르면 고의 또는 중과실로 인해 손해를 끼친 경우에만 손해배상 책임을 부담하도록 돼 있는데, 자신들은 당시 의무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는 겁니다.당시 입주민들의 민원에 따라 조형물 철거가 이뤄졌고, 관리소장 역시 그 과정에서 법적 절차 등에 대한 내용을 고지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섭니다. 법원은 A씨 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피고들이 집합건물법에서 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안건을 상정해 철거한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이 행위가 사적인 이익이 아니라 노후 시설 정비와 미관 개선 등 입주자들의 이익을 위한 조치로 볼 여지가 크다"고 봤습니다.그러면서 "피고들은 법률 전문가가 아닌 데다 철거 시 피고와 소통했던 전문 위탁관리업체마저 법적 문제를 지적하지 않은 이상, 이들의 주의의무 위반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피고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의 박정규 변호사는 "이번 사건의 쟁점은 관리규약이 요구하는 '고의 또는 중과실'이라는 책임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였다"며 "관리단 구성원들은 단지 동별 대표자에 해당하는 '일반인'으로서 이 사건 조형물과 관련한 법령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고, 조형물의 법적 성격이나 설치 근거 등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점을 소명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사전문보기] '정부 관리' 예술물 철거했다 7억 원대 피소…法 "배상 책임 없다"
약업신문
2025-08-25
[기고] AI ·IoT 기반 의료기 법적·윤리적 측면 도전 과제
[기고] AI ·IoT 기반 의료기 법적·윤리적 측면 도전 과제
기고자와 약업신문은 「의료기기와 관련된 시리즈를 기획했다. 이번 기고에서는 AI 및 IoT 기반 의료기기의 윤리적, 규제적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의료기기의 새로운 패러다임ChatGPT로 대변되는 AI 열풍이 전사회적으로 불고 있는 가운데, 의료 현장에서도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를 학습한 AI 소프트웨어가 암∙심혈관질환 등 주요 질환을 조기 발견하고, IoT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 혈당, 수면 패턴을 24시간 모니터링하는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그러나 이러한 혁신적인 변화는 법적·윤리적 도전과제를 함께 수반하고 있다. "AI가 내린 진단이 틀렸다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IoT 기기를 통해 수집된 환자 데이터는 얼마나 안전한가?" 등의 질문은 이제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2. AI·IoT 의료기기의 특성 – 기존 규제 체계로는 규제하기 어려운 제품AI 알고리즘의 학습 능력: 기존 의료기기는 허가를 받으면 구조와 성능이 고정된다. 그러나 AI·IoT 기기는 근본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AI 알고리즘은 학습 데이터가 늘어날수록 성능이 업데이트되고, 때로는 예측 방식 자체가 변할 수 있다. 잦은 업데이트: 위와 같은 학습을 통해 소프트웨어 패치, 데이터셋 교체, 클라우드 업데이트 등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AI 의료기기는 수시로 변화한다. 기존 의료기기는 허가 이후 허가사항 변동이 거의 없고, 기존 의료기기법은 이러한 특성에 맞게 제정되어 있다. 그러나 AI 의료기기는 잦은 업데이트로 인해 기존 허가 체계로 규율하기 어려울 수 있다. IoT 연결성의 양면성: 지속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과 클라우드 연동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편의성이 상당하지만,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보안 리스크도 증가한다. 기존 의료법-의료기기법 체계로는 규제하기 어려운 영역의 존재: 기존 의료기기는 의사가 최종 진단의 주체가 되므로 의사가 최종적인 책임을 진다. 그러나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는 AI 소프트웨어의 경우, 의료기기가 진단까지 수행할 수 있어 최종적인 법적 책임을 누가 지는지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이러한 특징들은 AI·IoT 의료기기 규제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들이며, 이에 따라 여러가지 법적, 윤리적 문제가 수반된다. 3. 윤리적 과제 – 환자 권리와 책임의 문제가.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 부족AI의 의사 결정 과정은 '블랙박스'에 가깝다. 실제 아직까지 연구를 거듭하고 있지만 ChatGPT의 사고 과정을 인간이 설명하기 어렵다고 한다. 즉, AI의 사고 방식을 우리가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뜻이다.환자와 의료진이 AI로부터 진단을 받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도출되었는지는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침해되거나, 법적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나. 책임소재 불명확성AI 의료기기를 이용한 진단 행위에는 다음과 같은 주체들이 연관되어 있으나, 이들 사이의 책임 분배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의료진: 최종 진단과 치료 결정을 내린 의사• 제조사: 알고리즘을 설계한 의료기기 회사• 병원: 기기를 도입하고 환자에게 사용한 기관 다. 개인정보 및 보안 위험IoT 기기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해킹 위험은 필연적으로 따라온다. 환자의 심전도, 혈당 기록 등 민감한 건강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환자의 인격권이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다.그 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건강 정보를 활용하여 AI 진단 소프트웨어를 학습시키는데, 기고자가 파악하기로는 아직까지도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를 제대로 받지 않고 'AI 학습'을 시키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아직 이슈화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관련해서도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대두될 수 있을 것이다. 4. 규제적 과제한국의 경우 「의료기기법」과 최근 제정된 「디지털의료제품법」을 통해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를 규율하고 있으며,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새로운 기술의 임시적 허용과 검증을 병행하고 있다. 다만, AI 알고리즘의 '지속적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나 앞서 언급한 책임소재, 개인정보보호 문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은 미비한 실정이다.미국(FDA)은 AI/ML SaMD 관련 가이드라인 등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유럽연합(EU)규제의 주요 특징은 이중적 규제 접근이다.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이 의료기기 규정(Medical Device Regulation, MDR) 및 인공지능법(Artificial Intelligence Act, AIA)에 따라 AI 기반 의료기기를 관리한다.MDR은 AI 기반 의료기기를 포함한 의료기기의 설계, 개발, 임상평가 및 시판 후 감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AIA는 위험 기반 분류, 투명성, 인간의 감독 요구사항 등을 규정한다.의료AI 업체는 미국, 유럽 시장 진출 시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만 시장 진입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국내 규제는 아직 확립 중에 있는바, 엄격해질 규제에 대해 사전적 대비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 결론AI·IoT 기반 의료기기는 이미 환자의 삶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술 발전의 속도와 법·윤리 체계의 발전 속도 사이에 여전히 큰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문제다. 특히, 앞서 살펴본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그 누구도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자의 안전과 권리 보장이 보장될 때만 의료기기 혁신은 지속 가능하므로 이를 보장하는 윤리적, 규제적 논의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규제 기관, 산업계, 의료진, 법조계가 함께 참여하는 토론의 장이 필요하다는 것이 기고자의 생각이다.한편, 큰 흐름상 AI·IoT 기반 의료기기와 관련한 정부의 규제는 강화될 것이 분명하다. 일부 규제의 경우 기술적으로 상당한 난이도를 요구할 수도 있는바, 관련 업계에서는 이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된다. 기고자: 이일형 변호사(ilhyunglee@naver.com)변호사/약사/변리사/미국 회계사(Maine)시험 합격(前)셀트리온 국내법무팀 변호사(現)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제약그룹/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장 [기사전문보기] [기고] AI ·IoT 기반 의료기 법적·윤리적 측면 도전 과제
약업신문
2025-08-25
[기고] AI ·IoT 기반 의료기 법적·윤리적 측면 도전 과제
[기고] AI ·IoT 기반 의료기 법적·윤리적 측면 도전 과제
기고자와 약업신문은 「의료기기와 관련된 시리즈를 기획했다. 이번 기고에서는 AI 및 IoT 기반 의료기기의 윤리적, 규제적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의료기기의 새로운 패러다임ChatGPT로 대변되는 AI 열풍이 전사회적으로 불고 있는 가운데, 의료 현장에서도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를 학습한 AI 소프트웨어가 암∙심혈관질환 등 주요 질환을 조기 발견하고, IoT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 혈당, 수면 패턴을 24시간 모니터링하는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그러나 이러한 혁신적인 변화는 법적·윤리적 도전과제를 함께 수반하고 있다. "AI가 내린 진단이 틀렸다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IoT 기기를 통해 수집된 환자 데이터는 얼마나 안전한가?" 등의 질문은 이제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2. AI·IoT 의료기기의 특성 – 기존 규제 체계로는 규제하기 어려운 제품AI 알고리즘의 학습 능력: 기존 의료기기는 허가를 받으면 구조와 성능이 고정된다. 그러나 AI·IoT 기기는 근본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AI 알고리즘은 학습 데이터가 늘어날수록 성능이 업데이트되고, 때로는 예측 방식 자체가 변할 수 있다. 잦은 업데이트: 위와 같은 학습을 통해 소프트웨어 패치, 데이터셋 교체, 클라우드 업데이트 등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AI 의료기기는 수시로 변화한다. 기존 의료기기는 허가 이후 허가사항 변동이 거의 없고, 기존 의료기기법은 이러한 특성에 맞게 제정되어 있다. 그러나 AI 의료기기는 잦은 업데이트로 인해 기존 허가 체계로 규율하기 어려울 수 있다. IoT 연결성의 양면성: 지속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과 클라우드 연동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편의성이 상당하지만,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보안 리스크도 증가한다. 기존 의료법-의료기기법 체계로는 규제하기 어려운 영역의 존재: 기존 의료기기는 의사가 최종 진단의 주체가 되므로 의사가 최종적인 책임을 진다. 그러나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는 AI 소프트웨어의 경우, 의료기기가 진단까지 수행할 수 있어 최종적인 법적 책임을 누가 지는지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이러한 특징들은 AI·IoT 의료기기 규제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들이며, 이에 따라 여러가지 법적, 윤리적 문제가 수반된다. 3. 윤리적 과제 – 환자 권리와 책임의 문제가.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 부족AI의 의사 결정 과정은 '블랙박스'에 가깝다. 실제 아직까지 연구를 거듭하고 있지만 ChatGPT의 사고 과정을 인간이 설명하기 어렵다고 한다. 즉, AI의 사고 방식을 우리가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뜻이다.환자와 의료진이 AI로부터 진단을 받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도출되었는지는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침해되거나, 법적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나. 책임소재 불명확성AI 의료기기를 이용한 진단 행위에는 다음과 같은 주체들이 연관되어 있으나, 이들 사이의 책임 분배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의료진: 최종 진단과 치료 결정을 내린 의사• 제조사: 알고리즘을 설계한 의료기기 회사• 병원: 기기를 도입하고 환자에게 사용한 기관 다. 개인정보 및 보안 위험IoT 기기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해킹 위험은 필연적으로 따라온다. 환자의 심전도, 혈당 기록 등 민감한 건강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환자의 인격권이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다.그 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건강 정보를 활용하여 AI 진단 소프트웨어를 학습시키는데, 기고자가 파악하기로는 아직까지도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를 제대로 받지 않고 'AI 학습'을 시키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아직 이슈화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관련해서도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대두될 수 있을 것이다. 4. 규제적 과제한국의 경우 「의료기기법」과 최근 제정된 「디지털의료제품법」을 통해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를 규율하고 있으며,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새로운 기술의 임시적 허용과 검증을 병행하고 있다. 다만, AI 알고리즘의 '지속적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나 앞서 언급한 책임소재, 개인정보보호 문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은 미비한 실정이다.미국(FDA)은 AI/ML SaMD 관련 가이드라인 등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유럽연합(EU)규제의 주요 특징은 이중적 규제 접근이다.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이 의료기기 규정(Medical Device Regulation, MDR) 및 인공지능법(Artificial Intelligence Act, AIA)에 따라 AI 기반 의료기기를 관리한다.MDR은 AI 기반 의료기기를 포함한 의료기기의 설계, 개발, 임상평가 및 시판 후 감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AIA는 위험 기반 분류, 투명성, 인간의 감독 요구사항 등을 규정한다.의료AI 업체는 미국, 유럽 시장 진출 시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만 시장 진입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국내 규제는 아직 확립 중에 있는바, 엄격해질 규제에 대해 사전적 대비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 결론AI·IoT 기반 의료기기는 이미 환자의 삶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술 발전의 속도와 법·윤리 체계의 발전 속도 사이에 여전히 큰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문제다. 특히, 앞서 살펴본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그 누구도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자의 안전과 권리 보장이 보장될 때만 의료기기 혁신은 지속 가능하므로 이를 보장하는 윤리적, 규제적 논의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규제 기관, 산업계, 의료진, 법조계가 함께 참여하는 토론의 장이 필요하다는 것이 기고자의 생각이다.한편, 큰 흐름상 AI·IoT 기반 의료기기와 관련한 정부의 규제는 강화될 것이 분명하다. 일부 규제의 경우 기술적으로 상당한 난이도를 요구할 수도 있는바, 관련 업계에서는 이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된다. 기고자: 이일형 변호사(ilhyunglee@naver.com)변호사/약사/변리사/미국 회계사(Maine)시험 합격(前)셀트리온 국내법무팀 변호사(現)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제약그룹/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장 [기사전문보기] [기고] AI ·IoT 기반 의료기 법적·윤리적 측면 도전 과제
메디파나
2025-08-25
[기고]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중심으로 본 허가와 특허 교차점
[기고]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중심으로 본 허가와 특허 교차점
의약품 품목 허가는 약사법에 의해 규율되고 특허는 특허법에 의해 규율되는 별개의 개념이지만 실무에서 이 둘은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 이하에서는 특허제도와 의약품 품목 허가 과정을 개관하고 이들이 어떻게 연계돼 있는지 설명 드리고자 한다.1. 특허란 무엇인가특허는 발명자가 일정 기간 독점적으로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호하는 지식재산권 제도다. 우리나라 특허법은 '산업상 이용가능성', '신규성', '진보성'을 갖춘 발명을 특허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등록된 특허에는 제3자의 무단 사용을 막을 수 있는 강력한 배타적 효력을 부여하고 있다.각종 연구에 의하면 특허 만료 이후 약가는 7080% 이상 폭락한다. 따라서 제약산업에서 특허권은 막대한 개발 비용을 회수하는 핵심적인 수단이다. 신약 하나를 개발하는 데 수천억원이 소요되는 특허는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란?이 제도는 특허와 의약품 품목허가를 연결해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권을 보호하고 동시에 제네릭의 적법한 진입을 촉진하는 장치다. 우리나라 허가특허 연계제도는 다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① 특허 등재 : 오리지널사가 품목허가 신청 시 관련 특허를 식약처에 등재할 수 있다. 제네릭사가 품목허가를 신청할 때 이들 특허가 고려 대상이 된다.② 통지제도 및 판매 금지 : 제네릭 개발사는 허가 신청 시 오리지널사에 통지할 의무가 있고, 만약 특허를 침해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오리지널사는 판매 금지를 신청할 수 있다.③ 우선판매품목허가 : 최초로 특허 회피에 성공한 제네릭사는 9개월 간 단독 판매가 가능하다. 이는 제네릭 개발을 독려하는 장치로 작용한다.3. 특허 출원에서부터 등록·존속기간 및 연장까지특허가 등록되는 일반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① 출원(Filing) : 발명의 내용을 명세서와 함께 특허청에 제출한다.② 심사 및 등록결정 : 출원 후 심사 단계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특허청 심사관이 특허 요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해 유효한 특허로 판단되면 등록하게 된다.③ 존속기간 : 출원일로부터 20년간 존속하며, 의약품 특허의 경우 '허가 지연 기간'을 반영해 최대 5년간 존속기간 연장이 가능하다.의약품 특허는 통상 개발 초기, 전임상 또는 임상 1상 전후로 출원된다. 등록된 특허에는 강력한 배타적 효력이 인정된다는 점은 앞서 설명 드린 바와 같다.4. 의약품 품목허가 : 임상시험 1상부터 3상까지일반 공산품은 자유롭게 제조 판매할 수 있다. 그런데 제약산업에서는 임상시험 13상을 거쳐 '품목허가'를 받은 의약품만 판매할 수 있다. 즉, 의약품 시장에서는 '허가'라는 강력한 허들(Hurdle)이 존재하는 것이다.5. 특허와 허가가 연계되는 모습의약품 개발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타겟 물질'에 대한 특허를 먼저 출원하고, 이후 임상을 거쳐 허가까지 받게 된다. 이 두 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연계된다.특허는 보호 수단, 허가는 시장 진입 수단이다. 아무리 훌륭한 특허가 있어도 허가가 없으면 판매할 수 없고, 반대로 허가가 있어도 특허를 출원하지 않아 독점권이 없거나 특허가 만료됐다면 이익을 얻을 수 없다.오리지널사가 제품을 출시한 후 제네릭사가 제네릭 의약품을 출시할 때에도 허가-특허는 연계된다. 제네릭사는 오리지널사의 특허를 분석해 회피전략(무효 주장 또는 비침해)을 수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회피가 가능하다고 보면 제네릭사는 의약품 품목 허가를 신청하게 되고 허특제도(허가-특허 연계제도)에 따라 제네릭사는 허가신청 사실을 특허권자에게 통지해야만 한다. 이때 오리지널사가 판매 금지를 신청하면 식약처는 일정 기간 동안 제네릭 진입을 지연시킬 수 있다.반대로 제네릭사가 오리지널사를 공격하는 제도도 있다. 우선판매품목허가 제도는 특허 회피를 장려하는 유인책이다. 제네릭사가 성공적으로 특허 회피에 성공하면, 일정기간 독점 판매권을 얻는 혜택을 받게 된다.6. 맺음말신약 개발 또는 제네릭 약품 개발의 성패는 '특허 전략을 어떻게 짜서 신약 개발 비용을 회수할 것인가', '허가 시점에서 유효한 특허가 존재하는가', 그리고 '그 특허를 회피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제약회사라면 단순한 허가 과정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특허 전략까지 아우르는 복합적 대응 전략이 필수라는 점을 강조드리며 글을 마친다.|기고| 법무법인 대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장 이일형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중심으로 본 허가와 특허 교차점
메디파나
2025-08-25
[기고]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중심으로 본 허가와 특허 교차점
[기고]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중심으로 본 허가와 특허 교차점
의약품 품목 허가는 약사법에 의해 규율되고 특허는 특허법에 의해 규율되는 별개의 개념이지만 실무에서 이 둘은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 이하에서는 특허제도와 의약품 품목 허가 과정을 개관하고 이들이 어떻게 연계돼 있는지 설명 드리고자 한다.1. 특허란 무엇인가특허는 발명자가 일정 기간 독점적으로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호하는 지식재산권 제도다. 우리나라 특허법은 '산업상 이용가능성', '신규성', '진보성'을 갖춘 발명을 특허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등록된 특허에는 제3자의 무단 사용을 막을 수 있는 강력한 배타적 효력을 부여하고 있다.각종 연구에 의하면 특허 만료 이후 약가는 7080% 이상 폭락한다. 따라서 제약산업에서 특허권은 막대한 개발 비용을 회수하는 핵심적인 수단이다. 신약 하나를 개발하는 데 수천억원이 소요되는 특허는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란?이 제도는 특허와 의약품 품목허가를 연결해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권을 보호하고 동시에 제네릭의 적법한 진입을 촉진하는 장치다. 우리나라 허가특허 연계제도는 다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① 특허 등재 : 오리지널사가 품목허가 신청 시 관련 특허를 식약처에 등재할 수 있다. 제네릭사가 품목허가를 신청할 때 이들 특허가 고려 대상이 된다.② 통지제도 및 판매 금지 : 제네릭 개발사는 허가 신청 시 오리지널사에 통지할 의무가 있고, 만약 특허를 침해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오리지널사는 판매 금지를 신청할 수 있다.③ 우선판매품목허가 : 최초로 특허 회피에 성공한 제네릭사는 9개월 간 단독 판매가 가능하다. 이는 제네릭 개발을 독려하는 장치로 작용한다.3. 특허 출원에서부터 등록·존속기간 및 연장까지특허가 등록되는 일반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① 출원(Filing) : 발명의 내용을 명세서와 함께 특허청에 제출한다.② 심사 및 등록결정 : 출원 후 심사 단계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특허청 심사관이 특허 요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해 유효한 특허로 판단되면 등록하게 된다.③ 존속기간 : 출원일로부터 20년간 존속하며, 의약품 특허의 경우 '허가 지연 기간'을 반영해 최대 5년간 존속기간 연장이 가능하다.의약품 특허는 통상 개발 초기, 전임상 또는 임상 1상 전후로 출원된다. 등록된 특허에는 강력한 배타적 효력이 인정된다는 점은 앞서 설명 드린 바와 같다.4. 의약품 품목허가 : 임상시험 1상부터 3상까지일반 공산품은 자유롭게 제조 판매할 수 있다. 그런데 제약산업에서는 임상시험 13상을 거쳐 '품목허가'를 받은 의약품만 판매할 수 있다. 즉, 의약품 시장에서는 '허가'라는 강력한 허들(Hurdle)이 존재하는 것이다.5. 특허와 허가가 연계되는 모습의약품 개발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타겟 물질'에 대한 특허를 먼저 출원하고, 이후 임상을 거쳐 허가까지 받게 된다. 이 두 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연계된다.특허는 보호 수단, 허가는 시장 진입 수단이다. 아무리 훌륭한 특허가 있어도 허가가 없으면 판매할 수 없고, 반대로 허가가 있어도 특허를 출원하지 않아 독점권이 없거나 특허가 만료됐다면 이익을 얻을 수 없다.오리지널사가 제품을 출시한 후 제네릭사가 제네릭 의약품을 출시할 때에도 허가-특허는 연계된다. 제네릭사는 오리지널사의 특허를 분석해 회피전략(무효 주장 또는 비침해)을 수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회피가 가능하다고 보면 제네릭사는 의약품 품목 허가를 신청하게 되고 허특제도(허가-특허 연계제도)에 따라 제네릭사는 허가신청 사실을 특허권자에게 통지해야만 한다. 이때 오리지널사가 판매 금지를 신청하면 식약처는 일정 기간 동안 제네릭 진입을 지연시킬 수 있다.반대로 제네릭사가 오리지널사를 공격하는 제도도 있다. 우선판매품목허가 제도는 특허 회피를 장려하는 유인책이다. 제네릭사가 성공적으로 특허 회피에 성공하면, 일정기간 독점 판매권을 얻는 혜택을 받게 된다.6. 맺음말신약 개발 또는 제네릭 약품 개발의 성패는 '특허 전략을 어떻게 짜서 신약 개발 비용을 회수할 것인가', '허가 시점에서 유효한 특허가 존재하는가', 그리고 '그 특허를 회피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제약회사라면 단순한 허가 과정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특허 전략까지 아우르는 복합적 대응 전략이 필수라는 점을 강조드리며 글을 마친다.|기고| 법무법인 대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장 이일형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중심으로 본 허가와 특허 교차점
로리더 등 2곳
2025-08-21
법무법인 대륜, 한국연속성연구원·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MOU
법무법인 대륜, 한국연속성연구원·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MOU
기업 재난관리 등 종합적 리스크 관리 솔루션 제공···‘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대륜 “전문가와의 협력 통해 기업 고객 성장 위한 강력한 파트너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연속성연구원과 (사)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함께 기업 재난관리 및 법률 리스크 대응 강화를 위한 3자 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8월 19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대표, 손계준 변호사와 ㈜한국연속성연구원·(사)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 양준 대표·회장, 장호진 부회장, 박종필 이사 등이 참석했다.㈜한국연속성연구원은 기업 재난관리(BCMS), 중대시민재해 대응 컨설팅, 위험성 평가, 복구 전략 수립 등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전문 컨설팅과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특히 재난 발생 시 즉각적인 피해 복구와 함께 기업 운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문서 작업은 물론 실질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사)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는 행정안전부 국가전문자격인 ‘기업재난관리사’ 역량 강화와 ‘기업 재해경감활동’ 제도를 정착시키고 있는 전문 단체로,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이번 MOU를 계기로 대륜은 기업 재난관리를 포함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를 위한 통합 컨설팅 모델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구체적으로 ▲기업 재난관리 컨설팅 과정에 대한 법적 근거 및 리스크 대응 체계 강화, ▲중대재해처벌법 및 재해경감활동 관련 법률 자문 공동 수행, ▲공동 세미나 및 교육 개최를 통한 대기업·공공기관 대상 공동 입찰 등에서 조력할 예정이다.㈜한국연속성연구원 양준 대표는 “이번 MOU는 단순한 문서가 아닌 실제 재난 발생 시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구축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실력있는 재난관리 전문가들이 인정받는 시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기업 재난관리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대륜이 기업 고객의 성장을 위한 가장 강력한 법률 파트너가 될 것”이라면서, “대륜의 원펌 시스템과 이들의 전문성을 결합해 기존 시장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국내 주요 기업들에게 중대재해처벌법 자문, 산업재해 형사대응, 정보유출 사고 관련 기업 리스크 컨설팅 등을 수행하면서 안정적인 성장을 돕고 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한국연속성연구원·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MOU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 법무법인 대륜-KCI와 전략적 3자 MOU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8-21
법무법인 대륜, 한국연속성연구원·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MOU
법무법인 대륜, 한국연속성연구원·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MOU
기업 재난관리 등 종합적 리스크 관리 솔루션 제공···‘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대륜 “전문가와의 협력 통해 기업 고객 성장 위한 강력한 파트너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연속성연구원과 (사)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함께 기업 재난관리 및 법률 리스크 대응 강화를 위한 3자 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8월 19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대표, 손계준 변호사와 ㈜한국연속성연구원·(사)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 양준 대표·회장, 장호진 부회장, 박종필 이사 등이 참석했다.㈜한국연속성연구원은 기업 재난관리(BCMS), 중대시민재해 대응 컨설팅, 위험성 평가, 복구 전략 수립 등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전문 컨설팅과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특히 재난 발생 시 즉각적인 피해 복구와 함께 기업 운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문서 작업은 물론 실질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사)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는 행정안전부 국가전문자격인 ‘기업재난관리사’ 역량 강화와 ‘기업 재해경감활동’ 제도를 정착시키고 있는 전문 단체로,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이번 MOU를 계기로 대륜은 기업 재난관리를 포함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를 위한 통합 컨설팅 모델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구체적으로 ▲기업 재난관리 컨설팅 과정에 대한 법적 근거 및 리스크 대응 체계 강화, ▲중대재해처벌법 및 재해경감활동 관련 법률 자문 공동 수행, ▲공동 세미나 및 교육 개최를 통한 대기업·공공기관 대상 공동 입찰 등에서 조력할 예정이다.㈜한국연속성연구원 양준 대표는 “이번 MOU는 단순한 문서가 아닌 실제 재난 발생 시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구축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실력있는 재난관리 전문가들이 인정받는 시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기업 재난관리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대륜이 기업 고객의 성장을 위한 가장 강력한 법률 파트너가 될 것”이라면서, “대륜의 원펌 시스템과 이들의 전문성을 결합해 기존 시장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국내 주요 기업들에게 중대재해처벌법 자문, 산업재해 형사대응, 정보유출 사고 관련 기업 리스크 컨설팅 등을 수행하면서 안정적인 성장을 돕고 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한국연속성연구원·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와 MOU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한국기업재난관리사회, 법무법인 대륜-KCI와 전략적 3자 MOU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8-21
법무법인 대륜, 상법 개정·노란 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대륜, 상법 개정·노란 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대륜은 오는 9월 3일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2025 상법 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이 세미나는 법령 변화에 따라 달라질 노사관계, 기업 지배구조 환경에 선제 대비하기 위해 마련했다. 지난달 3일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골자로 하는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 개정안에는 독립이사제도 강화, 전자 주주총회 도입, 3%룰 강화 등도 담겨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다.또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 제한과 단체교섭 사항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노동조합법 2·3조, 이른바 ‘노란봉투법’도 이달 임시국회 본회의 처리를 앞두고 있다. 기업 경영 환경과 함께 노사관계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돼 법 시행 이후의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세미나에서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의 호규찬 변호사(사법연수원 36기), 방인태 변호사(41기)가 발표자로 나선다.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노동전문변호사로 기업의 인사·노무 분야 법률자문에 능통한 방 변호사가 노란봉투법 주요 내용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호 변호사는 상법 개정안의 핵심 사안과 시사점에 관해 설명한다. 호 변호사는 법무부 상사법무과 재직 당시 상법 회사편 개정에 참여했고, 이후 로펌과 금융기관에서 기업 지배구조 및 금융법 자문을 맡았다. 발표 후에는 두 변호사가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주요 쟁점의 실무적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세미나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동시에 진행되며 누구나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참여 신청은 대륜 공식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노란봉투법과 상법 개정안은 기업의 노사관계 전략과 지배구조, 운영 방식 전반에 새로운 리스크와 기회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다. 이번 세미나에서 기업들이 대응 전략을 점검하고, 실질적 방향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중심으로 기업 대상 노무 재송, 단체교섭·이사회 자문 등 기업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상법 개정안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전략적 대응책 마련을 지원하고 있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상법 개정·노란 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블로터 - [로펌ON] 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상법개정·노봉법 대응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8-21
법무법인 대륜, 상법 개정·노란 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대륜, 상법 개정·노란 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대륜은 오는 9월 3일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2025 상법 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이 세미나는 법령 변화에 따라 달라질 노사관계, 기업 지배구조 환경에 선제 대비하기 위해 마련했다. 지난달 3일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골자로 하는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 개정안에는 독립이사제도 강화, 전자 주주총회 도입, 3%룰 강화 등도 담겨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다.또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 제한과 단체교섭 사항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노동조합법 2·3조, 이른바 ‘노란봉투법’도 이달 임시국회 본회의 처리를 앞두고 있다. 기업 경영 환경과 함께 노사관계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돼 법 시행 이후의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세미나에서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의 호규찬 변호사(사법연수원 36기), 방인태 변호사(41기)가 발표자로 나선다.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노동전문변호사로 기업의 인사·노무 분야 법률자문에 능통한 방 변호사가 노란봉투법 주요 내용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호 변호사는 상법 개정안의 핵심 사안과 시사점에 관해 설명한다. 호 변호사는 법무부 상사법무과 재직 당시 상법 회사편 개정에 참여했고, 이후 로펌과 금융기관에서 기업 지배구조 및 금융법 자문을 맡았다. 발표 후에는 두 변호사가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주요 쟁점의 실무적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세미나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동시에 진행되며 누구나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참여 신청은 대륜 공식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노란봉투법과 상법 개정안은 기업의 노사관계 전략과 지배구조, 운영 방식 전반에 새로운 리스크와 기회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다. 이번 세미나에서 기업들이 대응 전략을 점검하고, 실질적 방향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중심으로 기업 대상 노무 재송, 단체교섭·이사회 자문 등 기업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상법 개정안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전략적 대응책 마련을 지원하고 있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상법 개정·노란 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블로터 - [로펌ON] 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상법개정·노봉법 대응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상법개정·노란봉투법 대응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조선비즈
2025-08-21
[Why] “지주사 지위 필요없다” 일진홀딩스 이어 노루홀딩스도 반납한 까닭은
[Why] “지주사 지위 필요없다” 일진홀딩스 이어 노루홀딩스도 반납한 까닭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기업이 신고하면 공정거래위원회가 검토“실익보다 규제가 많아”중견기업 지주사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지위를 반납하고 있다. 지난 2월 일진홀딩스가 지주회사를 포기한 데 이어, 노루홀딩스도 지주사 지위를 내려놨다. 특히 이들이 자발적으로 지위를 반납하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업계는 지주사 유지에 대한 실익보다 규제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20일 중견기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노루페인트, 노루오토코팅 등 8개의 자회사를 지배하는 지주회사 노루홀딩스는 지난 14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주회사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통보를 받았다. 앞선 2월 19일 일진홀딩스도 공정위로부터 공정거래법에 따른 지주회사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통보받았다.주목할 점은 두 회사 모두 자발적으로 지주회사 지위를 반납했다는 점이다. 노루홀딩스는 지난 8월 13일, 일진홀딩스는 지난 2월 17일 공정위에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해달라고 신고했다. 회사의 신고에 대해 공정위가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면서 두 회사는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됐다.사실 두 회사는 이미 지주회사 요건에 부합하지 않았다. 공정위가 지난 2017년 지주회사의 자산 총액 기준을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상향했기 때문이다. 노루홀딩스의 2024년 말 별도 기준 자산 총액은 3897억원이다. 같은 기간 일진홀딩스의 자산 총액도 2858억원이다. 5000억원 미만인 노루홀딩스와 일진홀딩스는 지주회사 자격을 자동으로 상실할 예정이었다.다만 공정위가 지주회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준 적용을 유예하면서 기업이 원하면 지주회사 지위를 유지하고, 원하지 않으면 지주회사 지위를 내려놓을 수 있게 됐다. 공정위는 해당 기준을 2027년 6월까지 유예했다.중견기업이 지주회사 지위를 반납하는 이유는 규제가 많아서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자본 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는 것이 금지된다. 재무 안전성에 대한 기준이 일반 법인에 비해 높은 셈이다.자회사와 손자회사에 대한 지분율 유지 의무도 있다. 지주회사는 자회사에 대해 상장회사의 경우 발행주식 총수의 20% 이상, 비상장회사의 경우 40% 이상의 지분을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손자회사에 대해서는 50% 이상의 지분을 갖고 있어야 한다.주식 소유에 대한 제한도 있다. 지주회사는 자회사 외 다른 국내 계열사의 주식을 소유할 수 없으며, 비계열사의 주식을 해당 회사 발행주식 총수의 5%를 초과해 보유하는 것도 금지된다. 금융회사의 주식도 소유할 수 없다.지배구조에 대한 공시 의무도 지주회사 입장에서는 부담이다. 지주회사는 주주 현황, 자회사 및 손자회사 현황, 주식 소유 현황, 재무 현황 등을 상세히 공시해야 하는데, 지주회사에서 제외되면 이러한 상세한 공시의무에서 벗어나 일반 기업과 동일한 수준만 공시하면 된다.법무법인 대륜의 정우형 선임변호사는 “공정거래법은 공정한 경제질서 확립을 위해 지주회사를 규제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면서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되면 부채비율 제한, 자회사 지분율 유지 의무, 계열사 주식소유 제한 등에서 해소될 수 있으며, 보고나 공시에 대한 의무가 경감되어 보다 자유로운 기업 활동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주회사 지위를 유지함으로써 얻는 실익은 적다. 기존에는 ‘지주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특례’를 통해 일반 법인보다 지주회사가 배당금에 대한 과세 대상을 적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일반법인의 경우에는 피출자법인에 대해 100%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금 100%를 과세 대상에서 제외해 줬다면, 지주회사인 경우에는 30% 이상만 되어도 배당 90%에 대한 과세 불산입이 가능했다.예를 들어 A사가 50%의 지분율이 있는 기업에 대해 배당금 100억원을 받고 있다면, 일반법인은 50억원을, 지주회사는 90억원을 과세 대상에서 제외해 줬다.하지만 법인세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와 일반 법인의 익금불산입률 기준이 통합됐다. 이미 법인세를 낸 배당금에 다시 세금을 매기는 것은 ‘이중과세’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2022년 12월 31일 이후 지주사든 일반 법인이든 지분율이 50% 이상이면 배당금 전액을 과세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게 된 것이다.현재는 지주회사가 상장 자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시간을 추가로 마련해 주기 위해 ‘지주회사의 수입배당금 익금불산입률 특례’가 2026년 12월 31일까지 유예됐지만, 2027년부터는 지주회사에 대한 이익이 줄어들 예정이다.김한민 세무회계 한민 세무사는 “과거에는 적은 지분율로 지주회사가 높은 배당금 익금불산입 비율을 적용받을 수 있었으나, 2023년부터 지주회사와 비지주회사의 기준이 통합되면서 일반법인 대비 실익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노루홀딩스가 지주회사에서 제외됨으로써 2026년까지는 배당금에 대한 법인세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이 대부분 50% 이상이므로, 2027년부터는 법인세 특례 폐지에 따라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상반기 기준 보유한 자회사 지분율은 노루페인트 50.5%, 노루케미칼 100%, 아이피케이 40%, 노루오토코팅 50.47%, 기반테크 100%다.법무법인 대륜의 오상욱 변호사는 “(노루홀딩스가) 지주회사에서 제외되면 배당금에 대한 법인세 과세 소득 불산입 혜택이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업계에서는 중견기업의 지주회사 지위 반납이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 중견기업의 회계 담당자는 “자산 규모가 1000억원 이상 5000억원 미만인 지주회사 중에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지위를 유지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지위를 내려놓았다고 실질적 지주회사 체제를 해체하는 것은 아니다.김정은 기자 (xbookleader@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Why] “지주사 지위 필요없다” 일진홀딩스 이어 노루홀딩스도 반납한 까닭은
조선비즈
2025-08-21
[Why] “지주사 지위 필요없다” 일진홀딩스 이어 노루홀딩스도 반납한 까닭은
[Why] “지주사 지위 필요없다” 일진홀딩스 이어 노루홀딩스도 반납한 까닭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기업이 신고하면 공정거래위원회가 검토“실익보다 규제가 많아”중견기업 지주사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지위를 반납하고 있다. 지난 2월 일진홀딩스가 지주회사를 포기한 데 이어, 노루홀딩스도 지주사 지위를 내려놨다. 특히 이들이 자발적으로 지위를 반납하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업계는 지주사 유지에 대한 실익보다 규제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20일 중견기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노루페인트, 노루오토코팅 등 8개의 자회사를 지배하는 지주회사 노루홀딩스는 지난 14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주회사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통보를 받았다. 앞선 2월 19일 일진홀딩스도 공정위로부터 공정거래법에 따른 지주회사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통보받았다.주목할 점은 두 회사 모두 자발적으로 지주회사 지위를 반납했다는 점이다. 노루홀딩스는 지난 8월 13일, 일진홀딩스는 지난 2월 17일 공정위에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해달라고 신고했다. 회사의 신고에 대해 공정위가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면서 두 회사는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됐다.사실 두 회사는 이미 지주회사 요건에 부합하지 않았다. 공정위가 지난 2017년 지주회사의 자산 총액 기준을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상향했기 때문이다. 노루홀딩스의 2024년 말 별도 기준 자산 총액은 3897억원이다. 같은 기간 일진홀딩스의 자산 총액도 2858억원이다. 5000억원 미만인 노루홀딩스와 일진홀딩스는 지주회사 자격을 자동으로 상실할 예정이었다.다만 공정위가 지주회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준 적용을 유예하면서 기업이 원하면 지주회사 지위를 유지하고, 원하지 않으면 지주회사 지위를 내려놓을 수 있게 됐다. 공정위는 해당 기준을 2027년 6월까지 유예했다.중견기업이 지주회사 지위를 반납하는 이유는 규제가 많아서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자본 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는 것이 금지된다. 재무 안전성에 대한 기준이 일반 법인에 비해 높은 셈이다.자회사와 손자회사에 대한 지분율 유지 의무도 있다. 지주회사는 자회사에 대해 상장회사의 경우 발행주식 총수의 20% 이상, 비상장회사의 경우 40% 이상의 지분을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손자회사에 대해서는 50% 이상의 지분을 갖고 있어야 한다.주식 소유에 대한 제한도 있다. 지주회사는 자회사 외 다른 국내 계열사의 주식을 소유할 수 없으며, 비계열사의 주식을 해당 회사 발행주식 총수의 5%를 초과해 보유하는 것도 금지된다. 금융회사의 주식도 소유할 수 없다.지배구조에 대한 공시 의무도 지주회사 입장에서는 부담이다. 지주회사는 주주 현황, 자회사 및 손자회사 현황, 주식 소유 현황, 재무 현황 등을 상세히 공시해야 하는데, 지주회사에서 제외되면 이러한 상세한 공시의무에서 벗어나 일반 기업과 동일한 수준만 공시하면 된다.법무법인 대륜의 정우형 선임변호사는 “공정거래법은 공정한 경제질서 확립을 위해 지주회사를 규제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면서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제외되면 부채비율 제한, 자회사 지분율 유지 의무, 계열사 주식소유 제한 등에서 해소될 수 있으며, 보고나 공시에 대한 의무가 경감되어 보다 자유로운 기업 활동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주회사 지위를 유지함으로써 얻는 실익은 적다. 기존에는 ‘지주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특례’를 통해 일반 법인보다 지주회사가 배당금에 대한 과세 대상을 적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일반법인의 경우에는 피출자법인에 대해 100%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금 100%를 과세 대상에서 제외해 줬다면, 지주회사인 경우에는 30% 이상만 되어도 배당 90%에 대한 과세 불산입이 가능했다.예를 들어 A사가 50%의 지분율이 있는 기업에 대해 배당금 100억원을 받고 있다면, 일반법인은 50억원을, 지주회사는 90억원을 과세 대상에서 제외해 줬다.하지만 법인세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와 일반 법인의 익금불산입률 기준이 통합됐다. 이미 법인세를 낸 배당금에 다시 세금을 매기는 것은 ‘이중과세’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2022년 12월 31일 이후 지주사든 일반 법인이든 지분율이 50% 이상이면 배당금 전액을 과세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게 된 것이다.현재는 지주회사가 상장 자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시간을 추가로 마련해 주기 위해 ‘지주회사의 수입배당금 익금불산입률 특례’가 2026년 12월 31일까지 유예됐지만, 2027년부터는 지주회사에 대한 이익이 줄어들 예정이다.김한민 세무회계 한민 세무사는 “과거에는 적은 지분율로 지주회사가 높은 배당금 익금불산입 비율을 적용받을 수 있었으나, 2023년부터 지주회사와 비지주회사의 기준이 통합되면서 일반법인 대비 실익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노루홀딩스가 지주회사에서 제외됨으로써 2026년까지는 배당금에 대한 법인세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이 대부분 50% 이상이므로, 2027년부터는 법인세 특례 폐지에 따라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상반기 기준 보유한 자회사 지분율은 노루페인트 50.5%, 노루케미칼 100%, 아이피케이 40%, 노루오토코팅 50.47%, 기반테크 100%다.법무법인 대륜의 오상욱 변호사는 “(노루홀딩스가) 지주회사에서 제외되면 배당금에 대한 법인세 과세 소득 불산입 혜택이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업계에서는 중견기업의 지주회사 지위 반납이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 중견기업의 회계 담당자는 “자산 규모가 1000억원 이상 5000억원 미만인 지주회사 중에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지위를 유지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지위를 내려놓았다고 실질적 지주회사 체제를 해체하는 것은 아니다.김정은 기자 (xbookleader@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Why] “지주사 지위 필요없다” 일진홀딩스 이어 노루홀딩스도 반납한 까닭은
글로벌에픽
2025-08-20
보복운전처벌 난폭운전과 달라…변호사가 말하는 성립요건은
보복운전처벌 난폭운전과 달라…변호사가 말하는 성립요건은
많은 운전자가 도로에서 보복운전과 난폭운전을 경험한다. 하지만 두 용어의 차이를 명확히 아는 경우는 많지 않다. 난폭운전은 도로교통법상 범죄로 불특정 다수에게 위협을 가하는 행위다. 신호위반, 중앙선 침범 등 9가지 행위 중 둘 이상을 연달아 하거나 하나의 행위를 반복할 때 성립하며, 1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반면 보복운전은 형법상 특수범죄로 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위협 행위다. 단 한 번의 행위만으로도 성립하며, 자동차가 '위험한 물건'으로 인식되는만큼 △특수상해(1년 이상 10년 이하 징역) △특수협박(7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특수폭행(5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등이 적용된다.다만 보복운전 혐의가 성립하려면 고의성, 지속성·반복성, 그리고 피해자의 공포심 조성이라는 객관적 정황이 모두 입증돼야 한다. 단순히 기분이 나쁘다는 이유로 경적을 한 차례 길게 울리거나, 방향지시등 없이 차선을 급히 변경했더라도 명백한 위협 의도가 없었다면 혐의가 성립되지 않을 수 있다.필자가 최근 담당한 사건은 구체적 증거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버스기사로 근무하던 의뢰인 A씨는 지난해 특수협박 혐의로 입건됐다. 당시 버스전용차로에서 주행하던 A씨는 앞서 가던 버스가 느린 속도로 주행하자 오른쪽 2차로를 통해 추월하려 했다. 그러나 옆차선에서 달리던 차량은 쉽게 공간을 내어주지 않았다. 이에 A씨는 해당 차량의 뒤에 붙어 상향등을 깜빡였으며, 버스전용차로로 돌아온 뒤에도 2차로 차선을 넘어가기까지 했다.의뢰인을 만난 뒤 필자는 사건 정황을 면밀히 검토했다. 특히 A씨의 행위가 보복운전 구성요건을 충족하는지 살폈다. 그 결과, A씨의 행위에서 보복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A씨는 당시 피해 차량을 향해 주행 속도를 맞춰달라는 의미의 신호로 상향등을 켰다고 주장했다. 또한 차선 침범에 대해서도, 중앙분리대와 부딪히지 않기 위해 핸들을 조작하다 발생한 실수라며 고의성이 없음을 강조했다.검찰 역시 A씨가 상향등을 깜빡인 후 버스전용차로에 들어왔음에도 피해 차량 쪽으로 차선을 넘어와 위협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은 보이나, 차선을 넘어온 정도를 따져봤을 때 고의적인 보복으로 보기 어렵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이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보복운전에는 정확한 법적 기준이 있으며, 이는 도로 위에서 운전자들이 빚는 일반적인 갈등과는 명확히 다른 모습이다. 때문에 혐의를 받더라도 체계적인 대응을 통해 억울한 처벌을 피할 수 있다. 무엇보다 초기 증거 수집과 사실관계 정리가 사건 결과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도로에서 보복운전을 당했을 때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맞대응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블랙박스나 휴대폰으로 증거를 확보한 후 112나 안전신문고에 신고하되, 차량번호, 시간, 장소, 구체적 위협 행위를 상세히 기록해야 한다.법무법인 대륜 이하늘 변호사는 “반대로 보복운전 가해자로 지목됐다면 섣부른 인정보다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며 “보복운전은 초범이라도 실형 가능성이 있는 특수범죄이므로 초기 수사단계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블랙박스 영상, 목격자 진술, 당시 상황 등을 종합 검토해 혐의를 다툴 부분을 찾고, 피해자와의 진정성 있는 합의를 통해 처벌 수위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평소 방어운전을 습관화해 이러한 상황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보복운전처벌 난폭운전과 달라…변호사가 말하는 성립요건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8-20
보복운전처벌 난폭운전과 달라…변호사가 말하는 성립요건은
보복운전처벌 난폭운전과 달라…변호사가 말하는 성립요건은
많은 운전자가 도로에서 보복운전과 난폭운전을 경험한다. 하지만 두 용어의 차이를 명확히 아는 경우는 많지 않다. 난폭운전은 도로교통법상 범죄로 불특정 다수에게 위협을 가하는 행위다. 신호위반, 중앙선 침범 등 9가지 행위 중 둘 이상을 연달아 하거나 하나의 행위를 반복할 때 성립하며, 1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반면 보복운전은 형법상 특수범죄로 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위협 행위다. 단 한 번의 행위만으로도 성립하며, 자동차가 '위험한 물건'으로 인식되는만큼 △특수상해(1년 이상 10년 이하 징역) △특수협박(7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특수폭행(5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등이 적용된다.다만 보복운전 혐의가 성립하려면 고의성, 지속성·반복성, 그리고 피해자의 공포심 조성이라는 객관적 정황이 모두 입증돼야 한다. 단순히 기분이 나쁘다는 이유로 경적을 한 차례 길게 울리거나, 방향지시등 없이 차선을 급히 변경했더라도 명백한 위협 의도가 없었다면 혐의가 성립되지 않을 수 있다.필자가 최근 담당한 사건은 구체적 증거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버스기사로 근무하던 의뢰인 A씨는 지난해 특수협박 혐의로 입건됐다. 당시 버스전용차로에서 주행하던 A씨는 앞서 가던 버스가 느린 속도로 주행하자 오른쪽 2차로를 통해 추월하려 했다. 그러나 옆차선에서 달리던 차량은 쉽게 공간을 내어주지 않았다. 이에 A씨는 해당 차량의 뒤에 붙어 상향등을 깜빡였으며, 버스전용차로로 돌아온 뒤에도 2차로 차선을 넘어가기까지 했다.의뢰인을 만난 뒤 필자는 사건 정황을 면밀히 검토했다. 특히 A씨의 행위가 보복운전 구성요건을 충족하는지 살폈다. 그 결과, A씨의 행위에서 보복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A씨는 당시 피해 차량을 향해 주행 속도를 맞춰달라는 의미의 신호로 상향등을 켰다고 주장했다. 또한 차선 침범에 대해서도, 중앙분리대와 부딪히지 않기 위해 핸들을 조작하다 발생한 실수라며 고의성이 없음을 강조했다.검찰 역시 A씨가 상향등을 깜빡인 후 버스전용차로에 들어왔음에도 피해 차량 쪽으로 차선을 넘어와 위협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은 보이나, 차선을 넘어온 정도를 따져봤을 때 고의적인 보복으로 보기 어렵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이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보복운전에는 정확한 법적 기준이 있으며, 이는 도로 위에서 운전자들이 빚는 일반적인 갈등과는 명확히 다른 모습이다. 때문에 혐의를 받더라도 체계적인 대응을 통해 억울한 처벌을 피할 수 있다. 무엇보다 초기 증거 수집과 사실관계 정리가 사건 결과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도로에서 보복운전을 당했을 때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맞대응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블랙박스나 휴대폰으로 증거를 확보한 후 112나 안전신문고에 신고하되, 차량번호, 시간, 장소, 구체적 위협 행위를 상세히 기록해야 한다.법무법인 대륜 이하늘 변호사는 “반대로 보복운전 가해자로 지목됐다면 섣부른 인정보다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며 “보복운전은 초범이라도 실형 가능성이 있는 특수범죄이므로 초기 수사단계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블랙박스 영상, 목격자 진술, 당시 상황 등을 종합 검토해 혐의를 다툴 부분을 찾고, 피해자와의 진정성 있는 합의를 통해 처벌 수위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평소 방어운전을 습관화해 이러한 상황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보복운전처벌 난폭운전과 달라…변호사가 말하는 성립요건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20
거짓 리뷰 올렸다?...'명예훼손' 입건 유튜버, 무혐의
거짓 리뷰 올렸다?...'명예훼손' 입건 유튜버, 무혐의
악의적인 가전제품 리뷰 영상을 올린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유튜버에게 불송치 결정이 내려졌습니다.대전 유성경찰서는 지난달 14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등의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올해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전자제품업체 B사의 제품과 관련한 허위 사실이 담긴 영상을 게재한 혐의를 받았습니다.B사 측은 A씨가 자사 제품의 불량률을 실제보다 부풀려 과장해 언급했고, 불량의 원인을 실제와 달리 제조상의 결함으로 단정 지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실제 조사를 통해 유사 제품군과의 불량률을 비교했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아울러 영상에서 회사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고, 제품에도 모자이크 처리를 했기에 해당 제품의 제조사가 B사임을 특정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은 "영상에 담긴 내용은 피의자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내용과 함께 사설업체, 연구원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구성됐다"며 "피의자는 A사에 이와 관련한 개선을 요구했으나 사측이 이를 무시하기도 했는데, 장기적인 측면에서 A사도 불량률 원인에 대한 점검이나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피의자가 동영상을 게시한 것은 A사에 대한 비방이 아닌 공익의 목적에서 근거 자료를 토대로 만든 것이기에 허위라는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불송치 결정 이유를 설명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조상수 변호사는 "형법 제310조는 적시된 사실이 진실하고 오로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경우에는 위법성이 조각됨을 규정하고 있다"며 "가전 분야에서 인정을 받아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A씨에게 그동안 소비자 불만이 제기됐고, 이를 토대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영상을 제작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거짓 리뷰 올렸다?...'명예훼손' 입건 유튜버, 무혐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20
거짓 리뷰 올렸다?...'명예훼손' 입건 유튜버, 무혐의
거짓 리뷰 올렸다?...'명예훼손' 입건 유튜버, 무혐의
악의적인 가전제품 리뷰 영상을 올린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유튜버에게 불송치 결정이 내려졌습니다.대전 유성경찰서는 지난달 14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등의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올해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전자제품업체 B사의 제품과 관련한 허위 사실이 담긴 영상을 게재한 혐의를 받았습니다.B사 측은 A씨가 자사 제품의 불량률을 실제보다 부풀려 과장해 언급했고, 불량의 원인을 실제와 달리 제조상의 결함으로 단정 지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실제 조사를 통해 유사 제품군과의 불량률을 비교했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아울러 영상에서 회사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고, 제품에도 모자이크 처리를 했기에 해당 제품의 제조사가 B사임을 특정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은 "영상에 담긴 내용은 피의자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내용과 함께 사설업체, 연구원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구성됐다"며 "피의자는 A사에 이와 관련한 개선을 요구했으나 사측이 이를 무시하기도 했는데, 장기적인 측면에서 A사도 불량률 원인에 대한 점검이나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피의자가 동영상을 게시한 것은 A사에 대한 비방이 아닌 공익의 목적에서 근거 자료를 토대로 만든 것이기에 허위라는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불송치 결정 이유를 설명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조상수 변호사는 "형법 제310조는 적시된 사실이 진실하고 오로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경우에는 위법성이 조각됨을 규정하고 있다"며 "가전 분야에서 인정을 받아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A씨에게 그동안 소비자 불만이 제기됐고, 이를 토대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영상을 제작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거짓 리뷰 올렸다?...'명예훼손' 입건 유튜버, 무혐의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20
가맹점주 공개 비난한 사업자 항소심서도 ‘무죄’
가맹점주 공개 비난한 사업자 항소심서도 ‘무죄’
가맹점주를 공개적으로 비난한 혐의를 받은 가맹 사업자가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대구지방법원 제4형사부는 지난달 9일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 A씨의 항소심 공판에서 검찰의 항소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지난 2022년 “가맹점주 중 한 명인 B씨가 의도적으로 채무를 변제하지 않아 형사 처벌까지 받았다”는 내용을 다른 가맹점주들에게 퍼뜨린 혐의를 받았다.다른 점주들로부터 이같은 내용을 전해 들은 B씨가 A씨를 고소하며 수사가 시작됐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평소 B씨는 본사 지정 업체가 아닌 외부 업체를 통해 자재를 구입하는 등 가맹 계약을 위반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외부 업체들을 다른 점주들에게도 소개하며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관련 논의를 위해 가맹점주들을 만났을 뿐, 명예훼손성 발언은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검찰은 가맹점주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A씨에게 혐의가 있다고 판단해 벌금 200만 원의 약식 명령을 청구했다. 이후 법원도약식 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1심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가 가맹점주들로부터 피고인의 발언을 전해 들었다는 부분은 재전문진술을 기재한 조서에 불과해 증거 능력이 없다"며 "공소사실에 부합할 여지가 있는 증거는 피고인으로부터 발언을 직접 들었다는 점주들의 진술"이라고 말했다.다만 "점주들의 진술이 공소사실에 기재된 내용과 다르기도 하는 등 피고인이 해당 발언을 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다"며 "피고인과 점주들은 법적 분쟁을 겪고 있어 이들의 진술을 그대로 믿기도 어렵다"고 덧붙였다.이에 불복한 검찰은 사실오인을 이유로 항소장을 제출했다. 하지만 항소심 재판부 역시 원심의 판단이 부당하다고 볼만한 합리적인 사정이 없다며 무죄 판결을 유지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전형오 변호사는 "조사 과정에서 점주들은 증언 내용에 대해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거나 서로의 진술이 엇갈리기도 했다"며 "이들의 진술이 A씨에 대한 악감정으로 처벌을 받게 하기 위함이었음을 강조했고 법원도 이를 받아들여 그 신빙성을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가맹점주 공개 비난한 사업자 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20
가맹점주 공개 비난한 사업자 항소심서도 ‘무죄’
가맹점주 공개 비난한 사업자 항소심서도 ‘무죄’
가맹점주를 공개적으로 비난한 혐의를 받은 가맹 사업자가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대구지방법원 제4형사부는 지난달 9일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 A씨의 항소심 공판에서 검찰의 항소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지난 2022년 “가맹점주 중 한 명인 B씨가 의도적으로 채무를 변제하지 않아 형사 처벌까지 받았다”는 내용을 다른 가맹점주들에게 퍼뜨린 혐의를 받았다.다른 점주들로부터 이같은 내용을 전해 들은 B씨가 A씨를 고소하며 수사가 시작됐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평소 B씨는 본사 지정 업체가 아닌 외부 업체를 통해 자재를 구입하는 등 가맹 계약을 위반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외부 업체들을 다른 점주들에게도 소개하며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관련 논의를 위해 가맹점주들을 만났을 뿐, 명예훼손성 발언은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검찰은 가맹점주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A씨에게 혐의가 있다고 판단해 벌금 200만 원의 약식 명령을 청구했다. 이후 법원도약식 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1심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가 가맹점주들로부터 피고인의 발언을 전해 들었다는 부분은 재전문진술을 기재한 조서에 불과해 증거 능력이 없다"며 "공소사실에 부합할 여지가 있는 증거는 피고인으로부터 발언을 직접 들었다는 점주들의 진술"이라고 말했다.다만 "점주들의 진술이 공소사실에 기재된 내용과 다르기도 하는 등 피고인이 해당 발언을 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다"며 "피고인과 점주들은 법적 분쟁을 겪고 있어 이들의 진술을 그대로 믿기도 어렵다"고 덧붙였다.이에 불복한 검찰은 사실오인을 이유로 항소장을 제출했다. 하지만 항소심 재판부 역시 원심의 판단이 부당하다고 볼만한 합리적인 사정이 없다며 무죄 판결을 유지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전형오 변호사는 "조사 과정에서 점주들은 증언 내용에 대해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거나 서로의 진술이 엇갈리기도 했다"며 "이들의 진술이 A씨에 대한 악감정으로 처벌을 받게 하기 위함이었음을 강조했고 법원도 이를 받아들여 그 신빙성을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가맹점주 공개 비난한 사업자 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19
“이별 통보에 130여 차례 협박”… 전 연인 스토킹 40대 실형
“이별 통보에 130여 차례 협박”… 전 연인 스토킹 40대 실형
협박 메시지·전화, 신체 사진 볼모로 금전 요구스토킹범죄처벌법 위반으로 징역 1년 선고법원 “범행 횟수 등 죄질 좋지 않아…피해자 고통 커” 이별을 통보한 전 연인을 ‘가만두지 않겠다’며 협박하고 스토킹한 40대 남성이 실형을 선고받았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제2형사부는 지난달 17일 '스토킹범죄의처벌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와 함께 40시간의 성폭력·스토킹 치료프로그램 이수도 명령했다.A씨는 지난해 연인 사이였던 B씨로부터 이별 통보를 받자 130여 차례에 걸쳐 문자와 전화를 반복하며 B씨를 스토킹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B씨의 신체 부위가 찍힌 사진을 퍼뜨리겠다고 협박해 금품을 요구한 혐의도 받았다.B씨는 A씨의 협박으로 장기간 공포와 불안을 겪었고, 대인 관계에도 어려움이 생겼다며 엄벌을 요구했다.이에 법원은 A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재판부는 “두 사람의 관계와 범행이 이뤄진 횟수 등을 고려했을 때 피고인의 죄질이 좋지 않고, 피해자는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면서 “비록 피고인이 피해자를 위해 형사공탁(가해자가 피해자의 회복을 위해 법원에 금전을 위탁하는 제도)을 했으나, 피해자로부터 용서받지 못한 점을 고려할 때 이를 합의에 준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임다온 변호사는 “A씨의 행동은 이별 과정의 감정적 대응을 넘어 B씨의 인격권과 자기결정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중대한 범죄”라며 “재판 과정에서 이는 물리적 폭력에 준하거나 그 이상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법원도 심각성을 인정해 실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소현 기자 (sovivid@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이별 통보에 130여 차례 협박”… 전 연인 스토킹 40대 실형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19
“이별 통보에 130여 차례 협박”… 전 연인 스토킹 40대 실형
“이별 통보에 130여 차례 협박”… 전 연인 스토킹 40대 실형
협박 메시지·전화, 신체 사진 볼모로 금전 요구스토킹범죄처벌법 위반으로 징역 1년 선고법원 “범행 횟수 등 죄질 좋지 않아…피해자 고통 커” 이별을 통보한 전 연인을 ‘가만두지 않겠다’며 협박하고 스토킹한 40대 남성이 실형을 선고받았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제2형사부는 지난달 17일 '스토킹범죄의처벌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와 함께 40시간의 성폭력·스토킹 치료프로그램 이수도 명령했다.A씨는 지난해 연인 사이였던 B씨로부터 이별 통보를 받자 130여 차례에 걸쳐 문자와 전화를 반복하며 B씨를 스토킹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B씨의 신체 부위가 찍힌 사진을 퍼뜨리겠다고 협박해 금품을 요구한 혐의도 받았다.B씨는 A씨의 협박으로 장기간 공포와 불안을 겪었고, 대인 관계에도 어려움이 생겼다며 엄벌을 요구했다.이에 법원은 A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재판부는 “두 사람의 관계와 범행이 이뤄진 횟수 등을 고려했을 때 피고인의 죄질이 좋지 않고, 피해자는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면서 “비록 피고인이 피해자를 위해 형사공탁(가해자가 피해자의 회복을 위해 법원에 금전을 위탁하는 제도)을 했으나, 피해자로부터 용서받지 못한 점을 고려할 때 이를 합의에 준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임다온 변호사는 “A씨의 행동은 이별 과정의 감정적 대응을 넘어 B씨의 인격권과 자기결정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중대한 범죄”라며 “재판 과정에서 이는 물리적 폭력에 준하거나 그 이상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법원도 심각성을 인정해 실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소현 기자 (sovivid@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이별 통보에 130여 차례 협박”… 전 연인 스토킹 40대 실형 (바로가기)
블로터
2025-08-19
[상법개정안 로펌 맛집] 대륜, 기업 리스크 분석해 기회로 전환
[상법개정안 로펌 맛집] 대륜, 기업 리스크 분석해 기회로 전환
법무법인 대륜은 상법 개정에 따른 기업 지배구조, 이사회·주주총회 운영 방식의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최근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TF는 법률 개정의 취지를 정확히 해석하고 기업의 사업 구조와 경영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에 상법 개정안과 관련한 법률 이슈와 실무 전 영역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TF는 기업 자문, 상장사 지배구조, 인수합병(M&A), 주주 간 계약, 공정거래, 분쟁 예방 분야에서 풍부한 실무 경험을 쌓은 변호사들로 구성됐다. 신종수(연수원 31기), 손계준(36기), 호규찬(36기), 방인태(41기), 지민희(변호사시험 10회) 변호사 등이 핵심 구성원이다.호 변호사는 "대륜은 실제 경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규정 준수 체계를 설계해 이사회, 주총 운용 절차와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며 "개정상법의 핵심인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독립이사 제도 강화, 전자주주총회 도입 등이 기업 경영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회 요인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제시한다"고 말했다.이 과정에서 기업의 리스크와 개선 필요 영역을 진단하고 산업 특성 및 지배구조 현황, 주주 구성 등을 반영한 맞춤형 운영 매뉴얼을 제공해 차별화를 더하고 있다. TF는 개정안의 주요 쟁점과 판례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준비 중이다. 유튜브 채널과 뉴스레터를 통해 핵심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뉴스레터는 조문 해설과 더불어 실제 분쟁 사례나 실무 적용 시 유의사항을 함께 담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계획이다. 호 변호사는 "기업들 사이에서 상법 개정에 대한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설계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며 "이러한 경향을 고려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했다. TF는 단기적으로는 감사위원 선출 규정, 독립이사 선임 절차 등 변화가 큰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컴플라이언스 체계와 연계한 통합 자문 서비스 확대를 구상하고 있다.대륜은 "변화하는 법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현장 밀착형 자문을 제공하는 데 힘쓰겠다"며 "개정안 시행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지배 구조 구현을 최우선 목표로 삼겠다"고 전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로펌 맛집] 대륜, 기업 리스크 분석해 기회로 전환 (바로가기)
블로터
2025-08-19
[상법개정안 로펌 맛집] 대륜, 기업 리스크 분석해 기회로 전환
[상법개정안 로펌 맛집] 대륜, 기업 리스크 분석해 기회로 전환
법무법인 대륜은 상법 개정에 따른 기업 지배구조, 이사회·주주총회 운영 방식의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최근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TF는 법률 개정의 취지를 정확히 해석하고 기업의 사업 구조와 경영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에 상법 개정안과 관련한 법률 이슈와 실무 전 영역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TF는 기업 자문, 상장사 지배구조, 인수합병(M&A), 주주 간 계약, 공정거래, 분쟁 예방 분야에서 풍부한 실무 경험을 쌓은 변호사들로 구성됐다. 신종수(연수원 31기), 손계준(36기), 호규찬(36기), 방인태(41기), 지민희(변호사시험 10회) 변호사 등이 핵심 구성원이다.호 변호사는 "대륜은 실제 경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규정 준수 체계를 설계해 이사회, 주총 운용 절차와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며 "개정상법의 핵심인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독립이사 제도 강화, 전자주주총회 도입 등이 기업 경영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회 요인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제시한다"고 말했다.이 과정에서 기업의 리스크와 개선 필요 영역을 진단하고 산업 특성 및 지배구조 현황, 주주 구성 등을 반영한 맞춤형 운영 매뉴얼을 제공해 차별화를 더하고 있다. TF는 개정안의 주요 쟁점과 판례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준비 중이다. 유튜브 채널과 뉴스레터를 통해 핵심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뉴스레터는 조문 해설과 더불어 실제 분쟁 사례나 실무 적용 시 유의사항을 함께 담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계획이다. 호 변호사는 "기업들 사이에서 상법 개정에 대한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설계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며 "이러한 경향을 고려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했다. TF는 단기적으로는 감사위원 선출 규정, 독립이사 선임 절차 등 변화가 큰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컴플라이언스 체계와 연계한 통합 자문 서비스 확대를 구상하고 있다.대륜은 "변화하는 법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현장 밀착형 자문을 제공하는 데 힘쓰겠다"며 "개정안 시행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지배 구조 구현을 최우선 목표로 삼겠다"고 전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로펌 맛집] 대륜, 기업 리스크 분석해 기회로 전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8-18
건물 매입 후 20여 년 지나 철거명령…法 “시정대상 특정 못해 위법”
건물 매입 후 20여 년 지나 철거명령…法 “시정대상 특정 못해 위법”
지자체 “무단 증축으로 건축법 위반” 주장소유주, 행정심판 기각되자 취소 소송 제기법원 “시정명령 취소돼야” 원고 승소 판결 지자체가 무단 증축 건물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리면서 그 대상을 특정하지 못했다면 해당 조처는 위법하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시정 대상이 모호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판단이다.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제1행정부는 지난달 23일 A 씨가 지자체를 상대로 낸 위반건축물 시정명령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앞서 A 씨의 배우자는 2003년 12월 강원 강릉시 한 근린생활시설을 매수해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 마쳤다. 이후 배우자가 숨지고 A 씨가 상속을 받았는데, 지자체는 지난해 2월 해당 건물이 무단 증축돼 건축법을 위반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원상복구를 명령했다.이에 A 씨는 시정명령을 취소해 달라며 행정심판을 청구했으나 기각됐고, 이후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A 씨 측은 소송 과정에서 해당 건물과 관련해 증축 등 위법 행위를 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건물 매입 후 20년 이상 경과했으나, 이 기간 지자체는 단 한 차례도 문제 삼지 않았다고 강조했다.1심은 지자체의 시정명령이 정당하다고 보고 A 씨의 청구를 기각했다. 1심 재판부는 “건축물의 안전·기능·환경 및 미관을 향상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법의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처분으로 인해 침해받는 사익보다 달성하고자 하는 공익이 크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하지만 항소심 판단은 달랐다. 항소심 재판부는 “이 사건 처분서에는 건축물의 무단 증축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과 위치, 위반 행위의 일시와 종류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돼 있지 않다”며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시정 명령의 대상이나 내용이 A 씨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게 특정됐다고 볼 수 없어 위법하다”고 판시했다.A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다정 변호사는 “지자체의 처분서에는 어떤 부분이 원상복구의 대상이 되는지 특정할 수 있는 도면이나 사진 등의 자료가 포함돼 있지 않았다”며 “즉, 이는 객관적 근거 없는 추정에 불과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A 씨가 이 사건 건축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후 무단 증축했음을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고, 취득 경위를 고려해도 A 씨가 이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건물 매입 후 20여 년 지나 철거명령…法 “시정대상 특정 못해 위법”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8-18
건물 매입 후 20여 년 지나 철거명령…法 “시정대상 특정 못해 위법”
건물 매입 후 20여 년 지나 철거명령…法 “시정대상 특정 못해 위법”
지자체 “무단 증축으로 건축법 위반” 주장소유주, 행정심판 기각되자 취소 소송 제기법원 “시정명령 취소돼야” 원고 승소 판결 지자체가 무단 증축 건물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리면서 그 대상을 특정하지 못했다면 해당 조처는 위법하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시정 대상이 모호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판단이다.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제1행정부는 지난달 23일 A 씨가 지자체를 상대로 낸 위반건축물 시정명령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앞서 A 씨의 배우자는 2003년 12월 강원 강릉시 한 근린생활시설을 매수해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 마쳤다. 이후 배우자가 숨지고 A 씨가 상속을 받았는데, 지자체는 지난해 2월 해당 건물이 무단 증축돼 건축법을 위반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원상복구를 명령했다.이에 A 씨는 시정명령을 취소해 달라며 행정심판을 청구했으나 기각됐고, 이후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A 씨 측은 소송 과정에서 해당 건물과 관련해 증축 등 위법 행위를 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건물 매입 후 20년 이상 경과했으나, 이 기간 지자체는 단 한 차례도 문제 삼지 않았다고 강조했다.1심은 지자체의 시정명령이 정당하다고 보고 A 씨의 청구를 기각했다. 1심 재판부는 “건축물의 안전·기능·환경 및 미관을 향상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법의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처분으로 인해 침해받는 사익보다 달성하고자 하는 공익이 크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하지만 항소심 판단은 달랐다. 항소심 재판부는 “이 사건 처분서에는 건축물의 무단 증축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과 위치, 위반 행위의 일시와 종류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돼 있지 않다”며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시정 명령의 대상이나 내용이 A 씨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게 특정됐다고 볼 수 없어 위법하다”고 판시했다.A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다정 변호사는 “지자체의 처분서에는 어떤 부분이 원상복구의 대상이 되는지 특정할 수 있는 도면이나 사진 등의 자료가 포함돼 있지 않았다”며 “즉, 이는 객관적 근거 없는 추정에 불과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A 씨가 이 사건 건축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후 무단 증축했음을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고, 취득 경위를 고려해도 A 씨가 이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건물 매입 후 20여 년 지나 철거명령…法 “시정대상 특정 못해 위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18
계약금 7천 가로챈 중개보조인 징역형...法 "임대인·임차인 모두 기망"
계약금 7천 가로챈 중개보조인 징역형...法 "임대인·임차인 모두 기망"
임대인과 임차인을 속이고 계약금 수천만 원을 가로챈 부동산 중개보조인이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서울동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5일 업무상횡령, 사문서위조 등 혐의로 기소된 중개보조인 A씨에 대해 징역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매매대금 2억 원짜리 임대차계약을 중개하며, 임차인 B씨가 낸 계약금 7천만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중개보조인임에도 계약을 중개하는 등 불법행위를 이어온 것으로 조사됐습니다.공인중개사법에 따르면 중개보조인은 개업공인중개사에 고용된 자로 중개대상물에 대한 현장 안내나 서무 등 단순 보조 업무 역할만 수행이 가능합니다.A씨는 전세계약서를 위조하고, B씨 등에게 위조된 사문서를 전달했으며, 편취한 돈 대부분을 개인 투자금으로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임대인 측에 계약서를 보여주고 서명, 날인을 받았기에 사문서위조 등 혐의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가 임대인을 기망해 서명, 날인하게 함으로써 임대인의 의사에 반하는 문서를 작성하게 한 것이므로 사문서 위조죄 역시 성립된다고 보고, A씨에게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이 일부 범행을 인정하고는 있으나, 법정에서의 진술 및 태도 등에 비추어 볼 때 이 사건에 대해 진심으로 반성하고 후회하는지 의문이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피해자 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정호 변호사는 "본 사건은 중개 보조 업무를 담당한 A씨가 신뢰를 악용해 고객의 자금을 횡령하고, 이를 은폐하기 위해 계약서 등 사문서를 위조, 행사한 중대한 경제범죄"라고 강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계약금 7천 가로챈 중개보조인 징역형...法 "임대인·임차인 모두 기망"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18
계약금 7천 가로챈 중개보조인 징역형...法 "임대인·임차인 모두 기망"
계약금 7천 가로챈 중개보조인 징역형...法 "임대인·임차인 모두 기망"
임대인과 임차인을 속이고 계약금 수천만 원을 가로챈 부동산 중개보조인이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서울동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5일 업무상횡령, 사문서위조 등 혐의로 기소된 중개보조인 A씨에 대해 징역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매매대금 2억 원짜리 임대차계약을 중개하며, 임차인 B씨가 낸 계약금 7천만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중개보조인임에도 계약을 중개하는 등 불법행위를 이어온 것으로 조사됐습니다.공인중개사법에 따르면 중개보조인은 개업공인중개사에 고용된 자로 중개대상물에 대한 현장 안내나 서무 등 단순 보조 업무 역할만 수행이 가능합니다.A씨는 전세계약서를 위조하고, B씨 등에게 위조된 사문서를 전달했으며, 편취한 돈 대부분을 개인 투자금으로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임대인 측에 계약서를 보여주고 서명, 날인을 받았기에 사문서위조 등 혐의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가 임대인을 기망해 서명, 날인하게 함으로써 임대인의 의사에 반하는 문서를 작성하게 한 것이므로 사문서 위조죄 역시 성립된다고 보고, A씨에게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이 일부 범행을 인정하고는 있으나, 법정에서의 진술 및 태도 등에 비추어 볼 때 이 사건에 대해 진심으로 반성하고 후회하는지 의문이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피해자 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정호 변호사는 "본 사건은 중개 보조 업무를 담당한 A씨가 신뢰를 악용해 고객의 자금을 횡령하고, 이를 은폐하기 위해 계약서 등 사문서를 위조, 행사한 중대한 경제범죄"라고 강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계약금 7천 가로챈 중개보조인 징역형...法 "임대인·임차인 모두 기망"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8-17
보건의료 데이터 금광 쌓아두고 못 쓰는 韓…패러다임 전환 필요 [대륜의 Biz law forum]
보건의료 데이터 금광 쌓아두고 못 쓰는 韓…패러다임 전환 필요 [대륜의 Biz law forum]
세계 최고 수준 데이터·인프라 보유했지만선진국 대비 고부가가치 영역 활용도 낮아기술 고도화·제도 개선 동시에 이뤄져야 21세기 경제는 데이터가 주도한다. 특히 보건의료 데이터는 국민 건강 증진과 미래 산업 성장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전략적 자원이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체계와 정보기술(IT) 인프라를 보유했지만, 법과 제도가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데이터 패러독스'라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해결책은 단순한 규제 완화가 아니다. 법과 제도를 데이터 활용의 촉진자로 재설계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안전과 신뢰를 보장하면서도 산업 발전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길은 분명히 존재한다. 선진국들은 이미 그 길을 선도하고 있다. 정보 보호-활용 간 균형점 찾은 EU·미국 유럽연합(EU)는 개인정보보호법(GDPR)을 통해 엄격한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구축하면서도 'EU 보건 데이터 공간(European Health Data Space, EHDS)'을 통해 27개 회원국의 의료 데이터를 통합 활용하는 혁신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이 대립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실증하는 사례다.미국의 접근은 좀 더 실용적이다. '21세기 치유법(21st Century Cures Act)'은 의료기관의 정당한 데이터 공유 요청 거부를 정보 차단(Information Blocking)으로 규정해 법적 제재 대상으로 삼는다. 표준 원료의약품(API) 의무화를 통해 환자, 연구자, 기업이 필요한 데이터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했다. 'TEFCA(Trusted Exchange Framework and Common Agreement)'를 통해 전국 단위의 의료 정보 교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현재 10개의 'QHIN(Qualified Health Information Network)' 체계 하에 임상의·병원·의원·요양시설·공중보건 당국 등이 4만1000여 개 고유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다. 식품의약국(FDA)은 실사용데이터(RWD)와 실사용근거(RWE)를 활용해 혁신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추고 있다. 자원 넘쳐나는데 활용 못하는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청 등 주요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규모와 품질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런데도 신약 개발, 정밀 의료, 디지털 치료제 등 고부가가치 영역에서의 활용도는 여전히 제한적이다.핵심 문제는 다층적이다. 의료기관 간 이질적 시스템과 표준화 부재에 따른 데이터 호환성 문제, 파편화된 데이터 구조로 인한 분석 효율성 저하, 그리고 무엇보다 법 규정에 대한 보수적 해석에 따른 제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국가통합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같은 국가 주도 통합 플랫폼 사업은 이런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핵심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1단계(77만2000명 유전체 데이터 수집)가 진행 중인데, 참여자 모집이 늦어진 데다 기관 참여가 저조해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기술적 고도화와 제도적 개선이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더욱 세부적으로는 개인정보 비식별화 및 가명처리 기술의 정교화, 전자의무기록(EMR)·의료영상·유전체 데이터의 국제 표준 준수, 공간전사체·단일세포 전사체 등 첨단 오믹스 데이터의 안전한 개방과 활용 범위 확대가 병행돼야 한다.법령과 가이드라인의 정합성도 시급한 과제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8은 개인정보 국외 이전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예외 적용 시 안전 조치 및 절차적 요건을 엄격히 요구하고 있다. 특히 가명 정보의 국외 이전 및 결합에 관한 세부 기준은 여전히 정비 중이어서 실무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적절한 안전 장치를 전제로 글로벌 연구 협력과 산업 발전을 위한 데이터 이전 요건 및 절차의 합리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식약처 'AI 의료기기 규제 혁신'서 배울 점 답은 이미 우리 안에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공지능(AI) 의료기기 규제 혁신이 그 증거다. 세계 최초로 생성형 AI 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및 최소 성능 요건 충족을 전제로 신속한 시장 진입을 허용한 결과는 놀랍다. AI 기반 의료기기 허가 건수가 2022년 47건에서 지난해 108건으로 3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한국도 명실상부한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혁신의 선도국으로 부상했다는 평가다.이런 성공이 가능했던 건 '금지 후 허용'이 아닌 '원칙 준수 하 활용 촉진' 방식을 채택한 덕분이었다. 안전성과 품질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되, 이를 충족한 경우 과도한 절차적 부담 없이 신속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설계했다. '포지티브→네거티브'로 패러다임 전환 필요 실용주의적 접근법을 데이터 정책 전반에 확산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은 다음과 같다.첫째, 안전성과 표준화 요건의 명확한 규정이다. 모호한 기준은 과도한 보수적 해석을 낳고, 이는 곧 혁신의 지연으로 이어진다. 둘째, 요건 충족 시 신속한 활용을 보장하는 절차적 효율성이다. 복잡하고 긴 승인 과정은 그 자체로 진입 장벽이 된다.셋째, 기존 '포지티브 방식'에서 예외적 허용 범위를 단순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성과 개인정보 보호 등 기본 원칙을 준수하되 활용을 촉진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 법이 혁신의 파트너가 되는 시대 보건의료 데이터는 산업 발전과 국민의 건강권 보장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21세기 핵심 자산이다. 단순히 축적하는 데만 머문다면, 이 소중한 자원은 사장될 뿐이다.안전과 혁신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식약처의 AI 의료기기 규제 혁신 사례가 이를 명확히 입증하고 있다. 적절한 제도적 설계를 통해 두 가치는 상호 강화될 수 있다.법이 혁신의 걸림돌이 아닌 동반자로 기능할 때, 산업 혁신과 국민 편익이라는 두 가치를 모두 실현할 수 있다. 변화의 골든타임은 바로 지금이다. [기사전문보기] 보건의료 데이터 금광 쌓아두고 못 쓰는 韓…패러다임 전환 필요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8-17
보건의료 데이터 금광 쌓아두고 못 쓰는 韓…패러다임 전환 필요 [대륜의 Biz law forum]
보건의료 데이터 금광 쌓아두고 못 쓰는 韓…패러다임 전환 필요 [대륜의 Biz law forum]
세계 최고 수준 데이터·인프라 보유했지만선진국 대비 고부가가치 영역 활용도 낮아기술 고도화·제도 개선 동시에 이뤄져야 21세기 경제는 데이터가 주도한다. 특히 보건의료 데이터는 국민 건강 증진과 미래 산업 성장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전략적 자원이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체계와 정보기술(IT) 인프라를 보유했지만, 법과 제도가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데이터 패러독스'라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해결책은 단순한 규제 완화가 아니다. 법과 제도를 데이터 활용의 촉진자로 재설계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안전과 신뢰를 보장하면서도 산업 발전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길은 분명히 존재한다. 선진국들은 이미 그 길을 선도하고 있다. 정보 보호-활용 간 균형점 찾은 EU·미국 유럽연합(EU)는 개인정보보호법(GDPR)을 통해 엄격한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구축하면서도 'EU 보건 데이터 공간(European Health Data Space, EHDS)'을 통해 27개 회원국의 의료 데이터를 통합 활용하는 혁신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이 대립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실증하는 사례다.미국의 접근은 좀 더 실용적이다. '21세기 치유법(21st Century Cures Act)'은 의료기관의 정당한 데이터 공유 요청 거부를 정보 차단(Information Blocking)으로 규정해 법적 제재 대상으로 삼는다. 표준 원료의약품(API) 의무화를 통해 환자, 연구자, 기업이 필요한 데이터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했다. 'TEFCA(Trusted Exchange Framework and Common Agreement)'를 통해 전국 단위의 의료 정보 교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현재 10개의 'QHIN(Qualified Health Information Network)' 체계 하에 임상의·병원·의원·요양시설·공중보건 당국 등이 4만1000여 개 고유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다. 식품의약국(FDA)은 실사용데이터(RWD)와 실사용근거(RWE)를 활용해 혁신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추고 있다. 자원 넘쳐나는데 활용 못하는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청 등 주요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규모와 품질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런데도 신약 개발, 정밀 의료, 디지털 치료제 등 고부가가치 영역에서의 활용도는 여전히 제한적이다.핵심 문제는 다층적이다. 의료기관 간 이질적 시스템과 표준화 부재에 따른 데이터 호환성 문제, 파편화된 데이터 구조로 인한 분석 효율성 저하, 그리고 무엇보다 법 규정에 대한 보수적 해석에 따른 제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국가통합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같은 국가 주도 통합 플랫폼 사업은 이런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핵심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1단계(77만2000명 유전체 데이터 수집)가 진행 중인데, 참여자 모집이 늦어진 데다 기관 참여가 저조해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기술적 고도화와 제도적 개선이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더욱 세부적으로는 개인정보 비식별화 및 가명처리 기술의 정교화, 전자의무기록(EMR)·의료영상·유전체 데이터의 국제 표준 준수, 공간전사체·단일세포 전사체 등 첨단 오믹스 데이터의 안전한 개방과 활용 범위 확대가 병행돼야 한다.법령과 가이드라인의 정합성도 시급한 과제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8은 개인정보 국외 이전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예외 적용 시 안전 조치 및 절차적 요건을 엄격히 요구하고 있다. 특히 가명 정보의 국외 이전 및 결합에 관한 세부 기준은 여전히 정비 중이어서 실무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적절한 안전 장치를 전제로 글로벌 연구 협력과 산업 발전을 위한 데이터 이전 요건 및 절차의 합리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식약처 'AI 의료기기 규제 혁신'서 배울 점 답은 이미 우리 안에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공지능(AI) 의료기기 규제 혁신이 그 증거다. 세계 최초로 생성형 AI 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및 최소 성능 요건 충족을 전제로 신속한 시장 진입을 허용한 결과는 놀랍다. AI 기반 의료기기 허가 건수가 2022년 47건에서 지난해 108건으로 3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한국도 명실상부한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혁신의 선도국으로 부상했다는 평가다.이런 성공이 가능했던 건 '금지 후 허용'이 아닌 '원칙 준수 하 활용 촉진' 방식을 채택한 덕분이었다. 안전성과 품질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되, 이를 충족한 경우 과도한 절차적 부담 없이 신속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설계했다. '포지티브→네거티브'로 패러다임 전환 필요 실용주의적 접근법을 데이터 정책 전반에 확산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은 다음과 같다.첫째, 안전성과 표준화 요건의 명확한 규정이다. 모호한 기준은 과도한 보수적 해석을 낳고, 이는 곧 혁신의 지연으로 이어진다. 둘째, 요건 충족 시 신속한 활용을 보장하는 절차적 효율성이다. 복잡하고 긴 승인 과정은 그 자체로 진입 장벽이 된다.셋째, 기존 '포지티브 방식'에서 예외적 허용 범위를 단순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성과 개인정보 보호 등 기본 원칙을 준수하되 활용을 촉진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 법이 혁신의 파트너가 되는 시대 보건의료 데이터는 산업 발전과 국민의 건강권 보장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21세기 핵심 자산이다. 단순히 축적하는 데만 머문다면, 이 소중한 자원은 사장될 뿐이다.안전과 혁신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식약처의 AI 의료기기 규제 혁신 사례가 이를 명확히 입증하고 있다. 적절한 제도적 설계를 통해 두 가치는 상호 강화될 수 있다.법이 혁신의 걸림돌이 아닌 동반자로 기능할 때, 산업 혁신과 국민 편익이라는 두 가치를 모두 실현할 수 있다. 변화의 골든타임은 바로 지금이다. [기사전문보기] 보건의료 데이터 금광 쌓아두고 못 쓰는 韓…패러다임 전환 필요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8-14
승진 바라는 부하 직원에 “뽀뽀 해도 되냐” 추행한 상사…징역 6개월 실형 선고
승진 바라는 부하 직원에 “뽀뽀 해도 되냐” 추행한 상사…징역 6개월 실형 선고
회식 자리에서 신체 접촉·입맞춤 강요…“격려 차원이었을 뿐” 반박“진술 구체성 믿기 어렵다” 불송치 결정에 이의 제기…검찰 기소재판부 “피해자 진술, 주요 부분 일관적…승진 의지 악이용해 죄질 불량” 회식 자리에서 부하 직원을 추행한 50대 공무원이 실형을 선고받았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 12일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남성 A씨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 아울러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와 2년간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취업제한도 명령했다.정부 산하기관에서 팀장으로 근무하던 A씨는 지난 2023년 회식 자리에서 부하 직원인 B씨의 손을 잡아 당겨 자신의 허벅지 위에 올리고, “뽀뽀해도 되느냐”고 물은 혐의를 받았다.B씨 측은 당시 A씨와 승진 관련 이야기를 하며 “제가 모르는 게 있으면 알려달라. 팀장님께서 도와주시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는데, 이에 A씨가 다가와 속삭이며 “뽀뽀 한 번 해도 돼요?”라고 물었다고 주장했다. 또 회식이 끝난 뒤 둘만 남은 자리에서도 A씨가 “믿음을 보여달라. 믿음을 보여줘야 내가 최선을 다할 것 아니냐”고 말하는 등 승진을 빌미로 신체접촉을 요구했다고 강조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회식은 승진 누락으로 낙담해있던 피해자 등 일부 직원들을 위한 자리였고, 옆자리에 앉은 B씨가 대뜸 자신의 손을 잡아 격려 차원에서 손등을 한 두 번 두드렸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B씨에게 뽀뽀 이야기를 꺼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당초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이유였다. 경찰은 “피해자의 진술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당시 동료들이 마주 앉아 있는 상황에서 피의자가 피해자의 손을 잡고 ‘뽀뽀’ 제안을 한다는 것은 경험칙상 부자연스러우며, 동료들 역시 피해 상황을 보지 못했다”고 무혐의 이유를 설명했다.이에 불복한 B씨 측은 이의를 신청했다. B씨가 사건 발생 직후 남편과 통화하며 회식에서 있었던 일을 상세하게 이야기했고 다음날 회사 측에도 이를 즉시 알렸으며, 여기에는 직접 경험하지 않으면 진술하지 못할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있다는 취지다.사건을 넘겨 받은 검찰은 B씨의 진술에 신빙성이 있다고 보고, A씨를 재판에 넘겼다.법원은 A씨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사건 경위, 피해 상황, 피고인의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으며 내용의 주요 부분에도 일관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범행 직후 이뤄진 피해자와 배우자의 전화 통화 내역을 보더라도 ‘피고인이 뽀뽀하자고 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덧붙였다.재판부는 이어 “비록 맞은편 직원들이 피고인의 행위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긴 하나, 피고인과 피해자의 손은 식탁 아래에 있어 목격자의 시선이 식탁으로 방해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피고인은 피해자의 승진의지를 악이용하려고 해 죄질이 불량하고 진지한 반성 또한 없으며, 피해자 역시 엄벌을 탄원하고 있다“고 양형 사유를 밝혔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윤다솜 변호사는 “대법원은 성범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에 대해 주요한 부분이 일관되고 경험칙에 비춰 비합리적이거나 모순되는 부분이 없고, 허위로 피고인에게 불리한 진술을 할 만한 동기가 없는 이상 신빙성을 함부로 배척해서는 안 된다고 보고 있다”며 “B씨의 진술 중 피해 사실에 관한 핵심 부분이 수사 과정 전반에 걸쳐 일치했고, 당시 승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던 상황에서 A씨에게 불리한 진술을 할 만한 이유가 없다는 점을 강조해 기소 후 실형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승진 바라는 부하 직원에 “뽀뽀 해도 되냐” 추행한 상사…징역 6개월 실형 선고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8-14
승진 바라는 부하 직원에 “뽀뽀 해도 되냐” 추행한 상사…징역 6개월 실형 선고
승진 바라는 부하 직원에 “뽀뽀 해도 되냐” 추행한 상사…징역 6개월 실형 선고
회식 자리에서 신체 접촉·입맞춤 강요…“격려 차원이었을 뿐” 반박“진술 구체성 믿기 어렵다” 불송치 결정에 이의 제기…검찰 기소재판부 “피해자 진술, 주요 부분 일관적…승진 의지 악이용해 죄질 불량” 회식 자리에서 부하 직원을 추행한 50대 공무원이 실형을 선고받았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 12일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남성 A씨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 아울러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와 2년간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취업제한도 명령했다.정부 산하기관에서 팀장으로 근무하던 A씨는 지난 2023년 회식 자리에서 부하 직원인 B씨의 손을 잡아 당겨 자신의 허벅지 위에 올리고, “뽀뽀해도 되느냐”고 물은 혐의를 받았다.B씨 측은 당시 A씨와 승진 관련 이야기를 하며 “제가 모르는 게 있으면 알려달라. 팀장님께서 도와주시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는데, 이에 A씨가 다가와 속삭이며 “뽀뽀 한 번 해도 돼요?”라고 물었다고 주장했다. 또 회식이 끝난 뒤 둘만 남은 자리에서도 A씨가 “믿음을 보여달라. 믿음을 보여줘야 내가 최선을 다할 것 아니냐”고 말하는 등 승진을 빌미로 신체접촉을 요구했다고 강조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회식은 승진 누락으로 낙담해있던 피해자 등 일부 직원들을 위한 자리였고, 옆자리에 앉은 B씨가 대뜸 자신의 손을 잡아 격려 차원에서 손등을 한 두 번 두드렸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B씨에게 뽀뽀 이야기를 꺼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당초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이유였다. 경찰은 “피해자의 진술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당시 동료들이 마주 앉아 있는 상황에서 피의자가 피해자의 손을 잡고 ‘뽀뽀’ 제안을 한다는 것은 경험칙상 부자연스러우며, 동료들 역시 피해 상황을 보지 못했다”고 무혐의 이유를 설명했다.이에 불복한 B씨 측은 이의를 신청했다. B씨가 사건 발생 직후 남편과 통화하며 회식에서 있었던 일을 상세하게 이야기했고 다음날 회사 측에도 이를 즉시 알렸으며, 여기에는 직접 경험하지 않으면 진술하지 못할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있다는 취지다.사건을 넘겨 받은 검찰은 B씨의 진술에 신빙성이 있다고 보고, A씨를 재판에 넘겼다.법원은 A씨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사건 경위, 피해 상황, 피고인의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으며 내용의 주요 부분에도 일관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범행 직후 이뤄진 피해자와 배우자의 전화 통화 내역을 보더라도 ‘피고인이 뽀뽀하자고 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덧붙였다.재판부는 이어 “비록 맞은편 직원들이 피고인의 행위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긴 하나, 피고인과 피해자의 손은 식탁 아래에 있어 목격자의 시선이 식탁으로 방해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피고인은 피해자의 승진의지를 악이용하려고 해 죄질이 불량하고 진지한 반성 또한 없으며, 피해자 역시 엄벌을 탄원하고 있다“고 양형 사유를 밝혔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윤다솜 변호사는 “대법원은 성범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에 대해 주요한 부분이 일관되고 경험칙에 비춰 비합리적이거나 모순되는 부분이 없고, 허위로 피고인에게 불리한 진술을 할 만한 동기가 없는 이상 신빙성을 함부로 배척해서는 안 된다고 보고 있다”며 “B씨의 진술 중 피해 사실에 관한 핵심 부분이 수사 과정 전반에 걸쳐 일치했고, 당시 승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던 상황에서 A씨에게 불리한 진술을 할 만한 이유가 없다는 점을 강조해 기소 후 실형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승진 바라는 부하 직원에 “뽀뽀 해도 되냐” 추행한 상사…징역 6개월 실형 선고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5-08-14
대륜, 한국구매조달학회와 MOU…"법률 전문성·AI 기술 역량 결합"
대륜, 한국구매조달학회와 MOU…"법률 전문성·AI 기술 역량 결합"
AI 기반 조달 혁신 등 정기적 실무 협의체 구성…장기적 협력 모델 구축"법률 전문성과 AI 기술 역량 결합해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높일 것" 법무법인 대륜이 사단법인 한국구매조달학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내 조달 제도 혁신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문 협력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지난 12일 대륜 서울본부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대표 변호사, 신종수 변호사와 한국구매조달학회 문형남 학회장, 이충형 학술위원장, 최봉혁 기획위원장 등이 참석했다.(사)한국구매조달학회는 지난 2003년 설립된 국내 유일의 조달·구매 전문 학술단체로 공공조달, 구매정책, 계약제도 분야의 학술연구와 정책 제안을 통해 조달 행정의 투명성 및 효율성 제고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AI·빅데이터 기반 조달 데이터 분석, 국제조달 제도 연구, 해외 조달 네트워크 구축, 국내 기업의 해외 공공입찰 참여 지원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정기적인 실무협의체를 구성하며 AI 기반 조달 혁신, 국제조달 제도 연구,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등 장기적 협력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구체적으로 ▲공공조달 및 구매제도 관련 법률·정책 연구 ▲AI 기반 조달 데이터 분석·계약 리스크 예측 시스템 공동 개발 ▲정책 포럼·세미나·학술대회 개최 등 다방면에서 협력할 예정이다.한국구매조달학회 문형남 회장(숙명여대 글로벌융합대학 학장)은 "공공조달의 혁신은 기술과 정책의 결합에서 시작된다. 특히 AI와 같은 첨단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 기반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조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며 "이번 협약은 글로벌 조달 무대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의 조달·구매 분야의 법률 전문성과 AI 기술을 결합해, 학회와 함께 국내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도록 돕겠다"며 "데이터 기반의 사전 점검과 리스크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공공조달, 국제계약, 지식재산권 등 전문 분야에서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며 국내외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통합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김남하 기자 (skagk1234@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대륜, 한국구매조달학회와 MOU…"법률 전문성·AI 기술 역량 결합" (바로가기) NSP통신 - 한국구매조달학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5-08-14
대륜, 한국구매조달학회와 MOU…"법률 전문성·AI 기술 역량 결합"
대륜, 한국구매조달학회와 MOU…"법률 전문성·AI 기술 역량 결합"
AI 기반 조달 혁신 등 정기적 실무 협의체 구성…장기적 협력 모델 구축"법률 전문성과 AI 기술 역량 결합해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높일 것" 법무법인 대륜이 사단법인 한국구매조달학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내 조달 제도 혁신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문 협력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지난 12일 대륜 서울본부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대표 변호사, 신종수 변호사와 한국구매조달학회 문형남 학회장, 이충형 학술위원장, 최봉혁 기획위원장 등이 참석했다.(사)한국구매조달학회는 지난 2003년 설립된 국내 유일의 조달·구매 전문 학술단체로 공공조달, 구매정책, 계약제도 분야의 학술연구와 정책 제안을 통해 조달 행정의 투명성 및 효율성 제고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AI·빅데이터 기반 조달 데이터 분석, 국제조달 제도 연구, 해외 조달 네트워크 구축, 국내 기업의 해외 공공입찰 참여 지원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정기적인 실무협의체를 구성하며 AI 기반 조달 혁신, 국제조달 제도 연구,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등 장기적 협력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구체적으로 ▲공공조달 및 구매제도 관련 법률·정책 연구 ▲AI 기반 조달 데이터 분석·계약 리스크 예측 시스템 공동 개발 ▲정책 포럼·세미나·학술대회 개최 등 다방면에서 협력할 예정이다.한국구매조달학회 문형남 회장(숙명여대 글로벌융합대학 학장)은 "공공조달의 혁신은 기술과 정책의 결합에서 시작된다. 특히 AI와 같은 첨단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 기반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조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며 "이번 협약은 글로벌 조달 무대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의 조달·구매 분야의 법률 전문성과 AI 기술을 결합해, 학회와 함께 국내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도록 돕겠다"며 "데이터 기반의 사전 점검과 리스크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공공조달, 국제계약, 지식재산권 등 전문 분야에서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며 국내외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통합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김남하 기자 (skagk1234@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대륜, 한국구매조달학회와 MOU…"법률 전문성·AI 기술 역량 결합" (바로가기) NSP통신 - 한국구매조달학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퍼블릭뉴스통신
2025-08-14
[단독] ​신영증권, 임직원 '내부자 거래' 의혹…가족 명의로 헐값에 주식 매입
[단독] ​신영증권, 임직원 '내부자 거래' 의혹…가족 명의로 헐값에 주식 매입
"RCPS인지 보통주인지에 관한 사실, 54조 1항 적용과 무관"신영증권 "시장가 부합 정상 거래…비상장사로 적용 대상 아냐” 신영증권이 과거 투자한 스타트업 회사 주식을 임원과 직원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가족 명의로 저가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신영증권은 “비상장 기업이라 자본시장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금융기관 임직원이 내부정보를 활용해 부당이익을 취한 행위라는 지적과 함께 자본시장법 위반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문제가 된 회사는 제습·항균 신소재인 금속유기 골격체(MOF)를 제조하는 에이올코리아다. 2021년 11월 에이올코리아는 케이넷 유니콘 육성투자조합(40억 원), 우리신영그로쓰캡 제1호 사모투자합자회사(65억 원), 신영증권(15억 원), NH-아이리스 ESG 신기술투자조합(100억 원) 등으로부터 총 220억 원 규모의 신주 투자를 유치했다. 우리신영그로쓰캡 제1호는 2018년 우리PE와 신영증권이 설립한 사모펀드(PEF)로, 현재는 신영증권이 대표자로 되어 있는 금융업 기반 투자자산운용 기업이다. 같은 해인 2021년 7월 신영증권은 에이올코리아에 1만 3,428주를 주당 59만 5,800원에 약 80억 원 규모로 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2021년 6월 28일 신영증권 임원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가족 명의로 주당 35만 원에 보통주 200주를 매수한 정황이 확인됐다. 이어 2021년 7월 30일 또 다른 직원도 배우자 명의로 같은 가격에 보통주 800주를 사들였다. 이는 신영증권 공식 투자가격보다 약 40% 낮은 수준이다. 신영증권은 사건 발생 후 금융감독원에 별도 고발 없이, 해당 임직원과 직원에게 내부 윤리 기준에 따른 ‘감봉’ 징계만 내렸다. 신영증권은 "임직원들이 어떻게 알고 주식을 샀는지는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리스크차원에서 조사 결과, 신영증권이 인수한 것은 RCPS(상환전환우선주)이고, 직원이 매수한 것은 보통주로 당시 시장가에 부합하는 정상 거래였다”며 “비상장사이므로 자본시장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는 금융기관 임직원이 내부정보를 활용해 부당이익을 추구한 것으로 판단돼 자본시장법 위반 의혹을 피해가기 쉽지 않다는 것이 법조계의 의견이다. 법무법인 대륜 지민희 변호사는 “자본시장법 제54조 제1항이 적용되려면, ‘금융투자업자의 임직원일 것, 직무상 알게 된 정보일 것,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일 것, 자기/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했을 것’이라는 요건이 성립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임직원이 내부정보를 활용해 가족 명의로 저가 매입한 것이므로 자본시장법 제54조 직무 관련 정보 이용 금지 의무에 위반해 이에 따른 책임을 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RCPS(상환전환우선주)인지, 보통주인지에 관한 사실은 위 조항 적용과는 무관하며, 적정가의 여부는 살펴보아야 할 것이나, 설령 적정가라 하더라도 내부정보를 이용한 사실에는 영향이 없다”며 “내부 정보를 활용한 점에 관해서는, 해당 정보가 거래에 관한 판단과 결정에 미친 영향/기여도, 해당 자의 경제적 상황, 거래시기, 거래 형태나 방식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한다”고 밝혔다. 또 “동법 제174조(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금지)의 경우 비상장법인인 점에서 174조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기는 하나, 해당 비상장법인이 6개월 이내 상장 예정이거나 상장법인과 합병 등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74조가 적용된다”며 “만일 제174조가 적용되는 법인인 경우라도 위 제54조 판단과 마찬가지로 보통주, 적정가격 여부 자체로는 미공개 중요 정보 이용행위 여부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단독] ​신영증권, 임직원 '내부자 거래' 의혹…가족 명의로 헐값에 주식 매입 (바로가기)
퍼블릭뉴스통신
2025-08-14
[단독] ​신영증권, 임직원 '내부자 거래' 의혹…가족 명의로 헐값에 주식 매입
[단독] ​신영증권, 임직원 '내부자 거래' 의혹…가족 명의로 헐값에 주식 매입
"RCPS인지 보통주인지에 관한 사실, 54조 1항 적용과 무관"신영증권 "시장가 부합 정상 거래…비상장사로 적용 대상 아냐” 신영증권이 과거 투자한 스타트업 회사 주식을 임원과 직원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가족 명의로 저가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신영증권은 “비상장 기업이라 자본시장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금융기관 임직원이 내부정보를 활용해 부당이익을 취한 행위라는 지적과 함께 자본시장법 위반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문제가 된 회사는 제습·항균 신소재인 금속유기 골격체(MOF)를 제조하는 에이올코리아다. 2021년 11월 에이올코리아는 케이넷 유니콘 육성투자조합(40억 원), 우리신영그로쓰캡 제1호 사모투자합자회사(65억 원), 신영증권(15억 원), NH-아이리스 ESG 신기술투자조합(100억 원) 등으로부터 총 220억 원 규모의 신주 투자를 유치했다. 우리신영그로쓰캡 제1호는 2018년 우리PE와 신영증권이 설립한 사모펀드(PEF)로, 현재는 신영증권이 대표자로 되어 있는 금융업 기반 투자자산운용 기업이다. 같은 해인 2021년 7월 신영증권은 에이올코리아에 1만 3,428주를 주당 59만 5,800원에 약 80억 원 규모로 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2021년 6월 28일 신영증권 임원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가족 명의로 주당 35만 원에 보통주 200주를 매수한 정황이 확인됐다. 이어 2021년 7월 30일 또 다른 직원도 배우자 명의로 같은 가격에 보통주 800주를 사들였다. 이는 신영증권 공식 투자가격보다 약 40% 낮은 수준이다. 신영증권은 사건 발생 후 금융감독원에 별도 고발 없이, 해당 임직원과 직원에게 내부 윤리 기준에 따른 ‘감봉’ 징계만 내렸다. 신영증권은 "임직원들이 어떻게 알고 주식을 샀는지는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리스크차원에서 조사 결과, 신영증권이 인수한 것은 RCPS(상환전환우선주)이고, 직원이 매수한 것은 보통주로 당시 시장가에 부합하는 정상 거래였다”며 “비상장사이므로 자본시장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는 금융기관 임직원이 내부정보를 활용해 부당이익을 추구한 것으로 판단돼 자본시장법 위반 의혹을 피해가기 쉽지 않다는 것이 법조계의 의견이다. 법무법인 대륜 지민희 변호사는 “자본시장법 제54조 제1항이 적용되려면, ‘금융투자업자의 임직원일 것, 직무상 알게 된 정보일 것,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일 것, 자기/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했을 것’이라는 요건이 성립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임직원이 내부정보를 활용해 가족 명의로 저가 매입한 것이므로 자본시장법 제54조 직무 관련 정보 이용 금지 의무에 위반해 이에 따른 책임을 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RCPS(상환전환우선주)인지, 보통주인지에 관한 사실은 위 조항 적용과는 무관하며, 적정가의 여부는 살펴보아야 할 것이나, 설령 적정가라 하더라도 내부정보를 이용한 사실에는 영향이 없다”며 “내부 정보를 활용한 점에 관해서는, 해당 정보가 거래에 관한 판단과 결정에 미친 영향/기여도, 해당 자의 경제적 상황, 거래시기, 거래 형태나 방식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한다”고 밝혔다. 또 “동법 제174조(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금지)의 경우 비상장법인인 점에서 174조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기는 하나, 해당 비상장법인이 6개월 이내 상장 예정이거나 상장법인과 합병 등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74조가 적용된다”며 “만일 제174조가 적용되는 법인인 경우라도 위 제54조 판단과 마찬가지로 보통주, 적정가격 여부 자체로는 미공개 중요 정보 이용행위 여부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단독] ​신영증권, 임직원 '내부자 거래' 의혹…가족 명의로 헐값에 주식 매입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14
'연이은 폭탄 테러 협박글' 관련 법적용은?
'연이은 폭탄 테러 협박글' 관련 법적용은?
최근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백화점, 공원 등 다중이용시설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테러 협박이 유행처럼 전국 곳곳으로 번지고 있다.용인 동부경찰서에 따르면 13일 오전 대전출입국사무관리소로 ‘에버랜드 리조트를 폭파하겠다’는 내용의 팩스가 전송돼 경찰이 긴급 수색에 나섰다. 앞서 11일에는 광주광역시 소재 백화점, 10일에는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팩스가 접수된 바 있다.온라인상에서도 테러 및 범행 예고글이 성행하고 있다. 지난 5일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폭약을 설치했고, 오후 3시에 폭파된다”는 내용의 글이 게시돼 대피 소동이 빚어졌다. 해당 글의 작성자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한 중학생인 것으로 밝혀졌다.이같은 현상은 지난 2023년 분당 서현역 흉기난동 사건 이후 급격하게 늘어났는데, 당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8월부터 두 달 동안 특별치안활동을 진행해 집중 단속을 실시하기도 했다. 그 결과, 해당 기간 동안 흉악범죄 예고글 571건이 적발됐으며, 298명이 검거되고 이중 28명이 구속됐다.다만, 이같은 수사에도 혐의 적용 한계로 인해 피의자들은 벌금형 등 솜방망이 처벌을 받는데 그쳤다.이에 대해 법률전문가들은 죄의 성립 요건이 해석에 따라 달라져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과거에는 묻지마 범행 등이 익숙하지 않았기에 해당 살인 고지를 신뢰하기 어렵고,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며 “협박죄의 입법 동기에 살인 예고 게시글을 포함되지 않았다보니 본 죄로 게시글 작성자를 처벌하기엔 어려운 점이 많았다”고 설명했다.이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사이버스토킹, 살인예비죄, 정보통신망법상 불안감조성죄 등 여러 혐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범죄 예고글과 같은 범행을 상정해 입법한 죄목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이들 죄에 온전히 들어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며 “특히 고의성을 쉽게 추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처벌까지 이어지기 힘든 부분이 있었다. 이런 부분을 보완한 것이 공중협박죄”라고 덧붙였다.실제 올해 3월부터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협박한 범죄에 강력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도록 ‘공중협박죄’가 시행되고 있다. 공중협박죄는 불특정 다수에게 생명이나 신체에 위해를 가하겠다고 협박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한다.아울러 이같은 범죄는 형사 처벌과 더불어 민사적 책임도 발생한다. 대부분 협박과 신고 모두 허위로 밝혀지면서 행정력 낭비로 이어지기 때문이다.김 변호사는 “형사법원을 통해 유죄를 받게 된다면 민법 750조에 따라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된다"면서 "가해자가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민법 755조에 따라 그 부모 등 감독자가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된다”라고 말했다.다만 김 변호사는 민사상의 조치가 현실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는 “경찰 투입 등으로 최소 수억 원의 행정력이 낭비가 되는 경우 국가단위의 비용을 한 가정에서 짊어지는 건 사실상 불가해 현실성 있는 회복조치로 보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연이은 폭탄 테러 협박글' 관련 법적용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14
'연이은 폭탄 테러 협박글' 관련 법적용은?
'연이은 폭탄 테러 협박글' 관련 법적용은?
최근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백화점, 공원 등 다중이용시설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테러 협박이 유행처럼 전국 곳곳으로 번지고 있다.용인 동부경찰서에 따르면 13일 오전 대전출입국사무관리소로 ‘에버랜드 리조트를 폭파하겠다’는 내용의 팩스가 전송돼 경찰이 긴급 수색에 나섰다. 앞서 11일에는 광주광역시 소재 백화점, 10일에는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팩스가 접수된 바 있다.온라인상에서도 테러 및 범행 예고글이 성행하고 있다. 지난 5일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폭약을 설치했고, 오후 3시에 폭파된다”는 내용의 글이 게시돼 대피 소동이 빚어졌다. 해당 글의 작성자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한 중학생인 것으로 밝혀졌다.이같은 현상은 지난 2023년 분당 서현역 흉기난동 사건 이후 급격하게 늘어났는데, 당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8월부터 두 달 동안 특별치안활동을 진행해 집중 단속을 실시하기도 했다. 그 결과, 해당 기간 동안 흉악범죄 예고글 571건이 적발됐으며, 298명이 검거되고 이중 28명이 구속됐다.다만, 이같은 수사에도 혐의 적용 한계로 인해 피의자들은 벌금형 등 솜방망이 처벌을 받는데 그쳤다.이에 대해 법률전문가들은 죄의 성립 요건이 해석에 따라 달라져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과거에는 묻지마 범행 등이 익숙하지 않았기에 해당 살인 고지를 신뢰하기 어렵고,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며 “협박죄의 입법 동기에 살인 예고 게시글을 포함되지 않았다보니 본 죄로 게시글 작성자를 처벌하기엔 어려운 점이 많았다”고 설명했다.이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사이버스토킹, 살인예비죄, 정보통신망법상 불안감조성죄 등 여러 혐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범죄 예고글과 같은 범행을 상정해 입법한 죄목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이들 죄에 온전히 들어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며 “특히 고의성을 쉽게 추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처벌까지 이어지기 힘든 부분이 있었다. 이런 부분을 보완한 것이 공중협박죄”라고 덧붙였다.실제 올해 3월부터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협박한 범죄에 강력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도록 ‘공중협박죄’가 시행되고 있다. 공중협박죄는 불특정 다수에게 생명이나 신체에 위해를 가하겠다고 협박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한다.아울러 이같은 범죄는 형사 처벌과 더불어 민사적 책임도 발생한다. 대부분 협박과 신고 모두 허위로 밝혀지면서 행정력 낭비로 이어지기 때문이다.김 변호사는 “형사법원을 통해 유죄를 받게 된다면 민법 750조에 따라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된다"면서 "가해자가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민법 755조에 따라 그 부모 등 감독자가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된다”라고 말했다.다만 김 변호사는 민사상의 조치가 현실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는 “경찰 투입 등으로 최소 수억 원의 행정력이 낭비가 되는 경우 국가단위의 비용을 한 가정에서 짊어지는 건 사실상 불가해 현실성 있는 회복조치로 보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연이은 폭탄 테러 협박글' 관련 법적용은?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8-14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코드와 MOU 체결…기업 금융서비스 강화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코드와 MOU 체결…기업 금융서비스 강화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중소·벤처기업 M&A 전문 금융 자문사 브릿지코드(Bridgecode)와 기업 금융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체결식은 지난 12일 대륜 서울본부 여의도 분사무소에서 진행됐으며,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대표와 브릿지코드 이준명 이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브릿지코드는 기업을 대상으로 M&A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전문회사로 일본, 싱가폴, 인도 등 글로벌 9개국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또한, M&A거래소를 통해 자동화된 중개 플랫폼을 지원하며, 기업 인수 과정에서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등 대형 금융권 출신 전문가와 회계 전문가들이 배치돼 △기업가치 평가 △거래구조 설계 △매수자 발굴 등 전 과정에 맞춤형 M&A 솔루션을 제공한다.연간 1,600건 이상의 M&A 문의와 1.9조 원 이상의 매각 자문 실적을 보유한 브릿지코드는 올해 1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M&A 자문기관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기업인수·합병(M&A), 기업자문, 자산운용 등 세분화된 전문센터를 두고 기업법무, 지식재산권, 금융 등 분야별 풍부한 경험과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변호사들이 고객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그룹은 브릿지코드의 글로벌 사업 발전을 위한 종합 자문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며, 법률서비스와 금융전문성 결합을 통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자문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업실사, 가치평가, 회계자문 등 M&A 관련 업무에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계약·투자·협상 관련 법률자문 △투자, 인수, 매각 과정의 법적 실사 지원 △기업 금융 법적·세무적 리스크 관리 △고객 대상 법률·세무·회계 교육 세미나 개최 △국내외 시장 공동 진출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브릿지코드 이준명 이사는 "국내 주요 로펌으로 손꼽히는 대륜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돼 매우 기대가 크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M&A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리스크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돼 기쁘다. 양사의 전문성을 활용해 고객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성공적인 M&A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M&A는 금융적 분석만큼이나 법률적 안정성이 필수적인 영역"이라며 "브릿지코드의 압도적인 M&A 자문 역량과 대륜의 혁신적인 시스템을 결합해 기업 고객의 강력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전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코드와 MOU 체결…기업 금융서비스 강화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8-14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코드와 MOU 체결…기업 금융서비스 강화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코드와 MOU 체결…기업 금융서비스 강화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중소·벤처기업 M&A 전문 금융 자문사 브릿지코드(Bridgecode)와 기업 금융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체결식은 지난 12일 대륜 서울본부 여의도 분사무소에서 진행됐으며,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대표와 브릿지코드 이준명 이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브릿지코드는 기업을 대상으로 M&A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전문회사로 일본, 싱가폴, 인도 등 글로벌 9개국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또한, M&A거래소를 통해 자동화된 중개 플랫폼을 지원하며, 기업 인수 과정에서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등 대형 금융권 출신 전문가와 회계 전문가들이 배치돼 △기업가치 평가 △거래구조 설계 △매수자 발굴 등 전 과정에 맞춤형 M&A 솔루션을 제공한다.연간 1,600건 이상의 M&A 문의와 1.9조 원 이상의 매각 자문 실적을 보유한 브릿지코드는 올해 1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M&A 자문기관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기업인수·합병(M&A), 기업자문, 자산운용 등 세분화된 전문센터를 두고 기업법무, 지식재산권, 금융 등 분야별 풍부한 경험과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변호사들이 고객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그룹은 브릿지코드의 글로벌 사업 발전을 위한 종합 자문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며, 법률서비스와 금융전문성 결합을 통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자문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업실사, 가치평가, 회계자문 등 M&A 관련 업무에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계약·투자·협상 관련 법률자문 △투자, 인수, 매각 과정의 법적 실사 지원 △기업 금융 법적·세무적 리스크 관리 △고객 대상 법률·세무·회계 교육 세미나 개최 △국내외 시장 공동 진출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브릿지코드 이준명 이사는 "국내 주요 로펌으로 손꼽히는 대륜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돼 매우 기대가 크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M&A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리스크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돼 기쁘다. 양사의 전문성을 활용해 고객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성공적인 M&A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M&A는 금융적 분석만큼이나 법률적 안정성이 필수적인 영역"이라며 "브릿지코드의 압도적인 M&A 자문 역량과 대륜의 혁신적인 시스템을 결합해 기업 고객의 강력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전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코드와 MOU 체결…기업 금융서비스 강화 (바로가기)
로리더
2025-08-13
고의 교통사고 의심 보험사기 고소된 30대 남성···‘무혐의’
고의 교통사고 의심 보험사기 고소된 30대 남성···‘무혐의’
내리막길 정차 중 미끄러져 주차된 동료 차와 충돌보험사가 보험사기방지특별법위반 혐의로 고소사고발생 경위 등 분석 통해 사고원인 입증···경찰 불송치 결정 내리막길 정차 중 미끄러져 주차된 동료 차와 충돌한 사고로 보험사에 의해 보험사기 혐의로 고소를 당한 30대 운전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강원홍천경찰서는 지난달 10일 보험사기방지특별법위반 혐의로 입건된 30대 남성 A씨에게 혐의 없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앞서 A씨는 2024년 11월 강원도 홍천의 한 공사현장에서 자신의 화물차량을 정차시켰다. 그러나 시동이 켜져 있던 차량이 내리막길로 미끄러지면서, 전방에 주차돼 있던 A씨 동료의 차량을 들이받았다.이 사고로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A씨의 화물차량이 크게 파손되면서 1,600여만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이에 A씨는 보험처리를 위해 B보험사에 사고를 접수했는데, B보험사는 A씨가 보험금을 받기 위해 고의로 사고를 냈다고 보고 A씨를 고소했다.B보험사 측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서 등을 근거로 들었다. 감정서에는 고의사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 결과가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A씨는 “B보험사가 사고 발생 당시 현장 상황이나 사고 발생 경위에 대해 제대로 된 조사를 진행하지 않고 고소를 진행했다.”고 주장하면서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경찰도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보고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경찰은 “보험사기로 볼만한 특별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의 이지연 변호사는 “차량 충돌 직전의 상황과 충격이 완화된 이유, 충돌 부위 등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사고 원인을 증명한 끝에 혐의없음으로 결론이 나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이지연 변호사는 아울러 “회사를 운영하며 안정적인 소득을 유지하고 있는 A씨로서는 보험사 측의 주장과 같이 허위로 보험사고를 접수해 얻을 이익이 전혀 없었다. 보험사가 사고에 대해 정확한 조사를 했다면, 이번 사고가 고의가 없다는 점을 바로 알았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고의 교통사고 의심 보험사기 고소된 30대 남성···‘무혐의’ (바로가기)
로리더
2025-08-13
고의 교통사고 의심 보험사기 고소된 30대 남성···‘무혐의’
고의 교통사고 의심 보험사기 고소된 30대 남성···‘무혐의’
내리막길 정차 중 미끄러져 주차된 동료 차와 충돌보험사가 보험사기방지특별법위반 혐의로 고소사고발생 경위 등 분석 통해 사고원인 입증···경찰 불송치 결정 내리막길 정차 중 미끄러져 주차된 동료 차와 충돌한 사고로 보험사에 의해 보험사기 혐의로 고소를 당한 30대 운전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강원홍천경찰서는 지난달 10일 보험사기방지특별법위반 혐의로 입건된 30대 남성 A씨에게 혐의 없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앞서 A씨는 2024년 11월 강원도 홍천의 한 공사현장에서 자신의 화물차량을 정차시켰다. 그러나 시동이 켜져 있던 차량이 내리막길로 미끄러지면서, 전방에 주차돼 있던 A씨 동료의 차량을 들이받았다.이 사고로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A씨의 화물차량이 크게 파손되면서 1,600여만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이에 A씨는 보험처리를 위해 B보험사에 사고를 접수했는데, B보험사는 A씨가 보험금을 받기 위해 고의로 사고를 냈다고 보고 A씨를 고소했다.B보험사 측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서 등을 근거로 들었다. 감정서에는 고의사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 결과가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A씨는 “B보험사가 사고 발생 당시 현장 상황이나 사고 발생 경위에 대해 제대로 된 조사를 진행하지 않고 고소를 진행했다.”고 주장하면서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경찰도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보고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경찰은 “보험사기로 볼만한 특별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의 이지연 변호사는 “차량 충돌 직전의 상황과 충격이 완화된 이유, 충돌 부위 등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사고 원인을 증명한 끝에 혐의없음으로 결론이 나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이지연 변호사는 아울러 “회사를 운영하며 안정적인 소득을 유지하고 있는 A씨로서는 보험사 측의 주장과 같이 허위로 보험사고를 접수해 얻을 이익이 전혀 없었다. 보험사가 사고에 대해 정확한 조사를 했다면, 이번 사고가 고의가 없다는 점을 바로 알았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고의 교통사고 의심 보험사기 고소된 30대 남성···‘무혐의’ (바로가기)
조선비즈
2025-08-13
투자금으로 코인 사고 파산 신청… ‘고의부도’ 스타트업에 뒤통수 맞는 VC들
투자금으로 코인 사고 파산 신청… ‘고의부도’ 스타트업에 뒤통수 맞는 VC들
스타트업 A사, 투자금 받아 비트코인에 투자…이후 파산 신청스타트업 B사, VC에 투자받은 후 거래처를 대표 개인 법인으로 옮겨 사실상 파산벤처업계 “신의성실의무 위반하는 사례…자정작용 이뤄져야" 스타트업 A사는 벤처캐피털(VC)과 소송 중이다. A사가 투자금을 계약상 목적과 다르게 비트코인 등 암호 화폐를 사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VC는 A사를 상대로 자금 원상회복과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형사에서는 업무상 횡령 또는 배임 혐의로 고소했다. 앞서 VC는 A사와 연대책임 혹은 연대보증책임, 위약벌 등의 책임을 부과하는 투자 계약서를 체결했지만, 투자금 유용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스타트업 B사는 VC로부터 투자를 받은 후 개척한 기존 법인의 거래처를 자신의 새 법인으로 모두 옮겼다. 투자자들은 이로 인해 기존 법인이 부채가 빠르게 늘었고, 결국 파산을 신청했다며 경업금지의무 및 영업비밀의무 위반 등으로 민사 소송과 형사 고소를 제기했다. 13일 벤처 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부 스타트업이 투자금을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한 후 고의로 파산을 신청하면서 VC와 투자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법인이 파산하면 법인과 부채가 함께 소멸해 투자금 회수가 어렵기 때문이다.법무법인 대륜의 김원상 수석 변호사는 “법인 자산을 빼돌릴 목적으로 법인 파산을 신청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김 변호사는 “법률상 부채초과(빚이 자산보다 많은 상태)인 경우에 해당하기만 하면 법인 파산 선고를 받을 수 있으며, 법인은 별도의 면책 결정(남은 빚을 갚아야 한다는 결정)이 없어 법인의 부채들이 소멸된다는 점을 악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고의로 파산을 신청하지는 않았지만, 대표자 개인의 도덕적 해이가 문제 된 사례들도 있다.2021년 설립된 빅데이터 기반의 B2B 무역 거래 플랫폼 ‘노다랩’은 파산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대표가 투자자금을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사용한 후 해외로 도주했기 때문이다.앞서 노다랩에 투자한 한 VC는 회사 대표가 해당 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유용했다고 보고 대표자에 문제를 제기했다. 대표는 개인적인 목적이 아닌 회사를 위해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해당 자금을 반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표는 여전히 부재해 법인이 파산 절차를 밟지 못하고 있다.2023년에는 부릉 운영사 메쉬코리아의 유정범 대표가 유동성 악화로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상황에서 이사회 결의나 법원의 허가를 받지 않고 총 30억원을 무단 인출해 소비했다. 법원은 올해 7월 유 대표에게 배임 혐의로 징역 4년 형을 선고했다.문제는 스타트업의 도덕적 해이가 지속되면 VC와 투자자들의 신뢰가 떨어져 투자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이제 막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데, 개인의 도덕적 해이로 인해 VC의 신뢰가 떨어지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일부 개인의 일탈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다. 스타트업 업계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2005년 이후 한국벤처투자가 출범하며 정부의 관리·감독 기능이 강화된 데다, 민간 영역에서는 액셀러레이터(AC)가 등장하며 밀접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스타트업 대표 중 대부분은 성실하게 회사 성장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일부 사례가 전체로 비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제도를 통한 보완보다는 개인의 자정 작용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한 벤처캐피털 관계자는 “대표자가 신의성실의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리스크를 관리하는 VC가 관리를 더 세게 할 수밖에 없다”며 “이는 결국 창업자의 활발한 창업 활동에 제재를 가하는 만큼 개인적인 자정 작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김정은 기자 (xbookleader@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투자금으로 코인 사고 파산 신청… ‘고의부도’ 스타트업에 뒤통수 맞는 VC들 (바로가기)
조선비즈
2025-08-13
투자금으로 코인 사고 파산 신청… ‘고의부도’ 스타트업에 뒤통수 맞는 VC들
투자금으로 코인 사고 파산 신청… ‘고의부도’ 스타트업에 뒤통수 맞는 VC들
스타트업 A사, 투자금 받아 비트코인에 투자…이후 파산 신청스타트업 B사, VC에 투자받은 후 거래처를 대표 개인 법인으로 옮겨 사실상 파산벤처업계 “신의성실의무 위반하는 사례…자정작용 이뤄져야" 스타트업 A사는 벤처캐피털(VC)과 소송 중이다. A사가 투자금을 계약상 목적과 다르게 비트코인 등 암호 화폐를 사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VC는 A사를 상대로 자금 원상회복과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형사에서는 업무상 횡령 또는 배임 혐의로 고소했다. 앞서 VC는 A사와 연대책임 혹은 연대보증책임, 위약벌 등의 책임을 부과하는 투자 계약서를 체결했지만, 투자금 유용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스타트업 B사는 VC로부터 투자를 받은 후 개척한 기존 법인의 거래처를 자신의 새 법인으로 모두 옮겼다. 투자자들은 이로 인해 기존 법인이 부채가 빠르게 늘었고, 결국 파산을 신청했다며 경업금지의무 및 영업비밀의무 위반 등으로 민사 소송과 형사 고소를 제기했다. 13일 벤처 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부 스타트업이 투자금을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한 후 고의로 파산을 신청하면서 VC와 투자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법인이 파산하면 법인과 부채가 함께 소멸해 투자금 회수가 어렵기 때문이다.법무법인 대륜의 김원상 수석 변호사는 “법인 자산을 빼돌릴 목적으로 법인 파산을 신청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김 변호사는 “법률상 부채초과(빚이 자산보다 많은 상태)인 경우에 해당하기만 하면 법인 파산 선고를 받을 수 있으며, 법인은 별도의 면책 결정(남은 빚을 갚아야 한다는 결정)이 없어 법인의 부채들이 소멸된다는 점을 악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고의로 파산을 신청하지는 않았지만, 대표자 개인의 도덕적 해이가 문제 된 사례들도 있다.2021년 설립된 빅데이터 기반의 B2B 무역 거래 플랫폼 ‘노다랩’은 파산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대표가 투자자금을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사용한 후 해외로 도주했기 때문이다.앞서 노다랩에 투자한 한 VC는 회사 대표가 해당 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유용했다고 보고 대표자에 문제를 제기했다. 대표는 개인적인 목적이 아닌 회사를 위해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해당 자금을 반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표는 여전히 부재해 법인이 파산 절차를 밟지 못하고 있다.2023년에는 부릉 운영사 메쉬코리아의 유정범 대표가 유동성 악화로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상황에서 이사회 결의나 법원의 허가를 받지 않고 총 30억원을 무단 인출해 소비했다. 법원은 올해 7월 유 대표에게 배임 혐의로 징역 4년 형을 선고했다.문제는 스타트업의 도덕적 해이가 지속되면 VC와 투자자들의 신뢰가 떨어져 투자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이제 막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데, 개인의 도덕적 해이로 인해 VC의 신뢰가 떨어지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일부 개인의 일탈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다. 스타트업 업계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2005년 이후 한국벤처투자가 출범하며 정부의 관리·감독 기능이 강화된 데다, 민간 영역에서는 액셀러레이터(AC)가 등장하며 밀접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스타트업 대표 중 대부분은 성실하게 회사 성장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일부 사례가 전체로 비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제도를 통한 보완보다는 개인의 자정 작용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한 벤처캐피털 관계자는 “대표자가 신의성실의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리스크를 관리하는 VC가 관리를 더 세게 할 수밖에 없다”며 “이는 결국 창업자의 활발한 창업 활동에 제재를 가하는 만큼 개인적인 자정 작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김정은 기자 (xbookleader@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투자금으로 코인 사고 파산 신청… ‘고의부도’ 스타트업에 뒤통수 맞는 VC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8-13
'역대급 불황' 건설업계…원청의 리스크 대응 전략은?
'역대급 불황' 건설업계…원청의 리스크 대응 전략은?
최근 국내 건설 경기는 말 그대로 진퇴양난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6월 발표한 '2025년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건설투자 성장률은 -6.1%로 예측됐다. 이는 1998년 외환위기 당시 -13.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는 임금 체불 규모에서도 드러나는데, 2021년까지 감소세를 보이던 건설업 임금 체불액은 건설 경기가 꺾인 2022년부터 증가세로 전환됐고 2023년에는 4363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가량 증가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현행 근로기준법은 건설 현장의 하도급 구조를 고려해 원청에 보다 더 무거운 책임을 부과하고 있다. 근로기준법 제44조의2가 대표적이다. 이 조항은 건설 사업자가 아닌 하수급인이 임금을 체불하더라도 그 직상 수급인이 역시 연대책임을 지도록 규정한다. 이는 원청에 직접적인 귀책사유가 없어도 책임을 묻는 '무과실 책임' 구조다. 이 때문에 원청은 직접 관리·감독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예측 불가능한 법적 리스크를 떠안게 된다.예를 들어 원청인 A건설사가 공사를 B사에 맡기고, B사가 다시 건설사업자로 등록되지 않은 인력업체 C사에게 하도급을 줬다고 가정해보자. 실질적으로 건설 근로자를 모집하고 관리하는 C사가 경영난으로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면, 그 책임은 C사와 계약한 B사를 넘어 최상위 원청인 A사에게까지 미치게 된다. A사로서는 직접적인 계약 관계도 없는 근로자들의 임금까지 책임져야 하는 족쇄를 차게 되는 셈이다.결국 이렇게 촘촘한 법적 책임망 속에서 원청이 살아남으려면, 단순히 계약서를 잘 쓰는 수준을 넘어 훨씬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어 수단이 필요하다. 다음 세 가지 방안은 반드시 고려해봐야 한다. 첫째, 하도급 대금 직불제를 적극 활용하는 것. 둘째, 물가 변동에 따른 단가 조정 프로세스를 명확히 확립하는 것. 마지막으로, 계약 전 하수급인의 재무 건전성을 꼼꼼히 검토하는 것이다.가장 먼저 하도급 대금 직불제는 원청이 하도급대금을 중간 수급자가 아닌 근로자나 자재·장비업자에게 직접 지급함으로써 임금체불이나 대금 미지급에 따른 법적 분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다. 더불어 민간 공사에서는 계약상 의무가 아니더라도, 직불제를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연대책임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자 출퇴근 시스템이나 모바일 임금관리 플랫폼을 병행해 근로자의 실제 투입일수·임금지급 내역을 실시간 확인하면, 지급 누락이나 지연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둘째, 공사 도중 설계 변경이나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하도급사의 부담이 커지는 경우 이를 반영한 단가 조정 프로세스를 사전에 마련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분기별마다 원가 검토 회의를 정례화하고, 자재 가격이 일정 기준 이상 상승하면 자동으로 단가 협상을 시작하도록 계약서에 명시하면, 공사비 증액 분쟁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위험도를 기반으로 단가 조정 모델을 도입해 위 같은 항목을 종합 점수화하면 보다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계약이 가능하다.마지막으로, 수급업체의 건설사업자 등록 여부와 재무 건전성을 철저히 검토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건설사업자 등록증 제출 의무화, 계약 필수 요건으로 임금 지급 보증보험 가입 설정 등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이는 단순히 법적 책임을 회피하는 차원을 넘어선다. 임금체불 연대책임은 원청의 재무제표 한 줄을 훼손하는 단발성 비용이 아니라, 장기적인 신뢰 손실과 브랜드 가치 하락으로 직결되는 중대한 경영 리스크기 때문이다. 건설업은 공사기간이 길고 이해관계자가 복잡하게 얽힌 만큼, 한 번의 체불 사태가 향후 수년간 수주 경쟁력과 금융 신용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예측 불가능한 재무적 손실을 막고, 현장과 조직, 그리고 시장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서는 '사전 예방'이야말로 최고의 방어 전략이자 유일한 생존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역대급 불황' 건설업계…원청의 리스크 대응 전략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8-13
'역대급 불황' 건설업계…원청의 리스크 대응 전략은?
'역대급 불황' 건설업계…원청의 리스크 대응 전략은?
최근 국내 건설 경기는 말 그대로 진퇴양난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6월 발표한 '2025년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건설투자 성장률은 -6.1%로 예측됐다. 이는 1998년 외환위기 당시 -13.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는 임금 체불 규모에서도 드러나는데, 2021년까지 감소세를 보이던 건설업 임금 체불액은 건설 경기가 꺾인 2022년부터 증가세로 전환됐고 2023년에는 4363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가량 증가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현행 근로기준법은 건설 현장의 하도급 구조를 고려해 원청에 보다 더 무거운 책임을 부과하고 있다. 근로기준법 제44조의2가 대표적이다. 이 조항은 건설 사업자가 아닌 하수급인이 임금을 체불하더라도 그 직상 수급인이 역시 연대책임을 지도록 규정한다. 이는 원청에 직접적인 귀책사유가 없어도 책임을 묻는 '무과실 책임' 구조다. 이 때문에 원청은 직접 관리·감독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예측 불가능한 법적 리스크를 떠안게 된다.예를 들어 원청인 A건설사가 공사를 B사에 맡기고, B사가 다시 건설사업자로 등록되지 않은 인력업체 C사에게 하도급을 줬다고 가정해보자. 실질적으로 건설 근로자를 모집하고 관리하는 C사가 경영난으로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면, 그 책임은 C사와 계약한 B사를 넘어 최상위 원청인 A사에게까지 미치게 된다. A사로서는 직접적인 계약 관계도 없는 근로자들의 임금까지 책임져야 하는 족쇄를 차게 되는 셈이다.결국 이렇게 촘촘한 법적 책임망 속에서 원청이 살아남으려면, 단순히 계약서를 잘 쓰는 수준을 넘어 훨씬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어 수단이 필요하다. 다음 세 가지 방안은 반드시 고려해봐야 한다. 첫째, 하도급 대금 직불제를 적극 활용하는 것. 둘째, 물가 변동에 따른 단가 조정 프로세스를 명확히 확립하는 것. 마지막으로, 계약 전 하수급인의 재무 건전성을 꼼꼼히 검토하는 것이다.가장 먼저 하도급 대금 직불제는 원청이 하도급대금을 중간 수급자가 아닌 근로자나 자재·장비업자에게 직접 지급함으로써 임금체불이나 대금 미지급에 따른 법적 분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다. 더불어 민간 공사에서는 계약상 의무가 아니더라도, 직불제를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연대책임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자 출퇴근 시스템이나 모바일 임금관리 플랫폼을 병행해 근로자의 실제 투입일수·임금지급 내역을 실시간 확인하면, 지급 누락이나 지연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둘째, 공사 도중 설계 변경이나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하도급사의 부담이 커지는 경우 이를 반영한 단가 조정 프로세스를 사전에 마련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분기별마다 원가 검토 회의를 정례화하고, 자재 가격이 일정 기준 이상 상승하면 자동으로 단가 협상을 시작하도록 계약서에 명시하면, 공사비 증액 분쟁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위험도를 기반으로 단가 조정 모델을 도입해 위 같은 항목을 종합 점수화하면 보다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계약이 가능하다.마지막으로, 수급업체의 건설사업자 등록 여부와 재무 건전성을 철저히 검토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건설사업자 등록증 제출 의무화, 계약 필수 요건으로 임금 지급 보증보험 가입 설정 등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이는 단순히 법적 책임을 회피하는 차원을 넘어선다. 임금체불 연대책임은 원청의 재무제표 한 줄을 훼손하는 단발성 비용이 아니라, 장기적인 신뢰 손실과 브랜드 가치 하락으로 직결되는 중대한 경영 리스크기 때문이다. 건설업은 공사기간이 길고 이해관계자가 복잡하게 얽힌 만큼, 한 번의 체불 사태가 향후 수년간 수주 경쟁력과 금융 신용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예측 불가능한 재무적 손실을 막고, 현장과 조직, 그리고 시장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서는 '사전 예방'이야말로 최고의 방어 전략이자 유일한 생존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역대급 불황' 건설업계…원청의 리스크 대응 전략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13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수급인의 허가 없이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의혹을 받던 건설업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전남 순천경찰서는 지난달 7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50대 건설회사 대표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2022년 한 건설사로부터 물류센터 신축공사에 대한 재하도급을 받은 뒤, 수급 업체 허가 없이 또 다른 시공업체에게 다시 하도급을 준 혐의를 받습니다.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 제3항에 따르면 재하도급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지만, 시공상의 능률을 높일 필요가 있을 땐 수급인의 서면 승낙을 받아 예외적으로 재하도급이 가능합니다.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A씨가 재하도급 과정에서 서면 승낙을 받지 않았다고 보고 관계 기관에 고발을 의뢰했습니다.A씨는 재하도급 계약을 할 때 수급 업체에서 대금 미지급 상황 발생 시 변제 방법에 대해 합의한 대금지불보증서를 받았는데, 이것이 사실상 서면 승낙에 해당한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경찰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경찰은 "건설산업기본법은 하도급을 금지하면서 예외 요건으로 서면 동의를 받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동의를 위한 양식이나 형식까지 규정하고 있지 않다"며 "보증서에 기재된 내용에도 수급 업체가 재하도급임을 알고 승인했다는 것이 확인되기에 피의자의 혐의를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봤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오상완 변호사는 "건설산업기본법에는 '서면으로 동의할 것'만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묵시적 동의 또한 허용될 여지가 있다"며 "비록 보증서에 '하도급에 동의한다'는 내용이 직접적으로 기재돼 있지 않더라도 이에 동의하는 의사가 포함돼 있었기에 서면 동의 의무를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13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수급인의 허가 없이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의혹을 받던 건설업자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전남 순천경찰서는 지난달 7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50대 건설회사 대표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2022년 한 건설사로부터 물류센터 신축공사에 대한 재하도급을 받은 뒤, 수급 업체 허가 없이 또 다른 시공업체에게 다시 하도급을 준 혐의를 받습니다.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 제3항에 따르면 재하도급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지만, 시공상의 능률을 높일 필요가 있을 땐 수급인의 서면 승낙을 받아 예외적으로 재하도급이 가능합니다.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A씨가 재하도급 과정에서 서면 승낙을 받지 않았다고 보고 관계 기관에 고발을 의뢰했습니다.A씨는 재하도급 계약을 할 때 수급 업체에서 대금 미지급 상황 발생 시 변제 방법에 대해 합의한 대금지불보증서를 받았는데, 이것이 사실상 서면 승낙에 해당한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경찰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경찰은 "건설산업기본법은 하도급을 금지하면서 예외 요건으로 서면 동의를 받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동의를 위한 양식이나 형식까지 규정하고 있지 않다"며 "보증서에 기재된 내용에도 수급 업체가 재하도급임을 알고 승인했다는 것이 확인되기에 피의자의 혐의를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봤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오상완 변호사는 "건설산업기본법에는 '서면으로 동의할 것'만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묵시적 동의 또한 허용될 여지가 있다"며 "비록 보증서에 '하도급에 동의한다'는 내용이 직접적으로 기재돼 있지 않더라도 이에 동의하는 의사가 포함돼 있었기에 서면 동의 의무를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12
페이퍼컴퍼니 차려서 거짓 세금계산서 발급한 남성, 무죄
페이퍼컴퍼니 차려서 거짓 세금계산서 발급한 남성, 무죄
검찰 “조세 회피 위해 페이퍼컴퍼니 세운 것”…A씨 “운영 이어나갔다” 항변계약서·거래대금 명세서·출고내역 등 서류 구체적으로 작성돼 무죄 판결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해 거짓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법무법인 대륜은 수원지방법원 제11형사부가 지난달 11일 허위세금계산서교부 등의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12일 밝혔다.A씨는 지난 2021년 조세를 회피하기 위해 용역이나 재화를 공급하지 않는, 이른바 ‘폭탄 업체’를 설립하고 33억원 가량의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발급한 혐의를 받았다.이에 대해 A씨는 탈세 목적이 없었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납품 형태를 개인 사업자에서 법인으로 바꾸기 위해 회사를 새로 세웠으나 도급 업체가 계약을 보류했고, 이에 기존 사업장이 신설 회사와 하도급 계약을 맺는 방식으로 운영을 이어갔을 뿐이라는 것이 A씨의 항변이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재판부는 A씨가 기존 사업장과 같은 건물, 같은 층에 법인 회사를 차리고 용역 업무를 주고 받은 점이 도급 업체에 제공한 용역과 같아 피고인이 실제 공급 없이 세금계산서를 발급했다는 의심이 든다면서도, 하도급 계약서, 건물 임대차 계약서와 함께 매월 거래대금 명세서와 구체적인 출고내역 등의 서류들이 구체적으로 작성된 점을 들어 무죄 판결을 내렸다.아울러 재판부는 “법인회사에 채용된 직원들은 도급업체에서 받은 업무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납품까지 실제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무죄 선고의 배경을 설명했다.A씨의 변호를 맡은 박규석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실물거래가 있다는 것은 당사자 사이에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기로 하는 법적 합의가 있음을 의미한다”며 “A씨가 설립한 회사가 독립적인 업체였고, 도급 대금을 청구할 때 제출하는 서류에 월간 생산량 및 단가가 특정돼있다는 점을 토대로 합의가 존재했다는 내용을 강조해 실물거래가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채령 기자 (cha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페이퍼컴퍼니 차려서 거짓 세금계산서 발급한 남성, 무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12
페이퍼컴퍼니 차려서 거짓 세금계산서 발급한 남성, 무죄
페이퍼컴퍼니 차려서 거짓 세금계산서 발급한 남성, 무죄
검찰 “조세 회피 위해 페이퍼컴퍼니 세운 것”…A씨 “운영 이어나갔다” 항변계약서·거래대금 명세서·출고내역 등 서류 구체적으로 작성돼 무죄 판결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해 거짓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법무법인 대륜은 수원지방법원 제11형사부가 지난달 11일 허위세금계산서교부 등의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12일 밝혔다.A씨는 지난 2021년 조세를 회피하기 위해 용역이나 재화를 공급하지 않는, 이른바 ‘폭탄 업체’를 설립하고 33억원 가량의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발급한 혐의를 받았다.이에 대해 A씨는 탈세 목적이 없었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납품 형태를 개인 사업자에서 법인으로 바꾸기 위해 회사를 새로 세웠으나 도급 업체가 계약을 보류했고, 이에 기존 사업장이 신설 회사와 하도급 계약을 맺는 방식으로 운영을 이어갔을 뿐이라는 것이 A씨의 항변이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재판부는 A씨가 기존 사업장과 같은 건물, 같은 층에 법인 회사를 차리고 용역 업무를 주고 받은 점이 도급 업체에 제공한 용역과 같아 피고인이 실제 공급 없이 세금계산서를 발급했다는 의심이 든다면서도, 하도급 계약서, 건물 임대차 계약서와 함께 매월 거래대금 명세서와 구체적인 출고내역 등의 서류들이 구체적으로 작성된 점을 들어 무죄 판결을 내렸다.아울러 재판부는 “법인회사에 채용된 직원들은 도급업체에서 받은 업무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납품까지 실제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무죄 선고의 배경을 설명했다.A씨의 변호를 맡은 박규석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실물거래가 있다는 것은 당사자 사이에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기로 하는 법적 합의가 있음을 의미한다”며 “A씨가 설립한 회사가 독립적인 업체였고, 도급 대금을 청구할 때 제출하는 서류에 월간 생산량 및 단가가 특정돼있다는 점을 토대로 합의가 존재했다는 내용을 강조해 실물거래가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채령 기자 (cha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페이퍼컴퍼니 차려서 거짓 세금계산서 발급한 남성, 무죄 (바로가기)
머니S
2025-08-12
미국 진출한 기업들 규제·소송 '발목'… K로펌 해외 진출 '속도'
미국 진출한 기업들 규제·소송 '발목'… K로펌 해외 진출 '속도'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강화 이후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와 미국 시장 진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의 복잡한 법적 규제로 난항을 겪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국내 로펌들이 미국 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법률 자문 서비스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12일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누적 투자액은 2014년 약 400억달러(약 55조원)에서 2023년 1300억달러(약 181조원)로 크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미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수도 1만1101개사에서 1만5876개사로 약 43% 증가했다.전문가들은 성공적인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법률 전문가의 조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조사 결과 중견기업들은 수출 시장의 애로사항으로 원자재 비용 상승과 더불어 수출 대상국의 수입 규제 및 통관 등 현지 법률 적용 문제를 꼽았다.한 IT 기업 관계자는 "별도 자문 없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다 개인정보와 특허 관련 법적 이슈에 직면해 서비스 오픈이 지연됐다"고 밝혔다.글로벌 전략연구가는 "미국은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규제가 다층적으로 얽혀있어 국내 기업이 홀로 대응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계약 과정부터 지식재산권, 개인정보 보호 등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초기 단계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이러한 흐름에 맞춰 국내 로펌들도 미국 시장 진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올해 3월 미국 부동산 플랫폼 기업 '코리니'(Koriny)와 MOU를 체결하고, 7월부터는 미국 지식재산권 전문 로펌 '브릿지웨이 IP 법률사무소'와 협력하며 특허 출원 및 IP 라이선싱 실무를 지원하고 있다. 뉴욕 맨해튼 원월드트레이드센터(1WTC)에 사무소 개소도 앞두고 있다.법무법인 대륙아주는 2022년 미국 워싱턴에 사무소를 개소했으며 법무법인 율촌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비해 국제통상, 국제조세, 관세팀을 통상산업전문팀으로 확대 개편했다. 법무법인 디엘지도 올해 초 실리콘밸리에 미국 사무소를 개소하며 법률 서비스 지원에 나섰다.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같은 복잡한 규제 체계에서는 단순한 계약서 검토만으로는 성공적인 진출이 어렵다"며 "초기 단계부터 현지 법률에 능통하고 실무 경험을 갖춘 로펌의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미국 진출한 기업들 규제·소송 '발목'… K로펌 해외 진출 '속도' (바로가기)
머니S
2025-08-12
미국 진출한 기업들 규제·소송 '발목'… K로펌 해외 진출 '속도'
미국 진출한 기업들 규제·소송 '발목'… K로펌 해외 진출 '속도'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강화 이후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와 미국 시장 진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의 복잡한 법적 규제로 난항을 겪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국내 로펌들이 미국 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법률 자문 서비스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12일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누적 투자액은 2014년 약 400억달러(약 55조원)에서 2023년 1300억달러(약 181조원)로 크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미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수도 1만1101개사에서 1만5876개사로 약 43% 증가했다.전문가들은 성공적인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법률 전문가의 조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조사 결과 중견기업들은 수출 시장의 애로사항으로 원자재 비용 상승과 더불어 수출 대상국의 수입 규제 및 통관 등 현지 법률 적용 문제를 꼽았다.한 IT 기업 관계자는 "별도 자문 없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다 개인정보와 특허 관련 법적 이슈에 직면해 서비스 오픈이 지연됐다"고 밝혔다.글로벌 전략연구가는 "미국은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규제가 다층적으로 얽혀있어 국내 기업이 홀로 대응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계약 과정부터 지식재산권, 개인정보 보호 등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초기 단계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이러한 흐름에 맞춰 국내 로펌들도 미국 시장 진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올해 3월 미국 부동산 플랫폼 기업 '코리니'(Koriny)와 MOU를 체결하고, 7월부터는 미국 지식재산권 전문 로펌 '브릿지웨이 IP 법률사무소'와 협력하며 특허 출원 및 IP 라이선싱 실무를 지원하고 있다. 뉴욕 맨해튼 원월드트레이드센터(1WTC)에 사무소 개소도 앞두고 있다.법무법인 대륙아주는 2022년 미국 워싱턴에 사무소를 개소했으며 법무법인 율촌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비해 국제통상, 국제조세, 관세팀을 통상산업전문팀으로 확대 개편했다. 법무법인 디엘지도 올해 초 실리콘밸리에 미국 사무소를 개소하며 법률 서비스 지원에 나섰다.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같은 복잡한 규제 체계에서는 단순한 계약서 검토만으로는 성공적인 진출이 어렵다"며 "초기 단계부터 현지 법률에 능통하고 실무 경험을 갖춘 로펌의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미국 진출한 기업들 규제·소송 '발목'… K로펌 해외 진출 '속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8-12
“고금리 갈아타세요”…‘작업 대출’에 은행계좌 넘긴 30대 男 무죄
“고금리 갈아타세요”…‘작업 대출’에 은행계좌 넘긴 30대 男 무죄
계좌번호·공인인증서 등 대여 혐의재판부 “범죄 사실 인식하지 못해”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자신의 통장 계좌번호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을 알려준 회사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은 지난달 16일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남성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3년 11월 보이스피싱 조직원에게 자신의 접근 매체를 대여한 혐의를 받았다.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르면 접근 매체는 신용카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 전자금융거래에서 거래 지시가 가능한 수단이나 정보를 의미한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대출을 문의하는 과정에서 성명불상의 담당자로부터 “대출 한도를 키우려면 현금 보유량을 늘려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고, 이를 위해서는 주식을 사고파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해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대출이 실행되면 원금의 5%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지급하기로 약속했을 뿐, 대출의 대가로 비밀번호 등을 제공한 건 아니었다”고 했다.재판부는 무죄를 선고했다. 문제가 된 이 사건 접근 매체는 대출 기회 제공의 대가로 제공된 것이 아니라, 약속한 대출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됐을 뿐이라는 취지다.재판부는 또 “피고인이 대부업체 대출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위 과정의 추가 행위가 필요하다고 믿었을 여지도 충분하며, 추후 자발적으로 경찰에 찾아와 상황을 파악하는 등 증명 파악을 위해 노력했다”고 덧붙였다.A 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낙형 변호사는 “접근 매체 대여죄가 성립하려면 피의자가 대여에 상응하는 경제적 이익을 수수하거나 그런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A 씨의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통해, A 씨가 대출 실행 과정에서도 불법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등 범죄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점을 강조해 무죄를 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고금리 갈아타세요”…‘작업 대출’에 은행계좌 넘긴 30대 男 무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8-12
“고금리 갈아타세요”…‘작업 대출’에 은행계좌 넘긴 30대 男 무죄
“고금리 갈아타세요”…‘작업 대출’에 은행계좌 넘긴 30대 男 무죄
계좌번호·공인인증서 등 대여 혐의재판부 “범죄 사실 인식하지 못해”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자신의 통장 계좌번호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을 알려준 회사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은 지난달 16일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남성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3년 11월 보이스피싱 조직원에게 자신의 접근 매체를 대여한 혐의를 받았다.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르면 접근 매체는 신용카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 전자금융거래에서 거래 지시가 가능한 수단이나 정보를 의미한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대출을 문의하는 과정에서 성명불상의 담당자로부터 “대출 한도를 키우려면 현금 보유량을 늘려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고, 이를 위해서는 주식을 사고파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해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대출이 실행되면 원금의 5%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지급하기로 약속했을 뿐, 대출의 대가로 비밀번호 등을 제공한 건 아니었다”고 했다.재판부는 무죄를 선고했다. 문제가 된 이 사건 접근 매체는 대출 기회 제공의 대가로 제공된 것이 아니라, 약속한 대출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됐을 뿐이라는 취지다.재판부는 또 “피고인이 대부업체 대출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위 과정의 추가 행위가 필요하다고 믿었을 여지도 충분하며, 추후 자발적으로 경찰에 찾아와 상황을 파악하는 등 증명 파악을 위해 노력했다”고 덧붙였다.A 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낙형 변호사는 “접근 매체 대여죄가 성립하려면 피의자가 대여에 상응하는 경제적 이익을 수수하거나 그런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A 씨의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통해, A 씨가 대출 실행 과정에서도 불법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등 범죄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점을 강조해 무죄를 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고금리 갈아타세요”…‘작업 대출’에 은행계좌 넘긴 30대 男 무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12
법무법인 대륜, '대륜 사칭 사기' 피해자 돕는다
법무법인 대륜, '대륜 사칭 사기' 피해자 돕는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자신들을 사칭한 범죄로 피해를 입은 청년을 위해 법률 지원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11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 사기 피해를 입은 20대 A씨의 위임을 받아 대구 성서경찰서에 변호인 선임서를 제출했습니다.A씨는 올해 6월경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을 통해 명품 가방을 처분하던 중 사기 피해를 입었습니다.신원 미상의 구매자는 A씨에게 외부 채널을 통한 거래를 유도했고, 당시 상품의 빠른 처분이 필요했던 A씨는 제안에 응했다 800만 원에 달하는 사기를 당했습니다.문제는 법적 대응을 위해 로펌을 찾던 중 A씨가 대륜을 사칭한 사기범에 또 피해를 입게 됐다는 점입니다.상대방은 대륜 상담원을 가장해 민·형사 사건 수임을 빌미로 금전을 편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A씨의 안타까운 사연을 접한 대륜은 A씨의 사건을 맡아 법률적 지원에 나서기로 결정했습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대륜 광주 분사무소 고영경 변호사는 "사기 피해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던 A씨가 당 법인을 사칭한 사칭범에 2차 피해까지 입게 됐다는 사연을 듣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추가적인 절차 등에 만전을 기해 A씨의 억울함을 풀어드리고 싶다"고 전했습니다.대륜은 앞으로도 A씨와 같이 대륜을 사칭한 범죄 피해자를 포함한 법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 소외계층을 위해 다양한 법률 지원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대륜 사칭 사기' 피해자 돕는다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12
법무법인 대륜, '대륜 사칭 사기' 피해자 돕는다
법무법인 대륜, '대륜 사칭 사기' 피해자 돕는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자신들을 사칭한 범죄로 피해를 입은 청년을 위해 법률 지원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11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 사기 피해를 입은 20대 A씨의 위임을 받아 대구 성서경찰서에 변호인 선임서를 제출했습니다.A씨는 올해 6월경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을 통해 명품 가방을 처분하던 중 사기 피해를 입었습니다.신원 미상의 구매자는 A씨에게 외부 채널을 통한 거래를 유도했고, 당시 상품의 빠른 처분이 필요했던 A씨는 제안에 응했다 800만 원에 달하는 사기를 당했습니다.문제는 법적 대응을 위해 로펌을 찾던 중 A씨가 대륜을 사칭한 사기범에 또 피해를 입게 됐다는 점입니다.상대방은 대륜 상담원을 가장해 민·형사 사건 수임을 빌미로 금전을 편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A씨의 안타까운 사연을 접한 대륜은 A씨의 사건을 맡아 법률적 지원에 나서기로 결정했습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대륜 광주 분사무소 고영경 변호사는 "사기 피해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던 A씨가 당 법인을 사칭한 사칭범에 2차 피해까지 입게 됐다는 사연을 듣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추가적인 절차 등에 만전을 기해 A씨의 억울함을 풀어드리고 싶다"고 전했습니다.대륜은 앞으로도 A씨와 같이 대륜을 사칭한 범죄 피해자를 포함한 법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 소외계층을 위해 다양한 법률 지원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대륜 사칭 사기' 피해자 돕는다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11
"살쪘어? 위고비 맞으러 가자".. 주사로 살 빼는 시대, 위고비 열풍의 명암 [주말의 디깅]
"살쪘어? 위고비 맞으러 가자".. 주사로 살 빼는 시대, 위고비 열풍의 명암 [주말의 디깅]
세계보건기구(WHO)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한 것은 1994년이다. 이후 수많은 치료제가 등장했지만, 체중 감량 효과만큼이나 부작용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그러던 중 ‘기적의 주사’로 불리는 위고비가 등장하며 판도가 달라졌다. 탁월한 감량 효과와 간편한 사용 방식으로 주목받으며, ‘약으로 체중을 관리하는 시대’라는 인식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번주는 위고비로 시작된 비만약 대중화와 그 이면에 가려진 그림자를 ‘디깅’해봤다. 효과보다 부작용이 컸던 과거의 비만약 인류 최초의 비만 치료제는 1933년 등장한 디니트로페놀(DNP)이었다. 대사량을 인위적으로 높여 체중을 줄이는 효과가 뛰어났던 이 약은 체온 상승, 탈수, 장기 손상 등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돼 현재는 독극물로 분류된다.1950년대에는 교감신경을 자극하거나 중추신경을 흥분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펜터민 등의 약물이 인기를 끌었다. 펜터민은 국내에서 '나비약'으로 불린 약으로, 뛰어난 식욕 억제 효과로 각광받았지만, 장기 복용시 입 마름, 조급증을 넘어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 걸리는 등의 부작용이 적지 않아 FDA에서 단기 사용만 허가 받았다.1990년대에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이 주류를 이뤘다. 펜플루라민과 덱스펜플루라민은 강력한 식욕 억제 효과로 인기를 끌었지만, 이후 심장 판막 질환 등 심각한 심혈관계 부작용이 보고됐다. 2010년대에 등장한 벨빅 역시 식욕 억제와 포만감 유도 효과로 주목받았으나, 장기 복용 시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돼 시장에서 퇴출됐다. 다이어트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꾼 위고비 새로운 비만 치료제의 출발점은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된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유사체다. 이 호르몬은 음식 섭취 시 장에서 분비돼 췌장의 인슐린 생성을 촉진하고 혈당을 낮춘다. 동시에 위 배출을 늦춰 포만감을 높이고 식욕을 억제하는데, 이 작용이 비만 치료의 실마리가 됐다. GLP-1 유사체는 기존 펜터민 등 식욕억제제가 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하는 방식과 달리, 자연 호르몬을 모방해 중독성과 금단 위험이 낮다.이 계열의 첫 비만 치료제는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타이드)로, 2018년 국내 출시됐지만 반감기가 24시간에 불과해 매일 주사를 맞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후 등장한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는 주 1회 투여만으로도 더 큰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이며 편의성을 크게 높였고, 비만 치료제 시장의 판을 바꿨다.위고비는 지난해 10월 국내 발매 후 6개월 만에 시장을 장악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올 1분기 비만약 시장 규모는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으며, 이 중 위고비 매출이 794억원으로 점유율 73.2%를 차지했다. 위고비 대중화의 그늘 ①오·남용 위고비의 치솟는 인기와 함께 오·남용 사례도 급증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위고비는 BMI 30 이상이거나 BMI 27 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 동반질환이 있는 고도비만 환자에게만 의사의 처방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정상 체중의 사람들도 병원에서 처방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6월 성명에서 "위고비는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엄격한 투여 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용 목적 등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며 "복지부가 위고비 오처방 현황에 대한 공식 집계조차 하지 않아 국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위고비 대중화의 그늘 ②불법유통 불법 유통 문제 역시 심각한 상황이다. 온라인상에서 처방 기준을 무시한 불법 판매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2024년 10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적발한 위고비 온라인 불법 판매 및 알선 광고 건수만 62건에 이른다. 비만치료제 불법 거래는 카페·블로그 184건(51.3%), 온라인 게시판 81건(22.6%), 카카오톡 등 SNS 32건(8.9%), 중고 거래 플랫폼 31건(8.6%), 온라인 판매사이트(8.6%) 등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특히 카카오톡 오픈채팅방과 인스타그램 DM 등에서는 여전히 ‘정품 위고비 공유’, ‘처방 없이 구매 가능’, ‘해외 직구 대행’ 등의 문구가 공공연히 유통되고 있다. 이들은 정품 이미지를 악용해 신뢰를 얻고, 개인 계좌 송금 방식 등 교묘한 수법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고비 대중화의 그늘 ③유사제품 위고비의 인기에 편승한 유사제품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유튜브, 네이버 블로그, SNS 쇼핑몰 등에서는 ‘필름형 위X비’, ‘경구용 GLP-1’ 등의 문구를 내건 광고가 손쉽게 검색된다.문제는 이들 제품 대부분이 위고비의 핵심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성분표를 살펴보면 유산균, 녹차추출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등 건강기능식품 수준의 원료만 포함된 경우가 많다.전문가들은 이러한 광고가 소비자에게 혼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약사 출신 이일형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위고비와 유사한 효과를 내는 것처럼 혼동을 유도해 판매를 유도하는 경우, 식품표시광고법상 소비자 기만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보다 정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작용 없이 살 빼는 약은 없다 최근 위고비보다 더 강력한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진 차세대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이달 중순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터제파타이드는 GLP-1만 활성화하는 세마글루타이드와 달리 GLP 수용체까지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 작용제로 임상시험에서 위고비보다 높은 체중 감소율을 기록했다.하지만 GLP-1 계열 역시 부작용의 안전지대는 아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위고비가 국내 시판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143건 이상의 부작용이 보고됐다. 유럽의약품청은 드물지만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 가능성을 경고했고, 영국의약품안전청 자료에서도 같은 계열 약물 전반에서 약 400건의 급성 췌장염 사례가 집계됐다.전문가들은 비만약 사용에 앞서 반드시 득과 실을 따져봐야 한다고 경고한다. 최형진 서울대 의과학과 교수는 "위고비는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고, 심혈관 질환 개선 효과가 있어 필요한 환자에게는 유용한 약"이라면서도 "부작용 중 특히 근육량 감소가 문제인데, 기준 이상으로 줄면 건강에 해롭다. 미용 목적 사용은 득보다 실이 크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건강을 희생하면서까지 미용을 추구하지 않길 바란다"며 "미용 목적 처방을 요구하는 환자에게 약을 내주는 일부 의사들도 환자 건강을 우선하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민서 기자 (sms@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살쪘어? 위고비 맞으러 가자".. 주사로 살 빼는 시대, 위고비 열풍의 명암 [주말의 디깅]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8-11
"살쪘어? 위고비 맞으러 가자".. 주사로 살 빼는 시대, 위고비 열풍의 명암 [주말의 디깅]
"살쪘어? 위고비 맞으러 가자".. 주사로 살 빼는 시대, 위고비 열풍의 명암 [주말의 디깅]
세계보건기구(WHO)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한 것은 1994년이다. 이후 수많은 치료제가 등장했지만, 체중 감량 효과만큼이나 부작용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그러던 중 ‘기적의 주사’로 불리는 위고비가 등장하며 판도가 달라졌다. 탁월한 감량 효과와 간편한 사용 방식으로 주목받으며, ‘약으로 체중을 관리하는 시대’라는 인식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번주는 위고비로 시작된 비만약 대중화와 그 이면에 가려진 그림자를 ‘디깅’해봤다. 효과보다 부작용이 컸던 과거의 비만약 인류 최초의 비만 치료제는 1933년 등장한 디니트로페놀(DNP)이었다. 대사량을 인위적으로 높여 체중을 줄이는 효과가 뛰어났던 이 약은 체온 상승, 탈수, 장기 손상 등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돼 현재는 독극물로 분류된다.1950년대에는 교감신경을 자극하거나 중추신경을 흥분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펜터민 등의 약물이 인기를 끌었다. 펜터민은 국내에서 '나비약'으로 불린 약으로, 뛰어난 식욕 억제 효과로 각광받았지만, 장기 복용시 입 마름, 조급증을 넘어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 걸리는 등의 부작용이 적지 않아 FDA에서 단기 사용만 허가 받았다.1990년대에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이 주류를 이뤘다. 펜플루라민과 덱스펜플루라민은 강력한 식욕 억제 효과로 인기를 끌었지만, 이후 심장 판막 질환 등 심각한 심혈관계 부작용이 보고됐다. 2010년대에 등장한 벨빅 역시 식욕 억제와 포만감 유도 효과로 주목받았으나, 장기 복용 시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돼 시장에서 퇴출됐다. 다이어트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꾼 위고비 새로운 비만 치료제의 출발점은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된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유사체다. 이 호르몬은 음식 섭취 시 장에서 분비돼 췌장의 인슐린 생성을 촉진하고 혈당을 낮춘다. 동시에 위 배출을 늦춰 포만감을 높이고 식욕을 억제하는데, 이 작용이 비만 치료의 실마리가 됐다. GLP-1 유사체는 기존 펜터민 등 식욕억제제가 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하는 방식과 달리, 자연 호르몬을 모방해 중독성과 금단 위험이 낮다.이 계열의 첫 비만 치료제는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타이드)로, 2018년 국내 출시됐지만 반감기가 24시간에 불과해 매일 주사를 맞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후 등장한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는 주 1회 투여만으로도 더 큰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이며 편의성을 크게 높였고, 비만 치료제 시장의 판을 바꿨다.위고비는 지난해 10월 국내 발매 후 6개월 만에 시장을 장악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올 1분기 비만약 시장 규모는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으며, 이 중 위고비 매출이 794억원으로 점유율 73.2%를 차지했다. 위고비 대중화의 그늘 ①오·남용 위고비의 치솟는 인기와 함께 오·남용 사례도 급증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위고비는 BMI 30 이상이거나 BMI 27 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 동반질환이 있는 고도비만 환자에게만 의사의 처방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정상 체중의 사람들도 병원에서 처방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6월 성명에서 "위고비는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엄격한 투여 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용 목적 등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며 "복지부가 위고비 오처방 현황에 대한 공식 집계조차 하지 않아 국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위고비 대중화의 그늘 ②불법유통 불법 유통 문제 역시 심각한 상황이다. 온라인상에서 처방 기준을 무시한 불법 판매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2024년 10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적발한 위고비 온라인 불법 판매 및 알선 광고 건수만 62건에 이른다. 비만치료제 불법 거래는 카페·블로그 184건(51.3%), 온라인 게시판 81건(22.6%), 카카오톡 등 SNS 32건(8.9%), 중고 거래 플랫폼 31건(8.6%), 온라인 판매사이트(8.6%) 등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특히 카카오톡 오픈채팅방과 인스타그램 DM 등에서는 여전히 ‘정품 위고비 공유’, ‘처방 없이 구매 가능’, ‘해외 직구 대행’ 등의 문구가 공공연히 유통되고 있다. 이들은 정품 이미지를 악용해 신뢰를 얻고, 개인 계좌 송금 방식 등 교묘한 수법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고비 대중화의 그늘 ③유사제품 위고비의 인기에 편승한 유사제품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유튜브, 네이버 블로그, SNS 쇼핑몰 등에서는 ‘필름형 위X비’, ‘경구용 GLP-1’ 등의 문구를 내건 광고가 손쉽게 검색된다.문제는 이들 제품 대부분이 위고비의 핵심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성분표를 살펴보면 유산균, 녹차추출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등 건강기능식품 수준의 원료만 포함된 경우가 많다.전문가들은 이러한 광고가 소비자에게 혼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약사 출신 이일형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위고비와 유사한 효과를 내는 것처럼 혼동을 유도해 판매를 유도하는 경우, 식품표시광고법상 소비자 기만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보다 정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작용 없이 살 빼는 약은 없다 최근 위고비보다 더 강력한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진 차세대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이달 중순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터제파타이드는 GLP-1만 활성화하는 세마글루타이드와 달리 GLP 수용체까지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 작용제로 임상시험에서 위고비보다 높은 체중 감소율을 기록했다.하지만 GLP-1 계열 역시 부작용의 안전지대는 아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위고비가 국내 시판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143건 이상의 부작용이 보고됐다. 유럽의약품청은 드물지만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 가능성을 경고했고, 영국의약품안전청 자료에서도 같은 계열 약물 전반에서 약 400건의 급성 췌장염 사례가 집계됐다.전문가들은 비만약 사용에 앞서 반드시 득과 실을 따져봐야 한다고 경고한다. 최형진 서울대 의과학과 교수는 "위고비는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고, 심혈관 질환 개선 효과가 있어 필요한 환자에게는 유용한 약"이라면서도 "부작용 중 특히 근육량 감소가 문제인데, 기준 이상으로 줄면 건강에 해롭다. 미용 목적 사용은 득보다 실이 크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건강을 희생하면서까지 미용을 추구하지 않길 바란다"며 "미용 목적 처방을 요구하는 환자에게 약을 내주는 일부 의사들도 환자 건강을 우선하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민서 기자 (sms@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살쪘어? 위고비 맞으러 가자".. 주사로 살 빼는 시대, 위고비 열풍의 명암 [주말의 디깅]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8-11
변호사가 설명하는 군징계와 대응법
변호사가 설명하는 군징계와 대응법
군대는 특수한 규율과 위계질서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조직이다. 지휘 체계가 명확하고 명령에 대한 절대적 복종을 전제로 하며 구성원 모두가 집단 생활을 통해 질서와 기강을 유지한다. 이같은 특성 탓에 복무 중 발생하는 다양한 위반 행위에 대한 징계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징계 수위는 비행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병사의 경우 견책, 근신, 휴가 제한, 감봉, 군기교육, 강등 처분을 받게 된다. 반면 직업군인은 견책, 근신, 감봉 등 경징계부터 정직, 강등, 해임, 파면 등 보다 강한 중징계의 제재를 받는다.군인사법은 군인이 직무상 의무를 위반하거나 태만히 했을 경우 징계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지시 불이행, 상관 모욕, 명령 거부와 같은 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아울러 음주운전, 외도, 부적절한 SNS 사용 등 직무와 연관이 없는 사안이라 하더라도 품위 유지 위반으로 판단되면 징계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주로 폭행, 성범죄, 음주운전과 같이 형사 처벌을 받았을 때 문제가 되는데, 가령 군인이 음주운전을 저지르면 도로교통법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는 것은 물론, 품위 유지 의무 위반으로 징계 처분도 함께 받게 된다. 특히나 요즘은 불륜이나 부적절한 SNS 사용과 같은 사적 영역에서의 문제도 중징계를 받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고 있는 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군징계는 단순히 복무 자체의 영향에만 그치지 않는다. 특히 직업군인의 경우 징계 기록은 진급, 보직 등 군 경력 전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견책, 근신, 감봉과 같은 경징계만 받더라도 진급 누락이나 장기복무 심사 탈락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중징계인 정직 이상을 받게 되면 경력이 사실상 중단된다. 현역복무부적합 심사를 받아야 할 뿐 아니라, 해임과 파면 처분시에는 각각 3년, 5년간 공직 취업 제한 대상에 포함되며 퇴직금도 25%, 50% 감액된다. 군 복무 자체가 커리어의 핵심인 직업군인에게 군징계는 생애 전체 진로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수 있는 것이다.일반 병사의 경우 복무기간이 정해져 있어 군징계를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중징계인 '강등' 처분을 받아 상병 전역을 하게 되면 일부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등 장기적으로 불리한 낙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넘길 문제가 아니다.군징계 절차는 사실조사를 거친 후 징계심의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징계 대상자는 심의에 앞서 충분한 소명자료를 제출할 권리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본인의 행위가 징계 사유에 해당하지 않거나 정상참작 사유가 있다는 점을 주장할 수 있다.만약 징계위원회에서 내려진 처분이 불합리하다 생각한다면 항고를 통해 구제 절차를 밟을 수 있다. 항고 제기는 처분 통보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제기해야 하며 심사 결과 징계 처분이 위법·부당하다고 인정되면 이를 번복하거나 감경받을 수 있다.항고 이후에도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면 행정소송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 특히 파면·해임·강등 등 중징계를 받은 경우 징계취소소송을 제기해 법원의 판단을 받아볼 필요성이 더욱 크다 할 것이다. 이 경우 법원은 징계 사유의 사실관계, 징계 절차의 적법성, 양정의 비례성 및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춘천 법무법인 대륜 서인호 변호사는 "징계 위기에 처했다면 초기부터 군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징계심의 과정에서 모든 소명자료를 충분히 준비해 자신의 권리와 절차적 정당성에 기반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좋다"며 "피해자와의 합의가 필요한 사건의 경우 2차 가해 문제로 인해 군전문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설명하는 군징계와 대응법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8-11
변호사가 설명하는 군징계와 대응법
변호사가 설명하는 군징계와 대응법
군대는 특수한 규율과 위계질서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조직이다. 지휘 체계가 명확하고 명령에 대한 절대적 복종을 전제로 하며 구성원 모두가 집단 생활을 통해 질서와 기강을 유지한다. 이같은 특성 탓에 복무 중 발생하는 다양한 위반 행위에 대한 징계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징계 수위는 비행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병사의 경우 견책, 근신, 휴가 제한, 감봉, 군기교육, 강등 처분을 받게 된다. 반면 직업군인은 견책, 근신, 감봉 등 경징계부터 정직, 강등, 해임, 파면 등 보다 강한 중징계의 제재를 받는다.군인사법은 군인이 직무상 의무를 위반하거나 태만히 했을 경우 징계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지시 불이행, 상관 모욕, 명령 거부와 같은 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아울러 음주운전, 외도, 부적절한 SNS 사용 등 직무와 연관이 없는 사안이라 하더라도 품위 유지 위반으로 판단되면 징계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주로 폭행, 성범죄, 음주운전과 같이 형사 처벌을 받았을 때 문제가 되는데, 가령 군인이 음주운전을 저지르면 도로교통법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는 것은 물론, 품위 유지 의무 위반으로 징계 처분도 함께 받게 된다. 특히나 요즘은 불륜이나 부적절한 SNS 사용과 같은 사적 영역에서의 문제도 중징계를 받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고 있는 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군징계는 단순히 복무 자체의 영향에만 그치지 않는다. 특히 직업군인의 경우 징계 기록은 진급, 보직 등 군 경력 전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견책, 근신, 감봉과 같은 경징계만 받더라도 진급 누락이나 장기복무 심사 탈락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중징계인 정직 이상을 받게 되면 경력이 사실상 중단된다. 현역복무부적합 심사를 받아야 할 뿐 아니라, 해임과 파면 처분시에는 각각 3년, 5년간 공직 취업 제한 대상에 포함되며 퇴직금도 25%, 50% 감액된다. 군 복무 자체가 커리어의 핵심인 직업군인에게 군징계는 생애 전체 진로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수 있는 것이다.일반 병사의 경우 복무기간이 정해져 있어 군징계를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중징계인 '강등' 처분을 받아 상병 전역을 하게 되면 일부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등 장기적으로 불리한 낙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넘길 문제가 아니다.군징계 절차는 사실조사를 거친 후 징계심의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징계 대상자는 심의에 앞서 충분한 소명자료를 제출할 권리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본인의 행위가 징계 사유에 해당하지 않거나 정상참작 사유가 있다는 점을 주장할 수 있다.만약 징계위원회에서 내려진 처분이 불합리하다 생각한다면 항고를 통해 구제 절차를 밟을 수 있다. 항고 제기는 처분 통보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제기해야 하며 심사 결과 징계 처분이 위법·부당하다고 인정되면 이를 번복하거나 감경받을 수 있다.항고 이후에도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면 행정소송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 특히 파면·해임·강등 등 중징계를 받은 경우 징계취소소송을 제기해 법원의 판단을 받아볼 필요성이 더욱 크다 할 것이다. 이 경우 법원은 징계 사유의 사실관계, 징계 절차의 적법성, 양정의 비례성 및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춘천 법무법인 대륜 서인호 변호사는 "징계 위기에 처했다면 초기부터 군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징계심의 과정에서 모든 소명자료를 충분히 준비해 자신의 권리와 절차적 정당성에 기반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좋다"며 "피해자와의 합의가 필요한 사건의 경우 2차 가해 문제로 인해 군전문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설명하는 군징계와 대응법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3곳
2025-08-11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선거, 노동, 산업안전 분야서 활약…법무부 국가 송무과장 등 역임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대표)은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법조인으로 꼽히는 이태승(사법연수원 26기) 전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장을 영입했다고 11일 밝혔다.이 변호사는 지난 1997년 부산지검 검사를 시작으로 부산지검 공안부장, 인천지검 부천지청 차장검사, 창원지검 마산지청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2014년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심판 당시 법무부 국가 송무과장으로, 대표 대리인을 맡은 경력도 있다.아울러 그는 2022년 공군 성폭력 피해자 고 이예람 중사 사망사건의 특별검사보로 임명돼 공군 내 성폭력 및 2차 가해, 국방부·공군본부의 은폐·회유 의혹 등을 수사, 3년에 걸친 법정 다툼 끝에 주요 가해자들의 유죄 판결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특히, 이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 선거, 노동, 산업안전 등 분야에서 활약했다. 현재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해석, 적용, 실무 대응방안 등을 연구·교육하는 전문가 단체인 ‘중대재해처벌법 실무연구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또한, 그는 중대재해 관련 대응 매뉴얼을 담은 「중대재해처벌법 해설과 대응」의 공동저자이며, 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방안 강의 활동도 하고 있다.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 변호사는 다수 기업과 협회들을 대상으로 중대재해법 주요 내용을 강연하고 조직구조 개편 등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기도 했다.대륜은 이번 영입을 통해 산업안전, 중대재해 사건의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기업 자문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이 변호사는 서울 용산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의 형사, 노동, 산업안전·중대재해 사건을 맡을 계획이다.이 변호사는 “광역시 부시장 부정선거운동 사건, N번방 사건 등 사회적으로 중대한 형사 사건을 다수 수행해왔다”며 “형사 절차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정한 시각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입장에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김국일 경영대표는 “최근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노동 안전·존중 사회’를 노동정책 기조로 내걸었다. 이에 따라 기업들 역시 중대재해에 대해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기다”며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현장 분석은 물론, 다양한 법리를 따져봐야 한다. 산업재해 수사 경험이 풍부한 이 변호사의 합류를 통해 보다 심층적이고 맞춤화된 법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로리더 -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이태승 전 마산지청장 합류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3곳
2025-08-11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선거, 노동, 산업안전 분야서 활약…법무부 국가 송무과장 등 역임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대표)은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법조인으로 꼽히는 이태승(사법연수원 26기) 전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장을 영입했다고 11일 밝혔다.이 변호사는 지난 1997년 부산지검 검사를 시작으로 부산지검 공안부장, 인천지검 부천지청 차장검사, 창원지검 마산지청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2014년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심판 당시 법무부 국가 송무과장으로, 대표 대리인을 맡은 경력도 있다.아울러 그는 2022년 공군 성폭력 피해자 고 이예람 중사 사망사건의 특별검사보로 임명돼 공군 내 성폭력 및 2차 가해, 국방부·공군본부의 은폐·회유 의혹 등을 수사, 3년에 걸친 법정 다툼 끝에 주요 가해자들의 유죄 판결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특히, 이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 선거, 노동, 산업안전 등 분야에서 활약했다. 현재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해석, 적용, 실무 대응방안 등을 연구·교육하는 전문가 단체인 ‘중대재해처벌법 실무연구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또한, 그는 중대재해 관련 대응 매뉴얼을 담은 「중대재해처벌법 해설과 대응」의 공동저자이며, 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방안 강의 활동도 하고 있다.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 변호사는 다수 기업과 협회들을 대상으로 중대재해법 주요 내용을 강연하고 조직구조 개편 등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기도 했다.대륜은 이번 영입을 통해 산업안전, 중대재해 사건의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기업 자문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이 변호사는 서울 용산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의 형사, 노동, 산업안전·중대재해 사건을 맡을 계획이다.이 변호사는 “광역시 부시장 부정선거운동 사건, N번방 사건 등 사회적으로 중대한 형사 사건을 다수 수행해왔다”며 “형사 절차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정한 시각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입장에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김국일 경영대표는 “최근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노동 안전·존중 사회’를 노동정책 기조로 내걸었다. 이에 따라 기업들 역시 중대재해에 대해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기다”며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현장 분석은 물론, 다양한 법리를 따져봐야 한다. 산업재해 수사 경험이 풍부한 이 변호사의 합류를 통해 보다 심층적이고 맞춤화된 법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로리더 - ‘산업안전·중대재해 베테랑’ 이태승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이태승 전 마산지청장 합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8-11
법무법인 대륜, AI 혁신·전문가 대표 선임…“리걸테크 선도”
법무법인 대륜, AI 혁신·전문가 대표 선임…“리걸테크 선도”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1월 도입한 ‘AI 대륜’의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AI 기반 법률 서비스 개발의 실무를 총괄한 전문가를 차기 대표로 선임했다고 11일 밝혔다. 첨단 기술을 도입하는 차원을 넘어 기술과 경영을 일치시켜 다가오는 리걸테크 시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다.AI 대륜은 고객의 질문을 분석, 검토해 빠르고 정확한 법적 정보를 제공하는 법률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AI 에이전트(AI Agent)’ 기반 구조를 ‘에이전틱 AI(Agentic AI)’ 구조로 개편해 작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한 것이다.에이전틱 AI는 주어진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작업을 순차·병렬 처리하고, 중간 결과를 검토해 경로를 수정하는 등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췄다. 이런 고도화한 판단 능력은 양형위원회 2025년 양형기준, 대법원 공개 판결문, 대한변리사회 판례·심결, 법률구조공단 법률상담사례, 법고을 규칙·예규·선례, 대륜 자체 콘텐츠 및 사건 데이터를 학습시켜 완성했다. 덕분에 더욱 구체적인 질의응답이 가능해졌다.대륜 관계자는 “기존 AI 대륜보다 더 빠르고, 방대한 자료를 찾을 수 있어 사용자들이 기본 지식을 습득한 채 변호사와 상담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며 “향후 지속해서 내부 판결문 데이터를 AI와 연결해 정확도와 효용성을 향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대륜은 또 의뢰인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보다 편리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용 모바일 앱 ‘MY대륜’을 출시했다. MY대륜은 보다 체계적으로 사건을 관리하고, 의뢰인 맞춤형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이다.의뢰인은 MY대륜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건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필요한 법률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대륜은 이를 통해 의뢰인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한편, 대륜은 지난 4일 AI 리걸테크 혁신을 가속하기 위해 공동 대표로 최이선(연수원 47기) 변호사를 선임했다. AI 기술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에게 경영의 키를 맡겨 리걸테크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최 대표는 공동 대표 선임 전까지 대륜의 기업자문센터장과 AI이노베이션실장을 겸임했다. AI를 활용한 계약서 자동화 시스템 구축부터 리걸테크 솔루션 개발, 내부 업무 혁신 체계 설계에 이르기까지 AI 전환의 핵심 과제를 직접 설계하고 실행했다.최이선 대표는 “선진 로펌이 기업에 제공해야 할 가치는 잠재적 위험을 관리하는 소극적 역할에 머물러선 안 된다. AI 같은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기업 성장을 위한 전략적 컨설팅을 제공하는 ‘가치·수익 창출형 법률 서비스’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AI 혁신·전문가 대표 선임…“리걸테크 선도”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8-11
법무법인 대륜, AI 혁신·전문가 대표 선임…“리걸테크 선도”
법무법인 대륜, AI 혁신·전문가 대표 선임…“리걸테크 선도”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1월 도입한 ‘AI 대륜’의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AI 기반 법률 서비스 개발의 실무를 총괄한 전문가를 차기 대표로 선임했다고 11일 밝혔다. 첨단 기술을 도입하는 차원을 넘어 기술과 경영을 일치시켜 다가오는 리걸테크 시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다.AI 대륜은 고객의 질문을 분석, 검토해 빠르고 정확한 법적 정보를 제공하는 법률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AI 에이전트(AI Agent)’ 기반 구조를 ‘에이전틱 AI(Agentic AI)’ 구조로 개편해 작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한 것이다.에이전틱 AI는 주어진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작업을 순차·병렬 처리하고, 중간 결과를 검토해 경로를 수정하는 등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췄다. 이런 고도화한 판단 능력은 양형위원회 2025년 양형기준, 대법원 공개 판결문, 대한변리사회 판례·심결, 법률구조공단 법률상담사례, 법고을 규칙·예규·선례, 대륜 자체 콘텐츠 및 사건 데이터를 학습시켜 완성했다. 덕분에 더욱 구체적인 질의응답이 가능해졌다.대륜 관계자는 “기존 AI 대륜보다 더 빠르고, 방대한 자료를 찾을 수 있어 사용자들이 기본 지식을 습득한 채 변호사와 상담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며 “향후 지속해서 내부 판결문 데이터를 AI와 연결해 정확도와 효용성을 향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대륜은 또 의뢰인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보다 편리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용 모바일 앱 ‘MY대륜’을 출시했다. MY대륜은 보다 체계적으로 사건을 관리하고, 의뢰인 맞춤형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이다.의뢰인은 MY대륜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건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필요한 법률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대륜은 이를 통해 의뢰인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한편, 대륜은 지난 4일 AI 리걸테크 혁신을 가속하기 위해 공동 대표로 최이선(연수원 47기) 변호사를 선임했다. AI 기술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에게 경영의 키를 맡겨 리걸테크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최 대표는 공동 대표 선임 전까지 대륜의 기업자문센터장과 AI이노베이션실장을 겸임했다. AI를 활용한 계약서 자동화 시스템 구축부터 리걸테크 솔루션 개발, 내부 업무 혁신 체계 설계에 이르기까지 AI 전환의 핵심 과제를 직접 설계하고 실행했다.최이선 대표는 “선진 로펌이 기업에 제공해야 할 가치는 잠재적 위험을 관리하는 소극적 역할에 머물러선 안 된다. AI 같은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기업 성장을 위한 전략적 컨설팅을 제공하는 ‘가치·수익 창출형 법률 서비스’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AI 혁신·전문가 대표 선임…“리걸테크 선도”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등 2곳
2025-08-08
[기고]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기고]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최근 한 변호사 커뮤니티에 올라온 익명의 게시글 하나가 법조계 전반에 큰 충격을 줬다. 내용은 일부 로펌들이 전직 수사기관 출신 인력을 앞세워 사건 수임은 물론 그 처리 및 결과까지 개입하고 있으며, 심지어 교정시설 내부자나 재소자에게 금품을 제공해 사건을 유치하거나 경쟁 변호사의 영업을 방해하는 수단으로 서신을 차단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더욱이 조직폭력배에게 자금을 제공하고 사건을 소개받는 정황까지 포착됐다는 해당 주장은, 처음엔 단순한 괴담처럼 보였다. 그러나 불과 며칠 만에 이러한 정황들이 실제 언론 보도와 수사기관 발표를 통해 현실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반복되는 ‘우연’은 이제 우연이 아니다. 우리는 지금 그동안 소문이라 치부되던 불법 수임 구조의 실체가 하나둘씩 수면 위로 올라오는 전환점에 서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2023년 8월 발생한 이른바 ‘롤스로이스 약물 뺑소니 사건’이다. 마약을 투약한 채 고급 승용차를 몰다 20대 여성을 숨지게 한 피의자는 사건 수사 과정에서 현직 경찰 간부에게 1억 원 상당의 향응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언론에 따르면 이 향응은 특정 로펌 소속 사무장을 통해 주선됐으며 해당 로펌에는 전직 경찰관들이 다수 포진해 있었다. 피의자 또한 조직폭력과의 연계 가능성이 제기된 인물이었다. 이어진 사건도 있었다. 또 다른 로펌 소속 변호사가 구치소 수감자와의 거래를 통해 교도관에게 약 2,000만 원을 송금하고 그 대가로 의뢰인을 일반 혼거실이 아닌 독방에 배정받게 했다는 혐의로 해당 사무실 두 곳이 압수수색을 당한 것이다. 수감 환경을 돈으로 매수하는 구조가 실체로 드러난 셈이다. 이같은 사례는 법조계에서의 불법 수임 행태가 개인의 고립된 일탈이 아닌 구조적 문제임을 시사한다. 법조계 내부에서는 이른바 ‘외근 사무장’으로 불리는 불법 브로커가 암암리에 활동해 왔고 이들은 비대칭 정보 구조를 악용해 국민이 사건을 합리적으로 의뢰할 수 없게 만들었다. 브로커는 수사 영향력이나 전관 타이틀을 과장하며 의뢰인에게 수천만 원을 요구하고 로펌은 이를 묵인하거나 방조해 왔다. 더 나아가 일부는 아예 브로커를 ‘영업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이중적 행태까지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불법적 구조가 단속의 대상이 아니라 생존 수단으로 작동하게 된 순간, 사법 신뢰는 무너진다. 필자가 대표로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모든 구성원에게 브로커와의 접촉을 엄격히 금지하고, 위법 정황이 확인되면 즉시 수사기관에 고소하도록 내부 지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윤리 기준을 준수하는 로펌은 시장에서 소외되고, 위법을 묵인하거나 활용한 로펌이 경쟁 우위를 점하는 현실은 법치주의의 근간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구조적 역전이다. 문제는 이것이 변호사업계의 자율규제만으로는 더 이상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공권력 유착, 수사정보 유출, 사건 알선은 단순한 윤리 문제를 넘어 형사범죄이며, 그 피해는 특정 개인이 아닌 사회 전체가 입게 된다. 따라서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한다. 사법 정의와 시장 신뢰를 지키기 위해 정부와 유관기관은 즉각적으로 이미 드러난 사건에 대한 철저한 수사, 여전히 음지에서 지속되고 있는 불법 수임 구조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실태조사와 감찰,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에 착수해야 한다. 국민은 법조인의 윤리를 신뢰하고 자신의 권리와 인생을 사법제도에 맡긴다. 그러나 그 신뢰가 반복적으로 배신당한다면 정의는 무너지고 법조인은 존립의 근거를 상실하게 된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불법과 야합의 사슬을 끊고 국민이 믿을 수 있는 정의의 구조를 다시 세우는 것. 그리고 그 시작은 바로 이 구조적 문제를 직시하고 국가가 실질적 조치를 취하는 데 있다. [기사전문보기] 한국법률일보 - [기고]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바로가기) 비욘드포스트 -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등 2곳
2025-08-08
[기고]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기고]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최근 한 변호사 커뮤니티에 올라온 익명의 게시글 하나가 법조계 전반에 큰 충격을 줬다. 내용은 일부 로펌들이 전직 수사기관 출신 인력을 앞세워 사건 수임은 물론 그 처리 및 결과까지 개입하고 있으며, 심지어 교정시설 내부자나 재소자에게 금품을 제공해 사건을 유치하거나 경쟁 변호사의 영업을 방해하는 수단으로 서신을 차단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더욱이 조직폭력배에게 자금을 제공하고 사건을 소개받는 정황까지 포착됐다는 해당 주장은, 처음엔 단순한 괴담처럼 보였다. 그러나 불과 며칠 만에 이러한 정황들이 실제 언론 보도와 수사기관 발표를 통해 현실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반복되는 ‘우연’은 이제 우연이 아니다. 우리는 지금 그동안 소문이라 치부되던 불법 수임 구조의 실체가 하나둘씩 수면 위로 올라오는 전환점에 서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2023년 8월 발생한 이른바 ‘롤스로이스 약물 뺑소니 사건’이다. 마약을 투약한 채 고급 승용차를 몰다 20대 여성을 숨지게 한 피의자는 사건 수사 과정에서 현직 경찰 간부에게 1억 원 상당의 향응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언론에 따르면 이 향응은 특정 로펌 소속 사무장을 통해 주선됐으며 해당 로펌에는 전직 경찰관들이 다수 포진해 있었다. 피의자 또한 조직폭력과의 연계 가능성이 제기된 인물이었다. 이어진 사건도 있었다. 또 다른 로펌 소속 변호사가 구치소 수감자와의 거래를 통해 교도관에게 약 2,000만 원을 송금하고 그 대가로 의뢰인을 일반 혼거실이 아닌 독방에 배정받게 했다는 혐의로 해당 사무실 두 곳이 압수수색을 당한 것이다. 수감 환경을 돈으로 매수하는 구조가 실체로 드러난 셈이다. 이같은 사례는 법조계에서의 불법 수임 행태가 개인의 고립된 일탈이 아닌 구조적 문제임을 시사한다. 법조계 내부에서는 이른바 ‘외근 사무장’으로 불리는 불법 브로커가 암암리에 활동해 왔고 이들은 비대칭 정보 구조를 악용해 국민이 사건을 합리적으로 의뢰할 수 없게 만들었다. 브로커는 수사 영향력이나 전관 타이틀을 과장하며 의뢰인에게 수천만 원을 요구하고 로펌은 이를 묵인하거나 방조해 왔다. 더 나아가 일부는 아예 브로커를 ‘영업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이중적 행태까지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불법적 구조가 단속의 대상이 아니라 생존 수단으로 작동하게 된 순간, 사법 신뢰는 무너진다. 필자가 대표로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모든 구성원에게 브로커와의 접촉을 엄격히 금지하고, 위법 정황이 확인되면 즉시 수사기관에 고소하도록 내부 지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윤리 기준을 준수하는 로펌은 시장에서 소외되고, 위법을 묵인하거나 활용한 로펌이 경쟁 우위를 점하는 현실은 법치주의의 근간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구조적 역전이다. 문제는 이것이 변호사업계의 자율규제만으로는 더 이상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공권력 유착, 수사정보 유출, 사건 알선은 단순한 윤리 문제를 넘어 형사범죄이며, 그 피해는 특정 개인이 아닌 사회 전체가 입게 된다. 따라서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한다. 사법 정의와 시장 신뢰를 지키기 위해 정부와 유관기관은 즉각적으로 이미 드러난 사건에 대한 철저한 수사, 여전히 음지에서 지속되고 있는 불법 수임 구조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실태조사와 감찰,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에 착수해야 한다. 국민은 법조인의 윤리를 신뢰하고 자신의 권리와 인생을 사법제도에 맡긴다. 그러나 그 신뢰가 반복적으로 배신당한다면 정의는 무너지고 법조인은 존립의 근거를 상실하게 된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불법과 야합의 사슬을 끊고 국민이 믿을 수 있는 정의의 구조를 다시 세우는 것. 그리고 그 시작은 바로 이 구조적 문제를 직시하고 국가가 실질적 조치를 취하는 데 있다. [기사전문보기] 한국법률일보 - [기고]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바로가기) 비욘드포스트 - 사법 신뢰 해치는 불법 수임 구조,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07
"300% 수익 예상"...투자전문가 사칭 주식 리딩사기 일당 징역형
"300% 수익 예상"...투자전문가 사칭 주식 리딩사기 일당 징역형
유명 투자 전문가를 내세워 투자자들을 주식 리딩방으로 끌어들인 뒤 40억 원대 투자금을 편취한 일당에게 징역형이 선고됐습니다.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0일 사기, 범죄수익 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습니다.함께 재판에 넘겨진 공범 4명도 각각 징역 3~8년을 선고받았습니다.A씨 등은 지난해 2월부터 4월까지 가짜 투자 사이트를 운영하며 B씨 등 피해자 35명으로부터 48억여 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습니다.이들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에 '상장 후 최고 300%의 고수익이 예상된다'는 광고 글을 게시해 불특정 다수를 끌어들이고, 투자 전문가를 사칭해 피해자들을 현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아울러 이들은 편취금을 조직에서 관리하는 대포통장 계좌로 입금하거나, 상품권 매매를 가장해 이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범죄수익을 은닉한 것으로도 확인됐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들이 행한 역할은 이 사건 범행의 완성과 이익 실현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그 가담 정도가 가볍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계획적·조직적으로 이뤄진 범죄로서 피해자의 수가 다수이며 편취액 역시 거액인 점, 반복적인 사기 범행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무거운 처벌이 필요한 점 등을 종합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피해자 B씨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전효철 변호사는 "전 재산에 가까운 돈을 잃은 피해자는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지만 피해 회복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이어 "사실 조직은 B씨 등 피해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받더라도 약속한 수익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며 "피해금원을 은닉하는 등 범행 수법도 치밀했던 만큼 엄벌이 내려져야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300% 수익 예상"...투자전문가 사칭 주식 리딩사기 일당 징역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07
"300% 수익 예상"...투자전문가 사칭 주식 리딩사기 일당 징역형
"300% 수익 예상"...투자전문가 사칭 주식 리딩사기 일당 징역형
유명 투자 전문가를 내세워 투자자들을 주식 리딩방으로 끌어들인 뒤 40억 원대 투자금을 편취한 일당에게 징역형이 선고됐습니다.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0일 사기, 범죄수익 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습니다.함께 재판에 넘겨진 공범 4명도 각각 징역 3~8년을 선고받았습니다.A씨 등은 지난해 2월부터 4월까지 가짜 투자 사이트를 운영하며 B씨 등 피해자 35명으로부터 48억여 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습니다.이들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에 '상장 후 최고 300%의 고수익이 예상된다'는 광고 글을 게시해 불특정 다수를 끌어들이고, 투자 전문가를 사칭해 피해자들을 현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아울러 이들은 편취금을 조직에서 관리하는 대포통장 계좌로 입금하거나, 상품권 매매를 가장해 이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범죄수익을 은닉한 것으로도 확인됐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들이 행한 역할은 이 사건 범행의 완성과 이익 실현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그 가담 정도가 가볍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계획적·조직적으로 이뤄진 범죄로서 피해자의 수가 다수이며 편취액 역시 거액인 점, 반복적인 사기 범행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무거운 처벌이 필요한 점 등을 종합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피해자 B씨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전효철 변호사는 "전 재산에 가까운 돈을 잃은 피해자는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지만 피해 회복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이어 "사실 조직은 B씨 등 피해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받더라도 약속한 수익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며 "피해금원을 은닉하는 등 범행 수법도 치밀했던 만큼 엄벌이 내려져야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300% 수익 예상"...투자전문가 사칭 주식 리딩사기 일당 징역형 (바로가기)
조선비즈
2025-08-07
“저온 화상으로 흉터 생겨” 치료비 요구했지만...풀리오 “보상 못해” 갈등
“저온 화상으로 흉터 생겨” 치료비 요구했지만...풀리오 “보상 못해” 갈등
지난 3월 풀리오의 마사지 기기를 구매한 A씨는 사용 2개월 만에 다리에 흉터 자국이 발생했다. A씨는 풀리오가 안내한대로 옷을 입고 안마기기를 사용했지만, 저온 화상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A씨가 사용한 모델은 2025년 2월 출시된 허벅지 마사지 기기로 온열 기능 있는 제품이다.또 다른 사용자 B씨는 저온 화상으로 인해 괴사 조직을 떼어내는 수술을 받았다. 풀리오 측이 안내한 대로 두꺼운 옷을 입고 위에 마사지기를 사용했지만, 화상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고 주장했다. 8일 안마기기 업계에 따르면 풀리오 제품 사용 후 저온 화상과 찰과상 등의 문제를 경험한 소비자와 회사측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풀리오는 2022년 설립된 프리미엄 홈마사지 브랜드다. 무선 종아리 마사지기기를 내세우면서 국내 판매 1위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약 1900억원으로 전년보다 3배 이상 늘었다.이 회사 제품은 ‘나 혼자 산다’ 방송 프로그램에 보이그룹 샤이니의 멤버 키가 착용하고 나오면서 인기를 끌었다. 가격은 20만~60만원 수준이다. 현재까지 판매된 기기는 100만대 이상으로 집계된다.그러나 온열 기능으로 저온 화상을 입었다는 소비자가 늘면서 피해보상을 두고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온열 기능은 마사지 부위의 온도를 높여 근육 이완,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주는 기능이다.이 기능은 대부분의 마사지 기기에 탑재되어 있다. 국내 안마의자 기업인 세라젬과 바디프랜드에도 해당 기능이 적용되어 있다. 다만, 현재까지 온열 기능으로 저온 화상을 입었다는 피해 사례는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저온 화상을 방지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디프랜드의 제품은 저온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 20분이 지나면 온열 단계를 자동 조정하는 기능을 두고 있다. 세라젬의 안마의자도 최대 65도까지 올라가지만, 저온화상 방지 기술을 통해 화상을 방지하고 있다.바디프랜드와 세라젬의 일부 제품은 ‘의료기기’로 등록된 만큼 까다로운 기준을 적용받고 있다. 의료기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식약처 인증을 받아야 해 저온 화상을 방지하는 기술을 도입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그러나 풀리오는 의료기기가 아닌 마사지 기기라 비교적 완화된 기준을 적용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 제품은 다리를 감싸는 안마기기의 특성상 개방된 형태의 안마의자보다 저온 화상의 위험이 더 클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설명이다.이에 풀리오 측은 “개인마다 피부가 다르므로 저온 화상 방지를 위해 의류 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장시간 같은 부위에 놓고 사용하지 말라”는 내용을 소비자에게 안내하고 있다.안마업계 한 관계자는 “풀리오 제품이 의료기기가 아닌데다 제품 단가도 일반 기기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자체 기술로 문제를 방지하기보다, 소비자의 사용 행동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풀리오 측은 “소비자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 마사지 기기로 인한 피해 보상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지만 실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은 ”치료비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사측은 또 “온열 안전 기준인 45도 이하를 유지해왔지만, 온열 기능이 있는 안마기기는 특성상 사용자의 사용법에 따라 저온 화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안전한 사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저온 화상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풀리오는 2025년 4월부터 제품의 온열 기능을 완전히 제거한다고 밝혔다. 또, 피부 마찰로 인한 물집 발생을 막기 위해 TF 기술개발(R&D) 팀을 만들어 개발에 착수했다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 의료 제약그룹의 이일형 변호사는 “소비자가 안내 사항을 다 지켜 사용했다는 사실 여부와 사용 지침을 준수했음에도 화상이 발생했는지를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제조물책임법의 요건을 충족한다면, 제조업자는 결함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손해가 발생했음을 입증하지 못하는 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다만, “이런 사고가 많지 않았고, 지침을 따랐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고 하면 환자의 특이체질이 문제일 가능성도 있다”며 “이 경우에도 제조사의 책임이 없거나 있더라도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한편, 풀리오는 앞선 5월 26일에 목·어깨 마사지기 8만 대를 자발적 리콜하기도 했다. 제품상 결함은 없었지만, 제품 하부의 마사지볼 말단부 재질이 딱딱하고 각지게 설계돼 마사지 과정에서 찰과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는 이유에서였다.김정은 기자 (xbookleader@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저온 화상으로 흉터 생겨” 치료비 요구했지만...풀리오 “보상 못해” 갈등 (바로가기)
조선비즈
2025-08-07
“저온 화상으로 흉터 생겨” 치료비 요구했지만...풀리오 “보상 못해” 갈등
“저온 화상으로 흉터 생겨” 치료비 요구했지만...풀리오 “보상 못해” 갈등
지난 3월 풀리오의 마사지 기기를 구매한 A씨는 사용 2개월 만에 다리에 흉터 자국이 발생했다. A씨는 풀리오가 안내한대로 옷을 입고 안마기기를 사용했지만, 저온 화상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A씨가 사용한 모델은 2025년 2월 출시된 허벅지 마사지 기기로 온열 기능 있는 제품이다.또 다른 사용자 B씨는 저온 화상으로 인해 괴사 조직을 떼어내는 수술을 받았다. 풀리오 측이 안내한 대로 두꺼운 옷을 입고 위에 마사지기를 사용했지만, 화상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고 주장했다. 8일 안마기기 업계에 따르면 풀리오 제품 사용 후 저온 화상과 찰과상 등의 문제를 경험한 소비자와 회사측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풀리오는 2022년 설립된 프리미엄 홈마사지 브랜드다. 무선 종아리 마사지기기를 내세우면서 국내 판매 1위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약 1900억원으로 전년보다 3배 이상 늘었다.이 회사 제품은 ‘나 혼자 산다’ 방송 프로그램에 보이그룹 샤이니의 멤버 키가 착용하고 나오면서 인기를 끌었다. 가격은 20만~60만원 수준이다. 현재까지 판매된 기기는 100만대 이상으로 집계된다.그러나 온열 기능으로 저온 화상을 입었다는 소비자가 늘면서 피해보상을 두고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온열 기능은 마사지 부위의 온도를 높여 근육 이완,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주는 기능이다.이 기능은 대부분의 마사지 기기에 탑재되어 있다. 국내 안마의자 기업인 세라젬과 바디프랜드에도 해당 기능이 적용되어 있다. 다만, 현재까지 온열 기능으로 저온 화상을 입었다는 피해 사례는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저온 화상을 방지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디프랜드의 제품은 저온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 20분이 지나면 온열 단계를 자동 조정하는 기능을 두고 있다. 세라젬의 안마의자도 최대 65도까지 올라가지만, 저온화상 방지 기술을 통해 화상을 방지하고 있다.바디프랜드와 세라젬의 일부 제품은 ‘의료기기’로 등록된 만큼 까다로운 기준을 적용받고 있다. 의료기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식약처 인증을 받아야 해 저온 화상을 방지하는 기술을 도입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그러나 풀리오는 의료기기가 아닌 마사지 기기라 비교적 완화된 기준을 적용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 제품은 다리를 감싸는 안마기기의 특성상 개방된 형태의 안마의자보다 저온 화상의 위험이 더 클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설명이다.이에 풀리오 측은 “개인마다 피부가 다르므로 저온 화상 방지를 위해 의류 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장시간 같은 부위에 놓고 사용하지 말라”는 내용을 소비자에게 안내하고 있다.안마업계 한 관계자는 “풀리오 제품이 의료기기가 아닌데다 제품 단가도 일반 기기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자체 기술로 문제를 방지하기보다, 소비자의 사용 행동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풀리오 측은 “소비자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 마사지 기기로 인한 피해 보상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지만 실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은 ”치료비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사측은 또 “온열 안전 기준인 45도 이하를 유지해왔지만, 온열 기능이 있는 안마기기는 특성상 사용자의 사용법에 따라 저온 화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안전한 사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저온 화상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풀리오는 2025년 4월부터 제품의 온열 기능을 완전히 제거한다고 밝혔다. 또, 피부 마찰로 인한 물집 발생을 막기 위해 TF 기술개발(R&D) 팀을 만들어 개발에 착수했다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 의료 제약그룹의 이일형 변호사는 “소비자가 안내 사항을 다 지켜 사용했다는 사실 여부와 사용 지침을 준수했음에도 화상이 발생했는지를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제조물책임법의 요건을 충족한다면, 제조업자는 결함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손해가 발생했음을 입증하지 못하는 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다만, “이런 사고가 많지 않았고, 지침을 따랐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고 하면 환자의 특이체질이 문제일 가능성도 있다”며 “이 경우에도 제조사의 책임이 없거나 있더라도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한편, 풀리오는 앞선 5월 26일에 목·어깨 마사지기 8만 대를 자발적 리콜하기도 했다. 제품상 결함은 없었지만, 제품 하부의 마사지볼 말단부 재질이 딱딱하고 각지게 설계돼 마사지 과정에서 찰과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는 이유에서였다.김정은 기자 (xbookleader@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저온 화상으로 흉터 생겨” 치료비 요구했지만...풀리오 “보상 못해” 갈등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07
"3년 전 내 아들을…"아동 성희롱 혐의 50대 여성 '무죄'
"3년 전 내 아들을…"아동 성희롱 혐의 50대 여성 '무죄'
法 “3년 전 사건임에도 지나치게 구체적인 진술 납득 어려워” 초등학생의 신체를 만졌다는 이유로 고소당한 50대 여성 피의자가 무죄를 선고받았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은 아동복지법 위반(아동에대한음행강요·매개·성희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여성 A씨에게 지난달 18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0년 8월 자신의 집 근처 편의점 앞에서 피해자 B군의 입술을 만지고 엉덩이를 토닥였다는 이유에서 B군의 부모로부터 고소를 당했다.이후 수사 과정에서 A씨는 “해당 시점에 B군을 만난 사실이 없었던 만큼 성적인 의도를 가지고 신체 접촉을 한 사실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이런 양측의 주장을 놓고 심리를 진행한 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B군이 조사 과정에서 A씨의 인상착의나 얼굴의 세밀한 부분을 지나치게 구체적으로 묘사했고 A씨와의 첫 만남을 둘러싼 진술도 해바라기 센터와 법정에서의 진술이 달랐다”고 선고 이유를 밝혔다.재판부는 특히 “이 사건은 발생일로부터 약 3년이 지난 시점에 신고가 이뤄졌는데, 피해 아동의 부모가 피고인과 다툰 이후 성범죄 행위자를 피고인으로 단정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사건 발생 시각이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피고인의 근무 시간 등을 감안하면 해당 일시에 실제로 마주쳤을 가능성 역시 높지 않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김종서 변호사는 “이 사건은 발생 이후 3년이 넘은 시점에서 고소가 이뤄진 건으로 의뢰인에 대한 보복감정으로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해 고소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며 “고소인의 아파트 등기부를 통해 대부업체 담보 물권이 설정된 사실, B군의 이사 경위 등을 정확히 소명해 무죄 판결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3년 전 내 아들을…"아동 성희롱 혐의 50대 여성 '무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8-07
"3년 전 내 아들을…"아동 성희롱 혐의 50대 여성 '무죄'
"3년 전 내 아들을…"아동 성희롱 혐의 50대 여성 '무죄'
法 “3년 전 사건임에도 지나치게 구체적인 진술 납득 어려워” 초등학생의 신체를 만졌다는 이유로 고소당한 50대 여성 피의자가 무죄를 선고받았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은 아동복지법 위반(아동에대한음행강요·매개·성희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여성 A씨에게 지난달 18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0년 8월 자신의 집 근처 편의점 앞에서 피해자 B군의 입술을 만지고 엉덩이를 토닥였다는 이유에서 B군의 부모로부터 고소를 당했다.이후 수사 과정에서 A씨는 “해당 시점에 B군을 만난 사실이 없었던 만큼 성적인 의도를 가지고 신체 접촉을 한 사실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이런 양측의 주장을 놓고 심리를 진행한 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B군이 조사 과정에서 A씨의 인상착의나 얼굴의 세밀한 부분을 지나치게 구체적으로 묘사했고 A씨와의 첫 만남을 둘러싼 진술도 해바라기 센터와 법정에서의 진술이 달랐다”고 선고 이유를 밝혔다.재판부는 특히 “이 사건은 발생일로부터 약 3년이 지난 시점에 신고가 이뤄졌는데, 피해 아동의 부모가 피고인과 다툰 이후 성범죄 행위자를 피고인으로 단정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사건 발생 시각이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피고인의 근무 시간 등을 감안하면 해당 일시에 실제로 마주쳤을 가능성 역시 높지 않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김종서 변호사는 “이 사건은 발생 이후 3년이 넘은 시점에서 고소가 이뤄진 건으로 의뢰인에 대한 보복감정으로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해 고소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며 “고소인의 아파트 등기부를 통해 대부업체 담보 물권이 설정된 사실, B군의 이사 경위 등을 정확히 소명해 무죄 판결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3년 전 내 아들을…"아동 성희롱 혐의 50대 여성 '무죄' (바로가기)
로이슈
2025-08-07
대규모 폰지사기 성행…피해 대응 방안은?
대규모 폰지사기 성행…피해 대응 방안은?
최근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모집해 투자금을 편취하는 대규모 사기가 성행하고 있다. 실제로 경찰이 올해 2월 발표한 투자사기 특별단속 중간 성과에 따르면, 단속 기간인 17개월 동안 총 7,232건이 적발됐고, 이 중 3,300명을 검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당 기간 접수된 피해액은 총 8,949억 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나 요즘에는 다단계 형태가 더해진 이른바 ‘폰지사기’로 피해는 더욱더 극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불법 다단계 조직을 운영해 조직적인 사기를 기획하는 식인데, 이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피해자들의 신뢰를 얻은 뒤 피해자는 물론 피해자 가족, 주변 지인들까지 끌어들여 금전적 손실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해를 입힌다. 폰지사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현재 필자가 맡고 있는 사건을 살펴보겠다. 경상남도 창원시에 본사를 둔 유플러스KMA(이하 UK플랫폼)는 전국에 수천 명 이상의 회원을 두고 의료 등 자산운영 서비스 사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회사는 회원들에게 월 5~10% 수익률을 보장한다며 투자를 종용했다. 아울러 회사는 회원들로부터 투자금을 받으면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해왔다. 회원들은 이 포인트를 이용해 제휴된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여행업체를 통해 크루즈를 이용하는 등의 서비스를 받아온 것이다. 회원들 입장에서는 참여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또한, 가족이나 지인을 초대하면 더 많은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어 추가 보상까지 확실했다. 그러나 얼마 전 UK플랫폼 대표가 사기 등 혐의로 구속되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회사가 그간 기존 투자자들에게 지급할 수익금을 신규 투자자들의 돈으로 돌려막기해 온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UK플랫폼 측은 수익금 지급은 물론, 그간 회원들이 이용해왔던 여러 서비스 제공을 중단했다. 결국,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고, 필자가 몸담고 있는 법인에서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인 상황이다. UK플랫폼과 같은 폰지사기 사건은 빠른 대응이 관건이다. 우선, 사기 피해 규모가 클 경우 집단소송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집단소송을 진행하려면 일단 피해자를 모집해야 하는데, 보통 10명 이상부터 공동소송에 실익이 있으므로 최대한 많은 피해자를 모으는 것이 관건이다. 집단소송 절차는 크게 형사와 민사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피해자들은 법률대리인과 함께 사건 내용과 피해 규모를 명확히 정리해 관할 경찰서를 통해 고소장을 제출한다. 형사소송은 가해자의 형사처벌을 최대화하고, 피해자 입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한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피해금 회수를 위해서는 민사소송도 병행해야 한다. 형사 판결문은 민사소송에서 유력한 증거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되고, 피해액에 대한 배상 판결이 나왔다면 가해자 자산에 대해 압류 등을 통한 강제집행이 가능해진다. 법무법인 대륜 고정항 형사전문변호사는 “집단소송은 형사 절차만 해도 종료까지 통상적으로 6개월에서 1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여기에 민사소송까지 더해지면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따라서, 집단소송을 계획하고 있다면 관련 사건 대리 경험이 풍부한 법률대리인을 선임할 것을 권장한다. 단체 형사고소와 민사 보전처분 및 소송 등 실무에 능통하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인력을 갖춘 법무법인이나 변호사와 사건을 진행해야만 최대한 신속히 손실금을 돌려받고, 이미 발생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피해자들의 삶을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잘못을 저지른 가해자들에게는 엄중한 처벌이 내려지도록 해야만 한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대규모 폰지사기 성행…피해 대응 방안은? (바로가기)
로이슈
2025-08-07
대규모 폰지사기 성행…피해 대응 방안은?
대규모 폰지사기 성행…피해 대응 방안은?
최근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모집해 투자금을 편취하는 대규모 사기가 성행하고 있다. 실제로 경찰이 올해 2월 발표한 투자사기 특별단속 중간 성과에 따르면, 단속 기간인 17개월 동안 총 7,232건이 적발됐고, 이 중 3,300명을 검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당 기간 접수된 피해액은 총 8,949억 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나 요즘에는 다단계 형태가 더해진 이른바 ‘폰지사기’로 피해는 더욱더 극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불법 다단계 조직을 운영해 조직적인 사기를 기획하는 식인데, 이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피해자들의 신뢰를 얻은 뒤 피해자는 물론 피해자 가족, 주변 지인들까지 끌어들여 금전적 손실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해를 입힌다. 폰지사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현재 필자가 맡고 있는 사건을 살펴보겠다. 경상남도 창원시에 본사를 둔 유플러스KMA(이하 UK플랫폼)는 전국에 수천 명 이상의 회원을 두고 의료 등 자산운영 서비스 사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회사는 회원들에게 월 5~10% 수익률을 보장한다며 투자를 종용했다. 아울러 회사는 회원들로부터 투자금을 받으면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해왔다. 회원들은 이 포인트를 이용해 제휴된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여행업체를 통해 크루즈를 이용하는 등의 서비스를 받아온 것이다. 회원들 입장에서는 참여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또한, 가족이나 지인을 초대하면 더 많은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어 추가 보상까지 확실했다. 그러나 얼마 전 UK플랫폼 대표가 사기 등 혐의로 구속되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회사가 그간 기존 투자자들에게 지급할 수익금을 신규 투자자들의 돈으로 돌려막기해 온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UK플랫폼 측은 수익금 지급은 물론, 그간 회원들이 이용해왔던 여러 서비스 제공을 중단했다. 결국,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고, 필자가 몸담고 있는 법인에서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인 상황이다. UK플랫폼과 같은 폰지사기 사건은 빠른 대응이 관건이다. 우선, 사기 피해 규모가 클 경우 집단소송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집단소송을 진행하려면 일단 피해자를 모집해야 하는데, 보통 10명 이상부터 공동소송에 실익이 있으므로 최대한 많은 피해자를 모으는 것이 관건이다. 집단소송 절차는 크게 형사와 민사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피해자들은 법률대리인과 함께 사건 내용과 피해 규모를 명확히 정리해 관할 경찰서를 통해 고소장을 제출한다. 형사소송은 가해자의 형사처벌을 최대화하고, 피해자 입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한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피해금 회수를 위해서는 민사소송도 병행해야 한다. 형사 판결문은 민사소송에서 유력한 증거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되고, 피해액에 대한 배상 판결이 나왔다면 가해자 자산에 대해 압류 등을 통한 강제집행이 가능해진다. 법무법인 대륜 고정항 형사전문변호사는 “집단소송은 형사 절차만 해도 종료까지 통상적으로 6개월에서 1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여기에 민사소송까지 더해지면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따라서, 집단소송을 계획하고 있다면 관련 사건 대리 경험이 풍부한 법률대리인을 선임할 것을 권장한다. 단체 형사고소와 민사 보전처분 및 소송 등 실무에 능통하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인력을 갖춘 법무법인이나 변호사와 사건을 진행해야만 최대한 신속히 손실금을 돌려받고, 이미 발생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피해자들의 삶을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잘못을 저지른 가해자들에게는 엄중한 처벌이 내려지도록 해야만 한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대규모 폰지사기 성행…피해 대응 방안은?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8-06
[전문가기고] 보이스피싱, 가해자와 피해자 경계…책임주의 원칙 고려해야
[전문가기고] 보이스피싱, 가해자와 피해자 경계…책임주의 원칙 고려해야
보이스피싱 범죄는 점점 정교해지고 있다. 과거처럼 조잡한 문자나 어눌한 말투로는 더 이상 사람들을 속일 수 없다. 실제 형사사건을 다루다 보면, 보이스피싱에 가담하게 되는 ‘수거책’, ‘전달책’, ‘계좌 및 유심 제공자’ 등의 상당수가 사회 초년생이거나 가정주부다. 이들은 인터넷 구직 사이트에서 이력서를 등록한 뒤 온라인으로 제안받은 근무 조건에 따라 채용된다. 처음에는 보이스피싱과 무관한 업무를 하지만, 이후 ‘타 부서 업무지원’이라는 명목으로 물품 전달을 맡게 된다. 또한 저금리 대출을 알선해 주겠다며 금융기관을 사칭하거나, 특정 사이트의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배상하겠다는 명목으로 접촉하는 방식도 활용되는 등 수법은 점점 더 다양하고 치밀해지는 추세다.문제는 이처럼 처음부터 범행에 가담할 의도가 없었던 이들조차 결과적으로는 피의자 및 피고인 신분이 돼 형사처벌을 받는다는 점이다. ‘타 부서 업무지원’으로 전달한 물품이 피해금이 든 봉투였고, 본인이 제공한 계좌가 피해자들의 돈을 수취하는 데 이용된 사실이 밝혀지면 수사기관은 공범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실제 범행을 기획하고 조종한 보이스피싱 조직의 총책은 구조상 수사망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이러한 구조적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법적 판단은 매우 엄격하다. 최근 경향에 따르면, 피의자 및 피고인 자신의 행위가 보이스피싱 행위라는 것은 ‘인지하지 못했다’는 주장은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사회 전반에 걸쳐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고와 홍보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계좌 이체 및 현금 수거 행위 자체가 다소 비정상적인 구조를 띤다는 점에서 ‘적어도 의심할 여지가 있음에도 이를 간과했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이 선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그러나 이러한 일률적인 판단이 과연 책임주의 원칙에 부합하는지는 의문이다. 보이스피싱의 수법은 날로 교묘해지고, 외형상 정상적인 절차로 보이는 경우까지 ‘인지 가능성’을 근거로 처벌하는 것이 정당한가. 실질적 피해자인 동시에 피의자 신분이 된 이들에 대해서는 개별 사정과 경위, 기망의 수준 등을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보이스피싱, 가해자와 피해자 경계…책임주의 원칙 고려해야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8-06
[전문가기고] 보이스피싱, 가해자와 피해자 경계…책임주의 원칙 고려해야
[전문가기고] 보이스피싱, 가해자와 피해자 경계…책임주의 원칙 고려해야
보이스피싱 범죄는 점점 정교해지고 있다. 과거처럼 조잡한 문자나 어눌한 말투로는 더 이상 사람들을 속일 수 없다. 실제 형사사건을 다루다 보면, 보이스피싱에 가담하게 되는 ‘수거책’, ‘전달책’, ‘계좌 및 유심 제공자’ 등의 상당수가 사회 초년생이거나 가정주부다. 이들은 인터넷 구직 사이트에서 이력서를 등록한 뒤 온라인으로 제안받은 근무 조건에 따라 채용된다. 처음에는 보이스피싱과 무관한 업무를 하지만, 이후 ‘타 부서 업무지원’이라는 명목으로 물품 전달을 맡게 된다. 또한 저금리 대출을 알선해 주겠다며 금융기관을 사칭하거나, 특정 사이트의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배상하겠다는 명목으로 접촉하는 방식도 활용되는 등 수법은 점점 더 다양하고 치밀해지는 추세다.문제는 이처럼 처음부터 범행에 가담할 의도가 없었던 이들조차 결과적으로는 피의자 및 피고인 신분이 돼 형사처벌을 받는다는 점이다. ‘타 부서 업무지원’으로 전달한 물품이 피해금이 든 봉투였고, 본인이 제공한 계좌가 피해자들의 돈을 수취하는 데 이용된 사실이 밝혀지면 수사기관은 공범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실제 범행을 기획하고 조종한 보이스피싱 조직의 총책은 구조상 수사망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이러한 구조적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법적 판단은 매우 엄격하다. 최근 경향에 따르면, 피의자 및 피고인 자신의 행위가 보이스피싱 행위라는 것은 ‘인지하지 못했다’는 주장은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사회 전반에 걸쳐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고와 홍보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계좌 이체 및 현금 수거 행위 자체가 다소 비정상적인 구조를 띤다는 점에서 ‘적어도 의심할 여지가 있음에도 이를 간과했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이 선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그러나 이러한 일률적인 판단이 과연 책임주의 원칙에 부합하는지는 의문이다. 보이스피싱의 수법은 날로 교묘해지고, 외형상 정상적인 절차로 보이는 경우까지 ‘인지 가능성’을 근거로 처벌하는 것이 정당한가. 실질적 피해자인 동시에 피의자 신분이 된 이들에 대해서는 개별 사정과 경위, 기망의 수준 등을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보이스피싱, 가해자와 피해자 경계…책임주의 원칙 고려해야 (바로가기)
머니S
2025-08-06
회사 거래처 정보 빼돌렸다는데… '혐의 직원' 불송치 이유는
회사 거래처 정보 빼돌렸다는데… '혐의 직원' 불송치 이유는
수년 간 회사에 근무하며 알게 된 거래처 정보를 아내 명의 회사로 빼돌린 혐의로 송치된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경기 일산서부경찰서는 지난달 16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배임) 등 혐의를 받는 60대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B사에서 총괄관리 업무를 맡아 수많은 계약에 참여해왔다. 당시 A씨는 회사를 대표해 대외활동을 하며 여러 계약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다. B사 측은 A씨가 업무 중 알게 된 거래처 정보 등을 배우자 명의로 설립한 법인에 빼돌려 이득을 취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배우자의 회사가 업무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미리 B사 측에 고지했고 두 회사의 사업 내용 역시 겹치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경찰은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A씨가 B사 재직 당시 참여한 프로젝트, 계약 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업무상배임 등 혐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경찰은 "B사의 사업 구조와 수익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A씨가 B사의 주요 정보를 부당하게 사용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오히려 A씨가 B사의 사업 진행을 위해 배우자 명의 회사의 도움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윤정현 변호사는 "업무상배임죄가 성립하려면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를 하고 이를 통해 재산상 손해를 입혔을 때 성립된다"고 말했다.이어 "B사의 사업 구조 및 내용, 진행경과 등을 고려하면 A씨가 관련 업체로부터 컨설팅비 등 명목으로 수수료를 받은 행위는 B사에 재산상 손해를 가하는 행위나 A씨 본인 또는 제3자에게 부당한 이익을 주는 행위가 될 수 없다"면서 "A씨는 범죄 혐의가 인정되지 않아 불송치 결정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회사 거래처 정보 빼돌렸다는데… '혐의 직원' 불송치 이유는 (바로가기)
머니S
2025-08-06
회사 거래처 정보 빼돌렸다는데… '혐의 직원' 불송치 이유는
회사 거래처 정보 빼돌렸다는데… '혐의 직원' 불송치 이유는
수년 간 회사에 근무하며 알게 된 거래처 정보를 아내 명의 회사로 빼돌린 혐의로 송치된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경기 일산서부경찰서는 지난달 16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배임) 등 혐의를 받는 60대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B사에서 총괄관리 업무를 맡아 수많은 계약에 참여해왔다. 당시 A씨는 회사를 대표해 대외활동을 하며 여러 계약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다. B사 측은 A씨가 업무 중 알게 된 거래처 정보 등을 배우자 명의로 설립한 법인에 빼돌려 이득을 취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배우자의 회사가 업무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미리 B사 측에 고지했고 두 회사의 사업 내용 역시 겹치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경찰은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A씨가 B사 재직 당시 참여한 프로젝트, 계약 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업무상배임 등 혐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경찰은 "B사의 사업 구조와 수익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A씨가 B사의 주요 정보를 부당하게 사용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오히려 A씨가 B사의 사업 진행을 위해 배우자 명의 회사의 도움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윤정현 변호사는 "업무상배임죄가 성립하려면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를 하고 이를 통해 재산상 손해를 입혔을 때 성립된다"고 말했다.이어 "B사의 사업 구조 및 내용, 진행경과 등을 고려하면 A씨가 관련 업체로부터 컨설팅비 등 명목으로 수수료를 받은 행위는 B사에 재산상 손해를 가하는 행위나 A씨 본인 또는 제3자에게 부당한 이익을 주는 행위가 될 수 없다"면서 "A씨는 범죄 혐의가 인정되지 않아 불송치 결정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회사 거래처 정보 빼돌렸다는데… '혐의 직원' 불송치 이유는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8-05
부당한 지시 따라 해고된 직원…法 “부당 해고 인정”
부당한 지시 따라 해고된 직원…法 “부당 해고 인정”
직무상 의무위반·경영진 배임 행위 적극 가담 주장에…“지시 따랐을 뿐”- 재판부 “배임에 적극 관여했다 볼 수 없어…해고는 과도한 징계” 경영진의 부당한 지시를 그대로 따라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는 이유로 해고된 직원이 법원으로부터 부당해고 판정을 받았다.서울행정법원 제14부는 지난달 10일 50대 남성 A씨가 운수업체 B사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3년 B사로부터 직무상 의무 위반과 배임 가담을 이유로 해고 통보를 받았다. 당시 경영진들은 계열사에 자금을 빌려주는 계약을 추진했는데, A씨가 적절한 담보를 확보하지 않은 채 이들의 부당한 지시를 그대로 복종하면서 회사에 손실을 끼쳤다는 이유에서다.A씨는 부당해고를 주장하며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했지만 기각됐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판정을 요청했으나 ‘징계사유가 존재하고 양정이 적정하다’는 이유로 재차 기각됐다. 이에 A씨는 재심판정을 취소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사측의 징계가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전임 경영진과 이사회에서 결정한 사항을 통보받고 지시를 따랐을 뿐, 구체적인 사정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기에 배임 행위임을 판단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먼저 재판부는 “실무를 총괄하는 원고가 대여의 위험성이나 채권 담보, 회수 방안에 대해 충분한 검토나 문제제기를 하지 않고 경영진의 결정을 따른 것은 정당화하기 어렵다”며 “부당한 지시에 응하지 않아야 할 직무상 의무를 위반했다는 재심판정은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다만 재판부는 “사측은 징계 사유로 원고가 전임 임원들의 배임 행위에 가담했다는 것을 지적하는데, 원고가 탈법적인 수단을 고안하거나 직접 제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징계 사유는 배임행위의 적극 가담 부분을 제외하고 직무상 의무 위반에 한정되는 범위에서만 인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에, 해고는 지나치게 과도한 징계”라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해고처분은 사회통념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이 있어야만 정당성이 인정되고 이는 비위행위의 동기와 경위, 근로자의 지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한다”며 “당시 A씨가 경영진의 의사 결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았고, 지위상 명령에 반하는 업무 처리의 어려움이 받아들여져 지나친 징계임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부당한 지시 따라 해고된 직원…法 “부당 해고 인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8-05
부당한 지시 따라 해고된 직원…法 “부당 해고 인정”
부당한 지시 따라 해고된 직원…法 “부당 해고 인정”
직무상 의무위반·경영진 배임 행위 적극 가담 주장에…“지시 따랐을 뿐”- 재판부 “배임에 적극 관여했다 볼 수 없어…해고는 과도한 징계” 경영진의 부당한 지시를 그대로 따라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는 이유로 해고된 직원이 법원으로부터 부당해고 판정을 받았다.서울행정법원 제14부는 지난달 10일 50대 남성 A씨가 운수업체 B사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3년 B사로부터 직무상 의무 위반과 배임 가담을 이유로 해고 통보를 받았다. 당시 경영진들은 계열사에 자금을 빌려주는 계약을 추진했는데, A씨가 적절한 담보를 확보하지 않은 채 이들의 부당한 지시를 그대로 복종하면서 회사에 손실을 끼쳤다는 이유에서다.A씨는 부당해고를 주장하며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했지만 기각됐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판정을 요청했으나 ‘징계사유가 존재하고 양정이 적정하다’는 이유로 재차 기각됐다. 이에 A씨는 재심판정을 취소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사측의 징계가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전임 경영진과 이사회에서 결정한 사항을 통보받고 지시를 따랐을 뿐, 구체적인 사정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기에 배임 행위임을 판단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먼저 재판부는 “실무를 총괄하는 원고가 대여의 위험성이나 채권 담보, 회수 방안에 대해 충분한 검토나 문제제기를 하지 않고 경영진의 결정을 따른 것은 정당화하기 어렵다”며 “부당한 지시에 응하지 않아야 할 직무상 의무를 위반했다는 재심판정은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다만 재판부는 “사측은 징계 사유로 원고가 전임 임원들의 배임 행위에 가담했다는 것을 지적하는데, 원고가 탈법적인 수단을 고안하거나 직접 제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징계 사유는 배임행위의 적극 가담 부분을 제외하고 직무상 의무 위반에 한정되는 범위에서만 인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에, 해고는 지나치게 과도한 징계”라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해고처분은 사회통념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이 있어야만 정당성이 인정되고 이는 비위행위의 동기와 경위, 근로자의 지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한다”며 “당시 A씨가 경영진의 의사 결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았고, 지위상 명령에 반하는 업무 처리의 어려움이 받아들여져 지나친 징계임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부당한 지시 따라 해고된 직원…法 “부당 해고 인정” (바로가기)
로리더
2025-08-05
법무법인 대륜, ㈜엘마인즈와 MOU···AI로 중대재해 막는다
법무법인 대륜, ㈜엘마인즈와 MOU···AI로 중대재해 막는다
국내 최초 음성인식 전용 SoC 독자 개발···정보보호, AI 공급 등 협업대륜 “기술과 사람이 모두 안심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이 AI 기반 음성인식 기술 솔루션 기업 ‘㈜엘마인즈’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법률 리스크 대응과 기술사업화 자문 강화를 위해 힘을 모은다고 5일 밝혔다.지난달 29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용산 분사무소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은 대륜 김국일 대표, 정일우 변호사와 엘마인즈 양권석 대표이사, 박경민 이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엘마인즈는 국내 최초 음성인식 전용 SoC 독자개발에 성공한 AI 기술 기반 음성인식 비즈니스 솔루션 기업이다. 비명 인식 온디바이스 AI솔루션 ‘캐치24’는 공중화장실, 산책로, 산업 현장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으며 중대재해 방지를 위해 효성 등 다양한 기업이 채택하고 있다.엘마인즈는 이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용노동부의 스마트 안전장비 제품으로 선정됐고, ‘2025년 장영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일본 레스타홀딩스와 10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청사진도 그리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법률 리스크 사전 진단 및 정보보호 등 맞춤형 자문, △기술사업화·라이선싱 등 법률검토 및 계약 지원, △알고리즘 윤리·플랫폼 법제 대응 공동 연구, △공공기관 대상 AI 솔루션 공급 과정의 법률 지원, △각종 공동 세미나, 워크숍, 산업계 대상 캠페인 추진, △글로벌 진출을 위한 상호 협력 체계 구축 등을 협력할 예정이다.엘마인즈 양권석 대표는 “엘마인즈는 신뢰도 높은 기술과 제품개발로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고 있으며, 책임있는 데이터 활용과 윤리적 AI 구현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대륜과의 협약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도약에 박차를 가하고 신뢰받는 기술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 대표는 “AI 기술을 통한 다양한 법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컴플라이언스 대응과 강화는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면서, “엘마인즈의 혁신적 기술력에 대륜의 법적 안전망을 더해 기술과 사람이 모두 안심할 수 있는 책임감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엘마인즈와 MOU···AI로 중대재해 막는다 (바로가기)
로리더
2025-08-05
법무법인 대륜, ㈜엘마인즈와 MOU···AI로 중대재해 막는다
법무법인 대륜, ㈜엘마인즈와 MOU···AI로 중대재해 막는다
국내 최초 음성인식 전용 SoC 독자 개발···정보보호, AI 공급 등 협업대륜 “기술과 사람이 모두 안심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이 AI 기반 음성인식 기술 솔루션 기업 ‘㈜엘마인즈’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법률 리스크 대응과 기술사업화 자문 강화를 위해 힘을 모은다고 5일 밝혔다.지난달 29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용산 분사무소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은 대륜 김국일 대표, 정일우 변호사와 엘마인즈 양권석 대표이사, 박경민 이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엘마인즈는 국내 최초 음성인식 전용 SoC 독자개발에 성공한 AI 기술 기반 음성인식 비즈니스 솔루션 기업이다. 비명 인식 온디바이스 AI솔루션 ‘캐치24’는 공중화장실, 산책로, 산업 현장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으며 중대재해 방지를 위해 효성 등 다양한 기업이 채택하고 있다.엘마인즈는 이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용노동부의 스마트 안전장비 제품으로 선정됐고, ‘2025년 장영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일본 레스타홀딩스와 10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청사진도 그리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법률 리스크 사전 진단 및 정보보호 등 맞춤형 자문, △기술사업화·라이선싱 등 법률검토 및 계약 지원, △알고리즘 윤리·플랫폼 법제 대응 공동 연구, △공공기관 대상 AI 솔루션 공급 과정의 법률 지원, △각종 공동 세미나, 워크숍, 산업계 대상 캠페인 추진, △글로벌 진출을 위한 상호 협력 체계 구축 등을 협력할 예정이다.엘마인즈 양권석 대표는 “엘마인즈는 신뢰도 높은 기술과 제품개발로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고 있으며, 책임있는 데이터 활용과 윤리적 AI 구현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대륜과의 협약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도약에 박차를 가하고 신뢰받는 기술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 대표는 “AI 기술을 통한 다양한 법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컴플라이언스 대응과 강화는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면서, “엘마인즈의 혁신적 기술력에 대륜의 법적 안전망을 더해 기술과 사람이 모두 안심할 수 있는 책임감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엘마인즈와 MOU···AI로 중대재해 막는다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8-05
잠든 연인 휴대전화로 카드 결제·대출한 남성 징역 3년
잠든 연인 휴대전화로 카드 결제·대출한 남성 징역 3년
연인의 휴대전화로 몰래 대출받고 카드를 사용한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은 지난달 24일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2년 연인 관계이던 B씨의 휴대전화로 81차례에 걸쳐 무단으로 카드를 사용하고, 대출을 실행하는 등 1억 7000만원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됐다.B씨는 자신이 잠든 사이에 A씨가 휴대전화 잠금을 해제하고 이런 일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또 범행이 발각된 후 변제를 요구하자 B씨가 물건을 집어던지는 등 협박을 일삼았다고 주장했다. 반면 A씨는 B씨의 동의를 받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A씨가 카드 알림 서비스를 임의로 해지해 B씨에게 대출 관련 문자가 전송되지 않도록 했고, B씨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변경한 뒤에도 다시 비밀번호를 재등록해 반복해서 대출받은 것으로 판단했다.A씨의 카드 무단사용과 대출 때문에 B씨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이행독촉, 압류, 추심, 경매 통보를 받고 소송을 당하는 등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A씨는 범행을 부인하면서 피해를 갚지 않았다고 재판부는 판단했다.B씨를 대리한 전현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범행을 눈치채고 변제를 요구하는 B씨에게 A씨는 ‘돈을 갚겠다’면서 안심시켰지만, 이후에 대출 금액이 오히려 늘어 있었다. B씨가 인증번호나 결제내역이 담긴 문자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A씨가 수신거부 설정을 했다는 점에서 법원이 계획적인 범행으로 판단해 실형을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잠든 연인 휴대전화로 카드 결제·대출한 남성 징역 3년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8-05
잠든 연인 휴대전화로 카드 결제·대출한 남성 징역 3년
잠든 연인 휴대전화로 카드 결제·대출한 남성 징역 3년
연인의 휴대전화로 몰래 대출받고 카드를 사용한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은 지난달 24일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2년 연인 관계이던 B씨의 휴대전화로 81차례에 걸쳐 무단으로 카드를 사용하고, 대출을 실행하는 등 1억 7000만원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됐다.B씨는 자신이 잠든 사이에 A씨가 휴대전화 잠금을 해제하고 이런 일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또 범행이 발각된 후 변제를 요구하자 B씨가 물건을 집어던지는 등 협박을 일삼았다고 주장했다. 반면 A씨는 B씨의 동의를 받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A씨가 카드 알림 서비스를 임의로 해지해 B씨에게 대출 관련 문자가 전송되지 않도록 했고, B씨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변경한 뒤에도 다시 비밀번호를 재등록해 반복해서 대출받은 것으로 판단했다.A씨의 카드 무단사용과 대출 때문에 B씨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이행독촉, 압류, 추심, 경매 통보를 받고 소송을 당하는 등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A씨는 범행을 부인하면서 피해를 갚지 않았다고 재판부는 판단했다.B씨를 대리한 전현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범행을 눈치채고 변제를 요구하는 B씨에게 A씨는 ‘돈을 갚겠다’면서 안심시켰지만, 이후에 대출 금액이 오히려 늘어 있었다. B씨가 인증번호나 결제내역이 담긴 문자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A씨가 수신거부 설정을 했다는 점에서 법원이 계획적인 범행으로 판단해 실형을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잠든 연인 휴대전화로 카드 결제·대출한 남성 징역 3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8-04
6000만 원 대출 숨기고 카페 넘긴 사장…檢 “양수인 피해 없다”
6000만 원 대출 숨기고 카페 넘긴 사장…檢 “양수인 피해 없다”
사업자대출 안 알려 피해 끼친 혐의檢 “대출 여부, 거래 핵심사항 아냐” 카페 양도 과정에서 기존 대출 사실을 알리지 않은 혐의로 송치된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은 지난달 7일 사기 혐의를 받은 A 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 씨는 2022년 10월 고소인 B 씨에게 카페를 양도하면서 카페 명의로 받아둔 6000만 원 상당 사업자 대출을 고의로 숨긴 혐의를 받았다.B 씨는 배달 앱의 기존 리뷰 등을 승계받기 위해 A 씨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그대로 이전받는 방식으로 카페를 인수했다. 이후 B 씨는 신규 대출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A 씨의 사업자 번호로 이미 대출이 실행돼 추가 대출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전해 들었다. 이에 B 씨는 A 씨에게 기존 대출의 완납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고소장을 제출했다.A 씨는 사기 혐의를 부인했다. 대출을 받긴 했지만 B 씨에게 떠넘기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A 씨는 “해당 대출은 카페 내부 인테리어와 운영 자금 등 목적으로 B 씨에게 인수하기 이전부터 실행했다”며 “계약 당시 사업자 명의로 추가 대출은 어렵다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고 해명했다.검찰은 A 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검찰은 “고소인이 계약 이후 약 2년 동안 카페를 운영하다 대출을 알아본 점으로 미뤄, 양도 계약 당시 대출 여부가 거래의 핵심적인 사항이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피의자 역시 대출을 모두 변제했기 때문에 고소인을 의도적으로 기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권지혜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기망 행위와 그로 인한 재산상 손해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입증돼야 한다”며 “해당 대출은 A 씨의 개인 채무였기 때문에 고지 의무가 없었는데도, A 씨가 B 씨에게 이를 고지했다는 사실과 실제 재산상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을 명확히 소명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6000만 원 대출 숨기고 카페 넘긴 사장…檢 “양수인 피해 없다”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8-04
6000만 원 대출 숨기고 카페 넘긴 사장…檢 “양수인 피해 없다”
6000만 원 대출 숨기고 카페 넘긴 사장…檢 “양수인 피해 없다”
사업자대출 안 알려 피해 끼친 혐의檢 “대출 여부, 거래 핵심사항 아냐” 카페 양도 과정에서 기존 대출 사실을 알리지 않은 혐의로 송치된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은 지난달 7일 사기 혐의를 받은 A 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 씨는 2022년 10월 고소인 B 씨에게 카페를 양도하면서 카페 명의로 받아둔 6000만 원 상당 사업자 대출을 고의로 숨긴 혐의를 받았다.B 씨는 배달 앱의 기존 리뷰 등을 승계받기 위해 A 씨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그대로 이전받는 방식으로 카페를 인수했다. 이후 B 씨는 신규 대출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A 씨의 사업자 번호로 이미 대출이 실행돼 추가 대출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전해 들었다. 이에 B 씨는 A 씨에게 기존 대출의 완납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고소장을 제출했다.A 씨는 사기 혐의를 부인했다. 대출을 받긴 했지만 B 씨에게 떠넘기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A 씨는 “해당 대출은 카페 내부 인테리어와 운영 자금 등 목적으로 B 씨에게 인수하기 이전부터 실행했다”며 “계약 당시 사업자 명의로 추가 대출은 어렵다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고 해명했다.검찰은 A 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검찰은 “고소인이 계약 이후 약 2년 동안 카페를 운영하다 대출을 알아본 점으로 미뤄, 양도 계약 당시 대출 여부가 거래의 핵심적인 사항이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피의자 역시 대출을 모두 변제했기 때문에 고소인을 의도적으로 기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권지혜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기망 행위와 그로 인한 재산상 손해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입증돼야 한다”며 “해당 대출은 A 씨의 개인 채무였기 때문에 고지 의무가 없었는데도, A 씨가 B 씨에게 이를 고지했다는 사실과 실제 재산상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을 명확히 소명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6000만 원 대출 숨기고 카페 넘긴 사장…檢 “양수인 피해 없다”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04
4억 원대 세금계산서 허위 발급 혐의 스타트업 대표 '무혐의'...왜?
4억 원대 세금계산서 허위 발급 혐의 스타트업 대표 '무혐의'...왜?
4억 원대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발급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았던 스타트업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달 8일 조세범처벌법 위반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제조업체 등 2곳으로부터 자재 및 용역을 공급받았다는 내용의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은 혐의를 받습니다.A씨가 이들 업체로부터 발급받은 세금계산서 가액은 모두 4억 5,000만 원에 달했습니다.조세범처벌법 제10조에 따르면 실물거래 없이 허위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의 세율을 적용해 계산한 세액의 2배 이하에 상당하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수사기관 조사에서 A씨는 "제조업체로부터 자재를 공급받을 때 소유권만 이전받고 실제 재화는 업체 창고에 두면서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이라는 오해를 받게 됐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그러면서 "대금 지급 과정에서 현금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던 건, 업체가 기존에 부담하고 있던 채무를 탕감하는 식으로 거래가 진행됐기 때문"이라고 해명했습니다.검찰은 업체들의 진술이 A씨의 진술과 부합하고, 관련 계약서도 존재해 혐의가 없다고 보고 증거불충분으로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검찰은 "A씨가 업체들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공급받지 않고 세금계산서를 받았다고 단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고 처분 이유를 밝혔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정인호 변호사는 "A씨는 제조업체와 계약 이후 자재를 현실 인도가 아닌 점유개정(소유권 이전, 점유 유지)의 방식으로 인도받았다"며 "대금 지급과 관련해서도 세금계산서 발급 시점에 A씨와 업체 대표 사이의 채권·채무의 상계 합의가 완료된 사안이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다른 업체의 경우 당시 A씨가 거래 대금을 지급할 여력이 안 돼 차용증을 작성하고 재화를 공급받았다. 다만, 이 역시 서로 협의를 한 부분이었고, 일부 변제가 된 사안"이라며 "이번 사안은 실물거래 없이 허위로 발행된 가공세금계산서를 만들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A씨에게는 불기소 처분이 내려져야 했다"고 부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4억 원대 세금계산서 허위 발급 혐의 스타트업 대표 '무혐의'...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8-04
4억 원대 세금계산서 허위 발급 혐의 스타트업 대표 '무혐의'...왜?
4억 원대 세금계산서 허위 발급 혐의 스타트업 대표 '무혐의'...왜?
4억 원대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발급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았던 스타트업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달 8일 조세범처벌법 위반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제조업체 등 2곳으로부터 자재 및 용역을 공급받았다는 내용의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은 혐의를 받습니다.A씨가 이들 업체로부터 발급받은 세금계산서 가액은 모두 4억 5,000만 원에 달했습니다.조세범처벌법 제10조에 따르면 실물거래 없이 허위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의 세율을 적용해 계산한 세액의 2배 이하에 상당하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수사기관 조사에서 A씨는 "제조업체로부터 자재를 공급받을 때 소유권만 이전받고 실제 재화는 업체 창고에 두면서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이라는 오해를 받게 됐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그러면서 "대금 지급 과정에서 현금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던 건, 업체가 기존에 부담하고 있던 채무를 탕감하는 식으로 거래가 진행됐기 때문"이라고 해명했습니다.검찰은 업체들의 진술이 A씨의 진술과 부합하고, 관련 계약서도 존재해 혐의가 없다고 보고 증거불충분으로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검찰은 "A씨가 업체들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공급받지 않고 세금계산서를 받았다고 단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고 처분 이유를 밝혔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정인호 변호사는 "A씨는 제조업체와 계약 이후 자재를 현실 인도가 아닌 점유개정(소유권 이전, 점유 유지)의 방식으로 인도받았다"며 "대금 지급과 관련해서도 세금계산서 발급 시점에 A씨와 업체 대표 사이의 채권·채무의 상계 합의가 완료된 사안이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다른 업체의 경우 당시 A씨가 거래 대금을 지급할 여력이 안 돼 차용증을 작성하고 재화를 공급받았다. 다만, 이 역시 서로 협의를 한 부분이었고, 일부 변제가 된 사안"이라며 "이번 사안은 실물거래 없이 허위로 발행된 가공세금계산서를 만들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A씨에게는 불기소 처분이 내려져야 했다"고 부연했습니다. 고우리(wego@ikbc.co.kr) [기사전문보기] 4억 원대 세금계산서 허위 발급 혐의 스타트업 대표 '무혐의'...왜?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8-03
[월요칼럼]자녀의 생존권과 직결된 양육비
[월요칼럼]자녀의 생존권과 직결된 양육비
한동안 연락이 뜸했던 필자의 지인이 최근 전화가 왔다. 지인은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지난해 협의이혼을 하게 되었고 협의이혼 후 3~4달간 미성년 딸의 양육비를 보내오다가 수개월째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필자가 담당하는 수건의 양육비 미지급 사건이 놀랍게도 필자와 가까운 지인에게도 발생하고 있었는데 지난해 여가부가 실시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10명중 7명(71.3%)은 비양육부모로부터 양육비를 한번도 받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이혼 후 자녀를 홀로 양육하는 부모는 자신의 생활 뿐만 아니라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가장 큰 문제는 단연코 경제적인 문제가 아닐까 한다. 한부모 가정의 가장으로서 아이를 키우는데 돈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전 배우자가 연락을 피하거나 일방적으로 양육비 지급을 중단한다면 얼마나 막막하고 답답할지 자녀를 키워본 부모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배우자의 부정행위로 협의이혼 하면서 2명의 자녀를 홀로 키우는 워킹맘 A씨는 전 배우자와 협의이혼하면서 자녀 1명당 월 70만원씩의 양육비를 지급하기로 약속했으나 전 남편은 매달 양육비를 지급하지도 않고 지급하는 경우에도 20만원 정도의 소액을 지급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A씨는 협의이혼 절차에서 작성 및 교부받은 양육비 부담조서를 집행권원으로 별도의 민사소송 절차없이 전 남편의 재산에 강제집행이 가능하다.전 남편이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가사소송법에 제63조의2 및 제64조에 따라 가정법원은 직접지급명령이나 이행명령을 할 수 있다. 이행명령을 어기면 감치처분과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감치는 법원의 결정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최대 30일까지 유치장 구금이 가능한 제재다.또 양육비이행확보및지원에관한법률 제21조의3 내지 제21조의5에 따라 양육비 채무불이행자에 대해 운전면허 정지 및 출국금지를 요청할 수 있고 명단공개 등의 간접적인 제재도 가능하다다만 이행명령과 감치명령이 매우 강력한 이행확보 수단임에 틀림없으나 상대방이 위장전입 등으로 소송서류 송달을 방해할 경우, 심문이 열리기 어려워 재판자체가 지연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인용된 후에도 거주지를 옮길 경우 집행 또한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양육비 문제는 수년동안 끝이 나지 않는 장기전이 될 가능성이 높고 지급을 청구하는 입장에서는 실제 양육비를 받기까지 감정적으로 지쳐버리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신속성과 실효성을 확보한 제재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이러한 문제로 2021년 ‘양육비이행확보및지원에관한법률’이 개정되어 고의적으로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 불이행자에 대하여 감치명령을 받았음에도 양육비 채무를 미이행하는 경우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형사처벌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2025년 7월1일부터는 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3개월 또는 직전달의 마지막 날까지 연속 3회이상 양육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한부모가정 자녀에게 국가가 양육비를 우선 지급하고 추후 양육비채무자인 비양육자에게 국세 강제징수의 예에 따라 징수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시행되어 시행 첫날에만 약 500건의 신청이 몰렸다고 한다.양육비 소송을 진행하다보면 결국 양육 부모가 바라는 것은 판결문 등 집행권원이나 상대방에 대한 감치, 형벌이 아니라, 당장 자녀양육에 필요한 돈이 수중에 입금 되는 것임을 알게 된다. 요즘과 같은 고물가 시대에 양육비는 자녀의 복리를 넘어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며 자녀와 천륜으로 맺어진 부모의 책임이기도 하다.최근들어 필자를 포함한 3남매를 키우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제대로 된 물건 하나 사지 못하시던 어머니에 대한 감사함을 많이 느낀다. 자녀 또한 언젠가는 그러한 부모의 사랑을 반드시 알게 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자녀의 생존권과 직결된 양육비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8-03
[월요칼럼]자녀의 생존권과 직결된 양육비
[월요칼럼]자녀의 생존권과 직결된 양육비
한동안 연락이 뜸했던 필자의 지인이 최근 전화가 왔다. 지인은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지난해 협의이혼을 하게 되었고 협의이혼 후 3~4달간 미성년 딸의 양육비를 보내오다가 수개월째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필자가 담당하는 수건의 양육비 미지급 사건이 놀랍게도 필자와 가까운 지인에게도 발생하고 있었는데 지난해 여가부가 실시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10명중 7명(71.3%)은 비양육부모로부터 양육비를 한번도 받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이혼 후 자녀를 홀로 양육하는 부모는 자신의 생활 뿐만 아니라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가장 큰 문제는 단연코 경제적인 문제가 아닐까 한다. 한부모 가정의 가장으로서 아이를 키우는데 돈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전 배우자가 연락을 피하거나 일방적으로 양육비 지급을 중단한다면 얼마나 막막하고 답답할지 자녀를 키워본 부모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배우자의 부정행위로 협의이혼 하면서 2명의 자녀를 홀로 키우는 워킹맘 A씨는 전 배우자와 협의이혼하면서 자녀 1명당 월 70만원씩의 양육비를 지급하기로 약속했으나 전 남편은 매달 양육비를 지급하지도 않고 지급하는 경우에도 20만원 정도의 소액을 지급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A씨는 협의이혼 절차에서 작성 및 교부받은 양육비 부담조서를 집행권원으로 별도의 민사소송 절차없이 전 남편의 재산에 강제집행이 가능하다.전 남편이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가사소송법에 제63조의2 및 제64조에 따라 가정법원은 직접지급명령이나 이행명령을 할 수 있다. 이행명령을 어기면 감치처분과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감치는 법원의 결정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최대 30일까지 유치장 구금이 가능한 제재다.또 양육비이행확보및지원에관한법률 제21조의3 내지 제21조의5에 따라 양육비 채무불이행자에 대해 운전면허 정지 및 출국금지를 요청할 수 있고 명단공개 등의 간접적인 제재도 가능하다다만 이행명령과 감치명령이 매우 강력한 이행확보 수단임에 틀림없으나 상대방이 위장전입 등으로 소송서류 송달을 방해할 경우, 심문이 열리기 어려워 재판자체가 지연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인용된 후에도 거주지를 옮길 경우 집행 또한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양육비 문제는 수년동안 끝이 나지 않는 장기전이 될 가능성이 높고 지급을 청구하는 입장에서는 실제 양육비를 받기까지 감정적으로 지쳐버리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신속성과 실효성을 확보한 제재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이러한 문제로 2021년 ‘양육비이행확보및지원에관한법률’이 개정되어 고의적으로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 불이행자에 대하여 감치명령을 받았음에도 양육비 채무를 미이행하는 경우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형사처벌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2025년 7월1일부터는 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3개월 또는 직전달의 마지막 날까지 연속 3회이상 양육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한부모가정 자녀에게 국가가 양육비를 우선 지급하고 추후 양육비채무자인 비양육자에게 국세 강제징수의 예에 따라 징수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시행되어 시행 첫날에만 약 500건의 신청이 몰렸다고 한다.양육비 소송을 진행하다보면 결국 양육 부모가 바라는 것은 판결문 등 집행권원이나 상대방에 대한 감치, 형벌이 아니라, 당장 자녀양육에 필요한 돈이 수중에 입금 되는 것임을 알게 된다. 요즘과 같은 고물가 시대에 양육비는 자녀의 복리를 넘어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며 자녀와 천륜으로 맺어진 부모의 책임이기도 하다.최근들어 필자를 포함한 3남매를 키우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제대로 된 물건 하나 사지 못하시던 어머니에 대한 감사함을 많이 느낀다. 자녀 또한 언젠가는 그러한 부모의 사랑을 반드시 알게 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자녀의 생존권과 직결된 양육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31
'현실경계' 지적재조사 2심서 뒤집혀…"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현실경계' 지적재조사 2심서 뒤집혀…"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돌담 사이에 둔 두 토지…1심 "담장 옮기도록 요청 안 해…경계 관한 다툼 없어"2심 "지적재조사 이후라도 의견 충돌 발생했다면 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지적재조사 통보 후라도 경계에 관한 의견 충돌이 있었다면 다툼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31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고등법원 제1행정부는 지난달 26일 70대 여성 A씨가 전라남도행정심판위원회를 상대로 낸 행정심판재결취소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1심 판결을 취소하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전남 고흥군 소재 한 마을의 토지 소유주입니다.인접한 B씨의 땅과는 돌담을 사이에 두고 있었습니다.A씨는 그동안 돌담 너머 공간에 TV 수신장치를 설치하는 등 일상적으로 토지를 관리 및 점유해 왔는데, 지적도 상으로는 이 공간이 A씨의 땅이었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지난 2021년 고흥군이 A씨에게 지적확정예정통지서를 보내면서 갈등이 시작됐습니다.군은 지적재조사 측량 결과에 따라 돌담을 현실경계로 삼아 경계를 조정하겠다는 계획을 A씨에게 통보했습니다.이 경우, A씨가 오래 사용하던 돌담 너머 공간이 B씨 소유로 넘어갑니다.이에 A씨는 군에 두 땅의 경계를 기존대로 유지해달라는 의견서를 제출했습니다.군 경계결정위원회는 A씨의 의견을 수용했지만, B씨가 이에 불복해 이의신청을 제기했습니다.위원회는 기각 처분을 내렸으나 B씨는 재차 행정심판을 냈고, 이후 전라남도 행정심판 위원회는 군의 기각 결정을 취소했습니다.A씨는 지적재조사법 제14조 제1항을 근거로 행정 소송을 제기했습니다.해당 조항은 '지상경계에 대해 다툼이 없는 경우에는 점유 현실경계를 기준으로 하고, 다툼이 있는 경우에는 등록 당시 측량기록을 기준으로 경계를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A씨는 지적재조사 측량 이전부터 해당 공간을 자신이 실질적으로 사용하고 있었기에, 양 토지주 사이 '다툼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1심 법원은 A씨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재판부는 "원고는 지적재조사 사업 이전까지 B씨에게 담장을 경계 밖으로 옮기도록 요청하거나 이와 관련한 소를 제기하지 않았고, 측량 조사를 마친 후에야 의견서를 제출했다"며 "따라서 경계에 관한 다툼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했고, 2심 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지적재조사 이전에 B씨가 해당 공간을 사용하지 않아 서로 다툼이 생길 여지가 없었지만, 경계 조정 통보 이후 원고는 의견서를 제출했다"며 "지적재조사 이후라 하더라도 경계에 대한 의견 충돌이 발생했다면 이는 '다툼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A씨의 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고영경 변호사는 "토지 소유자들이 서로 명시적 또는 묵시적 토지 사용 승낙에 따라 토지를 이용했다면, 장기간 분쟁이 없었다 하더라도 합의 또는 소유권 포기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지상 경계에 대해 다툼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구조물과 무관하게 A씨가 담장 너머 시설까지 점유하고 관리했다는 점을 들어 해당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하지 않았음을 강조해 항소심에서 결과를 뒤집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현실경계' 지적재조사 2심서 뒤집혀…"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31
'현실경계' 지적재조사 2심서 뒤집혀…"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현실경계' 지적재조사 2심서 뒤집혀…"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돌담 사이에 둔 두 토지…1심 "담장 옮기도록 요청 안 해…경계 관한 다툼 없어"2심 "지적재조사 이후라도 의견 충돌 발생했다면 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지적재조사 통보 후라도 경계에 관한 의견 충돌이 있었다면 다툼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31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고등법원 제1행정부는 지난달 26일 70대 여성 A씨가 전라남도행정심판위원회를 상대로 낸 행정심판재결취소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1심 판결을 취소하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전남 고흥군 소재 한 마을의 토지 소유주입니다.인접한 B씨의 땅과는 돌담을 사이에 두고 있었습니다.A씨는 그동안 돌담 너머 공간에 TV 수신장치를 설치하는 등 일상적으로 토지를 관리 및 점유해 왔는데, 지적도 상으로는 이 공간이 A씨의 땅이었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지난 2021년 고흥군이 A씨에게 지적확정예정통지서를 보내면서 갈등이 시작됐습니다.군은 지적재조사 측량 결과에 따라 돌담을 현실경계로 삼아 경계를 조정하겠다는 계획을 A씨에게 통보했습니다.이 경우, A씨가 오래 사용하던 돌담 너머 공간이 B씨 소유로 넘어갑니다.이에 A씨는 군에 두 땅의 경계를 기존대로 유지해달라는 의견서를 제출했습니다.군 경계결정위원회는 A씨의 의견을 수용했지만, B씨가 이에 불복해 이의신청을 제기했습니다.위원회는 기각 처분을 내렸으나 B씨는 재차 행정심판을 냈고, 이후 전라남도 행정심판 위원회는 군의 기각 결정을 취소했습니다.A씨는 지적재조사법 제14조 제1항을 근거로 행정 소송을 제기했습니다.해당 조항은 '지상경계에 대해 다툼이 없는 경우에는 점유 현실경계를 기준으로 하고, 다툼이 있는 경우에는 등록 당시 측량기록을 기준으로 경계를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A씨는 지적재조사 측량 이전부터 해당 공간을 자신이 실질적으로 사용하고 있었기에, 양 토지주 사이 '다툼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1심 법원은 A씨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재판부는 "원고는 지적재조사 사업 이전까지 B씨에게 담장을 경계 밖으로 옮기도록 요청하거나 이와 관련한 소를 제기하지 않았고, 측량 조사를 마친 후에야 의견서를 제출했다"며 "따라서 경계에 관한 다툼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했고, 2심 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지적재조사 이전에 B씨가 해당 공간을 사용하지 않아 서로 다툼이 생길 여지가 없었지만, 경계 조정 통보 이후 원고는 의견서를 제출했다"며 "지적재조사 이후라 하더라도 경계에 대한 의견 충돌이 발생했다면 이는 '다툼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A씨의 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고영경 변호사는 "토지 소유자들이 서로 명시적 또는 묵시적 토지 사용 승낙에 따라 토지를 이용했다면, 장기간 분쟁이 없었다 하더라도 합의 또는 소유권 포기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지상 경계에 대해 다툼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구조물과 무관하게 A씨가 담장 너머 시설까지 점유하고 관리했다는 점을 들어 해당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하지 않았음을 강조해 항소심에서 결과를 뒤집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현실경계' 지적재조사 2심서 뒤집혀…"다툼 있는 경우로 봐야"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7-31
학폭 지도 중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무혐의’ 처분
학폭 지도 중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무혐의’ 처분
학교폭력 사안 사실확인서 작성 과정에서 발생훈계하자 정서 학대했다며 신고···아동복지법 위반 혐의 적용검찰 “교사로서 학폭 사실에 대한 정확한 파악 위해 불가피” 학교폭력 가해 학생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욕설 등 학대를 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교사가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청주지방검찰청은 지난 7일 아동복지법 위반(아동학대) 혐의로 송치된 40대 교사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1월 학교폭력 사안 관련 조사를 하던 중 학폭 가해 의심 학생에게 “야 이 새끼야” 등 욕설을 해 아동의 정신 건강에 해를 끼친 혐의를 받았다.가해 학생 부모 측은 지도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A씨를 형사 고소했다. 학생은 당시 A씨의 언행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이같은 주장에 대해 A씨는 훈육일 뿐 학대는 아니라고 반박했다. A씨는 “학폭이라는 중대한 사안과 관련해 사실확인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다소 강한 지도가 있었을지는 몰라도 학대로 볼만한 행위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가 교사로서 학폭 사실을 확인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는 판단에서다.검찰은 “A씨는 정확한 사실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었고, 이 과정은 다소 엄중한 분위기에서 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했다.”면서, “진행 도중 어떠한 폭행이나 협박은 없었던 점을 볼 때 A씨에게는 아동학대 혐의가 없다”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은성 변호사는 “A씨는 학년부장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학교폭력 발생 시 학생들을 상대로 가해 및 피해 사실 여부를 공정하게 조사하고, 그 결과를 상부에 보고할 의무가 있었다”면서, “실제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학폭 사태를 인지한 경우, 지체 없이 전담기구 또는 소속 교원으로 하여금 가해 및 피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은성 변호사는 “A씨는 교육법령과 학칙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그 요건과 절차를 준수한 것이다”라면서, “이는 교육상 필요와 동시에 학교 내 질서유지 등을 위한 행위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학폭 지도 중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무혐의’ 처분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학폭 지도 중 “야 이 새끼야”로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7-31
학폭 지도 중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무혐의’ 처분
학폭 지도 중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무혐의’ 처분
학교폭력 사안 사실확인서 작성 과정에서 발생훈계하자 정서 학대했다며 신고···아동복지법 위반 혐의 적용검찰 “교사로서 학폭 사실에 대한 정확한 파악 위해 불가피” 학교폭력 가해 학생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욕설 등 학대를 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교사가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청주지방검찰청은 지난 7일 아동복지법 위반(아동학대) 혐의로 송치된 40대 교사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1월 학교폭력 사안 관련 조사를 하던 중 학폭 가해 의심 학생에게 “야 이 새끼야” 등 욕설을 해 아동의 정신 건강에 해를 끼친 혐의를 받았다.가해 학생 부모 측은 지도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A씨를 형사 고소했다. 학생은 당시 A씨의 언행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이같은 주장에 대해 A씨는 훈육일 뿐 학대는 아니라고 반박했다. A씨는 “학폭이라는 중대한 사안과 관련해 사실확인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다소 강한 지도가 있었을지는 몰라도 학대로 볼만한 행위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가 교사로서 학폭 사실을 확인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는 판단에서다.검찰은 “A씨는 정확한 사실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었고, 이 과정은 다소 엄중한 분위기에서 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했다.”면서, “진행 도중 어떠한 폭행이나 협박은 없었던 점을 볼 때 A씨에게는 아동학대 혐의가 없다”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은성 변호사는 “A씨는 학년부장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학교폭력 발생 시 학생들을 상대로 가해 및 피해 사실 여부를 공정하게 조사하고, 그 결과를 상부에 보고할 의무가 있었다”면서, “실제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학폭 사태를 인지한 경우, 지체 없이 전담기구 또는 소속 교원으로 하여금 가해 및 피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은성 변호사는 “A씨는 교육법령과 학칙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그 요건과 절차를 준수한 것이다”라면서, “이는 교육상 필요와 동시에 학교 내 질서유지 등을 위한 행위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학폭 지도 중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무혐의’ 처분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학폭 지도 중 “야 이 새끼야”로 아동학대 고소 당한 교사···검찰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29
상법 개정, 지배구조 재편 현실화…기업 대응책은?
상법 개정, 지배구조 재편 현실화…기업 대응책은?
이재명 정부 핵심 입법 과제 중 하나인 상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기업 활동에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이번 개정은 소액주주 권리 강화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취지에서 추진됐다. 재계는 이번 개정안에 대해 법안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이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기업 지배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독소 조항도 일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재계에서 우려하는 조항은 무엇일까?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①이사 주주충실 의무 도입 ②독립이사제 도입 ③감사위원 선·해임 시 합산 3%룰 적용 확대 ④전자주주총회 제도 도입 등이 있다.먼저 현행 상법 제382조의3은 이사의 회사에 대한 충실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는 마련돼 있지 않았다. 이에 이사가 회사뿐만 아니라 주주의 이익을 위해서도 직무를 수행하도록 명문화한 것이다. 이런 연유로 이사회의 의사결정이 소액주주 이익에 침해가 될 경우 법적책임을 물을 수 있게 됐다. 결국 주주들이 이사들에게 손해배상이나 배임죄 고발 등 소송을 남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경영활동의 위축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독립이사제 도입 역시 기업 입장에서는 큰 걱정거리다. 이 제도는 사외이사 명칭을 독립이사로 변경하고, 의무 선임비율(기존 4분의 1 이상에서 3분의 1이상으로 상향)을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본래 미국에서 통용되는 제도이며,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독단적인 의사결정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영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인다는 취지이나, 자율적인 경영권을 과도하게 제한한다는 문제도 있다.다음은 감사위원 선·해임에 대한 개정이다. 개정안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회사에 대해 감사위원 선임 관련 규정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상장회사의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해 3%로 제한하는 이른바 '합산 3%룰'이 모든 감사위원 선임 시로 확대 적용된다. 기존 사내이사에게만 적용되던 규정을 사외이사까지 확대함으로써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높이려는 취지다.그러나 대다수의 기업들은 사외이사들로 감사위원회를 구성하기 때문에 이같은 개정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소수주주, 기관투자자 등이 감사위원 선임 과정에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관련 분쟁도 증가할 가능성도 높다. 일부에서는 대주주 경영권은 곧 이사회의 구성권인데, 이를 침해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마지막으로 살펴볼 부분은 전자주주총회 도입이다. 기존에는 주주들이 실제 주총 소집지에 출석해 의결권을 행사했으나, 이번 개정으로 원격지에서 전자적 방법에 의한 결의 참가가 가능해졌다. 시공간의 제약이 사라지면서 소액주주들도 편리하게 주총에 참여하고, 경영에 참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다만 기업 입장에서는 전자투표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비용적인 부담부터 보안문제 등 법적 책임까지 남아 있어 완전한 도입을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된다.종합하면 기업들은 기존 대주주 중심의 이사회가 아닌 외부세력 주도 이사회라는 전례 없는 상황에 경영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적인 입장에서도 현실적으로 다양한 주주들의 이익을 모두 합치시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본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각 기업의 상황에 맞는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장여부, 주주지분율, 이사회 구조 등에 따라 전략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초기 방향성을 잡았다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준비에 나서야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사회의 실질적 역할과 책임을 문서화해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향후 감사위원 선임안 상정 전 대결구도를 면밀히 살펴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을 권장한다. 더불어 전자주주총회 시스템 안정성 및 보안성 확보와 매뉴얼 정비와 같은 선제적인 준비도 필요하겠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지배구조를 개선해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상법 개정, 지배구조 재편 현실화…기업 대응책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29
상법 개정, 지배구조 재편 현실화…기업 대응책은?
상법 개정, 지배구조 재편 현실화…기업 대응책은?
이재명 정부 핵심 입법 과제 중 하나인 상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기업 활동에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이번 개정은 소액주주 권리 강화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취지에서 추진됐다. 재계는 이번 개정안에 대해 법안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이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기업 지배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독소 조항도 일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재계에서 우려하는 조항은 무엇일까?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①이사 주주충실 의무 도입 ②독립이사제 도입 ③감사위원 선·해임 시 합산 3%룰 적용 확대 ④전자주주총회 제도 도입 등이 있다.먼저 현행 상법 제382조의3은 이사의 회사에 대한 충실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는 마련돼 있지 않았다. 이에 이사가 회사뿐만 아니라 주주의 이익을 위해서도 직무를 수행하도록 명문화한 것이다. 이런 연유로 이사회의 의사결정이 소액주주 이익에 침해가 될 경우 법적책임을 물을 수 있게 됐다. 결국 주주들이 이사들에게 손해배상이나 배임죄 고발 등 소송을 남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경영활동의 위축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독립이사제 도입 역시 기업 입장에서는 큰 걱정거리다. 이 제도는 사외이사 명칭을 독립이사로 변경하고, 의무 선임비율(기존 4분의 1 이상에서 3분의 1이상으로 상향)을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본래 미국에서 통용되는 제도이며,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독단적인 의사결정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영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인다는 취지이나, 자율적인 경영권을 과도하게 제한한다는 문제도 있다.다음은 감사위원 선·해임에 대한 개정이다. 개정안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회사에 대해 감사위원 선임 관련 규정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상장회사의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해 3%로 제한하는 이른바 '합산 3%룰'이 모든 감사위원 선임 시로 확대 적용된다. 기존 사내이사에게만 적용되던 규정을 사외이사까지 확대함으로써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높이려는 취지다.그러나 대다수의 기업들은 사외이사들로 감사위원회를 구성하기 때문에 이같은 개정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소수주주, 기관투자자 등이 감사위원 선임 과정에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관련 분쟁도 증가할 가능성도 높다. 일부에서는 대주주 경영권은 곧 이사회의 구성권인데, 이를 침해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마지막으로 살펴볼 부분은 전자주주총회 도입이다. 기존에는 주주들이 실제 주총 소집지에 출석해 의결권을 행사했으나, 이번 개정으로 원격지에서 전자적 방법에 의한 결의 참가가 가능해졌다. 시공간의 제약이 사라지면서 소액주주들도 편리하게 주총에 참여하고, 경영에 참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다만 기업 입장에서는 전자투표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비용적인 부담부터 보안문제 등 법적 책임까지 남아 있어 완전한 도입을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된다.종합하면 기업들은 기존 대주주 중심의 이사회가 아닌 외부세력 주도 이사회라는 전례 없는 상황에 경영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적인 입장에서도 현실적으로 다양한 주주들의 이익을 모두 합치시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본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각 기업의 상황에 맞는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장여부, 주주지분율, 이사회 구조 등에 따라 전략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초기 방향성을 잡았다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준비에 나서야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사회의 실질적 역할과 책임을 문서화해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향후 감사위원 선임안 상정 전 대결구도를 면밀히 살펴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을 권장한다. 더불어 전자주주총회 시스템 안정성 및 보안성 확보와 매뉴얼 정비와 같은 선제적인 준비도 필요하겠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지배구조를 개선해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상법 개정, 지배구조 재편 현실화…기업 대응책은?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29
[상법개정안 여파] M&A 활성화 기대되지만…적대적 투자 우려도
[상법개정안 여파] M&A 활성화 기대되지만…적대적 투자 우려도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대주주 중심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권 강화를 목적으로 한 개정상법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M&A 시장의 신뢰도 상승과 활성화가 기대되지만, 적대적 M&A 시도가 많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법조계에서는 신중한 거래구조를 설계함과 동시에 M&A의 정당성과 절차적 투명성 등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달 공포된 개정상법은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 사외이사의 독립이사 전환, 감사위원 선임 시 대주주 의결권을 제한하는 '3%룰' 등이 골자다. 대주주의 지배력을 견제하고 전체 주주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핵심이다.이는 M&A 시장 활성화 등 긍정적인 메시지를 던진다. 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등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도 제고와 M&A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이 존재한다"고 말했다.법무법인 원의 이영주 변호사는 "M&A 시장에서 소수주주권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어 거래가 활발해지고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가 늘어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망했다.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로 엑시트(투자금 회수) 수단 중 기업공개(IPO)에 대한 선호도가 줄고 주식 100%를 인수하는 M&A 방식이 선호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IPO로 엑시트하는 경우 창업자의 경영권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수의 주주에게 주식이 분산되기 때문에 이들이 창업자를 포함한 이사의 충실 의무 위반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M&A 방식의 엑시트는 IPO와 달리 주식이 분산되지 않고 대규모로 유통되지도 않으므로, 폐쇄적 주주 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주주로부터 소송을 당할 위험도 상대적으로 작다"며 "이미 상장한 기업 중에도 이러한 주주관리의 어려움을 이유로 자진 상장폐지하는 경우가 이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짚었다. 신중한 거래 설계·거래 공정성 검토 필요 개정상법의 영향으로 적대적 M&A 시도에 노출되는 상황 등을 걱정하는 의견도 많았다. 신 변호사는 "외부 투자자들이 지배주주의 경영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모든 주주에게 이익이 된다고 주장하며 적대적 M&A 제안 및 감사위원 선임을 시도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이사들은 기존 경영진과 지배주주들이 아닌 총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검토해 이른바 경매인의 입장에 있어야 하므로 적대적 M&A 시도 및 성공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단기적으로 이사들의 책임이 커지고 충실 의무에 대한 해석이 불명확한 기간이 어느 정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회사가 M&A를 망설이거나 규모를 축소할 우려가 있다"며 "인수되는 기업이 이사 의무 위반 가능성을 명분으로 보다 유리한 거래조건을 요구하거나 협상을 지연시키는 등 M&A 과정이 혼탁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개정상법에 따른 M&A 시장의 변화가 불가피해지면서 거래구조를 보다 신중하게 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특히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가 충돌될 수 있는 거래구조를 설계할 때 이사의 충실 의무 위반 리스크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며 "이는 합병, 자회사 상장, 물적분할 등 주요 M&A 거래에서 거래구조의 복잡성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더불어 절차적 투명성과 거래공정성에 문제가 없도록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거래 과정에서 주주들의 소송이나 경영진의 배임 관련 형사 소송이 제기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얘기다.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M&A 과정에서 총주주의 이익을 고려했으나 결과적으로 일부 주주의 의사에 반했는지에 대한 경영상 판단기준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며 "이에 기업은 이전보다 더 객관적인 자료와 공정한 절차를 준비해 소수주주의 개입에 대비하고, M&A의 정당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기업가치와 신뢰성을 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M&A 활성화 기대되지만…적대적 투자 우려도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29
[상법개정안 여파] M&A 활성화 기대되지만…적대적 투자 우려도
[상법개정안 여파] M&A 활성화 기대되지만…적대적 투자 우려도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대주주 중심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권 강화를 목적으로 한 개정상법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M&A 시장의 신뢰도 상승과 활성화가 기대되지만, 적대적 M&A 시도가 많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법조계에서는 신중한 거래구조를 설계함과 동시에 M&A의 정당성과 절차적 투명성 등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달 공포된 개정상법은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 사외이사의 독립이사 전환, 감사위원 선임 시 대주주 의결권을 제한하는 '3%룰' 등이 골자다. 대주주의 지배력을 견제하고 전체 주주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핵심이다.이는 M&A 시장 활성화 등 긍정적인 메시지를 던진다. 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등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도 제고와 M&A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이 존재한다"고 말했다.법무법인 원의 이영주 변호사는 "M&A 시장에서 소수주주권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어 거래가 활발해지고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가 늘어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망했다.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로 엑시트(투자금 회수) 수단 중 기업공개(IPO)에 대한 선호도가 줄고 주식 100%를 인수하는 M&A 방식이 선호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IPO로 엑시트하는 경우 창업자의 경영권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수의 주주에게 주식이 분산되기 때문에 이들이 창업자를 포함한 이사의 충실 의무 위반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M&A 방식의 엑시트는 IPO와 달리 주식이 분산되지 않고 대규모로 유통되지도 않으므로, 폐쇄적 주주 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주주로부터 소송을 당할 위험도 상대적으로 작다"며 "이미 상장한 기업 중에도 이러한 주주관리의 어려움을 이유로 자진 상장폐지하는 경우가 이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짚었다. 신중한 거래 설계·거래 공정성 검토 필요 개정상법의 영향으로 적대적 M&A 시도에 노출되는 상황 등을 걱정하는 의견도 많았다. 신 변호사는 "외부 투자자들이 지배주주의 경영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모든 주주에게 이익이 된다고 주장하며 적대적 M&A 제안 및 감사위원 선임을 시도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이사들은 기존 경영진과 지배주주들이 아닌 총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검토해 이른바 경매인의 입장에 있어야 하므로 적대적 M&A 시도 및 성공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단기적으로 이사들의 책임이 커지고 충실 의무에 대한 해석이 불명확한 기간이 어느 정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회사가 M&A를 망설이거나 규모를 축소할 우려가 있다"며 "인수되는 기업이 이사 의무 위반 가능성을 명분으로 보다 유리한 거래조건을 요구하거나 협상을 지연시키는 등 M&A 과정이 혼탁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개정상법에 따른 M&A 시장의 변화가 불가피해지면서 거래구조를 보다 신중하게 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특히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가 충돌될 수 있는 거래구조를 설계할 때 이사의 충실 의무 위반 리스크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며 "이는 합병, 자회사 상장, 물적분할 등 주요 M&A 거래에서 거래구조의 복잡성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더불어 절차적 투명성과 거래공정성에 문제가 없도록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거래 과정에서 주주들의 소송이나 경영진의 배임 관련 형사 소송이 제기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얘기다.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M&A 과정에서 총주주의 이익을 고려했으나 결과적으로 일부 주주의 의사에 반했는지에 대한 경영상 판단기준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며 "이에 기업은 이전보다 더 객관적인 자료와 공정한 절차를 준비해 소수주주의 개입에 대비하고, M&A의 정당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기업가치와 신뢰성을 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M&A 활성화 기대되지만…적대적 투자 우려도 (바로가기)
국제신문 등 4곳
2025-07-29
“수천 명에게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추진
“수천 명에게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추진
추천인 제도 이용 투자자 모집다단계 폰지사기로 피해 키워법무법인 대륜, 관련 TF 구성피해규모 파악해 고소 등 진행 자산 운영 서비스 사업을 벌이던 유플러스KMA(이하 UK플랫폼) 주식회사의 대표가 사기 관련 혐의로 구속 수사를 받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피해자를 모아 집단소송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대륜 측은 UK플랫폼 회원이 전국에 수천 명 이상인 것으로 추정한다.경남 창원시에 본사를 둔 UK플랫폼은 건강·여가·노후를 한번에 책임지는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회원을 모집해 왔다. 또 기존 회원이 새 회원을 유치하면 보상을 받는 추천인 제도를 활용해 더 많은 투자자를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회사는 회원들이 투자금을 제공하면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식으로 운영됐다. 구체적으로 회원들에게 월 5~10% 투자 수익률을 보장하고, 투자금 대비 4배 정도 포인트를 지급해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유인했다. 회원들은 이 포인트로 제휴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여행업체를 통해 크루즈를 이용하는 등의 서비스를 받을 예정이었다.특히 UK플랫폼 대표는 자신을 의사라고 소개하며 회원들로부터 거액의 투자를 받았지만, 지난달 의료법 위반 및 사기 혐의 등으로 구속됐다. 이에 따라 애초 약속한 내용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고, 수익금 지급이나 서비스 이용이 중단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이 때문에 회원들이 투자금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회사 측은 회원들이 보유한 포인트를 코인으로 재투자하도록 유도하는 등 2차 피해까지 양산하고 있다고 대륜 측은 설명했다.이처럼 피해가 잇따르자 법무법인 대륜은 UK플랫폼 사기 피해 형사고소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대륜은 폰지사기 사건 경험이 풍부한 변호사단을 꾸리고, UK플랫폼 대표 사기 고소 등 정식 절차를 밟을 방침이다.이와 함께 구체적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유형별 피해 사례를 정리해 고소장을 접수할 예정이다. 공범 혐의자 수사 요청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또 필요하면 손해배상 청구, 가압류 등 민사상 조치도 진행하기로 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최근 투자자의 돈을 돌려막는 일명 폰지사기가 기승을 부린다. 이제는 다단계 형태까지 더해져 피해 규모가 막대해지고 있다”며 “구체적 내용은 파악 중이나, 이번 UK플랫폼 사기는 회원이 수천 명 이상으로 추정돼 피해 규모가 광범위할 것으로 보인다. 집단소송으로 추가 피해를 막고 최대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국제신문 - “수천 명에게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세정일보 - 대륜, ‘수천억 원대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피해자 모집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수천억원대 폰지사기’ UK 플랫폼…대륜, 집단소송 피해자 모집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천억 원대 폰지사기” UK 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피해자 모집 (바로가기)
국제신문 등 4곳
2025-07-29
“수천 명에게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추진
“수천 명에게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추진
추천인 제도 이용 투자자 모집다단계 폰지사기로 피해 키워법무법인 대륜, 관련 TF 구성피해규모 파악해 고소 등 진행 자산 운영 서비스 사업을 벌이던 유플러스KMA(이하 UK플랫폼) 주식회사의 대표가 사기 관련 혐의로 구속 수사를 받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피해자를 모아 집단소송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대륜 측은 UK플랫폼 회원이 전국에 수천 명 이상인 것으로 추정한다.경남 창원시에 본사를 둔 UK플랫폼은 건강·여가·노후를 한번에 책임지는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회원을 모집해 왔다. 또 기존 회원이 새 회원을 유치하면 보상을 받는 추천인 제도를 활용해 더 많은 투자자를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회사는 회원들이 투자금을 제공하면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식으로 운영됐다. 구체적으로 회원들에게 월 5~10% 투자 수익률을 보장하고, 투자금 대비 4배 정도 포인트를 지급해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유인했다. 회원들은 이 포인트로 제휴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여행업체를 통해 크루즈를 이용하는 등의 서비스를 받을 예정이었다.특히 UK플랫폼 대표는 자신을 의사라고 소개하며 회원들로부터 거액의 투자를 받았지만, 지난달 의료법 위반 및 사기 혐의 등으로 구속됐다. 이에 따라 애초 약속한 내용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고, 수익금 지급이나 서비스 이용이 중단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이 때문에 회원들이 투자금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회사 측은 회원들이 보유한 포인트를 코인으로 재투자하도록 유도하는 등 2차 피해까지 양산하고 있다고 대륜 측은 설명했다.이처럼 피해가 잇따르자 법무법인 대륜은 UK플랫폼 사기 피해 형사고소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대륜은 폰지사기 사건 경험이 풍부한 변호사단을 꾸리고, UK플랫폼 대표 사기 고소 등 정식 절차를 밟을 방침이다.이와 함께 구체적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유형별 피해 사례를 정리해 고소장을 접수할 예정이다. 공범 혐의자 수사 요청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또 필요하면 손해배상 청구, 가압류 등 민사상 조치도 진행하기로 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최근 투자자의 돈을 돌려막는 일명 폰지사기가 기승을 부린다. 이제는 다단계 형태까지 더해져 피해 규모가 막대해지고 있다”며 “구체적 내용은 파악 중이나, 이번 UK플랫폼 사기는 회원이 수천 명 이상으로 추정돼 피해 규모가 광범위할 것으로 보인다. 집단소송으로 추가 피해를 막고 최대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국제신문 - “수천 명에게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세정일보 - 대륜, ‘수천억 원대 폰지사기’ UK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피해자 모집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수천억원대 폰지사기’ UK 플랫폼…대륜, 집단소송 피해자 모집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천억 원대 폰지사기” UK 플랫폼 상대 집단소송 피해자 모집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28
경영 상황 속여 계약 체결한 공장장…항소심서도 ‘무죄’
경영 상황 속여 계약 체결한 공장장…항소심서도 ‘무죄’
가스 대금 변제·가스 공급 외상 조건으로 계약 체결…“상환 이뤄지지 않았다”재판부 “피해자, 피고인 경제상황 알 수 있었다…피고인 이익 위해 체결된 계약 아냐” 경영 상황을 속이고 계약을 체결해 채무를 변제하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공장장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수원지방법원 제6-1형사부는 지난 1일 사기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의 항소심 공판에서 검찰의 항소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지난 2023년 가스 공급업체 사장 B씨를 속여 밀린 가스 대금을 대신 납부하게 한 혐의를 받았다. 아울러 B씨 회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고도 이용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도 받았다.조사 결과 A씨는 공장 경영이 악화되면서 가스 대금을 연체하게 됐고, 이후 B씨 회사와 새롭게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B씨 측은 계약 당시 A씨가 자금 사정이 곧 좋아질 것이라 강조하며 변제를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당시 공장 경영 사정이 좋지 않았고, 별건의 다액 채무가 있는 상태에서 이같은 계약을 체결했던 점을 봤을 때 A씨에게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금 사정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또 기존 가스 업체의 소개로 B씨의 업체를 알게됐는데, 두 업체가 친분이 있던 만큼 자신의 경제 상황에 대해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나아가 이를 알고도 무리하게 계약을 체결한 것은 영업 실적 등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 주장했다.1심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계약을 체결한 직원이 '기존 업체로부터 대략적인 이야기를 전부 들었다'고 진술한 점을 봤을 때 피고인의 경제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며 "'자금 사정이 곧 나아진다'는 말만 믿고 피해자가 기존 업체의 채무까지 인수하면서 계약을 체결한다는 것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검찰은 항소장을 제출했으나 2심 법원은 원심 판단을 유지했다.항소심 재판부는 "기존 업체는 대금 연체가 늘어나자 가스 공급 중단 의사를 밝히며 피해자 회사를 소개했는데, 계약의 내용 및 체결 등에 관해 상당한 관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봤을 때 이 계약은 피고인 스스로 원해서 체결됐다기보다 기존 업체의 이익을 위해 체결된 측면이 강하다"고 판단했다.이어 "피해회사측은 기존 업체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영업 실적을 위해 대금을 지급받지 못할 위험을 감수하면서 계약을 체결했다고 볼 여지가 상당하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윤성진 변호사는 "이 계약을 통해 A씨가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은 가스 미납 대금 1,600만 원이었고 가스 계약과 관련해서 구체적인 조건을 속이지도 않았다"면서 "오히려 이 계약을 통해 실질적으로 이득을 취한 것은 기존 가스 공급업자였기 때문에 재판부도 A씨에게 기망 행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경영 상황 속여 계약 체결한 공장장…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28
경영 상황 속여 계약 체결한 공장장…항소심서도 ‘무죄’
경영 상황 속여 계약 체결한 공장장…항소심서도 ‘무죄’
가스 대금 변제·가스 공급 외상 조건으로 계약 체결…“상환 이뤄지지 않았다”재판부 “피해자, 피고인 경제상황 알 수 있었다…피고인 이익 위해 체결된 계약 아냐” 경영 상황을 속이고 계약을 체결해 채무를 변제하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공장장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수원지방법원 제6-1형사부는 지난 1일 사기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의 항소심 공판에서 검찰의 항소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지난 2023년 가스 공급업체 사장 B씨를 속여 밀린 가스 대금을 대신 납부하게 한 혐의를 받았다. 아울러 B씨 회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고도 이용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도 받았다.조사 결과 A씨는 공장 경영이 악화되면서 가스 대금을 연체하게 됐고, 이후 B씨 회사와 새롭게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B씨 측은 계약 당시 A씨가 자금 사정이 곧 좋아질 것이라 강조하며 변제를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당시 공장 경영 사정이 좋지 않았고, 별건의 다액 채무가 있는 상태에서 이같은 계약을 체결했던 점을 봤을 때 A씨에게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금 사정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또 기존 가스 업체의 소개로 B씨의 업체를 알게됐는데, 두 업체가 친분이 있던 만큼 자신의 경제 상황에 대해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나아가 이를 알고도 무리하게 계약을 체결한 것은 영업 실적 등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 주장했다.1심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계약을 체결한 직원이 '기존 업체로부터 대략적인 이야기를 전부 들었다'고 진술한 점을 봤을 때 피고인의 경제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며 "'자금 사정이 곧 나아진다'는 말만 믿고 피해자가 기존 업체의 채무까지 인수하면서 계약을 체결한다는 것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검찰은 항소장을 제출했으나 2심 법원은 원심 판단을 유지했다.항소심 재판부는 "기존 업체는 대금 연체가 늘어나자 가스 공급 중단 의사를 밝히며 피해자 회사를 소개했는데, 계약의 내용 및 체결 등에 관해 상당한 관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봤을 때 이 계약은 피고인 스스로 원해서 체결됐다기보다 기존 업체의 이익을 위해 체결된 측면이 강하다"고 판단했다.이어 "피해회사측은 기존 업체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영업 실적을 위해 대금을 지급받지 못할 위험을 감수하면서 계약을 체결했다고 볼 여지가 상당하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윤성진 변호사는 "이 계약을 통해 A씨가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은 가스 미납 대금 1,600만 원이었고 가스 계약과 관련해서 구체적인 조건을 속이지도 않았다"면서 "오히려 이 계약을 통해 실질적으로 이득을 취한 것은 기존 가스 공급업자였기 때문에 재판부도 A씨에게 기망 행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경영 상황 속여 계약 체결한 공장장…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6곳
2025-07-28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미국 지식재산권 분야의 전문 로펌 '브릿지웨이 IP 법률사무소(Bridgeway IP Law Group, PLLC)'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내 기업을 위한 글로벌 지식적재산권(IP) 전략 지원에 본격 나선다고 28일 밝혔다.이번 협약식은 지난 23일 대륜 서울본부 여의도 분사무소에서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와 브릿지웨이 IP의 코리 신(Corey Shin) 파트너 변호사, 데이비드 정(David Jung) 변호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브릿지웨이 IP는 미국 버지니아에 기반을 둔 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권 출원 및 관련 소송과 법률 서비스에 특화된 지적재산권 전문 로펌이다.소속 전문가들로는 미국 특허 변호사를 비롯하여 미국 특허청(USPTO) 전직 심사관, 미국 로스쿨 교수, 박사급 기술전문가 등이 포함되어 있다. IT, AI, 소프트웨어, 반도체, 통신, 자동차, 생화학, 약학, 의료기기, 중장비 등의 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업, 대학, 국책연구소, 스타트업 등을 성공적으로 대리해 왔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고객사의 미국 특허 출원 뿐 아니라, 해외 IP 라이선싱, 해외 임상시험, 제조·유통 계약 검토, 기술기반 M&A, 투자 유치 관련 IP 컨설팅 자문 등 비즈니스 전략과 연계된 입체적인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IP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잠재적 리스크를 사전에 제거하는 데 협력할 방침이다.또한 양사는 한국, 미국출원과 함께 △R&D 초기 단계의 선행 기술 분석 및 IP전략 자문 △기술 기반 M&A 시 IP 실사 및 가치 평가 대비 특허변호사 의견서 제공 △미국 특허청 및 법원 단계의 특허 심판·침해 소송 등에 따른 무효, 침해/비침해, FTO(Freedom to Operate)의견서 작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브릿지웨이 IP의 코리 신 파트너 변호사는 "한국의 혁신 기업들은 뛰어난 원천기술 또는 발전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글로벌 메가 로펌으로 도약하고 있는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 기업들이 기술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이미 IP 자산은 기업 생존과 가치를 좌우하는 핵심 경영 요소"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과 분쟁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든든한 방패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체결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기업 글로벌 지식재산권 전략지원…美특허로펌 브릿지웨이IP와 협약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웨이 IP 법률사무소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 - 대륜, 美 특허 로펌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미 IP 로펌 브릿지웨이 · 페이쿼리와 MOU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6곳
2025-07-28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미국 지식재산권 분야의 전문 로펌 '브릿지웨이 IP 법률사무소(Bridgeway IP Law Group, PLLC)'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내 기업을 위한 글로벌 지식적재산권(IP) 전략 지원에 본격 나선다고 28일 밝혔다.이번 협약식은 지난 23일 대륜 서울본부 여의도 분사무소에서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와 브릿지웨이 IP의 코리 신(Corey Shin) 파트너 변호사, 데이비드 정(David Jung) 변호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브릿지웨이 IP는 미국 버지니아에 기반을 둔 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권 출원 및 관련 소송과 법률 서비스에 특화된 지적재산권 전문 로펌이다.소속 전문가들로는 미국 특허 변호사를 비롯하여 미국 특허청(USPTO) 전직 심사관, 미국 로스쿨 교수, 박사급 기술전문가 등이 포함되어 있다. IT, AI, 소프트웨어, 반도체, 통신, 자동차, 생화학, 약학, 의료기기, 중장비 등의 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업, 대학, 국책연구소, 스타트업 등을 성공적으로 대리해 왔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고객사의 미국 특허 출원 뿐 아니라, 해외 IP 라이선싱, 해외 임상시험, 제조·유통 계약 검토, 기술기반 M&A, 투자 유치 관련 IP 컨설팅 자문 등 비즈니스 전략과 연계된 입체적인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IP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잠재적 리스크를 사전에 제거하는 데 협력할 방침이다.또한 양사는 한국, 미국출원과 함께 △R&D 초기 단계의 선행 기술 분석 및 IP전략 자문 △기술 기반 M&A 시 IP 실사 및 가치 평가 대비 특허변호사 의견서 제공 △미국 특허청 및 법원 단계의 특허 심판·침해 소송 등에 따른 무효, 침해/비침해, FTO(Freedom to Operate)의견서 작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브릿지웨이 IP의 코리 신 파트너 변호사는 "한국의 혁신 기업들은 뛰어난 원천기술 또는 발전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글로벌 메가 로펌으로 도약하고 있는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 기업들이 기술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이미 IP 자산은 기업 생존과 가치를 좌우하는 핵심 경영 요소"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과 분쟁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든든한 방패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체결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기업 글로벌 지식재산권 전략지원…美특허로펌 브릿지웨이IP와 협약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美 특허 로펌 브릿지웨이 IP와 MOU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브릿지웨이 IP 법률사무소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 - 대륜, 美 특허 로펌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미 IP 로펌 브릿지웨이 · 페이쿼리와 MOU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3곳
2025-07-28
대륜, IT 벤처기업 AI·보안 법률대응 ‘원스톱 솔루션’
대륜, IT 벤처기업 AI·보안 법률대응 ‘원스톱 솔루션’
법무법인 대륜이 페이쿼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술 기업에 특화된 법률 자문 협력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4일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와 페이쿼리 이수혁 대표 등이 참석했다. 페이쿼리는 지난 2023년 설립된 IT 기반 벤처기업으로 AI 쿼리 분석을 활용한 성형 상담 플랫폼을 비롯해 건축 적산 솔루션, 보안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상용화하고 있다. 자사 보안 솔루션 ‘쿼리파이(QueryPie)’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서버·웹 애플리케이션·클라우드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접근 제어와 민감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하고 ISMS 및 GDPR 등 국내외 보안 규제에 부합하는 기술을 개발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AI, 보안, 건설, 의료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의 사전적 법적 이슈 대응과 글로벌 진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 리스크에 대한 통합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AI 학습 데이터 저작권 및 개인정보 이슈 사전 검토 ▲산업별 기술특허 및 IP 보호 전략 수립 ▲진출국 법률 체계 분석 및 계약 구조 최적화 등 맞춤형 법률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페이쿼리 이수혁 대표는 “기술 스타트업에게 법률 자문은 단순한 리스크 예방을 넘어서 사업 전략의 핵심”이라며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IP 확보, 데이터 보안, 해외 계약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적인 가이드를 받을 수 있어 매우 든든하다. 특히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 대상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AI 기반 기술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그에 수반되는 법률 리스크도 점점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며 “이번 MOU를 통해 페이쿼리가 기술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 안정적인 법률 기반을 마련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대륜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부터 중견·대기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기업법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IT 벤처기업 AI·보안 법률대응 ‘원스톱 솔루션’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IT 기반 벤처기업 페이쿼리와 MOU체결 (바로가기) 머니S - 법무법인 대륜, IT 기반 벤처기업 AI·보안 등 법률 대응 돕는다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3곳
2025-07-28
대륜, IT 벤처기업 AI·보안 법률대응 ‘원스톱 솔루션’
대륜, IT 벤처기업 AI·보안 법률대응 ‘원스톱 솔루션’
법무법인 대륜이 페이쿼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술 기업에 특화된 법률 자문 협력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4일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와 페이쿼리 이수혁 대표 등이 참석했다. 페이쿼리는 지난 2023년 설립된 IT 기반 벤처기업으로 AI 쿼리 분석을 활용한 성형 상담 플랫폼을 비롯해 건축 적산 솔루션, 보안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상용화하고 있다. 자사 보안 솔루션 ‘쿼리파이(QueryPie)’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서버·웹 애플리케이션·클라우드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접근 제어와 민감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하고 ISMS 및 GDPR 등 국내외 보안 규제에 부합하는 기술을 개발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AI, 보안, 건설, 의료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의 사전적 법적 이슈 대응과 글로벌 진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 리스크에 대한 통합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AI 학습 데이터 저작권 및 개인정보 이슈 사전 검토 ▲산업별 기술특허 및 IP 보호 전략 수립 ▲진출국 법률 체계 분석 및 계약 구조 최적화 등 맞춤형 법률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페이쿼리 이수혁 대표는 “기술 스타트업에게 법률 자문은 단순한 리스크 예방을 넘어서 사업 전략의 핵심”이라며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IP 확보, 데이터 보안, 해외 계약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적인 가이드를 받을 수 있어 매우 든든하다. 특히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 대상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AI 기반 기술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그에 수반되는 법률 리스크도 점점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며 “이번 MOU를 통해 페이쿼리가 기술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 안정적인 법률 기반을 마련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대륜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부터 중견·대기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기업법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IT 벤처기업 AI·보안 법률대응 ‘원스톱 솔루션’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IT 기반 벤처기업 페이쿼리와 MOU체결 (바로가기) 머니S - 법무법인 대륜, IT 기반 벤처기업 AI·보안 등 법률 대응 돕는다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7-23
[기고] 비대면 의약품 주문 및 택배 배송에 대한 법적 쟁점
[기고] 비대면 의약품 주문 및 택배 배송에 대한 법적 쟁점
최근 창고형 약국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유통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을 내세운 창고형 약국에 대해 기존 약사업계는 의약품 오남용 및 생태계 붕괴를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이러한 창고형 약국이 비대면 판매까지 시도한다면 그 파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이러한 시점에 지난달 12일 의약품의 비대면 판매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선고됐다(대법원 2023도9880 판결). 해당 판결은 대면으로 문진한 후 판매한 다이어트 한약을 전화통화로 재주문받아 택배 배송해준 행위에 대한 약사법위반을 다룬 사례다.이 사건 항소심 재판부는 위 행위에 대해 '의약품의 주문, 제조, 인도, 복약지도 등 의약품 판매를 구성하는 일련의 행위의 주요 부분이 약국 내에서 이뤄진 것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이라며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약사법 제50조 제1항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서울동부지방법원 2021노1678 판결).① 대면으로 문진하고 한약을 1차 판매한 이후, 전화통화로 해당 한약을 좀 더 먹고 싶다는 취지로 이야기해 택배로 해당 한약을 재차 판매② 1차 판매한 한약과 재차 판매한 한약의 내용물, 구성, 가격이 모두 동일③ 한약 구매자가 전화통화를 통해 별다른 이상 증상을 호소하지 않아 판매자로서는 추가로 대면해 문진할 필요성이 없다고 봄그러나 대법원은 약사법 제50조 제1항이 '약국개설자 및 의약품판매업자는 그 약국 또는 점포 이외의 장소에서 의약품을 판매해서는 아니 된다'고 정해 의약품 판매 장소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충실한 복약지도 등을 통한 의약품의 오남용 방지뿐만 아니라 보관과 유통과정에서 의약품이 변질 오염될 가능성을 차단하며, 약화 사고 시의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봤다.이어 '주문자를 대면한 상태에서 한약을 복용한 후의 신체 변화 등을 확인한 다음 주문자의 신체 상태에 맞는 한약을 주문받아 조제하고 충실하게 복약지도하는 일련의 행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중간과정 없이 판매자가 주문자에게 한약을 직접 전달하지도 않았는 바 의약품의 주문, 인도, 복약지도 등 의약품 판매를 구성하는 일련의 행위 전부 또는 주요 부분이 약국 내에서 이뤄졌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로 판결했다.위 대법원 판결은 창고형 약국의 다음 비즈니스 모델로 꼽히는 '온라인 주문 및 택배 배송'이 현재 시점에서는 약사법 제50조 제1항(판매 장소 제한) 위반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다만 미국·일본·영국 등 선진국에서 비대면 진료 및 약 처방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는 점, 국내에서도 2022년 6월 약국 앞에 설치된 기기의 모니터를 통해 약사와 화상 통화로 상담 및 복약지도를 거친 후 원격제어 시스템으로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에 대해 실증을 위한 규제특례가 지정된 점 등을 보면 국내에서도 관련 규정이나 판례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비대면 의약품 주문 및 택배 배송에 대한 법적 쟁점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7-23
[기고] 비대면 의약품 주문 및 택배 배송에 대한 법적 쟁점
[기고] 비대면 의약품 주문 및 택배 배송에 대한 법적 쟁점
최근 창고형 약국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유통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을 내세운 창고형 약국에 대해 기존 약사업계는 의약품 오남용 및 생태계 붕괴를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이러한 창고형 약국이 비대면 판매까지 시도한다면 그 파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이러한 시점에 지난달 12일 의약품의 비대면 판매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선고됐다(대법원 2023도9880 판결). 해당 판결은 대면으로 문진한 후 판매한 다이어트 한약을 전화통화로 재주문받아 택배 배송해준 행위에 대한 약사법위반을 다룬 사례다.이 사건 항소심 재판부는 위 행위에 대해 '의약품의 주문, 제조, 인도, 복약지도 등 의약품 판매를 구성하는 일련의 행위의 주요 부분이 약국 내에서 이뤄진 것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이라며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약사법 제50조 제1항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서울동부지방법원 2021노1678 판결).① 대면으로 문진하고 한약을 1차 판매한 이후, 전화통화로 해당 한약을 좀 더 먹고 싶다는 취지로 이야기해 택배로 해당 한약을 재차 판매② 1차 판매한 한약과 재차 판매한 한약의 내용물, 구성, 가격이 모두 동일③ 한약 구매자가 전화통화를 통해 별다른 이상 증상을 호소하지 않아 판매자로서는 추가로 대면해 문진할 필요성이 없다고 봄그러나 대법원은 약사법 제50조 제1항이 '약국개설자 및 의약품판매업자는 그 약국 또는 점포 이외의 장소에서 의약품을 판매해서는 아니 된다'고 정해 의약품 판매 장소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충실한 복약지도 등을 통한 의약품의 오남용 방지뿐만 아니라 보관과 유통과정에서 의약품이 변질 오염될 가능성을 차단하며, 약화 사고 시의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봤다.이어 '주문자를 대면한 상태에서 한약을 복용한 후의 신체 변화 등을 확인한 다음 주문자의 신체 상태에 맞는 한약을 주문받아 조제하고 충실하게 복약지도하는 일련의 행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중간과정 없이 판매자가 주문자에게 한약을 직접 전달하지도 않았는 바 의약품의 주문, 인도, 복약지도 등 의약품 판매를 구성하는 일련의 행위 전부 또는 주요 부분이 약국 내에서 이뤄졌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로 판결했다.위 대법원 판결은 창고형 약국의 다음 비즈니스 모델로 꼽히는 '온라인 주문 및 택배 배송'이 현재 시점에서는 약사법 제50조 제1항(판매 장소 제한) 위반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다만 미국·일본·영국 등 선진국에서 비대면 진료 및 약 처방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는 점, 국내에서도 2022년 6월 약국 앞에 설치된 기기의 모니터를 통해 약사와 화상 통화로 상담 및 복약지도를 거친 후 원격제어 시스템으로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에 대해 실증을 위한 규제특례가 지정된 점 등을 보면 국내에서도 관련 규정이나 판례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비대면 의약품 주문 및 택배 배송에 대한 법적 쟁점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23
‘강제집행 피하려 재산 은닉’ 혐의 50대, 항소심서 무죄
‘강제집행 피하려 재산 은닉’ 혐의 50대, 항소심서 무죄
재판부 “면탈 목적 입증 안 돼”1심 유죄 ‘벌금형 선고’ 뒤집어 채무 불이행에 따른 강제집행을 피하려고 재산을 숨긴 혐의로 기소된 50대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창원지방법원 제3-2형사부(부장판사 권미연·정현희·오택원)는 지난 10일 강제집행면탈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강제집행면탈죄란 강제집행을 면할 목적으로 재산을 은닉·손괴 또는 허위 양도하거나 허위의 채무를 부담해 채권자를 해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다. 형법 제327조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앞서 소방시설 관리업을 운영하던 A 씨는 2012년 7월께부터 한 건물 소방 안전관리 용역을 위탁받아 업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관리 소홀로 큰 화재가 발생했고, 관련 손해배상 소송이 제기되면서 4억여 원을 배상할 위기에 놓였다.A 씨는 소유 재산이 강제집행 당할 위기에 처하자, 자신의 배우자를 대표이사로 내세워 새 회사를 설립했다. 또 기존 위탁관리 계약사 일부와 새 명의로 계약을 체결했다.검찰은 A 씨가 손해배상 채무에 따른 강제집행을 피할 목적으로 재산을 은닉했다고 보고, 강제집행면탈 혐의를 적용했다.1심은 A 씨의 혐의를 유죄로 인정해 벌금형을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A 씨가 거래처를 허위로 이전하는 방법으로 기존 회사의 재산을 은닉했다”고 밝혔다.그러나 항소심 재판부는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관련 민사소송에서 패소하면서 회사의 이미지가 악화돼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보이는 점, 기존 회사의 손해배상 채무가 새 회사로 이전된 점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면 제출된 증거만으로는 A 씨에게 강제집행 면탈의 목적이 있었음이 입증됐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고정항 변호사는 “A 씨가 일부 거래처와 계약을 해지하고 배우자 명의의 회사로 양도한 것은 사업 지속 어려움이라는 경영상 이유 때문이었다. 즉, 채무 회피 목적이 아니다”며 “이에 따라 화재에 대한 손해배상 채무 역시 새 회사로 승계돼 피해를 본 건물 측은 민사집행법 제31조에 의해 승계집행문을 부여받아 강제집행 절차를 밟을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결국, A 씨가 소방시설업을 양도하고 그 거래처를 이전한 행위는 허위 양도나 강제집행면탈죄의 은닉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따라서 채권자를 해할 위험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해 무죄를 끌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강제집행 피하려 재산 은닉’ 혐의 50대, 항소심서 무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23
‘강제집행 피하려 재산 은닉’ 혐의 50대, 항소심서 무죄
‘강제집행 피하려 재산 은닉’ 혐의 50대, 항소심서 무죄
재판부 “면탈 목적 입증 안 돼”1심 유죄 ‘벌금형 선고’ 뒤집어 채무 불이행에 따른 강제집행을 피하려고 재산을 숨긴 혐의로 기소된 50대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창원지방법원 제3-2형사부(부장판사 권미연·정현희·오택원)는 지난 10일 강제집행면탈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강제집행면탈죄란 강제집행을 면할 목적으로 재산을 은닉·손괴 또는 허위 양도하거나 허위의 채무를 부담해 채권자를 해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다. 형법 제327조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앞서 소방시설 관리업을 운영하던 A 씨는 2012년 7월께부터 한 건물 소방 안전관리 용역을 위탁받아 업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관리 소홀로 큰 화재가 발생했고, 관련 손해배상 소송이 제기되면서 4억여 원을 배상할 위기에 놓였다.A 씨는 소유 재산이 강제집행 당할 위기에 처하자, 자신의 배우자를 대표이사로 내세워 새 회사를 설립했다. 또 기존 위탁관리 계약사 일부와 새 명의로 계약을 체결했다.검찰은 A 씨가 손해배상 채무에 따른 강제집행을 피할 목적으로 재산을 은닉했다고 보고, 강제집행면탈 혐의를 적용했다.1심은 A 씨의 혐의를 유죄로 인정해 벌금형을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A 씨가 거래처를 허위로 이전하는 방법으로 기존 회사의 재산을 은닉했다”고 밝혔다.그러나 항소심 재판부는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관련 민사소송에서 패소하면서 회사의 이미지가 악화돼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보이는 점, 기존 회사의 손해배상 채무가 새 회사로 이전된 점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면 제출된 증거만으로는 A 씨에게 강제집행 면탈의 목적이 있었음이 입증됐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고정항 변호사는 “A 씨가 일부 거래처와 계약을 해지하고 배우자 명의의 회사로 양도한 것은 사업 지속 어려움이라는 경영상 이유 때문이었다. 즉, 채무 회피 목적이 아니다”며 “이에 따라 화재에 대한 손해배상 채무 역시 새 회사로 승계돼 피해를 본 건물 측은 민사집행법 제31조에 의해 승계집행문을 부여받아 강제집행 절차를 밟을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결국, A 씨가 소방시설업을 양도하고 그 거래처를 이전한 행위는 허위 양도나 강제집행면탈죄의 은닉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따라서 채권자를 해할 위험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해 무죄를 끌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강제집행 피하려 재산 은닉’ 혐의 50대, 항소심서 무죄 (바로가기)
뉴스1 등 2곳
2025-07-23
'VIP격노 인정' 김계환 측 "위증, 특검 수사대상 아냐…도주 우려 없다"
'VIP격노 인정' 김계환 측 "위증, 특검 수사대상 아냐…도주 우려 없다"
"특검 조사 빠지지 않고 출석, 부하들과 만남 피해…구속 사유 없다" 이른바 'VIP(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을 부정해 온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측이 위증 혐의에 대해 특검법상 수사 대상이 아니라며 구속 사유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김 전 사령관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은 23일 입장문을 통해 "박정훈 대령의 항명죄 재판에서 위증한 혐의, 국회의 국정감사에서 이뤄진 혐의는 특검의 수사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채수근 해병 사망 사건'이나 그와 관련된 '은폐, 무마 등 직무유기·직권남용 등 불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김 전 사령관 측은 "영장 청구 범죄사실인 모해위증죄, 국회증언감정법 위반죄가 명백히 성립된다고 보기 어렵다"며 "김 전 사령관은 이미 출국금지 상태로, 특검 조사에 빠지지 않고 출석하는 등 도주 우려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이어 "부하들이 먼저 연락이 와도 만남을 회피하고 있고, 사건 관계자들과의 통화도 일절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위증과 관련해선 증인신문조서, 국회 회의록 등 증거가 이미 모두 확보돼 증거인멸의 가능성이 없다"고 설명했다.앞서 지난 18일 순직해병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이 국회와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해병대원 순직 사건 결과 보고를 받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이른바 '격노설'을 부인하는 진술을 해 위증한 혐의가 있다며 지난 18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김 전 사령관은 지난해 2월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의 항명 등 혐의 1심 재판의 증인으로 나와 윤 전 대통령 격노를 박 대령에게 전달한 바 없다고 진술해 모해위증한 혐의를 받는다.김 전 사령관은 지난해 10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군사법원 국정감사에서도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이 '박정훈 대령한테 VIP 격노설을 얘기한 적 있나'라는 질문에 "없다"고 답해 국회증언감정법상 위증 혐의도 받는다.남세진 서울중앙지법 영장 전담 부장판사는 22일 김 전 사령관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하고 "피의자의 경력, 주거 및 가족관계, 수사 절차에서 피의자 출석 상황 및 진술 태도 등을 고려하면 도망할 염려를 인정하기 어렵다"며 "본건 혐의에 관해 현재까지 확보된 증거 및 수사 진행 경과, 피의자의 현재 지위 등을 종합하면 현 단계에서 방어권 행사 차원을 넘어선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구속영장 청구를 기각했다.한편 특검팀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전 사령관이) 법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처음 인정했다. 박정훈 대령 재판에서나 국회 질의에서 해병대수사단 수사 결과를 보고 받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한 사실을 본인은 들은 적이 없다고 했지만 처음 인정했다"며 "진술 변화를 포함해 다른 혐의 관련 내용을 추가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조만간 김 전 사령관을 다시 불러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수연 기자 (shushu@news1.kr) [기사전문보기] 뉴스1 - 'VIP격노 인정' 김계환 측 "위증, 특검 수사대상 아냐…도주 우려 없다" (바로가기) 경기일보 - 김계환 측 "위증 혐의, 특검 수사 대상 아냐…증거 인멸 가능성 없어" (바로가기)
뉴스1 등 2곳
2025-07-23
'VIP격노 인정' 김계환 측 "위증, 특검 수사대상 아냐…도주 우려 없다"
'VIP격노 인정' 김계환 측 "위증, 특검 수사대상 아냐…도주 우려 없다"
"특검 조사 빠지지 않고 출석, 부하들과 만남 피해…구속 사유 없다" 이른바 'VIP(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을 부정해 온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측이 위증 혐의에 대해 특검법상 수사 대상이 아니라며 구속 사유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김 전 사령관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은 23일 입장문을 통해 "박정훈 대령의 항명죄 재판에서 위증한 혐의, 국회의 국정감사에서 이뤄진 혐의는 특검의 수사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채수근 해병 사망 사건'이나 그와 관련된 '은폐, 무마 등 직무유기·직권남용 등 불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김 전 사령관 측은 "영장 청구 범죄사실인 모해위증죄, 국회증언감정법 위반죄가 명백히 성립된다고 보기 어렵다"며 "김 전 사령관은 이미 출국금지 상태로, 특검 조사에 빠지지 않고 출석하는 등 도주 우려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이어 "부하들이 먼저 연락이 와도 만남을 회피하고 있고, 사건 관계자들과의 통화도 일절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위증과 관련해선 증인신문조서, 국회 회의록 등 증거가 이미 모두 확보돼 증거인멸의 가능성이 없다"고 설명했다.앞서 지난 18일 순직해병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이 국회와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해병대원 순직 사건 결과 보고를 받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이른바 '격노설'을 부인하는 진술을 해 위증한 혐의가 있다며 지난 18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김 전 사령관은 지난해 2월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의 항명 등 혐의 1심 재판의 증인으로 나와 윤 전 대통령 격노를 박 대령에게 전달한 바 없다고 진술해 모해위증한 혐의를 받는다.김 전 사령관은 지난해 10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군사법원 국정감사에서도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이 '박정훈 대령한테 VIP 격노설을 얘기한 적 있나'라는 질문에 "없다"고 답해 국회증언감정법상 위증 혐의도 받는다.남세진 서울중앙지법 영장 전담 부장판사는 22일 김 전 사령관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하고 "피의자의 경력, 주거 및 가족관계, 수사 절차에서 피의자 출석 상황 및 진술 태도 등을 고려하면 도망할 염려를 인정하기 어렵다"며 "본건 혐의에 관해 현재까지 확보된 증거 및 수사 진행 경과, 피의자의 현재 지위 등을 종합하면 현 단계에서 방어권 행사 차원을 넘어선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구속영장 청구를 기각했다.한편 특검팀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전 사령관이) 법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처음 인정했다. 박정훈 대령 재판에서나 국회 질의에서 해병대수사단 수사 결과를 보고 받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한 사실을 본인은 들은 적이 없다고 했지만 처음 인정했다"며 "진술 변화를 포함해 다른 혐의 관련 내용을 추가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조만간 김 전 사령관을 다시 불러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수연 기자 (shushu@news1.kr) [기사전문보기] 뉴스1 - 'VIP격노 인정' 김계환 측 "위증, 특검 수사대상 아냐…도주 우려 없다" (바로가기) 경기일보 - 김계환 측 "위증 혐의, 특검 수사 대상 아냐…증거 인멸 가능성 없어"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22
[기고] 속도 붙은 '李SG' 공시 의무화…기업 위험 요인은?
[기고] 속도 붙은 '李SG' 공시 의무화…기업 위험 요인은?
최근 유럽연합(EU)이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을 도입하면서 ESG 공시 의무화는 전 세계적인 불가역적 흐름이 됐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ESG 공시 의무화 시점을 당초 2026년 이후에서 2025년으로 앞당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기준에 맞춘 기업 투명성 제고와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그 골자다.이는 장기적으로 글로벌 투자 유치, 기업 신뢰도 제고, 지속가능 경영 인프라 확충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만든다. 하지만 제도적, 현실적 준비가 미흡한 상황에서의 조기 시행은 기업에 심각한 부담과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ESG 공시 체계 마련에 필요한 자원과 역량이 충분치 않아 시행착오와 부작용 가능성이 높다.그렇다면 ESG 공시의 조기 의무화가 기업에 어떠한 구체적인 위험 요인을 안길 수 있을까?가장 먼저 불완전한 공시로 인한 다양한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신뢰도 높은 ESG 데이터를 산출하려면 기존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외부 전문 기관의 검증을 받는 등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조기 시행 압박 속에서 충분한 내부 시스템 정비나 외부 검증 없이 공시를 서두를 경우,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검증되지 않은 정보나 과장된 성과는 자본시장법 제125조(허위기재 등으로 인한 배상책임)에 따라 경영진을 직접 겨냥하는 주주대표소송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특히 친환경적이지 않은 활동을 친환경적인 것처럼 포장하는 '그린워싱'은 단순한 평판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표시광고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으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는 등 실제적인 제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검증되지 않은 공시는 기업에게 법적 분쟁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둘째, 평가 기준의 모호성과 기관별 기준 불일치로 인한 과도한 대응 부담이 발생한다. 현재 국내외 ESG 평가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 없이 여러 기관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평가기관인 MSCI, S&P Global과 국내의 한국ESG기준원(KCGS) 등은 각기 다른 평가지표와 산업별 가중치를 적용한다. 실제로 지난 2021년 국내 100대 기업 중 55개사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관별 ESG 등급은 평균 1.4단계나 차이가 났다. 즉, 한 기관에서는 '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이 다른 기관에선 '미흡' 판정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이 같은 불일치와 모호성은 기업의 대응 비용을 급증시키고 있다. ESG 보고서, 감사 자료, 개선 계획 등을 각각의 기관 요구에 맞춰 중복 대응해야 하며, 컨설팅 비용과 인력 부담도 커진다. 이는 특히 자금·인력 여력이 제한된 중소기업에게 막대한 리스크가 된다.셋째, 공급망 전체에 '단절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ESG 공시는 개별 기업의 노력만으로 완성되기 어렵다. 탄소배출량, 인권, 안전, 윤리 등 다양한 지표는 공급망 전체에 걸친 데이터 확보와 관리가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탄소배출 데이터는 협력사까지의 정보를 요구한다. 하지만 다수의 협력사들은 ESG에 대한 이해도와 준비가 부족하고, 인력과 시스템 구축 여력 또한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ESG 대응이 어려운 협력사는 대기업의 공급망에서 배제될 위험에 직면한다. 이는 곧 '공급망 단절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ESG 공시 의무화의 시점을 둘러싼 논의는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이다. 2025년이든 2027년이든 이 거대한 변화의 물결은 다가올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언제 시작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잘 준비하느냐'에 대한 지혜를 모으는 일이다. 성급한 추진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철저하게 준비해 제도의 취지를 온전히 살려낼 때, 비로소 ESG는 우리 기업과 자본시장이 한 단계 도약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이 중요한 전환기를 슬기롭게 헤쳐나갈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속도 붙은 '李SG' 공시 의무화…기업 위험 요인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22
[기고] 속도 붙은 '李SG' 공시 의무화…기업 위험 요인은?
[기고] 속도 붙은 '李SG' 공시 의무화…기업 위험 요인은?
최근 유럽연합(EU)이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을 도입하면서 ESG 공시 의무화는 전 세계적인 불가역적 흐름이 됐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ESG 공시 의무화 시점을 당초 2026년 이후에서 2025년으로 앞당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기준에 맞춘 기업 투명성 제고와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그 골자다.이는 장기적으로 글로벌 투자 유치, 기업 신뢰도 제고, 지속가능 경영 인프라 확충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만든다. 하지만 제도적, 현실적 준비가 미흡한 상황에서의 조기 시행은 기업에 심각한 부담과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ESG 공시 체계 마련에 필요한 자원과 역량이 충분치 않아 시행착오와 부작용 가능성이 높다.그렇다면 ESG 공시의 조기 의무화가 기업에 어떠한 구체적인 위험 요인을 안길 수 있을까?가장 먼저 불완전한 공시로 인한 다양한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신뢰도 높은 ESG 데이터를 산출하려면 기존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외부 전문 기관의 검증을 받는 등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조기 시행 압박 속에서 충분한 내부 시스템 정비나 외부 검증 없이 공시를 서두를 경우,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검증되지 않은 정보나 과장된 성과는 자본시장법 제125조(허위기재 등으로 인한 배상책임)에 따라 경영진을 직접 겨냥하는 주주대표소송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특히 친환경적이지 않은 활동을 친환경적인 것처럼 포장하는 '그린워싱'은 단순한 평판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표시광고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으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는 등 실제적인 제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검증되지 않은 공시는 기업에게 법적 분쟁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둘째, 평가 기준의 모호성과 기관별 기준 불일치로 인한 과도한 대응 부담이 발생한다. 현재 국내외 ESG 평가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 없이 여러 기관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평가기관인 MSCI, S&P Global과 국내의 한국ESG기준원(KCGS) 등은 각기 다른 평가지표와 산업별 가중치를 적용한다. 실제로 지난 2021년 국내 100대 기업 중 55개사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관별 ESG 등급은 평균 1.4단계나 차이가 났다. 즉, 한 기관에서는 '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이 다른 기관에선 '미흡' 판정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이 같은 불일치와 모호성은 기업의 대응 비용을 급증시키고 있다. ESG 보고서, 감사 자료, 개선 계획 등을 각각의 기관 요구에 맞춰 중복 대응해야 하며, 컨설팅 비용과 인력 부담도 커진다. 이는 특히 자금·인력 여력이 제한된 중소기업에게 막대한 리스크가 된다.셋째, 공급망 전체에 '단절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ESG 공시는 개별 기업의 노력만으로 완성되기 어렵다. 탄소배출량, 인권, 안전, 윤리 등 다양한 지표는 공급망 전체에 걸친 데이터 확보와 관리가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탄소배출 데이터는 협력사까지의 정보를 요구한다. 하지만 다수의 협력사들은 ESG에 대한 이해도와 준비가 부족하고, 인력과 시스템 구축 여력 또한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ESG 대응이 어려운 협력사는 대기업의 공급망에서 배제될 위험에 직면한다. 이는 곧 '공급망 단절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ESG 공시 의무화의 시점을 둘러싼 논의는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이다. 2025년이든 2027년이든 이 거대한 변화의 물결은 다가올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언제 시작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잘 준비하느냐'에 대한 지혜를 모으는 일이다. 성급한 추진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철저하게 준비해 제도의 취지를 온전히 살려낼 때, 비로소 ESG는 우리 기업과 자본시장이 한 단계 도약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이 중요한 전환기를 슬기롭게 헤쳐나갈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속도 붙은 '李SG' 공시 의무화…기업 위험 요인은?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22
[상법개정안 여파] 사외이사에서 독립이사로…'거수기' 꼬리표 떼기 '글쎄'
[상법개정안 여파] 사외이사에서 독립이사로…'거수기' 꼬리표 떼기 '글쎄'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상법개정안에 사외이사를 독립이사로 전환하고 그 규모를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되면서, 이사회의 독립성과 책임이 강화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사실상 경영진의 거수기라고 비판받은 사외이사가 개정안을 통해 견제와 감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취지다.하지만 법조계에서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적임자를 찾기 어렵거나 기업별 전략이 마련되지 않아 현장에서 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명칭 변경 등을 넘어 실질적인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최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상법개정안은 기존의 사외이사를 독립이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의무적으로 선임해야 할 비율을 이사 총수의 4분의 1에서 3분의 1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독립이사는 '사외이사로서 사내이사, 집행임원 및 업무집행지시자로부터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사'로 정의된다.이에 따라 독립이사에게 기존의 사외이사보다 높은 독립성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진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기존 경영 환경의 변화도 예상된다. 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회사 경영진에 대한 견제 기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특히 이사가 주주에 대해 직접 충실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상법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맞물려 독립이사가 대주주를 위한 결정을 하는 경우, 대주주의 이익에 반하더라도 소수주주들에게 소송 당할 가능성을 감안해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고려한 의사 결정을 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독립이사 후보 확보·기업별 맞춤 전략 마련해야 다만, 독립이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그 규모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개정안의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우선 적절한 독립이사 후보자를 찾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여러 회사가 선임 비율 3분의1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일시에 독립이사를 늘릴 경우 해당 산업군에 관한 자격 요건을 갖춘 적임자를 찾기 어려워질 수 있고, 이사의 책임이 강화되면서 후보군이 독립이사직을 기피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독립이사 후보군을 사전에 발굴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체계화해야 한다. 유 변호사는 "독립이사 신규 선임을 미리 마련해 시행 직전 후보군이 부족한 상황을 예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이사 추천 과정을 통해 독립이사 선임의 신뢰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시스템 마련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독립이사의 실질적인 독립성 보장을 위한 선임 절차 및 자격 요건 강화가 동반돼야 할 것"이라며 "독립이사 요건을 강화하는 흐름에 맞춰 후보자 추천위원회 제도를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독립성 검증 절차를 객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여러 경로로 후보자 추천을 받을 것을 조언했다. 김 변호사는 "외부 전문가 추천, 주주 추천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다양한 경로로 추천받아 선임된 독립이사의 경우 독립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더불어 각 기업의 상황에 따른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신 변호사는 "상법 개정안은 기업별로 상장 및 대규모 상장회사 여부, 주주들의 지분율 분포와 기존 이사회 및 사외이사 구성, 지배주주 지분율이 다른 계열 회사와의 거래 등에 따라 영향이 다를 것"이라며 "기업의 상황에 맞게 개정 사항을 자세히 검토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전했다.또 변 변호사는 "상장회사 사외이사의 명칭을 독립이사로 변경하는 효과 등에 대해 명시적,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이번 상법 개정이 실제 기업 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향후 실무 및 판례의 축적, 상법 시행령 개정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이러한 보완이 이뤄진다면 결국 자본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임 변호사는 "독립이사 제도로의 변화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 고질적으로 문제 돼 오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짚었다.김 변호사는 "대외적으로 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선진국 기업지배구조에서 강조되는 독립이사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 한국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외국 기관투자자의 한국 비중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사외이사에서 독립이사로…'거수기' 꼬리표 떼기 '글쎄'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22
[상법개정안 여파] 사외이사에서 독립이사로…'거수기' 꼬리표 떼기 '글쎄'
[상법개정안 여파] 사외이사에서 독립이사로…'거수기' 꼬리표 떼기 '글쎄'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상법개정안에 사외이사를 독립이사로 전환하고 그 규모를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되면서, 이사회의 독립성과 책임이 강화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사실상 경영진의 거수기라고 비판받은 사외이사가 개정안을 통해 견제와 감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취지다.하지만 법조계에서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적임자를 찾기 어렵거나 기업별 전략이 마련되지 않아 현장에서 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명칭 변경 등을 넘어 실질적인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최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상법개정안은 기존의 사외이사를 독립이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의무적으로 선임해야 할 비율을 이사 총수의 4분의 1에서 3분의 1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독립이사는 '사외이사로서 사내이사, 집행임원 및 업무집행지시자로부터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사'로 정의된다.이에 따라 독립이사에게 기존의 사외이사보다 높은 독립성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진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기존 경영 환경의 변화도 예상된다. 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회사 경영진에 대한 견제 기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특히 이사가 주주에 대해 직접 충실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상법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맞물려 독립이사가 대주주를 위한 결정을 하는 경우, 대주주의 이익에 반하더라도 소수주주들에게 소송 당할 가능성을 감안해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고려한 의사 결정을 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독립이사 후보 확보·기업별 맞춤 전략 마련해야 다만, 독립이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그 규모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개정안의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우선 적절한 독립이사 후보자를 찾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여러 회사가 선임 비율 3분의1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일시에 독립이사를 늘릴 경우 해당 산업군에 관한 자격 요건을 갖춘 적임자를 찾기 어려워질 수 있고, 이사의 책임이 강화되면서 후보군이 독립이사직을 기피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독립이사 후보군을 사전에 발굴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체계화해야 한다. 유 변호사는 "독립이사 신규 선임을 미리 마련해 시행 직전 후보군이 부족한 상황을 예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이사 추천 과정을 통해 독립이사 선임의 신뢰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시스템 마련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독립이사의 실질적인 독립성 보장을 위한 선임 절차 및 자격 요건 강화가 동반돼야 할 것"이라며 "독립이사 요건을 강화하는 흐름에 맞춰 후보자 추천위원회 제도를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독립성 검증 절차를 객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여러 경로로 후보자 추천을 받을 것을 조언했다. 김 변호사는 "외부 전문가 추천, 주주 추천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다양한 경로로 추천받아 선임된 독립이사의 경우 독립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더불어 각 기업의 상황에 따른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신 변호사는 "상법 개정안은 기업별로 상장 및 대규모 상장회사 여부, 주주들의 지분율 분포와 기존 이사회 및 사외이사 구성, 지배주주 지분율이 다른 계열 회사와의 거래 등에 따라 영향이 다를 것"이라며 "기업의 상황에 맞게 개정 사항을 자세히 검토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전했다.또 변 변호사는 "상장회사 사외이사의 명칭을 독립이사로 변경하는 효과 등에 대해 명시적,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이번 상법 개정이 실제 기업 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향후 실무 및 판례의 축적, 상법 시행령 개정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이러한 보완이 이뤄진다면 결국 자본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임 변호사는 "독립이사 제도로의 변화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 고질적으로 문제 돼 오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짚었다.김 변호사는 "대외적으로 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선진국 기업지배구조에서 강조되는 독립이사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 한국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외국 기관투자자의 한국 비중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사외이사에서 독립이사로…'거수기' 꼬리표 떼기 '글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22
"유명 건설사 시공” 허위 분양 광고에 속았다…법원 “계약금 전액 지급해야”
"유명 건설사 시공” 허위 분양 광고에 속았다…법원 “계약금 전액 지급해야”
‘계약 해지’ 요구했더니 주택조합·시행사 모두 책임 회피“허위 광고에 의한 착오로 체결한 계약…계약금 반환해야” 유명 건설사 브랜드와 시공 계약을 맺었다는 허위·과장 광고를 보고 민간임대 아파트 회원에 가입했다며 피해를 호소한 가입자들이 재판에서 승소했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은 지난달 26일 A 지역주택조합 가입자 2명이 조합과 시행사를 상대로 제기한 계약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재판부는 “조합과 시행사는 함께 공동해 허위·광고를 하며 계약자들을 모집했으므로 기망이나 착오를 일으킨 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계약을 취소 또는 무효할 수 있다”며 “계약한 당사자가 조합 측이라도 계약서 문구 등에는 시행사도 함께 당사자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분양 계약금은 계약 해지 시 전액 혹은 일부 위약금 명목으로 지급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는 돌려받을 수 없다. 하지만 허위·과장 광고로 착오에 빠져 계약을 체결한 것이므로 반환해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이다.앞서 지난해 10월 가입자 2명은 임대보증금 2억여 원에 계약금 5천500만 원을 납부하는 조건으로 A 조합과 예비임차인 계약을 맺었다.당시 조합은 가입자들에게 유명 건설사 브랜드가 시공을 맡았다고 설명하며 가입을 유도했다. 계약금에 대해서는 기존 2개월 내 입금이 아닌 선입금 방식을 내세웠다. 미리 입금하면 계약금의 일부를 돌려주는 방식이다.하지만 조합이 광고한 건설사는 이후 “임대주택 신축사업과 관련해 시공에 대한 어떠한 합의 및 약정을 체결한 사실이 없다”는 경고성 공지를 홈페이지에 게시했다.이를 접한 가입자들은 계약 해지 접수를 진행했으나 조합 측은 정확한 이유를 밝히지 않은 채 계약 해지를 미뤄왔다. 시행사 역시 계약금을 입금받는 주체로 지정돼 있었음에도 “실질적인 계약 당사자가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했다.이와 관련, 원고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태환 변호사는 “피고들이 서로 계약 당사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계약금 반환을 미뤄 법적 책임을 명백히 묻기 어렵도록 만들고 계약 당사자를 분산시켰다”고 지적했다.이어 “피고들은 유리한 분양 조건을 앞세워 가입자를 모집했으나, 실상은 건설사가 정해지지 않고 부지에 대한 토지 확보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피고들은 청약 철회에 따른 원상회복 의무를 부담하게 되므로 계약금 전액과 소송 비용 등을 반환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기자 (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유명 건설사 시공” 허위 분양 광고에 속았다…법원 “계약금 전액 지급해야”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22
"유명 건설사 시공” 허위 분양 광고에 속았다…법원 “계약금 전액 지급해야”
"유명 건설사 시공” 허위 분양 광고에 속았다…법원 “계약금 전액 지급해야”
‘계약 해지’ 요구했더니 주택조합·시행사 모두 책임 회피“허위 광고에 의한 착오로 체결한 계약…계약금 반환해야” 유명 건설사 브랜드와 시공 계약을 맺었다는 허위·과장 광고를 보고 민간임대 아파트 회원에 가입했다며 피해를 호소한 가입자들이 재판에서 승소했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은 지난달 26일 A 지역주택조합 가입자 2명이 조합과 시행사를 상대로 제기한 계약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재판부는 “조합과 시행사는 함께 공동해 허위·광고를 하며 계약자들을 모집했으므로 기망이나 착오를 일으킨 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계약을 취소 또는 무효할 수 있다”며 “계약한 당사자가 조합 측이라도 계약서 문구 등에는 시행사도 함께 당사자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분양 계약금은 계약 해지 시 전액 혹은 일부 위약금 명목으로 지급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는 돌려받을 수 없다. 하지만 허위·과장 광고로 착오에 빠져 계약을 체결한 것이므로 반환해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이다.앞서 지난해 10월 가입자 2명은 임대보증금 2억여 원에 계약금 5천500만 원을 납부하는 조건으로 A 조합과 예비임차인 계약을 맺었다.당시 조합은 가입자들에게 유명 건설사 브랜드가 시공을 맡았다고 설명하며 가입을 유도했다. 계약금에 대해서는 기존 2개월 내 입금이 아닌 선입금 방식을 내세웠다. 미리 입금하면 계약금의 일부를 돌려주는 방식이다.하지만 조합이 광고한 건설사는 이후 “임대주택 신축사업과 관련해 시공에 대한 어떠한 합의 및 약정을 체결한 사실이 없다”는 경고성 공지를 홈페이지에 게시했다.이를 접한 가입자들은 계약 해지 접수를 진행했으나 조합 측은 정확한 이유를 밝히지 않은 채 계약 해지를 미뤄왔다. 시행사 역시 계약금을 입금받는 주체로 지정돼 있었음에도 “실질적인 계약 당사자가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했다.이와 관련, 원고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태환 변호사는 “피고들이 서로 계약 당사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계약금 반환을 미뤄 법적 책임을 명백히 묻기 어렵도록 만들고 계약 당사자를 분산시켰다”고 지적했다.이어 “피고들은 유리한 분양 조건을 앞세워 가입자를 모집했으나, 실상은 건설사가 정해지지 않고 부지에 대한 토지 확보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피고들은 청약 철회에 따른 원상회복 의무를 부담하게 되므로 계약금 전액과 소송 비용 등을 반환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기자 (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유명 건설사 시공” 허위 분양 광고에 속았다…법원 “계약금 전액 지급해야”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등 3곳
2025-07-22
배터리산업협회, '미국 OBBB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 개최
배터리산업협회, '미국 OBBB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 개최
대륜, 김앤장, 율촌 등 로펌 변호사들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 행정부가 외국인 입국 제한, 불법체류자 단속 등 강력한 이민 정책을 시행하면서 국내 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미국 비자 심사가 강화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불법 이민 단속 강화 등 주요 국정 의제를 반영한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 OBBBA)의 제정에 따른 기업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설명회가 7월 21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렸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가 개최한 '미국 OBBBA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엔 특히 김앤장 법률사무소,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대륜, 미국 로펌 커빙턴 앤 벌링(Covington & Burling) 등 여러 로펌의 변호사들이 발표자로 나서 비자 인터뷰, 세액공제 컴플라이언스 노하우 등을 공유했다. 김미아 美변호사, B1/B2 비자 인터뷰 노하우 소개 법무법인 대륜의 김미아 미국변호사는 "최근 미국 내에서 대체 가능한 인력이 있거나 ESTA를 통해 반복 입국하여 장기 체류한 이력이 있는 경우 비자 승인 지연이나 거절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주목하고, 미국 비자의 주요 유형 중에서 우리 기업들이 자주 신청하지만 어려움을 겪는 B1/B2 비자에 대한 인터뷰 노하우를 소개했다. 비이민 비자인 B1은 미국 내 단기 비즈니스 목적이며, B2는 관광, 의학적 치료 등을 목적으로 한다. 두 비자 모두 단기 방문 자격으로 체류 기간이 6개월로 제한된다. 김 변호사는 "경력, 출장계획, 연구계획, 직무 연관성 등 본인의 전문 분야와 직접 연결된 내용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일관된 출장 또는 연구계획서를 준비해야 한다"며 "출장 목적인 경우 구체적인 일정 및 업무 내용이 드러나야 한다"고 설명했다. 커빙턴 앤 벌링의 구자민 외국변호사와 법무법인 율촌의 홍욱선 외국변호사, 정현 회계사는 OBBB 법률의 배터리 분야 세제 개편 주요 내용 등을 중점 설명했다. 또 OBBB 법률에 따라 재무부 시행규칙을 통해 자격요건과 준수기준이 구체화될 예정이라며 적격성 검토, 건설시작 요건, 세액공제 산정 및 양도, 금지외국기관(Prohibited Foreign Entity, PFE) 관련 준수 의무 및 제재, 계약 및 법적 리스크 관리 등의 세액공제 컴플라이언스 체크리스트를 공유했다.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박소연 외국변호사, 이연우, 김의현 변호사는 특정국 공급망 규제를 위해 새로이 도입된 PFE의 정의와 PFE의 실질적 지원(Material Assistance) 요건 및 기업준수(Compliance) 사항에 대해 발표했다. 중국, 북한, 러시아, 이란 등 특정국(Covered Nation)의 PFE가 미국에 투자, 제조생산한 경우에는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청정전력 투자세액공제(ITC) 및 생산세액공제(PTC) 등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다. 리걸타임즈 이은재 기자(eunjae@legaltimes.co.kr) [기사전문보기] 리걸타임즈 - 배터리산업협회, '미국 OBBB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 개최 (바로가기) 한국경제 - 깐깐해진 美 비자 심사…"입국 리스크 줄이려면 전략적 접근 필요” (바로가기) 내외경제TV - "미국 비자, 이제는 전략이 필요하다"…심사 강화에 기업들 비상등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등 3곳
2025-07-22
배터리산업협회, '미국 OBBB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 개최
배터리산업협회, '미국 OBBB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 개최
대륜, 김앤장, 율촌 등 로펌 변호사들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 행정부가 외국인 입국 제한, 불법체류자 단속 등 강력한 이민 정책을 시행하면서 국내 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미국 비자 심사가 강화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불법 이민 단속 강화 등 주요 국정 의제를 반영한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 OBBBA)의 제정에 따른 기업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설명회가 7월 21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렸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가 개최한 '미국 OBBBA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엔 특히 김앤장 법률사무소,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대륜, 미국 로펌 커빙턴 앤 벌링(Covington & Burling) 등 여러 로펌의 변호사들이 발표자로 나서 비자 인터뷰, 세액공제 컴플라이언스 노하우 등을 공유했다. 김미아 美변호사, B1/B2 비자 인터뷰 노하우 소개 법무법인 대륜의 김미아 미국변호사는 "최근 미국 내에서 대체 가능한 인력이 있거나 ESTA를 통해 반복 입국하여 장기 체류한 이력이 있는 경우 비자 승인 지연이나 거절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주목하고, 미국 비자의 주요 유형 중에서 우리 기업들이 자주 신청하지만 어려움을 겪는 B1/B2 비자에 대한 인터뷰 노하우를 소개했다. 비이민 비자인 B1은 미국 내 단기 비즈니스 목적이며, B2는 관광, 의학적 치료 등을 목적으로 한다. 두 비자 모두 단기 방문 자격으로 체류 기간이 6개월로 제한된다. 김 변호사는 "경력, 출장계획, 연구계획, 직무 연관성 등 본인의 전문 분야와 직접 연결된 내용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일관된 출장 또는 연구계획서를 준비해야 한다"며 "출장 목적인 경우 구체적인 일정 및 업무 내용이 드러나야 한다"고 설명했다. 커빙턴 앤 벌링의 구자민 외국변호사와 법무법인 율촌의 홍욱선 외국변호사, 정현 회계사는 OBBB 법률의 배터리 분야 세제 개편 주요 내용 등을 중점 설명했다. 또 OBBB 법률에 따라 재무부 시행규칙을 통해 자격요건과 준수기준이 구체화될 예정이라며 적격성 검토, 건설시작 요건, 세액공제 산정 및 양도, 금지외국기관(Prohibited Foreign Entity, PFE) 관련 준수 의무 및 제재, 계약 및 법적 리스크 관리 등의 세액공제 컴플라이언스 체크리스트를 공유했다.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박소연 외국변호사, 이연우, 김의현 변호사는 특정국 공급망 규제를 위해 새로이 도입된 PFE의 정의와 PFE의 실질적 지원(Material Assistance) 요건 및 기업준수(Compliance) 사항에 대해 발표했다. 중국, 북한, 러시아, 이란 등 특정국(Covered Nation)의 PFE가 미국에 투자, 제조생산한 경우에는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청정전력 투자세액공제(ITC) 및 생산세액공제(PTC) 등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다. 리걸타임즈 이은재 기자(eunjae@legaltimes.co.kr) [기사전문보기] 리걸타임즈 - 배터리산업협회, '미국 OBBB 법률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 개최 (바로가기) 한국경제 - 깐깐해진 美 비자 심사…"입국 리스크 줄이려면 전략적 접근 필요” (바로가기) 내외경제TV - "미국 비자, 이제는 전략이 필요하다"…심사 강화에 기업들 비상등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7-21
만취해 화장실 갔다가 ‘엿보기’ 혐의 50대…증거불충분 불기소
만취해 화장실 갔다가 ‘엿보기’ 혐의 50대…증거불충분 불기소
남녀 공용화장실에 들어가 여성 칸을 훔쳐본 혐의로 송치된 5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검은 지난달 26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성적 목적 공공장소 침입) 혐의로 송치된 A씨를 증거 불충분으로 불기소 결정했다.A씨는 지난해 12월 술집 남녀 공용화장실에서 여성 전용 칸에 있던 B씨를 칸막이 아래 틈으로 훔쳐본 혐의를 받았다. A씨는 현행범으로 체포돼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넘겨졌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당시 만취 상태였고, 속이 좋지 않아 공용 화장실을 이용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여성 칸을 쳐다본 경위에 대해서는 “화장실에서 졸던 중 옆 칸 문이 열리는 소리가 들렸고, 이에 밖으로 나가려는 순간 다리가 저려 주저앉고 말았다”라며 “하필 그때 B씨와 마주쳤을 뿐 성적인 목적은 없었다”라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가 여성 칸 앞에서 그 안을 쳐다보려 한 사실이 인정되지만, 이런 행위만으로 화장실에 들어갈 때부터 성적 욕망을 만족시킬 목적이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봤다. CCTV 확인 결과 A씨가 40분가량 화장실에 머문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는 화장실에서 잠이 들었다는 A씨의 주장과 부합하는 측면도 있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술집에 있던 다른 손님도 화장실을 이용했던 점 등을 고려해 혐의를 인정할 뚜렷한 증거가 없다고 봤다.A씨를 대리한 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적 목적 공공장소 침입 관련 혐의가 성립하려면 성적 욕망 충족, 다중 이용 장소, 퇴거 요구 불응 등 구성 요건을 갖춰야 한다. A씨가 B씨보다 먼저 화장실에 들어갔고, 들어간 이유가 구토 등 생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었음을 적극적으로 소명해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만취해 화장실 갔다가 ‘엿보기’ 혐의 50대…증거불충분 불기소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7-21
만취해 화장실 갔다가 ‘엿보기’ 혐의 50대…증거불충분 불기소
만취해 화장실 갔다가 ‘엿보기’ 혐의 50대…증거불충분 불기소
남녀 공용화장실에 들어가 여성 칸을 훔쳐본 혐의로 송치된 5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검은 지난달 26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성적 목적 공공장소 침입) 혐의로 송치된 A씨를 증거 불충분으로 불기소 결정했다.A씨는 지난해 12월 술집 남녀 공용화장실에서 여성 전용 칸에 있던 B씨를 칸막이 아래 틈으로 훔쳐본 혐의를 받았다. A씨는 현행범으로 체포돼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넘겨졌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당시 만취 상태였고, 속이 좋지 않아 공용 화장실을 이용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여성 칸을 쳐다본 경위에 대해서는 “화장실에서 졸던 중 옆 칸 문이 열리는 소리가 들렸고, 이에 밖으로 나가려는 순간 다리가 저려 주저앉고 말았다”라며 “하필 그때 B씨와 마주쳤을 뿐 성적인 목적은 없었다”라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가 여성 칸 앞에서 그 안을 쳐다보려 한 사실이 인정되지만, 이런 행위만으로 화장실에 들어갈 때부터 성적 욕망을 만족시킬 목적이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봤다. CCTV 확인 결과 A씨가 40분가량 화장실에 머문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는 화장실에서 잠이 들었다는 A씨의 주장과 부합하는 측면도 있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술집에 있던 다른 손님도 화장실을 이용했던 점 등을 고려해 혐의를 인정할 뚜렷한 증거가 없다고 봤다.A씨를 대리한 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적 목적 공공장소 침입 관련 혐의가 성립하려면 성적 욕망 충족, 다중 이용 장소, 퇴거 요구 불응 등 구성 요건을 갖춰야 한다. A씨가 B씨보다 먼저 화장실에 들어갔고, 들어간 이유가 구토 등 생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었음을 적극적으로 소명해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만취해 화장실 갔다가 ‘엿보기’ 혐의 50대…증거불충분 불기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21
돈 안 갚고 차용증까지 위조한 50대..法, 징역 1년6개월
돈 안 갚고 차용증까지 위조한 50대..法, 징역 1년6개월
위조한 차용증을 법원에 제출하는 등 소송 사기를 저지른 50대가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 형사2단독은 지난달 25일 사기미수, 사문서 위조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7년 전 직장 동료였던 B씨로부터 사업자금 명목으로 3억 500만 원을 빌린 뒤 이를 갚지 않아 민사 소송을 당했습니다.A씨는 법원에 위조한 차용증을 제출하며 채무가 존재하지 않음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이에 B씨는 A씨가 증빙서류를 위조하고 이를 부정으로 사용했다며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재판에서 A씨 측은 사문서위조 등 혐의에 대해 "공소시효가 도과된 후 공소가 제기됐다"며 "면소 판결을 선고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하지만 재판부는 범행 경위와 수법 등에 비추어 죄질이 좋지 않다며 A씨에게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민사소송에서 거액의 채무를 면하기 위해 차용증서를 변조하고, 이를 증거로 제출함으로써 적정한 사법권의 행사를 저해했다"며 "사기 범죄 중에서도 소송 사기는 양형 가중요소에 해당한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B씨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A씨는 B씨에게 금전을 변제하지 않는 것은 물론, 약 4년간 진행된 민사소송에서 거짓 자료를 제출해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했다"며 "A씨의 불법행위를 인지한 즉시 필적 감정을 통해 차용증 등이 조작됐음을 입증한 덕분에 오랜 시간 끌어왔던 소송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돈 안 갚고 차용증까지 위조한 50대..法, 징역 1년6개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21
돈 안 갚고 차용증까지 위조한 50대..法, 징역 1년6개월
돈 안 갚고 차용증까지 위조한 50대..法, 징역 1년6개월
위조한 차용증을 법원에 제출하는 등 소송 사기를 저지른 50대가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 형사2단독은 지난달 25일 사기미수, 사문서 위조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7년 전 직장 동료였던 B씨로부터 사업자금 명목으로 3억 500만 원을 빌린 뒤 이를 갚지 않아 민사 소송을 당했습니다.A씨는 법원에 위조한 차용증을 제출하며 채무가 존재하지 않음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이에 B씨는 A씨가 증빙서류를 위조하고 이를 부정으로 사용했다며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재판에서 A씨 측은 사문서위조 등 혐의에 대해 "공소시효가 도과된 후 공소가 제기됐다"며 "면소 판결을 선고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하지만 재판부는 범행 경위와 수법 등에 비추어 죄질이 좋지 않다며 A씨에게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민사소송에서 거액의 채무를 면하기 위해 차용증서를 변조하고, 이를 증거로 제출함으로써 적정한 사법권의 행사를 저해했다"며 "사기 범죄 중에서도 소송 사기는 양형 가중요소에 해당한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B씨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A씨는 B씨에게 금전을 변제하지 않는 것은 물론, 약 4년간 진행된 민사소송에서 거짓 자료를 제출해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했다"며 "A씨의 불법행위를 인지한 즉시 필적 감정을 통해 차용증 등이 조작됐음을 입증한 덕분에 오랜 시간 끌어왔던 소송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돈 안 갚고 차용증까지 위조한 50대..法, 징역 1년6개월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7-20
[기고] 제약회사·의료기기 업체 리베이트 수사사례 모음과 시사점
[기고] 제약회사·의료기기 업체 리베이트 수사사례 모음과 시사점
대륜 이일형 변호사 "꾸준히 강화..내부고발 가장 많고,단서 다양-다기관 공조 일상화"'심평원 처방 데이터 분석, 세무조사 자료 활용 등 다양한 수사 기법 동원 예상" 리베이트 이슈와 관련해, CSO 신고제 도입, 연이은 리베이트 사건 발생, 그리고 새 정부의 '제약산업 리베이트' 특별 단속 예고(2025년 7~10월)까지 겹치면서 제약 및 의료기기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필자는 2025년 6월 약업신문 기고에서 리베이트 규제 전반을 다룬 바 있다. 이번에는 실무자들을 위해 2015년부터 최근까지의 리베이트 관련 주요 사례를 정리해보고, 그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1. 2015년 J병원 사건 - 직영도매를 이용한 리베이트 J병원 사건은 병원 이사장 등 46명이 소위 ‘직영도매’를 운영하면서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제약사 18곳으로부터 리베이트 10억여원을 수수한 사건이다. 이들은 ‘직영도매’를 운영하며 제약회사와 '단가계약'을 맺고 약값할인 차액을 챙기는 방식으로 리베이트를 수령했다. 한편 이 사건 경우 수사의 단서(수사가 시작하게 된 배경)가 ‘갑’(병원 직영도매업체)의 갑질을 견디다 못한 제약회사 직원 제보였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형사처분과 행정처분이 엇갈렸다는 점이다. 검찰은 ‘리베이트가 소액이거나 영업사원 개인의 일탈행위’로 보인다는 이유로 제약회사에 대해 기소유예 등 불기소 처분을 하였다. 그러나 식약처는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일부 제약회사에 대해 행정처분을 내리겠다고 하면서 논란이 있었던 사건이기도 하다. 2. 2016년 N사 사건 - 학술지를 활용한 변종 리베이트 N사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의약전문지와 학술지를 활용해 광고비 명목으로 좌담회를 열고 의사들에게 약 25억 원의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사건은 한 의약전문지 직원의 폭로로 수사가 시작됐고, 서울서부지검이 압수수색하며 수사가 본격화됐다. 검찰은 ‘좌담회 및 학술지 제작’이 결국 '변종 리베이트' 라고 주장했으나, 재판에서는 조직적 공모 여부와 위법성 인식을 둘러싸고 논쟁이 이어졌다. 이 사건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실무진들과 전문학술지에는 비교적 중형이 선고되었으나, N사 임원에 대해서는 무죄 및 면소가 선고되었다는 점이다. 검찰은 회사 차원의 조직적 리베이트 사건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실무진(PM) 주도로 이뤄진 행위로서 임원이나 부서장이 구체적으로 보고받았거나 관여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일부 리베이트 행위는 공소시효가 완성된 것으로 보아 면소 처리됐고, 피고인들이 위법성을 인식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인정했다. 특히 희귀질환·항암제 분야의 경우 질환 인식 개선을 위한 학술행사의 필요성도 참작되었다. 3. 2018년 ‘5개 제약사’ 사건 - 다기관 연계 수사 2018년 9월 감사원은 서울지방국세청의 법인·개인통합조사 결과에 대한 자체 감사를 진행하고, 5개 제약사가 총 374억 원 상당의 금전·현물 리베이트를 의사·약사에게 제공한 혐의를 확인한 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조사 필요성을 통보하였다. 이에 따라 식약처 산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중조단)이 2018년 12월 D사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하며 수사가 본격화되었다. 이 사건은 ‘국세청 세무조사 → 감사원 감사 → 식약처 수사 → 검찰 송치’로 이어지는 다기관이 연계된 리베이트 적발 사례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또한 감사원이 세무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리베이트 혐의를 포착하고, 유관기관에 통보하여 수사가 개시되었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4. 2024년 K제약, 2025년 D제약 사건 최근 2024년과 2025년에도 리베이트 관련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두 사건 모두 회사에서는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며, 사실관계도 확정되지 않아 구체적인 논평을 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위 사건들에 대해서는 다른 보도자료로 갈음하도록 하고자 한다. 5. 2024년 의료기기 업체 G사 사건 의료기기 업체 G사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관상동맥용 약물방출 스텐트(DES) 매출 확대를 위해 전국 54개 병원에 총 37억 원 상당의 임상연구비, 학술활동비, 광고비 등을 제공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다.G사의 DES 매출은 2016년 3억 원에서 2022년 49억 원으로 16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 중 90% 이상이 리베이트 계약을 맺은 병원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정위는 2024년 G사사에 시정명령과 함께 2억 8,7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의료기기 업계에도 리베이트 관행이 일부 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통상 그 규모는 제약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이 사건의 경우 의료기기 업체임에도 불구하고 리베이트 규모가 비교적 큰 편이었고, 수사기관이 아닌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는 점은 특기할만한 사실이다. 5. 시사점 그 외에도 크고 작은 리베이트 사건들이 있었지만 지면의 한계로 인해 모두 말씀드리지 못하는 점에 대해서는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린다. 기회가 된다면, 사례들을 좀 더 정리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다. 한편, 일련의 사건들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은 흐름이 포착된다. 첫째, 수사의 단서(수사를 개시하게 되는 원인)로는 ‘내부자 고발’이 여전히 가장 많다.둘째, 그러나 위 수사의 단서는 다양해지고 있다.셋째, 다기관 공조가 일상화되고 있다.넷째, 향후에는 심평원의 처방 데이터 분석, 세무조사 자료 활용 등 다양한 수사기법이 동원될 것으로 예상된다.다섯째, 지난 기고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정부의 규제는 계속 강화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리베이트 규제는 꾸준히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향후에도 ‘컴플라이언스’ 중요성은 계속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바, 업계에서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는, 위 사례들을 잘 살펴보면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경우도가 생각보다 적지 않다. 따라서 혹시 억울하게 리베이트 오해를 받고 있다면, 향후 수사 과정에서 충분히 소명한다면 이러한 어려움을 풀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도 말씀드리고 싶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제약회사·의료기기 업체 리베이트 수사사례 모음과 시사점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7-20
[기고] 제약회사·의료기기 업체 리베이트 수사사례 모음과 시사점
[기고] 제약회사·의료기기 업체 리베이트 수사사례 모음과 시사점
대륜 이일형 변호사 "꾸준히 강화..내부고발 가장 많고,단서 다양-다기관 공조 일상화"'심평원 처방 데이터 분석, 세무조사 자료 활용 등 다양한 수사 기법 동원 예상" 리베이트 이슈와 관련해, CSO 신고제 도입, 연이은 리베이트 사건 발생, 그리고 새 정부의 '제약산업 리베이트' 특별 단속 예고(2025년 7~10월)까지 겹치면서 제약 및 의료기기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필자는 2025년 6월 약업신문 기고에서 리베이트 규제 전반을 다룬 바 있다. 이번에는 실무자들을 위해 2015년부터 최근까지의 리베이트 관련 주요 사례를 정리해보고, 그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1. 2015년 J병원 사건 - 직영도매를 이용한 리베이트 J병원 사건은 병원 이사장 등 46명이 소위 ‘직영도매’를 운영하면서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제약사 18곳으로부터 리베이트 10억여원을 수수한 사건이다. 이들은 ‘직영도매’를 운영하며 제약회사와 '단가계약'을 맺고 약값할인 차액을 챙기는 방식으로 리베이트를 수령했다. 한편 이 사건 경우 수사의 단서(수사가 시작하게 된 배경)가 ‘갑’(병원 직영도매업체)의 갑질을 견디다 못한 제약회사 직원 제보였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형사처분과 행정처분이 엇갈렸다는 점이다. 검찰은 ‘리베이트가 소액이거나 영업사원 개인의 일탈행위’로 보인다는 이유로 제약회사에 대해 기소유예 등 불기소 처분을 하였다. 그러나 식약처는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일부 제약회사에 대해 행정처분을 내리겠다고 하면서 논란이 있었던 사건이기도 하다. 2. 2016년 N사 사건 - 학술지를 활용한 변종 리베이트 N사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의약전문지와 학술지를 활용해 광고비 명목으로 좌담회를 열고 의사들에게 약 25억 원의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사건은 한 의약전문지 직원의 폭로로 수사가 시작됐고, 서울서부지검이 압수수색하며 수사가 본격화됐다. 검찰은 ‘좌담회 및 학술지 제작’이 결국 '변종 리베이트' 라고 주장했으나, 재판에서는 조직적 공모 여부와 위법성 인식을 둘러싸고 논쟁이 이어졌다. 이 사건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실무진들과 전문학술지에는 비교적 중형이 선고되었으나, N사 임원에 대해서는 무죄 및 면소가 선고되었다는 점이다. 검찰은 회사 차원의 조직적 리베이트 사건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실무진(PM) 주도로 이뤄진 행위로서 임원이나 부서장이 구체적으로 보고받았거나 관여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일부 리베이트 행위는 공소시효가 완성된 것으로 보아 면소 처리됐고, 피고인들이 위법성을 인식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인정했다. 특히 희귀질환·항암제 분야의 경우 질환 인식 개선을 위한 학술행사의 필요성도 참작되었다. 3. 2018년 ‘5개 제약사’ 사건 - 다기관 연계 수사 2018년 9월 감사원은 서울지방국세청의 법인·개인통합조사 결과에 대한 자체 감사를 진행하고, 5개 제약사가 총 374억 원 상당의 금전·현물 리베이트를 의사·약사에게 제공한 혐의를 확인한 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조사 필요성을 통보하였다. 이에 따라 식약처 산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중조단)이 2018년 12월 D사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하며 수사가 본격화되었다. 이 사건은 ‘국세청 세무조사 → 감사원 감사 → 식약처 수사 → 검찰 송치’로 이어지는 다기관이 연계된 리베이트 적발 사례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또한 감사원이 세무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리베이트 혐의를 포착하고, 유관기관에 통보하여 수사가 개시되었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4. 2024년 K제약, 2025년 D제약 사건 최근 2024년과 2025년에도 리베이트 관련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두 사건 모두 회사에서는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며, 사실관계도 확정되지 않아 구체적인 논평을 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위 사건들에 대해서는 다른 보도자료로 갈음하도록 하고자 한다. 5. 2024년 의료기기 업체 G사 사건 의료기기 업체 G사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관상동맥용 약물방출 스텐트(DES) 매출 확대를 위해 전국 54개 병원에 총 37억 원 상당의 임상연구비, 학술활동비, 광고비 등을 제공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다.G사의 DES 매출은 2016년 3억 원에서 2022년 49억 원으로 16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 중 90% 이상이 리베이트 계약을 맺은 병원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정위는 2024년 G사사에 시정명령과 함께 2억 8,7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의료기기 업계에도 리베이트 관행이 일부 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통상 그 규모는 제약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이 사건의 경우 의료기기 업체임에도 불구하고 리베이트 규모가 비교적 큰 편이었고, 수사기관이 아닌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는 점은 특기할만한 사실이다. 5. 시사점 그 외에도 크고 작은 리베이트 사건들이 있었지만 지면의 한계로 인해 모두 말씀드리지 못하는 점에 대해서는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린다. 기회가 된다면, 사례들을 좀 더 정리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다. 한편, 일련의 사건들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은 흐름이 포착된다. 첫째, 수사의 단서(수사를 개시하게 되는 원인)로는 ‘내부자 고발’이 여전히 가장 많다.둘째, 그러나 위 수사의 단서는 다양해지고 있다.셋째, 다기관 공조가 일상화되고 있다.넷째, 향후에는 심평원의 처방 데이터 분석, 세무조사 자료 활용 등 다양한 수사기법이 동원될 것으로 예상된다.다섯째, 지난 기고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정부의 규제는 계속 강화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리베이트 규제는 꾸준히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향후에도 ‘컴플라이언스’ 중요성은 계속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바, 업계에서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는, 위 사례들을 잘 살펴보면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경우도가 생각보다 적지 않다. 따라서 혹시 억울하게 리베이트 오해를 받고 있다면, 향후 수사 과정에서 충분히 소명한다면 이러한 어려움을 풀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도 말씀드리고 싶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제약회사·의료기기 업체 리베이트 수사사례 모음과 시사점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7-20
"같이 만든 기술인데…" 배신해도 합법? [대륜의 Biz law forum]
"같이 만든 기술인데…" 배신해도 합법? [대륜의 Biz law forum]
공동개발한 기술 단독 사용했다면소송으로 '영업비밀 침해' 인정받나"불법 아냐" 판결한 대법 선고 주목계약부터 당사자 의사 명확히 해야 기업은 다른 기업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대기업이 1·2차 공급사와 함께 납품할 특정 부품의 생산 기술을 개발하는 게 대표적이다. 공급사들은 기술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업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납품 후 수익을 나눠 가질 것을 기대하곤 한다. 그러나 현실에선 항상 생각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다.개발이 완성돼 갈 무렵 1차 공급사가 2차 공급사와의 협업을 중단하고 단독으로, 또는 새로운 2차 공급사와 함께 대기업에 최종 납품을 하는 경우, 반대로 2차 공급사가 1차 공급사를 건너뛰고 직접 단독으로 대기업에 최종 납품을 하는 경우 등이 그 예다. 기술 개발에 상당한 비용과 노력을 투입했지만, 정작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는 할 수 없게 된 기업 입장에선 기술 탈취를 당한 셈이다.이때 피해 회사가 가해 회사를 상대로 '영업 비밀 침해 소송'을 제기하면 승소할 수 있을까? 최소한 기술 사용료라도 받아야 하는 것 아닐까? 기술자 입장에선 당연히 보호받아야 하는 '내 기술'을 탈취당한 것인데, 법원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까? 상대방 동의 없는 일방적 사용 가능한가 두 개 이상의 기업이 공동 개발한 영업 비밀은 어느 기업의 것일까? 각 공동 개발자의 사용 가능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해당 기술은 개발자들에게 공동으로 귀속되지만, 별도의 계약이 없다면 원칙적으로 공동 개발자 1인은 다른 개발자의 동의 없이도 기술 전부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대법원 2024. 11. 20. 선고 2021다278931, 278948).위 사례에 대입해보자. 대기업의 1·2차 공급사가 함께 영업 비밀 기술과 부품을 개발했는데, 어느 한쪽이 상대방을 배신하고 단독으로 영업 비밀을 사용해 해당 부품을 생산한 후 이를 대기업에 납품하더라도 영업 비밀 침해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온다. 연구 개발자 입장에선 이해할 수 없는 판결이다. 법원이 이런 판단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 공동으로 개발한 결과물이 공동으로 귀속된다는 건 일견 당연한 판단이다. 문제는 '공동 귀속'이 '각 개발자의 사용 가능 범위'와 직결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물건을 예로 들어보자. 민법 제257조는 '공동 소유'의 형태를 다시 '공유', '합유' 및 '총유'로 구별한다. '동산과 동산이 부합'해 합성물이 된 경우 '부합한 동산의 주종을 구별할 수 없는 때'에는 '합성물을 공유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A와 B가 각자 갖고 있던 물건을 서로 부합시켜 합성물을 만든 경우, 위 규정에 따라 합성물은 A와 B의 공유가 된다. 민법·특허법 논리 준용 어려운 이유 합성물을 공유하는 A와 B는 민법의 공유 관련 규정(민법 제262조 내지 제270조)에 따라 다른 사정이 없는 한, 각자가 합성물 전부를 지분의 비율로 사용·수익할 수 있다. A와 B가 위 합성물에 대해 절반씩 지분을 가진다면 A와 B는 이를 절반씩의 비율로 사용·수익할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이런 민법상 논리를 영업 비밀에 적용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물건의 경우 A가 사용·수익하는 동안 B가 동시에 사용·수익할 수 없지만, 기술의 경우는 다르기 때문이다. 기술은 A가 사용하는 동안 B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A와 B가 공유하는 기술에 민법상 공유 규정을 적용하면 해당 기술을 A와 B가 보유 지분에 따라 나눠 사용해야 하는데, 이런 결론은 다소 부자연스럽다.이 문제에 대해선 '공유 특허'의 사용 방법을 참조해 볼 수도 있다. 우리 특허법은 제99조 제3항에서 '특허권이 공유인 경우에는 각 공유자는 계약으로 특별히 약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그 특허발명을 자신이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연구자가 기술을 비밀로 유지하는 경우 '영업비밀'이 되고, 이를 공개하고 재산권으로 등록한다면 '특허(또는 실용신안)기술'이 되는 것이므로 영업 비밀 기술과 특허 기술의 대상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 따라서 둘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공동으로 개발한 기술을 '공유'라고 보는 경우 각 공유자가 다른 공유자의 동의 없이 마음대로 해당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다. 다만 위 판결이 "공동으로 개발한 연구 결과물은 공유"라고 명시적으로 판단한 것은 아니라는 데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법원이 공유가 아닌 '공동 귀속'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데는 의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동 귀속'이라는 표현으로부터 "우리 법원은 공동 연구 개발 결과를 공유라고 보고, 특허법 공유 규정을 준용해 각 공유자가 마음대로 그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섣불리 결론 내릴 순 없다. 사견이지만 우리 특허법과 특허권의 공유 규정은 일본의 특허법을 참고한 것인데, 문제는 일본 민법은 우리 민법과 달리 '공동 소유'의 형태를 '공유', '합유' 및 '총유'로 나누지 않는다는 점이다. 결국 우리 특허법의 '특허 공유' 규정을 우리 민법의 '공유' 규정에 기계적으로 대입하는 것은 한 번 더 고민해 봐야 하는 문제다. '이익 보호'-'침해 규제' 달리 본 대법원 그렇다면 법원은 어떤 이유로 "공동 개발자는 다른 개발자의 동의 없이도 공동 귀속 기술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인가? 법원은 권리자 보호가 아닌 '행위자(침해자) 규제'의 관점으로 위 문제를 판단했다. 이는 과거 헌법재판소가 "부정경쟁방지법은 주지된, 즉, 널리 알려진 표지와 혼동이 생길 염려가 있는 행위를 개별·구체적으로 규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호 대상보다는 규제 대상을 한정하는 것이 문제로 된다"(헌재2001. 9. 27. 헌바77 참조)고 판단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앞의 대법원 판결 내용을 보면 "수인이 영업 비밀을 공동으로 보유하는 경우에도 그 보유자 중 계약 관계 등에 따라 다른 보유자에 대하여 영업 비밀을 비밀로써 유지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자가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다른 보유자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그 영업비밀을 사용하거나 공개하였다면 다른 보유자와의 관계에서 (라)목 영업비밀 침해행위가 성립할 수 있다. (생략) 원고와 피고는 공동으로 보유하는 영업비밀인 이 사건 기술정보의 사용 방법, 사용처 등 사용 제한에 관하여 별도의 약정을 하지는 않았으므로, 피고가 이 사건 기술정보를 반드시 원고에게 공급하는 제품의 제작에만 사용하여야 한다거나 원고의 동의를 받고 사용할 의무를 부담한다고 볼 수는 없다"(위 대법원 판결)고 했다. 결국 법원은 '누구의 권리를 보호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문제되는 행위가 규제 대상인가?'를 판단한 것이다.위 판결에 대해 "권리자 이익 보호나 침해자 행위 규제나 결국 같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흔히 사용되는 공동 연구 개발 계약서에 "연구 결과는 공유한다"고 단순하게 적는 경우가 많고, 그마저도 적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을 볼 때 권리자의 이익 보호와 침해자의 행위 규제를 가려내는 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에 기반하면 계약서에 "공동 개발 결과는 공유다"라고 적거나 그마저도 적지 않는 경우 향후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은 법률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도출된다. "공유 개발 기술은 공유다"라고 명시된 계약서에 서명하면서 "공동 개발한 기술은 상대방이 무단으로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에 동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는 연구 개발자는 많지 않을 것이다.공동 개발 계약을 최초로 체결할 당시의 취지에 맞게 결과물을 사용·수익하기 위해선 당사자 의사에 들어맞는 명확한 계약이 선행돼야 한다. 분쟁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 역시 필수적이다. [기사전문보기] "같이 만든 기술인데…" 배신해도 합법?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7-20
"같이 만든 기술인데…" 배신해도 합법? [대륜의 Biz law forum]
"같이 만든 기술인데…" 배신해도 합법? [대륜의 Biz law forum]
공동개발한 기술 단독 사용했다면소송으로 '영업비밀 침해' 인정받나"불법 아냐" 판결한 대법 선고 주목계약부터 당사자 의사 명확히 해야 기업은 다른 기업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대기업이 1·2차 공급사와 함께 납품할 특정 부품의 생산 기술을 개발하는 게 대표적이다. 공급사들은 기술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업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납품 후 수익을 나눠 가질 것을 기대하곤 한다. 그러나 현실에선 항상 생각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다.개발이 완성돼 갈 무렵 1차 공급사가 2차 공급사와의 협업을 중단하고 단독으로, 또는 새로운 2차 공급사와 함께 대기업에 최종 납품을 하는 경우, 반대로 2차 공급사가 1차 공급사를 건너뛰고 직접 단독으로 대기업에 최종 납품을 하는 경우 등이 그 예다. 기술 개발에 상당한 비용과 노력을 투입했지만, 정작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는 할 수 없게 된 기업 입장에선 기술 탈취를 당한 셈이다.이때 피해 회사가 가해 회사를 상대로 '영업 비밀 침해 소송'을 제기하면 승소할 수 있을까? 최소한 기술 사용료라도 받아야 하는 것 아닐까? 기술자 입장에선 당연히 보호받아야 하는 '내 기술'을 탈취당한 것인데, 법원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까? 상대방 동의 없는 일방적 사용 가능한가 두 개 이상의 기업이 공동 개발한 영업 비밀은 어느 기업의 것일까? 각 공동 개발자의 사용 가능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해당 기술은 개발자들에게 공동으로 귀속되지만, 별도의 계약이 없다면 원칙적으로 공동 개발자 1인은 다른 개발자의 동의 없이도 기술 전부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대법원 2024. 11. 20. 선고 2021다278931, 278948).위 사례에 대입해보자. 대기업의 1·2차 공급사가 함께 영업 비밀 기술과 부품을 개발했는데, 어느 한쪽이 상대방을 배신하고 단독으로 영업 비밀을 사용해 해당 부품을 생산한 후 이를 대기업에 납품하더라도 영업 비밀 침해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온다. 연구 개발자 입장에선 이해할 수 없는 판결이다. 법원이 이런 판단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 공동으로 개발한 결과물이 공동으로 귀속된다는 건 일견 당연한 판단이다. 문제는 '공동 귀속'이 '각 개발자의 사용 가능 범위'와 직결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물건을 예로 들어보자. 민법 제257조는 '공동 소유'의 형태를 다시 '공유', '합유' 및 '총유'로 구별한다. '동산과 동산이 부합'해 합성물이 된 경우 '부합한 동산의 주종을 구별할 수 없는 때'에는 '합성물을 공유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A와 B가 각자 갖고 있던 물건을 서로 부합시켜 합성물을 만든 경우, 위 규정에 따라 합성물은 A와 B의 공유가 된다. 민법·특허법 논리 준용 어려운 이유 합성물을 공유하는 A와 B는 민법의 공유 관련 규정(민법 제262조 내지 제270조)에 따라 다른 사정이 없는 한, 각자가 합성물 전부를 지분의 비율로 사용·수익할 수 있다. A와 B가 위 합성물에 대해 절반씩 지분을 가진다면 A와 B는 이를 절반씩의 비율로 사용·수익할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이런 민법상 논리를 영업 비밀에 적용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물건의 경우 A가 사용·수익하는 동안 B가 동시에 사용·수익할 수 없지만, 기술의 경우는 다르기 때문이다. 기술은 A가 사용하는 동안 B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A와 B가 공유하는 기술에 민법상 공유 규정을 적용하면 해당 기술을 A와 B가 보유 지분에 따라 나눠 사용해야 하는데, 이런 결론은 다소 부자연스럽다.이 문제에 대해선 '공유 특허'의 사용 방법을 참조해 볼 수도 있다. 우리 특허법은 제99조 제3항에서 '특허권이 공유인 경우에는 각 공유자는 계약으로 특별히 약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그 특허발명을 자신이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연구자가 기술을 비밀로 유지하는 경우 '영업비밀'이 되고, 이를 공개하고 재산권으로 등록한다면 '특허(또는 실용신안)기술'이 되는 것이므로 영업 비밀 기술과 특허 기술의 대상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 따라서 둘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공동으로 개발한 기술을 '공유'라고 보는 경우 각 공유자가 다른 공유자의 동의 없이 마음대로 해당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다. 다만 위 판결이 "공동으로 개발한 연구 결과물은 공유"라고 명시적으로 판단한 것은 아니라는 데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법원이 공유가 아닌 '공동 귀속'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데는 의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동 귀속'이라는 표현으로부터 "우리 법원은 공동 연구 개발 결과를 공유라고 보고, 특허법 공유 규정을 준용해 각 공유자가 마음대로 그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섣불리 결론 내릴 순 없다. 사견이지만 우리 특허법과 특허권의 공유 규정은 일본의 특허법을 참고한 것인데, 문제는 일본 민법은 우리 민법과 달리 '공동 소유'의 형태를 '공유', '합유' 및 '총유'로 나누지 않는다는 점이다. 결국 우리 특허법의 '특허 공유' 규정을 우리 민법의 '공유' 규정에 기계적으로 대입하는 것은 한 번 더 고민해 봐야 하는 문제다. '이익 보호'-'침해 규제' 달리 본 대법원 그렇다면 법원은 어떤 이유로 "공동 개발자는 다른 개발자의 동의 없이도 공동 귀속 기술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인가? 법원은 권리자 보호가 아닌 '행위자(침해자) 규제'의 관점으로 위 문제를 판단했다. 이는 과거 헌법재판소가 "부정경쟁방지법은 주지된, 즉, 널리 알려진 표지와 혼동이 생길 염려가 있는 행위를 개별·구체적으로 규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호 대상보다는 규제 대상을 한정하는 것이 문제로 된다"(헌재2001. 9. 27. 헌바77 참조)고 판단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앞의 대법원 판결 내용을 보면 "수인이 영업 비밀을 공동으로 보유하는 경우에도 그 보유자 중 계약 관계 등에 따라 다른 보유자에 대하여 영업 비밀을 비밀로써 유지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자가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다른 보유자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그 영업비밀을 사용하거나 공개하였다면 다른 보유자와의 관계에서 (라)목 영업비밀 침해행위가 성립할 수 있다. (생략) 원고와 피고는 공동으로 보유하는 영업비밀인 이 사건 기술정보의 사용 방법, 사용처 등 사용 제한에 관하여 별도의 약정을 하지는 않았으므로, 피고가 이 사건 기술정보를 반드시 원고에게 공급하는 제품의 제작에만 사용하여야 한다거나 원고의 동의를 받고 사용할 의무를 부담한다고 볼 수는 없다"(위 대법원 판결)고 했다. 결국 법원은 '누구의 권리를 보호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문제되는 행위가 규제 대상인가?'를 판단한 것이다.위 판결에 대해 "권리자 이익 보호나 침해자 행위 규제나 결국 같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흔히 사용되는 공동 연구 개발 계약서에 "연구 결과는 공유한다"고 단순하게 적는 경우가 많고, 그마저도 적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을 볼 때 권리자의 이익 보호와 침해자의 행위 규제를 가려내는 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에 기반하면 계약서에 "공동 개발 결과는 공유다"라고 적거나 그마저도 적지 않는 경우 향후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은 법률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도출된다. "공유 개발 기술은 공유다"라고 명시된 계약서에 서명하면서 "공동 개발한 기술은 상대방이 무단으로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에 동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는 연구 개발자는 많지 않을 것이다.공동 개발 계약을 최초로 체결할 당시의 취지에 맞게 결과물을 사용·수익하기 위해선 당사자 의사에 들어맞는 명확한 계약이 선행돼야 한다. 분쟁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 역시 필수적이다. [기사전문보기] "같이 만든 기술인데…" 배신해도 합법?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7-18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사건 담당 실무진과의 소통 강화‘책임 중심’ 로펌 운영체계 본격화대륜 “고객 중심 소통·책임 핵심 가치”선진적 법률 서비스 모델 구축 주목 법무법인 대륜이 의뢰인과 변호사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을 출시하는 등 고객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대륜은 최근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을 출시하고, 이달 초부터 법인에 접수된 각 사건별 소통방 개설 작업에 착수했다. 온라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한 해당 소통방에는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담당 직원들이 참여한다.기존에는 의뢰인이 변호사와 소통하기 위해 변호사에게 직접 전화를 걸거나 변호사가 재판이나 면담, 상담 등으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담당팀에 전화를 걸어야 했다.그러나 새로 출시된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에서는 실시간 질의응답은 물론 사건 관련 서류 등도 확인할 수 있다. 긴급상황 발생 때에도 빠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륜은 이러한 소통 창구를 통해 물리적 한계를 깨고 고객들의 신뢰를 높인다는 방침이다.앞서 대륜은 고객만족센터를 설치해 운영하는 등 고객 편의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을 다각도로 마련해왔다.대륜 관계자는 “기존 고객만족센터가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객 불편사항을 상시 소통하고 고객들에게서 정기적으로 요청·만족·개선사항들을 접수·청취하는 방식이었다면, 이번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대륜은 ‘변호사 책임제’를 강화하는 등 내부 시스템 정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기존 변호사 책임제는 사건 난이도에 따라 단독부와 합의부, 전문전담그룹, 특수부 등으로 배당되면 해당 부서에서 책임자 지휘 아래 부원들이 한 팀이 돼 사건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변호사 책임제를 강화하면서 서면 작성과 재판 출석, 의뢰인과의 소통 등 사건 수행에 필요한 전반적인 활동을 둘러싼 의무와 책임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한 것이다.이는 최근 수임 건수가 크게 증가해 대표 변호사 등 고위 관리직 변호사들이 모든 사건을 관리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 상황을 고려한 결과다. 기존보다 더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시스템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돼 책임관리 강화를 결정했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변호사 책임제의 경우 사실 법인 설립 초기부터 시행된 문화이긴 하다”며 “다만 법률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에게 보다 더 높은 고객 만족 의무와 책임 의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들어 세부 내용을 다듬은 뒤 해당 제도를 다시 한번 공식화했다”고 밝혔다.이어 “법률 서비스는 고객의 삶과 권리를 다루는 민감한 분야인 만큼 서비스에 대한 신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고객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을 이어가며 선진적인 법률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의뢰인‧변호사가 수시로 소통…그룹장이 ‘중요‧합의부 사건’ 책임자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7-18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사건 담당 실무진과의 소통 강화‘책임 중심’ 로펌 운영체계 본격화대륜 “고객 중심 소통·책임 핵심 가치”선진적 법률 서비스 모델 구축 주목 법무법인 대륜이 의뢰인과 변호사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을 출시하는 등 고객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대륜은 최근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을 출시하고, 이달 초부터 법인에 접수된 각 사건별 소통방 개설 작업에 착수했다. 온라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한 해당 소통방에는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담당 직원들이 참여한다.기존에는 의뢰인이 변호사와 소통하기 위해 변호사에게 직접 전화를 걸거나 변호사가 재판이나 면담, 상담 등으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담당팀에 전화를 걸어야 했다.그러나 새로 출시된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에서는 실시간 질의응답은 물론 사건 관련 서류 등도 확인할 수 있다. 긴급상황 발생 때에도 빠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륜은 이러한 소통 창구를 통해 물리적 한계를 깨고 고객들의 신뢰를 높인다는 방침이다.앞서 대륜은 고객만족센터를 설치해 운영하는 등 고객 편의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을 다각도로 마련해왔다.대륜 관계자는 “기존 고객만족센터가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객 불편사항을 상시 소통하고 고객들에게서 정기적으로 요청·만족·개선사항들을 접수·청취하는 방식이었다면, 이번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대륜은 ‘변호사 책임제’를 강화하는 등 내부 시스템 정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기존 변호사 책임제는 사건 난이도에 따라 단독부와 합의부, 전문전담그룹, 특수부 등으로 배당되면 해당 부서에서 책임자 지휘 아래 부원들이 한 팀이 돼 사건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변호사 책임제를 강화하면서 서면 작성과 재판 출석, 의뢰인과의 소통 등 사건 수행에 필요한 전반적인 활동을 둘러싼 의무와 책임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한 것이다.이는 최근 수임 건수가 크게 증가해 대표 변호사 등 고위 관리직 변호사들이 모든 사건을 관리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 상황을 고려한 결과다. 기존보다 더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시스템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돼 책임관리 강화를 결정했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변호사 책임제의 경우 사실 법인 설립 초기부터 시행된 문화이긴 하다”며 “다만 법률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에게 보다 더 높은 고객 만족 의무와 책임 의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들어 세부 내용을 다듬은 뒤 해당 제도를 다시 한번 공식화했다”고 밝혔다.이어 “법률 서비스는 고객의 삶과 권리를 다루는 민감한 분야인 만큼 서비스에 대한 신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고객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을 이어가며 선진적인 법률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나선다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소통·책임 강화' 두 축으로 법률 서비스 혁신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의뢰인‧변호사가 수시로 소통…그룹장이 ‘중요‧합의부 사건’ 책임자 (바로가기)
로리더
2025-07-18
대륜, 변호사·의뢰인 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빈틈없는 소통할 것”
대륜, 변호사·의뢰인 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빈틈없는 소통할 것”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통해 고객 서비스 품질 강화김국일 경영대표 “‘고객만족’이 최우선 경영과제”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직원들이 의뢰인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고객 서비스 강화 정책의 일환이다.설립 9년 만에 매출액 기준 국내 10대 로펌 반열에 올라선 대륜은 그간 ‘고객과의 소통’에 힘써왔다.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고객만족센터’는 그 결과물 중 하나다. 반응 역시 뜨거웠다.법무법인 대륜은 여기에 안주하지 않았다.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사법연수원 24기)는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해 왔지만, 어쩔 수 없는 물리적 한계가 존재했다”고 말했다. 기존에는 의뢰인이 변호사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 직접 전화를 걸거나, 만약 변호사가 재판이나 면담, 상담 등으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담당팀과 소통해야 했기 때문이다.김국일 대표는 “작은 빈틈도 놓칠 수 없었다. 의뢰인이 언제 어디서든 변호사와 연결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고 싶었다”며 전용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 이유를 밝혔다.아울러 대륜은 ‘변호사 책임제’를 강화하는 등 법률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내부 시스템 정비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사건 수행을 둘러싼 변호사의 의무와 책임 범위를 보다 더 명확히 한 것이다.아래는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와의 일문일답.Q. 올해 변호사업계 화두 중 하나는 ‘대륜의 성장’인 듯 하다.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현재 법률시장에서 고속 성장한 몇 안되는 로펌이기 때문인데, 지난 9년 간 대륜이 이어온 행보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가?김국일 경영대표(이하 김) : 대륜은 설립 초기부터 ‘차별화 전략’을 내세웠다. 국내 법조 시장은 오랜 기간 폐쇄적인 구조로 운영돼 왔다. 일단 로펌을 방문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다. 특히 지방 거주자들의 경우, 서울로 직접 가야 대형 로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로펌에서 제공하는 법률서비스를 둘러싼 정보도 얻기 어려웠다. 대륜은 이 모든 것을 타파하고자 했다. 전국 곳곳에 분사무소를 설립한 것 역시 고객에게 먼저 다가가기 위함이었다.고객서비스센터 역시 비슷한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실제 대륜을 이용한 고객들의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모두 개선하고자 한다. 이렇게 오로지 ‘소비자’만 바라보고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왔기에 좋은 반응이 있었던 것 같다.Q. 새롭게 마련된 소통 창구를 살펴보니, 흥미로운 점들이 있다. 그야말로 변호사와 의뢰인, 담당 직원들 사이에 단체 상시 소통방을 만든다는 뜻 같은데 맞나?김 : 그렇다. 대륜은 앞서 대형 로펌 중 최초로 고객만족센터 및 고객관리팀을 별도로 두는 등 의뢰인들을 상대로 적극 소통해왔다.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객들의 피드백을 빠짐없이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책을 찾는 방식이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함을 느끼는 의뢰인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변호사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전화를 걸어야 하는데, 변호사들 역시 격무에 시달리다보면 의도치 않게 의뢰인들과의 연락이 엇갈리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새로 만들어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은 온라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고,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직원 그리고 의뢰인이 동시에 참여한다. 또 사건 진행 상황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관련 서류 파일도 들여다볼 수 있다. 소통 창구를 마련함으로써 누구나 원하면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상시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긴급상황 발생시에도 더 빠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Q. ‘변호사 책임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김 : 사실 ‘변호사 책임제’는 대륜 설립 초기부터 마련된 지침이긴 하다. 사건이 그 난이도에 따라 단독부와 합의부, 전문전담그룹, 특수부 등으로 배당되면, 해당 부서에서 책임자의 지휘 아래 부원들이 한 팀이 돼 사건을 처리하는 게 기존 방식이었다.다만 최근 대륜에 사건을 맡겨주시는 의뢰인들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상황에 변화가 생겼다. 대표변호사 등 고위 관리직 변호사들이 모든 사건을 직접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의뢰인들의 기대는 더욱 높아져 가고 있기에, 법률서비스의 질을 더 끌어올려야 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을 다시 한번 다듬을 필요가 있었고, 책임관리를 강화하게 됐다. 서면 작성과 재판 출석, 의뢰인과의 소통 등 사건 수행에 필요한 전반적인 활동을 둘러싼 의무와 책임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한 것이다.판·검사, 경찰 등 경력을 갖춘 변호사 역시 예외는 아니다. 보통 이러한 경력을 지닌 변호사들은 실무를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대륜에서는 해당 변호사가 서면은 물론 재판까지 실제 맡고 책임지는 구조다.Q. 대륜이 최종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인가?김 : 경쟁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없다. 결국 법률서비스는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닌가. 그렇기에 소비자가 중심이 돼야 한다.또한 변호사들도 공익적 사명을 가져야 한다. 로펌도 마찬가지다. 규모가 큰 로펌일 수록 더욱 그렇다. 법률서비스 질을 높이고 국내 법률시장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대륜은 오랜 시간 미국 등 선진국들의 로펌 시스템을 연구하고 국내 시장에 적용시켜 왔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법조시장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대륜, 변호사·의뢰인 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빈틈없는 소통할 것” (바로가기)
로리더
2025-07-18
대륜, 변호사·의뢰인 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빈틈없는 소통할 것”
대륜, 변호사·의뢰인 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빈틈없는 소통할 것”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통해 고객 서비스 품질 강화김국일 경영대표 “‘고객만족’이 최우선 경영과제”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직원들이 의뢰인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고객 서비스 강화 정책의 일환이다.설립 9년 만에 매출액 기준 국내 10대 로펌 반열에 올라선 대륜은 그간 ‘고객과의 소통’에 힘써왔다.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고객만족센터’는 그 결과물 중 하나다. 반응 역시 뜨거웠다.법무법인 대륜은 여기에 안주하지 않았다.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사법연수원 24기)는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해 왔지만, 어쩔 수 없는 물리적 한계가 존재했다”고 말했다. 기존에는 의뢰인이 변호사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 직접 전화를 걸거나, 만약 변호사가 재판이나 면담, 상담 등으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담당팀과 소통해야 했기 때문이다.김국일 대표는 “작은 빈틈도 놓칠 수 없었다. 의뢰인이 언제 어디서든 변호사와 연결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고 싶었다”며 전용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 이유를 밝혔다.아울러 대륜은 ‘변호사 책임제’를 강화하는 등 법률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내부 시스템 정비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사건 수행을 둘러싼 변호사의 의무와 책임 범위를 보다 더 명확히 한 것이다.아래는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와의 일문일답.Q. 올해 변호사업계 화두 중 하나는 ‘대륜의 성장’인 듯 하다.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현재 법률시장에서 고속 성장한 몇 안되는 로펌이기 때문인데, 지난 9년 간 대륜이 이어온 행보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가?김국일 경영대표(이하 김) : 대륜은 설립 초기부터 ‘차별화 전략’을 내세웠다. 국내 법조 시장은 오랜 기간 폐쇄적인 구조로 운영돼 왔다. 일단 로펌을 방문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다. 특히 지방 거주자들의 경우, 서울로 직접 가야 대형 로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로펌에서 제공하는 법률서비스를 둘러싼 정보도 얻기 어려웠다. 대륜은 이 모든 것을 타파하고자 했다. 전국 곳곳에 분사무소를 설립한 것 역시 고객에게 먼저 다가가기 위함이었다.고객서비스센터 역시 비슷한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실제 대륜을 이용한 고객들의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모두 개선하고자 한다. 이렇게 오로지 ‘소비자’만 바라보고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왔기에 좋은 반응이 있었던 것 같다.Q. 새롭게 마련된 소통 창구를 살펴보니, 흥미로운 점들이 있다. 그야말로 변호사와 의뢰인, 담당 직원들 사이에 단체 상시 소통방을 만든다는 뜻 같은데 맞나?김 : 그렇다. 대륜은 앞서 대형 로펌 중 최초로 고객만족센터 및 고객관리팀을 별도로 두는 등 의뢰인들을 상대로 적극 소통해왔다.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객들의 피드백을 빠짐없이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책을 찾는 방식이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함을 느끼는 의뢰인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변호사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전화를 걸어야 하는데, 변호사들 역시 격무에 시달리다보면 의도치 않게 의뢰인들과의 연락이 엇갈리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새로 만들어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은 온라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고, 사건별 전담 변호사단과 직원 그리고 의뢰인이 동시에 참여한다. 또 사건 진행 상황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관련 서류 파일도 들여다볼 수 있다. 소통 창구를 마련함으로써 누구나 원하면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상시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긴급상황 발생시에도 더 빠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Q. ‘변호사 책임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김 : 사실 ‘변호사 책임제’는 대륜 설립 초기부터 마련된 지침이긴 하다. 사건이 그 난이도에 따라 단독부와 합의부, 전문전담그룹, 특수부 등으로 배당되면, 해당 부서에서 책임자의 지휘 아래 부원들이 한 팀이 돼 사건을 처리하는 게 기존 방식이었다.다만 최근 대륜에 사건을 맡겨주시는 의뢰인들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상황에 변화가 생겼다. 대표변호사 등 고위 관리직 변호사들이 모든 사건을 직접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의뢰인들의 기대는 더욱 높아져 가고 있기에, 법률서비스의 질을 더 끌어올려야 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을 다시 한번 다듬을 필요가 있었고, 책임관리를 강화하게 됐다. 서면 작성과 재판 출석, 의뢰인과의 소통 등 사건 수행에 필요한 전반적인 활동을 둘러싼 의무와 책임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한 것이다.판·검사, 경찰 등 경력을 갖춘 변호사 역시 예외는 아니다. 보통 이러한 경력을 지닌 변호사들은 실무를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대륜에서는 해당 변호사가 서면은 물론 재판까지 실제 맡고 책임지는 구조다.Q. 대륜이 최종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인가?김 : 경쟁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없다. 결국 법률서비스는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닌가. 그렇기에 소비자가 중심이 돼야 한다.또한 변호사들도 공익적 사명을 가져야 한다. 로펌도 마찬가지다. 규모가 큰 로펌일 수록 더욱 그렇다. 법률서비스 질을 높이고 국내 법률시장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대륜은 오랜 시간 미국 등 선진국들의 로펌 시스템을 연구하고 국내 시장에 적용시켜 왔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법조시장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대륜, 변호사·의뢰인 간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 출시···“빈틈없는 소통할 것”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17
[상법개정안 여파] 대주주 입김 줄이는 '3%룰'…기업들 복잡해진 '셈법'
[상법개정안 여파] 대주주 입김 줄이는 '3%룰'…기업들 복잡해진 '셈법'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상법개정안의 핵심 내용 가운데 감사위원 선임과 해임 시 대주주의 영향력을 제한하는 이른바 '3%룰'이 내년 7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3%룰에는 대주주의 입김을 줄이고 경영진 감시 기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담겼다.법조계는 이러한 취지에 공감하는 분위기지만, 기업으로서는 감사위원의 전문성 확보부터 경영권 방어를 위한 우호지분 확보까지 전방위적인 대응책 마련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감사위원 3%룰(상법 제542조의12)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선·해임 때 최대주주가 가진 주식과 특수관계인이 소유한 주식을 더하지 않고 각 3%씩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개별 3%룰'을 적용하고, 사내이사인 감사위원 선·해임 때는 합해서 최대 3%까지만 의결권을 인정하는 '합산 3%룰'을 반영했다.하지만 개정안에서는 사내이사 또는 사외이사를 불문하고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해 3%로 통일했다. 지배주주의 입맛에 맞는 감사위원 선임이 어렵게 된 것이다. 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감사위원회에 대한 대주주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감사위원회의 감독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감사위원회의 객관적 감시기능을 강화해 건전한 지배구조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며 "소액주주가 추천한 감사위원 후보자의 선임 가능성이 높아져 주주 권익 보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회계투명성 및 내부견제 장치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감사위원 전문성 확보·의사결정 과정의 투명한 공개 필요 다만 최대주주의 의결권 행사가 제한되면서 적합한 감사위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소액주주가 추천한 인사가 해당 산업이나 감사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해도 감사위원으로 선임될 우려가 있다"며 "특히 이사회에 공유되는 내부의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 감사위원 3%룰 확대 적용으로 감사위원 선·해임 때 의결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을 언급한 신 변호사는 "실무상 혼란이 예상되는 부분"이라고 짚었다.이외에도 임 변호사는 "감사위원회의 의사결정 과정이 보다 복잡해지고, 이에 필요한 시간이 지나치게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며 "이뿐 아니라 외국계 사모펀드 등 적대적 인수합병(M&A) 세력이나 행동주의펀드 등이 3%룰을 피해 감사위원회를 장악할 위험성도 커졌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기업의 경영환경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개정안을 반영하는 정관 개정과 함께 대응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감사위원 후보자 풀(pool) 확보 및 역량 강화다. 임 변호사는 "사전에 적격한 후보자를 발굴·확보하고 이들의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 변호사는 "정관상 감사위원의 자격요건을 강화해 감사위원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주주 소통 강화, 기업설명회(IR) 활동 확대 등으로 기업 가치를 보호할 의지가 있으면서 전문성도 갖춘 인사가 선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사위원 선임절차, 의사결정 등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소액주주의 우려를 예방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공통으로 내놓은 대응책 중에는 최대주주의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해 우호주주와의 소통을 늘려야 한다는 언급도 있었다. 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최대주주는 적법한 수준에서 특수관계인에 해당하지 않는 우호주주들과의 소통 및 위임장 확보에 더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신 변호사는 "3%룰 때문에 대주주가 감사위원을 확실히 선임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우호지분 확보 및 소액주주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지배구조 분산 기업은 위임장 경쟁에 대한 대응 전략도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대주주 입김 줄이는 '3%룰'…기업들 복잡해진 '셈법'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17
[상법개정안 여파] 대주주 입김 줄이는 '3%룰'…기업들 복잡해진 '셈법'
[상법개정안 여파] 대주주 입김 줄이는 '3%룰'…기업들 복잡해진 '셈법'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상법개정안의 핵심 내용 가운데 감사위원 선임과 해임 시 대주주의 영향력을 제한하는 이른바 '3%룰'이 내년 7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3%룰에는 대주주의 입김을 줄이고 경영진 감시 기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담겼다.법조계는 이러한 취지에 공감하는 분위기지만, 기업으로서는 감사위원의 전문성 확보부터 경영권 방어를 위한 우호지분 확보까지 전방위적인 대응책 마련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감사위원 3%룰(상법 제542조의12)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선·해임 때 최대주주가 가진 주식과 특수관계인이 소유한 주식을 더하지 않고 각 3%씩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개별 3%룰'을 적용하고, 사내이사인 감사위원 선·해임 때는 합해서 최대 3%까지만 의결권을 인정하는 '합산 3%룰'을 반영했다.하지만 개정안에서는 사내이사 또는 사외이사를 불문하고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해 3%로 통일했다. 지배주주의 입맛에 맞는 감사위원 선임이 어렵게 된 것이다. 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감사위원회에 대한 대주주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감사위원회의 감독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감사위원회의 객관적 감시기능을 강화해 건전한 지배구조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며 "소액주주가 추천한 감사위원 후보자의 선임 가능성이 높아져 주주 권익 보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회계투명성 및 내부견제 장치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감사위원 전문성 확보·의사결정 과정의 투명한 공개 필요 다만 최대주주의 의결권 행사가 제한되면서 적합한 감사위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소액주주가 추천한 인사가 해당 산업이나 감사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해도 감사위원으로 선임될 우려가 있다"며 "특히 이사회에 공유되는 내부의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 감사위원 3%룰 확대 적용으로 감사위원 선·해임 때 의결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을 언급한 신 변호사는 "실무상 혼란이 예상되는 부분"이라고 짚었다.이외에도 임 변호사는 "감사위원회의 의사결정 과정이 보다 복잡해지고, 이에 필요한 시간이 지나치게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며 "이뿐 아니라 외국계 사모펀드 등 적대적 인수합병(M&A) 세력이나 행동주의펀드 등이 3%룰을 피해 감사위원회를 장악할 위험성도 커졌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기업의 경영환경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개정안을 반영하는 정관 개정과 함께 대응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감사위원 후보자 풀(pool) 확보 및 역량 강화다. 임 변호사는 "사전에 적격한 후보자를 발굴·확보하고 이들의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 변호사는 "정관상 감사위원의 자격요건을 강화해 감사위원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주주 소통 강화, 기업설명회(IR) 활동 확대 등으로 기업 가치를 보호할 의지가 있으면서 전문성도 갖춘 인사가 선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사위원 선임절차, 의사결정 등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소액주주의 우려를 예방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공통으로 내놓은 대응책 중에는 최대주주의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해 우호주주와의 소통을 늘려야 한다는 언급도 있었다. 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최대주주는 적법한 수준에서 특수관계인에 해당하지 않는 우호주주들과의 소통 및 위임장 확보에 더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신 변호사는 "3%룰 때문에 대주주가 감사위원을 확실히 선임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우호지분 확보 및 소액주주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지배구조 분산 기업은 위임장 경쟁에 대한 대응 전략도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대주주 입김 줄이는 '3%룰'…기업들 복잡해진 '셈법'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7-17
정서적 아동학대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정서적 아동학대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한 공간에서 많은 수의 아동을 돌봐야 하는 보육 및 복지시설 종사자들은 매일 딜레마에 빠진다. 다수의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한 행동이 자칫 특정 아동에 대한 ‘정서적 학대’처럼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가장 난처한 순간은 아동에게 ‘훈육’이 필요할 때다. 단체 생활의 특성상 한 아이의 문제성 행동이 다른 아이들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제지가 필수다. 다른 아동들과의 분리 조치가 필요할 때도 있다. 문제는 이러한 물리적인 제지 및 분리가 또 다른 아동학대로 여겨질 수 있다는 점이다.최근 필자가 맡았던 사건 역시 이러한 딜레마적 상황에서 시작됐다. 의뢰인 A씨는 수년 간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한 베테랑 보육사였다. A씨가 근무 중이던 시설에는 중증 지적장애와 ADHD를 앓고 있는 아동 B군이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문제는 B군이 고성을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 지속적인 돌발 행동을 해왔다는 점이었다. 사건 당일 역시 B군은 다른 아동들을 위협하는 행동을 했고, 이에 의뢰인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B군을 별도의 공간에 잠시 분리했다. 그러나 이 행동으로 A씨는 아동학대 피의자가 됐다.아동복지법 제17조 제5호에 따르면, 누구든지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를 할 수 없다. 만약 이를 어길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 일반인이 아닌 보육시설 종사자가 관련 혐의에 연루됐을 때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적용되는 혐의는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으로 바뀌며, 가중처벌의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필자를 포함한 변호인단은 A씨의 행위가 아동을 해하려는 '학대'가 아니라, 다른 아동 전체를 지키기 위한 ‘정당한 훈육 및 보호 조치’였음을 입증하는 데 집중했다. 단순히 아이를 분리했다는 사실만 놓고 보면 오해의 소지가 다분했기에, 행위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당시의 긴급한 상황을 설득력 있게 소명하려 노력했다.가장 먼저 A씨의 조치가 다른 아동들을 폭력적 상황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이었음을 명확히 했다. 또한, B군을 30분 가까이 분리한 것은 사실이나 문을 잠그지는 않았고, 이는 당시 다른 아동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물리적 제지였음을 주장했다. 아울러 B군 역시 평소 의뢰인에게 강한 유대감을 드러낸 점을 바탕으로, 평소 일방적 학대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수사기관 역시 이런 주장을 받아들여, 불기소 처분으로 사건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위 사례처럼 모두를 위한 조치가 한 아이에게는 학대로 비칠 수 있다. 만약 비슷한 딜레마로 법적 문제에 직면했다면, 자신의 행위가 정당한 보호 조치였음을 입증하기 위한 객관적 증거와 법리적 주장을 마련해야 한다. 초기 단계부터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자신의 행위가 가진 정당한 목적과 배경을 체계적으로 소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정서적 아동학대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정서적 아동학대, 훈육·분리조치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7-17
정서적 아동학대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정서적 아동학대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한 공간에서 많은 수의 아동을 돌봐야 하는 보육 및 복지시설 종사자들은 매일 딜레마에 빠진다. 다수의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한 행동이 자칫 특정 아동에 대한 ‘정서적 학대’처럼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가장 난처한 순간은 아동에게 ‘훈육’이 필요할 때다. 단체 생활의 특성상 한 아이의 문제성 행동이 다른 아이들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제지가 필수다. 다른 아동들과의 분리 조치가 필요할 때도 있다. 문제는 이러한 물리적인 제지 및 분리가 또 다른 아동학대로 여겨질 수 있다는 점이다.최근 필자가 맡았던 사건 역시 이러한 딜레마적 상황에서 시작됐다. 의뢰인 A씨는 수년 간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한 베테랑 보육사였다. A씨가 근무 중이던 시설에는 중증 지적장애와 ADHD를 앓고 있는 아동 B군이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문제는 B군이 고성을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 지속적인 돌발 행동을 해왔다는 점이었다. 사건 당일 역시 B군은 다른 아동들을 위협하는 행동을 했고, 이에 의뢰인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B군을 별도의 공간에 잠시 분리했다. 그러나 이 행동으로 A씨는 아동학대 피의자가 됐다.아동복지법 제17조 제5호에 따르면, 누구든지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를 할 수 없다. 만약 이를 어길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 일반인이 아닌 보육시설 종사자가 관련 혐의에 연루됐을 때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적용되는 혐의는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으로 바뀌며, 가중처벌의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필자를 포함한 변호인단은 A씨의 행위가 아동을 해하려는 '학대'가 아니라, 다른 아동 전체를 지키기 위한 ‘정당한 훈육 및 보호 조치’였음을 입증하는 데 집중했다. 단순히 아이를 분리했다는 사실만 놓고 보면 오해의 소지가 다분했기에, 행위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당시의 긴급한 상황을 설득력 있게 소명하려 노력했다.가장 먼저 A씨의 조치가 다른 아동들을 폭력적 상황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이었음을 명확히 했다. 또한, B군을 30분 가까이 분리한 것은 사실이나 문을 잠그지는 않았고, 이는 당시 다른 아동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물리적 제지였음을 주장했다. 아울러 B군 역시 평소 의뢰인에게 강한 유대감을 드러낸 점을 바탕으로, 평소 일방적 학대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수사기관 역시 이런 주장을 받아들여, 불기소 처분으로 사건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위 사례처럼 모두를 위한 조치가 한 아이에게는 학대로 비칠 수 있다. 만약 비슷한 딜레마로 법적 문제에 직면했다면, 자신의 행위가 정당한 보호 조치였음을 입증하기 위한 객관적 증거와 법리적 주장을 마련해야 한다. 초기 단계부터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자신의 행위가 가진 정당한 목적과 배경을 체계적으로 소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정서적 아동학대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정서적 아동학대, 훈육·분리조치의 법적 딜레마···변호사가 말하는 주요 쟁점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17
"이제 내 회사" 하도급 업체 꿀꺽하려던 원청..법원 판단은?
"이제 내 회사" 하도급 업체 꿀꺽하려던 원청..법원 판단은?
대금 미납 등 상습 갑질로 공정위 신고당하자 보복 소송법원 "원·피고 사이에 편입에 대한 의사 합치 단정 어려워" 상습 갑질과 대금 미납으로 하도급업체로부터 신고를 당한 원청이 보복 소송을 제기하며 하도급업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서울남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0일 전자통신기기 판매사인 A사가 기계부품제조 하청업체 B사를 상대로 제기한 이익잉여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이익잉여금은 기업 영업활동에서 얻어진 수익을 바탕으로 한 잉여금을 의미합니다.A사는 지난 2008년 B사와 부품제조 도급계약을 체결하고, 수년간 거래를 지속해 왔습니다.이후 2016년 A사는 사업 확장을 이유로 B사와 전속 계약을 맺었습니다.이에 따라 A사는 B사로부터 일정 비용을 받고 부품 생산에 필요한 설비를 제공했습니다.공장 내 설비를 재정비한 B사는 A사에 기계 부품을 납품했습니다.하지만 A사는 사업 지원을 빌미로 B사에 상습적으로 대금을 미납하는 등 갑질을 일삼았습니다.결국, 2024년 2월경 B사는 불공정 하도급 거래행위 등을 이유로 A사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했습니다.신고 이후 A사는 돌연 'B사는 A사의 자회사'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사 측은 "B사 대표는 A사에 월급을 받고 있으며, 명목상 대표에 불과하다"며 "2016년부터 2023년까지 B사에서 발생한 이익잉여금 17억여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이에 대해 B사는 독립된 사업체로 A사와 하도급 계약 이외에 전혀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A사로부터 큰 규모의 수주를 받았으나, 이 대금이 제때 결제되지 않아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두 회사 사이에 사업체 편입에 대한 의사 합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피고의 사업체 운영 및 업무수행에 일부 경제적·인적 편의를 봐준 것은 사실이나, 이들 사이에 피고 운영으로 발생한 이익잉여금을 원고에게 반환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다고 인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고 판시했습니다.B사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곽내원 변호사는 "A사는 기계구입 등을 이유로 B사가 자신의 자회사임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은 무상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었으며, 수억 원의 대금을 받고 기계를 제공한 것이었다"며 "B사는 A사의 수주 증가 약속을 믿고 사업 확장의 위험성을 감수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이어 "A사 측은 자신들의 사업 지원으로 B사의 매출이 크게 올랐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시기에 A사의 다른 하도급 업체들도 매출 증대를 경험했다. B사에 대한 특혜 내지 사내공장화가 아닌, A사 사업 확장기의 일반적인 하도급 거래 패턴을 보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곽 변호사는 "이번 사안은 A사 측이 국내 3대 로펌을 선임해 대응이 까다로웠지만, 공정위 신고에 대한 A사의 보복 행위를 법리 해석을 통해 입증한 끝에 승소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이제 내 회사" 하도급 업체 꿀꺽하려던 원청..법원 판단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17
"이제 내 회사" 하도급 업체 꿀꺽하려던 원청..법원 판단은?
"이제 내 회사" 하도급 업체 꿀꺽하려던 원청..법원 판단은?
대금 미납 등 상습 갑질로 공정위 신고당하자 보복 소송법원 "원·피고 사이에 편입에 대한 의사 합치 단정 어려워" 상습 갑질과 대금 미납으로 하도급업체로부터 신고를 당한 원청이 보복 소송을 제기하며 하도급업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서울남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0일 전자통신기기 판매사인 A사가 기계부품제조 하청업체 B사를 상대로 제기한 이익잉여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이익잉여금은 기업 영업활동에서 얻어진 수익을 바탕으로 한 잉여금을 의미합니다.A사는 지난 2008년 B사와 부품제조 도급계약을 체결하고, 수년간 거래를 지속해 왔습니다.이후 2016년 A사는 사업 확장을 이유로 B사와 전속 계약을 맺었습니다.이에 따라 A사는 B사로부터 일정 비용을 받고 부품 생산에 필요한 설비를 제공했습니다.공장 내 설비를 재정비한 B사는 A사에 기계 부품을 납품했습니다.하지만 A사는 사업 지원을 빌미로 B사에 상습적으로 대금을 미납하는 등 갑질을 일삼았습니다.결국, 2024년 2월경 B사는 불공정 하도급 거래행위 등을 이유로 A사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했습니다.신고 이후 A사는 돌연 'B사는 A사의 자회사'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사 측은 "B사 대표는 A사에 월급을 받고 있으며, 명목상 대표에 불과하다"며 "2016년부터 2023년까지 B사에서 발생한 이익잉여금 17억여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이에 대해 B사는 독립된 사업체로 A사와 하도급 계약 이외에 전혀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A사로부터 큰 규모의 수주를 받았으나, 이 대금이 제때 결제되지 않아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두 회사 사이에 사업체 편입에 대한 의사 합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피고의 사업체 운영 및 업무수행에 일부 경제적·인적 편의를 봐준 것은 사실이나, 이들 사이에 피고 운영으로 발생한 이익잉여금을 원고에게 반환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다고 인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고 판시했습니다.B사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곽내원 변호사는 "A사는 기계구입 등을 이유로 B사가 자신의 자회사임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은 무상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었으며, 수억 원의 대금을 받고 기계를 제공한 것이었다"며 "B사는 A사의 수주 증가 약속을 믿고 사업 확장의 위험성을 감수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이어 "A사 측은 자신들의 사업 지원으로 B사의 매출이 크게 올랐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시기에 A사의 다른 하도급 업체들도 매출 증대를 경험했다. B사에 대한 특혜 내지 사내공장화가 아닌, A사 사업 확장기의 일반적인 하도급 거래 패턴을 보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곽 변호사는 "이번 사안은 A사 측이 국내 3대 로펌을 선임해 대응이 까다로웠지만, 공정위 신고에 대한 A사의 보복 행위를 법리 해석을 통해 입증한 끝에 승소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이제 내 회사" 하도급 업체 꿀꺽하려던 원청..법원 판단은? (바로가기)
일요신문
2025-07-17
[단독] 할인 쿠폰 쏟아내는 ‘에이블리’ 두고 “판매자에 부담 전가” 불만 속출
[단독] 할인 쿠폰 쏟아내는 ‘에이블리’ 두고 “판매자에 부담 전가” 불만 속출
“일부 굵직한 할인행사, 판매자 동의 없이 쿠폰 발행” 문제 제기…에이블리 “충분히 안내” 반박 에이블리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여성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에 입점한 판매자들이 플랫폼 측의 ‘할인 쿠폰’ 제도 운영에 대해 여러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할인 금액에 대한 판매자의 부담 비율이 지나치게 높고, 판매자들의 정확한 사전 인지 없이 할인쿠폰이 발행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규정이나 절차상 문제가 없는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에이블리 판매자들이 네이버카페,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복수의 글 내용을 종합하면 이들은 플랫폼 측의 할인쿠폰 발행으로 발생하는 상품 할인금액의 판매자 부담 비율(판매가격의 5%)이 너무 높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가격이 3만 원인 제품을 할인 쿠폰을 써 구입할 경우 판매자는 그 금액의 5%인 1500원을 부담하고 있다. 만약 해당 쿠폰의 할인 비율이 10%여서 소비자가 총 3000원을 할인 받은 경우라면 판매자 입장에서는 절반(50%)을 부담하는 셈이어서 그 정도가 너무 크다는 호소다. 동종업계인 ‘무신사’는 할인 쿠폰 적용 시 판매자가 판매가격이 아닌 ‘할인 금액’의 2% 수준을 부담하고 있어, 그 실제적 부담 비율이 꽤 낮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판매자들은 상품 하나를 팔 때마다 각종 수수료나 배송비용 등으로 내는 기본 비용들이 있어, 할인 쿠폰에 따른 부담이 얹어질 경우 ‘마진(최종 수익)’이 사라지는 상황도 종종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에이블리는 판매자가 제품 1건을 팔 때마다 플랫폼 수수료로 판매가격의 3%, 결제 수수료로 판매가격의 3.96%를 수취하고 있다. 현재 에이블리의 모든 판매 상품에 적용 중인 무료배송(약 3000원)도 그 비용을 모두 판매자가 부담하고 있다. 이외에도 소비자가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적용되는 추가 할인 금액이나 적립금 사용액에 대해서도 판매자가 일부를 부담하고 있다.에이블리는 평소 매달 1회 이상 프로모션을 열어 소비자들에게 할인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쿠폰을 사용할지 여부는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선택할 영역이지만, 소비자들은 대체로 플랫폼 측이 발행하는 할인쿠폰을 최대한 사용하려는 것이 일반적 경향으로 보인다. 한 소비자는 “에이블리가 평소 할인 쿠폰을 많이 줘서 애용하고 있다”며 “에이블리 입점 업체의 자사 몰에서 제품을 확인한 뒤 다시 에이블리에서 할인 쿠폰을 이용해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현재 에이블리에 입점해 있는 판매자 A 씨는 “주문 건별로 봤을 때는 판매자의 부담분이 몇 천 원 수준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주문들이 쌓이게 되면 적지 않은 돈이 될 수 있다”며 “할인 쿠폰의 판매자 부담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판매자들 사이에서는 에이블리가 판매자들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 없이 일부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주장도 나온다. 일반적으로 에이블리는 판매자(셀러) 전용 홈페이지 내 공지사항을 통해 판매자들에게 프로모션을 참여할 수 있도록 알리고, 참여를 희망하는 판매자는 프로모션 참가 신청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동의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 판매자 A 씨에 따르면 해당 방식은 ‘셀러 참여형 프로모션’에 국한되는 상황으로, ‘메가 세일’ ‘시즌별 세일’ 등 플랫폼 내 굵직한 주요 프로모션은 대부분 공지만 이뤄질 뿐 판매자 참여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상거래 플랫폼이 입점 판매자에게 프로모션(판매 촉진) 비용을 과도하게 전가하거나 사전 약정·동의 절차 없이 일방적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할 경우 공정거래법 위반 소지가 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에이블리가 이러한 규정의 적용을 받는 플랫폼(기업)인지, 맞다면 혹시 규정을 위반한 부분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 판매자들의 시각이다. 공정위는 2019년 온라인쇼핑몰업자가 프로모션을 통한 할인 쿠폰 발행 등 판매 촉진 행사 비용을 판매자에게 부당하게 떠넘기는 행위를 금지하는 심사 지침을 마련했다. 이전에는 대규모유통업법에 따라 대규모유통업자만 해당 행위를 금지해왔지만 현재는 매출이 1000억 원이 넘는 ‘온라인쇼핑몰업자’도 판매자에게 부당하게 판매 촉진 비용을 부담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에이블리의 지난해 매출액은 3342억 원으로, 해당 지침을 준수해야 하는 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진단된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민생경제위원장인 김남주 변호사는 “판매자들의 불만이 충분히 이해된다”며 “에이블리가 약정 등 법적 문제가 없도록 조치했을지라도 판매자가 손해 볼 수 있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공정위에 문제를 제기해 볼 수는 있다”고 말했다.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정거래법상 ‘자신의 거래상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해 상대방과 거래하는 행위’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며 “공정거래법은 거래관계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진 사업자가 열위에 있는 사업자에게 불이익하게 거래조건을 설정 또는 변경하거나, 그 이행 과정에서 불이익을 주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거래상 지위’와 ‘부당성’이 쟁점이 되겠지만 일단 공정위의 판단을 구해볼 사안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에이블리 관계자는 “에이블리는 판매자 부담을 최소화해 업계 내에서 낮은 분담 비율을 유지해 왔다”며 “쿠폰 발행 비용 부담은 할인율이 높아질수록 에이블리의 부담이 더 커지는 구조”라고 밝혔다. 이어 “판매자들이 에이블리에 입점할 때 약관과 정책을 통해 쿠폰 및 프로모션 관련 내용을 사전에 안내하고 있다”며 “판매자 전용 홈페이지 공지, 변동 사항 발생 시 개별 연락을 통해 별도 안내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에이블리는 오는 9월 1일부터 판매자들의 플랫폼 수수료를 기존 3%에서 4%로 인상할 계획이다. 결제 수수료 3.96%를 더하면 판매자의 전체 수수료 부담은 7.96%로 늘어나게 된다. 에이블리는 지난 15일 판매자들에게 공지를 통해 “트래픽 증가에 따른 인프라 확장과 플랫폼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필수 운영 비용이 증가해 부득이하게 최소한의 인상폭인 1%를 조정하게 됐다”며 “개편 후에도 업계 최저 수준의 수수료율은 변함없이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박찬웅 기자 (rooney@ilyo.co.kr) [기사전문보기] [단독] 할인 쿠폰 쏟아내는 ‘에이블리’ 두고 “판매자에 부담 전가” 불만 속출 (바로가기)
일요신문
2025-07-17
[단독] 할인 쿠폰 쏟아내는 ‘에이블리’ 두고 “판매자에 부담 전가” 불만 속출
[단독] 할인 쿠폰 쏟아내는 ‘에이블리’ 두고 “판매자에 부담 전가” 불만 속출
“일부 굵직한 할인행사, 판매자 동의 없이 쿠폰 발행” 문제 제기…에이블리 “충분히 안내” 반박 에이블리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여성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에 입점한 판매자들이 플랫폼 측의 ‘할인 쿠폰’ 제도 운영에 대해 여러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할인 금액에 대한 판매자의 부담 비율이 지나치게 높고, 판매자들의 정확한 사전 인지 없이 할인쿠폰이 발행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규정이나 절차상 문제가 없는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에이블리 판매자들이 네이버카페,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복수의 글 내용을 종합하면 이들은 플랫폼 측의 할인쿠폰 발행으로 발생하는 상품 할인금액의 판매자 부담 비율(판매가격의 5%)이 너무 높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가격이 3만 원인 제품을 할인 쿠폰을 써 구입할 경우 판매자는 그 금액의 5%인 1500원을 부담하고 있다. 만약 해당 쿠폰의 할인 비율이 10%여서 소비자가 총 3000원을 할인 받은 경우라면 판매자 입장에서는 절반(50%)을 부담하는 셈이어서 그 정도가 너무 크다는 호소다. 동종업계인 ‘무신사’는 할인 쿠폰 적용 시 판매자가 판매가격이 아닌 ‘할인 금액’의 2% 수준을 부담하고 있어, 그 실제적 부담 비율이 꽤 낮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판매자들은 상품 하나를 팔 때마다 각종 수수료나 배송비용 등으로 내는 기본 비용들이 있어, 할인 쿠폰에 따른 부담이 얹어질 경우 ‘마진(최종 수익)’이 사라지는 상황도 종종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에이블리는 판매자가 제품 1건을 팔 때마다 플랫폼 수수료로 판매가격의 3%, 결제 수수료로 판매가격의 3.96%를 수취하고 있다. 현재 에이블리의 모든 판매 상품에 적용 중인 무료배송(약 3000원)도 그 비용을 모두 판매자가 부담하고 있다. 이외에도 소비자가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적용되는 추가 할인 금액이나 적립금 사용액에 대해서도 판매자가 일부를 부담하고 있다.에이블리는 평소 매달 1회 이상 프로모션을 열어 소비자들에게 할인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쿠폰을 사용할지 여부는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선택할 영역이지만, 소비자들은 대체로 플랫폼 측이 발행하는 할인쿠폰을 최대한 사용하려는 것이 일반적 경향으로 보인다. 한 소비자는 “에이블리가 평소 할인 쿠폰을 많이 줘서 애용하고 있다”며 “에이블리 입점 업체의 자사 몰에서 제품을 확인한 뒤 다시 에이블리에서 할인 쿠폰을 이용해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현재 에이블리에 입점해 있는 판매자 A 씨는 “주문 건별로 봤을 때는 판매자의 부담분이 몇 천 원 수준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주문들이 쌓이게 되면 적지 않은 돈이 될 수 있다”며 “할인 쿠폰의 판매자 부담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판매자들 사이에서는 에이블리가 판매자들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 없이 일부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주장도 나온다. 일반적으로 에이블리는 판매자(셀러) 전용 홈페이지 내 공지사항을 통해 판매자들에게 프로모션을 참여할 수 있도록 알리고, 참여를 희망하는 판매자는 프로모션 참가 신청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동의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 판매자 A 씨에 따르면 해당 방식은 ‘셀러 참여형 프로모션’에 국한되는 상황으로, ‘메가 세일’ ‘시즌별 세일’ 등 플랫폼 내 굵직한 주요 프로모션은 대부분 공지만 이뤄질 뿐 판매자 참여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상거래 플랫폼이 입점 판매자에게 프로모션(판매 촉진) 비용을 과도하게 전가하거나 사전 약정·동의 절차 없이 일방적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할 경우 공정거래법 위반 소지가 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에이블리가 이러한 규정의 적용을 받는 플랫폼(기업)인지, 맞다면 혹시 규정을 위반한 부분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 판매자들의 시각이다. 공정위는 2019년 온라인쇼핑몰업자가 프로모션을 통한 할인 쿠폰 발행 등 판매 촉진 행사 비용을 판매자에게 부당하게 떠넘기는 행위를 금지하는 심사 지침을 마련했다. 이전에는 대규모유통업법에 따라 대규모유통업자만 해당 행위를 금지해왔지만 현재는 매출이 1000억 원이 넘는 ‘온라인쇼핑몰업자’도 판매자에게 부당하게 판매 촉진 비용을 부담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에이블리의 지난해 매출액은 3342억 원으로, 해당 지침을 준수해야 하는 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진단된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민생경제위원장인 김남주 변호사는 “판매자들의 불만이 충분히 이해된다”며 “에이블리가 약정 등 법적 문제가 없도록 조치했을지라도 판매자가 손해 볼 수 있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공정위에 문제를 제기해 볼 수는 있다”고 말했다.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정거래법상 ‘자신의 거래상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해 상대방과 거래하는 행위’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며 “공정거래법은 거래관계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진 사업자가 열위에 있는 사업자에게 불이익하게 거래조건을 설정 또는 변경하거나, 그 이행 과정에서 불이익을 주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거래상 지위’와 ‘부당성’이 쟁점이 되겠지만 일단 공정위의 판단을 구해볼 사안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에이블리 관계자는 “에이블리는 판매자 부담을 최소화해 업계 내에서 낮은 분담 비율을 유지해 왔다”며 “쿠폰 발행 비용 부담은 할인율이 높아질수록 에이블리의 부담이 더 커지는 구조”라고 밝혔다. 이어 “판매자들이 에이블리에 입점할 때 약관과 정책을 통해 쿠폰 및 프로모션 관련 내용을 사전에 안내하고 있다”며 “판매자 전용 홈페이지 공지, 변동 사항 발생 시 개별 연락을 통해 별도 안내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에이블리는 오는 9월 1일부터 판매자들의 플랫폼 수수료를 기존 3%에서 4%로 인상할 계획이다. 결제 수수료 3.96%를 더하면 판매자의 전체 수수료 부담은 7.96%로 늘어나게 된다. 에이블리는 지난 15일 판매자들에게 공지를 통해 “트래픽 증가에 따른 인프라 확장과 플랫폼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필수 운영 비용이 증가해 부득이하게 최소한의 인상폭인 1%를 조정하게 됐다”며 “개편 후에도 업계 최저 수준의 수수료율은 변함없이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박찬웅 기자 (rooney@ilyo.co.kr) [기사전문보기] [단독] 할인 쿠폰 쏟아내는 ‘에이블리’ 두고 “판매자에 부담 전가” 불만 속출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7-17
15억 약정서 쓰고도 ‘책임 없다’ 주장...법원 "자필 서명, 책임 명백"
15억 약정서 쓰고도 ‘책임 없다’ 주장...법원 "자필 서명, 책임 명백"
‘원금 보장’ 약속을 믿고 10억원이 넘는 돈을 건넸다가 돌려받지 못할 위기에 처했던 투자자가 법적 다툼 끝에 투자금 대부분을 회수하게 됐다.서울남부지방법원은 지난달 13일 30대 남성 A씨가 지인 B씨를 상대로 낸 약정금 청구 소송에서 "피고는 원고에게 약 14억 8300만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며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A씨는 지난 2022년 B씨에게 가상화폐 투자 및 자금 대여 명목으로 총 11억 8000만원을 건넸다. 하지만 B씨는 당초의 원금 보장 약속과 달리 변제를 차일피일 미뤘다. 이후 B씨는 A씨에게 추가 이행각서와 약정서도 작성해줬지만 변제는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A씨는 B씨를 형사고소하는 한편, 민사소송도 함께 제기했다.B씨는 자신이 중간 소개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씨가 자신을 특경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는 등 약정서상 ‘협조 의무’를 위반했다고 강조했다. 상환이 이뤄지지 않을 시 B씨 소유의 캄보디아 토지를 담보로 A씨에게 15억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하기로 했는데, 형사 고소로 인해 이마저도 불가능해졌다는 취지다.반면 법원은 A씨의 주장 대부분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원고의 고소로 인해 변제가 지연됐다고 볼 근거가 없고, 약정서에 피고가 직접 책임을 지기로 명시한 이상 단순 소개자라는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약정된 이자 중 법정 최고 이율인 연 20%를 초과하는 부분은 무효라고 보고, 이를 제외한 약 14억 8300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 김원상 변호사는 “피고 측은 원고의 협조 의무가 환불의 전제가 되는 것처럼 말했으나 이는 시간의 선후 관계를 바꾼 주장임을 적극 소명했다”며 “구두 약속이 아닌 구체적인 금액과 변제 의사가 담긴 문서가 피고의 지급의무를 입증하는 결정적인 증거로 활용 돼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15억 약정서 쓰고도 ‘책임 없다’ 주장...법원 "자필 서명, 책임 명백"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7-17
15억 약정서 쓰고도 ‘책임 없다’ 주장...법원 "자필 서명, 책임 명백"
15억 약정서 쓰고도 ‘책임 없다’ 주장...법원 "자필 서명, 책임 명백"
‘원금 보장’ 약속을 믿고 10억원이 넘는 돈을 건넸다가 돌려받지 못할 위기에 처했던 투자자가 법적 다툼 끝에 투자금 대부분을 회수하게 됐다.서울남부지방법원은 지난달 13일 30대 남성 A씨가 지인 B씨를 상대로 낸 약정금 청구 소송에서 "피고는 원고에게 약 14억 8300만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며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A씨는 지난 2022년 B씨에게 가상화폐 투자 및 자금 대여 명목으로 총 11억 8000만원을 건넸다. 하지만 B씨는 당초의 원금 보장 약속과 달리 변제를 차일피일 미뤘다. 이후 B씨는 A씨에게 추가 이행각서와 약정서도 작성해줬지만 변제는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A씨는 B씨를 형사고소하는 한편, 민사소송도 함께 제기했다.B씨는 자신이 중간 소개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씨가 자신을 특경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는 등 약정서상 ‘협조 의무’를 위반했다고 강조했다. 상환이 이뤄지지 않을 시 B씨 소유의 캄보디아 토지를 담보로 A씨에게 15억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하기로 했는데, 형사 고소로 인해 이마저도 불가능해졌다는 취지다.반면 법원은 A씨의 주장 대부분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원고의 고소로 인해 변제가 지연됐다고 볼 근거가 없고, 약정서에 피고가 직접 책임을 지기로 명시한 이상 단순 소개자라는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약정된 이자 중 법정 최고 이율인 연 20%를 초과하는 부분은 무효라고 보고, 이를 제외한 약 14억 8300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 김원상 변호사는 “피고 측은 원고의 협조 의무가 환불의 전제가 되는 것처럼 말했으나 이는 시간의 선후 관계를 바꾼 주장임을 적극 소명했다”며 “구두 약속이 아닌 구체적인 금액과 변제 의사가 담긴 문서가 피고의 지급의무를 입증하는 결정적인 증거로 활용 돼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15억 약정서 쓰고도 ‘책임 없다’ 주장...법원 "자필 서명, 책임 명백"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2025-07-16
대륜, 강원대 로스쿨과 지역 법률시장‧진로지원 협력
대륜, 강원대 로스쿨과 지역 법률시장‧진로지원 협력
법무법인 대륜이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강원‧영서권 법률시장 개발과 지역 예비 법조인 진로지원을 위해 손을 맞댔다. 지난 9일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박경옥 변호사, 손동후 변호사와 강원대 로스쿨 박경철 원장, 이동수 교무부원장, 이진수 학생부원장 등은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체결식을 갖고, 로스쿨과 정기적인 실무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법률시장 발전 및 학생 진로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구체적으로 ▲법학전문대학원생 대상 인턴십 및 실무수습 기회 제공 △모의재판·리걸 클리닉·공익소송 등에 대한 실무 자문 및 지도 ▲진로 컨설팅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 공동 제공 △지역사회 대상 법률 세미나·워크숍 공동 개최 ▲교육·연구·공익활동 연계 법률 자문 및 실습 기반 구축 등 다양한 협력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 강원대 로스쿨 박경철 원장은 “현장감 있는 실무 교육과 법률 전문기관과의 협업이 학생들의 역량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이번 MOU를 통해 강원대 로스쿨이 더욱 경쟁력 있는 실무 중심 교육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단순한 교육협력의 차원을 넘어 지역 법조계 발전과 미래 인재 양성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며 “강원대학교와 함께 법률교육과 실무현장을 연결하는 모범적 파트너십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강원대 로스쿨과 지역 법률시장‧진로지원 협력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2025-07-16
대륜, 강원대 로스쿨과 지역 법률시장‧진로지원 협력
대륜, 강원대 로스쿨과 지역 법률시장‧진로지원 협력
법무법인 대륜이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강원‧영서권 법률시장 개발과 지역 예비 법조인 진로지원을 위해 손을 맞댔다. 지난 9일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박경옥 변호사, 손동후 변호사와 강원대 로스쿨 박경철 원장, 이동수 교무부원장, 이진수 학생부원장 등은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체결식을 갖고, 로스쿨과 정기적인 실무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법률시장 발전 및 학생 진로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구체적으로 ▲법학전문대학원생 대상 인턴십 및 실무수습 기회 제공 △모의재판·리걸 클리닉·공익소송 등에 대한 실무 자문 및 지도 ▲진로 컨설팅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 공동 제공 △지역사회 대상 법률 세미나·워크숍 공동 개최 ▲교육·연구·공익활동 연계 법률 자문 및 실습 기반 구축 등 다양한 협력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 강원대 로스쿨 박경철 원장은 “현장감 있는 실무 교육과 법률 전문기관과의 협업이 학생들의 역량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이번 MOU를 통해 강원대 로스쿨이 더욱 경쟁력 있는 실무 중심 교육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단순한 교육협력의 차원을 넘어 지역 법조계 발전과 미래 인재 양성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며 “강원대학교와 함께 법률교육과 실무현장을 연결하는 모범적 파트너십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강원대 로스쿨과 지역 법률시장‧진로지원 협력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16
[기고] 주 4.5일제 실현 기대감…노동시장의 미래는?
[기고] 주 4.5일제 실현 기대감…노동시장의 미래는?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노동 정책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 정부의 전체적인 노동 정책 기조는 노동시간 단축과 국가 책임의 확장인데, 지속가능한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해서는 과감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선거 공약 중 하나였던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실제로 국민 상당수가 주 4.5일제 도입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전국 19세~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7.9%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그러나 제도 도입에 따른 진통도 예상된다. 기업들로서는 비용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근로 시간을 단축하게 되면 기업들은 생산량 유지를 위해 인력을 추가로 고용해야 하는 상황이다.전문가적 시각으로 보면 아직 시범사업에 불과하긴 하나, 주 4.5일제는 피할 수 없는 흐름으로 보인다. 한국 특유의 장시간 노동 관행과 저출산·고령화라는 문제만으로도 일하는 방식에 대한 변화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다.특히 현행 근로기준법 제50조는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근로시간의 상한선을 정한 것으로, 사용자는 근로자와 협의를 전제로 40시간보다 더 짧은 근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 4.5일제는 법 개정 없이도 도입이 가능한 셈이다.주 4.5일제는 덜 일하면서 더 효율적으로 일하는 구조로의 전환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을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①임금 삭감 없이 단축근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임금체계 개편 ②고정비용 부담에 대한 재정지원 ③중소기업 대상 유연근무제 도입 컨설팅 등 실질적인 방안이 요구된다.현재 대부분의 기업은 연공 중심 임금체계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인데, 근로일수 및 노동시간 감소가 이뤄질 경우 노동생산성이 줄어들어 사업철수, 구조조정, 인력감축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보상성 임금체계에서 역할보상성 임금체계로의 개편을 통해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이 필요하겠다.특히 기업의 고정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한다면 기업 규모별 맞춤 지원, 중소기업 재정 강화, 인력 매칭 지원·컨설팅 등 다양한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지속한다면 실질적인 제도 안착이 가능할 것이다.아울러 주 4.5일제가 정착된다면 산업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먼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청년 인재 확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근로자의 업무 집중도와 조직 충성도를 높일 수도 있다. 반면 서비스업·제조업 등 인력 중심 산업에서는 인건비 상승 및 인력 운영의 경직성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어 업종별 맞춤형 제도 설계와 노사 간 합의가 중요하겠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주 4.5일제 실현 기대감…노동시장의 미래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16
[기고] 주 4.5일제 실현 기대감…노동시장의 미래는?
[기고] 주 4.5일제 실현 기대감…노동시장의 미래는?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노동 정책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 정부의 전체적인 노동 정책 기조는 노동시간 단축과 국가 책임의 확장인데, 지속가능한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해서는 과감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선거 공약 중 하나였던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실제로 국민 상당수가 주 4.5일제 도입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전국 19세~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7.9%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그러나 제도 도입에 따른 진통도 예상된다. 기업들로서는 비용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근로 시간을 단축하게 되면 기업들은 생산량 유지를 위해 인력을 추가로 고용해야 하는 상황이다.전문가적 시각으로 보면 아직 시범사업에 불과하긴 하나, 주 4.5일제는 피할 수 없는 흐름으로 보인다. 한국 특유의 장시간 노동 관행과 저출산·고령화라는 문제만으로도 일하는 방식에 대한 변화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다.특히 현행 근로기준법 제50조는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근로시간의 상한선을 정한 것으로, 사용자는 근로자와 협의를 전제로 40시간보다 더 짧은 근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 4.5일제는 법 개정 없이도 도입이 가능한 셈이다.주 4.5일제는 덜 일하면서 더 효율적으로 일하는 구조로의 전환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을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①임금 삭감 없이 단축근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임금체계 개편 ②고정비용 부담에 대한 재정지원 ③중소기업 대상 유연근무제 도입 컨설팅 등 실질적인 방안이 요구된다.현재 대부분의 기업은 연공 중심 임금체계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인데, 근로일수 및 노동시간 감소가 이뤄질 경우 노동생산성이 줄어들어 사업철수, 구조조정, 인력감축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보상성 임금체계에서 역할보상성 임금체계로의 개편을 통해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이 필요하겠다.특히 기업의 고정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한다면 기업 규모별 맞춤 지원, 중소기업 재정 강화, 인력 매칭 지원·컨설팅 등 다양한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지속한다면 실질적인 제도 안착이 가능할 것이다.아울러 주 4.5일제가 정착된다면 산업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먼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청년 인재 확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근로자의 업무 집중도와 조직 충성도를 높일 수도 있다. 반면 서비스업·제조업 등 인력 중심 산업에서는 인건비 상승 및 인력 운영의 경직성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어 업종별 맞춤형 제도 설계와 노사 간 합의가 중요하겠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주 4.5일제 실현 기대감…노동시장의 미래는?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15
[상법개정안 여파]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주주 보호 기대 속 남은 숙제들
[상법개정안 여파]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주주 보호 기대 속 남은 숙제들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한 상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환영과 우려의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주주의 이익을 보호할 법적 장치가 마련됐다는 기대감이 있지만, 이사가 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될 경우 책임을 묻는 소송이 급증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이에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을 강화하고 이를 객관화, 문서화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달 3일 가결된 상법개정안의 핵심 중 하나는 제382조의3(이사의 충실 의무) 개정이다. 기존까지는 '이사는 법령과 정관의 규정에 따라 회사를 위해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고만 규정돼 있었지만, 개정안에서는 이사가 회사뿐 아니라 주주에 대해서도 충실 의무를 지도록 했다. 또 '이사는 그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총주주의 이익을 보호해야 하고,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조항도 신설됐다.이를 두고 법조계에서는 이사들의 의사결정이 더 신중해지고, 주주와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평가가 나온다. 이전에는 회사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했지만, 앞으로는 이사회가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다뤄야 할 의무까지 지게 되면서다.특히 이사들의 의무와 책임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기존 판례에서 논의되던 '상법상 이사의 충실 의무'는 주로 회사를 중심으로 해석됐고, 이에 따라 지배주주와 회사의 이해가 상충하는 상황에서 일반주주의 이익이 침해될 수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며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에 주주가 명시되면서 이사는 '모든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고 공평하게 대우해야 할 법적 의무를 부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단순히 법에 몇 단어를 추가한 정도가 아니라, 이사의 의무에 대한 상법의 방향성 자체를 명확히 선언한 것으로 이사의 회사 운영 실무의 근간을 전부 뒤흔드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주주권익 보호를 더 강화하고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변화가 초래될 것"이라고 짚었다.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대주주뿐 아니라 소수주주의 이익도 경시하지 않는 경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회사는 충실 의무 이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 예를 들어 이사회의 독립성·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이사추천위원회, 이사보수위원회 등을 가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기업 지배구조가 개선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주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ESG 경영에도 더 노력할 여지가 있다"고 전했다. '주주 위한 결정' 어떻게 판단하나…소송 급증 가능성도 하지만 '총주주의 이익'이나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대우' 등 개정안의 내용이 추상적이라는 점에서 경영현장에서는 주주를 위한 결정이었다고 판단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무법인 원의 이영주 변호사는 "주로 문제되는 물적분할을 예로 들면, 분할된 자회사는 독립된 법인으로서 성장성이 한눈에 인식되고 핵심 역량에 집중하면서 투자 받기 좋은 구조가 되지만, 모회사의 소액주주들은 자회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되고 모회사의 핵심 사업 분리로 보유한 주식의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며 "(이러한 결정이)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영상의 결단인지, 대주주 등 특정인을 위한 선택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사의 결정이 일부 주주의 이해와 충돌하거나 주주의 이익 보호 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될 때 법적 책임을 묻는 소송이 급증할 수도 있다. 형사상으로는 배임죄 적용 범위가 넓어질 가능성도 있다.김 변호사는 "기존에는 이사가 개별주주들에 대한 관계에서 그들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의 지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였으나, 이번 개정으로 이사가 주주의 사무처리자가 될 수도 있어 충실 의무 위반이 주주의 손해(주식가치 훼손)로 이어질 경우 배임죄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사들이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커지면 적극적인 의사결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이사의 의사결정에서 사후적 책임추궁 가능성이 확대돼 소극적인 경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변 변호사도 "회사의 이익보다 이사 본인이 책임지는 것을 회피하는 점을 우선해 경영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액주주가 과도한 권리를 주장할 가능성도 예상된다. 변 변호사는 "대주주의 지분율이 크지 않은 회사의 경영권이 불안정해지거나 분쟁이 촉발될 가능성이 있어 보이고, 예외적으로 일부 소액주주들이 과도한 요구를 할 경우 오히려 회사 및 전체 주주에게 해가 되는 사례가 발생할 우려도 다소 존재한다"고 말했다. 유 변호사는 "상법조항은 판단기준이 확립될 때까지 추상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으므로 한동안 이번에 개정된 상법에 대해, 특히 회사 운영 실무상의 논란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사결정 과정 문서화·내부 감사 체계 마련 필요 이에 따라 기업은 내부통제 체계를 정비하고 주주와 적극적인 소통을 이어가는 등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사의 의사결정이 주주의 이익을 위한 일이었다는 점을 증명하고, 경영 판단의 과정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보여줘야 하기 때문이다. 신 변호사는 "경영진은 의사결정 때 충분한 정보수집, 대안 검토, 경영진과 주주 간 이해상충 여부 검토 등의 절차를 문서화해 책임경영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 변호사는 "주주공시를 강화하고 이사회 결의 시 논의의 배경, 판단 근거 등을 명확히 준비해야 할 것"이라며 "경영진 또는 대주주와 거래할 때는 최대한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해 외부의 객관적 검토를 받는 등 절차적 투명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감사체계 정비도 놓치지 않아야 한다. 유 변호사는 "주주 간 이해관계가 충돌할 수 있는 모든 사안과 관련해 내부감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짚었다.임 변호사는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기업설명회(IR) 기능을 강화하고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의 의견진술 기회를 충분히 부여하려는 노력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외에 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도 대응책으로 제시됐다. 김 변호사는 "소액주주의 손해배상 청구에 대비하기 위해 임원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일종의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며 "다만 이 경우 면책사유가 지나치게 광범위하지는 않은지, 주주 제기 소송이 보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특별약관이 있는지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전했다.참고할 수 있는 실무사례가 쌓이는 것도 중요하다. 변 변호사는 "이사의 주주충실 의무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와 범위가 확립되려면 향후 실무 및 판례의 축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주주 보호 기대 속 남은 숙제들 (바로가기)
블로터
2025-07-15
[상법개정안 여파]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주주 보호 기대 속 남은 숙제들
[상법개정안 여파]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주주 보호 기대 속 남은 숙제들
상법개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한 상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환영과 우려의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주주의 이익을 보호할 법적 장치가 마련됐다는 기대감이 있지만, 이사가 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될 경우 책임을 묻는 소송이 급증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이에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을 강화하고 이를 객관화, 문서화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달 3일 가결된 상법개정안의 핵심 중 하나는 제382조의3(이사의 충실 의무) 개정이다. 기존까지는 '이사는 법령과 정관의 규정에 따라 회사를 위해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고만 규정돼 있었지만, 개정안에서는 이사가 회사뿐 아니라 주주에 대해서도 충실 의무를 지도록 했다. 또 '이사는 그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총주주의 이익을 보호해야 하고,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조항도 신설됐다.이를 두고 법조계에서는 이사들의 의사결정이 더 신중해지고, 주주와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평가가 나온다. 이전에는 회사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했지만, 앞으로는 이사회가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다뤄야 할 의무까지 지게 되면서다.특히 이사들의 의무와 책임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법무법인 동인의 임동한 변호사는 "기존 판례에서 논의되던 '상법상 이사의 충실 의무'는 주로 회사를 중심으로 해석됐고, 이에 따라 지배주주와 회사의 이해가 상충하는 상황에서 일반주주의 이익이 침해될 수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며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에 주주가 명시되면서 이사는 '모든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고 공평하게 대우해야 할 법적 의무를 부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법무법인 미션의 유석현 변호사는 "단순히 법에 몇 단어를 추가한 정도가 아니라, 이사의 의무에 대한 상법의 방향성 자체를 명확히 선언한 것으로 이사의 회사 운영 실무의 근간을 전부 뒤흔드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주주권익 보호를 더 강화하고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변화가 초래될 것"이라고 짚었다.법무법인 세움의 변승규 변호사는 "대주주뿐 아니라 소수주주의 이익도 경시하지 않는 경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법무법인(유한) 린의 김지호 변호사는 "회사는 충실 의무 이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 예를 들어 이사회의 독립성·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이사추천위원회, 이사보수위원회 등을 가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기업 지배구조가 개선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주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ESG 경영에도 더 노력할 여지가 있다"고 전했다. '주주 위한 결정' 어떻게 판단하나…소송 급증 가능성도 하지만 '총주주의 이익'이나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대우' 등 개정안의 내용이 추상적이라는 점에서 경영현장에서는 주주를 위한 결정이었다고 판단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무법인 원의 이영주 변호사는 "주로 문제되는 물적분할을 예로 들면, 분할된 자회사는 독립된 법인으로서 성장성이 한눈에 인식되고 핵심 역량에 집중하면서 투자 받기 좋은 구조가 되지만, 모회사의 소액주주들은 자회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되고 모회사의 핵심 사업 분리로 보유한 주식의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며 "(이러한 결정이)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영상의 결단인지, 대주주 등 특정인을 위한 선택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사의 결정이 일부 주주의 이해와 충돌하거나 주주의 이익 보호 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될 때 법적 책임을 묻는 소송이 급증할 수도 있다. 형사상으로는 배임죄 적용 범위가 넓어질 가능성도 있다.김 변호사는 "기존에는 이사가 개별주주들에 대한 관계에서 그들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의 지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였으나, 이번 개정으로 이사가 주주의 사무처리자가 될 수도 있어 충실 의무 위반이 주주의 손해(주식가치 훼손)로 이어질 경우 배임죄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사들이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커지면 적극적인 의사결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법무법인 대륜의 신종수 변호사는 "이사의 의사결정에서 사후적 책임추궁 가능성이 확대돼 소극적인 경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변 변호사도 "회사의 이익보다 이사 본인이 책임지는 것을 회피하는 점을 우선해 경영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액주주가 과도한 권리를 주장할 가능성도 예상된다. 변 변호사는 "대주주의 지분율이 크지 않은 회사의 경영권이 불안정해지거나 분쟁이 촉발될 가능성이 있어 보이고, 예외적으로 일부 소액주주들이 과도한 요구를 할 경우 오히려 회사 및 전체 주주에게 해가 되는 사례가 발생할 우려도 다소 존재한다"고 말했다. 유 변호사는 "상법조항은 판단기준이 확립될 때까지 추상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으므로 한동안 이번에 개정된 상법에 대해, 특히 회사 운영 실무상의 논란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사결정 과정 문서화·내부 감사 체계 마련 필요 이에 따라 기업은 내부통제 체계를 정비하고 주주와 적극적인 소통을 이어가는 등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사의 의사결정이 주주의 이익을 위한 일이었다는 점을 증명하고, 경영 판단의 과정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보여줘야 하기 때문이다. 신 변호사는 "경영진은 의사결정 때 충분한 정보수집, 대안 검토, 경영진과 주주 간 이해상충 여부 검토 등의 절차를 문서화해 책임경영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 변호사는 "주주공시를 강화하고 이사회 결의 시 논의의 배경, 판단 근거 등을 명확히 준비해야 할 것"이라며 "경영진 또는 대주주와 거래할 때는 최대한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해 외부의 객관적 검토를 받는 등 절차적 투명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감사체계 정비도 놓치지 않아야 한다. 유 변호사는 "주주 간 이해관계가 충돌할 수 있는 모든 사안과 관련해 내부감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짚었다.임 변호사는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기업설명회(IR) 기능을 강화하고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의 의견진술 기회를 충분히 부여하려는 노력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외에 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도 대응책으로 제시됐다. 김 변호사는 "소액주주의 손해배상 청구에 대비하기 위해 임원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일종의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며 "다만 이 경우 면책사유가 지나치게 광범위하지는 않은지, 주주 제기 소송이 보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특별약관이 있는지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전했다.참고할 수 있는 실무사례가 쌓이는 것도 중요하다. 변 변호사는 "이사의 주주충실 의무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와 범위가 확립되려면 향후 실무 및 판례의 축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상법개정안 여파]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주주 보호 기대 속 남은 숙제들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7-15
‘법카 유용 의혹’ 고발 당한 공무원 ‘불송치’…이유는?
‘법카 유용 의혹’ 고발 당한 공무원 ‘불송치’…이유는?
사업운영비 예산을 사적으로 사용한 의혹에 휩싸였던 공무원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기북부경찰청은 지난달 12일 업무상배임, 공문서위조 및 행사 등 혐의로 입건된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7년 2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중 청소년 관련 사업을 진행하며 법인카드를 이용해 총 33회에 걸쳐 200여만원 상당의 예산을 사적으로 사용한 혐의를 받는다.또 이같은 범행을 위해 운영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며 관서장 및 부서장의 결재를 받지 않고 이들이 직인을 임의로 날인해 공문서를 위조한 혐의 등도 함께 받았다.A씨는 휴가, 육아시간 등 휴무일에도 실제 업무를 진행했다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A씨는 “병가를 낸 당시 치료를 받은 후 복귀해 다른 사람들과 회의를 진행했다”며 “이 과정에서 회의비 등을 사용한 것이며, 부정사용이라고 볼 수 없다. 직인 역시 상부에 구두로 보고를 진행한 뒤 허락을 받고 찍은 것”이라고 주장했다.경찰은 A씨의 혐의를 인정하기에 증거가 부족하다고 봤다. A씨의 주장대로 휴가 등을 신청했다는 이유만으로 회의가 진행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이번 사안은 A씨가 연가를 사용했을 당시 예산을 사용하거나, 예산 신청서에 기재된 참석자와 실제 참석자가 달라서 문제가 된 것”이라면서 “일부 카드 사용 실수나 참석자 누락 등 행정상 잘못이 있을지언정 예산 사적 사용은 결코 아니었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A씨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요청사항에 따라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제출한 것일 뿐, 위조 및 행사의 고의와 목적이 존재하지 않았다”며 “이 사건에서 문제된 A씨의 예산 사용 내역들은 모두 실제 용도에 맞게 사용됐다”고 덧붙였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법카 유용 의혹’ 고발 당한 공무원 ‘불송치’…이유는?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7-15
‘법카 유용 의혹’ 고발 당한 공무원 ‘불송치’…이유는?
‘법카 유용 의혹’ 고발 당한 공무원 ‘불송치’…이유는?
사업운영비 예산을 사적으로 사용한 의혹에 휩싸였던 공무원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기북부경찰청은 지난달 12일 업무상배임, 공문서위조 및 행사 등 혐의로 입건된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7년 2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중 청소년 관련 사업을 진행하며 법인카드를 이용해 총 33회에 걸쳐 200여만원 상당의 예산을 사적으로 사용한 혐의를 받는다.또 이같은 범행을 위해 운영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며 관서장 및 부서장의 결재를 받지 않고 이들이 직인을 임의로 날인해 공문서를 위조한 혐의 등도 함께 받았다.A씨는 휴가, 육아시간 등 휴무일에도 실제 업무를 진행했다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A씨는 “병가를 낸 당시 치료를 받은 후 복귀해 다른 사람들과 회의를 진행했다”며 “이 과정에서 회의비 등을 사용한 것이며, 부정사용이라고 볼 수 없다. 직인 역시 상부에 구두로 보고를 진행한 뒤 허락을 받고 찍은 것”이라고 주장했다.경찰은 A씨의 혐의를 인정하기에 증거가 부족하다고 봤다. A씨의 주장대로 휴가 등을 신청했다는 이유만으로 회의가 진행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이번 사안은 A씨가 연가를 사용했을 당시 예산을 사용하거나, 예산 신청서에 기재된 참석자와 실제 참석자가 달라서 문제가 된 것”이라면서 “일부 카드 사용 실수나 참석자 누락 등 행정상 잘못이 있을지언정 예산 사적 사용은 결코 아니었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A씨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요청사항에 따라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제출한 것일 뿐, 위조 및 행사의 고의와 목적이 존재하지 않았다”며 “이 사건에서 문제된 A씨의 예산 사용 내역들은 모두 실제 용도에 맞게 사용됐다”고 덧붙였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법카 유용 의혹’ 고발 당한 공무원 ‘불송치’…이유는?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15
“다른 남성 유전자 검출”…미성년자 성관계 혐의 40대 ‘무죄’
“다른 남성 유전자 검출”…미성년자 성관계 혐의 40대 ‘무죄’
채팅앱으로 만남…“성관계 안 해” 부인재판부 “다른 사람과 혼동했을 가능성” 채팅 앱으로 만난 중학생과 성관계를 맺은 혐의로 기소된 40대 회사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7일 미성년자의제강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 씨는 2023년 한 모텔에서 여중생 B 양이 미성년자인 사실을 알면서도 성관계를 가진 혐의를 받았다.그러나 A 씨는 숙박업소에 함께 들어간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성관계는 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B 양의 말투와 행동이 이상해 빠져나가려 했으나 오히려 B 양이 소리를 지르며 막았다는 것이다. 또 B 양과 소통했던 앱의 프로필에도 나이가 제대로 기재되지 않아 정확한 나이를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다.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단기간 여러 남성을 만났는데, 피해자의 옷에서 피고인이 아닌 다른 남성의 유전자가 검출됐다”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반면, 피고인에 대한 진술에는 일관성과 구체성이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했다.그러면서 “피해자가 다른 사람과 피고인을 혼동해 진술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피고인의 무죄 주장을 배척하고 공소사실이 진실이라 확신할 정도의 신빙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전형오 변호사는 “성인에게 미성년자의제강간죄가 성립하려면 상대방이 16세 미만이라는 점을 알면서 고의성을 가져야 한다”며 “이 사건에서는 A 씨에게 B 양과 성관계를 시도할 물리적 기회가 전혀 없었다. 유전자 검사와 피해자 진술 등 자료를 토대로 이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다른 남성 유전자 검출”…미성년자 성관계 혐의 40대 ‘무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15
“다른 남성 유전자 검출”…미성년자 성관계 혐의 40대 ‘무죄’
“다른 남성 유전자 검출”…미성년자 성관계 혐의 40대 ‘무죄’
채팅앱으로 만남…“성관계 안 해” 부인재판부 “다른 사람과 혼동했을 가능성” 채팅 앱으로 만난 중학생과 성관계를 맺은 혐의로 기소된 40대 회사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7일 미성년자의제강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 씨는 2023년 한 모텔에서 여중생 B 양이 미성년자인 사실을 알면서도 성관계를 가진 혐의를 받았다.그러나 A 씨는 숙박업소에 함께 들어간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성관계는 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B 양의 말투와 행동이 이상해 빠져나가려 했으나 오히려 B 양이 소리를 지르며 막았다는 것이다. 또 B 양과 소통했던 앱의 프로필에도 나이가 제대로 기재되지 않아 정확한 나이를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다.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단기간 여러 남성을 만났는데, 피해자의 옷에서 피고인이 아닌 다른 남성의 유전자가 검출됐다”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반면, 피고인에 대한 진술에는 일관성과 구체성이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했다.그러면서 “피해자가 다른 사람과 피고인을 혼동해 진술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피고인의 무죄 주장을 배척하고 공소사실이 진실이라 확신할 정도의 신빙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전형오 변호사는 “성인에게 미성년자의제강간죄가 성립하려면 상대방이 16세 미만이라는 점을 알면서 고의성을 가져야 한다”며 “이 사건에서는 A 씨에게 B 양과 성관계를 시도할 물리적 기회가 전혀 없었다. 유전자 검사와 피해자 진술 등 자료를 토대로 이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다른 남성 유전자 검출”…미성년자 성관계 혐의 40대 ‘무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15
전세사기 피해자 '허위 등기' 누명 벗었다…"고의 아닌 권리 실현 목적"
전세사기 피해자 '허위 등기' 누명 벗었다…"고의 아닌 권리 실현 목적"
검찰 "피의자, 전세금 반환 못 받아…법원 속이려는 고의 없어" 전세 계약 기간이 끝났음에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매물에 주택임차권등기를 신청했던 70대가 허위로 임차권등기명령을 받았다는 의혹을 벗게 됐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검찰정은 지난 6월 사기미수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7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를 처분했다. A씨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점유하지 않아 대항력을 상실한 주택에 대해 허위로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했다는 혐의를 받았다.A씨는 지난해 자신이 2019년 전세 계약을 맺었던 인천광역시의 한 아파트 매물에 대해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했다. 몇 달 뒤 해당 매물을 공매로 낙찰받은 B사는 A씨가 해당 부동산에 대한 대항력(임차인이 제3자에게 주장할 수 있는 법률상의 힘)이 상실된 상태임에도 허위로 등기명령을 받았다며 이의신청을 접수했다.이에 A씨는 ▲2019년 집주인과 임대차계약을 맺었지만 계약 기간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는 점 ▲단기 전대차 계약은 보증금 손해를 줄이기 위한 부득이한 조치였다는 점 ▲전입신고를 유지한 상태에서 물품을 남겨놓는 등 대항력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는 점 등을 들어 혐의를 부인했다.검찰은 "A씨 행위엔 법원을 속이려는 고의가 없었다"며 "근거 없는 증거를 조작한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A씨가 전세 보증금을 전혀 돌려받지 못한 상태에서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대항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었기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했다고 본 것이다.이와 관련 A씨 측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 이재형 변호사는 "소송 사기죄는 법원을 속이려는 명백한 고의가 입증돼야 한다"며 "거액의 보증금을 떼인 전세사기 피해자인 A씨는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범죄의 '고의성'이 없음을 명확히 해 무혐의 처분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전세사기 피해자 '허위 등기' 누명 벗었다…"고의 아닌 권리 실현 목적"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15
전세사기 피해자 '허위 등기' 누명 벗었다…"고의 아닌 권리 실현 목적"
전세사기 피해자 '허위 등기' 누명 벗었다…"고의 아닌 권리 실현 목적"
검찰 "피의자, 전세금 반환 못 받아…법원 속이려는 고의 없어" 전세 계약 기간이 끝났음에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매물에 주택임차권등기를 신청했던 70대가 허위로 임차권등기명령을 받았다는 의혹을 벗게 됐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검찰정은 지난 6월 사기미수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7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를 처분했다. A씨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점유하지 않아 대항력을 상실한 주택에 대해 허위로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했다는 혐의를 받았다.A씨는 지난해 자신이 2019년 전세 계약을 맺었던 인천광역시의 한 아파트 매물에 대해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했다. 몇 달 뒤 해당 매물을 공매로 낙찰받은 B사는 A씨가 해당 부동산에 대한 대항력(임차인이 제3자에게 주장할 수 있는 법률상의 힘)이 상실된 상태임에도 허위로 등기명령을 받았다며 이의신청을 접수했다.이에 A씨는 ▲2019년 집주인과 임대차계약을 맺었지만 계약 기간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는 점 ▲단기 전대차 계약은 보증금 손해를 줄이기 위한 부득이한 조치였다는 점 ▲전입신고를 유지한 상태에서 물품을 남겨놓는 등 대항력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는 점 등을 들어 혐의를 부인했다.검찰은 "A씨 행위엔 법원을 속이려는 고의가 없었다"며 "근거 없는 증거를 조작한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A씨가 전세 보증금을 전혀 돌려받지 못한 상태에서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대항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었기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했다고 본 것이다.이와 관련 A씨 측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 이재형 변호사는 "소송 사기죄는 법원을 속이려는 명백한 고의가 입증돼야 한다"며 "거액의 보증금을 떼인 전세사기 피해자인 A씨는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범죄의 '고의성'이 없음을 명확히 해 무혐의 처분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전세사기 피해자 '허위 등기' 누명 벗었다…"고의 아닌 권리 실현 목적"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5곳
2025-07-15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원팀’ 체제로 전방위 대응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원팀’ 체제로 전방위 대응
최근 국내 지식재산권(IP) 침해 사례가 증가하며 관련 법률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특허·지식재산권 전문 인력을 대거 영입하며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3월 대법원·특허청·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8~2022년)간 제기된 국내 특허침해 민사소송은 연평균 약 92건, 평균 처리 기간은 19개월(581일)이었다. 그런데 인용률은 고작 20%대에 그쳐 글로벌 수준(미국 70%·중국 80%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특허청의 산업재산권 분쟁조정에 국내 기업이 참여한 사례는 160건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이에 산업계에서는 기업들이 지식재산권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대륜은 지식재산권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법원과 특허청 등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재권 원팀'을 출범시켰다. 핵심 멤버로는 특허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로 근무한 이력을 지닌 이다우 변호사가 꼽힌다. 최근 팀에 합류한 이 변호사는 특허 소송 및 기술 분쟁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을 가진 실무형 인재로, 법무법인 율촌 재직 당시 자동차 부품사의 영업비밀 반출과 관련해 원심 판결을 뒤집고 뒤집고 무죄를 이끌어낸 바 있다. 특허청 심사관 및 서울중앙지법 기술심리관으로 활동한 조민우 변호사 역시 주요 구성원이다. 행정부와 사법부 양쪽 모두에서 기술 관련 사건을 다뤄온 그는 다층적 분석과 실질적 해석을 바탕으로 법률 자문 및 소송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지적재산권전문 변호사이자 다수의 특허분쟁 및 기업소송에서 활약을 펼친 김태환, 임주미 변호사도 합류해 그룹에 역량을 더한다. 특허법원 기술심리관, 특허청 심판관 등을 역임한 강해성 변리사도 그룹에 함께한다. 강 변리사는 심사·심판부터 사법적 판단 과정까지 모두 경험한 전문가로, 기술 중심 분쟁 대응에 특화된 역량을 갖췄다. 또한 대기업 상표권 분쟁, 캐릭터 상표 출원 자문 등 굵직한 지식재산권 업무를 수행한 마민희 변리사도 함께한다. 특히 마 변리사는 글로벌 상표 공존 사용 합의나 해외 상표 브로커 및 침해 대응 등 해외 관련 사건에서도 여러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왔다. 이외에도 미국 출원 전문변리사인 곽나미 전문위원이 합류해 국내외 특허 출원 및 국제 지재권 이슈에 대한 자문을 병행하고 있다. 곽 위원은 미국 특허로펌에 근무하며 해외 기업과의 라이센싱 계약 등 다수의 특허 출원 분석 및 전략 수립을 도맡았다. 대륜은 지식재산권그룹은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특허·디자인권 침해 대응은 물론 △AI·소프트웨어 관련 저작권 분쟁 대응 △브랜드 및 상표권 보호 △지재권 계약 및 라이센스 분쟁 등 지식재산권 전 분야에 대한 법률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지식재산권은 기술 혁신과 글로벌화가 이뤄지는 시대에서 기업의 핵심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특히 기술과 창의성이 중요한 현시점에서 기업들이 직면하는 지재권 관련 이슈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륜 지식재산권그룹에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돼 있는 만큼, 의뢰인들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원스톱 법률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원팀’ 체제로 전방위 대응 (바로가기) 세정일보 -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전방위 대응위한 ‘원팀’ 출범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 전문가 영입…법률 수요 증가 대응 강화 (바로가기) 블로터 - [로펌ON] 대륜, 지식재산권 '원팀' 출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 부문 ‘원팀’ 체제 구축…원스톱 솔루션 제공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5곳
2025-07-15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원팀’ 체제로 전방위 대응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원팀’ 체제로 전방위 대응
최근 국내 지식재산권(IP) 침해 사례가 증가하며 관련 법률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특허·지식재산권 전문 인력을 대거 영입하며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3월 대법원·특허청·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8~2022년)간 제기된 국내 특허침해 민사소송은 연평균 약 92건, 평균 처리 기간은 19개월(581일)이었다. 그런데 인용률은 고작 20%대에 그쳐 글로벌 수준(미국 70%·중국 80%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특허청의 산업재산권 분쟁조정에 국내 기업이 참여한 사례는 160건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이에 산업계에서는 기업들이 지식재산권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대륜은 지식재산권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법원과 특허청 등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재권 원팀'을 출범시켰다. 핵심 멤버로는 특허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로 근무한 이력을 지닌 이다우 변호사가 꼽힌다. 최근 팀에 합류한 이 변호사는 특허 소송 및 기술 분쟁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을 가진 실무형 인재로, 법무법인 율촌 재직 당시 자동차 부품사의 영업비밀 반출과 관련해 원심 판결을 뒤집고 뒤집고 무죄를 이끌어낸 바 있다. 특허청 심사관 및 서울중앙지법 기술심리관으로 활동한 조민우 변호사 역시 주요 구성원이다. 행정부와 사법부 양쪽 모두에서 기술 관련 사건을 다뤄온 그는 다층적 분석과 실질적 해석을 바탕으로 법률 자문 및 소송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지적재산권전문 변호사이자 다수의 특허분쟁 및 기업소송에서 활약을 펼친 김태환, 임주미 변호사도 합류해 그룹에 역량을 더한다. 특허법원 기술심리관, 특허청 심판관 등을 역임한 강해성 변리사도 그룹에 함께한다. 강 변리사는 심사·심판부터 사법적 판단 과정까지 모두 경험한 전문가로, 기술 중심 분쟁 대응에 특화된 역량을 갖췄다. 또한 대기업 상표권 분쟁, 캐릭터 상표 출원 자문 등 굵직한 지식재산권 업무를 수행한 마민희 변리사도 함께한다. 특히 마 변리사는 글로벌 상표 공존 사용 합의나 해외 상표 브로커 및 침해 대응 등 해외 관련 사건에서도 여러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왔다. 이외에도 미국 출원 전문변리사인 곽나미 전문위원이 합류해 국내외 특허 출원 및 국제 지재권 이슈에 대한 자문을 병행하고 있다. 곽 위원은 미국 특허로펌에 근무하며 해외 기업과의 라이센싱 계약 등 다수의 특허 출원 분석 및 전략 수립을 도맡았다. 대륜은 지식재산권그룹은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특허·디자인권 침해 대응은 물론 △AI·소프트웨어 관련 저작권 분쟁 대응 △브랜드 및 상표권 보호 △지재권 계약 및 라이센스 분쟁 등 지식재산권 전 분야에 대한 법률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지식재산권은 기술 혁신과 글로벌화가 이뤄지는 시대에서 기업의 핵심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특히 기술과 창의성이 중요한 현시점에서 기업들이 직면하는 지재권 관련 이슈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륜 지식재산권그룹에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돼 있는 만큼, 의뢰인들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원스톱 법률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원팀’ 체제로 전방위 대응 (바로가기) 세정일보 - 지식재산권 법률 수요 증가…법무법인 대륜, 전방위 대응위한 ‘원팀’ 출범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 전문가 영입…법률 수요 증가 대응 강화 (바로가기) 블로터 - [로펌ON] 대륜, 지식재산권 '원팀' 출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 부문 ‘원팀’ 체제 구축…원스톱 솔루션 제공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14
돈 갚으라 했더니 "도박 자금으로 갚을 의무 없어"..法 "전액 지급"
돈 갚으라 했더니 "도박 자금으로 갚을 의무 없어"..法 "전액 지급"
지인에게 돈을 빌려 놓고 '도박 자금'이라며 갚지 않던 채무자에게 법원이 전액을 지급하라고 판단했습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은 지난달 11일 원고 A씨가 피고 B씨를 상대로 낸 대여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전부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홀덤펍 딜러로 근무하던 A씨는 손님으로 알게 된 B씨에게 2024년 2월부터 약 두 달간 사업 자금, 생활비, 기존 도박 빚 변제 등의 명목으로 1,200여만 원을 빌려줬습니다.하지만 B씨는 자신이 받은 돈이 민법상 갚을 의무가 없는 '불법 원인 급여'라고 주장하며 해당 금액에 대한 변제를 거부했습니다.민법 제746조에 따르면, 불법의 원인으로 인하여 재산을 급여하거나 노무를 제공한 때에는 그 이익의 반환을 청구하지 못합니다.이에 A씨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B씨에게 도박 자금을 빌려줄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A씨는 재판 과정에서 오히려 B씨의 도박을 지속적으로 말려왔으며, 당시 B씨는 도박이 아닌 사업 자금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돈을 빌려갔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피고가 원고에게 사업상 필요한 자금을 빌려달라고 부탁하거나, 기존의 도박 채무 변제를 위해 돈을 빌려달라고 간곡히 부탁한 점 등이 인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또한 "설령 원고가 피고의 도박 사실을 알았더라도 대여금 중 일부는 피고의 도박과 무관한 생활비 명목으로 지급된 것으로 보이고, 나머지 금원도 새로운 도박 자금이 아닌 이미 발생한 도박 빚을 갚기 위한 것이므로 불법 원인 급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다정 변호사는 "채무자가 불법 원인 급여를 주장하며 채무를 회피하려 할 때는 대여 당시의 목적을 정확히 입증해야 된다"며 "카카오톡 대화 등 객관적 증거를 통해 대여금의 목적이 새로운 불법행위 조장이 아닌 기존 채무 변제나 사업 자금 등 목적을 입증해 승소 판결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돈 갚으라 했더니 "도박 자금으로 갚을 의무 없어"..法 "전액 지급"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14
돈 갚으라 했더니 "도박 자금으로 갚을 의무 없어"..法 "전액 지급"
돈 갚으라 했더니 "도박 자금으로 갚을 의무 없어"..法 "전액 지급"
지인에게 돈을 빌려 놓고 '도박 자금'이라며 갚지 않던 채무자에게 법원이 전액을 지급하라고 판단했습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은 지난달 11일 원고 A씨가 피고 B씨를 상대로 낸 대여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전부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홀덤펍 딜러로 근무하던 A씨는 손님으로 알게 된 B씨에게 2024년 2월부터 약 두 달간 사업 자금, 생활비, 기존 도박 빚 변제 등의 명목으로 1,200여만 원을 빌려줬습니다.하지만 B씨는 자신이 받은 돈이 민법상 갚을 의무가 없는 '불법 원인 급여'라고 주장하며 해당 금액에 대한 변제를 거부했습니다.민법 제746조에 따르면, 불법의 원인으로 인하여 재산을 급여하거나 노무를 제공한 때에는 그 이익의 반환을 청구하지 못합니다.이에 A씨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B씨에게 도박 자금을 빌려줄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A씨는 재판 과정에서 오히려 B씨의 도박을 지속적으로 말려왔으며, 당시 B씨는 도박이 아닌 사업 자금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돈을 빌려갔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피고가 원고에게 사업상 필요한 자금을 빌려달라고 부탁하거나, 기존의 도박 채무 변제를 위해 돈을 빌려달라고 간곡히 부탁한 점 등이 인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또한 "설령 원고가 피고의 도박 사실을 알았더라도 대여금 중 일부는 피고의 도박과 무관한 생활비 명목으로 지급된 것으로 보이고, 나머지 금원도 새로운 도박 자금이 아닌 이미 발생한 도박 빚을 갚기 위한 것이므로 불법 원인 급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다정 변호사는 "채무자가 불법 원인 급여를 주장하며 채무를 회피하려 할 때는 대여 당시의 목적을 정확히 입증해야 된다"며 "카카오톡 대화 등 객관적 증거를 통해 대여금의 목적이 새로운 불법행위 조장이 아닌 기존 채무 변제나 사업 자금 등 목적을 입증해 승소 판결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돈 갚으라 했더니 "도박 자금으로 갚을 의무 없어"..法 "전액 지급" (바로가기)
시사저널
2025-07-14
"아파트 위주 북항 개발은 시민 분노 직면할 것"
"아파트 위주 북항 개발은 시민 분노 직면할 것"
'55보급창 이전·해양전문클러스터 조성 간담회'에 최인호 전 의원 강연 해양수산부가 옮겨오는 부산 동구에서 지역의 주요 관심사인 美55보급창 이전과 북항 재개발 관련 간담회가 열렸다.(사)초록생활 등은 13일 부산역 5층 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해수부·HMM본사도 북항으로! 원도심 부활, 지금이 기회입니다"라고 외쳤다. 이날 행사에는 최인호 전 국회의원과 전원석 시의원, 이임선 구의원(사하구), 의사, 변호사, 건설업 및 부동산업 종사자, 시민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먼저 55보급창의 경우 인근 아파트 건설현장의 오염토 문제가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됐지만 부산시는 박형준 시장의 '적극 검토' 발언 이후 별 다른 움직임이 없다고 비판하면서 '속도'를 주문했다. 인근 주민들의 건강 문제를 우려하는 의견도 나왔다. 대학 교수 A씨는 "오래된 군사기지에 대한 역학조사 사례가 거의 없는데 55보급창은 부대만 옮기는데 그치지 말고 주변 지하수 오염도, 휘발성 물질 노출 여부 등을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초록생활 백해주 대표도 예산만 낭비하는 인근 동천의 수질 정화 문제를 비롯해 부산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면서 "무엇보다 55보급창이 떠난 자리를 공원으로 조성해야지 아파트 등 또 다른 시설, 건축물이 들어서서는 절대 안된다"고 했다. 해사전문법원 유치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법무법인 대륜의 박동일 대표변호사는 "해사법원이 없어 영국, 싱가포르, 중국 등 외국 법원 및 중재기관에 의존하면서 매년 약 2000억원에서 5000억원의 분쟁 비용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며 "신속하고 정확한 판결과 해양 주권 확립,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사법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용기 변호사도 "해사법원 유치와 관련해 인천시와 경쟁 구도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큰집 작은집을 다투기에 앞서 국제 사건 관련 업무는 반드시 부산으로 가져와야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기도 한 북극항로 개척과 관련 산업 육성, 인력 양성 등 실질적인 지역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사직 야구장의 북항 이전 문제도 논의됐다. 건설사 임원인 박영복씨는 55보급창, 가덕신공항, 해수부 및 유관기관 이전 등과 함께 '북항 스포츠+문화 복합 콤플렉스 조성'을 균형 발전을 위한 부산의 과제로 꼽았다. 그는 "시민 호응 및 문화 관광 측면에서는 돔형야구장과 아레나급 공연장을 결합하는 시설이 바람직하지만 건축 비용과 사직야구장 재건축 계획을 연계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사직야구장이 떠난 자리에는 도서관, 수영장, 야외 공연장 등의 설치를 제안했다. 초청 강연자인 최인호 전 의원은 "55보급창 이전 문제는 국방부와 부산시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본다. 부산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역할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이어 "부산의 미래 먹거리 지도를 바꿀 북항 개발에 관심이 많다"며 "특정한 시설·기관의 특정 지자체 유치가 아닌 부산 전체 발전 시각에서 접근해야 갈등은 줄고 순기능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했다.특히 북항 1단계 개발과 관련 "아파트, 오피스텔 중심의 특정 이익집단 위주의 개발이 힘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시민 전체가 분개할 상황이다. 1·2·3 단계를 종합하면 뉴욕시를 넘어설 멋진 세계적인 도시가 될 것이므로 늦기전에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직야구장 후적지 개발에 대해서는 도서관, 수영장도 좋지만 실망할 사람도 있고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올 것이라며 신중론을 폈다. 55보급창 소재지이자 해양수산부 이전지인 동구 시민들을 중심으로 해수부 공무원들의 주거 문제도 거론됐다. J부동산중개법인 정남진 대표는 "2026년부터 2031년까지 북항 인근에 약 3만2000 세대의 신축 아파트가 공급될 것"이라며 "여기에 북항 2단계 부지 내 주거 용지와 주상복합용지를 활용하면 해수부 및 관련 기관 직원들의 정주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서진석 영남본부 기자 (sisa533@sisajournal.com) [기사전문보기] "아파트 위주 북항 개발은 시민 분노 직면할 것" (바로가기)
시사저널
2025-07-14
"아파트 위주 북항 개발은 시민 분노 직면할 것"
"아파트 위주 북항 개발은 시민 분노 직면할 것"
'55보급창 이전·해양전문클러스터 조성 간담회'에 최인호 전 의원 강연 해양수산부가 옮겨오는 부산 동구에서 지역의 주요 관심사인 美55보급창 이전과 북항 재개발 관련 간담회가 열렸다.(사)초록생활 등은 13일 부산역 5층 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해수부·HMM본사도 북항으로! 원도심 부활, 지금이 기회입니다"라고 외쳤다. 이날 행사에는 최인호 전 국회의원과 전원석 시의원, 이임선 구의원(사하구), 의사, 변호사, 건설업 및 부동산업 종사자, 시민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먼저 55보급창의 경우 인근 아파트 건설현장의 오염토 문제가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됐지만 부산시는 박형준 시장의 '적극 검토' 발언 이후 별 다른 움직임이 없다고 비판하면서 '속도'를 주문했다. 인근 주민들의 건강 문제를 우려하는 의견도 나왔다. 대학 교수 A씨는 "오래된 군사기지에 대한 역학조사 사례가 거의 없는데 55보급창은 부대만 옮기는데 그치지 말고 주변 지하수 오염도, 휘발성 물질 노출 여부 등을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초록생활 백해주 대표도 예산만 낭비하는 인근 동천의 수질 정화 문제를 비롯해 부산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면서 "무엇보다 55보급창이 떠난 자리를 공원으로 조성해야지 아파트 등 또 다른 시설, 건축물이 들어서서는 절대 안된다"고 했다. 해사전문법원 유치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법무법인 대륜의 박동일 대표변호사는 "해사법원이 없어 영국, 싱가포르, 중국 등 외국 법원 및 중재기관에 의존하면서 매년 약 2000억원에서 5000억원의 분쟁 비용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며 "신속하고 정확한 판결과 해양 주권 확립,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사법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용기 변호사도 "해사법원 유치와 관련해 인천시와 경쟁 구도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큰집 작은집을 다투기에 앞서 국제 사건 관련 업무는 반드시 부산으로 가져와야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기도 한 북극항로 개척과 관련 산업 육성, 인력 양성 등 실질적인 지역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사직 야구장의 북항 이전 문제도 논의됐다. 건설사 임원인 박영복씨는 55보급창, 가덕신공항, 해수부 및 유관기관 이전 등과 함께 '북항 스포츠+문화 복합 콤플렉스 조성'을 균형 발전을 위한 부산의 과제로 꼽았다. 그는 "시민 호응 및 문화 관광 측면에서는 돔형야구장과 아레나급 공연장을 결합하는 시설이 바람직하지만 건축 비용과 사직야구장 재건축 계획을 연계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사직야구장이 떠난 자리에는 도서관, 수영장, 야외 공연장 등의 설치를 제안했다. 초청 강연자인 최인호 전 의원은 "55보급창 이전 문제는 국방부와 부산시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본다. 부산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역할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이어 "부산의 미래 먹거리 지도를 바꿀 북항 개발에 관심이 많다"며 "특정한 시설·기관의 특정 지자체 유치가 아닌 부산 전체 발전 시각에서 접근해야 갈등은 줄고 순기능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했다.특히 북항 1단계 개발과 관련 "아파트, 오피스텔 중심의 특정 이익집단 위주의 개발이 힘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시민 전체가 분개할 상황이다. 1·2·3 단계를 종합하면 뉴욕시를 넘어설 멋진 세계적인 도시가 될 것이므로 늦기전에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직야구장 후적지 개발에 대해서는 도서관, 수영장도 좋지만 실망할 사람도 있고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올 것이라며 신중론을 폈다. 55보급창 소재지이자 해양수산부 이전지인 동구 시민들을 중심으로 해수부 공무원들의 주거 문제도 거론됐다. J부동산중개법인 정남진 대표는 "2026년부터 2031년까지 북항 인근에 약 3만2000 세대의 신축 아파트가 공급될 것"이라며 "여기에 북항 2단계 부지 내 주거 용지와 주상복합용지를 활용하면 해수부 및 관련 기관 직원들의 정주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서진석 영남본부 기자 (sisa533@sisajournal.com) [기사전문보기] "아파트 위주 북항 개발은 시민 분노 직면할 것" (바로가기)
퍼블릭뉴스통신
2025-07-11
[단독] 메가스터디, 대학 시험지 '유상 수집'…저작권 위반 소지 제기
[단독] 메가스터디, 대학 시험지 '유상 수집'…저작권 위반 소지 제기
변형없이 게시판 업로드...유료회원만 다운 받을 수 있어김태환 변호사 "저작물 보호 가능성…대가 지불만으로 제공 불가" 교육기업 메가스터디(대표 손성은)의 자회사인 대학교 인강 사이트 '유니스터디'가 대학 중간·기말고사 시험문제를 현금성 보상을 내걸고 수집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제출된 시험지가 내용 수정 없이 원문 그대로 게시판에 업로드되고, 유료 회원에게만 제공되면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행위는 ‘유니스터디’의 회원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메가스터디는 지난 1일 자사 애플리케이션 ‘큐브’와 대학교 인강 사이트 '유니스터디' 공지사항을 통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간·기말고사 시험지와 족보를 제출하면 신세계 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게시했다. '큐브'는 각 대학교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최근 5개년 시험지를 메일 양식에 맞춰 수집한다고 밝혔다. 시험 문항만 제출시 신세계 상품권 1만원권을, 정답 해설 제출시 1만5천원권을 지급한다. 공지에 따르면 제출된 시험지는 반환되지 않으며, 자회사인 ‘유니스터디’의 콘텐츠 제작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유니스터디'도 최근 5개년 시험지로 한정해 기출시험지를 사진 찍어 족보를 업로드한 전원에게 CU편의점 5천원 상품권과 유니스터디 2만원 포인트를 지급하며, 7명에게는 신세계백화점 3만원권을 지급한다고 명시했다. 저작권법 제32조는 입학시험 또는 자격검정 등 학식·기능 평가 목적에 한해 공표된 저작물의 복제·배포를 허용하고 있으나, 영리 목적일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 메가스터디는 해당 시험지를 교육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상업적 목적이 명백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또 문제가 되는 점은 메가스터디가 수집한 시험지를 변형 없이 원문 그대로 자사 게시판에 업로드했다는 점이다. 출제자의 원문이 그대로 담긴 해당 시험지는 요약이나 편집이 가해진 2차적 저작물이 아닌 만큼, 저작권법상 복제 및 공중송신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 자료는 유료 회원에게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설정돼 상업적 이용 목적이 명확한 것으로 보인다. 과거 유사한 사례로는 고등학교 시험문제를 무단으로 수집해 제공했던 ‘족보닷컴’ 사건이 있다. 이 사건에 대해 서울고등법원 재판부는 “시험문제는 창작성 있는 저작물에 해당하며, 무단 수집 및 영리적 활용은 저작권 침해”라는 판단을 내린 바 있다. 재판부는 "교사인 원고들이 자신들의 교육이념에 따라서 소속 학교 학생들의 학업수행 정도의 측정 및 내신성적을 산출하기 위해 정신적인 노력을 기울여 남의 것을 그대로 베끼지 않고 이 사건 시험문제를 출제했다"며 "그 출제한 문제에 있어서 질문의 표현이나 제시된 답안의 표현에 최소한도의 창작성이 있음이 인정되므로, 이 사건 시험문제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저작물에 해당한다고 봄이 상당하다"라고 판시했다. 법조계에서도 메가스터디의 대학시험지 수집과 관련하여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김태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대학교 시험문제는 저작물로 보호될 가능성이 높다"며 "문제를 구성하는 부분에 창의적 표현이 있고, 아이디어 그 자체가 아니라 표현을 보호하기 때문에 교수의 전문지식과 창의적 판단이 개입된 문제들의 경우 저작권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작권자인 교수 또는 양수인인 학교의 허락을 받지 않았는데 단지 금전 대가를 지불하였으므로 자유롭게 시험문제를 유료 회원들에게 제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메가스터디가 ‘유니스터디’의 '유니패스'에서도 유사한 방식이 확인된다. 유료 강의 환급형 프로그램인 ‘유니패스’는 특정 성적 기준을 달성한 수강생에게 수강료를 환급하는 제도로, 환급 조건으로 시험지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 또한 금전 보상을 대가로 타인의 저작물을 확보하는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메가스터디는 그간 자사 교재의 불법 복제나 무단 배포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취해왔다. 실제로 과거에는 불법 유포자에게 사과문을 요구하고, 이를 자사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강도 높은 대응을 해온 바 있다. 이번 이벤트에서는 대학 출제자의 저작물을 수집해 자사 콘텐츠에 활용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동안 보여온 태도와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본지는 메가스터디 측에 연락을 취했으나, 메가스터디 측은 관련 논란에 대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기사전문보기] [단독] 메가스터디, 대학 시험지 '유상 수집'…저작권 위반 소지 제기 (바로가기)
퍼블릭뉴스통신
2025-07-11
[단독] 메가스터디, 대학 시험지 '유상 수집'…저작권 위반 소지 제기
[단독] 메가스터디, 대학 시험지 '유상 수집'…저작권 위반 소지 제기
변형없이 게시판 업로드...유료회원만 다운 받을 수 있어김태환 변호사 "저작물 보호 가능성…대가 지불만으로 제공 불가" 교육기업 메가스터디(대표 손성은)의 자회사인 대학교 인강 사이트 '유니스터디'가 대학 중간·기말고사 시험문제를 현금성 보상을 내걸고 수집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제출된 시험지가 내용 수정 없이 원문 그대로 게시판에 업로드되고, 유료 회원에게만 제공되면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행위는 ‘유니스터디’의 회원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메가스터디는 지난 1일 자사 애플리케이션 ‘큐브’와 대학교 인강 사이트 '유니스터디' 공지사항을 통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간·기말고사 시험지와 족보를 제출하면 신세계 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게시했다. '큐브'는 각 대학교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최근 5개년 시험지를 메일 양식에 맞춰 수집한다고 밝혔다. 시험 문항만 제출시 신세계 상품권 1만원권을, 정답 해설 제출시 1만5천원권을 지급한다. 공지에 따르면 제출된 시험지는 반환되지 않으며, 자회사인 ‘유니스터디’의 콘텐츠 제작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유니스터디'도 최근 5개년 시험지로 한정해 기출시험지를 사진 찍어 족보를 업로드한 전원에게 CU편의점 5천원 상품권과 유니스터디 2만원 포인트를 지급하며, 7명에게는 신세계백화점 3만원권을 지급한다고 명시했다. 저작권법 제32조는 입학시험 또는 자격검정 등 학식·기능 평가 목적에 한해 공표된 저작물의 복제·배포를 허용하고 있으나, 영리 목적일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 메가스터디는 해당 시험지를 교육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상업적 목적이 명백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또 문제가 되는 점은 메가스터디가 수집한 시험지를 변형 없이 원문 그대로 자사 게시판에 업로드했다는 점이다. 출제자의 원문이 그대로 담긴 해당 시험지는 요약이나 편집이 가해진 2차적 저작물이 아닌 만큼, 저작권법상 복제 및 공중송신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 자료는 유료 회원에게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설정돼 상업적 이용 목적이 명확한 것으로 보인다. 과거 유사한 사례로는 고등학교 시험문제를 무단으로 수집해 제공했던 ‘족보닷컴’ 사건이 있다. 이 사건에 대해 서울고등법원 재판부는 “시험문제는 창작성 있는 저작물에 해당하며, 무단 수집 및 영리적 활용은 저작권 침해”라는 판단을 내린 바 있다. 재판부는 "교사인 원고들이 자신들의 교육이념에 따라서 소속 학교 학생들의 학업수행 정도의 측정 및 내신성적을 산출하기 위해 정신적인 노력을 기울여 남의 것을 그대로 베끼지 않고 이 사건 시험문제를 출제했다"며 "그 출제한 문제에 있어서 질문의 표현이나 제시된 답안의 표현에 최소한도의 창작성이 있음이 인정되므로, 이 사건 시험문제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저작물에 해당한다고 봄이 상당하다"라고 판시했다. 법조계에서도 메가스터디의 대학시험지 수집과 관련하여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김태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대학교 시험문제는 저작물로 보호될 가능성이 높다"며 "문제를 구성하는 부분에 창의적 표현이 있고, 아이디어 그 자체가 아니라 표현을 보호하기 때문에 교수의 전문지식과 창의적 판단이 개입된 문제들의 경우 저작권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작권자인 교수 또는 양수인인 학교의 허락을 받지 않았는데 단지 금전 대가를 지불하였으므로 자유롭게 시험문제를 유료 회원들에게 제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메가스터디가 ‘유니스터디’의 '유니패스'에서도 유사한 방식이 확인된다. 유료 강의 환급형 프로그램인 ‘유니패스’는 특정 성적 기준을 달성한 수강생에게 수강료를 환급하는 제도로, 환급 조건으로 시험지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 또한 금전 보상을 대가로 타인의 저작물을 확보하는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메가스터디는 그간 자사 교재의 불법 복제나 무단 배포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취해왔다. 실제로 과거에는 불법 유포자에게 사과문을 요구하고, 이를 자사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강도 높은 대응을 해온 바 있다. 이번 이벤트에서는 대학 출제자의 저작물을 수집해 자사 콘텐츠에 활용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동안 보여온 태도와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본지는 메가스터디 측에 연락을 취했으나, 메가스터디 측은 관련 논란에 대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기사전문보기] [단독] 메가스터디, 대학 시험지 '유상 수집'…저작권 위반 소지 제기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10
'로맨스 스캠'으로 9명에 수억 원 뜯어낸 30대 男..징역 6년
'로맨스 스캠'으로 9명에 수억 원 뜯어낸 30대 男..징역 6년
앱 통해 만난 남성..재력 과시하며 호감 얻고 투자 권유해재판부 "동종 범죄로 집행유예 중 범행..엄벌 필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알게 된 상대방의 호감을 이용해 수억 원을 가로챈 남성이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법원은 지난달 26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2023년부터 1년 동안 스마트폰 앱을 통해 만난 B씨 등 9명에게 접촉해 4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습니다.조사 결과 A씨는 피해자들에게 재력을 과시하며 다가가 호감을 얻은 뒤 투자를 권유했습니다.검찰은 A씨가 개인 채무를 변제할 목적으로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재판 과정에서 피해자들은 A씨가 돈을 갚겠다며 변제를 차일피일 미뤄왔다고 엄벌을 탄원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다수의 피해자들을 기만해 다액의 금액을 편취했다"며 "무엇보다 동종 범죄로 인한 집행유예 기간 중 범행을 저질러 엄벌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이어 "피고인은 추가 범행을 위해 일부 피해자들에게 돌려막기 방식으로 편취금을 지급하기도 했다"며 "순수하게 피해자들의 피해를 회복시킨 것으로 평가하기 어렵고, 대부분의 피해자들로부터 용서받지 못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습니다.피해자인 B씨의 법률대리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이재형 변호사는 "A씨는 일부 편취금을 돌려줄 것처럼 말하며 기대감을 조성해 수사기관에 신고를 할 수 없도록 했다"며 "이는 피해자들에게 추가적인 피해를 야기하는 행위였는데, 재판부도 이 같은 정황을 매우 불량한 것으로 판단해 엄벌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로맨스 스캠'으로 9명에 수억 원 뜯어낸 30대 男..징역 6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10
'로맨스 스캠'으로 9명에 수억 원 뜯어낸 30대 男..징역 6년
'로맨스 스캠'으로 9명에 수억 원 뜯어낸 30대 男..징역 6년
앱 통해 만난 남성..재력 과시하며 호감 얻고 투자 권유해재판부 "동종 범죄로 집행유예 중 범행..엄벌 필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알게 된 상대방의 호감을 이용해 수억 원을 가로챈 남성이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법원은 지난달 26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2023년부터 1년 동안 스마트폰 앱을 통해 만난 B씨 등 9명에게 접촉해 4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습니다.조사 결과 A씨는 피해자들에게 재력을 과시하며 다가가 호감을 얻은 뒤 투자를 권유했습니다.검찰은 A씨가 개인 채무를 변제할 목적으로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재판 과정에서 피해자들은 A씨가 돈을 갚겠다며 변제를 차일피일 미뤄왔다고 엄벌을 탄원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다수의 피해자들을 기만해 다액의 금액을 편취했다"며 "무엇보다 동종 범죄로 인한 집행유예 기간 중 범행을 저질러 엄벌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이어 "피고인은 추가 범행을 위해 일부 피해자들에게 돌려막기 방식으로 편취금을 지급하기도 했다"며 "순수하게 피해자들의 피해를 회복시킨 것으로 평가하기 어렵고, 대부분의 피해자들로부터 용서받지 못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습니다.피해자인 B씨의 법률대리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이재형 변호사는 "A씨는 일부 편취금을 돌려줄 것처럼 말하며 기대감을 조성해 수사기관에 신고를 할 수 없도록 했다"며 "이는 피해자들에게 추가적인 피해를 야기하는 행위였는데, 재판부도 이 같은 정황을 매우 불량한 것으로 판단해 엄벌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로맨스 스캠'으로 9명에 수억 원 뜯어낸 30대 男..징역 6년 (바로가기)
머니S
2025-07-09
"유포하겠다" 협박… 10대 소녀 집까지 쫓아가 범행 저지른 20대 실형
"유포하겠다" 협박… 10대 소녀 집까지 쫓아가 범행 저지른 20대 실형
10대 여학생과의 사적인 대화를 몰래 녹음한 뒤 만남을 강요해 성범죄를 저지른 20대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다.대전지방법원은 지난달 11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게 징역 5년을 선고했다. 이와 함께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취업제한 10년과 형 집행 종료 후 5년간의 보호관찰도 명령했다.A씨는 지난해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알게 된 10대 여학생 B양을 성폭행하고 이 모습을 촬영한 혐의를 받았다.수사 결과 A씨는 피해자와 통화 중 이뤄진 성적인 대화를 무단으로 녹음한 후 이를 빌미로 만남을 종용한 것으로 확인됐다.B양 측은 A씨가 자신의 집으로 찾아와 억지로 술을 먹이고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다며 엄벌을 내려달라고 호소했다.이에 A씨는 '합의하에 가진 관계'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관계 전 동의를 구하는 물음에 B양이 '알겠다'고 답했다는 이유에서다.법원은 A씨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범행 당시 이미 피고인의 녹음 파일 유포 협박에 의해 반항이 억압된 상태였다"며 "피해자가 성관계 직전에 소극적으로 '알겠다'고 대답한 것을 진정한 성적 자기결정권의 행사로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그러면서 "녹음 파일로 피해자를 협박해 만남을 강요하고 간음행위까지 저질러 범행 수법이 매우 악질적"이라며 "심지어 피해자의 부모가 부재한 틈을 타 주거지에서 범행을 저질렀고,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지 못하는 등 사회로부터 격리하는 엄벌이 불가피하다"고 양형 사유를 밝혔다.B양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황세정 변호사는 "이 사건은 단순한 성폭행에서 그친 것이 아닌, 온라인 매체를 통해 피해자의 인격을 말살한 무거운 범죄 행위"라며 "그럼에도 A씨가 피해자와 가족의 고통을 외면하고 뉘우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재판부가 무거운 처벌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유포하겠다" 협박… 10대 소녀 집까지 쫓아가 범행 저지른 20대 실형 (바로가기)
머니S
2025-07-09
"유포하겠다" 협박… 10대 소녀 집까지 쫓아가 범행 저지른 20대 실형
"유포하겠다" 협박… 10대 소녀 집까지 쫓아가 범행 저지른 20대 실형
10대 여학생과의 사적인 대화를 몰래 녹음한 뒤 만남을 강요해 성범죄를 저지른 20대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다.대전지방법원은 지난달 11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게 징역 5년을 선고했다. 이와 함께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취업제한 10년과 형 집행 종료 후 5년간의 보호관찰도 명령했다.A씨는 지난해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알게 된 10대 여학생 B양을 성폭행하고 이 모습을 촬영한 혐의를 받았다.수사 결과 A씨는 피해자와 통화 중 이뤄진 성적인 대화를 무단으로 녹음한 후 이를 빌미로 만남을 종용한 것으로 확인됐다.B양 측은 A씨가 자신의 집으로 찾아와 억지로 술을 먹이고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다며 엄벌을 내려달라고 호소했다.이에 A씨는 '합의하에 가진 관계'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관계 전 동의를 구하는 물음에 B양이 '알겠다'고 답했다는 이유에서다.법원은 A씨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범행 당시 이미 피고인의 녹음 파일 유포 협박에 의해 반항이 억압된 상태였다"며 "피해자가 성관계 직전에 소극적으로 '알겠다'고 대답한 것을 진정한 성적 자기결정권의 행사로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그러면서 "녹음 파일로 피해자를 협박해 만남을 강요하고 간음행위까지 저질러 범행 수법이 매우 악질적"이라며 "심지어 피해자의 부모가 부재한 틈을 타 주거지에서 범행을 저질렀고,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지 못하는 등 사회로부터 격리하는 엄벌이 불가피하다"고 양형 사유를 밝혔다.B양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황세정 변호사는 "이 사건은 단순한 성폭행에서 그친 것이 아닌, 온라인 매체를 통해 피해자의 인격을 말살한 무거운 범죄 행위"라며 "그럼에도 A씨가 피해자와 가족의 고통을 외면하고 뉘우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재판부가 무거운 처벌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유포하겠다" 협박… 10대 소녀 집까지 쫓아가 범행 저지른 20대 실형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7-09
억울하게 성범죄 연루됐다면…수사 초기부터 법률가 조력은 필수
억울하게 성범죄 연루됐다면…수사 초기부터 법률가 조력은 필수
성범죄는 보통 피해자의 진술이 중심 증거로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억울하게 누명을 쓴 상황이라 하더라도 피의자는 자신을 방어하기 어렵다. 특히 강간을 비롯한 성폭행 사건은 사적인 공간에서 발생하기에 진위여부를 따지기 위한 진실공방을 벌여야만 하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과 같은 실질적 피해도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성범죄 혐의에 휘말렸을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초기 대응과 신속한 증거 확보다. 조사 기관이 본격적인 수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자신의 무고함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해야 한다.예컨대 상대방과의 문자 메시지나 메신저 대화, 통화 기록, 사진, 위치 정보, 만남의 정황을 알 수 있는 CCTV 영상, 주변인 진술 등은 범죄 혐의를 반박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 고소인이 주장하는 시간대나 장소에 자신이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하거나, 그 전후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이를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무고성 성범죄 신고는 낯선 사람보다 오히려 연인, 지인 등 가까운 관계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관계가 틀어진 후 감정적 갈등이나 보복 심리가 작용하면서 실제와 다르게 상황을 과장하며 허위 고소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여자친구에게 이별을 고한 남자친구가 성폭력 가해자로 고소를 당한 사건이 있었다. 의뢰인은 성폭력과는 무관한 정상적인 만남이었다고 항변했으나, 고소인인 전 여자친구의 구체적인 진술로 변론에 어려움을 겪었다.이 사건에서 변호인은 전 연인과 주고받은 메시지 기록과 사진, 제3자의 증언 등을 다각도로 수집해 무혐의를 입증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고소인이 주장한 범행 일자 이후에도 두 사람이 평온한 대화와 자연스러운 만남을 이어갔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또한 이별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상대방이 안부 인사를 건넨 기록을 증거로 제출했다. 이를 토대로 수사기관의 인식을 성공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경찰 단계에서 '불송치' 결정을 받아 사건을 종결시킬 수 있었다.성남 법무법인 대륜 서봉하 변호사는 "성범죄는 피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명예훼손과 사회적 불이익을 남기는 중대한 사건인 만큼,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다면 무엇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법률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초동 대응을 혼자 하려다 불리한 진술을 하게 되면 이후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수사 초기부터 사건 경험이 풍부한 성범죄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안전한 방어의 출발점이 된다"고 말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억울하게 성범죄 연루됐다면…수사 초기부터 법률가 조력은 필수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7-09
억울하게 성범죄 연루됐다면…수사 초기부터 법률가 조력은 필수
억울하게 성범죄 연루됐다면…수사 초기부터 법률가 조력은 필수
성범죄는 보통 피해자의 진술이 중심 증거로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억울하게 누명을 쓴 상황이라 하더라도 피의자는 자신을 방어하기 어렵다. 특히 강간을 비롯한 성폭행 사건은 사적인 공간에서 발생하기에 진위여부를 따지기 위한 진실공방을 벌여야만 하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과 같은 실질적 피해도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성범죄 혐의에 휘말렸을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초기 대응과 신속한 증거 확보다. 조사 기관이 본격적인 수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자신의 무고함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해야 한다.예컨대 상대방과의 문자 메시지나 메신저 대화, 통화 기록, 사진, 위치 정보, 만남의 정황을 알 수 있는 CCTV 영상, 주변인 진술 등은 범죄 혐의를 반박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 고소인이 주장하는 시간대나 장소에 자신이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하거나, 그 전후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이를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무고성 성범죄 신고는 낯선 사람보다 오히려 연인, 지인 등 가까운 관계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관계가 틀어진 후 감정적 갈등이나 보복 심리가 작용하면서 실제와 다르게 상황을 과장하며 허위 고소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여자친구에게 이별을 고한 남자친구가 성폭력 가해자로 고소를 당한 사건이 있었다. 의뢰인은 성폭력과는 무관한 정상적인 만남이었다고 항변했으나, 고소인인 전 여자친구의 구체적인 진술로 변론에 어려움을 겪었다.이 사건에서 변호인은 전 연인과 주고받은 메시지 기록과 사진, 제3자의 증언 등을 다각도로 수집해 무혐의를 입증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고소인이 주장한 범행 일자 이후에도 두 사람이 평온한 대화와 자연스러운 만남을 이어갔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또한 이별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상대방이 안부 인사를 건넨 기록을 증거로 제출했다. 이를 토대로 수사기관의 인식을 성공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경찰 단계에서 '불송치' 결정을 받아 사건을 종결시킬 수 있었다.성남 법무법인 대륜 서봉하 변호사는 "성범죄는 피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명예훼손과 사회적 불이익을 남기는 중대한 사건인 만큼,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다면 무엇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법률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초동 대응을 혼자 하려다 불리한 진술을 하게 되면 이후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수사 초기부터 사건 경험이 풍부한 성범죄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안전한 방어의 출발점이 된다"고 말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억울하게 성범죄 연루됐다면…수사 초기부터 법률가 조력은 필수 (바로가기)
로리더 등 5곳
2025-07-09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ㆍ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ㆍ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부정부패 근절 및 공익 신고 법률지원 체계 구축 강화대륜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무 연대 모델의 출발점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사단법인 공익공직비리신고전국시민운동연합(공신연), 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를 체결하며 공익 신고 및 조사 법률지원 체계 구축을 강화한다고 8일 밝혔다.7월 4일 서울시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와 공신연 김달문 서울총괄본부장, 국제탐정총연합회 나유인 회장 등 주요 실무진이 참석했다.공신연은 공공영역의 부정부패를 감시하고 공익신고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국 단위 시민단체다. 사회 부패 문제에 대한 대안 제시, 정보 공개 요구, 청렴 문화 확산을 위한 공론화 활동 등을 주도하고 있다. 국제탐정총연합회는 탐정·민간조사 분야의 제도적 기반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 조사활동의 합법화 정착을 목표로 하는 국제 민간조사 네트워크로,정보수집, 사실확인, 사기·실종·불법행위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조사의 전문화를 이끌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각 기관은 △공익제보자 법률지원 및 명예보호 체계 구축 △비리 신고·조사 활동의 법률 자문 및 결과 검토, △민간조사 활동 관련 법령 해석 및 합법 활동 가이드 제공, △공공기관·지자체 대상 윤리·준법 실태조사 공동 추진, △사회적 약자 보호 및 불법행위 제보자 상담체계 구축, △대국민 공익캠페인을 위한 공동 세미나·포럼·워크숍 개최 등 다양한 과제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국제탐정총연합회 나유인 회장은 “탐정 분야는 사실과 진실을 밝혀 사회 정의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며, “대륜과의 협업을 통해 탐정 업계 제도적 안정성과 사회적 신뢰를 함께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공신연 김달문 본부장은 “시민 제보가 제도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법률 전문가의 동반이 필수적이며, 이번 협약은 공익을 향한 실천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공익신고, 민간조사, 시민활동이 법률적 제약에 막히지 않도록 실질적 조력자가 되겠다”면서,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무 연대 모델로서 이번 협약이 의미있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각 기관은 향후 정기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각종 신고사건 공동 대응, 법률 매뉴얼 개발, 공익 보호 입법 제안 등 구체적인 후속 협력과제를 단계적으로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ㆍ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 공익신고‧지원 업무협약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체결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등 5곳
2025-07-09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ㆍ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ㆍ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부정부패 근절 및 공익 신고 법률지원 체계 구축 강화대륜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무 연대 모델의 출발점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사단법인 공익공직비리신고전국시민운동연합(공신연), 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를 체결하며 공익 신고 및 조사 법률지원 체계 구축을 강화한다고 8일 밝혔다.7월 4일 서울시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와 공신연 김달문 서울총괄본부장, 국제탐정총연합회 나유인 회장 등 주요 실무진이 참석했다.공신연은 공공영역의 부정부패를 감시하고 공익신고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국 단위 시민단체다. 사회 부패 문제에 대한 대안 제시, 정보 공개 요구, 청렴 문화 확산을 위한 공론화 활동 등을 주도하고 있다. 국제탐정총연합회는 탐정·민간조사 분야의 제도적 기반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 조사활동의 합법화 정착을 목표로 하는 국제 민간조사 네트워크로,정보수집, 사실확인, 사기·실종·불법행위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조사의 전문화를 이끌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각 기관은 △공익제보자 법률지원 및 명예보호 체계 구축 △비리 신고·조사 활동의 법률 자문 및 결과 검토, △민간조사 활동 관련 법령 해석 및 합법 활동 가이드 제공, △공공기관·지자체 대상 윤리·준법 실태조사 공동 추진, △사회적 약자 보호 및 불법행위 제보자 상담체계 구축, △대국민 공익캠페인을 위한 공동 세미나·포럼·워크숍 개최 등 다양한 과제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국제탐정총연합회 나유인 회장은 “탐정 분야는 사실과 진실을 밝혀 사회 정의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며, “대륜과의 협업을 통해 탐정 업계 제도적 안정성과 사회적 신뢰를 함께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공신연 김달문 본부장은 “시민 제보가 제도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법률 전문가의 동반이 필수적이며, 이번 협약은 공익을 향한 실천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공익신고, 민간조사, 시민활동이 법률적 제약에 막히지 않도록 실질적 조력자가 되겠다”면서,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무 연대 모델로서 이번 협약이 의미있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각 기관은 향후 정기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각종 신고사건 공동 대응, 법률 매뉴얼 개발, 공익 보호 입법 제안 등 구체적인 후속 협력과제를 단계적으로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ㆍ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 공익신고‧지원 업무협약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체결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공신연-국제탐정총연합회와 MOU 체결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08
[기고] 미국 주거용 부동산,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잡는 법
[기고] 미국 주거용 부동산,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잡는 법
최근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구조적 전환기를 맞고 있다.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 재택근무의 정착, 온라인 소비 확대 등이 맞물리며 오피스·리테일 중심의 상업용 자산은 곳곳에서 높은 공실률을 기록 중이다. 일부 도심권은 공실률이 30%에 육박하며 팬데믹 이후 본격화된 자산가치 조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처럼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실물자산 보유의 장점을 가진 주거용 부동산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실제 미국의 주거용 부동산은 지역에 따라 연 79% 수준의 임대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으며 고금리 상황에서도 고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투자자산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입장에서 볼 때, 미국은 세계 최대의 내수 시장이자 법적 소유권이 명확히 보장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자산 방어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투자처로 평가된다.그러나 미국 부동산 투자는 단순히 '살 수 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운영하고 어떤 구조로 세금과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가가 본질적 관건이다. 특히 주거용 부동산의 경우 재산세, 교육세, 보험료, 관리비용, 수리비 등 다양한 유지관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미국은 연방-주-지방 정부 단위로 복수의 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자는 반드시 지역별 세율, 감면제도, 과세방식에 대한 사전 이해가 필요하다.미국 전역에는 다양한 세제 감면 및 절세 전략이 존재하며 그 적용 요건도 주마다 상이하다. 특히 동부지역의 고밀도 주거지역(뉴욕주, 매사추세츠주, 펜실베이니아주 등)에서는 실거주자 또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세금 감면제도가 비교적 잘 발달해 있다. 이처럼 세제 환경은 투자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단순한 매매가격뿐만 아니라 총보유비용(Total Cost of Ownership)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이러한 제도적 특징은 뉴욕주를 사례로 살펴보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뉴욕주는 실거주자에 대한 세금 감면제도가 촘촘히 설계되어 있는 대표적인 주 가운데 하나다. 우선 STAR(School Tax Relief) 제도는 본인과 배우자의 연소득이 50만 달러 이하인 실소유자에게 교육세를 감면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가 직접 해당 부동산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Senior Citizen Exemption 제도를 통해 최대 50%까지 재산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실거주나 은퇴 목적의 중장기 보유 전략과 맞물릴 경우 세금 부담은 현저히 줄어든다.그렇다면 뉴욕주 내에서는 어떤 지역이 실질적 투자처로 유망할까? 대표적인 예가 시라큐스(Syracuse)다. 이 도시는 시라큐스대학교(Syracuse University)와 뉴욕주립대(SUNY) 계열의 대형 캠퍼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전형적인 대학도시로 타주 및 해외 유학생 비중이 높고 기숙사 공급이 부족한 구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원룸 또는 소형 아파트에 대한 임대 수요가 꾸준하며 스튜디오형(원베드룸) 기준 평균 월세는 약 1,400달러(한화 약 190만원) 수준에 이른다.해당 유형의 부동산 매매가는 약 15만 달러(한화 약 2억원) 수준이며 실거주 없이도 연 89% 내외의 임대수익률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다. 특히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실거주 전환을 통한 세금 감면이나 장기 보유 후 증여·상속 시 절세 전략까지 병행 가능해 단순 투자처가 아닌 복합적 자산운용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하지만 미국 부동산은 수익형 자산이면서 동시에 고위험 계약형 자산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전문적인 법률 및 세무 자문이 선행되어야 한다. 외국인 투자자는 FIRPTA(외국인 부동산 양도세법) 적용, 임대차 계약상 분쟁 가능성, 주(state)별 임차인 보호법, 각종 소송 리스크 등 복잡한 법적·제도적 변수에 노출되어 있다. 매매 과정뿐 아니라 보유 및 양도 단계에서도 발생 가능한 모든 위험을 고려해 종합적인 리스크 매니지먼트 플랜을 수립해야 한다.결국 미국 부동산 투자는 단순히 자산을 매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해외 사업체를 운영하는 것과 같은 전략과 구조가 요구된다. 세금·법률·수익·유지관리·환리스크 등 모든 요소를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대응 전략을 준비해야만 예상치 못한 손실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수익 실현과 자산 방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해외 자산 배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대, 정보보다 중요한 것은 구조이며 기대보다 앞서는 것은 준비다. 미국 주거용 부동산 투자는 법률적 안전장치를 갖춘 투자자만이 끝까지 웃을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미국 주거용 부동산,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잡는 법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08
[기고] 미국 주거용 부동산,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잡는 법
[기고] 미국 주거용 부동산,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잡는 법
최근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구조적 전환기를 맞고 있다.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 재택근무의 정착, 온라인 소비 확대 등이 맞물리며 오피스·리테일 중심의 상업용 자산은 곳곳에서 높은 공실률을 기록 중이다. 일부 도심권은 공실률이 30%에 육박하며 팬데믹 이후 본격화된 자산가치 조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처럼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실물자산 보유의 장점을 가진 주거용 부동산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실제 미국의 주거용 부동산은 지역에 따라 연 79% 수준의 임대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으며 고금리 상황에서도 고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투자자산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입장에서 볼 때, 미국은 세계 최대의 내수 시장이자 법적 소유권이 명확히 보장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자산 방어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투자처로 평가된다.그러나 미국 부동산 투자는 단순히 '살 수 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운영하고 어떤 구조로 세금과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가가 본질적 관건이다. 특히 주거용 부동산의 경우 재산세, 교육세, 보험료, 관리비용, 수리비 등 다양한 유지관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미국은 연방-주-지방 정부 단위로 복수의 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자는 반드시 지역별 세율, 감면제도, 과세방식에 대한 사전 이해가 필요하다.미국 전역에는 다양한 세제 감면 및 절세 전략이 존재하며 그 적용 요건도 주마다 상이하다. 특히 동부지역의 고밀도 주거지역(뉴욕주, 매사추세츠주, 펜실베이니아주 등)에서는 실거주자 또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세금 감면제도가 비교적 잘 발달해 있다. 이처럼 세제 환경은 투자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단순한 매매가격뿐만 아니라 총보유비용(Total Cost of Ownership)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이러한 제도적 특징은 뉴욕주를 사례로 살펴보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뉴욕주는 실거주자에 대한 세금 감면제도가 촘촘히 설계되어 있는 대표적인 주 가운데 하나다. 우선 STAR(School Tax Relief) 제도는 본인과 배우자의 연소득이 50만 달러 이하인 실소유자에게 교육세를 감면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가 직접 해당 부동산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Senior Citizen Exemption 제도를 통해 최대 50%까지 재산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실거주나 은퇴 목적의 중장기 보유 전략과 맞물릴 경우 세금 부담은 현저히 줄어든다.그렇다면 뉴욕주 내에서는 어떤 지역이 실질적 투자처로 유망할까? 대표적인 예가 시라큐스(Syracuse)다. 이 도시는 시라큐스대학교(Syracuse University)와 뉴욕주립대(SUNY) 계열의 대형 캠퍼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전형적인 대학도시로 타주 및 해외 유학생 비중이 높고 기숙사 공급이 부족한 구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원룸 또는 소형 아파트에 대한 임대 수요가 꾸준하며 스튜디오형(원베드룸) 기준 평균 월세는 약 1,400달러(한화 약 190만원) 수준에 이른다.해당 유형의 부동산 매매가는 약 15만 달러(한화 약 2억원) 수준이며 실거주 없이도 연 89% 내외의 임대수익률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다. 특히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실거주 전환을 통한 세금 감면이나 장기 보유 후 증여·상속 시 절세 전략까지 병행 가능해 단순 투자처가 아닌 복합적 자산운용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하지만 미국 부동산은 수익형 자산이면서 동시에 고위험 계약형 자산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전문적인 법률 및 세무 자문이 선행되어야 한다. 외국인 투자자는 FIRPTA(외국인 부동산 양도세법) 적용, 임대차 계약상 분쟁 가능성, 주(state)별 임차인 보호법, 각종 소송 리스크 등 복잡한 법적·제도적 변수에 노출되어 있다. 매매 과정뿐 아니라 보유 및 양도 단계에서도 발생 가능한 모든 위험을 고려해 종합적인 리스크 매니지먼트 플랜을 수립해야 한다.결국 미국 부동산 투자는 단순히 자산을 매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해외 사업체를 운영하는 것과 같은 전략과 구조가 요구된다. 세금·법률·수익·유지관리·환리스크 등 모든 요소를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대응 전략을 준비해야만 예상치 못한 손실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수익 실현과 자산 방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해외 자산 배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대, 정보보다 중요한 것은 구조이며 기대보다 앞서는 것은 준비다. 미국 주거용 부동산 투자는 법률적 안전장치를 갖춘 투자자만이 끝까지 웃을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미국 주거용 부동산,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잡는 법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7-08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직장동료를 강제 추행한 혐의로 약식 기소된 70대 남성이 정식 재판을 청구한 끝에 혐의를 벗었다.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12일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지난해 5월 직장동료 B씨와 대화하던 중 신체를 만진 혐의로 기소됐다. B씨는 A씨가 서류에 서명하라고 재촉하면서 신체 일부를 여러 차례 만지며 추행했다고 주장했다.그러나 A씨는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추행 장소로 지목된 경비 초소는 두 사람이 동시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좁고,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CCTV에 담겼다고 주장했다.검찰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A씨를 약식 기소했다. 이어 법원이 A씨에게 벌금 500만원의 약식 명령을 내렸으나 A씨가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부는 B씨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아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B씨는 경찰에서 A씨가 엉덩이를 쓰다듬었다고 했지만, 이후 법정에서는 엉덩이를 비롯한 여러 신체 부위를 만지는 식으로 추행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재판부는 또 A씨가 B씨에게 서명을 요청하면서 신체 일부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더라도 이는 강제 추행의 고의가 없는 일상적인 행동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녹취록과 CCTV 영상 등을 종합해봐도 A씨에게 강제추행의 고의가 있다는 점을 증명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김종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범죄 사건에 있어 피해자의 진술만이 유일한 증거인 경우 그 진술이 현저히 신빙성이 높거나 다른 정황 증거에 의해 신빙성이 있다는 점이 확인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사건은 고의성 입증은 물론, 피해 사실조차 증명되지 않아 범죄 사실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해 무죄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7-08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직장동료를 강제 추행한 혐의로 약식 기소된 70대 남성이 정식 재판을 청구한 끝에 혐의를 벗었다.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12일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지난해 5월 직장동료 B씨와 대화하던 중 신체를 만진 혐의로 기소됐다. B씨는 A씨가 서류에 서명하라고 재촉하면서 신체 일부를 여러 차례 만지며 추행했다고 주장했다.그러나 A씨는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추행 장소로 지목된 경비 초소는 두 사람이 동시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좁고,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CCTV에 담겼다고 주장했다.검찰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A씨를 약식 기소했다. 이어 법원이 A씨에게 벌금 500만원의 약식 명령을 내렸으나 A씨가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부는 B씨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아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B씨는 경찰에서 A씨가 엉덩이를 쓰다듬었다고 했지만, 이후 법정에서는 엉덩이를 비롯한 여러 신체 부위를 만지는 식으로 추행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재판부는 또 A씨가 B씨에게 서명을 요청하면서 신체 일부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더라도 이는 강제 추행의 고의가 없는 일상적인 행동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녹취록과 CCTV 영상 등을 종합해봐도 A씨에게 강제추행의 고의가 있다는 점을 증명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김종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범죄 사건에 있어 피해자의 진술만이 유일한 증거인 경우 그 진술이 현저히 신빙성이 높거나 다른 정황 증거에 의해 신빙성이 있다는 점이 확인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사건은 고의성 입증은 물론, 피해 사실조차 증명되지 않아 범죄 사실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해 무죄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바로가기)
금융경제신문
2025-07-08
[칼럼] 선산을 상속재산분할 할 수 있을까?
[칼럼] 선산을 상속재산분할 할 수 있을까?
드물지만 이 시대에도 선산과 묘토, 사당을 갖추고 대대로 조상님께 예를 올리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집안들이 있다. 우리 집안도 그 중 하나다. 우리 집안은 성산이가의 종갓집으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마을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면서 대대로 선산과 묘토, 사당과 제기를 물려받으며 조상님을 모시고 있다. 그래서인지 필자는 선산에 관해 상속재산분할을 청구해 온 사건에서 피고 측 소송대리를 더러 수행한 경험이 있다. 조상님 묘를 모신 선산의 소유관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별된다. 하나는 비법인사단인 종중이 선산을 소유하면서 종중의 대표나 기타 믿을만한 종중원에게 등기 명의를 명의신탁하는 방법이다.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은 원칙적으로 명의신탁 약정과 이 약정에 따른 등기를 모두 무효로 보나(동법 제4조 제1,2항), 종중이 보유한 부동산에 관해서는 예외조항을 마련해 실권리자와 등기명의자를 달리하는 명의신탁 계약의 효력을 인정한다(동법 제8조 제1호). 이 경우 선산에 관한 등기명의자, 즉, 명의수탁자는 종중과 명의수탁자 사이 계약에 의해 정해지고, 등기명의자가 명의를 정리하지 않은 채 사망하더라도, 명의수탁자의 상속인이 명의수탁자의 지위를 자동 승계하게 된다. 명의신탁 약정에 의한 소유명의 변경의 경우 증여세나 양도세, 취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현실에서는 종중과 명의수탁자가 계약서를 명확히 작성하지 않아 명의수탁자의 상속인들이 종중을 상대로 선산의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분쟁이 불거지곤 한다. 이와 같은 분쟁과 분쟁에 따른 리스크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명의신탁 약정서를 공증 받아 잘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하나는 제사주재자가 선산 등을 단독 상속하는 방법이다. 민법은 제1008조의3에서 ‘분묘에 속한 1정보 이내의 금양임야와 600평 이내의 묘토인 농지와 족보와 제구의 소유권은 제사를 주재하는 자가 이를 승계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 법의 의미는 첫째로, 제사주재자인 피상속인인 사망한 경우, 금양임야와 묘토, 족보, 제구는 분할 대상인 상속재산에서 제외한다는 것이다. 즉, 금양임야와 묘토, 족보, 제구는 다음 제사주재자가 단독으로 상속하고, 제사주재자는 명의만 상속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소유권을 가지게 된다. 2008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르면 공동상속인 간 협의가 되지 않는 경우 망인의 장남이, 장남이 이미 사망한 경우에는 장손자가, 공동상속인들 중 아들이 없는 때는 망인의 장녀가 제사주재자가 된다. 유의할 점은 민법 제1008조의3은 상속의 경우에만 적용되고, 망인이 미리 금양임야와 묘토, 족보, 제구를 처분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8조 제3항에 따르면 금양임야는 9900제곱미터, 묘토인 농지는 1980제곱미터까지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고, 금양임야와 묘토인 농지의 자산가액 합계가 2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2억원까지만 비과세한다. 현실에서는 다른 상속인들이 선산을 금양임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주장하며 선산에 관해 상속재산분할 소송을 제기하거나, 제사주재자의 지위를 따지며 제사주재자 지위 확인 소송을 제기하면서 분쟁이 불거지곤 한다. 금양임야를 단독 상속받고자 한다면 묘지와 묘지를 지키는 선산, 특히 묘지를 둘러싼 수목을 평소에 잘 관리해야 한다. 만약 임야를 벌목해 일부 면적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를 하면 바로 금양임야로서의 성질이 상실된다. 이러한 법리를 미리 숙지해 가족끼리 재산을 두고 다투는 일이 없는 게 가장 좋을 것이나, 이미 분쟁이 발생했다면 지체 없이 상속을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를 찾아 상황을 진단받아야 한다. 상속 문제는 상속세 신고 및 납부 기한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지체될수록 손해가 누적되기 때문이다. [기사전문보기] [칼럼] 선산을 상속재산분할 할 수 있을까? (바로가기)
금융경제신문
2025-07-08
[칼럼] 선산을 상속재산분할 할 수 있을까?
[칼럼] 선산을 상속재산분할 할 수 있을까?
드물지만 이 시대에도 선산과 묘토, 사당을 갖추고 대대로 조상님께 예를 올리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집안들이 있다. 우리 집안도 그 중 하나다. 우리 집안은 성산이가의 종갓집으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마을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면서 대대로 선산과 묘토, 사당과 제기를 물려받으며 조상님을 모시고 있다. 그래서인지 필자는 선산에 관해 상속재산분할을 청구해 온 사건에서 피고 측 소송대리를 더러 수행한 경험이 있다. 조상님 묘를 모신 선산의 소유관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별된다. 하나는 비법인사단인 종중이 선산을 소유하면서 종중의 대표나 기타 믿을만한 종중원에게 등기 명의를 명의신탁하는 방법이다.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은 원칙적으로 명의신탁 약정과 이 약정에 따른 등기를 모두 무효로 보나(동법 제4조 제1,2항), 종중이 보유한 부동산에 관해서는 예외조항을 마련해 실권리자와 등기명의자를 달리하는 명의신탁 계약의 효력을 인정한다(동법 제8조 제1호). 이 경우 선산에 관한 등기명의자, 즉, 명의수탁자는 종중과 명의수탁자 사이 계약에 의해 정해지고, 등기명의자가 명의를 정리하지 않은 채 사망하더라도, 명의수탁자의 상속인이 명의수탁자의 지위를 자동 승계하게 된다. 명의신탁 약정에 의한 소유명의 변경의 경우 증여세나 양도세, 취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현실에서는 종중과 명의수탁자가 계약서를 명확히 작성하지 않아 명의수탁자의 상속인들이 종중을 상대로 선산의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분쟁이 불거지곤 한다. 이와 같은 분쟁과 분쟁에 따른 리스크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명의신탁 약정서를 공증 받아 잘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하나는 제사주재자가 선산 등을 단독 상속하는 방법이다. 민법은 제1008조의3에서 ‘분묘에 속한 1정보 이내의 금양임야와 600평 이내의 묘토인 농지와 족보와 제구의 소유권은 제사를 주재하는 자가 이를 승계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 법의 의미는 첫째로, 제사주재자인 피상속인인 사망한 경우, 금양임야와 묘토, 족보, 제구는 분할 대상인 상속재산에서 제외한다는 것이다. 즉, 금양임야와 묘토, 족보, 제구는 다음 제사주재자가 단독으로 상속하고, 제사주재자는 명의만 상속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소유권을 가지게 된다. 2008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르면 공동상속인 간 협의가 되지 않는 경우 망인의 장남이, 장남이 이미 사망한 경우에는 장손자가, 공동상속인들 중 아들이 없는 때는 망인의 장녀가 제사주재자가 된다. 유의할 점은 민법 제1008조의3은 상속의 경우에만 적용되고, 망인이 미리 금양임야와 묘토, 족보, 제구를 처분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8조 제3항에 따르면 금양임야는 9900제곱미터, 묘토인 농지는 1980제곱미터까지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고, 금양임야와 묘토인 농지의 자산가액 합계가 2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2억원까지만 비과세한다. 현실에서는 다른 상속인들이 선산을 금양임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주장하며 선산에 관해 상속재산분할 소송을 제기하거나, 제사주재자의 지위를 따지며 제사주재자 지위 확인 소송을 제기하면서 분쟁이 불거지곤 한다. 금양임야를 단독 상속받고자 한다면 묘지와 묘지를 지키는 선산, 특히 묘지를 둘러싼 수목을 평소에 잘 관리해야 한다. 만약 임야를 벌목해 일부 면적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를 하면 바로 금양임야로서의 성질이 상실된다. 이러한 법리를 미리 숙지해 가족끼리 재산을 두고 다투는 일이 없는 게 가장 좋을 것이나, 이미 분쟁이 발생했다면 지체 없이 상속을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를 찾아 상황을 진단받아야 한다. 상속 문제는 상속세 신고 및 납부 기한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지체될수록 손해가 누적되기 때문이다. [기사전문보기] [칼럼] 선산을 상속재산분할 할 수 있을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08
“주차하고 차에서 술마셨다”…음주운전 혐의 40대 무죄 이유는
“주차하고 차에서 술마셨다”…음주운전 혐의 40대 무죄 이유는
적발 당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 추정法 “운전 종료 후 마셨을 수도” 음주 상태로 차량을 운전한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이 무죄 판결을 받았다. 법원은 구체적 증거 부족과 수사 과정의 미흡함을 지적하며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였다.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은 지난달 11일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혐의로 기소된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지난해 7월 27일 오후 8시께 혈중알코올농도 0.074%로 전남 해남군 한 도로에서 인근 주유소까지 40㎞가량을 운전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당시 수사기관은 A 씨가 횡설수설하며 ‘다른 사람이 운전했다’고 진술한 점 등을 토대로 그를 음주운전 혐의로 기소했다.앞서 여자친구, 지인 등과 함께 휴가를 온 A 씨는 이날 점심을 먹으며 술을 마신 것으로 확인됐다. 식사를 마친 A 씨는 대리운전 기사를 불러 숙소에 도착했다. 몇 시간 뒤 잠에서 깬 A 씨는 여자친구와 언쟁을 벌인 후 차를 타고 이동했다.주변 주유소에 도착한 A 씨는 차 안에 있던 소주 한 병을 마신 후 차량 뒷자리에서 잠이 들었다. 이후 주유소 직원의 신고로 경찰이 출동했고, 음주 측정이 이뤄졌다.재판에서 A 씨는 음주운전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A 씨는 “여자친구와 다툰 뒤 속상한 마음에 주차 장소까지 운전한 후 차 안에서 술을 마시고 잠들었다”며 “음주운전을 하지 않았음을 설명하고 싶어도 경찰은 음주 측정에만 관심이 있었다. 다 마신 소주병을 제시했지만, 경찰은 이를 무시했다”고 강조했다.재판부는 A 씨가 주유소 인근에 정차한 후 차량 내에서 음주를 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발견 당시 뒷좌석에서 자고 있었고, 음주운전을 목격한 사람도 없던 상황이었다”며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은 실제 현장에서 소주병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이에 관한 조서 등을 전혀 남기지 않았다. 제출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음주운전을 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법무법인(로펌) 대륜 송재백 변호사는 “이 사건 증거기록 중 A 씨의 음주 시점과 음주량을 추정할 수 있는 어떤 증거도 존재하지 않았다”며 “위드마크 공식을 대입한다면 음주 측정 당시 A 씨의 혈중알코올농도가 상승기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를 통해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면 운전 당시는 처벌 기준인 0.03%를 초과했다고 단정 지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수사기관은 A 씨가 스스로 본인이 음용한 빈 소주병을 찾아왔는데도 이를 배척했다. 이는 증거가 누락된 사안으로 봐야 한다”며 “경찰청 범죄수사규칙 제76조, 제172조 1항 등에 따라 경찰관은 실황조사서를 작성하는 등 증거 확보 노력을 했어야 한다. 오히려 A 씨의 주장은 일관됐기 때문에 무죄 판결이 나올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주차하고 차에서 술마셨다”…음주운전 혐의 40대 무죄 이유는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08
“주차하고 차에서 술마셨다”…음주운전 혐의 40대 무죄 이유는
“주차하고 차에서 술마셨다”…음주운전 혐의 40대 무죄 이유는
적발 당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 추정法 “운전 종료 후 마셨을 수도” 음주 상태로 차량을 운전한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이 무죄 판결을 받았다. 법원은 구체적 증거 부족과 수사 과정의 미흡함을 지적하며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였다.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은 지난달 11일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혐의로 기소된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지난해 7월 27일 오후 8시께 혈중알코올농도 0.074%로 전남 해남군 한 도로에서 인근 주유소까지 40㎞가량을 운전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당시 수사기관은 A 씨가 횡설수설하며 ‘다른 사람이 운전했다’고 진술한 점 등을 토대로 그를 음주운전 혐의로 기소했다.앞서 여자친구, 지인 등과 함께 휴가를 온 A 씨는 이날 점심을 먹으며 술을 마신 것으로 확인됐다. 식사를 마친 A 씨는 대리운전 기사를 불러 숙소에 도착했다. 몇 시간 뒤 잠에서 깬 A 씨는 여자친구와 언쟁을 벌인 후 차를 타고 이동했다.주변 주유소에 도착한 A 씨는 차 안에 있던 소주 한 병을 마신 후 차량 뒷자리에서 잠이 들었다. 이후 주유소 직원의 신고로 경찰이 출동했고, 음주 측정이 이뤄졌다.재판에서 A 씨는 음주운전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A 씨는 “여자친구와 다툰 뒤 속상한 마음에 주차 장소까지 운전한 후 차 안에서 술을 마시고 잠들었다”며 “음주운전을 하지 않았음을 설명하고 싶어도 경찰은 음주 측정에만 관심이 있었다. 다 마신 소주병을 제시했지만, 경찰은 이를 무시했다”고 강조했다.재판부는 A 씨가 주유소 인근에 정차한 후 차량 내에서 음주를 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발견 당시 뒷좌석에서 자고 있었고, 음주운전을 목격한 사람도 없던 상황이었다”며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은 실제 현장에서 소주병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이에 관한 조서 등을 전혀 남기지 않았다. 제출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음주운전을 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법무법인(로펌) 대륜 송재백 변호사는 “이 사건 증거기록 중 A 씨의 음주 시점과 음주량을 추정할 수 있는 어떤 증거도 존재하지 않았다”며 “위드마크 공식을 대입한다면 음주 측정 당시 A 씨의 혈중알코올농도가 상승기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를 통해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면 운전 당시는 처벌 기준인 0.03%를 초과했다고 단정 지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수사기관은 A 씨가 스스로 본인이 음용한 빈 소주병을 찾아왔는데도 이를 배척했다. 이는 증거가 누락된 사안으로 봐야 한다”며 “경찰청 범죄수사규칙 제76조, 제172조 1항 등에 따라 경찰관은 실황조사서를 작성하는 등 증거 확보 노력을 했어야 한다. 오히려 A 씨의 주장은 일관됐기 때문에 무죄 판결이 나올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주차하고 차에서 술마셨다”…음주운전 혐의 40대 무죄 이유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5-07-07
[기고] ‘자율규제’라는 이름의 변협 징계권, 이대로 괜찮은가
[기고] ‘자율규제’라는 이름의 변협 징계권, 이대로 괜찮은가
대한변호사협회는 법조 윤리를 수호하는 자율기구이자, 전체 변호사의 자정기능을 대표하는 조직이다. 그러나 본래의 목적인 ‘자정’을 위해 주어진 징계권이라는 칼날이, 과연 공익을 향하고 있는지 혹은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한 통제 수단으로 변질된 것은 아닌지, 이제는 사회가 그 칼끝의 방향을 묻고 있다.현행 「변호사법」 제91조 이하에 따르면 변협은 징계개시 청구부터 심사, 의결까지 전 과정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며, 그 제재 수준도 견책에서 영구제명까지 이른다. 형식상으로는 법무부 장관에게 통보되지만, 실질적 권한은 민간 직능단체인 변협에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제도적 우려가 제기된다.변협의 독점적 징계권은 타 전문직과 비교할 때 공적 책임의 원칙에 반하는 이례적 구조다. 의사는 보건복지부 산하 의사징계위원회가, 회계사와 세무사는 각각 금융위원회와 국세청 등 행정기관이 징계를 담당한다. 유독 변호사만이 공적 자격의 존폐를 민간 단체 스스로 결정하는 모순적 구조에 놓여 있으며, 이는 ‘자격에 대한 통제는 공권력에 의해야 한다’는 법치주의의 대원칙을 흔드는 논리적 결함을 지닌다.문제는 이러한 구조적 우려가 단지 이론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변협은 직선제로 선출된 회장이 주도하는 정치적 조직이며, 징계권이 특정 집단이나 이견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위험이 내재돼 있다. 실제로 변협은 일부 사안에서 징계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거나 예고하면서 내부 통제 장치의 부재를 드러냈다.이러한 구조적 위험이 현실화된 상징적 사건이 바로 ‘로톡 사태’다. 변협은 내부 회칙을 근거로 합법적 플랫폼을 이용하는 변호사들에게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사실상의 선택을 강요했다. 이는 내부 규정 위반이라는 해석에 따른 조치였으나, 언론과 시민사회는 이를 자율규제의 범위를 넘어선 징계권 남용이자, 합법적 광고 및 서비스 경쟁에 대한 시장질서 교란 행위로 평가하기도 하였다.이 문제는 단지 법조계 내부의 비판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으로 ‘독립된 변호사 징계기구 설치’가 등장했을 만큼 이는 이미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 부상했다. 변호사에 대한 징계는 단순한 직역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표현의 자유, 직업 수행의 자유, 국민의 알 권리 등 헌법적 가치와 긴밀히 연결된 공공 사안이다. 따라서 징계 구조의 개선은 직역의 내부 통제 차원을 넘어, 공적 자격을 둘러싼 헌법적 정당성과 민주적 책임의 문제로 접근돼야 한다.그렇기에 현재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치명적 위험을 내포한다.① 민간 단체가 공적 자격의 박탈 여부를 실질적으로 결정하고,② 그 판단 기준은 ‘품위 유지’와 같은 추상적 개념에 근거하며,③ 절차적 투명성과 외부 견제가 미흡하다는 점이다.이는 곧 징계권의 자의적 남용 가능성과 조직 정치화라는 이중의 위험으로 이어진다.지금은 변호사 징계제도에 대한 제도적 개편을 차분히 모색해 볼 시점이다. 징계권의 일부를 독립된 외부기구나 행정기관에 분산하고, 징계위원회에 외부 인사를 참여시키며, ‘품위 유지’와 같은 포괄 조항은 법률로 보다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징계 근거와 절차의 명확성, 예측 가능성, 비례원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법치 선진국들은 이미 이에 대한 명료한 해답을 내놓았다. 영국은 법률서비스규제청(SRA)과 변호사기준위원회(BSB) 등이 징계를 담당하며, 변호사협회와는 명확히 분리한다. 미국 역시 각 주 대법원이 징계권을 보유하며, 독립적 조사기구를 통해 감사를 진행한다. 미국 변호사협회(ABA)는 윤리규범 제정만을 담당하며, 징계에는 개입하지 않는다. 이는 자율성과 공정성을 조화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다.자율규제는 민주사회에서 직역단체가 신뢰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다. 그러나 그 전제는 공정성과 투명성, 그리고 권한에 대한 견제와 책임이다. 직능단체가 공적 자격의 생사여탈권을 독점하면서 그 권한을 자의적으로 행사하게 된다면, 우리는 결국 “감시받지 않는 감시자”를 법의 이름으로 용인하는 셈이다. 변협이 진정한 자율성의 권위를 인정받고자 한다면, 속히 ‘감시자’ 자리에서 내려와 외부의 견제를 수용하는 결단부터 보여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자율규제’라는 이름의 변협 징계권, 이대로 괜찮은가 (바로가기)
로리더
2025-07-07
[기고] ‘자율규제’라는 이름의 변협 징계권, 이대로 괜찮은가
[기고] ‘자율규제’라는 이름의 변협 징계권, 이대로 괜찮은가
대한변호사협회는 법조 윤리를 수호하는 자율기구이자, 전체 변호사의 자정기능을 대표하는 조직이다. 그러나 본래의 목적인 ‘자정’을 위해 주어진 징계권이라는 칼날이, 과연 공익을 향하고 있는지 혹은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한 통제 수단으로 변질된 것은 아닌지, 이제는 사회가 그 칼끝의 방향을 묻고 있다.현행 「변호사법」 제91조 이하에 따르면 변협은 징계개시 청구부터 심사, 의결까지 전 과정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며, 그 제재 수준도 견책에서 영구제명까지 이른다. 형식상으로는 법무부 장관에게 통보되지만, 실질적 권한은 민간 직능단체인 변협에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제도적 우려가 제기된다.변협의 독점적 징계권은 타 전문직과 비교할 때 공적 책임의 원칙에 반하는 이례적 구조다. 의사는 보건복지부 산하 의사징계위원회가, 회계사와 세무사는 각각 금융위원회와 국세청 등 행정기관이 징계를 담당한다. 유독 변호사만이 공적 자격의 존폐를 민간 단체 스스로 결정하는 모순적 구조에 놓여 있으며, 이는 ‘자격에 대한 통제는 공권력에 의해야 한다’는 법치주의의 대원칙을 흔드는 논리적 결함을 지닌다.문제는 이러한 구조적 우려가 단지 이론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변협은 직선제로 선출된 회장이 주도하는 정치적 조직이며, 징계권이 특정 집단이나 이견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위험이 내재돼 있다. 실제로 변협은 일부 사안에서 징계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거나 예고하면서 내부 통제 장치의 부재를 드러냈다.이러한 구조적 위험이 현실화된 상징적 사건이 바로 ‘로톡 사태’다. 변협은 내부 회칙을 근거로 합법적 플랫폼을 이용하는 변호사들에게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사실상의 선택을 강요했다. 이는 내부 규정 위반이라는 해석에 따른 조치였으나, 언론과 시민사회는 이를 자율규제의 범위를 넘어선 징계권 남용이자, 합법적 광고 및 서비스 경쟁에 대한 시장질서 교란 행위로 평가하기도 하였다.이 문제는 단지 법조계 내부의 비판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으로 ‘독립된 변호사 징계기구 설치’가 등장했을 만큼 이는 이미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 부상했다. 변호사에 대한 징계는 단순한 직역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표현의 자유, 직업 수행의 자유, 국민의 알 권리 등 헌법적 가치와 긴밀히 연결된 공공 사안이다. 따라서 징계 구조의 개선은 직역의 내부 통제 차원을 넘어, 공적 자격을 둘러싼 헌법적 정당성과 민주적 책임의 문제로 접근돼야 한다.그렇기에 현재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치명적 위험을 내포한다.① 민간 단체가 공적 자격의 박탈 여부를 실질적으로 결정하고,② 그 판단 기준은 ‘품위 유지’와 같은 추상적 개념에 근거하며,③ 절차적 투명성과 외부 견제가 미흡하다는 점이다.이는 곧 징계권의 자의적 남용 가능성과 조직 정치화라는 이중의 위험으로 이어진다.지금은 변호사 징계제도에 대한 제도적 개편을 차분히 모색해 볼 시점이다. 징계권의 일부를 독립된 외부기구나 행정기관에 분산하고, 징계위원회에 외부 인사를 참여시키며, ‘품위 유지’와 같은 포괄 조항은 법률로 보다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징계 근거와 절차의 명확성, 예측 가능성, 비례원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법치 선진국들은 이미 이에 대한 명료한 해답을 내놓았다. 영국은 법률서비스규제청(SRA)과 변호사기준위원회(BSB) 등이 징계를 담당하며, 변호사협회와는 명확히 분리한다. 미국 역시 각 주 대법원이 징계권을 보유하며, 독립적 조사기구를 통해 감사를 진행한다. 미국 변호사협회(ABA)는 윤리규범 제정만을 담당하며, 징계에는 개입하지 않는다. 이는 자율성과 공정성을 조화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다.자율규제는 민주사회에서 직역단체가 신뢰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다. 그러나 그 전제는 공정성과 투명성, 그리고 권한에 대한 견제와 책임이다. 직능단체가 공적 자격의 생사여탈권을 독점하면서 그 권한을 자의적으로 행사하게 된다면, 우리는 결국 “감시받지 않는 감시자”를 법의 이름으로 용인하는 셈이다. 변협이 진정한 자율성의 권위를 인정받고자 한다면, 속히 ‘감시자’ 자리에서 내려와 외부의 견제를 수용하는 결단부터 보여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자율규제’라는 이름의 변협 징계권, 이대로 괜찮은가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07
휴대폰 팔았는데 보이스피싱 범죄 방조?...검찰, 대리점 점장 '불기소'
휴대폰 팔았는데 보이스피싱 범죄 방조?...검찰, 대리점 점장 '불기소'
檢 “대리점 판매원이 개통 목적 확인할 법적 의무는 없어” 보이스 피싱 범죄에 악용된 휴대전화를 판매하고 개통해 준 휴대폰 대리점 점장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검은 지난 5월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및 사기방조 혐의를 받던 40대 여성 A씨에 대해 무혐의 처분했다.A씨는 2021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휴대폰 대리점에서 점장으로 근무하던 중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에게 시가 700만 원에 달하는 휴대폰 4대를 개통해 준 혐의를 받았다. 경찰은 A씨가 해당 휴대폰이 이른바 ‘휴대폰깡’ 용도로 사용될 것을 알면서도 이를 용인해 범행을 방조했다고 판단, 수사를 벌였다.이에 대해 A씨는 경찰에서 “ 통신사 개통 매뉴얼에 따라 신분증을 확인했고, 개통 과정에서 특별히 의심할 만한 점은 없었다”라고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또 고가의 최신 단말기를 업무용으로 개통해 줬다는 경찰 수사 내용과 관련, “종종 고가의 폰을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도 주장했다. 사건을 송치받은 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A씨와 보이스피싱 조직 간 공모 의사가 인정되지 않는 데다 휴대폰 대리점주가 고객의 개통 목적까지 일일이 확인해야 할 법적 의무는 없다는 이유에서다. 더욱이 일부 휴대폰의 경우 , A씨가 아닌 직원이 개통한 사실도 확인됐다.검찰은 이런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A씨가 범행은 인식하지 않았다고 봤다.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정호 변호사는 “방조의 고의는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수 있을 정도로 증명되지 않으면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A씨는 통신사 개통 매뉴얼에 따라 업무를 수행했을 뿐, 휴대폰깡 범행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고 대가도 없었던 만큼 고의가 없다는 점이 인정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휴대폰 팔았는데 보이스피싱 범죄 방조?...검찰, 대리점 점장 '불기소'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07
휴대폰 팔았는데 보이스피싱 범죄 방조?...검찰, 대리점 점장 '불기소'
휴대폰 팔았는데 보이스피싱 범죄 방조?...검찰, 대리점 점장 '불기소'
檢 “대리점 판매원이 개통 목적 확인할 법적 의무는 없어” 보이스 피싱 범죄에 악용된 휴대전화를 판매하고 개통해 준 휴대폰 대리점 점장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검은 지난 5월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및 사기방조 혐의를 받던 40대 여성 A씨에 대해 무혐의 처분했다.A씨는 2021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휴대폰 대리점에서 점장으로 근무하던 중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에게 시가 700만 원에 달하는 휴대폰 4대를 개통해 준 혐의를 받았다. 경찰은 A씨가 해당 휴대폰이 이른바 ‘휴대폰깡’ 용도로 사용될 것을 알면서도 이를 용인해 범행을 방조했다고 판단, 수사를 벌였다.이에 대해 A씨는 경찰에서 “ 통신사 개통 매뉴얼에 따라 신분증을 확인했고, 개통 과정에서 특별히 의심할 만한 점은 없었다”라고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또 고가의 최신 단말기를 업무용으로 개통해 줬다는 경찰 수사 내용과 관련, “종종 고가의 폰을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도 주장했다. 사건을 송치받은 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A씨와 보이스피싱 조직 간 공모 의사가 인정되지 않는 데다 휴대폰 대리점주가 고객의 개통 목적까지 일일이 확인해야 할 법적 의무는 없다는 이유에서다. 더욱이 일부 휴대폰의 경우 , A씨가 아닌 직원이 개통한 사실도 확인됐다.검찰은 이런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A씨가 범행은 인식하지 않았다고 봤다.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정호 변호사는 “방조의 고의는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수 있을 정도로 증명되지 않으면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A씨는 통신사 개통 매뉴얼에 따라 업무를 수행했을 뿐, 휴대폰깡 범행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고 대가도 없었던 만큼 고의가 없다는 점이 인정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휴대폰 팔았는데 보이스피싱 범죄 방조?...검찰, 대리점 점장 '불기소' (바로가기)
조선비즈
2025-07-03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SNS서 설루션·컨설팅 광고 기승브로커들이 채무자 개인회생 컨설팅“채무자 위험 부담 크고 사회적 해악” “국가에서 장려하는 개인회생 제도로 90% 탕감받으세요.” 최근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광고 문구입니다. “당장 회생 생각 없어도 탕감액 확인” “정부 제도로 대출금 90% 줄이는 방법” 등 대출 부담을 줄여주겠다며 현혹하는 문구들이 눈에 띕니다. 심지어 몇몇 광고는 대한민국 정부 공식 로고인 태극 상징과 함께 ‘국가채무탕감지원센터’라고 당당히 밝힙니다. 공공기관이구나 싶어 광고 속 링크를 타고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이게 웬걸, 로펌 상담을 유도합니다.최근 이재명 정부의 배드뱅크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자 SNS에 개인회생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변호사는 물론 개인회생 대리 자격이 없는 이들까지 ‘설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적극적인 홍보를 펼치는 중입니다. 문제는 최근 자주 등장하는 설루션 광고들이 ‘어떠한 빚도 감면받게 해준다’며 개인회생 오남용을 부추긴다는 점입니다. 정부가 연체 채권을 일괄 소각하는 배드뱅크 정책이 추진되는 상황 속 ‘내 빚도 없앨 수 있을까’ 하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업입니다.설루션 광고를 벌이는 이들의 정체는 다양합니다. 중소형 로펌이 직접 광고를 내기도 하며 때로는 대출중개인, 대부업체, 불법사금융업자 등이 연루돼 있습니다. 광고 주체는 제각기 다르지만, 이들의 목표는 하나입니다. 개인회생 수임을 늘려 돈을 챙기는 것입니다. 먼저 대출중개인, 대부업체 등은 브로커 역할을 맡습니다. 이들은 설루션 혹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채무자들을 꾑니다. 브로커들은 개인회생 기준을 맞추는 방법을 알려주고 협업을 맺은 변호사에게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브로커들은 이 과정에서 변호사들에게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러한 설루션 영업 행위,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우선, 위법 소지가 있습니다. 변호사 자격증이 없는 이들이 채무조정 대리 행위 일부를 하며 수수료를 대가로 변호사에게 사건을 넘기는 것은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게다가 브로커를 낀 설루션은 채무자에게도 불이익을 안겨줍니다. 통상 개인회생 변호사 선임 비용은 200만500만원으로 형성됩니다. 이 중 브로커는 2030%가량을 수수료로 챙깁니다. 변호사 입장에선 브로커 수수료를 내야 하니 채무자에게서 돈을 더 받게 됩니다.무엇보다 설루션 브로커들의 컨설팅 행위는 채무자에게 예기치 못한 위험을 안깁니다. 브로커들은 채무자의 여러 조건을 포장해 채무조정을 받게 해주겠다고 속삭입니다. 대출금 사용처를 속이거나 일부 증빙 서류를 은닉하라고 부추깁니다. 그러나 법률 전문가들에 따르면 브로커의 말을 듣고 부정행위를 저질러도 개인회생 절차 중 적발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이러한 부정행위가 밝혀지면 책임은 오롯이 채무자의 몫입니다. 개인회생 실패를 넘어 법원을 상대로 기망 행위를 벌였다는 혐의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정일우 법무법인 대륜 책임변호사는 “최근 개인회생 관련 잘못된 정보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다”며 “채무자가 직접 도산 전문 변호사를 찾아 상담받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라고 말했습니다.게다가 음지에서 일어나는 설루션 영업은 우리 사회에도 해악입니다. ‘대출을 갚지 않아도 된다’는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를 조장하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개인회생 오남용은 사회적 비용을 증대시킵니다. 꼭 필요한 이들만 받아야 할 제도의 취지가 오염되는 것입니다. 윤정원 대한법률구조공단 개인회생·파산지원센터장은 “당장 돈을 갚기 싫다고 개인회생을 이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꼭 필요하지 않은 개인회생이 증가하면 공공 재원을 갉아먹어 사회적 비용이 증가한다”고 짚었습니다.김태호 기자 (teo@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바로가기)
조선비즈
2025-07-03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SNS서 설루션·컨설팅 광고 기승브로커들이 채무자 개인회생 컨설팅“채무자 위험 부담 크고 사회적 해악” “국가에서 장려하는 개인회생 제도로 90% 탕감받으세요.” 최근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광고 문구입니다. “당장 회생 생각 없어도 탕감액 확인” “정부 제도로 대출금 90% 줄이는 방법” 등 대출 부담을 줄여주겠다며 현혹하는 문구들이 눈에 띕니다. 심지어 몇몇 광고는 대한민국 정부 공식 로고인 태극 상징과 함께 ‘국가채무탕감지원센터’라고 당당히 밝힙니다. 공공기관이구나 싶어 광고 속 링크를 타고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이게 웬걸, 로펌 상담을 유도합니다.최근 이재명 정부의 배드뱅크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자 SNS에 개인회생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변호사는 물론 개인회생 대리 자격이 없는 이들까지 ‘설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적극적인 홍보를 펼치는 중입니다. 문제는 최근 자주 등장하는 설루션 광고들이 ‘어떠한 빚도 감면받게 해준다’며 개인회생 오남용을 부추긴다는 점입니다. 정부가 연체 채권을 일괄 소각하는 배드뱅크 정책이 추진되는 상황 속 ‘내 빚도 없앨 수 있을까’ 하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업입니다.설루션 광고를 벌이는 이들의 정체는 다양합니다. 중소형 로펌이 직접 광고를 내기도 하며 때로는 대출중개인, 대부업체, 불법사금융업자 등이 연루돼 있습니다. 광고 주체는 제각기 다르지만, 이들의 목표는 하나입니다. 개인회생 수임을 늘려 돈을 챙기는 것입니다. 먼저 대출중개인, 대부업체 등은 브로커 역할을 맡습니다. 이들은 설루션 혹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채무자들을 꾑니다. 브로커들은 개인회생 기준을 맞추는 방법을 알려주고 협업을 맺은 변호사에게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브로커들은 이 과정에서 변호사들에게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러한 설루션 영업 행위,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우선, 위법 소지가 있습니다. 변호사 자격증이 없는 이들이 채무조정 대리 행위 일부를 하며 수수료를 대가로 변호사에게 사건을 넘기는 것은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게다가 브로커를 낀 설루션은 채무자에게도 불이익을 안겨줍니다. 통상 개인회생 변호사 선임 비용은 200만500만원으로 형성됩니다. 이 중 브로커는 2030%가량을 수수료로 챙깁니다. 변호사 입장에선 브로커 수수료를 내야 하니 채무자에게서 돈을 더 받게 됩니다.무엇보다 설루션 브로커들의 컨설팅 행위는 채무자에게 예기치 못한 위험을 안깁니다. 브로커들은 채무자의 여러 조건을 포장해 채무조정을 받게 해주겠다고 속삭입니다. 대출금 사용처를 속이거나 일부 증빙 서류를 은닉하라고 부추깁니다. 그러나 법률 전문가들에 따르면 브로커의 말을 듣고 부정행위를 저질러도 개인회생 절차 중 적발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이러한 부정행위가 밝혀지면 책임은 오롯이 채무자의 몫입니다. 개인회생 실패를 넘어 법원을 상대로 기망 행위를 벌였다는 혐의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정일우 법무법인 대륜 책임변호사는 “최근 개인회생 관련 잘못된 정보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다”며 “채무자가 직접 도산 전문 변호사를 찾아 상담받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라고 말했습니다.게다가 음지에서 일어나는 설루션 영업은 우리 사회에도 해악입니다. ‘대출을 갚지 않아도 된다’는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를 조장하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개인회생 오남용은 사회적 비용을 증대시킵니다. 꼭 필요한 이들만 받아야 할 제도의 취지가 오염되는 것입니다. 윤정원 대한법률구조공단 개인회생·파산지원센터장은 “당장 돈을 갚기 싫다고 개인회생을 이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꼭 필요하지 않은 개인회생이 증가하면 공공 재원을 갉아먹어 사회적 비용이 증가한다”고 짚었습니다.김태호 기자 (teo@chosunbiz.com) [기사전문보기]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7-03
손해배상채권 양도받은 지입차주…法 “청구권한 있어”
손해배상채권 양도받은 지입차주…法 “청구권한 있어”
서류상 차량 소유주가 아닌 지입차주도 지입 회사로부터 손해배상 청구권을 양도받았다면 청구권자에 해당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은 지난달 4일 화물 지입차주 A씨 등 2명이 전국화물자동차운송연합회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3년 화물 트럭을 구매해 운수회사에 지입했고, 이후 기사 B씨가 차량 운전 업무를 맡았다.이후 같은해 10월 B씨는 운전 중 옆차선을 달리던 한 화물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당했다. 이에 두 사람은 해당 화물차량에 대한 공제계약을 체결한 전국화물자동차운송연합회를 상대로 수리비 등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연합회 측이 이를 거절하면서 소송이 시작됐다,연합회측은 화물차량 운전자의 과실에 대해 일부 인정하면서도 A씨의 청구는 기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사고 차량의 지입차주일뿐, 자동차등록증상 소유주는 운수회사이기에 손해배상청구를 주장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이에 A씨는 운수회사로부터 교통사고와 관련한 손해배상채권 일체를 양도받았기에 청구권한이 있다고 반박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차량 소유자인 운수회사로부터 손해배상채권을 양도받았기에 물적피해 등에 대한 청구권자의 지위에 있다"며 "피고측 차량이 갑작스레 방향 전환을 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았다"고 말했다.이어 "사고의 주된 책임은 피고측 운전자에게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면서 "피고는 원고측 차량의 수리비와 운전자에 대한 위자료 등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A씨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낙형 변호사는 "연합회측은 '대외적으로 차량의 소유자인 회사의 위임을 받은 지입차주가 지입회사를 대리한 행위로서 법률효과는 지입회사에 귀속된다'는 판례를 들어 청구권의 부당함을 주장했다"며 "이를 고려해 재판 과정에서 지입회사로부터 손해배상채권에 대한 양도 의사를 받아냈고, 연합회측의 주장을 무력화 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손해배상채권 양도받은 지입차주…法 “청구권한 있어”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7-03
손해배상채권 양도받은 지입차주…法 “청구권한 있어”
손해배상채권 양도받은 지입차주…法 “청구권한 있어”
서류상 차량 소유주가 아닌 지입차주도 지입 회사로부터 손해배상 청구권을 양도받았다면 청구권자에 해당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은 지난달 4일 화물 지입차주 A씨 등 2명이 전국화물자동차운송연합회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3년 화물 트럭을 구매해 운수회사에 지입했고, 이후 기사 B씨가 차량 운전 업무를 맡았다.이후 같은해 10월 B씨는 운전 중 옆차선을 달리던 한 화물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당했다. 이에 두 사람은 해당 화물차량에 대한 공제계약을 체결한 전국화물자동차운송연합회를 상대로 수리비 등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연합회 측이 이를 거절하면서 소송이 시작됐다,연합회측은 화물차량 운전자의 과실에 대해 일부 인정하면서도 A씨의 청구는 기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사고 차량의 지입차주일뿐, 자동차등록증상 소유주는 운수회사이기에 손해배상청구를 주장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이에 A씨는 운수회사로부터 교통사고와 관련한 손해배상채권 일체를 양도받았기에 청구권한이 있다고 반박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차량 소유자인 운수회사로부터 손해배상채권을 양도받았기에 물적피해 등에 대한 청구권자의 지위에 있다"며 "피고측 차량이 갑작스레 방향 전환을 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았다"고 말했다.이어 "사고의 주된 책임은 피고측 운전자에게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면서 "피고는 원고측 차량의 수리비와 운전자에 대한 위자료 등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A씨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낙형 변호사는 "연합회측은 '대외적으로 차량의 소유자인 회사의 위임을 받은 지입차주가 지입회사를 대리한 행위로서 법률효과는 지입회사에 귀속된다'는 판례를 들어 청구권의 부당함을 주장했다"며 "이를 고려해 재판 과정에서 지입회사로부터 손해배상채권에 대한 양도 의사를 받아냈고, 연합회측의 주장을 무력화 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손해배상채권 양도받은 지입차주…法 “청구권한 있어”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7-02
불법 의료행위 신고당한 피부관리업체 무혐의
불법 의료행위 신고당한 피부관리업체 무혐의
부산 한 피부관리업체 30대 사장이 의료인만 가능한 피부 시술을 불법으로 하고 있다는 신고에 따라 경찰 조사를 받게 됐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없음 처분을 받았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연제경찰서는 지난 5월 의료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30대 A씨를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9월부터 피부관리업체를 운영하면서 0.2㎜ 길이 바늘이 부착된 기기를 이용해 고객에게 피부 시술을 한 혐의를 받았다. A씨는 올해 2월 누군가 구청에 “A씨가 운영하는 가게에서 의료인만 할 수 있는 피부 시술을 하고 있으며, 이를 SNS에 광고하고 있다”고 신고하면서 구청과 경찰 조사를 받게 됐다.현행법상 피부 시술은 의료 행위로 분류되며, 무면허 의료행위를 하면 5년 이하의 징역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경찰 조사에서 A씨는 “매장에서 의료행위를 하지 않았으며, 문제가 된 기기는 구청 단속에서도 위법이 아니라는 결론이 났다”고 주장했다. 경찰도 수사 결과 A씨가 사용한 기기를 의료용으로 단정할 수 없으므로, 이 기기를 사용해 의료행위를 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손윤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구청 단속 결과뿐 아니라 의료법을 적용하는 보건소에서도 A씨가 사용한 기기는 의료기기가 아니라고 판단해 현장 단속도 하지 않았다. 또 A씨가 사용한 기기와 같은 형태의 기구는 가정용 피부미용 기기로 분류돼 온라인에서 누구든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런 자료를 제출해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없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불법 의료행위 신고당한 피부관리업체 무혐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7-02
불법 의료행위 신고당한 피부관리업체 무혐의
불법 의료행위 신고당한 피부관리업체 무혐의
부산 한 피부관리업체 30대 사장이 의료인만 가능한 피부 시술을 불법으로 하고 있다는 신고에 따라 경찰 조사를 받게 됐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없음 처분을 받았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연제경찰서는 지난 5월 의료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30대 A씨를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9월부터 피부관리업체를 운영하면서 0.2㎜ 길이 바늘이 부착된 기기를 이용해 고객에게 피부 시술을 한 혐의를 받았다. A씨는 올해 2월 누군가 구청에 “A씨가 운영하는 가게에서 의료인만 할 수 있는 피부 시술을 하고 있으며, 이를 SNS에 광고하고 있다”고 신고하면서 구청과 경찰 조사를 받게 됐다.현행법상 피부 시술은 의료 행위로 분류되며, 무면허 의료행위를 하면 5년 이하의 징역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경찰 조사에서 A씨는 “매장에서 의료행위를 하지 않았으며, 문제가 된 기기는 구청 단속에서도 위법이 아니라는 결론이 났다”고 주장했다. 경찰도 수사 결과 A씨가 사용한 기기를 의료용으로 단정할 수 없으므로, 이 기기를 사용해 의료행위를 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손윤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구청 단속 결과뿐 아니라 의료법을 적용하는 보건소에서도 A씨가 사용한 기기는 의료기기가 아니라고 판단해 현장 단속도 하지 않았다. 또 A씨가 사용한 기기와 같은 형태의 기구는 가정용 피부미용 기기로 분류돼 온라인에서 누구든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런 자료를 제출해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없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불법 의료행위 신고당한 피부관리업체 무혐의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3곳
2025-07-02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기업 준법경영 체계 강화·ESG 대응 역량 제고 위한 통합 솔루션 제공김국일 대표 “기업 자문 경험 바탕으로 준법·지속가능한 운영 조력할 것”의료법률 분쟁 선제적 대응위해 한국의료재단과도 전략적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준법진흥원(주), ESGI(주)와 MOU를 체결하고 기업 대상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등급평가) 및 ESG 통합 대응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지난달 30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손계준 변호사와 한국준법진흥원 이정명 원장, ESGI 용석광 대표 등이 참석했다.한국준법진흥원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경영시스템의 인증심사를 기준으로 기업의 부패방지, 준법·컴플라이언스 등을 인증심사 및 심사원 자격을 양성하는 인증기관이다. 아울러 ESGI는 기업의 ESG 컨설팅, CSDD 컨설팅, 공정거래 CP 컨설팅 등 ESG 경영의 실현을 위한 전문 지식과 해결책을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 기업이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기업의 준법경영 체계 강화와 ESG 대응 역량 제고를 위한 통합 솔루션을 구축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임직원 대상 준법·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문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및 인증 대응 자문 ▲ESG 경영 관련 법적 리스크에 대한 사전 점검 및 대응 매뉴얼 제공 등 기업 맞춤형 지원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한국준법진흥원 이정명 원장은 "이번 MOU를 통해 기업 고객들이 보다 정교한 준법 체계와 실무 교육을 한 번에 받을 수 있게 됐다"며 "실제 운영 과정에서의 위험 예방과 대응 역량이 크게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ESGI 용석광 대표는 "기업들이 ESG경영을 실제 경영 전략으로 연결시키는 데에는 법률·교육·실행체계가 함께 맞물려야 한다"며 "대륜과의 협력이 그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기업 운영에 있어 ESG·준법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대륜이 가진 기업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준법과 지속가능성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며 윤리경영 정책 수립,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운영 및 내부조사, 대정부 규제 대응 등 기업들에게 윤리경영과 관련한 전반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이에스지아이와 MOU 체결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3곳
2025-07-02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기업 준법경영 체계 강화·ESG 대응 역량 제고 위한 통합 솔루션 제공김국일 대표 “기업 자문 경험 바탕으로 준법·지속가능한 운영 조력할 것”의료법률 분쟁 선제적 대응위해 한국의료재단과도 전략적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준법진흥원(주), ESGI(주)와 MOU를 체결하고 기업 대상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등급평가) 및 ESG 통합 대응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지난달 30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손계준 변호사와 한국준법진흥원 이정명 원장, ESGI 용석광 대표 등이 참석했다.한국준법진흥원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경영시스템의 인증심사를 기준으로 기업의 부패방지, 준법·컴플라이언스 등을 인증심사 및 심사원 자격을 양성하는 인증기관이다. 아울러 ESGI는 기업의 ESG 컨설팅, CSDD 컨설팅, 공정거래 CP 컨설팅 등 ESG 경영의 실현을 위한 전문 지식과 해결책을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 기업이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기업의 준법경영 체계 강화와 ESG 대응 역량 제고를 위한 통합 솔루션을 구축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임직원 대상 준법·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문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및 인증 대응 자문 ▲ESG 경영 관련 법적 리스크에 대한 사전 점검 및 대응 매뉴얼 제공 등 기업 맞춤형 지원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한국준법진흥원 이정명 원장은 "이번 MOU를 통해 기업 고객들이 보다 정교한 준법 체계와 실무 교육을 한 번에 받을 수 있게 됐다"며 "실제 운영 과정에서의 위험 예방과 대응 역량이 크게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ESGI 용석광 대표는 "기업들이 ESG경영을 실제 경영 전략으로 연결시키는 데에는 법률·교육·실행체계가 함께 맞물려야 한다"며 "대륜과의 협력이 그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기업 운영에 있어 ESG·준법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대륜이 가진 기업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준법과 지속가능성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며 윤리경영 정책 수립,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운영 및 내부조사, 대정부 규제 대응 등 기업들에게 윤리경영과 관련한 전반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준법진흥원·이에스지아이와 MOU 체결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한국준법진흥원·ESGI와 MOU 체결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7-02
[전문가기고] 협의 이혼과 재판상 이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전문가기고] 협의 이혼과 재판상 이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이혼을 결심하는 과정은 누구에게나 고통스럽다. 많은 이들이 이혼을 고민하며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은 '협의이혼과 재판상이혼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가?'다. 이혼의 유형은 단순한 절차상의 차이를 넘어, 당사자의 의사 합치 여부, 갈등의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혼을 고려하고 있다면, 먼저 두 제도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먼저 부부 간 이혼에 대한 합의가 가능하다면 협의이혼이 가장 단순하고 신속한 방법이다. 법원이 당사자 사이의 이혼 사유 등 원인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절차적 요건을 충족했는지 점검하는 형식에 가깝다. 하지만 이혼에 대한 합치된 의사로 끝나는 쉬운 일은 아니다.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권 및 양육비 등 구체적인 합의사항을 명확히 하지 않는다면 또 다시 분쟁으로 이어지는 일이 다수이다.반대로 일방이 이혼에 동의하지 않거나, 양육권·재산분할 등 주요 사안에서 합의가 어려운 경우에는 재판상이혼 절차를 밝아야 한다. 재판상이혼은 민법상의 사유(예컨대 배우자의 부정행위, 유기, 심히 부당한 대우 등)가 있어야 하며, 그에 대한 입증 책임은 소송을 제기한 쪽에 있다. 이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상대방의 은닉 재산을 밝혀내거나 귀책 사유를 인정받아 위자료를 청구하는 등 정당한 권리를 회복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조정을 통해 분쟁을 비교적 빠르게 종결하는 경우도 많다. .이혼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다. 그렇기에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법률적 전략과 이해관계에 기반하여 이혼 방식과 절차를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실제로 협의이혼을 마친 후 다시 양육권이나 재산분할을 두고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이혼 당시 충분한 법률 자문 없이 감정적으로 서둘러 결정을 내린 데서 비롯된다.이혼을 고민하고 있다면, 절차를 성급히 결정하기보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방식을 신중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객관적인 시각과 법적 기준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협의 이혼과 재판상 이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7-02
[전문가기고] 협의 이혼과 재판상 이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전문가기고] 협의 이혼과 재판상 이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이혼을 결심하는 과정은 누구에게나 고통스럽다. 많은 이들이 이혼을 고민하며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은 '협의이혼과 재판상이혼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가?'다. 이혼의 유형은 단순한 절차상의 차이를 넘어, 당사자의 의사 합치 여부, 갈등의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혼을 고려하고 있다면, 먼저 두 제도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먼저 부부 간 이혼에 대한 합의가 가능하다면 협의이혼이 가장 단순하고 신속한 방법이다. 법원이 당사자 사이의 이혼 사유 등 원인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절차적 요건을 충족했는지 점검하는 형식에 가깝다. 하지만 이혼에 대한 합치된 의사로 끝나는 쉬운 일은 아니다.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권 및 양육비 등 구체적인 합의사항을 명확히 하지 않는다면 또 다시 분쟁으로 이어지는 일이 다수이다.반대로 일방이 이혼에 동의하지 않거나, 양육권·재산분할 등 주요 사안에서 합의가 어려운 경우에는 재판상이혼 절차를 밝아야 한다. 재판상이혼은 민법상의 사유(예컨대 배우자의 부정행위, 유기, 심히 부당한 대우 등)가 있어야 하며, 그에 대한 입증 책임은 소송을 제기한 쪽에 있다. 이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상대방의 은닉 재산을 밝혀내거나 귀책 사유를 인정받아 위자료를 청구하는 등 정당한 권리를 회복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조정을 통해 분쟁을 비교적 빠르게 종결하는 경우도 많다. .이혼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다. 그렇기에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법률적 전략과 이해관계에 기반하여 이혼 방식과 절차를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실제로 협의이혼을 마친 후 다시 양육권이나 재산분할을 두고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이혼 당시 충분한 법률 자문 없이 감정적으로 서둘러 결정을 내린 데서 비롯된다.이혼을 고민하고 있다면, 절차를 성급히 결정하기보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방식을 신중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객관적인 시각과 법적 기준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기고] 협의 이혼과 재판상 이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등 4곳
2025-07-02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국내 건강검진 전문기관인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 1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한국의료재단 계원우 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지난 2005년 설립된 한국의료재단은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서울 IFC에 위치한 고급형 종합검진센터를 중심으로 첨단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밀로이드 PET 등 뇌신경 질환 조기진단을 포함한 고도화된 검진 시스템, 의료진 중심의 정밀 문진 및 사후 상담 체계, 모바일 기반 건강관리 플랫폼 등을 운영 중이며, 검진 외에도 사회공헌 및 국제 의료지원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3,4주기 국가건강검진 기관평가에서 일반검진·대장암·간암·유방암·자궁경부암 부문 ‘최우수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정기 협의체를 구성해 ▲의료 관련 각종 사건사고·분쟁 대응 ▲의료기관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법률 솔루션 제공 ▲환자 권리 보호 체계 및 법률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성 ▲해외진출을 위한 법률자문 등 다양한 과제를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의료재단 계원우 이사는 “의료기관의 신뢰는 전문성과 투명성 위에 세워지는 만큼, 법률 파트너십은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며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책임 있는 의료서비스 환경을 완성해가겠다”고 밝혔다.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의료제약그룹을 필두로 해당 분야에 대한 뛰어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며 “의료기관이 직면하는 법적 리스크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고, 재단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법률 파트너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 나아가 의료사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법적 자문도 제공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의료자문’ MOU (바로가기) 메디파나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의료자문'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의료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등 4곳
2025-07-02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국내 건강검진 전문기관인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 1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한국의료재단 계원우 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지난 2005년 설립된 한국의료재단은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서울 IFC에 위치한 고급형 종합검진센터를 중심으로 첨단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밀로이드 PET 등 뇌신경 질환 조기진단을 포함한 고도화된 검진 시스템, 의료진 중심의 정밀 문진 및 사후 상담 체계, 모바일 기반 건강관리 플랫폼 등을 운영 중이며, 검진 외에도 사회공헌 및 국제 의료지원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3,4주기 국가건강검진 기관평가에서 일반검진·대장암·간암·유방암·자궁경부암 부문 ‘최우수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정기 협의체를 구성해 ▲의료 관련 각종 사건사고·분쟁 대응 ▲의료기관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법률 솔루션 제공 ▲환자 권리 보호 체계 및 법률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성 ▲해외진출을 위한 법률자문 등 다양한 과제를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의료재단 계원우 이사는 “의료기관의 신뢰는 전문성과 투명성 위에 세워지는 만큼, 법률 파트너십은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며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책임 있는 의료서비스 환경을 완성해가겠다”고 밝혔다.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의료제약그룹을 필두로 해당 분야에 대한 뛰어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며 “의료기관이 직면하는 법적 리스크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고, 재단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법률 파트너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 나아가 의료사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법적 자문도 제공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전략적 MOU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의료자문’ MOU (바로가기) 메디파나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의료자문'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한국의료재단과 ‘의료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02
주민 집단 민원 이유로 축사 설립 불허..法 "위법한 처분"
주민 집단 민원 이유로 축사 설립 불허..法 "위법한 처분"
주민 집단 민원을 이유로 축사 설립을 불허한 결정은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법 제1행정부는 지난달 19일 50대 남성 A씨가 전남 고흥군을 상대로 낸 건축불허가처분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축사를 짓기 위한 건축 허가 신청서를 군에 제출했습니다.이와 관련한 사전심의 업무를 담당하던 군계획분과위원회는 A씨에게 축사 건설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했습니다.그러나 위원회는 돌연 인근 주민들의 잇따른 민원으로 원만한 해결이 필요하다며, 해당 안건을 부결했습니다.이후 군도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역 주민의 주거 및 농업 환경의 피해 발생 우려'를 사유로 불허 처분을 내렸습니다.이에 A씨는 이의 신청을 제기했으나 기각됐고, 결국 행정 소송을 냈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신청서에 기재된 환경오염 예방책을 둘러싼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았는데도 집단 민원만을 이유로 건축을 제한하는 것은 위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피고는 분과위원회의 심의 결과가 부결인 점을 먼저 제시하고, 이어서 인접마을 주민의 축사 신축 반대의견과 국토계획법령상 사유를 추상적으로 제시했다"며 "피고는 사실상 심의 결과에 따라 법령에 근거규정이 없는 민원을 주된 사유로 처분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습니다.이어 "축사는 마을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고, 진입로 또한 마을을 통과하지 않아 피고가 주장하는 피해 발생 우려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피고는 원고가 제출한 예방책의 실현가능성에 관해 충분한 검토를 거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준성 변호사는 "국토계획법령에 의하면 개발 행위로 인해 환경오염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더라도, 이에 대한 방지가 가능해 허가 조건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개발을 허가할 수 있다"면서, "A씨는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증거 및 예방책을 자세하게 설명한 반면, 군은 막연히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을 것이라는 취지의 주장만 반복해 법원이 A씨의 청구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주민 집단 민원 이유로 축사 설립 불허..法 "위법한 처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7-02
주민 집단 민원 이유로 축사 설립 불허..法 "위법한 처분"
주민 집단 민원 이유로 축사 설립 불허..法 "위법한 처분"
주민 집단 민원을 이유로 축사 설립을 불허한 결정은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법 제1행정부는 지난달 19일 50대 남성 A씨가 전남 고흥군을 상대로 낸 건축불허가처분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축사를 짓기 위한 건축 허가 신청서를 군에 제출했습니다.이와 관련한 사전심의 업무를 담당하던 군계획분과위원회는 A씨에게 축사 건설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했습니다.그러나 위원회는 돌연 인근 주민들의 잇따른 민원으로 원만한 해결이 필요하다며, 해당 안건을 부결했습니다.이후 군도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역 주민의 주거 및 농업 환경의 피해 발생 우려'를 사유로 불허 처분을 내렸습니다.이에 A씨는 이의 신청을 제기했으나 기각됐고, 결국 행정 소송을 냈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신청서에 기재된 환경오염 예방책을 둘러싼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았는데도 집단 민원만을 이유로 건축을 제한하는 것은 위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피고는 분과위원회의 심의 결과가 부결인 점을 먼저 제시하고, 이어서 인접마을 주민의 축사 신축 반대의견과 국토계획법령상 사유를 추상적으로 제시했다"며 "피고는 사실상 심의 결과에 따라 법령에 근거규정이 없는 민원을 주된 사유로 처분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습니다.이어 "축사는 마을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고, 진입로 또한 마을을 통과하지 않아 피고가 주장하는 피해 발생 우려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피고는 원고가 제출한 예방책의 실현가능성에 관해 충분한 검토를 거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준성 변호사는 "국토계획법령에 의하면 개발 행위로 인해 환경오염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더라도, 이에 대한 방지가 가능해 허가 조건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개발을 허가할 수 있다"면서, "A씨는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증거 및 예방책을 자세하게 설명한 반면, 군은 막연히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을 것이라는 취지의 주장만 반복해 법원이 A씨의 청구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주민 집단 민원 이유로 축사 설립 불허..法 "위법한 처분" (바로가기)
로이슈
2025-07-01
'온라인 플랫폼 시대' 수수료 갑질 등 규제 시동…불공정거래 신고 대응은?
'온라인 플랫폼 시대' 수수료 갑질 등 규제 시동…불공정거래 신고 대응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공정거래 분야에도 큰 변화가 예고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인력 충원을 지시하면서, 공정위의 역할 확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같은 지시가 내려진 배경에는 소상공인의 누적된 고통이 있다. e커머스, 배달앱 등 거대 플랫폼 기업들이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하고, 불공정한 거래 관행을 지속하면서 이들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온라인 플랫폼을 둘러싼 규제의 목소리가 나온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소상공인연합회나 참여연대 등은 이미 지난 2020년부터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이하 온플법)’ 제정을 요구하며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온플법은 플랫폼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 남용, 불공정거래, 독점 문제에 대한 규제를 담고 있다. 앞서 이 대통령 역시 이 온플법 제정을 공약하며, 입점업체를 보호하고 국내외 거대 플랫폼의 독점적 지위 남용과 독과점을 막겠다고 강조했다.실제 지난해 공정위의 ‘2024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공정위가 처리한 사건은 총 2,496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과징금 처분이 내려진 사건은 124건이며, 전체 과징금 액수는 4,227억원이었다. 법 위반 유형별로 살펴보면, 불공정거래 행위가 2,123억 원으로 가장 비중이 컸고, 그 다음은 부당공동행위(1,701억원)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플랫폼 불공정거래 행위와 관련한 대대적인 조사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 온라인플랫폼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법률은 존재하지 않아 공정거래법이 일반법의 성격을 갖는 이상, 온플법 제정 전까지는 공정거래법에 의해 규율될 것으로 보인다.일반적으로 공정위는 공정거래법 규정에 위반한 혐의가 있다고 인정될 시 직권으로 필요한 조사를 할 수 있다. 또, 누구든지 법 위반 행위를 신고할 수 있으며, 신고방법은 공식홈페이지 혹은 공정위 민원실 방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출하면 된다.보통 법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심사할 공무원(심사관)이 지정되고 조사가 진행된다. 사건 조사·심사 단계에서는 필요한 경우, ① 당사자, 이해관계인 또는 참고인의 출석 및 의견 청취, ② 감정인의 지정 및 감정의 위촉, ③ 사업자, 사업자단체 또는 임직원에 대해 원가 및 경영상황에 대한 보고, 기타 필요한 자료나 물건의 제출을 명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위 조사는 법적 성질로는 행정조사로서 임의수사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일정 부분 강제력을 수반한다. 따라서 조사거부 혹은 방해 시 과태료, 이행강제금, 형사벌이 부과될 수 있다.공정위의 심의절차는 직권주의 구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심리는 구술심리를 기본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서면심리가 이뤄진다. 사건에 대한 심의절차가 종료되면 회의 구성 위원들 간의 합의 및 의결 절차가 진행된다. 또, 공정위의 처분에 불복한다면 자료열람요구권, 이의신청, 불복의 소 등의 절차를 거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불공정거래 행위 등으로 공정위 조사 대상이 된 경우 자료를 임의로 삭제하거나 은닉해서는 안된다. 조사에는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좋다”며 “조사 과정에서는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특히 공정위 사건은 형사사건과 유사하게 진행되고, 공정거래 관련 법 특성상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영역이다보니 변호사를 통해 의견서를 제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신고자일 경우 법 위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해 놓아야 한다”며 “관련 자료 수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니 조사 및 조정 절차 진행을 위해 법률전문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온라인 플랫폼 시대' 수수료 갑질 등 규제 시동…불공정거래 신고 대응은? (바로가기)
로이슈
2025-07-01
'온라인 플랫폼 시대' 수수료 갑질 등 규제 시동…불공정거래 신고 대응은?
'온라인 플랫폼 시대' 수수료 갑질 등 규제 시동…불공정거래 신고 대응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공정거래 분야에도 큰 변화가 예고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인력 충원을 지시하면서, 공정위의 역할 확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같은 지시가 내려진 배경에는 소상공인의 누적된 고통이 있다. e커머스, 배달앱 등 거대 플랫폼 기업들이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하고, 불공정한 거래 관행을 지속하면서 이들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온라인 플랫폼을 둘러싼 규제의 목소리가 나온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소상공인연합회나 참여연대 등은 이미 지난 2020년부터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이하 온플법)’ 제정을 요구하며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온플법은 플랫폼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 남용, 불공정거래, 독점 문제에 대한 규제를 담고 있다. 앞서 이 대통령 역시 이 온플법 제정을 공약하며, 입점업체를 보호하고 국내외 거대 플랫폼의 독점적 지위 남용과 독과점을 막겠다고 강조했다.실제 지난해 공정위의 ‘2024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공정위가 처리한 사건은 총 2,496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과징금 처분이 내려진 사건은 124건이며, 전체 과징금 액수는 4,227억원이었다. 법 위반 유형별로 살펴보면, 불공정거래 행위가 2,123억 원으로 가장 비중이 컸고, 그 다음은 부당공동행위(1,701억원)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플랫폼 불공정거래 행위와 관련한 대대적인 조사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 온라인플랫폼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법률은 존재하지 않아 공정거래법이 일반법의 성격을 갖는 이상, 온플법 제정 전까지는 공정거래법에 의해 규율될 것으로 보인다.일반적으로 공정위는 공정거래법 규정에 위반한 혐의가 있다고 인정될 시 직권으로 필요한 조사를 할 수 있다. 또, 누구든지 법 위반 행위를 신고할 수 있으며, 신고방법은 공식홈페이지 혹은 공정위 민원실 방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출하면 된다.보통 법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심사할 공무원(심사관)이 지정되고 조사가 진행된다. 사건 조사·심사 단계에서는 필요한 경우, ① 당사자, 이해관계인 또는 참고인의 출석 및 의견 청취, ② 감정인의 지정 및 감정의 위촉, ③ 사업자, 사업자단체 또는 임직원에 대해 원가 및 경영상황에 대한 보고, 기타 필요한 자료나 물건의 제출을 명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위 조사는 법적 성질로는 행정조사로서 임의수사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일정 부분 강제력을 수반한다. 따라서 조사거부 혹은 방해 시 과태료, 이행강제금, 형사벌이 부과될 수 있다.공정위의 심의절차는 직권주의 구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심리는 구술심리를 기본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서면심리가 이뤄진다. 사건에 대한 심의절차가 종료되면 회의 구성 위원들 간의 합의 및 의결 절차가 진행된다. 또, 공정위의 처분에 불복한다면 자료열람요구권, 이의신청, 불복의 소 등의 절차를 거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불공정거래 행위 등으로 공정위 조사 대상이 된 경우 자료를 임의로 삭제하거나 은닉해서는 안된다. 조사에는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좋다”며 “조사 과정에서는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특히 공정위 사건은 형사사건과 유사하게 진행되고, 공정거래 관련 법 특성상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영역이다보니 변호사를 통해 의견서를 제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신고자일 경우 법 위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해 놓아야 한다”며 “관련 자료 수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니 조사 및 조정 절차 진행을 위해 법률전문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온라인 플랫폼 시대' 수수료 갑질 등 규제 시동…불공정거래 신고 대응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01
국가유공자 보상금 '연장자 우선' 위헌…변호사가 알려주는 쟁점은?
국가유공자 보상금 '연장자 우선' 위헌…변호사가 알려주는 쟁점은?
지난 4월, 필자가 서울고등법원 소송구조 변호사로 활동하던 시절 맡았던 사건이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으로 이어졌다. 헌재의 위헌·헌법불합치 결정 비율이 전체 사건의 약 4.2%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결정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 문제의 발단은 국가유공자 유족 보상금 지급 순서에 대한 내용이 담긴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유공자법) 제13조였다. 해당 조항은 동일 순위의 유족이 2명 이상일 때, 유족 간 합의가 없으면 '유공자를 주로 부양한 자'에게 보상금을 우선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요건마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제13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나이가 많은 사람(연장자)'에게 보상금이 지급된다. 바로 이 '연장자 우선' 조항이 사건의 핵심 쟁점이었다.사건을 맡긴 의뢰인은 국가유공자의 둘째 딸이었다. 그녀는 수년간 아버지를 정성껏 부양해왔지만, 다른 형제들과 보상금 수령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과거 부양 사실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결국 의뢰인은 '연장자 우선' 규정에 따라 보상금 지급을 거절당했고, 이에 소송을 제기했다.그러나 1심 결과는 패소였다. 이후 의뢰인은 필자를 찾아왔고, 함께 항소심을 진행했지만 역시 같은 이유로 청구가 기각됐다. 법 조항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필자는 의뢰인을 설득해 대법원 상고와 함께 위헌법률심판제청에 나섰다.헌법재판소는 단지 '나이'라는 우연한 사정을 기준으로 보상금 수급권자를 결정하는 것은 평등원칙에 위배된다고 판단했다. 실질적인 부양의무를 다했음에도, 연장자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보상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것은 정의 관념에도 어긋난다는 점을 분명히 한 셈이다.헌법재판 사건은 그 특성상 인용 결정이 극히 드물고, 승소하더라도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이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이 사건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것은 개인의 권리 구제를 넘어 우리 사회의 불합리한 제도를 바로잡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물론 이번 결정은 또 다른 시작이다. 이번 결정이 앞으로 유사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모든 유족에게 공정하고 정의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국가유공자 보상금 '연장자 우선' 위헌…변호사가 알려주는 쟁점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7-01
국가유공자 보상금 '연장자 우선' 위헌…변호사가 알려주는 쟁점은?
국가유공자 보상금 '연장자 우선' 위헌…변호사가 알려주는 쟁점은?
지난 4월, 필자가 서울고등법원 소송구조 변호사로 활동하던 시절 맡았던 사건이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으로 이어졌다. 헌재의 위헌·헌법불합치 결정 비율이 전체 사건의 약 4.2%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결정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 문제의 발단은 국가유공자 유족 보상금 지급 순서에 대한 내용이 담긴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유공자법) 제13조였다. 해당 조항은 동일 순위의 유족이 2명 이상일 때, 유족 간 합의가 없으면 '유공자를 주로 부양한 자'에게 보상금을 우선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요건마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제13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나이가 많은 사람(연장자)'에게 보상금이 지급된다. 바로 이 '연장자 우선' 조항이 사건의 핵심 쟁점이었다.사건을 맡긴 의뢰인은 국가유공자의 둘째 딸이었다. 그녀는 수년간 아버지를 정성껏 부양해왔지만, 다른 형제들과 보상금 수령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과거 부양 사실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결국 의뢰인은 '연장자 우선' 규정에 따라 보상금 지급을 거절당했고, 이에 소송을 제기했다.그러나 1심 결과는 패소였다. 이후 의뢰인은 필자를 찾아왔고, 함께 항소심을 진행했지만 역시 같은 이유로 청구가 기각됐다. 법 조항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필자는 의뢰인을 설득해 대법원 상고와 함께 위헌법률심판제청에 나섰다.헌법재판소는 단지 '나이'라는 우연한 사정을 기준으로 보상금 수급권자를 결정하는 것은 평등원칙에 위배된다고 판단했다. 실질적인 부양의무를 다했음에도, 연장자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보상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것은 정의 관념에도 어긋난다는 점을 분명히 한 셈이다.헌법재판 사건은 그 특성상 인용 결정이 극히 드물고, 승소하더라도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이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이 사건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것은 개인의 권리 구제를 넘어 우리 사회의 불합리한 제도를 바로잡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물론 이번 결정은 또 다른 시작이다. 이번 결정이 앞으로 유사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모든 유족에게 공정하고 정의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국가유공자 보상금 '연장자 우선' 위헌…변호사가 알려주는 쟁점은? (바로가기)
머니S
2025-07-01
AI로 사라지는 일자리… 미국은 '노동자 보호' 강화하는데 한국은?
AI로 사라지는 일자리… 미국은 '노동자 보호' 강화하는데 한국은?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인공지능(AI)과 자동화 기술이 제조업부터 서비스업까지 산업계 전반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지만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할 법과 제도는 기술 발전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AI가 바꿔 놓은 고용 생태계에서 노동자들이 법적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노동시장의 구조 재편은 이미 시작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의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설비·생산 등 10개 직무 중 6개는 기술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기술 발전이 기존 일자리를 위협하고 새로운 고용 형태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문제는 현행 노동법이 이러한 변화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는 점이다. 법무법인 대륜의 방인태 변호사는 "우리의 노동법은 아직도 '예전 방식의 일자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져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AI 기술로 반복 업무가 자동화되면 기업들은 플랫폼을 통해 업무를 처리하고 자영업자나 단기계약직 근로자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그는 "현행 근로기준법 등은 기본적으로 '장기간 회사에 고용된 종속된 근로자'를 상정하고 있어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 1인 사업자 등 새로운 노동 형태에 대한 보호는 미흡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이에 대한 해법으로 '근로자'의 법적 개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방 변호사는 "플랫폼 노동자나 특수고용직 종사자도 산재보험, 실업급여 같은 사회보장제도에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기술 변화로 인한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 노동자의 경영 참여 권한을 강화하는 거버넌스 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미국 등 해외, AI 관련 인사 규제 속속 도입 우리보다 앞서 디지털 전환에 나선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제도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캘리포니아주는 올해 AI가 교사 역할을 대체하는 것을 제한했고 뉴욕주는 AI 기반 출판물 규제를 도입했다. 캘리포니아, 뉴욕, 일리노이주 등은 기업이 채용이나 인사평가 등 의사결정에 AI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방인태 변호사는 "뉴욕주는 기업의 대량 해고가 AI 도입과 연계된 경우 이를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제도까지 도입했다"며 "우리나라도 기업이 채용부터 해고까지의 과정에 AI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관계자에게 고지하고 공개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어 "AI 시대의 노동 정책 핵심은 '균형'"이라며 "기술 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구체적인 방안으로는 ▲AI 대체 가능성이 높은 직군에 대한 재교육·전직 지원 시스템 구축 ▲고용보험법 개정을 통한 실직자 생계지원 확대 및 맞춤형 직업훈련 의무화 ▲비전통적 고용형태에 대한 사회보험(고용·산재) 및 최저임금제 적용 검토 등을 제안했다. 기업 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연공서열형 임금체계를 직무·성과 중심으로 전환 ▲유연근무제와 연계한 시간 단위 임금제 도입 등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봤다.그는 마지막으로 "다가오는 AI 시대에는 노동자 권리 보호와 지속 가능한 임금체계로의 개편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이뤄내는지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AI로 사라지는 일자리… 미국은 '노동자 보호' 강화하는데 한국은? (바로가기)
머니S
2025-07-01
AI로 사라지는 일자리… 미국은 '노동자 보호' 강화하는데 한국은?
AI로 사라지는 일자리… 미국은 '노동자 보호' 강화하는데 한국은?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인공지능(AI)과 자동화 기술이 제조업부터 서비스업까지 산업계 전반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지만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할 법과 제도는 기술 발전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AI가 바꿔 놓은 고용 생태계에서 노동자들이 법적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노동시장의 구조 재편은 이미 시작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의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설비·생산 등 10개 직무 중 6개는 기술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기술 발전이 기존 일자리를 위협하고 새로운 고용 형태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문제는 현행 노동법이 이러한 변화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는 점이다. 법무법인 대륜의 방인태 변호사는 "우리의 노동법은 아직도 '예전 방식의 일자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져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AI 기술로 반복 업무가 자동화되면 기업들은 플랫폼을 통해 업무를 처리하고 자영업자나 단기계약직 근로자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그는 "현행 근로기준법 등은 기본적으로 '장기간 회사에 고용된 종속된 근로자'를 상정하고 있어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 1인 사업자 등 새로운 노동 형태에 대한 보호는 미흡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이에 대한 해법으로 '근로자'의 법적 개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방 변호사는 "플랫폼 노동자나 특수고용직 종사자도 산재보험, 실업급여 같은 사회보장제도에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기술 변화로 인한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 노동자의 경영 참여 권한을 강화하는 거버넌스 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미국 등 해외, AI 관련 인사 규제 속속 도입 우리보다 앞서 디지털 전환에 나선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제도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캘리포니아주는 올해 AI가 교사 역할을 대체하는 것을 제한했고 뉴욕주는 AI 기반 출판물 규제를 도입했다. 캘리포니아, 뉴욕, 일리노이주 등은 기업이 채용이나 인사평가 등 의사결정에 AI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방인태 변호사는 "뉴욕주는 기업의 대량 해고가 AI 도입과 연계된 경우 이를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제도까지 도입했다"며 "우리나라도 기업이 채용부터 해고까지의 과정에 AI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관계자에게 고지하고 공개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어 "AI 시대의 노동 정책 핵심은 '균형'"이라며 "기술 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구체적인 방안으로는 ▲AI 대체 가능성이 높은 직군에 대한 재교육·전직 지원 시스템 구축 ▲고용보험법 개정을 통한 실직자 생계지원 확대 및 맞춤형 직업훈련 의무화 ▲비전통적 고용형태에 대한 사회보험(고용·산재) 및 최저임금제 적용 검토 등을 제안했다. 기업 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연공서열형 임금체계를 직무·성과 중심으로 전환 ▲유연근무제와 연계한 시간 단위 임금제 도입 등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봤다.그는 마지막으로 "다가오는 AI 시대에는 노동자 권리 보호와 지속 가능한 임금체계로의 개편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이뤄내는지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AI로 사라지는 일자리… 미국은 '노동자 보호' 강화하는데 한국은?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01
충전소서 멈춘 차량…직원과 차 밀다 ‘대형 사고’ 소송 결과는
충전소서 멈춘 차량…직원과 차 밀다 ‘대형 사고’ 소송 결과는
차량에 깔려 ‘중상’…버스 충돌 후 멈춰재판부 “원고에게 귀책 사유 더 크다” 가스 충전소에서 시동이 꺼진 차량을 밀다 중상을 입은 운전자가 충전소 사장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은 지난 5월 30대 남성 A 씨가 가스 충전소 사장 B 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A 씨는 지난해 5월 가스 충전소를 찾았다가 중상을 입었다. 시동이 걸리지 않는 차량을 이동시키려고 충전소 직원과 함께 밀다 사고가 난 것이다.당시 충전소 출구는 내리막길에 있었는데, 차량에 가속이 붙으면서 도로로 향하기 시작했고 A 씨가 뒤늦게 막아섰지만 역부족이었다. 결국 차량은 넘어진 A 씨를 역과한 뒤 도로를 주행하던 버스와 충돌하고 나서야 멈춰 섰다.A 씨 측은 충전소 측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내리막길이라는 위험한 지형을 알면서도 차량 이동을 요청했고, 제대로 된 안전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B 씨 측은 이런 주장을 반박했다. 직원이 직접적으로 차량 이동을 지시하지 않았고, 사고 역시 A 씨의 자발적 판단에 따라 발생했다고 맞섰다.법원은 B 씨의 과실이 없다고 봤다. 재판부는 “충전소 직원이 현장 경사나 위험 요소를 충분히 안내하지 않았다고 볼 여지는 있으나 사고의 직접적 원인은 A 씨가 가속이 붙은 차량을 인력으로 정지시키려다 차량에 깔린 점에 있다”고 판단했다.이어 “직원으로서는 사고를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보기 어렵고, 직원의 행위와 사고 사이에 법적 책임을 인정할 만큼의 인과관계도 성립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B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되려면 잘못된 행위와 그로 인한 피해 사이에 충분한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며 “사고 발생 가능성, 직원 과실 수준, 피해의 중대성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원고의 주장이 기각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충전소서 멈춘 차량…직원과 차 밀다 ‘대형 사고’ 소송 결과는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7-01
충전소서 멈춘 차량…직원과 차 밀다 ‘대형 사고’ 소송 결과는
충전소서 멈춘 차량…직원과 차 밀다 ‘대형 사고’ 소송 결과는
차량에 깔려 ‘중상’…버스 충돌 후 멈춰재판부 “원고에게 귀책 사유 더 크다” 가스 충전소에서 시동이 꺼진 차량을 밀다 중상을 입은 운전자가 충전소 사장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은 지난 5월 30대 남성 A 씨가 가스 충전소 사장 B 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A 씨는 지난해 5월 가스 충전소를 찾았다가 중상을 입었다. 시동이 걸리지 않는 차량을 이동시키려고 충전소 직원과 함께 밀다 사고가 난 것이다.당시 충전소 출구는 내리막길에 있었는데, 차량에 가속이 붙으면서 도로로 향하기 시작했고 A 씨가 뒤늦게 막아섰지만 역부족이었다. 결국 차량은 넘어진 A 씨를 역과한 뒤 도로를 주행하던 버스와 충돌하고 나서야 멈춰 섰다.A 씨 측은 충전소 측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내리막길이라는 위험한 지형을 알면서도 차량 이동을 요청했고, 제대로 된 안전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B 씨 측은 이런 주장을 반박했다. 직원이 직접적으로 차량 이동을 지시하지 않았고, 사고 역시 A 씨의 자발적 판단에 따라 발생했다고 맞섰다.법원은 B 씨의 과실이 없다고 봤다. 재판부는 “충전소 직원이 현장 경사나 위험 요소를 충분히 안내하지 않았다고 볼 여지는 있으나 사고의 직접적 원인은 A 씨가 가속이 붙은 차량을 인력으로 정지시키려다 차량에 깔린 점에 있다”고 판단했다.이어 “직원으로서는 사고를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보기 어렵고, 직원의 행위와 사고 사이에 법적 책임을 인정할 만큼의 인과관계도 성립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B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되려면 잘못된 행위와 그로 인한 피해 사이에 충분한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며 “사고 발생 가능성, 직원 과실 수준, 피해의 중대성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원고의 주장이 기각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충전소서 멈춘 차량…직원과 차 밀다 ‘대형 사고’ 소송 결과는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01
이체 받은 돈이 ‘피싱 피해금’…법원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 없어”
이체 받은 돈이 ‘피싱 피해금’…법원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 없어”
송금된 돈, 알고보니 보이스피싱 피해액…‘계좌 정지’ 진행법원 ““구매자 신원·범죄 연루 여부 확인 책임 묻기 어려워” 채권자가 금전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채권자에게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가 없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1일 법조계에 따르면, 60대 여성 A씨는 지난 2023년과 2024년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두 차례에 걸쳐 외화를 판매하고 약 1천800만 원을 받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A씨는 은행으로부터 계좌 지급 정지 및 채권 소멸 절차 진행 통지를 받았다. A씨가 거래를 통해 받은 돈이 보이스피싱 피해금이었기 때문이다.A씨는 거래로 정당한 대가를 받은 것일 뿐 범죄에 가담하지 않았으며, 채권소멸 절차가 시작되면서 자신도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17일 B씨 등 2명을 상대로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했다.B씨 등 2명은 A씨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반박했다. 그들은 A씨가 “거액의 외화를 매도하면서도 거래인과 송금인의 인적사항 등을 면밀하게 살펴보지 않았다”며 A씨에게 불법 행위에 대한 고의 내지 중대한 과실이 있다고 강조했다.사건을 심리한 서울서부지방법원은 “피고들에 대한 부당이득반환 및 손해배상채무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A씨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원고에게 외화 구매자의 신원을 확인해야 할 의무가 발생할 만큼 의심스러운 상황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고, 송금 받은 돈이 범죄와 관련된 금원인지 알지 못한 것도 원고에게 과실을 물을 수 없다”고 판시했다.이와 관련,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정규 변호사는 “부당이득제도는 채권자가 금전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채권자의 취득은 법률상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본다”며 “중고거래 환경에서 상대방의 인적 사항이나 입금자 명의 일치 여부 등을 별도로 확인하지 않는 점 등을 토대로 범행에 가담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해 승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기자(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이체 받은 돈이 ‘피싱 피해금’…법원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 없어”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7-01
이체 받은 돈이 ‘피싱 피해금’…법원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 없어”
이체 받은 돈이 ‘피싱 피해금’…법원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 없어”
송금된 돈, 알고보니 보이스피싱 피해액…‘계좌 정지’ 진행법원 ““구매자 신원·범죄 연루 여부 확인 책임 묻기 어려워” 채권자가 금전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채권자에게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가 없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1일 법조계에 따르면, 60대 여성 A씨는 지난 2023년과 2024년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두 차례에 걸쳐 외화를 판매하고 약 1천800만 원을 받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A씨는 은행으로부터 계좌 지급 정지 및 채권 소멸 절차 진행 통지를 받았다. A씨가 거래를 통해 받은 돈이 보이스피싱 피해금이었기 때문이다.A씨는 거래로 정당한 대가를 받은 것일 뿐 범죄에 가담하지 않았으며, 채권소멸 절차가 시작되면서 자신도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17일 B씨 등 2명을 상대로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했다.B씨 등 2명은 A씨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반박했다. 그들은 A씨가 “거액의 외화를 매도하면서도 거래인과 송금인의 인적사항 등을 면밀하게 살펴보지 않았다”며 A씨에게 불법 행위에 대한 고의 내지 중대한 과실이 있다고 강조했다.사건을 심리한 서울서부지방법원은 “피고들에 대한 부당이득반환 및 손해배상채무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A씨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원고에게 외화 구매자의 신원을 확인해야 할 의무가 발생할 만큼 의심스러운 상황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고, 송금 받은 돈이 범죄와 관련된 금원인지 알지 못한 것도 원고에게 과실을 물을 수 없다”고 판시했다.이와 관련,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정규 변호사는 “부당이득제도는 채권자가 금전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채권자의 취득은 법률상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본다”며 “중고거래 환경에서 상대방의 인적 사항이나 입금자 명의 일치 여부 등을 별도로 확인하지 않는 점 등을 토대로 범행에 가담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해 승소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기자(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이체 받은 돈이 ‘피싱 피해금’…법원 “부당이득·손해배상 채무 없어” (바로가기)
로리더
2025-06-30
[기고] 폐쇄된 법률시장, 국민 알 권리 위해 이제는 개방해야 할 때
[기고] 폐쇄된 법률시장, 국민 알 권리 위해 이제는 개방해야 할 때
대한민국 법률시장은 아직도 고객 중심이 아니라 법조인 중심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법률서비스 전반에 깔린 권위주의적 사고와 구조적 폐쇄성의 결과다. 필자는 이 낡은 구조를 해체하고 정보의 평등을 실현하는 소비자 중심의 개방된 법률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믿는다.역사를 돌아보면 권력은 언제나 정보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유지돼 왔다. 중세 유럽에서 성경은 오직 라틴어로만 쓰였고 평민은 그 내용을 알 수 없었다. 정보는 곧 권력이었고 성직자는 그 권력을 독점했다. 15세기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보급과 성경의 자국어 번역은 그러한 독점을 무너뜨린 결정적 계기였다. 정보의 해방은 곧 권력의 이동이었고 이는 프랑스혁명과 산업혁명, 나아가 민주주의의 확산으로 이어졌다.법률도 마찬가지다. 법은 국민의 권리를 지키는 도구지만 해석과 접근이 특정 계층에 의해 독점된다면 그 법은 지배의 수단으로 전락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이 차단된 법률시장은 국민의 권리 위에 군림하는 기득권의 장벽일 뿐이다.오늘날 국민이 법률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주요한 통로 중 하나는 ‘광고’다. 광고는 단순한 상업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변호사가 자신의 전문성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국민이 이를 비교·평가하여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헌법적 권리의 공간이다. 즉, 광고는 변호사의 표현의 자유이자, 국민의 알 권리를 동시에 구현하는 민주적 장치다.과거의 변호사 시장은 결코 열린 시장이 아니었다. 광고는 금기시되었고 변호사 수임은 전관·브로커·지인 소개 등 비공식 루트에 의존했다. 소비자는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한 채, 제한된 경로와 평판에만 기대어 변호사를 선택해야 했다. 그에 따른 과도한 비용과 정보 격차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됐고 법률서비스는 오히려 국민으로부터 멀어졌다.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국민은 변호사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 그리고 변호사는 서비스 제공자로서 자신이 제공하는 업무 능력과 전문성을 자유롭게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아야 한다. 특히 자본력과 인지도가 부족한 소규모·신진 변호사일수록 광고 자율화가 절실하다. 그들에겐 스스로의 특장점, 지역성과 전문성, 철학과 접근법을 시장에 어필할 유일한 수단이 광고다. 광고를 규제하면 모든 표현이 획일화된다. 그 결과 소비자는 자신에게 맞는 변호사를 고를 수 있는 실질적 선택권을 잃고 변호사는 자신의 차별성을 시장에 알릴 수 없다. 결국 이는 소비자에게 불리하고, 경쟁 없는 법률시장 구조를 고착시키는 결과를 낳는다.광고가 자본 중심으로만 기울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에는 일정 부분 공감할 수 있다. 특정 광고 구조가 자금력에 따라 노출과 수임 기회를 좌우하게 된다면 이는 정보의 편향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는 광고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기술적·정책적 조정으로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문제다. 그것이 곧 광고 자체를 통제하거나 표현 자체를 억제할 정당한 이유가 될 수는 없다. ‘국민을 정보로부터 보호한다’는 명목 아래 광고를 제한하는 태도는 실상은 국민을 정보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다. 이는 법률소비자를 스스로 판단할 수 없는 존재로 전제하고 공공의 판단력을 과소평가하는 위험한 발상이다. 광고 규제는 언제나 최소한이어야 하며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를 전제로 출발해야 한다.이처럼 표현의 자유를 위협하는 기준은 지금도 현실에서 작동하고 있다. 최근 필자가 속한 법무법인 대륜은 자사 홈페이지에 기재한 문구로 인해 대한변협으로부터 징계개시 신청을 통보받았다. 문제 삼은 부분은 다음과 같은 비전 선언이었다.“법무법인 대륜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세계 최고의 로펌이 되는 것입니다.”이 문장은 회사의 철학과 목표를 밝힌 선언에 불과했다. 특정 서비스를 홍보하려는 의도도 없었고, 수임을 유도하려는 목적도 없었다. 그럼에도 ‘최고’라는 표현이 들어갔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징계절차가 개시되었다.정말 이것이 광고인가? 소비자가 이 문장을 보고 법률사무소에 연락할 만큼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객관적 근거라도 있는가? 회사의 비전과 방향성을 표현하는 문장조차 검열 대상이 된다면, 변호사는 더 이상 자유롭게 말할 수 없다. 이것은 광고 규제가 아니라 표현 자체에 대한 통제다. 이는 곧 정보의 비대칭을 조장하고, 인맥에 의존해 변호사를 선택하는 왜곡된 시장이 만들어져 브로커 수임과 같은 불투명한 거래가 반복되는 원인이 됐다. 이것이 바로 통제를 유지하려는 구조가 낳은 폐해다.이러한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수단이 바로 광고의 자유화다. 광고를 통해 변호사는 자신의 철학과 전문성을 투명하게 전달할 수 있고 국민은 스스로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전관예우와 브로커 수임을 대체하는 가장 건강하고 합법적인 방식이며 소비자 보호와 법률시장 투명성 제고의 핵심 열쇠다.정보는 감추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고 비교되고 평가받아야 한다. 광고를 통해 변호사는 국민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고 국민은 자신에게 맞는 법률서비스를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정보의 민주화이며 소비자 권리의 핵심이다.지금은 폐쇄된 법률시장을 개방해야 할 때다. 표현의 자유와 정보의 자유, 알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자본 편향 구조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한다. 규제를 위한 규제가 아닌 자유를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 그것이 진정한 개방이며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법률시장의 출발점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폐쇄된 법률시장, 국민 알 권리 위해 이제는 개방해야 할 때 (바로가기)
로리더
2025-06-30
[기고] 폐쇄된 법률시장, 국민 알 권리 위해 이제는 개방해야 할 때
[기고] 폐쇄된 법률시장, 국민 알 권리 위해 이제는 개방해야 할 때
대한민국 법률시장은 아직도 고객 중심이 아니라 법조인 중심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법률서비스 전반에 깔린 권위주의적 사고와 구조적 폐쇄성의 결과다. 필자는 이 낡은 구조를 해체하고 정보의 평등을 실현하는 소비자 중심의 개방된 법률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믿는다.역사를 돌아보면 권력은 언제나 정보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유지돼 왔다. 중세 유럽에서 성경은 오직 라틴어로만 쓰였고 평민은 그 내용을 알 수 없었다. 정보는 곧 권력이었고 성직자는 그 권력을 독점했다. 15세기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보급과 성경의 자국어 번역은 그러한 독점을 무너뜨린 결정적 계기였다. 정보의 해방은 곧 권력의 이동이었고 이는 프랑스혁명과 산업혁명, 나아가 민주주의의 확산으로 이어졌다.법률도 마찬가지다. 법은 국민의 권리를 지키는 도구지만 해석과 접근이 특정 계층에 의해 독점된다면 그 법은 지배의 수단으로 전락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이 차단된 법률시장은 국민의 권리 위에 군림하는 기득권의 장벽일 뿐이다.오늘날 국민이 법률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주요한 통로 중 하나는 ‘광고’다. 광고는 단순한 상업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변호사가 자신의 전문성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국민이 이를 비교·평가하여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헌법적 권리의 공간이다. 즉, 광고는 변호사의 표현의 자유이자, 국민의 알 권리를 동시에 구현하는 민주적 장치다.과거의 변호사 시장은 결코 열린 시장이 아니었다. 광고는 금기시되었고 변호사 수임은 전관·브로커·지인 소개 등 비공식 루트에 의존했다. 소비자는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한 채, 제한된 경로와 평판에만 기대어 변호사를 선택해야 했다. 그에 따른 과도한 비용과 정보 격차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됐고 법률서비스는 오히려 국민으로부터 멀어졌다.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국민은 변호사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 그리고 변호사는 서비스 제공자로서 자신이 제공하는 업무 능력과 전문성을 자유롭게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아야 한다. 특히 자본력과 인지도가 부족한 소규모·신진 변호사일수록 광고 자율화가 절실하다. 그들에겐 스스로의 특장점, 지역성과 전문성, 철학과 접근법을 시장에 어필할 유일한 수단이 광고다. 광고를 규제하면 모든 표현이 획일화된다. 그 결과 소비자는 자신에게 맞는 변호사를 고를 수 있는 실질적 선택권을 잃고 변호사는 자신의 차별성을 시장에 알릴 수 없다. 결국 이는 소비자에게 불리하고, 경쟁 없는 법률시장 구조를 고착시키는 결과를 낳는다.광고가 자본 중심으로만 기울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에는 일정 부분 공감할 수 있다. 특정 광고 구조가 자금력에 따라 노출과 수임 기회를 좌우하게 된다면 이는 정보의 편향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는 광고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기술적·정책적 조정으로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문제다. 그것이 곧 광고 자체를 통제하거나 표현 자체를 억제할 정당한 이유가 될 수는 없다. ‘국민을 정보로부터 보호한다’는 명목 아래 광고를 제한하는 태도는 실상은 국민을 정보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다. 이는 법률소비자를 스스로 판단할 수 없는 존재로 전제하고 공공의 판단력을 과소평가하는 위험한 발상이다. 광고 규제는 언제나 최소한이어야 하며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를 전제로 출발해야 한다.이처럼 표현의 자유를 위협하는 기준은 지금도 현실에서 작동하고 있다. 최근 필자가 속한 법무법인 대륜은 자사 홈페이지에 기재한 문구로 인해 대한변협으로부터 징계개시 신청을 통보받았다. 문제 삼은 부분은 다음과 같은 비전 선언이었다.“법무법인 대륜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세계 최고의 로펌이 되는 것입니다.”이 문장은 회사의 철학과 목표를 밝힌 선언에 불과했다. 특정 서비스를 홍보하려는 의도도 없었고, 수임을 유도하려는 목적도 없었다. 그럼에도 ‘최고’라는 표현이 들어갔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징계절차가 개시되었다.정말 이것이 광고인가? 소비자가 이 문장을 보고 법률사무소에 연락할 만큼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객관적 근거라도 있는가? 회사의 비전과 방향성을 표현하는 문장조차 검열 대상이 된다면, 변호사는 더 이상 자유롭게 말할 수 없다. 이것은 광고 규제가 아니라 표현 자체에 대한 통제다. 이는 곧 정보의 비대칭을 조장하고, 인맥에 의존해 변호사를 선택하는 왜곡된 시장이 만들어져 브로커 수임과 같은 불투명한 거래가 반복되는 원인이 됐다. 이것이 바로 통제를 유지하려는 구조가 낳은 폐해다.이러한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수단이 바로 광고의 자유화다. 광고를 통해 변호사는 자신의 철학과 전문성을 투명하게 전달할 수 있고 국민은 스스로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전관예우와 브로커 수임을 대체하는 가장 건강하고 합법적인 방식이며 소비자 보호와 법률시장 투명성 제고의 핵심 열쇠다.정보는 감추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고 비교되고 평가받아야 한다. 광고를 통해 변호사는 국민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고 국민은 자신에게 맞는 법률서비스를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정보의 민주화이며 소비자 권리의 핵심이다.지금은 폐쇄된 법률시장을 개방해야 할 때다. 표현의 자유와 정보의 자유, 알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자본 편향 구조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한다. 규제를 위한 규제가 아닌 자유를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 그것이 진정한 개방이며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법률시장의 출발점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폐쇄된 법률시장, 국민 알 권리 위해 이제는 개방해야 할 때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30
‘조합원 아냐’ 주장에 ‘부제소합의’ 응수한 주택조합…法 “과도한 해석”
‘조합원 아냐’ 주장에 ‘부제소합의’ 응수한 주택조합…法 “과도한 해석”
주택법령에 의해 지역주택조합 자격을 상실한 조합원에게 민·형사상 책임을 묻지 못하게 한 것은 과도한 행위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제9민사부는 지난 5월 21일 50대 남성 A씨가 B지역주택조합을 상대로 낸 조합원지위부존재확인 반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5년 B조합과 분양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2022년 본가로 들어가며 세대주 자격을 상실하게 됐다. 이후 2023년 B조합은 A씨를 상대로 분담금 약 2000만원을 지급하라는 소송을 냈다,이에 A씨는 반소를 제기했다. 세대주에서 세대원이 되며 조합원 지위도 자연스레 잃게 됐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분담금을 내기로 의결한 일자보다 더 이른 시기에 조합원 지위를 상실했으므로 납부 의무 또한 없다고 강조했다.조합 측은 A씨가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없다고 반박했다. 계약 서류에 기재된 ‘조합원이 관련 법규에 의해 주택조합원 자격을 상실한 경우, 민·형사상 어떠한 이의도 제기하지 않는다'는 규정을 근거로 든 것이다. 그러면서 A씨의 소송이 기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해당 부제소합의에 대해 “조합 측이 조합원 자격을 해제했을 때 이의제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A씨가 스스로 조합원 자격이 상실됐음을 주장하는 것까지 금지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A씨는 세대주 지위를 상실한 순간 조합원 자격과 지위도 함께 상실했다"며 "하지만 A씨는 분담금 납부 위험·불안 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재판을 통한 조합원 지위 부존재 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었다"고 말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조합원 아냐’ 주장에 ‘부제소합의’ 응수한 주택조합…法 “과도한 해석”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30
‘조합원 아냐’ 주장에 ‘부제소합의’ 응수한 주택조합…法 “과도한 해석”
‘조합원 아냐’ 주장에 ‘부제소합의’ 응수한 주택조합…法 “과도한 해석”
주택법령에 의해 지역주택조합 자격을 상실한 조합원에게 민·형사상 책임을 묻지 못하게 한 것은 과도한 행위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제9민사부는 지난 5월 21일 50대 남성 A씨가 B지역주택조합을 상대로 낸 조합원지위부존재확인 반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5년 B조합과 분양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2022년 본가로 들어가며 세대주 자격을 상실하게 됐다. 이후 2023년 B조합은 A씨를 상대로 분담금 약 2000만원을 지급하라는 소송을 냈다,이에 A씨는 반소를 제기했다. 세대주에서 세대원이 되며 조합원 지위도 자연스레 잃게 됐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분담금을 내기로 의결한 일자보다 더 이른 시기에 조합원 지위를 상실했으므로 납부 의무 또한 없다고 강조했다.조합 측은 A씨가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없다고 반박했다. 계약 서류에 기재된 ‘조합원이 관련 법규에 의해 주택조합원 자격을 상실한 경우, 민·형사상 어떠한 이의도 제기하지 않는다'는 규정을 근거로 든 것이다. 그러면서 A씨의 소송이 기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해당 부제소합의에 대해 “조합 측이 조합원 자격을 해제했을 때 이의제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A씨가 스스로 조합원 자격이 상실됐음을 주장하는 것까지 금지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A씨는 세대주 지위를 상실한 순간 조합원 자격과 지위도 함께 상실했다"며 "하지만 A씨는 분담금 납부 위험·불안 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재판을 통한 조합원 지위 부존재 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었다"고 말했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조합원 아냐’ 주장에 ‘부제소합의’ 응수한 주택조합…法 “과도한 해석”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30
'출퇴근 기록 불규칙' 주장하며 임금 깎으려던 회사..法, "정상 지급하라"
'출퇴근 기록 불규칙' 주장하며 임금 깎으려던 회사..法, "정상 지급하라"
퇴사한 근로자가 전 직장을 상대로 낸 임금 소송에서 사측이 불규칙한 출퇴근 기록을 이유로 임금 감액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30일 30대 A씨가 유통업체 B사를 상대로 낸 임금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1년 B사에 입사해 근무를 시작했지만, 이후 임금 체불이 반복되자 결국 퇴사의 뜻을 밝혔습니다.하지만 퇴사 후에도 사측은 밀린 임금과 퇴직금 약 4,300만 원을 지급하지 않았고, 결국 A씨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그러자 B사는 청구 금액 감액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A씨가 근무 당시 수차례 무단결근을 했다는 이유에서입니다.사측은 그 근거로 회사 출입기록을 제시하며, A씨가 수개월간 정해진 출근일 없이 간헐적으로 회사에 나왔다고 주장했습니다.이에 A씨는 당시 잦은 외근을 수행해 근무 장소가 일정하지 않았다고 반박했습니다.또한 회사로부터 근무 장소에 대해 폭넓은 재량을 부여받았다며 출입문 기록만으로 출근 여부를 인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원고의 출근 기록이 다소 불규칙한 것을 보이는데, 피고는 원고의 출근 실적이 저조함에도 줄곧 급여를 삭감하지 않았다"며 "근로계약서를 살펴봐도 피고가 원고에게 업무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이어 "만약 원고가 무단결근을 했다면, 이에 대한 질책을 했어야 했음에도 업무 관련 연락만 나눴다"면서 "원고는 정상적인 근무를 했다고 볼 수 있고 사측은 이에 따른 임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광덕 변호사는 "B사는 A씨의 출입 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무단결근을 주장하며 구체적인 근무 형태를 무시하고 왜곡하려는 주장을 펼쳤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A씨가 근무기간 내내 근태 관련 지적, 주의, 징계 등을 단 한 번도 받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해 이같은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출퇴근 기록 불규칙' 주장하며 임금 깎으려던 회사..法, "정상 지급하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30
'출퇴근 기록 불규칙' 주장하며 임금 깎으려던 회사..法, "정상 지급하라"
'출퇴근 기록 불규칙' 주장하며 임금 깎으려던 회사..法, "정상 지급하라"
퇴사한 근로자가 전 직장을 상대로 낸 임금 소송에서 사측이 불규칙한 출퇴근 기록을 이유로 임금 감액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30일 30대 A씨가 유통업체 B사를 상대로 낸 임금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1년 B사에 입사해 근무를 시작했지만, 이후 임금 체불이 반복되자 결국 퇴사의 뜻을 밝혔습니다.하지만 퇴사 후에도 사측은 밀린 임금과 퇴직금 약 4,300만 원을 지급하지 않았고, 결국 A씨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그러자 B사는 청구 금액 감액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A씨가 근무 당시 수차례 무단결근을 했다는 이유에서입니다.사측은 그 근거로 회사 출입기록을 제시하며, A씨가 수개월간 정해진 출근일 없이 간헐적으로 회사에 나왔다고 주장했습니다.이에 A씨는 당시 잦은 외근을 수행해 근무 장소가 일정하지 않았다고 반박했습니다.또한 회사로부터 근무 장소에 대해 폭넓은 재량을 부여받았다며 출입문 기록만으로 출근 여부를 인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원고의 출근 기록이 다소 불규칙한 것을 보이는데, 피고는 원고의 출근 실적이 저조함에도 줄곧 급여를 삭감하지 않았다"며 "근로계약서를 살펴봐도 피고가 원고에게 업무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이어 "만약 원고가 무단결근을 했다면, 이에 대한 질책을 했어야 했음에도 업무 관련 연락만 나눴다"면서 "원고는 정상적인 근무를 했다고 볼 수 있고 사측은 이에 따른 임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광덕 변호사는 "B사는 A씨의 출입 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무단결근을 주장하며 구체적인 근무 형태를 무시하고 왜곡하려는 주장을 펼쳤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A씨가 근무기간 내내 근태 관련 지적, 주의, 징계 등을 단 한 번도 받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해 이같은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출퇴근 기록 불규칙' 주장하며 임금 깎으려던 회사..法, "정상 지급하라"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6-29
[기고] 한의 비급여 치료, 실손보험 보장해 국민 선택권 넓혀야
[기고] 한의 비급여 치료, 실손보험 보장해 국민 선택권 넓혀야
한의 비급여 진료비는 실손의료보험의 적용 대상이었으나 지난 2009년 10월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기존 손해보험사 상품들 사이 보장내용이 상이한 점이 많다는 이유로 '실손의료보험표준약관'을 개정하면서부터 해당 보상범위에서 제외됐다. 이에 국민의 한의의료에 대한 선택권과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국민이 경제적 부담 없이 양질의 한의진료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실손의료 보험 보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전개하고자 한다. 국회에서는 2012년과 2013년, 2015년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한의원과 한방병원의 비급여 진료 항목에 대해 실손의료보험을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으며, 국민권익위원회에서도 지난 2014년 7월 '치료목적 명확한 한의 비급여 의료비도 실손 보험서 보장해야'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해당 문제에 대한 개선을 보건복지부와 금융위원회에 권고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에 있어 '한방(韓方)'은 양방(洋方)과 함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바, 2022년 기준 한의의료기관은 15,124개소로서 전체 의료기관의 20.8%에 해당하고, 전국 231개 공공의료기관 중 90개소가 한의과 진료과목을 1개 이상 설치하고 있다. 아울러 2024년 보건복지부 실태조사에 의하면 19세 이상 국민의 67.3%가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고, 외래환자의 50%, 입원환자의 43%가 한방치료를 받기 전 동일한 증상으로 양방 의원, 병원을 이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건강 증진을 위한 전래요법'이라는 일부의 폄하적 주장에도 불구하고 한방의료를 이용하는 90% 이상의 목적은 건강증진이나 미용이 아닌 '질환치료'이고, 치료 효과 등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이렇듯 한방의료가 가지는 위상 및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2009년 개정된 실손의료보험과 관련된 조항에 따라 한방 비급여 치료는 실손의료보험의 보장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이로 인해 의료소비자들은 한방 비급여 치료를 받더라도 실손의료보험의 보장을 받을 수 없어 한방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의료비 부담으로 인해 한방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치료를 받더라도 환자 스스로 의료비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 또한 동일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실시하는 경우에는 실손의료보험의 적용 대상 및 국민건강보험법상의 요양 급여의 대상이 되는 등 양방치료에 대해서는 한방치료에 비해 더 폭넓게 보장 대상으로 삼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별다른 정당한 이유 없이 한방치료에 대해서만 차별적으로 설계된 제도에는 매우 큰 문제가 있다. 의료소비자들은 위 실손의료보험 표준약관 조항으로 인해 한방 비급여 치료에 대해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기회가 사실상 원천적으로 차단돼 의료기관 및 의료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 계약의 자유, 의료선택권, 보건권 또는 건강권이 제한된다. 국가가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내용의 입법활동을 함에 있어서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서 정한 과잉금지의 원칙을 준수해야 하고, 기본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해서는 안되며, 기본권을 제한하더라도 꼭 필요한 정도에 그쳐야 한다. 특히 위 실손의료보험 조항은 의료소비자가 한의 비급여 의료행위를 보장하는 실손의료보험 상품을 가입하는 것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계약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한방치료라는 이유만으로 전면적·포괄적으로 그 의료비를 전혀 보장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개인의 의료선택권 또는 의료접근권과 보건권 또는 건강권을 광범위하게 침해하고 있는 바, 과잉금지 원칙 준수 여부가 문제된다. 한편 의사와 한의사는 모두 의료법 제2조 제1항에 따른 의료인이고, 의료법 제반에서 의사와 한의사의 의료인으로서의 권리·의무를 동등하게 규정하고 있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집단이다. 그런데 위 실손의료보험 조항은 양방치료에 대해서는 비급여 진료 전반, 특히 남용 가능성이 크고 실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도수치료와 체외충격파치료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보험 보장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한방치료에 대해서는 치료 목적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일체 보장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의료 소비자들의 자기결정권, 의료선택권, 보건권, 계약의 자유, 평등권 등 기본권을 침해하므로 헌법에 위반된다. 표준약관에서 제외됐던 한의 비급여 치료를 정당하게 다시 보장해 국민의 선택권을 넓혀주는 것이야말로 국민적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한의 비급여 치료, 실손보험 보장해 국민 선택권 넓혀야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6-29
[기고] 한의 비급여 치료, 실손보험 보장해 국민 선택권 넓혀야
[기고] 한의 비급여 치료, 실손보험 보장해 국민 선택권 넓혀야
한의 비급여 진료비는 실손의료보험의 적용 대상이었으나 지난 2009년 10월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기존 손해보험사 상품들 사이 보장내용이 상이한 점이 많다는 이유로 '실손의료보험표준약관'을 개정하면서부터 해당 보상범위에서 제외됐다. 이에 국민의 한의의료에 대한 선택권과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국민이 경제적 부담 없이 양질의 한의진료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실손의료 보험 보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전개하고자 한다. 국회에서는 2012년과 2013년, 2015년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한의원과 한방병원의 비급여 진료 항목에 대해 실손의료보험을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으며, 국민권익위원회에서도 지난 2014년 7월 '치료목적 명확한 한의 비급여 의료비도 실손 보험서 보장해야'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해당 문제에 대한 개선을 보건복지부와 금융위원회에 권고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에 있어 '한방(韓方)'은 양방(洋方)과 함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바, 2022년 기준 한의의료기관은 15,124개소로서 전체 의료기관의 20.8%에 해당하고, 전국 231개 공공의료기관 중 90개소가 한의과 진료과목을 1개 이상 설치하고 있다. 아울러 2024년 보건복지부 실태조사에 의하면 19세 이상 국민의 67.3%가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고, 외래환자의 50%, 입원환자의 43%가 한방치료를 받기 전 동일한 증상으로 양방 의원, 병원을 이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건강 증진을 위한 전래요법'이라는 일부의 폄하적 주장에도 불구하고 한방의료를 이용하는 90% 이상의 목적은 건강증진이나 미용이 아닌 '질환치료'이고, 치료 효과 등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이렇듯 한방의료가 가지는 위상 및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2009년 개정된 실손의료보험과 관련된 조항에 따라 한방 비급여 치료는 실손의료보험의 보장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이로 인해 의료소비자들은 한방 비급여 치료를 받더라도 실손의료보험의 보장을 받을 수 없어 한방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의료비 부담으로 인해 한방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치료를 받더라도 환자 스스로 의료비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 또한 동일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실시하는 경우에는 실손의료보험의 적용 대상 및 국민건강보험법상의 요양 급여의 대상이 되는 등 양방치료에 대해서는 한방치료에 비해 더 폭넓게 보장 대상으로 삼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별다른 정당한 이유 없이 한방치료에 대해서만 차별적으로 설계된 제도에는 매우 큰 문제가 있다. 의료소비자들은 위 실손의료보험 표준약관 조항으로 인해 한방 비급여 치료에 대해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기회가 사실상 원천적으로 차단돼 의료기관 및 의료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 계약의 자유, 의료선택권, 보건권 또는 건강권이 제한된다. 국가가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내용의 입법활동을 함에 있어서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서 정한 과잉금지의 원칙을 준수해야 하고, 기본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해서는 안되며, 기본권을 제한하더라도 꼭 필요한 정도에 그쳐야 한다. 특히 위 실손의료보험 조항은 의료소비자가 한의 비급여 의료행위를 보장하는 실손의료보험 상품을 가입하는 것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계약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한방치료라는 이유만으로 전면적·포괄적으로 그 의료비를 전혀 보장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개인의 의료선택권 또는 의료접근권과 보건권 또는 건강권을 광범위하게 침해하고 있는 바, 과잉금지 원칙 준수 여부가 문제된다. 한편 의사와 한의사는 모두 의료법 제2조 제1항에 따른 의료인이고, 의료법 제반에서 의사와 한의사의 의료인으로서의 권리·의무를 동등하게 규정하고 있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집단이다. 그런데 위 실손의료보험 조항은 양방치료에 대해서는 비급여 진료 전반, 특히 남용 가능성이 크고 실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도수치료와 체외충격파치료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보험 보장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한방치료에 대해서는 치료 목적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일체 보장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의료 소비자들의 자기결정권, 의료선택권, 보건권, 계약의 자유, 평등권 등 기본권을 침해하므로 헌법에 위반된다. 표준약관에서 제외됐던 한의 비급여 치료를 정당하게 다시 보장해 국민의 선택권을 넓혀주는 것이야말로 국민적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한의 비급여 치료, 실손보험 보장해 국민 선택권 넓혀야 (바로가기)
로이슈 등 5곳
2025-06-27
대륜, 대구남부경찰서장 출신 강영우 변호사 영입
대륜, 대구남부경찰서장 출신 강영우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강영우(사법연수원 35기)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하고 강력범죄 등 형사 사건 역량을 강화한다고 27일 밝혔다.강 변호사는 2006년 대구달서경찰서 수사과장을 시작으로, 대구지방경찰청 수사2계장·지능범죄수사대장·강력계장, 울릉경찰서장, 의성경찰서장, 대구남부경찰서장 등을 두루 거쳤다.수사통으로 잘 알려진 강 변호사는 20여 년간 경찰에 재직하며 살인, 강간, 절도 등 각종 강력범죄와 수천 건의 교통범죄 사건을 지휘해 왔다. 특히 보이스피싱전담팀을 전국 최초로 설치해 피의자 검거는 물론 피해자 회복 지원에도 만전을 기해 큰 주목을 받았다.또한 학교폭력에 대한 심각성의 단초가 된 2011년 중학생 집단괴롭힘 자살 사건, 약 4조 원대의 ‘조희팔’ 다단계 사기 사건, 지역 시장의 부정 처사 및 시청 공무원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등 사이버 수사 및 각종 경제 범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추고 있다.강 변호사는 “수십 년간의 경찰 경력을 바탕으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시민들과 함께해 왔다”며 “대륜에서도 의뢰인을 단순한 계약 관계가 아닌 가족처럼 여기며 진심으로 소통하고, 감동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강 변호사는 급변하는 수사 체계에 부합하는 전문성을 갖췄으며, 특히 강력범죄 등 긴급 대응이 필요한 형사 사건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라며 “이번 영입을 통해 대륜 형사 그룹의 역량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대륜, 대구남부경찰서장 출신 강영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전 대구남부경찰서장 강영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영남일보 - 법무법인 대륜, 강영우 전 대구 남부서장 영입…형사 대응력 강화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경찰 출신' 강영우 변호사 합류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강영우 前 대구남부경찰서장 영입…형사 사건 역량 강화 (바로가기)
로이슈 등 5곳
2025-06-27
대륜, 대구남부경찰서장 출신 강영우 변호사 영입
대륜, 대구남부경찰서장 출신 강영우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강영우(사법연수원 35기)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하고 강력범죄 등 형사 사건 역량을 강화한다고 27일 밝혔다.강 변호사는 2006년 대구달서경찰서 수사과장을 시작으로, 대구지방경찰청 수사2계장·지능범죄수사대장·강력계장, 울릉경찰서장, 의성경찰서장, 대구남부경찰서장 등을 두루 거쳤다.수사통으로 잘 알려진 강 변호사는 20여 년간 경찰에 재직하며 살인, 강간, 절도 등 각종 강력범죄와 수천 건의 교통범죄 사건을 지휘해 왔다. 특히 보이스피싱전담팀을 전국 최초로 설치해 피의자 검거는 물론 피해자 회복 지원에도 만전을 기해 큰 주목을 받았다.또한 학교폭력에 대한 심각성의 단초가 된 2011년 중학생 집단괴롭힘 자살 사건, 약 4조 원대의 ‘조희팔’ 다단계 사기 사건, 지역 시장의 부정 처사 및 시청 공무원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등 사이버 수사 및 각종 경제 범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추고 있다.강 변호사는 “수십 년간의 경찰 경력을 바탕으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시민들과 함께해 왔다”며 “대륜에서도 의뢰인을 단순한 계약 관계가 아닌 가족처럼 여기며 진심으로 소통하고, 감동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강 변호사는 급변하는 수사 체계에 부합하는 전문성을 갖췄으며, 특히 강력범죄 등 긴급 대응이 필요한 형사 사건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라며 “이번 영입을 통해 대륜 형사 그룹의 역량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대륜, 대구남부경찰서장 출신 강영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전 대구남부경찰서장 강영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영남일보 - 법무법인 대륜, 강영우 전 대구 남부서장 영입…형사 대응력 강화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경찰 출신' 강영우 변호사 합류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강영우 前 대구남부경찰서장 영입…형사 사건 역량 강화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4곳
2025-06-25
법무법인 대륜, 다양한 인재로 '원 팀' 구성...'퀀텀 점프' 기대
법무법인 대륜, 다양한 인재로 '원 팀' 구성...'퀀텀 점프' 기대
법무법인 대륜이 체계적인 전문가 영입 시스템과 그룹별 ‘원 팀(One Team)’ 전략을 통해 소송 경쟁력과 기업 법무 대응력을 함께 강화하고 있다.대륜은 올해에만 79명의 변호사와 전문가를 추가 영입했다고 25일 밝혔다.대륜에는 변호사 뿐만 아니라 회계사, 변리사, 세무사, 노무사, 관세전문위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해 법적 조력을 제공한다.이처럼 다채로운 실무 경험을 지닌 인재들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간 축적한 성과 덕분이다. 글로벌 로펌 베이커 맥킨지의 선진 시스템을 국내 실정에 맞게 도입해 대한민국 10대 로펌으로 성장한 대륜은 올 하반기 뉴욕과 워싱턴 사무소 개소를 시작으로 글로벌 메가 로펌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경계 넘나드는 전문가 영입…다각적 솔루션 제공풍부한 경험과 폭넓은 직종의 인재를 확보하는 것은 대륜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다. 지난 1월에는 서울중앙지검장을 역임한 조영곤(연수원 16기) 변호사가 합류했다. 조 변호사는 검사장 재직 당시 4대강 수사, 대기업 불법 탈세 비위 등 굵직한 사건을 이끌었다.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경력의 여상원(17기) 변호사도 핵심 중 한 명이다. 여 변호사는 보건복지부를 대리해 약가 인하 소송에 승소하며 장관상을 수상하고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 다양한 경력을 갖췄다. 두 변호사는 각각 대륜 특별수행 본부장과 1부장을 맡아 SKT 해킹 소송을 진두지휘하는 등 기업 및 중대형 사건의 선봉에 설 예정이다.또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한 신일수(19기) 변호사, 춘천지방법원 판사를 거친 조영삼(24기) 변호사, 대구남부경찰서장 경력의 강영우 변호사(35기) 등 베테랑들의 합류도 이어지고 있다. 신 변호사는 21년 간 법관으로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소송수행관리본부장을 맡아 송무 전반을 지휘한다. 민사중재그룹장으로 합류한 조 변호사의 경우, 장기간 분묘기지권 인정 관련 토지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는 대법원 첫 판례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사법연수원 수료 후 약 20년 간 경찰에 재직한 강 변호사는 각종 강력 범죄 수사 경험을 토대로 대륜에서 형사사건을 수행한다.다양한 직군의 전문가들 역시 대륜의 중추적 인력이다. 기획재정부, 경제기획원 등에서 35년여 간 공직에 몸담고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을 역임한 안일환 고문, 삼성메디슨과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에서 다수의 특허 소송과 라이센싱 업무를 이끌었던 곽나미 전문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장 실장을 역임하는 등 약 30년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근무한 최명순 고문 등이 주요 인물이다.■금융·빅테크·IT 중심, ‘쓰리 트랙’ 본격화대륜은 기업법무 강화를 위해 거점별 전략적 운영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강남, 여의도, 판교를 잇는 이른바 ‘삼각 벨트’를 중심으로 금융, 빅테크, 스타트업까지 산업군별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산업별 특화 자문과 송무 역량을 강화해 고도화된 법률 솔루션을 제공한다.이에 맞춰 기업 자문과 소송에 특화된 변호사들의 합류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채권추심전문변호사 1호 이상권(31기) 변호사, 케이뱅크에서 법무팀장을 역임한 호규찬(36기) 변호사, ‘건설통’ 신영식(39기) 변호사가 새롭게 합류했다.이 변호사는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수천 건이 넘는 추심 업무를 수행했고, 수백건의 채권·부동산·주식 압류 등 강제 집행 절차를 밟았다. 금융법무 전략가인 호 변호사는 하나은행과 케이뱅크를 거치며 은행 합병 추진, 금감원 검사 대응 등 굵직한 사건을 맡아 성과를 냈다. 신 변호사는 Y재건축조합에 대한 예상 시공이익 130억원 청구소송처럼 굵직한 사건을 승소로 이끌었으며, 서울시 청문주재자로 건설업체 행정처분을 위한 증거조사를 맡는 등 다방면의 건설 및 부동산 업무를 지원해 왔다.■해외 주요 도시 진출 목표…글로벌 전문 인재 전진 배치이처럼 국내 핵심 인재를 영입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국내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를 글로벌 진출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하반기 뉴욕·워싱턴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지난 4일에는 주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실무 간담회를 개최했다. 향후 런던, 홍콩, 도쿄 등 해외 주요 도시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분야별 전문가들도 가세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미국 진출 및 중소기업진흥공단의 해외 컨설팅 프로젝트를 지원한 손동후 미국변호사(뉴욕주), 미국 법인 설립 자문과 이민·비자 관련 업무에 능통한 김미아 미국변호사(워싱턴D.C.), 대기업 계열사와 관세법인에서 국내외 무역 심사를 총괄한 명재호 관세전문위원 등이 최전선에 서 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의 핵심 경쟁력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인재 영입과 실무 중심 운영 체제에 있다”며 “급변하는 글로벌 법률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륜은 분야별 전문성과 현장 중심 실행력을 갖춘 인재를 계속해서 영입하고, 기업 법무 대상 확대와 글로벌 진출에 발 맞춰 유의미한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다양한 인재로 '원 팀' 구성...'퀀텀 점프' 기대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다양화 전문화’ 원팀 구성, 기업 법무 ‘퀀텀점프’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영입 전략은 ‘다양화·전문화’···법인도 ‘퀀텀점프’ 향해 잰걸음 (바로가기) 머니S - "법 이외 전문가도 모십니다"… 대륜, 역량 강화로 글로벌 진출 속도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4곳
2025-06-25
법무법인 대륜, 다양한 인재로 '원 팀' 구성...'퀀텀 점프' 기대
법무법인 대륜, 다양한 인재로 '원 팀' 구성...'퀀텀 점프' 기대
법무법인 대륜이 체계적인 전문가 영입 시스템과 그룹별 ‘원 팀(One Team)’ 전략을 통해 소송 경쟁력과 기업 법무 대응력을 함께 강화하고 있다.대륜은 올해에만 79명의 변호사와 전문가를 추가 영입했다고 25일 밝혔다.대륜에는 변호사 뿐만 아니라 회계사, 변리사, 세무사, 노무사, 관세전문위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해 법적 조력을 제공한다.이처럼 다채로운 실무 경험을 지닌 인재들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간 축적한 성과 덕분이다. 글로벌 로펌 베이커 맥킨지의 선진 시스템을 국내 실정에 맞게 도입해 대한민국 10대 로펌으로 성장한 대륜은 올 하반기 뉴욕과 워싱턴 사무소 개소를 시작으로 글로벌 메가 로펌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경계 넘나드는 전문가 영입…다각적 솔루션 제공풍부한 경험과 폭넓은 직종의 인재를 확보하는 것은 대륜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다. 지난 1월에는 서울중앙지검장을 역임한 조영곤(연수원 16기) 변호사가 합류했다. 조 변호사는 검사장 재직 당시 4대강 수사, 대기업 불법 탈세 비위 등 굵직한 사건을 이끌었다.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경력의 여상원(17기) 변호사도 핵심 중 한 명이다. 여 변호사는 보건복지부를 대리해 약가 인하 소송에 승소하며 장관상을 수상하고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 다양한 경력을 갖췄다. 두 변호사는 각각 대륜 특별수행 본부장과 1부장을 맡아 SKT 해킹 소송을 진두지휘하는 등 기업 및 중대형 사건의 선봉에 설 예정이다.또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한 신일수(19기) 변호사, 춘천지방법원 판사를 거친 조영삼(24기) 변호사, 대구남부경찰서장 경력의 강영우 변호사(35기) 등 베테랑들의 합류도 이어지고 있다. 신 변호사는 21년 간 법관으로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소송수행관리본부장을 맡아 송무 전반을 지휘한다. 민사중재그룹장으로 합류한 조 변호사의 경우, 장기간 분묘기지권 인정 관련 토지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는 대법원 첫 판례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사법연수원 수료 후 약 20년 간 경찰에 재직한 강 변호사는 각종 강력 범죄 수사 경험을 토대로 대륜에서 형사사건을 수행한다.다양한 직군의 전문가들 역시 대륜의 중추적 인력이다. 기획재정부, 경제기획원 등에서 35년여 간 공직에 몸담고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을 역임한 안일환 고문, 삼성메디슨과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에서 다수의 특허 소송과 라이센싱 업무를 이끌었던 곽나미 전문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장 실장을 역임하는 등 약 30년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근무한 최명순 고문 등이 주요 인물이다.■금융·빅테크·IT 중심, ‘쓰리 트랙’ 본격화대륜은 기업법무 강화를 위해 거점별 전략적 운영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강남, 여의도, 판교를 잇는 이른바 ‘삼각 벨트’를 중심으로 금융, 빅테크, 스타트업까지 산업군별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산업별 특화 자문과 송무 역량을 강화해 고도화된 법률 솔루션을 제공한다.이에 맞춰 기업 자문과 소송에 특화된 변호사들의 합류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채권추심전문변호사 1호 이상권(31기) 변호사, 케이뱅크에서 법무팀장을 역임한 호규찬(36기) 변호사, ‘건설통’ 신영식(39기) 변호사가 새롭게 합류했다.이 변호사는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수천 건이 넘는 추심 업무를 수행했고, 수백건의 채권·부동산·주식 압류 등 강제 집행 절차를 밟았다. 금융법무 전략가인 호 변호사는 하나은행과 케이뱅크를 거치며 은행 합병 추진, 금감원 검사 대응 등 굵직한 사건을 맡아 성과를 냈다. 신 변호사는 Y재건축조합에 대한 예상 시공이익 130억원 청구소송처럼 굵직한 사건을 승소로 이끌었으며, 서울시 청문주재자로 건설업체 행정처분을 위한 증거조사를 맡는 등 다방면의 건설 및 부동산 업무를 지원해 왔다.■해외 주요 도시 진출 목표…글로벌 전문 인재 전진 배치이처럼 국내 핵심 인재를 영입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국내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를 글로벌 진출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하반기 뉴욕·워싱턴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지난 4일에는 주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실무 간담회를 개최했다. 향후 런던, 홍콩, 도쿄 등 해외 주요 도시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분야별 전문가들도 가세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미국 진출 및 중소기업진흥공단의 해외 컨설팅 프로젝트를 지원한 손동후 미국변호사(뉴욕주), 미국 법인 설립 자문과 이민·비자 관련 업무에 능통한 김미아 미국변호사(워싱턴D.C.), 대기업 계열사와 관세법인에서 국내외 무역 심사를 총괄한 명재호 관세전문위원 등이 최전선에 서 있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의 핵심 경쟁력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인재 영입과 실무 중심 운영 체제에 있다”며 “급변하는 글로벌 법률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륜은 분야별 전문성과 현장 중심 실행력을 갖춘 인재를 계속해서 영입하고, 기업 법무 대상 확대와 글로벌 진출에 발 맞춰 유의미한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권병석 기자 (bsk730@fnnews.com) [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다양한 인재로 '원 팀' 구성...'퀀텀 점프' 기대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다양화 전문화’ 원팀 구성, 기업 법무 ‘퀀텀점프’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영입 전략은 ‘다양화·전문화’···법인도 ‘퀀텀점프’ 향해 잰걸음 (바로가기) 머니S - "법 이외 전문가도 모십니다"… 대륜, 역량 강화로 글로벌 진출 속도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25
교원 민감정보 누설한 교사…“과실 있다면 손해배상 해야”
교원 민감정보 누설한 교사…“과실 있다면 손해배상 해야”
민감정보 담긴 회의록, ‘직원열람제한’ 설정 없이 시스템 등록…2년간 방치2심 재판부 “고의성 없어 무죄판결 받았을 뿐…열람제한 설정 않은 과실 있어” 동료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유출한 혐의로 기소돼 무죄를 선고받은 교사가 관련 손해배상 소송에서는 패소했다. 법원은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형사 처벌을 피했다고 하더라도, 유출의 과실이 있다면 피해 당사자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부산지방법원 제1민사부는 지난달 29일 50대 교사 A씨가 한 학교법인과 소속 교사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항소심에서 원심 판결을 깨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9년 교권 보호 등을 목적으로 학교 측과 면담을 가졌다. 당시 면담을 토대로 회의록이 완성됐는데, 해당 회의록에는 A씨에 대한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겨있었다.문제는 당시 부장 교사이던 B씨가 ‘직원열람제한’ 설정을 하지 않은 채, 이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올리면서 시작됐다. 다른 교직원들이 A씨의 개인정보가 기재된 회의록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체 공개 상태는 2년 동안 유지됐던 것으로 파악됐다.이에 A씨는 자신의 민감정보가 제3자에게 유출됐다는 이유로 B씨와 학교법인을 상대로 정신적 손해배상을 청구했다.반면 B씨 측은 열람제한설정 기능에 대해 알지 못했을 뿐, A씨의 정보를 퍼트릴 의도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또 해당 정보는 이미 다른 교직원들이 알고 있던 내용이었고 NEIS가 2019년 12월자로 사용이 종료돼 회의록이 누설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B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B씨는 규정에 따라 회의록 작성 후 이를 시스템에 등록했는데, 열람제한 기능을 알지 못해 기본 설정인 ‘설정안함’ 그대로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며 “B씨가 개인정보보호법위반 혐의로 기소돼 무죄 판결을 받은 점을 비춰봤을 때 위법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하지만 2심 재판부의 판단은 달랐다. 항소심 재판부는 “B씨는 회의록이 비공개돼야 할 사안임을 알고 있었으므로 ‘직원열람제한’ 항목도 마땅히 확인해 직원들이 열람할 수 없도록 설정했어야 했다”면서 “피고의 무죄판결은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 않았을 뿐, 직원열람제한을 설정하지 않은 과실은 인정되므로 원고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며 원심 판결을 뒤집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개인정보 보호법상 ‘누설’은 개인정보를 알지 못하는 타인에게 알려주는 일체의 행위를 말하고, 손해에 대한 과실이 있다면 책임을 면할 수 없다”며 “A씨의 민감정보를 모든 교원들이 알고 있지 않았던 점과 B씨의 행위가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강조해 원심 판결을 뒤집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교원 민감정보 누설한 교사…“과실 있다면 손해배상 해야”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25
교원 민감정보 누설한 교사…“과실 있다면 손해배상 해야”
교원 민감정보 누설한 교사…“과실 있다면 손해배상 해야”
민감정보 담긴 회의록, ‘직원열람제한’ 설정 없이 시스템 등록…2년간 방치2심 재판부 “고의성 없어 무죄판결 받았을 뿐…열람제한 설정 않은 과실 있어” 동료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유출한 혐의로 기소돼 무죄를 선고받은 교사가 관련 손해배상 소송에서는 패소했다. 법원은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형사 처벌을 피했다고 하더라도, 유출의 과실이 있다면 피해 당사자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부산지방법원 제1민사부는 지난달 29일 50대 교사 A씨가 한 학교법인과 소속 교사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항소심에서 원심 판결을 깨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9년 교권 보호 등을 목적으로 학교 측과 면담을 가졌다. 당시 면담을 토대로 회의록이 완성됐는데, 해당 회의록에는 A씨에 대한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겨있었다.문제는 당시 부장 교사이던 B씨가 ‘직원열람제한’ 설정을 하지 않은 채, 이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올리면서 시작됐다. 다른 교직원들이 A씨의 개인정보가 기재된 회의록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체 공개 상태는 2년 동안 유지됐던 것으로 파악됐다.이에 A씨는 자신의 민감정보가 제3자에게 유출됐다는 이유로 B씨와 학교법인을 상대로 정신적 손해배상을 청구했다.반면 B씨 측은 열람제한설정 기능에 대해 알지 못했을 뿐, A씨의 정보를 퍼트릴 의도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또 해당 정보는 이미 다른 교직원들이 알고 있던 내용이었고 NEIS가 2019년 12월자로 사용이 종료돼 회의록이 누설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B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B씨는 규정에 따라 회의록 작성 후 이를 시스템에 등록했는데, 열람제한 기능을 알지 못해 기본 설정인 ‘설정안함’ 그대로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며 “B씨가 개인정보보호법위반 혐의로 기소돼 무죄 판결을 받은 점을 비춰봤을 때 위법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하지만 2심 재판부의 판단은 달랐다. 항소심 재판부는 “B씨는 회의록이 비공개돼야 할 사안임을 알고 있었으므로 ‘직원열람제한’ 항목도 마땅히 확인해 직원들이 열람할 수 없도록 설정했어야 했다”면서 “피고의 무죄판결은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 않았을 뿐, 직원열람제한을 설정하지 않은 과실은 인정되므로 원고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며 원심 판결을 뒤집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개인정보 보호법상 ‘누설’은 개인정보를 알지 못하는 타인에게 알려주는 일체의 행위를 말하고, 손해에 대한 과실이 있다면 책임을 면할 수 없다”며 “A씨의 민감정보를 모든 교원들이 알고 있지 않았던 점과 B씨의 행위가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강조해 원심 판결을 뒤집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교원 민감정보 누설한 교사…“과실 있다면 손해배상 해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25
계약해제 가능성 알면서도 소액 송금..대법 "적법한 이행 제공 아냐”
계약해제 가능성 알면서도 소액 송금..대법 "적법한 이행 제공 아냐”
매매계약 체결 후 해지 의사 밝히자..계약금 약 3% 송금 후 '계약 유지' 주장재판부 "피고들, 원고 계약해제권 소멸시키려는 목적에서 일방적 입금"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매도인의 동의 없이 계약금 일부만을 일방적으로 송금하고 계약을 지속하려 한 행위는 정당하지 않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제2부는 지난달 1일 40대 여성 A씨가 B씨 부부를 상대로 낸 채무부존재확인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0년 소유 중인 아파트를 B씨 부부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B씨 부부는 우선 계약금 3,000만 원을 송금하고, 잔금은 이듬해 지급하기로 약속했습니다.A씨 측은 며칠 뒤 개인 사정을 이유로 부동산 측에 계약 해지 의사를 밝혔습니다.하지만 이후 B씨 부부가 A씨에게 돌연 1,000만 원을 송금하면서 갈등이 시작됐습니다.A씨는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돈을 보낸 것은 매매 계약 이행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아울러 '매도인은 매수인이 잔금을 지불하기 전까지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는 계약서 내용에 따라 7,000만 원을 공탁했고, 이에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됐다고 강조했습니다.하지만 B씨 부부는 공탁이 이뤄지기 전 이미 자신들의 송금으로 매매 계약이 시작됐기에 계약금 배액상환에 따른 계약 해제가 불가능하다고 반박했습니다.1심 법원은 B씨 부부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계약서에서 잔금 지급기일 전 이행을 착수하지 않기로 하는 특약이 있었다고 볼만한 증거가 없다"며 "매수인인 피고들은 잔금 지급일 전이라도 잔금 이행에 착수할 수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하지만 2심 재판부의 판단은 달랐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고들은 원고의 계약해제 가능성을 안 직후 잔금 일부를 지급했는데, 그 금액도 전체 계약금에 비해 약 3% 불과하다"며 "이는 원고의 계약해제권을 소멸시키려는 목적에서 일방적으로 입금한 것으로 보여 적법한 이행제공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그러면서 "따라서 매매계약해제 통고서가 피고들에게 도달한 시점에서 계약은 해제됐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대법원 역시 상고를 기각하며 원심판결을 유지했습니다. 항소심부터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최한식 변호사는 "부동산 매매계약의 잔금 지급기일에서 매도인에게도 기한 이익이 있다면, 채무자가 이행기 전 이행에 착수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며 "이 특별한 사정에는 채무 내용, 채무 이행행위를 비롯해 상대방의 해제권 행사를 부당하게 방해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B씨 부부는 전체 잔금의 극히 일부에 불과한 1,000만 원 만을 일방적으로 원고의 계좌에 입금했고, 이는 신의칙에 위배한 행위로 볼 수 있다"며 "이같은 행위가 A씨의 법정해제권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해 승소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계약해제 가능성 알면서도 소액 송금..대법 "적법한 이행 제공 아냐”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25
계약해제 가능성 알면서도 소액 송금..대법 "적법한 이행 제공 아냐”
계약해제 가능성 알면서도 소액 송금..대법 "적법한 이행 제공 아냐”
매매계약 체결 후 해지 의사 밝히자..계약금 약 3% 송금 후 '계약 유지' 주장재판부 "피고들, 원고 계약해제권 소멸시키려는 목적에서 일방적 입금"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매도인의 동의 없이 계약금 일부만을 일방적으로 송금하고 계약을 지속하려 한 행위는 정당하지 않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제2부는 지난달 1일 40대 여성 A씨가 B씨 부부를 상대로 낸 채무부존재확인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0년 소유 중인 아파트를 B씨 부부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B씨 부부는 우선 계약금 3,000만 원을 송금하고, 잔금은 이듬해 지급하기로 약속했습니다.A씨 측은 며칠 뒤 개인 사정을 이유로 부동산 측에 계약 해지 의사를 밝혔습니다.하지만 이후 B씨 부부가 A씨에게 돌연 1,000만 원을 송금하면서 갈등이 시작됐습니다.A씨는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돈을 보낸 것은 매매 계약 이행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아울러 '매도인은 매수인이 잔금을 지불하기 전까지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는 계약서 내용에 따라 7,000만 원을 공탁했고, 이에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됐다고 강조했습니다.하지만 B씨 부부는 공탁이 이뤄지기 전 이미 자신들의 송금으로 매매 계약이 시작됐기에 계약금 배액상환에 따른 계약 해제가 불가능하다고 반박했습니다.1심 법원은 B씨 부부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계약서에서 잔금 지급기일 전 이행을 착수하지 않기로 하는 특약이 있었다고 볼만한 증거가 없다"며 "매수인인 피고들은 잔금 지급일 전이라도 잔금 이행에 착수할 수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하지만 2심 재판부의 판단은 달랐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고들은 원고의 계약해제 가능성을 안 직후 잔금 일부를 지급했는데, 그 금액도 전체 계약금에 비해 약 3% 불과하다"며 "이는 원고의 계약해제권을 소멸시키려는 목적에서 일방적으로 입금한 것으로 보여 적법한 이행제공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그러면서 "따라서 매매계약해제 통고서가 피고들에게 도달한 시점에서 계약은 해제됐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대법원 역시 상고를 기각하며 원심판결을 유지했습니다. 항소심부터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최한식 변호사는 "부동산 매매계약의 잔금 지급기일에서 매도인에게도 기한 이익이 있다면, 채무자가 이행기 전 이행에 착수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며 "이 특별한 사정에는 채무 내용, 채무 이행행위를 비롯해 상대방의 해제권 행사를 부당하게 방해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B씨 부부는 전체 잔금의 극히 일부에 불과한 1,000만 원 만을 일방적으로 원고의 계좌에 입금했고, 이는 신의칙에 위배한 행위로 볼 수 있다"며 "이같은 행위가 A씨의 법정해제권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해 승소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계약해제 가능성 알면서도 소액 송금..대법 "적법한 이행 제공 아냐”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24
술자리 합석 후 “나 미성년잔데”…강제추행 혐의 40대 ‘무죄’
술자리 합석 후 “나 미성년잔데”…강제추행 혐의 40대 ‘무죄’
미성년자인 줄 모르고 여성과 술자리를 가졌다가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에게 무죄가 선고됐다. 해당 여성의 진술에 일관성이 없어 재판부가 범죄 사실을 증명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24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은 최근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지난해 4월 지인과 술자리에서 만난 10대 B양의 어깨와 허벅지 등을 만진 혐의로 약식 기소돼 벌금형 약식 명령을 받았지만, 이에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B양이 미성년자라는 사실을 단 한 번도 밝히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재판부는 B씨 진술의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무죄를 선고했다. 착석한 위치, A씨를 알게 된 경위 등 핵심 진술이 수사기관과 법원에서 달라졌고, 수사기관에서 말하지 않았던 내용을 법정에서 새롭게 언급하는 등 진술의 일관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법원은 또 술자리에 동석했던 사람들도 A씨가 B씨에게 신체 접촉을 했는지에 대해 각자 다른 진술을 하고 있어 범죄 사실의 증명이 있었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했다.A씨를 대리한 장호철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범죄 사건의 경우 법관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공소사실이 사실이라고 확신하지 못하면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해야 한다”면서 “B씨는 진술을 계속해서 바꿨고 지인들과 함께 합의금을 요구하기도 했는데, 이런 석연치 않은 정황을 소명해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술자리 합석 후 “나 미성년잔데”…강제추행 혐의 40대 ‘무죄’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24
술자리 합석 후 “나 미성년잔데”…강제추행 혐의 40대 ‘무죄’
술자리 합석 후 “나 미성년잔데”…강제추행 혐의 40대 ‘무죄’
미성년자인 줄 모르고 여성과 술자리를 가졌다가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에게 무죄가 선고됐다. 해당 여성의 진술에 일관성이 없어 재판부가 범죄 사실을 증명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24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은 최근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지난해 4월 지인과 술자리에서 만난 10대 B양의 어깨와 허벅지 등을 만진 혐의로 약식 기소돼 벌금형 약식 명령을 받았지만, 이에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B양이 미성년자라는 사실을 단 한 번도 밝히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재판부는 B씨 진술의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무죄를 선고했다. 착석한 위치, A씨를 알게 된 경위 등 핵심 진술이 수사기관과 법원에서 달라졌고, 수사기관에서 말하지 않았던 내용을 법정에서 새롭게 언급하는 등 진술의 일관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법원은 또 술자리에 동석했던 사람들도 A씨가 B씨에게 신체 접촉을 했는지에 대해 각자 다른 진술을 하고 있어 범죄 사실의 증명이 있었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했다.A씨를 대리한 장호철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범죄 사건의 경우 법관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공소사실이 사실이라고 확신하지 못하면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해야 한다”면서 “B씨는 진술을 계속해서 바꿨고 지인들과 함께 합의금을 요구하기도 했는데, 이런 석연치 않은 정황을 소명해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술자리 합석 후 “나 미성년잔데”…강제추행 혐의 40대 ‘무죄’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6-24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 위험성과 대응방법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 위험성과 대응방법
온라인 게임의 인기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템, 머니 거래도 자연스레 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게임사는 이용자 간 게임 아이템·머니·계정을 현금 거래하는 것을 약관상 제한한다. 만약 적발되면 계정 영구 정지 등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 게임사들이 게임 속 자산의 현금화를 막는 까닭은 '사행성'을 조장하지 않기 위함이다. 특히 게임산업법에 따라 게임물 관련 사업자는 게임을 이용해 사행행위를 하도록 방치하거나, 조장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게임머니를 현금으로 환전하는 것은 과도한 사행행위를 유도하고, 건전한 게임 문화를 해친다는 이유에서다.이처럼 온라인 게임 내에서 이뤄지는 금전거래는 위험성이 따른다. 개인 간 거래 자체가 불법은 아닐지라도 게임사 약관에 위배돼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거래 과정에서 기망을 통해 이익을 취한 경우 사기죄로 처벌을 받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관련해 필자가 담당한 사건을 살펴보겠다. 의뢰인인 피의자는 온라인 RPG 게임을 즐겨하는 유저로 종종 게임머니를 다른 유저에게 현금을 받고 판매했다. 어느 날 피의자는 익명의 채팅방을 통해 알게 된 상대방과 거래를 하게 됐다. 상대방은 피의자에게 약 2,000만원에 달하는 현금을 송금하고 게임머니를 받았다.그러나 불법으로 게임머니를 획득하는 경우 계정 차단 등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게임 약관에 의해 상대 측 게임 계정이 영구 정지되고 말았다.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약 1억원의 게임머니와 아이템이 게임상 묶이게 된 상대 측은 피의자에게 터무니없는 요구를 하기에 이르렀다. 바로 본인의 계정에 묶인 게임머니 금액인 1억원을 현금으로 배상할 것을 주장한 것이다.말도 안 되는 요구에 피의자가 이를 거부하자 결국 상대 측은 피의자를 사기죄로 고소하기까지 했다. 필자는 사건 해결을 위해 제일 먼저 해당 게임 약관을 확인했다. 약관에는 고소인과 피의자 사이에 거래된 사이버 자산은 게임사에 소유권이 있어 사회통념상 객관적인 가치의 이동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또한 고소인 역시 게임머니의 현금 거래 시 이용이 정지될 수 있다는 사정을 알고 있어 피의자가 고소인을 기망했다고 볼 수도 없었다. 이런 법리적인 부분을 경찰에 소명한 덕분에 이번 사건은 무사히 불송치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게임 등 가상공간과 관련한 사건들은 끊임없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거래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분쟁에 직면할 수 있지만,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를 고려하는 유저들은 위험성을 인지하고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며, 이미 분쟁에 휘말린 경우 관련 사건을 많이 다뤄본 전문가를 찾는 것을 권장한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 위험성과 대응방법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6-24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 위험성과 대응방법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 위험성과 대응방법
온라인 게임의 인기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템, 머니 거래도 자연스레 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게임사는 이용자 간 게임 아이템·머니·계정을 현금 거래하는 것을 약관상 제한한다. 만약 적발되면 계정 영구 정지 등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 게임사들이 게임 속 자산의 현금화를 막는 까닭은 '사행성'을 조장하지 않기 위함이다. 특히 게임산업법에 따라 게임물 관련 사업자는 게임을 이용해 사행행위를 하도록 방치하거나, 조장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게임머니를 현금으로 환전하는 것은 과도한 사행행위를 유도하고, 건전한 게임 문화를 해친다는 이유에서다.이처럼 온라인 게임 내에서 이뤄지는 금전거래는 위험성이 따른다. 개인 간 거래 자체가 불법은 아닐지라도 게임사 약관에 위배돼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거래 과정에서 기망을 통해 이익을 취한 경우 사기죄로 처벌을 받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관련해 필자가 담당한 사건을 살펴보겠다. 의뢰인인 피의자는 온라인 RPG 게임을 즐겨하는 유저로 종종 게임머니를 다른 유저에게 현금을 받고 판매했다. 어느 날 피의자는 익명의 채팅방을 통해 알게 된 상대방과 거래를 하게 됐다. 상대방은 피의자에게 약 2,000만원에 달하는 현금을 송금하고 게임머니를 받았다.그러나 불법으로 게임머니를 획득하는 경우 계정 차단 등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게임 약관에 의해 상대 측 게임 계정이 영구 정지되고 말았다.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약 1억원의 게임머니와 아이템이 게임상 묶이게 된 상대 측은 피의자에게 터무니없는 요구를 하기에 이르렀다. 바로 본인의 계정에 묶인 게임머니 금액인 1억원을 현금으로 배상할 것을 주장한 것이다.말도 안 되는 요구에 피의자가 이를 거부하자 결국 상대 측은 피의자를 사기죄로 고소하기까지 했다. 필자는 사건 해결을 위해 제일 먼저 해당 게임 약관을 확인했다. 약관에는 고소인과 피의자 사이에 거래된 사이버 자산은 게임사에 소유권이 있어 사회통념상 객관적인 가치의 이동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또한 고소인 역시 게임머니의 현금 거래 시 이용이 정지될 수 있다는 사정을 알고 있어 피의자가 고소인을 기망했다고 볼 수도 없었다. 이런 법리적인 부분을 경찰에 소명한 덕분에 이번 사건은 무사히 불송치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게임 등 가상공간과 관련한 사건들은 끊임없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거래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분쟁에 직면할 수 있지만,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를 고려하는 유저들은 위험성을 인지하고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며, 이미 분쟁에 휘말린 경우 관련 사건을 많이 다뤄본 전문가를 찾는 것을 권장한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온라인 게임 내 금전거래 위험성과 대응방법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24
남편이 횡령한 7억, 생활비로 사용한 아내 불기소…"공동정범 아냐"
남편이 횡령한 7억, 생활비로 사용한 아내 불기소…"공동정범 아냐"
검찰 "횡령액 송금받은 사실만으로는 사전 인지 여부 입증 못해" 남편이 빼돌린 회삿돈을 생활비로 함께 사용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30대 여성 A씨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인천지방검찰청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A씨에게 지난달 20일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는 지난 2021년 4월부터 3년6개월여 간 남편 B씨와 공모해 회사 자금 7억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았다.이번 사건은 B씨의 횡령 사실을 파악한 회사가 A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하면서 시작됐다. B씨는 자신의 아내인 A씨를 회사 직원으로 등록해 1억3천여 만원을 급여 항목으로 송금받게 했다.이후 3년 넘게 회삿돈을 빼돌리던 B씨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한 후 회계 자료를 검토하던 회사 측에 의해 횡령 사실이 드러나게 된 것이다.A씨는 검찰 조사 과정에서 횡령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횡령액의 일부를 송금받은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남편이 회사 자금을 빼돌렸다는 사실은 전혀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다.또 A씨는 "급여 등 금전 관리는 전적으로 남편이 맡아왔고, 송금된 금액도 1회 평균 300만 원 수준으로 크지 않았다"며 "받은 돈은 모두 생활비로 사용했다"고도 해명했다.이에 검찰은 A씨가 매달 금전을 송금받은 사실만으로는 횡령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음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무혐의를 처분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공동정범 성립을 위해서는 함께 범죄를 하겠다는 '주관적 요건'과 실행한 사실에 해당하는 '객관적 요건'이 함께 충족돼야 한다"며 "비록 A씨 계좌로 일정 금액이 송금된 것은 사실이나, 자금의 출처나 목적에 대해 A씨가 알 수 없었고 금전 사용과정에 일절 관여한 바 없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소명했다"고 말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남편이 횡령한 7억, 생활비로 사용한 아내 불기소…"공동정범 아냐"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24
남편이 횡령한 7억, 생활비로 사용한 아내 불기소…"공동정범 아냐"
남편이 횡령한 7억, 생활비로 사용한 아내 불기소…"공동정범 아냐"
검찰 "횡령액 송금받은 사실만으로는 사전 인지 여부 입증 못해" 남편이 빼돌린 회삿돈을 생활비로 함께 사용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30대 여성 A씨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인천지방검찰청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A씨에게 지난달 20일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는 지난 2021년 4월부터 3년6개월여 간 남편 B씨와 공모해 회사 자금 7억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았다.이번 사건은 B씨의 횡령 사실을 파악한 회사가 A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하면서 시작됐다. B씨는 자신의 아내인 A씨를 회사 직원으로 등록해 1억3천여 만원을 급여 항목으로 송금받게 했다.이후 3년 넘게 회삿돈을 빼돌리던 B씨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한 후 회계 자료를 검토하던 회사 측에 의해 횡령 사실이 드러나게 된 것이다.A씨는 검찰 조사 과정에서 횡령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횡령액의 일부를 송금받은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남편이 회사 자금을 빼돌렸다는 사실은 전혀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다.또 A씨는 "급여 등 금전 관리는 전적으로 남편이 맡아왔고, 송금된 금액도 1회 평균 300만 원 수준으로 크지 않았다"며 "받은 돈은 모두 생활비로 사용했다"고도 해명했다.이에 검찰은 A씨가 매달 금전을 송금받은 사실만으로는 횡령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음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무혐의를 처분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공동정범 성립을 위해서는 함께 범죄를 하겠다는 '주관적 요건'과 실행한 사실에 해당하는 '객관적 요건'이 함께 충족돼야 한다"며 "비록 A씨 계좌로 일정 금액이 송금된 것은 사실이나, 자금의 출처나 목적에 대해 A씨가 알 수 없었고 금전 사용과정에 일절 관여한 바 없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소명했다"고 말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남편이 횡령한 7억, 생활비로 사용한 아내 불기소…"공동정범 아냐"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6-24
강남 개포 래미안 불륜 사건’…전문가 “문제되는 사안” 우려
강남 개포 래미안 불륜 사건’…전문가 “문제되는 사안” 우려
역삼동에도 유사한 현수막 내걸려 서울 대표적 부촌으로 꼽히는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 아파트 단지 앞에 배우자의 불륜 상대를 고발하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이를 본 전문가는 24일 세계일보에 명예훼손을 우려했다. 이날 각종 매체에 따르면 불륜 고발 현수막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과 역삼동에 내걸린 것으로 전해진다. 현수막에는 ‘애 둘 유부남 꼬셔서 두 집 살림 차린 ○○○동 ○○○호. 남의 가정 파탄 낸 술집 상간녀 김○○ 꽃뱀 조심!’이라고 적혀 있다. 이어 명예훼손으로 소송당할 가능성을 염두한 듯 내용 안에 특정 동·호수와 이름 끝자는 ‘별(*)’ 모양으로 처리돼 있다. 또 역삼동 한 건물 앞에 걸린 현수막에는 ‘애 둘 유부남이 총각 행세, 상간녀와 3년 동안 두 집 살림하고도 부끄러운 줄 모르고 적반하장에 반성도 없는 파렴치한’이라고 적혀 있다. 마찬가지로 역삼동 현수막 속 남성의 직장명과 이름은 모자이크 처리돼 있었다. 특히 두 현수막에는 불륜 남녀로 추정되는 남성과 여성이 다정하게 찍은 사진까지 들어가 있다. 현수막을 내건 신원 미상의 인물은 이들의 눈을 가렸지만 주변인이라면 당사자를 알아볼 수 있어 보인다. 이런 현수막은 아파트 단지 입구와 많은 차량이 오가는 차로에 걸려 인근 주민은 물론 이를 본 한 시민이 인터넷상에 사진을 게재해 논란을 부르고 있다. 이 현수막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에 “형법 제307조 제1항 명예훼손 성립을 위한 요건으로, 특정성이 문제되는 사안”이라고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특정성의 경우, 직접적인 명시로도 인정되지만 간접적인 정보를 통하여 사회 일반인이 누구를 말하는지 알 수 있을 정도면 특정성 요건이 만족된다”면서도 “해당 현수막의 내용만으로는 유, 무죄 성립을 예측하긴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수막은 실명언급을 자제하고 해당 주거 호수 마지막자리를 *으로 기재하여 특정성을 피하고 있다”며 “때문에 해당 아파트가 몇호까지 있는지 및 주어진 정보 외 밝혀진 부가정보로 상대방을 충분히 특정할 수 있다면 이는 명예훼손 특정성이 성립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사실적시 명예훼손의 경우 형법 제310조 위법성 조각사유에 따라 공공의이익을 위한 경우 처벌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이 경우, 공공의 이익을 위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바, 형법 제310조는 적용되지 아니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강남 개포 래미안 불륜 사건’…전문가 “문제되는 사안” 우려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6-24
강남 개포 래미안 불륜 사건’…전문가 “문제되는 사안” 우려
강남 개포 래미안 불륜 사건’…전문가 “문제되는 사안” 우려
역삼동에도 유사한 현수막 내걸려 서울 대표적 부촌으로 꼽히는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 아파트 단지 앞에 배우자의 불륜 상대를 고발하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이를 본 전문가는 24일 세계일보에 명예훼손을 우려했다. 이날 각종 매체에 따르면 불륜 고발 현수막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과 역삼동에 내걸린 것으로 전해진다. 현수막에는 ‘애 둘 유부남 꼬셔서 두 집 살림 차린 ○○○동 ○○○호. 남의 가정 파탄 낸 술집 상간녀 김○○ 꽃뱀 조심!’이라고 적혀 있다. 이어 명예훼손으로 소송당할 가능성을 염두한 듯 내용 안에 특정 동·호수와 이름 끝자는 ‘별(*)’ 모양으로 처리돼 있다. 또 역삼동 한 건물 앞에 걸린 현수막에는 ‘애 둘 유부남이 총각 행세, 상간녀와 3년 동안 두 집 살림하고도 부끄러운 줄 모르고 적반하장에 반성도 없는 파렴치한’이라고 적혀 있다. 마찬가지로 역삼동 현수막 속 남성의 직장명과 이름은 모자이크 처리돼 있었다. 특히 두 현수막에는 불륜 남녀로 추정되는 남성과 여성이 다정하게 찍은 사진까지 들어가 있다. 현수막을 내건 신원 미상의 인물은 이들의 눈을 가렸지만 주변인이라면 당사자를 알아볼 수 있어 보인다. 이런 현수막은 아파트 단지 입구와 많은 차량이 오가는 차로에 걸려 인근 주민은 물론 이를 본 한 시민이 인터넷상에 사진을 게재해 논란을 부르고 있다. 이 현수막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에 “형법 제307조 제1항 명예훼손 성립을 위한 요건으로, 특정성이 문제되는 사안”이라고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특정성의 경우, 직접적인 명시로도 인정되지만 간접적인 정보를 통하여 사회 일반인이 누구를 말하는지 알 수 있을 정도면 특정성 요건이 만족된다”면서도 “해당 현수막의 내용만으로는 유, 무죄 성립을 예측하긴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수막은 실명언급을 자제하고 해당 주거 호수 마지막자리를 *으로 기재하여 특정성을 피하고 있다”며 “때문에 해당 아파트가 몇호까지 있는지 및 주어진 정보 외 밝혀진 부가정보로 상대방을 충분히 특정할 수 있다면 이는 명예훼손 특정성이 성립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사실적시 명예훼손의 경우 형법 제310조 위법성 조각사유에 따라 공공의이익을 위한 경우 처벌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이 경우, 공공의 이익을 위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바, 형법 제310조는 적용되지 아니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강남 개포 래미안 불륜 사건’…전문가 “문제되는 사안” 우려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23
‘고수익 코인 투자 미끼’ 사기 혐의로 송치된 50대…검찰 “불기소”
‘고수익 코인 투자 미끼’ 사기 혐의로 송치된 50대…검찰 “불기소”
고소인 “원금 보장 약속받고 투자”檢 “상당 기간 수익금 받은 데다…고소인들, 불특정 다수 아닌 지인” 고수익을 미끼로 코인 투자자를 모집해 1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은 50대 남성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청은 지난달 26일 사기 및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송치된 50대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앞서 지난해 지인과 함께 익명의 채팅방을 개설한 뒤 B 씨 등을 초대해 원금 보장과 고수익 창출을 약속하며 주식 투자를 권유한 혐의를 받았다. 이들이 받아낸 투자금은 1억 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피해자들은 투자 초기에만 수익금이 일부 지급됐을 뿐 이후로는 수익금은 물론 원금도 돌려받지 못했다며 형사 고소를 진행했다. 또 A 씨 등이 자신들의 투자금을 다른 투자자들의 수익금으로 사용하는 이른바 ‘돌려막기’ 방식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강조했다.그러나 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신 역시 지인의 말을 믿고 계좌를 빌려줬을 뿐 다른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투자 내용과 수익 구조 등에 관해 들은 바가 없다고 했다.검찰은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코인은 가격 변동이 매우 심한 상품이고, 종목 구입·매도 때 특별히 정하지 않은 한 운용자에게 상당한 재량이 부여돼 있다”며 “고소인들 또한 구체적인 투자 종목 등을 전혀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는 점, A 씨가 이들로부터 받은 금전 대부분을 지인에게 즉시 이체한 점, 고소인들이 상당 기간 수익금을 받기도 한 점 등 여러 사정을 보면 사기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불기소 이유를 설명했다.A 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이번 사건에서 A 씨도 피해자로 볼 수 있다. 친하게 지내던 지인의 말을 믿고 투자금을 제공했고, 수익금을 받을 수 있다는 희망으로 지인의 모든 요구를 들어준 것일 뿐”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유사수신행위가 성립하려면 불특정 다수로부터 출자금 등 명목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가 있어야 하는데, 고소인들은 학교 선후배 등 지인에 해당했다. 채팅방 역시 초대받지 못한 사람은 접근할 수 없는 구조였다”며 “또 반복·계속성 여부, 영업성의 유무 등을 따졌을 때 자금을 조달받기 위한 사업자등록이나 광고·투자설명회 등 일련의 행위가 없었다. 종합적으로 불법행위를 인정할 증거 역시 발견되지 않아 무혐의로 마무리됐다”고 전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고수익 코인 투자 미끼’ 사기 혐의로 송치된 50대…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23
‘고수익 코인 투자 미끼’ 사기 혐의로 송치된 50대…검찰 “불기소”
‘고수익 코인 투자 미끼’ 사기 혐의로 송치된 50대…검찰 “불기소”
고소인 “원금 보장 약속받고 투자”檢 “상당 기간 수익금 받은 데다…고소인들, 불특정 다수 아닌 지인” 고수익을 미끼로 코인 투자자를 모집해 1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은 50대 남성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청은 지난달 26일 사기 및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송치된 50대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앞서 지난해 지인과 함께 익명의 채팅방을 개설한 뒤 B 씨 등을 초대해 원금 보장과 고수익 창출을 약속하며 주식 투자를 권유한 혐의를 받았다. 이들이 받아낸 투자금은 1억 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피해자들은 투자 초기에만 수익금이 일부 지급됐을 뿐 이후로는 수익금은 물론 원금도 돌려받지 못했다며 형사 고소를 진행했다. 또 A 씨 등이 자신들의 투자금을 다른 투자자들의 수익금으로 사용하는 이른바 ‘돌려막기’ 방식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강조했다.그러나 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신 역시 지인의 말을 믿고 계좌를 빌려줬을 뿐 다른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투자 내용과 수익 구조 등에 관해 들은 바가 없다고 했다.검찰은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코인은 가격 변동이 매우 심한 상품이고, 종목 구입·매도 때 특별히 정하지 않은 한 운용자에게 상당한 재량이 부여돼 있다”며 “고소인들 또한 구체적인 투자 종목 등을 전혀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는 점, A 씨가 이들로부터 받은 금전 대부분을 지인에게 즉시 이체한 점, 고소인들이 상당 기간 수익금을 받기도 한 점 등 여러 사정을 보면 사기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불기소 이유를 설명했다.A 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이번 사건에서 A 씨도 피해자로 볼 수 있다. 친하게 지내던 지인의 말을 믿고 투자금을 제공했고, 수익금을 받을 수 있다는 희망으로 지인의 모든 요구를 들어준 것일 뿐”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유사수신행위가 성립하려면 불특정 다수로부터 출자금 등 명목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가 있어야 하는데, 고소인들은 학교 선후배 등 지인에 해당했다. 채팅방 역시 초대받지 못한 사람은 접근할 수 없는 구조였다”며 “또 반복·계속성 여부, 영업성의 유무 등을 따졌을 때 자금을 조달받기 위한 사업자등록이나 광고·투자설명회 등 일련의 행위가 없었다. 종합적으로 불법행위를 인정할 증거 역시 발견되지 않아 무혐의로 마무리됐다”고 전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고수익 코인 투자 미끼’ 사기 혐의로 송치된 50대…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23
"상장 시 3배, 원금 보장"..코인 투자 권유 50대 여성 불기소
"상장 시 3배, 원금 보장"..코인 투자 권유 50대 여성 불기소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코인 투자를 권유하며 투자금을 받은 혐의로 송치된 다단계 판매조직 그룹장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2일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위반 혐의를 받는 50대 여성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1년 3월 다단계 판매조직을 운영하며 피해자 B씨로부터 코인 투자액으로 수천만 원을 교부받은 혐의입니다.이 과정에서 A씨는 B씨가 자금 사정의 부담을 토로하자 요청 시 투자금 전액을 반환해 주겠다고 약속해 3,600만 원을 전달받았습니다.그러나 B씨는 남편의 반대로 철회 의사를 밝혔고, 약속한 투자금 반환이 계속 미뤄지자 이들을 고소했습니다.A씨는 B씨와 한 약속이 투자금 보장이 아닌 제품 환불에 대한 안내였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해당 쇼핑몰은 제품을 구매하면 사은품으로 코인을 지급하는 시스템이었는데, 자신은 코인에 직접 투자하라고 권유한 적은 없다는 주장이었습니다.자신 역시 3억 원가량을 손해 본 피해자라면서, 불특정 다수에게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영업한 사실은 없다고도 했습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유사수신행위가 성립하려면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원금 보장을 '업'으로 약정해야 하는데, A씨가 말한 '반환'은 어려운 사정을 호소하는 특정인에게 한 달 내 투자를 철회할 경우 원금을 반환해 주겠다는 취지라고 봤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이광우 변호사는 "유사수신죄가 되려면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한 영업행위가 핵심"이라며 "이번 사건은 고소인 한 명의 특수한 사정을 고려한 개인적인 약속이었을 뿐 법에서 규정하는 영업 행위로 볼 수 없다는 점을 주장했고, 이를 통해 불기소 처분을 이끌어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상장 시 3배, 원금 보장"..코인 투자 권유 50대 여성 불기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23
"상장 시 3배, 원금 보장"..코인 투자 권유 50대 여성 불기소
"상장 시 3배, 원금 보장"..코인 투자 권유 50대 여성 불기소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코인 투자를 권유하며 투자금을 받은 혐의로 송치된 다단계 판매조직 그룹장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2일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위반 혐의를 받는 50대 여성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1년 3월 다단계 판매조직을 운영하며 피해자 B씨로부터 코인 투자액으로 수천만 원을 교부받은 혐의입니다.이 과정에서 A씨는 B씨가 자금 사정의 부담을 토로하자 요청 시 투자금 전액을 반환해 주겠다고 약속해 3,600만 원을 전달받았습니다.그러나 B씨는 남편의 반대로 철회 의사를 밝혔고, 약속한 투자금 반환이 계속 미뤄지자 이들을 고소했습니다.A씨는 B씨와 한 약속이 투자금 보장이 아닌 제품 환불에 대한 안내였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해당 쇼핑몰은 제품을 구매하면 사은품으로 코인을 지급하는 시스템이었는데, 자신은 코인에 직접 투자하라고 권유한 적은 없다는 주장이었습니다.자신 역시 3억 원가량을 손해 본 피해자라면서, 불특정 다수에게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영업한 사실은 없다고도 했습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유사수신행위가 성립하려면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원금 보장을 '업'으로 약정해야 하는데, A씨가 말한 '반환'은 어려운 사정을 호소하는 특정인에게 한 달 내 투자를 철회할 경우 원금을 반환해 주겠다는 취지라고 봤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이광우 변호사는 "유사수신죄가 되려면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한 영업행위가 핵심"이라며 "이번 사건은 고소인 한 명의 특수한 사정을 고려한 개인적인 약속이었을 뿐 법에서 규정하는 영업 행위로 볼 수 없다는 점을 주장했고, 이를 통해 불기소 처분을 이끌어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상장 시 3배, 원금 보장"..코인 투자 권유 50대 여성 불기소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6-22
[기고] 리베이트 관련 규제 변천사 및 최신 규제 동향
[기고] 리베이트 관련 규제 변천사 및 최신 규제 동향
대륜 이일형 변호사 "CSO 신고제 도입 이후 제약기업 관심도 더 높아져""건전한 영업 방식 정착- 컴플라이언스시스템 고도화..지속가능 발전 필수 과제" 1. 들어가며 제약업계에서 리베이트는 오래된 현안이지만, 최근 CSO 신고제 도입을 비롯한 정부의 강화된 규제로 인해 업계의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리베이트 관련 규제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최신 규제 동향과 향후 전망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2. 리베이트의 개념과 특징 의약품 리베이트란 제약회사나 도매상 등이 의료인, 의료기관 개설자 또는 약국 운영자에게 의약품 판매촉진을 위하여 현금, 현물 등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주요 형태로는 ▲병·의원의 해외연수·세미나 참석 경비 지원 ▲개업 병·의원에 의약품 무상 공급 ▲사무기기 등 현물 제공 등이 있다.의약분야 리베이트가 다른 산업과 구별되는 특징은 그 규제의 강도에 있다. 리베이트는 제약 산업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에서도 흔하게 발생하며, 공정거래법 등에 의해 일정 수준의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의약분야의 경우 그 특수성으로 인해 공정거래법, 약사법, 의료법, 약가 관련 법령 등 다층적이고 강화된 규제 체계가 적용되고 있다. 3. 규제 변천사: 단계별 강화 흐름 리베이트 관련 규제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의약품 시장 성장과 함께 규제의 종류와 강도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온 명확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 1단계: 공정거래법 중심의 초기 규제 (2000년대 초반까지)초기에는 주로 공정거래법을 적용하여 정상적인 관행에 비추어 부당하거나 과대한 이익을 제공하여 경쟁사업자의 고객을 자신과 거래하도록 유인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방식으로 규제가 이루어져 왔다. ▶ 2단계: 리베이트-약가 인하 연동제 도입 (2009년) 보건복지부는 2009년 8월 1일부터 리베이트로 인한 약가의 거품을 제거하고 리베이트를 근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리베이트-약가 인하 연동 제도'를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제도는 무리한 행정이라는 비판이 많았고, 결정적으로 법원에서 처분을 취소하는 사례가 계속 나오면서 중간중간 제도 변경의 부침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유사한 제도가 지속 시행되고 있다. ▶ 3단계: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2010년) 리베이트가 근절되지 않자 정부는 2010년 5월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하게 된다. 리베이트 쌍벌제란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거래에서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자와 수수한 자 모두 처벌하는 제도'를 말한다(보건복지부 약무정책 홈페이지 참조). 쌍벌제 도입의 입법 연혁을 보면 다음과 같다. • 1992년 7월: '의약품 거래 관련 경품류 제공' 금지• 2008년 12월: 의약품 분야 불법 리베이트 제공 금지• 2010년 5월: 리베이트 수수자까지 처벌하는 쌍벌제 도입 ▶ 4단계: 행정처분 기준 강화 (2011년~2013년) ∙ 2011년 6월: 보건복지부령 제62호로 개정된 「의료관계 행정처분규칙」에서 형사처분 결과를 기준으로 한 제재기준 마련(서울행정법원 2017. 12. 14. 선고 2017구합3526 판결 참조)∙ 2013년 4월: 행정처분(자격정지 및 업무정지) 기준 추가 강화(보건복지부 약무정책 홈페이지 참조) ▶ 5단계: CSO 신고제 시행 (2023년) 2023년 4월 18일에는 약사법 제47조가 추가 개정되어 '의약품 판촉영업자가 아닌 자에게 의약품의 판매촉진 업무를 위탁 금지'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된 CSO 신고제가 본격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4. 최신 규제 동향: 합동 단속의 일상화 최신 규제 동향에서 주목할 부분은 정부의 관리가 더욱 촘촘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리베이트 수사는 단순히 경찰, 검찰과 같은 수사기관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합동 수사: 검찰, 경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복지부 등 유관기관 간 합동 수사의 일반화▲다각도 적발: 세무조사 과정에서 리베이트 정황을 포착하여 유관기관에 사건을 인계하는 방식까지 확산▲전방위 감시: 내부자 제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리베이트 적발 시스템 구축 5. 향후 전망과 결론 이상의 규제 변천사를 종합해보면, 리베이트와 관련된 정부 일관된 입장은 '규제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흐름을 역행할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따라서 다소 진부한 이야기가 될 수 있겠지만, 제약회사들은 단순히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일회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을 넘어서 근본적으로 체질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리베이트에 의존하지 않는 건전한 영업 방식의 정착과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고도화가 제약업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음에는 처벌 사례 정리 등을 포함해 좀 더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리베이트 관련 규제 변천사 및 최신 규제 동향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6-22
[기고] 리베이트 관련 규제 변천사 및 최신 규제 동향
[기고] 리베이트 관련 규제 변천사 및 최신 규제 동향
대륜 이일형 변호사 "CSO 신고제 도입 이후 제약기업 관심도 더 높아져""건전한 영업 방식 정착- 컴플라이언스시스템 고도화..지속가능 발전 필수 과제" 1. 들어가며 제약업계에서 리베이트는 오래된 현안이지만, 최근 CSO 신고제 도입을 비롯한 정부의 강화된 규제로 인해 업계의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리베이트 관련 규제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최신 규제 동향과 향후 전망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2. 리베이트의 개념과 특징 의약품 리베이트란 제약회사나 도매상 등이 의료인, 의료기관 개설자 또는 약국 운영자에게 의약품 판매촉진을 위하여 현금, 현물 등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주요 형태로는 ▲병·의원의 해외연수·세미나 참석 경비 지원 ▲개업 병·의원에 의약품 무상 공급 ▲사무기기 등 현물 제공 등이 있다.의약분야 리베이트가 다른 산업과 구별되는 특징은 그 규제의 강도에 있다. 리베이트는 제약 산업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에서도 흔하게 발생하며, 공정거래법 등에 의해 일정 수준의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의약분야의 경우 그 특수성으로 인해 공정거래법, 약사법, 의료법, 약가 관련 법령 등 다층적이고 강화된 규제 체계가 적용되고 있다. 3. 규제 변천사: 단계별 강화 흐름 리베이트 관련 규제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의약품 시장 성장과 함께 규제의 종류와 강도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온 명확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 1단계: 공정거래법 중심의 초기 규제 (2000년대 초반까지)초기에는 주로 공정거래법을 적용하여 정상적인 관행에 비추어 부당하거나 과대한 이익을 제공하여 경쟁사업자의 고객을 자신과 거래하도록 유인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방식으로 규제가 이루어져 왔다. ▶ 2단계: 리베이트-약가 인하 연동제 도입 (2009년) 보건복지부는 2009년 8월 1일부터 리베이트로 인한 약가의 거품을 제거하고 리베이트를 근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리베이트-약가 인하 연동 제도'를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제도는 무리한 행정이라는 비판이 많았고, 결정적으로 법원에서 처분을 취소하는 사례가 계속 나오면서 중간중간 제도 변경의 부침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유사한 제도가 지속 시행되고 있다. ▶ 3단계: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2010년) 리베이트가 근절되지 않자 정부는 2010년 5월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하게 된다. 리베이트 쌍벌제란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거래에서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자와 수수한 자 모두 처벌하는 제도'를 말한다(보건복지부 약무정책 홈페이지 참조). 쌍벌제 도입의 입법 연혁을 보면 다음과 같다. • 1992년 7월: '의약품 거래 관련 경품류 제공' 금지• 2008년 12월: 의약품 분야 불법 리베이트 제공 금지• 2010년 5월: 리베이트 수수자까지 처벌하는 쌍벌제 도입 ▶ 4단계: 행정처분 기준 강화 (2011년~2013년) ∙ 2011년 6월: 보건복지부령 제62호로 개정된 「의료관계 행정처분규칙」에서 형사처분 결과를 기준으로 한 제재기준 마련(서울행정법원 2017. 12. 14. 선고 2017구합3526 판결 참조)∙ 2013년 4월: 행정처분(자격정지 및 업무정지) 기준 추가 강화(보건복지부 약무정책 홈페이지 참조) ▶ 5단계: CSO 신고제 시행 (2023년) 2023년 4월 18일에는 약사법 제47조가 추가 개정되어 '의약품 판촉영업자가 아닌 자에게 의약품의 판매촉진 업무를 위탁 금지'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된 CSO 신고제가 본격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4. 최신 규제 동향: 합동 단속의 일상화 최신 규제 동향에서 주목할 부분은 정부의 관리가 더욱 촘촘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리베이트 수사는 단순히 경찰, 검찰과 같은 수사기관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합동 수사: 검찰, 경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복지부 등 유관기관 간 합동 수사의 일반화▲다각도 적발: 세무조사 과정에서 리베이트 정황을 포착하여 유관기관에 사건을 인계하는 방식까지 확산▲전방위 감시: 내부자 제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리베이트 적발 시스템 구축 5. 향후 전망과 결론 이상의 규제 변천사를 종합해보면, 리베이트와 관련된 정부 일관된 입장은 '규제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흐름을 역행할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따라서 다소 진부한 이야기가 될 수 있겠지만, 제약회사들은 단순히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일회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을 넘어서 근본적으로 체질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리베이트에 의존하지 않는 건전한 영업 방식의 정착과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고도화가 제약업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음에는 처벌 사례 정리 등을 포함해 좀 더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리베이트 관련 규제 변천사 및 최신 규제 동향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6-22
가맹점 접고 바로 옆에 새 매장?…'경업금지조항' 따져 봤나요 [대륜의 Biz law forum]
가맹점 접고 바로 옆에 새 매장?…'경업금지조항' 따져 봤나요 [대륜의 Biz law forum]
계약 종료 후 조항 효력 논란판례 기반 3가지 요건 충족돼야애초부터 균형 있게 합의할 필요 가맹 계약 분쟁 현장에서 자주 목격하는 풍경이 있다. 계약 종료 후 가맹점 사업자가 기존 사업장에서 간판만 바꿔 달고 유사한 업종으로 영업을 재개하거나 인근 지역에 독자 매장을 개설하는 경우다. 이때 가맹본부는 "계약서상 경업금지 조항을 위반했다"며 법적 대응에 나서고, 가맹점 사업자는 "계약이 끝났는데 무슨 문제냐"며 맞선다. 갈등의 중심에는 '경업금지 조항'이 자리하고 있다. 과연 계약 종료 후에도 이 조항은 유효한가? 법원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을까? 경업금지 조항, 계약 종료 후에도 유효한가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가맹사업법') 6조 10호는 가맹 계약 기간 중 가맹점 사업자가 가맹본부와 동일한 업종을 영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가맹본부의 영업이익을 보호하고 가맹 사업의 질서 유지를 위해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정한 외식업 표준 가맹계약서에도 유사한 내용이 있다. 계약 기간 중에는 가맹본부의 허락 없이 동종 업종을 직접 또는 제삼자를 통해 영위할 수 없다는 조항이 그것이다.문제는 계약 종료 이후다. 계약이 해지되거나 종료된 이후에도 일정 기간 경업을 금지하는 조항은 헌법상 보장된 '직업 선택의 자유'와 직접 충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법원은 계약 종료 후 경업금지 조항의 유효 여부에 대해 상당히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하급심 중에는 "가맹점 사업자가 가맹본부와의 약정에 따라 경업금지 기간을 정한 경우에도 가맹사업의 종류, 사업 영위 과정에서 가맹본부의 역할 및 비중, 계약 종료 후 가맹점 사업자에 의한 영업비밀의 유출 위험 또는 기존 상권의 유용 가능성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해 경업금지 약정으로 보호할 정도로 가치 있는 가맹본부의 이익이 있는지를 기준으로 당해 약정의 유효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경업금지 약정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은 이를 주장하는 자가 증명할 책임이 있다"고 한 판결이 있다(2021년 7월 7일 부산지방법원 2020가합46673 판결). 경업금지의 유효성을 인정받기 위해선 다음 세 가지 요건이 충족돼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대체적 입장이다.첫째, 가맹본부가 보호할 정당한 이익이 존재해야 한다. 본부가 단순히 상표 사용권이나 일반적인 운영 지침 정도를 제공한 것이라면 이런 정보는 공공의 영역에 가까워 경업금지를 정당화할 만한 수준의 이익으로 보기 어렵다. 반면 차별화된 레시피, 독자적 마케팅 전략,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교육자료 등을 전수한 경우라면 보호 가치가 인정된다. 이와 관련해 대구지방법원(2022나329254, 2023년 5월 10일 선고)은 가맹점 사업자가 경업금지의무를 부담하는 업종이 탕수육, 짜장면, 짬뽕 등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음식 판매업인 사안에서 이런 메뉴를 활용한 음식점 영업은 가맹본부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노하우에 기한 것이라고 볼 수 없고, 가맹본부가 가맹계약에 따라 가맹점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것들이 경쟁 사업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법적으로 보호 가치가 있는 영업비밀에 해당한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판단한 바 있다.둘째, 경업 금지 대상이 되는 기간·지역·업종 범위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1년 이내의 기간, 기존 점포 반경 1~3㎞ 이내의 지역, 동종 업종 범위 내 제한 등이 관행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이를 초과해 전국 단위, 3년 이상, 광범위한 업종을 포괄하는 등으로 설정될 경우 법원은 그 효력을 부정할 가능성이 크다. 수원지방법원(2023가합18730, 2024년 12월 18일 선고)은 가맹계약 종료 후 1년간 국내 모든 지역에서 본인 또는 가족의 명의로 동일한 업종을 경영하거나 투자·자문하는 것을 금지하는 계약 조항에 대해 "가맹사업자의 직업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제한하고 있으므로 불공정한 약관에 해당해 무효"라고 판단했다.셋째, 가맹점 사업자에 대가를 제공했는지도 중요한 요소다. 가맹 계약 종료 후 일정 기간 영업을 제한하는 대가로 일정한 보상이 지급됐거나 가맹점 사업자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돼 있다면 경업금지의 정당성이 더욱 강화된다. 계약 체결 전 경업금지 조항 면밀 검토해야 이런 기준에 비춰볼 때 가맹점 사업자는 계약 체결 전 계약서 내 경업금지 조항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종료 후 제한 조건이 포함돼 있다면 향후 자신이 구상하는 사업 모델이나 업종과 충돌하지 않는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 단순히 "계약이 끝났으니 무관하다"는 식의 판단은 위험하며, 자칫 위약금이나 손해배상 등 민사책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가맹본부 역시 무리하게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경업 금지를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과도한 제한은 법적으로 무효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가맹점 사업자와의 신뢰 관계를 해치고, 불필요한 분쟁을 초래할 위험도 높다. 경업금지 조항은 해당 가맹 사업의 특성과 노하우 수준, 가맹점 영업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설정돼야 한다. 경업금지 조항은 가맹 사업의 본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가맹점 사업자가 본부의 체계적인 지원과 브랜드 가치를 기반으로 영업하면서 각종 노하우를 축적해 놓고 계약 종료 후 이를 그대로 활용해 유사 영업을 시작한다면 본부로서는 막대한 피해다. 이는 단순한 영업의 자유를 넘어 가맹계약 전체의 질서를 훼손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로 작용한다.동시에 그렇다 해서 무조건적인 금지와 광범위한 제한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경업금지 조항의 효력은 '합리성'과 '정당성'이라는 두 축 위에서 작동하며, 그 판단은 언제나 개별 사안의 사실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중요한 것은 계약 체결 당시 양 당사자가 각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해 충분히 인식한 뒤 공정하고 균형 잡힌 조건으로 합의하는 것이다. 나아가 분쟁 발생 전 예방 차원에서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 역시 필요하다.가맹 사업이 장기적인 신뢰와 협력에 기반한 구조라는 점을 고려할 때 경업금지 조항은 단순한 제한 규정이 아니라 파트너십의 지속성과 공정한 경쟁 질서를 위한 장치로 이해돼야 한다.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업자 모두가 이런 인식에 기반해 보다 투명하고 건전한 가맹사업 문화를 만들어가길 기대한다. [기사전문보기] 가맹점 접고 바로 옆에 새 매장?…'경업금지조항' 따져 봤나요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6-22
가맹점 접고 바로 옆에 새 매장?…'경업금지조항' 따져 봤나요 [대륜의 Biz law forum]
가맹점 접고 바로 옆에 새 매장?…'경업금지조항' 따져 봤나요 [대륜의 Biz law forum]
계약 종료 후 조항 효력 논란판례 기반 3가지 요건 충족돼야애초부터 균형 있게 합의할 필요 가맹 계약 분쟁 현장에서 자주 목격하는 풍경이 있다. 계약 종료 후 가맹점 사업자가 기존 사업장에서 간판만 바꿔 달고 유사한 업종으로 영업을 재개하거나 인근 지역에 독자 매장을 개설하는 경우다. 이때 가맹본부는 "계약서상 경업금지 조항을 위반했다"며 법적 대응에 나서고, 가맹점 사업자는 "계약이 끝났는데 무슨 문제냐"며 맞선다. 갈등의 중심에는 '경업금지 조항'이 자리하고 있다. 과연 계약 종료 후에도 이 조항은 유효한가? 법원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을까? 경업금지 조항, 계약 종료 후에도 유효한가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가맹사업법') 6조 10호는 가맹 계약 기간 중 가맹점 사업자가 가맹본부와 동일한 업종을 영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가맹본부의 영업이익을 보호하고 가맹 사업의 질서 유지를 위해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정한 외식업 표준 가맹계약서에도 유사한 내용이 있다. 계약 기간 중에는 가맹본부의 허락 없이 동종 업종을 직접 또는 제삼자를 통해 영위할 수 없다는 조항이 그것이다.문제는 계약 종료 이후다. 계약이 해지되거나 종료된 이후에도 일정 기간 경업을 금지하는 조항은 헌법상 보장된 '직업 선택의 자유'와 직접 충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법원은 계약 종료 후 경업금지 조항의 유효 여부에 대해 상당히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하급심 중에는 "가맹점 사업자가 가맹본부와의 약정에 따라 경업금지 기간을 정한 경우에도 가맹사업의 종류, 사업 영위 과정에서 가맹본부의 역할 및 비중, 계약 종료 후 가맹점 사업자에 의한 영업비밀의 유출 위험 또는 기존 상권의 유용 가능성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해 경업금지 약정으로 보호할 정도로 가치 있는 가맹본부의 이익이 있는지를 기준으로 당해 약정의 유효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경업금지 약정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은 이를 주장하는 자가 증명할 책임이 있다"고 한 판결이 있다(2021년 7월 7일 부산지방법원 2020가합46673 판결). 경업금지의 유효성을 인정받기 위해선 다음 세 가지 요건이 충족돼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대체적 입장이다.첫째, 가맹본부가 보호할 정당한 이익이 존재해야 한다. 본부가 단순히 상표 사용권이나 일반적인 운영 지침 정도를 제공한 것이라면 이런 정보는 공공의 영역에 가까워 경업금지를 정당화할 만한 수준의 이익으로 보기 어렵다. 반면 차별화된 레시피, 독자적 마케팅 전략,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교육자료 등을 전수한 경우라면 보호 가치가 인정된다. 이와 관련해 대구지방법원(2022나329254, 2023년 5월 10일 선고)은 가맹점 사업자가 경업금지의무를 부담하는 업종이 탕수육, 짜장면, 짬뽕 등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음식 판매업인 사안에서 이런 메뉴를 활용한 음식점 영업은 가맹본부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노하우에 기한 것이라고 볼 수 없고, 가맹본부가 가맹계약에 따라 가맹점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것들이 경쟁 사업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법적으로 보호 가치가 있는 영업비밀에 해당한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판단한 바 있다.둘째, 경업 금지 대상이 되는 기간·지역·업종 범위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1년 이내의 기간, 기존 점포 반경 1~3㎞ 이내의 지역, 동종 업종 범위 내 제한 등이 관행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이를 초과해 전국 단위, 3년 이상, 광범위한 업종을 포괄하는 등으로 설정될 경우 법원은 그 효력을 부정할 가능성이 크다. 수원지방법원(2023가합18730, 2024년 12월 18일 선고)은 가맹계약 종료 후 1년간 국내 모든 지역에서 본인 또는 가족의 명의로 동일한 업종을 경영하거나 투자·자문하는 것을 금지하는 계약 조항에 대해 "가맹사업자의 직업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제한하고 있으므로 불공정한 약관에 해당해 무효"라고 판단했다.셋째, 가맹점 사업자에 대가를 제공했는지도 중요한 요소다. 가맹 계약 종료 후 일정 기간 영업을 제한하는 대가로 일정한 보상이 지급됐거나 가맹점 사업자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돼 있다면 경업금지의 정당성이 더욱 강화된다. 계약 체결 전 경업금지 조항 면밀 검토해야 이런 기준에 비춰볼 때 가맹점 사업자는 계약 체결 전 계약서 내 경업금지 조항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종료 후 제한 조건이 포함돼 있다면 향후 자신이 구상하는 사업 모델이나 업종과 충돌하지 않는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 단순히 "계약이 끝났으니 무관하다"는 식의 판단은 위험하며, 자칫 위약금이나 손해배상 등 민사책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가맹본부 역시 무리하게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경업 금지를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과도한 제한은 법적으로 무효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가맹점 사업자와의 신뢰 관계를 해치고, 불필요한 분쟁을 초래할 위험도 높다. 경업금지 조항은 해당 가맹 사업의 특성과 노하우 수준, 가맹점 영업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설정돼야 한다. 경업금지 조항은 가맹 사업의 본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가맹점 사업자가 본부의 체계적인 지원과 브랜드 가치를 기반으로 영업하면서 각종 노하우를 축적해 놓고 계약 종료 후 이를 그대로 활용해 유사 영업을 시작한다면 본부로서는 막대한 피해다. 이는 단순한 영업의 자유를 넘어 가맹계약 전체의 질서를 훼손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로 작용한다.동시에 그렇다 해서 무조건적인 금지와 광범위한 제한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경업금지 조항의 효력은 '합리성'과 '정당성'이라는 두 축 위에서 작동하며, 그 판단은 언제나 개별 사안의 사실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중요한 것은 계약 체결 당시 양 당사자가 각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해 충분히 인식한 뒤 공정하고 균형 잡힌 조건으로 합의하는 것이다. 나아가 분쟁 발생 전 예방 차원에서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 역시 필요하다.가맹 사업이 장기적인 신뢰와 협력에 기반한 구조라는 점을 고려할 때 경업금지 조항은 단순한 제한 규정이 아니라 파트너십의 지속성과 공정한 경쟁 질서를 위한 장치로 이해돼야 한다.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업자 모두가 이런 인식에 기반해 보다 투명하고 건전한 가맹사업 문화를 만들어가길 기대한다. [기사전문보기] 가맹점 접고 바로 옆에 새 매장?…'경업금지조항' 따져 봤나요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20
지인에 판 건물이 전세사기?..전 건물주 40대 불기소
지인에 판 건물이 전세사기?..전 건물주 40대 불기소
지인과 공모해 임차인들을 상대로 전세사기를 벌인 혐의를 받은 40대 남성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습니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지난달 22일 사기 혐의로 송치된 4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지난 2016년부터 한 건물을 매수해 운영해오던 A씨는 2023년 지인 B씨에게 이를 팔았습니다.당시 A씨는 B씨에게 전세보증금 21억여 원에 대한 반환 채무를 인수하는 조건을 내걸었고, B씨 역시 이를 받아들이면서 거래가 성사됐습니다.그러나 건물 매수 7개월 뒤 B씨는 개인회생을 신청했고, 임차인들에게 전세보증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면서 수사가 시작됐습니다.임차인들은 A씨가 전월세 임대차계약 당시 선순위보증금을 축소 고지해 계약을 체결하도록 만들어 보증금을 편취했고, 건물을 '깡통 전세'로 만들어 B씨에게 헐값에 매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선순위보증금 고지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중개 부동산에서도 관련 금액을 명확히 하지 않은 과실이 있으며, 편취의 범의는 전혀 없었다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전세 사기 혐의에 대해서도 "B씨가 당시 급여 명세서를 직접 보여줬고, 은행 대출도 정상적으로 나왔기에 경제적 능력을 의심할 수 없었다"며 "B씨의 재무 상태가 좋지 않았다면 건물을 팔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습니다."선순위보증금을 축소 고지한 과실은 있지만, A씨가 부동산을 소유할 당시 보증금 반환에 대비해 보유하던 현금자산이 충분하고 소득 수준 또한 높았던 것을 볼 때, 의도적인 편취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입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성윤 변호사는 "일반적인 임대차 관계에서 통상 선순위담보권 존재에 대해 고지할 의무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며 "이 사건의 경우 B씨가 A씨 건물 이외의 건물을 무리하게 추가 매입해 회생에 이르렀고 A씨가 세입자들과 계약 당시 기망의 의도가 없음을 적극적으로 소명해 좋은 결과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습니다.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지인에 판 건물이 전세사기?..전 건물주 40대 불기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20
지인에 판 건물이 전세사기?..전 건물주 40대 불기소
지인에 판 건물이 전세사기?..전 건물주 40대 불기소
지인과 공모해 임차인들을 상대로 전세사기를 벌인 혐의를 받은 40대 남성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습니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지난달 22일 사기 혐의로 송치된 4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지난 2016년부터 한 건물을 매수해 운영해오던 A씨는 2023년 지인 B씨에게 이를 팔았습니다.당시 A씨는 B씨에게 전세보증금 21억여 원에 대한 반환 채무를 인수하는 조건을 내걸었고, B씨 역시 이를 받아들이면서 거래가 성사됐습니다.그러나 건물 매수 7개월 뒤 B씨는 개인회생을 신청했고, 임차인들에게 전세보증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면서 수사가 시작됐습니다.임차인들은 A씨가 전월세 임대차계약 당시 선순위보증금을 축소 고지해 계약을 체결하도록 만들어 보증금을 편취했고, 건물을 '깡통 전세'로 만들어 B씨에게 헐값에 매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선순위보증금 고지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중개 부동산에서도 관련 금액을 명확히 하지 않은 과실이 있으며, 편취의 범의는 전혀 없었다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전세 사기 혐의에 대해서도 "B씨가 당시 급여 명세서를 직접 보여줬고, 은행 대출도 정상적으로 나왔기에 경제적 능력을 의심할 수 없었다"며 "B씨의 재무 상태가 좋지 않았다면 건물을 팔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습니다."선순위보증금을 축소 고지한 과실은 있지만, A씨가 부동산을 소유할 당시 보증금 반환에 대비해 보유하던 현금자산이 충분하고 소득 수준 또한 높았던 것을 볼 때, 의도적인 편취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입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성윤 변호사는 "일반적인 임대차 관계에서 통상 선순위담보권 존재에 대해 고지할 의무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며 "이 사건의 경우 B씨가 A씨 건물 이외의 건물을 무리하게 추가 매입해 회생에 이르렀고 A씨가 세입자들과 계약 당시 기망의 의도가 없음을 적극적으로 소명해 좋은 결과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습니다.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지인에 판 건물이 전세사기?..전 건물주 40대 불기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19
"강사 교육해준 것"..4년간 제자 무일푼 고용한 40대 원장 무혐의
"강사 교육해준 것"..4년간 제자 무일푼 고용한 40대 원장 무혐의
학원 지분을 빌미로 제자를 고용한 뒤 임금을 가로챈 혐의로 송치된 40대 학원장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울산지방검찰청은 지난 5월 사기 및 아동학대 혐의를 받던 40대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 11월부터 약 4년간 학원 지분을 나눠줄 것처럼 제자 B씨를 속이고, 강의와 차량 운전, 학원 청소 등의 업무를 맡긴 뒤 임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를 받습니다.아동학대 혐의도 있습니다.B씨가 고등학생이었을 당시 술자리에 데려가 음주를 권유했다는 이유입니다.A씨는 학원 강사로 일하고 싶다는 뜻을 먼저 밝힌 건 B씨였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당시 B씨를 바로 채용하긴 어려워서 25살 때까지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점을 취득하라고 권유했고, 그 기간동안 강사 교육을 해준 것"이라는 주장입니다.아동학대 혐의에 대해서도 "B씨가 고등학교 재학 시절 술을 자주 마시고 다닌다는 이야기를 들어, 그럴 바에는 내가 술을 사주겠다고 말했을 뿐"이라고 했습니다.검찰은 무혐의 처분을 내렸습니다.'임금 미지급'의 경우 두 사람 사이에 사전 합의가 있었다고 봤습니다.학원 강사 일을 배우는 기간 동안 별도의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 것에 대해 B씨 역시 동의했다는 판단입니다.지분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도 "해석의 차이로 받아들일 문제"라며 "피해자를 기만하기 위한 표현이라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아동학대 혐의 역시 "당시 같이 술을 마셨던 다른 학생들의 진술을 종합해보면, B씨만 혼자 부정적인 뉘앙스로 이야기하고 있어 강요받은 술자리라고 보이진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황규화 변호사는 "형사처벌이 성립하려면 단순한 약속 불이행을 넘어서, 애초부터 실행 의사가 없는 허위 약속이라는 점이 입증돼야 한다"며 "양측 간 관계, 급여 체계, 신뢰 기반 등을 종합적으로 소명해 무혐의 처분을 이끌어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강사 교육해준 것"..4년간 제자 무일푼 고용한 40대 원장 무혐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19
"강사 교육해준 것"..4년간 제자 무일푼 고용한 40대 원장 무혐의
"강사 교육해준 것"..4년간 제자 무일푼 고용한 40대 원장 무혐의
학원 지분을 빌미로 제자를 고용한 뒤 임금을 가로챈 혐의로 송치된 40대 학원장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울산지방검찰청은 지난 5월 사기 및 아동학대 혐의를 받던 40대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 11월부터 약 4년간 학원 지분을 나눠줄 것처럼 제자 B씨를 속이고, 강의와 차량 운전, 학원 청소 등의 업무를 맡긴 뒤 임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를 받습니다.아동학대 혐의도 있습니다.B씨가 고등학생이었을 당시 술자리에 데려가 음주를 권유했다는 이유입니다.A씨는 학원 강사로 일하고 싶다는 뜻을 먼저 밝힌 건 B씨였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당시 B씨를 바로 채용하긴 어려워서 25살 때까지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점을 취득하라고 권유했고, 그 기간동안 강사 교육을 해준 것"이라는 주장입니다.아동학대 혐의에 대해서도 "B씨가 고등학교 재학 시절 술을 자주 마시고 다닌다는 이야기를 들어, 그럴 바에는 내가 술을 사주겠다고 말했을 뿐"이라고 했습니다.검찰은 무혐의 처분을 내렸습니다.'임금 미지급'의 경우 두 사람 사이에 사전 합의가 있었다고 봤습니다.학원 강사 일을 배우는 기간 동안 별도의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 것에 대해 B씨 역시 동의했다는 판단입니다.지분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도 "해석의 차이로 받아들일 문제"라며 "피해자를 기만하기 위한 표현이라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아동학대 혐의 역시 "당시 같이 술을 마셨던 다른 학생들의 진술을 종합해보면, B씨만 혼자 부정적인 뉘앙스로 이야기하고 있어 강요받은 술자리라고 보이진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황규화 변호사는 "형사처벌이 성립하려면 단순한 약속 불이행을 넘어서, 애초부터 실행 의사가 없는 허위 약속이라는 점이 입증돼야 한다"며 "양측 간 관계, 급여 체계, 신뢰 기반 등을 종합적으로 소명해 무혐의 처분을 이끌어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강사 교육해준 것"..4년간 제자 무일푼 고용한 40대 원장 무혐의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6-19
[칼럼]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다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칼럼]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다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들어가며현행법상 자전거는 자동차로 분류돼 자전거 도로가 따로 설치되지 않았다면 차도로 운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므로 자전거를 타고 일반 횡단보도를 통행하려 할 때는 반드시 자전거에서 내려 이를 끌고 보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점들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탓에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다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자전거 운전자는 보행자로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것일까? 이와 관련한 사건을 통해 보행자 판단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2. 자전거 운전자를 보행자로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가. 사안먼저, 필자가 과거 맡았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치상) 사건으로 법률적 쟁점을 알아보자. 해당 사건은 피고인이 우회전을 하던 도중 녹색 보행자 신호에 횡단보도를 지나던 70대 자전거 운전자를 충격해 전치 14주 상해를 입힌 건이다.본래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 차량 간 사고로 처리되지만, 본 건의 경우 검사 측에서 피해자를 차가 아닌 보행자로 인식해 기소했다. 근거가 된 법령은 도로교통법(도교법) 제13조의2 4항 1호였다. 해당 조항에는 예외적으로 ‘어린이, 노인, 신체장애인이 자전거를 운전하는 경우 보도를 통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나. 쟁점검찰은 해당 예외 조항을 언급하며 유죄 판결이 내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보행하던 아동의 교통사고건을 그 예시로 제시했다. 또, 이와 유사한 건들에 대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으로 처벌한 사례가 다수 존재하는 점을 강조했다(서울북부지방법원 2018고약877, 의정부지방법원 2019고단2891 판결 등). 이와 더불어 자전거를 타는 어린이를 보행자에 준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의 판례도 이유로 들었다(서울남부지법 2024고합247 판결). 일부 판결에서 자전거를 탄 어린이를 보행자로 인식해 보호해야 한다고 봤다면, 노인과 장애인 역시 보행자에 해당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취지다.아울러 ‘보도’와 ‘횡단보도’의 개념 역시 주요 근거가 됐다. 검찰은 보도가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므로 도교법 제13조의2 4항 1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자전거로 건너는 아이, 노인 등은 보행자로 봐야한다는 것이다.다. 판결요지1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자전거를 탄 채 횡단보도를 건너던 중 사고가 발생했으므로 도교법 제27조 1항, 제13조의2 6항에 따라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로 볼 수 없다고 판단, 공소를 기각했다. 특히 동법이 보도와 횡단보도를 준별하고 있어 횡단보도에서 어린이 및 노인이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없다고 봤다.일반적인 보도의 경우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기만 하다면 자전거를 운행하며 서행 및 일시정지 하도록 한다. 반면, 횡단보도는 자전거 등에서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어 보도의 개념과는 완전히 구분된다는 것이다.2심 재판부 판단 역시 다르지 않았다. 2심은 검사 측이 주장하는 법리 오해의 잘못은 없다고 보고 원심 판결을 유지했다.라. 해설검찰은 어린이의 경우 보행자에 준해 보호하는데 어린이와 노인 등을 달리 볼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피해자가 노인이라는 사정만으로 자전거를 탄 채 횡단보도를 횡단한 피해자를 보행자로 해석하는 것은, 형사법의 대원칙인 죄형법정주의의 파생원칙인 유추·확장해석금지 원칙에 어긋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는 부분이다.또한, 흔히 인도로 불리는 ‘보도’는 보행자 도로의 줄임말로, 보행자의 통행에 사용하는 길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하도록 도로에 설치한 보행자 시설인 ‘횡단보도’와는 그 성질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검찰이 근거로 내세운 법리는 이 사건에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이처럼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다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전거 운전자는 보행자로서 보호를 받을 수 없다. 그리고 이 경우 해당 사건의 가해자의 행위도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12대 중과실에 해당하지 않게 돼 피해자와 합의할 경우 공소기각 판결을 받을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칼럼]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다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던 노인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6-19
[칼럼]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다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칼럼]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다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들어가며현행법상 자전거는 자동차로 분류돼 자전거 도로가 따로 설치되지 않았다면 차도로 운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므로 자전거를 타고 일반 횡단보도를 통행하려 할 때는 반드시 자전거에서 내려 이를 끌고 보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점들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탓에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다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자전거 운전자는 보행자로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것일까? 이와 관련한 사건을 통해 보행자 판단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2. 자전거 운전자를 보행자로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가. 사안먼저, 필자가 과거 맡았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치상) 사건으로 법률적 쟁점을 알아보자. 해당 사건은 피고인이 우회전을 하던 도중 녹색 보행자 신호에 횡단보도를 지나던 70대 자전거 운전자를 충격해 전치 14주 상해를 입힌 건이다.본래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 차량 간 사고로 처리되지만, 본 건의 경우 검사 측에서 피해자를 차가 아닌 보행자로 인식해 기소했다. 근거가 된 법령은 도로교통법(도교법) 제13조의2 4항 1호였다. 해당 조항에는 예외적으로 ‘어린이, 노인, 신체장애인이 자전거를 운전하는 경우 보도를 통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나. 쟁점검찰은 해당 예외 조항을 언급하며 유죄 판결이 내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보행하던 아동의 교통사고건을 그 예시로 제시했다. 또, 이와 유사한 건들에 대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으로 처벌한 사례가 다수 존재하는 점을 강조했다(서울북부지방법원 2018고약877, 의정부지방법원 2019고단2891 판결 등). 이와 더불어 자전거를 타는 어린이를 보행자에 준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의 판례도 이유로 들었다(서울남부지법 2024고합247 판결). 일부 판결에서 자전거를 탄 어린이를 보행자로 인식해 보호해야 한다고 봤다면, 노인과 장애인 역시 보행자에 해당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취지다.아울러 ‘보도’와 ‘횡단보도’의 개념 역시 주요 근거가 됐다. 검찰은 보도가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므로 도교법 제13조의2 4항 1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자전거로 건너는 아이, 노인 등은 보행자로 봐야한다는 것이다.다. 판결요지1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자전거를 탄 채 횡단보도를 건너던 중 사고가 발생했으므로 도교법 제27조 1항, 제13조의2 6항에 따라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로 볼 수 없다고 판단, 공소를 기각했다. 특히 동법이 보도와 횡단보도를 준별하고 있어 횡단보도에서 어린이 및 노인이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없다고 봤다.일반적인 보도의 경우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기만 하다면 자전거를 운행하며 서행 및 일시정지 하도록 한다. 반면, 횡단보도는 자전거 등에서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어 보도의 개념과는 완전히 구분된다는 것이다.2심 재판부 판단 역시 다르지 않았다. 2심은 검사 측이 주장하는 법리 오해의 잘못은 없다고 보고 원심 판결을 유지했다.라. 해설검찰은 어린이의 경우 보행자에 준해 보호하는데 어린이와 노인 등을 달리 볼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피해자가 노인이라는 사정만으로 자전거를 탄 채 횡단보도를 횡단한 피해자를 보행자로 해석하는 것은, 형사법의 대원칙인 죄형법정주의의 파생원칙인 유추·확장해석금지 원칙에 어긋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는 부분이다.또한, 흔히 인도로 불리는 ‘보도’는 보행자 도로의 줄임말로, 보행자의 통행에 사용하는 길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하도록 도로에 설치한 보행자 시설인 ‘횡단보도’와는 그 성질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검찰이 근거로 내세운 법리는 이 사건에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이처럼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다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전거 운전자는 보행자로서 보호를 받을 수 없다. 그리고 이 경우 해당 사건의 가해자의 행위도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12대 중과실에 해당하지 않게 돼 피해자와 합의할 경우 공소기각 판결을 받을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칼럼]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다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자전거 타고 횡단보도 건너던 노인 교통사고···보행자 판단 기준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19
기름 팔고 아들 사업장에…현금영수증 허위 발급 70대 무죄
기름 팔고 아들 사업장에…현금영수증 허위 발급 70대 무죄
4년 간 105회 걸쳐 1000만원 상당 허위 발급한 혐의재판부 “면세 사업자는 공제 대상 아냐, 위험 무릅쓰고 발행할 이유 없어” 아들 사업장 앞으로 현금영수증을 허위 발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주유소 직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울산지방법원은 지난달 15일 업무상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70대 A씨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고 19일 밝혔다.A씨는 2018년 5월부터 약 4년간 B씨가 운영하는 주유소에서 근무하며 기름을 판매하지 않고 약 1000만원 상당의 현금영수증을 허위 발급한 혐의를 받았다. 해당 현금영수증은 A씨 아들이 운영하던 사업장 앞으로 발급됐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실제 아내의 차량에 주유를 했고 이를 일괄 발급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씨는 고객 주유대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반면 B씨 측은 A씨가 현금영수증을 발행한 일자에는 실제 기름을 판매한 기록이 없었다고 주장했다.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가 현금영수증을 허위 발급했다는 사실을 단정할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A씨가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시점과 주유소 시스템상 판매기록이 완벽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A씨가 실제 주유를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며 고의나 이득을 노렸다고도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또한 “A씨의 아들은 면세 사업자로 부가가치세 환급 및 공제 대상이 아니다”며 “A씨가 위험을 무릅쓰고 아들 사업장으로 현금영수증을 발행할 이유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A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현금영수증 발급 자체로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하려면 명확한 재산상 이득과 타인의 손해가 있어야 한다”며 “발급 방식의 구체적 절차와 실질적 피해 여부를 상세히 설명해 무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기름 팔고 아들 사업장에…현금영수증 허위 발급 70대 무죄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19
기름 팔고 아들 사업장에…현금영수증 허위 발급 70대 무죄
기름 팔고 아들 사업장에…현금영수증 허위 발급 70대 무죄
4년 간 105회 걸쳐 1000만원 상당 허위 발급한 혐의재판부 “면세 사업자는 공제 대상 아냐, 위험 무릅쓰고 발행할 이유 없어” 아들 사업장 앞으로 현금영수증을 허위 발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주유소 직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울산지방법원은 지난달 15일 업무상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70대 A씨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고 19일 밝혔다.A씨는 2018년 5월부터 약 4년간 B씨가 운영하는 주유소에서 근무하며 기름을 판매하지 않고 약 1000만원 상당의 현금영수증을 허위 발급한 혐의를 받았다. 해당 현금영수증은 A씨 아들이 운영하던 사업장 앞으로 발급됐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실제 아내의 차량에 주유를 했고 이를 일괄 발급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씨는 고객 주유대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반면 B씨 측은 A씨가 현금영수증을 발행한 일자에는 실제 기름을 판매한 기록이 없었다고 주장했다.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가 현금영수증을 허위 발급했다는 사실을 단정할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A씨가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시점과 주유소 시스템상 판매기록이 완벽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A씨가 실제 주유를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며 고의나 이득을 노렸다고도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또한 “A씨의 아들은 면세 사업자로 부가가치세 환급 및 공제 대상이 아니다”며 “A씨가 위험을 무릅쓰고 아들 사업장으로 현금영수증을 발행할 이유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A씨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현금영수증 발급 자체로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하려면 명확한 재산상 이득과 타인의 손해가 있어야 한다”며 “발급 방식의 구체적 절차와 실질적 피해 여부를 상세히 설명해 무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기름 팔고 아들 사업장에…현금영수증 허위 발급 70대 무죄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6-18
무조건 사기죄 어렵다…받을 돈 확실히 받는 '채권 회수의 기술'
무조건 사기죄 어렵다…받을 돈 확실히 받는 '채권 회수의 기술'
많은 의뢰인들이 빌려준 돈을 받지 못했을 때 해결 수단 중 하나로 '사기죄 고소'를 떠올린다. 그러나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채무자가 처음부터 채무를 이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는 점이 명확하게 입증돼야 한다. 단순히 돈을 갚지 않는다는 사정만으로는 사기죄가 인정되기 어렵고, 되레 무고죄로 역고소를 당할 우려도 있다. 같은 경우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조치가 내용증명 발송이다. 여기에는 주로 "일정 시한 내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적 조치에 착수할 예정이니, 그전에 원만하게 해결하자"는 내용이 담겨있다. 내용증명은 상대에게 상당한 심리적 압박을 주기에 소송까지 가지 않더라도 이 단계에서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가 빚을 갚지 않는다면,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 민사 소송을 제기하고, 승소 판결을 받아 강제집행 절차에 나서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절차는 채무자의 집행 가능 재산을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만일 재산이 파악되지 않거나 불분명한 경우에는 법원을 통해 재산명시신청 또는 재산조회신청을 통해 부동산, 예금, 보증금, 급여 등 재산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대가 의도적으로 재산을 은닉하거나 제3자에게 이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때는 사전에 가압류 및 가처분 등 보전처분을 신청해 안전장치를 마련해 놓아야 한다. 그렇다면 채권자가 이미 제3자 명의로 재산을 빼돌린 경우는 방법이 없을까?이러한 경우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이 바로 '채권자 취소소송'이다. 채권자의 이전 행위를 무효화하고 해당 재산을 다시 채무자 명의로 돌려놓을 수 있다. 특히 민법 제404조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권리를 대신 행사할 수 있도록 '채권자대위권'을 보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권리는 경우에 따라 일반적인 강제집행보다 효과적이고 빠른 채권회수책이 될 수 있다.실제로 필자가 맡았던 사건을 예로 들어보겠다. 의뢰인은 A사에 약 10억원의 돈을 빌려준 채권자였다. 여기서 문제는 A사에 정작 집행할 수 있는 재산이 없었다는 점이었다. A사는 C사를 인수하려고 B사를 설립한 후 거액의 자금을 넘긴 상태였다. 반면 C사는 제주도에 500억원 상당의 골프장 부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C사는 결국 A사가 B사를 통해 인수한 것이지만, C사는 A사와는 법적으로 별개의 법인이기 때문에 의뢰인이 C사 재산을 직접 건드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이때 필자는 '채권자대위권'이라는 법리를 활용했다. A사가 B사에 돈을 줬고 B사가 다시 C사에 돈을 빌려준 구조라면, A사의 채권자인 의뢰인은 A사의 채권자대위권, 즉 'A회사가 채무자인 B회사를 대신해 C사 소유의 재산을 가압류할 권리'를 대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당시 선례가 없어 다소 시행착오를 겪긴 했지만 결국 법원은 C사 골프장 부지에 대해 가압류 인용 결정을 내렸고 채권은 전액 회수됐다.채권회수는 단순한 감정 대응보다 법률적 절차와 증거 확보가 우선시돼야 한다. 자칫 돈을 받지 못할 두려움에 법적 테두리 밖에서 움직이다보면 추후 더 큰 불이익이 따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 민법과 민사소송법은 다양한 권리구제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각 제도는 요건과 적용 방식이 다르고, 소멸시효나 제소기간 등 기한도 존재한다. 따라서 개별 사건에 적합한 수단을 판단하고 적시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초기 단계에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무조건 사기죄 어렵다…받을 돈 확실히 받는 '채권 회수의 기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6-18
무조건 사기죄 어렵다…받을 돈 확실히 받는 '채권 회수의 기술'
무조건 사기죄 어렵다…받을 돈 확실히 받는 '채권 회수의 기술'
많은 의뢰인들이 빌려준 돈을 받지 못했을 때 해결 수단 중 하나로 '사기죄 고소'를 떠올린다. 그러나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채무자가 처음부터 채무를 이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는 점이 명확하게 입증돼야 한다. 단순히 돈을 갚지 않는다는 사정만으로는 사기죄가 인정되기 어렵고, 되레 무고죄로 역고소를 당할 우려도 있다. 같은 경우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조치가 내용증명 발송이다. 여기에는 주로 "일정 시한 내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적 조치에 착수할 예정이니, 그전에 원만하게 해결하자"는 내용이 담겨있다. 내용증명은 상대에게 상당한 심리적 압박을 주기에 소송까지 가지 않더라도 이 단계에서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가 빚을 갚지 않는다면,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 민사 소송을 제기하고, 승소 판결을 받아 강제집행 절차에 나서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절차는 채무자의 집행 가능 재산을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만일 재산이 파악되지 않거나 불분명한 경우에는 법원을 통해 재산명시신청 또는 재산조회신청을 통해 부동산, 예금, 보증금, 급여 등 재산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대가 의도적으로 재산을 은닉하거나 제3자에게 이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때는 사전에 가압류 및 가처분 등 보전처분을 신청해 안전장치를 마련해 놓아야 한다. 그렇다면 채권자가 이미 제3자 명의로 재산을 빼돌린 경우는 방법이 없을까?이러한 경우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이 바로 '채권자 취소소송'이다. 채권자의 이전 행위를 무효화하고 해당 재산을 다시 채무자 명의로 돌려놓을 수 있다. 특히 민법 제404조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권리를 대신 행사할 수 있도록 '채권자대위권'을 보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권리는 경우에 따라 일반적인 강제집행보다 효과적이고 빠른 채권회수책이 될 수 있다.실제로 필자가 맡았던 사건을 예로 들어보겠다. 의뢰인은 A사에 약 10억원의 돈을 빌려준 채권자였다. 여기서 문제는 A사에 정작 집행할 수 있는 재산이 없었다는 점이었다. A사는 C사를 인수하려고 B사를 설립한 후 거액의 자금을 넘긴 상태였다. 반면 C사는 제주도에 500억원 상당의 골프장 부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C사는 결국 A사가 B사를 통해 인수한 것이지만, C사는 A사와는 법적으로 별개의 법인이기 때문에 의뢰인이 C사 재산을 직접 건드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이때 필자는 '채권자대위권'이라는 법리를 활용했다. A사가 B사에 돈을 줬고 B사가 다시 C사에 돈을 빌려준 구조라면, A사의 채권자인 의뢰인은 A사의 채권자대위권, 즉 'A회사가 채무자인 B회사를 대신해 C사 소유의 재산을 가압류할 권리'를 대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당시 선례가 없어 다소 시행착오를 겪긴 했지만 결국 법원은 C사 골프장 부지에 대해 가압류 인용 결정을 내렸고 채권은 전액 회수됐다.채권회수는 단순한 감정 대응보다 법률적 절차와 증거 확보가 우선시돼야 한다. 자칫 돈을 받지 못할 두려움에 법적 테두리 밖에서 움직이다보면 추후 더 큰 불이익이 따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 민법과 민사소송법은 다양한 권리구제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각 제도는 요건과 적용 방식이 다르고, 소멸시효나 제소기간 등 기한도 존재한다. 따라서 개별 사건에 적합한 수단을 판단하고 적시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초기 단계에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무조건 사기죄 어렵다…받을 돈 확실히 받는 '채권 회수의 기술'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4곳
2025-06-18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안일환(행정고시 32회) 전 경제수석비서관을 고문으로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안 고문은 경남 마산고와 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오타와대 경제학 석사학위, 가톨릭대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안 고문은 1989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한 뒤 경제기획원과 기획예산처 등에서 근무했고, 미국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에 파견되는 등 예산 전문가로 경력을 쌓았다.또한 2008년 기획재정부 출범 이후 국토해양·예산제도·예산총괄과장 등 핵심 실무를 두루 거쳤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로 한국 경제가 어려움을 겪던 시기 예산제도과장으로서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총괄했다.이후 국방부 계획예산관과 기획재정부 대변인 등 주요 보직을 거쳐 예산실장과 제2차관에 올랐고, 2021년에는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됐다.안 고문은 "코로나19 당시 슈퍼예산 편성을 이끄는 등 재정 정책 부문에서 수많은 사례를 경험해왔다"며 "대륜에서도 기업 고객 등 첨예한 이해 관계를 파악하고, 명쾌하게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안 고문의 영입으로 공공 및 재정 정책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법인 의뢰인의 다양한 수요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여 법률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바로가기) 블로터 - [로펌ON]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 영입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4곳
2025-06-18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안일환(행정고시 32회) 전 경제수석비서관을 고문으로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안 고문은 경남 마산고와 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오타와대 경제학 석사학위, 가톨릭대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안 고문은 1989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한 뒤 경제기획원과 기획예산처 등에서 근무했고, 미국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에 파견되는 등 예산 전문가로 경력을 쌓았다.또한 2008년 기획재정부 출범 이후 국토해양·예산제도·예산총괄과장 등 핵심 실무를 두루 거쳤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로 한국 경제가 어려움을 겪던 시기 예산제도과장으로서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총괄했다.이후 국방부 계획예산관과 기획재정부 대변인 등 주요 보직을 거쳐 예산실장과 제2차관에 올랐고, 2021년에는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됐다.안 고문은 "코로나19 당시 슈퍼예산 편성을 이끄는 등 재정 정책 부문에서 수많은 사례를 경험해왔다"며 "대륜에서도 기업 고객 등 첨예한 이해 관계를 파악하고, 명쾌하게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안 고문의 영입으로 공공 및 재정 정책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법인 의뢰인의 다양한 수요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여 법률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바로가기) 블로터 - [로펌ON]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비서관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안일환 전 경제수석 영입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18
‘예약 10분 뒤엔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에 제동 건 로펌…“소비자 보호·기업 자율 균형 계기 되길”
‘예약 10분 뒤엔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에 제동 건 로펌…“소비자 보호·기업 자율 균형 계기 되길” 등 2곳
“기업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만큼, 소비자 권리도 함께 보호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판결을 시작으로 두 가치가 균형을 찾길 바랍니다.” 18일 법무법인 대륜의 직원 A씨와 김다은 변호사는 이렇게 말했다.서울중앙지법은 최근 숙박상품 예약을 완료하고 10분이 넘으면 환불할 수 없다는 숙박플랫폼 놀유니버스(야놀자)의 약관이 불공정하므로 무효라고 판단했는데 A씨가 원고, 김 변호사가 대리인으로 이 판결을 끌어냈다.사연은 이렇다. 대륜에서 출장 업무를 담당하던 A씨는 야놀자를 통해 숙소를 예약했다. 하지만 일정이 변경 돼 2시간 뒤 예약 취소 의사를 밝혔지만, 야놀자 측은 환불이 불가하다고 통보했다. 예약을 완료한 다음 10분 이내에 취소하지 않으면 규정에 따라 예약금의 100%에 해당하는 취소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이유였다.이에 대륜은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을 제기하기로 결정했다.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는 약관에 문제를 제기하고 법적 판단을 받기 위해서다. 전자상거래법은 소비자에게 청약 철회 기간 7일을 보장하지만, 숙박·항공 등 일부 업계는 사안별 구체적 판단 없이 관행적으로 예외에 해당한다고 보는 바람에 소비자만 피해를 떠안고 있다고 본 것이다.소송 과정에서 야놀자 측은 통신판매 중개업자는 전자상거래법의 해당 조항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수수료 환불을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변호사는 야놀자가 중개자를 넘어 사실상 판매자로서 적극적 영업활동을 했다고 맞섰다.김 변호사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 야놀자에서 동을 상품을 예약하고 취소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거쳤다. 그러면서 공시요금으로 객실을 예약하면 실제 숙박 전까지 수수료 없이 취소가 가능하지만, 문제가 된 상품은 공시요금과 2만원 이하의 차이지만, 전액 환불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재판에서 일반 상식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는 점을 강조했다.재판 결과 법원은 야놀자는 통신판매업자 또는 ‘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중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또 환불 규정이 고객에게 불리해 불공정 약관에 해당하므로 무효라고 판단하며 A씨에게 환불금 전액을 지급하도록 했다. 대륜 측은 기존 판례처럼 중개자 지위만 인정할 경우 다양한 영업활동에 수반되는 책임을 회피하는 결과가 발생하는데, 재판부가 이런 불합리한 구조에 관한 문제의식에 공감한 것으로 본다.김 변호사는 “이번 판결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환불 불가로 전환되는 모든 약관을 무효로 본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그동안 유사한 약관에 문제를 제기해도 승소 가능성이 작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번 판결을 계기로 소비자의 권리 구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대륜은 야놀자의 약관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을 대리해 집단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SKT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 피해자들을 대신해 형사 고소·고발 및 민사소송도 진행하고 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예약 10분 뒤엔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에 제동 건 로펌…“소비자 보호·기업 자율 균형 계기 되길” (바로가기) 머니S - '야놀자 환불' 승소 김다은 변호사 "돈보다 '권리' 찾아주고 싶었다"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18
‘예약 10분 뒤엔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에 제동 건 로펌…“소비자 보호·기업 자율 균형 계기 되길”
‘예약 10분 뒤엔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에 제동 건 로펌…“소비자 보호·기업 자율 균형 계기 되길” 등 2곳
“기업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만큼, 소비자 권리도 함께 보호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판결을 시작으로 두 가치가 균형을 찾길 바랍니다.” 18일 법무법인 대륜의 직원 A씨와 김다은 변호사는 이렇게 말했다.서울중앙지법은 최근 숙박상품 예약을 완료하고 10분이 넘으면 환불할 수 없다는 숙박플랫폼 놀유니버스(야놀자)의 약관이 불공정하므로 무효라고 판단했는데 A씨가 원고, 김 변호사가 대리인으로 이 판결을 끌어냈다.사연은 이렇다. 대륜에서 출장 업무를 담당하던 A씨는 야놀자를 통해 숙소를 예약했다. 하지만 일정이 변경 돼 2시간 뒤 예약 취소 의사를 밝혔지만, 야놀자 측은 환불이 불가하다고 통보했다. 예약을 완료한 다음 10분 이내에 취소하지 않으면 규정에 따라 예약금의 100%에 해당하는 취소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이유였다.이에 대륜은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을 제기하기로 결정했다.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는 약관에 문제를 제기하고 법적 판단을 받기 위해서다. 전자상거래법은 소비자에게 청약 철회 기간 7일을 보장하지만, 숙박·항공 등 일부 업계는 사안별 구체적 판단 없이 관행적으로 예외에 해당한다고 보는 바람에 소비자만 피해를 떠안고 있다고 본 것이다.소송 과정에서 야놀자 측은 통신판매 중개업자는 전자상거래법의 해당 조항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수수료 환불을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변호사는 야놀자가 중개자를 넘어 사실상 판매자로서 적극적 영업활동을 했다고 맞섰다.김 변호사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 야놀자에서 동을 상품을 예약하고 취소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거쳤다. 그러면서 공시요금으로 객실을 예약하면 실제 숙박 전까지 수수료 없이 취소가 가능하지만, 문제가 된 상품은 공시요금과 2만원 이하의 차이지만, 전액 환불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재판에서 일반 상식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는 점을 강조했다.재판 결과 법원은 야놀자는 통신판매업자 또는 ‘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중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또 환불 규정이 고객에게 불리해 불공정 약관에 해당하므로 무효라고 판단하며 A씨에게 환불금 전액을 지급하도록 했다. 대륜 측은 기존 판례처럼 중개자 지위만 인정할 경우 다양한 영업활동에 수반되는 책임을 회피하는 결과가 발생하는데, 재판부가 이런 불합리한 구조에 관한 문제의식에 공감한 것으로 본다.김 변호사는 “이번 판결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환불 불가로 전환되는 모든 약관을 무효로 본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그동안 유사한 약관에 문제를 제기해도 승소 가능성이 작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번 판결을 계기로 소비자의 권리 구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대륜은 야놀자의 약관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을 대리해 집단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SKT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 피해자들을 대신해 형사 고소·고발 및 민사소송도 진행하고 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예약 10분 뒤엔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에 제동 건 로펌…“소비자 보호·기업 자율 균형 계기 되길” (바로가기) 머니S - '야놀자 환불' 승소 김다은 변호사 "돈보다 '권리' 찾아주고 싶었다" (바로가기)
로이슈
2025-06-17
형사 성공보수, 공공적 권리 회복 위해 다시 논의해야
형사 성공보수, 공공적 권리 회복 위해 다시 논의해야
지난 2015년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형사사건에서의 성공보수 약정을 민법 제103조, 즉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반한다는 이유로 무효라 선언했다. 당시 판결은 전관예우에 대한 사회적 비판과 사법제도에 대한 불신, 그리고 염결성 확보라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그러나 대법원 스스로 밝힌 것처럼 법률행위의 사회질서 위반 여부는 그 법률행위가 이뤄진 당시 시대상과 사회적 통념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지금의 대한민국은 2015년과는 명백히 다른 법적·사회적 환경 속에 있다. 공직자윤리법 개정과 청탁금지법 제정 등 제도적 기반은 이미 구축됐고, 전관예우에 대한 감시와 통제는 제도적으로 실효성을 확보해왔다. 국민의 법 감수성도 비약적으로 향상돼 단지 성공보수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사법기관의 판단이 왜곡될 것이라는 통념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 오히려 성공보수를 법적으로 허용하고 투명하게 규율하는 것이 사법 신뢰를 높이는 방향일 수 있다. 대법원은 형사 성공보수가 결과에 대한 대가로서 사법 정의를 왜곡할 수 있다고 우려했지만, 이는 계약의 본질과 공공윤리를 혼동한 해석이다. 정의는 제도의 설계와 집행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지, 보수를 받는 행위 자체로 훼손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실무에서는 성공보수가 비공식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양성화하고 투명한 계약 아래 관리하는 것이 법률시장 현실에 부합한다. 최근 대한변호사협회와 일선 변호사회 내부에서도 형사 성공보수 전면 금지에 대해 현실과 괴리된 조치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대한변협은 실제로 형사 성공보수를 전제로 한 표준계약서를 운영해 왔고, 다수의 변호사들은 이를 통해 현실적인 사건 운영이 가능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는 단지 계약자유의 회복을 넘어서, 법률서비스의 구조적 현실을 반영하는 제도 개선의 논의로 읽혀야 한다. 실무 현장에서도 형사보수에 대한 제도적 정합성 부족이 체감된다. 국민들은 영화 속 장면처럼 30만 원 수당을 받는 국선변호사에게 자신의 운명을 맡기고 싶어하지 않는다. 드라마 속 "살면서 절대 아끼면 안 되는 돈이 변호사 비용이야"라는 대사가 회자되듯, 낮은 수당과 제한된 조력만으로는 방어권을 온전히 행사할 수 없다는 현실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이는 공적 방어제도의 구조적 제약을 드러내는 동시에 결과 중심의 사적 계약 구조가 선택지로 기능해야 하는 이유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현실을 무시한 이상은 공감을 얻지 못한다. 우리는 제도적 현실 속에서 정의를 구현해야 한다. 형사 성공보수는 헌법상 기본권인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실효적으로 보장하는 장치다. 고액 착수금은 방어권 행사에 있어 절대적인 장벽이 되고 있으며, 성공보수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유일하고 현실적인 구조다. 오늘날의 형사사법은 사법기관의 염결성뿐 아니라 국민의 실질적 방어권 보장이라는 두 축 위에 서 있다. 변호인의 공익적 역할은 결과와 무관하게 정당하게 수행되어야 하지만 성과에 따라 합리적 보상을 받는 것이 사회질서에 위배된다는 논리는 더 이상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오히려 형사 성공보수의 제도화는 국민에게 실질적인 선택지를 제공하고, 변호사에게는 더욱 책임감 있는 조력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유일한 제도적 장치다. 착수금 부담으로 인해 질 낮은 방어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이제는 성공보수의 법적 유효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변호사는 “형사 성공보수는 정의를 사는 계약이 아니다. 정의에 이르기 위해 시민이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제도적 수단이다. 공정한 계약, 투명한 기준, 엄격한 집행이라는 조건 아래, 형사 성공보수는 사법 정의의 후퇴가 아니라 오히려 공공적 권리의 회복이자 시대가 요구하는 실질적 사법 개혁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형사 성공보수, 공공적 권리 회복 위해 다시 논의해야 (바로가기)
로이슈
2025-06-17
형사 성공보수, 공공적 권리 회복 위해 다시 논의해야
형사 성공보수, 공공적 권리 회복 위해 다시 논의해야
지난 2015년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형사사건에서의 성공보수 약정을 민법 제103조, 즉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반한다는 이유로 무효라 선언했다. 당시 판결은 전관예우에 대한 사회적 비판과 사법제도에 대한 불신, 그리고 염결성 확보라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그러나 대법원 스스로 밝힌 것처럼 법률행위의 사회질서 위반 여부는 그 법률행위가 이뤄진 당시 시대상과 사회적 통념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지금의 대한민국은 2015년과는 명백히 다른 법적·사회적 환경 속에 있다. 공직자윤리법 개정과 청탁금지법 제정 등 제도적 기반은 이미 구축됐고, 전관예우에 대한 감시와 통제는 제도적으로 실효성을 확보해왔다. 국민의 법 감수성도 비약적으로 향상돼 단지 성공보수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사법기관의 판단이 왜곡될 것이라는 통념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 오히려 성공보수를 법적으로 허용하고 투명하게 규율하는 것이 사법 신뢰를 높이는 방향일 수 있다. 대법원은 형사 성공보수가 결과에 대한 대가로서 사법 정의를 왜곡할 수 있다고 우려했지만, 이는 계약의 본질과 공공윤리를 혼동한 해석이다. 정의는 제도의 설계와 집행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지, 보수를 받는 행위 자체로 훼손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실무에서는 성공보수가 비공식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양성화하고 투명한 계약 아래 관리하는 것이 법률시장 현실에 부합한다. 최근 대한변호사협회와 일선 변호사회 내부에서도 형사 성공보수 전면 금지에 대해 현실과 괴리된 조치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대한변협은 실제로 형사 성공보수를 전제로 한 표준계약서를 운영해 왔고, 다수의 변호사들은 이를 통해 현실적인 사건 운영이 가능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는 단지 계약자유의 회복을 넘어서, 법률서비스의 구조적 현실을 반영하는 제도 개선의 논의로 읽혀야 한다. 실무 현장에서도 형사보수에 대한 제도적 정합성 부족이 체감된다. 국민들은 영화 속 장면처럼 30만 원 수당을 받는 국선변호사에게 자신의 운명을 맡기고 싶어하지 않는다. 드라마 속 "살면서 절대 아끼면 안 되는 돈이 변호사 비용이야"라는 대사가 회자되듯, 낮은 수당과 제한된 조력만으로는 방어권을 온전히 행사할 수 없다는 현실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이는 공적 방어제도의 구조적 제약을 드러내는 동시에 결과 중심의 사적 계약 구조가 선택지로 기능해야 하는 이유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현실을 무시한 이상은 공감을 얻지 못한다. 우리는 제도적 현실 속에서 정의를 구현해야 한다. 형사 성공보수는 헌법상 기본권인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실효적으로 보장하는 장치다. 고액 착수금은 방어권 행사에 있어 절대적인 장벽이 되고 있으며, 성공보수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유일하고 현실적인 구조다. 오늘날의 형사사법은 사법기관의 염결성뿐 아니라 국민의 실질적 방어권 보장이라는 두 축 위에 서 있다. 변호인의 공익적 역할은 결과와 무관하게 정당하게 수행되어야 하지만 성과에 따라 합리적 보상을 받는 것이 사회질서에 위배된다는 논리는 더 이상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오히려 형사 성공보수의 제도화는 국민에게 실질적인 선택지를 제공하고, 변호사에게는 더욱 책임감 있는 조력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유일한 제도적 장치다. 착수금 부담으로 인해 질 낮은 방어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이제는 성공보수의 법적 유효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변호사는 “형사 성공보수는 정의를 사는 계약이 아니다. 정의에 이르기 위해 시민이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제도적 수단이다. 공정한 계약, 투명한 기준, 엄격한 집행이라는 조건 아래, 형사 성공보수는 사법 정의의 후퇴가 아니라 오히려 공공적 권리의 회복이자 시대가 요구하는 실질적 사법 개혁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형사 성공보수, 공공적 권리 회복 위해 다시 논의해야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17
뇌병변 앓던 사촌 누나 수년간 간음…항소심서 집유로 ‘감형’
뇌병변 앓던 사촌 누나 수년간 간음…항소심서 집유로 ‘감형’
수 차례에 걸쳐 30대 여성 추행 및 간음한 혐의 받아法 “원만한 해결 위해 노력…피해자 역시 처벌불원 의사 밝혀” 지적 장애가 있는 사촌누나를 성폭행 및 추행한 혐의로 기소된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부산고등법원은 지난 5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장애인위계등간음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남성 A씨의 항소심에서 징역 4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했다. 보호관찰과 성폭력 치료 강의 40시간 수강도 명했다.A씨는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뇌병변 장애가 있는 사촌누나 B씨를 수차례 강제 추행하고 간음한 혐의를 받았다. 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4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장애를 겪는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라 죄질이 더욱 무겁다”며 “피해자 역시 상당한 고통을 겪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A씨는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다. B씨와 성관계를 맺은 것은 사실이나, 강제적으로 이뤄지지는 않았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아울러 A씨 측은 B씨가 항소심 과정에서 처벌 불원 의사를 밝혔다는 점도 강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법원은 “피고인은 형사처벌 전력이 없고 피해자를 위해 위로금을 공탁하는 등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해자 역시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적극 표명했다”고 설명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 (로펌) 대륜 측은 “실제 두 사람의 우호적 관계를 설명하며 이를 참작해줄 것을 강조했다”며 “A씨의 갱생 가능성 등 유리한 요인을 다각적으로 소명해 관대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뇌병변 앓던 사촌 누나 수년간 간음…항소심서 집유로 ‘감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17
뇌병변 앓던 사촌 누나 수년간 간음…항소심서 집유로 ‘감형’
뇌병변 앓던 사촌 누나 수년간 간음…항소심서 집유로 ‘감형’
수 차례에 걸쳐 30대 여성 추행 및 간음한 혐의 받아法 “원만한 해결 위해 노력…피해자 역시 처벌불원 의사 밝혀” 지적 장애가 있는 사촌누나를 성폭행 및 추행한 혐의로 기소된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부산고등법원은 지난 5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장애인위계등간음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남성 A씨의 항소심에서 징역 4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했다. 보호관찰과 성폭력 치료 강의 40시간 수강도 명했다.A씨는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뇌병변 장애가 있는 사촌누나 B씨를 수차례 강제 추행하고 간음한 혐의를 받았다. 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4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장애를 겪는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라 죄질이 더욱 무겁다”며 “피해자 역시 상당한 고통을 겪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A씨는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다. B씨와 성관계를 맺은 것은 사실이나, 강제적으로 이뤄지지는 않았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아울러 A씨 측은 B씨가 항소심 과정에서 처벌 불원 의사를 밝혔다는 점도 강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법원은 “피고인은 형사처벌 전력이 없고 피해자를 위해 위로금을 공탁하는 등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해자 역시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적극 표명했다”고 설명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 (로펌) 대륜 측은 “실제 두 사람의 우호적 관계를 설명하며 이를 참작해줄 것을 강조했다”며 “A씨의 갱생 가능성 등 유리한 요인을 다각적으로 소명해 관대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뇌병변 앓던 사촌 누나 수년간 간음…항소심서 집유로 ‘감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17
근무 중 손가락 절단된 노동자, 대표 상대 손배소 냈지만 '패소'
근무 중 손가락 절단된 노동자, 대표 상대 손배소 냈지만 '패소'
공장 근무 중 손가락 절단 사고를 당한 노동자가 회사 대표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습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법원은 지난달 15일 식품회사 노동자였던 30대 A씨가 대표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식품 공장에서 근무하던 중 채소 분쇄기에 손가락이 끼여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습니다.이에 A씨는 B씨가 무리하게 작업을 독촉했고, 안전교육이나 직무교육도 실시하지 않는 등 주의의무 위반 책임이 있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그러나 B씨는 분쇄기 사용법과 안전수칙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뤄졌다며 A씨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또 A씨가 독단적으로 기계의 전원을 끄지 않은 채 식재료 찌꺼기를 제거하려다 사고를 당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재판부는 "기계 사용법을 보면 분쇄기가 과부하 문제로 작동 중지 됐을 경우 반드시 전원을 끄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돼있다"며 "이러한 내용은 분쇄기 전면에 부착돼 있어 근로자들이 충분히 그 내용을 숙지할 수 있었던 상황"이라고 B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그러면서 "피고는 원고를 포함한 작업자들에게 매일 아침 사용수칙을 주지시켰고, 원고 역시 사고 전까지는 매뉴얼대로 기계를 작동시켜왔다"며 "해당 사고는 원고가 안전수칙을 위반해 작업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B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A씨는 입사 직후 1년 넘게 아무 문제 없이 분쇄기를 사용해 왔고, 같은 작업을 담당해 왔던 다른 근로자들 역시 누구도 부상을 입지 않았다"며 "업무 지시를 어기고 작업을 해 사고를 당한 것이므로 B씨에게 고의나 과실이 전혀 없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근무 중 손가락 절단된 노동자, 대표 상대 손배소 냈지만 '패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17
근무 중 손가락 절단된 노동자, 대표 상대 손배소 냈지만 '패소'
근무 중 손가락 절단된 노동자, 대표 상대 손배소 냈지만 '패소'
공장 근무 중 손가락 절단 사고를 당한 노동자가 회사 대표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습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법원은 지난달 15일 식품회사 노동자였던 30대 A씨가 대표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식품 공장에서 근무하던 중 채소 분쇄기에 손가락이 끼여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습니다.이에 A씨는 B씨가 무리하게 작업을 독촉했고, 안전교육이나 직무교육도 실시하지 않는 등 주의의무 위반 책임이 있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그러나 B씨는 분쇄기 사용법과 안전수칙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뤄졌다며 A씨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또 A씨가 독단적으로 기계의 전원을 끄지 않은 채 식재료 찌꺼기를 제거하려다 사고를 당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재판부는 "기계 사용법을 보면 분쇄기가 과부하 문제로 작동 중지 됐을 경우 반드시 전원을 끄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돼있다"며 "이러한 내용은 분쇄기 전면에 부착돼 있어 근로자들이 충분히 그 내용을 숙지할 수 있었던 상황"이라고 B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그러면서 "피고는 원고를 포함한 작업자들에게 매일 아침 사용수칙을 주지시켰고, 원고 역시 사고 전까지는 매뉴얼대로 기계를 작동시켜왔다"며 "해당 사고는 원고가 안전수칙을 위반해 작업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B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A씨는 입사 직후 1년 넘게 아무 문제 없이 분쇄기를 사용해 왔고, 같은 작업을 담당해 왔던 다른 근로자들 역시 누구도 부상을 입지 않았다"며 "업무 지시를 어기고 작업을 해 사고를 당한 것이므로 B씨에게 고의나 과실이 전혀 없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근무 중 손가락 절단된 노동자, 대표 상대 손배소 냈지만 '패소'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16
"약물 오투약 후 부작용은 병원 책임"…4천만원 배상 판결
"약물 오투약 후 부작용은 병원 책임"…4천만원 배상 판결
최대 허용량의 7배에 달하는 약물 처방…"의료진의 주의의무 위반" 환자에게 약물을 오투약 해 부작용을 발생시킨 병원은 환자에게 손해배상에 따른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은 지난달 28일 환자 A씨가 B병원 측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A씨 승소 판결을 내리며, B병원이 4천만 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다.지난해 10월 뇌출혈 진단을 받고 B병원에 입원한 A씨는 상태가 호전돼 퇴원하면서 항생제를 처방받았다. 이후 A씨는 병원 안내대로 약을 복용했지만 급격히 건강이 악화돼 섬망증상과 의식저하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겪게 됐다.결국 다시 입원하게 된 A씨는 B병원이 자신에게 항생제를 과다 처방했다는 사실을 알게 돼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게 됐다. 당시 병원이 처방했던 약물의 용량은 최대 허용량의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씨 측은 "B병원이 장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위자료는 얼마나 지급할지 등에 대해서도 합의하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법원은 의료진에게는 적절한 용법과 용량으로 약을 처방해야 하는 주의의무가 있다는 것을 근거로 B병원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다.환자 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이일형 변호사는 "환자 측이 약 처방 당시 항생제를 하루 7알을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재차 확인했지만, 의료진은 주의의무와 설명의무를 위반하고 문제 없다고 확인했다"며 "내용증명을 통해 병원 측에서 처방 과실에 대해 인정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약물 오투약 후 부작용은 병원 책임"…4천만원 배상 판결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16
"약물 오투약 후 부작용은 병원 책임"…4천만원 배상 판결
"약물 오투약 후 부작용은 병원 책임"…4천만원 배상 판결
최대 허용량의 7배에 달하는 약물 처방…"의료진의 주의의무 위반" 환자에게 약물을 오투약 해 부작용을 발생시킨 병원은 환자에게 손해배상에 따른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은 지난달 28일 환자 A씨가 B병원 측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A씨 승소 판결을 내리며, B병원이 4천만 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다.지난해 10월 뇌출혈 진단을 받고 B병원에 입원한 A씨는 상태가 호전돼 퇴원하면서 항생제를 처방받았다. 이후 A씨는 병원 안내대로 약을 복용했지만 급격히 건강이 악화돼 섬망증상과 의식저하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겪게 됐다.결국 다시 입원하게 된 A씨는 B병원이 자신에게 항생제를 과다 처방했다는 사실을 알게 돼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게 됐다. 당시 병원이 처방했던 약물의 용량은 최대 허용량의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씨 측은 "B병원이 장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위자료는 얼마나 지급할지 등에 대해서도 합의하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법원은 의료진에게는 적절한 용법과 용량으로 약을 처방해야 하는 주의의무가 있다는 것을 근거로 B병원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다.환자 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이일형 변호사는 "환자 측이 약 처방 당시 항생제를 하루 7알을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재차 확인했지만, 의료진은 주의의무와 설명의무를 위반하고 문제 없다고 확인했다"며 "내용증명을 통해 병원 측에서 처방 과실에 대해 인정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약물 오투약 후 부작용은 병원 책임"…4천만원 배상 판결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6-16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SK텔레콤에 이어 YES24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의혹이 제기됐다. YES24는 지난 9일 랜섬웨어 공격을 인지한 직후 “개인정보 유출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비정상적인 회원 정보 조회 정황을 포착하고 조사에 착수하면서 사안의 중대성이 드러났다.이 사건은 단순한 해킹 사고에 그치지 않는다. 반복되는 개인정보 유출은 국내 주요 기업들이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실질적 책임과 제도적 대응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SK텔레콤과 YES24는 모두 정부가 운영하는 ISMS(정보보호 관리체계) 또는 ISMS-P(개인정보보호 통합인증) 인증을 받은 상태였다.ISMS-P는 기업이 일정한 관리적·기술적 보호 조치를 갖추고 있음을 심사·인증하는 제도다. 그러나 이 제도는 해킹 사고 발생 여부나 사고 이후 기업의 실질적 책임 이행 여부는 평가하지 않는다. 피해 구제 체계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 조치와 인증 유효성은 무관하다. 결과적으로 요건만 충족하면 인증은 그대로 유지된다.문제는 사고 이후 “우리는 정부 인증을 받은 시스템을 운영 중이었다”는 기업 측 면책 논리로 이 인증이 쉽게 악용된다는 점이다. 예방과 책임 강화를 위한 인증이 실제로는 사고 발생 시 ‘형식적 책임 이행’의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인증 제도가 본래 의도와 다르게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이처럼 사고 예방도 책임 강화도 담보하지 못하는 제도에 기대는 상황이라면, 국민 입장에서는 “국가 인증이 나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이를 수밖에 없다. 제도는 존재하지만 실효성은 약하고, 사고 발생 후에도 기업이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에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해외는 다르다. 미국 연방법원은 이스라엘 NSO 그룹이 WhatsApp 사용자의 기기를 무단 침해한 사건에서 약 1억 6,700만 달러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령했다. 미국 통신사 T-Mobile 역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 후 수백만 달러 규모의 집단소송 합의금을 지급했다. 법과 제도가 기업의 책임을 실질적으로 묻는 구조인 것이다.반면 한국은 여전히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다. 행정상 과징금과 시정명령, 형식적 감독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민사소송은 입증책임이 피해자에게 과도하게 쏠리고, 배상 수준도 현실과 괴리가 크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일부 언론과 대형 로펌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는 실익이 없다”는 식의 논리를 퍼뜨리면서, 국민이 스스로 권리 행사를 포기하게 만드는 분위기마저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이러한 구조에 균열을 내기 위해 법무법인 대륜은 대기업을 상대로 한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결정은 법률 시장의 수익 논리로만 본다면 결코 유리한 선택이 아니다. 그러나 대륜은 설립 이래 법률 서비스의 존재 이유를 ‘이윤’이 아닌 ‘국민 권리의 실질적 실현’에 두어왔다. 이번 집단소송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다.대륜은 수도권 중심의 법률 시장을 지역 기반으로 분산하고, 전 국민이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전국 단위의 분사무소를 설립했다. 미국·일본의 대형 로펌과 제휴를 맺고 선진 법률 시스템을 국내에 접목했으며, 고객 만족도 조사와 변호사 교체 및 환불까지 가능한 고객서비스 제도(AS 제도)를 도입했다. 이번 SK텔레콤 집단소송 역시 이 같은 구조적 실험이 현실에서 실현 가능함을 입증하기 위한 실천이다.대한민국 국민의 개인정보가 미국이나 유럽 국민보다 덜 중요할 이유는 전혀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 집단소송제의 실효성 강화, 그리고 기업의 실질적 책임을 이끌어낼 수 있는 법적 기반 마련이다. 법원 역시 이제는 기업이 개인정보 보호를 ‘선택 사항’이 아니라 ‘경영의 본질’로 받아들이게끔 명확한 기준과 강력한 메시지를 제시해야 한다.이번 소송은 단지 한 기업의 법적 책임을 묻는 사건이 아니다. 개인정보가 기술적 관리 대상이 아닌 헌법상 기본권임을 법과 제도가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개인정보는 소중한 자산이다. 국민의 권리는 결코 헐값에 넘겨져서는 안 된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6-16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SK텔레콤에 이어 YES24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의혹이 제기됐다. YES24는 지난 9일 랜섬웨어 공격을 인지한 직후 “개인정보 유출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비정상적인 회원 정보 조회 정황을 포착하고 조사에 착수하면서 사안의 중대성이 드러났다.이 사건은 단순한 해킹 사고에 그치지 않는다. 반복되는 개인정보 유출은 국내 주요 기업들이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실질적 책임과 제도적 대응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SK텔레콤과 YES24는 모두 정부가 운영하는 ISMS(정보보호 관리체계) 또는 ISMS-P(개인정보보호 통합인증) 인증을 받은 상태였다.ISMS-P는 기업이 일정한 관리적·기술적 보호 조치를 갖추고 있음을 심사·인증하는 제도다. 그러나 이 제도는 해킹 사고 발생 여부나 사고 이후 기업의 실질적 책임 이행 여부는 평가하지 않는다. 피해 구제 체계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 조치와 인증 유효성은 무관하다. 결과적으로 요건만 충족하면 인증은 그대로 유지된다.문제는 사고 이후 “우리는 정부 인증을 받은 시스템을 운영 중이었다”는 기업 측 면책 논리로 이 인증이 쉽게 악용된다는 점이다. 예방과 책임 강화를 위한 인증이 실제로는 사고 발생 시 ‘형식적 책임 이행’의 도구로 활용되는 셈이다. 인증 제도가 본래 의도와 다르게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이처럼 사고 예방도 책임 강화도 담보하지 못하는 제도에 기대는 상황이라면, 국민 입장에서는 “국가 인증이 나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이를 수밖에 없다. 제도는 존재하지만 실효성은 약하고, 사고 발생 후에도 기업이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에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해외는 다르다. 미국 연방법원은 이스라엘 NSO 그룹이 WhatsApp 사용자의 기기를 무단 침해한 사건에서 약 1억 6,700만 달러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령했다. 미국 통신사 T-Mobile 역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 후 수백만 달러 규모의 집단소송 합의금을 지급했다. 법과 제도가 기업의 책임을 실질적으로 묻는 구조인 것이다.반면 한국은 여전히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다. 행정상 과징금과 시정명령, 형식적 감독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민사소송은 입증책임이 피해자에게 과도하게 쏠리고, 배상 수준도 현실과 괴리가 크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일부 언론과 대형 로펌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는 실익이 없다”는 식의 논리를 퍼뜨리면서, 국민이 스스로 권리 행사를 포기하게 만드는 분위기마저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이러한 구조에 균열을 내기 위해 법무법인 대륜은 대기업을 상대로 한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결정은 법률 시장의 수익 논리로만 본다면 결코 유리한 선택이 아니다. 그러나 대륜은 설립 이래 법률 서비스의 존재 이유를 ‘이윤’이 아닌 ‘국민 권리의 실질적 실현’에 두어왔다. 이번 집단소송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다.대륜은 수도권 중심의 법률 시장을 지역 기반으로 분산하고, 전 국민이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전국 단위의 분사무소를 설립했다. 미국·일본의 대형 로펌과 제휴를 맺고 선진 법률 시스템을 국내에 접목했으며, 고객 만족도 조사와 변호사 교체 및 환불까지 가능한 고객서비스 제도(AS 제도)를 도입했다. 이번 SK텔레콤 집단소송 역시 이 같은 구조적 실험이 현실에서 실현 가능함을 입증하기 위한 실천이다.대한민국 국민의 개인정보가 미국이나 유럽 국민보다 덜 중요할 이유는 전혀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 집단소송제의 실효성 강화, 그리고 기업의 실질적 책임을 이끌어낼 수 있는 법적 기반 마련이다. 법원 역시 이제는 기업이 개인정보 보호를 ‘선택 사항’이 아니라 ‘경영의 본질’로 받아들이게끔 명확한 기준과 강력한 메시지를 제시해야 한다.이번 소송은 단지 한 기업의 법적 책임을 묻는 사건이 아니다. 개인정보가 기술적 관리 대상이 아닌 헌법상 기본권임을 법과 제도가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개인정보는 소중한 자산이다. 국민의 권리는 결코 헐값에 넘겨져서는 안 된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기고] 기업 면죄부가 된 국가 인증, ‘진짜 책임’을 위한 법이 필요하다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16
명의 도용당해 실행된 대출, 상환 독촉에…法 “본인확인의무 지켰어야”
명의 도용당해 실행된 대출, 상환 독촉에…法 “본인확인의무 지켰어야”
자녀가 부모 명의로 3500만 원 대출카드사 “부모가 계약자… 변제하라”재판부 “휴대전화 인증, 신뢰성 담보 안 돼” 도용된 명의로 대출이 실행됐다면 본인 확인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금융사에 책임이 있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은 지난달 15일 한 카드사가 60대 남성 A 씨를 상대로 낸 신용카드이용대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A 씨는 2022년 근무 중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의식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하고 중증 장애 진단을 받았다.이후 산재보험 처리를 위해 자녀들이 A 씨의 휴대전화를 관리하기 시작했는데, 자녀 중 한 명이 A 씨 명의로 약 3500만 원을 무단 대출받으면서 문제가 발생했다.해당 자녀는 A 씨 명의로 카드를 발급하고 대출을 받았으며, 이 같은 사실이 발각되자 A 씨 부부에게 대출금을 변제하겠다는 차용증을 작성했다.그런데 카드사 측은 A 씨에게 대출금을 상환하라는 독촉장을 보냈다. 비록 자녀가 명의를 도용했다 하더라도, 휴대전화를 통해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A 씨 명의의 계좌로 대출금이 송금됐기에 전자거래기본법 제7조 제2항 제2호에 따라 A 씨를 대출 계약자로 봐야 한다는 이유에서다.이에 A 씨 측은 대출 계약이 실행되기 훨씬 전부터 A 씨가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입금된 대출금 또한 곧바로 자녀 계좌로 이체됐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계약은 당사자 간 의사의 합치에 의해 성립하는데, 대출 당시 피고의 의식 상태를 봤을 때 명의가 도용된 것이 인정되므로 계약은 성립하지 않았다”며 “A 씨 부부가 자녀들에게 휴대전화 사용을 허락했더라도, 본인 인증 절차 진행에 동의하거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까지 받아들이기로 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이어 “휴대전화를 통한 인증은 신뢰성 및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완전한 수단이 아니다”며 “원고는 본인 확인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손윤정 변호사는 “금융기관이 형식적인 비대면 실명 확인을 거쳤다는 이유만으로 금융사고 책임을 고객에게 전가한다면 비대면 거래의 본인 확인에 관한 주의 의무를 경감시키는 부당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카드사가 영상통화, 신분증 확인 등 강화된 본인 확인 절차를 제대로 진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해 기각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명의 도용당해 실행된 대출, 상환 독촉에…法 “본인확인의무 지켰어야”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16
명의 도용당해 실행된 대출, 상환 독촉에…法 “본인확인의무 지켰어야”
명의 도용당해 실행된 대출, 상환 독촉에…法 “본인확인의무 지켰어야”
자녀가 부모 명의로 3500만 원 대출카드사 “부모가 계약자… 변제하라”재판부 “휴대전화 인증, 신뢰성 담보 안 돼” 도용된 명의로 대출이 실행됐다면 본인 확인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금융사에 책임이 있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은 지난달 15일 한 카드사가 60대 남성 A 씨를 상대로 낸 신용카드이용대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A 씨는 2022년 근무 중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의식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하고 중증 장애 진단을 받았다.이후 산재보험 처리를 위해 자녀들이 A 씨의 휴대전화를 관리하기 시작했는데, 자녀 중 한 명이 A 씨 명의로 약 3500만 원을 무단 대출받으면서 문제가 발생했다.해당 자녀는 A 씨 명의로 카드를 발급하고 대출을 받았으며, 이 같은 사실이 발각되자 A 씨 부부에게 대출금을 변제하겠다는 차용증을 작성했다.그런데 카드사 측은 A 씨에게 대출금을 상환하라는 독촉장을 보냈다. 비록 자녀가 명의를 도용했다 하더라도, 휴대전화를 통해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A 씨 명의의 계좌로 대출금이 송금됐기에 전자거래기본법 제7조 제2항 제2호에 따라 A 씨를 대출 계약자로 봐야 한다는 이유에서다.이에 A 씨 측은 대출 계약이 실행되기 훨씬 전부터 A 씨가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입금된 대출금 또한 곧바로 자녀 계좌로 이체됐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계약은 당사자 간 의사의 합치에 의해 성립하는데, 대출 당시 피고의 의식 상태를 봤을 때 명의가 도용된 것이 인정되므로 계약은 성립하지 않았다”며 “A 씨 부부가 자녀들에게 휴대전화 사용을 허락했더라도, 본인 인증 절차 진행에 동의하거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까지 받아들이기로 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이어 “휴대전화를 통한 인증은 신뢰성 및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완전한 수단이 아니다”며 “원고는 본인 확인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손윤정 변호사는 “금융기관이 형식적인 비대면 실명 확인을 거쳤다는 이유만으로 금융사고 책임을 고객에게 전가한다면 비대면 거래의 본인 확인에 관한 주의 의무를 경감시키는 부당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카드사가 영상통화, 신분증 확인 등 강화된 본인 확인 절차를 제대로 진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해 기각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명의 도용당해 실행된 대출, 상환 독촉에…法 “본인확인의무 지켰어야” (바로가기)
서울경제
2025-06-15
10곳 중 1곳 중도 사퇴…상법 개정 추진에 커지는 ‘사외이사 기근’ 우려[안현덕의 LawStory]
10곳 중 1곳 중도 사퇴…상법 개정 추진에 커지는 ‘사외이사 기근’ 우려[안현덕의 LawStory]
올 들어 119곳 임기 중도 퇴임1년이상 임기 남기고 자리떠나상법 개정으로 소송 리스크는↑중소 기업은 보수도 높지 않아선임난 놓일 환경에 놓을 수도 올 들어 코스닥 상장사 10개사 가운데 한 곳에서 사외이사가 중도 퇴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개인적 사유에 따른 퇴임으로 임기 1년 이상을 남긴 해 사외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사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데 따라 법조계 안팎에서는 향후 사외이사 ‘기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상법 개정이 사실화될 경우, 사외이사의 사법 리스크 부담이 커지면서 사외이사를 맡는 걸 기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15일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 들어 1년 이사 임기를 남기고 사외이사가 중도 퇴임한 코스닥 상장사는 119곳에 달한다. 전체 코스닥 상장사가 1791곳이라는 점에서 10곳 가운데 한 개사에서 사외이사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난 것이다. 특히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선임되고 한 두 달 만에 사외이사 자리에서 퇴임하기도 했다. 상법 382조에 따르면, 사외이사는 해당 회사의 상무(常務·회사 등에서 일상 업무를 처리·집행하는 이사)에 종사하지 아니한 이사다. △최대주주 본인·배우자, 직계 존속·비속 △최근 2년 내 회사 상무에 종사한 이사·감사·집행임원 △회사 모회사 또는 자회사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등은 선임되지 못한다. 최대주주와 관련 없는 외부 인사를 이사회에 참가 시킴으로써, 대주주의 독단 경영과 전횡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취지다. 회사 자산 규모 등에 따라 이사 총수의 4분의 1 이상(3명 이상)으로 하되, 이사 총수의 과반수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어길 경우 5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는다.문제는 코스닥 상장사를 중심으로 임기 중 퇴임하는 사외이사가 속출하는 가운데 이사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한다는 내용의 상법 개정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상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을 경우, 사외이사의 사법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합병, 인적·물적 분할, 신주 상장 등까지 이사회 의결 사항에 대해 주주가 사외이사를 상대로 민형사상 소송을 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석규 법무법인 동인 변호사는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될 경우, 건실한 회사는 큰 부담이 없겠지만, 재무구조 등이 무실한 기업은 소송 증가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상법 개정안은 사내외 이사에게 (주주가)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구조"라며 "보수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스스로) 위험을 높일 필요성이 없는 만큼 향후 사외이사 구하기가 쉽지 않을 듯 하다"고 덧붙였다. 상법에서는 사외이사가 회사에 손실을 끼치더라도 최근 1년간의 보수액의 3배(사내 이사의경우 6배)로 책임을 감면해주고 있다. 하지만 보수 자체가 높지 않아 사외이사 후보군들이 상법 개정에 따른 사법 리스크를 부담하기 보다는 맡지 않는 쪽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방인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도 "상법 개정 이후 (사외)이사의 업무 수행이 회사에는 손해를 끼치지 않더라도 일부 주주들은 주가하락 자체를 충실 의무 위반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그동안 이사의 손해배상책임이나 배임죄 판단에 있어 이사의 책임을 감면한 경영 판단의 원칙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사의 의사 결정 등 업무 수행도 법적 리스크 증가에 따라 보수적이고 안전지향적으로 할 유인이 커질 수 있다"며 "사외이사를 구하기 힘들 뿐 아니라 보수도 한층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현덕 법조전문기자(always@sedaily.com),임종현 기자(s4our@sedaily.com) [기사전문보기] 10곳 중 1곳 중도 사퇴…상법 개정 추진에 커지는 ‘사외이사 기근’ 우려[안현덕의 LawStory] (바로가기)
서울경제
2025-06-15
10곳 중 1곳 중도 사퇴…상법 개정 추진에 커지는 ‘사외이사 기근’ 우려[안현덕의 LawStory]
10곳 중 1곳 중도 사퇴…상법 개정 추진에 커지는 ‘사외이사 기근’ 우려[안현덕의 LawStory]
올 들어 119곳 임기 중도 퇴임1년이상 임기 남기고 자리떠나상법 개정으로 소송 리스크는↑중소 기업은 보수도 높지 않아선임난 놓일 환경에 놓을 수도 올 들어 코스닥 상장사 10개사 가운데 한 곳에서 사외이사가 중도 퇴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개인적 사유에 따른 퇴임으로 임기 1년 이상을 남긴 해 사외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사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데 따라 법조계 안팎에서는 향후 사외이사 ‘기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상법 개정이 사실화될 경우, 사외이사의 사법 리스크 부담이 커지면서 사외이사를 맡는 걸 기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15일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 들어 1년 이사 임기를 남기고 사외이사가 중도 퇴임한 코스닥 상장사는 119곳에 달한다. 전체 코스닥 상장사가 1791곳이라는 점에서 10곳 가운데 한 개사에서 사외이사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난 것이다. 특히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선임되고 한 두 달 만에 사외이사 자리에서 퇴임하기도 했다. 상법 382조에 따르면, 사외이사는 해당 회사의 상무(常務·회사 등에서 일상 업무를 처리·집행하는 이사)에 종사하지 아니한 이사다. △최대주주 본인·배우자, 직계 존속·비속 △최근 2년 내 회사 상무에 종사한 이사·감사·집행임원 △회사 모회사 또는 자회사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등은 선임되지 못한다. 최대주주와 관련 없는 외부 인사를 이사회에 참가 시킴으로써, 대주주의 독단 경영과 전횡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취지다. 회사 자산 규모 등에 따라 이사 총수의 4분의 1 이상(3명 이상)으로 하되, 이사 총수의 과반수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어길 경우 5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는다.문제는 코스닥 상장사를 중심으로 임기 중 퇴임하는 사외이사가 속출하는 가운데 이사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한다는 내용의 상법 개정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상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을 경우, 사외이사의 사법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합병, 인적·물적 분할, 신주 상장 등까지 이사회 의결 사항에 대해 주주가 사외이사를 상대로 민형사상 소송을 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석규 법무법인 동인 변호사는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될 경우, 건실한 회사는 큰 부담이 없겠지만, 재무구조 등이 무실한 기업은 소송 증가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상법 개정안은 사내외 이사에게 (주주가)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구조"라며 "보수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스스로) 위험을 높일 필요성이 없는 만큼 향후 사외이사 구하기가 쉽지 않을 듯 하다"고 덧붙였다. 상법에서는 사외이사가 회사에 손실을 끼치더라도 최근 1년간의 보수액의 3배(사내 이사의경우 6배)로 책임을 감면해주고 있다. 하지만 보수 자체가 높지 않아 사외이사 후보군들이 상법 개정에 따른 사법 리스크를 부담하기 보다는 맡지 않는 쪽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방인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도 "상법 개정 이후 (사외)이사의 업무 수행이 회사에는 손해를 끼치지 않더라도 일부 주주들은 주가하락 자체를 충실 의무 위반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그동안 이사의 손해배상책임이나 배임죄 판단에 있어 이사의 책임을 감면한 경영 판단의 원칙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사의 의사 결정 등 업무 수행도 법적 리스크 증가에 따라 보수적이고 안전지향적으로 할 유인이 커질 수 있다"며 "사외이사를 구하기 힘들 뿐 아니라 보수도 한층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현덕 법조전문기자(always@sedaily.com),임종현 기자(s4our@sedaily.com) [기사전문보기] 10곳 중 1곳 중도 사퇴…상법 개정 추진에 커지는 ‘사외이사 기근’ 우려[안현덕의 LawStory]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6-15
[월요칼럼]이혼과 졸혼, 당신의 선택은?
[월요칼럼]이혼과 졸혼, 당신의 선택은?
필자는 다양한 이혼사건을 진행하면서 특히 기억에 남는 의뢰인들이 있다. 60세가 넘는 지긋한 연세에 “더 이상 배우자와 살 수 없다”며 필자를 찾아오는 분들이다. 배우자의 지속적인 부정행위, 가정폭력과 폭언, 극단적인 절약 강요, 고부갈등으로 인한 혼인파탄 등 자녀들이 모두 장성한 후 이제서야 이혼을 결심한 이유도 각약각색이지만, 공통적으로 가정을 지키기위해 오랜기간을 인내해 온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최근 연예인들과 유명인 뿐 아니라, 일반 부부라도 황혼의 나이에 이르러 배우자와 별거하며 자신의 삶을 살기위해 졸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졸혼’이란 법률상 개념이 아닌 부부간 상호 합의하에 법적 혼인관계는 계속 유지하면서, 서로의 생활에 간섭하지 않고 각자의 삶을 사는 것, 말 그대로 ‘결혼 생활을 졸업’하는 것이다.졸혼은 공방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이혼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법적 절차인 이혼처럼 통상 재산분할, 위자료 청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평생 가정주부로서 가사 노동만 해온 배우자라도 황혼이혼을 진행하게 되면 부부 쌍방이 협력으로 이룩한 공동재산에 대한 재산분할청구권이 인정되며, 재산 형성 기여 정도에 따라 평균 50% 정도의 재산을 분할 받을 수 있다.특히 상대방이 연금수급권을 가질 경우 공무원연금법 제45조 및 국민연금법 제64조에 의해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자가 이혼한 경우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균등하게 나눈 금액을 청구할 수 있고, 협의 및 재판상 이혼 과정에서는 이를 달리 결정할 수 있어 이혼 후 수입이 감소하는 노년기에 생활부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재산분할 대상은 원칙적으로 혼인기간 중 공동의 노력으로 형성한 재산에 해당하나, 배우자가 상속받은 특유재산의 경우에도 재산의 유지나 증식에 기여한 경우에는 기여도에 따라 이를 재산분할 할 수 있어 유리하다.위자료 청구권은 일방 배우자가 혼인 파탄에 책임이 있는 상대방 배우자의 불법행위로 인해 받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으로, 민법 제840조에서는 배우자의 부정행위, 악의의 유기,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 등 6가지의 재판상 이혼원인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혼 소송이나 조정에서 유책 배우자의 불법행위를 주장하여 위자료를 청구 할 수 있다.그러나 졸혼의 경우, 이혼시 재산분할이나 위자료 청구를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법적 혼인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졸혼시 부부가 재산분할 협의를 하였다면 이는 혼인 중 재산계약으로서 당사자간 약정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세부항목에 대하여 정하지 않았거나, 모호한 문구로 작성되었거나, 이를 공증으로 남겨놓지 않으면 향후 또다른 분쟁의 불씨가 될 수 있다.졸혼 기간 별거를 하다가, 결국 이혼을 하게 되는 경우 졸혼기간 자체가 실제 혼인기간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법적 혼인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악용한 배우자가 상대방이 정조의무를 위반하였다고 주장하며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어 향후 이혼소송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졸혼을 한 자와 교제를 하였다가 상간소송의 피고가 될 수도 있으므로 졸혼으로 파생되는 분쟁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부부간 극복할 수 없는 갈등으로 더 이상 같이 살수는 없지만, 법적으로 이혼을 하지 못하는 데에는 제3자가 알지 못하는 여러가지 사정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졸혼이 경제적 우위에 있는 일방 배우자의 면피수단이 되지 않도록, 행복한 결혼 졸업이 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이혼과 졸혼, 당신의 선택은?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6-15
[월요칼럼]이혼과 졸혼, 당신의 선택은?
[월요칼럼]이혼과 졸혼, 당신의 선택은?
필자는 다양한 이혼사건을 진행하면서 특히 기억에 남는 의뢰인들이 있다. 60세가 넘는 지긋한 연세에 “더 이상 배우자와 살 수 없다”며 필자를 찾아오는 분들이다. 배우자의 지속적인 부정행위, 가정폭력과 폭언, 극단적인 절약 강요, 고부갈등으로 인한 혼인파탄 등 자녀들이 모두 장성한 후 이제서야 이혼을 결심한 이유도 각약각색이지만, 공통적으로 가정을 지키기위해 오랜기간을 인내해 온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최근 연예인들과 유명인 뿐 아니라, 일반 부부라도 황혼의 나이에 이르러 배우자와 별거하며 자신의 삶을 살기위해 졸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졸혼’이란 법률상 개념이 아닌 부부간 상호 합의하에 법적 혼인관계는 계속 유지하면서, 서로의 생활에 간섭하지 않고 각자의 삶을 사는 것, 말 그대로 ‘결혼 생활을 졸업’하는 것이다.졸혼은 공방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이혼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법적 절차인 이혼처럼 통상 재산분할, 위자료 청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평생 가정주부로서 가사 노동만 해온 배우자라도 황혼이혼을 진행하게 되면 부부 쌍방이 협력으로 이룩한 공동재산에 대한 재산분할청구권이 인정되며, 재산 형성 기여 정도에 따라 평균 50% 정도의 재산을 분할 받을 수 있다.특히 상대방이 연금수급권을 가질 경우 공무원연금법 제45조 및 국민연금법 제64조에 의해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자가 이혼한 경우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균등하게 나눈 금액을 청구할 수 있고, 협의 및 재판상 이혼 과정에서는 이를 달리 결정할 수 있어 이혼 후 수입이 감소하는 노년기에 생활부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재산분할 대상은 원칙적으로 혼인기간 중 공동의 노력으로 형성한 재산에 해당하나, 배우자가 상속받은 특유재산의 경우에도 재산의 유지나 증식에 기여한 경우에는 기여도에 따라 이를 재산분할 할 수 있어 유리하다.위자료 청구권은 일방 배우자가 혼인 파탄에 책임이 있는 상대방 배우자의 불법행위로 인해 받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으로, 민법 제840조에서는 배우자의 부정행위, 악의의 유기,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 등 6가지의 재판상 이혼원인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혼 소송이나 조정에서 유책 배우자의 불법행위를 주장하여 위자료를 청구 할 수 있다.그러나 졸혼의 경우, 이혼시 재산분할이나 위자료 청구를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법적 혼인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졸혼시 부부가 재산분할 협의를 하였다면 이는 혼인 중 재산계약으로서 당사자간 약정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세부항목에 대하여 정하지 않았거나, 모호한 문구로 작성되었거나, 이를 공증으로 남겨놓지 않으면 향후 또다른 분쟁의 불씨가 될 수 있다.졸혼 기간 별거를 하다가, 결국 이혼을 하게 되는 경우 졸혼기간 자체가 실제 혼인기간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법적 혼인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악용한 배우자가 상대방이 정조의무를 위반하였다고 주장하며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어 향후 이혼소송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졸혼을 한 자와 교제를 하였다가 상간소송의 피고가 될 수도 있으므로 졸혼으로 파생되는 분쟁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부부간 극복할 수 없는 갈등으로 더 이상 같이 살수는 없지만, 법적으로 이혼을 하지 못하는 데에는 제3자가 알지 못하는 여러가지 사정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졸혼이 경제적 우위에 있는 일방 배우자의 면피수단이 되지 않도록, 행복한 결혼 졸업이 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이혼과 졸혼, 당신의 선택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9곳
2025-06-13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2차 민사 331명·형사 43명 추가…1·2차 민·형사 참여자 총 637명SKT 과실 객관적으로 드러나…손해배상 인정될 수 있어대륜 “국민 권익 지키는 공익소송…실질적 책임 묻기 적극 나설 것”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법무법인 대륜이 피해자들을 대리해 2차 형사 고소·고발과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등 본격적인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대륜은 지난달 1일에 이어 이달 5일 2차 자체 모집을 통해 확보한 피해자 43명을 대리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 관련자들을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형사 고소·고발했다. 내용은 1차와 동일한 업무상배임 및 업무방해 등 혐의로, 통신사로서 정보보호 의무를 소홀히 했다는 점이 핵심이다.이어 12일 대륜은 피해자 331명을 대리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2차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소장을 접수했다. 이로써 지난달 27일 접수된 1차 민사 소송 참여 인원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581명이 대륜을 통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는 절차에 함께하게 됐다. 민사소송 청구 금액은 1인당 100만원이다.이번 사태를 두고 유심 정보 비암호화, 서버 로그 미보존, 보안 투자 부족 등 SK텔레콤의 보안 관리 부실이 사고를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SK텔레콤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의 최종 조사 결과 발표를 앞두고 징계 처분 수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조사단의 추가 조사 결과,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 등 민감 정보 29만여 건이 해킹 서버에 저장된 정황이 확인되며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집단 소송을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출신 여상원 변호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특별수행본부(특수부)'가 주도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여 변호사는 “엄청난 피해자가 발생했고, 피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은폐하는 데 급급하면서 발생한 직접 피해와 추가 피해, 피해자들이 입은 자신의 정보 노출에 대한 불안감을 적극 주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이번 소송을 둘러싼 일부 회의적인 시각에 대해서도 여 변호사는 반박했다. 개인정보 침해 사고와 관련해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된 선례가 없다는 이유로, 무조건 승소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여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SK텔레콤의 중대한 과실이 객관적으로 드러난 이례적 사례”라며 “추후 발표될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가 입증자료 등으로 활용된다면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조영곤 변호사는 "민감 정보가 해킹 서버에 저장된 것은 대량 해킹의 근거 자료로 볼 수 있다"며 "이번 사건으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 IMEI, ICCID 등은 금융사기·명의도용·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어 유출 자체만으로도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신적 피해까지 유발하게 된다"고 밝혔다.그러면서 "헌법과 개인정보보호법은 피해 발생 가능성 자체의 예방책임이 사업자에게 있음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며 "그동안 집단소송에서 피해자들이 불리했던 이유는 기술 정보의 비대칭, 사법부의 소극성, 입증 책임 구조에 있었다. 대륜은 이번 사안을 국민 전체의 권익을 지키기 위한 공익 소송으로 인식하고 있는 만큼, 기업에 실질적 책임을 묻고 피해자들이 권리를 회복할 수 있도록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한편 대륜은 앞으로도 피해자 모집을 이어가며 순차적으로 추가 소장 접수에 나설 예정이다. 또 조사단의 최종 발표에 따른 SK텔레콤의 고의·중과실 여부에 대한 증거 확보 등 후속 절차도 병행할 계획이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바로가기) 뉴시스 - SKT이용자 331명, '유심 해킹' 손배소 추가 참여…580명으로 늘어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대륜 "SKT 해킹 손해배상 100만원씩…총 580명 신청"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3차 모집 접수…2차까지 637명 동참 (바로가기) 와이드경제 - SKT이용자 331명, '유심 해킹' 손배소 추가 참여…580명으로 늘어 (바로가기) 포인트데일리 - SK텔레콤 상대 '손배소' 참여자 보름새 2배 증가 (바로가기) 더팩트 - 'SKT 해킹' 피해자 580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9곳
2025-06-13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2차 민사 331명·형사 43명 추가…1·2차 민·형사 참여자 총 637명SKT 과실 객관적으로 드러나…손해배상 인정될 수 있어대륜 “국민 권익 지키는 공익소송…실질적 책임 묻기 적극 나설 것”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법무법인 대륜이 피해자들을 대리해 2차 형사 고소·고발과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등 본격적인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대륜은 지난달 1일에 이어 이달 5일 2차 자체 모집을 통해 확보한 피해자 43명을 대리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 관련자들을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형사 고소·고발했다. 내용은 1차와 동일한 업무상배임 및 업무방해 등 혐의로, 통신사로서 정보보호 의무를 소홀히 했다는 점이 핵심이다.이어 12일 대륜은 피해자 331명을 대리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2차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소장을 접수했다. 이로써 지난달 27일 접수된 1차 민사 소송 참여 인원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581명이 대륜을 통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는 절차에 함께하게 됐다. 민사소송 청구 금액은 1인당 100만원이다.이번 사태를 두고 유심 정보 비암호화, 서버 로그 미보존, 보안 투자 부족 등 SK텔레콤의 보안 관리 부실이 사고를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SK텔레콤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의 최종 조사 결과 발표를 앞두고 징계 처분 수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조사단의 추가 조사 결과,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 등 민감 정보 29만여 건이 해킹 서버에 저장된 정황이 확인되며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집단 소송을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출신 여상원 변호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특별수행본부(특수부)'가 주도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여 변호사는 “엄청난 피해자가 발생했고, 피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은폐하는 데 급급하면서 발생한 직접 피해와 추가 피해, 피해자들이 입은 자신의 정보 노출에 대한 불안감을 적극 주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이번 소송을 둘러싼 일부 회의적인 시각에 대해서도 여 변호사는 반박했다. 개인정보 침해 사고와 관련해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된 선례가 없다는 이유로, 무조건 승소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여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SK텔레콤의 중대한 과실이 객관적으로 드러난 이례적 사례”라며 “추후 발표될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가 입증자료 등으로 활용된다면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조영곤 변호사는 "민감 정보가 해킹 서버에 저장된 것은 대량 해킹의 근거 자료로 볼 수 있다"며 "이번 사건으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 IMEI, ICCID 등은 금융사기·명의도용·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어 유출 자체만으로도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신적 피해까지 유발하게 된다"고 밝혔다.그러면서 "헌법과 개인정보보호법은 피해 발생 가능성 자체의 예방책임이 사업자에게 있음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며 "그동안 집단소송에서 피해자들이 불리했던 이유는 기술 정보의 비대칭, 사법부의 소극성, 입증 책임 구조에 있었다. 대륜은 이번 사안을 국민 전체의 권익을 지키기 위한 공익 소송으로 인식하고 있는 만큼, 기업에 실질적 책임을 묻고 피해자들이 권리를 회복할 수 있도록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한편 대륜은 앞으로도 피해자 모집을 이어가며 순차적으로 추가 소장 접수에 나설 예정이다. 또 조사단의 최종 발표에 따른 SK텔레콤의 고의·중과실 여부에 대한 증거 확보 등 후속 절차도 병행할 계획이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바로가기) 뉴시스 - SKT이용자 331명, '유심 해킹' 손배소 추가 참여…580명으로 늘어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대륜 "SKT 해킹 손해배상 100만원씩…총 580명 신청"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2차 접수…“손해배상 인정 가능성 충분”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SKT 해킹’ 공동소송 3차 모집 접수…2차까지 637명 동참 (바로가기) 와이드경제 - SKT이용자 331명, '유심 해킹' 손배소 추가 참여…580명으로 늘어 (바로가기) 포인트데일리 - SK텔레콤 상대 '손배소' 참여자 보름새 2배 증가 (바로가기) 더팩트 - 'SKT 해킹' 피해자 580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바로가기)
매일경제 등 15곳
2025-06-13
[단독]‘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규정 제동…법원 “전액 환불하라”
[단독]‘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규정 제동…법원 “전액 환불하라”
호텔 숙박 상품 예약 후 2시간 뒤 취소 요청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된다’고 통보‘숙박료 절반 돌려주라’는 화해권고 결정에도양 측 모두 거부하며 정식 재판으로 이어져1심 “고객에게 불리한 불공정 약관은 무효” 숙박 상품 예약 완료 후 10분 이내에 취소하지 않으면 환불이 불가능하다고 규정한 숙박 예약 플랫폼의 약관은 불공정해 무효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법원은 숙박 예약 플랫폼이 단순 통신판매중개자라고 해도 불공정하게 소비자에게 불리한 환불 규정을 둘 경우 법적 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고 봤다.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1002단독 하현국 부장판사는 소비자 A씨가 숙박 예약 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지난 11일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야놀자 등 피고 측이 A씨에게 숙박비 전액 등을 환불하라고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3년 야놀자 앱을 통해 약 66만원 상당의 호텔 숙박 상품을 예약한 뒤 약 2시간 뒤 예약 취소를 요청했다. 그러나 야놀자 측은 환불 규정을 근거로 이를 거부했다. 해당 환불 규정은 ‘예약 취소는 10분 이내로만 가능하고 10분을 초과하면 예약금의 100%에 해당하는 취소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야놀자 앱을 통해 숙박 상품을 판매한 호텔 측도 A씨의 환불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호텔 측은 호텔 공식 홈페이지가 아닌 숙박 플랫폼을 통해 예약이 이뤄진 만큼 직접 예약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아니라 취소 권한이 없고 환불 책임도 없다고 주장했다.이에 A씨는 이 사건 소송을 제기했다. A씨 측은 재판 과정에서 야놀자 측이 만든 환불 위약금 관련 규정은 전자상거래법 및 약관법을 위반해 무효라고 주장했다. 전자상거래법 제17조는 ‘통신판매업자로부터 재화 등을 구매한 소비자는 계약 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청약 철회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또 약관법 제6조는 ‘고객에 불리한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 처리된다’고 정하고 있다.그러나 야놀자 측은 ‘통신판매업자가 아닌 통신판매중개자에 불과해 법률 적용 대상으로 볼 수 없어 환불 책임이 없다’고 맞섰다.1심 법원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원고 승소 판결했다. 하 부장판사는 “야놀자와 합병한 ‘놀유니버스’는 통신판매업자 또는 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중개자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하다”며 “이 사건 환불 규정은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불공정 약관에 해당해 무효”라고 밝혔다.이어 호텔에 대해서는 “호텔 측은 A씨의 예약 상대방이 아니고 A씨로부터 대금을 받은 자도 아니라고 주장하나 증거들에 의하면 호텔 측은 매달 놀유니버스로부터 일정 비율에 따른 대금을 정산받은 사실이 인정된다”며 “전자상거래법 제18조 제2항에서 규정한 ‘소비자로부터 대금을 받은 자’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앞서 법원은 지난해 11월 ‘피고들이 연대해 A씨에게 숙박료 절반을 지급하라’는 화해 권고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양 측 모두 이를 거부하면서 정식 재판으로 이어졌다.A씨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은 “야놀자의 취소 수수료 약정이 부당하다는 판단을 내려준 법원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며 “이번 판결이 온라인 숙박 플랫폼 등의 일부 부당한 환불 규정에 제동을 거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박민기 기자(mkp@mk.co.kr) [기사전문보기] 매일경제 - [단독]‘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규정 제동…법원 “전액 환불하라”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원 철퇴맞은 야놀자…예약 후 10분 지나면 숙박 취소 불가 "불공정하다" (바로가기) 이데일리 - 야놀자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法 "불공정 약관 해당" (바로가기) 세계일보 -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고객에 불리한 약관 내세운 야놀자, 결국 철퇴 맞아 (바로가기) 한겨레 - 야놀자, 예약 10분 뒤 호텔비 65만원 환불 거부했다가 패소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민사] '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 무효 (바로가기) 데일리안 - 야놀자, 예약 10분 뒤 환불 거부…"패소" (바로가기) 디지털투데이 - 법원,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불가 불공정 판결...놀유니버스 "즉시 항소"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 야놀자, 숙박 환불 소송 패소에 항소 예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예약한 지 10분 지났네요? 환불 안 돼"…야놀자 약관, 법원은 "무효" (바로가기) 제민일보 - 야놀자, 10분 내 환불 불가 규정이 불공정 판결 (바로가기) 한국일보 - 법원 "'야놀자' 예약 완료 10분 뒤 환불 불가 약관은 무효" (바로가기) 로이슈 - 법원 “예약 후 10분 지나면 숙박 취소 불가… 고객에 불리한 불공정 약관 해당” (바로가기) TV조선 - 법원 "'야놀자' 예약 10분 후 환불 불가 약관은 무효" (바로가기) 데일리팝 - [뉴스줌인] '야놀자' 환불 약관 '불공정' 판결에 법적공방..중개 플랫폼 vs 숙박업체, '환불'은 누가 결정? (바로가기)
매일경제 등 15곳
2025-06-13
[단독]‘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규정 제동…법원 “전액 환불하라”
[단독]‘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규정 제동…법원 “전액 환불하라”
호텔 숙박 상품 예약 후 2시간 뒤 취소 요청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된다’고 통보‘숙박료 절반 돌려주라’는 화해권고 결정에도양 측 모두 거부하며 정식 재판으로 이어져1심 “고객에게 불리한 불공정 약관은 무효” 숙박 상품 예약 완료 후 10분 이내에 취소하지 않으면 환불이 불가능하다고 규정한 숙박 예약 플랫폼의 약관은 불공정해 무효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법원은 숙박 예약 플랫폼이 단순 통신판매중개자라고 해도 불공정하게 소비자에게 불리한 환불 규정을 둘 경우 법적 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고 봤다.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1002단독 하현국 부장판사는 소비자 A씨가 숙박 예약 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지난 11일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야놀자 등 피고 측이 A씨에게 숙박비 전액 등을 환불하라고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3년 야놀자 앱을 통해 약 66만원 상당의 호텔 숙박 상품을 예약한 뒤 약 2시간 뒤 예약 취소를 요청했다. 그러나 야놀자 측은 환불 규정을 근거로 이를 거부했다. 해당 환불 규정은 ‘예약 취소는 10분 이내로만 가능하고 10분을 초과하면 예약금의 100%에 해당하는 취소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야놀자 앱을 통해 숙박 상품을 판매한 호텔 측도 A씨의 환불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호텔 측은 호텔 공식 홈페이지가 아닌 숙박 플랫폼을 통해 예약이 이뤄진 만큼 직접 예약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아니라 취소 권한이 없고 환불 책임도 없다고 주장했다.이에 A씨는 이 사건 소송을 제기했다. A씨 측은 재판 과정에서 야놀자 측이 만든 환불 위약금 관련 규정은 전자상거래법 및 약관법을 위반해 무효라고 주장했다. 전자상거래법 제17조는 ‘통신판매업자로부터 재화 등을 구매한 소비자는 계약 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청약 철회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또 약관법 제6조는 ‘고객에 불리한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 처리된다’고 정하고 있다.그러나 야놀자 측은 ‘통신판매업자가 아닌 통신판매중개자에 불과해 법률 적용 대상으로 볼 수 없어 환불 책임이 없다’고 맞섰다.1심 법원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원고 승소 판결했다. 하 부장판사는 “야놀자와 합병한 ‘놀유니버스’는 통신판매업자 또는 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중개자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하다”며 “이 사건 환불 규정은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불공정 약관에 해당해 무효”라고 밝혔다.이어 호텔에 대해서는 “호텔 측은 A씨의 예약 상대방이 아니고 A씨로부터 대금을 받은 자도 아니라고 주장하나 증거들에 의하면 호텔 측은 매달 놀유니버스로부터 일정 비율에 따른 대금을 정산받은 사실이 인정된다”며 “전자상거래법 제18조 제2항에서 규정한 ‘소비자로부터 대금을 받은 자’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앞서 법원은 지난해 11월 ‘피고들이 연대해 A씨에게 숙박료 절반을 지급하라’는 화해 권고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양 측 모두 이를 거부하면서 정식 재판으로 이어졌다.A씨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은 “야놀자의 취소 수수료 약정이 부당하다는 판단을 내려준 법원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며 “이번 판결이 온라인 숙박 플랫폼 등의 일부 부당한 환불 규정에 제동을 거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박민기 기자(mkp@mk.co.kr) [기사전문보기] 매일경제 - [단독]‘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규정 제동…법원 “전액 환불하라”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원 철퇴맞은 야놀자…예약 후 10분 지나면 숙박 취소 불가 "불공정하다" (바로가기) 이데일리 - 야놀자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法 "불공정 약관 해당" (바로가기) 세계일보 -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고객에 불리한 약관 내세운 야놀자, 결국 철퇴 맞아 (바로가기) 한겨레 - 야놀자, 예약 10분 뒤 호텔비 65만원 환불 거부했다가 패소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민사] '예약 10분 지나면 환불 불가' 야놀자 약관 무효 (바로가기) 데일리안 - 야놀자, 예약 10분 뒤 환불 거부…"패소" (바로가기) 디지털투데이 - 법원,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불가 불공정 판결...놀유니버스 "즉시 항소"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 야놀자, 숙박 환불 소송 패소에 항소 예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예약한 지 10분 지났네요? 환불 안 돼"…야놀자 약관, 법원은 "무효" (바로가기) 제민일보 - 야놀자, 10분 내 환불 불가 규정이 불공정 판결 (바로가기) 한국일보 - 법원 "'야놀자' 예약 완료 10분 뒤 환불 불가 약관은 무효" (바로가기) 로이슈 - 법원 “예약 후 10분 지나면 숙박 취소 불가… 고객에 불리한 불공정 약관 해당” (바로가기) TV조선 - 법원 "'야놀자' 예약 10분 후 환불 불가 약관은 무효" (바로가기) 데일리팝 - [뉴스줌인] '야놀자' 환불 약관 '불공정' 판결에 법적공방..중개 플랫폼 vs 숙박업체, '환불'은 누가 결정?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13
하청업주에 사망 노동자 합의금 변제 요구한 업체…법원 "기각"
하청업주에 사망 노동자 합의금 변제 요구한 업체…법원 "기각"
재판부 "하도급 준 원고도 공동불법행위책임 부담해야" 한 시설물 관리업체가 하청업체를 상대로 사망 노동자의 유족에게 지급했던 합의금을 변제하라고 요구했지만 법원이 이를 기각했다.수원지방법원은 지난달 14일 시설물 관리업체 A가 하청업체 업주인 B씨를 상대로 낸 약정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사건은 지난 20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망한 노동자 C씨는 B씨가 A 업체로부터 청소 용역 업무를 재하도급받아 고용했던 노동자로, 2023년 6월28일 운행이 끝난 지하철을 청소하던 중 쓰러져 숨졌다.당시 A 업체는 유족 측에 장례비 및 위로금 약 1억 원을 지급했고, 이후 B씨를 상대로 약정금 소송을 제기했다. C씨가 A사 소속이 아니었음에도 B씨의 부탁을 받아 합의금을 대신 지급했지만 B씨가 변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이유에서다.이와 관련 B씨는 C씨와 자신은 A사 소속의 근로자일 뿐이며, A사가 지시한 업무를 수행하다 사고가 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합의금과 관련해서도 A사에게 변제를 약속하는 등 상의한 적이 없다고도 주장했다.재판부는 "유족과 작성한 합의서를 보면 당사자로는 원고가 적혀 있고, 피고는 합의의 주된 내용에 대해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원고와 피고 사이에 합의금 변제에 관한 약정이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그러면서 "원고는 피고에게 용역 업무를 하도급한 것이기에 원고 또한 공동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민법 제760조 1항은 '수인이 공동의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는 연대하여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A 업체가 B씨가 변제를 약속했음을 입증할 만한 문서 등의 증거물을 제출하지 못한 것도 원고 패소 판단의 근거로 삼았다.이와 관련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장은민 변호사는 "원고가 타인의 채무 중 일부를 피고가 지급하기로 약정했다고 주장한다면, 이에 대한 입증책임 또한 원고에게 있다"며 "A사가 B씨로부터 합의 위임을 받았다는 증거를 전혀 제출하지 않았고, 합의서에도 B씨 이름이 적혀있지 않은 점 등을 강조해 승소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하청업주에 사망 노동자 합의금 변제 요구한 업체…법원 "기각"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13
하청업주에 사망 노동자 합의금 변제 요구한 업체…법원 "기각"
하청업주에 사망 노동자 합의금 변제 요구한 업체…법원 "기각"
재판부 "하도급 준 원고도 공동불법행위책임 부담해야" 한 시설물 관리업체가 하청업체를 상대로 사망 노동자의 유족에게 지급했던 합의금을 변제하라고 요구했지만 법원이 이를 기각했다.수원지방법원은 지난달 14일 시설물 관리업체 A가 하청업체 업주인 B씨를 상대로 낸 약정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사건은 지난 20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망한 노동자 C씨는 B씨가 A 업체로부터 청소 용역 업무를 재하도급받아 고용했던 노동자로, 2023년 6월28일 운행이 끝난 지하철을 청소하던 중 쓰러져 숨졌다.당시 A 업체는 유족 측에 장례비 및 위로금 약 1억 원을 지급했고, 이후 B씨를 상대로 약정금 소송을 제기했다. C씨가 A사 소속이 아니었음에도 B씨의 부탁을 받아 합의금을 대신 지급했지만 B씨가 변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이유에서다.이와 관련 B씨는 C씨와 자신은 A사 소속의 근로자일 뿐이며, A사가 지시한 업무를 수행하다 사고가 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합의금과 관련해서도 A사에게 변제를 약속하는 등 상의한 적이 없다고도 주장했다.재판부는 "유족과 작성한 합의서를 보면 당사자로는 원고가 적혀 있고, 피고는 합의의 주된 내용에 대해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원고와 피고 사이에 합의금 변제에 관한 약정이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그러면서 "원고는 피고에게 용역 업무를 하도급한 것이기에 원고 또한 공동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민법 제760조 1항은 '수인이 공동의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는 연대하여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A 업체가 B씨가 변제를 약속했음을 입증할 만한 문서 등의 증거물을 제출하지 못한 것도 원고 패소 판단의 근거로 삼았다.이와 관련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장은민 변호사는 "원고가 타인의 채무 중 일부를 피고가 지급하기로 약정했다고 주장한다면, 이에 대한 입증책임 또한 원고에게 있다"며 "A사가 B씨로부터 합의 위임을 받았다는 증거를 전혀 제출하지 않았고, 합의서에도 B씨 이름이 적혀있지 않은 점 등을 강조해 승소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예은 기자 (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하청업주에 사망 노동자 합의금 변제 요구한 업체…법원 "기각"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등 3곳
2025-06-12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법무법인 대륜이 뉴욕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총영사 김의환)과 함께 재외국민 보호 및 한미 간 법률협력 강화를 위한 실무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지난 4일 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대륜 심재국 의장, 박동일 대표변호사와 영사관 측 김의환 총영사 등 외교 실무진이 참석했습니다.이번 간담회는 미국 내 한인사회 및 진출 기업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법률 수요에 대응하고 재외공관과 민간 로펌 간 협력모델을 사전에 설계하기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마련됐습니다.이날 양측은 △재외국민 대상 긴급 법률지원 및 정보 연계 체계 구축 △체류·이민·노동·가정 관련 생활법률 정보 공유 방안 △유학생 및 재외동포 대상 공익 법률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협력 구조 구축을 위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습니다.김의환 총영사는 "대륜과 같은 국내 유수 로펌의 현지 진출을 환영한다"며 "글로벌 무대에서도 성공적으로 안착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대륜 심재국 의장은 "국내 로펌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국익을 증진하고, 실질적으로 국민에게 기여하고자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박동일 대표변호사는 "이번 논의는 대륜의 글로벌 전략이 현지 공공외교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첫걸음"이라며 "글로벌 법률서비스의 공공성과 실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대륜은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공공기관과의 실질 협력 기반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향후 구체적인 업무협약 등 공동 프로그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계획을 추진할 예정입니다.한편, 대륜은 대한민국 10대 로펌으로서 형사, 기업법무, 전략소송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뉴욕·워싱턴 등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뉴스팀(jebo@ikbc.co.kr) [기사전문보기] KBC광주방송 -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뉴욕 총영사관과 법률협력 강화 간담회 개최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등 3곳
2025-06-12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법무법인 대륜이 뉴욕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총영사 김의환)과 함께 재외국민 보호 및 한미 간 법률협력 강화를 위한 실무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지난 4일 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대륜 심재국 의장, 박동일 대표변호사와 영사관 측 김의환 총영사 등 외교 실무진이 참석했습니다.이번 간담회는 미국 내 한인사회 및 진출 기업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법률 수요에 대응하고 재외공관과 민간 로펌 간 협력모델을 사전에 설계하기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마련됐습니다.이날 양측은 △재외국민 대상 긴급 법률지원 및 정보 연계 체계 구축 △체류·이민·노동·가정 관련 생활법률 정보 공유 방안 △유학생 및 재외동포 대상 공익 법률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협력 구조 구축을 위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습니다.김의환 총영사는 "대륜과 같은 국내 유수 로펌의 현지 진출을 환영한다"며 "글로벌 무대에서도 성공적으로 안착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대륜 심재국 의장은 "국내 로펌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국익을 증진하고, 실질적으로 국민에게 기여하고자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박동일 대표변호사는 "이번 논의는 대륜의 글로벌 전략이 현지 공공외교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첫걸음"이라며 "글로벌 법률서비스의 공공성과 실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대륜은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공공기관과의 실질 협력 기반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향후 구체적인 업무협약 등 공동 프로그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계획을 추진할 예정입니다.한편, 대륜은 대한민국 10대 로펌으로서 형사, 기업법무, 전략소송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뉴욕·워싱턴 등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뉴스팀(jebo@ikbc.co.kr) [기사전문보기] KBC광주방송 -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뉴욕 총영사관과 법률협력 강화 간담회 개최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뉴욕 총영사관, 재외국민 법률지원·한미 법률교류 논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12
[기고] 북극항로의 시대, 부산은 다시 해양수도로 일어서야 한다
[기고] 북극항로의 시대, 부산은 다시 해양수도로 일어서야 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는 전 세계 해운 물류의 지형을 뒤흔들고 있다. 북극 해빙이 가속화되며 북극항로가 더 이상 미래의 가능성이 아닌, 눈앞에 닥친 현실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수에즈 운하 항로에 비해 항해 거리와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북극항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핵심 축으로 주목받고 있다.현재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대부분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거쳐 수에즈 운하로 향하는 항로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항로는 대만해협, 센카쿠 열도 등 군사적·외교적 긴장이 높은 분쟁 수역과 중첩된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중국과 주변국 간의 갈등은 해상 물류 안정성에 심각한 위협 요인이 됐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북극항로는 단순한 대체 항로를 넘어 국가 해운 전략의 새로운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국제 해운 질서의 변화는 부산에 중대한 전환점을 예고한다. 북극항로의 본격적 운용이 현실화될 경우, 지리적으로 북극항로와 동북아시아를 연결하는 관문에 위치한 부산은 환적 거점이자 전략적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다. 그러나 부산의 현실은 △인구 감소 △산업 경쟁력 약화 △수도권 집중화 등 문제로 소멸 위기까지 언급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한때 동북아 해양 허브로 주목받던 도시의 현주소로는 안타까운 상황이다.지금 부산에 필요한 것은 단편적인 행정 개편이나 물리적 인프라 확장이 아니다. 기존 항만과 물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스마트 항만 기술, 디지털 해운 시스템, 그리고 글로벌 분쟁을 처리할 수 있는 법·제도 인프라 등 ‘해양도시의 소프트웨어’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해야 할 시점이다.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부산에 해사법원을 설치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는 단순한 지역 균형 발전 차원의 공약을 넘어, 글로벌 해운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사법 인프라 구축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실제로 싱가포르, 런던, 로테르담, 상하이 등 세계 유수의 해운 거점 도시들은 예외 없이 해사 전문 사법기능 또는 독립된 해사법원을 운영하고 있다. 제도적 기반은 단지 분쟁 해결을 위한 틀을 넘어, 선박 금융, 해상보험, 국제 계약 등 해양경제 전반의 거래와 신뢰를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로 작동한다.필자는 법무법인 대륜의 해외 진출을 이끌며 싱가포르, 런던, 두바이 등 주요 해양도시를 직접 방문했고, 그 현장에서 해사법원이 지역의 경제 생태계와 얼마나 긴밀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체감한 바 있다. 특히 두바이는 이슬람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자유지구((DIFC, 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내에 영국 보통법(Common Law)을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기업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법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었다. 도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법 제도까지 외부에 맞춘 이와 같은 과감한 결단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부산에 설치될 해사법원 또한 단순히 물리적 설치에 그쳐서는 안 된다. 글로벌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 해사거래에서 통용되는 기준과 절차를 충실히 반영한 국제적 해사법원 체계로 발전시켜야 한다. 필요한 경우 일정 구역을 별도 지정하여 영국 보통법 기준의 분쟁해결 시스템을 운영하고, 나아가 해사 국제사법재판소급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법원으로 육성하는 구상도 검토할 수 있다.지금 부산은 북극항로라는 역사적 기회의 문 앞에 서 있다. 해사법원의 설치와 국제화는 단순한 법원 신설이 아닌, 대한민국 해양 전략의 중심을 새롭게 세우는 일이다. 바다는 여전히 부산의 미래이며, 대한민국이 다시 해양강국으로 나아가는 길 위에서 부산은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북극항로의 시대, 부산은 다시 해양수도로 일어서야 한다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12
[기고] 북극항로의 시대, 부산은 다시 해양수도로 일어서야 한다
[기고] 북극항로의 시대, 부산은 다시 해양수도로 일어서야 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는 전 세계 해운 물류의 지형을 뒤흔들고 있다. 북극 해빙이 가속화되며 북극항로가 더 이상 미래의 가능성이 아닌, 눈앞에 닥친 현실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수에즈 운하 항로에 비해 항해 거리와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북극항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핵심 축으로 주목받고 있다.현재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대부분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거쳐 수에즈 운하로 향하는 항로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항로는 대만해협, 센카쿠 열도 등 군사적·외교적 긴장이 높은 분쟁 수역과 중첩된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중국과 주변국 간의 갈등은 해상 물류 안정성에 심각한 위협 요인이 됐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북극항로는 단순한 대체 항로를 넘어 국가 해운 전략의 새로운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국제 해운 질서의 변화는 부산에 중대한 전환점을 예고한다. 북극항로의 본격적 운용이 현실화될 경우, 지리적으로 북극항로와 동북아시아를 연결하는 관문에 위치한 부산은 환적 거점이자 전략적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다. 그러나 부산의 현실은 △인구 감소 △산업 경쟁력 약화 △수도권 집중화 등 문제로 소멸 위기까지 언급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한때 동북아 해양 허브로 주목받던 도시의 현주소로는 안타까운 상황이다.지금 부산에 필요한 것은 단편적인 행정 개편이나 물리적 인프라 확장이 아니다. 기존 항만과 물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스마트 항만 기술, 디지털 해운 시스템, 그리고 글로벌 분쟁을 처리할 수 있는 법·제도 인프라 등 ‘해양도시의 소프트웨어’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해야 할 시점이다.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부산에 해사법원을 설치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는 단순한 지역 균형 발전 차원의 공약을 넘어, 글로벌 해운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사법 인프라 구축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실제로 싱가포르, 런던, 로테르담, 상하이 등 세계 유수의 해운 거점 도시들은 예외 없이 해사 전문 사법기능 또는 독립된 해사법원을 운영하고 있다. 제도적 기반은 단지 분쟁 해결을 위한 틀을 넘어, 선박 금융, 해상보험, 국제 계약 등 해양경제 전반의 거래와 신뢰를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로 작동한다.필자는 법무법인 대륜의 해외 진출을 이끌며 싱가포르, 런던, 두바이 등 주요 해양도시를 직접 방문했고, 그 현장에서 해사법원이 지역의 경제 생태계와 얼마나 긴밀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체감한 바 있다. 특히 두바이는 이슬람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자유지구((DIFC, 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내에 영국 보통법(Common Law)을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기업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법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었다. 도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법 제도까지 외부에 맞춘 이와 같은 과감한 결단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부산에 설치될 해사법원 또한 단순히 물리적 설치에 그쳐서는 안 된다. 글로벌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 해사거래에서 통용되는 기준과 절차를 충실히 반영한 국제적 해사법원 체계로 발전시켜야 한다. 필요한 경우 일정 구역을 별도 지정하여 영국 보통법 기준의 분쟁해결 시스템을 운영하고, 나아가 해사 국제사법재판소급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법원으로 육성하는 구상도 검토할 수 있다.지금 부산은 북극항로라는 역사적 기회의 문 앞에 서 있다. 해사법원의 설치와 국제화는 단순한 법원 신설이 아닌, 대한민국 해양 전략의 중심을 새롭게 세우는 일이다. 바다는 여전히 부산의 미래이며, 대한민국이 다시 해양강국으로 나아가는 길 위에서 부산은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북극항로의 시대, 부산은 다시 해양수도로 일어서야 한다 (바로가기)
로리더 등 3곳
2025-06-11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 도약···해외 기업 국내 진출 전방위 지원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 도약···해외 기업 국내 진출 전방위 지원
파낙스 재팬, 한국 진출 자문사로 대륜 선정…콘텐츠산업 규제 검토 등 자문대륜 “각국 기업 특성·산업 맞춤 솔루션 제공···글로벌 투자 동반자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해외 기업의 국내 진출을 돕는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로 영향력을 넓히고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일본의 디지털콘텐츠 유통사 ‘파낙스 재팬’은 지난달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파낙스 재팬은 2024년 6월 경기도 고양시에 100억 원 규모의 투자 의향서를 제출하고 국내 콘텐츠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 바 있다. 파낙스 재팬은 당시 고양시와 MOU를 맺은 다수의 법률자문사들 중 글로벌 기업 자문과 콘텐츠 산업 이해도가 높은 법무법인 대륜을 최종 자문사로 선정했다.법무법인 대륜은 파낙스 재팬의 외국인투자기업(FDI) 자문 과정에서 콘텐츠산업 규제 검토, 저작권법 및 사업 관련 인허가 자문 등 폭넓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며 원활한 국내 사업 활동이 가능하도록 조력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처럼 관세·국제통상그룹을 운영하면서, 해외 기업의 한국 진출을 활발하게 돕고 있다. 변호사, 세무사, 노무사, 관세전문위원 등 관세·국제통상그룹에 소속된 다분야 전문가들은 법률자문을 넘어선 실질적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실행형 서비스를 제공해 주목을 받았다.구체적으로 외국환거래법·외국인투자촉진법·조세특례제한법 등 외국인 투자 관련 법령에 대한 전문적인 해석과 자문은 물론, 지자체 인허가·조세 감면 및 국내 파트너사와의 협력 구조 설계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컨설팅을 선보이고 있다.특히 법무법인 대륜은 올 하반기 미국 뉴욕 사무소 개소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해외 외국계 기업들과의 소통과 협업에서도 한층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는 “외국계 기업의 국내 진출은 복잡한 제도 이해와 실무 설계가 필요한 종합적인 프로젝트”라면서, “대륜은 각국 기업의 특성과 산업군에 맞는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한국을 향한 글로벌 투자의 문을 여는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 도약···해외 기업 국내 진출 전방위 지원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해외 기업 한국 진출 전방위 지원에 주목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파낙스 재팬’ 국내 진출 자문…“외국 기업 파트너 도약” (바로가기)
로리더 등 3곳
2025-06-11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 도약···해외 기업 국내 진출 전방위 지원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 도약···해외 기업 국내 진출 전방위 지원
파낙스 재팬, 한국 진출 자문사로 대륜 선정…콘텐츠산업 규제 검토 등 자문대륜 “각국 기업 특성·산업 맞춤 솔루션 제공···글로벌 투자 동반자 될 것” 법무법인 대륜이 해외 기업의 국내 진출을 돕는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로 영향력을 넓히고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일본의 디지털콘텐츠 유통사 ‘파낙스 재팬’은 지난달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파낙스 재팬은 2024년 6월 경기도 고양시에 100억 원 규모의 투자 의향서를 제출하고 국내 콘텐츠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 바 있다. 파낙스 재팬은 당시 고양시와 MOU를 맺은 다수의 법률자문사들 중 글로벌 기업 자문과 콘텐츠 산업 이해도가 높은 법무법인 대륜을 최종 자문사로 선정했다.법무법인 대륜은 파낙스 재팬의 외국인투자기업(FDI) 자문 과정에서 콘텐츠산업 규제 검토, 저작권법 및 사업 관련 인허가 자문 등 폭넓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며 원활한 국내 사업 활동이 가능하도록 조력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처럼 관세·국제통상그룹을 운영하면서, 해외 기업의 한국 진출을 활발하게 돕고 있다. 변호사, 세무사, 노무사, 관세전문위원 등 관세·국제통상그룹에 소속된 다분야 전문가들은 법률자문을 넘어선 실질적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실행형 서비스를 제공해 주목을 받았다.구체적으로 외국환거래법·외국인투자촉진법·조세특례제한법 등 외국인 투자 관련 법령에 대한 전문적인 해석과 자문은 물론, 지자체 인허가·조세 감면 및 국내 파트너사와의 협력 구조 설계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컨설팅을 선보이고 있다.특히 법무법인 대륜은 올 하반기 미국 뉴욕 사무소 개소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해외 외국계 기업들과의 소통과 협업에서도 한층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는 “외국계 기업의 국내 진출은 복잡한 제도 이해와 실무 설계가 필요한 종합적인 프로젝트”라면서, “대륜은 각국 기업의 특성과 산업군에 맞는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한국을 향한 글로벌 투자의 문을 여는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 도약···해외 기업 국내 진출 전방위 지원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해외 기업 한국 진출 전방위 지원에 주목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파낙스 재팬’ 국내 진출 자문…“외국 기업 파트너 도약”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11
응급처치 안 해 환자 숨지게 한 의료진 '무혐의'..왜?
응급처치 안 해 환자 숨지게 한 의료진 '무혐의'..왜?
요양병원에 입원 중이던 응급환자를 방치해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의료진들에 대해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11일 경찰에 따르면 광주경찰청은 최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받는 A씨 등 의료진 4명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앞서 지난 2023년 광주광역시의 한 요양병원에서 60대 환자 B씨가 숨졌습니다.당시 유족 측은 B씨가 음식물에 의해 질식한 상황에서 의료진이 심폐소생술 등 제대로 된 응급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의료진들은 B씨를 발견했을 당시 이미 심정지 상태였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산소투입 등 응급처치를 시행했지만 환자 보호자가 작성한 연명의료거부(DNR)동의서로 심폐소생술은 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경찰은 이들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피해자가 질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만, 피해자에게 심혈관 일부에서 동맥경화 등의 소견이 있었고 통상적으로 식사 후 소화 과정에서 심장에 더 많은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고려하면 급성 심장사의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인다"는 판단이었습니다.그러면서 "의료진은 DNR 동의서가 있는 피해자에게 당시 상태를 고려해 사망선언을 할 수 있다고 본다"며 "피의자들이 피해자의 심정지를 예견하기 어려웠고, 응급처치 등 의료행위에 과실이 있었다고도 볼 수 없다"고 부연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철 변호사는 "판례에 따르면 DNR 상태는 치료 중 예기치 못하게 폐 또는 심장정지가 나타났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고 죽음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라며 "DNR 동의서가 있음에도 심폐소생술을 위해 고강도의 압박을 가하게 되면, 오히려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강제치료로서 폭행 내지 상해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응급처치 안 해 환자 숨지게 한 의료진 '무혐의'..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11
응급처치 안 해 환자 숨지게 한 의료진 '무혐의'..왜?
응급처치 안 해 환자 숨지게 한 의료진 '무혐의'..왜?
요양병원에 입원 중이던 응급환자를 방치해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의료진들에 대해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11일 경찰에 따르면 광주경찰청은 최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받는 A씨 등 의료진 4명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앞서 지난 2023년 광주광역시의 한 요양병원에서 60대 환자 B씨가 숨졌습니다.당시 유족 측은 B씨가 음식물에 의해 질식한 상황에서 의료진이 심폐소생술 등 제대로 된 응급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의료진들은 B씨를 발견했을 당시 이미 심정지 상태였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산소투입 등 응급처치를 시행했지만 환자 보호자가 작성한 연명의료거부(DNR)동의서로 심폐소생술은 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경찰은 이들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피해자가 질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만, 피해자에게 심혈관 일부에서 동맥경화 등의 소견이 있었고 통상적으로 식사 후 소화 과정에서 심장에 더 많은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고려하면 급성 심장사의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인다"는 판단이었습니다.그러면서 "의료진은 DNR 동의서가 있는 피해자에게 당시 상태를 고려해 사망선언을 할 수 있다고 본다"며 "피의자들이 피해자의 심정지를 예견하기 어려웠고, 응급처치 등 의료행위에 과실이 있었다고도 볼 수 없다"고 부연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철 변호사는 "판례에 따르면 DNR 상태는 치료 중 예기치 못하게 폐 또는 심장정지가 나타났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고 죽음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라며 "DNR 동의서가 있음에도 심폐소생술을 위해 고강도의 압박을 가하게 되면, 오히려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강제치료로서 폭행 내지 상해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응급처치 안 해 환자 숨지게 한 의료진 '무혐의'..왜? (바로가기)
위키트리 등 5곳
2025-06-11
(사)한국지역언론인클-법무법인(유한) 대륜, 업무협약 체결
(사)한국지역언론인클-법무법인(유한) 대륜, 업무협약 체결
지역사회 법률 정보 소통 및 협업 본격화법률 콘텐츠 공동 기획·제작 체계 공식 출범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과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11일 전국 각지의 시민에게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계된 법률 콘텐츠 공동 기획·제작 체계를 공식적으로 출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실무진이,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측에서 손균근 이사장, 이기동 회장(대구신문 서울취재본부장), 강병운 무등일보 서울취재부장 겸 이사, 백주희 울산매일신문·UTV 정치부 기자, 김두수 경상일보 서울본부장 겸 이사, 최대만 충북일보 본부장이 참석해 향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약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들과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 회원사 기자들을 연결해 지역 주민에게 꼭 필요한 법률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한다는 데 중심을 두고 있다. 양측은 이번 MOU를 통해 법률서비스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대국민 서비스 확대, 자치분권·균형발전을 위한 법률안 제·개정 협력,(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 회원사를 위한 법률·세무·회계 자문 등 다각도의 협업을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법률 정보는 국민 권리를 지키는 사회적기반”이라며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글로벌 메가 로펌 시스템과(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의 네트워크를 결합해 지역 격차를 해소하고 누구나 전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 이기동 회장은 “지역 언론이 단순 뉴스 전달을 넘어 주민들의 일상에 밀접한 법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결정적 전기를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양 기관은 앞으로 분기별 기획회의를 열어 지역 맞춤형 주제를 선정하고, 분쟁 사례해설·생활형 Q&A·온·오프라인 강연·세미나 등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지역사회와 밀착한 법률 서비스 접점을 꾸준히 넓히며, ‘누구나 공정하게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을 공동 목표로 삼아 협력 관계를 돈독히 해나갈 예정이다 한편, 2016년 창립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 41개 분사무소를 서울 본사 중심의 단일통합 시스템으로 연결한 ‘글로벌 메가 로펌’ 모델을 구축했다.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2012년 7월 출범한 비영리 언론단체로, 전국 42개 지역 일간지에서 활동하는 중견 기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위키트리 - (사)한국지역언론인클-법무법인(유한) 대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광주매일신문 - 한국지역언론인클럽-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충북일보 -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과 법무법인(유한)·대륜, 업무협약 (바로가기) 대구신문 - 한국지역언론인클럽-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지역민에 실질적 법률 정보 제공” (바로가기) 경상일보 - KLJC·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위키트리 등 5곳
2025-06-11
(사)한국지역언론인클-법무법인(유한) 대륜, 업무협약 체결
(사)한국지역언론인클-법무법인(유한) 대륜, 업무협약 체결
지역사회 법률 정보 소통 및 협업 본격화법률 콘텐츠 공동 기획·제작 체계 공식 출범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과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11일 전국 각지의 시민에게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계된 법률 콘텐츠 공동 기획·제작 체계를 공식적으로 출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실무진이,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측에서 손균근 이사장, 이기동 회장(대구신문 서울취재본부장), 강병운 무등일보 서울취재부장 겸 이사, 백주희 울산매일신문·UTV 정치부 기자, 김두수 경상일보 서울본부장 겸 이사, 최대만 충북일보 본부장이 참석해 향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약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들과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 회원사 기자들을 연결해 지역 주민에게 꼭 필요한 법률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한다는 데 중심을 두고 있다. 양측은 이번 MOU를 통해 법률서비스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대국민 서비스 확대, 자치분권·균형발전을 위한 법률안 제·개정 협력,(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 회원사를 위한 법률·세무·회계 자문 등 다각도의 협업을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법률 정보는 국민 권리를 지키는 사회적기반”이라며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글로벌 메가 로펌 시스템과(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의 네트워크를 결합해 지역 격차를 해소하고 누구나 전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 이기동 회장은 “지역 언론이 단순 뉴스 전달을 넘어 주민들의 일상에 밀접한 법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결정적 전기를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양 기관은 앞으로 분기별 기획회의를 열어 지역 맞춤형 주제를 선정하고, 분쟁 사례해설·생활형 Q&A·온·오프라인 강연·세미나 등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지역사회와 밀착한 법률 서비스 접점을 꾸준히 넓히며, ‘누구나 공정하게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을 공동 목표로 삼아 협력 관계를 돈독히 해나갈 예정이다 한편, 2016년 창립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 41개 분사무소를 서울 본사 중심의 단일통합 시스템으로 연결한 ‘글로벌 메가 로펌’ 모델을 구축했다.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2012년 7월 출범한 비영리 언론단체로, 전국 42개 지역 일간지에서 활동하는 중견 기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위키트리 - (사)한국지역언론인클-법무법인(유한) 대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광주매일신문 - 한국지역언론인클럽-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충북일보 - (사)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과 법무법인(유한)·대륜, 업무협약 (바로가기) 대구신문 - 한국지역언론인클럽-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지역민에 실질적 법률 정보 제공” (바로가기) 경상일보 - KLJC·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11
법무법인 대륜, 대한군상담학회에 법률자문 제공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대한군상담학회에 법률자문 제공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10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국방부 사단법인 대한군상담학회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대한군상담학회는 지난 18년간 군 특화 상담 전문가 양성 및 관련 연구를 선도해 온 대표 학술기관으로 국방부 사단법인 등록, 국방부장관 인증 자격 제도 운영 등 군 내 상담 인프라를 제도화하고 발전시켜 왔다. 현재 해병대 리더십센터와 협약을 체결하여 위탁을 통한 군상담 자격과정을 운영 중에 있으며 공군 리더십센터와도 협약을 체결하여 군상담사 자격증 취득을 돕고 있다.이번 협약에 따라 대륜은 국방군사그룹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대한군상담학회의 상담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법률 자문 제공과 함께 장병들에 대한 전문적인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군 장병 대상 법률상담 및 분쟁대응 자문 △군 관련 인권침해 사례 공동 대응 △상담 및 인권 관련 공동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대륜이 운영 중인 '심리상담센터'를 연계해 상담·스트레스 관리 등 자체적인 심리 치료와 법률 지원에 있어서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대한군상담학회 김완일 학회장은 "군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 법적 문제에 보다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륜과 같은 대형 로펌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법률과 상담이라는 두 분야가 하나로 결합해 군 구성원들의 복지와 권익 향상에 실질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대륜 고병준 경영대표는 "군 장병과 가족을 위한 법률 지원은 사회 안전망의 중요한 핵심"이라며 "대륜은 공공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춘 로펌으로 실질적인 지원 시스템을 통한 사회 기여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대한군상담학회에 법률자문 제공 업무협약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11
법무법인 대륜, 대한군상담학회에 법률자문 제공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대한군상담학회에 법률자문 제공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10일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국방부 사단법인 대한군상담학회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대한군상담학회는 지난 18년간 군 특화 상담 전문가 양성 및 관련 연구를 선도해 온 대표 학술기관으로 국방부 사단법인 등록, 국방부장관 인증 자격 제도 운영 등 군 내 상담 인프라를 제도화하고 발전시켜 왔다. 현재 해병대 리더십센터와 협약을 체결하여 위탁을 통한 군상담 자격과정을 운영 중에 있으며 공군 리더십센터와도 협약을 체결하여 군상담사 자격증 취득을 돕고 있다.이번 협약에 따라 대륜은 국방군사그룹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대한군상담학회의 상담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법률 자문 제공과 함께 장병들에 대한 전문적인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군 장병 대상 법률상담 및 분쟁대응 자문 △군 관련 인권침해 사례 공동 대응 △상담 및 인권 관련 공동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대륜이 운영 중인 '심리상담센터'를 연계해 상담·스트레스 관리 등 자체적인 심리 치료와 법률 지원에 있어서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대한군상담학회 김완일 학회장은 "군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 법적 문제에 보다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륜과 같은 대형 로펌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법률과 상담이라는 두 분야가 하나로 결합해 군 구성원들의 복지와 권익 향상에 실질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대륜 고병준 경영대표는 "군 장병과 가족을 위한 법률 지원은 사회 안전망의 중요한 핵심"이라며 "대륜은 공공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춘 로펌으로 실질적인 지원 시스템을 통한 사회 기여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대한군상담학회에 법률자문 제공 업무협약 (바로가기)
블로터
2025-06-11
[그림자 내부거래]③ 자본시장 위협에 법조계 "규제 필요" [넘버스]
[그림자 내부거래]③ 자본시장 위협에 법조계 "규제 필요" [넘버스]
미국에서 자사의 내부정보를 토대로 타사 주식에 투자해 이득을 챙긴 행위를 내부자거래로 판단하고 벌금을 부과한 사례가 나온 가운데 우리 법에도 관련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현행법상 내부자거래는 자사의 주식을 거래한 경우에 국한돼 있다. 이에 국내에서 미국의 사례 같은 경우가 발생한다면 제재하는 데 한계가 있고 자본시장의 공정성, 신뢰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법조계에서는 내부자거래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의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경쟁사 주가 상승에 베팅...美 법원, 부당이득 3배 벌금 부과 내부자거래의 범위를 둘러싼 논의에 불을 지핀 건 미국에서 발생한 이른바 '그림자 내부거래' 사건이다. 그림자 내부거래는 자사의 미공개 내부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회사의 주식을 사들여 이익을 얻는 행위를 일컫는다.앞서 2016년 바이오제약 업체 메디베이션의 임원 매슈 파누워트는 대형 제약 업체 화이자가 메디베이션 인수를 추진한다는 내부정보를 듣고 자사 주가와 움직임이 연동된 경쟁사의 주가 상승에 베팅하는 옵션을 매수했다.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파누워트의 행위가 내부자거래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9월 법원은 SEC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파누워트에게 부당이득의 3배에 해당하는 벌금을 부과했다.그런데 최근 호반그룹이 LS 지분을 사들이면서 국내에서도 그림자 내부거래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호반은 양사 자회사들이 소송전을 벌이는 와중에 지분을 매입했다. 소송 상대방 측 주식을 사들인 것이다. 게다가 LS 자회사의 일부승소 판결로 주가가 뛰어 결국 호반에 호재가 될 상황이 벌어지자 내부정보를 활용해 주식을 거래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명시적인 법적 규정 필요...불확실성 해소해야" 법조계에서는 호반 사례를 그림자 내부거래로 보기 어렵지만,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보하기 위해 이 같은 사건을 규제할 법령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법률사무소 공간과길의 권문규 변호사는 "그림자 내부거래는 정보가 불평등한 상태에서 거래하는 불공정 거래"라며 "현행 자본시장법상 형사 처벌이 어렵고 달리 규제할 근거 조항이 다소 미비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입법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법무법인 디엘지의 안희철 대표변호사도 "그림자 내부거래는 기존의 내부자거래 규제를 회피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불공정 거래"라며 "내부자거래의 규제 범위를 확대하고 이를 자본시장법에 명시적으로 규정해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렸다. 법무법인 세움의 이승민 변호사는 "우리나라 자본시장법은 미국 증권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미국에서 그림자 내부거래를 처벌하는 파누워트 사례 등의 판례가 확립되는 경우 국내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법무법인 대륜의 조영곤 변호사는 "최근 금융당국과 검찰의 태도, 제도 개선 방향 등을 종합하면 처벌의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처벌 조항 신설 또는 법조문 개정 등을 논의할 여지가 있다"며 "이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가 업계 전반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는 내부정보 활용 의심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다만 논의 과정에서 관건은 그림자 내부자거래의 기준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이 변호사는 "미국의 사례는 한 회사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경제적으로 연관된(sharing market connection) 다른 회사의 주식을 거래하는 경우까지 내부자거래로 확장한 경우였다"며 "'경제적으로 연관된'이라는 용어는 상당히 막연하고 광범위하게 해석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으면 경쟁업체 또는 계열사 주식에 대한 거래가 부당하게 제한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그림자 내부거래]③ 자본시장 위협에 법조계 "규제 필요" [넘버스] (바로가기)
블로터
2025-06-11
[그림자 내부거래]③ 자본시장 위협에 법조계 "규제 필요" [넘버스]
[그림자 내부거래]③ 자본시장 위협에 법조계 "규제 필요" [넘버스]
미국에서 자사의 내부정보를 토대로 타사 주식에 투자해 이득을 챙긴 행위를 내부자거래로 판단하고 벌금을 부과한 사례가 나온 가운데 우리 법에도 관련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현행법상 내부자거래는 자사의 주식을 거래한 경우에 국한돼 있다. 이에 국내에서 미국의 사례 같은 경우가 발생한다면 제재하는 데 한계가 있고 자본시장의 공정성, 신뢰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법조계에서는 내부자거래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의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경쟁사 주가 상승에 베팅...美 법원, 부당이득 3배 벌금 부과 내부자거래의 범위를 둘러싼 논의에 불을 지핀 건 미국에서 발생한 이른바 '그림자 내부거래' 사건이다. 그림자 내부거래는 자사의 미공개 내부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회사의 주식을 사들여 이익을 얻는 행위를 일컫는다.앞서 2016년 바이오제약 업체 메디베이션의 임원 매슈 파누워트는 대형 제약 업체 화이자가 메디베이션 인수를 추진한다는 내부정보를 듣고 자사 주가와 움직임이 연동된 경쟁사의 주가 상승에 베팅하는 옵션을 매수했다.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파누워트의 행위가 내부자거래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9월 법원은 SEC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파누워트에게 부당이득의 3배에 해당하는 벌금을 부과했다.그런데 최근 호반그룹이 LS 지분을 사들이면서 국내에서도 그림자 내부거래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호반은 양사 자회사들이 소송전을 벌이는 와중에 지분을 매입했다. 소송 상대방 측 주식을 사들인 것이다. 게다가 LS 자회사의 일부승소 판결로 주가가 뛰어 결국 호반에 호재가 될 상황이 벌어지자 내부정보를 활용해 주식을 거래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명시적인 법적 규정 필요...불확실성 해소해야" 법조계에서는 호반 사례를 그림자 내부거래로 보기 어렵지만,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보하기 위해 이 같은 사건을 규제할 법령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법률사무소 공간과길의 권문규 변호사는 "그림자 내부거래는 정보가 불평등한 상태에서 거래하는 불공정 거래"라며 "현행 자본시장법상 형사 처벌이 어렵고 달리 규제할 근거 조항이 다소 미비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입법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법무법인 디엘지의 안희철 대표변호사도 "그림자 내부거래는 기존의 내부자거래 규제를 회피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불공정 거래"라며 "내부자거래의 규제 범위를 확대하고 이를 자본시장법에 명시적으로 규정해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렸다. 법무법인 세움의 이승민 변호사는 "우리나라 자본시장법은 미국 증권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미국에서 그림자 내부거래를 처벌하는 파누워트 사례 등의 판례가 확립되는 경우 국내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법무법인 대륜의 조영곤 변호사는 "최근 금융당국과 검찰의 태도, 제도 개선 방향 등을 종합하면 처벌의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처벌 조항 신설 또는 법조문 개정 등을 논의할 여지가 있다"며 "이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가 업계 전반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는 내부정보 활용 의심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다만 논의 과정에서 관건은 그림자 내부자거래의 기준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이 변호사는 "미국의 사례는 한 회사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경제적으로 연관된(sharing market connection) 다른 회사의 주식을 거래하는 경우까지 내부자거래로 확장한 경우였다"며 "'경제적으로 연관된'이라는 용어는 상당히 막연하고 광범위하게 해석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으면 경쟁업체 또는 계열사 주식에 대한 거래가 부당하게 제한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박선우 기자(closely@bloter.net) [기사전문보기] [그림자 내부거래]③ 자본시장 위협에 법조계 "규제 필요" [넘버스] (바로가기)
머니S
2025-06-10
돈 안 빌려주자 '통장 들고 튀어'… 절도사기 혐의 70대 '무죄'
돈 안 빌려주자 '통장 들고 튀어'… 절도사기 혐의 70대 '무죄'
지인의 통장을 훔쳐 현금을 인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70대 여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 5월 컴퓨터등사용사기와 절도 혐의로 기소된 7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7월 지인 B씨의 가방에서 통장을 몰래 꺼내 70만원을 인출한 혐의를 받았다. 검찰은 A씨가 상환 능력이 없음에도 B씨로부터 350만 원을 빌린 사실을 바탕으로 A씨에게 사기 혐의도 적용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돈을 빌린 건 맞지만 통장을 훔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 B씨가 자신에게 통장을 건네며 인출을 허락했고 비밀번호도 알려줬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A씨는 과거에도 B씨와 반복적으로 금전 거래를 해왔으며 약속된 기간 안에 이를 갚아온 정황 등을 고려할 때 B씨를 속여 착오에 빠뜨렸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이어 "A씨는 해당 차용금 전액을 상환했을 뿐만 아니라 원금 외에 이자를 더해 갚았다"며 "두사람 간 통화 내역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하면 B씨 역시 해당 거래가 일상적인 금전거래였음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동구 변호사는 "A씨는 과거 약 10년간 B씨에게 총 1000만 원가량을 빌리고 갚아온 이력이 있었으며, 이번 사건에서도 실제 금전 거래가 있었음을 입증하기 위해 관련 통화 녹취, 송금 내역, 변제 관련 문자 자료 등을 상세히 제출했다"며 "이러한 점이 법원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무죄 판결을 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돈 안 빌려주자 '통장 들고 튀어'… 절도사기 혐의 70대 '무죄' (바로가기)
머니S
2025-06-10
돈 안 빌려주자 '통장 들고 튀어'… 절도사기 혐의 70대 '무죄'
돈 안 빌려주자 '통장 들고 튀어'… 절도사기 혐의 70대 '무죄'
지인의 통장을 훔쳐 현금을 인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70대 여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 5월 컴퓨터등사용사기와 절도 혐의로 기소된 7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7월 지인 B씨의 가방에서 통장을 몰래 꺼내 70만원을 인출한 혐의를 받았다. 검찰은 A씨가 상환 능력이 없음에도 B씨로부터 350만 원을 빌린 사실을 바탕으로 A씨에게 사기 혐의도 적용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돈을 빌린 건 맞지만 통장을 훔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 B씨가 자신에게 통장을 건네며 인출을 허락했고 비밀번호도 알려줬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A씨는 과거에도 B씨와 반복적으로 금전 거래를 해왔으며 약속된 기간 안에 이를 갚아온 정황 등을 고려할 때 B씨를 속여 착오에 빠뜨렸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이어 "A씨는 해당 차용금 전액을 상환했을 뿐만 아니라 원금 외에 이자를 더해 갚았다"며 "두사람 간 통화 내역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하면 B씨 역시 해당 거래가 일상적인 금전거래였음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동구 변호사는 "A씨는 과거 약 10년간 B씨에게 총 1000만 원가량을 빌리고 갚아온 이력이 있었으며, 이번 사건에서도 실제 금전 거래가 있었음을 입증하기 위해 관련 통화 녹취, 송금 내역, 변제 관련 문자 자료 등을 상세히 제출했다"며 "이러한 점이 법원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무죄 판결을 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돈 안 빌려주자 '통장 들고 튀어'… 절도사기 혐의 70대 '무죄'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10
채무 숨긴 채 전세 사기 저지른 건물주…法 징역 2년 6개월
채무 숨긴 채 전세 사기 저지른 건물주…法 징역 2년 6개월
집주인 아닌 것처럼 대리인 행세…선순위 보증금도 허위 고지재판부 “피해 회복 위한 조치 없어…엄벌할 필요 있다” 채무를 숨긴 채 대리인 행세를 하며 전세사기를 저지른 건물주에게 실형이 선고됐다.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은 지난달 1일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건물주였던 A씨는 근저당권 채무로 인해 전세보증금을 변제할 능력이 없음에도 지난 2021년부터 1년여 동안 B씨를 포함한 임차인 5명으로부터 보증금 약 4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조사 결과 A씨는 제3자를 집주인으로 내세워 대리인 자격으로 임대차 계약을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선순위 보증금도 허위로 고지한 것으로 드러났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일부 건물의 경우 담보 가치가 충분히 있었기에 선순위 보증금을 적게 알렸어도 사기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법원은 A씨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건물 감정가액이 충분하더라도 경매 절차를 거치며 실제 낙찰가액은 훨씬 낮아질 수 있다”며 “피고인이 선순위 보증금 액수를 줄여 고지한 것 자체로 담보가치가 충분치 않다는 평가가 있었음을 방증한다”고 말했다.이어 “피해 금액이 4억 원을 상회하는데다, 피해 회복을 위한 조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일부 범행에 대해서는 공소사실을 부인하고 있어 엄벌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성철 변호사는 “B씨를 비롯한 일부 피해자는 사회초년생으로 자리를 잡아야 하는 시기에 사기를 당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며 “A씨의 근저당권을 비롯한 채무를 토대로 계약 당시부터 반환 의사와 능력이 없었다는 점을 입증해 실형 선고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채무 숨긴 채 전세 사기 저지른 건물주…法 징역 2년 6개월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10
채무 숨긴 채 전세 사기 저지른 건물주…法 징역 2년 6개월
채무 숨긴 채 전세 사기 저지른 건물주…法 징역 2년 6개월
집주인 아닌 것처럼 대리인 행세…선순위 보증금도 허위 고지재판부 “피해 회복 위한 조치 없어…엄벌할 필요 있다” 채무를 숨긴 채 대리인 행세를 하며 전세사기를 저지른 건물주에게 실형이 선고됐다.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은 지난달 1일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건물주였던 A씨는 근저당권 채무로 인해 전세보증금을 변제할 능력이 없음에도 지난 2021년부터 1년여 동안 B씨를 포함한 임차인 5명으로부터 보증금 약 4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조사 결과 A씨는 제3자를 집주인으로 내세워 대리인 자격으로 임대차 계약을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선순위 보증금도 허위로 고지한 것으로 드러났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일부 건물의 경우 담보 가치가 충분히 있었기에 선순위 보증금을 적게 알렸어도 사기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법원은 A씨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건물 감정가액이 충분하더라도 경매 절차를 거치며 실제 낙찰가액은 훨씬 낮아질 수 있다”며 “피고인이 선순위 보증금 액수를 줄여 고지한 것 자체로 담보가치가 충분치 않다는 평가가 있었음을 방증한다”고 말했다.이어 “피해 금액이 4억 원을 상회하는데다, 피해 회복을 위한 조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일부 범행에 대해서는 공소사실을 부인하고 있어 엄벌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성철 변호사는 “B씨를 비롯한 일부 피해자는 사회초년생으로 자리를 잡아야 하는 시기에 사기를 당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며 “A씨의 근저당권을 비롯한 채무를 토대로 계약 당시부터 반환 의사와 능력이 없었다는 점을 입증해 실형 선고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채무 숨긴 채 전세 사기 저지른 건물주…法 징역 2년 6개월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10
우후죽순 생기는 무늬만 로펌… ‘별산제’ 경계해야
우후죽순 생기는 무늬만 로펌… ‘별산제’ 경계해야
‘네트워크 로펌’ 이전 형태, 사실상 변호사 개인사무실업계 재편 진통…피해는 고스란히 법률소비자 몫법조계 “조직적 대응 가능하다는 식 홍보 근절 필요” 최근 법조계에서 떠오르는 화두 중 하나는 ‘네트워크 로펌’이다. 침체된 법률시장에서 유일하게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로펌의 선두주자로는 대륜과 YK가 꼽힌다.YK는 지난해 1500억원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대형 로펌으로서 입지를 굳혔다. 대륜도 지난해 설립 9년 만에 매출액 1000억 원을 돌파하며 최단기 10대 로펌에 진입했다.네트워크 로펌들은 주로 ‘원 펌(One-firm) 체제’를 표방한다. 전국 각 지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지만, 로펌 운영과 관련된 사안은 모두 주사무소에서 일괄 관리하는 식이다. 수익 역시 모든 구성원이 일정 비율로 나눠 갖는다. 광고비용으로 적지 않은 돈을 투자하는 등 마케팅에도 적극적이다. 때문에 업계 내에서는 이들 로펌이 소규모 지역의 사건을 모두 휩쓸어 가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네트워크 로펌의 등장 전에는 이른바 ‘별산제 로펌’이 업계의 파장을 몰고 온 바 있다. 별산제 구조는 같은 법무법인에 소속돼 있어도 각 변호사가 독립적인 개인 사업자처럼 수익을 가져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사무실 임차료나 직원 임금 등 공동경비만 함께 부담하는 형태로 사실상 개인사무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사건 역시 각 사무소별 개별적으로 수임한다. 국내에서는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용어가 명확한 정의 없이 사용되면서 실질적으로는 별산제 로펌까지 같은 범주로 인식되는 것은 고객에게 불필요한 리스크를 안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한 네트워크 로펌 관계자는 “한국 법조계는 아직 글로벌 로펌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일부 로펌은 분사무소 2~3개에 온라인 광고만으로 네트워크를 자칭하며 사실상 별산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며 “주사무소 중심으로 사건을 일괄 진단하고 배당해 전국 단위 퀄리티 컨트롤이 가능한 글로벌 메가 로펌형 구조를 구축한 곳은 극소수만 해당한다. 전국 분사무소가 각기 다른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산제 구조는 고객 입장에서 가장 큰 리스크”라고 설명했다.실제 별산제 로펌은 관리 부실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번듯한 법무법인의 외형과 달리, 실제로는 변호사 개인이 혼자 수임 사건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것이다. 사건 관리 및 협업 시스템의 부재가 법률 서비스의 질적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별산제 로펌의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도 존재한다. 별산제 로펌에 소속됐던 한 변호사가 학교폭력 피해자 유족의 법률 대리를 맡은 뒤 재판에 출석하지 않아 논란이 된 이른바 ‘재판 노쇼 사건’이다. 피해자 유족은 1심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았지만, 변호사의 계속된 불출석으로 결국 항소심에서는 ‘패소’로 그 결과가 뒤집혔다.사건이 논란이 되자 해당 변호사가 소속돼 있던 로펌은 입장문을 내고 “해당 변호사는 주사무소에서 탈퇴했고, 우리 분사무소와 전혀 관련이 없다”며 재빨리 선긋기에 나섰다.결국 이같은 로펌 운영 행태로 피해는 고스란히 고객이 떠안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법조계 관계자는 “수준 높은 서비스를 기대하고 찾은 곳이 사실은 개인 사무소보다도 체계가 없다면 법률소비자 입장에서는 황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관련 분쟁도 늘고 있는 만큼 업계 내부적인 자정작용이 필요하다”며 “별산제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도 조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식으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태에 대해서는 제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우후죽순 생기는 무늬만 로펌… ‘별산제’ 경계해야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6-10
우후죽순 생기는 무늬만 로펌… ‘별산제’ 경계해야
우후죽순 생기는 무늬만 로펌… ‘별산제’ 경계해야
‘네트워크 로펌’ 이전 형태, 사실상 변호사 개인사무실업계 재편 진통…피해는 고스란히 법률소비자 몫법조계 “조직적 대응 가능하다는 식 홍보 근절 필요” 최근 법조계에서 떠오르는 화두 중 하나는 ‘네트워크 로펌’이다. 침체된 법률시장에서 유일하게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로펌의 선두주자로는 대륜과 YK가 꼽힌다.YK는 지난해 1500억원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대형 로펌으로서 입지를 굳혔다. 대륜도 지난해 설립 9년 만에 매출액 1000억 원을 돌파하며 최단기 10대 로펌에 진입했다.네트워크 로펌들은 주로 ‘원 펌(One-firm) 체제’를 표방한다. 전국 각 지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지만, 로펌 운영과 관련된 사안은 모두 주사무소에서 일괄 관리하는 식이다. 수익 역시 모든 구성원이 일정 비율로 나눠 갖는다. 광고비용으로 적지 않은 돈을 투자하는 등 마케팅에도 적극적이다. 때문에 업계 내에서는 이들 로펌이 소규모 지역의 사건을 모두 휩쓸어 가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네트워크 로펌의 등장 전에는 이른바 ‘별산제 로펌’이 업계의 파장을 몰고 온 바 있다. 별산제 구조는 같은 법무법인에 소속돼 있어도 각 변호사가 독립적인 개인 사업자처럼 수익을 가져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사무실 임차료나 직원 임금 등 공동경비만 함께 부담하는 형태로 사실상 개인사무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사건 역시 각 사무소별 개별적으로 수임한다. 국내에서는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용어가 명확한 정의 없이 사용되면서 실질적으로는 별산제 로펌까지 같은 범주로 인식되는 것은 고객에게 불필요한 리스크를 안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한 네트워크 로펌 관계자는 “한국 법조계는 아직 글로벌 로펌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일부 로펌은 분사무소 2~3개에 온라인 광고만으로 네트워크를 자칭하며 사실상 별산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며 “주사무소 중심으로 사건을 일괄 진단하고 배당해 전국 단위 퀄리티 컨트롤이 가능한 글로벌 메가 로펌형 구조를 구축한 곳은 극소수만 해당한다. 전국 분사무소가 각기 다른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산제 구조는 고객 입장에서 가장 큰 리스크”라고 설명했다.실제 별산제 로펌은 관리 부실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번듯한 법무법인의 외형과 달리, 실제로는 변호사 개인이 혼자 수임 사건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것이다. 사건 관리 및 협업 시스템의 부재가 법률 서비스의 질적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별산제 로펌의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도 존재한다. 별산제 로펌에 소속됐던 한 변호사가 학교폭력 피해자 유족의 법률 대리를 맡은 뒤 재판에 출석하지 않아 논란이 된 이른바 ‘재판 노쇼 사건’이다. 피해자 유족은 1심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았지만, 변호사의 계속된 불출석으로 결국 항소심에서는 ‘패소’로 그 결과가 뒤집혔다.사건이 논란이 되자 해당 변호사가 소속돼 있던 로펌은 입장문을 내고 “해당 변호사는 주사무소에서 탈퇴했고, 우리 분사무소와 전혀 관련이 없다”며 재빨리 선긋기에 나섰다.결국 이같은 로펌 운영 행태로 피해는 고스란히 고객이 떠안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법조계 관계자는 “수준 높은 서비스를 기대하고 찾은 곳이 사실은 개인 사무소보다도 체계가 없다면 법률소비자 입장에서는 황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관련 분쟁도 늘고 있는 만큼 업계 내부적인 자정작용이 필요하다”며 “별산제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도 조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식으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태에 대해서는 제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우후죽순 생기는 무늬만 로펌… ‘별산제’ 경계해야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6-10
피싱·스미싱 기승…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책임 소재 규명과 해결 방안은?
피싱·스미싱 기승…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책임 소재 규명과 해결 방안은?
최근 SK텔레콤 유심 해킹사고로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면서 금융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보 유출 규모가 최대 2,500만건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유심정보를 활용한 심스와핑 및 복제폰 제작, 문자메시지나 금융인증정보의 탈취 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휴대폰은 비대면 금융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인증매체로 활용되는 만큼 해커들이 이를 전자금융거래사기에 악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된 핀테크(Fin-Tech)의 활성화로 현재 대부분의 금융거래는 비대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금융산업은 보안의 취약점을 노린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되곤 한다. 실제로 비대면 금융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모양새다. 예를 들어 보이스피싱의 경우 지난해 경찰청 추산 총 피해금액 8,545억원, 1인당 피해금액은 약 4,100만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91%, 73% 급등한 수치라고 한다.그렇다면 스미싱·파밍·피싱 등 비대면 금융사고 발생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는 법적 근거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안전성의 확보의무)에 따라 금융회사 등은 전자금융거래가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를 다해야 하며,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자적 전송이나 처리를 위한 인력, 시설, 전자적 장치 등의 정보기술부문과 전자금융업무에 관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기준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또한 동법 제9조에 따라 금융회사 등은 접근매체의 위·변조로 발생한 사고, 계약체결 또는 거래지시의 전자적 전송이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사고, 그리고 전자금융거래를 위한 전자적 장치 또는 정보통신망에 침입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획득한 접근매체의 이용으로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이용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즉 이용자가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금융회사가 이용자에게 발생한 손해를 배상해야 하는 것이다.실제로 비대면 금융사고가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112)에 신고·상담을 하거나, 해당 금융회사에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긴급한 경우 전화로 신청하고 서류는 나중에 제출해도 된다. 금융회사에서 신청을 접수하면 해당 계좌를 지급정지 하고, 계좌에 피해금이 아직 남아 있다면 피해자에게 환급하는 절차를 밟게 될 것이다. 경찰에 금융사기를 신고하고 피해일시, 금액 등의 내역을 상세히 정리한 사건사고 사실 확인원을 발급받아 놓으면 향후 절차에서 증거나 소명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형사고소를 통해 수사기관에 범죄자들에 대한 처벌을 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피해자 입장에서 최대의 관심사는 당연히 피해금액의 회복일 것이다. 금융감독원과의 협약에 근거, 1금융권에서는 2024년부터, 2금융권에서는 2025년부터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을 시행, 자체적으로 손해배상 책임비율을 산정하고, 이용자에게 그에 상응하는 배상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신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일례로 2022년 위원회에서는 보이스피싱 지급정지 업무상 금융기관의 과실을 인정해 인과관계 있는 피해금액 전액의 배상결정을 내린 사례가 있다. 금융회사에 전자금융거래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거나, 본인의 의사에 기하지 않은 명의도용 대출에 대해서는 채무부존재확인소송을 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최근 하급심에서 피해자의 손을 들어주는 판례들이 다수 나오고 있다.하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미리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다.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는 그 출처를 신뢰할 수 없다면 클릭하지 않고, 보안 또는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를 정기적으로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휴대폰 명의도용방지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본인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경우 금융감독원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에 이를 등록하면 금융사고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다.실제 명의도용으로 인한 금융거래가 확인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어카운트인포)에서 본인 명의 계좌를 일괄 지급정지 하거나, 신용카드를 한꺼번에 분실신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카운트인포에서는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명의도용 계좌의 추가 개설을 막을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피싱·스미싱 기승…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책임 소재 규명과 해결 방안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6-10
피싱·스미싱 기승…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책임 소재 규명과 해결 방안은?
피싱·스미싱 기승…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책임 소재 규명과 해결 방안은?
최근 SK텔레콤 유심 해킹사고로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면서 금융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보 유출 규모가 최대 2,500만건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유심정보를 활용한 심스와핑 및 복제폰 제작, 문자메시지나 금융인증정보의 탈취 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휴대폰은 비대면 금융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인증매체로 활용되는 만큼 해커들이 이를 전자금융거래사기에 악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된 핀테크(Fin-Tech)의 활성화로 현재 대부분의 금융거래는 비대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금융산업은 보안의 취약점을 노린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되곤 한다. 실제로 비대면 금융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모양새다. 예를 들어 보이스피싱의 경우 지난해 경찰청 추산 총 피해금액 8,545억원, 1인당 피해금액은 약 4,100만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91%, 73% 급등한 수치라고 한다.그렇다면 스미싱·파밍·피싱 등 비대면 금융사고 발생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는 법적 근거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안전성의 확보의무)에 따라 금융회사 등은 전자금융거래가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를 다해야 하며,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자적 전송이나 처리를 위한 인력, 시설, 전자적 장치 등의 정보기술부문과 전자금융업무에 관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기준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또한 동법 제9조에 따라 금융회사 등은 접근매체의 위·변조로 발생한 사고, 계약체결 또는 거래지시의 전자적 전송이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사고, 그리고 전자금융거래를 위한 전자적 장치 또는 정보통신망에 침입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획득한 접근매체의 이용으로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이용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즉 이용자가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금융회사가 이용자에게 발생한 손해를 배상해야 하는 것이다.실제로 비대면 금융사고가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112)에 신고·상담을 하거나, 해당 금융회사에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긴급한 경우 전화로 신청하고 서류는 나중에 제출해도 된다. 금융회사에서 신청을 접수하면 해당 계좌를 지급정지 하고, 계좌에 피해금이 아직 남아 있다면 피해자에게 환급하는 절차를 밟게 될 것이다. 경찰에 금융사기를 신고하고 피해일시, 금액 등의 내역을 상세히 정리한 사건사고 사실 확인원을 발급받아 놓으면 향후 절차에서 증거나 소명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형사고소를 통해 수사기관에 범죄자들에 대한 처벌을 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피해자 입장에서 최대의 관심사는 당연히 피해금액의 회복일 것이다. 금융감독원과의 협약에 근거, 1금융권에서는 2024년부터, 2금융권에서는 2025년부터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을 시행, 자체적으로 손해배상 책임비율을 산정하고, 이용자에게 그에 상응하는 배상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신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일례로 2022년 위원회에서는 보이스피싱 지급정지 업무상 금융기관의 과실을 인정해 인과관계 있는 피해금액 전액의 배상결정을 내린 사례가 있다. 금융회사에 전자금융거래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거나, 본인의 의사에 기하지 않은 명의도용 대출에 대해서는 채무부존재확인소송을 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최근 하급심에서 피해자의 손을 들어주는 판례들이 다수 나오고 있다.하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미리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다.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는 그 출처를 신뢰할 수 없다면 클릭하지 않고, 보안 또는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를 정기적으로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휴대폰 명의도용방지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본인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경우 금융감독원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에 이를 등록하면 금융사고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다.실제 명의도용으로 인한 금융거래가 확인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어카운트인포)에서 본인 명의 계좌를 일괄 지급정지 하거나, 신용카드를 한꺼번에 분실신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카운트인포에서는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명의도용 계좌의 추가 개설을 막을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피싱·스미싱 기승…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책임 소재 규명과 해결 방안은?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09
법원 “물품대금 미지급…연대보증인이 함께 갚아야”
법원 “물품대금 미지급…연대보증인이 함께 갚아야”
창원지법, 원고 청구 전액 인용 공사 도급계약을 할 당시 도급인이 수급인과 연대보증을 맺었다면 수급인이 납품업체에 지급하지 못한 대금을 도급인이 함께 갚아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계약을 통해 변제에 대한 효력이 발생해 공동 의무를 져야 한다는 취지다.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9일 레미콘 공급 협력업체 A사가 건설공사 발주사인 B사 등 2곳을 상대로 낸 물품대금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원심과 같이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앞서 A사는 2022년 7월 한 건설업체와 1억2000여만 원 상당 레미콘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A사는 건설업체 측에 연대보증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발주사인 B사가 레미콘 대금 채무에 대한 보증을 약속했다.그러나 해당 건설업체가 A사에 8200만 원의 공사대금 주지 않으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이에 A사는 건설업체와 연대보증을 선 B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건설업체가 채무를 갚을 여력이 없다면 연대보증인인 B사가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B사는 책임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미 건설업체 측에 공사대금을 모두 지급했다는 것이다. B사 측은 “A사가 건설업체의 대금 이행 불능 상황을 인지하고 있었는데도 이런 사정을 통지하지 않았다”며 “따라서 연대 책임을 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A사의 대금 청구를 모두 인용했다. 재판부는 “레미콘 대금은 두 차례에 걸쳐 일부 지급됐다. 피고의 주장대로 원고가 건설업체의 자금 악화 사정을 미리 알았다는 기간은 인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며 “따라서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판시했다.1심 판결에 불복한 B사는 즉각 항소했으나, 항소심 재판부 역시 A사의 손을 들어줬다.A사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민법 제436조의2에 따라 채권자는 보증계약 체결 후 주채무자가 3개월 이상 채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이를 지체없이 알려야 한다”며 “그러나 이번 사안은 건설업체가 레미콘 대금을 두 차례 일부 지급했고, 그로 인해 통지 의무 기간에 변동이 생겼다”고 설명했다.이어 “B사는 A사의 통지 의무 해태를 주장했지만, 자금 악화 시점을 알 만한 자료도 없는 상황이어서 통지 의무 기간을 특정할 수 없어 피고의 주장은 이유 없다”며 “건설업체가 미지급한 금원이 남아 있으므로 연대보증인인 B사의 책임은 여전히 있다. 1, 2심 모두 연대 책임에 변동이 없다고 보고 원고 승소로 소송이 마무리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법원 “물품대금 미지급…연대보증인이 함께 갚아야”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09
법원 “물품대금 미지급…연대보증인이 함께 갚아야”
법원 “물품대금 미지급…연대보증인이 함께 갚아야”
창원지법, 원고 청구 전액 인용 공사 도급계약을 할 당시 도급인이 수급인과 연대보증을 맺었다면 수급인이 납품업체에 지급하지 못한 대금을 도급인이 함께 갚아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계약을 통해 변제에 대한 효력이 발생해 공동 의무를 져야 한다는 취지다.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9일 레미콘 공급 협력업체 A사가 건설공사 발주사인 B사 등 2곳을 상대로 낸 물품대금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원심과 같이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앞서 A사는 2022년 7월 한 건설업체와 1억2000여만 원 상당 레미콘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A사는 건설업체 측에 연대보증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발주사인 B사가 레미콘 대금 채무에 대한 보증을 약속했다.그러나 해당 건설업체가 A사에 8200만 원의 공사대금 주지 않으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이에 A사는 건설업체와 연대보증을 선 B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건설업체가 채무를 갚을 여력이 없다면 연대보증인인 B사가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B사는 책임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미 건설업체 측에 공사대금을 모두 지급했다는 것이다. B사 측은 “A사가 건설업체의 대금 이행 불능 상황을 인지하고 있었는데도 이런 사정을 통지하지 않았다”며 “따라서 연대 책임을 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A사의 대금 청구를 모두 인용했다. 재판부는 “레미콘 대금은 두 차례에 걸쳐 일부 지급됐다. 피고의 주장대로 원고가 건설업체의 자금 악화 사정을 미리 알았다는 기간은 인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며 “따라서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판시했다.1심 판결에 불복한 B사는 즉각 항소했으나, 항소심 재판부 역시 A사의 손을 들어줬다.A사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민법 제436조의2에 따라 채권자는 보증계약 체결 후 주채무자가 3개월 이상 채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이를 지체없이 알려야 한다”며 “그러나 이번 사안은 건설업체가 레미콘 대금을 두 차례 일부 지급했고, 그로 인해 통지 의무 기간에 변동이 생겼다”고 설명했다.이어 “B사는 A사의 통지 의무 해태를 주장했지만, 자금 악화 시점을 알 만한 자료도 없는 상황이어서 통지 의무 기간을 특정할 수 없어 피고의 주장은 이유 없다”며 “건설업체가 미지급한 금원이 남아 있으므로 연대보증인인 B사의 책임은 여전히 있다. 1, 2심 모두 연대 책임에 변동이 없다고 보고 원고 승소로 소송이 마무리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법원 “물품대금 미지급…연대보증인이 함께 갚아야”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09
병원 사물함 열쇠 훔친 혐의 40대 무죄…법원 “명확한 증거 없어”
병원 사물함 열쇠 훔친 혐의 40대 무죄…법원 “명확한 증거 없어”
병원에서 사물함 열쇠를 훔쳤다는 의심을 받아 재판에 넘겨진 40대가 무죄를 선고받았다.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1일 절도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2023년 자신이 근무하던 병원 사물함 열쇠를 훔쳤다는 의심을 받았다.병원은 A씨가 모든 사물함을 열 수 있는 마스터키를 훔쳤으며, 다른 직원의 물건을 훔치려고 이런 일을 벌였다고 주장했다. 병원은 A씨에게 관련 CCTV 영상을 보여주며 열쇠를 반납하라고 요구했지만, A씨가 거절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CCTV 영상에서 소지했던 물건은 본인 소유 USB였으며, 열쇠 행방은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불송치 결정을 내렸으나, 병원이 이의를 제기했고, 검찰이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해 A씨를 약식기소했다. 이후 법원이 벌금 70만원 약식 명령을 내렸지만, A씨가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정식 재판 결과 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CCTV 영상에서 A씨가 특정 물건을 가져가는 장면이 담겨 있지만, 무엇을 가져갔는지 보이지 않고 손에 쥔 물건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 열쇠가 분실된 이후 A씨가 병원에 근무하는 동안 사물함에 있던 물건이 분실됐다는 자료도 없어 무죄를 선고했다.A씨를 대리한 김광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형사재판에서 범죄사실 인정은 엄격한 증거에 의해 혐의가 입증되어야 한다”며 “CCTV 속 물건이 명확하게 판독되지 않았고, 추가 도난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던 점을 강조해 무죄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병원 사물함 열쇠 훔친 혐의 40대 무죄…법원 “명확한 증거 없어”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09
병원 사물함 열쇠 훔친 혐의 40대 무죄…법원 “명확한 증거 없어”
병원 사물함 열쇠 훔친 혐의 40대 무죄…법원 “명확한 증거 없어”
병원에서 사물함 열쇠를 훔쳤다는 의심을 받아 재판에 넘겨진 40대가 무죄를 선고받았다.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1일 절도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2023년 자신이 근무하던 병원 사물함 열쇠를 훔쳤다는 의심을 받았다.병원은 A씨가 모든 사물함을 열 수 있는 마스터키를 훔쳤으며, 다른 직원의 물건을 훔치려고 이런 일을 벌였다고 주장했다. 병원은 A씨에게 관련 CCTV 영상을 보여주며 열쇠를 반납하라고 요구했지만, A씨가 거절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CCTV 영상에서 소지했던 물건은 본인 소유 USB였으며, 열쇠 행방은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불송치 결정을 내렸으나, 병원이 이의를 제기했고, 검찰이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해 A씨를 약식기소했다. 이후 법원이 벌금 70만원 약식 명령을 내렸지만, A씨가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정식 재판 결과 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CCTV 영상에서 A씨가 특정 물건을 가져가는 장면이 담겨 있지만, 무엇을 가져갔는지 보이지 않고 손에 쥔 물건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 열쇠가 분실된 이후 A씨가 병원에 근무하는 동안 사물함에 있던 물건이 분실됐다는 자료도 없어 무죄를 선고했다.A씨를 대리한 김광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형사재판에서 범죄사실 인정은 엄격한 증거에 의해 혐의가 입증되어야 한다”며 “CCTV 속 물건이 명확하게 판독되지 않았고, 추가 도난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던 점을 강조해 무죄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병원 사물함 열쇠 훔친 혐의 40대 무죄…법원 “명확한 증거 없어” (바로가기)
한국일보
2025-06-08
국정원·드루킹 이어 리박스쿨까지... '온라인 여론 조작'의 흑역사
국정원·드루킹 이어 리박스쿨까지... '온라인 여론 조작'의 흑역사
2002년 MB 서울시장 시절 처음 수면 위로국가기관 개입에 매크로 프로그램 이용까지"민주주의 위협" 비판... '표현 자유' 신중론도 극우 성향 역사교육단체 리박스쿨의 댓글 조작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 리박스쿨은 이승만 전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성을 각각 따 이름 붙인 단체로, 3년 전부터 인터넷 댓글 활동을 통해 보수 진영에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고 각종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경찰은 사건 배당 사흘 만인 지난 4일,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의 주거지와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등 본격 수사에 나섰다.리박스쿨 사태와 같은 온라인 여론 조작 사건은 컴퓨터 보급이 대중화된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끊이지 않고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각종 이슈에 대한 여론을 특정한 방향으로 몰아가기에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곳이다. 일단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커뮤니티는 수십만,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잠재적인 파급력이 어마어마하다. 더구나 온라인의 특징인 익명성은 여론 조작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도 어렵게 만든다. 일부 세력이 조직적으로 게시글 또는 댓글 달기 활동을 전개하면, 마치 실제 여론의 기류도 그런 것처럼 착시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얘기다.피해는 실로 막대하다. 유권자들의 자유로운 의사 형성을 방해하고, 결국에는 왜곡된 선거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민주주의의 근간을 위협하고 훼손하는 게 여론 조작이다. 사전에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과연 없을까. 그동안 정치권에서 일어났던 온라인 여론 조작 사건의 양상과 형사 처벌 사례를 짚어 보면서 적절한 대응 수단을 모색해 봤다. 보수·진보 가리지 않고 '여론 조작' 온라인 여론 조작이 처음 수면 위로 올라온 시점은 2002년이다. 그해 7월 1일 취임한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은 얼마 되지 않아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친(親)이명박' 여론을 조성하려 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잇단 구설에 휩싸이던 상황에서 때마침 서울시청 홈페이지 시민자유토론방에 '이 시장 옹호글'이 며칠간 수백 건이나 게시된 탓이다. 2004년 총선을 앞두고 열린우리당 당내 경선에 나선 한 예비후보가 대학생들에게 돈을 주고 인터넷에 자신을 지지하는 글을 올리도록 한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2012년 말 불거진 국가정보원의 댓글 공작 사건은 온라인 여론 조작의 심각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 줬다. 이명박(MB) 정부 시절 국정원이 '민간인 댓글 부대'를 직접 운영하며 여론 조작에 나선 사건이었다. 2009년 5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로 MB정부 지지율이 바닥을 치자 취임 넉 달째였던 원세훈 당시 국정원장은 국정원 대북심리전단 산하에 '사이버 외곽팀'을 설치, 정부와 보수 진영을 옹호하고 야당 및 진보 계열 시민단체 등을 비방하는 인터넷 게시글·댓글을 달도록 했다. 초창기 9개 팀으로 시작된 사이버 외곽팀의 규모는 총선과 대선이 있던 2012년에는 30개 팀(총 3,500명)까지 늘어났다. 이 사건으로 원 전 원장은 공직선거법·국가정보원법 위반 혐의로 징역 4년에 자격정지 4년의 확정 판결을 받았다.여론 조작의 '유혹'은 좌우를 가리지 않았다. 2018년 진보 진영에 큰 상처를 준 이른바 '드루킹 사건'이 대표적이다. '드루킹'이라는 필명으로 온라인에서 활동한 남성의 일당이 2014~2018년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 더불어민주당에 유리하도록 포털 사이트 뉴스 기사에 달린 댓글의 '공감' 또는 '비공감' 수를 조작한 사건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 측근이었던 김경수 당시 경남지사가 이를 공모한 것으로 드러났고, 결국 그는 징역 2년형 확정과 함께 도지사직을 잃었다. ①매크로 ②조직적 ③대가성 입증해야 처벌 앞선 사례들처럼 여론 조작에 대한 형사처벌 자체는 가능하다. 매크로 조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컴퓨터 등 업무방해 혐의), 공식 선거사무소가 아닌데도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유사기관을 설치하는 등 조직적으로 활동했다면(공직선거법상 부정선거운동죄) 불법성이 인정된다. 또 대가를 약속하고 여론 조작을 지시한 경우에도 공직선거법 제230조(매수 및 이해유도죄)에 해당한다.다만 여론 조작과 관련한 모든 행위가 사법처리되는 건 아니다. 예컨대 특정 댓글이나 커뮤니티 게시글을 공유하며 추천 클릭 또는 댓글을 달아 달라고 단순히 독려하는 행위(이른바 '좌표 찍기')는 넓은 의미에서의 '표현의 자유'를 인정받는다. 리박스쿨 측도 "댓글을 쓰고, '좋아요' 또는 '싫어요'를 누르는 것은 명백히 합법적이고 헌법에 보장된 시민의 정치 참여 행위"라고 주장한다. 안성훈 법무법인 법승 변호사는 "소수의 사람이 소규모로 댓글 관련 활동을 하는 경우엔 업무방해 혐의가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며 "그러나 그 규모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러 목표한 댓글의 순위를 상당한 시간 동안 상위권에 노출시키는 데 이르렀다면 죄가 성립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포털 사이트도 이용자들의 '단순 좌표 찍기'식 참여는 제한하지 않는다. 자유로운 집단 의사 표현으로 보는 것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수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여럿이 각각 자신의 계정으로 댓글에 추천을 누르는 행위 자체를 업무방해로 보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포털 다음을 운영하는 카카오의 관계자 역시 "온라인에 집단적 의견을 개진한 것만으로는 사업자 입장에서 여론 조작 여부를 판단해 선제적인 법적 대응을 하기에 힘든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따라서 이번 리박스쿨 사태에 있어 불법성 판단의 관건은 '대가성'과 '조직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일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네이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는 "리박스쿨 회원 계정 9개의 로그인 기록을 분석했더니, 동일한 IP에서 명의가 다른 계정이 접속한 사례를 일부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 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계정에 접속했다는 의미다.네이버 측은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타인 명의의 계정 양도 및 대여가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자체적으로 확인하고 있고, 수사 기관을 통해 추가로 밝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동일 IP에서 여러 계정이 접속한 사실만으로는 여론 조작 여부를 특정할 수 없다"며 "다만 한 사람이 타인의 계정을 이용해 (여러) 댓글을 작성했을 경우 문제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네이버 이용약관은 "계정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양도·대여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부가 나서서 여론 조작 규제 강화를" 전문가들은 정부가 나서서 여론 조작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을 고려하면,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법적 체계가 없는 상황"이라며 "여론 조작의 양태를 면밀히 검토해 국가가 선제적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포털 입장에서 보면 오히려 트래픽(방문자 수) 관점에선 이득이라 여론 조작 행위를 (적극적으로) 막을 유인이 크게 없다"며 "정부가 먼저 '여론 조작 시 불이익'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포털에 요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다만 신중론도 있다. 여론 조작의 의미를 폭넓게 규정하는 건 표현의 자유를 해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여론 조작과 관련해 구체적인 처벌 조항을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그 구성요건을 명확히 하기에는 곤란한 측면이 있고 추후 죄형법정주의 이슈도 발생할 것"이라며 "어느 정도의 인터넷 여론 형성, 여론 주도 행위를 처벌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세운 기자 (cloud5@hankookilbo.com) [기사전문보기] "국정원·드루킹 이어 리박스쿨까지... '온라인 여론 조작'의 흑역사 (바로가기)
한국일보
2025-06-08
국정원·드루킹 이어 리박스쿨까지... '온라인 여론 조작'의 흑역사
국정원·드루킹 이어 리박스쿨까지... '온라인 여론 조작'의 흑역사
2002년 MB 서울시장 시절 처음 수면 위로국가기관 개입에 매크로 프로그램 이용까지"민주주의 위협" 비판... '표현 자유' 신중론도 극우 성향 역사교육단체 리박스쿨의 댓글 조작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 리박스쿨은 이승만 전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성을 각각 따 이름 붙인 단체로, 3년 전부터 인터넷 댓글 활동을 통해 보수 진영에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고 각종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경찰은 사건 배당 사흘 만인 지난 4일,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의 주거지와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등 본격 수사에 나섰다.리박스쿨 사태와 같은 온라인 여론 조작 사건은 컴퓨터 보급이 대중화된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끊이지 않고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각종 이슈에 대한 여론을 특정한 방향으로 몰아가기에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곳이다. 일단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커뮤니티는 수십만,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잠재적인 파급력이 어마어마하다. 더구나 온라인의 특징인 익명성은 여론 조작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도 어렵게 만든다. 일부 세력이 조직적으로 게시글 또는 댓글 달기 활동을 전개하면, 마치 실제 여론의 기류도 그런 것처럼 착시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얘기다.피해는 실로 막대하다. 유권자들의 자유로운 의사 형성을 방해하고, 결국에는 왜곡된 선거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민주주의의 근간을 위협하고 훼손하는 게 여론 조작이다. 사전에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과연 없을까. 그동안 정치권에서 일어났던 온라인 여론 조작 사건의 양상과 형사 처벌 사례를 짚어 보면서 적절한 대응 수단을 모색해 봤다. 보수·진보 가리지 않고 '여론 조작' 온라인 여론 조작이 처음 수면 위로 올라온 시점은 2002년이다. 그해 7월 1일 취임한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은 얼마 되지 않아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친(親)이명박' 여론을 조성하려 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잇단 구설에 휩싸이던 상황에서 때마침 서울시청 홈페이지 시민자유토론방에 '이 시장 옹호글'이 며칠간 수백 건이나 게시된 탓이다. 2004년 총선을 앞두고 열린우리당 당내 경선에 나선 한 예비후보가 대학생들에게 돈을 주고 인터넷에 자신을 지지하는 글을 올리도록 한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2012년 말 불거진 국가정보원의 댓글 공작 사건은 온라인 여론 조작의 심각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 줬다. 이명박(MB) 정부 시절 국정원이 '민간인 댓글 부대'를 직접 운영하며 여론 조작에 나선 사건이었다. 2009년 5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로 MB정부 지지율이 바닥을 치자 취임 넉 달째였던 원세훈 당시 국정원장은 국정원 대북심리전단 산하에 '사이버 외곽팀'을 설치, 정부와 보수 진영을 옹호하고 야당 및 진보 계열 시민단체 등을 비방하는 인터넷 게시글·댓글을 달도록 했다. 초창기 9개 팀으로 시작된 사이버 외곽팀의 규모는 총선과 대선이 있던 2012년에는 30개 팀(총 3,500명)까지 늘어났다. 이 사건으로 원 전 원장은 공직선거법·국가정보원법 위반 혐의로 징역 4년에 자격정지 4년의 확정 판결을 받았다.여론 조작의 '유혹'은 좌우를 가리지 않았다. 2018년 진보 진영에 큰 상처를 준 이른바 '드루킹 사건'이 대표적이다. '드루킹'이라는 필명으로 온라인에서 활동한 남성의 일당이 2014~2018년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 더불어민주당에 유리하도록 포털 사이트 뉴스 기사에 달린 댓글의 '공감' 또는 '비공감' 수를 조작한 사건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 측근이었던 김경수 당시 경남지사가 이를 공모한 것으로 드러났고, 결국 그는 징역 2년형 확정과 함께 도지사직을 잃었다. ①매크로 ②조직적 ③대가성 입증해야 처벌 앞선 사례들처럼 여론 조작에 대한 형사처벌 자체는 가능하다. 매크로 조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컴퓨터 등 업무방해 혐의), 공식 선거사무소가 아닌데도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유사기관을 설치하는 등 조직적으로 활동했다면(공직선거법상 부정선거운동죄) 불법성이 인정된다. 또 대가를 약속하고 여론 조작을 지시한 경우에도 공직선거법 제230조(매수 및 이해유도죄)에 해당한다.다만 여론 조작과 관련한 모든 행위가 사법처리되는 건 아니다. 예컨대 특정 댓글이나 커뮤니티 게시글을 공유하며 추천 클릭 또는 댓글을 달아 달라고 단순히 독려하는 행위(이른바 '좌표 찍기')는 넓은 의미에서의 '표현의 자유'를 인정받는다. 리박스쿨 측도 "댓글을 쓰고, '좋아요' 또는 '싫어요'를 누르는 것은 명백히 합법적이고 헌법에 보장된 시민의 정치 참여 행위"라고 주장한다. 안성훈 법무법인 법승 변호사는 "소수의 사람이 소규모로 댓글 관련 활동을 하는 경우엔 업무방해 혐의가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며 "그러나 그 규모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러 목표한 댓글의 순위를 상당한 시간 동안 상위권에 노출시키는 데 이르렀다면 죄가 성립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포털 사이트도 이용자들의 '단순 좌표 찍기'식 참여는 제한하지 않는다. 자유로운 집단 의사 표현으로 보는 것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수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여럿이 각각 자신의 계정으로 댓글에 추천을 누르는 행위 자체를 업무방해로 보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포털 다음을 운영하는 카카오의 관계자 역시 "온라인에 집단적 의견을 개진한 것만으로는 사업자 입장에서 여론 조작 여부를 판단해 선제적인 법적 대응을 하기에 힘든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따라서 이번 리박스쿨 사태에 있어 불법성 판단의 관건은 '대가성'과 '조직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일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네이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는 "리박스쿨 회원 계정 9개의 로그인 기록을 분석했더니, 동일한 IP에서 명의가 다른 계정이 접속한 사례를 일부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 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계정에 접속했다는 의미다.네이버 측은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타인 명의의 계정 양도 및 대여가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자체적으로 확인하고 있고, 수사 기관을 통해 추가로 밝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동일 IP에서 여러 계정이 접속한 사실만으로는 여론 조작 여부를 특정할 수 없다"며 "다만 한 사람이 타인의 계정을 이용해 (여러) 댓글을 작성했을 경우 문제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네이버 이용약관은 "계정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양도·대여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부가 나서서 여론 조작 규제 강화를" 전문가들은 정부가 나서서 여론 조작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을 고려하면,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법적 체계가 없는 상황"이라며 "여론 조작의 양태를 면밀히 검토해 국가가 선제적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포털 입장에서 보면 오히려 트래픽(방문자 수) 관점에선 이득이라 여론 조작 행위를 (적극적으로) 막을 유인이 크게 없다"며 "정부가 먼저 '여론 조작 시 불이익'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포털에 요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다만 신중론도 있다. 여론 조작의 의미를 폭넓게 규정하는 건 표현의 자유를 해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여론 조작과 관련해 구체적인 처벌 조항을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그 구성요건을 명확히 하기에는 곤란한 측면이 있고 추후 죄형법정주의 이슈도 발생할 것"이라며 "어느 정도의 인터넷 여론 형성, 여론 주도 행위를 처벌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세운 기자 (cloud5@hankookilbo.com) [기사전문보기] "국정원·드루킹 이어 리박스쿨까지... '온라인 여론 조작'의 흑역사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5곳
2025-06-05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 결합”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 결합”
국내 1호 채권추심전문 이상권 변호사가 센터장 맡아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대표)은 국내 주요 로펌 중 유일하게 채권추심센터를 운영 중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변호사와 금융감독원의 허가를 받은 신용정보 회사만이 채권추심 업무를 할 수 있는데, 이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대형로펌은 대륜이 유일하다.대륜 채권추심센터가 만들어진 배경은 대륜이 추구하는 가치에 있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비전을 채권추심 분야에도 적용한 것이다. 의뢰인들이 변호사를 통해 합법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센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다분야 전문가들의 협업이다. 변호사, 법무사, 세무사, 회계사 등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가가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센터의 선봉장은 채권추심 전문 이상권(사법연수원 31기) 변호사가 맡았다. 2002년부터 변호사로서 일을 시작한 그는 TCM korea Law Office에서 해외채권추심 일을 맡아 수행해왔다.이 변호사는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채권추심 분야에 뛰어들었으며, 각고의 노력 끝에 국내 최초로 대한변호사협회(변협)에 채권추심을 전문 분야로 등록하는 쾌거를 이뤘다. 그는 변협 채권추심변호사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고문으로 활동하는 등 채권추심 분야의 권위자로 손꼽힌다.센터장을 맡게 된 이 변호사는 “추심과 관련해 관심도가 높아지는 상황으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며 “전문변호사에게 업무를 위임하면 단순한 추심 업무부터 복잡한 법적 절차까지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인 채권 회수가 가능하다. 로펌 차원에서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변호사의 채권추심은 여러 단계를 거친다. 또,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내용증명부터 지급명령, 압류까지 법률적인 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이때 변호사의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대륜 채권추심센터만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 이 변호사는 채권추심과 송무의 결합이 인상 깊었다고 답했다. 그는 “채권추심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것은 합의, 내용증명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업무부터 일반송무 능력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는 뜻”이라며 “채권추심과 송무 분야 전문성을 결합해 시너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전했다.대륜 경호그룹과의 긴밀한 공동 대응체계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소송에도 원고와 피고가 있듯, 채권추심에도 채권 추심을 하는 측과 당하는 측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륜 경호그룹은 불법 채권추심에 시달리는 의뢰인들을 위해 전문 경호요원 동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 변호사는 “업계에서 시도하지 않은 부분을 해낸 것으로 이는 새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며 “불법채권추심의 경우 경호서비스와 연계해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 결합” (바로가기) 세정일보 -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 결합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과 결합”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주요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과 결합”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5곳
2025-06-05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 결합”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 결합”
국내 1호 채권추심전문 이상권 변호사가 센터장 맡아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대표)은 국내 주요 로펌 중 유일하게 채권추심센터를 운영 중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변호사와 금융감독원의 허가를 받은 신용정보 회사만이 채권추심 업무를 할 수 있는데, 이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대형로펌은 대륜이 유일하다.대륜 채권추심센터가 만들어진 배경은 대륜이 추구하는 가치에 있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비전을 채권추심 분야에도 적용한 것이다. 의뢰인들이 변호사를 통해 합법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센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다분야 전문가들의 협업이다. 변호사, 법무사, 세무사, 회계사 등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가가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센터의 선봉장은 채권추심 전문 이상권(사법연수원 31기) 변호사가 맡았다. 2002년부터 변호사로서 일을 시작한 그는 TCM korea Law Office에서 해외채권추심 일을 맡아 수행해왔다.이 변호사는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채권추심 분야에 뛰어들었으며, 각고의 노력 끝에 국내 최초로 대한변호사협회(변협)에 채권추심을 전문 분야로 등록하는 쾌거를 이뤘다. 그는 변협 채권추심변호사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고문으로 활동하는 등 채권추심 분야의 권위자로 손꼽힌다.센터장을 맡게 된 이 변호사는 “추심과 관련해 관심도가 높아지는 상황으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며 “전문변호사에게 업무를 위임하면 단순한 추심 업무부터 복잡한 법적 절차까지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인 채권 회수가 가능하다. 로펌 차원에서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변호사의 채권추심은 여러 단계를 거친다. 또,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내용증명부터 지급명령, 압류까지 법률적인 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이때 변호사의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대륜 채권추심센터만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 이 변호사는 채권추심과 송무의 결합이 인상 깊었다고 답했다. 그는 “채권추심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것은 합의, 내용증명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업무부터 일반송무 능력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는 뜻”이라며 “채권추심과 송무 분야 전문성을 결합해 시너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전했다.대륜 경호그룹과의 긴밀한 공동 대응체계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소송에도 원고와 피고가 있듯, 채권추심에도 채권 추심을 하는 측과 당하는 측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륜 경호그룹은 불법 채권추심에 시달리는 의뢰인들을 위해 전문 경호요원 동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 변호사는 “업계에서 시도하지 않은 부분을 해낸 것으로 이는 새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며 “불법채권추심의 경우 경호서비스와 연계해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 결합” (바로가기) 세정일보 -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 결합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과 결합”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주요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송무 분야 전문성과 결합”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로펌 유일 채권추심센터 운영”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05
법무법인 대륜, 기업 법무 전문가 중심 프랜차이즈 분쟁 대응 강화
법무법인 대륜, 기업 법무 전문가 중심 프랜차이즈 분쟁 대응 강화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중심으로 소상공인 권익 강화, 식품 산업 디지털 전환 등 새로운 법률수요에 대응한다고 5일 밝혔다.최근 프랜차이츠 산업에서 차액 가맹금 분쟁, 본사 오너리스크 등으로 줄소송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가맹점주에 단체협상권을 보장하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고약함에 따라 관련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서다. 해당 공약은 지금까지 자율에 맡겼던 본사와 가맹점 간 협의 절차를 법적으로 명문화하겠다는 취지다.이런 상황을 고려해 대륜은 공정거래법, 가맹사업법 등 기업 관계 법률에 능통한 기업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다각적 법률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그룹은 분쟁이 발생하면 사전 검토 후 사안에 따라 기업법무, 공정거래, 금융, 노동 등 각 분야 전문가 3인~20인으로 원팀을 구성해 사건을 수행할 방침이다.기업법무그룹은 공정거래위 출신으로 홈플러스의 가맹사업법 위반 사건,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인수 기업 결합 사건 등을 맡았던 손계준 변호사(사법연수원 36기)가 그룹장을 맡고 있다. 또 매각, 인수, 거래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신종수 기업자문센터장(31기), 한국피자헛 부당 이득금 반환소송에서 가맹점주를 대리했던 김원상 회생파산센터장(43기)도 참여한다.또 기업형사·민사·행정 사건에 경험이 많은 오상완 변호사(37기). 대기업 사내 변호사 출신으로 인사·노무 분야 전문가인 방인태 변호사(41기), 조세·행정소송에 특화된 김유정 변호사, 공정거래·M&A 등 자문을 담당하는 지민희 변호사, 법인 회생·파산 대리 경험이 풍부한 김서영 변호사 등이 기업법무그룹에 소속돼 있다.이밖에 필요에 따라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가와도 실시간으로 협업한다. 주요 전문가는 재무·회계 분야 박수진 회계사, 기업 세무조정·자문을 수행하는 임정오 세무사, 다양한 노동 사건을 다뤄온 남서혜 노무사 등이 있다.중대형 사건이 많은 기업법무 특성을 고려해 본부 주도로 사건을 지휘하는 특별수행본부를 신설하는 등 사건 처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내부 제도도 마련했다. 본부는 40년 경력의 조영곤(16기)·여상원(17기) 변호사가 이끌며 형사, 민사, 행정 사건을 관리한다. 정확한 초기 진단을 기반으로 전문 변호사를 배치해 중대형 사건을 원활히 대응할 계획이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가맹점과 본사 간의 분쟁 발생이 잦은 상황에서 관련 법률 자문 문의가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으며, 가맹점 소송 이외에도 기업 관련 형사, 행정, 조세 사 건도 늘고 있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기업과 가맹점주 모두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서로 원-윈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으로, 대륜이 가진 강점을 기반으로 어떤 사건이든 고객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기업 법무 전문가 중심 프랜차이즈 분쟁 대응 강화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6-05
법무법인 대륜, 기업 법무 전문가 중심 프랜차이즈 분쟁 대응 강화
법무법인 대륜, 기업 법무 전문가 중심 프랜차이즈 분쟁 대응 강화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중심으로 소상공인 권익 강화, 식품 산업 디지털 전환 등 새로운 법률수요에 대응한다고 5일 밝혔다.최근 프랜차이츠 산업에서 차액 가맹금 분쟁, 본사 오너리스크 등으로 줄소송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가맹점주에 단체협상권을 보장하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고약함에 따라 관련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서다. 해당 공약은 지금까지 자율에 맡겼던 본사와 가맹점 간 협의 절차를 법적으로 명문화하겠다는 취지다.이런 상황을 고려해 대륜은 공정거래법, 가맹사업법 등 기업 관계 법률에 능통한 기업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다각적 법률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그룹은 분쟁이 발생하면 사전 검토 후 사안에 따라 기업법무, 공정거래, 금융, 노동 등 각 분야 전문가 3인~20인으로 원팀을 구성해 사건을 수행할 방침이다.기업법무그룹은 공정거래위 출신으로 홈플러스의 가맹사업법 위반 사건,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인수 기업 결합 사건 등을 맡았던 손계준 변호사(사법연수원 36기)가 그룹장을 맡고 있다. 또 매각, 인수, 거래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신종수 기업자문센터장(31기), 한국피자헛 부당 이득금 반환소송에서 가맹점주를 대리했던 김원상 회생파산센터장(43기)도 참여한다.또 기업형사·민사·행정 사건에 경험이 많은 오상완 변호사(37기). 대기업 사내 변호사 출신으로 인사·노무 분야 전문가인 방인태 변호사(41기), 조세·행정소송에 특화된 김유정 변호사, 공정거래·M&A 등 자문을 담당하는 지민희 변호사, 법인 회생·파산 대리 경험이 풍부한 김서영 변호사 등이 기업법무그룹에 소속돼 있다.이밖에 필요에 따라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가와도 실시간으로 협업한다. 주요 전문가는 재무·회계 분야 박수진 회계사, 기업 세무조정·자문을 수행하는 임정오 세무사, 다양한 노동 사건을 다뤄온 남서혜 노무사 등이 있다.중대형 사건이 많은 기업법무 특성을 고려해 본부 주도로 사건을 지휘하는 특별수행본부를 신설하는 등 사건 처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내부 제도도 마련했다. 본부는 40년 경력의 조영곤(16기)·여상원(17기) 변호사가 이끌며 형사, 민사, 행정 사건을 관리한다. 정확한 초기 진단을 기반으로 전문 변호사를 배치해 중대형 사건을 원활히 대응할 계획이다.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가맹점과 본사 간의 분쟁 발생이 잦은 상황에서 관련 법률 자문 문의가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으며, 가맹점 소송 이외에도 기업 관련 형사, 행정, 조세 사 건도 늘고 있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기업과 가맹점주 모두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서로 원-윈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으로, 대륜이 가진 강점을 기반으로 어떤 사건이든 고객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기업 법무 전문가 중심 프랜차이즈 분쟁 대응 강화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04
부당 징계 승소 후 미지급 임금 지급 소송은 '패소'…원인은?
부당 징계 승소 후 미지급 임금 지급 소송은 '패소'…원인은?
면직 처분을 받았다가 복직한 회사원이 미지급 임금을 달라며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13일 회사원 A씨가 금융사 B사를 상대로 낸 임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8년 B사로부터 금품 수수등의 이유로 면직 처분을 받았다.이에 불응한 A씨는 부당징계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고 B사는 A씨의 원직 복직과 함께 미지급 임금 2억여원을 지급했다.이후 A씨는 지급받은 금액에 면직 기간 중의 임금 인상분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미지급 금원에 대한 추가 소송을 제기했다. 아울러 "사측이 노동조합과 '부당징계로 인한 임금은 50% 가산해 지급한다"는 협약을 체결했다"며 “이를 합해 모두 4억 여 원을 추가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B사 측은 “임금 지급에 대해서는 앞선 소송을 통해 판단이 모두 완료됐다”며 지급 의무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 ‘부당징계로 인한 임금 50% 가산 협약’은 A씨 징계가 발생한 이후 체결된 것으로 해당 사항이 없음을 강조했다.이에 법원은 B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앞선 소송에서 임금을 지급받았는데 현재 사건과 동일한 소송물”이라며 “이는 선행 소송의 기판력에 저촉되는 사안이므로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고 말했다.이어 “노조와의 협약은 2021년 체결됐는데 원고는 그 전부터 피고와 징계 면직 처분을 다투고 있었다”며 “협약 체결 전인 2018년 징계 처분을 받은 원고는 가산 보상금을 청구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B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A씨는 추가 임금에 대한 부분을 인지하지 못해 소송을 다시 제기했다고 주장했다”면서도 “앞선 소송과 사건을 비교하며 소소으이 성격이 동일함을 입증해 법워의 기각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조혜정 기자(hjcho@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부당 징계 승소 후 미지급 임금 지급 소송은 '패소'…원인은?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6-04
부당 징계 승소 후 미지급 임금 지급 소송은 '패소'…원인은?
부당 징계 승소 후 미지급 임금 지급 소송은 '패소'…원인은?
면직 처분을 받았다가 복직한 회사원이 미지급 임금을 달라며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13일 회사원 A씨가 금융사 B사를 상대로 낸 임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8년 B사로부터 금품 수수등의 이유로 면직 처분을 받았다.이에 불응한 A씨는 부당징계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고 B사는 A씨의 원직 복직과 함께 미지급 임금 2억여원을 지급했다.이후 A씨는 지급받은 금액에 면직 기간 중의 임금 인상분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미지급 금원에 대한 추가 소송을 제기했다. 아울러 "사측이 노동조합과 '부당징계로 인한 임금은 50% 가산해 지급한다"는 협약을 체결했다"며 “이를 합해 모두 4억 여 원을 추가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B사 측은 “임금 지급에 대해서는 앞선 소송을 통해 판단이 모두 완료됐다”며 지급 의무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 ‘부당징계로 인한 임금 50% 가산 협약’은 A씨 징계가 발생한 이후 체결된 것으로 해당 사항이 없음을 강조했다.이에 법원은 B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앞선 소송에서 임금을 지급받았는데 현재 사건과 동일한 소송물”이라며 “이는 선행 소송의 기판력에 저촉되는 사안이므로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고 말했다.이어 “노조와의 협약은 2021년 체결됐는데 원고는 그 전부터 피고와 징계 면직 처분을 다투고 있었다”며 “협약 체결 전인 2018년 징계 처분을 받은 원고는 가산 보상금을 청구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B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A씨는 추가 임금에 대한 부분을 인지하지 못해 소송을 다시 제기했다고 주장했다”면서도 “앞선 소송과 사건을 비교하며 소소으이 성격이 동일함을 입증해 법워의 기각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조혜정 기자(hjcho@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부당 징계 승소 후 미지급 임금 지급 소송은 '패소'…원인은?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04
‘불법적 해촉’ 정신적 피해보상 주장에 법원 ‘기각’ 판결 왜?
‘불법적 해촉’ 정신적 피해보상 주장에 법원 ‘기각’ 판결 왜?
감사 제기하자 통장직 해촉 통보 당해…정신적 보상 위자료 지급 요구재판부 “자치위원회 내 갈등 발생…해촉 통보는 문제 해결 위한 조치” 행정 소송을 통해 통장 해촉이 무효임이 판단됐어도 불법적 요소가 없었다면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제1민사부는 지난 4월 29일 70대 남성 A씨가 한 지방자치단체와 소속 공무원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항소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통장직을 수행하던 A씨는 지난 2021년 행정복지센터에 주민자치위원회 행사 참여자 일부에 대한 감사를 요구했다. 당시 행사에서 부적절한 일을 벌였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자 당시 센터장이었던 B씨는 주민 화합 저해를 이유로 A씨를 통장직에서 해촉시켰다.이에 A씨는 시를 상대로 통장 해촉 통지 무효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 이후 A씨는 해촉 통지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입었다며 B씨 등에게 위자료 3000만 원을 지급하라는 소송을 냈다.B씨 등은 해촉 과정에서 불법적인 요소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감사 결과 A씨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A씨가 사과를 하지 않자 지역 여론이 나빠졌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해촉을 결정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1심은 A씨의 청구를 기각했다. 재판부는 “원고가 제기한 사안의 진위가 명백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주민자치위원회 안팎에서 갈등과 집단적인 민원이 발생했다”며 “따라서 센터장은 주민자치업무의 하나로서 민원을 해결하고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할 필요성이 있다”며 해촉 행위에 불법적인 요소가 없었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했으나 2심 역시 기각 판결을 내렸다.B씨 등을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서인호 변호사는 “해촉 행위가 행정 소송을 통해 무효임을 확인했어도 정신적 피해에 대한 민사 소송을 위해서는 해촉 과정에 불법 행위가 포함되어 있어야만 한다”며 “고의로 해촉사유를 만드는 등 사회상규상 용인될 수 없음이 명백해야만 정신적 고통을 가한 것으로 인정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A씨로 인해 행사 보이콧이 벌어지는 등 갈등이 생긴 것은 사실이고, B씨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힘쓴 것 뿐”이라며 “B씨에게 A씨를 고의로 통장직에서 몰아내려는 의도가 없었기에 기각 명령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불법적 해촉’ 정신적 피해보상 주장에 법원 ‘기각’ 판결 왜?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6-04
‘불법적 해촉’ 정신적 피해보상 주장에 법원 ‘기각’ 판결 왜?
‘불법적 해촉’ 정신적 피해보상 주장에 법원 ‘기각’ 판결 왜?
감사 제기하자 통장직 해촉 통보 당해…정신적 보상 위자료 지급 요구재판부 “자치위원회 내 갈등 발생…해촉 통보는 문제 해결 위한 조치” 행정 소송을 통해 통장 해촉이 무효임이 판단됐어도 불법적 요소가 없었다면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제1민사부는 지난 4월 29일 70대 남성 A씨가 한 지방자치단체와 소속 공무원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항소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통장직을 수행하던 A씨는 지난 2021년 행정복지센터에 주민자치위원회 행사 참여자 일부에 대한 감사를 요구했다. 당시 행사에서 부적절한 일을 벌였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자 당시 센터장이었던 B씨는 주민 화합 저해를 이유로 A씨를 통장직에서 해촉시켰다.이에 A씨는 시를 상대로 통장 해촉 통지 무효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 이후 A씨는 해촉 통지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입었다며 B씨 등에게 위자료 3000만 원을 지급하라는 소송을 냈다.B씨 등은 해촉 과정에서 불법적인 요소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감사 결과 A씨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A씨가 사과를 하지 않자 지역 여론이 나빠졌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해촉을 결정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1심은 A씨의 청구를 기각했다. 재판부는 “원고가 제기한 사안의 진위가 명백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주민자치위원회 안팎에서 갈등과 집단적인 민원이 발생했다”며 “따라서 센터장은 주민자치업무의 하나로서 민원을 해결하고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할 필요성이 있다”며 해촉 행위에 불법적인 요소가 없었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했으나 2심 역시 기각 판결을 내렸다.B씨 등을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서인호 변호사는 “해촉 행위가 행정 소송을 통해 무효임을 확인했어도 정신적 피해에 대한 민사 소송을 위해서는 해촉 과정에 불법 행위가 포함되어 있어야만 한다”며 “고의로 해촉사유를 만드는 등 사회상규상 용인될 수 없음이 명백해야만 정신적 고통을 가한 것으로 인정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A씨로 인해 행사 보이콧이 벌어지는 등 갈등이 생긴 것은 사실이고, B씨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힘쓴 것 뿐”이라며 “B씨에게 A씨를 고의로 통장직에서 몰아내려는 의도가 없었기에 기각 명령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불법적 해촉’ 정신적 피해보상 주장에 법원 ‘기각’ 판결 왜?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6-04
‘두 번은 없다’ 음주운전, 재범 막으려면 전문 법률가의 조력 구해야
‘두 번은 없다’ 음주운전, 재범 막으려면 전문 법률가의 조력 구해야
음주운전에 대한 사회 인식은 2018년 ‘윤창호법’ 제정 이후 뚜렷하게 변화했다. 제정 당시 국민적 분노가 반영된 만큼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 수위는 강화됐고 음주운전은 중대한 범죄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실제 어떤 법 조항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는 여전히 잘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처벌 기준에 있어 아직도 ‘삼진아웃’ 방식이 유지되고 있다고 오해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현행 도로교통법은 10년 이내에 두 차례 이상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운전자에 대한 처벌 수위를 크게 높였다. 강화된 처벌은 도로교통법 제148조의2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해당 조항에 따르면, 음주운전으로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날로부터 10년 이내 다시 이를 위반할 경우, 혈중알코올농도 0.2% 이상 기준으로 2년 이상 6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실제 사례가 이러한 점을 잘 보여준다. A씨는 과거 음주운전으로 네 차례 벌금형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음주운전을 하지 않기 위해 전담 대리기사를 두는 등 나름의 조치를 취해 왔다. 하지만 어느 날 가졌던 술자리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1차 술자리를 마친 이후 대리기사를 통해 다음 장소로 이동했지만, 2차 술자리에서 귀가를 위해 대리기사와 1시간 가까이 연락이 닿지 않았고 결국 A씨가 또 다시 운전대를 잡게 된 것이다.해당 사건의 핵심은 A씨가 처음부터 음주운전을 의도하지 않았다는 정황을 어떻게 입증하는지에 있었다. 때문에 담당 변호사는 사건 당일 대리기사를 호출한 내역과 차량 위치기록 등 객관적인 자료를 제출하고, 사건 이후 작성한 금주 다짐 일기, 알코올 치료 상담 이력, 가족 부양 책임 자료 등을 통해 재범 가능성이 낮고 사회적 유대가 강하다는 점도 함께 강조했다. 그 결과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피고인은 과거 음주운전으로 네 차례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어 죄책이 결코 가볍지 않다”고 지적하면서도, “범행을 자백하고 반성의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직업·가정 상황 및 사건 당시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실형 가능성이 높았던 상황에서도 구체적인 사실 소명과 준비된 전략을 통해 A씨는 집행유예 선고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법무법인 대륜 김민수 변호사는 “음주운전 재범자는 초기 수사 단계에서의 대응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운전 경위, 사후 대응, 반성의 진정성 등을 구체적으로 소명할 수 있느냐에 따라 처벌의 수위가 달라진다. 전문변호사의 법률 조력 없이 대응할 경우, 중요한 사실을 놓치거나 재범 우려를 줄 수 있어 위험하다.”고 조언했다.이어 “특히 재범자의 경우는 단순히 잘못을 인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초기 수사 단계부터 운전 경위를 명확히 정리하고 개인의 사회·가정적 사정을 구체적으로 소명하며, 재범 방지 의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제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두 번은 없다’ 음주운전, 재범 막으려면 전문 법률가의 조력 구해야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6-04
‘두 번은 없다’ 음주운전, 재범 막으려면 전문 법률가의 조력 구해야
‘두 번은 없다’ 음주운전, 재범 막으려면 전문 법률가의 조력 구해야
음주운전에 대한 사회 인식은 2018년 ‘윤창호법’ 제정 이후 뚜렷하게 변화했다. 제정 당시 국민적 분노가 반영된 만큼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 수위는 강화됐고 음주운전은 중대한 범죄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실제 어떤 법 조항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는 여전히 잘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처벌 기준에 있어 아직도 ‘삼진아웃’ 방식이 유지되고 있다고 오해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현행 도로교통법은 10년 이내에 두 차례 이상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운전자에 대한 처벌 수위를 크게 높였다. 강화된 처벌은 도로교통법 제148조의2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해당 조항에 따르면, 음주운전으로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날로부터 10년 이내 다시 이를 위반할 경우, 혈중알코올농도 0.2% 이상 기준으로 2년 이상 6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실제 사례가 이러한 점을 잘 보여준다. A씨는 과거 음주운전으로 네 차례 벌금형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음주운전을 하지 않기 위해 전담 대리기사를 두는 등 나름의 조치를 취해 왔다. 하지만 어느 날 가졌던 술자리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1차 술자리를 마친 이후 대리기사를 통해 다음 장소로 이동했지만, 2차 술자리에서 귀가를 위해 대리기사와 1시간 가까이 연락이 닿지 않았고 결국 A씨가 또 다시 운전대를 잡게 된 것이다.해당 사건의 핵심은 A씨가 처음부터 음주운전을 의도하지 않았다는 정황을 어떻게 입증하는지에 있었다. 때문에 담당 변호사는 사건 당일 대리기사를 호출한 내역과 차량 위치기록 등 객관적인 자료를 제출하고, 사건 이후 작성한 금주 다짐 일기, 알코올 치료 상담 이력, 가족 부양 책임 자료 등을 통해 재범 가능성이 낮고 사회적 유대가 강하다는 점도 함께 강조했다. 그 결과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피고인은 과거 음주운전으로 네 차례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어 죄책이 결코 가볍지 않다”고 지적하면서도, “범행을 자백하고 반성의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직업·가정 상황 및 사건 당시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실형 가능성이 높았던 상황에서도 구체적인 사실 소명과 준비된 전략을 통해 A씨는 집행유예 선고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법무법인 대륜 김민수 변호사는 “음주운전 재범자는 초기 수사 단계에서의 대응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운전 경위, 사후 대응, 반성의 진정성 등을 구체적으로 소명할 수 있느냐에 따라 처벌의 수위가 달라진다. 전문변호사의 법률 조력 없이 대응할 경우, 중요한 사실을 놓치거나 재범 우려를 줄 수 있어 위험하다.”고 조언했다.이어 “특히 재범자의 경우는 단순히 잘못을 인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초기 수사 단계부터 운전 경위를 명확히 정리하고 개인의 사회·가정적 사정을 구체적으로 소명하며, 재범 방지 의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제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두 번은 없다’ 음주운전, 재범 막으려면 전문 법률가의 조력 구해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02
"수익 보장" 속여 '돌려막기' 28억 원 편취..징역 3년 6개월
"수익 보장" 속여 '돌려막기' 28억 원 편취..징역 3년 6개월
수익 보장을 약속하며 투자자들로부터 수십억 원을 가로챈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방법원 제12형사부는 최근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회사 대표 A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8년부터 5년간 B씨 등 투자자 16명으로부터 원금 보장과 이자 지급을 약속하며 약 28억 원을 편취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이 과정에서 일부 피해자들에게는 '투자 상품에 문제가 생겼다'며 추가 금전을 요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수사 결과 A씨는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돈을 개인 주식 및 선물 투자에 사용하고, 다시 신규 투자자들을 확보해 기존 회원들에게 이자를 지급하는 '돌려막기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A씨는 대부분의 혐의를 인정했지만, 피해자 중 1명인 B씨를 상대로 한 사기 사실에 대해선 부인했습니다.B씨와의 투자 계약은 자신이 운영하던 회사 직원이 진행해, B씨를 직접 마주한 적이 없다는 주장이었습니다.법원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재판부는 "B씨는 피고인이 작성한 투자계약서를 토대로 계약을 진행했다"며 "피고인이 직접 투자를 권유하지 않았더라도 피고인과 직원과의 지위를 고려하면 계약이 체결됐을 당시 보고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고 봤습니다.그러면서 "B씨가 입금한 돈 역시 피고인이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 단지 접촉하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사기 범행과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면서 "피고인은 다수의 피해자들로부터 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 없이 금전을 편취해 피해자들이 상당기간 고통을 겪었다. 피해자들이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탄원하고 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사기죄는 거래의 상황 등 범행 당시의 구체적 사정을 고려해 일반적, 객관적으로 판단해야만 한다"면서 "사건 당시 A씨는 회사 명의 계좌들을 모두 관리하고 투자금 운용을 전적으로 관리하고 있었기에 법원이 A씨의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수익 보장" 속여 '돌려막기' 28억 원 편취..징역 3년 6개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6-02
"수익 보장" 속여 '돌려막기' 28억 원 편취..징역 3년 6개월
"수익 보장" 속여 '돌려막기' 28억 원 편취..징역 3년 6개월
수익 보장을 약속하며 투자자들로부터 수십억 원을 가로챈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방법원 제12형사부는 최근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회사 대표 A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8년부터 5년간 B씨 등 투자자 16명으로부터 원금 보장과 이자 지급을 약속하며 약 28억 원을 편취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이 과정에서 일부 피해자들에게는 '투자 상품에 문제가 생겼다'며 추가 금전을 요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수사 결과 A씨는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돈을 개인 주식 및 선물 투자에 사용하고, 다시 신규 투자자들을 확보해 기존 회원들에게 이자를 지급하는 '돌려막기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A씨는 대부분의 혐의를 인정했지만, 피해자 중 1명인 B씨를 상대로 한 사기 사실에 대해선 부인했습니다.B씨와의 투자 계약은 자신이 운영하던 회사 직원이 진행해, B씨를 직접 마주한 적이 없다는 주장이었습니다.법원은 A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재판부는 "B씨는 피고인이 작성한 투자계약서를 토대로 계약을 진행했다"며 "피고인이 직접 투자를 권유하지 않았더라도 피고인과 직원과의 지위를 고려하면 계약이 체결됐을 당시 보고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고 봤습니다.그러면서 "B씨가 입금한 돈 역시 피고인이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 단지 접촉하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사기 범행과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면서 "피고인은 다수의 피해자들로부터 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 없이 금전을 편취해 피해자들이 상당기간 고통을 겪었다. 피해자들이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탄원하고 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사기죄는 거래의 상황 등 범행 당시의 구체적 사정을 고려해 일반적, 객관적으로 판단해야만 한다"면서 "사건 당시 A씨는 회사 명의 계좌들을 모두 관리하고 투자금 운용을 전적으로 관리하고 있었기에 법원이 A씨의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수익 보장" 속여 '돌려막기' 28억 원 편취..징역 3년 6개월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2곳
2025-06-02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총, 교권침해 예방을 위한 ‘MOU’체결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총, 교권침해 예방을 위한 ‘MOU’체결
교권침해 회복 법률 상담 및 법률 교육 지원 등 협업김국일 대표 “교내외 현장에서 필요한 법률 지원 제공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와 MOU를 체결, 교원 권익 보호 및 교육제도 개선에 앞장선다.지난달 29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부대표, 허지선 변호사와 한국교총 강주호 회장, 조성철 정책본부장, 김동석 교권본부장, 문권국 사무총장 등 주요 실무진이 참석했다.한국교총은 1947년 ‘조선교육연합회’로 창립해, 유·초·중·고·대학교 교원을 포함한 전 교육단계의 교원과 교육행정인을 회원으로 구성된 단체다. △ 교원의 전문성 신장 △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 △교권 수호 등을 목적으로 활동해 국내 교원 단체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양사는 각각의 강점을 바탕으로 △교권침해 회복 법률 상담 △입법, 법률 해석 요청 등 법률자문 △학생 및 교원대상 법률교육 지원 △교권 공동연구 추진 및 수탁 등 업무를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한국교총 강주호 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교원이 교육 본연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마련한 점에서 기쁘다”며 “각종 분쟁 시 발생 가능한 문제를 글로벌 메가 로펌인 대륜과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교원이 존중받는 교육환경이 곧 교육의 질을 담보한다는 인식 아래,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교육계의 공익적 가치 실현에 동반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며 “대륜 학교폭력그룹에는 소년범죄부 검사, 교육청 징계위원, 정교사 자격 보유 변호사 등 다양한 경력을 갖춘 변호사들이 많아 교내외 현장 전반에 필요한 법률 자문이 선제적으로 제공해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밝혔다.한편 양 기관은 향후에도 교육·법률 분야의 융합적 협력을 기반으로, 교권 신장, 제도 개선, 교원 권익 보호, 교육정책 대응 등에 있어 공동의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 체계를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총, 교권침해 예방을 위한 ‘MOU’체결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원단체총연합…교권보호 업무협약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2곳
2025-06-02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총, 교권침해 예방을 위한 ‘MOU’체결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총, 교권침해 예방을 위한 ‘MOU’체결
교권침해 회복 법률 상담 및 법률 교육 지원 등 협업김국일 대표 “교내외 현장에서 필요한 법률 지원 제공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와 MOU를 체결, 교원 권익 보호 및 교육제도 개선에 앞장선다.지난달 29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최이선 부대표, 허지선 변호사와 한국교총 강주호 회장, 조성철 정책본부장, 김동석 교권본부장, 문권국 사무총장 등 주요 실무진이 참석했다.한국교총은 1947년 ‘조선교육연합회’로 창립해, 유·초·중·고·대학교 교원을 포함한 전 교육단계의 교원과 교육행정인을 회원으로 구성된 단체다. △ 교원의 전문성 신장 △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 △교권 수호 등을 목적으로 활동해 국내 교원 단체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양사는 각각의 강점을 바탕으로 △교권침해 회복 법률 상담 △입법, 법률 해석 요청 등 법률자문 △학생 및 교원대상 법률교육 지원 △교권 공동연구 추진 및 수탁 등 업무를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한국교총 강주호 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교원이 교육 본연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마련한 점에서 기쁘다”며 “각종 분쟁 시 발생 가능한 문제를 글로벌 메가 로펌인 대륜과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교원이 존중받는 교육환경이 곧 교육의 질을 담보한다는 인식 아래,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교육계의 공익적 가치 실현에 동반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며 “대륜 학교폭력그룹에는 소년범죄부 검사, 교육청 징계위원, 정교사 자격 보유 변호사 등 다양한 경력을 갖춘 변호사들이 많아 교내외 현장 전반에 필요한 법률 자문이 선제적으로 제공해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밝혔다.한편 양 기관은 향후에도 교육·법률 분야의 융합적 협력을 기반으로, 교권 신장, 제도 개선, 교원 권익 보호, 교육정책 대응 등에 있어 공동의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 체계를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총, 교권침해 예방을 위한 ‘MOU’체결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한국교원단체총연합…교권보호 업무협약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02
“건축허가 받아 되팔면 두 배” 토지투자 사기 혐의 50대, 검찰 ‘불기소’
“건축허가 받아 되팔면 두 배” 토지투자 사기 혐의 50대, 검찰 ‘불기소’
고소인 “숙박업 허가 약속” 주장檢 “기망행위로 보기 어려워” 토지를 구매하면 건축허가를 받아 더 큰 시세차익을 낼 수 있도록 돕겠다고 속여 1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50대가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청은 지난달 13일 사기 혐의로 고발당한 50대 A 씨 등 2명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이들은 2017년 4월 숙박시설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는 경남 거제시 한 토지를 허가가 가능한 것처럼 속여 피해자 B 씨 등으로부터 1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B 씨 등은 A 씨 일당이 건축허가를 받은 이후 토지를 되팔면 두 배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며 투자를 유인했다고 진술했다.또 이들이 건축허가와 관련해 로비 자금이 필요하다며 2000만 원을 추가로 편취했다고 강조했다.A 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시세차익을 미끼로 투자를 유도한 사실이 없다는 취지다. 또 건축허가와 관련한 부분 역시 토목이나 건축설계 담당자에게 확인해야 하는 내용으로, 자신은 이와 전혀 관련 없는 일을 하고 있다고 맞섰다.검찰도 A 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이 사건 토지가 애초 숙박시설 허가가 불가능한 토지가 아니었고, 이에 따라 A 씨 등에게 기망행위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A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진원 변호사는 “이 사건 쟁점은 건축허가 여부였는데, 불가능한 이유가 주변 자연경관과 미관 훼손 우려 등 담당 공무원들의 주관적 검토에 따라 결정되는 것들이라 일반인으로서는 건축허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며 “따라서 B 씨 등을 기망했다고 볼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건축허가 받아 되팔면 두 배” 토지투자 사기 혐의 50대, 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6-02
“건축허가 받아 되팔면 두 배” 토지투자 사기 혐의 50대, 검찰 ‘불기소’
“건축허가 받아 되팔면 두 배” 토지투자 사기 혐의 50대, 검찰 ‘불기소’
고소인 “숙박업 허가 약속” 주장檢 “기망행위로 보기 어려워” 토지를 구매하면 건축허가를 받아 더 큰 시세차익을 낼 수 있도록 돕겠다고 속여 1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50대가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청은 지난달 13일 사기 혐의로 고발당한 50대 A 씨 등 2명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이들은 2017년 4월 숙박시설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는 경남 거제시 한 토지를 허가가 가능한 것처럼 속여 피해자 B 씨 등으로부터 1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B 씨 등은 A 씨 일당이 건축허가를 받은 이후 토지를 되팔면 두 배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며 투자를 유인했다고 진술했다.또 이들이 건축허가와 관련해 로비 자금이 필요하다며 2000만 원을 추가로 편취했다고 강조했다.A 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시세차익을 미끼로 투자를 유도한 사실이 없다는 취지다. 또 건축허가와 관련한 부분 역시 토목이나 건축설계 담당자에게 확인해야 하는 내용으로, 자신은 이와 전혀 관련 없는 일을 하고 있다고 맞섰다.검찰도 A 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이 사건 토지가 애초 숙박시설 허가가 불가능한 토지가 아니었고, 이에 따라 A 씨 등에게 기망행위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A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진원 변호사는 “이 사건 쟁점은 건축허가 여부였는데, 불가능한 이유가 주변 자연경관과 미관 훼손 우려 등 담당 공무원들의 주관적 검토에 따라 결정되는 것들이라 일반인으로서는 건축허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며 “따라서 B 씨 등을 기망했다고 볼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건축허가 받아 되팔면 두 배” 토지투자 사기 혐의 50대, 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6-02
"우리 아빠 ○번 뽑을까봐 민증 숨겼다"…선 넘은 '유머' [이슈+]
"우리 아빠 ○번 뽑을까봐 민증 숨겼다"…선 넘은 '유머' [이슈+]
'민증스틸아티스트' 유행? 가족 간 정치 갈등실제 메시지 캡처까지…유머인가, 위법인가 "우리 아빠 OO당 찍을까 봐 주민등록증 숨겼다.""부모님이 OOO 찍는대서 나도 민증 압수형에 처해야겠다.""기호 O번 찍는 가족 있으면 민증부터 숨긴다."오는 3일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부모의 신분증을 '숨겼다'거나 '숨길 예정'이라는 자녀들의 사연이 확산하고 있다.이들은 주로 부모나 조부모의 정치 성향에 반감을 드러내며 "그들이 투표하는 걸 막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친구가 진심 '민증 스틸 아티스트'라 부모가 단 한 번도 투표 안 해봤다"는 글까지 등장하며, 일부에선 해당 행동이 유머처럼 소비되는 상황이다. 2일 온라인커뮤니티에 따르면 실제 한 누리꾼이 공개한 가족 간의 메시지에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너 아빠 신분증 가지고 간 거 아니지? 아빠가 없어졌다고 아침부터 난리를 치고 전화하고 그러는데 너 가지고 갔냐, 설마. 못 살겠다"고 하소연 한다. 이에 대해 자녀는 "OOO 뽑으면 잘 산다. 걱정하지 마라"는 답을 남겼다.또 다른 글쓴이는 "부모님과 정치 성향이 너무 달라 내 지지 후보 얘기를 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며 "그래서 본투표 날 부모님 민증을 잠깐 숨길 예정"이라고 예고하기도 했다.이에 "가족 민증을 훔치는 건 선 넘은 행동이다", "부모님이 나와 다른 당을 지지하는 것이 불편하다면, 더 많은 유권자를 설득하거나 정치 활동에 나서는 것이 정당한 방법이지, 가족의 투표권을 뺏는 건 명백한 권리 침해"라는 비판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세대 간 갈등, 웃어넘길 수 없는 권리 침해될 수도 가족의 투표를 막기 위해 신분증을 숨기거나 가져가는 행위는 단순한 가족 간 해프닝으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다만 법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 행위가 실제로 법적 처벌 대상이 되는지를 두고 의견이 갈린다.노종언 법무법인 존재 변호사는 "이런 행위는 전형적인 선거 방해"라며 "공직선거법 제237조는 위계나 사술,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의 자유를 방해한 경우 형사처벌이 가능하다고 규정한다"고 설명했다.노 변호사는 "신분증은 선거 참여를 위한 핵심 수단인 만큼, 이를 숨기거나 가져가는 행위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자녀가 일방적으로 신분증을 감춘 행위만으로는 명확히 처벌하기 어렵다는 해석도 존재한다.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직선거법 제242조는 투표를 방해할 목적으로 신분증명서를 '맡기게 하거나 인수한 경우'에 한해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자녀가 일방적으로 신분증을 감춘 행위만으로는 해당 조항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유 변호사는 "또한 형법상 절도죄는 '불법영득의사'가 있어야 성립하는데, 가족 간에 일시적으로 신분증을 숨긴 것만으로 이를 인정하긴 어렵다"며 "설령 범죄가 성립하더라도 형법상 친족상도례 규정에 따라 처벌이 면제될 수 있다"고 말했다.결국 이 같은 행위는 선거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인 것은 분명하지만, 실제 법적 처벌 여부는 구체적인 정황과 법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의견도 존중해야"…민주주의의 역설 이처럼 정당에 대한 호불호가 세대 정체성의 일부로 굳어지면서 가족 간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신분증을 숨긴 자녀들의 대부분은 "우리 가족이 OOO를 찍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선거를 일종의 '가정 내 투쟁'으로 보고 있다. 이와같이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간극은 선거철이 다가올수록 더욱 깊어지고 있다.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세대 간의 정치적 갈등은 이전부터 늘 있었다. 예전에는 부모가 자녀들의 투표를 막는 경우가 있었는데, 요즘은 반대로 젊은 세대가 부모 세대를 설득하거나 막으려는 모습이 연출된다"며 "이런 현상이 드러나는 이유는 SNS를 통해 공유되고, 일종의 놀이처럼 소비되기 때문인데, 그래서 더 새롭게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 교수는 "문제는 투표가 개인의 헌법적 권리라는 점"이라며 "의견이 다르더라도 부모와 자식 간에는 서로를 존중해야 하며, 농담이나 놀이처럼 말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자의 정치적 견해를 존중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제21대 대통령선거 본 투표일은 오는 3일로, 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된다. 이때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투표가 가능하다.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청소년증, 공무원증 등 사진과 생년월일이 명시된 공공기관 발급 증명서가 해당하며, 정부24 앱이나 PASS 앱 등을 통해 발급받은 모바일 신분증도 사용할 수 있다.단 화면 캡처본은 인정되지 않으며 해당 앱을 실행해 실시간으로 제시해야 한다.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우리 아빠 ○번 뽑을까봐 민증 숨겼다"…선 넘은 '유머' [이슈+]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6-02
"우리 아빠 ○번 뽑을까봐 민증 숨겼다"…선 넘은 '유머' [이슈+]
"우리 아빠 ○번 뽑을까봐 민증 숨겼다"…선 넘은 '유머' [이슈+]
'민증스틸아티스트' 유행? 가족 간 정치 갈등실제 메시지 캡처까지…유머인가, 위법인가 "우리 아빠 OO당 찍을까 봐 주민등록증 숨겼다.""부모님이 OOO 찍는대서 나도 민증 압수형에 처해야겠다.""기호 O번 찍는 가족 있으면 민증부터 숨긴다."오는 3일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부모의 신분증을 '숨겼다'거나 '숨길 예정'이라는 자녀들의 사연이 확산하고 있다.이들은 주로 부모나 조부모의 정치 성향에 반감을 드러내며 "그들이 투표하는 걸 막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친구가 진심 '민증 스틸 아티스트'라 부모가 단 한 번도 투표 안 해봤다"는 글까지 등장하며, 일부에선 해당 행동이 유머처럼 소비되는 상황이다. 2일 온라인커뮤니티에 따르면 실제 한 누리꾼이 공개한 가족 간의 메시지에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너 아빠 신분증 가지고 간 거 아니지? 아빠가 없어졌다고 아침부터 난리를 치고 전화하고 그러는데 너 가지고 갔냐, 설마. 못 살겠다"고 하소연 한다. 이에 대해 자녀는 "OOO 뽑으면 잘 산다. 걱정하지 마라"는 답을 남겼다.또 다른 글쓴이는 "부모님과 정치 성향이 너무 달라 내 지지 후보 얘기를 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며 "그래서 본투표 날 부모님 민증을 잠깐 숨길 예정"이라고 예고하기도 했다.이에 "가족 민증을 훔치는 건 선 넘은 행동이다", "부모님이 나와 다른 당을 지지하는 것이 불편하다면, 더 많은 유권자를 설득하거나 정치 활동에 나서는 것이 정당한 방법이지, 가족의 투표권을 뺏는 건 명백한 권리 침해"라는 비판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세대 간 갈등, 웃어넘길 수 없는 권리 침해될 수도 가족의 투표를 막기 위해 신분증을 숨기거나 가져가는 행위는 단순한 가족 간 해프닝으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다만 법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 행위가 실제로 법적 처벌 대상이 되는지를 두고 의견이 갈린다.노종언 법무법인 존재 변호사는 "이런 행위는 전형적인 선거 방해"라며 "공직선거법 제237조는 위계나 사술,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의 자유를 방해한 경우 형사처벌이 가능하다고 규정한다"고 설명했다.노 변호사는 "신분증은 선거 참여를 위한 핵심 수단인 만큼, 이를 숨기거나 가져가는 행위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자녀가 일방적으로 신분증을 감춘 행위만으로는 명확히 처벌하기 어렵다는 해석도 존재한다.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공직선거법 제242조는 투표를 방해할 목적으로 신분증명서를 '맡기게 하거나 인수한 경우'에 한해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자녀가 일방적으로 신분증을 감춘 행위만으로는 해당 조항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유 변호사는 "또한 형법상 절도죄는 '불법영득의사'가 있어야 성립하는데, 가족 간에 일시적으로 신분증을 숨긴 것만으로 이를 인정하긴 어렵다"며 "설령 범죄가 성립하더라도 형법상 친족상도례 규정에 따라 처벌이 면제될 수 있다"고 말했다.결국 이 같은 행위는 선거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인 것은 분명하지만, 실제 법적 처벌 여부는 구체적인 정황과 법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의견도 존중해야"…민주주의의 역설 이처럼 정당에 대한 호불호가 세대 정체성의 일부로 굳어지면서 가족 간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신분증을 숨긴 자녀들의 대부분은 "우리 가족이 OOO를 찍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선거를 일종의 '가정 내 투쟁'으로 보고 있다. 이와같이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간극은 선거철이 다가올수록 더욱 깊어지고 있다.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세대 간의 정치적 갈등은 이전부터 늘 있었다. 예전에는 부모가 자녀들의 투표를 막는 경우가 있었는데, 요즘은 반대로 젊은 세대가 부모 세대를 설득하거나 막으려는 모습이 연출된다"며 "이런 현상이 드러나는 이유는 SNS를 통해 공유되고, 일종의 놀이처럼 소비되기 때문인데, 그래서 더 새롭게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 교수는 "문제는 투표가 개인의 헌법적 권리라는 점"이라며 "의견이 다르더라도 부모와 자식 간에는 서로를 존중해야 하며, 농담이나 놀이처럼 말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자의 정치적 견해를 존중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제21대 대통령선거 본 투표일은 오는 3일로, 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된다. 이때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투표가 가능하다.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청소년증, 공무원증 등 사진과 생년월일이 명시된 공공기관 발급 증명서가 해당하며, 정부24 앱이나 PASS 앱 등을 통해 발급받은 모바일 신분증도 사용할 수 있다.단 화면 캡처본은 인정되지 않으며 해당 앱을 실행해 실시간으로 제시해야 한다.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우리 아빠 ○번 뽑을까봐 민증 숨겼다"…선 넘은 '유머' [이슈+]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곳
2025-06-02
법무법인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치…“법적 조력부터 일상 회복까지 지원”
법무법인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치…“법적 조력부터 일상 회복까지 지원”
법무법인 대륜은 의뢰인의 정서적 회복과 일상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심리상담센터를 설립했다고 28일 밝혔다. 법적 지원을 넘어 심리적 안정, 치유까지 책임지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취지에서다.대륜은 의뢰인들과 소통하면서 법적 분쟁이 삶 전반에 큰 심리적 충격과 고통을 유발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일반인이 법적 분쟁에 연루되면 큰 불안과 스트레스, 장기적 트라우마까지 가질 수 있는 데다 일상과 인간관계, 생업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로펌의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이에 심리상담센터를 마련했으며, 전문 상담사의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 심리상담센터 구성원은 보건복지부 또는 심리치료 관련 학회가 공인한 전문 자격을 갖춘 심리상담사로 구성했다.심리상담센터에서는 민·형사, 학교폭력, 산업재해 등 다양한 사건에 발생하는 심리적 상처를 완화하고 의뢰인이 보다 안정적으로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주요 상담 주제는 ▲이혼, 가족 내 갈등에 따른 트라우마 치유 ▲아동·청소년 대상 법적 분쟁 관련 심리 치료 ▲범죄 피해자의 트라우마 회복 및 피고인 대상 재범 방지 교육 ▲산업재해 및 의료사고 후 심리 회복 ▲도박·마약·음주 중독 대응 ▲학교·직장 내 적응 문제 및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법적 분쟁과 관계된 폭넓은 분야에서 심리 회복을 지원한다.상담은 심리검사와 일대일 해석 상담, 의뢰인의 주 호소 문제를 고려한 상담 목표 설정 등 전문적인 심리치료 과정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대면 상담, 비대면 상담 모두 가능하다.의뢰인이 요청할 경우 치료 과정에서 발행하는 심리평가 보고서는 엄벌 탄원 자료, 양형 자료, 재범 방지 교육자료 등 사건 수행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 대표는 “법률 서비스는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사람의 마음을 다루는 일이다. 심리상담센터를 통해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의뢰인의 심리적 회복까지 책임지는 로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앞서 고객 만족도 조사에서 98%의 긍정 응답을 기록하는 등 고객 중심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치…“법적 조력부터 일상 회복까지 지원”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립, 의뢰인의 심리적 안정‧치유 서비스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곳
2025-06-02
법무법인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치…“법적 조력부터 일상 회복까지 지원”
법무법인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치…“법적 조력부터 일상 회복까지 지원”
법무법인 대륜은 의뢰인의 정서적 회복과 일상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심리상담센터를 설립했다고 28일 밝혔다. 법적 지원을 넘어 심리적 안정, 치유까지 책임지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취지에서다.대륜은 의뢰인들과 소통하면서 법적 분쟁이 삶 전반에 큰 심리적 충격과 고통을 유발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일반인이 법적 분쟁에 연루되면 큰 불안과 스트레스, 장기적 트라우마까지 가질 수 있는 데다 일상과 인간관계, 생업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로펌의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이에 심리상담센터를 마련했으며, 전문 상담사의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 심리상담센터 구성원은 보건복지부 또는 심리치료 관련 학회가 공인한 전문 자격을 갖춘 심리상담사로 구성했다.심리상담센터에서는 민·형사, 학교폭력, 산업재해 등 다양한 사건에 발생하는 심리적 상처를 완화하고 의뢰인이 보다 안정적으로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주요 상담 주제는 ▲이혼, 가족 내 갈등에 따른 트라우마 치유 ▲아동·청소년 대상 법적 분쟁 관련 심리 치료 ▲범죄 피해자의 트라우마 회복 및 피고인 대상 재범 방지 교육 ▲산업재해 및 의료사고 후 심리 회복 ▲도박·마약·음주 중독 대응 ▲학교·직장 내 적응 문제 및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법적 분쟁과 관계된 폭넓은 분야에서 심리 회복을 지원한다.상담은 심리검사와 일대일 해석 상담, 의뢰인의 주 호소 문제를 고려한 상담 목표 설정 등 전문적인 심리치료 과정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대면 상담, 비대면 상담 모두 가능하다.의뢰인이 요청할 경우 치료 과정에서 발행하는 심리평가 보고서는 엄벌 탄원 자료, 양형 자료, 재범 방지 교육자료 등 사건 수행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 대표는 “법률 서비스는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사람의 마음을 다루는 일이다. 심리상담센터를 통해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의뢰인의 심리적 회복까지 책임지는 로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앞서 고객 만족도 조사에서 98%의 긍정 응답을 기록하는 등 고객 중심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치…“법적 조력부터 일상 회복까지 지원”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심리상담센터 설립, 의뢰인의 심리적 안정‧치유 서비스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2025-06-02
법무법인 대륜‧성남시학원연합회, 불법 사교육 근절 ‘맞손’
법무법인 대륜‧성남시학원연합회, 불법 사교육 근절 ‘맞손’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달 27일 사단법인 성남시학원연합회와 불법 사교육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성남시학원연합회는 성남지역 학원 원장 등 총 2000여명이 가입돼 있는 단체로 회원 학원의 권익을 보호하고 의사를 대변한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학원 관련 법령 및 제도개선 자문 △학원 운영 등 법적 이슈 검토 ▲분쟁 발생 시 대응 등 불·탈법 개인과외 규제 단속을 위한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성남시학원연합회 박유서 회장은 “건전한 사교육 문화 정착을 위해 불·탈법 과외공부방과의 전쟁을 선언하고, 불법 개인과외 교습 등에 대해 집중적인 예방 캠페인을 벌이겠다”라며 “아울러 불법 개인과외교습이 근절될 수 있도록 대륜의 전문적인 법률 지원을 바란다”라고 말했다. 대륜 박성동 대표변호사는 “양사가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라며 “불법 사교육 카르텔과 부조리를 줄여 건전한 사교육 문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로펌 차원에서 최대한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성남시학원연합회, 불법 사교육 근절 ‘맞손’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2025-06-02
법무법인 대륜‧성남시학원연합회, 불법 사교육 근절 ‘맞손’
법무법인 대륜‧성남시학원연합회, 불법 사교육 근절 ‘맞손’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달 27일 사단법인 성남시학원연합회와 불법 사교육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성남시학원연합회는 성남지역 학원 원장 등 총 2000여명이 가입돼 있는 단체로 회원 학원의 권익을 보호하고 의사를 대변한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학원 관련 법령 및 제도개선 자문 △학원 운영 등 법적 이슈 검토 ▲분쟁 발생 시 대응 등 불·탈법 개인과외 규제 단속을 위한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성남시학원연합회 박유서 회장은 “건전한 사교육 문화 정착을 위해 불·탈법 과외공부방과의 전쟁을 선언하고, 불법 개인과외 교습 등에 대해 집중적인 예방 캠페인을 벌이겠다”라며 “아울러 불법 개인과외교습이 근절될 수 있도록 대륜의 전문적인 법률 지원을 바란다”라고 말했다. 대륜 박성동 대표변호사는 “양사가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라며 “불법 사교육 카르텔과 부조리를 줄여 건전한 사교육 문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로펌 차원에서 최대한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성남시학원연합회, 불법 사교육 근절 ‘맞손’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30
재정난 숨긴 채 물품 받은 제조업 대표, 사기 혐의 무혐의..왜?
재정난 숨긴 채 물품 받은 제조업 대표, 사기 혐의 무혐의..왜?
재정난을 숨긴 채 상대 업체와 물품 공급 계약을 맺고,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입건된 제조업 대표에게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30일 충남 아산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사기 혐의로 입건된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이 나왔습니다.생산장비 제작업체의 등기상 대표이사인 A씨는 실제 사업을 실질적 대표인 B씨에게 일임해 왔습니다.사업 전반을 총괄하던 B씨는 지난 2023년 9월쯤 거래처와 2억 1,000만 원 상당의 물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하지만 당시 회사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계약을 맺은 업체에 대금을 지급할 여력 역시 없었습니다.그러나 B씨는 이같은 사실을 숨기고 계약을 진행했고, 피해 업체로부터 계속해서 물건을 조달받았습니다.결국 거래처는 대금 2,000만 원만 지급받고 나머지 1억 9,000만 원을 돌려받지 못했고, 이에 A씨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습니다.B씨로부터 회사의 재정적 상황 등에 대해 보고를 받지 못했던 A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모든 사업을 B씨가 관여했으며, 계약 진행 여부조차 상의 없이 이뤄졌다는 주장이었습니다.경찰 역시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범죄행위에 가담했다는 객관적인 증거자료가 없어 B씨와 공모해 고소인을 속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남상관 변호사는 "회사의 곤란한 운영 상황을 보고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운영한 B씨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건"이라며 "A씨는 명의상 대표에 불과하며, 본 사건과 관련해 B씨와 공동가공의 의사나 실행이 전무했다"고 설명했습니다.또 "A씨는 B씨에게 회사 운영을 일임했고, 프로젝트 등 사업 수행이나 거래처 선별·자재 구입·매출 등 전체적인 부분에서 A씨가 참여한 바가 전혀 없었다"며 "따라서 A씨는 형사상 책임을 질 이유가 없다"고 부연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재정난 숨긴 채 물품 받은 제조업 대표, 사기 혐의 무혐의..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30
재정난 숨긴 채 물품 받은 제조업 대표, 사기 혐의 무혐의..왜?
재정난 숨긴 채 물품 받은 제조업 대표, 사기 혐의 무혐의..왜?
재정난을 숨긴 채 상대 업체와 물품 공급 계약을 맺고,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입건된 제조업 대표에게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30일 충남 아산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사기 혐의로 입건된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이 나왔습니다.생산장비 제작업체의 등기상 대표이사인 A씨는 실제 사업을 실질적 대표인 B씨에게 일임해 왔습니다.사업 전반을 총괄하던 B씨는 지난 2023년 9월쯤 거래처와 2억 1,000만 원 상당의 물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하지만 당시 회사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계약을 맺은 업체에 대금을 지급할 여력 역시 없었습니다.그러나 B씨는 이같은 사실을 숨기고 계약을 진행했고, 피해 업체로부터 계속해서 물건을 조달받았습니다.결국 거래처는 대금 2,000만 원만 지급받고 나머지 1억 9,000만 원을 돌려받지 못했고, 이에 A씨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습니다.B씨로부터 회사의 재정적 상황 등에 대해 보고를 받지 못했던 A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모든 사업을 B씨가 관여했으며, 계약 진행 여부조차 상의 없이 이뤄졌다는 주장이었습니다.경찰 역시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범죄행위에 가담했다는 객관적인 증거자료가 없어 B씨와 공모해 고소인을 속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남상관 변호사는 "회사의 곤란한 운영 상황을 보고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운영한 B씨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건"이라며 "A씨는 명의상 대표에 불과하며, 본 사건과 관련해 B씨와 공동가공의 의사나 실행이 전무했다"고 설명했습니다.또 "A씨는 B씨에게 회사 운영을 일임했고, 프로젝트 등 사업 수행이나 거래처 선별·자재 구입·매출 등 전체적인 부분에서 A씨가 참여한 바가 전혀 없었다"며 "따라서 A씨는 형사상 책임을 질 이유가 없다"고 부연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재정난 숨긴 채 물품 받은 제조업 대표, 사기 혐의 무혐의..왜?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30
배우자와 ‘횡령 모의 혐의’ 남성…검찰 “관여 정황 없어” 불기소
배우자와 ‘횡령 모의 혐의’ 남성…검찰 “관여 정황 없어” 불기소
사측 “부부가 함께 23억 빼돌려” 주장檢 “계좌분석 결과 공모로 볼 수 없어” 배우자와 함께 회삿돈을 빼돌렸다는 이유로 검찰에 넘겨진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달 28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혐의로 송치된 50대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배우자 B 씨와 공모해 2015년부터 8년간 4700여 차례에 걸쳐 B 씨가 근무하던 회사 계좌에서 약 23억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았다.먼저 횡령 혐의로 기소된 B 씨는 실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사측은 B 씨가 횡령한 금액 대부분을 A 씨를 위해 사용했고 이를 통해 과도하게 많은 보험에 가입했다며, 두 사람의 공모를 주장했다. 또 A 씨가 B 씨의 구속 이후 가입된 모든 보험을 해지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사건이 경찰에 접수되고 난 후에야 이 같은 사실을 알게 됐고, 배우자의 범행 사실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아울러 사측이 보험금을 압류했기에 추가 납입할 이유가 없어 보험을 해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경찰은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경찰은 “B 씨의 계좌 분석 결과 피의자가 범행에 관여했다고 볼만한 사정이 없다”며 “B 씨 역시 피의자가 범행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진술한 점을 봤을 때 횡령을 공모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사측은 이의 신청을 제기해 사건이 검찰로 송치됐으나, 검찰 역시 같은 이유로 불기소 결정했다.이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변관훈 변호사는 “가계 관리는 B 씨가 담당하고 있었기에 A 씨로서는 얼마를 횡령했는지는 물론 범행 발생 사실 자체를 알기 어려웠다”며 “A 씨의 지출 내역도 횡령된 금원이 아닌 A 씨의 근로소득으로 이뤄졌던 점을 입증해 무혐의 처분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배우자와 ‘횡령 모의 혐의’ 남성…검찰 “관여 정황 없어” 불기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30
배우자와 ‘횡령 모의 혐의’ 남성…검찰 “관여 정황 없어” 불기소
배우자와 ‘횡령 모의 혐의’ 남성…검찰 “관여 정황 없어” 불기소
사측 “부부가 함께 23억 빼돌려” 주장檢 “계좌분석 결과 공모로 볼 수 없어” 배우자와 함께 회삿돈을 빼돌렸다는 이유로 검찰에 넘겨진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달 28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혐의로 송치된 50대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배우자 B 씨와 공모해 2015년부터 8년간 4700여 차례에 걸쳐 B 씨가 근무하던 회사 계좌에서 약 23억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았다.먼저 횡령 혐의로 기소된 B 씨는 실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사측은 B 씨가 횡령한 금액 대부분을 A 씨를 위해 사용했고 이를 통해 과도하게 많은 보험에 가입했다며, 두 사람의 공모를 주장했다. 또 A 씨가 B 씨의 구속 이후 가입된 모든 보험을 해지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사건이 경찰에 접수되고 난 후에야 이 같은 사실을 알게 됐고, 배우자의 범행 사실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아울러 사측이 보험금을 압류했기에 추가 납입할 이유가 없어 보험을 해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경찰은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경찰은 “B 씨의 계좌 분석 결과 피의자가 범행에 관여했다고 볼만한 사정이 없다”며 “B 씨 역시 피의자가 범행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진술한 점을 봤을 때 횡령을 공모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이에 불복한 사측은 이의 신청을 제기해 사건이 검찰로 송치됐으나, 검찰 역시 같은 이유로 불기소 결정했다.이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변관훈 변호사는 “가계 관리는 B 씨가 담당하고 있었기에 A 씨로서는 얼마를 횡령했는지는 물론 범행 발생 사실 자체를 알기 어려웠다”며 “A 씨의 지출 내역도 횡령된 금원이 아닌 A 씨의 근로소득으로 이뤄졌던 점을 입증해 무혐의 처분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배우자와 ‘횡령 모의 혐의’ 남성…검찰 “관여 정황 없어” 불기소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5-30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한때 사법시험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 ‘등용문’이었다. 특별한 배경 없이도 오직 실력 하나만으로 법조인의 길에 들어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제도는 완벽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을 현실로 만들어줬던 시절이 있었다.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제도가 도입된 지도 어느덧 17년이 지났다. 당시 이 제도는 ‘고시 낭인’ 문제를 해소하고, 실무성과 다양성을 갖춘 법조인을 양성하겠다는 목표 아래 출범했다. 필자 역시 사법시험의 폐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사람 중 한 명이다. 비현실적인 수험 환경과 비효율적 인재 선발 방식에 대한 문제의식은 분명했고, 제도 개혁의 필요성도 절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제도의 이상과 현실 사이에는 깊은 간극이 벌어지고 있다. 로스쿨은 겉으로 보기에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제도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출발선이 다르다. 2025년 현재 전국 25개 로스쿨 가운데 22개교의 합격생 80% 이상이 수도권 대학 출신이며, 이른바 SKY 대학 출신은 절반을 넘는다. 지방대학 출신은 5%에 불과한 실정이다. 형식적 개방성과 실질적 진입장벽의 괴리가 여실히 드러나는 지점이다.나아가, 로스쿨은 애초 지향했던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지닌 전문 법조인 양성’이라는 취지를 점차 상실하고 있다. 교육은 점차 변호사시험 합격만을 목표로 한 ‘학원형 구조’로 변질되고 있으며, 실무 중심이나 융합형 교육은 사실상 뒷전으로 밀려났다. 일부 학생들은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 수도권 로스쿨로 편입을 시도하거나 휴학을 반복하고 있고, 아예 사설 학원에서 시험을 준비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로 인해 로스쿨 제도는 점점 더 ‘고시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오히려 과거 사법시험의 병폐를 반복하는 구조로 되돌아가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제도적 왜곡은 법률시장의 구조적 한계와 맞물리며 더 큰 문제를 낳는다. 법률시장은 확장되지 못하고, 획일화된 배경과 사고방식을 지닌 법조인들만 늘어나면서 제한된 기회를 두고 경쟁하는 폐쇄적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이는 법조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저해할 뿐 아니라, 국민에게 제공되는 법률서비스의 품질과 접근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물론 사법시험이 이상적인 제도였다고 말할 수는 없다. 장기 수험과 과도한 경쟁은 많은 사회적·개인적 부작용을 초래했다. 그러나 사법시험은 누구든지 도전할 수 있는 열린 구조였고, 비수도권이나 비명문대 출신에게도 일정한 기회의 문을 열어주었다. 현재의 로스쿨 제도가 그조차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면, 사법시험의 부활이나 예비시험의 전면 확대를 다시 논의하는 것도 충분히 검토할 만한 방안이다.그러나 결국 중요한 것은 제도 간의 우열이 아니다. 진정으로 던져야 할 질문은 이것이다. “지금의 제도는 실력 있는 청년들에게 실제로 열려 있는가?” 제도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실현하고자 했던 가치와 이상을 끝까지 지켜내기 위한 수단이어야 한다. 로스쿨도 그 예외일 수 없다.대선이 시작된 지금, 정치권이 청년, 공정, 계층 이동의 회복을 말한다면, 법조인 양성 제도 역시 정파를 넘어선 공론의 장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이는 단지 시험 제도의 존폐를 다투는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사회가 과연 기회의 평등을 실질적으로 어디까지 보장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다.법조계에서 시작되는 변화의 약속이, 더 많은 국민에게 다시 한번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다”는 희망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5-30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한때 사법시험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 ‘등용문’이었다. 특별한 배경 없이도 오직 실력 하나만으로 법조인의 길에 들어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제도는 완벽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을 현실로 만들어줬던 시절이 있었다.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제도가 도입된 지도 어느덧 17년이 지났다. 당시 이 제도는 ‘고시 낭인’ 문제를 해소하고, 실무성과 다양성을 갖춘 법조인을 양성하겠다는 목표 아래 출범했다. 필자 역시 사법시험의 폐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사람 중 한 명이다. 비현실적인 수험 환경과 비효율적 인재 선발 방식에 대한 문제의식은 분명했고, 제도 개혁의 필요성도 절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제도의 이상과 현실 사이에는 깊은 간극이 벌어지고 있다. 로스쿨은 겉으로 보기에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제도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출발선이 다르다. 2025년 현재 전국 25개 로스쿨 가운데 22개교의 합격생 80% 이상이 수도권 대학 출신이며, 이른바 SKY 대학 출신은 절반을 넘는다. 지방대학 출신은 5%에 불과한 실정이다. 형식적 개방성과 실질적 진입장벽의 괴리가 여실히 드러나는 지점이다.나아가, 로스쿨은 애초 지향했던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지닌 전문 법조인 양성’이라는 취지를 점차 상실하고 있다. 교육은 점차 변호사시험 합격만을 목표로 한 ‘학원형 구조’로 변질되고 있으며, 실무 중심이나 융합형 교육은 사실상 뒷전으로 밀려났다. 일부 학생들은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 수도권 로스쿨로 편입을 시도하거나 휴학을 반복하고 있고, 아예 사설 학원에서 시험을 준비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로 인해 로스쿨 제도는 점점 더 ‘고시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오히려 과거 사법시험의 병폐를 반복하는 구조로 되돌아가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제도적 왜곡은 법률시장의 구조적 한계와 맞물리며 더 큰 문제를 낳는다. 법률시장은 확장되지 못하고, 획일화된 배경과 사고방식을 지닌 법조인들만 늘어나면서 제한된 기회를 두고 경쟁하는 폐쇄적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이는 법조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저해할 뿐 아니라, 국민에게 제공되는 법률서비스의 품질과 접근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물론 사법시험이 이상적인 제도였다고 말할 수는 없다. 장기 수험과 과도한 경쟁은 많은 사회적·개인적 부작용을 초래했다. 그러나 사법시험은 누구든지 도전할 수 있는 열린 구조였고, 비수도권이나 비명문대 출신에게도 일정한 기회의 문을 열어주었다. 현재의 로스쿨 제도가 그조차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면, 사법시험의 부활이나 예비시험의 전면 확대를 다시 논의하는 것도 충분히 검토할 만한 방안이다.그러나 결국 중요한 것은 제도 간의 우열이 아니다. 진정으로 던져야 할 질문은 이것이다. “지금의 제도는 실력 있는 청년들에게 실제로 열려 있는가?” 제도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실현하고자 했던 가치와 이상을 끝까지 지켜내기 위한 수단이어야 한다. 로스쿨도 그 예외일 수 없다.대선이 시작된 지금, 정치권이 청년, 공정, 계층 이동의 회복을 말한다면, 법조인 양성 제도 역시 정파를 넘어선 공론의 장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이는 단지 시험 제도의 존폐를 다투는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사회가 과연 기회의 평등을 실질적으로 어디까지 보장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다.법조계에서 시작되는 변화의 약속이, 더 많은 국민에게 다시 한번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다”는 희망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바로가기) 한국법률일보 - [기고] 도입 취지 퇴색된 로스쿨, 법조인 양성 제도 전면 개편해야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30
反기업 정서 올라타 여론재판화… 이겨도 이긴게 아닌 기업
反기업 정서 올라타 여론재판화… 이겨도 이긴게 아닌 기업
집단소송, 권리인가 권력인가 (3)경미한 꼬투리 잡아 무차별 소송거액 합의금 목적인 블랙 컨슈머기업은 피소 사실만으로도 타격사회통념 넘어선 주장과 배상액재판부는 받아들이지 않는 추세 집단소송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법적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 그만큼 소송 문턱이 낮아 남용 우려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따라서 집단소송제도 추진 과정에서 균형점을 찾지 않으면, 거액의 합의금을 노리는 '블랙 컨슈머 소송'이 잇따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집단소송이 활성화된 미국이 대표적인 선례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집단소송에서 원고 측의 주장이나 청구가 지나치게 과도한 것으로 평가되는 사건은 판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지난해 4월 '동양사태'로 불린 동양증권(현 유안타증권) 집단소송도 법원이 배상금을 요구하는 집단소송 참가자의 주장을 배척하고 기업 측의 손을 들어줬다. 이 소송은 지난 2013년 동양그룹이 상환능력이 없음에도 회사채를 팔아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는 의혹으로 촉발됐다. 피해자 1200여명은 동양증권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지만 법원은 "동양증권의 증권신고서에 중요사항의 거짓 기재나 기재 누락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며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합리적인 투자자라면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게 법원의 판단이었다. 이 판결은 대법원의 상고 각하로 그대로 확정됐다. 그러나 10년간 법적 다툼이 이어지면서 집단소송 당사자들과 기업 양측 모두 손실을 입었다.네이트와 싸이월드 서버 해킹 사건도 유사하다. 당시 중국 해커가 3490만명의 개인정보를 빼돌렸고, 이 가운데 2만여명은 SK커뮤니케이션즈를 상대로 1인당 30만원의 위자료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2018년 대법원은 사측이 당시 침입차단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던 점을 고려할 때 "사회통념상 합리적으로 기대 가능한 정도의 보호조치를 다하지 않았다고 볼 수 없다"고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아이폰 사용자 299명이 애플을 상대로 낸 위치정보 무단 수집 관련 손해배상 소송도 7년간 이어졌으나, 대법원은 2018년 원고 패소 판결을 확정했다. 대법원은 수집된 정보로 특정 기기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없고, 정보수집 버그는 기술 정착 과정에서 발생한 '시행착오'라고 봤다.대형로펌 출신 판사는 "집단소송이 남용되면 원치 않는 사람까지 소송에 끌려 들어갈 수 있다"며 "예전부터 반(反)기업적 제도로 인식돼 왔다"고 지적했다.소비자 보호법이 강력한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은 집단소송 제도가 잘 발달돼 있다. 이로 인해 다수의 소비자가 기업을 고소하는 집단소송도 흔하다. 은행, 소매업체, 기술 기업이 이들의 주요 타깃이며, 소송은 매년 수만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블랙 컨슈머 소송이 과도하게 제기되거나 경미한 문제의 소송도 남발하는 부작용이 상존한다. 소송비용과 합의금은 기업의 재정적 부담으로 이어지고,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 대형로펌 변호사는 "원고 수가 많아질수록 기업의 부담은 커진다"며 "현재는 원고들의 주장도 제각각이어서 사법부 입장에서도 재판 진행에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다만 남소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반론 역시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지민희 변호사는 "소송 '남발'이 반드시 해악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제도 도입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소송은 사법 심사를 통해 정당성과 한계가 정비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고 반박했다.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2020년 12월 집단소송제 법무부 공청회에서 "집단소송 대상에 중소기업이 포함될 여지가 많고 '블랙 컨슈머 소송'도 증가할 수 있다"면서 "재판에서 승소하더라도 피소 사실만으로 소비자 신뢰가 약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최은솔 기자 (scottchoi15@fnnews.com) [기사전문보기] 反기업 정서 올라타 여론재판화… 이겨도 이긴게 아닌 기업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30
反기업 정서 올라타 여론재판화… 이겨도 이긴게 아닌 기업
反기업 정서 올라타 여론재판화… 이겨도 이긴게 아닌 기업
집단소송, 권리인가 권력인가 (3)경미한 꼬투리 잡아 무차별 소송거액 합의금 목적인 블랙 컨슈머기업은 피소 사실만으로도 타격사회통념 넘어선 주장과 배상액재판부는 받아들이지 않는 추세 집단소송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법적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 그만큼 소송 문턱이 낮아 남용 우려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따라서 집단소송제도 추진 과정에서 균형점을 찾지 않으면, 거액의 합의금을 노리는 '블랙 컨슈머 소송'이 잇따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집단소송이 활성화된 미국이 대표적인 선례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집단소송에서 원고 측의 주장이나 청구가 지나치게 과도한 것으로 평가되는 사건은 판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지난해 4월 '동양사태'로 불린 동양증권(현 유안타증권) 집단소송도 법원이 배상금을 요구하는 집단소송 참가자의 주장을 배척하고 기업 측의 손을 들어줬다. 이 소송은 지난 2013년 동양그룹이 상환능력이 없음에도 회사채를 팔아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는 의혹으로 촉발됐다. 피해자 1200여명은 동양증권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지만 법원은 "동양증권의 증권신고서에 중요사항의 거짓 기재나 기재 누락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며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합리적인 투자자라면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게 법원의 판단이었다. 이 판결은 대법원의 상고 각하로 그대로 확정됐다. 그러나 10년간 법적 다툼이 이어지면서 집단소송 당사자들과 기업 양측 모두 손실을 입었다.네이트와 싸이월드 서버 해킹 사건도 유사하다. 당시 중국 해커가 3490만명의 개인정보를 빼돌렸고, 이 가운데 2만여명은 SK커뮤니케이션즈를 상대로 1인당 30만원의 위자료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2018년 대법원은 사측이 당시 침입차단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던 점을 고려할 때 "사회통념상 합리적으로 기대 가능한 정도의 보호조치를 다하지 않았다고 볼 수 없다"고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아이폰 사용자 299명이 애플을 상대로 낸 위치정보 무단 수집 관련 손해배상 소송도 7년간 이어졌으나, 대법원은 2018년 원고 패소 판결을 확정했다. 대법원은 수집된 정보로 특정 기기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없고, 정보수집 버그는 기술 정착 과정에서 발생한 '시행착오'라고 봤다.대형로펌 출신 판사는 "집단소송이 남용되면 원치 않는 사람까지 소송에 끌려 들어갈 수 있다"며 "예전부터 반(反)기업적 제도로 인식돼 왔다"고 지적했다.소비자 보호법이 강력한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은 집단소송 제도가 잘 발달돼 있다. 이로 인해 다수의 소비자가 기업을 고소하는 집단소송도 흔하다. 은행, 소매업체, 기술 기업이 이들의 주요 타깃이며, 소송은 매년 수만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블랙 컨슈머 소송이 과도하게 제기되거나 경미한 문제의 소송도 남발하는 부작용이 상존한다. 소송비용과 합의금은 기업의 재정적 부담으로 이어지고,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 대형로펌 변호사는 "원고 수가 많아질수록 기업의 부담은 커진다"며 "현재는 원고들의 주장도 제각각이어서 사법부 입장에서도 재판 진행에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다만 남소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반론 역시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지민희 변호사는 "소송 '남발'이 반드시 해악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제도 도입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소송은 사법 심사를 통해 정당성과 한계가 정비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고 반박했다.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2020년 12월 집단소송제 법무부 공청회에서 "집단소송 대상에 중소기업이 포함될 여지가 많고 '블랙 컨슈머 소송'도 증가할 수 있다"면서 "재판에서 승소하더라도 피소 사실만으로 소비자 신뢰가 약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최은솔 기자 (scottchoi15@fnnews.com) [기사전문보기] 反기업 정서 올라타 여론재판화… 이겨도 이긴게 아닌 기업 (바로가기)
한국교육신문
2025-05-29
교권 회복 위해 지원 나선 변호사들
교권 회복 위해 지원 나선 변호사들
한국교총과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사진 오른쪽)은 29일 서울 서초구 교총회관에서 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분쟁 및 법률적 문제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 주요 내용은 ▲교총 회원의 교권 침해 회복을 위한 법률 상담 ▲교총의 입법, 법률 해석 요청 등 법률 자문 ▲학생 및 교원 대상 법률교육 지원 ▲교권 및 법률 관련 공동연구(세미나 등) 추진 및 수탁 등이다. 협약식에서 강주호 교총회장은 “최근 제주 교사 사망사건처럼 현장 선생님들은 심각한 악성 민원,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등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교원들에게 전문적 법률 지원을 제공하고, 교권 회복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교권 회복 위해 지원 나선 변호사들 (바로가기)
한국교육신문
2025-05-29
교권 회복 위해 지원 나선 변호사들
교권 회복 위해 지원 나선 변호사들
한국교총과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사진 오른쪽)은 29일 서울 서초구 교총회관에서 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분쟁 및 법률적 문제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 주요 내용은 ▲교총 회원의 교권 침해 회복을 위한 법률 상담 ▲교총의 입법, 법률 해석 요청 등 법률 자문 ▲학생 및 교원 대상 법률교육 지원 ▲교권 및 법률 관련 공동연구(세미나 등) 추진 및 수탁 등이다. 협약식에서 강주호 교총회장은 “최근 제주 교사 사망사건처럼 현장 선생님들은 심각한 악성 민원,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등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교원들에게 전문적 법률 지원을 제공하고, 교권 회복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교권 회복 위해 지원 나선 변호사들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29
[단독]'SKT 해킹' 집단소송인 "미국식 도입 대선 공약 요청"
[단독]'SKT 해킹' 집단소송인 "미국식 도입 대선 공약 요청"
단체소송 법무법인, 국회에 제안서 전달키로손배 판결 전체 피해자에 적용 '옵트아웃' 등 요구"단체소송 제도 보완해 집단 권리 실현"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으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 235명이 SKT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 나선 가운데, 피해자들은 현행 단체소송 제도 대신 판결의 효력이 전체 피해자에게 미치는 '미국식 집단소송(Class Action)'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SKT 단체소송 피해자 일동과 소송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은 오는 30일 이 같은 취지의 입법 제안서를 국회 법사위와 과학기술방통위원회에 송부할 예정이다. 대선 공약으로도 추가 요청할 계획이다.이들이 요구하는 미국식 집단소송은 다수의 소비자나 투자자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인에 의해 소액의 손해를 입었을 때 판결의 효력이 전체 피해자에게 미치도록 규정한다. 대표자가 전체 피해자를 대표해 일괄로 소송을 제기한다. 환경·공해·소비자 피해·증권거래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 가능하다.미국식 집단소송은 △효율적으로 소액·다수 피해 구제 △기업에 대한 억지력과 피해 회복 가능성 증가 △별도의 적극적 동의 없이 판결의 효력을 받는 '옵트아웃 방식'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피해자 누구라도 집단의 이익을 위해 소송을 제기해 승소하면 별도 제외신청을 하지 않는 한 옵트아웃이 적용된다.실제 지난 2021년 미국 T-모바일 해킹 사건으로 사회보장번호, 운전면허증 정보 등 7660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이후 소송이 진행돼 5억달러(약 6550억원)의 합의금이 지급됐다. 개인당 최대 2500달러(약 328만원)의 보상이 이뤄졌다.반면 우리의 단체소송 중 소비자단체소송은 일정 요건을 갖춘 소비자단체 등이 다수 소비자의 권익을 침해하는 사업자의 위법행위를 금지·중지 청구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그러나 이는 금전적 손해배상청구까지는 요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아울러 우리 단체소송은 미국과 달리 공동소송 방식이다. 피해자가 직접 소송에 참여해야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징벌적 손해배상이나 자동적인 전체 피해자 구제로 이어지지 않는다. 이런 제도적 한계로 인해 SKT 단체소송의 실질적 배상 규모나 사회적 파장이 미국에 비해 현저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대륜 관계자는 "미국식 집단소송은 소극적인 피해자도 보호할 수 있어 집단 전체의 권리 실현에 효과적이지만 우리 제도의 한계로 인해 실제 배상 규모와 기업 책임은 미국에 비해 여전히 낮다"고 우려했다.이어 "기존의 소비자단체소송 제도를 보완하고, 옵트아웃 방식과 남소 방지장치를 함께 마련하는 등 미국의 장점을 받아들이는 입법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예지 기자 (yesj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단독]'SKT 해킹' 집단소송인 "미국식 도입 대선 공약 요청"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29
[단독]'SKT 해킹' 집단소송인 "미국식 도입 대선 공약 요청"
[단독]'SKT 해킹' 집단소송인 "미국식 도입 대선 공약 요청"
단체소송 법무법인, 국회에 제안서 전달키로손배 판결 전체 피해자에 적용 '옵트아웃' 등 요구"단체소송 제도 보완해 집단 권리 실현"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으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 235명이 SKT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 나선 가운데, 피해자들은 현행 단체소송 제도 대신 판결의 효력이 전체 피해자에게 미치는 '미국식 집단소송(Class Action)'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SKT 단체소송 피해자 일동과 소송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은 오는 30일 이 같은 취지의 입법 제안서를 국회 법사위와 과학기술방통위원회에 송부할 예정이다. 대선 공약으로도 추가 요청할 계획이다.이들이 요구하는 미국식 집단소송은 다수의 소비자나 투자자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인에 의해 소액의 손해를 입었을 때 판결의 효력이 전체 피해자에게 미치도록 규정한다. 대표자가 전체 피해자를 대표해 일괄로 소송을 제기한다. 환경·공해·소비자 피해·증권거래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 가능하다.미국식 집단소송은 △효율적으로 소액·다수 피해 구제 △기업에 대한 억지력과 피해 회복 가능성 증가 △별도의 적극적 동의 없이 판결의 효력을 받는 '옵트아웃 방식'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피해자 누구라도 집단의 이익을 위해 소송을 제기해 승소하면 별도 제외신청을 하지 않는 한 옵트아웃이 적용된다.실제 지난 2021년 미국 T-모바일 해킹 사건으로 사회보장번호, 운전면허증 정보 등 7660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이후 소송이 진행돼 5억달러(약 6550억원)의 합의금이 지급됐다. 개인당 최대 2500달러(약 328만원)의 보상이 이뤄졌다.반면 우리의 단체소송 중 소비자단체소송은 일정 요건을 갖춘 소비자단체 등이 다수 소비자의 권익을 침해하는 사업자의 위법행위를 금지·중지 청구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그러나 이는 금전적 손해배상청구까지는 요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아울러 우리 단체소송은 미국과 달리 공동소송 방식이다. 피해자가 직접 소송에 참여해야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징벌적 손해배상이나 자동적인 전체 피해자 구제로 이어지지 않는다. 이런 제도적 한계로 인해 SKT 단체소송의 실질적 배상 규모나 사회적 파장이 미국에 비해 현저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대륜 관계자는 "미국식 집단소송은 소극적인 피해자도 보호할 수 있어 집단 전체의 권리 실현에 효과적이지만 우리 제도의 한계로 인해 실제 배상 규모와 기업 책임은 미국에 비해 여전히 낮다"고 우려했다.이어 "기존의 소비자단체소송 제도를 보완하고, 옵트아웃 방식과 남소 방지장치를 함께 마련하는 등 미국의 장점을 받아들이는 입법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예지 기자 (yesj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단독]'SKT 해킹' 집단소송인 "미국식 도입 대선 공약 요청"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29
“대형로펌 중 유일하게 SKT 소송전 앞장…국민적 요구·사명 때문”
“대형로펌 중 유일하게 SKT 소송전 앞장…국민적 요구·사명 때문”
법무법인 대륜 특수부 조영곤·여상원 대표변호사 인터뷰“사상 초유 해킹 사태…SKT 고의·과실 책임 입증해 사법 정의 실현”“어떤 비난·압박 있더라도 국민 편에서 대형로펌 의무 다할 것” 강조 사상 초유의 서버 해킹 사태가 벌어진 지 한 달이 지났지만, SK텔레콤(SKT)에 대한 국민적 분노는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약 2300만 명의 가입자 유심 정보가 유출됐으나, 이렇다 할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법무법인 대륜은 책임자 처벌을 위한 형사 고소·고발 절차에 착수했고, 피해를 입은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법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27일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 지급을 구하는 민사소송도 제기했다.대륜은 사태 발생 초기부터 특별수행본부(특수부)가 사건을 맡아 수행하고 있다. 특수부는 본부장 주도로 전문 변호사를 조직해 중대형 사건만을 전문적으로 이끄는 조직으로, 40년 가까이 법조계에서 경력을 쌓은 법률 베테랑들이 선두에서 사건을 처리한다.이번 소송전을 총괄 지휘하고 있는 특수부 본부장 겸 특수 2부장인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사법연수원 16기) 대표변호사는 “SKT 사태와 관련해 목소리를 내고 집단소송을 진행하는 건 대형로펌 중 대륜이 유일하다”며 “대부분의 대형로펌이 기업을 고객으로 상대하고 있어 이번 사안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 피해가 분명함에도 그 피해를 외면하고 있는데, 이는 대단히 무책임한 행태다”라고 꼬집었다.실제 대형로펌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엮이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다. 피해자들을 대리했다가 재계 서열 2위인 SK그룹에 밉보일 수 있어서다. 대형로펌의 경우 기업을 주 고객으로 삼고 있어, 민감한 소송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법조계 내부적으로도 집단소송 승소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SKT의 과실과 인과관계를 증명해야 하는데, 2차 피해에 대한 기술적 증거를 모으기란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특수 1부장인 여상원(연수원 17기) 대표변호사는 “기껏해야 몇 십만원 받을 수 있는 소송이라느니, 분명 패소할 것이라는 등 무수한 압박들이 존재하는 상황”이라면서도 “하지만 이번 소송은 단순히 개인의 권리 구제를 넘어, 국민의 개인정보 권리를 지키기 위한 공익적 소송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고발, 소송이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인식에 맞선 이유는 국민의 권리가 기업의 이윤보다 가볍게 취급되는 구조에 제동을 걸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위자료 액수와 관련해서는 기존 유사 사건과 비교해 분석했다. 여 변호사는 “은행 등 개인정보 유출사건에서 법원은 대체적으로 위자료를 10만~30만원 한도로 인정해왔다”며 “그러나 이번 건은 휴대폰이 본인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현 상황에서 통신사업자가 유심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지 못해 발생했다. 따라서 과거 사안보다 엄격히 책임을 물어 배상액을 인당 100만원으로 책정해 소송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이어 “상대방의 지배 범위 내에서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SKT가 과실 없음을 밝히기 어려운 이상 재판 결론은 우리 측에 유리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형사 처벌의 경우, 경찰 수사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조사 등에 따라 수위가 달라질 수 있어 구체적으로 예상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조영곤 변호사는 “SKT의 정보보호 조치 전반에 대한 의도적인 비용 축소, 한국인터넷진흥원 신고 과정에서의 부실 대응에 대해 공익적 측면에서 엄중히 수사해 줄 것을 요청했다”며 “형사책임 및 중과실 여부 적용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해외에서는 개인정보 유출사고와 관련해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추세다. 수천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은 물론 징벌적 손해배상으로 실제 받은 손해보다 무거운 배상책임을 물려 기업들의 불법 행위를 엄격히 다스리고 있다. 실제 미국의 3대 통신사 중 하나인 T모바일 역시 2021년 해킹으로 7760만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바 있는데, 당시 합의금으로 약 4590억원을 배상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피해 고객은 피해 규모에 따라 최대 약 3200만원의 배상을 받기도 했다.조 변호사는 “해외의 경우 대형로펌들이 소비자 집단소송을 통해 기업의 책임을 묻는 사례가 많다. 소비자들의 선택권, 알권리, 안전권 등이 모두 보장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고 있다”며 “우리도 시도를 하지 않았을 뿐, 해외 사례처럼 피해자들을 위해 법률 조력을 아끼지 않는다면 충분히 승소 가능성이 있다. ‘이길 수 없는 싸움’이라는 세간의 평가를 뒤집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조 변호사는 또 “어떤 형태의 비난이나 압박이 있더라도 오로지 피해자인 국민의 편에 서겠다. 국민의 대표로서 사명감을 갖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소송에 임할 것이다”며 “대륜은 대형로펌의 의무를 다할 것이며, 더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대형로펌 중 유일하게 SKT 소송전 앞장…국민적 요구·사명 때문”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29
“대형로펌 중 유일하게 SKT 소송전 앞장…국민적 요구·사명 때문”
“대형로펌 중 유일하게 SKT 소송전 앞장…국민적 요구·사명 때문”
법무법인 대륜 특수부 조영곤·여상원 대표변호사 인터뷰“사상 초유 해킹 사태…SKT 고의·과실 책임 입증해 사법 정의 실현”“어떤 비난·압박 있더라도 국민 편에서 대형로펌 의무 다할 것” 강조 사상 초유의 서버 해킹 사태가 벌어진 지 한 달이 지났지만, SK텔레콤(SKT)에 대한 국민적 분노는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약 2300만 명의 가입자 유심 정보가 유출됐으나, 이렇다 할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법무법인 대륜은 책임자 처벌을 위한 형사 고소·고발 절차에 착수했고, 피해를 입은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법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27일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 지급을 구하는 민사소송도 제기했다.대륜은 사태 발생 초기부터 특별수행본부(특수부)가 사건을 맡아 수행하고 있다. 특수부는 본부장 주도로 전문 변호사를 조직해 중대형 사건만을 전문적으로 이끄는 조직으로, 40년 가까이 법조계에서 경력을 쌓은 법률 베테랑들이 선두에서 사건을 처리한다.이번 소송전을 총괄 지휘하고 있는 특수부 본부장 겸 특수 2부장인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사법연수원 16기) 대표변호사는 “SKT 사태와 관련해 목소리를 내고 집단소송을 진행하는 건 대형로펌 중 대륜이 유일하다”며 “대부분의 대형로펌이 기업을 고객으로 상대하고 있어 이번 사안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 피해가 분명함에도 그 피해를 외면하고 있는데, 이는 대단히 무책임한 행태다”라고 꼬집었다.실제 대형로펌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엮이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다. 피해자들을 대리했다가 재계 서열 2위인 SK그룹에 밉보일 수 있어서다. 대형로펌의 경우 기업을 주 고객으로 삼고 있어, 민감한 소송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법조계 내부적으로도 집단소송 승소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SKT의 과실과 인과관계를 증명해야 하는데, 2차 피해에 대한 기술적 증거를 모으기란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특수 1부장인 여상원(연수원 17기) 대표변호사는 “기껏해야 몇 십만원 받을 수 있는 소송이라느니, 분명 패소할 것이라는 등 무수한 압박들이 존재하는 상황”이라면서도 “하지만 이번 소송은 단순히 개인의 권리 구제를 넘어, 국민의 개인정보 권리를 지키기 위한 공익적 소송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고발, 소송이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인식에 맞선 이유는 국민의 권리가 기업의 이윤보다 가볍게 취급되는 구조에 제동을 걸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위자료 액수와 관련해서는 기존 유사 사건과 비교해 분석했다. 여 변호사는 “은행 등 개인정보 유출사건에서 법원은 대체적으로 위자료를 10만~30만원 한도로 인정해왔다”며 “그러나 이번 건은 휴대폰이 본인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현 상황에서 통신사업자가 유심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지 못해 발생했다. 따라서 과거 사안보다 엄격히 책임을 물어 배상액을 인당 100만원으로 책정해 소송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이어 “상대방의 지배 범위 내에서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SKT가 과실 없음을 밝히기 어려운 이상 재판 결론은 우리 측에 유리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형사 처벌의 경우, 경찰 수사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조사 등에 따라 수위가 달라질 수 있어 구체적으로 예상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조영곤 변호사는 “SKT의 정보보호 조치 전반에 대한 의도적인 비용 축소, 한국인터넷진흥원 신고 과정에서의 부실 대응에 대해 공익적 측면에서 엄중히 수사해 줄 것을 요청했다”며 “형사책임 및 중과실 여부 적용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해외에서는 개인정보 유출사고와 관련해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추세다. 수천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은 물론 징벌적 손해배상으로 실제 받은 손해보다 무거운 배상책임을 물려 기업들의 불법 행위를 엄격히 다스리고 있다. 실제 미국의 3대 통신사 중 하나인 T모바일 역시 2021년 해킹으로 7760만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바 있는데, 당시 합의금으로 약 4590억원을 배상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피해 고객은 피해 규모에 따라 최대 약 3200만원의 배상을 받기도 했다.조 변호사는 “해외의 경우 대형로펌들이 소비자 집단소송을 통해 기업의 책임을 묻는 사례가 많다. 소비자들의 선택권, 알권리, 안전권 등이 모두 보장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고 있다”며 “우리도 시도를 하지 않았을 뿐, 해외 사례처럼 피해자들을 위해 법률 조력을 아끼지 않는다면 충분히 승소 가능성이 있다. ‘이길 수 없는 싸움’이라는 세간의 평가를 뒤집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조 변호사는 또 “어떤 형태의 비난이나 압박이 있더라도 오로지 피해자인 국민의 편에 서겠다. 국민의 대표로서 사명감을 갖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소송에 임할 것이다”며 “대륜은 대형로펌의 의무를 다할 것이며, 더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대형로펌 중 유일하게 SKT 소송전 앞장…국민적 요구·사명 때문”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28
현금영수증 무단 발급 혐의 40대 항소심도 무죄…법원 “대표자 묵시적 동의”
현금영수증 무단 발급 혐의 40대 항소심도 무죄…법원 “대표자 묵시적 동의”
식당 대표의 동의 없이 현금영수증을 발급했다가 사전자기록 위작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종업원이 대표의 지시에 따른 업무였던 점을 증명해 1심에 이어 항소심 재판부도 무죄를 선고받았다.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은 지난 4월 40대 여성 A씨의 사전자기록 위작 등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19년 11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식당 대표인 B씨의 동의 없이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다만 A씨는 B씨가 부가세 신고, 4대 보험 납부를 업무 등을 보게 했고, 이 과정에서 현금영수증, 세금 계산서 발행도 지시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검찰은 A씨에게 벌금 700만원을 구형했지만 1심은 무죄를 선고했다. 현금영수증을 발행하려면 사업자 대표 명의의 휴대전화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A씨가 B씨의 휴대전화를 입수한 정황이 업었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또 B씨가 A씨에게 부가가치세 납부를 지시하고 환급을 받으려 한 점을 고려해 회사 명의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사실을 인지했다고 봤다.항소심 재판부도 원심 판단이 옳다고 봤다. 법인 명의로 거래가 발생하면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발급은 당연히 뒤따르는 절차이므로, 최종 관리자의 별도 승인이 없었다고 해도 명시적, 묵시적으로 동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고승석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사전자기록위작 혐의가 인정되려면 타인의 전자기록을 허위로 작성하거나 변경해야 하는데, B씨는 다수의 세금 관련 업무를 A씨에게 위임했고, 이런 정황을 재판에서 잘 설명했기 때문에 원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현금영수증 무단 발급 혐의 40대 항소심도 무죄…법원 “대표자 묵시적 동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28
현금영수증 무단 발급 혐의 40대 항소심도 무죄…법원 “대표자 묵시적 동의”
현금영수증 무단 발급 혐의 40대 항소심도 무죄…법원 “대표자 묵시적 동의”
식당 대표의 동의 없이 현금영수증을 발급했다가 사전자기록 위작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종업원이 대표의 지시에 따른 업무였던 점을 증명해 1심에 이어 항소심 재판부도 무죄를 선고받았다.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은 지난 4월 40대 여성 A씨의 사전자기록 위작 등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19년 11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식당 대표인 B씨의 동의 없이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다만 A씨는 B씨가 부가세 신고, 4대 보험 납부를 업무 등을 보게 했고, 이 과정에서 현금영수증, 세금 계산서 발행도 지시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검찰은 A씨에게 벌금 700만원을 구형했지만 1심은 무죄를 선고했다. 현금영수증을 발행하려면 사업자 대표 명의의 휴대전화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A씨가 B씨의 휴대전화를 입수한 정황이 업었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또 B씨가 A씨에게 부가가치세 납부를 지시하고 환급을 받으려 한 점을 고려해 회사 명의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사실을 인지했다고 봤다.항소심 재판부도 원심 판단이 옳다고 봤다. 법인 명의로 거래가 발생하면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발급은 당연히 뒤따르는 절차이므로, 최종 관리자의 별도 승인이 없었다고 해도 명시적, 묵시적으로 동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고승석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사전자기록위작 혐의가 인정되려면 타인의 전자기록을 허위로 작성하거나 변경해야 하는데, B씨는 다수의 세금 관련 업무를 A씨에게 위임했고, 이런 정황을 재판에서 잘 설명했기 때문에 원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현금영수증 무단 발급 혐의 40대 항소심도 무죄…법원 “대표자 묵시적 동의”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5-28
[기고]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체계 정비와 산업계 전략적 대응
[기고]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체계 정비와 산업계 전략적 대응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이서형 변호사식약처 디지털의료기기 가이드라인 6종 제·개정을 중심으로 지난 5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6종을 제·개정했다. 이번 제·개정은 디지털헬스 기술 전반에 대한 규제 체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비시킨 조치로써 기업뿐만 아니라 병원, 연구기관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전략적인 대응이 요구될 것이다. 이번에 제·개정된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 제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 ■ 개정① 인공지능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②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③ 가상융합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의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④ 디지털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⑤ 인공지능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 임상시험방법 설계 가이드라인 이들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이 기술 유형에 따라 심사 기준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1. 인공지능 기술 적용기기(Machine Learning-enabled Medical Devices, MLMD) 식약처는 기계학습 기술을 활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① 소프트웨어가 의도한대로 작동하지 않아 환자에게 위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지 ② 소프트웨어가 의료인의 임상적 판단을 보장하는지를 중점적으로 고려해 디지털의료기기의 해당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인 허가·심사 요건으로는 △학습데이터의 정보·업데이트 예상 주기 등 특성 △민감도·특이도·AUC 등의 항목을 이용한 진단의 정확성 △시험데이터셋의 독립성·객관성 등을 기반으로 한 임상결과 등이 고려된다. 2. 가상융합기술 기반 디지털의료기기 한편 VR·AR·MR 기술이 적용된 기기가 의료기기로 판단되기 위해서는 사용목적이 질병의 진단, 치료 등에 해당해야 하며, 해당 기기의 구성과 작용원리가 그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환자 증상 개선과 같은 의료적 효능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자료가 부족할 경우 보완자료 제출 요구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비상정지장치 등 안전성 검증 △정확도·반응속도·영상재현 등 성능에 대한 검증이 주요 심사 항목으로 고려된다. 3. 내장형 vs 독립형 소프트웨어 제정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에서는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를 각각 독립형과 내장형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로서의 액세서리 또는 전자 인터페이스로 구분하고, 그 특성에 따라 신청서 및 서류제출 항목을 구분한다. 내장형의 경우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성능 또는 특성, 사용목적, 사용방법 등 외에 의료기기 하드웨어에 대한 자료를 함께 준비해 제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디지털치료기기의 경우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에 해당하므로 그에 따른 허가·심사 요건을 준수한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치료기기의 특성을 고려해 추가적으로 치료기전의 과학적(임상적) 작용원리, 임상시험 결과(허가 후 필요시 실사용 데이터(RWD)를 분석해 확보한 실사용근거(RWE)), 소프트웨어 검증 및 유효성 등의 사항을 고려해 자료를 제출할 수 있어야 한다. 4. 실무 대응 : 기획단계부터 규제 설계를 병행해야 위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디지털의료기기 개발 전 주기에 걸쳐 규제 전략 수립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기업, 병원, 기관 등은 설계에서부터 아래 사항에 대해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 AI 또는 가상융합기술이 적용된 자사 제품이 디지털의료기기 해당 요건에 부합하는지 여부- 내장형·독립형·기타 식약처 지정 소프트웨어분류에 따른 심사범위 설정- 적용 가이드라인에 따른 기술자료 및 임상자료 등 구성- 알고리즘 변경 또는 업데이트 발생 시 사후 대응 체계 마련 이러한 구조적 대응이 결여될 경우 허가 지연, 반복적 보완 요구, 표시·광고 관련 제재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기술 중심의 접근을 넘어 규제 해석과 전략 수립을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파트너로서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사후관리 전 과정에 걸쳐 실효성 있는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2025년 식약처의 가이드라인 제·개정은 디지털헬스 산업에 대한 규제 수립 과정에서 진행됐다. 기술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 진입을 보장할 수 없으며 규제에 전략적으로 준비 및 대응하는 역량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체계 정비와 산업계 전략적 대응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5-28
[기고]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체계 정비와 산업계 전략적 대응
[기고]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체계 정비와 산업계 전략적 대응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이서형 변호사식약처 디지털의료기기 가이드라인 6종 제·개정을 중심으로 지난 5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6종을 제·개정했다. 이번 제·개정은 디지털헬스 기술 전반에 대한 규제 체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비시킨 조치로써 기업뿐만 아니라 병원, 연구기관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전략적인 대응이 요구될 것이다. 이번에 제·개정된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 제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 ■ 개정① 인공지능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②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③ 가상융합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의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④ 디지털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⑤ 인공지능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 임상시험방법 설계 가이드라인 이들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이 기술 유형에 따라 심사 기준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1. 인공지능 기술 적용기기(Machine Learning-enabled Medical Devices, MLMD) 식약처는 기계학습 기술을 활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① 소프트웨어가 의도한대로 작동하지 않아 환자에게 위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지 ② 소프트웨어가 의료인의 임상적 판단을 보장하는지를 중점적으로 고려해 디지털의료기기의 해당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인 허가·심사 요건으로는 △학습데이터의 정보·업데이트 예상 주기 등 특성 △민감도·특이도·AUC 등의 항목을 이용한 진단의 정확성 △시험데이터셋의 독립성·객관성 등을 기반으로 한 임상결과 등이 고려된다. 2. 가상융합기술 기반 디지털의료기기 한편 VR·AR·MR 기술이 적용된 기기가 의료기기로 판단되기 위해서는 사용목적이 질병의 진단, 치료 등에 해당해야 하며, 해당 기기의 구성과 작용원리가 그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환자 증상 개선과 같은 의료적 효능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자료가 부족할 경우 보완자료 제출 요구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비상정지장치 등 안전성 검증 △정확도·반응속도·영상재현 등 성능에 대한 검증이 주요 심사 항목으로 고려된다. 3. 내장형 vs 독립형 소프트웨어 제정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에서는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를 각각 독립형과 내장형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로서의 액세서리 또는 전자 인터페이스로 구분하고, 그 특성에 따라 신청서 및 서류제출 항목을 구분한다. 내장형의 경우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성능 또는 특성, 사용목적, 사용방법 등 외에 의료기기 하드웨어에 대한 자료를 함께 준비해 제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디지털치료기기의 경우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에 해당하므로 그에 따른 허가·심사 요건을 준수한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치료기기의 특성을 고려해 추가적으로 치료기전의 과학적(임상적) 작용원리, 임상시험 결과(허가 후 필요시 실사용 데이터(RWD)를 분석해 확보한 실사용근거(RWE)), 소프트웨어 검증 및 유효성 등의 사항을 고려해 자료를 제출할 수 있어야 한다. 4. 실무 대응 : 기획단계부터 규제 설계를 병행해야 위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디지털의료기기 개발 전 주기에 걸쳐 규제 전략 수립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기업, 병원, 기관 등은 설계에서부터 아래 사항에 대해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 AI 또는 가상융합기술이 적용된 자사 제품이 디지털의료기기 해당 요건에 부합하는지 여부- 내장형·독립형·기타 식약처 지정 소프트웨어분류에 따른 심사범위 설정- 적용 가이드라인에 따른 기술자료 및 임상자료 등 구성- 알고리즘 변경 또는 업데이트 발생 시 사후 대응 체계 마련 이러한 구조적 대응이 결여될 경우 허가 지연, 반복적 보완 요구, 표시·광고 관련 제재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기술 중심의 접근을 넘어 규제 해석과 전략 수립을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파트너로서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사후관리 전 과정에 걸쳐 실효성 있는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2025년 식약처의 가이드라인 제·개정은 디지털헬스 산업에 대한 규제 수립 과정에서 진행됐다. 기술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 진입을 보장할 수 없으며 규제에 전략적으로 준비 및 대응하는 역량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디지털의료기기 허가·심사체계 정비와 산업계 전략적 대응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28
지지자도 아차차하는 공직 선거법…이 직업이 가장 위험하다
지지자도 아차차하는 공직 선거법…이 직업이 가장 위험하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다. 이 기간에는 검·경찰 모두 쉴 틈이 없다. 선거사범 문제로 골머리를 앓기 때문이다. 3년 전 치러졌던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총 2,001명이 입건됐고, 그 중 609명이 재판에 넘겨졌다. 이는 지난 2017년 제19대 대선 당시 선거사범 878명이 입건된 것과 비교할 때 127.9% 늘어난 수치다. 이 같은 추세의 배경으로는 SNS를 통한 허위정보 확산과 관련 고소 건수 증가 등이 지목된다. 후보자들을 둘러싼 흑색선전과 허위사실 유포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후보자의 학력·경력·병역 등 신상 정보에 대한 거짓 선동 △과거 범죄 경력에 대한 허위 유포 △상대 후보에 대한 음해 △정치적 업적에 대한 과장된 주장 등이 있다.물론 단순한 의견 전달 행위를 허위사실 유포로 보기는 어렵지만, 유권자들의 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짓 주장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인 반면, 공직선거법상 낙선 목적의 허위사실공표죄의 경우 최대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무심코 올린 SNS 글이나 사진이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투표소 내에서 인증사진을 촬영하는 행위가 문제가 된다는 사실은 이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기표소 안에서 투표용지를 촬영하는 행위 또한 명백한 위반이라는 점도 반드시 유념해야 한다.선거 벽보를 훼손하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한다. 이 역시 공직선거법 제240조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판례가 있다. 지난 2022년 지방선거 당시 한 유권자가 선거 벽보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됐다. 그러나 법원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해당 유권자가 글을 읽을 수 없는 문맹이고, 그렇기에 벽보가 선거운동용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취지다. 다만 벽보 자체가 재산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재물손괴죄가 인정돼 벌금형이 선고됐다.선거운동 가능 대상에 대해서도 정확히 인지해야 한다. 또한 공직선거법 제60조에 따르면 공무원, 통·리·반장, 예비군 중대장급 이상 간부, 각급선거관리위원회위원 등은 선거의 중립성과 공정성을 유지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둬야 한다.물론 공직선거법은 공소시효가 6개월로 비교적 짧아 선거사범에 대한 수사와 기소가 '벼락치기'로 이뤄진다는 지적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오해나 위반 상황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며, 공직선거법 전반을 숙지해 민주주의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지지자도 아차차하는 공직 선거법…이 직업이 가장 위험하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28
지지자도 아차차하는 공직 선거법…이 직업이 가장 위험하다
지지자도 아차차하는 공직 선거법…이 직업이 가장 위험하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다. 이 기간에는 검·경찰 모두 쉴 틈이 없다. 선거사범 문제로 골머리를 앓기 때문이다. 3년 전 치러졌던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총 2,001명이 입건됐고, 그 중 609명이 재판에 넘겨졌다. 이는 지난 2017년 제19대 대선 당시 선거사범 878명이 입건된 것과 비교할 때 127.9% 늘어난 수치다. 이 같은 추세의 배경으로는 SNS를 통한 허위정보 확산과 관련 고소 건수 증가 등이 지목된다. 후보자들을 둘러싼 흑색선전과 허위사실 유포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후보자의 학력·경력·병역 등 신상 정보에 대한 거짓 선동 △과거 범죄 경력에 대한 허위 유포 △상대 후보에 대한 음해 △정치적 업적에 대한 과장된 주장 등이 있다.물론 단순한 의견 전달 행위를 허위사실 유포로 보기는 어렵지만, 유권자들의 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짓 주장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인 반면, 공직선거법상 낙선 목적의 허위사실공표죄의 경우 최대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무심코 올린 SNS 글이나 사진이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투표소 내에서 인증사진을 촬영하는 행위가 문제가 된다는 사실은 이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기표소 안에서 투표용지를 촬영하는 행위 또한 명백한 위반이라는 점도 반드시 유념해야 한다.선거 벽보를 훼손하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한다. 이 역시 공직선거법 제240조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판례가 있다. 지난 2022년 지방선거 당시 한 유권자가 선거 벽보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됐다. 그러나 법원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해당 유권자가 글을 읽을 수 없는 문맹이고, 그렇기에 벽보가 선거운동용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취지다. 다만 벽보 자체가 재산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재물손괴죄가 인정돼 벌금형이 선고됐다.선거운동 가능 대상에 대해서도 정확히 인지해야 한다. 또한 공직선거법 제60조에 따르면 공무원, 통·리·반장, 예비군 중대장급 이상 간부, 각급선거관리위원회위원 등은 선거의 중립성과 공정성을 유지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둬야 한다.물론 공직선거법은 공소시효가 6개월로 비교적 짧아 선거사범에 대한 수사와 기소가 '벼락치기'로 이뤄진다는 지적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오해나 위반 상황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며, 공직선거법 전반을 숙지해 민주주의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지지자도 아차차하는 공직 선거법…이 직업이 가장 위험하다 (바로가기)
머니S
2025-05-28
"아이돌 지망생 만나게 해주겠다"… 6억원 뜯어낸 사기 일당
"아이돌 지망생 만나게 해주겠다"… 6억원 뜯어낸 사기 일당
이성 만남을 미끼로 접근해 피해자들로부터 수억원을 뜯어낸 일당이 재판에 넘겨졌다.울산지방검찰청은 지난 4월 전기통신금융사기 및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투자 사기 조직의 총책 A씨를 구속기소 하고, 범행에 가담한 실행책·자금수취책 등 조직원 5명을 불구속기소 했다고 밝혔다.이들은 지난해 9월부터 1년여 동안 SNS를 통해 50대 B씨 등 6명에게 접근해 아이돌 지망생이나 인플루언서 등을 매칭해주겠다며 특정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유도한 뒤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가입을 마친 피해자들에게는 등급을 올려야만 원하는 상대를 만날 수 있다며 배팅 게임에 참여할 것을 요구했다. 초반에는 소액의 게임 참여비만을 송금받고 수익금 역시 곧장 지급했지만 배팅 금액이 올라간 뒤부터는 수익금을 받아 잠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피해자들로부터 갈취한 금액은 6억원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검찰은 "이번 사건은 총책, 실행책, 자금 세탁책 등으로 역할을 분담한 조직적인 계획 범죄"라며 "피해자에게 금전적 손해를 입힌 것은 물론 전자금융거래법과 전기통신사업법을 위반한 점에서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고 밝혔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서봉하 변호사는 "이 사건처럼 이성 만남을 빙자해 사이트 가입을 유도하고, 등급 상승·수익 보장 등을 구실로 반복 송금을 유도하는 방식은 전형적인 투자 유인형 기망 수법에 해당한다"며 "초기에 실제 수익을 돌려준다고 해도 전형적인 사기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금 요구가 반복될 경우 즉시 경찰이나 법률전문가의 자문을 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어 "최근에는 단순히 연애를 가장한 사기를 넘어 이성 매칭을 빙자한 후 투자 유도나 가상 게임 참여까지 이어지는 등 복합적인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며 "정서적 신뢰를 형성한 뒤 반복적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은 로맨스 스캠과 유사한 전형적 기망 수법으로 피해가 의심될 경우 신속히 법률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아이돌 지망생 만나게 해주겠다"… 6억원 뜯어낸 사기 일당 (바로가기)
머니S
2025-05-28
"아이돌 지망생 만나게 해주겠다"… 6억원 뜯어낸 사기 일당
"아이돌 지망생 만나게 해주겠다"… 6억원 뜯어낸 사기 일당
이성 만남을 미끼로 접근해 피해자들로부터 수억원을 뜯어낸 일당이 재판에 넘겨졌다.울산지방검찰청은 지난 4월 전기통신금융사기 및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투자 사기 조직의 총책 A씨를 구속기소 하고, 범행에 가담한 실행책·자금수취책 등 조직원 5명을 불구속기소 했다고 밝혔다.이들은 지난해 9월부터 1년여 동안 SNS를 통해 50대 B씨 등 6명에게 접근해 아이돌 지망생이나 인플루언서 등을 매칭해주겠다며 특정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유도한 뒤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가입을 마친 피해자들에게는 등급을 올려야만 원하는 상대를 만날 수 있다며 배팅 게임에 참여할 것을 요구했다. 초반에는 소액의 게임 참여비만을 송금받고 수익금 역시 곧장 지급했지만 배팅 금액이 올라간 뒤부터는 수익금을 받아 잠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피해자들로부터 갈취한 금액은 6억원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검찰은 "이번 사건은 총책, 실행책, 자금 세탁책 등으로 역할을 분담한 조직적인 계획 범죄"라며 "피해자에게 금전적 손해를 입힌 것은 물론 전자금융거래법과 전기통신사업법을 위반한 점에서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고 밝혔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서봉하 변호사는 "이 사건처럼 이성 만남을 빙자해 사이트 가입을 유도하고, 등급 상승·수익 보장 등을 구실로 반복 송금을 유도하는 방식은 전형적인 투자 유인형 기망 수법에 해당한다"며 "초기에 실제 수익을 돌려준다고 해도 전형적인 사기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금 요구가 반복될 경우 즉시 경찰이나 법률전문가의 자문을 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어 "최근에는 단순히 연애를 가장한 사기를 넘어 이성 매칭을 빙자한 후 투자 유도나 가상 게임 참여까지 이어지는 등 복합적인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며 "정서적 신뢰를 형성한 뒤 반복적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은 로맨스 스캠과 유사한 전형적 기망 수법으로 피해가 의심될 경우 신속히 법률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아이돌 지망생 만나게 해주겠다"… 6억원 뜯어낸 사기 일당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28
15년간 통지 없다가 갑작기 구상금 청구?..法 "신의칙 위반"
15년간 통지 없다가 갑작기 구상금 청구?..法 "신의칙 위반"
제대로 된 고지 없이 사건 발생 15년 뒤 돌연 구상금을 청구한 행위는 신의칙에 반해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법 목포지원 제1민사부는 지난달 22일 정부가 30대 남성 A씨 등 5명을 상대로 낸 구상금 청구 소송에서 패소 판결을 내렸습니다.이들은 지난 2009년 병역 의무를 이행하던 중 후임병 B씨를 폭행해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당시 B씨는 영내 괴롭힘을 이기지 못해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고, 결국 뇌사 상태에 빠졌습니다.B씨 측은 2017년 정부가 관리·감독을 소홀히 해 이같은 사건이 발생했다며 치료비 등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습니다.5년 뒤 정부는 약 27억 원의 배상금을 지급했습니다.이후 정부는 지난해 A씨 등 5명에게 구상금 약 5억원을 청구했습니다.국가배상법 2조에 따르면, 국가는 공무원 또는 공무를 위탁받은 사인이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혔을 때 그 손해를 배상해야 하며, 해당 공무원 등에게 중대 과실이 있을 경우 이를 구상할 수 있습니다.A씨 등은 정부의 구상권 청구가 잘못됐다고 반박했습니다.정부가 오랜 기간 B씨 측에 치료비를 지급하면서도 이를 자신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겁니다.아울러 이와 관련한 민사 소송 진행 내용도 고지하지 않았다며 청구 기각을 요청했습니다.법원은 A씨 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원고는 입원비·치료비를 지급하는 수 년 동안 이를 피고측에 알리지 않았고, 민사 판결이 나온 후에도 구상금 청구 가능성에 대해 고지하지 않았다"며 "피고들에게 구상을 통지한 시점도 사건이 발생한 지 약 15년이 지난 후"라고 판단했습니다.이어 "피고들은 원고가 구상을 비롯한 별도의 책임을 추궁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을 것"이라며 "시간이 한참 지난 시점에서 해당 사건과 관련한 구상을 하는 것은 신의칙에 반한다"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조성근 변호사는 "사건 발생일로부터 상당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아무런 통지 없이 구상금이라는 명목으로 금전적 부담을 전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면서 "아울러 사건 당시 A씨 등은 직업 군인이 아닌 일반 병사였고, 따라서 정부에게도 가혹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할 의무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15년간 통지 없다가 갑작기 구상금 청구?..法 "신의칙 위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28
15년간 통지 없다가 갑작기 구상금 청구?..法 "신의칙 위반"
15년간 통지 없다가 갑작기 구상금 청구?..法 "신의칙 위반"
제대로 된 고지 없이 사건 발생 15년 뒤 돌연 구상금을 청구한 행위는 신의칙에 반해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법 목포지원 제1민사부는 지난달 22일 정부가 30대 남성 A씨 등 5명을 상대로 낸 구상금 청구 소송에서 패소 판결을 내렸습니다.이들은 지난 2009년 병역 의무를 이행하던 중 후임병 B씨를 폭행해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당시 B씨는 영내 괴롭힘을 이기지 못해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고, 결국 뇌사 상태에 빠졌습니다.B씨 측은 2017년 정부가 관리·감독을 소홀히 해 이같은 사건이 발생했다며 치료비 등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습니다.5년 뒤 정부는 약 27억 원의 배상금을 지급했습니다.이후 정부는 지난해 A씨 등 5명에게 구상금 약 5억원을 청구했습니다.국가배상법 2조에 따르면, 국가는 공무원 또는 공무를 위탁받은 사인이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혔을 때 그 손해를 배상해야 하며, 해당 공무원 등에게 중대 과실이 있을 경우 이를 구상할 수 있습니다.A씨 등은 정부의 구상권 청구가 잘못됐다고 반박했습니다.정부가 오랜 기간 B씨 측에 치료비를 지급하면서도 이를 자신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겁니다.아울러 이와 관련한 민사 소송 진행 내용도 고지하지 않았다며 청구 기각을 요청했습니다.법원은 A씨 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원고는 입원비·치료비를 지급하는 수 년 동안 이를 피고측에 알리지 않았고, 민사 판결이 나온 후에도 구상금 청구 가능성에 대해 고지하지 않았다"며 "피고들에게 구상을 통지한 시점도 사건이 발생한 지 약 15년이 지난 후"라고 판단했습니다.이어 "피고들은 원고가 구상을 비롯한 별도의 책임을 추궁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을 것"이라며 "시간이 한참 지난 시점에서 해당 사건과 관련한 구상을 하는 것은 신의칙에 반한다"고 덧붙였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조성근 변호사는 "사건 발생일로부터 상당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아무런 통지 없이 구상금이라는 명목으로 금전적 부담을 전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면서 "아울러 사건 당시 A씨 등은 직업 군인이 아닌 일반 병사였고, 따라서 정부에게도 가혹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할 의무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15년간 통지 없다가 갑작기 구상금 청구?..法 "신의칙 위반" (바로가기)
로리더 등 4곳
2025-05-28
법무법인 대륜, 판교 심장부에 새 둥지···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법무법인 대륜, 판교 심장부에 새 둥지···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IT 및 빅테크 기업 고객 현장에서 ‘밀착화’“기업 법률 자문 해외에도 이식해 ‘글로벌 메가 로펌’ 나아갈 것” 최단기간 10대 로펌에 진입한 법무법인 대륜이 성남분사무소를 ‘한국의 실리콘밸리’ 판교로 확장 이전하면서, IT 및 빅테크 기업 고객 밀착화 및 ‘글로벌 메가 로펌’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한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은 성남 알파돔타워에 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를 이전 개소했다.이번 개소는 경기 일대 핵심 법률 허브 구축을 고도화하고 기술 산업 중심지인 판교 지역 수요에 특화된 법률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법무법인 대륜의 전략적 조치다.알파돔타워는 2007년 LH(한국토지주택공사)등이 참여한 알파돔시티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됐으며, 신분당선 판교역과 인접해 타지역에서도 뛰어난 접근성을 자랑한다. 카카오, 네이버, 스노우 등 IT, 게임, 바이오 등 유수의 첨단 산업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전통 산업과는 궤를 달리하는 이들 기업은 법률 자문 수요 역시 새롭고 다양하다. 최근에는 데이터 보호, AI 윤리, 기업 인수합병, 스타트업 구조조정, 지식재산권 분쟁 등 신산업 특화 법률 분야의 필요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유수의 대형 로펌들이 입주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판교 이전을 통해 ▲ 기업법무, ▲ 노동·인사, ▲ 지식재산권, ▲ 스타트업 설립 및 투자계약, ▲ 테크기업 대상 법률 DD(실사) 등 기업법무 분야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법무법인 대륜 성남분사무소에는 이 외에도 주변 직장인들의 법률상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형사, 민사, 조세, 행정 등 분야에 대한 다수의 인력을 배치했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대표는 “판교는 한국을 대표하는 IT기업이 집적된 기술 집적지로, 단순한 분사무소 이전 이상의 의미가 있다”면서, “기술 산업과 법률서비스는 정교하게 맞물려야 하는 만큼, 대륜의 풍부한 실무 경험과 효율적인 업무 시스템을 바탕으로 기업 고객에게 원스톱 종합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는 “판교 및 경기권역에 입주한 국내외 혁신 기업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이들의 기술 생태계를 다각적으로 받아들여 동반 성장하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이르면 오는 6월 미국 뉴욕 사무소 개소를 시작으로 런던, 홍콩 등 해외 주요 도시로의 진출을 본격화하며 국내에서 입증된 성장 모델을 글로벌 무대에서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판교 심장부에 새 둥지···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바로가기) 경기일보 - 법무법인 대륜, 판교에 새 둥지...법률 허브 구축 고도화 나서 (바로가기) 한국경제 - 법무법인 대륜, 판교 알파돔타워에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판교 알파돔타워에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글로벌 메가 로펌 도약 기반 마련" (바로가기)
로리더 등 4곳
2025-05-28
법무법인 대륜, 판교 심장부에 새 둥지···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법무법인 대륜, 판교 심장부에 새 둥지···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IT 및 빅테크 기업 고객 현장에서 ‘밀착화’“기업 법률 자문 해외에도 이식해 ‘글로벌 메가 로펌’ 나아갈 것” 최단기간 10대 로펌에 진입한 법무법인 대륜이 성남분사무소를 ‘한국의 실리콘밸리’ 판교로 확장 이전하면서, IT 및 빅테크 기업 고객 밀착화 및 ‘글로벌 메가 로펌’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한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은 성남 알파돔타워에 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를 이전 개소했다.이번 개소는 경기 일대 핵심 법률 허브 구축을 고도화하고 기술 산업 중심지인 판교 지역 수요에 특화된 법률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법무법인 대륜의 전략적 조치다.알파돔타워는 2007년 LH(한국토지주택공사)등이 참여한 알파돔시티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됐으며, 신분당선 판교역과 인접해 타지역에서도 뛰어난 접근성을 자랑한다. 카카오, 네이버, 스노우 등 IT, 게임, 바이오 등 유수의 첨단 산업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전통 산업과는 궤를 달리하는 이들 기업은 법률 자문 수요 역시 새롭고 다양하다. 최근에는 데이터 보호, AI 윤리, 기업 인수합병, 스타트업 구조조정, 지식재산권 분쟁 등 신산업 특화 법률 분야의 필요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유수의 대형 로펌들이 입주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판교 이전을 통해 ▲ 기업법무, ▲ 노동·인사, ▲ 지식재산권, ▲ 스타트업 설립 및 투자계약, ▲ 테크기업 대상 법률 DD(실사) 등 기업법무 분야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법무법인 대륜 성남분사무소에는 이 외에도 주변 직장인들의 법률상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형사, 민사, 조세, 행정 등 분야에 대한 다수의 인력을 배치했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대표는 “판교는 한국을 대표하는 IT기업이 집적된 기술 집적지로, 단순한 분사무소 이전 이상의 의미가 있다”면서, “기술 산업과 법률서비스는 정교하게 맞물려야 하는 만큼, 대륜의 풍부한 실무 경험과 효율적인 업무 시스템을 바탕으로 기업 고객에게 원스톱 종합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김국일 경영대표 변호사는 “판교 및 경기권역에 입주한 국내외 혁신 기업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이들의 기술 생태계를 다각적으로 받아들여 동반 성장하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이르면 오는 6월 미국 뉴욕 사무소 개소를 시작으로 런던, 홍콩 등 해외 주요 도시로의 진출을 본격화하며 국내에서 입증된 성장 모델을 글로벌 무대에서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판교 심장부에 새 둥지···경기총괄본부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바로가기) 경기일보 - 법무법인 대륜, 판교에 새 둥지...법률 허브 구축 고도화 나서 (바로가기) 한국경제 - 법무법인 대륜, 판교 알파돔타워에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판교 알파돔타워에 성남분사무소 확장 이전…"글로벌 메가 로펌 도약 기반 마련"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3곳
2025-05-28
대륜, tvN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 및 법률 자문
대륜, tvN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 및 법률 자문
파크원 서울본부 분사무소 내 사무실 공간 지원드라마 대본에 대한 법률 자문 법무법인 대륜이 tvN 드라마 '미지의 서울'에 촬영지 장소 제공과 함께 드라마 제작과 관련한 법률 자문을 제공했다고 28일 밝혔다.지난 24일 첫 방송된 '미지의 서울(극본 이강, 연출 박신우·남건, 기획 스튜디오 드래곤, 제작 몬스터유니온·하이그라운드)'은 얼굴 빼고 모든 것이 다른 쌍둥이 자매가 인생을 맞바꾸는 거짓말로 진짜 사랑과 인생을 찾아가는 로맨틱 성장 드라마다. 첫 1인 2역에 도전하는 배우 박보영과 박진영이 주인공으로 참여하며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방송 2회만에 수도권 기준 가구 시청률 최고 6.5%를 기록하기도 했다.대륜은 극중 로펌 촬영 장소를 지원했다. 여의도 파크원 서울본부 분사무소 로비·회의실을 비롯한 대륜의 실제 업무 환경을 기반으로 주요 사무 공간 전체를 제공해 드라마 속 현실감과 몰입감을 더했다.특히 대본 제작 과정에서 법률 자문을 제공하는 등 로펌 차원에서의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는 후문이다.대륜은 이번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을 계기로 드라마 제작에 관한 법률 자문제공을 확대하고 나아가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을 통해 드라마를 포함한 영화, 공연,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법적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대륜은 각종 페스티벌 자문, 엔터테인먼트 및 스포츠 기업과의 MOU를 체결하는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법률적 조력을 강화하며 업계 내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저작권 보호 및 라이센스 계약 관리 △플랫폼 및 배급 관련 법률 자문 △콘텐츠 상표 및 브랜드 보호 등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기업법무 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분야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드라마 등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완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라며 "앞으로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서의 법률 서비스 지원을 확대하고 창작자들이 보다 자유롭고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돕겠다"라고 말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대륜, tvN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 및 법률 자문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 ‘미지의 서울’ 촬영장·법률 자문 알고보니···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tvN 드라마 '미지의 서울'에 촬영 장소 제공·법률 자문 지원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3곳
2025-05-28
대륜, tvN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 및 법률 자문
대륜, tvN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 및 법률 자문
파크원 서울본부 분사무소 내 사무실 공간 지원드라마 대본에 대한 법률 자문 법무법인 대륜이 tvN 드라마 '미지의 서울'에 촬영지 장소 제공과 함께 드라마 제작과 관련한 법률 자문을 제공했다고 28일 밝혔다.지난 24일 첫 방송된 '미지의 서울(극본 이강, 연출 박신우·남건, 기획 스튜디오 드래곤, 제작 몬스터유니온·하이그라운드)'은 얼굴 빼고 모든 것이 다른 쌍둥이 자매가 인생을 맞바꾸는 거짓말로 진짜 사랑과 인생을 찾아가는 로맨틱 성장 드라마다. 첫 1인 2역에 도전하는 배우 박보영과 박진영이 주인공으로 참여하며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방송 2회만에 수도권 기준 가구 시청률 최고 6.5%를 기록하기도 했다.대륜은 극중 로펌 촬영 장소를 지원했다. 여의도 파크원 서울본부 분사무소 로비·회의실을 비롯한 대륜의 실제 업무 환경을 기반으로 주요 사무 공간 전체를 제공해 드라마 속 현실감과 몰입감을 더했다.특히 대본 제작 과정에서 법률 자문을 제공하는 등 로펌 차원에서의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는 후문이다.대륜은 이번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을 계기로 드라마 제작에 관한 법률 자문제공을 확대하고 나아가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을 통해 드라마를 포함한 영화, 공연,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법적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대륜은 각종 페스티벌 자문, 엔터테인먼트 및 스포츠 기업과의 MOU를 체결하는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법률적 조력을 강화하며 업계 내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저작권 보호 및 라이센스 계약 관리 △플랫폼 및 배급 관련 법률 자문 △콘텐츠 상표 및 브랜드 보호 등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기업법무 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분야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드라마 등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완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라며 "앞으로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서의 법률 서비스 지원을 확대하고 창작자들이 보다 자유롭고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돕겠다"라고 말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대륜, tvN ‘미지의 서울’ 촬영 장소 제공 및 법률 자문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 ‘미지의 서울’ 촬영장·법률 자문 알고보니···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tvN 드라마 '미지의 서울'에 촬영 장소 제공·법률 자문 지원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5-27
법무법인 대륜, '의료·미용기기 산업 대응방안'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 '의료·미용기기 산업 대응방안'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6일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함께 의료·미용기기 등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됐으며, 협회 협력사 등 총 119개사가 참석했다.이날 세미나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을 맡고 있는 손계준 변호사와 의료제약그룹장 이서형 변호사의 인사말로 시작됐다.이 변호사는 "오늘 세미나는 단순한 제도 해설을 넘어서 산업 전략과 규제 흐름이 교차하는 지점을 함께 고민하는 매우 시의적절한 자리"라며 "이 자리를 계기로 각 기업이 전략적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이어 명재호 관세전문위원가 달라진 세관조사 동향과 거래 유형별 외국환 거래법 준수 의무에 대해 설명하고 의료·미용기기 산업에서의 외환 리스크와 대응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명 위원은 관세사로 다수의 기업에서 관세무역 컨설팅을 담당하며 전문성을 쌓았다. 또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ICTC) 전문위원, 방위사업청 수출심의위원, 관세청·무역협회 FTA 컨설턴트·전임강사로 활동하는 등 관세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그는 이번 다가오는 정기 외환검사에 대해 "관세청은 그동안 불법외환거래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검사해왔으나 올해부터는 업종별로 정기적으로 외환 검사제도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며 "수·출입이 많은 의료, 미용 등의 분야가 집중적인 점검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의료기기의 이중규제로 인한 결제지연, 수출입 대상국의 외환통제 및 송금 규제, 제재 국가 및 민감 기술 정보에 따른 사전 승인 등 수출입 과정에서 기업들이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소개했다.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관세청의 정기 외환검사 도입으로 수출입 기업의 사전 대응 역량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며 "이번 세미나에서 공유된 실무 중심의 정보를 통해 기업들이 불확실한 통상 환경에 보다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의료·미용기기 산업 대응방안'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5-27
법무법인 대륜, '의료·미용기기 산업 대응방안'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 '의료·미용기기 산업 대응방안'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6일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함께 의료·미용기기 등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됐으며, 협회 협력사 등 총 119개사가 참석했다.이날 세미나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을 맡고 있는 손계준 변호사와 의료제약그룹장 이서형 변호사의 인사말로 시작됐다.이 변호사는 "오늘 세미나는 단순한 제도 해설을 넘어서 산업 전략과 규제 흐름이 교차하는 지점을 함께 고민하는 매우 시의적절한 자리"라며 "이 자리를 계기로 각 기업이 전략적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이어 명재호 관세전문위원가 달라진 세관조사 동향과 거래 유형별 외국환 거래법 준수 의무에 대해 설명하고 의료·미용기기 산업에서의 외환 리스크와 대응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명 위원은 관세사로 다수의 기업에서 관세무역 컨설팅을 담당하며 전문성을 쌓았다. 또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ICTC) 전문위원, 방위사업청 수출심의위원, 관세청·무역협회 FTA 컨설턴트·전임강사로 활동하는 등 관세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그는 이번 다가오는 정기 외환검사에 대해 "관세청은 그동안 불법외환거래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검사해왔으나 올해부터는 업종별로 정기적으로 외환 검사제도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며 "수·출입이 많은 의료, 미용 등의 분야가 집중적인 점검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의료기기의 이중규제로 인한 결제지연, 수출입 대상국의 외환통제 및 송금 규제, 제재 국가 및 민감 기술 정보에 따른 사전 승인 등 수출입 과정에서 기업들이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소개했다.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관세청의 정기 외환검사 도입으로 수출입 기업의 사전 대응 역량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며 "이번 세미나에서 공유된 실무 중심의 정보를 통해 기업들이 불확실한 통상 환경에 보다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은혜 (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의료·미용기기 산업 대응방안'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뉴시스 등 14곳
2025-05-27
SKT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에 인당 100만원 민사소송 제기
SKT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에 인당 100만원 민사소송 제기
법무법인 대륜, 집단소송 맡아1인당 위자료 100만원 책정"권리 지키기 위한 공익 소송" SK텔레콤(SKT) 이용자 235명이 '유심(USIM) 해킹' 사태와 관련해 SKT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27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이날 원고 235명은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 지급을 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해당 소송은 서울중앙지검장 출신인 조영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총괄하며 여상원 변호사 등이 함께 법률대리인을 맡는다.조 변호사 등은 이날 서울중앙지법에 소장을 제출하며 "우리 사회의 공정과 형평은 재판과 소송에서부터 실현되어야 한다"며 "이 소송은 그런 의미에서 저희가 나서게 되는 공익적 가치"라고 말했다.이어 "해외에서는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들을 상대로 한 소비자 집단소송에서 대형 로펌들이 앞장서 승소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는 집단소송이 결코 이길 수 없는 싸움이 아님을 보여주며 국민이 힘을 모으면 기업도 책임질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러면서 "이번 SKT 집단소송은 정보 유출 문제를 넘어 법의 정의와 형평성을 묻는 국가적 과제"라며 "이 소송은 국민의 개인정보 권리를 지키기 위한 공익 소송"이라고 강조했다.한편 대륜은 해킹 피해 고소·고발인 의뢰를 받아 지난 1일 업무상 배임 및 위계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고발장을 제출했다. 이어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지난 21일 고발인 신분으로 첫 경찰 조사를 받았다.대륜 측은 ▲역대 최고 정보유출 규모 ▲보안관리비용을 줄인 점 ▲유심 교체를 위해 가입자들이 불편을 겪은 점 등이 손해배상액을 정한 이유라고 설명했다.대륜은 이번 소송을 시작으로 신청자들을 파악해 지속적인 소장을 접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소헌 기자(honey@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뉴시스 - SKT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에 인당 100만원 민사소송 제기 (바로가기) 뉴스핌 - SKT 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제기 (바로가기) 조선일보 - ‘SKT 집단 손배소’ 235명, 법원에 소장 제출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235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바로가기) 더팩트 - 'SKT 해킹' 피해자 235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30일까지 추가 접수"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피해자측 민사소송…"인당 위자료 100만원"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SKT 해킹 사건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청구 소송…잇따른 법적 공방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 유심 해킹에 SKT 첫 공동소송… “1인당 100만원 배상하라” (바로가기) 지디넷코리아 - 대륜, SKT 상대 민사소송 제기···1인당 위자료 100만원 책정 (바로가기) 뉴스핌 - 'SKT 유심 해킹' 20만명 집단소송 본격화..."책임 인정 여부 관건·위자료 약 10만원"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SKT 상대 민사소송 제기 “국민 피해 외면 할 수 없어” (바로가기) 투데이e코노믹 - 'SKT 해킹' 피해자 235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바로가기) 서울신문 - ‘SKT 유심 해킹’ 대규모 집단소송… 핵심 쟁점은[로:맨스] (바로가기) 이코노미톡뉴스 - 5G도 엉망, 소송 중인 통신사… 벌써 6G로 돈 벌 궁리? (바로가기)
뉴시스 등 14곳
2025-05-27
SKT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에 인당 100만원 민사소송 제기
SKT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에 인당 100만원 민사소송 제기
법무법인 대륜, 집단소송 맡아1인당 위자료 100만원 책정"권리 지키기 위한 공익 소송" SK텔레콤(SKT) 이용자 235명이 '유심(USIM) 해킹' 사태와 관련해 SKT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27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이날 원고 235명은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 지급을 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해당 소송은 서울중앙지검장 출신인 조영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총괄하며 여상원 변호사 등이 함께 법률대리인을 맡는다.조 변호사 등은 이날 서울중앙지법에 소장을 제출하며 "우리 사회의 공정과 형평은 재판과 소송에서부터 실현되어야 한다"며 "이 소송은 그런 의미에서 저희가 나서게 되는 공익적 가치"라고 말했다.이어 "해외에서는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들을 상대로 한 소비자 집단소송에서 대형 로펌들이 앞장서 승소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는 집단소송이 결코 이길 수 없는 싸움이 아님을 보여주며 국민이 힘을 모으면 기업도 책임질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러면서 "이번 SKT 집단소송은 정보 유출 문제를 넘어 법의 정의와 형평성을 묻는 국가적 과제"라며 "이 소송은 국민의 개인정보 권리를 지키기 위한 공익 소송"이라고 강조했다.한편 대륜은 해킹 피해 고소·고발인 의뢰를 받아 지난 1일 업무상 배임 및 위계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고발장을 제출했다. 이어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지난 21일 고발인 신분으로 첫 경찰 조사를 받았다.대륜 측은 ▲역대 최고 정보유출 규모 ▲보안관리비용을 줄인 점 ▲유심 교체를 위해 가입자들이 불편을 겪은 점 등이 손해배상액을 정한 이유라고 설명했다.대륜은 이번 소송을 시작으로 신청자들을 파악해 지속적인 소장을 접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소헌 기자(honey@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뉴시스 - SKT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에 인당 100만원 민사소송 제기 (바로가기) 뉴스핌 - SKT 이용자 235명, '유심 해킹'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제기 (바로가기) 조선일보 - ‘SKT 집단 손배소’ 235명, 법원에 소장 제출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235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바로가기) 더팩트 - 'SKT 해킹' 피해자 235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30일까지 추가 접수"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피해자측 민사소송…"인당 위자료 100만원"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SKT 해킹 사건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청구 소송…잇따른 법적 공방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 유심 해킹에 SKT 첫 공동소송… “1인당 100만원 배상하라” (바로가기) 지디넷코리아 - 대륜, SKT 상대 민사소송 제기···1인당 위자료 100만원 책정 (바로가기) 뉴스핌 - 'SKT 유심 해킹' 20만명 집단소송 본격화..."책임 인정 여부 관건·위자료 약 10만원"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SKT 상대 민사소송 제기 “국민 피해 외면 할 수 없어” (바로가기) 투데이e코노믹 - 'SKT 해킹' 피해자 235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바로가기) 서울신문 - ‘SKT 유심 해킹’ 대규모 집단소송… 핵심 쟁점은[로:맨스] (바로가기) 이코노미톡뉴스 - 5G도 엉망, 소송 중인 통신사… 벌써 6G로 돈 벌 궁리? (바로가기)
로이슈
2025-05-27
전문가가 알려주는 특수상해죄…단순 합의로는 해결 어려워
전문가가 알려주는 특수상해죄…단순 합의로는 해결 어려워
특수상해죄는 형법 제258조의2 제1항에 따라,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을 보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해 타인에게 상해를 가한 경우 성립하게 된다. 본 죄는 벌금형 없이 징역형만 규정돼 있기에, 일단 특수상해죄 혐의가 적용되면 최대한 형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형량 역시 만만치 않다. 동법 동조에 따라 위험한 물건으로 사람을 때려 다치게 했다면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게 된다. 아울러 피해 정도에 따라 2년 이상 20년 이하의 징역형도 가능하다. 특히, 일반 폭행과 달리 특수상해는 반의사불벌죄 혹은 친고죄가 아니므로 상대방의 고소가 없어도 수사와 기소가 가능하다. 실제 담당했던 사건으로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피고인 A씨는 회사 지인과 술을 마시던 중 가족에 관한 험담을 듣게 돼 폭력을 행사했다. 문제는 A씨의 행위가 단순 폭행에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당시 A씨는 분노를 참지 못해 주변에 있던 위험한 물건을 휘둘렀는데, 이로 인해 피해자는 얼굴과 머리에 부상을 입게됐다. 검찰에 송치된 이후 A씨는 다행히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다. 피해자 역시 진단서를 제출하지 않으면서, 사건은 마무리 수순에 접어드는 모양새였다. 비록 특수상해가 적용됐지만, 합의가 이뤄졌고 초범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기소유예 혹은 약식기소도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찰의 판단은 달랐다. 정식 재판을 청구하고, 징역형을 구형한 것이다. 이에 따라 법원 역시 실형을 선고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재판 과정에서 필자는 A씨가 범행 일체를 자백하고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은 점, 가족·친구 등이 선처를 바라고 있는 점, 징역형이 선고될 경우 직장으로부터 해고를 당할 수도 있는 점 등을 강조했다. 그 결과 무사히 선고유예(선고를 보류했다가 일정기간 이후 면소되는 판결)를 받을 수 있었다. 위 사례와 같이 특수상해죄는 피해자와 합의가 이뤄져도 형사 절차 진행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합의만으로 사건이 해결될 것이라는 섣부른 판단을 금물이다. 그러므로 특수상해죄 혐의를 받고 있다면 최대한 처벌을 낮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는 반드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특수상해변호사와 같은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야 한다. 평택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전문가와 함께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은 상대방의 원인제공 여부다. 만약 상대방의 지속적인 모욕, 폭언 등으로 인해 사건이 발생하게 된 것이라면, 유리하게 상황을 풀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라며 “정당방위 및 과잉방위도 살펴봐야 한다. 상대방의 선제적인 폭행으로 인해 자신을 보호하고자 한 행동임이 인정된다면 상황의 반전 내지 감형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 외 반성문, 가족 사정 소명, 탄원서 등을 통해 처벌 수위 감경을 요청해 볼 수 있겠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가 알려주는 특수상해죄…단순 합의로는 해결 어려워 (바로가기)
로이슈
2025-05-27
전문가가 알려주는 특수상해죄…단순 합의로는 해결 어려워
전문가가 알려주는 특수상해죄…단순 합의로는 해결 어려워
특수상해죄는 형법 제258조의2 제1항에 따라,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을 보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해 타인에게 상해를 가한 경우 성립하게 된다. 본 죄는 벌금형 없이 징역형만 규정돼 있기에, 일단 특수상해죄 혐의가 적용되면 최대한 형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형량 역시 만만치 않다. 동법 동조에 따라 위험한 물건으로 사람을 때려 다치게 했다면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게 된다. 아울러 피해 정도에 따라 2년 이상 20년 이하의 징역형도 가능하다. 특히, 일반 폭행과 달리 특수상해는 반의사불벌죄 혹은 친고죄가 아니므로 상대방의 고소가 없어도 수사와 기소가 가능하다. 실제 담당했던 사건으로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피고인 A씨는 회사 지인과 술을 마시던 중 가족에 관한 험담을 듣게 돼 폭력을 행사했다. 문제는 A씨의 행위가 단순 폭행에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당시 A씨는 분노를 참지 못해 주변에 있던 위험한 물건을 휘둘렀는데, 이로 인해 피해자는 얼굴과 머리에 부상을 입게됐다. 검찰에 송치된 이후 A씨는 다행히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다. 피해자 역시 진단서를 제출하지 않으면서, 사건은 마무리 수순에 접어드는 모양새였다. 비록 특수상해가 적용됐지만, 합의가 이뤄졌고 초범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기소유예 혹은 약식기소도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찰의 판단은 달랐다. 정식 재판을 청구하고, 징역형을 구형한 것이다. 이에 따라 법원 역시 실형을 선고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재판 과정에서 필자는 A씨가 범행 일체를 자백하고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은 점, 가족·친구 등이 선처를 바라고 있는 점, 징역형이 선고될 경우 직장으로부터 해고를 당할 수도 있는 점 등을 강조했다. 그 결과 무사히 선고유예(선고를 보류했다가 일정기간 이후 면소되는 판결)를 받을 수 있었다. 위 사례와 같이 특수상해죄는 피해자와 합의가 이뤄져도 형사 절차 진행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합의만으로 사건이 해결될 것이라는 섣부른 판단을 금물이다. 그러므로 특수상해죄 혐의를 받고 있다면 최대한 처벌을 낮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는 반드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특수상해변호사와 같은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야 한다. 평택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전문가와 함께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은 상대방의 원인제공 여부다. 만약 상대방의 지속적인 모욕, 폭언 등으로 인해 사건이 발생하게 된 것이라면, 유리하게 상황을 풀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라며 “정당방위 및 과잉방위도 살펴봐야 한다. 상대방의 선제적인 폭행으로 인해 자신을 보호하고자 한 행동임이 인정된다면 상황의 반전 내지 감형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 외 반성문, 가족 사정 소명, 탄원서 등을 통해 처벌 수위 감경을 요청해 볼 수 있겠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전문가가 알려주는 특수상해죄…단순 합의로는 해결 어려워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26
훔친 알루미늄 매입한 고물상 대표...장부가 살렸다
훔친 알루미늄 매입한 고물상 대표...장부가 살렸다
5년 간 폐알루미늄 319톤 6억 원에 매입거래내역 상세히 기록한 장부가 무혐의 입증 손님이 훔친 폐알루미늄을 수년간 매수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고물상 대표 A씨가 거래내역을 기록해두던 장부 덕에 혐의를 벗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알루미늄 회사 직원 B씨로부터 6억원 상당의 폐알루미늄 스크랩을 219톤 매입한 혐의(상습장물취득)를 받는 6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2018년부터 약 5년 동안 지속적으로 폐알루미늄을 사들였으나, 이후 해당 물건이 B씨가 훔친 장물로 드러나면서 A씨 또한 수사를 받게 됐다. 현행 형법 362조에 따르면 장물을 취득, 양도, 운반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조사 과정에서 A씨는 자신 역시 B씨에게 속은 것이라며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A씨가 작성한 거래내역 장부에 매입 금액과 수량 등을 상세히 기재했으며, 폐기 대금을 현금이 아닌 계좌 이체로 송금한 점 등을 근거로 A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검찰은 "A씨에게 명확한 소속을 밝혔던 B씨가 실제 알루미늄 가공 회사에서 근무했던 점을 고려하면, A씨는 해당 알루미늄을 장물로 인식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A씨의 법률대리인을 맡았던 법무법인 대륜의 최한식 변호사는 "장물 취득자의 경우 매도자의 인적사항, 물건의 성질과 종류 등 모든 사정을 참작해 판단해야 한다"며 "A씨가 장물로 인식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는데, 업무상 과실 인정 여부를 잘 소명해 좋은 결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정예은 인턴기자(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훔친 알루미늄 매입한 고물상 대표...장부가 살렸다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26
훔친 알루미늄 매입한 고물상 대표...장부가 살렸다
훔친 알루미늄 매입한 고물상 대표...장부가 살렸다
5년 간 폐알루미늄 319톤 6억 원에 매입거래내역 상세히 기록한 장부가 무혐의 입증 손님이 훔친 폐알루미늄을 수년간 매수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고물상 대표 A씨가 거래내역을 기록해두던 장부 덕에 혐의를 벗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알루미늄 회사 직원 B씨로부터 6억원 상당의 폐알루미늄 스크랩을 219톤 매입한 혐의(상습장물취득)를 받는 6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2018년부터 약 5년 동안 지속적으로 폐알루미늄을 사들였으나, 이후 해당 물건이 B씨가 훔친 장물로 드러나면서 A씨 또한 수사를 받게 됐다. 현행 형법 362조에 따르면 장물을 취득, 양도, 운반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조사 과정에서 A씨는 자신 역시 B씨에게 속은 것이라며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A씨가 작성한 거래내역 장부에 매입 금액과 수량 등을 상세히 기재했으며, 폐기 대금을 현금이 아닌 계좌 이체로 송금한 점 등을 근거로 A씨의 혐의가 없다고 봤다.검찰은 "A씨에게 명확한 소속을 밝혔던 B씨가 실제 알루미늄 가공 회사에서 근무했던 점을 고려하면, A씨는 해당 알루미늄을 장물로 인식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A씨의 법률대리인을 맡았던 법무법인 대륜의 최한식 변호사는 "장물 취득자의 경우 매도자의 인적사항, 물건의 성질과 종류 등 모든 사정을 참작해 판단해야 한다"며 "A씨가 장물로 인식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는데, 업무상 과실 인정 여부를 잘 소명해 좋은 결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정예은 인턴기자(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훔친 알루미늄 매입한 고물상 대표...장부가 살렸다 (바로가기)
뉴시스 등 2곳
2025-05-26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보증금 반환 어려운데 "문제없다"고 속여현실은 '공인중개사법 위반'으로만 기소 벌금형전문가 "공범 입증 어려워…중개사법 처벌 수위 높여야" 부산에서 전세사기 건물을 다수 중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공인중개사들과 중개보조원들이 잇달아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전세사기의 1차적인 원인을 제공한 이들을 엄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현실은 벌금형만 이어지고 있어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4단독 이범용 판사는 공인중개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공인중계사 A씨와 중개보조원 등 5명에게 벌금 200만700만원을 각각 선고했다.A씨 등은 수영구에서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으로 활동하면서 한 오피스텔에 대해 건물의 가격만큼 담보가 있어 보증금 반환이 보장되지 않지만, 중개 과정에서 이같은 사실을 숨겨 가계약을 유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이후 임차인들이 계약 당일 이같은 사실에 대해 알게 되자 A씨 등은 "오피스텔 건물 매매가격이 80억원 이상 이어서 보증금 반환에 문제가 없다"고 재차 속인 혐의도 받고 있다.하지만 해당 건물의 감정가는 48억53억원에 불과했고, 그에 비해 근저당은 52억원에 달했다.실제로 A씨 등이 중개한 오피스텔 임대인 B(40대)씨는 임차인 17명의 임대차 보증금 17억4500만원을 돌려주지 않았고, 이들로부터 집을 소개받은 임차인들은 하루아침에 전세사기 피해자가 됐다.아울러 A씨 등은 155억원대 전세사기 C(40대)씨 일당과 180억원대 전세사기로 징역 15년이 확정된 D(50대·여)씨 사건의 건물들도 수십건 중개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과정에서 A씨 등은 "C씨의 아버지가 잘나가는 중소기업 대표라 안전하다" 또는 "여기 말고도 건물이 여러 개 더 있다. 선순위 대출은 모두 법인이 안고 있는 것이라 안전하다" 등의 말로 임차인들을 안심시킨 뒤 부동산 계약 체결을 유도한 것으로 전해졌다.이후 임차인들은 이들을 고소하려고 했지만 20202023년 계약을 체결할 당시 공인중개사와 나눴던 대화 녹음이나 메시지 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면서 고소하지 못하거나 고소했더라도 대부분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앞서 지난 3월에도 부산지법 서부지원 형사3단독은 공인중개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 등에 벌금 200만500만원을 선고했다.이들도 D씨 사건 건물을 다수 중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중개보조원이 공인중개사 명의로 건물을 중개한 혐의로만 기소돼 벌금형의 처벌만 받았다. 전세사기 피해자들은 전세사기의 1차적인 원인을 제공한 공인중개사 등도 전세사기 공범으로 함께 처벌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법무법인 대륜 이승찬 변호사는 "대규모 전세사기의 범행 본질은 '사기'다. 따라서 공인중개사를 사기의 정범 내지 공범으로 처벌하기 위해서는 사기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한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는데, 실상은 사기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매우 어렵다"면서 "이 때문에 다수의 전세사기 건물을 중개한 공인중개사 또는 중개보조원들이 전세사기 공범으로 처벌이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전문가들은 현실적인 대안으로 공인중개사법의 처벌 수위를 높이는 것을 제안했다.동아대 강정규 부동산대학원장은 "소수이긴 하지만 일부 악덕 공인중개사 같은 경우 전세사기를 악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면서 "추후 (전세사기) 범죄를 예방한다는 차원에서 공인중개사법의 처벌 규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유사한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공인중개사법에 세분화된 처벌 조항을 신설해 전세 사기와 관련된 경우 가중 처벌을 한다는 항목을 만드는 대안도 있다"고 말했다.권태완 기자(kwon97@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뉴시스 -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바로가기) 와이드경제 -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바로가기)
뉴시스 등 2곳
2025-05-26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보증금 반환 어려운데 "문제없다"고 속여현실은 '공인중개사법 위반'으로만 기소 벌금형전문가 "공범 입증 어려워…중개사법 처벌 수위 높여야" 부산에서 전세사기 건물을 다수 중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공인중개사들과 중개보조원들이 잇달아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전세사기의 1차적인 원인을 제공한 이들을 엄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현실은 벌금형만 이어지고 있어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4단독 이범용 판사는 공인중개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공인중계사 A씨와 중개보조원 등 5명에게 벌금 200만700만원을 각각 선고했다.A씨 등은 수영구에서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으로 활동하면서 한 오피스텔에 대해 건물의 가격만큼 담보가 있어 보증금 반환이 보장되지 않지만, 중개 과정에서 이같은 사실을 숨겨 가계약을 유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이후 임차인들이 계약 당일 이같은 사실에 대해 알게 되자 A씨 등은 "오피스텔 건물 매매가격이 80억원 이상 이어서 보증금 반환에 문제가 없다"고 재차 속인 혐의도 받고 있다.하지만 해당 건물의 감정가는 48억53억원에 불과했고, 그에 비해 근저당은 52억원에 달했다.실제로 A씨 등이 중개한 오피스텔 임대인 B(40대)씨는 임차인 17명의 임대차 보증금 17억4500만원을 돌려주지 않았고, 이들로부터 집을 소개받은 임차인들은 하루아침에 전세사기 피해자가 됐다.아울러 A씨 등은 155억원대 전세사기 C(40대)씨 일당과 180억원대 전세사기로 징역 15년이 확정된 D(50대·여)씨 사건의 건물들도 수십건 중개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과정에서 A씨 등은 "C씨의 아버지가 잘나가는 중소기업 대표라 안전하다" 또는 "여기 말고도 건물이 여러 개 더 있다. 선순위 대출은 모두 법인이 안고 있는 것이라 안전하다" 등의 말로 임차인들을 안심시킨 뒤 부동산 계약 체결을 유도한 것으로 전해졌다.이후 임차인들은 이들을 고소하려고 했지만 20202023년 계약을 체결할 당시 공인중개사와 나눴던 대화 녹음이나 메시지 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면서 고소하지 못하거나 고소했더라도 대부분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앞서 지난 3월에도 부산지법 서부지원 형사3단독은 공인중개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 등에 벌금 200만500만원을 선고했다.이들도 D씨 사건 건물을 다수 중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중개보조원이 공인중개사 명의로 건물을 중개한 혐의로만 기소돼 벌금형의 처벌만 받았다. 전세사기 피해자들은 전세사기의 1차적인 원인을 제공한 공인중개사 등도 전세사기 공범으로 함께 처벌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법무법인 대륜 이승찬 변호사는 "대규모 전세사기의 범행 본질은 '사기'다. 따라서 공인중개사를 사기의 정범 내지 공범으로 처벌하기 위해서는 사기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한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는데, 실상은 사기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매우 어렵다"면서 "이 때문에 다수의 전세사기 건물을 중개한 공인중개사 또는 중개보조원들이 전세사기 공범으로 처벌이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전문가들은 현실적인 대안으로 공인중개사법의 처벌 수위를 높이는 것을 제안했다.동아대 강정규 부동산대학원장은 "소수이긴 하지만 일부 악덕 공인중개사 같은 경우 전세사기를 악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면서 "추후 (전세사기) 범죄를 예방한다는 차원에서 공인중개사법의 처벌 규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유사한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공인중개사법에 세분화된 처벌 조항을 신설해 전세 사기와 관련된 경우 가중 처벌을 한다는 항목을 만드는 대안도 있다"고 말했다.권태완 기자(kwon97@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뉴시스 -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바로가기) 와이드경제 - 전세사기 건물 다수 중개한 공인중개사, 처벌은 '솜방망이' (바로가기)
보안뉴스
2025-05-26
SKT 고발 변호사 “KT·LGU+도 해킹 드러나면 고발”
SKT 고발 변호사 “KT·LGU+도 해킹 드러나면 고발”
“통신사에 강화된 의무 부과하고 어기면 존립 위협 수준 책임 지워야” “SK텔레콤뿐 아니라 KT나 LG유플러스도 해킹을 당해 고객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나면 배임으로 고발할 것을 적극 검토할 겁니다.”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은 26일 여의도에서 기자와 만나 이렇게 밝혔다.대륜은 지난 1일 유영상 SKT 대표와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 및 위계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고발했다. 21일엔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에 응했다. 손 그룹장은 이 사건을 담당하는 변호사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SKT뿐 아니라 국내 통신사나 플랫폼 기업의 정보보호 역량에 대한 국민적 불안도 커진 상태다.지난 21일 본지 최초 보도([단독] SKT 공격한 악성코드 BPF도어, KT 서버도 침투했나) 직후, 정부가 KT와 LG유플러스 등을 상대로 직접 조사에 전격 착수했다. 두 통신사 외에 네이버와 우아한형제들, 카카오, 쿠팡 등 플랫폼 기업들도 조사 대상이다.손 그룹장은 “SKT 외 다른 기간통신사업자나 플랫폼 기업들도 해킹으로 고객정보가 유출된다면 고소·고발을 통해 책임을 묻겠다”며 “모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면에서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그는 SKT가 정보보호 투자를 미흡하게 한 점에 대해 “그 자체로 위법은 아니지만 배임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1위 사업자로서 정보보호와 투자비의 중요성을 잘 아는 SKT가 유심 정보 보관·활용 등 위탁사무를 처리하는 자로서 가입자들의 정보 보관 및 활용 사무를 게을리했다는 요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실제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보호공시에 따르면, SKT가 2024년 공시한 연간 정보보호 투자 금액은 유선 통신 자회사 SK브로드밴드와 합쳐 약 867억원이다. 이는 정보기술 투자액 대비 5.9% 수준으로, KT(6.4%)와 LG유플러스(6.6%)보다 낮은 수치다.ISMS 등 정부 인증제도 통신사에겐 불충분...“의무 강화 필요”미국 IANS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기업들의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13.2%다. 국내 세 통신사 모두 미국의 절반 이하다.손 그룹장은 국내 정보보호 관련 법·제도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정부 인증 제도가 기업 보안 역량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사후 관리도 잘 된다는 점이 이번 사고로 드러났다”고 했다.특히 2024년 7월 중소기업의 인증 취득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ISMS·ISMS-P 간편인증제’ 등이 주요 통신사업자의 정보보호 태세를 확인하기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그는 “사후 처벌 중심에서 사전 예방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국가 핵심기반시설을 운영하는 통신사업자에는 일반 기업보다 강화된 의무를 부과하고, 위반할 경우 존립 위협 수준의 실효성 있는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손 그룹장은 서울대 졸업 후 행정고시를 거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10년간 근무했다. 이후 사법고시에 합격한 뒤 법무법인 광장을 거쳐, 현재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으로 근무중이다. 지난 2009년 공정위 재직 당시, 미국 퀄컴에게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칩 리베이트 불공정거래 혐의 관련 제재 업무에 참여한 바 있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기사전문보기] SKT 고발 변호사 “KT·LGU+도 해킹 드러나면 고발” (바로가기)
보안뉴스
2025-05-26
SKT 고발 변호사 “KT·LGU+도 해킹 드러나면 고발”
SKT 고발 변호사 “KT·LGU+도 해킹 드러나면 고발”
“통신사에 강화된 의무 부과하고 어기면 존립 위협 수준 책임 지워야” “SK텔레콤뿐 아니라 KT나 LG유플러스도 해킹을 당해 고객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나면 배임으로 고발할 것을 적극 검토할 겁니다.”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은 26일 여의도에서 기자와 만나 이렇게 밝혔다.대륜은 지난 1일 유영상 SKT 대표와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 및 위계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고발했다. 21일엔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에 응했다. 손 그룹장은 이 사건을 담당하는 변호사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SKT뿐 아니라 국내 통신사나 플랫폼 기업의 정보보호 역량에 대한 국민적 불안도 커진 상태다.지난 21일 본지 최초 보도([단독] SKT 공격한 악성코드 BPF도어, KT 서버도 침투했나) 직후, 정부가 KT와 LG유플러스 등을 상대로 직접 조사에 전격 착수했다. 두 통신사 외에 네이버와 우아한형제들, 카카오, 쿠팡 등 플랫폼 기업들도 조사 대상이다.손 그룹장은 “SKT 외 다른 기간통신사업자나 플랫폼 기업들도 해킹으로 고객정보가 유출된다면 고소·고발을 통해 책임을 묻겠다”며 “모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면에서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그는 SKT가 정보보호 투자를 미흡하게 한 점에 대해 “그 자체로 위법은 아니지만 배임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1위 사업자로서 정보보호와 투자비의 중요성을 잘 아는 SKT가 유심 정보 보관·활용 등 위탁사무를 처리하는 자로서 가입자들의 정보 보관 및 활용 사무를 게을리했다는 요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실제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보호공시에 따르면, SKT가 2024년 공시한 연간 정보보호 투자 금액은 유선 통신 자회사 SK브로드밴드와 합쳐 약 867억원이다. 이는 정보기술 투자액 대비 5.9% 수준으로, KT(6.4%)와 LG유플러스(6.6%)보다 낮은 수치다.ISMS 등 정부 인증제도 통신사에겐 불충분...“의무 강화 필요”미국 IANS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기업들의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13.2%다. 국내 세 통신사 모두 미국의 절반 이하다.손 그룹장은 국내 정보보호 관련 법·제도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정부 인증 제도가 기업 보안 역량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사후 관리도 잘 된다는 점이 이번 사고로 드러났다”고 했다.특히 2024년 7월 중소기업의 인증 취득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ISMS·ISMS-P 간편인증제’ 등이 주요 통신사업자의 정보보호 태세를 확인하기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그는 “사후 처벌 중심에서 사전 예방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국가 핵심기반시설을 운영하는 통신사업자에는 일반 기업보다 강화된 의무를 부과하고, 위반할 경우 존립 위협 수준의 실효성 있는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손 그룹장은 서울대 졸업 후 행정고시를 거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10년간 근무했다. 이후 사법고시에 합격한 뒤 법무법인 광장을 거쳐, 현재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으로 근무중이다. 지난 2009년 공정위 재직 당시, 미국 퀄컴에게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칩 리베이트 불공정거래 혐의 관련 제재 업무에 참여한 바 있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기사전문보기] SKT 고발 변호사 “KT·LGU+도 해킹 드러나면 고발” (바로가기)
브릿지경제
2025-05-26
[脫 기후금융 후진국②] 국민연금, 그린머니 ‘깜깜이 투자’…배출권시장 정상화 최대 ‘걸림돌’
[脫 기후금융 후진국②] 국민연금, 그린머니 ‘깜깜이 투자’…배출권시장 정상화 최대 ‘걸림돌’
화석연료 투자액 및 감축목표 데이터 미공개 지속탄소가격 신호기능 마비…민간 투자자도 갈피 못잡아 ‘배출권 30% 유상 전환, 한국형 시장안정화예비분(K-MSR) 도입, 벤치마크 75% 확대’ 정부가 내놓은 4차 개편안의 ‘수술 도구’들이다. 하지만 아무리 정교한 제도를 만들어도 420조원 정책금융과 1300조원 공적자금이 같은 데이터를 보고 움직이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은행 스트레스테스트는 기후변화 무대응시 은행 손실이 최대 28조7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막대한 손실을 막으려면 금융권의 체계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 대응의 출발점이 되어야 할 데이터 투명성에서 한 가지 공통점에 도달한다. 바로 ‘숫자의 부재’다. 1000조원을 굴리는 국민연금이 정작 자신의 나침반을 꺼둔 채 항해하고 있는 것과 같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은 2018년 탈석탄을 선언했지만 여전히 화석연료 투자 잔액도, 금융배출량도, 감축 목표도 베일에 싸여 있다. 실제로 국민연금은 탈석탄 기준을 정하는 연구용역을 진행했지만 그 결과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 국내 ESG평가기관의 한 연구책임자는 “국민연금이 조용하면 다른 연기금과 보험사들도 투자를 미루게 되고, 결국 자본시장의 탄소 가격 신호는 꺼진다”고 지적했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의 침묵이 시장 전체의 마비로 이어지는 구조다. 해외 상황은 크게 다르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포트폴리오의 모든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공개하며 2030년까지 집약도를 55% 줄이겠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연기금 ABP는 석탄과 타르샌드 매출이 5%를 넘는 기업을 2025년까지 모두 매각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일본 GPIF조차 ESG 투자 관련 보고서를 매년 공개하며 2027년까지 ‘스코프3 커버리지’(기업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공급망 등 간접 배출원을 포괄하는 범위)를 100%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한국투자공사(KIC)는 녹색채권 보유액 41억달러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투명성 격차는 냉정한 현실로 드러난다. 화석연료 투자 잔액 공개 여부를 보면, 국민연금은 여전히 입을 다물고 있는 반면 해외 주요 연기금들은 모두 상세한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최환석 국회 정무위원회 전문위원은 “차기정부가 들어서면 국민연금 등 공적기금의 화석연료 투자 및 금융배출량 공시 의무화는 구체적인 적용범위나 시점 등을 금융당국과 논의해야할 것”이라며 “소관상임위인 보복위, 기재위 등과도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전략본부장은 “정무위와 기후위기특위, 환노위에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어떤 의지를 갖고 있느냐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숫자를 감추면 시장은 그 불확실성에 대해 비싼 값을 매긴다. ESG펀드들은 국민연금이 투자한 대기업들의 배출량 데이터를 구할 수 없어 리스크 프리미엄을 높게 책정할 수밖에 없다. 그 여파는 고스란히 금융권 자본비율 악화로 되돌아온다. 한은이 경고한 대규모 금융 손실도 결국 데이터 투명성 부족에서 비롯된다. 국제 신용평가사들도 “2027년 이후 탄소규제가 강화되면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자산에는 할인을 적용하겠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환의 속도를 높이려면 국민연금이 먼저 문을 열어야 한다. 노르웨이와 네덜란드 사례가 보여주듯, 일단 공개가 시작되면 기업들과 자산운용사들이 앞다퉈 배출량 개선에 나선다. 정부도 정책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와 거래소는 4차 계획기간에 총량을 대폭 줄이고 유상할당을 늘리며 시장안정화 예비분으로 가격 급락을 막겠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하지만 420조원이라는 거대한 정책금융도 데이터라는 창문이 열려야만 비로소 제대로 된 녹색 자본이 될 수 있다. 배출권 가격이 현실화되고 시장안정화 장치가 작동하더라도 결국 돈을 움직이는 건 데이터다. 국민연금이 화석연료 투자와 금융배출량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공과 민간이 같은 정보를 보고 위험과 기회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국 자본시장이 ‘탈 기후금융 후진국’의 해법을 찾을 수 있다. 김수환 기자(ksh@viva100.com) [기사전문보기] [脫 기후금융 후진국②] 국민연금, 그린머니 ‘깜깜이 투자’…배출권시장 정상화 최대 ‘걸림돌’ (바로가기)
브릿지경제
2025-05-26
[脫 기후금융 후진국②] 국민연금, 그린머니 ‘깜깜이 투자’…배출권시장 정상화 최대 ‘걸림돌’
[脫 기후금융 후진국②] 국민연금, 그린머니 ‘깜깜이 투자’…배출권시장 정상화 최대 ‘걸림돌’
화석연료 투자액 및 감축목표 데이터 미공개 지속탄소가격 신호기능 마비…민간 투자자도 갈피 못잡아 ‘배출권 30% 유상 전환, 한국형 시장안정화예비분(K-MSR) 도입, 벤치마크 75% 확대’ 정부가 내놓은 4차 개편안의 ‘수술 도구’들이다. 하지만 아무리 정교한 제도를 만들어도 420조원 정책금융과 1300조원 공적자금이 같은 데이터를 보고 움직이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은행 스트레스테스트는 기후변화 무대응시 은행 손실이 최대 28조7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막대한 손실을 막으려면 금융권의 체계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 대응의 출발점이 되어야 할 데이터 투명성에서 한 가지 공통점에 도달한다. 바로 ‘숫자의 부재’다. 1000조원을 굴리는 국민연금이 정작 자신의 나침반을 꺼둔 채 항해하고 있는 것과 같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은 2018년 탈석탄을 선언했지만 여전히 화석연료 투자 잔액도, 금융배출량도, 감축 목표도 베일에 싸여 있다. 실제로 국민연금은 탈석탄 기준을 정하는 연구용역을 진행했지만 그 결과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 국내 ESG평가기관의 한 연구책임자는 “국민연금이 조용하면 다른 연기금과 보험사들도 투자를 미루게 되고, 결국 자본시장의 탄소 가격 신호는 꺼진다”고 지적했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의 침묵이 시장 전체의 마비로 이어지는 구조다. 해외 상황은 크게 다르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포트폴리오의 모든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공개하며 2030년까지 집약도를 55% 줄이겠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연기금 ABP는 석탄과 타르샌드 매출이 5%를 넘는 기업을 2025년까지 모두 매각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일본 GPIF조차 ESG 투자 관련 보고서를 매년 공개하며 2027년까지 ‘스코프3 커버리지’(기업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공급망 등 간접 배출원을 포괄하는 범위)를 100%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한국투자공사(KIC)는 녹색채권 보유액 41억달러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투명성 격차는 냉정한 현실로 드러난다. 화석연료 투자 잔액 공개 여부를 보면, 국민연금은 여전히 입을 다물고 있는 반면 해외 주요 연기금들은 모두 상세한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최환석 국회 정무위원회 전문위원은 “차기정부가 들어서면 국민연금 등 공적기금의 화석연료 투자 및 금융배출량 공시 의무화는 구체적인 적용범위나 시점 등을 금융당국과 논의해야할 것”이라며 “소관상임위인 보복위, 기재위 등과도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전략본부장은 “정무위와 기후위기특위, 환노위에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어떤 의지를 갖고 있느냐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숫자를 감추면 시장은 그 불확실성에 대해 비싼 값을 매긴다. ESG펀드들은 국민연금이 투자한 대기업들의 배출량 데이터를 구할 수 없어 리스크 프리미엄을 높게 책정할 수밖에 없다. 그 여파는 고스란히 금융권 자본비율 악화로 되돌아온다. 한은이 경고한 대규모 금융 손실도 결국 데이터 투명성 부족에서 비롯된다. 국제 신용평가사들도 “2027년 이후 탄소규제가 강화되면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자산에는 할인을 적용하겠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환의 속도를 높이려면 국민연금이 먼저 문을 열어야 한다. 노르웨이와 네덜란드 사례가 보여주듯, 일단 공개가 시작되면 기업들과 자산운용사들이 앞다퉈 배출량 개선에 나선다. 정부도 정책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와 거래소는 4차 계획기간에 총량을 대폭 줄이고 유상할당을 늘리며 시장안정화 예비분으로 가격 급락을 막겠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하지만 420조원이라는 거대한 정책금융도 데이터라는 창문이 열려야만 비로소 제대로 된 녹색 자본이 될 수 있다. 배출권 가격이 현실화되고 시장안정화 장치가 작동하더라도 결국 돈을 움직이는 건 데이터다. 국민연금이 화석연료 투자와 금융배출량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공과 민간이 같은 정보를 보고 위험과 기회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국 자본시장이 ‘탈 기후금융 후진국’의 해법을 찾을 수 있다. 김수환 기자(ksh@viva100.com) [기사전문보기] [脫 기후금융 후진국②] 국민연금, 그린머니 ‘깜깜이 투자’…배출권시장 정상화 최대 ‘걸림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26
‘경영 비리’ 대표이사 부당해고 주장…법원 “청구 이유 없어”
‘경영 비리’ 대표이사 부당해고 주장…법원 “청구 이유 없어”
공금횡령 등 부정행위 정황 발견자발적 사임 2년 후 돌연 소송法 “법상 근로자에 해당 않아…퇴직금 소멸시효 3년도 경과” 경영 비리를 저질러 스스로 물러난 전 대표이사가 회사를 상대로 부당 해고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부장판사 이승원)은 지난달 17일 운수업체 전 대표이사 A 씨가 회사를 상대로 낸 해고 무효 확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이와 함께 2억6000여만 원에 달하는 퇴직금 등 청구 역시 기각했다.A 씨는 2002년 4월 회사에서 총무 인사 회계 등 사무 행정업무 전반을 총괄하다 2004년 3월께 법인 전환과 함께 지분을 취득하면서 주주가 됐다.이후 A 씨는 사내이사를 거쳐 2015년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A 씨는 애초 정해진 임기에서 대표이사 지위와 역할을 수행했지만, 공금 횡령 등 부정행위가 드러나 2021년 대표직을 사임했다.하지만 A 씨는 약 2년 뒤 돌연 부당 해고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대표이사 취임 전 근로자로서 근무한 기간에 대한 퇴직금 지급을 요구했다. 또 정년퇴직자는 촉탁직으로 재고용될 수 있다는 단체협약 내용을 언급하며, 촉탁직 근무 시 받을 수 있었던 임금 등을 추가 지급해야 한다고도 했다.사측은 A 씨가 업무상 횡령 등 혐의에 대해 수사기관의 수사를 받게 되자 부당 해고를 문제 삼기 시작했다고 맞섰다.법원은 사측의 손을 들어줬다. 이 부장판사는 “원고는 대표이사로 재직한 기간과 사임 후 해고 직전 기간까지 피고와 종속적 고용관계가 아니었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상 명시된 근로자로 볼 수 없다”며 “이사 재직 이전 임직원으로 근무했을 당시에는 근로자성이 인정되더라도 원고의 그 무렵 평균임금을 알 수 있는 자료도 없고, 퇴직금을 퇴직일로부터 3년 이내에 청구하지 않아 채권도 소멸됐다”고 청구를 기각했다.사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조익천 변호사는 “A 씨는 사임 당시 노동위원회에 부당 해고 구제 신청을 하거나 해고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한 적이 없었고, 2년이 지난 후에 돌연 부당 해고를 주장하고 있었다”며 “그러나 A 씨는 스스로 사임해 사측과 임원의 관계에서 위임계약 해지 의사 표시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이어 “이에 따라 A 씨에게 임금 상당액, 퇴직금이 발생할 이유가 없다”며 “회사 규정 역시 대표이사에게 퇴직 보수가 지급된 이력이 없었던 점 등이 인정돼 청구 기각 판결이 내려졌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경영 비리’ 대표이사 부당해고 주장…법원 “청구 이유 없어”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26
‘경영 비리’ 대표이사 부당해고 주장…법원 “청구 이유 없어”
‘경영 비리’ 대표이사 부당해고 주장…법원 “청구 이유 없어”
공금횡령 등 부정행위 정황 발견자발적 사임 2년 후 돌연 소송法 “법상 근로자에 해당 않아…퇴직금 소멸시효 3년도 경과” 경영 비리를 저질러 스스로 물러난 전 대표이사가 회사를 상대로 부당 해고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부장판사 이승원)은 지난달 17일 운수업체 전 대표이사 A 씨가 회사를 상대로 낸 해고 무효 확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이와 함께 2억6000여만 원에 달하는 퇴직금 등 청구 역시 기각했다.A 씨는 2002년 4월 회사에서 총무 인사 회계 등 사무 행정업무 전반을 총괄하다 2004년 3월께 법인 전환과 함께 지분을 취득하면서 주주가 됐다.이후 A 씨는 사내이사를 거쳐 2015년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A 씨는 애초 정해진 임기에서 대표이사 지위와 역할을 수행했지만, 공금 횡령 등 부정행위가 드러나 2021년 대표직을 사임했다.하지만 A 씨는 약 2년 뒤 돌연 부당 해고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대표이사 취임 전 근로자로서 근무한 기간에 대한 퇴직금 지급을 요구했다. 또 정년퇴직자는 촉탁직으로 재고용될 수 있다는 단체협약 내용을 언급하며, 촉탁직 근무 시 받을 수 있었던 임금 등을 추가 지급해야 한다고도 했다.사측은 A 씨가 업무상 횡령 등 혐의에 대해 수사기관의 수사를 받게 되자 부당 해고를 문제 삼기 시작했다고 맞섰다.법원은 사측의 손을 들어줬다. 이 부장판사는 “원고는 대표이사로 재직한 기간과 사임 후 해고 직전 기간까지 피고와 종속적 고용관계가 아니었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상 명시된 근로자로 볼 수 없다”며 “이사 재직 이전 임직원으로 근무했을 당시에는 근로자성이 인정되더라도 원고의 그 무렵 평균임금을 알 수 있는 자료도 없고, 퇴직금을 퇴직일로부터 3년 이내에 청구하지 않아 채권도 소멸됐다”고 청구를 기각했다.사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조익천 변호사는 “A 씨는 사임 당시 노동위원회에 부당 해고 구제 신청을 하거나 해고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한 적이 없었고, 2년이 지난 후에 돌연 부당 해고를 주장하고 있었다”며 “그러나 A 씨는 스스로 사임해 사측과 임원의 관계에서 위임계약 해지 의사 표시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이어 “이에 따라 A 씨에게 임금 상당액, 퇴직금이 발생할 이유가 없다”며 “회사 규정 역시 대표이사에게 퇴직 보수가 지급된 이력이 없었던 점 등이 인정돼 청구 기각 판결이 내려졌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경영 비리’ 대표이사 부당해고 주장…법원 “청구 이유 없어”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7곳
2025-05-26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대기업 탈세 조사, ‘수사통’으로 명성…기업범죄 등 ‘기업 관련 전문가’손해배상액 1인당 100만원 책정…26일 민사소송 1차 접수 진행“대형로펌 유일 집단소송…고질적 문제 바로잡고 국민권익 지킬 것”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법적 절차를 진행 중인 법무법인 대륜이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를 내세워 전면 대응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 아울러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7일 오전 10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 지급을 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대륜은 국내 최대 통신사의 보안 체계가 무력화된 만큼 기업의 보안 관리 책임을 넘어선 중대한 사회적 문제로 보고 관련 경험이 풍부한 조영곤 변호사를 본 사건의 총괄 지휘자로 선정했다.조 변호사는 검사장 재직 당시 전직 대통령 비자금 추징, 4대강 수사 등 굵직한 사건을 이끈 바 있다. 특히 대기업 탈세 비위 조사를 진두지휘하며 '수사통'으로 명성을 높였다. 퇴임 이후에도 대형 로펌 자문과 송무 경험을 통해 기업범죄 관련 여러 분야에서 전문가로 평가 받고 있다.나아가 대륜은 내부 전략기구인 특별수행본부(특수부)를 중심으로 이번 사건에 대해 조직적인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수부는 공공 이슈, 사회적 분쟁 등 개별 그룹 차원의 대응이 어려운 중대형 사건을 전담하기 위해 설계된 조직으로, 분야에 걸맞은 전문 변호사를 조직해 사건 처리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특히, 조 변호사가 특수부 본부장을 역임하고 있어 앞서 사건을 분석 중인 기업법무그룹 구성원들과 보다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더욱 전략적인 대응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과거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겪은 미국 통신사 고객들의 경우 집단 소송을 거쳐 거액의 배상금을 수령한 바 있다. 미국의 3대 통신사인 T모바일은 지난 2021년 고객 766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태를 겪었다. 이에 고객들은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T모바일은 고객들에게 3억5000만 달러(약 4590억원), 1인당 최대 2만5000달러(약 3200만원)를 지급하게 됐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SKT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과거 사건들보다 유출 규모가 막대하다고 보고 있다. 기간통신 사업자로서의 정보보호 의무를 다하지 못해 국민에게 현실적인 불편을 끼쳤고 그러한 불편과 불안이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점에서 과거 사안보다 엄격히 책임을 물어야 하는 사안이라는 입장이다.조영곤 변호사는 "수년 전부터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반복돼 왔지만, 국내에서는 실질적인 처벌이나 배상은 미미했고 그 결과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가고 있다"며 “대형로펌에서는 유일하게 대륜이 나서고 있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법적 구조 등 고질적인 문제 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국민 대표로 나서는 것으로 국민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바로가기) 한국경제 - 조영곤 전 서울지검장, 'SKT 해킹' 소송 총괄 지휘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SKT 법적 대응에 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 발탁 (바로가기) 지디넷코리아 -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총괄 (바로가기) 뉴스1 - 'SKT 1000명 소송' 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가 맡는다 (바로가기) 보안뉴스 - [SKT 해킹 사태] SKT 소송전, 前 중앙지검장 합류…민형사 소송 총괄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7곳
2025-05-26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대기업 탈세 조사, ‘수사통’으로 명성…기업범죄 등 ‘기업 관련 전문가’손해배상액 1인당 100만원 책정…26일 민사소송 1차 접수 진행“대형로펌 유일 집단소송…고질적 문제 바로잡고 국민권익 지킬 것”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법적 절차를 진행 중인 법무법인 대륜이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를 내세워 전면 대응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 아울러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7일 오전 10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 지급을 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대륜은 국내 최대 통신사의 보안 체계가 무력화된 만큼 기업의 보안 관리 책임을 넘어선 중대한 사회적 문제로 보고 관련 경험이 풍부한 조영곤 변호사를 본 사건의 총괄 지휘자로 선정했다.조 변호사는 검사장 재직 당시 전직 대통령 비자금 추징, 4대강 수사 등 굵직한 사건을 이끈 바 있다. 특히 대기업 탈세 비위 조사를 진두지휘하며 '수사통'으로 명성을 높였다. 퇴임 이후에도 대형 로펌 자문과 송무 경험을 통해 기업범죄 관련 여러 분야에서 전문가로 평가 받고 있다.나아가 대륜은 내부 전략기구인 특별수행본부(특수부)를 중심으로 이번 사건에 대해 조직적인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수부는 공공 이슈, 사회적 분쟁 등 개별 그룹 차원의 대응이 어려운 중대형 사건을 전담하기 위해 설계된 조직으로, 분야에 걸맞은 전문 변호사를 조직해 사건 처리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특히, 조 변호사가 특수부 본부장을 역임하고 있어 앞서 사건을 분석 중인 기업법무그룹 구성원들과 보다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더욱 전략적인 대응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과거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겪은 미국 통신사 고객들의 경우 집단 소송을 거쳐 거액의 배상금을 수령한 바 있다. 미국의 3대 통신사인 T모바일은 지난 2021년 고객 766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태를 겪었다. 이에 고객들은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T모바일은 고객들에게 3억5000만 달러(약 4590억원), 1인당 최대 2만5000달러(약 3200만원)를 지급하게 됐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SKT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과거 사건들보다 유출 규모가 막대하다고 보고 있다. 기간통신 사업자로서의 정보보호 의무를 다하지 못해 국민에게 현실적인 불편을 끼쳤고 그러한 불편과 불안이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점에서 과거 사안보다 엄격히 책임을 물어야 하는 사안이라는 입장이다.조영곤 변호사는 "수년 전부터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반복돼 왔지만, 국내에서는 실질적인 처벌이나 배상은 미미했고 그 결과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가고 있다"며 “대형로펌에서는 유일하게 대륜이 나서고 있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법적 구조 등 고질적인 문제 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국민 대표로 나서는 것으로 국민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전,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총괄 지휘 (바로가기) 한국경제 - 조영곤 전 서울지검장, 'SKT 해킹' 소송 총괄 지휘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SKT 법적 대응에 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 발탁 (바로가기) 지디넷코리아 - 법무법인 대륜, SKT 소송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총괄 (바로가기) 뉴스1 - 'SKT 1000명 소송' 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 변호사가 맡는다 (바로가기) 보안뉴스 - [SKT 해킹 사태] SKT 소송전, 前 중앙지검장 합류…민형사 소송 총괄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5-25
"질병도 산재인데…왜 사업주는 못 다투죠?" [대륜의 Biz law forum]
"질병도 산재인데…왜 사업주는 못 다투죠?" [대륜의 Biz law forum]
‘업무상 질병’ 요율 반영 대상서 제외사업주, 승인처분 소송 실익 논란제도 바뀌었지만 법원 판단은 엇갈려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일하던 중 다치거나 병에 걸리면 사업주들은 사업에 불이익이 있을지, 산업재해 보험료가 오르는 건 아닌지 두려울 수밖에 없다. 산재 처리로 인한 보험료 인상은 '개별실적요율'과 관계있다. 과거 3년간 산재 보험료를 납부한 금액의 합계액에 비해 산재 처리로 지급받은 산재 보험 급여액(산재 보험금) 합계액의 비율이 85%를 초과하게 되면 산재보험료율이 인상된다.과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지급된 산재 보험금도 산재 보험료율을 산정할 때 고려됐다. 그 때문에 사업주로선 보험료 할증을 피하기 위해 산재를 은폐할 유인이 있었다. 2018년 12월 31일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해 지급된 산재 보험금은 산재 보험료율 산정에서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바뀌었다.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가 인정돼 사업주의 산재 보험료가 인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개정된 시행령에 의해 2019년 1월 1일부터는 업무상 질병을 산재로 인정해도 사업주에겐 일견 불이익이 없어 보인다. 최근 일부 하급심 판결들(서울행정법원 2022구합64232 판결, 서울행정법원 2024구합78122 판결 등)은 이런 이유로 사업주들에게는 근로복지공단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 처분을 다툴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봐 사업주의 산재 처분 취소 소송을 각하하고 있다. 해당 하급심 판결들이 드는 근거는 대체로 이렇다. ① 근로복지공단의 산재 승인 처분은 근로자 또는 유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사업주를 처분의 직접 상대방으로 삼고 있지 않다.② 개정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시행령에 의해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 보험금이 지급되더라도 사업주의 개별실적요율에 영향이 없어 산재보험료가 인상되지 않는다.③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으로 인해 사업주가 속한 사업 종류의 산재 보험 급여 총액이 증가함으로써 업종별 요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해당 사업주에게 직접적, 법률적 이해관계가 있다고 볼 수 없다.④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이 있다고 하더라도 근로자나 그 유족이 사업주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 등 소송에서 사업주는 업무상 질병이 아님을 주장, 입증할 수 있다.다만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 처분으로 사업주의 산재 보험료가 인상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사업주가 위 산재 승인 처분을 다툴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보는 하급심 판결들도 존재한다.근로자 측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공단의 산재 불승인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에서 사업주에게 산재 불승인 처분의 취소 여부에 대한 법률상 이해관계가 있다고 인정해 사업주의 보조참가를 허용한 하급심 판결(서울행정법원 2022구합54405 판결), 2019년 2월 7일 발생한 업무상 질병에 대해 근로복지공단이 산재 승인 처분을 내리자 사업주가 이에 불복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해당 처분의 취소를 구한 소송에서 사업주에게 처분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보고 실체 판단을 한 하급심 판결(서울행정법원 2019구단71113 판결은 사업주의 청구를 인용했고, 이 사건 항소심인 서울고등법원 2023누40993 판결은 사업주의 청구를 기각했다. 이 사건은 대법원에서 상고 기각으로 확정됐다) 등이 그것이다. 업무상 질병이 산재 발생 실적에서 제외된다고 하더라도 사업주로선 업무상 질병에 관한 근로복지공단의 요양급여 승인 처분을 다퉈야 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봐야 한다. 구체적인 근거는 다음과 같다.① 업무상 질병에 대해 지급이 결정된 보험 급여액은 산재 보험 급여 금액의 '개별 요율 실적' 산정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업주가 속한 업종의 업종별 요율에는 반영될 수 있다. 결국 개별 사업주의 보험료 역시 상승할 여지가 있다.② 현실적으로 근로복지공단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요양급여 승인 처분은 근로자 측이 사업주에게 제기하는 손해배상청구에서 기초 사실관계를 인정하는 강력한 근거로 작용한다. 선결문제가 되는 행정 행위의 효력에 관해 대법원은 "행정 처분이 아무리 위법하다 해도 그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해 당연 무효라고 봐야 할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 하자를 이유로 무단히 그 효과를 부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런 행정 행위의 공정력은 판결의 기판력과 같은 효력은 아니지만 그 공정력의 객관적 범위에 속하는 행정 행위의 하자가 취소사유에 불과한 때에는 그 처분이 취소되지 않는 한 처분의 효력을 부정해 그로 인한 이득을 법률상 원인 없는 이득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대법원 2006다83802 판결)"이라는 일관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근로복지공단의 위법한 요양급여 승인 처분을 취소할 수 없게 되면 근로자 측이 업무상 질병을 원인으로 사업주를 상대로 제기하는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사업주가 행정 처분의 공정력으로 인해 해당 질병이 업무상 질병이 아니라는 주장을 개진하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다.③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 질병 여부를 잘못 판단한 처분을 다툴 수 없게 되면 근로자의 사망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 제1호, 제2호의 산업재해 및 중대재해에 해당한다. 사업주는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한 보고 의무(산업안전보건법 제54조 제2항, 제57조 제3항)를 부담하게 되고 이를 위반할 경우 3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처분의 대상이 된다(같은 법 제175조 제2항 제2호). 고용부 장관이 사업주에게 안전보건 개선계획의 수립·시행 등을 명할 경우 사업주는 이에 따라야 하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같은 법 제56조 제2항).법원행정처가 발간한 2024년 사법연감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서울행정법원에서 선고된 사건은 총 8506건이었고, 이 중 원고의 청구가 일부라도 인용된 사건은 1100건이었다. 이 통계는 행정소송에서 인용률이 비교적 낮다는 점을 보여준다.이런 상황에서 소송 당사자가 재판받을 자격조차 인정받지 못한다면 현실적인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당사자에게 큰 아쉬움으로 다가올 것이다.행정 소송에서 원고적격을 지나치게 넓게 인정할 경우의 부작용도 충분히 고려돼야 하겠지만, 동시에 국민의 권리 구제를 위한 사법 절차가 과도하게 제한돼선 안 될 것이다.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요양급여 승인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 적격에 관한 하급심 판결 간 입장 차이가 하루빨리 정리되길 기대한다. [기사전문보기] "질병도 산재인데…왜 사업주는 못 다투죠?"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5-25
"질병도 산재인데…왜 사업주는 못 다투죠?" [대륜의 Biz law forum]
"질병도 산재인데…왜 사업주는 못 다투죠?" [대륜의 Biz law forum]
‘업무상 질병’ 요율 반영 대상서 제외사업주, 승인처분 소송 실익 논란제도 바뀌었지만 법원 판단은 엇갈려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일하던 중 다치거나 병에 걸리면 사업주들은 사업에 불이익이 있을지, 산업재해 보험료가 오르는 건 아닌지 두려울 수밖에 없다. 산재 처리로 인한 보험료 인상은 '개별실적요율'과 관계있다. 과거 3년간 산재 보험료를 납부한 금액의 합계액에 비해 산재 처리로 지급받은 산재 보험 급여액(산재 보험금) 합계액의 비율이 85%를 초과하게 되면 산재보험료율이 인상된다.과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지급된 산재 보험금도 산재 보험료율을 산정할 때 고려됐다. 그 때문에 사업주로선 보험료 할증을 피하기 위해 산재를 은폐할 유인이 있었다. 2018년 12월 31일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해 지급된 산재 보험금은 산재 보험료율 산정에서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바뀌었다.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가 인정돼 사업주의 산재 보험료가 인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개정된 시행령에 의해 2019년 1월 1일부터는 업무상 질병을 산재로 인정해도 사업주에겐 일견 불이익이 없어 보인다. 최근 일부 하급심 판결들(서울행정법원 2022구합64232 판결, 서울행정법원 2024구합78122 판결 등)은 이런 이유로 사업주들에게는 근로복지공단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 처분을 다툴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봐 사업주의 산재 처분 취소 소송을 각하하고 있다. 해당 하급심 판결들이 드는 근거는 대체로 이렇다. ① 근로복지공단의 산재 승인 처분은 근로자 또는 유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사업주를 처분의 직접 상대방으로 삼고 있지 않다.② 개정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시행령에 의해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 보험금이 지급되더라도 사업주의 개별실적요율에 영향이 없어 산재보험료가 인상되지 않는다.③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으로 인해 사업주가 속한 사업 종류의 산재 보험 급여 총액이 증가함으로써 업종별 요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해당 사업주에게 직접적, 법률적 이해관계가 있다고 볼 수 없다.④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이 있다고 하더라도 근로자나 그 유족이 사업주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 등 소송에서 사업주는 업무상 질병이 아님을 주장, 입증할 수 있다.다만 업무상 질병에 대한 산재 승인 처분으로 사업주의 산재 보험료가 인상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사업주가 위 산재 승인 처분을 다툴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보는 하급심 판결들도 존재한다.근로자 측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공단의 산재 불승인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에서 사업주에게 산재 불승인 처분의 취소 여부에 대한 법률상 이해관계가 있다고 인정해 사업주의 보조참가를 허용한 하급심 판결(서울행정법원 2022구합54405 판결), 2019년 2월 7일 발생한 업무상 질병에 대해 근로복지공단이 산재 승인 처분을 내리자 사업주가 이에 불복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해당 처분의 취소를 구한 소송에서 사업주에게 처분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보고 실체 판단을 한 하급심 판결(서울행정법원 2019구단71113 판결은 사업주의 청구를 인용했고, 이 사건 항소심인 서울고등법원 2023누40993 판결은 사업주의 청구를 기각했다. 이 사건은 대법원에서 상고 기각으로 확정됐다) 등이 그것이다. 업무상 질병이 산재 발생 실적에서 제외된다고 하더라도 사업주로선 업무상 질병에 관한 근로복지공단의 요양급여 승인 처분을 다퉈야 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봐야 한다. 구체적인 근거는 다음과 같다.① 업무상 질병에 대해 지급이 결정된 보험 급여액은 산재 보험 급여 금액의 '개별 요율 실적' 산정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업주가 속한 업종의 업종별 요율에는 반영될 수 있다. 결국 개별 사업주의 보험료 역시 상승할 여지가 있다.② 현실적으로 근로복지공단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요양급여 승인 처분은 근로자 측이 사업주에게 제기하는 손해배상청구에서 기초 사실관계를 인정하는 강력한 근거로 작용한다. 선결문제가 되는 행정 행위의 효력에 관해 대법원은 "행정 처분이 아무리 위법하다 해도 그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해 당연 무효라고 봐야 할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 하자를 이유로 무단히 그 효과를 부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런 행정 행위의 공정력은 판결의 기판력과 같은 효력은 아니지만 그 공정력의 객관적 범위에 속하는 행정 행위의 하자가 취소사유에 불과한 때에는 그 처분이 취소되지 않는 한 처분의 효력을 부정해 그로 인한 이득을 법률상 원인 없는 이득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대법원 2006다83802 판결)"이라는 일관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근로복지공단의 위법한 요양급여 승인 처분을 취소할 수 없게 되면 근로자 측이 업무상 질병을 원인으로 사업주를 상대로 제기하는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사업주가 행정 처분의 공정력으로 인해 해당 질병이 업무상 질병이 아니라는 주장을 개진하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다.③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 질병 여부를 잘못 판단한 처분을 다툴 수 없게 되면 근로자의 사망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 제1호, 제2호의 산업재해 및 중대재해에 해당한다. 사업주는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한 보고 의무(산업안전보건법 제54조 제2항, 제57조 제3항)를 부담하게 되고 이를 위반할 경우 3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처분의 대상이 된다(같은 법 제175조 제2항 제2호). 고용부 장관이 사업주에게 안전보건 개선계획의 수립·시행 등을 명할 경우 사업주는 이에 따라야 하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같은 법 제56조 제2항).법원행정처가 발간한 2024년 사법연감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서울행정법원에서 선고된 사건은 총 8506건이었고, 이 중 원고의 청구가 일부라도 인용된 사건은 1100건이었다. 이 통계는 행정소송에서 인용률이 비교적 낮다는 점을 보여준다.이런 상황에서 소송 당사자가 재판받을 자격조차 인정받지 못한다면 현실적인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당사자에게 큰 아쉬움으로 다가올 것이다.행정 소송에서 원고적격을 지나치게 넓게 인정할 경우의 부작용도 충분히 고려돼야 하겠지만, 동시에 국민의 권리 구제를 위한 사법 절차가 과도하게 제한돼선 안 될 것이다.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요양급여 승인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 적격에 관한 하급심 판결 간 입장 차이가 하루빨리 정리되길 기대한다. [기사전문보기] "질병도 산재인데…왜 사업주는 못 다투죠?"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23
수억 원 빌려 가상화폐 탕진한 30대, 항소심도 실형
수억 원 빌려 가상화폐 탕진한 30대, 항소심도 실형
지인들로부터 빌린 돈을 가상화폐 투자에 탕진한 남성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1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과 같은 징역 4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자신이 운영하던 스포츠 센터의 회원 B씨 등 9명으로부터 10억 원에 가까운 금전을 편취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조사 결과 A씨는 피해자들에게 부족한 센터 계약금을 보태달라고 요구하거나, 가상화폐 대리 투자를 통해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돈을 받아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이 과정에서 회원의 명의를 이용해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고 대출을 실행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검찰은 A씨가 가상자산 투자금 마련을 위해 이같은 범행을 저질렀다고 봤습니다.1심 재판부는 "신뢰 관계를 이용해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돈을 편취하고 명의를 도용해 대출을 받기도 했다"며 "피해 규모가 크고 피해자들 대부분이 이를 제대로 회복하지 못했다"며 실형을 선고했습니다.이에 A씨는 양형 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으나 2심은 이를 기각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해액이 매우 일부만 변제됐고 피해자들이 엄벌을 탄원하고 있다"면서 "원심과 달라진 양형조건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권민경 변호사는 "당시 A씨는 건물을 계약하면 이를 담보로 대출을 받아 변제하겠다는 약속까지 했지만 전부 거짓이었다"며 "A씨에게 처음부터 변제 의사가 없었음과 동시에 현재까지도 피해 복구가 되지 않은 점을 강조해 합당한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수억 원 빌려 가상화폐 탕진한 30대, 항소심도 실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23
수억 원 빌려 가상화폐 탕진한 30대, 항소심도 실형
수억 원 빌려 가상화폐 탕진한 30대, 항소심도 실형
지인들로부터 빌린 돈을 가상화폐 투자에 탕진한 남성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은 지난달 11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과 같은 징역 4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자신이 운영하던 스포츠 센터의 회원 B씨 등 9명으로부터 10억 원에 가까운 금전을 편취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조사 결과 A씨는 피해자들에게 부족한 센터 계약금을 보태달라고 요구하거나, 가상화폐 대리 투자를 통해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돈을 받아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이 과정에서 회원의 명의를 이용해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고 대출을 실행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검찰은 A씨가 가상자산 투자금 마련을 위해 이같은 범행을 저질렀다고 봤습니다.1심 재판부는 "신뢰 관계를 이용해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돈을 편취하고 명의를 도용해 대출을 받기도 했다"며 "피해 규모가 크고 피해자들 대부분이 이를 제대로 회복하지 못했다"며 실형을 선고했습니다.이에 A씨는 양형 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으나 2심은 이를 기각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해액이 매우 일부만 변제됐고 피해자들이 엄벌을 탄원하고 있다"면서 "원심과 달라진 양형조건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권민경 변호사는 "당시 A씨는 건물을 계약하면 이를 담보로 대출을 받아 변제하겠다는 약속까지 했지만 전부 거짓이었다"며 "A씨에게 처음부터 변제 의사가 없었음과 동시에 현재까지도 피해 복구가 되지 않은 점을 강조해 합당한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수억 원 빌려 가상화폐 탕진한 30대, 항소심도 실형 (바로가기)
YTN
2025-05-23
"SKT 해킹 집단 손해배상 소송 235명 모집"
"SKT 해킹 집단 손해배상 소송 235명 모집"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해 집단 손해배상 소송을 추진하는 법무법인 대륜 측은 오늘(23일) SKT 이용자 235명이 소송에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대륜 측은 지금까지 소송 참여를 문의한 이용자는 1만2백 명에 달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또 원고 1명당 100만 원의 위자료를 청구할 계획이라며, 이달 말까지 2차 모집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앞서 대륜 측은 SKT 유영상 대표 등을 업무상 배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습니다. 신귀혜(shinkh0619@ytn.co.kr) [기사전문보기] "SKT 해킹 집단 손해배상 소송 235명 모집" (바로가기)
YTN
2025-05-23
"SKT 해킹 집단 손해배상 소송 235명 모집"
"SKT 해킹 집단 손해배상 소송 235명 모집"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해 집단 손해배상 소송을 추진하는 법무법인 대륜 측은 오늘(23일) SKT 이용자 235명이 소송에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대륜 측은 지금까지 소송 참여를 문의한 이용자는 1만2백 명에 달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또 원고 1명당 100만 원의 위자료를 청구할 계획이라며, 이달 말까지 2차 모집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앞서 대륜 측은 SKT 유영상 대표 등을 업무상 배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습니다. 신귀혜(shinkh0619@ytn.co.kr) [기사전문보기] "SKT 해킹 집단 손해배상 소송 235명 모집"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23
임단협 앞두고 통상임금 '동상이몽'…변호사가 알려주는 실무자 대응
임단협 앞두고 통상임금 '동상이몽'…변호사가 알려주는 실무자 대응
매년 5~6월은 기업들이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준비하는 시기다. 기존 임단협에서 정년 연장, 근로시간 단축, 조합활동 확대 등이 주요 쟁점이었던 것과 달리 올해는 통상임금으로 노사 간 난항이 예상된다. 통상임금이 주요 화두로 떠오른 계기는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결에서 비롯됐다. 판결의 핵심 의제는 통상임금 판단 기준에서 '고정성' 요건을 폐지한 것이다. 이번 판결에 많은 기업이 주목한 이유는 2013년 통상임금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 10여 년 만에 기존 해석과 전혀 다른 판단이 내려졌기 때문이다.기존에는 통상임금을 판단할 때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의 세 가지 요건을 고려했다. 대법원 역시 수십년 간의 판결에서 통상임금의 개념을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소정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이라고 정의내렸다. 2013년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갑을오토텍 사건)이 대표적이다.하지만 이번 판결을 통해 "근로자가 소정근로를 온전하게 제공한 경우, 그 대가로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하도록 정해진 임금은 통상임금에 해당한다"는 법리가 새롭게 등장했다. 이에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정기 상여금이 가장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상여금에 재직 기간 등 조건이 붙어있다고 해도 이는 근로자라면 누구나 충족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이에 기업 입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를 검토해야 한다. 첫째, 상임금 관련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 통상임금 산입 범위가 대폭 확대된 만큼, 임금 구조를 단순화하는 작업이 병행돼야 한다. 특히 '기본급 성격의 임금'과 '성과급 성격의 임금'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성과급 성격의 임금에는 △부양가족 수에 따른 가족수당 △실적에 따른 성과급 △경영 성과급 △법정수당 등이 포함된다. 이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소정근로'의 제공 여부이며, 성과급 등은 실적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므로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없다. 따라서 근로계약서의 미비점을 전향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둘째, 노사관계 관리를 재점검해야 한다. 임단협 등 과정은 지난한 시간이 소요된다. 때로는 갈등이 불거지기도 한다. 이에 다소 원론적이더라도 정기적인 노사협의회 개최, 통상임금 관련 이슈에 대한 설명회를 실시하는 것도 방안이 된다. 더불어 노사협의회 회의 기록 등 신규 안건에 대한 점검 및 소통 창구 설치도 해결책 중 하나다. 기업 실무자들이 통상임금 문제로 밤잠을 설칠 정도로 깊은 고민에 빠지는 반면, 근로자들은 이를 단순히 '월급이 오를 수도 있겠다'는 수준으로 가볍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마지막으로 리스크 대응 마련이다. 이론과 현실은 다르다. 계산기를 두드려봤을 때 문제가 없더라도 막상 현장에서의 불만 섞인 제기가 발생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런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할 경우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실제로 쌍용자동차, 삼성전자 협력사, 기업은행 등 다수의 기업이 통상임금 문제로 법적 분쟁을 겪은 바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려면 사내 고충 처리 제도를 적극 활용하거나, 노동전문변호사 등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단계적으로 중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임단협 앞두고 통상임금 '동상이몽'…변호사가 알려주는 실무자 대응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23
임단협 앞두고 통상임금 '동상이몽'…변호사가 알려주는 실무자 대응
임단협 앞두고 통상임금 '동상이몽'…변호사가 알려주는 실무자 대응
매년 5~6월은 기업들이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준비하는 시기다. 기존 임단협에서 정년 연장, 근로시간 단축, 조합활동 확대 등이 주요 쟁점이었던 것과 달리 올해는 통상임금으로 노사 간 난항이 예상된다. 통상임금이 주요 화두로 떠오른 계기는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결에서 비롯됐다. 판결의 핵심 의제는 통상임금 판단 기준에서 '고정성' 요건을 폐지한 것이다. 이번 판결에 많은 기업이 주목한 이유는 2013년 통상임금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 10여 년 만에 기존 해석과 전혀 다른 판단이 내려졌기 때문이다.기존에는 통상임금을 판단할 때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의 세 가지 요건을 고려했다. 대법원 역시 수십년 간의 판결에서 통상임금의 개념을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소정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이라고 정의내렸다. 2013년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갑을오토텍 사건)이 대표적이다.하지만 이번 판결을 통해 "근로자가 소정근로를 온전하게 제공한 경우, 그 대가로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하도록 정해진 임금은 통상임금에 해당한다"는 법리가 새롭게 등장했다. 이에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정기 상여금이 가장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상여금에 재직 기간 등 조건이 붙어있다고 해도 이는 근로자라면 누구나 충족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이에 기업 입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를 검토해야 한다. 첫째, 상임금 관련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 통상임금 산입 범위가 대폭 확대된 만큼, 임금 구조를 단순화하는 작업이 병행돼야 한다. 특히 '기본급 성격의 임금'과 '성과급 성격의 임금'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성과급 성격의 임금에는 △부양가족 수에 따른 가족수당 △실적에 따른 성과급 △경영 성과급 △법정수당 등이 포함된다. 이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소정근로'의 제공 여부이며, 성과급 등은 실적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므로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없다. 따라서 근로계약서의 미비점을 전향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둘째, 노사관계 관리를 재점검해야 한다. 임단협 등 과정은 지난한 시간이 소요된다. 때로는 갈등이 불거지기도 한다. 이에 다소 원론적이더라도 정기적인 노사협의회 개최, 통상임금 관련 이슈에 대한 설명회를 실시하는 것도 방안이 된다. 더불어 노사협의회 회의 기록 등 신규 안건에 대한 점검 및 소통 창구 설치도 해결책 중 하나다. 기업 실무자들이 통상임금 문제로 밤잠을 설칠 정도로 깊은 고민에 빠지는 반면, 근로자들은 이를 단순히 '월급이 오를 수도 있겠다'는 수준으로 가볍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마지막으로 리스크 대응 마련이다. 이론과 현실은 다르다. 계산기를 두드려봤을 때 문제가 없더라도 막상 현장에서의 불만 섞인 제기가 발생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런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할 경우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실제로 쌍용자동차, 삼성전자 협력사, 기업은행 등 다수의 기업이 통상임금 문제로 법적 분쟁을 겪은 바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려면 사내 고충 처리 제도를 적극 활용하거나, 노동전문변호사 등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단계적으로 중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임단협 앞두고 통상임금 '동상이몽'…변호사가 알려주는 실무자 대응 (바로가기)
연합뉴스 등 75곳
2025-05-22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해킹 노출·유심 교체로 현실적 불편" 위자료 청구 공동소송…1차 소장 접수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명이 회사 측을 상대로 집단적인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22일 영등포구 소재 법인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다음 주 초 SKT 이용자 1천여명을 대리해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김 대표는 "개인정보 보호는 국민 신뢰의 문제이자 기업의 기본 책무이지만 SKT는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이어 "이 사건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 정보 유출 사고"라며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를 위해 생업을 제쳐두고 대리점을 방문하는 등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고 강조했다.소송 신청자는 1만명 이상이지만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이들에 한해 우선 1차 소장을 접수하며 2차 모집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로펌 측은 설명했다.이번 사례처럼 다수 피해를 낳은 사건의 경우 여러 당사자가 공동소송 형태로 손배 소송을 진행하는 형태가 많다. 다수의 당사자가 참여하게 된다. 다만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통상 '집단소송'이라는 명칭으로 집단적 소송을 수행한다. 이는 민사소송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민소법상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동소송이 규정돼 있다.김 대표가 예고한 손해배상 소송은 형사 고발과는 별건이다.대륜은 지난 1일 SKT가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 관리를 등한시했다며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고발했으며 전날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최윤선(ysc@yna.co.kr) [기사전문보기] 연합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뉴스1 - '유심 해킹' SKT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집단소송 (바로가기) SBS - [바로이뉴스] "1인당 100만 원 위자료 청구" SKT 집단소송, 나도 동참할까? (바로가기) TV조선 - SKT 이용자들,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 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1인당 100만원씩 배상하라"…SKT 이용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SBS - SKT 이용자 1천 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 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뉴시스 - SKT 개인정보 유출 관련 이용자 1000명 손해배상 청구 소송한다 [뉴시스Pic]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SKT 손배액 10억"…최태원 고발 가능성도(종합) (바로가기) SBS Biz - 'SKT 유심 해킹' 1천명 손배소송…1인당 100만원 (바로가기) 한국NGO신문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한국경제 - SKT 이용자 1000명, 차주 1인당 100만원 손배 소송 제기 (바로가기) 싱글리스트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뉴시스 - 'SKT 해킹 사태' 고발인 측 "엄정·철저한 촉구"…'1000명 규모' 집단 소송 예고도 (바로가기) 아이뉴스24 - 유심 유출 피해자 1000여명, SKT 상대로 '1인당 위자료 100만원' 공동소송 추진 (바로가기) 매일신문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천명,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국민일보 - SKT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이데일리 - "1인당 100만원 손배소"…'SKT 해킹사태' 법적 대응 본격화 (바로가기) SBS Biz - "SKT 유출사고 역대급"…개보위장 강력 제재 시사 (바로가기) 중앙일보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 ‘SKT 집단소송’ 대륜 다음주 예고…법적 분쟁 가시화 (바로가기) 조선일보 - “정보 보호비 어디로?” SKT 첫 형사 고발한 법무법인 대륜, 1000명 집단 소송도 예고 (바로가기) 더팩트 - 'SKT 해킹' 피해자 1000명 집단 손배소…총 10억 규모 (바로가기) 뉴스핌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천명, 100만원 손해배상 공동소송 예고 (바로가기) 디지털투데이 - SKT 이용자 1000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일간스포츠 - SKT 유심 교체 323만명…이용자 1000명 위자료 100만원 소송 예고 (바로가기) 시사저널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소송…"1인당 100만원 배상" 요구 (바로가기) 아시아타임즈 - 이용자 1천명, SKT에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데일리굿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배 소송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SKT 이용자 1000명, '해킹 사태'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MBC - SKT 이용자들, '유심 해킹' 1인당 1백만 원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IT조선 - 사용자 1000여명, SKT에 10억원대 집단 소송 제기 [SKT 유심 해킹] (바로가기) M이코노미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손해배상 소송…"1인당 100만 원 배상하라"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이용자 1천명 소송…"1인당 100만원 배상"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SKT 고발 어떻게?" 1만건 쏟아져…'인당 100만원' 손배 소송 예고 (바로가기) 청년일보 - SKT 이용자 1천여명, 공동 손배소 예고…1인당 100만원 청구 (바로가기) 하비엔뉴스 - SKT 유심 해킹, 법정으로 번지는 분노…1천명 추가 집단소송 (바로가기) 서울이코노미뉴스 - SKT 이용자 1천명,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스마트에프엔 - "SK텔레콤 이용자 1천명 대리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일요신문 - ‘SKT 유심 해킹’에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 원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고발인 조사서 SKT 정보보호 소홀 강조…다음주 손해배상 청구' (바로가기) 천지일보 - SKT 해킹에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EBN - SKT 고객 1000명, 집단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소송 예고…"1인당 100만원" (바로가기) 중앙일보 - SKT 유심 교체 300만명 넘어…"위자료 10만원 지급하라" 1000명 집단소송 [팩플] (바로가기) MBC - SKT 이용자, '유심 해킹' 1인당 1백만 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키즈맘 - SKT 이용자들, 유심 해킹 관련 집단 손해배상 소송 건다 (바로가기) 엠투데이 - SKT 이용자 1,000명, 유심 해킹 사태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집단소송 예고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 SKT 유심 해킹 피해자 1000명, ‘100만원씩 배상하라’ 공동소송 돌입 예고 (바로가기) 부산일보 - SKT, 유심 수급이 교체 속도 결정…이심 활용 높여야 (바로가기) 금융소비자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내주 집단소송..."1인당 100만원 손배 청구" (바로가기) 시선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비즈니스포스트 - SK텔레콤 가입자 1천여 명, 1인당 100만 원 집단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법률방송뉴스 - SKT 이용자 1,000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딜라이트닷넷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예정 (바로가기) 뉴스퀘스트 - SKT, 유심교체 323만명 돌파...일부 가입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경북신문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경인일보 - SKT 이용자 1000명 집단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포쓰저널 - [SKT 해킹] 집단소송 추가…"1천명, 인당 100만원" (바로가기) 여성조선 - ‘SKT 집단소송’ 대륜, “1인당 100만원 배상해야… 미국이었으면 망했다” (바로가기) 코리아중앙데일리 - Plaintiffs chase 1 million won each in new class-action suit against SK Telecom over hack (바로가기) 국제신문 - 대륜, ‘해킹 사태’ SKT 상대로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한겨레 - “1인 100만원씩 배상”…SKT 이용자 1천명 소송 예고 (바로가기) 동아일보 - SKT 해킹 사태 한달…40만명 통신사 갈아탔다 (바로가기) 매일경제 - "1인당 100만원씩 배상하라" SKT 이용자 1천명 손배소 (바로가기) 포인트데일리 - SKT 유심 해킹 피해자 1000명 집단소송… "최태원 회장까지 고발 검토"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 SKT 유심 해킹 피해고객 집단 손배소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이용자 1천여 명 집단소송…100만원 위자료 청구 (바로가기) 동아일보 - SKT 이용 1000명 “1인당 100만원 위자료 지급하라” (바로가기) MBC - [와글와글 플러스] SKT 이용자 1천 명, 손배 '공동소송' (바로가기) 슬로우뉴스 - SK텔레콤 1000명 집단 소송. (바로가기) 뉴스버스 - "SKT 해킹 노출·유심 교체로 현실적 불편" 위자료 청구 공동소송 (바로가기) 녹색경제신문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고객 천여명 1인당 100만원 집단 손해배상 소송...사태 장기화 전망 (바로가기) TBC - 유심해킹 SKT 이용자 1천명 소송예고...1인당 100만 원 (바로가기)
연합뉴스 등 75곳
2025-05-22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해킹 노출·유심 교체로 현실적 불편" 위자료 청구 공동소송…1차 소장 접수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명이 회사 측을 상대로 집단적인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22일 영등포구 소재 법인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다음 주 초 SKT 이용자 1천여명을 대리해 1인당 100만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김 대표는 "개인정보 보호는 국민 신뢰의 문제이자 기업의 기본 책무이지만 SKT는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이어 "이 사건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 정보 유출 사고"라며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를 위해 생업을 제쳐두고 대리점을 방문하는 등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고 강조했다.소송 신청자는 1만명 이상이지만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이들에 한해 우선 1차 소장을 접수하며 2차 모집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로펌 측은 설명했다.이번 사례처럼 다수 피해를 낳은 사건의 경우 여러 당사자가 공동소송 형태로 손배 소송을 진행하는 형태가 많다. 다수의 당사자가 참여하게 된다. 다만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통상 '집단소송'이라는 명칭으로 집단적 소송을 수행한다. 이는 민사소송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민소법상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동소송이 규정돼 있다.김 대표가 예고한 손해배상 소송은 형사 고발과는 별건이다.대륜은 지난 1일 SKT가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 관리를 등한시했다며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고발했으며 전날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최윤선(ysc@yna.co.kr) [기사전문보기] 연합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뉴스1 - '유심 해킹' SKT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집단소송 (바로가기) SBS - [바로이뉴스] "1인당 100만 원 위자료 청구" SKT 집단소송, 나도 동참할까? (바로가기) TV조선 - SKT 이용자들,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 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1인당 100만원씩 배상하라"…SKT 이용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SBS - SKT 이용자 1천 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 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뉴시스 - SKT 개인정보 유출 관련 이용자 1000명 손해배상 청구 소송한다 [뉴시스Pic]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SKT 손배액 10억"…최태원 고발 가능성도(종합) (바로가기) SBS Biz - 'SKT 유심 해킹' 1천명 손배소송…1인당 100만원 (바로가기) 한국NGO신문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한국경제 - SKT 이용자 1000명, 차주 1인당 100만원 손배 소송 제기 (바로가기) 싱글리스트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뉴시스 - 'SKT 해킹 사태' 고발인 측 "엄정·철저한 촉구"…'1000명 규모' 집단 소송 예고도 (바로가기) 아이뉴스24 - 유심 유출 피해자 1000여명, SKT 상대로 '1인당 위자료 100만원' 공동소송 추진 (바로가기) 매일신문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천명,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국민일보 - SKT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이데일리 - "1인당 100만원 손배소"…'SKT 해킹사태' 법적 대응 본격화 (바로가기) SBS Biz - "SKT 유출사고 역대급"…개보위장 강력 제재 시사 (바로가기) 중앙일보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 ‘SKT 집단소송’ 대륜 다음주 예고…법적 분쟁 가시화 (바로가기) 조선일보 - “정보 보호비 어디로?” SKT 첫 형사 고발한 법무법인 대륜, 1000명 집단 소송도 예고 (바로가기) 더팩트 - 'SKT 해킹' 피해자 1000명 집단 손배소…총 10억 규모 (바로가기) 뉴스핌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천명, 100만원 손해배상 공동소송 예고 (바로가기) 디지털투데이 - SKT 이용자 1000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일간스포츠 - SKT 유심 교체 323만명…이용자 1000명 위자료 100만원 소송 예고 (바로가기) 시사저널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소송…"1인당 100만원 배상" 요구 (바로가기) 아시아타임즈 - 이용자 1천명, SKT에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데일리굿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배 소송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SKT 이용자 1000명, '해킹 사태'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MBC - SKT 이용자들, '유심 해킹' 1인당 1백만 원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IT조선 - 사용자 1000여명, SKT에 10억원대 집단 소송 제기 [SKT 유심 해킹] (바로가기) M이코노미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손해배상 소송…"1인당 100만 원 배상하라"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이용자 1천명 소송…"1인당 100만원 배상"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SKT 고발 어떻게?" 1만건 쏟아져…'인당 100만원' 손배 소송 예고 (바로가기) 청년일보 - SKT 이용자 1천여명, 공동 손배소 예고…1인당 100만원 청구 (바로가기) 하비엔뉴스 - SKT 유심 해킹, 법정으로 번지는 분노…1천명 추가 집단소송 (바로가기) 서울이코노미뉴스 - SKT 이용자 1천명,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스마트에프엔 - "SK텔레콤 이용자 1천명 대리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일요신문 - ‘SKT 유심 해킹’에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 원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고발인 조사서 SKT 정보보호 소홀 강조…다음주 손해배상 청구' (바로가기) 천지일보 - SKT 해킹에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EBN - SKT 고객 1000명, 집단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해킹' SKT 이용자 1000명 소송 예고…"1인당 100만원" (바로가기) 중앙일보 - SKT 유심 교체 300만명 넘어…"위자료 10만원 지급하라" 1000명 집단소송 [팩플] (바로가기) MBC - SKT 이용자, '유심 해킹' 1인당 1백만 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키즈맘 - SKT 이용자들, 유심 해킹 관련 집단 손해배상 소송 건다 (바로가기) 엠투데이 - SKT 이용자 1,000명, 유심 해킹 사태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집단소송 예고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 SKT 유심 해킹 피해자 1000명, ‘100만원씩 배상하라’ 공동소송 돌입 예고 (바로가기) 부산일보 - SKT, 유심 수급이 교체 속도 결정…이심 활용 높여야 (바로가기) 금융소비자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내주 집단소송..."1인당 100만원 손배 청구" (바로가기) 시선뉴스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비즈니스포스트 - SK텔레콤 가입자 1천여 명, 1인당 100만 원 집단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법률방송뉴스 - SKT 이용자 1,000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딜라이트닷넷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예정 (바로가기) 뉴스퀘스트 - SKT, 유심교체 323만명 돌파...일부 가입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경북신문 - SKT 이용자 1천명, 유심 해킹에 1인당 100만원 손해배상 소송 (바로가기) 경인일보 - SKT 이용자 1000명 집단 손해배상 소송 예고 (바로가기) 포쓰저널 - [SKT 해킹] 집단소송 추가…"1천명, 인당 100만원" (바로가기) 여성조선 - ‘SKT 집단소송’ 대륜, “1인당 100만원 배상해야… 미국이었으면 망했다” (바로가기) 코리아중앙데일리 - Plaintiffs chase 1 million won each in new class-action suit against SK Telecom over hack (바로가기) 국제신문 - 대륜, ‘해킹 사태’ SKT 상대로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바로가기) 한겨레 - “1인 100만원씩 배상”…SKT 이용자 1천명 소송 예고 (바로가기) 동아일보 - SKT 해킹 사태 한달…40만명 통신사 갈아탔다 (바로가기) 매일경제 - "1인당 100만원씩 배상하라" SKT 이용자 1천명 손배소 (바로가기) 포인트데일리 - SKT 유심 해킹 피해자 1000명 집단소송… "최태원 회장까지 고발 검토"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 SKT 유심 해킹 피해고객 집단 손배소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이용자 1천여 명 집단소송…100만원 위자료 청구 (바로가기) 동아일보 - SKT 이용 1000명 “1인당 100만원 위자료 지급하라” (바로가기) MBC - [와글와글 플러스] SKT 이용자 1천 명, 손배 '공동소송' (바로가기) 슬로우뉴스 - SK텔레콤 1000명 집단 소송. (바로가기) 뉴스버스 - "SKT 해킹 노출·유심 교체로 현실적 불편" 위자료 청구 공동소송 (바로가기) 녹색경제신문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고객 천여명 1인당 100만원 집단 손해배상 소송...사태 장기화 전망 (바로가기) TBC - 유심해킹 SKT 이용자 1천명 소송예고...1인당 100만 원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22
동거인에 생활비 준 40대 ‘강제집행 면탈’ 기소…법원 “은닉 의도 없다” 무죄 선고
동거인에 생활비 준 40대 ‘강제집행 면탈’ 기소…법원 “은닉 의도 없다” 무죄 선고
채무 불이행에 따른 강제집행을 피하려고 재산을 숨긴 혐의로 기소된 40 여성이 은닉 의도가 없었다는 점을 증명해 무죄를 선고받았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9일 강제집행면탈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채무에 따른 강제 집행을 피할 목적으로 2020년부터 1년간 2500만원을 은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앞서 법원은 A씨에 대해 채권자에 대한 차용금 지급, 채무 불이행자 명단 등록 결정을 내린 상태였다.검찰은 A씨가 자신 명의 계좌로 급여 등을 받으면 동거인의 통장으로 이체하는 방법으로 재산을 은닉했다고 판단했다. 또 이 과정에서 A씨가 총자산이 줄어든 점을 이용해 회생 신청을 했다고 봤다.그러나 A씨는 동거인에게 생활비를 송금한 것이며, 돈이 부족할 때는 반대로 동거인으로부터 받기도 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또 회생절차를 밟을 때 법원에 급여 대장과 계좌 거래 내역을 모두 제출했기 때문에 재산을 숨길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가 동거인에게 보낸 금액이 성인 2명의 생활비로 과도하다고 볼 수 없고, 동거인과 경제적 상황에 따라 돈을 주고받는 경제적 공동체였던 것으로 판단했다. 회생 절차를 밟을 때도 이체 금액에 대한 상세 사용 내역을 법원에 제출해 결정받은 것으로 판단했다.A씨를 대리한 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A씨에게 채권자를 해하려 했다면 급여를 현금으로 받아 계좌 이체 내역을 만들지 않았을 텐데 그렇게 하지 않고, 계좌 이체내역을 그대로 회생법원에 제출한 점을 바탕으로 법원이 무죄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동거인에 생활비 준 40대 ‘강제집행 면탈’ 기소…법원 “은닉 의도 없다” 무죄 선고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22
동거인에 생활비 준 40대 ‘강제집행 면탈’ 기소…법원 “은닉 의도 없다” 무죄 선고
동거인에 생활비 준 40대 ‘강제집행 면탈’ 기소…법원 “은닉 의도 없다” 무죄 선고
채무 불이행에 따른 강제집행을 피하려고 재산을 숨긴 혐의로 기소된 40 여성이 은닉 의도가 없었다는 점을 증명해 무죄를 선고받았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9일 강제집행면탈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채무에 따른 강제 집행을 피할 목적으로 2020년부터 1년간 2500만원을 은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앞서 법원은 A씨에 대해 채권자에 대한 차용금 지급, 채무 불이행자 명단 등록 결정을 내린 상태였다.검찰은 A씨가 자신 명의 계좌로 급여 등을 받으면 동거인의 통장으로 이체하는 방법으로 재산을 은닉했다고 판단했다. 또 이 과정에서 A씨가 총자산이 줄어든 점을 이용해 회생 신청을 했다고 봤다.그러나 A씨는 동거인에게 생활비를 송금한 것이며, 돈이 부족할 때는 반대로 동거인으로부터 받기도 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또 회생절차를 밟을 때 법원에 급여 대장과 계좌 거래 내역을 모두 제출했기 때문에 재산을 숨길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가 동거인에게 보낸 금액이 성인 2명의 생활비로 과도하다고 볼 수 없고, 동거인과 경제적 상황에 따라 돈을 주고받는 경제적 공동체였던 것으로 판단했다. 회생 절차를 밟을 때도 이체 금액에 대한 상세 사용 내역을 법원에 제출해 결정받은 것으로 판단했다.A씨를 대리한 김원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A씨에게 채권자를 해하려 했다면 급여를 현금으로 받아 계좌 이체 내역을 만들지 않았을 텐데 그렇게 하지 않고, 계좌 이체내역을 그대로 회생법원에 제출한 점을 바탕으로 법원이 무죄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동거인에 생활비 준 40대 ‘강제집행 면탈’ 기소…법원 “은닉 의도 없다” 무죄 선고 (바로가기)
연합뉴스 등 34곳
2025-05-21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종합)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종합)
대륜 측 변호사 "사회적 책임과 국민 신뢰 저버려…끝까지 책임 물을 것" SK텔레콤(SKT)이 해킹 사태에 늑장 대처했다는 논란과 관련해 경찰이 21일 고발인을 소환했다.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이날 오후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고발한 법무법인 대륜 측 손계준·천정민 변호사를 불러 고발 경위 등을 묻고 있다.손 변호사는 조사에 앞서 경찰서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SKT 해킹 유출사건은 통신 역사상 최악의 보안사고"라며 "기간통신사로서 사회적 책임과 국민적 신뢰를 저버린 데 대해 철저한 수사를 통해 사실관계가 명백히 밝혀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그는 "2024년 기준 다른 두 개 통신사업자의 1인당 정보보호 투자비 평균은 5천751원이지만, SKT는 3천531원을 투자한 수준"이라며 "1인당 2천220원이 적고 이는 배임액으로 특정된다. 가입자 수 약 2천400만명을 곱하면 SKT는 배임으로 540억원의 부당이득을 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손 변호사는 "고발을 취하할 생각은 없고, 끝까지 책임을 묻고자 한다"고 강조했다.이번 사태에 SK 최태원 회장의 책임은 없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취재진에게 천 변호사는 "(SKT) 법인 등기부등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이사는 최태원 회장이 아니라 형사적 책임을 묻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며 추후 고발 계획은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앞서 대륜 측은 "SKT가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의 보관·활용 등에 사무 처리 필요성을 인지했는데도 불구하고 관리를 등한시했다"며 지난 1일 남대문경찰서에 고발장을 제출했다.SKT의 해킹 인지 시점과 신고 시간에 대한 의혹에 대해서도 "정부 기관의 적절한 초기 대응을 방해한 중대한 위법"이라고 주장했다.남대문경찰서는 오는 23일에는 유 대표와 최 회장을 상대로 한 서민민생대책위원회(서민위)의 고발 건에 대해서도 고발인 조사를 진행한다. 서민위는 최 회장 등이 해킹 사실을 알고도 지연 신고를 해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등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서는 이와 별도로 이번 해킹 사태의 배후를 쫓는 수사가 진행 중이다. 김준태(readiness@yna.co.kr) [기사전문보기] 연합뉴스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종합) (바로가기) TV조선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SBS Biz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TJB대전방송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SBS - 'SKT 해킹' 고발인 조사 출석…"545억 원 부당이득 (바로가기)" 뉴시스 - 경찰, SKT 유심 해킹 수사 착수…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뉴스핌 - 경찰, 'SKT 해킹사태 사태' 고발인 소환…"역사상 최악의 보안 사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경찰, '유심 해킹' SKT 경영진 수사 본격 착수 (바로가기) 뉴스1 - 경찰, 'SKT 유심 해킹 늑장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조사 (바로가기) YTN - '유심정보 유출' SKT 고발인 조사..."545억 부당 이익" (바로가기) 이데일리 - SKT 해킹 소송전 본격화…고발인 측 "충분한 예방 없었다" (바로가기) 한국일보 - 경찰 'SKT 해킹 사태' 경영진 수사 착수…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더팩트 - 경찰, SKT 해킹 고발인 조사…"배임액 540억원 추정" (바로가기) 세계일보 - 경찰, SKT 유심 해킹 늑장 대처 의혹 수사 본격화...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뉴데일리 - 경찰, 'SKT 해킹 사태' 고발인 소환 … "해킹 인지하고도 늑장 신고"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경찰, 'SKT 해킹 사태' 수사 본격화…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노컷뉴스 - "통신 역사상 최악의 보안 사고"…경찰, 'SKT 유심해킹'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공감신문 - SK텔레콤 최악의 해킹 사태…경찰 조사로 드러나는 보안 문제 배경은 (바로가기) 한국면세뉴스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신아일보 - 경찰, 'SKT 유심 해킹 늑장대처 의혹' 고발 변호사 소환조사 (바로가기) KBS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관련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경향신문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유심 털린 SKT 경영진 겨눈다…경찰 ‘해킹 사태’ 고발인 소환 조사 [세상&]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한겨레 - SKT 유심 교체 ‘온라인 예약’ 한달 내내 혼선…가입자 분통 (바로가기) 부산일보 - 경찰, SKT 해킹 사태 수사 본격화 (바로가기) OBS - 경찰, 'SKT 해킹 사태' 본격 수사…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위클리오늘 - [위클리오늘] 경찰, 'SKT 유심 해킹 사태' 본격 수사...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NSP통신 - SKT 유심 해킹 ‘부실 대응’ 논란…경찰, 고발인 조사 착수 (바로가기) MBC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더퍼블릭 - “중국 경유, 북한 IP 대역 사용”... 북한, SKT 해킹 배후 의혹 확산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유심 해킹' 경영진 수사 착수…해킹 배후 수사도 (바로가기) 세계일보 - “SKT 유출정보, 싱가포르로 흘러간 정황” (바로가기) 내일신문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연합뉴스 등 34곳
2025-05-21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종합)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종합)
대륜 측 변호사 "사회적 책임과 국민 신뢰 저버려…끝까지 책임 물을 것" SK텔레콤(SKT)이 해킹 사태에 늑장 대처했다는 논란과 관련해 경찰이 21일 고발인을 소환했다.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이날 오후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고발한 법무법인 대륜 측 손계준·천정민 변호사를 불러 고발 경위 등을 묻고 있다.손 변호사는 조사에 앞서 경찰서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SKT 해킹 유출사건은 통신 역사상 최악의 보안사고"라며 "기간통신사로서 사회적 책임과 국민적 신뢰를 저버린 데 대해 철저한 수사를 통해 사실관계가 명백히 밝혀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그는 "2024년 기준 다른 두 개 통신사업자의 1인당 정보보호 투자비 평균은 5천751원이지만, SKT는 3천531원을 투자한 수준"이라며 "1인당 2천220원이 적고 이는 배임액으로 특정된다. 가입자 수 약 2천400만명을 곱하면 SKT는 배임으로 540억원의 부당이득을 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손 변호사는 "고발을 취하할 생각은 없고, 끝까지 책임을 묻고자 한다"고 강조했다.이번 사태에 SK 최태원 회장의 책임은 없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취재진에게 천 변호사는 "(SKT) 법인 등기부등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이사는 최태원 회장이 아니라 형사적 책임을 묻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며 추후 고발 계획은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앞서 대륜 측은 "SKT가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의 보관·활용 등에 사무 처리 필요성을 인지했는데도 불구하고 관리를 등한시했다"며 지난 1일 남대문경찰서에 고발장을 제출했다.SKT의 해킹 인지 시점과 신고 시간에 대한 의혹에 대해서도 "정부 기관의 적절한 초기 대응을 방해한 중대한 위법"이라고 주장했다.남대문경찰서는 오는 23일에는 유 대표와 최 회장을 상대로 한 서민민생대책위원회(서민위)의 고발 건에 대해서도 고발인 조사를 진행한다. 서민위는 최 회장 등이 해킹 사실을 알고도 지연 신고를 해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등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서는 이와 별도로 이번 해킹 사태의 배후를 쫓는 수사가 진행 중이다. 김준태(readiness@yna.co.kr) [기사전문보기] 연합뉴스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종합) (바로가기) TV조선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SBS Biz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TJB대전방송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SBS - 'SKT 해킹' 고발인 조사 출석…"545억 원 부당이득 (바로가기)" 뉴시스 - 경찰, SKT 유심 해킹 수사 착수…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뉴스핌 - 경찰, 'SKT 해킹사태 사태' 고발인 소환…"역사상 최악의 보안 사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경찰, '유심 해킹' SKT 경영진 수사 본격 착수 (바로가기) 뉴스1 - 경찰, 'SKT 유심 해킹 늑장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조사 (바로가기) YTN - '유심정보 유출' SKT 고발인 조사..."545억 부당 이익" (바로가기) 이데일리 - SKT 해킹 소송전 본격화…고발인 측 "충분한 예방 없었다" (바로가기) 한국일보 - 경찰 'SKT 해킹 사태' 경영진 수사 착수…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더팩트 - 경찰, SKT 해킹 고발인 조사…"배임액 540억원 추정" (바로가기) 세계일보 - 경찰, SKT 유심 해킹 늑장 대처 의혹 수사 본격화...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뉴데일리 - 경찰, 'SKT 해킹 사태' 고발인 소환 … "해킹 인지하고도 늑장 신고"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경찰, 'SKT 해킹 사태' 수사 본격화…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노컷뉴스 - "통신 역사상 최악의 보안 사고"…경찰, 'SKT 유심해킹'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공감신문 - SK텔레콤 최악의 해킹 사태…경찰 조사로 드러나는 보안 문제 배경은 (바로가기) 한국면세뉴스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신아일보 - 경찰, 'SKT 유심 해킹 늑장대처 의혹' 고발 변호사 소환조사 (바로가기) KBS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관련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경향신문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유심 털린 SKT 경영진 겨눈다…경찰 ‘해킹 사태’ 고발인 소환 조사 [세상&]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경찰, 'SKT 해킹사태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한겨레 - SKT 유심 교체 ‘온라인 예약’ 한달 내내 혼선…가입자 분통 (바로가기) 부산일보 - 경찰, SKT 해킹 사태 수사 본격화 (바로가기) OBS - 경찰, 'SKT 해킹 사태' 본격 수사…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위클리오늘 - [위클리오늘] 경찰, 'SKT 유심 해킹 사태' 본격 수사...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NSP통신 - SKT 유심 해킹 ‘부실 대응’ 논란…경찰, 고발인 조사 착수 (바로가기) MBC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조사 (바로가기) 더퍼블릭 - “중국 경유, 북한 IP 대역 사용”... 북한, SKT 해킹 배후 의혹 확산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SKT 유심 해킹' 경영진 수사 착수…해킹 배후 수사도 (바로가기) 세계일보 - “SKT 유출정보, 싱가포르로 흘러간 정황” (바로가기) 내일신문 - 경찰, ‘SKT 해킹 늑장 대처 의혹’ 고발인 소환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21
변호사 3만6천명 시대…'고객 만족도 98%' 달성한 로펌 뭐가 다를까
로펌 경쟁시대…법무법인 대륜, 고객 대부분 '만족' 응답
의뢰인 3천800명 대상 자체 설문조사 진행AI 기반 분석 등 사건 수행 전문성 높여대륜 "고객 중심 법률 서비스 강화해 나갈 것" 최근 변호사 수가 증가하면서 법무법인 등 로펌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높은 고객 만족도를 달성한 로펌이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대륜에 사건을 맡긴 의뢰인 3천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응답자 중 98%가 '만족'한다고 답했다.대륜에 따르면, 해당 결과가 알려지자 관련 커뮤니티와 카페 등에서는 대륜을 이용해본 고객들이 "진행 중간마다 꼼꼼하게 안내해주고, 궁금한 점도 바로바로 설명해줘서 답답함이 전혀 없었다"며 후기를 남겼다.실제로, 대륜은 자체적으로 고객관리팀을 두고 '소통 중심 밀착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또한, 고객만족센터, 송무관리본부, 특별수행본부와 같은 기능별 조직 및 AI 기반 사건 분석 시스템 등을 만들어 운영 중이다.대륜 관계자는 "법률 서비스 이용자 대부분은 복잡한 법적 절차에 익숙치 않아 사건 처리 과정에서 불안감을 느낀다"며 "대륜처럼 사건 처리 전 과정에서 원활한 소통 체계를 갖춘 로펌만이 이용자들과 신뢰를 형성하는 데 큰 강점을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률 서비스의 본질은 결국 사람이다. 사람을 움직이는 건 신뢰다. 이에 고객의 불안을 해소하고, 신뢰를 얻는 것에서부터 고품질 법률 서비스가 시작된다"며 "대륜은 처음부터 끝까지 고객이 안심하고 사건을 맡길 수 있도록 법률 서비스 품질 향상과 함께 고객 중심 서비스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최근 로스쿨 제도 도입 이후 변호사 수는 크게 증가했다. 대한변호사협회에 따르면 로스쿨 도입 이전인 2009년 1만 명 수준이던 등록 변호사 수는 지난해 3만6천여 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일각에서는 변호사 수 증가로 과도한 수임 경쟁이 이어지자 "대다수의 로펌들이 수임 단계까지만 큰 관심을 가지고 이후 대응은 소홀한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윤준호 기자 delo410@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로펌 경쟁시대…법무법인 대륜, 고객 대부분 '만족' 응답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21
변호사 3만6천명 시대…'고객 만족도 98%' 달성한 로펌 뭐가 다를까
로펌 경쟁시대…법무법인 대륜, 고객 대부분 '만족' 응답
의뢰인 3천800명 대상 자체 설문조사 진행AI 기반 분석 등 사건 수행 전문성 높여대륜 "고객 중심 법률 서비스 강화해 나갈 것" 최근 변호사 수가 증가하면서 법무법인 등 로펌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높은 고객 만족도를 달성한 로펌이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대륜에 사건을 맡긴 의뢰인 3천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응답자 중 98%가 '만족'한다고 답했다.대륜에 따르면, 해당 결과가 알려지자 관련 커뮤니티와 카페 등에서는 대륜을 이용해본 고객들이 "진행 중간마다 꼼꼼하게 안내해주고, 궁금한 점도 바로바로 설명해줘서 답답함이 전혀 없었다"며 후기를 남겼다.실제로, 대륜은 자체적으로 고객관리팀을 두고 '소통 중심 밀착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또한, 고객만족센터, 송무관리본부, 특별수행본부와 같은 기능별 조직 및 AI 기반 사건 분석 시스템 등을 만들어 운영 중이다.대륜 관계자는 "법률 서비스 이용자 대부분은 복잡한 법적 절차에 익숙치 않아 사건 처리 과정에서 불안감을 느낀다"며 "대륜처럼 사건 처리 전 과정에서 원활한 소통 체계를 갖춘 로펌만이 이용자들과 신뢰를 형성하는 데 큰 강점을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률 서비스의 본질은 결국 사람이다. 사람을 움직이는 건 신뢰다. 이에 고객의 불안을 해소하고, 신뢰를 얻는 것에서부터 고품질 법률 서비스가 시작된다"며 "대륜은 처음부터 끝까지 고객이 안심하고 사건을 맡길 수 있도록 법률 서비스 품질 향상과 함께 고객 중심 서비스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최근 로스쿨 제도 도입 이후 변호사 수는 크게 증가했다. 대한변호사협회에 따르면 로스쿨 도입 이전인 2009년 1만 명 수준이던 등록 변호사 수는 지난해 3만6천여 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일각에서는 변호사 수 증가로 과도한 수임 경쟁이 이어지자 "대다수의 로펌들이 수임 단계까지만 큰 관심을 가지고 이후 대응은 소홀한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윤준호 기자 delo410@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로펌 경쟁시대…법무법인 대륜, 고객 대부분 '만족' 응답 (바로가기)
머니S
2025-05-21
회사 정보 유출 혐의받던 지점장 '불기소' 처분… 이유는
회사 정보 유출 혐의받던 지점장 '불기소' 처분… 이유는
중요한 회사 정보를 타사에 유출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겨진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업무상 배임과 사기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2023년 10월부터 1년 6개월여 동안 한 판매회사의 지역 지점장으로 근무하며 회사 영업에 필요한 자료를 타사에 넘겨 약 8300만 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았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신은 지역 센터장 B씨의 추천을 받아 입사했고 회사에서는 급여 관리만 맡았을 뿐 유출된 자료의 존재 자체를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검찰은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가 본사와 업무상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그 근거로 검찰은 센터장 B씨와 본사 사이에 체결된 '위촉 계약서'를 언급했다. 해당 계약서에는 '센터 근무자는 모두 B씨 소속으로 법적 분쟁 발생 시 그 책임을 B씨가 지기로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검찰은 "회사 자료에 대한 모든 권한은 B씨가 가지고 있었으므로 A씨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배임죄가 성립하려면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임무에 위배되는 행위로 상대방에게 재산상 손해를 입혔다는 점이 인정돼야 한다"며 "A씨는 회사의 직접적인 관리·감독을 받지 않았고 실질적 처리 주체는 B씨였다는 점에서 배임죄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회사 정보 유출 혐의받던 지점장 '불기소' 처분… 이유는 (바로가기)
머니S
2025-05-21
회사 정보 유출 혐의받던 지점장 '불기소' 처분… 이유는
회사 정보 유출 혐의받던 지점장 '불기소' 처분… 이유는
중요한 회사 정보를 타사에 유출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겨진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업무상 배임과 사기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2023년 10월부터 1년 6개월여 동안 한 판매회사의 지역 지점장으로 근무하며 회사 영업에 필요한 자료를 타사에 넘겨 약 8300만 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았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신은 지역 센터장 B씨의 추천을 받아 입사했고 회사에서는 급여 관리만 맡았을 뿐 유출된 자료의 존재 자체를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검찰은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A씨가 본사와 업무상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그 근거로 검찰은 센터장 B씨와 본사 사이에 체결된 '위촉 계약서'를 언급했다. 해당 계약서에는 '센터 근무자는 모두 B씨 소속으로 법적 분쟁 발생 시 그 책임을 B씨가 지기로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검찰은 "회사 자료에 대한 모든 권한은 B씨가 가지고 있었으므로 A씨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배임죄가 성립하려면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임무에 위배되는 행위로 상대방에게 재산상 손해를 입혔다는 점이 인정돼야 한다"며 "A씨는 회사의 직접적인 관리·감독을 받지 않았고 실질적 처리 주체는 B씨였다는 점에서 배임죄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회사 정보 유출 혐의받던 지점장 '불기소' 처분… 이유는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5-21
법무법인 대륜, 美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MOU…국경 초월 자문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 美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MOU…국경 초월 자문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미국 LA에 본사가 있는 김앤코 공익회계법인(KIM & CO., CPA PC GROUP)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크로스보더 자문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법률 시장 진출에 속도를 더하기 위해서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미국 내 기업 및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세무·회계·법률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국경을 넘어 종합 대응이 가능한 복합자문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협약식은 지난 16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렸으며, 박동일 대륜 대표변호사, 김미아 미국변호사, 김성구 김앤코 공인회계법인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김앤코 공인회계법인은 미국과 한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미국 연방·주 세법 자문 ▲회계 기준에 따른 재무제표 작성 지원 ▲미국 현지 사업 인큐베이팅 ▲E-2 비자 등 비이민 투자자문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화상 상담 등 온라인 기반 전산 시스템을 보유해 시공간 제약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협약에 따라 양사는 ▲미국 내 법인 설립 및 인허가 ▲국제 조세 및 회계 자문 ▲투자 및 비자 컨설팅 ▲한·미 양국 간 크로스보더 법률 이슈 공동 대응 ▲고객 맞춤형 통합 솔루션 개발 ▲온라인 공동 상담 체계 구축 등에 협력한다.김성구 김앤코 대표이사는 “대륜과의 협업을 통해 미국 내 고객에게 더욱 폭넓고 정밀한 자문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연방 정부와 주 정부별로 다른 미국 세법 체계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전략을 마련해 고객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박동일 대륜 대표변호사는 “글로벌 자문 시대에는 단독 대응보다 유기적 협업이 더욱 중요한데, 이번 협약으로 양사의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의 법률·세무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실질적인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이르면 오는 6월 중 뉴욕 맨해튼 원월드트레이드센터(1WTC)에 미국 사무소를 개소하고, 글로벌 현지 거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美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MOU…국경 초월 자문력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美 김앤코 업무협약…법인 설립‧인허가, 국제 조세‧투자 컨설팅 등 협력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美 KIM&CO와 MOU…글로벌 메가 로펌 입지 강화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5-21
법무법인 대륜, 美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MOU…국경 초월 자문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 美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MOU…국경 초월 자문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미국 LA에 본사가 있는 김앤코 공익회계법인(KIM & CO., CPA PC GROUP)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크로스보더 자문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법률 시장 진출에 속도를 더하기 위해서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미국 내 기업 및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세무·회계·법률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국경을 넘어 종합 대응이 가능한 복합자문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협약식은 지난 16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열렸으며, 박동일 대륜 대표변호사, 김미아 미국변호사, 김성구 김앤코 공인회계법인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김앤코 공인회계법인은 미국과 한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미국 연방·주 세법 자문 ▲회계 기준에 따른 재무제표 작성 지원 ▲미국 현지 사업 인큐베이팅 ▲E-2 비자 등 비이민 투자자문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화상 상담 등 온라인 기반 전산 시스템을 보유해 시공간 제약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협약에 따라 양사는 ▲미국 내 법인 설립 및 인허가 ▲국제 조세 및 회계 자문 ▲투자 및 비자 컨설팅 ▲한·미 양국 간 크로스보더 법률 이슈 공동 대응 ▲고객 맞춤형 통합 솔루션 개발 ▲온라인 공동 상담 체계 구축 등에 협력한다.김성구 김앤코 대표이사는 “대륜과의 협업을 통해 미국 내 고객에게 더욱 폭넓고 정밀한 자문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연방 정부와 주 정부별로 다른 미국 세법 체계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전략을 마련해 고객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박동일 대륜 대표변호사는 “글로벌 자문 시대에는 단독 대응보다 유기적 협업이 더욱 중요한데, 이번 협약으로 양사의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의 법률·세무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실질적인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이르면 오는 6월 중 뉴욕 맨해튼 원월드트레이드센터(1WTC)에 미국 사무소를 개소하고, 글로벌 현지 거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美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MOU…국경 초월 자문력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美 김앤코 업무협약…법인 설립‧인허가, 국제 조세‧투자 컨설팅 등 협력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美 KIM&CO와 MOU…글로벌 메가 로펌 입지 강화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김앤코 공인회계법인과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4곳
2025-05-20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흐름 거슬러”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흐름 거슬러”
지난 1일 고소·고발 이어 보충 이유서 추가 제출“가입자 1명당 정보보호투자액 3531원…타 통신사 평균도 못미쳐”21일 오후 3시 서울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 예정 SK텔레콤(SKT)의 유심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법무법인 대륜이 이달 초 책임자들을 상대로 고소·고발에 나선데 이어, 보충 이유서를 추가 제출하며 경찰의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SKT 사태 관련 수사를 맡고 있는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고소·고발 보충 이유서를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다.앞서 대륜은 지난 1일 업무상 배임·위계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자 등을 고소·고발한 바 있다. 유심 관련 정보의 보관·활용 등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했음에도 관리를 등한시했고, 사내 시스템에서 이상 징후를 최초 인지한 뒤에도 이를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뒤늦게 ‘축소 허위신고’ 했다는 이유에서다.대륜은 이번 추가 보충 이유서를 통해 SKT가 가장 많은 수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2019년부터 줄곧 KT보다 적은 금액의 정보보호투자비를 지출했다고 꼬집었다.특히, KT가 2022년 대비 2024년 정보보호투자비를 약 196억 원 늘리고, LG유플러스 역시 339억여 원의 예산을 더 투입한 것과 달리, SK브로드밴드 주식회사의 경우 약 33억 원만 증액하는 등 시대의 흐름을 거스르는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또, 지난해 12월 기준 SKT의 가입자 1명당 정보보호투자액은 3531원으로, 나머지 두 통신사(KT·LG유플러스)의 평균인 5751원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륜은 SKT 법인이 고객들의 유심 정보를 관리·활용할 의무를 지키지 않고, 최소 총 545억여 원(=2200원 X 가입자 약 2400만 명) 상당의 이익을 얻는 등 업무상 배임의 죄책을 졌다고 강조했다.더불어 피고소·고발인들이 악성코드를 막기 위한 백신 등 보안프로그램 설치도 하지 않았고, 다른 이동통신망 사업자들과 달리 유심 관련 정보도 평문으로 보관하는 등 암호화하지 않은 사실 역시 지적했다.대륜 손계준 변호사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사고 확인을 위한 자료 보전 및 문서 제출 등의 요구와 현장 조사를 하는 공무가 예정돼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경우 신고에 따라 해당 사안이 내부 사이버원스톱센터로 이관되고, 경찰청에서 파견나온 경찰관이 이를 담당하게 된다. 늦장 허위 신고로 이 업무들이 방해된 사실이 인정된만큼 위계공무집행방해는 분명히 입증된다”고 말했다.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오는 21일 오후 3시 고발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대륜 손계준·천정민 변호사가 참여할 예정이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현재 대륜은 SKT 사태 관련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미 수 천 건의 문의가 접수된 상황”이라며 “민·형사 대응을 통해 피해자들이 실질적인 구제를 받고, 이번 사태의 책임자들이 합당한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흐름 거슬러” (바로가기) 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의 흐름 거슬러" ​​​​​​​ (바로가기) 디지털타임스 - 경찰, SKT 해킹 사태 경영진·보안책임자 고발사건 수사 착수 (바로가기) 한국경제 - SKT 가입자, 1인당 고작 '3000원'…정보보호 투자 '부실'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등 4곳
2025-05-20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흐름 거슬러”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흐름 거슬러”
지난 1일 고소·고발 이어 보충 이유서 추가 제출“가입자 1명당 정보보호투자액 3531원…타 통신사 평균도 못미쳐”21일 오후 3시 서울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 예정 SK텔레콤(SKT)의 유심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법무법인 대륜이 이달 초 책임자들을 상대로 고소·고발에 나선데 이어, 보충 이유서를 추가 제출하며 경찰의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SKT 사태 관련 수사를 맡고 있는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고소·고발 보충 이유서를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다.앞서 대륜은 지난 1일 업무상 배임·위계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 책임자 등을 고소·고발한 바 있다. 유심 관련 정보의 보관·활용 등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했음에도 관리를 등한시했고, 사내 시스템에서 이상 징후를 최초 인지한 뒤에도 이를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뒤늦게 ‘축소 허위신고’ 했다는 이유에서다.대륜은 이번 추가 보충 이유서를 통해 SKT가 가장 많은 수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2019년부터 줄곧 KT보다 적은 금액의 정보보호투자비를 지출했다고 꼬집었다.특히, KT가 2022년 대비 2024년 정보보호투자비를 약 196억 원 늘리고, LG유플러스 역시 339억여 원의 예산을 더 투입한 것과 달리, SK브로드밴드 주식회사의 경우 약 33억 원만 증액하는 등 시대의 흐름을 거스르는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또, 지난해 12월 기준 SKT의 가입자 1명당 정보보호투자액은 3531원으로, 나머지 두 통신사(KT·LG유플러스)의 평균인 5751원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륜은 SKT 법인이 고객들의 유심 정보를 관리·활용할 의무를 지키지 않고, 최소 총 545억여 원(=2200원 X 가입자 약 2400만 명) 상당의 이익을 얻는 등 업무상 배임의 죄책을 졌다고 강조했다.더불어 피고소·고발인들이 악성코드를 막기 위한 백신 등 보안프로그램 설치도 하지 않았고, 다른 이동통신망 사업자들과 달리 유심 관련 정보도 평문으로 보관하는 등 암호화하지 않은 사실 역시 지적했다.대륜 손계준 변호사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사고 확인을 위한 자료 보전 및 문서 제출 등의 요구와 현장 조사를 하는 공무가 예정돼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경우 신고에 따라 해당 사안이 내부 사이버원스톱센터로 이관되고, 경찰청에서 파견나온 경찰관이 이를 담당하게 된다. 늦장 허위 신고로 이 업무들이 방해된 사실이 인정된만큼 위계공무집행방해는 분명히 입증된다”고 말했다.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오는 21일 오후 3시 고발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대륜 손계준·천정민 변호사가 참여할 예정이다.대륜 김국일 경영대표는 “현재 대륜은 SKT 사태 관련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미 수 천 건의 문의가 접수된 상황”이라며 “민·형사 대응을 통해 피해자들이 실질적인 구제를 받고, 이번 사태의 책임자들이 합당한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파이낸셜뉴스 -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흐름 거슬러” (바로가기) 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SKT, 업무상 배임액 최소 545억...시대의 흐름 거슬러" ​​​​​​​ (바로가기) 디지털타임스 - 경찰, SKT 해킹 사태 경영진·보안책임자 고발사건 수사 착수 (바로가기) 한국경제 - SKT 가입자, 1인당 고작 '3000원'…정보보호 투자 '부실'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20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무죄..왜?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무죄..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넘겨받아 범죄 조직에 전달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여성이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법원은 지난달 23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여성 A씨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자 5명으로부터 약 1억 8,000만 원을 전달받고 이를 관련 조직원들에게 건넨 혐의를 받습니다.검찰은 A씨가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해 수거책 역할을 담당했다고 판단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구인구직 사이트에 올린 이력서를 보고 보이스피싱 조직원이 신탁회사 관계자를 사칭하며 접근한 것이라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또 해당 신탁회사의 경우 인터넷에서도 쉽게 검색돼 범죄임을 의심하기 어려웠다고 주장했습니다.아울러 A씨는 현금 전달 업무를 수행하던 중 수상함을 느꼈고, 이에 곧바로 수사기관을 찾아 자수했다고도 강조했습니다.재판부는 "별다른 소통 없이 상당한 액수를 건네받는 등 거래 방식이 통상적인 형태로 보기 어려워 범행임을 알면서 수거책으로 활동했다는 의심은 든다"면서도 "피고인이 받은 금액도 약 200만 원으로 지나치게 큰 금원이라 볼 수 없고, 범죄가 의심되자 보이스피싱 조직의 지시를 거절하기도 했다. 사기 범행에 가담하는 것을 미필적으로나마 알고 있었다면 자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곽민섭 변호사는 "A씨는 피해자들로부터 금원을 교부받는 과정에서 본명을 말했고, 교통비나 식비도 자신 명의의 카드를 사용해 해결했다"며 "사기의 의도가 없었기에 신원을 가리는 행동을 하지 않았는데, 재판부도 이를 인정해 죄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무죄..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20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무죄..왜?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무죄..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넘겨받아 범죄 조직에 전달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여성이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법원은 지난달 23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여성 A씨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자 5명으로부터 약 1억 8,000만 원을 전달받고 이를 관련 조직원들에게 건넨 혐의를 받습니다.검찰은 A씨가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해 수거책 역할을 담당했다고 판단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구인구직 사이트에 올린 이력서를 보고 보이스피싱 조직원이 신탁회사 관계자를 사칭하며 접근한 것이라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또 해당 신탁회사의 경우 인터넷에서도 쉽게 검색돼 범죄임을 의심하기 어려웠다고 주장했습니다.아울러 A씨는 현금 전달 업무를 수행하던 중 수상함을 느꼈고, 이에 곧바로 수사기관을 찾아 자수했다고도 강조했습니다.재판부는 "별다른 소통 없이 상당한 액수를 건네받는 등 거래 방식이 통상적인 형태로 보기 어려워 범행임을 알면서 수거책으로 활동했다는 의심은 든다"면서도 "피고인이 받은 금액도 약 200만 원으로 지나치게 큰 금원이라 볼 수 없고, 범죄가 의심되자 보이스피싱 조직의 지시를 거절하기도 했다. 사기 범행에 가담하는 것을 미필적으로나마 알고 있었다면 자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곽민섭 변호사는 "A씨는 피해자들로부터 금원을 교부받는 과정에서 본명을 말했고, 교통비나 식비도 자신 명의의 카드를 사용해 해결했다"며 "사기의 의도가 없었기에 신원을 가리는 행동을 하지 않았는데, 재판부도 이를 인정해 죄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무죄..왜? (바로가기)
로이슈
2025-05-20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양육권·양육비 분쟁 대응방법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양육권·양육비 분쟁 대응방법
미성년자 자녀를 둔 부부가 이혼을 할 때 위자료 만큼 치열한 다툼을 벌이는 사안이 있다. 바로 누가 자녀를 키울 것인지에 대한 양육권 분쟁이다. 양육은 자녀의 삶을 좌우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기에 여러 자료를 토대로 신중하게 결정된다. 많은 부부들이 양육권을 주장할 때 하는 말이 있다. 바로 '상대보다 자신이 더 아이를 잘 돌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오해로, 법원은 부모의 주장보다 '자녀의 복리'를 중심으로 판단한다. 쉽게 말해 누가 자녀를 더 사랑하는지보다 누가 더 양육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 왔고, 앞으로 안정적인 환경은 물론 정서적 환경까지 제공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양육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양육에 더 힘썼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자녀의 등하교를 돕거나 병원에 함께 내원한 기록이 담긴 양육 일지나 사진이 이에 해당한다. 또 안정적인 직업이나 높은 소득 수준으로 자녀에게 경제적·정서적으로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학교에 취학한 자녀라면 학교생활기록부나 담임 교사의 소견서, 방과 후 활동 기록 등도 증거에 포함될 수 있다. 반대로 상대방에게 양육권을 주장하기 어려운 사유가 있다면, 이에 대한 불리한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잦은 음주나 폭력, 장시간 부재 등으로 인해 양육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양육권과 함께 반드시 다뤄야 할 문제는 양육비다. 하지만 양육비 역시 다툼이 많은 영역이기에 협의에 난항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서울 가정법원은 갈등의 최소화를 위해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제공하는데, 이는 부모의 세전 합산 소득과 자녀의 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양육비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의 참고자료일 뿐, 법원은 부부의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해 결정을 내린다. 아울러 양육비에 대해 별다른 협의 없이 이혼했다 하더라도, 미성년자 자녀가 성인이 될 때 까지 필요한 ‘장래 양육비’와 함께 이혼 시점에서부터 자녀를 혼자 양육한 사실에 대한 ‘과거 양육비’를 청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안 법무법인 대륜 곽소영 변호사는 “양육권과 양육비 분쟁에서 중요한 것은 자녀의 권리를 중심으로 한 논리적인 주장을 펼치는 것이다. 양육 의지가 강하다거나, 상대방을 비난하는 등의 감정적인 행동은 분쟁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그렇지만 이혼 소송 특성상 감정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복잡한 기준과 절차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혼전문변호사 등의 조력을 바탕으로 양육권을 가져올 수 있는 법적인 설계와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양육권·양육비 분쟁 대응방법 (바로가기)
로이슈
2025-05-20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양육권·양육비 분쟁 대응방법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양육권·양육비 분쟁 대응방법
미성년자 자녀를 둔 부부가 이혼을 할 때 위자료 만큼 치열한 다툼을 벌이는 사안이 있다. 바로 누가 자녀를 키울 것인지에 대한 양육권 분쟁이다. 양육은 자녀의 삶을 좌우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기에 여러 자료를 토대로 신중하게 결정된다. 많은 부부들이 양육권을 주장할 때 하는 말이 있다. 바로 '상대보다 자신이 더 아이를 잘 돌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오해로, 법원은 부모의 주장보다 '자녀의 복리'를 중심으로 판단한다. 쉽게 말해 누가 자녀를 더 사랑하는지보다 누가 더 양육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 왔고, 앞으로 안정적인 환경은 물론 정서적 환경까지 제공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양육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양육에 더 힘썼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자녀의 등하교를 돕거나 병원에 함께 내원한 기록이 담긴 양육 일지나 사진이 이에 해당한다. 또 안정적인 직업이나 높은 소득 수준으로 자녀에게 경제적·정서적으로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학교에 취학한 자녀라면 학교생활기록부나 담임 교사의 소견서, 방과 후 활동 기록 등도 증거에 포함될 수 있다. 반대로 상대방에게 양육권을 주장하기 어려운 사유가 있다면, 이에 대한 불리한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잦은 음주나 폭력, 장시간 부재 등으로 인해 양육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양육권과 함께 반드시 다뤄야 할 문제는 양육비다. 하지만 양육비 역시 다툼이 많은 영역이기에 협의에 난항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서울 가정법원은 갈등의 최소화를 위해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제공하는데, 이는 부모의 세전 합산 소득과 자녀의 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양육비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의 참고자료일 뿐, 법원은 부부의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해 결정을 내린다. 아울러 양육비에 대해 별다른 협의 없이 이혼했다 하더라도, 미성년자 자녀가 성인이 될 때 까지 필요한 ‘장래 양육비’와 함께 이혼 시점에서부터 자녀를 혼자 양육한 사실에 대한 ‘과거 양육비’를 청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안 법무법인 대륜 곽소영 변호사는 “양육권과 양육비 분쟁에서 중요한 것은 자녀의 권리를 중심으로 한 논리적인 주장을 펼치는 것이다. 양육 의지가 강하다거나, 상대방을 비난하는 등의 감정적인 행동은 분쟁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그렇지만 이혼 소송 특성상 감정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복잡한 기준과 절차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혼전문변호사 등의 조력을 바탕으로 양육권을 가져올 수 있는 법적인 설계와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고 전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양육권·양육비 분쟁 대응방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5-19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 손해배상 책임 물게됐다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 손해배상 책임 물게됐다
미변제 금액 이외에 계약 해지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도직원들에게 폭언 등 ‘갑질’ 행위도 일삼아…계약 도중 다른 업체와 접촉하기도재판부 “피고 측 불법행위가 원인…원고 청구 문제 없어” 법원이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에 대해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물류 계약을 맺은 업체를 상대로 불리한 조건을 강요하거나, 미결제 대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은 것을 이유로 들었다.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지원은 지난 11일 물류 업체 A사가 패션 소셜커머스 업체 B사를 상대로 낸 정산금 등 청구의 소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앞서 A사는 지난해 8월 B사와 물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체결 이후 A사는 계약서에 명시된 내용대로 업무를 진행했으나, B사는 지속적으로 업무 소홀을 문제로 지적했다.또, B사는 마감기한 등을 임의로 지정하고, 이를 지키지 못할 시 A사 직원들에게 폭언을 하는 등 갑질 행위도 일삼은 것으로 드러났다.아울러 B사는 A사와 계약을 맺고 있는 상황임에도 다른 물류 업체와 새로운 계약을 준비하는 등 A사를 기망한 정황도 발견됐다.결국, 더는 이같은 갑질을 견딜 수 없었던 A사는 같은 해 9월 B사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그러나 A사는 B사로부터 물류비 미결제 대금을 지급받지 못한 상황이었다.이에 A사는 “B사의 과실로 인해 계약이 종료됐다. 미정산 대금 등을 포함해 1600여만 원을 지급하라”며 소송을 제기했다.또 당시 A사는 해당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신규 직원 채용에 나서는 등 비용을 지출했는데, 이러한 추가 금원에 대해서도 배상할 것을 요구했다. 계약 해지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다는 주장이다.법원도 A사의 청구가 정당하다고 봤다. 법원은 피고의 무리한 요구로 인해 원고 측이 고통을 받았고, 이는 계약해지로 이어져 금전적 손실이 발생했다고 판단했다.법률대리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호정 변호사는 “B사는 부당한 요구를 하고, 정산행위를 방해하는 등 불법행위를 행했다”며 “갑질 이외에도 B사는 대금 정산 과정에서도 잡음이 있었는데, 왜곡된 정보가 담긴 파일을 기반으로 정산이 이뤄져 누락된 항목이 많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는 상법 제389조 제3항, 제210조에 따른 불법행위 책임을 진다고 볼 수 있다”며 “따라서 정산금은 물론, 계약으로 인해 늘어난 업무량을 감당하고자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등 관련 지출 비용에 대해서도 보전할 의무가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 손해배상 책임 물게됐다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5-19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 손해배상 책임 물게됐다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 손해배상 책임 물게됐다
미변제 금액 이외에 계약 해지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도직원들에게 폭언 등 ‘갑질’ 행위도 일삼아…계약 도중 다른 업체와 접촉하기도재판부 “피고 측 불법행위가 원인…원고 청구 문제 없어” 법원이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에 대해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물류 계약을 맺은 업체를 상대로 불리한 조건을 강요하거나, 미결제 대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은 것을 이유로 들었다.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지원은 지난 11일 물류 업체 A사가 패션 소셜커머스 업체 B사를 상대로 낸 정산금 등 청구의 소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앞서 A사는 지난해 8월 B사와 물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체결 이후 A사는 계약서에 명시된 내용대로 업무를 진행했으나, B사는 지속적으로 업무 소홀을 문제로 지적했다.또, B사는 마감기한 등을 임의로 지정하고, 이를 지키지 못할 시 A사 직원들에게 폭언을 하는 등 갑질 행위도 일삼은 것으로 드러났다.아울러 B사는 A사와 계약을 맺고 있는 상황임에도 다른 물류 업체와 새로운 계약을 준비하는 등 A사를 기망한 정황도 발견됐다.결국, 더는 이같은 갑질을 견딜 수 없었던 A사는 같은 해 9월 B사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그러나 A사는 B사로부터 물류비 미결제 대금을 지급받지 못한 상황이었다.이에 A사는 “B사의 과실로 인해 계약이 종료됐다. 미정산 대금 등을 포함해 1600여만 원을 지급하라”며 소송을 제기했다.또 당시 A사는 해당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신규 직원 채용에 나서는 등 비용을 지출했는데, 이러한 추가 금원에 대해서도 배상할 것을 요구했다. 계약 해지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다는 주장이다.법원도 A사의 청구가 정당하다고 봤다. 법원은 피고의 무리한 요구로 인해 원고 측이 고통을 받았고, 이는 계약해지로 이어져 금전적 손실이 발생했다고 판단했다.법률대리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호정 변호사는 “B사는 부당한 요구를 하고, 정산행위를 방해하는 등 불법행위를 행했다”며 “갑질 이외에도 B사는 대금 정산 과정에서도 잡음이 있었는데, 왜곡된 정보가 담긴 파일을 기반으로 정산이 이뤄져 누락된 항목이 많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는 상법 제389조 제3항, 제210조에 따른 불법행위 책임을 진다고 볼 수 있다”며 “따라서 정산금은 물론, 계약으로 인해 늘어난 업무량을 감당하고자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등 관련 지출 비용에 대해서도 보전할 의무가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갑질’한 소셜커머스 업체, 손해배상 책임 물게됐다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5-19
[기고 하] 제약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해설-개정법 체계 중심으로
[기고 하] 제약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해설-개정법 체계 중심으로
대륜 이일형 변호사 "특별법적 성격...기존 의료기기법과 구별 독자적 체계 구축"업허가, 임상시험, 성능평가, 광고 규제, 실사용 평가,구성요소 중심 허가 등 독특한 규정 기고자는 지난 기고에서 디지털의료기기 시장 성장성을 조망하면서, ‘디지털의료제품법’ 제정 시대적 필요성과 입법 취지를 설명했다. 특히 기존 의료기기법 체계에 포섭하기 어려운 디지털 의료기술 특성을 강조하며, 독자적인 규제 체계 마련이 불가피했다는 점을 짚은 바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정된 디지털의료제품법은 기존 법령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의료제품법 큰 틀과 법적 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1. 기존 구 법체계와 디지털의료제품법과의 관계 디지털의료제품법(이하 간단히 ‘동법’)은 기존 법 체계상 의료기기, 체외진단의료기기, 의약품, 공산품 등으로 분류되던 제품들을 디지털의료기기, 디지털융합의약품, 디지털의료·건강지원기기 등으로 재분류해 정의하고 있다. 예컨대, 동법 제정 전에는 AI 기술이 적용된 진단 소프트웨어는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로, 디지털융합의약품은 약사법상 의약품 및/또는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로 규율됐으나, 디지털의료제품법 하에서는 모두 ‘디지털의료제품’, 그 중에서도 각각 ‘디지털의료기기’ 및 ‘디지털융합의약품’이라고 규정된다. 이하에서는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의 정의 규정과 ‘디지털의료제품법’ 정의 규정을 비교함으로써, 양 법령 간 개념 설정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위 대비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동법은 ‘디지털기술’(지능정보기술, 로봇기술, 정보통신기술 등 총리령으로 정하는 첨단 기술)이라는 문구가 핵심이다. 즉, 동법은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융합의약품, 의료ㆍ건강지원기기를 디지털의료제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기존 법체계인 의료기기법, 약사법과 관계를 살펴보면, 디지털의료제품법은 일종의 특별법으로서 기능하며, ‘디지털기술’이라는 고유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본 법이 우선 적용된다. 반면, 제품에 ‘디지털기술’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존 의료기기법, 약사법, 체외진단의료기기법, 또는 공산품 관련 법령이 적용된다고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한편 디지털의료제품 중 ‘디지털의료기기’에 해당하는지와 관련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한 가이드라인에 첨부된 아래 도표를 활용하시면 쉽게 판단이 가능하다. 2. 기존 법과는 다른 동법만의 규제 체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법 제정의 배경은 '디지털기술'이 기존 의료기기와 구별되는 특성이 있어 기존 법체계로는 이러한 신기술을 효과적으로 규율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는 물리적 형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의료기기법상 ‘봉함’ 관련 규정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디지털의료제품 경우 검증된 구성요소를 조합해서 만들 경우 완제품 성능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동법은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해, 전자 경우 ‘봉함’ 관련 규정을 적용하지 않고, 후자 경우 구성요소 성능평가를 거친 검증된 요소들만으로 완제품을 설계한 경우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이처럼 동법은 기존 법과 다른 독자적인 규제 체계를 갖추도록 설계되었는 바, 기존 규제 체계와의 주요 차이를 위주로 개관해보면 다음과 같다. 업허가 관리: 디지털기술의 특성을 반영한 별도 업허가 체계 도입 -디지털의료기기의 제조 또는 수입을 업으로 하는 디지털의료기기 제조업 ㆍ 수입업 규정 신설(동법 제8조, 제12조)-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판매에 관한 특례(동법 제27조) 임상시험 간소화: 디지털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간소화된 임상시험 절차 도입-IRB 및 식약처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임상시험의 범위가 다를 것으로 예상됨(총리령). -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등 새로운 유형의 임상시험 형태 허용(동법 제9조 제5항) 구성요소 성능평가: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디지털의료제품 특성을 반영하여 구성요소 성능평가 제도 마련 -식약처장은 센서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 디지털의료제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그 성능을 평가할 수 있음 -인허가 신청자가 성능평가가 완료된 구성요소만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구성한 경우에는 ‘인허가 절차 간소화’라는 혜택을 받을 수 있음(동법 제40조 제1항부터 제3항, 제5항 등). 우수관리체계 인증에 따른 혜택 -현재 논의 중인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동법 제17조 제3항에 따라 우수 관리체계 인증을 받은 제조업자는 특별한 권한을 받을 수 있음. (구체적으로, 법 제24조제1항제4호에 해당하는 자료를 '제품에 대한 정보(모델 설계, 입출력데이터, 개발 정보 등)', '실사용평가계획서', '실사용평가결과보고서'로 갈음하여 제출할 수 있게 될 전망임.) 전문가용 소프트웨어 관련 규정 신설 -전문가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전문가용” 표시, 판매경로, 광고 방법 등 규제(동법 제21조부터 제23조)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경우 의료기기법상 일부 규정 예외 인정: 독립형 소프트웨어에 대해 불필요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함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에 대하여는 ‘의료기기법’ 제13조제2항(의료기기의 생산실적 등 보고 의무), 제18조의5(개봉 판매 금지), 제19조(의료기기에 대하여 그 적용범위, 형상 또는 구조, 시험규격, 기재사항 등을 기준규격), 제25조의5(봉함), 제29조부터 제31조까지(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기록의 작성 및 보존, 부작용 관리), 제31조의2(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 등), 제31조의5(의료기기 이물 발견 보고 등) 및 제49조(제조허가등의 갱신)를 적용하지 아니함. -그 밖에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료기기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음(동법 제28조). 실사용 평가 -실사용 평가와 관련하여, 의료기기법상 리베이트 관련 규정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의료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중대한 예외 조항이 마련되었다. 나아가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실사용 평가 자료를 각종 허가 절차에 활용할 수 있는 혜택도 부여받게 되었다.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디지털의료기기를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서 수집ㆍ생성된 정보를 바탕으로 디지털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이하 “실사용 평가”라 한다)할 수 있음(동법 제15조 제1항). -실사용 평가를 하려는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실사용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의료기기법」 제13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총리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개설자(법인의 대표나 이사, 그 밖에 이에 종사하는 자를 포함한다) 및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평가 대상 디지털의료기기를 제공할 수 있음 이 경우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평가 대상 디지털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개설자 및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해당 디지털의료기기를 사용한 기록의 열람 또는 그 사본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음(동법 제15조).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이 제출한 실사용 평가 자료를 제8조제3항에 따른 제조허가ㆍ제조인증ㆍ제조신고, 제11조에 따른 변경허가ㆍ변경인증ㆍ변경신고, 제12조제2항에 따른 수입허가ㆍ수입인증ㆍ수입신고 등에 활용할 수 있음(동법 제15조 제3항 등). 3. 요약 정리 디지털의료제품법은 특별법적 성격을 가지므로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경우 본 법이 적용된다. 이러한 디지털의료제품법은 디지털기술 특성을 반영해 기존 의료기기법과는 구별되는 독자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업허가, 임상시험, 성능평가, 광고 규제, 실사용 평가, 구성요소 중심 허가 등 독특한 규정을 갖추고 있다. 한편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지털의료제품법의 내용이 워낙 방대하여 이번 기고글로는 모든 내용을 정리하지 못하였다. 다음 시리즈에서는 세부 조항 및 실무적 해설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오니, 제약회사 실무자들께서는 계속 관심을 가져 주시길 당부드린다. 이번 기고는 여기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하] 제약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해설-개정법 체계 중심으로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5-19
[기고 하] 제약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해설-개정법 체계 중심으로
[기고 하] 제약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해설-개정법 체계 중심으로
대륜 이일형 변호사 "특별법적 성격...기존 의료기기법과 구별 독자적 체계 구축"업허가, 임상시험, 성능평가, 광고 규제, 실사용 평가,구성요소 중심 허가 등 독특한 규정 기고자는 지난 기고에서 디지털의료기기 시장 성장성을 조망하면서, ‘디지털의료제품법’ 제정 시대적 필요성과 입법 취지를 설명했다. 특히 기존 의료기기법 체계에 포섭하기 어려운 디지털 의료기술 특성을 강조하며, 독자적인 규제 체계 마련이 불가피했다는 점을 짚은 바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정된 디지털의료제품법은 기존 법령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의료제품법 큰 틀과 법적 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1. 기존 구 법체계와 디지털의료제품법과의 관계 디지털의료제품법(이하 간단히 ‘동법’)은 기존 법 체계상 의료기기, 체외진단의료기기, 의약품, 공산품 등으로 분류되던 제품들을 디지털의료기기, 디지털융합의약품, 디지털의료·건강지원기기 등으로 재분류해 정의하고 있다. 예컨대, 동법 제정 전에는 AI 기술이 적용된 진단 소프트웨어는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로, 디지털융합의약품은 약사법상 의약품 및/또는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로 규율됐으나, 디지털의료제품법 하에서는 모두 ‘디지털의료제품’, 그 중에서도 각각 ‘디지털의료기기’ 및 ‘디지털융합의약품’이라고 규정된다. 이하에서는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의 정의 규정과 ‘디지털의료제품법’ 정의 규정을 비교함으로써, 양 법령 간 개념 설정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위 대비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동법은 ‘디지털기술’(지능정보기술, 로봇기술, 정보통신기술 등 총리령으로 정하는 첨단 기술)이라는 문구가 핵심이다. 즉, 동법은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융합의약품, 의료ㆍ건강지원기기를 디지털의료제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기존 법체계인 의료기기법, 약사법과 관계를 살펴보면, 디지털의료제품법은 일종의 특별법으로서 기능하며, ‘디지털기술’이라는 고유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본 법이 우선 적용된다. 반면, 제품에 ‘디지털기술’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존 의료기기법, 약사법, 체외진단의료기기법, 또는 공산품 관련 법령이 적용된다고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한편 디지털의료제품 중 ‘디지털의료기기’에 해당하는지와 관련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한 가이드라인에 첨부된 아래 도표를 활용하시면 쉽게 판단이 가능하다. 2. 기존 법과는 다른 동법만의 규제 체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법 제정의 배경은 '디지털기술'이 기존 의료기기와 구별되는 특성이 있어 기존 법체계로는 이러한 신기술을 효과적으로 규율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는 물리적 형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의료기기법상 ‘봉함’ 관련 규정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디지털의료제품 경우 검증된 구성요소를 조합해서 만들 경우 완제품 성능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동법은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해, 전자 경우 ‘봉함’ 관련 규정을 적용하지 않고, 후자 경우 구성요소 성능평가를 거친 검증된 요소들만으로 완제품을 설계한 경우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이처럼 동법은 기존 법과 다른 독자적인 규제 체계를 갖추도록 설계되었는 바, 기존 규제 체계와의 주요 차이를 위주로 개관해보면 다음과 같다. 업허가 관리: 디지털기술의 특성을 반영한 별도 업허가 체계 도입 -디지털의료기기의 제조 또는 수입을 업으로 하는 디지털의료기기 제조업 ㆍ 수입업 규정 신설(동법 제8조, 제12조)-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판매에 관한 특례(동법 제27조) 임상시험 간소화: 디지털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간소화된 임상시험 절차 도입-IRB 및 식약처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임상시험의 범위가 다를 것으로 예상됨(총리령). -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등 새로운 유형의 임상시험 형태 허용(동법 제9조 제5항) 구성요소 성능평가: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디지털의료제품 특성을 반영하여 구성요소 성능평가 제도 마련 -식약처장은 센서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 디지털의료제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그 성능을 평가할 수 있음 -인허가 신청자가 성능평가가 완료된 구성요소만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구성한 경우에는 ‘인허가 절차 간소화’라는 혜택을 받을 수 있음(동법 제40조 제1항부터 제3항, 제5항 등). 우수관리체계 인증에 따른 혜택 -현재 논의 중인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동법 제17조 제3항에 따라 우수 관리체계 인증을 받은 제조업자는 특별한 권한을 받을 수 있음. (구체적으로, 법 제24조제1항제4호에 해당하는 자료를 '제품에 대한 정보(모델 설계, 입출력데이터, 개발 정보 등)', '실사용평가계획서', '실사용평가결과보고서'로 갈음하여 제출할 수 있게 될 전망임.) 전문가용 소프트웨어 관련 규정 신설 -전문가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전문가용” 표시, 판매경로, 광고 방법 등 규제(동법 제21조부터 제23조)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경우 의료기기법상 일부 규정 예외 인정: 독립형 소프트웨어에 대해 불필요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함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에 대하여는 ‘의료기기법’ 제13조제2항(의료기기의 생산실적 등 보고 의무), 제18조의5(개봉 판매 금지), 제19조(의료기기에 대하여 그 적용범위, 형상 또는 구조, 시험규격, 기재사항 등을 기준규격), 제25조의5(봉함), 제29조부터 제31조까지(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기록의 작성 및 보존, 부작용 관리), 제31조의2(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 등), 제31조의5(의료기기 이물 발견 보고 등) 및 제49조(제조허가등의 갱신)를 적용하지 아니함. -그 밖에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료기기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음(동법 제28조). 실사용 평가 -실사용 평가와 관련하여, 의료기기법상 리베이트 관련 규정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의료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중대한 예외 조항이 마련되었다. 나아가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실사용 평가 자료를 각종 허가 절차에 활용할 수 있는 혜택도 부여받게 되었다.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디지털의료기기를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서 수집ㆍ생성된 정보를 바탕으로 디지털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이하 “실사용 평가”라 한다)할 수 있음(동법 제15조 제1항). -실사용 평가를 하려는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실사용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의료기기법」 제13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총리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개설자(법인의 대표나 이사, 그 밖에 이에 종사하는 자를 포함한다) 및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평가 대상 디지털의료기기를 제공할 수 있음 이 경우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은 평가 대상 디지털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개설자 및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해당 디지털의료기기를 사용한 기록의 열람 또는 그 사본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음(동법 제15조).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디지털의료기기제조업자 등이 제출한 실사용 평가 자료를 제8조제3항에 따른 제조허가ㆍ제조인증ㆍ제조신고, 제11조에 따른 변경허가ㆍ변경인증ㆍ변경신고, 제12조제2항에 따른 수입허가ㆍ수입인증ㆍ수입신고 등에 활용할 수 있음(동법 제15조 제3항 등). 3. 요약 정리 디지털의료제품법은 특별법적 성격을 가지므로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경우 본 법이 적용된다. 이러한 디지털의료제품법은 디지털기술 특성을 반영해 기존 의료기기법과는 구별되는 독자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업허가, 임상시험, 성능평가, 광고 규제, 실사용 평가, 구성요소 중심 허가 등 독특한 규정을 갖추고 있다. 한편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지털의료제품법의 내용이 워낙 방대하여 이번 기고글로는 모든 내용을 정리하지 못하였다. 다음 시리즈에서는 세부 조항 및 실무적 해설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오니, 제약회사 실무자들께서는 계속 관심을 가져 주시길 당부드린다. 이번 기고는 여기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하] 제약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해설-개정법 체계 중심으로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19
“화재 예방 안했다”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구상금 청구…法 “과실 없어”
“화재 예방 안했다”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구상금 청구…法 “과실 없어”
경찰, 화재 원인으로 에어컨 지목보험사 “지급한 보험금 배상해야”법원 “예방 조처만으로 방지 불가” 에어컨 결함 등으로 화재가 발생했다면 설치 기사에게 그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은 지난달 2일 30대 남성 A 씨가 보험사 B사를 상대로 낸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에어컨 설치 기사로 근무하던 A 씨는 2020년 지역의 한 아파트에 에어컨을 설치했다. 문제는 2년 뒤 이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며 불거졌다. 당시 B사는 피해 주민에게 보험금을 지급했는데, 이후 돌연 A 씨에게 구상금 4000여만 원을 청구한 것이다. B사 측은 에어컨을 화재 원인으로 지목한 경찰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A 씨가 에어컨 설치 때 화재 예방 조처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반면 A 씨는 화재 원인은 ‘트래킹(전류가 흐르는 곳에 묻어 있는 수분·먼지 등에서 불꽃이 일어나는 현상)’에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제품의 오래된 연식과 사용자의 관리 소홀이 화재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에어컨 설치 때 습기로 인한 단자 부식과 접촉 불량 방지 등 트래킹 발생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당시 원고가 설치했던 에어컨은 이미 사용 연한이 상당히 지나 있었고 평소 에어컨 접속함 내부에도 습기가 많았다”고 밝혔다.또 “에어컨 설치 때 예방 조처만으로 트래킹 발생을 전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원고의 과실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금전채무부존재확인소송에서 채무자가 채무 원인을 부정하는 주장을 한다면 채권자는 그 권리관계를 입증할 책임을 진다”며 “B사는 A 씨가 사용자에게 정기적인 점검과 청결에 대한 설명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다고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화재 예방 안했다”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구상금 청구…法 “과실 없어”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19
“화재 예방 안했다”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구상금 청구…法 “과실 없어”
“화재 예방 안했다”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구상금 청구…法 “과실 없어”
경찰, 화재 원인으로 에어컨 지목보험사 “지급한 보험금 배상해야”법원 “예방 조처만으로 방지 불가” 에어컨 결함 등으로 화재가 발생했다면 설치 기사에게 그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은 지난달 2일 30대 남성 A 씨가 보험사 B사를 상대로 낸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에어컨 설치 기사로 근무하던 A 씨는 2020년 지역의 한 아파트에 에어컨을 설치했다. 문제는 2년 뒤 이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며 불거졌다. 당시 B사는 피해 주민에게 보험금을 지급했는데, 이후 돌연 A 씨에게 구상금 4000여만 원을 청구한 것이다. B사 측은 에어컨을 화재 원인으로 지목한 경찰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A 씨가 에어컨 설치 때 화재 예방 조처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반면 A 씨는 화재 원인은 ‘트래킹(전류가 흐르는 곳에 묻어 있는 수분·먼지 등에서 불꽃이 일어나는 현상)’에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제품의 오래된 연식과 사용자의 관리 소홀이 화재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원고는 에어컨 설치 때 습기로 인한 단자 부식과 접촉 불량 방지 등 트래킹 발생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당시 원고가 설치했던 에어컨은 이미 사용 연한이 상당히 지나 있었고 평소 에어컨 접속함 내부에도 습기가 많았다”고 밝혔다.또 “에어컨 설치 때 예방 조처만으로 트래킹 발생을 전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원고의 과실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정우영 변호사는 “금전채무부존재확인소송에서 채무자가 채무 원인을 부정하는 주장을 한다면 채권자는 그 권리관계를 입증할 책임을 진다”며 “B사는 A 씨가 사용자에게 정기적인 점검과 청결에 대한 설명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다고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화재 예방 안했다”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구상금 청구…法 “과실 없어”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2곳
2025-05-19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글로벌 진출 업무협약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글로벌 진출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이 지난 13일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중소기업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 협동조합(이하 ICTC)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관세·국제통상그룹 명재호 관세전문위원과 ICTC 김석오 이사장, 김진영 과장, 박정호·이종인 위원 등이 참석했다. ICTC는 관세사, 세무사, 기업인 등으로 구성된 협동조합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전문 기관이다. 미국·중국·유럽 등 15개 해외 지역에 운영중인 대표부를 통해 수출시장 조사부터 무역·통관 및 마케팅에 아우르는 원스톱 통합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출식품 FDA 등록·인증, 미국 상호관세 대응 稅(세)테크 서비스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수출입 기업 대상 외국환거래법 및 관세 관련 리스크 자문 ▲FDA 등록 및 HS코드 분쟁 등 통상법률 컨설팅 ▲세무·회계·법률 복합이슈 대응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을 자문할 예정이다. 대륜은 미국 뉴욕, 일본 도쿄 등 해외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어 현지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자문을 제공한다. 김석오 ICTC 이사장은 “대륜의 역량 및 글로벌 스탠더드와 ICTC의 무역 전문성을 결합해 기업들에게 더욱 실질적인 현장 중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양 기관의 협력이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과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글로벌 진출 업무협약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MOU 체결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2곳
2025-05-19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글로벌 진출 업무협약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글로벌 진출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이 지난 13일 서울본부 분사무소에서 중소기업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 협동조합(이하 ICTC)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대표, 관세·국제통상그룹 명재호 관세전문위원과 ICTC 김석오 이사장, 김진영 과장, 박정호·이종인 위원 등이 참석했다. ICTC는 관세사, 세무사, 기업인 등으로 구성된 협동조합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전문 기관이다. 미국·중국·유럽 등 15개 해외 지역에 운영중인 대표부를 통해 수출시장 조사부터 무역·통관 및 마케팅에 아우르는 원스톱 통합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출식품 FDA 등록·인증, 미국 상호관세 대응 稅(세)테크 서비스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수출입 기업 대상 외국환거래법 및 관세 관련 리스크 자문 ▲FDA 등록 및 HS코드 분쟁 등 통상법률 컨설팅 ▲세무·회계·법률 복합이슈 대응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을 자문할 예정이다. 대륜은 미국 뉴욕, 일본 도쿄 등 해외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어 현지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자문을 제공한다. 김석오 ICTC 이사장은 “대륜의 역량 및 글로벌 스탠더드와 ICTC의 무역 전문성을 결합해 기업들에게 더욱 실질적인 현장 중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양 기관의 협력이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과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글로벌 진출 업무협약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와 MOU 체결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2곳
2025-05-19
대륜-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 의료법 컴플라이언스 업무협약
대륜-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 의료법 컴플라이언스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15일 대구 분사무소에서 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과 의료법 위반 예방 및 컴플라이언스 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권민경 변호사, 조우리 변호사와 효민의료재단 송정훈 이사장, 김지현 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효민의료재단은 지난 2010년 설립됐으며, 대구 북구 대현로에 위치한 ‘큰사랑병원’ 및 ‘대구큰사랑요양병원’을 운영 중이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효민의료재단 및 그 산하 의료기관에 대해 ▲의료법 위반 사전 예방을 위한 컴플라이언스 자문 ▲의료계약서 및 운영규정 검토 ▲의료인 및 환자간 법적 분쟁 예방 컨설팅 등 다층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효민의료재단의 ESG 경영 및 기관 인증 대응 과정에서 필요한 전략 법무 지원도 병행한다. 효민의료재단 송정훈 이사장은 “이번 MOU는 환자 안전과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높이는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의료 분야의 이슈는 민감하고 복잡한 사안이 많은 만큼 맞춤형 법률 지원이 필요하다”라면서 “대륜은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효민의료재단의 법적 동반자로서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법적 해결책을 함께 설계하고 실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 의료법 컴플라이언스 업무협약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효민의료재단과 MOU 체결…의료법 위반 예방 및 ESG 법률 자문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2곳
2025-05-19
대륜-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 의료법 컴플라이언스 업무협약
대륜-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 의료법 컴플라이언스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15일 대구 분사무소에서 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과 의료법 위반 예방 및 컴플라이언스 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권민경 변호사, 조우리 변호사와 효민의료재단 송정훈 이사장, 김지현 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효민의료재단은 지난 2010년 설립됐으며, 대구 북구 대현로에 위치한 ‘큰사랑병원’ 및 ‘대구큰사랑요양병원’을 운영 중이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효민의료재단 및 그 산하 의료기관에 대해 ▲의료법 위반 사전 예방을 위한 컴플라이언스 자문 ▲의료계약서 및 운영규정 검토 ▲의료인 및 환자간 법적 분쟁 예방 컨설팅 등 다층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효민의료재단의 ESG 경영 및 기관 인증 대응 과정에서 필요한 전략 법무 지원도 병행한다. 효민의료재단 송정훈 이사장은 “이번 MOU는 환자 안전과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높이는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의료 분야의 이슈는 민감하고 복잡한 사안이 많은 만큼 맞춤형 법률 지원이 필요하다”라면서 “대륜은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효민의료재단의 법적 동반자로서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법적 해결책을 함께 설계하고 실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의료법인 효민의료재단, 의료법 컴플라이언스 업무협약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효민의료재단과 MOU 체결…의료법 위반 예방 및 ESG 법률 자문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12곳
2025-05-19
대륜, 26일 의료·제약·미용기기 기업 대상…정기 외환검사 대응 세미나
대륜, 26일 의료·제약·미용기기 기업 대상…정기 외환검사 대응 세미나
법무법인 대륜이 오는 26일 오후 1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교육장에서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방안’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는 사단법인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공동 주관하며,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회원사 및 대륜 제약·바이오 산업 고객사 등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관세청은 올해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 대해 5년 주기로 ‘정기 외환검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수출입 기업들은 정밀한 내부 점검과 컴플라이언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특히 의료기기·미용 산업과 같은 특정산업군에 대한 집중단속이 예상된다. 명재호 대륜 관세전문위원은 이날 세관조사 동향과 거래유형별 외국환거래법상 준수의무에 대해 발표한다. 아울러 의료·미용기기 등 수출입 기업이 거래 과정에서 외국환거래법을 준수하지 않았을 경우 겪을 수 있는 리스크와 이에 대한 대응 전략도 소개한다. 명 전문위원은 관세법인과 다수의 기업에서 근무하며 수출입통관, 무역심사, 관세무역 컨설팅을 수행한 바 있다. 관세청 YES FTA 전임강사, 방위사업청 수출심의위원, 전략물자관리원 CP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정기 외환검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기업들이 외국환거래법 등 준수해야할 법적 의무 영역이 넓어졌다”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점검하고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참여 희망기업은 23일까지 대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26일 의료·제약·미용기기 기업 대상…정기 외환검사 대응 세미나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26일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출입 기업 대상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 세미나' 26일 개최 (바로가기) 약업신문 - 의료기기산업협회, 의료기기·미용기기업계에 ‘외환검사 리스크 대응 전략’ 소개 (바로가기) 한스경제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정기 외환검사 대비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팜뉴스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의료기기·미용기기 업계 대상 ‘외환검사 리스크 대응 전략’ 소개 (바로가기) 의학신문 - 의료기기협회, 정기 외환검사 대비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보건뉴스 - 의료기기산업협회, 정기 외환검사 대비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라포르시안 - 의료기기협회, 26일 ‘정기 외환검사 대응방안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뉴시스 - "외환 검사 리스크 대응"…의료기기산업협회·대륜 '맞손' (바로가기) 데일리메디 - 이달 26일 '정기 외환검사 대비 대응방안 세미나'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12곳
2025-05-19
대륜, 26일 의료·제약·미용기기 기업 대상…정기 외환검사 대응 세미나
대륜, 26일 의료·제약·미용기기 기업 대상…정기 외환검사 대응 세미나
법무법인 대륜이 오는 26일 오후 1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교육장에서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방안’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는 사단법인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공동 주관하며,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회원사 및 대륜 제약·바이오 산업 고객사 등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관세청은 올해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 대해 5년 주기로 ‘정기 외환검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수출입 기업들은 정밀한 내부 점검과 컴플라이언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특히 의료기기·미용 산업과 같은 특정산업군에 대한 집중단속이 예상된다. 명재호 대륜 관세전문위원은 이날 세관조사 동향과 거래유형별 외국환거래법상 준수의무에 대해 발표한다. 아울러 의료·미용기기 등 수출입 기업이 거래 과정에서 외국환거래법을 준수하지 않았을 경우 겪을 수 있는 리스크와 이에 대한 대응 전략도 소개한다. 명 전문위원은 관세법인과 다수의 기업에서 근무하며 수출입통관, 무역심사, 관세무역 컨설팅을 수행한 바 있다. 관세청 YES FTA 전임강사, 방위사업청 수출심의위원, 전략물자관리원 CP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정기 외환검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기업들이 외국환거래법 등 준수해야할 법적 의무 영역이 넓어졌다”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점검하고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참여 희망기업은 23일까지 대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26일 의료·제약·미용기기 기업 대상…정기 외환검사 대응 세미나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26일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출입 기업 대상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정기 외환검사 제도 대응 세미나' 26일 개최 (바로가기) 약업신문 - 의료기기산업협회, 의료기기·미용기기업계에 ‘외환검사 리스크 대응 전략’ 소개 (바로가기) 한스경제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정기 외환검사 대비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팜뉴스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의료기기·미용기기 업계 대상 ‘외환검사 리스크 대응 전략’ 소개 (바로가기) 의학신문 - 의료기기협회, 정기 외환검사 대비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보건뉴스 - 의료기기산업협회, 정기 외환검사 대비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라포르시안 - 의료기기협회, 26일 ‘정기 외환검사 대응방안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뉴시스 - "외환 검사 리스크 대응"…의료기기산업협회·대륜 '맞손' (바로가기) 데일리메디 - 이달 26일 '정기 외환검사 대비 대응방안 세미나'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2025-05-19
[손배] "아홉살 초등생이 친구에게 돌 던져 상처 입혀…부모도 배상책임"
[손배] "아홉살 초등생이 친구에게 돌 던져 상처 입혀…부모도 배상책임"
[부산동부지원] '책임능력 없다' 주장 배척 초등학생인 A(9)는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초등학교 교내 놀이터에서 친구인 B에게 돌을 집어 던져 왼쪽 눈 아래 세로 1㎝, 왼쪽 뺨에 2㎝, 코 아래 1㎝ 크기의 상처를 입혔다. 이에 B와 부모가 A와 그의 부모를 상대로 손해를 배상하라며 소송을 냈다. 부산광역시해운대교육지원청 교육장은 A의 행위가 학교폭력에 해당한다는 부산시해운대교육지원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A에게 피해학생에 대한 서면사과 조치를 했다. 부산지법 동부지원 김주영 판사는 4월 9일 A와 부모 모두 손해배상책임이 있다며 "피고들은 연대하여 원고들에게 2,2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2024가단103511). 피고들은 "A는 사건 당시 만 9세에 불과하여 책임능력이 없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김 판사는 그러나 "책임능력은 일반적으로 자기 행위의 책임을 변식할 수 있는 정신능력을 의미하는데, 이 사건 가격행위를 목격한 학생은 'A가 가격행위 이후 학폭갈 것 같다며 울고 있었다'고 진술한 바 있으므로, A가 책임능력이 없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 판사는 A의 부모에 대해서도. "미성년자가 책임능력이 있어 스스로 불법행위책임을 지는 경우에도 그 손해가 당해 미성년자의 감독의무자의 의무위반과 상당인과관계가 있으면 감독의무자는 일반불법행위자로서 손해배상책임이 있다(대법원 1994. 8. 23. 선고 93다60588 판결 등 참조)"고 전제하고, "가격행위 당시 A는 피고들과 함께 생활하며 이들의 보호, 감독을 받고 있었는바, 피고들은 미성년자인 A에게 타인에 대하여 가해행위를 저지르지 않도록 일상적인 지도 및 조언을 하는 등 교육하고 감독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인데, 피고들은 위와 같은 지도 및 감독 의무를 소홀히 하였고 그러한 과실이 가격행위가 발생한 한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되므로, 피고들도 일반불법행위자로서 민법 제750조, 제760조에 따라 공동하여 원고들이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대륜이 원고들을, 피고들은 법무법인 신성이 대리했다. 리걸타임즈 김덕성 기자(dsconf@legaltimes.co.kr) [기사전문보기] [손배] "아홉살 초등생이 친구에게 돌 던져 상처 입혀…부모도 배상책임"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2025-05-19
[손배] "아홉살 초등생이 친구에게 돌 던져 상처 입혀…부모도 배상책임"
[손배] "아홉살 초등생이 친구에게 돌 던져 상처 입혀…부모도 배상책임"
[부산동부지원] '책임능력 없다' 주장 배척 초등학생인 A(9)는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초등학교 교내 놀이터에서 친구인 B에게 돌을 집어 던져 왼쪽 눈 아래 세로 1㎝, 왼쪽 뺨에 2㎝, 코 아래 1㎝ 크기의 상처를 입혔다. 이에 B와 부모가 A와 그의 부모를 상대로 손해를 배상하라며 소송을 냈다. 부산광역시해운대교육지원청 교육장은 A의 행위가 학교폭력에 해당한다는 부산시해운대교육지원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A에게 피해학생에 대한 서면사과 조치를 했다. 부산지법 동부지원 김주영 판사는 4월 9일 A와 부모 모두 손해배상책임이 있다며 "피고들은 연대하여 원고들에게 2,2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2024가단103511). 피고들은 "A는 사건 당시 만 9세에 불과하여 책임능력이 없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김 판사는 그러나 "책임능력은 일반적으로 자기 행위의 책임을 변식할 수 있는 정신능력을 의미하는데, 이 사건 가격행위를 목격한 학생은 'A가 가격행위 이후 학폭갈 것 같다며 울고 있었다'고 진술한 바 있으므로, A가 책임능력이 없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 판사는 A의 부모에 대해서도. "미성년자가 책임능력이 있어 스스로 불법행위책임을 지는 경우에도 그 손해가 당해 미성년자의 감독의무자의 의무위반과 상당인과관계가 있으면 감독의무자는 일반불법행위자로서 손해배상책임이 있다(대법원 1994. 8. 23. 선고 93다60588 판결 등 참조)"고 전제하고, "가격행위 당시 A는 피고들과 함께 생활하며 이들의 보호, 감독을 받고 있었는바, 피고들은 미성년자인 A에게 타인에 대하여 가해행위를 저지르지 않도록 일상적인 지도 및 조언을 하는 등 교육하고 감독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인데, 피고들은 위와 같은 지도 및 감독 의무를 소홀히 하였고 그러한 과실이 가격행위가 발생한 한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되므로, 피고들도 일반불법행위자로서 민법 제750조, 제760조에 따라 공동하여 원고들이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대륜이 원고들을, 피고들은 법무법인 신성이 대리했다. 리걸타임즈 김덕성 기자(dsconf@legaltimes.co.kr) [기사전문보기] [손배] "아홉살 초등생이 친구에게 돌 던져 상처 입혀…부모도 배상책임"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16
가정폭력에 집 떠난 며느리 ‘아동 방임’ 고소한 시부모…검찰, 불기소 이어 항고 기각
가정폭력에 집 떠난 며느리 ‘아동 방임’ 고소한 시부모…검찰, 불기소 이어 항고 기각
남편의 가정폭력 때문에 집을 나간 40대 여성을 시부모가 방임으로 고소했지만, 검찰이 불기소 처분했다.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고검은 지난 3월 14일 아동복지법 위반(아동 유기·방임) 혐의로 피소된 40대 여성 A씨에 대한 불기소 처분을 다시 판단해 달라는 A씨 시부모 B씨의 항고를 기각했다.앞서 B씨는 A씨가 2019년 남편과 다툰 뒤 집을 나가 연락을 끊고 돌아오지 않았으며, 자녀 양육비도 지급하지 않았다며 A씨를 아동 유기, 방임 혐의로 고소했다.A씨는 시부모가 집 현관문 비밀번호를 바꾸는 등으로 자녀와 교류를 막았고, 남편의 가정폭력에 못 이겨 집을 나갔기 때문에 양육비 합의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검찰은 가정폭력 때문에 집을 나가는 바람에 양육비 합의를 못했다는 A씨의 주장이 B씨의 진술과 일치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자녀 양육 책임은 부모 모두에게 있지만, 이번 사건에서는 최종 양육 책임이 A씨의 남편에게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A씨가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았다는 것만으로 방임의 고의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시부모는 검찰의 결정에 불복해 항고했지만, 검찰은 사건을 재수사한 수원고검 역시 불기소 처분을 유지했다.A씨를 대리한 박세훈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아동복지법의 방임 행위가 인정되려면 양육 등이 필요한 사실을 알면서도 조치하지 않았다는 고의가 있어야 한다”라며 “A씨가 시부모 측의 방해로 자녀들에게 원활히 연락할 수 없었다는 점이 받아들여져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가정폭력에 집 떠난 며느리 ‘아동 방임’ 고소한 시부모…검찰, 불기소 이어 항고 기각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16
가정폭력에 집 떠난 며느리 ‘아동 방임’ 고소한 시부모…검찰, 불기소 이어 항고 기각
가정폭력에 집 떠난 며느리 ‘아동 방임’ 고소한 시부모…검찰, 불기소 이어 항고 기각
남편의 가정폭력 때문에 집을 나간 40대 여성을 시부모가 방임으로 고소했지만, 검찰이 불기소 처분했다.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고검은 지난 3월 14일 아동복지법 위반(아동 유기·방임) 혐의로 피소된 40대 여성 A씨에 대한 불기소 처분을 다시 판단해 달라는 A씨 시부모 B씨의 항고를 기각했다.앞서 B씨는 A씨가 2019년 남편과 다툰 뒤 집을 나가 연락을 끊고 돌아오지 않았으며, 자녀 양육비도 지급하지 않았다며 A씨를 아동 유기, 방임 혐의로 고소했다.A씨는 시부모가 집 현관문 비밀번호를 바꾸는 등으로 자녀와 교류를 막았고, 남편의 가정폭력에 못 이겨 집을 나갔기 때문에 양육비 합의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검찰은 가정폭력 때문에 집을 나가는 바람에 양육비 합의를 못했다는 A씨의 주장이 B씨의 진술과 일치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자녀 양육 책임은 부모 모두에게 있지만, 이번 사건에서는 최종 양육 책임이 A씨의 남편에게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A씨가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았다는 것만으로 방임의 고의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시부모는 검찰의 결정에 불복해 항고했지만, 검찰은 사건을 재수사한 수원고검 역시 불기소 처분을 유지했다.A씨를 대리한 박세훈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아동복지법의 방임 행위가 인정되려면 양육 등이 필요한 사실을 알면서도 조치하지 않았다는 고의가 있어야 한다”라며 “A씨가 시부모 측의 방해로 자녀들에게 원활히 연락할 수 없었다는 점이 받아들여져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가정폭력에 집 떠난 며느리 ‘아동 방임’ 고소한 시부모…검찰, 불기소 이어 항고 기각 (바로가기)
Asia Business Law Journal
2025-05-16
Korean firm Daeryun to open first overseas office in New York
Korean firm Daeryun to open first overseas office in New York
[원문] Daeryun, which is a Korean law firm established in 2018, has chosen New York as its first overseas office outside South Korea. “New York is the centre of the international legal market, where global law firms converge and compete fiercely.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 capabilities of Korean law firms are effective on the world stage, we have chosen New York as our strategic first entry point,” Kukil Kim, the managing partner at Daeryun, told Asia Business Law Journal on why his firm chose the US city. Kim said existing Korean law firms tended to prioritise achieving short-term profitability and reducing operating costs, which led them to favour the Southeast Asian region when expanding overseas for the first time. None of the traditional Big Six firms in Korea – Kim & Chang, Lee & Ko, Bae Kim & Lee, Yulchon, Shin & Kim and Yoon & Yang – maintain offices in North America. “We will primarily focus on providing corporate clients with advisory services on international transactions and overseas expansion and entry,” said Kim. Conversely, the firm will also provide a range of solutions for US and other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e Korean market, including domestic market analysis, entry strategy development, permit procedures, and legal advice on labour and taxation. Kim added that instead of limiting itself to the existing Korean client base, the firm would target companies and individuals of all nationalities within the US as prospective clients. Accordingly, it plans to hire local attorneys directly. The New York office is scheduled to begin operations between June and August with a team of two to three attorneys holding US bar qualifications. When asked on the opening of additional overseas offices, Kim said: “Market research and partnership discussions concerning major cities in Europe and Asia are currently underway internally including those in the UK, Germany, Singapore and Japan, as well as the Southeast Asian market.” In 2024, Daeryun recorded revenue of KRW112.7 billion (USD81 million), ranking it among the top 10 law firms in Korea by revenue for the first time. [한국어] 2018년 설립된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 바깥의 첫 해외 사무소로 뉴욕을 선택했다. 대륜의 김국일 경영대표변호사는 뉴욕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Asia Business Law Journal에 “뉴욕은 글로벌 메가 로펌들이 집결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국제 법률시장의 중심지”라며 “한국 로펌의 역량이 세계 시장에서도 유효함을 입증하고자 뉴욕을 전략적 첫 진출지로 선택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 대표변호사는 일반적으로 한국 로펌들은 초기 해외 진출 시 단기적인 수익성 확보와 운영비 절감을 우선 고려하여 동남아 지역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전통적인 6대 로펌인 김앤장 법률사무소,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세종 및 법무법인 화우는 모두 북미에 사무소를 두고 있지 않다. 김 대표변호사는 그러면서 “우선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국제거래 및 해외 진출·진입 자문을 핵심 업무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미국 및 기타 외국계 기업의 한국 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국내 시장 분석, 진입 전략 수립, 인허가 절차, 노동·조세 관련 법률 자문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 대표변호사는 또한 기존 한국계 고객층에 한정하지 않고 미국 내 모든 국적의 기업과 개인을 잠재 고객군으로 설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현지 변호사를 직접 채용할 계획이다. 뉴욕 사무소는 6월에서 8월 사이에 미국 변호사 자격을 소지한 변호사 2~3명으로 구성된 팀으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추가 해외 사무소 개설에 관한 질문에 김 대표변호사는 “현재 내부적으로 영국, 독일, 싱가포르, 일본 등 유럽 및 아시아 주요 도시 및 동남아 시장에 대한 시장조사와 파트너십 협의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대륜은 2024년 매출액 1127억원을 기록하며 매출 기준 국내 상위 10대 로펌에 처음으로 진입한 바 있다. [기사전문보기] Korean firm Daeryun to open first overseas office in New York (바로가기)
Asia Business Law Journal
2025-05-16
Korean firm Daeryun to open first overseas office in New York
Korean firm Daeryun to open first overseas office in New York
[원문] Daeryun, which is a Korean law firm established in 2018, has chosen New York as its first overseas office outside South Korea. “New York is the centre of the international legal market, where global law firms converge and compete fiercely.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 capabilities of Korean law firms are effective on the world stage, we have chosen New York as our strategic first entry point,” Kukil Kim, the managing partner at Daeryun, told Asia Business Law Journal on why his firm chose the US city. Kim said existing Korean law firms tended to prioritise achieving short-term profitability and reducing operating costs, which led them to favour the Southeast Asian region when expanding overseas for the first time. None of the traditional Big Six firms in Korea – Kim & Chang, Lee & Ko, Bae Kim & Lee, Yulchon, Shin & Kim and Yoon & Yang – maintain offices in North America. “We will primarily focus on providing corporate clients with advisory services on international transactions and overseas expansion and entry,” said Kim. Conversely, the firm will also provide a range of solutions for US and other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e Korean market, including domestic market analysis, entry strategy development, permit procedures, and legal advice on labour and taxation. Kim added that instead of limiting itself to the existing Korean client base, the firm would target companies and individuals of all nationalities within the US as prospective clients. Accordingly, it plans to hire local attorneys directly. The New York office is scheduled to begin operations between June and August with a team of two to three attorneys holding US bar qualifications. When asked on the opening of additional overseas offices, Kim said: “Market research and partnership discussions concerning major cities in Europe and Asia are currently underway internally including those in the UK, Germany, Singapore and Japan, as well as the Southeast Asian market.” In 2024, Daeryun recorded revenue of KRW112.7 billion (USD81 million), ranking it among the top 10 law firms in Korea by revenue for the first time. [한국어] 2018년 설립된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 바깥의 첫 해외 사무소로 뉴욕을 선택했다. 대륜의 김국일 경영대표변호사는 뉴욕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Asia Business Law Journal에 “뉴욕은 글로벌 메가 로펌들이 집결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국제 법률시장의 중심지”라며 “한국 로펌의 역량이 세계 시장에서도 유효함을 입증하고자 뉴욕을 전략적 첫 진출지로 선택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 대표변호사는 일반적으로 한국 로펌들은 초기 해외 진출 시 단기적인 수익성 확보와 운영비 절감을 우선 고려하여 동남아 지역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전통적인 6대 로펌인 김앤장 법률사무소,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세종 및 법무법인 화우는 모두 북미에 사무소를 두고 있지 않다. 김 대표변호사는 그러면서 “우선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국제거래 및 해외 진출·진입 자문을 핵심 업무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미국 및 기타 외국계 기업의 한국 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국내 시장 분석, 진입 전략 수립, 인허가 절차, 노동·조세 관련 법률 자문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 대표변호사는 또한 기존 한국계 고객층에 한정하지 않고 미국 내 모든 국적의 기업과 개인을 잠재 고객군으로 설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현지 변호사를 직접 채용할 계획이다. 뉴욕 사무소는 6월에서 8월 사이에 미국 변호사 자격을 소지한 변호사 2~3명으로 구성된 팀으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추가 해외 사무소 개설에 관한 질문에 김 대표변호사는 “현재 내부적으로 영국, 독일, 싱가포르, 일본 등 유럽 및 아시아 주요 도시 및 동남아 시장에 대한 시장조사와 파트너십 협의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대륜은 2024년 매출액 1127억원을 기록하며 매출 기준 국내 상위 10대 로펌에 처음으로 진입한 바 있다. [기사전문보기] Korean firm Daeryun to open first overseas office in New York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16
자전거 앞지르다 ‘쿵’…“감지 못했다” 주장한 운전자 검찰 판단은
자전거 앞지르다 ‘쿵’…“감지 못했다” 주장한 운전자 검찰 판단은
자전거 충돌하고 도주한 혐의에 불기소 처분檢 “앞지르기 외 다른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자전거를 탄 운전자에게 상해를 입히고 현장을 이탈한 40대가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서울서부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도로교통법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 1월, 편도 2차로 도로에서 차량을 운전하던 중 갓길을 주행하던 B씨의 전기자전거를 치고 도주한 혐의를 받았다.B씨는 도로에 넘어져 어깨 인대 파열 등 전치 3주의 상해를 입었다. 또, 자전거 수리비로 200여만 원을 지출했다. B씨는 A씨가 차량 사이드 미러를 통해 자신이 넘어진 것을 인지하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고 주장했다.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 3에 따르면, 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피해자에게 구호 조치를 하지 않아 상해에 이르게 한 경우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씨가 넘어진 것을 확인했지만 차량과 자전거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었기에 B씨 스스로 넘어진 사고라 인식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차량과 자전거의 충돌 흔적이 없고 피해자 또한 자전거 핸들 바에 부딪혔다고 진술하는 등 접촉 가능성이 없거나 그 정도가 미미했다”라며 “A씨의 앞지르기 외에 다른 원인으로 B씨가 넘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유진 변호사는 “특가법(도주치상)이 적용되기 위해선 운전자가 사고로 인한 피해 발생 사실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며 “A씨가 B씨를 지나칠 당시 부딪히는 소리조차 나지 않을 만큼 접촉 가능성이 희박했기 때문에 혐의가 인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자전거 앞지르다 ‘쿵’…“감지 못했다” 주장한 운전자 검찰 판단은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16
자전거 앞지르다 ‘쿵’…“감지 못했다” 주장한 운전자 검찰 판단은
자전거 앞지르다 ‘쿵’…“감지 못했다” 주장한 운전자 검찰 판단은
자전거 충돌하고 도주한 혐의에 불기소 처분檢 “앞지르기 외 다른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자전거를 탄 운전자에게 상해를 입히고 현장을 이탈한 40대가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서울서부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도로교통법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A씨는 지난 1월, 편도 2차로 도로에서 차량을 운전하던 중 갓길을 주행하던 B씨의 전기자전거를 치고 도주한 혐의를 받았다.B씨는 도로에 넘어져 어깨 인대 파열 등 전치 3주의 상해를 입었다. 또, 자전거 수리비로 200여만 원을 지출했다. B씨는 A씨가 차량 사이드 미러를 통해 자신이 넘어진 것을 인지하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고 주장했다.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 3에 따르면, 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피해자에게 구호 조치를 하지 않아 상해에 이르게 한 경우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씨가 넘어진 것을 확인했지만 차량과 자전거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었기에 B씨 스스로 넘어진 사고라 인식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차량과 자전거의 충돌 흔적이 없고 피해자 또한 자전거 핸들 바에 부딪혔다고 진술하는 등 접촉 가능성이 없거나 그 정도가 미미했다”라며 “A씨의 앞지르기 외에 다른 원인으로 B씨가 넘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유진 변호사는 “특가법(도주치상)이 적용되기 위해선 운전자가 사고로 인한 피해 발생 사실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며 “A씨가 B씨를 지나칠 당시 부딪히는 소리조차 나지 않을 만큼 접촉 가능성이 희박했기 때문에 혐의가 인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자전거 앞지르다 ‘쿵’…“감지 못했다” 주장한 운전자 검찰 판단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15
이웃집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60대 '징역 7년'
이웃집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60대 '징역 7년'
이웃집에 무단으로 침입해 성폭행을 시도한 남성이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 제12형사부는 지난달 4일 주거침입유사강간 등의 혐의로 기소된 60대 남성 A씨에게 징역 7년을 선고하고 8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이웃인 60대 여성 B씨의 집을 찾아가 성폭행을 시도하고 신체를 촬영한 혐의를 받았습니다.또, B씨의 휴대폰을 뺏고 감금한 혐의도 받았습니다.당시 B씨는 A씨 몰래 창문으로 뛰어내려 탈출에 성공했으나, 다리 부분을 크게 다쳐 전치 8주의 진단을 받았습니다.조사 결과 A씨는 대금 정산을 이유로 B씨의 집을 찾아 문을 열게 만든 다음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A씨는 일부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성폭행을 시도한 것은 맞지만 B씨의 허락을 받고 집에 들어갔다는 것입니다.또 B씨가 구토를 하는 등 몸상태가 좋지 않아 이를 돌보기 위해 집에 머물렀을 뿐, 감금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거실까지 신발을 신고 들어왔고 피해자가 안방으로 들어가 문을 잠갔음에도 이를 부수고 들어갔다"며 "통상적인 출입 방법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이어 "감금의 의도가 없었는데도 구토하는 피해자를 나체 상태로 둔 것은 납득하기 어렵고,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게 할 이유도 없다"면서 "오랜 기간 알고 지낸 신뢰관계를 이용해 범행을 저질러 죄질이 무겁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습니다.이 사건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진원 변호사는 "불법 행위를 목적으로 집에 들어갔다면 거주자의 허가 여부에 관계 없이 주거침입죄가 성립한다"며 "혹여나 B씨의 허락을 받았다고 해도 범행을 저질렀기 때문에 주거침입 죄책 성립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이웃집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60대 '징역 7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15
이웃집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60대 '징역 7년'
이웃집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60대 '징역 7년'
이웃집에 무단으로 침입해 성폭행을 시도한 남성이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 제12형사부는 지난달 4일 주거침입유사강간 등의 혐의로 기소된 60대 남성 A씨에게 징역 7년을 선고하고 8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이웃인 60대 여성 B씨의 집을 찾아가 성폭행을 시도하고 신체를 촬영한 혐의를 받았습니다.또, B씨의 휴대폰을 뺏고 감금한 혐의도 받았습니다.당시 B씨는 A씨 몰래 창문으로 뛰어내려 탈출에 성공했으나, 다리 부분을 크게 다쳐 전치 8주의 진단을 받았습니다.조사 결과 A씨는 대금 정산을 이유로 B씨의 집을 찾아 문을 열게 만든 다음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A씨는 일부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성폭행을 시도한 것은 맞지만 B씨의 허락을 받고 집에 들어갔다는 것입니다.또 B씨가 구토를 하는 등 몸상태가 좋지 않아 이를 돌보기 위해 집에 머물렀을 뿐, 감금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거실까지 신발을 신고 들어왔고 피해자가 안방으로 들어가 문을 잠갔음에도 이를 부수고 들어갔다"며 "통상적인 출입 방법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이어 "감금의 의도가 없었는데도 구토하는 피해자를 나체 상태로 둔 것은 납득하기 어렵고,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게 할 이유도 없다"면서 "오랜 기간 알고 지낸 신뢰관계를 이용해 범행을 저질러 죄질이 무겁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습니다.이 사건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진원 변호사는 "불법 행위를 목적으로 집에 들어갔다면 거주자의 허가 여부에 관계 없이 주거침입죄가 성립한다"며 "혹여나 B씨의 허락을 받았다고 해도 범행을 저질렀기 때문에 주거침입 죄책 성립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이웃집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60대 '징역 7년'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5-14
[기고] 혼인신고 전, 사실혼 권리 어디까지…법적 지위와 보호
[기고] 혼인신고 전, 사실혼 권리 어디까지…법적 지위와 보호
최근 결혼식을 올린 신혼부부들 사이에서 혼인신고를 일정 기간 미루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 배경에는 주택청약이나 부동산 관련 제도 및 대출 조건 등과 같은 현실적 이유가 자리하고 있다.혼인신고 없이 실질적인 부부생활을 시작하였으나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는 법적으로 '사실혼'에 해당한다. 사실혼이란 당사자 사이에 혼인의 의사가 있고, 객관적으로도 부부 공동생활의 실체가 인정되나 혼인신고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사실혼 상태에서도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혼 역시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법률혼과 동일한 수준의 보호를 기대하긴 어렵다. 예컨대 사실혼이 성립하더라도 가족관계등록부에는 변동이 생기지 않으며, 법적으로 친족관계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혼 배우자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는다.사실혼은 일방의 의사로 해소될 수 있으나 정당한 사유 없이 일방적으로 사실혼을 파기한 경우에는 그 당사자가 상대방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질 수 있다. 이때 말하는 '정당한 사유'란 동거, 부양, 협조, 정조 등 부부 공동생활에 전제된 의무를 현저히 위반하는 경우를 말하며, 부정행위가 대표적인 예다. 더불어 사실혼 관계에서 배우자가 아닌 부정행위의 상대방에게도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확립된 입장이다.사실혼 관계가 해소됐을 때도 법률혼과 마찬가지로 재산분할 청구가 가능하다. 다만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사실혼의 주관적, 객관적 요건을 충족해 사실혼 관계에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특히 재산분할에서 핵심은 각자의 기여도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달려 있는데, 기여도 산정에 있어 혼인 기간은 매우 중요하다. 결혼식을 올린 경우 그 시점을 기준으로 삼기 쉬우나, 결혼식 없이 동거만 시작한 사실혼의 경우에는 동거 시점, 공동 경제활동 여부, 주변의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주장하고 입증해야 한다.요컨대 사실혼 관계 역시 법의 보호 대상이 되지만, 법률혼과 달리 제도적·실체적 제한이 분명히 존재한다. 사실혼이라는 이유로 법의 사각지대에 머무는 일이 없도록, 각자의 상황에 맞는 법적 안정성을 점검하고 리스크를 사전에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혼인신고 전, 사실혼 권리 어디까지…법적 지위와 보호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5-14
[기고] 혼인신고 전, 사실혼 권리 어디까지…법적 지위와 보호
[기고] 혼인신고 전, 사실혼 권리 어디까지…법적 지위와 보호
최근 결혼식을 올린 신혼부부들 사이에서 혼인신고를 일정 기간 미루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 배경에는 주택청약이나 부동산 관련 제도 및 대출 조건 등과 같은 현실적 이유가 자리하고 있다.혼인신고 없이 실질적인 부부생활을 시작하였으나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는 법적으로 '사실혼'에 해당한다. 사실혼이란 당사자 사이에 혼인의 의사가 있고, 객관적으로도 부부 공동생활의 실체가 인정되나 혼인신고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사실혼 상태에서도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혼 역시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법률혼과 동일한 수준의 보호를 기대하긴 어렵다. 예컨대 사실혼이 성립하더라도 가족관계등록부에는 변동이 생기지 않으며, 법적으로 친족관계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혼 배우자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는다.사실혼은 일방의 의사로 해소될 수 있으나 정당한 사유 없이 일방적으로 사실혼을 파기한 경우에는 그 당사자가 상대방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질 수 있다. 이때 말하는 '정당한 사유'란 동거, 부양, 협조, 정조 등 부부 공동생활에 전제된 의무를 현저히 위반하는 경우를 말하며, 부정행위가 대표적인 예다. 더불어 사실혼 관계에서 배우자가 아닌 부정행위의 상대방에게도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확립된 입장이다.사실혼 관계가 해소됐을 때도 법률혼과 마찬가지로 재산분할 청구가 가능하다. 다만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사실혼의 주관적, 객관적 요건을 충족해 사실혼 관계에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특히 재산분할에서 핵심은 각자의 기여도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달려 있는데, 기여도 산정에 있어 혼인 기간은 매우 중요하다. 결혼식을 올린 경우 그 시점을 기준으로 삼기 쉬우나, 결혼식 없이 동거만 시작한 사실혼의 경우에는 동거 시점, 공동 경제활동 여부, 주변의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주장하고 입증해야 한다.요컨대 사실혼 관계 역시 법의 보호 대상이 되지만, 법률혼과 달리 제도적·실체적 제한이 분명히 존재한다. 사실혼이라는 이유로 법의 사각지대에 머무는 일이 없도록, 각자의 상황에 맞는 법적 안정성을 점검하고 리스크를 사전에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혼인신고 전, 사실혼 권리 어디까지…법적 지위와 보호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5-14
[단독] 법무법인 대륜, 뉴욕에 말뚝…350평 사무실 낸다
[단독] 법무법인 대륜, 뉴욕에 말뚝…350평 사무실 낸다
이르면 내달 초 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이르면 내달 초 미국 뉴욕에 분사무소를 연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원월드트레이드센터(1WTC) 건물에 사무실을 임차하고 내부 인테리어 정비와 사무용 집기 구비, 상주 직원 선정 및 교육 등 개소 전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르면 오는 6월 초, 늦어도 8월까지는 사무실을 열고 영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사무실 규모는 전용 347평(약 1147㎡)에 달한다.1WTC는 2001년 9·11 테러로 월드트레이드센터가 무너진 자리에 새로 올려진 건물로, 미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다. 금융 서비스 기업인 아메리프라이즈파이낸셜과 카르타, 미디어그룹 콩데나스트, 대형 부동산 회사 더스트오가니제이션, 마케팅 회사 스태그웰 등 여러 글로벌 기업이 입주해 있다. 1WTC에 한국 로펌이 입주하는 건 처음이다. 더킴로펌 등 일부 중견 로펌을 제외하면 뉴욕에 사무실을 마련한 로펌은 없다. 국내 주요 로펌들이 아시아나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분사무소를 내온 반면 대륜은 첫 해외 진출지로 세계 무역의 중심지인 미국을 택한 것이다.박동일 대륜 대표변호사는 “선진 법률 시장으로 뛰어들어 궁극적으로는 선진적 법률 시스템을 국내에도 도입하기 위함”이라며 “선진적 서비스와 함께 고객지향적 마인드를 갖춰야 국제무대에서 살아날 수 있고 법률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미국 분사무소에 상주할 인원수는 미정이다. 우선 2~3명을 두고, 사업 확장 속도에 따라 늘려갈 방침만 세워 뒀다. 대륜 미국 사무소는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나 미국으로 이민 간 한국인이 아닌 미국에 사는 모든 기업과 개인을 잠재 고객으로 두고 있다. 이 때문에 현지인 변호사를 직접 고용할 계획도 있다. 현재 대륜 소속 미국 변호사로는 김미아 변호사(워싱턴DC)가 있다.대륜은 최근 미 부동산 종합 플랫폼 코리니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미국 진출의 발판을 닦았다. 뉴욕에 본사를 둔 코리니는 부동산 임대·매매부터 기업 자산관리, 해외 진출에 이르는 종합 컨설팅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장서우 기자(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단독] 법무법인 대륜, 뉴욕에 말뚝…350평 사무실 낸다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5-14
[단독] 법무법인 대륜, 뉴욕에 말뚝…350평 사무실 낸다
[단독] 법무법인 대륜, 뉴욕에 말뚝…350평 사무실 낸다
이르면 내달 초 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이르면 내달 초 미국 뉴욕에 분사무소를 연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원월드트레이드센터(1WTC) 건물에 사무실을 임차하고 내부 인테리어 정비와 사무용 집기 구비, 상주 직원 선정 및 교육 등 개소 전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르면 오는 6월 초, 늦어도 8월까지는 사무실을 열고 영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사무실 규모는 전용 347평(약 1147㎡)에 달한다.1WTC는 2001년 9·11 테러로 월드트레이드센터가 무너진 자리에 새로 올려진 건물로, 미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다. 금융 서비스 기업인 아메리프라이즈파이낸셜과 카르타, 미디어그룹 콩데나스트, 대형 부동산 회사 더스트오가니제이션, 마케팅 회사 스태그웰 등 여러 글로벌 기업이 입주해 있다. 1WTC에 한국 로펌이 입주하는 건 처음이다. 더킴로펌 등 일부 중견 로펌을 제외하면 뉴욕에 사무실을 마련한 로펌은 없다. 국내 주요 로펌들이 아시아나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분사무소를 내온 반면 대륜은 첫 해외 진출지로 세계 무역의 중심지인 미국을 택한 것이다.박동일 대륜 대표변호사는 “선진 법률 시장으로 뛰어들어 궁극적으로는 선진적 법률 시스템을 국내에도 도입하기 위함”이라며 “선진적 서비스와 함께 고객지향적 마인드를 갖춰야 국제무대에서 살아날 수 있고 법률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미국 분사무소에 상주할 인원수는 미정이다. 우선 2~3명을 두고, 사업 확장 속도에 따라 늘려갈 방침만 세워 뒀다. 대륜 미국 사무소는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나 미국으로 이민 간 한국인이 아닌 미국에 사는 모든 기업과 개인을 잠재 고객으로 두고 있다. 이 때문에 현지인 변호사를 직접 고용할 계획도 있다. 현재 대륜 소속 미국 변호사로는 김미아 변호사(워싱턴DC)가 있다.대륜은 최근 미 부동산 종합 플랫폼 코리니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미국 진출의 발판을 닦았다. 뉴욕에 본사를 둔 코리니는 부동산 임대·매매부터 기업 자산관리, 해외 진출에 이르는 종합 컨설팅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장서우 기자(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단독] 법무법인 대륜, 뉴욕에 말뚝…350평 사무실 낸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14
성범죄 공탁 제도 개정, 감형 노린 꼼수 불가능해져…대응 방법은?
성범죄 공탁 제도 개정, 감형 노린 꼼수 불가능해져…대응 방법은?
형사공탁 제도는 가해자가 피해자와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경우, 합의금 등 명목으로 파해자의 권리회복에 필요한 금전을 공탁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제도는 그간 성범죄를 포함한 여러 형사사건에서 감경요소로 고려돼왔다. 이는 통계자료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KBS가 지난 2023년 형사공탁 특례 시행 1주년을 맞아 판결 988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범죄 판결 519건 가운데 피고인의 일방적인 공탁을 양형상 유리한 요소로 고려한 판결은 365건(70.3%)에 달했다. 반면 피해자의 엄벌 의사 등 피해자 처지를 반영해 형량에 아예 반영하지 않은 판결은 13건(2.5%)에 그쳤다.실제 대다수의 피고인들은 피해자와의 합의가 불발되면 형사공탁 제도로 눈을 돌린다. 공탁제도가 엄벌을 원하는 피해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가해자의 처벌 수위를 낮추기 위한 꼼수로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법원이 피해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없도록 판결선고가 임박한 시점에 금전을 맡기는 이른바 '기습공탁'과 감형받은 피고인이 피해자 몰래 공탁금을 되찾아가는 '먹튀공탁' 등의 악용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해왔다. 이에 법조계 안팎에선 근본적으로 공탁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이같은 문제들로 인해 올해부터 개정된 형사소송법과 공탁법이 시행됐다. 법 개정에 따라 형사공탁제도를 악용하는 꼼수 감형이 불가능해졌다. 특히 '기습공탁'의 경우 형사소송법 제294조의5(금전 공탁과 피해자 등의 의견 청취)를 신설해 법원이 피해자 의견을 의무적으로 청취하도록 했다.아울러 가해자가 감형을 받은 뒤 피해자 몰래 공탁금을 회수해 갈 수 없도록 하는 규정도 신설됐다. 공탁법 제9조의2(공탁물 회수의 제한)에 따르면, 피해자가 공탁물 수령을 거절하거나 회수에 동의할 경우, 아울러 불기소 결정 또는 무죄 판결을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탁물 회수가 불가능하다.이같은 변화의 흐름에 맞춰 양형기준도 변경된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지난 3월 137차 회의를 열고 성범죄 등 범죄의 양형기준 수정안을 의결했다. 성범죄의 경우 세부양형 기준을 손보면서 전체 성범죄 양형기준의 참작 사유에서 '공탁포함'이라는 문구를 삭제했다.양형기준은 판사들이 형량을 정할 때 참조하는 일종의 지침으로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준을 벗어나 선고하려면 판결문에 별도의 이유를 적어야만 한다. 이는 공탁이 피해회복 수단에 불과하나 '공탁포함'이라는 문구로 인해 공탁만으로 당연히 감경인자가 되는 것처럼 오인할 우려가 있다는 비판을 고려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그렇다면 변화된 공탁 제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먼저, 피해자라면 가해자의 부당한 감형을 막기 위해 엄벌탄원서를 작성해 제출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형사처벌 이외에도 민사소송을 통해 정신적, 신체적 피해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청구할 수 있으니 전문가와 상의해 피해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좋겠다.가해자라면 공탁제에 의존해 감형을 기대하긴 어려워졌다. 피해자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채 공탁을 진행할 시 오히려 사건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다만 피해자와의 합의는 양형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무작정 대응하기보다 전문 조력을 받아 유의미한 결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성범죄 공탁 제도 개정, 감형 노린 꼼수 불가능해져…대응 방법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14
성범죄 공탁 제도 개정, 감형 노린 꼼수 불가능해져…대응 방법은?
성범죄 공탁 제도 개정, 감형 노린 꼼수 불가능해져…대응 방법은?
형사공탁 제도는 가해자가 피해자와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경우, 합의금 등 명목으로 파해자의 권리회복에 필요한 금전을 공탁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제도는 그간 성범죄를 포함한 여러 형사사건에서 감경요소로 고려돼왔다. 이는 통계자료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KBS가 지난 2023년 형사공탁 특례 시행 1주년을 맞아 판결 988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범죄 판결 519건 가운데 피고인의 일방적인 공탁을 양형상 유리한 요소로 고려한 판결은 365건(70.3%)에 달했다. 반면 피해자의 엄벌 의사 등 피해자 처지를 반영해 형량에 아예 반영하지 않은 판결은 13건(2.5%)에 그쳤다.실제 대다수의 피고인들은 피해자와의 합의가 불발되면 형사공탁 제도로 눈을 돌린다. 공탁제도가 엄벌을 원하는 피해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가해자의 처벌 수위를 낮추기 위한 꼼수로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법원이 피해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없도록 판결선고가 임박한 시점에 금전을 맡기는 이른바 '기습공탁'과 감형받은 피고인이 피해자 몰래 공탁금을 되찾아가는 '먹튀공탁' 등의 악용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해왔다. 이에 법조계 안팎에선 근본적으로 공탁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이같은 문제들로 인해 올해부터 개정된 형사소송법과 공탁법이 시행됐다. 법 개정에 따라 형사공탁제도를 악용하는 꼼수 감형이 불가능해졌다. 특히 '기습공탁'의 경우 형사소송법 제294조의5(금전 공탁과 피해자 등의 의견 청취)를 신설해 법원이 피해자 의견을 의무적으로 청취하도록 했다.아울러 가해자가 감형을 받은 뒤 피해자 몰래 공탁금을 회수해 갈 수 없도록 하는 규정도 신설됐다. 공탁법 제9조의2(공탁물 회수의 제한)에 따르면, 피해자가 공탁물 수령을 거절하거나 회수에 동의할 경우, 아울러 불기소 결정 또는 무죄 판결을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탁물 회수가 불가능하다.이같은 변화의 흐름에 맞춰 양형기준도 변경된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지난 3월 137차 회의를 열고 성범죄 등 범죄의 양형기준 수정안을 의결했다. 성범죄의 경우 세부양형 기준을 손보면서 전체 성범죄 양형기준의 참작 사유에서 '공탁포함'이라는 문구를 삭제했다.양형기준은 판사들이 형량을 정할 때 참조하는 일종의 지침으로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준을 벗어나 선고하려면 판결문에 별도의 이유를 적어야만 한다. 이는 공탁이 피해회복 수단에 불과하나 '공탁포함'이라는 문구로 인해 공탁만으로 당연히 감경인자가 되는 것처럼 오인할 우려가 있다는 비판을 고려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그렇다면 변화된 공탁 제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먼저, 피해자라면 가해자의 부당한 감형을 막기 위해 엄벌탄원서를 작성해 제출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형사처벌 이외에도 민사소송을 통해 정신적, 신체적 피해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청구할 수 있으니 전문가와 상의해 피해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좋겠다.가해자라면 공탁제에 의존해 감형을 기대하긴 어려워졌다. 피해자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채 공탁을 진행할 시 오히려 사건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다만 피해자와의 합의는 양형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무작정 대응하기보다 전문 조력을 받아 유의미한 결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성범죄 공탁 제도 개정, 감형 노린 꼼수 불가능해져…대응 방법은?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3곳
2025-05-14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법무법인 대륜이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수출바우처)의 수행기관으로 지난달 30일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수출바우처 사업은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케팅, 법률, 디자인 등 다양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다. 기업은 정부로부터 바우처(지원금)을 지급받아 등록된 수행기관의 서비스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수행기관 선정에 따라 대륜은 기업들에게 법무·세무·회계 컨설팅과 특허 및 지식재산권 분야를 지원하게 된다. 협약 기간은 지난 5월 1일부터 2027년 6월 30일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법률 리스크 예방과 지재권 보호 전략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륜은 참여 기업들의 원활한 글로벌 시장개척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수출 계약 검토 및 분쟁 예방 자문 △특허·인증·시험·수출 IP 전략 컨설팅 △외환거래를 비롯한 회계 감사 및 세무 리스크 점검 등에서 조력할 방침이다. 특히, 대륜은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산업 수출통제 강화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 추세에 따라 對美(대미) 수출기업의 법률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신설된 ‘관세 대응 수출바우처’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對美 수출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친 상황이다. 현재 대륜은 미국, 일본, EU를 비롯한 해외사무소를 개설하거나 개설 진행 중에 있으며 대륜 소속 미국변호사, 관세전문위원과 미국 현지 관세사, 법률 전문가 등이 협업하여 전문적인 ‘관세 대응 수출바우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대륜은 미주, 아시아, 유럽 지역에 걸친 글로벌 관세, 통관, 수입규제 전문가로 구성된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ICTC)와 13일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본격적인 글로벌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대륜 김국일 대표는 "이번 사업 선정을 계기로 국내 기업들이 보다 안전하고 전략적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컨설팅을 제공하겠다"며 "수행기관으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륜은 변호사와 더불어 회계사와 변리사, 관세전문위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업 체계를 갖추며 고객들에게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부 ‘수출바우처사업’ 수행기관 선정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3곳
2025-05-14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법무법인 대륜이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수출바우처)의 수행기관으로 지난달 30일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수출바우처 사업은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케팅, 법률, 디자인 등 다양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다. 기업은 정부로부터 바우처(지원금)을 지급받아 등록된 수행기관의 서비스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수행기관 선정에 따라 대륜은 기업들에게 법무·세무·회계 컨설팅과 특허 및 지식재산권 분야를 지원하게 된다. 협약 기간은 지난 5월 1일부터 2027년 6월 30일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법률 리스크 예방과 지재권 보호 전략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륜은 참여 기업들의 원활한 글로벌 시장개척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수출 계약 검토 및 분쟁 예방 자문 △특허·인증·시험·수출 IP 전략 컨설팅 △외환거래를 비롯한 회계 감사 및 세무 리스크 점검 등에서 조력할 방침이다. 특히, 대륜은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산업 수출통제 강화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 추세에 따라 對美(대미) 수출기업의 법률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신설된 ‘관세 대응 수출바우처’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對美 수출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친 상황이다. 현재 대륜은 미국, 일본, EU를 비롯한 해외사무소를 개설하거나 개설 진행 중에 있으며 대륜 소속 미국변호사, 관세전문위원과 미국 현지 관세사, 법률 전문가 등이 협업하여 전문적인 ‘관세 대응 수출바우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대륜은 미주, 아시아, 유럽 지역에 걸친 글로벌 관세, 통관, 수입규제 전문가로 구성된 국제관세무역자문센터(ICTC)와 13일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본격적인 글로벌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대륜 김국일 대표는 "이번 사업 선정을 계기로 국내 기업들이 보다 안전하고 전략적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컨설팅을 제공하겠다"며 "수행기관으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륜은 변호사와 더불어 회계사와 변리사, 관세전문위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업 체계를 갖추며 고객들에게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부 ‘수출바우처사업’ 수행기관 선정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행기관 선정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14
‘9억 빌리고 잠적’ 사기 피소 50대 불송치…이자 송금 등 변제 노력
‘9억 빌리고 잠적’ 사기 피소 50대 불송치…이자 송금 등 변제 노력
지인들에게 돈을 빌리고 갚지 않은 채 잠적해 사기 혐의로 입건된 50대 남성에게 경찰이 채무 상환 노력을 했던 점 등을 이유로 불송치 결정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기 용인 서부경찰서는 지난달 3일 사기 혐의로 입건된 5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2015년부터 2년간 지인 2명에게 사업체 경영을 이유로 약 9억원을 빌린 뒤 모두 다 갚지 못한 상태에서 잠적한 혐의를 받았다.경찰에서 A씨는 사기 의도가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차용증을 작성했고, 원금과 이자를 주는 등 채무를 상환해왔지만, 건강이 악화하면서 부득이하게 더는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됐다는 것이다. A씨는 또 오랫동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지인들이 자신의 경제 상황을 충분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재정 상태를 속을 의도도 없었다고 주장했다.경찰은 A씨가 채권자인 지인들에게 몇 차례 이자를 준 내역, 차용금을 실제 사업 운영비로 사용한 정황 등을 확인하고 A씨의 사기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또 A씨와 지인들과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A씨가 변제 능력이나 의사가 없으면서도 지인들을 속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봤다.A씨를 대리한 김영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차용 당시 변제 의사와 능력이 있었다면, 변제를 하지 못했더라도 민사상 채무불이행에 해당할 뿐 사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A씨가 차용금에 대한 원리금을 지급하고 있었던 사실을 강조해 변제 의사가 있다는 점을 입증한 덕분에 혐의가 없다고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9억 빌리고 잠적’ 사기 피소 50대 불송치…이자 송금 등 변제 노력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14
‘9억 빌리고 잠적’ 사기 피소 50대 불송치…이자 송금 등 변제 노력
‘9억 빌리고 잠적’ 사기 피소 50대 불송치…이자 송금 등 변제 노력
지인들에게 돈을 빌리고 갚지 않은 채 잠적해 사기 혐의로 입건된 50대 남성에게 경찰이 채무 상환 노력을 했던 점 등을 이유로 불송치 결정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기 용인 서부경찰서는 지난달 3일 사기 혐의로 입건된 5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2015년부터 2년간 지인 2명에게 사업체 경영을 이유로 약 9억원을 빌린 뒤 모두 다 갚지 못한 상태에서 잠적한 혐의를 받았다.경찰에서 A씨는 사기 의도가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차용증을 작성했고, 원금과 이자를 주는 등 채무를 상환해왔지만, 건강이 악화하면서 부득이하게 더는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됐다는 것이다. A씨는 또 오랫동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지인들이 자신의 경제 상황을 충분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재정 상태를 속을 의도도 없었다고 주장했다.경찰은 A씨가 채권자인 지인들에게 몇 차례 이자를 준 내역, 차용금을 실제 사업 운영비로 사용한 정황 등을 확인하고 A씨의 사기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또 A씨와 지인들과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A씨가 변제 능력이나 의사가 없으면서도 지인들을 속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봤다.A씨를 대리한 김영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차용 당시 변제 의사와 능력이 있었다면, 변제를 하지 못했더라도 민사상 채무불이행에 해당할 뿐 사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A씨가 차용금에 대한 원리금을 지급하고 있었던 사실을 강조해 변제 의사가 있다는 점을 입증한 덕분에 혐의가 없다고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9억 빌리고 잠적’ 사기 피소 50대 불송치…이자 송금 등 변제 노력 (바로가기)
연합뉴스 등 2곳
2025-05-14
서울시 시민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총 50명
서울시 시민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총 50명
서울시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는 법률자문단 신규 자문위원으로 이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 선임변호사와 최한돈 법무법인(유한) 평산 대표변호사를 위촉했다고 15일 밝혔다.위원회 법률자문단은 위원회 업무의 법률적 쟁점 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법적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구성원은 변호사, 법학교수 및 법학박사 이상의 자격을 갖춘 법률 전문가 중에서 시장이 위촉한다.자문단은 2022년 7월 출범 이후 지난달 말까지 총 320건의 법률자문을 수행했으며, 이번 위촉으로 전체 자문위원 수는 50명으로 늘었다.신규 자문위원은 부동산, 도시행정, 환경 등 지방행정의 주요 쟁점 분야에서 풍부한 실무와 재판 경험을 쌓아온 법조인으로 전문성 제고와 자문 체계 내실화가 기대된다고 위원회는 전했다.서영득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 법률자문단 단장은 "시민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자문기구로서 시민의 고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윤보람(bryoon@yna.co.kr) [기사전문보기] 연합뉴스 - 서울시 시민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총 50명 (바로가기) 뉴스1 - 서울 시민감사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 (바로가기)
연합뉴스 등 2곳
2025-05-14
서울시 시민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총 50명
서울시 시민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총 50명
서울시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는 법률자문단 신규 자문위원으로 이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 선임변호사와 최한돈 법무법인(유한) 평산 대표변호사를 위촉했다고 15일 밝혔다.위원회 법률자문단은 위원회 업무의 법률적 쟁점 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법적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구성원은 변호사, 법학교수 및 법학박사 이상의 자격을 갖춘 법률 전문가 중에서 시장이 위촉한다.자문단은 2022년 7월 출범 이후 지난달 말까지 총 320건의 법률자문을 수행했으며, 이번 위촉으로 전체 자문위원 수는 50명으로 늘었다.신규 자문위원은 부동산, 도시행정, 환경 등 지방행정의 주요 쟁점 분야에서 풍부한 실무와 재판 경험을 쌓아온 법조인으로 전문성 제고와 자문 체계 내실화가 기대된다고 위원회는 전했다.서영득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 법률자문단 단장은 "시민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자문기구로서 시민의 고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윤보람(bryoon@yna.co.kr) [기사전문보기] 연합뉴스 - 서울시 시민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총 50명 (바로가기) 뉴스1 - 서울 시민감사옴부즈만위, 법률자문단 2명 신규 위촉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13
“휴가 때 여자랑…” 후임 성적 모욕한 상관 ‘무혐의’ 이유는
“휴가 때 여자랑…” 후임 성적 모욕한 상관 ‘무혐의’ 이유는
고소인 “반복적 성희롱에 모멸감 느껴”檢 “같은 공간서 아무도 발언 못 들어” 후임에게 성희롱과 모욕성 발언을 한 혐의로 송치된 부사관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육군검찰단은 지난 3월 모욕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지난해 6월 소속 부대 사무실에서 후임인 B 씨를 성적으로 모욕한 혐의를 받았다. 그는 다섯 차례에 걸쳐 B 씨의 사생활을 언급하며 성적인 농담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메신저를 통해 개별적으로 이 같은 농담을 했을 뿐 공개적인 자리에서 별도 발언은 없었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 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다. 함께 생활한 다른 동료들이 A 씨의 발언을 듣지 못했다고 진술한 점이 주요 근거가 됐다.검찰은 “B 씨의 주장이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증명되지 않았다”며 “설령 공연성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위 발언의 수위와 맥락을 고려할 때 인격적 가치를 저하할 만큼의 모욕적 언사에 해당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 씨 측 법률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로펌) 대륜 서인호 변호사는 “모욕죄에 대한 인정은 당사자들의 관계 및 발언의 경위 등 제반 상황에 비춰 판단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의뢰인의 발언이 상대를 불쾌하게 할 수는 있으나 이를 대다수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이 아닌 점을 밝혔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휴가 때 여자랑…” 후임 성적 모욕한 상관 ‘무혐의’ 이유는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13
“휴가 때 여자랑…” 후임 성적 모욕한 상관 ‘무혐의’ 이유는
“휴가 때 여자랑…” 후임 성적 모욕한 상관 ‘무혐의’ 이유는
고소인 “반복적 성희롱에 모멸감 느껴”檢 “같은 공간서 아무도 발언 못 들어” 후임에게 성희롱과 모욕성 발언을 한 혐의로 송치된 부사관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육군검찰단은 지난 3월 모욕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지난해 6월 소속 부대 사무실에서 후임인 B 씨를 성적으로 모욕한 혐의를 받았다. 그는 다섯 차례에 걸쳐 B 씨의 사생활을 언급하며 성적인 농담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메신저를 통해 개별적으로 이 같은 농담을 했을 뿐 공개적인 자리에서 별도 발언은 없었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 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다. 함께 생활한 다른 동료들이 A 씨의 발언을 듣지 못했다고 진술한 점이 주요 근거가 됐다.검찰은 “B 씨의 주장이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증명되지 않았다”며 “설령 공연성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위 발언의 수위와 맥락을 고려할 때 인격적 가치를 저하할 만큼의 모욕적 언사에 해당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A 씨 측 법률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로펌) 대륜 서인호 변호사는 “모욕죄에 대한 인정은 당사자들의 관계 및 발언의 경위 등 제반 상황에 비춰 판단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의뢰인의 발언이 상대를 불쾌하게 할 수는 있으나 이를 대다수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이 아닌 점을 밝혔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휴가 때 여자랑…” 후임 성적 모욕한 상관 ‘무혐의’ 이유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4곳
2025-05-13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에 법관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에 법관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법무법인 대륜이 일반소송·중재그룹에 조영삼(연수원 24기)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조 변호사는 서울중앙(서초)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 민사 사건을 수행하게 된다. 조 변호사는 지난 1985년 서울대 법대를 졸업, 1992년 사법시험에 합격 후 1995년 창원지방법원을 시작으로 창원지법 밀양지원, 춘천지법에서 판사직을 역임했다. 2007년 법관 퇴임 후 ▲영조물 하자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 ▲국책사업에 따른 행정처분 취소 ▲대법원 파기환송 유도 등 굵직한 민·형사 및 행정 사건에서 다수의 승소와 무죄 판결을 이끌어냈다. 특히, 장기간의 분묘 존재로 분묘기지권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토지주는 분묘기지권자에게 토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는 첫 대법 판례를 끌어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와 강릉시청 고문변호사, 강원도 경찰청 징계위원회, 강릉시청 각종 위원회 등 다양한 공공위원회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관동대학교 평생교육원 법원경매 강의 등을 통해 지역 사회와 법을 잇는 가교 역할도 했다. 조 변호사는 “법관의 경험으로 얻게 된 법적 균형 감각과 사실 판단 능력을 바탕으로 여러 사건에서 의뢰인에게 좋은 결과를 안겨드렸다”라며 “대륜에서도 의뢰인의 입장을 세심하게 살피며 명쾌한 해답을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조 변호사는 객관적이고 냉철한 판단력으로 의뢰인의 권리를 설득력있게 대변해왔다”라면서 “특히 복잡한 민사소송에 있어서 흔들림 없이 대응할 수 있는 베테랑 변호사로,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의 내실을 더욱 강화해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에 법관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 판사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 판사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민사소송·중재 역량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4곳
2025-05-13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에 법관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에 법관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법무법인 대륜이 일반소송·중재그룹에 조영삼(연수원 24기)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조 변호사는 서울중앙(서초)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 민사 사건을 수행하게 된다. 조 변호사는 지난 1985년 서울대 법대를 졸업, 1992년 사법시험에 합격 후 1995년 창원지방법원을 시작으로 창원지법 밀양지원, 춘천지법에서 판사직을 역임했다. 2007년 법관 퇴임 후 ▲영조물 하자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 ▲국책사업에 따른 행정처분 취소 ▲대법원 파기환송 유도 등 굵직한 민·형사 및 행정 사건에서 다수의 승소와 무죄 판결을 이끌어냈다. 특히, 장기간의 분묘 존재로 분묘기지권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토지주는 분묘기지권자에게 토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는 첫 대법 판례를 끌어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와 강릉시청 고문변호사, 강원도 경찰청 징계위원회, 강릉시청 각종 위원회 등 다양한 공공위원회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관동대학교 평생교육원 법원경매 강의 등을 통해 지역 사회와 법을 잇는 가교 역할도 했다. 조 변호사는 “법관의 경험으로 얻게 된 법적 균형 감각과 사실 판단 능력을 바탕으로 여러 사건에서 의뢰인에게 좋은 결과를 안겨드렸다”라며 “대륜에서도 의뢰인의 입장을 세심하게 살피며 명쾌한 해답을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조 변호사는 객관적이고 냉철한 판단력으로 의뢰인의 권리를 설득력있게 대변해왔다”라면서 “특히 복잡한 민사소송에 있어서 흔들림 없이 대응할 수 있는 베테랑 변호사로,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의 내실을 더욱 강화해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에 법관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 판사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일반소송·중재그룹, 판사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조영삼 변호사 영입… 민사소송·중재 역량 강화 (바로가기)
경기일보 등 2곳
2025-05-13
반려견 유치원 맡겼다 실명…동물 학대 혐의 원장 '무혐의'
반려견 유치원 맡겼다 실명…동물 학대 혐의 원장 '무혐의'
과실 있지만 동물보호법상 고의적 학대 입증 없어 강아지를 학대해 실명에 이르게 한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던 반려견 유치원 원장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3일 경찰에 따르면 인천서부경찰서는 지난 3월 견주가 반려견 유치원에 맡긴 반려견을 폭행, 실명시킨 혐의(동물보호법 위반 등)를 받던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반려견주 B씨는 A씨로부터 "산책 중 다른 강아지에게 물렸다"고 답했으나, '둔탁한 물체에 의한 외상'이라는 수의사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가능성을 제기하며 A씨를 경찰에 고소했다.A씨는 경찰 조사에서 B씨의 반려견이 유치원 안에서 다른 강아지와 충돌해 다쳤을 뿐 학대 사실이 없었고, 사고 당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지 못해 잘못 답변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씨가 동물을 관리하던 중 사고가 발생했지만 CCTV 등 확보된 증거만으로는 학대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A씨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신용훈 변호사는 "동물보호법 위반이 적용되려면 신체적 고통을 주거나 학대 당시 ‘고의성’이 입증돼야 한다”며 “반려견 유치원장인 A씨가 강아지를 관리하지 못한 과실은 있지만, 사고 직후 동물병원에서 치료를 받게 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한 점이 확인돼 무혐의 처분이 내려지게 됐다"고 말했다. 정예은 인턴기자(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경기일보 - 반려견 유치원 맡겼다 실명…동물 학대 혐의 원장 '무혐의' (바로가기) 스포츠엔터 - 반려견 실명에도...'강아지 유치원' 원장, 동물 학대 혐의 벗었다 (바로가기)
경기일보 등 2곳
2025-05-13
반려견 유치원 맡겼다 실명…동물 학대 혐의 원장 '무혐의'
반려견 유치원 맡겼다 실명…동물 학대 혐의 원장 '무혐의'
과실 있지만 동물보호법상 고의적 학대 입증 없어 강아지를 학대해 실명에 이르게 한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던 반려견 유치원 원장 30대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3일 경찰에 따르면 인천서부경찰서는 지난 3월 견주가 반려견 유치원에 맡긴 반려견을 폭행, 실명시킨 혐의(동물보호법 위반 등)를 받던 A씨에게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반려견주 B씨는 A씨로부터 "산책 중 다른 강아지에게 물렸다"고 답했으나, '둔탁한 물체에 의한 외상'이라는 수의사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가능성을 제기하며 A씨를 경찰에 고소했다.A씨는 경찰 조사에서 B씨의 반려견이 유치원 안에서 다른 강아지와 충돌해 다쳤을 뿐 학대 사실이 없었고, 사고 당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지 못해 잘못 답변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씨가 동물을 관리하던 중 사고가 발생했지만 CCTV 등 확보된 증거만으로는 학대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A씨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신용훈 변호사는 "동물보호법 위반이 적용되려면 신체적 고통을 주거나 학대 당시 ‘고의성’이 입증돼야 한다”며 “반려견 유치원장인 A씨가 강아지를 관리하지 못한 과실은 있지만, 사고 직후 동물병원에서 치료를 받게 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한 점이 확인돼 무혐의 처분이 내려지게 됐다"고 말했다. 정예은 인턴기자(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경기일보 - 반려견 유치원 맡겼다 실명…동물 학대 혐의 원장 '무혐의' (바로가기) 스포츠엔터 - 반려견 실명에도...'강아지 유치원' 원장, 동물 학대 혐의 벗었다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13
대륜, 글로벌 메가 로펌 구축…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법률서비스 제공
대륜, 글로벌 메가 로펌 구축…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법률서비스 제공
베이커 맥킨지, 밀뱅크 등 글로벌 메가 로펌 모델 벤치마킹상담변호사·송무관리본부·특수부·AI기반 사건분석 전국 통합 대응“소비자가 신뢰한 로펌, 이제는 글로벌 스탠더드까지” 최근 로펌 업계에서 ‘네트워크 로펌’이 빠르게 세를 확장하며 하나의 화두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네트워크 로펌이란 하나의 법인 또는 브랜드 하에 여러 개의 분사무소(지역 사무소)를 두고, 공동의 상표를 사용하며 사건 수임과 마케팅 자원을 상호 활용하는 구조를 말한다.이는 본래 베이커 맥킨지(Baker McKenzie), 화이트앤케이스(White & Case), 밀뱅크(Milbank) 등 글로벌 메가 로펌들이 구축해온 통합형 운영 모델에서 유래한 개념이다.그러나 이러한 구조가 한국에 도입되는 과정에서 분사무소 간 회계와 책임을 분리하는 ‘별산제’ 방식과 결합되며 본래의 취지를 퇴색시키는 사례가 적지 않다. 시스템적으로 분리돼 있으면서도 외형만 네트워크처럼 보이는 로펌들은 사건의 일관성과 전문성을 저해하고, 고객에게는 서비스 품질의 편차와 혼선을 유발하는 구조적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이러한 흐름과 달리 법무법인 대륜은 ‘글로벌 메가 로펌’을 새로운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조직 전략을 고도화한다고 13일 밝혔다. 대륜의 글로벌 메가 로펌은 분사무소별 독립 운영이 아닌, 주사무소 중심의 통합 시스템으로 전국 43개 사무소를 하나의 유기적 조직으로 관리하는 '중앙집중형 원펌 구조'에서 출발한다. 이는 단순한 국내 확장 전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장기적 로드맵의 일환이다.실제로 대륜은 베이커 맥킨지의 전략과 매뉴얼을 벤치마킹해 43개 사무소가 동일한 기준으로 운영되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송무 품질을 구현해왔다. 이러한 구조는 외형만 유사한 네트워크 로펌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전국 통합 관리와 일관된 퀄리티 컨트롤을 실현한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차별점을 보인다.대륜은 이 같은 통합 시스템을 통해 고객이 어느 지역 사무소를 방문하더라도 동일한 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바로 이러한 서비스 일관성과 전문성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끌어낸 핵심 배경이며 대륜이 단기간에 대한민국 10대 로펌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됐다.이를 뒷받침하는 조직적 기반도 명확하다. 대륜은 사건 상담부터 재판 대응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원팀 체계’로 처리한다. 초기 상담은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가진 상담전문 변호사가 맡고 있으며, 고객의 요청에 따라 해당 분야 전문 변호사나 연차가 높은 변호사와의 직접 상담도 가능하다. 사건 초기부터 전략 수립의 정확도를 높이는 구조다.지난달 출범한 ‘송무관리본부’는 사건 진행 전 과정을 일괄적으로 통제·관리하는 조직으로, 변론 전략의 일관성과 완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건의 흐름을 중앙에서 추적·조율함으로써 변호인단 간 정보 단절이나 대응 편차를 최소화하고 있다.중대형 사건이나 복합 쟁점이 얽힌 다분야 사건은 ‘특별수행본부(특수부)’가 전담한다. 특수부는 형사·민사·행정 등 분야별 전문 변호사들이 팀을 이루고, 고난도 사건에 대해 신속하고 전략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고도화된 조직이다.뿐만 아니라 대륜은 AI 빅데이터 기반 사건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유사 사건 유형 분류, 주요 쟁점 도출, 판결 가능성 분석 등 사건관리 전반에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는 수많은 송무 경험을 축적해온 대륜만의 데이터 자산과 결합돼 글로벌 대형 로펌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정밀 분석 역량을 자랑한다.김국일 경영대표는 “전국 분사무소가 각기 다른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는 고객 입장에서 가장 큰 리스크”라며, “대륜은 주사무소 중심으로 사건을 일괄 진단하고 배당해, 전국 단위 퀄리티 컨트롤이 가능한 글로벌 메가 로펌형 구조를 구축해왔다”고 강조했다.그는 이어 “한국 법조계는 아직 글로벌 로펌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일부 로펌은 분사무소 2~3개에 온라인 광고만으로 네트워크를 자칭하며 사실상 별산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며 “대륜은 그런 구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통합적 책임과 전문성을 구현한 유일한 조직”이라고 설명했다.김 경영대표는 또 “법률 시장은 기술과 함께 진화하고 있고, 미국·독일 등 선진국은 시스템 변화에 맞춰 제도도 함께 정비하고 있다”며, “대륜은 기존 대형로펌이 구현하지 못했던 유기적 시스템과 고객 피드백 기반의 법률 서비스를 갖춘 새로운 모델로서, 앞으로도 누구나 공정하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대륜, 글로벌 메가 로펌 구축…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법률서비스 제공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2025-05-13
대륜, 글로벌 메가 로펌 구축…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법률서비스 제공
대륜, 글로벌 메가 로펌 구축…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법률서비스 제공
베이커 맥킨지, 밀뱅크 등 글로벌 메가 로펌 모델 벤치마킹상담변호사·송무관리본부·특수부·AI기반 사건분석 전국 통합 대응“소비자가 신뢰한 로펌, 이제는 글로벌 스탠더드까지” 최근 로펌 업계에서 ‘네트워크 로펌’이 빠르게 세를 확장하며 하나의 화두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네트워크 로펌이란 하나의 법인 또는 브랜드 하에 여러 개의 분사무소(지역 사무소)를 두고, 공동의 상표를 사용하며 사건 수임과 마케팅 자원을 상호 활용하는 구조를 말한다.이는 본래 베이커 맥킨지(Baker McKenzie), 화이트앤케이스(White & Case), 밀뱅크(Milbank) 등 글로벌 메가 로펌들이 구축해온 통합형 운영 모델에서 유래한 개념이다.그러나 이러한 구조가 한국에 도입되는 과정에서 분사무소 간 회계와 책임을 분리하는 ‘별산제’ 방식과 결합되며 본래의 취지를 퇴색시키는 사례가 적지 않다. 시스템적으로 분리돼 있으면서도 외형만 네트워크처럼 보이는 로펌들은 사건의 일관성과 전문성을 저해하고, 고객에게는 서비스 품질의 편차와 혼선을 유발하는 구조적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이러한 흐름과 달리 법무법인 대륜은 ‘글로벌 메가 로펌’을 새로운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조직 전략을 고도화한다고 13일 밝혔다. 대륜의 글로벌 메가 로펌은 분사무소별 독립 운영이 아닌, 주사무소 중심의 통합 시스템으로 전국 43개 사무소를 하나의 유기적 조직으로 관리하는 '중앙집중형 원펌 구조'에서 출발한다. 이는 단순한 국내 확장 전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장기적 로드맵의 일환이다.실제로 대륜은 베이커 맥킨지의 전략과 매뉴얼을 벤치마킹해 43개 사무소가 동일한 기준으로 운영되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송무 품질을 구현해왔다. 이러한 구조는 외형만 유사한 네트워크 로펌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전국 통합 관리와 일관된 퀄리티 컨트롤을 실현한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차별점을 보인다.대륜은 이 같은 통합 시스템을 통해 고객이 어느 지역 사무소를 방문하더라도 동일한 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바로 이러한 서비스 일관성과 전문성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끌어낸 핵심 배경이며 대륜이 단기간에 대한민국 10대 로펌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됐다.이를 뒷받침하는 조직적 기반도 명확하다. 대륜은 사건 상담부터 재판 대응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원팀 체계’로 처리한다. 초기 상담은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가진 상담전문 변호사가 맡고 있으며, 고객의 요청에 따라 해당 분야 전문 변호사나 연차가 높은 변호사와의 직접 상담도 가능하다. 사건 초기부터 전략 수립의 정확도를 높이는 구조다.지난달 출범한 ‘송무관리본부’는 사건 진행 전 과정을 일괄적으로 통제·관리하는 조직으로, 변론 전략의 일관성과 완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건의 흐름을 중앙에서 추적·조율함으로써 변호인단 간 정보 단절이나 대응 편차를 최소화하고 있다.중대형 사건이나 복합 쟁점이 얽힌 다분야 사건은 ‘특별수행본부(특수부)’가 전담한다. 특수부는 형사·민사·행정 등 분야별 전문 변호사들이 팀을 이루고, 고난도 사건에 대해 신속하고 전략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고도화된 조직이다.뿐만 아니라 대륜은 AI 빅데이터 기반 사건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유사 사건 유형 분류, 주요 쟁점 도출, 판결 가능성 분석 등 사건관리 전반에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는 수많은 송무 경험을 축적해온 대륜만의 데이터 자산과 결합돼 글로벌 대형 로펌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정밀 분석 역량을 자랑한다.김국일 경영대표는 “전국 분사무소가 각기 다른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는 고객 입장에서 가장 큰 리스크”라며, “대륜은 주사무소 중심으로 사건을 일괄 진단하고 배당해, 전국 단위 퀄리티 컨트롤이 가능한 글로벌 메가 로펌형 구조를 구축해왔다”고 강조했다.그는 이어 “한국 법조계는 아직 글로벌 로펌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일부 로펌은 분사무소 2~3개에 온라인 광고만으로 네트워크를 자칭하며 사실상 별산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며 “대륜은 그런 구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통합적 책임과 전문성을 구현한 유일한 조직”이라고 설명했다.김 경영대표는 또 “법률 시장은 기술과 함께 진화하고 있고, 미국·독일 등 선진국은 시스템 변화에 맞춰 제도도 함께 정비하고 있다”며, “대륜은 기존 대형로펌이 구현하지 못했던 유기적 시스템과 고객 피드백 기반의 법률 서비스를 갖춘 새로운 모델로서, 앞으로도 누구나 공정하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재관 기자 (paksunbi@fnnews.com) [기사전문보기] 대륜, 글로벌 메가 로펌 구축…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법률서비스 제공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2곳
2025-05-13
대륜, ‘미래 법조인’ 평택중학생-변호사 멘토‧멘티 엵기
대륜, ‘미래 법조인’ 평택중학생-변호사 멘토‧멘티 엵기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7일 평택중학교 청소년 10여 명을 대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에게 법조인 진로 탐색의 기회와 준비 방법에 대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기획됐다. 학생들은 로펌 대륜 평택 분사무소를 방문해 사무소를 견학하고, 현직 변호사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지도 변호사로 참여한 도일석 변호사는 구체적으로 법조인 직업군 이해부터 실무 사례 공유, 역량 개발 방향까지 다양한 내용을 전달했다. 학생들은 멘토와 멘티 교육을 통해 법률 지식을 학습하고, 진학 고민을 해결할 수 있었다. 한 프로그램 참여 학생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판사, 검사, 변호사 등 법조인의 역할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는 기회가 됐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도일석 변호사는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학습을 넘어 실제적 지식을 생생하게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서 좋았다”라고 밝혔다.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공익 활동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고자 최근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하기도 했다”라며 “청소년의 진로체험과 같은 소통 프로그램부터 소외 계층을 위한 법률적 지원까지 여러 방안을 계획 중이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대륜은 앞으로도 청소년, 다문화가정,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다양한 공익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미래 법조인’ 평택중학생-변호사 멘토‧멘티 엵기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 성료…공익활동 본격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등 2곳
2025-05-13
대륜, ‘미래 법조인’ 평택중학생-변호사 멘토‧멘티 엵기
대륜, ‘미래 법조인’ 평택중학생-변호사 멘토‧멘티 엵기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7일 평택중학교 청소년 10여 명을 대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에게 법조인 진로 탐색의 기회와 준비 방법에 대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기획됐다. 학생들은 로펌 대륜 평택 분사무소를 방문해 사무소를 견학하고, 현직 변호사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지도 변호사로 참여한 도일석 변호사는 구체적으로 법조인 직업군 이해부터 실무 사례 공유, 역량 개발 방향까지 다양한 내용을 전달했다. 학생들은 멘토와 멘티 교육을 통해 법률 지식을 학습하고, 진학 고민을 해결할 수 있었다. 한 프로그램 참여 학생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판사, 검사, 변호사 등 법조인의 역할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는 기회가 됐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도일석 변호사는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학습을 넘어 실제적 지식을 생생하게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서 좋았다”라고 밝혔다. 김국일 경영대표는 “대륜은 공익 활동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고자 최근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하기도 했다”라며 “청소년의 진로체험과 같은 소통 프로그램부터 소외 계층을 위한 법률적 지원까지 여러 방안을 계획 중이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대륜은 앞으로도 청소년, 다문화가정,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다양한 공익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미래 법조인’ 평택중학생-변호사 멘토‧멘티 엵기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 성료…공익활동 본격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12
회삿돈 3억여 원 횡령 혐의 50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
회삿돈 3억여 원 횡령 혐의 50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
3억여 원의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27일 업무상횡령 혐의로 송치된 5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부터 약 1년간 회사 대표 B씨 등 3명의 계좌에서 130여 차례에 걸쳐 약 3억 5천만 원을 무단 인출한 혐의를 받습니다.B씨 등은 업무상 편의를 위해 A씨에게 사업자 통장과 카드를 지급했는데, A씨가 이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습니다.B씨 등과 동업 계약을 맺고 수익을 나누기로 약속했다는 겁니다.그러면서 약정에 따라 사업 이익을 분배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은 "피의자가 주장하는 약정에 대한 녹취록이 존재해 주장에 신빙성이 있다"며 "피의자가 수익금으로 가져간 것 외에도 고소인들에게 이체한 내역도 있어 횡령을 추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이에 불복한 B씨 등이 이의를 제기하면서 사건은 검찰로 넘어갔지만, 검찰 역시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곽민섭 변호사는 "A씨는 업무를 진행하며 B씨 등과 내용에 대해 협의하는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며 "녹취록과 통장거래내역 등 객관적인 증거를 통해 주장의 타당성을 얻어 혐의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회삿돈 3억여 원 횡령 혐의 50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12
회삿돈 3억여 원 횡령 혐의 50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
회삿돈 3억여 원 횡령 혐의 50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
3억여 원의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주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27일 업무상횡령 혐의로 송치된 5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부터 약 1년간 회사 대표 B씨 등 3명의 계좌에서 130여 차례에 걸쳐 약 3억 5천만 원을 무단 인출한 혐의를 받습니다.B씨 등은 업무상 편의를 위해 A씨에게 사업자 통장과 카드를 지급했는데, A씨가 이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습니다.B씨 등과 동업 계약을 맺고 수익을 나누기로 약속했다는 겁니다.그러면서 약정에 따라 사업 이익을 분배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은 "피의자가 주장하는 약정에 대한 녹취록이 존재해 주장에 신빙성이 있다"며 "피의자가 수익금으로 가져간 것 외에도 고소인들에게 이체한 내역도 있어 횡령을 추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이에 불복한 B씨 등이 이의를 제기하면서 사건은 검찰로 넘어갔지만, 검찰 역시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곽민섭 변호사는 "A씨는 업무를 진행하며 B씨 등과 내용에 대해 협의하는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며 "녹취록과 통장거래내역 등 객관적인 증거를 통해 주장의 타당성을 얻어 혐의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회삿돈 3억여 원 횡령 혐의 50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5-12
성병 숨기고 성관계…전 연인 감염시킨 20대 무죄
성병 숨기고 성관계…전 연인 감염시킨 20대 무죄
남성 A씨, 상해 혐의로 벌금형 약식명령…정식재판 청구재판부 “상해 고의있다고 보기 어려워” 전 연인에게 고의로 성병을 전파시켰다는 이유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무죄 판결을 받았다.대전지방법원은 지난 3월 27일 상해 혐의를 받는 2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1년 성병에 감염된 사실을 숨긴 채 당시 교제 중이던 전 연인 B씨와 수 차례 성관계를 가져 성병을 옮긴 혐의를 받았다.검찰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벌금 300만원의 약식 기소 처분을 내렸다. 이어 법원 역시 약식 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과거 성병 진단을 받은 후 꾸준히 치료를 받은 결과 두 차례의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고, 이후에도 감염 예방을 위해 약을 복용했다는 것이다. 또 당시 피임 기구를 사용했고,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관계를 거부하는 등 감염을 막고자 행동했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성병 감염 전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전 피해자와 성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피고인은 음성 판정을 받은 후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않았고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해 약을 복용하는 등 상해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또 “피고인은 증상이 발현되자 피해자에게 자신의 상황을 설명했고, 이후에도 두 사람은 지속적으로 관계를 가졌는데 그 과정에서 피해자의 동의 하에 피임기구를 사용하지 않기도 했다”고 덧붙였다.아울러 재판부는 “피해자는 4개월이 지나서야 성병 검사를 받고 감염 사실을 알게 됐는데, 설사 피고인으로부터 감염됐다 하더라도 발병 시기가 감염 사실을 알린 이후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B씨의 진술은 객관적인 상황과 일치하지 않는 등 허점이 있었다”면서 “병원 진단서, 대화 내역 등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상대방의 주장을 논파해 상해 혐의가 없었다는 점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성병 숨기고 성관계…전 연인 감염시킨 20대 무죄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5-12
성병 숨기고 성관계…전 연인 감염시킨 20대 무죄
성병 숨기고 성관계…전 연인 감염시킨 20대 무죄
남성 A씨, 상해 혐의로 벌금형 약식명령…정식재판 청구재판부 “상해 고의있다고 보기 어려워” 전 연인에게 고의로 성병을 전파시켰다는 이유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이 무죄 판결을 받았다.대전지방법원은 지난 3월 27일 상해 혐의를 받는 2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1년 성병에 감염된 사실을 숨긴 채 당시 교제 중이던 전 연인 B씨와 수 차례 성관계를 가져 성병을 옮긴 혐의를 받았다.검찰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벌금 300만원의 약식 기소 처분을 내렸다. 이어 법원 역시 약식 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과거 성병 진단을 받은 후 꾸준히 치료를 받은 결과 두 차례의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고, 이후에도 감염 예방을 위해 약을 복용했다는 것이다. 또 당시 피임 기구를 사용했고,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관계를 거부하는 등 감염을 막고자 행동했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성병 감염 전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전 피해자와 성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피고인은 음성 판정을 받은 후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않았고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해 약을 복용하는 등 상해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또 “피고인은 증상이 발현되자 피해자에게 자신의 상황을 설명했고, 이후에도 두 사람은 지속적으로 관계를 가졌는데 그 과정에서 피해자의 동의 하에 피임기구를 사용하지 않기도 했다”고 덧붙였다.아울러 재판부는 “피해자는 4개월이 지나서야 성병 검사를 받고 감염 사실을 알게 됐는데, 설사 피고인으로부터 감염됐다 하더라도 발병 시기가 감염 사실을 알린 이후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B씨의 진술은 객관적인 상황과 일치하지 않는 등 허점이 있었다”면서 “병원 진단서, 대화 내역 등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상대방의 주장을 논파해 상해 혐의가 없었다는 점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성병 숨기고 성관계…전 연인 감염시킨 20대 무죄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5-11
[기고] 콜린 제제 환수 사태, 제약산업에 던지는 법·의학적 경고
[기고] 콜린 제제 환수 사태, 제약산업에 던지는 법·의학적 경고
콜린알포세레이트 제제(이하 콜린 제제)가 건강보험 급여 체계 내 지속 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받고 있다. 오랫동안 뇌기능개선제로 처방돼 온 콜린 제제는 최근 보건복지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임상재평가 요구와 급여 적정성 검토에 직면하면서 제약업계 전반에 커다란 충격을 던지고 있다.콜린 제제는 주로 노인성 인지저하, 경증 치매 증상 개선 목적으로 사용돼 왔다. 약리기전상 아세틸콜린의 전구체로 작용해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을 돕는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기대와 달리, 현재까지 글로벌 임상 기준(GCP)에 부합하는 대규모 연구들에서 콜린 제제가 플라시보 대비 명확한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돼 왔다.특히 2020년 이후 국내외에서 수행된 주요 임상연구 및 메타분석 결과를 보면, 콜린 제제는 기억력 개선, 치매 진행 억제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별적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이는 보건 당국이 콜린 제제의 임상적 유효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는 결정적 근거가 됐다. 결과적으로 건보는 제약사들에게 건강보험 급여로 청구된 약제비에 대해 환수 협상을 제시했고, 이에 따라 일부 제약사들은 환수 합의 계약을 체결했다.그러나 대부분의 제약사들은 환수 조치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대거 행정소송에 나섰다. 이들은 '환수 협상은 강압적이었고, 소급 적용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원은 일관되게 제약사들의 주장을 배척하고 있다. 법원은 '환수 합의는 제약사의 자유의사에 따른 계약이며, 공공재정의 보호를 위한 환수 조치는 정당하다'고 판시했다. 나아가 환수는 급여 삭제라는 공식적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사후 적정성 검토를 통해 가능하다고 판결했다. 이는 향후 유사한 급여 환수 분쟁에서도 국가 측 손을 들어줄 가능성을 높인 의미 있는 판결이다.의료적으로도 콜린 제제의 입지는 급격히 흔들리고 있다. 제약사들은 자구책 마련을 위해 콜린 제제의 효능을 입증할 새로운 임상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학계나 규제당국을 납득시킬 만큼 강력한 결과를 내놓지 못한 상황이다. 결국 환수금 확정 여부와는 별개로 향후 임상재평가 결과에 따라 콜린 제제의 급여 삭제 또는 대폭 축소가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만약 임상재평가 결과 콜린 제제가 인지기능 개선에 대한 충분한 효능을 입증하지 못한다면, 건강보험 급여 자체가 삭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 청구된 급여액 환수는 물론, 매출 기반 붕괴라는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일부 제약사는 이미 환수 예정금을 환불 부채로 재무제표에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재무구조 악화, 신용등급 하락, 투자유치 실패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이번 사태는 제약업계 전체에 몇 가지 중대한 교훈을 던졌다.첫째, 과학적 근거 없는 약제는 결코 보험급여 체계 내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없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사용 관행'과 '의료진 선호'에 기대어 급여 유지가 가능했던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명확한 임상근거와 비용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급여 축소·삭제가 가차 없이 진행된다. 이는 제약사들에게 초기 연구개발 단계부터 글로벌 수준의 임상 전략을 준비할 것을 요구한다.둘째, 법률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다. 이번 소송에서 드러났듯, 환수 합의는 단순한 협상이 아니라 법적 구속력을 갖는 계약이다. 향후 제약사는 건보와 환수 협상을 체결할 때 환수 조건, 소급적용 범위, 이의제기 절차 등에 대해 사전 법률 검토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불리한 합의가 이뤄질 경우 사후 소송만으로 이를 뒤집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이 명확히 확인됐다.셋째, 경영적 체질 개선의 필요성이다. 특정 품목 매출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구조는 위기 시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초래할 수 있다. 콜린 제제 환수 사태는 단순한 매출 감소를 넘어 회사 전체의 존립 기반을 흔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제약사들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 신약 개발 역량 강화, 글로벌 진출 확대를 필수 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콜린 제제 환수 사태는 단지 하나의 약제에 대한 논란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대한민국 제약산업 전반에 대해 과학적 근거 기반 강화, 법률 리스크 관리, 지속가능 경영을 요구하는 일종의 '경고장'이다. 더 이상 과거 관행에 기대어 안주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앞으로 제약업계가 이번 사태를 어떻게 교훈 삼느냐에 따라 한국 제약산업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콜린 제제 환수 사태, 제약산업에 던지는 법·의학적 경고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5-11
[기고] 콜린 제제 환수 사태, 제약산업에 던지는 법·의학적 경고
[기고] 콜린 제제 환수 사태, 제약산업에 던지는 법·의학적 경고
콜린알포세레이트 제제(이하 콜린 제제)가 건강보험 급여 체계 내 지속 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받고 있다. 오랫동안 뇌기능개선제로 처방돼 온 콜린 제제는 최근 보건복지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임상재평가 요구와 급여 적정성 검토에 직면하면서 제약업계 전반에 커다란 충격을 던지고 있다.콜린 제제는 주로 노인성 인지저하, 경증 치매 증상 개선 목적으로 사용돼 왔다. 약리기전상 아세틸콜린의 전구체로 작용해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을 돕는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기대와 달리, 현재까지 글로벌 임상 기준(GCP)에 부합하는 대규모 연구들에서 콜린 제제가 플라시보 대비 명확한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돼 왔다.특히 2020년 이후 국내외에서 수행된 주요 임상연구 및 메타분석 결과를 보면, 콜린 제제는 기억력 개선, 치매 진행 억제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별적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이는 보건 당국이 콜린 제제의 임상적 유효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는 결정적 근거가 됐다. 결과적으로 건보는 제약사들에게 건강보험 급여로 청구된 약제비에 대해 환수 협상을 제시했고, 이에 따라 일부 제약사들은 환수 합의 계약을 체결했다.그러나 대부분의 제약사들은 환수 조치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대거 행정소송에 나섰다. 이들은 '환수 협상은 강압적이었고, 소급 적용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원은 일관되게 제약사들의 주장을 배척하고 있다. 법원은 '환수 합의는 제약사의 자유의사에 따른 계약이며, 공공재정의 보호를 위한 환수 조치는 정당하다'고 판시했다. 나아가 환수는 급여 삭제라는 공식적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사후 적정성 검토를 통해 가능하다고 판결했다. 이는 향후 유사한 급여 환수 분쟁에서도 국가 측 손을 들어줄 가능성을 높인 의미 있는 판결이다.의료적으로도 콜린 제제의 입지는 급격히 흔들리고 있다. 제약사들은 자구책 마련을 위해 콜린 제제의 효능을 입증할 새로운 임상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학계나 규제당국을 납득시킬 만큼 강력한 결과를 내놓지 못한 상황이다. 결국 환수금 확정 여부와는 별개로 향후 임상재평가 결과에 따라 콜린 제제의 급여 삭제 또는 대폭 축소가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만약 임상재평가 결과 콜린 제제가 인지기능 개선에 대한 충분한 효능을 입증하지 못한다면, 건강보험 급여 자체가 삭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 청구된 급여액 환수는 물론, 매출 기반 붕괴라는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일부 제약사는 이미 환수 예정금을 환불 부채로 재무제표에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재무구조 악화, 신용등급 하락, 투자유치 실패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이번 사태는 제약업계 전체에 몇 가지 중대한 교훈을 던졌다.첫째, 과학적 근거 없는 약제는 결코 보험급여 체계 내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없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사용 관행'과 '의료진 선호'에 기대어 급여 유지가 가능했던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명확한 임상근거와 비용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급여 축소·삭제가 가차 없이 진행된다. 이는 제약사들에게 초기 연구개발 단계부터 글로벌 수준의 임상 전략을 준비할 것을 요구한다.둘째, 법률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다. 이번 소송에서 드러났듯, 환수 합의는 단순한 협상이 아니라 법적 구속력을 갖는 계약이다. 향후 제약사는 건보와 환수 협상을 체결할 때 환수 조건, 소급적용 범위, 이의제기 절차 등에 대해 사전 법률 검토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불리한 합의가 이뤄질 경우 사후 소송만으로 이를 뒤집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이 명확히 확인됐다.셋째, 경영적 체질 개선의 필요성이다. 특정 품목 매출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구조는 위기 시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초래할 수 있다. 콜린 제제 환수 사태는 단순한 매출 감소를 넘어 회사 전체의 존립 기반을 흔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제약사들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 신약 개발 역량 강화, 글로벌 진출 확대를 필수 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콜린 제제 환수 사태는 단지 하나의 약제에 대한 논란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대한민국 제약산업 전반에 대해 과학적 근거 기반 강화, 법률 리스크 관리, 지속가능 경영을 요구하는 일종의 '경고장'이다. 더 이상 과거 관행에 기대어 안주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앞으로 제약업계가 이번 사태를 어떻게 교훈 삼느냐에 따라 한국 제약산업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콜린 제제 환수 사태, 제약산업에 던지는 법·의학적 경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11
무당 사기, 자발적 의사 해석 따라 유무죄 갈려
무당 사기, 자발적 의사 해석 따라 유무죄 갈려
스타트업 분석 업체 혁신의 숲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점술 시장은 약 1조 4,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또 최근에는 챗GPT 등 AI를 활용한 사주풀이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꽤나 많은 사람들이 점술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점술에 지나치게 '진심'일 때 발생한다. 과한 진심은 대부분 과한 지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적게는 몇 십만원짜리 부적을 쓰는 경우부터 이른바 굿 값으로 수억원을 지출하는 사례까지 유형도 다양하다. 들어가는 돈의 단위가 크다보니 갈등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점술가 말을 믿고 많은 돈을 쏟아부었는데, 왜 일이 잘 풀리지 않느냐는 고객들의 불만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꽤 자주 법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진다.최근 한 40대 무속인 의뢰인의 무혐의 처분을 이끈 바 있다. 그는 굿을 명목으로 손님으로부터 2억원가량을 편취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았다. 손님은 억울함을 호소했다. 의뢰인으로부터 "굿을 하지 않으면 사업이 잘 풀리지 않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고 이에 속아 돈을 줬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찰은 혐의를 인정하지 않았다. 의뢰인이 "돈을 빌려서라도 굿을 받아야 한다"는 식의 발언을 했다는 증거가 없고, 손님에게 환불이 불가능한 점을 사전에 전달했다는 게 이유였다. 아울러 의뢰인이 상당 기간 무속인으로서 생활을 해왔고, 굿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는 사기죄를 적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다른 사례도 있다. 또 다른 50대 무속인은 피고인으로 법정에 섰다. 그 역시 자신의 신당을 찾은 손님에게 굿을 해주겠다며 결제를 유도한 혐의를 받았다. 손님이 건넨 돈은 많게는 수천만원에 이르렀다. 무속인은 "손님이 자발적으로 굿을 선택한 것"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법원의 판단은 어땠을까. 해당 무속인은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죄가 인정된 셈이다. 재판부는 "당장 굿을 하지 않으면 가족이 사망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구체적 사례를 들어 굿을 제안한 건 '기망행위'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무속인이 굿을 서두를 이유가 없음에도 손님에게 호통을 치며 카드 한도까지 상향하게 만든 것은 종교 행위로써 허용 한계를 벗어났다"고도 덧붙였다.이처럼 무속인의 행위는 상황에 따라 '종교적 조언'이 될 수도 있지만, '재산 편취'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를 가르는 핵심은 '무속인의 행위가 사기죄 성립 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이다. 사기죄의 경우 △상대를 속이는 기망행위 △그로 인해 피해자가 재산을 넘긴 처분행위 △실제 재산상 손해 △불법영득의사(처음부터 남의 돈을 뺏을 의도)가 모두 있어야 성립된다.무속인의 말이 단순히 위로이거나 신앙적 발언에 그쳤다면 이는 기망으로 보기 어렵다. 하지만 뚜렷한 근거 없이 공포를 조장하고 반복적으로 고액 결제를 유도하여 돈을 뜯어낼 목적이었다면 사기죄로 처벌받을 위험이 있다.피해자가 자발적으로 돈을 건넸다고 해도, 그 원인이 기망, 즉, 속임수였다면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다. 무속인이 피해자를 어떤 방식으로 설득했고, 피해자가 어떤 심리 상태에서 돈을 지불했는지가 쟁점이 되는 셈이다.이러한 분쟁을 방지하려면, 상담 시 내용을 녹음하거나 문자·계좌 내역 등 기록을 남겨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과도한 금전 요구가 있었다면, 즉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법률 조력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무당 사기, 자발적 의사 해석 따라 유무죄 갈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5-11
무당 사기, 자발적 의사 해석 따라 유무죄 갈려
무당 사기, 자발적 의사 해석 따라 유무죄 갈려
스타트업 분석 업체 혁신의 숲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점술 시장은 약 1조 4,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또 최근에는 챗GPT 등 AI를 활용한 사주풀이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꽤나 많은 사람들이 점술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점술에 지나치게 '진심'일 때 발생한다. 과한 진심은 대부분 과한 지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적게는 몇 십만원짜리 부적을 쓰는 경우부터 이른바 굿 값으로 수억원을 지출하는 사례까지 유형도 다양하다. 들어가는 돈의 단위가 크다보니 갈등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점술가 말을 믿고 많은 돈을 쏟아부었는데, 왜 일이 잘 풀리지 않느냐는 고객들의 불만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꽤 자주 법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진다.최근 한 40대 무속인 의뢰인의 무혐의 처분을 이끈 바 있다. 그는 굿을 명목으로 손님으로부터 2억원가량을 편취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았다. 손님은 억울함을 호소했다. 의뢰인으로부터 "굿을 하지 않으면 사업이 잘 풀리지 않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고 이에 속아 돈을 줬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찰은 혐의를 인정하지 않았다. 의뢰인이 "돈을 빌려서라도 굿을 받아야 한다"는 식의 발언을 했다는 증거가 없고, 손님에게 환불이 불가능한 점을 사전에 전달했다는 게 이유였다. 아울러 의뢰인이 상당 기간 무속인으로서 생활을 해왔고, 굿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는 사기죄를 적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다른 사례도 있다. 또 다른 50대 무속인은 피고인으로 법정에 섰다. 그 역시 자신의 신당을 찾은 손님에게 굿을 해주겠다며 결제를 유도한 혐의를 받았다. 손님이 건넨 돈은 많게는 수천만원에 이르렀다. 무속인은 "손님이 자발적으로 굿을 선택한 것"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법원의 판단은 어땠을까. 해당 무속인은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죄가 인정된 셈이다. 재판부는 "당장 굿을 하지 않으면 가족이 사망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구체적 사례를 들어 굿을 제안한 건 '기망행위'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무속인이 굿을 서두를 이유가 없음에도 손님에게 호통을 치며 카드 한도까지 상향하게 만든 것은 종교 행위로써 허용 한계를 벗어났다"고도 덧붙였다.이처럼 무속인의 행위는 상황에 따라 '종교적 조언'이 될 수도 있지만, '재산 편취'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를 가르는 핵심은 '무속인의 행위가 사기죄 성립 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이다. 사기죄의 경우 △상대를 속이는 기망행위 △그로 인해 피해자가 재산을 넘긴 처분행위 △실제 재산상 손해 △불법영득의사(처음부터 남의 돈을 뺏을 의도)가 모두 있어야 성립된다.무속인의 말이 단순히 위로이거나 신앙적 발언에 그쳤다면 이는 기망으로 보기 어렵다. 하지만 뚜렷한 근거 없이 공포를 조장하고 반복적으로 고액 결제를 유도하여 돈을 뜯어낼 목적이었다면 사기죄로 처벌받을 위험이 있다.피해자가 자발적으로 돈을 건넸다고 해도, 그 원인이 기망, 즉, 속임수였다면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다. 무속인이 피해자를 어떤 방식으로 설득했고, 피해자가 어떤 심리 상태에서 돈을 지불했는지가 쟁점이 되는 셈이다.이러한 분쟁을 방지하려면, 상담 시 내용을 녹음하거나 문자·계좌 내역 등 기록을 남겨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과도한 금전 요구가 있었다면, 즉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법률 조력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무당 사기, 자발적 의사 해석 따라 유무죄 갈려 (바로가기)
노컷뉴스 등 11곳
2025-05-09
SKT고발수사-노컷뉴스
[단독]'유심 해킹' 고발에…경찰, 유영상 SKT 대표 수사 착수
업무상 배임·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고소·고발 당해경찰, 오는 15일 고소·고발인 조사 예정 초유의 유심 정보 해킹 사태 여파로 고소·고발된 유영상 SK텔레콤(SKT) 대표이사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9일 확인됐다.이날 CBS노컷뉴스 취재 결과 서울남대문경찰서는 업무상 배임과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유 대표를 최근 입건해 조사 중이다.지난 1일 법무법인 대륜 측이 이번 유심 해킹 사태 관련 고소·고발인의 의뢰를 받아 유 대표와 보안 책임자 등에 대한 고소·고발장을 내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선 것이다.대륜 측은 유 대표의 배임 혐의와 관련해 "SKT는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 보호 및 관리 등 위탁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에 있으면서도 정보보호투자비 등을 감액했다"며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견이 가능함에도 이용자들의 정보 보관·활용 등 사무를 등한시하고 자사의 이익을 극대화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해 업무상 배임의 죄책을 진다할 것"이라고 주장했다.아울러 유 대표가 해킹 피해 사실을 인지한 후 당국에 늦장 신고했으며, 피해 정황을 축소 신고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도 있다고 지적했다.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입수한 SKT 신고자료에 따르면, SKT 해킹 사건은 지난달 20일 오후 4시 46분 접수됐다. 그러나 SKT가 접수 이틀 전인 18일 오후 6시 9분 일부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된 사실을 최초로 인지하고, 같은 날 오후 11시 20분 해킹 공격을 당했다는 사실을 내부적으로 확인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늦장 신고 논란이 일었다. 실제 해킹을 확인했음에도 '의심 정황'으로 사건을 축소 신고한 의혹도 제기됐다. 지난해 8월 개정된 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해킹 등 사이버 침해사고를 인지한 이후 '24시간 이내에' 피해 내용, 원인, 대응 현황 등에 대해 파악한 사항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해야 한다.대륜 측은 이와 관련해 "SKT가 허위 인지 시점을 신고한 것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하며, 정부 기관의 적절한 초기 대응을 방해한 중대한 위법"이라며 "KISA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해킹 사고 시 즉시 필요한 조치를 할 공적 의무가 있으며, SKT의 위계적 허위 신고는 이에 대한 명백한 방해 행위"라고 지적했다.경찰은 오는 15일 고소·고발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 대표와 함께 고발된 SKT 보안 책임자 등에 대해서는 현재는 특정해 입건하기 어려우며 수사 과정에서 파악해나갈 방침인 것으로 파악됐다. CBS노컷뉴스 김수정 기자(ssuk@cbs.co.kr) [기사전문보기] 노컷뉴스 - [단독]'유심 해킹' 고발에…경찰, 유영상 SKT 대표 수사 착수 (바로가기) 한겨레 - 경찰, ‘SKT 해킹 사고’ 유영상 대표 수사 착수…“배임 등 혐의” (바로가기) 뉴시스 - '유심 해킹' 여파…경찰, 유영상 SKT 대표 수사 착수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경찰, '유심 해킹' 관련 유영상 SKT 대표 입건 (바로가기) MBC - 경찰, '유심 해킹' SKT 유영상 대표 고발 사건 수사 착수 (바로가기) 더팩트 - 경찰, '유심 해킹' 유영상 SKT 대표 수사 (바로가기) 서울경제 - 경찰, '유심 해킹' 관련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수사 (바로가기) 이데일리 - 경찰, '유심 해킹' 수사 총력…최태원 회장도 수사 대상 포함 (바로가기) 조선비즈 - 경찰, SKT 해킹한 IP 추적 중… 崔회장도 정통망법 위반 혐의로 고발돼 (바로가기) 포쓰저널 - 경찰, SKT 경영진 수사 착수.."해킹 늑장신고 등 혐의" (바로가기) 뉴데일리 - 경찰, 'SKT 유심 사태' 경영진 수사 착수 … "업무상 배임 혐의" (바로가기)
노컷뉴스 등 11곳
2025-05-09
SKT고발수사-노컷뉴스
[단독]'유심 해킹' 고발에…경찰, 유영상 SKT 대표 수사 착수
업무상 배임·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고소·고발 당해경찰, 오는 15일 고소·고발인 조사 예정 초유의 유심 정보 해킹 사태 여파로 고소·고발된 유영상 SK텔레콤(SKT) 대표이사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9일 확인됐다.이날 CBS노컷뉴스 취재 결과 서울남대문경찰서는 업무상 배임과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유 대표를 최근 입건해 조사 중이다.지난 1일 법무법인 대륜 측이 이번 유심 해킹 사태 관련 고소·고발인의 의뢰를 받아 유 대표와 보안 책임자 등에 대한 고소·고발장을 내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선 것이다.대륜 측은 유 대표의 배임 혐의와 관련해 "SKT는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 보호 및 관리 등 위탁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에 있으면서도 정보보호투자비 등을 감액했다"며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견이 가능함에도 이용자들의 정보 보관·활용 등 사무를 등한시하고 자사의 이익을 극대화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해 업무상 배임의 죄책을 진다할 것"이라고 주장했다.아울러 유 대표가 해킹 피해 사실을 인지한 후 당국에 늦장 신고했으며, 피해 정황을 축소 신고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도 있다고 지적했다.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입수한 SKT 신고자료에 따르면, SKT 해킹 사건은 지난달 20일 오후 4시 46분 접수됐다. 그러나 SKT가 접수 이틀 전인 18일 오후 6시 9분 일부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된 사실을 최초로 인지하고, 같은 날 오후 11시 20분 해킹 공격을 당했다는 사실을 내부적으로 확인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늦장 신고 논란이 일었다. 실제 해킹을 확인했음에도 '의심 정황'으로 사건을 축소 신고한 의혹도 제기됐다. 지난해 8월 개정된 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해킹 등 사이버 침해사고를 인지한 이후 '24시간 이내에' 피해 내용, 원인, 대응 현황 등에 대해 파악한 사항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해야 한다.대륜 측은 이와 관련해 "SKT가 허위 인지 시점을 신고한 것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하며, 정부 기관의 적절한 초기 대응을 방해한 중대한 위법"이라며 "KISA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해킹 사고 시 즉시 필요한 조치를 할 공적 의무가 있으며, SKT의 위계적 허위 신고는 이에 대한 명백한 방해 행위"라고 지적했다.경찰은 오는 15일 고소·고발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 대표와 함께 고발된 SKT 보안 책임자 등에 대해서는 현재는 특정해 입건하기 어려우며 수사 과정에서 파악해나갈 방침인 것으로 파악됐다. CBS노컷뉴스 김수정 기자(ssuk@cbs.co.kr) [기사전문보기] 노컷뉴스 - [단독]'유심 해킹' 고발에…경찰, 유영상 SKT 대표 수사 착수 (바로가기) 한겨레 - 경찰, ‘SKT 해킹 사고’ 유영상 대표 수사 착수…“배임 등 혐의” (바로가기) 뉴시스 - '유심 해킹' 여파…경찰, 유영상 SKT 대표 수사 착수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경찰, '유심 해킹' 관련 유영상 SKT 대표 입건 (바로가기) MBC - 경찰, '유심 해킹' SKT 유영상 대표 고발 사건 수사 착수 (바로가기) 더팩트 - 경찰, '유심 해킹' 유영상 SKT 대표 수사 (바로가기) 서울경제 - 경찰, '유심 해킹' 관련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수사 (바로가기) 이데일리 - 경찰, '유심 해킹' 수사 총력…최태원 회장도 수사 대상 포함 (바로가기) 조선비즈 - 경찰, SKT 해킹한 IP 추적 중… 崔회장도 정통망법 위반 혐의로 고발돼 (바로가기) 포쓰저널 - 경찰, SKT 경영진 수사 착수.."해킹 늑장신고 등 혐의" (바로가기) 뉴데일리 - 경찰, 'SKT 유심 사태' 경영진 수사 착수 … "업무상 배임 혐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09
아동학대불기소-KBC광주방송
신생아 넘긴 20대 母..10여년 만에 수사 '혐의 없음'
출산 직후 신생아를 입양 카페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넘긴 산모가 10여 년 만에 수사를 받게 됐지만 결국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 등을 받는 30대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3년 출산 이후 제대로 된 보호조치 없이 아이를 타인에게 인도한 혐의를 받습니다.출산 기록은 있으나 10년 넘게 출생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수상하게 여긴 담당 주민센터 직원의 신고로 수사가 시작됐습니다.A씨는 아이를 인도한 사실은 인정했습니다.다만 당시 아이의 친부와 연락이 끊겼고, 정식 입양 절차를 밟을 경우 등본에 입양 기록이 남을 것이 우려돼 이같은 선택을 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면서 당시 입양 카페에 글을 올려 해외에 거주하는 한 난임 부부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이들과 몇 차례 만남을 가진 뒤 아이를 인도했다고 했습니다.검찰은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가 정식 절차 없이 아이를 인도한 것은 맞지만, 아동 유기·방임의 고의성을 인정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입니다.검찰은 "아동복지법상 방임은 유기행위 및 신체적·정서적 학대에 준하는 정도의 피해가 인정돼야 하는데, A씨는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등 보호 행위를 했다"고 설명했습니다.또 "아이가 현재 일반적인 가정에서 문제없이 양육되고 있는 점도 고려했다"고 덧붙였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A씨는 입양 의사를 밝힌 부부를 5~6차례 만나 대화를 나누는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아이의 미래를 위해 다각도로 고민했다"며 "도덕적 타당성과 별개로 범죄 성립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신생아 넘긴 20대 母..10여년 만에 수사 '혐의 없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09
아동학대불기소-KBC광주방송
신생아 넘긴 20대 母..10여년 만에 수사 '혐의 없음'
출산 직후 신생아를 입양 카페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넘긴 산모가 10여 년 만에 수사를 받게 됐지만 결국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은 지난 3월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 등을 받는 30대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3년 출산 이후 제대로 된 보호조치 없이 아이를 타인에게 인도한 혐의를 받습니다.출산 기록은 있으나 10년 넘게 출생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수상하게 여긴 담당 주민센터 직원의 신고로 수사가 시작됐습니다.A씨는 아이를 인도한 사실은 인정했습니다.다만 당시 아이의 친부와 연락이 끊겼고, 정식 입양 절차를 밟을 경우 등본에 입양 기록이 남을 것이 우려돼 이같은 선택을 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면서 당시 입양 카페에 글을 올려 해외에 거주하는 한 난임 부부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이들과 몇 차례 만남을 가진 뒤 아이를 인도했다고 했습니다.검찰은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가 정식 절차 없이 아이를 인도한 것은 맞지만, 아동 유기·방임의 고의성을 인정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입니다.검찰은 "아동복지법상 방임은 유기행위 및 신체적·정서적 학대에 준하는 정도의 피해가 인정돼야 하는데, A씨는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등 보호 행위를 했다"고 설명했습니다.또 "아이가 현재 일반적인 가정에서 문제없이 양육되고 있는 점도 고려했다"고 덧붙였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A씨는 입양 의사를 밝힌 부부를 5~6차례 만나 대화를 나누는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아이의 미래를 위해 다각도로 고민했다"며 "도덕적 타당성과 별개로 범죄 성립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신생아 넘긴 20대 母..10여년 만에 수사 '혐의 없음'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09
실화불기소-서울신문
담배꽁초 버려 2억원 피해 실화 송치 40대…검찰, 증거 불충분 불기소
담배꽁초를 버려 불을 낸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4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은 지난 3월 21일 실화 혐의로 송치된 4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A씨는 지난해 집 안에서 담배를 피운 후 불씨를 끄지 않은 채 창밖으로 꽁초를 던져 쓰레기 더미에 불을 낸 혐의를 받았다.이 불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와 건물 내·외벽을 비롯한 구조물이 타는 등 약 2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경찰은 A씨가 피우던 담배와 화재 현장에서 발견된 꽁초의 종류가 같다는 등의 이유로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A씨는 “평소 집 안에서 담배를 피우기는 하지만, 사건 당일에는 창문 근처에서 흡연하지 않았다”면서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1층에 평소 쓰레기 더미가 있다는 점을 알기 때문에 화재 가능성이 있어 불이 붙은 담배꽁초를 창밖으로 던질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검찰은 발화 현장 위에 피의자의 거주지가 있고, CCTV에서 담배 연기가 확인되는 점을 볼 때 A씨가 발화 원인이 된 꽁초 주인일 가능성이 있지만, 꽁초가 어디에서 떨어졌는지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해 불기소 처분했다. 또 화재 당시 같은 건물 다른 호실에도 흡연자가 있어서 A씨가 꽁초 소유자라고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봤다.최성호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형사 사건에서 범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은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거가 필요하다. A씨가 담배꽁초를 버렸다는 자료가 없고, 다른 사람이 피운 꽁초가 바람에 날아갔을 가능성 등을 내세워 기소를 피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담배꽁초 버려 2억원 피해 실화 송치 40대…검찰, 증거 불충분 불기소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5-09
실화불기소-서울신문
담배꽁초 버려 2억원 피해 실화 송치 40대…검찰, 증거 불충분 불기소
담배꽁초를 버려 불을 낸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4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은 지난 3월 21일 실화 혐의로 송치된 4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A씨는 지난해 집 안에서 담배를 피운 후 불씨를 끄지 않은 채 창밖으로 꽁초를 던져 쓰레기 더미에 불을 낸 혐의를 받았다.이 불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와 건물 내·외벽을 비롯한 구조물이 타는 등 약 2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경찰은 A씨가 피우던 담배와 화재 현장에서 발견된 꽁초의 종류가 같다는 등의 이유로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A씨는 “평소 집 안에서 담배를 피우기는 하지만, 사건 당일에는 창문 근처에서 흡연하지 않았다”면서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1층에 평소 쓰레기 더미가 있다는 점을 알기 때문에 화재 가능성이 있어 불이 붙은 담배꽁초를 창밖으로 던질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검찰은 발화 현장 위에 피의자의 거주지가 있고, CCTV에서 담배 연기가 확인되는 점을 볼 때 A씨가 발화 원인이 된 꽁초 주인일 가능성이 있지만, 꽁초가 어디에서 떨어졌는지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해 불기소 처분했다. 또 화재 당시 같은 건물 다른 호실에도 흡연자가 있어서 A씨가 꽁초 소유자라고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봤다.최성호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형사 사건에서 범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은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거가 필요하다. A씨가 담배꽁초를 버렸다는 자료가 없고, 다른 사람이 피운 꽁초가 바람에 날아갔을 가능성 등을 내세워 기소를 피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담배꽁초 버려 2억원 피해 실화 송치 40대…검찰, 증거 불충분 불기소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08
“비방 목적 아냐”…시의원 후보 허위 글 게시한 50대, 무죄
“비방 목적 아냐”…시의원 후보 허위 글 게시한 50대, 무죄
약식명령에 불복한 피고인이 직접 재판 청구해 무죄 받아"공직 후보자에 대한 진상 확인 요구는 비방 목적 아냐" 시의원 후보를 둘러싼 의혹을 게시판에 게재했다 명예훼손으로 기소됐던 남성이 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8일 수원지방법원은 지난 2022년 시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후보자에 대한 허위 사실을 인터넷에 게재해 기소됐던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3월13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명예훼손)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당시 A씨는 시의원 후보자였던 B씨의 학력 및 갑질 의혹에 관한 글을 인터넷과 개인 SNS에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과 법원은 A씨의 명예훼손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해 벌금 5천만 원의 약식명령을 청구했지만, A씨는 이에 불복하고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에서 A씨는 후보자의 자질 검증을 요청하는 글을 올렸을 뿐이고, 악의적이거나 공격적인 비방 목적이 아니라 공익을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이에 재판부는 "피고인의 게시글을 봤을 때 사안에 대한 조사와 검증을 요구하고 있고 악의적인 공격은 없었다"고 판시했다. 또한 "선거 후보자였던 피해자의 학력사항 거짓 여부는 공적 관심의 대상"이라며 A씨 행위의 공익성도 인정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측은 "비방 목적으로 공공연하게 사실을 드러내는 행위는 명예훼손죄에 해당하지만 그 사실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경우에는 비방할 목적이 부정된다"며 "의뢰인(A씨)은 공직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공식적인 진상 확인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글을 올렸기에 법원에서 비방 목적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예은 인턴기자(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비방 목적 아냐”…시의원 후보 허위 글 게시한 50대, 무죄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08
“비방 목적 아냐”…시의원 후보 허위 글 게시한 50대, 무죄
“비방 목적 아냐”…시의원 후보 허위 글 게시한 50대, 무죄
약식명령에 불복한 피고인이 직접 재판 청구해 무죄 받아"공직 후보자에 대한 진상 확인 요구는 비방 목적 아냐" 시의원 후보를 둘러싼 의혹을 게시판에 게재했다 명예훼손으로 기소됐던 남성이 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8일 수원지방법원은 지난 2022년 시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후보자에 대한 허위 사실을 인터넷에 게재해 기소됐던 5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3월13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명예훼손)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당시 A씨는 시의원 후보자였던 B씨의 학력 및 갑질 의혹에 관한 글을 인터넷과 개인 SNS에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과 법원은 A씨의 명예훼손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해 벌금 5천만 원의 약식명령을 청구했지만, A씨는 이에 불복하고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에서 A씨는 후보자의 자질 검증을 요청하는 글을 올렸을 뿐이고, 악의적이거나 공격적인 비방 목적이 아니라 공익을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이에 재판부는 "피고인의 게시글을 봤을 때 사안에 대한 조사와 검증을 요구하고 있고 악의적인 공격은 없었다"고 판시했다. 또한 "선거 후보자였던 피해자의 학력사항 거짓 여부는 공적 관심의 대상"이라며 A씨 행위의 공익성도 인정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측은 "비방 목적으로 공공연하게 사실을 드러내는 행위는 명예훼손죄에 해당하지만 그 사실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경우에는 비방할 목적이 부정된다"며 "의뢰인(A씨)은 공직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공식적인 진상 확인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글을 올렸기에 법원에서 비방 목적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예은 인턴기자(ye9@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비방 목적 아냐”…시의원 후보 허위 글 게시한 50대, 무죄 (바로가기)
로리더 등 3곳
2025-05-08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법무법인 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법무법인 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서울중앙지검장, 대법원 재판연구관 경력 변호사가 '진두지휘'송무관리본부와 함께 사건처리 전문성과 효율성 높여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변호사)이 특별수행본부(‘특수부’)를 출범시켜 증가하는 중대형 사건에 밀착 대응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의 특수부는 개별 그룹 차원의 대응이 어려운 중대형 사건을 (본부 주도로) 수행하는 조직으로 특수 1부(민사·행정)와 특수 2부(형사)로 구성됐다.법무법인 대륜은 “특수부 시스템이 중대형 사건 처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최근 신설한 송무관리본부와 함께 사건처리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단순히 ‘인원 늘리기’에만 급급해 변호사를 무작위로 배당하는 것이 아니라 본부장 주도로 각 분야 전문 변호사를 조직해 중대형 사건에 걸맞은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대륜 특수부 본부장과 특수 2부장은 조영곤 변호사(사법연수원 16기)가 맡아 그룹 전체를 이끈다. 서울중앙지검장, 대구지검장 등을 역임한 조 변호사는 검사장 재직 당시 4대강 사업 수사, 전두환·노태우 전직 대통령 추징금 환수 조사 등 굵직한 사건을 맡았고 국내외 유수 기업의 불공정거래 행위 등 다수의 기업 법률 자문과 수사 대응력을 갖췄다.특수 1부장에는 서울중앙지법·서울동부지법 부장판사 등을 역임한 여상원 변호사(사법연수원 17기)가 책임진다. 23년간 판사로 공직생활을 해온 여 변호사는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대한상사중재인 등 경력을 바탕으로 민사 그룹을 지휘하게 됐다.상임 변호사로는 대한변호사협회 부동산 전문변호사이자 수용 및 보상 전문변호사인 이의석 변호사(변시 6회)와 ‘인천 투자 귀재’ 670억 사기 사건을 대리했던 김명철 변호사(사법연수원 47기)가 각각 민사행정과 형사 사건의 뒤를 받친다.이번 법무법인 대륜 특수부 출범은 ‘상담-배당-관리’에 이르기까지 소송 전 과정을 전문 변호사와 함께 수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난달 대륜이 출범한 송무관리본부 내 상담 전문 변호사가 상담을 진행한 후 중대형 사건으로 분류된 경우에는 특별수행본부가 대응하는 방식이다.최근 대륜 특수부가 대응하고 있는 사건에는 △ A 아파트 재건축 조합 공사비 분쟁, △ 가상화폐 집단 사기 피해, △ 대형 건설 B사 부당 채권 분쟁 등이 있다. A 아파트 사건에 대해 조 본부장은 “공사비 분쟁에서 시공사는 ‘시간 끌기’를 통해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에 대륜은 ‘계약 검토→증빙 요청→협상 구조 분석→해지 대응’의 과정을 거쳐 조합원 부담을 최소화한다”고 전략을 설명했다.특수부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조 변호사는 ‘법률적 행동주의’를 꼽았다. 조 변호사는 “특수부의 목적은 단지 소송을 대리하는 것이 아닌 문제 발생 전 위험 구조를 진단하는 데에서 출발한다”면서, “피해 확산 최소화는 물론 궁극적으로 제도 개선안까지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중대형 사건의 경우 여러 사건이 병합되는 경우가 많아 각기 전문 지식을 갖춘 변호사가 동시에 투입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40년 가까이 법조계에서 경력을 쌓은 ‘법률 베테랑’들이 팀을 이끌기 때문에 명확한 전략과 방향성을 의뢰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법무법인 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바로가기) 한국경제 - 로펌 내 특수부 꾸린 대륜 (바로가기)
로리더 등 3곳
2025-05-08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법무법인 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법무법인 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서울중앙지검장, 대법원 재판연구관 경력 변호사가 '진두지휘'송무관리본부와 함께 사건처리 전문성과 효율성 높여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변호사)이 특별수행본부(‘특수부’)를 출범시켜 증가하는 중대형 사건에 밀착 대응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의 특수부는 개별 그룹 차원의 대응이 어려운 중대형 사건을 (본부 주도로) 수행하는 조직으로 특수 1부(민사·행정)와 특수 2부(형사)로 구성됐다.법무법인 대륜은 “특수부 시스템이 중대형 사건 처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최근 신설한 송무관리본부와 함께 사건처리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단순히 ‘인원 늘리기’에만 급급해 변호사를 무작위로 배당하는 것이 아니라 본부장 주도로 각 분야 전문 변호사를 조직해 중대형 사건에 걸맞은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대륜 특수부 본부장과 특수 2부장은 조영곤 변호사(사법연수원 16기)가 맡아 그룹 전체를 이끈다. 서울중앙지검장, 대구지검장 등을 역임한 조 변호사는 검사장 재직 당시 4대강 사업 수사, 전두환·노태우 전직 대통령 추징금 환수 조사 등 굵직한 사건을 맡았고 국내외 유수 기업의 불공정거래 행위 등 다수의 기업 법률 자문과 수사 대응력을 갖췄다.특수 1부장에는 서울중앙지법·서울동부지법 부장판사 등을 역임한 여상원 변호사(사법연수원 17기)가 책임진다. 23년간 판사로 공직생활을 해온 여 변호사는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대한상사중재인 등 경력을 바탕으로 민사 그룹을 지휘하게 됐다.상임 변호사로는 대한변호사협회 부동산 전문변호사이자 수용 및 보상 전문변호사인 이의석 변호사(변시 6회)와 ‘인천 투자 귀재’ 670억 사기 사건을 대리했던 김명철 변호사(사법연수원 47기)가 각각 민사행정과 형사 사건의 뒤를 받친다.이번 법무법인 대륜 특수부 출범은 ‘상담-배당-관리’에 이르기까지 소송 전 과정을 전문 변호사와 함께 수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난달 대륜이 출범한 송무관리본부 내 상담 전문 변호사가 상담을 진행한 후 중대형 사건으로 분류된 경우에는 특별수행본부가 대응하는 방식이다.최근 대륜 특수부가 대응하고 있는 사건에는 △ A 아파트 재건축 조합 공사비 분쟁, △ 가상화폐 집단 사기 피해, △ 대형 건설 B사 부당 채권 분쟁 등이 있다. A 아파트 사건에 대해 조 본부장은 “공사비 분쟁에서 시공사는 ‘시간 끌기’를 통해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에 대륜은 ‘계약 검토→증빙 요청→협상 구조 분석→해지 대응’의 과정을 거쳐 조합원 부담을 최소화한다”고 전략을 설명했다.특수부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조 변호사는 ‘법률적 행동주의’를 꼽았다. 조 변호사는 “특수부의 목적은 단지 소송을 대리하는 것이 아닌 문제 발생 전 위험 구조를 진단하는 데에서 출발한다”면서, “피해 확산 최소화는 물론 궁극적으로 제도 개선안까지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중대형 사건의 경우 여러 사건이 병합되는 경우가 많아 각기 전문 지식을 갖춘 변호사가 동시에 투입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40년 가까이 법조계에서 경력을 쌓은 ‘법률 베테랑’들이 팀을 이끌기 때문에 명확한 전략과 방향성을 의뢰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법무법인 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40년 법률 베테랑이 중대형 사건 이끈다…대륜, 특별수행본부 출범 (바로가기) 한국경제 - 로펌 내 특수부 꾸린 대륜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5-08
회식 자리서 성추행 당한 뒤 해고당한 피해자…법원 “피고인, 반성 안 해” 징역 6개월 선고
회식 자리서 성추행 당한 뒤 해고당한 피해자…법원 “피고인, 반성 안 해” 징역 6개월 선고
강제로 껴안고 입 맞춰달라 발언…피해자 “반성 없는 피고인, 엄벌 처해달라”재판부 “피고인, 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 요구…진정으로 반성한다고 보기 어려워” 회식 자리에서 부하 직원을 추행한 상사가 실형을 선고받았다.대전지방법원은 지난 3월 27일 강제추행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 아울러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 명령도 내렸다.A씨는 지난해 회식자리에서 부하 직원 B씨를 강제로 껴안고 성추행한 혐의를 받았다.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를 추행했을 뿐만 아니라 성적 대상으로 여기며 다른 팀원에게 피해자에 대한 음담패설을 하기도 했다”며 “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을 요구하는 등 진정으로 반성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아울러 “피고인이 선고 바로 전날 기습 공탁을 했지만, 피해자가 수령을 거절하고 엄벌을 탄원하고 있는 점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B씨의 고소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정범 변호사는 “B씨는 용기를 가지고 사내 성추행 문제를 제기했으나 차별 등 불이익을 받았고, 끝내 부당해고까지 당하는 2차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김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A씨는 제대로 된 사과도 없이 ‘큰 일이 아닌데 피해자가 호들갑을 떨고 있다’고 말하는 등 반성 없는 태도를 보였다”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감안해 실형을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회식 자리서 성추행 당한 뒤 해고당한 피해자…법원 “피고인, 반성 안 해” 징역 6개월 선고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5-08
회식 자리서 성추행 당한 뒤 해고당한 피해자…법원 “피고인, 반성 안 해” 징역 6개월 선고
회식 자리서 성추행 당한 뒤 해고당한 피해자…법원 “피고인, 반성 안 해” 징역 6개월 선고
강제로 껴안고 입 맞춰달라 발언…피해자 “반성 없는 피고인, 엄벌 처해달라”재판부 “피고인, 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 요구…진정으로 반성한다고 보기 어려워” 회식 자리에서 부하 직원을 추행한 상사가 실형을 선고받았다.대전지방법원은 지난 3월 27일 강제추행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 아울러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 명령도 내렸다.A씨는 지난해 회식자리에서 부하 직원 B씨를 강제로 껴안고 성추행한 혐의를 받았다.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를 추행했을 뿐만 아니라 성적 대상으로 여기며 다른 팀원에게 피해자에 대한 음담패설을 하기도 했다”며 “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을 요구하는 등 진정으로 반성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아울러 “피고인이 선고 바로 전날 기습 공탁을 했지만, 피해자가 수령을 거절하고 엄벌을 탄원하고 있는 점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B씨의 고소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정범 변호사는 “B씨는 용기를 가지고 사내 성추행 문제를 제기했으나 차별 등 불이익을 받았고, 끝내 부당해고까지 당하는 2차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김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A씨는 제대로 된 사과도 없이 ‘큰 일이 아닌데 피해자가 호들갑을 떨고 있다’고 말하는 등 반성 없는 태도를 보였다”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감안해 실형을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회식 자리서 성추행 당한 뒤 해고당한 피해자…법원 “피고인, 반성 안 해” 징역 6개월 선고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07
"허위 영수증 발급했다"..보험사기 입건 의사 '무혐의'
"허위 영수증 발급했다"..보험사기 입건 의사 '무혐의'
환자들에게 허위 영수증을 발급하고 보험금을 가로챘다는 의혹을 받은 의사가 혐의를 벗게 됐습니다. 경기 화성 동탄경찰서는 지난 3월 보험사기방지특별법위반 혐의로 입건된 의사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부터 3년간 환자들에게 허위 진료비가 적힌 영수증을 발급하고 이를 토대로 실손 보험금 8억 원을 챙긴 혐의를 받습니다. 보험사 측은 A씨가 수술을 하지 않은 채 영수증을 발급하고 환자들로 하여금 보험금을 허위로 청구하게 만들었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수술비가 부담이 된 환자들이 일괄 납부를 어려워했고, 이에 일부 수술비만 선지급 받고 보험금을 수령한 후 나머지 금액을 납부할 수 있도록 영수증을 먼저 끊어줬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 관계자는 "피의자가 환자들이 수령한 보험금을 수술비로 납부받은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허위 영수증을 제외하고 수술 확인서 등 다른 서류들은 진실되게 작성됐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환자들에게 수술을 강요하거나 유도한 정황이 없고 범행을 공모한 사실도 확인되지 않는다"며 "보험사를 기망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A씨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윤소영 변호사는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의무는 손해가 발생한 시점에 성립한다"며 "수술비가 환자에게 채무로 확정됐다면, 수납을 완료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보험금 청구를 허위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허위 영수증 발급했다"..보험사기 입건 의사 '무혐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5-07
"허위 영수증 발급했다"..보험사기 입건 의사 '무혐의'
"허위 영수증 발급했다"..보험사기 입건 의사 '무혐의'
환자들에게 허위 영수증을 발급하고 보험금을 가로챘다는 의혹을 받은 의사가 혐의를 벗게 됐습니다. 경기 화성 동탄경찰서는 지난 3월 보험사기방지특별법위반 혐의로 입건된 의사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부터 3년간 환자들에게 허위 진료비가 적힌 영수증을 발급하고 이를 토대로 실손 보험금 8억 원을 챙긴 혐의를 받습니다. 보험사 측은 A씨가 수술을 하지 않은 채 영수증을 발급하고 환자들로 하여금 보험금을 허위로 청구하게 만들었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수술비가 부담이 된 환자들이 일괄 납부를 어려워했고, 이에 일부 수술비만 선지급 받고 보험금을 수령한 후 나머지 금액을 납부할 수 있도록 영수증을 먼저 끊어줬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경찰 관계자는 "피의자가 환자들이 수령한 보험금을 수술비로 납부받은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허위 영수증을 제외하고 수술 확인서 등 다른 서류들은 진실되게 작성됐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환자들에게 수술을 강요하거나 유도한 정황이 없고 범행을 공모한 사실도 확인되지 않는다"며 "보험사를 기망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A씨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윤소영 변호사는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의무는 손해가 발생한 시점에 성립한다"며 "수술비가 환자에게 채무로 확정됐다면, 수납을 완료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보험금 청구를 허위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허위 영수증 발급했다"..보험사기 입건 의사 '무혐의'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6곳
2025-05-07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서울중앙지법-수원지법 안산지원 부장판사 등 역임…21년 법관 경력200억원 민사소송 승소, 고위공직자 형사사건 무죄 등 우수 실적 보유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대표)이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등을 지낸 신일수(사법연수원 19기) 변호사를 영입해 송무 역량을 강화했다. 신 변호사는 1987년 제29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90년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로 임관하며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서울지법·서울고법 판사 등을 거쳐 서울중앙지법·수원지법·제주지법에서 부장판사를 역임했다. 그는 21년간 법관으로 근무하며 민·형사, 가사 분야의 다양한 사건에서 활약했으며,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서울고법, 서울중앙지법 상임조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상임조정위원 제도는 재판 절차를 거치지 않고 민사 분쟁을 조정하고 처리하는 제도로, 10년 이상의 법조 경력 혹은 민사·가사 조정위원으로 3년 이상 활동한 경력자 중에서 선발한다. 특히 신 변호사는 수원 A협동조합을 변호해 200억 원대 규모의 민사소송을 승소로 이끌고,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당시 민주통합당 원내대표) 고위공직자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알선수재 등) 사건에서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아내는 등 뛰어난 성과를 내왔다. 이러한 민·형사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다수의 방송·신문사 법률 인터뷰에서도 활약했다. 신 변호사는 서울용산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에서 수임되는 민사, 형사 사건을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신 변호사는 “‘인생에 있어 성실함이 최고의 덕목이다. 꾸준히 가는 자가 빨리 가는 자를 결국에는 앞지른다’라는 모토로 오랜 시간 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담당했다”며 “변호사가 된 이후에도 마찬가지다. 법관 시절 경험이 송무 업무 수행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대륜에서도 ‘꾸준한 성실함’이라는 무기를 통해 의뢰인들의 사건을 세심하게 다뤄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김국일 대표는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들도 사건을 직접 수행하고 있어 신 변호사의 오랜 경험이 대륜의 송무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하는 등 내부 시스템 개선을 하고 있는데 신 변호사의 역할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영철 기자(jyc6131@sejungilbo.com)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세계일보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부문 강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신일수 전 부장판사, 대륜 합류…200억 민사 승소 등 풍부한 실전 경험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6곳
2025-05-07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서울중앙지법-수원지법 안산지원 부장판사 등 역임…21년 법관 경력200억원 민사소송 승소, 고위공직자 형사사건 무죄 등 우수 실적 보유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대표)이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등을 지낸 신일수(사법연수원 19기) 변호사를 영입해 송무 역량을 강화했다. 신 변호사는 1987년 제29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90년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로 임관하며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서울지법·서울고법 판사 등을 거쳐 서울중앙지법·수원지법·제주지법에서 부장판사를 역임했다. 그는 21년간 법관으로 근무하며 민·형사, 가사 분야의 다양한 사건에서 활약했으며,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서울고법, 서울중앙지법 상임조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상임조정위원 제도는 재판 절차를 거치지 않고 민사 분쟁을 조정하고 처리하는 제도로, 10년 이상의 법조 경력 혹은 민사·가사 조정위원으로 3년 이상 활동한 경력자 중에서 선발한다. 특히 신 변호사는 수원 A협동조합을 변호해 200억 원대 규모의 민사소송을 승소로 이끌고,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당시 민주통합당 원내대표) 고위공직자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알선수재 등) 사건에서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아내는 등 뛰어난 성과를 내왔다. 이러한 민·형사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다수의 방송·신문사 법률 인터뷰에서도 활약했다. 신 변호사는 서울용산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에서 수임되는 민사, 형사 사건을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신 변호사는 “‘인생에 있어 성실함이 최고의 덕목이다. 꾸준히 가는 자가 빨리 가는 자를 결국에는 앞지른다’라는 모토로 오랜 시간 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담당했다”며 “변호사가 된 이후에도 마찬가지다. 법관 시절 경험이 송무 업무 수행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대륜에서도 ‘꾸준한 성실함’이라는 무기를 통해 의뢰인들의 사건을 세심하게 다뤄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김국일 대표는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들도 사건을 직접 수행하고 있어 신 변호사의 오랜 경험이 대륜의 송무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하는 등 내부 시스템 개선을 하고 있는데 신 변호사의 역할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영철 기자(jyc6131@sejungilbo.com)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세계일보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부장판사 출신 신일수 변호사 영입…송무부문 강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신일수 전 부장판사, 대륜 합류…200억 민사 승소 등 풍부한 실전 경험 (바로가기)
약사공론
2025-05-07
"의료정보, 이제 환자가 옮긴다"…전송요구권 본격 시행
"의료정보, 이제 환자가 옮긴다"…전송요구권 본격 시행
법무법인 대륜 "보안성·신뢰성 확보 철저해야" 환자가 자신의 진료기록과 건강정보를 직접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지난 3월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에 따라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부터다.법률 전문가들은 의료기관과 환자 간의 데이터 흐름에 큰 변화가 시작된 만큼 기술적 관리적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7일 법무법인 '대륜'은 개인정보 처리방침 작성지침 개정안에 대한 기업·시사점 리포트를 통해 기업과 기관이 갖춰야 할 시스템 등을 소개했다.'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은 정보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로, 유럽연합(EU)의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에서 규정한 '데이터 이동권(Right to Data Portability)'을 국내 실정에 맞게 도입한 제도다.이 제도는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주체적으로 통합·활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마이데이터' 정책의 핵심 축으로, 의료, 통신, 금융 등 민감한 정보 분야에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그중 특히 의료 분야는 이번 제도의 핵심 적용 영역 중 하나로, 향후 진료·건강관리 체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다.이번 제도 시행으로 환자는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급종합병원 등 공공·민간기관에 분산돼 있던 예방접종 기록, 건강검진 결과, 진료내용, 투약이력, 진단정보 등을 본인이 직접 수령하거나 원하는 기관 또는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병원 간 진료기록 이관은 물론, 개인건강기록(PHR) 플랫폼을 통한 통합 건강관리가 가능해진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의료 분야를 포함해 통신·에너지 등으로 마이데이터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오는 2026년까지 의료정보 전송의 제도적 기반을 보다 견고히 구축할 방침이다. 개인정보 전송은 반드시 중계 전문기관을 통해 이뤄지며, 암호화 및 API 방식으로만 허용된다. 스크래핑 방식은 금지되며, 의료데이터의 경우 특화된 '특수 전문기관'을 통해 보관 및 활용이 이뤄진다.다만, 전송 가능한 정보는 정보주체가 제공했거나 활동을 통해 생성된 정보로 한정되며, 병원이 자체 분석·가공한 데이터(위험도 예측, 프로파일링 결과 등)는 원칙적으로 전송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의료법상 진단정보는 전송이 가능하다.관계자들은 의료 현장에서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화는 환자 중심의 건강정보 주권 확립은 물론, 향후 정밀의료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기반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법무법인 대륜은 "환자가 중심이 되는 의료 데이터 활용 체계가 시작됐다"며 "상급종합병원 등 의료기관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다루는 특성을 고려해 데이터 전송 과정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철저히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PHR 플랫폼,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등도 전송 데이터 수신자로서 마이데이터 등록 요건을 충족하고, 정보주체의 권리를 보장하는 기술적·관리적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한편 최근 마이데이터 사업이 궤도에 오르면서 정부 역시 마이데이터 개인정보 전송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6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3월 초안을 공개하고 의견수렴을 거친 '전 분야 마이데이터 개인정보 전송 요구권 제도 안내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의료정보, 이제 환자가 옮긴다"…전송요구권 본격 시행 (바로가기)
약사공론
2025-05-07
"의료정보, 이제 환자가 옮긴다"…전송요구권 본격 시행
"의료정보, 이제 환자가 옮긴다"…전송요구권 본격 시행
법무법인 대륜 "보안성·신뢰성 확보 철저해야" 환자가 자신의 진료기록과 건강정보를 직접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지난 3월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에 따라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부터다.법률 전문가들은 의료기관과 환자 간의 데이터 흐름에 큰 변화가 시작된 만큼 기술적 관리적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7일 법무법인 '대륜'은 개인정보 처리방침 작성지침 개정안에 대한 기업·시사점 리포트를 통해 기업과 기관이 갖춰야 할 시스템 등을 소개했다.'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은 정보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로, 유럽연합(EU)의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에서 규정한 '데이터 이동권(Right to Data Portability)'을 국내 실정에 맞게 도입한 제도다.이 제도는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주체적으로 통합·활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마이데이터' 정책의 핵심 축으로, 의료, 통신, 금융 등 민감한 정보 분야에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그중 특히 의료 분야는 이번 제도의 핵심 적용 영역 중 하나로, 향후 진료·건강관리 체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다.이번 제도 시행으로 환자는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급종합병원 등 공공·민간기관에 분산돼 있던 예방접종 기록, 건강검진 결과, 진료내용, 투약이력, 진단정보 등을 본인이 직접 수령하거나 원하는 기관 또는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병원 간 진료기록 이관은 물론, 개인건강기록(PHR) 플랫폼을 통한 통합 건강관리가 가능해진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의료 분야를 포함해 통신·에너지 등으로 마이데이터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오는 2026년까지 의료정보 전송의 제도적 기반을 보다 견고히 구축할 방침이다. 개인정보 전송은 반드시 중계 전문기관을 통해 이뤄지며, 암호화 및 API 방식으로만 허용된다. 스크래핑 방식은 금지되며, 의료데이터의 경우 특화된 '특수 전문기관'을 통해 보관 및 활용이 이뤄진다.다만, 전송 가능한 정보는 정보주체가 제공했거나 활동을 통해 생성된 정보로 한정되며, 병원이 자체 분석·가공한 데이터(위험도 예측, 프로파일링 결과 등)는 원칙적으로 전송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의료법상 진단정보는 전송이 가능하다.관계자들은 의료 현장에서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화는 환자 중심의 건강정보 주권 확립은 물론, 향후 정밀의료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기반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법무법인 대륜은 "환자가 중심이 되는 의료 데이터 활용 체계가 시작됐다"며 "상급종합병원 등 의료기관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다루는 특성을 고려해 데이터 전송 과정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철저히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PHR 플랫폼,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등도 전송 데이터 수신자로서 마이데이터 등록 요건을 충족하고, 정보주체의 권리를 보장하는 기술적·관리적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한편 최근 마이데이터 사업이 궤도에 오르면서 정부 역시 마이데이터 개인정보 전송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6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3월 초안을 공개하고 의견수렴을 거친 '전 분야 마이데이터 개인정보 전송 요구권 제도 안내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의료정보, 이제 환자가 옮긴다"…전송요구권 본격 시행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07
‘前회사 고객정보 빼돌려 영업 혐의’ 헤어숍 디지이너…검찰 “불기소”
‘前회사 고객정보 빼돌려 영업 혐의’ 헤어숍 디자이너…검찰 “불기소”
고객 자의로 피의자 업장 찾아檢 “환불 회유·지시한 사실 없어” 경쟁사로 이직한 뒤 고객 정보를 이용해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헤어숍 직원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은 지난 3월 18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부정경쟁방지법) 위반 혐의를 받는 직원 A 씨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했다.A 씨는 지난해 7월 한 프랜차이즈 미용실 디자이너로 근무하다가 경쟁사로 옮기면서 고객 리스트 등 영업 비밀을 빼돌리고, 이를 영업 활동에 사용한 혐의를 받는다.회사 측은 A 씨로 인해 영업에 막대한 손해를 입었다며 고소장을 제출했다. A 씨가 고객들과 접촉해 회원권 환불을 유도했다는 취지다.부정경쟁방지법 제18조 제2항에 따르면, 회사 영업 비밀을 외부로 반출할 시 10년 이하 징역 또는 5억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A 씨 측은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고객들이 자의적으로 A 씨에게 연락한 것이고, 이 과정에서 미용실을 옮기도록 유도한 적이 없다는 주장이다.검찰은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A 씨가 퇴사 후 업무상 알게 된 정보를 이용한 점은 인정되나, 기존에 연락하던 고객이 먼저 A 씨에게 연락한 점 등으로 미뤄 회사에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영업 비밀을 사용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A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현수 변호사는 “영업비밀침해는 영업 비밀을 통해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영업 비밀 보유자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그 영업 비밀을 취득·사용한 경우 적용된다”며 “A 씨가 고객들에게 환불을 회유하거나 지시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 점을 밝힌 덕분에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前회사 고객정보 빼돌려 영업 혐의’ 헤어숍 디지이너…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5-07
‘前회사 고객정보 빼돌려 영업 혐의’ 헤어숍 디지이너…검찰 “불기소”
‘前회사 고객정보 빼돌려 영업 혐의’ 헤어숍 디자이너…검찰 “불기소”
고객 자의로 피의자 업장 찾아檢 “환불 회유·지시한 사실 없어” 경쟁사로 이직한 뒤 고객 정보를 이용해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헤어숍 직원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은 지난 3월 18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부정경쟁방지법) 위반 혐의를 받는 직원 A 씨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했다.A 씨는 지난해 7월 한 프랜차이즈 미용실 디자이너로 근무하다가 경쟁사로 옮기면서 고객 리스트 등 영업 비밀을 빼돌리고, 이를 영업 활동에 사용한 혐의를 받는다.회사 측은 A 씨로 인해 영업에 막대한 손해를 입었다며 고소장을 제출했다. A 씨가 고객들과 접촉해 회원권 환불을 유도했다는 취지다.부정경쟁방지법 제18조 제2항에 따르면, 회사 영업 비밀을 외부로 반출할 시 10년 이하 징역 또는 5억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A 씨 측은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고객들이 자의적으로 A 씨에게 연락한 것이고, 이 과정에서 미용실을 옮기도록 유도한 적이 없다는 주장이다.검찰은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A 씨가 퇴사 후 업무상 알게 된 정보를 이용한 점은 인정되나, 기존에 연락하던 고객이 먼저 A 씨에게 연락한 점 등으로 미뤄 회사에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영업 비밀을 사용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A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김현수 변호사는 “영업비밀침해는 영업 비밀을 통해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영업 비밀 보유자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그 영업 비밀을 취득·사용한 경우 적용된다”며 “A 씨가 고객들에게 환불을 회유하거나 지시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 점을 밝힌 덕분에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前회사 고객정보 빼돌려 영업 혐의’ 헤어숍 디지이너…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머니S
2025-05-06
"너도나도 지브리 프로필, 원본 유출 괜찮을까"… 챗GPT와 개인정보 침해
"너도나도 지브리 프로필, 원본 유출 괜찮을까"… 챗GPT와 개인정보 침해
김태환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전문 변호사 일문일답 요즘 챗GPT로 지브리풍 프로필을 만드는 게 유행이다. 귀엽고 따뜻한 그림체가 보는 순간 절로 미소를 짓게 하지만 원본 사진을 인공지능(AI)이 학습하고, 다른 데 쓸 수 있다고 생각하면 섬뜩해지기도 한다. 생성형 AI 챗GPT는 2022년 11월 출시 이후 개인정보 관리와 관련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를 AI가 학습하고 저장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침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개인정보 보호에 있어 문제되는 부분은 AI 학습 과정에서 발생한다. AI는 텍스트, 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패턴, 구조, 배열 등을 학습한다. 이때 AI는 주민등록번호, 주소, 건강 정보 등이 민감한 개인 정보라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할 수 있다. 때문에 학습된 정보를 암기하고 다시 출력하는 과정에서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이같은 요소들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또는 정보주체의 권리 침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다.이와 관련한 법적 쟁점과 대응 방안에 대해 지식재산권 전문변호사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김태환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전문 변호사와 주고받은 일문일답이다.▶ AI 모델이 개개인의 정보를 학습하고 활용했다면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을까?AI 모델이 개개인의 개인정보를 학습하고 활용한 경우, 이는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하는 데 있어 정당한 법적 근거가 반드시 필요하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는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할 때 정보주체의 동의나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15조와 제17조는 개인정보를 목적 외로 이용하거나 제공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이번 사안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정보 주체의 동의'라고 볼 수 있다. 개인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보 주체의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 다만, AI 모델이 학습하는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가 이미 공개된 정보라면 동의 없이도 처리 가능한 사례가 존재할 수 있어 검토가 필요하다.또 다른 쟁점은 개인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을 어떻게 인정하는지에 달렸다. 개인정보를 처리하려는 목적이 합리적이고 정당한 사업상 필요에 기반해야 하며, 그 목적이 정보주체의 권리나 이익보다 우선한다고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다시 말해 개인정보처리자의 이익이 아무리 크다 하더라도 정보주체에게 과도한 침해를 초래하거나, 정보주체가 예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개인정보가 사용될 경우 '정당한 이익'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정보를 AI 학습시키거나 2차적으로 활용할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개인정보 제공 고지 글씨, 지나치게 작아도 위법 ▶ 과학기술의 발달로 갈수록 개인정보 처리의 문제가 늘고 있다. 만약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입었다면 대응 방안은?개인정보 유출 피해로 대응할 수 있는 법적 조치는 크게 행정기관으로부터의 벌금 또는 과징금, 민사손해배상청구, 형사고소와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사실 AI와 관련한 대표적인 소송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진행되지 않아 까다로운 사안이다. 개인정보와 관련한 사안으로는 대표적인 형사 사례인 홈플러스 사건(대법원 2017. 4. 7. 선고 2016도13263 판결)을 예시로 들 수 있겠다. 경품행사를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에 따른 고지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관한 규정도 제대로 준수하지 않았던 사건이다.특히 개인정보의 제공에 대한 고지가 작은 글씨로 기재돼, 소비자들이 충분히 읽고 동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이는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명확한 고지와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법적 요구를 위반한 것이다. 결국 개인정보 보호법 제72조 제2호와 제59조 제1호에 의거, 홈플러스와 담당자는 형사책임을 지게 됐다. 해당 사건은 '동의의 불충족'과 '불명확한 고지'로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한 사례로 향후 유사한 사건들에 대해 법적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판례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정보처리자인 AI 서비스 사업자의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을 준수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AI 모델이 개인정보를 학습하고 활용하는 과정은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AI 개발자와 서비스 제공자는 정당한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고, 안전성 확보 및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을 철저히 해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공개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그 법적 근거와 안전성 확보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정보주체의 동의를 명확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구체적으로 동의 절차를 마련하고 개인정보를 처리 목적 외로 사용하거나 제공하는 일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성 확보 조치도 강화해야 한다. 안전성 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에 명시된 대로 내부 관리 계획 수립, 접속기록 보관 등과 관련된 기술적·관리적·물리적 조치를 포함해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너도나도 지브리 프로필, 원본 유출 괜찮을까"… 챗GPT와 개인정보 침해 (바로가기)
머니S
2025-05-06
"너도나도 지브리 프로필, 원본 유출 괜찮을까"… 챗GPT와 개인정보 침해
"너도나도 지브리 프로필, 원본 유출 괜찮을까"… 챗GPT와 개인정보 침해
김태환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전문 변호사 일문일답 요즘 챗GPT로 지브리풍 프로필을 만드는 게 유행이다. 귀엽고 따뜻한 그림체가 보는 순간 절로 미소를 짓게 하지만 원본 사진을 인공지능(AI)이 학습하고, 다른 데 쓸 수 있다고 생각하면 섬뜩해지기도 한다. 생성형 AI 챗GPT는 2022년 11월 출시 이후 개인정보 관리와 관련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를 AI가 학습하고 저장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침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개인정보 보호에 있어 문제되는 부분은 AI 학습 과정에서 발생한다. AI는 텍스트, 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패턴, 구조, 배열 등을 학습한다. 이때 AI는 주민등록번호, 주소, 건강 정보 등이 민감한 개인 정보라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할 수 있다. 때문에 학습된 정보를 암기하고 다시 출력하는 과정에서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이같은 요소들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또는 정보주체의 권리 침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다.이와 관련한 법적 쟁점과 대응 방안에 대해 지식재산권 전문변호사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김태환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전문 변호사와 주고받은 일문일답이다.▶ AI 모델이 개개인의 정보를 학습하고 활용했다면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을까?AI 모델이 개개인의 개인정보를 학습하고 활용한 경우, 이는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하는 데 있어 정당한 법적 근거가 반드시 필요하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는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할 때 정보주체의 동의나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15조와 제17조는 개인정보를 목적 외로 이용하거나 제공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이번 사안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정보 주체의 동의'라고 볼 수 있다. 개인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보 주체의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 다만, AI 모델이 학습하는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가 이미 공개된 정보라면 동의 없이도 처리 가능한 사례가 존재할 수 있어 검토가 필요하다.또 다른 쟁점은 개인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을 어떻게 인정하는지에 달렸다. 개인정보를 처리하려는 목적이 합리적이고 정당한 사업상 필요에 기반해야 하며, 그 목적이 정보주체의 권리나 이익보다 우선한다고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다시 말해 개인정보처리자의 이익이 아무리 크다 하더라도 정보주체에게 과도한 침해를 초래하거나, 정보주체가 예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개인정보가 사용될 경우 '정당한 이익'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정보를 AI 학습시키거나 2차적으로 활용할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개인정보 제공 고지 글씨, 지나치게 작아도 위법 ▶ 과학기술의 발달로 갈수록 개인정보 처리의 문제가 늘고 있다. 만약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입었다면 대응 방안은?개인정보 유출 피해로 대응할 수 있는 법적 조치는 크게 행정기관으로부터의 벌금 또는 과징금, 민사손해배상청구, 형사고소와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사실 AI와 관련한 대표적인 소송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진행되지 않아 까다로운 사안이다. 개인정보와 관련한 사안으로는 대표적인 형사 사례인 홈플러스 사건(대법원 2017. 4. 7. 선고 2016도13263 판결)을 예시로 들 수 있겠다. 경품행사를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에 따른 고지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관한 규정도 제대로 준수하지 않았던 사건이다.특히 개인정보의 제공에 대한 고지가 작은 글씨로 기재돼, 소비자들이 충분히 읽고 동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이는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명확한 고지와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법적 요구를 위반한 것이다. 결국 개인정보 보호법 제72조 제2호와 제59조 제1호에 의거, 홈플러스와 담당자는 형사책임을 지게 됐다. 해당 사건은 '동의의 불충족'과 '불명확한 고지'로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한 사례로 향후 유사한 사건들에 대해 법적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판례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정보처리자인 AI 서비스 사업자의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을 준수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AI 모델이 개인정보를 학습하고 활용하는 과정은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AI 개발자와 서비스 제공자는 정당한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고, 안전성 확보 및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을 철저히 해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공개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그 법적 근거와 안전성 확보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정보주체의 동의를 명확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구체적으로 동의 절차를 마련하고 개인정보를 처리 목적 외로 사용하거나 제공하는 일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성 확보 조치도 강화해야 한다. 안전성 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에 명시된 대로 내부 관리 계획 수립, 접속기록 보관 등과 관련된 기술적·관리적·물리적 조치를 포함해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너도나도 지브리 프로필, 원본 유출 괜찮을까"… 챗GPT와 개인정보 침해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02
식당 양도해놓고 근처에 재개업한 업주…법원 ‘폐점·손해배상’ 명령
식당 넘기고 근처에 비슷한 음식점 개업....1심 법원, ‘폐점·손해배상’ 판결
남양주지원 "계약 후 가게 재산 이전, 영업 허가…상법상 영업 양도 해당" 상가를 넘겨받을 때 양도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어도 이전과 똑같은 영업을 계속했다면 상법상 영업 양도로 볼 수 있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020년 평소 알고 지내던 B씨 부부로부터 음식점을 인수 받았다. 당시 이들은 A씨에게 에어컨, 냉장고, 남은 식자재 및 주류 등을 모두 넘겨주는 대가로 5천500만 원을 받았다.그러나 2년 뒤 B씨 부부가 A씨 식당 인근에 같은 업종의 음식점을 개업하면서 A씨와 B씨는 갈등을 빚기 시작했고 결국 A씨는 이들 부부가 양도 당시 체결했던 경업금지약정을 지키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했다.이에 대해 B씨 부부는 시설의 대가로 권리금 계약을 체결했기 떄문에 '상법상 영업 양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경업금지약정을 지키지 않았다는 A씨의 주장에 대해서도 "체결한 바 없다"고 반박했다.사건을 심리한 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지원 제1민사부는 지난 3월28일 식당 업주 A씨와 B씨 부부간의 영업행위금지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피고 측에는 폐점 명령과 함께 양도 후 10년간 인근 지역에서의 영업 금지 및 손해배상금 500만원 지급을 명령했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계약 과정에서 원고와 피고 사이에 경업금지에 대한 협의가 없었기에 경업금지약정이 체결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피고들은 계약 후 원고에 가게 재산을 이전하고 영업 활동을 계속하게 한 사실이 인정되는데, 이는 상법상 영업 양도에 해당한다"며 A씨의 손을 들어줬다.또 재판부는 "피고들이 2년 후 가게 문을 연 것은 상법 제41조 제1항이 정한 경업금지의무를 위반한 행위에 해당한다"며 "피고들은 원고 식당 인근에서 동종 영업행위를 하지 않을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와 관련,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정윤채 변호사는 "B씨 부부는 가게를 넘기는 과정에서 '더 이상 가게를 하지 않겠다'고 했고, A씨에게 구체적인 고객 명단까지 보여주며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업장이라고 강조했다"며 "경업금지의무 위반으로 지속적인 손해가 발생, 정신적 손해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인턴기자(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식당 양도해놓고 근처에 재개업한 업주…법원 ‘폐점·손해배상’ 명령 (바로가기)
경기일보
2025-05-02
식당 양도해놓고 근처에 재개업한 업주…법원 ‘폐점·손해배상’ 명령
식당 넘기고 근처에 비슷한 음식점 개업....1심 법원, ‘폐점·손해배상’ 판결
남양주지원 "계약 후 가게 재산 이전, 영업 허가…상법상 영업 양도 해당" 상가를 넘겨받을 때 양도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어도 이전과 똑같은 영업을 계속했다면 상법상 영업 양도로 볼 수 있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020년 평소 알고 지내던 B씨 부부로부터 음식점을 인수 받았다. 당시 이들은 A씨에게 에어컨, 냉장고, 남은 식자재 및 주류 등을 모두 넘겨주는 대가로 5천500만 원을 받았다.그러나 2년 뒤 B씨 부부가 A씨 식당 인근에 같은 업종의 음식점을 개업하면서 A씨와 B씨는 갈등을 빚기 시작했고 결국 A씨는 이들 부부가 양도 당시 체결했던 경업금지약정을 지키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했다.이에 대해 B씨 부부는 시설의 대가로 권리금 계약을 체결했기 떄문에 '상법상 영업 양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경업금지약정을 지키지 않았다는 A씨의 주장에 대해서도 "체결한 바 없다"고 반박했다.사건을 심리한 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지원 제1민사부는 지난 3월28일 식당 업주 A씨와 B씨 부부간의 영업행위금지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피고 측에는 폐점 명령과 함께 양도 후 10년간 인근 지역에서의 영업 금지 및 손해배상금 500만원 지급을 명령했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계약 과정에서 원고와 피고 사이에 경업금지에 대한 협의가 없었기에 경업금지약정이 체결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피고들은 계약 후 원고에 가게 재산을 이전하고 영업 활동을 계속하게 한 사실이 인정되는데, 이는 상법상 영업 양도에 해당한다"며 A씨의 손을 들어줬다.또 재판부는 "피고들이 2년 후 가게 문을 연 것은 상법 제41조 제1항이 정한 경업금지의무를 위반한 행위에 해당한다"며 "피고들은 원고 식당 인근에서 동종 영업행위를 하지 않을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와 관련,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정윤채 변호사는 "B씨 부부는 가게를 넘기는 과정에서 '더 이상 가게를 하지 않겠다'고 했고, A씨에게 구체적인 고객 명단까지 보여주며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업장이라고 강조했다"며 "경업금지의무 위반으로 지속적인 손해가 발생, 정신적 손해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미지 인턴기자(unknown@kyeonggi.com) [기사전문보기] 식당 양도해놓고 근처에 재개업한 업주…법원 ‘폐점·손해배상’ 명령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8곳
2025-05-02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집단소송 900여명 참여 신청“끝까지 법적 책임 물어 정의로운 해결 이끌 것” SK텔레콤의 대규모 유심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국내 대형로펌인 법무법인 대륜이 SK텔레콤을 상대로 고소·고발장을 제출했다. 앞서 대륜은 30일 입장문을 통해 이번 사건은 단순한 정보유출을 넘어 국민의 정보 보호 신뢰를 무너뜨린 중대한 사안이라며 공식 대응 방침을 밝힌 바 있다.1일 오후 2시께 대륜 기업법무그룹 소속 손계준, 신종수, 지민희 변호사는 서울 남대문경찰서에서 형법 제356조(업무상 배임)과 제137조(위계공무집행방해) 혐의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책임자 등을 고소·고발했다.손계준 변호사는 “당 법인 구성원들 또한 동일한 상황을 겪은 피해자”라며 “피해자들의 혼란과 분노에 깊이 공감하고 있으며, 책임있는 대응이 필요한 순간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배임 혐의에 대해서는 “피고소인(SK텔레콤) 등은 이동통신업계 전문가로서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의 보관·활용 등에 사무 처리 필요성을 인지했음에도 관리를 등한시했다”며 “이동통신 3사 중 지난해 유일하게 영업이익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 투자비를 감액하는 등 법인의 이익을 최대로 추구했다”고 말했다.특히 문제 삼는 것은 신고 시점의 조작 정황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4월 18일 오후 6시경 사내 시스템에서 이상징후를 최초 인지하고, 같은 날 오후 11시경 악성코드를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해킹 인지 시점을 4월 20일 오후 3시 30분으로 늦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이에 대해 “SK텔레콤이 허위 인지 시점을 신고한 것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하며, 정부 기관의 적절한 초기 대응을 방해한 중대한 위법”이라며 “KISA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해킹 사고 시 즉시 필요한 조치를 할 공적 의무가 있으며, SK텔레콤의 위계적 허위 신고는 이에 대한 명백한 방해행위”라고 지적했다.한편 SK텔레콤은 유출 피해 규모나 후속 대응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대륜은 “정보의 비대칭성이 피해를 더욱 키우고 있다”며 “수사기관의 철저한 수사와 책임 규명을 촉구하고, 실체적 진실이 투명하게 공개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끝으로 대륜은 “고소·고발인들은 업무상 배임 등으로 인해 유심 정보가 유출돼 큰 피해를 겪고 있는 반면 피고소·고발인들은 유출 피해자 규모 및 후속 절차 대응에 분명히 밝히지 않고 있다”며 “이번 민·형사 대응이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구제가 되기를 바라며, 끝까지 법적 책임을 묻고 정의로운 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현재 대륜 홈페이지를 통한 집단소송 참여 신청자는 5월 1일 오후 2시 기준으로 900명을 웃돌고 있으며, 집단 손해배상청구에도 나설 계획이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바로가기) 연합뉴스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연합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해킹 사태 관련 고발장 제출 (바로가기) 뉴시스 - SK텔레콤 가입자 유심해킹사건 고발장 제출하는 법무법인 대륜 (바로가기) 뉴시스 - '유심 유출' SKT 고소·고발 당해…"정보 관리에 소홀"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KBS - ‘SKT 해킹 사태’ 배임·공무집행방해 추가 고발…집단소송도 (바로가기) KBS - SKT 고발 잇따라…가입자 신규모집 중단 조치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형사 고발당한 SKT…집단 민사소송도 예고 (바로가기) 동아일보 - SK텔레콤 사흘새 10만명 이탈…과기부, 통신3사 네카오 등 네트워크 긴급점검 (바로가기) 국민일보 - ‘유심사태’ SKT 형사 고발 당해…“철저수사 책임 규명 촉구”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 ‘유심 유출’ SKT 대표 형사고발돼…“중대한 위법” (바로가기) 국제신문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부산일보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공감신문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로 형사 고발…집단 소송 참여자 900명 돌파 (바로가기) 문화일보 - ‘유심 유출’ SKT에 줄잇는 고소·고발…“정보 관리 소홀” (바로가기) IT조선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 [SKT 유심 해킹]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유심 유출’ SKT 배임·공무집행 방해 형사고발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바로가기) 쿠키뉴스 - ‘유심 사태’ SKT, 형사 고발 당해…집단 손배 준비 잇따라 (바로가기) 시사저널 - '유심 정보 해킹' SKT, 경찰 수사받나…고발장 제출 (바로가기) 세계일보 - 정부 “SKT, 유심 부족 해소 시까지 신규가입 받지 말라”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 피해 구제 최선”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유심 사태 일파만파…SKT 경영진 경찰 고발당했다 [세상&]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 되도록 최선” (바로가기) 아이뉴스24 - 법무법인 대륜, '유심 유출' SKT 상대 고소·고발 (바로가기) SBS Biz - [산업 막전막후] SKT '유심 해킹' 일파만파…창사 이래 최대 위기 (바로가기) 부산일보 - 미국 사례에 비춰 SKT 배상·과징금 얼마나? (바로가기) 뉴스1- '유심 해킹 사고' SK텔레콤, 배임 혐의 형사고발 당해 (바로가기) YTN - '유심 해킹' SKT 고발..."이용자 정보 보호 소홀" (바로가기) YTN - '유심 해킹' SKT 고발..."이용자 정보 보호 소홀" (바로가기) 매일경제 - SKT, 유심 부족에도 모객 집중…정부 초강수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세계일보 - 정부 “신규 가입 받지 말라”… SKT에 칼 뽑았다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해킹 피해에 한명당 3200만원"…미국에선 수천억 배상에 과징금까지 (바로가기) 주간동아 - ‘유심 해킹’ 사태에 전 국민 줄 세운 SKT (바로가기) OBC - SKT 형사 고발당해…'유심 유출'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아시아타임즈 - [특징주] SK텔레콤, 하락...KT-LG유플러스 등 강세 (바로가기) YTN사이언스 - '유심 해킹' SKT 고발..."이용자 정보 보호 소홀"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정보 보관 등한시, 수사 촉구" (바로가기) 전파신문 - SKT '유심 유출' 형사 고발당해 (바로가기) 내일신문 - 시민단체·법조계, SKT에 집단소송 (바로가기) 국제뉴스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유심 정보 유출, 끝까지 책임 묻겠다" (바로가기) 시사저널e - 법조계가 말하는 ‘SKT유심 해킹’ 피해 집단소송 쟁점은 (바로가기) 뉴스웍스 - [SKT 해킹 ②] 늑장 대응·소통 부족에 민심 '부글부글' (바로가기) 노컷뉴스 - SKT 유심 유출 관련 법적대응 이어져…손해배상 소송·고소고발 (바로가기) IT조선 - 불안한 2300만명 집단소송·형사고발 확산… 배상 가능성은 [SKT 유심 해킹] (바로가기) 이데일리 - ‘SKT 유심 해킹 사태’ 계속되는 혼란…경찰, 수사 본격화[사사건건] (바로가기) 한국경제 - 최태원 사과에도 멈추지 않았다…'SKT 유심 해킹' 집단소송 폭증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8곳
2025-05-02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집단소송 900여명 참여 신청“끝까지 법적 책임 물어 정의로운 해결 이끌 것” SK텔레콤의 대규모 유심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국내 대형로펌인 법무법인 대륜이 SK텔레콤을 상대로 고소·고발장을 제출했다. 앞서 대륜은 30일 입장문을 통해 이번 사건은 단순한 정보유출을 넘어 국민의 정보 보호 신뢰를 무너뜨린 중대한 사안이라며 공식 대응 방침을 밝힌 바 있다.1일 오후 2시께 대륜 기업법무그룹 소속 손계준, 신종수, 지민희 변호사는 서울 남대문경찰서에서 형법 제356조(업무상 배임)과 제137조(위계공무집행방해) 혐의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이사와 보안책임자 등을 고소·고발했다.손계준 변호사는 “당 법인 구성원들 또한 동일한 상황을 겪은 피해자”라며 “피해자들의 혼란과 분노에 깊이 공감하고 있으며, 책임있는 대응이 필요한 순간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배임 혐의에 대해서는 “피고소인(SK텔레콤) 등은 이동통신업계 전문가로서 이용자들의 유심 관련 정보의 보관·활용 등에 사무 처리 필요성을 인지했음에도 관리를 등한시했다”며 “이동통신 3사 중 지난해 유일하게 영업이익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 투자비를 감액하는 등 법인의 이익을 최대로 추구했다”고 말했다.특히 문제 삼는 것은 신고 시점의 조작 정황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4월 18일 오후 6시경 사내 시스템에서 이상징후를 최초 인지하고, 같은 날 오후 11시경 악성코드를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해킹 인지 시점을 4월 20일 오후 3시 30분으로 늦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이에 대해 “SK텔레콤이 허위 인지 시점을 신고한 것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하며, 정부 기관의 적절한 초기 대응을 방해한 중대한 위법”이라며 “KISA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해킹 사고 시 즉시 필요한 조치를 할 공적 의무가 있으며, SK텔레콤의 위계적 허위 신고는 이에 대한 명백한 방해행위”라고 지적했다.한편 SK텔레콤은 유출 피해 규모나 후속 대응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대륜은 “정보의 비대칭성이 피해를 더욱 키우고 있다”며 “수사기관의 철저한 수사와 책임 규명을 촉구하고, 실체적 진실이 투명하게 공개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끝으로 대륜은 “고소·고발인들은 업무상 배임 등으로 인해 유심 정보가 유출돼 큰 피해를 겪고 있는 반면 피고소·고발인들은 유출 피해자 규모 및 후속 절차 대응에 분명히 밝히지 않고 있다”며 “이번 민·형사 대응이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구제가 되기를 바라며, 끝까지 법적 책임을 묻고 정의로운 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현재 대륜 홈페이지를 통한 집단소송 참여 신청자는 5월 1일 오후 2시 기준으로 900명을 웃돌고 있으며, 집단 손해배상청구에도 나설 계획이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바로가기) 연합뉴스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연합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해킹 사태 관련 고발장 제출 (바로가기) 뉴시스 - SK텔레콤 가입자 유심해킹사건 고발장 제출하는 법무법인 대륜 (바로가기) 뉴시스 - '유심 유출' SKT 고소·고발 당해…"정보 관리에 소홀"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KBS - ‘SKT 해킹 사태’ 배임·공무집행방해 추가 고발…집단소송도 (바로가기) KBS - SKT 고발 잇따라…가입자 신규모집 중단 조치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형사 고발당한 SKT…집단 민사소송도 예고 (바로가기) 동아일보 - SK텔레콤 사흘새 10만명 이탈…과기부, 통신3사 네카오 등 네트워크 긴급점검 (바로가기) 국민일보 - ‘유심사태’ SKT 형사 고발 당해…“철저수사 책임 규명 촉구”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 ‘유심 유출’ SKT 대표 형사고발돼…“중대한 위법” (바로가기) 국제신문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부산일보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철저수사,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공감신문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로 형사 고발…집단 소송 참여자 900명 돌파 (바로가기) 문화일보 - ‘유심 유출’ SKT에 줄잇는 고소·고발…“정보 관리 소홀” (바로가기) IT조선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 [SKT 유심 해킹]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유심 유출’ SKT 배임·공무집행 방해 형사고발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에 최선" (바로가기) 쿠키뉴스 - ‘유심 사태’ SKT, 형사 고발 당해…집단 손배 준비 잇따라 (바로가기) 시사저널 - '유심 정보 해킹' SKT, 경찰 수사받나…고발장 제출 (바로가기) 세계일보 - 정부 “SKT, 유심 부족 해소 시까지 신규가입 받지 말라”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 피해 구제 최선”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유심 사태 일파만파…SKT 경영진 경찰 고발당했다 [세상&]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실질적인 피해 구제 되도록 최선” (바로가기) 아이뉴스24 - 법무법인 대륜, '유심 유출' SKT 상대 고소·고발 (바로가기) SBS Biz - [산업 막전막후] SKT '유심 해킹' 일파만파…창사 이래 최대 위기 (바로가기) 부산일보 - 미국 사례에 비춰 SKT 배상·과징금 얼마나? (바로가기) 뉴스1- '유심 해킹 사고' SK텔레콤, 배임 혐의 형사고발 당해 (바로가기) YTN - '유심 해킹' SKT 고발..."이용자 정보 보호 소홀" (바로가기) YTN - '유심 해킹' SKT 고발..."이용자 정보 보호 소홀" (바로가기) 매일경제 - SKT, 유심 부족에도 모객 집중…정부 초강수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세계일보 - 정부 “신규 가입 받지 말라”… SKT에 칼 뽑았다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해킹 피해에 한명당 3200만원"…미국에선 수천억 배상에 과징금까지 (바로가기) 주간동아 - ‘유심 해킹’ 사태에 전 국민 줄 세운 SKT (바로가기) OBC - SKT 형사 고발당해…'유심 유출' 책임규명 촉구 (바로가기) 아시아타임즈 - [특징주] SK텔레콤, 하락...KT-LG유플러스 등 강세 (바로가기) YTN사이언스 - '유심 해킹' SKT 고발..."이용자 정보 보호 소홀" (바로가기) TV조선 - '유심 유출' SKT 형사 고발당해…"정보 보관 등한시, 수사 촉구" (바로가기) 전파신문 - SKT '유심 유출' 형사 고발당해 (바로가기) 내일신문 - 시민단체·법조계, SKT에 집단소송 (바로가기) 국제뉴스 - 대륜, SKT 상대 고소·고발…"유심 정보 유출, 끝까지 책임 묻겠다" (바로가기) 시사저널e - 법조계가 말하는 ‘SKT유심 해킹’ 피해 집단소송 쟁점은 (바로가기) 뉴스웍스 - [SKT 해킹 ②] 늑장 대응·소통 부족에 민심 '부글부글' (바로가기) 노컷뉴스 - SKT 유심 유출 관련 법적대응 이어져…손해배상 소송·고소고발 (바로가기) IT조선 - 불안한 2300만명 집단소송·형사고발 확산… 배상 가능성은 [SKT 유심 해킹] (바로가기) 이데일리 - ‘SKT 유심 해킹 사태’ 계속되는 혼란…경찰, 수사 본격화[사사건건] (바로가기) 한국경제 - 최태원 사과에도 멈추지 않았다…'SKT 유심 해킹' 집단소송 폭증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5-02
위력행사가혹행위, 군 변호사가 말하는 ‘판단 기준’은
위력행사가혹행위, 군 변호사가 말하는 ‘판단 기준’은
군형법은 군기강을 확립한다는 입법목적에 따라 전통적으로 상급자에 대한 범죄에 대해서 엄격히 처벌해 왔다. 상대적으로 하급자를 상대로 한 범죄의 경우 별다른 가중처벌 조항을 두지 않았다. 간부가 직권을 남용하여 가혹행위를 한 경우를 처벌하는 직권남용가혹행위죄는 군형법 제정시부터 규정이 있었으나, 병(兵) 상호간의 가혹행위도 처벌하는 위력행사가혹행위죄 규정은 국회가 2009년에 이르러서야 통과시켰는데, 이는 1962년 군형법이 제정된 이후 약 50년 만이었다.군형법 제62조 제2항은 ‘위력을 행사하여 상습적으로 폭행·협박 또는 이에 준하는 방법으로 병사를 학대하거나 가혹행위를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위력의 해석은 민간인 사이에 적용되는 일반 형법의 위력과는 동일시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형법에서의 위력은 ‘상대의 자유의사나 행동을 제약할 정도의 사회적·정신적 강제력’으로 해석한다. 이를테면 직장 상사가 직위를 이용해 부하 직원에게 묵시적 압박을 행사할 때 피해자가 거절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위력이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반면 군형법은 위력의 구성요건에 대해 별도 규정을 지정해 두진 않았다. 군대는 엄격한 상명하복을 요구하는 통제된 특수한 환경이므로 위력이 언제나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있다. 예컨대 군대에서 선임이 후임에게 “요즘 태도 안 좋다”는 말만 해도 후임은 불안감에 휩싸일 수 있다. 평범한 말이라도 군대 내에서는 거절할 수 없는 명령처럼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이는 △표정 △몸짓 △시선 처리 △목소리 톤과 억양 등 상급자의 비언어적 표현도 마찬가지다.실제 필자가 경험한 사건이 있다. 의뢰인은 전입해 온 지 두 달이 안 된 후임에게 오리걸음과 투명 의자 등 정신교육을 ‘제안’한 사실 만으로 검찰에 송치됐다. 당시 부대 분위기가 무거운 것도 아니었고 후임과의 관계도 원만했던 만큼, 의뢰인은 경찰 수사를 받게 된 것 자체에 억울함을 호소했다. 필자를 비롯한 동료 변호인단은 의뢰인과 고소인이 주장한 내용을 토대로 위력 여부에 대한 상관 관계를 검토했다. 또한 부대 내 선후임의 진술을 바탕으로 사건을 조력해 불기소 처분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군변호사는 “이처럼 군형법상 위력은 수사나 재판 과정에서 추상적으로 해석될 수 있어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군형법상 위력의 개념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운동장 한 바퀴 돌래?”라는 말이 선임이 하느냐 동기가 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처럼, 그 내용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더불어 당사자의 기존 관계성 및 당시 피해자의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야 하며, 일반 형법의 위력 개념과 달리 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이를 군형법에 명문화하는 작업이 병행돼야 불필요한 오해와 억울한 처벌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위력행사가혹행위, 군 변호사가 말하는 ‘판단 기준’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5-02
위력행사가혹행위, 군 변호사가 말하는 ‘판단 기준’은
위력행사가혹행위, 군 변호사가 말하는 ‘판단 기준’은
군형법은 군기강을 확립한다는 입법목적에 따라 전통적으로 상급자에 대한 범죄에 대해서 엄격히 처벌해 왔다. 상대적으로 하급자를 상대로 한 범죄의 경우 별다른 가중처벌 조항을 두지 않았다. 간부가 직권을 남용하여 가혹행위를 한 경우를 처벌하는 직권남용가혹행위죄는 군형법 제정시부터 규정이 있었으나, 병(兵) 상호간의 가혹행위도 처벌하는 위력행사가혹행위죄 규정은 국회가 2009년에 이르러서야 통과시켰는데, 이는 1962년 군형법이 제정된 이후 약 50년 만이었다.군형법 제62조 제2항은 ‘위력을 행사하여 상습적으로 폭행·협박 또는 이에 준하는 방법으로 병사를 학대하거나 가혹행위를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위력의 해석은 민간인 사이에 적용되는 일반 형법의 위력과는 동일시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형법에서의 위력은 ‘상대의 자유의사나 행동을 제약할 정도의 사회적·정신적 강제력’으로 해석한다. 이를테면 직장 상사가 직위를 이용해 부하 직원에게 묵시적 압박을 행사할 때 피해자가 거절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위력이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반면 군형법은 위력의 구성요건에 대해 별도 규정을 지정해 두진 않았다. 군대는 엄격한 상명하복을 요구하는 통제된 특수한 환경이므로 위력이 언제나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있다. 예컨대 군대에서 선임이 후임에게 “요즘 태도 안 좋다”는 말만 해도 후임은 불안감에 휩싸일 수 있다. 평범한 말이라도 군대 내에서는 거절할 수 없는 명령처럼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이는 △표정 △몸짓 △시선 처리 △목소리 톤과 억양 등 상급자의 비언어적 표현도 마찬가지다.실제 필자가 경험한 사건이 있다. 의뢰인은 전입해 온 지 두 달이 안 된 후임에게 오리걸음과 투명 의자 등 정신교육을 ‘제안’한 사실 만으로 검찰에 송치됐다. 당시 부대 분위기가 무거운 것도 아니었고 후임과의 관계도 원만했던 만큼, 의뢰인은 경찰 수사를 받게 된 것 자체에 억울함을 호소했다. 필자를 비롯한 동료 변호인단은 의뢰인과 고소인이 주장한 내용을 토대로 위력 여부에 대한 상관 관계를 검토했다. 또한 부대 내 선후임의 진술을 바탕으로 사건을 조력해 불기소 처분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군변호사는 “이처럼 군형법상 위력은 수사나 재판 과정에서 추상적으로 해석될 수 있어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군형법상 위력의 개념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운동장 한 바퀴 돌래?”라는 말이 선임이 하느냐 동기가 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처럼, 그 내용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더불어 당사자의 기존 관계성 및 당시 피해자의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야 하며, 일반 형법의 위력 개념과 달리 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이를 군형법에 명문화하는 작업이 병행돼야 불필요한 오해와 억울한 처벌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위력행사가혹행위, 군 변호사가 말하는 ‘판단 기준’은 (바로가기)
MBN
2025-05-02
'학폭' 대입 반영에 전쟁터 된 학교…"먼저 신고해야 이긴다"
'학폭' 대입 반영에 전쟁터 된 학교…"먼저 신고해야 이긴다"
【 앵커멘트 】지난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1%로 6년 만에 가장 높아진 걸로 조사됐습니다.잇단 대책에도 학교 현장은 더욱 폭력으로 멍드는 모습인데요.특히 올해부터는 대학 입시에서 학폭 가해 기록이 의무적으로 반영돼, 학폭이냐 아니냐를 둘러싼 '신고 전쟁'도 뜨거워졌습니다.안병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각각 열린 학교폭력위원회 기록입니다.동급생에게 저지른 성추행과 교제 폭력 사안인데, 두 건 모두 경찰 신고까지 이어졌습니다.▶ 스탠딩 : 안병수 / 기자- "한 초등생이 연루된 학교폭력위원회와 관련 소송 자료들입니다. 단건인데도, 상당한 분량의 서류들이 복잡한 형사 소송 못지 않습니다."내년도 대학 입시부터 '학폭 가해 사실'이 감점 요인으로 반영돼, 어떻게든 학폭 인정을 피하려는 교내 싸움이 치열해졌다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 학교폭력 전문 변호사- "대입 문제까지 걸려 있다 보니 맞대응해서 학교 폭력을 신고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고 있습니다."재작년 학폭위 심의 건수는 2만 3천 건인데, 앞으로 폭증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실제 학교 현장에는 내가 먼저 신고해야 승기를 잡는다는 인식도 퍼져 있습니다.▶ 인터뷰 : 학폭 연루 학생 학부모- "학생부 선생님도 그러고 다들 하시는 얘기가 그거예요. 먼저 신고하면 그 사람이 무조건 우위래요. (학교 측도) 억울한 사례가 많은 거 안다. 1년에 항소가 몇 건씩 몇십 건씩…."교육 당국은 제5차 학교폭력예방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과열된 분위기 진화에 나섰습니다.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 학폭심의를 유예하는 대신 관계 회복을 지원하기로 한 겁니다.이런 중재 시도가 무분별한 신고전을 줄이고, 학폭 감소에 효과적일 거란 의견도 제시됩니다.▶ 인터뷰(☎) : 나은정 / 변호사- "피해 학생에 대한 확실한 보호 조치가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처벌보다는 학생 간 관계 회복에 중점을 두고 해결해 나가는 그런 시스템 구축이 필요…."교육부는 학생 간 갈등을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MBN뉴스 안병수입니다.영상취재 : 박준영 기자영상편집 : 이범성그래픽 : 임주령 안병수 기자(ahn.byungsoo@mbn.co.kr) [기사전문보기] '학폭' 대입 반영에 전쟁터 된 학교…"먼저 신고해야 이긴다" (바로가기)
MBN
2025-05-02
'학폭' 대입 반영에 전쟁터 된 학교…"먼저 신고해야 이긴다"
'학폭' 대입 반영에 전쟁터 된 학교…"먼저 신고해야 이긴다"
【 앵커멘트 】지난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1%로 6년 만에 가장 높아진 걸로 조사됐습니다.잇단 대책에도 학교 현장은 더욱 폭력으로 멍드는 모습인데요.특히 올해부터는 대학 입시에서 학폭 가해 기록이 의무적으로 반영돼, 학폭이냐 아니냐를 둘러싼 '신고 전쟁'도 뜨거워졌습니다.안병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각각 열린 학교폭력위원회 기록입니다.동급생에게 저지른 성추행과 교제 폭력 사안인데, 두 건 모두 경찰 신고까지 이어졌습니다.▶ 스탠딩 : 안병수 / 기자- "한 초등생이 연루된 학교폭력위원회와 관련 소송 자료들입니다. 단건인데도, 상당한 분량의 서류들이 복잡한 형사 소송 못지 않습니다."내년도 대학 입시부터 '학폭 가해 사실'이 감점 요인으로 반영돼, 어떻게든 학폭 인정을 피하려는 교내 싸움이 치열해졌다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 학교폭력 전문 변호사- "대입 문제까지 걸려 있다 보니 맞대응해서 학교 폭력을 신고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고 있습니다."재작년 학폭위 심의 건수는 2만 3천 건인데, 앞으로 폭증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실제 학교 현장에는 내가 먼저 신고해야 승기를 잡는다는 인식도 퍼져 있습니다.▶ 인터뷰 : 학폭 연루 학생 학부모- "학생부 선생님도 그러고 다들 하시는 얘기가 그거예요. 먼저 신고하면 그 사람이 무조건 우위래요. (학교 측도) 억울한 사례가 많은 거 안다. 1년에 항소가 몇 건씩 몇십 건씩…."교육 당국은 제5차 학교폭력예방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과열된 분위기 진화에 나섰습니다.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 학폭심의를 유예하는 대신 관계 회복을 지원하기로 한 겁니다.이런 중재 시도가 무분별한 신고전을 줄이고, 학폭 감소에 효과적일 거란 의견도 제시됩니다.▶ 인터뷰(☎) : 나은정 / 변호사- "피해 학생에 대한 확실한 보호 조치가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처벌보다는 학생 간 관계 회복에 중점을 두고 해결해 나가는 그런 시스템 구축이 필요…."교육부는 학생 간 갈등을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MBN뉴스 안병수입니다.영상취재 : 박준영 기자영상편집 : 이범성그래픽 : 임주령 안병수 기자(ahn.byungsoo@mbn.co.kr) [기사전문보기] '학폭' 대입 반영에 전쟁터 된 학교…"먼저 신고해야 이긴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29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경영 체크리스트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경영 체크리스트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서는 좋은 아이디어와 든든한 자본, 그리고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이 필수적이다.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법적 요건을 준수하며 리스크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은 법무·세무·노무 등 상대적으로 부족한 관리 조직으로 인해 사소한 실수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점검해야 할 핵심 사항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우선 사업의 기초를 다지는 과정에서 사업자 등록 및 법적 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개인사업자로 운영할 것인지, 혹은 법인을 설립할 것인지에 따라 세금·책임 범위·자금 조달 방식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개인 사업자는 설립과 운영이 비교적 간편하나 사업상 부채가 개인 자산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다. 반면 법인은 법적 책임은 분리되나 설립 절차가 복잡하고 운영 규정이 개인 사업자에 비해 까다롭다.또한 업종에 따라 필수적인 인허가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음식업의 경우 영업신고와 함께 위생교육·소방안전교육 수강과 화재배상보험책임보험 가입이 필수다. 의료업은 면허를 갖추고 행정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교육업도 교육지원청에 학원설립등록신청서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만약 설립 과정에서 법인을 선택했다면 정관을 작성하고 주주 명부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향후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계약서 검토도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일부 사업자의 경우 구두 합의에 의존하기도 하지만 이는 법적 분쟁 발생 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계약서는 단순히 형식상 절차가 아닌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는 핵심 수단이다. 모든 고용 관계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은 기본이며 동업자와 함께하는 경우 동업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필수다. 또 거래처와의 관계에서도 계약서를 통해 지불 조건이나 납품 일정, 책임 범위 등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용역 계약서나 공급 계약서 없이 진행된 거래는 사소한 오해에도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인사·노무 관리도 중소기업 경영에서 흔히 간과되는 부분 중 하나다. 상시근로자가 5인 이상일 경우 주 52시간제 등 노동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근로계약서 체결과 함께 급여 명세서 제공 역시 필수적이다. 이 외에도 연차·퇴직금 지급 기준을 지키지 않으면 노동청 조사나 근로자와의 법적 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직장 내 괴롭힘이나 부당해고 등 노동자 권리 보호가 중요시 되면서 내부 직원 교육과 같은 사전 예방 조치가 중요해졌다. 사업 초반에는 인사 관리에 대한 체계가 부족할 수 있어도 성장 단계에서 이를 정비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법적 분쟁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세금과 재무 관리는 사업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세무 전문가를 고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기본적인 세무 지식과 신고 절차를 숙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부가가치세(VAT) 신고, 소득세 및 법인세 납부 일정은 철저히 관리해야 하며 가산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절세 전략을 활용해 법적으로 인정되는 비용을 적절히 증빙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업무 관련 비용은 영수증을 철저히 관리해 경비로 인정받아야 한다. 또한 소상공인의 경우에도 직원이 있다면 근로소득 원천징수와 4대 보험 신고를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마지막으로 지식재산권 보호는 장기적인 브랜드 전략과 직결된다.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상호 및 브랜드 상표권을 등록한다면 향후 법적 분쟁 발생 시 도움이 된다. 로고·콘텐츠·제품 디자인과 같은 자산도 저작권 보호 조치를 취해야 무단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브랜드 가치가 더욱 중요해졌으며 이를 악용한 상표권 분쟁도 증가하고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반대로 자신도 모르게 타사의 특허나 상표를 침해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으므로 출원 전 검토를 꼼꼼하게 해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경영 체크리스트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29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경영 체크리스트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경영 체크리스트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서는 좋은 아이디어와 든든한 자본, 그리고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이 필수적이다.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법적 요건을 준수하며 리스크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은 법무·세무·노무 등 상대적으로 부족한 관리 조직으로 인해 사소한 실수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점검해야 할 핵심 사항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우선 사업의 기초를 다지는 과정에서 사업자 등록 및 법적 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개인사업자로 운영할 것인지, 혹은 법인을 설립할 것인지에 따라 세금·책임 범위·자금 조달 방식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개인 사업자는 설립과 운영이 비교적 간편하나 사업상 부채가 개인 자산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다. 반면 법인은 법적 책임은 분리되나 설립 절차가 복잡하고 운영 규정이 개인 사업자에 비해 까다롭다.또한 업종에 따라 필수적인 인허가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음식업의 경우 영업신고와 함께 위생교육·소방안전교육 수강과 화재배상보험책임보험 가입이 필수다. 의료업은 면허를 갖추고 행정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교육업도 교육지원청에 학원설립등록신청서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만약 설립 과정에서 법인을 선택했다면 정관을 작성하고 주주 명부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향후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계약서 검토도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일부 사업자의 경우 구두 합의에 의존하기도 하지만 이는 법적 분쟁 발생 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계약서는 단순히 형식상 절차가 아닌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는 핵심 수단이다. 모든 고용 관계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은 기본이며 동업자와 함께하는 경우 동업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필수다. 또 거래처와의 관계에서도 계약서를 통해 지불 조건이나 납품 일정, 책임 범위 등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용역 계약서나 공급 계약서 없이 진행된 거래는 사소한 오해에도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인사·노무 관리도 중소기업 경영에서 흔히 간과되는 부분 중 하나다. 상시근로자가 5인 이상일 경우 주 52시간제 등 노동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근로계약서 체결과 함께 급여 명세서 제공 역시 필수적이다. 이 외에도 연차·퇴직금 지급 기준을 지키지 않으면 노동청 조사나 근로자와의 법적 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직장 내 괴롭힘이나 부당해고 등 노동자 권리 보호가 중요시 되면서 내부 직원 교육과 같은 사전 예방 조치가 중요해졌다. 사업 초반에는 인사 관리에 대한 체계가 부족할 수 있어도 성장 단계에서 이를 정비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법적 분쟁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세금과 재무 관리는 사업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세무 전문가를 고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기본적인 세무 지식과 신고 절차를 숙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부가가치세(VAT) 신고, 소득세 및 법인세 납부 일정은 철저히 관리해야 하며 가산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절세 전략을 활용해 법적으로 인정되는 비용을 적절히 증빙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업무 관련 비용은 영수증을 철저히 관리해 경비로 인정받아야 한다. 또한 소상공인의 경우에도 직원이 있다면 근로소득 원천징수와 4대 보험 신고를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마지막으로 지식재산권 보호는 장기적인 브랜드 전략과 직결된다.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상호 및 브랜드 상표권을 등록한다면 향후 법적 분쟁 발생 시 도움이 된다. 로고·콘텐츠·제품 디자인과 같은 자산도 저작권 보호 조치를 취해야 무단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브랜드 가치가 더욱 중요해졌으며 이를 악용한 상표권 분쟁도 증가하고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반대로 자신도 모르게 타사의 특허나 상표를 침해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으므로 출원 전 검토를 꼼꼼하게 해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경영 체크리스트 (바로가기)
로이슈 등 16곳
2025-04-29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SK텔레콤(SKT)의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확산하면서 가입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소송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SK텔레콤은 지난 19일 해커의 악성코드 공격으로 SKT 가입자의 유심 정보 일부가 유출된 정황을 발견했다.이에 SK텔레콤은 가입자 2,300만 명 전체의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해 주겠다고 밝혔지만 알뜰폰 가입자 187만 명 등 교체 대상자가 모두 2,500만 명에 달한다는 점에서 재고 부족에 따른 혼란이 예상된다.특히 SK텔레콤이 대응 과정에서 유심 해킹 정황을 인지하고도 법정 시한을 넘겨 피해 신고를 한 데 이어, 신고 당시 정부 기관의 피해 지원 서비스 및 후속조치 지원 등 일체의 기술적 지원을 거부한 것으로 확인돼 파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이에 대륜은 개인정보보호 및 IT 분야 전문 변호사를 중심으로 ‘SKT 개인정보 유출’전담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에 나섰다.TF는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집단 손해배상 청구 및 피해 회복을 위한 모든 법적 절차를 담당한다.대륜은 SK텔레콤을 상대로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으로 본사 관할 경찰서에 고발장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번 유출 사태와 관련해 명확한 책임을 묻고, 사건의 실체를 밝히기 위함이다.추가적으로 대륜은 정확한 피해 확인을 위해 디지털포렌식센터 소속 전문가도 TF에 투입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피해자의 직접 피해 및 간접 피해 입증을 위한 분석 및 대응 계획 수립을 마쳤다. 추후 신청자에 한해 유심 발급 이력, 기기정보, 통신 관련 기초자료를 제출받아 이상 징후 발견 시 추가 심층 분석을 실시해 피해 입증을 지원할 계획이다.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가 신청은 법무법인 대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현재 고객들의 문의가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상황이다. 이미 개인정보가 탈취된 상황에서는 어떤 피해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설령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SKT로 인한 피해임을 피해자 측이 직접 입증해야 하고, 그 모든 과정을 거친 뒤에야 보상 절차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이어 "집단소송을 통해 피해자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는 한편, SK텔레콤에 대한 명확한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한편 대륜은 티몬·위메프, 갤러리K 등 피해자들의 편에서 집단소송을 진행해 왔다.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 "그냥 옮길래"..해킹 우려에 이틀간 SKT 가입자 7만 명 이탈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나선다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SKT 유심 정보 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피해 구제 나선다 (바로가기) 국제신문 - ‘SKT 해킹’ 집단소송…법무법인 대륜, 손해배상청구 참가자 모집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피해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연합인포맥스 - SKT 해킹 피해자 모인다…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본격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본격 착수…"책임 묻고 보상 이끌 것" (바로가기) 한국경제 - "1인당 50만원 배상 요구"…SKT '유심 해킹' 집단소송 본격화 (바로가기) 한국경제 - "사상 최악 해킹사고"…'SKT 집단소송' 앞다퉈 나선 변호사들 (바로가기) 일간스포츠 - SKT '해킹사태' 집단소송 움직임, 가입자 7만명 통신사 이동 (바로가기) 연합뉴스 - 경찰, SKT 해킹 피해자로 수사…고소·고발에 피의자 가능성도 (바로가기) 국민일보 - 경찰, SKT ‘해킹 피해자’로 수사…피의자 전환 가능성도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유심 포비아 누구 때문에?”…경찰, SKT 해킹범 찾는다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유심 유출’ SKT에 피해자 집단소송… 대륜, TF 꾸려 대응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경찰, SKT '해킹 피해자'로 수사…피의자 가능성도 (바로가기)
로이슈 등 16곳
2025-04-29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SK텔레콤(SKT)의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확산하면서 가입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이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소송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SK텔레콤은 지난 19일 해커의 악성코드 공격으로 SKT 가입자의 유심 정보 일부가 유출된 정황을 발견했다.이에 SK텔레콤은 가입자 2,300만 명 전체의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해 주겠다고 밝혔지만 알뜰폰 가입자 187만 명 등 교체 대상자가 모두 2,500만 명에 달한다는 점에서 재고 부족에 따른 혼란이 예상된다.특히 SK텔레콤이 대응 과정에서 유심 해킹 정황을 인지하고도 법정 시한을 넘겨 피해 신고를 한 데 이어, 신고 당시 정부 기관의 피해 지원 서비스 및 후속조치 지원 등 일체의 기술적 지원을 거부한 것으로 확인돼 파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이에 대륜은 개인정보보호 및 IT 분야 전문 변호사를 중심으로 ‘SKT 개인정보 유출’전담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에 나섰다.TF는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집단 손해배상 청구 및 피해 회복을 위한 모든 법적 절차를 담당한다.대륜은 SK텔레콤을 상대로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으로 본사 관할 경찰서에 고발장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번 유출 사태와 관련해 명확한 책임을 묻고, 사건의 실체를 밝히기 위함이다.추가적으로 대륜은 정확한 피해 확인을 위해 디지털포렌식센터 소속 전문가도 TF에 투입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피해자의 직접 피해 및 간접 피해 입증을 위한 분석 및 대응 계획 수립을 마쳤다. 추후 신청자에 한해 유심 발급 이력, 기기정보, 통신 관련 기초자료를 제출받아 이상 징후 발견 시 추가 심층 분석을 실시해 피해 입증을 지원할 계획이다.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가 신청은 법무법인 대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현재 고객들의 문의가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상황이다. 이미 개인정보가 탈취된 상황에서는 어떤 피해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설령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SKT로 인한 피해임을 피해자 측이 직접 입증해야 하고, 그 모든 과정을 거친 뒤에야 보상 절차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이어 "집단소송을 통해 피해자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는 한편, SK텔레콤에 대한 명확한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한편 대륜은 티몬·위메프, 갤러리K 등 피해자들의 편에서 집단소송을 진행해 왔다.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 "그냥 옮길래"..해킹 우려에 이틀간 SKT 가입자 7만 명 이탈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나선다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SKT 유심 정보 유출’ 집단소송 참여자 모집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피해 구제 나선다 (바로가기) 국제신문 - ‘SKT 해킹’ 집단소송…법무법인 대륜, 손해배상청구 참가자 모집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피해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연합인포맥스 - SKT 해킹 피해자 모인다…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본격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SKT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본격 착수…"책임 묻고 보상 이끌 것" (바로가기) 한국경제 - "1인당 50만원 배상 요구"…SKT '유심 해킹' 집단소송 본격화 (바로가기) 한국경제 - "사상 최악 해킹사고"…'SKT 집단소송' 앞다퉈 나선 변호사들 (바로가기) 일간스포츠 - SKT '해킹사태' 집단소송 움직임, 가입자 7만명 통신사 이동 (바로가기) 연합뉴스 - 경찰, SKT 해킹 피해자로 수사…고소·고발에 피의자 가능성도 (바로가기) 국민일보 - 경찰, SKT ‘해킹 피해자’로 수사…피의자 전환 가능성도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유심 포비아 누구 때문에?”…경찰, SKT 해킹범 찾는다 (바로가기) 파이낸셜뉴스 - ‘유심 유출’ SKT에 피해자 집단소송… 대륜, TF 꾸려 대응 (바로가기) 연합뉴스TV - 경찰, SKT '해킹 피해자'로 수사…피의자 가능성도 (바로가기)
로이슈
2025-04-29
친족 성폭행, 은폐의 터널 빠져나오려면 용기 있는 법적 대응이 필요
친족 성폭행, 은폐의 터널 빠져나오려면 용기 있는 법적 대응이 필요
최근 법원은 자신의 딸을 성폭행해 친족 성폭행 혐의로 기소된 70대 남성에게 징역 25년을 선고했다. 그는 무려 40년 간 범행을 이어왔고 딸이 낳은 손녀도 성폭행을 저질러 충격을 줬다. 재판부는 “우리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인지 개탄스럽다”고 표현했다. 이는 친족 성범죄 피해자들의 고립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친족 성범죄는 대개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신고율도 낮은 편이다. 피해자 대다수는 미성년자라 범행 인지 및 대응이 쉽지 않다. 이는 경제적·정서적으로 가해자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 제기 자체를 꺼리기 때문이다. 한국성폭력상담소에 따르면 피해자들의 55%가 최초 피해 이후 상담을 받기까지 10년 이상이 걸렸다. 가족이라는 틀 안에서 중대범죄가 장기간 은폐되고 있는 것이다.친족 사이에서 발생한 성폭행에 대한 처벌은 형사법상 형량이 무거운데,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5조 제1항에 따르면 친족관계인 사람이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강간한 경우에는 7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또한 성폭력처벌법상 친족 관계의 경우 민법에 비해 훨씬 넓게 해석된다. 민법에는 ‘사실상의 관계에 의한 친족’이 포함되지 않지만 성폭력처벌법에는 포함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40대 계부가 10대 의붓딸에게 친족 성폭행을 저지르고 징역 10년을 받은 사례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이러한 친족 성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는 점진적으로 확대돼 왔다. 지난 2010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개정되면서 피해자가 성년이 된 날부터 공소시효가 진행되도록 하는 규정이 신설됐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대부분 한 공간에 머물고 있어 신고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특수성을 고려한 것이다.또한 지난 2012년에는 13살 미만 여자와 여성 장애인에 대한 강간과 강제추행의 공소시효를 폐지했다. 지난해 7월에는 이를 13살 이상 19살 미만으로 확대하자는 개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이런 흐름은 범죄의 중대성과 피해자의 회복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더욱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친족 성폭행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응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먼저 가해자와 분리될 수 있도록 보호명령을 신청하는 것이다. 법원에서 퇴거 및 접근금지 등 임시조치를 시행하면 가해자는 피해자 집 등 주거지에 접근할 수 없고 이를 위반할 경우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두번째 방안은 해바라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등을 통해 신속하고 익명성 높은 법률 및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수사기관 연결 △의료기관 연계 △심리상담 등 상담 시 후속 지원을 함께 받을 수 있어 초기 대응에 효과적이다.마지막 세번째 방안으로는 별도의 민사소송이 가능하다. 형사 절차와 별개로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절차는 법적 쟁점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므로 성범죄변호사의 법률 조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법무법인 대륜 김명철 성범죄 변호사는 “친족 성폭행은 피해자에게 정신적 충격을 남긴다. 설령 법적 대응에 나서더라도,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오히려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침묵이 길어질수록 피해자는 더 큰 고통 속에 머물게 되고 가해자는 책임을 회피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용기를 가지고 목소리를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친족 성폭행, 은폐의 터널 빠져나오려면 용기 있는 법적 대응이 필요 (바로가기)
로이슈
2025-04-29
친족 성폭행, 은폐의 터널 빠져나오려면 용기 있는 법적 대응이 필요
친족 성폭행, 은폐의 터널 빠져나오려면 용기 있는 법적 대응이 필요
최근 법원은 자신의 딸을 성폭행해 친족 성폭행 혐의로 기소된 70대 남성에게 징역 25년을 선고했다. 그는 무려 40년 간 범행을 이어왔고 딸이 낳은 손녀도 성폭행을 저질러 충격을 줬다. 재판부는 “우리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인지 개탄스럽다”고 표현했다. 이는 친족 성범죄 피해자들의 고립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친족 성범죄는 대개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신고율도 낮은 편이다. 피해자 대다수는 미성년자라 범행 인지 및 대응이 쉽지 않다. 이는 경제적·정서적으로 가해자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 제기 자체를 꺼리기 때문이다. 한국성폭력상담소에 따르면 피해자들의 55%가 최초 피해 이후 상담을 받기까지 10년 이상이 걸렸다. 가족이라는 틀 안에서 중대범죄가 장기간 은폐되고 있는 것이다.친족 사이에서 발생한 성폭행에 대한 처벌은 형사법상 형량이 무거운데,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5조 제1항에 따르면 친족관계인 사람이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강간한 경우에는 7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또한 성폭력처벌법상 친족 관계의 경우 민법에 비해 훨씬 넓게 해석된다. 민법에는 ‘사실상의 관계에 의한 친족’이 포함되지 않지만 성폭력처벌법에는 포함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40대 계부가 10대 의붓딸에게 친족 성폭행을 저지르고 징역 10년을 받은 사례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이러한 친족 성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는 점진적으로 확대돼 왔다. 지난 2010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개정되면서 피해자가 성년이 된 날부터 공소시효가 진행되도록 하는 규정이 신설됐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대부분 한 공간에 머물고 있어 신고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특수성을 고려한 것이다.또한 지난 2012년에는 13살 미만 여자와 여성 장애인에 대한 강간과 강제추행의 공소시효를 폐지했다. 지난해 7월에는 이를 13살 이상 19살 미만으로 확대하자는 개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이런 흐름은 범죄의 중대성과 피해자의 회복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더욱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친족 성폭행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응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먼저 가해자와 분리될 수 있도록 보호명령을 신청하는 것이다. 법원에서 퇴거 및 접근금지 등 임시조치를 시행하면 가해자는 피해자 집 등 주거지에 접근할 수 없고 이를 위반할 경우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두번째 방안은 해바라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등을 통해 신속하고 익명성 높은 법률 및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수사기관 연결 △의료기관 연계 △심리상담 등 상담 시 후속 지원을 함께 받을 수 있어 초기 대응에 효과적이다.마지막 세번째 방안으로는 별도의 민사소송이 가능하다. 형사 절차와 별개로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절차는 법적 쟁점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므로 성범죄변호사의 법률 조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법무법인 대륜 김명철 성범죄 변호사는 “친족 성폭행은 피해자에게 정신적 충격을 남긴다. 설령 법적 대응에 나서더라도,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오히려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침묵이 길어질수록 피해자는 더 큰 고통 속에 머물게 되고 가해자는 책임을 회피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용기를 가지고 목소리를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친족 성폭행, 은폐의 터널 빠져나오려면 용기 있는 법적 대응이 필요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곳
2025-04-29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들이받아 사망 60대 운전자 무죄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들이받아 사망 60대 운전자 무죄
어두운 새벽 시간에 인적이 드문 도로에서 무단횡단하던 보행자를 치여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60대 운전자에게 법원이 무죄를 선고했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지원은 교통사고 처리 특례법 위반(치사)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지난달 13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5월 오전 1시쯤 경기 가평군 편도 2차로 도로에서 시속 63㎞ 속도로 중형 트럭을 운전하던 중 무단횡단하던 B씨를 치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B씨는 곧바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치료받던 중 숨졌다.재판에서 A씨 측은 무죄를 주장했다. A씨 측은 “사고 당시는 새벽으로 B씨가 무단횡단할 것을 예견할 수 없어 업무상 과실이 없다. 사고가 났던 도로는 제한 속도가 시속 70㎞로, 규정 속도 또한 준수했다”라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 사고가 발생한 도로는 양쪽 편도 2차로 도로가 서로 분리돼 사실상 일방통행로로 볼 수 있고, 주변에 인가나 상업시설 등이 없어 인적이 드물고 횡단보도 역시 설치돼 있지 않아 이런 사고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어두운 심야 시간에 사건이 발생했고, B씨의 의복 역시 어두운색이어서 운전자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재판부가 이런 사정을 종합해 무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들이받아 사망 60대 운전자 무죄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어두운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치여 숨지게 한 60대, ‘무죄’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곳
2025-04-29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들이받아 사망 60대 운전자 무죄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들이받아 사망 60대 운전자 무죄
어두운 새벽 시간에 인적이 드문 도로에서 무단횡단하던 보행자를 치여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60대 운전자에게 법원이 무죄를 선고했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지원은 교통사고 처리 특례법 위반(치사)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지난달 13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5월 오전 1시쯤 경기 가평군 편도 2차로 도로에서 시속 63㎞ 속도로 중형 트럭을 운전하던 중 무단횡단하던 B씨를 치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B씨는 곧바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치료받던 중 숨졌다.재판에서 A씨 측은 무죄를 주장했다. A씨 측은 “사고 당시는 새벽으로 B씨가 무단횡단할 것을 예견할 수 없어 업무상 과실이 없다. 사고가 났던 도로는 제한 속도가 시속 70㎞로, 규정 속도 또한 준수했다”라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 사고가 발생한 도로는 양쪽 편도 2차로 도로가 서로 분리돼 사실상 일방통행로로 볼 수 있고, 주변에 인가나 상업시설 등이 없어 인적이 드물고 횡단보도 역시 설치돼 있지 않아 이런 사고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유재영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어두운 심야 시간에 사건이 발생했고, B씨의 의복 역시 어두운색이어서 운전자가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재판부가 이런 사정을 종합해 무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들이받아 사망 60대 운전자 무죄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 어두운 새벽 무단횡단 보행자 치여 숨지게 한 60대, ‘무죄’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29
식당 양도하고 동일한 메뉴로 다시 개업한 업주…法 “경업의무위반 아냐”
식당 양도하고 동일한 메뉴로 다시 개업한 업주…法 “경업의무위반 아냐”
가게 양도 후 1년 지나 같은 행정구역에 개업…“권리금 돌려받아야”재판부 “계약서에 경업의무금지조항 없다…동일한 상권으로 보기 어려워” 업장 양도 계약서가 부동산 임대차계약 양식으로 작성됐고, 별도의 경업금지조항도 없었다면 상법상 경업금지의무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전주지방법원은 지난달 13일 식당 업주 A씨와 B씨간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A씨의 패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0년 B씨의 식당을 양도받기로 하고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A씨는 B씨에게 기존 임대차보증금과 권리금을 합해 약 7000만원을 지급했다.그런데 이듬해 B씨가 다른 곳에 식당을 열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A씨에게 넘겼던 점포와 비슷한 음식을 판매하면서 두 가게의 메뉴 구성이 겹치게 된 것이다.A씨는 B씨가 경업금지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계약 당시 같은 행정구역 내에서는 동일한 메뉴의 음식점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는 이유에서다.또 이같은 위반 행위로 인해 가게 매출이 감소했고 폐업으로까지 이어졌다며 계약 과정에서 넘긴 권리금을 돌려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에 B씨는 ‘영업권 매매계약’이 아닌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통해 가게를 양도했기에 상법상 경업금지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두 가게의 상호가 명확히 다르고 A씨와는 다른 상권에 문을 열어 매출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양도계약서가 부동산 임대차계약서 양식으로 작성돼있고 내용에도 경업금지의무에 관한 사항 등이 기재돼 있지 않았다”며 “같은 행정구역에서 개업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이어 “두 가게는 자동차나 버스로 10km를 이동해야 해 상당한 거리가 있고 배달 권역도 겹치지 않는다”며 “이 사이에 유사한 메뉴를 판매하는 식당들이 존재해 동일한 상권에 속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하늘 변호사는 “양도 계약서를 보면 영업 노하우 이전, 거래처 및 고용승계, 경업금지의무에 관한 사항 등이 기재돼있지 않았다”며 “이 계약은 상법 제41조의 영업양도 계약이 아닌 새 임차인이 기존 임차인에게 별도로 지급하는 권리금 계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식당 양도하고 동일한 메뉴로 다시 개업한 업주…法 “경업의무위반 아냐”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29
식당 양도하고 동일한 메뉴로 다시 개업한 업주…法 “경업의무위반 아냐”
식당 양도하고 동일한 메뉴로 다시 개업한 업주…法 “경업의무위반 아냐”
가게 양도 후 1년 지나 같은 행정구역에 개업…“권리금 돌려받아야”재판부 “계약서에 경업의무금지조항 없다…동일한 상권으로 보기 어려워” 업장 양도 계약서가 부동산 임대차계약 양식으로 작성됐고, 별도의 경업금지조항도 없었다면 상법상 경업금지의무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전주지방법원은 지난달 13일 식당 업주 A씨와 B씨간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A씨의 패소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0년 B씨의 식당을 양도받기로 하고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A씨는 B씨에게 기존 임대차보증금과 권리금을 합해 약 7000만원을 지급했다.그런데 이듬해 B씨가 다른 곳에 식당을 열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A씨에게 넘겼던 점포와 비슷한 음식을 판매하면서 두 가게의 메뉴 구성이 겹치게 된 것이다.A씨는 B씨가 경업금지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계약 당시 같은 행정구역 내에서는 동일한 메뉴의 음식점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는 이유에서다.또 이같은 위반 행위로 인해 가게 매출이 감소했고 폐업으로까지 이어졌다며 계약 과정에서 넘긴 권리금을 돌려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에 B씨는 ‘영업권 매매계약’이 아닌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통해 가게를 양도했기에 상법상 경업금지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두 가게의 상호가 명확히 다르고 A씨와는 다른 상권에 문을 열어 매출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양도계약서가 부동산 임대차계약서 양식으로 작성돼있고 내용에도 경업금지의무에 관한 사항 등이 기재돼 있지 않았다”며 “같은 행정구역에서 개업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이어 “두 가게는 자동차나 버스로 10km를 이동해야 해 상당한 거리가 있고 배달 권역도 겹치지 않는다”며 “이 사이에 유사한 메뉴를 판매하는 식당들이 존재해 동일한 상권에 속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하늘 변호사는 “양도 계약서를 보면 영업 노하우 이전, 거래처 및 고용승계, 경업금지의무에 관한 사항 등이 기재돼있지 않았다”며 “이 계약은 상법 제41조의 영업양도 계약이 아닌 새 임차인이 기존 임차인에게 별도로 지급하는 권리금 계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식당 양도하고 동일한 메뉴로 다시 개업한 업주…法 “경업의무위반 아냐”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28
직장 내 성희롱 무마 대표 '무혐의'.."2년 넘게 이의 없어 사건 종결로 인식 가능"
직장 내 성희롱 무마 대표 '무혐의'.."2년 넘게 이의 없어 사건 종결로 인식 가능"
직장 내 성희롱을 무마한 혐의로 고소당한 회사 대표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8일 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1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송치된 6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자신이 대표로 있던 회사 내에서 성희롱이 발생했음에도 별도 조사나 보호 조치 없이 사건을 덮으려 한 혐의를 받았습니다.성희롱 피해자인 B씨는 A씨가 사건을 무마하려 했을 뿐 아니라 비밀 유지 의무도 지키지 않아 사업장 내에 소문이 퍼졌고, 이로 인해 극심한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습니다.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에 따르면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 사실을 알게 된 경우 지체없이 그 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고, 피해 근로자가 조사 과정에서 성적 수치심을 느끼지 않게 해야 합니다.또한 성희롱 발생 사실을 조사하거나 조사 내용을 보고받은 사람 등은 해당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을 타인에게 누설해서도 안 됩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사건 해결을 위해 B씨의 부모를 만나 대화를 나누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것입니다.또한 B씨가 가해자의 사과를 받은 뒤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 않아 사건이 종결된 것으로 인식했다고도 설명했습니다.검찰은 "사건이 다소 빠르게 종결된 점은 인정되지만 A씨에게 고의적인 무마나 은폐 정황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당시 B씨 부모와 대화가 원활히 끝나, A씨의 입장에서는 양측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건이 처리됐다고 인식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그러면서 검찰은 "B씨가 그 후 2년 넘게 절차나 결과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적도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김동구 변호사는 "직장 내 성희롱이 발생했을 경우 당사자 간 합의를 진행하거나 정식 조사를 실시하는 등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사건이 처리된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당시 A씨는 B씨의 의사를 반영해 사건을 처리했기 때문에 무마 및 은폐 혐의가 성립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직장 내 성희롱 무마 대표 '무혐의'.."2년 넘게 이의 없어 사건 종결로 인식 가능"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28
직장 내 성희롱 무마 대표 '무혐의'.."2년 넘게 이의 없어 사건 종결로 인식 가능"
직장 내 성희롱 무마 대표 '무혐의'.."2년 넘게 이의 없어 사건 종결로 인식 가능"
직장 내 성희롱을 무마한 혐의로 고소당한 회사 대표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8일 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1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송치된 6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자신이 대표로 있던 회사 내에서 성희롱이 발생했음에도 별도 조사나 보호 조치 없이 사건을 덮으려 한 혐의를 받았습니다.성희롱 피해자인 B씨는 A씨가 사건을 무마하려 했을 뿐 아니라 비밀 유지 의무도 지키지 않아 사업장 내에 소문이 퍼졌고, 이로 인해 극심한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습니다.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에 따르면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 사실을 알게 된 경우 지체없이 그 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고, 피해 근로자가 조사 과정에서 성적 수치심을 느끼지 않게 해야 합니다.또한 성희롱 발생 사실을 조사하거나 조사 내용을 보고받은 사람 등은 해당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을 타인에게 누설해서도 안 됩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사건 해결을 위해 B씨의 부모를 만나 대화를 나누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것입니다.또한 B씨가 가해자의 사과를 받은 뒤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 않아 사건이 종결된 것으로 인식했다고도 설명했습니다.검찰은 "사건이 다소 빠르게 종결된 점은 인정되지만 A씨에게 고의적인 무마나 은폐 정황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당시 B씨 부모와 대화가 원활히 끝나, A씨의 입장에서는 양측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건이 처리됐다고 인식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그러면서 검찰은 "B씨가 그 후 2년 넘게 절차나 결과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적도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김동구 변호사는 "직장 내 성희롱이 발생했을 경우 당사자 간 합의를 진행하거나 정식 조사를 실시하는 등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사건이 처리된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당시 A씨는 B씨의 의사를 반영해 사건을 처리했기 때문에 무마 및 은폐 혐의가 성립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직장 내 성희롱 무마 대표 '무혐의'.."2년 넘게 이의 없어 사건 종결로 인식 가능"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28
[기고] ‘구조적 기만’ 별산제 로펌, 제도적 정비해야
[기고] ‘구조적 기만’ 별산제 로펌, 제도적 정비해야
대한변호사협회는 최근 “일부 로펌이 조직 외형을 과도하게 부풀려 소비자를 현혹하고 있다”며 ‘네트워크 로펌’ 구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특히 “지방 분사무소에서 소수의 변호사가 사건을 수임하면서 서울 본사의 대형 조직이 직접 처리하는 것처럼 광고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법률 소비자가 허위·과장 정보에 노출되고 있다는 우려를 밝히기도 했다.하지만 이 지적은 정확히 말하면 ‘네트워크 로펌’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위와 같은 기만적 광고의 실체는 대부분 ‘별산제 구조’에서 비롯된다. ‘별산제 로펌’은 외형상 하나의 법무법인을 표방하지만 실제 운영방식은 전혀 통합되어 있지 않다. 구성원 각자가 독립적으로 사건과 그에 따른 수익을 관리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는 개인 사무소와 비슷한 운영 방식인 것이다. 이러한 로펌들의 경우 광고에서는 법무법인의 공동성과 조직적 대응을 강조하지만 실제 살펴보면 변호사 혼자 사건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즉 변협이 우려한 광고 사례는 네트워크 로펌이 아닌 별산제 로펌에서 흔히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해당 사건을 처리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조직 전체가 공동 책임을 지는지, 또 전산·자료·인력이 조직 내에서 공유되고 있는지 조차 불투명하다. 법률 소비자들은 조직의 외관만 보고 신뢰를 형성하지만 실제로는 변호사 개인의 단편적인 일처리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사실 별산제의 구조적 문제는 수년 전부터 여러 차례 지적돼 왔다. 학교폭력 재판에 수 차례 불출석해 소송 자체가 취하된 A 변호사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사건 발생 직후, 변호사가 소속돼 있던 로펌의 분사무소는 ‘해당 변호사는 주사무소에서 탈퇴했으며, 우리 분사무소와 관계없다’는 입장을 내며 선을 그었다. 이는 개별 변호사에게만 업무를 전적으로 맡기고 독립적으로 수행하게하는 별산제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는 사건이며 그 피해는 일반 국민에게 돌아가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협은 문제의 본질을 외면하고 있는 듯하다. 변협은 오랫동안 지적된 별산제의 문제는 묵인한 채 법령상 정의조차 없는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불분명한 용어를 만들어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전산·인력·수익 체계를 통합하여 ‘하나의 로펌’으로 운영되는 원펌(One Firm) 구조를 가진 곳에 ‘네트워크’라는 부정적 프레임을 씌우는 한편 진짜 실질과 외관이 불일치하는 별산제 구조에 대해서는 문제 삼지 않는 것이다. 이는 국민의 권리 보호와 소비자 정보의 투명성 확보라는 변협 본연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다.진짜 문제는 ‘구조’다. 광고에 드러나는 조직 체계와 실제 운영 체계가 일치하지 않는 사례야 말로 소비자를 오도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라 볼 수 있다. 법률서비스 시장은 간판이나 명칭이 아니라 책임구조와 실질 운영 체계로 평가받아야 한다. 동일한 브랜드를 공유하더라도 전산·자료·인력을 함께 사용하고 공동 책임 체계를 갖춘 로펌은 더 높은 수준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다.이제는 본질을 바로잡아야 한다.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비본질적 프레임을 걷어내고, 별산제 로펌부터 제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소비자는 진실을 알 권리가 있다. 로펌이 하나의 조직처럼 광고한다면 그 운영 또한 하나의 조직이어야 한다. 이를 명확히 하지 않는 한, 법률서비스 시장의 신뢰는 더 이상 회복될 수 없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구조적 기만’ 별산제 로펌, 제도적 정비해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28
[기고] ‘구조적 기만’ 별산제 로펌, 제도적 정비해야
[기고] ‘구조적 기만’ 별산제 로펌, 제도적 정비해야
대한변호사협회는 최근 “일부 로펌이 조직 외형을 과도하게 부풀려 소비자를 현혹하고 있다”며 ‘네트워크 로펌’ 구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특히 “지방 분사무소에서 소수의 변호사가 사건을 수임하면서 서울 본사의 대형 조직이 직접 처리하는 것처럼 광고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법률 소비자가 허위·과장 정보에 노출되고 있다는 우려를 밝히기도 했다.하지만 이 지적은 정확히 말하면 ‘네트워크 로펌’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위와 같은 기만적 광고의 실체는 대부분 ‘별산제 구조’에서 비롯된다. ‘별산제 로펌’은 외형상 하나의 법무법인을 표방하지만 실제 운영방식은 전혀 통합되어 있지 않다. 구성원 각자가 독립적으로 사건과 그에 따른 수익을 관리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는 개인 사무소와 비슷한 운영 방식인 것이다. 이러한 로펌들의 경우 광고에서는 법무법인의 공동성과 조직적 대응을 강조하지만 실제 살펴보면 변호사 혼자 사건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즉 변협이 우려한 광고 사례는 네트워크 로펌이 아닌 별산제 로펌에서 흔히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해당 사건을 처리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조직 전체가 공동 책임을 지는지, 또 전산·자료·인력이 조직 내에서 공유되고 있는지 조차 불투명하다. 법률 소비자들은 조직의 외관만 보고 신뢰를 형성하지만 실제로는 변호사 개인의 단편적인 일처리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사실 별산제의 구조적 문제는 수년 전부터 여러 차례 지적돼 왔다. 학교폭력 재판에 수 차례 불출석해 소송 자체가 취하된 A 변호사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사건 발생 직후, 변호사가 소속돼 있던 로펌의 분사무소는 ‘해당 변호사는 주사무소에서 탈퇴했으며, 우리 분사무소와 관계없다’는 입장을 내며 선을 그었다. 이는 개별 변호사에게만 업무를 전적으로 맡기고 독립적으로 수행하게하는 별산제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는 사건이며 그 피해는 일반 국민에게 돌아가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협은 문제의 본질을 외면하고 있는 듯하다. 변협은 오랫동안 지적된 별산제의 문제는 묵인한 채 법령상 정의조차 없는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불분명한 용어를 만들어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전산·인력·수익 체계를 통합하여 ‘하나의 로펌’으로 운영되는 원펌(One Firm) 구조를 가진 곳에 ‘네트워크’라는 부정적 프레임을 씌우는 한편 진짜 실질과 외관이 불일치하는 별산제 구조에 대해서는 문제 삼지 않는 것이다. 이는 국민의 권리 보호와 소비자 정보의 투명성 확보라는 변협 본연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다.진짜 문제는 ‘구조’다. 광고에 드러나는 조직 체계와 실제 운영 체계가 일치하지 않는 사례야 말로 소비자를 오도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라 볼 수 있다. 법률서비스 시장은 간판이나 명칭이 아니라 책임구조와 실질 운영 체계로 평가받아야 한다. 동일한 브랜드를 공유하더라도 전산·자료·인력을 함께 사용하고 공동 책임 체계를 갖춘 로펌은 더 높은 수준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다.이제는 본질을 바로잡아야 한다.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비본질적 프레임을 걷어내고, 별산제 로펌부터 제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소비자는 진실을 알 권리가 있다. 로펌이 하나의 조직처럼 광고한다면 그 운영 또한 하나의 조직이어야 한다. 이를 명확히 하지 않는 한, 법률서비스 시장의 신뢰는 더 이상 회복될 수 없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구조적 기만’ 별산제 로펌, 제도적 정비해야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28
“회삿돈 빼돌렸다” 허위 신고한 50대 회사원…검찰 ‘무혐의’
“회삿돈 빼돌렸다” 허위 신고한 50대 회사원…검찰 ‘무혐의’
거래처에 발설 ‘명예훼손’ 혐의도檢 “보고 누락…사실로 믿고 고소” 회삿돈을 빼돌렸다며 동업자를 허위 고소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회사원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 서부지청은 지난달 13일 무고 등의 혐의를 받는 50대 남성 A 씨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A 씨는 2022년 동업자 B 씨를 업무상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고소했다. 그러나 B 씨는 검찰에서 혐의 없음 처분을 받았고, 이후 A 씨를 무고 혐의로 역고소했다.아울러 B 씨는 A 씨가 거래처에 허위 사실을 발설해 자신의 명예를 훼손하고 회사 업무를 방해했다고도 주장했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 씨가 회사 통장에서 2억여 원을 무단 인출한 뒤 잠적해 횡령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명예훼손 혐의 역시 B 씨와의 연락을 중재해줄 수 있는 거래처에 당시 상황을 설명했을 뿐 고의가 없었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 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대금 지급 과정에서 보고가 누락돼 오해가 생겼다”며 “피의자는 피해자가 횡령을 실제로 저질렀다고 생각해 고소를 진행했다”고 말했다.이어 “거래처와의 대화에서도 고소인의 명예를 훼손할 만한 구체적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며 “이 같은 발언으로 회사의 수주 물량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장호철 변호사는 “신고한 내용이 실제 사실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를 진실이라 생각했다면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며 “B 씨가 회사의 존부를 결정하는 큰돈을 인출해 횡령이라 생각할 수밖에 없어 무고의 고의가 없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회삿돈 빼돌렸다” 허위 신고한 50대 회사원…검찰 ‘무혐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28
“회삿돈 빼돌렸다” 허위 신고한 50대 회사원…검찰 ‘무혐의’
“회삿돈 빼돌렸다” 허위 신고한 50대 회사원…검찰 ‘무혐의’
거래처에 발설 ‘명예훼손’ 혐의도檢 “보고 누락…사실로 믿고 고소” 회삿돈을 빼돌렸다며 동업자를 허위 고소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회사원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 서부지청은 지난달 13일 무고 등의 혐의를 받는 50대 남성 A 씨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A 씨는 2022년 동업자 B 씨를 업무상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고소했다. 그러나 B 씨는 검찰에서 혐의 없음 처분을 받았고, 이후 A 씨를 무고 혐의로 역고소했다.아울러 B 씨는 A 씨가 거래처에 허위 사실을 발설해 자신의 명예를 훼손하고 회사 업무를 방해했다고도 주장했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 씨가 회사 통장에서 2억여 원을 무단 인출한 뒤 잠적해 횡령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명예훼손 혐의 역시 B 씨와의 연락을 중재해줄 수 있는 거래처에 당시 상황을 설명했을 뿐 고의가 없었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 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대금 지급 과정에서 보고가 누락돼 오해가 생겼다”며 “피의자는 피해자가 횡령을 실제로 저질렀다고 생각해 고소를 진행했다”고 말했다.이어 “거래처와의 대화에서도 고소인의 명예를 훼손할 만한 구체적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며 “이 같은 발언으로 회사의 수주 물량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장호철 변호사는 “신고한 내용이 실제 사실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를 진실이라 생각했다면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며 “B 씨가 회사의 존부를 결정하는 큰돈을 인출해 횡령이라 생각할 수밖에 없어 무고의 고의가 없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회삿돈 빼돌렸다” 허위 신고한 50대 회사원…검찰 ‘무혐의’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5-04-28
[IB토마토](IB&피플)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
[IB토마토](IB&피플)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
공정위서 다수 부문 역임…공정거래·하도급 분야 전문시장 관심 커지는 추세 속 제도·관습 개선 필요성 부각 공정거래와 하도급은 시장 관심이 계속 커지고 있는 분야다. 경제민주화부터 갑을관계, 중소기업 보호, 관련 제도의 개정 등 다양한 배경을 기반으로 곳곳에서 언급된다. 정부 부처가 커지면서 조사 인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시장에서의 제재 횟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기업이나 법무법인도 바빠지는 모습이다.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해당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하도급총괄과부터 카르텔총괄과, 송무담당관실, 약관심사과, 고객지원담당관실, 특수거래과 등을 두루 거쳤다. 이와 함께 국무총리실 규제심판위원 공정거래 부문, 재신고사건심사위원회 민간심사위원, 건설하도급분쟁조정협의회 위원,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을 수행했다. 는 손 변호사와 함께 공정거래와 하도급 자문 양상부터 분야별 특징, 시장 이슈, 제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점 등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은 손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이다. -현재 대륜에서 맡고 있는 업무와 이력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대륜의 기업법무그룹 그룹장을 맡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약 10년 동안 근무했고, 법무법인에서 일하다가 지난해 말 대륜에 합류했다. 업무 분야는 공정거래부터 하도급, 프랜차이즈, 지식재산권, 기업 인수·합병(M&A) 등 기업법무 전반을 다룬다. -공정거래 자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타 분야와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공정거래 자문은 기업이 사업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공정거래법’ 저촉 여부를 외부 법률전문가에게 사전 문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공정거래법은 ‘경쟁제한성’이나 ‘부당성’ 등과 같이 불확정한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단정적으로 법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법 집행당국인 공정거래위원회의 선례에 상당 부분 의존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 공정거래 분야에서는 자율준수제도(CP) 관련 얘기가 많다.△CP 운영에 따른 과징금 감경 혜택이 법제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게 됐다. 지난달부터 등급평가 신청이 시작됐는데 예년보다는 두 배가 증가했다고 한다. 올해 CP 등급평가에서 변경된 것은 평가단계, 가점, 평가절차 등 세 가지다. 우선 평가단계 순서가 변경됐다. 기존 평가는 서류, 현장평가, 심층면접 순으로 진행됐지만 올해부터는 서류평가 후 대면평가(면접)가 진행된다. 대면평가에서 점수 85점 이상을 기록(예정)한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평가가 진행되면서 평가 과정이나 업무가 다소 간소화됐다. 가산점도 신규 개설되거나 변경됐다. 먼저 협약이행평가 가점이 추가됐다. 이는 CP 등급평가 신청 직전연도의 협약이행평가 등급에 따른다. 가점은 최우수의 경우 1.5점, 우수는 1점이 추가된다. 평가절차에서는 등급무효, 등급보류, 등급조정 중 등급무효를 제외한 분류가 폐지됐다. 등급보류는 CP 공정성과 신뢰성 저해 우려가 있어 등급 부여에 부적절할 경우 보류하는 제도이며, 등급조정은 등급을 부여받기 전후 법 위반 등이 생기면 조치가 하향되는 것이다. CP는 더 활성화되면서 실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면 좋을 것이다. -하도급 자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이른바 하도급법 자문은 크게 대금에 관한 것과 기술탈취에 관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원사업자(원청)는 부당하게 낮은 수준으로 하도급 대금을 결정해서는 안 되고, 정당한 사유 없이 감액할 수도 없다. 납품을 받은 후에는 60일 이내에 대금을 지급해야 한다. 하도급법에 관한 대부분의 자문은 이러한 대금과 관련된 것들이다. 최근에는 수급사업자(하청)의 기술자료를 정당한 사유 없이 요구하거나 유용하는 행위가 문제 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를 엄중히 제재하고 있는데, 과연 기술자료에 해당하는지 혹은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는지 등이 문제로 다뤄진다. -하도급 자문이 특히 많은 업종은 무엇인가. 어떤 특징 때문에 그러한지.△하도급법은 제조, 건설, 용역 등 세 가지 업종에 적용된다. 이 가운데 특히 제조업에서 문제가 많이 나타난다. 제조업 분업화와 전문화가 진전되면서 하도급 이슈가 다수 발생하고 있고, 하도급법 규정 또한 제조 하도급을 포괄적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제도적이나 관습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발주자(발주자-원사업자-수급사업자 구조)의 직접지급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직접지급 제도란 원사업자가 지급불능에 빠지거나 하도급 대금 지급을 지체할 경우 수급사업자가 발주자에게 직접 하도급 대금의 지급을 청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는 원사업자의 채권자가 먼저 도급대금채권을 압류하면 수급사업자가 직접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도급법에 하도급 대금에 해당하는 부분은 압류할 수 없다는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업계서 오랫동안 몸담으면서 느끼는 바가 있다면.△공정거래 분야는 과거에 비해 기업 자체의 대응 역량이 커졌다. 공정거래 관련 법령을 위반할 경우 막대한 과징금을 부과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것으로 풀이된다. 법 위반 혐의를 조사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역량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다. 다만 법 위반 혐의로 조사받게 되는 기업의 절차적 권리는 아직도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검찰의 수사와는 달리 피조사자의 동의를 전제로 하는 임의조사이지만, 조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경우에는 벌금과 징역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강제조사와 같이 운영되고 있다. 현장조사에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공무원의 적법한 조사범위도 계속 문제된다. 과징금 등 제재 처분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적법절차가 철저히 준수돼야 한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5-04-28
[IB토마토](IB&피플)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
[IB토마토](IB&피플)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
공정위서 다수 부문 역임…공정거래·하도급 분야 전문시장 관심 커지는 추세 속 제도·관습 개선 필요성 부각 공정거래와 하도급은 시장 관심이 계속 커지고 있는 분야다. 경제민주화부터 갑을관계, 중소기업 보호, 관련 제도의 개정 등 다양한 배경을 기반으로 곳곳에서 언급된다. 정부 부처가 커지면서 조사 인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시장에서의 제재 횟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기업이나 법무법인도 바빠지는 모습이다.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해당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하도급총괄과부터 카르텔총괄과, 송무담당관실, 약관심사과, 고객지원담당관실, 특수거래과 등을 두루 거쳤다. 이와 함께 국무총리실 규제심판위원 공정거래 부문, 재신고사건심사위원회 민간심사위원, 건설하도급분쟁조정협의회 위원,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을 수행했다. 는 손 변호사와 함께 공정거래와 하도급 자문 양상부터 분야별 특징, 시장 이슈, 제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점 등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은 손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이다. -현재 대륜에서 맡고 있는 업무와 이력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대륜의 기업법무그룹 그룹장을 맡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약 10년 동안 근무했고, 법무법인에서 일하다가 지난해 말 대륜에 합류했다. 업무 분야는 공정거래부터 하도급, 프랜차이즈, 지식재산권, 기업 인수·합병(M&A) 등 기업법무 전반을 다룬다. -공정거래 자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타 분야와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공정거래 자문은 기업이 사업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공정거래법’ 저촉 여부를 외부 법률전문가에게 사전 문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공정거래법은 ‘경쟁제한성’이나 ‘부당성’ 등과 같이 불확정한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단정적으로 법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법 집행당국인 공정거래위원회의 선례에 상당 부분 의존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 공정거래 분야에서는 자율준수제도(CP) 관련 얘기가 많다.△CP 운영에 따른 과징금 감경 혜택이 법제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게 됐다. 지난달부터 등급평가 신청이 시작됐는데 예년보다는 두 배가 증가했다고 한다. 올해 CP 등급평가에서 변경된 것은 평가단계, 가점, 평가절차 등 세 가지다. 우선 평가단계 순서가 변경됐다. 기존 평가는 서류, 현장평가, 심층면접 순으로 진행됐지만 올해부터는 서류평가 후 대면평가(면접)가 진행된다. 대면평가에서 점수 85점 이상을 기록(예정)한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평가가 진행되면서 평가 과정이나 업무가 다소 간소화됐다. 가산점도 신규 개설되거나 변경됐다. 먼저 협약이행평가 가점이 추가됐다. 이는 CP 등급평가 신청 직전연도의 협약이행평가 등급에 따른다. 가점은 최우수의 경우 1.5점, 우수는 1점이 추가된다. 평가절차에서는 등급무효, 등급보류, 등급조정 중 등급무효를 제외한 분류가 폐지됐다. 등급보류는 CP 공정성과 신뢰성 저해 우려가 있어 등급 부여에 부적절할 경우 보류하는 제도이며, 등급조정은 등급을 부여받기 전후 법 위반 등이 생기면 조치가 하향되는 것이다. CP는 더 활성화되면서 실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면 좋을 것이다. -하도급 자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이른바 하도급법 자문은 크게 대금에 관한 것과 기술탈취에 관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원사업자(원청)는 부당하게 낮은 수준으로 하도급 대금을 결정해서는 안 되고, 정당한 사유 없이 감액할 수도 없다. 납품을 받은 후에는 60일 이내에 대금을 지급해야 한다. 하도급법에 관한 대부분의 자문은 이러한 대금과 관련된 것들이다. 최근에는 수급사업자(하청)의 기술자료를 정당한 사유 없이 요구하거나 유용하는 행위가 문제 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를 엄중히 제재하고 있는데, 과연 기술자료에 해당하는지 혹은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는지 등이 문제로 다뤄진다. -하도급 자문이 특히 많은 업종은 무엇인가. 어떤 특징 때문에 그러한지.△하도급법은 제조, 건설, 용역 등 세 가지 업종에 적용된다. 이 가운데 특히 제조업에서 문제가 많이 나타난다. 제조업 분업화와 전문화가 진전되면서 하도급 이슈가 다수 발생하고 있고, 하도급법 규정 또한 제조 하도급을 포괄적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제도적이나 관습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발주자(발주자-원사업자-수급사업자 구조)의 직접지급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직접지급 제도란 원사업자가 지급불능에 빠지거나 하도급 대금 지급을 지체할 경우 수급사업자가 발주자에게 직접 하도급 대금의 지급을 청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는 원사업자의 채권자가 먼저 도급대금채권을 압류하면 수급사업자가 직접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도급법에 하도급 대금에 해당하는 부분은 압류할 수 없다는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업계서 오랫동안 몸담으면서 느끼는 바가 있다면.△공정거래 분야는 과거에 비해 기업 자체의 대응 역량이 커졌다. 공정거래 관련 법령을 위반할 경우 막대한 과징금을 부과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것으로 풀이된다. 법 위반 혐의를 조사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역량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다. 다만 법 위반 혐의로 조사받게 되는 기업의 절차적 권리는 아직도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검찰의 수사와는 달리 피조사자의 동의를 전제로 하는 임의조사이지만, 조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경우에는 벌금과 징역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강제조사와 같이 운영되고 있다. 현장조사에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공무원의 적법한 조사범위도 계속 문제된다. 과징금 등 제재 처분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적법절차가 철저히 준수돼야 한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장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4-27
임상시험비 지출 내역 틀리면 징역…제약사들 '비상' [대륜의 Biz law forum]
임상시험비 지출 내역 틀리면 징역…제약사들 '비상' [대륜의 Biz law forum]
보건복지부, 제약업계 지출보고서 공개2만여개 업체 지출 내역 처음으로 드러나허위기재·자료누락 시 1년 이하 징역형내부 통제 점검…규제 강화 선제 대비해야 보건복지부가 지난 2월 11일 국내 제약·의료기기 업계의 '경제적 이익 지출 보고서'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의약품·의료기기 유통의 투명성을 높이고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차단하겠다는 취지였다.이번에 공개된 지출보고서는 2023년 회계연도 기준이다. 총 2만1789개 업체가 자료를 제출했다. 참여 업체 수는 2023년 첫 실태 조사(1만1809개) 때보다 두 배가량 늘었다. 의약품 판촉영업자(CSO)가 새롭게 포함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의 '지출보고서 관리시스템'(KOPS)을 통해 일반 국민이 기업별 경제적 이익 제공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와 영업비밀 보호를 위해 의료인의 실명과 구체적인 임상시험 내용 등은 비식별화됐다. 특정 제품명이나 수혜자도 직접 검색할 수 없도록 제한을 뒀다. 임상시험 지원비 등 정보 최초 공개 지출보고서에는 기업별 △의료인 등이 제공받은 경제적 이익의 유형과 금액 △제공 횟수 및 건수 등 통계가 포함됐다. 법령에서 허용된 항목은 다음과 같은 7가지로 한정되며, 이번 공개에서도 해당 항목별 통계가 제공됐다.① 견본품 제공 : 해당 의약품·의료기기의 제형 및 형태 확인을 위해 필요한 최소 수량(견본품 표기, 환자 판매 금지). 1305개 업체가 총 1496만 개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의료기관에 제공.② 학술대회 지원 : 학술대회 참가자(발표자 및 좌장, 토론자)의 교통비·식비·숙박비·등록비 용도의 실제 비용. 391개 업체가 총 3155건의 학술대회에 약 208억 원 지원.③ 임상시험 지원 : 임상시험 실시에 필요한 수량의 의약품 및 임상시험용 의료기기와 적절한 연구비. 413개 업체가 연구비 5531억 원 및 617만 개 제품 지원.④ 제품설명회 : 참석자 제공 실제 비용의 교통비, 5만원 이하 기념품, 숙박, 식음료(세금 및 봉사료 제외 금액으로 1회당 10만원 이하 한정). 의약품 2055억 원 및 의료기기 271억 원 등 총 2326억 원 제공. 1인당 평균 지원액 8만 원.⑤ 시판 후 조사 : 시판 후 조사에 참여하는 의사·치과의사·한의사에게 제공하는 사례보고서에 대한 건당 5만 원 이하의 사례비(단 희귀질환, 장기적 추적조사 등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 30만 원 이하). 101개 업체가 8만4000건의 사례보고서 작성에 116억 3000만 원 지원.⑥ 대금결제 조건에 따른 비용 할인 : 거래금액 결제 기간에 따른 비용 할인(3개월 이내 0.6% 이하, 2개월 이내 1.2% 이하, 1개월 이내 1.8% 이하). 1867개 업체가 총 2218만 건의 비용 할인 제공.⑦ 의료기기 성능 확인 : 의료기기 성능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최소기간의 사용(1개월·의료기기 분야만 해당). 311개 업체가 구매 전 성능 확인을 위해 857개 품목 및 6만2630개 의료기기 제공.통계를 보면 경제적으로 제공된 이익의 상당 부분(67.6%)이 임상시험 지원에 집중됐다. 이는 연구 개발과 학술적 목적이 주된 지출 요인임을 시사한다. 또 전체 의약품 공급자 중 18.5%, 의료기기 공급자 중 17.7%가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소 업체 상당수가 보고 의무만 이행하고 경제적 제공은 없었거나 미미했다는 의미다. 관련 법령 미준수시 법적 리스크 커 경제적 이익 지출보고서 관련 법령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상당한 법적 리스크가 따른다. 보고서 작성이 허위이거나 관련 자료를 누락·미보관하는 경우 약사법 및 의료기기법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더욱이 정부는 지출보고서에 기반해 이상 징후를 탐색할 가능성이 크다. 특정 의료기관이나 의료진에게 과도한 지원이 집중되거나 일반적인 업계 평균과 크게 벗어나는 패턴이 나타날 경우 리베이트 조사로 이어질 수 있다.보고서 공개를 계기로 의료인들은 자신의 경제적 이익 내역을 열람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정정을 요구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됐다. 이에 각 업체는 의료기관·의료진으로부터 '자신에게 보고된 지원 내역이 맞는지' 문의받거나 정정 요청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여기에 대응하지 못하면 민원이나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내부적으로 정확한 정보 관리와 신속한 대응 프로세스를 준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플라이언스 정책 전반 검토 요구돼 기업들은 기존 영업 관행과 내부 통제 체계를 점검하는 동시에 향후 규제 강화에 대비한 선제 대응에 나서야 할 전망이다. 이번에 미공개 처리된 개인정보와 일부 영업비밀 등이 앞으로는 공개 범위에 포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경제적 이익 제공 방식과 관련 계약서류, 컴플라이언스 정책 전반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아래와 같은 대응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① 내부 교육 및 지침 강화 : 영업·마케팅 담당자에게 허용된 경제적 이익의 종류 및 한도를 철저히 교육. 지출보고서 작성 방법과 중요성에 대한 사내 가이드라인 배포와 지속적인 업데이트 진행.② 지출보고서 작성 프로세스 점검 : 지출보고서에 기재해야 하는 사항들이 누락 없이 수집되는지 점검. 지출 항목별 증빙자료를 철저히 보관하고 법정 보존기간 동안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내부 시스템 마련.③ 사전 모니터링 및 자체 감사 : 분기별 또는 반기별 자체 감사를 수행해 이상 지출 패턴 식별. 문제 발견 시 선제적인 시정조치 시행.④ 수혜자 요청 대응 절차 마련 : 의료인 및 의료기관이 자신에게 보고된 지출내역 확인 요청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내부 프로세스 구축.⑤ 향후 정책 변화 모니터링 : 보건복지부 등 관계 당국의 추가 지침 및 공개 범위 확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법무·컴플라이언스 부서의 대응 체계 정비. 향후 개별 수혜자나 제품별 상세 공개 가능성에 대비해 투명하고 건전한 관행 유지 등 사전 조치 강화.지출보고서 공개는 제약·의료기기 업계의 투명성을 적극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엿보인다. 해당 분야 기업들은 이를 단순한 규제로 여기지 말고 내부 통제 시스템 강화, 기업 신뢰 향상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궁극적으로는 투명하고 합법적인 영업 활동을 정착시키는 것이 기업의 평판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최선의 방책임을 유념해야 한다. 향후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체계적인 내부 컴플라이언스 관리가 업계의 필수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임상시험비 지출 내역 틀리면 징역…제약사들 '비상'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4-27
임상시험비 지출 내역 틀리면 징역…제약사들 '비상' [대륜의 Biz law forum]
임상시험비 지출 내역 틀리면 징역…제약사들 '비상' [대륜의 Biz law forum]
보건복지부, 제약업계 지출보고서 공개2만여개 업체 지출 내역 처음으로 드러나허위기재·자료누락 시 1년 이하 징역형내부 통제 점검…규제 강화 선제 대비해야 보건복지부가 지난 2월 11일 국내 제약·의료기기 업계의 '경제적 이익 지출 보고서'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의약품·의료기기 유통의 투명성을 높이고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차단하겠다는 취지였다.이번에 공개된 지출보고서는 2023년 회계연도 기준이다. 총 2만1789개 업체가 자료를 제출했다. 참여 업체 수는 2023년 첫 실태 조사(1만1809개) 때보다 두 배가량 늘었다. 의약품 판촉영업자(CSO)가 새롭게 포함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의 '지출보고서 관리시스템'(KOPS)을 통해 일반 국민이 기업별 경제적 이익 제공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와 영업비밀 보호를 위해 의료인의 실명과 구체적인 임상시험 내용 등은 비식별화됐다. 특정 제품명이나 수혜자도 직접 검색할 수 없도록 제한을 뒀다. 임상시험 지원비 등 정보 최초 공개 지출보고서에는 기업별 △의료인 등이 제공받은 경제적 이익의 유형과 금액 △제공 횟수 및 건수 등 통계가 포함됐다. 법령에서 허용된 항목은 다음과 같은 7가지로 한정되며, 이번 공개에서도 해당 항목별 통계가 제공됐다.① 견본품 제공 : 해당 의약품·의료기기의 제형 및 형태 확인을 위해 필요한 최소 수량(견본품 표기, 환자 판매 금지). 1305개 업체가 총 1496만 개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의료기관에 제공.② 학술대회 지원 : 학술대회 참가자(발표자 및 좌장, 토론자)의 교통비·식비·숙박비·등록비 용도의 실제 비용. 391개 업체가 총 3155건의 학술대회에 약 208억 원 지원.③ 임상시험 지원 : 임상시험 실시에 필요한 수량의 의약품 및 임상시험용 의료기기와 적절한 연구비. 413개 업체가 연구비 5531억 원 및 617만 개 제품 지원.④ 제품설명회 : 참석자 제공 실제 비용의 교통비, 5만원 이하 기념품, 숙박, 식음료(세금 및 봉사료 제외 금액으로 1회당 10만원 이하 한정). 의약품 2055억 원 및 의료기기 271억 원 등 총 2326억 원 제공. 1인당 평균 지원액 8만 원.⑤ 시판 후 조사 : 시판 후 조사에 참여하는 의사·치과의사·한의사에게 제공하는 사례보고서에 대한 건당 5만 원 이하의 사례비(단 희귀질환, 장기적 추적조사 등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 30만 원 이하). 101개 업체가 8만4000건의 사례보고서 작성에 116억 3000만 원 지원.⑥ 대금결제 조건에 따른 비용 할인 : 거래금액 결제 기간에 따른 비용 할인(3개월 이내 0.6% 이하, 2개월 이내 1.2% 이하, 1개월 이내 1.8% 이하). 1867개 업체가 총 2218만 건의 비용 할인 제공.⑦ 의료기기 성능 확인 : 의료기기 성능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최소기간의 사용(1개월·의료기기 분야만 해당). 311개 업체가 구매 전 성능 확인을 위해 857개 품목 및 6만2630개 의료기기 제공.통계를 보면 경제적으로 제공된 이익의 상당 부분(67.6%)이 임상시험 지원에 집중됐다. 이는 연구 개발과 학술적 목적이 주된 지출 요인임을 시사한다. 또 전체 의약품 공급자 중 18.5%, 의료기기 공급자 중 17.7%가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소 업체 상당수가 보고 의무만 이행하고 경제적 제공은 없었거나 미미했다는 의미다. 관련 법령 미준수시 법적 리스크 커 경제적 이익 지출보고서 관련 법령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상당한 법적 리스크가 따른다. 보고서 작성이 허위이거나 관련 자료를 누락·미보관하는 경우 약사법 및 의료기기법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더욱이 정부는 지출보고서에 기반해 이상 징후를 탐색할 가능성이 크다. 특정 의료기관이나 의료진에게 과도한 지원이 집중되거나 일반적인 업계 평균과 크게 벗어나는 패턴이 나타날 경우 리베이트 조사로 이어질 수 있다.보고서 공개를 계기로 의료인들은 자신의 경제적 이익 내역을 열람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정정을 요구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됐다. 이에 각 업체는 의료기관·의료진으로부터 '자신에게 보고된 지원 내역이 맞는지' 문의받거나 정정 요청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여기에 대응하지 못하면 민원이나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내부적으로 정확한 정보 관리와 신속한 대응 프로세스를 준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플라이언스 정책 전반 검토 요구돼 기업들은 기존 영업 관행과 내부 통제 체계를 점검하는 동시에 향후 규제 강화에 대비한 선제 대응에 나서야 할 전망이다. 이번에 미공개 처리된 개인정보와 일부 영업비밀 등이 앞으로는 공개 범위에 포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경제적 이익 제공 방식과 관련 계약서류, 컴플라이언스 정책 전반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아래와 같은 대응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① 내부 교육 및 지침 강화 : 영업·마케팅 담당자에게 허용된 경제적 이익의 종류 및 한도를 철저히 교육. 지출보고서 작성 방법과 중요성에 대한 사내 가이드라인 배포와 지속적인 업데이트 진행.② 지출보고서 작성 프로세스 점검 : 지출보고서에 기재해야 하는 사항들이 누락 없이 수집되는지 점검. 지출 항목별 증빙자료를 철저히 보관하고 법정 보존기간 동안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내부 시스템 마련.③ 사전 모니터링 및 자체 감사 : 분기별 또는 반기별 자체 감사를 수행해 이상 지출 패턴 식별. 문제 발견 시 선제적인 시정조치 시행.④ 수혜자 요청 대응 절차 마련 : 의료인 및 의료기관이 자신에게 보고된 지출내역 확인 요청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내부 프로세스 구축.⑤ 향후 정책 변화 모니터링 : 보건복지부 등 관계 당국의 추가 지침 및 공개 범위 확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법무·컴플라이언스 부서의 대응 체계 정비. 향후 개별 수혜자나 제품별 상세 공개 가능성에 대비해 투명하고 건전한 관행 유지 등 사전 조치 강화.지출보고서 공개는 제약·의료기기 업계의 투명성을 적극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엿보인다. 해당 분야 기업들은 이를 단순한 규제로 여기지 말고 내부 통제 시스템 강화, 기업 신뢰 향상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궁극적으로는 투명하고 합법적인 영업 활동을 정착시키는 것이 기업의 평판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최선의 방책임을 유념해야 한다. 향후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체계적인 내부 컴플라이언스 관리가 업계의 필수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임상시험비 지출 내역 틀리면 징역…제약사들 '비상'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쿠키뉴스
2025-04-25
사망 후 시작되는 경영 위기…중소기업 상속과 세무, 미리 대비해야 [기고]
사망 후 시작되는 경영 위기…중소기업 상속과 세무, 미리 대비해야 [기고]
중소기업주 사망 시 남은 가족이 경영 어려운 경우 매각 고려할 수밖에대부분은 정책자금 대출 등 부외부채 및 가지급금 문제 있어상속 대비한 사전 준비 필요 한샘, 락앤락 등 중견기업이 사모펀드에 매각됐다. 그 배경에는 과도한 상속세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곤 한다. 공교롭게 두 기업 모두 매각 이후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했지만, 경영 상황은 오히려 악화했다. 이는 중소·중견기업 경영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소기업 대표자가 사망한 경우, 배우자나 자녀가 상속세 문제와 함께 회사 매각 여부를 상담하는 사례가 최근 늘고 있다. 그중 한 사례를 들면 이렇다. 생전 급여와 배당을 통해 안정적인 수입을 올리던 기업의 대표자가 있었다. 해당 대표자는 영업부터 운영 전반까지 직접 맡아왔다. 배우자는 사업을 몰랐다. 자녀는 어렸다. 대표자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이를 대체할 인력이 없어, 경영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지자 ‘적임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상속을 포기해야 하느냐’는 문의로 이어졌다.가족들은 생전에 고인이 “정책자금 대출 등을 위해 재무 상황을 좋게 보이려다 부외부채가 생겼다”고 말한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 실제 매각 실사 과정에서는 부외부채뿐 아니라 가지급금 등의 문제가 확인됐고, 기업을 매각하는 과정에서는 은행 대출에 얽힌 대표자 개인의 연대보증도 함께 정리해야 했다.상속세를 신고할 때 비상장주식에 시가가 없으면 ‘보충적 평가방법’을 적용한다. 이 경우, 평가기준일을 기준으로 소급해 3년간의 주당 순손익가치와 평가기준일 당시의 주당 순자산가치를 각각 3:2의 비율로 가중 평균해 평가한다.단, 기업의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50% 이상일 경우에는 2:3의 비율을 적용한다. 또한 이렇게 계산한 금액이 주당 순자산가치의 80%보다 작을 경우, 최종 평가는 주당 순자산가치의 80%로 보정한다.그런데 최근 3년간 세무신고 과정에서 대출 등을 고려해 이익을 과대계상한 경우, 그 영향으로 순손익가치와 순자산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상속받는 비상장주식의 가치도 과대평가 된다.이때 상속세를 줄이기 위해 이를 바로잡으려면, 부외부채가 실제 존재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또한 대표자의 가지급금이 확인될 경우, 해당 금액은 고인의 소득으로 간주돼 상속세와 별도로 종합소득세 과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매각 실사 과정에서, 대표자 사망 후 단기간에 영업 실적이 급격히 악화한 사실이 확인됐다. 여기에 부외부채 등 이슈가 겹치면서, 인수 금액은 상속세및증여세법상 보충적 평가금액보다 낮게 책정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상속인들은 대표자의 지인이었던 인수 희망자와 감정적인 갈등까지 겪게 됐다.결국 해당 사안은 우여곡절 끝에 상속인들이 제3의 매수자를 찾아, 처음 논의되었던 금액보다 다소 낮은 금액으로 회사를 매각하면서 마무리됐다. 만일 이처럼 낮은 금액에 매각하지 않았다면, 세무당국으로부터 상속세및증여세법상 보충적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과대 평가된 상속세를 부과받는 상황도 발생한다.이러한 사례를 보면 한샘과 락앤락의 창업주들이 자녀들에게 기업을 물려주지 않고 경영환경이 좋은 시점에서 사모펀드에 매각한 것이 장래를 내다본 현명한 선택일 수 있다. 중소기업의 경영주들은 하루하루 불확실한 경영 상황을 헤쳐 나가야 하는 동시에, 예측하지 못한 불의의 사고 발생 시 자신의 가족들이 어떠한 상황에 처할지 미리 대비하여야 하는 어려운 숙제도 가진 셈이다. [기사전문보기] 사망 후 시작되는 경영 위기…중소기업 상속과 세무, 미리 대비해야 [기고] (바로가기)
쿠키뉴스
2025-04-25
사망 후 시작되는 경영 위기…중소기업 상속과 세무, 미리 대비해야 [기고]
사망 후 시작되는 경영 위기…중소기업 상속과 세무, 미리 대비해야 [기고]
중소기업주 사망 시 남은 가족이 경영 어려운 경우 매각 고려할 수밖에대부분은 정책자금 대출 등 부외부채 및 가지급금 문제 있어상속 대비한 사전 준비 필요 한샘, 락앤락 등 중견기업이 사모펀드에 매각됐다. 그 배경에는 과도한 상속세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곤 한다. 공교롭게 두 기업 모두 매각 이후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했지만, 경영 상황은 오히려 악화했다. 이는 중소·중견기업 경영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소기업 대표자가 사망한 경우, 배우자나 자녀가 상속세 문제와 함께 회사 매각 여부를 상담하는 사례가 최근 늘고 있다. 그중 한 사례를 들면 이렇다. 생전 급여와 배당을 통해 안정적인 수입을 올리던 기업의 대표자가 있었다. 해당 대표자는 영업부터 운영 전반까지 직접 맡아왔다. 배우자는 사업을 몰랐다. 자녀는 어렸다. 대표자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이를 대체할 인력이 없어, 경영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지자 ‘적임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상속을 포기해야 하느냐’는 문의로 이어졌다.가족들은 생전에 고인이 “정책자금 대출 등을 위해 재무 상황을 좋게 보이려다 부외부채가 생겼다”고 말한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 실제 매각 실사 과정에서는 부외부채뿐 아니라 가지급금 등의 문제가 확인됐고, 기업을 매각하는 과정에서는 은행 대출에 얽힌 대표자 개인의 연대보증도 함께 정리해야 했다.상속세를 신고할 때 비상장주식에 시가가 없으면 ‘보충적 평가방법’을 적용한다. 이 경우, 평가기준일을 기준으로 소급해 3년간의 주당 순손익가치와 평가기준일 당시의 주당 순자산가치를 각각 3:2의 비율로 가중 평균해 평가한다.단, 기업의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50% 이상일 경우에는 2:3의 비율을 적용한다. 또한 이렇게 계산한 금액이 주당 순자산가치의 80%보다 작을 경우, 최종 평가는 주당 순자산가치의 80%로 보정한다.그런데 최근 3년간 세무신고 과정에서 대출 등을 고려해 이익을 과대계상한 경우, 그 영향으로 순손익가치와 순자산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상속받는 비상장주식의 가치도 과대평가 된다.이때 상속세를 줄이기 위해 이를 바로잡으려면, 부외부채가 실제 존재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또한 대표자의 가지급금이 확인될 경우, 해당 금액은 고인의 소득으로 간주돼 상속세와 별도로 종합소득세 과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매각 실사 과정에서, 대표자 사망 후 단기간에 영업 실적이 급격히 악화한 사실이 확인됐다. 여기에 부외부채 등 이슈가 겹치면서, 인수 금액은 상속세및증여세법상 보충적 평가금액보다 낮게 책정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상속인들은 대표자의 지인이었던 인수 희망자와 감정적인 갈등까지 겪게 됐다.결국 해당 사안은 우여곡절 끝에 상속인들이 제3의 매수자를 찾아, 처음 논의되었던 금액보다 다소 낮은 금액으로 회사를 매각하면서 마무리됐다. 만일 이처럼 낮은 금액에 매각하지 않았다면, 세무당국으로부터 상속세및증여세법상 보충적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과대 평가된 상속세를 부과받는 상황도 발생한다.이러한 사례를 보면 한샘과 락앤락의 창업주들이 자녀들에게 기업을 물려주지 않고 경영환경이 좋은 시점에서 사모펀드에 매각한 것이 장래를 내다본 현명한 선택일 수 있다. 중소기업의 경영주들은 하루하루 불확실한 경영 상황을 헤쳐 나가야 하는 동시에, 예측하지 못한 불의의 사고 발생 시 자신의 가족들이 어떠한 상황에 처할지 미리 대비하여야 하는 어려운 숙제도 가진 셈이다. [기사전문보기] 사망 후 시작되는 경영 위기…중소기업 상속과 세무, 미리 대비해야 [기고] (바로가기)
뉴시스
2025-04-24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 구속된 삼정기업, 회생 절차 '표류'…3주째 관리인 못 찾아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 구속된 삼정기업, 회생 절차 '표류'…3주째 관리인 못 찾아
기업회생 중인 삼정기업·삼정이앤씨최근 중처법으로 회장 등 회생관리인 구속법원, 새 관리인 지정 놓고 20일째 심사숙고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삼정기업이 부산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이 구속된 가운데 법원이 새 관리인 지정을 두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24일 법조계에 따르면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의 기업회생을 담당하고 있는 부산회생법원 회생2부(부장판사 한경근)는 새 관리인을 선임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당초 재판부는 지난달 19일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의 회생절차 개시결정을 내렸을 때 관리인을 별도로 선임하지 않았다.법원은 통상적으로 기존 경영자에게 횡령 등 경영상 중대한 잘못이 없는 경우 기존 경영자를 관리임으로 선임하거나, 기존 대표자를 관리인으로 간주하는 형태로 대표자 경영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있다.회사가 비록 경영상 위기에 처해 회생절차를 신청했지만 경영 정상화를 통한 채무 변제를 목적으로 하므로 기존 경영자의 경영 노하우와 거래처와의 신뢰관계, 영업 등 연속적인 경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지난 4일 부산 반얀트리 화재 사건으로 수사를 받던 삼정기업 박정오 회장과 삼정이앤씨 박상천 대표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 영장이 발부됐다.두 기업의 회생절차 진행 주체인 관리인이 하루아침에 공석이 돼 버린 것이다.현재 법원에서 위촉한 구조조정 담당 임원(CRO)이 급여 지급 등 필수적인 업무를 대행하고 있지만, 관리인의 공백이 길어질 경우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의 기업 회생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재판부는 새 관리인 선임을 두고 약 3주 동안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법원 관계자는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가 지역에서 큰 규모의 기업이다 보니 재판부가 새 관리인 선정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면서 "기업 규모가 크다 보니 삼정기업의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을 선정해야 하는데 현재 기업 내부에서도 수사가 이어지다 보니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원상 변호사는 "통상적으로 기존 관리인이 형사 사건으로 법적으로 구속되면 외부 제삼자를 관리인으로 선임한다"면서 "회생법원 내부에 제삼자 관리인 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은행 및 증권사 등 금융권 출신 인사들과 대기업 등에서 재무 이사 등을 역임한 인사들로 구성돼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들 중에서 삼정기업과 유사한 업종에서 최소 관리직 이상의 업무를 해본 경험이 있거나 금융권 출신 중에서 큰 규모의 회사와 관련된 업무를 해본 경험이 풍부한 인사를 찾아야 하므로 새 관리인 선임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권태완 기자(kwon97@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 구속된 삼정기업, 회생 절차 '표류'…3주째 관리인 못 찾아 (바로가기)
뉴시스
2025-04-24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 구속된 삼정기업, 회생 절차 '표류'…3주째 관리인 못 찾아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 구속된 삼정기업, 회생 절차 '표류'…3주째 관리인 못 찾아
기업회생 중인 삼정기업·삼정이앤씨최근 중처법으로 회장 등 회생관리인 구속법원, 새 관리인 지정 놓고 20일째 심사숙고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삼정기업이 부산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이 구속된 가운데 법원이 새 관리인 지정을 두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24일 법조계에 따르면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의 기업회생을 담당하고 있는 부산회생법원 회생2부(부장판사 한경근)는 새 관리인을 선임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당초 재판부는 지난달 19일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의 회생절차 개시결정을 내렸을 때 관리인을 별도로 선임하지 않았다.법원은 통상적으로 기존 경영자에게 횡령 등 경영상 중대한 잘못이 없는 경우 기존 경영자를 관리임으로 선임하거나, 기존 대표자를 관리인으로 간주하는 형태로 대표자 경영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있다.회사가 비록 경영상 위기에 처해 회생절차를 신청했지만 경영 정상화를 통한 채무 변제를 목적으로 하므로 기존 경영자의 경영 노하우와 거래처와의 신뢰관계, 영업 등 연속적인 경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지난 4일 부산 반얀트리 화재 사건으로 수사를 받던 삼정기업 박정오 회장과 삼정이앤씨 박상천 대표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 영장이 발부됐다.두 기업의 회생절차 진행 주체인 관리인이 하루아침에 공석이 돼 버린 것이다.현재 법원에서 위촉한 구조조정 담당 임원(CRO)이 급여 지급 등 필수적인 업무를 대행하고 있지만, 관리인의 공백이 길어질 경우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의 기업 회생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재판부는 새 관리인 선임을 두고 약 3주 동안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법원 관계자는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가 지역에서 큰 규모의 기업이다 보니 재판부가 새 관리인 선정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면서 "기업 규모가 크다 보니 삼정기업의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을 선정해야 하는데 현재 기업 내부에서도 수사가 이어지다 보니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원상 변호사는 "통상적으로 기존 관리인이 형사 사건으로 법적으로 구속되면 외부 제삼자를 관리인으로 선임한다"면서 "회생법원 내부에 제삼자 관리인 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은행 및 증권사 등 금융권 출신 인사들과 대기업 등에서 재무 이사 등을 역임한 인사들로 구성돼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들 중에서 삼정기업과 유사한 업종에서 최소 관리직 이상의 업무를 해본 경험이 있거나 금융권 출신 중에서 큰 규모의 회사와 관련된 업무를 해본 경험이 풍부한 인사를 찾아야 하므로 새 관리인 선임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권태완 기자(kwon97@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반얀트리 화재로 회장 구속된 삼정기업, 회생 절차 '표류'…3주째 관리인 못 찾아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4-24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앞장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앞장
법무법인 대륜은 임직원의 일·가정 양립과 자기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복지제도를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자기개발을 위한 제도는 리프레시 휴직, 커리어 개발 휴직제를 실시한다. 자기개발 리프레시 휴직은 휴식을 통한 임직원의 재충전을 지원하기 위해 실시하며, 12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대학원 진학이나 자격증 취득, 해외 연수 등을 통해 직무능력 향상을 꾀하는 임직원은 최대 24개월까지 커리어 개발 휴직제를 이용할 수 있다.대륜은 또 맞춤형 출산, 양육을 장려하기 위한 맞춤형 일·가정 일·가정 양립 제도를 강화한다. 가족 찬화적 로펌이라는 경영 가치를 지키고, 국가적 과제인 저출생 위기 극복에 동참하기 위해서다.이에 따라 임직원은 육아휴직, 가족돌봄 휴직, 난임 지원 휴직, 입양 전 돌봄 휴직, 육아기 단축근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자녀 계획을 위한 준비 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난임 지원 휴직은 배우자도 신청할 수 있으며, 1회 3개월까지 가능하다. 필요하면 연장도 할 수 있다. 입양 전 돌봄 휴직은 자녀 입양 전후 아이를 돌볼 수 있도록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 역시 필요하면 연장할 수 있다.이밖에 대륜은 임신·출산·육아 과정을 겪는 여성이 경력 단절을 걱정하지 않고 회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남성 임직원들에게 육아휴직과 배우자 출산휴가 등 관련 복지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이런 가족 친화 정책을 운용한 결과 대륜은 지난해 고용 창출과 복지 제도, 사회공헌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신용보증기금이 선정한 ‘최고 일자리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일과 가정이 균형을 이루고, 더 나아가 경력 개발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복리후생제도를 강화하고 있다. 마음 편히 아이를 낳아 키우고, 회사에서도 업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그러면서 “법률 서비스 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했다. 내부 구성원에 대한 복지 강화뿐만 아니라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 활동에도 힘쓰겠다”라고 덧붙였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앞장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직원들이 일하기 좋아야"…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선도 로펌으로 우뚝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4곳
2025-04-24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앞장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앞장
법무법인 대륜은 임직원의 일·가정 양립과 자기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복지제도를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자기개발을 위한 제도는 리프레시 휴직, 커리어 개발 휴직제를 실시한다. 자기개발 리프레시 휴직은 휴식을 통한 임직원의 재충전을 지원하기 위해 실시하며, 12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대학원 진학이나 자격증 취득, 해외 연수 등을 통해 직무능력 향상을 꾀하는 임직원은 최대 24개월까지 커리어 개발 휴직제를 이용할 수 있다.대륜은 또 맞춤형 출산, 양육을 장려하기 위한 맞춤형 일·가정 일·가정 양립 제도를 강화한다. 가족 찬화적 로펌이라는 경영 가치를 지키고, 국가적 과제인 저출생 위기 극복에 동참하기 위해서다.이에 따라 임직원은 육아휴직, 가족돌봄 휴직, 난임 지원 휴직, 입양 전 돌봄 휴직, 육아기 단축근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자녀 계획을 위한 준비 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난임 지원 휴직은 배우자도 신청할 수 있으며, 1회 3개월까지 가능하다. 필요하면 연장도 할 수 있다. 입양 전 돌봄 휴직은 자녀 입양 전후 아이를 돌볼 수 있도록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 역시 필요하면 연장할 수 있다.이밖에 대륜은 임신·출산·육아 과정을 겪는 여성이 경력 단절을 걱정하지 않고 회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남성 임직원들에게 육아휴직과 배우자 출산휴가 등 관련 복지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이런 가족 친화 정책을 운용한 결과 대륜은 지난해 고용 창출과 복지 제도, 사회공헌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신용보증기금이 선정한 ‘최고 일자리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일과 가정이 균형을 이루고, 더 나아가 경력 개발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복리후생제도를 강화하고 있다. 마음 편히 아이를 낳아 키우고, 회사에서도 업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그러면서 “법률 서비스 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했다. 내부 구성원에 대한 복지 강화뿐만 아니라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 활동에도 힘쓰겠다”라고 덧붙였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앞장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직원들이 일하기 좋아야"…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리프레시 휴직제' 도입…일·가정 양립 선도 로펌으로 우뚝 (바로가기)
머니S
2025-04-24
신축 아파트 대출 갚으려 '허위 혼인 신고'… 처벌 수위는
신축 아파트 대출 갚으려 '허위 혼인 신고'… 처벌 수위는
신혼부부 특례 대출을 위해 허위의 혼인 신고서를 작성한 혐의로 입건됐던 3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경기 평택경찰서는 지난 3월 공전자기록등불실기재 등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2023년 지인 소개로 만난 여성 B씨와 허위로 혼인 신고를 한 혐의를 받았다. B씨는 A씨가 당시 신축 아파트 입주를 위해 가족으로부터 수억원을 빌렸고, 이를 신혼부부 특례보금자리 대출을 통해 갚으려 자신과 혼인 신고를 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대출을 통해 받은 돈을 가족에게 갚으려고 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출이 혼인의 유일한 목적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혼 사유 역시 B씨와의 성격 차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혼인의사가 없었다고 인정되려면 처음부터 혼인을 가장했다는 점이 명백히 인정돼야 해서다. 경찰은 B씨 측 주장에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고 봤다.경찰은 "대출과 혼인이라는 두개의 목적은 양립이 가능하다"며 "해당 대출이 혼인의 유일한 목적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지 않는 이상 A씨가 진정 혼인의사가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김경아 변호사는 "혼인신고 직후 이혼을 요청했다는 사실만으로 형사 처벌을 논하는 것은 단정적인 해석"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부동산이 혼인 강요의 수단이 아닌 혼인 결심의 계기였다는 사실을 강조했고, B씨의 행위가 무고한 피해자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해 혐의없음을 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신축 아파트 대출 갚으려 '허위 혼인 신고'… 처벌 수위는 (바로가기)
머니S
2025-04-24
신축 아파트 대출 갚으려 '허위 혼인 신고'… 처벌 수위는
신축 아파트 대출 갚으려 '허위 혼인 신고'… 처벌 수위는
신혼부부 특례 대출을 위해 허위의 혼인 신고서를 작성한 혐의로 입건됐던 3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경기 평택경찰서는 지난 3월 공전자기록등불실기재 등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A씨는 2023년 지인 소개로 만난 여성 B씨와 허위로 혼인 신고를 한 혐의를 받았다. B씨는 A씨가 당시 신축 아파트 입주를 위해 가족으로부터 수억원을 빌렸고, 이를 신혼부부 특례보금자리 대출을 통해 갚으려 자신과 혼인 신고를 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대출을 통해 받은 돈을 가족에게 갚으려고 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출이 혼인의 유일한 목적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혼 사유 역시 B씨와의 성격 차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혼인의사가 없었다고 인정되려면 처음부터 혼인을 가장했다는 점이 명백히 인정돼야 해서다. 경찰은 B씨 측 주장에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고 봤다.경찰은 "대출과 혼인이라는 두개의 목적은 양립이 가능하다"며 "해당 대출이 혼인의 유일한 목적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지 않는 이상 A씨가 진정 혼인의사가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김경아 변호사는 "혼인신고 직후 이혼을 요청했다는 사실만으로 형사 처벌을 논하는 것은 단정적인 해석"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부동산이 혼인 강요의 수단이 아닌 혼인 결심의 계기였다는 사실을 강조했고, B씨의 행위가 무고한 피해자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해 혐의없음을 끌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신축 아파트 대출 갚으려 '허위 혼인 신고'… 처벌 수위는 (바로가기)
로이슈
2025-04-24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 법적 조력 받아 신속하게 대응해야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 법적 조력 받아 신속하게 대응해야
40대 남성 A씨는 올해 초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피해자는 같은 회사에서 근무하던 계약직 직원이었다. A씨는 회식자리에서 피해자의 신체부위를 만져 고소를 당했는데, 재판에서 대부분 혐의가 인정됐다. 목격자가 다수였고, 다른 직원들 역시 A씨로부터 비슷한 피해를 당했다고 증언했기 때문이었다.검사는 의뢰인에게 징역형이 선고돼야 한다며 항소를 제기했다. 다시 실형 위기에 놓인 의뢰인은 성범죄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해졌다. 이 사건을 담당하게 된 필자는 가장 먼저 전제적인 사건 경위를 파악했다. 1심에서 피해자와의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점을 인지한 뒤 피해 회복에 힘썼고, 그 결과 최종적인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항소심 과정에서는 이렇게 변화된 상황들을 강조하며, 선처를 호소했다.항소심 재판부는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다. 1심의 벌금형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A씨는 실형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위 사례의 경우, 항소심 과정에서 A씨에게 불리한 추가 자료가 나온다면 더 중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전략적인 판단과 빠른 대처 덕분에 좋은 결과가 나온 사례라고 볼 수 있다.이처럼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은 집단 내 권력관계에 의해 발생한다. 대부분 업무상 상하관계와 같은 지배력으로 피해자의 자유의사를 억압하는 식이다. 이같은 특징으로 인해 본 죄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성폭력처벌법)에 따라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으로 처벌된다.성폭력처벌법 제10조에 따르면 업무, 고용이나 그 밖의 관계로 인해 자기의 보호, 감독을 받는 사람에 대해 위계 또는 위력으로 추행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1,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강제추행의 구성요건인 폭행 또는 협박이 동원되지 않더라도 불법행위가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범죄 성립 범위가 확대돼 처벌 가능성도 높아지게 됐다.이와 더불어 양형기준 역시 대폭 상향됐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지난달 제137차 회의를 열고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의 기본 법정 형량을 ‘6개월1년’으로 권고했다. 또, 행위의 정도에 따라서 최대 ‘10개월2년’까지 선고할 수 있고, 죄질이 불량하면 양형기준에서 권고하는 형량 범위 상한을 2분의 1까지 특별 가중할 수 있도록 했다.법무법인대륜 이승찬 변호사는 “업무상 위력에 의한 강제추행은 성범죄이기 때문에 유죄 판결을 받게 되면 신상정보 등록 및 공개, 취업제한 등의 보안처분도 함께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혐의가 적용되지 않도록 수사 초기 단계부터 자신의 상황에 맞는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 할 수 있겠다.”고 전했다.이미 혐의가 적용된 경우라면 사건 당시의 CCTV 기록, 문자메시지, 목격자 진술 등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객관적인 증거를 최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수사기관 진술에도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피해자와의 원만한 합의도 사건 처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 법적 조력 받아 신속하게 대응해야 (바로가기)
로이슈
2025-04-24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 법적 조력 받아 신속하게 대응해야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 법적 조력 받아 신속하게 대응해야
40대 남성 A씨는 올해 초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피해자는 같은 회사에서 근무하던 계약직 직원이었다. A씨는 회식자리에서 피해자의 신체부위를 만져 고소를 당했는데, 재판에서 대부분 혐의가 인정됐다. 목격자가 다수였고, 다른 직원들 역시 A씨로부터 비슷한 피해를 당했다고 증언했기 때문이었다.검사는 의뢰인에게 징역형이 선고돼야 한다며 항소를 제기했다. 다시 실형 위기에 놓인 의뢰인은 성범죄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해졌다. 이 사건을 담당하게 된 필자는 가장 먼저 전제적인 사건 경위를 파악했다. 1심에서 피해자와의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점을 인지한 뒤 피해 회복에 힘썼고, 그 결과 최종적인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항소심 과정에서는 이렇게 변화된 상황들을 강조하며, 선처를 호소했다.항소심 재판부는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다. 1심의 벌금형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A씨는 실형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위 사례의 경우, 항소심 과정에서 A씨에게 불리한 추가 자료가 나온다면 더 중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전략적인 판단과 빠른 대처 덕분에 좋은 결과가 나온 사례라고 볼 수 있다.이처럼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은 집단 내 권력관계에 의해 발생한다. 대부분 업무상 상하관계와 같은 지배력으로 피해자의 자유의사를 억압하는 식이다. 이같은 특징으로 인해 본 죄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성폭력처벌법)에 따라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으로 처벌된다.성폭력처벌법 제10조에 따르면 업무, 고용이나 그 밖의 관계로 인해 자기의 보호, 감독을 받는 사람에 대해 위계 또는 위력으로 추행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1,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강제추행의 구성요건인 폭행 또는 협박이 동원되지 않더라도 불법행위가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범죄 성립 범위가 확대돼 처벌 가능성도 높아지게 됐다.이와 더불어 양형기준 역시 대폭 상향됐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지난달 제137차 회의를 열고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의 기본 법정 형량을 ‘6개월1년’으로 권고했다. 또, 행위의 정도에 따라서 최대 ‘10개월2년’까지 선고할 수 있고, 죄질이 불량하면 양형기준에서 권고하는 형량 범위 상한을 2분의 1까지 특별 가중할 수 있도록 했다.법무법인대륜 이승찬 변호사는 “업무상 위력에 의한 강제추행은 성범죄이기 때문에 유죄 판결을 받게 되면 신상정보 등록 및 공개, 취업제한 등의 보안처분도 함께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혐의가 적용되지 않도록 수사 초기 단계부터 자신의 상황에 맞는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 할 수 있겠다.”고 전했다.이미 혐의가 적용된 경우라면 사건 당시의 CCTV 기록, 문자메시지, 목격자 진술 등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객관적인 증거를 최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수사기관 진술에도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피해자와의 원만한 합의도 사건 처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강제추행, 법적 조력 받아 신속하게 대응해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23
'부동산 고객 차용증 위조' 중개인, 필적 감정 달라도 '무죄'..왜?
'부동산 고객 차용증 위조' 중개인, 필적 감정 달라도 '무죄'..왜?
부동산 고객의 차용증서를 위조한 혐의를 받는 공인중개사에 대해 무죄 판단이 나왔습니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은 최근 사문서 위조와 사기미수 등 혐의로 기소된 6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 부동산 손님이었던 B씨에게 수 차례에 걸쳐 현금 5천만 원을 빌려줬습니다.당시 두 사람은 차용증과 이자지불약속증서를 작성했으나, B씨는 이듬해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이후 B씨 측 유족은 A씨를 고소했습니다.B씨에게 돈을 빌려준 사실이 없음에도 허위로 차용증을 작성했다는 이유였습니다.이 과정에서 유족 측은 증서에 기재된 필적이 B씨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서명 감정 결과를 제출하며 A씨의 유죄를 주장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즉각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실제로 돈을 빌려줬으며 차용증 역시 B씨의 의사에 따라 작성했다는 주장이었습니다.또 수천만 원가량의 돈을 현금으로 빌려준 것도, "B씨가 집과 땅을 보유하고 있었고 '땅을 팔아서라도 갚겠다'라고 사정해서 큰 의심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고소인이 제출한 감정 결과를 보면, 차용증에 적힌 필적이 B씨의 필적과 차이가 있다"면서도 "이 내용만으로 A씨가 임의로 서명했다는 사실이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했습니다.이어 "당시 차용증에는 B씨의 도장이 찍혀있었다. A씨가 실제로 필적을 위조했다면 차용증에 찍힌 도장을 어떻게 소지하게 됐는지 그 경위가 필요한데, 이 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변관훈 변호사는 "사문서 위조의 경우 '위조의 동기'가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면서 "이 사건의 경우 차용증이 두 번 나눠서 작성됐다. 실제 위조의 목적이라면 A씨가 1년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작성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부동산 고객 차용증 위조' 중개인, 필적 감정 달라도 '무죄'..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23
'부동산 고객 차용증 위조' 중개인, 필적 감정 달라도 '무죄'..왜?
'부동산 고객 차용증 위조' 중개인, 필적 감정 달라도 '무죄'..왜?
부동산 고객의 차용증서를 위조한 혐의를 받는 공인중개사에 대해 무죄 판단이 나왔습니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은 최근 사문서 위조와 사기미수 등 혐의로 기소된 6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 부동산 손님이었던 B씨에게 수 차례에 걸쳐 현금 5천만 원을 빌려줬습니다.당시 두 사람은 차용증과 이자지불약속증서를 작성했으나, B씨는 이듬해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이후 B씨 측 유족은 A씨를 고소했습니다.B씨에게 돈을 빌려준 사실이 없음에도 허위로 차용증을 작성했다는 이유였습니다.이 과정에서 유족 측은 증서에 기재된 필적이 B씨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서명 감정 결과를 제출하며 A씨의 유죄를 주장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즉각 혐의를 부인했습니다.실제로 돈을 빌려줬으며 차용증 역시 B씨의 의사에 따라 작성했다는 주장이었습니다.또 수천만 원가량의 돈을 현금으로 빌려준 것도, "B씨가 집과 땅을 보유하고 있었고 '땅을 팔아서라도 갚겠다'라고 사정해서 큰 의심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고소인이 제출한 감정 결과를 보면, 차용증에 적힌 필적이 B씨의 필적과 차이가 있다"면서도 "이 내용만으로 A씨가 임의로 서명했다는 사실이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했습니다.이어 "당시 차용증에는 B씨의 도장이 찍혀있었다. A씨가 실제로 필적을 위조했다면 차용증에 찍힌 도장을 어떻게 소지하게 됐는지 그 경위가 필요한데, 이 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변관훈 변호사는 "사문서 위조의 경우 '위조의 동기'가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면서 "이 사건의 경우 차용증이 두 번 나눠서 작성됐다. 실제 위조의 목적이라면 A씨가 1년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작성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의진(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부동산 고객 차용증 위조' 중개인, 필적 감정 달라도 '무죄'..왜?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4-23
부산변회, 2025년 신규 변호사 의무 연수
부산변회, 2025년 신규 변호사 의무 연수
부산지방변호사회(회장 김용민)가 4월 21일 부산 동래구 온천동 농심호텔에서 ‘2025년도 신입회원 의무연수’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는 2024년 4월 이후 부산변회에 가입한 신입 변호사 112명 중 참석한 5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신입 변호사들은 황현종(42·사법연수원 42기) 변호사의 ‘민사소송의 기본’, 최재원(44·변호사시험 1회) 변호사의 ‘형사소송의 기본’, 법무법인 대륜 박주영(41·40기) 변호사의 ‘법조윤리–변호사법’을 주제로 한 강의를 들었다. 이어 박형준(60·24기) 변호사의 ‘윤리교육’을 마지막으로 강의를 마친 뒤, 집행부와의 친교 시간도 가졌다. 김용민(50·30기) 부산변회 회장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실무 중심의 멘토링, 활발한 교류를 통해 신입 회원들이 첫걸음을 잘 내디딜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부산변회, 2025년 신규 변호사 의무 연수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4-23
부산변회, 2025년 신규 변호사 의무 연수
부산변회, 2025년 신규 변호사 의무 연수
부산지방변호사회(회장 김용민)가 4월 21일 부산 동래구 온천동 농심호텔에서 ‘2025년도 신입회원 의무연수’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는 2024년 4월 이후 부산변회에 가입한 신입 변호사 112명 중 참석한 5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신입 변호사들은 황현종(42·사법연수원 42기) 변호사의 ‘민사소송의 기본’, 최재원(44·변호사시험 1회) 변호사의 ‘형사소송의 기본’, 법무법인 대륜 박주영(41·40기) 변호사의 ‘법조윤리–변호사법’을 주제로 한 강의를 들었다. 이어 박형준(60·24기) 변호사의 ‘윤리교육’을 마지막으로 강의를 마친 뒤, 집행부와의 친교 시간도 가졌다. 김용민(50·30기) 부산변회 회장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실무 중심의 멘토링, 활발한 교류를 통해 신입 회원들이 첫걸음을 잘 내디딜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부산변회, 2025년 신규 변호사 의무 연수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2곳
2025-04-23
법무법인 대륜,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 체결
법무법인 대륜,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 체결
플랫폼 회원사 대상 다양한 법적 분쟁 대비대륜 “장기적 성장을 위해 적극적인 조력 나설 것” 법무법인 대륜이 IR 전문 플랫폼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협약식은 지난 22일 대륜 서울총괄본부에서 대륜 박동일 대표와 아이비에스 박상호 대표이사, 이상목 사내이사 등 주요 실무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주식회사 아이비에스는 국내 최대 IR커뮤니티인 IR MANSE를 운영하는 IR 전문 플랫폼 기업으로 다채로운 기업 실무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폭넓은 회원사를 대상으로 헤드헌팅, 리서치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아이비에스 회원사에게 △법률 상담 및 자문 △소송 지원 △플랫폼 법적 이슈 대응 등 다양한 법률 서비스에 대해 혜택을 제공하고 아이비에스 홈페이지 내 대륜 링크를 게시해 고객 접근성을 향상시킬 방침이다.또한 양사는 공동으로 세미나, 설명회, 네트워킹 행사 등을 기획·운영하여 회원사에게 실질적인 법률 및 IR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에 협력할 계획이다.박상호 아이비에스 대표이사는 “양사의 업무협약을 통해 더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법률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대륜의 전문성과 아이비에스의 강력한 네트워크가 결합해 플랫폼 경쟁력 강화 및 IR 등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박동일 대륜 대표는 “아이비에스는 기업 실무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와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기업”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아이비에스 및 회원사에 최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양사는 향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회원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및 사업 영역 확대를 추진해 공동 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IR 플랫폼 기업 IBS와 MOU 체결…비즈니스 법률 지원 강화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2곳
2025-04-23
법무법인 대륜,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 체결
법무법인 대륜,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 체결
플랫폼 회원사 대상 다양한 법적 분쟁 대비대륜 “장기적 성장을 위해 적극적인 조력 나설 것” 법무법인 대륜이 IR 전문 플랫폼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협약식은 지난 22일 대륜 서울총괄본부에서 대륜 박동일 대표와 아이비에스 박상호 대표이사, 이상목 사내이사 등 주요 실무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주식회사 아이비에스는 국내 최대 IR커뮤니티인 IR MANSE를 운영하는 IR 전문 플랫폼 기업으로 다채로운 기업 실무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폭넓은 회원사를 대상으로 헤드헌팅, 리서치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아이비에스 회원사에게 △법률 상담 및 자문 △소송 지원 △플랫폼 법적 이슈 대응 등 다양한 법률 서비스에 대해 혜택을 제공하고 아이비에스 홈페이지 내 대륜 링크를 게시해 고객 접근성을 향상시킬 방침이다.또한 양사는 공동으로 세미나, 설명회, 네트워킹 행사 등을 기획·운영하여 회원사에게 실질적인 법률 및 IR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에 협력할 계획이다.박상호 아이비에스 대표이사는 “양사의 업무협약을 통해 더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법률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대륜의 전문성과 아이비에스의 강력한 네트워크가 결합해 플랫폼 경쟁력 강화 및 IR 등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박동일 대륜 대표는 “아이비에스는 기업 실무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와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기업”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아이비에스 및 회원사에 최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양사는 향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회원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및 사업 영역 확대를 추진해 공동 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아이비에스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IR 플랫폼 기업 IBS와 MOU 체결…비즈니스 법률 지원 강화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23
“정비구역 수용 취소 해달라” 지주 소송에…법원, “재산권 제약 우려” 원고 승소
“정비구역 수용 취소 해달라” 지주 소송에…법원, “재산권 제약 우려” 원고 승소
정비사업을 추진할 때 구체적인 손익 측정이 이뤄지지 않아 수용되는 토지 소유자의 재산권이 침해될 우려가 있는 경우 수용 결정은 취소되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법원은 최근 토지주 A씨가 부산시를 상대로 낸 정비구역 지정처분 등 일부 취소의 소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시는 2023년 아파트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며 약 3만 8000㎡ 크기의 땅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했다. 여기에 A씨의 땅이 포함됐는데, A씨는 상가 건물 재건축을 이유로 자신의 땅을 정비 구역에서 제외해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부산시는 A씨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개발에 따른 공익성 떨어진다는 이유로 거절하면서 A씨가 소송을 제기했다.A씨는 자신의 토지가 전체 정비구역의 극히 일부여서, 제외돼도 재개발 사업 진행에 영향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인접한 토지는 같은 이유로 정비 구역에서 제외된 바 있는데, 자기 땅만 포함된 것은 평등의 원칙에 어긋난다고도 강조했다. 아울러 토지가 정비구역 포함되면 용도가 일반상업지에서 전용주거지역으로 변경돼 가치가 떨어진다고 덧붙였다.시는 A씨의 토지가 제외되면 잔여지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정비구역으로 진입하는 도로가 사라지게 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A씨의 땅을 제외하면 정비구역에 편입된 다른 토지주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용지도를 봤을 때 토지가 정비구역에 포함되면 오히려 인접한 토지들이 잔여지로 남게 되고, 도로에 해당하는 다른 땅이 이미 있어 A씨의 토지가 꼭 필요한지 불분명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A씨의 토지를 정비구역에 포함했을 때 공익에 어떤 기여를 하게 되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A씨는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제약을 받게 될 것으로 봤다.A씨를 대리한 김대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행정주체는 계획을 세울 때 이와 관련된 사람들의 이익을 정당하게 비교하고 판단해야 한다”며 “토지가 포함되면 A씨가 입는 손해가 이득보다 크기에 재판부가 시의 결정에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정비구역 수용 취소 해달라” 지주 소송에…법원, “재산권 제약 우려” 원고 승소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23
“정비구역 수용 취소 해달라” 지주 소송에…법원, “재산권 제약 우려” 원고 승소
“정비구역 수용 취소 해달라” 지주 소송에…법원, “재산권 제약 우려” 원고 승소
정비사업을 추진할 때 구체적인 손익 측정이 이뤄지지 않아 수용되는 토지 소유자의 재산권이 침해될 우려가 있는 경우 수용 결정은 취소되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법원은 최근 토지주 A씨가 부산시를 상대로 낸 정비구역 지정처분 등 일부 취소의 소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시는 2023년 아파트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며 약 3만 8000㎡ 크기의 땅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했다. 여기에 A씨의 땅이 포함됐는데, A씨는 상가 건물 재건축을 이유로 자신의 땅을 정비 구역에서 제외해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부산시는 A씨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개발에 따른 공익성 떨어진다는 이유로 거절하면서 A씨가 소송을 제기했다.A씨는 자신의 토지가 전체 정비구역의 극히 일부여서, 제외돼도 재개발 사업 진행에 영향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인접한 토지는 같은 이유로 정비 구역에서 제외된 바 있는데, 자기 땅만 포함된 것은 평등의 원칙에 어긋난다고도 강조했다. 아울러 토지가 정비구역 포함되면 용도가 일반상업지에서 전용주거지역으로 변경돼 가치가 떨어진다고 덧붙였다.시는 A씨의 토지가 제외되면 잔여지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정비구역으로 진입하는 도로가 사라지게 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A씨의 땅을 제외하면 정비구역에 편입된 다른 토지주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용지도를 봤을 때 토지가 정비구역에 포함되면 오히려 인접한 토지들이 잔여지로 남게 되고, 도로에 해당하는 다른 땅이 이미 있어 A씨의 토지가 꼭 필요한지 불분명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A씨의 토지를 정비구역에 포함했을 때 공익에 어떤 기여를 하게 되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A씨는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제약을 받게 될 것으로 봤다.A씨를 대리한 김대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행정주체는 계획을 세울 때 이와 관련된 사람들의 이익을 정당하게 비교하고 판단해야 한다”며 “토지가 포함되면 A씨가 입는 손해가 이득보다 크기에 재판부가 시의 결정에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정비구역 수용 취소 해달라” 지주 소송에…법원, “재산권 제약 우려” 원고 승소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22
신탁 회사 속이고 수수료 1억 챙긴 공인중개사…법원 ‘무죄’ 판결 어떻게 나왔나
신탁 회사 속이고 수수료 1억 챙긴 공인중개사…법원 ‘무죄’ 판결 어떻게 나왔나
소개비 부풀려 작성하는 등 서류 조작해 신탁회사 제출…1억 6000만 챙겨재판부 “신탁회사, 증빙 자료 확인 후 수수료 지급…피고인 행위와 인과관계 없어” 신탁회사를 속이고 수수료를 챙긴 혐의로 기소된 공인중개사가 무죄를 선고받았다.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6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A씨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15년 허위 용역계약 서류를 작성하고, 이를 신탁회사에 제출해 분양 대행 수수료 약 1억 6000만 원을 챙긴 혐의를 받았다.검찰은 A씨가 사업자 지위를 이용해 자신이 조합원들을 모집한 것처럼 꾸며 신탁회사로부터 수수료를 받아냈다고 봤다. 아울러 제출한 서류에 실제 지급한 소개비(MGM 수수료)보다 높은 금액을 기재했다고도 판단했다.이에 A씨는 원활한 중개수수료 지급을 위해 명의를 빌려달라는 지역주택조합장의 부탁을 들어줬을 뿐, 이득을 편취하기 위한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또 신탁회사에 청구한 수수료는 실제로 지급된 금액이었다며 허위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체결된 용역계약에는 조합원 모집 방법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등 제3자가 모집한 조합원에 대해 피고인이 수수료를 받는 것을 금지하는 근거가 없다”며 “제3자 등을 통해 조합원이나 수분양자를 모집하고 수수료를 받는 것은 허용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이어 “신탁회사는 분양 세대수, 세대별 분양 대행 수수료와 같은 증빙 자료를 확인하고 수수료를 지급했다”며 “피고인의 행위와 신탁회사의 처분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신탁회사에 청구된 수수료는 대부분 실제로 중개를 한 대가였고 이로 인해 A씨가 얻은 이득은 없었다”며 “범죄 행위에 가담하려는 의도가 없었기에 법원이 죄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신재유 기자(wayjay@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신탁 회사 속이고 수수료 1억 챙긴 공인중개사…법원 ‘무죄’ 판결 어떻게 나왔나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22
신탁 회사 속이고 수수료 1억 챙긴 공인중개사…법원 ‘무죄’ 판결 어떻게 나왔나
신탁 회사 속이고 수수료 1억 챙긴 공인중개사…법원 ‘무죄’ 판결 어떻게 나왔나
소개비 부풀려 작성하는 등 서류 조작해 신탁회사 제출…1억 6000만 챙겨재판부 “신탁회사, 증빙 자료 확인 후 수수료 지급…피고인 행위와 인과관계 없어” 신탁회사를 속이고 수수료를 챙긴 혐의로 기소된 공인중개사가 무죄를 선고받았다.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6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A씨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15년 허위 용역계약 서류를 작성하고, 이를 신탁회사에 제출해 분양 대행 수수료 약 1억 6000만 원을 챙긴 혐의를 받았다.검찰은 A씨가 사업자 지위를 이용해 자신이 조합원들을 모집한 것처럼 꾸며 신탁회사로부터 수수료를 받아냈다고 봤다. 아울러 제출한 서류에 실제 지급한 소개비(MGM 수수료)보다 높은 금액을 기재했다고도 판단했다.이에 A씨는 원활한 중개수수료 지급을 위해 명의를 빌려달라는 지역주택조합장의 부탁을 들어줬을 뿐, 이득을 편취하기 위한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또 신탁회사에 청구한 수수료는 실제로 지급된 금액이었다며 허위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체결된 용역계약에는 조합원 모집 방법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등 제3자가 모집한 조합원에 대해 피고인이 수수료를 받는 것을 금지하는 근거가 없다”며 “제3자 등을 통해 조합원이나 수분양자를 모집하고 수수료를 받는 것은 허용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이어 “신탁회사는 분양 세대수, 세대별 분양 대행 수수료와 같은 증빙 자료를 확인하고 수수료를 지급했다”며 “피고인의 행위와 신탁회사의 처분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신탁회사에 청구된 수수료는 대부분 실제로 중개를 한 대가였고 이로 인해 A씨가 얻은 이득은 없었다”며 “범죄 행위에 가담하려는 의도가 없었기에 법원이 죄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신재유 기자(wayjay@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신탁 회사 속이고 수수료 1억 챙긴 공인중개사…법원 ‘무죄’ 판결 어떻게 나왔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22
“자녀 앞에서 부모 모욕” 아동학대 송치 50대…증거 불충분 무혐의
“자녀 앞에서 부모 모욕” 아동학대 송치 50대…증거 불충분 무혐의
자녀가 보는 데서 부모를 모욕했다는 이유로 아동학대 혐의로 고소당한 50대 여성에게 불기소 처분이 내려졌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 검찰청은 최근 아동복지법 위반(아동학대) 혐의로 송치된 50대 여성 A씨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A씨는 2022년 이웃 주민인 B씨와 그의 자녀 앞에서 모욕성 발언을 한 혐의를 받았다. B씨는 자녀에게 A씨가 괴성을 지르거나 의도적으로 길을 막는 등으로 13차례에 걸쳐 학대했다고 주장했다.반면 A씨는 B씨와 갈등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아동에게 피해를 끼치지는 않았다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검찰은 A씨의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두 사람이 다투는 모습을 B씨의 자녀가 본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행위가 아동학대에 해당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A씨가 B씨의 자녀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길을 막았다는 주장은 이를 뒷받침할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송원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B씨가 제출한 녹음파일 등 관련 자료에 두 사람이 다투는 상황이 담겼지만, 학대의 정황은 전혀 없었다. A씨 역시 B씨의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했는데, 수사기관이 이 자료의 신빙성을 더 높게 판단해 무혐의 처분을 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자녀 앞에서 부모 모욕” 아동학대 송치 50대…증거 불충분 무혐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22
“자녀 앞에서 부모 모욕” 아동학대 송치 50대…증거 불충분 무혐의
“자녀 앞에서 부모 모욕” 아동학대 송치 50대…증거 불충분 무혐의
자녀가 보는 데서 부모를 모욕했다는 이유로 아동학대 혐의로 고소당한 50대 여성에게 불기소 처분이 내려졌다.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 검찰청은 최근 아동복지법 위반(아동학대) 혐의로 송치된 50대 여성 A씨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A씨는 2022년 이웃 주민인 B씨와 그의 자녀 앞에서 모욕성 발언을 한 혐의를 받았다. B씨는 자녀에게 A씨가 괴성을 지르거나 의도적으로 길을 막는 등으로 13차례에 걸쳐 학대했다고 주장했다.반면 A씨는 B씨와 갈등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아동에게 피해를 끼치지는 않았다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검찰은 A씨의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두 사람이 다투는 모습을 B씨의 자녀가 본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행위가 아동학대에 해당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A씨가 B씨의 자녀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길을 막았다는 주장은 이를 뒷받침할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송원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B씨가 제출한 녹음파일 등 관련 자료에 두 사람이 다투는 상황이 담겼지만, 학대의 정황은 전혀 없었다. A씨 역시 B씨의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했는데, 수사기관이 이 자료의 신빙성을 더 높게 판단해 무혐의 처분을 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자녀 앞에서 부모 모욕” 아동학대 송치 50대…증거 불충분 무혐의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22
美 중국산 제품 소액 면세 폐지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 우려
美 중국산 제품 소액 면세 폐지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 우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무역 적자가 발생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했다.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미국산 물품에 대한 관세율 차이와 환율 조작, 불필요한 허가, 검역 등 비관세 무역장벽을 고려해 책정한 것으로 발표됐으나, 실질적으로는 미국의 무역적자와 상대국가의 수입액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및 홍콩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취하하겠다고도 선언했다. 앞서 지난 2월 초 이미 한 차례 펜타닐의 미국 반입을 이유로 면세 혜택 폐지를 발표했지만, 당시 현장 업무 혼란을 이유로 다음날 번복한 바 있다. 다시 최종적으로 발표된 중국 및 홍콩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 취하 방침은 오는 5월 2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대상은 중국 및 홍콩에서 제조해 미국으로 선적되는 800달러 이하 물품이며, 관세는 상품 가치를 기준으로 120% 적용된다. 오는 5월 2일부터 31일까지는 건당 100달러, 6월 1일부터는 건당 200달러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운송업자는 세금과 수수료 납부 보장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보증금을 보유해야 한다. 또한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에서 정한 방식에 따라 우편물 관련 정보 및 증빙을 제출할 필요가 있다.현재 미국에서 면세 대상인 소액 소포량은 2024년 기준 일일 약 400만개로 추정된다. 연간으로 치면 약 14억개로, 그 중 60%가 중국발로 집계된다. 그렇기에 중국산 물품의 소액 면세 제도 폐지가 미국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미국 이외에 한국, 일본, EU 등 주요 국가에서도 소액 물품 면세 제도 폐지를 고려하고 있는데, 이는 저가의 중국산 물품이 소액 면세 제도를 적용받아 자국에 대거 유입되어 시장을 교란했기 때문이다.주요 국가의 소액 면세 제도를 살펴보면, 면세 한도 금액이 미국 800달러, 한국 150달러(미국발 목록통관 200달러), 일본 10,000엔, EU 150유로인데, 미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면세 한도 금액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미국의 소액 면세 한도는 본래 200달러였으나, 2016년을 기준으로 800달러까지 완화됐다. 이후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전자상거래가 급성장하면서 소액 소포를 통한 마약 밀수 증가, 중국 적자 심화 등 문제가 커졌고, 이 때문에 당시 미국 내부에서도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리고 결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중국 및 홍콩발 제품의 소액 소포 면세 제도 폐지를 발표했다.저가 중국산 물품의 대거 유입으로 시장이 교란되면서 EU 또한 2021년 7월부터 소액 물품에 대한 관세는 면제하되 부가가치세는 부과하고 있다. 2028년 3월부터는 150유로 미만의 소액 물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어서, 결국 소액 물품 면세 제도는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한국의 경우 코로나 펜데믹 시기에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알리 익스프레스, 쉬인, 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의 한국 진출 역시 활발해졌다. 다만 중국산 물품이 소액 면세 제도를 통해 관부가세 및 KC 인증 면제 등 혜택을 받는 것에 비해 국내 사업자는 판매용 물품에 소액 면세 적용이 불가능해 모든 수입물품에 대해 관부가세를 납부하고 관련 KC인증을 취득해야 했기에 역차별이 문제가 됐다.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및 홍콩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취하함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타격을 받은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는 물품 가격을 덤핑해서라도 한국 시장을 공략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한국이 중국에 비해 상호 관세율이 매우 낮은 바, 중국산 제품을 미국으로 우회수출하기 위해 국내로 대량 반입될 위험이 있다.때문에 중국산 제품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국내 제조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지원책이 절실하다. 또한 국민 생활 편익 증진이라는 소액 물품 면세 제도의 본래 취지가 되살아날 수 있도록 알맞은 제도 개편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美 중국산 제품 소액 면세 폐지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 우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22
美 중국산 제품 소액 면세 폐지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 우려
美 중국산 제품 소액 면세 폐지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 우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무역 적자가 발생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했다.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미국산 물품에 대한 관세율 차이와 환율 조작, 불필요한 허가, 검역 등 비관세 무역장벽을 고려해 책정한 것으로 발표됐으나, 실질적으로는 미국의 무역적자와 상대국가의 수입액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및 홍콩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취하하겠다고도 선언했다. 앞서 지난 2월 초 이미 한 차례 펜타닐의 미국 반입을 이유로 면세 혜택 폐지를 발표했지만, 당시 현장 업무 혼란을 이유로 다음날 번복한 바 있다. 다시 최종적으로 발표된 중국 및 홍콩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 취하 방침은 오는 5월 2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대상은 중국 및 홍콩에서 제조해 미국으로 선적되는 800달러 이하 물품이며, 관세는 상품 가치를 기준으로 120% 적용된다. 오는 5월 2일부터 31일까지는 건당 100달러, 6월 1일부터는 건당 200달러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운송업자는 세금과 수수료 납부 보장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보증금을 보유해야 한다. 또한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에서 정한 방식에 따라 우편물 관련 정보 및 증빙을 제출할 필요가 있다.현재 미국에서 면세 대상인 소액 소포량은 2024년 기준 일일 약 400만개로 추정된다. 연간으로 치면 약 14억개로, 그 중 60%가 중국발로 집계된다. 그렇기에 중국산 물품의 소액 면세 제도 폐지가 미국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미국 이외에 한국, 일본, EU 등 주요 국가에서도 소액 물품 면세 제도 폐지를 고려하고 있는데, 이는 저가의 중국산 물품이 소액 면세 제도를 적용받아 자국에 대거 유입되어 시장을 교란했기 때문이다.주요 국가의 소액 면세 제도를 살펴보면, 면세 한도 금액이 미국 800달러, 한국 150달러(미국발 목록통관 200달러), 일본 10,000엔, EU 150유로인데, 미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면세 한도 금액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미국의 소액 면세 한도는 본래 200달러였으나, 2016년을 기준으로 800달러까지 완화됐다. 이후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전자상거래가 급성장하면서 소액 소포를 통한 마약 밀수 증가, 중국 적자 심화 등 문제가 커졌고, 이 때문에 당시 미국 내부에서도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리고 결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중국 및 홍콩발 제품의 소액 소포 면세 제도 폐지를 발표했다.저가 중국산 물품의 대거 유입으로 시장이 교란되면서 EU 또한 2021년 7월부터 소액 물품에 대한 관세는 면제하되 부가가치세는 부과하고 있다. 2028년 3월부터는 150유로 미만의 소액 물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어서, 결국 소액 물품 면세 제도는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한국의 경우 코로나 펜데믹 시기에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알리 익스프레스, 쉬인, 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의 한국 진출 역시 활발해졌다. 다만 중국산 물품이 소액 면세 제도를 통해 관부가세 및 KC 인증 면제 등 혜택을 받는 것에 비해 국내 사업자는 판매용 물품에 소액 면세 적용이 불가능해 모든 수입물품에 대해 관부가세를 납부하고 관련 KC인증을 취득해야 했기에 역차별이 문제가 됐다.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및 홍콩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취하함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타격을 받은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는 물품 가격을 덤핑해서라도 한국 시장을 공략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한국이 중국에 비해 상호 관세율이 매우 낮은 바, 중국산 제품을 미국으로 우회수출하기 위해 국내로 대량 반입될 위험이 있다.때문에 중국산 제품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국내 제조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지원책이 절실하다. 또한 국민 생활 편익 증진이라는 소액 물품 면세 제도의 본래 취지가 되살아날 수 있도록 알맞은 제도 개편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美 중국산 제품 소액 면세 폐지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 우려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22
[기고] 국민 기본권 막는 변호사 부가가치세, 후속조치 필요하다
[기고] 국민 기본권 막는 변호사 부가가치세, 후속조치 필요하다
국민이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법적 절차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형사사건은 물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사적 분쟁과 행정처분에서조차 법률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권리 구제가 어려운 시대다. 이런 상황에서 변호사 선임비용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10%’는 국민 기본권 실현을 막는 구조적 장벽이다.현행 부가가치세법은 국선변호, 법률구조, 국선세무대리를 제외한 거의 모든 변호사 용역에 대해 과세하고 있다. 이는 교육, 의료와 달리 법률서비스를 ‘일반 용역’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법률서비스는 기업 혹은 기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다수의 일반 국민, 특히 경제적 취약계층에게는 이 세금이 결코 가볍지 않은 실질적 부담이다.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난해 9월 김상욱 의원은 ‘부가가치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소액사건심판법상 소액사건, 형사소송절차,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 등 국가 공권력 대응과 당사자가 경제적 약자일 경우, 변호사 용역을 면세 대상으로 포함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다. 즉, 재판청구권과 변호인의 조력권이라는 헌법상 기본권 보호 차원에서 제한적이지만 상징적 의미를 가진 입법 시도라 할 수 있다.그러나 이번 개정안은 구조적 문제에 대한 ‘부분적 응급처치’에 가깝다. 국민의 기본권이 특정 유형의 사건에 국한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일반 민사소송이나 가사소송도 당사자에게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일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사건에서 변호사를 선임할 경우 여전히 부가가치세가 부과된다면, 결국 경제적 취약계층은 재정적 부담으로 인해 법률적 대응을 포기할 수 밖에 없다.김정욱 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은 협회장 선거 당시 ‘변호사 보수 부가가치세 면세’의 실현을 명시적으로 공약한 바 있다. 그러나 그 공약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언급을 넘어, 실질적 추진력과 입법 후속조치가 구체적으로 필요하다. 이제는 협회 차원의 보다 구조적이고 책임 있는 실천이 절실한 시점이다.법률서비스를 공공재로 인정한다면 한정된 면세 조치와 별개로 단계적 면세 확대와 세액 환급제도, 기초생활수급자에 대한 전면 면세 등 보다 종합적이고 정교한 제도 설계가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변협은 단순히 입법을 ‘환영’하는 차원을 넘어 법안의 통과 및 제도의 구체화, 관계 부처와의 실무 조정까지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할 책무가 있다.법무법인 대륜 또한 이런 변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부가가치세 사각지대에 놓인 사건 유형을 가장 먼저 파악하고 국민실태조사 실시 및 통계 자료 축적을 통해 입법적·정책적 논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실무 최전선에서 마주하는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게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륜은 국민이 법률서비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을 넓힐 것이다.국민의 권리 실현에 더 이상 ‘세금’이 장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는 법률서비스의 공공성과 기본권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부가가치세 과세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때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국민 기본권 막는 변호사 부가가치세, 후속조치 필요하다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22
[기고] 국민 기본권 막는 변호사 부가가치세, 후속조치 필요하다
[기고] 국민 기본권 막는 변호사 부가가치세, 후속조치 필요하다
국민이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법적 절차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형사사건은 물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사적 분쟁과 행정처분에서조차 법률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권리 구제가 어려운 시대다. 이런 상황에서 변호사 선임비용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10%’는 국민 기본권 실현을 막는 구조적 장벽이다.현행 부가가치세법은 국선변호, 법률구조, 국선세무대리를 제외한 거의 모든 변호사 용역에 대해 과세하고 있다. 이는 교육, 의료와 달리 법률서비스를 ‘일반 용역’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법률서비스는 기업 혹은 기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다수의 일반 국민, 특히 경제적 취약계층에게는 이 세금이 결코 가볍지 않은 실질적 부담이다.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난해 9월 김상욱 의원은 ‘부가가치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소액사건심판법상 소액사건, 형사소송절차,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 등 국가 공권력 대응과 당사자가 경제적 약자일 경우, 변호사 용역을 면세 대상으로 포함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다. 즉, 재판청구권과 변호인의 조력권이라는 헌법상 기본권 보호 차원에서 제한적이지만 상징적 의미를 가진 입법 시도라 할 수 있다.그러나 이번 개정안은 구조적 문제에 대한 ‘부분적 응급처치’에 가깝다. 국민의 기본권이 특정 유형의 사건에 국한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일반 민사소송이나 가사소송도 당사자에게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일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사건에서 변호사를 선임할 경우 여전히 부가가치세가 부과된다면, 결국 경제적 취약계층은 재정적 부담으로 인해 법률적 대응을 포기할 수 밖에 없다.김정욱 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은 협회장 선거 당시 ‘변호사 보수 부가가치세 면세’의 실현을 명시적으로 공약한 바 있다. 그러나 그 공약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언급을 넘어, 실질적 추진력과 입법 후속조치가 구체적으로 필요하다. 이제는 협회 차원의 보다 구조적이고 책임 있는 실천이 절실한 시점이다.법률서비스를 공공재로 인정한다면 한정된 면세 조치와 별개로 단계적 면세 확대와 세액 환급제도, 기초생활수급자에 대한 전면 면세 등 보다 종합적이고 정교한 제도 설계가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변협은 단순히 입법을 ‘환영’하는 차원을 넘어 법안의 통과 및 제도의 구체화, 관계 부처와의 실무 조정까지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할 책무가 있다.법무법인 대륜 또한 이런 변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부가가치세 사각지대에 놓인 사건 유형을 가장 먼저 파악하고 국민실태조사 실시 및 통계 자료 축적을 통해 입법적·정책적 논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실무 최전선에서 마주하는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게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륜은 국민이 법률서비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을 넓힐 것이다.국민의 권리 실현에 더 이상 ‘세금’이 장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는 법률서비스의 공공성과 기본권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부가가치세 과세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때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국민 기본권 막는 변호사 부가가치세, 후속조치 필요하다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21
일용직 계약종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노동위 “근로자로 볼 수 없어”
일용직 계약종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노동위 “근로자로 볼 수 없어”
무리한 급여인상 요구에 퇴사 협박“당사자적격 없다”며 신청 기각 급여를 인상해주지 않으면 퇴사하겠다고 주장한 일용직 근로자들이 회사로부터 해고 통보를 받자 ‘부당해고’를 주장하며 구제신청을 냈지만 노동위원회가 이를 기각했다. 노동위원회는 계약 종료가 양측 간 합의된 것이며, 이들 일용직 근로자는 구제신청 당사자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경남지방노동위원회는 지난 2월 선박임가공업체 A사에서 프리랜서로 근무한 근로자 B 씨 등이 회사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 구제신청 사건에 대해 기각 결정을 내렸다.B 씨 등은 지난해부터 회사와 구두 계약을 체결하고 근무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이들은 급여 인상을 요구했고, 회사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퇴직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결국 A사는 이들에게 문자 메시지로 고용관계가 종료됐음을 통보했다. 이에 반발한 B 씨 등은 해고 통보 방식에 문제가 있다며,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했다.사측은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됐다고 주장했다. A사의 법률대리인은 “근로자들이 급여 등을 유리한 조건으로 변경해주지 않으면 업무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협박했다. 회사는 어쩔 수 없이 이를 승낙해 고용관계 종결로 처리하게 됐다”며 “특히 이들은 애초 근로소득세가 아닌 3.3%의 사업소득세를 납부했고, 4대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 즉, 사용자와 대등한 지위에서 용역 계약을 체결한 것”이라고 말했다.경남지노위도 A사의 손을 들어주며 구제신청을 기각했다. 지노위는 “근로자와 사용자 간 체결된 계약의 법적 성질이 통상적 근로계약 관계라고 볼 수 없다”며 “통화 내역 등을 살펴봤을 때 근로자 역시 당사자 간 관계를 사용종속 관계가 아닌 대등한 관계로 인지하고 있었고, 자발적 의사로 퇴직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당해고 구제신청 당사자적격이 없다”고 설명했다.A사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송재백 변호사는 “신청인들은 회사 내 인력이 부족한 상황임을 악용해 무리한 급여 인상을 요구했고, 이를 빌미로 팀 내 불화도 일으켰다”며 “애초 이런 일이 가능한 것도 종속적인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그러면서 “또 겸직 금지 등 추가적 약정이 존재하지 않아 신청인들은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날에는 자유롭게 다른 공사에 참여해 병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며 “제반 사정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결과 프리랜서인 신청인들의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해고 기간 받을 수 있는 임금액 청구 등도 모두 기각됐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일용직 계약종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노동위 “근로자로 볼 수 없어”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21
일용직 계약종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노동위 “근로자로 볼 수 없어”
일용직 계약종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노동위 “근로자로 볼 수 없어”
무리한 급여인상 요구에 퇴사 협박“당사자적격 없다”며 신청 기각 급여를 인상해주지 않으면 퇴사하겠다고 주장한 일용직 근로자들이 회사로부터 해고 통보를 받자 ‘부당해고’를 주장하며 구제신청을 냈지만 노동위원회가 이를 기각했다. 노동위원회는 계약 종료가 양측 간 합의된 것이며, 이들 일용직 근로자는 구제신청 당사자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경남지방노동위원회는 지난 2월 선박임가공업체 A사에서 프리랜서로 근무한 근로자 B 씨 등이 회사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 구제신청 사건에 대해 기각 결정을 내렸다.B 씨 등은 지난해부터 회사와 구두 계약을 체결하고 근무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이들은 급여 인상을 요구했고, 회사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퇴직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결국 A사는 이들에게 문자 메시지로 고용관계가 종료됐음을 통보했다. 이에 반발한 B 씨 등은 해고 통보 방식에 문제가 있다며,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했다.사측은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됐다고 주장했다. A사의 법률대리인은 “근로자들이 급여 등을 유리한 조건으로 변경해주지 않으면 업무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협박했다. 회사는 어쩔 수 없이 이를 승낙해 고용관계 종결로 처리하게 됐다”며 “특히 이들은 애초 근로소득세가 아닌 3.3%의 사업소득세를 납부했고, 4대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 즉, 사용자와 대등한 지위에서 용역 계약을 체결한 것”이라고 말했다.경남지노위도 A사의 손을 들어주며 구제신청을 기각했다. 지노위는 “근로자와 사용자 간 체결된 계약의 법적 성질이 통상적 근로계약 관계라고 볼 수 없다”며 “통화 내역 등을 살펴봤을 때 근로자 역시 당사자 간 관계를 사용종속 관계가 아닌 대등한 관계로 인지하고 있었고, 자발적 의사로 퇴직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당해고 구제신청 당사자적격이 없다”고 설명했다.A사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송재백 변호사는 “신청인들은 회사 내 인력이 부족한 상황임을 악용해 무리한 급여 인상을 요구했고, 이를 빌미로 팀 내 불화도 일으켰다”며 “애초 이런 일이 가능한 것도 종속적인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그러면서 “또 겸직 금지 등 추가적 약정이 존재하지 않아 신청인들은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날에는 자유롭게 다른 공사에 참여해 병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며 “제반 사정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결과 프리랜서인 신청인들의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해고 기간 받을 수 있는 임금액 청구 등도 모두 기각됐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일용직 계약종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노동위 “근로자로 볼 수 없어” (바로가기)
글로벌경제신문
2025-04-21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위자료 청구와 증거수집의 중요성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위자료 청구와 증거수집의 중요성
이혼을 결심한 사람이라면 대부분 ‘위자료’에 대해 가장 큰 궁금증을 갖고 있을 것이다. 오랜 시간 쌓인 감정적 상처와 정신적 피해 등을 회복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위자료를 청구하고자 할때면, 어떤 주장을 펼쳐야 하는지 또 얼마만큼의 금액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막막함을 느끼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위자료는 민법상 혼인 파탄의 책임이 있는 배우자에게 재산상·정신상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자료 청구가 인용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대방에게 책임이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해 혼인 생활이 파탄에 이르렀다는 점이 명확히 입증돼야 한다. 단순한 성격 차이나 갈등을 넘어서서 폭언이나 폭행, 상습적 외도와 같은 잘못이 입증돼야 한다는 것이다. 법원은 위자료 액수 판단시 혼인 기간과 상대방의 책임 정도, 자녀 유무 및 양육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같은 외도 사안이라고 해도, 혼인기간이 1년인지 20년인지, 자녀가 1명인지 3명인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위자료 액수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자료는 평균 1,000~3,000만원 선에서 책정되지만, 상대방의 유책 정도가 심할 경우 그 이상의 금액을 청구해볼 수 있다. 위자료를 받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객관적인 증거’다. 상대방의 귀책 사유를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증명해야하기 때문이다. 가령 배우자의 외도가 문제였다면, 배우자가 상간 대상과 나눈 메시지나 통화 기록, 숙박업소 기록 등이 확보돼야 한다. 폭행이나 폭언이 있었다면 관련 진단서나 녹취록, 경찰 신고 내역 등이 필요하다. 경제적 무책임이나 생활 방기가 원인이라면, 은행 거래 내역이나 지출 기록 등을 갖고 있어야 유리하다. 강릉 법무법인대륜 황서영 변호사는 “다만 이러한 증거를 개인이 혼자서 완벽하게 수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특히 외도의 경우 대부분 은밀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일반인이 법적 요건에 맞는 자료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또 증거 수집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불법 촬영이나 사생활 침해 등의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오히려 처벌 위기에 놓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어렵게 수집한 증거자료를 소송에서 증거로 제출할 수 없는 상황까지 놓이기도 한다. 따라서 이혼전문변호사와 같은 전문가의 조력을 통해 합법적인 방식으로 증거를 수집하고 전략적인 준비를 바탕으로 소송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위자료 청구와 증거수집의 중요성 (바로가기)
글로벌경제신문
2025-04-21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위자료 청구와 증거수집의 중요성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위자료 청구와 증거수집의 중요성
이혼을 결심한 사람이라면 대부분 ‘위자료’에 대해 가장 큰 궁금증을 갖고 있을 것이다. 오랜 시간 쌓인 감정적 상처와 정신적 피해 등을 회복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위자료를 청구하고자 할때면, 어떤 주장을 펼쳐야 하는지 또 얼마만큼의 금액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막막함을 느끼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위자료는 민법상 혼인 파탄의 책임이 있는 배우자에게 재산상·정신상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자료 청구가 인용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대방에게 책임이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해 혼인 생활이 파탄에 이르렀다는 점이 명확히 입증돼야 한다. 단순한 성격 차이나 갈등을 넘어서서 폭언이나 폭행, 상습적 외도와 같은 잘못이 입증돼야 한다는 것이다. 법원은 위자료 액수 판단시 혼인 기간과 상대방의 책임 정도, 자녀 유무 및 양육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같은 외도 사안이라고 해도, 혼인기간이 1년인지 20년인지, 자녀가 1명인지 3명인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위자료 액수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자료는 평균 1,000~3,000만원 선에서 책정되지만, 상대방의 유책 정도가 심할 경우 그 이상의 금액을 청구해볼 수 있다. 위자료를 받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객관적인 증거’다. 상대방의 귀책 사유를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증명해야하기 때문이다. 가령 배우자의 외도가 문제였다면, 배우자가 상간 대상과 나눈 메시지나 통화 기록, 숙박업소 기록 등이 확보돼야 한다. 폭행이나 폭언이 있었다면 관련 진단서나 녹취록, 경찰 신고 내역 등이 필요하다. 경제적 무책임이나 생활 방기가 원인이라면, 은행 거래 내역이나 지출 기록 등을 갖고 있어야 유리하다. 강릉 법무법인대륜 황서영 변호사는 “다만 이러한 증거를 개인이 혼자서 완벽하게 수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특히 외도의 경우 대부분 은밀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일반인이 법적 요건에 맞는 자료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또 증거 수집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불법 촬영이나 사생활 침해 등의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오히려 처벌 위기에 놓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어렵게 수집한 증거자료를 소송에서 증거로 제출할 수 없는 상황까지 놓이기도 한다. 따라서 이혼전문변호사와 같은 전문가의 조력을 통해 합법적인 방식으로 증거를 수집하고 전략적인 준비를 바탕으로 소송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변호사가 설명하는 이혼 위자료 청구와 증거수집의 중요성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21
"유튜브 싸게 보세요" IP 우회로 1억 번 사업자 '불송치'..왜?
"유튜브 싸게 보세요" IP 우회로 1억 번 사업자 '불송치'..왜?
해외 VPN 이용..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 저렴하게 제공이용 중 계정 정지에 피해자 집단 고소..경찰, "편취 아냐"해외 VPN을 이용한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권을 판매한 뒤 계정이 정지되자 잠적한 혐의를 받던 30대 남성이 경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1일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지난 2월 사기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5월부터 1년 6개월가량 유튜브 프리미엄 계정을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한다며 사용자들을 모집해 구독료를 송금받았습니다.A씨가 이 방법으로 얻은 차익금은 1억 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하지만 이후 사용자들의 계정이 정지됐고 A씨와 연락이 닿지 않던 피해자들이 고소장을 제출하며 수사가 시작됐습니다.A씨는 자신의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A씨는 "구글의 해외 IP 차단 기준이 강화돼 불가피하게 정지됐다"며 "고의로 잠적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경찰은 A씨의 행위가 상품 거래 절차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보고, 혐의없음으로 결론지었습니다.경찰은 "A씨가 2년 넘게 본인 명의의 국내 계좌를 사용한 점을 고려할 때, 편취를 목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계정 정지 이후 A씨가 자신의 블로그에 환불 신청서를 올리고 차액을 환불해 준 점, 이후 피해자들이 고소 취하 의사를 밝힌 점 등이 참작됐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이광수 변호사는 "사기죄는 기망행위에 대한 인식과 판단 착오 여부가 쟁점"이라면서 "A씨는 계정 정지 이후 자발적으로 대처했기 때문에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유튜브 싸게 보세요" IP 우회로 1억 번 사업자 '불송치'..왜?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21
"유튜브 싸게 보세요" IP 우회로 1억 번 사업자 '불송치'..왜?
"유튜브 싸게 보세요" IP 우회로 1억 번 사업자 '불송치'..왜?
해외 VPN 이용..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 저렴하게 제공이용 중 계정 정지에 피해자 집단 고소..경찰, "편취 아냐"해외 VPN을 이용한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권을 판매한 뒤 계정이 정지되자 잠적한 혐의를 받던 30대 남성이 경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1일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지난 2월 사기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5월부터 1년 6개월가량 유튜브 프리미엄 계정을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한다며 사용자들을 모집해 구독료를 송금받았습니다.A씨가 이 방법으로 얻은 차익금은 1억 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하지만 이후 사용자들의 계정이 정지됐고 A씨와 연락이 닿지 않던 피해자들이 고소장을 제출하며 수사가 시작됐습니다.A씨는 자신의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A씨는 "구글의 해외 IP 차단 기준이 강화돼 불가피하게 정지됐다"며 "고의로 잠적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경찰은 A씨의 행위가 상품 거래 절차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보고, 혐의없음으로 결론지었습니다.경찰은 "A씨가 2년 넘게 본인 명의의 국내 계좌를 사용한 점을 고려할 때, 편취를 목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계정 정지 이후 A씨가 자신의 블로그에 환불 신청서를 올리고 차액을 환불해 준 점, 이후 피해자들이 고소 취하 의사를 밝힌 점 등이 참작됐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이광수 변호사는 "사기죄는 기망행위에 대한 인식과 판단 착오 여부가 쟁점"이라면서 "A씨는 계정 정지 이후 자발적으로 대처했기 때문에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유튜브 싸게 보세요" IP 우회로 1억 번 사업자 '불송치'..왜? (바로가기)
조선일보
2025-04-21
법률 서비스 시장 혁신의 아이콘… 이제는 글로벌 로펌 꿈꾼다
법률 서비스 시장 혁신의 아이콘… 이제는 글로벌 로펌 꿈꾼다
법무법인 대륜전국 곳곳에 분사무소 설치, 상담변호사 도입… 기존의 틀 과감히 깨개소 9년만에 9위 로펌… 美 기업·日 법무법인과 협업 통해 해외로 2016년 대륜종합법률사무소로 처음 문을 연 법무법인 대륜은 경색된 국내 법조 시장에 새로운 화두를 던져왔다. 운영 방식부터 남달랐다. 세계 최대 규모의 로펌인 베이커 앤 맥킨지(Baker & McKenzie)의 시스템을 본떠 전국 각지에 분사무소를 설립해 법률 서비스의 접근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좋은 로펌을 찾아 서울로 가야 했던 과거와 달리 대륜은 직접 고객 곁으로 다가가는 방식을 택했다. 대륜은 현재 전국 44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상담변호사’ 시스템 역시 기존의 틀을 과감하게 깬 사례로 평가된다. 대륜은 그야말로 ‘상담’만을 진행하는 변호사를 현장에 투입했다. 이는 변호사 개인이 상담→서면→재판까지 모두 담당하는 통상적인 로펌의 관행과 완전히 다른 행보다. 제대로 된 상담이 먼저 이뤄져야 사건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가능해지고, 보다 체계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대륜은 이 같은 운영 방식으로 고속 성장해 왔다. 지난해 1127억원 매출액을 기록하며 9위 로펌에 이름을 올렸다.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대륜의 목표는 글로벌 시장”이라며 “오랜 시간 발전시켜 온 대륜만의 시스템을 이제 해외에 널리 알릴 것”이라고 자신했다. ―전국 곳곳에 분사무소를 운영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기존의 법조 시장은 굉장히 불투명했다. 특히 일반 의뢰인들의 시각에서 볼 때 더욱 그랬다. 변호사나 로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어려워 사건을 맡길 변호사를 찾으려면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속칭 브로커를 통하기도 했다. 심리적인 장벽이 점차 높아졌고, 법조 시장 전체에 대한 고객 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대륜은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고자 했다. 우선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 미국 대형 로펌들은 미국 전역과 전 세계에 분사무소가 최소 수십 개가 넘는다. 이러한 로펌들의 선진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주사무소 한 곳을 중심으로 전국에 43개 분사무소를 설치했다. 핵심은 주사무소가 전국의 모든 분사무소를 통합 관리한다는 것이다. 고객이 가까운 사무소에서 상담을 받으면, 해당 분야에서 가장 전문성이 있는 전국의 변호사가 사건을 담당하니, 전국 어디서든 동일한 수준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상담변호사를 둔 구체적인 이유도 설명해 달라.“소송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가 바로 ‘상담’이다. 이 단계에서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건의 특징을 초기에 명확하게 분석하지 못하면, 적절한 전문 변호사를 배치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상담 과정에는 그 누구보다 경험이 많은 변호사가 투입돼야 한다. 상담변호사를 별도로 둔 이유다. 대형 종합병원에서는 초기 응급조치와 정확한 질병 진단을 위해 응급의학과 및 병리과 의사가 있다. 동일한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장기간 실력을 인정받고, 치열한 내부 경쟁을 통해 선발된 상담변호사가 사건별 특징을 정확히 파악한 뒤 이에 맞는 전문 변호사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필요시 회계사·노무사·세무사·변리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함께 투입해 다각도로 사건을 바라보도록 했다. 이는 미국의 선진 로펌 시스템과도 유사하다. 미국의 경우 주로 파트너 변호사가 사건을 수임하고 고객 상담에 나선 뒤 해당 사건을 적합한 팀에 배정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대륜도 마찬가지다. 상담변호사가 파트너 변호사의 역할을 맡는 것이다. 사건 유형에 따른 분배 시스템을 촘촘하게 구축해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사건 처리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더해진 대륜만의 특성은 판·검사 출신 변호사들이 조사 입회 및 법정 출정까지 직접 수행하며 의뢰인들과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사건 진행에 직접 관여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운영 시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무엇인가.“앞에서도 언급했듯 결국 가장 중요한 주체는 ‘고객’이다. 아무리 접근성이 좋아도 또 상담이 잘 이뤄졌어도, 고객이 최종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면 그것은 실패한 시스템이다. 대륜의 경우 사무소가 전국으로 분포돼 있는 만큼, 일부에서는 관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낼 수도 있다. 대륜 역시 이러한 점들을 완벽히 보완하기 위해 오랜 시간 노력해 왔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송무관리본부’와 ‘고객만족센터’다. ‘송무관리본부’는 송무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하는 그룹이다. 사건이 수임된 순간부터 종료될 때까지 전(全)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민사·행정 △형사 △가사 등 분야를 나눠 관리부를 구성했다. 관리부 하나당 부장 변호사 1명이 배치되고, 그 외 시니어급 변호사·법무실장·법률 사무원이 함께 업무를 수행한다. 사건 처리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부실 변론·소통 누락 문제 등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고객만족센터’는 약 1년 6개월 전부터 운영하기 시작했다. 대형 로펌 중에는 최초였다. 고객들이 남긴 피드백을 하나도 빠짐없이 전 사무소 구성원에게 공유하고 있다. 문의 사항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대안을 제시하려 노력한다. 고객들의 생각을 시시각각 전달하면서, 대륜의 발전 방안을 함께 도모하는 방식이다. 실제 최근 대륜에 사건을 맡긴 의뢰인 3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는데, 98% 이상의 고객이 ‘만족’을 표했다. 불편 사항이 있을 경우 고객관리팀에서 신속히 대응한 결과다."―대륜이 추구하는 미래의 로펌 모델은 어떤 모습인가?“대륜은 이제 국내를 넘어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로펌으로 도약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잘 설계해 놓은 대륜만의 시스템을 해외 시장에 선보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미국 뉴욕과 일본 도쿄 등 해외 각지에 분사무소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해외 유수 로펌이나 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미국 부동산 종합 설루션 플랫폼인 코리니(Koriny), 일본 대형 법무법인인 베리베스트 등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게 대표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설치해 고객 접근성 및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외국 변호사와 관세전문위원 등 해외 법무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가들도 꾸준히 영입하고 있다.”―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국내 변호사 수는 늘어나고 있는데, 법률 시장은 여전히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시장이 커지지 않으면 대한민국 법조계 발전 또한 더딜 수밖에 없다. 법률 시장이 변화하고 또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행·관습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대륜은 오랜 시간 혁신과 변화를 거듭해 왔다. 분사무소 운영과 상담전담변호사 제도 도입이 그랬다. 더 나아가 대륜은 ‘리걸 테크(Legal Tech·법률 정보 기술)’ 분야에도 지대한 관심을 두고 있다.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법률 서비스인 ‘AI 대륜’을 출시했고, 종합 법률 플랫폼도 곧 선보일 계획이다. 이러한 끊임없는 도전이 대륜을 발전시켰다고 믿는다. 이제 대륜의 목표는 글로벌 로펌으로의 성장이다. 대륜이 차근차근 다듬어 온 시스템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국내 로펌의 위상을 드높일 것이다."문미영 객원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률 서비스 시장 혁신의 아이콘… 이제는 글로벌 로펌 꿈꾼다 (바로가기)
조선일보
2025-04-21
법률 서비스 시장 혁신의 아이콘… 이제는 글로벌 로펌 꿈꾼다
법률 서비스 시장 혁신의 아이콘… 이제는 글로벌 로펌 꿈꾼다
법무법인 대륜전국 곳곳에 분사무소 설치, 상담변호사 도입… 기존의 틀 과감히 깨개소 9년만에 9위 로펌… 美 기업·日 법무법인과 협업 통해 해외로 2016년 대륜종합법률사무소로 처음 문을 연 법무법인 대륜은 경색된 국내 법조 시장에 새로운 화두를 던져왔다. 운영 방식부터 남달랐다. 세계 최대 규모의 로펌인 베이커 앤 맥킨지(Baker & McKenzie)의 시스템을 본떠 전국 각지에 분사무소를 설립해 법률 서비스의 접근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좋은 로펌을 찾아 서울로 가야 했던 과거와 달리 대륜은 직접 고객 곁으로 다가가는 방식을 택했다. 대륜은 현재 전국 44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상담변호사’ 시스템 역시 기존의 틀을 과감하게 깬 사례로 평가된다. 대륜은 그야말로 ‘상담’만을 진행하는 변호사를 현장에 투입했다. 이는 변호사 개인이 상담→서면→재판까지 모두 담당하는 통상적인 로펌의 관행과 완전히 다른 행보다. 제대로 된 상담이 먼저 이뤄져야 사건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가능해지고, 보다 체계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대륜은 이 같은 운영 방식으로 고속 성장해 왔다. 지난해 1127억원 매출액을 기록하며 9위 로펌에 이름을 올렸다.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는 “대륜의 목표는 글로벌 시장”이라며 “오랜 시간 발전시켜 온 대륜만의 시스템을 이제 해외에 널리 알릴 것”이라고 자신했다. ―전국 곳곳에 분사무소를 운영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기존의 법조 시장은 굉장히 불투명했다. 특히 일반 의뢰인들의 시각에서 볼 때 더욱 그랬다. 변호사나 로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어려워 사건을 맡길 변호사를 찾으려면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속칭 브로커를 통하기도 했다. 심리적인 장벽이 점차 높아졌고, 법조 시장 전체에 대한 고객 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대륜은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고자 했다. 우선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 미국 대형 로펌들은 미국 전역과 전 세계에 분사무소가 최소 수십 개가 넘는다. 이러한 로펌들의 선진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주사무소 한 곳을 중심으로 전국에 43개 분사무소를 설치했다. 핵심은 주사무소가 전국의 모든 분사무소를 통합 관리한다는 것이다. 고객이 가까운 사무소에서 상담을 받으면, 해당 분야에서 가장 전문성이 있는 전국의 변호사가 사건을 담당하니, 전국 어디서든 동일한 수준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상담변호사를 둔 구체적인 이유도 설명해 달라.“소송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가 바로 ‘상담’이다. 이 단계에서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건의 특징을 초기에 명확하게 분석하지 못하면, 적절한 전문 변호사를 배치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상담 과정에는 그 누구보다 경험이 많은 변호사가 투입돼야 한다. 상담변호사를 별도로 둔 이유다. 대형 종합병원에서는 초기 응급조치와 정확한 질병 진단을 위해 응급의학과 및 병리과 의사가 있다. 동일한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장기간 실력을 인정받고, 치열한 내부 경쟁을 통해 선발된 상담변호사가 사건별 특징을 정확히 파악한 뒤 이에 맞는 전문 변호사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필요시 회계사·노무사·세무사·변리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함께 투입해 다각도로 사건을 바라보도록 했다. 이는 미국의 선진 로펌 시스템과도 유사하다. 미국의 경우 주로 파트너 변호사가 사건을 수임하고 고객 상담에 나선 뒤 해당 사건을 적합한 팀에 배정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대륜도 마찬가지다. 상담변호사가 파트너 변호사의 역할을 맡는 것이다. 사건 유형에 따른 분배 시스템을 촘촘하게 구축해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사건 처리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더해진 대륜만의 특성은 판·검사 출신 변호사들이 조사 입회 및 법정 출정까지 직접 수행하며 의뢰인들과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사건 진행에 직접 관여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운영 시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무엇인가.“앞에서도 언급했듯 결국 가장 중요한 주체는 ‘고객’이다. 아무리 접근성이 좋아도 또 상담이 잘 이뤄졌어도, 고객이 최종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면 그것은 실패한 시스템이다. 대륜의 경우 사무소가 전국으로 분포돼 있는 만큼, 일부에서는 관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낼 수도 있다. 대륜 역시 이러한 점들을 완벽히 보완하기 위해 오랜 시간 노력해 왔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송무관리본부’와 ‘고객만족센터’다. ‘송무관리본부’는 송무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하는 그룹이다. 사건이 수임된 순간부터 종료될 때까지 전(全)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민사·행정 △형사 △가사 등 분야를 나눠 관리부를 구성했다. 관리부 하나당 부장 변호사 1명이 배치되고, 그 외 시니어급 변호사·법무실장·법률 사무원이 함께 업무를 수행한다. 사건 처리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부실 변론·소통 누락 문제 등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고객만족센터’는 약 1년 6개월 전부터 운영하기 시작했다. 대형 로펌 중에는 최초였다. 고객들이 남긴 피드백을 하나도 빠짐없이 전 사무소 구성원에게 공유하고 있다. 문의 사항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대안을 제시하려 노력한다. 고객들의 생각을 시시각각 전달하면서, 대륜의 발전 방안을 함께 도모하는 방식이다. 실제 최근 대륜에 사건을 맡긴 의뢰인 3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는데, 98% 이상의 고객이 ‘만족’을 표했다. 불편 사항이 있을 경우 고객관리팀에서 신속히 대응한 결과다."―대륜이 추구하는 미래의 로펌 모델은 어떤 모습인가?“대륜은 이제 국내를 넘어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로펌으로 도약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잘 설계해 놓은 대륜만의 시스템을 해외 시장에 선보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미국 뉴욕과 일본 도쿄 등 해외 각지에 분사무소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해외 유수 로펌이나 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미국 부동산 종합 설루션 플랫폼인 코리니(Koriny), 일본 대형 법무법인인 베리베스트 등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게 대표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설치해 고객 접근성 및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외국 변호사와 관세전문위원 등 해외 법무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가들도 꾸준히 영입하고 있다.”―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국내 변호사 수는 늘어나고 있는데, 법률 시장은 여전히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시장이 커지지 않으면 대한민국 법조계 발전 또한 더딜 수밖에 없다. 법률 시장이 변화하고 또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행·관습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대륜은 오랜 시간 혁신과 변화를 거듭해 왔다. 분사무소 운영과 상담전담변호사 제도 도입이 그랬다. 더 나아가 대륜은 ‘리걸 테크(Legal Tech·법률 정보 기술)’ 분야에도 지대한 관심을 두고 있다.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법률 서비스인 ‘AI 대륜’을 출시했고, 종합 법률 플랫폼도 곧 선보일 계획이다. 이러한 끊임없는 도전이 대륜을 발전시켰다고 믿는다. 이제 대륜의 목표는 글로벌 로펌으로의 성장이다. 대륜이 차근차근 다듬어 온 시스템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국내 로펌의 위상을 드높일 것이다."문미영 객원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률 서비스 시장 혁신의 아이콘… 이제는 글로벌 로펌 꿈꾼다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4-20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법무법인 '대륜' 이일형 변호사 "디지털의료제품법,시대적 흐름 잘 반영 입법 평가""디지털의료제품 개발 소홀히 할 수 없어..시대 흐름 낙오 국가-기업 경쟁력 상실' 지난해 1월, 세계 최초로 ‘디지털의료제품법’이 제정되고 올해 1월부터 본격 시행되며, 업계 관심이 뜨겁다. 동 법 제정 이유는 디지털치료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시장의 대두와 관련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디지털치료제(통상 DTx라고도 하며, 명칭과는 다르게 우리나라에서는 의료기기법 적용을 받는다)란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의미한다. 즉, 디지털치료제는 단순한 건강관리 앱과 달리, 질병 치료 효과가 입증된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실제 일부 디지털치료제는 의사 처방이 필요한 의료기기로 분류돼 있다. 이러한 디지털치료제 시장은 2017년 미국 FDA가 마약, 알코올 등 약물 중독을 치료하는 애플리케이션 ‘reSET’을 세계 최초로 디지털치료제로 승인하면서 본격 개화됐다. 이후 2020년 Akili Interactive사 ‘EndeavorRx’, Pear Therapeutics사 ‘Somryst’ 등이 FDA 승인을 받으며 이 시장은 계속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3년 2월, 에임메드가 개발한 ‘솜즈(Somzz)’가 처음으로 허가를 받았다. ‘EndeavorRx’를 예시로 디지털치료제에 대해 설명하면, 플레이어는 이 게임에서 여러 스테이지(stage) 동안 우주선을 조종해 수집품을 찾거나 동물을 잡는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이 게임은 ADHD가 있는 어린이 환자 등에게 집중이 필요한 과제를 반복시킴으로써 멀티태스킹 능력 향상을 유도한다. ‘EndeavorRx’는 실제 임상시험 결과 ADHD 증상 개선 효과가 입증돼 치료제로서 지위도 인정받게 됐다. 한편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는 2013년 IMDRF에서 ‘SaMD(Software as a Medical Device)’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디지털의료제품법에서는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를 디지털의료기기 일부를 구성하거나 그 자체로 디지털의료기기인 소프트웨어로 정의하며, ‘독립형 소프트웨어’와 ‘종속형 소프트웨어’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라고 하면 ‘독립형 소프트웨어’를 우선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영상, 생체 신호 등을 활용한 진단보조 소프트웨어가 계속 출시되며, 이러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시장은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진 ‘루닛’은 이 분야 대표 기업으로, ‘검출·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치료제, 디지털의료기기,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라는 개념은 오래 전 나와 있었고, 기존 의료기기와는 구분되는 특성이 많아 별도 규제 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었다. 실무에서도 오래전에 제정된 의료기기법으로 디지털의료제품을 규제하고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과 혼란이 있었다. 그러던 중, ChatGPT 등 AI 기술 도입 이후 디지털 기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자, 우리 정부는 세계 최초 로'디지털의료제품법'을 제정하게 됐다. 이번에 제정된 디지털의료제품법은 ‘디지털’이라는 고유 특성을 고려해 만들어진 법으로, 관련 기업들에게는 환영할 만한 입법 사례다. 인체에 미치는 위해 정도가 의료기기보다 훨씬 적고, 의료기기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디지털의료제품에 대해 과도하게 규제함으로써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상황을 해소할 수 있게 된 점은, 제조사 입장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의료제품법 내용과 관련해 식품의약품안전처 홍보 자료 및 정책 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특성을 반영해 인허가 절차, 품질관리 체계, 임상시험 절차, 광고 및 판매 규제 등 규정을 새로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법률 조문을 보면, 의료기기법이나 약사법과는 다른 고유 체계를 갖춘 부분이 많다. 예컨대, 동 법은 구성요소 성능평가 규정을 포함하고 있고, 실사용 평가를 위해 의료인 및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의료기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있으며, GMP 심사 또한 완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외 디지털의료제품법만의 독특한 규정들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기고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론에서 조금 벗어난 이야기지만, 기고자 역시 ChatGPT를 사용하면서 ‘디지털’, ‘AI 기술’ 도입은 피할 수 없는 시대 흐름이라 느꼈고, 디지털의료제품 개발 역시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변호사인 기고자가 이러한 흐름을 체감하고 있으니, 제약업계 최전선에 계신 실무자 여러분은 훨씬 더 많은 변화와 흐름을 실감하고 계실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낙오하는 국가와 기업은 결국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며, 올해부터 시행되는 디지털의료제품법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잘 반영한 입법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제약바이오 기업 실무자들께서 동 법을 잘 연구하셔서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시길 바라며, 이번 글은 이만 마무리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바로가기)
약업신문
2025-04-20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법무법인 '대륜' 이일형 변호사 "디지털의료제품법,시대적 흐름 잘 반영 입법 평가""디지털의료제품 개발 소홀히 할 수 없어..시대 흐름 낙오 국가-기업 경쟁력 상실' 지난해 1월, 세계 최초로 ‘디지털의료제품법’이 제정되고 올해 1월부터 본격 시행되며, 업계 관심이 뜨겁다. 동 법 제정 이유는 디지털치료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시장의 대두와 관련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디지털치료제(통상 DTx라고도 하며, 명칭과는 다르게 우리나라에서는 의료기기법 적용을 받는다)란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의미한다. 즉, 디지털치료제는 단순한 건강관리 앱과 달리, 질병 치료 효과가 입증된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실제 일부 디지털치료제는 의사 처방이 필요한 의료기기로 분류돼 있다. 이러한 디지털치료제 시장은 2017년 미국 FDA가 마약, 알코올 등 약물 중독을 치료하는 애플리케이션 ‘reSET’을 세계 최초로 디지털치료제로 승인하면서 본격 개화됐다. 이후 2020년 Akili Interactive사 ‘EndeavorRx’, Pear Therapeutics사 ‘Somryst’ 등이 FDA 승인을 받으며 이 시장은 계속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3년 2월, 에임메드가 개발한 ‘솜즈(Somzz)’가 처음으로 허가를 받았다. ‘EndeavorRx’를 예시로 디지털치료제에 대해 설명하면, 플레이어는 이 게임에서 여러 스테이지(stage) 동안 우주선을 조종해 수집품을 찾거나 동물을 잡는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이 게임은 ADHD가 있는 어린이 환자 등에게 집중이 필요한 과제를 반복시킴으로써 멀티태스킹 능력 향상을 유도한다. ‘EndeavorRx’는 실제 임상시험 결과 ADHD 증상 개선 효과가 입증돼 치료제로서 지위도 인정받게 됐다. 한편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는 2013년 IMDRF에서 ‘SaMD(Software as a Medical Device)’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디지털의료제품법에서는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를 디지털의료기기 일부를 구성하거나 그 자체로 디지털의료기기인 소프트웨어로 정의하며, ‘독립형 소프트웨어’와 ‘종속형 소프트웨어’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라고 하면 ‘독립형 소프트웨어’를 우선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영상, 생체 신호 등을 활용한 진단보조 소프트웨어가 계속 출시되며, 이러한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시장은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진 ‘루닛’은 이 분야 대표 기업으로, ‘검출·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치료제, 디지털의료기기,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라는 개념은 오래 전 나와 있었고, 기존 의료기기와는 구분되는 특성이 많아 별도 규제 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었다. 실무에서도 오래전에 제정된 의료기기법으로 디지털의료제품을 규제하고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과 혼란이 있었다. 그러던 중, ChatGPT 등 AI 기술 도입 이후 디지털 기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자, 우리 정부는 세계 최초 로'디지털의료제품법'을 제정하게 됐다. 이번에 제정된 디지털의료제품법은 ‘디지털’이라는 고유 특성을 고려해 만들어진 법으로, 관련 기업들에게는 환영할 만한 입법 사례다. 인체에 미치는 위해 정도가 의료기기보다 훨씬 적고, 의료기기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디지털의료제품에 대해 과도하게 규제함으로써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상황을 해소할 수 있게 된 점은, 제조사 입장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의료제품법 내용과 관련해 식품의약품안전처 홍보 자료 및 정책 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특성을 반영해 인허가 절차, 품질관리 체계, 임상시험 절차, 광고 및 판매 규제 등 규정을 새로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법률 조문을 보면, 의료기기법이나 약사법과는 다른 고유 체계를 갖춘 부분이 많다. 예컨대, 동 법은 구성요소 성능평가 규정을 포함하고 있고, 실사용 평가를 위해 의료인 및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의료기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있으며, GMP 심사 또한 완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외 디지털의료제품법만의 독특한 규정들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기고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론에서 조금 벗어난 이야기지만, 기고자 역시 ChatGPT를 사용하면서 ‘디지털’, ‘AI 기술’ 도입은 피할 수 없는 시대 흐름이라 느꼈고, 디지털의료제품 개발 역시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변호사인 기고자가 이러한 흐름을 체감하고 있으니, 제약업계 최전선에 계신 실무자 여러분은 훨씬 더 많은 변화와 흐름을 실감하고 계실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낙오하는 국가와 기업은 결국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며, 올해부터 시행되는 디지털의료제품법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잘 반영한 입법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제약바이오 기업 실무자들께서 동 법을 잘 연구하셔서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시길 바라며, 이번 글은 이만 마무리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4-20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 3.1% … 12대 로펌 중 충족한 곳은 5곳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 3.1% … 12대 로펌 중 충족한 곳은 5곳
변호사·전산·홍보까지 … ‘생색내기’ 벗는 장애인 고용 주요 12개 로펌 중 법무법인 율촌, 지평, 대륜, 화우, 세종 등 5곳이 법정 의무고용률(3.1%)을 충족하며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신문이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국내 주요 12개 로펌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율촌은 장애인 고용률이 4.44%로 가장 높았다. 율촌은 상시 근로자 1035명 중 24명의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으며, 이 중 22명은 중증장애인이다. 지평의 장애인 고용률은 3.56%였다. 지평은 상시 근로자 478명 중 9명의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고, 이 가운데 8명이 중증장애인이다. 대륜은 상시 근로자 651명 중 15명을 고용해 중증장애인을 포함한 고용률 3.38%를 기록했다. 세종은 총 1120명의 상시 근로자 중 19명의 장애인이 근무 중이다. 이 중에는 변호사 2명도 포함돼 있다. 중증장애인은 16명이고, 고용률은 3.13%였다. 화우는 약 600명의 근로자 중 중증장애인을 포함해 19명을 고용해 법정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인 고용률 산정 시 중증장애인은 2배수로 계산된다. 중증장애인은 교육 및 근로 적응에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략) 법무법인 대륜은 상담실장, 법무실장, 외근 전담 비서 등 실무 전반에 장애인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법무법인 세종은 장애인 ‘헬스 키퍼(Health Keeper)’를 고용해 임직원에게 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직원들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탕비실 미화, 문서 메신저 등 다양한 직군에 장애인 근로자가 근무 중이다. 법률 지원 및 근무 환경 개선을 통한 간접적 기여 사례도 있다. 법무법인 광장은 장애인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사회복지법인 성민’에 무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로펌 업계의 장애인 고용은 양적·질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여전히 경제 논리를 앞세워 고용을 꺼리는 분위기도 존재한다. 한 주요 로펌 관계자는 “의무 고용률에 미달해 고용부담금을 납부하고 있다”며 “효율성 측면에서는 부담금을 내는 것이 오히려 낫다”고 말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따르면,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지키지 않으면 고용부담금을 납부해야 하며, 부담금은 미달 인원 1인당 월 최소 125만8000원에서 최대 209만6270원까지 부과된다. 일부 로펌은 정원에 맞춰 인력을 채용해왔지만, 최근 의무 고용 인원이 증가하면서 고용률이 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안현 기자(hyun@lawtimes.co.kr)서하연 기자(hayeon@lawtimes.co.kr) [기사전문보기]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 3.1% … 12대 로펌 중 충족한 곳은 5곳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4-20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 3.1% … 12대 로펌 중 충족한 곳은 5곳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 3.1% … 12대 로펌 중 충족한 곳은 5곳
변호사·전산·홍보까지 … ‘생색내기’ 벗는 장애인 고용 주요 12개 로펌 중 법무법인 율촌, 지평, 대륜, 화우, 세종 등 5곳이 법정 의무고용률(3.1%)을 충족하며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신문이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국내 주요 12개 로펌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율촌은 장애인 고용률이 4.44%로 가장 높았다. 율촌은 상시 근로자 1035명 중 24명의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으며, 이 중 22명은 중증장애인이다. 지평의 장애인 고용률은 3.56%였다. 지평은 상시 근로자 478명 중 9명의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고, 이 가운데 8명이 중증장애인이다. 대륜은 상시 근로자 651명 중 15명을 고용해 중증장애인을 포함한 고용률 3.38%를 기록했다. 세종은 총 1120명의 상시 근로자 중 19명의 장애인이 근무 중이다. 이 중에는 변호사 2명도 포함돼 있다. 중증장애인은 16명이고, 고용률은 3.13%였다. 화우는 약 600명의 근로자 중 중증장애인을 포함해 19명을 고용해 법정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인 고용률 산정 시 중증장애인은 2배수로 계산된다. 중증장애인은 교육 및 근로 적응에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략) 법무법인 대륜은 상담실장, 법무실장, 외근 전담 비서 등 실무 전반에 장애인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법무법인 세종은 장애인 ‘헬스 키퍼(Health Keeper)’를 고용해 임직원에게 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직원들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탕비실 미화, 문서 메신저 등 다양한 직군에 장애인 근로자가 근무 중이다. 법률 지원 및 근무 환경 개선을 통한 간접적 기여 사례도 있다. 법무법인 광장은 장애인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사회복지법인 성민’에 무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로펌 업계의 장애인 고용은 양적·질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여전히 경제 논리를 앞세워 고용을 꺼리는 분위기도 존재한다. 한 주요 로펌 관계자는 “의무 고용률에 미달해 고용부담금을 납부하고 있다”며 “효율성 측면에서는 부담금을 내는 것이 오히려 낫다”고 말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따르면,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지키지 않으면 고용부담금을 납부해야 하며, 부담금은 미달 인원 1인당 월 최소 125만8000원에서 최대 209만6270원까지 부과된다. 일부 로펌은 정원에 맞춰 인력을 채용해왔지만, 최근 의무 고용 인원이 증가하면서 고용률이 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안현 기자(hyun@lawtimes.co.kr)서하연 기자(hayeon@lawtimes.co.kr) [기사전문보기]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 3.1% … 12대 로펌 중 충족한 곳은 5곳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4-20
[월요칼럼]워킹맘의 관점에서 본 저출생 문제
[월요칼럼]워킹맘의 관점에서 본 저출생 문제
통계청의 2024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은 765만4,000명에 해당하고 이중 취업여성이 505만3,000명, 미취업여성이 260만1,000명이었으며, 미취업 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이 121만5,000명으로,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을 그만 둔 사유는 육아가 41.1%, 결혼(24.9%), 임신·출산(24.4%), 가족돌봄(4.8%), 자녀교육(4.7%)순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자녀수가 3명이상(27.7%), 2명(23.7%), 1명(21.1%)로 자녀수가 많을 수록 높았고 6세이하(33.5%), 712세(19.9%), 1317세(11.4%)로 자녀가 어릴수록 높았다. 경력단절 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여성 자신의 문제로 인한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통계상의 육아와 결혼, 임신·출산, 가족돌봄, 자녀교육 모두 가정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자녀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은 우리사회에서 하루이틀된 문제가 아니며, 자녀 양육을 위한 육아시간 및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지원 정책과 제도 또한 예전과 달리 매우 발전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육군 장교로 복무하던 중 결혼을 하고 임신을 하게 되었는데 첫째 자녀를 임신하였을 때에는 지금과 같이 육아시간으로 근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제도가 없었고 체력이 허용하는데 까지 근무를 하다가, 필자의 업무까지 대신 해야만 하는 다른 간부들에게 사죄의 뜻을 전하며 출산휴가를 가거나 육아휴직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시절이었다. 출산을 한후 친정엄마와 같은 보조양육자 없이 12년 단위로 이 지역, 저 지역으로 전출을 가는 장교생활을 더이상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자녀출산으로 인해 내 인생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을 그제서야 하게 된 것이다. 필자의 인생이 변화를 맞이한 것과는 별개로 아이는 정말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정도로 예뻤고, 아이와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며 그 자리에 머무르고 싶었다. 내가 하는 일로 인해 아이가 성장하는 모습을 보지 못한다면 내 자신 스스로 일을 그만 두어도 행복하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 후 필자에게는 또 한번 기회가 주어졌고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현재까지 단절없이 일을 해오게 되었지만, 우는 아이를 떼놓고 집을 나서야만 했던 고통과 업무로 인해 주말을 함께 해주지 못한 미안함은 여전히 필자의 가슴속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현재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경제적 지원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성과나 효과적인 면에서는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비판이 많다. 필자는 심각한 저출생 문제도 실제 출산과 양육을 주도적으로 해야 하는 여성의 관점에서 가정내 인식변화,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제도 마련, 사회 분위기 조성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여성의 입장에서도 엄마가 되는 일은 자신의 삶에 지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너무나 두려운 일이기에, 배우자의 적극적인 지지와 육아분담이 필수적이며 가정에서의 인식개선 없이는 여성 또한 출산과 육아를 쉽게 선택하지 못할 수 밖에 없다. 경제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탄력적으로 시간을 운용할 수 있는 제도가 특히 중요하다. 실제로 아이를 양육하다 보면, 출·퇴근 이동시간, 고정된 일과시간을 제외하면 평일 자녀를 볼 수 있는 시간은 1~2시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필자 또한 첫째자녀를 양육할 당시만 해도 없었던 육아시간 제도가 생기면서 이를 이용하여 둘째 자녀를 하원시키는 등 자녀양육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아이들은 기다리지만 필자를 포함한 필자의 배우자가 매우 두려워하는 것이 학교와 유치원 방학이다. 이 때에는 필자 부부와 시댁 부모님, 친구 부모님 모두 총동원될 수 밖에 없지만 예전과 달리 필자의 배우자가 가족돌봄휴가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일정부분 시간을 조율할 수 있게 되어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가 지속적으로 자녀양육을 환영하고 조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사회는 신속한 발전을 위해 모든 분야에서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왔다. 필자가 육아를 하면서 느낀 점은 자녀를 양육하는 일은 효율성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어린 아이들은 옷하나 혼자 입지 못하고, 식사를 할 때는 이곳저곳 음식물을 흘려 매우 지저분해 지며, 뒤집는 것도, 기는 것도, 걷는 것도 부모가 때마다 기다려 줘야한다. 그러나 아이들은 다양한 시행착오과 실수를 겪어야만 자신만의 자아를 형성하고 자율적인 성인으로 자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가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과 아이들을 따뜻하고 너그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조력해야 하며, 효율성만을 추구하며 인색하게 굴어서 안될 것이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마을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워킹맘의 관점에서 본 저출생 문제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4-20
[월요칼럼]워킹맘의 관점에서 본 저출생 문제
[월요칼럼]워킹맘의 관점에서 본 저출생 문제
통계청의 2024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은 765만4,000명에 해당하고 이중 취업여성이 505만3,000명, 미취업여성이 260만1,000명이었으며, 미취업 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이 121만5,000명으로,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을 그만 둔 사유는 육아가 41.1%, 결혼(24.9%), 임신·출산(24.4%), 가족돌봄(4.8%), 자녀교육(4.7%)순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자녀수가 3명이상(27.7%), 2명(23.7%), 1명(21.1%)로 자녀수가 많을 수록 높았고 6세이하(33.5%), 712세(19.9%), 1317세(11.4%)로 자녀가 어릴수록 높았다. 경력단절 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여성 자신의 문제로 인한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통계상의 육아와 결혼, 임신·출산, 가족돌봄, 자녀교육 모두 가정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자녀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은 우리사회에서 하루이틀된 문제가 아니며, 자녀 양육을 위한 육아시간 및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지원 정책과 제도 또한 예전과 달리 매우 발전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육군 장교로 복무하던 중 결혼을 하고 임신을 하게 되었는데 첫째 자녀를 임신하였을 때에는 지금과 같이 육아시간으로 근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제도가 없었고 체력이 허용하는데 까지 근무를 하다가, 필자의 업무까지 대신 해야만 하는 다른 간부들에게 사죄의 뜻을 전하며 출산휴가를 가거나 육아휴직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시절이었다. 출산을 한후 친정엄마와 같은 보조양육자 없이 12년 단위로 이 지역, 저 지역으로 전출을 가는 장교생활을 더이상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자녀출산으로 인해 내 인생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을 그제서야 하게 된 것이다. 필자의 인생이 변화를 맞이한 것과는 별개로 아이는 정말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정도로 예뻤고, 아이와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며 그 자리에 머무르고 싶었다. 내가 하는 일로 인해 아이가 성장하는 모습을 보지 못한다면 내 자신 스스로 일을 그만 두어도 행복하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 후 필자에게는 또 한번 기회가 주어졌고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현재까지 단절없이 일을 해오게 되었지만, 우는 아이를 떼놓고 집을 나서야만 했던 고통과 업무로 인해 주말을 함께 해주지 못한 미안함은 여전히 필자의 가슴속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현재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경제적 지원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성과나 효과적인 면에서는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비판이 많다. 필자는 심각한 저출생 문제도 실제 출산과 양육을 주도적으로 해야 하는 여성의 관점에서 가정내 인식변화,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제도 마련, 사회 분위기 조성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여성의 입장에서도 엄마가 되는 일은 자신의 삶에 지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너무나 두려운 일이기에, 배우자의 적극적인 지지와 육아분담이 필수적이며 가정에서의 인식개선 없이는 여성 또한 출산과 육아를 쉽게 선택하지 못할 수 밖에 없다. 경제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탄력적으로 시간을 운용할 수 있는 제도가 특히 중요하다. 실제로 아이를 양육하다 보면, 출·퇴근 이동시간, 고정된 일과시간을 제외하면 평일 자녀를 볼 수 있는 시간은 1~2시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필자 또한 첫째자녀를 양육할 당시만 해도 없었던 육아시간 제도가 생기면서 이를 이용하여 둘째 자녀를 하원시키는 등 자녀양육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아이들은 기다리지만 필자를 포함한 필자의 배우자가 매우 두려워하는 것이 학교와 유치원 방학이다. 이 때에는 필자 부부와 시댁 부모님, 친구 부모님 모두 총동원될 수 밖에 없지만 예전과 달리 필자의 배우자가 가족돌봄휴가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일정부분 시간을 조율할 수 있게 되어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가 지속적으로 자녀양육을 환영하고 조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사회는 신속한 발전을 위해 모든 분야에서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왔다. 필자가 육아를 하면서 느낀 점은 자녀를 양육하는 일은 효율성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어린 아이들은 옷하나 혼자 입지 못하고, 식사를 할 때는 이곳저곳 음식물을 흘려 매우 지저분해 지며, 뒤집는 것도, 기는 것도, 걷는 것도 부모가 때마다 기다려 줘야한다. 그러나 아이들은 다양한 시행착오과 실수를 겪어야만 자신만의 자아를 형성하고 자율적인 성인으로 자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가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과 아이들을 따뜻하고 너그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조력해야 하며, 효율성만을 추구하며 인색하게 굴어서 안될 것이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마을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워킹맘의 관점에서 본 저출생 문제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17
여성 상관 성적 모욕 20대 병사에 무죄…“참고인 진술 신빙성 없어”
여성 상관 성적 모욕 20대 병사에 무죄…“참고인 진술 신빙성 없어”
후임 병사들과 있는 자리에서 여성 상관을 모욕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병사에게 무죄가 선고됐다. 해당 병사는 상관을 모욕했다는 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법원은 참고인 진술이 번복, 모순돼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수원지방법원은 상관 모욕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해병대 병사로 복무하던 2023년 10월 부대 내 흡연장에서 후임 병사 2명과 대화하면서 “B씨와 술을 마시고, (성관계)하고 싶다”라고 말한 혐의로 기소됐다. B씨는 A씨의 상관인 여성 중사였다.A씨는 부대 내 감찰 조사에서 “당시 유격 훈련 기간이었으므로, 부대 내에 있지 않아 흡연장에 갈 수 없었고, B씨와 관련해 성적인 발언을 하지도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A씨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참고인들의 진술을 토대로 혐의가 인정돼 재판까지 받게 됐다.재판에서도 A씨는 “유격 훈련 때문에 부대에 있지 않았고, B 중사와 사이가 좋았기 때문에 모욕할 이유도 없었다”라며 주장을 일관되게 유지했다. A씨의 변호인은 “신고 경위를 보면 A씨에게 감정이 좋지 않았던 참고인들이 허위로 상관을 모욕했다고 신고한 것”이라는 취지로 변론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A씨의 주장은 일관됐지만, 참고인들은 사건 발생 시점에 대한 진술을 번복했고, 신고 경위에 관한 진술도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참고인 진술이 신빙성이 떨어져 믿기 어렵다고 보고 무죄를 선고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박용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참고인 중 일부가 A씨와 사이가 좋지 않아 그를 타 부대로 전출시키고자 신고하기로 마음먹은 것”이라며 “이 사건에서 공소사실을 증명할 증거는 참고인 진술이 전부였는데, 그 진술에 신빙성이 없다는 점을 입증해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여성 상관 성적 모욕 20대 병사에 무죄…“참고인 진술 신빙성 없어”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17
여성 상관 성적 모욕 20대 병사에 무죄…“참고인 진술 신빙성 없어”
여성 상관 성적 모욕 20대 병사에 무죄…“참고인 진술 신빙성 없어”
후임 병사들과 있는 자리에서 여성 상관을 모욕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병사에게 무죄가 선고됐다. 해당 병사는 상관을 모욕했다는 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법원은 참고인 진술이 번복, 모순돼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수원지방법원은 상관 모욕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해병대 병사로 복무하던 2023년 10월 부대 내 흡연장에서 후임 병사 2명과 대화하면서 “B씨와 술을 마시고, (성관계)하고 싶다”라고 말한 혐의로 기소됐다. B씨는 A씨의 상관인 여성 중사였다.A씨는 부대 내 감찰 조사에서 “당시 유격 훈련 기간이었으므로, 부대 내에 있지 않아 흡연장에 갈 수 없었고, B씨와 관련해 성적인 발언을 하지도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A씨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참고인들의 진술을 토대로 혐의가 인정돼 재판까지 받게 됐다.재판에서도 A씨는 “유격 훈련 때문에 부대에 있지 않았고, B 중사와 사이가 좋았기 때문에 모욕할 이유도 없었다”라며 주장을 일관되게 유지했다. A씨의 변호인은 “신고 경위를 보면 A씨에게 감정이 좋지 않았던 참고인들이 허위로 상관을 모욕했다고 신고한 것”이라는 취지로 변론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A씨의 주장은 일관됐지만, 참고인들은 사건 발생 시점에 대한 진술을 번복했고, 신고 경위에 관한 진술도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참고인 진술이 신빙성이 떨어져 믿기 어렵다고 보고 무죄를 선고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박용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참고인 중 일부가 A씨와 사이가 좋지 않아 그를 타 부대로 전출시키고자 신고하기로 마음먹은 것”이라며 “이 사건에서 공소사실을 증명할 증거는 참고인 진술이 전부였는데, 그 진술에 신빙성이 없다는 점을 입증해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여성 상관 성적 모욕 20대 병사에 무죄…“참고인 진술 신빙성 없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17
접촉 사고 후 도주 의심..도로교통법 위반 '혐의없음'
접촉 사고 후 도주 의심..도로교통법 위반 '혐의없음'
접촉 사고를 낸 뒤 도주했다는 의심을 받아 검찰에 넘겨진 40대 남성이 혐의없음 처분을 받았습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지난 2월 도로교통법위반(사고후미조치) 혐의를 받는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앞서 A씨는 지난해 12월 오토바이를 타고 도로를 주행하던 중 B씨의 오토바이 좌측 후면을 들이받은 뒤 별다른 조치 없이 현장을 떠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A씨 측은 "운전 중 시비가 붙었긴 하지만, 큰 싸움으로 번질까 우려돼 곧바로 자리를 피했다"며 "당시 비가 오고 있었고, 위협 운전을 하던 B씨가 혼자 넘어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검찰도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검찰은 "이 사건 교통사고는 경미한 접촉 사고로 인명 피해가 없는 점, 피의자가 피해 오토바이 차량을 충격했을 당시 그로 인한 비산물이 발생하지 않은 점, 교통의 흐름에 방해를 주거나 위험을 초래했다고 볼 증거를 찾기 어려운 점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김유진 변호사는 "본 사건은 운전 중 시비가 붙은 사안으로 위협 운전을 하던 상대방이 혼자 넘어지면서 사고가 발생하게 됐다"며 "따라서 A씨는 사고에 대한 고의성이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인명피해는 없었고, 사고 이후 B씨는 A씨의 보험사로부터 손해를 전액 보상받았다"며 "배달업을 생계로 하는 A씨는 혐의가 인정되면 면허가 취소될 위기였다. 여러 정상 관계를 참작 받아 불기소 처분을 받은 덕분에 면허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고영민(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접촉 사고 후 도주 의심..도로교통법 위반 '혐의없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17
접촉 사고 후 도주 의심..도로교통법 위반 '혐의없음'
접촉 사고 후 도주 의심..도로교통법 위반 '혐의없음'
접촉 사고를 낸 뒤 도주했다는 의심을 받아 검찰에 넘겨진 40대 남성이 혐의없음 처분을 받았습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지난 2월 도로교통법위반(사고후미조치) 혐의를 받는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앞서 A씨는 지난해 12월 오토바이를 타고 도로를 주행하던 중 B씨의 오토바이 좌측 후면을 들이받은 뒤 별다른 조치 없이 현장을 떠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A씨 측은 "운전 중 시비가 붙었긴 하지만, 큰 싸움으로 번질까 우려돼 곧바로 자리를 피했다"며 "당시 비가 오고 있었고, 위협 운전을 하던 B씨가 혼자 넘어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검찰도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검찰은 "이 사건 교통사고는 경미한 접촉 사고로 인명 피해가 없는 점, 피의자가 피해 오토바이 차량을 충격했을 당시 그로 인한 비산물이 발생하지 않은 점, 교통의 흐름에 방해를 주거나 위험을 초래했다고 볼 증거를 찾기 어려운 점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김유진 변호사는 "본 사건은 운전 중 시비가 붙은 사안으로 위협 운전을 하던 상대방이 혼자 넘어지면서 사고가 발생하게 됐다"며 "따라서 A씨는 사고에 대한 고의성이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인명피해는 없었고, 사고 이후 B씨는 A씨의 보험사로부터 손해를 전액 보상받았다"며 "배달업을 생계로 하는 A씨는 혐의가 인정되면 면허가 취소될 위기였다. 여러 정상 관계를 참작 받아 불기소 처분을 받은 덕분에 면허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고영민(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접촉 사고 후 도주 의심..도로교통법 위반 '혐의없음'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2025-04-17
[최석진의 로앤비즈]로펌의 블루오션된 중대재해처벌법
[최석진의 로앤비즈]로펌의 블루오션된 중대재해처벌법
국내 주요 로펌들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전후해 전담 기구를 구성, 기민하게 대응해왔다. 로펌들의 '블루오션'이라고 불릴 정도다.기존 산업재해전담팀을 확대 편성한 경우도 있지만, 아예 새로운 센터나 본부를 신설한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 전담 기구에는 주로 법원, 검찰, 경찰, 고용노동부 출신 전관 변호사들이 포진해있다.김·장 법률사무소는 EHS(Environment, Health & Safety)팀을 주축으로 노동형사팀, 건설팀, 인사노무팀 등 약 150명이 참여한 중대재해 대응그룹을 운영 중이다. 중처법 해석상 가장 치열하게 다퉈지는 쟁점 중 하나인 최고안전책임자(CSO)의 경영책임자 인정 여부와 관련해 최초로 대표이사(CEO)가 아닌 CSO를 경영책임자로 인정받은 사례가 있다.형사, 노동, 환경, 건설 분야 60여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산업안전·중대재해팀을 운영 중인 광장은 자문부터 수사 대응, 형사공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중앙회의 헌법소원심판 청구 사건을 대리하고 있다.태평양 중대재해 대응본부는 365일, 24시간 가동되는 '종합상황실' 체제를 최초로 도입·운영 중이다. 형사·인사노무 전문가 50여명으로 구성된 현장대응팀과 검경 출신들로 구성된 수사대응팀, 법원 출신으로 구성된 변론대응팀으로 세분화 돼있다.법 시행 전인 2021년 중대재해센터를 설립한 율촌은 중처법상 의무 이행에 관한 최초의 무죄 판결을 끌어냈다. 140건의 풍부한 수사 대응 및 자문 경험을 갖고 있으며 대검 중수부장 출신 김경수 변호사가 총괄센터장을 맡고 있다.세종은 산업안전·건설·환경·화학물질 등 70여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중대재해대응센터와 더불어 고용노동부·검찰·경찰 재직 경험을 갖춘 변호사들로 '중대재해긴급대응팀'을 구성해 24시간 대응하고 있다.화우는 화우 노동그룹, 형사대응그룹, 건설 및 기업자문그룹의 협업체계로 구성된 중대재해처벌법대응 TF를 운영 중이다. CJ 대한통운 사건과 한국철도공사 사건에서 검찰의 무혐의 처분을 끌어냈고, 농협네트웍스 사건에서는 무죄를 확정받았다. 중대재해처벌법 첫 기소 사건인 두성산업 사건을 맡았던 2022년 10월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판제청을 신청하기도 했다.YK는 50인 미만 사업장 확대 적용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2월 기존 조인선 변호사 단독 센터장 체제에서 차장검사 출신 정규영·김도형 대표변호사, 부장검사 출신 한상진·이진호 대표변호사 등 5인 공동 센터장 체제로 조직을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전국 32개 직영 분사무소망을 적극 활용해 서울 외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지평은 2022년 6월 산업안전 수사 경험이 풍부한 고검장 출신 박정식 대표변호사와 공안통 부장검사 출신 윤상호 변호사 영입을 계기로 기존의 산업안전·중대재해팀을 중대재해대응센터로 확대 개편해 운영 중이다. 올해 2월 조선소 타워크레인의 승강기 설치공사 중 발생한 중대재해사건에서 법인 및 대표이사의 무죄 판결을 끌어냈다.대륜의 산업안전중대재해그룹에는 판사 재직 시절 노동 및 강력범죄 전담부 경력이 있는 신민수 전 부장판사와 CJ대한통운 중대재해 사건 자문 경력이 있는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건축, 안전사고를 전담한 경력이 있는 윤석주 전 부장검사 등이 활약하고 있다.바른은 2022년 2월 기존의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특별팀을 중대재해대응센터로 확대 개편해 운영 중이다. 이상진 전 부장검사, 박성근 전 차장검사, 전국 법원 최초로 산업(안전)재해 사건 전담재판부가 설치된 울산지방법원 형사단독 부장판사 출신 박성호 변호사, 경찰 출신으로 국가수사본부 초대 중대재해전문관을 지낸 박현중 변호사 등이 포진해 있다. 지난해 10월 헌재에 헌법소원을 제기해 현재 전원재판부에서 심리가 진행 중이다.대륙아주 중대재해대응그룹은 이규철 대표변호사가 직접 그룹장을 맡고 있다. 서울시 서울안전자문회의 자문위원를 역임한 차동언 전 차장검사, 대검 공안부장 출신 오인서 전 고검장 등 검찰 출신 외에도 판사 출신 조용기 변호사 등 50여명이 활동 중이다. 성남시 정자교 붕괴 사망사고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시민재해치사) 혐의로 입건된 성남시장을 변론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이들 로펌들은 이번 위헌법률심판 사건에 대한 헌재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헌재의 위헌성 판단에 따라 현재 대리하고 있는 사건들의 수사나 재판에의 대응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헌재 판단을 지켜보면서, 이번에 심판대상이 되지 않은 중처법의 다른 조항들에 대해서도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최석진 로앤비즈 스페셜리스트 (csj0404@asiae.co.kr) [기사전문보기] [최석진의 로앤비즈]로펌의 블루오션된 중대재해처벌법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2025-04-17
[최석진의 로앤비즈]로펌의 블루오션된 중대재해처벌법
[최석진의 로앤비즈]로펌의 블루오션된 중대재해처벌법
국내 주요 로펌들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전후해 전담 기구를 구성, 기민하게 대응해왔다. 로펌들의 '블루오션'이라고 불릴 정도다.기존 산업재해전담팀을 확대 편성한 경우도 있지만, 아예 새로운 센터나 본부를 신설한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 전담 기구에는 주로 법원, 검찰, 경찰, 고용노동부 출신 전관 변호사들이 포진해있다.김·장 법률사무소는 EHS(Environment, Health & Safety)팀을 주축으로 노동형사팀, 건설팀, 인사노무팀 등 약 150명이 참여한 중대재해 대응그룹을 운영 중이다. 중처법 해석상 가장 치열하게 다퉈지는 쟁점 중 하나인 최고안전책임자(CSO)의 경영책임자 인정 여부와 관련해 최초로 대표이사(CEO)가 아닌 CSO를 경영책임자로 인정받은 사례가 있다.형사, 노동, 환경, 건설 분야 60여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산업안전·중대재해팀을 운영 중인 광장은 자문부터 수사 대응, 형사공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중앙회의 헌법소원심판 청구 사건을 대리하고 있다.태평양 중대재해 대응본부는 365일, 24시간 가동되는 '종합상황실' 체제를 최초로 도입·운영 중이다. 형사·인사노무 전문가 50여명으로 구성된 현장대응팀과 검경 출신들로 구성된 수사대응팀, 법원 출신으로 구성된 변론대응팀으로 세분화 돼있다.법 시행 전인 2021년 중대재해센터를 설립한 율촌은 중처법상 의무 이행에 관한 최초의 무죄 판결을 끌어냈다. 140건의 풍부한 수사 대응 및 자문 경험을 갖고 있으며 대검 중수부장 출신 김경수 변호사가 총괄센터장을 맡고 있다.세종은 산업안전·건설·환경·화학물질 등 70여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중대재해대응센터와 더불어 고용노동부·검찰·경찰 재직 경험을 갖춘 변호사들로 '중대재해긴급대응팀'을 구성해 24시간 대응하고 있다.화우는 화우 노동그룹, 형사대응그룹, 건설 및 기업자문그룹의 협업체계로 구성된 중대재해처벌법대응 TF를 운영 중이다. CJ 대한통운 사건과 한국철도공사 사건에서 검찰의 무혐의 처분을 끌어냈고, 농협네트웍스 사건에서는 무죄를 확정받았다. 중대재해처벌법 첫 기소 사건인 두성산업 사건을 맡았던 2022년 10월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판제청을 신청하기도 했다.YK는 50인 미만 사업장 확대 적용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2월 기존 조인선 변호사 단독 센터장 체제에서 차장검사 출신 정규영·김도형 대표변호사, 부장검사 출신 한상진·이진호 대표변호사 등 5인 공동 센터장 체제로 조직을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전국 32개 직영 분사무소망을 적극 활용해 서울 외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지평은 2022년 6월 산업안전 수사 경험이 풍부한 고검장 출신 박정식 대표변호사와 공안통 부장검사 출신 윤상호 변호사 영입을 계기로 기존의 산업안전·중대재해팀을 중대재해대응센터로 확대 개편해 운영 중이다. 올해 2월 조선소 타워크레인의 승강기 설치공사 중 발생한 중대재해사건에서 법인 및 대표이사의 무죄 판결을 끌어냈다.대륜의 산업안전중대재해그룹에는 판사 재직 시절 노동 및 강력범죄 전담부 경력이 있는 신민수 전 부장판사와 CJ대한통운 중대재해 사건 자문 경력이 있는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건축, 안전사고를 전담한 경력이 있는 윤석주 전 부장검사 등이 활약하고 있다.바른은 2022년 2월 기존의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특별팀을 중대재해대응센터로 확대 개편해 운영 중이다. 이상진 전 부장검사, 박성근 전 차장검사, 전국 법원 최초로 산업(안전)재해 사건 전담재판부가 설치된 울산지방법원 형사단독 부장판사 출신 박성호 변호사, 경찰 출신으로 국가수사본부 초대 중대재해전문관을 지낸 박현중 변호사 등이 포진해 있다. 지난해 10월 헌재에 헌법소원을 제기해 현재 전원재판부에서 심리가 진행 중이다.대륙아주 중대재해대응그룹은 이규철 대표변호사가 직접 그룹장을 맡고 있다. 서울시 서울안전자문회의 자문위원를 역임한 차동언 전 차장검사, 대검 공안부장 출신 오인서 전 고검장 등 검찰 출신 외에도 판사 출신 조용기 변호사 등 50여명이 활동 중이다. 성남시 정자교 붕괴 사망사고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시민재해치사) 혐의로 입건된 성남시장을 변론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이들 로펌들은 이번 위헌법률심판 사건에 대한 헌재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헌재의 위헌성 판단에 따라 현재 대리하고 있는 사건들의 수사나 재판에의 대응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헌재 판단을 지켜보면서, 이번에 심판대상이 되지 않은 중처법의 다른 조항들에 대해서도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최석진 로앤비즈 스페셜리스트 (csj0404@asiae.co.kr) [기사전문보기] [최석진의 로앤비즈]로펌의 블루오션된 중대재해처벌법 (바로가기)
머니S
2025-04-16
'반 친구 욕하고 때렸다' 학폭위 조치… 검찰 "목격자 없어" 불기소
'반 친구 욕하고 때렸다' 학폭위 조치… 검찰 "목격자 없어" 불기소
같은 반 친구에게 모욕성 발언을 해 검찰에 넘겨진 고등학생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은 지난 2월26일 모욕·폭행 혐의를 받는 10대 A군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A군은 지난 2023년 다른 학생들 다수가 보는 공간에서 동급생 B군에게 인신공격성 욕설을 하고 엉덩이를 때린 혐의를 받았다.A군은 혐의를 부인했다. B군이 수업 시간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하고 있어 이를 제지하려다 다소 강한 발언을 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엉덩이를 친 사실 자체가 없다고도 강조했다.경찰은 A군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경찰은 "이번 사건으로 피해자가 학업 중단 기간을 가졌는데, 이 기간 이뤄진 상담에서 범죄 사실 관련 언급이 없었다"며 "그 밖에 담임 교사의 진술, 학생들의 탄원서 등을 봤을 때 피의자의 주장만으로 혐의를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말했다.B군 측은 이에 불복해 이의를 신청했고 사건은 검찰로 송치됐다. 그러나 검찰 역시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검찰은 "형사 처벌은 확실한 증명이 필요한데 범행 당시 수업 중이던 교사가 발언을 듣지 못했다고 진술했다"며 "현장에 있던 동급생들도 범행을 직접적으로 목격하지 못하는 등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고 설명했다.이 사건에서 A군을 대리한 로펌인 법무법인 대륜 곽소영 변호사는 "학교폭력 대책 심의위원회는 A군에게 봉사 등 조치 결정을 내렸지만 이는 선도 차원에서 결정한 것"이라며 "형사 절차상 범죄 사실 인정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이 필요한데, B군의 증언만으로는 이를 입증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반 친구 욕하고 때렸다' 학폭위 조치… 검찰 "목격자 없어" 불기소 (바로가기)
머니S
2025-04-16
'반 친구 욕하고 때렸다' 학폭위 조치… 검찰 "목격자 없어" 불기소
'반 친구 욕하고 때렸다' 학폭위 조치… 검찰 "목격자 없어" 불기소
같은 반 친구에게 모욕성 발언을 해 검찰에 넘겨진 고등학생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은 지난 2월26일 모욕·폭행 혐의를 받는 10대 A군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A군은 지난 2023년 다른 학생들 다수가 보는 공간에서 동급생 B군에게 인신공격성 욕설을 하고 엉덩이를 때린 혐의를 받았다.A군은 혐의를 부인했다. B군이 수업 시간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하고 있어 이를 제지하려다 다소 강한 발언을 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엉덩이를 친 사실 자체가 없다고도 강조했다.경찰은 A군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다. 경찰은 "이번 사건으로 피해자가 학업 중단 기간을 가졌는데, 이 기간 이뤄진 상담에서 범죄 사실 관련 언급이 없었다"며 "그 밖에 담임 교사의 진술, 학생들의 탄원서 등을 봤을 때 피의자의 주장만으로 혐의를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말했다.B군 측은 이에 불복해 이의를 신청했고 사건은 검찰로 송치됐다. 그러나 검찰 역시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검찰은 "형사 처벌은 확실한 증명이 필요한데 범행 당시 수업 중이던 교사가 발언을 듣지 못했다고 진술했다"며 "현장에 있던 동급생들도 범행을 직접적으로 목격하지 못하는 등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고 설명했다.이 사건에서 A군을 대리한 로펌인 법무법인 대륜 곽소영 변호사는 "학교폭력 대책 심의위원회는 A군에게 봉사 등 조치 결정을 내렸지만 이는 선도 차원에서 결정한 것"이라며 "형사 절차상 범죄 사실 인정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이 필요한데, B군의 증언만으로는 이를 입증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반 친구 욕하고 때렸다' 학폭위 조치… 검찰 "목격자 없어" 불기소 (바로가기)
중앙일보
2025-04-16
[로펌] 원펌 체제로 수준 높은 서비스…9년만에 ‘10대 로펌’ 도약
[로펌] 원펌 체제로 수준 높은 서비스…9년만에 ‘10대 로펌’ 도약
대륜강남 포함 전국 44개 사무소 운영접수된 사건 전부 본사서 총괄 관리뉴욕·도쿄 사무소 개소도 진행 중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해 매출액 1127억원을 달성하며 10대 로펌 자리에 올랐다. 설립 후 9년 만의 성과로, 국내 로펌 중 가장 빠른 성장세다. 대륜 측은 가파른 성장의 배경으로 원펌(One-firm·하나의 법무법인) 체제를 꼽는다. 전국에 퍼진 법률사무소를 본사가 체계적으로 관리해 어디서나 동일하게 수준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대륜은 현재 강남 주사무소를 포함해 전국 44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기업법무·형사·노동 등 각종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소속 변호사들과 회계사·관세전문위원·세무사·변리사·노무사 등 300여 명의 전문가가 포진해있다. 대륜은 전국의 법률사무소를 통해 사건 접수부터 자문, 법원 재판에 이르기까지 ‘원스톱 법률종합병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정확한 사건 진단을 위해 각 사무소에 배치된 상담 전문 변호사가 의뢰인을 대면하고, 상담 후엔 강남 주사무소에 있는 전문 배당팀이 사건의 종류·성격·규모를 파악해 가장 적합한 변호사를 배치한다. “전국 사무소에서 상담한 사건을 본사에서 총괄 관리해 최적화된 법률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고 대륜 측은 설명했다. 원활한 사건 처리 위해 송무관리본부 신설 대륜은 원활한 사건 처리를 위한 송무관리본부도 지난달 신설했다. 형사, 민사·행정, 가사 등 사건을 분야별로 관리해 ▶부실 변론 ▶정보 누락 ▶진행상황 설명 부족 등 오류를 최소화한다. 의뢰인과 함께 법정에 출석해 재판에 관여하는 송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다.대륜은 분야별 핵심 인력 보강에도 나섰다. 기업법무그룹에는 대전지방법원, 청주지방법원 판사로 일했던 박형건(사법연수원 33기) 변호사, 공정거래위원회 서기관 출신인 손계준(36기) 변호사를 지난해 11월 영입했다. 또 기업소송과 자문을 전문으로 하는 신종수(31기) 변호사, 서울중앙지법 지식재산권 전담재판부 기술심리관 출신인 조민우(변호사시험 3회) 변호사도 주요 사건을 이끈다. 형사그룹은 지난 1월 합류한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16기) 변호사가 이끌고 있다. 청주지법 영동지원장, 대법원 재판연구관 등을 역임한 여상원(17기) 변호사, 춘천지검 차장검사 출신인 안권섭(25기) 변호사, 서울북부지검 검사 출신으로 형사·금융·성범죄가 전문인 김동진(39기) 변호사도 포진했다. 일반 송무는 대한변호사협회에 처음 채권추심을 전문분야로 등록한 이상권(31기) 변호사가 앞장선다. 이 변호사는 지난달 합류해 채권추심센터의 총괄관리를 책임지고 있다. 의료·제약 분야는 대법원 재판연구관 출신으로 의사 자격증을 보유한 송진성(변시 2회) 변호사가 의료제약그룹장으로 지난달 합류했다. 지난 1월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차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장을 역임한 최명순 고문을 영입해 의료·제약 관련 대응을 강화했다. 조세행정그룹은 서울행정법원 판사 출신인 곽내원(25기) 변호사, 조세법 전문 변호사인 윤자영(변시 2회) 변호사가 차례로 합류했다.대륜은 해외 법률 서비스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김미아 미국변호사(워싱턴 D.C)를 영입해 미국 이민법·비자 등 자문을 강화한 것도 그 일환이다. 베트남·캐나다 등 해외 기업 인수 자문을 담당한 M&A 전문가 최영진(변시 5회) 변호사, 산업통상자원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출신인 이재윤(변시 10회) 변호사도 지난해 영입했다. 미국 뉴욕, 일본 도쿄의 현지 사무소 개소도 목전에 뒀다. 대륜은 지난달 미국 뉴욕·보스턴·LA 등 주요 도시에서 부동산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부동산 종합 플랫폼 코리니(Koriny)와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국내 개인·기업은 물론, 각국의 현지인과 기업을 상대로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대륜은 자체 개발한 AI 기반 법률 서비스 프로그램인 ‘AI 대륜’을 통해 의뢰인들에게 빠르고 정확한 법률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소속 변호사를 위한 내부용 AI 서비스도 도입을 앞두고 있다. 자료 검색, 서면 작성 등에 효율성을 높여 업무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하겠다는 계획이다. 종합 법률 플랫폼 출시도 임박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나의 사건 검색 ▶사건 진행 확인 등을 도와 의뢰인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겠단 방침이다. 소외계층 돕기 위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대륜은 지난 2월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해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초대 이사장으로는 김오수(20기) 전 검찰총장이 선임됐다. 국세청 징세법무국장, 기획조정관 등을 지낸 김현준 전 국세청장과 홍대식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이사장, 김성진 한국거래소 상임감사위원도 비등기이사로 활동한다. 대륜은 인연법을 통해 한부모 가정·장애인·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상대로 법률 상담과 소송 서비스를 지원하고, 정기후원과 봉사활동을 이어간단 계획이다. 김국일 총괄대표는 “변화와 혁신, 도전 정신으로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이제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 법률시장에서 변화를 선도하는 로펌이 되겠다”며 “법률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양수민 기자 (yang.sumin@joongang.co.kr) [기사전문보기] [로펌] 원펌 체제로 수준 높은 서비스…9년만에 ‘10대 로펌’ 도약 (바로가기)
중앙일보
2025-04-16
[로펌] 원펌 체제로 수준 높은 서비스…9년만에 ‘10대 로펌’ 도약
[로펌] 원펌 체제로 수준 높은 서비스…9년만에 ‘10대 로펌’ 도약
대륜강남 포함 전국 44개 사무소 운영접수된 사건 전부 본사서 총괄 관리뉴욕·도쿄 사무소 개소도 진행 중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해 매출액 1127억원을 달성하며 10대 로펌 자리에 올랐다. 설립 후 9년 만의 성과로, 국내 로펌 중 가장 빠른 성장세다. 대륜 측은 가파른 성장의 배경으로 원펌(One-firm·하나의 법무법인) 체제를 꼽는다. 전국에 퍼진 법률사무소를 본사가 체계적으로 관리해 어디서나 동일하게 수준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대륜은 현재 강남 주사무소를 포함해 전국 44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기업법무·형사·노동 등 각종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소속 변호사들과 회계사·관세전문위원·세무사·변리사·노무사 등 300여 명의 전문가가 포진해있다. 대륜은 전국의 법률사무소를 통해 사건 접수부터 자문, 법원 재판에 이르기까지 ‘원스톱 법률종합병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정확한 사건 진단을 위해 각 사무소에 배치된 상담 전문 변호사가 의뢰인을 대면하고, 상담 후엔 강남 주사무소에 있는 전문 배당팀이 사건의 종류·성격·규모를 파악해 가장 적합한 변호사를 배치한다. “전국 사무소에서 상담한 사건을 본사에서 총괄 관리해 최적화된 법률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고 대륜 측은 설명했다. 원활한 사건 처리 위해 송무관리본부 신설 대륜은 원활한 사건 처리를 위한 송무관리본부도 지난달 신설했다. 형사, 민사·행정, 가사 등 사건을 분야별로 관리해 ▶부실 변론 ▶정보 누락 ▶진행상황 설명 부족 등 오류를 최소화한다. 의뢰인과 함께 법정에 출석해 재판에 관여하는 송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다.대륜은 분야별 핵심 인력 보강에도 나섰다. 기업법무그룹에는 대전지방법원, 청주지방법원 판사로 일했던 박형건(사법연수원 33기) 변호사, 공정거래위원회 서기관 출신인 손계준(36기) 변호사를 지난해 11월 영입했다. 또 기업소송과 자문을 전문으로 하는 신종수(31기) 변호사, 서울중앙지법 지식재산권 전담재판부 기술심리관 출신인 조민우(변호사시험 3회) 변호사도 주요 사건을 이끈다. 형사그룹은 지난 1월 합류한 서울중앙지검장 출신 조영곤(16기) 변호사가 이끌고 있다. 청주지법 영동지원장, 대법원 재판연구관 등을 역임한 여상원(17기) 변호사, 춘천지검 차장검사 출신인 안권섭(25기) 변호사, 서울북부지검 검사 출신으로 형사·금융·성범죄가 전문인 김동진(39기) 변호사도 포진했다. 일반 송무는 대한변호사협회에 처음 채권추심을 전문분야로 등록한 이상권(31기) 변호사가 앞장선다. 이 변호사는 지난달 합류해 채권추심센터의 총괄관리를 책임지고 있다. 의료·제약 분야는 대법원 재판연구관 출신으로 의사 자격증을 보유한 송진성(변시 2회) 변호사가 의료제약그룹장으로 지난달 합류했다. 지난 1월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차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장을 역임한 최명순 고문을 영입해 의료·제약 관련 대응을 강화했다. 조세행정그룹은 서울행정법원 판사 출신인 곽내원(25기) 변호사, 조세법 전문 변호사인 윤자영(변시 2회) 변호사가 차례로 합류했다.대륜은 해외 법률 서비스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김미아 미국변호사(워싱턴 D.C)를 영입해 미국 이민법·비자 등 자문을 강화한 것도 그 일환이다. 베트남·캐나다 등 해외 기업 인수 자문을 담당한 M&A 전문가 최영진(변시 5회) 변호사, 산업통상자원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출신인 이재윤(변시 10회) 변호사도 지난해 영입했다. 미국 뉴욕, 일본 도쿄의 현지 사무소 개소도 목전에 뒀다. 대륜은 지난달 미국 뉴욕·보스턴·LA 등 주요 도시에서 부동산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부동산 종합 플랫폼 코리니(Koriny)와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국내 개인·기업은 물론, 각국의 현지인과 기업을 상대로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대륜은 자체 개발한 AI 기반 법률 서비스 프로그램인 ‘AI 대륜’을 통해 의뢰인들에게 빠르고 정확한 법률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소속 변호사를 위한 내부용 AI 서비스도 도입을 앞두고 있다. 자료 검색, 서면 작성 등에 효율성을 높여 업무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하겠다는 계획이다. 종합 법률 플랫폼 출시도 임박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나의 사건 검색 ▶사건 진행 확인 등을 도와 의뢰인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겠단 방침이다. 소외계층 돕기 위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대륜은 지난 2월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해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초대 이사장으로는 김오수(20기) 전 검찰총장이 선임됐다. 국세청 징세법무국장, 기획조정관 등을 지낸 김현준 전 국세청장과 홍대식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이사장, 김성진 한국거래소 상임감사위원도 비등기이사로 활동한다. 대륜은 인연법을 통해 한부모 가정·장애인·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상대로 법률 상담과 소송 서비스를 지원하고, 정기후원과 봉사활동을 이어간단 계획이다. 김국일 총괄대표는 “변화와 혁신, 도전 정신으로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이제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 법률시장에서 변화를 선도하는 로펌이 되겠다”며 “법률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양수민 기자 (yang.sumin@joongang.co.kr) [기사전문보기] [로펌] 원펌 체제로 수준 높은 서비스…9년만에 ‘10대 로펌’ 도약 (바로가기)
중앙일보
2025-04-16
[로펌] 공정거래·경영권 분쟁·부동산…법률 서비스 전문성 강화로 승부수
[로펌] 공정거래·경영권 분쟁·부동산…법률 서비스 전문성 강화로 승부수
정치·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시대에 공격적 대응 나선 국내 로펌들다양한 분야 ‘원스톱 솔루션’ 제공전문가 대거 영입해 경쟁력 제고송무 역량 강화, 조직 확대·개편 국내 정치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로펌들도 대응에 나섰다. 의뢰인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정책·시장 환경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 이에 로펌들은 정책 리스크 대응을 위해 전문가 영입에 공격적으로 나서는 한편, 관련 조직도 확대·개편하며 힘을 싣고 있다. 달라진 시장 환경 속에서 늘어나는 경영권 분쟁도 최근 로펌들이 역량을 강화하는 분야다. 대륜 대륜이 지난해 매출액 1127억원을 달성하며 10대 로펌 자리에 올랐다. 설립 후 9년 만으로 국내 로펌 중 가장 빠른 성장세다. 대륜은 강남 주사무소를 포함해 전국 44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각 사무소에 배치된 상담 전문 변호사가 의뢰인을 대면하고, 상담 후엔 강남 주사무소에 있는 전문 배당팀이 사건의 종류·성격·규모를 파악해 가장 적합한 변호사를 배치한다. 이같은 원펌(One-firm·하나의 법무법인) 체제가 가파른 성장의 비결이라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기사전문보기] [로펌] 공정거래·경영권 분쟁·부동산…법률 서비스 전문성 강화로 승부수 (바로가기)
중앙일보
2025-04-16
[로펌] 공정거래·경영권 분쟁·부동산…법률 서비스 전문성 강화로 승부수
[로펌] 공정거래·경영권 분쟁·부동산…법률 서비스 전문성 강화로 승부수
정치·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시대에 공격적 대응 나선 국내 로펌들다양한 분야 ‘원스톱 솔루션’ 제공전문가 대거 영입해 경쟁력 제고송무 역량 강화, 조직 확대·개편 국내 정치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로펌들도 대응에 나섰다. 의뢰인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정책·시장 환경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 이에 로펌들은 정책 리스크 대응을 위해 전문가 영입에 공격적으로 나서는 한편, 관련 조직도 확대·개편하며 힘을 싣고 있다. 달라진 시장 환경 속에서 늘어나는 경영권 분쟁도 최근 로펌들이 역량을 강화하는 분야다. 대륜 대륜이 지난해 매출액 1127억원을 달성하며 10대 로펌 자리에 올랐다. 설립 후 9년 만으로 국내 로펌 중 가장 빠른 성장세다. 대륜은 강남 주사무소를 포함해 전국 44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각 사무소에 배치된 상담 전문 변호사가 의뢰인을 대면하고, 상담 후엔 강남 주사무소에 있는 전문 배당팀이 사건의 종류·성격·규모를 파악해 가장 적합한 변호사를 배치한다. 이같은 원펌(One-firm·하나의 법무법인) 체제가 가파른 성장의 비결이라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기사전문보기] [로펌] 공정거래·경영권 분쟁·부동산…법률 서비스 전문성 강화로 승부수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16
[기고] 대한제국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기고] 대한제국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조선 고종은 1881년 새로운 문물제도를 시찰하기 위해 조사 12명을 포함, 총 60명으로 구성된 신사유람단을 일본에 파견했다. 조선은 1894년 갑오개혁 및 1897년 대한제국 선포를 통해 독립적인 근대국가로의 변신을 도모했으나 자강력을 갖추지 못한 채 강대국에 의존하다가 일본에 합병되는 국치를 당하였다.2025년 법의 날을 앞두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변호사들이 구한말 조선 선비들과 유사한 상황에 처하지 않았나 데자뷔가 느껴진다. 문이과를 구분하던 시절, 공부를 잘하는 문과생은 사법고시를 보거나 로스쿨에 입학해 법조인이 되는 것을 당연히 여겼고, 이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조선의 선비들이 구한말에도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는 것을 입신양명의 기회로 삼았던 것과 같다.조선의 선비 중 일부는 수신사나 신사유람단에 참가해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눈을 뜨고 조선의 개혁을 추진하려 했다. 하지만 기득권을 쥔 수구세력의 반발과 외세에 의존한 상층부 중심의 개혁에 치우치면서 사회 전반의 합의를 끌어내지 못했고, 외세에 끌려다니다 실패하고야 말았다.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로펌들이 염두에 둬야 할 점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법률 시장 요구에 눈앞의 수입 감소만 생각하며 개방을 거부하기보다 영미권 로펌들의 조직 및 고객관리, 운영 시스템 등을 적극 수용해 ‘글로벌 스탠다드 운영 방식’으로 체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해외에 진출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글로벌 로펌과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할 때다.그러나 구한말 수구세력이 기존 방식을 고수하며 기득권 만에만 집착하고 국제 정세의 변화를 수용하지 않았던 것처럼 우리 로펌들이 국내에서 전문집단으로 일정 수입이 보장되는데 만족하고 해외 진출은커녕 국내 법률시장에서도 별산제, 본·지사간 분리운영 등 기존의 운영방식을 고집한다면 개방과 함께 글로벌 로펌들에게 예속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개혁파를 탄압하던 구한말 수구세력의 말로를 이미 경험했듯이, 법률시장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리걸테크 기업이나 AI·빅데이터 등 플랫폼을 활용해 정보를 제공하는 선진국형 로펌 등 내부 개혁 세력에게 격려와 지원은커녕 규제와 탄압이 이어진다면 구한말 상황이 다시금 반복되지 않겠는가.과연 우리 로펌들은 법률시장 개방과 함께 전개될 글로벌 로펌들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도록 준비가 되어 있거나 준비하고 있을까?우리 대륜은 2018년 법무법인 설립 당시부터 영미권 글로벌 로펌들을 벤치마킹해 ‘지역 분산-통합 운영’이라는 글로벌 원펌 시스템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국 사무소의 서비스 품질을 통합 관리할 수 있었으며 고객의 요청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고객관리센터를 설치하고 고객 대상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개선을 이어 나가고 있다.또한, 본·지사간 서비스를 균질하게 유지하고 본사의 전문성이 지사에 바로 흡수, 적용될 수 있도록 전문가 화상상담 및 파견을 확대하고, 대표, 본부장 등 관리자들이 매월 전국 사무소를 방문하여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부실 변론이나 고객과의 소통 부재 등 일반적으로 제기되는 고객 불만사항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지난 3월 송무지도관리본부를 신설하여 변호사들의 변론능력, 소통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위와 같은 글로벌 원펌 시스템만으로는 영미권 로펌을 따라가는 수준이기에 우리 대륜이 영미권 로펌을 앞서기 위하여는 AI 리걸테크, 전문적인 홍보마켓팅이 병행되어야 함을 절실히 느끼고 자체 개발을 통해 고객용 AI와 변호사용 AI를 오픈하기에 이르렀다. 더 나아가 자체 플랫폼, 상담시스템, 사건관리시스템 등을 순차로 개발하는 한편, 전문적인 수준에 도달한 자체 홍보마케팅 기법을 도입해 세계 어디에서든 글로벌 로펌과 당당히 경쟁을 펼칠 수 있는 수준이 됐다.대륜은 구한말 외세의 침탈에 속수무책이었던 조선의 상황이 오늘의 대한민국 법률시장에 재현되지 않도록 영미권 로펌들의 국내 법률시장 잠식에 대비하고 국내 로펌들의 해외 진출을 독려하고자 글로벌 스탠더드 운영방식이나 해외 진출의 노하우를 원하는 로펌들에게 아낌없이 제공할 생각이다. 조선의 개혁 선비들은 이루지 못했지만 대한민국 법조계에서 국내 법률시장의 체질을 개선하고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K-로펌’들이 계속 나오기를 희망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대한제국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16
[기고] 대한제국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기고] 대한제국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조선 고종은 1881년 새로운 문물제도를 시찰하기 위해 조사 12명을 포함, 총 60명으로 구성된 신사유람단을 일본에 파견했다. 조선은 1894년 갑오개혁 및 1897년 대한제국 선포를 통해 독립적인 근대국가로의 변신을 도모했으나 자강력을 갖추지 못한 채 강대국에 의존하다가 일본에 합병되는 국치를 당하였다.2025년 법의 날을 앞두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변호사들이 구한말 조선 선비들과 유사한 상황에 처하지 않았나 데자뷔가 느껴진다. 문이과를 구분하던 시절, 공부를 잘하는 문과생은 사법고시를 보거나 로스쿨에 입학해 법조인이 되는 것을 당연히 여겼고, 이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조선의 선비들이 구한말에도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는 것을 입신양명의 기회로 삼았던 것과 같다.조선의 선비 중 일부는 수신사나 신사유람단에 참가해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눈을 뜨고 조선의 개혁을 추진하려 했다. 하지만 기득권을 쥔 수구세력의 반발과 외세에 의존한 상층부 중심의 개혁에 치우치면서 사회 전반의 합의를 끌어내지 못했고, 외세에 끌려다니다 실패하고야 말았다.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로펌들이 염두에 둬야 할 점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법률 시장 요구에 눈앞의 수입 감소만 생각하며 개방을 거부하기보다 영미권 로펌들의 조직 및 고객관리, 운영 시스템 등을 적극 수용해 ‘글로벌 스탠다드 운영 방식’으로 체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해외에 진출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글로벌 로펌과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할 때다.그러나 구한말 수구세력이 기존 방식을 고수하며 기득권 만에만 집착하고 국제 정세의 변화를 수용하지 않았던 것처럼 우리 로펌들이 국내에서 전문집단으로 일정 수입이 보장되는데 만족하고 해외 진출은커녕 국내 법률시장에서도 별산제, 본·지사간 분리운영 등 기존의 운영방식을 고집한다면 개방과 함께 글로벌 로펌들에게 예속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개혁파를 탄압하던 구한말 수구세력의 말로를 이미 경험했듯이, 법률시장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리걸테크 기업이나 AI·빅데이터 등 플랫폼을 활용해 정보를 제공하는 선진국형 로펌 등 내부 개혁 세력에게 격려와 지원은커녕 규제와 탄압이 이어진다면 구한말 상황이 다시금 반복되지 않겠는가.과연 우리 로펌들은 법률시장 개방과 함께 전개될 글로벌 로펌들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도록 준비가 되어 있거나 준비하고 있을까?우리 대륜은 2018년 법무법인 설립 당시부터 영미권 글로벌 로펌들을 벤치마킹해 ‘지역 분산-통합 운영’이라는 글로벌 원펌 시스템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국 사무소의 서비스 품질을 통합 관리할 수 있었으며 고객의 요청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고객관리센터를 설치하고 고객 대상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개선을 이어 나가고 있다.또한, 본·지사간 서비스를 균질하게 유지하고 본사의 전문성이 지사에 바로 흡수, 적용될 수 있도록 전문가 화상상담 및 파견을 확대하고, 대표, 본부장 등 관리자들이 매월 전국 사무소를 방문하여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부실 변론이나 고객과의 소통 부재 등 일반적으로 제기되는 고객 불만사항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지난 3월 송무지도관리본부를 신설하여 변호사들의 변론능력, 소통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위와 같은 글로벌 원펌 시스템만으로는 영미권 로펌을 따라가는 수준이기에 우리 대륜이 영미권 로펌을 앞서기 위하여는 AI 리걸테크, 전문적인 홍보마켓팅이 병행되어야 함을 절실히 느끼고 자체 개발을 통해 고객용 AI와 변호사용 AI를 오픈하기에 이르렀다. 더 나아가 자체 플랫폼, 상담시스템, 사건관리시스템 등을 순차로 개발하는 한편, 전문적인 수준에 도달한 자체 홍보마케팅 기법을 도입해 세계 어디에서든 글로벌 로펌과 당당히 경쟁을 펼칠 수 있는 수준이 됐다.대륜은 구한말 외세의 침탈에 속수무책이었던 조선의 상황이 오늘의 대한민국 법률시장에 재현되지 않도록 영미권 로펌들의 국내 법률시장 잠식에 대비하고 국내 로펌들의 해외 진출을 독려하고자 글로벌 스탠더드 운영방식이나 해외 진출의 노하우를 원하는 로펌들에게 아낌없이 제공할 생각이다. 조선의 개혁 선비들은 이루지 못했지만 대한민국 법조계에서 국내 법률시장의 체질을 개선하고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K-로펌’들이 계속 나오기를 희망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대한제국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바로가기)
핸드메이커
2025-04-16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가 쏘아 올린 AI 저작권 논란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가 쏘아 올린 AI 저작권 논란
최근 SNS에 실물 사진이 아닌 ‘지브리풍’ 이미지를 올리는 이들이 늘고 있다. 실제 촬영한 사진을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변환한 이미지들인데 오픈AI가 새로 선보인 이미지 생성 AI 모델이 인기를 끌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지브리풍 이미지가 주목을 받으면서 온라인에는 이를 판매한다는 글까지 등장했다. 특정 화풍이 적용됐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프롬프트 입력만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물을 유료로 거래한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식단 관리부터 심리 상담, 사주 보기까지, 챗GPT(ChatGPT) 같은 인공지능(AI)이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 든 현재, 예술 및 창작 영역에서의 AI 활용과 이에 따른 문제를 법적, 윤리적 관점에서 짚어봤다. 오픈AI, 새로운 이미지 생성 AI 모델 공개 오픈AI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을 공개했다. 오픈AI의 시그니처 멀티모달인 챗GPT-4o와 결합한 이미지 생성 모델로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합한 첫 모델이다. 오픈AI의 기존 이미지 모델인 달리(DALL-E)보다 더 정교하게 이미지를 생성한다고 알려진 챗GPT-4o 이미지 생성은 간단한 프롬프트 입력만으로 완성도 높은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기존에는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프롬프트를 하나하나 입력해야 했지만, 새 모델은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텍스트와 결합한 이미지를 만드는 능력도 한층 정교해졌다. 예를 들어 ‘뉴턴의 프리즘 실험을 자세히 설명하는 인포그래픽’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을 때 이를 시각적 이미지와 함께 정확한 위치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유용한 이미지를 만든다. 또한 요리에 들어가는 재료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메뉴판이나 대사를 필요로 하는 네컷 만화를 만들어 주는 것도 능숙하게 해낸다. 이외에도 대화를 통해 맥락 내 학습을 하며 이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통합해 새로운 이미지 생성에 반영할 수도 있다. 또 자연스러운 대화 속에서 이미지를 다듬어가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일관성을 유지한 채 이를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애니메이션 이미지 생성 인기 오픈AI는 챗GPT 가입자가 지난달 말 기준 5억 명을 돌파했다고 지난 1일(현지시간) 밝혔다. 다수의 언론에 따르면 챗GPT 이용자 급증은 오픈AI가 올해 들어 새로운 AI 모델을 대거 선보인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새롭게 선보인 챗GPT-4o 이미지 생성의 인기는 더 놀랍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7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에서 이미지 생성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보는 것은 정말 즐겁다”라며 “그런데 우리의 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미지 생성 작업이 인기를 끌면서 과다한 트래픽이 서버에 몰린 것이다. 또 지난달 31일엔 “지난 한 시간 동안 100만 명의 사용자가 추가 됐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델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챗GPT를 출시하고 초기 이용자 수 100만 명을 달성하는데는 5일이 걸렸다고 한다. 이처럼 오픈AI가 새롭게 공개한 이미지 생성 모델이 이렇게까지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바로 지브리와 디즈니, 픽사 등의 다양한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 변환이 주목을 받으면서 이다. 이용자가 일상에서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하고 특정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그려달라고 입력하면 약 1분 내외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받아볼 수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은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그림체다. 일상 사진을 업로드하고 지브리풍으로 그려달라고 간단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누구나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된다. 개인의 일상 사진이 섬세하고 따뜻한 지브리 감성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점에서 국내외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이다. ‘지브리 프사’ 열풍, 누리꾼들 갑론을박 지난 10일 샘 올트먼 CEO의 X 프로필 사진 역시 지브리풍 이미지이다. 오픈AI의 더 똑똑해진 이미지 생성 AI 모델이 등장하면서 실제 일상에서 필요로 하는 유용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를 생성해 낼 수 있게 됐지만 예상치 못하게 지브리풍 이미지 변환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해 생성한 ‘지브리 프사’가 유행이다. 근래 카카오톡 친구 목록을 살펴보면 부쩍 지브리 그림체로 변환한 프로필 사진이 많이 보인다. 평소에 프로필 사진을 잘 변경하지 않던 이들도 지브리 프사 물결에 동참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면서 또 다른 의견 대립도 나타나고 있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지브리 프사가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동이라는 지적과 함께 반대로 이를 옹호하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먼저 특정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그림체를 따라해서 AI 모델이 생성한 결과물을 창작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이미지 생성을 위해 AI 모델이 지브리의 애니메이션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했다면 일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는 것이다. 물론 반대로 옹호하는 의견도 있다. AI 모델을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는 시대이며 현재 애니메이션 이미지 변환 또한 트렌드의 일부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또 그림체 또는 스타일 자체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라는 일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내세우기도 한다. 지브리풍 이미지 변환, 저작권 침해일까 그렇다면 AI 모델을 사용해 사진을 지브리풍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에는 법적인 문제가 없는 걸까. 그림체의 저작권 보호 대상 여부와 함께 이를 프로필 사진으로 사용하는 것이 저작권에 위배되는 행위인가에 관해 법무법인 대륜 김태환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했다. 먼저 그림체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라고 한다. 김태환 변호사는 “그림체는 저작권의 보호 대상이 아닌 것이 원칙이다”라며 “저작권법 제2조 1호에서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을 ‘사상 또는 감정의 창작적 표현’이라 하여 표현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그림체와 같은 아이디어, 기법, 스타일은 보호대상이 되지 않는다”라고 전했다. AI모델을 활용해 특정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이미지를 변환한 뒤 이를 사용하는 행위는 어떨까. 이에 대해서는 "현행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이 '인간'이 창작한 것에 한해 인정되고 있어, AI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할 경우 누구에게 권리 귀속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AI 저작권에 관한 분쟁 사례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어 AI 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경우 향후 법적 문제를 제기하여 판단을 받음으로써 AI의 저작권 문제에 대해 조금 더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가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다만 현행 저작권법에서 사적 이용은 저작권자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어 이 부분은 문제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언이다. 하지만 이를 영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변호사는 “지브리 애니메이션 이미지 그 자체는 작품 표현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의 이미지를 베꼈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최근과 같이 개인이나 가족, 친구 사진을 지브리 풍으로 변경하여 생성시키는 것은 향후 법적 문제가 수면 위에 올라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AI모델의 데이터 학습에 관해서는 저작권 침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는 “AI의 학습은 웹 크롤링 등을 통해 저작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분석하는 것에 기반하는데, 이는 저작권법상 복제행위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모든 복제행위를 저작권자의 권리 침해로 규율할 경우 문화 발달에 저해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 때문에 무한정한 권리행사를 제동할 필요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공정 이용(Fair Use)이라는 것이다. 공정 이용이란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도 특정 조건하에서 합리적, 비영리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공정 이용 여부 판단에 대해 김 변호사는 “AI의 학습이 비영리적이며 창작을 촉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저작권자의 시장에 실질적으로 피해를 주는지, 전체 중 이용한 범위가 일부인지 전체인지 등과 같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정이용 여부를 판단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AI모델이 지브리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학습하는 정도가 비영리적이고, 일부만 학습하고, 저작권자의 시장에 경쟁적이지 않다면 공정이용으로 인정되어 저작권 침해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반대로, 지브리 애니메이션 데이터의 학습이 영리적 목적을 가지며, 핵심적인 부분을 사용하였고, 시장에서 경쟁적인 관계가 되어 저작권자에게 실질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면 더 이상 공정이용이 되지 않아 저작권 침해가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부연했다. 원작자 권리 침해… 윤리적 관점에서 본다면 지난주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의 동네생활에는 “무분별한 AI일러스트 이용에 대해 속상한 마음을 내비치는 글”이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업로드됐다. 글쓴이는 “수많은 작가 지망생들은 만화, 일러스트에 적합한 만화도상적 작화풍을 갖기 위해 수년을 노력한다”라며 “AI의 매우 정교한 그림은 수많은 작가의 고혈을 무단 학습하여 이루어진 결과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지브리 스튜디오의 공동 설립자인 미야자키 하야오 또한 AI를 사용한 작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다. 2016년 NHK 다큐멘터리 에서는 드완고 사의 가와카미 노부오가 AI를 사용해 제작한 한 영상의 데모 테이프를 그에게 보여주는 장면이 등장한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당시 해당 영상에 관해 “생명에 대한 모독이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라고 말한다. 해당 데모 테이프는 인공지능을 통해 생성된 그로테스크한 움직임의 특정 동작들을 담고 있다. 이에 미야자키 하야오는 장애가 있는 친구를 생각한다면 이걸 재미있다고 할 수 없으며, 이런 걸 만드는 사람은 고통이란 것이 무엇인지 전혀 모르고 있다고 꼬집는다. 이어 해당 기술을 절대 작품에 도입하지 않을 것이라 말하기도 했다. 미야자키 하야오와 함께 한 지브리 출신 애니메이터 중 야마모리 에이지에 관한 일화도 AI모델 사용에 관한 일부 대중의 부정적 견해를 일견 이해하게 한다. 그는 애니메이션 [기사전문보기]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가 쏘아 올린 AI 저작권 논란 (바로가기)
핸드메이커
2025-04-16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가 쏘아 올린 AI 저작권 논란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가 쏘아 올린 AI 저작권 논란
최근 SNS에 실물 사진이 아닌 ‘지브리풍’ 이미지를 올리는 이들이 늘고 있다. 실제 촬영한 사진을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변환한 이미지들인데 오픈AI가 새로 선보인 이미지 생성 AI 모델이 인기를 끌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지브리풍 이미지가 주목을 받으면서 온라인에는 이를 판매한다는 글까지 등장했다. 특정 화풍이 적용됐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프롬프트 입력만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물을 유료로 거래한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식단 관리부터 심리 상담, 사주 보기까지, 챗GPT(ChatGPT) 같은 인공지능(AI)이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 든 현재, 예술 및 창작 영역에서의 AI 활용과 이에 따른 문제를 법적, 윤리적 관점에서 짚어봤다. 오픈AI, 새로운 이미지 생성 AI 모델 공개 오픈AI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을 공개했다. 오픈AI의 시그니처 멀티모달인 챗GPT-4o와 결합한 이미지 생성 모델로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합한 첫 모델이다. 오픈AI의 기존 이미지 모델인 달리(DALL-E)보다 더 정교하게 이미지를 생성한다고 알려진 챗GPT-4o 이미지 생성은 간단한 프롬프트 입력만으로 완성도 높은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기존에는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프롬프트를 하나하나 입력해야 했지만, 새 모델은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텍스트와 결합한 이미지를 만드는 능력도 한층 정교해졌다. 예를 들어 ‘뉴턴의 프리즘 실험을 자세히 설명하는 인포그래픽’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을 때 이를 시각적 이미지와 함께 정확한 위치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유용한 이미지를 만든다. 또한 요리에 들어가는 재료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메뉴판이나 대사를 필요로 하는 네컷 만화를 만들어 주는 것도 능숙하게 해낸다. 이외에도 대화를 통해 맥락 내 학습을 하며 이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통합해 새로운 이미지 생성에 반영할 수도 있다. 또 자연스러운 대화 속에서 이미지를 다듬어가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일관성을 유지한 채 이를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애니메이션 이미지 생성 인기 오픈AI는 챗GPT 가입자가 지난달 말 기준 5억 명을 돌파했다고 지난 1일(현지시간) 밝혔다. 다수의 언론에 따르면 챗GPT 이용자 급증은 오픈AI가 올해 들어 새로운 AI 모델을 대거 선보인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새롭게 선보인 챗GPT-4o 이미지 생성의 인기는 더 놀랍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7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에서 이미지 생성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보는 것은 정말 즐겁다”라며 “그런데 우리의 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미지 생성 작업이 인기를 끌면서 과다한 트래픽이 서버에 몰린 것이다. 또 지난달 31일엔 “지난 한 시간 동안 100만 명의 사용자가 추가 됐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델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챗GPT를 출시하고 초기 이용자 수 100만 명을 달성하는데는 5일이 걸렸다고 한다. 이처럼 오픈AI가 새롭게 공개한 이미지 생성 모델이 이렇게까지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바로 지브리와 디즈니, 픽사 등의 다양한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 변환이 주목을 받으면서 이다. 이용자가 일상에서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하고 특정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그려달라고 입력하면 약 1분 내외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받아볼 수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은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그림체다. 일상 사진을 업로드하고 지브리풍으로 그려달라고 간단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누구나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된다. 개인의 일상 사진이 섬세하고 따뜻한 지브리 감성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점에서 국내외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이다. ‘지브리 프사’ 열풍, 누리꾼들 갑론을박 지난 10일 샘 올트먼 CEO의 X 프로필 사진 역시 지브리풍 이미지이다. 오픈AI의 더 똑똑해진 이미지 생성 AI 모델이 등장하면서 실제 일상에서 필요로 하는 유용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를 생성해 낼 수 있게 됐지만 예상치 못하게 지브리풍 이미지 변환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해 생성한 ‘지브리 프사’가 유행이다. 근래 카카오톡 친구 목록을 살펴보면 부쩍 지브리 그림체로 변환한 프로필 사진이 많이 보인다. 평소에 프로필 사진을 잘 변경하지 않던 이들도 지브리 프사 물결에 동참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면서 또 다른 의견 대립도 나타나고 있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지브리 프사가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동이라는 지적과 함께 반대로 이를 옹호하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먼저 특정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그림체를 따라해서 AI 모델이 생성한 결과물을 창작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이미지 생성을 위해 AI 모델이 지브리의 애니메이션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했다면 일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는 것이다. 물론 반대로 옹호하는 의견도 있다. AI 모델을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는 시대이며 현재 애니메이션 이미지 변환 또한 트렌드의 일부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또 그림체 또는 스타일 자체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라는 일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내세우기도 한다. 지브리풍 이미지 변환, 저작권 침해일까 그렇다면 AI 모델을 사용해 사진을 지브리풍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에는 법적인 문제가 없는 걸까. 그림체의 저작권 보호 대상 여부와 함께 이를 프로필 사진으로 사용하는 것이 저작권에 위배되는 행위인가에 관해 법무법인 대륜 김태환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했다. 먼저 그림체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라고 한다. 김태환 변호사는 “그림체는 저작권의 보호 대상이 아닌 것이 원칙이다”라며 “저작권법 제2조 1호에서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을 ‘사상 또는 감정의 창작적 표현’이라 하여 표현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그림체와 같은 아이디어, 기법, 스타일은 보호대상이 되지 않는다”라고 전했다. AI모델을 활용해 특정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이미지를 변환한 뒤 이를 사용하는 행위는 어떨까. 이에 대해서는 "현행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이 '인간'이 창작한 것에 한해 인정되고 있어, AI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할 경우 누구에게 권리 귀속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AI 저작권에 관한 분쟁 사례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어 AI 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경우 향후 법적 문제를 제기하여 판단을 받음으로써 AI의 저작권 문제에 대해 조금 더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가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다만 현행 저작권법에서 사적 이용은 저작권자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어 이 부분은 문제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언이다. 하지만 이를 영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변호사는 “지브리 애니메이션 이미지 그 자체는 작품 표현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의 이미지를 베꼈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최근과 같이 개인이나 가족, 친구 사진을 지브리 풍으로 변경하여 생성시키는 것은 향후 법적 문제가 수면 위에 올라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AI모델의 데이터 학습에 관해서는 저작권 침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는 “AI의 학습은 웹 크롤링 등을 통해 저작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분석하는 것에 기반하는데, 이는 저작권법상 복제행위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모든 복제행위를 저작권자의 권리 침해로 규율할 경우 문화 발달에 저해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 때문에 무한정한 권리행사를 제동할 필요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공정 이용(Fair Use)이라는 것이다. 공정 이용이란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도 특정 조건하에서 합리적, 비영리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공정 이용 여부 판단에 대해 김 변호사는 “AI의 학습이 비영리적이며 창작을 촉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저작권자의 시장에 실질적으로 피해를 주는지, 전체 중 이용한 범위가 일부인지 전체인지 등과 같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정이용 여부를 판단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AI모델이 지브리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학습하는 정도가 비영리적이고, 일부만 학습하고, 저작권자의 시장에 경쟁적이지 않다면 공정이용으로 인정되어 저작권 침해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반대로, 지브리 애니메이션 데이터의 학습이 영리적 목적을 가지며, 핵심적인 부분을 사용하였고, 시장에서 경쟁적인 관계가 되어 저작권자에게 실질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면 더 이상 공정이용이 되지 않아 저작권 침해가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부연했다. 원작자 권리 침해… 윤리적 관점에서 본다면 지난주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의 동네생활에는 “무분별한 AI일러스트 이용에 대해 속상한 마음을 내비치는 글”이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업로드됐다. 글쓴이는 “수많은 작가 지망생들은 만화, 일러스트에 적합한 만화도상적 작화풍을 갖기 위해 수년을 노력한다”라며 “AI의 매우 정교한 그림은 수많은 작가의 고혈을 무단 학습하여 이루어진 결과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지브리 스튜디오의 공동 설립자인 미야자키 하야오 또한 AI를 사용한 작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다. 2016년 NHK 다큐멘터리 에서는 드완고 사의 가와카미 노부오가 AI를 사용해 제작한 한 영상의 데모 테이프를 그에게 보여주는 장면이 등장한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당시 해당 영상에 관해 “생명에 대한 모독이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라고 말한다. 해당 데모 테이프는 인공지능을 통해 생성된 그로테스크한 움직임의 특정 동작들을 담고 있다. 이에 미야자키 하야오는 장애가 있는 친구를 생각한다면 이걸 재미있다고 할 수 없으며, 이런 걸 만드는 사람은 고통이란 것이 무엇인지 전혀 모르고 있다고 꼬집는다. 이어 해당 기술을 절대 작품에 도입하지 않을 것이라 말하기도 했다. 미야자키 하야오와 함께 한 지브리 출신 애니메이터 중 야마모리 에이지에 관한 일화도 AI모델 사용에 관한 일부 대중의 부정적 견해를 일견 이해하게 한다. 그는 애니메이션 [기사전문보기]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가 쏘아 올린 AI 저작권 논란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6곳
2025-04-15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강화…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강화…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윤자영·오상욱·이지원·여자영·정창민·강성권 영입…강력한 맨파워 갖춰조세·행정·민사 소송 분야 법률 리스크 예방과 대응 만전 기해관세조사, 범칙조사 등 유형별 전략 제공…소속 회계사·세무사 등 전문가와 협업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조세행정그룹이 서울지방국세청, 세무법인 경력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서비스 확대를 위한 체제 개편에 나섰다.대륜은 체계적인 시스템과 맨파워를 기반으로 관세조사, 범칙조사 등에 유형별 전략을 제공할 방침이다.조세행정그룹은 적재적소에 인력을 배치해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특히 조세와 행정 분야별 맞춤형 전략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 사건에 적절한 구성원을 투입한다.이는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성과 체계성을 한층 더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대륜 관계자는 "조세 사건 특성상 변호사 이외에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이 협업해 사건을 이끌어야 하는데, 효율적인 조직 구성으로 사건 진단부터 마무리까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강화했다"고 밝혔다.그룹에는 조세, 세무, 행정 역량을 인정받은 전문가들이 포진해있다. 그룹의 지휘는 곽내원(사법연수원 25기) 조세행정그룹장이 맡고 있다. 서울행정법원에서 조세, 행정소송을 전담한 그는 변호사로 지내며, 시설부담금부과처분 취소 소송, 증여세부과처분 취소 소송, 개발행위불허가통보 취소 소송 등 행정관청의 위법한 처분에 대응해 오류를 바로잡아 왔다.조세 분야에 특화된 구성원으로는 조세신용보증기금, 부산신용보증재단 등 행정·공공기관의 송무 및 자문, 외부위원으로 활동한 김대수(38기), 서울지방변호사회 조세연수원을 수료하고 조세전문변호사로 활약 중인 정인호(35기), 국세청의 소송 대리 업무를 다수 수행하는 등 조세 소송 분야에 탁월한 능력을 갖춘 김유정, 법무사 자격을 보유하고 금융 법무 및 조세 소송에 뛰어난 이문용 변호사가 있다.최근에는 윤자영 변호사를 영입해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했다.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조세법전문변호사인 윤 변호사는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H농협은행, 신한생명보험 등 다수의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세무 법률자문을 제공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행정 분야는 구성원을 새로 보충해 한층 더 조직화했다. 국세청에서 근무하며 국세부과징수, 세무조사 등 사건을 다수 처리한 경험이 있는 임하연 변호사를 필두로 올해 합류한 오상욱, 이지원, 여자영, 정창민, 강성권 변호사가 업무를 수행한다. 오 변호사는 각 지방국세청 및 세무법인 재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대한법률구조공단, 대전지방교정청 등에서 공익법무관으로 근무하며 각종 행정소송 및 행정심판을 수행해왔다.이지원 변호사는 건축 관련 행정소송부터 공무원 징계 소송, 국유재산 원상회복명령 취소·영업허가취소 등 각종 행정제재 관련 소송을 수행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 소송에 특화돼있다. 여자영 변호사는 법무부 행정소송과, 법무심의관실 등에서 재직하며 다수의 행정 사건을 다뤄왔다.정창민 변호사는 업무상 재해 요양급여불승인처분 취소 소송 등 다수의 행정 소송을 수행하며 행정 분야의 전문성을 갖췄다. 세무사 자격을 보유한 강성권 변호사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 서초세무서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어 국세행정 주요 분야에 대한 원활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그룹은 조세자문 이외에도 조세쟁송, 세무조사 대응 등 조세행정 전 분야의 법적 분쟁에 대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곽내원 그룹장은 "조세 및 행정 등 분야별 변호사 영입을 통해 그룹의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뛰어난 인재를 확보하고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직면한 복잡다단한 조세행정 문제에 초동 단계부터 그룹 소속 변호사 및 법인 내 공인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관세전문위원과 함께 사실관계와 법리를 검토해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황기현 기자(kihyun@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강화…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세행정 경력 전문변호사 대거 영입…조세그룹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조세행정그룹, 국세청·세무법인 출신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세청·세무법인 전문가 대거 영입…조세행정그룹 강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대폭 강화…국세청·세무법인 출신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6곳
2025-04-15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강화…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강화…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윤자영·오상욱·이지원·여자영·정창민·강성권 영입…강력한 맨파워 갖춰조세·행정·민사 소송 분야 법률 리스크 예방과 대응 만전 기해관세조사, 범칙조사 등 유형별 전략 제공…소속 회계사·세무사 등 전문가와 협업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조세행정그룹이 서울지방국세청, 세무법인 경력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서비스 확대를 위한 체제 개편에 나섰다.대륜은 체계적인 시스템과 맨파워를 기반으로 관세조사, 범칙조사 등에 유형별 전략을 제공할 방침이다.조세행정그룹은 적재적소에 인력을 배치해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특히 조세와 행정 분야별 맞춤형 전략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 사건에 적절한 구성원을 투입한다.이는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성과 체계성을 한층 더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대륜 관계자는 "조세 사건 특성상 변호사 이외에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이 협업해 사건을 이끌어야 하는데, 효율적인 조직 구성으로 사건 진단부터 마무리까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강화했다"고 밝혔다.그룹에는 조세, 세무, 행정 역량을 인정받은 전문가들이 포진해있다. 그룹의 지휘는 곽내원(사법연수원 25기) 조세행정그룹장이 맡고 있다. 서울행정법원에서 조세, 행정소송을 전담한 그는 변호사로 지내며, 시설부담금부과처분 취소 소송, 증여세부과처분 취소 소송, 개발행위불허가통보 취소 소송 등 행정관청의 위법한 처분에 대응해 오류를 바로잡아 왔다.조세 분야에 특화된 구성원으로는 조세신용보증기금, 부산신용보증재단 등 행정·공공기관의 송무 및 자문, 외부위원으로 활동한 김대수(38기), 서울지방변호사회 조세연수원을 수료하고 조세전문변호사로 활약 중인 정인호(35기), 국세청의 소송 대리 업무를 다수 수행하는 등 조세 소송 분야에 탁월한 능력을 갖춘 김유정, 법무사 자격을 보유하고 금융 법무 및 조세 소송에 뛰어난 이문용 변호사가 있다.최근에는 윤자영 변호사를 영입해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했다.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조세법전문변호사인 윤 변호사는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H농협은행, 신한생명보험 등 다수의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세무 법률자문을 제공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행정 분야는 구성원을 새로 보충해 한층 더 조직화했다. 국세청에서 근무하며 국세부과징수, 세무조사 등 사건을 다수 처리한 경험이 있는 임하연 변호사를 필두로 올해 합류한 오상욱, 이지원, 여자영, 정창민, 강성권 변호사가 업무를 수행한다. 오 변호사는 각 지방국세청 및 세무법인 재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대한법률구조공단, 대전지방교정청 등에서 공익법무관으로 근무하며 각종 행정소송 및 행정심판을 수행해왔다.이지원 변호사는 건축 관련 행정소송부터 공무원 징계 소송, 국유재산 원상회복명령 취소·영업허가취소 등 각종 행정제재 관련 소송을 수행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 소송에 특화돼있다. 여자영 변호사는 법무부 행정소송과, 법무심의관실 등에서 재직하며 다수의 행정 사건을 다뤄왔다.정창민 변호사는 업무상 재해 요양급여불승인처분 취소 소송 등 다수의 행정 소송을 수행하며 행정 분야의 전문성을 갖췄다. 세무사 자격을 보유한 강성권 변호사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 서초세무서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어 국세행정 주요 분야에 대한 원활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그룹은 조세자문 이외에도 조세쟁송, 세무조사 대응 등 조세행정 전 분야의 법적 분쟁에 대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곽내원 그룹장은 "조세 및 행정 등 분야별 변호사 영입을 통해 그룹의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뛰어난 인재를 확보하고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직면한 복잡다단한 조세행정 문제에 초동 단계부터 그룹 소속 변호사 및 법인 내 공인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관세전문위원과 함께 사실관계와 법리를 검토해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황기현 기자(kihyun@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강화…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국세청·세무법인 경력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세행정 경력 전문변호사 대거 영입…조세그룹 강화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조세행정그룹, 국세청·세무법인 출신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세청·세무법인 전문가 대거 영입…조세행정그룹 강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조세행정그룹 대폭 강화…국세청·세무법인 출신 전문가 대거 영입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3곳
2025-04-15
법무법인 대륜, 파메어스와 MOU 체결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 파메어스와 MOU 체결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사업 확장 시 발생 가능한 모든 법적 분쟁에 대응기업법무그룹 내 다분야 전문가 협력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종합 코스메틱 기업 파메어스와 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지난 8일 파메어스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 손계준 기업법무그룹장, 장윤성 파메어스 대표이사, 윤영화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2019년 설립된 파메어스 유통 플랫폼 ‘파메스테틱’과 코스메틱 브랜드 ‘코나피딜’, ‘비반콴트망카’ 등을 운영하며 국내 코스메틱 업계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특히 파메스테틱은 프리미엄 코스메틱 유통 플랫폼으로 그동안 코스메틱 산업에 사용되던 유통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채널로 자리잡았다. 코스메틱 브랜드 컨설팅과 자체 브랜드 개발 등 사업 영역을 다각화한 결과 지난해 5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파메어스의 글로벌 사업 확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에 대해 신속한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투자 및 수출입 관련 자문 △국제 법규 및 규제 대응 △플랫폼 내 판매자 계약 관련 법적 이슈 검토 △제품 홍보·광고 사전점검 △분쟁 발생 시 신속 대응 등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장윤성 파메어스 대표는 “코스메틱 사업이 커지면서 각종 분쟁이 늘고 있어 고민이 많았다. 다양한 부분에서 법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돼 기쁘다”라며 “특히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서비스 분야도 확장할 예정으로 신경 쓸 부분이 더 많아졌는데 이번 협약 덕분에 걱정을 덜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글로벌 진출에 활발하게 나서고 있는 파메어스와 좋은 기회로 협력 관계를 맺게 됐다”며 “K-뷰티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모든 부분에 세심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기업법무그룹 내 해외법 전문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이 많다. 국제분쟁의 경우 여러 절차를 밝아야 하고, 나라별 법 기준이 달라 장기전으로 이어지는 일이 많다. 이때 절차에 맞는 전문가들을 투입해 최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조력할 예정”라고 설명했다.한편,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기업자문, 자산운용, 인사노무, 경영권분쟁, M&A, AI·IT 등 각 기업의 상황에 맞춤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파메어스와 MOU 체결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파메어스,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MOU) 체결 (바로가기) 유스연합 - 파메어스,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글로벌 진출 및 국내 사업 법률지원 강화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3곳
2025-04-15
법무법인 대륜, 파메어스와 MOU 체결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 파메어스와 MOU 체결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사업 확장 시 발생 가능한 모든 법적 분쟁에 대응기업법무그룹 내 다분야 전문가 협력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종합 코스메틱 기업 파메어스와 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지난 8일 파메어스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 손계준 기업법무그룹장, 장윤성 파메어스 대표이사, 윤영화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2019년 설립된 파메어스 유통 플랫폼 ‘파메스테틱’과 코스메틱 브랜드 ‘코나피딜’, ‘비반콴트망카’ 등을 운영하며 국내 코스메틱 업계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특히 파메스테틱은 프리미엄 코스메틱 유통 플랫폼으로 그동안 코스메틱 산업에 사용되던 유통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채널로 자리잡았다. 코스메틱 브랜드 컨설팅과 자체 브랜드 개발 등 사업 영역을 다각화한 결과 지난해 5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파메어스의 글로벌 사업 확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에 대해 신속한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투자 및 수출입 관련 자문 △국제 법규 및 규제 대응 △플랫폼 내 판매자 계약 관련 법적 이슈 검토 △제품 홍보·광고 사전점검 △분쟁 발생 시 신속 대응 등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장윤성 파메어스 대표는 “코스메틱 사업이 커지면서 각종 분쟁이 늘고 있어 고민이 많았다. 다양한 부분에서 법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돼 기쁘다”라며 “특히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서비스 분야도 확장할 예정으로 신경 쓸 부분이 더 많아졌는데 이번 협약 덕분에 걱정을 덜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글로벌 진출에 활발하게 나서고 있는 파메어스와 좋은 기회로 협력 관계를 맺게 됐다”며 “K-뷰티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모든 부분에 세심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기업법무그룹 내 해외법 전문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이 많다. 국제분쟁의 경우 여러 절차를 밝아야 하고, 나라별 법 기준이 달라 장기전으로 이어지는 일이 많다. 이때 절차에 맞는 전문가들을 투입해 최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조력할 예정”라고 설명했다.한편,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기업자문, 자산운용, 인사노무, 경영권분쟁, M&A, AI·IT 등 각 기업의 상황에 맞춤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파메어스와 MOU 체결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바로가기) 국제뉴스 - 파메어스,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MOU) 체결 (바로가기) 유스연합 - 파메어스,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글로벌 진출 및 국내 사업 법률지원 강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15
기업법무 특화 변호사가 알려주는 경영자도 모르게 위반하는 법률리스크
기업법무 특화 변호사가 알려주는 경영자도 모르게 위반하는 법률리스크
기업 경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을 꼽으라고 한다면 예측 불가능한 위험 요소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는 것이다. 많은 기업인이 로펌을 찾아 법적인 분쟁 요소들에 대해 검토 받고, 사전 문제 차단을 위한 선제적인 예방체계를 구축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실제 기업 운영은 수많은 법률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어 각종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경영진에게는 경영리스크(공정거래법, 상법, 자본시장법)부터 노무리스크(근로기준법), 산업현장리스크(중대재해처벌법)에 이르기까지 관계 법률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특히 기업 법률리스크는 단순히 금전적인 손해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하락, 영업 중지, 경영책임자에 대한 형사 처벌 등 무거운 사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회사 운영 전반에 발생할 수 있는 법률리스크 다섯 가지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먼저 노동법 위반에 대해 보자.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임금 등 필수 항목 이외에 기타 근로조건을 기재하지 않아 근로계약서 작성 위반으로 적발되는 일이 심심찮게 발생한다. 또 근로계약서 미작성, 미교부는 대표적인 노동법 위반 사례로 근로기준법 제114조에 따라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최저임금 미준수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연장근로수당 미지급 등 최저임금법 위반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 질 수 있다는 점 역시 숙지해야 한다.다음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다. 기업을 운영하며 여러 상황에서 개인정보를 맞닥뜨리게 된다. 보통 고객 및 직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면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개인정보를 수집, 보관할 때는 반드시 법적 동의를 얻어야만 한다. 만약 법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개인정보를 처리하게 된다면 과징금 부과 등의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 정보 유출로 이어진다면 민·형사상 책임이 발생하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또한 기업 가치 하락, 그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까지 수반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세 번째로 유의해야 할 점은 상표권 및 저작권 침해다. 상호 혹은 브랜드 상표를 사용할 때 기존 상표권에 대해 확인하지 않고 무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이미지·영상·음악 등을 허락 없이 사용하고 타사 디자인, 특허권을 침해한 제품을 판매하는 것 역시 저작권 침해에 해당해 송사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를 복제, 전시, 배포, 대여해 적발된 경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해자(기업)으로부터 별도의 손해배상소송까지 제기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네 번째, 불공정 거래행위 역시 빠질 수 없는 법률리스크다. 사업자는 하도급법, 공정거래법 등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가 발생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법적 제재가 따를 수 있다. 프랜차이즈 사업을 영위 중이라면 계약 체결, 수수료 등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가맹점을 운영하거나 과도한 수수료를 징수하는 것 역시 가맹사업법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가맹본부가 사업실적이나 예상 수익 상황 등 주요 정보에 대한 허위·과장 정보, 중요 사실 은폐·축소 등 법으로 금지되는 행위를 한다면 5년 이하의 징역 3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 질 수 있다.마지막으로 법인의 주주총회·이사회 개최와 관련한 법적 쟁점을 짚어보겠다. 주식회사라면 매년 1회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반드시 소집 통지부터 의사 결정까지 전 과정에서 상법상 절차를 따라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이사·감사의 선임 및 사임 후 변경 등기 누락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기한 내 신청하는 것을 권장한다.효과적인 리스크 관리는 문제 방지를 넘어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기업 운영에 있어 법적 리스크 관리는 선택 아닌 필수이며, 정기적인 법률 검토와 지속적인 교육만이 잠재적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업법무 특화 변호사가 알려주는 경영자도 모르게 위반하는 법률리스크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15
기업법무 특화 변호사가 알려주는 경영자도 모르게 위반하는 법률리스크
기업법무 특화 변호사가 알려주는 경영자도 모르게 위반하는 법률리스크
기업 경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을 꼽으라고 한다면 예측 불가능한 위험 요소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는 것이다. 많은 기업인이 로펌을 찾아 법적인 분쟁 요소들에 대해 검토 받고, 사전 문제 차단을 위한 선제적인 예방체계를 구축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실제 기업 운영은 수많은 법률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어 각종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경영진에게는 경영리스크(공정거래법, 상법, 자본시장법)부터 노무리스크(근로기준법), 산업현장리스크(중대재해처벌법)에 이르기까지 관계 법률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특히 기업 법률리스크는 단순히 금전적인 손해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하락, 영업 중지, 경영책임자에 대한 형사 처벌 등 무거운 사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회사 운영 전반에 발생할 수 있는 법률리스크 다섯 가지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먼저 노동법 위반에 대해 보자.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임금 등 필수 항목 이외에 기타 근로조건을 기재하지 않아 근로계약서 작성 위반으로 적발되는 일이 심심찮게 발생한다. 또 근로계약서 미작성, 미교부는 대표적인 노동법 위반 사례로 근로기준법 제114조에 따라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최저임금 미준수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연장근로수당 미지급 등 최저임금법 위반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 질 수 있다는 점 역시 숙지해야 한다.다음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다. 기업을 운영하며 여러 상황에서 개인정보를 맞닥뜨리게 된다. 보통 고객 및 직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면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개인정보를 수집, 보관할 때는 반드시 법적 동의를 얻어야만 한다. 만약 법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개인정보를 처리하게 된다면 과징금 부과 등의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 정보 유출로 이어진다면 민·형사상 책임이 발생하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또한 기업 가치 하락, 그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까지 수반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세 번째로 유의해야 할 점은 상표권 및 저작권 침해다. 상호 혹은 브랜드 상표를 사용할 때 기존 상표권에 대해 확인하지 않고 무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이미지·영상·음악 등을 허락 없이 사용하고 타사 디자인, 특허권을 침해한 제품을 판매하는 것 역시 저작권 침해에 해당해 송사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를 복제, 전시, 배포, 대여해 적발된 경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해자(기업)으로부터 별도의 손해배상소송까지 제기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네 번째, 불공정 거래행위 역시 빠질 수 없는 법률리스크다. 사업자는 하도급법, 공정거래법 등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가 발생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법적 제재가 따를 수 있다. 프랜차이즈 사업을 영위 중이라면 계약 체결, 수수료 등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가맹점을 운영하거나 과도한 수수료를 징수하는 것 역시 가맹사업법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가맹본부가 사업실적이나 예상 수익 상황 등 주요 정보에 대한 허위·과장 정보, 중요 사실 은폐·축소 등 법으로 금지되는 행위를 한다면 5년 이하의 징역 3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 질 수 있다.마지막으로 법인의 주주총회·이사회 개최와 관련한 법적 쟁점을 짚어보겠다. 주식회사라면 매년 1회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반드시 소집 통지부터 의사 결정까지 전 과정에서 상법상 절차를 따라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이사·감사의 선임 및 사임 후 변경 등기 누락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기한 내 신청하는 것을 권장한다.효과적인 리스크 관리는 문제 방지를 넘어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기업 운영에 있어 법적 리스크 관리는 선택 아닌 필수이며, 정기적인 법률 검토와 지속적인 교육만이 잠재적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업법무 특화 변호사가 알려주는 경영자도 모르게 위반하는 법률리스크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4-15
"R&D 비용, 이렇게 줄여라"…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R&D 비용, 이렇게 줄여라"…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4월17일 오후 2시 대전 오노마 호텔서 진행 법무법인 대륜 대전본부 분사무소는 17일 오후 2시 대전 호텔 오노마에서 ‘R&D 세액공제 및 연구·인력개발비 세무·법무 리스크 대응’을 주제로 제2차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R&D 세액공제 방안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대륜 측은 대덕연구단지가 위치해 있는 대전의 특정을 반영해 주제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전은 2023년 기준 지역 R&D 집행 예산 비중이 27.7%로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어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세미나 발표는 여자영 변호사가 맡았다. 여 변호사는 법무부 법무심의관실 근무 당시 행정청 및 과세관청 처분, 증여세 과징금 부과 취소 등 다양한 세무 사건을 수행한 바 있다.여 변호사는 이 자리에서 △신기술·신사업 분야 엄격 심사 △외주용역 과다 계상 검증 강화 △인건비 증빙 요구 강화 등 최근 연구·인력 개발비 심사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사전심사 제도의 목적과 효과, 작성 가이드까지 실무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발표할 예정이다.패널로는 지식경제부 장관 법률 자문관을 맡은 조상수 변호사와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경영컨설턴트를 역임한 김정범 변호사가 참여한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최근 R&D 지원과 관련한 조항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어 실무 담당자들의 철저한 이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대전본부 분사무소가 주최하는 두 번째 세미나인 만큼, 대전·세종·충청 R&D 실무자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대륜 대전본부 분사무소는 지난 3월부터 매달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을 주제로 김정범 변호사가 발표를 맡아 기업 실무진의 큰 호응을 얻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R&D 비용, 이렇게 줄여라"…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대전 분사무소, 17일 ‘R&D 세액공제 등 세무·법무 리스크 대응’ 세미나 (바로가기) 국제뉴스 - R&D 비용 절감 전략 제시…법무법인 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충청신문 - ‘통상임금’에 이어 이번엔 R&D 리스크…법무법인 대륜, 제2차 실무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4-15
"R&D 비용, 이렇게 줄여라"…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R&D 비용, 이렇게 줄여라"…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4월17일 오후 2시 대전 오노마 호텔서 진행 법무법인 대륜 대전본부 분사무소는 17일 오후 2시 대전 호텔 오노마에서 ‘R&D 세액공제 및 연구·인력개발비 세무·법무 리스크 대응’을 주제로 제2차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R&D 세액공제 방안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대륜 측은 대덕연구단지가 위치해 있는 대전의 특정을 반영해 주제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전은 2023년 기준 지역 R&D 집행 예산 비중이 27.7%로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어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세미나 발표는 여자영 변호사가 맡았다. 여 변호사는 법무부 법무심의관실 근무 당시 행정청 및 과세관청 처분, 증여세 과징금 부과 취소 등 다양한 세무 사건을 수행한 바 있다.여 변호사는 이 자리에서 △신기술·신사업 분야 엄격 심사 △외주용역 과다 계상 검증 강화 △인건비 증빙 요구 강화 등 최근 연구·인력 개발비 심사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사전심사 제도의 목적과 효과, 작성 가이드까지 실무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발표할 예정이다.패널로는 지식경제부 장관 법률 자문관을 맡은 조상수 변호사와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경영컨설턴트를 역임한 김정범 변호사가 참여한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최근 R&D 지원과 관련한 조항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어 실무 담당자들의 철저한 이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대전본부 분사무소가 주최하는 두 번째 세미나인 만큼, 대전·세종·충청 R&D 실무자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대륜 대전본부 분사무소는 지난 3월부터 매달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을 주제로 김정범 변호사가 발표를 맡아 기업 실무진의 큰 호응을 얻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R&D 비용, 이렇게 줄여라"…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대륜 대전 분사무소, 17일 ‘R&D 세액공제 등 세무·법무 리스크 대응’ 세미나 (바로가기) 국제뉴스 - R&D 비용 절감 전략 제시…법무법인 대륜, 제2차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충청신문 - ‘통상임금’에 이어 이번엔 R&D 리스크…법무법인 대륜, 제2차 실무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15
‘대출 갈아타기’로 재판 넘겨진 회사원…法 “사기 의도 없어” 무죄
‘대출 갈아타기’로 재판 넘겨진 회사원…法 “사기 의도 없어” 무죄
신용등급 상승 이유·대출 이력 숨기고대부업체 통해 대환대출, 1억 편취 혐의재판부 “대출 당시 변제 능력 충분…금융기관에 자금출처 알릴 의무 없어” 브로커를 통해 금융기관을 속여 대출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회사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 울산지방법원은 지난 2월 20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회사원 A 씨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렸다.A 씨는 2018년 과도한 채무로 정상적 대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대부업체와 공모해 금융기관을 속이고 대출을 받아 약 1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조사 결과 대부업체가 A 씨의 채무를 대신 상환해 신용등급을 올렸고, A 씨는 이를 이용해 여러 금융 기관에서 돈을 빌린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A 씨가 고의로 은행에 대출 이력을 숨기고 신용등급 상승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그러나 A 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기존 대출의 이자가 높아 저금리 대출을 받고자 대출 갈아타기, 이른바 대환대출을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A 씨는 당시 높은 신용도를 유지하고 있었고, 성실히 원리금을 상환하는 등 대출을 갚을 능력이 충분히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경찰 조사 전 이미 채무 변제를 완료했다며 편취 의사가 없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법령상 금융기관에 변제자금 출처나 중복 대출 여부 등을 알릴 의무가 없어 허위 사실을 고지한 적이 없다”며 “피고인이 연체 없이 원금과 이자를 변제한 점을 봤을 때 대출 당시 변제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고 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이번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송민예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행위 당시를 기준으로 기망의 의도가 있었는지 파악해야 한다”며 “A 씨는 재산 소득 등 변제 능력이 충분했고 실제로 대출금을 모두 갚은 사실이 반영돼 사기 혐의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대출 갈아타기’로 재판 넘겨진 회사원…法 “사기 의도 없어” 무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15
‘대출 갈아타기’로 재판 넘겨진 회사원…法 “사기 의도 없어” 무죄
‘대출 갈아타기’로 재판 넘겨진 회사원…法 “사기 의도 없어” 무죄
신용등급 상승 이유·대출 이력 숨기고대부업체 통해 대환대출, 1억 편취 혐의재판부 “대출 당시 변제 능력 충분…금융기관에 자금출처 알릴 의무 없어” 브로커를 통해 금융기관을 속여 대출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회사원이 무죄를 선고받았다. 울산지방법원은 지난 2월 20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회사원 A 씨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렸다.A 씨는 2018년 과도한 채무로 정상적 대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대부업체와 공모해 금융기관을 속이고 대출을 받아 약 1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조사 결과 대부업체가 A 씨의 채무를 대신 상환해 신용등급을 올렸고, A 씨는 이를 이용해 여러 금융 기관에서 돈을 빌린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A 씨가 고의로 은행에 대출 이력을 숨기고 신용등급 상승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그러나 A 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기존 대출의 이자가 높아 저금리 대출을 받고자 대출 갈아타기, 이른바 대환대출을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A 씨는 당시 높은 신용도를 유지하고 있었고, 성실히 원리금을 상환하는 등 대출을 갚을 능력이 충분히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경찰 조사 전 이미 채무 변제를 완료했다며 편취 의사가 없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법령상 금융기관에 변제자금 출처나 중복 대출 여부 등을 알릴 의무가 없어 허위 사실을 고지한 적이 없다”며 “피고인이 연체 없이 원금과 이자를 변제한 점을 봤을 때 대출 당시 변제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고 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이번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송민예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행위 당시를 기준으로 기망의 의도가 있었는지 파악해야 한다”며 “A 씨는 재산 소득 등 변제 능력이 충분했고 실제로 대출금을 모두 갚은 사실이 반영돼 사기 혐의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대출 갈아타기’로 재판 넘겨진 회사원…法 “사기 의도 없어” 무죄 (바로가기)
데일리경제
2025-04-15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 "ESG, 국회 입법정책 역할과 정부규제 및 민간의 ESG 활동이 필요하다"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 "ESG, 국회 입법정책 역할과 정부규제 및 민간의 ESG 활동이 필요하다"
21일 국회 대한민국 ESG 경영혁신포럼서 ‘ESG 컨트롤 타워, ESG 국가 만들기' 기조 강연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국회사무처 산하법인 한국조정협회 ESG위원장)은 지난 2월 21일 국회의원회관 제1회의실에서 진행된 '제3회 대한민국 ESG 경영혁신포럼'에서 ‘ESG 컨트롤 타워, ESG 국가 만들기’를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섰다. 박 본부장은 “ESG정신은 다른 것에 대한 배려이며, 공공성과 존엄성 회복, 지속가능성에 자유시장경제를 합한 것이 발전된 형태의 공공성 즉 ESG”로 정의하며, “불평등 양극화, 저출산 초고령화, 기후위기, 지방소멸, 주거 일자리, 소통 통합이라는 지금의 시대정신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ESG”라고 규정했다.또한 “미국은 ESG가 후퇴하더라도 전 세계 금융권과 기업은 이미 ESG를 규범화 법제화로 진행하고 있으며 더 강화하고 있는 큰 흐름은 바꿀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회의 입법정책의 역할의 중요성과 정부규제 및 민간에서의 ESG 활동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다양한 이니셔티브와 협의체 및 ISO와 같은 국제 표준에 대해 소개했다. 박 본부장은 ‘금융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ESG경제 생태계’를 강조하며, 국내 금융권의 ESG 사회공헌 활동을 비판하면서도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ESG국가 전략을 제시했다. 아울러 ESG 경영의 필요성과 정책적 지원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며, 지속 가능한 ESG 정책을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했다.한편,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은 미국 듀크대 로스쿨과 워싱턴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내컨설팅회사와 유엔협회세계연맹 회장실 그리고 국회 정무위원장실과 행안위원장실 수석보좌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며 국회 입법정책, 정부규제 대응 전문가, 무엇보다 정치권 ESG의 최고 전문가로 통한다.박영복 기자 [기사전문보기]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 "ESG, 국회 입법정책 역할과 정부규제 및 민간의 ESG 활동이 필요하다" (바로가기)
데일리경제
2025-04-15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 "ESG, 국회 입법정책 역할과 정부규제 및 민간의 ESG 활동이 필요하다"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 "ESG, 국회 입법정책 역할과 정부규제 및 민간의 ESG 활동이 필요하다"
21일 국회 대한민국 ESG 경영혁신포럼서 ‘ESG 컨트롤 타워, ESG 국가 만들기' 기조 강연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국회사무처 산하법인 한국조정협회 ESG위원장)은 지난 2월 21일 국회의원회관 제1회의실에서 진행된 '제3회 대한민국 ESG 경영혁신포럼'에서 ‘ESG 컨트롤 타워, ESG 국가 만들기’를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섰다. 박 본부장은 “ESG정신은 다른 것에 대한 배려이며, 공공성과 존엄성 회복, 지속가능성에 자유시장경제를 합한 것이 발전된 형태의 공공성 즉 ESG”로 정의하며, “불평등 양극화, 저출산 초고령화, 기후위기, 지방소멸, 주거 일자리, 소통 통합이라는 지금의 시대정신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ESG”라고 규정했다.또한 “미국은 ESG가 후퇴하더라도 전 세계 금융권과 기업은 이미 ESG를 규범화 법제화로 진행하고 있으며 더 강화하고 있는 큰 흐름은 바꿀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회의 입법정책의 역할의 중요성과 정부규제 및 민간에서의 ESG 활동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다양한 이니셔티브와 협의체 및 ISO와 같은 국제 표준에 대해 소개했다. 박 본부장은 ‘금융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ESG경제 생태계’를 강조하며, 국내 금융권의 ESG 사회공헌 활동을 비판하면서도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ESG국가 전략을 제시했다. 아울러 ESG 경영의 필요성과 정책적 지원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며, 지속 가능한 ESG 정책을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했다.한편,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은 미국 듀크대 로스쿨과 워싱턴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내컨설팅회사와 유엔협회세계연맹 회장실 그리고 국회 정무위원장실과 행안위원장실 수석보좌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며 국회 입법정책, 정부규제 대응 전문가, 무엇보다 정치권 ESG의 최고 전문가로 통한다.박영복 기자 [기사전문보기] 박희정 법무법인 대륜 입법정책본부장, "ESG, 국회 입법정책 역할과 정부규제 및 민간의 ESG 활동이 필요하다"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15
검찰 사칭해 1,200여억 원 갈취..보이스피싱 조직원 '징역 17년'
검찰 사칭해 1,200여억 원 갈취..보이스피싱 조직원 '징역 17년'
검찰,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보이스피싱 범죄를 벌인 조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져 중형을 선고받았습니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제1형사부는 지난 2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범죄단체가입·활동 등 혐의로 기소된 국내 총책 A씨에게 징역 17년을 선고했습니다.조직원 3명에게는 징역 14년을 선고하고, 13억 5,000만여 원 추징을 명령했습니다.A씨 등은 2017년부터 해외 거점 보이스피싱 조직의 조직원으로 활동하며, B씨를 포함해 1,800여 명의 피해자들로부터 모두 1,200여억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습니다.이들은 조직 내에서 현금 수거책을 모집해 범행을 지시하는 운영자부터 검찰,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는 콜센터 상담원까지 다양한 역할을 맡아 활동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해당 조직은 범죄단체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범죄수익금을 실적과 기여도에 따라 조직원들에게 분배하는 식으로 운영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B씨 등 피해자들은 피고인들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습니다.재판부는 A씨와 조직원들에게 중형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이 사건 범행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막대하다. 또, 현재까지 피해가 조금도 회복된 바 없고, 앞으로도 피해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며 "죄책에 상응하는 무거운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밝혔습니다.피해자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윤다솜 변호사는 "피고인들은 보이스피싱 범죄를 유기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역할을 철저하게 나눴다. 피해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검사와 수사관을 사칭하면서 금전을 전달할 수밖에 없게끔 교묘하게 범행을 저질렀다"며 "피고인들 중에는 활동 기간이 6년이 넘는 자도 있었는데, 이들 조직은 오랜 기간에 걸쳐 수천 명의 피해자를 양산 시킨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B씨 등 피해자들은 이들의 범행으로 인해 자책과 후회의 나날들을 보내고 있다"며 "죄의식 없이 계속해서 활동한 점, 피해자들의 피해를 회복시키기 위한 일말의 노력도 없었던 점 등이 재판부에 받아들여져 중형이 내려질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검찰 사칭해 1,200여억 원 갈취..보이스피싱 조직원 '징역 17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15
검찰 사칭해 1,200여억 원 갈취..보이스피싱 조직원 '징역 17년'
검찰 사칭해 1,200여억 원 갈취..보이스피싱 조직원 '징역 17년'
검찰,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보이스피싱 범죄를 벌인 조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져 중형을 선고받았습니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제1형사부는 지난 2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범죄단체가입·활동 등 혐의로 기소된 국내 총책 A씨에게 징역 17년을 선고했습니다.조직원 3명에게는 징역 14년을 선고하고, 13억 5,000만여 원 추징을 명령했습니다.A씨 등은 2017년부터 해외 거점 보이스피싱 조직의 조직원으로 활동하며, B씨를 포함해 1,800여 명의 피해자들로부터 모두 1,200여억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습니다.이들은 조직 내에서 현금 수거책을 모집해 범행을 지시하는 운영자부터 검찰,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는 콜센터 상담원까지 다양한 역할을 맡아 활동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해당 조직은 범죄단체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범죄수익금을 실적과 기여도에 따라 조직원들에게 분배하는 식으로 운영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B씨 등 피해자들은 피고인들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습니다.재판부는 A씨와 조직원들에게 중형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이 사건 범행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막대하다. 또, 현재까지 피해가 조금도 회복된 바 없고, 앞으로도 피해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며 "죄책에 상응하는 무거운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밝혔습니다.피해자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윤다솜 변호사는 "피고인들은 보이스피싱 범죄를 유기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역할을 철저하게 나눴다. 피해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검사와 수사관을 사칭하면서 금전을 전달할 수밖에 없게끔 교묘하게 범행을 저질렀다"며 "피고인들 중에는 활동 기간이 6년이 넘는 자도 있었는데, 이들 조직은 오랜 기간에 걸쳐 수천 명의 피해자를 양산 시킨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B씨 등 피해자들은 이들의 범행으로 인해 자책과 후회의 나날들을 보내고 있다"며 "죄의식 없이 계속해서 활동한 점, 피해자들의 피해를 회복시키기 위한 일말의 노력도 없었던 점 등이 재판부에 받아들여져 중형이 내려질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검찰 사칭해 1,200여억 원 갈취..보이스피싱 조직원 '징역 17년'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2025-04-14
박성훈→남윤수, 잇따른 男배우 ‘음란물 게시’…처벌 가능성은?[스경X이슈]
박성훈→남윤수, 잇따른 男배우 ‘음란물 게시’…처벌 가능성은?[스경X이슈]
남자 연예인들의 SNS 관련 19금 논란이 반복되며 대중의 시선은 더욱 차가워지고 있다.지난 13일 배우 남윤수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계정에 여성의 중요 부위가 적나라하게 들어간 풍선 구조물이 담긴 게시물을 리포스트 했다가 ‘빛삭’해 구설수에 올랐다.남윤수는 팬 소통플랫폼을 통해 “운전하고 있었는데 리포스트 뭐냐. 해킹 당했나”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자 남윤수는 SNS에 “오늘 저도 모르게 불쾌한 게시물이 리포스트된 것을 뒤늦게 확인했다. 많은 분들께 불편을 느끼게 해서 속상하고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앞으로도 더욱 주의하겠다”고 사과했다. 앞서 다수의 남자 연예인들도 ‘19금’ 게시물 업로드 혹은 투표 참여 등의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아온 만큼 남윤수도 이미지 타격은 불가피해 보인다.지난해 12월 배우 박성훈은 SNS에 ‘오징어게임’을 패러디한 일본 AV 표지를 올렸다가 삭제해 많은 충격을 안겼다. 소속사 측은 “배우가 DM(다이렉트 메시지) 창을 확인하던 도중 실수로 업로드한 것이고, 해당 사진과 관련된 메시지가 많이 와서 회사 계정에 문제를 알리고자 공유하려던 것이었다”고 해명했다.그러나 소속사의 발 빠른 해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난이 폭주했고, 결국 차기작인 ‘폭군의 셰프’에서도 하차 수순을 밟게 됐다. 그런가 하면 배우 김성철은 지난 2월 자극적인 걸그룹 관련 콘텐츠를 올리는 계정에서 진행된 걸그룹 멤버 호불호 투표에 참여해 성희롱 논란에 휘말렸다. 해당 계정은 특정 멤버의 신체 부위를 강조한 슬로우 영상을 게시하는 등 문제의 소지가 있는 콘텐츠를 다루고 있었고, 누리꾼들은 “왜 공식 계정으로 이런 투표에 참여했는지 이해가 안 된다”며 비판했다.이에 소속사 스토리제이컴퍼니는 “논란이 있는 계정인 줄 몰랐으며 인지 후 바로 취소했다”고 해명에 나섰다.대중, 특히 여성 팬들은 자신이 지지하고 응원하는 연예인이 여성의 신체를 성적 대상화하는 콘텐츠에 연루되거나 이를 무심코 공유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단순한 실수로 받아들이기보다 배신감과 불쾌감을 크게 느낄 수 있다.또한 이 모든 일들을 ‘실수’ 한마디로 치부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들이 실수로 공유한 게시글이 법적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동진 변호사는 “불특정다수가 살펴볼 수 있는 SNS에 (음란물을) 게시하는 행위만으로도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제44조의7)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해당 행위의 목적성 및 사안 정도에 따라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제13조)에 따라 처벌받을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말했다.다만 해당 케이스들의 경우 이들이 ‘단순 실수’라고 주장하고 있기에 “법적 처벌을 위해서는 고의성 입증 과정이 먼저 필요하다”고 전했다.당장의 법적 처벌을 피했을지언정 모두가 볼 수 있는 SNS에 음란물을 게시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하재근 문화평론가는 “의도에 따라 해당 행위가 잘못인지 아닌지 나뉘겠지만, 결과적으로 비춰지는 건 ‘19금’이라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일반 대중, 또 특히 청소년에게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연예인들이 SNS를 관리하고 글을 올릴 때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처럼 SNS라는 개인 공간이 때론 대중의 날 선 검증대가 되기도 한다. 대중의 신뢰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연예인일수록 더 세심한 관리와 이에 대한 책임이 필요해 보인다.이민주 온라인기자(leemj@kyunghyang.com) [기사전문보기] 박성훈→남윤수, 잇따른 男배우 ‘음란물 게시’…처벌 가능성은?[스경X이슈]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2025-04-14
박성훈→남윤수, 잇따른 男배우 ‘음란물 게시’…처벌 가능성은?[스경X이슈]
박성훈→남윤수, 잇따른 男배우 ‘음란물 게시’…처벌 가능성은?[스경X이슈]
남자 연예인들의 SNS 관련 19금 논란이 반복되며 대중의 시선은 더욱 차가워지고 있다.지난 13일 배우 남윤수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계정에 여성의 중요 부위가 적나라하게 들어간 풍선 구조물이 담긴 게시물을 리포스트 했다가 ‘빛삭’해 구설수에 올랐다.남윤수는 팬 소통플랫폼을 통해 “운전하고 있었는데 리포스트 뭐냐. 해킹 당했나”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자 남윤수는 SNS에 “오늘 저도 모르게 불쾌한 게시물이 리포스트된 것을 뒤늦게 확인했다. 많은 분들께 불편을 느끼게 해서 속상하고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앞으로도 더욱 주의하겠다”고 사과했다. 앞서 다수의 남자 연예인들도 ‘19금’ 게시물 업로드 혹은 투표 참여 등의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아온 만큼 남윤수도 이미지 타격은 불가피해 보인다.지난해 12월 배우 박성훈은 SNS에 ‘오징어게임’을 패러디한 일본 AV 표지를 올렸다가 삭제해 많은 충격을 안겼다. 소속사 측은 “배우가 DM(다이렉트 메시지) 창을 확인하던 도중 실수로 업로드한 것이고, 해당 사진과 관련된 메시지가 많이 와서 회사 계정에 문제를 알리고자 공유하려던 것이었다”고 해명했다.그러나 소속사의 발 빠른 해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난이 폭주했고, 결국 차기작인 ‘폭군의 셰프’에서도 하차 수순을 밟게 됐다. 그런가 하면 배우 김성철은 지난 2월 자극적인 걸그룹 관련 콘텐츠를 올리는 계정에서 진행된 걸그룹 멤버 호불호 투표에 참여해 성희롱 논란에 휘말렸다. 해당 계정은 특정 멤버의 신체 부위를 강조한 슬로우 영상을 게시하는 등 문제의 소지가 있는 콘텐츠를 다루고 있었고, 누리꾼들은 “왜 공식 계정으로 이런 투표에 참여했는지 이해가 안 된다”며 비판했다.이에 소속사 스토리제이컴퍼니는 “논란이 있는 계정인 줄 몰랐으며 인지 후 바로 취소했다”고 해명에 나섰다.대중, 특히 여성 팬들은 자신이 지지하고 응원하는 연예인이 여성의 신체를 성적 대상화하는 콘텐츠에 연루되거나 이를 무심코 공유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단순한 실수로 받아들이기보다 배신감과 불쾌감을 크게 느낄 수 있다.또한 이 모든 일들을 ‘실수’ 한마디로 치부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들이 실수로 공유한 게시글이 법적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동진 변호사는 “불특정다수가 살펴볼 수 있는 SNS에 (음란물을) 게시하는 행위만으로도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제44조의7)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해당 행위의 목적성 및 사안 정도에 따라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제13조)에 따라 처벌받을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말했다.다만 해당 케이스들의 경우 이들이 ‘단순 실수’라고 주장하고 있기에 “법적 처벌을 위해서는 고의성 입증 과정이 먼저 필요하다”고 전했다.당장의 법적 처벌을 피했을지언정 모두가 볼 수 있는 SNS에 음란물을 게시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하재근 문화평론가는 “의도에 따라 해당 행위가 잘못인지 아닌지 나뉘겠지만, 결과적으로 비춰지는 건 ‘19금’이라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일반 대중, 또 특히 청소년에게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연예인들이 SNS를 관리하고 글을 올릴 때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처럼 SNS라는 개인 공간이 때론 대중의 날 선 검증대가 되기도 한다. 대중의 신뢰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연예인일수록 더 세심한 관리와 이에 대한 책임이 필요해 보인다.이민주 온라인기자(leemj@kyunghyang.com) [기사전문보기] 박성훈→남윤수, 잇따른 男배우 ‘음란물 게시’…처벌 가능성은?[스경X이슈]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14
“게시글 내려달라” 요구했다가 ‘협박’ 피소 여행사 대표 무혐의
“게시글 내려달라” 요구했다가 ‘협박’ 피소 여행사 대표 무혐의
온라인 게시판에 불만 섞인 글을 남긴 고객에게 게시글을 삭제해달라고 요구했다가 협박 혐의로 입건된 여행사 대표가 경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 용산경찰서는 협박 혐의로 입건된 A씨를 조사한 결과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12월 고객 B씨가 자신이 운영하는 여행사 게시판에 불만 글을 남기자 ‘업무방해 및 명예훼손으로 고발하겠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발송했다.B씨는 “여행사가 요구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글을 남겼다. 메시지를 받고 큰 공포를 느꼈다”라고 주장하며 A씨를 고소했다. 형법 283조는 ‘사람을 협박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50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씨가 예약한 상품이 원활하게 제공되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환불 절차를 알렸으며, 정중하게 글을 내려달라고 요청했기에 협박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경찰은 조사 결과 B씨가 실제로 공포감을 느꼈다고 보기 어렵다고 봤다. 또 회사 대표인 A씨가 추측성 글을 발견해 이에 관한 내용을 알린 것으로 정당한 권리 행사로 볼 수 있으며, 사회 통념상 용인되는 수준이라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안승진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협박죄는 피해자가 해악의 고지를 인지하고 실질적으로 두려움을 느껴야 성립한다. 단순히 기분 나쁜 말을 들었거나 막연한 불쾌감을 느꼈다고 해서 협박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민 변호사는 또 “A씨가 대표라는 점을 고려하면, 게시글 삭제를 요청한 데에는 위법한 요소가 없었고, 이를 증명했기 때문에 무혐의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게시글 내려달라” 요구했다가 ‘협박’ 피소 여행사 대표 무혐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14
“게시글 내려달라” 요구했다가 ‘협박’ 피소 여행사 대표 무혐의
“게시글 내려달라” 요구했다가 ‘협박’ 피소 여행사 대표 무혐의
온라인 게시판에 불만 섞인 글을 남긴 고객에게 게시글을 삭제해달라고 요구했다가 협박 혐의로 입건된 여행사 대표가 경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 용산경찰서는 협박 혐의로 입건된 A씨를 조사한 결과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12월 고객 B씨가 자신이 운영하는 여행사 게시판에 불만 글을 남기자 ‘업무방해 및 명예훼손으로 고발하겠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발송했다.B씨는 “여행사가 요구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글을 남겼다. 메시지를 받고 큰 공포를 느꼈다”라고 주장하며 A씨를 고소했다. 형법 283조는 ‘사람을 협박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50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씨가 예약한 상품이 원활하게 제공되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환불 절차를 알렸으며, 정중하게 글을 내려달라고 요청했기에 협박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경찰은 조사 결과 B씨가 실제로 공포감을 느꼈다고 보기 어렵다고 봤다. 또 회사 대표인 A씨가 추측성 글을 발견해 이에 관한 내용을 알린 것으로 정당한 권리 행사로 볼 수 있으며, 사회 통념상 용인되는 수준이라고 판단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안승진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협박죄는 피해자가 해악의 고지를 인지하고 실질적으로 두려움을 느껴야 성립한다. 단순히 기분 나쁜 말을 들었거나 막연한 불쾌감을 느꼈다고 해서 협박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민 변호사는 또 “A씨가 대표라는 점을 고려하면, 게시글 삭제를 요청한 데에는 위법한 요소가 없었고, 이를 증명했기 때문에 무혐의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게시글 내려달라” 요구했다가 ‘협박’ 피소 여행사 대표 무혐의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14
회사 서버 접속, 파일 다운로드에 영업비밀 유출?…法 “유출 사실 없다” 직원 손 들어준 이유
회사 서버 접속, 파일 다운로드에 영업비밀 유출?…法 “유출 사실 없다” 직원 손 들어준 이유
재판부 “권한 해제 위해 접속한 것…옮긴 자료, 영업비밀 자료 아냐” 한 컨설팅 업체가 영업 비밀을 유출한 혐의를 받는 직원을 상대로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지만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았다.서울중앙지방법원 제60민사부는 지난 2월 컨설팅 업체 A사가 직원 B씨를 상대로 낸 영업비밀침해금지 등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인사팀에서 근무하던 B씨는 지난해 9월 A사로부터 정직처분과 함께 회사 서버 및 메일에 접근을 제한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그러나 A사 측은 B씨가 정직 처분 이후에도 회사 서버에 접속해 영업비밀 정보를 대량으로 다운받고, 이 중 일부를 외장하드로 옮겼다며 가처분을 제기했다.B씨는 다운로드 사실 자체를 부인했다. 자신이 갖고 있던 서버 권한을 해제하기 위해 접속헸다는 것이다. 또 외장 하드에 옮긴 파일은 징계 처분에 대한 소명 자료였을 뿐, 영업비밀 정보가 아니라고 강조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서버가 동기화 되면 파일 날짜값이 바뀌는데, 변경된 날짜값을 보면 당시 채무자가 서버에 접속했을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단순히 접속만 하더라도 자동적으로 동기화가 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이는 권한 해제만을 위해 접속했다는 채무자의 주장을 뒷받침한다”며 “저장장치에 옮긴 자료 역시 사건 관련 자료가 아닌만큼, 이를 근거로 영업비밀 정보를 유출했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지민희 변호사는 “영업비밀침해는 영업비밀 자료를 통해 부정한 이득을 얻거나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사용 또는 공개하는 행위가 있어야 인정된다”며 “이 사건에서 B씨는 침해의 목적도, 사용이나 공개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잘 소명해 억울함을 풀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회사 서버 접속, 파일 다운로드에 영업비밀 유출?…法 “유출 사실 없다” 직원 손 들어준 이유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14
회사 서버 접속, 파일 다운로드에 영업비밀 유출?…法 “유출 사실 없다” 직원 손 들어준 이유
회사 서버 접속, 파일 다운로드에 영업비밀 유출?…法 “유출 사실 없다” 직원 손 들어준 이유
재판부 “권한 해제 위해 접속한 것…옮긴 자료, 영업비밀 자료 아냐” 한 컨설팅 업체가 영업 비밀을 유출한 혐의를 받는 직원을 상대로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지만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았다.서울중앙지방법원 제60민사부는 지난 2월 컨설팅 업체 A사가 직원 B씨를 상대로 낸 영업비밀침해금지 등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인사팀에서 근무하던 B씨는 지난해 9월 A사로부터 정직처분과 함께 회사 서버 및 메일에 접근을 제한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그러나 A사 측은 B씨가 정직 처분 이후에도 회사 서버에 접속해 영업비밀 정보를 대량으로 다운받고, 이 중 일부를 외장하드로 옮겼다며 가처분을 제기했다.B씨는 다운로드 사실 자체를 부인했다. 자신이 갖고 있던 서버 권한을 해제하기 위해 접속헸다는 것이다. 또 외장 하드에 옮긴 파일은 징계 처분에 대한 소명 자료였을 뿐, 영업비밀 정보가 아니라고 강조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서버가 동기화 되면 파일 날짜값이 바뀌는데, 변경된 날짜값을 보면 당시 채무자가 서버에 접속했을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단순히 접속만 하더라도 자동적으로 동기화가 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이는 권한 해제만을 위해 접속했다는 채무자의 주장을 뒷받침한다”며 “저장장치에 옮긴 자료 역시 사건 관련 자료가 아닌만큼, 이를 근거로 영업비밀 정보를 유출했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지민희 변호사는 “영업비밀침해는 영업비밀 자료를 통해 부정한 이득을 얻거나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사용 또는 공개하는 행위가 있어야 인정된다”며 “이 사건에서 B씨는 침해의 목적도, 사용이나 공개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잘 소명해 억울함을 풀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회사 서버 접속, 파일 다운로드에 영업비밀 유출?…法 “유출 사실 없다” 직원 손 들어준 이유 (바로가기)
한국경제 등 4곳
2025-04-11
대륜, 원광대 로스쿨과 인재 양성 MOU
대륜, 원광대 로스쿨과 인재 양성 MOU
법무법인 대륜이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재학생들에게 실무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인턴십과 실무 수습, 취업 박람회 및 연계 등 다양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할 방침이다. 10일 열린 협약식에는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와 박상범 변호사, 김덕중 원광대 로스쿨 원장, 김일룡 교수, 황창용 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김국일 대표는 “지방 로스쿨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장서우 기자(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 - 화우, 대형로펌 최초 ‘유산 정리 서비스’ 도입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NSP통신 - 대륜-원광대 로스쿨, 법률 인재 양성 업무 협약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 원광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 인재 양성’ MOU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대륜·원광대 로스쿨, 법률 인재 양성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 등 4곳
2025-04-11
대륜, 원광대 로스쿨과 인재 양성 MOU
대륜, 원광대 로스쿨과 인재 양성 MOU
법무법인 대륜이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재학생들에게 실무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인턴십과 실무 수습, 취업 박람회 및 연계 등 다양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할 방침이다. 10일 열린 협약식에는 김국일 대륜 경영대표와 박상범 변호사, 김덕중 원광대 로스쿨 원장, 김일룡 교수, 황창용 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김국일 대표는 “지방 로스쿨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장서우 기자(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 - 화우, 대형로펌 최초 ‘유산 정리 서비스’ 도입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NSP통신 - 대륜-원광대 로스쿨, 법률 인재 양성 업무 협약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 원광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 인재 양성’ MOU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대륜·원광대 로스쿨, 법률 인재 양성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머니S
2025-04-11
희망 퇴직 거부하자 부서 이동시킨 회사… 노동위 "부당전보"
희망 퇴직 거부하자 부서 이동시킨 회사… 노동위 "부당전보"
부당한 인사발령 조치가 이뤄졌다는 이유로 구제신청을 제기한 근로자가 노동위원회로부터 인용 판정을 받았다.경기지방노동위원회는 지난 2월7일 40대 근로자 A씨가 제조업체 B사를 상대로 낸 부당전보 구제신청 소송에서 인용 판정을 내렸다.A씨는 2000년대 초반 B사에 입사해 20년 넘게 근속해왔다. 문제는 A씨가 지난해 11월 신설된 부서의 팀장으로 발령받으며 시작됐다.A씨는 이 조치가 정리 해고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1월 진행됐던 사측의 희망퇴직자 모집에 A씨가 신청하지 않자 보복성 인사발령을 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사측이 팀원을 자신보다 높은 직급의 사람으로 구성했고, 기존 조직과 중복된 업무를 부여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부당 전보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B사 측은 이를 전면 반박했다. 회사 경쟁력 강화와 생산 효율화 차원에서 팀이 신설됐고, 이에 따른 전보였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이 증가하는 등 생활에 불이익이 없고 면담을 통해 상황을 설명했기에 정당한 조치였다고 해명했다.노동위원회는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위원회는 "사측이 부서를 만들면서 명확한 역할을 부여하지 않아 업무가 이뤄지지 않았고, 가시적인 성과도 내지 못하고 있다"며 "리더로 정해진 근로자보다 팀원들의 직급이 높아 지휘에 어려움이 있는 등 팀 내 불협화음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부서의 존재 목적과 역할이 매우 의심스럽다"며 "사측의 전보 역시 업무상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한식 변호사는 "업무상 필요성을 판단할 때는 기업이 노동력을 적정하게 배치해 업무 능률이 증진되는 등 합리적 운영에 기여하는지를 객관적으로 봐야 한다"며 "신설된 팀의 업무 범위가 불특정하고 A씨의 직군이 바뀌는 등 생산성이 떨어졌기에 업무상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희망 퇴직 거부하자 부서 이동시킨 회사… 노동위 "부당전보" (바로가기)
머니S
2025-04-11
희망 퇴직 거부하자 부서 이동시킨 회사… 노동위 "부당전보"
희망 퇴직 거부하자 부서 이동시킨 회사… 노동위 "부당전보"
부당한 인사발령 조치가 이뤄졌다는 이유로 구제신청을 제기한 근로자가 노동위원회로부터 인용 판정을 받았다.경기지방노동위원회는 지난 2월7일 40대 근로자 A씨가 제조업체 B사를 상대로 낸 부당전보 구제신청 소송에서 인용 판정을 내렸다.A씨는 2000년대 초반 B사에 입사해 20년 넘게 근속해왔다. 문제는 A씨가 지난해 11월 신설된 부서의 팀장으로 발령받으며 시작됐다.A씨는 이 조치가 정리 해고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1월 진행됐던 사측의 희망퇴직자 모집에 A씨가 신청하지 않자 보복성 인사발령을 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사측이 팀원을 자신보다 높은 직급의 사람으로 구성했고, 기존 조직과 중복된 업무를 부여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부당 전보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B사 측은 이를 전면 반박했다. 회사 경쟁력 강화와 생산 효율화 차원에서 팀이 신설됐고, 이에 따른 전보였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이 증가하는 등 생활에 불이익이 없고 면담을 통해 상황을 설명했기에 정당한 조치였다고 해명했다.노동위원회는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위원회는 "사측이 부서를 만들면서 명확한 역할을 부여하지 않아 업무가 이뤄지지 않았고, 가시적인 성과도 내지 못하고 있다"며 "리더로 정해진 근로자보다 팀원들의 직급이 높아 지휘에 어려움이 있는 등 팀 내 불협화음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부서의 존재 목적과 역할이 매우 의심스럽다"며 "사측의 전보 역시 업무상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한식 변호사는 "업무상 필요성을 판단할 때는 기업이 노동력을 적정하게 배치해 업무 능률이 증진되는 등 합리적 운영에 기여하는지를 객관적으로 봐야 한다"며 "신설된 팀의 업무 범위가 불특정하고 A씨의 직군이 바뀌는 등 생산성이 떨어졌기에 업무상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희망 퇴직 거부하자 부서 이동시킨 회사… 노동위 "부당전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11
'15만 원 입금 누락' 횡령 고소 30대 '무죄'
'15만 원 입금 누락' 횡령 고소 30대 '무죄'
중고 휴대폰 판매 과정에서 매입 금액을 누락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에게 무죄가 선고됐습니다.11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법원은 업무상횡령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 대해 지난 2월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광주광역시의 한 휴대폰 대리점에서 일할 당시 고객으로부터 받은 중고 휴대폰을 15만 원에 판매하고, 해당 금액을 회사 계좌로 입금하지 않아 사장으로부터 고소를 당했습니다.A씨는 기기를 판매한 뒤, 이 대금을 회사 계좌로 재입금하는 것을 잊었다고 주장하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검찰은 A씨에게 횡령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고 벌금 30만 원에 약식기소했지만, A씨는 정식재판을 청구했습니다."대리점 재직 당시 중고 기기 판매 업무를 지속적으로 처리해 왔다. 그럼에도 이 사건 1건에 대해서만 문제가 있었던 것"이라며 "업무 처리상의 단순 실수일 뿐, 불법영득의사가 없었다"는 주장이었습니다.법원도 횡령의 고의가 없다고 보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이 사건 이외에 횡령이 의심스러운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피고인 측 주장과 같이 단순 누락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곽지연 변호사는 "A씨는 중고 휴대폰 재판매 업무를 진행하면서 여러 차례 거래업자와 거래한 사실이 있었다. 이는 고소인에게 위임받은 업무 중 하나였는데, 휴대폰을 처분하던 중 실수로 판매 대금 전달에 누락이 있었던 것"이라며 "고소인으로부터 누락 사실을 듣고 반환을 약속했지만, 고소인은 곧바로 고소를 진행한 사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A씨에게는 횡령에 대한 고의가 전혀 없었고, 달리 이를 증명할 증거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었다"며 "따라서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해 무죄가 선고된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15만 원 입금 누락' 횡령 고소 30대 '무죄'
KBC광주방송
2025-04-11
'15만 원 입금 누락' 횡령 고소 30대 '무죄'
'15만 원 입금 누락' 횡령 고소 30대 '무죄'
중고 휴대폰 판매 과정에서 매입 금액을 누락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에게 무죄가 선고됐습니다.11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법원은 업무상횡령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 대해 지난 2월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광주광역시의 한 휴대폰 대리점에서 일할 당시 고객으로부터 받은 중고 휴대폰을 15만 원에 판매하고, 해당 금액을 회사 계좌로 입금하지 않아 사장으로부터 고소를 당했습니다.A씨는 기기를 판매한 뒤, 이 대금을 회사 계좌로 재입금하는 것을 잊었다고 주장하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검찰은 A씨에게 횡령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고 벌금 30만 원에 약식기소했지만, A씨는 정식재판을 청구했습니다."대리점 재직 당시 중고 기기 판매 업무를 지속적으로 처리해 왔다. 그럼에도 이 사건 1건에 대해서만 문제가 있었던 것"이라며 "업무 처리상의 단순 실수일 뿐, 불법영득의사가 없었다"는 주장이었습니다.법원도 횡령의 고의가 없다고 보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이 사건 이외에 횡령이 의심스러운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피고인 측 주장과 같이 단순 누락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곽지연 변호사는 "A씨는 중고 휴대폰 재판매 업무를 진행하면서 여러 차례 거래업자와 거래한 사실이 있었다. 이는 고소인에게 위임받은 업무 중 하나였는데, 휴대폰을 처분하던 중 실수로 판매 대금 전달에 누락이 있었던 것"이라며 "고소인으로부터 누락 사실을 듣고 반환을 약속했지만, 고소인은 곧바로 고소를 진행한 사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A씨에게는 횡령에 대한 고의가 전혀 없었고, 달리 이를 증명할 증거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었다"며 "따라서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해 무죄가 선고된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15만 원 입금 누락' 횡령 고소 30대 '무죄'
글로벌에픽
2025-04-11
만취상태서 기물파손, 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어...대응 방법은?
만취상태서 기물파손, 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어...대응 방법은?
재물손괴죄는 타인의 소유물에 대한 효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침해하겠다는 인식을 가지고 물건에 대해 유형력을 행사함으로써, 그 원래의 용도에 따른 효용을 해한 때에 성립한다. 즉, 재물손괴죄 범죄 성립의 관건은 ‘고의성’ 여부다. 단순 실수로 타인의 재물을 파손했다면 범죄가 성립되지 않아 처벌 대상이 될 수 없다.그렇다면 만취 상태에서 타인의 기물을 파손했을 경우에도 해당 혐의가 적용될까. 일단 해당 질문에 대해 답하자면 ‘그렇다’라고 할 수 있다. 술에 만취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해도 법적인 판단은 증거 등을 통해 이뤄진다.또, 재물손괴죄는 친고죄·반의사불벌죄(피해자의 고소를 필요로 하는 죄)가 아니므로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더라도 수사가 진행될 수 있다. 만약 혐의가 적용돼 처벌을 받게 된다면, 형법 제366조(재물손괴 등)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실제로 필자가 맡았던 사례를 소개해보겠다. 피의자 A씨는 술에 만취한 상태에서 자신의 아파트 주차장에 주차된 이웃의 차량을 발로 여러 차례 가격했다. 이로 인해 해당 차량은 파손돼 고액의 수리비가 발생했다. A씨는 다음 날 경찰로부터 관련 연락을 받고서야 자신이 범행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당시 현장 CCTV에는 A씨의 범행 장면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이에 A씨는 피해자에게 연락을 취해 사과의 뜻과 함께 수리비를 전달했고, 이렇게 사건이 일단락되는 줄 알았다. 그러나 사건은 검찰로 송치됐고, 재판에 넘겨질 위기에 놓였다.검찰 수사 단계에서 피해자와 합의된 점을 적극적으로 어필했다. A씨에 대한 형사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피해자의 선처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뒤 이를 검찰에 전달했다. 그 결과 A씨는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법무법인대륜 이동근 변호사는 “이처럼 재물손괴죄에서 중요한 것은 ‘합의’다. 피해자와의 합의는 형사절차에서 감형의 양형인자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특히 합의와 관련해서는 당사자 간 대화 내역이나 입금 내역 등과 같은 정확한 자료를 확보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만취상태서 기물파손, 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어...대응 방법은?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4-11
만취상태서 기물파손, 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어...대응 방법은?
만취상태서 기물파손, 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어...대응 방법은?
재물손괴죄는 타인의 소유물에 대한 효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침해하겠다는 인식을 가지고 물건에 대해 유형력을 행사함으로써, 그 원래의 용도에 따른 효용을 해한 때에 성립한다. 즉, 재물손괴죄 범죄 성립의 관건은 ‘고의성’ 여부다. 단순 실수로 타인의 재물을 파손했다면 범죄가 성립되지 않아 처벌 대상이 될 수 없다.그렇다면 만취 상태에서 타인의 기물을 파손했을 경우에도 해당 혐의가 적용될까. 일단 해당 질문에 대해 답하자면 ‘그렇다’라고 할 수 있다. 술에 만취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해도 법적인 판단은 증거 등을 통해 이뤄진다.또, 재물손괴죄는 친고죄·반의사불벌죄(피해자의 고소를 필요로 하는 죄)가 아니므로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더라도 수사가 진행될 수 있다. 만약 혐의가 적용돼 처벌을 받게 된다면, 형법 제366조(재물손괴 등)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실제로 필자가 맡았던 사례를 소개해보겠다. 피의자 A씨는 술에 만취한 상태에서 자신의 아파트 주차장에 주차된 이웃의 차량을 발로 여러 차례 가격했다. 이로 인해 해당 차량은 파손돼 고액의 수리비가 발생했다. A씨는 다음 날 경찰로부터 관련 연락을 받고서야 자신이 범행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당시 현장 CCTV에는 A씨의 범행 장면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이에 A씨는 피해자에게 연락을 취해 사과의 뜻과 함께 수리비를 전달했고, 이렇게 사건이 일단락되는 줄 알았다. 그러나 사건은 검찰로 송치됐고, 재판에 넘겨질 위기에 놓였다.검찰 수사 단계에서 피해자와 합의된 점을 적극적으로 어필했다. A씨에 대한 형사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피해자의 선처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뒤 이를 검찰에 전달했다. 그 결과 A씨는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법무법인대륜 이동근 변호사는 “이처럼 재물손괴죄에서 중요한 것은 ‘합의’다. 피해자와의 합의는 형사절차에서 감형의 양형인자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특히 합의와 관련해서는 당사자 간 대화 내역이나 입금 내역 등과 같은 정확한 자료를 확보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만취상태서 기물파손, 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어...대응 방법은?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10
“사실관계 적시 없는 해고 통보 부당” 주장에 법원 “사유 인식하면 충분”
“사실관계 적시 없는 해고 통보 부당” 주장에 법원 “사유 인식하면 충분”
해고 통보서에 사실관계를 상세히 기재하지 않아도, 당사자가 해고 사유를 충분히 인지했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대전고등법원 제2행정부는 양돈업체 직원 A씨 등이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 구제 재심 판정 취소 행정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A씨 등은 2017년 고름이 생긴 돼지고기를 식육 포장처리업체에 판매한 혐의로 기소돼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이후 사측은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자는 직원으로 임명될 수 없다’라는 사내 인사 규정에 따라 A씨 등을 직권면직 처리했다.A씨 등은 이에 반발해 노동위원회에 두 차례에 걸쳐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냈다. 그러나 모두 기각되자 이 결정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재판에서 A씨 등은 해고 과정에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해고 결정이 인사위원회 의결을 거치지 않았고, 사측이 해고 예고만 통보했을 뿐, 최종적 해고 통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측은 직권면직에 의한 해고의 경우 규정상 30일 전 예고 통보만 하면 된다고 맞섰다.1심은 “인사 규정에 따르면 결격 사유에 해당하는 면직의 경우 인사위원회 의결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 해고 30일 전 예고 통보와 면직 사유 및 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하면 되는데, 사측이 해고 예고 통보서를 발송한 이상 절차적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라며 중앙노동위의 구제 신청 기각이 옳다고 판단했다.그러자 A씨 등 전달받은 통보서의 해고 사유에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이라는 문구만 있을 뿐, 구체적인 사실관계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여전히 절차적 문제가 있다며 항소했다.그러나 항소심 재판부 역시 해고 절차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A씨 등은 집행유예 확정 이후 해고 통보를 받고 노동위에 출석해 구제 신청을 이어갔고, 통보서 수령 이전에 다른 범죄를 저지른 적이 없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사건에 따른 형사 판결을 면직 사유로 삼았음을 알았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라면서 “면직 사유가 간략히 기재됐다 하더라도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볼 수 없다”라고 판결했다.이 사건에서 피고 보조참가인인 사측을 대리한 이기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해고 당사자가 해고된 이유를 알았고, 대응할 수 있다면 사유를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아도 근로기준법을 위반한 해고 통지라고 할 수 없다. A씨 등이 통보서 수령 이후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는 등 사유를 명확하게 알고 있었다는 점이 받아들여져 정당한 해고 절차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사실관계 적시 없는 해고 통보 부당” 주장에 법원 “사유 인식하면 충분”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10
“사실관계 적시 없는 해고 통보 부당” 주장에 법원 “사유 인식하면 충분”
“사실관계 적시 없는 해고 통보 부당” 주장에 법원 “사유 인식하면 충분”
해고 통보서에 사실관계를 상세히 기재하지 않아도, 당사자가 해고 사유를 충분히 인지했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대전고등법원 제2행정부는 양돈업체 직원 A씨 등이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 구제 재심 판정 취소 행정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A씨 등은 2017년 고름이 생긴 돼지고기를 식육 포장처리업체에 판매한 혐의로 기소돼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이후 사측은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자는 직원으로 임명될 수 없다’라는 사내 인사 규정에 따라 A씨 등을 직권면직 처리했다.A씨 등은 이에 반발해 노동위원회에 두 차례에 걸쳐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냈다. 그러나 모두 기각되자 이 결정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재판에서 A씨 등은 해고 과정에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해고 결정이 인사위원회 의결을 거치지 않았고, 사측이 해고 예고만 통보했을 뿐, 최종적 해고 통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측은 직권면직에 의한 해고의 경우 규정상 30일 전 예고 통보만 하면 된다고 맞섰다.1심은 “인사 규정에 따르면 결격 사유에 해당하는 면직의 경우 인사위원회 의결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 해고 30일 전 예고 통보와 면직 사유 및 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하면 되는데, 사측이 해고 예고 통보서를 발송한 이상 절차적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라며 중앙노동위의 구제 신청 기각이 옳다고 판단했다.그러자 A씨 등 전달받은 통보서의 해고 사유에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이라는 문구만 있을 뿐, 구체적인 사실관계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여전히 절차적 문제가 있다며 항소했다.그러나 항소심 재판부 역시 해고 절차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A씨 등은 집행유예 확정 이후 해고 통보를 받고 노동위에 출석해 구제 신청을 이어갔고, 통보서 수령 이전에 다른 범죄를 저지른 적이 없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사건에 따른 형사 판결을 면직 사유로 삼았음을 알았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라면서 “면직 사유가 간략히 기재됐다 하더라도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볼 수 없다”라고 판결했다.이 사건에서 피고 보조참가인인 사측을 대리한 이기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해고 당사자가 해고된 이유를 알았고, 대응할 수 있다면 사유를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아도 근로기준법을 위반한 해고 통지라고 할 수 없다. A씨 등이 통보서 수령 이후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는 등 사유를 명확하게 알고 있었다는 점이 받아들여져 정당한 해고 절차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사실관계 적시 없는 해고 통보 부당” 주장에 법원 “사유 인식하면 충분”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3곳
2025-04-09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장기간 내수 침체 및 고환율 등 경기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도산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법원통계월보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법인 파산 신청 건수가 1,940건에 달하며 지난 10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년(2023년) 대비 17.08% 증가한 것으로, 지난 2021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이처럼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기업의 재정적 위기에 대비해 법무법인 대륜이 회생파산센터를 강화한다고 9일 밝혔다.대륜 회생파산센터는 법조계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센터의 핵심 멤버인 김원상 변호사는 한국피자헛, 디엘이엔씨 등 다수의 유명 기업 사건 및 중견기업의 회생절차를 수행을 담당한 기업전문가다.김 변호사와 함께 센터를 운영하는 정일우 변호사는 파산관재인 및 수원회생법원 관리위원을 다년간 역임한 기업도산 전문가다. 같은 센터에 속한 김민수 변호사 역시 파산관재인 출신으로, 재정 상황에 맞는 분석을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한다. 두 변호사는 파산신청, 회생개시신청 등 기업도산절차의 개시신청 대리에서부터 회생계획안 인가까지 성공적으로 받아낸 경험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도산절차에서 문제되는 채권확정 소송도 수행하는 등 기업 회생·파산 분야에서 충분한 경험을 쌓았다.회생파산센터 소속 최성문 변호사 역시 파산관재인 경력을 갖추고 있다. 그는 1,000여 건의 관재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등 도산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또 다른 팀원인 오상완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된 도산전문변호사로, 10억 원 대 기업 채무자 회생 등 굵직한 사건을 도맡기도 했다. 여기에 경영 위기에 빠진 기업을 상대로 자문을 제공하고, 중소부터 중견까지 다양한 규모의 기업 파산과 회생절차를 담당한 바 있는 김서영 변호사도 합류했다.아울러 회생파산센터에는 재무·회계 전문가인 박원찬 회계사도 소속돼 있다. 박 회계사는 대기업·공공기관에서 다수의 회계감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생·파산을 넘어 경영 컨설팅, 사업 법률 자문 등에서 적극 조력할 계획이다.센터는 구체적으로 △재정 위기 기업의 회생 조력 △각 회사 규모에 맞는 회생·파산 해결책 제시 △ 회생절차 내에서 인수·합병 등 회사의 가치를 고양시킬 수 있는 기업 M&A △ 근로관계에서 비롯되는 분쟁에 대한 조력 △ 조세부담을 경과하기 위한 자문 △ 각종 기업등기실무 지원 △그 외 개인의 회생과 파산 신청 등 기업법무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다.특히 기업 관련 사건의 경우, 대륜 기업법무그룹과 연계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회생파산센터와 기업법무그룹은 각자가 보유한 역량을 바탕으로 맞춤형 법적 지원을 이어나갈 예정이다.김원상 변호사는 "어려워진 경제 상황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회생과 파산 문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게는 당장의 재무적 위기에 따른 가압류·압류 등의 조치를 막아 현금유동성을 확보하고 일정액의 채무 감축을 받아 향후 기업활동을 통해 얻는 영업이익을 수년간 분납 납부하는 방식으로 장기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업회생이 가장 적절한 제도다. 이러한 기업회생제도와 관련하여 풍부한 법조경력을 가진 전문 변호사들이 직접 대응하며 신속하게 기업의 재정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맞춤형 솔루션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기업의 재무 구조를 철저히 분석하고 정확한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회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우리 센터의 최대 목표"라고 강조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기업 회생·파산 대응 강화…전문가 ‘원팀’ 맞춤형 솔루션 (바로가기) 세정일보 - 기업 회생파산에 강한 로펌 ‘대륜’…기업도산 증가로 회생파산센터팀 강화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3곳
2025-04-09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장기간 내수 침체 및 고환율 등 경기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도산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법원통계월보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법인 파산 신청 건수가 1,940건에 달하며 지난 10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년(2023년) 대비 17.08% 증가한 것으로, 지난 2021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이처럼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기업의 재정적 위기에 대비해 법무법인 대륜이 회생파산센터를 강화한다고 9일 밝혔다.대륜 회생파산센터는 법조계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센터의 핵심 멤버인 김원상 변호사는 한국피자헛, 디엘이엔씨 등 다수의 유명 기업 사건 및 중견기업의 회생절차를 수행을 담당한 기업전문가다.김 변호사와 함께 센터를 운영하는 정일우 변호사는 파산관재인 및 수원회생법원 관리위원을 다년간 역임한 기업도산 전문가다. 같은 센터에 속한 김민수 변호사 역시 파산관재인 출신으로, 재정 상황에 맞는 분석을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한다. 두 변호사는 파산신청, 회생개시신청 등 기업도산절차의 개시신청 대리에서부터 회생계획안 인가까지 성공적으로 받아낸 경험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도산절차에서 문제되는 채권확정 소송도 수행하는 등 기업 회생·파산 분야에서 충분한 경험을 쌓았다.회생파산센터 소속 최성문 변호사 역시 파산관재인 경력을 갖추고 있다. 그는 1,000여 건의 관재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등 도산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또 다른 팀원인 오상완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된 도산전문변호사로, 10억 원 대 기업 채무자 회생 등 굵직한 사건을 도맡기도 했다. 여기에 경영 위기에 빠진 기업을 상대로 자문을 제공하고, 중소부터 중견까지 다양한 규모의 기업 파산과 회생절차를 담당한 바 있는 김서영 변호사도 합류했다.아울러 회생파산센터에는 재무·회계 전문가인 박원찬 회계사도 소속돼 있다. 박 회계사는 대기업·공공기관에서 다수의 회계감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생·파산을 넘어 경영 컨설팅, 사업 법률 자문 등에서 적극 조력할 계획이다.센터는 구체적으로 △재정 위기 기업의 회생 조력 △각 회사 규모에 맞는 회생·파산 해결책 제시 △ 회생절차 내에서 인수·합병 등 회사의 가치를 고양시킬 수 있는 기업 M&A △ 근로관계에서 비롯되는 분쟁에 대한 조력 △ 조세부담을 경과하기 위한 자문 △ 각종 기업등기실무 지원 △그 외 개인의 회생과 파산 신청 등 기업법무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다.특히 기업 관련 사건의 경우, 대륜 기업법무그룹과 연계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회생파산센터와 기업법무그룹은 각자가 보유한 역량을 바탕으로 맞춤형 법적 지원을 이어나갈 예정이다.김원상 변호사는 "어려워진 경제 상황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회생과 파산 문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게는 당장의 재무적 위기에 따른 가압류·압류 등의 조치를 막아 현금유동성을 확보하고 일정액의 채무 감축을 받아 향후 기업활동을 통해 얻는 영업이익을 수년간 분납 납부하는 방식으로 장기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업회생이 가장 적절한 제도다. 이러한 기업회생제도와 관련하여 풍부한 법조경력을 가진 전문 변호사들이 직접 대응하며 신속하게 기업의 재정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맞춤형 솔루션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기업의 재무 구조를 철저히 분석하고 정확한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회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우리 센터의 최대 목표"라고 강조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기업 회생파산 대응 최강자"…법무법인 대륜,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바로가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기업 회생·파산 대응 강화…전문가 ‘원팀’ 맞춤형 솔루션 (바로가기) 세정일보 - 기업 회생파산에 강한 로펌 ‘대륜’…기업도산 증가로 회생파산센터팀 강화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4-08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2005년 설립, 제주 바이오 산업 활성화 및 경제 발전 공헌회원사 전자상거래 법률 자문, 해외 진출 법적리스크 등 조력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사단법인 제주바이오기업협회와 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협약식은 지난 3일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본사에서 제주바이오기업협회 김성후 회장과 대륜 고승석 변호사, 정진성 변호사, 김경욱 상담실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제주바이오기업협회는 2005년 설립되어 도내 바이오 기업의 문제 수렴 및 정보 교환 등을 통해 관련 산업 활성화와 경제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제주바이오기업협회가 운영하는 ‘제주상품 직거래장터’에는 협회 회원사와 협력해 농축산물, 가공식품, 화장품 등 제주 특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또 지난 2017년에는 뉴욕 우수 상품전에 참가했으며 2020년에는 제주테크노파크와 드라이브스루 판촉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양사는 기업 간 거래 법률 조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회원사 전자상거래 관련 법률 자문 △해외 진출 시 법적 리스크 사전 예방 △기업 노무 및 세무 자문 등 부문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김성후 제주바이오기업협회 회장은 “제주바이오기업협회는 지난 20년간 도내 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라며 “지역 상생이라는 공통의 가치를 모토로 대륜과 함께 자사몰과 해외 거래처 등 활로 개척 등을 위한 시너지를 만들어 내겠다”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기업법무그룹과 의료제약그룹 내에 경쟁력 있는 변호사들이 원팀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해외 거래 관련한 법률 조력도 가능하다”라면서 “이번 MOU를 통해 제주바이오기업협회가 해외 활로를 개척하고 경쟁력 있는 상품몰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법률 조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4-08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2005년 설립, 제주 바이오 산업 활성화 및 경제 발전 공헌회원사 전자상거래 법률 자문, 해외 진출 법적리스크 등 조력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사단법인 제주바이오기업협회와 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협약식은 지난 3일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본사에서 제주바이오기업협회 김성후 회장과 대륜 고승석 변호사, 정진성 변호사, 김경욱 상담실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제주바이오기업협회는 2005년 설립되어 도내 바이오 기업의 문제 수렴 및 정보 교환 등을 통해 관련 산업 활성화와 경제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제주바이오기업협회가 운영하는 ‘제주상품 직거래장터’에는 협회 회원사와 협력해 농축산물, 가공식품, 화장품 등 제주 특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또 지난 2017년에는 뉴욕 우수 상품전에 참가했으며 2020년에는 제주테크노파크와 드라이브스루 판촉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양사는 기업 간 거래 법률 조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회원사 전자상거래 관련 법률 자문 △해외 진출 시 법적 리스크 사전 예방 △기업 노무 및 세무 자문 등 부문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김성후 제주바이오기업협회 회장은 “제주바이오기업협회는 지난 20년간 도내 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라며 “지역 상생이라는 공통의 가치를 모토로 대륜과 함께 자사몰과 해외 거래처 등 활로 개척 등을 위한 시너지를 만들어 내겠다”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기업법무그룹과 의료제약그룹 내에 경쟁력 있는 변호사들이 원팀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해외 거래 관련한 법률 조력도 가능하다”라면서 “이번 MOU를 통해 제주바이오기업협회가 해외 활로를 개척하고 경쟁력 있는 상품몰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법률 조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제주바이오기업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4-08
"김연경 은퇴 경기 암표 36만원 받고 잠적"… 암표·사기 기승에도 처벌은 솜방망이
"김연경 은퇴 경기 암표 36만원 받고 잠적"… 암표·사기 기승에도 처벌은 솜방망이
온라인서 피해 게시글 줄이어‘배구여제’ 마지막 경기 팬심 악용프로야구도 수십만원 암표 기승2024년 암표 신고 건수 4년 새 10배현장서 걸려도 벌금 20만원 그쳐매크로 이용 입증도 쉽지 않아“처벌 수위 상향 등 제도 개선 필요” 배구 팬인 20대 이모씨는 8일 배구선수 김연경의 은퇴 경기를 보기 위해 티켓 예매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웃돈을 주고라도 표를 구하고 싶었던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표를 구한다”는 글을 올렸다. 이씨에게 곧 “티켓을 팔겠다”는 연락이 왔고, 정가보다 두 배가 넘는 가격이었지만 구매를 결심했다. 그렇게 이씨는 판매자 계좌로 돈을 보냈지만, 끝내 티켓을 받지 못했다. 그가 문제를 제기했을 땐 판매자가 이미 잠적한 상태였다. 서울 성동경찰서는 이씨가 제출한 암표 사기 사건 고발장을 접수해 수사에 나섰다. 국내 프로야구 시즌이 개막하고 봄을 알리는 축제와 콘서트가 이어지면서 암표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통상 개인 간 거래를 통해 이뤄지는 암표 사기는 수법이 단순하지만 피해 사례는 해마다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암표 사기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이고, 신고센터를 활성화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이날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선 김연경의 은퇴 경기 표를 구한다는 문의글과 함께 암표 사기 피해를 호소하는 게시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사촌 동생이 암표 사기에 당했다는 A씨는 “중고나라에서 5차전 표를 구매하기 위해 36만원을 입금하니 사기꾼에게 차단당했다”며 “해당 사기꾼은 아이디를 바꿔가며 똑같은 글을 반복해 올리고 있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최근 개막해 역대 최소경기(60 경기)로 100만 관중 돌파 기록을 세운 프로야구에서도 암표는 고질적인 문제다. 지난해 한국시리즈 암표는 정가의 10배가 훌쩍 넘었고, 올 시즌도 수십만원에 달하는 주말 암표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도 리그 내 10개 구단과 협력해 암표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응 강화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이런 프로스포츠 등에서 벌어지는 암표 사기는 매년 증가 추세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암표신고센터에 따르면, 2020년 6237건에 그쳤던 신고 건수는 지난해 8월 기준 5만1405건으로 8배 이상 뛰었다. 작년 총 신고 건수는 역대 처음으로 6만건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범행은 주로 온라인에서 구매자에게 티켓값만 받고 잠적하거나, 가짜 티켓을 보내는 등의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일명 ‘매크로(자동 반복 입력 프로그램)’를 이용해 표를 다량 구매한 뒤 이를 암표로 팔아 큰 수익을 챙기는 경우도 있다. 이은희 인하대 교수(소비자학)는 “입장권의 구매나 거래 모두 온라인으로 이뤄지면서 소비자 피해도 예전보다 대폭 증가한 상황”이라며 “범죄자 입장에선 더욱 수월하게 돈벌이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암표 근절을 위한 조치는 부족한 실정이다. 무엇보다 현행법의 처벌 강도가 약하다는 지적이다.현장 암표 거래는 경범죄처벌법에 따라 2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불과해 암표 수익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온라인에서 기승을 부리는 암표 처벌에 관해서는 지난해부터 매크로를 활용할 경우 최대 징역 1년 이하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는데, 매크로를 이용했다는 사실을 수사기관이 입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신용훈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일부 암표상의 경우 수익보다 처벌 수위가 낮다는 우려가 크다”며 “지금보다 처벌 수위를 높이거나, 수익금의 일정 부분 이상 더 벌금을 부과하는 등 부가 규정을 통해 이익을 박탈할 수 있는 수단이 생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은희 교수는 “단순히 감시하는 공무원을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며 “암표 거래 활동을 수집하는 신고센터를 활성화하고 이를 경찰과 연계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장한서·변세현 기자 [기사전문보기] "김연경 은퇴 경기 암표 36만원 받고 잠적"… 암표·사기 기승에도 처벌은 솜방망이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4-08
"김연경 은퇴 경기 암표 36만원 받고 잠적"… 암표·사기 기승에도 처벌은 솜방망이
"김연경 은퇴 경기 암표 36만원 받고 잠적"… 암표·사기 기승에도 처벌은 솜방망이
온라인서 피해 게시글 줄이어‘배구여제’ 마지막 경기 팬심 악용프로야구도 수십만원 암표 기승2024년 암표 신고 건수 4년 새 10배현장서 걸려도 벌금 20만원 그쳐매크로 이용 입증도 쉽지 않아“처벌 수위 상향 등 제도 개선 필요” 배구 팬인 20대 이모씨는 8일 배구선수 김연경의 은퇴 경기를 보기 위해 티켓 예매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웃돈을 주고라도 표를 구하고 싶었던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표를 구한다”는 글을 올렸다. 이씨에게 곧 “티켓을 팔겠다”는 연락이 왔고, 정가보다 두 배가 넘는 가격이었지만 구매를 결심했다. 그렇게 이씨는 판매자 계좌로 돈을 보냈지만, 끝내 티켓을 받지 못했다. 그가 문제를 제기했을 땐 판매자가 이미 잠적한 상태였다. 서울 성동경찰서는 이씨가 제출한 암표 사기 사건 고발장을 접수해 수사에 나섰다. 국내 프로야구 시즌이 개막하고 봄을 알리는 축제와 콘서트가 이어지면서 암표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통상 개인 간 거래를 통해 이뤄지는 암표 사기는 수법이 단순하지만 피해 사례는 해마다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암표 사기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이고, 신고센터를 활성화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이날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선 김연경의 은퇴 경기 표를 구한다는 문의글과 함께 암표 사기 피해를 호소하는 게시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사촌 동생이 암표 사기에 당했다는 A씨는 “중고나라에서 5차전 표를 구매하기 위해 36만원을 입금하니 사기꾼에게 차단당했다”며 “해당 사기꾼은 아이디를 바꿔가며 똑같은 글을 반복해 올리고 있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최근 개막해 역대 최소경기(60 경기)로 100만 관중 돌파 기록을 세운 프로야구에서도 암표는 고질적인 문제다. 지난해 한국시리즈 암표는 정가의 10배가 훌쩍 넘었고, 올 시즌도 수십만원에 달하는 주말 암표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도 리그 내 10개 구단과 협력해 암표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응 강화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이런 프로스포츠 등에서 벌어지는 암표 사기는 매년 증가 추세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암표신고센터에 따르면, 2020년 6237건에 그쳤던 신고 건수는 지난해 8월 기준 5만1405건으로 8배 이상 뛰었다. 작년 총 신고 건수는 역대 처음으로 6만건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범행은 주로 온라인에서 구매자에게 티켓값만 받고 잠적하거나, 가짜 티켓을 보내는 등의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일명 ‘매크로(자동 반복 입력 프로그램)’를 이용해 표를 다량 구매한 뒤 이를 암표로 팔아 큰 수익을 챙기는 경우도 있다. 이은희 인하대 교수(소비자학)는 “입장권의 구매나 거래 모두 온라인으로 이뤄지면서 소비자 피해도 예전보다 대폭 증가한 상황”이라며 “범죄자 입장에선 더욱 수월하게 돈벌이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암표 근절을 위한 조치는 부족한 실정이다. 무엇보다 현행법의 처벌 강도가 약하다는 지적이다.현장 암표 거래는 경범죄처벌법에 따라 2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불과해 암표 수익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온라인에서 기승을 부리는 암표 처벌에 관해서는 지난해부터 매크로를 활용할 경우 최대 징역 1년 이하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는데, 매크로를 이용했다는 사실을 수사기관이 입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신용훈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일부 암표상의 경우 수익보다 처벌 수위가 낮다는 우려가 크다”며 “지금보다 처벌 수위를 높이거나, 수익금의 일정 부분 이상 더 벌금을 부과하는 등 부가 규정을 통해 이익을 박탈할 수 있는 수단이 생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은희 교수는 “단순히 감시하는 공무원을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며 “암표 거래 활동을 수집하는 신고센터를 활성화하고 이를 경찰과 연계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장한서·변세현 기자 [기사전문보기] "김연경 은퇴 경기 암표 36만원 받고 잠적"… 암표·사기 기승에도 처벌은 솜방망이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08
최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의 변경 내용과 대응 전략
최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의 변경 내용과 대응 전략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이하 CP)은 공정거래위원회 소관 법령을 자율적으로 준수하기 위한 내부 준법제도를 뜻한다. 경쟁당국으로서는 사후적 제재로 인한 행정비용을 최소화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조사 및 제재로 인한 부담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기업 이미지가 실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무엇보다 CP를 도입하고 그 운영실적이 우수하다고 평가받게 되면 과징금을 최대 20%까지 감경받는 혜택이 있다. 2001년에 도입된 CP는 과징금 감경 목적으로 악용된다는 비판에 떠밀려 2014년 인센티브가 폐지되었다가, 2023년 과징금 감경 인센티브의 근거를 법률에 마련함으로써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가 되었다.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CP고시의 개정안을 행정예고 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데, 주된 변경 내용은 평가단계와 가점, 평가절차 등이다.우선 평가단계 순서가 변경됐다, 기존 평가는 서류, 현장평가, 심층면접 순으로 이뤄졌지만, 올해부터는 서류평가 후 대면(면접)평가가 진행된다. 이후 대면평가 점수 85점 이상을 기록(예정)한 기업을 대상으로만 현장평가가 진행되면서 평가 과정이나 업무가 다소 간소화될 예정이다.특히 평가절차 중 등급무효, 등급보류, 등급조정 중 등급무효를 제외한 제도들이 폐지된다. 등급보류는 공정거래 관련 법규 위반 혐의로 '안건 상정 중'인 경우 등 CP제도 공정성 및 신뢰성 저해 우려가 있어 등급 부여에 부적절한 사유가 생기는 경우 보류하는 제도를 뜻한다. 등급보정은 등급을 부여받기 전후 법 위반 등이 생길 경우 조치가 하향되는 제도다. 올해부터는 조사활동 방해로 처벌받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한 경우 등 거짓·부정한 방법으로 평가받게 될 경우 평가 '무효' 조치를 받는다.CP등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CEO의 의지다. CEO 의지를 수치화할 수 있는 부분은 △CP도입 여부 △자율준수관리자 임명 △전담조직 및 예산 지원 △교육 △사전감시 및 내부고발 △인센티브 △효과성 평가 등이다. 특히 세부측정지표 대부분에서 CEO의 참여여부 및 보고·승인 건수를 기입하는 것이 좋다.CP전담부서 역량 강화는 필수다. 특히 가점요인의 경우 CP 전담부서 역량이 중요해진다. 평가항목은 대기업 48개 중견·중소기업은 40개로 구성되는데 CP 전담부서가 이를 독자적인 노력으로 채울 수는 없다. 그렇지만 가점 요인들은 CP만의 노력으로 해낼 수 있는 부분인 만큼 역량 강화는 필수다.작년 AA~AAA등급을 받은 대부분 기업들은 부사장 등을 관련 리더십으로 임명하는 등 CEO직속 팀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가점에서 배점이 가장 높은(4점) 다른 업체(협력업체) CP 도입 및 운영에는 꼭 관심을 가져야 한다.우수사례 분석도 중요하다. 평가대상이 재작년대비 작년 두 배 이상 증가해 다른 기업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정성평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수사례를 참고해 CEO등 내부 관계자를 설득하고, 가능하다면 CP 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외부 전문가의 조력을 받을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최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의 변경 내용과 대응 전략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08
최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의 변경 내용과 대응 전략
최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의 변경 내용과 대응 전략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이하 CP)은 공정거래위원회 소관 법령을 자율적으로 준수하기 위한 내부 준법제도를 뜻한다. 경쟁당국으로서는 사후적 제재로 인한 행정비용을 최소화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조사 및 제재로 인한 부담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기업 이미지가 실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무엇보다 CP를 도입하고 그 운영실적이 우수하다고 평가받게 되면 과징금을 최대 20%까지 감경받는 혜택이 있다. 2001년에 도입된 CP는 과징금 감경 목적으로 악용된다는 비판에 떠밀려 2014년 인센티브가 폐지되었다가, 2023년 과징금 감경 인센티브의 근거를 법률에 마련함으로써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가 되었다.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CP고시의 개정안을 행정예고 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데, 주된 변경 내용은 평가단계와 가점, 평가절차 등이다.우선 평가단계 순서가 변경됐다, 기존 평가는 서류, 현장평가, 심층면접 순으로 이뤄졌지만, 올해부터는 서류평가 후 대면(면접)평가가 진행된다. 이후 대면평가 점수 85점 이상을 기록(예정)한 기업을 대상으로만 현장평가가 진행되면서 평가 과정이나 업무가 다소 간소화될 예정이다.특히 평가절차 중 등급무효, 등급보류, 등급조정 중 등급무효를 제외한 제도들이 폐지된다. 등급보류는 공정거래 관련 법규 위반 혐의로 '안건 상정 중'인 경우 등 CP제도 공정성 및 신뢰성 저해 우려가 있어 등급 부여에 부적절한 사유가 생기는 경우 보류하는 제도를 뜻한다. 등급보정은 등급을 부여받기 전후 법 위반 등이 생길 경우 조치가 하향되는 제도다. 올해부터는 조사활동 방해로 처벌받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한 경우 등 거짓·부정한 방법으로 평가받게 될 경우 평가 '무효' 조치를 받는다.CP등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CEO의 의지다. CEO 의지를 수치화할 수 있는 부분은 △CP도입 여부 △자율준수관리자 임명 △전담조직 및 예산 지원 △교육 △사전감시 및 내부고발 △인센티브 △효과성 평가 등이다. 특히 세부측정지표 대부분에서 CEO의 참여여부 및 보고·승인 건수를 기입하는 것이 좋다.CP전담부서 역량 강화는 필수다. 특히 가점요인의 경우 CP 전담부서 역량이 중요해진다. 평가항목은 대기업 48개 중견·중소기업은 40개로 구성되는데 CP 전담부서가 이를 독자적인 노력으로 채울 수는 없다. 그렇지만 가점 요인들은 CP만의 노력으로 해낼 수 있는 부분인 만큼 역량 강화는 필수다.작년 AA~AAA등급을 받은 대부분 기업들은 부사장 등을 관련 리더십으로 임명하는 등 CEO직속 팀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가점에서 배점이 가장 높은(4점) 다른 업체(협력업체) CP 도입 및 운영에는 꼭 관심을 가져야 한다.우수사례 분석도 중요하다. 평가대상이 재작년대비 작년 두 배 이상 증가해 다른 기업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정성평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수사례를 참고해 CEO등 내부 관계자를 설득하고, 가능하다면 CP 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외부 전문가의 조력을 받을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최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의 변경 내용과 대응 전략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08
[기고] 위기의 한국 법률 시장, 글로벌 기준 맞춰 나아가야
[기고] 위기의 한국 법률 시장, 글로벌 기준 맞춰 나아가야
오늘날 한국 법률시장은 단순한 내부 경쟁을 넘어, 구조적 전환이 불가피한 갈림길에 놓여 있다. 더 많은 사건을 수임하거나 인재를 확보하는 방식만으로는 더 이상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기존의 사무소 중심, 개별 실적 중심의 전통적 구조를 고수할 것인지, 아니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통합형 시스템으로 재편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과 실행이다. 이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초대형 미국 로펌의 국내 진입이 제도적으로 허용된 상황에서, 변화하지 않으면 다음 경쟁의 무대에서 한국 로펌이 설 자리는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다수의 로펌은 여전히 겉으로는 하나의 조직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건 수임, 수익 분배, 비용 관리 등 전반적 운영이 파트너 단위로 분리된 ‘별산제’ 구조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조직의 외형과 실질이 불일치하는 구조로 협업·통합·브랜드 관리에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 반면 글로벌 초대형 로펌들이 보편적으로 채택하는 ‘지역 분산-운영 통합형 모델’은 사무소가 지역별로 분산돼 있더라도 하나의 시스템 아래 통합 운영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이를 낯설고 비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오해하거나 단지 외형만 따라한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왜곡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한편, 이러한 글로벌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대한 저항은 규정을 통한 규제나 언론을 호도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저항은 글로벌 시장의 거대한 흐름 앞에서 무력할 수 밖에 없다. 초대형 외국 로펌이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진입하는 순간, 시장 질서와 경쟁 구도는 빠르게 재편될 것이다. 이는 과거 아이폰이 국내 시장에 등장했을 때, 기존 휴대폰 브랜드들이 순시간에 주도권을 내주었던 사례와 같다. 따라서 글로벌 시스템의 도입을 거부할 것이 아니라, 먼저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체적으로 구현하고 운영해 나가야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가장 먼저 감지하고, 그에 발맞춰서 명확한 전략적 방향을 설정했다. 대륜은 국내 생존이 아닌, 글로벌 초대형 로펌으로의 성장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주요 로펌들의 시스템을 학습하고 교류해 왔으며, 필자 역시 대륜의 뉴욕 사무소 개소를 준비하면서 밀뱅크(Milbank LLP) 뉴욕 본사를 방문해, 국적이 다른 파트너들이 하나의 사건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실질적 통합 운영 체계를 직접 확인하기도 하였다.이와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대륜은 전국 사무소 간의 통합 운영 시스템, 사건 공유 체계, 중앙집중형 리스크 및 회계 관리 시스템을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갖춰 왔다. 뿐만 아니라, 외국 로펌과의 전략적 제휴, 공동 브랜드 구축, 상호 투자, 인수합병(M&A)등 다양한 형태의 실질적 글로벌 협력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실행을 준비하고 있다.한국 로펌이 마주한 현실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구조와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이며, 더 나아가 그 기준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에 맞게 능동적으로 설계하고,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체화해야 한다. 법무법인 대륜은 이러한 변화를 가장 먼저 감지하고, 그에 걸맞은 구조를 실제로 만들어가고 있다. 대륜은 이를 통해 한국 로펌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위기의 한국 법률 시장, 글로벌 기준 맞춰 나아가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08
[기고] 위기의 한국 법률 시장, 글로벌 기준 맞춰 나아가야
[기고] 위기의 한국 법률 시장, 글로벌 기준 맞춰 나아가야
오늘날 한국 법률시장은 단순한 내부 경쟁을 넘어, 구조적 전환이 불가피한 갈림길에 놓여 있다. 더 많은 사건을 수임하거나 인재를 확보하는 방식만으로는 더 이상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기존의 사무소 중심, 개별 실적 중심의 전통적 구조를 고수할 것인지, 아니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통합형 시스템으로 재편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과 실행이다. 이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초대형 미국 로펌의 국내 진입이 제도적으로 허용된 상황에서, 변화하지 않으면 다음 경쟁의 무대에서 한국 로펌이 설 자리는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다수의 로펌은 여전히 겉으로는 하나의 조직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건 수임, 수익 분배, 비용 관리 등 전반적 운영이 파트너 단위로 분리된 ‘별산제’ 구조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조직의 외형과 실질이 불일치하는 구조로 협업·통합·브랜드 관리에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 반면 글로벌 초대형 로펌들이 보편적으로 채택하는 ‘지역 분산-운영 통합형 모델’은 사무소가 지역별로 분산돼 있더라도 하나의 시스템 아래 통합 운영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이를 낯설고 비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오해하거나 단지 외형만 따라한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왜곡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한편, 이러한 글로벌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대한 저항은 규정을 통한 규제나 언론을 호도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저항은 글로벌 시장의 거대한 흐름 앞에서 무력할 수 밖에 없다. 초대형 외국 로펌이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진입하는 순간, 시장 질서와 경쟁 구도는 빠르게 재편될 것이다. 이는 과거 아이폰이 국내 시장에 등장했을 때, 기존 휴대폰 브랜드들이 순시간에 주도권을 내주었던 사례와 같다. 따라서 글로벌 시스템의 도입을 거부할 것이 아니라, 먼저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체적으로 구현하고 운영해 나가야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가장 먼저 감지하고, 그에 발맞춰서 명확한 전략적 방향을 설정했다. 대륜은 국내 생존이 아닌, 글로벌 초대형 로펌으로의 성장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주요 로펌들의 시스템을 학습하고 교류해 왔으며, 필자 역시 대륜의 뉴욕 사무소 개소를 준비하면서 밀뱅크(Milbank LLP) 뉴욕 본사를 방문해, 국적이 다른 파트너들이 하나의 사건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실질적 통합 운영 체계를 직접 확인하기도 하였다.이와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대륜은 전국 사무소 간의 통합 운영 시스템, 사건 공유 체계, 중앙집중형 리스크 및 회계 관리 시스템을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갖춰 왔다. 뿐만 아니라, 외국 로펌과의 전략적 제휴, 공동 브랜드 구축, 상호 투자, 인수합병(M&A)등 다양한 형태의 실질적 글로벌 협력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실행을 준비하고 있다.한국 로펌이 마주한 현실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구조와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이며, 더 나아가 그 기준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에 맞게 능동적으로 설계하고,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체화해야 한다. 법무법인 대륜은 이러한 변화를 가장 먼저 감지하고, 그에 걸맞은 구조를 실제로 만들어가고 있다. 대륜은 이를 통해 한국 로펌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위기의 한국 법률 시장, 글로벌 기준 맞춰 나아가야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08
허위 진단서로 보험사기 입건 60대…보완수사 끝에 불송치
허위 진단서로 보험사기 입건 60대…보완수사 끝에 불송치
진단서를 허위로 발급받아 보험금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질 위기에 처했던 60대 남성이 보완 수사 끝에 혐의를 벗었다.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 혜화경찰서는 보험사기 방지 특별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60대 A씨에 대해 최근 불송치 결정했다.A씨는 2021년 병원에서 허위 진단서를 발급받아 보험급을 지급 받은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았다. 보험사 측은 A씨가 병원과 짜고 시술을 여러 차례로 나눠 받는 방식으로 보험금을 타냈다고 보고 A씨를 고소했다.그러나 A씨는 질환 치료를 위해 의사의 권유에 따라 정상적인 치료를 받았다면서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보험사의 심사 절차를 거쳐 보험금을 받은 만큼, 착오가 있었다면 보험사의 잘못이라고 주장했다.애초 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있다고 보고 기소 의견으로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 그러나 검찰은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보완 수사를 요구했다.경찰은 보완 수사 끝에 A씨가 여러 차례 진단서를 발급받아 보험사에 제출한 사실은 확인되지만, 의학적 전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의사의 소견에 따라 치료받았다고 판단했다. 또, 진료기록부에 시술과 재시술이 정상적으로 기재돼 있어 진단서를 허위로 발급받거나 의사와 공모했다고 볼 수 없다고 봤다.A씨의 대리인인 김수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보험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고의로 치료 기간을 늘리는 등 허위로 작성된 진단서를 바탕으로 보험금을 받아야 하는데, 조사 과정에서 A씨가 앓던 질환 치료를 위해 정상적인 시술을 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해 처벌을 피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허위 진단서로 보험사기 입건 60대…보완수사 끝에 불송치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08
허위 진단서로 보험사기 입건 60대…보완수사 끝에 불송치
허위 진단서로 보험사기 입건 60대…보완수사 끝에 불송치
진단서를 허위로 발급받아 보험금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질 위기에 처했던 60대 남성이 보완 수사 끝에 혐의를 벗었다.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 혜화경찰서는 보험사기 방지 특별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60대 A씨에 대해 최근 불송치 결정했다.A씨는 2021년 병원에서 허위 진단서를 발급받아 보험급을 지급 받은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았다. 보험사 측은 A씨가 병원과 짜고 시술을 여러 차례로 나눠 받는 방식으로 보험금을 타냈다고 보고 A씨를 고소했다.그러나 A씨는 질환 치료를 위해 의사의 권유에 따라 정상적인 치료를 받았다면서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보험사의 심사 절차를 거쳐 보험금을 받은 만큼, 착오가 있었다면 보험사의 잘못이라고 주장했다.애초 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있다고 보고 기소 의견으로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 그러나 검찰은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보완 수사를 요구했다.경찰은 보완 수사 끝에 A씨가 여러 차례 진단서를 발급받아 보험사에 제출한 사실은 확인되지만, 의학적 전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의사의 소견에 따라 치료받았다고 판단했다. 또, 진료기록부에 시술과 재시술이 정상적으로 기재돼 있어 진단서를 허위로 발급받거나 의사와 공모했다고 볼 수 없다고 봤다.A씨의 대리인인 김수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보험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고의로 치료 기간을 늘리는 등 허위로 작성된 진단서를 바탕으로 보험금을 받아야 하는데, 조사 과정에서 A씨가 앓던 질환 치료를 위해 정상적인 시술을 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해 처벌을 피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허위 진단서로 보험사기 입건 60대…보완수사 끝에 불송치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08
조합원 모집·토지매입 법률적 요건 충족한 것처럼 거짓 광고 평생 모은 재산 잃기도…피해자들 엄벌 탄원
허위 조합원 모집해 25억여 원 가로챈 건설업자 ‘징역 7년’
조합원 모집·토지매입 법률적 요건 충족한 것처럼 거짓 광고평생 모은 재산 잃기도…피해자들 엄벌 탄원 지역주택 조합아파트 조합원 자격을 준다는 명목으로 피해자 4명으로부터 25억여 원을 가로챈 50대에게 징역형이 내려졌다.서울중앙지방법원 제32형사부는 지난 2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다.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르면, 범죄로 얻은 수익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일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건설업자 A씨는 평소 알고 지내던 지인들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면 일반 조합원들보다 적은 비용으로 아파트를 분양 받을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로 제안해 피해자들로부터 총 25억 5000만 원을 가로챘다.그러나 조사 결과, A씨는 당초 조합 자체를 설립한 적이 없었고 토지확보나 사업계획승인 역시 이뤄진 적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재판에서 A씨는 기망의 의도가 없었다며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재판부는 범행 내용과 피해 정도를 고려해 징역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 규모가 상당하고, 피해자들의 피해 회복을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도 않아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피해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성윤 변호사는 “A씨는 피해자들로부터 돈을 받더라도 조합원 자격을 주거나 아파트를 분양해 줄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며 “계좌내역 확인 결과, 편취한 금원은 식비 등 개인적인 용도나 다른 사업비 명목으로 사용된 점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이어 “특히 A씨는 피해자들과 개인적인 친분 관계에 기인한 신뢰를 이용해 범행을 저질렀으며, 일부는 평생 모은 재산을 잃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되려 A씨는 피해 변제를 빌미로 합의를 종용하며 협박하는 등 2차 가해를 멈추지 않았다”며 “피해자들이 A씨에 대한 엄벌을 탄원한 점들이 인정돼 징역형이 내려졌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조합원 모집·토지매입 법률적 요건 충족한 것처럼 거짓 광고 평생 모은 재산 잃기도…피해자들 엄벌 탄원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4-08
조합원 모집·토지매입 법률적 요건 충족한 것처럼 거짓 광고 평생 모은 재산 잃기도…피해자들 엄벌 탄원
허위 조합원 모집해 25억여 원 가로챈 건설업자 ‘징역 7년’
조합원 모집·토지매입 법률적 요건 충족한 것처럼 거짓 광고평생 모은 재산 잃기도…피해자들 엄벌 탄원 지역주택 조합아파트 조합원 자격을 준다는 명목으로 피해자 4명으로부터 25억여 원을 가로챈 50대에게 징역형이 내려졌다.서울중앙지방법원 제32형사부는 지난 2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다.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르면, 범죄로 얻은 수익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일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건설업자 A씨는 평소 알고 지내던 지인들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면 일반 조합원들보다 적은 비용으로 아파트를 분양 받을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로 제안해 피해자들로부터 총 25억 5000만 원을 가로챘다.그러나 조사 결과, A씨는 당초 조합 자체를 설립한 적이 없었고 토지확보나 사업계획승인 역시 이뤄진 적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재판에서 A씨는 기망의 의도가 없었다며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재판부는 범행 내용과 피해 정도를 고려해 징역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 규모가 상당하고, 피해자들의 피해 회복을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도 않아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피해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성윤 변호사는 “A씨는 피해자들로부터 돈을 받더라도 조합원 자격을 주거나 아파트를 분양해 줄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며 “계좌내역 확인 결과, 편취한 금원은 식비 등 개인적인 용도나 다른 사업비 명목으로 사용된 점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이어 “특히 A씨는 피해자들과 개인적인 친분 관계에 기인한 신뢰를 이용해 범행을 저질렀으며, 일부는 평생 모은 재산을 잃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되려 A씨는 피해 변제를 빌미로 합의를 종용하며 협박하는 등 2차 가해를 멈추지 않았다”며 “피해자들이 A씨에 대한 엄벌을 탄원한 점들이 인정돼 징역형이 내려졌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조합원 모집·토지매입 법률적 요건 충족한 것처럼 거짓 광고 평생 모은 재산 잃기도…피해자들 엄벌 탄원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4-07
법률서비스 주체는 '고객'이다
법률서비스 주체는 '고객'이다
최근 일부 언론과 기성 로펌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신생 로펌들에게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딱지를 붙여 부정적 인식을 유도하고 있다. 신생 로펌은 기성 로펌에 비해 자본력은 부족할지라도 혁신에 대한 갈망과 이를 실행하는 실천력만큼은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을 통해 성장하는 로펌을 견제하고 본질을 왜곡하려는 시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다수의 분사무소 운영 △디지털 마케팅 중심의 고객 접근 전략 △효율적인 사건 처리 시스템 등 전략은 각 로펌이 추구하는 철학과 운영 방식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하나의 틀로 묶어 획일화하는 것은 ‘미래 법률 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법률 시스템이 고객을 중심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다. 필자가 초년 변호사였던 시절이다. 법정 복도에서 의뢰인이 울고 있었다. ‘패소했나?’라고 유심히 들여다보니 재판은 시작도 안했다. 하지만 이윽고 괴성이 들렸다. 이 바닥에서 꽤 유명한 변호사가 의뢰인을 향해 호통을 치고 있던 것이었다. 비용을 지불하고 법률서비스를 의뢰한 고객이 되레 질책받는 모습을 보며 국내 법률시장의 후진성과 권위주의를 실감했다. 그 때 처음 법률서비스에서 고객이 서비스의 주체가 되야한다고 느꼈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법무법인 대륜은 ‘고객 중심 법률서비스’를 핵심 철학으로 삼고 있다. 대다수 기성 로펌은 서울에 사무소를 두고 지역 고객을 서울로 오게 만든다. 반면 대륜은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생활권 가까이에 사무소를 둔다. 수임 이후에도 고객관리팀이 만족도와 소통 수준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필요 시 담당 변호사를 교체하고 환불도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런 프로세스는 일본의 대형 로펌 역시 벤치마킹하고자 할 정도로 주목받았다. 변화의 또 다른 핵심은 마케팅 방식이다. 불과 몇 년 전 까지 법률시장은 그 어디보다 폐쇄적으로 운영됐다. 어떤 법률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가족 친지를 동원해 발품을 팔아야 했다. 그만큼 이 시장은 사법 브로커를 중심으로 ‘깜깜이 운영’이 당연시 됐다. 이는 결국 고객에게 과도한 수임료가 전가되는 결과를 낳았다. 우리는 이 같은 방식을 청산하고 정보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마케팅을 주된 방식으로 삼았다. 홈페이지만 훑어 보더라도 형량과 쟁점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결국 광고 시장 과열로 이어졌고, 높은 광고 비용은 다시금 고객 부담으로 이어졌다. 오늘날 글로벌 로펌의 사건 처리 시스템은 병원 진료 체계와 유사하다. △상담 △ 서면작성 △재판 출석 등 각각의 단계에 맞춰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업무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인다. 핵심은 이 분업이 무책임으로 흐르지 않도록 총괄 책임자가 중심을 잡고, 각 단계가 긴밀히 협업하는 구조를 갖추는 데 있다. 국내에서 드물게 단일 원펌(One Firm) 체계를 운영하는 것도 전략의 일관성과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서다. 전관 변호사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이들 역시 이 구조하에서 재판 출석과 전략 자문 등 사건 처리 전반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더불어 △AI 법률 서비스 개발 △고객 서비스 고도화 △ 글로벌 진출 등 제도적 혁신에 아낌없이 재투자한다. 법률서비스는 이제 전문가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구조의 규모나 형식보다 중요한 것은 어떤 철학을 기반으로 작동하는가이다. 시장의 변화는 이미 시작됐으며, 대륜은 실천으로 이에 응답할 것이다. 박동일 대표변호사(법무법인 대륜) [기사전문보기] 법률서비스 주체는 '고객'이다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4-07
법률서비스 주체는 '고객'이다
법률서비스 주체는 '고객'이다
최근 일부 언론과 기성 로펌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신생 로펌들에게 ‘네트워크 로펌’이라는 딱지를 붙여 부정적 인식을 유도하고 있다. 신생 로펌은 기성 로펌에 비해 자본력은 부족할지라도 혁신에 대한 갈망과 이를 실행하는 실천력만큼은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을 통해 성장하는 로펌을 견제하고 본질을 왜곡하려는 시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다수의 분사무소 운영 △디지털 마케팅 중심의 고객 접근 전략 △효율적인 사건 처리 시스템 등 전략은 각 로펌이 추구하는 철학과 운영 방식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하나의 틀로 묶어 획일화하는 것은 ‘미래 법률 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법률 시스템이 고객을 중심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다. 필자가 초년 변호사였던 시절이다. 법정 복도에서 의뢰인이 울고 있었다. ‘패소했나?’라고 유심히 들여다보니 재판은 시작도 안했다. 하지만 이윽고 괴성이 들렸다. 이 바닥에서 꽤 유명한 변호사가 의뢰인을 향해 호통을 치고 있던 것이었다. 비용을 지불하고 법률서비스를 의뢰한 고객이 되레 질책받는 모습을 보며 국내 법률시장의 후진성과 권위주의를 실감했다. 그 때 처음 법률서비스에서 고객이 서비스의 주체가 되야한다고 느꼈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법무법인 대륜은 ‘고객 중심 법률서비스’를 핵심 철학으로 삼고 있다. 대다수 기성 로펌은 서울에 사무소를 두고 지역 고객을 서울로 오게 만든다. 반면 대륜은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생활권 가까이에 사무소를 둔다. 수임 이후에도 고객관리팀이 만족도와 소통 수준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필요 시 담당 변호사를 교체하고 환불도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런 프로세스는 일본의 대형 로펌 역시 벤치마킹하고자 할 정도로 주목받았다. 변화의 또 다른 핵심은 마케팅 방식이다. 불과 몇 년 전 까지 법률시장은 그 어디보다 폐쇄적으로 운영됐다. 어떤 법률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가족 친지를 동원해 발품을 팔아야 했다. 그만큼 이 시장은 사법 브로커를 중심으로 ‘깜깜이 운영’이 당연시 됐다. 이는 결국 고객에게 과도한 수임료가 전가되는 결과를 낳았다. 우리는 이 같은 방식을 청산하고 정보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마케팅을 주된 방식으로 삼았다. 홈페이지만 훑어 보더라도 형량과 쟁점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결국 광고 시장 과열로 이어졌고, 높은 광고 비용은 다시금 고객 부담으로 이어졌다. 오늘날 글로벌 로펌의 사건 처리 시스템은 병원 진료 체계와 유사하다. △상담 △ 서면작성 △재판 출석 등 각각의 단계에 맞춰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업무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인다. 핵심은 이 분업이 무책임으로 흐르지 않도록 총괄 책임자가 중심을 잡고, 각 단계가 긴밀히 협업하는 구조를 갖추는 데 있다. 국내에서 드물게 단일 원펌(One Firm) 체계를 운영하는 것도 전략의 일관성과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서다. 전관 변호사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이들 역시 이 구조하에서 재판 출석과 전략 자문 등 사건 처리 전반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더불어 △AI 법률 서비스 개발 △고객 서비스 고도화 △ 글로벌 진출 등 제도적 혁신에 아낌없이 재투자한다. 법률서비스는 이제 전문가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구조의 규모나 형식보다 중요한 것은 어떤 철학을 기반으로 작동하는가이다. 시장의 변화는 이미 시작됐으며, 대륜은 실천으로 이에 응답할 것이다. 박동일 대표변호사(법무법인 대륜) [기사전문보기] 법률서비스 주체는 '고객'이다 (바로가기)
국제뉴스
2025-04-07
대륜-황해 EDA 업무협약 체결…국제 무역·특허 등 법률 조력
대륜-황해 EDA 업무협약 체결…국제 무역·특허 등 법률 조력
수·출입 법률 자문·특허 출원 조력 등 법률 지원 통한 글로벌 성장 파트너십 구축대륜 "황해가 해외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 아끼지 않겠다" 법무법인 대륜이 벤처기업 황해 EDA Co., Ltd(이하 ‘황해’)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지난 3일 서울 강남구 황해 본사에서 진행되었으며, 대륜 측에서는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김인원 변호사가, 황해 측에서는 박종찬 대표이사와 안상수 전 인천시장 등이 참석했다. 황해는 농촌진흥청이 실증한 클로렐라 농법에 나노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농법을 개발·보급 중인 기업으로,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재활용 기술을 기반으로 한전, 포스코 등 대량 배출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환경친화적 에너지 사업 확장에도 나서고 있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황해의 글로벌 진출과 사업 확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이슈 전반에 대해 전문적이고 신속한 법률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국제 무역 및 수출입 법률 자문, 지적재산권 보호 및 특허 출원, 분쟁 발생 시 국내외 소송 및 중재 대응 등을 포함한 종합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종찬 황해 대표이사는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특허 보호, 투자 계약 검토, 각국 규제 대응 등 다양한 법적 이슈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대륜과의 협약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변호사는 물론 회계사, 노무사, 세무사, 관세전문위원 등이 협업하는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해외 지사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황해가 해외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폭적인 법률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 법무, 해외 진출 컨설팅, 지적재산권 보호 등 분야에서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며 다수의 기업과 협업 중이다. 이번 MOU를 계기로 황해의 글로벌 성장 여정에 든든한 법률 동반자로 함께할 전망이다. [기사전문보기] 대륜-황해 EDA 업무협약 체결…국제 무역·특허 등 법률 조력 (바로가기)
국제뉴스
2025-04-07
대륜-황해 EDA 업무협약 체결…국제 무역·특허 등 법률 조력
대륜-황해 EDA 업무협약 체결…국제 무역·특허 등 법률 조력
수·출입 법률 자문·특허 출원 조력 등 법률 지원 통한 글로벌 성장 파트너십 구축대륜 "황해가 해외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 아끼지 않겠다" 법무법인 대륜이 벤처기업 황해 EDA Co., Ltd(이하 ‘황해’)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지난 3일 서울 강남구 황해 본사에서 진행되었으며, 대륜 측에서는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김인원 변호사가, 황해 측에서는 박종찬 대표이사와 안상수 전 인천시장 등이 참석했다. 황해는 농촌진흥청이 실증한 클로렐라 농법에 나노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농법을 개발·보급 중인 기업으로,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재활용 기술을 기반으로 한전, 포스코 등 대량 배출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환경친화적 에너지 사업 확장에도 나서고 있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황해의 글로벌 진출과 사업 확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이슈 전반에 대해 전문적이고 신속한 법률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국제 무역 및 수출입 법률 자문, 지적재산권 보호 및 특허 출원, 분쟁 발생 시 국내외 소송 및 중재 대응 등을 포함한 종합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종찬 황해 대표이사는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특허 보호, 투자 계약 검토, 각국 규제 대응 등 다양한 법적 이슈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대륜과의 협약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변호사는 물론 회계사, 노무사, 세무사, 관세전문위원 등이 협업하는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해외 지사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황해가 해외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폭적인 법률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 법무, 해외 진출 컨설팅, 지적재산권 보호 등 분야에서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며 다수의 기업과 협업 중이다. 이번 MOU를 계기로 황해의 글로벌 성장 여정에 든든한 법률 동반자로 함께할 전망이다. [기사전문보기] 대륜-황해 EDA 업무협약 체결…국제 무역·특허 등 법률 조력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07
정신질환 앓는 여성 속여 금품 갈취한 일당…法, 실형 선고
정신질환 앓는 여성 속여 금품 갈취한 일당…法, 실형 선고
오픈채팅서 만난 피해자 사칭3500만 원 상당 금품 가로채재판부 “신뢰관계 이용한 범행…죄질 나쁘고 피해액 상당해” 정신 질환을 앓는 여성을 속여 수천만 원의 금품을 빼앗은 일당이 실형을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은 지난 2월 준사기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 씨 등 2명에게 각각 징역 1년과 1년 4개월을 선고했다.이들은 2021년 오픈 채팅방에서 만난 B 씨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하고 무단으로 소액 결제를 한 혐의 등을 받았다.또 B 씨 계좌에서 돈을 빼돌리고, 허위로 작성한 서류를 토대로 B 씨를 사칭해 대출받는 등 3500여만 원의 금품을 가로챈 사실도 확인됐다.이들은 B 씨가 자폐증을 앓아 지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알고 의도적으로 접근해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법원은 이들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인적 신뢰 관계를 이용한 범행의 죄질이 나쁘고 피해액이 상당하다”며 “피고인들은 공판기일에 출석하지 않는 등 재판에 성실히 임하지 않았고 동종 범죄로 인한 집행유예 기간에 범행을 저질렀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B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천정민 변호사는 “대출 신청 당시 피고인들은 거짓으로 소득확인서를 작성했는데 이는 사문서 위조 행위에 해당한다”며 “이를 은행에 제출하면서 위조 사문서 행사 혐의까지 적용돼 엄벌에 처해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정신질환 앓는 여성 속여 금품 갈취한 일당…法, 실형 선고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07
정신질환 앓는 여성 속여 금품 갈취한 일당…法, 실형 선고
정신질환 앓는 여성 속여 금품 갈취한 일당…法, 실형 선고
오픈채팅서 만난 피해자 사칭3500만 원 상당 금품 가로채재판부 “신뢰관계 이용한 범행…죄질 나쁘고 피해액 상당해” 정신 질환을 앓는 여성을 속여 수천만 원의 금품을 빼앗은 일당이 실형을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은 지난 2월 준사기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 씨 등 2명에게 각각 징역 1년과 1년 4개월을 선고했다.이들은 2021년 오픈 채팅방에서 만난 B 씨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하고 무단으로 소액 결제를 한 혐의 등을 받았다.또 B 씨 계좌에서 돈을 빼돌리고, 허위로 작성한 서류를 토대로 B 씨를 사칭해 대출받는 등 3500여만 원의 금품을 가로챈 사실도 확인됐다.이들은 B 씨가 자폐증을 앓아 지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알고 의도적으로 접근해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법원은 이들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인적 신뢰 관계를 이용한 범행의 죄질이 나쁘고 피해액이 상당하다”며 “피고인들은 공판기일에 출석하지 않는 등 재판에 성실히 임하지 않았고 동종 범죄로 인한 집행유예 기간에 범행을 저질렀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B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천정민 변호사는 “대출 신청 당시 피고인들은 거짓으로 소득확인서를 작성했는데 이는 사문서 위조 행위에 해당한다”며 “이를 은행에 제출하면서 위조 사문서 행사 혐의까지 적용돼 엄벌에 처해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정신질환 앓는 여성 속여 금품 갈취한 일당…法, 실형 선고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3곳
2025-04-07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TV에서 많이 본 그 분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TV에서 많이 본 그 분
서울중앙지법, 동부지법 부장판사 등 역임…공직 생활 23년대법원 재판연구관,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 다양한 경력 법무법인 대륜이 부장판사 경력이 있는 여상원 변호사를 영입해 전 분야 송무 역량 강화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여 변호사는 1981년 행정고시(제25회)와 1983년 사법시험(제25회)에 모두 합격한 ‘고시 2관왕’이다. 1988년 의정부지법 판사로 임관하며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딘 여 변호사는 서울남부지법과 창원지법, 서울고등법원 등을 거쳤으며 청주지방법원 영동지원장을 맡았다. 이후 수원지법, 서울중앙지법, 서울동부지법 등에서는 부장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사건을 심리했고, 마약전담 형사부 부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또한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 심층적인 법리 검토를 위한 다양한 경력을 갖췄다. 23년 공직 생활을 마친 여 변호사는 2011년부터 본격적인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메스암페타민 마약 투약 전과가 있는 피고인을 집행유예 판결로 이끌었다. 이밖에 보건복지부를 대리해 약가 인하 소송에서 승소해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는 등 다수의 민형사 사건에서 굵직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 더불어 10년 넘게 주요 종편의 정치·법률 패널로 참여했으며, 현재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여 변호사는 서울 여의도 본사에 상주하며 각종 계약법과 마약범죄, 성범죄 등 형사 사건을 맡아 활약할 예정이다. 여 변호사는 “최단기 10대 로펌에 들며 빠르게 성장하는 대륜에 합류하게 돼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라며 “40년 가까운 법조 경력을 살려 의뢰인이 원하는 결과를 위한 방안을 고안해낼 것”이라고 전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최근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하는 등 의뢰인에게 가장 만족도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오랜 경력을 갖춘 여 변호사의 합류로 송무 분야 대응력이 한껏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TV에서 많이 본 그 분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등 3곳
2025-04-07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TV에서 많이 본 그 분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TV에서 많이 본 그 분
서울중앙지법, 동부지법 부장판사 등 역임…공직 생활 23년대법원 재판연구관,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 다양한 경력 법무법인 대륜이 부장판사 경력이 있는 여상원 변호사를 영입해 전 분야 송무 역량 강화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여 변호사는 1981년 행정고시(제25회)와 1983년 사법시험(제25회)에 모두 합격한 ‘고시 2관왕’이다. 1988년 의정부지법 판사로 임관하며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딘 여 변호사는 서울남부지법과 창원지법, 서울고등법원 등을 거쳤으며 청주지방법원 영동지원장을 맡았다. 이후 수원지법, 서울중앙지법, 서울동부지법 등에서는 부장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사건을 심리했고, 마약전담 형사부 부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또한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등 심층적인 법리 검토를 위한 다양한 경력을 갖췄다. 23년 공직 생활을 마친 여 변호사는 2011년부터 본격적인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메스암페타민 마약 투약 전과가 있는 피고인을 집행유예 판결로 이끌었다. 이밖에 보건복지부를 대리해 약가 인하 소송에서 승소해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는 등 다수의 민형사 사건에서 굵직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 더불어 10년 넘게 주요 종편의 정치·법률 패널로 참여했으며, 현재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여 변호사는 서울 여의도 본사에 상주하며 각종 계약법과 마약범죄, 성범죄 등 형사 사건을 맡아 활약할 예정이다. 여 변호사는 “최단기 10대 로펌에 들며 빠르게 성장하는 대륜에 합류하게 돼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라며 “40년 가까운 법조 경력을 살려 의뢰인이 원하는 결과를 위한 방안을 고안해낼 것”이라고 전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최근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하는 등 의뢰인에게 가장 만족도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오랜 경력을 갖춘 여 변호사의 합류로 송무 분야 대응력이 한껏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TV에서 많이 본 그 분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송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여상원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07
'사기 혐의' 50대, 재판 받으면서 또 수억 원 사기행각
'사기 혐의' 50대, 재판 받으면서 또 수억 원 사기행각
사기 혐의로 재판을 받던 중 또 다른 사기 행각으로 수억 원을 가로챈 50대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습니다.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법은 지난 2월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에 대해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0년 지인을 통해 소개받은 B씨 등 2명을 속여 6억 7,000여만 원의 투자금을 가로챈 혐의입니다.당시 A씨는 피해자들에게 "현재 법조타운 신축 분양사업을 추진 중인데, 지주 작업이 끝났고 1년 내에 건물이 완공될 예정"이라며 "투자를 하면 원금과 수익을 반드시 지급하겠다"고 속였습니다.그러나 해당 사업은 지주작업조차 완료되지 않았으며, 담당 지자체로부터 건축허가가 취소되는 등 정상적인 사업 진행이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특히 A씨는 당시 사기죄로 재판을 받고 있었음에도 이같은 사실을 피해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계속해서 투자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하면서, "피해금액이 거액이고, 범행 일시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피해자들에 대한 별다른 피해 회복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피해자 중 1명인 B씨에게 4억 7,000만 원을 지급 명령도 내렸습니다.B씨 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박신영 변호사는 "A씨는 투자금을 돌려달라는 피해자에게 허위의 약속이행각서까지 작성하는 등 지속적으로 기망행위를 이어갔다"며 "재판 과정 중에도 진심 어린 사과는 물론 피해금을 변제 하기 위한 노력조차 하지 않아 엄벌이 필요했다"고 말했습니다.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기 혐의' 50대, 재판 받으면서 또 수억 원 사기행각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07
'사기 혐의' 50대, 재판 받으면서 또 수억 원 사기행각
'사기 혐의' 50대, 재판 받으면서 또 수억 원 사기행각
사기 혐의로 재판을 받던 중 또 다른 사기 행각으로 수억 원을 가로챈 50대 남성에게 실형이 선고됐습니다.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법은 지난 2월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에 대해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0년 지인을 통해 소개받은 B씨 등 2명을 속여 6억 7,000여만 원의 투자금을 가로챈 혐의입니다.당시 A씨는 피해자들에게 "현재 법조타운 신축 분양사업을 추진 중인데, 지주 작업이 끝났고 1년 내에 건물이 완공될 예정"이라며 "투자를 하면 원금과 수익을 반드시 지급하겠다"고 속였습니다.그러나 해당 사업은 지주작업조차 완료되지 않았으며, 담당 지자체로부터 건축허가가 취소되는 등 정상적인 사업 진행이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특히 A씨는 당시 사기죄로 재판을 받고 있었음에도 이같은 사실을 피해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계속해서 투자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하면서, "피해금액이 거액이고, 범행 일시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피해자들에 대한 별다른 피해 회복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피해자 중 1명인 B씨에게 4억 7,000만 원을 지급 명령도 내렸습니다.B씨 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박신영 변호사는 "A씨는 투자금을 돌려달라는 피해자에게 허위의 약속이행각서까지 작성하는 등 지속적으로 기망행위를 이어갔다"며 "재판 과정 중에도 진심 어린 사과는 물론 피해금을 변제 하기 위한 노력조차 하지 않아 엄벌이 필요했다"고 말했습니다.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기 혐의' 50대, 재판 받으면서 또 수억 원 사기행각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6곳
2025-04-04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맞손'…"글로벌 법조인 양성 합심"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맞손'…"글로벌 법조인 양성 합심"
국제법무 이론, 실무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 법무법인 대륜이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2일 이화여대 법학관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예섬 이사변호사, 이화여대 로스쿨 김현철 원장, 김병선 교무부원장, 정인경 학생부원장, 임재혁 기획평가부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1950년 법정대학 법학과, 1996년 법과대학을 거쳐 2009년에 개원한 이화여대 로스쿨은 국내 최고의 여성 법조인들을 대거 배출해온 유서 깊은 교육기관이다. 이화여대 로스쿨은 한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 헌법재판관, 법제처장 등을 탄생시키며 법조계를 선도해왔다. 또, 지난해 신임 재판연구원과 검사 임용에서 전국 25개 로스쿨 가운데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대륜은 지난해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국내 법률시장 최단기 10대 로펌에 등극했다. 이는 기업, 조세, 의료 등 각 분야 전문 그룹을 구축하고, 분야별 특성에 맞는 전문가를 꾸준히 영입한 덕분이다. 특히 일본 도쿄, 미국 뉴욕 진출에 박차를 가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나서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대륜은 사회적 책임 실천의 일환으로 지난 2월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이번 협약은 글로벌 청년·예비 법조인을 육성해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자 추진됐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외 법률시장 분석 연구 △국제법무 이론 및 실무 강의 △글로벌 법조인 양성을 위한 교육·세미나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특히 대륜은 매년 실습생을 선발해 실무수습 기회를 제공하는 특전도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이화여대 로스쿨생들은 실제 법률현장의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이화여대 로스쿨 김현철 원장은 “더 많은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를 열어주고자 이번 협약을 맺게 됐다. 향후 ‘인재 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인데 양사가 함께 글로벌 비전과 방향 등을 소개하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며 “글로벌 법조인 양성을 위해 다양한 실무 경험이 필요한데, 해외 진출에 한창인 로펌 대륜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도 교류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배움과 경험을 쌓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원장은 “대륜이 설립한 사단법인 ‘인연법’의 회원으로 참여해 교육과 공익의 가치를 함께 실현하고 싶다”고 덧붙였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조인 배출의 명문으로 명성이 자자한 이화여대와 협력할 수 있어 기쁘다”며 “매년 우수한 학생을 뽑아 해외 법률시장에 대한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은 물론 해외법 전문변호사 등 인력 영입에 한창이다. 최대한 도울 수 있는 부분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맞손'…"글로벌 법조인 양성 합심"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MOU 체결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 이화여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MOU (바로가기) 법률저널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6곳
2025-04-04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맞손'…"글로벌 법조인 양성 합심"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맞손'…"글로벌 법조인 양성 합심"
국제법무 이론, 실무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 법무법인 대륜이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2일 이화여대 법학관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예섬 이사변호사, 이화여대 로스쿨 김현철 원장, 김병선 교무부원장, 정인경 학생부원장, 임재혁 기획평가부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1950년 법정대학 법학과, 1996년 법과대학을 거쳐 2009년에 개원한 이화여대 로스쿨은 국내 최고의 여성 법조인들을 대거 배출해온 유서 깊은 교육기관이다. 이화여대 로스쿨은 한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 헌법재판관, 법제처장 등을 탄생시키며 법조계를 선도해왔다. 또, 지난해 신임 재판연구원과 검사 임용에서 전국 25개 로스쿨 가운데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대륜은 지난해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국내 법률시장 최단기 10대 로펌에 등극했다. 이는 기업, 조세, 의료 등 각 분야 전문 그룹을 구축하고, 분야별 특성에 맞는 전문가를 꾸준히 영입한 덕분이다. 특히 일본 도쿄, 미국 뉴욕 진출에 박차를 가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나서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대륜은 사회적 책임 실천의 일환으로 지난 2월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이번 협약은 글로벌 청년·예비 법조인을 육성해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자 추진됐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외 법률시장 분석 연구 △국제법무 이론 및 실무 강의 △글로벌 법조인 양성을 위한 교육·세미나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특히 대륜은 매년 실습생을 선발해 실무수습 기회를 제공하는 특전도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이화여대 로스쿨생들은 실제 법률현장의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이화여대 로스쿨 김현철 원장은 “더 많은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를 열어주고자 이번 협약을 맺게 됐다. 향후 ‘인재 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인데 양사가 함께 글로벌 비전과 방향 등을 소개하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며 “글로벌 법조인 양성을 위해 다양한 실무 경험이 필요한데, 해외 진출에 한창인 로펌 대륜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도 교류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배움과 경험을 쌓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원장은 “대륜이 설립한 사단법인 ‘인연법’의 회원으로 참여해 교육과 공익의 가치를 함께 실현하고 싶다”고 덧붙였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조인 배출의 명문으로 명성이 자자한 이화여대와 협력할 수 있어 기쁘다”며 “매년 우수한 학생을 뽑아 해외 법률시장에 대한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은 물론 해외법 전문변호사 등 인력 영입에 한창이다. 최대한 도울 수 있는 부분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맞손'…"글로벌 법조인 양성 합심"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MOU 체결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 이화여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MOU (바로가기) 법률저널 - 법무법인 대륜-이화여대 로스쿨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 (바로가기)
머니S
2025-04-03
20여차례 교통사고 내 보험금 1400만원 챙긴 30대… 법원 '무죄'
20여차례 교통사고 내 보험금 1400만원 챙긴 30대… 법원 '무죄'
10년간 20여차례 교통사고를 내 1400여만원의 보험금을 편취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전주지방법원 형사5단독은 보험사기특별법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A씨(34)에게 지난달 19일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2023년 2월경 전주 시내의 한 사거리에서 신호를 위반한 B씨의 차량을 고의로 들이받아 사고를 내고, 보험사로부터 수백만원의 보험금을 챙긴 혐의 등을 받는다.조사 결과 A씨는 10년간 총 27건의 교통사고에 연루됐는데, 이를 통해 A씨가 수령한 보험금은 1400만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하며 무죄를 주장했다. A씨 측은 "도로교통법을 위반한 상대방 차량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을 뿐"이라며 "이번 사건 이외의 건들도 A씨의 과실로 발생한 사고는 거의 없었다"고 강조했다.법원도 A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무죄를 선고했다. 법원은 "사고의 발생 빈도가 일반적인 자동차 보험 가입자보다 다소 높다는 점만으로는 A씨에게 보험금 편취의 고의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조원진 변호사는 "A씨의 사고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사고이며, 오히려 상대 차량의 과실 비율이 훨씬 더 큰 상황이었다"며 "방어운전이나 양보 운전을 하지 않는 운전 습관으로 인해 사고 발생 빈도가 높았을 뿐이다. 운전자로서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한 과실이 있을진 몰라도 보험금을 받고자 사고를 낸 것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험금 편취의 고의가 있다고 볼 수 없는 점을 강조해 무사히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20여차례 교통사고 내 보험금 1400만원 챙긴 30대… 법원 '무죄' (바로가기)
머니S
2025-04-03
20여차례 교통사고 내 보험금 1400만원 챙긴 30대… 법원 '무죄'
20여차례 교통사고 내 보험금 1400만원 챙긴 30대… 법원 '무죄'
10년간 20여차례 교통사고를 내 1400여만원의 보험금을 편취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전주지방법원 형사5단독은 보험사기특별법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A씨(34)에게 지난달 19일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2023년 2월경 전주 시내의 한 사거리에서 신호를 위반한 B씨의 차량을 고의로 들이받아 사고를 내고, 보험사로부터 수백만원의 보험금을 챙긴 혐의 등을 받는다.조사 결과 A씨는 10년간 총 27건의 교통사고에 연루됐는데, 이를 통해 A씨가 수령한 보험금은 1400만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하며 무죄를 주장했다. A씨 측은 "도로교통법을 위반한 상대방 차량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을 뿐"이라며 "이번 사건 이외의 건들도 A씨의 과실로 발생한 사고는 거의 없었다"고 강조했다.법원도 A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무죄를 선고했다. 법원은 "사고의 발생 빈도가 일반적인 자동차 보험 가입자보다 다소 높다는 점만으로는 A씨에게 보험금 편취의 고의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조원진 변호사는 "A씨의 사고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사고이며, 오히려 상대 차량의 과실 비율이 훨씬 더 큰 상황이었다"며 "방어운전이나 양보 운전을 하지 않는 운전 습관으로 인해 사고 발생 빈도가 높았을 뿐이다. 운전자로서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한 과실이 있을진 몰라도 보험금을 받고자 사고를 낸 것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험금 편취의 고의가 있다고 볼 수 없는 점을 강조해 무사히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20여차례 교통사고 내 보험금 1400만원 챙긴 30대… 법원 '무죄'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03
대륜, “법률 서비스 질 향상”…송무본부 신설·글로벌 로펌 시스템 도입
대륜, “법률 서비스 질 향상”…송무본부 신설·글로벌 로펌 시스템 도입
법무법인 대륜은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하고, 해외 선진 법률 시스템을 벤치미킹해 운영 방식을 고도화한다고 3일 밝혔다. 과다한 수임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된 네트워크 로펌과 차별화하고, 사건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해 개인, 법인 고객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대륜은 2016년 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문을 연 이후 9년 만에 최단기로 매출액 기준 10대 로펌에 진입했다. 지난해 매출은 1127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60% 성장했다. 대륜은 상담 전담 변호사 도입, 팀 단위 사건 조력, 고객 만족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해 이런 성장이 가능했다고 본다.대륜은 주사무소가 전국 분사무소에 접수된 사건을 일괄 관리하는 원펌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중인데, 상담 전문 변호사가 의뢰인과 직접 소통해 사건 내용을 정확히 분석하면, 각 사건에 최적화된 변호사를 배당하고, 필요시에는 전담팀도 구성한다. 이런 체계를 통해 각 변호사의 전문성을 살리고, 의뢰인의 만족도도 동시에 높이는 게 대륜의 방침이다.이와 함께 최근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해 법률 서비스 질 향상에도 힘을 쏟고 있다. 송무관리본부는 송무 행정 전반에 관한 지휘, 감독 역할을 하는 그룹이다. 민사·행성, 형사, 가사·송무 서비스 관리 등 3개 관리부로 구성했다. 본부장 직권으로 송무 지도 관리사건으로 지정하면 그룹 변호사가 실질적 총괄본부장 역할로 참여하면서 일부 로펌에서 문제 되는 부실 변론, 정보 누락, 진행 상황 설명 부족 등을 막고 의뢰인과 소통오류를 최소화한다.대륜은 또 글로벌 포럼 인프라 구축을 위해 세계 최대 로펌인 베이커 앤 맥킨지의 시스템을 국내 사정에 맞게 이식했다. 고년차 전관 변호사가 조사 입회, 법정 출정 등 사건에 직접 관여하면서 미국 대형 로펌의 사건 수행 과정 유사한 구조로 운영한다.이런 전략을 바탕으로 해외 유수 로펌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미국 부동산 종합 솔루션 플랫폼인 코리니, 일본 대형 법무법인인 베리베스트 등과 MOU를 체결한 게 대표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설치해 고객 접근성,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로스쿨 학생을 대상으로 이런 경험을 활용한 경영 전략 특강도 연내 제공할 예정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일부 로펌은 전관 변호사의 명의만 빌리는 경우가 많지만, 대륜은 전 과정을 맡아 진행하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주사무소 총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국 어디서든 수준 높은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앞으로 의뢰인 만족도 100%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대륜, “법률 서비스 질 향상”…송무본부 신설·글로벌 로펌 시스템 도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송무관리본부 신설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4-03
대륜, “법률 서비스 질 향상”…송무본부 신설·글로벌 로펌 시스템 도입
대륜, “법률 서비스 질 향상”…송무본부 신설·글로벌 로펌 시스템 도입
법무법인 대륜은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하고, 해외 선진 법률 시스템을 벤치미킹해 운영 방식을 고도화한다고 3일 밝혔다. 과다한 수임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된 네트워크 로펌과 차별화하고, 사건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해 개인, 법인 고객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대륜은 2016년 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문을 연 이후 9년 만에 최단기로 매출액 기준 10대 로펌에 진입했다. 지난해 매출은 1127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60% 성장했다. 대륜은 상담 전담 변호사 도입, 팀 단위 사건 조력, 고객 만족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해 이런 성장이 가능했다고 본다.대륜은 주사무소가 전국 분사무소에 접수된 사건을 일괄 관리하는 원펌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중인데, 상담 전문 변호사가 의뢰인과 직접 소통해 사건 내용을 정확히 분석하면, 각 사건에 최적화된 변호사를 배당하고, 필요시에는 전담팀도 구성한다. 이런 체계를 통해 각 변호사의 전문성을 살리고, 의뢰인의 만족도도 동시에 높이는 게 대륜의 방침이다.이와 함께 최근 송무관리본부를 신설해 법률 서비스 질 향상에도 힘을 쏟고 있다. 송무관리본부는 송무 행정 전반에 관한 지휘, 감독 역할을 하는 그룹이다. 민사·행성, 형사, 가사·송무 서비스 관리 등 3개 관리부로 구성했다. 본부장 직권으로 송무 지도 관리사건으로 지정하면 그룹 변호사가 실질적 총괄본부장 역할로 참여하면서 일부 로펌에서 문제 되는 부실 변론, 정보 누락, 진행 상황 설명 부족 등을 막고 의뢰인과 소통오류를 최소화한다.대륜은 또 글로벌 포럼 인프라 구축을 위해 세계 최대 로펌인 베이커 앤 맥킨지의 시스템을 국내 사정에 맞게 이식했다. 고년차 전관 변호사가 조사 입회, 법정 출정 등 사건에 직접 관여하면서 미국 대형 로펌의 사건 수행 과정 유사한 구조로 운영한다.이런 전략을 바탕으로 해외 유수 로펌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미국 부동산 종합 솔루션 플랫폼인 코리니, 일본 대형 법무법인인 베리베스트 등과 MOU를 체결한 게 대표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설치해 고객 접근성,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로스쿨 학생을 대상으로 이런 경험을 활용한 경영 전략 특강도 연내 제공할 예정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일부 로펌은 전관 변호사의 명의만 빌리는 경우가 많지만, 대륜은 전 과정을 맡아 진행하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주사무소 총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국 어디서든 수준 높은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앞으로 의뢰인 만족도 100%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대륜, “법률 서비스 질 향상”…송무본부 신설·글로벌 로펌 시스템 도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송무관리본부 신설 (바로가기)
충청신문
2025-04-03
[Q&A] 대법 판례 바뀐 통상임금, 우리 회사도 영향 받을까?
[Q&A] 대법 판례 바뀐 통상임금, 우리 회사도 영향 받을까?
2024년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통상임금의 '고정성' 요건을 폐기하는 판결을 내렸다.이로 인해 기존에는 통상임금에서 제외되던 정기상여금, 재직조건이나 근무일수 조건이 붙은 정기상여금 등 각종 수당들을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와 근로자 모두에게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기업 입장에서는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연차수당 등을 새 기준으로 재산정해야 하는 부담이 생겼고, 기존 임금체계를 대대적으로 손봐야 할 상황에 놓였다.특히 제조업·금융업처럼 수당 비중이 높은 산업군은 법적 리스크와 인건비 부담이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반면 근로자는 단기적으로 임금 상승이 기대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고용 불안정이나 성과급 중심 보상 구조로의 전환 등 새로운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충청신문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 분사무소의 노동법 전문 김정범 변호사를 만나, 통상임금의 기본 개념부터 대법원 판례 변경의 파장, 그리고 기업이 실무에서 취해야 할 구체적인 대응 방안까지 Q&A 형식으로 정리했다.Q. '소정근로 대가성'과 '고정성'이라는 용어가 생소하다.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다면 어떤 의미인가?A. '소정근로 대가성'은 근로자가 기본적으로 일하기로 약속한 시간(소정근로시간)에 대해 받는 보상, 즉 기본급과 정기수당을 의미한다.'고정성'은 일정 조건 없이 사전에 확정된 금액을 뜻하며, 이번 판결로 이 요건이 제외되어 재직 조건 등이 붙어도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게 됐다.Q. 통상임금 범위가 확대되면 최저임금 산정에도 영향을 미치는가?A. 직접적 영향은 없지만, 최저임금 준수 여부 판단 시 포함되는 임금 항목이 달라질 수 있다.성과연봉제의 경우 변동성과 고정성에 따라 통상임금 포함 여부가 갈리며, 임금피크제는 축소된 임금을 기준으로 수당을 재산정해야 할 수 있다.Q. 어떤 업종이 이번 판결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나?A. 제조업, 금융업, 운수업, 보건의료업 등이 해당된다. 이들 산업은 정기상여금과 수당 비중이 높고, 교대근무가 잦아 통상임금 산정 방식이 바뀔 경우 인건비 상승 부담이 크다.Q. 이번 판례는 노사 협상에도 영향을 주나?A. 당연하다. 기본급 중심 임금체계 개편, 성과급 확대 시도, 과거 미지급 수당에 대한 협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임금 항목의 재정비를 두고 노사 간 갈등도 커질 수 있다.Q. 이 판결은 근로자에게 무조건 유리한가?A. 단기적으로는 법정수당 증가로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이 대응 전략으로 연장근로 축소, 성과급 전환 등을 추진할 경우 장기적 임금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Q. 기업이 가장 먼저 검토해야 할 대응책은?A. 임금체계 점검 및 수당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 재검토연장·야간수당 등 법정수당 재산정취업규칙 및 단체협약 수정중장기 임금 구조 개편 전략 수립근로자와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 강화Q. 법무법인 대륜의 통상임금 TF팀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A. 2024년 12월 판결 직후 발족된 TF팀은 노동 전문 변호사, 노무사 등으로 구성돼 기업의 법적 리스크 최소화에 주력하고 있다.통상임금 진단, 법정수당 재산정 자문, 임금체계 개편 컨설팅, 노사협상 지원, 법적 분쟁 대응까지 전방위 지원 중이다. 김미영 기자(kmy@dailycc.net) [기사전문보기] [Q&A] 대법 판례 바뀐 통상임금, 우리 회사도 영향 받을까? (바로가기)
충청신문
2025-04-03
[Q&A] 대법 판례 바뀐 통상임금, 우리 회사도 영향 받을까?
[Q&A] 대법 판례 바뀐 통상임금, 우리 회사도 영향 받을까?
2024년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통상임금의 '고정성' 요건을 폐기하는 판결을 내렸다.이로 인해 기존에는 통상임금에서 제외되던 정기상여금, 재직조건이나 근무일수 조건이 붙은 정기상여금 등 각종 수당들을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와 근로자 모두에게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기업 입장에서는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연차수당 등을 새 기준으로 재산정해야 하는 부담이 생겼고, 기존 임금체계를 대대적으로 손봐야 할 상황에 놓였다.특히 제조업·금융업처럼 수당 비중이 높은 산업군은 법적 리스크와 인건비 부담이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반면 근로자는 단기적으로 임금 상승이 기대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고용 불안정이나 성과급 중심 보상 구조로의 전환 등 새로운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충청신문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 분사무소의 노동법 전문 김정범 변호사를 만나, 통상임금의 기본 개념부터 대법원 판례 변경의 파장, 그리고 기업이 실무에서 취해야 할 구체적인 대응 방안까지 Q&A 형식으로 정리했다.Q. '소정근로 대가성'과 '고정성'이라는 용어가 생소하다.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다면 어떤 의미인가?A. '소정근로 대가성'은 근로자가 기본적으로 일하기로 약속한 시간(소정근로시간)에 대해 받는 보상, 즉 기본급과 정기수당을 의미한다.'고정성'은 일정 조건 없이 사전에 확정된 금액을 뜻하며, 이번 판결로 이 요건이 제외되어 재직 조건 등이 붙어도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게 됐다.Q. 통상임금 범위가 확대되면 최저임금 산정에도 영향을 미치는가?A. 직접적 영향은 없지만, 최저임금 준수 여부 판단 시 포함되는 임금 항목이 달라질 수 있다.성과연봉제의 경우 변동성과 고정성에 따라 통상임금 포함 여부가 갈리며, 임금피크제는 축소된 임금을 기준으로 수당을 재산정해야 할 수 있다.Q. 어떤 업종이 이번 판결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나?A. 제조업, 금융업, 운수업, 보건의료업 등이 해당된다. 이들 산업은 정기상여금과 수당 비중이 높고, 교대근무가 잦아 통상임금 산정 방식이 바뀔 경우 인건비 상승 부담이 크다.Q. 이번 판례는 노사 협상에도 영향을 주나?A. 당연하다. 기본급 중심 임금체계 개편, 성과급 확대 시도, 과거 미지급 수당에 대한 협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임금 항목의 재정비를 두고 노사 간 갈등도 커질 수 있다.Q. 이 판결은 근로자에게 무조건 유리한가?A. 단기적으로는 법정수당 증가로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이 대응 전략으로 연장근로 축소, 성과급 전환 등을 추진할 경우 장기적 임금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Q. 기업이 가장 먼저 검토해야 할 대응책은?A. 임금체계 점검 및 수당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 재검토연장·야간수당 등 법정수당 재산정취업규칙 및 단체협약 수정중장기 임금 구조 개편 전략 수립근로자와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 강화Q. 법무법인 대륜의 통상임금 TF팀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A. 2024년 12월 판결 직후 발족된 TF팀은 노동 전문 변호사, 노무사 등으로 구성돼 기업의 법적 리스크 최소화에 주력하고 있다.통상임금 진단, 법정수당 재산정 자문, 임금체계 개편 컨설팅, 노사협상 지원, 법적 분쟁 대응까지 전방위 지원 중이다. 김미영 기자(kmy@dailycc.net) [기사전문보기] [Q&A] 대법 판례 바뀐 통상임금, 우리 회사도 영향 받을까?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4-02
[기고] 수사초기, 어떻게 방어할 것인가
[기고] 수사초기, 어떻게 방어할 것인가
형사사건 절차는 검사의 기소를 기준으로 크게 수사단계와 재판단계로 나뉜다. 그리고 수사단계는 다시 경찰의 송치 전과 후로 나눠져, 경찰단계와 검찰단계로 진행된다.실무를 하다 보면 경찰 조사를 이미 받고 난 뒤에야 변호사를 찾는 의뢰인을 접하게 된다. 본인은 단순히 조사를 한번 받고 온 정도로 여기지만, 변호사의 입장에서 보면 이미 사건의 큰 분기점을 지나온 경우도 많다.검사의 기소로 인해 재판이 시작되기에, 일반인들은 수사 초기 대응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수사 초기, 특히 경찰 단계에서 사건의 윤곽과 방향이 거의 결정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혐의를 인정할지 여부, 어떤 진술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 진술 태도와 표현 하나하나가 기소 여부와 향후 방어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나 진술이 오락가락하거나 일관성이 없다면, 본인 진술 전체에 대한 신빙성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실제로 유사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법률적 조력을 받아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수사기관에 의견서를 제출하며 일관된 주장을 이어간 경우에는 ‘혐의 없음’이나 ‘기소유예’ 처분을 받는 결과로 이어진 사례가 적지 않다. 반대로, 피의자가 혼자서 수차례 조사에 임한 후 뒤늦게 변호인을 선임했을 경우에는 이미 불리한 진술이 조서로 남아 있어 방어의 여지가 크게 줄어든다. 어떤 경우에는 당황에서 무작정 혐의를 부인했다가 이후 입장을 바꾸어 범행을 인정하는 바람에, ‘초기부터 수사에 협조했다’는 중요한 양형 요소마저 잃는 경우도 생긴다.이처럼 수사 초기 대응은 단순히 “조사만 받고 오면 된다”는 인식과는 전혀 다르다. 한 번 남겨진 진술은 쉽게 되돌릴 수 없고, 조서에 기재된 표현 하나로 법적 해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수사기관의 조사에 임하기 전, 자신의 입장을 정확히 정리하고, 사건의 법적 구조와 쟁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들은 후 진술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따라서 수사를 받기 전부터 법률적 조력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방어 전략은 빠를수록 유리하며, 형사절차는 기소 이후가 아니라 이미 조사 이전부터 시작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수사초기, 어떻게 방어할 것인가 (바로가기)
매일일보
2025-04-02
[기고] 수사초기, 어떻게 방어할 것인가
[기고] 수사초기, 어떻게 방어할 것인가
형사사건 절차는 검사의 기소를 기준으로 크게 수사단계와 재판단계로 나뉜다. 그리고 수사단계는 다시 경찰의 송치 전과 후로 나눠져, 경찰단계와 검찰단계로 진행된다.실무를 하다 보면 경찰 조사를 이미 받고 난 뒤에야 변호사를 찾는 의뢰인을 접하게 된다. 본인은 단순히 조사를 한번 받고 온 정도로 여기지만, 변호사의 입장에서 보면 이미 사건의 큰 분기점을 지나온 경우도 많다.검사의 기소로 인해 재판이 시작되기에, 일반인들은 수사 초기 대응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수사 초기, 특히 경찰 단계에서 사건의 윤곽과 방향이 거의 결정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혐의를 인정할지 여부, 어떤 진술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 진술 태도와 표현 하나하나가 기소 여부와 향후 방어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나 진술이 오락가락하거나 일관성이 없다면, 본인 진술 전체에 대한 신빙성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실제로 유사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법률적 조력을 받아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수사기관에 의견서를 제출하며 일관된 주장을 이어간 경우에는 ‘혐의 없음’이나 ‘기소유예’ 처분을 받는 결과로 이어진 사례가 적지 않다. 반대로, 피의자가 혼자서 수차례 조사에 임한 후 뒤늦게 변호인을 선임했을 경우에는 이미 불리한 진술이 조서로 남아 있어 방어의 여지가 크게 줄어든다. 어떤 경우에는 당황에서 무작정 혐의를 부인했다가 이후 입장을 바꾸어 범행을 인정하는 바람에, ‘초기부터 수사에 협조했다’는 중요한 양형 요소마저 잃는 경우도 생긴다.이처럼 수사 초기 대응은 단순히 “조사만 받고 오면 된다”는 인식과는 전혀 다르다. 한 번 남겨진 진술은 쉽게 되돌릴 수 없고, 조서에 기재된 표현 하나로 법적 해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수사기관의 조사에 임하기 전, 자신의 입장을 정확히 정리하고, 사건의 법적 구조와 쟁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들은 후 진술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따라서 수사를 받기 전부터 법률적 조력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방어 전략은 빠를수록 유리하며, 형사절차는 기소 이후가 아니라 이미 조사 이전부터 시작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수사초기, 어떻게 방어할 것인가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4-02
법무법인 대륜, 눈에미소안과의원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눈에미소안과의원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눈에미소안과의원과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협약은 지난 1일 눈에미소안과의원 본사에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박성동 변호사와 눈에미소안과의원 구형진 대표원장, 김민숙 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눈에미소안과의원은 대표적인 시력교정 전문 의료기관으로 스마일 라식 수술 분야에서 많은 경험과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눈에미소안과의원에 법률자문 등을 지원할 계획이며, 눈에미소안과의원은 대륜 임직원을 대상으로 시력 관련 의료 서비스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구형진 눈에미소안과의원 대표원장은 “대륜과의 협약은 법률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점에서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특히 스마일 라식 분야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륜 임직원에게도 최고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의사, 한의사, 약사 등 출신 등 의료전문변호사가 다수 소속된 의료제약그룹과 병원 경영에 대한 총체적인 자문이 가능한 기업법무그룹이 있다”라면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의료기관을 위한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전달하고 눈에미소안과의원의 안정적인 의료서비스 운영을 돕겠다”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최근 증가하는 의료기업의 수요에 발맞춰 제약, 바이오, 헬스케어, 공정거래 등 각 분야에 정통한 법률 전문가들을 영입해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과 의료제약 그룹을 대폭 강화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눈에미소안과의원과 MOU 체결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4-02
법무법인 대륜, 눈에미소안과의원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눈에미소안과의원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이 눈에미소안과의원과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협약은 지난 1일 눈에미소안과의원 본사에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박성동 변호사와 눈에미소안과의원 구형진 대표원장, 김민숙 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눈에미소안과의원은 대표적인 시력교정 전문 의료기관으로 스마일 라식 수술 분야에서 많은 경험과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눈에미소안과의원에 법률자문 등을 지원할 계획이며, 눈에미소안과의원은 대륜 임직원을 대상으로 시력 관련 의료 서비스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구형진 눈에미소안과의원 대표원장은 “대륜과의 협약은 법률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점에서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특히 스마일 라식 분야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륜 임직원에게도 최고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의사, 한의사, 약사 등 출신 등 의료전문변호사가 다수 소속된 의료제약그룹과 병원 경영에 대한 총체적인 자문이 가능한 기업법무그룹이 있다”라면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의료기관을 위한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전달하고 눈에미소안과의원의 안정적인 의료서비스 운영을 돕겠다”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최근 증가하는 의료기업의 수요에 발맞춰 제약, 바이오, 헬스케어, 공정거래 등 각 분야에 정통한 법률 전문가들을 영입해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과 의료제약 그룹을 대폭 강화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눈에미소안과의원과 MOU 체결 (바로가기)
로이슈
2025-04-02
억울하게 뒤집어 쓴 성범죄, 변호사 조력으로 혐의 벗어나야
억울하게 뒤집어 쓴 성범죄, 변호사 조력으로 혐의 벗어나야
부산에 사는 직장인 A씨는 평소 가깝게 지내던 회사 동료와 함께 술을 마시고 잠에 들었다가 성범죄에 연루됐다. 동료가 A씨를 상대로 고소를 진행한 것인데, 검찰은 피해자의 진술을 토대로 A씨를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부산지법은 증거가 불충분하다며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성범죄는 강제추행, 준강간, 강간 등 사안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3대 강력범죄'에 포함되는 만큼 강하게 처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준강제추행죄만 하더라도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선고될 수 있고, 강간죄의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으로 벌금 없이 징역형으로만 구성돼 있다.다만 성범죄 사건은 주로 폐쇄적인 장소에서 발생하는 만큼, 객관적 증거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다수다. 그렇기에 피해자의 진술이 유일한 증거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피의자 역시 억울한 상황에 놓였을시 스스로 무죄를 입증하기 어렵기도 하다.만약 성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음에도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다면 대응 전략을 체계적으로 세워야 한다. 무엇보다 논리적으로 변론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혐의를 주장하는 입장에서도 일관된 진술을 통해 수사·사법기관으로부터 신빙성을 인정받아야 한다.이와 함께 혐의를 벗을 수 있는 자료를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CCTV, 메시지 기록, 통화녹음 등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피해자의 진술과 모순되는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아울러 성추행 혐의로 기소됐다면, 이에 대한 고의가 없었음을 주장해야 한다. 법원은 범죄 발생 장소, 신체 접촉 계기, 주위의 상황과 신고 경위 등을 종합해 유죄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구체적인 시뮬레이션 등 상황 검증을 통해 불가피한 접촉이었음을 입증해야 한다.앞선 사례에서 A씨는 성범죄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했다. 이와 함께, 사건 발생 직후 피해자와 평소처럼 메시지를 주고받은 정황 등을 증거자료로 내세웠다. 또 피해자의 진술과 증인의 발언에 모순이 있다는 점을 강조해 혐의를 벗을 수 있었다.법무법인 대륜 부산본부 분사무소 이승호 변호사는 “성범죄에 연루됐다면 전문가와 함께 초기 단계부터 신중한 접근과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고, 나아가 혐의가 허위 주장에서 비롯된 것이 밝혀진다면 무고죄와 관련한 법적 대응도 지원받을 수 있다”며 “만일 성범죄를 저질렀다면 혐의를 인정하고 합의를 하는 등 감형에 유리한 양형사유를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억울하게 뒤집어 쓴 성범죄, 변호사 조력으로 혐의 벗어나야 (바로가기)
로이슈
2025-04-02
억울하게 뒤집어 쓴 성범죄, 변호사 조력으로 혐의 벗어나야
억울하게 뒤집어 쓴 성범죄, 변호사 조력으로 혐의 벗어나야
부산에 사는 직장인 A씨는 평소 가깝게 지내던 회사 동료와 함께 술을 마시고 잠에 들었다가 성범죄에 연루됐다. 동료가 A씨를 상대로 고소를 진행한 것인데, 검찰은 피해자의 진술을 토대로 A씨를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부산지법은 증거가 불충분하다며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성범죄는 강제추행, 준강간, 강간 등 사안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3대 강력범죄'에 포함되는 만큼 강하게 처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준강제추행죄만 하더라도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선고될 수 있고, 강간죄의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으로 벌금 없이 징역형으로만 구성돼 있다.다만 성범죄 사건은 주로 폐쇄적인 장소에서 발생하는 만큼, 객관적 증거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다수다. 그렇기에 피해자의 진술이 유일한 증거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피의자 역시 억울한 상황에 놓였을시 스스로 무죄를 입증하기 어렵기도 하다.만약 성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음에도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다면 대응 전략을 체계적으로 세워야 한다. 무엇보다 논리적으로 변론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혐의를 주장하는 입장에서도 일관된 진술을 통해 수사·사법기관으로부터 신빙성을 인정받아야 한다.이와 함께 혐의를 벗을 수 있는 자료를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CCTV, 메시지 기록, 통화녹음 등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피해자의 진술과 모순되는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아울러 성추행 혐의로 기소됐다면, 이에 대한 고의가 없었음을 주장해야 한다. 법원은 범죄 발생 장소, 신체 접촉 계기, 주위의 상황과 신고 경위 등을 종합해 유죄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구체적인 시뮬레이션 등 상황 검증을 통해 불가피한 접촉이었음을 입증해야 한다.앞선 사례에서 A씨는 성범죄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했다. 이와 함께, 사건 발생 직후 피해자와 평소처럼 메시지를 주고받은 정황 등을 증거자료로 내세웠다. 또 피해자의 진술과 증인의 발언에 모순이 있다는 점을 강조해 혐의를 벗을 수 있었다.법무법인 대륜 부산본부 분사무소 이승호 변호사는 “성범죄에 연루됐다면 전문가와 함께 초기 단계부터 신중한 접근과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고, 나아가 혐의가 허위 주장에서 비롯된 것이 밝혀진다면 무고죄와 관련한 법적 대응도 지원받을 수 있다”며 “만일 성범죄를 저질렀다면 혐의를 인정하고 합의를 하는 등 감형에 유리한 양형사유를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억울하게 뒤집어 쓴 성범죄, 변호사 조력으로 혐의 벗어나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02
‘초기 진단부터 정확하게’···대륜, ‘법률 종합병원’ 모토로 법률서비스 차별화
‘초기 진단부터 정확하게’···대륜, ‘법률 종합병원’ 모토로 법률서비스 차별화
종합병원처럼 체계적 사건진단·맞춤형 전문가 배정···‘통합형 로펌’ 시스템 구축“전 분야 전문성 강화···초기 상담부터 해결까지 빈틈없는 법률 지원 아끼지 않겠다” 법률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상담부터 재판까지 소송의 모든 과정을 변호사 개인이 담당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면, 이제는 민사 분쟁이 형사 사건으로 번지거나, 기업 분쟁이 공정거래법 위반과 연결되는 등 사건의 복잡성이 증대되면서, 종합적인 법률 솔루션 제공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9년 전 법무법인 대륜은 ‘법률 종합병원’이라는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구축하며 등장해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종합병원에서 여러 전문의가 협업해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처럼, 대륜 역시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대륜은 이를 바탕으로 설립 9년 만에 2024년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최단기 10대 로펌’에 등극했다.법무법인(유)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종합병원에서는 정확한 질병 진단을 위해 응급의학과 및 병리과 의사가 상담을 통해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전문의를 배정한다”면서, “법률문제도 초기 진단이 중요하기 때문에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사건별 특징을 분석해 맞는 전문가를 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실제로 로펌 대륜 내에서는 초기에 정확하고 빠른 쟁점 파악을 위해 법률상담만을 진행하는 변호사가 1차 상담을 도맡아 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경험한 변호사가 사건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최적의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김국일 대표는 “상담변호사를 통해 솔루션 제공을 넘어 연관된 법적 리스크에 대한 법률 조언까지 선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아울러 로펌 대륜은 자체 배당 제도를 정비해 ‘통합형 로펌’으로도 자리 잡았다. 상담변호사의 사건 진단이 끝나면, 이후 민·형사는 물론 기업 법무, 금융, 지식재산권, 채권추심 등 각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가 배치돼 사건 해결을 돕는다.기업 등 고객이 여러 로펌을 전전할 필요 없이 로펌 대륜 내에서 모든 필요한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한 것이다. 세무, 회계, 국제통상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 영입을 통해 확보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종합적인 대응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나아가 여의도 주사무소와 전국 42개 분사무소간 긴밀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해 어디서든 상담받아도 해당 사건에 특화된 전문가가 배치되도록 주사무소 컨트롤타워를 통한 직배당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이는 서울과 지역간 법률서비스 질의 격차가 있는 기존의 법률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로펌 대륜의 설립 초기부터 마련한 시스템이다.로펌 대륜의 고병준 경영총괄대표는 “고객이 로펌을 찾아온 목적은 법률적인 지원을 통해 승소하는 것이다.”라면서, “기존 좁은 지역내에서 변호사 선택권의 제약을 받던 고객들이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 자신의 사건에 경험이 많고 전문성있는 변호사를 최적으로 매칭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처럼 대륜은 수백 명의 변호사 안에서 고객 사건에 최적인 변호사가 포함된 원팀에서 사건을 담당하고 진행 전략을 수립하고 진행하도록 한다”고 설명했다.고병준 경영총괄대표변호사는 “대륜은 의뢰인의 권익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있기고 있다. ‘법률 종합병원’을 모토로 어떠한 분야의 사건일지라도 대륜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성 강화를 꾸준히 한 것이 오늘날 대륜을 만들었다”면서, “대륜만의 고유 시스템을 통해 초기 상담부터 최종 해결까지 빈틈없는 법률 지원으로 의뢰인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법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초기 진단부터 정확하게’···대륜, ‘법률 종합병원’ 모토로 법률서비스 차별화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02
‘초기 진단부터 정확하게’···대륜, ‘법률 종합병원’ 모토로 법률서비스 차별화
‘초기 진단부터 정확하게’···대륜, ‘법률 종합병원’ 모토로 법률서비스 차별화
종합병원처럼 체계적 사건진단·맞춤형 전문가 배정···‘통합형 로펌’ 시스템 구축“전 분야 전문성 강화···초기 상담부터 해결까지 빈틈없는 법률 지원 아끼지 않겠다” 법률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상담부터 재판까지 소송의 모든 과정을 변호사 개인이 담당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면, 이제는 민사 분쟁이 형사 사건으로 번지거나, 기업 분쟁이 공정거래법 위반과 연결되는 등 사건의 복잡성이 증대되면서, 종합적인 법률 솔루션 제공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9년 전 법무법인 대륜은 ‘법률 종합병원’이라는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구축하며 등장해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종합병원에서 여러 전문의가 협업해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처럼, 대륜 역시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대륜은 이를 바탕으로 설립 9년 만에 2024년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최단기 10대 로펌’에 등극했다.법무법인(유)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종합병원에서는 정확한 질병 진단을 위해 응급의학과 및 병리과 의사가 상담을 통해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전문의를 배정한다”면서, “법률문제도 초기 진단이 중요하기 때문에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사건별 특징을 분석해 맞는 전문가를 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실제로 로펌 대륜 내에서는 초기에 정확하고 빠른 쟁점 파악을 위해 법률상담만을 진행하는 변호사가 1차 상담을 도맡아 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경험한 변호사가 사건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최적의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김국일 대표는 “상담변호사를 통해 솔루션 제공을 넘어 연관된 법적 리스크에 대한 법률 조언까지 선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아울러 로펌 대륜은 자체 배당 제도를 정비해 ‘통합형 로펌’으로도 자리 잡았다. 상담변호사의 사건 진단이 끝나면, 이후 민·형사는 물론 기업 법무, 금융, 지식재산권, 채권추심 등 각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가 배치돼 사건 해결을 돕는다.기업 등 고객이 여러 로펌을 전전할 필요 없이 로펌 대륜 내에서 모든 필요한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한 것이다. 세무, 회계, 국제통상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 영입을 통해 확보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종합적인 대응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나아가 여의도 주사무소와 전국 42개 분사무소간 긴밀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해 어디서든 상담받아도 해당 사건에 특화된 전문가가 배치되도록 주사무소 컨트롤타워를 통한 직배당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이는 서울과 지역간 법률서비스 질의 격차가 있는 기존의 법률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로펌 대륜의 설립 초기부터 마련한 시스템이다.로펌 대륜의 고병준 경영총괄대표는 “고객이 로펌을 찾아온 목적은 법률적인 지원을 통해 승소하는 것이다.”라면서, “기존 좁은 지역내에서 변호사 선택권의 제약을 받던 고객들이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 자신의 사건에 경험이 많고 전문성있는 변호사를 최적으로 매칭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처럼 대륜은 수백 명의 변호사 안에서 고객 사건에 최적인 변호사가 포함된 원팀에서 사건을 담당하고 진행 전략을 수립하고 진행하도록 한다”고 설명했다.고병준 경영총괄대표변호사는 “대륜은 의뢰인의 권익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있기고 있다. ‘법률 종합병원’을 모토로 어떠한 분야의 사건일지라도 대륜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성 강화를 꾸준히 한 것이 오늘날 대륜을 만들었다”면서, “대륜만의 고유 시스템을 통해 초기 상담부터 최종 해결까지 빈틈없는 법률 지원으로 의뢰인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법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초기 진단부터 정확하게’···대륜, ‘법률 종합병원’ 모토로 법률서비스 차별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02
사내 지원금 부정 수급 근로자 해고 조치..노동위 '부당해고'
사내 지원금 부정 수급 근로자 해고 조치..노동위 '부당해고'
근로자가 착오로 부정한 행위를 했다면 중대한 비위 행위로 볼 수 없다는 노동위원회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남지방노동위원회는 지난 2월 40대 남성 A씨가 운수업체 B사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 구제신청 소송에서 인용 판정을 내렸습니다.사측에 A씨의 복직과 해고 기간 동안 받지 못한 임금을 지급하라고도 명령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비연고 지역 발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내 지원금 약 2,000만 원을 부정하게 수급했다는 이유로 해고 통보를 받았습니다.사측은 발령 이후 가족과 떨어져 지내던 A씨가 다시 자녀와 함께 거주하게 됐음에도 이를 회사에 알리지 않은 채 지원금을 수령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배우자와 육아를 분담하는 과정에서 자녀를 자신의 집에 머물게 했을 뿐, 횡령 의도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또 부정 수급한 금액은 모두 반환했고, 과거 유사한 사례에서 정직 처분을 내린 것과 비교했을 때 과한 처분을 받았다고 강조했습니다.위원회는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근로자가 가족과 동거하지 않았다고 볼만한 객관적인 자료가 없어 부정 수급의 행위는 인정된다"면서도 "지원금 자격 상실 사유인 '가족과의 동거' 기준에 대해 명확히 정해진 바가 없어 근로자들이 기준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는 판단입니다.이어 "근로자가 상실 사유 기준을 착오해 다르게 판단할 수 있어 악의에 의해 실행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부정 수급액 전액이 환수됐고 비슷한 사례에 내린 처분과 형평성이 어긋난다"면서 부당해고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A씨 측 법무법인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해고를 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에게 사회통념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의 비위 행위가 존재해야 한다"며 "A씨의 경우 일정 시간 자녀를 집에 머물게 하며 돌봤기 때문에 부정한 비위 행위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내 지원금 부정 수급 근로자 해고 조치..노동위 '부당해고'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4-02
사내 지원금 부정 수급 근로자 해고 조치..노동위 '부당해고'
사내 지원금 부정 수급 근로자 해고 조치..노동위 '부당해고'
근로자가 착오로 부정한 행위를 했다면 중대한 비위 행위로 볼 수 없다는 노동위원회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남지방노동위원회는 지난 2월 40대 남성 A씨가 운수업체 B사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 구제신청 소송에서 인용 판정을 내렸습니다.사측에 A씨의 복직과 해고 기간 동안 받지 못한 임금을 지급하라고도 명령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비연고 지역 발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내 지원금 약 2,000만 원을 부정하게 수급했다는 이유로 해고 통보를 받았습니다.사측은 발령 이후 가족과 떨어져 지내던 A씨가 다시 자녀와 함께 거주하게 됐음에도 이를 회사에 알리지 않은 채 지원금을 수령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배우자와 육아를 분담하는 과정에서 자녀를 자신의 집에 머물게 했을 뿐, 횡령 의도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또 부정 수급한 금액은 모두 반환했고, 과거 유사한 사례에서 정직 처분을 내린 것과 비교했을 때 과한 처분을 받았다고 강조했습니다.위원회는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근로자가 가족과 동거하지 않았다고 볼만한 객관적인 자료가 없어 부정 수급의 행위는 인정된다"면서도 "지원금 자격 상실 사유인 '가족과의 동거' 기준에 대해 명확히 정해진 바가 없어 근로자들이 기준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는 판단입니다.이어 "근로자가 상실 사유 기준을 착오해 다르게 판단할 수 있어 악의에 의해 실행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부정 수급액 전액이 환수됐고 비슷한 사례에 내린 처분과 형평성이 어긋난다"면서 부당해고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A씨 측 법무법인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해고를 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에게 사회통념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의 비위 행위가 존재해야 한다"며 "A씨의 경우 일정 시간 자녀를 집에 머물게 하며 돌봤기 때문에 부정한 비위 행위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내 지원금 부정 수급 근로자 해고 조치..노동위 '부당해고'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02
‘대표 계정 로그인해 이메일 열람’ 직원…法 “비밀침해 아냐” 무죄
‘대표 계정 로그인해 이메일 열람’ 직원…法 “비밀침해 아냐” 무죄
허가 없이 포털 메일함 접속 혐의직원 “채용업무 위해 목록만 확인”재판부 “공유된 정보…고의 없어” 타인의 계정에 무단으로 로그인해 이메일을 확인한 혐의로 기소된 20대가 무죄를 선고받았다.울산지방법원은 지난 2월 20일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아동센터 교사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1년 자신이 근무하던 아동센터 대표 B 씨의 포털사이트 계정에 무단으로 로그인하고 메일 목록을 열람한 혐의를 받았다.당시 A 씨는 신규 직원 채용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지원자 목록을 확인해 달라는 동료의 요청에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평소 대표가 업무상 이유로 직원들에게 계정을 공유했고, 해당 계정이 자동 로그인 상태로 설정돼 누구든 접속할 수 있었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러면서 채용 관련 메일만 확인했을 뿐 개인적 이메일은 열람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에게 죄가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피고인을 포함한 직원들에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공유했다”며 “피고인에게 이메일에 접근할 정당한 권한이 없거나 허용된 권한을 넘어 계정에 침입했다는 고의가 없다”고 판시했다.이어 “이메일에 접속해 목록만 확인했을 뿐 특정 이메일을 클릭하지 않아 내용까지 알아냈다고 할 수 없다”며 “이력서 접수 여부 역시 비밀로 할 사항이라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전현주 변호사는 “전자기록 등 내용탐지죄는 비밀 장치가 된 전자기록을 기술적 수단을 이용해 내용을 알아내는 경우 성립한다”며 “이 사건은 해킹 등의 방법 없이 자동 로그인 상태에서 이메일에 접속했기 때문에 범죄가 성립할 수 없다는 점을 재판부가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대표 계정 로그인해 이메일 열람’ 직원…法 “비밀침해 아냐” 무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4-02
‘대표 계정 로그인해 이메일 열람’ 직원…法 “비밀침해 아냐” 무죄
‘대표 계정 로그인해 이메일 열람’ 직원…法 “비밀침해 아냐” 무죄
허가 없이 포털 메일함 접속 혐의직원 “채용업무 위해 목록만 확인”재판부 “공유된 정보…고의 없어” 타인의 계정에 무단으로 로그인해 이메일을 확인한 혐의로 기소된 20대가 무죄를 선고받았다.울산지방법원은 지난 2월 20일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아동센터 교사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1년 자신이 근무하던 아동센터 대표 B 씨의 포털사이트 계정에 무단으로 로그인하고 메일 목록을 열람한 혐의를 받았다.당시 A 씨는 신규 직원 채용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지원자 목록을 확인해 달라는 동료의 요청에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A 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평소 대표가 업무상 이유로 직원들에게 계정을 공유했고, 해당 계정이 자동 로그인 상태로 설정돼 누구든 접속할 수 있었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러면서 채용 관련 메일만 확인했을 뿐 개인적 이메일은 열람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에게 죄가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해자는 피고인을 포함한 직원들에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공유했다”며 “피고인에게 이메일에 접근할 정당한 권한이 없거나 허용된 권한을 넘어 계정에 침입했다는 고의가 없다”고 판시했다.이어 “이메일에 접속해 목록만 확인했을 뿐 특정 이메일을 클릭하지 않아 내용까지 알아냈다고 할 수 없다”며 “이력서 접수 여부 역시 비밀로 할 사항이라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전현주 변호사는 “전자기록 등 내용탐지죄는 비밀 장치가 된 전자기록을 기술적 수단을 이용해 내용을 알아내는 경우 성립한다”며 “이 사건은 해킹 등의 방법 없이 자동 로그인 상태에서 이메일에 접속했기 때문에 범죄가 성립할 수 없다는 점을 재판부가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대표 계정 로그인해 이메일 열람’ 직원…法 “비밀침해 아냐” 무죄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5곳
2025-04-02
"티메프 사태 재연 우려"…법무법인 대륜 '발란' 회생 TF 출범
"티메프 사태 재연 우려"…법무법인 대륜 '발란' 회생 TF 출범
대륜, 티메프 사태 때 민·형사 소송 주도'발란' 회생신청에 "선제 대응 필요" 법무법인 대륜이 온라인 명품 거래 플랫폼 ‘발란’의 회생신청에 따른 피해자 지원법률지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2일 밝혔다. 대륜은 이번 TF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의 피해 구제, 플랫폼의 자금 운용 구조 분석, 형사책임 검토 및 집단소송 등 다각적인 법률 대응을 전개할 예정이다.TF에는 대륜 기업법무그룹 소속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IT 법률 전문가 등 10인 이상의 전문 인력이 투입된다. 이번 TF 출범과 관련해 기업법무그룹장을 담당하고 있는 대륜 손계준 변호사는 “발란 사태는 전형적인 소비자 신뢰 기반 플랫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리스크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단순한 환불 문제를 넘어 플랫폼의 자금 운용 방식과 약관의 위법성 등 복합적인 법적 쟁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TF는 손 변호사를 필두로 기업법무와 조세 분야 전문가이자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에서도 활약한 바 있는 신종수 변호사가 합류했다. 이 외에도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노동전문변호사이자 기업소송 전문가인 방인태 변호사 △한국피자헛소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기업회생·파산 전문가 김원상 변호사 △사내변호사 출신으로 공정거래·특허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지민희 변호사 △다수 기업의 심의·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인사·노무 전문가 정상혁 변호사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등 기업소송 및 자문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조희곤 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도산전문변호사로 다수의 회생·파산 사건을 수행한 김서영 변호사 △포스코 그룹 계열사 법무부장 출신 남영재 변호사가 TF에 합류한다.아울러 △IT·서비스·유통 등 다수 기업의 노무법률 자문을 수행한 남서혜 노무사 △다수의 대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회계감사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박원찬 회계사가 회계, 노무 등 분야까지 검토해 아우르는 종합적인 대응에 나선다.대륜은 지난해 ‘티메프 사태’ 당시 정산금 미지급 피해를 입은 판매자들을 대리해 민·형사상 소송을 주도한 바 있다. 당시 대륜은 큐텐그룹 경영진을 사기·배임 혐의로 고소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으로 주목받았다. 대륜은 이번 발란 사태 역시 유사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고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륜은 이번 TF를 통해 소비자의 환불 지연 문제 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미정산 대금 문제, 신용카드 취소 거부, 약관 위반 여부 등 발란 사태 전반을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피해 확산 여부에 따라 집단 대응 절차도 병행할 방침이다.손 변호사는 “티메프 사태에 이어 발란 사태까지 발생하며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불투명한 정산 시스템과 자금 운용 방식이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번 TF를 통해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법적 조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대륜 전문가들의 자문을 바탕으로 플랫폼 산업 전반의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발란은 지난달 31일 투자자금 유치에 차질을 빚으며 유동성 경색에 빠져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에 정산 지연 문제가 발생하며 티메프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발란 측은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회생 인가 이전 인수자 유치하고 미지급 채권의 전액을 변제하겠다고 밝혔다.최오현(ohyo@edaily.co.kr) [기사전문보기] 이데일리 - "티메프 사태 재연 우려"…법무법인 대륜 '발란' 회생 TF 출범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제2의 티메프 사태 막아야"…대륜, ‘발란 사태’ 법률지원 어벤져스팀 구성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제2의 티메프 우려’ 발란 미정산 사태, 대륜 법률지원 TF 가동 (바로가기) 세계일보 -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대륜, 법률지원 TF 출범 (바로가기) 직썰 - 대륜, ‘발란 사태’ 법률지원 TF 출범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5곳
2025-04-02
"티메프 사태 재연 우려"…법무법인 대륜 '발란' 회생 TF 출범
"티메프 사태 재연 우려"…법무법인 대륜 '발란' 회생 TF 출범
대륜, 티메프 사태 때 민·형사 소송 주도'발란' 회생신청에 "선제 대응 필요" 법무법인 대륜이 온라인 명품 거래 플랫폼 ‘발란’의 회생신청에 따른 피해자 지원법률지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2일 밝혔다. 대륜은 이번 TF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의 피해 구제, 플랫폼의 자금 운용 구조 분석, 형사책임 검토 및 집단소송 등 다각적인 법률 대응을 전개할 예정이다.TF에는 대륜 기업법무그룹 소속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IT 법률 전문가 등 10인 이상의 전문 인력이 투입된다. 이번 TF 출범과 관련해 기업법무그룹장을 담당하고 있는 대륜 손계준 변호사는 “발란 사태는 전형적인 소비자 신뢰 기반 플랫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리스크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단순한 환불 문제를 넘어 플랫폼의 자금 운용 방식과 약관의 위법성 등 복합적인 법적 쟁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TF는 손 변호사를 필두로 기업법무와 조세 분야 전문가이자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에서도 활약한 바 있는 신종수 변호사가 합류했다. 이 외에도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노동전문변호사이자 기업소송 전문가인 방인태 변호사 △한국피자헛소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기업회생·파산 전문가 김원상 변호사 △사내변호사 출신으로 공정거래·특허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지민희 변호사 △다수 기업의 심의·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인사·노무 전문가 정상혁 변호사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등 기업소송 및 자문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조희곤 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도산전문변호사로 다수의 회생·파산 사건을 수행한 김서영 변호사 △포스코 그룹 계열사 법무부장 출신 남영재 변호사가 TF에 합류한다.아울러 △IT·서비스·유통 등 다수 기업의 노무법률 자문을 수행한 남서혜 노무사 △다수의 대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회계감사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박원찬 회계사가 회계, 노무 등 분야까지 검토해 아우르는 종합적인 대응에 나선다.대륜은 지난해 ‘티메프 사태’ 당시 정산금 미지급 피해를 입은 판매자들을 대리해 민·형사상 소송을 주도한 바 있다. 당시 대륜은 큐텐그룹 경영진을 사기·배임 혐의로 고소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으로 주목받았다. 대륜은 이번 발란 사태 역시 유사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고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륜은 이번 TF를 통해 소비자의 환불 지연 문제 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미정산 대금 문제, 신용카드 취소 거부, 약관 위반 여부 등 발란 사태 전반을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피해 확산 여부에 따라 집단 대응 절차도 병행할 방침이다.손 변호사는 “티메프 사태에 이어 발란 사태까지 발생하며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불투명한 정산 시스템과 자금 운용 방식이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번 TF를 통해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법적 조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대륜 전문가들의 자문을 바탕으로 플랫폼 산업 전반의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발란은 지난달 31일 투자자금 유치에 차질을 빚으며 유동성 경색에 빠져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에 정산 지연 문제가 발생하며 티메프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발란 측은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회생 인가 이전 인수자 유치하고 미지급 채권의 전액을 변제하겠다고 밝혔다.최오현(ohyo@edaily.co.kr) [기사전문보기] 이데일리 - "티메프 사태 재연 우려"…법무법인 대륜 '발란' 회생 TF 출범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제2의 티메프 사태 막아야"…대륜, ‘발란 사태’ 법률지원 어벤져스팀 구성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제2의 티메프 우려’ 발란 미정산 사태, 대륜 법률지원 TF 가동 (바로가기) 세계일보 -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대륜, 법률지원 TF 출범 (바로가기) 직썰 - 대륜, ‘발란 사태’ 법률지원 TF 출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01
산재손해배상, 승소 핵심 열쇠는 '사업주 과실 입증'
산재손해배상, 승소 핵심 열쇠는 '사업주 과실 입증'
지난해 산업재해보상 신청과 승인 건수가 근 10년간 최다를 기록했다. 근로복지공단의 연도별 산재 신청 및 승인 현황(2015~2024)에 의하면 지난해 산재 신청 건수는 17만 3,603건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승인 건수도 15만 1,753건을 기록하며 10년 사이 가장 많았다. 산업재해보상보험에 따른 산재보상은 근로자가 업무 중 재해를 당했을 때 '근로복지공단'에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업무와 재해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면 지급되는데 주로 의료비, 휴업급여, 장해급여, 유족급여 등으로 구분된다. 이는 '무과실책임주의' 성질을 갖고 있어 회사의 관리 소홀이나 근로자의 부주의 등 책임소재를 불문하고 보상이 이뤄진다.산재보상에 더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민사 소송인 산재손해배상이다. 산재손해배상은 산재보상과 달리 사업주의 과실 또는 고의로 인해 발생한 재해에 대해 법원이 사측에 배상을 명령하는 것이다.산재손해배상은 적극적, 소극적, 그리고 정신적 손해에 따라 다르게 청구할 수 있다. 먼저 적극적 손해에는 산재 요양 이전에 사용한 치료비와 향후 사용하게 될 치료비 등이 포함된다. 소극적 손해에는 일실수입과 퇴직금이 해당되며, 정신적 손해는 재해로 인한 근로자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를 의미한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사업주의 과실이다. 사업주는 근로계약에 의해 근로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만약 사업주가 안전장치나 작업환경 개선 등을 소홀히 해 재해가 발생했다면, 그 과실에 비례해 배상액이 결정된다. 이에 대한 증명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근로자가 해야 한다.다만 사업주에게 과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순순히 인정하는 경우는 드물다. 필자가 실제 담당했던 사건 중 하나로, 식당 근로자가 운영사 측에 소송을 제기한 사례가 있었다. 당시 해당 근로자는 바닥에 남아있던 물기로 인해 넘어져 무릎 등을 크게 다쳤다고 주장했는데, 사측은 근로자가 화장실을 가던 중 부상을 입었다며 업무와의 연관성을 부정했다.이에 필자는 기본적인 생리현상 해결을 위한 시간은 업무시간에 포함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여기에 사측이 근로 현장 내에 별다른 미끄럼 방지 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실도 피력해 손해배상금을 받아낼 수 있었다.이처럼 산재손해보상을 성공적으로 청구하기 위해서는 사고 발생 경위와 증거 자료를 확보해 사업주의 과실이 있음을 증명해야만 한다. 다만 민사 소송은 산재보험에 따른 보상과 달리 절차가 복잡함은 물론 각 사건마다 재해 기준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산재손해배상, 승소 핵심 열쇠는 '사업주 과실 입증'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4-01
산재손해배상, 승소 핵심 열쇠는 '사업주 과실 입증'
산재손해배상, 승소 핵심 열쇠는 '사업주 과실 입증'
지난해 산업재해보상 신청과 승인 건수가 근 10년간 최다를 기록했다. 근로복지공단의 연도별 산재 신청 및 승인 현황(2015~2024)에 의하면 지난해 산재 신청 건수는 17만 3,603건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승인 건수도 15만 1,753건을 기록하며 10년 사이 가장 많았다. 산업재해보상보험에 따른 산재보상은 근로자가 업무 중 재해를 당했을 때 '근로복지공단'에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업무와 재해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면 지급되는데 주로 의료비, 휴업급여, 장해급여, 유족급여 등으로 구분된다. 이는 '무과실책임주의' 성질을 갖고 있어 회사의 관리 소홀이나 근로자의 부주의 등 책임소재를 불문하고 보상이 이뤄진다.산재보상에 더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민사 소송인 산재손해배상이다. 산재손해배상은 산재보상과 달리 사업주의 과실 또는 고의로 인해 발생한 재해에 대해 법원이 사측에 배상을 명령하는 것이다.산재손해배상은 적극적, 소극적, 그리고 정신적 손해에 따라 다르게 청구할 수 있다. 먼저 적극적 손해에는 산재 요양 이전에 사용한 치료비와 향후 사용하게 될 치료비 등이 포함된다. 소극적 손해에는 일실수입과 퇴직금이 해당되며, 정신적 손해는 재해로 인한 근로자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를 의미한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사업주의 과실이다. 사업주는 근로계약에 의해 근로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만약 사업주가 안전장치나 작업환경 개선 등을 소홀히 해 재해가 발생했다면, 그 과실에 비례해 배상액이 결정된다. 이에 대한 증명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근로자가 해야 한다.다만 사업주에게 과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순순히 인정하는 경우는 드물다. 필자가 실제 담당했던 사건 중 하나로, 식당 근로자가 운영사 측에 소송을 제기한 사례가 있었다. 당시 해당 근로자는 바닥에 남아있던 물기로 인해 넘어져 무릎 등을 크게 다쳤다고 주장했는데, 사측은 근로자가 화장실을 가던 중 부상을 입었다며 업무와의 연관성을 부정했다.이에 필자는 기본적인 생리현상 해결을 위한 시간은 업무시간에 포함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여기에 사측이 근로 현장 내에 별다른 미끄럼 방지 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실도 피력해 손해배상금을 받아낼 수 있었다.이처럼 산재손해보상을 성공적으로 청구하기 위해서는 사고 발생 경위와 증거 자료를 확보해 사업주의 과실이 있음을 증명해야만 한다. 다만 민사 소송은 산재보험에 따른 보상과 달리 절차가 복잡함은 물론 각 사건마다 재해 기준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산재손해배상, 승소 핵심 열쇠는 '사업주 과실 입증'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01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험담해 송치된 병사···군검찰 ‘불기소’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험담해 송치된 병사···군검찰 ‘불기소’
생활관 내에서 상관에 대해 “뇌를 빼고···정신이상자”상관모욕·명예훼손 혐의변호인 “통화 중 불만 토로하다 과장된 사안···고의 없어” 동료 병사들이 있는 자리에서 상급자 험담을 했다는 혐의로 군검찰에 넘겨진 병사가 불기소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육군검찰단은 상관명예훼손·상관모욕 혐의를 받는 A병사에 대해 3월 7일 증거불충분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한 것으로 확인됐다.A병사는 2024년 11월 5명의 동료 병사들이 듣고 있는 가운데 같은 부대 소속의 상관들에 대해 “휴가를 줄 때도 뇌를 빼고 주는 것 같다. (피해자들은) 모두 정신이상자다”라고 말하고, 행정보급관에 대해서는 “아픈데 병원을 안보내준다. 치료를 받지 못했으니 의료법으로 신고하겠다”라고 발언해 허위의 사실을 공연히 적시한 혐의를 함께 받았다.A병사 측은 수사과정에서 “모친과 지극히 개인적인 통화를 한 것으로 행위의 공연성이 없어 상관모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혐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군 검찰은 “참고인들이 피의자의 발화 당시 상황 등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진술해 피의자가 피의사실과 같이 말한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피의자가 모친과의 통화에서 다소 과격한 표현을 사용했으나 그것이 피해자들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모욕적 언사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해 A병사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병사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 전효철 변호사는 “대법원 판결에 따르면, 모욕죄의 모욕에 해당하는지는 당사자들의 관계, 해당 표현에 이르게 된 경위, 표현방법, 당시 상황 등 객관적인 제반 사정에 비추어 상대방의 외부적 명예를 침해할만한 표현인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면서, “단순히 상대방 개인의 주관적 감정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전효철 변호사는 이어 “A병사는 모친에게 기대만큼 휴가를 받지 못했다는 불만을 토로하던 중 일부 과장된 표현이 사용됐을 뿐이다. 실제 작업 도중 다쳐 치료가 필요했던 것도 거짓이 아니었다”면서, “따라서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려는 고의가 있었다고 볼 수 없어 혐의없음으로 결론난 것”이라고 밝혔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험담해 송치된 병사···군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로리더
2025-04-01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험담해 송치된 병사···군검찰 ‘불기소’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험담해 송치된 병사···군검찰 ‘불기소’
생활관 내에서 상관에 대해 “뇌를 빼고···정신이상자”상관모욕·명예훼손 혐의변호인 “통화 중 불만 토로하다 과장된 사안···고의 없어” 동료 병사들이 있는 자리에서 상급자 험담을 했다는 혐의로 군검찰에 넘겨진 병사가 불기소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육군검찰단은 상관명예훼손·상관모욕 혐의를 받는 A병사에 대해 3월 7일 증거불충분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한 것으로 확인됐다.A병사는 2024년 11월 5명의 동료 병사들이 듣고 있는 가운데 같은 부대 소속의 상관들에 대해 “휴가를 줄 때도 뇌를 빼고 주는 것 같다. (피해자들은) 모두 정신이상자다”라고 말하고, 행정보급관에 대해서는 “아픈데 병원을 안보내준다. 치료를 받지 못했으니 의료법으로 신고하겠다”라고 발언해 허위의 사실을 공연히 적시한 혐의를 함께 받았다.A병사 측은 수사과정에서 “모친과 지극히 개인적인 통화를 한 것으로 행위의 공연성이 없어 상관모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혐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군 검찰은 “참고인들이 피의자의 발화 당시 상황 등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진술해 피의자가 피의사실과 같이 말한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피의자가 모친과의 통화에서 다소 과격한 표현을 사용했으나 그것이 피해자들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모욕적 언사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해 A병사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병사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 전효철 변호사는 “대법원 판결에 따르면, 모욕죄의 모욕에 해당하는지는 당사자들의 관계, 해당 표현에 이르게 된 경위, 표현방법, 당시 상황 등 객관적인 제반 사정에 비추어 상대방의 외부적 명예를 침해할만한 표현인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면서, “단순히 상대방 개인의 주관적 감정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전효철 변호사는 이어 “A병사는 모친에게 기대만큼 휴가를 받지 못했다는 불만을 토로하던 중 일부 과장된 표현이 사용됐을 뿐이다. 실제 작업 도중 다쳐 치료가 필요했던 것도 거짓이 아니었다”면서, “따라서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려는 고의가 있었다고 볼 수 없어 혐의없음으로 결론난 것”이라고 밝혔다.[로리더 손동욱 기자 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동료 병사들 앞에서 상관 험담해 송치된 병사···군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머니S
2025-03-31
정당방위였지만 뒤바뀐 가해자와 피해자… 중학생 학폭, 법원 판단은
정당방위였지만 뒤바뀐 가해자와 피해자… 중학생 학폭, 법원 판단은
해외 체험학습 캠프에서 처음 만난 또래 학생을 폭행한 10대가 재판부의 선처로 보호처분을 면하게 됐다. 상급학생과 몸싸움을 하던 중 상대방에게 상해를 입혔지만 정당방위로 인정됐다.수원가정법원은 지난 1월 모욕, 상해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군(13)에 대해 불처분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A군은 지난해 2월 해외 교육 캠프에서 같은 숙소에 배정된 한 학년 위 선배 B군에게 폭력을 휘두른 혐의 등을 받는다.두 사람의 갈등은 캠프 프로그램 중 하나였던 친목 게임에서 시작됐다. B군은 자신의 계속되는 패배가 A군을 비롯한 다른 학생들 탓이라고 주장했다. A군은 "편법을 쓴 적이 없다"며 반박했고 결국 몸싸움까지 벌어졌다. 이로 인해 A군은 코뼈가 부러졌고 B군은 턱부위에 2주간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었다.재판에서 A군 측은 "B군이 A군에게 욕설하고, 여러 차례 때리려는 듯한 위협적인 행동을 했다. 공격적인 행위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방어 차원에서 폭력을 행사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B군의 일방적인 폭언·폭행이 이 사건의 원인이며 사건 발생 직후 B군은 강제 귀국 조처됐다"고 강조했다.법원 역시 A군의 행위에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해 불처분 결정을 내렸다.A군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장은민 변호사는 "B군은 학교폭력 신고와 동시에 형사고소를 진행했는데, 이번 사건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뀐 사안"이라며 "당초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에서 두사람의 폭행 사실만 인정해 A군에게 조치 결정을 내렸지만, 행정소송을 제기해 취소 재결을 받았다"고 밝혔다.이어 "상급생인 B군의 일방적인 폭행으로 A군은 코뼈 골절을 진단받았다"며 "학폭위 역시 A군의 행위를 정당방위로 인정했으며 이를 토대로 이 사건 피해자가 B군이 아닌 A군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정당방위였지만 뒤바뀐 가해자와 피해자… 중학생 학폭, 법원 판단은 (바로가기)
머니S
2025-03-31
정당방위였지만 뒤바뀐 가해자와 피해자… 중학생 학폭, 법원 판단은
정당방위였지만 뒤바뀐 가해자와 피해자… 중학생 학폭, 법원 판단은
해외 체험학습 캠프에서 처음 만난 또래 학생을 폭행한 10대가 재판부의 선처로 보호처분을 면하게 됐다. 상급학생과 몸싸움을 하던 중 상대방에게 상해를 입혔지만 정당방위로 인정됐다.수원가정법원은 지난 1월 모욕, 상해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군(13)에 대해 불처분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A군은 지난해 2월 해외 교육 캠프에서 같은 숙소에 배정된 한 학년 위 선배 B군에게 폭력을 휘두른 혐의 등을 받는다.두 사람의 갈등은 캠프 프로그램 중 하나였던 친목 게임에서 시작됐다. B군은 자신의 계속되는 패배가 A군을 비롯한 다른 학생들 탓이라고 주장했다. A군은 "편법을 쓴 적이 없다"며 반박했고 결국 몸싸움까지 벌어졌다. 이로 인해 A군은 코뼈가 부러졌고 B군은 턱부위에 2주간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었다.재판에서 A군 측은 "B군이 A군에게 욕설하고, 여러 차례 때리려는 듯한 위협적인 행동을 했다. 공격적인 행위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방어 차원에서 폭력을 행사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B군의 일방적인 폭언·폭행이 이 사건의 원인이며 사건 발생 직후 B군은 강제 귀국 조처됐다"고 강조했다.법원 역시 A군의 행위에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해 불처분 결정을 내렸다.A군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로펌) 대륜 장은민 변호사는 "B군은 학교폭력 신고와 동시에 형사고소를 진행했는데, 이번 사건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뀐 사안"이라며 "당초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에서 두사람의 폭행 사실만 인정해 A군에게 조치 결정을 내렸지만, 행정소송을 제기해 취소 재결을 받았다"고 밝혔다.이어 "상급생인 B군의 일방적인 폭행으로 A군은 코뼈 골절을 진단받았다"며 "학폭위 역시 A군의 행위를 정당방위로 인정했으며 이를 토대로 이 사건 피해자가 B군이 아닌 A군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정당방위였지만 뒤바뀐 가해자와 피해자… 중학생 학폭, 법원 판단은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3-31
사유지 공공시설 이설 요청에 대안 제시 못한 지자체…법원, 철거 명령
사유지 공공시설 이설 요청에 대안 제시 못한 지자체…법원, 철거 명령
법원이 지자체가 사유지에 무단으로 설치한 공공하수처리 관련 시설물을 철거하고 토지를 인도하라고 명령했다.전주지방법원은 최근 연립주택 거주자인 A씨가 전주시를 상대로 제기한 시설물 철거 및 토지 인도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A씨는 2022년 주택 토지 내에 설치된 공공하수관로와 이를 보호하는 담장을 옮겨 설치해달라는 민원을 전주시에 제기했다. 이 시설물은 A씨가 사는 연립주택 거주자들이 사용하지 않는 하수관인데, 차량 통행이나 건물 보수 공사 등에 방해가 됐기 때문이다.그러나 시는 주변에 국·공유지가 없어 이설이 어렵다고 답했다. 그러자 A씨는 차량 진출입로를 개설하는 등 대안을 제시해달라고 시에 요청했다. 그런데도 시가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으면서 A씨는 소송을 제기했다.재판 과정에서 시는 시설물들이 연립주택을 지을 당시 안전상의 이유로 설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가 이 시설물을 설치했다면 연립주택 소유자들의 동의가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나 재판부는 “해당 하수관로는 A씨가 사는 연립주택 인근 건물의 오수를 처리하는 데 사용 중이며, 연립주택은 별도 정화조를 설치해 하수를 처리하고 있다. 하수 관로 및 담장 설치 때 연립주택 소유자들의 동의를 받았다거나 보상을 지급했다고 볼 만한 자료가 없다”라면서 A씨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또 “하수도법에 따라 시는 하수관로를 관리할 책임을 갖는다. 해당 시설물은 하수관로 관리 책임이 있는 시가 토지 소유자인 연립주택 소유자들의 동의 없이 무단 설치해 토지를 점유한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므로, 시설물을 철거하고 토지를 인도할 의무가 있다”라고 판시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정우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하수도법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하수관로를 설치할 때 타인의 토지를 사용하는 경우 그에 대한 보상을 규정하고 있다. 지자체의 주장대로 A씨가 설치에 동의했다면 적절한 보상이 주어져야 하는데, 이런 증거가 존재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사유지 공공시설 이설 요청에 대안 제시 못한 지자체…법원, 철거 명령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3-31
사유지 공공시설 이설 요청에 대안 제시 못한 지자체…법원, 철거 명령
사유지 공공시설 이설 요청에 대안 제시 못한 지자체…법원, 철거 명령
법원이 지자체가 사유지에 무단으로 설치한 공공하수처리 관련 시설물을 철거하고 토지를 인도하라고 명령했다.전주지방법원은 최근 연립주택 거주자인 A씨가 전주시를 상대로 제기한 시설물 철거 및 토지 인도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A씨는 2022년 주택 토지 내에 설치된 공공하수관로와 이를 보호하는 담장을 옮겨 설치해달라는 민원을 전주시에 제기했다. 이 시설물은 A씨가 사는 연립주택 거주자들이 사용하지 않는 하수관인데, 차량 통행이나 건물 보수 공사 등에 방해가 됐기 때문이다.그러나 시는 주변에 국·공유지가 없어 이설이 어렵다고 답했다. 그러자 A씨는 차량 진출입로를 개설하는 등 대안을 제시해달라고 시에 요청했다. 그런데도 시가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으면서 A씨는 소송을 제기했다.재판 과정에서 시는 시설물들이 연립주택을 지을 당시 안전상의 이유로 설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가 이 시설물을 설치했다면 연립주택 소유자들의 동의가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나 재판부는 “해당 하수관로는 A씨가 사는 연립주택 인근 건물의 오수를 처리하는 데 사용 중이며, 연립주택은 별도 정화조를 설치해 하수를 처리하고 있다. 하수 관로 및 담장 설치 때 연립주택 소유자들의 동의를 받았다거나 보상을 지급했다고 볼 만한 자료가 없다”라면서 A씨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또 “하수도법에 따라 시는 하수관로를 관리할 책임을 갖는다. 해당 시설물은 하수관로 관리 책임이 있는 시가 토지 소유자인 연립주택 소유자들의 동의 없이 무단 설치해 토지를 점유한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므로, 시설물을 철거하고 토지를 인도할 의무가 있다”라고 판시했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정우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하수도법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하수관로를 설치할 때 타인의 토지를 사용하는 경우 그에 대한 보상을 규정하고 있다. 지자체의 주장대로 A씨가 설치에 동의했다면 적절한 보상이 주어져야 하는데, 이런 증거가 존재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사유지 공공시설 이설 요청에 대안 제시 못한 지자체…법원, 철거 명령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31
이별 요구 내연녀 폭행·협박한 50대男 징역형
이별 요구 내연녀 폭행·협박한 50대男 징역형
만나는 동안 수차례 헤어지자 요구했지만 폭행으로 관계 유지바람 핀 사실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피해자, 극심한 스트레스 호소 이별 통보한 내연녀를 수년간 협박하고 폭행까지 한 50대 남성에게 징역형이 내려졌다.제주지방법원은 지난달 11일 상해 등 혐의로 기소된 A씨(53)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0년 9월경 내연녀 B씨의 이별 요구에 격분해 얼굴을 수차례 때린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당시 A씨는 자신의 외도 문제로 다투던 중 이같은 일을 저질렀던 것으로 드러났다.이후에도 A씨는 B씨가 운영하는 가게를 찾아가 출입문 잠금장치를 망가뜨리고 고성을 지르는 등 소란을 피웠다. 아울러 A씨는 B씨의 차량에 무단으로 침입해 블랙박스를 훼손하고 메모리칩을 훔쳤으며, 위치추적 어플을 사용해 사생활을 감시하기도 한 것으로 확인됐다.재판에서 A씨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아 억울하다”며 대부분의 범행을 부인했다.재판부는 피해 사실 등을 토대로 A씨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수사기관에서부터 법정에 이르기까지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으나, 제출된 증거 자료를 보면 유죄로 판단된다”며 “피고인의 반성이나 상식적인 해명은 찾아볼 수 없고, 범행 동기나 전후 정황도 매우 나쁘다”고 판시했다.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용두 변호사는 “B씨는 이미 여러 차례 A씨로부터 벗어나려 했지만 매번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A씨는 B씨에게 가스라이팅(심리적 지배)하는 방법으로 관계를 지속해나갔다”며 “A씨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재산상 피해를 입은 B씨는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그런 B씨를 대리해 피해사실을 입증한 결과 가해자에게 엄벌이 내려질 수 있었다”고 밝혔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이별 요구 내연녀 폭행·협박한 50대男 징역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31
이별 요구 내연녀 폭행·협박한 50대男 징역형
이별 요구 내연녀 폭행·협박한 50대男 징역형
만나는 동안 수차례 헤어지자 요구했지만 폭행으로 관계 유지바람 핀 사실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피해자, 극심한 스트레스 호소 이별 통보한 내연녀를 수년간 협박하고 폭행까지 한 50대 남성에게 징역형이 내려졌다.제주지방법원은 지난달 11일 상해 등 혐의로 기소된 A씨(53)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0년 9월경 내연녀 B씨의 이별 요구에 격분해 얼굴을 수차례 때린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당시 A씨는 자신의 외도 문제로 다투던 중 이같은 일을 저질렀던 것으로 드러났다.이후에도 A씨는 B씨가 운영하는 가게를 찾아가 출입문 잠금장치를 망가뜨리고 고성을 지르는 등 소란을 피웠다. 아울러 A씨는 B씨의 차량에 무단으로 침입해 블랙박스를 훼손하고 메모리칩을 훔쳤으며, 위치추적 어플을 사용해 사생활을 감시하기도 한 것으로 확인됐다.재판에서 A씨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아 억울하다”며 대부분의 범행을 부인했다.재판부는 피해 사실 등을 토대로 A씨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수사기관에서부터 법정에 이르기까지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으나, 제출된 증거 자료를 보면 유죄로 판단된다”며 “피고인의 반성이나 상식적인 해명은 찾아볼 수 없고, 범행 동기나 전후 정황도 매우 나쁘다”고 판시했다.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박용두 변호사는 “B씨는 이미 여러 차례 A씨로부터 벗어나려 했지만 매번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A씨는 B씨에게 가스라이팅(심리적 지배)하는 방법으로 관계를 지속해나갔다”며 “A씨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재산상 피해를 입은 B씨는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그런 B씨를 대리해 피해사실을 입증한 결과 가해자에게 엄벌이 내려질 수 있었다”고 밝혔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이별 요구 내연녀 폭행·협박한 50대男 징역형 (바로가기)
한국경제TV
2025-03-30
법무법인 대륜-본느,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본느, MOU 체결
화장품 시장 규제 사항 분석·해외 법인 진출 법률 검토 등 조력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화장품 기업인 ㈜본느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체결식은 지난 24일 법무법인 대륜 본사 신규 대회의실에서 열렸으며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정재권 변호사, 본느 남병수 부사장, 조준원 차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본느는 글로벌 시장에서 지난 2009년 설립 된 이후 2018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 한 화장품 ODM전문 기업이다.2017년에는 자체 개발한 마스크팩을 글로벌 1위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 산하 Kiehl’s에 공급했으며, 지난해에는 ‘30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뷰티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친환경 생활용품 전문기업 아토세이프를 인수하며 사업다각화를 추진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본느가 겪을 수 있는 법적 이슈를 사전에 분석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는 △시장 규제사항 분석 △거래 계약 관련 법률 자문 △해외 법인 진출 시 내용 검토 △증권거래소 분쟁 해결 등 화장품과 미용업계에 특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본느 남병수 부사장은 “법무법인 대륜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과 글로벌 역량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해외 진출 및 현지 대리점 운영 등에 있어 대륜의 다양한 법률 조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회계사, 노무사, 관세사, 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소속돼 있어 즉각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이 가능하다”라며 “이번 MOU를 통해 코스닥 상장 기업인 본느가 더욱 신속하고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받을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급증하는 기업 법률 분쟁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 공정거래법, 증권거래법에 특화된 변호사를 영입하며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본느, MOU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TV
2025-03-30
법무법인 대륜-본느,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본느, MOU 체결
화장품 시장 규제 사항 분석·해외 법인 진출 법률 검토 등 조력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화장품 기업인 ㈜본느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체결식은 지난 24일 법무법인 대륜 본사 신규 대회의실에서 열렸으며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정재권 변호사, 본느 남병수 부사장, 조준원 차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본느는 글로벌 시장에서 지난 2009년 설립 된 이후 2018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 한 화장품 ODM전문 기업이다.2017년에는 자체 개발한 마스크팩을 글로벌 1위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 산하 Kiehl’s에 공급했으며, 지난해에는 ‘30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뷰티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친환경 생활용품 전문기업 아토세이프를 인수하며 사업다각화를 추진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본느가 겪을 수 있는 법적 이슈를 사전에 분석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는 △시장 규제사항 분석 △거래 계약 관련 법률 자문 △해외 법인 진출 시 내용 검토 △증권거래소 분쟁 해결 등 화장품과 미용업계에 특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본느 남병수 부사장은 “법무법인 대륜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과 글로벌 역량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해외 진출 및 현지 대리점 운영 등에 있어 대륜의 다양한 법률 조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은 회계사, 노무사, 관세사, 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소속돼 있어 즉각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이 가능하다”라며 “이번 MOU를 통해 코스닥 상장 기업인 본느가 더욱 신속하고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받을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급증하는 기업 법률 분쟁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 공정거래법, 증권거래법에 특화된 변호사를 영입하며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본느, MOU 체결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3-30
[기고] 의약품 판촉영업자 신고-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에 대해
[기고] 의약품 판촉영업자 신고-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에 대해
대륜 의료제약그룹 최윤정 변호사 이번 기고문에서는 개정된 약사법을 기초로 의약품 판촉영업자(CSO)의 신고의무 및 지출보고서 작성의무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약사법은 의약품 판촉영업자를 “의약품의 품목허가를 받은 자, 수입자, 또는 의약품 도매상으로부터 의약품의 판매촉진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려는 자” 및 “위탁된 판매촉진업무를 다시 위탁받아 수행하려는 자”라고 정의하며, 동법 제46조의 2에서 신고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아울러 제약사 등도 미신고된 판촉영업자에게 판매촉진업무를 위탁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약사법에는 의약품 판촉영업자가 약사, 한약사, 해당약국 종사자, 의료인, 의료기관개설자,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원칙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에 대해서도 규정돼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제공한 경제적 이익에 대해서는 지출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했다. 지출보고서 작성제도는 지난 2018년경 도입됐으나, 당시에는 의약품 판촉영업자가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의 주체로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허용되지 않은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의약품 판촉영업자들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불법 이익 제공을 둘러싼 문제는 해가 갈수록 더욱 심각해졌고, 그 결과 의약품 판촉영업자들도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 대상에 포함됐다. 이처럼 신고 및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가 도입된 시기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현재는 해당 제도가 모두 시행되고 있으므로 의약품 판촉영업자들은 위 의무들을 준수해야 한다. 만약 위반하는 경우, 약사법 근거규정에 따라 행정처분 또는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서는 약사법 및 약사법 시행규칙에 규정된 판촉영업자 신고방법 및 결격사유, 제공 가능한 이익에 대한 내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특히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의 경우, 각 항목별로 그 주체와 대상, 범위 등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어떤 경제적 이익의 제공이 허용되는지 정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의약품 판촉영업자들이 작성한 지출보고서에 대해 실태조사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해당 조사 결과와 제출된 보고서를 모두 공개하고 있다. 또한 복지부는 필요시 위 지출 보고서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출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춰볼 때, 의약품 판촉영업자는 관련 장부 및 근거자료 등을 일정기간 보관할 의무가 있다는 점 역시 숙지해야 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약품 판촉영업자 신고-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에 대해 (바로가기)
메디파나
2025-03-30
[기고] 의약품 판촉영업자 신고-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에 대해
[기고] 의약품 판촉영업자 신고-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에 대해
대륜 의료제약그룹 최윤정 변호사 이번 기고문에서는 개정된 약사법을 기초로 의약품 판촉영업자(CSO)의 신고의무 및 지출보고서 작성의무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약사법은 의약품 판촉영업자를 “의약품의 품목허가를 받은 자, 수입자, 또는 의약품 도매상으로부터 의약품의 판매촉진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려는 자” 및 “위탁된 판매촉진업무를 다시 위탁받아 수행하려는 자”라고 정의하며, 동법 제46조의 2에서 신고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아울러 제약사 등도 미신고된 판촉영업자에게 판매촉진업무를 위탁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약사법에는 의약품 판촉영업자가 약사, 한약사, 해당약국 종사자, 의료인, 의료기관개설자,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원칙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에 대해서도 규정돼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제공한 경제적 이익에 대해서는 지출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했다. 지출보고서 작성제도는 지난 2018년경 도입됐으나, 당시에는 의약품 판촉영업자가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의 주체로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허용되지 않은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의약품 판촉영업자들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불법 이익 제공을 둘러싼 문제는 해가 갈수록 더욱 심각해졌고, 그 결과 의약품 판촉영업자들도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 대상에 포함됐다. 이처럼 신고 및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가 도입된 시기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현재는 해당 제도가 모두 시행되고 있으므로 의약품 판촉영업자들은 위 의무들을 준수해야 한다. 만약 위반하는 경우, 약사법 근거규정에 따라 행정처분 또는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서는 약사법 및 약사법 시행규칙에 규정된 판촉영업자 신고방법 및 결격사유, 제공 가능한 이익에 대한 내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특히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의 경우, 각 항목별로 그 주체와 대상, 범위 등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어떤 경제적 이익의 제공이 허용되는지 정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의약품 판촉영업자들이 작성한 지출보고서에 대해 실태조사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해당 조사 결과와 제출된 보고서를 모두 공개하고 있다. 또한 복지부는 필요시 위 지출 보고서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출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춰볼 때, 의약품 판촉영업자는 관련 장부 및 근거자료 등을 일정기간 보관할 의무가 있다는 점 역시 숙지해야 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의약품 판촉영업자 신고-지출보고서 작성 의무에 대해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3-28
볼펜형 녹음기 특허 침해로 피소 전자업체 대표 무혐의…기술 차이 증명
볼펜형 녹음기 특허 침해로 피소 전자업체 대표 무혐의…기술 차이 증명
특허 출원된 볼펜형 녹음기와 육안상 비슷한 녹음기를 판매했다는 이유로 상대 업체로부터 고소당한 전자기기 업체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인천계양경찰서는 최근 특허법 위반 혐의로 피소된 30대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B 업체가 특허 출원한 녹음기와 유사한 제품을 판매한 혐의를 받았다.B 업체는 A씨에게 해당 녹음기 판매를 중단하거나, 실시권 사용료를 지급하라는 내용증명을 보냈지만, A씨가 응하지 않자 특허법 위반으로 고소했다.A씨는 자신이 판매 중인 녹음기는 법률 분쟁 및 특허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 단계부터 변리사와 상의해 설계했다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그러면서 “B 업체의 특허는 특수한 기술 요소가 아닌 기본 구성에 대한 것이므로, 특허법 위반 주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문언 및 몇몇 요소로 특허 침해가 인정되면, 모든 산업에서 기술 발전이 저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경찰은 특허법상 침해 여부는 청구 범위에 명시된 기술적 요소에 한해 판단하는데, B 업체의 고소 내용은 이런 특허 권리를 벗어난 것으로 봤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조민우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특허권은 기재된 구성 요소들이 결합한 전체로서 보호된다”라며 “각 구성요소를 분리해 보호하지 않기 때문에 B 업체의 주장은 특허법의 기본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또 “육안상으로는 두 제품이 비슷해 보이지만 USB-C 타입, 탄성 바이어스 작동판, PCB 보호막 등 세부 기술에 차이가 있다. A씨의 제품은 B 업체가 주장한 권리에 속하지 않으며, 이를 객관적으로 입증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볼펜형 녹음기 특허 침해로 피소 전자업체 대표 무혐의…기술 차이 증명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3-28
볼펜형 녹음기 특허 침해로 피소 전자업체 대표 무혐의…기술 차이 증명
볼펜형 녹음기 특허 침해로 피소 전자업체 대표 무혐의…기술 차이 증명
특허 출원된 볼펜형 녹음기와 육안상 비슷한 녹음기를 판매했다는 이유로 상대 업체로부터 고소당한 전자기기 업체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인천계양경찰서는 최근 특허법 위반 혐의로 피소된 30대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했다. A씨는 지난해 B 업체가 특허 출원한 녹음기와 유사한 제품을 판매한 혐의를 받았다.B 업체는 A씨에게 해당 녹음기 판매를 중단하거나, 실시권 사용료를 지급하라는 내용증명을 보냈지만, A씨가 응하지 않자 특허법 위반으로 고소했다.A씨는 자신이 판매 중인 녹음기는 법률 분쟁 및 특허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 단계부터 변리사와 상의해 설계했다면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그러면서 “B 업체의 특허는 특수한 기술 요소가 아닌 기본 구성에 대한 것이므로, 특허법 위반 주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문언 및 몇몇 요소로 특허 침해가 인정되면, 모든 산업에서 기술 발전이 저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경찰은 특허법상 침해 여부는 청구 범위에 명시된 기술적 요소에 한해 판단하는데, B 업체의 고소 내용은 이런 특허 권리를 벗어난 것으로 봤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조민우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특허권은 기재된 구성 요소들이 결합한 전체로서 보호된다”라며 “각 구성요소를 분리해 보호하지 않기 때문에 B 업체의 주장은 특허법의 기본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또 “육안상으로는 두 제품이 비슷해 보이지만 USB-C 타입, 탄성 바이어스 작동판, PCB 보호막 등 세부 기술에 차이가 있다. A씨의 제품은 B 업체가 주장한 권리에 속하지 않으며, 이를 객관적으로 입증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볼펜형 녹음기 특허 침해로 피소 전자업체 대표 무혐의…기술 차이 증명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3-28
75년 만에 상속세 ‘대수술’…가장 큰 수혜자는
75년 만에 상속세 ‘대수술’…가장 큰 수혜자는
정부가 이르면 2028년부터 상속세 과세체계를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하는 개편안을 지난 12일 발표했다. 이는 1950년 상속세법 제정 이후 75년 만의 대개혁으로 평가된다.개편안은 △과도한 누진과세 부담 완화 △공제 실효성 개선 △과세 범위 합리화 등을 위한 개편으로 추진됐다. 핵심은 개별 상속인이 실제로 물려받은 재산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기존 유산세의 경우 피상속인(사망자)의 전체 상속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겨왔다. 반면 유산취득세의 경우 각 상속인이 취득한 재산별로 과세하기 때문에 형평성이 개선된다.예컨대 15억 원을 자녀 3명에게 동일하게 5억 원씩 물려준다고 생각해 보자. 현행대로라면 자녀 3명이 2억 4천만원에 대하여 연대하여 상속세를 부담해야 한다. 반면 개정안인 유산취득세로 과세하면 전체 상속액 ‘15억 원’이 아닌 3명이 각각 받을 ‘5억 원’이 기본공제로 적용되기 때문에 상속인 3명은 별도의 상속세 없이 각각 5억 원을 온전히 물려받게 된다.이처럼 변경 체계는 연대납세의 의무를 줄여 다수의 조세 부담을 대폭 낮추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 중심으로 개편한다. 기본적인 세액공제 체계는 현행을 유지해 제도 전환에 따른 시장 혼란과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과세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다.또한 주목할 부분은 인적공제 제도의 실효성 강화다. 직계 자녀가 다수인 가정 또는 5~30억대 자산가, 금융자산 비중이 높은 피상속인이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녀 기본공제는 현실 여건을 반영해 조정되고, 배우자는 실질적으로 상속받은 재산 범위 내에서 공제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일정 기준 이하의 재산을 가족에게 이전하는 경우 상속세 부담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예컨대, 배우자에게 10억 원, 자녀에게 5억 원을 각각 상속할 경우 세금 없이 전액 이전이 가능한 구조다.상속 관련 상담을 진행하다보면, 법인 관계자들로부터 문의가 다수 접수된다. 상속 규모도 상당하고 체계도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가업상속공제, 금융재산공제, 동거주택상속공제 등 기존 물적 공제 제도가 유지된다. 이는 장기간 기업을 운영해 온 중소·중견기업이나 실물 자산 보유자에 대한 과세 부담을 고려한 결정으로 제도 전환 과정에서 경제 기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보인다.납세 편의를 높이기 위한 조치도 병행된다. 상속재산 분할이 신고 기한 내 완료되지 않더라도, 분할 기한을 최대 9개월까지 유예하고 그 기간 내 확정된 분할 내용에 따라 세액 수정을 허용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상속재산 분할 협의가 지연되는 사례를 고려한 합리적인 개선안이다.법무법인 대륜 윤자영 변호사는 “이와 더불어 조세회피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됐다.”며 “위장분할 부과제척기간(국세 또는 지방세를 행사해야하는 기간)을 현행 10년에서 15년으로 연장하고, 우회상속에 대한 비교과세 특례를 신설하는 등 다양한 보완장치가 마련될 예정이다. 특히 영리법인을 활용한 우회 상속에 대해서도 과세 방식의 정비가 이뤄질 전망이기 때문에 위 같은 사항들은 조세와 상속 전문가의 법률 조력을 받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75년 만에 상속세 ‘대수술’…가장 큰 수혜자는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3-28
75년 만에 상속세 ‘대수술’…가장 큰 수혜자는
75년 만에 상속세 ‘대수술’…가장 큰 수혜자는
정부가 이르면 2028년부터 상속세 과세체계를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하는 개편안을 지난 12일 발표했다. 이는 1950년 상속세법 제정 이후 75년 만의 대개혁으로 평가된다.개편안은 △과도한 누진과세 부담 완화 △공제 실효성 개선 △과세 범위 합리화 등을 위한 개편으로 추진됐다. 핵심은 개별 상속인이 실제로 물려받은 재산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기존 유산세의 경우 피상속인(사망자)의 전체 상속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겨왔다. 반면 유산취득세의 경우 각 상속인이 취득한 재산별로 과세하기 때문에 형평성이 개선된다.예컨대 15억 원을 자녀 3명에게 동일하게 5억 원씩 물려준다고 생각해 보자. 현행대로라면 자녀 3명이 2억 4천만원에 대하여 연대하여 상속세를 부담해야 한다. 반면 개정안인 유산취득세로 과세하면 전체 상속액 ‘15억 원’이 아닌 3명이 각각 받을 ‘5억 원’이 기본공제로 적용되기 때문에 상속인 3명은 별도의 상속세 없이 각각 5억 원을 온전히 물려받게 된다.이처럼 변경 체계는 연대납세의 의무를 줄여 다수의 조세 부담을 대폭 낮추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 중심으로 개편한다. 기본적인 세액공제 체계는 현행을 유지해 제도 전환에 따른 시장 혼란과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과세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다.또한 주목할 부분은 인적공제 제도의 실효성 강화다. 직계 자녀가 다수인 가정 또는 5~30억대 자산가, 금융자산 비중이 높은 피상속인이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녀 기본공제는 현실 여건을 반영해 조정되고, 배우자는 실질적으로 상속받은 재산 범위 내에서 공제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일정 기준 이하의 재산을 가족에게 이전하는 경우 상속세 부담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예컨대, 배우자에게 10억 원, 자녀에게 5억 원을 각각 상속할 경우 세금 없이 전액 이전이 가능한 구조다.상속 관련 상담을 진행하다보면, 법인 관계자들로부터 문의가 다수 접수된다. 상속 규모도 상당하고 체계도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가업상속공제, 금융재산공제, 동거주택상속공제 등 기존 물적 공제 제도가 유지된다. 이는 장기간 기업을 운영해 온 중소·중견기업이나 실물 자산 보유자에 대한 과세 부담을 고려한 결정으로 제도 전환 과정에서 경제 기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보인다.납세 편의를 높이기 위한 조치도 병행된다. 상속재산 분할이 신고 기한 내 완료되지 않더라도, 분할 기한을 최대 9개월까지 유예하고 그 기간 내 확정된 분할 내용에 따라 세액 수정을 허용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상속재산 분할 협의가 지연되는 사례를 고려한 합리적인 개선안이다.법무법인 대륜 윤자영 변호사는 “이와 더불어 조세회피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됐다.”며 “위장분할 부과제척기간(국세 또는 지방세를 행사해야하는 기간)을 현행 10년에서 15년으로 연장하고, 우회상속에 대한 비교과세 특례를 신설하는 등 다양한 보완장치가 마련될 예정이다. 특히 영리법인을 활용한 우회 상속에 대해서도 과세 방식의 정비가 이뤄질 전망이기 때문에 위 같은 사항들은 조세와 상속 전문가의 법률 조력을 받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75년 만에 상속세 ‘대수술’…가장 큰 수혜자는 (바로가기)
로이슈 등 4곳
2025-03-28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황종근(사법연수원 28기) 전 부장검사가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에 합류했다.황 전 부장검사는 희대의 사기범 조희팔 사건 등 각종 강력 사건을 도맡아 ‘강력통’으로 알려진 인물이다.대륜은 황 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형사 사건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황 변호사는 창원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한 뒤, 인천지검·청주지검 등을 거쳐 서울북부지검 부부장검사, 대구지검·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까지 역임했다. 25년 이상의 법조 경력을 갖춘 그는 대구지검 재직 중 국내 최대 규모의 다단계 사건으로 꼽히는 일명 ‘조희팔 사건’을 담당한 바 있다. 강력 사건을 주로 담당해 온 그는 전문성을 인정받아 대한변호사협회에 형사법 전문 변호사로 등록됐다.아울러 그는 지난 2016년 서울중앙지검에 근무할 당시, 치매를 앓던 고령의 자산가가 후견인을 지정받을 수 있도록 도와줘 주목을 받기도 했다.당시 관련 기관 내에 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었는데, 그가 발벗고 나선 덕분에 신속하게 절차가 마무리될 수 있었다. 특히 이는 개정민법 시행 이후 법원이 처음으로 검찰의 성년후견제도 청구를 받아들인 사례로 의미가 크다.황종근 변호사는 “‘자신을 속이지 말라’를 좌우명으로 삼고 정직하고 우직하게 사건을 수행해왔다”며 “어떤 사건이든 시작부터 끝까지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최선의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사건을 담당해온 경험을 토대로 의뢰인들에게 최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김국일 대표는 “검사 재직 시절부터 굵직한 사건을 담당해온 황 변호사의 영입으로 수사 대응 등 형사 사건 역량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대륜은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모집할 예정이다”고 했다.한편 분야별 특화 그룹을 두고 세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륜은 지난해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대형 로펌 반열에 합류했다.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황종근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 - '조희팔 사건' 황종근 전 부장검사 ,대륜 합류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로이슈 등 4곳
2025-03-28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황종근(사법연수원 28기) 전 부장검사가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에 합류했다.황 전 부장검사는 희대의 사기범 조희팔 사건 등 각종 강력 사건을 도맡아 ‘강력통’으로 알려진 인물이다.대륜은 황 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형사 사건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황 변호사는 창원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한 뒤, 인천지검·청주지검 등을 거쳐 서울북부지검 부부장검사, 대구지검·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까지 역임했다. 25년 이상의 법조 경력을 갖춘 그는 대구지검 재직 중 국내 최대 규모의 다단계 사건으로 꼽히는 일명 ‘조희팔 사건’을 담당한 바 있다. 강력 사건을 주로 담당해 온 그는 전문성을 인정받아 대한변호사협회에 형사법 전문 변호사로 등록됐다.아울러 그는 지난 2016년 서울중앙지검에 근무할 당시, 치매를 앓던 고령의 자산가가 후견인을 지정받을 수 있도록 도와줘 주목을 받기도 했다.당시 관련 기관 내에 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었는데, 그가 발벗고 나선 덕분에 신속하게 절차가 마무리될 수 있었다. 특히 이는 개정민법 시행 이후 법원이 처음으로 검찰의 성년후견제도 청구를 받아들인 사례로 의미가 크다.황종근 변호사는 “‘자신을 속이지 말라’를 좌우명으로 삼고 정직하고 우직하게 사건을 수행해왔다”며 “어떤 사건이든 시작부터 끝까지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최선의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사건을 담당해온 경험을 토대로 의뢰인들에게 최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김국일 대표는 “검사 재직 시절부터 굵직한 사건을 담당해온 황 변호사의 영입으로 수사 대응 등 형사 사건 역량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대륜은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모집할 예정이다”고 했다.한편 분야별 특화 그룹을 두고 세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륜은 지난해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대형 로펌 반열에 합류했다.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황종근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 - '조희팔 사건' 황종근 전 부장검사 ,대륜 합류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조희팔 사건 수사 ‘강력통’ 황종근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27
“낙태했다” 막말, 명예훼손 혐의 직원…항소심서도 ‘무죄’
“낙태했다” 막말, 명예훼손 혐의 직원…항소심서도 ‘무죄’
또 다른 직원 보는 앞서동료의 과거 전력 발설검찰 약식명령 청구에법원은 정식재판 회부“전파가능성 인식 못해”재판부, 원심판결 유지 동료의 낙태 사실을 동의 없이 발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직원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춘천지방법원은 지난달 7일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20대 여성 A 씨의 항소심 선고공판을 열고 원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4년 동료 직원 B 씨와 말다툼을 하던 중 다른 직원이 보는 앞에서 과거 B 씨가 낙태한 적이 있다는 사실을 말해 명예를 훼손한 혐의를 받았다.A 씨는 자신의 행동은 모두 인정하면서도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당시 발언을 들었던 직원은 B 씨와 친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에 해당 내용을 제3자에게 퍼트릴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에서다.검찰은 A 씨에게 벌금 50만 원의 약식명령을 청구했다. 하지만 법원은 이를 정식재판에 회부했고, 1심에서는 무죄가 선고됐다. 1심 재판부는 “두 사람의 말싸움을 들은 직원이 평소 피해자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며 “피고인은 자신의 발언이 이 직원을 통해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당 직원이 제3자에게 전파한 사실이 없는 점 등을 종합하면 피고인의 발언에 공연성과 고의성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에 불복한 검찰은 항소를 제기했으나 2심에서 기각됐다. 항소심 재판부 역시 “피고인이 해당 직원을 통해 발언이 퍼질 것이라 인식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원심판결을 유지했다.A 씨 측 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명예훼손죄에서 전파 가능성을 이유로 공연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전파될 위험성을 알면서도 행위를 하는 미필적 고의가 필요하다”며 “A 씨는 언쟁을 들은 직원과 B 씨가 친밀한 관계이기에 자신의 발언이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해 미필적 고의가 성립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낙태했다” 막말, 명예훼손 혐의 직원…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27
“낙태했다” 막말, 명예훼손 혐의 직원…항소심서도 ‘무죄’
“낙태했다” 막말, 명예훼손 혐의 직원…항소심서도 ‘무죄’
또 다른 직원 보는 앞서동료의 과거 전력 발설검찰 약식명령 청구에법원은 정식재판 회부“전파가능성 인식 못해”재판부, 원심판결 유지 동료의 낙태 사실을 동의 없이 발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직원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춘천지방법원은 지난달 7일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20대 여성 A 씨의 항소심 선고공판을 열고 원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4년 동료 직원 B 씨와 말다툼을 하던 중 다른 직원이 보는 앞에서 과거 B 씨가 낙태한 적이 있다는 사실을 말해 명예를 훼손한 혐의를 받았다.A 씨는 자신의 행동은 모두 인정하면서도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당시 발언을 들었던 직원은 B 씨와 친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에 해당 내용을 제3자에게 퍼트릴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에서다.검찰은 A 씨에게 벌금 50만 원의 약식명령을 청구했다. 하지만 법원은 이를 정식재판에 회부했고, 1심에서는 무죄가 선고됐다. 1심 재판부는 “두 사람의 말싸움을 들은 직원이 평소 피해자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며 “피고인은 자신의 발언이 이 직원을 통해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당 직원이 제3자에게 전파한 사실이 없는 점 등을 종합하면 피고인의 발언에 공연성과 고의성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이에 불복한 검찰은 항소를 제기했으나 2심에서 기각됐다. 항소심 재판부 역시 “피고인이 해당 직원을 통해 발언이 퍼질 것이라 인식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원심판결을 유지했다.A 씨 측 대리인인 법무법인(로펌)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명예훼손죄에서 전파 가능성을 이유로 공연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전파될 위험성을 알면서도 행위를 하는 미필적 고의가 필요하다”며 “A 씨는 언쟁을 들은 직원과 B 씨가 친밀한 관계이기에 자신의 발언이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해 미필적 고의가 성립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낙태했다” 막말, 명예훼손 혐의 직원…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월요신문
2025-03-27
[칼럼] 리브라 사태, 코인 시장의 특수성 다시금 환기시켜
[칼럼] 리브라 사태, 코인 시장의 특수성 다시금 환기시켜
요새 코인 업계는 '리브라(LIBRA) 사태'가 최대 화두 중 하나다. 이번 사태로 코인 시장에 다시금 냉랭한 한기가 돌고 있다는 말까지 나돈다.지난 2월 14일 리브라 밈코인이 출시된 직후 아르헨티나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는 자신의 SNS에 리브라를 공개 지지했다. 밀레이의 포스팅 직후 리브라 가격은 급등하는 등 보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급락했다. 최고가 대비 94%로 급락이었다. 역시 지인 말을 듣고 사는 게 아니었는데...밈코인(Meme coin): 인터넷 밈이나 유행에서 영감을 받아 생성된 암호화폐로, 기술적 가치보다 커뮤니티와 트렌드에 의해 가격이 변동되는 코인코인 업계에선 리브라 사태를 두고 내부자 거래 의혹을 보내고 있는데 리브라 프로젝트를 주도한 투자사 켈시어 벤처스(Kelsier Ventures)의 CEO 헤이든 데이비스(Hayden Davis)는 사태 직후 내부자 거래 의혹 관련 "밈코인 내부자 거래는 불법이 아니다(Insider trading in memecoins is not illegal, and in fact, all KOLs around the world make money that way)"라고 말했고 논란은 가중됐다.헤이든 데이비스가 이 같은 발언이 꼭 틀린 것만도 아닌 것이 밈코인이 내부자 거래 규제의 적용을 받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한 회색지대에 놓여 있다.미국에서는 증건거래위원회(SEC)가 자산을 증권으로 분류할 경우, 증권법에 따라 내부자 거래를 규제하므로, 밈코인이 증권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다. 관련 논쟁은 '리플 사건', '테라폼랩스 사건'을 통해 이미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만일 한국법이 적용된다면 밈코인을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가상자산'으로 규정, 내부자 거래가 불법이 된다.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르면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를 말한다. 수집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전자적 증표, 가령 NFT 등 대체 불가능한 전자적 증표는 가상자산에서 제외되나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지급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 가상자산으로 인정될 수 있다.헤이든 데이비스는 밈코인이 여타 가상화폐와 달리 '실용성'이 없는 것임을 강조했다.실제 밈코인은 그 실용성이나 활용도는 현저히 떨어지고 주로 투기, 투자, 또는 특정 커뮤니티 참여 목적이 크다. 그러므로 혹자는 밈코인이 화폐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수집 목적인 NFT와 같이 가상자산에서 제외된다고 본다.그런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 말하는 '경제적 가치'가 꼭 실용성이 포함된다고 볼 수 없고, 실제로 밈코인이라 하더라도 도지코인 등 일부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기부 활동 등에 쓰이기도 한다. 즉 '코인'인 이상 그 정도가 낮을 순 있어도 실용성 자체는 존재한다.또한 밈코인이 코인 시장에서 투자 목적으로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는 이상,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지닌 가상자산에 해당됨은 분명하다.밈코인은 기존 금융 시장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자산이다. 기존 암호화폐조차 전통 금융 시장에서 명확한 위치를 잡지 못한 상황에서, 밈코인은 그 경계가 더욱 모호하다.이러한 상황에서 헤이든 데이비스는 "밈코인은 '실용성이 없다'" "내부자 거래가 허용된다"라고 주장하며, 밈코인의 본질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리브라 스캔들은 여러 의미에서 크립토 시장의 작동 방식과 규제 방향에 중요한 논점을 시사하며, 향후 시장 변화의 또 다른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한치 앞을 알 수 없이 변하는 가상화폐 시장에서 타인의 말만 믿고 투자하는 것은 꽤나 위험할 수 있음을 스스로에게 다시금 환기 시켜줬다. [기사전문보기] [칼럼] 리브라 사태, 코인 시장의 특수성 다시금 환기시켜 (바로가기)
월요신문
2025-03-27
[칼럼] 리브라 사태, 코인 시장의 특수성 다시금 환기시켜
[칼럼] 리브라 사태, 코인 시장의 특수성 다시금 환기시켜
요새 코인 업계는 '리브라(LIBRA) 사태'가 최대 화두 중 하나다. 이번 사태로 코인 시장에 다시금 냉랭한 한기가 돌고 있다는 말까지 나돈다.지난 2월 14일 리브라 밈코인이 출시된 직후 아르헨티나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는 자신의 SNS에 리브라를 공개 지지했다. 밀레이의 포스팅 직후 리브라 가격은 급등하는 등 보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급락했다. 최고가 대비 94%로 급락이었다. 역시 지인 말을 듣고 사는 게 아니었는데...밈코인(Meme coin): 인터넷 밈이나 유행에서 영감을 받아 생성된 암호화폐로, 기술적 가치보다 커뮤니티와 트렌드에 의해 가격이 변동되는 코인코인 업계에선 리브라 사태를 두고 내부자 거래 의혹을 보내고 있는데 리브라 프로젝트를 주도한 투자사 켈시어 벤처스(Kelsier Ventures)의 CEO 헤이든 데이비스(Hayden Davis)는 사태 직후 내부자 거래 의혹 관련 "밈코인 내부자 거래는 불법이 아니다(Insider trading in memecoins is not illegal, and in fact, all KOLs around the world make money that way)"라고 말했고 논란은 가중됐다.헤이든 데이비스가 이 같은 발언이 꼭 틀린 것만도 아닌 것이 밈코인이 내부자 거래 규제의 적용을 받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한 회색지대에 놓여 있다.미국에서는 증건거래위원회(SEC)가 자산을 증권으로 분류할 경우, 증권법에 따라 내부자 거래를 규제하므로, 밈코인이 증권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다. 관련 논쟁은 '리플 사건', '테라폼랩스 사건'을 통해 이미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만일 한국법이 적용된다면 밈코인을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가상자산'으로 규정, 내부자 거래가 불법이 된다.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르면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를 말한다. 수집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전자적 증표, 가령 NFT 등 대체 불가능한 전자적 증표는 가상자산에서 제외되나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지급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 가상자산으로 인정될 수 있다.헤이든 데이비스는 밈코인이 여타 가상화폐와 달리 '실용성'이 없는 것임을 강조했다.실제 밈코인은 그 실용성이나 활용도는 현저히 떨어지고 주로 투기, 투자, 또는 특정 커뮤니티 참여 목적이 크다. 그러므로 혹자는 밈코인이 화폐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수집 목적인 NFT와 같이 가상자산에서 제외된다고 본다.그런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 말하는 '경제적 가치'가 꼭 실용성이 포함된다고 볼 수 없고, 실제로 밈코인이라 하더라도 도지코인 등 일부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기부 활동 등에 쓰이기도 한다. 즉 '코인'인 이상 그 정도가 낮을 순 있어도 실용성 자체는 존재한다.또한 밈코인이 코인 시장에서 투자 목적으로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는 이상,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지닌 가상자산에 해당됨은 분명하다.밈코인은 기존 금융 시장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자산이다. 기존 암호화폐조차 전통 금융 시장에서 명확한 위치를 잡지 못한 상황에서, 밈코인은 그 경계가 더욱 모호하다.이러한 상황에서 헤이든 데이비스는 "밈코인은 '실용성이 없다'" "내부자 거래가 허용된다"라고 주장하며, 밈코인의 본질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리브라 스캔들은 여러 의미에서 크립토 시장의 작동 방식과 규제 방향에 중요한 논점을 시사하며, 향후 시장 변화의 또 다른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한치 앞을 알 수 없이 변하는 가상화폐 시장에서 타인의 말만 믿고 투자하는 것은 꽤나 위험할 수 있음을 스스로에게 다시금 환기 시켜줬다. [기사전문보기] [칼럼] 리브라 사태, 코인 시장의 특수성 다시금 환기시켜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26
[기고] 변호사 업계 내 과열되는 ‘CPC광고’, 공공성 훼손 우려
[기고] 변호사 업계 내 과열되는 ‘CPC광고’, 공공성 훼손 우려
요즘 변호사 업계에서 가장 주목 받는 온라인 홍보 수단 중 하나는 바로 ‘CPC(Cost Per Click·클릭 당 비용)’ 광고다. 고객이 광고를 클릭한 횟수로 비용이 계산되며, 검색량이 많은 인기 키워드일 수록 단가가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광고주들은 자신들의 광고가 검색 엔진·광고 플랫폼 내에서 상위 노출되도록 치열한 입찰 경쟁을 펼친다. 변호사들 역시 경쟁에서 자유롭지 못한 모양새다. 광고비 지출이 곧 사건 수임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문제는 이러한 CPC 광고들이 법률 서비스의 본질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광고 경쟁이 심화할수록 법률 시장의 상업화는 빨라지고, 비용 부담이 커지는 만큼 변호사들은 수임료를 높여 이를 보전하려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국내 법률 시장에서 CPC 단가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데, ‘이혼’, ‘형사소송’ 등 검색 수요가 높은 인기 키워드의 경우 클릭 한 번 당 금액이 십 만 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클릭이 하루 500번만 이뤄져도, 5,000만 원의 광고비가 지출되는 셈이다.CPC 광고의 구조적 문제도 간과해선 안된다. 거액의 광고비를 써야 상위노출이 가능한 시스템인만큼, 변호사 업계 내에서도 광고비를 둘러싼 양극화가 극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 수 백만 원, 최대 수 억 원에 이르는 광고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변호사들의 경우, 온라인에서 의뢰인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조차 갖지 못하게 된다. 악영향을 받는 건 변호사 뿐만이 아니다. 이용자들 역시 고액 입찰에 성공한 특정 변호사의 광고만 지속적으로 보게 되므로, 되려 선택권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그렇기에 필자는 현재의 CPC 광고 시장에 일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변호사 광고 시장이 자본력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일만은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일방적이고 무조건적인 규제는 자칫 표현의 자유와 직업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를 침해할 수도 있으므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현재로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CPC 광고를 실시하는 로펌으로 하여금 자율규제 협의체를 구성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발적으로 광고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게 하고, 스스로 이를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필자가 속한 법무법인 대륜은 변협에서 이와 같은 협의체 구성에 앞장선다면 기꺼이 참여할 의사가 있고, 변협에서 더 나은 방안이 있다면 이를 제안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다.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모바일 환경의 확대 그리고 AI의 등장까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국민들이 법률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로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변호사 업계에서‘온라인 홍보’는 이제 더 이상 부정하기 어려운 시대의 흐름인 셈이다. 다만 절대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가치가 있다. 바로 ‘공공성’과 ‘경제적 형평성’이다. 광고비 부담이 의뢰인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과열된 CPC 광고 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자율적인 규제가 시작돼야 할 때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변호사 업계 내 과열되는 ‘CPC광고’, 공공성 훼손 우려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26
[기고] 변호사 업계 내 과열되는 ‘CPC광고’, 공공성 훼손 우려
[기고] 변호사 업계 내 과열되는 ‘CPC광고’, 공공성 훼손 우려
요즘 변호사 업계에서 가장 주목 받는 온라인 홍보 수단 중 하나는 바로 ‘CPC(Cost Per Click·클릭 당 비용)’ 광고다. 고객이 광고를 클릭한 횟수로 비용이 계산되며, 검색량이 많은 인기 키워드일 수록 단가가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광고주들은 자신들의 광고가 검색 엔진·광고 플랫폼 내에서 상위 노출되도록 치열한 입찰 경쟁을 펼친다. 변호사들 역시 경쟁에서 자유롭지 못한 모양새다. 광고비 지출이 곧 사건 수임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문제는 이러한 CPC 광고들이 법률 서비스의 본질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광고 경쟁이 심화할수록 법률 시장의 상업화는 빨라지고, 비용 부담이 커지는 만큼 변호사들은 수임료를 높여 이를 보전하려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국내 법률 시장에서 CPC 단가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데, ‘이혼’, ‘형사소송’ 등 검색 수요가 높은 인기 키워드의 경우 클릭 한 번 당 금액이 십 만 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클릭이 하루 500번만 이뤄져도, 5,000만 원의 광고비가 지출되는 셈이다.CPC 광고의 구조적 문제도 간과해선 안된다. 거액의 광고비를 써야 상위노출이 가능한 시스템인만큼, 변호사 업계 내에서도 광고비를 둘러싼 양극화가 극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 수 백만 원, 최대 수 억 원에 이르는 광고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변호사들의 경우, 온라인에서 의뢰인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조차 갖지 못하게 된다. 악영향을 받는 건 변호사 뿐만이 아니다. 이용자들 역시 고액 입찰에 성공한 특정 변호사의 광고만 지속적으로 보게 되므로, 되려 선택권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그렇기에 필자는 현재의 CPC 광고 시장에 일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변호사 광고 시장이 자본력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일만은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일방적이고 무조건적인 규제는 자칫 표현의 자유와 직업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를 침해할 수도 있으므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현재로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CPC 광고를 실시하는 로펌으로 하여금 자율규제 협의체를 구성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발적으로 광고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게 하고, 스스로 이를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필자가 속한 법무법인 대륜은 변협에서 이와 같은 협의체 구성에 앞장선다면 기꺼이 참여할 의사가 있고, 변협에서 더 나은 방안이 있다면 이를 제안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다.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모바일 환경의 확대 그리고 AI의 등장까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국민들이 법률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로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변호사 업계에서‘온라인 홍보’는 이제 더 이상 부정하기 어려운 시대의 흐름인 셈이다. 다만 절대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가치가 있다. 바로 ‘공공성’과 ‘경제적 형평성’이다. 광고비 부담이 의뢰인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과열된 CPC 광고 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자율적인 규제가 시작돼야 할 때다. [기사전문보기] [기고] 변호사 업계 내 과열되는 ‘CPC광고’, 공공성 훼손 우려 (바로가기)
로이슈
2025-03-26
누수·균열 등 일상생활 속 건설 하자와 법적 대응 방법
누수·균열 등 일상생활 속 건설 하자와 법적 대응 방법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부실시공을 둘러싼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하자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 산하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하심위)가 처리한 공동주택 하자 관련 분쟁사건은 지난 2019년 3954건에서 2023년 4559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1~8월) 하자분쟁 처리 건수는 3525건으로, 평년 대비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우리 일상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하자로는 △누수 △균열 △배관 문제 △소음 및 진동 등이 있다. 쉽게 접할 수 있는 하자인 ‘누수’의 경우 주요 원인을 방수 처리 미비, 콘크리트 부실 양생을 꼽을 수 있다. 방수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콘크리트 양생(보양작업)이 적절하게 진행되지 않으면 기온 변화, 건조 수축 등의 영향으로 균열이 생겨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누수는 곰팡이, 벽체 균열 등 2차적인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균열(크랙)’은 건물 외벽, 바닥 등에 갈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재료, 설계, 시공, 구조 외벽에 의한 원인이 대표적이다. 만약, 균열이 발생했다면 자재 부식, 구조적 결함, 내구성 저하 등 건축물에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급수배수, 냉난방, 가스공사용 관을 배치하는 배관의 경우 부실시공, 노후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데, 배관에 문제가 생길 시 건축물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건축물의 수명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또한, 소위 층간소음으로 불리는 ‘소음 및 진동’은 법으로 정해진 기준치를 넘는 소리와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이며, 아파트 층간소음 이외에 공사장 소음·진동, 교통 소음·진동 등을 원인으로 하는 하자다. 소음·진동은 사람의 건강이나 재산, 환경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에 건설 하자들 중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이같은 일상생활 건설 하자가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보통 신축 아파트 등에서 하자를 발견한 경우, 1차적으로는 관리사무소에 신고한 뒤 수리를 요청해야 한다. 만약 이 단계에서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입주자 회의를 통해 대책을 논의하거나, 하심위 분쟁조정·재정 절차를 밟을 필요가 있다.문제는 여기서도 결론이 나오지 않을 때다. 이 경우 하자보수소송을 진행해 원인과 책임소재를 명확히 가려야 한다. 공사상 잘못이 있는지 여부를 밝히고, 설계 도면대로 시공했는지, 기능과 안전상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지, 더 나아가 미관상 문제가 없는지 등에 대해 정확한 진단과 판단이 내려져야 하는 것이다.법무법인 대륜 건설·부동산그룹 김형진 변호사는 “이러한 원인 규명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건설감정’이다. 통상 건설 관련 분쟁이 발생했을 때 감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법관이 판단하기 어려운 전문적인 쟁점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이를 소송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며 “여기서 감정인은 전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선정되며, 감정 과정을 통해 손해 발생 원인과 범위를 파악하게 된다. 이는 소송의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 과정인 만큼 변호사와 감정인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분쟁 당사자라면 단순히 인터넷상으로 사안에 대해 찾아보는 것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제일 좋은 방안은 분쟁 발생 시 전문가를 찾아 손해배상 기준 등에 대해 협의를 거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누수·균열 등 일상생활 속 건설 하자와 법적 대응 방법 (바로가기)
로이슈
2025-03-26
누수·균열 등 일상생활 속 건설 하자와 법적 대응 방법
누수·균열 등 일상생활 속 건설 하자와 법적 대응 방법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부실시공을 둘러싼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하자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 산하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하심위)가 처리한 공동주택 하자 관련 분쟁사건은 지난 2019년 3954건에서 2023년 4559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1~8월) 하자분쟁 처리 건수는 3525건으로, 평년 대비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우리 일상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하자로는 △누수 △균열 △배관 문제 △소음 및 진동 등이 있다. 쉽게 접할 수 있는 하자인 ‘누수’의 경우 주요 원인을 방수 처리 미비, 콘크리트 부실 양생을 꼽을 수 있다. 방수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콘크리트 양생(보양작업)이 적절하게 진행되지 않으면 기온 변화, 건조 수축 등의 영향으로 균열이 생겨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누수는 곰팡이, 벽체 균열 등 2차적인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균열(크랙)’은 건물 외벽, 바닥 등에 갈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재료, 설계, 시공, 구조 외벽에 의한 원인이 대표적이다. 만약, 균열이 발생했다면 자재 부식, 구조적 결함, 내구성 저하 등 건축물에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급수배수, 냉난방, 가스공사용 관을 배치하는 배관의 경우 부실시공, 노후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데, 배관에 문제가 생길 시 건축물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건축물의 수명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또한, 소위 층간소음으로 불리는 ‘소음 및 진동’은 법으로 정해진 기준치를 넘는 소리와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이며, 아파트 층간소음 이외에 공사장 소음·진동, 교통 소음·진동 등을 원인으로 하는 하자다. 소음·진동은 사람의 건강이나 재산, 환경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에 건설 하자들 중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이같은 일상생활 건설 하자가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보통 신축 아파트 등에서 하자를 발견한 경우, 1차적으로는 관리사무소에 신고한 뒤 수리를 요청해야 한다. 만약 이 단계에서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입주자 회의를 통해 대책을 논의하거나, 하심위 분쟁조정·재정 절차를 밟을 필요가 있다.문제는 여기서도 결론이 나오지 않을 때다. 이 경우 하자보수소송을 진행해 원인과 책임소재를 명확히 가려야 한다. 공사상 잘못이 있는지 여부를 밝히고, 설계 도면대로 시공했는지, 기능과 안전상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지, 더 나아가 미관상 문제가 없는지 등에 대해 정확한 진단과 판단이 내려져야 하는 것이다.법무법인 대륜 건설·부동산그룹 김형진 변호사는 “이러한 원인 규명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건설감정’이다. 통상 건설 관련 분쟁이 발생했을 때 감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법관이 판단하기 어려운 전문적인 쟁점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이를 소송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며 “여기서 감정인은 전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선정되며, 감정 과정을 통해 손해 발생 원인과 범위를 파악하게 된다. 이는 소송의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 과정인 만큼 변호사와 감정인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분쟁 당사자라면 단순히 인터넷상으로 사안에 대해 찾아보는 것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제일 좋은 방안은 분쟁 발생 시 전문가를 찾아 손해배상 기준 등에 대해 협의를 거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누수·균열 등 일상생활 속 건설 하자와 법적 대응 방법 (바로가기)
뉴시스
2025-03-25
동료 수감자 흉기로 찌른 60대 무기수, 항소심서 감형
동료 수감자 흉기로 찌른 60대 무기수, 항소심서 감형
뾰족하게 간 젓가락으로 동료 수감자 찌른 혐의무기징역수에 추가 징역형…가석방 대상 제외 등 불이익 흉기로 동료 수감자를 찌른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은 무기징역수가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형사항소3-2부(부장판사 이소연)는 특수상해로 기소된 A(60대)씨에 대한 선고공판에서 징역 3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2년을 선고했다.법원이 인정한 범죄 사실에 따르면 A씨는 1989년 8월 부산고법에서 살인죄로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부산교도소에서 복역 중이었다.A씨는 지난해 5월13일 오전 1시께 부산 강서구 부산교도소에서 평소 사이가 좋지 않던 동료 수감자 B(60대)씨를 찌르기 위해 플라스틱 젓가락 끝을 화장실 시멘트 바닥에 가는 방법으로 뾰족한 흉기로 만들었다. 이어 A씨는 같은 날 오전 10시10분께 교도소 내 작업장에서 미리 준비한 흉기로 B씨의 얼굴을 수차례 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이로 인해 B씨는 얼굴에 2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지난해 10월 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이후 A씨는 1심 형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는 이미 폭력 범죄로 수차례 처벌을 받았고, 살인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임에도 재차 이 사건 범행을 저질렀다"며 "다만 A씨가 이 사건 범행을 인정하고 있고, 피해자가 다행히 치명적인 상해를 입지 않은 점 등 모든 양형 요소를 종합해 보면 원심의 형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며 A씨의 형을 감형했다.A씨처럼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피고인에게 추가 징역형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법무법인 대륜 김영형 변호사는 "무기징역수가 추가로 징역형을 선고받게 되면 가석방 심사 기회에서 박탈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또 형사 정책적인 측면에서 교도소 안에서 누군가를 해치거나 범죄를 저지르면 추가적인 형을 받아 자신의 형기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불이익을 통해 재소자를 관리하게 원활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형법에 따르면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재소자라도 20년 이상 복역하면 가석방 대상자로 오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실제로 우발적 범행 또는 참작 사유가 있고, 교도소 내의 생활이 모범적인 무기징역수들이 종종 가석방되는 경우가 있다. 권태완 기자(kwon97@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동료 수감자 흉기로 찌른 60대 무기수, 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뉴시스
2025-03-25
동료 수감자 흉기로 찌른 60대 무기수, 항소심서 감형
동료 수감자 흉기로 찌른 60대 무기수, 항소심서 감형
뾰족하게 간 젓가락으로 동료 수감자 찌른 혐의무기징역수에 추가 징역형…가석방 대상 제외 등 불이익 흉기로 동료 수감자를 찌른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은 무기징역수가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형사항소3-2부(부장판사 이소연)는 특수상해로 기소된 A(60대)씨에 대한 선고공판에서 징역 3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2년을 선고했다.법원이 인정한 범죄 사실에 따르면 A씨는 1989년 8월 부산고법에서 살인죄로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부산교도소에서 복역 중이었다.A씨는 지난해 5월13일 오전 1시께 부산 강서구 부산교도소에서 평소 사이가 좋지 않던 동료 수감자 B(60대)씨를 찌르기 위해 플라스틱 젓가락 끝을 화장실 시멘트 바닥에 가는 방법으로 뾰족한 흉기로 만들었다. 이어 A씨는 같은 날 오전 10시10분께 교도소 내 작업장에서 미리 준비한 흉기로 B씨의 얼굴을 수차례 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이로 인해 B씨는 얼굴에 2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지난해 10월 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이후 A씨는 1심 형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는 이미 폭력 범죄로 수차례 처벌을 받았고, 살인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임에도 재차 이 사건 범행을 저질렀다"며 "다만 A씨가 이 사건 범행을 인정하고 있고, 피해자가 다행히 치명적인 상해를 입지 않은 점 등 모든 양형 요소를 종합해 보면 원심의 형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며 A씨의 형을 감형했다.A씨처럼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피고인에게 추가 징역형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법무법인 대륜 김영형 변호사는 "무기징역수가 추가로 징역형을 선고받게 되면 가석방 심사 기회에서 박탈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또 형사 정책적인 측면에서 교도소 안에서 누군가를 해치거나 범죄를 저지르면 추가적인 형을 받아 자신의 형기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불이익을 통해 재소자를 관리하게 원활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형법에 따르면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재소자라도 20년 이상 복역하면 가석방 대상자로 오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실제로 우발적 범행 또는 참작 사유가 있고, 교도소 내의 생활이 모범적인 무기징역수들이 종종 가석방되는 경우가 있다. 권태완 기자(kwon97@newsis.com) [기사전문보기] 동료 수감자 흉기로 찌른 60대 무기수, 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25
회사 기밀자료 대량 다운받아 경쟁사 이직한 직원들···검찰 ‘불기소’
회사 기밀자료 대량 다운받아 경쟁사 이직한 직원들···검찰 ‘불기소’
피의자측 “업무 지시로 다운 받았다 모두 폐기” 반박검찰 “다운로드 받아 이직한 사실 만으로는 피의사실 인정 어렵고, 증거 불충분” 전 직장의 기밀자료를 대량으로 다운로드 받아 경쟁사에 넘긴 혐의로 고소되고 검찰에 송치된 직원들이 불기소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대전지방검찰청은 부정경쟁 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영업비밀 국외누설 등) 및 업무상 배임 혐의를 받는 직원 A씨 등 2명에 대해 지난 1월 23일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불기소 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들은 2022년 당시 재직중이던 회사에서 2만 개가 넘는 영업비밀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후 해외 경쟁사로 이직해 해당 파일을 사용한 혐의로 고소됐고 검찰에 송치다.고소인 회사측은 이들이 퇴직 의사를 밝힌 후 정당한 이유 없이 개인 USB에 자료를 받았고, 이를 외부로 빼돌렸다고 주장했다.하지만 피의자 A씨 등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자료를 검토하는 업무 지시를 따르기 위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을 뿐이다”라고 반박했고, “이 과정에서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한 USB는 모두 폐기해 유출된 자료도 없다”고 주장했다.아울러 “퇴사 역시 다운로드를 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 뒤에 이뤄졌다”면서, “자료를 받을 당시 경쟁사에서 사용할 목적이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불기소 이유에 대해 “A씨 등이 기술 자료 파일을 개인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고 퇴사 후 경쟁사에서 동일 직무로 근무한 사실은 인정되지만, 이러한 사실만으로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다”면서, 또 “압수한 피의자들의 노트북, 휴대전화 등에서도 해당 파일들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 등을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 황세정 변호사는 “영업비밀 국외누설 혐의가 인정되려면 자료가 외국에서 사용하거나 사용될 것임을 알면서 유출해야 한다”면서, “직원들은 업무수행 차원에서 다운로드를 받았고 이직한 회사에서 자료를 사용한 증거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혐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회사 기밀자료 대량 다운받아 경쟁사 이직한 직원들···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25
회사 기밀자료 대량 다운받아 경쟁사 이직한 직원들···검찰 ‘불기소’
회사 기밀자료 대량 다운받아 경쟁사 이직한 직원들···검찰 ‘불기소’
피의자측 “업무 지시로 다운 받았다 모두 폐기” 반박검찰 “다운로드 받아 이직한 사실 만으로는 피의사실 인정 어렵고, 증거 불충분” 전 직장의 기밀자료를 대량으로 다운로드 받아 경쟁사에 넘긴 혐의로 고소되고 검찰에 송치된 직원들이 불기소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대전지방검찰청은 부정경쟁 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영업비밀 국외누설 등) 및 업무상 배임 혐의를 받는 직원 A씨 등 2명에 대해 지난 1월 23일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불기소 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들은 2022년 당시 재직중이던 회사에서 2만 개가 넘는 영업비밀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후 해외 경쟁사로 이직해 해당 파일을 사용한 혐의로 고소됐고 검찰에 송치다.고소인 회사측은 이들이 퇴직 의사를 밝힌 후 정당한 이유 없이 개인 USB에 자료를 받았고, 이를 외부로 빼돌렸다고 주장했다.하지만 피의자 A씨 등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자료를 검토하는 업무 지시를 따르기 위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을 뿐이다”라고 반박했고, “이 과정에서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한 USB는 모두 폐기해 유출된 자료도 없다”고 주장했다.아울러 “퇴사 역시 다운로드를 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 뒤에 이뤄졌다”면서, “자료를 받을 당시 경쟁사에서 사용할 목적이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불기소 이유에 대해 “A씨 등이 기술 자료 파일을 개인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고 퇴사 후 경쟁사에서 동일 직무로 근무한 사실은 인정되지만, 이러한 사실만으로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다”면서, 또 “압수한 피의자들의 노트북, 휴대전화 등에서도 해당 파일들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 등을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 황세정 변호사는 “영업비밀 국외누설 혐의가 인정되려면 자료가 외국에서 사용하거나 사용될 것임을 알면서 유출해야 한다”면서, “직원들은 업무수행 차원에서 다운로드를 받았고 이직한 회사에서 자료를 사용한 증거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혐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회사 기밀자료 대량 다운받아 경쟁사 이직한 직원들···검찰 ‘불기소’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3-25
[기고] 한국 방위산업의 성장과 법적 지원 필요성
[기고] 한국 방위산업의 성장과 법적 지원 필요성
최근 한국의 방위산업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24년 한국의 방산 수출액은 약 95억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10위권 방산 수출국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이러한 성과는 육·해·공 각 분야의 혁신과 노력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국제 시장 진출에 따른 법률적 지원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한국의 K9 자주포는 세계 자주포 시장 점유율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현재까지 10개국에 수출됐다. 특히 폴란드, 핀란드, 호주 등 주요국들이 채택하면서 전장에서의 신뢰성을 입증했다. 엔진 국산화를 통해 독일 정부의 승인 없이도 중동 등 다양한 시장으로의 진출이 가능해졌으며, 이러한 대규모 방산 수출은 계약 이행 보증, 수출 통제 규정, 기술 이전 제한 등 법적 검토가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계약 체결 후 무기 인도 과정에서 법적 분쟁이 발생하거나, 수출 허가 지연으로 인해 일정이 차질을 빚는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국제 규범을 고려한 철저한 법률 검토와 사전 조치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미국의 대중국 견제 전략이 본격화되면서 해군력 확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조선업체들은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해 선박 건조 및 유지보수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군함 및 잠수함 건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차세대 구축함(KDDX)과 장보고-III급 잠수함 프로젝트는 해외 시장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과거 한국 조선업체가 해외 해군 선박 건조 계약을 체결한 후 기술 이전 범위 및 유지보수 책임을 둘러싼 법적 분쟁이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방산 계약의 특성상 장기적인 법적 대응과 계약 구조의 면밀한 검토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공군 분야에서는 한국형 전투기 KF-21이 독자 개발되며 항공 산업의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KF-21은 스텔스 기능을 일부 갖춘 최신 항공기로, 동남아 및 유럽 국가들을 주요 수출 대상으로 삼고 있다. 향후 수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항공기 및 관련 기술 이전과 관련한 국제 규제는 매우 엄격하다. 예를 들어, 일부 국가들은 특정 핵심 기술을 제한하며, 수출 계약 후에도 규제 변경으로 인해 거래가 중단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방산 기업들은 국제 수출 규정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법적 대응이 필수적이다.방위산업이 국제 시장으로 확대됨에 따라 법률적 지원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방산 제품의 해외 수출은 단순한 기술 거래가 아니라 각국의 군사·외교 전략과 직결되는 만큼 국제법과 무역 규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또한 방산 기업들은 해외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을 예방하고, 계약 체결 및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률적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결론적으로, 한국 방위산업의 글로벌 확장은 기술력과 품질의 결과이지만, 이를 지속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법률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국제 시장에서 방산 기업들이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법률 조력이 동반되어야 하며, 향후 방산 수출 확대와 국제 협력 증가에 대비한 체계적인 법률 지원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한국 방위산업의 성장과 법적 지원 필요성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3-25
[기고] 한국 방위산업의 성장과 법적 지원 필요성
[기고] 한국 방위산업의 성장과 법적 지원 필요성
최근 한국의 방위산업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24년 한국의 방산 수출액은 약 95억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10위권 방산 수출국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이러한 성과는 육·해·공 각 분야의 혁신과 노력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국제 시장 진출에 따른 법률적 지원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한국의 K9 자주포는 세계 자주포 시장 점유율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현재까지 10개국에 수출됐다. 특히 폴란드, 핀란드, 호주 등 주요국들이 채택하면서 전장에서의 신뢰성을 입증했다. 엔진 국산화를 통해 독일 정부의 승인 없이도 중동 등 다양한 시장으로의 진출이 가능해졌으며, 이러한 대규모 방산 수출은 계약 이행 보증, 수출 통제 규정, 기술 이전 제한 등 법적 검토가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계약 체결 후 무기 인도 과정에서 법적 분쟁이 발생하거나, 수출 허가 지연으로 인해 일정이 차질을 빚는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국제 규범을 고려한 철저한 법률 검토와 사전 조치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미국의 대중국 견제 전략이 본격화되면서 해군력 확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조선업체들은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해 선박 건조 및 유지보수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군함 및 잠수함 건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차세대 구축함(KDDX)과 장보고-III급 잠수함 프로젝트는 해외 시장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과거 한국 조선업체가 해외 해군 선박 건조 계약을 체결한 후 기술 이전 범위 및 유지보수 책임을 둘러싼 법적 분쟁이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방산 계약의 특성상 장기적인 법적 대응과 계약 구조의 면밀한 검토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공군 분야에서는 한국형 전투기 KF-21이 독자 개발되며 항공 산업의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KF-21은 스텔스 기능을 일부 갖춘 최신 항공기로, 동남아 및 유럽 국가들을 주요 수출 대상으로 삼고 있다. 향후 수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항공기 및 관련 기술 이전과 관련한 국제 규제는 매우 엄격하다. 예를 들어, 일부 국가들은 특정 핵심 기술을 제한하며, 수출 계약 후에도 규제 변경으로 인해 거래가 중단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방산 기업들은 국제 수출 규정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법적 대응이 필수적이다.방위산업이 국제 시장으로 확대됨에 따라 법률적 지원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방산 제품의 해외 수출은 단순한 기술 거래가 아니라 각국의 군사·외교 전략과 직결되는 만큼 국제법과 무역 규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또한 방산 기업들은 해외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을 예방하고, 계약 체결 및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률적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결론적으로, 한국 방위산업의 글로벌 확장은 기술력과 품질의 결과이지만, 이를 지속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법률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국제 시장에서 방산 기업들이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법률 조력이 동반되어야 하며, 향후 방산 수출 확대와 국제 협력 증가에 대비한 체계적인 법률 지원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한국 방위산업의 성장과 법적 지원 필요성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9곳
2025-03-25
법무법인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법무법인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법무법인 대륜이 공익 사단법인인 ‘인연법’ 설립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가운데 3인의 저명인사가 비등기이사로 합류한다.법무법인 대륜은 ‘인연법’의 비등기 이사로 김현준 전 국세청장(현 세무법인 율현 회장), 홍대식 법학전문대학원 협의회 이사장(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장), 김성진 한국거래소 상임감사위원이 합류한다고 25일 밝혔다.인연법은 법률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을 돕고 기부, 봉사활동 등 공익적 가치를 실현한다는 취지로 설립한 사단법인이다. 지난달 25일 법인 설립 등기를 마쳤으며, 이사장으로 김오수 전 검찰총장(현 중앙N남부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이 선임됐다.국세청 징세법무국장, 기획조정관 등을 지낸 김 전 국세청장은 인연법에서 투명한 재정 운영, 세무 관리 등 법인 운영 지원에 나선다. 또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조세 감면, 세금 문제 해결 등 관련 정책 연구도 진행한다.홍 이사장은 교육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공익 로스쿨 프로그램 기획 등 미래 법조인을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을 돕는다. 감사원 감사연구부장, 기획재정부 공공혁신심의관 등을 지낸 김 상임감사위원은 소상공인 지원 등 경제 분야에서 자문을 제공한다.대륜은 인연법을 특정 로펌이 주도하는 게 아닌 독립적이고 공정한 공익법인으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또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명인사를 적극적으로 영입해 전국적인 공익법인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인연법은 금융, 법학, 기업 등 정·재계 유력 인사들로 구성된 만큼 대한민국에 선한 영향력을 많이 베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대륜의 글로벌 진출을 토대로 봉사의 영역을 세계 무대로 확장할 계획인 만큼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의 소외 계층과 취약 계층까지 돕는 공익 법인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바로가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에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바로가기) 세정신문 - 법무법인 대륜 공익사단법인 비등기이사에 김현준 전 국세청장 등 합류 (바로가기) 세정일보 - 김현준 전 국세청장, 법무법인 대륜 ‘인연법’ 비등기이사로 참여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김현준‧김성진‧홍대식 등 비등기이사로 참여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사단법인 ‘인연법’, 김현준·김성진·홍대식 비등기이사 선임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 법무법인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에 김현준·홍대식·김성진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김현준 전 국세청장,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로 합류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설립 '인연법'에 김현준, 홍대식, 김성진 합류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9곳
2025-03-25
법무법인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법무법인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법무법인 대륜이 공익 사단법인인 ‘인연법’ 설립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가운데 3인의 저명인사가 비등기이사로 합류한다.법무법인 대륜은 ‘인연법’의 비등기 이사로 김현준 전 국세청장(현 세무법인 율현 회장), 홍대식 법학전문대학원 협의회 이사장(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장), 김성진 한국거래소 상임감사위원이 합류한다고 25일 밝혔다.인연법은 법률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을 돕고 기부, 봉사활동 등 공익적 가치를 실현한다는 취지로 설립한 사단법인이다. 지난달 25일 법인 설립 등기를 마쳤으며, 이사장으로 김오수 전 검찰총장(현 중앙N남부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이 선임됐다.국세청 징세법무국장, 기획조정관 등을 지낸 김 전 국세청장은 인연법에서 투명한 재정 운영, 세무 관리 등 법인 운영 지원에 나선다. 또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조세 감면, 세금 문제 해결 등 관련 정책 연구도 진행한다.홍 이사장은 교육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공익 로스쿨 프로그램 기획 등 미래 법조인을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을 돕는다. 감사원 감사연구부장, 기획재정부 공공혁신심의관 등을 지낸 김 상임감사위원은 소상공인 지원 등 경제 분야에서 자문을 제공한다.대륜은 인연법을 특정 로펌이 주도하는 게 아닌 독립적이고 공정한 공익법인으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또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명인사를 적극적으로 영입해 전국적인 공익법인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인연법은 금융, 법학, 기업 등 정·재계 유력 인사들로 구성된 만큼 대한민국에 선한 영향력을 많이 베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대륜의 글로벌 진출을 토대로 봉사의 영역을 세계 무대로 확장할 계획인 만큼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의 소외 계층과 취약 계층까지 돕는 공익 법인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바로가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에 김현준·김성진·홍대식 선임 (바로가기) 세정신문 - 법무법인 대륜 공익사단법인 비등기이사에 김현준 전 국세청장 등 합류 (바로가기) 세정일보 - 김현준 전 국세청장, 법무법인 대륜 ‘인연법’ 비등기이사로 참여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김현준‧김성진‧홍대식 등 비등기이사로 참여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사단법인 ‘인연법’, 김현준·김성진·홍대식 비등기이사 선임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 법무법인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에 김현준·홍대식·김성진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김현준 전 국세청장, 공익 사단법인 ‘인연법’ 비등기이사로 합류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설립 '인연법'에 김현준, 홍대식, 김성진 합류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24
맨홀에서 산재 사고 당한 근로자…法 “사측, 치료비·위자료 배상” 판결
맨홀에서 산재 사고 당한 근로자…法 “사측, 치료비·위자료 배상” 판결
작업 중 흙 무너져 흉부 부상…건설사 “근로자에게도 일부 과실 있어”재판부 “건설사, 붕괴 위험지역 사전 점검할 의무 있으나 이행 안 했다” 맨홀 작업 중 흙 속에 매몰돼 중상을 입은 근로자가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춘천지방법원은 지난 1월 22일 60대 남성 A씨가 건설회사 B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에게 약 6000만 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2년 한 공사 현장의 맨홀 안에서 동료 1명과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던 중 토사가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당했다. 이로 인해 A씨는 흉부에 큰 부상을 입었다.이에 A씨는 B사가 사고를 방지해야 할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B사 측은 A씨에게 과실이 있다고 반박했다. 사고 당시 A씨가 동료의 천공 작업을 지켜보며 보조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던 만큼, 주변을 더 상세히 살피는 등 주의 의무를 지켰어야 했다는 것이다.법원은 A씨 측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사업주는 근로자가 토사 등이 붕괴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 균열 여부나 붕괴 위험을 점검 해야 한다”며 “그럼에도 피고는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사고 발생과 손해 확대에 있어 원고의 과실이 보기 어렵다”면서 “원고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지연 변호사는 “산업재해로 인한 손해배상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고의나 과실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는 내용과 그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한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 사측이 안전망을 설치하거나 맨홀 위에 관리자를 두는 등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음을 강조해 B사의 과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신재유 기자(wayjay@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맨홀에서 산재 사고 당한 근로자…法 “사측, 치료비·위자료 배상” 판결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24
맨홀에서 산재 사고 당한 근로자…法 “사측, 치료비·위자료 배상” 판결
맨홀에서 산재 사고 당한 근로자…法 “사측, 치료비·위자료 배상” 판결
작업 중 흙 무너져 흉부 부상…건설사 “근로자에게도 일부 과실 있어”재판부 “건설사, 붕괴 위험지역 사전 점검할 의무 있으나 이행 안 했다” 맨홀 작업 중 흙 속에 매몰돼 중상을 입은 근로자가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춘천지방법원은 지난 1월 22일 60대 남성 A씨가 건설회사 B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에게 약 6000만 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2년 한 공사 현장의 맨홀 안에서 동료 1명과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던 중 토사가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당했다. 이로 인해 A씨는 흉부에 큰 부상을 입었다.이에 A씨는 B사가 사고를 방지해야 할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B사 측은 A씨에게 과실이 있다고 반박했다. 사고 당시 A씨가 동료의 천공 작업을 지켜보며 보조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던 만큼, 주변을 더 상세히 살피는 등 주의 의무를 지켰어야 했다는 것이다.법원은 A씨 측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사업주는 근로자가 토사 등이 붕괴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 균열 여부나 붕괴 위험을 점검 해야 한다”며 “그럼에도 피고는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사고 발생과 손해 확대에 있어 원고의 과실이 보기 어렵다”면서 “원고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이지연 변호사는 “산업재해로 인한 손해배상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고의나 과실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는 내용과 그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한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 사측이 안전망을 설치하거나 맨홀 위에 관리자를 두는 등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음을 강조해 B사의 과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신재유 기자(wayjay@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맨홀에서 산재 사고 당한 근로자…法 “사측, 치료비·위자료 배상” 판결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24
'기업 대상 컨설팅 사기'..법원 "투자금 전액 변제해야"
'기업 대상 컨설팅 사기'..법원 "투자금 전액 변제해야"
컨설팅 업체에 1억여 원을 투자했다가 원금과 수익금 등을 받지 못한 기업이 투자금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습니다.법원은 고수익을 보장해 투자를 유도한 것은 불법이라고 판단했습니다.2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1월 17일 전기공사 기업 A사가 경영 컨설팅 업체 B사를 상대로 낸 투자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앞서 A사는 2023년 3월 컨설팅 업체 B사에 재무 상담을 받았습니다.이를 계기로 A사와 친분을 쌓은 B사는 각종 경영 컨설팅을 무료로 제공하겠다며 투자를 종용했습니다.이후 두 회사는 같은 해 4월 투자금 1억 8,000만 원에 대해 투자금 상환 일자와 수익률을 정하고 투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하지만 투자금 지급 이후 B사는 태도를 바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당초 B사는 6개월간 수익금을 지급했지만, 그 후로 1년 이상 수익금은 물론 원금도 돌려주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수차례 투자금을 돌려달라는 A사의 요구도 B사는 각종 이유를 들며 반환을 미룬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이에 A사는 투자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사 측은 B사가 투자계약서에 따른 약정 내용을 이행하지 않은 점, 높은 이자를 미끼로 거액의 투자금을 불법으로 모은 점 등을 들어 원금 전액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재판부는 "B사는 당초 약정한 내용을 지킬 능력이 없으면서 투자를 유도했다."며 B사의 불법행위로 A사에 손해가 발생했다고 보고 투자금 원금 전액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A사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양기연 변호사는 "투자금 반환 소송 시 중요한 쟁점은 투자 과정에 불법적인 부분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것"이라면서 "대여금과 달리 투자금은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원금 및 수익금을 청구해도 변제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이어 "이 사건 투자계약서에는 '투자 계약', '투자', '투자금 운영 기간', '월 배당 보장수익률' 등의 문구가 명시돼 있었다."며 "원금 일시 상환 보장 등을 입증함과 동시에 형사고소를 진행해 B사로부터 투자금 전액을 보전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기업 대상 컨설팅 사기'..법원 "투자금 전액 변제해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24
'기업 대상 컨설팅 사기'..법원 "투자금 전액 변제해야"
'기업 대상 컨설팅 사기'..법원 "투자금 전액 변제해야"
컨설팅 업체에 1억여 원을 투자했다가 원금과 수익금 등을 받지 못한 기업이 투자금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습니다.법원은 고수익을 보장해 투자를 유도한 것은 불법이라고 판단했습니다.2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1월 17일 전기공사 기업 A사가 경영 컨설팅 업체 B사를 상대로 낸 투자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앞서 A사는 2023년 3월 컨설팅 업체 B사에 재무 상담을 받았습니다.이를 계기로 A사와 친분을 쌓은 B사는 각종 경영 컨설팅을 무료로 제공하겠다며 투자를 종용했습니다.이후 두 회사는 같은 해 4월 투자금 1억 8,000만 원에 대해 투자금 상환 일자와 수익률을 정하고 투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하지만 투자금 지급 이후 B사는 태도를 바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당초 B사는 6개월간 수익금을 지급했지만, 그 후로 1년 이상 수익금은 물론 원금도 돌려주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수차례 투자금을 돌려달라는 A사의 요구도 B사는 각종 이유를 들며 반환을 미룬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이에 A사는 투자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사 측은 B사가 투자계약서에 따른 약정 내용을 이행하지 않은 점, 높은 이자를 미끼로 거액의 투자금을 불법으로 모은 점 등을 들어 원금 전액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재판부는 "B사는 당초 약정한 내용을 지킬 능력이 없으면서 투자를 유도했다."며 B사의 불법행위로 A사에 손해가 발생했다고 보고 투자금 원금 전액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A사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양기연 변호사는 "투자금 반환 소송 시 중요한 쟁점은 투자 과정에 불법적인 부분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것"이라면서 "대여금과 달리 투자금은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원금 및 수익금을 청구해도 변제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이어 "이 사건 투자계약서에는 '투자 계약', '투자', '투자금 운영 기간', '월 배당 보장수익률' 등의 문구가 명시돼 있었다."며 "원금 일시 상환 보장 등을 입증함과 동시에 형사고소를 진행해 B사로부터 투자금 전액을 보전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기업 대상 컨설팅 사기'..법원 "투자금 전액 변제해야" (바로가기)
삼프로TV
2025-03-24
해저케이블, LS전선 vs 대한전선 기술 유출 미스터리
해저케이블, LS전선 vs 대한전선 기술 유출 미스터리
[기사전문보기] 해저케이블, LS전선 vs 대한전선 기술 유출 미스터리 (바로가기)
삼프로TV
2025-03-24
해저케이블, LS전선 vs 대한전선 기술 유출 미스터리
해저케이블, LS전선 vs 대한전선 기술 유출 미스터리
[기사전문보기] 해저케이블, LS전선 vs 대한전선 기술 유출 미스터리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7곳
2025-03-21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무 전문가 잇따른 영입…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무 전문가 잇따른 영입…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법무법인 대륜이 해외 법무 전문가를 잇달아 영업하면서 기업의 해외 진출을 비롯한 글로벌 법률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최영진·김미아·이재윤 변호사, 명재호·김대륜 관세전문위원 등 해외 법무 전문가를 영업했다고 12일 밝혔다.최 변호사는 베트남, 캐나다 등 다수의 해외 기업 인수 자문을 담당한 M&A 전문가다. 국내 기업의 해외 중재소 중재 대리도 맡았으며 국내 지자체의 해외 사무소 설립도 도왔다. 최 변호사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 무역 관련 분쟁 해결,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조언을 제공할 예정이다.김 변호사는 비자와 이민법에 뛰어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해외 법률 전문가다. 해외 진출에 따른 복잡한 행정 절차와 문제를 관리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등 개인과 기업에 대한 법적 지원을 할 예정이다. 김 변호사는 일반행정사, 외국어 번역 행정사 자격도 보유하고 있어 기업이 해외 인재를 유치하는 데 필요한 노동법, 계약 등 국제 비즈니스 업무 전반에 관한 자문 컨설팅도 할 수 있다.이 변호사는 산업통상자원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출신으로 국내 산업, 무역 관계 법령과 해외 입법례 자문을 담당했다. 국제무역사 자격을 갖추고 다양한 국제 거래 분쟁 사건을 담당했으며, 그간의 경험을 토대로 기업이 무역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분쟁을 해결하는 데 힘을 보탤 예정이다.명 관세전문위원은 여러 기업에서 무역 심사를 총괄하고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FTA 컨설팅을 진행하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이를 바탕으로 관세, 대외무역, 외환거래 등 기업이 국제 거래에서 겪을 수 있는 문제들에 관해 진단하고 최적의 해결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김 관세전문위원은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출입 통관, 세관 조사 대응 등을 수행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과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에 필요한 HS 경정청구, 전략물자 수출 컨설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대륜은 앞으로도 국제 거래, 해외 기업 자문 등 글로벌 역량을 보유한 인재를 집중적으로 영입해 다양한 법적 요구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이번 해외 법무 전문가 영입은 단순한 인력 보강을 넘어 세계 법조 시장에서 대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적 결정이다. 국제법률 환경에서 개인과 기업이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강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무 전문가 잇따른 영입…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바로가기) 로이슈 - 로펌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위한 전문가 영입 ‘총공세’ (바로가기) 국제뉴스 - 로펌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위한 전문가 영입 '총공세'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본격화 (바로가기) 한국경제 - 해외 법무 전문가 대거 영입…대륜, 해외 진출 기업 공략 본격화 (바로가기) 세계일보 - 로펌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위한 전문가 영입 ‘총공세’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강화 위한 전문가 영입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7곳
2025-03-21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무 전문가 잇따른 영입…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무 전문가 잇따른 영입…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법무법인 대륜이 해외 법무 전문가를 잇달아 영업하면서 기업의 해외 진출을 비롯한 글로벌 법률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최영진·김미아·이재윤 변호사, 명재호·김대륜 관세전문위원 등 해외 법무 전문가를 영업했다고 12일 밝혔다.최 변호사는 베트남, 캐나다 등 다수의 해외 기업 인수 자문을 담당한 M&A 전문가다. 국내 기업의 해외 중재소 중재 대리도 맡았으며 국내 지자체의 해외 사무소 설립도 도왔다. 최 변호사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 무역 관련 분쟁 해결,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조언을 제공할 예정이다.김 변호사는 비자와 이민법에 뛰어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해외 법률 전문가다. 해외 진출에 따른 복잡한 행정 절차와 문제를 관리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등 개인과 기업에 대한 법적 지원을 할 예정이다. 김 변호사는 일반행정사, 외국어 번역 행정사 자격도 보유하고 있어 기업이 해외 인재를 유치하는 데 필요한 노동법, 계약 등 국제 비즈니스 업무 전반에 관한 자문 컨설팅도 할 수 있다.이 변호사는 산업통상자원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출신으로 국내 산업, 무역 관계 법령과 해외 입법례 자문을 담당했다. 국제무역사 자격을 갖추고 다양한 국제 거래 분쟁 사건을 담당했으며, 그간의 경험을 토대로 기업이 무역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분쟁을 해결하는 데 힘을 보탤 예정이다.명 관세전문위원은 여러 기업에서 무역 심사를 총괄하고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FTA 컨설팅을 진행하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이를 바탕으로 관세, 대외무역, 외환거래 등 기업이 국제 거래에서 겪을 수 있는 문제들에 관해 진단하고 최적의 해결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김 관세전문위원은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출입 통관, 세관 조사 대응 등을 수행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과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에 필요한 HS 경정청구, 전략물자 수출 컨설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대륜은 앞으로도 국제 거래, 해외 기업 자문 등 글로벌 역량을 보유한 인재를 집중적으로 영입해 다양한 법적 요구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이번 해외 법무 전문가 영입은 단순한 인력 보강을 넘어 세계 법조 시장에서 대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적 결정이다. 국제법률 환경에서 개인과 기업이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강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무 전문가 잇따른 영입…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바로가기) 로이슈 - 로펌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위한 전문가 영입 ‘총공세’ (바로가기) 국제뉴스 - 로펌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위한 전문가 영입 '총공세'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본격화 (바로가기) 한국경제 - 해외 법무 전문가 대거 영입…대륜, 해외 진출 기업 공략 본격화 (바로가기) 세계일보 - 로펌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확대 위한 전문가 영입 ‘총공세’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해외 법률 서비스 강화 위한 전문가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2025-03-21
법무법인 대륜-(자)경남여객, MOU 체결… "교통 사업 확대"
법무법인 대륜-(자)경남여객, MOU 체결… "교통 사업 확대"
투자, 인사·노무 등 전반적인 사항 법률자문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서울·경기지역 운수 업체 경남여객과 교통 사업 확대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지난 19일 경남여객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기업법무그룹 소속 남영재 변호사, 경남여객 남경훈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경남여객은 1959년 설립돼 공항버스 및 마을·시내버스 등을 운영하며 여객 운송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전국에 노선을 운행하며 대중교통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또, 창립 이래 현재까지 고객들에게 최상의 여객운송 서비스를 제공해 산업포장, 대통령 표창,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 등 다양한 분야의 상을 휩쓸었다.대륜과 경남여객은 여객 운영과 인력 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사업 영역 다각화에 따른 법적 리스크 사전 예방 △운수종사자 대상 법률 상담 △임직원 대상 법률교육 △기업 노무 및 세무 자문 △각종 계약서 검수 등의 부문에서 협력하게 된다.경남여객 남경훈 대표이사는 “우리 여객사는 용인을 기반으로 수원, 서울, 인천·김포공항, 부산, 강원 등 전국적으로 노선을 확대해왔다. 대중교통 서비스는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법률 안정성이 중요하다”며 “인프라 구축 시 발생하는 법적 분쟁이 많은데 여러 부분에 로펌 대륜의 도움을 받고자 한다. 양사가 가진 역량과 자원을 통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경남여객의 운송 서비스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 기업법무그룹에는 사내변호사, 법무팀장 경력 등을 갖춘 변호사들이 많아 기업들에 필요한 법률적 도움을 선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며 “사업 관리, 투자 등 전문적인 부분에 공동 대응할 수 있도록 폭넓은 협력을 추진해보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 내 기업자문·기업회생파산·M&A·자산운용·인사노무·경영권분쟁 등 세분화된 센터를 운영해 사건 특성에 맞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자)경남여객, MOU 체결… "교통 사업 확대" (바로가기)
한국경제TV
2025-03-21
법무법인 대륜-(자)경남여객, MOU 체결… "교통 사업 확대"
법무법인 대륜-(자)경남여객, MOU 체결… "교통 사업 확대"
투자, 인사·노무 등 전반적인 사항 법률자문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서울·경기지역 운수 업체 경남여객과 교통 사업 확대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지난 19일 경남여객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기업법무그룹 소속 남영재 변호사, 경남여객 남경훈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경남여객은 1959년 설립돼 공항버스 및 마을·시내버스 등을 운영하며 여객 운송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전국에 노선을 운행하며 대중교통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또, 창립 이래 현재까지 고객들에게 최상의 여객운송 서비스를 제공해 산업포장, 대통령 표창,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 등 다양한 분야의 상을 휩쓸었다.대륜과 경남여객은 여객 운영과 인력 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사업 영역 다각화에 따른 법적 리스크 사전 예방 △운수종사자 대상 법률 상담 △임직원 대상 법률교육 △기업 노무 및 세무 자문 △각종 계약서 검수 등의 부문에서 협력하게 된다.경남여객 남경훈 대표이사는 “우리 여객사는 용인을 기반으로 수원, 서울, 인천·김포공항, 부산, 강원 등 전국적으로 노선을 확대해왔다. 대중교통 서비스는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법률 안정성이 중요하다”며 “인프라 구축 시 발생하는 법적 분쟁이 많은데 여러 부분에 로펌 대륜의 도움을 받고자 한다. 양사가 가진 역량과 자원을 통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경남여객의 운송 서비스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 기업법무그룹에는 사내변호사, 법무팀장 경력 등을 갖춘 변호사들이 많아 기업들에 필요한 법률적 도움을 선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며 “사업 관리, 투자 등 전문적인 부분에 공동 대응할 수 있도록 폭넓은 협력을 추진해보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 내 기업자문·기업회생파산·M&A·자산운용·인사노무·경영권분쟁 등 세분화된 센터를 운영해 사건 특성에 맞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자)경남여객, MOU 체결… "교통 사업 확대"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21
급여 지급하려 회삿돈 가로챈 현장소장…法 ‘집행유예’ 선고
급여 지급하려 회삿돈 가로챈 현장소장…法 ‘집행유예’ 선고
낮은 임금·교통비 미지급 보전 위해허위 인력·식대 등록…업무상 횡령“범죄수익 대부분 근로자 급여 사용”재판부 “개인적 이익 많지 않다” 판단 현장 근로자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거짓으로 인건비를 받는 등 회삿돈을 가로챈 소장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서울북부지방법원은 지난 1월 23일 사기 및 업무상 횡령 혐의를 받는 60대 회사원 A 씨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또 A 씨에게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했다.A 씨는 2023년 공사 현장에서 소장으로 근무하던 중 실제로 입사하지 않은 사람을 사내 시스템에 등록해 인건비를 받고 거짓으로 식대를 청구하는 등 회삿돈을 가로챈 혐의로 기소됐다. 이와 함께 회사 물건을 임의로 판매하고 현금을 횡령하는 등 약 2000만 원을 빼돌린 혐의도 받았다.A 씨는 모든 혐의를 인정했다. 다만 사측이 임금을 평균보다 낮게 책정해 현장에서 불만이 제기됐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거짓으로 인력을 등록했다고 주장했다. 허위 식대 청구 역시 사측의 갑작스러운 교통비 미지급에 따른 대처였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회사 물건을 판매한 것도 차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며, 이를 처분해 받은 금액 모두 근로자들에게 나눠줬다고 했다.이에 대해 재판부는 “피고인이 편취 및 횡령한 금액이 비교적 크다”면서도 “취득한 금액 대부분을 현장 인력들의 급여 지급에 사용했고 개인적으로 취한 이익은 비교적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집행유예 선고 이유를 밝혔다. 이어 “피고인이 범행을 모두 반성하고 인정하고 있으며 피해자를 위해 공탁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사유를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양기연 변호사는 “범죄 수익 대부분을 소비하지도, 보유하지도 못한 경우라면 사기죄 형량의 감경 사유에 해당한다”며 “A 씨가 범행으로 얻은 수익 대부분이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점이 인정돼 집행유예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급여 지급하려 회삿돈 가로챈 현장소장…法 ‘집행유예’ 선고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21
급여 지급하려 회삿돈 가로챈 현장소장…法 ‘집행유예’ 선고
급여 지급하려 회삿돈 가로챈 현장소장…法 ‘집행유예’ 선고
낮은 임금·교통비 미지급 보전 위해허위 인력·식대 등록…업무상 횡령“범죄수익 대부분 근로자 급여 사용”재판부 “개인적 이익 많지 않다” 판단 현장 근로자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거짓으로 인건비를 받는 등 회삿돈을 가로챈 소장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서울북부지방법원은 지난 1월 23일 사기 및 업무상 횡령 혐의를 받는 60대 회사원 A 씨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또 A 씨에게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했다.A 씨는 2023년 공사 현장에서 소장으로 근무하던 중 실제로 입사하지 않은 사람을 사내 시스템에 등록해 인건비를 받고 거짓으로 식대를 청구하는 등 회삿돈을 가로챈 혐의로 기소됐다. 이와 함께 회사 물건을 임의로 판매하고 현금을 횡령하는 등 약 2000만 원을 빼돌린 혐의도 받았다.A 씨는 모든 혐의를 인정했다. 다만 사측이 임금을 평균보다 낮게 책정해 현장에서 불만이 제기됐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거짓으로 인력을 등록했다고 주장했다. 허위 식대 청구 역시 사측의 갑작스러운 교통비 미지급에 따른 대처였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회사 물건을 판매한 것도 차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며, 이를 처분해 받은 금액 모두 근로자들에게 나눠줬다고 했다.이에 대해 재판부는 “피고인이 편취 및 횡령한 금액이 비교적 크다”면서도 “취득한 금액 대부분을 현장 인력들의 급여 지급에 사용했고 개인적으로 취한 이익은 비교적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집행유예 선고 이유를 밝혔다. 이어 “피고인이 범행을 모두 반성하고 인정하고 있으며 피해자를 위해 공탁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사유를 설명했다.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로펌) 대륜 양기연 변호사는 “범죄 수익 대부분을 소비하지도, 보유하지도 못한 경우라면 사기죄 형량의 감경 사유에 해당한다”며 “A 씨가 범행으로 얻은 수익 대부분이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점이 인정돼 집행유예를 받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급여 지급하려 회삿돈 가로챈 현장소장…法 ‘집행유예’ 선고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3-20
진화하는 마약범죄, 밀반입부터 거래수법까지 다양해져
진화하는 마약범죄, 밀반입부터 거래수법까지 다양해져
최근 몇 년 사이 마약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마약 밀수·유통, 거래수법까지 갈수록 지능화하고 있다. 지난 1월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경단계서 세관당국에 적발된 마약은 총 862건에 787㎏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인구의 절반에 달하는 약 2,600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해외 밀수 방식도 다양화되고 있다. 밀수 시도는 국제우편(420건)이나 특송화물(235건)을 통해 이뤄졌으며, 여행자(199건)를 통한 직접 밀수 시도도 적지 않았다.이렇게 국내로 들어온 마약은 여러 방법으로 거래된다. 주로 텔레그램, SNS 등을 통해 마약운반책을 모집하고, 이들이 구매자에게 마약을 전달하는 식인데 보이스피싱 범죄와 같이 총책부터 중간책, 말단에 이르기까지 점조직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이처럼 마약 범죄는 일상 곳곳에 스며들었지만, 조직적으로 은밀하게 성행하다 보니 적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경찰연구 발표에 따르면, 국내 마약범죄의 평균 암수율(검거 대비 실제 발생범죄 수를 계산하는 배수)은 28.57배에 이른다. 이를 적용하면 실제 마약 범죄는 공식 통계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마약 근절을 위해 정부 역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정부는 온라인 마약 유통 전담 수사팀을 보강하고, 텔레그램 등 온라인 메신저 운영사들과 공조해 대대적인 온라인 마약 유통망 해체에 나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 일환으로 마약범죄 제보자 보상금을 현행 5,000만 원에서 최대 3억 원으로 상향하고, 수사에 협조한 사범에게는 형벌을 감면해 주기로 했다.이처럼 날로 진화하는 마약 범죄로 인해 처벌도 강화되는 추세다. 마약 사건은 판매자와 구매자, 중간 전달책 등 관련자 모두 마약류관리법에 따라 처벌받게 된다. 대마를 흡연·섭취하거나 재배·유통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 메스암페타민(필로폰), 엑스터시, 케타민 등 향정신성의약품은 오남용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어 형량이 더욱 무거운데, 이를 불법으로 투약하게 되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 또, 이는 초범에게도 예외없이 적용되는 부분이고, 만약 적발된 이후 마약 파기, 은닉 등의 행위를 했다면 가중처벌을 피할 수 없는 사안이다.여기에 더해 기존 마약보다 더 강한 환각 효과를 가진 신종 마약의 경우에는 기존 약물과 유사성이 인정된다면 임시 마약류지정 제도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게 된다. 따라서 기존 금지 약물과 동일하게 투약은 물론 소지, 소유, 관리, 매매, 수수 등 모든 행위가 금지되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신종 마약은 체내 약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구입 기록이나 금전 이체 내역 등으로 충분히 혐의가 성립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법무법인(유한)대륜 조성근 마약전문변호사는 “마약 피의자가 된 경우 이미 수사기관에 관련 증거가 다수 확보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단순 투약 정도라면 약물의 가액, 유통 여부 등을 중심으로 피의 사실에 대한 참작 사유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마약·향정은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강도 높은 조사가 이어지게 되는데, 혐의를 조금이라도 줄이고자 한다면 수사 진행부터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을 권장한다. 대개 유통책은 현장에서 검거되는 경우가 많아 초기 수사 단계에서 사건 정황을 명확히 밝혀야 향후 재판 과정에 불리한 상황을 최대한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진화하는 마약범죄, 밀반입부터 거래수법까지 다양해져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2025-03-20
진화하는 마약범죄, 밀반입부터 거래수법까지 다양해져
진화하는 마약범죄, 밀반입부터 거래수법까지 다양해져
최근 몇 년 사이 마약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마약 밀수·유통, 거래수법까지 갈수록 지능화하고 있다. 지난 1월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경단계서 세관당국에 적발된 마약은 총 862건에 787㎏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인구의 절반에 달하는 약 2,600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해외 밀수 방식도 다양화되고 있다. 밀수 시도는 국제우편(420건)이나 특송화물(235건)을 통해 이뤄졌으며, 여행자(199건)를 통한 직접 밀수 시도도 적지 않았다.이렇게 국내로 들어온 마약은 여러 방법으로 거래된다. 주로 텔레그램, SNS 등을 통해 마약운반책을 모집하고, 이들이 구매자에게 마약을 전달하는 식인데 보이스피싱 범죄와 같이 총책부터 중간책, 말단에 이르기까지 점조직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이처럼 마약 범죄는 일상 곳곳에 스며들었지만, 조직적으로 은밀하게 성행하다 보니 적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경찰연구 발표에 따르면, 국내 마약범죄의 평균 암수율(검거 대비 실제 발생범죄 수를 계산하는 배수)은 28.57배에 이른다. 이를 적용하면 실제 마약 범죄는 공식 통계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마약 근절을 위해 정부 역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정부는 온라인 마약 유통 전담 수사팀을 보강하고, 텔레그램 등 온라인 메신저 운영사들과 공조해 대대적인 온라인 마약 유통망 해체에 나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 일환으로 마약범죄 제보자 보상금을 현행 5,000만 원에서 최대 3억 원으로 상향하고, 수사에 협조한 사범에게는 형벌을 감면해 주기로 했다.이처럼 날로 진화하는 마약 범죄로 인해 처벌도 강화되는 추세다. 마약 사건은 판매자와 구매자, 중간 전달책 등 관련자 모두 마약류관리법에 따라 처벌받게 된다. 대마를 흡연·섭취하거나 재배·유통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 메스암페타민(필로폰), 엑스터시, 케타민 등 향정신성의약품은 오남용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일으킬 수 있어 형량이 더욱 무거운데, 이를 불법으로 투약하게 되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 또, 이는 초범에게도 예외없이 적용되는 부분이고, 만약 적발된 이후 마약 파기, 은닉 등의 행위를 했다면 가중처벌을 피할 수 없는 사안이다.여기에 더해 기존 마약보다 더 강한 환각 효과를 가진 신종 마약의 경우에는 기존 약물과 유사성이 인정된다면 임시 마약류지정 제도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게 된다. 따라서 기존 금지 약물과 동일하게 투약은 물론 소지, 소유, 관리, 매매, 수수 등 모든 행위가 금지되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신종 마약은 체내 약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구입 기록이나 금전 이체 내역 등으로 충분히 혐의가 성립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법무법인(유한)대륜 조성근 마약전문변호사는 “마약 피의자가 된 경우 이미 수사기관에 관련 증거가 다수 확보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단순 투약 정도라면 약물의 가액, 유통 여부 등을 중심으로 피의 사실에 대한 참작 사유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마약·향정은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강도 높은 조사가 이어지게 되는데, 혐의를 조금이라도 줄이고자 한다면 수사 진행부터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을 권장한다. 대개 유통책은 현장에서 검거되는 경우가 많아 초기 수사 단계에서 사건 정황을 명확히 밝혀야 향후 재판 과정에 불리한 상황을 최대한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전했다.[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기사전문보기] 진화하는 마약범죄, 밀반입부터 거래수법까지 다양해져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20
'질병 숨기고 가입했는데'.. 法, "보험금 지급해야"
'질병 숨기고 가입했는데'.. 法, "보험금 지급해야"
보험 설계사가 계약 당시 병력 고지를 방해했다면 이를 이유로 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1월 21일 50대 남성 A씨가 보험 회사를 상대로 낸 보험금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보험 설계사 B씨를 통해 보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이후 심근경색으로 병원 치료를 받게 된 A씨는 관련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하지만 보험사 측은 지급을 거부했습니다.보험 계약 당시 A씨가 과거 고혈압 및 고지질혈증을 앓았던 내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알리지 않아 '계약 전 알릴 의무 사항'을 위반했다는 이유였습니다.A씨에게 계약 해지도 통보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담당자였던 B씨에게 자신의 병력을 알렸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하지만 당시 B씨가 관련 병력을 묻는 질문에 '아니오'로 체크할 것을 요구해 이에 응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그러면서 사측의 계약 해지는 무효라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원고가 과거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약을 처방 받은 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것은 인정된다"면서도 "다만 이는 보험 설계사의 적극적인 고지 방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이어 "설계사의 이같은 행위가 없었다면 원고가 부실한 고지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보험사는 원고에게 진단비와 수술비 등 총 2,800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신성민 변호사는 "보험설계사는 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대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이를 지키지 않고 계약을 체결했을 경우에는 보험 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이 사건의 경우 계약 당시 A씨가 병력이 있음을 알렸음에도 거짓 대답을 유도했기 때문에 설명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질병 숨기고 가입했는데'.. 法, "보험금 지급해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20
'질병 숨기고 가입했는데'.. 法, "보험금 지급해야"
'질병 숨기고 가입했는데'.. 法, "보험금 지급해야"
보험 설계사가 계약 당시 병력 고지를 방해했다면 이를 이유로 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1월 21일 50대 남성 A씨가 보험 회사를 상대로 낸 보험금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보험 설계사 B씨를 통해 보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이후 심근경색으로 병원 치료를 받게 된 A씨는 관련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하지만 보험사 측은 지급을 거부했습니다.보험 계약 당시 A씨가 과거 고혈압 및 고지질혈증을 앓았던 내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알리지 않아 '계약 전 알릴 의무 사항'을 위반했다는 이유였습니다.A씨에게 계약 해지도 통보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담당자였던 B씨에게 자신의 병력을 알렸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하지만 당시 B씨가 관련 병력을 묻는 질문에 '아니오'로 체크할 것을 요구해 이에 응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그러면서 사측의 계약 해지는 무효라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원고가 과거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약을 처방 받은 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것은 인정된다"면서도 "다만 이는 보험 설계사의 적극적인 고지 방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이어 "설계사의 이같은 행위가 없었다면 원고가 부실한 고지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보험사는 원고에게 진단비와 수술비 등 총 2,800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신성민 변호사는 "보험설계사는 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대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이를 지키지 않고 계약을 체결했을 경우에는 보험 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이 사건의 경우 계약 당시 A씨가 병력이 있음을 알렸음에도 거짓 대답을 유도했기 때문에 설명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질병 숨기고 가입했는데'.. 法, "보험금 지급해야" (바로가기)
머니S
2025-03-19
몰래 동종회사 만들어 기술 빼간 업체… 거래처 계약해지에 적반하장
몰래 동종회사 만들어 기술 빼간 업체… 거래처 계약해지에 적반하장
도소매 판매업체가 계약을 맺은 제작사에 고지하지 않고 동종제조업체를 설립했다면, 제작사가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정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협력관계에 있는 회사가 동종업을 영위하는 것은 영업에 큰 지장을 주는 행위라는 판단에서다.수원고등법원은 지난 1월 도소매판매업체 A사가 산업용 접착제 관련 제품 제조업체 B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1심과 같이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A사는 2021년 11월 B사와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B사는 A사를 비롯한 계약 회사들을 별도로 관리하는 법인을 설립한 뒤, 회사별로 재계약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평가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B사는 A사가 동종제조업체 등을 설립하고 자사의 고유기술을 탈취한 정황을 발견했다.이에 B사는 신뢰 관계 파탄을 이유로 이듬해 5월 A사에 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제품 공급을 중단했다.A사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A사는 B사로부터 일방적으로 계약을 거절당했다며 6억3000여만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A사는 B사가 부당한 사유를 들어 계약을 해지했으며, 이는 공정거래법 위반 행위라고 주장했다.B사 측은 "A사가 동종업체를 운영하는 사실을 알리지 않고 계약을 체결했다"며 "계약에 있어 중대한 변화가 발생했기 때문에 더는 계약을 이어 갈 수 없었다"며 청구를 기각해 달라고 요청했다.1심은 B사 측의 손을 들어줬다. 1심 재판부는 "원고가 동종 제조사 및 판매대리점을 설립하면서 신뢰성을 의심할만한 정황들이 드러났고, 이는 계약 관계가 유지될 수 없는 큰 이유로 작용했다"라고 밝혔다.항소심 역시 B사의 계약 해지 과정에 문제가 없다고 봤다. 항소심 재판부는 "사건 발생 원인이 원고에게 있고 계약해지는 경영상 필요에 따른 행위로 보인다"고 판시했다.B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한식 변호사는 "A사는 기술영업이라는 목적 아래 고객사를 관리하며 B사에 대한 독과점 영업을 하고 있었다"며 "B사가 계약사 관리를 위해 별도의 법인을 설립하지 않았다면 A사가 동종업을 운영하는 줄도 몰랐을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평가를 거쳐 여러 문제를 발견한 B사가 당장 할 수 있는 조치는 계약 해지밖에 없었다"며 "따라서 B사가 A사에 대해 거래 중단 통보를 한 것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저해할 우려가 있거나, 부당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몰래 동종회사 만들어 기술 빼간 업체… 거래처 계약해지에 적반하장 (바로가기)
머니S
2025-03-19
몰래 동종회사 만들어 기술 빼간 업체… 거래처 계약해지에 적반하장
몰래 동종회사 만들어 기술 빼간 업체… 거래처 계약해지에 적반하장
도소매 판매업체가 계약을 맺은 제작사에 고지하지 않고 동종제조업체를 설립했다면, 제작사가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정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협력관계에 있는 회사가 동종업을 영위하는 것은 영업에 큰 지장을 주는 행위라는 판단에서다.수원고등법원은 지난 1월 도소매판매업체 A사가 산업용 접착제 관련 제품 제조업체 B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1심과 같이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A사는 2021년 11월 B사와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B사는 A사를 비롯한 계약 회사들을 별도로 관리하는 법인을 설립한 뒤, 회사별로 재계약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평가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B사는 A사가 동종제조업체 등을 설립하고 자사의 고유기술을 탈취한 정황을 발견했다.이에 B사는 신뢰 관계 파탄을 이유로 이듬해 5월 A사에 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제품 공급을 중단했다.A사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A사는 B사로부터 일방적으로 계약을 거절당했다며 6억3000여만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A사는 B사가 부당한 사유를 들어 계약을 해지했으며, 이는 공정거래법 위반 행위라고 주장했다.B사 측은 "A사가 동종업체를 운영하는 사실을 알리지 않고 계약을 체결했다"며 "계약에 있어 중대한 변화가 발생했기 때문에 더는 계약을 이어 갈 수 없었다"며 청구를 기각해 달라고 요청했다.1심은 B사 측의 손을 들어줬다. 1심 재판부는 "원고가 동종 제조사 및 판매대리점을 설립하면서 신뢰성을 의심할만한 정황들이 드러났고, 이는 계약 관계가 유지될 수 없는 큰 이유로 작용했다"라고 밝혔다.항소심 역시 B사의 계약 해지 과정에 문제가 없다고 봤다. 항소심 재판부는 "사건 발생 원인이 원고에게 있고 계약해지는 경영상 필요에 따른 행위로 보인다"고 판시했다.B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한식 변호사는 "A사는 기술영업이라는 목적 아래 고객사를 관리하며 B사에 대한 독과점 영업을 하고 있었다"며 "B사가 계약사 관리를 위해 별도의 법인을 설립하지 않았다면 A사가 동종업을 운영하는 줄도 몰랐을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평가를 거쳐 여러 문제를 발견한 B사가 당장 할 수 있는 조치는 계약 해지밖에 없었다"며 "따라서 B사가 A사에 대해 거래 중단 통보를 한 것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저해할 우려가 있거나, 부당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몰래 동종회사 만들어 기술 빼간 업체… 거래처 계약해지에 적반하장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18
가출 아내 찾기 위해 SNS에 아내 사기행각 글 올린 40대 남성···‘불기소’
가출 아내 찾기 위해 SNS에 아내 사기행각 글 올린 40대 남성···‘불기소’
아내 잠적하자 틱톡, 유튜브 등에 아내의 계획적 범행 글 19회 게재해 피고소검찰 “아내 찾기 위한 수단···전체적으로 ‘비방’으로 보기 어려워” 가출한 아내를 찾기 위해 아내의 사기행각에 대한 글을 SNS에 올렸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한 40대 남성이 경찰에서는 송치됐으나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대구지방검찰청 포항지청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게 지난 1월 불기소 처분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23년 7월초부터 2024년 5월말 경까지 총 19회에 걸쳐 SNS 등에 가출한 베트남 국적의 아내 B씨가 자신을 상대로 사기 행각을 벌였다는 내용의 비방글을 게재해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A씨는 결혼 당시 예물 비용 등으로 수천만 원을 지출했는데, 결혼한 지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아 B씨가 잠적했다면서, B씨를 찾기 위해 해당 글을 작성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A씨에게 명예훼손 등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사건을 송치했으나 검찰은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가 없다고 판단해 불기소 결정을 했다.검찰은 불기소 이유에 대해 “A씨가 SNS와 언론에 ‘B씨가 계획적인 범행을 저질렀다’는 내용을 게재·제보해 B씨 신상이 불특정 다수에게 공표됐다. A씨가 B씨의 허락없이 사진을 함께 게재한 부분이 다소 문제가 될 여지는 있다”면서도, “이는 불특정 다수인의 도움을 받아 아내를 찾기 위한 수단일 뿐, 전체적으로 볼 때 B씨를 베트남에서 온 파렴치한 여성으로 비방하였다고 보기는 어렵고 이를 인정할만한 증거도 없다”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 대륜 권민경 변호사는 “명예훼손이 성립하려면 행위 당사자가 적시한 사실이 거짓임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면서, “A씨는 게시글 작성 당시 B씨로부터 실제 사기 피해를 봤다고 인지하고 있었는데, 검찰에서 이런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가출 아내 찾기 위해 SNS에 아내 사기행각 글 올린 40대 남성···‘불기소’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18
가출 아내 찾기 위해 SNS에 아내 사기행각 글 올린 40대 남성···‘불기소’
가출 아내 찾기 위해 SNS에 아내 사기행각 글 올린 40대 남성···‘불기소’
아내 잠적하자 틱톡, 유튜브 등에 아내의 계획적 범행 글 19회 게재해 피고소검찰 “아내 찾기 위한 수단···전체적으로 ‘비방’으로 보기 어려워” 가출한 아내를 찾기 위해 아내의 사기행각에 대한 글을 SNS에 올렸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한 40대 남성이 경찰에서는 송치됐으나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대구지방검찰청 포항지청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A씨에게 지난 1월 불기소 처분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23년 7월초부터 2024년 5월말 경까지 총 19회에 걸쳐 SNS 등에 가출한 베트남 국적의 아내 B씨가 자신을 상대로 사기 행각을 벌였다는 내용의 비방글을 게재해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A씨는 결혼 당시 예물 비용 등으로 수천만 원을 지출했는데, 결혼한 지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아 B씨가 잠적했다면서, B씨를 찾기 위해 해당 글을 작성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A씨에게 명예훼손 등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사건을 송치했으나 검찰은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가 없다고 판단해 불기소 결정을 했다.검찰은 불기소 이유에 대해 “A씨가 SNS와 언론에 ‘B씨가 계획적인 범행을 저질렀다’는 내용을 게재·제보해 B씨 신상이 불특정 다수에게 공표됐다. A씨가 B씨의 허락없이 사진을 함께 게재한 부분이 다소 문제가 될 여지는 있다”면서도, “이는 불특정 다수인의 도움을 받아 아내를 찾기 위한 수단일 뿐, 전체적으로 볼 때 B씨를 베트남에서 온 파렴치한 여성으로 비방하였다고 보기는 어렵고 이를 인정할만한 증거도 없다”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 대륜 권민경 변호사는 “명예훼손이 성립하려면 행위 당사자가 적시한 사실이 거짓임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면서, “A씨는 게시글 작성 당시 B씨로부터 실제 사기 피해를 봤다고 인지하고 있었는데, 검찰에서 이런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가출 아내 찾기 위해 SNS에 아내 사기행각 글 올린 40대 남성···‘불기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18
과실치상 약식명령 받은 60대…정식재판 청구 끝에 ‘무죄’
과실치상 약식명령 받은 60대…정식재판 청구 끝에 ‘무죄’
병원 복도서 다른 환자 넘어뜨려 상해 혐의벌금 300만 원 약식 명령에 정식 재판 청구법원 “물리법칙 어긋나…인과관계 불인정” 병원에서 마주 오던 다른 환자와 부딪혀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은 60대 여성이 정식 재판을 청구한 끝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울산지방법원은 지난달 6일 과실치상 혐의로 기소된 60대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3년 지역의 한 대학병원 복도에서 70대 여성 B 씨를 넘어뜨려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 사건은 병원 처치실을 나선 A 씨가 마주 오던 B 씨 옆을 스쳐 지나가면서 발생했다. 두 사람이 교행한 직후 B 씨가 넘어지며 전치 12주의 상해를 입은 것이다. B 씨는 자신이 A 씨의 팔꿈치에 맞아 넘어질 수밖에 없었다며, A 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A 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처치실을 나설 때 B 씨의 존재를 인식했으며, 일정한 공간을 둔 채 비켜 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 씨는 CCTV 영상 등을 볼 때 B 씨가 스스로 중심을 잃고 넘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경찰은 A 씨의 혐의가 인정된다고 봤다. B 씨는 고령으로 쉽게 중심을 잃고 넘어질 수 있는 상태였으므로, A 씨에게는 전방을 주시하고 적당한 거리를 두는 등 B 씨가 다치지 않도록 안전 보행할 의무가 있었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검찰 역시 A 씨에게 잘못이 있다고 보고 벌금 300만 원의 약식기소 처분을 내렸다. 이어 법원에서 약식 명령이 내려졌지만, A 씨는 이에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결국 재판부는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먼저 재판부는 B 씨 진술의 신빙성을 지적했다. B 씨는 넘어진 직후 응급실을 방문한 당시 의사에게 “발을 헛디뎌 넘어졌다”고 말했고, 1차 경찰 조사 때 역시 “걸렸는지 부딪혔는지 잘 모르겠다”는 취지로 답했는데 2차 조사 때 진술을 바꿔 신빙성이 의심된다는 것이다.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해 받은 CCTV 감정 결과도 중요한 증거로 작용했다. 해당 영상을 분석한 국과수는 “두 사람이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카메라의 촬영 각도상 발생하는 사각으로 인해 접촉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하다”고 답했다.아울러 재판부는 “피고인의 오른쪽 팔꿈치가 피해자의 오른팔과 교차한 직후 피해자가 오른쪽으로 넘어졌는데, 부딪힌 충격으로 넘어졌다면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으로 넘어지는 게 물리법칙에 부합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설령 두 사람이 부딪혔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팔꿈치가 부딪힌 피해자의 신체 부위는 팔 부분으로, 신체에 큰 충격을 주는 부위가 아닌 점 등을 고려했다”며 무죄 판결 이유를 밝혔다.A 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송민예 변호사는 “두 사람이 부딪혔다는 점이 명확히 증명될 만한 증거가 없었고, 설사 두 사람의 신체가 스쳤다고 하더라도 A 씨에게 B 씨가 중심을 잃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까지 부과하는 건 과하다”고 말했다. 송 변호사는 또 “재판 과정에서 전문 기관의 CCTV 분석 심리를 요청했고, 그 결과를 통해 A 씨의 행동과 B 씨의 상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무죄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과실치상 약식명령 받은 60대…정식재판 청구 끝에 ‘무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18
과실치상 약식명령 받은 60대…정식재판 청구 끝에 ‘무죄’
과실치상 약식명령 받은 60대…정식재판 청구 끝에 ‘무죄’
병원 복도서 다른 환자 넘어뜨려 상해 혐의벌금 300만 원 약식 명령에 정식 재판 청구법원 “물리법칙 어긋나…인과관계 불인정” 병원에서 마주 오던 다른 환자와 부딪혀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은 60대 여성이 정식 재판을 청구한 끝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울산지방법원은 지난달 6일 과실치상 혐의로 기소된 60대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 씨는 2023년 지역의 한 대학병원 복도에서 70대 여성 B 씨를 넘어뜨려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 사건은 병원 처치실을 나선 A 씨가 마주 오던 B 씨 옆을 스쳐 지나가면서 발생했다. 두 사람이 교행한 직후 B 씨가 넘어지며 전치 12주의 상해를 입은 것이다. B 씨는 자신이 A 씨의 팔꿈치에 맞아 넘어질 수밖에 없었다며, A 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A 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처치실을 나설 때 B 씨의 존재를 인식했으며, 일정한 공간을 둔 채 비켜 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 씨는 CCTV 영상 등을 볼 때 B 씨가 스스로 중심을 잃고 넘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경찰은 A 씨의 혐의가 인정된다고 봤다. B 씨는 고령으로 쉽게 중심을 잃고 넘어질 수 있는 상태였으므로, A 씨에게는 전방을 주시하고 적당한 거리를 두는 등 B 씨가 다치지 않도록 안전 보행할 의무가 있었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검찰 역시 A 씨에게 잘못이 있다고 보고 벌금 300만 원의 약식기소 처분을 내렸다. 이어 법원에서 약식 명령이 내려졌지만, A 씨는 이에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결국 재판부는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먼저 재판부는 B 씨 진술의 신빙성을 지적했다. B 씨는 넘어진 직후 응급실을 방문한 당시 의사에게 “발을 헛디뎌 넘어졌다”고 말했고, 1차 경찰 조사 때 역시 “걸렸는지 부딪혔는지 잘 모르겠다”는 취지로 답했는데 2차 조사 때 진술을 바꿔 신빙성이 의심된다는 것이다.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해 받은 CCTV 감정 결과도 중요한 증거로 작용했다. 해당 영상을 분석한 국과수는 “두 사람이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카메라의 촬영 각도상 발생하는 사각으로 인해 접촉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하다”고 답했다.아울러 재판부는 “피고인의 오른쪽 팔꿈치가 피해자의 오른팔과 교차한 직후 피해자가 오른쪽으로 넘어졌는데, 부딪힌 충격으로 넘어졌다면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으로 넘어지는 게 물리법칙에 부합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설령 두 사람이 부딪혔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팔꿈치가 부딪힌 피해자의 신체 부위는 팔 부분으로, 신체에 큰 충격을 주는 부위가 아닌 점 등을 고려했다”며 무죄 판결 이유를 밝혔다.A 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송민예 변호사는 “두 사람이 부딪혔다는 점이 명확히 증명될 만한 증거가 없었고, 설사 두 사람의 신체가 스쳤다고 하더라도 A 씨에게 B 씨가 중심을 잃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까지 부과하는 건 과하다”고 말했다. 송 변호사는 또 “재판 과정에서 전문 기관의 CCTV 분석 심리를 요청했고, 그 결과를 통해 A 씨의 행동과 B 씨의 상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무죄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과실치상 약식명령 받은 60대…정식재판 청구 끝에 ‘무죄’ (바로가기)
로이슈
2025-03-18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지식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은 지식, 정보, 기술, 사상 그 밖의 무형적인 지적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의미한다. 고도의 기술 발전으로 지식재산은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같은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자 지난 2010년 지식재산기본법이 제정됐는데, 해당 법안은 지식재산의 창출·보호·활용 및 그 기반 조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지식재산의 가치를 증진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디지털 정보화 시대가 도래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콘텐츠 등 재산권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면서 기업도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실제 한국저작권위원회 통계에 따르면, 국내 법인의 저작권 등록건수는 △2019년 21,937 △2020년 28,809 △2021년 28,863건 △2022년 32,204건 △2023년 30,234건으로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여기서 눈 여겨 봐야 할 점은 권리 유형에 따라 보호기간이 다르다는 것인데, 특허권 존속기간은 발명 및 디자인 20년, 실용신안권 10년으로 나뉜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 구축에 오랜 기간이 걸리는 산업의 경우 특허 시기를 잘 잡는게 중요하다.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기에 출원하는 것은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권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특허를 공개해야 사업 아이디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추후 계획한 기간까지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국제 출원 역시 국가별로 적용되는 법률이 다르기 때문에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국가마다 특허 존속 기간, 연차료 등이 상이하므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이처럼 기업들이 상표 등록, 특허 출원 등을 통해 저작권 침해에 사전 대응하는 이유는 기밀 유출 등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업이 공들여 개발한 기술, 디자인 등이 외부로 유출될 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서다. 특히 기업이 핵심 기술 유출로 경쟁력을 잃는다면 종국에는 시장에서의 우위를 잃고 파산 위기를 겪게 될 수 있다.이에 각 기업에서는 지식재산권의 취득과 활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내부 정보 관리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강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등을 마련해야 한다. 또, 이미 지식재산의 유출·침해 사고가 발생했다면 기술탈취 행위를 입증하는데 주력해야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 황세정 지식재산권전문변호사는 “유출기술·유출원·유출을 원인으로 한 회사의 피해규모 등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민·형사 및 행정 소송 등 법적 조치로 이어져야 보다 신속한 문제 해결이 가능해진다.”며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늦었다는 생각은 버리고 지금부터라도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지식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진가영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바로가기)
로이슈
2025-03-18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지식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은 지식, 정보, 기술, 사상 그 밖의 무형적인 지적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의미한다. 고도의 기술 발전으로 지식재산은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같은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자 지난 2010년 지식재산기본법이 제정됐는데, 해당 법안은 지식재산의 창출·보호·활용 및 그 기반 조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지식재산의 가치를 증진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디지털 정보화 시대가 도래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콘텐츠 등 재산권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면서 기업도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실제 한국저작권위원회 통계에 따르면, 국내 법인의 저작권 등록건수는 △2019년 21,937 △2020년 28,809 △2021년 28,863건 △2022년 32,204건 △2023년 30,234건으로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여기서 눈 여겨 봐야 할 점은 권리 유형에 따라 보호기간이 다르다는 것인데, 특허권 존속기간은 발명 및 디자인 20년, 실용신안권 10년으로 나뉜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 구축에 오랜 기간이 걸리는 산업의 경우 특허 시기를 잘 잡는게 중요하다.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기에 출원하는 것은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권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특허를 공개해야 사업 아이디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추후 계획한 기간까지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국제 출원 역시 국가별로 적용되는 법률이 다르기 때문에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국가마다 특허 존속 기간, 연차료 등이 상이하므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이처럼 기업들이 상표 등록, 특허 출원 등을 통해 저작권 침해에 사전 대응하는 이유는 기밀 유출 등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업이 공들여 개발한 기술, 디자인 등이 외부로 유출될 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서다. 특히 기업이 핵심 기술 유출로 경쟁력을 잃는다면 종국에는 시장에서의 우위를 잃고 파산 위기를 겪게 될 수 있다.이에 각 기업에서는 지식재산권의 취득과 활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내부 정보 관리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강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등을 마련해야 한다. 또, 이미 지식재산의 유출·침해 사고가 발생했다면 기술탈취 행위를 입증하는데 주력해야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 황세정 지식재산권전문변호사는 “유출기술·유출원·유출을 원인으로 한 회사의 피해규모 등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민·형사 및 행정 소송 등 법적 조치로 이어져야 보다 신속한 문제 해결이 가능해진다.”며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늦었다는 생각은 버리고 지금부터라도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지식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진가영 기자(news@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기업 경쟁력은 지식재산권 보호에 달렸다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2곳
2025-03-17
법무법인 대륜, 국제 법률 서비스 확대…美 시장 진출 본격화
법무법인 대륜, 국제 법률 서비스 확대…美 시장 진출 본격화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업무협약법인 설립·운영 컨설팅, 투자 자문 등 협력뉴욕 월드트레이드센터 사무소 개소 박차 법무법인 대륜이 해외 법인 설립, 해외투자, 이민 등 국제분야 법률 서비스를 확대하며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12일 서울 본사에서 미국 부동산 종합 플랫폼인 코리니(Koriny)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박동일 대륜 대표, 김미아 미국 변호사, 문태영 코리니 대표, 남도희 LA 지사장, 최은경 보스턴 지사장 등이 참석했다.코리니는 뉴욕에 본사를 둔 미국 부동산 종합 솔루션 플랫폼 기업이다. 부동산 임대·매매부터 기업 자산 관리, 해외 진출 컨설팅까지 부동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샌프란시스코, 워싱턴DC, 시애틀 등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해 미국 내 16개 주요 도시에서 코리니를 이용할 수 있다.대륜은 해외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 개인에게 법인 설립, 해외투자, 이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외 법률 자문에 특화된 미국 변호사, 관세사 등 전문 인력을 영입했다. 이에 더해 코리니와의 협력을 통해 미국 부동산 투자 관련 자문, 미국 내 주거·상가 관련 임차 계약서 검토, 법인 설립 및 운영 관련 컨설팅 등 보다 전문적이고 포괄적인 법률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대륜은 뉴욕 진출을 위한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사무소는 월드 트레이드 센터(WTC) 내에 마련할 예정이다. 사무소 운영을 위한 현지 인력 채용도 진행 중이다.문태영 코리니 대표는 “코리니는 부동산 시장에서의 전문성과 데이터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법적 측면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를 구축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컨설팅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박동일 대륜 대표는 “대륜은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기업과 고객을 대상으로 법률 및 투자 컨설팅을 제공하는 글로벌 종합 법률 솔루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국 진출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체계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며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국제 법률 서비스 확대…美 시장 진출 본격화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글로벌 로펌으로 거듭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 대륜, 국제 분야 법률 서비스 확대...美시장 진출 본격화 (바로가기) 한경머니 -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미국 부동산 자문 및 법률 서비스 위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국제뉴스 -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美부동산 자문·법률 서비스 위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IT비즈뉴스 - 코리니-법무법인 대륜, 미국 부동산 자문·법률 서비스 위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파이낸스투데이 -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美부동산 자문·법률 서비스 위해 맞손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 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美 부동산플랫폼 코리니와 ‘MOU 체결’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글로벌 로펌으로 거듭난다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국제무대 진출 '출사표'…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협력 강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 법무법인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글로벌 로펌으로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업무 협약 (바로가기) 한국경제 - 법무법인 디엘지, 태국에 합작법인 설립…국내 로펌 최초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딜사이트 - 코리니,법무법인 대륜과 美부동산 투자 맞손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美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협력 강화…국제업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美 진출로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 (바로가기) 매일경제 -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부동산서비스 MOU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Invest&Law]대륜, 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업무 협약 (바로가기) 아유경제 - [아유경제_부동산]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미주한국일보 - 법무법인 대륜과 미 부동산 서비스 업무협약 (바로가기) 아세안익스프레스 - 부동산 솔루션 ‘코리니’-‘법무법인 대륜’ 업무협약 체결…고객들에게 법률・재무 서비스 (바로가기)
서울신문 등 22곳
2025-03-17
법무법인 대륜, 국제 법률 서비스 확대…美 시장 진출 본격화
법무법인 대륜, 국제 법률 서비스 확대…美 시장 진출 본격화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업무협약법인 설립·운영 컨설팅, 투자 자문 등 협력뉴욕 월드트레이드센터 사무소 개소 박차 법무법인 대륜이 해외 법인 설립, 해외투자, 이민 등 국제분야 법률 서비스를 확대하며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12일 서울 본사에서 미국 부동산 종합 플랫폼인 코리니(Koriny)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박동일 대륜 대표, 김미아 미국 변호사, 문태영 코리니 대표, 남도희 LA 지사장, 최은경 보스턴 지사장 등이 참석했다.코리니는 뉴욕에 본사를 둔 미국 부동산 종합 솔루션 플랫폼 기업이다. 부동산 임대·매매부터 기업 자산 관리, 해외 진출 컨설팅까지 부동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샌프란시스코, 워싱턴DC, 시애틀 등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해 미국 내 16개 주요 도시에서 코리니를 이용할 수 있다.대륜은 해외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 개인에게 법인 설립, 해외투자, 이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외 법률 자문에 특화된 미국 변호사, 관세사 등 전문 인력을 영입했다. 이에 더해 코리니와의 협력을 통해 미국 부동산 투자 관련 자문, 미국 내 주거·상가 관련 임차 계약서 검토, 법인 설립 및 운영 관련 컨설팅 등 보다 전문적이고 포괄적인 법률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대륜은 뉴욕 진출을 위한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사무소는 월드 트레이드 센터(WTC) 내에 마련할 예정이다. 사무소 운영을 위한 현지 인력 채용도 진행 중이다.문태영 코리니 대표는 “코리니는 부동산 시장에서의 전문성과 데이터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대륜과의 협력을 통해 법적 측면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를 구축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컨설팅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박동일 대륜 대표는 “대륜은 단순한 법률 자문을 넘어 기업과 고객을 대상으로 법률 및 투자 컨설팅을 제공하는 글로벌 종합 법률 솔루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국 진출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체계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며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다”라고 밝혔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서울신문 - 법무법인 대륜, 국제 법률 서비스 확대…美 시장 진출 본격화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글로벌 로펌으로 거듭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 대륜, 국제 분야 법률 서비스 확대...美시장 진출 본격화 (바로가기) 한경머니 -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미국 부동산 자문 및 법률 서비스 위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국제뉴스 -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美부동산 자문·법률 서비스 위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IT비즈뉴스 - 코리니-법무법인 대륜, 미국 부동산 자문·법률 서비스 위한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파이낸스투데이 -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美부동산 자문·법률 서비스 위해 맞손 (바로가기) 글로벌에픽 - 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美 부동산플랫폼 코리니와 ‘MOU 체결’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글로벌 로펌으로 거듭난다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대륜, 국제무대 진출 '출사표'…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협력 강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 법무법인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글로벌 로펌으로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업무 협약 (바로가기) 한국경제 - 법무법인 디엘지, 태국에 합작법인 설립…국내 로펌 최초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딜사이트 - 코리니,법무법인 대륜과 美부동산 투자 맞손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美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협력 강화…국제업무 역량 강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 대륜, 국제업무 역량 강화…美 진출로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 (바로가기) 매일경제 -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부동산서비스 MOU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Invest&Law]대륜, 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업무 협약 (바로가기) 아유경제 - [아유경제_부동산] 코리니,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미주한국일보 - 법무법인 대륜과 미 부동산 서비스 업무협약 (바로가기) 아세안익스프레스 - 부동산 솔루션 ‘코리니’-‘법무법인 대륜’ 업무협약 체결…고객들에게 법률・재무 서비스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3-14
김국일·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법률신문사 방문
김국일·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법률신문사 방문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57·사법연수원 24기), 박동일(39·변호사시험 8회) 대표변호사가 13일 서울 서초구 법률신문사를 방문해 이수형 사장 등과 환담했다. 김 대표변호사는 "미국과 일본에 사무소 설립을 앞두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으로의 투자를 아끼지 않고, 앞으로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변호사는 전주 신흥고와 서울대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사법연수원 수료 후 서울지검 검사를 시작으로 부산지검, 대전지검 홍성지청, 서울중앙지검 검사와 수원지검 부부장검사, 사법연수원 교수, 청주지검 부장검사, 서울중앙지검 공판2부장검사, 광주지검 형사1부장검사, 수원지검 형사2부장검사, 전주지검 남원지청장, 광주지검 목포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장 등을 지냈다. 2020년 3월 변호사로 개업해 법무법인 YK 대표변호사를 역임하고, 2023년 대륜에 합류해 2024년 10월부터 경영총괄변호사를 맡고 있다.박 대표변호사는 부산대 법학과와 부산대 로스쿨을 졸업했다. 2019년 제8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뒤 대륜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김국일·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법률신문사 방문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3-14
김국일·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법률신문사 방문
김국일·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법률신문사 방문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57·사법연수원 24기), 박동일(39·변호사시험 8회) 대표변호사가 13일 서울 서초구 법률신문사를 방문해 이수형 사장 등과 환담했다. 김 대표변호사는 "미국과 일본에 사무소 설립을 앞두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으로의 투자를 아끼지 않고, 앞으로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변호사는 전주 신흥고와 서울대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사법연수원 수료 후 서울지검 검사를 시작으로 부산지검, 대전지검 홍성지청, 서울중앙지검 검사와 수원지검 부부장검사, 사법연수원 교수, 청주지검 부장검사, 서울중앙지검 공판2부장검사, 광주지검 형사1부장검사, 수원지검 형사2부장검사, 전주지검 남원지청장, 광주지검 목포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장 등을 지냈다. 2020년 3월 변호사로 개업해 법무법인 YK 대표변호사를 역임하고, 2023년 대륜에 합류해 2024년 10월부터 경영총괄변호사를 맡고 있다.박 대표변호사는 부산대 법학과와 부산대 로스쿨을 졸업했다. 2019년 제8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뒤 대륜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김국일·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법률신문사 방문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14
무더위 속 쓰러져 숨진 근로자..기저질환 이유 유족급여 미지급은 '잘못'
무더위 속 쓰러져 숨진 근로자..기저질환 이유 유족급여 미지급은 '잘못'
무더운 날씨 속에서 작업하다 쓰러져 숨진 근로자에게 기저질환을 이유로 유족급여를 지급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결정이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제7부는 지난 1월 23일 60대 남성 A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여름 도로 보수 공사 현장에서 일용직으로 근무하던 중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결국 숨졌습니다.사인은 급성 심근경색이었습니다.유족 측은 A씨의 사망 원인이 열악한 근무 환경이라고 주장했습니다.고온다습한 날씨 상황에서 무거운 짐을 들고 비탈길을 오르는 등 고강도의 작업이 심근경색을 야기했다는 것입니다.유족 측은 산업재해보상에 따른 유족급여와 장례비를 청구했습니다.하지만 근로복지공단은 A씨가 담당했던 업무가 사망과 인과관계가 없다며 지급 거부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의 건강검진 결과를 봤을 때 고혈압과 당뇨 의심 내역이 있었는데, 이러한 기저질환이 심근경색의 원인이었다는 것입니다.이에 불복한 A씨 유족은 행정소송을 청구했고, 법원은 유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급성 심근경색은 고혈압, 당뇨 등이 위험요소이기는 하나 무리한 신체 활동 역시 마찬가지"라며 "무더운 날씨에 강도 높은 육체노동은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성에게도 위험요소"라고 말했습니다.이어 "고인이 했던 업무는 일반인에게도 육체적으로 큰 부담이 되는 일"이라며 "업무와 고인의 사망 사이의 상당한 인과관계를 인정한다"고 덧붙였습니다.A씨의 유족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정영민 변호사는 "산재보상에 따른 유족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고인의 업무와 사망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A씨가 별도의 적응 기간 없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고강도의 작업을 했고, 이로 인해 신체에 급격한 변화가 와 사망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입증해 이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 기자 (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무더위 속 쓰러져 숨진 근로자..기저질환 이유 유족급여 미지급은 '잘못'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14
무더위 속 쓰러져 숨진 근로자..기저질환 이유 유족급여 미지급은 '잘못'
무더위 속 쓰러져 숨진 근로자..기저질환 이유 유족급여 미지급은 '잘못'
무더운 날씨 속에서 작업하다 쓰러져 숨진 근로자에게 기저질환을 이유로 유족급여를 지급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결정이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제7부는 지난 1월 23일 60대 남성 A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여름 도로 보수 공사 현장에서 일용직으로 근무하던 중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결국 숨졌습니다.사인은 급성 심근경색이었습니다.유족 측은 A씨의 사망 원인이 열악한 근무 환경이라고 주장했습니다.고온다습한 날씨 상황에서 무거운 짐을 들고 비탈길을 오르는 등 고강도의 작업이 심근경색을 야기했다는 것입니다.유족 측은 산업재해보상에 따른 유족급여와 장례비를 청구했습니다.하지만 근로복지공단은 A씨가 담당했던 업무가 사망과 인과관계가 없다며 지급 거부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의 건강검진 결과를 봤을 때 고혈압과 당뇨 의심 내역이 있었는데, 이러한 기저질환이 심근경색의 원인이었다는 것입니다.이에 불복한 A씨 유족은 행정소송을 청구했고, 법원은 유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급성 심근경색은 고혈압, 당뇨 등이 위험요소이기는 하나 무리한 신체 활동 역시 마찬가지"라며 "무더운 날씨에 강도 높은 육체노동은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성에게도 위험요소"라고 말했습니다.이어 "고인이 했던 업무는 일반인에게도 육체적으로 큰 부담이 되는 일"이라며 "업무와 고인의 사망 사이의 상당한 인과관계를 인정한다"고 덧붙였습니다.A씨의 유족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정영민 변호사는 "산재보상에 따른 유족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고인의 업무와 사망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A씨가 별도의 적응 기간 없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고강도의 작업을 했고, 이로 인해 신체에 급격한 변화가 와 사망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입증해 이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민지 기자 (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무더위 속 쓰러져 숨진 근로자..기저질환 이유 유족급여 미지급은 '잘못'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2025-03-13
[인터뷰] "장학금 혜택 많은 로스쿨, 제가 산 증인입니다."···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인터뷰] "장학금 혜택 많은 로스쿨, 제가 산 증인입니다."···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올해 7년 차인 김영민 변호사는 지난해 5월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새 둥지를 틀었다. 선임 변호사로서 일정이 많을 법도 한데, 인터뷰를 위해 기꺼이 시간을 낸 김 변호사는 로스쿨에서의 시간을 ‘값진 시간’이라고 회상했다. 묵묵하고 흔들림 없이 자신의 길을 가고 있는 김영민 변호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사법시험 준비하다 신춘문예 당선되기도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민사, 형사, 가사 등 다양한 송무를 담당하고 있는 변호사 김영민입니다. 제 이력이 조금 특별한데요,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 합격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29세에 이등병으로 군에 입대했습니다. 제대 후 언론사 취업을 준비하던 중, 우연히 경제적 취약계층을 위한 로스쿨 장학 제도를 알게 되어 35세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로스쿨에 입학했습니다. 그렇게 변호사시험에 합격해 지금의 자리에 서게 되었습니다. Q) 사법시험을 준비하다가 로스쿨에 진학했는데, 법조인의 꿈은 언제부터 갖게 되었나요? 법조인의 꿈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특별히 고 조영래 변호사님과의 인연이 큰 영향을 미쳤죠. 조영래 변호사님은 제 큰어머니와 사촌지간이셨는데, 어릴 적부터 그분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인권 변호사'로 유명하셨던 조영래 변호사님 같은 법조인이 되고 싶다는 막연한 꿈을 키워왔죠. 그러다 자연스럽게 법대에 진학하게 되었고, 법조인의 꿈을 구체화하게 되었습니다. Q) 신춘문예 당선자라는 독특한 이력이 있던데, 그때의 일화를 소개해주시겠어요? 그 일화는 제 인생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순간 중 하나였습니다. 사실 저는 초등학교 때부터 문예반 활동을 하며 글쓰기 대회에서 상을 많이 받았어요. 그러다 대학 1학년 때부터 매년 신춘문예에 도전했지만 계속 낙방했죠. 2007년 겨울, 사법시험 2차 준비로 바빠서 새 작품을 쓸 여유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전에 탈락했던 작품을 약간 손보아 제출했는데, 이번엔 특별한 전략을 세웠죠. 당시 대부분의 응모자들이 컴퓨터로 작성한 원고를 제출하는 추세였는데, 저는 역발상으로 직접 원고지에 손글씨로 작성해 제출했습니다. 심사위원들의 눈에 좀 더 띄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죠. 그리고 정말 믿기지 않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조선일보 신춘문예 관계자라면서 연락이 왔는데, 제가 원고지에 작품을 써서 제출한 이유를 물어보더라고요. 그 순간 '아, 이번엔 당선됐구나!'라는 직감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며칠 후 당선 통보를 받았죠. 이 경험을 통해 인생에는 때가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운을 다 써버려서 사법시험에 최종 합격하지 못한 게 아닐까 하는 농담을 하기도 합니다.(웃음) Q) 딱딱한 법학과 말랑한 동시(童詩), 다소 어울리지 않는 조합으로 느껴집니다.(웃음) 언뜻 보면 그렇게 느껴질 수 있죠. 하지만 저는 이 두 분야가 생각보다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봅니다. 학부 때 수업을 들었던 김재형 전 대법관님의 말씀이 떠오르는데요, "민법의 안팎에는 상상력으로 채워야 할 많은 공간이 있다"면서 "법학적 상상력은 문학적 상상력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그 말씀을 듣고 '와, 나는 문학적 상상력과 법학적 상상력을 다 가진 거 아닐까?'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웃음) 사실 동시를 포함한 글쓰기는 제게 오랜 취미였고, 법학은 전공으로 공부한 분야죠. 취미와 직업의 관계로 보면 그리 이질적이지만은 않습니다. 오히려 이 두 가지를 모두 갖춘 것이 제 강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3년간 등록금, 생활비까지 지원해주는 로스쿨 진학 결심 Q) 로스쿨 진학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사실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컸습니다. 어릴 때부터 집안 형편이 넉넉지 않아 늘 장학금의 도움을 받으며 공부했어요. 대학 졸업 후 사법시험을 준비하면서도 경제적 부담이 상당했죠. 그러다 31세에 군 복무를 마치고 취업을 준비하던 중, 한 친구가 제 상황을 듣고는 로스쿨 장학금 제도를 알려주었습니다. 알아보니 제가 차상위계층에 해당해 로스쿨 입학 시 상당한 장학 혜택을 받을 수 있었어요. 심지어 리트(LEET) 응시료까지 면제받을 수 있었죠. 그때서야 이런 제도가 있다는 걸 알게 되어 좀 아쉬웠습니다. 더 일찍 알았더라면 군 전역 직후 바로 로스쿨에 도전했을 텐데 말이죠. 그렇게 특별한 준비 없이 리트에 응시했는데, 의외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성균관대와 중앙대 두 곳에 합격했고, 고민 끝에 3년간 등록금과 매월 100만 원의 생활비까지 지원해주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한 중앙대 로스쿨에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Q) 변호사시험을 치를 당시의 나이가 38세로 어린 동기들과 제법 차이가 났을 텐데, 체력적으로 버겁지는 않았나요?(웃음) 앞서 말씀드렸듯이 전공자로서의 배경 덕분에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행히 체력적인 부담은 크게 없었어요. 다만, 3학년 2학기 기말고사를 마치고 변호사시험까지 한 달여 남았을 때 잠시 방심했던 적이 있어요. 학교에 안 나가도 되니 자취방에 틀어박혀 하루종일 유튜브나 드라마, 영화를 보면서 시간을 보냈죠. 지금 생각하면 정말 위험한 행동이었어요. 변호사시험 직전까지도 '떨어지면 어떡하지?'하는 걱정이 들 정도였으니까요. 다행히 합격했지만, 합격자 발표까지의 3개월이 정말 마음 졸였던 순간이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하기 싫을 때 그걸 이겨내고 하는 것이 실력이라는 뼈저린 교훈을 얻었습니다. Q) 어느덧 7년 차 변호사로 활약 중이십니다. 최근 법무법인(유한) 대륜으로 보금자리를 옮기셨는데, 어떤 업무를 하고 계신가요? 네, 현재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일반 민사, 형사 송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륜에서는 가사 사건, 즉 이혼이나 상속 관련 업무도 많이 하고 있어요.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다루면서 소위 내공을 쌓고 있습니다. Q) 업무에서 느끼는 보람과 애로사항은 무엇인가요? 가장 큰 보람은 역시나 의뢰인들의 문제를 해결해드릴 때입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곤경에 처한 분들이나 법률 지식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도와드릴 때 큰 보람을 느낍니다. 제 경험과 지식으로 그분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점이 변호사로서 가장 큰 기쁨이에요. 애로사항이라면 때로는 의뢰인의 기대와 법적 현실 사이의 간극을 조율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의뢰인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자신에게 유리한 결과를 바라시지만, 법적으로 그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거든요. 이럴 때 현실을 설명드리면서도 최선의 대안을 찾아 의뢰인을 설득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또한, 업무량이 많아 개인 시간 관리가 어려울 때도 있어요. 하지만 이런 어려움들도 제가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하며 극복해 나가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변호사 아동문학가로서의 활동도 해보고 싶어” Q) 요즘 변호사님을 가장 즐겁게 만드는 건 무엇인가요? 최근에 러닝에 푹 빠져있습니다. 작년 6월부터 런데이앱이라는 것을 통해 러닝을 시작했는데, 얼마 전에는 마라톤 대회 10km 코스에 출전해 55분대 기록을 세웠어요. 처음엔 돈이 별로 들지 않는 운동이라고 생각했는데, 점점 깊이 빠져들다 보니 러닝화, 러닝벨트, 스포츠워치 등 구입할 것이 의외로 많더라고요.(웃음) 30분 쉬지 않고 달리기, 50분 쉬지 않고 달리기, 5km 완주, 10km 완주 등 하나씩 목표를 세우고 달성할 때마다 저 스스로에게 이런 물품들을 선물하고 있어요. 일종의 '러닝 플렉스'라고 할까요?(웃음) Q) 변호사 김영민 그리고 사람 김영민의 향후 계획은 무엇인가요? 앞으로는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더욱 키워나가고 싶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다뤄왔는데, 이제는 노동법, 가사법(이혼, 상속), 형사법, 저작권법 같이 어느 하나의 특정 분야에 좀 더 집중하려고 해요. 장기적으로는 제 이름을 건 법률사무소나 로펌을 운영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때가 되면 '김영민 변호사' 했을 때 ‘아~ 무슨 분야의 실력자’하는 소리와 함께 따뜻하고 겸손한 변호사라는 평가를 받고 싶습니다. 이를 위해 계속해서 공부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아갈 계획이에요. 개인적으로는 가정과 일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제 딸이 이제 만 5살인데,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도 소중히 여기며 가정과 일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가고 싶어요. 그리고 작은 꿈이 하나 있다면, 언젠가는 변호사 아동문학가로서의 활동도 해보고 싶다는 거예요. 변호사이면서 작가로 활동하시는 분들을 보면 늘 부럽고 존경스럽거든요. 저도 기회가 된다면 어린이들을 위한 동화나 에세이를 쓰고, 나아가 어린이 법률교육까지 할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Q) 마지막으로 나이가 많아서 혹은 학비가 비쌀 것이라는 오해로 로스쿨 진학을 망설이는 분들에게 한 말씀 해주신다면? 먼저 학비 걱정은 과감히 접으셔도 좋습니다. 소득분위에 따라 장학금 지원 혜택이 정말 많아요. 저 역시 그 혜택을 받은 산 증인이니까요. 나이가 많다는 것도 절대 불합격 요소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동안의 삶의 경험이 강점이 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그 나이까지 어떤 공부를 했고, 어떤 사회 경험을 쌓았는지, 그리고 그것을 통해 법조인으로서 어떤 강점을 가지게 됐는지를 잘 어필하는 거예요. 과거의 학부 성적은 이미 지나간 일이니 크게 신경 쓰지 마세요. 대신 지금 노력으로 얼마든지 향상시킬 수 있는 토익 같은 영어 성적이나 리트 성적에 집중하세요. '나는 나이 때문에 안 돼'라는 생각은 절대 하지 마시고, 대신 그 나이를 자기소개서에 어떻게 본인의 강점으로 잘 녹여낼 것인지만 고민하세요. 그렇게 준비하신다면, 3년 후에는 분명 저와 함께 법조계에서 활약하고 계실 겁니다. 여러분의 도전을 응원합니다! 박소희 기자(showe@leet.or.kr) [기사전문보기] [인터뷰] "장학금 혜택 많은 로스쿨, 제가 산 증인입니다."···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2025-03-13
[인터뷰] "장학금 혜택 많은 로스쿨, 제가 산 증인입니다."···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인터뷰] "장학금 혜택 많은 로스쿨, 제가 산 증인입니다."···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올해 7년 차인 김영민 변호사는 지난해 5월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새 둥지를 틀었다. 선임 변호사로서 일정이 많을 법도 한데, 인터뷰를 위해 기꺼이 시간을 낸 김 변호사는 로스쿨에서의 시간을 ‘값진 시간’이라고 회상했다. 묵묵하고 흔들림 없이 자신의 길을 가고 있는 김영민 변호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사법시험 준비하다 신춘문예 당선되기도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민사, 형사, 가사 등 다양한 송무를 담당하고 있는 변호사 김영민입니다. 제 이력이 조금 특별한데요,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 합격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29세에 이등병으로 군에 입대했습니다. 제대 후 언론사 취업을 준비하던 중, 우연히 경제적 취약계층을 위한 로스쿨 장학 제도를 알게 되어 35세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로스쿨에 입학했습니다. 그렇게 변호사시험에 합격해 지금의 자리에 서게 되었습니다. Q) 사법시험을 준비하다가 로스쿨에 진학했는데, 법조인의 꿈은 언제부터 갖게 되었나요? 법조인의 꿈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특별히 고 조영래 변호사님과의 인연이 큰 영향을 미쳤죠. 조영래 변호사님은 제 큰어머니와 사촌지간이셨는데, 어릴 적부터 그분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인권 변호사'로 유명하셨던 조영래 변호사님 같은 법조인이 되고 싶다는 막연한 꿈을 키워왔죠. 그러다 자연스럽게 법대에 진학하게 되었고, 법조인의 꿈을 구체화하게 되었습니다. Q) 신춘문예 당선자라는 독특한 이력이 있던데, 그때의 일화를 소개해주시겠어요? 그 일화는 제 인생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순간 중 하나였습니다. 사실 저는 초등학교 때부터 문예반 활동을 하며 글쓰기 대회에서 상을 많이 받았어요. 그러다 대학 1학년 때부터 매년 신춘문예에 도전했지만 계속 낙방했죠. 2007년 겨울, 사법시험 2차 준비로 바빠서 새 작품을 쓸 여유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전에 탈락했던 작품을 약간 손보아 제출했는데, 이번엔 특별한 전략을 세웠죠. 당시 대부분의 응모자들이 컴퓨터로 작성한 원고를 제출하는 추세였는데, 저는 역발상으로 직접 원고지에 손글씨로 작성해 제출했습니다. 심사위원들의 눈에 좀 더 띄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죠. 그리고 정말 믿기지 않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조선일보 신춘문예 관계자라면서 연락이 왔는데, 제가 원고지에 작품을 써서 제출한 이유를 물어보더라고요. 그 순간 '아, 이번엔 당선됐구나!'라는 직감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며칠 후 당선 통보를 받았죠. 이 경험을 통해 인생에는 때가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운을 다 써버려서 사법시험에 최종 합격하지 못한 게 아닐까 하는 농담을 하기도 합니다.(웃음) Q) 딱딱한 법학과 말랑한 동시(童詩), 다소 어울리지 않는 조합으로 느껴집니다.(웃음) 언뜻 보면 그렇게 느껴질 수 있죠. 하지만 저는 이 두 분야가 생각보다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봅니다. 학부 때 수업을 들었던 김재형 전 대법관님의 말씀이 떠오르는데요, "민법의 안팎에는 상상력으로 채워야 할 많은 공간이 있다"면서 "법학적 상상력은 문학적 상상력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그 말씀을 듣고 '와, 나는 문학적 상상력과 법학적 상상력을 다 가진 거 아닐까?'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웃음) 사실 동시를 포함한 글쓰기는 제게 오랜 취미였고, 법학은 전공으로 공부한 분야죠. 취미와 직업의 관계로 보면 그리 이질적이지만은 않습니다. 오히려 이 두 가지를 모두 갖춘 것이 제 강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3년간 등록금, 생활비까지 지원해주는 로스쿨 진학 결심 Q) 로스쿨 진학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사실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컸습니다. 어릴 때부터 집안 형편이 넉넉지 않아 늘 장학금의 도움을 받으며 공부했어요. 대학 졸업 후 사법시험을 준비하면서도 경제적 부담이 상당했죠. 그러다 31세에 군 복무를 마치고 취업을 준비하던 중, 한 친구가 제 상황을 듣고는 로스쿨 장학금 제도를 알려주었습니다. 알아보니 제가 차상위계층에 해당해 로스쿨 입학 시 상당한 장학 혜택을 받을 수 있었어요. 심지어 리트(LEET) 응시료까지 면제받을 수 있었죠. 그때서야 이런 제도가 있다는 걸 알게 되어 좀 아쉬웠습니다. 더 일찍 알았더라면 군 전역 직후 바로 로스쿨에 도전했을 텐데 말이죠. 그렇게 특별한 준비 없이 리트에 응시했는데, 의외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성균관대와 중앙대 두 곳에 합격했고, 고민 끝에 3년간 등록금과 매월 100만 원의 생활비까지 지원해주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한 중앙대 로스쿨에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Q) 변호사시험을 치를 당시의 나이가 38세로 어린 동기들과 제법 차이가 났을 텐데, 체력적으로 버겁지는 않았나요?(웃음) 앞서 말씀드렸듯이 전공자로서의 배경 덕분에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행히 체력적인 부담은 크게 없었어요. 다만, 3학년 2학기 기말고사를 마치고 변호사시험까지 한 달여 남았을 때 잠시 방심했던 적이 있어요. 학교에 안 나가도 되니 자취방에 틀어박혀 하루종일 유튜브나 드라마, 영화를 보면서 시간을 보냈죠. 지금 생각하면 정말 위험한 행동이었어요. 변호사시험 직전까지도 '떨어지면 어떡하지?'하는 걱정이 들 정도였으니까요. 다행히 합격했지만, 합격자 발표까지의 3개월이 정말 마음 졸였던 순간이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하기 싫을 때 그걸 이겨내고 하는 것이 실력이라는 뼈저린 교훈을 얻었습니다. Q) 어느덧 7년 차 변호사로 활약 중이십니다. 최근 법무법인(유한) 대륜으로 보금자리를 옮기셨는데, 어떤 업무를 하고 계신가요? 네, 현재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일반 민사, 형사 송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륜에서는 가사 사건, 즉 이혼이나 상속 관련 업무도 많이 하고 있어요.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다루면서 소위 내공을 쌓고 있습니다. Q) 업무에서 느끼는 보람과 애로사항은 무엇인가요? 가장 큰 보람은 역시나 의뢰인들의 문제를 해결해드릴 때입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곤경에 처한 분들이나 법률 지식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도와드릴 때 큰 보람을 느낍니다. 제 경험과 지식으로 그분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점이 변호사로서 가장 큰 기쁨이에요. 애로사항이라면 때로는 의뢰인의 기대와 법적 현실 사이의 간극을 조율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의뢰인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자신에게 유리한 결과를 바라시지만, 법적으로 그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거든요. 이럴 때 현실을 설명드리면서도 최선의 대안을 찾아 의뢰인을 설득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또한, 업무량이 많아 개인 시간 관리가 어려울 때도 있어요. 하지만 이런 어려움들도 제가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하며 극복해 나가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변호사 아동문학가로서의 활동도 해보고 싶어” Q) 요즘 변호사님을 가장 즐겁게 만드는 건 무엇인가요? 최근에 러닝에 푹 빠져있습니다. 작년 6월부터 런데이앱이라는 것을 통해 러닝을 시작했는데, 얼마 전에는 마라톤 대회 10km 코스에 출전해 55분대 기록을 세웠어요. 처음엔 돈이 별로 들지 않는 운동이라고 생각했는데, 점점 깊이 빠져들다 보니 러닝화, 러닝벨트, 스포츠워치 등 구입할 것이 의외로 많더라고요.(웃음) 30분 쉬지 않고 달리기, 50분 쉬지 않고 달리기, 5km 완주, 10km 완주 등 하나씩 목표를 세우고 달성할 때마다 저 스스로에게 이런 물품들을 선물하고 있어요. 일종의 '러닝 플렉스'라고 할까요?(웃음) Q) 변호사 김영민 그리고 사람 김영민의 향후 계획은 무엇인가요? 앞으로는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더욱 키워나가고 싶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다뤄왔는데, 이제는 노동법, 가사법(이혼, 상속), 형사법, 저작권법 같이 어느 하나의 특정 분야에 좀 더 집중하려고 해요. 장기적으로는 제 이름을 건 법률사무소나 로펌을 운영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때가 되면 '김영민 변호사' 했을 때 ‘아~ 무슨 분야의 실력자’하는 소리와 함께 따뜻하고 겸손한 변호사라는 평가를 받고 싶습니다. 이를 위해 계속해서 공부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아갈 계획이에요. 개인적으로는 가정과 일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제 딸이 이제 만 5살인데,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도 소중히 여기며 가정과 일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가고 싶어요. 그리고 작은 꿈이 하나 있다면, 언젠가는 변호사 아동문학가로서의 활동도 해보고 싶다는 거예요. 변호사이면서 작가로 활동하시는 분들을 보면 늘 부럽고 존경스럽거든요. 저도 기회가 된다면 어린이들을 위한 동화나 에세이를 쓰고, 나아가 어린이 법률교육까지 할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Q) 마지막으로 나이가 많아서 혹은 학비가 비쌀 것이라는 오해로 로스쿨 진학을 망설이는 분들에게 한 말씀 해주신다면? 먼저 학비 걱정은 과감히 접으셔도 좋습니다. 소득분위에 따라 장학금 지원 혜택이 정말 많아요. 저 역시 그 혜택을 받은 산 증인이니까요. 나이가 많다는 것도 절대 불합격 요소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동안의 삶의 경험이 강점이 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그 나이까지 어떤 공부를 했고, 어떤 사회 경험을 쌓았는지, 그리고 그것을 통해 법조인으로서 어떤 강점을 가지게 됐는지를 잘 어필하는 거예요. 과거의 학부 성적은 이미 지나간 일이니 크게 신경 쓰지 마세요. 대신 지금 노력으로 얼마든지 향상시킬 수 있는 토익 같은 영어 성적이나 리트 성적에 집중하세요. '나는 나이 때문에 안 돼'라는 생각은 절대 하지 마시고, 대신 그 나이를 자기소개서에 어떻게 본인의 강점으로 잘 녹여낼 것인지만 고민하세요. 그렇게 준비하신다면, 3년 후에는 분명 저와 함께 법조계에서 활약하고 계실 겁니다. 여러분의 도전을 응원합니다! 박소희 기자(showe@leet.or.kr) [기사전문보기] [인터뷰] "장학금 혜택 많은 로스쿨, 제가 산 증인입니다."···김영민 변호사(법무법인(유한) 대륜) (바로가기)
로이슈 등 5곳
2025-03-13
https://www.lawissue.co.kr/view.php?ud=2025031321511841989a8c8bf58f_12
법무법인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11년 만에 변경된 통상임금 체계를 분석하고 실무 대응책 도모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통상임금 범위를 확대하는 판결을 내리면서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관련 세미나가 대전에서 열린다.법무법인 대륜 대전 분사무소는 오는 19일 오후 2시 대전사이언스센터에서 대전·세종·충청 권역 기업 대표 및 인사·노무 실무자를 대상으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11년 만에 변경된 통상임금 체계를 분석하고 실무 대응책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됐다. 통상임금 판단의 핵심 기준 중 하나인 ‘고정성’ 요건이 폐기되면서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세미나 발표자로는 김정범 변호사가 나선다. 김 변호사는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경영컨설턴트, 대전소방본부 갑질 자문단 위원,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윤리인권경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노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전문가다. 김 변호사는 이 자리에서 대법원 판결의 주요 내용과 요지를 분석하고, 통상임금 범위 변경에 따른 실무적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아울러 판례 변경으로 인한 새로운 노사 쟁점과 각 기업들이 마련해야 할 대응 방안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통상임금 변경에 따라 많은 기업이 혼란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도권이 아닌 대전 분사무소에서 주최하는 이번 세미나가 대전·세종·충청 기업 실무자에게 대안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대전 분사무소는 매달 1회 법률 세미나를 개최해 시민들의 법률 지식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다.전용모 기자(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 세미나 19일 개최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 [로펌 zip중탐구] 통상임금 확대 쇼크…해법 찾기 나선 로펌 (바로가기) 충청신문 - 법무법인 대륜, 대전 소상공인 위한 '통상임금 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로이슈 등 5곳
2025-03-13
https://www.lawissue.co.kr/view.php?ud=2025031321511841989a8c8bf58f_12
법무법인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11년 만에 변경된 통상임금 체계를 분석하고 실무 대응책 도모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통상임금 범위를 확대하는 판결을 내리면서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관련 세미나가 대전에서 열린다.법무법인 대륜 대전 분사무소는 오는 19일 오후 2시 대전사이언스센터에서 대전·세종·충청 권역 기업 대표 및 인사·노무 실무자를 대상으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11년 만에 변경된 통상임금 체계를 분석하고 실무 대응책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됐다. 통상임금 판단의 핵심 기준 중 하나인 ‘고정성’ 요건이 폐기되면서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세미나 발표자로는 김정범 변호사가 나선다. 김 변호사는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경영컨설턴트, 대전소방본부 갑질 자문단 위원,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윤리인권경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노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전문가다. 김 변호사는 이 자리에서 대법원 판결의 주요 내용과 요지를 분석하고, 통상임금 범위 변경에 따른 실무적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아울러 판례 변경으로 인한 새로운 노사 쟁점과 각 기업들이 마련해야 할 대응 방안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통상임금 변경에 따라 많은 기업이 혼란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도권이 아닌 대전 분사무소에서 주최하는 이번 세미나가 대전·세종·충청 기업 실무자에게 대안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대전 분사무소는 매달 1회 법률 세미나를 개최해 시민들의 법률 지식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다.전용모 기자(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 세미나 19일 개최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기업 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 [로펌 zip중탐구] 통상임금 확대 쇼크…해법 찾기 나선 로펌 (바로가기) 충청신문 - 법무법인 대륜, 대전 소상공인 위한 '통상임금 실무 대응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프레시안 등 4곳
2025-03-13
경동대학교,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경동대학교,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경동대에 법률자문 제공 경동대학교(총장 전성용)는 13일 유한회사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메트로폴캠퍼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경동대 이영훈 산학부총장과 대륜의 이광우 최고총괄변호사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김금찬 경동대 취업복지처장은 협약식 후 “대학 구성원들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대륜과의 관계가 다양한 분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이광우 변호사도 “신뢰 속에 공동목적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지난 2016년 '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문을 연 대륜은 지난해 매출 1127억을 달성하면서, 국내법률시장에서 매출 기준으로 ‘가장 빠른 10위 권 진입’이라는 실적을 거두었다. 이같은 급속 성장에는 미국 등의 선진 로펌시스템 도입이 주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서동일 기자(tami80@pressian.com) [기사전문보기] 프레시안 - 경동대학교,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대학저널 - 경동대,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뉴시스 - [양주소식] 경동대-법무법인 대륜 업무협약 등 (바로가기) 비욘드포스트 - 경동대, 법무법인 대륜과 협약… 대학 구성원 법률 서비스 강화 (바로가기)
프레시안 등 4곳
2025-03-13
경동대학교,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경동대학교,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경동대에 법률자문 제공 경동대학교(총장 전성용)는 13일 유한회사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메트로폴캠퍼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경동대 이영훈 산학부총장과 대륜의 이광우 최고총괄변호사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김금찬 경동대 취업복지처장은 협약식 후 “대학 구성원들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대륜과의 관계가 다양한 분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이광우 변호사도 “신뢰 속에 공동목적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지난 2016년 '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문을 연 대륜은 지난해 매출 1127억을 달성하면서, 국내법률시장에서 매출 기준으로 ‘가장 빠른 10위 권 진입’이라는 실적을 거두었다. 이같은 급속 성장에는 미국 등의 선진 로펌시스템 도입이 주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서동일 기자(tami80@pressian.com) [기사전문보기] 프레시안 - 경동대학교,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대학저널 - 경동대,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뉴시스 - [양주소식] 경동대-법무법인 대륜 업무협약 등 (바로가기) 비욘드포스트 - 경동대, 법무법인 대륜과 협약… 대학 구성원 법률 서비스 강화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2곳
2025-03-13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약사법 개정 중심, CSO신고제·지출보고서 공개 등 소개 지난 7일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를 주제로 한 세미나가 서울 여의도 법무법인 대륜 본사에서 개최됐다.이번 세미나는 약사법 개정에 따라 지난해 10월 의약품 판촉영업자(CSO) 신고제가 시행되는 등 제약업계 내 불법 리베이트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관련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세미나에는 국내 상위 제약사, 대기업 계열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글로벌 제약사 등의 법무, 준법, 감사부서 담당 임직원 80여 명이 참석해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총 4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는 대륜 의료제약그룹 최윤정 변호사, 기업법무그룹 손계준 변호사, 최명순 고문, 임정오 세무사가 참여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최윤정 변호사가 CSO 신고제와 이번 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인 경제적 이익 제공 내역에 관한 지출보고서 공개 제도 등을 소개했다.최 변호사는 “CSO신고제 시행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판촉영업자들은 신고의무를 부담하게 됐으며, 제약회사 등은 신고하지 않은 CSO에 판매촉진업무를 위탁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지출보고서에 대해서도 “CSO 역시 작성 주체에 포함됐으므로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의 제공주체, 범위와 내용, 관련 자료 보관 등에 대한 규정을 확인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위 신고 및 지출보고서 관련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행정처분과 더불어 형사처벌까지 가능한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두 번째 세션에서는 기업법무그룹장을 맡고 있는 손계준 변호사가 제약 업계 리베이트 규제 및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손 변호사는 공정거래위원회 제재 사례를 분석해 제약사별 CP 구축 전략을 제시했다.그는 “CP 등급평가는 운영·평가에 관한 규정에 명시된 평가기준을 따른다. 산출된 점수별로 등급이 부여되는 시스템이며, 우수 등급 기업은 과징금, 시정조치 감경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이미 많은 제약사가 전담 부서를 구성해 대응하고 있다. 목표 등급을 설정해 CP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체크리스트를 통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특히 손 변호사는 실무진의 노력도 중요하나 CEO의 실천의지 및 지원도 평가항목 중 큰 비중을 차지해 전담부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우수사례 분석 △외부 전문가 점검을 통한 개선사항 발굴을 제시했다.세 번째 발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광주지원장을 역임한 최명순 고문이 맡았다. 최 고문은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센터장을 지낼 당시 국내 최초로 ‘의약품유통관리팀’을 신설하며 의약품 유통제도 관리와 리베이트 조사 제도 기반 확립에 기여한 바 있다.그는 실무적인 시각에서 국내외 의약품 시장의 특징과 현황, 유통질서 문란 약제 행정 처분 등을 분석했다. 최 고문은 “국내 제약산업은 제네릭(복제약) 중심으로 이뤄져 내수중심의 과도한 영업 경쟁이 이어진 결과, 의료기관에 부당한 이윤을 제공하는 리베이트가 성행하게 됐다”라고 분석하면서, 제약업계 리베이트 조사 및 수사 공조체제, 심평원의 의약품 공급내역 사후관리 및 지출보고서 실태 조사, 리베이트 약제 행정처분 실무 등에 관해 소개했다.발표를 마무리하면서 그는 “제약, 도매·유통업계의 발전을 위해 신약개발 및 품질개선을 위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마지막 세션에서는 병·의원, 제조업 등의 세무 조정과 자문을 수행해온 임정오 세무사가 발표자로 나섰다. 임 세무사는 리베이트 발각 시 발생할 수 있는 세무 이슈와 기업 대응 방안 등에 대해 설명했다.임 세무사는 “과거 세무조사는 의약시장의 구조적 제약, 리베이트 추적 인력·시간 등의 한계로 인해 제공 업체에 법인세를 부과하는 데 그쳤다”며 “그러나 최근 세무조사 흐름은 소득의 귀속을 밝히는 것까지 집중해 과세하는 추세다. 따라서 조사를 받게 된다면 세세한 부분까지 확인해 대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여기서 임 세무사는 리베이트 제공자의 경우 징역·벌금형(동시에 둘 이상의 형벌에 처하도록 하는 필요적 병과 가능)이 가능하므로 주의를 요한다고 설명했다.김국일 대표는 “제약업계에서 컴플라이언스는 기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있어 그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세미나 개최를 통해 업계 내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밝혔다.한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산하에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를 두고, 기업들이 법률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문·소송·법제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아울러 그룹은 의사 출신 송진성 그룹장을 필두로 복지부·질병관리청 등 기관 자문을 수행하는 이서형 센터장, 셀트리온 및 특허 전문 법무법인 경력을 갖춘 이일형 변호사, 복지부·심평원 경력을 갖춘 윤소영 변호사, 제약회사 등 기업 자문을 수행하는 최윤정 변호사, 심평원 광주지원장을 역임한 최명순 고문 등이 활약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2곳
2025-03-13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약사법 개정 중심, CSO신고제·지출보고서 공개 등 소개 지난 7일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를 주제로 한 세미나가 서울 여의도 법무법인 대륜 본사에서 개최됐다.이번 세미나는 약사법 개정에 따라 지난해 10월 의약품 판촉영업자(CSO) 신고제가 시행되는 등 제약업계 내 불법 리베이트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관련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세미나에는 국내 상위 제약사, 대기업 계열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글로벌 제약사 등의 법무, 준법, 감사부서 담당 임직원 80여 명이 참석해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총 4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는 대륜 의료제약그룹 최윤정 변호사, 기업법무그룹 손계준 변호사, 최명순 고문, 임정오 세무사가 참여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최윤정 변호사가 CSO 신고제와 이번 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인 경제적 이익 제공 내역에 관한 지출보고서 공개 제도 등을 소개했다.최 변호사는 “CSO신고제 시행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판촉영업자들은 신고의무를 부담하게 됐으며, 제약회사 등은 신고하지 않은 CSO에 판매촉진업무를 위탁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지출보고서에 대해서도 “CSO 역시 작성 주체에 포함됐으므로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의 제공주체, 범위와 내용, 관련 자료 보관 등에 대한 규정을 확인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위 신고 및 지출보고서 관련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행정처분과 더불어 형사처벌까지 가능한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두 번째 세션에서는 기업법무그룹장을 맡고 있는 손계준 변호사가 제약 업계 리베이트 규제 및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손 변호사는 공정거래위원회 제재 사례를 분석해 제약사별 CP 구축 전략을 제시했다.그는 “CP 등급평가는 운영·평가에 관한 규정에 명시된 평가기준을 따른다. 산출된 점수별로 등급이 부여되는 시스템이며, 우수 등급 기업은 과징금, 시정조치 감경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이미 많은 제약사가 전담 부서를 구성해 대응하고 있다. 목표 등급을 설정해 CP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체크리스트를 통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특히 손 변호사는 실무진의 노력도 중요하나 CEO의 실천의지 및 지원도 평가항목 중 큰 비중을 차지해 전담부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우수사례 분석 △외부 전문가 점검을 통한 개선사항 발굴을 제시했다.세 번째 발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광주지원장을 역임한 최명순 고문이 맡았다. 최 고문은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센터장을 지낼 당시 국내 최초로 ‘의약품유통관리팀’을 신설하며 의약품 유통제도 관리와 리베이트 조사 제도 기반 확립에 기여한 바 있다.그는 실무적인 시각에서 국내외 의약품 시장의 특징과 현황, 유통질서 문란 약제 행정 처분 등을 분석했다. 최 고문은 “국내 제약산업은 제네릭(복제약) 중심으로 이뤄져 내수중심의 과도한 영업 경쟁이 이어진 결과, 의료기관에 부당한 이윤을 제공하는 리베이트가 성행하게 됐다”라고 분석하면서, 제약업계 리베이트 조사 및 수사 공조체제, 심평원의 의약품 공급내역 사후관리 및 지출보고서 실태 조사, 리베이트 약제 행정처분 실무 등에 관해 소개했다.발표를 마무리하면서 그는 “제약, 도매·유통업계의 발전을 위해 신약개발 및 품질개선을 위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마지막 세션에서는 병·의원, 제조업 등의 세무 조정과 자문을 수행해온 임정오 세무사가 발표자로 나섰다. 임 세무사는 리베이트 발각 시 발생할 수 있는 세무 이슈와 기업 대응 방안 등에 대해 설명했다.임 세무사는 “과거 세무조사는 의약시장의 구조적 제약, 리베이트 추적 인력·시간 등의 한계로 인해 제공 업체에 법인세를 부과하는 데 그쳤다”며 “그러나 최근 세무조사 흐름은 소득의 귀속을 밝히는 것까지 집중해 과세하는 추세다. 따라서 조사를 받게 된다면 세세한 부분까지 확인해 대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여기서 임 세무사는 리베이트 제공자의 경우 징역·벌금형(동시에 둘 이상의 형벌에 처하도록 하는 필요적 병과 가능)이 가능하므로 주의를 요한다고 설명했다.김국일 대표는 “제약업계에서 컴플라이언스는 기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있어 그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세미나 개최를 통해 업계 내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밝혔다.한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산하에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를 두고, 기업들이 법률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문·소송·법제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아울러 그룹은 의사 출신 송진성 그룹장을 필두로 복지부·질병관리청 등 기관 자문을 수행하는 이서형 센터장, 셀트리온 및 특허 전문 법무법인 경력을 갖춘 이일형 변호사, 복지부·심평원 경력을 갖춘 윤소영 변호사, 제약회사 등 기업 자문을 수행하는 최윤정 변호사, 심평원 광주지원장을 역임한 최명순 고문 등이 활약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실무'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머니S
2025-03-12
'인재' 포천 오폭…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인재' 포천 오폭…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지난 6일 경기 포천시 이동면 일대에서 발생한 공군 KF-16전투기 오폭 사고가 인재(人災)로 드러난 가운데 향후 피해 보상 방안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군법률 전문가는 조종사들에게 국가가 구상금을 청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11일 경기 포천시는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1인당 100만원씩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하나" "돈을 왜 포천시가 주냐 공군한테 주라고 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앞서 이영수 공군 참모총장은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사고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전투기 2대의 조종사들은 표적 좌표를 잘못 입력하는 실수를 저질렀으며 좌표를 재확인하는 절차 역시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더해 공군 측은 해당 부대 지휘관인 전대장(대령)과 대대장(중령)이 실무장 계획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는 등 관리·감독상 미흡한 점도 발견됐다.10일 기준 사고 부상자는 민간인 19명·군인 12명 등 총 31명으로 집계됐다. 150건이 넘는 민가 피해도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유례없는 전투기 민가 오폭 사고에 정부와 지자체 등은 보상 방안과 절차를 구체화하고 있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7일 "주택 파손 등 피해에 대해 예비비를 편성해 선제적으로 복구에 나서겠다"며 "피해 지역에 대한 재난지원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이번 사고의 피해자들은 국가배상법 등에 따라 피해 보상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가배상법은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며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국가나 공공단체가 배상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다.공군 군 검사 출신인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일단 피해자들은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후 국방부 배상심의위원회가 관련 심의를 진행해 배상금 지급 결정을 내리게 된다"고 말했다.공군 측이 이번 사고의 배경으로 '조종사들의 실수'를 언급한 만큼, 추후 국가가 조종사들에게 구상금을 청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이에 대해 최 변호사는 "현재까지 공군 측은 조종사 개인의 과실이 사고로 이어졌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국가배상법 제2조 제2항에 따르면 공무원의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 국가가 기지급한 배상액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구상청구를 할 수 있는 만큼 조종사의 주의의무 위반 해석에 따라 징계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다.군 당국은 현장에 '피해배상 현장대응팀'을 편성해 배상 절차와 방법과 관련한 주민 설명회를 진행했다.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인재' 포천 오폭…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바로가기)
머니S
2025-03-12
'인재' 포천 오폭…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인재' 포천 오폭…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지난 6일 경기 포천시 이동면 일대에서 발생한 공군 KF-16전투기 오폭 사고가 인재(人災)로 드러난 가운데 향후 피해 보상 방안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군법률 전문가는 조종사들에게 국가가 구상금을 청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11일 경기 포천시는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1인당 100만원씩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하나" "돈을 왜 포천시가 주냐 공군한테 주라고 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앞서 이영수 공군 참모총장은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사고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전투기 2대의 조종사들은 표적 좌표를 잘못 입력하는 실수를 저질렀으며 좌표를 재확인하는 절차 역시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더해 공군 측은 해당 부대 지휘관인 전대장(대령)과 대대장(중령)이 실무장 계획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는 등 관리·감독상 미흡한 점도 발견됐다.10일 기준 사고 부상자는 민간인 19명·군인 12명 등 총 31명으로 집계됐다. 150건이 넘는 민가 피해도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유례없는 전투기 민가 오폭 사고에 정부와 지자체 등은 보상 방안과 절차를 구체화하고 있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7일 "주택 파손 등 피해에 대해 예비비를 편성해 선제적으로 복구에 나서겠다"며 "피해 지역에 대한 재난지원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이번 사고의 피해자들은 국가배상법 등에 따라 피해 보상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가배상법은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며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국가나 공공단체가 배상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다.공군 군 검사 출신인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일단 피해자들은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후 국방부 배상심의위원회가 관련 심의를 진행해 배상금 지급 결정을 내리게 된다"고 말했다.공군 측이 이번 사고의 배경으로 '조종사들의 실수'를 언급한 만큼, 추후 국가가 조종사들에게 구상금을 청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이에 대해 최 변호사는 "현재까지 공군 측은 조종사 개인의 과실이 사고로 이어졌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국가배상법 제2조 제2항에 따르면 공무원의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 국가가 기지급한 배상액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구상청구를 할 수 있는 만큼 조종사의 주의의무 위반 해석에 따라 징계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다.군 당국은 현장에 '피해배상 현장대응팀'을 편성해 배상 절차와 방법과 관련한 주민 설명회를 진행했다.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인재' 포천 오폭… "잘못은 공군이 했는데 배상은 세금으로?"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3-12
연인 불법 촬영 30대 항소심서 감형…“피해자 합의·초범 고려”
연인 불법 촬영 30대 항소심서 감형…“피해자 합의·초범 고려”
교제 중이던 여성의 신체 등을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았던 3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제2-3 형사부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 등 이용 촬영·반포)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최근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0년 4월부터 9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당시 연인이었던 B씨와의 성관계 장면을 동의 없이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1심에서 재판부는 A씨에 대해 “범행 수법이 불량하고 죄질이 좋지 않다. B씨가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피고인의 엄벌을 탄원하고 있다”라고 판시하면서 A씨에게 징역 8개월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했다.이후 A씨와 검찰 모두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는데, A씨의 법률 대리인은 항소심에서 “A씨가 B씨에게 진심으로 사죄했으며, 피해 회복을 위해 노력한 끝에 용서받았다. A씨는 이번 사건 외에 처벌받은 전력이 없고, 깊이 반성하고 있다”라며 선처를 호소했다.그 결과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형량이 너무 무겁다는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범행을 인정하는 점, 당심에서 합의해 B씨가 A씨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 점, 초범인 점 등 여러 양형 조건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했다”라고 감형 이유를 밝혔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신성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불법 촬영 범죄가 늘어나면서 최근에는 초범일지라도 징역형의 실형 선고가 내려지는 추세다. 성범죄 사건은 초기부터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단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연인 불법 촬영 30대 항소심서 감형…“피해자 합의·초범 고려”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5-03-12
연인 불법 촬영 30대 항소심서 감형…“피해자 합의·초범 고려”
연인 불법 촬영 30대 항소심서 감형…“피해자 합의·초범 고려”
교제 중이던 여성의 신체 등을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았던 3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제2-3 형사부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 등 이용 촬영·반포)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최근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0년 4월부터 9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당시 연인이었던 B씨와의 성관계 장면을 동의 없이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1심에서 재판부는 A씨에 대해 “범행 수법이 불량하고 죄질이 좋지 않다. B씨가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피고인의 엄벌을 탄원하고 있다”라고 판시하면서 A씨에게 징역 8개월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했다.이후 A씨와 검찰 모두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는데, A씨의 법률 대리인은 항소심에서 “A씨가 B씨에게 진심으로 사죄했으며, 피해 회복을 위해 노력한 끝에 용서받았다. A씨는 이번 사건 외에 처벌받은 전력이 없고, 깊이 반성하고 있다”라며 선처를 호소했다.그 결과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형량이 너무 무겁다는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범행을 인정하는 점, 당심에서 합의해 B씨가 A씨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 점, 초범인 점 등 여러 양형 조건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했다”라고 감형 이유를 밝혔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신성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불법 촬영 범죄가 늘어나면서 최근에는 초범일지라도 징역형의 실형 선고가 내려지는 추세다. 성범죄 사건은 초기부터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단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정철욱 기자 [기사전문보기] 연인 불법 촬영 30대 항소심서 감형…“피해자 합의·초범 고려” (바로가기)
코리아헤럴드
2025-03-11
Air Force pilots in accidental bombing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Air Force pilots in accidental bombing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원문] Two KF-16 fighter jet pilots blamed for accidentally dropping bombs on a village in Pocheon last week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said Tuesday.South Korea’s Air Force on Monday reaffirmed pilot error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that left 31 people injured, including 19 civilians, in the village of Nogok-ri, Idong-myeon, Pocheon, near the inter-Korean border, last week. The Air Force stressed that the pilots failed to follow the mandatory procedure of checking the coordinates of their target at least three times both before and after takeoff."The pilots could be criminally prosecuted as they cannot legally dodge blame for the accident, even though it occurred during military training," Kim Young-sou, an attorney at Daeryun Law Firm LLC and a former justice at the High Court for Armed Forces told The Korea Herald.Another expert in military law echoed Kim's sentiment, saying that the pilots could be charged under Article 268 of the Criminal Act for causing injury by occupational negligence. A military advocate-turned-attorney, requesting anonymity, explained that the pilots, if found guilty, could face a maximum prison sentence of five years or a fine of up to 20 million won ($13,722).“It seems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pilots accidentally dropped the bombs during a military exercise, they could be charged with breaching Article 269 of the Criminal Act,” the attorney said. “The authorities could also find the group commander and the squadron commander of the unit responsible for breaching the law, as they were in charge of overseeing the drill.”Both the group commander and the squadron commander were dismissed from their posts as of Tuesday, the Defense Ministry said in a text message to reporters. The ministry cited dereliction of duty as the main reason behind their latest decision. Insufficient command management and supervision were other reasons that were cited.According to an interim investigation report released by the Air Force on Monday, inadequate management was another cause of the accident. The group commander, who was responsible for overseeing the safety of the exercise, failed to do so as related instructions were passed down to the squadron commander, who is lower in rank, the report said.A military law professor also said that the pilots could be criminally charged, citing past cases, but suggested they are more likely to face a lesser punishment, such as discharge from the military.“There was a past case in which a lieutenant was sent to prison for accidentally shooting and killing a private during training. But in this case, there were no fatalities, so the punishment is likely to be less severe,” said the professor, who requested anonymity.The remarks come amid divided views on whether the military officers can be criminally charged due to the fact that the incident occurred during a military exercise.South Korea’s Defense Ministry launched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incident on Monday, citing the gravity of the situation. Jung Min-kyung(mkjung@heraldcorp.com) [한국어 번역] 지난 주 포천의 한 마을에서 폭탄을 실수로 떨어뜨린 두 명의 KF-16 전투기 조종사들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12일 밝혔다. 한국 공군은 11일, 이번 사고의 원인을 조종사들의 실수로 재확인했으며, 이 사고로 31명이 부상했으며 그 중 19명이 민간인이라고 전했다. 사고는 북한과의 경계 근처인 포천 이동면 노곡리 마을에서 발생했다. 공군은 조종사들이 이륙 전후로 목표물의 좌표를 최소 세 차례 확인해야 하는 의무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변호사(전 군사법원 대법관)는 “조종사들은 군 훈련 중 발생한 사고라도 법적으로 책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군법 전문가도 김 변호사의 의견에 동조하며, 조종사들이 직무상 과실로 인한 상해를 야기한 혐의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신분을 밝히지 않은 군 출신 변호사는 "조종사들이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최대 5년의 징역형 또는 2천만 원(약 1만3천700달러)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사고는 군 훈련 중 발생한 실수지만, 형법 제269조 위반 혐의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며, "훈련을 감독한 부대장과 비행대장도 법을 위반한 책임을 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부대장과 비행대장이 12일자로 직위에서 해임되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들의 직무 태만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으며, 지휘 관리 및 감독이 부족한 점도 이유로 언급했다. 공군이 11일 발표한 중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고의 또 다른 원인은 관리 부족이었다. 안전을 감독할 책임이 있던 부대장이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으며, 관련 지침이 하위 직급인 비행대장에게 전달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군법 교수는 과거 사례를 언급하며 조종사들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지만, 이번 사건이 인명 피해 없이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더 가벼운 처벌, 예를 들어 군 제대 등의 처분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과거에는 훈련 중 사격 실수로 병사를 사망하게 한 중위가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례도 있었지만, 이번 사고는 사망자가 없었기 때문에 처벌은 더 가벼울 것으로 보인다”고 익명을 요구한 군법 교수는 말했다. 이번 발언은 군 훈련 중 발생한 사고라 형사 처벌 여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나왔다. 한국 국방부는 사건의 심각성을 감안해 11일 추가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정민경 기자(mkjung@heraldcorp.com) [기사전문보기] Air Force pilots in accidental bombing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바로가기)
코리아헤럴드
2025-03-11
Air Force pilots in accidental bombing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Air Force pilots in accidental bombing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원문] Two KF-16 fighter jet pilots blamed for accidentally dropping bombs on a village in Pocheon last week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said Tuesday.South Korea’s Air Force on Monday reaffirmed pilot error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that left 31 people injured, including 19 civilians, in the village of Nogok-ri, Idong-myeon, Pocheon, near the inter-Korean border, last week. The Air Force stressed that the pilots failed to follow the mandatory procedure of checking the coordinates of their target at least three times both before and after takeoff."The pilots could be criminally prosecuted as they cannot legally dodge blame for the accident, even though it occurred during military training," Kim Young-sou, an attorney at Daeryun Law Firm LLC and a former justice at the High Court for Armed Forces told The Korea Herald.Another expert in military law echoed Kim's sentiment, saying that the pilots could be charged under Article 268 of the Criminal Act for causing injury by occupational negligence. A military advocate-turned-attorney, requesting anonymity, explained that the pilots, if found guilty, could face a maximum prison sentence of five years or a fine of up to 20 million won ($13,722).“It seems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pilots accidentally dropped the bombs during a military exercise, they could be charged with breaching Article 269 of the Criminal Act,” the attorney said. “The authorities could also find the group commander and the squadron commander of the unit responsible for breaching the law, as they were in charge of overseeing the drill.”Both the group commander and the squadron commander were dismissed from their posts as of Tuesday, the Defense Ministry said in a text message to reporters. The ministry cited dereliction of duty as the main reason behind their latest decision. Insufficient command management and supervision were other reasons that were cited.According to an interim investigation report released by the Air Force on Monday, inadequate management was another cause of the accident. The group commander, who was responsible for overseeing the safety of the exercise, failed to do so as related instructions were passed down to the squadron commander, who is lower in rank, the report said.A military law professor also said that the pilots could be criminally charged, citing past cases, but suggested they are more likely to face a lesser punishment, such as discharge from the military.“There was a past case in which a lieutenant was sent to prison for accidentally shooting and killing a private during training. But in this case, there were no fatalities, so the punishment is likely to be less severe,” said the professor, who requested anonymity.The remarks come amid divided views on whether the military officers can be criminally charged due to the fact that the incident occurred during a military exercise.South Korea’s Defense Ministry launched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incident on Monday, citing the gravity of the situation. Jung Min-kyung(mkjung@heraldcorp.com) [한국어 번역] 지난 주 포천의 한 마을에서 폭탄을 실수로 떨어뜨린 두 명의 KF-16 전투기 조종사들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12일 밝혔다. 한국 공군은 11일, 이번 사고의 원인을 조종사들의 실수로 재확인했으며, 이 사고로 31명이 부상했으며 그 중 19명이 민간인이라고 전했다. 사고는 북한과의 경계 근처인 포천 이동면 노곡리 마을에서 발생했다. 공군은 조종사들이 이륙 전후로 목표물의 좌표를 최소 세 차례 확인해야 하는 의무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변호사(전 군사법원 대법관)는 “조종사들은 군 훈련 중 발생한 사고라도 법적으로 책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군법 전문가도 김 변호사의 의견에 동조하며, 조종사들이 직무상 과실로 인한 상해를 야기한 혐의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신분을 밝히지 않은 군 출신 변호사는 "조종사들이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최대 5년의 징역형 또는 2천만 원(약 1만3천700달러)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사고는 군 훈련 중 발생한 실수지만, 형법 제269조 위반 혐의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며, "훈련을 감독한 부대장과 비행대장도 법을 위반한 책임을 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부대장과 비행대장이 12일자로 직위에서 해임되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들의 직무 태만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으며, 지휘 관리 및 감독이 부족한 점도 이유로 언급했다. 공군이 11일 발표한 중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고의 또 다른 원인은 관리 부족이었다. 안전을 감독할 책임이 있던 부대장이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으며, 관련 지침이 하위 직급인 비행대장에게 전달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군법 교수는 과거 사례를 언급하며 조종사들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지만, 이번 사건이 인명 피해 없이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더 가벼운 처벌, 예를 들어 군 제대 등의 처분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과거에는 훈련 중 사격 실수로 병사를 사망하게 한 중위가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례도 있었지만, 이번 사고는 사망자가 없었기 때문에 처벌은 더 가벼울 것으로 보인다”고 익명을 요구한 군법 교수는 말했다. 이번 발언은 군 훈련 중 발생한 사고라 형사 처벌 여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나왔다. 한국 국방부는 사건의 심각성을 감안해 11일 추가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정민경 기자(mkjung@heraldcorp.com) [기사전문보기] Air Force pilots in accidental bombing could face criminal charges: experts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3-11
[기고]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다양한 형태와 명암
[기고]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다양한 형태와 명암
특허법의 기본 정신은 발명을 장려하고 기술을 공개함으로써 산업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개발자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으로 일정 기간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특히 제약·바이오업계는 특성상 기술의 가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허'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특허권 기간은 출원일 기준 20년이고, 의약품의 경우 최대 5년 미만 연장이 가능하다(최근 특허법 개정으로 이와 관련한 이슈도 있다).IMS Institute for Healthcare Informatics에서 발간한 보고서(Price Declines after Branded Medicines Lose Exclusivity in the U.S)에 따르면, 모든 약제들은 독점권(특허)이 상실된 후 1년 이내에 약가가 51% 떨어졌다. 10년이 경과한 경우 최대 88%까지 폭락했다. 품목 허가 절차 강화, 신기술 경쟁 등으로 인해 신약 개발의 난이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개발 비용은 증가하는데, 특허권이 만료되는 순간 약가는 폭락하므로 오리지널 제약회사들에게는 존속기간 만료가 무엇보다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오리지널 제약사들은 늘 특허권 만료에 따른 손실을 최대한 보전하고자 하는 요인을 가질 수밖에 없다.그 결과 다수의 오리지널 제약회사들은 기존 특허가 만료되기 전 후속 특허를 지속적으로 출원해 실질적으로는 특허 기간을 연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전략을 취한다. 제네릭 약품, 일명 복제약의 시장 진입을 차단해 시장 점유 유지 기간을 늘리는 것이 목적인데, 이를 통상 '에버그리닝(Evergreening) 특허 전략'이라고 한다.◇에버그리닝 특허의 다양한 형태특허의 본래 목적은 혁신을 보호하고 R&D(연구·개발)를 촉진하는 데 있으나, 에버그리닝 전략이 남용될 경우 본래 취지와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기업들은 법률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기존 특허의 보호 기간을 연장하고 있는데,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①제형(Formulation) 변경: 동일한 주성분을 포함하지만 서방형 제제, 경구형 또는 주사형 등 새로운 제형으로 변경한 특허를 출원②용도(Indication) 변경: 원래 치료 목적 이외에 새로운 적응증(의약적 쓰임새)에 관한 특허를 출원③조성(Composition) 변경: 조성비를 변경해 효과를 개선하고 이에 관한 새로운 특허를 출원④생산 공정(Process) 개선: 기존 약물의 생산 방법을 최적화한 특허를 출원⑤복합제(Combination Therapy): 기존 단일 성분 의약품을 다른 활성 성분과 조합해 효능·효과가 개선된 새로운 조성물 특허를 출원대표 사례로는 비아그라(Viagra)와 리피토(Lipitor)를 꼽을 수 있다. 비아그라는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에 의해 개발된 비아그라는 원래 심혈관 치료제였다. 그런데 임상시험 도중 발기부전 치료 효과가 새롭게 발견됐고 화이자는 용도 변경을 이유로 새롭게 특허를 신청했다. 이에 본래 특허 만료일이었던 2012년 3월에서 2019년 10월로 약 7년간 독점권이 연장됐다. 이를 통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의 92%를 차지하는 등 막대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다. 화이자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는 2007년 5월 원천 특허가 만료됐다. 그러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최초 물질특허를 시작으로 전임상에서 3상 전 주기에 거쳐 지속적으로 후속 특허를 출원했다. 광학이성질체 특허, 복합제 특허, 무정형 특허 등을 출원하는 등 특허권 만료 이후에도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했다.◇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보건의료 당국의 관점에서 볼 때,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모두 존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에만 주목해 공정거래법이나 특허권 남용 등으로 규제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도 긍정적인 면이 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①긍정적인 측면: 오리지널 제약회사의 입장에서는 신규 특허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실제로 신약 개발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시장 독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또 환자(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약물 제형 개선을 통해 복용 편의성이 증가하거나 부작용이 줄어드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단순한 독점 연장이 아닌 실질적인 품질 개선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면 이는 충분히 긍정적일 수 있는 요소이다.②부정적인 측면: 위와는 반대로 경쟁의 제한으로 인해 환자들이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후속 특허로 인해 제네릭의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의약품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환자들은 저렴한 대체품을 이용할 기회를 얻지 못하게 되며 이는 의료비 부담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더 나아가면 국가적 측면에서는 보험 재정의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법적 분쟁에 휘말릴 여지도 있다. 최근 규제기관들은 조성물 특허 등의 진보성을 엄격하게 판단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무효화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권의 남용이라 판단된다면 공정거래법 등으로 규제기관이 대응에 나설 수 있다. 제네릭회사들이 특허무효심판이나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제기하거나 아예 특허를 회피할 수 있는 다른 전략을 세워 또다른 분쟁에 휩싸일 수 있다.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은 제약·바이오 기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도구다. 그러나 남용될 경우 공정 경쟁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제약산업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법적 규제와의 균형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기업들에게는 단순한 독점 연장이 아닌 혁신적인 신약 개발과 더불어 윤리적이고 공정한 특허 전략이 요구될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다양한 형태와 명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3-11
[기고]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다양한 형태와 명암
[기고]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다양한 형태와 명암
특허법의 기본 정신은 발명을 장려하고 기술을 공개함으로써 산업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개발자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으로 일정 기간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특히 제약·바이오업계는 특성상 기술의 가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허'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특허권 기간은 출원일 기준 20년이고, 의약품의 경우 최대 5년 미만 연장이 가능하다(최근 특허법 개정으로 이와 관련한 이슈도 있다).IMS Institute for Healthcare Informatics에서 발간한 보고서(Price Declines after Branded Medicines Lose Exclusivity in the U.S)에 따르면, 모든 약제들은 독점권(특허)이 상실된 후 1년 이내에 약가가 51% 떨어졌다. 10년이 경과한 경우 최대 88%까지 폭락했다. 품목 허가 절차 강화, 신기술 경쟁 등으로 인해 신약 개발의 난이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개발 비용은 증가하는데, 특허권이 만료되는 순간 약가는 폭락하므로 오리지널 제약회사들에게는 존속기간 만료가 무엇보다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오리지널 제약사들은 늘 특허권 만료에 따른 손실을 최대한 보전하고자 하는 요인을 가질 수밖에 없다.그 결과 다수의 오리지널 제약회사들은 기존 특허가 만료되기 전 후속 특허를 지속적으로 출원해 실질적으로는 특허 기간을 연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전략을 취한다. 제네릭 약품, 일명 복제약의 시장 진입을 차단해 시장 점유 유지 기간을 늘리는 것이 목적인데, 이를 통상 '에버그리닝(Evergreening) 특허 전략'이라고 한다.◇에버그리닝 특허의 다양한 형태특허의 본래 목적은 혁신을 보호하고 R&D(연구·개발)를 촉진하는 데 있으나, 에버그리닝 전략이 남용될 경우 본래 취지와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기업들은 법률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기존 특허의 보호 기간을 연장하고 있는데,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①제형(Formulation) 변경: 동일한 주성분을 포함하지만 서방형 제제, 경구형 또는 주사형 등 새로운 제형으로 변경한 특허를 출원②용도(Indication) 변경: 원래 치료 목적 이외에 새로운 적응증(의약적 쓰임새)에 관한 특허를 출원③조성(Composition) 변경: 조성비를 변경해 효과를 개선하고 이에 관한 새로운 특허를 출원④생산 공정(Process) 개선: 기존 약물의 생산 방법을 최적화한 특허를 출원⑤복합제(Combination Therapy): 기존 단일 성분 의약품을 다른 활성 성분과 조합해 효능·효과가 개선된 새로운 조성물 특허를 출원대표 사례로는 비아그라(Viagra)와 리피토(Lipitor)를 꼽을 수 있다. 비아그라는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에 의해 개발된 비아그라는 원래 심혈관 치료제였다. 그런데 임상시험 도중 발기부전 치료 효과가 새롭게 발견됐고 화이자는 용도 변경을 이유로 새롭게 특허를 신청했다. 이에 본래 특허 만료일이었던 2012년 3월에서 2019년 10월로 약 7년간 독점권이 연장됐다. 이를 통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의 92%를 차지하는 등 막대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다. 화이자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는 2007년 5월 원천 특허가 만료됐다. 그러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최초 물질특허를 시작으로 전임상에서 3상 전 주기에 거쳐 지속적으로 후속 특허를 출원했다. 광학이성질체 특허, 복합제 특허, 무정형 특허 등을 출원하는 등 특허권 만료 이후에도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했다.◇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보건의료 당국의 관점에서 볼 때,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모두 존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에만 주목해 공정거래법이나 특허권 남용 등으로 규제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도 긍정적인 면이 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①긍정적인 측면: 오리지널 제약회사의 입장에서는 신규 특허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실제로 신약 개발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시장 독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또 환자(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약물 제형 개선을 통해 복용 편의성이 증가하거나 부작용이 줄어드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단순한 독점 연장이 아닌 실질적인 품질 개선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면 이는 충분히 긍정적일 수 있는 요소이다.②부정적인 측면: 위와는 반대로 경쟁의 제한으로 인해 환자들이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후속 특허로 인해 제네릭의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의약품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환자들은 저렴한 대체품을 이용할 기회를 얻지 못하게 되며 이는 의료비 부담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더 나아가면 국가적 측면에서는 보험 재정의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법적 분쟁에 휘말릴 여지도 있다. 최근 규제기관들은 조성물 특허 등의 진보성을 엄격하게 판단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무효화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권의 남용이라 판단된다면 공정거래법 등으로 규제기관이 대응에 나설 수 있다. 제네릭회사들이 특허무효심판이나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제기하거나 아예 특허를 회피할 수 있는 다른 전략을 세워 또다른 분쟁에 휩싸일 수 있다.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은 제약·바이오 기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도구다. 그러나 남용될 경우 공정 경쟁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제약산업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법적 규제와의 균형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기업들에게는 단순한 독점 연장이 아닌 혁신적인 신약 개발과 더불어 윤리적이고 공정한 특허 전략이 요구될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기고]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다양한 형태와 명암 (바로가기)
로이슈 등 3곳
2025-03-11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광주지검 검사, 광주고법 판사 등 역임…기업 소송에서도 활약대륜 “송무 역량 강화…더욱 신뢰받는 법률 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송무 역량 강화를 위해 김준성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1일 밝혔다.김준성 변호사는 지난 1997년 사법시험(제39회)에 합격한 뒤 2000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며 법조계에 첫 발을 디뎠다. 이후 광주지검과 서울동부지검 등에서 식품·교통 분야를 비롯해 성폭력 등 강력범죄 사건을 담당했다.이후 김 변호사는 2008년 법관으로 임용돼 광주지방법원과 광주고등법원에서 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사건을 심리했다. 15년 간의 공직생활을 마친 김 변호사는 2013년부터 본격적인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판·검사 시절의 경험을 토대로 교통사고 치사·화약류처리법위반 등 굵직한 형사 사건에서 무죄 판결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또한 여러 지역주택조합의 매도청구권 소송을 수행하거나 국민건강보험을 상대로 한 부당이득금 소송에서도 승소하며 민사 사건에서도 성과를 보였다.이와 함께 김 변호사는 회계사 자격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조세범처벌법위반 사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등 회계 감리 및 조세와 관련한 기업 소송에서도 활약을 펼치고 있다.김 변호사는 대륜 광주본부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에서 의뢰하는 강력범죄, 성범죄, 교통범죄 등 사건을 맡아 수행할 예정이다.김준성 변호사는 "급변하는 법률 서비스 시장에서 항상 혁신을 선도하는 대형 로펌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다양한 사건을 담당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민·형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김 변호사가 합류하며 송무 대응 역량이 한층 강화됐다"면서 "이번 김 변호사의 영입으로 의뢰인들에게 더욱 신뢰받는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전용모 기자(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김준성 전 광주고법 판사 영입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이슈 등 3곳
2025-03-11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광주지검 검사, 광주고법 판사 등 역임…기업 소송에서도 활약대륜 “송무 역량 강화…더욱 신뢰받는 법률 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송무 역량 강화를 위해 김준성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1일 밝혔다.김준성 변호사는 지난 1997년 사법시험(제39회)에 합격한 뒤 2000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며 법조계에 첫 발을 디뎠다. 이후 광주지검과 서울동부지검 등에서 식품·교통 분야를 비롯해 성폭력 등 강력범죄 사건을 담당했다.이후 김 변호사는 2008년 법관으로 임용돼 광주지방법원과 광주고등법원에서 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사건을 심리했다. 15년 간의 공직생활을 마친 김 변호사는 2013년부터 본격적인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판·검사 시절의 경험을 토대로 교통사고 치사·화약류처리법위반 등 굵직한 형사 사건에서 무죄 판결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또한 여러 지역주택조합의 매도청구권 소송을 수행하거나 국민건강보험을 상대로 한 부당이득금 소송에서도 승소하며 민사 사건에서도 성과를 보였다.이와 함께 김 변호사는 회계사 자격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조세범처벌법위반 사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등 회계 감리 및 조세와 관련한 기업 소송에서도 활약을 펼치고 있다.김 변호사는 대륜 광주본부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전국에서 의뢰하는 강력범죄, 성범죄, 교통범죄 등 사건을 맡아 수행할 예정이다.김준성 변호사는 "급변하는 법률 서비스 시장에서 항상 혁신을 선도하는 대형 로펌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다양한 사건을 담당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민·형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김 변호사가 합류하며 송무 대응 역량이 한층 강화됐다"면서 "이번 김 변호사의 영입으로 의뢰인들에게 더욱 신뢰받는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전용모 기자(sisalaw@lawissue.co.kr)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김준성 전 광주고법 판사 영입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역임' 김준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11
법인카드 1348회, 회삿돈 2억 원 횡령한 40대 직원 집행유예
법인카드 1348회, 회삿돈 2억 원 횡령한 40대 직원 집행유예
2년간 법인 카드·계좌 사적 용도로 사용…업무상 횡령 기소재판부 “상당한 금전적 손실 끼쳐…피해액 변제·합의 등 고려” 2억여 원의 회삿돈을 개인적 용도로 사용한 회사원에게 법원이 집행유예 판결을 내렸다.인천지방법원은 지난 1월 8일 업무상횡령·배임으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회사원 A씨에게 징역 1년 2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회사 재무팀에서 근무하던 A씨는 지난 2021년 8월부터 약 2년간 회사 법인 카드를 1348회에 걸쳐 무단 사용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이와 함께 법인 계좌의 돈을 92회에 인출해 개인적인 용도로 쓴 혐의도 받았다.조사 결과 A씨의 행위로 회사가 본 피해액은 2억여 원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A씨는 공금횡령을 이유로 회사에서 해고됐다.A씨는 모든 혐의를 인정했다. 다만 사측이 임금과 퇴직금 등을 지급하지 않았다며 피해 금액에서 이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반복적으로 법인 카드를 사용하고 계좌에서 돈을 인출해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며 “이로 인해 피해자에게 상당한 금전적 손실을 끼쳤다”고 말했다.다만 재판부는 “임금 등 피고인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은 피해액에서 일부 상계된 것으로 보인다”며 “피고인이 피해 회복을 위한 일부 금액을 변제했고 원만한 합의를 통해 피해자도 선처를 원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재형 변호사는 “A씨가 무단으로 사용한 카드 대금 중 일부는 업무와 관련된 사안도 있어 모든 금액이 실질적인 피해액수라고 보기 어려웠다”면서 “여기에 A씨가 피해 회복을 약속한 사안 등이 참작돼 집행유예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법인카드 1348회, 회삿돈 2억 원 횡령한 40대 직원 집행유예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11
법인카드 1348회, 회삿돈 2억 원 횡령한 40대 직원 집행유예
법인카드 1348회, 회삿돈 2억 원 횡령한 40대 직원 집행유예
2년간 법인 카드·계좌 사적 용도로 사용…업무상 횡령 기소재판부 “상당한 금전적 손실 끼쳐…피해액 변제·합의 등 고려” 2억여 원의 회삿돈을 개인적 용도로 사용한 회사원에게 법원이 집행유예 판결을 내렸다.인천지방법원은 지난 1월 8일 업무상횡령·배임으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회사원 A씨에게 징역 1년 2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회사 재무팀에서 근무하던 A씨는 지난 2021년 8월부터 약 2년간 회사 법인 카드를 1348회에 걸쳐 무단 사용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이와 함께 법인 계좌의 돈을 92회에 인출해 개인적인 용도로 쓴 혐의도 받았다.조사 결과 A씨의 행위로 회사가 본 피해액은 2억여 원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A씨는 공금횡령을 이유로 회사에서 해고됐다.A씨는 모든 혐의를 인정했다. 다만 사측이 임금과 퇴직금 등을 지급하지 않았다며 피해 금액에서 이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법원은 A씨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반복적으로 법인 카드를 사용하고 계좌에서 돈을 인출해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며 “이로 인해 피해자에게 상당한 금전적 손실을 끼쳤다”고 말했다.다만 재판부는 “임금 등 피고인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은 피해액에서 일부 상계된 것으로 보인다”며 “피고인이 피해 회복을 위한 일부 금액을 변제했고 원만한 합의를 통해 피해자도 선처를 원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이 사건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재형 변호사는 “A씨가 무단으로 사용한 카드 대금 중 일부는 업무와 관련된 사안도 있어 모든 금액이 실질적인 피해액수라고 보기 어려웠다”면서 “여기에 A씨가 피해 회복을 약속한 사안 등이 참작돼 집행유예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법인카드 1348회, 회삿돈 2억 원 횡령한 40대 직원 집행유예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11
효력 없던 서류 추인 결의했지만…법원 “여전히 무효” 그 이유는?
효력 없던 서류 추인 결의했지만…법원 “여전히 무효” 그 이유는?
지역주택조합 가입계약 당시 받은 증서알고보니 효력 없어…계약금 반환 소송재판부 “증서 없으면 계약 안 했을 것…당사자도 추인해야 유효” 원고승소 판결 추인 결의로 중요 증서에 대한 효력을 확보했더라도 그 과정에 계약 당사자가 참여하지 않았다면 무효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은 지난 1월 15일 A 씨 등 조합원 2명이 B지역주택조합 설립추진위원회를 상대로 낸 분담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 씨 등은 2022년 신축 아파트 분양을 목적으로 B추진위와 계약을 맺으며 계약금 3000만 원을 납부했다. 이들은 계약 과정에서 안심보장증서를 교부받았는데, 여기에는 조합 측 과실로 사업이 진행되지 못할 경우 분담금 전액을 반환받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이후 A 씨 등은 보장증서가 무효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분담금 반환을 위해서는 조합 내부에 관련 규칙을 마련하거나 총회 결의를 거쳐야 하는데, 추진위 측이 이 같은 절차를 진행하지 않은 것이다.이에 A 씨 등은 추진위로부터 보장증서가 무효인 사실을 전혀 전달받지 못한 채 계약이 이뤄졌다며 분담금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하지만 B추진위 측은 반환 의무가 없다고 반박했다. 계약 이후 해당 증서가 법적 효력을 갖출 수 있도록 추인 결의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추인을 통해 효력이 발생한 이상 계약 취소권 행사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 등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먼저 “원고들은 계약 당시 안심보장증서가 무효라는 것을 알지 못해 착오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며 “증서가 없었다면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아울러 재판부는 추인 과정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계약 당사자인 원고들도 추인해야 보장증서에도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는데, A 씨 등이 추인했다고 인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재판부는 “이러한 사정들을 종합해 볼 때, 해당 증서는 여전히 효력이 없어 계약 취소는 적법하다”고 덧붙였다.A 씨 등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낙형 변호사는 “안심보장증서에 따른 환불약정은 조합의 단독 행위가 아니라 원고들과의 계약에 해당한다”며 “그러므로 일방 당사자인 조합의 정기 총회에서 추인 결의가 이뤄졌다는 이유만으로 효력을 갖췄다 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효력 없던 서류 추인 결의했지만…법원 “여전히 무효” 그 이유는?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11
효력 없던 서류 추인 결의했지만…법원 “여전히 무효” 그 이유는?
효력 없던 서류 추인 결의했지만…법원 “여전히 무효” 그 이유는?
지역주택조합 가입계약 당시 받은 증서알고보니 효력 없어…계약금 반환 소송재판부 “증서 없으면 계약 안 했을 것…당사자도 추인해야 유효” 원고승소 판결 추인 결의로 중요 증서에 대한 효력을 확보했더라도 그 과정에 계약 당사자가 참여하지 않았다면 무효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은 지난 1월 15일 A 씨 등 조합원 2명이 B지역주택조합 설립추진위원회를 상대로 낸 분담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A 씨 등은 2022년 신축 아파트 분양을 목적으로 B추진위와 계약을 맺으며 계약금 3000만 원을 납부했다. 이들은 계약 과정에서 안심보장증서를 교부받았는데, 여기에는 조합 측 과실로 사업이 진행되지 못할 경우 분담금 전액을 반환받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이후 A 씨 등은 보장증서가 무효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분담금 반환을 위해서는 조합 내부에 관련 규칙을 마련하거나 총회 결의를 거쳐야 하는데, 추진위 측이 이 같은 절차를 진행하지 않은 것이다.이에 A 씨 등은 추진위로부터 보장증서가 무효인 사실을 전혀 전달받지 못한 채 계약이 이뤄졌다며 분담금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하지만 B추진위 측은 반환 의무가 없다고 반박했다. 계약 이후 해당 증서가 법적 효력을 갖출 수 있도록 추인 결의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추인을 통해 효력이 발생한 이상 계약 취소권 행사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 씨 등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먼저 “원고들은 계약 당시 안심보장증서가 무효라는 것을 알지 못해 착오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며 “증서가 없었다면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아울러 재판부는 추인 과정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계약 당사자인 원고들도 추인해야 보장증서에도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는데, A 씨 등이 추인했다고 인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재판부는 “이러한 사정들을 종합해 볼 때, 해당 증서는 여전히 효력이 없어 계약 취소는 적법하다”고 덧붙였다.A 씨 등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낙형 변호사는 “안심보장증서에 따른 환불약정은 조합의 단독 행위가 아니라 원고들과의 계약에 해당한다”며 “그러므로 일방 당사자인 조합의 정기 총회에서 추인 결의가 이뤄졌다는 이유만으로 효력을 갖췄다 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효력 없던 서류 추인 결의했지만…법원 “여전히 무효” 그 이유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11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 불법촬영’한 고교생···형사처벌 아닌 보호처분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 불법촬영’한 고교생···형사처벌 아닌 보호처분
초범, 재발 방지 노력, 일부 피해자 용서 받은 점 참작퇴학 피하고 8호 전학 처분으로 마무리 학교와 친구집 등에서 휴대전화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해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들의 신체를 불법 촬영한 고교생에게 형사처벌이 아닌 보호처분이 선고된 사례가 나왔다. 청주지방법원 소년단독 이형걸 부장판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위반(카메라 등 이용촬영·반포등) 혐의로 기소된 A학생에게 보호자 감호위탁(1호), 수강명령 20시간(2호) 처분과 보호자 특별교육을 명하는 결정을 올해 1월 한 것으로 확인됐다.A학생은 2024년 2월 초순경 자신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친구 여동생들의 신체를 불법촬영한 혐의를 받았다.당시 A학생은 가출 후 친구 집에서 머물던 중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이 사건은 A학생의 휴대전화에서 다량의 불법 촬영물을 발견한 친구에 의해 밝혀졌고, 조사 결과 A학생은 친구 동생들 뿐만 아니라 교사를 상대로도 여러 차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이에 학교는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를 열고 A학생에게 전학(8호), 특별교육(5호), 접촉금지(2호) 등의 처분을 했다.소년부로 송치된 A학생은 재판에서 범행 일체를 인정하고, 선처를 구했다. A학생의 법률대리인은 “A군은 아직 성적 관념이 확립되지 않은 미성년자로 사안의 심각성을 알지 못한 채 범행을 저지르게 됐다”면서, “초범인 A군은 촬영본을 유포하지 않았고, 앞으로 재범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이형걸 부장판사는 A군이 교사와 어린 학생 등을 상대로 범행해 죄질이 나쁜 점을 인정하면서도, 여러 사유를 종합적으로 참작해 보호자 감호위탁 등 비교적 가벼운 처분을 결정했다.법무법인 대륜 이은성 변호사는 “불법촬영과 같은 성범죄는 한번 유포되면 빠르게 확산한다는 특징 때문에 무거운 처벌을 받고 있는 추세다. 또, 범죄 연령 역시 낮아지면서 어려도 형사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사안에 따라 다르지만 이번 사건의 경우에는 초범인 점,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점, 일부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은 점 등을 참작 받아 처벌 대신 보호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이은성 변호사는 아울러 “사건 초기부터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혐의가 인정된 상황이라면 최대한 양형 자료를 준비해 법정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 불법촬영’한 고교생···형사처벌 아닌 보호처분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11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 불법촬영’한 고교생···형사처벌 아닌 보호처분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 불법촬영’한 고교생···형사처벌 아닌 보호처분
초범, 재발 방지 노력, 일부 피해자 용서 받은 점 참작퇴학 피하고 8호 전학 처분으로 마무리 학교와 친구집 등에서 휴대전화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해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들의 신체를 불법 촬영한 고교생에게 형사처벌이 아닌 보호처분이 선고된 사례가 나왔다. 청주지방법원 소년단독 이형걸 부장판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위반(카메라 등 이용촬영·반포등) 혐의로 기소된 A학생에게 보호자 감호위탁(1호), 수강명령 20시간(2호) 처분과 보호자 특별교육을 명하는 결정을 올해 1월 한 것으로 확인됐다.A학생은 2024년 2월 초순경 자신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친구 여동생들의 신체를 불법촬영한 혐의를 받았다.당시 A학생은 가출 후 친구 집에서 머물던 중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이 사건은 A학생의 휴대전화에서 다량의 불법 촬영물을 발견한 친구에 의해 밝혀졌고, 조사 결과 A학생은 친구 동생들 뿐만 아니라 교사를 상대로도 여러 차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이에 학교는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를 열고 A학생에게 전학(8호), 특별교육(5호), 접촉금지(2호) 등의 처분을 했다.소년부로 송치된 A학생은 재판에서 범행 일체를 인정하고, 선처를 구했다. A학생의 법률대리인은 “A군은 아직 성적 관념이 확립되지 않은 미성년자로 사안의 심각성을 알지 못한 채 범행을 저지르게 됐다”면서, “초범인 A군은 촬영본을 유포하지 않았고, 앞으로 재범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이형걸 부장판사는 A군이 교사와 어린 학생 등을 상대로 범행해 죄질이 나쁜 점을 인정하면서도, 여러 사유를 종합적으로 참작해 보호자 감호위탁 등 비교적 가벼운 처분을 결정했다.법무법인 대륜 이은성 변호사는 “불법촬영과 같은 성범죄는 한번 유포되면 빠르게 확산한다는 특징 때문에 무거운 처벌을 받고 있는 추세다. 또, 범죄 연령 역시 낮아지면서 어려도 형사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사안에 따라 다르지만 이번 사건의 경우에는 초범인 점,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점, 일부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은 점 등을 참작 받아 처벌 대신 보호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이은성 변호사는 아울러 “사건 초기부터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혐의가 인정된 상황이라면 최대한 양형 자료를 준비해 법정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여교사와 친구 여동생 불법촬영’한 고교생···형사처벌 아닌 보호처분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3-10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주)엔알비와 모듈러 사업 확대 위한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주)엔알비와 모듈러 사업 확대 위한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모듈러 사업 확대를 위해 순환형 모듈러 건축 전문기업인 엔알비(NRB)와 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지난달 28일 엔알비 서울사무소에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광우 변호사, 기업법무그룹 소속 남영재 변호사, 엔알비 강건우 대표, 김명진 실장, 이성규 팀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체결식이 진행됐다.지난 2019년 설립된 엔알비는 이동형 모듈러 건축 전문 기업으로, 국내 최초 이동형 학교(브릿지스쿨) 준공에 성공하면서 주목받았다. 높은 품질을 자랑하는 브릿지스쿨은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 중 두 곳에서 제품 부문 본상과 디자인상을 수상한 바 있다.엔알비의 브릿지스쿨은 공공성, 혁신성, 친환경성 등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아 조달청 혁신 시제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현재 기업 자문·경영권 분쟁 등 세분화된 센터를 통해 보다 더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국내외 특허 출원 등 지식재산권 보호 법률 자문 △각종 계약서 검토 △국제 프로젝트 해외법 관련 정보 공유 및 자문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강건우 엔알비 대표는 “이동형 건축물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온 엔알비는 현재 혁신기업으로 한층 더 도약하기 위해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도시재생을 통한 가치 창출에 집중하려 한다”라며 “코스닥 상장 컨설팅 및 투자 운영, 기술 관련 분쟁 방지 등에 대해 법률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법적인 문제가 없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기업법무그룹은 세부 업부를 나눠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만큼 세밀한 법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코스닥시장 상장 예비심사를 준비 중인 엔알비를 위해 심사절차 및 기준 등에 종합적인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보호, 각종 계약서 법률적 검토, 리스크 예방책 마련을 위해 변호사는 물론 변리사,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를 투입해 각종 분쟁에 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주)엔알비와 모듈러 사업 확대 위한 MOU 체결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3-10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주)엔알비와 모듈러 사업 확대 위한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주)엔알비와 모듈러 사업 확대 위한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모듈러 사업 확대를 위해 순환형 모듈러 건축 전문기업인 엔알비(NRB)와 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지난달 28일 엔알비 서울사무소에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광우 변호사, 기업법무그룹 소속 남영재 변호사, 엔알비 강건우 대표, 김명진 실장, 이성규 팀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체결식이 진행됐다.지난 2019년 설립된 엔알비는 이동형 모듈러 건축 전문 기업으로, 국내 최초 이동형 학교(브릿지스쿨) 준공에 성공하면서 주목받았다. 높은 품질을 자랑하는 브릿지스쿨은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 중 두 곳에서 제품 부문 본상과 디자인상을 수상한 바 있다.엔알비의 브릿지스쿨은 공공성, 혁신성, 친환경성 등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아 조달청 혁신 시제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대륜 기업법무그룹은 현재 기업 자문·경영권 분쟁 등 세분화된 센터를 통해 보다 더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국내외 특허 출원 등 지식재산권 보호 법률 자문 △각종 계약서 검토 △국제 프로젝트 해외법 관련 정보 공유 및 자문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강건우 엔알비 대표는 “이동형 건축물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온 엔알비는 현재 혁신기업으로 한층 더 도약하기 위해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도시재생을 통한 가치 창출에 집중하려 한다”라며 “코스닥 상장 컨설팅 및 투자 운영, 기술 관련 분쟁 방지 등에 대해 법률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법적인 문제가 없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기업법무그룹은 세부 업부를 나눠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만큼 세밀한 법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코스닥시장 상장 예비심사를 준비 중인 엔알비를 위해 심사절차 및 기준 등에 종합적인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보호, 각종 계약서 법률적 검토, 리스크 예방책 마련을 위해 변호사는 물론 변리사,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를 투입해 각종 분쟁에 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주)엔알비와 모듈러 사업 확대 위한 MOU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3-09
교각붕괴 사고가 준 교훈…"안전은 비용 아닌 투자" [대륜의 Biz law forum]
교각붕괴 사고가 준 교훈…"안전은 비용 아닌 투자" [대륜의 Biz law forum]
대법 "건설사뿐 아니라 시행사도 유의해야"영업정지 등 제재 피하려면 선제 대응 필수 최근 서울세종고속도로 신축 공사 현장에서 교각 붕괴 사고로 4명이 사망하고 6명이 다치는 참사가 있었다.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한 이번 사고를 계기로 안전을 '비용'이 아닌 '투자'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건설 현장에서 안전 문제는 수급인(건설회사)뿐 아니라 도급인(시행사)에게도 중요한 사안이다. 2022년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아 발생한 중대 산업재해에 대해 경영자를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기업의 책임이 개별 노동자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경영진의 법적 리스크로 확대될 수 있다는 의미다. 안전보건 책임, 기업 생존과 직결 시행사의 안전보건 책임과 관련해 2023년 중요한 대법원 판결이 있었다. 판례의 핵심은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63조에 따라 시행사가 자기 사업장에서 작업하는 관계 건설사의 근로자에 대해서도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법원은 시행사의 책임 범위를 계약 관계상 역할에 한정하지 않고 공사 현장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관리 권한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실질적인 시공 관리 능력과 공사 지배력이 있는 시행사에게 안전 책임이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상 형사처벌 외 영업 정지, 공공기관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에서의 불이익, 고용노동부의 특별감독 대상 지정 등 다양한 제재가 따른다. 안전보건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이유다. 제재를 피하려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선제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수다. 경영진 주도로 안전보건 정책을 수립하고 현장에서 이를 올바르게 실행하는 등 체계적 접근과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는 인적 요인뿐 아니라 공종(공사의 종류) 간 간섭, 시공 능력 부족, 부실한 안전 점검 등 물적·시스템적 요인이 주원인이다. 이를 예방하려면 △고위험 작업에 대한 위험성 평가 강화 △공종별 안전교육 의무화 △투입 직전 작업별 TBM(Tool-Box Meeting) 시행 등 안전 관리를 체계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CSO가 만능 해결사 될 수 없어 최근 사업주와 대표이사의 법적 책임을 줄이기 위해 최고안전책임자(CSO)를 두고 독립적인 예산 실행 및 결정 권한을 주는 기업이 늘고 있다. 그러나 CSO 선임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일선 직원과 관리자가 안전보건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사업주는 크게 세 가지를 염두에 둬야 한다. 첫째, 법률적 관점에서 상당인과관계(원인과 결과 간 법률적 관련성으로, 예견 가능성과 결과의 직접성 등에 근거해 판단한다)를 마련하는 것이다. 충분한 안전보건 조치를 시행했음에도 불가피한 사고였음을 입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사업주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공사 현장에서 관리 감독자가 지시하지 않은 임의 작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 관리해야 한다. 셋째 안전한 작업 환경을 갖추는 데 투자하는 것이다. 휴게 시설 확충, 야적장 구획화, 선·후행 공종 간섭 방지 등 쉬운 일부터 시작하면 된다.건설업에서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선 안전 경영이 필수적이다. 이미 사고가 발생한 뒤 사후적 대응을 고민하기보단 사전에 변호사의 조언을 받아 인력 배치·관리 단계에서부터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이는 단순히 중대재해뿐 아니라 도급계약 변경, 공사비 증감 등 여러 법적 이슈에 사전 대응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전한 경영 환경을 조성해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야말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핵심 전략이 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교각붕괴 사고가 준 교훈…"안전은 비용 아닌 투자"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3-09
교각붕괴 사고가 준 교훈…"안전은 비용 아닌 투자" [대륜의 Biz law forum]
교각붕괴 사고가 준 교훈…"안전은 비용 아닌 투자" [대륜의 Biz law forum]
대법 "건설사뿐 아니라 시행사도 유의해야"영업정지 등 제재 피하려면 선제 대응 필수 최근 서울세종고속도로 신축 공사 현장에서 교각 붕괴 사고로 4명이 사망하고 6명이 다치는 참사가 있었다.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한 이번 사고를 계기로 안전을 '비용'이 아닌 '투자'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건설 현장에서 안전 문제는 수급인(건설회사)뿐 아니라 도급인(시행사)에게도 중요한 사안이다. 2022년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아 발생한 중대 산업재해에 대해 경영자를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기업의 책임이 개별 노동자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경영진의 법적 리스크로 확대될 수 있다는 의미다. 안전보건 책임, 기업 생존과 직결 시행사의 안전보건 책임과 관련해 2023년 중요한 대법원 판결이 있었다. 판례의 핵심은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63조에 따라 시행사가 자기 사업장에서 작업하는 관계 건설사의 근로자에 대해서도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법원은 시행사의 책임 범위를 계약 관계상 역할에 한정하지 않고 공사 현장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관리 권한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실질적인 시공 관리 능력과 공사 지배력이 있는 시행사에게 안전 책임이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상 형사처벌 외 영업 정지, 공공기관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에서의 불이익, 고용노동부의 특별감독 대상 지정 등 다양한 제재가 따른다. 안전보건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이유다. 제재를 피하려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선제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수다. 경영진 주도로 안전보건 정책을 수립하고 현장에서 이를 올바르게 실행하는 등 체계적 접근과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는 인적 요인뿐 아니라 공종(공사의 종류) 간 간섭, 시공 능력 부족, 부실한 안전 점검 등 물적·시스템적 요인이 주원인이다. 이를 예방하려면 △고위험 작업에 대한 위험성 평가 강화 △공종별 안전교육 의무화 △투입 직전 작업별 TBM(Tool-Box Meeting) 시행 등 안전 관리를 체계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CSO가 만능 해결사 될 수 없어 최근 사업주와 대표이사의 법적 책임을 줄이기 위해 최고안전책임자(CSO)를 두고 독립적인 예산 실행 및 결정 권한을 주는 기업이 늘고 있다. 그러나 CSO 선임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일선 직원과 관리자가 안전보건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사업주는 크게 세 가지를 염두에 둬야 한다. 첫째, 법률적 관점에서 상당인과관계(원인과 결과 간 법률적 관련성으로, 예견 가능성과 결과의 직접성 등에 근거해 판단한다)를 마련하는 것이다. 충분한 안전보건 조치를 시행했음에도 불가피한 사고였음을 입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사업주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공사 현장에서 관리 감독자가 지시하지 않은 임의 작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 관리해야 한다. 셋째 안전한 작업 환경을 갖추는 데 투자하는 것이다. 휴게 시설 확충, 야적장 구획화, 선·후행 공종 간섭 방지 등 쉬운 일부터 시작하면 된다.건설업에서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선 안전 경영이 필수적이다. 이미 사고가 발생한 뒤 사후적 대응을 고민하기보단 사전에 변호사의 조언을 받아 인력 배치·관리 단계에서부터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이는 단순히 중대재해뿐 아니라 도급계약 변경, 공사비 증감 등 여러 법적 이슈에 사전 대응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전한 경영 환경을 조성해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야말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핵심 전략이 될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교각붕괴 사고가 준 교훈…"안전은 비용 아닌 투자"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약사공론 등 3곳
2025-03-07
강화되는 리베이트 규제…제약사 대응전략은?
강화되는 리베이트 규제…제약사 대응전략은?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 세미나 개최 리베이트 관련 규제 강화로 법적·실무적 대응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약사법 개정을 중심으로한 제약사, 판촉영업자(CSO)가 주목해야할 쟁점과 실무 포인트 등이 소개됐다.7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제약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 약사법 개정을 중심으로'를 주제로한 세미나를 개최했다.여의도 대륜 본사 대회의실에서 제약사·CSO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제약사, 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및 공개제도 △제약업계 리베이트 규제 및 CP △제약 리베이트 규제 실무 △리베이트와 세무이슈 대응 등 4개 세션으로 진행됐다.'제약사, 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및 공개제도(최윤정 변호사)' 세션에서는 개정된 약사법을 중심으로 CSO 신고제와 지출보고서 작성 방법 및 실무적 쟁점이 논의된다.두번째 세션인 '제약업계 리베이트 규제 및 CP(손계준 변호사)'에서는 제약사 리베이트 공정거래법상 규제와 공정위 제재 사례 분석, 제약사별 CP 구축 전략 등이 제시된다. 세번째 '제약 리베이트 규제 실무(최명순 고문)' 세션에서는 심평원 의약품 유통 관련 공급내역 사후관리와 지출보고서·유통질서 문란 약제 행정처분사례 분석 등이 이뤄지며 네번째 세션인 '리베이트와 세무이슈 대응(임정오 세무사)'에서는 리베이트 제약사 관련 세무조사 및 과세 흐름과 대응 방안이 공유된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개회사에서 "지출보고서 제출 대상에 CSO 확대, CSO 신고제, 지출보고서 작성, 공개제도 등 리베이트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법적-실무적 대응 중요성은 점차 커진다"며 "오늘 자리가 제약사와 CSO 리베이트 관련 최신 규제와 실무자 관점 대응전략 등이 다각적으로 논의되는 자리가 되길바란다"고 밝혔다.한편 이날 세미나는 법무법인 대륜 본사 대회의실(오프라인)과 웨비나(온라인) 등에서 동시 진행된다. 김홍진 기자(khj@kpanews.co.kr) [기사전문보기] 약사공론 - 강화되는 리베이트 규제…제약사 대응전략은? (바로가기) 메디파나뉴스 - "CSO·지출보고서, 모순적 규정 있어…대상·범위 구체화 필요" (바로가기) 약사공론 - 2025 CP 등급평가 신청 시작…변경점과 챙겨야할 가점은? (바로가기)
약사공론 등 3곳
2025-03-07
강화되는 리베이트 규제…제약사 대응전략은?
강화되는 리베이트 규제…제약사 대응전략은?
법무법인 대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 쟁점 세미나 개최 리베이트 관련 규제 강화로 법적·실무적 대응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약사법 개정을 중심으로한 제약사, 판촉영업자(CSO)가 주목해야할 쟁점과 실무 포인트 등이 소개됐다.7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제약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 약사법 개정을 중심으로'를 주제로한 세미나를 개최했다.여의도 대륜 본사 대회의실에서 제약사·CSO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제약사, 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및 공개제도 △제약업계 리베이트 규제 및 CP △제약 리베이트 규제 실무 △리베이트와 세무이슈 대응 등 4개 세션으로 진행됐다.'제약사, 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및 공개제도(최윤정 변호사)' 세션에서는 개정된 약사법을 중심으로 CSO 신고제와 지출보고서 작성 방법 및 실무적 쟁점이 논의된다.두번째 세션인 '제약업계 리베이트 규제 및 CP(손계준 변호사)'에서는 제약사 리베이트 공정거래법상 규제와 공정위 제재 사례 분석, 제약사별 CP 구축 전략 등이 제시된다. 세번째 '제약 리베이트 규제 실무(최명순 고문)' 세션에서는 심평원 의약품 유통 관련 공급내역 사후관리와 지출보고서·유통질서 문란 약제 행정처분사례 분석 등이 이뤄지며 네번째 세션인 '리베이트와 세무이슈 대응(임정오 세무사)'에서는 리베이트 제약사 관련 세무조사 및 과세 흐름과 대응 방안이 공유된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개회사에서 "지출보고서 제출 대상에 CSO 확대, CSO 신고제, 지출보고서 작성, 공개제도 등 리베이트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법적-실무적 대응 중요성은 점차 커진다"며 "오늘 자리가 제약사와 CSO 리베이트 관련 최신 규제와 실무자 관점 대응전략 등이 다각적으로 논의되는 자리가 되길바란다"고 밝혔다.한편 이날 세미나는 법무법인 대륜 본사 대회의실(오프라인)과 웨비나(온라인) 등에서 동시 진행된다. 김홍진 기자(khj@kpanews.co.kr) [기사전문보기] 약사공론 - 강화되는 리베이트 규제…제약사 대응전략은? (바로가기) 메디파나뉴스 - "CSO·지출보고서, 모순적 규정 있어…대상·범위 구체화 필요" (바로가기) 약사공론 - 2025 CP 등급평가 신청 시작…변경점과 챙겨야할 가점은?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3-07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의료 분야 높은 전문성 필요, 권익 보호 최선 다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의사 자격을 보유한 송진성 변호사를 영입하며 본격적으로 의료그룹 강화에 나섰다고 밝혔다.대륜의 의료제약그룹장으로 합류하는 송 변호사는 지난 2007년 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진안군 보건소 보건지소장을 3년 간 역임했다. 이후 2013년 의료 분야 대법원 재판연구원으로 법조계에 첫 발을 내딛였다.2017년부터는 서울고등법원 의료분야 상임전문심리위원, 수원고등법원 의무실장 등을 맡으며 의료 및 제약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상임전문심리위원은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분야(건설, 환경, 의료 등)의 사건 해결을 위해 법원에 상주하며 의견과 설명을 제시하는 역할이다.송 변호사는 의료소송 건의 감정 필요성과 신청 적절성을 판단하는 등 의료 민형사 사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진료상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 교통사고 치료비에 대한 보험약관, 의약품 안전에 관한 규칙 위반 등의 법률 자문을 맡으며 보험 및 손해배상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인정받았다.송 변호사는 "대륜 의료제약그룹장으로 합류하게 돼 기쁘면서도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의료소송 및 제약·바이오 분야는 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만큼 그간 쌓아온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뢰인들의 권익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의료 AI와 빅데이터 등 다양한 신기술이 산업 전반에 적용되고, 의료 분쟁이 증가함에 따라 로펌 내 의료제약그룹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송 변호사의 영입으로 그룹 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전문가들의 역량을 총동원해 법조 시장 내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최근 의료제약그룹을 일반 의료소송에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까지 확대·개편하며 의료분쟁부터 관련 산업 규제, 리스크 관리 전반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3-07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의료 분야 높은 전문성 필요, 권익 보호 최선 다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의사 자격을 보유한 송진성 변호사를 영입하며 본격적으로 의료그룹 강화에 나섰다고 밝혔다.대륜의 의료제약그룹장으로 합류하는 송 변호사는 지난 2007년 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진안군 보건소 보건지소장을 3년 간 역임했다. 이후 2013년 의료 분야 대법원 재판연구원으로 법조계에 첫 발을 내딛였다.2017년부터는 서울고등법원 의료분야 상임전문심리위원, 수원고등법원 의무실장 등을 맡으며 의료 및 제약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상임전문심리위원은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분야(건설, 환경, 의료 등)의 사건 해결을 위해 법원에 상주하며 의견과 설명을 제시하는 역할이다.송 변호사는 의료소송 건의 감정 필요성과 신청 적절성을 판단하는 등 의료 민형사 사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진료상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 교통사고 치료비에 대한 보험약관, 의약품 안전에 관한 규칙 위반 등의 법률 자문을 맡으며 보험 및 손해배상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인정받았다.송 변호사는 "대륜 의료제약그룹장으로 합류하게 돼 기쁘면서도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의료소송 및 제약·바이오 분야는 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만큼 그간 쌓아온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뢰인들의 권익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의료 AI와 빅데이터 등 다양한 신기술이 산업 전반에 적용되고, 의료 분쟁이 증가함에 따라 로펌 내 의료제약그룹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송 변호사의 영입으로 그룹 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전문가들의 역량을 총동원해 법조 시장 내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최근 의료제약그룹을 일반 의료소송에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까지 확대·개편하며 의료분쟁부터 관련 산업 규제, 리스크 관리 전반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의사 자격 보유’ 송진성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07
랜덤채팅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혐의 20대 남성···1심 실형, 항소심은 ‘집행유예’ 감형
랜덤채팅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혐의 20대 남성···1심 실형, 항소심은 ‘집행유예’ 감형
변호인 “계획적 범행 아닌 점, 강압적 수단 사용 안한 점” 주장대전고등법원 제3형사부 “확정적 고의 없어···원심의 형 너무 무겁다” 온라인 랜덤채팅에서 만난 미성년자를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실형을 받았던 2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돼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사례가 나왔다.대전고등법원 제3형사부(재판장 김병식 부장판사, 이의석·곽상호 판사)는 미성년자의제강간 혐의로 기소된 A씨(25세)에 대한 항소심에서 올해 1월 7일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강의 수강과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에 3년간 취업제한도 명령했다.A씨는 2023년 12월경 랜덤채팅을 통해 알게 된 미성년자인 B양(15세)을 간음한 혐의를 받았다.형법 제305조에 따르면, 성인이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와 성관계 할 경우 아동의 동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합의하에 성관계를 가졌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A씨는 우연히 채팅방에 들어온 B양에게 만남을 제안했고, 사건 당일 자신의 차량으로 유인해 성관계를 맺었다. 다만, 당시 A씨는 B양에게 폭력을 행사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1심 재판부는 A씨의 죄질이 나쁘다고 판단해 징역 2년을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피고인은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능력이 부족한 피해자를 간음해 자신의 성적 욕망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삼아 죄책이 무겁다”고 판시했다.A씨 측은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항소심 재판에서 A씨 측은 계획적으로 범행을 저지르지는 않았던 점, 폭력이나 협박 등 강압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감형해 줄 것을 요청했다.항소심 재판부는 양형 이유로 “피고인과 피해자의 대화 내용 및 수사기관에서의 진술 등을 살펴보면 피고인이 확정적 고의를 가지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면서, A씨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감형을 결정했다.이 형사소송에서 피고인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기준 변호사는 “미성년자의제강간죄는 미성년자 인지 여부, 피해자 동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처벌받는다. 혐의가 인정된 경우라면 형량을 낮추는 게 중요하다”면서, “A씨 사건은 범죄 고의성이 없는 점, 잘못된 성인식을 바로잡는다면 건전한 사회인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높은 점 등을 입증해 감형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랜덤채팅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혐의 20대 남성···1심 실형, 항소심은 ‘집행유예’ 감형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07
랜덤채팅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혐의 20대 남성···1심 실형, 항소심은 ‘집행유예’ 감형
랜덤채팅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혐의 20대 남성···1심 실형, 항소심은 ‘집행유예’ 감형
변호인 “계획적 범행 아닌 점, 강압적 수단 사용 안한 점” 주장대전고등법원 제3형사부 “확정적 고의 없어···원심의 형 너무 무겁다” 온라인 랜덤채팅에서 만난 미성년자를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실형을 받았던 2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돼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사례가 나왔다.대전고등법원 제3형사부(재판장 김병식 부장판사, 이의석·곽상호 판사)는 미성년자의제강간 혐의로 기소된 A씨(25세)에 대한 항소심에서 올해 1월 7일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강의 수강과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에 3년간 취업제한도 명령했다.A씨는 2023년 12월경 랜덤채팅을 통해 알게 된 미성년자인 B양(15세)을 간음한 혐의를 받았다.형법 제305조에 따르면, 성인이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와 성관계 할 경우 아동의 동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합의하에 성관계를 가졌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A씨는 우연히 채팅방에 들어온 B양에게 만남을 제안했고, 사건 당일 자신의 차량으로 유인해 성관계를 맺었다. 다만, 당시 A씨는 B양에게 폭력을 행사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1심 재판부는 A씨의 죄질이 나쁘다고 판단해 징역 2년을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피고인은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능력이 부족한 피해자를 간음해 자신의 성적 욕망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삼아 죄책이 무겁다”고 판시했다.A씨 측은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항소심 재판에서 A씨 측은 계획적으로 범행을 저지르지는 않았던 점, 폭력이나 협박 등 강압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감형해 줄 것을 요청했다.항소심 재판부는 양형 이유로 “피고인과 피해자의 대화 내용 및 수사기관에서의 진술 등을 살펴보면 피고인이 확정적 고의를 가지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면서, A씨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감형을 결정했다.이 형사소송에서 피고인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기준 변호사는 “미성년자의제강간죄는 미성년자 인지 여부, 피해자 동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처벌받는다. 혐의가 인정된 경우라면 형량을 낮추는 게 중요하다”면서, “A씨 사건은 범죄 고의성이 없는 점, 잘못된 성인식을 바로잡는다면 건전한 사회인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높은 점 등을 입증해 감형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랜덤채팅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혐의 20대 남성···1심 실형, 항소심은 ‘집행유예’ 감형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3-06
[단독] 헌재, 대한변협 AI 광고규제 본안심리 돌입… 전원재판부 회부
[단독] 헌재, 대한변협 AI 광고규제 본안심리 돌입… 전원재판부 회부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 등 헌법소원법무법인 대륜 "소비자 정보 접근성 제한" 헌법재판소가 법무법인 대륜이 청구한 대한변호사협회의 인공지능(AI) 광고규제 헌법소원을 전원재판부에서 심리하기로 결정했다. AI 기반 법률 서비스의 광고를 금지한 변협 규정이 변호사의 직업 수행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를 본격적으로 심사한다.헌재는 지난 2월 10일 법무법인 대륜이 낸 변호사법 제23조 제2항 제7호 등 위헌확인 사건을 전원재판부에 회부했다. 이는 헌재가 해당 사건을 본안 심리 대상으로 인정하고 위헌 여부를 다룬다는 의미다.헌재는 사건 접수 후 재판관 3인으로 구성된 지정재판부에서 적법 요건을 검토하고,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각하 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본안 심리 단계로 넘어가면서 변협의 AI 법률 서비스 광고 규제에 대한 위헌 여부를 심층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이번 헌법소원의 핵심 쟁점은 △AI 기반 법률 서비스에 대한 규제가 변호사 직무 수행의 본질적 자유를 침해하는지 △소비자의 법률 정보 접근성을 과도하게 제한해 공공의 이익을 저해하는지 여부다.대륜은 지난 1월 16일 AI 기반 법률 상담 프로그램 'AI 대륜'을 출시했으나 변협이 변호사법 위반 소지를 이유로 해당 프로그램의 광고를 금지하고 징계를 검토하면서 헌법소원을 냈다.대륜이 문제 삼은 조항은 '변호사법 제23조 제2항 제7호'와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다. 해당 규정에 따르면, 변호사는 변협이 인증하고 책임변호사가 감독하는 AI 프로그램 외에는 업무 활용 사실을 광고할 수 없다. 또한, AI 프로그램을 이용해 소비자가 직접 법률 상담을 받거나 변호사와 연결하는 방식의 광고도 금지된다.대륜은 해당 규정이 변호사의 직업 수행의 자유를 침해하며, AI 기반 법률 서비스 이용을 막아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제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번 사건은 AI 기술과 법률 서비스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을 가리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법조 관계자는 "AI를 활용한 법률 서비스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변협의 규제가 법률 시장의 혁신을 저해하는지, 공익적 목적을 갖춘 합리적 규제인지에 대한 법적 기준이 마련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박동일(39·변호사시험 8회) 대륜 대표변호사는 "이번 헌재 심리를 통해 AI 법률 서비스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을 검토할 기회를 마련하게 돼 의미가 크다"며 "세계적인 AI 전환 흐름 속에서 법률 시장 역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륜은 'AI 대륜'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법률 정보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다"며 "변협의 규제가 공익 증진에 부합하는지 다시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진영 기자 [기사전문보기] [단독] 헌재, 대한변협 AI 광고규제 본안심리 돌입… 전원재판부 회부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3-06
[단독] 헌재, 대한변협 AI 광고규제 본안심리 돌입… 전원재판부 회부
[단독] 헌재, 대한변협 AI 광고규제 본안심리 돌입… 전원재판부 회부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 등 헌법소원법무법인 대륜 "소비자 정보 접근성 제한" 헌법재판소가 법무법인 대륜이 청구한 대한변호사협회의 인공지능(AI) 광고규제 헌법소원을 전원재판부에서 심리하기로 결정했다. AI 기반 법률 서비스의 광고를 금지한 변협 규정이 변호사의 직업 수행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를 본격적으로 심사한다.헌재는 지난 2월 10일 법무법인 대륜이 낸 변호사법 제23조 제2항 제7호 등 위헌확인 사건을 전원재판부에 회부했다. 이는 헌재가 해당 사건을 본안 심리 대상으로 인정하고 위헌 여부를 다룬다는 의미다.헌재는 사건 접수 후 재판관 3인으로 구성된 지정재판부에서 적법 요건을 검토하고,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각하 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본안 심리 단계로 넘어가면서 변협의 AI 법률 서비스 광고 규제에 대한 위헌 여부를 심층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이번 헌법소원의 핵심 쟁점은 △AI 기반 법률 서비스에 대한 규제가 변호사 직무 수행의 본질적 자유를 침해하는지 △소비자의 법률 정보 접근성을 과도하게 제한해 공공의 이익을 저해하는지 여부다.대륜은 지난 1월 16일 AI 기반 법률 상담 프로그램 'AI 대륜'을 출시했으나 변협이 변호사법 위반 소지를 이유로 해당 프로그램의 광고를 금지하고 징계를 검토하면서 헌법소원을 냈다.대륜이 문제 삼은 조항은 '변호사법 제23조 제2항 제7호'와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다. 해당 규정에 따르면, 변호사는 변협이 인증하고 책임변호사가 감독하는 AI 프로그램 외에는 업무 활용 사실을 광고할 수 없다. 또한, AI 프로그램을 이용해 소비자가 직접 법률 상담을 받거나 변호사와 연결하는 방식의 광고도 금지된다.대륜은 해당 규정이 변호사의 직업 수행의 자유를 침해하며, AI 기반 법률 서비스 이용을 막아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제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번 사건은 AI 기술과 법률 서비스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을 가리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법조 관계자는 "AI를 활용한 법률 서비스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변협의 규제가 법률 시장의 혁신을 저해하는지, 공익적 목적을 갖춘 합리적 규제인지에 대한 법적 기준이 마련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박동일(39·변호사시험 8회) 대륜 대표변호사는 "이번 헌재 심리를 통해 AI 법률 서비스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을 검토할 기회를 마련하게 돼 의미가 크다"며 "세계적인 AI 전환 흐름 속에서 법률 시장 역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륜은 'AI 대륜'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법률 정보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다"며 "변협의 규제가 공익 증진에 부합하는지 다시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진영 기자 [기사전문보기] [단독] 헌재, 대한변협 AI 광고규제 본안심리 돌입… 전원재판부 회부 (바로가기)
머니S
2025-03-06
전여친 165회 스토킹한 남성… 피해자 프사 때문에 '무죄'로 뒤집혀
전여친 165회 스토킹한 남성… 피해자 프사 때문에 '무죄'로 뒤집혀
헤어진 여자친구에게 반복적으로 여러 차례 연락한 30대가 약식 명령을 받았으나 정식 재판을 청구해 무죄를 선고받았다.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2단독(판사 하진우)은 지난 1월16일 스토킹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23년 헤어진 연인 B씨가 더 이상 연락하지 말 것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165회에 걸쳐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전송한 혐의를 받았다.검찰은 A씨에게 스토킹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스토킹처벌법 위반 혐의로 벌금 200만원 약식기소했다. 이후 법원이 약식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관계 개선을 위해 이같은 행동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몇 차례 헤어지고 재회했을 당시 B씨가 "반복적으로 날 붙잡기 위해 노력하라", "범죄가 아니니 연락해달라"고 말했기에 B씨의 요구를 따른 것이었다고 강조했다.이후 두 사람은 잠시 화해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사이가 악화됐다. A씨 측은 "이때 역시 B씨가 자신에게 돌아와달라는 내용의 SNS 프로필 화면을 설정하는 등 지속해서 연락을 유도했다고 덧붙였다.법원은 A씨에게 죄가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반복적으로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전송한 사실 등은 인정된다"면서도 "피해자는 결별과 재회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피고인이 여러 차례 연락하거나 자신을 찾아오는 등의 노력을 보여야 다시 교제를 시작했다"고 밝혔다.이어 "피해자 역시 메시지를 보내거나 피고인의 집을 찾아가 만나기도 했다"면서 "다시 사이가 악화된 이후에도 피해자는 연락을 무시만 했을 뿐, 하지 말 것을 명확하게 표현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명철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B씨가 요구하는 행동을 하면 관계가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A씨의 사정을 강조했다"며 "A씨에게 범행 의도가 없었다는 점을 부각해 무죄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전여친 165회 스토킹한 남성… 피해자 프사 때문에 '무죄'로 뒤집혀 (바로가기)
머니S
2025-03-06
전여친 165회 스토킹한 남성… 피해자 프사 때문에 '무죄'로 뒤집혀
전여친 165회 스토킹한 남성… 피해자 프사 때문에 '무죄'로 뒤집혀
헤어진 여자친구에게 반복적으로 여러 차례 연락한 30대가 약식 명령을 받았으나 정식 재판을 청구해 무죄를 선고받았다.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2단독(판사 하진우)은 지난 1월16일 스토킹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남성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23년 헤어진 연인 B씨가 더 이상 연락하지 말 것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165회에 걸쳐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전송한 혐의를 받았다.검찰은 A씨에게 스토킹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스토킹처벌법 위반 혐의로 벌금 200만원 약식기소했다. 이후 법원이 약식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 과정에서 A씨는 관계 개선을 위해 이같은 행동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몇 차례 헤어지고 재회했을 당시 B씨가 "반복적으로 날 붙잡기 위해 노력하라", "범죄가 아니니 연락해달라"고 말했기에 B씨의 요구를 따른 것이었다고 강조했다.이후 두 사람은 잠시 화해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사이가 악화됐다. A씨 측은 "이때 역시 B씨가 자신에게 돌아와달라는 내용의 SNS 프로필 화면을 설정하는 등 지속해서 연락을 유도했다고 덧붙였다.법원은 A씨에게 죄가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반복적으로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전송한 사실 등은 인정된다"면서도 "피해자는 결별과 재회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피고인이 여러 차례 연락하거나 자신을 찾아오는 등의 노력을 보여야 다시 교제를 시작했다"고 밝혔다.이어 "피해자 역시 메시지를 보내거나 피고인의 집을 찾아가 만나기도 했다"면서 "다시 사이가 악화된 이후에도 피해자는 연락을 무시만 했을 뿐, 하지 말 것을 명확하게 표현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명철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B씨가 요구하는 행동을 하면 관계가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A씨의 사정을 강조했다"며 "A씨에게 범행 의도가 없었다는 점을 부각해 무죄 판결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전여친 165회 스토킹한 남성… 피해자 프사 때문에 '무죄'로 뒤집혀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06
전세 사기범 몰린 임대인…검찰수사 결과 ‘혐의없음’
전세 사기범 몰린 임대인…검찰수사 결과 ‘혐의없음’
임차보증금 편취 목적 없어‘깡통전세’ 사기 해당 안 돼“판례 종합적 고려, 불기소” 이른바 ‘깡통전세’로 세입자들의 임대차 보증금 4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은 임대인에게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최근 사기 혐의로 조사한 60대 A 씨를 불기소 처분했다.A 씨는 2017년 5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부산 중구의 한 빌라 세입자들로부터 전세보증금 4억3800만 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 세입자들은 부동산 매매가액보다 전세보증금이 높은 이른바 깡통전세 사기를 당했다며 A 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그러나 A 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A 씨 측은 “배우자의 이혼소송 제기로 소유하고 있던 빌라에 대한 가압류 조치가 내려졌고, 이후 해당 빌라는 2023년 강제 경매를 통해 매각됐다”며 “낙찰가가 실제 부동산 시가보다 절반 이상 낮게 책정돼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한 것이다. 빌라를 임대한 당시 깡통전세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 씨의 불기소를 결정했다. 검찰 측은 “사기죄 성립 여부는 그 행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고, 이후 경제 사정의 변화 등으로 인해 피의자가 채무 불이행 상태에 이르게 됐다 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이 사건을 담당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상구 변호사는 “사기죄는 기망 행위, 착오, 처분 행위, 재산상 손해, 고의 및 불법 영득 의사가 존재해야 성립된다”며 “이번 사건은 A 씨가 고소인들과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이후 예기치 않게 가압류가 진행돼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한 사안”이라고 밝혔다.이어 “갑작스러운 사정 변경으로 재정 여건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A 씨는 소유하던 아파트 분양권을 매매해 일부 피해자에게 보증금을 반환했다”며 “따라서 임차보증금 문제를 두고 A 씨를 사기죄의 정범으로 볼 수는 없다. 이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입증해 혐의없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전세 사기범 몰린 임대인…검찰수사 결과 ‘혐의없음’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3-06
전세 사기범 몰린 임대인…검찰수사 결과 ‘혐의없음’
전세 사기범 몰린 임대인…검찰수사 결과 ‘혐의없음’
임차보증금 편취 목적 없어‘깡통전세’ 사기 해당 안 돼“판례 종합적 고려, 불기소” 이른바 ‘깡통전세’로 세입자들의 임대차 보증금 4억여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은 임대인에게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최근 사기 혐의로 조사한 60대 A 씨를 불기소 처분했다.A 씨는 2017년 5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부산 중구의 한 빌라 세입자들로부터 전세보증금 4억3800만 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 세입자들은 부동산 매매가액보다 전세보증금이 높은 이른바 깡통전세 사기를 당했다며 A 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그러나 A 씨는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A 씨 측은 “배우자의 이혼소송 제기로 소유하고 있던 빌라에 대한 가압류 조치가 내려졌고, 이후 해당 빌라는 2023년 강제 경매를 통해 매각됐다”며 “낙찰가가 실제 부동산 시가보다 절반 이상 낮게 책정돼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한 것이다. 빌라를 임대한 당시 깡통전세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 씨의 불기소를 결정했다. 검찰 측은 “사기죄 성립 여부는 그 행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고, 이후 경제 사정의 변화 등으로 인해 피의자가 채무 불이행 상태에 이르게 됐다 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이 사건을 담당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상구 변호사는 “사기죄는 기망 행위, 착오, 처분 행위, 재산상 손해, 고의 및 불법 영득 의사가 존재해야 성립된다”며 “이번 사건은 A 씨가 고소인들과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이후 예기치 않게 가압류가 진행돼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한 사안”이라고 밝혔다.이어 “갑작스러운 사정 변경으로 재정 여건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A 씨는 소유하던 아파트 분양권을 매매해 일부 피해자에게 보증금을 반환했다”며 “따라서 임차보증금 문제를 두고 A 씨를 사기죄의 정범으로 볼 수는 없다. 이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입증해 혐의없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전세 사기범 몰린 임대인…검찰수사 결과 ‘혐의없음’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3-05
"트럼프발 '관세전쟁'…사전 심사 절차 통한 리스크 관리 중요"
"트럼프발 '관세전쟁'…사전 심사 절차 통한 리스크 관리 중요"
대륜 관세·국제통상·중재그룹, 김대륜 관세전문위원 인터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이른바 '관세전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미국의 관세 정책이 다양한 업종과 다른 대상국으로 확대되면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보편관세로 인한 우리나라 수출 기업의 대비가 중요해지는 시점이다.법무법인 대륜 국제통상·중재·관세그룹은 관세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관세전문위원, 회계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특히 FTA 원산지 검증, 반덤핑 관세 대응, 세관 조사 대응 등 특정 분야별로 전문성을 갖춘 팀원들이 기업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최근 그룹에 합류한 김대륜 관세전문위원은 관세사, 보세사, 원산지관리사, 물류관리사 자격을 보유한 관세분야 전문가로, 지난 4일 관세 분야 이슈 분석, 글로벌 관세 환경에 기업들이 취해야 할 리스크 관리 전략 등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다음은 김대륜 전문위원과의 일문일답.Q. 국가 간 거래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관세 분야 전문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지.기업이 물품을 수·출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세법상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할 수 있도록 FTA 컨설팅, 품목분류 사전심사, 관세평가, 수출입 요건 컨설팅 등 다분야의 업무에 대해 자문하고 있다. 또, 관세조사, 관세쟁송, 외환검사 및 조사 등 세관에서 발생하는 조사 대응을 수행하고 있다.Q. 관세 분야는 다양한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로 업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업무 수행에 고충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지.무역거래 특성상 다양한 물품이 수·출입되며, 거래 방식 또한 다양하다. 관세 업무의 기초가 되는 품목 분류를 하기 위해서는 물품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데, 신규 개발된 물품인 경우 해당 물품과 산업군에 대한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다.Q. 최근 관세 이슈에 대해 관세분야 전문가로서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미국 관세청(CBP)에서 규정하는 합리적인 주의의무(Reasonable Care)에 따라 미국에서의 수입신고 기본적인 항목인 품목분류, 과세가격, 원산지 신고의 적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산 물품의 국내를 통한 우회 수출 거래 여부를 확인하고, 미국의 원산지 유권 해석인 CBP Ruling을 통해 원산지를 최종 확인 받아 추가 관세 부과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는 등 보다 세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Q. 관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관세 분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분야는 품목분류(HS CODE)와 관세평가다. 미국 CBP에서는 원산지 뿐만 아니라 품목분류와 관세평가에 대한 사전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세 리스크 관리를 위해 기업들은 해당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품목분류 사전심사, 과세가격 결정방법 사전심사, 특수관계 과세가격 사전심사 등 사전 심사 절차를 통해 과세 위험을 사전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Q. 관세 이슈와 관련해 대륜 국제통상·중재·관세그룹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 이와 관련해 현재 그룹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그룹에서는 제품 생산 기획 단계에서의 원산지 컨설팅부터 CBP에 원산지 판정 사전 신청 대행까지 다양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수출 물품의 원산지를 확인함으로써 추가 관세 부과 대상 여부를 가늠할 수 있어 기업들의 관세 전략을 세우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현재 글로벌 무역 환경이 급변하면서 관세 및 무역 규제가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사전심사 절차는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신청 시 구비해야 할 서류도 다양하고, 내용도 복잡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이은혜 기자(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트럼프발 '관세전쟁'…사전 심사 절차 통한 리스크 관리 중요"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5-03-05
"트럼프발 '관세전쟁'…사전 심사 절차 통한 리스크 관리 중요"
"트럼프발 '관세전쟁'…사전 심사 절차 통한 리스크 관리 중요"
대륜 관세·국제통상·중재그룹, 김대륜 관세전문위원 인터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이른바 '관세전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미국의 관세 정책이 다양한 업종과 다른 대상국으로 확대되면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보편관세로 인한 우리나라 수출 기업의 대비가 중요해지는 시점이다.법무법인 대륜 국제통상·중재·관세그룹은 관세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관세전문위원, 회계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특히 FTA 원산지 검증, 반덤핑 관세 대응, 세관 조사 대응 등 특정 분야별로 전문성을 갖춘 팀원들이 기업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최근 그룹에 합류한 김대륜 관세전문위원은 관세사, 보세사, 원산지관리사, 물류관리사 자격을 보유한 관세분야 전문가로, 지난 4일 관세 분야 이슈 분석, 글로벌 관세 환경에 기업들이 취해야 할 리스크 관리 전략 등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다음은 김대륜 전문위원과의 일문일답.Q. 국가 간 거래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관세 분야 전문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지.기업이 물품을 수·출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세법상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할 수 있도록 FTA 컨설팅, 품목분류 사전심사, 관세평가, 수출입 요건 컨설팅 등 다분야의 업무에 대해 자문하고 있다. 또, 관세조사, 관세쟁송, 외환검사 및 조사 등 세관에서 발생하는 조사 대응을 수행하고 있다.Q. 관세 분야는 다양한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로 업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업무 수행에 고충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지.무역거래 특성상 다양한 물품이 수·출입되며, 거래 방식 또한 다양하다. 관세 업무의 기초가 되는 품목 분류를 하기 위해서는 물품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데, 신규 개발된 물품인 경우 해당 물품과 산업군에 대한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다.Q. 최근 관세 이슈에 대해 관세분야 전문가로서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미국 관세청(CBP)에서 규정하는 합리적인 주의의무(Reasonable Care)에 따라 미국에서의 수입신고 기본적인 항목인 품목분류, 과세가격, 원산지 신고의 적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산 물품의 국내를 통한 우회 수출 거래 여부를 확인하고, 미국의 원산지 유권 해석인 CBP Ruling을 통해 원산지를 최종 확인 받아 추가 관세 부과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는 등 보다 세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Q. 관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관세 분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분야는 품목분류(HS CODE)와 관세평가다. 미국 CBP에서는 원산지 뿐만 아니라 품목분류와 관세평가에 대한 사전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세 리스크 관리를 위해 기업들은 해당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품목분류 사전심사, 과세가격 결정방법 사전심사, 특수관계 과세가격 사전심사 등 사전 심사 절차를 통해 과세 위험을 사전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Q. 관세 이슈와 관련해 대륜 국제통상·중재·관세그룹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 이와 관련해 현재 그룹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그룹에서는 제품 생산 기획 단계에서의 원산지 컨설팅부터 CBP에 원산지 판정 사전 신청 대행까지 다양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수출 물품의 원산지를 확인함으로써 추가 관세 부과 대상 여부를 가늠할 수 있어 기업들의 관세 전략을 세우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현재 글로벌 무역 환경이 급변하면서 관세 및 무역 규제가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사전심사 절차는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신청 시 구비해야 할 서류도 다양하고, 내용도 복잡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이은혜 기자(zhses3@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트럼프발 '관세전쟁'…사전 심사 절차 통한 리스크 관리 중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3-05
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원사업자(원청)가 공사나 제조를 맡기기 위해 수급사업자(하청)에게 업무를 넘기는 행위인 하도급은 건설·제조업계에서 자주 나타나는 형태다. 원사업자는 비용 절감과 노사 관계 문제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으며, 수급사업자는 일거리를 제공받고 전문성 강화를 통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하도급 계약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문제 역시 적지 않다. 업자 간 갈등이 대표적이다. 대부분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부당한 요구나 조건을 제시하면서 분쟁이 시작된다. 분쟁으로 인해 손실을 입는 건 수급사업자뿐만이 아니다. 법적 공방이 시작되는 순간 원사업자 역시 금전적·시간적 손해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그렇기에 수급사업자뿐만 아니라 원사업자도 계약 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적절한 계약으로 소송에 휘말려 과태료를 물거나 법적인 처벌을 받지 않도록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먼저 수급사업자의 이익을 침해하거나 제한하는 부당한 계약조건을 설정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서면에 기재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하거나 원사업자가 부담해야 할 민원처리나 산업재해 관련 비용을 수급사업자에게 떠넘기는 것은 부당한 특약으로 간주된다.두 번째로 하도급 대금을 일반 거래가보다 일방적으로 낮게 정해서는 안 된다. 여기에 둘 이상의 수급사업자와 계약 중인 경우 회사별 경영 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차별적으로 가격을 인하하는 행위도 금지된다. 그 밖에 수의 계약으로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때는 원사업자의 직접공사비(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보다 낮은 금액으로 정해서는 안 되고, 경쟁 입찰에서는 최저 입찰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결정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세 번째로 인지해야 할 사항은 하도급 대금의 감액이 원칙적으로 금지된다는 사실이다. 계약 시 정한 대금을 일방적으로 감액하거나 대금 합의 성립 이전에 발주했던 물품에 대해 합의 사항을 소급적용해 감액하는 것은 불법이다. 감액이 필요한 경우 이를 정당한 사유에 근거가 있어야만 하고, 수급사업자와의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 이를 무시하고 대금을 감액하면 법적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마지막으로, 원사업자는 수급사업자의 기술 자료를 요구할 수 없다. 하도급 계약에서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는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라는 요구는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원사업자가 정당한 사유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가능하며 해당 사항을 서면에 기재해 수급사업자에게 교부해야 한다.여기서 유념해야 할 사안은 해당 서면에 요구하는 기술 자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적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서류를 교부하게 한 취지는 기술자료의 구체적인 범위, 원사업자의 사용 목적 등을 명확하게 인식해 수급사업자의 기술이 부당하게 유출되거나 탈취되는 것을 막고자 하기 위함이다. 만약 구체적 사안이 기재돼 있지 않다면 서류 교부를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3-05
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원사업자(원청)가 공사나 제조를 맡기기 위해 수급사업자(하청)에게 업무를 넘기는 행위인 하도급은 건설·제조업계에서 자주 나타나는 형태다. 원사업자는 비용 절감과 노사 관계 문제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으며, 수급사업자는 일거리를 제공받고 전문성 강화를 통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하도급 계약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문제 역시 적지 않다. 업자 간 갈등이 대표적이다. 대부분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부당한 요구나 조건을 제시하면서 분쟁이 시작된다. 분쟁으로 인해 손실을 입는 건 수급사업자뿐만이 아니다. 법적 공방이 시작되는 순간 원사업자 역시 금전적·시간적 손해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그렇기에 수급사업자뿐만 아니라 원사업자도 계약 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적절한 계약으로 소송에 휘말려 과태료를 물거나 법적인 처벌을 받지 않도록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먼저 수급사업자의 이익을 침해하거나 제한하는 부당한 계약조건을 설정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서면에 기재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하거나 원사업자가 부담해야 할 민원처리나 산업재해 관련 비용을 수급사업자에게 떠넘기는 것은 부당한 특약으로 간주된다.두 번째로 하도급 대금을 일반 거래가보다 일방적으로 낮게 정해서는 안 된다. 여기에 둘 이상의 수급사업자와 계약 중인 경우 회사별 경영 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차별적으로 가격을 인하하는 행위도 금지된다. 그 밖에 수의 계약으로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때는 원사업자의 직접공사비(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보다 낮은 금액으로 정해서는 안 되고, 경쟁 입찰에서는 최저 입찰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결정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세 번째로 인지해야 할 사항은 하도급 대금의 감액이 원칙적으로 금지된다는 사실이다. 계약 시 정한 대금을 일방적으로 감액하거나 대금 합의 성립 이전에 발주했던 물품에 대해 합의 사항을 소급적용해 감액하는 것은 불법이다. 감액이 필요한 경우 이를 정당한 사유에 근거가 있어야만 하고, 수급사업자와의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 이를 무시하고 대금을 감액하면 법적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마지막으로, 원사업자는 수급사업자의 기술 자료를 요구할 수 없다. 하도급 계약에서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는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라는 요구는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원사업자가 정당한 사유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가능하며 해당 사항을 서면에 기재해 수급사업자에게 교부해야 한다.여기서 유념해야 할 사안은 해당 서면에 요구하는 기술 자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적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서류를 교부하게 한 취지는 기술자료의 구체적인 범위, 원사업자의 사용 목적 등을 명확하게 인식해 수급사업자의 기술이 부당하게 유출되거나 탈취되는 것을 막고자 하기 위함이다. 만약 구체적 사안이 기재돼 있지 않다면 서류 교부를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하도급 계약 시 원사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은?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05
오랜 기간 통행로로 사용된 땅 새 주인의 ‘사용료’ 청구···법원 “배타적 사용수익권 인정 안돼”
오랜 기간 통행로로 사용된 땅 새 주인의 ‘사용료’ 청구···법원 “배타적 사용수익권 인정 안돼”
새 토지소유자, 통행로 사용하는 인접 건물주들 상대로 통행료 요구수원지방법원 “일반 공중 위한 용도로 제공···공공이익 침해” 오랜 기간 인접 건물 통행로로 쓰이던 토지에 새 주인이 뒤늦게 통행료를 부과하는 것은 공공의 이익 침해에 해당한다며 토지소유자의 사용료 청구를 1·2심 모두 기각한 판결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제1민사부(재판장 김순한 부장판사, 조정민·조현주 판사)는 경기의 한 토지소유자 A씨가 인접한 땅의 건물주 B씨 등 30명을 상대로 낸 사용료 소송 항소심에서 1월 8일, 1심과 같은 취지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19년 매입한 땅의 일부가 B씨 등의 건물로 향하는 도로로 이용되는 것을 문제 삼으며, 이전까지 쌓인 사용료 700만 원을 지급하고 이후로도 매달 30만 원의 사용료를 낼 것을 요구하면서 사용료 청구소송을 제기했다.인접지 건물주 B씨 등 피고측은 이 소송에서 “문제의 도로가 B씨 등이 소유한 각 건물과 공로 사이를 연결하고 있고, 이 건물에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 인근 주민들이 통로를 오랜 기간 사용해왔다”면서, 해당 도로가 갖는 ‘공공성’을 강조했다.이 사건 1심 재판을 맡은 수원지방법원 김민철 판사는 A씨의 통행료 청구를 기각했다. 김민철 판사는 “배타적 사용수익권 포기에 대해 암묵적 합의가 있었다”고 판단했다.배타적 사용수익권은 토지소유자가 자신의 토지를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수익을 얻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권리로, 법률에 의해 보호받으나, 공익적 필요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1심 판결에 불복한 A씨는 즉각 항소했으나, 항소심 재판부도 “이 사건 토지에 대한 통행료 부과는 공공의 이익 침해”라고 판단하면서 원고의 항소를 기각했다.이 재판에서 B씨 등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세훈 변호사는 “도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수십 년간 유지돼 온 자유로운 통행이 제한돼 주변 주민들의 편익이 침해될 위기였다”면서, “주민통행을 위해 공로로 이용 중이라면, 토지소유주는 독점적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점을 입증해 항소심도 승소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오랜 기간 통행로로 사용된 땅 새 주인의 ‘사용료’ 청구···법원 “배타적 사용수익권 인정 안돼” (바로가기)
로리더
2025-03-05
오랜 기간 통행로로 사용된 땅 새 주인의 ‘사용료’ 청구···법원 “배타적 사용수익권 인정 안돼”
오랜 기간 통행로로 사용된 땅 새 주인의 ‘사용료’ 청구···법원 “배타적 사용수익권 인정 안돼”
새 토지소유자, 통행로 사용하는 인접 건물주들 상대로 통행료 요구수원지방법원 “일반 공중 위한 용도로 제공···공공이익 침해” 오랜 기간 인접 건물 통행로로 쓰이던 토지에 새 주인이 뒤늦게 통행료를 부과하는 것은 공공의 이익 침해에 해당한다며 토지소유자의 사용료 청구를 1·2심 모두 기각한 판결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제1민사부(재판장 김순한 부장판사, 조정민·조현주 판사)는 경기의 한 토지소유자 A씨가 인접한 땅의 건물주 B씨 등 30명을 상대로 낸 사용료 소송 항소심에서 1월 8일, 1심과 같은 취지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19년 매입한 땅의 일부가 B씨 등의 건물로 향하는 도로로 이용되는 것을 문제 삼으며, 이전까지 쌓인 사용료 700만 원을 지급하고 이후로도 매달 30만 원의 사용료를 낼 것을 요구하면서 사용료 청구소송을 제기했다.인접지 건물주 B씨 등 피고측은 이 소송에서 “문제의 도로가 B씨 등이 소유한 각 건물과 공로 사이를 연결하고 있고, 이 건물에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 인근 주민들이 통로를 오랜 기간 사용해왔다”면서, 해당 도로가 갖는 ‘공공성’을 강조했다.이 사건 1심 재판을 맡은 수원지방법원 김민철 판사는 A씨의 통행료 청구를 기각했다. 김민철 판사는 “배타적 사용수익권 포기에 대해 암묵적 합의가 있었다”고 판단했다.배타적 사용수익권은 토지소유자가 자신의 토지를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수익을 얻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권리로, 법률에 의해 보호받으나, 공익적 필요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1심 판결에 불복한 A씨는 즉각 항소했으나, 항소심 재판부도 “이 사건 토지에 대한 통행료 부과는 공공의 이익 침해”라고 판단하면서 원고의 항소를 기각했다.이 재판에서 B씨 등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세훈 변호사는 “도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수십 년간 유지돼 온 자유로운 통행이 제한돼 주변 주민들의 편익이 침해될 위기였다”면서, “주민통행을 위해 공로로 이용 중이라면, 토지소유주는 독점적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점을 입증해 항소심도 승소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오랜 기간 통행로로 사용된 땅 새 주인의 ‘사용료’ 청구···법원 “배타적 사용수익권 인정 안돼” (바로가기)
머니S
2025-03-04
홈플러스 노조 "기업회생은 MBK 투자금 회수 의도… M&A 우려"
홈플러스 노조 "기업회생은 MBK 투자금 회수 의도… M&A 우려"
노조 측 "MBK, 홈플러스 버리고 투자금 회수에만 몰두"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가 4일 기업회생 절차 개시와 관련해 MBK 파트너스의 과도한 투자금 회수 전략이 경영 위기를 자초했다며 정면으로 비판했다.이날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의 경영 위기는 MBK의 탐욕이 낳은 비극"이라며 "정부 개입이 시급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MBK는 홈플러스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한 배당을 지속해서 챙겨왔으며 1조원 투자 약속도 지키지 않았고 사실상 홈플러스를 버리고 투자금 회수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노조 측은 "회사가 '정상 영업 유지'라는 모호한 입장 외에 구체적인 사유와 계획을 밝히지 않았고, 모든 것을 비밀리에 진행하며 기업회생 절차 신청 전에 노조와 어떠한 논의도 없었다"면서 "약 2만명의 조합원과 그 가족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으며 조합원들은 극심한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했다.노조는 이번 회생 절차 개시로 매장 폐점과 대량 해고가 잇따를 것을 우려하면서 "회생절차가 시작되면 고정비용 절감을 명분으로 정리해고, 임금삭감, 복지 축소 등이 불가피하며 매장 폐점, 자산 매각 등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MBK 인수 후 이미 수천명의 직영직원을 감축했고 더 이상 줄일 비용도 없다"고 개탄했다.회사는 절차에 따라 오는 6월3일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매출 지속 상승세인데 회생 절차 개시 MBK는 2015년 9월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홈플러스를 7조2000억원에 인수했다. 노조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차입금과 이자 등을 홈플러스가 떠안게 됐고 회사의 경영 상태가 극도로 열악해졌다"며 "MBK가 차입금을 상환하기 위해 매장을 무차별적으로 매각하며 사업 규모를 축소했고 이것이 신용등급 하락과 장기 경쟁력 상실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홈플러스 매출은 회계연도 기준(3월~이듬해 2월)으로 ▲2021년 6조4807억원 ▲2022년 6조6006억원 ▲2023년 6조9316억원 등 지속해서 증가 추세다. 올 1월31일 기준 직전 12개월 매출은 7조462억원에 이른다. 다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해 ▲2021년 (1335억원) ▲2022년 (2602억원) ▲2023년 (1994억원)이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영업손실은 15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6% 증가했다.최철한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사무국장은 "현재 홈플러스 매장은 영업이 잘되고 있다. 그런데도 기업회생 개시를 신청한 이유는 MBK가 투자금을 회수하려는 의도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MBK는 수년간 홈플러스를 매각하려 했으나 매번 실패했다. 이번 회생절차 과정에서 쪼개 팔기 등으로 헐값에 M&A를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풀이했다.법무법인 대륜의 기업회생파산센터장을 맡고 있는 김원상 수석변호사는 "회생 절차 중에도 M&A와 부동산 자산 인수가 가능하며 실제로 헐값에 매각된 사례도 있다"며 "다만 부동산 자산이 4조7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해도 현실적으로 매각이나 현금화까지 이어질지는 장담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이와는 별도로 임직원 급여와 퇴직금 등은 우선적으로 계속 지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홈플러스 노조 "기업회생은 MBK 투자금 회수 의도… M&A 우려" (바로가기)
머니S
2025-03-04
홈플러스 노조 "기업회생은 MBK 투자금 회수 의도… M&A 우려"
홈플러스 노조 "기업회생은 MBK 투자금 회수 의도… M&A 우려"
노조 측 "MBK, 홈플러스 버리고 투자금 회수에만 몰두"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가 4일 기업회생 절차 개시와 관련해 MBK 파트너스의 과도한 투자금 회수 전략이 경영 위기를 자초했다며 정면으로 비판했다.이날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의 경영 위기는 MBK의 탐욕이 낳은 비극"이라며 "정부 개입이 시급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MBK는 홈플러스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한 배당을 지속해서 챙겨왔으며 1조원 투자 약속도 지키지 않았고 사실상 홈플러스를 버리고 투자금 회수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노조 측은 "회사가 '정상 영업 유지'라는 모호한 입장 외에 구체적인 사유와 계획을 밝히지 않았고, 모든 것을 비밀리에 진행하며 기업회생 절차 신청 전에 노조와 어떠한 논의도 없었다"면서 "약 2만명의 조합원과 그 가족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으며 조합원들은 극심한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했다.노조는 이번 회생 절차 개시로 매장 폐점과 대량 해고가 잇따를 것을 우려하면서 "회생절차가 시작되면 고정비용 절감을 명분으로 정리해고, 임금삭감, 복지 축소 등이 불가피하며 매장 폐점, 자산 매각 등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MBK 인수 후 이미 수천명의 직영직원을 감축했고 더 이상 줄일 비용도 없다"고 개탄했다.회사는 절차에 따라 오는 6월3일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매출 지속 상승세인데 회생 절차 개시 MBK는 2015년 9월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홈플러스를 7조2000억원에 인수했다. 노조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차입금과 이자 등을 홈플러스가 떠안게 됐고 회사의 경영 상태가 극도로 열악해졌다"며 "MBK가 차입금을 상환하기 위해 매장을 무차별적으로 매각하며 사업 규모를 축소했고 이것이 신용등급 하락과 장기 경쟁력 상실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홈플러스 매출은 회계연도 기준(3월~이듬해 2월)으로 ▲2021년 6조4807억원 ▲2022년 6조6006억원 ▲2023년 6조9316억원 등 지속해서 증가 추세다. 올 1월31일 기준 직전 12개월 매출은 7조462억원에 이른다. 다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해 ▲2021년 (1335억원) ▲2022년 (2602억원) ▲2023년 (1994억원)이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영업손실은 15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6% 증가했다.최철한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사무국장은 "현재 홈플러스 매장은 영업이 잘되고 있다. 그런데도 기업회생 개시를 신청한 이유는 MBK가 투자금을 회수하려는 의도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MBK는 수년간 홈플러스를 매각하려 했으나 매번 실패했다. 이번 회생절차 과정에서 쪼개 팔기 등으로 헐값에 M&A를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풀이했다.법무법인 대륜의 기업회생파산센터장을 맡고 있는 김원상 수석변호사는 "회생 절차 중에도 M&A와 부동산 자산 인수가 가능하며 실제로 헐값에 매각된 사례도 있다"며 "다만 부동산 자산이 4조7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해도 현실적으로 매각이나 현금화까지 이어질지는 장담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이와는 별도로 임직원 급여와 퇴직금 등은 우선적으로 계속 지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홈플러스 노조 "기업회생은 MBK 투자금 회수 의도… M&A 우려"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04
17억 원 투자금 받고 원리금 상환 안 한 대표…검찰 “사기 혐의 없어”
17억 원 투자금 받고 원리금 상환 안 한 대표…검찰 “사기 혐의 없어”
고소인들 “개인적 용도로 사용” 억울함 호소검찰 “투자금 개인 용도로 사용한 사실 없다…악화된 경영 상황 인정” 10억이 넘는 투자금을 가로챈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투자업체 대표가 혐의 없음 처분을 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서울동부지방검찰청은 지난해 12월 5일 사기 혐의로 송치된 업체 대표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9년부터 1년 여 동안 걸쳐 피해자 13명에게 약 17억 원의 투자금을 받았으나 원리금을 반환하지 않은 혐의를 받았다. 고소인들은 A씨가 투자금 대비 일정한 비율의 수익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원금조차 상환하지 않으며 이를 개인적인 용도에 사용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수익금을 지급하지 못한 것은 코로나19로 인해 사업이 어려워진 차주사들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연체중인 차주사를 상대로 채권 압류 명령을 신청하며 추심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회사 계좌 거래 내역을 확인한 결과 피의자가 개인적으로 투자금을 사용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재무제표를 봤을 때도 2019년부터 업체 상황이 악화된 점이 인정된다”고 밝혔다.이어 “차주사에 대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결정 신청이 법원에서 인용된 것으로 보인다”며 “고소인들에게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다고 알렸던 상황 등을 비춰볼 때 피의자가 고소인들을 속였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의도를 가지고 상대방을 속이는 행위가 포함되어야 한다”며 “A씨의 경우 차주사들의 악화된 경영 상황으로 인해 돈을 받지 못했다는 점이 인정돼 혐의가 성립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17억 원 투자금 받고 원리금 상환 안 한 대표…검찰 “사기 혐의 없어”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3-04
17억 원 투자금 받고 원리금 상환 안 한 대표…검찰 “사기 혐의 없어”
17억 원 투자금 받고 원리금 상환 안 한 대표…검찰 “사기 혐의 없어”
고소인들 “개인적 용도로 사용” 억울함 호소검찰 “투자금 개인 용도로 사용한 사실 없다…악화된 경영 상황 인정” 10억이 넘는 투자금을 가로챈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투자업체 대표가 혐의 없음 처분을 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서울동부지방검찰청은 지난해 12월 5일 사기 혐의로 송치된 업체 대표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19년부터 1년 여 동안 걸쳐 피해자 13명에게 약 17억 원의 투자금을 받았으나 원리금을 반환하지 않은 혐의를 받았다. 고소인들은 A씨가 투자금 대비 일정한 비율의 수익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원금조차 상환하지 않으며 이를 개인적인 용도에 사용했다고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수익금을 지급하지 못한 것은 코로나19로 인해 사업이 어려워진 차주사들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연체중인 차주사를 상대로 채권 압류 명령을 신청하며 추심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회사 계좌 거래 내역을 확인한 결과 피의자가 개인적으로 투자금을 사용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재무제표를 봤을 때도 2019년부터 업체 상황이 악화된 점이 인정된다”고 밝혔다.이어 “차주사에 대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결정 신청이 법원에서 인용된 것으로 보인다”며 “고소인들에게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다고 알렸던 상황 등을 비춰볼 때 피의자가 고소인들을 속였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의도를 가지고 상대방을 속이는 행위가 포함되어야 한다”며 “A씨의 경우 차주사들의 악화된 경영 상황으로 인해 돈을 받지 못했다는 점이 인정돼 혐의가 성립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17억 원 투자금 받고 원리금 상환 안 한 대표…검찰 “사기 혐의 없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04
사업 자금 옮겼다가 "빌린 돈 반환하라"..法 "대여금으로 볼 수 없어"
사업 자금 옮겼다가 "빌린 돈 반환하라"..法 "대여금으로 볼 수 없어"
사업 자금을 대신 옮겨줬다가 대여금 반환 소송을 당한 사건에 대해 대법원이 최종 기각 판결을 내렸습니다.대법원 제1부는 지난해 12월 26일 70대 A씨가 사업주 B씨를 상대로 낸 대여금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원심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지난 2016년 아들이 재직 중인 회사의 대표이사인 B씨를 알게 된 A씨는 2018년 두 차례에 걸쳐 B씨에게 2억 원을 송금했습니다.A씨는 해당 금액을 대여금이라고 주장했습니다.B씨가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며 돈을 빌려달라고 요청했다는 주장입니다.그러면서 A씨는 아들 계좌를 통해 1억 원만 돌려받았을 뿐, 나머지 1억 원에 대한 반환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하지만 B씨는 금전 대여를 요구한 적이 없다면서, 요청에 따라 사업에 필요한 금액을 전달해 줬을 뿐이라고 했습니다.1심은 B씨의 손을 들어주면서, "피고는 원고로부터 돈을 받은 후 당일 또는 이튿날 회사 계좌에 돈을 보냈다"며 "해당 회사에 피고가 대표 이사로 되어있기는 하지만 원고의 아들 역시 사내이사로 재직 중이면서 지분도 보유했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원고도 아들을 통해 회사 운영에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고가 원고에게 송금한 2억 원은 대여금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1심 판결에 불복한 A씨는 항소했으나 2심 재판부는 "원고의 항소 이유가 1심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청구를 기각했습니다.대법원 역시 상고를 기각하며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B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임선준 변호사는 "A씨의 주장대로 대여금이라면 일정 기간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았어야 했으나 그동안 단 한 차례도 B씨에게 상환을 요청하지 않았다"며 "이러한 사실을 보더라도 A씨는 자신이 소유한 회사에 사업 자금을 송금하기 위해 B씨 명의 계좌를 빌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업 자금 옮겼다가 "빌린 돈 반환하라"..法 "대여금으로 볼 수 없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3-04
사업 자금 옮겼다가 "빌린 돈 반환하라"..法 "대여금으로 볼 수 없어"
사업 자금 옮겼다가 "빌린 돈 반환하라"..法 "대여금으로 볼 수 없어"
사업 자금을 대신 옮겨줬다가 대여금 반환 소송을 당한 사건에 대해 대법원이 최종 기각 판결을 내렸습니다.대법원 제1부는 지난해 12월 26일 70대 A씨가 사업주 B씨를 상대로 낸 대여금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원심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지난 2016년 아들이 재직 중인 회사의 대표이사인 B씨를 알게 된 A씨는 2018년 두 차례에 걸쳐 B씨에게 2억 원을 송금했습니다.A씨는 해당 금액을 대여금이라고 주장했습니다.B씨가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며 돈을 빌려달라고 요청했다는 주장입니다.그러면서 A씨는 아들 계좌를 통해 1억 원만 돌려받았을 뿐, 나머지 1억 원에 대한 반환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하지만 B씨는 금전 대여를 요구한 적이 없다면서, 요청에 따라 사업에 필요한 금액을 전달해 줬을 뿐이라고 했습니다.1심은 B씨의 손을 들어주면서, "피고는 원고로부터 돈을 받은 후 당일 또는 이튿날 회사 계좌에 돈을 보냈다"며 "해당 회사에 피고가 대표 이사로 되어있기는 하지만 원고의 아들 역시 사내이사로 재직 중이면서 지분도 보유했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원고도 아들을 통해 회사 운영에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고가 원고에게 송금한 2억 원은 대여금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1심 판결에 불복한 A씨는 항소했으나 2심 재판부는 "원고의 항소 이유가 1심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청구를 기각했습니다.대법원 역시 상고를 기각하며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B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임선준 변호사는 "A씨의 주장대로 대여금이라면 일정 기간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았어야 했으나 그동안 단 한 차례도 B씨에게 상환을 요청하지 않았다"며 "이러한 사실을 보더라도 A씨는 자신이 소유한 회사에 사업 자금을 송금하기 위해 B씨 명의 계좌를 빌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업 자금 옮겼다가 "빌린 돈 반환하라"..法 "대여금으로 볼 수 없어"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2-28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대륜 의료·제약그룹 세미나 7일 개최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대륜 의료·제약그룹 세미나 7일 개최
CSO신고제, 지출보고서 공개 등 개정 약사법 중심으로 의견 청취와 해법 제시3월 7일 오후 2시 대륜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 최근 의료·제약업계 내 불법 리베이트 문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제약·바이오 기업들을 위한 세미나가 열린다.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3월 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에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 약사법 개정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2024년부터 도입된 의약품 판촉영업자(CSO) 신고제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인 경제적 이익 제공 내역에 관한 지출보고서 공개 제도를 대비하고자 마련됐다.대륜은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공정거래 전문 변호사들을 중심으로 컴플라이언스 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안과 대응 방안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이날 세미나는 총 4개의 주제로 진행된다. 먼저, 제1세션에서는 약사 자격을 보유한 제약 분야 전문가인 최윤정 변호사가 ‘제약사·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및 공개제도’를 주제로 발표한다. 최윤정 변호사는 개정된 약사법을 중심으로 CSO 신고제와 지출보고서 작성방법 및 관련 쟁점을 설명할 예정이다.제2세션에서는 기업법무그룹장을 맡고 있는 손계준 변호사가 발표에 나선다. 공정거래위원회 서기관 출신인 손계준 변호사는 공정거래법상 의약품 리베이트 규제와 공정거래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에 대해 소개할 계획이다.이어 제3세션은 의료·제약산업계 권위자로 꼽히는 최명순 고문이 맡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약 30년간 근무한 최명순 고문은 의약품 유통 관련 공급내역 사후관리와 지출보고서, 유통질서 문란 약제의 행정처분의 실무에 관해 발표할 예정이다.마지막 세션은 임정오 세무사가 ‘리베이트 발각 시 발생하는 세무 이슈’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병·의원, 제조업 등의 세무 조정과 자문을 수행해 온 임정오 세무사는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예정이다.본 세미나는 제약·바이오, 기업법무 담당자 등 관련 실무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참가 신청은 대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이번 세미나는 CSO 신고제, 지출보고서 공개 등 리베이트 규제에 대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고자 마련됐다”면서, “함께 현안을 공유하고 소통하기 위한 자리인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한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2025년 1월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한 1차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대륜 의료·제약그룹 세미나 7일 개최 (바로가기) 로이슈 -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 논의”…대륜, 7일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5-02-28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대륜 의료·제약그룹 세미나 7일 개최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대륜 의료·제약그룹 세미나 7일 개최
CSO신고제, 지출보고서 공개 등 개정 약사법 중심으로 의견 청취와 해법 제시3월 7일 오후 2시 대륜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 최근 의료·제약업계 내 불법 리베이트 문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제약·바이오 기업들을 위한 세미나가 열린다.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3월 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에서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 약사법 개정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2024년부터 도입된 의약품 판촉영업자(CSO) 신고제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인 경제적 이익 제공 내역에 관한 지출보고서 공개 제도를 대비하고자 마련됐다.대륜은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공정거래 전문 변호사들을 중심으로 컴플라이언스 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안과 대응 방안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이날 세미나는 총 4개의 주제로 진행된다. 먼저, 제1세션에서는 약사 자격을 보유한 제약 분야 전문가인 최윤정 변호사가 ‘제약사·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및 공개제도’를 주제로 발표한다. 최윤정 변호사는 개정된 약사법을 중심으로 CSO 신고제와 지출보고서 작성방법 및 관련 쟁점을 설명할 예정이다.제2세션에서는 기업법무그룹장을 맡고 있는 손계준 변호사가 발표에 나선다. 공정거래위원회 서기관 출신인 손계준 변호사는 공정거래법상 의약품 리베이트 규제와 공정거래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에 대해 소개할 계획이다.이어 제3세션은 의료·제약산업계 권위자로 꼽히는 최명순 고문이 맡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약 30년간 근무한 최명순 고문은 의약품 유통 관련 공급내역 사후관리와 지출보고서, 유통질서 문란 약제의 행정처분의 실무에 관해 발표할 예정이다.마지막 세션은 임정오 세무사가 ‘리베이트 발각 시 발생하는 세무 이슈’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병·의원, 제조업 등의 세무 조정과 자문을 수행해 온 임정오 세무사는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예정이다.본 세미나는 제약·바이오, 기업법무 담당자 등 관련 실무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참가 신청은 대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이번 세미나는 CSO 신고제, 지출보고서 공개 등 리베이트 규제에 대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고자 마련됐다”면서, “함께 현안을 공유하고 소통하기 위한 자리인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한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2025년 1월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한 1차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대륜 의료·제약그룹 세미나 7일 개최 (바로가기) 로이슈 - “제약·바이오 컴플라이언스 쟁점과 대응책 논의”…대륜, 7일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2-27
자녀들 앞에서 싸우면 아동학대?…고소당한 50대, 검찰서 불기소 처분
자녀들 앞에서 싸우면 아동학대?…고소당한 50대, 검찰서 불기소 처분
지인 자녀들 앞에서 몸싸움 벌여아동에게 정서적 학대 혐의 송치檢 “처벌 범위 지나친 확장 초래” 자녀 앞에서 아버지를 폭행해 정서적 학대를 가한 혐의로 송치된 50대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은 지난 10일 아동 학대 혐의를 받은 50대 남성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지난해 8월 지인 B 씨와 말다툼하던 중 그의 자녀들이 보는 앞에서 B 씨를 때리는 등 아동에게 정서적 학대를 가한 혐의를 받았다. 아동복지법 제17조 제5호는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 행위를 엄격히 금지한다. ‘정서적 학대’에는 아동을 가정폭력에 노출시키는 행위도 포함된다.그러나 A 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당시 B 씨와 약간의 실랑이를 벌이긴 했으나, 폭행 및 신체적 접촉은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장 상황이 담긴 CCTV에도 폭행 장면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으며, 피해자 가족 측 진술 외에는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고 강조했다.특히 A 씨의 행위가 정서적 학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폈다. ‘가정폭력’은 가정 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A 씨를 가정 구성원으로 볼 수 없다는 취지에서다.경찰은 A 씨의 아동 학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사건을 송치했지만, 검찰은 불기소 처분했다. 검찰은 “아동이 폭력 등의 행위에 노출됐다는 이유만으로 이를 전부 아동복지법에서 규정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로 본다면, 사실상 아동 앞에서 일어나는 모든 범죄 행위가 처벌 범위에 포섭돼 가벌성을 지나치게 확장하는 결과가 초래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의자가 단순한 제삼자로서 피해 아동에게 직접적인 폭력이나 폭언을 가하지 않은 경우, 혐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 아동복지법의 입법 목적과 문언 등을 고려해 그 적용 범위를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밝혔다.A 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권지혜 변호사는 “‘가정 구성원’은 배우자 또는 배우자였던 사람, 직계존비속, 동거 친족 등으로 규정돼 A 씨는 이에 해당하지 않았다”며 “A 씨는 B 씨의 자녀들에게 정서적 학대를 가할 의도가 없었는데, 검찰에서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자녀들 앞에서 싸우면 아동학대?…고소당한 50대, 검찰서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2-27
자녀들 앞에서 싸우면 아동학대?…고소당한 50대, 검찰서 불기소 처분
자녀들 앞에서 싸우면 아동학대?…고소당한 50대, 검찰서 불기소 처분
지인 자녀들 앞에서 몸싸움 벌여아동에게 정서적 학대 혐의 송치檢 “처벌 범위 지나친 확장 초래” 자녀 앞에서 아버지를 폭행해 정서적 학대를 가한 혐의로 송치된 50대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은 지난 10일 아동 학대 혐의를 받은 50대 남성 A 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지난해 8월 지인 B 씨와 말다툼하던 중 그의 자녀들이 보는 앞에서 B 씨를 때리는 등 아동에게 정서적 학대를 가한 혐의를 받았다. 아동복지법 제17조 제5호는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 행위를 엄격히 금지한다. ‘정서적 학대’에는 아동을 가정폭력에 노출시키는 행위도 포함된다.그러나 A 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당시 B 씨와 약간의 실랑이를 벌이긴 했으나, 폭행 및 신체적 접촉은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장 상황이 담긴 CCTV에도 폭행 장면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으며, 피해자 가족 측 진술 외에는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고 강조했다.특히 A 씨의 행위가 정서적 학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폈다. ‘가정폭력’은 가정 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A 씨를 가정 구성원으로 볼 수 없다는 취지에서다.경찰은 A 씨의 아동 학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사건을 송치했지만, 검찰은 불기소 처분했다. 검찰은 “아동이 폭력 등의 행위에 노출됐다는 이유만으로 이를 전부 아동복지법에서 규정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로 본다면, 사실상 아동 앞에서 일어나는 모든 범죄 행위가 처벌 범위에 포섭돼 가벌성을 지나치게 확장하는 결과가 초래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의자가 단순한 제삼자로서 피해 아동에게 직접적인 폭력이나 폭언을 가하지 않은 경우, 혐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 아동복지법의 입법 목적과 문언 등을 고려해 그 적용 범위를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밝혔다.A 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권지혜 변호사는 “‘가정 구성원’은 배우자 또는 배우자였던 사람, 직계존비속, 동거 친족 등으로 규정돼 A 씨는 이에 해당하지 않았다”며 “A 씨는 B 씨의 자녀들에게 정서적 학대를 가할 의도가 없었는데, 검찰에서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자녀들 앞에서 싸우면 아동학대?…고소당한 50대, 검찰서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더팩트 등 4곳
2025-02-27
성남 은행주공 조합, 법무법인 대륜 선임…GS·HDC와 소송전 돌입
성남 은행주공 조합, 법무법인 대륜 선임…GS·HDC와 소송전 돌입
작년 GS건설·HDC현산 컨소시엄과 계약해제대륜, 7인 전담팀 구성…"상대측 귀책사유 입증할 것" 기존 시공사와 법적 갈등을 빚어왔던 성남 은행주공아파트 재건축 조합이 법률 대리인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소송전에 돌입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은행주공 재건축 조합이 지난 21일 시공사 소송을 위한 대의원 회의를 개최하고 대륜을 법률 대리인으로 선임했다고 27일 밝혔다.앞서 조합은 지난해 4월 기존 시공사였던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과의 계약을 해지했다. 이들은 2019년 시공사로 선정됐으나 이후 조합측과 공사비에 대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이에 시공단은 조합 측에 먼저 지급했던 약 272억원의 입찰보증금 반환과 시공 완료시 얻었을 것으로 예상하는 이익 약 273억원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조합은 다수의 로펌으로부터 받은 제안서를 검토한 후 대륜을 법률 대리인으로 최종 선정했다.대륜은 7명의 전담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먼저 건설 전담부 판사로 근무한 바 있는 박정규 건설·부동산그룹장을 필두로 대형 건설사 출신 김광덕 변호사, 김형진 변호사가 투입된다.여기에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재개발·재건축 전문 변호사인 선유주 변호사, 부동산전문변호사인 강대희 변호사와 신영식 변호사, 포스코그룹 계열사 사내변호사 출신 남영재 변호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 역시 법적 조력에 나선다.조합측 대리를 맡은 대륜 박정규 변호사는 "이번 소송의 쟁점 사항은 공사도급계약 해제의 원인이 시공단 측에 있는지 아니면 조합 측에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시공단이 당초 계약됐던 내용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합리적인 범위를 초과해 공사비를 증액한 사실 등을 강조하며 계약해제에 조합의 귀책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겠다"고 덧붙였다. 황준익 기자(plusik@tf.co.kr) [기사전문보기] 더팩트 - 성남 은행주공 조합, 법무법인 대륜 선임…GS·HDC와 소송전 돌입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성남 은행주공조합, GS·HDC와의 소송전에 대형로펌 선임 (바로가기) 로이슈 - 성남 은행주공조합, GS·HDC와의 소송전에 대형로펌 선임 (바로가기) 이데일리 - 성남 은행주공조합, GS건설·HDC현산과 공사비 소송전 (바로가기)
더팩트 등 4곳
2025-02-27
성남 은행주공 조합, 법무법인 대륜 선임…GS·HDC와 소송전 돌입
성남 은행주공 조합, 법무법인 대륜 선임…GS·HDC와 소송전 돌입
작년 GS건설·HDC현산 컨소시엄과 계약해제대륜, 7인 전담팀 구성…"상대측 귀책사유 입증할 것" 기존 시공사와 법적 갈등을 빚어왔던 성남 은행주공아파트 재건축 조합이 법률 대리인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소송전에 돌입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은행주공 재건축 조합이 지난 21일 시공사 소송을 위한 대의원 회의를 개최하고 대륜을 법률 대리인으로 선임했다고 27일 밝혔다.앞서 조합은 지난해 4월 기존 시공사였던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과의 계약을 해지했다. 이들은 2019년 시공사로 선정됐으나 이후 조합측과 공사비에 대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이에 시공단은 조합 측에 먼저 지급했던 약 272억원의 입찰보증금 반환과 시공 완료시 얻었을 것으로 예상하는 이익 약 273억원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조합은 다수의 로펌으로부터 받은 제안서를 검토한 후 대륜을 법률 대리인으로 최종 선정했다.대륜은 7명의 전담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먼저 건설 전담부 판사로 근무한 바 있는 박정규 건설·부동산그룹장을 필두로 대형 건설사 출신 김광덕 변호사, 김형진 변호사가 투입된다.여기에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재개발·재건축 전문 변호사인 선유주 변호사, 부동산전문변호사인 강대희 변호사와 신영식 변호사, 포스코그룹 계열사 사내변호사 출신 남영재 변호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 역시 법적 조력에 나선다.조합측 대리를 맡은 대륜 박정규 변호사는 "이번 소송의 쟁점 사항은 공사도급계약 해제의 원인이 시공단 측에 있는지 아니면 조합 측에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시공단이 당초 계약됐던 내용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합리적인 범위를 초과해 공사비를 증액한 사실 등을 강조하며 계약해제에 조합의 귀책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겠다"고 덧붙였다. 황준익 기자(plusik@tf.co.kr) [기사전문보기] 더팩트 - 성남 은행주공 조합, 법무법인 대륜 선임…GS·HDC와 소송전 돌입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성남 은행주공조합, GS·HDC와의 소송전에 대형로펌 선임 (바로가기) 로이슈 - 성남 은행주공조합, GS·HDC와의 소송전에 대형로펌 선임 (바로가기) 이데일리 - 성남 은행주공조합, GS건설·HDC현산과 공사비 소송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26
관리자 계정 무단 접속해 2억여 원 빼돌린 군인..항소심서 감형
관리자 계정 무단 접속해 2억여 원 빼돌린 군인..항소심서 감형
1심 "국가 예산 손실 초래·횡령금 사적 유용"..징역 3년 선고항소심 "자수에 대한 추가적 조사 없었다..피해금 일부 변제 사실 등 고려" 군부대에서 회계 업무를 담당하며 수억 원을 빼돌린 군인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습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 제6-1형사부는 지난 14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40대 군인 A씨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3년을 내린 원심판결을 깨고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1년 상근 예비역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비 지급 시스템에 자신의 계좌를 등록해 1년여 동안 564회에 걸쳐 약 2억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았습니다.당시 A씨는 부대 내 자금관리시스템의 관리자 계정에 무단으로 접속해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1심은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도덕성과 청렴성을 갖추고 공무를 집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2억 원에 달하는 국가 예산 손실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죄질이 불량하다"며 "얻은 횡령금을 사적 용도로 사용했고 현재까지 아무런 손실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A씨는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습니다.A씨는 수사가 시작되기 전 군사 경찰에 자수를 했지만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아울러 가입된 보증 보험을 통해 피해 금액 일부를 갚았다며 선처를 호소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형이 무거워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재판부는 "수사팀장은 피고인의 자수를 들었음에도 출석 요구서를 기다리라며 돌려보냈고 별도의 추가 조사를 하지 않았다"며 "피고인의 이같은 행위는 양형기준에서 특별감경요소로 삼는 자수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피고인의 보험 계약에 따른 보험금 지급으로 피해 금액 중 1억 원이 복구됐다"면서 "그밖에 피고인이 횡령금 대부분을 자녀 양육 등 생계비로 사용한 사실과 범행을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항소심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변호사는 "대법원은 범행 발각과 관계없이 체포 전에만 자수하면 형법상 자수에 해당한다고 판시한 적이 있다"며 "이를 토대로 1심에서 제외된 자수 성립 주장과 함께 피해금 변제 사실을 강조하며 대폭 감형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관리자 계정 무단 접속해 2억여 원 빼돌린 군인..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26
관리자 계정 무단 접속해 2억여 원 빼돌린 군인..항소심서 감형
관리자 계정 무단 접속해 2억여 원 빼돌린 군인..항소심서 감형
1심 "국가 예산 손실 초래·횡령금 사적 유용"..징역 3년 선고항소심 "자수에 대한 추가적 조사 없었다..피해금 일부 변제 사실 등 고려" 군부대에서 회계 업무를 담당하며 수억 원을 빼돌린 군인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습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 제6-1형사부는 지난 14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40대 군인 A씨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3년을 내린 원심판결을 깨고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1년 상근 예비역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비 지급 시스템에 자신의 계좌를 등록해 1년여 동안 564회에 걸쳐 약 2억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았습니다.당시 A씨는 부대 내 자금관리시스템의 관리자 계정에 무단으로 접속해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1심은 A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도덕성과 청렴성을 갖추고 공무를 집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2억 원에 달하는 국가 예산 손실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죄질이 불량하다"며 "얻은 횡령금을 사적 용도로 사용했고 현재까지 아무런 손실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A씨는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습니다.A씨는 수사가 시작되기 전 군사 경찰에 자수를 했지만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아울러 가입된 보증 보험을 통해 피해 금액 일부를 갚았다며 선처를 호소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형이 무거워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재판부는 "수사팀장은 피고인의 자수를 들었음에도 출석 요구서를 기다리라며 돌려보냈고 별도의 추가 조사를 하지 않았다"며 "피고인의 이같은 행위는 양형기준에서 특별감경요소로 삼는 자수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피고인의 보험 계약에 따른 보험금 지급으로 피해 금액 중 1억 원이 복구됐다"면서 "그밖에 피고인이 횡령금 대부분을 자녀 양육 등 생계비로 사용한 사실과 범행을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항소심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변호사는 "대법원은 범행 발각과 관계없이 체포 전에만 자수하면 형법상 자수에 해당한다고 판시한 적이 있다"며 "이를 토대로 1심에서 제외된 자수 성립 주장과 함께 피해금 변제 사실을 강조하며 대폭 감형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관리자 계정 무단 접속해 2억여 원 빼돌린 군인..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5곳
2025-02-26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제약부터 의료기기까지 의료계 전반 리베이트 규제 대응 국세청은 지난해 불법 리베이트 제공으로 탈세를 도운 의약품업체 16곳에 대해 세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 업체들은 의료인의 사적인 비용을 대납하거나, 판촉영업대행사(CSO)를 통해 우회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해온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이처럼 ‘리베이트’는 과도하게 지불된 금액을 구매자에게 되돌려준다는 본래 취지와 달리, 최근에는 판매 촉진을 위한 뇌물의 의미로 악용되고 있는 것이다.이에 정부는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여러 대책을 내놓았다. 지난 2010년에는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자와 수수한 자 모두를 처벌하는 ‘쌍벌제’를 도입한 것이 대표적이다.그러나 리베이트 문제가 좀처럼 해결되지 않자, 정부는 또다시 칼을 꺼내들었다. 지난해 10월부터 본격적으로 CSO 신고제를 시행했고, 올해부터는 의료인에게 제공된 경제적 이익 제공 현황 내역이 담긴 ‘지출보고서’를 공개하는 제도를 실시한다. 이렇다 보니 업계 내부적으로 리베이트 적용 대상부터 조사 대응까지 컴플라이언스(CP)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다.◆ 의료제약·기업법무 다분야 그룹 연계…복잡한 의약 리베이트 사건 대응이같은 법률 수요에 맞춰 법무법인(유한)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은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에 나섰다.대륜은 법인 내 의료제약, 기업법무 등 다분야 그룹을 연계해 리베이트 관련 사안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에는 약사, 공정거래 등 각 분야에 정통한 전문가들이 배치됐다.국민건강보험공단 차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장 등으로 약 30년간 근무한 최명순 고문, 공정거래위원회 서기관 출신 손계준(사법연수원36기) 기업법무그룹장,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및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연구교수로 활동한 이서형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 약사 면허를 보유하고 의료 사건을 전문적으로 수행해온 최윤정 변호사, 약사 면허 보유와 더불어 제약사 셀트리온 사내변호사로 오랜 기간 경험을 쌓은 이일형 변호사 등이 주축이 돼 팀을 이끈다.◆ 심평원 출신 고문·공정거래법 전문변호사 등 협업, 컴플라이언스 강화 법제 컨설팅도먼저, 최명순 고문은 건강보험 요양급여 심사 및 실사, 정책 수립 등 국민건강보험제도 정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건강보험정책 분야 베테랑이다. 특히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에서 근무를 하며 국가 의약품 통계 인프라를 구축하고, 생산·유통·관리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기도 했다. 최 고문은 전문변호사 등과 함께 협업해 의약 리베이트 전반에 걸친 법적 리스크를 검토해나갈 예정이다.리베이트 대응에 있어 수많은 실무 경험을 보유한 손계준 그룹장은 공정위 재직 당시 담합, 불공정거래행위 등 공정거래 분야를 담당했다. 그는 실제 공정위 조사와 심의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한 능력을 활용해 리베이트는 물론 의약계 CP 준법경영 관련 자문을 제공해왔다.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을 맡고 있는 이서형 변호사는 약사 및 변리사 자격을 갖추고 있으며, 리베이트 관련 자문 및 소송을 성공적으로 해결해왔다. 특히 제약업계 사정에 정통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팀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된다.의료제약그룹에서 활약 중인 최윤정 변호사는 관련 법리나 절차 등에 지식이 풍부해 의약계 이슈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셀트리온 사내변호사 출신인 이일형 변호사는 사내(셀트리온)에서 공정경쟁규약 해석, 임상연구계약 검토, 사내 교육 업무를 수행해 왔다. 특히, 외국계 제약회사 P사 상대 특허소송 승소한 경험도 있어 의료제약 분야 각종 소송에서 활약 중이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의료 세무조사 시 리베이트 존재 여부를 두고 강도 높은 조사가 진행된다. 이 때문에 소명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하는데, 각종 자료 준비에 있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많았다”며 “세무조사·형사절차와 같은 사건 대응은 물론, 제약사 및 CSO 컴플라이언스 강화를 위한 법제 컨설팅 등 기업 방향성 제시까지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이 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오는 3월 7일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세미나 참가 신청은 26일부터 대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약사·공정거래 전문가' 배치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공정거래 돌파구 찾는다 (바로가기) 세계일보 -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5곳
2025-02-26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제약부터 의료기기까지 의료계 전반 리베이트 규제 대응 국세청은 지난해 불법 리베이트 제공으로 탈세를 도운 의약품업체 16곳에 대해 세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 업체들은 의료인의 사적인 비용을 대납하거나, 판촉영업대행사(CSO)를 통해 우회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해온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이처럼 ‘리베이트’는 과도하게 지불된 금액을 구매자에게 되돌려준다는 본래 취지와 달리, 최근에는 판매 촉진을 위한 뇌물의 의미로 악용되고 있는 것이다.이에 정부는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여러 대책을 내놓았다. 지난 2010년에는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자와 수수한 자 모두를 처벌하는 ‘쌍벌제’를 도입한 것이 대표적이다.그러나 리베이트 문제가 좀처럼 해결되지 않자, 정부는 또다시 칼을 꺼내들었다. 지난해 10월부터 본격적으로 CSO 신고제를 시행했고, 올해부터는 의료인에게 제공된 경제적 이익 제공 현황 내역이 담긴 ‘지출보고서’를 공개하는 제도를 실시한다. 이렇다 보니 업계 내부적으로 리베이트 적용 대상부터 조사 대응까지 컴플라이언스(CP)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다.◆ 의료제약·기업법무 다분야 그룹 연계…복잡한 의약 리베이트 사건 대응이같은 법률 수요에 맞춰 법무법인(유한)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은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에 나섰다.대륜은 법인 내 의료제약, 기업법무 등 다분야 그룹을 연계해 리베이트 관련 사안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에는 약사, 공정거래 등 각 분야에 정통한 전문가들이 배치됐다.국민건강보험공단 차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장 등으로 약 30년간 근무한 최명순 고문, 공정거래위원회 서기관 출신 손계준(사법연수원36기) 기업법무그룹장,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및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연구교수로 활동한 이서형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 약사 면허를 보유하고 의료 사건을 전문적으로 수행해온 최윤정 변호사, 약사 면허 보유와 더불어 제약사 셀트리온 사내변호사로 오랜 기간 경험을 쌓은 이일형 변호사 등이 주축이 돼 팀을 이끈다.◆ 심평원 출신 고문·공정거래법 전문변호사 등 협업, 컴플라이언스 강화 법제 컨설팅도먼저, 최명순 고문은 건강보험 요양급여 심사 및 실사, 정책 수립 등 국민건강보험제도 정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건강보험정책 분야 베테랑이다. 특히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에서 근무를 하며 국가 의약품 통계 인프라를 구축하고, 생산·유통·관리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기도 했다. 최 고문은 전문변호사 등과 함께 협업해 의약 리베이트 전반에 걸친 법적 리스크를 검토해나갈 예정이다.리베이트 대응에 있어 수많은 실무 경험을 보유한 손계준 그룹장은 공정위 재직 당시 담합, 불공정거래행위 등 공정거래 분야를 담당했다. 그는 실제 공정위 조사와 심의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한 능력을 활용해 리베이트는 물론 의약계 CP 준법경영 관련 자문을 제공해왔다.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을 맡고 있는 이서형 변호사는 약사 및 변리사 자격을 갖추고 있으며, 리베이트 관련 자문 및 소송을 성공적으로 해결해왔다. 특히 제약업계 사정에 정통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팀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된다.의료제약그룹에서 활약 중인 최윤정 변호사는 관련 법리나 절차 등에 지식이 풍부해 의약계 이슈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셀트리온 사내변호사 출신인 이일형 변호사는 사내(셀트리온)에서 공정경쟁규약 해석, 임상연구계약 검토, 사내 교육 업무를 수행해 왔다. 특히, 외국계 제약회사 P사 상대 특허소송 승소한 경험도 있어 의료제약 분야 각종 소송에서 활약 중이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의료 세무조사 시 리베이트 존재 여부를 두고 강도 높은 조사가 진행된다. 이 때문에 소명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하는데, 각종 자료 준비에 있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많았다”며 “세무조사·형사절차와 같은 사건 대응은 물론, 제약사 및 CSO 컴플라이언스 강화를 위한 법제 컨설팅 등 기업 방향성 제시까지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이 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오는 3월 7일 ‘제약 분야 컴플라이언스의 쟁점과 실무’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세미나 참가 신청은 26일부터 대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약사·공정거래 전문가' 배치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공정거래 돌파구 찾는다 (바로가기) 세계일보 - 대륜, 의약 리베이트 대응팀 강화…의료·공정거래 베테랑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26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5년, 남은 과제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5년, 남은 과제는?
'프리랜서' 근로자도 직장 괴롭힘 보호 받아야 최근 MBC 기상캐스터 고(故) 오요안나씨가 생전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고인은 오랜 시간 동료들로부터 폭언을 들어왔으며, 당시 회사 관계자들에게 고충을 털어놓았지만 제대로 보호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MBC 측이 진상 조사에 착수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비판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근로기준법 제76조의3에 따르면, 누구든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체 없이 당사자 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지난 201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른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의 일부인데, 이러한 법의 테두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선 먼저 당사자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해야 한다.그렇기에 통상 '근로자'로 여겨지지 않는 프리랜서 등 일부 비정규직의 경우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의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오씨 역시 방송사에서 '프리랜서' 신분으로 근무한 바 있다. 문제는 많은 방송사들이 다수의 프리랜서를 고용하며 인력을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2020년 발표한 '방송사 비정규직과 프리랜서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방송산업 노동자 1만6,676명 중 비정규직·프리랜서 등 불안정 노동자는 6,999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4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이에 당정은 법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관련 법 제정에 나섰다. 국민의힘과 고용노동부 등은 중대한 직장 내 괴롭힘이 1회만 발생할 경우에도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법(가칭 '오요안나법')을 제정하기로 했다. 또,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특별법 제정과 별개로 기상캐스터와 같은 프리랜서들의 '근로자성'을 인정해 직장 내 괴롭힘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이처럼 관련 대책들이 하나둘 마련되고 있는 모양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가장 시급한 것은 괴롭힘 판단 기준(지속성·반복성)을 객관적으로 세우는 과정이다. 또, 이와 함께 사내 괴롭힘 사건 발생 시 사측 조치에 치우침이 없도록 법조문을 수정·보완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효성 있는 입법을 통해 일하는 노동자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5년, 남은 과제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26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5년, 남은 과제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5년, 남은 과제는?
'프리랜서' 근로자도 직장 괴롭힘 보호 받아야 최근 MBC 기상캐스터 고(故) 오요안나씨가 생전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고인은 오랜 시간 동료들로부터 폭언을 들어왔으며, 당시 회사 관계자들에게 고충을 털어놓았지만 제대로 보호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MBC 측이 진상 조사에 착수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비판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근로기준법 제76조의3에 따르면, 누구든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체 없이 당사자 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지난 201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른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의 일부인데, 이러한 법의 테두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선 먼저 당사자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해야 한다.그렇기에 통상 '근로자'로 여겨지지 않는 프리랜서 등 일부 비정규직의 경우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의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오씨 역시 방송사에서 '프리랜서' 신분으로 근무한 바 있다. 문제는 많은 방송사들이 다수의 프리랜서를 고용하며 인력을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2020년 발표한 '방송사 비정규직과 프리랜서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방송산업 노동자 1만6,676명 중 비정규직·프리랜서 등 불안정 노동자는 6,999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4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이에 당정은 법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관련 법 제정에 나섰다. 국민의힘과 고용노동부 등은 중대한 직장 내 괴롭힘이 1회만 발생할 경우에도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법(가칭 '오요안나법')을 제정하기로 했다. 또,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특별법 제정과 별개로 기상캐스터와 같은 프리랜서들의 '근로자성'을 인정해 직장 내 괴롭힘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이처럼 관련 대책들이 하나둘 마련되고 있는 모양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가장 시급한 것은 괴롭힘 판단 기준(지속성·반복성)을 객관적으로 세우는 과정이다. 또, 이와 함께 사내 괴롭힘 사건 발생 시 사측 조치에 치우침이 없도록 법조문을 수정·보완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효성 있는 입법을 통해 일하는 노동자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5년, 남은 과제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26
‘차량 운행 방해’ 말뚝 제거 가처분 신청에···법원 “말뚝 피해 통행 가능” 기각
‘차량 운행 방해’ 말뚝 제거 가처분 신청에···법원 “말뚝 피해 통행 가능” 기각
유일한 통로에 말뚝 설치, ‘통행자유권 침해’ vs. ‘울타리 보호·안전운전 유도 목적’수원지법 평택지원 “사용승낙은 채권적 효력, 사람·일반차량 통행에 아무런 지장 없어” 한 공장 주인이 공로로 통하는 유일한 길목에 설치된 말뚝으로 인해 차량 운행이 불가하다며 인근 토지주인을 상대로 제기한 통행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은 사례가 나왔다.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민사1부(재판장 조정웅 부장판사, 정영민·김윤진 판사)는 공장주 A씨가 토지주 B씨를 상대로 낸 통행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지난해 12월 18일 기각 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이 소송에서 A씨는 “자신의 공장으로 향하는 유일한 길목에 B씨가 말뚝을 박아 차량 통행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B씨가 통로를 소유하기 이전부터 사용 허가를 받아 20년 가까이 길을 오갔는데, 해당 말뚝으로 인해 통행자유권이 침해됐다”고 강조했다.이에 대해 B씨는 “A씨의 공장으로 향하는 차량으로 인해 길목에 있던 울타리가 자주 파손됐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지주봉을 설치했을 뿐이다”라고 반박했다.아울러 “속도를 줄이며 회전반경을 조절해 진입하면 해당 통로를 아무런 문제 없이 지나갈 수 있다”며 청구를 기각해달라고 요청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재판부는 B씨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통로에 설치된 말뚝으로 채권자들이 운행하는 차량 통행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사람이나 일반 차량의 통행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판단했다.이어 “이전 소유자로부터 사용 승낙을 받기는 했으나 이것이 현 소유자인 채무자의 승낙을 받은 것으로 이어질 수 없다”며 A씨의 청구를 기각했다.이 재판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형건 변호사는 “통행방해금지가 인정되려면 채권자의 행동으로 인해 채무자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 하는 등 통행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볼 만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면서, “A씨는 말뚝이 설치된 이후에도 해당 구간을 아무런 문제 없이 통과해 법원에서 정당한 사정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차량 운행 방해’ 말뚝 제거 가처분 신청에···법원 “말뚝 피해 통행 가능” 기각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26
‘차량 운행 방해’ 말뚝 제거 가처분 신청에···법원 “말뚝 피해 통행 가능” 기각
‘차량 운행 방해’ 말뚝 제거 가처분 신청에···법원 “말뚝 피해 통행 가능” 기각
유일한 통로에 말뚝 설치, ‘통행자유권 침해’ vs. ‘울타리 보호·안전운전 유도 목적’수원지법 평택지원 “사용승낙은 채권적 효력, 사람·일반차량 통행에 아무런 지장 없어” 한 공장 주인이 공로로 통하는 유일한 길목에 설치된 말뚝으로 인해 차량 운행이 불가하다며 인근 토지주인을 상대로 제기한 통행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은 사례가 나왔다.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민사1부(재판장 조정웅 부장판사, 정영민·김윤진 판사)는 공장주 A씨가 토지주 B씨를 상대로 낸 통행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지난해 12월 18일 기각 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이 소송에서 A씨는 “자신의 공장으로 향하는 유일한 길목에 B씨가 말뚝을 박아 차량 통행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B씨가 통로를 소유하기 이전부터 사용 허가를 받아 20년 가까이 길을 오갔는데, 해당 말뚝으로 인해 통행자유권이 침해됐다”고 강조했다.이에 대해 B씨는 “A씨의 공장으로 향하는 차량으로 인해 길목에 있던 울타리가 자주 파손됐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지주봉을 설치했을 뿐이다”라고 반박했다.아울러 “속도를 줄이며 회전반경을 조절해 진입하면 해당 통로를 아무런 문제 없이 지나갈 수 있다”며 청구를 기각해달라고 요청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재판부는 B씨의 손을 들어줬다.재판부는 “통로에 설치된 말뚝으로 채권자들이 운행하는 차량 통행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사람이나 일반 차량의 통행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판단했다.이어 “이전 소유자로부터 사용 승낙을 받기는 했으나 이것이 현 소유자인 채무자의 승낙을 받은 것으로 이어질 수 없다”며 A씨의 청구를 기각했다.이 재판에서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형건 변호사는 “통행방해금지가 인정되려면 채권자의 행동으로 인해 채무자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 하는 등 통행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볼 만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면서, “A씨는 말뚝이 설치된 이후에도 해당 구간을 아무런 문제 없이 통과해 법원에서 정당한 사정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차량 운행 방해’ 말뚝 제거 가처분 신청에···법원 “말뚝 피해 통행 가능” 기각 (바로가기)
머니S
2025-02-26
50대 남성 "돈은 줬지만 성매매는 아냐" 주장… 검찰 '불기소' 처분
50대 남성 "돈은 줬지만 성매매는 아냐" 주장… 검찰 '불기소' 처분
익명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만난 상대와 성매매한 혐의를 받은 50대가 검찰에 넘겨졌지만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지난해 12월31일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성매매) 혐의를 받는 5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2년 스마트폰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여성 B씨를 만나 성매매를 한 혐의를 받았다.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자신의 직업 특성상 몸을 쓰는 일이 많아 마사지를 받기 위해 출장 마사지사를 불렀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마사지를 받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마사지사의 신상정보에는 관심조차 없었다고 강조했다.사건을 접수한 경찰은 성매매 혐의가 있다고 보고 A씨를 송치했으나 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검찰은 "당시 피의자의 휴대전화 위치 추적 결과 사건이 벌어진 장소에서의 핸드폰 사용내역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피해자 역시 돈을 받고도 만나지 않은 사람이 있고, 만났어도 성관계를 하지 않은 사람도 있어서 구분하기 어렵다고 진술하고 있다"며 A씨가 성매매했다고 인정할만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성윤 변호사는 "성매매 혐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성관계 사실과 함께 이에 대한 대가로 금전, 숙식 등을 제공했다는 증거가 필요하다"며 "사건 당시 A씨는 술을 마신 후 마사지를 받던 중 잠이 들어 마사지사를 불렀다는 것 이외에는 기억하지 못하는 상태였다"고 말했다.이어 "만약 A씨가 불법적인 성매매를 할 생각이었다면 흔적이 남지 않도록 현금 거래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50대 남성 "돈은 줬지만 성매매는 아냐" 주장… 검찰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머니S
2025-02-26
50대 남성 "돈은 줬지만 성매매는 아냐" 주장… 검찰 '불기소' 처분
50대 남성 "돈은 줬지만 성매매는 아냐" 주장… 검찰 '불기소' 처분
익명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만난 상대와 성매매한 혐의를 받은 50대가 검찰에 넘겨졌지만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지난해 12월31일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성매매) 혐의를 받는 50대 남성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2022년 스마트폰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여성 B씨를 만나 성매매를 한 혐의를 받았다.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자신의 직업 특성상 몸을 쓰는 일이 많아 마사지를 받기 위해 출장 마사지사를 불렀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마사지를 받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마사지사의 신상정보에는 관심조차 없었다고 강조했다.사건을 접수한 경찰은 성매매 혐의가 있다고 보고 A씨를 송치했으나 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검찰은 "당시 피의자의 휴대전화 위치 추적 결과 사건이 벌어진 장소에서의 핸드폰 사용내역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피해자 역시 돈을 받고도 만나지 않은 사람이 있고, 만났어도 성관계를 하지 않은 사람도 있어서 구분하기 어렵다고 진술하고 있다"며 A씨가 성매매했다고 인정할만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성윤 변호사는 "성매매 혐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성관계 사실과 함께 이에 대한 대가로 금전, 숙식 등을 제공했다는 증거가 필요하다"며 "사건 당시 A씨는 술을 마신 후 마사지를 받던 중 잠이 들어 마사지사를 불렀다는 것 이외에는 기억하지 못하는 상태였다"고 말했다.이어 "만약 A씨가 불법적인 성매매를 할 생각이었다면 흔적이 남지 않도록 현금 거래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50대 남성 "돈은 줬지만 성매매는 아냐" 주장… 검찰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7곳
2025-02-25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공익 활동으로 사회적 연대 강화, 소송 구제·정기 후원·봉사활동 등 진행 법무법인 대륜이 25일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하고 법률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 계층을 위한 공익 활동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인연법’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인연’과 법무법인의 ‘법’을 결합한 명칭으로, 법의 울타리 안에서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고 공익적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법률 지원이 절실한 취약 계층을 돕고, 보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특히, 인연법의 초대 이사장으로는 김오수 전 검찰총장이 선임됐다. 김 이사장은 1994년 인천지검 검사로 공직에 입문해 법무부 차관(제61대)과 검찰총장(제44대)을 역임한 법조계 인사다.대륜은 최근 법무부로부터 비영리법인 설립 인가를 획득했으며, 현재 공익법인 지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공익법인 출범 후 대륜은 한부모 가정, 독거노인, 장애인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법률 상담 및 소송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단순한 법률 지원을 넘어 정기 후원 및 봉사활동도 함께 진행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아울러, 미래 법조인을 위한 교육 지원도 강화한다. 로스쿨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과 로스쿨 재학생을 대상으로 멘토링, 서포터즈, 인턴십 프로그램등을 운영해 법조계 공익 문화 확산에 기여할 계획이다.앞서 대륜은 경력보유(단절) 여성 상시 채용,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육아휴직 활성화 등 다양한 공익 실현 노력을 인정받아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2024 최고일자리기업’에 선정된 바 있다.이번 ‘인연법’ 설립을 계기로, 대륜은 더욱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공익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법률 서비스를 비즈니스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적 가치 창출에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대형 로펌의 역할”이라며, “이번 공익 사단법인 설립을 통해 법의 혜택이 필요한 모든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초대 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한국경제 - 법무법인 대륜 공익법인 '인연법' 초대 이사장에 김오수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익법인 ‘因緣法’ 설립…첫 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추대 (바로가기) 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이데일리 - 대륜, 공익사단법인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前검찰총장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7곳
2025-02-25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공익 활동으로 사회적 연대 강화, 소송 구제·정기 후원·봉사활동 등 진행 법무법인 대륜이 25일 공익사단법인 ‘인연법’을 설립하고 법률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 계층을 위한 공익 활동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인연법’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인연’과 법무법인의 ‘법’을 결합한 명칭으로, 법의 울타리 안에서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고 공익적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법률 지원이 절실한 취약 계층을 돕고, 보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특히, 인연법의 초대 이사장으로는 김오수 전 검찰총장이 선임됐다. 김 이사장은 1994년 인천지검 검사로 공직에 입문해 법무부 차관(제61대)과 검찰총장(제44대)을 역임한 법조계 인사다.대륜은 최근 법무부로부터 비영리법인 설립 인가를 획득했으며, 현재 공익법인 지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공익법인 출범 후 대륜은 한부모 가정, 독거노인, 장애인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법률 상담 및 소송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단순한 법률 지원을 넘어 정기 후원 및 봉사활동도 함께 진행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아울러, 미래 법조인을 위한 교육 지원도 강화한다. 로스쿨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과 로스쿨 재학생을 대상으로 멘토링, 서포터즈, 인턴십 프로그램등을 운영해 법조계 공익 문화 확산에 기여할 계획이다.앞서 대륜은 경력보유(단절) 여성 상시 채용,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육아휴직 활성화 등 다양한 공익 실현 노력을 인정받아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2024 최고일자리기업’에 선정된 바 있다.이번 ‘인연법’ 설립을 계기로, 대륜은 더욱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공익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법률 서비스를 비즈니스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적 가치 창출에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대형 로펌의 역할”이라며, “이번 공익 사단법인 설립을 통해 법의 혜택이 필요한 모든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초대 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한국경제 - 법무법인 대륜 공익법인 '인연법' 초대 이사장에 김오수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익법인 ‘因緣法’ 설립…첫 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추대 (바로가기) 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로이슈 - 대륜, 사단법인 ‘인연법’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전 검찰총장 (바로가기) 이데일리 - 대륜, 공익사단법인 설립 추진…이사장에 김오수 前검찰총장 (바로가기)
세정일보
2025-02-25
[인터뷰] ‘대륜’ 창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1등 공신’ 김국일 대표
[인터뷰] ‘대륜’ 창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1등 공신’ 김국일 대표
“AI 로걸테크‘ 전문화로 세계시장에 우뚝 설 것”최단기 성장 비결…법률자문 사각지대 中企중심 양질 서비스M&A, 중대재해, 특허침해, 제약 바이오, 헬스 분야 등 치중리걸테크 전문변호사 대거 영입 세계 주요도시에 지점망 확대 “변화와 혁신만이 살길이다.” 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불확실성이 팽배한 법률시장에서 살아남는 길을 터득한 ’작은 거인‘이다. 그는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 도전 정신으로 지향하는 목표를 달성해 냈다. ’법무법인 대륜‘은 창립 9년만에 국내 10대 로펌에 우뚝섰다.2024년 말 기준 수임 실적이 입증해 주고 있다. 로펌업계의 성장기준 통계에서도 최단기에 일군 경이로운 기록이다. 기적 같은 신기록을 세운 것이다.김 대표는 “겨우 시작일 뿐입니다. 자만하지 않고 더 넓은 법률시장, 국내를 넘어 세계화에 열정을 쏟겠습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AI시대에 법률시장에도 AI의 바람이 거세다“며 “AI 리걸테크를 선도할 전문변호사를 대거 영입해 제2 도약의 발판을 굳히겠다”고 다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 대표변호사를 만나 짧은 기간 10대 로펌 진입에 대한 열정과 또 세계화의 장벽을 어떻게 뚫고 나갈지 미래 비전 등을 들어 봤다.▶제2의 도약을 위한 유능한 인재 영입 기준은?= 대륜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추면서도 고객 중심의 사고를 펼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국내외 다양한 직역에서 AI 도입 등 리걸테크가 확대됨에 따라 법률시장도 이에 부응하는 변화가 필요한 만큼, 리걸테크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들이 필요합니다. 국내외 기업자문, M&A, 공정거래, 의료 등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갖춘 인재는 물론, 새로운 리걸테크 기술이나 시장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를 가진 인재,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춰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고객에 대한 차별화 전략이 있다면?= 타 로펌과 비교하여 대륜의 최우선 전략은 고객 맞춤형 법률서비스의 강화라고 할 것입니다.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팀을 구성하여 고객이 어떤 지역, 어떤 분야에서든 동일한 수준의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즉, 고객이 필요로 하는 솔루션 제공에만 그치지 않고, 주기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개선할 사항을 청취하는 고객관리센터를 운영하는 등 고객의 니즈를 최우선하는 고객중심 로펌을 지향하고 있습니다.▶2013년 매출에 비해 지난해 매출은 약 60% 성장했습니다. 매출의 1등 공신은 어느 분야 입니까?= 가장 눈에 띄는 분야는 기업법무팀입니다. 기존 대형로펌들이 대기업 위주의 법률자문을 제공하고 있는데 반하여, 대륜은 법률자문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기업, 특히 수도권 이외 지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양질의 법률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지난 한 해 동안 이런 기업들의 인수합병(M&A), 중대재해, 특허침해는 물론이고, 이와 관련된 형사, 조세행정 분야의 법률자문도 수행하였습니다. 아울러 의료·제약그룹을 개편하여 제약·바이오·헬스 분야로 업무영역을 넓히는 등 끊임없이 전문 분야를 강화해온 점도 성장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미국 등 선진 로펌 시스템 도입이 고객들로부터 많이 어필됐다고 하는데, 벤치마킹에서 선호도 높은 시스템에 대해 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죠.= 영미권(英美圈) 글로벌 로펌의 시스템 중에서 대륜이 벤치마킹한 핵심 요소는 고객을 찾아가는 사무소 설치, 고객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리걸테크 도입이라 할 것입니다.영미권 로펌들은 해외 각 국가에 사무소를 설치하여 각 국가의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대륜도 이를 벤치마킹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전세계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설치하여 고객의 접근성을 최우선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사무소 설치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AI 리걸테크를 자체 개발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글로벌 로펌으로의 도약 계획은?=국내 법률시장 규모가 더 이상 커지지 못하고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대륜의 해외진출은 현상황을 타개하는 당연한 선택이자 대륜의 중요한 비전이라 할 것입니다. 현재 미국 뉴욕, 워싱턴DC와 일본 도쿄에 사무소 설치와 현지 변호사 채용절차가 진행중이며, 중국 베이징, 상하이에서도 현장 조사를 진행한 상태입니다. 향후 동남아, 유럽을 넘어 전 세계에서 글로벌 로펌으로서의 대륜의 입지를 강화해 한국 법률시장의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올해의 역점사업과 목표?=역점사업으로는 리걸테크 확대를 들 수 있으며 목표는 고객 중심주의의 완성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하기 위하여는 상담, 자문, 마켓팅 등 전반적인 업무영역에서 AI 리걸테크를 기반으로 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국내외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가 영입, 시스템 및 매뉴얼 정비에 주력하고 고객관리센터를 실질화하여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국일 대표의 좌우명?= "변화와 혁신만이 살 길이다", 이것이 제 좌우명입니다. 변화는 항상 불확실하고 도전적이지만, 그것을 기회로 삼아 끊임없이 혁신하는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 대륜의 성장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 대륜은 정체된 국내 법률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급변하는 글로벌 법률시장에서 변화를 선도하며 혁신을 이루는 개척자 로펌이 되겠습니다.▶ 김국일 대표는 누구?=199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34회(1992) 사법시험에 한 뒤 1995년 사법연수원(24기)을 수료했다. 1998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법조계에 들어선 후 부산지검, 서울중앙지검 검사 등을 거쳐 서울중앙지검, 광주지검, 수원지검 부장검사를 역임했다.이후 전주지검 남원지청장을 시작으로 광주지검 목포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장을 연속하여 역임하며 시민과 함께하는 검찰상 정립에 진력했고, 사법연수원 교수로 근무하며 올곧은 법조인 양성을 위해 노력했다.2020년 법복을 벗고 변호사 업계로 들어선 김 변호사는 국토교통부 혁신자문위원,경기도 오산시, 경기주택도시공사, 대한체육회 법률 고문으로 활동하며 공공 분야의 혁신을 도모했고, 2023년 대륜의 최고 총괄변호사로 합류한 이후 2024년에는 경영총괄 대표이사에 선임되며 최일선에서 대륜을 이끌고 있다.정영철 기자(jyc6131@sejungilbo.com) [기사전문보기] [인터뷰] ‘대륜’ 창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1등 공신’ 김국일 대표 (바로가기)
세정일보
2025-02-25
[인터뷰] ‘대륜’ 창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1등 공신’ 김국일 대표
[인터뷰] ‘대륜’ 창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1등 공신’ 김국일 대표
“AI 로걸테크‘ 전문화로 세계시장에 우뚝 설 것”최단기 성장 비결…법률자문 사각지대 中企중심 양질 서비스M&A, 중대재해, 특허침해, 제약 바이오, 헬스 분야 등 치중리걸테크 전문변호사 대거 영입 세계 주요도시에 지점망 확대 “변화와 혁신만이 살길이다.” 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불확실성이 팽배한 법률시장에서 살아남는 길을 터득한 ’작은 거인‘이다. 그는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 도전 정신으로 지향하는 목표를 달성해 냈다. ’법무법인 대륜‘은 창립 9년만에 국내 10대 로펌에 우뚝섰다.2024년 말 기준 수임 실적이 입증해 주고 있다. 로펌업계의 성장기준 통계에서도 최단기에 일군 경이로운 기록이다. 기적 같은 신기록을 세운 것이다.김 대표는 “겨우 시작일 뿐입니다. 자만하지 않고 더 넓은 법률시장, 국내를 넘어 세계화에 열정을 쏟겠습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AI시대에 법률시장에도 AI의 바람이 거세다“며 “AI 리걸테크를 선도할 전문변호사를 대거 영입해 제2 도약의 발판을 굳히겠다”고 다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 대표변호사를 만나 짧은 기간 10대 로펌 진입에 대한 열정과 또 세계화의 장벽을 어떻게 뚫고 나갈지 미래 비전 등을 들어 봤다.▶제2의 도약을 위한 유능한 인재 영입 기준은?= 대륜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추면서도 고객 중심의 사고를 펼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국내외 다양한 직역에서 AI 도입 등 리걸테크가 확대됨에 따라 법률시장도 이에 부응하는 변화가 필요한 만큼, 리걸테크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들이 필요합니다. 국내외 기업자문, M&A, 공정거래, 의료 등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갖춘 인재는 물론, 새로운 리걸테크 기술이나 시장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를 가진 인재,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춰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고객에 대한 차별화 전략이 있다면?= 타 로펌과 비교하여 대륜의 최우선 전략은 고객 맞춤형 법률서비스의 강화라고 할 것입니다.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팀을 구성하여 고객이 어떤 지역, 어떤 분야에서든 동일한 수준의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즉, 고객이 필요로 하는 솔루션 제공에만 그치지 않고, 주기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개선할 사항을 청취하는 고객관리센터를 운영하는 등 고객의 니즈를 최우선하는 고객중심 로펌을 지향하고 있습니다.▶2013년 매출에 비해 지난해 매출은 약 60% 성장했습니다. 매출의 1등 공신은 어느 분야 입니까?= 가장 눈에 띄는 분야는 기업법무팀입니다. 기존 대형로펌들이 대기업 위주의 법률자문을 제공하고 있는데 반하여, 대륜은 법률자문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기업, 특히 수도권 이외 지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양질의 법률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지난 한 해 동안 이런 기업들의 인수합병(M&A), 중대재해, 특허침해는 물론이고, 이와 관련된 형사, 조세행정 분야의 법률자문도 수행하였습니다. 아울러 의료·제약그룹을 개편하여 제약·바이오·헬스 분야로 업무영역을 넓히는 등 끊임없이 전문 분야를 강화해온 점도 성장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미국 등 선진 로펌 시스템 도입이 고객들로부터 많이 어필됐다고 하는데, 벤치마킹에서 선호도 높은 시스템에 대해 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죠.= 영미권(英美圈) 글로벌 로펌의 시스템 중에서 대륜이 벤치마킹한 핵심 요소는 고객을 찾아가는 사무소 설치, 고객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리걸테크 도입이라 할 것입니다.영미권 로펌들은 해외 각 국가에 사무소를 설치하여 각 국가의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대륜도 이를 벤치마킹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전세계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설치하여 고객의 접근성을 최우선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사무소 설치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AI 리걸테크를 자체 개발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글로벌 로펌으로의 도약 계획은?=국내 법률시장 규모가 더 이상 커지지 못하고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대륜의 해외진출은 현상황을 타개하는 당연한 선택이자 대륜의 중요한 비전이라 할 것입니다. 현재 미국 뉴욕, 워싱턴DC와 일본 도쿄에 사무소 설치와 현지 변호사 채용절차가 진행중이며, 중국 베이징, 상하이에서도 현장 조사를 진행한 상태입니다. 향후 동남아, 유럽을 넘어 전 세계에서 글로벌 로펌으로서의 대륜의 입지를 강화해 한국 법률시장의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올해의 역점사업과 목표?=역점사업으로는 리걸테크 확대를 들 수 있으며 목표는 고객 중심주의의 완성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하기 위하여는 상담, 자문, 마켓팅 등 전반적인 업무영역에서 AI 리걸테크를 기반으로 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국내외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가 영입, 시스템 및 매뉴얼 정비에 주력하고 고객관리센터를 실질화하여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국일 대표의 좌우명?= "변화와 혁신만이 살 길이다", 이것이 제 좌우명입니다. 변화는 항상 불확실하고 도전적이지만, 그것을 기회로 삼아 끊임없이 혁신하는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 대륜의 성장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 대륜은 정체된 국내 법률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급변하는 글로벌 법률시장에서 변화를 선도하며 혁신을 이루는 개척자 로펌이 되겠습니다.▶ 김국일 대표는 누구?=199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34회(1992) 사법시험에 한 뒤 1995년 사법연수원(24기)을 수료했다. 1998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법조계에 들어선 후 부산지검, 서울중앙지검 검사 등을 거쳐 서울중앙지검, 광주지검, 수원지검 부장검사를 역임했다.이후 전주지검 남원지청장을 시작으로 광주지검 목포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장을 연속하여 역임하며 시민과 함께하는 검찰상 정립에 진력했고, 사법연수원 교수로 근무하며 올곧은 법조인 양성을 위해 노력했다.2020년 법복을 벗고 변호사 업계로 들어선 김 변호사는 국토교통부 혁신자문위원,경기도 오산시, 경기주택도시공사, 대한체육회 법률 고문으로 활동하며 공공 분야의 혁신을 도모했고, 2023년 대륜의 최고 총괄변호사로 합류한 이후 2024년에는 경영총괄 대표이사에 선임되며 최일선에서 대륜을 이끌고 있다.정영철 기자(jyc6131@sejungilbo.com) [기사전문보기] [인터뷰] ‘대륜’ 창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1등 공신’ 김국일 대표 (바로가기)
데일리경제 등 2곳
2025-02-25
어울림미디컴,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 체결
어울림미디컴,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 체결
공공부문에서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는 종합광고 및 홍보대행사 어울림미디컴(대표 김한성)이 지난 21일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대륜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어울림미디컴 김한성 대표와 대륜 김국일 대표 등 각 사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어울림미디컴은 2011년을 시작으로 14년 동안 다양한 공공기관 및 기업의 PR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전문 에이전시(Agency)이다. 이번 MOU를 통해 어울림미디컴은 홍보, 컨설팅, 영상제작, 프로모션 등의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문제를 미리 예방함으로써 프로젝트 진행에 법률적인 안정감을 더해나갈 계획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관계자는 “어울림미디컴을 포함한 광고ㆍ홍보업계와 함께 호흡하며 ▲엔터테인먼트 ▲지식재산권 ▲행정 등의 부문에서 전문 변호사들을 통해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겠다”며, “특히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형사ㆍ민사ㆍ행정 등 법률문제를 함께 풀어나가며 어울림미디컴과의 긴밀한 관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어울림미디컴 김한성 대표는 “대중과 소통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며 정보의 가치를 보다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왔다. 이번 MOU 통해서는 어울림미디컴이 가지고 있지 않은 대륜의 법률 전문성까지 담아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오석주 기자(seokju5@gmail.com) [기사전문보기] 데일리경제 - 어울림미디컴,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뉴스로드 - 어울림미디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경제 등 2곳
2025-02-25
어울림미디컴,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 체결
어울림미디컴,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 체결
공공부문에서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는 종합광고 및 홍보대행사 어울림미디컴(대표 김한성)이 지난 21일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대륜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어울림미디컴 김한성 대표와 대륜 김국일 대표 등 각 사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어울림미디컴은 2011년을 시작으로 14년 동안 다양한 공공기관 및 기업의 PR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전문 에이전시(Agency)이다. 이번 MOU를 통해 어울림미디컴은 홍보, 컨설팅, 영상제작, 프로모션 등의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문제를 미리 예방함으로써 프로젝트 진행에 법률적인 안정감을 더해나갈 계획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관계자는 “어울림미디컴을 포함한 광고ㆍ홍보업계와 함께 호흡하며 ▲엔터테인먼트 ▲지식재산권 ▲행정 등의 부문에서 전문 변호사들을 통해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겠다”며, “특히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형사ㆍ민사ㆍ행정 등 법률문제를 함께 풀어나가며 어울림미디컴과의 긴밀한 관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어울림미디컴 김한성 대표는 “대중과 소통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며 정보의 가치를 보다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왔다. 이번 MOU 통해서는 어울림미디컴이 가지고 있지 않은 대륜의 법률 전문성까지 담아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오석주 기자(seokju5@gmail.com) [기사전문보기] 데일리경제 - 어울림미디컴,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뉴스로드 - 어울림미디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24
사찰 종무소 무단침입 혐의 70대 '무혐의' 처분
사찰 종무소 무단침입 혐의 70대 '무혐의' 처분
사찰 종무소에 무단 침입해 내부를 뒤진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7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4일 법무법인 대륜 측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은 지난해 12월 30일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공동주거침입)·주거수색 혐의를 받는 7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해 2월 고소인 B씨가 주지로 있는 사찰 종무소에 가족과 함께 무단 침입해 자료를 뒤진 혐의를 받습니다.해당 사찰의 창건자인 A씨는 지난 2023년 B씨에게 창건주 권리를 넘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하지만 자신이 제시했던 조건을 B씨가 지키지 않자 종무소에 있던 승계 서류를 되찾으러 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이에 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먼저 검찰은 주거침입 혐의에 대해 "사건이 발생한 종무소는 당시 신도의 방문이 자유로웠던 장소였다"며 "CCTV 영상에서도 고소인이 피의자의 출입을 특별히 제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주거수색 혐의 역시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봤습니다.검찰은 "CCTV 영상을 보면 피의자가 종무소 안에 머무른 시간은 20초에 불과해 집 안을 구석구석 수색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방 내부 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데다 고소인도 피의자가 어떤 행위를 했는지 직접 목격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A씨의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오상완 변호사는 "주거침입죄에서 침입에 해당하는지는 출입 당시 객관적, 외형적으로 드러난 행위만을 기준으로 판단함이 원칙"이라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사건 장소의 출입문이 잠겨있지도 않았을뿐더러 B씨가 출입을 막지 않은 점 등이 고려돼 불기소 처분이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신민지 기자(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찰 종무소 무단침입 혐의 70대 '무혐의' 처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24
사찰 종무소 무단침입 혐의 70대 '무혐의' 처분
사찰 종무소 무단침입 혐의 70대 '무혐의' 처분
사찰 종무소에 무단 침입해 내부를 뒤진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7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4일 법무법인 대륜 측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은 지난해 12월 30일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공동주거침입)·주거수색 혐의를 받는 70대 남성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해 2월 고소인 B씨가 주지로 있는 사찰 종무소에 가족과 함께 무단 침입해 자료를 뒤진 혐의를 받습니다.해당 사찰의 창건자인 A씨는 지난 2023년 B씨에게 창건주 권리를 넘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하지만 자신이 제시했던 조건을 B씨가 지키지 않자 종무소에 있던 승계 서류를 되찾으러 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이에 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먼저 검찰은 주거침입 혐의에 대해 "사건이 발생한 종무소는 당시 신도의 방문이 자유로웠던 장소였다"며 "CCTV 영상에서도 고소인이 피의자의 출입을 특별히 제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주거수색 혐의 역시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봤습니다.검찰은 "CCTV 영상을 보면 피의자가 종무소 안에 머무른 시간은 20초에 불과해 집 안을 구석구석 수색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방 내부 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데다 고소인도 피의자가 어떤 행위를 했는지 직접 목격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A씨의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오상완 변호사는 "주거침입죄에서 침입에 해당하는지는 출입 당시 객관적, 외형적으로 드러난 행위만을 기준으로 판단함이 원칙"이라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사건 장소의 출입문이 잠겨있지도 않았을뿐더러 B씨가 출입을 막지 않은 점 등이 고려돼 불기소 처분이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신민지 기자(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사찰 종무소 무단침입 혐의 70대 '무혐의' 처분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2-24
[월요칼럼]조정과 화해가 필요한 시대
[월요칼럼]조정과 화해가 필요한 시대
소송을 대리하다 보면 원고와 피고가 극한의 대립으로 치닫다가 재판 진행 중 극적으로 합의를 도출하여 조정이나 화해 등으로 재판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조정이란 중립적인 제3자가 분쟁당사자 사이에 개입하여 합의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이고, 화해는 원고와 피고가 서로의 주장을 조금씩 양보해 소송을 종료시키기로 하는 합의를 의미한다.최근에는 형사사건에 있어서도 검찰단계에서 형사분쟁을 원만히 해결하고 피해자의 피해를 실질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형사조정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 너무 악화되어 있는 경우, 반드시 재판부의 판결로 결론 내기를 원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소송과정을 진행하다 보면 서로를 공격하는 서면으로 마음의 상처가 겉잡을 수 없이 커지거나, 기대했던 것과 달리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떄문에, 상호 조금씩 양보하여 윈윈(win-win)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협의가 된다면 위 분쟁해결 방안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필자의 기억에 남는 이혼조정 사건을 말씀드리자면, 재산분할 등 쟁점이 크게 문제되지 않아 큰 어려움없이 조정이 성립될 줄 알았던 사건에서 피신청인(남편)측에서 신청인(아내)의 잘못을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상호 비방이 이어졌고 조정은 불성립되어 이혼소송으로 전환되었다.2년 가까이 소송이 계속되어 서로의 감정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원고와 피고가 극적으로 합의를 해 오셨고 이에 조정조서를 통하여 소송이 종료되었는데, 추후 어떻게 합의가 된 것인지 의뢰인에게 확인해보니 엄마와 아빠가 싸우는 것을 그만하면 좋겠다는 딸의 간절한 요청이 있었다고 한다. 비록 원고와 피고는 이혼으로 남남이 되겠지만, 딸의 부모로는 영원히 남게 될 관계를 생각하였을 때 너무나 현명한 결정을 하셨다고 말씀드린 기억이 남는다.다양한 학교폭력 사안 중에서도 매우 친했던 친구들이 서로에게 상처주는 말로 사이가 소원해져, 언어폭력 등 맞폭으로 신고된 사안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자녀들을 양육하고 있는 학부모인 필자 또한 안타까움이 매우 크다.특히, 두 학생간 진지한 대화나 자발적인 화해의 기회가 없었던 경우에는 먼저 대화의 기회를 만들고 협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데, 두 학생 모두에게 마음의 생채기만 남긴 채 조치처분이 내려지는 것을 어느 누구도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이에 필자는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개최 하루 전 당사자간 협의가 이루어져 학폭위를 개최하지 않고, 사안이 자체 해결되는 것을 지켜본 적도 있다. 초등학생인 필자의 자녀들간에도 의견이 다르고 매일 아침마다 다툼이 일어나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인간의 삶속에서 갈등과 분쟁상황이 아예 없어지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생각도 든다.인류가 역사의 지평을 연 이후로 수많은 전쟁을 이어온 만큼 인류의 역사가 곧 전쟁의 역사로 불리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반면에, 우리는 많은 국가들이 전쟁의 폐허 속에서 용서와 화해를 통해 개인과 공동체가 복원되고, 눈부신 발전을 이뤄온 역사 또한 알고 있다,넓게는 정치집단과 사회계층간, 좁게는 일상속에서 얼굴을 마주하는 가족과 지인 간에도 수많은 갈등과 분쟁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다.그러나 불필요한 감정소모를 최소화하고, 분쟁이 아닌 소중한 자신의 삶에 집중해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 조정과 화해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확실한 지름길이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조정과 화해가 필요한 시대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5-02-24
[월요칼럼]조정과 화해가 필요한 시대
[월요칼럼]조정과 화해가 필요한 시대
소송을 대리하다 보면 원고와 피고가 극한의 대립으로 치닫다가 재판 진행 중 극적으로 합의를 도출하여 조정이나 화해 등으로 재판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조정이란 중립적인 제3자가 분쟁당사자 사이에 개입하여 합의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이고, 화해는 원고와 피고가 서로의 주장을 조금씩 양보해 소송을 종료시키기로 하는 합의를 의미한다.최근에는 형사사건에 있어서도 검찰단계에서 형사분쟁을 원만히 해결하고 피해자의 피해를 실질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형사조정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 너무 악화되어 있는 경우, 반드시 재판부의 판결로 결론 내기를 원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소송과정을 진행하다 보면 서로를 공격하는 서면으로 마음의 상처가 겉잡을 수 없이 커지거나, 기대했던 것과 달리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떄문에, 상호 조금씩 양보하여 윈윈(win-win)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협의가 된다면 위 분쟁해결 방안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필자의 기억에 남는 이혼조정 사건을 말씀드리자면, 재산분할 등 쟁점이 크게 문제되지 않아 큰 어려움없이 조정이 성립될 줄 알았던 사건에서 피신청인(남편)측에서 신청인(아내)의 잘못을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상호 비방이 이어졌고 조정은 불성립되어 이혼소송으로 전환되었다.2년 가까이 소송이 계속되어 서로의 감정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원고와 피고가 극적으로 합의를 해 오셨고 이에 조정조서를 통하여 소송이 종료되었는데, 추후 어떻게 합의가 된 것인지 의뢰인에게 확인해보니 엄마와 아빠가 싸우는 것을 그만하면 좋겠다는 딸의 간절한 요청이 있었다고 한다. 비록 원고와 피고는 이혼으로 남남이 되겠지만, 딸의 부모로는 영원히 남게 될 관계를 생각하였을 때 너무나 현명한 결정을 하셨다고 말씀드린 기억이 남는다.다양한 학교폭력 사안 중에서도 매우 친했던 친구들이 서로에게 상처주는 말로 사이가 소원해져, 언어폭력 등 맞폭으로 신고된 사안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자녀들을 양육하고 있는 학부모인 필자 또한 안타까움이 매우 크다.특히, 두 학생간 진지한 대화나 자발적인 화해의 기회가 없었던 경우에는 먼저 대화의 기회를 만들고 협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데, 두 학생 모두에게 마음의 생채기만 남긴 채 조치처분이 내려지는 것을 어느 누구도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이에 필자는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개최 하루 전 당사자간 협의가 이루어져 학폭위를 개최하지 않고, 사안이 자체 해결되는 것을 지켜본 적도 있다. 초등학생인 필자의 자녀들간에도 의견이 다르고 매일 아침마다 다툼이 일어나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인간의 삶속에서 갈등과 분쟁상황이 아예 없어지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생각도 든다.인류가 역사의 지평을 연 이후로 수많은 전쟁을 이어온 만큼 인류의 역사가 곧 전쟁의 역사로 불리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반면에, 우리는 많은 국가들이 전쟁의 폐허 속에서 용서와 화해를 통해 개인과 공동체가 복원되고, 눈부신 발전을 이뤄온 역사 또한 알고 있다,넓게는 정치집단과 사회계층간, 좁게는 일상속에서 얼굴을 마주하는 가족과 지인 간에도 수많은 갈등과 분쟁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다.그러나 불필요한 감정소모를 최소화하고, 분쟁이 아닌 소중한 자신의 삶에 집중해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 조정과 화해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확실한 지름길이 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월요칼럼]조정과 화해가 필요한 시대 (바로가기)
더팩트
2025-02-24
시공사 해지 부메랑…은행주공, GS·HDC와 소송전 돌입
시공사 해지 부메랑…은행주공, GS·HDC와 소송전 돌입
은행주공 조합, 대형 로펌 선정하며 맞대응GS·HDC, 대여금·손해배상금 등 약 540억 청구조합원 패소시 수천만원 분담금 폭탄 지난달 시공사 선정을 마친 경기도 성남시 은행주공아파트가 이번에는 소송전 돌입했다. 지난해 기존 시공사인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계약 해지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한 것에 대한 맞대응에 나서면서다. 조합원들은 향후 소송 결과에 따라 정해지는 추가분담금 규모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2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은행주공 재건축 조합은 지난 21일 기존 시공사 소송 대응을 위한 법무법인 선정 대의원 회의를 열고 법무법인 대륜을 선정했다. 대륜은 대형로펌 및 대기업 건설사 출신 변호사들을 주축으로 은행주공 전담팀을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소송전은 지난해 4월 은행주공 조합이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과의 공사가계약을 해지하면서 불거졌다. 조합과 시공단은 공사비 인상과 공사기간 연장 등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서 해지에 이르렀다. 이에 시공단은 입찰보증금(대여금) 반환과 시공 이익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시공단은 법무법인 율촌을 선임했다.한 은행주공 조합원은 "6곳의 법무법인에서 제안서가 들어왔는데 대륜이 변호사수가 가장 많고 건설, 재건축 출신 전관 변호사도 있었다"며 "이번 소송은 1가구 당 추가분담금이 수천만원씩 걸린 만큼 중요하다"고 말했다.시공단은 대여원리금 반환 약 272억원과 이행이익의 손해배상으로서 약 273억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청구했다. 조합은 대여금 반환 보다는 지연이자, 그리고 손해배상을 쟁점으로 보고 있다. 특히 2018년 12월 시공사 선정 총회 당시 시공단이 반드시 35층으로 지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는 등 조합을 기망해 시공사로 선정된 점을 지적한다. 대여금은 포스코이앤씨의 입찰보증금(350억원)으로 변제가 가능하다.대륜은 조합에 시공사를 선정하게 된 중요한 사유가 상대방의 무리한 약속이라는 점을 강조해 상대방의 귀책사유로 계약 해지된 것을 인정받아 상대방의 청구를 모두 기각시키겠다는 대응 전략을 제안했다. 만약 이번 소송에서 조합이 패소할 경우 손해배상 금액에 따라 가구당 1000만~2000만원대의 추가분담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은행주공 뿐만 아니라 최근 공사비 급등을 이유로 시공사를 교체한 재건축·재개발 현장이 늘어나고 있다. 서울고등법원은 오는 4월 DL이앤씨가 서울 중구 신당8구역 재개발 조합에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 대한 선고를 내릴 예정이다. 지난해 6월 1심 결과에 DL이앤씨와 조합 모두 불복하면서 재판은 고등법원으로 넘어갔다. 1심에선 조합이 DL이앤씨에 약 80억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이 나왔다. 조합 소유의 토지 일부도 경매에 넘어갔다.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 조합은 이전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과 손해배상 소송을 계속하고 있다. 이곳 역시 특화설계와 공사비 갈등으로 본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삼성물산을 새 시공사로 선정했다. 현재 2심이 진행 중으로 1심에선 조합이 패소했다. 현대건설이 시공사인 방배5구역 재건축 조합은 지난달 이전 시공사인 GS건설 컨소시엄(GS건설,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에 525억원의 배상금을 지급했다. 2017년 시공 계약을 해지한지 7년 만이다.업계 관계자는 "조합이 소송비용에 따른 부담금과 배상금 등을 분양가에 반영한다면 분양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어 그 피해는 조합원과 일반 분양자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법원은 시공사 해제 요건과 사유를 엄격하게 봐 이전 시공사가 승소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황준익 기자(plusik@tf.co.kr) [기사전문보기] 시공사 해지 부메랑…은행주공, GS·HDC와 소송전 돌입 (바로가기)
더팩트
2025-02-24
시공사 해지 부메랑…은행주공, GS·HDC와 소송전 돌입
시공사 해지 부메랑…은행주공, GS·HDC와 소송전 돌입
은행주공 조합, 대형 로펌 선정하며 맞대응GS·HDC, 대여금·손해배상금 등 약 540억 청구조합원 패소시 수천만원 분담금 폭탄 지난달 시공사 선정을 마친 경기도 성남시 은행주공아파트가 이번에는 소송전 돌입했다. 지난해 기존 시공사인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계약 해지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한 것에 대한 맞대응에 나서면서다. 조합원들은 향후 소송 결과에 따라 정해지는 추가분담금 규모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2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은행주공 재건축 조합은 지난 21일 기존 시공사 소송 대응을 위한 법무법인 선정 대의원 회의를 열고 법무법인 대륜을 선정했다. 대륜은 대형로펌 및 대기업 건설사 출신 변호사들을 주축으로 은행주공 전담팀을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소송전은 지난해 4월 은행주공 조합이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과의 공사가계약을 해지하면서 불거졌다. 조합과 시공단은 공사비 인상과 공사기간 연장 등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서 해지에 이르렀다. 이에 시공단은 입찰보증금(대여금) 반환과 시공 이익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시공단은 법무법인 율촌을 선임했다.한 은행주공 조합원은 "6곳의 법무법인에서 제안서가 들어왔는데 대륜이 변호사수가 가장 많고 건설, 재건축 출신 전관 변호사도 있었다"며 "이번 소송은 1가구 당 추가분담금이 수천만원씩 걸린 만큼 중요하다"고 말했다.시공단은 대여원리금 반환 약 272억원과 이행이익의 손해배상으로서 약 273억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청구했다. 조합은 대여금 반환 보다는 지연이자, 그리고 손해배상을 쟁점으로 보고 있다. 특히 2018년 12월 시공사 선정 총회 당시 시공단이 반드시 35층으로 지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는 등 조합을 기망해 시공사로 선정된 점을 지적한다. 대여금은 포스코이앤씨의 입찰보증금(350억원)으로 변제가 가능하다.대륜은 조합에 시공사를 선정하게 된 중요한 사유가 상대방의 무리한 약속이라는 점을 강조해 상대방의 귀책사유로 계약 해지된 것을 인정받아 상대방의 청구를 모두 기각시키겠다는 대응 전략을 제안했다. 만약 이번 소송에서 조합이 패소할 경우 손해배상 금액에 따라 가구당 1000만~2000만원대의 추가분담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은행주공 뿐만 아니라 최근 공사비 급등을 이유로 시공사를 교체한 재건축·재개발 현장이 늘어나고 있다. 서울고등법원은 오는 4월 DL이앤씨가 서울 중구 신당8구역 재개발 조합에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 대한 선고를 내릴 예정이다. 지난해 6월 1심 결과에 DL이앤씨와 조합 모두 불복하면서 재판은 고등법원으로 넘어갔다. 1심에선 조합이 DL이앤씨에 약 80억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이 나왔다. 조합 소유의 토지 일부도 경매에 넘어갔다.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 조합은 이전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과 손해배상 소송을 계속하고 있다. 이곳 역시 특화설계와 공사비 갈등으로 본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삼성물산을 새 시공사로 선정했다. 현재 2심이 진행 중으로 1심에선 조합이 패소했다. 현대건설이 시공사인 방배5구역 재건축 조합은 지난달 이전 시공사인 GS건설 컨소시엄(GS건설,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에 525억원의 배상금을 지급했다. 2017년 시공 계약을 해지한지 7년 만이다.업계 관계자는 "조합이 소송비용에 따른 부담금과 배상금 등을 분양가에 반영한다면 분양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어 그 피해는 조합원과 일반 분양자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법원은 시공사 해제 요건과 사유를 엄격하게 봐 이전 시공사가 승소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황준익 기자(plusik@tf.co.kr) [기사전문보기] 시공사 해지 부메랑…은행주공, GS·HDC와 소송전 돌입 (바로가기)
뉴스1 등 2곳
2025-02-24
'준공 후 공사' 부산 반얀트리 화재 책임은 시공사일까 시행사일까
'준공 후 공사' 부산 반얀트리 화재 책임은 시공사일까 시행사일까
시공사 건설공사 보험 만료 후 시행사 손실보장 보험 체결법조계 "시공사 책임 커"…시공사 "보험은 유족 보상 무관" 6명이 숨지고 27명이 다친 부산 반얀트리 신축 공사 현장 화재 사고를 두고 시공사와 시행사의 법적 책임 소재에 관심이 쏠린다.24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부산 반얀트리 시공사인 삼정기업은 지난해 11월 시공사의 책임준공 기한을 넘겨 같은 해 12월 19일 건물 사용승인을 받았다.준공에 준하는 사용승인을 받은 뒤 2개월이 흐른 사고 시점까지 현장에서는 시공사와 시행사 소속 하청업체 35개 780여명의 작업자가 동시다발적으로 대규모 작업을 이어가고 있었다.곳곳에 쌓인 인테리어 자재 등은 화재 당시 불쏘시개 역할을 하며 불길을 순식간에 확산시켰고, 소방은 진화 및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경찰은 사고 직후부터 시공사와 시행사를 비롯해 하청업체를 압수수색하는 등 대대적인 수사를 벌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화재 원인과 책임소재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화재로 6명이 사망하는 등 인명피해 규모가 크고, 공사가 지체되고 있어 사고 수습에는 막대한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업계에 따르면 해당 현장은 지난해 12월 기장군청으로부터 사용승인을 받으면서 2022년 가입한 건설공사 보험이 만료됐다.건설공사 보험이 자동으로 해지되면서 시행사인 루펜티스는 시설 손실 또는 화재 사고 등에 따른 피해를 보상하는 관련 보험을 가입한 것으로 알려졌다.다만 준공된 건물에 대한 관리 주체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면서 보험지급 여부는 불투명하다.법조계에서는 건설 현장을 관리·감독한 시공사가 이번 화재 사고에서 더 큰 책임을 물을 것으로 내다봤다.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는 "이번 사건에서 책임 소재는 시공사와 시행사의 안전관리 의무 이행 여부에 따라 법적 판단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구체적인 사실관계는 면밀히 검토해야겠지만, 일반적으로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고 공사 현장을 실질적으로 관리·감독한 시공사가 주요 책임 주체로 지목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한 유족의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 태솔 임병진 변호사도 "사고 규모나 관련 진술 등에 따르면 시공사가 책임을 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원청(삼정기업)이 하도급 관계 등을 이용해 꼬리 자르기로 책임을 회피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마땅히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적용해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책임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보험금 지급 여부를 두고도 추후 법정 공방이 이어질 수 있다. 사고 수습을 위해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우선 지급할 경우엔 추후 보험사들이 화재 원인 제공자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다.다만 삼정기업은 해당 보험이 유가족 보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삼정기업 관계자는 "준공이 난 건물에 대한 운영 관리 주체는 시행사”라며 “화재는 준공 승인 이후 60일 이내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소방 자체 점검 기간(1118일) 4일차에 발생했는데 이 역시 시행사가 소방안전·점검 업체와 계약을 맺고 점검 중이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보험이나 산재에 다른 유족 보상금은 보험 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진행되며, 삼정은 시공의 주체로서 유족들에 대한 책임을 다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이와 별개로 유족들은 시민·구민이라면 자동 가입되는 시민안전보험을 통해 보험비 약 2500만4300만원를 보장받는다. 또 재해구호법에 따라 최대 1500만원 한도 내에서 장례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한편 경찰은 이번주 중 감식결과 보고서가 나올 것으로 보고, 내주 화재 원인을 포함한 중간 수사 결과를 브리핑할 계획이다. 조아서 기자(aseo@news1.kr) [기사전문보기] 뉴스1 - '준공 후 공사' 부산 반얀트리 화재 책임은 시공사일까 시행사일까 (바로가기) 뉴시스 - 부산 뱐얀트리 화재 책임, 시공사냐 시행사냐 (바로가기)
뉴스1 등 2곳
2025-02-24
'준공 후 공사' 부산 반얀트리 화재 책임은 시공사일까 시행사일까
'준공 후 공사' 부산 반얀트리 화재 책임은 시공사일까 시행사일까
시공사 건설공사 보험 만료 후 시행사 손실보장 보험 체결법조계 "시공사 책임 커"…시공사 "보험은 유족 보상 무관" 6명이 숨지고 27명이 다친 부산 반얀트리 신축 공사 현장 화재 사고를 두고 시공사와 시행사의 법적 책임 소재에 관심이 쏠린다.24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부산 반얀트리 시공사인 삼정기업은 지난해 11월 시공사의 책임준공 기한을 넘겨 같은 해 12월 19일 건물 사용승인을 받았다.준공에 준하는 사용승인을 받은 뒤 2개월이 흐른 사고 시점까지 현장에서는 시공사와 시행사 소속 하청업체 35개 780여명의 작업자가 동시다발적으로 대규모 작업을 이어가고 있었다.곳곳에 쌓인 인테리어 자재 등은 화재 당시 불쏘시개 역할을 하며 불길을 순식간에 확산시켰고, 소방은 진화 및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경찰은 사고 직후부터 시공사와 시행사를 비롯해 하청업체를 압수수색하는 등 대대적인 수사를 벌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화재 원인과 책임소재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화재로 6명이 사망하는 등 인명피해 규모가 크고, 공사가 지체되고 있어 사고 수습에는 막대한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업계에 따르면 해당 현장은 지난해 12월 기장군청으로부터 사용승인을 받으면서 2022년 가입한 건설공사 보험이 만료됐다.건설공사 보험이 자동으로 해지되면서 시행사인 루펜티스는 시설 손실 또는 화재 사고 등에 따른 피해를 보상하는 관련 보험을 가입한 것으로 알려졌다.다만 준공된 건물에 대한 관리 주체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면서 보험지급 여부는 불투명하다.법조계에서는 건설 현장을 관리·감독한 시공사가 이번 화재 사고에서 더 큰 책임을 물을 것으로 내다봤다.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는 "이번 사건에서 책임 소재는 시공사와 시행사의 안전관리 의무 이행 여부에 따라 법적 판단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구체적인 사실관계는 면밀히 검토해야겠지만, 일반적으로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고 공사 현장을 실질적으로 관리·감독한 시공사가 주요 책임 주체로 지목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한 유족의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 태솔 임병진 변호사도 "사고 규모나 관련 진술 등에 따르면 시공사가 책임을 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원청(삼정기업)이 하도급 관계 등을 이용해 꼬리 자르기로 책임을 회피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마땅히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적용해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책임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보험금 지급 여부를 두고도 추후 법정 공방이 이어질 수 있다. 사고 수습을 위해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우선 지급할 경우엔 추후 보험사들이 화재 원인 제공자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다.다만 삼정기업은 해당 보험이 유가족 보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삼정기업 관계자는 "준공이 난 건물에 대한 운영 관리 주체는 시행사”라며 “화재는 준공 승인 이후 60일 이내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소방 자체 점검 기간(1118일) 4일차에 발생했는데 이 역시 시행사가 소방안전·점검 업체와 계약을 맺고 점검 중이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보험이나 산재에 다른 유족 보상금은 보험 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진행되며, 삼정은 시공의 주체로서 유족들에 대한 책임을 다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이와 별개로 유족들은 시민·구민이라면 자동 가입되는 시민안전보험을 통해 보험비 약 2500만4300만원를 보장받는다. 또 재해구호법에 따라 최대 1500만원 한도 내에서 장례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한편 경찰은 이번주 중 감식결과 보고서가 나올 것으로 보고, 내주 화재 원인을 포함한 중간 수사 결과를 브리핑할 계획이다. 조아서 기자(aseo@news1.kr) [기사전문보기] 뉴스1 - '준공 후 공사' 부산 반얀트리 화재 책임은 시공사일까 시행사일까 (바로가기) 뉴시스 - 부산 뱐얀트리 화재 책임, 시공사냐 시행사냐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2-24
친구 때려 실명하게 만든 대학생, 징역 1년 실형
친구 때려 실명하게 만든 대학생, 징역 1년 실형
피해자, 안와골절 등으로 수술받아피해자 측 “실명에 가까운 장애로 미래 지장…가해자는 반성없어” 엄벌 탄원 말다툼 하던 친구의 얼굴을 때려 시력을 잃게 만든 20대 대학생이 실형을 선고받았다.수원지방법원 제11형사부는 지난해 12월 중상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3년 3월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 기숙사에서 룸메이트인 B씨와 말다툼을 벌이던 중 얼굴을 때려 중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이 사고로 B씨는 안와골절 상해 진단을 받고 긴급 수술을 받았다. 이후 수술한 왼쪽 눈의 시력이 0.02 이하로 떨어지는 등 실명에 가까운 영구적인 시력장애를 입게 됐다.사건 직후 A씨는 B씨에게 “평소처럼 다니다가 (누가) 물어보면 대충 둘러대라”라고 지시하는 등 상황 모면에만 급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재판에서 B씨 측은 A씨에 대한 엄벌을 호소했다. B씨 측은 “촉망받는 대학교 축구부 선수였던 피해자는 이번 사건으로 영구적인 장애를 입고 꿈을 포기해야 할 상황이지만, 가해자는 진지한 반성의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폭행으로 인해 B씨가 입게 된 피해의 정도가 심각하다고 보고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에게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일으킨 중상해를 가해 죄질이 좋지 않다”며 “피해자는 오랜 기간 노력해왔던 운동선수로서의 생활을 지속할 수 없게 될 위험에 처하게 됐다. 또, 피해자 측은 피고인의 죄책에 상응하는 엄한 처벌을 호소하고 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정석현 변호사는 “A씨는 B씨의 얼굴을 가격했을 당시 상해에 대해 미필적으로나마 고의가 있었고, 실명이라는 중상해에 대한 예견 가능성 또한 있었다고 봄이 타당하다”며 “B씨가 현재 좌안 실명 진단을 앞두고 있는 심각한 상태인 점을 감안하면 A씨에게 마땅한 처벌이 내려져야 한다”고 밝혔다.이어 “이번 사건의 경우 손해배상도 진행 중이다”며 “이번 판결을 토대로 B씨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울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친구 때려 실명하게 만든 대학생, 징역 1년 실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2-24
친구 때려 실명하게 만든 대학생, 징역 1년 실형
친구 때려 실명하게 만든 대학생, 징역 1년 실형
피해자, 안와골절 등으로 수술받아피해자 측 “실명에 가까운 장애로 미래 지장…가해자는 반성없어” 엄벌 탄원 말다툼 하던 친구의 얼굴을 때려 시력을 잃게 만든 20대 대학생이 실형을 선고받았다.수원지방법원 제11형사부는 지난해 12월 중상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3년 3월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 기숙사에서 룸메이트인 B씨와 말다툼을 벌이던 중 얼굴을 때려 중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이 사고로 B씨는 안와골절 상해 진단을 받고 긴급 수술을 받았다. 이후 수술한 왼쪽 눈의 시력이 0.02 이하로 떨어지는 등 실명에 가까운 영구적인 시력장애를 입게 됐다.사건 직후 A씨는 B씨에게 “평소처럼 다니다가 (누가) 물어보면 대충 둘러대라”라고 지시하는 등 상황 모면에만 급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재판에서 B씨 측은 A씨에 대한 엄벌을 호소했다. B씨 측은 “촉망받는 대학교 축구부 선수였던 피해자는 이번 사건으로 영구적인 장애를 입고 꿈을 포기해야 할 상황이지만, 가해자는 진지한 반성의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폭행으로 인해 B씨가 입게 된 피해의 정도가 심각하다고 보고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에게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일으킨 중상해를 가해 죄질이 좋지 않다”며 “피해자는 오랜 기간 노력해왔던 운동선수로서의 생활을 지속할 수 없게 될 위험에 처하게 됐다. 또, 피해자 측은 피고인의 죄책에 상응하는 엄한 처벌을 호소하고 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정석현 변호사는 “A씨는 B씨의 얼굴을 가격했을 당시 상해에 대해 미필적으로나마 고의가 있었고, 실명이라는 중상해에 대한 예견 가능성 또한 있었다고 봄이 타당하다”며 “B씨가 현재 좌안 실명 진단을 앞두고 있는 심각한 상태인 점을 감안하면 A씨에게 마땅한 처벌이 내려져야 한다”고 밝혔다.이어 “이번 사건의 경우 손해배상도 진행 중이다”며 “이번 판결을 토대로 B씨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울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친구 때려 실명하게 만든 대학생, 징역 1년 실형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2-23
트럼프發 관세 전쟁, 놓쳐선 안될 원산지 규정 [대륜의 Biz law forum]
트럼프發 관세 전쟁, 놓쳐선 안될 원산지 규정 [대륜의 Biz law forum]
美, EU 이어 韓 수출품도 겨냥 가능성원산지 판정 기준 달라…추가 관세 리스크실질적 변형기준 고려한 전략적 대응 필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이 지난 11일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에 근거해 중국산 제품에 10%,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소액 물품 면세(800달러 이하)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지 불과 일주일 남짓 지난 시점에서 또다시 추가 조치를 결정한 것이다. 그 대상이 적대국과 동맹·우호국을 가리지 않는 탓에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은 점차 심화하는 모양새다.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부터 관세 보복 전략을 취해왔다. 1기 집권 때는 무역법 제201조(긴급수입제한조치)와 제301조(불공정 무역관행 대응), 무역확장법 제232조(국가 안보 관련 관세)를 근거로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했다. 2기 행정부는 IEEPA를 근거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등 더욱 다양한 법률을 관세 전쟁에 사용하고 있다.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는 물품의 원산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미국의 원산지 판정 기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 관세 대상 물품의 원산지 판정 기준 추가 관세 대상 물품의 원산지 판정 기준은 미 연방규정집(CFR)의 '실질적 변형기준' 원칙에 따라 결정하고 있다. 실질적 변형기준은 2개 이상의 국가의 제조 공정이 연결된 경우 실질적 변형이 마지막으로 발생한 국가를 원산지로 하는 원칙이다. 주요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중간재의 품명, 특성, 용도의 변화 여부② 중간재가 최종재의 본질적 특성(essential character)을 이미 내재하고 있는지③ 중간재의 용도(use)가 최종재에 사용되도록 미리 정해져 있는지(pre-determined)④ 중간재가 이후 가공공정에서 정체성(identity)을 잃었는지⑤ 조립·가공 공정이 단순한 조립·가공에 해당되는지실무 단계에서 흔하게 놓치는 부분은 한국에서 수출한 물품에 대해 한·미 FTA에 따라 적법하게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하더라도, 미국의 실질적 변형기준에 따라 중국산으로 판정돼 추가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미 FTA 협정에 따른 원산지 판정 기준(세번변경, 부가가치 기준 등)과 추가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한 원산지 판정 기준이 다르다는 점을 인지해야 함은 물론, 미 관세청의 원산지 검증에 대비해 실질적 변형기준의 주요 고려 사항을 확인하는 원산지 판정이 필요하다. 미국 관세청(CBP)의 원산지 결정 사례 ① 지게차 원산지 결정(N302755)중간재인 엔진의 원산지는 미국산이고, 나머지 부품은 중국산인 지게차에 대한 원산지 결정 사례를 보자. 중국에서 제조됐지만, 미국 수입업체는 엔진이 지게차의 본질적 특성을 부여하는 핵심 구성품이며 중국에서의 공정은 구성품을 단순히 조립하는 보조적인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CBP는 엔진은 지게차의 본질적인 특성을 내재하지 않으며, 중국에서 생산된 다양한 구성품 없이는 지게차가 작동될 수 없기 때문에 엔진 역시 이들과 동일한 수준으로 고려돼야 한다며 최종 원산지를 중국으로 판정했다.② 디지털 체온계 원산지 결정(N302764)중간재인 이중 탐촉 센서는 이스라엘산이며, 나머지 전기적 구성품이 모두 중국산인 디지털 체온계는 원산지 판정 절차에서 이스라엘산임을 확인받았다. 여러 국가를 거쳐 생산된 제품의 원산지 결정은 새로운 품명·특성·용도를 창출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스라엘산 센서는 체온계의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구현돼 있는 점과 체온계의 본질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는 점이 인정됐다.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적자를 이유로 유럽연합(EU)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고 있다. 주요 수출국 중 하나인 한국의 지난해 대미(對美) 수출액은 1278억달러, 무역수지는 556억9000만달러로 흑자를 기록하고 있어 트럼프의 관심이 곧 국내로 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수출입 기업은 FTA와 같은 '특혜 원산지'뿐만 아니라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의 기준이 되는 '비특혜 원산지' 규정에도 관심을 가지고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대륜 법무법인 대륜 관세전문위원 [기사전문보기] 트럼프發 관세 전쟁, 놓쳐선 안될 원산지 규정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2-23
트럼프發 관세 전쟁, 놓쳐선 안될 원산지 규정 [대륜의 Biz law forum]
트럼프發 관세 전쟁, 놓쳐선 안될 원산지 규정 [대륜의 Biz law forum]
美, EU 이어 韓 수출품도 겨냥 가능성원산지 판정 기준 달라…추가 관세 리스크실질적 변형기준 고려한 전략적 대응 필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이 지난 11일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에 근거해 중국산 제품에 10%,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소액 물품 면세(800달러 이하)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지 불과 일주일 남짓 지난 시점에서 또다시 추가 조치를 결정한 것이다. 그 대상이 적대국과 동맹·우호국을 가리지 않는 탓에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은 점차 심화하는 모양새다.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부터 관세 보복 전략을 취해왔다. 1기 집권 때는 무역법 제201조(긴급수입제한조치)와 제301조(불공정 무역관행 대응), 무역확장법 제232조(국가 안보 관련 관세)를 근거로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했다. 2기 행정부는 IEEPA를 근거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등 더욱 다양한 법률을 관세 전쟁에 사용하고 있다.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는 물품의 원산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미국의 원산지 판정 기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 관세 대상 물품의 원산지 판정 기준 추가 관세 대상 물품의 원산지 판정 기준은 미 연방규정집(CFR)의 '실질적 변형기준' 원칙에 따라 결정하고 있다. 실질적 변형기준은 2개 이상의 국가의 제조 공정이 연결된 경우 실질적 변형이 마지막으로 발생한 국가를 원산지로 하는 원칙이다. 주요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중간재의 품명, 특성, 용도의 변화 여부② 중간재가 최종재의 본질적 특성(essential character)을 이미 내재하고 있는지③ 중간재의 용도(use)가 최종재에 사용되도록 미리 정해져 있는지(pre-determined)④ 중간재가 이후 가공공정에서 정체성(identity)을 잃었는지⑤ 조립·가공 공정이 단순한 조립·가공에 해당되는지실무 단계에서 흔하게 놓치는 부분은 한국에서 수출한 물품에 대해 한·미 FTA에 따라 적법하게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하더라도, 미국의 실질적 변형기준에 따라 중국산으로 판정돼 추가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미 FTA 협정에 따른 원산지 판정 기준(세번변경, 부가가치 기준 등)과 추가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한 원산지 판정 기준이 다르다는 점을 인지해야 함은 물론, 미 관세청의 원산지 검증에 대비해 실질적 변형기준의 주요 고려 사항을 확인하는 원산지 판정이 필요하다. 미국 관세청(CBP)의 원산지 결정 사례 ① 지게차 원산지 결정(N302755)중간재인 엔진의 원산지는 미국산이고, 나머지 부품은 중국산인 지게차에 대한 원산지 결정 사례를 보자. 중국에서 제조됐지만, 미국 수입업체는 엔진이 지게차의 본질적 특성을 부여하는 핵심 구성품이며 중국에서의 공정은 구성품을 단순히 조립하는 보조적인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CBP는 엔진은 지게차의 본질적인 특성을 내재하지 않으며, 중국에서 생산된 다양한 구성품 없이는 지게차가 작동될 수 없기 때문에 엔진 역시 이들과 동일한 수준으로 고려돼야 한다며 최종 원산지를 중국으로 판정했다.② 디지털 체온계 원산지 결정(N302764)중간재인 이중 탐촉 센서는 이스라엘산이며, 나머지 전기적 구성품이 모두 중국산인 디지털 체온계는 원산지 판정 절차에서 이스라엘산임을 확인받았다. 여러 국가를 거쳐 생산된 제품의 원산지 결정은 새로운 품명·특성·용도를 창출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스라엘산 센서는 체온계의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구현돼 있는 점과 체온계의 본질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는 점이 인정됐다.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적자를 이유로 유럽연합(EU)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고 있다. 주요 수출국 중 하나인 한국의 지난해 대미(對美) 수출액은 1278억달러, 무역수지는 556억9000만달러로 흑자를 기록하고 있어 트럼프의 관심이 곧 국내로 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수출입 기업은 FTA와 같은 '특혜 원산지'뿐만 아니라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의 기준이 되는 '비특혜 원산지' 규정에도 관심을 가지고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대륜 법무법인 대륜 관세전문위원 [기사전문보기] 트럼프發 관세 전쟁, 놓쳐선 안될 원산지 규정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21
법원, 동업관계 청산분쟁···“운영적자로 출자금 초과 사용하면 반환의무 없어”
법원, 동업관계 청산분쟁···“운영적자로 출자금 초과 사용하면 반환의무 없어”
원고, 출자금 및 정산금 2억4천여만 원 반환 청구법원 “상법상 익명조합···영업 사용 비용으로 출자액 모두 감소 시 반환의무 없어” 동업으로 사업을 하다 운영적자로 출자금을 모두 사용하고 수익 정산 등을 이행하지 못해 동업계약 청산을 하는 경우에는 출자금과 정산금을 반환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민사8단독 류지미 판사는 프랜차이즈 동업계약 당사자 A씨 등이 동업자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출자금등 반환 청구소송에서 지난해 12월 원고 청구 기각 판결을 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 등은 2022년 3월경 B씨와 프랜차이즈 동업계약을 약정하고,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한 상가를 공동으로 취득했다.동업계약에서, A씨 등은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고 상가 매입비, 인테리어 공사비, 가맹비 등 각종 자금만을 지원하기로 하고, B씨는 사업체 경영 전반을 책임지고 운영하기로 합의했다.수익금 분배와 관련해서는 B씨는 매출 수익을 일정 비율로 안분한 뒤 A씨 등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했다. 그러나 사업 초기와 달리 금리가 상승하면서 B씨는 기존에 제공하던 수익금을 지급할 수 없게 됐다.손해가 발생하자, A씨 등은 동업관계인 B씨가 자신들이 지원한 출자금 전액과 수익금 미지급분, 이자 등을 포함해 약 2억 4,000여만 원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출자금등 반환 청구소송을 제기했다.이 재판에서 피고 B씨 측은 “대출금 이자율이 높아지면서 상가 운영 수익만으로는 이자를 감당할 수 없게 됐다”면서, “적자 상황이 지속하게 되자 사업자 대출을 받으며 개인적인 비용을 투입해 손실을 보전하려고 노력했다”고 변론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류지미 판사는 “운영적자라는 특수한 상황을 인정해 B씨가 출자금 등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고 판결했다.류지미 판사는 “피고가 이 사건 상가 운영 계좌에 원고들의 각 출자금액을 초과하는 상당한 돈을 입금하고, 이를 비용으로 사용했지만, 운영적자를 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따라서 피고가 원고들에게 반환할 출자액이 존재한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피고 B씨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재형 변호사는 “상업적 동업관계가 해소됐다 하더라도 상법 제85조에 따라 출자금 중 감소된 잔액만 반환하면 된다”면서, “B씨는 상가 대출 이자금이 높아지는 특수한 상황에 놓였고, 여러 방안을 시도했지만 적자를 면하기 어려웠다. 이미 출자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사용했기 때문에 B씨가 반환할 출자금 및 정산금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원, 동업관계 청산분쟁···“운영적자로 출자금 초과 사용하면 반환의무 없어”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21
법원, 동업관계 청산분쟁···“운영적자로 출자금 초과 사용하면 반환의무 없어”
법원, 동업관계 청산분쟁···“운영적자로 출자금 초과 사용하면 반환의무 없어”
원고, 출자금 및 정산금 2억4천여만 원 반환 청구법원 “상법상 익명조합···영업 사용 비용으로 출자액 모두 감소 시 반환의무 없어” 동업으로 사업을 하다 운영적자로 출자금을 모두 사용하고 수익 정산 등을 이행하지 못해 동업계약 청산을 하는 경우에는 출자금과 정산금을 반환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민사8단독 류지미 판사는 프랜차이즈 동업계약 당사자 A씨 등이 동업자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출자금등 반환 청구소송에서 지난해 12월 원고 청구 기각 판결을 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 등은 2022년 3월경 B씨와 프랜차이즈 동업계약을 약정하고,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한 상가를 공동으로 취득했다.동업계약에서, A씨 등은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고 상가 매입비, 인테리어 공사비, 가맹비 등 각종 자금만을 지원하기로 하고, B씨는 사업체 경영 전반을 책임지고 운영하기로 합의했다.수익금 분배와 관련해서는 B씨는 매출 수익을 일정 비율로 안분한 뒤 A씨 등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했다. 그러나 사업 초기와 달리 금리가 상승하면서 B씨는 기존에 제공하던 수익금을 지급할 수 없게 됐다.손해가 발생하자, A씨 등은 동업관계인 B씨가 자신들이 지원한 출자금 전액과 수익금 미지급분, 이자 등을 포함해 약 2억 4,000여만 원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출자금등 반환 청구소송을 제기했다.이 재판에서 피고 B씨 측은 “대출금 이자율이 높아지면서 상가 운영 수익만으로는 이자를 감당할 수 없게 됐다”면서, “적자 상황이 지속하게 되자 사업자 대출을 받으며 개인적인 비용을 투입해 손실을 보전하려고 노력했다”고 변론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류지미 판사는 “운영적자라는 특수한 상황을 인정해 B씨가 출자금 등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고 판결했다.류지미 판사는 “피고가 이 사건 상가 운영 계좌에 원고들의 각 출자금액을 초과하는 상당한 돈을 입금하고, 이를 비용으로 사용했지만, 운영적자를 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따라서 피고가 원고들에게 반환할 출자액이 존재한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피고 B씨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재형 변호사는 “상업적 동업관계가 해소됐다 하더라도 상법 제85조에 따라 출자금 중 감소된 잔액만 반환하면 된다”면서, “B씨는 상가 대출 이자금이 높아지는 특수한 상황에 놓였고, 여러 방안을 시도했지만 적자를 면하기 어려웠다. 이미 출자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사용했기 때문에 B씨가 반환할 출자금 및 정산금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원, 동업관계 청산분쟁···“운영적자로 출자금 초과 사용하면 반환의무 없어”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20
약속 어겼다고 ‘사이버 학교폭력’ 저지른 고교생···학폭위 징계처분
약속 어겼다고 ‘사이버 학교폭력’ 저지른 고교생···학폭위 징계처분
중학교 동문 친구와 갈등···단체 대화방 초대해 사이버불링피해 학생 변호사 “친구간 싸움 수준 넘어 무차별 언어폭력···용납 안 돼” 약속을 어긴 친구를 보복하고자 집단 사이버불링을 주도한 고교생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의 처분을 받게 됐다.학폭위는 2024년 12월 다른 학교에 재학 중이던 친구를 괴롭힌 혐의를 받는 가해학생 A양에게 피해학생 및 신고·고발 학생에 대한 접촉, 협박 및 보복행위의 금지(2호), 교내 봉사(3호) 6시간, 특별교육이수(5호) 6시간 처분을 결정하고, 보호자에게도 특별교육이수 4시간을 명령한 것으로 확인됐다.A양은 2024년 9월 피해학생 B양이 자신과 만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SNS에 단체대화방을 개설해 B양에게 사이버불링(온라인 괴롭힘)을 한 혐의를 받았다.학교폭력에는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체·언어폭력 뿐만 아니라 SNS를 통한 따돌림, 정서적 괴롭힘 등 사이버폭력 행위도 포함된다.당시 B양은 일면식도 없는 다수의 학생들에게 집단 언어폭력을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A양과 다른 가해학생들은 B양의 가족에 대한 비하 발언과 성적인 욕설 등을 내뱉으며 모욕감과 성적수치심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B양은 약속을 어긴 것에 대해 수차례 사과를 했지만, A양 일행은 집단적인 괴롭힘을 멈추지 않았다. 결국, 괴롭힘을 견디다 못한 B양이 부모에게 이 사실을 털어놓으면서 사건이 뒤늦게 알려졌다.학폭위에 동행한 B양의 법률대리인은 “B양이 당한 폭력은 단순히 친구 간 싸움으로 치부될 수 없는 수준이었다”면서, “다수가 B양에게 무차별적인 언어 폭력을 행사한 것은 절대 용납해서는 안될 범죄”라고 강조했다.대전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학폭위는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여 학교폭력을 주도한 A양에 대한 징계처분을 의결했다.학폭 피해자 B양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요즘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휴대폰 등 전자기기를 가지고 있어 사이버 학교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면서, “온라인을 통해 따돌림부터 공갈, 강요, 성폭력 등 범죄 수위 역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김진주 변호사는 이어 “온라인으로 이뤄지는 사이버 학폭의 특성상 익명으로 소통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피해 내용이 담긴 캡처본 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학폭위 징계로 4호 처분 이상을 받게 되면 생활기록부에도 기록이 남게 되고, 졸업 이후에도 일정 기간 유지돼 대학 입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라고 덧붙였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약속 어겼다고 ‘사이버 학교폭력’ 저지른 고교생···학폭위 징계처분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20
약속 어겼다고 ‘사이버 학교폭력’ 저지른 고교생···학폭위 징계처분
약속 어겼다고 ‘사이버 학교폭력’ 저지른 고교생···학폭위 징계처분
중학교 동문 친구와 갈등···단체 대화방 초대해 사이버불링피해 학생 변호사 “친구간 싸움 수준 넘어 무차별 언어폭력···용납 안 돼” 약속을 어긴 친구를 보복하고자 집단 사이버불링을 주도한 고교생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의 처분을 받게 됐다.학폭위는 2024년 12월 다른 학교에 재학 중이던 친구를 괴롭힌 혐의를 받는 가해학생 A양에게 피해학생 및 신고·고발 학생에 대한 접촉, 협박 및 보복행위의 금지(2호), 교내 봉사(3호) 6시간, 특별교육이수(5호) 6시간 처분을 결정하고, 보호자에게도 특별교육이수 4시간을 명령한 것으로 확인됐다.A양은 2024년 9월 피해학생 B양이 자신과 만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SNS에 단체대화방을 개설해 B양에게 사이버불링(온라인 괴롭힘)을 한 혐의를 받았다.학교폭력에는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체·언어폭력 뿐만 아니라 SNS를 통한 따돌림, 정서적 괴롭힘 등 사이버폭력 행위도 포함된다.당시 B양은 일면식도 없는 다수의 학생들에게 집단 언어폭력을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A양과 다른 가해학생들은 B양의 가족에 대한 비하 발언과 성적인 욕설 등을 내뱉으며 모욕감과 성적수치심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B양은 약속을 어긴 것에 대해 수차례 사과를 했지만, A양 일행은 집단적인 괴롭힘을 멈추지 않았다. 결국, 괴롭힘을 견디다 못한 B양이 부모에게 이 사실을 털어놓으면서 사건이 뒤늦게 알려졌다.학폭위에 동행한 B양의 법률대리인은 “B양이 당한 폭력은 단순히 친구 간 싸움으로 치부될 수 없는 수준이었다”면서, “다수가 B양에게 무차별적인 언어 폭력을 행사한 것은 절대 용납해서는 안될 범죄”라고 강조했다.대전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학폭위는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여 학교폭력을 주도한 A양에 대한 징계처분을 의결했다.학폭 피해자 B양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요즘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휴대폰 등 전자기기를 가지고 있어 사이버 학교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면서, “온라인을 통해 따돌림부터 공갈, 강요, 성폭력 등 범죄 수위 역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김진주 변호사는 이어 “온라인으로 이뤄지는 사이버 학폭의 특성상 익명으로 소통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피해 내용이 담긴 캡처본 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학폭위 징계로 4호 처분 이상을 받게 되면 생활기록부에도 기록이 남게 되고, 졸업 이후에도 일정 기간 유지돼 대학 입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라고 덧붙였다.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약속 어겼다고 ‘사이버 학교폭력’ 저지른 고교생···학폭위 징계처분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2-20
대륜-미피아 '맞손'…"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선다"
대륜-미피아 '맞손'…"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선다"
대륜, 엔터 산업 내 다양한 이해 관계 법률 서비스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20일 AI(인공지능) 기반 음악 표절 검사 서비스 기업인 ㈜미피아(MIPPIA)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지난 19일 미피아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체결식에서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예섬 이사와 미피아 오찬호 대표, 심진영 이사, 이채현 CMO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미피아는 AI를 기반으로 한 음악 저작권 보호 플랫폼을 운영 중인 기업이다. 20년 경력의 작곡가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멜로디, 리듬, 화성 등 음악적 요소를 세밀히 분석해 음원 표절 여부를 판단해 결과를 제공한다. 지난해 7월 전 세계 104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미피아는 출시 한 달 만에 1만 명의 사용자를 모으며 업계 내 주목을 받고 있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식재산권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AI 생성 음원 퍼블리시티권 관련 자문 △저작권 침해 분쟁 발생 시 해결 방안 제시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 분쟁 대책 마련 등이 포함된다.미피아 오찬호 대표는 “사용자들은 미피아를 통해 표절 검사 서비스 뿐만 아니라, 법적 검토에 활용 가능한 상세 리포트도 제공받을 수 있다”며 “서비스 이용자 수가 늘어나면서 관련 법률 문제에 대한 보다 더 정확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대륜의 자문을 받게 돼 든든한 마음”이라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 대표는 “대륜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 사무소를 확대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며 “미피아를 상대로 지적재산권 자문을 제공하는 한편 변리사, 노무사, 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원스톱으로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법률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지식재산권과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음악, 영화, 웹툰 등 산업 내 전문가들을 통해 특화된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미피아 '맞손'…"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선다" (바로가기) 국제뉴스 - 대륜, 미피아와 MOU 체결…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바로가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미피아와 MOU…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음악 표절 검사' 미피아와 MOU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2-20
대륜-미피아 '맞손'…"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선다"
대륜-미피아 '맞손'…"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선다"
대륜, 엔터 산업 내 다양한 이해 관계 법률 서비스 제공 법무법인 대륜이 20일 AI(인공지능) 기반 음악 표절 검사 서비스 기업인 ㈜미피아(MIPPIA)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지난 19일 미피아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체결식에서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예섬 이사와 미피아 오찬호 대표, 심진영 이사, 이채현 CMO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미피아는 AI를 기반으로 한 음악 저작권 보호 플랫폼을 운영 중인 기업이다. 20년 경력의 작곡가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멜로디, 리듬, 화성 등 음악적 요소를 세밀히 분석해 음원 표절 여부를 판단해 결과를 제공한다. 지난해 7월 전 세계 104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미피아는 출시 한 달 만에 1만 명의 사용자를 모으며 업계 내 주목을 받고 있다.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식재산권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AI 생성 음원 퍼블리시티권 관련 자문 △저작권 침해 분쟁 발생 시 해결 방안 제시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 분쟁 대책 마련 등이 포함된다.미피아 오찬호 대표는 “사용자들은 미피아를 통해 표절 검사 서비스 뿐만 아니라, 법적 검토에 활용 가능한 상세 리포트도 제공받을 수 있다”며 “서비스 이용자 수가 늘어나면서 관련 법률 문제에 대한 보다 더 정확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대륜의 자문을 받게 돼 든든한 마음”이라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 대표는 “대륜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 사무소를 확대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며 “미피아를 상대로 지적재산권 자문을 제공하는 한편 변리사, 노무사, 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원스톱으로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법률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지식재산권과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음악, 영화, 웹툰 등 산업 내 전문가들을 통해 특화된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대륜-미피아 '맞손'…"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선다" (바로가기) 국제뉴스 - 대륜, 미피아와 MOU 체결…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바로가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미피아와 MOU…음원 지식재산권 보호 앞장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음악 표절 검사' 미피아와 MOU (바로가기)
매경이코노미
2025-02-20
사상자 오히려 늘어났다...중대재해처벌법 무용지물? [스페셜리포트]
사상자 오히려 늘어났다...중대재해처벌법 무용지물? [스페셜리포트]
“3년 전 중대재해처벌법을 도입할 당시 건설사들이 다들 문제가 있다며 말렸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부작용을 무시하고 막무가내로 시행하다 보니 이 꼴이 난 겁니다. 예견된 결과죠.” (A건설업체 관계자)2022년 도입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올해로 시행 3년을 맞았다. 이름 그대로 중대재해를 막기 위한 취지였지만 정작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전국 건설 현장 사상자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재해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강력한 처벌 위주로 법을 제정하면서 실효성이 떨어졌다는 우려가 쏟아진다. 중대재해법 효과 있었나상위 20대 건설사 사망자 오히려 늘어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20위 건설사 공사 현장에서 사망한 근로자는 35명으로, 2023년(28명)보다 오히려 25% 증가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첫해인 2022년(33명)과 비교해도 별 차이가 없다. 이는 정부 건설공사 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자 수를 집계한 자료다. 건설사는 법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CSI에 신고해야 한다.부상자까지 포함해도 결과는 다르지 않다. 지난해 상위 2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와 부상자는 모두 1868명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첫해인 2022년(1666명)과 비교해 12.1% 늘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좀처럼 산업재해가 줄어들지 않았다는 의미다.건설업뿐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 넓혀봐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알림e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누적 제조업 현장 사망자는 134명으로 전년 동기(123명) 대비 8.9% 늘었다. 운수, 창고, 통신업 역시 같은 기간 사망자가 12명에서 19명으로 58% 증가했다.중대재해처벌법은 기업 사업장에서 1명 이상 사망하거나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 징역 혹은 10억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하는 법이다. 대형 사업장 위주로 시행되다 지난해 1월부터 상시 근로자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 시행됐다.중대재해처벌법이 도입된 배경부터 들여다보자.그동안 안전 관련 국내 규제가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다. 중대재해법 도입 이전에도 근로자 안전을 위한 법은 엄연히 존재했다. 중대재해법 제정 전, 사업장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적용되는 법은 주로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이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한 현장의 최고 담당자를 처벌하는 법안이다. 형법은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으로 사망, 부상, 질병이 발생했을 때 업무상과실치사 조항이 적용된다. 적용 대상자는 사고를 직접적으로 일으킨 사람이다.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 모두 현장 문제만 집중적으로 규제한다.하지만 중대재해법은 성격이 다르다. 현장보다는 기업 소유주와 경영자가 얼마나 안전에 신경 쓰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중대재해법은 개인사업주와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확보의무를 준수했는지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만약 경영주가 법이 규정한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면 처벌 대상이 된다. 산업재해를 단순한 현장 문제가 아닌 기업 전체의 문제로 바라보는 셈이다.중대재해법이 도입된 것은 최근 몇 년 새 산업재해가 급증하면서 현장 책임자만 처벌해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사업장 중심으로만 안전보건조치의무를 규정한 산업안전보건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안전보건 확보를 위한 전사적 투자,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등 보다 구조적인 해결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셌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 힘입어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기업 경영책임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이른바 ‘형벌을 통한 예방 효과’를 얻자는 취지다.중대재해법 왜 사고 못 막나이처럼 야심 차게 도입한 중대재해처벌법이 안착됐음에도 산업 현장에서 사망 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뭘까. 법조계와 재계는 크게 4가지 원인을 제기한다.원인 1 중대재해법 제도적 한계경영진만 규제…‘휴먼 에러’ 못 잡아내가장 큰 요인은 중대재해법 자체의 제도적 한계다.도입 당시, 산업재해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만능 법안’처럼 여겨졌지만 실상은 다르다. 중대재해법은 엄밀히 말하면, 현장의 안전조치를 강화하는 제도가 아니다. 현장 안전을 다루는 법안은 앞서 살펴본 대로 산업안전보건법이다. 중대재해법은 현장 상황보다는 경영자가 안전보건의무를 이행하도록 규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경영자가 적절한 안전대책을 세우지 않았다면, 중대재해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 반면, 중대재해법이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안전대책을 세워놨다면, 사장은 처벌을 피할 수 있다.여기서 중대재해법의 한계가 드러난다. 기업 경영자가 아무리 제도를 완벽하게 만들어도 현장을 일일이 통제할 수 없다. 통상적으로 산업재해 사고의 80%는 현장 책임자 또는 근로자의 사소한 실수, 이른바 ‘휴먼 에러’가 원인이다. 실수로 안전 규정을 어기거나, 일을 빨리 처리하기 위해 요령을 피우는 등의 일탈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다반사다.2022년 4월 H솔루텍 직원 사망 사건은 근로자 일탈이 사고로 이어진 사례다. 당시 에어컨 실외기를 점검하던 중 추락해 숨졌다. 중대재해 사고였지만, H솔루텍과 대표이사는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해당 사고는 근로자가 책임자의 사전 승인 없이,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채 일을 하다 발생한 사고였기 때문이다.회사는 중대재해법에서 지정한 대로 안전보건관리의무를 착실히 이행했다.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직원의 사소한 일탈로 인한 사고를 막지 못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사법당국은 경영인이 정한 절차를 벗어나 근로자가 사망한 사고로, 사업주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한 피해도 중대재해법만으로는 막기 힘들다. 실질적인 안전조치 강구보다는 경영 시스템상 안전관리체계 점검에만 치중하는 탓이다. 2022년 당시 P공업사 근로자 사망 사고가 대표적이다. 근로자 A씨와 외국인 근로자 B씨는 하청 업체 소속으로 P공업사의 제4공장에서 압축 성형기를 이용해 ‘베어링 씰’ 성형 작업을 담당했다. B씨는 작업 편의를 위해 본래 목적과 달리 금속링과 고무링을 안착시키는 용도로 수공구를 사용했다.그러던 중 2022년 2월 수공구가 압축 성형기 압력으로 찌그러지다가 튕겨 나와 A씨의 머리에 부딪혔고 A씨는 외상서성 뇌출혈로 사망했다. 당시 재판부는 “중대재해의 결과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돼야 하는데, 수공구가 끼어들어가 튕겨 나오는 경우를 예견할 수 없었다”고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 예상하지 못한 돌발 사고까지 일일이 경영진이 막을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익명의 법조계 관계자는 “중대재해 사고 중 망인(亡人)의 잘못으로 일어난 사고도 꽤 있다. 또 위험한 작업이 많은 사업장의 경우 예상을 벗어난 돌발 사고도 적잖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중대재해법이 이런 사고까지 막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원인 2 달라진 산업 현장외국인 근로자 늘고 고령화 심화중대재해법 효과가 반감하는 배경에는 산업 현장의 변화도 자리한다. 산업재해 사고가 빈발한 건설, 제조 현장 등은 젊은 한국인이 기피하는 일자리다. 국내 근로자는 모두 빠져나갔고, 빈자리는 외국인 근로자가 채우고 있다.외국 인력은 현장 통제가 어렵다. 한국말이 서투른 탓에 말이 잘 통하지 않고, 한글로 적힌 안전통제수칙도 이해하기 힘들어한다. 현장 관리자가 과거처럼 제대로 교육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최근 들어서는 현장 관리자마저도 외국인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건설 업계 관계자는 “건설 현장에 가면 한국어보다 외국어가 더 빈번히 쓰인다. 언어 장벽, 문화 차이 등의 문제로 현장 관리자들이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아무리 우수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해도 현장에 그대로 적용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외국인 근로자 산재는 매년 증가 추세다.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3분기까지 산재 승인이 완료된 전체 사고 산재 사망자는 617명으로, 이 중 80명이 외국인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고 산재는 질병이 아니라 현장 사고로 발생한 산재를 말한다. 사고 산재 사망자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9.7%에서 2023년 10.4%, 2024년(19월)엔 12.9%로 꾸준히 증가했다.2024년 5월 기준 국내 외국인 취업자는 101만명으로 국내 전체 취업자(2857만6000명)의 3.5%에 불과하다. 이를 감안하면 외국인이 업무 도중 사고로 사망할 확률이 내국인에 비해 훨씬 높은 셈이다. 지난해 23명이 사망한 경기도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의 경우 18명이 외국인 근로자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산재 신청도 전년 대비 6.5% 증가한 1만161건으로 처음으로 1만건을 넘어섰다.현장 근로자 고령화도 사고를 막기 힘든 요인으로 꼽힌다. 젊은 근로자의 산업 현장 기피 현상으로 건설·제조업은 근로자 고령화가 심각하다. 신체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층은 갑작스러운 사고에 대처하기 힘들어 사고 발생 시 사망 확률이 높다.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2024년 3분기 누적 기준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 중 50세 이상 비중은 71.1%에 달했다. 원인 3 중소기업엔 유명무실안전보건체계 구축 부담 커져영세한 중소기업엔 사실상 ‘유명무실’한 제도란 점도 중대재해법의 허점 중 하나다. 대다수 중소기업이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할 인력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법이 정한 최소한의 안전 가이드라인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상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50인 미만 중소기업 70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절반가량인 47%가 중대재해법을 대비할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사실상 구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중소기업들이 대응조차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력 부족’과 ‘비용 부담’이다. 중대재해법은 안전보건관리자 선임과 재해 예방 설비 마련을 의무화했다. 당장 기업을 운영할 인력과 예산도 부족한 중소기업 입장에선 안전관리체계 구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건설 업계 관계자는 “중소 건설사들은 건설 업체이지 안전 업체가 아니다”라며 “현장에 필요한 설계, 공무, 토목 인력을 충원하기도 빠듯한데, 안전 인력을 추가로 채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펌프 제조 업체 C사 관계자는 “대기업은 필요한 만큼 비용을 투자해 안전보건관리체계를 확립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그럴 예산 여력 자체가 없고 생산 현장에서 가장 젊은 사람도 50대 근로자”라고 들려줬다.정부는 예산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공동안전관리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현장 반응은 미지근할 뿐이다. 공동안전관리자는 지역·업종별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공동으로 구축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정부가 운영비 일부를 지원한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안전관리자 몸값 부담으로 이를 외면하는 분위기다.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공동안전관리자 지원 사업 채용률은 50.8%에 불과했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중대재해법 대응을 위해 정부 지원을 신청했지만, 전문가들이 실태 지적만 하고 돌아갔다”며 “수천만원씩 드는 시설 개선과 인력 선임을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원인 4 오락가락 고무줄 양형자체 양형 기준 없어 판결 뒤죽박죽오락가락 양형 기준도 중대재해법을 향한 현장의 불신을 부른다. 법 시행 3년이 지났지만, 자체 양형 기준이 없다. 더욱이 판사 여러 명이 심리하는 합의부가 아니라 단독 판사가 심리한다. 판사별로 형량 편차가 큰 탓에, 비슷한 사안을 두고도 판결이 뒤죽박죽이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중대재해전문변호사는 “중대재해법은 구체적인 양형 기준이 없고, 관련 하급심 판례도 찾아보기 어렵다”며 “변호사조차 형량을 예측하기 어려워 ‘어떻게든 중대재해법에 걸리지 않아야 한다’는 식으로 자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모호한 양형 기준은 기업들이 가장 크게 우려하는 부분이다. 한 중소 제조 업체 관계자는 “중대재해법 자체가 복잡하고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지침서를 읽고 관련 컨설팅을 받아도 대비를 어느 수준까지 해야 하는지, 어떤 경우에 처벌받는지 파악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익명을 요구한 식품 제조 업체 관계자는 “사고라는 게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데 사업을 총괄한다는 이유만으로 ‘1년 이상 징역’으로 처벌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중소기업의 경우 대표가 구속되면 기업은 문을 닫고 근로자는 실직자가 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중소기업 현장은 중대재해법상 불명확한 문구로 어느 수준까지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지 예측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명확하지 않은 표현을 구체화시켜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중기중앙회 관계자 의견도 비슷한 맥락이다. (기사 원문에서 계속) 김경민 매경이코노미 기자(kmkim@mk.co.kr)반진욱 매경이코노미 기자(halfnuk@mk.co.kr)조동현 매경이코노미 기자(cho.donghyun@mk.co.kr) [기사전문보기] 사상자 오히려 늘어났다...중대재해처벌법 무용지물? [스페셜리포트] (바로가기)
매경이코노미
2025-02-20
사상자 오히려 늘어났다...중대재해처벌법 무용지물? [스페셜리포트]
사상자 오히려 늘어났다...중대재해처벌법 무용지물? [스페셜리포트]
“3년 전 중대재해처벌법을 도입할 당시 건설사들이 다들 문제가 있다며 말렸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부작용을 무시하고 막무가내로 시행하다 보니 이 꼴이 난 겁니다. 예견된 결과죠.” (A건설업체 관계자)2022년 도입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올해로 시행 3년을 맞았다. 이름 그대로 중대재해를 막기 위한 취지였지만 정작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전국 건설 현장 사상자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재해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강력한 처벌 위주로 법을 제정하면서 실효성이 떨어졌다는 우려가 쏟아진다. 중대재해법 효과 있었나상위 20대 건설사 사망자 오히려 늘어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20위 건설사 공사 현장에서 사망한 근로자는 35명으로, 2023년(28명)보다 오히려 25% 증가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첫해인 2022년(33명)과 비교해도 별 차이가 없다. 이는 정부 건설공사 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자 수를 집계한 자료다. 건설사는 법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CSI에 신고해야 한다.부상자까지 포함해도 결과는 다르지 않다. 지난해 상위 2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와 부상자는 모두 1868명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첫해인 2022년(1666명)과 비교해 12.1% 늘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좀처럼 산업재해가 줄어들지 않았다는 의미다.건설업뿐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 넓혀봐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알림e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누적 제조업 현장 사망자는 134명으로 전년 동기(123명) 대비 8.9% 늘었다. 운수, 창고, 통신업 역시 같은 기간 사망자가 12명에서 19명으로 58% 증가했다.중대재해처벌법은 기업 사업장에서 1명 이상 사망하거나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 징역 혹은 10억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하는 법이다. 대형 사업장 위주로 시행되다 지난해 1월부터 상시 근로자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 시행됐다.중대재해처벌법이 도입된 배경부터 들여다보자.그동안 안전 관련 국내 규제가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다. 중대재해법 도입 이전에도 근로자 안전을 위한 법은 엄연히 존재했다. 중대재해법 제정 전, 사업장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적용되는 법은 주로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이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한 현장의 최고 담당자를 처벌하는 법안이다. 형법은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으로 사망, 부상, 질병이 발생했을 때 업무상과실치사 조항이 적용된다. 적용 대상자는 사고를 직접적으로 일으킨 사람이다.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 모두 현장 문제만 집중적으로 규제한다.하지만 중대재해법은 성격이 다르다. 현장보다는 기업 소유주와 경영자가 얼마나 안전에 신경 쓰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중대재해법은 개인사업주와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확보의무를 준수했는지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만약 경영주가 법이 규정한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면 처벌 대상이 된다. 산업재해를 단순한 현장 문제가 아닌 기업 전체의 문제로 바라보는 셈이다.중대재해법이 도입된 것은 최근 몇 년 새 산업재해가 급증하면서 현장 책임자만 처벌해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사업장 중심으로만 안전보건조치의무를 규정한 산업안전보건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안전보건 확보를 위한 전사적 투자,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등 보다 구조적인 해결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셌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 힘입어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기업 경영책임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이른바 ‘형벌을 통한 예방 효과’를 얻자는 취지다.중대재해법 왜 사고 못 막나이처럼 야심 차게 도입한 중대재해처벌법이 안착됐음에도 산업 현장에서 사망 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뭘까. 법조계와 재계는 크게 4가지 원인을 제기한다.원인 1 중대재해법 제도적 한계경영진만 규제…‘휴먼 에러’ 못 잡아내가장 큰 요인은 중대재해법 자체의 제도적 한계다.도입 당시, 산업재해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만능 법안’처럼 여겨졌지만 실상은 다르다. 중대재해법은 엄밀히 말하면, 현장의 안전조치를 강화하는 제도가 아니다. 현장 안전을 다루는 법안은 앞서 살펴본 대로 산업안전보건법이다. 중대재해법은 현장 상황보다는 경영자가 안전보건의무를 이행하도록 규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경영자가 적절한 안전대책을 세우지 않았다면, 중대재해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 반면, 중대재해법이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안전대책을 세워놨다면, 사장은 처벌을 피할 수 있다.여기서 중대재해법의 한계가 드러난다. 기업 경영자가 아무리 제도를 완벽하게 만들어도 현장을 일일이 통제할 수 없다. 통상적으로 산업재해 사고의 80%는 현장 책임자 또는 근로자의 사소한 실수, 이른바 ‘휴먼 에러’가 원인이다. 실수로 안전 규정을 어기거나, 일을 빨리 처리하기 위해 요령을 피우는 등의 일탈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다반사다.2022년 4월 H솔루텍 직원 사망 사건은 근로자 일탈이 사고로 이어진 사례다. 당시 에어컨 실외기를 점검하던 중 추락해 숨졌다. 중대재해 사고였지만, H솔루텍과 대표이사는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해당 사고는 근로자가 책임자의 사전 승인 없이,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채 일을 하다 발생한 사고였기 때문이다.회사는 중대재해법에서 지정한 대로 안전보건관리의무를 착실히 이행했다.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직원의 사소한 일탈로 인한 사고를 막지 못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사법당국은 경영인이 정한 절차를 벗어나 근로자가 사망한 사고로, 사업주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한 피해도 중대재해법만으로는 막기 힘들다. 실질적인 안전조치 강구보다는 경영 시스템상 안전관리체계 점검에만 치중하는 탓이다. 2022년 당시 P공업사 근로자 사망 사고가 대표적이다. 근로자 A씨와 외국인 근로자 B씨는 하청 업체 소속으로 P공업사의 제4공장에서 압축 성형기를 이용해 ‘베어링 씰’ 성형 작업을 담당했다. B씨는 작업 편의를 위해 본래 목적과 달리 금속링과 고무링을 안착시키는 용도로 수공구를 사용했다.그러던 중 2022년 2월 수공구가 압축 성형기 압력으로 찌그러지다가 튕겨 나와 A씨의 머리에 부딪혔고 A씨는 외상서성 뇌출혈로 사망했다. 당시 재판부는 “중대재해의 결과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돼야 하는데, 수공구가 끼어들어가 튕겨 나오는 경우를 예견할 수 없었다”고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 예상하지 못한 돌발 사고까지 일일이 경영진이 막을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익명의 법조계 관계자는 “중대재해 사고 중 망인(亡人)의 잘못으로 일어난 사고도 꽤 있다. 또 위험한 작업이 많은 사업장의 경우 예상을 벗어난 돌발 사고도 적잖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중대재해법이 이런 사고까지 막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원인 2 달라진 산업 현장외국인 근로자 늘고 고령화 심화중대재해법 효과가 반감하는 배경에는 산업 현장의 변화도 자리한다. 산업재해 사고가 빈발한 건설, 제조 현장 등은 젊은 한국인이 기피하는 일자리다. 국내 근로자는 모두 빠져나갔고, 빈자리는 외국인 근로자가 채우고 있다.외국 인력은 현장 통제가 어렵다. 한국말이 서투른 탓에 말이 잘 통하지 않고, 한글로 적힌 안전통제수칙도 이해하기 힘들어한다. 현장 관리자가 과거처럼 제대로 교육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최근 들어서는 현장 관리자마저도 외국인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건설 업계 관계자는 “건설 현장에 가면 한국어보다 외국어가 더 빈번히 쓰인다. 언어 장벽, 문화 차이 등의 문제로 현장 관리자들이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아무리 우수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해도 현장에 그대로 적용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외국인 근로자 산재는 매년 증가 추세다.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3분기까지 산재 승인이 완료된 전체 사고 산재 사망자는 617명으로, 이 중 80명이 외국인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고 산재는 질병이 아니라 현장 사고로 발생한 산재를 말한다. 사고 산재 사망자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9.7%에서 2023년 10.4%, 2024년(19월)엔 12.9%로 꾸준히 증가했다.2024년 5월 기준 국내 외국인 취업자는 101만명으로 국내 전체 취업자(2857만6000명)의 3.5%에 불과하다. 이를 감안하면 외국인이 업무 도중 사고로 사망할 확률이 내국인에 비해 훨씬 높은 셈이다. 지난해 23명이 사망한 경기도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의 경우 18명이 외국인 근로자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산재 신청도 전년 대비 6.5% 증가한 1만161건으로 처음으로 1만건을 넘어섰다.현장 근로자 고령화도 사고를 막기 힘든 요인으로 꼽힌다. 젊은 근로자의 산업 현장 기피 현상으로 건설·제조업은 근로자 고령화가 심각하다. 신체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층은 갑작스러운 사고에 대처하기 힘들어 사고 발생 시 사망 확률이 높다.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2024년 3분기 누적 기준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 중 50세 이상 비중은 71.1%에 달했다. 원인 3 중소기업엔 유명무실안전보건체계 구축 부담 커져영세한 중소기업엔 사실상 ‘유명무실’한 제도란 점도 중대재해법의 허점 중 하나다. 대다수 중소기업이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할 인력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법이 정한 최소한의 안전 가이드라인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상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50인 미만 중소기업 70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절반가량인 47%가 중대재해법을 대비할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사실상 구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중소기업들이 대응조차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력 부족’과 ‘비용 부담’이다. 중대재해법은 안전보건관리자 선임과 재해 예방 설비 마련을 의무화했다. 당장 기업을 운영할 인력과 예산도 부족한 중소기업 입장에선 안전관리체계 구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건설 업계 관계자는 “중소 건설사들은 건설 업체이지 안전 업체가 아니다”라며 “현장에 필요한 설계, 공무, 토목 인력을 충원하기도 빠듯한데, 안전 인력을 추가로 채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펌프 제조 업체 C사 관계자는 “대기업은 필요한 만큼 비용을 투자해 안전보건관리체계를 확립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그럴 예산 여력 자체가 없고 생산 현장에서 가장 젊은 사람도 50대 근로자”라고 들려줬다.정부는 예산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공동안전관리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현장 반응은 미지근할 뿐이다. 공동안전관리자는 지역·업종별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공동으로 구축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정부가 운영비 일부를 지원한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안전관리자 몸값 부담으로 이를 외면하는 분위기다.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공동안전관리자 지원 사업 채용률은 50.8%에 불과했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중대재해법 대응을 위해 정부 지원을 신청했지만, 전문가들이 실태 지적만 하고 돌아갔다”며 “수천만원씩 드는 시설 개선과 인력 선임을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원인 4 오락가락 고무줄 양형자체 양형 기준 없어 판결 뒤죽박죽오락가락 양형 기준도 중대재해법을 향한 현장의 불신을 부른다. 법 시행 3년이 지났지만, 자체 양형 기준이 없다. 더욱이 판사 여러 명이 심리하는 합의부가 아니라 단독 판사가 심리한다. 판사별로 형량 편차가 큰 탓에, 비슷한 사안을 두고도 판결이 뒤죽박죽이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중대재해전문변호사는 “중대재해법은 구체적인 양형 기준이 없고, 관련 하급심 판례도 찾아보기 어렵다”며 “변호사조차 형량을 예측하기 어려워 ‘어떻게든 중대재해법에 걸리지 않아야 한다’는 식으로 자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모호한 양형 기준은 기업들이 가장 크게 우려하는 부분이다. 한 중소 제조 업체 관계자는 “중대재해법 자체가 복잡하고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지침서를 읽고 관련 컨설팅을 받아도 대비를 어느 수준까지 해야 하는지, 어떤 경우에 처벌받는지 파악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익명을 요구한 식품 제조 업체 관계자는 “사고라는 게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데 사업을 총괄한다는 이유만으로 ‘1년 이상 징역’으로 처벌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중소기업의 경우 대표가 구속되면 기업은 문을 닫고 근로자는 실직자가 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중소기업 현장은 중대재해법상 불명확한 문구로 어느 수준까지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지 예측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명확하지 않은 표현을 구체화시켜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중기중앙회 관계자 의견도 비슷한 맥락이다. (기사 원문에서 계속) 김경민 매경이코노미 기자(kmkim@mk.co.kr)반진욱 매경이코노미 기자(halfnuk@mk.co.kr)조동현 매경이코노미 기자(cho.donghyun@mk.co.kr) [기사전문보기] 사상자 오히려 늘어났다...중대재해처벌법 무용지물? [스페셜리포트]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2-19
동료 넘어뜨리고 때린 60대 ‘불기소’…“온전한 피의자 책임 아냐”
동료 넘어뜨리고 때린 60대 ‘불기소’…“온전한 피의자 책임 아냐”
술자리서 말다툼 중 몸싸움피해자, 전치 6주 상해 입어검찰 “서로 멱살 잡는 과정” 동료를 폭행한 남성이 검찰에 넘겨졌으나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은 지난해 12월 23일 폭행치상 혐의를 받는 60대 남성 A 씨에게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지난해 9월 동료 B 씨의 멱살을 잡아 밀쳐 넘어뜨리고 폭행해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조사 결과 두 사람은 술을 마시던 중 말다툼을 하다 몸싸움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B 씨는 갈비뼈가 골절되는 등 전치 6주의 상해 진단을 받았다.A 씨는 혐의를 모두 인정했다. 다만, 술에 취해 B 씨의 멱살을 잡는 과정에서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해 넘어지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검찰은 A 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검찰은 “이 사건으로 피해자가 입은 상해의 정도가 가볍지 않다”면서도 “피해자는 서로 멱살을 잡고 흔드는 과정에서 넘어진 것으로 보여 상해 결과를 온전히 피의자의 책임으로 돌리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이어 “피해자도 상대가 본인을 다치게 할 의도가 없었다고 진술했다”면서 “피의자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며 반성하고 있고 서로 원만히 합의한 점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이번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강정훈 변호사는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폭행죄와 달리 폭행치상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사건 경위에 참작할 만한 사유와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 등이 인정돼 형사 처분을 피한 사례”라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동료 넘어뜨리고 때린 60대 ‘불기소’…“온전한 피의자 책임 아냐”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2-19
동료 넘어뜨리고 때린 60대 ‘불기소’…“온전한 피의자 책임 아냐”
동료 넘어뜨리고 때린 60대 ‘불기소’…“온전한 피의자 책임 아냐”
술자리서 말다툼 중 몸싸움피해자, 전치 6주 상해 입어검찰 “서로 멱살 잡는 과정” 동료를 폭행한 남성이 검찰에 넘겨졌으나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은 지난해 12월 23일 폭행치상 혐의를 받는 60대 남성 A 씨에게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A 씨는 지난해 9월 동료 B 씨의 멱살을 잡아 밀쳐 넘어뜨리고 폭행해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조사 결과 두 사람은 술을 마시던 중 말다툼을 하다 몸싸움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B 씨는 갈비뼈가 골절되는 등 전치 6주의 상해 진단을 받았다.A 씨는 혐의를 모두 인정했다. 다만, 술에 취해 B 씨의 멱살을 잡는 과정에서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해 넘어지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검찰은 A 씨에게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검찰은 “이 사건으로 피해자가 입은 상해의 정도가 가볍지 않다”면서도 “피해자는 서로 멱살을 잡고 흔드는 과정에서 넘어진 것으로 보여 상해 결과를 온전히 피의자의 책임으로 돌리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이어 “피해자도 상대가 본인을 다치게 할 의도가 없었다고 진술했다”면서 “피의자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며 반성하고 있고 서로 원만히 합의한 점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이번 사건에서 A 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강정훈 변호사는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폭행죄와 달리 폭행치상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사건 경위에 참작할 만한 사유와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 등이 인정돼 형사 처분을 피한 사례”라고 말했다. 디지털콘텐츠팀 [기사전문보기] 동료 넘어뜨리고 때린 60대 ‘불기소’…“온전한 피의자 책임 아냐”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19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 기준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 기준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이혼 시 재산분할의 기준 시점을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 기준 시점에 각자가 보유한 재산이 곧 분할 대상(분할대상재산)이 되기 때문이다. 법원은 ①"원칙적으로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과 그 액수는 이혼 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정한다"라고 하면서도, ②"금전과 같이 소비나 은닉이 용이하고, 기준 시점을 달리했을 때 중복 합산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혼인 관계의 파탄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분할 대상과 액수를 정한다"고 보고 있다.①을 쉽게 풀면 이렇다. 먼저 '사실심'이란 우리나라의 3심 제도에서 1심과 2심을 말한다. 1심과 2심 재판부는 쌍방의 주장과 제출한 증거에 따라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법적 판단의 대상이 되는 어떠한 '사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정한 후 그에 따른 법률적 판단을 수행한다. 즉 '사실'을 판단할 수 있기에 '사실심'이라고 한다.반면 3심인 대법원은 '사실심'에서 확정한 '사실'은 건드리지 않은 채 '법률'만을 판단한다. '사실심'의 판단에 대한 법률적 검토만을 한 번 더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3심을 '법률심'이라고도 부른다.즉 이혼 소송이 2심까지 진행되었다면 2심의 마지막 변론기일(변론종결일), 1심에서 그쳤다면 1심의 마지막 변론기일을 재산분할 기준 시점으로 삼으면 되는 것이다.②도 쉽게 풀어 보자. '혼인 관계의 파탄 시점'이란 말 그대로 부부 사이의 혼인 관계가 더 이상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깨진 시점이라는 뜻이다. 이는 개개의 사건마다 다를 것이나, 주로는 일방이 이혼 소송을 제기한 때를 파탄 시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별거가 시작된 때를 파탄 시점으로 보기도 한다.소비나 은닉이 쉬운 금전, 대표적으로 은행 예금과 같은 금융자산의 경우에는 이혼 소송을 제기한 시점(법원에 소장을 접수한 시점)을 재산분할의 기준 시점으로 보면 된다.구체적인 예를 들어 보겠다. 이혼 소송을 제기한 당시 A가 10억원 상당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고 가정하자. 이 아파트의 시세가 사실심 변론종결일에 이르러 15억원이 됐다고 했을 때, 재산분할에 있어 이 아파트의 가액은 얼마인가.답은 15억원이다. 재산분할의 대상과 그 액수는 원칙적으로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정해지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만일 A가 소송 중간에 위 아파트를 12억원에 매도한 경우는 어떻게 될까.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A는 아파트의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위 아파트를 분할대상재산으로 볼 수는 없다. 다만 이 경우에는 A가 아파트 매도대금 상당액인 12억원의 분할대상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다음으로, 이혼 소송을 제기한 당시 A가 10억원의 은행 예금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예금액이 사실심 변론종결일에 이르러 15억원까지 불어났다. 그렇다면 분할대상이 되는 예금액은 얼마인가.답은 10억원이다. 금융자산의 분할 기준 시점은 일반적으로 이혼 소송을 제기한 시점으로 보면 되기 때문이다.이런 식으로 부동산, 자동차, 예금, 보험, 주식 등 다양한 개별적 재산들을 기준 시점에 따라 하나하나 분할 대상에 포함할 것인지, 제외할 것인지, 그 가액은 얼마로 볼 것인지 따져가는 과정이 재산분할의 핵심인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 기준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19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 기준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 기준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이혼 시 재산분할의 기준 시점을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 기준 시점에 각자가 보유한 재산이 곧 분할 대상(분할대상재산)이 되기 때문이다. 법원은 ①"원칙적으로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과 그 액수는 이혼 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정한다"라고 하면서도, ②"금전과 같이 소비나 은닉이 용이하고, 기준 시점을 달리했을 때 중복 합산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혼인 관계의 파탄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분할 대상과 액수를 정한다"고 보고 있다.①을 쉽게 풀면 이렇다. 먼저 '사실심'이란 우리나라의 3심 제도에서 1심과 2심을 말한다. 1심과 2심 재판부는 쌍방의 주장과 제출한 증거에 따라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법적 판단의 대상이 되는 어떠한 '사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정한 후 그에 따른 법률적 판단을 수행한다. 즉 '사실'을 판단할 수 있기에 '사실심'이라고 한다.반면 3심인 대법원은 '사실심'에서 확정한 '사실'은 건드리지 않은 채 '법률'만을 판단한다. '사실심'의 판단에 대한 법률적 검토만을 한 번 더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3심을 '법률심'이라고도 부른다.즉 이혼 소송이 2심까지 진행되었다면 2심의 마지막 변론기일(변론종결일), 1심에서 그쳤다면 1심의 마지막 변론기일을 재산분할 기준 시점으로 삼으면 되는 것이다.②도 쉽게 풀어 보자. '혼인 관계의 파탄 시점'이란 말 그대로 부부 사이의 혼인 관계가 더 이상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깨진 시점이라는 뜻이다. 이는 개개의 사건마다 다를 것이나, 주로는 일방이 이혼 소송을 제기한 때를 파탄 시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별거가 시작된 때를 파탄 시점으로 보기도 한다.소비나 은닉이 쉬운 금전, 대표적으로 은행 예금과 같은 금융자산의 경우에는 이혼 소송을 제기한 시점(법원에 소장을 접수한 시점)을 재산분할의 기준 시점으로 보면 된다.구체적인 예를 들어 보겠다. 이혼 소송을 제기한 당시 A가 10억원 상당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고 가정하자. 이 아파트의 시세가 사실심 변론종결일에 이르러 15억원이 됐다고 했을 때, 재산분할에 있어 이 아파트의 가액은 얼마인가.답은 15억원이다. 재산분할의 대상과 그 액수는 원칙적으로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정해지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만일 A가 소송 중간에 위 아파트를 12억원에 매도한 경우는 어떻게 될까.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A는 아파트의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위 아파트를 분할대상재산으로 볼 수는 없다. 다만 이 경우에는 A가 아파트 매도대금 상당액인 12억원의 분할대상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다음으로, 이혼 소송을 제기한 당시 A가 10억원의 은행 예금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예금액이 사실심 변론종결일에 이르러 15억원까지 불어났다. 그렇다면 분할대상이 되는 예금액은 얼마인가.답은 10억원이다. 금융자산의 분할 기준 시점은 일반적으로 이혼 소송을 제기한 시점으로 보면 되기 때문이다.이런 식으로 부동산, 자동차, 예금, 보험, 주식 등 다양한 개별적 재산들을 기준 시점에 따라 하나하나 분할 대상에 포함할 것인지, 제외할 것인지, 그 가액은 얼마로 볼 것인지 따져가는 과정이 재산분할의 핵심인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 기준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5-02-19
[로펌 zip중탐구] 변협 앞에서 멈춘 ‘법률 AI’…“합의점 찾아야”
[로펌 zip중탐구] 변협 앞에서 멈춘 ‘법률 AI’…“합의점 찾아야”
대륙아주·대륜 AI 서비스 두고 논란변호사법 위반 vs 리걸테크 산업 위축변협 집행부 교체…변화 가능성 주목 인공지능(AI) 기술과 법률 서비스를 결합한 챗봇, 중계 플랫폼 등 AI 법률 서비스 열풍이 뜨거운 가운데 갑론을박도 잇따르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변협)에서 일부 로펌에서 출시한 AI 법률 서비스에 대해 변호사법상 광고 금지 규정 위반을 이유로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어서다. 로펌업계에서는 변협이 '척화비'를 세우고 강경 일변도로 나가고 있다며 서로 합의점을 찾아나가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19일 로펌업계에 따르면 변협은 최근 법무법인 대륜의 AI 기반 법률 서비스 'AI 대륜'에 대한 징계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AI 대륜은 변호사들의 각종 법률 서류 작성을 지원하고 사용자 질문에 법리적인 해석과 다양한 판례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법률 시장에서 AI 활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 판단해 이 같은 서비스를 내놨다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변협은 'AI 대륜'이 변호사법 규정 위반인지를 따지겠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0월 제정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5조(변호사 등은 소비자가 인공지능 등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게 하거나 소비자에게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방식, 내용의 광고를 할 수 없다)'에 반한다는 것이다. 대륜은 이 같은 규정이 언론출판·직업수행·영업 자유 등을 침해한다며 지난달 17일 헌법소원을 제기했다.변협은 지난해 11월 법무법인 대륙아주에서 출시한 'AI 대륙아주'에 대해서도 대표변호사 및 소속 변호사 총 6명을 대상으로 변호사법 위반을 이유로 과태료·견책 처분을 내렸다. 변협은 AI 챗봇이 변호사 업무를 대신하는 점, AI 답변 하단에 네이버 광고가 게재된 점 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대륙아주 역시 변협 징계에 불복해 지난달 7일 법무부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로펌업계는 변협이 제제만 일삼으면서 전체 법률시장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판사 출신 한 변호사는 "AI 기반 법률 플랫폼을 무조건 금지하는 것은 오히려 국내 리걸테크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국내 AI 법률 서비스를 규제할 경우, 결국 해외 AI 서비스가 국내 시장을 점유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에 이를 단순히 규제하는 것이 아닌 활용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진단했다.다만 법률시장이 'AI 만능주의'에 매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이어졌다. 소송과 같은 민감한 분쟁에서 AI의 잘못된 판단을 따르다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재식 법무법인 에이펙스 변호사는 "세컨드 오피니언으로 AI를 이용하는 것은 찬성하지만, 인간의 판단을 배제하고 전적으로 AI를 활용하는 것은 반대한다"며 "AI 의존에 대한 상업적 이용을 허가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오는 24일 취임을 앞둔 김정욱 신임 변협 회장이 '플랫폼 및 AI 대응 협의체 구성'을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법률 플랫폼·AI 활용에 대한 기류 변화가 있을지도 관심이 모인다. 한 변협 관계자는 "차기 집행부도 (AI에 대해) 현재와 동일한 선상으로 갈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집행부가 바뀌면 어떤 식으로든 이를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협의나 타협안을 찾을 것인지 논의가 있지 않겠나"고 말했다. 김형준 기자(dhkd7979@naver.com) [기사전문보기] [로펌 zip중탐구] 변협 앞에서 멈춘 ‘법률 AI’…“합의점 찾아야”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5-02-19
[로펌 zip중탐구] 변협 앞에서 멈춘 ‘법률 AI’…“합의점 찾아야”
[로펌 zip중탐구] 변협 앞에서 멈춘 ‘법률 AI’…“합의점 찾아야”
대륙아주·대륜 AI 서비스 두고 논란변호사법 위반 vs 리걸테크 산업 위축변협 집행부 교체…변화 가능성 주목 인공지능(AI) 기술과 법률 서비스를 결합한 챗봇, 중계 플랫폼 등 AI 법률 서비스 열풍이 뜨거운 가운데 갑론을박도 잇따르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변협)에서 일부 로펌에서 출시한 AI 법률 서비스에 대해 변호사법상 광고 금지 규정 위반을 이유로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어서다. 로펌업계에서는 변협이 '척화비'를 세우고 강경 일변도로 나가고 있다며 서로 합의점을 찾아나가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19일 로펌업계에 따르면 변협은 최근 법무법인 대륜의 AI 기반 법률 서비스 'AI 대륜'에 대한 징계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AI 대륜은 변호사들의 각종 법률 서류 작성을 지원하고 사용자 질문에 법리적인 해석과 다양한 판례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법률 시장에서 AI 활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 판단해 이 같은 서비스를 내놨다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변협은 'AI 대륜'이 변호사법 규정 위반인지를 따지겠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0월 제정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5조(변호사 등은 소비자가 인공지능 등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게 하거나 소비자에게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방식, 내용의 광고를 할 수 없다)'에 반한다는 것이다. 대륜은 이 같은 규정이 언론출판·직업수행·영업 자유 등을 침해한다며 지난달 17일 헌법소원을 제기했다.변협은 지난해 11월 법무법인 대륙아주에서 출시한 'AI 대륙아주'에 대해서도 대표변호사 및 소속 변호사 총 6명을 대상으로 변호사법 위반을 이유로 과태료·견책 처분을 내렸다. 변협은 AI 챗봇이 변호사 업무를 대신하는 점, AI 답변 하단에 네이버 광고가 게재된 점 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대륙아주 역시 변협 징계에 불복해 지난달 7일 법무부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로펌업계는 변협이 제제만 일삼으면서 전체 법률시장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판사 출신 한 변호사는 "AI 기반 법률 플랫폼을 무조건 금지하는 것은 오히려 국내 리걸테크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국내 AI 법률 서비스를 규제할 경우, 결국 해외 AI 서비스가 국내 시장을 점유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에 이를 단순히 규제하는 것이 아닌 활용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진단했다.다만 법률시장이 'AI 만능주의'에 매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이어졌다. 소송과 같은 민감한 분쟁에서 AI의 잘못된 판단을 따르다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재식 법무법인 에이펙스 변호사는 "세컨드 오피니언으로 AI를 이용하는 것은 찬성하지만, 인간의 판단을 배제하고 전적으로 AI를 활용하는 것은 반대한다"며 "AI 의존에 대한 상업적 이용을 허가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오는 24일 취임을 앞둔 김정욱 신임 변협 회장이 '플랫폼 및 AI 대응 협의체 구성'을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법률 플랫폼·AI 활용에 대한 기류 변화가 있을지도 관심이 모인다. 한 변협 관계자는 "차기 집행부도 (AI에 대해) 현재와 동일한 선상으로 갈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집행부가 바뀌면 어떤 식으로든 이를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협의나 타협안을 찾을 것인지 논의가 있지 않겠나"고 말했다. 김형준 기자(dhkd7979@naver.com) [기사전문보기] [로펌 zip중탐구] 변협 앞에서 멈춘 ‘법률 AI’…“합의점 찾아야” (바로가기)
부산일보
2025-02-19
층간소음 갈등 이웃에 흉기 들고 찾아가려다 제지당했는데… 징역 4개월
층간소음 갈등 이웃에 흉기 들고 찾아가려다 제지당했는데… 징역 4개월
윗집 이웃에 대한 스토킹 혐의로 재판 받던 중 범행"미수에 그쳤지만 흉기 미리 준비, 실형 못 면해" 수년간 층간소음으로 갈등을 겪던 남성이 흉기로 이웃을 위협하려다 실형을 선고받았다. 층간소음이 단순한 이웃 간 불화를 넘어 때로는 강력범죄로까지 이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부산지법 서부지원 형사3단독 김현주 판사는 19일 특수협박미수 혐의로 구속기소 된 30대 남성 A 씨에게 징역 4개월을 선고했다.A 씨는 자신의 집 위층에 거주하는 50대 여성 B 씨와 2022년 초부터 층간소음 문제로 갈등으로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었다. 그러던 중 A 씨는 지난해 11월 11일 오전 8시 25분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게 위층에서 층간소음과 관련된 신고를 했다는 취지의 말을 들었다. 이에 격분한 A 씨는 자신의 작은 방 안에 있던 흉기를 손에 들고 현관문을 나가면서 “내가 위의 것들 죽여버린다”며 고함을 쳤다. 하지만 현관문 앞에서 경찰관으로부터 제지를 당해 범행이 미수에 그쳤다.김 판사는 “범행이 미수에 그쳐 피해자가 피고인의 특수협박 행위를 인식하지 못했지만, A 씨는 B 씨에 대한 스토킹 범죄로 재판을 받는 와중에 범행했고, 흉기를 미리 준비해 놓고 있었고 흉기를 들었다는 점에서 실형을 면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최근 층간소음 갈등이 스토킹처벌법에 적용되는 사례까지 발생하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8월 부산지법은 스토킹 범죄 처벌법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70대 남성에게 징역 1년 2개월을 선고했다. 이 남성은 30대 여성 혼자 이사 온 윗집에 지속적으로 찾아가 항의나 욕설을 하고 야구 방망이를 들고 찾아가 현관문을 내리치기도 했다.다만, 일부 판결에선 무죄가 선고되며 스토킹 혐의 적용 기준에 관심이 집중된다. 지난해 5월 서울중앙지법은 스토킹처벌법 위반, 상해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은 C 씨가 2017년 5월부터 2021년 6월까지 17회에 걸쳐 야간에 욕설 등 행패를 부려 D 씨에게 불면증·불안장애 등 상해를 가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해자에게 스토킹을 하고 위협 등 행위로 불면증과 불안장애의 상해를 입혔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법조계는 스토킹 범죄는 특정 행위를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해 상대방에게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유발할 때 성립된다고 설명한다. 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 변호사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이 심화하면서 상대방이 원치 않는 연락, 접근, 감시 등의 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결과적으로 스토킹 범죄의 법적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있다”며 “따라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법적 리스크를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성현 기자(kksh@busan.com) [기사전문보기] 층간소음 갈등 이웃에 흉기 들고 찾아가려다 제지당했는데… 징역 4개월 (바로가기)
부산일보
2025-02-19
층간소음 갈등 이웃에 흉기 들고 찾아가려다 제지당했는데… 징역 4개월
층간소음 갈등 이웃에 흉기 들고 찾아가려다 제지당했는데… 징역 4개월
윗집 이웃에 대한 스토킹 혐의로 재판 받던 중 범행"미수에 그쳤지만 흉기 미리 준비, 실형 못 면해" 수년간 층간소음으로 갈등을 겪던 남성이 흉기로 이웃을 위협하려다 실형을 선고받았다. 층간소음이 단순한 이웃 간 불화를 넘어 때로는 강력범죄로까지 이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부산지법 서부지원 형사3단독 김현주 판사는 19일 특수협박미수 혐의로 구속기소 된 30대 남성 A 씨에게 징역 4개월을 선고했다.A 씨는 자신의 집 위층에 거주하는 50대 여성 B 씨와 2022년 초부터 층간소음 문제로 갈등으로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었다. 그러던 중 A 씨는 지난해 11월 11일 오전 8시 25분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게 위층에서 층간소음과 관련된 신고를 했다는 취지의 말을 들었다. 이에 격분한 A 씨는 자신의 작은 방 안에 있던 흉기를 손에 들고 현관문을 나가면서 “내가 위의 것들 죽여버린다”며 고함을 쳤다. 하지만 현관문 앞에서 경찰관으로부터 제지를 당해 범행이 미수에 그쳤다.김 판사는 “범행이 미수에 그쳐 피해자가 피고인의 특수협박 행위를 인식하지 못했지만, A 씨는 B 씨에 대한 스토킹 범죄로 재판을 받는 와중에 범행했고, 흉기를 미리 준비해 놓고 있었고 흉기를 들었다는 점에서 실형을 면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최근 층간소음 갈등이 스토킹처벌법에 적용되는 사례까지 발생하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8월 부산지법은 스토킹 범죄 처벌법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70대 남성에게 징역 1년 2개월을 선고했다. 이 남성은 30대 여성 혼자 이사 온 윗집에 지속적으로 찾아가 항의나 욕설을 하고 야구 방망이를 들고 찾아가 현관문을 내리치기도 했다.다만, 일부 판결에선 무죄가 선고되며 스토킹 혐의 적용 기준에 관심이 집중된다. 지난해 5월 서울중앙지법은 스토킹처벌법 위반, 상해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은 C 씨가 2017년 5월부터 2021년 6월까지 17회에 걸쳐 야간에 욕설 등 행패를 부려 D 씨에게 불면증·불안장애 등 상해를 가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해자에게 스토킹을 하고 위협 등 행위로 불면증과 불안장애의 상해를 입혔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법조계는 스토킹 범죄는 특정 행위를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해 상대방에게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유발할 때 성립된다고 설명한다. 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 변호사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이 심화하면서 상대방이 원치 않는 연락, 접근, 감시 등의 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결과적으로 스토킹 범죄의 법적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있다”며 “따라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법적 리스크를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성현 기자(kksh@busan.com) [기사전문보기] 층간소음 갈등 이웃에 흉기 들고 찾아가려다 제지당했는데… 징역 4개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17
인허가 비리 연루 공무원들 1심 이어 항소심도 '무죄'
인허가 비리 연루 공무원들 1심 이어 항소심도 '무죄'
부동산개발업체의 청탁을 받고 허위 공문서를 작성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공무원들이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제6-3형사부는 지난해 12월 17일 허위공문서작성, 허위작성공문서행사, 위계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 등 7명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을 열고, 1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2년 한 지자체 공무원으로 근무하며, 부동산개발업체 B사로부터 청탁을 받고 건축 관련 인허가 편의를 봐준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B사는 당시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특정 부지에 공동집배송센터를 건축하겠다는 내용의 서류를 지자체 관할 부서에 제출했는데, 검찰은 A씨가 B사의 이같은 요청이 현행법에 어긋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허위 공문을 작성한 것으로 봤습니다.검찰은 또, 지식산업센터와 오피스텔을 주용도로 한 B사의 공동집배송센터는 공공복리 향상이라는 도시계획시설의 목적에 반했고, 본래 목적과 다른 개발행위를 하기 위한 변경 절차를 수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이와 함께 B사가 정당한 사업 시행자 지정 요건도 충족하지 못해 개발행위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며, A씨 등이 이러한 사실을 알았지만 묵인했다고 강조했습니다.1심 재판부는 지난해 1월 이들 모두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먼저 A씨 등이 공문서 작성 과정에서 사실관계를 거짓으로 기재해 법령을 적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법령 등을 잘못 적용하거나 적용해야 할 법령을 적용하지 않은 잘못이 있더라도, 그 적용의 전제가 된 사실관계에 대해 거짓된 기재가 없다면 허위공문서작성죄가 성립할 수 없다는 겁니다.또 재판부는 문서가 작성될 당시, B사를 사업 시행자로 지정하는 행위를 법적으로 금지시키거나 불가능하게 할 만한 명확한 법리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아울러 B사가 짓고자 했던 공동집배송센터가 종전 도시계획시설 목적에 실제 저촉되는지, 또 인허가 이전에 별도의 변경 절차를 반드시 밟았어야 했는지에 대해서도 여러 이견이 있어 결론이 쉽게 도출되는 상태가 아니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재판부는 "공무원인 피고인이 법령 해석이 확립되기 전에 어느 한 견해를 택해 업무를 처리했던 것이 결과적으로 위법하게 됐다는 이유로, 업무 처리 당시 허위공문서작성죄 등에 관한 고의가 있었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이같은 무죄 판결에 검찰이 불복했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 판단에 사실오인 및 법리오해의 잘못은 없다며 항소를 기각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유한 대륜 안승진 변호사는 "당시 A씨는 적법한 법해석에 따른 행정 절차를 밟았다"며 "검찰 주장과 달리 당시 B사의 사업계획은 기존 도시계획시설의 목적 및 내용과 다르지 않았다는 점과, 공소사실에 설시된 법 위반 사항들이야말로 잘못된 법해석에 기초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인허가 비리 연루 공무원들 1심 이어 항소심도 '무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17
인허가 비리 연루 공무원들 1심 이어 항소심도 '무죄'
인허가 비리 연루 공무원들 1심 이어 항소심도 '무죄'
부동산개발업체의 청탁을 받고 허위 공문서를 작성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공무원들이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제6-3형사부는 지난해 12월 17일 허위공문서작성, 허위작성공문서행사, 위계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 등 7명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을 열고, 1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2년 한 지자체 공무원으로 근무하며, 부동산개발업체 B사로부터 청탁을 받고 건축 관련 인허가 편의를 봐준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B사는 당시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특정 부지에 공동집배송센터를 건축하겠다는 내용의 서류를 지자체 관할 부서에 제출했는데, 검찰은 A씨가 B사의 이같은 요청이 현행법에 어긋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허위 공문을 작성한 것으로 봤습니다.검찰은 또, 지식산업센터와 오피스텔을 주용도로 한 B사의 공동집배송센터는 공공복리 향상이라는 도시계획시설의 목적에 반했고, 본래 목적과 다른 개발행위를 하기 위한 변경 절차를 수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이와 함께 B사가 정당한 사업 시행자 지정 요건도 충족하지 못해 개발행위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며, A씨 등이 이러한 사실을 알았지만 묵인했다고 강조했습니다.1심 재판부는 지난해 1월 이들 모두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재판부는 먼저 A씨 등이 공문서 작성 과정에서 사실관계를 거짓으로 기재해 법령을 적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법령 등을 잘못 적용하거나 적용해야 할 법령을 적용하지 않은 잘못이 있더라도, 그 적용의 전제가 된 사실관계에 대해 거짓된 기재가 없다면 허위공문서작성죄가 성립할 수 없다는 겁니다.또 재판부는 문서가 작성될 당시, B사를 사업 시행자로 지정하는 행위를 법적으로 금지시키거나 불가능하게 할 만한 명확한 법리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아울러 B사가 짓고자 했던 공동집배송센터가 종전 도시계획시설 목적에 실제 저촉되는지, 또 인허가 이전에 별도의 변경 절차를 반드시 밟았어야 했는지에 대해서도 여러 이견이 있어 결론이 쉽게 도출되는 상태가 아니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재판부는 "공무원인 피고인이 법령 해석이 확립되기 전에 어느 한 견해를 택해 업무를 처리했던 것이 결과적으로 위법하게 됐다는 이유로, 업무 처리 당시 허위공문서작성죄 등에 관한 고의가 있었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이같은 무죄 판결에 검찰이 불복했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 판단에 사실오인 및 법리오해의 잘못은 없다며 항소를 기각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유한 대륜 안승진 변호사는 "당시 A씨는 적법한 법해석에 따른 행정 절차를 밟았다"며 "검찰 주장과 달리 당시 B사의 사업계획은 기존 도시계획시설의 목적 및 내용과 다르지 않았다는 점과, 공소사실에 설시된 법 위반 사항들이야말로 잘못된 법해석에 기초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인허가 비리 연루 공무원들 1심 이어 항소심도 '무죄' (바로가기)
부산일보
2025-02-17
“시공 맡은 기업이 현장 화재에 책임” [반얀트리 화재]
“시공 맡은 기업이 현장 화재에 책임” [반얀트리 화재]
호텔 운영사 사업권 맡기 전엔공사 중인 시공사 책임론 우세 6명이 숨지고 27명이 다친 부산 기장군의 최고급 호텔·리조트 공사 현장 화재의 법적 책임 소재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법조계에선 건설 현장을 직접 관리·감독한 시공사에 대한 법적 책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17일 부산경찰청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장군 연화리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호텔 앤드 리조트’ 화재 현장은 시공사가 지난해 11월까지 책임준공하고 있었지만, 기한을 넘겨 공사를 진행해 왔다. 화재 당시 현장에서는 40여 개 하도급업체 근로자 841명이 여러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곳곳에 자재가 쌓여있었다.법조계에선 시공사가 법적인 책임을 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 변호사는 “현재 시행사와 시공사 모두 다른 업체로 알려져 있는데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고 건설 현장을 관리·감독한 시공사는 책임을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나침반 송영인 변호사는 “시공사와 도급이나 협력 업체의 책임이 인정될 여지가 크다”며 “시행사는 특별한 약정 등이 없다면 책임 소재는 시공사보다 적을 수 있다”고 말했다.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도 관건이다. 법무법인 시우 최재원 변호사는 “구체적으로 사건의 개요를 따져봐야 하겠지만 근로자가 6명이나 사망해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될 가능성이 충분한데, 업무 지침이나 안전 관리 등이 제대로 지켜졌는지가 가장 중요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한 변호사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은 어쩔 수 없어 보이지만, 피해자나 유가족에 대한 보상 문제도 다뤄야 해 책임 소재에 대한 복잡한 법적 다툼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숨진 노동자 보험 가입 여부도 논란이다.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고용, 산재보험에 모두 가입해야 한다. 일용직 노동자도 물론 가입 대상이다. 화재로 숨진 A(44) 씨의 유족은 A 씨가 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다만 근로복지공단 측은 “사고 현장은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에 일괄 가입돼 있다”고 밝혔다. 김성현 기자(kksh@busan.com)양보원 기자(bogiza@busan.com) [기사전문보기] “시공 맡은 기업이 현장 화재에 책임” [반얀트리 화재] (바로가기)
부산일보
2025-02-17
“시공 맡은 기업이 현장 화재에 책임” [반얀트리 화재]
“시공 맡은 기업이 현장 화재에 책임” [반얀트리 화재]
호텔 운영사 사업권 맡기 전엔공사 중인 시공사 책임론 우세 6명이 숨지고 27명이 다친 부산 기장군의 최고급 호텔·리조트 공사 현장 화재의 법적 책임 소재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법조계에선 건설 현장을 직접 관리·감독한 시공사에 대한 법적 책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17일 부산경찰청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장군 연화리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호텔 앤드 리조트’ 화재 현장은 시공사가 지난해 11월까지 책임준공하고 있었지만, 기한을 넘겨 공사를 진행해 왔다. 화재 당시 현장에서는 40여 개 하도급업체 근로자 841명이 여러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곳곳에 자재가 쌓여있었다.법조계에선 시공사가 법적인 책임을 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 변호사는 “현재 시행사와 시공사 모두 다른 업체로 알려져 있는데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고 건설 현장을 관리·감독한 시공사는 책임을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나침반 송영인 변호사는 “시공사와 도급이나 협력 업체의 책임이 인정될 여지가 크다”며 “시행사는 특별한 약정 등이 없다면 책임 소재는 시공사보다 적을 수 있다”고 말했다.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도 관건이다. 법무법인 시우 최재원 변호사는 “구체적으로 사건의 개요를 따져봐야 하겠지만 근로자가 6명이나 사망해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될 가능성이 충분한데, 업무 지침이나 안전 관리 등이 제대로 지켜졌는지가 가장 중요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한 변호사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은 어쩔 수 없어 보이지만, 피해자나 유가족에 대한 보상 문제도 다뤄야 해 책임 소재에 대한 복잡한 법적 다툼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숨진 노동자 보험 가입 여부도 논란이다.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고용, 산재보험에 모두 가입해야 한다. 일용직 노동자도 물론 가입 대상이다. 화재로 숨진 A(44) 씨의 유족은 A 씨가 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다만 근로복지공단 측은 “사고 현장은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에 일괄 가입돼 있다”고 밝혔다. 김성현 기자(kksh@busan.com)양보원 기자(bogiza@busan.com) [기사전문보기] “시공 맡은 기업이 현장 화재에 책임” [반얀트리 화재] (바로가기)
머니S
2025-02-17
"돈 달라" 요구하다 안 통하자 스토킹으로 신고… 적반하장 전남편
"돈 달라" 요구하다 안 통하자 스토킹으로 신고… 적반하장 전남편
전남편에게 여러 차례 전화와 메시지를 통해 연락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여성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은 지난해 12월24일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받는 A씨에게 '혐의없음' 판단을 내렸다. A씨는 지난해 9월 전남편 B씨에게 30여 차례에 걸쳐 연락한 혐의 등을 받았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씨가 계속해서 많은 돈을 요구했고 자신은 이에 대한 이유를 묻기 위해 연락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연락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B씨가 연락 거부 의사를 밝힌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범행 발생 당시 두사람 사이에 수백회에 걸쳐 메시지가 오간 내역이 확인됐다"며 "피의자가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이어 "메시지에도 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등의 내용만 담겨있을 뿐, 위해를 가하겠다는 표현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피의자의 행위가 귀찮고 불쾌한 감정을 일으킬 수는 있으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동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오상완 변호사는 "스토킹이란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정당한 이유 없이 특정 행위로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이라며 "A씨에게는 B씨의 금전 요구에 대한 이유를 물을 사정이 있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B씨는 돈을 돌려달라는 A씨의 전화를 받지 않으면서도 메시지로는 금전을 계속 요구했다"면서 "이러한 사안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검찰이 A씨의 행위가 스토킹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돈 달라" 요구하다 안 통하자 스토킹으로 신고… 적반하장 전남편 (바로가기)
머니S
2025-02-17
"돈 달라" 요구하다 안 통하자 스토킹으로 신고… 적반하장 전남편
"돈 달라" 요구하다 안 통하자 스토킹으로 신고… 적반하장 전남편
전남편에게 여러 차례 전화와 메시지를 통해 연락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여성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은 지난해 12월24일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받는 A씨에게 '혐의없음' 판단을 내렸다. A씨는 지난해 9월 전남편 B씨에게 30여 차례에 걸쳐 연락한 혐의 등을 받았다.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B씨가 계속해서 많은 돈을 요구했고 자신은 이에 대한 이유를 묻기 위해 연락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연락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B씨가 연락 거부 의사를 밝힌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범행 발생 당시 두사람 사이에 수백회에 걸쳐 메시지가 오간 내역이 확인됐다"며 "피의자가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이어 "메시지에도 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등의 내용만 담겨있을 뿐, 위해를 가하겠다는 표현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피의자의 행위가 귀찮고 불쾌한 감정을 일으킬 수는 있으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동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오상완 변호사는 "스토킹이란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정당한 이유 없이 특정 행위로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이라며 "A씨에게는 B씨의 금전 요구에 대한 이유를 물을 사정이 있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B씨는 돈을 돌려달라는 A씨의 전화를 받지 않으면서도 메시지로는 금전을 계속 요구했다"면서 "이러한 사안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검찰이 A씨의 행위가 스토킹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돈 달라" 요구하다 안 통하자 스토킹으로 신고… 적반하장 전남편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14
네트워크 로펌과 법조 브로커···“법조 브로커 청산, 변협이 앞장서야”
네트워크 로펌과 법조 브로커···“법조 브로커 청산, 변협이 앞장서야”
치열했던 제53대 대한변호사협회장 선거가 지난 달 20일 막을 내렸다. 다양한 의제에 대한 논의가 오갔지만, 이번 선거의 가장 큰 화두는 네트워크 로펌이었다. 방법 등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 차이는 있었으나, 네트워크 로펌을 적극 규제해야 한다는 후보들의 목소리는 모두 같았다.필자 역시 변호사, 기자 등 다양한 관계자들로부터 네트워크 로펌에 대한 질문을 여러 차례 받은 바 있다. 그럴 때면 늘 필자는 “해당 규제안이 헌법과 자유시장의 가치에 반하지 않고, 국민 알 권리 신장과 법률 시장의 확대·발전에 기여한다면 그 어떤 방안도 거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전하곤 했다.다만 각 후보들이 언급한 규제안의 본질에 대해 심도깊게 고민해 볼 필요는 있다. 필자는 규제안의 목적이 ‘국민 권익 향상’과 ‘법조계의 건강한 성장’에 있다고 본다. 국내 법조시장이 보다 더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국민들에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러한 규제안들이 나왔다고 믿는 것이다.3만 5,000여 명의 변호사들을 대표하는 수장이 되고자 한 후보들의 생각이 이렇다면, 우리 법조계는 이제 힘을 모아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 불법적인 운영 방식을 취하는 일부 네트워크 로펌에 대한 규제는 물론이고, 오랜 시간 법조계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던 적폐를 청산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국내 법조시장에서 사라져야 할 적폐 중 하나로, 필자는 ‘법조 브로커’를 언급하고 싶다. 법조 브로커의 활동은 주로 ‘사무장 사칭’에서부터 시작된다. 자신을 사무장으로 소개하며 의뢰인과 변호사에게 접근하고, 사건을 알선해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챙기는 것이다.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러한 법조 브로커는 매우 중대한 사회 문제로 여겨졌다. 지난 2011년부터 2014년 상반기까지 발생한 법조비리 10,725건 중 절반에 가까운 5,353건이 민·형사 브로커 사건이었다는 통계가 발표될 정도였으니, 그 심각성은 더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에 법원과 검찰, 변호사 단체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며 법조 브로커 근절을 위한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하지만 최근엔 또 다른 개념이 등장했다. 바로 퇴직 경찰 출신의 비변호사인 ‘전문위원’, ‘자문위원’ 이다. 이들은 주로 형사사건에서 자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들 중 일부가 자문 뿐만 아니라, 수사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법조 브로커들이 명칭만 바꾼 채 수면 아래에서 활동함에 따라, 국민들은 경제적 부담과 사법 불신이라는 이중고를 함께 짊어지게 됐다.필자가 속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법조 브로커 근절을 위한 자정 활동을 진행해 오고 있다. 내부 구성원들에게 법조 브로커의 불법성을 교육하고 신고를 적극 독려하는 것이 골자였다. 물론 개별 로펌의 노력만으로는 업계 전반에 스며든 병폐를 뿌리뽑기에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그나마 다행인 점은 최근 수사기관이 법조 브로커에 대해 보다 더 적극적인 수사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7월 울산지검은 전직 경찰 총경 출신 로펌 전문위원과 법조 브로커와의 유착 의혹을 파헤쳐 구속 기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문제의 전문위원은 경찰 수사팀에 직·간접적인 알력을 행사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처럼 우리나라 법조계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있다. 필자는 이번 변협회장 선거가 새로운 변화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달 24일 취임하는 새 변협회장 및 집행부가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 악폐습을 청산하는데에도 노력을 기울여 더욱 건강한 법률 시장이 조성되길 소망한다. 대륜 역시 그 누구보다 앞장 설 준비가 되어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박동일 대표변호사 [기사전문보기] 네트워크 로펌과 법조 브로커···“법조 브로커 청산, 변협이 앞장서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14
네트워크 로펌과 법조 브로커···“법조 브로커 청산, 변협이 앞장서야”
네트워크 로펌과 법조 브로커···“법조 브로커 청산, 변협이 앞장서야”
치열했던 제53대 대한변호사협회장 선거가 지난 달 20일 막을 내렸다. 다양한 의제에 대한 논의가 오갔지만, 이번 선거의 가장 큰 화두는 네트워크 로펌이었다. 방법 등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 차이는 있었으나, 네트워크 로펌을 적극 규제해야 한다는 후보들의 목소리는 모두 같았다.필자 역시 변호사, 기자 등 다양한 관계자들로부터 네트워크 로펌에 대한 질문을 여러 차례 받은 바 있다. 그럴 때면 늘 필자는 “해당 규제안이 헌법과 자유시장의 가치에 반하지 않고, 국민 알 권리 신장과 법률 시장의 확대·발전에 기여한다면 그 어떤 방안도 거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전하곤 했다.다만 각 후보들이 언급한 규제안의 본질에 대해 심도깊게 고민해 볼 필요는 있다. 필자는 규제안의 목적이 ‘국민 권익 향상’과 ‘법조계의 건강한 성장’에 있다고 본다. 국내 법조시장이 보다 더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국민들에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러한 규제안들이 나왔다고 믿는 것이다.3만 5,000여 명의 변호사들을 대표하는 수장이 되고자 한 후보들의 생각이 이렇다면, 우리 법조계는 이제 힘을 모아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 불법적인 운영 방식을 취하는 일부 네트워크 로펌에 대한 규제는 물론이고, 오랜 시간 법조계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던 적폐를 청산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국내 법조시장에서 사라져야 할 적폐 중 하나로, 필자는 ‘법조 브로커’를 언급하고 싶다. 법조 브로커의 활동은 주로 ‘사무장 사칭’에서부터 시작된다. 자신을 사무장으로 소개하며 의뢰인과 변호사에게 접근하고, 사건을 알선해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챙기는 것이다.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러한 법조 브로커는 매우 중대한 사회 문제로 여겨졌다. 지난 2011년부터 2014년 상반기까지 발생한 법조비리 10,725건 중 절반에 가까운 5,353건이 민·형사 브로커 사건이었다는 통계가 발표될 정도였으니, 그 심각성은 더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에 법원과 검찰, 변호사 단체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며 법조 브로커 근절을 위한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하지만 최근엔 또 다른 개념이 등장했다. 바로 퇴직 경찰 출신의 비변호사인 ‘전문위원’, ‘자문위원’ 이다. 이들은 주로 형사사건에서 자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들 중 일부가 자문 뿐만 아니라, 수사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법조 브로커들이 명칭만 바꾼 채 수면 아래에서 활동함에 따라, 국민들은 경제적 부담과 사법 불신이라는 이중고를 함께 짊어지게 됐다.필자가 속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법조 브로커 근절을 위한 자정 활동을 진행해 오고 있다. 내부 구성원들에게 법조 브로커의 불법성을 교육하고 신고를 적극 독려하는 것이 골자였다. 물론 개별 로펌의 노력만으로는 업계 전반에 스며든 병폐를 뿌리뽑기에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그나마 다행인 점은 최근 수사기관이 법조 브로커에 대해 보다 더 적극적인 수사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7월 울산지검은 전직 경찰 총경 출신 로펌 전문위원과 법조 브로커와의 유착 의혹을 파헤쳐 구속 기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문제의 전문위원은 경찰 수사팀에 직·간접적인 알력을 행사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처럼 우리나라 법조계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있다. 필자는 이번 변협회장 선거가 새로운 변화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달 24일 취임하는 새 변협회장 및 집행부가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 악폐습을 청산하는데에도 노력을 기울여 더욱 건강한 법률 시장이 조성되길 소망한다. 대륜 역시 그 누구보다 앞장 설 준비가 되어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박동일 대표변호사 [기사전문보기] 네트워크 로펌과 법조 브로커···“법조 브로커 청산, 변협이 앞장서야” (바로가기)
충청신문
2025-02-13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총괄본부 개소하며 중부권 법률 서비스 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 분사무소 개소하며 중부권 법률 서비스 강화
사회적 정의 실현하는 든든한 조력자 될 것 설립 9년 만에‘10대 로펌’에 진입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 12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사이언스센터에서 대전 분사무소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 분사무소는 이날 내외빈을 초청해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 행사에선 김국일 대표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박동일 대표의 축하 인사와 이기준 본부장의 회사 소개, 최이선 부대표의 AI 시스템 및 기업 자문 센터 소개, 김정범 소장의 폐회사 순으로 진행되었다.김국일 대표는 “지난 2016년‘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처음 문을 연 이후, 국내 법률 시장에서 가장 빨리 10위권 내로 진입한 ‘최단기 10대 로펌’ 타이틀을 획득했다”며“기업과 조세, 의료 등 각 분야 전문가를 꾸준히 영입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든든한 조력자가 될 것을 약속한다”고 포부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 대전 분사무소 개소를 통해 중부권 고객들에게 더욱 빠르고 편리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I 시스템 및 기업 자문 센터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본사를 비롯해 전국 주요 도시에 분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 100여 명의 변호사와 200여 명의 임직원이 고객에게 최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김미영 기자(kmy@dailycc.net)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총괄본부 개소하며 중부권 법률 서비스 강화 (바로가기)
충청신문
2025-02-13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총괄본부 개소하며 중부권 법률 서비스 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 분사무소 개소하며 중부권 법률 서비스 강화
사회적 정의 실현하는 든든한 조력자 될 것 설립 9년 만에‘10대 로펌’에 진입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 12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사이언스센터에서 대전 분사무소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 분사무소는 이날 내외빈을 초청해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 행사에선 김국일 대표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박동일 대표의 축하 인사와 이기준 본부장의 회사 소개, 최이선 부대표의 AI 시스템 및 기업 자문 센터 소개, 김정범 소장의 폐회사 순으로 진행되었다.김국일 대표는 “지난 2016년‘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처음 문을 연 이후, 국내 법률 시장에서 가장 빨리 10위권 내로 진입한 ‘최단기 10대 로펌’ 타이틀을 획득했다”며“기업과 조세, 의료 등 각 분야 전문가를 꾸준히 영입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든든한 조력자가 될 것을 약속한다”고 포부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 대전 분사무소 개소를 통해 중부권 고객들에게 더욱 빠르고 편리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I 시스템 및 기업 자문 센터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본사를 비롯해 전국 주요 도시에 분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 100여 명의 변호사와 200여 명의 임직원이 고객에게 최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김미영 기자(kmy@dailycc.net)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유한) 대륜, 대전총괄본부 개소하며 중부권 법률 서비스 강화 (바로가기)
머니S
2025-02-13
길 건너던 행인 친 무면허 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길 건너던 행인 친 무면허 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무면허 상태로 운전하다 길을 건너던 행인을 치어 사망하게 한 운전자가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감형됐다.수원지방법원 제2형사부는 지난해 12월20일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치사) 등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60대 운전자 A씨에게 1심의 징역 2년을 깨고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2년 12월 횡단보도를 건너던 행인을 치어 숨지게 한 혐의를 받았다. 당시 피해자는 A씨의 차량에 치여 반대 차선으로 넘어졌고, 곧이어 맞은편에서 오던 차량과 다시 한번 부딪힌 것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로 피해자는 크게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결국 사망했다.A씨 측은 재판 과정에서 먼저 자신의 부주의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점은 인정했다. 다만 피해자가 자신의 차량과 충돌한 이후 넘어지면서 2차 사고를 당했는데, 이 두번째 사고가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2년을 선고했다. 법원은 "피고인이 길을 건너던 피해자를 충격해 생명이 박탈되는 손해를 입게 됐다"며 "과거 음주운전, 무면허 운전으로 처벌 받은 사실이 있는 등 교통 관련 범죄의 전력이 있는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를 제기했고 2심은 A씨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전방주시 의무를 게을리해 피해자를 충격한 점에서는 업무상 과실이 중대하다"면서도 "부검 결과를 봤을 때 맞은편에서 오던 차량이 밟고 지나간 것이 피해자의 직접적인 사망의 원인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고인이 잘못을 인정하며 반성하고 있고 피해자 가족과도 원만히 합의해 처벌을 원하지 않고 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세훈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당시 2차 사고를 낸 맞은편 차량 운전자의 과실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여기에 원심의 상황과 달리 피해자 가족도 공탁금을 수령하는 등 합의가 이뤄져 양형 조건이 변화될 여지가 있었다"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길 건너던 행인 친 무면허 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바로가기)
머니S
2025-02-13
길 건너던 행인 친 무면허 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길 건너던 행인 친 무면허 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무면허 상태로 운전하다 길을 건너던 행인을 치어 사망하게 한 운전자가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감형됐다.수원지방법원 제2형사부는 지난해 12월20일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치사) 등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60대 운전자 A씨에게 1심의 징역 2년을 깨고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2년 12월 횡단보도를 건너던 행인을 치어 숨지게 한 혐의를 받았다. 당시 피해자는 A씨의 차량에 치여 반대 차선으로 넘어졌고, 곧이어 맞은편에서 오던 차량과 다시 한번 부딪힌 것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로 피해자는 크게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결국 사망했다.A씨 측은 재판 과정에서 먼저 자신의 부주의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점은 인정했다. 다만 피해자가 자신의 차량과 충돌한 이후 넘어지면서 2차 사고를 당했는데, 이 두번째 사고가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2년을 선고했다. 법원은 "피고인이 길을 건너던 피해자를 충격해 생명이 박탈되는 손해를 입게 됐다"며 "과거 음주운전, 무면허 운전으로 처벌 받은 사실이 있는 등 교통 관련 범죄의 전력이 있는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를 제기했고 2심은 A씨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전방주시 의무를 게을리해 피해자를 충격한 점에서는 업무상 과실이 중대하다"면서도 "부검 결과를 봤을 때 맞은편에서 오던 차량이 밟고 지나간 것이 피해자의 직접적인 사망의 원인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고인이 잘못을 인정하며 반성하고 있고 피해자 가족과도 원만히 합의해 처벌을 원하지 않고 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세훈 변호사는 "재판 과정에서 당시 2차 사고를 낸 맞은편 차량 운전자의 과실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여기에 원심의 상황과 달리 피해자 가족도 공탁금을 수령하는 등 합의가 이뤄져 양형 조건이 변화될 여지가 있었다"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길 건너던 행인 친 무면허 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바로가기)
국제신문 등 2곳
2025-02-12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로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로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특수폭행, 총포화약법 위반 등 혐의“장기간 분쟁·어린 자녀도 위협당해”피고인 측, 제반사정 참작 선처호소재판부 “원심 유지”…검사항소 기각 아파트 층간소음 문제로 다투던 이웃에게 전기충격기를 휘둘러 다치게 한 40대가 2심에서도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수원지방법원 제6-3형사부(김은정·신우정·유재광 부장판사)는 지난해 12월 특수폭행,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A 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유지했다.A 씨는 같은 해 2월 경기 수원시 영통구 한 아파트에서 전기충격기로 이웃주민인 50대 B 씨의 목과 얼굴을 찌른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다.사건 당시 B 씨의 아랫집에 거주하던 A 씨는 경찰 조사에서 “층간소음으로 항의하다가, B 씨 가족으로부터 보복소음 등 괴롭힘을 당해 범행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A 씨 변호인 역시 법정에서 “A 씨는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모였고, B 씨의 폭력적인 행동으로 자녀의 안전에 걱정이 많았다”며 “전기충격기는 호신용으로 구비해둔 것이며, B 씨와 갈등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한 번도 사용한 적이 없었다”고 변론했다.이어 “사건 당일에는 A 씨가 자녀와 함께 있다가 평소처럼 B 씨를 마주치자 그동안 느꼈던 불안감이 한꺼번에 터져 나온 것”이라며 “A 씨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깊이 반성하고 있으며, 평소 폭력적인 성향을 보인 적이 없었다”고 선처를 바랐다.1심 재판부는 A 씨의 폭행 혐의를 유죄로 인정했다. 다만 A 씨가 평소 피해자와 층간소음으로 갈등을 빚었던 점, 사건 발생 이전부터 A 씨 자녀들에 대한 범죄 피해자 보호조치가 실시되고 있었던 점 등을 참작해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이에 검사 측은 양형이 가볍다며 항소했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이를 기각했다.A 씨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세훈 변호사는 “층간소음 분쟁 도중 발생한 사건으로 여러 법적인 부분에서 살펴볼 사항이 많았다”며 “오랜 기간 누적된 갈등과 피해로 형성된 A 씨의 두려움이 컸던 부분, 자녀의 안전을 위해 범행한 부분 등을 1·2심 재판부가 받아들인 것으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부 기자 [기사전문보기] 국제신문 -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로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 꺼내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바로가기)
국제신문 등 2곳
2025-02-12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로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로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특수폭행, 총포화약법 위반 등 혐의“장기간 분쟁·어린 자녀도 위협당해”피고인 측, 제반사정 참작 선처호소재판부 “원심 유지”…검사항소 기각 아파트 층간소음 문제로 다투던 이웃에게 전기충격기를 휘둘러 다치게 한 40대가 2심에서도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수원지방법원 제6-3형사부(김은정·신우정·유재광 부장판사)는 지난해 12월 특수폭행,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A 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유지했다.A 씨는 같은 해 2월 경기 수원시 영통구 한 아파트에서 전기충격기로 이웃주민인 50대 B 씨의 목과 얼굴을 찌른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다.사건 당시 B 씨의 아랫집에 거주하던 A 씨는 경찰 조사에서 “층간소음으로 항의하다가, B 씨 가족으로부터 보복소음 등 괴롭힘을 당해 범행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A 씨 변호인 역시 법정에서 “A 씨는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모였고, B 씨의 폭력적인 행동으로 자녀의 안전에 걱정이 많았다”며 “전기충격기는 호신용으로 구비해둔 것이며, B 씨와 갈등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한 번도 사용한 적이 없었다”고 변론했다.이어 “사건 당일에는 A 씨가 자녀와 함께 있다가 평소처럼 B 씨를 마주치자 그동안 느꼈던 불안감이 한꺼번에 터져 나온 것”이라며 “A 씨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깊이 반성하고 있으며, 평소 폭력적인 성향을 보인 적이 없었다”고 선처를 바랐다.1심 재판부는 A 씨의 폭행 혐의를 유죄로 인정했다. 다만 A 씨가 평소 피해자와 층간소음으로 갈등을 빚었던 점, 사건 발생 이전부터 A 씨 자녀들에 대한 범죄 피해자 보호조치가 실시되고 있었던 점 등을 참작해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이에 검사 측은 양형이 가볍다며 항소했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이를 기각했다.A 씨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세훈 변호사는 “층간소음 분쟁 도중 발생한 사건으로 여러 법적인 부분에서 살펴볼 사항이 많았다”며 “오랜 기간 누적된 갈등과 피해로 형성된 A 씨의 두려움이 컸던 부분, 자녀의 안전을 위해 범행한 부분 등을 1·2심 재판부가 받아들인 것으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부 기자 [기사전문보기] 국제신문 -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로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 아파트 층간소음 다툼에 ‘전기충격기’ 꺼내 공격한 40대, 항소심도 집행유예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11
정신병원 내에도 한의과 설치 가능해져…헌법재판소 판단 배경은?
정신병원 내에도 한의과 설치 가능해져…헌법재판소 판단 배경은?
지난달 말, 헌법재판소에서 의료법을 둘러싼 주목할 만한 결정이 나왔다. 경위는 이렇다. 정신병원을 운영하던 A의료법인은 지난 2021년 보건복지부에 문의를 넣었다. '정신병원 내에 한의과 진료과목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복지부는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그 근거는 의료법 제43조 1항이었다. 해당 조항에는 '병원·치과병원 또는 종합병원은 한의사를 두어 한의과 진료과목을 추가로 설치·운영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는데,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정신병원의 경우 한의과를 설치할 수 없다는 게 복지부 입장이었다.정신병원에 한의과를 설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한 건 아니었다. 2009년 1월 개정된 의료법은 모든 병원급 의료기관이 의과, 한의과, 치과 진료과목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당시 정신병원은 요양병원에 포함돼 있었기에 의사와 한의사, 치과의사의 협진이 가능했던 것이다.그러나 2020년 의료법이 개정되며 상황이 달라졌다. 정신병원이 요양병원과 구분되는 별도의 의료기관으로 규정된 것이다. 그러면서 같은법 43조 3항에는 정신병원이 치과 진료과목을 추가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지만, 한의과에 대한 별도 규정은 마련되지 않았다.이같은 상황에 A의료법인은 반발했다. 병원과 치과병원, 종합병원에만 한의과 진료과목을 설치·운영할 수 있게 한 것은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헌법소원심판을 함께 청구했다.헌재는 이같은 현행 의료법이 합리적이지 않다며,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다른 병원과 달리 정신병원에만 한의사 협진을 허용하지 않을 특별한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오히려 헌재는 정신병원 내 한의과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강조했다. 정신의료기관의 경우 장기 치료가 필요한 입원 환자들이 많은데, 비자발적인 입원으로 외부 출입이 자유롭지 않은 환자들이 한의과 등 다른 과목의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해 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다.헌재는 일각에서 '정신병원 내 한의과 진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에 대해 반박하는 취지의 답변을 내기도 했다. 의료 수요자인 국민이 한방·양방의 통합적인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갖고 있고, 그 치료 결과 역시 효과적이라는 임상 사례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입장은 한방·양방 병행 치료에 대한 헌재의 시각이 진일보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정신병원 내에도 한의과 설치 가능해져…헌법재판소 판단 배경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11
정신병원 내에도 한의과 설치 가능해져…헌법재판소 판단 배경은?
정신병원 내에도 한의과 설치 가능해져…헌법재판소 판단 배경은?
지난달 말, 헌법재판소에서 의료법을 둘러싼 주목할 만한 결정이 나왔다. 경위는 이렇다. 정신병원을 운영하던 A의료법인은 지난 2021년 보건복지부에 문의를 넣었다. '정신병원 내에 한의과 진료과목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복지부는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그 근거는 의료법 제43조 1항이었다. 해당 조항에는 '병원·치과병원 또는 종합병원은 한의사를 두어 한의과 진료과목을 추가로 설치·운영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는데,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정신병원의 경우 한의과를 설치할 수 없다는 게 복지부 입장이었다.정신병원에 한의과를 설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한 건 아니었다. 2009년 1월 개정된 의료법은 모든 병원급 의료기관이 의과, 한의과, 치과 진료과목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당시 정신병원은 요양병원에 포함돼 있었기에 의사와 한의사, 치과의사의 협진이 가능했던 것이다.그러나 2020년 의료법이 개정되며 상황이 달라졌다. 정신병원이 요양병원과 구분되는 별도의 의료기관으로 규정된 것이다. 그러면서 같은법 43조 3항에는 정신병원이 치과 진료과목을 추가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지만, 한의과에 대한 별도 규정은 마련되지 않았다.이같은 상황에 A의료법인은 반발했다. 병원과 치과병원, 종합병원에만 한의과 진료과목을 설치·운영할 수 있게 한 것은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헌법소원심판을 함께 청구했다.헌재는 이같은 현행 의료법이 합리적이지 않다며,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다른 병원과 달리 정신병원에만 한의사 협진을 허용하지 않을 특별한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오히려 헌재는 정신병원 내 한의과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강조했다. 정신의료기관의 경우 장기 치료가 필요한 입원 환자들이 많은데, 비자발적인 입원으로 외부 출입이 자유롭지 않은 환자들이 한의과 등 다른 과목의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해 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다.헌재는 일각에서 '정신병원 내 한의과 진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에 대해 반박하는 취지의 답변을 내기도 했다. 의료 수요자인 국민이 한방·양방의 통합적인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갖고 있고, 그 치료 결과 역시 효과적이라는 임상 사례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입장은 한방·양방 병행 치료에 대한 헌재의 시각이 진일보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정신병원 내에도 한의과 설치 가능해져…헌법재판소 판단 배경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10
"돈 받고 소유권이전은 차일피일"..매수인, 토지매매대금 반환 '승소'
"돈 받고 소유권이전은 차일피일"..매수인, 토지매매대금 반환 '승소'
소유권이전 차일피일 미루고 특약사항도 안 지켜매매계약 해제 이후 대금 미정산원고 측 "매매대금 이외에 지연이자 등 손해배상 책임도 존재" 토지매매계약 체결 이후 소유권이전등기 의무 등을 지키지 않은 매도인에 대해 대금 반환은 물론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춘천지방법원 민사5단독은 토지 매수인 A씨가 매도인 B씨를 상대로 제기한 매매대금 반환소송에서 원고 승소판결을 내렸다고 10일 밝혔습니다.A씨는 매매대금 5,000만 원과 지연이자 등을 청구했고, 법원은 이를 모두 받아들였습니다.앞서 A씨는 2019년 8월 지인 B씨로부터 토지 매입을 권유받았습니다.강원도의 일부 토지를 갖고 있던 B씨는 A씨에게 해당 토지 중 500평을 5,000만 원에 팔겠다고 제안했습니다.이후 이들은 계약서에 특약사항을 포함해 계약을 진행했고, A씨는 잔금까지 지급하고 계약을 마쳤습니다.하지만 계약이 마무리된 이후 B씨는 수년간 소유권이전 등기를 미뤘습니다.또 매매목적 토지에 대한 이행이 불가능할 경우 인근 다른 토지로 매매목적물을 변경한다는 특약조건 역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이에 A씨는 지난해 4월 계약해제를 통지하고, 대금을 반환을 요구했습니다.하지만 이후에도 B씨는 요청 사항을 따르지 않았고, 결국 A씨는 매매대금 반환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씨 측은 "당초 계약 내용을 이행하지 않는 B씨로 인해 오랜 시간 고통을 받았다"며 "각종 내용증명을 보내며 계약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했지만 이마저도 B씨가 지키지 않아 실패하게 됐다"고 주장했습니다.재판부는 B씨에게 매매대금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는 원고와 맺은 계약을 이행할 의무가 있다"며 "이를 이행하지 않은 피고에게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습니다.A씨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신동훈 변호사는 "본안 소송에 앞서 내용증명을 통한 계약이행 최고 및 해제통보를 진행했지만 B씨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변제기가 도래했지만 채무를 갚지 않아 결국 본 소송까지 이르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B씨의 불법행위로 인한 A씨의 피해를 입증한 끝에 원금 5,0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 소송비용까지 보전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돈 받고 소유권이전은 차일피일"..매수인, 토지매매대금 반환 '승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10
"돈 받고 소유권이전은 차일피일"..매수인, 토지매매대금 반환 '승소'
"돈 받고 소유권이전은 차일피일"..매수인, 토지매매대금 반환 '승소'
소유권이전 차일피일 미루고 특약사항도 안 지켜매매계약 해제 이후 대금 미정산원고 측 "매매대금 이외에 지연이자 등 손해배상 책임도 존재" 토지매매계약 체결 이후 소유권이전등기 의무 등을 지키지 않은 매도인에 대해 대금 반환은 물론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춘천지방법원 민사5단독은 토지 매수인 A씨가 매도인 B씨를 상대로 제기한 매매대금 반환소송에서 원고 승소판결을 내렸다고 10일 밝혔습니다.A씨는 매매대금 5,000만 원과 지연이자 등을 청구했고, 법원은 이를 모두 받아들였습니다.앞서 A씨는 2019년 8월 지인 B씨로부터 토지 매입을 권유받았습니다.강원도의 일부 토지를 갖고 있던 B씨는 A씨에게 해당 토지 중 500평을 5,000만 원에 팔겠다고 제안했습니다.이후 이들은 계약서에 특약사항을 포함해 계약을 진행했고, A씨는 잔금까지 지급하고 계약을 마쳤습니다.하지만 계약이 마무리된 이후 B씨는 수년간 소유권이전 등기를 미뤘습니다.또 매매목적 토지에 대한 이행이 불가능할 경우 인근 다른 토지로 매매목적물을 변경한다는 특약조건 역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이에 A씨는 지난해 4월 계약해제를 통지하고, 대금을 반환을 요구했습니다.하지만 이후에도 B씨는 요청 사항을 따르지 않았고, 결국 A씨는 매매대금 반환 소송을 제기했습니다.A씨 측은 "당초 계약 내용을 이행하지 않는 B씨로 인해 오랜 시간 고통을 받았다"며 "각종 내용증명을 보내며 계약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했지만 이마저도 B씨가 지키지 않아 실패하게 됐다"고 주장했습니다.재판부는 B씨에게 매매대금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재판부는 "피고는 원고와 맺은 계약을 이행할 의무가 있다"며 "이를 이행하지 않은 피고에게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습니다.A씨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 신동훈 변호사는 "본안 소송에 앞서 내용증명을 통한 계약이행 최고 및 해제통보를 진행했지만 B씨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변제기가 도래했지만 채무를 갚지 않아 결국 본 소송까지 이르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B씨의 불법행위로 인한 A씨의 피해를 입증한 끝에 원금 5,0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 소송비용까지 보전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영민 기자(youngman@ikbc.co.kr) [기사전문보기] "돈 받고 소유권이전은 차일피일"..매수인, 토지매매대금 반환 '승소'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2-10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강력범죄, 노동·지적재산권 등 분야 전문가“검사 시절 노하우 토대로 고객의 법적 권리 지키겠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7일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안 변호사는 지난 1993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1996년 광주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했다. 이후 청주지검 충주지청, 서울 서부지검 등을 거치며 마약·성범죄 등 굵직한 강력범죄 사건을 맡았다.2008년에는 수원지검에서 부장검사를 지내며 반부패·노동·지적재산권 등 담당 업무 분야를 확대했고 제주지검, 서울고검 등 다수의 검찰청에서 활약하며 검찰총장 표창을 받기도 했다. 2018년부터는 법무연수원 용인분원장을 거쳐 서울시 법률자문관을 역임했다. 안 변호사는 2020년 법복을 벗고 본격적인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검사 시절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억울하게 성 범죄자로 몰린 의뢰인을 대리해 무혐의를 이끌어 내거나 서울시를 대리한 민사 소송에서 승소하는 등 민·형사 모두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였다.특히 건설기술진흥법, 조세법 위반 등 법적 리스크 위기에 직면한 기업을 대리하며 무혐의를 받아내 기업법무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아울러 2021년부터는 다년간의 소송, 법률자문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시를 비롯해 성북·송파구청에서 고문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안 변호사는 "다방면에서 훌륭한 성과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대형 로펌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검사로 재직하며 쌓은 노하우를 토대로 일반 사건은 물론 기업과 관련한 사건에서도 고객들이 법적인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안 변호사는 검사 시절 강력 범죄 사건을 비롯해 다수의 기업 형사 사건을 맡으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며 "이번 안 변호사의 영입으로 업무역량을 강화해 대륜을 찾는 고객들에게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며,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가와 팀을 구성해 인사·노무, 회생·파산, M&A 등 분야에서 다양한 법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대표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4곳
2025-02-10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강력범죄, 노동·지적재산권 등 분야 전문가“검사 시절 노하우 토대로 고객의 법적 권리 지키겠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7일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안 변호사는 지난 1993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1996년 광주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했다. 이후 청주지검 충주지청, 서울 서부지검 등을 거치며 마약·성범죄 등 굵직한 강력범죄 사건을 맡았다.2008년에는 수원지검에서 부장검사를 지내며 반부패·노동·지적재산권 등 담당 업무 분야를 확대했고 제주지검, 서울고검 등 다수의 검찰청에서 활약하며 검찰총장 표창을 받기도 했다. 2018년부터는 법무연수원 용인분원장을 거쳐 서울시 법률자문관을 역임했다. 안 변호사는 2020년 법복을 벗고 본격적인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검사 시절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억울하게 성 범죄자로 몰린 의뢰인을 대리해 무혐의를 이끌어 내거나 서울시를 대리한 민사 소송에서 승소하는 등 민·형사 모두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였다.특히 건설기술진흥법, 조세법 위반 등 법적 리스크 위기에 직면한 기업을 대리하며 무혐의를 받아내 기업법무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아울러 2021년부터는 다년간의 소송, 법률자문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시를 비롯해 성북·송파구청에서 고문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안 변호사는 "다방면에서 훌륭한 성과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대형 로펌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검사로 재직하며 쌓은 노하우를 토대로 일반 사건은 물론 기업과 관련한 사건에서도 고객들이 법적인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안 변호사는 검사 시절 강력 범죄 사건을 비롯해 다수의 기업 형사 사건을 맡으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며 "이번 안 변호사의 영입으로 업무역량을 강화해 대륜을 찾는 고객들에게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며,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가와 팀을 구성해 인사·노무, 회생·파산, M&A 등 분야에서 다양한 법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parkjs@wowtv.co.kr)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대표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안권섭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2-10
불만 있던 동료에게 물건 던진 직원…法 ‘선고 유예’
불만 있던 동료에게 물건 던진 직원…法 ‘선고 유예’
폭행 혐의 받던 A씨, 벌금 약식 명령에… 정식 재판 청구법원 “폭행 정도 경미·재범 우려 없어” 선고 유예 평소 불만을 품고 있던 동료 직원에게 물건을 던진 40대 회사원이 선고 유예 판결을 받았다.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해 12월 12일 폭행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벌금 30만원의 선고를 유예했다.A씨는 지난해 5월 동료 직원 B씨를 향해 핸드크림 통을 던져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경찰 조사에서 A씨는 혐의를 인정했다. 다만 평소 B씨가 자신을 스토킹하고 있다는 생각에 스트레스를 받아 왔고, 그러던 중 근처로 오는 B씨를 보고 화를 참지 못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강조했다.사건을 검토한 검찰은 A씨에게 폭행 혐의가 있다고 인정해 벌금 30만원의 약식 명령을 청구했다. 이후 법원이 형을 선고하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법원은 A씨에게 선고 유예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지 못했다”면서도 “피해자가 자신의 주위를 맴돈다는 오해에서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고 폭행의 정도가 경미하다”고 설명했다.이어 “피고인이 잘못에 대해 반성하고 있고 형을 선고하지 않더라도 다시 범행을 저지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오경훈 변호사는 “약식기소를 당한 상태에서 정식 재판을 청구하면 사안에 따라 약식보다 무거운 벌금형이 선고될 수 있다”며 “형을 낮추기 위해서는 양형에 참작할 만한 사유를 재판부에 알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오 변호사는 이어 “이 사건에서는 A씨에게 형사 처벌의 전과가 없고 피해자에게 사과하며 깊이 반성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재판부 역시 이를 수용해 선고 유예가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불만 있던 동료에게 물건 던진 직원…法 ‘선고 유예’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2-10
불만 있던 동료에게 물건 던진 직원…法 ‘선고 유예’
불만 있던 동료에게 물건 던진 직원…法 ‘선고 유예’
폭행 혐의 받던 A씨, 벌금 약식 명령에… 정식 재판 청구법원 “폭행 정도 경미·재범 우려 없어” 선고 유예 평소 불만을 품고 있던 동료 직원에게 물건을 던진 40대 회사원이 선고 유예 판결을 받았다.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해 12월 12일 폭행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벌금 30만원의 선고를 유예했다.A씨는 지난해 5월 동료 직원 B씨를 향해 핸드크림 통을 던져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경찰 조사에서 A씨는 혐의를 인정했다. 다만 평소 B씨가 자신을 스토킹하고 있다는 생각에 스트레스를 받아 왔고, 그러던 중 근처로 오는 B씨를 보고 화를 참지 못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강조했다.사건을 검토한 검찰은 A씨에게 폭행 혐의가 있다고 인정해 벌금 30만원의 약식 명령을 청구했다. 이후 법원이 형을 선고하자 불복한 A씨는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법원은 A씨에게 선고 유예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지 못했다”면서도 “피해자가 자신의 주위를 맴돈다는 오해에서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고 폭행의 정도가 경미하다”고 설명했다.이어 “피고인이 잘못에 대해 반성하고 있고 형을 선고하지 않더라도 다시 범행을 저지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오경훈 변호사는 “약식기소를 당한 상태에서 정식 재판을 청구하면 사안에 따라 약식보다 무거운 벌금형이 선고될 수 있다”며 “형을 낮추기 위해서는 양형에 참작할 만한 사유를 재판부에 알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오 변호사는 이어 “이 사건에서는 A씨에게 형사 처벌의 전과가 없고 피해자에게 사과하며 깊이 반성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재판부 역시 이를 수용해 선고 유예가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불만 있던 동료에게 물건 던진 직원…法 ‘선고 유예’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2025-02-10
중앙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산학협력 MOU 체결
중앙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산학협력 MOU 체결
중앙대 로스쿨과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산학 상호협력에 나선다.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은 지난 4일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정훈 법학전문대학원장, 이순옥 교무부원장, 김국일 대륜 대표변호사, 안영진 선임변호사 등이 참석했다. 안 변호사는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10기 졸업생으로, 대륜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과 대륜은 실무수습과 공동연구, 정보교류 등 분야에서 산학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은 “대륜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우수 법조인력을 양성하고, 학술세미나 공동 개최 등 협력으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여세린 기자(selinyo@leet.or.kr)[기사전문보기] 중앙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산학협력 MOU 체결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2025-02-10
중앙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산학협력 MOU 체결
중앙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산학협력 MOU 체결
중앙대 로스쿨과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산학 상호협력에 나선다.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은 지난 4일 법무법인 대륜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정훈 법학전문대학원장, 이순옥 교무부원장, 김국일 대륜 대표변호사, 안영진 선임변호사 등이 참석했다. 안 변호사는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10기 졸업생으로, 대륜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과 대륜은 실무수습과 공동연구, 정보교류 등 분야에서 산학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은 “대륜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우수 법조인력을 양성하고, 학술세미나 공동 개최 등 협력으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여세린 기자(selinyo@leet.or.kr)[기사전문보기] 중앙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산학협력 MOU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2-09
글로벌 리걸테크 시장 뛰는데…한국은 '제자리 걸음' [대륜의 Biz law forum]
글로벌 리걸테크 시장 뛰는데…한국은 '제자리 걸음' [대륜의 Biz law forum]
AI 기본법, 법조계에 시대적 과제판례 분석·법률 상담…AI 활용 가속변협 규제에 발목…상용화 과제 산적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인공지능(AI)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이하 AI 기본법) 제정안이 의결됐다. AI 기본법은 국가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본 계획 수립과 더불어 AI 산업 육성 및 다양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AI의 건전한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을 통해 국민의 권익과 존엄성을 보호하고, 세계 AI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AI는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업무와 여가 등 우리의 일상생활 곳곳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분야에서도 AI 경쟁력 확보와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AI 시대를 맞아 법조계 역시 AI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법률 AI는 제대로 활용할 때 그 진가가 발휘된다. 먼저 복잡했던 법률 정보·판례 검색이 간편해진다. AI 기술이 각 상황에 맞는 수만 건의 판례와 방대한 법률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요약 제공하기 때문이다. 간단한 법률 상담도 가능해진다. 소비자들이 더 간편하게, 더 정확한 법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해외 각국에선 이미 법률 서비스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이른바 '리걸테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일찍이 AI 기술을 받아들인 미국은 절반 이상의 로펌이 AI를 도입했으며, 기술 향상에 앞장서고 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다수 로펌이 법률 AI를 적극 도입하고 있지만, 대한변호사협회(변협)의 징계를 받거나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상용화 문턱도 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변호사법 제1조(변호사의 사명)에 따라 변호사는 인권을 옹호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함을 사명으로 삼아야 한다. 법률 사무와 대리권 등 독점적인 권한을 부여받게 된 배경을 모두 무시한 채 변호사 개인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 볼 수 있다.법률 AI가 성공적으로 국내 법조 시장에 안착하게 된다면 이를 전문적으로 활용하는 변호사들의 업무 처리 능력과 단위 시간당 처리 속도 또한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 로펌의 해외 법률 시장 진출 과정에서 장애 요인으로 꼽혀왔던 언어 장벽과 외국법 적용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국민의 법률 접근성이 좋아지고, 동시에 더 많은 법률 수요를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법률 AI의 등장과 함께 국내 법조 시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점을 맞았다. 법률 AI 서비스 선진화는 더는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서비스 이용자와 변호사 모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기회로 판단된다.이젠 국내 법률 AI 서비스 기술과 시스템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단계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이념에 따른 선택의 문제가 아니며, 기존의 틀을 뛰어넘는 수준의 새로운 시대적 과제로 볼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글로벌 리걸테크 시장 뛰는데…한국은 '제자리 걸음'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2-09
글로벌 리걸테크 시장 뛰는데…한국은 '제자리 걸음' [대륜의 Biz law forum]
글로벌 리걸테크 시장 뛰는데…한국은 '제자리 걸음' [대륜의 Biz law forum]
AI 기본법, 법조계에 시대적 과제판례 분석·법률 상담…AI 활용 가속변협 규제에 발목…상용화 과제 산적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인공지능(AI)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이하 AI 기본법) 제정안이 의결됐다. AI 기본법은 국가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본 계획 수립과 더불어 AI 산업 육성 및 다양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AI의 건전한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을 통해 국민의 권익과 존엄성을 보호하고, 세계 AI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AI는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업무와 여가 등 우리의 일상생활 곳곳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분야에서도 AI 경쟁력 확보와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AI 시대를 맞아 법조계 역시 AI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법률 AI는 제대로 활용할 때 그 진가가 발휘된다. 먼저 복잡했던 법률 정보·판례 검색이 간편해진다. AI 기술이 각 상황에 맞는 수만 건의 판례와 방대한 법률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요약 제공하기 때문이다. 간단한 법률 상담도 가능해진다. 소비자들이 더 간편하게, 더 정확한 법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해외 각국에선 이미 법률 서비스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이른바 '리걸테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일찍이 AI 기술을 받아들인 미국은 절반 이상의 로펌이 AI를 도입했으며, 기술 향상에 앞장서고 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다수 로펌이 법률 AI를 적극 도입하고 있지만, 대한변호사협회(변협)의 징계를 받거나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상용화 문턱도 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변호사법 제1조(변호사의 사명)에 따라 변호사는 인권을 옹호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함을 사명으로 삼아야 한다. 법률 사무와 대리권 등 독점적인 권한을 부여받게 된 배경을 모두 무시한 채 변호사 개인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 볼 수 있다.법률 AI가 성공적으로 국내 법조 시장에 안착하게 된다면 이를 전문적으로 활용하는 변호사들의 업무 처리 능력과 단위 시간당 처리 속도 또한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 로펌의 해외 법률 시장 진출 과정에서 장애 요인으로 꼽혀왔던 언어 장벽과 외국법 적용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국민의 법률 접근성이 좋아지고, 동시에 더 많은 법률 수요를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법률 AI의 등장과 함께 국내 법조 시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점을 맞았다. 법률 AI 서비스 선진화는 더는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서비스 이용자와 변호사 모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기회로 판단된다.이젠 국내 법률 AI 서비스 기술과 시스템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단계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이념에 따른 선택의 문제가 아니며, 기존의 틀을 뛰어넘는 수준의 새로운 시대적 과제로 볼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글로벌 리걸테크 시장 뛰는데…한국은 '제자리 걸음' [대륜의 Biz law forum]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2025-02-07
뉴진스 새 팀명 ‘NJZ’···상표권 문제 없을까?[스경X초점]
뉴진스 새 팀명 ‘NJZ’···상표권 문제 없을까?[스경X초점]
기존 뉴진스 상표권과 유사성 인정 가능성 있어법조계도 의견 엇갈려 그룹 뉴진스 멤버 5인(민지·하니·다니엘·해린·혜인)이 팀명을 엔제이지(NJZ)로 변경하여 활동하는 것에 법조계에서도 각기 다른 의견을 내고 있다.7일 뉴진스 멤버들은 본인들이 새로 개설한 인스타그램 계정 ‘jeanszforfree’(진즈포프리)를 ‘njz_official’로 수정했다. 이후 “민지,하니,다니엘,해린,혜인의 새로운 그룹명 NJZ. 2025년 엔제이지와 함께하게 될 깜짝 놀랄 여정을 기대해 주세요!”라고 적어 앞으로 ‘NJZ’라는 이름으로 활동할 것임을 밝혔다. 이들은 오는 3월 홍콩에서 열리는 콘서트에 ‘NJZ’라는 그룹명으로 라인업을 올리기도 했다.다만 이들이 새로 바꾼 그룹명 ‘NJZ’의 상표권 문제가 떠올랐다. 새로운 활동명 ‘NJZ’는 뉴진스(NewJeans) 발음의 초성을 따온 것이기 때문이다.법무법인 대륜의 지식 재산권 전문가 김태환 변호사는 스포츠경향에 “뉴진스와 엔제이지가 외관과 호칭이 유사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일반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NewJeans’의 대문자로 표기된 부분을 가져다 쓴 것임을 쉽게 직감할 수 있는 만큼 유사성이 인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이어서 “뉴진스 멤버들이 ‘NJZ’라는 새로운 그룹명으로 활동할 경우 현재 진행 중인 ‘전속계약유효확인소송’에 추가적으로 상표권 침해라는 문제가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엔제이지’라는 팀명이 현재 진행 중인 법적 분쟁과 활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언급했다.다만 익명을 요청한 다른 변호사는 “‘NJZ’를 보면 뉴진스가 연상될 수는 있으나 상표권 자체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다”며 조심스럽게 반대 입장을 밝혔다. 변호사는 “동일 유사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소비자들이 헷갈려하냐’인데 엔제이지를 본다고 뉴진스라는 상호명과 헷갈려 할 가능성은 낮을 것 같다”고 전했다.결국 ‘NJZ’가 정식 그룹명으로 인정받고 상표권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법적 분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그룹들이 전 소속사와의 상표권 문제로 인해 기존 그룹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례는 줄곧 있었다. 비스트(현 하이라이트)는 2016년 큐브엔터테인먼트를 떠난 후 ‘비스트’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었고, 결국 ‘하이라이트’(Highlight)라는 새 그룹명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그룹 여자친구(GFRIEND) 역시 2021년 해체 후, 소속사 쏘스뮤직이 그룹명을 보유하고 있어 비비즈(VIVIZ)라는 새로운 그룹을 결성해 활동을 재개했다.반면 원 소속사에 상표권이 있더라도 협의를 거쳐 유사한 명칭으로 활동을 이어가는 ‘아름다운 이별’의 경우도 있다. ‘BBGIRLS’(브브걸)로 팀명을 변경한 ‘브레이브걸스’가 대표적 사례다. 다만 이는 어도어와 분쟁 중인 뉴진스의 현 상황에서는 쉽지 않아 보인다.강신우 온라인기자(ssinu423@kyunghyang.com) [기사전문보기] 뉴진스 새 팀명 ‘NJZ’···상표권 문제 없을까?[스경X초점]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2025-02-07
뉴진스 새 팀명 ‘NJZ’···상표권 문제 없을까?[스경X초점]
뉴진스 새 팀명 ‘NJZ’···상표권 문제 없을까?[스경X초점]
기존 뉴진스 상표권과 유사성 인정 가능성 있어법조계도 의견 엇갈려 그룹 뉴진스 멤버 5인(민지·하니·다니엘·해린·혜인)이 팀명을 엔제이지(NJZ)로 변경하여 활동하는 것에 법조계에서도 각기 다른 의견을 내고 있다.7일 뉴진스 멤버들은 본인들이 새로 개설한 인스타그램 계정 ‘jeanszforfree’(진즈포프리)를 ‘njz_official’로 수정했다. 이후 “민지,하니,다니엘,해린,혜인의 새로운 그룹명 NJZ. 2025년 엔제이지와 함께하게 될 깜짝 놀랄 여정을 기대해 주세요!”라고 적어 앞으로 ‘NJZ’라는 이름으로 활동할 것임을 밝혔다. 이들은 오는 3월 홍콩에서 열리는 콘서트에 ‘NJZ’라는 그룹명으로 라인업을 올리기도 했다.다만 이들이 새로 바꾼 그룹명 ‘NJZ’의 상표권 문제가 떠올랐다. 새로운 활동명 ‘NJZ’는 뉴진스(NewJeans) 발음의 초성을 따온 것이기 때문이다.법무법인 대륜의 지식 재산권 전문가 김태환 변호사는 스포츠경향에 “뉴진스와 엔제이지가 외관과 호칭이 유사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일반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NewJeans’의 대문자로 표기된 부분을 가져다 쓴 것임을 쉽게 직감할 수 있는 만큼 유사성이 인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이어서 “뉴진스 멤버들이 ‘NJZ’라는 새로운 그룹명으로 활동할 경우 현재 진행 중인 ‘전속계약유효확인소송’에 추가적으로 상표권 침해라는 문제가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엔제이지’라는 팀명이 현재 진행 중인 법적 분쟁과 활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언급했다.다만 익명을 요청한 다른 변호사는 “‘NJZ’를 보면 뉴진스가 연상될 수는 있으나 상표권 자체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다”며 조심스럽게 반대 입장을 밝혔다. 변호사는 “동일 유사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소비자들이 헷갈려하냐’인데 엔제이지를 본다고 뉴진스라는 상호명과 헷갈려 할 가능성은 낮을 것 같다”고 전했다.결국 ‘NJZ’가 정식 그룹명으로 인정받고 상표권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법적 분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그룹들이 전 소속사와의 상표권 문제로 인해 기존 그룹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례는 줄곧 있었다. 비스트(현 하이라이트)는 2016년 큐브엔터테인먼트를 떠난 후 ‘비스트’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었고, 결국 ‘하이라이트’(Highlight)라는 새 그룹명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그룹 여자친구(GFRIEND) 역시 2021년 해체 후, 소속사 쏘스뮤직이 그룹명을 보유하고 있어 비비즈(VIVIZ)라는 새로운 그룹을 결성해 활동을 재개했다.반면 원 소속사에 상표권이 있더라도 협의를 거쳐 유사한 명칭으로 활동을 이어가는 ‘아름다운 이별’의 경우도 있다. ‘BBGIRLS’(브브걸)로 팀명을 변경한 ‘브레이브걸스’가 대표적 사례다. 다만 이는 어도어와 분쟁 중인 뉴진스의 현 상황에서는 쉽지 않아 보인다.강신우 온라인기자(ssinu423@kyunghyang.com) [기사전문보기] 뉴진스 새 팀명 ‘NJZ’···상표권 문제 없을까?[스경X초점]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2-06
‘故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조사 속도…전문가 “민법상 불법행위도 판단해야”
‘故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조사 속도…전문가 “민법상 불법행위도 판단해야”
생전 ‘괴롭힘 전한 녹취록’ 주장 나와 지난해 9월 숨진 MBC 기상캐스터 오요안나 씨가 선배들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다는 유족들의 진정에 대해 MBC가 정식 조사를 시작했다. 경찰도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MBC는 지난 3일 보도자료를 통해 "고인 사망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진상조사위원회가 공식 출범한다"며 "위원회는 2월 5일 수요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 활동에 들어가며, 가능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채양희 변호사(법무법인 혜명)가 위원장을 맡은 진상조사위원회에는 외부 위원으로 정인진 변호사(법무법인 바른)이 참여한다. MBC의 준법, 인사 고충 담당 부서장 등 내부 인사 3명도 위원으로 활동한다. '직장 내 괴롭힘' 진정을 자체 조사하라는 고용노동부 공문도 어제 MBC에 도착했다. 언론 보도 이후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는 민원이 국민신문고에도 다수 들어왔고, MBC를 관할하는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은 한 시민의 민원을 진정서로 전환해 사건을 접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서부지청은 MBC의 자체 조사 결과를 받아 검토한 뒤,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직접 조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가운데 같은 날 경찰도 내사에 착수했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3일 오씨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 의혹을 수사해달라는 국민신문고 민원을 지난달 31일 접수해 입건 전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고발인은 지난달 29일 근로기준법 위반, 업무상과실치사 등으로 MBC와 부서 책임자, 동료 기상캐스터 2명을 고발했다. 고발인은 "MBC는 근로기준법 제76조의3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 신고에 대해 즉각적이고 철저한 조사 및 피해자 보호조치를 이행할 법적 의무가 있다"고 했다. 아울러 이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안형준 MBC 사장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그는 "MBC는 고인이 관계자 4명에게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호소했음에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이는 중대재해처벌법 제4조에 따라 경영책임자가 근로자의 정신적, 신체적 안전을 확보할 의무를 다했는지 여부에 대한 철저한 법적 검토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오씨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은 지난달 27일 한 언론을 통해 오씨가 작성한 유서가 공개되면서 알려졌다. 이후 오씨 유족이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고인이 회사 관계자들을 만나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하는 통화 녹음을 공개하겠다고 밝히면서 의혹은 더욱 확산됐다. 그 후 유족 측이 “오요안나가 자신이 겪은 피해를 MBC 관계자 4명에게 호소하는 내용이 담긴 음성 녹음 파일이 있다”고 밝히면서 의혹이 한층 불거졌다.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조사에선 당사자, 즉 피해를 신고한 사람과 괴롭힘 행위자로 특정된 사람의 얘기를 듣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이 사건의 경우 피해자로 지목된 인물이 숨졌기 때문에, 참고인 진술이나 다른 증거자료 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 될 걸로 보인다. 근로기준법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직장 내 괴롭힘'이라고 정의한다. 만약 MBC가 이 사건 당사자들이 프리랜서라는 이유로 직장 내 괴롭힘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낼 경우, 노동청은 이 문제를 직접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과 관련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6일 세계일보에 “이 사건은 오요안나 씨가 정규직 근로자로 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했다. 최 변호사는 “프리랜서는 통상 도급계약으로 본다”면서 “프리랜서라도 근로 형태를 따져 고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거 같다”고 했다. 예컨대 정규직처럼 정해진 시간에 출근해 업무 지시에 따라 일을 하는 등 정규직과 준하는 업무형태를 취하고, MBC 내부 취업규칙을 적용받는 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만약 오요한나 씨가 근로자로 인정될 경우 관련자들을 처벌(징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또한 근로기준법상 처벌 기준은 없지만 가해자가 특정되면 그들을 고발할 수 있다”며 “예를 들어 모욕, 폭행 등이 있었는지 여부 등을 입증할 수 있다면 형사 범죄에 해당한다고 했다. 덧붙여 “이와 별개로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도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사건에 대한 경찰의 내사나 MBC에 대한 노동청의 '직장 내 괴롭힘' 진정 조사 지도는 모두 제3자인 일반 시민들의 고발로 시작됐다. 유족 측은 진상조사 과정에서 유족 목소리를 듣겠다는 MBC 입장에 대해 "면죄부를 주는 조사의 들러리가 될 뿐일 것"이라며, 협조에 부정적인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진실과 사과, 그리고 사회적 여론 조성을 통해 방송사가 비정규직 노동자를 소비하는 방식의 제도 개선을 원한다"고 호소했다.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故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조사 속도…전문가 “민법상 불법행위도 판단해야”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2-06
‘故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조사 속도…전문가 “민법상 불법행위도 판단해야”
‘故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조사 속도…전문가 “민법상 불법행위도 판단해야”
생전 ‘괴롭힘 전한 녹취록’ 주장 나와 지난해 9월 숨진 MBC 기상캐스터 오요안나 씨가 선배들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다는 유족들의 진정에 대해 MBC가 정식 조사를 시작했다. 경찰도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MBC는 지난 3일 보도자료를 통해 "고인 사망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진상조사위원회가 공식 출범한다"며 "위원회는 2월 5일 수요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 활동에 들어가며, 가능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채양희 변호사(법무법인 혜명)가 위원장을 맡은 진상조사위원회에는 외부 위원으로 정인진 변호사(법무법인 바른)이 참여한다. MBC의 준법, 인사 고충 담당 부서장 등 내부 인사 3명도 위원으로 활동한다. '직장 내 괴롭힘' 진정을 자체 조사하라는 고용노동부 공문도 어제 MBC에 도착했다. 언론 보도 이후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는 민원이 국민신문고에도 다수 들어왔고, MBC를 관할하는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은 한 시민의 민원을 진정서로 전환해 사건을 접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서부지청은 MBC의 자체 조사 결과를 받아 검토한 뒤,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직접 조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가운데 같은 날 경찰도 내사에 착수했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3일 오씨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 의혹을 수사해달라는 국민신문고 민원을 지난달 31일 접수해 입건 전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고발인은 지난달 29일 근로기준법 위반, 업무상과실치사 등으로 MBC와 부서 책임자, 동료 기상캐스터 2명을 고발했다. 고발인은 "MBC는 근로기준법 제76조의3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 신고에 대해 즉각적이고 철저한 조사 및 피해자 보호조치를 이행할 법적 의무가 있다"고 했다. 아울러 이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안형준 MBC 사장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그는 "MBC는 고인이 관계자 4명에게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호소했음에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이는 중대재해처벌법 제4조에 따라 경영책임자가 근로자의 정신적, 신체적 안전을 확보할 의무를 다했는지 여부에 대한 철저한 법적 검토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오씨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은 지난달 27일 한 언론을 통해 오씨가 작성한 유서가 공개되면서 알려졌다. 이후 오씨 유족이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고인이 회사 관계자들을 만나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하는 통화 녹음을 공개하겠다고 밝히면서 의혹은 더욱 확산됐다. 그 후 유족 측이 “오요안나가 자신이 겪은 피해를 MBC 관계자 4명에게 호소하는 내용이 담긴 음성 녹음 파일이 있다”고 밝히면서 의혹이 한층 불거졌다.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조사에선 당사자, 즉 피해를 신고한 사람과 괴롭힘 행위자로 특정된 사람의 얘기를 듣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이 사건의 경우 피해자로 지목된 인물이 숨졌기 때문에, 참고인 진술이나 다른 증거자료 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 될 걸로 보인다. 근로기준법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직장 내 괴롭힘'이라고 정의한다. 만약 MBC가 이 사건 당사자들이 프리랜서라는 이유로 직장 내 괴롭힘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낼 경우, 노동청은 이 문제를 직접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과 관련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6일 세계일보에 “이 사건은 오요안나 씨가 정규직 근로자로 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했다. 최 변호사는 “프리랜서는 통상 도급계약으로 본다”면서 “프리랜서라도 근로 형태를 따져 고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거 같다”고 했다. 예컨대 정규직처럼 정해진 시간에 출근해 업무 지시에 따라 일을 하는 등 정규직과 준하는 업무형태를 취하고, MBC 내부 취업규칙을 적용받는 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만약 오요한나 씨가 근로자로 인정될 경우 관련자들을 처벌(징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또한 근로기준법상 처벌 기준은 없지만 가해자가 특정되면 그들을 고발할 수 있다”며 “예를 들어 모욕, 폭행 등이 있었는지 여부 등을 입증할 수 있다면 형사 범죄에 해당한다고 했다. 덧붙여 “이와 별개로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도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사건에 대한 경찰의 내사나 MBC에 대한 노동청의 '직장 내 괴롭힘' 진정 조사 지도는 모두 제3자인 일반 시민들의 고발로 시작됐다. 유족 측은 진상조사 과정에서 유족 목소리를 듣겠다는 MBC 입장에 대해 "면죄부를 주는 조사의 들러리가 될 뿐일 것"이라며, 협조에 부정적인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진실과 사과, 그리고 사회적 여론 조성을 통해 방송사가 비정규직 노동자를 소비하는 방식의 제도 개선을 원한다"고 호소했다.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故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조사 속도…전문가 “민법상 불법행위도 판단해야”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2-06
“돈 덜 받았다” 하청업체로부터 공사대금 소송 당한 협력사 대표…결과는?
“돈 덜 받았다” 하청업체로부터 공사대금 소송 당한 협력사 대표…결과는?
원고 “공사 진행 후 대금 미지급” 주장재판부 “계약당사자 피고로 볼 수 없어” 청구 기각 조선업 하청업체가 협력사 대표로부터 수천만 원의 대금을 받지 못했다며 민사소송을 제기했으나 1심에서 패소했다.창원지법 통영지원 민사1단독(조현락 부장판사)은 지난해 12월 용접작업 하청업체 A 사가 원청 협력사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공사대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A 사는 2021년 8월 협력사 대표 B 씨와 용접작업 도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서에 따르면, 최초 계약기간 이후부터는 쌍방이 합의해 3개월 단위로 거래 관계를 연장하도록 했고, 이에 따라 A 사는 협력사와 거래를 지속해왔다. 그러나 A 사는 2022년 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하도급대금 4400여만 원을 지급받지 못했다며 B 씨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A 사는 그간 세무·회계업무를 외주업체에 맡겨왔는데, 해당 업체로부터 B 씨가 동의없이 하도급 대금을 감액하고 이를 지급하지 않았다는 내용을 전달 받았다는 것이다.이에 대해 B 씨 측은 도급계약서상 계약당사자는 B 씨가 대표로 있는 협력사이며, 공사대금은 B 씨가 아닌 협력사와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B 씨 법률대리인은 “이 사건 쟁점기간인 2022년 2월부터의 계약당사자는 B 씨가 아닌 B 씨가 소속된 협력사였다”며 “비록 이전에는 선행계약에 따라 그 계약당사자가 B 씨였으나, 이와 관련해 양측이 의사 합치를 이뤄 이후부터 협력사 명의로 대금이 지급됐으므로 A 사의 청구는 이유가 없다고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법원 역시 계약당사자가 B 씨 개인에서 협력사로 변경되는 부분에 있어 의사합치가 이뤄졌다고 판단했다. 조 부장판사는 “A 사가 협력사 명의의 계좌로 하도급대금을 받아왔던 점, 세금계산서 역시 거래 당사자로 협력사가 기재된 점 등을 미루어보아 계약당사자의 변경 과정에서 상호 의사 합치가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B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조익천 변호사는 “이번 소송의 관건은 계약에 관여한 당사자가 누구인지 적확하게 가리는 것이었다”며 “당사자들의 주장이 다를 경우 계약의 성질, 내용 체결 경위 및 계약 체결을 전후한 구체적인 제반 사정을 토대로 당사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선행 판례에 의거해 원고 청구를 방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돈 덜 받았다” 하청업체로부터 공사대금 소송 당한 협력사 대표…결과는? (바로가기)
국제신문
2025-02-06
“돈 덜 받았다” 하청업체로부터 공사대금 소송 당한 협력사 대표…결과는?
“돈 덜 받았다” 하청업체로부터 공사대금 소송 당한 협력사 대표…결과는?
원고 “공사 진행 후 대금 미지급” 주장재판부 “계약당사자 피고로 볼 수 없어” 청구 기각 조선업 하청업체가 협력사 대표로부터 수천만 원의 대금을 받지 못했다며 민사소송을 제기했으나 1심에서 패소했다.창원지법 통영지원 민사1단독(조현락 부장판사)은 지난해 12월 용접작업 하청업체 A 사가 원청 협력사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공사대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A 사는 2021년 8월 협력사 대표 B 씨와 용접작업 도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서에 따르면, 최초 계약기간 이후부터는 쌍방이 합의해 3개월 단위로 거래 관계를 연장하도록 했고, 이에 따라 A 사는 협력사와 거래를 지속해왔다. 그러나 A 사는 2022년 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하도급대금 4400여만 원을 지급받지 못했다며 B 씨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A 사는 그간 세무·회계업무를 외주업체에 맡겨왔는데, 해당 업체로부터 B 씨가 동의없이 하도급 대금을 감액하고 이를 지급하지 않았다는 내용을 전달 받았다는 것이다.이에 대해 B 씨 측은 도급계약서상 계약당사자는 B 씨가 대표로 있는 협력사이며, 공사대금은 B 씨가 아닌 협력사와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B 씨 법률대리인은 “이 사건 쟁점기간인 2022년 2월부터의 계약당사자는 B 씨가 아닌 B 씨가 소속된 협력사였다”며 “비록 이전에는 선행계약에 따라 그 계약당사자가 B 씨였으나, 이와 관련해 양측이 의사 합치를 이뤄 이후부터 협력사 명의로 대금이 지급됐으므로 A 사의 청구는 이유가 없다고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법원 역시 계약당사자가 B 씨 개인에서 협력사로 변경되는 부분에 있어 의사합치가 이뤄졌다고 판단했다. 조 부장판사는 “A 사가 협력사 명의의 계좌로 하도급대금을 받아왔던 점, 세금계산서 역시 거래 당사자로 협력사가 기재된 점 등을 미루어보아 계약당사자의 변경 과정에서 상호 의사 합치가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B 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조익천 변호사는 “이번 소송의 관건은 계약에 관여한 당사자가 누구인지 적확하게 가리는 것이었다”며 “당사자들의 주장이 다를 경우 계약의 성질, 내용 체결 경위 및 계약 체결을 전후한 구체적인 제반 사정을 토대로 당사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선행 판례에 의거해 원고 청구를 방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돈 덜 받았다” 하청업체로부터 공사대금 소송 당한 협력사 대표…결과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05
"감히 내 친구를?"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에 사적 응징한 10대, 형사처벌 면해
"감히 내 친구를?"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에 사적 응징한 10대, 형사처벌 면해
고등학생,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 집으로 유인해 감금하고 폭행 딥페이크 범죄 피해를 입은 친구를 대신해 가해자에게 보복을 가한 고등학생이 형사 처벌이 아닌 보호처분을 받게 됐습니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가정법원 소년재판부 박은진 판사는 지난해 12월 특수감금치상 혐의로 기소된 18살 A군에 대해 보호자 감호위탁과 수강명령 40시간, 사회봉사명령 120시간, 장기보호관찰 처분을 내렸습니다.또 보호자 특별교육 수강도 함께 명령했습니다.A군은 같은 해 8월경 피해자 17살 B군을 자신의 거주지로 유인해 감금한 뒤 폭행한 혐의를 받습니다.당시 B군은 지역 내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진이나 영상을 합성하는 행위인 이른바 '딥페이크' 범죄를 저질렀습니다.A군은 자신의 친구들 역시 B군의 범행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지인들과 함께 B군에 보복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폭행에 가담한 학생들은 징역형 집행유예 등의 형사처벌을 받았습니다.다만, 가담 정도가 비교적 가벼웠던 A군은 소년부로 송치됐습니다.소년부에 넘겨지면 감호 위탁, 사회봉사 명령, 보호관찰, 소년원 송치 등 1∼10호까지 보호처분을 받을 수 있으며, 전과기록은 남지 않습니다.A군의 법률대리인은 "A군은 미성년자로 주위 어른이나 사회에 도움을 요청해 문제를 바르게 해결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 가담 사실을 전부 인정하고 반성하고 있다"며 "피해 회복을 위해 노력한 결과 피해자 측도 A군의 처벌을 원치 않고 있다"고 선처를 구했습니다.재판부는 사안의 심각성을 인정하면서도 여러 양형 조건을 참작해 보호자 감호위탁 등의 비교적 가벼운 처분을 내렸습니다.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영민 변호사는 "A군은 범죄소년(만 14세 이상 19세 미만)으로 형사책임을 질 수 있는 연령"이라면서 "다만 가담 정도가 다른 공범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했던 점을 강조해 소년부로 송치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특수감금 치상은 처벌 수위가 높기 때문에 보호처분 중 가장 무거운 소년원송치(9~10호)가 내려질 수도 있었다. 처분 감경을 위해 피해자와의 합의 등 여러 자료를 수집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신민지 기자 (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감히 내 친구를?"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에 사적 응징한 10대, 형사처벌 면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2-05
"감히 내 친구를?"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에 사적 응징한 10대, 형사처벌 면해
"감히 내 친구를?"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에 사적 응징한 10대, 형사처벌 면해
고등학생,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 집으로 유인해 감금하고 폭행 딥페이크 범죄 피해를 입은 친구를 대신해 가해자에게 보복을 가한 고등학생이 형사 처벌이 아닌 보호처분을 받게 됐습니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가정법원 소년재판부 박은진 판사는 지난해 12월 특수감금치상 혐의로 기소된 18살 A군에 대해 보호자 감호위탁과 수강명령 40시간, 사회봉사명령 120시간, 장기보호관찰 처분을 내렸습니다.또 보호자 특별교육 수강도 함께 명령했습니다.A군은 같은 해 8월경 피해자 17살 B군을 자신의 거주지로 유인해 감금한 뒤 폭행한 혐의를 받습니다.당시 B군은 지역 내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진이나 영상을 합성하는 행위인 이른바 '딥페이크' 범죄를 저질렀습니다.A군은 자신의 친구들 역시 B군의 범행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지인들과 함께 B군에 보복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폭행에 가담한 학생들은 징역형 집행유예 등의 형사처벌을 받았습니다.다만, 가담 정도가 비교적 가벼웠던 A군은 소년부로 송치됐습니다.소년부에 넘겨지면 감호 위탁, 사회봉사 명령, 보호관찰, 소년원 송치 등 1∼10호까지 보호처분을 받을 수 있으며, 전과기록은 남지 않습니다.A군의 법률대리인은 "A군은 미성년자로 주위 어른이나 사회에 도움을 요청해 문제를 바르게 해결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 가담 사실을 전부 인정하고 반성하고 있다"며 "피해 회복을 위해 노력한 결과 피해자 측도 A군의 처벌을 원치 않고 있다"고 선처를 구했습니다.재판부는 사안의 심각성을 인정하면서도 여러 양형 조건을 참작해 보호자 감호위탁 등의 비교적 가벼운 처분을 내렸습니다.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영민 변호사는 "A군은 범죄소년(만 14세 이상 19세 미만)으로 형사책임을 질 수 있는 연령"이라면서 "다만 가담 정도가 다른 공범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했던 점을 강조해 소년부로 송치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특수감금 치상은 처벌 수위가 높기 때문에 보호처분 중 가장 무거운 소년원송치(9~10호)가 내려질 수도 있었다. 처분 감경을 위해 피해자와의 합의 등 여러 자료를 수집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신민지 기자 (sourminjee@ikbc.co.kr) [기사전문보기] "감히 내 친구를?" 딥페이크 범죄 가해자에 사적 응징한 10대, 형사처벌 면해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7곳
2025-02-05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설립 9년만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설립 9년만
대륜, 2024년 매출액 1,127억 원…2016년 설립 이후 '9년만' 매출 10대 로펌미국 대형로펌 벤치마킹 법률 서비스 접근성 높여…고객 맞춤형 원펌 로펌 거듭김국일 대표 "고객과 신뢰를 쌓아 온 결과…국내 넘어 글로벌 로펌 도약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해(2024년)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설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 진입했다고 5일 밝혔다.대륜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16년 '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처음 문을 연 이후, 국내 법률 시장에서 가장 빨리 10위권 내로 진입한 '최단기 10대 로펌' 타이틀을 획득했다"고 전했다.대륜의 지난해 매출액은 1,127억 원으로, 이는 약 7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직전 연도(2023년)에 비해 약 60% 증가한 수치다.대륜이 '최단기 10대 로펌 진입' 기록을 세울 수 있었던 이유로는 '미국 등 선진 로펌 시스템의 도입'이 꼽힌다.미국 대형 로펌의 경우, 국내 전역에 최소 수 십개의 분사무소를 구축해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륜은 이를 벤치마킹해 전국 주요 거점에 분사무소를 개소했다.또한 각 의뢰인의 상황에 적합한 전문가들을 배치해 전국 어디에서나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펌 시스템을 구축했다.기업, 조세, 의료 등 각 분야 전문가를 꾸준히 영입하며 업무 분야를 확장한 점 역시 고속 성장의 비결로 꼽힌다.대륜은 지난해 법인 내 기업법무그룹, 의료제약그룹 등을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세부 분야별 전문팀을 운영하며 업무 효율성을 높인 바 있다.아울러 대륜은 '리걸테크' 도입에도 앞장서며 국내 법조 시장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미국·유럽 등 해외에서는 법률 AI에 대한 연구·개발 및 활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데,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앞장서서 국가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판단에서다.그 결과 대륜은 최근 법률정보를 제공하는 'AI 대륜'을 대중에 공개하며 법률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기도 했다.나아가 대륜은 "해외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이라고 강조했다.먼저 일본 도쿄, 미국 뉴욕을 해외 진출의 첫 번째 무대로 삼고, 현지 인력 확보에 나서는 등 정식 개소를 눈앞에 두고 있다.한편, 중국 진출 준비 작업에 본격 착수하는 등 국외 사업을 확장해 외화 수익을 올려 K-로펌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설립 9년만에 10대 로펌 자리에 안착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적극적인 인재 영입으로 전문센터를 강화해 의뢰인들의 만족도를 크게 끌어올렸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 법률 시장을 선도하며 '고객과 가장 가까운 대형 로펌'이 되겠다"고 말했다.이어 "국내에서의 성장에 만족하지 않고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도 법률 서비스 문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글로벌 로펌으로 발돋움 하겠다"는 포부를 덧붙였다. 염재중 기자 (yjj@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설립 9년만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진입’ 진입…설립 9년만의 ‘신기록’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설립 9년만에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설립 9년만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설립 9년 만에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바로가기) 파이낸셜투데이 - 법무법인 대륜, 지난해 매출 1127억…설립 9년만 ‘10대 로펌’ 등극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설립 9년 만에 쾌거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7곳
2025-02-05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설립 9년만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설립 9년만
대륜, 2024년 매출액 1,127억 원…2016년 설립 이후 '9년만' 매출 10대 로펌미국 대형로펌 벤치마킹 법률 서비스 접근성 높여…고객 맞춤형 원펌 로펌 거듭김국일 대표 "고객과 신뢰를 쌓아 온 결과…국내 넘어 글로벌 로펌 도약할 것" 법무법인 대륜이 지난해(2024년) 로펌업계 매출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설립 9년만에 '10대 로펌'에 진입했다고 5일 밝혔다.대륜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16년 '대륜 종합법률사무소'로 처음 문을 연 이후, 국내 법률 시장에서 가장 빨리 10위권 내로 진입한 '최단기 10대 로펌' 타이틀을 획득했다"고 전했다.대륜의 지난해 매출액은 1,127억 원으로, 이는 약 7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직전 연도(2023년)에 비해 약 60% 증가한 수치다.대륜이 '최단기 10대 로펌 진입' 기록을 세울 수 있었던 이유로는 '미국 등 선진 로펌 시스템의 도입'이 꼽힌다.미국 대형 로펌의 경우, 국내 전역에 최소 수 십개의 분사무소를 구축해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륜은 이를 벤치마킹해 전국 주요 거점에 분사무소를 개소했다.또한 각 의뢰인의 상황에 적합한 전문가들을 배치해 전국 어디에서나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펌 시스템을 구축했다.기업, 조세, 의료 등 각 분야 전문가를 꾸준히 영입하며 업무 분야를 확장한 점 역시 고속 성장의 비결로 꼽힌다.대륜은 지난해 법인 내 기업법무그룹, 의료제약그룹 등을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세부 분야별 전문팀을 운영하며 업무 효율성을 높인 바 있다.아울러 대륜은 '리걸테크' 도입에도 앞장서며 국내 법조 시장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미국·유럽 등 해외에서는 법률 AI에 대한 연구·개발 및 활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데,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앞장서서 국가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판단에서다.그 결과 대륜은 최근 법률정보를 제공하는 'AI 대륜'을 대중에 공개하며 법률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기도 했다.나아가 대륜은 "해외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이라고 강조했다.먼저 일본 도쿄, 미국 뉴욕을 해외 진출의 첫 번째 무대로 삼고, 현지 인력 확보에 나서는 등 정식 개소를 눈앞에 두고 있다.한편, 중국 진출 준비 작업에 본격 착수하는 등 국외 사업을 확장해 외화 수익을 올려 K-로펌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설립 9년만에 10대 로펌 자리에 안착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적극적인 인재 영입으로 전문센터를 강화해 의뢰인들의 만족도를 크게 끌어올렸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 법률 시장을 선도하며 '고객과 가장 가까운 대형 로펌'이 되겠다"고 말했다.이어 "국내에서의 성장에 만족하지 않고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도 법률 서비스 문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글로벌 로펌으로 발돋움 하겠다"는 포부를 덧붙였다. 염재중 기자 (yjj@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설립 9년만 (바로가기) 세정일보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진입’ 진입…설립 9년만의 ‘신기록’ (바로가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설립 9년만에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설립 9년만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설립 9년 만에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 (바로가기) 파이낸셜투데이 - 법무법인 대륜, 지난해 매출 1127억…설립 9년만 ‘10대 로펌’ 등극 (바로가기) 국제뉴스 - 법무법인 대륜, ‘최단기 10대 로펌’ 등극…설립 9년 만에 쾌거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2-05
‘제자 성추행 혐의’ 고등학교 교사…2심서 감형, 왜?
‘제자 성추행 혐의’ 고등학교 교사…2심서 감형, 왜?
1심 징역 1년6개월 선고→집행유예로 감형法 “피해자 합의 고려해 결정” 고등학교 기간제 교사로 근무하며 제자를 성추행하고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서울고등법원 형사14-3부(부장판사 임종효·박혜선·오영상)는 지난해 12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위반(강제추행) 혐의 등으로 기소된 A씨에게 징역 1년6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1년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원심의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아동학대 치료 프로그램 각 40시간 이수, 아동·청소년과 장애인 관련 기관 등에 5년간 취업제한 명령은 유지했다.A씨는 2022년부터 이듬해까지 약 7개월간 학교에서 제자인 B양을 20차례에 걸쳐 추행한 혐의를 받는다.재판에서 A씨는 “평소 학생들과 친하게 지내다 보니 수업을 하던 중 장난 식의 신체 접촉이 있기는 했다”면서도 “피해자의 주장처럼 몸을 더듬는 등 고의적인 추행은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심은 A씨의 혐의를 모두 유죄로 인정해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교사로 성범죄, 아동학대 등 범죄 신고 의무자인 피고인이 오히려 피해자를 상대로 범죄를 반복적으로 저지른 점에서 죄책이 더욱 무겁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항소심 재판부는 1심과 마찬가지로 A씨의 혐의를 모두 유죄로 인정했다. 다만, A씨가 범행 대부분을 인정하고 있고, 피해자와 합의한 점이 감형사유로 작용했다.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양형사유에 중대한 변화가 있었다”며 “피해자 측에서도 피고인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견을 밝혔기 때문에 이점을 유리하게 판단했다”고 판시했다.A씨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명철 변호사는 “학생에 대한 보호와 감독 의무가 있는 교원이 학생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르게 되면 가중처벌 대상”이라며 “A씨의 경우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상태로 이를 뒤집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다만, 항소심에서 피해자 측과의 합의를 도운 결과 집행유예로 실형을 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김 변호사는 “통상적으로 1심에서 실형이 선고됐다면 법정 구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피해자와의 합의가 형량에 미치는 영향이 있지만, 합의 여부 이외에 다른 요소들로 더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런 점을 모두 따진 다음 대응을 해야 유리한 결과를 기대해볼 수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제자 성추행 혐의’ 고등학교 교사…2심서 감형, 왜?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2-05
‘제자 성추행 혐의’ 고등학교 교사…2심서 감형, 왜?
‘제자 성추행 혐의’ 고등학교 교사…2심서 감형, 왜?
1심 징역 1년6개월 선고→집행유예로 감형法 “피해자 합의 고려해 결정” 고등학교 기간제 교사로 근무하며 제자를 성추행하고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서울고등법원 형사14-3부(부장판사 임종효·박혜선·오영상)는 지난해 12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위반(강제추행) 혐의 등으로 기소된 A씨에게 징역 1년6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1년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원심의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아동학대 치료 프로그램 각 40시간 이수, 아동·청소년과 장애인 관련 기관 등에 5년간 취업제한 명령은 유지했다.A씨는 2022년부터 이듬해까지 약 7개월간 학교에서 제자인 B양을 20차례에 걸쳐 추행한 혐의를 받는다.재판에서 A씨는 “평소 학생들과 친하게 지내다 보니 수업을 하던 중 장난 식의 신체 접촉이 있기는 했다”면서도 “피해자의 주장처럼 몸을 더듬는 등 고의적인 추행은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심은 A씨의 혐의를 모두 유죄로 인정해 실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교사로 성범죄, 아동학대 등 범죄 신고 의무자인 피고인이 오히려 피해자를 상대로 범죄를 반복적으로 저지른 점에서 죄책이 더욱 무겁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항소심 재판부는 1심과 마찬가지로 A씨의 혐의를 모두 유죄로 인정했다. 다만, A씨가 범행 대부분을 인정하고 있고, 피해자와 합의한 점이 감형사유로 작용했다.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양형사유에 중대한 변화가 있었다”며 “피해자 측에서도 피고인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견을 밝혔기 때문에 이점을 유리하게 판단했다”고 판시했다.A씨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명철 변호사는 “학생에 대한 보호와 감독 의무가 있는 교원이 학생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르게 되면 가중처벌 대상”이라며 “A씨의 경우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상태로 이를 뒤집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다만, 항소심에서 피해자 측과의 합의를 도운 결과 집행유예로 실형을 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김 변호사는 “통상적으로 1심에서 실형이 선고됐다면 법정 구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피해자와의 합의가 형량에 미치는 영향이 있지만, 합의 여부 이외에 다른 요소들로 더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런 점을 모두 따진 다음 대응을 해야 유리한 결과를 기대해볼 수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제자 성추행 혐의’ 고등학교 교사…2심서 감형, 왜?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05
중대재해처벌법, 기업 규모별 관리 달리해야
중대재해처벌법, 기업 규모별 관리 달리해야
기업마다 세부적인 현황 제각각…맞춤 관리 필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된 지 3년이 다 돼가지만, 산업계 전반에는 여전히 재해가 줄지 않고 있어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논의는 각계에서 이어지고 있으나, 기업의 규모·산업별로 세부적인 현황이 달라 실제 현장에서 재해는 끊이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산업재해자수는 총 13만6796명으로 집계됐으며, 이중 사망자 수는 2016명에 달했다. 특히 규모가 작은 사업장일수록 산업재해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고용부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산업재해 예방 조치 의무 위반 사업장 명단을 살펴보면,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산재사망자수)이 평균 이상인 사업장은 372개소이며, 규모별로는 50인 미만 사업장이 89.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최근 사고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에게 책임을 묻는 대법원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법원은 인천항 갑문 공사 과정에서 안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노동자를 사망하게 한 혐의로 기소된 인천항만공사 법인 등 관련자에 대한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대법원 2024. 11. 14. 선고 2023도14674 판결 참조)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판단이다.중처법에 따라 경영책임자 등은 종사자의 안전·보건상 유해 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장의 특성에 따른 위험요인을 확인·개선하는 업무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관리체계를 갖춘 이후에도 개선이 이뤄졌는지 반기 1회 이상 점검하는 등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체계를 갖추는 데 인적, 물적 자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어 소규모로 운영되는 기업의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소기업은 인적·재정적 여건이 부족해 안전보건체계 구축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안전보건체계를 갖추는 데는 안전보건관리자, 담당자 등 전문인력 배치, 전담조직 설치 등이 필수적인데, 대기업과 달리 소규모 기업은 재정상 부담이 필연적으로 따라오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50인 미만 중소기업 702개사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절반에 가까운 중소기업(50.9%)이 연간 안전관리 예산에 1000만원도 채 투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예산이 거의 없다는 기업 역시 13.9%에 달했다.이러한 연유로 기업 규모별 관리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사업주가 기업 운영 상황에 맞게 안전보건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해 보다 실효성 있는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임직원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컨설팅, 교육을 진행하는 것 역시 재해 예방의 부차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등 정책적인 부분의 개선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중대재해처벌법, 기업 규모별 관리 달리해야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2-05
중대재해처벌법, 기업 규모별 관리 달리해야
중대재해처벌법, 기업 규모별 관리 달리해야
기업마다 세부적인 현황 제각각…맞춤 관리 필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된 지 3년이 다 돼가지만, 산업계 전반에는 여전히 재해가 줄지 않고 있어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논의는 각계에서 이어지고 있으나, 기업의 규모·산업별로 세부적인 현황이 달라 실제 현장에서 재해는 끊이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산업재해자수는 총 13만6796명으로 집계됐으며, 이중 사망자 수는 2016명에 달했다. 특히 규모가 작은 사업장일수록 산업재해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고용부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산업재해 예방 조치 의무 위반 사업장 명단을 살펴보면,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산재사망자수)이 평균 이상인 사업장은 372개소이며, 규모별로는 50인 미만 사업장이 89.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최근 사고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에게 책임을 묻는 대법원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법원은 인천항 갑문 공사 과정에서 안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노동자를 사망하게 한 혐의로 기소된 인천항만공사 법인 등 관련자에 대한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대법원 2024. 11. 14. 선고 2023도14674 판결 참조)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판단이다.중처법에 따라 경영책임자 등은 종사자의 안전·보건상 유해 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장의 특성에 따른 위험요인을 확인·개선하는 업무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관리체계를 갖춘 이후에도 개선이 이뤄졌는지 반기 1회 이상 점검하는 등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체계를 갖추는 데 인적, 물적 자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어 소규모로 운영되는 기업의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소기업은 인적·재정적 여건이 부족해 안전보건체계 구축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안전보건체계를 갖추는 데는 안전보건관리자, 담당자 등 전문인력 배치, 전담조직 설치 등이 필수적인데, 대기업과 달리 소규모 기업은 재정상 부담이 필연적으로 따라오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50인 미만 중소기업 702개사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절반에 가까운 중소기업(50.9%)이 연간 안전관리 예산에 1000만원도 채 투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예산이 거의 없다는 기업 역시 13.9%에 달했다.이러한 연유로 기업 규모별 관리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사업주가 기업 운영 상황에 맞게 안전보건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해 보다 실효성 있는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임직원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컨설팅, 교육을 진행하는 것 역시 재해 예방의 부차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등 정책적인 부분의 개선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중대재해처벌법, 기업 규모별 관리 달리해야 (바로가기)
머니S
2025-02-04
친한 친구끼리 때리고 욕하면 '학폭'일까 아닐까… 법원 판결은
친한 친구끼리 때리고 욕하면 '학폭'일까 아닐까… 법원 판결은
같은 학교 친구를 때리고 괴롭히며 욕설을 했다는 이유로 학교폭력 징계를 받은 학생이 행정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수원지방법원 제1행정부는 지난해 12월5일 A군이 경기도의 한 교육지원청 교육장을 상대로 낸 학교폭력 징계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A군은 2023년 같은 학교 친구 B군의 신체 부위를 때리고 언어폭력을 일삼은 혐의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 넘겨져, 서면사과와 접촉·협박·보복행위 금지 및 학교에서의 봉사활동 4시간 처분을 받았다.그러나 A군 측은 이같은 처분에 반발해 교육지원청을 상대로 행정 소송을 제기했다. 사건 당시 B군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고 가까운 친구에게 장난을 쳤을 뿐 학교폭력을 행사한 적은 없다는 것이다.피고 측은 즉각 반박했다. A군의 폭력이 처음에는 그 정도가 약했지만 점차 심해졌으며, B군에게 한 욕설 수위 등을 고려할 때 학교 폭력 사안이라고 보는 것이 정당하다고 반박했다.법원은 A군에게 다소 과한 처분이 내려졌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원고가 강도를 높여가며 피해 학생의 신체를 때리고 욕설 등을 한 것은 구 학교폭력예방법이 정한 학교폭력에 해당한다"면서도 "피해 학생은 원고와 관계 단절 전까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고 이러한 행위는 친구 관계를 유지하던 시기에 이뤄졌다"고 인용 이유를 밝혔다.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피해 학생은 거부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은데다 원고는 관계 단절 이후 더 이상 괴롭힘을 가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A군의 소송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영주 변호사는 "학교폭력에 관한 조치 과정에서는 피해 학생뿐만 아니라 가해 학생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면서 "두 학생은 당시 서로 놀리고 비속어를 사용하는 등 친하게 지내던 사이였는데, 신고 이전까지의 모든 행동을 학교폭력으로 단정한 것은 옳지 못한 처분"이라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친한 친구끼리 때리고 욕하면 '학폭'일까 아닐까… 법원 판결은 (바로가기)
머니S
2025-02-04
친한 친구끼리 때리고 욕하면 '학폭'일까 아닐까… 법원 판결은
친한 친구끼리 때리고 욕하면 '학폭'일까 아닐까… 법원 판결은
같은 학교 친구를 때리고 괴롭히며 욕설을 했다는 이유로 학교폭력 징계를 받은 학생이 행정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수원지방법원 제1행정부는 지난해 12월5일 A군이 경기도의 한 교육지원청 교육장을 상대로 낸 학교폭력 징계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A군은 2023년 같은 학교 친구 B군의 신체 부위를 때리고 언어폭력을 일삼은 혐의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 넘겨져, 서면사과와 접촉·협박·보복행위 금지 및 학교에서의 봉사활동 4시간 처분을 받았다.그러나 A군 측은 이같은 처분에 반발해 교육지원청을 상대로 행정 소송을 제기했다. 사건 당시 B군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고 가까운 친구에게 장난을 쳤을 뿐 학교폭력을 행사한 적은 없다는 것이다.피고 측은 즉각 반박했다. A군의 폭력이 처음에는 그 정도가 약했지만 점차 심해졌으며, B군에게 한 욕설 수위 등을 고려할 때 학교 폭력 사안이라고 보는 것이 정당하다고 반박했다.법원은 A군에게 다소 과한 처분이 내려졌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원고가 강도를 높여가며 피해 학생의 신체를 때리고 욕설 등을 한 것은 구 학교폭력예방법이 정한 학교폭력에 해당한다"면서도 "피해 학생은 원고와 관계 단절 전까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고 이러한 행위는 친구 관계를 유지하던 시기에 이뤄졌다"고 인용 이유를 밝혔다.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피해 학생은 거부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은데다 원고는 관계 단절 이후 더 이상 괴롭힘을 가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A군의 소송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영주 변호사는 "학교폭력에 관한 조치 과정에서는 피해 학생뿐만 아니라 가해 학생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면서 "두 학생은 당시 서로 놀리고 비속어를 사용하는 등 친하게 지내던 사이였는데, 신고 이전까지의 모든 행동을 학교폭력으로 단정한 것은 옳지 못한 처분"이라고 말했다.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친한 친구끼리 때리고 욕하면 '학폭'일까 아닐까… 법원 판결은 (바로가기)
메디포뉴스 등 3곳
2025-02-03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
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위한 특허 전략 논의이일형 변호사, 에버그리닝 전략과 특허 전략 방안 제시 최보윤 국회의원실(국민의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주최,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주관으로 개최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가 지난 1월 24일 서울 여의도 법무법인 대륜 본사 대회의실에서 성료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보윤 국회의원(국민의힘), 김국일 법무법인(유한) 대륜 경영총괄대표, 이일형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를 비롯한 제약·바이오업계 종사자 등이 참석해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관한 이슈를 공유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구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세미나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공식 유튜브를 통한 생중계와 웨비나 등 온라인으로도 참석이 이뤄졌다. 발제자로 나선 셀트리온 사내변호사 출신 이일형 변호사는 의약품 특허 관련 주요 판례를 소개하고, 현재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적용 중인 다양한 특허 전략과 특허 출원 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전했다. 에버그리닝은 기존 물질 특허의 만료 시점 이후에도 후속 특허를 통해 기업이 지속적으로 이익을 유지하려는 방법이다. 제약회사가 어렵게 신약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특허권이 만기된 이후에는 약값이 폭락함에 따라, 더 오래 특허권을 지속하기 위해 이같은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변호사는 해당 전략이 오리지널 제약회사에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면서 특허 전략을 잘 이해하고 대응하는 제약회사들에게 무궁한 기회가 창출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형특허, 조성물 특허, 염 변경 특허출원, 이성질체 특허출원, 수화물·결정형 발명, 용량·투여방법개선 특허출원 등의 특허전략 방안을 제시했다. 또 구체적인 실제 사례들을 분석하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조사, 특허회피전략 설계, 특허출원, 특허침해소송 등의 법률서비스를 소개했다. 이날 세미나를 주최한 최보윤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제약 업계에서 에버그리닝 특화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및 설계에 대해 관심이 커진 만큼 오늘 세미나를 통해 보다 면밀히 알고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저 또한 국회 보건복지부 소속으로서 제약 바이오 산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영희 기자(nyh2152@medifonews.com) [기사전문보기] 메디포뉴스 -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메디컬헤럴드 -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위한 특허 전략 논의' 이일형 변호사, '에버그리닝 전략과 특허 전략 방안' 제시 (바로가기) 메디팜헬스 - 에버그리닝,"오리지널 제약회사에 강력한 무기"...제약.바이오사들의 전략은? (바로가기)
메디포뉴스 등 3곳
2025-02-03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
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위한 특허 전략 논의이일형 변호사, 에버그리닝 전략과 특허 전략 방안 제시 최보윤 국회의원실(국민의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주최,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주관으로 개최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가 지난 1월 24일 서울 여의도 법무법인 대륜 본사 대회의실에서 성료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보윤 국회의원(국민의힘), 김국일 법무법인(유한) 대륜 경영총괄대표, 이일형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를 비롯한 제약·바이오업계 종사자 등이 참석해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관한 이슈를 공유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구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세미나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공식 유튜브를 통한 생중계와 웨비나 등 온라인으로도 참석이 이뤄졌다. 발제자로 나선 셀트리온 사내변호사 출신 이일형 변호사는 의약품 특허 관련 주요 판례를 소개하고, 현재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적용 중인 다양한 특허 전략과 특허 출원 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전했다. 에버그리닝은 기존 물질 특허의 만료 시점 이후에도 후속 특허를 통해 기업이 지속적으로 이익을 유지하려는 방법이다. 제약회사가 어렵게 신약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특허권이 만기된 이후에는 약값이 폭락함에 따라, 더 오래 특허권을 지속하기 위해 이같은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변호사는 해당 전략이 오리지널 제약회사에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면서 특허 전략을 잘 이해하고 대응하는 제약회사들에게 무궁한 기회가 창출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형특허, 조성물 특허, 염 변경 특허출원, 이성질체 특허출원, 수화물·결정형 발명, 용량·투여방법개선 특허출원 등의 특허전략 방안을 제시했다. 또 구체적인 실제 사례들을 분석하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조사, 특허회피전략 설계, 특허출원, 특허침해소송 등의 법률서비스를 소개했다. 이날 세미나를 주최한 최보윤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제약 업계에서 에버그리닝 특화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및 설계에 대해 관심이 커진 만큼 오늘 세미나를 통해 보다 면밀히 알고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저 또한 국회 보건복지부 소속으로서 제약 바이오 산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영희 기자(nyh2152@medifonews.com) [기사전문보기] 메디포뉴스 -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메디컬헤럴드 - 최보윤 의원 주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성료…'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위한 특허 전략 논의' 이일형 변호사, '에버그리닝 전략과 특허 전략 방안' 제시 (바로가기) 메디팜헬스 - 에버그리닝,"오리지널 제약회사에 강력한 무기"...제약.바이오사들의 전략은?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2-03
법무법인 대륜, 신흥여객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신흥여객과 MOU 체결
교통법규·안전규정 준수 자문 및 이슈 발생 시 법적 조력 제공대륜 “신흥여객의 법적 안정성 높여 서비스 품질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전북지역 운수업체 신흥여객과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지난해 12월 19일 신흥여객 대표실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김형진 변호사와 신흥여객 김용원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신흥여객은 지난 1980년 설립된 이후 시내·외 버스, 전세버스를 비롯한 운송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장을 거듭해 온 기업으로, 철저한 안전 운행과 우수한 서비스를 내세우며 고객 만족 실현에 앞장서 '2024년 전북특별자치도 운수업체 서비스 평가'에서 우수업체로 선정된 바 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신흥여객이 겪을 수 있는 법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관리해 안정적인 성장을 돕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구체적으로 △신차 도입·구매시 관련 서류 검토 △교통법규 및 안전규정 준수 자문 제공 △교통사고 등 이슈 발생 시 법적 조력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김용원 신흥여객 대표는 "운수 업체들은 안전과 관련된 리스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라면서 "대형 로펌 대륜의 뛰어난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대륜은 교통 민·형사뿐만 아니라 행정 분야에서도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이 팀을 구성해 사건 해결에 힘쓰고 있다“라며 "이번 MOU로 신흥여객이 법적 이슈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우며 안정성을 높이고 서비스 품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음주·교통사고대응그룹을 운영하며, 교통사고, 손해배상, 보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해 사건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고객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신흥여객과 MOU 체결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2025-02-03
법무법인 대륜, 신흥여객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신흥여객과 MOU 체결
교통법규·안전규정 준수 자문 및 이슈 발생 시 법적 조력 제공대륜 “신흥여객의 법적 안정성 높여 서비스 품질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전북지역 운수업체 신흥여객과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지난해 12월 19일 신흥여객 대표실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김형진 변호사와 신흥여객 김용원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신흥여객은 지난 1980년 설립된 이후 시내·외 버스, 전세버스를 비롯한 운송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장을 거듭해 온 기업으로, 철저한 안전 운행과 우수한 서비스를 내세우며 고객 만족 실현에 앞장서 '2024년 전북특별자치도 운수업체 서비스 평가'에서 우수업체로 선정된 바 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신흥여객이 겪을 수 있는 법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관리해 안정적인 성장을 돕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구체적으로 △신차 도입·구매시 관련 서류 검토 △교통법규 및 안전규정 준수 자문 제공 △교통사고 등 이슈 발생 시 법적 조력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김용원 신흥여객 대표는 "운수 업체들은 안전과 관련된 리스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라면서 "대형 로펌 대륜의 뛰어난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대륜은 교통 민·형사뿐만 아니라 행정 분야에서도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이 팀을 구성해 사건 해결에 힘쓰고 있다“라며 "이번 MOU로 신흥여객이 법적 이슈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우며 안정성을 높이고 서비스 품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음주·교통사고대응그룹을 운영하며, 교통사고, 손해배상, 보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해 사건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고객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천주영 기자(young1997@mydaily.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신흥여객과 MOU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03
법무법인 대륜, ­금강·대화·동경건설, ‘건설분쟁 예방·대응’ MOU
법무법인 대륜, ­금강·대화·동경건설, ‘건설분쟁 예방·대응’ MOU
도급계약·시공감리 등 건설업계 내 법률문제 선제적 대응과 안정적 운영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건설분쟁 사전 예방 및 신속 대응을 위해 금강·대화·동경건설과 각각 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각 건설사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건설부동산그룹 소속 김형진 변호사, 금강건설의 임재훈 대표이사와 김신 전무이사, 대화건설의 박진형 대표이사, 동경건설의 김태성 부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금강·대화·동경 건설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종합건설업을 영위하는 건설전문기업이다. 금강건설은 국내외 다분야 건설사업 및 부동산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고, 대화건설은 전기·통신·설비 등 각 공정별 시공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동경건설은 시공 품질, 공사 기간 관리, 현장 안전 확보 등 건설 현장 제반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이다. 이들 건설사 모두 다양한 건설사업을 수행하면서 건설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대륜과 각 건설사는 ▶ 건설·부동산 관계 법령 이행 여부 점검, ▶ 국내외 다양한 프로젝트 관련 법률상담 및 자문, ▶ 건설 현장 내 이슈 대응, ▶ 지속적인 교류를 위한 공동 세미나 및 교육 개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금강건설 임재훈 대표이사는 “대륜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는 자사의 지속 성장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대화건설 박진형 대표이사는 “감리는 공사현장에서 시공 품질과 공사 기간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고도의 전문성과 현장 경험이 요구되는 중요한 업무인 만큼 대륜 전문가의 조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동경건설 김태성 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감리 및 공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시행사와의 협력 체계를 더욱 견고히 구축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말했다.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국내외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를 모두 갖추고 있다. 건설사별 법률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있어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면서, “노무사, 세무사, 회계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협업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슈에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대륜은 건설·부동산그룹을 포함한 24개의 분야별 그룹을 운영하면서, 고객 사건에 따라 3~20인 이상의 TF를 구성해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금강·대화·동경건설과 ‘건설분쟁 예방·대응’ MOU (바로가기)
로리더
2025-02-03
법무법인 대륜, ­금강·대화·동경건설, ‘건설분쟁 예방·대응’ MOU
법무법인 대륜, ­금강·대화·동경건설, ‘건설분쟁 예방·대응’ MOU
도급계약·시공감리 등 건설업계 내 법률문제 선제적 대응과 안정적 운영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건설분쟁 사전 예방 및 신속 대응을 위해 금강·대화·동경건설과 각각 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각 건설사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건설부동산그룹 소속 김형진 변호사, 금강건설의 임재훈 대표이사와 김신 전무이사, 대화건설의 박진형 대표이사, 동경건설의 김태성 부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금강·대화·동경 건설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종합건설업을 영위하는 건설전문기업이다. 금강건설은 국내외 다분야 건설사업 및 부동산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고, 대화건설은 전기·통신·설비 등 각 공정별 시공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동경건설은 시공 품질, 공사 기간 관리, 현장 안전 확보 등 건설 현장 제반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이다. 이들 건설사 모두 다양한 건설사업을 수행하면서 건설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대륜과 각 건설사는 ▶ 건설·부동산 관계 법령 이행 여부 점검, ▶ 국내외 다양한 프로젝트 관련 법률상담 및 자문, ▶ 건설 현장 내 이슈 대응, ▶ 지속적인 교류를 위한 공동 세미나 및 교육 개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금강건설 임재훈 대표이사는 “대륜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는 자사의 지속 성장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대화건설 박진형 대표이사는 “감리는 공사현장에서 시공 품질과 공사 기간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고도의 전문성과 현장 경험이 요구되는 중요한 업무인 만큼 대륜 전문가의 조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동경건설 김태성 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감리 및 공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시행사와의 협력 체계를 더욱 견고히 구축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말했다.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국내외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를 모두 갖추고 있다. 건설사별 법률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있어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면서, “노무사, 세무사, 회계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협업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슈에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대륜은 건설·부동산그룹을 포함한 24개의 분야별 그룹을 운영하면서, 고객 사건에 따라 3~20인 이상의 TF를 구성해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금강·대화·동경건설과 ‘건설분쟁 예방·대응’ MOU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2-03
"법률AI 척화비 세우는 변협…美처럼 先허용 後규제해야"
"법률AI 척화비 세우는 변협…美처럼 先허용 後규제해야"
"자체개발 기술, 보호는커녕 검열로펌 기본권 침해…경쟁력도 약화"변호사 광고 규칙 헌법소원 제기 “전 세계 리걸테크 시장이 천문학적으로 커지고 있는데 유독 한국만 흥선대원군이 척화비 세우듯 선진 기술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에 어떤 법적 문제가 있는지 따져보지도 않고 ‘인공지능(AI)’이 붙었다는 이유만으로 규제 대상으로 거론돼 참담한 심정입니다.”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변호사시험 8회·사진)는 2일 한국경제신문 인터뷰에서 AI 기술이 활용된 프로그램의 광고를 제한하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한 배경을 이같이 설명했다. 대한변호사협회가 작년 10월 제정한 이 규칙은 법무법인이 AI 프로그램을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사실을 광고하려면 변협의 인증과 책임변호사의 감독이 선행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소비자가 AI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금지된다.이후 변협은 무료 법률 상담 챗봇 ‘AI대륙아주’를 개발한 법무법인 대륙아주에 징계를 강행했고, 대륙아주는 결국 서비스를 중단했다. 대륙아주는 징계 조치의 부당성을 따져보겠다며 불복 절차에 들어갔다. 변협이 강경 기조를 굽히지 않는 가운데서도 국내 로펌은 계속 리걸테크 시장에 문을 두드리고 있다. 연 매출 1200억원대로 최근 대형 로펌 반열에 올라선 대륜은 지난달 16일 AI대륙아주와 비슷한 ‘AI대륜’을 선보였다.대륜은 변호사 광고 규칙이 직업 수행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 로펌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박 대표변호사는 “법인 자체적으로 적지 않은 비용을 들여 개발한 기술인데, 이를 보호하는 조치를 취하기는커녕 검열·감독에 나서겠다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대형 로펌의 절반 이상이 AI 기술을 도입한 미국에서는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면 우선 허용한 뒤 부작용이 생길 때만 부분적으로 규제한다”며 “한국은 일단 다 규제하고 보자는 식이니 국제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AI 법률 서비스는 국민 편의와도 직결된다는 게 대륜 측 주장이다. 그는 “변호사들이 법률 지식을 독점해야 한다는 논리는 오만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장서우 기자(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법률AI 척화비 세우는 변협…美처럼 先허용 後규제해야"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5-02-03
"법률AI 척화비 세우는 변협…美처럼 先허용 後규제해야"
"법률AI 척화비 세우는 변협…美처럼 先허용 後규제해야"
"자체개발 기술, 보호는커녕 검열로펌 기본권 침해…경쟁력도 약화"변호사 광고 규칙 헌법소원 제기 “전 세계 리걸테크 시장이 천문학적으로 커지고 있는데 유독 한국만 흥선대원군이 척화비 세우듯 선진 기술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에 어떤 법적 문제가 있는지 따져보지도 않고 ‘인공지능(AI)’이 붙었다는 이유만으로 규제 대상으로 거론돼 참담한 심정입니다.”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변호사시험 8회·사진)는 2일 한국경제신문 인터뷰에서 AI 기술이 활용된 프로그램의 광고를 제한하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한 배경을 이같이 설명했다. 대한변호사협회가 작년 10월 제정한 이 규칙은 법무법인이 AI 프로그램을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사실을 광고하려면 변협의 인증과 책임변호사의 감독이 선행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소비자가 AI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금지된다.이후 변협은 무료 법률 상담 챗봇 ‘AI대륙아주’를 개발한 법무법인 대륙아주에 징계를 강행했고, 대륙아주는 결국 서비스를 중단했다. 대륙아주는 징계 조치의 부당성을 따져보겠다며 불복 절차에 들어갔다. 변협이 강경 기조를 굽히지 않는 가운데서도 국내 로펌은 계속 리걸테크 시장에 문을 두드리고 있다. 연 매출 1200억원대로 최근 대형 로펌 반열에 올라선 대륜은 지난달 16일 AI대륙아주와 비슷한 ‘AI대륜’을 선보였다.대륜은 변호사 광고 규칙이 직업 수행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 로펌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박 대표변호사는 “법인 자체적으로 적지 않은 비용을 들여 개발한 기술인데, 이를 보호하는 조치를 취하기는커녕 검열·감독에 나서겠다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대형 로펌의 절반 이상이 AI 기술을 도입한 미국에서는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면 우선 허용한 뒤 부작용이 생길 때만 부분적으로 규제한다”며 “한국은 일단 다 규제하고 보자는 식이니 국제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AI 법률 서비스는 국민 편의와도 직결된다는 게 대륜 측 주장이다. 그는 “변호사들이 법률 지식을 독점해야 한다는 논리는 오만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장서우 기자(suwu@hankyung.com) [기사전문보기] "법률AI 척화비 세우는 변협…美처럼 先허용 後규제해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31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보이스피싱 수거책 역할을 하며 범죄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20대 남성에 대해 무죄가 확정됐습니다.최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는 지난달 사기방조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 4,700여만 원을 수거해 관련 조직원들에게 전달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 측은 현금 수거 행위를 한 사실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사기 방조의 고의성은 부인했습니다."구인구직 사이트에 올려놓은 이력서로 한 경매 회사에 채용돼 주어진 업무를 수행했을 뿐"이라며 "보이스피싱 범행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인식하지 못했다"는 주장이었습니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A씨가 면접 과정도 없이 회사에 채용됐으며, 실제 수행한 업무에 비해 받은 보수가 상당히 과했던 점 등을 비춰볼 때 충분히 의심을 가질 만한 근로조건이었다"는 판단이었습니다.그러나 2심 재판부는 A씨에게 보이스피싱 범행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며 1심 판결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대법원 또한 항소심 판단에 잘못이 없다며 상고를 기각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심가현 변호사는 "A씨는 회사 지시에 따라 단정한 정장을 입은 채 업무에 임했고, 고객들의 신분증 요청 촬영에도 응하는 등 진심 어린 태도를 보여줬다"며 "자신이 정상적인 회사에 취업했음을 굳게 믿었기 때문인데, 재판부도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31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보이스피싱 수거책 역할을 하며 범죄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20대 남성에 대해 무죄가 확정됐습니다.최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는 지난달 사기방조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 4,700여만 원을 수거해 관련 조직원들에게 전달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재판 과정에서 A씨 측은 현금 수거 행위를 한 사실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사기 방조의 고의성은 부인했습니다."구인구직 사이트에 올려놓은 이력서로 한 경매 회사에 채용돼 주어진 업무를 수행했을 뿐"이라며 "보이스피싱 범행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인식하지 못했다"는 주장이었습니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A씨가 면접 과정도 없이 회사에 채용됐으며, 실제 수행한 업무에 비해 받은 보수가 상당히 과했던 점 등을 비춰볼 때 충분히 의심을 가질 만한 근로조건이었다"는 판단이었습니다.그러나 2심 재판부는 A씨에게 보이스피싱 범행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며 1심 판결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대법원 또한 항소심 판단에 잘못이 없다며 상고를 기각했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심가현 변호사는 "A씨는 회사 지시에 따라 단정한 정장을 입은 채 업무에 임했고, 고객들의 신분증 요청 촬영에도 응하는 등 진심 어린 태도를 보여줬다"며 "자신이 정상적인 회사에 취업했음을 굳게 믿었기 때문인데, 재판부도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31
술 취해 식당에서 난동·경찰 업무 방해…‘벌금 700만 원’
술 취해 식당에서 난동·경찰 업무 방해…‘벌금 700만 원’
음주 상태로 종업원 등에 욕설·순찰차 운행 방해재판부 “범행 죄질 나빠…피해자와 합의·경찰에 공탁한 점 등 고려” 술에 취해 식당에서 난동을 피우고 출동한 경찰의 업무를 방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해 12월 11일 업무방해와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기소된 40대 회사원 A씨에게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8월 한 식당에서 만취 상태로 종업원과 다른 손님들에게 욕설을 내뱉는 등 난동을 피워 영업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아울러 A씨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게 시비를 걸고 순찰차 운행을 막는 등 공무집행을 방해한 혐의도 받았다.법원은 A씨에게 벌금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술에 취해 다른 사람의 업무를 방해하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유형력을 행사해 직무를 방해했다”며 “범행 경위를 봤을 때 죄질이 나쁘다”고 말했다.다만 재판부는 “피고인은 식당 주인과 합의했고 피해 경찰관을 위해 소정의 금액을 공탁했다”면서 “동종 범죄로 처벌 받은 전력이 없고 잘못을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며 양형 이유를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임혜진 변호사는 “경찰, 소방관 등 공무원에게 폭행이나 협박을 하면 공무집행방해죄가 적용되는데 이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사안”이라며 “재판 과정에서 A씨가 술로 인한 범행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 금주 치료를 받기 시작한 것을 강조했다”고 말했다.이어 “이를 바탕으로 재판부가 A씨에게 재범 위험성이 없다고 판단해 집행유예 이하의 판결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술 취해 식당에서 난동·경찰 업무 방해…‘벌금 700만 원’ -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31
술 취해 식당에서 난동·경찰 업무 방해…‘벌금 700만 원’
술 취해 식당에서 난동·경찰 업무 방해…‘벌금 700만 원’
음주 상태로 종업원 등에 욕설·순찰차 운행 방해재판부 “범행 죄질 나빠…피해자와 합의·경찰에 공탁한 점 등 고려” 술에 취해 식당에서 난동을 피우고 출동한 경찰의 업무를 방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해 12월 11일 업무방해와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기소된 40대 회사원 A씨에게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8월 한 식당에서 만취 상태로 종업원과 다른 손님들에게 욕설을 내뱉는 등 난동을 피워 영업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아울러 A씨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게 시비를 걸고 순찰차 운행을 막는 등 공무집행을 방해한 혐의도 받았다.법원은 A씨에게 벌금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술에 취해 다른 사람의 업무를 방해하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유형력을 행사해 직무를 방해했다”며 “범행 경위를 봤을 때 죄질이 나쁘다”고 말했다.다만 재판부는 “피고인은 식당 주인과 합의했고 피해 경찰관을 위해 소정의 금액을 공탁했다”면서 “동종 범죄로 처벌 받은 전력이 없고 잘못을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며 양형 이유를 밝혔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임혜진 변호사는 “경찰, 소방관 등 공무원에게 폭행이나 협박을 하면 공무집행방해죄가 적용되는데 이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사안”이라며 “재판 과정에서 A씨가 술로 인한 범행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 금주 치료를 받기 시작한 것을 강조했다”고 말했다.이어 “이를 바탕으로 재판부가 A씨에게 재범 위험성이 없다고 판단해 집행유예 이하의 판결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술 취해 식당에서 난동·경찰 업무 방해…‘벌금 700만 원’ - 바로가기
약사공론
2025-01-30
끊임없는 특허 연장 전략…'에버그리닝' 양면성
끊임없는 특허 연장 전략…'에버그리닝' 양면성
공정거래법의 충돌 가능성 주의…제약사 수익 창출과 직결 제약사들의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시장에서, 특허 만료라는 '끝'은 더 이상 그들의 게임에서 패배를 의미하지 않는다. '에버그리닝(Evergreening)' 전략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허를 하나 둘씩 덧붙이며 '늘 푸르게' 시장을 장악하는 이 전략은, 단순한 생존을 넘어 압도적인 수익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24일 법무법인 대륜의 의료제약그룹이 주관한 '제약·바이오 분야 특허 전략 세미나'에서 에버그리닝 전략이 화두로 떠올랐다. 이일영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이번 세미나에서 버그리닝 전략이 국내외 제약사의 시장 독점 기간을 연장하는 데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했다.에버그리닝 전략은 기존 특허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특허를 추가 출원하거나 적응증, 제형, 결정형 등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제네릭 의약품의 시장 진입을 지연시키는 전략이다. 대표 사례로 언급된 약물은 화이자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아토바스타틴)’다. 이 약물은 전 세계적으로 매출 1위 블록버스터로 자리 잡으며 제약업계의 에버그리닝 전략 성공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구체적으로 피토는 1987년 물질특허 출원 이후 약 20년간 시장을 독점하며 고지혈증 치료제 시장을 지배했다. 그러나 단순히 물질특허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형 특허와 제형 특허 등을 잇달아 출원하며 독점 기간을 최대한 연장했다.이 변호사는 "화이자는 리피토의 결정형을 변경해 기존 제네릭 제품이 허가받지 못하도록 막았고, 특허 포트폴리오를 탄탄히 구축해 특허권 만료 후에도 제네릭 제품이 쉽게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설계했다"며 이러한 전략이 단순히 기술적 우위를 넘어 제약사의 수익 창출과도 직결된다고 강조했다.특히 이날 세미나에서는 에버그리닝 전략이 공정거래법과 충돌할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특정 제약사가 의도적으로 특허권을 남용해 제네릭 의약품의 시장 진입을 막을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를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실제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소송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와 같은 소송 사례가 많지 않은 상황이며, 대륜 측은 "특허권 남용을 판단하기 위한 법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공정거래위원회가 개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리피토 사례와 같이 에버그리닝 전략을 적극 활용하는 외국계 제약사와 달리, 국내 제약사는 특허 전략 수립과 관련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은 편이다.이 변호사는 "국내 제약사들도 초기 개발 단계부터 체계적인 특허 전략을 세우고, 이를 장기적인 투자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한편, 제네릭 제약사는 에버그리닝 특허를 무효화하거나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의 방어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부 제네릭 업체는 특허 무효 심판을 통해 특허권을 깨는 데 성공했으며, 역지불 합의 사례를 줄이기 위한 규제도 강화되는 추세다.또 이 변호사는 에버그리닝 전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약사와 법률 전문가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며 "특허 전략은 단순히 비용을 넘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제약사는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시장 전략을 염두에 두고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번 세미나는 특허 전략이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넘어 소비자 접근성과 시장 경쟁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자리로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또 국내 제약사가 비용 부담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에버그리닝과 같은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규제와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임태균 기자(i21@kpanews.co.kr) [기사전문보기] 끊임없는 특허 연장 전략…'에버그리닝' 양면성 (바로가기)
약사공론
2025-01-30
끊임없는 특허 연장 전략…'에버그리닝' 양면성
끊임없는 특허 연장 전략…'에버그리닝' 양면성
공정거래법의 충돌 가능성 주의…제약사 수익 창출과 직결 제약사들의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시장에서, 특허 만료라는 '끝'은 더 이상 그들의 게임에서 패배를 의미하지 않는다. '에버그리닝(Evergreening)' 전략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허를 하나 둘씩 덧붙이며 '늘 푸르게' 시장을 장악하는 이 전략은, 단순한 생존을 넘어 압도적인 수익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24일 법무법인 대륜의 의료제약그룹이 주관한 '제약·바이오 분야 특허 전략 세미나'에서 에버그리닝 전략이 화두로 떠올랐다. 이일영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이번 세미나에서 버그리닝 전략이 국내외 제약사의 시장 독점 기간을 연장하는 데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했다.에버그리닝 전략은 기존 특허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특허를 추가 출원하거나 적응증, 제형, 결정형 등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제네릭 의약품의 시장 진입을 지연시키는 전략이다. 대표 사례로 언급된 약물은 화이자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아토바스타틴)’다. 이 약물은 전 세계적으로 매출 1위 블록버스터로 자리 잡으며 제약업계의 에버그리닝 전략 성공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구체적으로 피토는 1987년 물질특허 출원 이후 약 20년간 시장을 독점하며 고지혈증 치료제 시장을 지배했다. 그러나 단순히 물질특허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형 특허와 제형 특허 등을 잇달아 출원하며 독점 기간을 최대한 연장했다.이 변호사는 "화이자는 리피토의 결정형을 변경해 기존 제네릭 제품이 허가받지 못하도록 막았고, 특허 포트폴리오를 탄탄히 구축해 특허권 만료 후에도 제네릭 제품이 쉽게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설계했다"며 이러한 전략이 단순히 기술적 우위를 넘어 제약사의 수익 창출과도 직결된다고 강조했다.특히 이날 세미나에서는 에버그리닝 전략이 공정거래법과 충돌할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특정 제약사가 의도적으로 특허권을 남용해 제네릭 의약품의 시장 진입을 막을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를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실제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소송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와 같은 소송 사례가 많지 않은 상황이며, 대륜 측은 "특허권 남용을 판단하기 위한 법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공정거래위원회가 개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리피토 사례와 같이 에버그리닝 전략을 적극 활용하는 외국계 제약사와 달리, 국내 제약사는 특허 전략 수립과 관련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은 편이다.이 변호사는 "국내 제약사들도 초기 개발 단계부터 체계적인 특허 전략을 세우고, 이를 장기적인 투자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한편, 제네릭 제약사는 에버그리닝 특허를 무효화하거나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의 방어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부 제네릭 업체는 특허 무효 심판을 통해 특허권을 깨는 데 성공했으며, 역지불 합의 사례를 줄이기 위한 규제도 강화되는 추세다.또 이 변호사는 에버그리닝 전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약사와 법률 전문가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며 "특허 전략은 단순히 비용을 넘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제약사는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시장 전략을 염두에 두고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번 세미나는 특허 전략이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넘어 소비자 접근성과 시장 경쟁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자리로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또 국내 제약사가 비용 부담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에버그리닝과 같은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규제와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임태균 기자(i21@kpanews.co.kr) [기사전문보기] 끊임없는 특허 연장 전략…'에버그리닝' 양면성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2025-01-30
[연금] "남편 질환에 13년 넘게 별거한 아내에게도 유족연금 줘야"
[연금] "남편 질환에 13년 넘게 별거한 아내에게도 유족연금 줘야"
[인천지법] "가까이 살며 자녀 혼사 등 함께 치러" 남편이 감염성 질환을 앓아 남편이 작고하기 전 13년 넘게 별거했더라도 자동차로 10~20분 정도 거리에 거주하며 자녀의 혼사를 함께 치르고, 친인척의 결혼식 · 장례식 등에 함께 참석했다면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배우자로서 국민연금법에 따른 유족연금 수급권자라는 판결이 나왔다. 국민연금법 제73조 제1항에 따르면, 노령연금의 수급권자가 사망할 당시 그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배우자, 25세 미만 자녀, 부모 등은 유족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으나, 다만 가출 · 실종 등의 사유로 명백하게 부양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유족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유족에서 제외된다(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7조). 1990년 3월 남편 B씨와 혼인한 A씨는 2009년 8월경부터 별거하기 시작했으나, B가 2014년 9월경까지 A를 포함한 가족들을 부양하였고, 이후에도 2023년 3월 사망 직전까지 자신과 전처 사이에 태어난 딸의 계좌로 돈을 송금하는 방법으로 가족들의 생활비를 일부 부담했다. B는 2017년 1월부터 국민연금법에서 정한 노령연금을 지급받았다. B가 사망한 후 A가 B의 사망을 이유로 국민연금공단에 국민연금법 제72조에서 정한 유족연금을 청구했으나, '생계유지 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유족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비해당 결정을 받자 A가 소송(2023구합56099)을 냈다. 인천지법 행정1-1부(재판장 김성수 부장판사)는 12월 12일 "원고는 국민연금법 제73조 제1항 및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7조에 따라 B의 사망 당시 B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배우자로서 유족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한다"고 판시, "유족연금 급여 대상자 미해당결정 처분을 취소하라"고 원고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B가 원고와 별도로 거주했으나, B와 원고가 서로 왕래하며 자녀 혼사 등을 함께 치르고, 친인척의 경조사에 함께 참석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를 가출이나 실종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고 지적하고, "피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원고에게 가출 · 실종 등의 사유로 명백하게 부양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고 인정하기 부족하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법률상 혼인관계는 헌법상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헌법 제36조 제1항)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이루는 부분이고, 국민연금법 시행령은 배우자에 대하여는 다른 유족과 달리 주거를 같이하는지 여부, 주거를 달리한다면 생계비 등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하여 세부적 기준을 정하지 않고 있다"며 "유족연금은 자신이 보험료를 납부하여 그에 상응하는 급여를 받는 것이 아니라 결혼 또는 의존성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파생적 급여인바(헌법재판소 2019. 2. 28. 선고 2017헌마432 결정 참조), 의존성 여부에 따라 지급여부가 결정되는 다른 유족의 경우와 달리, 배우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의존성과 관계없이 결혼 여부에 따라 그 지급여부가 결정된다고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 "배우자의 경우에도 의존성 여부를 엄격하게 적용한다면, 연금수급자와 이혼하면서 재산분할로 연금수급권의 일부를 분할받은 전배우자는 연금수급자의 사망 이후에도 의존성 여부와 무관하게 연금액의 일부를 계속 받을 수 있는 반면, 법률상 혼인관계를 유지한 배우자는 의존성 여부에 따라 오히려 유족연금을 전혀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부당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고 덧붙였다. 법무법인 대륜이 원고를 대리했다. 김덕성 기자(dsconf@legaltimes.co.kr) [기사전문보기] [연금] "남편 질환에 13년 넘게 별거한 아내에게도 유족연금 줘야"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2025-01-30
[연금] "남편 질환에 13년 넘게 별거한 아내에게도 유족연금 줘야"
[연금] "남편 질환에 13년 넘게 별거한 아내에게도 유족연금 줘야"
[인천지법] "가까이 살며 자녀 혼사 등 함께 치러" 남편이 감염성 질환을 앓아 남편이 작고하기 전 13년 넘게 별거했더라도 자동차로 10~20분 정도 거리에 거주하며 자녀의 혼사를 함께 치르고, 친인척의 결혼식 · 장례식 등에 함께 참석했다면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배우자로서 국민연금법에 따른 유족연금 수급권자라는 판결이 나왔다. 국민연금법 제73조 제1항에 따르면, 노령연금의 수급권자가 사망할 당시 그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배우자, 25세 미만 자녀, 부모 등은 유족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으나, 다만 가출 · 실종 등의 사유로 명백하게 부양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유족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유족에서 제외된다(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7조). 1990년 3월 남편 B씨와 혼인한 A씨는 2009년 8월경부터 별거하기 시작했으나, B가 2014년 9월경까지 A를 포함한 가족들을 부양하였고, 이후에도 2023년 3월 사망 직전까지 자신과 전처 사이에 태어난 딸의 계좌로 돈을 송금하는 방법으로 가족들의 생활비를 일부 부담했다. B는 2017년 1월부터 국민연금법에서 정한 노령연금을 지급받았다. B가 사망한 후 A가 B의 사망을 이유로 국민연금공단에 국민연금법 제72조에서 정한 유족연금을 청구했으나, '생계유지 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유족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비해당 결정을 받자 A가 소송(2023구합56099)을 냈다. 인천지법 행정1-1부(재판장 김성수 부장판사)는 12월 12일 "원고는 국민연금법 제73조 제1항 및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7조에 따라 B의 사망 당시 B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배우자로서 유족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한다"고 판시, "유족연금 급여 대상자 미해당결정 처분을 취소하라"고 원고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B가 원고와 별도로 거주했으나, B와 원고가 서로 왕래하며 자녀 혼사 등을 함께 치르고, 친인척의 경조사에 함께 참석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를 가출이나 실종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고 지적하고, "피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원고에게 가출 · 실종 등의 사유로 명백하게 부양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고 인정하기 부족하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법률상 혼인관계는 헌법상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헌법 제36조 제1항)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이루는 부분이고, 국민연금법 시행령은 배우자에 대하여는 다른 유족과 달리 주거를 같이하는지 여부, 주거를 달리한다면 생계비 등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하여 세부적 기준을 정하지 않고 있다"며 "유족연금은 자신이 보험료를 납부하여 그에 상응하는 급여를 받는 것이 아니라 결혼 또는 의존성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파생적 급여인바(헌법재판소 2019. 2. 28. 선고 2017헌마432 결정 참조), 의존성 여부에 따라 지급여부가 결정되는 다른 유족의 경우와 달리, 배우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의존성과 관계없이 결혼 여부에 따라 그 지급여부가 결정된다고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 "배우자의 경우에도 의존성 여부를 엄격하게 적용한다면, 연금수급자와 이혼하면서 재산분할로 연금수급권의 일부를 분할받은 전배우자는 연금수급자의 사망 이후에도 의존성 여부와 무관하게 연금액의 일부를 계속 받을 수 있는 반면, 법률상 혼인관계를 유지한 배우자는 의존성 여부에 따라 오히려 유족연금을 전혀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부당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고 덧붙였다. 법무법인 대륜이 원고를 대리했다. 김덕성 기자(dsconf@legaltimes.co.kr) [기사전문보기] [연금] "남편 질환에 13년 넘게 별거한 아내에게도 유족연금 줘야" (바로가기)
부산일보
2025-01-30
“불안해서 비행기 타겠나” 혼란에 빠진 김해공항
“불안해서 비행기 타겠나” 혼란에 빠진 김해공항
설 연휴 대인파 혼선에 사고까지탑승 불안 호소 승객 점점 늘어나 전남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만에 발생한 부산 김해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로 공항 이용객을 비롯한 시민 혼란과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화재 이후 항공기 지연과 결항이 잇따랐고, 항공기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설 연휴에 인파가 몰린 김해공항은 사고 여파로 큰 혼선을 빚었다. 지난 29일의 경우 오후 5시 기준 계획된 항공편 143편 중 15편(10%)이 지연됐다. 에어부산은 42편 중 4편(10%)이 결항된 것으로 나타났다.30일에는 오후 3시 기준 계획된 항공편 145편 중 22편(15%)이 지연됐다. 에어부산은 37편 중 11편(30%)이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날 공항에서 만난 사상구 주민 김규호(44) 씨는 “연휴에 사람이 몰리는데 사고로 주기장이 부족해서 병목 현상이 더 심하게 일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지난 29일 김해공항을 찾은 강 모(31) 씨는 “황금 같은 연휴에 아찔한 사고를 겪은 사람들을 생각하니 마음이 먹먹하다”며 “올해 들어 왜 자꾸 공항에서 안 좋은 일이 벌어지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가족과 함께 해외 여행을 한 뒤 지난 28일 김해공항에 도착했다는 이 모(49) 씨는 “이번에 비행기를 타면서 사소한 흔들림이나 이상만 감지돼도 예전보다 불안감이 더 커지는 걸 느꼈는데, 기체 결함이 아닌 기내 선반 내 화재는 언제 어디서든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행기에 몸을 싣기가 더 망설여진다”고 말했다.여행객들의 항공기 탑승과 보조배터리 반입에 대한 불안도 커지는 분위기다. 오는 3월 신혼여행을 앞둔 직장인 이 모(43) 씨는 “평소 여행지에서 구글 지도 사용 등에 배터리 소모가 많아 보조배터리를 꼭 챙기는 편이었는데, 이번 화재와 관련된 기사들을 보니 자칫 사고가 날 경우 책임을 물게 될 가능성도 있지 않나 싶어 고민이 된다”고 말했다.한편, 기내에 반입한 보조배터리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승객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느냐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나온다. 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기내 반입이 금지된 물품을 승객이 숨기고 탔거나 특별히 위험한 상태로 보관한 것이 아니라면 고객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며 "만약 배터리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이는 제조물책임으로도 넘어갈 수 있는 문제로, 책임 소재를 가리기가 쉽지는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손희문 기자(moonsla@busan.com)김성현 기자(kksh@busan.com) [기사전문보기] “불안해서 비행기 타겠나” 혼란에 빠진 김해공항 (바로가기)
부산일보
2025-01-30
“불안해서 비행기 타겠나” 혼란에 빠진 김해공항
“불안해서 비행기 타겠나” 혼란에 빠진 김해공항
설 연휴 대인파 혼선에 사고까지탑승 불안 호소 승객 점점 늘어나 전남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만에 발생한 부산 김해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로 공항 이용객을 비롯한 시민 혼란과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화재 이후 항공기 지연과 결항이 잇따랐고, 항공기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설 연휴에 인파가 몰린 김해공항은 사고 여파로 큰 혼선을 빚었다. 지난 29일의 경우 오후 5시 기준 계획된 항공편 143편 중 15편(10%)이 지연됐다. 에어부산은 42편 중 4편(10%)이 결항된 것으로 나타났다.30일에는 오후 3시 기준 계획된 항공편 145편 중 22편(15%)이 지연됐다. 에어부산은 37편 중 11편(30%)이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날 공항에서 만난 사상구 주민 김규호(44) 씨는 “연휴에 사람이 몰리는데 사고로 주기장이 부족해서 병목 현상이 더 심하게 일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지난 29일 김해공항을 찾은 강 모(31) 씨는 “황금 같은 연휴에 아찔한 사고를 겪은 사람들을 생각하니 마음이 먹먹하다”며 “올해 들어 왜 자꾸 공항에서 안 좋은 일이 벌어지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가족과 함께 해외 여행을 한 뒤 지난 28일 김해공항에 도착했다는 이 모(49) 씨는 “이번에 비행기를 타면서 사소한 흔들림이나 이상만 감지돼도 예전보다 불안감이 더 커지는 걸 느꼈는데, 기체 결함이 아닌 기내 선반 내 화재는 언제 어디서든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행기에 몸을 싣기가 더 망설여진다”고 말했다.여행객들의 항공기 탑승과 보조배터리 반입에 대한 불안도 커지는 분위기다. 오는 3월 신혼여행을 앞둔 직장인 이 모(43) 씨는 “평소 여행지에서 구글 지도 사용 등에 배터리 소모가 많아 보조배터리를 꼭 챙기는 편이었는데, 이번 화재와 관련된 기사들을 보니 자칫 사고가 날 경우 책임을 물게 될 가능성도 있지 않나 싶어 고민이 된다”고 말했다.한편, 기내에 반입한 보조배터리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승객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느냐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나온다. 박동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기내 반입이 금지된 물품을 승객이 숨기고 탔거나 특별히 위험한 상태로 보관한 것이 아니라면 고객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며 "만약 배터리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이는 제조물책임으로도 넘어갈 수 있는 문제로, 책임 소재를 가리기가 쉽지는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손희문 기자(moonsla@busan.com)김성현 기자(kksh@busan.com) [기사전문보기] “불안해서 비행기 타겠나” 혼란에 빠진 김해공항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3곳
2025-01-24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고용 창출 및 복지 제도 우수 평가향후 3년 간 금융 · 비금융 혜택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신용보증기금(신보)이 선정하는 ‘2024 최고일자리 기업’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신보는 지난 2015년부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내 복지 제도 확대에 힘써온 ‘좋은 일자리 기업’들을 발굴하고, 이 중 미래 성장 가능성이 더욱 큰 기업들을 별도 선별해 ‘최고 일자리 기업’으로 지정해왔다.최고 일자리 기업 선정 과정에서는 △고용 창출 효과 △복리후생 등 복지 제도 △고용 안정성 △사회공헌 활동 및 윤리 경영 실천 여부 등이 주요 평가 요소이다.대륜은 2024년 최고 일자리 기업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신보는 대륜과 함께 최고 일자리 기업에 이름을 올린 20여 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향후 3년 간 보증료율 0.5%p 차감, 한도거래보증, 기업 맞춤형 컨설팅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지난해 ‘가족 친화 로펌’이라는 경영 방침 하에 육아기 재택근무 등 다양한 모성보호제도를 운영하며 직원 복지 향상에 힘써왔다”며 “이러한 노력이 좋은 결과로 이어져 뜻깊다”고 말했다.이어 “현재의 복지 제도를 앞으로 더욱 확대·발전시켜나가며, 구성원들이 대륜 내에서 마음껏 자신의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다.한편 대륜은 지난해 말 경력 단절 여성과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채용을 실시하며 로펌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바로가기) 국제뉴스 - 2024 최고일자리 기업으로 인정받은 법무법인 대륜 (바로가기)
마이데일리 등 3곳
2025-01-24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고용 창출 및 복지 제도 우수 평가향후 3년 간 금융 · 비금융 혜택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신용보증기금(신보)이 선정하는 ‘2024 최고일자리 기업’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신보는 지난 2015년부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내 복지 제도 확대에 힘써온 ‘좋은 일자리 기업’들을 발굴하고, 이 중 미래 성장 가능성이 더욱 큰 기업들을 별도 선별해 ‘최고 일자리 기업’으로 지정해왔다.최고 일자리 기업 선정 과정에서는 △고용 창출 효과 △복리후생 등 복지 제도 △고용 안정성 △사회공헌 활동 및 윤리 경영 실천 여부 등이 주요 평가 요소이다.대륜은 2024년 최고 일자리 기업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신보는 대륜과 함께 최고 일자리 기업에 이름을 올린 20여 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향후 3년 간 보증료율 0.5%p 차감, 한도거래보증, 기업 맞춤형 컨설팅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지난해 ‘가족 친화 로펌’이라는 경영 방침 하에 육아기 재택근무 등 다양한 모성보호제도를 운영하며 직원 복지 향상에 힘써왔다”며 “이러한 노력이 좋은 결과로 이어져 뜻깊다”고 말했다.이어 “현재의 복지 제도를 앞으로 더욱 확대·발전시켜나가며, 구성원들이 대륜 내에서 마음껏 자신의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다.한편 대륜은 지난해 말 경력 단절 여성과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채용을 실시하며 로펌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기사전문보기] 마이데일리 -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신용보증기금 ‘2024 최고일자리 기업’ 선정 (바로가기) 국제뉴스 - 2024 최고일자리 기업으로 인정받은 법무법인 대륜 (바로가기)
비즈워치
2025-01-24
[단독]롯데바이오로직스, 새 인사제도 두고 내홍
[단독]롯데바이오로직스, 새 인사제도 두고 내홍
변동성과급 제도에 반발사측은 오해라는 입장"소통 강화하도록 노력"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올해부터 시행하는 새 인사제도를 두고 내홍을 겪고 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고과가 낮으면 계약연봉의 일부를 지급하지 않는 등의 규정이 불합리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회사는 제도를 처음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해라는 입장이다. 직원들이 물리적으로 떨어지면서 소통이 어려워진 원인도 있다. 현재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에 짓는 공장이 완공되기까지 인천과 서울에 사무실을 나눠 운영하고 있다. 논란이 된 성과급 제도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부터 '레벨(GL, Growth Level)'이라는 새 인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기존 4개 직급체계(주임·대리·책임·수석)를 6개 레벨(GL 16)로 세분화한 것이 골자다. 부서별로 캡(상한선)을 둬 진급의 제한을 두기도 했다.직원들의 불만을 산 것은 이와 함께 개편된 성과급 제도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직원들의 계약연봉의 510%를 변동성과급으로 적립해 고과에 따라 차등을 주는 방식을 택했다. 고과는 총 5개 등급으로 상위 두 개 등급은 적립금의 각각 110%, 120%를 돌려받는다. 만약 1000만원을 적립했다면 1100만원, 1200만원을 받는 것이다.중간 등급은 변동없이 적립금을 그대로 돌려받는다. 문제는 하위 등급이다. 하위 두 개 등급을 받은 직원은 각각 변동성과급의 마이너스(-) 50%, -100%를 받는다. 최하위 등급을 받으면 최대 계약연봉의 10%가 날아갈 수 있다. 직원들이 불합리함을 느끼는 지점이다. 이에 회사 측은 성과급에 차등을 둬 지급하는 것은 이전부터 시행했던 제도라고 해명했다. 전체 직원 과반의 동의를 받았으며 법적인 문제도 없다고 밝혔다. 절차적 문제 있었나 하지만 동의를 얻는 절차에 문제가 있었다는 직원들도 있다. 지난해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새 인사제도에 대한 찬반 의사를 취합했다. 직원들은 서울 모처에서 인사팀이 지켜보는 가운데 찬반 서명을 했다. 당시 상황에 대해 직원들이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운 불편한 환경이었다는 지적이 나온다.한 직원은 "이 자리에서 서명을 하지 않은 직원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해 동의를 받아내기도 했다"고 말했다.남서혜 법무법인 대륜 노무사는 "인사팀의 감시하에 근로자들 간에 충분한 의견교환이 이뤄질 수 없거나, 반대 의사를 표명한 근로자에게 동의를 강요한 사정이 인정되면 부당한 개입, 간섭으로 봐 적법한 동의절차로 볼 수 없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이에 사측은 반대한다고 불이익을 주는 등 강압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인사팀은 단순히 제도를 설명하기 위해 현장에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롯데바이오로직스가 파격적으로 내건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제도에 대한 개선요구도 나온다. 지급조건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3년 매년 자체평가를 통해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이어 지난해 3월 직원 100여명에게 스톡옵션을 처음 지급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약속한 것보다 적은 수량을 받았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하지만 회사 측은 사전에 제공수량을 약속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이같은 갈등이 빚어진 원인으로 소통이 어려운 근무환경이 꼽힌다. 현재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에 바이오캠퍼스를 짓고 있다. 완공되기 전까지 직원들은 부서별로 인천과 서울에 마련된 별도 사무실에 근무하고 있다. 물리적으로 새 제도에 대한 피드백 등이 원활히 이뤄지기 어려운 구조다.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물리적인 이유 등으로 소통이 어렵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직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방법을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김윤화 기자(kyh94@bizwatch.co.kr) [기사전문보기] [단독]롯데바이오로직스, 새 인사제도 두고 내홍 (바로가기)
비즈워치
2025-01-24
[단독]롯데바이오로직스, 새 인사제도 두고 내홍
[단독]롯데바이오로직스, 새 인사제도 두고 내홍
변동성과급 제도에 반발사측은 오해라는 입장"소통 강화하도록 노력"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올해부터 시행하는 새 인사제도를 두고 내홍을 겪고 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고과가 낮으면 계약연봉의 일부를 지급하지 않는 등의 규정이 불합리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회사는 제도를 처음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해라는 입장이다. 직원들이 물리적으로 떨어지면서 소통이 어려워진 원인도 있다. 현재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에 짓는 공장이 완공되기까지 인천과 서울에 사무실을 나눠 운영하고 있다. 논란이 된 성과급 제도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부터 '레벨(GL, Growth Level)'이라는 새 인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기존 4개 직급체계(주임·대리·책임·수석)를 6개 레벨(GL 16)로 세분화한 것이 골자다. 부서별로 캡(상한선)을 둬 진급의 제한을 두기도 했다.직원들의 불만을 산 것은 이와 함께 개편된 성과급 제도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직원들의 계약연봉의 510%를 변동성과급으로 적립해 고과에 따라 차등을 주는 방식을 택했다. 고과는 총 5개 등급으로 상위 두 개 등급은 적립금의 각각 110%, 120%를 돌려받는다. 만약 1000만원을 적립했다면 1100만원, 1200만원을 받는 것이다.중간 등급은 변동없이 적립금을 그대로 돌려받는다. 문제는 하위 등급이다. 하위 두 개 등급을 받은 직원은 각각 변동성과급의 마이너스(-) 50%, -100%를 받는다. 최하위 등급을 받으면 최대 계약연봉의 10%가 날아갈 수 있다. 직원들이 불합리함을 느끼는 지점이다. 이에 회사 측은 성과급에 차등을 둬 지급하는 것은 이전부터 시행했던 제도라고 해명했다. 전체 직원 과반의 동의를 받았으며 법적인 문제도 없다고 밝혔다. 절차적 문제 있었나 하지만 동의를 얻는 절차에 문제가 있었다는 직원들도 있다. 지난해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새 인사제도에 대한 찬반 의사를 취합했다. 직원들은 서울 모처에서 인사팀이 지켜보는 가운데 찬반 서명을 했다. 당시 상황에 대해 직원들이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운 불편한 환경이었다는 지적이 나온다.한 직원은 "이 자리에서 서명을 하지 않은 직원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해 동의를 받아내기도 했다"고 말했다.남서혜 법무법인 대륜 노무사는 "인사팀의 감시하에 근로자들 간에 충분한 의견교환이 이뤄질 수 없거나, 반대 의사를 표명한 근로자에게 동의를 강요한 사정이 인정되면 부당한 개입, 간섭으로 봐 적법한 동의절차로 볼 수 없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이에 사측은 반대한다고 불이익을 주는 등 강압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인사팀은 단순히 제도를 설명하기 위해 현장에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롯데바이오로직스가 파격적으로 내건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제도에 대한 개선요구도 나온다. 지급조건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3년 매년 자체평가를 통해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이어 지난해 3월 직원 100여명에게 스톡옵션을 처음 지급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약속한 것보다 적은 수량을 받았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하지만 회사 측은 사전에 제공수량을 약속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이같은 갈등이 빚어진 원인으로 소통이 어려운 근무환경이 꼽힌다. 현재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에 바이오캠퍼스를 짓고 있다. 완공되기 전까지 직원들은 부서별로 인천과 서울에 마련된 별도 사무실에 근무하고 있다. 물리적으로 새 제도에 대한 피드백 등이 원활히 이뤄지기 어려운 구조다.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물리적인 이유 등으로 소통이 어렵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직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방법을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김윤화 기자(kyh94@bizwatch.co.kr) [기사전문보기] [단독]롯데바이오로직스, 새 인사제도 두고 내홍 (바로가기)
국제뉴스
2025-01-23
법무법인 대륜,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MOU 체결
콘텐츠 저작권 보호·아티스트 계약 등 엔터 산업에 필요한 법률 서비스 제공대륜 “법적 안정성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아끼지 않겠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17일 헐리우드 매너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예섬 이사와 헐리우드 매너의 방용석 대표, 심진영 이사 등이 참석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헐리우드 매너는 1997년 설립된 음반 기획 및 제작사로, 영화·드라마 OST, 애니메이션 주제가, 광고 삽입곡 등 2,500여 편 이상의 작품을 제작하며 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공연 연출가 박칼린, 뮤지컬 배우 최재림 등 국내외에서 활동 중인 유명 아티스트들의 음반 제작에 참여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 해결, 저작권 및 상표권 보호 등 다양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주요 서비스로는 △음반 등 콘텐츠 저작권 침해 방지 △콘텐츠 상표 등록 △아티스트 계약 및 로열티 분배에 대한 법적 자문과 검토 등이 포함된다. 헐리우드 매너 방용석 대표는 “음악적 역량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만큼, 법률 문제에 대한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이 중요하다”며 “대형 로펌 대륜과의 협력은 산업 성장과 안정적 운영에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창작의 자유와 동시에 법적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만큼, 법적 보호와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대륜은 변호사, 변리사, 세무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팀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특화된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을 운영하며 미디어, 스포츠, 게임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특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다. 정경호 기자(vj8282@nate.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MOU 체결 (바로가기)
국제뉴스
2025-01-23
법무법인 대륜,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MOU 체결
콘텐츠 저작권 보호·아티스트 계약 등 엔터 산업에 필요한 법률 서비스 제공대륜 “법적 안정성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아끼지 않겠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17일 헐리우드 매너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예섬 이사와 헐리우드 매너의 방용석 대표, 심진영 이사 등이 참석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헐리우드 매너는 1997년 설립된 음반 기획 및 제작사로, 영화·드라마 OST, 애니메이션 주제가, 광고 삽입곡 등 2,500여 편 이상의 작품을 제작하며 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공연 연출가 박칼린, 뮤지컬 배우 최재림 등 국내외에서 활동 중인 유명 아티스트들의 음반 제작에 참여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 해결, 저작권 및 상표권 보호 등 다양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주요 서비스로는 △음반 등 콘텐츠 저작권 침해 방지 △콘텐츠 상표 등록 △아티스트 계약 및 로열티 분배에 대한 법적 자문과 검토 등이 포함된다. 헐리우드 매너 방용석 대표는 “음악적 역량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만큼, 법률 문제에 대한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이 중요하다”며 “대형 로펌 대륜과의 협력은 산업 성장과 안정적 운영에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창작의 자유와 동시에 법적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만큼, 법적 보호와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대륜은 변호사, 변리사, 세무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팀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특화된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을 운영하며 미디어, 스포츠, 게임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특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다. 정경호 기자(vj8282@nate.com)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음반기획사 '헐리우드 매너'와 MOU 체결 (바로가기)
법률신문 등 4곳
2025-01-22
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에 헌법소원 제기
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에 헌법소원 제기
변협, 비인증 AI 법률 프로그램 광고 금지 규칙 제정대륜 "직업 수행의 자유 등 기본권 침해" 주장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고병준)은 대한변호사협회의 인공지능(AI) 법률 상담 프로그램 광고 금지 규칙이 헌법에 위배된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22일 밝혔다.변협은 지난해 10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를 통해 협회의 인증을 받지 않은 AI 법률 프로그램의 광고를 금지했다. 해당 규칙은 변호사가 변협이 인증하고 책임변호사가 감독하는 AI 프로그램 외에는 이를 업무에 이용한다는 내용을 광고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가 AI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거나 이를 변호사와 연결하는 방식의 광고도 금지했다.대륜은 해당 규칙이 변호사와 로펌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대륜 관계자는 "AI 법률 서비스는 소비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법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변협이 관련 광고를 전면 금지하는 것은 직업 수행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조치"라고 밝혔다.또한, 변협의 AI 인증 기준이 미비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변협은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 제3항에서 "협회의 인증 기준은 별도의 규정에 따른다"고 명시했으나 구체적인 시행 세칙이 마련되지 않아 AI 프로그램의 인증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라는 것이다. 대륜은 "인증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변협이 AI 관련 광고를 일방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법률시장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조치"라고 주장했다.대륜이 이번 헌법소원을 제기하게 된 계기는 최근 자체 개발한 AI 법률 서비스를 공개한 이후 변협의 징계 검토 움직임이 이어지면서다. 변협은 해당 서비스가 규정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고 보고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대륜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AI 법률 서비스가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법조계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유연한 규제가 필요하다"며 "무조건적인 규제보다는 변호사 업계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AI 법률 상담 서비스가 변호사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로의 발전을 도모하는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AI 활용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나갈 방침이다. 이진영 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률신문 - 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에 헌법소원 제기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 법무법인 대륜, 헌법소원 제기 (바로가기) 한국일보 - “변호사 광고 규정 위헌”…대륜, 변협 상대 헌법소원 (바로가기) SNN -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법무법인 대륜, 헌법소원 제기 (바로가기)
법률신문 등 4곳
2025-01-22
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에 헌법소원 제기
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에 헌법소원 제기
변협, 비인증 AI 법률 프로그램 광고 금지 규칙 제정대륜 "직업 수행의 자유 등 기본권 침해" 주장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고병준)은 대한변호사협회의 인공지능(AI) 법률 상담 프로그램 광고 금지 규칙이 헌법에 위배된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22일 밝혔다.변협은 지난해 10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를 통해 협회의 인증을 받지 않은 AI 법률 프로그램의 광고를 금지했다. 해당 규칙은 변호사가 변협이 인증하고 책임변호사가 감독하는 AI 프로그램 외에는 이를 업무에 이용한다는 내용을 광고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가 AI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거나 이를 변호사와 연결하는 방식의 광고도 금지했다.대륜은 해당 규칙이 변호사와 로펌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대륜 관계자는 "AI 법률 서비스는 소비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법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변협이 관련 광고를 전면 금지하는 것은 직업 수행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조치"라고 밝혔다.또한, 변협의 AI 인증 기준이 미비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변협은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칙' 제5조 제3항에서 "협회의 인증 기준은 별도의 규정에 따른다"고 명시했으나 구체적인 시행 세칙이 마련되지 않아 AI 프로그램의 인증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라는 것이다. 대륜은 "인증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변협이 AI 관련 광고를 일방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법률시장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조치"라고 주장했다.대륜이 이번 헌법소원을 제기하게 된 계기는 최근 자체 개발한 AI 법률 서비스를 공개한 이후 변협의 징계 검토 움직임이 이어지면서다. 변협은 해당 서비스가 규정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고 보고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대륜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AI 법률 서비스가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법조계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유연한 규제가 필요하다"며 "무조건적인 규제보다는 변호사 업계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AI 법률 상담 서비스가 변호사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로의 발전을 도모하는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AI 활용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나갈 방침이다. 이진영 기자 [기사전문보기] 법률신문 - 대륜,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에 헌법소원 제기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 법무법인 대륜, 헌법소원 제기 (바로가기) 한국일보 - “변호사 광고 규정 위헌”…대륜, 변협 상대 헌법소원 (바로가기) SNN - 대한변협 AI 광고 규제…법무법인 대륜, 헌법소원 제기 (바로가기)
로리더
2025-01-22
‘가상화폐 투자원금 안 돌려줘’ 사기혐의 60대···법원 ‘공소사실 증명 안 돼 ‘무죄’’
‘가상화폐 투자원금 안 돌려줘’ 사기혐의 60대···법원 ‘공소사실 증명 안 돼 ‘무죄’’
검찰 “원금보장·고수익 미끼로 투자 권유, 투자금 돌려줄 의사 없어” 기소법원 “모든 송금 내역 투자금으로 볼 수 없고, 원금 보장 사실 증명 안 돼” 가상화폐 투자를 빌미로 지인에게 수억 원을 뜯어낸 혐의를 받던 60대가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사례가 나왔다.창원지방법원 형사1단독 정윤택 부장판사는 사기 혐의로 기소된 60대 A씨에게 지난달 5일 “피고인은 무죄”라고 판결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평소 사주를 봐주며 가까워진 B씨에게 가상화폐 투자를 권유했다. 이에 응한 B씨는 3년 6개월여 동안 81차례에 걸쳐 A씨에게 약 4억 원을 보냈으나 아무런 돈도 돌려받지 못했다.검찰은 A씨가 처음부터 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음에도 B씨를 속여 투자를 권한 것으로 보고 사기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다.A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A씨는 “B씨에게 원금 보장을 약속한 적이 없었다.”면서, “돈을 돌려주지 않은 것은 투자에 실패해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급 의사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아울러 “B씨의 요청으로 심부름을 대신해 돈을 받는 등 사적인 항목도 많다.”면서, “B씨로부터 송금된 돈을 모두 투자금으로 볼 수 없다.”고도 주장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창원지방법원 정윤택 부장판사는 A씨에게 무죄 판결을 선고했다.정윤택 부장판사는 “송금 내역을 봤을 때 투자 명목으로 보기 어려운 적은 금액이 다수 포함돼 있다.”면서, “공소장에 기재된 모든 송금 행위를 투자 대금이라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이어 “피해자는 실질적으로 수익을 얻지 못하면서도 오랜 기간 송금을 이어 갔다.”면서,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송금을 여러 차례 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에 대해 잘 모른다고 하는 등 증언의 신빙성도 약하다.”고 판시했다.그러면서 “피고인이 원금 보장과 고수익을 보장하겠다고 거짓말한 사실이 확실하게 입증되지 않았다.”면서, 공소사실이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증명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이 소송에서 피고인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송재백 변호사는 “특정 공소사실에 대해 유죄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의 증명력을 가진 증거가 필요하다.”면서, “이 사건의 경우 녹취 파일이나 각서 등 B씨의 주장을 뒷받침 할 합리적인 증거를 제출되지 못했는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가상화폐 투자원금 안 돌려줘’ 사기혐의 60대···법원 ‘공소사실 증명 안 돼 ‘무죄’’ (바로가기)
로리더
2025-01-22
‘가상화폐 투자원금 안 돌려줘’ 사기혐의 60대···법원 ‘공소사실 증명 안 돼 ‘무죄’’
‘가상화폐 투자원금 안 돌려줘’ 사기혐의 60대···법원 ‘공소사실 증명 안 돼 ‘무죄’’
검찰 “원금보장·고수익 미끼로 투자 권유, 투자금 돌려줄 의사 없어” 기소법원 “모든 송금 내역 투자금으로 볼 수 없고, 원금 보장 사실 증명 안 돼” 가상화폐 투자를 빌미로 지인에게 수억 원을 뜯어낸 혐의를 받던 60대가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사례가 나왔다.창원지방법원 형사1단독 정윤택 부장판사는 사기 혐의로 기소된 60대 A씨에게 지난달 5일 “피고인은 무죄”라고 판결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평소 사주를 봐주며 가까워진 B씨에게 가상화폐 투자를 권유했다. 이에 응한 B씨는 3년 6개월여 동안 81차례에 걸쳐 A씨에게 약 4억 원을 보냈으나 아무런 돈도 돌려받지 못했다.검찰은 A씨가 처음부터 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음에도 B씨를 속여 투자를 권한 것으로 보고 사기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다.A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A씨는 “B씨에게 원금 보장을 약속한 적이 없었다.”면서, “돈을 돌려주지 않은 것은 투자에 실패해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급 의사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아울러 “B씨의 요청으로 심부름을 대신해 돈을 받는 등 사적인 항목도 많다.”면서, “B씨로부터 송금된 돈을 모두 투자금으로 볼 수 없다.”고도 주장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창원지방법원 정윤택 부장판사는 A씨에게 무죄 판결을 선고했다.정윤택 부장판사는 “송금 내역을 봤을 때 투자 명목으로 보기 어려운 적은 금액이 다수 포함돼 있다.”면서, “공소장에 기재된 모든 송금 행위를 투자 대금이라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이어 “피해자는 실질적으로 수익을 얻지 못하면서도 오랜 기간 송금을 이어 갔다.”면서,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송금을 여러 차례 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에 대해 잘 모른다고 하는 등 증언의 신빙성도 약하다.”고 판시했다.그러면서 “피고인이 원금 보장과 고수익을 보장하겠다고 거짓말한 사실이 확실하게 입증되지 않았다.”면서, 공소사실이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증명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이 소송에서 피고인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송재백 변호사는 “특정 공소사실에 대해 유죄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의 증명력을 가진 증거가 필요하다.”면서, “이 사건의 경우 녹취 파일이나 각서 등 B씨의 주장을 뒷받침 할 합리적인 증거를 제출되지 못했는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가상화폐 투자원금 안 돌려줘’ 사기혐의 60대···법원 ‘공소사실 증명 안 돼 ‘무죄’’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1-22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의 대상은?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의 대상은?
결혼을 한 부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혼을 생각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중에는 단순한 생각을 넘어 직접 인터넷을 통해 관련 정보를 검색해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대부분 낯선 법률 용어만을 접하게 될 뿐, 쉬운 설명과 이해를 얻기는 어렵다.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법원은 원칙적으로 혼인 중 부부가 공동으로 협력해서 획득한 재산(이른바 '부부공동재산')이 분할 대상이라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누구나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예금, 주식, 보험, 자동차, 아파트 같은 것들이 기본적인 분할 대상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집안에 쌓아둔 현금, 값비싼 귀금속, 시계, 가구와 같은 것들 역시 분할 대상이 될 수 있다.부부 한쪽이 제3자에게 받을 돈이 있을 수도 있다. 현재 부부가 전셋집에 거주 중이라면 장래 계약 명의자가 집주인으로부터 전세 보증금을 반환받게 되는데, 그 보증금이 분할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또 퇴직금이나 국민연금 등도 간과하기 쉬운 분할 대상으로 꼽힌다. 비록 수령까지 오랜 기간이 남아 있어 지금 당장 수령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분할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빚은 어떨까. 위에서 언급한 플러스(+) 재산(법원은 '적극재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뿐 아니라, 마이너스(-) 재산(마찬가지로 '소극재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또한 분할의 대상이다. 대표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있다. 부부가 거주하는 집이 분할 대상인 것처럼, 그 집을 마련하기 위해 낸 빚도 부부가 함께 나누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은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어떤 종류의 재산이 분할 대상에 포함되는지 잘 인식하고 있더라도 관련 절차를 밟을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바로 배우자가 보유한 재산 자체를 알지 못할 때이다. 그렇다면 배우자의 재산은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이혼 소송 중 부부는 각자의 재산 목록을 기재해 법원에 제출하게 된다. 비법률가가 거짓 기재로 재산을 은닉하기는 어렵다. 기재 내용이 사실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서류를 첨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목록을 토대로 상대방의 재산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나간다. 의심이 들거나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공공기관·은행 등에 사실조회 등을 신청한다. 이혼 소송이 늘어지는 대부분의 이유는 이와 같은 재산 파악의 과정이 어렵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다만, 그렇게 찾아낸 재산이 전부 분할 대상인 것은 아니다. '특유재산'이라는 개념이 있다. 극단적인 예시이긴 하지만, 법원에 이혼 소장을 제출하기 하루 전 부모님으로부터 상속을 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그런데 그 상속재산을 배우자와 나누어야 한다면 굉장한 불합리함이 느껴질 것이다.이처럼 부부 중 한쪽이 상속·증여 등을 통해 얻었거나 혼인 전부터 보유하고 있던 재산이 있다면, '특유재산'임을 내세울 필요가 있다. 부부가 공동으로 협력해서 획득한 재산이 아니므로, 분할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거나 분할 비율에 이러한 사정이 고려돼야 한다는 주장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의 대상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1-22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의 대상은?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의 대상은?
결혼을 한 부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혼을 생각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중에는 단순한 생각을 넘어 직접 인터넷을 통해 관련 정보를 검색해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대부분 낯선 법률 용어만을 접하게 될 뿐, 쉬운 설명과 이해를 얻기는 어렵다.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법원은 원칙적으로 혼인 중 부부가 공동으로 협력해서 획득한 재산(이른바 '부부공동재산')이 분할 대상이라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누구나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예금, 주식, 보험, 자동차, 아파트 같은 것들이 기본적인 분할 대상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집안에 쌓아둔 현금, 값비싼 귀금속, 시계, 가구와 같은 것들 역시 분할 대상이 될 수 있다.부부 한쪽이 제3자에게 받을 돈이 있을 수도 있다. 현재 부부가 전셋집에 거주 중이라면 장래 계약 명의자가 집주인으로부터 전세 보증금을 반환받게 되는데, 그 보증금이 분할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또 퇴직금이나 국민연금 등도 간과하기 쉬운 분할 대상으로 꼽힌다. 비록 수령까지 오랜 기간이 남아 있어 지금 당장 수령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분할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빚은 어떨까. 위에서 언급한 플러스(+) 재산(법원은 '적극재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뿐 아니라, 마이너스(-) 재산(마찬가지로 '소극재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또한 분할의 대상이다. 대표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있다. 부부가 거주하는 집이 분할 대상인 것처럼, 그 집을 마련하기 위해 낸 빚도 부부가 함께 나누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은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어떤 종류의 재산이 분할 대상에 포함되는지 잘 인식하고 있더라도 관련 절차를 밟을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바로 배우자가 보유한 재산 자체를 알지 못할 때이다. 그렇다면 배우자의 재산은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이혼 소송 중 부부는 각자의 재산 목록을 기재해 법원에 제출하게 된다. 비법률가가 거짓 기재로 재산을 은닉하기는 어렵다. 기재 내용이 사실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서류를 첨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목록을 토대로 상대방의 재산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나간다. 의심이 들거나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공공기관·은행 등에 사실조회 등을 신청한다. 이혼 소송이 늘어지는 대부분의 이유는 이와 같은 재산 파악의 과정이 어렵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다만, 그렇게 찾아낸 재산이 전부 분할 대상인 것은 아니다. '특유재산'이라는 개념이 있다. 극단적인 예시이긴 하지만, 법원에 이혼 소장을 제출하기 하루 전 부모님으로부터 상속을 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그런데 그 상속재산을 배우자와 나누어야 한다면 굉장한 불합리함이 느껴질 것이다.이처럼 부부 중 한쪽이 상속·증여 등을 통해 얻었거나 혼인 전부터 보유하고 있던 재산이 있다면, '특유재산'임을 내세울 필요가 있다. 부부가 공동으로 협력해서 획득한 재산이 아니므로, 분할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거나 분할 비율에 이러한 사정이 고려돼야 한다는 주장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이혼 소송 시 재산분할의 대상은?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5곳
2025-01-22
법무법인 대륜,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합류
법무법인 대륜,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합류
중앙지검 마약·조직범죄수사부장, 법무부 인권국장 등 고위직 역임포렌식 기법 활용한 수사·재판대응 등 뛰어난 분쟁해결 역량 보유 조영곤(사법연수원 16기)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최근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에 최고총괄변호사로 합류했다.대륜은 조 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송무, 수사 대응 업무 분야를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조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법학석사 과정을 수료한 뒤 검사로 법조계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이후 부산지방검찰청 강력부장, 수원지검 형사3부 부장검사, 서울중앙지검 마약·조직범죄수사부장 등을 역임했다.지난 2009년 법무부 인권국장에 임명된 그는 인권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범죄 피해자 인권 보호에 앞장서왔다.이후 전국 각급 검찰청에서 기업 관련 대형 형사사건, 금융, 조세 등 여러 분야에 대한 수사 경험을 쌓은 뒤 검사장으로 승진했다.특히, 검사장 재직 당시 △4대강 사업 수사 △전두환·노태우 전직 대통령 추징금 환수 조사 △대기업 불법 탈세 비위 조사 등 대형사건을 진두지휘하며 ‘수사통’으로 명성을 높였다.2013년 제55대 서울중앙지검 검사장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난 그는 법무법인 화우에서 대표변호사를 지내기도 했다.변호사 활동 당시에는 포렌식 기법을 통한 수사와 재판대응은 물론, 중재와 조정 등 뛰어난 분쟁해결 역량을 바탕으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그 결과, 조 변호사는 국내외 유수 기업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불공정거래행위, 기업결합 등 기업 관련 여러 분야에서 법률자문과 수사대응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특히, 삼성전자, CJ대한통운, SK하이닉스, 효성그룹 등 대기업에 대한 법률자문에 대한 경험도 풍부하다.더불어 경찰청 피해자보호정책 자문위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자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한국범죄방지재단 부이사장, 한국피해자학회(제7대 회장) 고문을 맡아 범죄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다.조 변호사는 “법률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며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공안, 특수, 기업범죄 등 각종 수사를 지휘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준 높은 자문과 법률서비스를 제공해나가겠다”고 밝혔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최근 법조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폭넓은 경험과 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필요했다”며 “여러 분야에 정통한 조 변호사의 합류로 한층 더 강화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남하 기자(skagk1234@dailian.co.kr)[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합류 (바로가기) 법률신문 -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대륜 합류 (바로가기) 세계일보 -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대륜 합류 (바로가기) 국제뉴스 - 조영곤 전 지검장, 법무법인 대륜으로 변호 활동 본격화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5곳
2025-01-22
법무법인 대륜,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합류
법무법인 대륜,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합류
중앙지검 마약·조직범죄수사부장, 법무부 인권국장 등 고위직 역임포렌식 기법 활용한 수사·재판대응 등 뛰어난 분쟁해결 역량 보유 조영곤(사법연수원 16기)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최근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에 최고총괄변호사로 합류했다.대륜은 조 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송무, 수사 대응 업무 분야를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조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법학석사 과정을 수료한 뒤 검사로 법조계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이후 부산지방검찰청 강력부장, 수원지검 형사3부 부장검사, 서울중앙지검 마약·조직범죄수사부장 등을 역임했다.지난 2009년 법무부 인권국장에 임명된 그는 인권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범죄 피해자 인권 보호에 앞장서왔다.이후 전국 각급 검찰청에서 기업 관련 대형 형사사건, 금융, 조세 등 여러 분야에 대한 수사 경험을 쌓은 뒤 검사장으로 승진했다.특히, 검사장 재직 당시 △4대강 사업 수사 △전두환·노태우 전직 대통령 추징금 환수 조사 △대기업 불법 탈세 비위 조사 등 대형사건을 진두지휘하며 ‘수사통’으로 명성을 높였다.2013년 제55대 서울중앙지검 검사장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난 그는 법무법인 화우에서 대표변호사를 지내기도 했다.변호사 활동 당시에는 포렌식 기법을 통한 수사와 재판대응은 물론, 중재와 조정 등 뛰어난 분쟁해결 역량을 바탕으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그 결과, 조 변호사는 국내외 유수 기업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불공정거래행위, 기업결합 등 기업 관련 여러 분야에서 법률자문과 수사대응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특히, 삼성전자, CJ대한통운, SK하이닉스, 효성그룹 등 대기업에 대한 법률자문에 대한 경험도 풍부하다.더불어 경찰청 피해자보호정책 자문위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자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한국범죄방지재단 부이사장, 한국피해자학회(제7대 회장) 고문을 맡아 범죄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다.조 변호사는 “법률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며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공안, 특수, 기업범죄 등 각종 수사를 지휘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준 높은 자문과 법률서비스를 제공해나가겠다”고 밝혔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최근 법조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폭넓은 경험과 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필요했다”며 “여러 분야에 정통한 조 변호사의 합류로 한층 더 강화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남하 기자(skagk1234@dailian.co.kr)[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합류 (바로가기) 법률신문 -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대륜 합류 (바로가기) 세계일보 - ‘수사통’ 전 서울중앙지검장 조영곤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조영곤 전 서울중앙지검장 대륜 합류 (바로가기) 국제뉴스 - 조영곤 전 지검장, 법무법인 대륜으로 변호 활동 본격화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5-01-21
“기업결합 격려금, 우린 왜 안주나”…‘한 가족’ 강조한 조원태 회장, LCC도 챙길까
“기업결합 격려금, 우린 왜 안주나”…‘한 가족’ 강조한 조원태 회장, LCC도 챙길까
약 5년 7개월 간 이어진 기업결합 절차를 마무리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임직원이 이번주 기업결합 격려금을 받는다. 다만 아직까지 양사의 자회사인 LCC(저비용항공사)에 대한 합병 격려금의 경우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던 만큼 향후 이들에 대한 격려금도 지급될지 관심이 쏠린다.2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21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완료에 따른 상여금 50% 상당의 ‘기업결합 격려금’을 받는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오는 24일 격려금이 지급될 예정이다.앞서 대한항공은 지난해 5월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통해 기업결합 완료에 따른 ‘결합 승인 축하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아시아나항공 임직원에게 지급되는 격려금은 최근 지급이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조원태 대한항공 회장은 지난 16일 아시아나항공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기업결합심사로 인한 여러분들의 피로감을 느낄 수 있었다”며 “통합까지 이르는 과정, 그리고 통합 이후에 능력과 노력에 따라 공정한 기회와 대가를 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격려했다.특히 조 회장은 최근 아시아나항공을 ‘한 가족’이라고 부르며 적극적으로 챙기고 있다. 그는 대한항공이 아닌 아시아나항공을 탑승해 미국 출국길에 올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지난 10일 조 회장은 인천-LA 구간의 아시아나항공 여객기를 이용했다. 이는 아시아나항공과 ‘한 가족’이라는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실제 그는 지난 2일 신년사를 통해 “지난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그리고 그룹사들이 한진그룹이란 지붕 아래 함께하게 되는 큰 변화가 있었다”며 “진정한 한 가족이 돼가는 순조로운 과정을 머릿속에 그려 본다”고 강조하기도 했다.다만 대한항공 자회사인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에어서울 임직원들 사이에서는 일부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에 따라 양사 임직원에 대해선 격려금을 지급하는 것과 달리 자회사 LCC에는 별다른 격려금 지급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업계 한 관계자는 “자회사들 내에서도 합병에 따른 여러 절차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합병 격려금 논의에서는 철저히 소외되고 있다”며 “직원들의 사기 진작 차원에서 LCC들도 챙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기업결합 격려금은 회사가 다른 회사와 합병한 이후 지급하는 금전적 보상이다. 법적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노사관계 안정과 원활한 조직 통합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활용하는 방식이다.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업결합 격려금의 지급 목적이 근로자들의 근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서인 만큼 LCC에 대한 금전적 보상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아직 LCC 3사에 대한 합병이 구체적으로 완료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관련 논의는 시기 상조라는 의견도 나온다.최영진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기업결합 격려금의 경우 보상금 지급 시점이 회사가 다른 회사와 합병한 이후에 지급하는 것”이라며 “즉 아직 LCC 3사에 대한 통합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격려금을 지급하게 되더라도 온전한 합병이 이뤄진 이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서진 기자(seojin@mk.co.kr) [기사전문보기] “기업결합 격려금, 우린 왜 안주나”…‘한 가족’ 강조한 조원태 회장, LCC도 챙길까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5-01-21
“기업결합 격려금, 우린 왜 안주나”…‘한 가족’ 강조한 조원태 회장, LCC도 챙길까
“기업결합 격려금, 우린 왜 안주나”…‘한 가족’ 강조한 조원태 회장, LCC도 챙길까
약 5년 7개월 간 이어진 기업결합 절차를 마무리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임직원이 이번주 기업결합 격려금을 받는다. 다만 아직까지 양사의 자회사인 LCC(저비용항공사)에 대한 합병 격려금의 경우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던 만큼 향후 이들에 대한 격려금도 지급될지 관심이 쏠린다.2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21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완료에 따른 상여금 50% 상당의 ‘기업결합 격려금’을 받는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오는 24일 격려금이 지급될 예정이다.앞서 대한항공은 지난해 5월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통해 기업결합 완료에 따른 ‘결합 승인 축하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아시아나항공 임직원에게 지급되는 격려금은 최근 지급이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조원태 대한항공 회장은 지난 16일 아시아나항공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기업결합심사로 인한 여러분들의 피로감을 느낄 수 있었다”며 “통합까지 이르는 과정, 그리고 통합 이후에 능력과 노력에 따라 공정한 기회와 대가를 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격려했다.특히 조 회장은 최근 아시아나항공을 ‘한 가족’이라고 부르며 적극적으로 챙기고 있다. 그는 대한항공이 아닌 아시아나항공을 탑승해 미국 출국길에 올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지난 10일 조 회장은 인천-LA 구간의 아시아나항공 여객기를 이용했다. 이는 아시아나항공과 ‘한 가족’이라는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실제 그는 지난 2일 신년사를 통해 “지난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그리고 그룹사들이 한진그룹이란 지붕 아래 함께하게 되는 큰 변화가 있었다”며 “진정한 한 가족이 돼가는 순조로운 과정을 머릿속에 그려 본다”고 강조하기도 했다.다만 대한항공 자회사인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에어서울 임직원들 사이에서는 일부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에 따라 양사 임직원에 대해선 격려금을 지급하는 것과 달리 자회사 LCC에는 별다른 격려금 지급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업계 한 관계자는 “자회사들 내에서도 합병에 따른 여러 절차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합병 격려금 논의에서는 철저히 소외되고 있다”며 “직원들의 사기 진작 차원에서 LCC들도 챙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기업결합 격려금은 회사가 다른 회사와 합병한 이후 지급하는 금전적 보상이다. 법적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노사관계 안정과 원활한 조직 통합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활용하는 방식이다.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업결합 격려금의 지급 목적이 근로자들의 근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서인 만큼 LCC에 대한 금전적 보상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아직 LCC 3사에 대한 합병이 구체적으로 완료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관련 논의는 시기 상조라는 의견도 나온다.최영진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기업결합 격려금의 경우 보상금 지급 시점이 회사가 다른 회사와 합병한 이후에 지급하는 것”이라며 “즉 아직 LCC 3사에 대한 통합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격려금을 지급하게 되더라도 온전한 합병이 이뤄진 이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서진 기자(seojin@mk.co.kr) [기사전문보기] “기업결합 격려금, 우린 왜 안주나”…‘한 가족’ 강조한 조원태 회장, LCC도 챙길까 (바로가기)
머니S
2025-01-21
"블랙박스가 살렸다"… 중학생 추행 혐의 20대 남성 '무죄'
"블랙박스가 살렸다"… 중학생 추행 혐의 20대 남성 '무죄'
채팅앱을 통해 만난 중학생을 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남성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받았다.서울고등법원 형사4-2부(부장판사 권혁중·황진구·지영난)는 지난달 11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위반(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A씨(27)에 대한 선고공판에서 검찰의 항소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2022년 11월 B양(당시 16세)을 차량에 태운 뒤 두차례에 걸쳐 추행한 혐의를 받는다.A씨는 B양과 모바일 채팅앱을 통해 알게 된 사이로, 사건 발생일이 두 번째 만남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B양은 수사과정에서 '여러 차례 거부했지만 A씨가 강제로 신체 중요 부위를 만졌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B양의 진술을 토대로 A씨에게 벌금 1000만원을 구형했다.재판에서 A씨 법률대리인은 피해자 진술이 부정확하고 일관되지 못한 점 등을 토대로 무죄를 주장했다. 이와 함께 사건 당시 현장 상황이 녹음된 차량 블랙박스를 증거로 제출했다.1심 재판부는 블랙박스 녹취록과 진술 내용 등을 검토한 결과 A씨가 B양을 추행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해자 진술이 본 법정에 이르러서도 여러 차례 번복됐고, 제출된 증거 역시 추행이 이뤄졌는지 유추할만한 내용이 담기지 않았다"며 무죄를 선고했다.A씨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오경훈 변호사는 "이번 사건의 경우 피해자의 주장이 수사단계부터 계속 바뀌었는데, 피해자 진술의 모순점을 단순히 시간의 경과로 인한 착오나 세부적인 묘사 방법의 차이로 보기 어려웠다"며 "특히 사건 발생 당시 블랙박스에 녹음된 파일과 대조해봤을 때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A씨가 피해자를 추행한 사실 자체가 없다는 점을 입증해 무죄를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블랙박스가 살렸다"… 중학생 추행 혐의 20대 남성 '무죄' (바로가기)
머니S
2025-01-21
"블랙박스가 살렸다"… 중학생 추행 혐의 20대 남성 '무죄'
"블랙박스가 살렸다"… 중학생 추행 혐의 20대 남성 '무죄'
채팅앱을 통해 만난 중학생을 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남성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받았다.서울고등법원 형사4-2부(부장판사 권혁중·황진구·지영난)는 지난달 11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위반(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A씨(27)에 대한 선고공판에서 검찰의 항소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2022년 11월 B양(당시 16세)을 차량에 태운 뒤 두차례에 걸쳐 추행한 혐의를 받는다.A씨는 B양과 모바일 채팅앱을 통해 알게 된 사이로, 사건 발생일이 두 번째 만남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B양은 수사과정에서 '여러 차례 거부했지만 A씨가 강제로 신체 중요 부위를 만졌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B양의 진술을 토대로 A씨에게 벌금 1000만원을 구형했다.재판에서 A씨 법률대리인은 피해자 진술이 부정확하고 일관되지 못한 점 등을 토대로 무죄를 주장했다. 이와 함께 사건 당시 현장 상황이 녹음된 차량 블랙박스를 증거로 제출했다.1심 재판부는 블랙박스 녹취록과 진술 내용 등을 검토한 결과 A씨가 B양을 추행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해자 진술이 본 법정에 이르러서도 여러 차례 번복됐고, 제출된 증거 역시 추행이 이뤄졌는지 유추할만한 내용이 담기지 않았다"며 무죄를 선고했다.A씨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오경훈 변호사는 "이번 사건의 경우 피해자의 주장이 수사단계부터 계속 바뀌었는데, 피해자 진술의 모순점을 단순히 시간의 경과로 인한 착오나 세부적인 묘사 방법의 차이로 보기 어려웠다"며 "특히 사건 발생 당시 블랙박스에 녹음된 파일과 대조해봤을 때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A씨가 피해자를 추행한 사실 자체가 없다는 점을 입증해 무죄를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블랙박스가 살렸다"… 중학생 추행 혐의 20대 남성 '무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21
"우발적으로.." 軍 동기 폭행하고 손가락 깨문 20대 '선고유예'
"우발적으로.." 軍 동기 폭행하고 손가락 깨문 20대 '선고유예'
군 복무 중 동기 병사를 폭행해 다치게 한 20대가 법원의 선처를 받았습니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은 폭행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 A씨에 대해 벌금 50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1월 동기 병사 B씨의 얼굴과 어깨 등을 폭행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B씨의 손가락을 깨물어 다치게 한 혐의도 받습니다.당시 두 사람은 말다툼을 하던 중 감정이 격해졌고 화를 참지 못한 A씨가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A씨는 혐의를 인정하면서도, 우발적으로 범죄를 저질렀고 피해자와 합의도 이뤄졌다며 선처를 호소했습니다.두 사람 모두 군 생활을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점도 언급했습니다.재판부는 "군 부대 내 폭행은 군기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다"면서도, "피고인이 제대해 유사한 환경에서의 재범 우려가 없고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해 처벌을 원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습니다.A씨의 변호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변호사는 "일반적인 폭행죄의 경우 형법상 반의사불벌죄가 성립되지만, 군대 내 폭행은 군형법이 적용돼 피해자의 처벌 의사와 관계 없이 형사 처벌이 이뤄진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재판 과정에서 이같은 점을 언급하며, 피해자의 처벌불원의사가 있었다면 공소기각판결로 마무리될 사안임을 강조했다"며 "재판부도 이를 수용해 최대한의 선처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우발적으로.." 軍 동기 폭행하고 손가락 깨문 20대 '선고유예'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21
"우발적으로.." 軍 동기 폭행하고 손가락 깨문 20대 '선고유예'
"우발적으로.." 軍 동기 폭행하고 손가락 깨문 20대 '선고유예'
군 복무 중 동기 병사를 폭행해 다치게 한 20대가 법원의 선처를 받았습니다.21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은 폭행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 A씨에 대해 벌금 50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1월 동기 병사 B씨의 얼굴과 어깨 등을 폭행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B씨의 손가락을 깨물어 다치게 한 혐의도 받습니다.당시 두 사람은 말다툼을 하던 중 감정이 격해졌고 화를 참지 못한 A씨가 이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A씨는 혐의를 인정하면서도, 우발적으로 범죄를 저질렀고 피해자와 합의도 이뤄졌다며 선처를 호소했습니다.두 사람 모두 군 생활을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점도 언급했습니다.재판부는 "군 부대 내 폭행은 군기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다"면서도, "피고인이 제대해 유사한 환경에서의 재범 우려가 없고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해 처벌을 원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습니다.A씨의 변호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김영수 변호사는 "일반적인 폭행죄의 경우 형법상 반의사불벌죄가 성립되지만, 군대 내 폭행은 군형법이 적용돼 피해자의 처벌 의사와 관계 없이 형사 처벌이 이뤄진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재판 과정에서 이같은 점을 언급하며, 피해자의 처벌불원의사가 있었다면 공소기각판결로 마무리될 사안임을 강조했다"며 "재판부도 이를 수용해 최대한의 선처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우발적으로.." 軍 동기 폭행하고 손가락 깨문 20대 '선고유예'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21
집행유예 중 연인에게 상해 입힌 30대, 항소심서 감형
집행유예 중 연인에게 상해 입힌 30대, 항소심서 감형
바람피웠다고 생각해 연인에게 핸드폰 등 휘둘러…1심 ‘징역 10개월’항소심 “관계 회복 위해 노력… 원만하게 합의한 점 등 고려” 집행유예 기간에 물건을 휘둘러 연인을 다치게 한 3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수원지방법원 제5-3형사부는 지난해 11월 29일 특수상해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징역 10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80시간의 사회봉사와 40시간의 폭력치료강의 수강도 명령했다.A씨는 2023년 5월 연인 사이인 B씨의 외도를 의심하며 휴대폰 등 물건을 휘둘러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이로 인해 B씨는 얼굴과 몸 등에 부상을 입었으며 약 4주간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병원 진단을 받았다.조사 과정에서 A씨는 과거 도로교통법 위반으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는데 이 기간 중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1심은 A씨에게 징역 10개월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가 입은 상해가 가볍지 않다”면서 “피고인이 집행유예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범행을 저질렀다”며 실형 선고 이유를 밝혔다.이에 A씨는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다. A씨는 화를 참지 못하고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후 B씨와의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고 강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법원은 “범행 경위와 내용, 위험성, 피해자의 상해 정도 등을 봤을 때 죄질이 좋지 않다”면서도 “피고인은 범행 이후 피해자와의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했고 더 이상 폭력적인 언행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이어 “피고인도 범행을 인정하면서 잘못을 반성하고 있고 피해자와 원만하게 합의한 점을 고려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태환 변호사는 “집행유예 기간 중 다시 범행을 저질렀다면 집행유예를 받을 수 없다”면서도 “다만 기간이 모두 경과되고 난 이후에 선고가 이뤄진다면 집행유예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 사건의 경우 집행유예 기간에 범행이 이뤄졌지만 원심과 항소심 선고는 해당 기간이 끝난 후 내려졌다”면서 “B씨의 선처 탄원과 함께 현 시점에서 두 사람 관계가 원만하다는 점을 강조해 감형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집행유예 중 연인에게 상해 입힌 30대, 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21
집행유예 중 연인에게 상해 입힌 30대, 항소심서 감형
집행유예 중 연인에게 상해 입힌 30대, 항소심서 감형
바람피웠다고 생각해 연인에게 핸드폰 등 휘둘러…1심 ‘징역 10개월’항소심 “관계 회복 위해 노력… 원만하게 합의한 점 등 고려” 집행유예 기간에 물건을 휘둘러 연인을 다치게 한 3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받았다.수원지방법원 제5-3형사부는 지난해 11월 29일 특수상해 혐의로 기소된 30대 A씨에게 징역 10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80시간의 사회봉사와 40시간의 폭력치료강의 수강도 명령했다.A씨는 2023년 5월 연인 사이인 B씨의 외도를 의심하며 휴대폰 등 물건을 휘둘러 다치게 한 혐의를 받았다.이로 인해 B씨는 얼굴과 몸 등에 부상을 입었으며 약 4주간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병원 진단을 받았다.조사 과정에서 A씨는 과거 도로교통법 위반으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는데 이 기간 중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1심은 A씨에게 징역 10개월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가 입은 상해가 가볍지 않다”면서 “피고인이 집행유예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범행을 저질렀다”며 실형 선고 이유를 밝혔다.이에 A씨는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했다. A씨는 화를 참지 못하고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후 B씨와의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고 강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법원은 “범행 경위와 내용, 위험성, 피해자의 상해 정도 등을 봤을 때 죄질이 좋지 않다”면서도 “피고인은 범행 이후 피해자와의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했고 더 이상 폭력적인 언행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이어 “피고인도 범행을 인정하면서 잘못을 반성하고 있고 피해자와 원만하게 합의한 점을 고려했다”며 양형 사유를 밝혔다.A씨의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태환 변호사는 “집행유예 기간 중 다시 범행을 저질렀다면 집행유예를 받을 수 없다”면서도 “다만 기간이 모두 경과되고 난 이후에 선고가 이뤄진다면 집행유예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 사건의 경우 집행유예 기간에 범행이 이뤄졌지만 원심과 항소심 선고는 해당 기간이 끝난 후 내려졌다”면서 “B씨의 선처 탄원과 함께 현 시점에서 두 사람 관계가 원만하다는 점을 강조해 감형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집행유예 중 연인에게 상해 입힌 30대, 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1-19
연예계 두 번째 혼외자 탄생? 홍상수 감독 연인 김민희 임신설 “올해 봄 출산 예정”
연예계 두 번째 혼외자 탄생? 홍상수 감독 연인 김민희 임신설 “올해 봄 출산 예정”
홍상수(65) 감독의 연인인 배우 김민희(43)의 임신설이 제기됐다. 연예매체 디스패치는 김민희가 홍상수 감독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져 올해 봄 출산을 앞뒀다고 1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두 사람은 지난해 여름 임신 사실을 알았으며 최근까지도 함께 산부인과를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2016년 열애설에 휘말린 홍 감독과 김민희는 이듬해 이 사실을 인정했다. 홍 감독은 1985년 미국 유학 시절 동갑내기 여성 A씨와 결혼해 슬하에 딸을 뒀다. 그는 2016년 A씨를 상대로 이혼 조정 신청을 냈으나 A씨가 사실상 관련 서류 수령을 거부해 무산됐다. 이후 홍 감독이 제기한 이혼소송은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홍 감독에 있다는 법원 판단에 따라 2019년 기각됐다. 홍 감독이 이에 항소하지 않으면서 법적으로는 부부 관계를 유지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민희는 홍 감독과의 교제 이후 그의 작품에만 출연하고 있다. 한편 김민희의 임신과 관련해 출생신고 등은 문제로 남는다. 17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출생신고를 하면 가족관계등록부에 자녀로 등재된다고 설명했다. 홍상수가 태어날 자녀를 친생자로 인지하면, 홍상수의 가족관계등록부에도 새로운 자녀로 등재될 수 있다. 두 사람의 혼인 여부와 무관하게 자녀와의 부모 관계는 성립하는 것이다. 다만 가족관계등록부 제도가 도입되면서 본인을 중심으로 부모와 자녀 등 직계관계만 표시 돼 홍상수의 아내인 A씨의 가족관계등록부를 발급하면 태어날 자녀는 보이지 않는다. 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연예계 두 번째 혼외자 탄생? 홍상수 감독 연인 김민희 임신설 “올해 봄 출산 예정”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5-01-19
연예계 두 번째 혼외자 탄생? 홍상수 감독 연인 김민희 임신설 “올해 봄 출산 예정”
연예계 두 번째 혼외자 탄생? 홍상수 감독 연인 김민희 임신설 “올해 봄 출산 예정”
홍상수(65) 감독의 연인인 배우 김민희(43)의 임신설이 제기됐다. 연예매체 디스패치는 김민희가 홍상수 감독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져 올해 봄 출산을 앞뒀다고 1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두 사람은 지난해 여름 임신 사실을 알았으며 최근까지도 함께 산부인과를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2016년 열애설에 휘말린 홍 감독과 김민희는 이듬해 이 사실을 인정했다. 홍 감독은 1985년 미국 유학 시절 동갑내기 여성 A씨와 결혼해 슬하에 딸을 뒀다. 그는 2016년 A씨를 상대로 이혼 조정 신청을 냈으나 A씨가 사실상 관련 서류 수령을 거부해 무산됐다. 이후 홍 감독이 제기한 이혼소송은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홍 감독에 있다는 법원 판단에 따라 2019년 기각됐다. 홍 감독이 이에 항소하지 않으면서 법적으로는 부부 관계를 유지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민희는 홍 감독과의 교제 이후 그의 작품에만 출연하고 있다. 한편 김민희의 임신과 관련해 출생신고 등은 문제로 남는다. 17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출생신고를 하면 가족관계등록부에 자녀로 등재된다고 설명했다. 홍상수가 태어날 자녀를 친생자로 인지하면, 홍상수의 가족관계등록부에도 새로운 자녀로 등재될 수 있다. 두 사람의 혼인 여부와 무관하게 자녀와의 부모 관계는 성립하는 것이다. 다만 가족관계등록부 제도가 도입되면서 본인을 중심으로 부모와 자녀 등 직계관계만 표시 돼 홍상수의 아내인 A씨의 가족관계등록부를 발급하면 태어날 자녀는 보이지 않는다. 이동준 기자(blondie@segye.com) [기사전문보기] 연예계 두 번째 혼외자 탄생? 홍상수 감독 연인 김민희 임신설 “올해 봄 출산 예정”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등 3곳
2025-01-16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이 판검사 출신 변호사를 영입하고 강력범죄 등 형사사건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신민수 변호사는 법원과 검찰 조직을 모두 경험한 특별한 이력이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울산지방검찰청을 거쳐 서울남부지검까지 다수의 검찰청에서 검사로 재직했다. 이후 그는 법관으로 임용돼 대구지법·인천지법 판사, 울산지법 부장판사 등을 역임했다. 특히 성폭력, 재산범죄 등 강력범죄부터 노동,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담당하며 법조계에서 20여년간 업력을 쌓았다. 신 변호사는 “사건 수사부터 재판까지 전 과정을 직접 지휘했다”며 “검사와 판사를 모두 경험한 만큼 앞으로 사건 수행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석주 변호사는 지난 2000년 수원지검 성남지청 검사로 임관한 뒤 수원지검 안양지청, 의정부지검 고양지청 부부장검사, 대구지검 포항지청, 수원지검 부장검사로 근무했다. 검찰 조직에 오랜 기간 몸담아온 그는 조세·관세, 마약 등 굵직한 형사사건을 맡아 처리해 검찰총장 표창까지 받은 바 있다. 윤 변호사는 “대륜의 일원이 될 수 있어서 기쁘다”며 “검찰 경험을 총동원해 사건 초동 조치부터 유형분석, 사후관리까지 빈틈없이 사건을 처리해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신 변호사는 대구본부 분사무소, 윤 변호사는 전주 분사무소에서 근무하며, 전문성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 강력범죄, 사건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들어오는 형사 사건에서 수행 및 총괄 역할을 하게 된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두 변호사 영입으로 형사대응그룹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성범죄, 기업 횡령 및 배임, 환경 등 다양한 형사사건 해결을 위해 각자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오효진 기자(editor@venturesquare.net) [기사전문보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출신’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 전 부장판사·윤석주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등 3곳
2025-01-16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이 판검사 출신 변호사를 영입하고 강력범죄 등 형사사건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신민수 변호사는 법원과 검찰 조직을 모두 경험한 특별한 이력이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울산지방검찰청을 거쳐 서울남부지검까지 다수의 검찰청에서 검사로 재직했다. 이후 그는 법관으로 임용돼 대구지법·인천지법 판사, 울산지법 부장판사 등을 역임했다. 특히 성폭력, 재산범죄 등 강력범죄부터 노동,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담당하며 법조계에서 20여년간 업력을 쌓았다. 신 변호사는 “사건 수사부터 재판까지 전 과정을 직접 지휘했다”며 “검사와 판사를 모두 경험한 만큼 앞으로 사건 수행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석주 변호사는 지난 2000년 수원지검 성남지청 검사로 임관한 뒤 수원지검 안양지청, 의정부지검 고양지청 부부장검사, 대구지검 포항지청, 수원지검 부장검사로 근무했다. 검찰 조직에 오랜 기간 몸담아온 그는 조세·관세, 마약 등 굵직한 형사사건을 맡아 처리해 검찰총장 표창까지 받은 바 있다. 윤 변호사는 “대륜의 일원이 될 수 있어서 기쁘다”며 “검찰 경험을 총동원해 사건 초동 조치부터 유형분석, 사후관리까지 빈틈없이 사건을 처리해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신 변호사는 대구본부 분사무소, 윤 변호사는 전주 분사무소에서 근무하며, 전문성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 강력범죄, 사건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들어오는 형사 사건에서 수행 및 총괄 역할을 하게 된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두 변호사 영입으로 형사대응그룹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성범죄, 기업 횡령 및 배임, 환경 등 다양한 형사사건 해결을 위해 각자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오효진 기자(editor@venturesquare.net) [기사전문보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판·검사 출신’ 신민수·윤석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신민수 전 부장판사·윤석주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5곳
2025-01-16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시장 선도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시장 선도
법률정보 등 누적 데이터 학습…내용 검토를 위한 변호사 상담 서비스도 연계대륜 "AI 활용 맞춤 솔루션 제시해 양질 서비스 제공…리걸테크 발전 선도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인공지능(AI) 기반 법률 서비스를 도입해 리걸테크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16일 밝혔다.의뢰인들에게 24시간 빠르고 정확한 법적 정보를 제공하고, 소속 변호사와의 신속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해 고객 맞춤형 법률 서비스 향상에 최선을 다한다는 계획이다.법률 서비스와 첨단 기술이 결합한 '리걸테크'는 현재 해외 여러 국가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하며 법률 시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가까운 일본에서는 AI 변호사가 무료 전화 상담을 제공 중이고, 미국과 프랑스에서도 AI 기반 변호사 앱이 출시된 상황이다.대륜 역시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AI 법률 서비스를 도입해 국내 법조계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끈다는 방침이다.대륜 AI 서비스의 영역은 단순한 법률정보 전달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용자들의 질문 사안을 분석·검토하고, 빠른 시간 안에 최적의 정보를 요약해 필요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민·형사상 문제나 법적 분쟁 등 구체적인 상황을 입력하면 AI가 관련 유사한 법률정보 및 판례를 제공하는 방식이다.AI의 답변을 재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했다. 대륜은 AI와의 상담이 종료된 이후, 변호사와 직접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해 이용자들의 편의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대륜 AI의 답변이 법적으로 적합했는지, 또 허위 정보가 포함돼 있진 않았는지 등 답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보완 작업이 이뤄지게 된다.특히 해당 AI는 법률정보·판례 등 대륜이 오랜 시간 동안 축적한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돼 눈길을 끌고 있다. 소속 전문 변호사들이 AI 학습 과정에서 답변 작성에 참여해 정확도와 신뢰성을 더욱 높인 것이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리걸테크는 법조 시장의 미래를 열어가는 중요한 열쇠"라며 "대륜은 AI 서비스 도입을 통해 공익적 사회공헌을 도모함과 동시에 고객들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며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대한변호사협회의 규정에 의하면 AI 서비스를 광고하기 위해서는 변협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대륜은 이를 준수하면서 AI 서비스 도입을 대중에 전하고 리걸테크가 법조 시장에 가져올 긍정적인 영향을 널리 알려 국내 법률 서비스의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이번 AI 서비스 도입 외에도 구성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AI를 활용할 예정이다.여기에 관계 법령 등 사안에 대한 관련 자료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해 내부적으로도 AI를 통한 업무 효율성을 증진시킬 계획이다. 김남하 기자(skagk1234@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시장 선도 (바로가기) 지디넷코리아 - [ZD SW 투데이] KISIA, 2025년 정보보호 인재양성 교육생 모집 外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발전 선도할 것" (바로가기) 매일경제 - [단독]‘제2의 AI대륙아주’ 되나…변협, 24시간 무료 AI법률상담 ‘대륜AI’ 징계 검토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서비스 도입…최적의 답변제공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5곳
2025-01-16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시장 선도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시장 선도
법률정보 등 누적 데이터 학습…내용 검토를 위한 변호사 상담 서비스도 연계대륜 "AI 활용 맞춤 솔루션 제시해 양질 서비스 제공…리걸테크 발전 선도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인공지능(AI) 기반 법률 서비스를 도입해 리걸테크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16일 밝혔다.의뢰인들에게 24시간 빠르고 정확한 법적 정보를 제공하고, 소속 변호사와의 신속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해 고객 맞춤형 법률 서비스 향상에 최선을 다한다는 계획이다.법률 서비스와 첨단 기술이 결합한 '리걸테크'는 현재 해외 여러 국가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하며 법률 시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가까운 일본에서는 AI 변호사가 무료 전화 상담을 제공 중이고, 미국과 프랑스에서도 AI 기반 변호사 앱이 출시된 상황이다.대륜 역시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AI 법률 서비스를 도입해 국내 법조계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끈다는 방침이다.대륜 AI 서비스의 영역은 단순한 법률정보 전달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용자들의 질문 사안을 분석·검토하고, 빠른 시간 안에 최적의 정보를 요약해 필요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민·형사상 문제나 법적 분쟁 등 구체적인 상황을 입력하면 AI가 관련 유사한 법률정보 및 판례를 제공하는 방식이다.AI의 답변을 재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했다. 대륜은 AI와의 상담이 종료된 이후, 변호사와 직접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해 이용자들의 편의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대륜 AI의 답변이 법적으로 적합했는지, 또 허위 정보가 포함돼 있진 않았는지 등 답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보완 작업이 이뤄지게 된다.특히 해당 AI는 법률정보·판례 등 대륜이 오랜 시간 동안 축적한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돼 눈길을 끌고 있다. 소속 전문 변호사들이 AI 학습 과정에서 답변 작성에 참여해 정확도와 신뢰성을 더욱 높인 것이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리걸테크는 법조 시장의 미래를 열어가는 중요한 열쇠"라며 "대륜은 AI 서비스 도입을 통해 공익적 사회공헌을 도모함과 동시에 고객들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며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대한변호사협회의 규정에 의하면 AI 서비스를 광고하기 위해서는 변협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대륜은 이를 준수하면서 AI 서비스 도입을 대중에 전하고 리걸테크가 법조 시장에 가져올 긍정적인 영향을 널리 알려 국내 법률 서비스의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이번 AI 서비스 도입 외에도 구성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AI를 활용할 예정이다.여기에 관계 법령 등 사안에 대한 관련 자료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해 내부적으로도 AI를 통한 업무 효율성을 증진시킬 계획이다. 김남하 기자(skagk1234@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시장 선도 (바로가기) 지디넷코리아 - [ZD SW 투데이] KISIA, 2025년 정보보호 인재양성 교육생 모집 外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 서비스 도입···"리걸테크 발전 선도할 것" (바로가기) 매일경제 - [단독]‘제2의 AI대륙아주’ 되나…변협, 24시간 무료 AI법률상담 ‘대륜AI’ 징계 검토 (바로가기) 조세금융신문 - 법무법인 대륜, AI 법률서비스 도입…최적의 답변제공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14곳
2025-01-14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관련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관련 세미나 개최
에버그리닝 전략 등 각 기업들의 특허 전략 및 관련 판례 설명제약·바이오 업계 종사자 무료 참석 가능…21일까지 대륜 홈페이지 통해 신청 의약품 특허 존속기간과 관련된 특허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를 통과하면서 특허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제약·바이오 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온·오프라인 세미나가 개최된다.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오는 24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에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이번 세미나에서는 약사·변리사 자격을 갖추고 있는 이일형(변호사시험 7회)가 발제자로 나선다.이 변호사는 셀트리온 사내변호사 출신으로, 국내 대형 제약회사 3사의 특허 소송을 대리한 바 있는 전문가다. 글로벌 제약업체인 화이자를 상대로 승소한 경험도 있다.이 변호사는 의약품 특허 관련 판례를 소개하고, 현재 각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마련 중인 특허 전략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특히 이 자리에서는 이른바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은 물질 특허 만료 뒤 후속 특허 출원을 통해 영구적인 이익을 향유하고자 하는 전략을 뜻한다.24일 열릴 세미나는 제약·바이오 업계 관련 실무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대륜 홈페이지(https://www.daeryunlaw.com/)를 통해 오는 21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염재중 기자(yjj@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관련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칼트리뷴 -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세미나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이해’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SNN - 제약·바이오 업계, 특허 전략 논의의 장 열린다…‘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바로가기) 창업일보 -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푸드투데이 - 최보윤 의원, 제약 · 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팜헬스 - 최보윤 의원 , 제약 · 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칼업저버 - [행사]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포뉴스 -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1/24) (바로가기) 히트뉴스 - 최보윤 의원, 실무자가 알아야 할 에버그리닝 특허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약사공론 -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24일 개최 (바로가기) 메디컬헤럴드 - 최보윤 의원 ,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제약·바이오 업계 종사자 대상 특허 전략 및 관련 판례' 설명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14곳
2025-01-14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관련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관련 세미나 개최
에버그리닝 전략 등 각 기업들의 특허 전략 및 관련 판례 설명제약·바이오 업계 종사자 무료 참석 가능…21일까지 대륜 홈페이지 통해 신청 의약품 특허 존속기간과 관련된 특허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를 통과하면서 특허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제약·바이오 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온·오프라인 세미나가 개최된다.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은 오는 24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본사 대회의실에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이번 세미나에서는 약사·변리사 자격을 갖추고 있는 이일형(변호사시험 7회)가 발제자로 나선다.이 변호사는 셀트리온 사내변호사 출신으로, 국내 대형 제약회사 3사의 특허 소송을 대리한 바 있는 전문가다. 글로벌 제약업체인 화이자를 상대로 승소한 경험도 있다.이 변호사는 의약품 특허 관련 판례를 소개하고, 현재 각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마련 중인 특허 전략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특히 이 자리에서는 이른바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은 물질 특허 만료 뒤 후속 특허 출원을 통해 영구적인 이익을 향유하고자 하는 전략을 뜻한다.24일 열릴 세미나는 제약·바이오 업계 관련 실무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대륜 홈페이지(https://www.daeryunlaw.com/)를 통해 오는 21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염재중 기자(yjj@joseilbo.com)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관련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칼트리뷴 -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세미나 (바로가기) 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24일 의약품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에 대한 이해’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SNN - 제약·바이오 업계, 특허 전략 논의의 장 열린다…‘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바로가기) 창업일보 -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푸드투데이 - 최보윤 의원, 제약 · 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팜헬스 - 최보윤 의원 , 제약 · 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칼업저버 - [행사]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에버그리닝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메디포뉴스 -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 (1/24) (바로가기) 히트뉴스 - 최보윤 의원, 실무자가 알아야 할 에버그리닝 특허전략 세미나 개최 (바로가기) 약사공론 - 최보윤 의원,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24일 개최 (바로가기) 메디컬헤럴드 - 최보윤 의원 , '제약·바이오 특허 전략 세미나' 개최…'제약·바이오 업계 종사자 대상 특허 전략 및 관련 판례' 설명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1-14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교폭력에 '맞신고'도 빈번…적절한 대응방안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교폭력에 '맞신고'도 빈번…적절한 대응방안은?
지난해 9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325만명 중 2.1%, 6만5천여 명이 학교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사 결과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건 초등학생들의 피해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는 점이다. 4.2%의 학생들이 '올해 학교 폭력을 당했다'고 답했는데, 이는 2013년(3.8%) 이후 역대 최고치인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폭력이 더 이상 애들 싸움으로 치부되지 않는 이유다.처벌 수위 역시 강화되는 모양새다. 경찰청 청소년보호활동 플랫폼 '유스폴넷' 통계를 보면, 지난 2023년 경찰이 검거한 학폭 가해학생 수는 1만5천여 명으로, 이전 해에 비해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을 저질렀을 때, 교육청 차원의 징계뿐만 아니라 형사 책임까지 질 수 있음을 뜻한다.이처럼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다 보니 현장에서는 다양한 갈등이 빚어지기도 한다. 특히 부모들의 개입이 잦아지면서 가해 학생으로 지목된 이들의 이른바 '맞신고'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학교폭력 예방기관 푸른나무재단이 지난해 발표한 조사에서도 학부모 380여 명 중 40%가 쌍방 신고를 당했다고 답했다.실제 필자가 경험한 사례도 있다.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A양은 같은 반 친구로부터 머리채를 잡히고 욕설을 듣는 등 피해를 입었다, A양의 부모는 피해 사실을 신고했지만, 돌아온 건 사과가 아닌 맞신고였다. 이 때문에 A양 역시 가해자로 지목돼 등교 중지 처분을 받게 됐다. 이에 A양의 부모는 법적 조력을 요청했다.이후 열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서 필자는 A양이 어떠한 폭력행위도 하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가해 학생의 무고성 고소 등 반성 없는 태도를 고려해 조치를 취해달라고 강조했다. 교육청 학폭대책심의위는 가해 학생의 행위를 인정하며, 교내봉사와 특별교육 등의 조치를 내렸다. 또한 학폭심의위는 가해 학생 측이 주장한 A양의 학교 폭력 행위는 없었음을 분명히 했다. 빠른 대처 덕에 A양이 억울함을 풀 수 있었던 것이다.위 사례에서 알 수 있듯, 학교폭력 사건에서 '시의적절한 대응'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피해자 입장이라 하더라도 되려 가해자로 몰릴 수 있으며, 당시 상황과 그로 인한 피해를 제대로 소명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징계 처분을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가해 학생의 위치에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학폭위 과정에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자신이 실제 저지른 행위보다 과한 처분을 받거나 더 무거운 형사책임, 또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을 떠안아야 할 수도 있다. 그렇기에 일단 학교폭력에 연루됐다면, 여타 형사사건과 같이 빠르게 법률 전문가를 찾아 도움을 받고 매 절차에 임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교폭력에 '맞신고'도 빈번…적절한 대응방안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1-14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교폭력에 '맞신고'도 빈번…적절한 대응방안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교폭력에 '맞신고'도 빈번…적절한 대응방안은?
지난해 9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325만명 중 2.1%, 6만5천여 명이 학교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사 결과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건 초등학생들의 피해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는 점이다. 4.2%의 학생들이 '올해 학교 폭력을 당했다'고 답했는데, 이는 2013년(3.8%) 이후 역대 최고치인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폭력이 더 이상 애들 싸움으로 치부되지 않는 이유다.처벌 수위 역시 강화되는 모양새다. 경찰청 청소년보호활동 플랫폼 '유스폴넷' 통계를 보면, 지난 2023년 경찰이 검거한 학폭 가해학생 수는 1만5천여 명으로, 이전 해에 비해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을 저질렀을 때, 교육청 차원의 징계뿐만 아니라 형사 책임까지 질 수 있음을 뜻한다.이처럼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다 보니 현장에서는 다양한 갈등이 빚어지기도 한다. 특히 부모들의 개입이 잦아지면서 가해 학생으로 지목된 이들의 이른바 '맞신고'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학교폭력 예방기관 푸른나무재단이 지난해 발표한 조사에서도 학부모 380여 명 중 40%가 쌍방 신고를 당했다고 답했다.실제 필자가 경험한 사례도 있다.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A양은 같은 반 친구로부터 머리채를 잡히고 욕설을 듣는 등 피해를 입었다, A양의 부모는 피해 사실을 신고했지만, 돌아온 건 사과가 아닌 맞신고였다. 이 때문에 A양 역시 가해자로 지목돼 등교 중지 처분을 받게 됐다. 이에 A양의 부모는 법적 조력을 요청했다.이후 열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서 필자는 A양이 어떠한 폭력행위도 하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가해 학생의 무고성 고소 등 반성 없는 태도를 고려해 조치를 취해달라고 강조했다. 교육청 학폭대책심의위는 가해 학생의 행위를 인정하며, 교내봉사와 특별교육 등의 조치를 내렸다. 또한 학폭심의위는 가해 학생 측이 주장한 A양의 학교 폭력 행위는 없었음을 분명히 했다. 빠른 대처 덕에 A양이 억울함을 풀 수 있었던 것이다.위 사례에서 알 수 있듯, 학교폭력 사건에서 '시의적절한 대응'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피해자 입장이라 하더라도 되려 가해자로 몰릴 수 있으며, 당시 상황과 그로 인한 피해를 제대로 소명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징계 처분을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가해 학생의 위치에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학폭위 과정에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자신이 실제 저지른 행위보다 과한 처분을 받거나 더 무거운 형사책임, 또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을 떠안아야 할 수도 있다. 그렇기에 일단 학교폭력에 연루됐다면, 여타 형사사건과 같이 빠르게 법률 전문가를 찾아 도움을 받고 매 절차에 임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교폭력에 '맞신고'도 빈번…적절한 대응방안은?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13
“내 남친에게 추근대” 허위사실 유포한 가해자 벌금형
“내 남친에게 추근대” 허위사실 유포한 가해자 벌금형
악의적인 비방 등 지속적인 명예훼손피해자 측 “피고인 주장 사실 아냐” 고통 호소 남자친구의 외도를 의심해 상대 여성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가해자에게 벌금형이 내려졌다.창원지방법원 형사6단독 서진원 판사는 지난해 11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벌금 50만 원을 선고했다.앞서 A씨는 헬스장 트레이너로 일하던 자신의 남자친구가 회원 중 한 명인 B씨와 바람을 피운 것으로 의심해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B씨는 일면식도 없던 A씨로부터 “이 모든 사실을 지인들에게 알리겠다”, “평생 쫓아다니며 괴롭히겠다” 등 협박성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왔다.이뿐만 아니라 A씨는 허위 사실이 담긴 내용을 B씨의 지인들에게 전송까지 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의 범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지역 내 유명 온라인 카페 등에도 이 같은 내용을 유포할 것이라고도 협박했다.이에 B씨 측은 부적절한 행위는 일절 하지 않았으며, 주변인을 대상으로 한 협박과 허위사실 유포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재판부는 A씨의 행위가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서 판사는 “피고인의 주장과 같이 피해자가 피고인 남자친구와 몰래 만남을 갖거나, 사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았다고 단정할만한 근거가 없다”며 “수사 및 공판과정에서 피해자는 일관된 진술을 하고 있고, 피고인 역시 자신의 주장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하고 있었다”고 판시했다.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최용환 변호사는 “본 사건과 같이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힐 경우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된다. 최근에는 유명인뿐 아니라 일반인도 이러한 범죄 피해를 입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며 “특히 거짓을 유포한다면 사실적시 명예훼손보다 훨씬 무거운 처벌을 받게 돼 주의가 요구된다. 거짓의 내용이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퍼지면 그 피해는 수습이 어려울 정도로 커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내 남친에게 추근대” 허위사실 유포한 가해자 벌금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13
“내 남친에게 추근대” 허위사실 유포한 가해자 벌금형
“내 남친에게 추근대” 허위사실 유포한 가해자 벌금형
악의적인 비방 등 지속적인 명예훼손피해자 측 “피고인 주장 사실 아냐” 고통 호소 남자친구의 외도를 의심해 상대 여성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가해자에게 벌금형이 내려졌다.창원지방법원 형사6단독 서진원 판사는 지난해 11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벌금 50만 원을 선고했다.앞서 A씨는 헬스장 트레이너로 일하던 자신의 남자친구가 회원 중 한 명인 B씨와 바람을 피운 것으로 의심해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B씨는 일면식도 없던 A씨로부터 “이 모든 사실을 지인들에게 알리겠다”, “평생 쫓아다니며 괴롭히겠다” 등 협박성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왔다.이뿐만 아니라 A씨는 허위 사실이 담긴 내용을 B씨의 지인들에게 전송까지 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의 범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지역 내 유명 온라인 카페 등에도 이 같은 내용을 유포할 것이라고도 협박했다.이에 B씨 측은 부적절한 행위는 일절 하지 않았으며, 주변인을 대상으로 한 협박과 허위사실 유포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재판부는 A씨의 행위가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서 판사는 “피고인의 주장과 같이 피해자가 피고인 남자친구와 몰래 만남을 갖거나, 사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았다고 단정할만한 근거가 없다”며 “수사 및 공판과정에서 피해자는 일관된 진술을 하고 있고, 피고인 역시 자신의 주장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하고 있었다”고 판시했다.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최용환 변호사는 “본 사건과 같이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힐 경우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된다. 최근에는 유명인뿐 아니라 일반인도 이러한 범죄 피해를 입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며 “특히 거짓을 유포한다면 사실적시 명예훼손보다 훨씬 무거운 처벌을 받게 돼 주의가 요구된다. 거짓의 내용이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퍼지면 그 피해는 수습이 어려울 정도로 커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내 남친에게 추근대” 허위사실 유포한 가해자 벌금형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5-01-13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기업 안정적 성장 지원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기업 안정적 성장 지원
계약서 규제 검토 등 M&A 전 과정에서 법률 서비스 제공대륜 "M&A, 투자, 투자유치 등 베테랑 전문가가 법적 자문 진행"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한국M&A거래소(KMX)와 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지난 9일 한국M&A거래소 사무실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최이선 부대표, 방인태 변호사와 한국M&A거래소 이창헌 회장, 엄준용 사장 등이 참석했다.KMX는 마톡(M&A플랫폼)을 포함해 1만여 개 기업의 M&A 의뢰를 관리하는 국내 최대 M&A 플랫폼 조직이다. 지난 2006년 설립된 이후 국내를 넘어 중국·일본·인도 등 해외 다수 기업의 M&A 정보를 보유하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M&A 중개 거래사로 자리잡았다.대륜은 이날 체결된 MOU를 통해 법적 자문, 규제 검토 등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정적인 M&A 체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구체적으로 △M&A 관련 계약서 검토 및 법적 리스크 분석 △위반 사항 검토 등 규제 요건 확인 △거래 과정에서의 법적 분쟁 예방 및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한국M&A거래소 이창헌 회장은 "KMX는 한국 M&A 시장의 독보적인 1위 거래소로 M&A 파트너 네트워크를 활용해 협력 기회 창출 및 상장 준비 등 업무 역량을 넓히고 있다"면서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하는 대륜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M&A와 접목해 시너지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에는 M&A, 투자, 투자유치, IPO 등 자문이 가능한 변호사, 회계사를 비롯한 베테랑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다"며 "M&A 대상 기업에 대한 법적 검토·자문을 진행하고 KMX에 제공해 거래가 성사될 수 있도록 도우면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법적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 내 기업인수합병(M&A)를 담당하는 팀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자산 운용, 인사·노무 등 타 팀과 협력해 기업에 필요한 전반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김남하 기자(skagk1234@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기업 안정적 성장 지원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5-01-13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기업 안정적 성장 지원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기업 안정적 성장 지원
계약서 규제 검토 등 M&A 전 과정에서 법률 서비스 제공대륜 "M&A, 투자, 투자유치 등 베테랑 전문가가 법적 자문 진행"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한국M&A거래소(KMX)와 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지난 9일 한국M&A거래소 사무실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최이선 부대표, 방인태 변호사와 한국M&A거래소 이창헌 회장, 엄준용 사장 등이 참석했다.KMX는 마톡(M&A플랫폼)을 포함해 1만여 개 기업의 M&A 의뢰를 관리하는 국내 최대 M&A 플랫폼 조직이다. 지난 2006년 설립된 이후 국내를 넘어 중국·일본·인도 등 해외 다수 기업의 M&A 정보를 보유하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M&A 중개 거래사로 자리잡았다.대륜은 이날 체결된 MOU를 통해 법적 자문, 규제 검토 등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정적인 M&A 체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구체적으로 △M&A 관련 계약서 검토 및 법적 리스크 분석 △위반 사항 검토 등 규제 요건 확인 △거래 과정에서의 법적 분쟁 예방 및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한국M&A거래소 이창헌 회장은 "KMX는 한국 M&A 시장의 독보적인 1위 거래소로 M&A 파트너 네트워크를 활용해 협력 기회 창출 및 상장 준비 등 업무 역량을 넓히고 있다"면서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하는 대륜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M&A와 접목해 시너지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대륜에는 M&A, 투자, 투자유치, IPO 등 자문이 가능한 변호사, 회계사를 비롯한 베테랑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다"며 "M&A 대상 기업에 대한 법적 검토·자문을 진행하고 KMX에 제공해 거래가 성사될 수 있도록 도우면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법적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 내 기업인수합병(M&A)를 담당하는 팀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자산 운용, 인사·노무 등 타 팀과 협력해 기업에 필요한 전반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김남하 기자(skagk1234@dailian.co.kr)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기업 안정적 성장 지원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한국M&A거래소와 MOU 체결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13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항소 끝에 '감형'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항소 끝에 '감형'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수거해 범죄 조직에 전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여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됐습니다.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제5-2형사부는 최근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50대 주부 A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원심 판결을 깨고 징역 8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보이스피싱 조직원들과 공모해 피해자 16명으로부터 약 4억 원을 가로채 전달한 혐의를 받습니다.당시 조직원들은 수사 기관을 사칭하거나 저금리 대출 상품 이용을 유도하며 피해자들에게 돈을 요구했고, A씨는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받아 이를 보이스피싱 조직에 건넨 것으로 조사됐습니다.A씨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구인구직 사이트에 이력서를 올린 뒤 한 업체에 채용됐는데, 해당 업체가 보이스피싱 조직이었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그러면서 현금 결제를 원하는 쇼핑몰 고객으로부터 판매 대금을 수금하는 아르바이트라고 생각해 이에 응했을 뿐, 범죄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1심은 "면접 등 구체적인 절차 없이 채용이 이뤄졌다"며 "전달받은 돈 역시 거액이었던 점을 봤을 때 일반적인 물품 대금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고 징역 2년을 선고했습니다."스스로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하고 있다는 것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하고 있었다"고도 덧붙였습니다.이에 불복해 검찰과 A씨는 모두 항소했습니다.검찰은 다수의 피해자가 있었던 점을 들어 선고된 형량이 가볍다고 주장했고, A씨는 업체에게 속아 행위를 저질렀다며 고의가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의 항소에 이유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재판부는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현금 수거책으로 가담한 피고인의 죄책을 가볍게 볼 수 없다"면서도 "피고인의 부족한 사회 경험을 비춰봤을 때 보이스피싱 상위 조직원들에게 기망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봤습니다.이어 "따라서 피고인이 범행 전말을 파악해 적극적인 고의를 갖고 범행에 가담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그밖에 피해자들에게 변제한 점, 피해 금액에 비해 취득한 이익이 크지 않은 점 등이 확인된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서봉하 변호사는 "A씨가 피해자들의 현금을 받아 조직에 전달함으로써 보이스피싱 범행에 기여한 측면은 있다"면서도 "범죄 조직에 속아 아르바이트로 알고 현금 수거 일을 했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고의가 없었다는 것이 인정돼 감형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항소 끝에 '감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13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항소 끝에 '감형'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항소 끝에 '감형'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수거해 범죄 조직에 전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여성이 항소심에서 감형됐습니다.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제5-2형사부는 최근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50대 주부 A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원심 판결을 깨고 징역 8개월을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보이스피싱 조직원들과 공모해 피해자 16명으로부터 약 4억 원을 가로채 전달한 혐의를 받습니다.당시 조직원들은 수사 기관을 사칭하거나 저금리 대출 상품 이용을 유도하며 피해자들에게 돈을 요구했고, A씨는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받아 이를 보이스피싱 조직에 건넨 것으로 조사됐습니다.A씨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구인구직 사이트에 이력서를 올린 뒤 한 업체에 채용됐는데, 해당 업체가 보이스피싱 조직이었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그러면서 현금 결제를 원하는 쇼핑몰 고객으로부터 판매 대금을 수금하는 아르바이트라고 생각해 이에 응했을 뿐, 범죄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1심은 "면접 등 구체적인 절차 없이 채용이 이뤄졌다"며 "전달받은 돈 역시 거액이었던 점을 봤을 때 일반적인 물품 대금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고 징역 2년을 선고했습니다."스스로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하고 있다는 것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하고 있었다"고도 덧붙였습니다.이에 불복해 검찰과 A씨는 모두 항소했습니다.검찰은 다수의 피해자가 있었던 점을 들어 선고된 형량이 가볍다고 주장했고, A씨는 업체에게 속아 행위를 저질렀다며 고의가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의 항소에 이유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재판부는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현금 수거책으로 가담한 피고인의 죄책을 가볍게 볼 수 없다"면서도 "피고인의 부족한 사회 경험을 비춰봤을 때 보이스피싱 상위 조직원들에게 기망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봤습니다.이어 "따라서 피고인이 범행 전말을 파악해 적극적인 고의를 갖고 범행에 가담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그밖에 피해자들에게 변제한 점, 피해 금액에 비해 취득한 이익이 크지 않은 점 등이 확인된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서봉하 변호사는 "A씨가 피해자들의 현금을 받아 조직에 전달함으로써 보이스피싱 범행에 기여한 측면은 있다"면서도 "범죄 조직에 속아 아르바이트로 알고 현금 수거 일을 했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고의가 없었다는 것이 인정돼 감형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 [기사전문보기]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항소 끝에 '감형' (바로가기)
법조신문
2025-01-10
한남동 ‘탄핵 집회’ 장기화로 소음피해… “주민 주거권도 보장해야”
한남동 ‘탄핵 집회’ 장기화로 소음피해… “주민 주거권도 보장해야”
7일, 대통령 체포영장 재발부후 시위자 증가24시간 소음 지속… 주민 “새벽에 잠도 못자”“높은 데시벨, 표현의자유 보장되는건 아냐”“소음측정결과, 기준치 넘기면 적절 조치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관련 시위가 장기화 되면서 소음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법조계에서는 법적 기준치를 넘는 소음에 대해서는 제재를 하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2.3 계엄 사태’ 이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에는 매일같이 시위자들이 가득하다. 7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이 재발부된 이후부터는 더 많은 인원이 운집하기 시작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은 한남동 관저를 중심으로 북쪽·남쪽 도로에, 탄핵 찬성 시민단체들은 한남동 볼보빌딩 인근에서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시위자들은 확성기를 틀고 “이재명을 체포하라” “윤석열 사형하라” 등 발언을 계속했고, 서로 의견이 다른 시위자들 간 욕설과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집회가 거듭될수록 소음으로 인한 주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혼자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큰 소음이 하루 종일 지속돼 정신적으로 힘들다”고 토로했다.관저 바로 옆에서 1년째 거주하는 20대 C씨는 “처음 시위했을 때는 새벽에는 조용한 편이었는데, 근래 들어 새벽에도 소음이 심해 잠을 못 자고 있다”며 “용산구청에 몇 번 민원을 넣었지만, 한동안 조용해질 뿐 다시 반복돼 일상생활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털어놨다.한남초 인근에 거주하는 50대 최 모 씨는 “이렇게 욕설이 난무하는데 아이들이 뭘 보고 배울지 모르겠다”며 “학교가 방학 중이라도 이 근처에 사는 아이들도 있을 텐데 부끄럽다”고 말했다.관저와 가까운 곳에 있는 한남초교에서는 “탄핵 무효” 등 구호가 크게 울려퍼지고 있다. 정문 주변에는 경찰 펜스가 설치돼 있고, 교육청 파견 직원이 보초를 서고 있었다. 현재 한남초는 방학 중이나 돌봄교실·늘봄학교·겨울캠프·유치원 등을 이용하는 학생 70여 명이 등·하교를 하고 있다.경찰은 소음측정기를 설치하고 집회 소음을 측정하고 있다. ‘등가소음도’가 79.8데시벨(db), ‘최고소음도’가 91.2데시벨(db)을 기록하는 등 규정 기준을 넘어서는 곳들도 있었다.등가소음도는 측정시간 동안 소음의 평균값이다. 최고소음도는 1시간에 3번 이상 90데시벨(db)을 넘어서면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한다.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시행령에 따르면 낮 동안 주거 지역과 학교·종합병원·공공도서관에서 열리는 집회는 5분간 측정한 소음의 평균치 60데시벨(db) 이하, 그 밖의 지역은 10분간 측정한 소음의 평균치 70데시벨(db)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법조계에서는 소음이 규정된 데시벨(db)을 초과하면 시위를 해산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최현덕(변호사시험 8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집시법 제14조에 따르면 확성기나 북, 징 등 기구를 사용하면,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시간대, 대상 지역별 기준 데시벨을 초과했을 때 관할경찰관서장이 제한할 수 있다”며 “계속 초과할 경우에는 해산 명령까지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를 따르지 않을 시 공무집행 방해에 해당한다”며 “공무원에 상해를 가하거나 위험한 물건을 가지고 공무집행 방해를 하면 특수공무집행 방해로 의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경찰은 소음측정기 결과에 따라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만약 경찰이 등가소음도가 계속 초과함에도 적절한 조처를 취하지 않을 시 직무유기에 해당한다”고 했다.다만 여러 단체 소음이 뒤섞이는 집회는 허용 기준을 넘어서도 제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현행법에는 중복소음을 분리해 계산하고 단속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최 변호사는 “다수의 집회 및 시위 단체가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면 소음 주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며 “그럼에도 소음 문제를 줄이는 법적 방법으론 집시법 시행령이 규정한 데시벨을 더 낮추는 것밖에 없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확성기를 이용해 높은 데시벨로 의견을 말한다고 해서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건 아니”라며 “다른 사람의 주거권 등 기본권을 침해하면서까지 보장될 부분은 아니”라고 했다.서초동 한 변호사는 “보통 집회는 광장이나 공공장소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남동은 일반 주거 지역이 밀접해 있어서 주민들의 주거권과 집회의 자유가 직접 충돌하고 있다”고 우려했다.그러면서 “집회를 금지할 수는 없겠지만, (경찰이) 초과되는 데시벨을 수시로 안내해서 데시벨을 낮추는 방법으로 인근 주민의 주거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천주현(사법시험 48회) 형사법 전문 변호사는 “집시법에 따르면 질서 문란의 폭행 협박은 최대 3년, 확성기 사용 금지를 위반할 시 최대 6개월 등으로 형량이 다소 낮은 편”이라며 “이는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처벌 규정을 낮게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대부분 행위가 질서를 문란하게 했다고 확장 해석하더라도 낮은 처벌을 받도록 해서 집회 결사의 자유라는 헌법상 기본권을 강화하고자 한 것”이라고 했다.그러면서 “다만 소요 사태나 폭행 등이 생기면 집회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보장하고자 한 취지가 몰각될 수도 있다”면서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되,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맞는 조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대통령 관저는 체포 저지를 위해 경계 태세를 강화한 모습이다. 관저 입구는 미니버스 여러 대가 가로막아 시야를 차단했고, 철조망도 새롭게 설치됐다. 경호처 직원들은 폴리스라인 근처를 수시로 순찰하며, 잠시 멈추거나 사진을 찍으는 시민을 즉각 제지했다. 취재진도 정해진 라인 밖에서만 촬영이 가능한 상황이다. 오인애 기자(olive@koreanbar.or.kr) [기사전문보기] 한남동 ‘탄핵 집회’ 장기화로 소음피해… “주민 주거권도 보장해야” (바로가기)
법조신문
2025-01-10
한남동 ‘탄핵 집회’ 장기화로 소음피해… “주민 주거권도 보장해야”
한남동 ‘탄핵 집회’ 장기화로 소음피해… “주민 주거권도 보장해야”
7일, 대통령 체포영장 재발부후 시위자 증가24시간 소음 지속… 주민 “새벽에 잠도 못자”“높은 데시벨, 표현의자유 보장되는건 아냐”“소음측정결과, 기준치 넘기면 적절 조치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관련 시위가 장기화 되면서 소음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법조계에서는 법적 기준치를 넘는 소음에 대해서는 제재를 하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2.3 계엄 사태’ 이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에는 매일같이 시위자들이 가득하다. 7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이 재발부된 이후부터는 더 많은 인원이 운집하기 시작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은 한남동 관저를 중심으로 북쪽·남쪽 도로에, 탄핵 찬성 시민단체들은 한남동 볼보빌딩 인근에서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시위자들은 확성기를 틀고 “이재명을 체포하라” “윤석열 사형하라” 등 발언을 계속했고, 서로 의견이 다른 시위자들 간 욕설과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집회가 거듭될수록 소음으로 인한 주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혼자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큰 소음이 하루 종일 지속돼 정신적으로 힘들다”고 토로했다.관저 바로 옆에서 1년째 거주하는 20대 C씨는 “처음 시위했을 때는 새벽에는 조용한 편이었는데, 근래 들어 새벽에도 소음이 심해 잠을 못 자고 있다”며 “용산구청에 몇 번 민원을 넣었지만, 한동안 조용해질 뿐 다시 반복돼 일상생활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털어놨다.한남초 인근에 거주하는 50대 최 모 씨는 “이렇게 욕설이 난무하는데 아이들이 뭘 보고 배울지 모르겠다”며 “학교가 방학 중이라도 이 근처에 사는 아이들도 있을 텐데 부끄럽다”고 말했다.관저와 가까운 곳에 있는 한남초교에서는 “탄핵 무효” 등 구호가 크게 울려퍼지고 있다. 정문 주변에는 경찰 펜스가 설치돼 있고, 교육청 파견 직원이 보초를 서고 있었다. 현재 한남초는 방학 중이나 돌봄교실·늘봄학교·겨울캠프·유치원 등을 이용하는 학생 70여 명이 등·하교를 하고 있다.경찰은 소음측정기를 설치하고 집회 소음을 측정하고 있다. ‘등가소음도’가 79.8데시벨(db), ‘최고소음도’가 91.2데시벨(db)을 기록하는 등 규정 기준을 넘어서는 곳들도 있었다.등가소음도는 측정시간 동안 소음의 평균값이다. 최고소음도는 1시간에 3번 이상 90데시벨(db)을 넘어서면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한다.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시행령에 따르면 낮 동안 주거 지역과 학교·종합병원·공공도서관에서 열리는 집회는 5분간 측정한 소음의 평균치 60데시벨(db) 이하, 그 밖의 지역은 10분간 측정한 소음의 평균치 70데시벨(db)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법조계에서는 소음이 규정된 데시벨(db)을 초과하면 시위를 해산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최현덕(변호사시험 8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집시법 제14조에 따르면 확성기나 북, 징 등 기구를 사용하면,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시간대, 대상 지역별 기준 데시벨을 초과했을 때 관할경찰관서장이 제한할 수 있다”며 “계속 초과할 경우에는 해산 명령까지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를 따르지 않을 시 공무집행 방해에 해당한다”며 “공무원에 상해를 가하거나 위험한 물건을 가지고 공무집행 방해를 하면 특수공무집행 방해로 의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경찰은 소음측정기 결과에 따라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만약 경찰이 등가소음도가 계속 초과함에도 적절한 조처를 취하지 않을 시 직무유기에 해당한다”고 했다.다만 여러 단체 소음이 뒤섞이는 집회는 허용 기준을 넘어서도 제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현행법에는 중복소음을 분리해 계산하고 단속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최 변호사는 “다수의 집회 및 시위 단체가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면 소음 주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며 “그럼에도 소음 문제를 줄이는 법적 방법으론 집시법 시행령이 규정한 데시벨을 더 낮추는 것밖에 없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확성기를 이용해 높은 데시벨로 의견을 말한다고 해서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건 아니”라며 “다른 사람의 주거권 등 기본권을 침해하면서까지 보장될 부분은 아니”라고 했다.서초동 한 변호사는 “보통 집회는 광장이나 공공장소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남동은 일반 주거 지역이 밀접해 있어서 주민들의 주거권과 집회의 자유가 직접 충돌하고 있다”고 우려했다.그러면서 “집회를 금지할 수는 없겠지만, (경찰이) 초과되는 데시벨을 수시로 안내해서 데시벨을 낮추는 방법으로 인근 주민의 주거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천주현(사법시험 48회) 형사법 전문 변호사는 “집시법에 따르면 질서 문란의 폭행 협박은 최대 3년, 확성기 사용 금지를 위반할 시 최대 6개월 등으로 형량이 다소 낮은 편”이라며 “이는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처벌 규정을 낮게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대부분 행위가 질서를 문란하게 했다고 확장 해석하더라도 낮은 처벌을 받도록 해서 집회 결사의 자유라는 헌법상 기본권을 강화하고자 한 것”이라고 했다.그러면서 “다만 소요 사태나 폭행 등이 생기면 집회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보장하고자 한 취지가 몰각될 수도 있다”면서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되,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맞는 조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대통령 관저는 체포 저지를 위해 경계 태세를 강화한 모습이다. 관저 입구는 미니버스 여러 대가 가로막아 시야를 차단했고, 철조망도 새롭게 설치됐다. 경호처 직원들은 폴리스라인 근처를 수시로 순찰하며, 잠시 멈추거나 사진을 찍으는 시민을 즉각 제지했다. 취재진도 정해진 라인 밖에서만 촬영이 가능한 상황이다. 오인애 기자(olive@koreanbar.or.kr) [기사전문보기] 한남동 ‘탄핵 집회’ 장기화로 소음피해… “주민 주거권도 보장해야” (바로가기)
인천in
2025-01-10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법무법인 대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법무법인 대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와 법무법인(유한)대륜은 9일 대륜 인천총괄본부에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을 진행했다.법무법인 대륜 인천총괄본부는 2025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중앙회 지원사업으로 시작되는, 초기 개입을 통한 위기극복 프로젝트 ‘다시 만난 세계’를 통해 한부모가족이 다양하게 겪고 있는 법률문제 지원하게 된다.(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장희정 대표는 이 자리서 한부모 가족이 혼자서 해결하기에 시간, 비용 등에 대한 제약이 많고 사별 후 상속 문제, 이혼 문제, 양육비, 친자 확인 등 문제에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토로했다.또한 법률상담 도중 법 이외의 필요한 초기 한부모가 예측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하고 정서적 연계,지지 동반자 등이 필요할 때 한가지에서 지원 가능한 부분을 서로 협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에 법무법인(유한)대륜 이광우 인천총괄센터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속적으로 한부모가족을 위한 법률 자문 상담과 법률 구조 활동, 한부모가족 초기에 진입한 한부모의 연계 등을 협조 및 지원해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장희정 대표는 “한부모가족에게 진정한 도움을 주심에 감사드리며, 많은 한부모가족들이 이를 통해 삶에서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법무법인 대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 (바로가기)
인천in
2025-01-10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법무법인 대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법무법인 대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와 법무법인(유한)대륜은 9일 대륜 인천총괄본부에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을 진행했다.법무법인 대륜 인천총괄본부는 2025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중앙회 지원사업으로 시작되는, 초기 개입을 통한 위기극복 프로젝트 ‘다시 만난 세계’를 통해 한부모가족이 다양하게 겪고 있는 법률문제 지원하게 된다.(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장희정 대표는 이 자리서 한부모 가족이 혼자서 해결하기에 시간, 비용 등에 대한 제약이 많고 사별 후 상속 문제, 이혼 문제, 양육비, 친자 확인 등 문제에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토로했다.또한 법률상담 도중 법 이외의 필요한 초기 한부모가 예측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하고 정서적 연계,지지 동반자 등이 필요할 때 한가지에서 지원 가능한 부분을 서로 협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에 법무법인(유한)대륜 이광우 인천총괄센터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속적으로 한부모가족을 위한 법률 자문 상담과 법률 구조 활동, 한부모가족 초기에 진입한 한부모의 연계 등을 협조 및 지원해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장희정 대표는 “한부모가족에게 진정한 도움을 주심에 감사드리며, 많은 한부모가족들이 이를 통해 삶에서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법무법인 대륜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법률 지원 협약식’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5-01-09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임상시험 분야 법무 선제적 대응 나서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임상시험 분야 법무 선제적 대응 나서
임상시험 시장 규모 확대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 신설사안별 TF 구성…신의료기술평가 조력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임상시험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관련 법적 분쟁 지원에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 눈길을 끈다.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의 한국임상시험백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제약사가 지난해 사용한 연구개발 비용은 약 4조 99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직전년 비용 2조 7237억원 대비 약 47% 증가한 수치다.현재 대륜은 의료제약그룹의 전문 역량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임상시험 분야에서 법적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맞춤형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 그룹 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를 신설해 사안별 TF를 구성하며 산업 특수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등 전문성 확대에 돌입했다.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는 의료기관이나 제약사 등 임상시험 자문이 필요한 기업을 위한 원스톱 법률 지원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여기에 정부 및 산하기관, 유관단체와도 긴밀한 업무협력 관계를 구축하면서 보다 전문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구체적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의 연구·개발 지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심사 및 승인 관련 법적 자문 ▲임상시험 대상 품목의 특허·상표 출원 등 지식재산권 보호 등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나아가 대륜은 신의료기술평가와 관련한 서류 자문도 제공한다. 새로운 의료 기술에 대한 안정성과 임상 유효성을 평가하는 이 제도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식약처의 이중 허가를 받아야 해 통과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륜은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 변호인들의 조력을 기반으로 원활한 허가를 이끌어 내고 있다.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장은 다양한 의약품과 의료기기에 관한 임상시험 자문 경력을 보유한 이서형 변호사가 맡고 있다. 또 약사 자격을 보유한 이일형·윤소영·최윤정 변호사도 합류해 제약사, 의료기기 제조사 등이 직면하는 법적 이슈를 해결하고 고객사가 시장에서 제품 지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다수의 특허·연구개발계약 업무 경험을 보유한 이일형 변호사는 지식재산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깊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최근 제약과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임상시험도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라며 "임상시험은 의약품과 의료기기 개발의 핵심 과정이기 때문에 법률 자문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이어 김 대표는 "대륜의 풍부한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사가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조력하는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진 기자(csj0404@asiae.co.kr) [기사전문보기] 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임상시험 분야 법무 선제적 대응 나서 (바로가기) SNN - 법무법인 대륜, 제약·바이오 임상시험 법적 리스크 관리 강화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5-01-09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임상시험 분야 법무 선제적 대응 나서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임상시험 분야 법무 선제적 대응 나서
임상시험 시장 규모 확대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 신설사안별 TF 구성…신의료기술평가 조력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임상시험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관련 법적 분쟁 지원에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 눈길을 끈다.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의 한국임상시험백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제약사가 지난해 사용한 연구개발 비용은 약 4조 99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직전년 비용 2조 7237억원 대비 약 47% 증가한 수치다.현재 대륜은 의료제약그룹의 전문 역량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임상시험 분야에서 법적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맞춤형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 그룹 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를 신설해 사안별 TF를 구성하며 산업 특수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등 전문성 확대에 돌입했다.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는 의료기관이나 제약사 등 임상시험 자문이 필요한 기업을 위한 원스톱 법률 지원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여기에 정부 및 산하기관, 유관단체와도 긴밀한 업무협력 관계를 구축하면서 보다 전문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구체적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의 연구·개발 지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심사 및 승인 관련 법적 자문 ▲임상시험 대상 품목의 특허·상표 출원 등 지식재산권 보호 등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나아가 대륜은 신의료기술평가와 관련한 서류 자문도 제공한다. 새로운 의료 기술에 대한 안정성과 임상 유효성을 평가하는 이 제도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식약처의 이중 허가를 받아야 해 통과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륜은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 변호인들의 조력을 기반으로 원활한 허가를 이끌어 내고 있다.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센터장은 다양한 의약품과 의료기기에 관한 임상시험 자문 경력을 보유한 이서형 변호사가 맡고 있다. 또 약사 자격을 보유한 이일형·윤소영·최윤정 변호사도 합류해 제약사, 의료기기 제조사 등이 직면하는 법적 이슈를 해결하고 고객사가 시장에서 제품 지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다수의 특허·연구개발계약 업무 경험을 보유한 이일형 변호사는 지식재산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깊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최근 제약과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임상시험도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라며 "임상시험은 의약품과 의료기기 개발의 핵심 과정이기 때문에 법률 자문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이어 김 대표는 "대륜의 풍부한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사가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조력하는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진 기자(csj0404@asiae.co.kr) [기사전문보기] 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임상시험 분야 법무 선제적 대응 나서 (바로가기) SNN - 법무법인 대륜, 제약·바이오 임상시험 법적 리스크 관리 강화 (바로가기)
농민신문
2025-01-08
“벼값 높게 쳐주겠다”…약속해놓고 정산은 나몰라라
“벼값 높게 쳐주겠다”…약속해놓고 정산은 나몰라라
평택시 민간 RPC 대금 미지급농가 영농 계획 못세워 발동동업체 “설 연휴전까지 지급” 약속 최근 경기 평택시 청북읍 율북리의 A미곡처리장 앞. 이른 아침임에도 입구엔 대여섯명이 몰려 있었다. 이들은 업체 대표를 만나겠다며 온 벼농가였다. 대표와 농가 사이에선 이따금씩 고성이 오갔다. 지난해 가을 이곳에 벼를 맡겼는데 2개월이 훌쩍 넘도록 대금 정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다.“여기에 벼를 맡긴 게 지난해 10월24일이에요. 보통 다음날 정산하거나 늦어도 3일 안에 해주는데 여태껏 차일피일 미루고 있으니 하루하루 피가 마릅니다.”평택시 오성면에 사는 박은성씨(76)는 답답한 마음에 아내와 함께 이곳에 발걸음했다. 그는 40여년간 평택에서 농지를 임차해 벼농사를 지어왔다. 지난해 5만3000㎡(1만6000평) 규모의 임차 논에서 땀 흘려 일했지만 대가를 받지 못해 올해 영농 계획을 세울 엄두도 못내고 있다.“오늘만 여기 미곡처리장을 찾은 게 아니에요. 10차례는 족히 넘을 겁니다. 전화는 30∼40통은 했을 것이고요. 그때마다 ‘며칠 뒤에 꼭 돈을 주겠다’며 약속하기에 믿고 기다리다 해를 넘겨버렸어요.”그가 맡긴 건조 벼는 2만1600㎏ 으로 금액으로만 4100만원이 넘는다. 그간 윽박지르기도 하고 읍소하기도 하면서 500만∼1000만원씩 여러차례에 걸쳐 받았지만 아직도 1300만원의 미정산금이 남아 있다. 다른 농가도 받을 돈이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이들 농가의 악몽은 다른 곳보다 값을 더 쳐주겠다는 업체의 말에서 시작했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피해농가는 “40㎏ 기준으로 다른 곳보다 2000원씩 더 얹어서 정산해주겠다는 말에 주저 없이 A미곡처리장에 맡겼는데 이렇게 발등이 찍힐 줄은 몰랐다”면서 “정산일자를 계속 미루고 있으니 지금은 자포자기 상태”라고 하소연했다.지역사회에서는 ‘해당 업체의 경영난이 심각하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들린다. 평택에서 벼 운송을 전문으로 하는 한 트럭 기사는 “이 미곡처리장이 농가에게 제때 대금을 지급하지 못한다는 얘기가 2023년부터 나왔다”면서 “그래서 가까운 지인에게 조심하라고 일러주기도 했다”고 전했다.인근 다른 미곡처리장의 관계자는 “지역쌀 도매상이 연이어 부도가 나면서 A미곡처리장이 어려움을 겪게 됐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도매상 한곳에서만 떼인 돈이 4억원이 넘는다는 소문도 돈다”고 말했다.A미곡처리장은 경영난이 일시적이라 농가 미수금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업체 대표는 “지난해 자연재해가 극심해 수율이 65%대로 떨어진 데다 대출이 막혀 도산한 도매업체가 많아 자금 흐름이 경색된 것은 사실”이라면서 “다만 우리가 받을 미수금이 이달초 상당 부분 해결될 수도 있어 늦어도 설 연휴 전까지 최우선으로 농가들에게 정산해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업체의 이러한 해명에도 농가와의 갈등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박씨는 “해당 업체가 수차례 한 약속을 깨 무작정 기다릴 수만은 없는 노릇”이라면서 “우리 같은 선량한 피해자가 더는 생기지 않게 ‘경찰 고소’를 포함해 법적 책임을 물을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전문가는 이같은 미지급문제에 대응하려면 서면 계약부터 꼼꼼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임채원 법무법인 대륜 수석변호사는 “단골 업체라고 하더라도 거래 때마다 계약서를 작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계약서에는 대금 지급 조건·기한과 이를 어길 시 발생하는 위약금 등을 명확하게 규정해 법적 분쟁 때 중요한 증거로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농산물 납품과 대금 지급 시점을 일치시키는 거래문화가 정착되도록 정부에서 지급보증제도를 마련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이문수 기자(moons@nongmin.com) [기사전문보기] “벼값 높게 쳐주겠다”…약속해놓고 정산은 나몰라라 (바로가기)
농민신문
2025-01-08
“벼값 높게 쳐주겠다”…약속해놓고 정산은 나몰라라
“벼값 높게 쳐주겠다”…약속해놓고 정산은 나몰라라
평택시 민간 RPC 대금 미지급농가 영농 계획 못세워 발동동업체 “설 연휴전까지 지급” 약속 최근 경기 평택시 청북읍 율북리의 A미곡처리장 앞. 이른 아침임에도 입구엔 대여섯명이 몰려 있었다. 이들은 업체 대표를 만나겠다며 온 벼농가였다. 대표와 농가 사이에선 이따금씩 고성이 오갔다. 지난해 가을 이곳에 벼를 맡겼는데 2개월이 훌쩍 넘도록 대금 정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다.“여기에 벼를 맡긴 게 지난해 10월24일이에요. 보통 다음날 정산하거나 늦어도 3일 안에 해주는데 여태껏 차일피일 미루고 있으니 하루하루 피가 마릅니다.”평택시 오성면에 사는 박은성씨(76)는 답답한 마음에 아내와 함께 이곳에 발걸음했다. 그는 40여년간 평택에서 농지를 임차해 벼농사를 지어왔다. 지난해 5만3000㎡(1만6000평) 규모의 임차 논에서 땀 흘려 일했지만 대가를 받지 못해 올해 영농 계획을 세울 엄두도 못내고 있다.“오늘만 여기 미곡처리장을 찾은 게 아니에요. 10차례는 족히 넘을 겁니다. 전화는 30∼40통은 했을 것이고요. 그때마다 ‘며칠 뒤에 꼭 돈을 주겠다’며 약속하기에 믿고 기다리다 해를 넘겨버렸어요.”그가 맡긴 건조 벼는 2만1600㎏ 으로 금액으로만 4100만원이 넘는다. 그간 윽박지르기도 하고 읍소하기도 하면서 500만∼1000만원씩 여러차례에 걸쳐 받았지만 아직도 1300만원의 미정산금이 남아 있다. 다른 농가도 받을 돈이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이들 농가의 악몽은 다른 곳보다 값을 더 쳐주겠다는 업체의 말에서 시작했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피해농가는 “40㎏ 기준으로 다른 곳보다 2000원씩 더 얹어서 정산해주겠다는 말에 주저 없이 A미곡처리장에 맡겼는데 이렇게 발등이 찍힐 줄은 몰랐다”면서 “정산일자를 계속 미루고 있으니 지금은 자포자기 상태”라고 하소연했다.지역사회에서는 ‘해당 업체의 경영난이 심각하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들린다. 평택에서 벼 운송을 전문으로 하는 한 트럭 기사는 “이 미곡처리장이 농가에게 제때 대금을 지급하지 못한다는 얘기가 2023년부터 나왔다”면서 “그래서 가까운 지인에게 조심하라고 일러주기도 했다”고 전했다.인근 다른 미곡처리장의 관계자는 “지역쌀 도매상이 연이어 부도가 나면서 A미곡처리장이 어려움을 겪게 됐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도매상 한곳에서만 떼인 돈이 4억원이 넘는다는 소문도 돈다”고 말했다.A미곡처리장은 경영난이 일시적이라 농가 미수금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업체 대표는 “지난해 자연재해가 극심해 수율이 65%대로 떨어진 데다 대출이 막혀 도산한 도매업체가 많아 자금 흐름이 경색된 것은 사실”이라면서 “다만 우리가 받을 미수금이 이달초 상당 부분 해결될 수도 있어 늦어도 설 연휴 전까지 최우선으로 농가들에게 정산해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업체의 이러한 해명에도 농가와의 갈등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박씨는 “해당 업체가 수차례 한 약속을 깨 무작정 기다릴 수만은 없는 노릇”이라면서 “우리 같은 선량한 피해자가 더는 생기지 않게 ‘경찰 고소’를 포함해 법적 책임을 물을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전문가는 이같은 미지급문제에 대응하려면 서면 계약부터 꼼꼼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임채원 법무법인 대륜 수석변호사는 “단골 업체라고 하더라도 거래 때마다 계약서를 작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계약서에는 대금 지급 조건·기한과 이를 어길 시 발생하는 위약금 등을 명확하게 규정해 법적 분쟁 때 중요한 증거로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농산물 납품과 대금 지급 시점을 일치시키는 거래문화가 정착되도록 정부에서 지급보증제도를 마련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이문수 기자(moons@nongmin.com) [기사전문보기] “벼값 높게 쳐주겠다”…약속해놓고 정산은 나몰라라 (바로가기)
머니S
2025-01-08
비용 산출 잘못됐다며 대금 안 낸 업체…법원 "청구된 금액 정당해"
비용 산출 잘못됐다며 대금 안 낸 업체…법원 "청구된 금액 정당해"
청구된 대금에 대한 별도의 항의가 없었다면 해당 금액을 전액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해 11월 5일 납품 업체 A사가 판매 업체 B사를 상대로 제기한 물품대금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두 회사는 지난 2022년 10월 물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납품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고 A사는 합계 금액 약 7900만원을 청구했다.문제는 B사가 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서 발생했다. A사가 견적서를 일방적으로 작성해 대금을 정한데다 상세 견적서도 제시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이어 처음 공급받은 물품의 대부분이 불량품이었기에 A사가 청구한 금액은 정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A사는 이를 반박했다. 계약서를 별도로 작성하지는 않았지만 체결 당시 공급 단가에 대해 두 회사 간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또 불량품은 모두 반품처리 후 새제품으로 다시 공급했으며 금액을 특정해 여러 차례에 걸쳐 지급 요청을 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A사는 2차 납품이 이뤄진 후 대금 결제가 되지 않자 금액을 7900만원이라 특정하며 여러 차례 독촉했다"면서 "B사는 사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변제를 계속 미뤄왔다"고 말했다.이어 "해당 과정에서 B사는 과다 견적, 제품 불량 등을 이유로 항의하지 않았다"며 미납된 물품 대금은 7900만원이 맞다고 판단했다.A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A사는 대금 지급을 미루는 B사에 물품 대금이 명시된 세금 계산서를 발행했다고 알렸다"며 "B사도 이를 인지하고 해당 금액의 변제 의사를 밝혔다는 점에서 A사가 청구한 대금이 전액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비용 산출 잘못됐다며 대금 안 낸 업체…법원 "청구된 금액 정당해" (바로가기)
머니S
2025-01-08
비용 산출 잘못됐다며 대금 안 낸 업체…법원 "청구된 금액 정당해"
비용 산출 잘못됐다며 대금 안 낸 업체…법원 "청구된 금액 정당해"
청구된 대금에 대한 별도의 항의가 없었다면 해당 금액을 전액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해 11월 5일 납품 업체 A사가 판매 업체 B사를 상대로 제기한 물품대금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두 회사는 지난 2022년 10월 물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납품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고 A사는 합계 금액 약 7900만원을 청구했다.문제는 B사가 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서 발생했다. A사가 견적서를 일방적으로 작성해 대금을 정한데다 상세 견적서도 제시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이어 처음 공급받은 물품의 대부분이 불량품이었기에 A사가 청구한 금액은 정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A사는 이를 반박했다. 계약서를 별도로 작성하지는 않았지만 체결 당시 공급 단가에 대해 두 회사 간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또 불량품은 모두 반품처리 후 새제품으로 다시 공급했으며 금액을 특정해 여러 차례에 걸쳐 지급 요청을 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사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A사는 2차 납품이 이뤄진 후 대금 결제가 되지 않자 금액을 7900만원이라 특정하며 여러 차례 독촉했다"면서 "B사는 사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변제를 계속 미뤄왔다"고 말했다.이어 "해당 과정에서 B사는 과다 견적, 제품 불량 등을 이유로 항의하지 않았다"며 미납된 물품 대금은 7900만원이 맞다고 판단했다.A사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A사는 대금 지급을 미루는 B사에 물품 대금이 명시된 세금 계산서를 발행했다고 알렸다"며 "B사도 이를 인지하고 해당 금액의 변제 의사를 밝혔다는 점에서 A사가 청구한 대금이 전액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jwhwang@mt.co.kr) [기사전문보기] 비용 산출 잘못됐다며 대금 안 낸 업체…법원 "청구된 금액 정당해" (바로가기)
로리더
2025-01-08
보복 운전하며 고의 충격사고 20대···경찰 ‘불송치 결정’ 이유는?
보복 운전하며 고의 충격사고 20대···경찰 ‘불송치 결정’ 이유는?
보복운전으로 고의 교통사고 내면, 특수재물손괴·특수상해 적용경찰 “보복운전 행태 없고, 차로감소 구간 초행길···운전 미숙” 보복 운전을 하면서 의도적으로 교통사고를 냈다는 혐의를 받던 20대 운전자에 대해 경찰이 불송치 결정을 한 사례가 나왔다.대구동부경찰서는 특수재물손괴와 특수상해 혐의로 입건된 20대 A씨에 대해 최근 혐의없음 불송치 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24년 10월 고속도로를 주행하던 중 뒷차 운전자가 경적을 울리자 이에 분노해 차선을 변경하는 등 보복 운전을 하면서 고의로 사고를 일으켰다는 혐의로 입건됐다.A씨는 수사 과정에서 “운전에 익숙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을 뿐, 고의성은 없었다”면서 자신의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그러면서 2024년 1월에도 차량을 건물에 들이받은 사고가 발생했을 정도로 운전에 미숙하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경찰은 불송치 이유로 “사고 당시 블랙박스 영상에서는 급가속이나 급감속과 같은 보복 운전의 전형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면서, “피의자가 차량 내에서 피해자에 대한 욕설 등 나쁜 감정을 표현하는 말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경찰은 아울러 “피의자의 운전 경력이 길지 않은 데다 사고 발생 장소는 초행길이었고, 사고 직후 피의자가 차량에서 내린 뒤 보험사에 접수를 했던 점 등을 종합해 봐도, 피의자는 위협이 아닌 추월을 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피의자의 행위가 피해자에 대한 위해를 가할 의사가 명백하게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송석민 변호사는 “보복운전 등 고의로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면 피해 정도에 따라 특수재물손괴나 특수상해 등이 적용될 수 있다”면서, “이 사건의 경우 운전 미숙이 사고 발생 원인으로 받아들여짐으로써 A씨의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경찰단계에서 마무리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보복 운전하며 고의 충격사고 20대···경찰 ‘불송치 결정’ 이유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5-01-08
보복 운전하며 고의 충격사고 20대···경찰 ‘불송치 결정’ 이유는?
보복 운전하며 고의 충격사고 20대···경찰 ‘불송치 결정’ 이유는?
보복운전으로 고의 교통사고 내면, 특수재물손괴·특수상해 적용경찰 “보복운전 행태 없고, 차로감소 구간 초행길···운전 미숙” 보복 운전을 하면서 의도적으로 교통사고를 냈다는 혐의를 받던 20대 운전자에 대해 경찰이 불송치 결정을 한 사례가 나왔다.대구동부경찰서는 특수재물손괴와 특수상해 혐의로 입건된 20대 A씨에 대해 최근 혐의없음 불송치 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24년 10월 고속도로를 주행하던 중 뒷차 운전자가 경적을 울리자 이에 분노해 차선을 변경하는 등 보복 운전을 하면서 고의로 사고를 일으켰다는 혐의로 입건됐다.A씨는 수사 과정에서 “운전에 익숙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을 뿐, 고의성은 없었다”면서 자신의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그러면서 2024년 1월에도 차량을 건물에 들이받은 사고가 발생했을 정도로 운전에 미숙하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경찰은 불송치 이유로 “사고 당시 블랙박스 영상에서는 급가속이나 급감속과 같은 보복 운전의 전형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면서, “피의자가 차량 내에서 피해자에 대한 욕설 등 나쁜 감정을 표현하는 말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경찰은 아울러 “피의자의 운전 경력이 길지 않은 데다 사고 발생 장소는 초행길이었고, 사고 직후 피의자가 차량에서 내린 뒤 보험사에 접수를 했던 점 등을 종합해 봐도, 피의자는 위협이 아닌 추월을 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피의자의 행위가 피해자에 대한 위해를 가할 의사가 명백하게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이 사건에서 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송석민 변호사는 “보복운전 등 고의로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면 피해 정도에 따라 특수재물손괴나 특수상해 등이 적용될 수 있다”면서, “이 사건의 경우 운전 미숙이 사고 발생 원인으로 받아들여짐으로써 A씨의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경찰단계에서 마무리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보복 운전하며 고의 충격사고 20대···경찰 ‘불송치 결정’ 이유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07
"대신 투자 해줄게"..수억 원 사기 혐의 5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대신 투자 해줄게"..수억 원 사기 혐의 50대, 대법서 '무죄' 확정
지인을 속여 수 억원 대의 투자금을 빼앗은 혐의를 받는 50대 남성이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됐습니다.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는 최근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에 대한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6년부터 4년여 동안 지인 B씨로부터 투자금 명목으로 2억 6천여만 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이와 관련 A씨 측은 "투자 실패로 인해 원금을 반환하지 못했을 뿐 피해자를 속일 의도가 전혀 없었다"며 무죄를 주장했습니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사기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고 징역 1년을 선고했습니다."자세한 사정을 알리지 않은 채 원금 손실의 위험성이 큰 투자를 감행했고, 투자 실패 시 원금을 상환해 줄 충분한 능력이 없었음에도 원금을 보장해 줄 것처럼 피해자를 기망했다"는 판단이었습니다.그러나 2심 재판부는 "A씨가 피해자를 속일 의도가 있었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정도로 증명되지 않았다"며 무죄를 선고했습니다.먼저 2심 재판부는 A씨가 원금 보장의 약속을 했다는 사실만 가지고 곧바로 형법상 사기죄에서 말하는 기망행위에 나아갔다고 인정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사기죄 처벌을 위해서는 A씨가 구체적인 투자처나 투자방식에 대해 허위 사실을 고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피해자를 속여야 하는데, 이러한 정황이 없었다는 판단입니다.재판부는 또 "피해자가 과거 피고인의 권유에 따라 가입했던 투자상품에서 7~8%의 높은 수익을 얻으면서 자연스럽게 피고인을 믿게 됐고, 이에 따라 자발적으로 투자금을 지급한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A씨가 피해자로부터 받은 돈을 실제 투자 용도로만 사용했고, 주식 투자가 실패하기 전까지 약 4년 동안 투자금에 대한 약정 이자로 8,000만 원 상당을 지급했다는 점도 참작했다고 덧붙였습니다.2심 판결에 검찰은 즉각 상고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기각하고 원심의 무죄 판결을 확정했습니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송의석 변호사는 "재산범죄에 있어 단순한 민사법상 채무불이행과 사기죄는 확연이 구분될 필요가 있다"며 "이 사건에서 이뤄진 두 사람 사이의 원금 반환 약속은 민사상 채무 부담 이상의 의미를 갖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기사전문보기] "대신 투자 해줄게"..수억 원 사기 혐의 5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07
"대신 투자 해줄게"..수억 원 사기 혐의 5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대신 투자 해줄게"..수억 원 사기 혐의 50대, 대법서 '무죄' 확정
지인을 속여 수 억원 대의 투자금을 빼앗은 혐의를 받는 50대 남성이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됐습니다.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는 최근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에 대한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습니다.A씨는 지난 2016년부터 4년여 동안 지인 B씨로부터 투자금 명목으로 2억 6천여만 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이와 관련 A씨 측은 "투자 실패로 인해 원금을 반환하지 못했을 뿐 피해자를 속일 의도가 전혀 없었다"며 무죄를 주장했습니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사기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고 징역 1년을 선고했습니다."자세한 사정을 알리지 않은 채 원금 손실의 위험성이 큰 투자를 감행했고, 투자 실패 시 원금을 상환해 줄 충분한 능력이 없었음에도 원금을 보장해 줄 것처럼 피해자를 기망했다"는 판단이었습니다.그러나 2심 재판부는 "A씨가 피해자를 속일 의도가 있었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정도로 증명되지 않았다"며 무죄를 선고했습니다.먼저 2심 재판부는 A씨가 원금 보장의 약속을 했다는 사실만 가지고 곧바로 형법상 사기죄에서 말하는 기망행위에 나아갔다고 인정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사기죄 처벌을 위해서는 A씨가 구체적인 투자처나 투자방식에 대해 허위 사실을 고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피해자를 속여야 하는데, 이러한 정황이 없었다는 판단입니다.재판부는 또 "피해자가 과거 피고인의 권유에 따라 가입했던 투자상품에서 7~8%의 높은 수익을 얻으면서 자연스럽게 피고인을 믿게 됐고, 이에 따라 자발적으로 투자금을 지급한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A씨가 피해자로부터 받은 돈을 실제 투자 용도로만 사용했고, 주식 투자가 실패하기 전까지 약 4년 동안 투자금에 대한 약정 이자로 8,000만 원 상당을 지급했다는 점도 참작했다고 덧붙였습니다.2심 판결에 검찰은 즉각 상고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기각하고 원심의 무죄 판결을 확정했습니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송의석 변호사는 "재산범죄에 있어 단순한 민사법상 채무불이행과 사기죄는 확연이 구분될 필요가 있다"며 "이 사건에서 이뤄진 두 사람 사이의 원금 반환 약속은 민사상 채무 부담 이상의 의미를 갖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진 기자(jej88@ikbc.co.kr)[기사전문보기] "대신 투자 해줄게"..수억 원 사기 혐의 50대, 대법서 '무죄' 확정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1-07
'혼인 외 출생자' 논란…양육비 등 권리 보장은?
'혼인 외 출생자' 논란…양육비 등 권리 보장은?
최근 비혼인 관계에서 태어난 출생아의 권리 보장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며 결혼을 전제하지 않은 출산·양육으로 발생하는 법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실제로 혼인 이외의 출생아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통계청이 지난해 8월 발표한 '출생통계'를 살펴보면, 혼인 외 출생아는 △2020년 6900명 △2021년 7700명 △2022년 9800명 △2023년 1만900명까지 늘어났다. 신생아 20명 중 1명은 혼외자인 셈이다.미성년 자녀를 둔 부모라면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양육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양육비이행법) 제3조와 가사소송법 제64조에 따르면,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생부나 생모는 자녀를 직접 양육하는 일방에 합의 또는 법원 판결에 따라 정해진 양육비를 지급해야 한다. 이는 혼인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된다.문제는 미혼 양육자가 상대방에게 양육비를 받는 경우는 극히 적다는 데 있다. 미혼 양육자가 양육비를 청구하려면 먼저 법원에 인지 청구 소송을 제기해 법률상 친자관계를 인정받아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생모·생부와 연락이 끊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과정 역시 순탄치 않다. 또 소송을 통해 친자로 인정을 받는다고 해도 양육비 소송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일이 소요된다.모든 절차를 거쳐 양육비 이행이 확정되더라도 실제 양육비를 받기란 어려운 게 현실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양육비이행법의 입법영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미혼모들이 자녀의 친부로부터 양육비를 청구해 돈을 받는 비율은 38.3%로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채무 불이행에 대한 조치가 큰 효과를 보지 못한 탓이다. 양육비 지급 의무가 있는 자가 양육비를 제때 지급하지 않는다면 과태료 처분부터 감치(구금) 등 법적 처벌을 받게 되지만, 실제 집행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어 이 같은 제재가 무용지물이라는 비판도 나온다.이에 정부는 내년부터 양육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한부모가정에 양육비를 우선 지원하고 이후 비양육자에게 받아내는 '양육비 선지급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국가가 우선적으로 최대 월 20만원의 양육비를 지급한 뒤 구상권을 행사해 비양육자로부터 양육비를 직접 회수하는 식이다. 다만 이 제도는 중위소득 150% 이하인 양육자에게만 적용된다.정부에서 이러한 제도를 운영하는 것에는 환영하지만, 선지급제 특혜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월 20만원이라는 금액은 아이를 양육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라고 보인다. 더는 법적 보호 사각지대에 놓이는 한부모가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촘촘한 양육비 구제 제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혼인 외 출생자' 논란…양육비 등 권리 보장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5-01-07
'혼인 외 출생자' 논란…양육비 등 권리 보장은?
'혼인 외 출생자' 논란…양육비 등 권리 보장은?
최근 비혼인 관계에서 태어난 출생아의 권리 보장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며 결혼을 전제하지 않은 출산·양육으로 발생하는 법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실제로 혼인 이외의 출생아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통계청이 지난해 8월 발표한 '출생통계'를 살펴보면, 혼인 외 출생아는 △2020년 6900명 △2021년 7700명 △2022년 9800명 △2023년 1만900명까지 늘어났다. 신생아 20명 중 1명은 혼외자인 셈이다.미성년 자녀를 둔 부모라면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양육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양육비이행법) 제3조와 가사소송법 제64조에 따르면,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생부나 생모는 자녀를 직접 양육하는 일방에 합의 또는 법원 판결에 따라 정해진 양육비를 지급해야 한다. 이는 혼인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된다.문제는 미혼 양육자가 상대방에게 양육비를 받는 경우는 극히 적다는 데 있다. 미혼 양육자가 양육비를 청구하려면 먼저 법원에 인지 청구 소송을 제기해 법률상 친자관계를 인정받아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생모·생부와 연락이 끊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과정 역시 순탄치 않다. 또 소송을 통해 친자로 인정을 받는다고 해도 양육비 소송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일이 소요된다.모든 절차를 거쳐 양육비 이행이 확정되더라도 실제 양육비를 받기란 어려운 게 현실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양육비이행법의 입법영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미혼모들이 자녀의 친부로부터 양육비를 청구해 돈을 받는 비율은 38.3%로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채무 불이행에 대한 조치가 큰 효과를 보지 못한 탓이다. 양육비 지급 의무가 있는 자가 양육비를 제때 지급하지 않는다면 과태료 처분부터 감치(구금) 등 법적 처벌을 받게 되지만, 실제 집행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어 이 같은 제재가 무용지물이라는 비판도 나온다.이에 정부는 내년부터 양육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한부모가정에 양육비를 우선 지원하고 이후 비양육자에게 받아내는 '양육비 선지급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국가가 우선적으로 최대 월 20만원의 양육비를 지급한 뒤 구상권을 행사해 비양육자로부터 양육비를 직접 회수하는 식이다. 다만 이 제도는 중위소득 150% 이하인 양육자에게만 적용된다.정부에서 이러한 제도를 운영하는 것에는 환영하지만, 선지급제 특혜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월 20만원이라는 금액은 아이를 양육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라고 보인다. 더는 법적 보호 사각지대에 놓이는 한부모가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촘촘한 양육비 구제 제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중소기업팀 [기사전문보기] '혼인 외 출생자' 논란…양육비 등 권리 보장은?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06
왕복 8차선 무단횡단 행인 사망…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왕복 8차선 무단횡단 행인 사망…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제한 속도 초과-사후 조치 없이 도주…1심, 징역 2년 6개월 선고항소심 “무단횡단한 피해자에게도 과실 있다” 8차선 도로를 무단횡단하던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한 택배기사가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감형됐다.의정부지방법원 제4-3형사부는 지난해 11월 28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치사) 혐의로 기소된 택배기사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3년 6월 파주의 한 도로에서 화물차를 주행하다 도로를 건너던 10대 B씨를 치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당시 A씨는 제한 속도 시속 60km인 구간을 77km로 과속 운전한 것으로 조사됐다.당시 B씨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무단횡단하던 중 도로 중앙 가드레일 부근에 쓰러져 일어나지 못한 채 잠들어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 법원은 “제한 속도를 초과해 운전하면서 전방좌우를 제대로 살피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고, 현장에서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실형 선고 이유를 밝혔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를 제기했다. A씨 측은 “중앙 분리대가 있는 왕복 8차선 도로에서 사람이 쓰러져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건이 발생한 시간대가 늦은 밤이었던 점을 언급하며 사고 발생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왕복 8차선 도로를 무단횡단한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다”며 “그 밖에 유족들과 원만하게 합의한 점, 피해자가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항소심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사건이 발생한 도로에는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어 무단횡단이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힘들다”며 “여기에 심야 시간대에 사건이 발생해 시야 확보가 어려웠던 점 등이 감형 사유로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왕복 8차선 무단횡단 행인 사망…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06
왕복 8차선 무단횡단 행인 사망…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왕복 8차선 무단횡단 행인 사망…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제한 속도 초과-사후 조치 없이 도주…1심, 징역 2년 6개월 선고항소심 “무단횡단한 피해자에게도 과실 있다” 8차선 도로를 무단횡단하던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한 택배기사가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감형됐다.의정부지방법원 제4-3형사부는 지난해 11월 28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치사) 혐의로 기소된 택배기사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 2023년 6월 파주의 한 도로에서 화물차를 주행하다 도로를 건너던 10대 B씨를 치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당시 A씨는 제한 속도 시속 60km인 구간을 77km로 과속 운전한 것으로 조사됐다.당시 B씨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무단횡단하던 중 도로 중앙 가드레일 부근에 쓰러져 일어나지 못한 채 잠들어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1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 법원은 “제한 속도를 초과해 운전하면서 전방좌우를 제대로 살피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고, 현장에서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실형 선고 이유를 밝혔다.이에 불복한 A씨는 항소를 제기했다. A씨 측은 “중앙 분리대가 있는 왕복 8차선 도로에서 사람이 쓰러져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건이 발생한 시간대가 늦은 밤이었던 점을 언급하며 사고 발생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항소심 재판부는 A씨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왕복 8차선 도로를 무단횡단한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다”며 “그 밖에 유족들과 원만하게 합의한 점, 피해자가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항소심에서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사건이 발생한 도로에는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어 무단횡단이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힘들다”며 “여기에 심야 시간대에 사건이 발생해 시야 확보가 어려웠던 점 등이 감형 사유로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종철 기자(jckim99@sportsseoul.com) [기사전문보기] 왕복 8차선 무단횡단 행인 사망…운전자, 항소심서 ‘집행유예’ 감형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5-01-03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자문 특화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자문 특화
의료중재원 위원, 대한변협 등록 의료전문변호사, 의료진 출신 등 다수 포진전문성 요구하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신속 정확한 대응 가능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 분야 전문가들을 대거 영입한 가운데, 늘어나는 의료분쟁에 대응해 의료제약그룹을 대폭 강화했다고 3일 밝혔다.대륜 의료제약그룹은 기존의 의료소송그룹을 확대·개편한 것으로 제약, 바이오 등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에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발족했다.대륜 관계자는 이날 "이번에 대규모 인력 충원 및 확대 개편을 진행하면서 그룹은 총 3개 센터(의료민사,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의료자문)로 구성되며, 의료분쟁부터 관련 산업의 규제, 리스크 관리까지 전반적인 사항에 대응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그룹장은 수원지방법원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사법연수원28기) 변호사가 책임지고 있다.박 변호사는 의료부터 민사, 형사, 행정, 노동 등 다양한 사건을 다뤄본 경험을 바탕으로 그룹의 선봉장에 서 진두지휘한다. 박 변호사 뒤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역할은 의료민사센터장 김경환 변호사와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 이서형 변호사가 맡았다.의료민사센터장을 맡고 있는 김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 의료전문변호사로 등록돼 있으며 의료법위반, 의료사고 등 각종 분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또 최근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의 센터장으로 선임된 이 변호사는 약사 자격을 보유한 인재로 기업·개인, 의료인, 기관의 의료 법률 문제 해결에 앞장서왔다. 이 변호사는 임상시험,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의료 시장의 법률수요가 커짐에 따라 의료 실무 노하우를 갖춘 의료진 출신 변호사들도 대거 포진돼 있다.약사 자격 보유자인 최윤정·윤소영 변호사, 변협 등록 의료전문 김진주 변호사, 한의사 출신 홍승표 변호사 등이 의료인 업무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제약그룹에서 활약하고 있다.특히 윤 변호사의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관, 보건복지부 기획조정실 법률전문위원으로 재직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건강보험 급여, 복지부 처분 등 다양한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여기에 더해 최근 의약품 분야 전문가인 이일형 변호사도 영입했다. 셀트리온 사내 변호사 출신인 이 변호사는 약사 면허와 변리사 및 미국 회계사 자격을 보유한 스페셜리스트로 특허, 투자계약 등 의료 관련 법률자문 및 민·형사사건을 다수 처리해 왔다.오랜 기간이 걸리는 의료 분쟁의 경우 전문가의 조력은 필수적이다. 특히 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의 연구개발, 제품출시, 시장유통, 허가·유지에 이르는 전 과정은 지적재산권, 공정거래 등 관련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이에 의료제약그룹은 법인 내 △지식재산권 △공정거래 △행정 등 전문그룹과 협업해 관련 자문과 소송 대응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박정규 그룹장은 "의료 행위는 실제 의료계에 종사했던 사람이 아니면 알기 힘든 부분이 있다. 관련 분쟁 발생 시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며, 이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새로운 기술의 적용에 따라 급속도로 발전 중인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와 관련한 법적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의료제약그룹은 이런 부분에 도움이 되고자 업무 범위를 넓혔다. 인재를 확보하고, 복잡한 사안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그룹의 역량이 한층 강화됐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원하는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전문적인 조력을 이어 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염재중 기자(yjj@joseilbo.com)[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자문 특화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바로가기) SNN -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강화…제약·바이오·헬스케어 법률 서비스 확대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5-01-03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자문 특화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자문 특화
의료중재원 위원, 대한변협 등록 의료전문변호사, 의료진 출신 등 다수 포진전문성 요구하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신속 정확한 대응 가능 법무법인 대륜(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 분야 전문가들을 대거 영입한 가운데, 늘어나는 의료분쟁에 대응해 의료제약그룹을 대폭 강화했다고 3일 밝혔다.대륜 의료제약그룹은 기존의 의료소송그룹을 확대·개편한 것으로 제약, 바이오 등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에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발족했다.대륜 관계자는 이날 "이번에 대규모 인력 충원 및 확대 개편을 진행하면서 그룹은 총 3개 센터(의료민사,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의료자문)로 구성되며, 의료분쟁부터 관련 산업의 규제, 리스크 관리까지 전반적인 사항에 대응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그룹장은 수원지방법원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사법연수원28기) 변호사가 책임지고 있다.박 변호사는 의료부터 민사, 형사, 행정, 노동 등 다양한 사건을 다뤄본 경험을 바탕으로 그룹의 선봉장에 서 진두지휘한다. 박 변호사 뒤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역할은 의료민사센터장 김경환 변호사와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장 이서형 변호사가 맡았다.의료민사센터장을 맡고 있는 김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 의료전문변호사로 등록돼 있으며 의료법위반, 의료사고 등 각종 분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또 최근 제약·바이오·헬스케어센터의 센터장으로 선임된 이 변호사는 약사 자격을 보유한 인재로 기업·개인, 의료인, 기관의 의료 법률 문제 해결에 앞장서왔다. 이 변호사는 임상시험,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의료 시장의 법률수요가 커짐에 따라 의료 실무 노하우를 갖춘 의료진 출신 변호사들도 대거 포진돼 있다.약사 자격 보유자인 최윤정·윤소영 변호사, 변협 등록 의료전문 김진주 변호사, 한의사 출신 홍승표 변호사 등이 의료인 업무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제약그룹에서 활약하고 있다.특히 윤 변호사의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관, 보건복지부 기획조정실 법률전문위원으로 재직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건강보험 급여, 복지부 처분 등 다양한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여기에 더해 최근 의약품 분야 전문가인 이일형 변호사도 영입했다. 셀트리온 사내 변호사 출신인 이 변호사는 약사 면허와 변리사 및 미국 회계사 자격을 보유한 스페셜리스트로 특허, 투자계약 등 의료 관련 법률자문 및 민·형사사건을 다수 처리해 왔다.오랜 기간이 걸리는 의료 분쟁의 경우 전문가의 조력은 필수적이다. 특히 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의 연구개발, 제품출시, 시장유통, 허가·유지에 이르는 전 과정은 지적재산권, 공정거래 등 관련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이에 의료제약그룹은 법인 내 △지식재산권 △공정거래 △행정 등 전문그룹과 협업해 관련 자문과 소송 대응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박정규 그룹장은 "의료 행위는 실제 의료계에 종사했던 사람이 아니면 알기 힘든 부분이 있다. 관련 분쟁 발생 시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며, 이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새로운 기술의 적용에 따라 급속도로 발전 중인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와 관련한 법적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의료제약그룹은 이런 부분에 도움이 되고자 업무 범위를 넓혔다. 인재를 확보하고, 복잡한 사안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그룹의 역량이 한층 강화됐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원하는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전문적인 조력을 이어 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염재중 기자(yjj@joseilbo.com)[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자문 특화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대폭 강화 (바로가기) SNN - 법무법인 대륜, 의료제약그룹 강화…제약·바이오·헬스케어 법률 서비스 확대 (바로가기)
로리더
2025-01-03
사업약정·시행계약 ‘관련없다’며 설계비 반환거부···법원 “독립약정 불인정”
사업약정·시행계약 ‘관련없다’며 설계비 반환거부···법원 “독립약정 불인정”
사업 약정 후 설계비 송금하자 주요 약정 내용 변경…반환 요구에 “설계비는 별개 계약”서울중앙지방법원 “원 약정대로 시행계약 체결 기대하며 송금한 것···부당이득 반환해야” 주택신축을 위한 사업 구두약정 후 지급한 설계비는 그 시행계약이 체결되지 않았다면 반환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1006단독 최건호 판사는 임대사업자 A씨가 지인 B씨를 상대로 제기한 기타(금전) 청구소송에서 최근 원고 승소 판결을 선고했다.두 사람은 지난 2021년 7월 함께 건물을 신축하기로 하고 공동사업계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B씨는 4억 5000만 원의 수익금을 보장하며 설계비로 3500만 원을 제시했다. 이를 받아들인 A씨는 우선 3000만원을 송금했다.그러나 A씨가 두 달 뒤 받아본 최종 계약서에는 이와 다른 내용이 담겨 있었다. 기존에 없었던 수수료가 추가됐고 공사비용 일부가 변경되면서, 수익금은 당초 제시됐던 금액보다 적은 약 2억 원으로 산출됐다.이에 A씨는 B씨에게 신축 사업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뚯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전에 송금했던 3000만 원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다.그러나 B씨는 사업계약과 최종 시행계약은 독립적인 건이라는 이유로 반환을 거부했다. B씨는 앞선 계약에 따라 설계비를 받은 것일 뿐이라며 돈을 돌려줄 의무가 없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서울중앙지방법원 최건호 판사는 원고 A씨의 손을 들어줬다.최건호 판사는 “원고는 4억 5천만 원의 수익을 보장하는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생각하고 최종 계약 전 미리 송금한 것”이라면서, “최종 계약과 사업 계약을 별개·독립적인 사안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최 판사는 이어 “최종 계약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고는 3000만 원을 지급 받을 이유가 없다”면서, “원고에게 이를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원고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을 얻어 피해를 끼쳤다면 이는 부당이득금에 해당한다”면서, “이 사건에서는 두 사람의 계약 교섭 내용이 변경되면서 A씨가 설계비를 지급할 법률상 원인이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사업약정·시행계약 ‘관련없다’며 설계비 반환거부···법원 “독립약정 불인정” (바로가기)
로리더
2025-01-03
사업약정·시행계약 ‘관련없다’며 설계비 반환거부···법원 “독립약정 불인정”
사업약정·시행계약 ‘관련없다’며 설계비 반환거부···법원 “독립약정 불인정”
사업 약정 후 설계비 송금하자 주요 약정 내용 변경…반환 요구에 “설계비는 별개 계약”서울중앙지방법원 “원 약정대로 시행계약 체결 기대하며 송금한 것···부당이득 반환해야” 주택신축을 위한 사업 구두약정 후 지급한 설계비는 그 시행계약이 체결되지 않았다면 반환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1006단독 최건호 판사는 임대사업자 A씨가 지인 B씨를 상대로 제기한 기타(금전) 청구소송에서 최근 원고 승소 판결을 선고했다.두 사람은 지난 2021년 7월 함께 건물을 신축하기로 하고 공동사업계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B씨는 4억 5000만 원의 수익금을 보장하며 설계비로 3500만 원을 제시했다. 이를 받아들인 A씨는 우선 3000만원을 송금했다.그러나 A씨가 두 달 뒤 받아본 최종 계약서에는 이와 다른 내용이 담겨 있었다. 기존에 없었던 수수료가 추가됐고 공사비용 일부가 변경되면서, 수익금은 당초 제시됐던 금액보다 적은 약 2억 원으로 산출됐다.이에 A씨는 B씨에게 신축 사업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뚯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전에 송금했던 3000만 원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다.그러나 B씨는 사업계약과 최종 시행계약은 독립적인 건이라는 이유로 반환을 거부했다. B씨는 앞선 계약에 따라 설계비를 받은 것일 뿐이라며 돈을 돌려줄 의무가 없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서울중앙지방법원 최건호 판사는 원고 A씨의 손을 들어줬다.최건호 판사는 “원고는 4억 5천만 원의 수익을 보장하는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생각하고 최종 계약 전 미리 송금한 것”이라면서, “최종 계약과 사업 계약을 별개·독립적인 사안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최 판사는 이어 “최종 계약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고는 3000만 원을 지급 받을 이유가 없다”면서, “원고에게 이를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원고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을 얻어 피해를 끼쳤다면 이는 부당이득금에 해당한다”면서, “이 사건에서는 두 사람의 계약 교섭 내용이 변경되면서 A씨가 설계비를 지급할 법률상 원인이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손동욱 기자(twson@lawleader.co.kr) [기사전문보기] 사업약정·시행계약 ‘관련없다’며 설계비 반환거부···법원 “독립약정 불인정” (바로가기)
머니S
2025-01-02
사내 동호회 경기서 부상 입은 근로자…법원 "업무상 재해로 봐야"
사내 동호회 경기서 부상 입은 근로자…법원 "업무상 재해로 봐야"
근로자가 회사의 관리·감독 아래 있는 사내 동호회 행사에 참석해 부상을 입었다면 이를 업무상 재해로 봐야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서울행정법원 행정11단독 김주완 판사는 지난달 28일 근로자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제기한 요양불승인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A씨는 지난 4월 사내 풋살 동호회가 주최한 체육행사에 참가해 경기를 하던 중 손목 골절 부상을 입고,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를 신청했다.공단은 요양 불승인 결정을 내렸다. 동호회 가입과 활동이 사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뤄졌고 회사 역시 행사 참석을 강제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를 업무 수행의 일환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에 불복한 A씨는 소송을 냈다.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제30조 제4호에 따르면 근로자의 행사 참가가 사회 통념상 노무관리 또는 사업 운영상 필요하고, 사업주가 이를 통상적ㆍ관례적으로 인정한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는 업무상 재해로 규정된다.A씨 측은 소송 과정에서 "해당 동호회는 임직원 유대 강화를 위해 결성된 단체로 회사 역시 노무 관리의 목적으로 동호회 활동을 장려했다"고 주장했다.또 회사가 동호회를 구체적으로 관리·감독한 점도 언급했다. A씨 측은 "동호회 관계자들이 매달 활동 보고서를 작성해 보고했고 회사 역시 회원들의 출결 상황에 따라 지원금을 지급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근로복지공단의 요양불승인처분이 취소돼야 한다며 A씨 손을 들어줬다. 김 판사는 "회사의 승인을 받아 설립된 사내 동호회의 정식 활동이나 행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전반적인 과정이 사업주의 지배나 관리를 받는 상태에 있었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아울러 "이 사건 경기가 회사 측에서 관리·감독 중인 동호회의 정기 모임에 해당하는 이상, 경기 참석에 강제성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사업주의 지배를 받는 상태에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업무로 규정돼있지 않은 회사 외의 행사에 참여하던 중 재해를 당한 경우라도, 해당 행사의 전반적인 과정이 사용자의 지배를 받는 상태에 있으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는 대법원의 판례가 있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이번 소송의 경우 사내 홈페이지를 통해 각 동호회에 대한 홍보가 이뤄졌고, 지난해에는 최우수 동호회 선정을 위한 투표까지 실시된 바 있었다"며 "법원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사내 동호회 경기서 부상 입은 근로자…법원 "업무상 재해로 봐야" (바로가기)
머니S
2025-01-02
사내 동호회 경기서 부상 입은 근로자…법원 "업무상 재해로 봐야"
사내 동호회 경기서 부상 입은 근로자…법원 "업무상 재해로 봐야"
근로자가 회사의 관리·감독 아래 있는 사내 동호회 행사에 참석해 부상을 입었다면 이를 업무상 재해로 봐야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서울행정법원 행정11단독 김주완 판사는 지난달 28일 근로자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제기한 요양불승인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A씨는 지난 4월 사내 풋살 동호회가 주최한 체육행사에 참가해 경기를 하던 중 손목 골절 부상을 입고,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를 신청했다.공단은 요양 불승인 결정을 내렸다. 동호회 가입과 활동이 사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뤄졌고 회사 역시 행사 참석을 강제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를 업무 수행의 일환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에 불복한 A씨는 소송을 냈다.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제30조 제4호에 따르면 근로자의 행사 참가가 사회 통념상 노무관리 또는 사업 운영상 필요하고, 사업주가 이를 통상적ㆍ관례적으로 인정한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는 업무상 재해로 규정된다.A씨 측은 소송 과정에서 "해당 동호회는 임직원 유대 강화를 위해 결성된 단체로 회사 역시 노무 관리의 목적으로 동호회 활동을 장려했다"고 주장했다.또 회사가 동호회를 구체적으로 관리·감독한 점도 언급했다. A씨 측은 "동호회 관계자들이 매달 활동 보고서를 작성해 보고했고 회사 역시 회원들의 출결 상황에 따라 지원금을 지급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근로복지공단의 요양불승인처분이 취소돼야 한다며 A씨 손을 들어줬다. 김 판사는 "회사의 승인을 받아 설립된 사내 동호회의 정식 활동이나 행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전반적인 과정이 사업주의 지배나 관리를 받는 상태에 있었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아울러 "이 사건 경기가 회사 측에서 관리·감독 중인 동호회의 정기 모임에 해당하는 이상, 경기 참석에 강제성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사업주의 지배를 받는 상태에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업무로 규정돼있지 않은 회사 외의 행사에 참여하던 중 재해를 당한 경우라도, 해당 행사의 전반적인 과정이 사용자의 지배를 받는 상태에 있으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는 대법원의 판례가 있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이번 소송의 경우 사내 홈페이지를 통해 각 동호회에 대한 홍보가 이뤄졌고, 지난해에는 최우수 동호회 선정을 위한 투표까지 실시된 바 있었다"며 "법원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사내 동호회 경기서 부상 입은 근로자…법원 "업무상 재해로 봐야" (바로가기)
중부신문 등 3곳
2025-01-02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지역 장애인을 위한 의미있는 한 걸음 기대권민경 총괄본부장 "소외된 계층 위한 법률적 지원 확대" 약속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김휴진)은 지난 12월 27일, 복지관 2층 회의실에서 법무법인 대륜(대표 변호사 김국일)과 연간 무료 법률자문 및 종합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의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한 의미 있는 한 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권민경 대구경북총괄본부장 변호사, 김천구미사무소 소장 노경국 변호사를 포함한 직원이 참석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연간 무료 법률자문 1회 제공 ▲변호사 선임비용 할인 혜택 부여 ▲복지관 요청 시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 분야의 자문을 통한 종합적 지원 등이다.법무법인 대륜의 권민경 대구경북총괄본부장은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이 지역사회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계신 점에 깊은 감명을 받았으며 법무법인 대륜 또한 복지관과 협력하여 소외된 계층을 위한 법률적 지원을 확대해 나갈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김휴진 관장은 “법무법인 대륜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 복지관이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법률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이번 협약이 장애인들의 권익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024년 9월 30일, 김천구미지역에 제41호 지사를 설립하며 경북 지역에서 선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로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복지와 법률 지원을 위한 기관 간의 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이번 협약을 통해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제공받아 장애인 복지 서비스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사전문보기] 중부신문 -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경북도민일보 - 구미장애인종합복지관-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뉴스일번지 -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중부신문 등 3곳
2025-01-02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지역 장애인을 위한 의미있는 한 걸음 기대권민경 총괄본부장 "소외된 계층 위한 법률적 지원 확대" 약속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김휴진)은 지난 12월 27일, 복지관 2층 회의실에서 법무법인 대륜(대표 변호사 김국일)과 연간 무료 법률자문 및 종합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의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한 의미 있는 한 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권민경 대구경북총괄본부장 변호사, 김천구미사무소 소장 노경국 변호사를 포함한 직원이 참석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연간 무료 법률자문 1회 제공 ▲변호사 선임비용 할인 혜택 부여 ▲복지관 요청 시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 분야의 자문을 통한 종합적 지원 등이다.법무법인 대륜의 권민경 대구경북총괄본부장은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이 지역사회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계신 점에 깊은 감명을 받았으며 법무법인 대륜 또한 복지관과 협력하여 소외된 계층을 위한 법률적 지원을 확대해 나갈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김휴진 관장은 “법무법인 대륜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 복지관이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법률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이번 협약이 장애인들의 권익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024년 9월 30일, 김천구미지역에 제41호 지사를 설립하며 경북 지역에서 선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로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복지와 법률 지원을 위한 기관 간의 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이번 협약을 통해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제공받아 장애인 복지 서비스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사전문보기] 중부신문 -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경북도민일보 - 구미장애인종합복지관-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뉴스일번지 -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법무법인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02
교통사고 치료비 청구했더니 '사기'라는 보험사..40대 배달기사 '무혐의'
교통사고 치료비 청구했더니 '사기'라는 보험사..40대 배달기사 '무혐의'
고의 사고를 낸 뒤 보험금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에 대해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은 최근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위반 혐의를 받는 44살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해 8월 부산의 한 사거리에서 오토바이를 몰다 차량과 충돌했습니다.이후 A씨는 보험사에 치료비 명목으로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그러나 보험사는 A씨의 과거 사고 이력이 많다는 이유로 보험 사기를 주장하며 A씨를 경찰에 고소했습니다."사고 당시 A씨는 주변을 힐끗거리면서 차량이 다가오고 있는 사실을 충분히 인지했지만, 피하지 않고 충돌을 유도했다"며 "과거에도 이런 유형의 사고를 자주 발생시켰다"는 주장이었습니다.그러나 검찰 조사에서 A씨 측은 고의로 사고를 일으키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배달업에 오래 종사했고, 이로 인해 다른 운전자들보다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검찰은 사고 발생 원인이 상대방에게 있다고 보고 A씨의 행위에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김경환 변호사는 "A씨는 보험회사를 기망해 보험금을 청구하지 않았음에도 사기 혐의로 검찰 조사까지 받아야 했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 상대 차량의 과실로 사고가 발생했고, 무엇보다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 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A씨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하면 동일 유형의 사고가 다수라고 해도 이들 모두가 보험사기라고 단정할 수 없다"며 "특히 고액의 합의금이나 보험금을 받기 위해 피해를 과장한 적도 없었던 만큼 억울한 부분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교통사고 치료비 청구했더니 '사기'라는 보험사..40대 배달기사 '무혐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5-01-02
교통사고 치료비 청구했더니 '사기'라는 보험사..40대 배달기사 '무혐의'
교통사고 치료비 청구했더니 '사기'라는 보험사..40대 배달기사 '무혐의'
고의 사고를 낸 뒤 보험금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에 대해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은 최근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위반 혐의를 받는 44살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해 8월 부산의 한 사거리에서 오토바이를 몰다 차량과 충돌했습니다.이후 A씨는 보험사에 치료비 명목으로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그러나 보험사는 A씨의 과거 사고 이력이 많다는 이유로 보험 사기를 주장하며 A씨를 경찰에 고소했습니다."사고 당시 A씨는 주변을 힐끗거리면서 차량이 다가오고 있는 사실을 충분히 인지했지만, 피하지 않고 충돌을 유도했다"며 "과거에도 이런 유형의 사고를 자주 발생시켰다"는 주장이었습니다.그러나 검찰 조사에서 A씨 측은 고의로 사고를 일으키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배달업에 오래 종사했고, 이로 인해 다른 운전자들보다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검찰은 사고 발생 원인이 상대방에게 있다고 보고 A씨의 행위에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김경환 변호사는 "A씨는 보험회사를 기망해 보험금을 청구하지 않았음에도 사기 혐의로 검찰 조사까지 받아야 했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 상대 차량의 과실로 사고가 발생했고, 무엇보다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 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A씨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하면 동일 유형의 사고가 다수라고 해도 이들 모두가 보험사기라고 단정할 수 없다"며 "특히 고액의 합의금이나 보험금을 받기 위해 피해를 과장한 적도 없었던 만큼 억울한 부분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교통사고 치료비 청구했더니 '사기'라는 보험사..40대 배달기사 '무혐의'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02
‘불법 동영상 소지’ 혐의 30대 남성 ‘선고유예’
‘불법 동영상 소지’ 혐의 30대 남성 ‘선고유예’
벌금 200만원 약식명령 → 선고유예다운로드 실패로 자료 대부분 열람하지 못한 점 참작 음성적으로 유포되던 불법촬영물을 다운로드 받은 30대 남성이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다.광주지방법원 형사3단독(한상원 판사)은 지난해 11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 등 이용 촬영물 소지) 혐의로 기소된 A씨(30)에게 벌금 20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다.선고유예란 경미하다고 판단되는 범죄에 대해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유예하고, 유예일로부터 2년이 경과했을 때 형의 선고를 면하게 하는 판결이다. 기간 경료 이후에는 전과 기록 역시 남지 않게 된다.A씨는 지난해 3월 인터넷 익명 게시판에 업로드된 불법촬영물을 열람하고, 이를 내려받아 소지한 혐의로 기소됐다.당시 A씨가 내려받은 자료에는 실제 성폭력범죄 영상물이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검찰은 A씨를 벌금 200만 원에 약식기소했으나, A씨가 이에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에서 A씨 법률대리인은 A씨가 불법촬영물 다운로드를 시도하긴 했지만, 완료되지 않아 미수에 그친 점을 강조해 선처를 구했다.재판부 역시 A씨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벌금형의 선고유예를 결정했다.한 판사는 “피고인이 피해자들의 의사에 반해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촬영물 또는 복제물을 시청한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피고인이 잘못을 시인하고 깊이 뉘우치는 점, 시청한 불법촬영물 수량 등을 참작해 형을 결정한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심가현 변호사는 “피고인은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범죄를 저지른 것에 깊이 자책하고 있었다. 공기업으로 이직을 준비 중이던 피고인은 이 사건으로 형사 처벌을 받게 되면 이직의 기회는 물론 직장에서 잘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며 “불법촬영물은 단순 시청만 하더라도 처벌받도록 법 개정이 이뤄졌다. 피고인의 범행이 실제로 이뤄졌다고 볼 수 없는 점, 재범의 위험성이 낮은 점 등을 변론해 무사히 선고유예를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불법 동영상 소지’ 혐의 30대 남성 ‘선고유예’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5-01-02
‘불법 동영상 소지’ 혐의 30대 남성 ‘선고유예’
‘불법 동영상 소지’ 혐의 30대 남성 ‘선고유예’
벌금 200만원 약식명령 → 선고유예다운로드 실패로 자료 대부분 열람하지 못한 점 참작 음성적으로 유포되던 불법촬영물을 다운로드 받은 30대 남성이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다.광주지방법원 형사3단독(한상원 판사)은 지난해 11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 등 이용 촬영물 소지) 혐의로 기소된 A씨(30)에게 벌금 20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다.선고유예란 경미하다고 판단되는 범죄에 대해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유예하고, 유예일로부터 2년이 경과했을 때 형의 선고를 면하게 하는 판결이다. 기간 경료 이후에는 전과 기록 역시 남지 않게 된다.A씨는 지난해 3월 인터넷 익명 게시판에 업로드된 불법촬영물을 열람하고, 이를 내려받아 소지한 혐의로 기소됐다.당시 A씨가 내려받은 자료에는 실제 성폭력범죄 영상물이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검찰은 A씨를 벌금 200만 원에 약식기소했으나, A씨가 이에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재판에서 A씨 법률대리인은 A씨가 불법촬영물 다운로드를 시도하긴 했지만, 완료되지 않아 미수에 그친 점을 강조해 선처를 구했다.재판부 역시 A씨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벌금형의 선고유예를 결정했다.한 판사는 “피고인이 피해자들의 의사에 반해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촬영물 또는 복제물을 시청한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피고인이 잘못을 시인하고 깊이 뉘우치는 점, 시청한 불법촬영물 수량 등을 참작해 형을 결정한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A씨의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심가현 변호사는 “피고인은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범죄를 저지른 것에 깊이 자책하고 있었다. 공기업으로 이직을 준비 중이던 피고인은 이 사건으로 형사 처벌을 받게 되면 이직의 기회는 물론 직장에서 잘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며 “불법촬영물은 단순 시청만 하더라도 처벌받도록 법 개정이 이뤄졌다. 피고인의 범행이 실제로 이뤄졌다고 볼 수 없는 점, 재범의 위험성이 낮은 점 등을 변론해 무사히 선고유예를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불법 동영상 소지’ 혐의 30대 남성 ‘선고유예’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1-02
2025 로펌 신년사 ①
2025 로펌 신년사 ①
◇김국일 법무법인(유) 대륜 대표변호사 “갈라파고스를 넘어 대양으로” 국내 기업이 미국에 법인을 설립하고자 국내 로펌을 선임하면 그 로펌은 연계되어 있는 미국 로펌과 자문계약을 맺거나 국내 기업과 미국 로펌간의 선임계약을 중개하는데 이때 국내 로펌은 일정 수수료만 받고 미국 로펌이 대부분의 수익을 가져가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다보니 국내 로펌은 고위공직자나 대기업 임원 등을 매년 채용ㆍ홍보하거나 사무장을 활용하여 기업이나 개인 고객에게 국내 법률사무에 대한 자문료, 선임료를 받는데 집중하고 있으나, 이런 국내 영업만으로는 변호사 인원 증가에 비례한 매출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고 오히려 매출 나눠먹기 현상의 심화로 국내 로펌의 수익률 및 변호사 평균연봉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대륜에서는 2024년 대형로펌의 반열에 올라섰지만 국내 법률시장의 한계를 체감하고 국내에서와 같이 해외에서도 AI 리걸테크와 온라인 마케팅을 기반으로 외국 변호사를 고용하여 외국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로펌으로의 체질개선을 진행중입니다.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맞이하여 우리 법조계도 기존의 껍질을 벗고 새롭게 변신하는, 갈라파고스를 넘어 대양으로 진출하는 한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기사전문보기] 2025 로펌 신년사 ①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5-01-02
2025 로펌 신년사 ①
2025 로펌 신년사 ①
◇김국일 법무법인(유) 대륜 대표변호사 “갈라파고스를 넘어 대양으로” 국내 기업이 미국에 법인을 설립하고자 국내 로펌을 선임하면 그 로펌은 연계되어 있는 미국 로펌과 자문계약을 맺거나 국내 기업과 미국 로펌간의 선임계약을 중개하는데 이때 국내 로펌은 일정 수수료만 받고 미국 로펌이 대부분의 수익을 가져가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다보니 국내 로펌은 고위공직자나 대기업 임원 등을 매년 채용ㆍ홍보하거나 사무장을 활용하여 기업이나 개인 고객에게 국내 법률사무에 대한 자문료, 선임료를 받는데 집중하고 있으나, 이런 국내 영업만으로는 변호사 인원 증가에 비례한 매출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고 오히려 매출 나눠먹기 현상의 심화로 국내 로펌의 수익률 및 변호사 평균연봉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대륜에서는 2024년 대형로펌의 반열에 올라섰지만 국내 법률시장의 한계를 체감하고 국내에서와 같이 해외에서도 AI 리걸테크와 온라인 마케팅을 기반으로 외국 변호사를 고용하여 외국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로펌으로의 체질개선을 진행중입니다.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맞이하여 우리 법조계도 기존의 껍질을 벗고 새롭게 변신하는, 갈라파고스를 넘어 대양으로 진출하는 한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기사전문보기] 2025 로펌 신년사 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31
연말연시 술자리에 음주운전 위험 늘어 주의…초범도 형량 무거울 수 있어
연말연시 술자리에 음주운전 위험 늘어 주의…초범도 형량 무거울 수 있어
연말연시가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족이나 친구 등 지인과의 모임을 계획한다. 이에 따라 술자리도 자연스레 늘면서 음주운전의 위험도 함께 증가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표한 음주운전 사고 분석 자료에 따르면 12월과 1월에 발생한 음주운전 사고 건수는 각각 4,025건, 3,727건이었다. 모두 전체 월 평균 3,582건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사고에 의한 사망자수도 100명에 육박했다. 음주운전에 따른 처벌 수위는 적발 횟수와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1회 적발된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 0.03%에서 0.08% 미만이면 면허 정지와 함께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 0.08% 이상 0.2% 미만이면 면허 취소 처분과 징역 12년 또는 벌금 5001,000만원을, 0.2% 이상이라면 징역 25년 또는 1,000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10년 안에 음주운전을 저지른 이력이 있을 경우에는 형이 더욱 무거워진다. 혈중 알코올 농도 0.2% 미만인 경우에는 면허 취소와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내려진다. 0.2%이상인 경우에는 징역 2년 이상 6년 이하 또는 벌금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로 형량이 강화된다.또 음주운전 적발을 피하고자 음주 측정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측정을 거부하는 경우 혈중 알코올농도와 관계없이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상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선고된다.특히 음주운전으로 인해 인명 사고가 발생한다면 사안에 따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에 의해 처벌된다. 사망 사고를 냈다면 3년 이상 또는 무기징역을, 사람을 다치게 했다면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다스리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고에 대한 민사상 책임까지 져야 할 수도 있다.만약 누범 기간에 음주운전으로 적발됐거나 사고를 일으켰다면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을 수 있는 데다 수사 단계부터 구속이 이뤄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주운전 사건 담당 경험이 풍부한 법조인 등의 도움을 받아 불리한 요소를 최소화하고 최대한 가벼운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초범이라 할지라도, 음주운전의 경우 타인의 생명을 빼앗을 수 있는 행위인 만큼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법조인의 조력을 받아 사건의 정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최적의 해결책을 통해 형량을 낮추는 데 힘써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연말연시 술자리에 음주운전 위험 늘어 주의…초범도 형량 무거울 수 있어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31
연말연시 술자리에 음주운전 위험 늘어 주의…초범도 형량 무거울 수 있어
연말연시 술자리에 음주운전 위험 늘어 주의…초범도 형량 무거울 수 있어
연말연시가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족이나 친구 등 지인과의 모임을 계획한다. 이에 따라 술자리도 자연스레 늘면서 음주운전의 위험도 함께 증가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표한 음주운전 사고 분석 자료에 따르면 12월과 1월에 발생한 음주운전 사고 건수는 각각 4,025건, 3,727건이었다. 모두 전체 월 평균 3,582건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사고에 의한 사망자수도 100명에 육박했다. 음주운전에 따른 처벌 수위는 적발 횟수와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1회 적발된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 0.03%에서 0.08% 미만이면 면허 정지와 함께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 0.08% 이상 0.2% 미만이면 면허 취소 처분과 징역 12년 또는 벌금 5001,000만원을, 0.2% 이상이라면 징역 25년 또는 1,000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10년 안에 음주운전을 저지른 이력이 있을 경우에는 형이 더욱 무거워진다. 혈중 알코올 농도 0.2% 미만인 경우에는 면허 취소와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내려진다. 0.2%이상인 경우에는 징역 2년 이상 6년 이하 또는 벌금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로 형량이 강화된다.또 음주운전 적발을 피하고자 음주 측정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측정을 거부하는 경우 혈중 알코올농도와 관계없이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상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선고된다.특히 음주운전으로 인해 인명 사고가 발생한다면 사안에 따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에 의해 처벌된다. 사망 사고를 냈다면 3년 이상 또는 무기징역을, 사람을 다치게 했다면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다스리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고에 대한 민사상 책임까지 져야 할 수도 있다.만약 누범 기간에 음주운전으로 적발됐거나 사고를 일으켰다면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을 수 있는 데다 수사 단계부터 구속이 이뤄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주운전 사건 담당 경험이 풍부한 법조인 등의 도움을 받아 불리한 요소를 최소화하고 최대한 가벼운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초범이라 할지라도, 음주운전의 경우 타인의 생명을 빼앗을 수 있는 행위인 만큼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법조인의 조력을 받아 사건의 정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최적의 해결책을 통해 형량을 낮추는 데 힘써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연말연시 술자리에 음주운전 위험 늘어 주의…초범도 형량 무거울 수 있어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30
“상표권 침해”···사용금지 등 소송에 ‘기각’ 결정난 이유?
“상표권 침해”···사용금지 등 소송에 ‘기각’ 결정난 이유?
의류제조사, 전 대표의 “무단 상표 출원·사용” 주장하며 상표사용금지등 가처분 신청부산지방법원 민사14부 “상표 제작에 전 대표의 투자·노력 배제 어려워” 상표권을 침해당했다며 전 대표이사를 상대로 상표사용금지등 소송을 제기한 회사가 가처분 재판에서 패소 판결을 받았다.부산지방법원 제14민사부(재판장 김종수 부장판사, 김승현·허성민 판사)는 의류 제조·판매업체 A사가 전 대표이사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상표사용금지 및 상호사용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11월 25일 기각 결정을 내렸다.A사는 2015년 B씨에 의해 설립됐다. B씨는 수년 동안 아내와 함께 상품을 제조·판매하는 개인 사업을 해오다 사업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법인회사 설립을 결심했다. 이후 B씨 부부는 일가족과 함께 해당 회사를 8년여 동안 운영했다.문제는 가족들 사이에서 경영권 분쟁이 발생하면서 불거졌다. 결국 B씨는 2023년 대표이사직에서 해임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B씨는 자신이 운영해왔던 A사의 대표 상품명을 상호명으로 해서 사업자 등록을 했다.경영권 다툼은 상표권 분쟁으로까지 번졌다. 양측이 서로 상표사용금지 관련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A사 측은 이 재판에서 “B씨가 명목상 대표이사에 불과했음에도, 사측의 허가 없이 개인 명의로 상표 3개를 출원 등록한 뒤 이를 무단으로 사용했다”면서, “B씨가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방법으로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하지만 이 사건을 심리한 부산지방법원 제14민사부는 A사의 신청을 기각했다.재판부는 “첫 번째 상표가 등록된 시기는 2014년인데, 이는 A사 설립 이전”이라면서, “B씨의 투자와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판단했다.이어 “두 번째와 세 번째 상표는 회사 설립 이후에 출원, 등록되었으나, A사가 상표 등록을 저지하거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등 이의를 제기했던 정황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재판부는 그러면서 “A사가 정식 설립되기 전부터 B씨 부부는 해당 상표 명칭을 사용하며 영업을 해왔다”면서, “B씨의 투자와 노력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B씨측을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를 공정하지 못한 방법으로 자신의 영업을 위해 무단으로 사용하면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면서도, “이 사건에서는 쟁점이 된 세 가지 상표 모두 관련 성과에 B씨가 상당 부분 관여했기 때문에 부정경쟁 행위 성립 자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상표권 침해”···사용금지 등 소송에 ‘기각’ 결정난 이유?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30
“상표권 침해”···사용금지 등 소송에 ‘기각’ 결정난 이유?
“상표권 침해”···사용금지 등 소송에 ‘기각’ 결정난 이유?
의류제조사, 전 대표의 “무단 상표 출원·사용” 주장하며 상표사용금지등 가처분 신청부산지방법원 민사14부 “상표 제작에 전 대표의 투자·노력 배제 어려워” 상표권을 침해당했다며 전 대표이사를 상대로 상표사용금지등 소송을 제기한 회사가 가처분 재판에서 패소 판결을 받았다.부산지방법원 제14민사부(재판장 김종수 부장판사, 김승현·허성민 판사)는 의류 제조·판매업체 A사가 전 대표이사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상표사용금지 및 상호사용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11월 25일 기각 결정을 내렸다.A사는 2015년 B씨에 의해 설립됐다. B씨는 수년 동안 아내와 함께 상품을 제조·판매하는 개인 사업을 해오다 사업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법인회사 설립을 결심했다. 이후 B씨 부부는 일가족과 함께 해당 회사를 8년여 동안 운영했다.문제는 가족들 사이에서 경영권 분쟁이 발생하면서 불거졌다. 결국 B씨는 2023년 대표이사직에서 해임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B씨는 자신이 운영해왔던 A사의 대표 상품명을 상호명으로 해서 사업자 등록을 했다.경영권 다툼은 상표권 분쟁으로까지 번졌다. 양측이 서로 상표사용금지 관련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A사 측은 이 재판에서 “B씨가 명목상 대표이사에 불과했음에도, 사측의 허가 없이 개인 명의로 상표 3개를 출원 등록한 뒤 이를 무단으로 사용했다”면서, “B씨가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방법으로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하지만 이 사건을 심리한 부산지방법원 제14민사부는 A사의 신청을 기각했다.재판부는 “첫 번째 상표가 등록된 시기는 2014년인데, 이는 A사 설립 이전”이라면서, “B씨의 투자와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판단했다.이어 “두 번째와 세 번째 상표는 회사 설립 이후에 출원, 등록되었으나, A사가 상표 등록을 저지하거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등 이의를 제기했던 정황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재판부는 그러면서 “A사가 정식 설립되기 전부터 B씨 부부는 해당 상표 명칭을 사용하며 영업을 해왔다”면서, “B씨의 투자와 노력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B씨측을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를 공정하지 못한 방법으로 자신의 영업을 위해 무단으로 사용하면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면서도, “이 사건에서는 쟁점이 된 세 가지 상표 모두 관련 성과에 B씨가 상당 부분 관여했기 때문에 부정경쟁 행위 성립 자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상표권 침해”···사용금지 등 소송에 ‘기각’ 결정난 이유? (바로가기)
뉴시스
2024-12-30
"경단녀 채용합니다"…로펌 채용광고에 긍정반응 이어져
"경단녀 채용합니다"…로펌 채용광고에 긍정반응 이어져
법무법인 대륜, '경력보유(단절) 여성 상시 채용' 공고 전문직인 여성 변호사들조차 경력 단절에서 자유롭지 못한 로펌 업계에서 경력 단절 여성(경단녀)을 채용한다고 공고한 로펌이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달 초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경력보유(단절) 여성 상시 채용' 공고를 올렸다. 모집 분야는 법률비서와 법률사무원이며, 자격 요건은 임신과 출산, 육아휴직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다. 근무 가능 지역은 서울 여의도를 포함해 경기, 인천, 대전, 충청, 경상, 전라, 강원 등 전국 40여 곳이다.이 같은 채용 공고는 직장인 커뮤니티와 맘카페 등에서 주목을 받으며 퍼져 나갔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경력 보유 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만 봐도 세심함이 느껴진다'거나 '다른 회사에서도 이런 공고가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륜은 내년까지 경력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상시 채용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른바 '경단녀'를 대상으로 한 채용 공고가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임신과 출산, 육아로 인한 여성들의 경력 단절이 여전히 큰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올해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765만여 명 중 경력단절 여성은 121만여 명으로 약 15%를 차지했다.직장을 그만둔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육아'라고 답한 이들이 41.1%로 가장 많았고, 결혼(24.9%)과 임신·출산(24.4%) 등이 그 뒤를 이었다.실제 한 법무법인은 지난 2021년 출산휴가·육아휴직을 마친 뒤 복귀하려던 여성 변호사를 해고해 부당해고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해당 법무법인은 "변호사 업계의 오래된 관행"이라고 주장하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소송까지 제기했지만 1심과 2심에서 연달아 패소했다.법조계 한 관계자는 "타 직종에 비해 매우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로펌 업계에서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채용 공고가 나왔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매우 놀라웠다"며 "이례적인 행보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현재 대륜은 모성보호제도, 일·가정 양립을 위한 복지제도 등을 확대하는 등 가족친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채용을 통해 경력 보유 여성들에게 경제활동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이 전문성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경단녀 채용합니다"…로펌 채용광고에 긍정반응 이어져 (바로가기)
뉴시스
2024-12-30
"경단녀 채용합니다"…로펌 채용광고에 긍정반응 이어져
"경단녀 채용합니다"…로펌 채용광고에 긍정반응 이어져
법무법인 대륜, '경력보유(단절) 여성 상시 채용' 공고 전문직인 여성 변호사들조차 경력 단절에서 자유롭지 못한 로펌 업계에서 경력 단절 여성(경단녀)을 채용한다고 공고한 로펌이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달 초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경력보유(단절) 여성 상시 채용' 공고를 올렸다. 모집 분야는 법률비서와 법률사무원이며, 자격 요건은 임신과 출산, 육아휴직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다. 근무 가능 지역은 서울 여의도를 포함해 경기, 인천, 대전, 충청, 경상, 전라, 강원 등 전국 40여 곳이다.이 같은 채용 공고는 직장인 커뮤니티와 맘카페 등에서 주목을 받으며 퍼져 나갔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경력 보유 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만 봐도 세심함이 느껴진다'거나 '다른 회사에서도 이런 공고가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륜은 내년까지 경력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상시 채용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른바 '경단녀'를 대상으로 한 채용 공고가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임신과 출산, 육아로 인한 여성들의 경력 단절이 여전히 큰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올해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765만여 명 중 경력단절 여성은 121만여 명으로 약 15%를 차지했다.직장을 그만둔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육아'라고 답한 이들이 41.1%로 가장 많았고, 결혼(24.9%)과 임신·출산(24.4%) 등이 그 뒤를 이었다.실제 한 법무법인은 지난 2021년 출산휴가·육아휴직을 마친 뒤 복귀하려던 여성 변호사를 해고해 부당해고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해당 법무법인은 "변호사 업계의 오래된 관행"이라고 주장하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소송까지 제기했지만 1심과 2심에서 연달아 패소했다.법조계 한 관계자는 "타 직종에 비해 매우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로펌 업계에서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채용 공고가 나왔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매우 놀라웠다"며 "이례적인 행보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현재 대륜은 모성보호제도, 일·가정 양립을 위한 복지제도 등을 확대하는 등 가족친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채용을 통해 경력 보유 여성들에게 경제활동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이 전문성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경단녀 채용합니다"…로펌 채용광고에 긍정반응 이어져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27
법원 ‘라돈침대 사태, 업체 손배책임 인정’···소비자들 2심 ‘일부승소’
법원 ‘라돈침대 사태, 업체 손배책임 인정’···소비자들 2심 ‘일부승소’
라돈 침대 피해 소비자들 집단소송, 1심 패소 뒤 항소심서 첫 승소항소심 “인체 유해 방사능 물질 사용 매트리스 제조·판매는 위법…위자료등 배상해야” 매트리스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돼 논란이 일었던 이른바 ‘라돈 침대 사태’ 피해자 집단소송에서, 매트리스 제조사가 소비자들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항소심 판결이 나왔다. 원고 전부 패소 판결한 1심의 결론을 뒤집은 것으로, 같은 업체를 대상으로 한 항소심 재판 중 첫 승소 사례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고등법원 민사18-1부(재판장 왕정옥 고법판사, 박선준·진현민 고법판사)는 김모씨 등 600여 명의 소비자들이 국가와 대진침대(주)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 항소심에서 원심 판결을 깨고, 대진침대에게 매트리스 가격과 함께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일명 '라돈 침대 사태'는 2018년 5월 대진침대(주)의 매트리스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라돈이 다량 검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작됐다.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가 1급 발암 물질로 지정한 물질로 폐암의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소비자들은 대진침대가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해 ‘모자나이트’를 도포했는데, 모자나이트에서 방출되는 라돈에 의한 연간 방사능 피폭량이 안전기준을 초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진침대가 이러한 제품을 판매하는 위법행위를 했고 제품 사용으로 방사선에 꾸준히 노출돼 신체적·정신적 질환으로 고통을 겪었다고 강조했다. 1심을 맡았던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30부는 “매트리스를 제조·판매할 당시에는 방사성 물질 규제법령이 없어 대진침대가 유해성을 인식했다고 보기 어렵고, 해당 매트리스의 연간 최대 피폭선량은 13mSv(밀리시버트)의 저선량으로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서 대진침대측에 책임이 없다는 원고 패소 판결을 했다. 소비자들은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를 했고, 2심은 소비자들의 손을 들었다. 항소심을 심리한 서울고등법원 민사18-1부는 “피고가 매트리스를 제조한 2005년경에는 이미 인체가 일정량 이상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해로울 수 있다는 사실이 인식되고 있었다”면서, “매트리스가 제조·판매될 당시 구체적인 법적 기준이 없었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방사성 물질 사용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이어 “원고들은 이 사건 매트리스를 사용하면서 방사는 노출 가능성에 대한 어떠한 경고도 받지 못한 상태로 가장 편안하고 안전해야 할 침실에서 자신의 의사에 반해 생활방사선법에서 정한 안전기준을 초과한 방사능 피폭을 당했다”면서, “피고 대진침대(주)는 원고에게 매트리스 가격과 위자료 각 100만 원, 그리고 그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다. 이 소송에서 소비자들을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황세정 변호사는 “원심과 달리 침대 회사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면서, “항소심 재판부가 남은 소송에 대해서도 협의를 통해 결론을 내리겠다고 했던 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황세정 변호사는 아울러 “이번 판결에 따라 추가적으로 피해 구제를 원하는 다른 소비자들도 충분히 배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집단소송에 특화된 대륜의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에도 소비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원 ‘라돈침대 사태, 업체 손배책임 인정’···소비자들 2심 ‘일부승소’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27
법원 ‘라돈침대 사태, 업체 손배책임 인정’···소비자들 2심 ‘일부승소’
법원 ‘라돈침대 사태, 업체 손배책임 인정’···소비자들 2심 ‘일부승소’
라돈 침대 피해 소비자들 집단소송, 1심 패소 뒤 항소심서 첫 승소항소심 “인체 유해 방사능 물질 사용 매트리스 제조·판매는 위법…위자료등 배상해야” 매트리스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돼 논란이 일었던 이른바 ‘라돈 침대 사태’ 피해자 집단소송에서, 매트리스 제조사가 소비자들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항소심 판결이 나왔다. 원고 전부 패소 판결한 1심의 결론을 뒤집은 것으로, 같은 업체를 대상으로 한 항소심 재판 중 첫 승소 사례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고등법원 민사18-1부(재판장 왕정옥 고법판사, 박선준·진현민 고법판사)는 김모씨 등 600여 명의 소비자들이 국가와 대진침대(주)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 항소심에서 원심 판결을 깨고, 대진침대에게 매트리스 가격과 함께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일명 '라돈 침대 사태'는 2018년 5월 대진침대(주)의 매트리스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라돈이 다량 검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작됐다.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가 1급 발암 물질로 지정한 물질로 폐암의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소비자들은 대진침대가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해 ‘모자나이트’를 도포했는데, 모자나이트에서 방출되는 라돈에 의한 연간 방사능 피폭량이 안전기준을 초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진침대가 이러한 제품을 판매하는 위법행위를 했고 제품 사용으로 방사선에 꾸준히 노출돼 신체적·정신적 질환으로 고통을 겪었다고 강조했다. 1심을 맡았던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30부는 “매트리스를 제조·판매할 당시에는 방사성 물질 규제법령이 없어 대진침대가 유해성을 인식했다고 보기 어렵고, 해당 매트리스의 연간 최대 피폭선량은 13mSv(밀리시버트)의 저선량으로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서 대진침대측에 책임이 없다는 원고 패소 판결을 했다. 소비자들은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를 했고, 2심은 소비자들의 손을 들었다. 항소심을 심리한 서울고등법원 민사18-1부는 “피고가 매트리스를 제조한 2005년경에는 이미 인체가 일정량 이상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해로울 수 있다는 사실이 인식되고 있었다”면서, “매트리스가 제조·판매될 당시 구체적인 법적 기준이 없었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방사성 물질 사용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이어 “원고들은 이 사건 매트리스를 사용하면서 방사는 노출 가능성에 대한 어떠한 경고도 받지 못한 상태로 가장 편안하고 안전해야 할 침실에서 자신의 의사에 반해 생활방사선법에서 정한 안전기준을 초과한 방사능 피폭을 당했다”면서, “피고 대진침대(주)는 원고에게 매트리스 가격과 위자료 각 100만 원, 그리고 그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다. 이 소송에서 소비자들을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황세정 변호사는 “원심과 달리 침대 회사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면서, “항소심 재판부가 남은 소송에 대해서도 협의를 통해 결론을 내리겠다고 했던 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황세정 변호사는 아울러 “이번 판결에 따라 추가적으로 피해 구제를 원하는 다른 소비자들도 충분히 배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집단소송에 특화된 대륜의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에도 소비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원 ‘라돈침대 사태, 업체 손배책임 인정’···소비자들 2심 ‘일부승소’ (바로가기)
법률신문 등 3곳
2024-12-26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법률신문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대표 김국일·고병준)은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62·사법연수원 18기)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 조 변호사는 1986년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1992년 서울지검 북부지청에서 검사로 임관했다. 이후 인천지검, 부산지검 동부지청, 수원지검 평택지청 등에서 의약, 지식재산권, 교통범죄 등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담당하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2003년에는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으로 파견되었고, 2006년 대검찰청 공안1과장을 역임하며 선거 및 대공 사건 수사를 맡았다. 20년 이상의 검사 생활을 마친 후 2011년 변호사로 전향한 조 변호사는 국책연구소 소장 뇌물 수수 사건, 고위공무원 명예훼손 사건 등에서 무죄 판결을 이끌어내며 법조계에서 입지를 다졌다. 특히 조 변호사는 IT 분야에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숭실대학교에서 정보보안학 석사와 IT정책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14년 대한변호사협회 IT·개인정보보호 법률자문단에서 활동하며 실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그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광업조정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방송분쟁조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조 변호사는 "대륜에 합류하게 되어 기쁘다"며 "30년 넘게 쌓아온 법조인의 역량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국일(56·24기)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조 변호사는 검사와 변호사를 거치며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사건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인물"이라며 "특히 IT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 대륜의 법률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법무법인 대륜, 조상수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바로가기)
법률신문 등 3곳
2024-12-26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법률신문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대표 김국일·고병준)은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62·사법연수원 18기)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 조 변호사는 1986년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1992년 서울지검 북부지청에서 검사로 임관했다. 이후 인천지검, 부산지검 동부지청, 수원지검 평택지청 등에서 의약, 지식재산권, 교통범죄 등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담당하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2003년에는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으로 파견되었고, 2006년 대검찰청 공안1과장을 역임하며 선거 및 대공 사건 수사를 맡았다. 20년 이상의 검사 생활을 마친 후 2011년 변호사로 전향한 조 변호사는 국책연구소 소장 뇌물 수수 사건, 고위공무원 명예훼손 사건 등에서 무죄 판결을 이끌어내며 법조계에서 입지를 다졌다. 특히 조 변호사는 IT 분야에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숭실대학교에서 정보보안학 석사와 IT정책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14년 대한변호사협회 IT·개인정보보호 법률자문단에서 활동하며 실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그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광업조정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방송분쟁조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조 변호사는 "대륜에 합류하게 되어 기쁘다"며 "30년 넘게 쌓아온 법조인의 역량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국일(56·24기) 대륜 경영총괄대표는 "조 변호사는 검사와 변호사를 거치며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사건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인물"이라며 "특히 IT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 대륜의 법률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리걸타임즈 - [로펌 iN] 법무법인 대륜, 조상수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차장검사 출신 조상수 변호사 영입(바로가기)
머니S 등 3곳
2024-12-26
"계속 연락받았으니 성폭행 아냐" 주장… 법원, 전애인 강간남 징역형
"계속 연락받았으니 성폭행 아냐" 주장… 법원, 전애인 강간남 징역형
헤어진 애인을 강제로 집으로 끌고 가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울산지방법원 제12형사부(김종혁 부장판사)는 지난달 19일 강간 혐의를 받는 A씨(40)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도 명령했다.A씨는 지난해 10월 자신의 주거지에서 피해자 B씨(35)를 성폭행한 혐의를 받는다.두 사람은 같은 달 이미 헤어진 상태였으나, A씨는 B씨에게 "할 얘기가 있다"며 집으로 유인했다. 사건 당시 B씨는 여러 차례 거부 의사를 밝혔지만, A씨는 이를 무시한 채 폭력을 행사해 범행을 저질렀다.재판에서 A씨 측은 무죄를 주장했다. 이를 뒷받침할 근거로 항거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의 유형력을 행사한 적이 없는 점, 피해자 동의 하에 성관계를 했다는 점을 들었다.범행 전후 피해자의 태도도 문제 삼았다. 당시 피해자가 거부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히지 않았고, 사건 발생 이후에도 자신과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것이다.재판부는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재판부는 "이 사건이 이뤄지게 된 경위, 범행 당시 피고인이 한 말과 행동,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반항한 방법 등 이 사건 범행 전반에 관해 피해자는 구체적이고 일관되게 진술하고 있다"며 "남성인 피고인이 완력을 사용할 경우 그 힘을 여성인 피해자가 극복하기 쉽지 않다"고 판시했다.A씨 측 주장에 대해서도 "잘못된 통념에 따라 통상의 성폭력 피해자라면 마땅히 보여야 할 반응을 단정하고 이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다는 이유로 피해자 진술의 합리성을 부정하는 것은 정의와 형평에 입각한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어긋난다"고 밝혔다.피해자 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송민예 변호사는 "성범죄 피해자 대리를 맡을 경우 항상 직면하는 문제가 '피해자 다움'의 요구다. 가해자는 이런 점을 파고들어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부정한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에도 피고인은 피해자라면 당연하게 보여야 할 모습이 본 사건 피해자에게는 없었다며 혐의를 부정했다. 고소 과정 내내 피해를 입증한 결과 피고인에게 징역형이 내려질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S- "계속 연락받았으니 성폭행 아냐" 주장… 법원, 전애인 강간남 징역형 (바로가기) 세계일보 - 전 여친 성폭행 男 “후에도 연락 주고받았다” ‘무죄’ 주장 (바로가기) 이데일리 - “성폭행 후에도 연락 주고받아”…‘무죄’일까? (바로가기)
머니S 등 3곳
2024-12-26
"계속 연락받았으니 성폭행 아냐" 주장… 법원, 전애인 강간남 징역형
"계속 연락받았으니 성폭행 아냐" 주장… 법원, 전애인 강간남 징역형
헤어진 애인을 강제로 집으로 끌고 가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40대 남성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울산지방법원 제12형사부(김종혁 부장판사)는 지난달 19일 강간 혐의를 받는 A씨(40)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도 명령했다.A씨는 지난해 10월 자신의 주거지에서 피해자 B씨(35)를 성폭행한 혐의를 받는다.두 사람은 같은 달 이미 헤어진 상태였으나, A씨는 B씨에게 "할 얘기가 있다"며 집으로 유인했다. 사건 당시 B씨는 여러 차례 거부 의사를 밝혔지만, A씨는 이를 무시한 채 폭력을 행사해 범행을 저질렀다.재판에서 A씨 측은 무죄를 주장했다. 이를 뒷받침할 근거로 항거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의 유형력을 행사한 적이 없는 점, 피해자 동의 하에 성관계를 했다는 점을 들었다.범행 전후 피해자의 태도도 문제 삼았다. 당시 피해자가 거부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히지 않았고, 사건 발생 이후에도 자신과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것이다.재판부는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재판부는 "이 사건이 이뤄지게 된 경위, 범행 당시 피고인이 한 말과 행동,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반항한 방법 등 이 사건 범행 전반에 관해 피해자는 구체적이고 일관되게 진술하고 있다"며 "남성인 피고인이 완력을 사용할 경우 그 힘을 여성인 피해자가 극복하기 쉽지 않다"고 판시했다.A씨 측 주장에 대해서도 "잘못된 통념에 따라 통상의 성폭력 피해자라면 마땅히 보여야 할 반응을 단정하고 이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다는 이유로 피해자 진술의 합리성을 부정하는 것은 정의와 형평에 입각한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어긋난다"고 밝혔다.피해자 B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송민예 변호사는 "성범죄 피해자 대리를 맡을 경우 항상 직면하는 문제가 '피해자 다움'의 요구다. 가해자는 이런 점을 파고들어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부정한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에도 피고인은 피해자라면 당연하게 보여야 할 모습이 본 사건 피해자에게는 없었다며 혐의를 부정했다. 고소 과정 내내 피해를 입증한 결과 피고인에게 징역형이 내려질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S- "계속 연락받았으니 성폭행 아냐" 주장… 법원, 전애인 강간남 징역형 (바로가기) 세계일보 - 전 여친 성폭행 男 “후에도 연락 주고받았다” ‘무죄’ 주장 (바로가기) 이데일리 - “성폭행 후에도 연락 주고받아”…‘무죄’일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24
공사 현장서 노동자 사망..하청업 대표 2심도 '집유'
공사 현장서 노동자 사망..하청업 대표 2심도 '집유'
업무상과실치사 등 혐의로 기소된 하청업체 대표가 항소심에서도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습니다.춘천지방법원 제1형사부는 지난달 22일 안전관리·감독을 소홀히 해 노동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 50대 대표 A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징역 1년 6개월·집행유예 3년의 원심판결을 유지했습니다.앞서 A씨는 2021년 6월 강원 평창군의 한 공사 현장에서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60대 근로자 B씨를 작업에 투입해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당시 B씨는 천장 도장공사 준비 작업을 하던 중 10m 아래로 추락했습니다.이후 곧바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치료 중 결국 숨졌습니다.검찰은 하청업 대표인 A씨에게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했습니다.현행법상 공사 현장에서 사다리 작업 시 보호구를 착용하고, 2인 1조로 작업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은 채 무리한 작업을 지시했다는 겁니다.재판 과정에서 혐의를 모두 인정한 A씨 측은 피해자 유족을 위해 형사 공탁금을 냈습니다.1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안전관리자로서의 의무를 소홀히 해 사망 사고가 난 것으로 봤습니다.다만, A씨가 형사 처벌을 받은 적 없는 초범인 점, 피해회복을 위해 노력한 점 등을 받아들여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A씨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안전조치 미이행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업무상 과실을 피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1심에서 집행유예가 선고됐지만, 검찰 측 항소로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며 "유족들에게 추가로 형사공탁을 한 점 등을 들어 원심을 유지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습니다.길 변호사는 "중대재해처벌법 확대로 사업주의 책임이 강화됐다. 이번 사건은 중대재해법이 적용되기 이전에 발생했지만 앞으로 일어나는 사업장 사고에 대해서는 법 적용을 피할 수 없다"며 "사망자 발생 시 사업주는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공사 현장서 노동자 사망..하청업 대표 2심도 '집유'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24
공사 현장서 노동자 사망..하청업 대표 2심도 '집유'
공사 현장서 노동자 사망..하청업 대표 2심도 '집유'
업무상과실치사 등 혐의로 기소된 하청업체 대표가 항소심에서도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습니다.춘천지방법원 제1형사부는 지난달 22일 안전관리·감독을 소홀히 해 노동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 50대 대표 A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징역 1년 6개월·집행유예 3년의 원심판결을 유지했습니다.앞서 A씨는 2021년 6월 강원 평창군의 한 공사 현장에서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60대 근로자 B씨를 작업에 투입해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당시 B씨는 천장 도장공사 준비 작업을 하던 중 10m 아래로 추락했습니다.이후 곧바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치료 중 결국 숨졌습니다.검찰은 하청업 대표인 A씨에게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했습니다.현행법상 공사 현장에서 사다리 작업 시 보호구를 착용하고, 2인 1조로 작업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은 채 무리한 작업을 지시했다는 겁니다.재판 과정에서 혐의를 모두 인정한 A씨 측은 피해자 유족을 위해 형사 공탁금을 냈습니다.1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안전관리자로서의 의무를 소홀히 해 사망 사고가 난 것으로 봤습니다.다만, A씨가 형사 처벌을 받은 적 없는 초범인 점, 피해회복을 위해 노력한 점 등을 받아들여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A씨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안전조치 미이행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업무상 과실을 피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1심에서 집행유예가 선고됐지만, 검찰 측 항소로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며 "유족들에게 추가로 형사공탁을 한 점 등을 들어 원심을 유지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습니다.길 변호사는 "중대재해처벌법 확대로 사업주의 책임이 강화됐다. 이번 사건은 중대재해법이 적용되기 이전에 발생했지만 앞으로 일어나는 사업장 사고에 대해서는 법 적용을 피할 수 없다"며 "사망자 발생 시 사업주는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공사 현장서 노동자 사망..하청업 대표 2심도 '집유'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24
개인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대법서 '무죄'…그 이유는?
개인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대법서 '무죄'…그 이유는?
지난 10월, 대법원이 한 공무원의 개인정보 무단 열람 사건에 대해 최종 무죄 판결을 내놓아 화제가 됐다. 사건의 경위는 이렇다. 부산의 한 행정복지센터에서 근무 중이던 공무원 A씨는 2022년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전 연인 B씨와 그의 가족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52차례에 걸쳐 열람했다. 해당 시스템은 복지 수당 수혜자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는데, A씨는 이 과정에서 B씨 등 열람 대상자로부터 동의를 받지 않았다.검찰은 A씨가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 제1호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했던 자는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 혹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하거나 처리에 관한 동의를 받는 행위를 할 수 없다. 같은 법 제27조 제2호 역시 59조 1호를 위반한 자 및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그러나 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1심 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A씨의 행위가 단순한 '권한 남용'에 해당한다고 봤다. 당시 해당 시스템에서 개인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전부였는데, A씨는 자신에게 배정된 특정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한 채 업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재판부는 "유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주어진 권한을 남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부정한 수단·방법을 이용하는 행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에 검사가 항소했지만, 2심에서도 A씨는 무죄를 선고 받았다.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 판단에 사실 오인의 위법이 없다"며 항소 기각 이유를 밝혔다. 이어진 상고심에서도 결과는 같았다. 대법원 역시 A씨의 행위가 내부 규칙 등에 따른 징계 사유가 될 수 있을 뿐 형사 처벌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이다.이번 무죄 판결의 경우, 공무원의 개인정보 무단 열람·취득 행위를 금지하는 법적 근거와 그에 따른 처벌 규정이 부재한 현실에서 비롯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죄형법정주의에 따라 법에 명시된 처벌 조항이 없으면, 법원은 해당 행위에 대해 처벌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관련 행위에 대한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국회가 입법 절차를 통해 처벌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다만 해당 법에 대한 개정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그렇기에 일단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적 빈틈을 메우기 위해서는 행정부 차원의 자구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 개인정보의 무단 열람을 예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공무원의 부적절한 정보 열람에 대한 징계 강화 및 권한 관리 등을 통해 엄격한 관리도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기사전문보기] 개인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대법서 '무죄'…그 이유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24
개인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대법서 '무죄'…그 이유는?
개인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대법서 '무죄'…그 이유는?
지난 10월, 대법원이 한 공무원의 개인정보 무단 열람 사건에 대해 최종 무죄 판결을 내놓아 화제가 됐다. 사건의 경위는 이렇다. 부산의 한 행정복지센터에서 근무 중이던 공무원 A씨는 2022년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전 연인 B씨와 그의 가족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52차례에 걸쳐 열람했다. 해당 시스템은 복지 수당 수혜자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는데, A씨는 이 과정에서 B씨 등 열람 대상자로부터 동의를 받지 않았다.검찰은 A씨가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 제1호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했던 자는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 혹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하거나 처리에 관한 동의를 받는 행위를 할 수 없다. 같은 법 제27조 제2호 역시 59조 1호를 위반한 자 및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그러나 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1심 재판부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A씨의 행위가 단순한 '권한 남용'에 해당한다고 봤다. 당시 해당 시스템에서 개인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전부였는데, A씨는 자신에게 배정된 특정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한 채 업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재판부는 "유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주어진 권한을 남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부정한 수단·방법을 이용하는 행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에 검사가 항소했지만, 2심에서도 A씨는 무죄를 선고 받았다.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 판단에 사실 오인의 위법이 없다"며 항소 기각 이유를 밝혔다. 이어진 상고심에서도 결과는 같았다. 대법원 역시 A씨의 행위가 내부 규칙 등에 따른 징계 사유가 될 수 있을 뿐 형사 처벌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이다.이번 무죄 판결의 경우, 공무원의 개인정보 무단 열람·취득 행위를 금지하는 법적 근거와 그에 따른 처벌 규정이 부재한 현실에서 비롯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죄형법정주의에 따라 법에 명시된 처벌 조항이 없으면, 법원은 해당 행위에 대해 처벌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관련 행위에 대한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국회가 입법 절차를 통해 처벌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다만 해당 법에 대한 개정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그렇기에 일단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적 빈틈을 메우기 위해서는 행정부 차원의 자구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 개인정보의 무단 열람을 예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공무원의 부적절한 정보 열람에 대한 징계 강화 및 권한 관리 등을 통해 엄격한 관리도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기사전문보기] 개인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대법서 '무죄'…그 이유는?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4-12-23
[IB토마토](IB&피플)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IB토마토](IB&피플)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기업법무·국제거래 전문…스타트업 창업 경험도 살려"스타트업 자문, 투자자 보호와 경영권 방어 설계가 핵심" 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기업법무와 국제거래 전문 변호사로 그동안 1000건 이상의 국문·영문 계약서를 작성했다. 공정거래부터 인수합병(M&A), 특허, 노동 등 기업 전반에 걸쳐 다수의 자문을 수행하며 탄탄한 전문성을 쌓아왔다. 특히 그는 사내 프로젝트를 통해 스타트업을 직접 설립한 이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투자와 관련된 법률 자문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는 지 변호사와 함께 기업 분할, 스타트업, 이사회 등과 관련된 자문 이야기를 들어본다. 다음은 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이다. -현재 법무법인 대륜에서 맡고 있는 업무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기업법무팀에서 기업 자문, 계약 검토, M&A, 국제거래 등 기업 전반에 대한 법률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국내외 기업들이 사업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중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최적의 법률적 해결책을 제안하는 데 힘쓰고 있다. -국제거래나 M&A 자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국제거래나 M&A 자문의 공통점이자 중요한 점이 하나 있다. 당사자 간 입장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계약이 그렇지만, 특히 국제거래나 M&A는 다양한 문화적, 법적, 상업적 배경을 가진 당사자들이 얽혀있다. 협상 과정이 간단하지가 않다. 각 당사자의 주요 이익과 우려를 깊이 이해해야 한다. 그 차이를 잘 반영해 조정하는 것이 핵심이라 생각한다. 변호사는 단순한 법적 문제 해결을 넘어 당사자 간 상호 이익을 도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사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계약의 구조와 조건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조항을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때 사업적 성과와 법적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접근을 해야 한다. 계약 이행 과정에서의 오해나 갈등을 줄이고, 양측의 협력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법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주요 자문 사례 가운데 특별히 소개할 만한 건이 있다면? △디머저(De-Merger) 관련 전반적인 자문이 있었다. 한 기업이 핵심 사업 부문을 독립 법인으로 분리해 신설 회사를 설립하고자 했다. 그런데 모기업이 이미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지분 구조의 설계에 대한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기존 회사의 주요 임직원들과 신설 회사의 대표로 내정된 인사 간의 경영권과 권한 배분 문제에서 내부 갈등과 의견 대립도 첨예했다. 이 과정에서 디머저 후 두 회사의 지속 가능성과 시장 경쟁력 강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고려해야 했다. 특히 지분 구조, 의결권 배분, 상호 거래 조건 설정 등 다양한 법적·상업적 쟁점을 균형 있게 조율하는 협상 전략이 필요했다.그래서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협상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다양한 거래 구조를 모색하는 데에 주안을 뒀다. 사업 부문 분리에 따른 자산 이전, 인력 이동, 상표권 및 지적 재산권 관리 등 주요 쟁점을 법적 안정성과 사업적 유연성을 모두 고려해 계약 구조와 운영 방안을 설계했다. 모기업과 신설 회사 간 상호 협력과 독립 경영이 가능한 법적·상업적 토대를 마련했고, 장기적 사업 성장과 함께 회사의 지속 가능성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자문은 단순한 계약 검토를 넘어 이해 관계자 사이의 복잡한 갈등을 해소한 것이었다. 기업 재구조화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법률적 창의성과 협상 역량을 발휘해야 했던 점에서 가장 인상 깊은 사례였다. -스타트업 설립 경험도 있는데 어떤 내용인지? △기존 기업이 내부 임직원의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하는 형태의 신사업 인큐베이션 프로젝트를 수행한 건이었다. 해당 기업은 내부 혁신과 신사업 개발의 촉진을 위해 임직원이 제안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독립 법인 육성을 시작해 투자와 운영 지원을 병행했다. 여기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모기업의 이익과 신규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이었다. 투자 구조 측면에서는 지분 비율과 경영권 분배를 통해 스타트업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모기업의 투자 수익과 전략적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을 설계했다.지적 재산권(IP) 관리도 핵심 이슈였다. 핵심 기술과 상표권이 모기업에 귀속되는 경우와 스타트업이 자체 개발한 기술을 보유하는 경우를 명확히 구분하고, 라이선스 계약과 공동 개발 조항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기술 유출 방지와 상업적 활용의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기업과 스타트업 상생 모델의 실현을 통해 실무적인 통찰력을 기를 수 있었다. 현재도 기업 법무 자문에서 해당 경험을 적극 활용해 스타트업과 기업 간 협력 프로젝트에서 최적의 법률적 해결책을 제안하고 있다. -스타트업 투자 지원 법률 자문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특별히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스타트업 투자 지원 법률 자문은 투자 계약서 작성과 검토, 지분 구조 설계, 법적 리스크 점검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우선주 조건, 지분 희석 방지 조항, 상환우선권, 청산 우선권 등 투자자 보호 조항과 경영권 방어 전략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적재산권 보호를 통해 핵심 기술과 아이디어의 소유권, 사용권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도 필수적이다.다만 스타트업이 투자자에게 과도한 권리를 부여하거나 지나치게 구속적인 계약 구조를 갖추는 것은 차후 투자 유치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저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분 희석 방지 조항이 투자자에게 지나치게 유리하게 설정되거나, 상환우선권과 경영권 조건이 스타트업의 경영 자율성을 제한할 경우 추가 투자자 유치나 기업공개(IPO) 등 확장 전략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 보호와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 간의 균형을 고려한 협상이 진행돼야만 한다. 계약 초기 단계부터 주요 조건을 명확히 설정하고, 유연한 계약 조항과 갈등 해결 메커니즘을 마련해 지속 가능한 투자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성공적인 법률 자문의 핵심이다. -기업 이사회 관련 자문은 어떤 특징이 있나? △가장 큰 특징은 이사의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의사결정 과정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점이다. 이사회는 회사의 중대한 경영 사항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이므로 이사 개인의 충실 의무와 선관주의 의무를 엄격하게 준수해야 한다. 특히 이사회 의사결정의 정당성과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사결정 절차의 투명성과 의사록 작성의 적법성을 사전에 점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가 법적으로 유효하며, 추후 법적 분쟁에서 번복되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이 주요 자문 업무다.최근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이 이사회의 핵심 의제가 되고 있다. 기업에 있어서 이사회 운영 규정,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 수립, ESG 공시 의무 관리 등 지배구조와 관련된 규제 준수와 보고 의무를 지원하는 법률 자문도 필수적이다. -향후 목표나 계획이 있다면 한마디 부탁한다. △개인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큰 흥미를 느끼고 있다. 가상자산은 금융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게임 등 IT 시장, RWA(Real World Assets) 등 현실 자산 시장과도 밀접하게 연결된 역동적이고 성장 가능성 높은 분야다. 게다가 국경을 초월한 거래와 규제 이슈가 빈번히 발생하는 만큼 글로벌 법률이나 규제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요구된다. 앞으로 가상자산 시장과 크로스보더 거래 분야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자 한다. 가상자산 금융 규제, 디지털 자산 관리, 국제 거래법, 블록체인 기반 계약 구조 설계 등 법률적·기술적 전문성을 높여 기업과 투자자에게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는 크로스보더 법률 전문가가 되고 싶다. 디지털 경제 시대의 법적 리스크 관리와 규제 대응 전략 수립에서 혁신과 법적 안정성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신뢰받는 법률 파트너가 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4-12-23
[IB토마토](IB&피플)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IB토마토](IB&피플)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기업법무·국제거래 전문…스타트업 창업 경험도 살려"스타트업 자문, 투자자 보호와 경영권 방어 설계가 핵심" 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기업법무와 국제거래 전문 변호사로 그동안 1000건 이상의 국문·영문 계약서를 작성했다. 공정거래부터 인수합병(M&A), 특허, 노동 등 기업 전반에 걸쳐 다수의 자문을 수행하며 탄탄한 전문성을 쌓아왔다. 특히 그는 사내 프로젝트를 통해 스타트업을 직접 설립한 이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투자와 관련된 법률 자문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는 지 변호사와 함께 기업 분할, 스타트업, 이사회 등과 관련된 자문 이야기를 들어본다. 다음은 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이다. -현재 법무법인 대륜에서 맡고 있는 업무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기업법무팀에서 기업 자문, 계약 검토, M&A, 국제거래 등 기업 전반에 대한 법률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국내외 기업들이 사업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중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최적의 법률적 해결책을 제안하는 데 힘쓰고 있다. -국제거래나 M&A 자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국제거래나 M&A 자문의 공통점이자 중요한 점이 하나 있다. 당사자 간 입장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계약이 그렇지만, 특히 국제거래나 M&A는 다양한 문화적, 법적, 상업적 배경을 가진 당사자들이 얽혀있다. 협상 과정이 간단하지가 않다. 각 당사자의 주요 이익과 우려를 깊이 이해해야 한다. 그 차이를 잘 반영해 조정하는 것이 핵심이라 생각한다. 변호사는 단순한 법적 문제 해결을 넘어 당사자 간 상호 이익을 도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사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계약의 구조와 조건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조항을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때 사업적 성과와 법적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접근을 해야 한다. 계약 이행 과정에서의 오해나 갈등을 줄이고, 양측의 협력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법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주요 자문 사례 가운데 특별히 소개할 만한 건이 있다면? △디머저(De-Merger) 관련 전반적인 자문이 있었다. 한 기업이 핵심 사업 부문을 독립 법인으로 분리해 신설 회사를 설립하고자 했다. 그런데 모기업이 이미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지분 구조의 설계에 대한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기존 회사의 주요 임직원들과 신설 회사의 대표로 내정된 인사 간의 경영권과 권한 배분 문제에서 내부 갈등과 의견 대립도 첨예했다. 이 과정에서 디머저 후 두 회사의 지속 가능성과 시장 경쟁력 강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고려해야 했다. 특히 지분 구조, 의결권 배분, 상호 거래 조건 설정 등 다양한 법적·상업적 쟁점을 균형 있게 조율하는 협상 전략이 필요했다.그래서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협상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다양한 거래 구조를 모색하는 데에 주안을 뒀다. 사업 부문 분리에 따른 자산 이전, 인력 이동, 상표권 및 지적 재산권 관리 등 주요 쟁점을 법적 안정성과 사업적 유연성을 모두 고려해 계약 구조와 운영 방안을 설계했다. 모기업과 신설 회사 간 상호 협력과 독립 경영이 가능한 법적·상업적 토대를 마련했고, 장기적 사업 성장과 함께 회사의 지속 가능성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자문은 단순한 계약 검토를 넘어 이해 관계자 사이의 복잡한 갈등을 해소한 것이었다. 기업 재구조화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법률적 창의성과 협상 역량을 발휘해야 했던 점에서 가장 인상 깊은 사례였다. -스타트업 설립 경험도 있는데 어떤 내용인지? △기존 기업이 내부 임직원의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하는 형태의 신사업 인큐베이션 프로젝트를 수행한 건이었다. 해당 기업은 내부 혁신과 신사업 개발의 촉진을 위해 임직원이 제안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독립 법인 육성을 시작해 투자와 운영 지원을 병행했다. 여기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모기업의 이익과 신규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이었다. 투자 구조 측면에서는 지분 비율과 경영권 분배를 통해 스타트업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모기업의 투자 수익과 전략적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을 설계했다.지적 재산권(IP) 관리도 핵심 이슈였다. 핵심 기술과 상표권이 모기업에 귀속되는 경우와 스타트업이 자체 개발한 기술을 보유하는 경우를 명확히 구분하고, 라이선스 계약과 공동 개발 조항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기술 유출 방지와 상업적 활용의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기업과 스타트업 상생 모델의 실현을 통해 실무적인 통찰력을 기를 수 있었다. 현재도 기업 법무 자문에서 해당 경험을 적극 활용해 스타트업과 기업 간 협력 프로젝트에서 최적의 법률적 해결책을 제안하고 있다. -스타트업 투자 지원 법률 자문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특별히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스타트업 투자 지원 법률 자문은 투자 계약서 작성과 검토, 지분 구조 설계, 법적 리스크 점검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우선주 조건, 지분 희석 방지 조항, 상환우선권, 청산 우선권 등 투자자 보호 조항과 경영권 방어 전략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적재산권 보호를 통해 핵심 기술과 아이디어의 소유권, 사용권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도 필수적이다.다만 스타트업이 투자자에게 과도한 권리를 부여하거나 지나치게 구속적인 계약 구조를 갖추는 것은 차후 투자 유치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저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분 희석 방지 조항이 투자자에게 지나치게 유리하게 설정되거나, 상환우선권과 경영권 조건이 스타트업의 경영 자율성을 제한할 경우 추가 투자자 유치나 기업공개(IPO) 등 확장 전략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 보호와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 간의 균형을 고려한 협상이 진행돼야만 한다. 계약 초기 단계부터 주요 조건을 명확히 설정하고, 유연한 계약 조항과 갈등 해결 메커니즘을 마련해 지속 가능한 투자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성공적인 법률 자문의 핵심이다. -기업 이사회 관련 자문은 어떤 특징이 있나? △가장 큰 특징은 이사의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의사결정 과정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점이다. 이사회는 회사의 중대한 경영 사항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이므로 이사 개인의 충실 의무와 선관주의 의무를 엄격하게 준수해야 한다. 특히 이사회 의사결정의 정당성과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사결정 절차의 투명성과 의사록 작성의 적법성을 사전에 점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가 법적으로 유효하며, 추후 법적 분쟁에서 번복되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이 주요 자문 업무다.최근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이 이사회의 핵심 의제가 되고 있다. 기업에 있어서 이사회 운영 규정,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 수립, ESG 공시 의무 관리 등 지배구조와 관련된 규제 준수와 보고 의무를 지원하는 법률 자문도 필수적이다. -향후 목표나 계획이 있다면 한마디 부탁한다. △개인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큰 흥미를 느끼고 있다. 가상자산은 금융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게임 등 IT 시장, RWA(Real World Assets) 등 현실 자산 시장과도 밀접하게 연결된 역동적이고 성장 가능성 높은 분야다. 게다가 국경을 초월한 거래와 규제 이슈가 빈번히 발생하는 만큼 글로벌 법률이나 규제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요구된다. 앞으로 가상자산 시장과 크로스보더 거래 분야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자 한다. 가상자산 금융 규제, 디지털 자산 관리, 국제 거래법, 블록체인 기반 계약 구조 설계 등 법률적·기술적 전문성을 높여 기업과 투자자에게 맞춤형 법률 솔루션을 제공하는 크로스보더 법률 전문가가 되고 싶다. 디지털 경제 시대의 법적 리스크 관리와 규제 대응 전략 수립에서 혁신과 법적 안정성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신뢰받는 법률 파트너가 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IB토마토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23
가정폭력 시달리던 모친 위해 80대 아버지 폭행한 아들 ‘공소기각’
가정폭력 시달리던 모친 위해 80대 아버지 폭행한 아들 ‘공소기각’
지병 앓는 모친 모시기 위해 부모님 집 기거피고인, 모친에 가정폭력 저지른 아버지와 평소 사이 좋지 않아 가정폭력을 일삼던 아버지를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아들에게 공소기각 판결이 내려졌다.제주지방법원 형사1단독 여경은 부장판사는 존속폭행 혐의로 기소된 A씨(59)에 대한 공소를 기각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A씨는 지난해 5월 제주시 일도이동에 위치한 주거지에서 아버지 B씨(82)와 말다툼을 벌이다 폭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는다.당시 A씨는 방에 TV를 보려고 들어간 B씨가 모친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것을 목격하고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B씨는 평소 아내에게 가정폭력을 일삼았던 것으로 확인됐다.폭행을 당한 B씨는 큰 부상을 입지는 않았다. 그러나 A씨는 B씨가 방어를 위해 휘두른 흉기로 인해 4주간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었다.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B씨가 아내에 대해 폭행과 언어폭력을 서슴지 않았고, 수십 년간 이를 참아왔던 A씨가 더는 참지 못하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됐다고 주장했다.또, A씨가 폭행을 한 것이 이번이 처음인 점, B씨로 인해 더 큰 피해를 입고 치료를 받아야만 했던 점 등을 함께 강조했다.다만, 부자 관계인 이들이 원만히 합의했으며, B씨가 A씨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변론했다.B씨가 아들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내용의 합의서를 제출하면서 법원은 검찰의 공소를 기각했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승석 변호사는 “가족 간 폭행 사건의 경우, 사안이 복잡하고 민감한 문제일 때가 많다. 이번 사안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여러 방법을 동원해 최종적으로 공소기각 판결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며 “존속폭행의 경우 일반 폭행보다 처벌 수위가 높고, 흉기 소지에 따라 가중처벌을 피하기 힘들기 때문에 관련 혐의가 적용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가정폭력 시달리던 모친 위해 80대 아버지 폭행한 아들 ‘공소기각’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23
가정폭력 시달리던 모친 위해 80대 아버지 폭행한 아들 ‘공소기각’
가정폭력 시달리던 모친 위해 80대 아버지 폭행한 아들 ‘공소기각’
지병 앓는 모친 모시기 위해 부모님 집 기거피고인, 모친에 가정폭력 저지른 아버지와 평소 사이 좋지 않아 가정폭력을 일삼던 아버지를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대 아들에게 공소기각 판결이 내려졌다.제주지방법원 형사1단독 여경은 부장판사는 존속폭행 혐의로 기소된 A씨(59)에 대한 공소를 기각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A씨는 지난해 5월 제주시 일도이동에 위치한 주거지에서 아버지 B씨(82)와 말다툼을 벌이다 폭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는다.당시 A씨는 방에 TV를 보려고 들어간 B씨가 모친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것을 목격하고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B씨는 평소 아내에게 가정폭력을 일삼았던 것으로 확인됐다.폭행을 당한 B씨는 큰 부상을 입지는 않았다. 그러나 A씨는 B씨가 방어를 위해 휘두른 흉기로 인해 4주간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었다.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B씨가 아내에 대해 폭행과 언어폭력을 서슴지 않았고, 수십 년간 이를 참아왔던 A씨가 더는 참지 못하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됐다고 주장했다.또, A씨가 폭행을 한 것이 이번이 처음인 점, B씨로 인해 더 큰 피해를 입고 치료를 받아야만 했던 점 등을 함께 강조했다.다만, 부자 관계인 이들이 원만히 합의했으며, B씨가 A씨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변론했다.B씨가 아들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내용의 합의서를 제출하면서 법원은 검찰의 공소를 기각했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승석 변호사는 “가족 간 폭행 사건의 경우, 사안이 복잡하고 민감한 문제일 때가 많다. 이번 사안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여러 방법을 동원해 최종적으로 공소기각 판결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며 “존속폭행의 경우 일반 폭행보다 처벌 수위가 높고, 흉기 소지에 따라 가중처벌을 피하기 힘들기 때문에 관련 혐의가 적용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가정폭력 시달리던 모친 위해 80대 아버지 폭행한 아들 ‘공소기각’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2-23
재범을 ‘2진’ 표현에 반성문 대필 문의… 정말로 음주운전 반성하는 것 맞나요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재범을 ‘2진’ 표현에 반성문 대필 문의… 정말로 음주운전 반성하는 것 맞나요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반성문은 감경’ 인식 만연 단순 실수 치부·운이 나빠 적발 등온라인 커뮤니티에 관련 글 다수범죄를 가볍게 여기는 시선 많아법조계 “뉘우치는 자세 필요” 지적 “음주운전이 나와 다른 사람의 인생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과거 음주운전에 적발된 바 있는 A씨가 도로교통공단과 오비맥주의 ‘음주운전 방지장치’ 설치 시범 캠페인 참여 소감에서 이처럼 밝혔다.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날숨으로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해 기준치 이상 감지 시 시동이 걸리지 않게 한다. 지난 10월 도로교통법 개정에 따라 5년 내 2회 이상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사람이 다시 운전대를 잡으려면 결격 기간(25년)과 같은 기간 방지장치를 차에 부착해야 하며, 법 시행 이후부터의 결격 기간을 고려하면 2026년 10월쯤 실제 부착 사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캠페인 참여자들 소감문에서는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낄 줄 알아야 한다거나 다시는 음주운전을 하지 않겠다는 반성이 대다수였지만,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음주운전을 단순 실수로 치부하거나 운이 나빠 적발됐다는 식의 반응이 눈에 띈다.◆반성문 ‘대필’ 문의에 ‘2진, 3진’ 용어도B씨는 ‘반성문을 써본 적 없다’며 대필 문의 글을 음주운전자 고민 공유 커뮤니티에 올렸다. 어떻게 해야 조금이라도 처벌 수위를 낮출 수 있냐는 질문에 “반성문을 직접 작성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작성자를 비판하는 댓글이 달렸지만, 대략적인 예시까지 들어가며 ‘글 쓰는 게 어렵다면 도와주겠다’는 반응도 있었다.음주운전을 가볍게 여기는 시선은 재범을 의미하는 ‘2진’이나 3회 적발을 뜻하는 ‘3진’ 등 표현에서도 드러난다. 야구의 ‘삼진아웃’ 유사 개념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종종 쓰인다. ‘2진’이라 소개한 다른 음주운전 적발자는 실형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며 자신의 안위를 걱정했다.한 법무법인 변호사는 “2진이나 3진 표현은 정식 법률 용어가 아니다”며 “같은 범행을 두 번 세 번 반복했다는 의미여서 사람들의 음주운전 경각심이 줄어드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용어에 따라 사회 문제를 향한 관점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음주운전을 가볍게 여기는 분위기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이 변호사는 수사나 공판에서는 반성의 기미를 거의 보이지 않다가 선고 직전 급하게 반성문을 내는 사례도 있다고 언급했다. 구형에 따른 두려움이 커서 반성문을 부랴부랴 재판부에 제출해 어떻게든 처벌을 낮춰 보려 한다는 얘기다. 대법원 양형위원회가 ‘음주·무면허 운전’ 감경요소로 밝히는 ‘진지한 반성’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고 그는 강조했다. ◆‘반성문 제출=감경’ 인식?일선 법무법인에 걸려오는 음주운전 반성문 작성 문의 전화 건수도 상상을 초월한다고 한다. C법무법인 관계자는 “한 달에 우리 법무법인에 문의 전화만 10002000건이 걸려 온다”며 “음주운전 적발 사례가 많다는 얘기다”고 세계일보에 밝혔다. 한 곳에서만 이 정도이니 전국 법무법인에는 더 많은 전화가 올 거라면서다. 이 관계자는 사견을 전제로 “반성문 제출은 처벌 감경이라는 공식이 음주운전자 사이에 있는 것 같다”며 “더 무겁게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9월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음주 전력자’에 의한 교통사고는 같은 기간 음주운전 교통사고 총 7만5950건의 약 43%인 3만2877건이다. 이를 횟수로 구분하면 1회는 1만8916건, 2회는 8431건이고, 3회 이상도 5530건이나 돼 음주운전이 습관성 범죄라는 것을 보여준다.법조계에서는 반성문을 단순한 처벌 감경 수단으로 보지 않아야 하고, 음주운전을 진심으로 뉘우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음주·교통사고 대응그룹을 운영하는 법무법인 대륜의 최현덕 수석변호사는 “반성문으로 범행을 진지하게 돌아보고 자신의 경각심이 부족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며 “다시는 같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겠다는 태도가 반성문에서 드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기사전문보기 ] 재범을 ‘2진’ 표현에 반성문 대필 문의… 정말로 음주운전 반성하는 것 맞나요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2-23
재범을 ‘2진’ 표현에 반성문 대필 문의… 정말로 음주운전 반성하는 것 맞나요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재범을 ‘2진’ 표현에 반성문 대필 문의… 정말로 음주운전 반성하는 것 맞나요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반성문은 감경’ 인식 만연 단순 실수 치부·운이 나빠 적발 등온라인 커뮤니티에 관련 글 다수범죄를 가볍게 여기는 시선 많아법조계 “뉘우치는 자세 필요” 지적 “음주운전이 나와 다른 사람의 인생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과거 음주운전에 적발된 바 있는 A씨가 도로교통공단과 오비맥주의 ‘음주운전 방지장치’ 설치 시범 캠페인 참여 소감에서 이처럼 밝혔다.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날숨으로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해 기준치 이상 감지 시 시동이 걸리지 않게 한다. 지난 10월 도로교통법 개정에 따라 5년 내 2회 이상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사람이 다시 운전대를 잡으려면 결격 기간(25년)과 같은 기간 방지장치를 차에 부착해야 하며, 법 시행 이후부터의 결격 기간을 고려하면 2026년 10월쯤 실제 부착 사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캠페인 참여자들 소감문에서는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낄 줄 알아야 한다거나 다시는 음주운전을 하지 않겠다는 반성이 대다수였지만,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음주운전을 단순 실수로 치부하거나 운이 나빠 적발됐다는 식의 반응이 눈에 띈다.◆반성문 ‘대필’ 문의에 ‘2진, 3진’ 용어도B씨는 ‘반성문을 써본 적 없다’며 대필 문의 글을 음주운전자 고민 공유 커뮤니티에 올렸다. 어떻게 해야 조금이라도 처벌 수위를 낮출 수 있냐는 질문에 “반성문을 직접 작성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작성자를 비판하는 댓글이 달렸지만, 대략적인 예시까지 들어가며 ‘글 쓰는 게 어렵다면 도와주겠다’는 반응도 있었다.음주운전을 가볍게 여기는 시선은 재범을 의미하는 ‘2진’이나 3회 적발을 뜻하는 ‘3진’ 등 표현에서도 드러난다. 야구의 ‘삼진아웃’ 유사 개념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종종 쓰인다. ‘2진’이라 소개한 다른 음주운전 적발자는 실형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며 자신의 안위를 걱정했다.한 법무법인 변호사는 “2진이나 3진 표현은 정식 법률 용어가 아니다”며 “같은 범행을 두 번 세 번 반복했다는 의미여서 사람들의 음주운전 경각심이 줄어드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용어에 따라 사회 문제를 향한 관점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음주운전을 가볍게 여기는 분위기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이 변호사는 수사나 공판에서는 반성의 기미를 거의 보이지 않다가 선고 직전 급하게 반성문을 내는 사례도 있다고 언급했다. 구형에 따른 두려움이 커서 반성문을 부랴부랴 재판부에 제출해 어떻게든 처벌을 낮춰 보려 한다는 얘기다. 대법원 양형위원회가 ‘음주·무면허 운전’ 감경요소로 밝히는 ‘진지한 반성’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고 그는 강조했다. ◆‘반성문 제출=감경’ 인식?일선 법무법인에 걸려오는 음주운전 반성문 작성 문의 전화 건수도 상상을 초월한다고 한다. C법무법인 관계자는 “한 달에 우리 법무법인에 문의 전화만 10002000건이 걸려 온다”며 “음주운전 적발 사례가 많다는 얘기다”고 세계일보에 밝혔다. 한 곳에서만 이 정도이니 전국 법무법인에는 더 많은 전화가 올 거라면서다. 이 관계자는 사견을 전제로 “반성문 제출은 처벌 감경이라는 공식이 음주운전자 사이에 있는 것 같다”며 “더 무겁게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9월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음주 전력자’에 의한 교통사고는 같은 기간 음주운전 교통사고 총 7만5950건의 약 43%인 3만2877건이다. 이를 횟수로 구분하면 1회는 1만8916건, 2회는 8431건이고, 3회 이상도 5530건이나 돼 음주운전이 습관성 범죄라는 것을 보여준다.법조계에서는 반성문을 단순한 처벌 감경 수단으로 보지 않아야 하고, 음주운전을 진심으로 뉘우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음주·교통사고 대응그룹을 운영하는 법무법인 대륜의 최현덕 수석변호사는 “반성문으로 범행을 진지하게 돌아보고 자신의 경각심이 부족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며 “다시는 같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겠다는 태도가 반성문에서 드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기사전문보기 ] 재범을 ‘2진’ 표현에 반성문 대필 문의… 정말로 음주운전 반성하는 것 맞나요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4-12-23
[새 로펌대표에게 듣는다] “AI로 무장, 해외 파이 키울 것”
[새 로펌대표에게 듣는다] “AI로 무장, 해외 파이 키울 것”
김국일·고병준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대륜은 기존 대형 로펌과 같은 방식으로는 국내에서의 성장은 물론이고 해외 진출에도 발전 가능성이 미미하다는 판단하에 AI 리걸테크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로펌을 목표로 내실과 외연을 확장하고 있습니다."지난 10월 1일 법무법인 대륜은 김국일(56·사법연수원 24기)·고병준(50·변호사시험 9회) 변호사를 신임 경영총괄대표로 선임하며 새로운 도약을 알렸다. 두 대표는 AI 리걸테크를 활용한 혁신적인 법률 서비스와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으로 대륜을 ‘국내를 넘어 해외 법률시장을 선도하는 로펌’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법무법인 대륜 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김국일 대표는 "고객이 AI 리걸테크를 활용해 손쉽게 법률 정보나 변호사 정보에 접근해 변호사 도움 없이도 기초적인 상담 효과를 거두게 해 법률시장의 문턱을 낮출 것"이라며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서울과 수도권에 한정하지 않고 전국적으로 균일하게, 고객 곁으로 다가가 제공함으로써 고객 중심주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대륜은 자체 개발팀을 통해 AI 리걸테크 기반의 실시간 고객 맞춤형 자문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개발팀은 유사사례 및 판례 빅데이터 분석, 양형 예측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 중이다.고병준 대표는 "법률상담 및 송무 사례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리걸테크 로펌으로 도약하고자 한다"며 "대륜의 AI는 구체적 사건에 대해 법률을 적용한 결과의 예측 등의 방식으로 법률상담 과정에서부터 활용될 것이며 챗GPT의 방식을 응용해 변호사의 서면작성 및 자료조사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다음은 김국일·고병준 대표 변호사와의 일문일답.- 해외 진출을 결정하게 된 배경은.고병준 대표 : 한국 법조 시장은 규모 자체가 작고 정체돼 있다. 리걸테크 산업 규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대륜은 국내에서 거둔 성과들을 바탕으로 더 넓은 시장에서 혁신적인 경영을 통해 더 많은 시도를 해볼 것이고, 성과를 낼 것이다. 이런 시도를 할 수 있는 무대가 해외 시장이라고 생각한다.김국일 대표 : 현재 국제 법률 분쟁 및 자문 분야에서는 일본 베리베스트 로펌과의 협력을 통해 일본과 한국, 나아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타 국가의 국민들도 우리의 고객이라는 신념으로 뉴욕과 도쿄에 로펌 설립을 진행하는 등 해외 고객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기반으로 해외 법률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AI 리걸테크를 활용한 실시간 고객 맞춤형 자문 서비스도 해외 사건에도 적용하고자 한다. 해외 고객들에게도 보다 전문적이고 신뢰성 있는 법률 전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대륜의 경쟁력 강화 전략이 될 것이다.- 최근 법조 시장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다고 보는가.고병준 대표 : 한국 법조 시장 규모가 10조 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변호사 수는 늘어나는데 시장의 규모는 산술적으로만 가까스로 늘어날 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10조 원이라는 작은 파이를 두고 규제하고 쟁탈하는 식으로만 가면 공멸이외의 다른 결과를 상상하기가 어렵다. 한국 법률 시장의 규모 자체를 늘리는 데에 중지를 모아야 한다.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변호사의 광고 규제 완화, 최첨단 법률서비스 제공을 위한 리걸테크 산업에 대한 과감한 규제 철폐와 지원, 독일식 전 국민 의무 법률 보험 가입 입법 추진 등은 당장에 추진할 수 있는 정책들이라 생각한다.- 각 지역 사무소와 협업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갖춘 시스템은.고병준 대표 : 대륜의 본사와 각 지역 사무소의 관계는 스타벅스 본사와 지점 사이의 관계와 비슷하다. 본사는 각 지역 사무소에 최상의 고객서비스를 위한 통일된 서비스 매뉴얼을 제공하고 이를 교육한다. 각 지역 사무소 구성원들은 사무직원부터 소장까지 본사와 균등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대표가 매월 전국 소장 회의를 화상으로 주관하여 소통한다. 본사의 모든 전문그룹은 지점의 송무 사건에 개입해 지점 송무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대륜이 운영 중인 복지 정책은.김국일 대표 : 대륜은 출산휴가, 육아휴직을 적극 권장하는 한편,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유연근무제, 리프레시 휴가, 심리상담 지원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장애인 및 경력 보유(단절) 여성에 대한 채용도 확대하고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소외계층, 취약계층에 대한 법률지원, 봉사 활동을 전개하여 사회복지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공익사단법인 설립을 진행하고 있다.- 대륜의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해 M&A나 인력 채용과 관련한 계획은.김국일 대표 : 대륜에는 변호사 외에도 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노무사 등 다양한 전문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 해외 로펌 설립을 위해 외국 변호사, 관세사도 채용하고 있다. 이는 국내 및 해외 고객들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고객 중심 경영의 일환인데, 앞으로도 고객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전문인력을 영입하거나 특허법인, 세무법인 등과의 M&A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앞으로 대륜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고병준 대표 : 그동안 대륜의 고속성장 원동력은 ‘법률상담의 대중화’와 ‘법률서비스의 고급화’라는 두 가지 엔진이었다. 이를 AI 리걸테크 서비스로 업그레이드해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해외 법률시장을 선도하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새 로펌대표에게 듣는다] “AI로 무장, 해외 파이 키울 것”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4-12-23
[새 로펌대표에게 듣는다] “AI로 무장, 해외 파이 키울 것”
[새 로펌대표에게 듣는다] “AI로 무장, 해외 파이 키울 것”
김국일·고병준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 "대륜은 기존 대형 로펌과 같은 방식으로는 국내에서의 성장은 물론이고 해외 진출에도 발전 가능성이 미미하다는 판단하에 AI 리걸테크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로펌을 목표로 내실과 외연을 확장하고 있습니다."지난 10월 1일 법무법인 대륜은 김국일(56·사법연수원 24기)·고병준(50·변호사시험 9회) 변호사를 신임 경영총괄대표로 선임하며 새로운 도약을 알렸다. 두 대표는 AI 리걸테크를 활용한 혁신적인 법률 서비스와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으로 대륜을 ‘국내를 넘어 해외 법률시장을 선도하는 로펌’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법무법인 대륜 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김국일 대표는 "고객이 AI 리걸테크를 활용해 손쉽게 법률 정보나 변호사 정보에 접근해 변호사 도움 없이도 기초적인 상담 효과를 거두게 해 법률시장의 문턱을 낮출 것"이라며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서울과 수도권에 한정하지 않고 전국적으로 균일하게, 고객 곁으로 다가가 제공함으로써 고객 중심주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대륜은 자체 개발팀을 통해 AI 리걸테크 기반의 실시간 고객 맞춤형 자문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개발팀은 유사사례 및 판례 빅데이터 분석, 양형 예측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 중이다.고병준 대표는 "법률상담 및 송무 사례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리걸테크 로펌으로 도약하고자 한다"며 "대륜의 AI는 구체적 사건에 대해 법률을 적용한 결과의 예측 등의 방식으로 법률상담 과정에서부터 활용될 것이며 챗GPT의 방식을 응용해 변호사의 서면작성 및 자료조사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다음은 김국일·고병준 대표 변호사와의 일문일답.- 해외 진출을 결정하게 된 배경은.고병준 대표 : 한국 법조 시장은 규모 자체가 작고 정체돼 있다. 리걸테크 산업 규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대륜은 국내에서 거둔 성과들을 바탕으로 더 넓은 시장에서 혁신적인 경영을 통해 더 많은 시도를 해볼 것이고, 성과를 낼 것이다. 이런 시도를 할 수 있는 무대가 해외 시장이라고 생각한다.김국일 대표 : 현재 국제 법률 분쟁 및 자문 분야에서는 일본 베리베스트 로펌과의 협력을 통해 일본과 한국, 나아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타 국가의 국민들도 우리의 고객이라는 신념으로 뉴욕과 도쿄에 로펌 설립을 진행하는 등 해외 고객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기반으로 해외 법률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AI 리걸테크를 활용한 실시간 고객 맞춤형 자문 서비스도 해외 사건에도 적용하고자 한다. 해외 고객들에게도 보다 전문적이고 신뢰성 있는 법률 전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대륜의 경쟁력 강화 전략이 될 것이다.- 최근 법조 시장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다고 보는가.고병준 대표 : 한국 법조 시장 규모가 10조 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변호사 수는 늘어나는데 시장의 규모는 산술적으로만 가까스로 늘어날 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10조 원이라는 작은 파이를 두고 규제하고 쟁탈하는 식으로만 가면 공멸이외의 다른 결과를 상상하기가 어렵다. 한국 법률 시장의 규모 자체를 늘리는 데에 중지를 모아야 한다.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변호사의 광고 규제 완화, 최첨단 법률서비스 제공을 위한 리걸테크 산업에 대한 과감한 규제 철폐와 지원, 독일식 전 국민 의무 법률 보험 가입 입법 추진 등은 당장에 추진할 수 있는 정책들이라 생각한다.- 각 지역 사무소와 협업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갖춘 시스템은.고병준 대표 : 대륜의 본사와 각 지역 사무소의 관계는 스타벅스 본사와 지점 사이의 관계와 비슷하다. 본사는 각 지역 사무소에 최상의 고객서비스를 위한 통일된 서비스 매뉴얼을 제공하고 이를 교육한다. 각 지역 사무소 구성원들은 사무직원부터 소장까지 본사와 균등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대표가 매월 전국 소장 회의를 화상으로 주관하여 소통한다. 본사의 모든 전문그룹은 지점의 송무 사건에 개입해 지점 송무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대륜이 운영 중인 복지 정책은.김국일 대표 : 대륜은 출산휴가, 육아휴직을 적극 권장하는 한편,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유연근무제, 리프레시 휴가, 심리상담 지원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장애인 및 경력 보유(단절) 여성에 대한 채용도 확대하고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소외계층, 취약계층에 대한 법률지원, 봉사 활동을 전개하여 사회복지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공익사단법인 설립을 진행하고 있다.- 대륜의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해 M&A나 인력 채용과 관련한 계획은.김국일 대표 : 대륜에는 변호사 외에도 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노무사 등 다양한 전문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 해외 로펌 설립을 위해 외국 변호사, 관세사도 채용하고 있다. 이는 국내 및 해외 고객들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고객 중심 경영의 일환인데, 앞으로도 고객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전문인력을 영입하거나 특허법인, 세무법인 등과의 M&A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앞으로 대륜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고병준 대표 : 그동안 대륜의 고속성장 원동력은 ‘법률상담의 대중화’와 ‘법률서비스의 고급화’라는 두 가지 엔진이었다. 이를 AI 리걸테크 서비스로 업그레이드해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해외 법률시장을 선도하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기사전문보기] [새 로펌대표에게 듣는다] “AI로 무장, 해외 파이 키울 것” (바로가기)
머니S 등 2곳
2024-12-20
술자리서 만난 여성 강간 혐의… 1·2심 모두 무죄받은 이유는
술자리서 만난 여성 강간 혐의… 1·2심 모두 무죄받은 이유는
술자리에서 만난 여성을 강간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남성이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고등법원 제2형사부는 지난달 20일 강간·강간미수 혐의를 받는 30대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1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22년 지인들과의 술자리에서 처음 만난 B씨를 한차례 강간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며칠 뒤 또다시 강간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피해자와 합의하에 스킨십을 했으며, 강간하려거나 실제 강간을 한 사실은 없다는 것이다.1심 재판부는 앞서 지난 5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유일한 증거인 피해자 진술에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 주된 취지였다.재판부는 "피해자가 당시 상황에 대한 진술을 번복한 바 있는데, 이는 사건 발생 일자와 근접한 시점에 행해진 최초 진술을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어서 있는 그대로 믿기 어려운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B씨가 당시 지인들에게 "A씨의 몸에 올라타 신체 접촉을 한 것 같다"는 식의 발언을 한 내용 등을 보면, 실제 강간 행위가 있었는지 의문이 든다고도 덧붙였다.검찰은 사실오인을 주장하며 항소했지만, 2심에서도 같은 결론이 나왔다.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이 각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것은 정당해 수긍이 간다"며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당시 입었던 바지와 속옷에서도 남성 DNA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것만으로 성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없으나 앞서 본 여러 사정과 종합해보면 위 결과 역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하게 하는 사정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장호철 변호사는 "피해자의 진술이 유일한 직접증거인 상황에서 피고인이 자신의 혐의를 일관되게 부인할 경우, 피해 진술은 진실성과 정확성에 의심을 품을 만한 여지가 없을 정도로 높은 증명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장 변호사는 "이 사건은 피해자가 자주 진술을 번복했고 주변인들 또한 피해자 주장과 반대되는 취지의 증언을 했다"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반영해 무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S - 술자리서 만난 여성 강간 혐의… 1·2심 모두 무죄받은 이유는 (바로가기) 세계일보 - 술자리서 만난 여성과 하룻밤 보냈다가 강간 혐의로 기소된 남성, 항소 끝에 ‘무죄’ (바로가기)
머니S 등 2곳
2024-12-20
술자리서 만난 여성 강간 혐의… 1·2심 모두 무죄받은 이유는
술자리서 만난 여성 강간 혐의… 1·2심 모두 무죄받은 이유는
술자리에서 만난 여성을 강간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남성이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고등법원 제2형사부는 지난달 20일 강간·강간미수 혐의를 받는 30대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1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22년 지인들과의 술자리에서 처음 만난 B씨를 한차례 강간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며칠 뒤 또다시 강간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A씨 측은 혐의를 부인했다. 피해자와 합의하에 스킨십을 했으며, 강간하려거나 실제 강간을 한 사실은 없다는 것이다.1심 재판부는 앞서 지난 5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유일한 증거인 피해자 진술에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 주된 취지였다.재판부는 "피해자가 당시 상황에 대한 진술을 번복한 바 있는데, 이는 사건 발생 일자와 근접한 시점에 행해진 최초 진술을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어서 있는 그대로 믿기 어려운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B씨가 당시 지인들에게 "A씨의 몸에 올라타 신체 접촉을 한 것 같다"는 식의 발언을 한 내용 등을 보면, 실제 강간 행위가 있었는지 의문이 든다고도 덧붙였다.검찰은 사실오인을 주장하며 항소했지만, 2심에서도 같은 결론이 나왔다.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이 각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것은 정당해 수긍이 간다"며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당시 입었던 바지와 속옷에서도 남성 DNA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것만으로 성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없으나 앞서 본 여러 사정과 종합해보면 위 결과 역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하게 하는 사정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장호철 변호사는 "피해자의 진술이 유일한 직접증거인 상황에서 피고인이 자신의 혐의를 일관되게 부인할 경우, 피해 진술은 진실성과 정확성에 의심을 품을 만한 여지가 없을 정도로 높은 증명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장 변호사는 "이 사건은 피해자가 자주 진술을 번복했고 주변인들 또한 피해자 주장과 반대되는 취지의 증언을 했다"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반영해 무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S - 술자리서 만난 여성 강간 혐의… 1·2심 모두 무죄받은 이유는 (바로가기) 세계일보 - 술자리서 만난 여성과 하룻밤 보냈다가 강간 혐의로 기소된 남성, 항소 끝에 ‘무죄’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4-12-20
법무법인 대륜, 부부장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부부장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 영입
강력·재산범죄에서 금융·의료까지, 법률 서비스 강화 법무법인 대륜(대표 김국일·고병준)은 박진현(51·사법연수원 31기)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 박 변호사는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해 창원지검 거창지청, 광주지검, 대구지검 서부지청 등을 거쳤으며, 서울동부지검에서 부부장검사로 근무했다. 검사 재직 시 공안, 마약, 강력범죄 사건과 수조 원 규모의 재산범죄 사건을 처리했다. 2017년 변호사로 개업해, 주식 양도 무효 소송, 산업기술유출방지법 위반 등 다양한 민·형사 사건을 담당하며 변호사 활동을 이어왔다. 기획예산처와 기획재정부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며 공공기관 사업예비타당성 자문위원, 기금부담금 운용 평가단 평가위원 등을 맡아 금융·관세 분야에서도 경험을 쌓았다. 현재는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비상임감정위원으로 활동하며 의료 분쟁 및 조정 업무도 담당하고 있다. 박 변호사는 "그동안의 검사와 변호사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건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다양한 법률 분야에서 의뢰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부부장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4-12-20
법무법인 대륜, 부부장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부부장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 영입
강력·재산범죄에서 금융·의료까지, 법률 서비스 강화 법무법인 대륜(대표 김국일·고병준)은 박진현(51·사법연수원 31기)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 박 변호사는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해 창원지검 거창지청, 광주지검, 대구지검 서부지청 등을 거쳤으며, 서울동부지검에서 부부장검사로 근무했다. 검사 재직 시 공안, 마약, 강력범죄 사건과 수조 원 규모의 재산범죄 사건을 처리했다. 2017년 변호사로 개업해, 주식 양도 무효 소송, 산업기술유출방지법 위반 등 다양한 민·형사 사건을 담당하며 변호사 활동을 이어왔다. 기획예산처와 기획재정부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며 공공기관 사업예비타당성 자문위원, 기금부담금 운용 평가단 평가위원 등을 맡아 금융·관세 분야에서도 경험을 쌓았다. 현재는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비상임감정위원으로 활동하며 의료 분쟁 및 조정 업무도 담당하고 있다. 박 변호사는 "그동안의 검사와 변호사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건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다양한 법률 분야에서 의뢰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 대륜, 부부장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신아일보 등 3곳
2024-12-19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MOU 체결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MOU 체결
도시 개발·기업 유치 등 안산시 주요 현안 조력…‘기업법무’ 자문도 진행대륜, “변호사·회계사 등 전문 인력을 통해 안산시에 필요한 지원 제공할 것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안산시의회와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지난 16일 안산시의회 의장실에서 개최된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광우 변호사와 박태순 안산시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이날 체결된 MOU를 통해 양 기관은 법률 자문 및 법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고, 시민 상담 서비스와 법률 세미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도시 개발 사업·기업 유치 활동 등 안산시 주요 현안에 대한 법률적 자문 △주민 대상 법률 세미나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 △찾아가는 법률 상담 서비스 등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특히 안산시에 반월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해 있는 만큼 기업·노동 분야에서의 법률 자문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박태순 안산시의회 의장은 "법무법인 대륜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의회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법률적 지원과 자문을 통해 지역 현안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안산은 산업 발전과 함께 많은 기업과 근로자들이 활동하는 중요한 경제 중심지"라며 "대륜은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 인력을 통해 기업법무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안산시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 노동산재, 행정 등 각 분야별로 특화된 그룹을 운영하며 업무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신아일보 -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시민일보 -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와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안산시의회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신아일보 등 3곳
2024-12-19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MOU 체결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MOU 체결
도시 개발·기업 유치 등 안산시 주요 현안 조력…‘기업법무’ 자문도 진행대륜, “변호사·회계사 등 전문 인력을 통해 안산시에 필요한 지원 제공할 것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안산시의회와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지난 16일 안산시의회 의장실에서 개최된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이광우 변호사와 박태순 안산시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이날 체결된 MOU를 통해 양 기관은 법률 자문 및 법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고, 시민 상담 서비스와 법률 세미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도시 개발 사업·기업 유치 활동 등 안산시 주요 현안에 대한 법률적 자문 △주민 대상 법률 세미나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 △찾아가는 법률 상담 서비스 등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특히 안산시에 반월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해 있는 만큼 기업·노동 분야에서의 법률 자문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박태순 안산시의회 의장은 "법무법인 대륜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의회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법률적 지원과 자문을 통해 지역 현안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안산은 산업 발전과 함께 많은 기업과 근로자들이 활동하는 중요한 경제 중심지"라며 "대륜은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 인력을 통해 기업법무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안산시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기업법무, 노동산재, 행정 등 각 분야별로 특화된 그룹을 운영하며 업무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신아일보 -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MOU 체결 (바로가기) 시민일보 - 안산시의회, 법무법인(유한) 대륜와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 (바로가기) 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안산시의회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일요신문
2024-12-18
검·경 동시다발에 상설특검도 추진…‘12·3 불법 계엄’ 수사 속도전 실상
검·경 동시다발에 상설특검도 추진…‘12·3 불법 계엄’ 수사 속도전 실상
경찰 내란죄·검찰 직권남용 경쟁적 진행, 김용현 긴급체포 윤석열 입건…“유례 없던일, 심도 깊은 연구 필요” 무장 군인이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장악을 시도한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를 겪고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 불발하며 이제는 내란죄 수사의 시간이 다가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과 경찰은 물론 군 검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까지 동시다발적 수사에 나선 가운데, 야당이 추진 중인 '내란죄 특검'이 더해지면 최대 5곳 방향에서 수사 칼날이 뻗어 나올 수 있다. 윤 대통령도 내란 혐의 피의자로 입건된 상태다. 다만 '중복수사'에 따른 혼선 및 비효율 등 우려는 해소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표결 불참 책임 독하게 묻겠다"비상계엄 선포 후 나흘이 지난 12월 7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은 국민의힘 보이콧으로 자동 폐기됐다. 표결 자체가 이뤄지지 못했다. 재적의원 300명 가운데 200명 이상 참석해야 했지만, 국민의힘에서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 3명을 제외한 전원이 자리를 비운 탓에 재석 의원이 195명에 그쳤다.국민의힘은 이날 탄핵소추안 직전에 상정된 '김건희 여사 특검법' 표결에는 모든 의원이 참여했다. 그리고 대부분이 반대표를 던졌다. 재석 300명 가운데 200표 이상 나오면 통과였는데 찬성이 198표에 그쳤다. 이로써 김 여사 특검법은 3번째 폐기를 겪고 말았다. 더불어민주당은 12월 11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다시 발의하고, 14일 재표결에 나설 방침이다. 이때도 부결되면 일주일 단위로 임시회를 열어 같은 절차를 반복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은 12월 8일 강유정 원내대변인 명의로 낸 논평에서 "내란죄 책임을 묻는 역사적 표결에 불참한 이들의 책임을 독하게 묻겠다"고 예고했다. #검·경 '수사 경쟁'…혼선·비효율 우려도정부·여당은 가까스로 탄핵을 면했지만 남은 길은 가시밭이다. 국민적 비판은 물론 사방에서 뻗어 나올 수사 칼날도 감당해야 할 몫이다. 물론 현직 대통령을 향한 수사라 한계를 의심하는 시선도 많다. 그러나 현재 분위기에서 '부실수사 의혹'은 곧 '내란 부역자 낙인'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 기관의 수사 의지가 어느 때보다 강해 보인다.경찰과 검찰은 특별수사팀을 꾸리고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경찰은 국가수사본부 안보수사단에 120여 명, 검찰은 박세현 서울고검장을 수장으로 한 '비상계엄 사건 특별수사본부'을 새로 꾸리고 수사 인력 50여 명을 배치했다. 내란죄는 경찰 수사 범위지만, 검찰은 직권남용 혐의를 살피며 내란을 연관범죄로 묶는 형식을 취할 전망이다.두 기관은 이미 속도전에 돌입했다. 경찰 국수본은 수사팀을 출범한 12월 6일 첫날부터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 등 4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 민주당 등이 이들을 내란과 직권남용 등 혐의로 고발한 데 따른 조치다. 경찰은 서울경찰 무전기록도 전부 확보했다.검찰의 경우 계엄사태 주범으로 꼽히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12월 8일 전격 체포했다. 검찰은 특수본 출범 직후부터 김 전 장관에 출석을 거듭 요청했다고 알려졌다. 김 전 장관은 계속 거부하다 이날 오전 1시 30분쯤 돌연 자진 출석했다. 검찰은 심야조사를 벌인 끝에 김 전 장관을 서울 동부구치소로 이송했다.검·경 사이 '경쟁' 양상도 엿보인다. 검찰이 김 전 장관을 체포한 날, 경찰은 김 전 장관의 공관과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경이 한 명의 피의자를 놓고 제각각 경로로 수사를 벌인 것이다. 경찰 한 관계자는 "검찰이 수사범위에도 없는 내란죄를 수사하면 공소기각이 나올 수 있다"며 검찰에 대한 견제 의식을 내비치기도 했다.이는 수사의 혼선을 되풀이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진다. 피의자들의 증거인멸 시도 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과도한 혼란은 악재일 수밖에 없다. 당장 김 전 장관도 검찰에 기습 출석하기 전 휴대전화를 교체했다고 전해졌다. 일각에선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텔레그램 탈퇴 후 재가입한 점도 석연찮게 바라본다.표면상으론 수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듯 비치지만 엄밀히 보면 그렇지 않단 지적도 나온다. 계엄사태 후 나흘 지난 12월 8일까지 신병이 확보된 피의자는 김 전 장관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차관)이 12월 6일 국방부와 직할부대에 '계엄 관련 모든 문서 보존'을 명령했다지만, 실제 어떨지는 두고 볼 문제다. #상설특검 초읽기…'피의자' 윤석열 운명은현재 수사는 네 갈래로 이뤄지고 있다. 검·경 외에도 국방부와 공수처가 사건을 쥐고 있다. 국방부는 검찰에 군 검사 5명 등 12명을 파견했다. 군 자체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검찰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공수처는 수사4부(부장검사 차정현)에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청장 등의 내란·직권남용 혐의 사건을 배당했다.하지만 윤 대통령이 아직은 살아있는 권력으로 존재하는 만큼, 성역 없는 수사가 가능할지는 의문이 뒤따른다. 이에 민주당은 '내란죄 상설특검'을 곧 본회의에 상정할 계획이다. 상설특검은 일반특검과 달리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다. 또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3분의 2 이상 찬성이면 통과돼 민주당의 독자적 추진이 가능하다.정부와 여당은 난감할 뿐이다. 상설특검 통과 이후에도 사실상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길이 유일한 까닭에서다. 지난 11월 개정된 규칙에 따라 '대통령과 가족에 대한 상설특검 수사가 결정되면 대통령 소속 정당은 특검 추천이 불가능'하다. 단, 윤 대통령이 거부권 대신 임명을 미루는 '버티기 전략'에 나설 여지는 있다. 상설특검은 일반특검보다 제약은 많은 편이다. 검사는 최대 5명, 파견 공무원은 30명, 수사 기간은 60일로 규정하고 있다. 지금의 검·경·국방부·공수처 4중 수사에 계속 기대하는 경우보다는 효율적이고 엄정한 수사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절차와 결과 측면에서 얼마나 '짧고 강한'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한편 윤 대통령도 내란 혐의 피의자로 입건돼 어떤 결과가 나올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박세현 검찰 특수본부장은 12월 8일 언론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 관련 고발장이 워낙 많이 접수돼 입건 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고발이나 고소가 되면 피의자로 입건되는 게 절차"라고 밝혔다.박 본부장은 '검찰이 내란죄 수사 가능한지' 질의에는 "이 사건은 간단히 말해 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했고, 국헌 문란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게 핵심"이라며 "이 두 가지가 직권남용과 내란의 구성요건으로서, 과연 두 혐의 사이 관련성이 없는지 등은 국민들께서 쉽게 판단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검찰은 특수·공안·강력통 검사들을 대거 배치했다고 전해졌다. 현직 대통령의 내란죄 혐의 수사는 초유 사태인 만큼, 내부에서도 고심이 깊다고 한다. 한 공안검사 출신 변호사는 "유례가 없던 일이라 매우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며 "누구도 앞날을 전망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진단했다. 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내란 혐의만 입증되면 '이론적으로는' 윤 대통령 체포도 가능하다"며 "대통령 면책특권에는 내란·외환죄가 제외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검찰이 내란죄를 직접 수사할 수 있는지가 모호하단 게 문제"라며 "직권남용 등 혐의로는 체포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검·경 동시다발에 상설특검도 추진…‘12·3 불법 계엄’ 수사 속도전 실상 (바로가기)
일요신문
2024-12-18
검·경 동시다발에 상설특검도 추진…‘12·3 불법 계엄’ 수사 속도전 실상
검·경 동시다발에 상설특검도 추진…‘12·3 불법 계엄’ 수사 속도전 실상
경찰 내란죄·검찰 직권남용 경쟁적 진행, 김용현 긴급체포 윤석열 입건…“유례 없던일, 심도 깊은 연구 필요” 무장 군인이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장악을 시도한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를 겪고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 불발하며 이제는 내란죄 수사의 시간이 다가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과 경찰은 물론 군 검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까지 동시다발적 수사에 나선 가운데, 야당이 추진 중인 '내란죄 특검'이 더해지면 최대 5곳 방향에서 수사 칼날이 뻗어 나올 수 있다. 윤 대통령도 내란 혐의 피의자로 입건된 상태다. 다만 '중복수사'에 따른 혼선 및 비효율 등 우려는 해소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표결 불참 책임 독하게 묻겠다"비상계엄 선포 후 나흘이 지난 12월 7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은 국민의힘 보이콧으로 자동 폐기됐다. 표결 자체가 이뤄지지 못했다. 재적의원 300명 가운데 200명 이상 참석해야 했지만, 국민의힘에서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 3명을 제외한 전원이 자리를 비운 탓에 재석 의원이 195명에 그쳤다.국민의힘은 이날 탄핵소추안 직전에 상정된 '김건희 여사 특검법' 표결에는 모든 의원이 참여했다. 그리고 대부분이 반대표를 던졌다. 재석 300명 가운데 200표 이상 나오면 통과였는데 찬성이 198표에 그쳤다. 이로써 김 여사 특검법은 3번째 폐기를 겪고 말았다. 더불어민주당은 12월 11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다시 발의하고, 14일 재표결에 나설 방침이다. 이때도 부결되면 일주일 단위로 임시회를 열어 같은 절차를 반복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은 12월 8일 강유정 원내대변인 명의로 낸 논평에서 "내란죄 책임을 묻는 역사적 표결에 불참한 이들의 책임을 독하게 묻겠다"고 예고했다. #검·경 '수사 경쟁'…혼선·비효율 우려도정부·여당은 가까스로 탄핵을 면했지만 남은 길은 가시밭이다. 국민적 비판은 물론 사방에서 뻗어 나올 수사 칼날도 감당해야 할 몫이다. 물론 현직 대통령을 향한 수사라 한계를 의심하는 시선도 많다. 그러나 현재 분위기에서 '부실수사 의혹'은 곧 '내란 부역자 낙인'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 기관의 수사 의지가 어느 때보다 강해 보인다.경찰과 검찰은 특별수사팀을 꾸리고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경찰은 국가수사본부 안보수사단에 120여 명, 검찰은 박세현 서울고검장을 수장으로 한 '비상계엄 사건 특별수사본부'을 새로 꾸리고 수사 인력 50여 명을 배치했다. 내란죄는 경찰 수사 범위지만, 검찰은 직권남용 혐의를 살피며 내란을 연관범죄로 묶는 형식을 취할 전망이다.두 기관은 이미 속도전에 돌입했다. 경찰 국수본은 수사팀을 출범한 12월 6일 첫날부터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 등 4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 민주당 등이 이들을 내란과 직권남용 등 혐의로 고발한 데 따른 조치다. 경찰은 서울경찰 무전기록도 전부 확보했다.검찰의 경우 계엄사태 주범으로 꼽히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12월 8일 전격 체포했다. 검찰은 특수본 출범 직후부터 김 전 장관에 출석을 거듭 요청했다고 알려졌다. 김 전 장관은 계속 거부하다 이날 오전 1시 30분쯤 돌연 자진 출석했다. 검찰은 심야조사를 벌인 끝에 김 전 장관을 서울 동부구치소로 이송했다.검·경 사이 '경쟁' 양상도 엿보인다. 검찰이 김 전 장관을 체포한 날, 경찰은 김 전 장관의 공관과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경이 한 명의 피의자를 놓고 제각각 경로로 수사를 벌인 것이다. 경찰 한 관계자는 "검찰이 수사범위에도 없는 내란죄를 수사하면 공소기각이 나올 수 있다"며 검찰에 대한 견제 의식을 내비치기도 했다.이는 수사의 혼선을 되풀이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진다. 피의자들의 증거인멸 시도 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과도한 혼란은 악재일 수밖에 없다. 당장 김 전 장관도 검찰에 기습 출석하기 전 휴대전화를 교체했다고 전해졌다. 일각에선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텔레그램 탈퇴 후 재가입한 점도 석연찮게 바라본다.표면상으론 수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듯 비치지만 엄밀히 보면 그렇지 않단 지적도 나온다. 계엄사태 후 나흘 지난 12월 8일까지 신병이 확보된 피의자는 김 전 장관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차관)이 12월 6일 국방부와 직할부대에 '계엄 관련 모든 문서 보존'을 명령했다지만, 실제 어떨지는 두고 볼 문제다. #상설특검 초읽기…'피의자' 윤석열 운명은현재 수사는 네 갈래로 이뤄지고 있다. 검·경 외에도 국방부와 공수처가 사건을 쥐고 있다. 국방부는 검찰에 군 검사 5명 등 12명을 파견했다. 군 자체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검찰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공수처는 수사4부(부장검사 차정현)에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청장 등의 내란·직권남용 혐의 사건을 배당했다.하지만 윤 대통령이 아직은 살아있는 권력으로 존재하는 만큼, 성역 없는 수사가 가능할지는 의문이 뒤따른다. 이에 민주당은 '내란죄 상설특검'을 곧 본회의에 상정할 계획이다. 상설특검은 일반특검과 달리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다. 또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3분의 2 이상 찬성이면 통과돼 민주당의 독자적 추진이 가능하다.정부와 여당은 난감할 뿐이다. 상설특검 통과 이후에도 사실상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길이 유일한 까닭에서다. 지난 11월 개정된 규칙에 따라 '대통령과 가족에 대한 상설특검 수사가 결정되면 대통령 소속 정당은 특검 추천이 불가능'하다. 단, 윤 대통령이 거부권 대신 임명을 미루는 '버티기 전략'에 나설 여지는 있다. 상설특검은 일반특검보다 제약은 많은 편이다. 검사는 최대 5명, 파견 공무원은 30명, 수사 기간은 60일로 규정하고 있다. 지금의 검·경·국방부·공수처 4중 수사에 계속 기대하는 경우보다는 효율적이고 엄정한 수사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절차와 결과 측면에서 얼마나 '짧고 강한'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한편 윤 대통령도 내란 혐의 피의자로 입건돼 어떤 결과가 나올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박세현 검찰 특수본부장은 12월 8일 언론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 관련 고발장이 워낙 많이 접수돼 입건 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고발이나 고소가 되면 피의자로 입건되는 게 절차"라고 밝혔다.박 본부장은 '검찰이 내란죄 수사 가능한지' 질의에는 "이 사건은 간단히 말해 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했고, 국헌 문란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게 핵심"이라며 "이 두 가지가 직권남용과 내란의 구성요건으로서, 과연 두 혐의 사이 관련성이 없는지 등은 국민들께서 쉽게 판단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검찰은 특수·공안·강력통 검사들을 대거 배치했다고 전해졌다. 현직 대통령의 내란죄 혐의 수사는 초유 사태인 만큼, 내부에서도 고심이 깊다고 한다. 한 공안검사 출신 변호사는 "유례가 없던 일이라 매우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며 "누구도 앞날을 전망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진단했다. 검사 출신 박진현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내란 혐의만 입증되면 '이론적으로는' 윤 대통령 체포도 가능하다"며 "대통령 면책특권에는 내란·외환죄가 제외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검찰이 내란죄를 직접 수사할 수 있는지가 모호하단 게 문제"라며 "직권남용 등 혐의로는 체포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검·경 동시다발에 상설특검도 추진…‘12·3 불법 계엄’ 수사 속도전 실상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18
‘동료 강제추행 혐의’ 초등학교 교사···선고유예로 교사직 유지
‘동료 강제추행 혐의’ 초등학교 교사···선고유예로 교사직 유지
교육공무원이 성범죄로 100만 원 이상 벌금형 선고 시 당연퇴직A씨 변호인 “우발적 범행, 추행의 정도 경미, 피해자의 처벌불원” 강조 술에 취해 동료 교사를 추행한 40대 초등학교 교사가 선고유예 판결을 받고 다시 교단에 복귀할 수 있게 된 사례가 나왔다.광주지방법원 형사4단독 이광헌 부장판사는 강제추행 혐의로 형사재판을 받아 온 A씨에게 벌금 500만 원 형의 선고를 유예했다. 선고유예는 유죄판결의 일종으로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미루고, 그 기간이 지나면 처벌을 면해주는 제도다.A씨는 2023년 10월 광주시 서구의 한 음식점에서 동료 교사들과 술을 마시다 피해자 B씨를 강제로 추행한 혐의를 받았다.경찰 조사에서 B씨는 옆자리에 앉아 있던 A씨가 몸을 만지는 등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했다고 주장했다.당시 A씨는 술에 만취한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A씨의 변호인은 재판에서 “교사 신분인 A씨는 이 사건으로 처벌을 받게 되면 오랜 시간 몸담아온 직장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면서, “사건 이후 A씨는 재범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피해자에게 진심으로 사죄하고 용서를 받은 점을 참작해달라”고 요청했다.재판부도 이를 받아들여 벌금형의 선고유예를 결정했다.이광헌 부장판사는 “피고인이 잘못을 깊이 뉘우치고, 재범하지 않을 것을 다짐하고 있는 점과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하여 피해자가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원치 않고 있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판결이유를 밝혔다.선고유예 판결로 A씨는 교직원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이 사건에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심가현 변호사는 “국가공무원법은 교육공무원이 성범죄로 1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으면 퇴직 처리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서, “과도한 음주로 인해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른 점, 추행의 정도가 비교적 약했던 점, 피해자 역시 처벌을 원치 않는 점 등이 받아들여진 덕분에 선고유예 처분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동료 강제추행 혐의’ 초등학교 교사···선고유예로 교사직 유지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18
‘동료 강제추행 혐의’ 초등학교 교사···선고유예로 교사직 유지
‘동료 강제추행 혐의’ 초등학교 교사···선고유예로 교사직 유지
교육공무원이 성범죄로 100만 원 이상 벌금형 선고 시 당연퇴직A씨 변호인 “우발적 범행, 추행의 정도 경미, 피해자의 처벌불원” 강조 술에 취해 동료 교사를 추행한 40대 초등학교 교사가 선고유예 판결을 받고 다시 교단에 복귀할 수 있게 된 사례가 나왔다.광주지방법원 형사4단독 이광헌 부장판사는 강제추행 혐의로 형사재판을 받아 온 A씨에게 벌금 500만 원 형의 선고를 유예했다. 선고유예는 유죄판결의 일종으로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미루고, 그 기간이 지나면 처벌을 면해주는 제도다.A씨는 2023년 10월 광주시 서구의 한 음식점에서 동료 교사들과 술을 마시다 피해자 B씨를 강제로 추행한 혐의를 받았다.경찰 조사에서 B씨는 옆자리에 앉아 있던 A씨가 몸을 만지는 등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했다고 주장했다.당시 A씨는 술에 만취한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A씨의 변호인은 재판에서 “교사 신분인 A씨는 이 사건으로 처벌을 받게 되면 오랜 시간 몸담아온 직장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면서, “사건 이후 A씨는 재범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피해자에게 진심으로 사죄하고 용서를 받은 점을 참작해달라”고 요청했다.재판부도 이를 받아들여 벌금형의 선고유예를 결정했다.이광헌 부장판사는 “피고인이 잘못을 깊이 뉘우치고, 재범하지 않을 것을 다짐하고 있는 점과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하여 피해자가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원치 않고 있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판결이유를 밝혔다.선고유예 판결로 A씨는 교직원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이 사건에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심가현 변호사는 “국가공무원법은 교육공무원이 성범죄로 1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으면 퇴직 처리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서, “과도한 음주로 인해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른 점, 추행의 정도가 비교적 약했던 점, 피해자 역시 처벌을 원치 않는 점 등이 받아들여진 덕분에 선고유예 처분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동료 강제추행 혐의’ 초등학교 교사···선고유예로 교사직 유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18
"병역 피하려 일부러 체중 줄였다?" 무혐의 받은 20대
"병역 피하려 일부러 체중 줄였다?" 무혐의 받은 20대
군 복무를 회피하기 위해 일부러 체중을 줄인 혐의를 받는 2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18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1일 병역법 위반 혐의로 고발된 20대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 병역 판정 검사를 통해 사회복무요원 처분을 받았으나 이 과정에서 사우나에 방문해 땀을 빼는 등 고의로 체중을 감량한 혐의입니다.A씨에 대한 검사가 이뤄진 2019년에는 BMI 지수가 17 미만이면 신체 등급 4급으로 분류돼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가 가능했습니다.실제 A씨는 첫 검사 당시 BMI 지수가 16.7로 측정돼 4급 판정을 받았으나, 일단 불시 측정 대상자로 보류됐습니다.이후 몇 달 뒤 실시된 검사에서도 BMI가 16.9로 나오면서, A씨는 신체등급 4급을 최종 판정받았습니다.이와 관련 A씨의 지인이 병역 기피 의혹을 제기하며 수사선상에 올랐으나,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자신은 타고난 마른 체질로 고등학교 때부터 저체중인 상태를 유지했다는 주장입니다.검찰 또한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검찰은 "병역판정검사 당시 불시 측정 대상자로 선정된 사실을 알았음에도 이후 불시 측정 때 BMI 지수가 오히려 상승했다"며 "만약 피의자가 고의로 체중을 감량할 목적이 있었다면 첫 검사 때보다 더 적은 BMI 수치가 나오도록 조절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성익 변호사는 "사람은 생활 패턴에 따라 1년간 체중의 1~2kg 정도는 변동이 가능하다"며 "A씨는 고등학교 때 일시적으로 BMI 지수 17을 넘긴 적이 있지만, 불규칙한 생활 패턴으로 인해 다시 수치가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저체중인 A씨가 사우나에 가서 땀을 빼는 것으로 체중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고 보기 힘들고, 사우나에서의 체중 감량만 믿고 병역 기피를 시도했다는 것도 경험칙상 납득하기 어려웠다"며 "수사 기관 역시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무혐의 처분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병역 피하려 일부러 체중 줄였다?" 무혐의 받은 20대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18
"병역 피하려 일부러 체중 줄였다?" 무혐의 받은 20대
"병역 피하려 일부러 체중 줄였다?" 무혐의 받은 20대
군 복무를 회피하기 위해 일부러 체중을 줄인 혐의를 받는 2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18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1일 병역법 위반 혐의로 고발된 20대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19년 병역 판정 검사를 통해 사회복무요원 처분을 받았으나 이 과정에서 사우나에 방문해 땀을 빼는 등 고의로 체중을 감량한 혐의입니다.A씨에 대한 검사가 이뤄진 2019년에는 BMI 지수가 17 미만이면 신체 등급 4급으로 분류돼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가 가능했습니다.실제 A씨는 첫 검사 당시 BMI 지수가 16.7로 측정돼 4급 판정을 받았으나, 일단 불시 측정 대상자로 보류됐습니다.이후 몇 달 뒤 실시된 검사에서도 BMI가 16.9로 나오면서, A씨는 신체등급 4급을 최종 판정받았습니다.이와 관련 A씨의 지인이 병역 기피 의혹을 제기하며 수사선상에 올랐으나, 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자신은 타고난 마른 체질로 고등학교 때부터 저체중인 상태를 유지했다는 주장입니다.검찰 또한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검찰은 "병역판정검사 당시 불시 측정 대상자로 선정된 사실을 알았음에도 이후 불시 측정 때 BMI 지수가 오히려 상승했다"며 "만약 피의자가 고의로 체중을 감량할 목적이 있었다면 첫 검사 때보다 더 적은 BMI 수치가 나오도록 조절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성익 변호사는 "사람은 생활 패턴에 따라 1년간 체중의 1~2kg 정도는 변동이 가능하다"며 "A씨는 고등학교 때 일시적으로 BMI 지수 17을 넘긴 적이 있지만, 불규칙한 생활 패턴으로 인해 다시 수치가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그러면서 "저체중인 A씨가 사우나에 가서 땀을 빼는 것으로 체중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고 보기 힘들고, 사우나에서의 체중 감량만 믿고 병역 기피를 시도했다는 것도 경험칙상 납득하기 어려웠다"며 "수사 기관 역시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무혐의 처분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병역 피하려 일부러 체중 줄였다?" 무혐의 받은 20대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4곳
2024-12-17
대륜, 美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이민·해외 진출 지원
대륜, 美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이민·해외 진출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미국 부동산 종합 플랫폼 코리니(Koriny)와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민, 해외 진출 및 확장 등을 준비하는 국내 개인, 기업 고객들에게 글로벌 로펌 차원의 현지 맞춤형 법률자문 및 컨설팅부터 현지 부동산 임차, 매매 등 중개 업무지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번 MOU는 지난 12일 체결됐으며, 양사는 현지 변호사 등 전문가를 통해 고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맞춤형 법률자문 및 컨설팅과 부동산 서비스를 보장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코리니는 2017년 미국 뉴욕을 기반으로 설립된 부동산 종합 솔루션 플랫폼 기업이다. 뉴욕 맨해튼 내 '4 월드 트레이드 센터'에 본사를 두고 있는 코리니는 주거·상업용 부동산의 임대와 매매 컨설팅, 렌트 서비스 등 부동산 업무를 넘어 자산 관리, 기업의 미국 진출 지원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뉴욕을 포함해 뉴저지, 보스턴, LA, 하와이, 마이애미까지 서비스 지역이 확대됐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미국 진출을 희망하는 개인과 기업에게 신속하고 확실한 현지 정착과 안정된 사업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법률 컨설팅을 포함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먼저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는 이민 준비부터 현지 부동산 매매 및 임차 법률 컨설팅까지 종합적인 서비스를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비자 신청 자격 등 이민 절차 상담 △미국 내 부동산 매매와 임차계약서 법적 검토 △이민 후 발생할 수 있는 세금 등 재정 관련 자문 등에서 조력할 예정이다. 또 기업에는 해외 법인 설립부터 오피스 매매 및 자산 관리, 운영 지원 등 프리미엄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상세하게는 △법인 설립 자격 및 요구 사항 검토 △미국 내 오피스 매매 계약 조력 △미국 노동법 등 비즈니스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등에서 도움을 제공한다. 코리니 문태영 대표이사는 "한국을 넘어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중인 대륜과의 MOU로 미국 진출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더욱 큰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며 "개인과 기업에게 필요한 모든 법적, 실무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대륜과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라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코리니와의 MOU를 통해 관련 법률 서비스와 부동산 컨설팅을 한 번에 제공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며 "대륜의 미국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전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륜은 일본 도쿄에 이어 미국 뉴욕에 사무소 개소 준비하는 등 세계 법조 시장으로의 진출에 나서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대륜, 美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이민·해외 진출 지원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美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MOU…이민·해외 진출 원스톱 지원 (바로가기) SNN - 대륜, 美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MOU…이민·해외 진출 맞춤형 지원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코리니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4곳
2024-12-17
대륜, 美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이민·해외 진출 지원
대륜, 美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이민·해외 진출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미국 부동산 종합 플랫폼 코리니(Koriny)와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민, 해외 진출 및 확장 등을 준비하는 국내 개인, 기업 고객들에게 글로벌 로펌 차원의 현지 맞춤형 법률자문 및 컨설팅부터 현지 부동산 임차, 매매 등 중개 업무지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번 MOU는 지난 12일 체결됐으며, 양사는 현지 변호사 등 전문가를 통해 고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맞춤형 법률자문 및 컨설팅과 부동산 서비스를 보장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코리니는 2017년 미국 뉴욕을 기반으로 설립된 부동산 종합 솔루션 플랫폼 기업이다. 뉴욕 맨해튼 내 '4 월드 트레이드 센터'에 본사를 두고 있는 코리니는 주거·상업용 부동산의 임대와 매매 컨설팅, 렌트 서비스 등 부동산 업무를 넘어 자산 관리, 기업의 미국 진출 지원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뉴욕을 포함해 뉴저지, 보스턴, LA, 하와이, 마이애미까지 서비스 지역이 확대됐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미국 진출을 희망하는 개인과 기업에게 신속하고 확실한 현지 정착과 안정된 사업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법률 컨설팅을 포함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먼저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는 이민 준비부터 현지 부동산 매매 및 임차 법률 컨설팅까지 종합적인 서비스를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비자 신청 자격 등 이민 절차 상담 △미국 내 부동산 매매와 임차계약서 법적 검토 △이민 후 발생할 수 있는 세금 등 재정 관련 자문 등에서 조력할 예정이다. 또 기업에는 해외 법인 설립부터 오피스 매매 및 자산 관리, 운영 지원 등 프리미엄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상세하게는 △법인 설립 자격 및 요구 사항 검토 △미국 내 오피스 매매 계약 조력 △미국 노동법 등 비즈니스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등에서 도움을 제공한다. 코리니 문태영 대표이사는 "한국을 넘어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중인 대륜과의 MOU로 미국 진출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더욱 큰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며 "개인과 기업에게 필요한 모든 법적, 실무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대륜과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라 말했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코리니와의 MOU를 통해 관련 법률 서비스와 부동산 컨설팅을 한 번에 제공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며 "대륜의 미국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전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륜은 일본 도쿄에 이어 미국 뉴욕에 사무소 개소 준비하는 등 세계 법조 시장으로의 진출에 나서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대륜, 美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이민·해외 진출 지원 (바로가기) 조세일보 - 대륜, 美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MOU…이민·해외 진출 원스톱 지원 (바로가기) SNN - 대륜, 美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와 MOU…이민·해외 진출 맞춤형 지원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코리니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17
마약 범죄, 초범이라도 구속 수사 될 수 있어…절차별 대응 필수
마약 범죄, 초범이라도 구속 수사 될 수 있어…절차별 대응 필수
최근 마약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거론되는 가운데, 경찰에 붙잡힌 마약사범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마약사범 184명이 검거됐는데,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94명이 붙잡힌 것과 대비해 약 95.7% 증가한 수치다. 투약에 사용되는 마약 종류 또한 확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대마, 필로폰 등 한정적인 종류 안에서만 이뤄졌다면 요즘은 코카인, 엑스터시, 야바 등으로 범위가 넓어졌다. 여기에 병·의원을 중심으로 프로포폴 등의 의료용 마약류가 오남용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최근에는 마약 유통 경로가 다양해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전과 달리 텔레그램 등 SNS를 통해 마약을 사고파는 사례가 다수 적발되면서다. 여기에 자신도 모르게 마약을 투약하는 상황도 발생하며 범죄 수법이 교묘해지는 모습이다. 지난해 서울의 한 학원가에서는 범죄 조직 일당이 수험생들에게 '공부 잘하는 약'이라며 마약이 섞인 음료를 복용하도록 권한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마약 투약은 개인의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키고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형량이 가볍지 않다. 최근 클럽이나 유흥주점 등 유흥가를 중심으로 유통 중인 것으로 알려진 케타민이나 엑스터시를 투약하는 경우 최대 10년의 징역 또는 1억원의 벌금형이 선고된다. 널리 알려진 대마의 경우에도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또 마약은 단순하게 소지만 하고 있어도 처벌 대상이 된다. 투약이 행해지지 않았더라도 복용이나 판매 등 다른 범죄 행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실형이 선고될 수 있다. 마약 유통에 관여하는 운반책 혐의를 받는 경우에도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사법부는 이러한 마약 범죄에 대해 엄중하게 대처하겠다는 방침이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지난 7월부터 강화된 마약 범죄 양형 기준을 적용해 시행 중이다. 변경된 기준에는 마약 대량 유통범, 대마 단순 소지 등 마약 범죄 처벌 수위를 높이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청소년 마약 문제가 대두됐던 만큼 미성년자에게 마약을 판매·수수하는 행위에 대해 최대 무기징역까지 기준 범위를 확대했다.실제 법원의 처벌 역시 점점 무거워지고 있는 추세다. 대검찰청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재판에 넘겨진 마약 사범 가운데 1심에서 10년 이상이 선고된 비율이 2년 사이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따라서 마약 범죄에 연루된 경우 경찰 조사 단계에서부터 법원에 이르기까지 절차별로 취해야 할 전략을 세워야 한다. 개인이 혼자 해결한다면 법적 요인을 잘못 해석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경험이 많은 변호사 등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대응하는 것이 필수다.만약 마약인지 모르고 투약했거나 타인에 의해 강제로 투약이 이뤄진 경우라면 투약 경위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당시 마약인지 모르고 투약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그 이후 추가로 투약이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을 중점으로 주장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대처 방안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기사전문보기] 마약 범죄, 초범이라도 구속 수사 될 수 있어…절차별 대응 필수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17
마약 범죄, 초범이라도 구속 수사 될 수 있어…절차별 대응 필수
마약 범죄, 초범이라도 구속 수사 될 수 있어…절차별 대응 필수
최근 마약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거론되는 가운데, 경찰에 붙잡힌 마약사범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마약사범 184명이 검거됐는데,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94명이 붙잡힌 것과 대비해 약 95.7% 증가한 수치다. 투약에 사용되는 마약 종류 또한 확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대마, 필로폰 등 한정적인 종류 안에서만 이뤄졌다면 요즘은 코카인, 엑스터시, 야바 등으로 범위가 넓어졌다. 여기에 병·의원을 중심으로 프로포폴 등의 의료용 마약류가 오남용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최근에는 마약 유통 경로가 다양해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전과 달리 텔레그램 등 SNS를 통해 마약을 사고파는 사례가 다수 적발되면서다. 여기에 자신도 모르게 마약을 투약하는 상황도 발생하며 범죄 수법이 교묘해지는 모습이다. 지난해 서울의 한 학원가에서는 범죄 조직 일당이 수험생들에게 '공부 잘하는 약'이라며 마약이 섞인 음료를 복용하도록 권한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마약 투약은 개인의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키고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형량이 가볍지 않다. 최근 클럽이나 유흥주점 등 유흥가를 중심으로 유통 중인 것으로 알려진 케타민이나 엑스터시를 투약하는 경우 최대 10년의 징역 또는 1억원의 벌금형이 선고된다. 널리 알려진 대마의 경우에도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또 마약은 단순하게 소지만 하고 있어도 처벌 대상이 된다. 투약이 행해지지 않았더라도 복용이나 판매 등 다른 범죄 행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실형이 선고될 수 있다. 마약 유통에 관여하는 운반책 혐의를 받는 경우에도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사법부는 이러한 마약 범죄에 대해 엄중하게 대처하겠다는 방침이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지난 7월부터 강화된 마약 범죄 양형 기준을 적용해 시행 중이다. 변경된 기준에는 마약 대량 유통범, 대마 단순 소지 등 마약 범죄 처벌 수위를 높이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청소년 마약 문제가 대두됐던 만큼 미성년자에게 마약을 판매·수수하는 행위에 대해 최대 무기징역까지 기준 범위를 확대했다.실제 법원의 처벌 역시 점점 무거워지고 있는 추세다. 대검찰청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재판에 넘겨진 마약 사범 가운데 1심에서 10년 이상이 선고된 비율이 2년 사이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따라서 마약 범죄에 연루된 경우 경찰 조사 단계에서부터 법원에 이르기까지 절차별로 취해야 할 전략을 세워야 한다. 개인이 혼자 해결한다면 법적 요인을 잘못 해석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경험이 많은 변호사 등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대응하는 것이 필수다.만약 마약인지 모르고 투약했거나 타인에 의해 강제로 투약이 이뤄진 경우라면 투약 경위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당시 마약인지 모르고 투약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그 이후 추가로 투약이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을 중점으로 주장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대처 방안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기사전문보기] 마약 범죄, 초범이라도 구속 수사 될 수 있어…절차별 대응 필수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17
‘부동산실명법 위반’, 3억원대 과징금 공방…결말은?
‘부동산실명법 위반’, 3억원대 과징금 공방…결말은?
A씨, 16년 만에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절차 완료…수억원대 과징금 부과1·2심 재판부 “등기 지연 사유 인정돼…처분 적법 사유 없어” 과징금 취소 장기간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 절차를 이행하지 않았어도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서울고등법원 행정6-1부(황의동·위광하·백승엽 부장판사)는 지난달 13일 40대 A씨가 서울 종로구청장을 상대로 낸 과징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린 원심을 유지했다.A씨는 2006년 2월 동생으로부터 서울 종로구의 한 토지를 12억 원에 매수한 뒤 같은 해 3월 고물상 영업을 시작했다.이후 A씨는 16년여 만인 2022년 소유권 이전 등기 절차를 마쳤다.담당 지자체인 종로구청은 A씨에게 3억 8000여 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A씨가 장기 미등기자에 해당한다는 이유에서다.부동산실명법에 따르면, 실명전환의 유예기간이 경과하도록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하지 않을 시 부동산 가액의 100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의 범위에서 과징금이 부과된다.A씨는 이 같은 과징금 부과 처분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A씨 측은 “해당 토지에 대한 매매대금 지급이 늦어지면서 관련 소송이 제기돼 등기 절차가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그러면서 “등기를 신청하지 못할 정당한 사유가 있었음에도 지자체가 과징금을 부과했고, 이는 처분에 하자가 있음을 명백하게 보여준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과징금 부과 처분 취소를 선고했다. 법원은 “미지급액이 전체 매매대금의 약 7%에 불과하더라도 이를 매매대금 지급 완료로 보기 어렵다”면서 “이에 따라 이 사건은 처분의 적법 사유를 갖췄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종로구청 측은 즉각 항소에 나섰지만, 2심 재판부 역시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서울고법은 “항고소송에서 처분의 적법성에 대한 증명책임은 원칙적으로 그 처분의 적법을 주장하는 처분청에 있다”며 “피고의 항소 이유는 1심에서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고, 과징금 취소 처분은 정당하다고 인정된다”며 항소 기각 이유를 밝혔다.A씨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준희 변호사는 “이 사건 처분 당시까지도 해당 토지를 둘러싼 매매대금 정산이 완료되지 않았다. 피고는 이러한 사실관계를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를 부인하며 처분을 유지하고자 했다”며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그 하자가 중대해 마땅히 취소돼야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본적인 사실관계가 동일하다고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별개의 사실을 들어 처분사유를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부동산실명법 위반’, 3억원대 과징금 공방…결말은?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17
‘부동산실명법 위반’, 3억원대 과징금 공방…결말은?
‘부동산실명법 위반’, 3억원대 과징금 공방…결말은?
A씨, 16년 만에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절차 완료…수억원대 과징금 부과1·2심 재판부 “등기 지연 사유 인정돼…처분 적법 사유 없어” 과징금 취소 장기간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 절차를 이행하지 않았어도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서울고등법원 행정6-1부(황의동·위광하·백승엽 부장판사)는 지난달 13일 40대 A씨가 서울 종로구청장을 상대로 낸 과징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린 원심을 유지했다.A씨는 2006년 2월 동생으로부터 서울 종로구의 한 토지를 12억 원에 매수한 뒤 같은 해 3월 고물상 영업을 시작했다.이후 A씨는 16년여 만인 2022년 소유권 이전 등기 절차를 마쳤다.담당 지자체인 종로구청은 A씨에게 3억 8000여 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A씨가 장기 미등기자에 해당한다는 이유에서다.부동산실명법에 따르면, 실명전환의 유예기간이 경과하도록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하지 않을 시 부동산 가액의 100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의 범위에서 과징금이 부과된다.A씨는 이 같은 과징금 부과 처분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A씨 측은 “해당 토지에 대한 매매대금 지급이 늦어지면서 관련 소송이 제기돼 등기 절차가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그러면서 “등기를 신청하지 못할 정당한 사유가 있었음에도 지자체가 과징금을 부과했고, 이는 처분에 하자가 있음을 명백하게 보여준다”고 강조했다.1심 재판부는 과징금 부과 처분 취소를 선고했다. 법원은 “미지급액이 전체 매매대금의 약 7%에 불과하더라도 이를 매매대금 지급 완료로 보기 어렵다”면서 “이에 따라 이 사건은 처분의 적법 사유를 갖췄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종로구청 측은 즉각 항소에 나섰지만, 2심 재판부 역시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서울고법은 “항고소송에서 처분의 적법성에 대한 증명책임은 원칙적으로 그 처분의 적법을 주장하는 처분청에 있다”며 “피고의 항소 이유는 1심에서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고, 과징금 취소 처분은 정당하다고 인정된다”며 항소 기각 이유를 밝혔다.A씨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준희 변호사는 “이 사건 처분 당시까지도 해당 토지를 둘러싼 매매대금 정산이 완료되지 않았다. 피고는 이러한 사실관계를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를 부인하며 처분을 유지하고자 했다”며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그 하자가 중대해 마땅히 취소돼야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본적인 사실관계가 동일하다고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별개의 사실을 들어 처분사유를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부동산실명법 위반’, 3억원대 과징금 공방…결말은? (바로가기)
YTN
2024-12-17
[Y초점] 뉴진스→'뉴진즈'로 팀명 변경? 보는 것도 아찔한 법적 줄타기
[Y초점] 뉴진스→'뉴진즈'로 팀명 변경? 보는 것도 아찔한 법적 줄타기
소속사 어도어와 전속계약 해지를 주장한 그룹 뉴진스(NewJeans)가 최근 새롭게 개설한 SNS로 인해 팀명을 바꿔 활동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뉴진스는 지난 14일 '진즈포프리(jeanzforfree)'라는 새로운 SNS 채널을 개설하고, 상징 동물인 토끼가 고깔모자를 쓴 이미지를 게재해 전 대표 민희진의 생일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앞서 이들은 일본 혼성 그룹 요아소비의 내한 콘서트에서도 팀명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무대를 펼친 바 있어, 일각에서는 소속사 어도어와의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하지만 이날 '진즈포프리' 채널이 개설되면서 일부에서는 뉴진스가 팀명에서 한 글자만 바꾼 '뉴진즈'라는 이름으로 새 출발을 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됐다. 상표권 분쟁을 길게 끌기보다 '뉴진즈'로의 개명이라는 더 쉽고 빠른 해결책을 택한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이와 관련해 현재 뉴진스는 공식적으로 '뉴진즈'로의 개명을 발표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들이 '뉴진즈'로의 개명을 선택한다면 실제로 법적인 효력을 발휘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상표법상 '뉴진즈'로의 활동도 불가능하다는 것이 법률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법무법인 대륜의 지식 재산권 전문가 김태환 변호사는 YTN에 "우선 New jeans와 관련한 상표권은 주식회사 어도어에 속해 있다. 어도어는 영어 표장 외에 한글 표장 '뉴진스'에 대해서는 상표권 출원을 하지 않았지만 호칭의 동일성과 유사성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기 때문에 '뉴진즈' 역시 침해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이어 김 변호사는 "일반적인 경우 뉴진스가 어도어와 관련이 없는 '제3자'라면 어도어가 상표권 침해를 주장할 경우 침해가 인정될 가능성이 높다. 뉴진스가 아무런 고민 없이 이 이름을 쓴 것인지 숨은 의도를 가지고 사용하기로 한 것인지는 추가적으로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그는 어도어가 제기한 전속계약 유효 확인의 소에도 주목했다. 김 변호사는 "어도어가 승소할 경우에는 뉴진스는 어도어의 소속 가수가 되기 때문에 상표권 침해 주장에서 이들은 '제3자'로 볼 수 있느냐가 쟁점이 된다. 반대로 전속계약 무효 확인이 된다면 뉴진스 멤버들은 자신들의 존재가 오랜 법적 공방으로 장기간 활동을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취한 조치였다는 것을 어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특히, 김 변호사는 "뉴진스가 위 확인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어도어 소속임을 확인됐다면 소속 가수로서 다시 돌아가야 한다. 만약 판결에도 불구하고 활동을 이어간다면 소속 가수로의 약정 위반으로 막대한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며 "여기에 어도어는 전속계약에 대한 활동 금지도 청구할 수 있어 법적인 판단에 따라 가수 활동을 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현재 상황을 진단했다.이처럼 뉴진스는 긴급 기자회견을 통한 전속계약 해지 통보, 회견 이후의 활동, 이번 새 SNS 채널 개설로 인한 팀명 변경설까지 법적으로 시비를 가려야 하는 행보를 걷고 있다. 보기에도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고 있는 뉴진스는 언제쯤 다시 '아이돌'로 돌아올 수 있을까. [기사전문보기] [Y초점] 뉴진스→'뉴진즈'로 팀명 변경? 보는 것도 아찔한 법적 줄타기 (바로가기)
YTN
2024-12-17
[Y초점] 뉴진스→'뉴진즈'로 팀명 변경? 보는 것도 아찔한 법적 줄타기
[Y초점] 뉴진스→'뉴진즈'로 팀명 변경? 보는 것도 아찔한 법적 줄타기
소속사 어도어와 전속계약 해지를 주장한 그룹 뉴진스(NewJeans)가 최근 새롭게 개설한 SNS로 인해 팀명을 바꿔 활동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뉴진스는 지난 14일 '진즈포프리(jeanzforfree)'라는 새로운 SNS 채널을 개설하고, 상징 동물인 토끼가 고깔모자를 쓴 이미지를 게재해 전 대표 민희진의 생일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앞서 이들은 일본 혼성 그룹 요아소비의 내한 콘서트에서도 팀명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무대를 펼친 바 있어, 일각에서는 소속사 어도어와의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하지만 이날 '진즈포프리' 채널이 개설되면서 일부에서는 뉴진스가 팀명에서 한 글자만 바꾼 '뉴진즈'라는 이름으로 새 출발을 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됐다. 상표권 분쟁을 길게 끌기보다 '뉴진즈'로의 개명이라는 더 쉽고 빠른 해결책을 택한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이와 관련해 현재 뉴진스는 공식적으로 '뉴진즈'로의 개명을 발표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들이 '뉴진즈'로의 개명을 선택한다면 실제로 법적인 효력을 발휘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상표법상 '뉴진즈'로의 활동도 불가능하다는 것이 법률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법무법인 대륜의 지식 재산권 전문가 김태환 변호사는 YTN에 "우선 New jeans와 관련한 상표권은 주식회사 어도어에 속해 있다. 어도어는 영어 표장 외에 한글 표장 '뉴진스'에 대해서는 상표권 출원을 하지 않았지만 호칭의 동일성과 유사성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기 때문에 '뉴진즈' 역시 침해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이어 김 변호사는 "일반적인 경우 뉴진스가 어도어와 관련이 없는 '제3자'라면 어도어가 상표권 침해를 주장할 경우 침해가 인정될 가능성이 높다. 뉴진스가 아무런 고민 없이 이 이름을 쓴 것인지 숨은 의도를 가지고 사용하기로 한 것인지는 추가적으로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그는 어도어가 제기한 전속계약 유효 확인의 소에도 주목했다. 김 변호사는 "어도어가 승소할 경우에는 뉴진스는 어도어의 소속 가수가 되기 때문에 상표권 침해 주장에서 이들은 '제3자'로 볼 수 있느냐가 쟁점이 된다. 반대로 전속계약 무효 확인이 된다면 뉴진스 멤버들은 자신들의 존재가 오랜 법적 공방으로 장기간 활동을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취한 조치였다는 것을 어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특히, 김 변호사는 "뉴진스가 위 확인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어도어 소속임을 확인됐다면 소속 가수로서 다시 돌아가야 한다. 만약 판결에도 불구하고 활동을 이어간다면 소속 가수로의 약정 위반으로 막대한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며 "여기에 어도어는 전속계약에 대한 활동 금지도 청구할 수 있어 법적인 판단에 따라 가수 활동을 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현재 상황을 진단했다.이처럼 뉴진스는 긴급 기자회견을 통한 전속계약 해지 통보, 회견 이후의 활동, 이번 새 SNS 채널 개설로 인한 팀명 변경설까지 법적으로 시비를 가려야 하는 행보를 걷고 있다. 보기에도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고 있는 뉴진스는 언제쯤 다시 '아이돌'로 돌아올 수 있을까. [기사전문보기] [Y초점] 뉴진스→'뉴진즈'로 팀명 변경? 보는 것도 아찔한 법적 줄타기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16
직장내 괴롭힘에 항의시위했다가 명예훼손 피소···‘특정성 없어’ 불기소
직장내 괴롭힘에 항의시위했다가 명예훼손 피소···‘특정성 없어’ 불기소
공개장소에서 명예훼손 내용 담긴 피켓 시위해 고소···경찰은 혐의 인정해 검찰송치검찰은 “피켓에 인적사항 등 내용 없어···고소인 특정 어렵다” 불기소 결정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처분에 불복해 피켓 시위에 나섰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한 회사원들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청주지방검찰청은 명예훼손 혐의로 송치된 회사원 A씨 등 3인에 대해 지난달 8일 불기소 처분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들은 2023년 4월 회사 내·외부의 공개된 장소에서 동료 직원 B씨를 겨냥한 피켓 시위를 벌여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당시 B씨는 이들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로 지목된 상태였다.B씨는 세 사람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시위에 사용된 피켓에 자신의 명예를 실추시킬만한 문구가 담겨있었다는 이유에서였다.이들은 피켓에는 특정인을 나타내는 정보가 적혀있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당시 사내에서는 비슷한 내용의 다른 사건 조사가 진행되고 있었고, 피켓의 문구만으로는 시위 대상이 B씨임을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그러데, 경찰은 명예훼손 혐의가 인정된다고 봤다. 회사에 관련 소문이 이미 퍼진 상황을 감안할 때, 피켓 문구의 당사자가 B씨임을 파악하기가 어렵지 않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하지만 검찰의 판단은 달랐다. 검찰은 “피켓 내용에 고소인이나 피의자의 인적사항, 근무 부서 등을 알 수 있는 표현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면서, “소문이 돌고 있었다는 것만으로 제3자가 피켓 내용이 고소인임을 알기 어렵다”며 무혐의 불기소결정을 했다.피의자 측을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인원 변호사는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려면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길 만큼의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해야만 한다”면서, “이번 사건의 피켓 내용은 구체적 사실이 아닌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호소하는 감정 표현이었기에 명예훼손죄 성립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직장내 괴롭힘에 항의시위했다가 명예훼손 피소···‘특정성 없어’ 불기소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16
직장내 괴롭힘에 항의시위했다가 명예훼손 피소···‘특정성 없어’ 불기소
직장내 괴롭힘에 항의시위했다가 명예훼손 피소···‘특정성 없어’ 불기소
공개장소에서 명예훼손 내용 담긴 피켓 시위해 고소···경찰은 혐의 인정해 검찰송치검찰은 “피켓에 인적사항 등 내용 없어···고소인 특정 어렵다” 불기소 결정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처분에 불복해 피켓 시위에 나섰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한 회사원들이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청주지방검찰청은 명예훼손 혐의로 송치된 회사원 A씨 등 3인에 대해 지난달 8일 불기소 처분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들은 2023년 4월 회사 내·외부의 공개된 장소에서 동료 직원 B씨를 겨냥한 피켓 시위를 벌여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당시 B씨는 이들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로 지목된 상태였다.B씨는 세 사람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시위에 사용된 피켓에 자신의 명예를 실추시킬만한 문구가 담겨있었다는 이유에서였다.이들은 피켓에는 특정인을 나타내는 정보가 적혀있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당시 사내에서는 비슷한 내용의 다른 사건 조사가 진행되고 있었고, 피켓의 문구만으로는 시위 대상이 B씨임을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그러데, 경찰은 명예훼손 혐의가 인정된다고 봤다. 회사에 관련 소문이 이미 퍼진 상황을 감안할 때, 피켓 문구의 당사자가 B씨임을 파악하기가 어렵지 않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하지만 검찰의 판단은 달랐다. 검찰은 “피켓 내용에 고소인이나 피의자의 인적사항, 근무 부서 등을 알 수 있는 표현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면서, “소문이 돌고 있었다는 것만으로 제3자가 피켓 내용이 고소인임을 알기 어렵다”며 무혐의 불기소결정을 했다.피의자 측을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인원 변호사는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려면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길 만큼의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해야만 한다”면서, “이번 사건의 피켓 내용은 구체적 사실이 아닌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호소하는 감정 표현이었기에 명예훼손죄 성립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직장내 괴롭힘에 항의시위했다가 명예훼손 피소···‘특정성 없어’ 불기소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2-16
법무법인(유한) 대륜, 충남 서산에 42번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유한) 대륜, 충남 서산에 42번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충남 서산에 새로운 분사무소를 개소하고 지역 특색을 고려한 맞춤형 법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16일 밝혔다. 서산 분사무소는 서산의 중심지인 읍내동에 자리잡아 접근성이 뛰어나다. 이와 함께 시청과 경찰서 등 주요 공공기관이 근처에 위치해 있어 행정적인 업무와의 연계도 용이하다. 서산은 갯벌 자원이 풍부하고 마늘, 감자 등 특산물이 많아 농·수산업 및 환경 관련 법적 분쟁에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대륜은 이러한 지역 특징을 반영해 농·수산업자에게 필요한 법률 지원 및 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서산은 테크노밸리를 비롯한 여러 산업단지들이 자리잡은 만큼 산업재해 및 기업 관련 소송에 대한 법적 수요도 높다. 대륜은 노동·기업 관련 분쟁 해결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서산 지역의 기업과 근로자들에게 효율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노사 계약 자문 △노동 및 인사 관련 분쟁 해결 △사업 운영 관련 법적 자문 및 각종 규제 대응 등에서 적극적으로 조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도 일반 형사사건, 이혼, 부동산, 민사 등 사건에서 지역민에 대한 법적 조력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서산은 자연과 산업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으로 법적 수요에 대한 분야 또한 매우 다양하다"며 "이번 서산 사무소 개소를 통해 서산 주민들과 기업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륜은 앞으로도 전국 어디서나 쉽고 편하게 서울 본사 차원의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 법률 사각지대 해소에 더욱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유한) 대륜, 충남 서산에 42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2-16
법무법인(유한) 대륜, 충남 서산에 42번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유한) 대륜, 충남 서산에 42번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충남 서산에 새로운 분사무소를 개소하고 지역 특색을 고려한 맞춤형 법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16일 밝혔다. 서산 분사무소는 서산의 중심지인 읍내동에 자리잡아 접근성이 뛰어나다. 이와 함께 시청과 경찰서 등 주요 공공기관이 근처에 위치해 있어 행정적인 업무와의 연계도 용이하다. 서산은 갯벌 자원이 풍부하고 마늘, 감자 등 특산물이 많아 농·수산업 및 환경 관련 법적 분쟁에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대륜은 이러한 지역 특징을 반영해 농·수산업자에게 필요한 법률 지원 및 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서산은 테크노밸리를 비롯한 여러 산업단지들이 자리잡은 만큼 산업재해 및 기업 관련 소송에 대한 법적 수요도 높다. 대륜은 노동·기업 관련 분쟁 해결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서산 지역의 기업과 근로자들에게 효율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노사 계약 자문 △노동 및 인사 관련 분쟁 해결 △사업 운영 관련 법적 자문 및 각종 규제 대응 등에서 적극적으로 조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도 일반 형사사건, 이혼, 부동산, 민사 등 사건에서 지역민에 대한 법적 조력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서산은 자연과 산업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으로 법적 수요에 대한 분야 또한 매우 다양하다"며 "이번 서산 사무소 개소를 통해 서산 주민들과 기업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륜은 앞으로도 전국 어디서나 쉽고 편하게 서울 본사 차원의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 법률 사각지대 해소에 더욱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법무법인(유한) 대륜, 충남 서산에 42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12-13
"K-로펌의 저력 보여줄 것"… 대륜,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높여
"K-로펌의 저력 보여줄 것"… 대륜,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높여
일본 사무소 개소 막바지…뉴욕 진출 작업도 본격화김국일 대표 "국내 대형로펌 타이틀에 안주하지 않아…세계 시장 노릴 것" 국내 법률시장의 정체로 다수의 대형 로펌들이 해외 법률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현재까지 국내 대형 로펌들은 주로 아시아 국가들에 사무소를 두고 운영을 하는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아시아를 넘어 미국 사무소 개소를 목표로 움직이고 있는 로펌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법무법인 대륜(경영총괄대표 김국일·고병준)은 13일 "국내에서 대형로펌으로써의 입지를 다지고, 국내시장을 넘어 해외 법률시장 개척에 나선다"고 밝혔다.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대륜만의 법률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이러한 독자적인 기술적·서비스적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대륜만의 고객 맞춤형 시스템이 이제는 해외 로펌들과 경쟁할 수준이 됐다는 게 대륜 관계자의 판단이다.특히, 기존 해외 진출 로펌들이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돕는 식으로 해외 사무소 운영을 해왔다고 한다면 이와 달리 대륜은 각국 현지의 기업과 국민을 주 고객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로펌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실질적인 외화 수익을 올려 K-로펌의 선두주자로 국익 창출에도 힘쓴다는 계획이다.대륜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달 뉴욕을 방문해 현지 변호사 영입을 위한 미팅과 사무소 자리를 알아본 것으로 안다"며 "국내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진 대륜이 해외 법조시장에 출사표를 던짐으로써 앞으로의 행보에 주목해 달라"고 전했다.그는 "오랜 시간 구축해 온 대륜의 시스템을 이제 해외 시장에 선보일 차례"라며 "해외에 진출하면서 현지 굴지의 로펌들과 경쟁하며, 국내 대형로펌의 전문성을 세계에 알리겠다. 이를 통해 국내 법률시장에도 수혜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대륜의 목표는 단순한 해외 사무소 설립에 그치지 않는다. 치밀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해외 사무소가 독자적인 수익을 올리고, 외국 법인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적극 돕는다는 계획이다.국익 창출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세계 곳곳에 분포돼 있는 고객들에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선보이며 한국 시장을 널리 알리고, 외화 벌이 등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대륜은 해외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일단 적극적인 인재 영입에 나설 계획이다. 국내 변호사의 해외 파견은 물론 현지 변호사 채용도 대규모로 진행한다. 현지법은 물론이고 법률 관행과 문화 등에도 능통한 변호사들을 통해 법률 서비스 기반을 탄탄하게 다진다는 것이다.이후에는 '시스템 구축'에 주력할 예정이다. 법률 자문·상담·송무 서비스 업무 등 국내에서 제공하던 법률 서비스를 현지에서 그대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이는 대륜만의 특별한 시스템을 적용해 현지인들에게 질높은 법률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현재 로펌들의 외국 진출은 사실상 국내 기업 자문에 그치고 있다. 외국 기업을 고객으로 만들지 못해 실질적 외화소득이 없는 것인데 이런 점들을 보완해 해외에서 위상을 높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글로벌 법률 수요가 커지는 시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존 진출국 이외에 다양한 국가로의 시장 개척을 검토 중에 있다"며 "어느 국가에서든지 대륜의 법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 이를 기반으로 세계 시장에서 유수 로펌들과 경쟁에서 뒤지지 않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K-로펌의 저력 보여줄 것"… 대륜,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높여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일본·미국 등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12-13
"K-로펌의 저력 보여줄 것"… 대륜,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높여
"K-로펌의 저력 보여줄 것"… 대륜,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높여
일본 사무소 개소 막바지…뉴욕 진출 작업도 본격화김국일 대표 "국내 대형로펌 타이틀에 안주하지 않아…세계 시장 노릴 것" 국내 법률시장의 정체로 다수의 대형 로펌들이 해외 법률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현재까지 국내 대형 로펌들은 주로 아시아 국가들에 사무소를 두고 운영을 하는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아시아를 넘어 미국 사무소 개소를 목표로 움직이고 있는 로펌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법무법인 대륜(경영총괄대표 김국일·고병준)은 13일 "국내에서 대형로펌으로써의 입지를 다지고, 국내시장을 넘어 해외 법률시장 개척에 나선다"고 밝혔다.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대륜만의 법률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이러한 독자적인 기술적·서비스적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대륜만의 고객 맞춤형 시스템이 이제는 해외 로펌들과 경쟁할 수준이 됐다는 게 대륜 관계자의 판단이다.특히, 기존 해외 진출 로펌들이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돕는 식으로 해외 사무소 운영을 해왔다고 한다면 이와 달리 대륜은 각국 현지의 기업과 국민을 주 고객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로펌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실질적인 외화 수익을 올려 K-로펌의 선두주자로 국익 창출에도 힘쓴다는 계획이다.대륜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달 뉴욕을 방문해 현지 변호사 영입을 위한 미팅과 사무소 자리를 알아본 것으로 안다"며 "국내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진 대륜이 해외 법조시장에 출사표를 던짐으로써 앞으로의 행보에 주목해 달라"고 전했다.그는 "오랜 시간 구축해 온 대륜의 시스템을 이제 해외 시장에 선보일 차례"라며 "해외에 진출하면서 현지 굴지의 로펌들과 경쟁하며, 국내 대형로펌의 전문성을 세계에 알리겠다. 이를 통해 국내 법률시장에도 수혜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대륜의 목표는 단순한 해외 사무소 설립에 그치지 않는다. 치밀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해외 사무소가 독자적인 수익을 올리고, 외국 법인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적극 돕는다는 계획이다.국익 창출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세계 곳곳에 분포돼 있는 고객들에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선보이며 한국 시장을 널리 알리고, 외화 벌이 등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대륜은 해외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일단 적극적인 인재 영입에 나설 계획이다. 국내 변호사의 해외 파견은 물론 현지 변호사 채용도 대규모로 진행한다. 현지법은 물론이고 법률 관행과 문화 등에도 능통한 변호사들을 통해 법률 서비스 기반을 탄탄하게 다진다는 것이다.이후에는 '시스템 구축'에 주력할 예정이다. 법률 자문·상담·송무 서비스 업무 등 국내에서 제공하던 법률 서비스를 현지에서 그대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이는 대륜만의 특별한 시스템을 적용해 현지인들에게 질높은 법률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현재 로펌들의 외국 진출은 사실상 국내 기업 자문에 그치고 있다. 외국 기업을 고객으로 만들지 못해 실질적 외화소득이 없는 것인데 이런 점들을 보완해 해외에서 위상을 높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글로벌 법률 수요가 커지는 시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존 진출국 이외에 다양한 국가로의 시장 개척을 검토 중에 있다"며 "어느 국가에서든지 대륜의 법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 이를 기반으로 세계 시장에서 유수 로펌들과 경쟁에서 뒤지지 않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K-로펌의 저력 보여줄 것"… 대륜,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높여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일본·미국 등 해외 사무소 확장 속도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12
폭언 일삼은 친오빠 흉기로 찌른 40대, 살인미수 혐의···‘집행유예’
폭언 일삼은 친오빠 흉기로 찌른 40대, 살인미수 혐의···‘집행유예’
서울북부지방법원 형사13부 “우발적 범행·피해 확대 방지·반성 태도 등 고려” 가족에게 폭언을 일삼은 친오빠와 말다툼을 벌이다 흉기를 휘둘러 살인미수 혐의로 기소된 여동생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서울북부지방법원 형사13부(재판장 이태웅 부장판사, 김현호·최준환 판사)는 살인미수 혐의로 재판을 받아 온 40대 여성 A씨에게 지난달 19일 ‘징역 2년 6개월 형의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3년 4월 자택에서 말다툼을 하던 친오빠를 흉기로 찌른 혐의로 기소됐다.검찰은 A씨가 고의성을 가지고 흉기를 사용했지만, 피해자가 대항하면서 범행을 이어가지 못했다고 판단해 살인미수 혐의를 적용했다.피고인 A씨는 모든 범행 사실을 인정했다. 다만 피해자가 오랜 시간 자신을 비롯한 가족들에게 폭언 및 폭력을 일삼았는데 이에 대한 불만이 쌓여 자신도 모르게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살해하려는 의도는 없었다며 선처를 구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서울북부지방법원 형사13부는 “살인은 사람의 생명을 빼앗는 행위로 어떤 방법으로도 피해 회복이 불가능한 중대한 범죄”라면서, “비록 미수에 그치긴 했으나 공격 부위, 피해자가 입은 상해 정도 등을 봤을 때 죄가 결코 가볍지 않다”고 지적했다.재판부는 다만 “피해자가 평소 가족에게 함부로 대하면서 불만이 커지던 중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밖에 범행이 미수에 그친 점,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고 있는 점,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이 형사사건에서 피고인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철 변호사는 “한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었던 만큼 가볍지 않은 사안이었다”면서도, “A씨에게 동종 전과가 없는 데다 범행 직후 119에 신고해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피해가 확대되지 않도록 행동한 점 등을 참작해 집행유예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폭언 일삼은 친오빠 흉기로 찌른 40대, 살인미수 혐의···‘집행유예’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12
폭언 일삼은 친오빠 흉기로 찌른 40대, 살인미수 혐의···‘집행유예’
폭언 일삼은 친오빠 흉기로 찌른 40대, 살인미수 혐의···‘집행유예’
서울북부지방법원 형사13부 “우발적 범행·피해 확대 방지·반성 태도 등 고려” 가족에게 폭언을 일삼은 친오빠와 말다툼을 벌이다 흉기를 휘둘러 살인미수 혐의로 기소된 여동생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서울북부지방법원 형사13부(재판장 이태웅 부장판사, 김현호·최준환 판사)는 살인미수 혐의로 재판을 받아 온 40대 여성 A씨에게 지난달 19일 ‘징역 2년 6개월 형의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A씨는 2023년 4월 자택에서 말다툼을 하던 친오빠를 흉기로 찌른 혐의로 기소됐다.검찰은 A씨가 고의성을 가지고 흉기를 사용했지만, 피해자가 대항하면서 범행을 이어가지 못했다고 판단해 살인미수 혐의를 적용했다.피고인 A씨는 모든 범행 사실을 인정했다. 다만 피해자가 오랜 시간 자신을 비롯한 가족들에게 폭언 및 폭력을 일삼았는데 이에 대한 불만이 쌓여 자신도 모르게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살해하려는 의도는 없었다며 선처를 구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서울북부지방법원 형사13부는 “살인은 사람의 생명을 빼앗는 행위로 어떤 방법으로도 피해 회복이 불가능한 중대한 범죄”라면서, “비록 미수에 그치긴 했으나 공격 부위, 피해자가 입은 상해 정도 등을 봤을 때 죄가 결코 가볍지 않다”고 지적했다.재판부는 다만 “피해자가 평소 가족에게 함부로 대하면서 불만이 커지던 중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밖에 범행이 미수에 그친 점,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고 있는 점,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이 형사사건에서 피고인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철 변호사는 “한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었던 만큼 가볍지 않은 사안이었다”면서도, “A씨에게 동종 전과가 없는 데다 범행 직후 119에 신고해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피해가 확대되지 않도록 행동한 점 등을 참작해 집행유예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폭언 일삼은 친오빠 흉기로 찌른 40대, 살인미수 혐의···‘집행유예’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4-12-11
양곤에도 있다, K-로펌 글로벌 행보
양곤에도 있다, K-로펌 글로벌 행보
신시장 개척·혁신 꾀하는 로펌들 한국 로펌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동안 한국 로펌의 현지 사무소와 데스크가 해외 로펌과 업무협약(MOU) 등을 통해 한국 기업을 지원하던 것을 넘어 일부 로펌을 중심으로 현지 기업들의 자문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법조에선 글로벌 시장에서 ‘K-로펌’이 입지를 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로펌 관계자는 “글로벌 진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해외 진출, 경쟁력 강화 위해 필수 2004년 법무법인(이하 생략) 태평양(대표 이준기)이 중국 베이징에 첫 해외 사무소를 개소한 이후, 현재 9대 로펌(2023년 한국 변호사 수 기준)의 해외 사무소는 총 43곳에 이른다. 6년 전보다 10곳 늘어난 수치로, 국내 법률시장의 성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로펌들이 새로운 매출원을 모색하기 위해 해외 시장으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 로펌의 대표변호사는 “현지 사무소 등을 개소하면 현지의 글로벌 로펌들과 협력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고, 국제적으로 브랜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해외 진출을 통해 혁신을 꾀하는 중견 로펌들도 있다. 슈가스퀘어는 현재 캄보디아와 라오스에 사무소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최근 라오스 기업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관련 자문을 맡기도 했으며 텍사스 댈러스 지역 개소를 추진 중이다. 대륜은 최근 일본 사무소 진출을 준비 중이다. 대륜은 미국 뉴욕 진출을 목표로 현지 로펌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현지화 전략··· 현지 기업 자문까지 해외 진출 초창기 대다수의 로펌은 대부분 한국 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삼았다. 특히 ‘아웃바운드(out-bound)’ 사건에 집중한 양상이었다. 지금은 현지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자문 수요로 확장 폭을 넓혔다. 김철웅 슈가스퀘어 변호사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한국 고객뿐 아니라 현지 기업들도 찾고 있다”며 “이전과 비교했을 때 현지 기업의 자문 요청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8개국 9개소를 운영하며, 국내 로펌 중 가장 많은 해외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지평도 현지 기업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철(49·31기) 지평 변호사는 “현재 해외사무소의 주요 고객은 한국 기업들이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현지 기업이나 고객들의 수요가 많고 점차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중동부 유럽 등 주목 최근에는 특히 인도네시아와 중동부유럽이 새로운 전략적 거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최대 소비시장으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달 자카르타에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개소하면서 중소기업들의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풍부한 천연자원과 높은 생산가능인구 비중으로 국내 로펌들도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법률·규제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김·장(대표 정계성), 광장(대표 김상곤), 태평양, 세종(대표 오종한)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베트남, 싱가포르 등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이 활발한 9개국에게 맞춤형 법률 지원을 무료로 제공한다. 중동부유럽 역시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 거점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헝가리를 중심으로 한 비셰그라드 그룹(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은 낮은 법인세와 숙련된 노동력을 내세워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삼성과 SK 등 국내 대기업들도 헝가리를 유럽 핵심 생산기지로 삼아 투자를 진행 중이어서 로펌들도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다. 지평은 10월 헝가리에 사무소를 개설하며 중동부유럽 시장에 공략에 나섰다. 율촌은 유일하게 러시아 현지에서 해외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최근 인도와 싱가포르 해외사무소 개설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화우는 우즈베키스탄에 유일하게 진출해 있다. 타슈켄트 사무소에서 국내 기업의 중앙아시아 진출을 지원한다. 화우는 동남아와 중동 지역의 법률서비스 강화를 위해 싱가포르 사무소 개소를 검토하고 있다. 대륙아주는 2022년 미국 워싱턴DC에 사무소를 개소했다. 이외 해외 사무소 개소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광장은 지난해 유라시아 전략연구센터를 개소해 CIS(독립국가연합) 국가들의 투자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 카자흐스탄 연락 사무소 설립과 싱가포르 사무소 개소와 인도네시아 현지 데스크 설치를 추진 중이다. 5개국 8개소(북경·상해·홍콩·호찌민·하노이·양곤·싱가포르·자카르타)를 운영하고 있는 태평양은 인도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염두에 두고 올해는 인도TF를 확대 개편해 운영 중이다. 중동 지역의 로펌과 협력해 MENA(중동·북아프리카) TF를 출범하는 등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세종은 우크라이나TF를 운영하며 우크라이나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인도, 대만,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자문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바른도 싱가포르 사무소 운영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바른 싱가포르 대표사무소 대표자인 오희정 외국변호사는 “아세안마켓 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들의 자문 수요가 늘고 있다”며 “최근 싱가포르에서 투자이민 관련 기준이 변경된 이후로 자산가들의 싱가포르 투자와 이주에 대한 자문 수요가 크게 늘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김·장 법률사무소는 5개(홍콩·호찌민·하노이·싱가포르·자카르타)의 해외 사무소와 현지 데스크를 운영하고 있다. 시장 상황을 고려해 추가 해외 진출을 검토 중이다. [기사전문보기] 양곤에도 있다, K-로펌 글로벌 행보 (바로가기)
법률신문
2024-12-11
양곤에도 있다, K-로펌 글로벌 행보
양곤에도 있다, K-로펌 글로벌 행보
신시장 개척·혁신 꾀하는 로펌들 한국 로펌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동안 한국 로펌의 현지 사무소와 데스크가 해외 로펌과 업무협약(MOU) 등을 통해 한국 기업을 지원하던 것을 넘어 일부 로펌을 중심으로 현지 기업들의 자문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법조에선 글로벌 시장에서 ‘K-로펌’이 입지를 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로펌 관계자는 “글로벌 진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해외 진출, 경쟁력 강화 위해 필수 2004년 법무법인(이하 생략) 태평양(대표 이준기)이 중국 베이징에 첫 해외 사무소를 개소한 이후, 현재 9대 로펌(2023년 한국 변호사 수 기준)의 해외 사무소는 총 43곳에 이른다. 6년 전보다 10곳 늘어난 수치로, 국내 법률시장의 성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로펌들이 새로운 매출원을 모색하기 위해 해외 시장으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 로펌의 대표변호사는 “현지 사무소 등을 개소하면 현지의 글로벌 로펌들과 협력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고, 국제적으로 브랜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해외 진출을 통해 혁신을 꾀하는 중견 로펌들도 있다. 슈가스퀘어는 현재 캄보디아와 라오스에 사무소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최근 라오스 기업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관련 자문을 맡기도 했으며 텍사스 댈러스 지역 개소를 추진 중이다. 대륜은 최근 일본 사무소 진출을 준비 중이다. 대륜은 미국 뉴욕 진출을 목표로 현지 로펌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현지화 전략··· 현지 기업 자문까지 해외 진출 초창기 대다수의 로펌은 대부분 한국 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삼았다. 특히 ‘아웃바운드(out-bound)’ 사건에 집중한 양상이었다. 지금은 현지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자문 수요로 확장 폭을 넓혔다. 김철웅 슈가스퀘어 변호사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한국 고객뿐 아니라 현지 기업들도 찾고 있다”며 “이전과 비교했을 때 현지 기업의 자문 요청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8개국 9개소를 운영하며, 국내 로펌 중 가장 많은 해외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지평도 현지 기업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철(49·31기) 지평 변호사는 “현재 해외사무소의 주요 고객은 한국 기업들이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현지 기업이나 고객들의 수요가 많고 점차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중동부 유럽 등 주목 최근에는 특히 인도네시아와 중동부유럽이 새로운 전략적 거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최대 소비시장으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달 자카르타에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개소하면서 중소기업들의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풍부한 천연자원과 높은 생산가능인구 비중으로 국내 로펌들도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법률·규제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김·장(대표 정계성), 광장(대표 김상곤), 태평양, 세종(대표 오종한)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베트남, 싱가포르 등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이 활발한 9개국에게 맞춤형 법률 지원을 무료로 제공한다. 중동부유럽 역시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 거점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헝가리를 중심으로 한 비셰그라드 그룹(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은 낮은 법인세와 숙련된 노동력을 내세워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삼성과 SK 등 국내 대기업들도 헝가리를 유럽 핵심 생산기지로 삼아 투자를 진행 중이어서 로펌들도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다. 지평은 10월 헝가리에 사무소를 개설하며 중동부유럽 시장에 공략에 나섰다. 율촌은 유일하게 러시아 현지에서 해외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최근 인도와 싱가포르 해외사무소 개설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화우는 우즈베키스탄에 유일하게 진출해 있다. 타슈켄트 사무소에서 국내 기업의 중앙아시아 진출을 지원한다. 화우는 동남아와 중동 지역의 법률서비스 강화를 위해 싱가포르 사무소 개소를 검토하고 있다. 대륙아주는 2022년 미국 워싱턴DC에 사무소를 개소했다. 이외 해외 사무소 개소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광장은 지난해 유라시아 전략연구센터를 개소해 CIS(독립국가연합) 국가들의 투자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 카자흐스탄 연락 사무소 설립과 싱가포르 사무소 개소와 인도네시아 현지 데스크 설치를 추진 중이다. 5개국 8개소(북경·상해·홍콩·호찌민·하노이·양곤·싱가포르·자카르타)를 운영하고 있는 태평양은 인도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염두에 두고 올해는 인도TF를 확대 개편해 운영 중이다. 중동 지역의 로펌과 협력해 MENA(중동·북아프리카) TF를 출범하는 등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세종은 우크라이나TF를 운영하며 우크라이나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인도, 대만,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자문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바른도 싱가포르 사무소 운영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바른 싱가포르 대표사무소 대표자인 오희정 외국변호사는 “아세안마켓 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들의 자문 수요가 늘고 있다”며 “최근 싱가포르에서 투자이민 관련 기준이 변경된 이후로 자산가들의 싱가포르 투자와 이주에 대한 자문 수요가 크게 늘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김·장 법률사무소는 5개(홍콩·호찌민·하노이·싱가포르·자카르타)의 해외 사무소와 현지 데스크를 운영하고 있다. 시장 상황을 고려해 추가 해외 진출을 검토 중이다. [기사전문보기] 양곤에도 있다, K-로펌 글로벌 행보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10
전·월세 보증금 반환, 전입 신고부터 소송·강제 집행까지
전·월세 보증금 반환, 전입 신고부터 소송·강제 집행까지
최근 전·월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올라온 임차권 등기 명령 신청 부동산 현황을 보면 올해 10월까지 신청된 건수는 52,430건이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기록한 42,278건보다 10,000여건 높은 수준이다. 임차권 등기 명령은 계약이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했을 때 임차인이 법원에 신청하는 제도다. 임차인은 이를 통해 이사를 가더라도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유지할 수 있다.보증금 반환과 관련한 문제에 연루되지 않으려면 집을 계약하는 시점부터 유의할 필요가 있다. 등기부등본 등을 통해 집주인이 보유한 대출금과 보증금을 살펴본 후 반환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 따져야 한다. 계약 후에는 곧바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신청을 진행해 우선변제권을 취득하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면 더욱 좋다.만약 갱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만료일자 기준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집주인에게 퇴거 의사를 밝혀야 한다. 이때 전화나 문자 등의 기록을 남기는 것이 중요한데, 전화의 경우 통화 녹음을, 문자의 경우 집주인이 문자 내용을 확인했다는 답장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때에 따라서는 계약 만료 사항이 담긴 내용증명을 보낼 수도 있다.계약 만료 시점까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상황이라면 임차권 등기 명령을 신청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급명령·민사소송 등의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앞서 확보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보다 더 유리한 소송 진행이 가능해진다.경우에 따라선 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이기더라도 돈을 돌려주지 않는 집주인도 존재한다. 이때는 승소 판결문을 바탕으로 강제 집행 절차를 진행해 보증금을 회수해야 한다. 부동산 경매로 집주인이 보유한 집을 처분하거나 채권·동산압류를 통해 보증금 반환을 이어갈 수 있다. 다만 개별 사안마다 쟁점과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서류나 방안도 제각각이다. 따라서 이 또한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철저한 준비와 전략을 바탕으로 집행 절차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기사전문보기] 전·월세 보증금 반환, 전입 신고부터 소송·강제 집행까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10
전·월세 보증금 반환, 전입 신고부터 소송·강제 집행까지
전·월세 보증금 반환, 전입 신고부터 소송·강제 집행까지
최근 전·월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올라온 임차권 등기 명령 신청 부동산 현황을 보면 올해 10월까지 신청된 건수는 52,430건이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기록한 42,278건보다 10,000여건 높은 수준이다. 임차권 등기 명령은 계약이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했을 때 임차인이 법원에 신청하는 제도다. 임차인은 이를 통해 이사를 가더라도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유지할 수 있다.보증금 반환과 관련한 문제에 연루되지 않으려면 집을 계약하는 시점부터 유의할 필요가 있다. 등기부등본 등을 통해 집주인이 보유한 대출금과 보증금을 살펴본 후 반환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 따져야 한다. 계약 후에는 곧바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신청을 진행해 우선변제권을 취득하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면 더욱 좋다.만약 갱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만료일자 기준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집주인에게 퇴거 의사를 밝혀야 한다. 이때 전화나 문자 등의 기록을 남기는 것이 중요한데, 전화의 경우 통화 녹음을, 문자의 경우 집주인이 문자 내용을 확인했다는 답장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때에 따라서는 계약 만료 사항이 담긴 내용증명을 보낼 수도 있다.계약 만료 시점까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상황이라면 임차권 등기 명령을 신청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급명령·민사소송 등의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앞서 확보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보다 더 유리한 소송 진행이 가능해진다.경우에 따라선 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이기더라도 돈을 돌려주지 않는 집주인도 존재한다. 이때는 승소 판결문을 바탕으로 강제 집행 절차를 진행해 보증금을 회수해야 한다. 부동산 경매로 집주인이 보유한 집을 처분하거나 채권·동산압류를 통해 보증금 반환을 이어갈 수 있다. 다만 개별 사안마다 쟁점과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서류나 방안도 제각각이다. 따라서 이 또한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철저한 준비와 전략을 바탕으로 집행 절차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기사전문보기] 전·월세 보증금 반환, 전입 신고부터 소송·강제 집행까지 (바로가기)
머니S
2024-12-10
"대표 직인 없어도 계약 유효"… 법원, 거래처에 대금 지급 명령
"대표 직인 없어도 계약 유효"… 법원, 거래처에 대금 지급 명령
재판부 "관행상 대표 직인 누락, 내부 직원 사인도 효력 있어" 자회사를 통해 납품 업체를 인수하면서 물품 대금을 전달하지 않은 회사에게 지급 명령이 떨어졌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달 6일 납품 전문 업체 A사가 자동차 부품 판매 업체 B사를 대상으로 낸 물품 대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오랜 시간 B사에 물품을 지급해 오던 A사는 2022년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사업 중단을 결정했다. 물품 조달업체인 B사의 자회사에서 회사 인수 제안을 해왔고 A사는 이에 응했다.인수 과정에서 B사 구매팀장은 A사를 상대로 물품대지급 확약서를 작성했다. 여기에는 그동안 A사가 공급하던 물품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인수 절차가 마무리됐음에도 B사가 A사에게 대금이 지급하지 않으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B사가 A사와의 계약 사실 자체를 부정한 것이다. 자신들이 계약을 체결한 곳은 자회사이며 위탁 생산만을 담당한 A사에게 물품 대금을 지급할 이유가 없다는 이유에서다.이들은 대금 지급 확약서의 효력도 부정했다. B사 측은 "해당 서류는 내부 직원이 개인적으로 작성한 것일 뿐 공식 문서로 볼 수 없다"며 "만약 효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 A사의 법인 통장에 약 1900만원을 송금한 바 있기에 이 부분은 공제돼야 한다"고 변론했다.A사는 반박에 나섰다. 오랜 기간 물건을 납품하는 과정에서 늘 B사 구매팀으로부터 정산 대금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1900만원을 둘러싼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A사 측은 "B사가 해당 금액을 송금했을 당시에는 이미 통장 사용 권한이 A사를 인수한 자회사 측으로 넘어간 상황이어서 돈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법원은 B사가 A사에게 약 6100만원을 지급해야 한다는 취지의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두 회사가 상당 기간 거래 관계를 유지해온 사실이 인정된다"며 "이로 인해 회사 담당자가 아닌 구매팀장이 정산 금액을 정하고 지급하기로 약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재판부는 "이러한 관행으로 확약서에 B사 대표 등의 직인이 누락됐어도 별다른 이의가 없었다"며 "따라서 B사가 돈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 맞다"고 봤다. 공제 금액에 대해서는 "B사는 법인 양도 계약에 따라 A사의 통장을 자회사 측에서 관리하는 것을 알면서도 돈을 보냈다"면서 "이는 정당한 채무 변제라고 볼 수 없다"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A사 측 대리를 맡은 지민희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실무적으로는 대표가 직접 서명하지 않고 구매팀장이 서명한 경우에도 거래 관행상 유효한 것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판결은 이러한 상거래 관행을 적절히 반영한 합당한 판결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대표 직인 없어도 계약 유효"… 법원, 거래처에 대금 지급 명령 (바로가기)
머니S
2024-12-10
"대표 직인 없어도 계약 유효"… 법원, 거래처에 대금 지급 명령
"대표 직인 없어도 계약 유효"… 법원, 거래처에 대금 지급 명령
재판부 "관행상 대표 직인 누락, 내부 직원 사인도 효력 있어" 자회사를 통해 납품 업체를 인수하면서 물품 대금을 전달하지 않은 회사에게 지급 명령이 떨어졌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달 6일 납품 전문 업체 A사가 자동차 부품 판매 업체 B사를 대상으로 낸 물품 대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오랜 시간 B사에 물품을 지급해 오던 A사는 2022년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사업 중단을 결정했다. 물품 조달업체인 B사의 자회사에서 회사 인수 제안을 해왔고 A사는 이에 응했다.인수 과정에서 B사 구매팀장은 A사를 상대로 물품대지급 확약서를 작성했다. 여기에는 그동안 A사가 공급하던 물품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인수 절차가 마무리됐음에도 B사가 A사에게 대금이 지급하지 않으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B사가 A사와의 계약 사실 자체를 부정한 것이다. 자신들이 계약을 체결한 곳은 자회사이며 위탁 생산만을 담당한 A사에게 물품 대금을 지급할 이유가 없다는 이유에서다.이들은 대금 지급 확약서의 효력도 부정했다. B사 측은 "해당 서류는 내부 직원이 개인적으로 작성한 것일 뿐 공식 문서로 볼 수 없다"며 "만약 효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 A사의 법인 통장에 약 1900만원을 송금한 바 있기에 이 부분은 공제돼야 한다"고 변론했다.A사는 반박에 나섰다. 오랜 기간 물건을 납품하는 과정에서 늘 B사 구매팀으로부터 정산 대금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1900만원을 둘러싼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A사 측은 "B사가 해당 금액을 송금했을 당시에는 이미 통장 사용 권한이 A사를 인수한 자회사 측으로 넘어간 상황이어서 돈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법원은 B사가 A사에게 약 6100만원을 지급해야 한다는 취지의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두 회사가 상당 기간 거래 관계를 유지해온 사실이 인정된다"며 "이로 인해 회사 담당자가 아닌 구매팀장이 정산 금액을 정하고 지급하기로 약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재판부는 "이러한 관행으로 확약서에 B사 대표 등의 직인이 누락됐어도 별다른 이의가 없었다"며 "따라서 B사가 돈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 맞다"고 봤다. 공제 금액에 대해서는 "B사는 법인 양도 계약에 따라 A사의 통장을 자회사 측에서 관리하는 것을 알면서도 돈을 보냈다"면서 "이는 정당한 채무 변제라고 볼 수 없다"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A사 측 대리를 맡은 지민희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실무적으로는 대표가 직접 서명하지 않고 구매팀장이 서명한 경우에도 거래 관행상 유효한 것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판결은 이러한 상거래 관행을 적절히 반영한 합당한 판결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대표 직인 없어도 계약 유효"… 법원, 거래처에 대금 지급 명령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10
연인에게 자소서 대필하게 한 40대, 업무방해 '무혐의'
연인에게 자소서 대필하게 한 40대, 업무방해 '무혐의'
자기소개서를 연인에게 대신 작성하게 한 혐의로 두 차례 고발당한 40대에게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10일 경찰에 따르면 충북 옥천경찰서는 지난달 1일 업무방해 혐의를 받는 40대 직원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연인 관계였던 B씨에게 허위 경력이 기재된 자신의 자기소개서를 대필하게 하고 이를 회사에 제출해 채용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해당 소개서를 바탕으로 채용 과정에서 최종 합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이와 관련 A씨는 B씨에게는 자기소개서의 첨삭과 검토만 요청했을 뿐이라며 모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또 기입한 경력 역시 허위가 아닌 자신이 실제로 담당했던 업무라고 주장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습니다.A씨가 B씨와 교제하기 전부터 이미 비슷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왔다는 판단입니다.경찰은 "문제가 된 자기소개서는 과거에 작성된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면서, "관계 기관의 조사 결과에서도 대리 작성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습니다.허위 경력을 기재했다는 의혹 역시 사실이 아닌 것으로 조사됐습니다.경찰은 "A씨가 근무했던 회사로부터 자료를 받은 결과,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업무를 실제 수행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이 사건에 대한 고발장을 처음 접수했던 B씨는 불송치 결정에 불복 의사를 밝혔습니다.이후 B씨는 증거 자료를 모아 재차 고발에 나섰지만, 경찰은 "기존 결정을 변경할 만한 새로운 증거가 없다"며 또다시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자기소개서 대필이나 허위 경력 기재는 상대방의 부지, 오인, 착각을 유발하는 일명 '위계'에 해당하며 이를 기업에 제출할 경우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죄로 처벌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다만 "이 사건의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경력은 A씨가 실제 담당했던 업무로 허위 사실이 없었고, 작성 과정에서도 B씨는 일부 첨삭만을 도왔기 때문에 업무방해죄가 성립하지 않았다"고 부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연인에게 자소서 대필하게 한 40대, 업무방해 '무혐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10
연인에게 자소서 대필하게 한 40대, 업무방해 '무혐의'
연인에게 자소서 대필하게 한 40대, 업무방해 '무혐의'
자기소개서를 연인에게 대신 작성하게 한 혐의로 두 차례 고발당한 40대에게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10일 경찰에 따르면 충북 옥천경찰서는 지난달 1일 업무방해 혐의를 받는 40대 직원 A씨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2년 연인 관계였던 B씨에게 허위 경력이 기재된 자신의 자기소개서를 대필하게 하고 이를 회사에 제출해 채용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해당 소개서를 바탕으로 채용 과정에서 최종 합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이와 관련 A씨는 B씨에게는 자기소개서의 첨삭과 검토만 요청했을 뿐이라며 모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또 기입한 경력 역시 허위가 아닌 자신이 실제로 담당했던 업무라고 주장했습니다.경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봤습니다.A씨가 B씨와 교제하기 전부터 이미 비슷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왔다는 판단입니다.경찰은 "문제가 된 자기소개서는 과거에 작성된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면서, "관계 기관의 조사 결과에서도 대리 작성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습니다.허위 경력을 기재했다는 의혹 역시 사실이 아닌 것으로 조사됐습니다.경찰은 "A씨가 근무했던 회사로부터 자료를 받은 결과,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업무를 실제 수행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이 사건에 대한 고발장을 처음 접수했던 B씨는 불송치 결정에 불복 의사를 밝혔습니다.이후 B씨는 증거 자료를 모아 재차 고발에 나섰지만, 경찰은 "기존 결정을 변경할 만한 새로운 증거가 없다"며 또다시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진주 변호사는 "자기소개서 대필이나 허위 경력 기재는 상대방의 부지, 오인, 착각을 유발하는 일명 '위계'에 해당하며 이를 기업에 제출할 경우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죄로 처벌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다만 "이 사건의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경력은 A씨가 실제 담당했던 업무로 허위 사실이 없었고, 작성 과정에서도 B씨는 일부 첨삭만을 도왔기 때문에 업무방해죄가 성립하지 않았다"고 부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연인에게 자소서 대필하게 한 40대, 업무방해 '무혐의'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10
성착취물 소지·배포 혐의 받던 남성, 검찰서 ‘불기소 처분’…이유는?
성착취물 소지·배포 혐의 받던 남성, 검찰서 ‘불기소 처분’…이유는?
A씨, 성착취물 소지·배포한 혐의로 송치…“토렌트 파일에 섞인 것” 혐의 부인검찰 “성착취물 인식 어려워…소지의 고의 없어” 불기소 처분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 착취물을 소지, 배포한 혐의를 받던 40대 남성이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지난달 14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 대해 혐의 없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1월 토렌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이른바 ‘N번방 사건’의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파일 1900여 건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소지 및 배포한 혐의 등을 받았다.경찰은 A씨 소유의 SSD 저장매체를 디지털 포렌식한 결과, 아동 성착취물 관련 폴더에 대한 정보 기록이 발견된 사실 등을 토대로 A씨에게 아청법 혐의를 적용해 사건을 검찰로 넘겼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해외여행을 앞두고 토렌트 프로그램을 통해 영화, 드라마 파일을 대량으로 다운로드 받았는데, 여기에 불법 촬영물이 섞여있었다는 것이다.그러면서 A씨는 다운로드된 파일 목록을 확인하던 중 바이러스로 의심되는 실행 파일을 발견해 즉시 모든 폴더를 삭제했으며, 해당 자료들이 성착취물이라는 점도 전혀 인식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성착취물 배포 혐의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A씨는 다운로드와 동시에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되는 토렌트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문제의 영상물들이 자동 배포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A씨가 받은 영상물의 각 파일명은 알파벳과 숫자 형식으로 이뤄져 있어 성착취물이나 불법촬영물임을 인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이유에서다.검찰은 또 “토렌트 프로그램의 특성상 피의자가 선택하지 않은 파일들도 함께 다운로드 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디지털 포렌식 과정에서 발견됐던 관련 폴더 정보 기록에 대해서도, PC에서 폴더가 생성됐다는 증거이지 이를 열람했다는 증거가 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정구 변호사는 “A씨에게 성착취물 소지의 고의가 전혀 없었다”며 “수사 과정에서도 A씨가 불법 촬영물을 다운로드하게 된 경위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 또한 전혀 발견되지 않았는데, 검찰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성착취물 소지·배포 혐의 받던 남성, 검찰서 ‘불기소 처분’…이유는?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10
성착취물 소지·배포 혐의 받던 남성, 검찰서 ‘불기소 처분’…이유는?
성착취물 소지·배포 혐의 받던 남성, 검찰서 ‘불기소 처분’…이유는?
A씨, 성착취물 소지·배포한 혐의로 송치…“토렌트 파일에 섞인 것” 혐의 부인검찰 “성착취물 인식 어려워…소지의 고의 없어” 불기소 처분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 착취물을 소지, 배포한 혐의를 받던 40대 남성이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지난달 14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를 받는 40대 A씨에 대해 혐의 없음 처분을 내렸다.A씨는 지난 1월 토렌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이른바 ‘N번방 사건’의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파일 1900여 건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소지 및 배포한 혐의 등을 받았다.경찰은 A씨 소유의 SSD 저장매체를 디지털 포렌식한 결과, 아동 성착취물 관련 폴더에 대한 정보 기록이 발견된 사실 등을 토대로 A씨에게 아청법 혐의를 적용해 사건을 검찰로 넘겼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해외여행을 앞두고 토렌트 프로그램을 통해 영화, 드라마 파일을 대량으로 다운로드 받았는데, 여기에 불법 촬영물이 섞여있었다는 것이다.그러면서 A씨는 다운로드된 파일 목록을 확인하던 중 바이러스로 의심되는 실행 파일을 발견해 즉시 모든 폴더를 삭제했으며, 해당 자료들이 성착취물이라는 점도 전혀 인식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성착취물 배포 혐의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A씨는 다운로드와 동시에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되는 토렌트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문제의 영상물들이 자동 배포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A씨가 받은 영상물의 각 파일명은 알파벳과 숫자 형식으로 이뤄져 있어 성착취물이나 불법촬영물임을 인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이유에서다.검찰은 또 “토렌트 프로그램의 특성상 피의자가 선택하지 않은 파일들도 함께 다운로드 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디지털 포렌식 과정에서 발견됐던 관련 폴더 정보 기록에 대해서도, PC에서 폴더가 생성됐다는 증거이지 이를 열람했다는 증거가 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정구 변호사는 “A씨에게 성착취물 소지의 고의가 전혀 없었다”며 “수사 과정에서도 A씨가 불법 촬영물을 다운로드하게 된 경위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 또한 전혀 발견되지 않았는데, 검찰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성착취물 소지·배포 혐의 받던 남성, 검찰서 ‘불기소 처분’…이유는? (바로가기)
뉴시스
2024-12-09
부산서 전 연인 가족 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무죄…왜?
부산서 전 연인 가족 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무죄…왜?
사회정보보장시스템으로 52차례 개인정보 무단 열람법원 "권한 남용 맞지만 법적 처벌 규정 없어" 부산의 한 공무원이 내부 시스템을 통해 전 남자친구 가족에 대한 정보를 무단으로 열람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최종적으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법원은 공무원의 행위가 징계사유가 될 수 있지만 처벌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부산의 한 구청 공무원 A(30대·여)씨에 대한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부산의 한 행정복지센터에서 근무한 A씨는 2022년 4~6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전 애인인 B씨와 B씨의 아버지, 동생 등 3명에 대한 개인정보를 총 52차례에 걸쳐 무단으로 열람한 혐의로 기소됐다. A씨는 B씨와 2021년부터 2022년 5월까지 교제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복지 수당 수혜자를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구축한 것으로, A씨는 이 시스템을 통해 B씨 가족의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등을 확인했다. A씨는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며 개인정보를 열람할 권한을 포괄적으로 갖고 있었다. 하지만 열람 과정에서 B씨의 동의는 없었고, 이 사실을 알게 된 B씨가 민원을 제기하면서 수사가 시작됐다. 검찰은 A씨가 B씨 아버지의 동의와 정당한 절차 없이 정보를 습득했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 1호, 제72조 2호를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는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했던 사람으로 하여금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하거나 처리에 관한 동의를 받는 행위' 등을 금지하고 있다. 제72조는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한 자'를 처벌하고 있다. 1심 재판부는 관련 조항에 따라 A씨가 주어진 권한을 남용하는 것에 나아가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얻는 행위가 있어야 범죄가 성립된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A씨가 B씨 가족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로그인했고, 실제로 당시 개인정보를 열람할 때마다 그 사유를 추가로 입력하거나 상급자 결재를 받는 등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추가 절차는 따로 없었다. 이에 1심 재판부는 "A씨가 단순히 정보 주체의 동의를 얻거나 기타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만으로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A씨가 실제로 개인정보 열람을 하는 과정에서 민원인의 서면이나 구두에 의한 신청 등 사유가 필요하다. 그러한 사유가 없음에도 무단열람을 하면 이는 권한 남용이거나 권한의 내제적 한계를 넘은 것이고, 내부 규칙에 따라 징계사유로는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A씨에게 잘못한 점이 없진 않지만, 검찰이 문제 삼은 조항이 합리적 의심이 들지 않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A씨가 권한을 넘어 정보를 취득하긴 했지만, 보안 절차를 무력화하거나 허위 사유를 입력한 사실이 없어 무죄를 선고한다"고 판시했다. 항소심 재판부도 "원심의 판단을 기록과 대조해 검토해 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며 검찰의 항소를 기각했다. 대법원은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춰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는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해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개인정보보호법위반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며 검찰의 상고를 기각했다. 즉 사법부는 A씨가 전 남자친구와 그 가족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열람한 행위는 '자신의 권한을 남용한 행위'는 맞지만 이를 처벌할 규정이 없기 때문에 A씨를 형사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더불어 개인정보보호법위반죄로 처벌하기 위해서는 A씨가 권한 남용을 넘어서 '부정한 수단·방법'이 동원돼야 하지만 A씨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자신의 아이디로 접속했을 뿐 부정관 수단과 방법은 없었기에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대해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사봉 변호사는 "법 개정이 이뤄지기 전까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적 빈틈을 메우기 위해서는 행정부 차원에서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즉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는 등 자구책을 통해 개인정보의 무단 열람을 예방하고, 공무원의 부적절한 정보 열람에 대한 징계 강화 및 권한 관리 등에 대해 보다 엄격한 관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행정안전부 등은 지난해부터 개인정보를 무단 조회하거나 유출한 공무원은 파면이나 해임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개인정보 보호 법규 위반 비위 징계 처리 지침'을 '징계업무 예규 및 편람'에 반영했다. 이에 대해 정 변호사는 "이 지침에서는 '각종 범죄에 악용'되는 경우와 같이 '정보주체에 대한 심각한 피해'인 경우만을 규정하고 있는데 일반 시민들의 단순 피해까지 막기 위한 자구책이라고 평가하기 힘들다"면서 "무단열람 당한 시민들의 피해 회복을 위해서는 행정부와 지자체가 개인정보를 무단열람한 행위에 대해 징계를 의결할 때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를 징계양정 기준에 반영하는 것이 최소한의 방안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기사전문보기] 부산서 전 연인 가족 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무죄…왜? (바로가기)
뉴시스
2024-12-09
부산서 전 연인 가족 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무죄…왜?
부산서 전 연인 가족 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무죄…왜?
사회정보보장시스템으로 52차례 개인정보 무단 열람법원 "권한 남용 맞지만 법적 처벌 규정 없어" 부산의 한 공무원이 내부 시스템을 통해 전 남자친구 가족에 대한 정보를 무단으로 열람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최종적으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법원은 공무원의 행위가 징계사유가 될 수 있지만 처벌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부산의 한 구청 공무원 A(30대·여)씨에 대한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부산의 한 행정복지센터에서 근무한 A씨는 2022년 4~6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전 애인인 B씨와 B씨의 아버지, 동생 등 3명에 대한 개인정보를 총 52차례에 걸쳐 무단으로 열람한 혐의로 기소됐다. A씨는 B씨와 2021년부터 2022년 5월까지 교제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복지 수당 수혜자를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구축한 것으로, A씨는 이 시스템을 통해 B씨 가족의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등을 확인했다. A씨는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며 개인정보를 열람할 권한을 포괄적으로 갖고 있었다. 하지만 열람 과정에서 B씨의 동의는 없었고, 이 사실을 알게 된 B씨가 민원을 제기하면서 수사가 시작됐다. 검찰은 A씨가 B씨 아버지의 동의와 정당한 절차 없이 정보를 습득했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 1호, 제72조 2호를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는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했던 사람으로 하여금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하거나 처리에 관한 동의를 받는 행위' 등을 금지하고 있다. 제72조는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한 자'를 처벌하고 있다. 1심 재판부는 관련 조항에 따라 A씨가 주어진 권한을 남용하는 것에 나아가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얻는 행위가 있어야 범죄가 성립된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A씨가 B씨 가족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로그인했고, 실제로 당시 개인정보를 열람할 때마다 그 사유를 추가로 입력하거나 상급자 결재를 받는 등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추가 절차는 따로 없었다. 이에 1심 재판부는 "A씨가 단순히 정보 주체의 동의를 얻거나 기타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만으로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A씨가 실제로 개인정보 열람을 하는 과정에서 민원인의 서면이나 구두에 의한 신청 등 사유가 필요하다. 그러한 사유가 없음에도 무단열람을 하면 이는 권한 남용이거나 권한의 내제적 한계를 넘은 것이고, 내부 규칙에 따라 징계사유로는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A씨에게 잘못한 점이 없진 않지만, 검찰이 문제 삼은 조항이 합리적 의심이 들지 않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A씨가 권한을 넘어 정보를 취득하긴 했지만, 보안 절차를 무력화하거나 허위 사유를 입력한 사실이 없어 무죄를 선고한다"고 판시했다. 항소심 재판부도 "원심의 판단을 기록과 대조해 검토해 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며 검찰의 항소를 기각했다. 대법원은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춰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는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해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개인정보보호법위반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며 검찰의 상고를 기각했다. 즉 사법부는 A씨가 전 남자친구와 그 가족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열람한 행위는 '자신의 권한을 남용한 행위'는 맞지만 이를 처벌할 규정이 없기 때문에 A씨를 형사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더불어 개인정보보호법위반죄로 처벌하기 위해서는 A씨가 권한 남용을 넘어서 '부정한 수단·방법'이 동원돼야 하지만 A씨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자신의 아이디로 접속했을 뿐 부정관 수단과 방법은 없었기에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대해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사봉 변호사는 "법 개정이 이뤄지기 전까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적 빈틈을 메우기 위해서는 행정부 차원에서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즉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는 등 자구책을 통해 개인정보의 무단 열람을 예방하고, 공무원의 부적절한 정보 열람에 대한 징계 강화 및 권한 관리 등에 대해 보다 엄격한 관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행정안전부 등은 지난해부터 개인정보를 무단 조회하거나 유출한 공무원은 파면이나 해임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개인정보 보호 법규 위반 비위 징계 처리 지침'을 '징계업무 예규 및 편람'에 반영했다. 이에 대해 정 변호사는 "이 지침에서는 '각종 범죄에 악용'되는 경우와 같이 '정보주체에 대한 심각한 피해'인 경우만을 규정하고 있는데 일반 시민들의 단순 피해까지 막기 위한 자구책이라고 평가하기 힘들다"면서 "무단열람 당한 시민들의 피해 회복을 위해서는 행정부와 지자체가 개인정보를 무단열람한 행위에 대해 징계를 의결할 때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를 징계양정 기준에 반영하는 것이 최소한의 방안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기사전문보기] 부산서 전 연인 가족 정보 무단 열람한 공무원 무죄…왜?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5곳
2024-12-09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양특례시와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양특례시와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고양특례시와 지역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2일 고양시청 열린시장실에서 개최된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전효철 변호사와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등이 참석했다. 현재 고양시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자족도시 실현과 경제 자유구역 추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중이다. 이에 고양시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로펌 대륜과 MOU를 체결해 보다 안정적인 사업을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고양시의 투자유치와 도시 개발 사업 전반에 있어서 법률 조력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특히 고양시가 추진중인 일산 테크노밸리 프로젝트와 경제 자유구역 지정 사업에서 법적 리스크를 예방하고 시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세무, 회계, 노무 등의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고양시는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 유치를 위해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며 "대륜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적 투자처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해외 다양한 로펌들과 협력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고양시가 국제적 비즈니스의 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법률 지원과 컨설팅을 아낌없이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륜은 현재 도쿄와 뉴욕 등 해외 주요 도시에 진출하며 글로벌 로펌으로의 확장에 나서고 있다. 대륜은 이를 통해 전 세계 곳곳에서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양특례시와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바로가기) NSP통신 - 고양시·법무법인 대륜, ‘국제도시로의 도약’ MOU 체결 (바로가기) 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고양시와 지역 발전 위한 양해각서 체결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고양시-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고양시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5곳
2024-12-09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양특례시와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양특례시와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고양특례시와 지역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2일 고양시청 열린시장실에서 개최된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전효철 변호사와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등이 참석했다. 현재 고양시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자족도시 실현과 경제 자유구역 추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중이다. 이에 고양시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로펌 대륜과 MOU를 체결해 보다 안정적인 사업을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고양시의 투자유치와 도시 개발 사업 전반에 있어서 법률 조력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특히 고양시가 추진중인 일산 테크노밸리 프로젝트와 경제 자유구역 지정 사업에서 법적 리스크를 예방하고 시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세무, 회계, 노무 등의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고양시는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 유치를 위해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며 "대륜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적 투자처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해외 다양한 로펌들과 협력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고양시가 국제적 비즈니스의 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법률 지원과 컨설팅을 아낌없이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륜은 현재 도쿄와 뉴욕 등 해외 주요 도시에 진출하며 글로벌 로펌으로의 확장에 나서고 있다. 대륜은 이를 통해 전 세계 곳곳에서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고양특례시와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바로가기) NSP통신 - 고양시·법무법인 대륜, ‘국제도시로의 도약’ MOU 체결 (바로가기) 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고양시와 지역 발전 위한 양해각서 체결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 고양시-법무법인 대륜, MOU 체결…‘국제 도시로의 도약’ (바로가기) 벤처스퀘어 - 법무법인 대륜, 고양시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09
‘체스판으로 머리 가격·성추행까지’ 학폭 저지른 초등생들···소년부 송치
‘체스판으로 머리 가격·성추행까지’ 학폭 저지른 초등생들···소년부 송치
소년법 상 촉법소년으로 보호처분학폭위는 접촉금지·교내봉사·특별교육·출석금지 등 처분 초등학교 같은 반 동급생을 성추행하고, 집단으로 괴롭힌 초등학생들이 법원 소년부에 넘겨졌다. 경상남도경찰청은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받는 A군(12세)을 10월 말 창원지방법원 소년부로 송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년법 상 형벌 법령에 저촉되는 행위를 한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촉법소년은 형사 미성년자로 형사처벌 대신 보호처분을 받게 된다. A군은 2023년 6월 초등학교 교실에서 같은 반 동급생인 B군의 바지를 내려 신체 일부를 노출시킨 혐의를 받는다. 경찰 조사 결과에 따르면, B군은 2020년부터 집단 괴롭힘에 시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B군에게 평소에도 이유 없이 욕설을 하고, 놀리는 등 상습적으로 괴롭힘을 일삼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뿐만 아니라 신체적 폭력 행위도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동급생 C군은 체스판을 휘둘러 B군의 머리를 가격하기도 했다. 현재 C군은 특수폭행 혐의로 창원지방법원 소년부에 먼저 송치된 상태다. 이후 열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에서 B군 측은 가해 학생들의 괴롭힘으로 인해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점을 언급하면서, 이들에 대한 엄벌을 주장했다. B군 측 법률대리인은 가해학생들의 폭력의 정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점, 오랜 기간 이어진 학폭으로 인해 피해학생은 학업을 이어 갈 수 없는 상황인 점 등을 들어 엄벌이 내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을 받아들인 학폭위는 가해학생들에게 접촉금지(2호), 교내봉사(3호), 특별교육(5호), 출석정지(6호) 등의 처분을 결정했다. 학폭위 처분은 최고 퇴학처분(9호)까지 가능하다. 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가해 학생들의 강제추행 등 혐의를 인정해 소년부 송치 결정을 했다. 피해학생인 B군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대수 변호사는 “피해학생의 경우 자신이 입은 피해를 학폭위나 경찰에게 상세히 소명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피해학생이 입게 되는 정신적 피해도 크다”면서, “이번 학폭 사안은 괴롭힘의 정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학폭위 대응과 함께 형사상 책임도 묻게 됐다. 모든 과정에 입회해 조력한 결과, B군의 억울함을 풀 수 있었다. 앞으로의 결과를 바탕으로 민사소송도 유리하게 이끌어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체스판으로 머리 가격·성추행까지’ 학폭 저지른 초등생들···소년부 송치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09
‘체스판으로 머리 가격·성추행까지’ 학폭 저지른 초등생들···소년부 송치
‘체스판으로 머리 가격·성추행까지’ 학폭 저지른 초등생들···소년부 송치
소년법 상 촉법소년으로 보호처분학폭위는 접촉금지·교내봉사·특별교육·출석금지 등 처분 초등학교 같은 반 동급생을 성추행하고, 집단으로 괴롭힌 초등학생들이 법원 소년부에 넘겨졌다. 경상남도경찰청은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받는 A군(12세)을 10월 말 창원지방법원 소년부로 송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년법 상 형벌 법령에 저촉되는 행위를 한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촉법소년은 형사 미성년자로 형사처벌 대신 보호처분을 받게 된다. A군은 2023년 6월 초등학교 교실에서 같은 반 동급생인 B군의 바지를 내려 신체 일부를 노출시킨 혐의를 받는다. 경찰 조사 결과에 따르면, B군은 2020년부터 집단 괴롭힘에 시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B군에게 평소에도 이유 없이 욕설을 하고, 놀리는 등 상습적으로 괴롭힘을 일삼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뿐만 아니라 신체적 폭력 행위도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동급생 C군은 체스판을 휘둘러 B군의 머리를 가격하기도 했다. 현재 C군은 특수폭행 혐의로 창원지방법원 소년부에 먼저 송치된 상태다. 이후 열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에서 B군 측은 가해 학생들의 괴롭힘으로 인해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점을 언급하면서, 이들에 대한 엄벌을 주장했다. B군 측 법률대리인은 가해학생들의 폭력의 정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점, 오랜 기간 이어진 학폭으로 인해 피해학생은 학업을 이어 갈 수 없는 상황인 점 등을 들어 엄벌이 내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을 받아들인 학폭위는 가해학생들에게 접촉금지(2호), 교내봉사(3호), 특별교육(5호), 출석정지(6호) 등의 처분을 결정했다. 학폭위 처분은 최고 퇴학처분(9호)까지 가능하다. 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가해 학생들의 강제추행 등 혐의를 인정해 소년부 송치 결정을 했다. 피해학생인 B군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대수 변호사는 “피해학생의 경우 자신이 입은 피해를 학폭위나 경찰에게 상세히 소명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피해학생이 입게 되는 정신적 피해도 크다”면서, “이번 학폭 사안은 괴롭힘의 정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학폭위 대응과 함께 형사상 책임도 묻게 됐다. 모든 과정에 입회해 조력한 결과, B군의 억울함을 풀 수 있었다. 앞으로의 결과를 바탕으로 민사소송도 유리하게 이끌어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체스판으로 머리 가격·성추행까지’ 학폭 저지른 초등생들···소년부 송치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12-05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프랜차이즈팀 김원상 변호사 인터뷰차액 가맹금 관련 법률 수요 증가 예상대륜, '법적자문·재무회계' 토털케어 제공 최근 한국피자헛이 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한 사실이 알려지며 화제가 되고 있다. 1세대 프랜차이즈인 한국피자헛의 이같은 위기는 가맹점주들이 제기한 '차액 가맹금 소송'에서 패하면서 비롯됐다.차액 가맹금이란 본사가 가맹점에 제공하는 물품 가격에 이익을 붙인 것으로, 일종의 '유통 마진'을 뜻한다.법원은 본사가 가맹점주 동의 없이 부당하게 차액 가맹금을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고 판단했다. 현재 한국피자헛 측은 상고 절차를 밟고 있는데, 만약 판결이 최종 확정된다면 점주들에게 약 210억 원을 반환해야 한다.이 같은 판결의 여파는 프랜차이즈 업계 전체로 번지는 모양새다. 다른 프랜차이즈 점주들 역시 관련 소송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이처럼 업계 혼란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최근 프랜차이즈팀을 강화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한국피자헛 소송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회생파산센터장 김원상 변호사와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다음은 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Q. 한국피자헛이 차액 가맹금 소송에서 패소한 사실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소송이 시작된 원인은 무엇인가?A. 기존에 피자헛을 직영점으로 운영하던 점주들이 가맹점(체인점) 형태로 전환하며 사업을 운영하던 중 예상보다 현저하게 수익이 낮아 재무상태표 등을 검토했다. 그 결과 가맹금을 본사에 지나치게 많이 지급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됐고 이에 따른 법적 구제가 필요하다 판단해 소송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Q. 이번 판결을 보면 법원도 가맹금이 지나치게 부과되고 있다는 점을 알고 가맹점주들의 손을 들어줬다. 이같은 판단을 내린 법원의 기준은 무엇인가?A. 이번 사건의 쟁점은 차액 가맹금의 수령 여부가 아니라 '차액 가맹금 수령 근거가 가맹 계약에 존재하는가'이다. 그런데 1심과 2심 재판부는 모두 이같은 근거가 없다고 판단했다.특히 2심 재판부는 차액 가맹금과 관련된 가맹사업법안이 개정된 이유에 대해 차액 가맹금이 있는 경우 계약서에 관련된 합의 사항이 필수로 기재되어야 하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그런데 이번 사건의 가맹계약서와 정보공개서에는 차액 가맹금이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대법원은 유사 사례에서 정보공개서에 가맹점주에게 불리한 내용이 기재돼 있고 그것이 계약 체결 전 가맹점주에게 제공됐다 하더라도 가맹계약 내용에 편입된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한 적이 있다.나아가 2심은 본사가 원·부재료 공급에 소요되는 비용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면 이를 반영한 계약을 체결하거나 비용을 산정한 자료를 가맹점주에게 제시해 동의를 받는 등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판결했다.Q. 그동안 본사와 가맹점주 간에 차액 가맹금 문제가 관행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소송의 여파가 큰 것으로 보이는데, 다른 프랜차이즈 점주들도 단체 소송을 준비중이라는 소식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는가?A. 차액 가맹금과 관련해 정보공개서 등에 기재된 사항이 불충분하거나 그 자체만으로는 가맹 계약에 편입된다고 보기 어려운 점, 그동안의 관행상 본사와 가맹점주 사이에 체결된 계약에 차액 가맹금에 대한 규정이 상세하게 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점, 가맹점주들은 직영점을 운영하다 전환하는 경향이 있어 수익과 비용 내역을 상세히 알수 있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가맹점주들은 단체 소송을 통해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Q. 반면 일부 프랜차이즈 회사들은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집단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데, 본사 입장에서는 어떻게 대응할 필요가 있는가?A. 우선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가맹점주들과 부실하게 계약을 체결해서는 안된다. 비용 절감이나 보전을 위한 산정 내역을 점주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뒤 가맹 계약서에 분명하게 적시해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해야 한다.이와 함께 계약 체결 당시 점주들과 나눴던 구체적인 대화 내용, 어떤 명목에서 가맹금을 받았는지 경위를 밝힐 수 있는 영수증 및 세금계산서 등을 수집해 차액 가맹금의 내용이 편입됐다는 점을 주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Q. 그렇다면 반대로 가맹점주가 본사와 계약할때 주의깊게 살펴봐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가?A. 가맹점주들에게는 계약 체결시 본사로부터 어떤 계약 조건을 들었는지,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정보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를 받았는지, 가맹금 지급 과정에서 구체적인 내역에 대한 설명을 들은 사실이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따라서 정보공개서, 가맹계약서를 비롯해 본사로부터 받은 가맹금 내역서가 있다면 해당 내역서 등이 필요하다.본사는 사업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도를 갖추고 있고 중요한 정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 또 재무·회계에도 능숙한 실력을 발휘하는 전문가 집단이므로 점주들은 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가맹사업에 대해 관련 법규를 위반하는 사항은 없는지, 가맹점주들의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은 무엇인지, 부담할 예측 가능한 비용은 어느 범위까지인지 등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맹계약서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필요하다.Q. 불공정 관행과 관련해 가맹점주와 프랜차이즈 본사가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법률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대륜에서도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을 강화했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가?A. 이번 소송은 가맹점주들이 재무상태표 등을 꼼꼼히 살피는 과정에서 시작됐다. 이를 고려해 대륜 프랜차이즈팀은 그동안 각종 기업 회계·재무·조세 자문을 통해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프랜차이즈 회사에 가맹계약서, 정보공개서에 대한 법리적 분석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가맹점주들의 재무구조에 대한 컨설팅까지 조력하고 있다.Q. 이같은 분쟁 속에서 본사의 책임과 가맹점주의 권리를 균형있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떤 법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는가?A. 프랜차이즈 사업은 누구나 손쉽게 시작할 수 있는 사업이므로 산업의 종류를 가리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관련 산업 발전에 발맞춘 당국의 신속한 규정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Q. 마지막으로 프랜차이즈 관련 소송 또는 분쟁을 겪고 있는 분들에게 할 말이 있다면?A. 법적 소송은 멀리 있는 것 같지만 막상 분쟁의 당사자가 되면 오랜 기간 분쟁 속에 놓일 수 밖에 없어 일상 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대륜은 단순히 법률적인 자문을 넘어 재무·회계적 자문까지 해주는 토털 케어 시스템으로 가맹점주와 본사 모두에게 충분한 도움을 드릴 수 있다.특히 가맹점주의 경우 직접적으로 생계와 금전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신속한 해결이 필요하다. 대륜은 분쟁이 확대되기 전에 한 발 앞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전문성을 갖췄으니 상담을 통해 문제를 진단해 보기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바로가기) 세계일보 -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12-05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프랜차이즈팀 김원상 변호사 인터뷰차액 가맹금 관련 법률 수요 증가 예상대륜, '법적자문·재무회계' 토털케어 제공 최근 한국피자헛이 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한 사실이 알려지며 화제가 되고 있다. 1세대 프랜차이즈인 한국피자헛의 이같은 위기는 가맹점주들이 제기한 '차액 가맹금 소송'에서 패하면서 비롯됐다.차액 가맹금이란 본사가 가맹점에 제공하는 물품 가격에 이익을 붙인 것으로, 일종의 '유통 마진'을 뜻한다.법원은 본사가 가맹점주 동의 없이 부당하게 차액 가맹금을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고 판단했다. 현재 한국피자헛 측은 상고 절차를 밟고 있는데, 만약 판결이 최종 확정된다면 점주들에게 약 210억 원을 반환해야 한다.이 같은 판결의 여파는 프랜차이즈 업계 전체로 번지는 모양새다. 다른 프랜차이즈 점주들 역시 관련 소송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이처럼 업계 혼란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최근 프랜차이즈팀을 강화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한국피자헛 소송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회생파산센터장 김원상 변호사와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다음은 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Q. 한국피자헛이 차액 가맹금 소송에서 패소한 사실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소송이 시작된 원인은 무엇인가?A. 기존에 피자헛을 직영점으로 운영하던 점주들이 가맹점(체인점) 형태로 전환하며 사업을 운영하던 중 예상보다 현저하게 수익이 낮아 재무상태표 등을 검토했다. 그 결과 가맹금을 본사에 지나치게 많이 지급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됐고 이에 따른 법적 구제가 필요하다 판단해 소송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Q. 이번 판결을 보면 법원도 가맹금이 지나치게 부과되고 있다는 점을 알고 가맹점주들의 손을 들어줬다. 이같은 판단을 내린 법원의 기준은 무엇인가?A. 이번 사건의 쟁점은 차액 가맹금의 수령 여부가 아니라 '차액 가맹금 수령 근거가 가맹 계약에 존재하는가'이다. 그런데 1심과 2심 재판부는 모두 이같은 근거가 없다고 판단했다.특히 2심 재판부는 차액 가맹금과 관련된 가맹사업법안이 개정된 이유에 대해 차액 가맹금이 있는 경우 계약서에 관련된 합의 사항이 필수로 기재되어야 하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그런데 이번 사건의 가맹계약서와 정보공개서에는 차액 가맹금이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대법원은 유사 사례에서 정보공개서에 가맹점주에게 불리한 내용이 기재돼 있고 그것이 계약 체결 전 가맹점주에게 제공됐다 하더라도 가맹계약 내용에 편입된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한 적이 있다.나아가 2심은 본사가 원·부재료 공급에 소요되는 비용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면 이를 반영한 계약을 체결하거나 비용을 산정한 자료를 가맹점주에게 제시해 동의를 받는 등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판결했다.Q. 그동안 본사와 가맹점주 간에 차액 가맹금 문제가 관행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소송의 여파가 큰 것으로 보이는데, 다른 프랜차이즈 점주들도 단체 소송을 준비중이라는 소식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는가?A. 차액 가맹금과 관련해 정보공개서 등에 기재된 사항이 불충분하거나 그 자체만으로는 가맹 계약에 편입된다고 보기 어려운 점, 그동안의 관행상 본사와 가맹점주 사이에 체결된 계약에 차액 가맹금에 대한 규정이 상세하게 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점, 가맹점주들은 직영점을 운영하다 전환하는 경향이 있어 수익과 비용 내역을 상세히 알수 있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가맹점주들은 단체 소송을 통해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Q. 반면 일부 프랜차이즈 회사들은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집단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데, 본사 입장에서는 어떻게 대응할 필요가 있는가?A. 우선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가맹점주들과 부실하게 계약을 체결해서는 안된다. 비용 절감이나 보전을 위한 산정 내역을 점주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뒤 가맹 계약서에 분명하게 적시해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해야 한다.이와 함께 계약 체결 당시 점주들과 나눴던 구체적인 대화 내용, 어떤 명목에서 가맹금을 받았는지 경위를 밝힐 수 있는 영수증 및 세금계산서 등을 수집해 차액 가맹금의 내용이 편입됐다는 점을 주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Q. 그렇다면 반대로 가맹점주가 본사와 계약할때 주의깊게 살펴봐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가?A. 가맹점주들에게는 계약 체결시 본사로부터 어떤 계약 조건을 들었는지,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정보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를 받았는지, 가맹금 지급 과정에서 구체적인 내역에 대한 설명을 들은 사실이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따라서 정보공개서, 가맹계약서를 비롯해 본사로부터 받은 가맹금 내역서가 있다면 해당 내역서 등이 필요하다.본사는 사업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도를 갖추고 있고 중요한 정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 또 재무·회계에도 능숙한 실력을 발휘하는 전문가 집단이므로 점주들은 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가맹사업에 대해 관련 법규를 위반하는 사항은 없는지, 가맹점주들의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은 무엇인지, 부담할 예측 가능한 비용은 어느 범위까지인지 등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맹계약서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필요하다.Q. 불공정 관행과 관련해 가맹점주와 프랜차이즈 본사가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법률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대륜에서도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을 강화했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가?A. 이번 소송은 가맹점주들이 재무상태표 등을 꼼꼼히 살피는 과정에서 시작됐다. 이를 고려해 대륜 프랜차이즈팀은 그동안 각종 기업 회계·재무·조세 자문을 통해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프랜차이즈 회사에 가맹계약서, 정보공개서에 대한 법리적 분석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가맹점주들의 재무구조에 대한 컨설팅까지 조력하고 있다.Q. 이같은 분쟁 속에서 본사의 책임과 가맹점주의 권리를 균형있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떤 법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는가?A. 프랜차이즈 사업은 누구나 손쉽게 시작할 수 있는 사업이므로 산업의 종류를 가리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관련 산업 발전에 발맞춘 당국의 신속한 규정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Q. 마지막으로 프랜차이즈 관련 소송 또는 분쟁을 겪고 있는 분들에게 할 말이 있다면?A. 법적 소송은 멀리 있는 것 같지만 막상 분쟁의 당사자가 되면 오랜 기간 분쟁 속에 놓일 수 밖에 없어 일상 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대륜은 단순히 법률적인 자문을 넘어 재무·회계적 자문까지 해주는 토털 케어 시스템으로 가맹점주와 본사 모두에게 충분한 도움을 드릴 수 있다.특히 가맹점주의 경우 직접적으로 생계와 금전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신속한 해결이 필요하다. 대륜은 분쟁이 확대되기 전에 한 발 앞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전문성을 갖췄으니 상담을 통해 문제를 진단해 보기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바로가기) 세계일보 - 차액 가맹금 소송 피하려면…“가맹계약서 검토로 분쟁 최소화해야” (바로가기)
머니S
2024-12-05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 사고"… 역무원, 항소심서도 '무죄'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 사고"… 역무원, 항소심서도 '무죄'
역무원 A씨,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기소재판부 "정시 출발 의무 지키기 위함…사고 발생 예상 어려웠을 것"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이 열차에 치인 사고와 관련해 안전 관리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소된 역무원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승객의 행동을 역무원이 예측할 수 없었다고 판단해서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 제1형사부는 지난 11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를 받는 역무원 A씨에 대해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 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2021년 12월 한 기차역에서 관제 업무를 담당하던 중 승객 통제 등 업무상 주의의무를 소홀히 해 사고를 일으킨 혐의를 받는다.당시 승객 B씨는 승강장으로 향하던 중 선로를 건너려다 열차에 부딪히는 사고를 당했다. 이로 인해 B씨는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다. 검찰은 A씨가 건널목에서 승객을 통제해야 할 의무를 지키지 않은 채 역무실로 먼저 들어가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했다.A씨 측은 역무실로 먼저 들어간 것이 철도 관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함이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당시 A씨는 여객 통제와 철도 관제 업무를 혼자 병행하고 있었는데, 승강장과 역무실 간 거리가 멀어 두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기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아울러 A씨는 사고 발생 예측에 어려움이 있었다고도 주장했다. 피해 승객은 건널목이 아닌 선로를 걷다 사고를 당했는데, 제대로 된 통제가 이뤄졌다고 하더라도 해당 사고를 막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1심 재판부는 A씨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A씨가 건널목 통제를 중단하고 일찍 역무실로 들어간 것은 정시 출발이라는 또 다른 의무를 지키기 위함이었다"며 "때문에 이를 두고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당시 피해자가 건널목과 떨어진 선로에 있었다는 증언과 함께 해당 위치에서 피해자의 혈흔이 발견됐다"며 "해당 사고 발생 장소는 건널목이 아닌 선로 위"라고 판단했다.검찰이 항소를 제기했지만 항소심 재판부 역시 같은 판단을 내렸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열차에 부딪힌 장소는 건널목이 아닌 선로일 가능성이 커 A씨가 사고를 예상하고 막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고 무죄 선고 이유를 설명했다.항소심에서 A씨의 법률 대리를 담당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석균 변호사는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에 따르면 공소 사실은 범죄의 일시와 장소 및 방법을 명시해 특정하도록 하고 있다"면서 "공소장에 적힌 장소는 '건널목 부근'으로 되어 있는데, 법원이 사고 장소를 선로로 판단했기에 공소 사실이 불특정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사실들이 반영돼 무죄 판결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 사고"… 역무원, 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머니S
2024-12-05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 사고"… 역무원, 항소심서도 '무죄'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 사고"… 역무원, 항소심서도 '무죄'
역무원 A씨,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기소재판부 "정시 출발 의무 지키기 위함…사고 발생 예상 어려웠을 것"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이 열차에 치인 사고와 관련해 안전 관리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소된 역무원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승객의 행동을 역무원이 예측할 수 없었다고 판단해서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 제1형사부는 지난 11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를 받는 역무원 A씨에 대해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 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2021년 12월 한 기차역에서 관제 업무를 담당하던 중 승객 통제 등 업무상 주의의무를 소홀히 해 사고를 일으킨 혐의를 받는다.당시 승객 B씨는 승강장으로 향하던 중 선로를 건너려다 열차에 부딪히는 사고를 당했다. 이로 인해 B씨는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다. 검찰은 A씨가 건널목에서 승객을 통제해야 할 의무를 지키지 않은 채 역무실로 먼저 들어가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했다.A씨 측은 역무실로 먼저 들어간 것이 철도 관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함이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당시 A씨는 여객 통제와 철도 관제 업무를 혼자 병행하고 있었는데, 승강장과 역무실 간 거리가 멀어 두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기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아울러 A씨는 사고 발생 예측에 어려움이 있었다고도 주장했다. 피해 승객은 건널목이 아닌 선로를 걷다 사고를 당했는데, 제대로 된 통제가 이뤄졌다고 하더라도 해당 사고를 막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1심 재판부는 A씨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A씨가 건널목 통제를 중단하고 일찍 역무실로 들어간 것은 정시 출발이라는 또 다른 의무를 지키기 위함이었다"며 "때문에 이를 두고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당시 피해자가 건널목과 떨어진 선로에 있었다는 증언과 함께 해당 위치에서 피해자의 혈흔이 발견됐다"며 "해당 사고 발생 장소는 건널목이 아닌 선로 위"라고 판단했다.검찰이 항소를 제기했지만 항소심 재판부 역시 같은 판단을 내렸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열차에 부딪힌 장소는 건널목이 아닌 선로일 가능성이 커 A씨가 사고를 예상하고 막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고 무죄 선고 이유를 설명했다.항소심에서 A씨의 법률 대리를 담당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석균 변호사는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에 따르면 공소 사실은 범죄의 일시와 장소 및 방법을 명시해 특정하도록 하고 있다"면서 "공소장에 적힌 장소는 '건널목 부근'으로 되어 있는데, 법원이 사고 장소를 선로로 판단했기에 공소 사실이 불특정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사실들이 반영돼 무죄 판결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선로로 갑자기 뛰어든 승객 사고"… 역무원, 항소심서도 '무죄'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2-04
남친 뺏고 “애 지워” 강요한 여성…전문가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어”
남친 뺏고 “애 지워” 강요한 여성…전문가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어”
남자친구와 바람난 여성에게 임신중절을 요구받고, 폭언을 들었다는 여성 사연이 전해졌다. 전문가는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날 2일 KBS joy '무엇이든 물어보살'에는 임신중절과 남자친구의 바람 등으로 우울증을 앓고 있는 여성 A씨 사연이 전해졌다. A씨 지난 2016년 아르바이트하던 치킨집에서 남자친구와 교제를 시작했다. 그는 6년간 남자친구와 만남을 이어오며 이별과 다시 만나기를 반복했지만 결국 동거하며 지나게 될 정도로 가까운 사이가 됐다. 또 동거 후 임신해 두 사람의 아이가 생겼다. 하지만 남자친구는 A씨 몰래 다른 여성 B씨를 만나고 있었다. 그는 상대 여성에게도 A씨와 교제하는 사실을 숨긴 채 몰래 데이트를 이어왔다. 하지만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일까? A씨는 남자친구가 바람핀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B씨와 관계를 정리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남자친구는 B씨한테 돈을 빌렸고 갚을 때까지만 기다려달라며 관계 정리를 미뤘다. 남자친구는 A씨의 임신에도 B씨와 헤어지지 않았다. B씨는 오히려 남자친구에게 "여자친구 임신중절 수술하라고 해라", "나도 임신하면 되는 것 아니냐"며 문자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결국 임신중절 수술을 받게 됐다. 그러자 B씨는 자신의 SNS(소셜미디어)에 "넌 XX다", "네 아기 하늘나라에서 운다. 네 아기 죽은 걸로 난 너무 행복하다" 등 글을 남겼다고 A씨는 주장했다. A씨는 "저는 현재 남자친구와 겉으로는 잘 지내는 중인데, 그 일 때문에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며 "상처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피해를 호소했다. 이 사연에 대해 3일 법무법인 대륜 곽지연 변호사는 “폭언 내용 중 협박에 해당할 내용이 있었다면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고, 불법행위로 인한 위자료도 청구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소셜미디어(SNS)가 불특정다수에게 공개된 것이라면 정통망법위반(명예훼손)은 당연히 성립된다”며 “위자료 청구는 가능할 거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남친 뺏고 “애 지워” 강요한 여성…전문가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어”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2-04
남친 뺏고 “애 지워” 강요한 여성…전문가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어”
남친 뺏고 “애 지워” 강요한 여성…전문가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어”
남자친구와 바람난 여성에게 임신중절을 요구받고, 폭언을 들었다는 여성 사연이 전해졌다. 전문가는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날 2일 KBS joy '무엇이든 물어보살'에는 임신중절과 남자친구의 바람 등으로 우울증을 앓고 있는 여성 A씨 사연이 전해졌다. A씨 지난 2016년 아르바이트하던 치킨집에서 남자친구와 교제를 시작했다. 그는 6년간 남자친구와 만남을 이어오며 이별과 다시 만나기를 반복했지만 결국 동거하며 지나게 될 정도로 가까운 사이가 됐다. 또 동거 후 임신해 두 사람의 아이가 생겼다. 하지만 남자친구는 A씨 몰래 다른 여성 B씨를 만나고 있었다. 그는 상대 여성에게도 A씨와 교제하는 사실을 숨긴 채 몰래 데이트를 이어왔다. 하지만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일까? A씨는 남자친구가 바람핀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B씨와 관계를 정리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남자친구는 B씨한테 돈을 빌렸고 갚을 때까지만 기다려달라며 관계 정리를 미뤘다. 남자친구는 A씨의 임신에도 B씨와 헤어지지 않았다. B씨는 오히려 남자친구에게 "여자친구 임신중절 수술하라고 해라", "나도 임신하면 되는 것 아니냐"며 문자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결국 임신중절 수술을 받게 됐다. 그러자 B씨는 자신의 SNS(소셜미디어)에 "넌 XX다", "네 아기 하늘나라에서 운다. 네 아기 죽은 걸로 난 너무 행복하다" 등 글을 남겼다고 A씨는 주장했다. A씨는 "저는 현재 남자친구와 겉으로는 잘 지내는 중인데, 그 일 때문에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며 "상처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피해를 호소했다. 이 사연에 대해 3일 법무법인 대륜 곽지연 변호사는 “폭언 내용 중 협박에 해당할 내용이 있었다면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고, 불법행위로 인한 위자료도 청구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소셜미디어(SNS)가 불특정다수에게 공개된 것이라면 정통망법위반(명예훼손)은 당연히 성립된다”며 “위자료 청구는 가능할 거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남친 뺏고 “애 지워” 강요한 여성…전문가 “형사상 강요에 해당할 수 있어”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03
입원한 전 처 간호하다 병으로 내려친 70대 남성···‘기소유예’
입원한 전 처 간호하다 병으로 내려친 70대 남성···‘기소유예’
‘특수상해 혐의’ 검찰 송치검찰 “성실히 간병하던 중 우발적 범행···반성·피해자 합의 고려” 입원한 전처에게 유리병을 휘둘러 다치게 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70대 남성이 불기소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특수상해 혐의를 받는 A씨에 대해 지난 10월 기소를 유예하는 불기소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24년 9월 입원 중인 전처에게 유리로 된 화장품 공병을 내려쳐 다치게 해 특수상해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당시 A씨는 전처의 병원비 수납 문제를 둘러싸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극심한 스트레스는 잦은 음주로 이어졌으며, A씨는 사건 당일 역시 술에 취한 채 병으로 전처를 가격했고, 이를 발견한 간호사가 경찰에 신고했다.A씨측은 모든 혐의를 인정했으나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며 선처를 호소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검찰은 “피의사실이 인정된다. 피해자에게 상해를 가한 것은 가볍지 않은 사안”이라면서도, “A씨가 피해자를 성실히 간병하던 중 우발적으로 범행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검찰은 이어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고 있지 않고 A씨가 혐의를 인정하고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참작한다”며 기소 유예 처분의 사유를 밝혔다.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승찬 변호사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A씨는 모금회 등 지원 프로그램을 알아보며 피해자의 병원비를 마련하고자 힘썼고, 그 결과 수납을 마칠 수 있었다”면서, “사건의 경위와 함께 이후 사정까지 강조한 결과 기소유예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입원한 전 처 간호하다 병으로 내려친 70대 남성···‘기소유예’ (바로가기)
로리더
2024-12-03
입원한 전 처 간호하다 병으로 내려친 70대 남성···‘기소유예’
입원한 전 처 간호하다 병으로 내려친 70대 남성···‘기소유예’
‘특수상해 혐의’ 검찰 송치검찰 “성실히 간병하던 중 우발적 범행···반성·피해자 합의 고려” 입원한 전처에게 유리병을 휘둘러 다치게 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70대 남성이 불기소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특수상해 혐의를 받는 A씨에 대해 지난 10월 기소를 유예하는 불기소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A씨는 2024년 9월 입원 중인 전처에게 유리로 된 화장품 공병을 내려쳐 다치게 해 특수상해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당시 A씨는 전처의 병원비 수납 문제를 둘러싸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극심한 스트레스는 잦은 음주로 이어졌으며, A씨는 사건 당일 역시 술에 취한 채 병으로 전처를 가격했고, 이를 발견한 간호사가 경찰에 신고했다.A씨측은 모든 혐의를 인정했으나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며 선처를 호소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검찰은 “피의사실이 인정된다. 피해자에게 상해를 가한 것은 가볍지 않은 사안”이라면서도, “A씨가 피해자를 성실히 간병하던 중 우발적으로 범행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검찰은 이어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고 있지 않고 A씨가 혐의를 인정하고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참작한다”며 기소 유예 처분의 사유를 밝혔다.피의자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승찬 변호사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A씨는 모금회 등 지원 프로그램을 알아보며 피해자의 병원비를 마련하고자 힘썼고, 그 결과 수납을 마칠 수 있었다”면서, “사건의 경위와 함께 이후 사정까지 강조한 결과 기소유예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입원한 전 처 간호하다 병으로 내려친 70대 남성···‘기소유예’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03
청소년 불법 도박, 형사 재판까지 받을 수 있어…초기부터 대응 필요
청소년 불법 도박, 형사 재판까지 받을 수 있어…초기부터 대응 필요
최근 청소년 불법 도박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찰청이 지난해 9월 25일부터 올해 11월 31일까지 사이버 도박 특별 단속을 벌인 결과 총 9,971명이 검거됐는데,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715명이 청소년이었다. 청소년은 가치관이 완벽하게 형성되지 않아 사고방식이나 판단력에서 성인에 비해 미숙한 부분이 많다. 이러한 시기에는 도박에 빠질 위험성이 더욱 클 뿐더러, 심리적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로 인해 금전적인 손해는 물론, 학업·인간관계·가정생활 등 전반적인 삶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특히 청소년은 사이버 공간에서 도박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별도의 성인 인증 절차를 거치는 곳이 많지 않아 가입 절차가 간단하고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부모나 교사 등 주변 어른 몰래 도박을 즐길 수 있다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데다, 온라인상에서 불법 도박 사이트 광고들을 쉽게 접하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사이버 도박을 포함해 도박을 한 사람은 모두 형법 제246조에 의해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상습적으로 행한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선고된다. 만약 도박장을 운영한 경우 처벌은 더 강화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일반적으로 미성년자는 강력 범죄가 아니라면 보호 처분에서 마무리 되는 경우가 많다. 도박죄도 마찬가지로 초범인 경우 선처를 구해볼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차례 도박을 저질렀거나 도박장을 운영했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도박 사이트 운영에 가담하고 있는데, 이 경우 도박 개장죄가 적용돼 미성년자라 할지라도 재판에 넘겨질 수 있다. 이는 소년 보호 재판과 달리 혐의가 인정돼 전과 기록이 남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지난해 의정부지검은 불법 도박사이트를 운영한 일당을 기소했는데, 그 중 12명이 청소년이었다.따라서 도박 개장 관련 혐의를 받고 있다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세워 적극 대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변호사 등 법조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또한 범죄를 처음 저질러 선처를 구할 수 있다 하더라도 법적 처분이 내려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보다 가벼운 처분을 받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이 경우 역시 전문가의 조력을 바탕으로 철저한 전략을 세워 법적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기사전문보기] - 청소년 불법 도박, 형사 재판까지 받을 수 있어…초기부터 대응 필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2-03
청소년 불법 도박, 형사 재판까지 받을 수 있어…초기부터 대응 필요
청소년 불법 도박, 형사 재판까지 받을 수 있어…초기부터 대응 필요
최근 청소년 불법 도박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찰청이 지난해 9월 25일부터 올해 11월 31일까지 사이버 도박 특별 단속을 벌인 결과 총 9,971명이 검거됐는데,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715명이 청소년이었다. 청소년은 가치관이 완벽하게 형성되지 않아 사고방식이나 판단력에서 성인에 비해 미숙한 부분이 많다. 이러한 시기에는 도박에 빠질 위험성이 더욱 클 뿐더러, 심리적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로 인해 금전적인 손해는 물론, 학업·인간관계·가정생활 등 전반적인 삶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특히 청소년은 사이버 공간에서 도박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별도의 성인 인증 절차를 거치는 곳이 많지 않아 가입 절차가 간단하고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부모나 교사 등 주변 어른 몰래 도박을 즐길 수 있다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데다, 온라인상에서 불법 도박 사이트 광고들을 쉽게 접하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사이버 도박을 포함해 도박을 한 사람은 모두 형법 제246조에 의해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상습적으로 행한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선고된다. 만약 도박장을 운영한 경우 처벌은 더 강화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일반적으로 미성년자는 강력 범죄가 아니라면 보호 처분에서 마무리 되는 경우가 많다. 도박죄도 마찬가지로 초범인 경우 선처를 구해볼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차례 도박을 저질렀거나 도박장을 운영했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도박 사이트 운영에 가담하고 있는데, 이 경우 도박 개장죄가 적용돼 미성년자라 할지라도 재판에 넘겨질 수 있다. 이는 소년 보호 재판과 달리 혐의가 인정돼 전과 기록이 남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지난해 의정부지검은 불법 도박사이트를 운영한 일당을 기소했는데, 그 중 12명이 청소년이었다.따라서 도박 개장 관련 혐의를 받고 있다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세워 적극 대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변호사 등 법조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또한 범죄를 처음 저질러 선처를 구할 수 있다 하더라도 법적 처분이 내려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보다 가벼운 처분을 받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이 경우 역시 전문가의 조력을 바탕으로 철저한 전략을 세워 법적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기사전문보기] - 청소년 불법 도박, 형사 재판까지 받을 수 있어…초기부터 대응 필요 (바로가기)
서울경제
2024-12-02
"채용형 인턴에도 성과급 줘야" 잇단 판결에 기업 비상
"채용형 인턴에도 성과급 줘야" 잇단 판결에 기업 비상
2022년 첫 판결 후 올 유사 2건정규직과 동일업무땐 지급 명시법조계 판례 늘며 기업 규정손질기간 줄이고 지급근거 마련 나서 채용형 인턴이 근무 기간 동안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했다면, 동일하게 성과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이어지고 있다. 같은 일을 했으니, 성과금 지급에서 차별 대우를 받으면 안 된다는 취지다. 법원 결정에 향후 각 기업의 인턴 제도 규정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인턴 자체를 축소하거나 성과금 지급 규정을 신설하는 등 명확한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48부는 지난 10월 A씨 외 416명이 한국조폐공사를 상대로 제기한 차별 처우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차별대우가 인정된 원고들에게 각각 280여만 원530여만 원 및 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을 내렸다.조폐공사는 2009년2013년 체험형 인턴 제도를 운영했다. 이후 정부 지침에 따라 2014년부터는 ‘채용형 인턴’ 제도를 도입했다. 공사 측은 해마다 보수 규정에 따라 공사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했다. 하지만 인턴과 계약직 근로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자, A씨 등은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했음에도 인턴 기간에는 성과급이 지급되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같은 일을 하고도 성과금을 지급하지 않은 게 근로기준법 제6조 또는 기간제법 제8조를 위반이라는 이유에서다. 쟁점은 채용형 인턴의 비교 대상이 공사의 정규직 근로자여야 하는지 여부였다. 법원은 채용형 인턴을 일반 수습사원 등과는 차이가 있는 기간제 근로자로 판단했다. 재판부는 “채용형 인턴들은 공사에 입사해 정규직 근로자들과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업무를 부여받았고, 인턴 기간을 마친 후 정규직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동일한 업무를 수행했다”며, 정규직 근로자가 수행하는 업무와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고 지적했다. 공사가 기간제법을 위반했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기간제법 제8조 1항은 “사용자는 기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해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한 달 앞선 지난 9월 대구지방법원 민사13부도 자사 인턴 330명이 한국부동산원을 상대로 제기한 차별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에서 조폐공사 판결과 비슷한 취지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대구지법 역시 채용형 인턴의 비교대상 근로자는 정규직이라고 판시했다. 대구지법 민사12부 역시 지난 2022년 한국가스공사의 채용형 인턴들이 공사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인턴들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는 채용형 인턴들이 정규직과 비슷한 업무를 지속해왔다면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판결한 첫 사례였다.임동한 법무법인 동인 대변인 변호사는 “채용형 인턴은 사기업이든 공기업이든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중간 단계로 생각할 수 있다”며 “해당 판결들은 차별금지법에 위반된다고 봐서, 기간제 근로자를 아무런 이유 없이 차별한 것으로 명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방인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정규직과 비슷한 업무를 수행한 채용형 인턴들에게 어떠한 수당도 지급되지 않는 취업규칙이나 규정은 위법한 사내규정이 되어 효력이 없어진다”며 “결국 성과급 미지급 관련 기간제법 제8조 1항 위반에 따라 이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이 되어, 공사 측이나 기업이 배상해야 할 리스크가 생길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조폐공사처럼 소송이 들어올 움직임이 있다면 사전에 노조 등과 협의하여 소송비용 출혈을 막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다”라고 제언했다.일각에서는 이들 판결에 따라 기업의 선(先)조치가 잇따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실제로 일부 공사의 경우 인턴 근로계약서상에 성과급 지급 여부와 관련한 조항을 신설해 지급 근거를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반면 채용형 인턴 제도의 축소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정규직 전환 이전에 우수한 사원들을 심사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제도를 시행하지만, 채용형 인턴 시기를 정규직과 동일한 선상으로 본다는 판단이 나오면서 해당 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 "채용형 인턴에도 성과급 줘야" 잇단 판결에 기업 비상 (바로가기)
서울경제
2024-12-02
"채용형 인턴에도 성과급 줘야" 잇단 판결에 기업 비상
"채용형 인턴에도 성과급 줘야" 잇단 판결에 기업 비상
2022년 첫 판결 후 올 유사 2건정규직과 동일업무땐 지급 명시법조계 판례 늘며 기업 규정손질기간 줄이고 지급근거 마련 나서 채용형 인턴이 근무 기간 동안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했다면, 동일하게 성과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이어지고 있다. 같은 일을 했으니, 성과금 지급에서 차별 대우를 받으면 안 된다는 취지다. 법원 결정에 향후 각 기업의 인턴 제도 규정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인턴 자체를 축소하거나 성과금 지급 규정을 신설하는 등 명확한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48부는 지난 10월 A씨 외 416명이 한국조폐공사를 상대로 제기한 차별 처우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차별대우가 인정된 원고들에게 각각 280여만 원530여만 원 및 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을 내렸다.조폐공사는 2009년2013년 체험형 인턴 제도를 운영했다. 이후 정부 지침에 따라 2014년부터는 ‘채용형 인턴’ 제도를 도입했다. 공사 측은 해마다 보수 규정에 따라 공사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했다. 하지만 인턴과 계약직 근로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자, A씨 등은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했음에도 인턴 기간에는 성과급이 지급되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같은 일을 하고도 성과금을 지급하지 않은 게 근로기준법 제6조 또는 기간제법 제8조를 위반이라는 이유에서다. 쟁점은 채용형 인턴의 비교 대상이 공사의 정규직 근로자여야 하는지 여부였다. 법원은 채용형 인턴을 일반 수습사원 등과는 차이가 있는 기간제 근로자로 판단했다. 재판부는 “채용형 인턴들은 공사에 입사해 정규직 근로자들과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업무를 부여받았고, 인턴 기간을 마친 후 정규직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동일한 업무를 수행했다”며, 정규직 근로자가 수행하는 업무와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고 지적했다. 공사가 기간제법을 위반했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기간제법 제8조 1항은 “사용자는 기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해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한 달 앞선 지난 9월 대구지방법원 민사13부도 자사 인턴 330명이 한국부동산원을 상대로 제기한 차별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에서 조폐공사 판결과 비슷한 취지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대구지법 역시 채용형 인턴의 비교대상 근로자는 정규직이라고 판시했다. 대구지법 민사12부 역시 지난 2022년 한국가스공사의 채용형 인턴들이 공사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인턴들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는 채용형 인턴들이 정규직과 비슷한 업무를 지속해왔다면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판결한 첫 사례였다.임동한 법무법인 동인 대변인 변호사는 “채용형 인턴은 사기업이든 공기업이든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중간 단계로 생각할 수 있다”며 “해당 판결들은 차별금지법에 위반된다고 봐서, 기간제 근로자를 아무런 이유 없이 차별한 것으로 명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방인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정규직과 비슷한 업무를 수행한 채용형 인턴들에게 어떠한 수당도 지급되지 않는 취업규칙이나 규정은 위법한 사내규정이 되어 효력이 없어진다”며 “결국 성과급 미지급 관련 기간제법 제8조 1항 위반에 따라 이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이 되어, 공사 측이나 기업이 배상해야 할 리스크가 생길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조폐공사처럼 소송이 들어올 움직임이 있다면 사전에 노조 등과 협의하여 소송비용 출혈을 막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다”라고 제언했다.일각에서는 이들 판결에 따라 기업의 선(先)조치가 잇따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실제로 일부 공사의 경우 인턴 근로계약서상에 성과급 지급 여부와 관련한 조항을 신설해 지급 근거를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반면 채용형 인턴 제도의 축소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정규직 전환 이전에 우수한 사원들을 심사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제도를 시행하지만, 채용형 인턴 시기를 정규직과 동일한 선상으로 본다는 판단이 나오면서 해당 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기사전문보기] - "채용형 인턴에도 성과급 줘야" 잇단 판결에 기업 비상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02
"건물 실질적 관리한 임대인 자녀, 대리인으로 볼 수 있어"
"건물 실질적 관리한 임대인 자녀, 대리인으로 볼 수 있어"
세입자, 건물주 자녀에 계약 갱신 요구건물주, "나는 연락받지 못했다" 주장재판부, "자녀가 대신 건물 관리..실질적 관리자로 보아 임대인에 대한 통보로 판단" 타인이 건물주 대신 실질적으로 건물을 관리 했다면 건물주의 대리인으로 볼 수 있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은 지난 10월 24일 건물주 A씨가 상가 세입자 B씨에 청구한 건물인도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A씨와 B씨는 지난 2021년 5월 보증금 2,000만 원에 월세 110만 원, 관리비 5만 원을 조건으로 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만료일이 다가오자 건물을 관리하던 A씨의 딸은 B씨에게 월세·관리비 인상과 계약 기간 단축을 재계약 조건으로 내세웠습니다.B씨는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이어 A씨의 딸에게 이전과 동일한 조건으로 2년을 연장할 수 있는 '계약 갱신 청구권'을 행사하겠다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습니다.하지만 A씨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건물인도 소송을 제기했습니다.상가임대차법에 따르면 계약 갱신 청구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계약 만료 1개월 전까지 건물주에게 알려야 하는데 B씨가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것입니다.그러면서 A씨는 B씨가 자신의 딸에게 보낸 청구권 행사 관련 문자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이에 B씨는 A씨의 딸이 평소 건물주 대리인을 자처했다고 주장했습니다.또 건물 임대차 계약서의 임대인 전화번호 기재란에 A씨 딸 명의의 번호가 적혀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그러면서 만료일 한 달 전에 문자를 보냈으므로 계약은 갱신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A씨의 딸은 계약 기간 동안 임대인을 대리해 건물 사용과 계약 갱신 여부 등을 물었다"며 "관리비를 걷고 엘리베이터 점검 사실을 통보하는 등 실질적인 건물 관리를 담당했고 스스로도 자신에게 임대인의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다"고 판시했습니다.그러면서 "계약서에 적힌 임대인 번호도 A씨 딸 명의의 번호가 유일했다"면서 "B씨가 한 달 전 A씨의 딸에게 통보한 것은 임대인에 대한 통보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해당 계약은 갱신 청구에 의해 만료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B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은 "대리인 권한을 직접 말하지 않았더라도 사회 통념상 대리인이라 판단할 수 있는 명칭 사용을 승인 또는 묵인했다면 이러한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건물주인 A씨를 대신해 세금 계산서 발급하는 등 임대차 계약 관계도 전부 관리해 왔다"고 말했습니다.이어 "이 같은 상황을 종합해 A씨의 딸이 대리인으로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건물 실질적 관리한 임대인 자녀, 대리인으로 볼 수 있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2-02
"건물 실질적 관리한 임대인 자녀, 대리인으로 볼 수 있어"
"건물 실질적 관리한 임대인 자녀, 대리인으로 볼 수 있어"
세입자, 건물주 자녀에 계약 갱신 요구건물주, "나는 연락받지 못했다" 주장재판부, "자녀가 대신 건물 관리..실질적 관리자로 보아 임대인에 대한 통보로 판단" 타인이 건물주 대신 실질적으로 건물을 관리 했다면 건물주의 대리인으로 볼 수 있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은 지난 10월 24일 건물주 A씨가 상가 세입자 B씨에 청구한 건물인도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A씨와 B씨는 지난 2021년 5월 보증금 2,000만 원에 월세 110만 원, 관리비 5만 원을 조건으로 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만료일이 다가오자 건물을 관리하던 A씨의 딸은 B씨에게 월세·관리비 인상과 계약 기간 단축을 재계약 조건으로 내세웠습니다.B씨는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이어 A씨의 딸에게 이전과 동일한 조건으로 2년을 연장할 수 있는 '계약 갱신 청구권'을 행사하겠다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습니다.하지만 A씨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건물인도 소송을 제기했습니다.상가임대차법에 따르면 계약 갱신 청구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계약 만료 1개월 전까지 건물주에게 알려야 하는데 B씨가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것입니다.그러면서 A씨는 B씨가 자신의 딸에게 보낸 청구권 행사 관련 문자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이에 B씨는 A씨의 딸이 평소 건물주 대리인을 자처했다고 주장했습니다.또 건물 임대차 계약서의 임대인 전화번호 기재란에 A씨 딸 명의의 번호가 적혀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그러면서 만료일 한 달 전에 문자를 보냈으므로 계약은 갱신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A씨의 딸은 계약 기간 동안 임대인을 대리해 건물 사용과 계약 갱신 여부 등을 물었다"며 "관리비를 걷고 엘리베이터 점검 사실을 통보하는 등 실질적인 건물 관리를 담당했고 스스로도 자신에게 임대인의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다"고 판시했습니다.그러면서 "계약서에 적힌 임대인 번호도 A씨 딸 명의의 번호가 유일했다"면서 "B씨가 한 달 전 A씨의 딸에게 통보한 것은 임대인에 대한 통보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해당 계약은 갱신 청구에 의해 만료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B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은 "대리인 권한을 직접 말하지 않았더라도 사회 통념상 대리인이라 판단할 수 있는 명칭 사용을 승인 또는 묵인했다면 이러한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건물주인 A씨를 대신해 세금 계산서 발급하는 등 임대차 계약 관계도 전부 관리해 왔다"고 말했습니다.이어 "이 같은 상황을 종합해 A씨의 딸이 대리인으로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건물 실질적 관리한 임대인 자녀, 대리인으로 볼 수 있어"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02
근로자일 뿐인데…‘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했다?
근로자일 뿐인데…‘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했다?
A씨, 관계기관으로부터 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해…“회사 요청으로 작성” 주장검찰, “작성된 용역 계약서, 실제 체결된 것인지 불분명해” 건설업 자격 등록 없이 재하도급 공사를 시행한 혐의로 고발된 근로자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의정부지방검찰청 남양주지청은 지난달 7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혐의로 송치된 근로자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건설업체에서 인력 팀장으로 일하던 A씨는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무등록 시공 혐의로 고발당했다. 건설업 등록을 하지 않은 채 재하도급 공사를 한 사실이 용역 계약서 등을 통해 확인됐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A씨가 회사에 제출한 견적서도 확인됐다고 강조했다.하지만 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신도 회사에 소속된 근로자일 뿐 하도급 공사업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A씨는 해당 계약서가 자신이 근무하던 회사 측 관계자의 요청에 의해 작성된 것라고 주장했다.아울러 A씨는 서류 작성 당시 회사 측 관계자가 중도 퇴사자들의 퇴직금 문제를 언급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명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무런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는 관계자의 설득 끝에 계약서를 작성했으며, 견적서의 경우 작성한 사실 자체가 없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씨가 단순히 노동을 제공한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작성된 용역 계약서를 보면 구체적인 공사 내용이 적혀 있지 않다”며 “공급인과 수급인 항목에 모두 A씨의 회사가 적혀 있어 실제 체결된 계약인지 불분명하다”고 말했다.이어 “견적서에 기재된 큰 금액도 A씨의 계좌에 입금된 적이 없다”면서 “이러한 내용을 종합했을 때 A씨를 별개의 하도급 공사업자로 단정지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A씨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사측은 퇴직금 문제가 발생하자 A씨에게 억지로 계약서를 작성하게 해 용역 관계라 주장했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이 외에도 사측은 퇴직금을 자신들이 A씨 대신 지급했다는 이유로 구상금 청구 소송을 낸 적이 있는데, 여기서도 패소한 사실이 있다”며 “검찰 또한 이러한 소송 결과를 받아들여 무혐의 처분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근로자일 뿐인데…‘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했다?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2-02
근로자일 뿐인데…‘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했다?
근로자일 뿐인데…‘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했다?
A씨, 관계기관으로부터 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해…“회사 요청으로 작성” 주장검찰, “작성된 용역 계약서, 실제 체결된 것인지 불분명해” 건설업 자격 등록 없이 재하도급 공사를 시행한 혐의로 고발된 근로자가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의정부지방검찰청 남양주지청은 지난달 7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혐의로 송치된 근로자 A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건설업체에서 인력 팀장으로 일하던 A씨는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무등록 시공 혐의로 고발당했다. 건설업 등록을 하지 않은 채 재하도급 공사를 한 사실이 용역 계약서 등을 통해 확인됐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A씨가 회사에 제출한 견적서도 확인됐다고 강조했다.하지만 A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자신도 회사에 소속된 근로자일 뿐 하도급 공사업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A씨는 해당 계약서가 자신이 근무하던 회사 측 관계자의 요청에 의해 작성된 것라고 주장했다.아울러 A씨는 서류 작성 당시 회사 측 관계자가 중도 퇴사자들의 퇴직금 문제를 언급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명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무런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는 관계자의 설득 끝에 계약서를 작성했으며, 견적서의 경우 작성한 사실 자체가 없다고 강조했다.검찰은 A씨가 단순히 노동을 제공한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작성된 용역 계약서를 보면 구체적인 공사 내용이 적혀 있지 않다”며 “공급인과 수급인 항목에 모두 A씨의 회사가 적혀 있어 실제 체결된 계약인지 불분명하다”고 말했다.이어 “견적서에 기재된 큰 금액도 A씨의 계좌에 입금된 적이 없다”면서 “이러한 내용을 종합했을 때 A씨를 별개의 하도급 공사업자로 단정지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A씨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사측은 퇴직금 문제가 발생하자 A씨에게 억지로 계약서를 작성하게 해 용역 관계라 주장했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이 외에도 사측은 퇴직금을 자신들이 A씨 대신 지급했다는 이유로 구상금 청구 소송을 낸 적이 있는데, 여기서도 패소한 사실이 있다”며 “검찰 또한 이러한 소송 결과를 받아들여 무혐의 처분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근로자일 뿐인데…‘무자격 업자’로 고발당했다? (바로가기)
법률저널
2024-11-29
[칼럼] 예측불가 인생, 우리는 최선을 다할 뿐
[칼럼] 예측불가 인생, 우리는 최선을 다할 뿐
회사 회의실에 앉아 창밖을 바라본다. 6년 차 변호사로서 다양한 사건을 맡고 있는데,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의 문제를 해결해 드릴 때면 내가 걸어온 길이 절대 헛되지 않았음을 새삼 깨닫는다. 며칠 전, 한 동료 변호사의 인스타그램 스토리가 내 마음을 울렸다. “예전에는 입사할 생각도 못 했던 회사에 면접위원이 되어 방문한다.” 한 줄의 글 속에 담긴 시간의 아이러니가 새삼 인생의 깊이를 되새기게 했다. 그로부터 며칠 뒤, 로스쿨 동기가 연락을 해왔다. 자기 회사에 빈자리가 났는데 나를 적극 추천하겠다는 것이었다. 그 회사는 청년들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회사였고, 몇 년 전의 나라면 이런 순간을 상상이나 했을까. 아마도 믿지 못했을 것이다. 이처럼 나와 내 주변의 이야기들은 인생이란 게 얼마나 예측불가능한 것인지 잘 보여준다. 나는 서울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을 준비하다가 29살에 이등병으로 현역 입대하였다. 제대 후 언론사 취업을 기웃거리다 우연히 친구를 통해 로스쿨 장학제도를 알게 되었고, 35세의 나이로 로스쿨에 진학, 등록금 전액 면제에 매달 100만 원의 생활장학금을 지원받으며 신나게 공부하였다. 또한 나는 대학 입학 후 매년 신춘문예에 도전했으나 7년 동안 계속 낙선하다가 8번째 도전 끝에 마침내 당선된 이력이 있다. 당선작은 사법시험 2차 시험 준비 중이라 새 작품을 쓸 여유조차 없어 이전에 탈락했던 작품을 약간 손보아 제출한 것이었다. 역설적이게도 가장 바쁘고 힘든 시기에 예상치 못한 기쁨이 찾아온 것이다. 로스쿨 시절은 특히나 값진 시간이었다. 41명의 동기 중 내가 가장 나이가 많았지만, 오히려 그 경험이 강점이 되었다. 법학 전공자로서의 배경 덕분에 여유 있게 공부할 수 있었고, 덕분에 다양한 활동도 할 수 있었다. 논문집 편집위원회, 기독교 동아리, 여러 스터디에 참여했고, 각종 모의재판 대회에도 출전했다. 졸업 요건인 96학점보다 훨씬 많은 120학점을 이수하며 알차게 보낸 3년이었다. 그 시절 함께 공부했던 두 친구의 이야기도 잊을 수 없다. 검사를 꿈꾸며 함께 공부했던 두 친구 중 한 명은 합격했고, 다른 친구는 불합격했다. 세월이 흘러 검사가 된 친구는 퇴직 후 한 로펌의 문을 두드렸으나 거절당했는데, 그 로펌에는 이미 검사 시험에 불합격했던 친구가 자리 잡고 있었다. 우리의 인생은 이렇게 예측불가능한 순간으로 가득하다.삶은 마치 유튜브의 음악 채널 같기도 하다. 원하는 노래가 바로 나오지 않는 순간이 많지만, 그 과정에서 오히려 뜻밖의 명곡을 발견하기도 한다. 계획대로 되지 않는 순간들 속에서 오히려 더 큰 행복으로 이어지는 길을 만나는 것이다. 처음에는 원치 않았던 그 길이 실은 우리에게 가장 잘 맞는 길이었음이 나중에 드러난다. 주연이 조연이 되고, 조연이 주연이 되는 반전이 일상처럼 벌어지는 넷플릭스 시리즈처럼 우리 인생에도 예상치 못한 전개가 숨어있다. 지금 당신이 조연처럼 느껴질지라도 그것은 주연으로 가는 과정일 수 있다. 우리는 각자의 시간표대로 움직이며, 때로는 늦어 보이는 걸음이 실은 가장 적절한 타이밍일 수 있다. 지금 이 순간, 전국 25개 로스쿨에서 수많은 예비법조인이 변호사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입학 당시의 꿈을 여전히 붙잡고 있는 이들이 과연 몇이나 될까. 하지만 기억하자. 진정한 승자는 처음부터 앞서 달린 사람이 아니라, 자신만의 속도로 끝까지 달려낸 사람이라는 것을. 당신이 흘린 땀방울은 결코 헛되지 않다. 그것은 때로는 소중한 인연으로, 때로는 단단한 실력으로, 때로는 예상치 못한 기회로 반드시 돌아올 것이다. 지금의 모든 순간이 당신을 더 나은 미래로 이끄는 디딤돌이다. 그러니 오늘도 힘을 내시라. 저 지평선 너머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 환희의 순간을 떠올리며. 이 순간, 당신이 쓰고 있는 한 줄 한 줄이 곧 감동적인 드라마의 한 장면이 될 테니까. 이 글을 읽는 모든 이들의 합격과, 앞날에 찬란한 영광이 함께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예측불가 인생, 우리는 최선을 다할 뿐 (바로가기)
법률저널
2024-11-29
[칼럼] 예측불가 인생, 우리는 최선을 다할 뿐
[칼럼] 예측불가 인생, 우리는 최선을 다할 뿐
회사 회의실에 앉아 창밖을 바라본다. 6년 차 변호사로서 다양한 사건을 맡고 있는데,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의 문제를 해결해 드릴 때면 내가 걸어온 길이 절대 헛되지 않았음을 새삼 깨닫는다. 며칠 전, 한 동료 변호사의 인스타그램 스토리가 내 마음을 울렸다. “예전에는 입사할 생각도 못 했던 회사에 면접위원이 되어 방문한다.” 한 줄의 글 속에 담긴 시간의 아이러니가 새삼 인생의 깊이를 되새기게 했다. 그로부터 며칠 뒤, 로스쿨 동기가 연락을 해왔다. 자기 회사에 빈자리가 났는데 나를 적극 추천하겠다는 것이었다. 그 회사는 청년들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회사였고, 몇 년 전의 나라면 이런 순간을 상상이나 했을까. 아마도 믿지 못했을 것이다. 이처럼 나와 내 주변의 이야기들은 인생이란 게 얼마나 예측불가능한 것인지 잘 보여준다. 나는 서울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을 준비하다가 29살에 이등병으로 현역 입대하였다. 제대 후 언론사 취업을 기웃거리다 우연히 친구를 통해 로스쿨 장학제도를 알게 되었고, 35세의 나이로 로스쿨에 진학, 등록금 전액 면제에 매달 100만 원의 생활장학금을 지원받으며 신나게 공부하였다. 또한 나는 대학 입학 후 매년 신춘문예에 도전했으나 7년 동안 계속 낙선하다가 8번째 도전 끝에 마침내 당선된 이력이 있다. 당선작은 사법시험 2차 시험 준비 중이라 새 작품을 쓸 여유조차 없어 이전에 탈락했던 작품을 약간 손보아 제출한 것이었다. 역설적이게도 가장 바쁘고 힘든 시기에 예상치 못한 기쁨이 찾아온 것이다. 로스쿨 시절은 특히나 값진 시간이었다. 41명의 동기 중 내가 가장 나이가 많았지만, 오히려 그 경험이 강점이 되었다. 법학 전공자로서의 배경 덕분에 여유 있게 공부할 수 있었고, 덕분에 다양한 활동도 할 수 있었다. 논문집 편집위원회, 기독교 동아리, 여러 스터디에 참여했고, 각종 모의재판 대회에도 출전했다. 졸업 요건인 96학점보다 훨씬 많은 120학점을 이수하며 알차게 보낸 3년이었다. 그 시절 함께 공부했던 두 친구의 이야기도 잊을 수 없다. 검사를 꿈꾸며 함께 공부했던 두 친구 중 한 명은 합격했고, 다른 친구는 불합격했다. 세월이 흘러 검사가 된 친구는 퇴직 후 한 로펌의 문을 두드렸으나 거절당했는데, 그 로펌에는 이미 검사 시험에 불합격했던 친구가 자리 잡고 있었다. 우리의 인생은 이렇게 예측불가능한 순간으로 가득하다.삶은 마치 유튜브의 음악 채널 같기도 하다. 원하는 노래가 바로 나오지 않는 순간이 많지만, 그 과정에서 오히려 뜻밖의 명곡을 발견하기도 한다. 계획대로 되지 않는 순간들 속에서 오히려 더 큰 행복으로 이어지는 길을 만나는 것이다. 처음에는 원치 않았던 그 길이 실은 우리에게 가장 잘 맞는 길이었음이 나중에 드러난다. 주연이 조연이 되고, 조연이 주연이 되는 반전이 일상처럼 벌어지는 넷플릭스 시리즈처럼 우리 인생에도 예상치 못한 전개가 숨어있다. 지금 당신이 조연처럼 느껴질지라도 그것은 주연으로 가는 과정일 수 있다. 우리는 각자의 시간표대로 움직이며, 때로는 늦어 보이는 걸음이 실은 가장 적절한 타이밍일 수 있다. 지금 이 순간, 전국 25개 로스쿨에서 수많은 예비법조인이 변호사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입학 당시의 꿈을 여전히 붙잡고 있는 이들이 과연 몇이나 될까. 하지만 기억하자. 진정한 승자는 처음부터 앞서 달린 사람이 아니라, 자신만의 속도로 끝까지 달려낸 사람이라는 것을. 당신이 흘린 땀방울은 결코 헛되지 않다. 그것은 때로는 소중한 인연으로, 때로는 단단한 실력으로, 때로는 예상치 못한 기회로 반드시 돌아올 것이다. 지금의 모든 순간이 당신을 더 나은 미래로 이끄는 디딤돌이다. 그러니 오늘도 힘을 내시라. 저 지평선 너머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 환희의 순간을 떠올리며. 이 순간, 당신이 쓰고 있는 한 줄 한 줄이 곧 감동적인 드라마의 한 장면이 될 테니까. 이 글을 읽는 모든 이들의 합격과, 앞날에 찬란한 영광이 함께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예측불가 인생, 우리는 최선을 다할 뿐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6곳
2024-11-29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검사 출신 박규석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하고 소송 관련 업무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29일 밝혔다. 박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부산지방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을 거쳐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직을 역임했다. 박 변호사는 검사로 재직하며, 재산범죄와 성범죄 등 굵직한 형사 사건을 맡으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이후 2001년 법복을 벗은 박 변호사는 법무법인 율촌을 시작으로 변호사 활동에 본격 돌입했다. 전기통신사업법위반 혐의 관련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이끌어내고, 수 십억 원의 채권 관련 분쟁 소송에서 승소하는 등 다양한 사건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수원세무서 국세심사위원을 역임하고 여러 기업에서 자문 변호사로도 활약한 바 있다. 박 변호사는 성남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형사사건 총괄 및 실제 사건 수행까지 할 예정이다. 박 변호사는 "법조계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고 있는 로펌인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검사로 일하며 쌓아온 통찰력과 사건 분석 능력을 토대로 의뢰인들에게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박 변호사는 검사 경험을 통해 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깊으며 특히 형사와 민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전문가"라면서 "이번 박 변호사의 영입으로 대륜의 소송 업무 전문성이 한 층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륜은 형사그룹, 상속·가사그룹, 기업법무그룹 등 업무별 전문그룹을 운영하며 사건 해결에 전문성을 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의뢰인에게 효과적인 전략 제공"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더시사법률 - 법무법인(유한)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6곳
2024-11-29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검사 출신 박규석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하고 소송 관련 업무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29일 밝혔다. 박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부산지방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을 거쳐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직을 역임했다. 박 변호사는 검사로 재직하며, 재산범죄와 성범죄 등 굵직한 형사 사건을 맡으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이후 2001년 법복을 벗은 박 변호사는 법무법인 율촌을 시작으로 변호사 활동에 본격 돌입했다. 전기통신사업법위반 혐의 관련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이끌어내고, 수 십억 원의 채권 관련 분쟁 소송에서 승소하는 등 다양한 사건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수원세무서 국세심사위원을 역임하고 여러 기업에서 자문 변호사로도 활약한 바 있다. 박 변호사는 성남 분사무소에 상주하며, 형사사건 총괄 및 실제 사건 수행까지 할 예정이다. 박 변호사는 "법조계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고 있는 로펌인 대륜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검사로 일하며 쌓아온 통찰력과 사건 분석 능력을 토대로 의뢰인들에게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박 변호사는 검사 경험을 통해 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깊으며 특히 형사와 민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전문가"라면서 "이번 박 변호사의 영입으로 대륜의 소송 업무 전문성이 한 층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륜은 형사그룹, 상속·가사그룹, 기업법무그룹 등 업무별 전문그룹을 운영하며 사건 해결에 전문성을 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의뢰인에게 효과적인 전략 제공"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더시사법률 - 법무법인(유한) 대륜, 검사 출신 박규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28
폭언 동료에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고소당한 직장인 '무혐의'
폭언 동료에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고소당한 직장인 '무혐의'
폭언을 한 직장 동료에게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한 3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은 지난 11일 명예훼손 혐의를 받는 직원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0년 8월 공개된 장소에서 동료 직원 B씨에 대한 험담을 해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습니다.당시 A씨는 B씨의 사무실에 찾아가 "밤 늦게 전화를 걸어 '승진이 되지 않은 것은 네 탓'이라 따진 이유를 설명하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이에 대해 B씨는 "승진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며, A씨가 허위 사실을 유포해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그러나 "B씨가 먼저 전화를 걸어 욕설이 담긴 폭언을 퍼부었고 이에 대한 항의를 했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그러면서 이와 관련해 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사무실로 직접 찾아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사건을 접수한 목포경찰서는 지난 7월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가 공개된 장소에서 발언한 내용이 B씨의 사회적 가치를 침해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는 B씨가 한 폭언에 대한 단순한 항의"라는 판단입니다.그러나 B씨가 경찰의 결정에 불복하면서, 해당 사건은 지난 10월 검찰로 송치됐습니다.사건을 재검토한 검찰은 "이의신청서와 수사기록을 면밀히 검토했지만, 경찰의 불송치 결정을 변경할만한 증거가 없다"며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안준표 변호사는 "명예훼손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의도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해야 한다"며 "A씨가 B씨에게 항의하는 과정에서 한 발언들은 객관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침해할만한 발언이라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폭언 동료에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고소당한 직장인 '무혐의'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28
폭언 동료에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고소당한 직장인 '무혐의'
폭언 동료에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고소당한 직장인 '무혐의'
폭언을 한 직장 동료에게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한 30대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28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은 지난 11일 명예훼손 혐의를 받는 직원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20년 8월 공개된 장소에서 동료 직원 B씨에 대한 험담을 해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습니다.당시 A씨는 B씨의 사무실에 찾아가 "밤 늦게 전화를 걸어 '승진이 되지 않은 것은 네 탓'이라 따진 이유를 설명하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이에 대해 B씨는 "승진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며, A씨가 허위 사실을 유포해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주장했습니다.A씨는 그러나 "B씨가 먼저 전화를 걸어 욕설이 담긴 폭언을 퍼부었고 이에 대한 항의를 했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그러면서 이와 관련해 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사무실로 직접 찾아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사건을 접수한 목포경찰서는 지난 7월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가 공개된 장소에서 발언한 내용이 B씨의 사회적 가치를 침해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는 B씨가 한 폭언에 대한 단순한 항의"라는 판단입니다.그러나 B씨가 경찰의 결정에 불복하면서, 해당 사건은 지난 10월 검찰로 송치됐습니다.사건을 재검토한 검찰은 "이의신청서와 수사기록을 면밀히 검토했지만, 경찰의 불송치 결정을 변경할만한 증거가 없다"며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안준표 변호사는 "명예훼손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의도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해야 한다"며 "A씨가 B씨에게 항의하는 과정에서 한 발언들은 객관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침해할만한 발언이라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폭언 동료에 항의했다가 명예훼손 고소당한 직장인 '무혐의'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4-11-28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배우자 출산휴가 등 복지 제도 체계화…업계 내 관행 극복남성 변호사 포함 모든 임직원 자유롭게 복지 제도 사용대륜 김국일 대표 “임직원 만족할 수 있도록 시스템 보완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태환 변호사의 지난 여름은 '육아'로 시작해 '육아'로 마무리됐다. 정신없이 출근길에 오르던 일상을 뒤로한 채, 김 변호사는 매일 아이들의 아침상을 손수 차렸다. 목욕과 산책, 책 읽어주기 역시 그의 몫이었다. 이처럼 아이들에 대한 밀착 케어가 가능했던 건 '육아휴직' 덕분이었다. 김 변호사는 "이전에는 주말에만 겨우 시간을 내 아이들을 돌봤지만, 휴직을 함으로써 온전히 육아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3개월 전 배우자 출산휴가를 다녀온 대륜 최지훈 변호사는 처음 휴가 신청을 하던 당시를 회상했다. 변호사라는 직업 특성상, 일주일 가량 자리를 비운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기에 고민이 컸다. 최 변호사는 "직접 애를 낳는 것도 아닌데, 출산휴가를 가겠다고 말을 꺼내는 게 사실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이 무색하게 느껴질만큼, 회사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그는 "여러 도움을 받아 출산이라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순간에 아내와 함께 할 수 있었다"며 감격스러운 소회를 전했다. 다소 보수적인 로펌업계 특성상, 남성 변호사들에게 육아휴직이나 배우자 출산휴가 등 관련 복지 제도는 여전히 '그림의 떡'인 경우가 많다. 실제 대한변호사협회가 지난해 실시한 '변호사의 채용·근무 및 일·가정 양립에 관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전혀 쓰지 못한 남성변호사 비율은 30%에 달했다.사용기간 역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한 남성변호사를 대상으로 사용 기간을 조사한 결과, △5일 이상(34.2%) △3일(21.9%) △1일(5.8%) △4일 (1.9%)순으로 나타났다.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보장된 배우자 출산휴가는 10일이지만, 사실상 사용이 어렵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이 같은 업계 분위기와 달리 대륜에서는 육아 복지 제도를 적극 운영하고 있다. 관련 정책으로 수혜를 받은 남성 변호사들은 법인의 가족친화 문화 덕분에 가정과 육아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입을 모았다. 육아휴직을 마친 뒤 복직한 김태환 변호사는 "회사 차원에서 남성들의 제도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고, 주변 동료들 역시 이를 당연하게 여기며 배려해준 덕분에 마음 편히 아이들을 돌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또한, 대륜은 육아휴직 결정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제적 문제도 해결했다. 휴직으로 인한 수입 감소를 우려하는 임직원을 위해 '육아기 재택근무'를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육아'와 '일'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근무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이처럼 일·가정 양립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대륜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했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육아휴직 등 관련 복지 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모든 임직원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육아휴직 이외에 다양한 가족친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산으로 인한 휴직 △육아기 단축근로 △복귀 이후 업무 적응 프로그램 제공 등을 지원한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4-11-28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배우자 출산휴가 등 복지 제도 체계화…업계 내 관행 극복남성 변호사 포함 모든 임직원 자유롭게 복지 제도 사용대륜 김국일 대표 “임직원 만족할 수 있도록 시스템 보완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태환 변호사의 지난 여름은 '육아'로 시작해 '육아'로 마무리됐다. 정신없이 출근길에 오르던 일상을 뒤로한 채, 김 변호사는 매일 아이들의 아침상을 손수 차렸다. 목욕과 산책, 책 읽어주기 역시 그의 몫이었다. 이처럼 아이들에 대한 밀착 케어가 가능했던 건 '육아휴직' 덕분이었다. 김 변호사는 "이전에는 주말에만 겨우 시간을 내 아이들을 돌봤지만, 휴직을 함으로써 온전히 육아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3개월 전 배우자 출산휴가를 다녀온 대륜 최지훈 변호사는 처음 휴가 신청을 하던 당시를 회상했다. 변호사라는 직업 특성상, 일주일 가량 자리를 비운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기에 고민이 컸다. 최 변호사는 "직접 애를 낳는 것도 아닌데, 출산휴가를 가겠다고 말을 꺼내는 게 사실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이 무색하게 느껴질만큼, 회사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그는 "여러 도움을 받아 출산이라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순간에 아내와 함께 할 수 있었다"며 감격스러운 소회를 전했다. 다소 보수적인 로펌업계 특성상, 남성 변호사들에게 육아휴직이나 배우자 출산휴가 등 관련 복지 제도는 여전히 '그림의 떡'인 경우가 많다. 실제 대한변호사협회가 지난해 실시한 '변호사의 채용·근무 및 일·가정 양립에 관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전혀 쓰지 못한 남성변호사 비율은 30%에 달했다.사용기간 역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한 남성변호사를 대상으로 사용 기간을 조사한 결과, △5일 이상(34.2%) △3일(21.9%) △1일(5.8%) △4일 (1.9%)순으로 나타났다.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보장된 배우자 출산휴가는 10일이지만, 사실상 사용이 어렵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이 같은 업계 분위기와 달리 대륜에서는 육아 복지 제도를 적극 운영하고 있다. 관련 정책으로 수혜를 받은 남성 변호사들은 법인의 가족친화 문화 덕분에 가정과 육아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입을 모았다. 육아휴직을 마친 뒤 복직한 김태환 변호사는 "회사 차원에서 남성들의 제도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고, 주변 동료들 역시 이를 당연하게 여기며 배려해준 덕분에 마음 편히 아이들을 돌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또한, 대륜은 육아휴직 결정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제적 문제도 해결했다. 휴직으로 인한 수입 감소를 우려하는 임직원을 위해 '육아기 재택근무'를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육아'와 '일'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근무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이처럼 일·가정 양립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대륜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로펌으로 자리매김했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육아휴직 등 관련 복지 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모든 임직원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육아휴직 이외에 다양한 가족친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산으로 인한 휴직 △육아기 단축근로 △복귀 이후 업무 적응 프로그램 제공 등을 지원한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남성 육아휴직 보장으로 가족친화 문화 조성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28
정우성 약속 했지만 양육비 안 준다면?…전문가 “이런 처벌 받는다”
정우성 약속 했지만 양육비 안 준다면?…전문가 “이런 처벌 받는다”
배우 정우성이 모델 문가비가 공개한 자녀가 자신의 아이임을 인정하면서 비혼 출산 시 양육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우성은 양육 책임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한국 사회에서 한부모는 상대방으로부터 양육비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전문가는 “만약 정우성씨가 양육비를 주지 않는다면 처벌 받을 것”이라며 약속 이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모델 문가비(35)는 지난 3월 배우 정우성(51)의 아이를 출산한 사실을 알렸다. 이후 ‘비혼 출산’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는데, 한국 사회에서 미혼모로 살아가는 것은 여전히 경제적 문제와 사회적 편견 등 걸림돌이 존재해 제도·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004년 비혼 출산을 했다고 밝힌 미혼모협회 ‘인트리’ 최현숙 대표는 앞선 26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비혼 출산’의 경우 친부가 책임지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혼할 때 재판부가 판결했음에도 양육비를 이행하는 비양육자는 많지 않다”면서 “미혼모는 아이를 혼자 낳는 데다 (이혼 시 양육비 책임 등을 명시하는) 판결문조차 없다. 대부분의 남자는 임신함과 동시에 연락을 끊는다든지, 이미 헤어진 상태여서 연락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양육비이행법)과 가사소송법에 따르면 직접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부·모는 미성년 자녀를 직접 양육하는 부·모에게 합의 또는 법원의 판결 등에 따라 정해진 양육비를 성실히 지급해야 한다. 해당 법안은 부모의 혼인상태와 관계없이 미성년 자녀의 성장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취지로 양육비는 아이가 태어나서부터 성인(만19세)이 되기 전까지 지급해야 한다. 만약 자녀를 직접 양육하지 않는 양육비 채무자가 지급을 거부할 경우에는 양육비 미지급을 이유로 한 양육비 지급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가정법원에서도 양육비 지급에 대한 이행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재에도 양육비 지급 의무는 지켜지지 않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2022년 공개한 ‘양육비이행법의 입법영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미혼모가 신청한 양육비 이행률은 33.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부와 이혼모의 경우는 각각 53.9%와 59.5%로, 미혼모가 양육비를 받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2021년 38.3%였던 전체 양육비 이행률은 올해 9월 기준 44.7%로 크게 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아이를 키우는 한부모의 절반 이상은 양육비 이행 확약을 받고도 양육비를 못 받고 있는 셈이다. 최 대표는 “양육비를 받기 위한 절차는 복잡하고 오래 걸린다. 그 절차를 다 거쳐서 아빠를 찾아내도 (양육비를 강제하는) 법은 만들어져 있지만 사실 안 주면 그만”이라며 법률상 실질적인 효력이 없음을 지적했다. 덧붙여 “비양육자가 양육비를 낼 수 있게 강제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비혼모가 현실적으로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은 경제적인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양육비 미지급과 관련 법무법인 대륜 도일석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에 “양육비 미지급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한다”며 “만약 정우성씨가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다면 양육비심의의원회로부터 △운전면허 정지 △출국금지 △그리고 채무불이행자 명단에 공개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으면 상대 여성은 이행 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면서 “이행 명령을 어기면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이행 명령을 이행 안할 시 감치 명령을 신청할 수 있고 감치 명령을 어길 시 1년 이하 징역 1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면서도 “다만 반의사불벌죄이기에 합의로 이런 처벌을 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내년 7월부터는 양육비 채무 불이행 시 국가가 자녀에게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채무자로부터 환수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도입돼 양육비 이행 지원체계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그동안 한국건강가정진흥원 내부 조직이었던 양육비이행관리원을 별도 기관으로 분리해 양육비 지급과 회수 기능을 강화하고, 양육비 미지급자에 대한 제재 절차를 기존 ‘이행명령→감치명령→제재조치’ 등 3단계에서 이행명령 후 바로 제재에 들어갈 수 있도록 간소화하는 등 양육비 채무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정우성 약속 했지만 양육비 안 준다면?…전문가 “이런 처벌 받는다”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28
정우성 약속 했지만 양육비 안 준다면?…전문가 “이런 처벌 받는다”
정우성 약속 했지만 양육비 안 준다면?…전문가 “이런 처벌 받는다”
배우 정우성이 모델 문가비가 공개한 자녀가 자신의 아이임을 인정하면서 비혼 출산 시 양육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우성은 양육 책임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한국 사회에서 한부모는 상대방으로부터 양육비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전문가는 “만약 정우성씨가 양육비를 주지 않는다면 처벌 받을 것”이라며 약속 이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모델 문가비(35)는 지난 3월 배우 정우성(51)의 아이를 출산한 사실을 알렸다. 이후 ‘비혼 출산’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는데, 한국 사회에서 미혼모로 살아가는 것은 여전히 경제적 문제와 사회적 편견 등 걸림돌이 존재해 제도·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004년 비혼 출산을 했다고 밝힌 미혼모협회 ‘인트리’ 최현숙 대표는 앞선 26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비혼 출산’의 경우 친부가 책임지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혼할 때 재판부가 판결했음에도 양육비를 이행하는 비양육자는 많지 않다”면서 “미혼모는 아이를 혼자 낳는 데다 (이혼 시 양육비 책임 등을 명시하는) 판결문조차 없다. 대부분의 남자는 임신함과 동시에 연락을 끊는다든지, 이미 헤어진 상태여서 연락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양육비이행법)과 가사소송법에 따르면 직접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부·모는 미성년 자녀를 직접 양육하는 부·모에게 합의 또는 법원의 판결 등에 따라 정해진 양육비를 성실히 지급해야 한다. 해당 법안은 부모의 혼인상태와 관계없이 미성년 자녀의 성장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취지로 양육비는 아이가 태어나서부터 성인(만19세)이 되기 전까지 지급해야 한다. 만약 자녀를 직접 양육하지 않는 양육비 채무자가 지급을 거부할 경우에는 양육비 미지급을 이유로 한 양육비 지급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가정법원에서도 양육비 지급에 대한 이행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재에도 양육비 지급 의무는 지켜지지 않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2022년 공개한 ‘양육비이행법의 입법영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미혼모가 신청한 양육비 이행률은 33.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부와 이혼모의 경우는 각각 53.9%와 59.5%로, 미혼모가 양육비를 받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2021년 38.3%였던 전체 양육비 이행률은 올해 9월 기준 44.7%로 크게 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아이를 키우는 한부모의 절반 이상은 양육비 이행 확약을 받고도 양육비를 못 받고 있는 셈이다. 최 대표는 “양육비를 받기 위한 절차는 복잡하고 오래 걸린다. 그 절차를 다 거쳐서 아빠를 찾아내도 (양육비를 강제하는) 법은 만들어져 있지만 사실 안 주면 그만”이라며 법률상 실질적인 효력이 없음을 지적했다. 덧붙여 “비양육자가 양육비를 낼 수 있게 강제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비혼모가 현실적으로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은 경제적인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양육비 미지급과 관련 법무법인 대륜 도일석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에 “양육비 미지급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한다”며 “만약 정우성씨가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다면 양육비심의의원회로부터 △운전면허 정지 △출국금지 △그리고 채무불이행자 명단에 공개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으면 상대 여성은 이행 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면서 “이행 명령을 어기면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이행 명령을 이행 안할 시 감치 명령을 신청할 수 있고 감치 명령을 어길 시 1년 이하 징역 1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면서도 “다만 반의사불벌죄이기에 합의로 이런 처벌을 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내년 7월부터는 양육비 채무 불이행 시 국가가 자녀에게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채무자로부터 환수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도입돼 양육비 이행 지원체계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그동안 한국건강가정진흥원 내부 조직이었던 양육비이행관리원을 별도 기관으로 분리해 양육비 지급과 회수 기능을 강화하고, 양육비 미지급자에 대한 제재 절차를 기존 ‘이행명령→감치명령→제재조치’ 등 3단계에서 이행명령 후 바로 제재에 들어갈 수 있도록 간소화하는 등 양육비 채무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정우성 약속 했지만 양육비 안 준다면?…전문가 “이런 처벌 받는다” (바로가기)
머니S
2024-11-27
"별거중인데 연락한다"며 남편 스토킹 신고한 아내… 법원 판결은
"별거중인데 연락한다"며 남편 스토킹 신고한 아내… 법원 판결은
혼인관계 해소 과정서 필요한 연락… '무죄' 주장재판부 "지속·반복적이지 않아 공포심 유발할 정도 아냐" 별거 중인 아내를 스토킹한 혐의를 받았던 30대 남성이 법정공방 끝에 혐의를 벗었다. 이혼 과정에서 협의를 위한 연락이 필요했고 해당 연락이 스토킹범죄의 구성요건인 지속성·반복성·긴급성 등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보여졌기 때문이다.김소연 광주지방법원 형사7단독 부장판사는 지난달 31일 스토킹처벌법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32)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별거하고 있는 아내 B씨(31)에게 만나달라며 수십 차례에 걸쳐 문자를 보내는 등 스토킹한 혐의를 받는다.A씨와 B씨는 지난해 11월부터 별거 중이었다. B씨는 별거 시작 당시 A씨에게 이혼 문제 이외에 불필요한 연락을 하지 않을 것을 요구했다. A씨는 이를 무시하고 일상생활 등 안부를 묻는 연락을 지속했다. B씨에게 다른 남자가 생겼다는 사실을 지인으로부터 전해 듣고 자택과 회사를 찾아가기도 했다.스토킹처벌법에 따르면 정당한 이유 없이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접근하거나 연락하는 등의 행위를 지속·반복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A씨와 B씨 사이에는 혼인관계 해소에 따라 각종 공과금 명의변경 등 법적으로 정리할 사항이 존재했으므로 연락에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법률대리인은 A씨의 행위가 사회일반인의 관점에서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유발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스토킹행위의 판단에 대해 ▲문언 내용 ▲표현 방법과 의미 ▲당사자 관계 ▲문언을 보낸 경위와 횟수 ▲전후사정 ▲상대방이 처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을 근거로 들었다.재판부 역시 A씨의 행위를 스토킹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김 부장판사는 "피고인과 피해자는 법적으로 혼인관계가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여러 문제에 대한 협의 과정이 분명 필요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성 문제와 관련해서도 피고인이 피해자에 수회 연락을 취한 사실이 인정되기는 하나 내용이나 전송 횟수 등을 고려하면 피해자에게 지속·반복적으로 불안감을 조성하고 공포심을 갖게 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봤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나은정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법률상 부부라는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했다. 상대방은 이혼 등 법적인 문제와 관련해 문자메시지 등을 허용했고 그 과정에서 대화가 이어진 것일 뿐"이라며 "연락 역시 일회성 내지 비연속적인 단발성 행위에 불과했고 고의성이 전혀 없었다. 스토킹범죄의 구성요건인 지속성, 반복성, 긴급성 등을 충족하지 못했던 점을 입증해 무사히 무죄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별거중인데 연락한다"며 남편 스토킹 신고한 아내… 법원 판결은 (바로가기)
머니S
2024-11-27
"별거중인데 연락한다"며 남편 스토킹 신고한 아내… 법원 판결은
"별거중인데 연락한다"며 남편 스토킹 신고한 아내… 법원 판결은
혼인관계 해소 과정서 필요한 연락… '무죄' 주장재판부 "지속·반복적이지 않아 공포심 유발할 정도 아냐" 별거 중인 아내를 스토킹한 혐의를 받았던 30대 남성이 법정공방 끝에 혐의를 벗었다. 이혼 과정에서 협의를 위한 연락이 필요했고 해당 연락이 스토킹범죄의 구성요건인 지속성·반복성·긴급성 등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보여졌기 때문이다.김소연 광주지방법원 형사7단독 부장판사는 지난달 31일 스토킹처벌법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32)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별거하고 있는 아내 B씨(31)에게 만나달라며 수십 차례에 걸쳐 문자를 보내는 등 스토킹한 혐의를 받는다.A씨와 B씨는 지난해 11월부터 별거 중이었다. B씨는 별거 시작 당시 A씨에게 이혼 문제 이외에 불필요한 연락을 하지 않을 것을 요구했다. A씨는 이를 무시하고 일상생활 등 안부를 묻는 연락을 지속했다. B씨에게 다른 남자가 생겼다는 사실을 지인으로부터 전해 듣고 자택과 회사를 찾아가기도 했다.스토킹처벌법에 따르면 정당한 이유 없이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접근하거나 연락하는 등의 행위를 지속·반복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A씨와 B씨 사이에는 혼인관계 해소에 따라 각종 공과금 명의변경 등 법적으로 정리할 사항이 존재했으므로 연락에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법률대리인은 A씨의 행위가 사회일반인의 관점에서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유발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스토킹행위의 판단에 대해 ▲문언 내용 ▲표현 방법과 의미 ▲당사자 관계 ▲문언을 보낸 경위와 횟수 ▲전후사정 ▲상대방이 처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을 근거로 들었다.재판부 역시 A씨의 행위를 스토킹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김 부장판사는 "피고인과 피해자는 법적으로 혼인관계가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여러 문제에 대한 협의 과정이 분명 필요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성 문제와 관련해서도 피고인이 피해자에 수회 연락을 취한 사실이 인정되기는 하나 내용이나 전송 횟수 등을 고려하면 피해자에게 지속·반복적으로 불안감을 조성하고 공포심을 갖게 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봤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나은정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법률상 부부라는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했다. 상대방은 이혼 등 법적인 문제와 관련해 문자메시지 등을 허용했고 그 과정에서 대화가 이어진 것일 뿐"이라며 "연락 역시 일회성 내지 비연속적인 단발성 행위에 불과했고 고의성이 전혀 없었다. 스토킹범죄의 구성요건인 지속성, 반복성, 긴급성 등을 충족하지 못했던 점을 입증해 무사히 무죄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별거중인데 연락한다"며 남편 스토킹 신고한 아내… 법원 판결은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26
‘투자금으로 줬는데, 빌려간 돈 반환하라’···법원 “대여사실 원고가 입증해야”
‘투자금으로 줬는데, 빌려간 돈 반환하라’···법원 “대여사실 원고가 입증해야”
원고 “송금한 4천만 원은 대여금, 대가로 받은 돈은 이자” 주장서울중앙지법 김영수 판사 “차용증 등 증빙 없고, 비정기적·비정액 대가는 수익금” 지인으로부터 송금받은 금액에 대해 차용증과 같은 대여사실 입증 서류가 없고 투자금의 성격이 존재한다면 대여금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71단독 김영수 판사는 60대 A씨가 지인 B씨를 상대로 낸 대여금 청구소송에서 10월 17일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했다.A씨는 2023년 9월 평소 알고 지내던 B씨로부터 투자 제안을 받았다. B씨는 자신의 지인 C씨에게 좋은 투자 건이 있다고 A씨를 설득했다. 제안을 받아들인 A씨는 B씨에게 4천만 원을 송금했고, 당일 B씨는 해당 금액을 C씨에게 다시 전달했다. 이후 A씨는 C씨로부터 세 차례에 걸쳐 약 150만 원을 지급 받았다.문제는 C씨가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돈을 지급하지 않으면서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에 A씨는 4천만 원은 투자를 한다던 B씨에게 빌려준 돈이므로, B씨가 이를 갚을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B씨를 상대로 대여금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A씨는 이 재판에서 자신이 해당 금액을 B씨의 계좌로 직접 보낸 점을 강조하면서, C씨가 건넨 150만 원은 투자수익금 중 일부를 대여 이자로 받은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B씨의 입장은 달랐다. B씨는 4천만 원을 대여금이 아닌 ‘투자금’으로 봐야한다고 반박했다. 차용증과 같은 대여 사실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가 없고, 150만 원 역시 대여 이자가 아닌 투자 수익을 대가로 받은 돈이라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서울중앙지방법원 김영수 판사는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리며 B씨의 손을 들어줬다.김영수 판사는 판결 이유로 “차용증 등 원금 반환이나 이자 약정의 존재를 추인할만한 아무런 문서도 작성되지 아니한 점, 원고가 이자율 또는 이자액수에 관한 약정 내용을 구체적으로 주장하지 않는 점, 피고는 원고의 돈을 받은 즉시 전액을 C씨에게 이체한 점” 등을 짚었다.김영수 판사는 이어 “원고는 150만 원 역시 C씨로부터 받았다”면서, “받은 금액이 매번 일정하지 않은 데다, 수령 시기 또한 정기적이지 않았던 점 등을 봤을 때 이자로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피고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배준모 변호사는 “돈을 빌렸다고 주장하려면 그 사실 또한 함께 증명해야 한다. A씨는 당초 정해진 원금 반환 날짜가 없다고 주장하다가 1년 후 수익금과 함께 돌려받기로 했다고 말을 바꿨다”면서, “이러한 모든 사실들을 종합해 법원이 대여금으로 판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투자금으로 줬는데, 빌려간 돈 반환하라’···법원 “대여사실 원고가 입증해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26
‘투자금으로 줬는데, 빌려간 돈 반환하라’···법원 “대여사실 원고가 입증해야”
‘투자금으로 줬는데, 빌려간 돈 반환하라’···법원 “대여사실 원고가 입증해야”
원고 “송금한 4천만 원은 대여금, 대가로 받은 돈은 이자” 주장서울중앙지법 김영수 판사 “차용증 등 증빙 없고, 비정기적·비정액 대가는 수익금” 지인으로부터 송금받은 금액에 대해 차용증과 같은 대여사실 입증 서류가 없고 투자금의 성격이 존재한다면 대여금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71단독 김영수 판사는 60대 A씨가 지인 B씨를 상대로 낸 대여금 청구소송에서 10월 17일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했다.A씨는 2023년 9월 평소 알고 지내던 B씨로부터 투자 제안을 받았다. B씨는 자신의 지인 C씨에게 좋은 투자 건이 있다고 A씨를 설득했다. 제안을 받아들인 A씨는 B씨에게 4천만 원을 송금했고, 당일 B씨는 해당 금액을 C씨에게 다시 전달했다. 이후 A씨는 C씨로부터 세 차례에 걸쳐 약 150만 원을 지급 받았다.문제는 C씨가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돈을 지급하지 않으면서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에 A씨는 4천만 원은 투자를 한다던 B씨에게 빌려준 돈이므로, B씨가 이를 갚을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B씨를 상대로 대여금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A씨는 이 재판에서 자신이 해당 금액을 B씨의 계좌로 직접 보낸 점을 강조하면서, C씨가 건넨 150만 원은 투자수익금 중 일부를 대여 이자로 받은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B씨의 입장은 달랐다. B씨는 4천만 원을 대여금이 아닌 ‘투자금’으로 봐야한다고 반박했다. 차용증과 같은 대여 사실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가 없고, 150만 원 역시 대여 이자가 아닌 투자 수익을 대가로 받은 돈이라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서울중앙지방법원 김영수 판사는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리며 B씨의 손을 들어줬다.김영수 판사는 판결 이유로 “차용증 등 원금 반환이나 이자 약정의 존재를 추인할만한 아무런 문서도 작성되지 아니한 점, 원고가 이자율 또는 이자액수에 관한 약정 내용을 구체적으로 주장하지 않는 점, 피고는 원고의 돈을 받은 즉시 전액을 C씨에게 이체한 점” 등을 짚었다.김영수 판사는 이어 “원고는 150만 원 역시 C씨로부터 받았다”면서, “받은 금액이 매번 일정하지 않은 데다, 수령 시기 또한 정기적이지 않았던 점 등을 봤을 때 이자로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이 소송에서 피고 B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배준모 변호사는 “돈을 빌렸다고 주장하려면 그 사실 또한 함께 증명해야 한다. A씨는 당초 정해진 원금 반환 날짜가 없다고 주장하다가 1년 후 수익금과 함께 돌려받기로 했다고 말을 바꿨다”면서, “이러한 모든 사실들을 종합해 법원이 대여금으로 판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투자금으로 줬는데, 빌려간 돈 반환하라’···법원 “대여사실 원고가 입증해야” (바로가기)
투데이광주전남
2024-11-26
(사)한국생명사랑재단, 2024 생명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씨앗 콘서트”성료
(사)한국생명사랑재단, 2024 생명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씨앗 콘서트”성료
강기정 시장, 생명 나눔 운동에 함께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생명의 나눔이 장기기증이라며 많은 후원자 동참 당부장기기증자 예우하는 방안, 적극적으로 마련 하겠다 사단법인 한국생명사랑재단(이사장 김동화)이 주최하고, 희망의 씨앗 후원회가 주관하는 2024 생명 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 씨앗 콘서트”가 11월 25일(월) 오후 7시 김대중컨벤션센터 4층 컨벤션홀에서 열렸다.이날 행사에는 김동찬 광주경영자총협회 부회장(희망의 씨앗 후원회장), 김광진 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 고경일 자문위원장, 박용수 광주시 민주평화국장, 김승현 한국사진방송광주지사장등 후원자 1백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개회사에서 김동찬 희망의 씨앗 후원회장은 요즘처럼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이렇게 행사를 치르게 되어 죄송스러운 마음이라며 나의 마지막이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시작이 되는 생명의 나눔이 장기기증이라며 많은 후원자가 동참해주시길 당부했다.강기정 광주시장은 영상으로 보내온 축사에서 생명 나눔 운동에 함께해 주신 여러분께 참으로 감사드린다면서 오늘 제가 직접 상을 드리지 못하지만 표창을 받아주실 김길표 (주, 쌍교), 김신 (카페 24 전남대점 센터장), 윤규미 (한구시니어교육연구원장), 황경숙 (광주신영문화센터 관장)께도 축하드린다고 말했다.아울러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고 장기기증자를 예우하는 방안을 광주도 적극적으로 마련해 가도록 하겠다며 새해에는 더욱더 희망차게 맞이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김동화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김광진 전, 광주시문화경제부시장님과 김동찬 희망의 씨앗 후원회장님께서 앞서서 좋은 말씀 잘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운을 뗀 뒤 우리 사회에 고귀한 생명의 나눔을 전하고 계시는 여러분과 이 자리를 함께 빛내주기 위해 참석해 주신 후원자들을 일일이 열거하며 감사의 표시를 전했다.김 이사장은 이날 자문위원으로 고경일(호남일보 호남에드), 김병우(호남일보 대표), 김경은(인의법무법인 대표변호사), 곽민섭(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황혜연(민주당 전국권리당원협의회 광주수석부의장), 박종임(태평요양병원 대표)씨를 위촉했다.김 이사장은 이어 최기영(광주시 북구의회의원), 박남규(광주은행 하남공단 2 금융센터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고, ㈜쌍교/쌍교숯불갈비, 광주은행, 빛여울포럼은 김 이사장에게 후원금을 전달했다.2부 순서, 생명을 잇다(스토리)에서는 7살 박민규 군(부산수영초등학교 1학년)의 뇌사장기기증 스토리를 참석자들에게 감동적이 스토리를 영상으로 보여주어 장기기증의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 주었다.이어진 희망을 심다(공연)에서는 남성 4인조 그롭 [크로스포맨]이 ‘Happy Day’ 외 5곡을, 여성 3인조 그룹 [루비]가 ‘축배의 노래’ 외 3곡을 들려주었고, 마지막 곡으로, 모두 함께 나와 ‘Champions(챔피언)’을 불러 참석자들과 함께 분위기를 이끌어 오르며 행사를 마무리했다.(사)한국생명사랑재단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장기이식등록, 조직기증자 등록기관으로 기획재정부가 지정한 지정기부금단체이다. 아울러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 홍보, 장기부전 및 난치병 환우지원 등의 생명 나눔 운동을 통해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고, 생명과 생명을 이어가는 비영리 공익법인이다. [기사전문보기] - (사)한국생명사랑재단, 2024 생명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씨앗 콘서트”성료 (바로가기)
투데이광주전남
2024-11-26
(사)한국생명사랑재단, 2024 생명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씨앗 콘서트”성료
(사)한국생명사랑재단, 2024 생명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씨앗 콘서트”성료
강기정 시장, 생명 나눔 운동에 함께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생명의 나눔이 장기기증이라며 많은 후원자 동참 당부장기기증자 예우하는 방안, 적극적으로 마련 하겠다 사단법인 한국생명사랑재단(이사장 김동화)이 주최하고, 희망의 씨앗 후원회가 주관하는 2024 생명 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 씨앗 콘서트”가 11월 25일(월) 오후 7시 김대중컨벤션센터 4층 컨벤션홀에서 열렸다.이날 행사에는 김동찬 광주경영자총협회 부회장(희망의 씨앗 후원회장), 김광진 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 고경일 자문위원장, 박용수 광주시 민주평화국장, 김승현 한국사진방송광주지사장등 후원자 1백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개회사에서 김동찬 희망의 씨앗 후원회장은 요즘처럼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이렇게 행사를 치르게 되어 죄송스러운 마음이라며 나의 마지막이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시작이 되는 생명의 나눔이 장기기증이라며 많은 후원자가 동참해주시길 당부했다.강기정 광주시장은 영상으로 보내온 축사에서 생명 나눔 운동에 함께해 주신 여러분께 참으로 감사드린다면서 오늘 제가 직접 상을 드리지 못하지만 표창을 받아주실 김길표 (주, 쌍교), 김신 (카페 24 전남대점 센터장), 윤규미 (한구시니어교육연구원장), 황경숙 (광주신영문화센터 관장)께도 축하드린다고 말했다.아울러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고 장기기증자를 예우하는 방안을 광주도 적극적으로 마련해 가도록 하겠다며 새해에는 더욱더 희망차게 맞이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김동화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김광진 전, 광주시문화경제부시장님과 김동찬 희망의 씨앗 후원회장님께서 앞서서 좋은 말씀 잘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운을 뗀 뒤 우리 사회에 고귀한 생명의 나눔을 전하고 계시는 여러분과 이 자리를 함께 빛내주기 위해 참석해 주신 후원자들을 일일이 열거하며 감사의 표시를 전했다.김 이사장은 이날 자문위원으로 고경일(호남일보 호남에드), 김병우(호남일보 대표), 김경은(인의법무법인 대표변호사), 곽민섭(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황혜연(민주당 전국권리당원협의회 광주수석부의장), 박종임(태평요양병원 대표)씨를 위촉했다.김 이사장은 이어 최기영(광주시 북구의회의원), 박남규(광주은행 하남공단 2 금융센터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고, ㈜쌍교/쌍교숯불갈비, 광주은행, 빛여울포럼은 김 이사장에게 후원금을 전달했다.2부 순서, 생명을 잇다(스토리)에서는 7살 박민규 군(부산수영초등학교 1학년)의 뇌사장기기증 스토리를 참석자들에게 감동적이 스토리를 영상으로 보여주어 장기기증의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 주었다.이어진 희망을 심다(공연)에서는 남성 4인조 그롭 [크로스포맨]이 ‘Happy Day’ 외 5곡을, 여성 3인조 그룹 [루비]가 ‘축배의 노래’ 외 3곡을 들려주었고, 마지막 곡으로, 모두 함께 나와 ‘Champions(챔피언)’을 불러 참석자들과 함께 분위기를 이끌어 오르며 행사를 마무리했다.(사)한국생명사랑재단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장기이식등록, 조직기증자 등록기관으로 기획재정부가 지정한 지정기부금단체이다. 아울러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 홍보, 장기부전 및 난치병 환우지원 등의 생명 나눔 운동을 통해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고, 생명과 생명을 이어가는 비영리 공익법인이다. [기사전문보기] - (사)한국생명사랑재단, 2024 생명나눔 후원의 밤 “희망의씨앗 콘서트”성료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26
'구속수사 원칙' 딥페이크 범죄…억울하게 연루됐다면?
'구속수사 원칙' 딥페이크 범죄…억울하게 연루됐다면?
-박지영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전문변호사 법률칼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이나 이미지에 실제 인물을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런 점을 악용한 것이 바로 딥페이크(허위영상물) 범죄다. 딥페이크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AI(인공지능)를 활용해 사진과 영상 등을 합성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명인의 합성영상을 만드는 수법으로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사생활을 침해하는 식이다. 딥페이크가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이유는 이 기술이 음란물 제작에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음란물이나 성착취물에 타인의 얼굴을 합성하고 이를 유포하는 만큼 피해 정도가 몹시 심각한 상황이다. 실제 경찰청에 접수된 딥페이크 성범죄 사건 신고 수는 지난 2021년 156건에서 올해 10월 기준 964건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디지털성범죄지원센터가 지원하는 피해자 수도 같은 기간 176명에서 1,201명으로 7배가량 급증했다.더 큰 문제는 딥페이크 범죄의 경우, 한번 시작되면 걷잡을 수 없이 피해가 빠르게 확산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영상물이 텔레그램과 같은 해외 서버를 기반으로 한 메신저를 통해 공유되기에 유포자 적발이 쉽지 않다. 또한 영상물이 여러 경로를 통해 재생산되는 만큼 완전 삭제 또한 어려운 경우가 대다수다.이처럼 딥페이크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자 디지털 성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최근 정부는 딥페이크 성범죄 피의자에 대해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고, 범죄로 얻은 재산과 수익을 모두 몰수·추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피해자가 아동·청소년인 경우에만 위장 수사가 가능했던 것을 개선해 성인인 경우에도 신분 위장 수사를 할 수 있도록 성폭력처벌법 개정에 나섰다.처벌 수위 또한 강화됐다. 딥페이크 영상물을 편집·유포한 사람에 대한 법정형은 징역 5년에서 7년으로 상향됐다. 아울러 범죄 구성 요건에서 '반포 등을 할 목적'이라는 문구가 삭제되면서 유포할 의도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더라도 처벌이 가능해졌다. 법무부 역시 지난 9월 딥페이크 성범죄물을 소지·구입·저장·시청만 해도 처벌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진행한 바 있다.딥페이크 범죄 처벌에 있어 미성년자 역시 예외는 아니다. 실제 지난 9월 허위영상물을 판매한 10대가 구속되기도 했는데, 해당 고교생은 용돈벌이를 위해 동창생과 교사 등 지인의 얼굴을 나체 사진에 합성해 판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법적 처벌이 보다 엄격하게 이뤄지는 추세인 만큼 만약 관련 범죄에 연루됐다면 영상물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시청 기록을 지우는 등 개별 행동에 나서기 보다는 조속히 전문변호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구속수사 원칙' 딥페이크 범죄…억울하게 연루됐다면?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26
'구속수사 원칙' 딥페이크 범죄…억울하게 연루됐다면?
'구속수사 원칙' 딥페이크 범죄…억울하게 연루됐다면?
-박지영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전문변호사 법률칼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이나 이미지에 실제 인물을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런 점을 악용한 것이 바로 딥페이크(허위영상물) 범죄다. 딥페이크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AI(인공지능)를 활용해 사진과 영상 등을 합성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명인의 합성영상을 만드는 수법으로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사생활을 침해하는 식이다. 딥페이크가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이유는 이 기술이 음란물 제작에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음란물이나 성착취물에 타인의 얼굴을 합성하고 이를 유포하는 만큼 피해 정도가 몹시 심각한 상황이다. 실제 경찰청에 접수된 딥페이크 성범죄 사건 신고 수는 지난 2021년 156건에서 올해 10월 기준 964건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디지털성범죄지원센터가 지원하는 피해자 수도 같은 기간 176명에서 1,201명으로 7배가량 급증했다.더 큰 문제는 딥페이크 범죄의 경우, 한번 시작되면 걷잡을 수 없이 피해가 빠르게 확산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영상물이 텔레그램과 같은 해외 서버를 기반으로 한 메신저를 통해 공유되기에 유포자 적발이 쉽지 않다. 또한 영상물이 여러 경로를 통해 재생산되는 만큼 완전 삭제 또한 어려운 경우가 대다수다.이처럼 딥페이크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자 디지털 성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최근 정부는 딥페이크 성범죄 피의자에 대해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고, 범죄로 얻은 재산과 수익을 모두 몰수·추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피해자가 아동·청소년인 경우에만 위장 수사가 가능했던 것을 개선해 성인인 경우에도 신분 위장 수사를 할 수 있도록 성폭력처벌법 개정에 나섰다.처벌 수위 또한 강화됐다. 딥페이크 영상물을 편집·유포한 사람에 대한 법정형은 징역 5년에서 7년으로 상향됐다. 아울러 범죄 구성 요건에서 '반포 등을 할 목적'이라는 문구가 삭제되면서 유포할 의도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더라도 처벌이 가능해졌다. 법무부 역시 지난 9월 딥페이크 성범죄물을 소지·구입·저장·시청만 해도 처벌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진행한 바 있다.딥페이크 범죄 처벌에 있어 미성년자 역시 예외는 아니다. 실제 지난 9월 허위영상물을 판매한 10대가 구속되기도 했는데, 해당 고교생은 용돈벌이를 위해 동창생과 교사 등 지인의 얼굴을 나체 사진에 합성해 판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법적 처벌이 보다 엄격하게 이뤄지는 추세인 만큼 만약 관련 범죄에 연루됐다면 영상물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시청 기록을 지우는 등 개별 행동에 나서기 보다는 조속히 전문변호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구속수사 원칙' 딥페이크 범죄…억울하게 연루됐다면?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11-26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 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 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경호 관련 수요 나날이 증가대륜, 인력 2배 충원, 업무 세분화 등 규모 확장일상생활 동행, 안전이별 관련 법률 자문 등 피해자 지원에 최선 최근 교제 살인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지난 5월에는 한 의대생이 결별 문제로 갈등을 겪던 여자친구를 계획적으로 살해한 일이 발생했다.이달 초 경북 구미에서는 경찰의 신변 보호를 받던 한 여성이 전 남자친구로부터 변을 당하기도 했다. 연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데이트 폭력 역시 다수 발생하고 있다.이처럼 연인관계에서 비롯되는 폭력·살인 사건이 끊이지 않으면서 맞춤형 순찰, 스마트워치 지급 등 현행 범죄피해자 보호제도만으로는 보호공백이 크고 근본적인 범죄 예방이 어렵다는 세간의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민간전문 경호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러한 수요에 발 맞춰 경호센터의 역량을 강화했다고 22일 밝혔다.전문 경호요원을 2배 이상 대거 충원하고, 경호 서비스 영역을 세분화해 체계적인 피해자 보호에 나설 계획이다.의뢰인에 대한 변호부터 경호서비스까지, 법무법인 차원에서 의뢰인의 법익 극대화는 물론, 신변 보호까지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대륜 경호센터는 민ㆍ형사ㆍ성범죄 사건 등 유형을 불문하고, 신변에 위협을 느끼는 의뢰인들이 보다 더 안전한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전문 경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담당 변호사의 현장 지원, 수 만 건의 형사사건 빅데이터 활용 등을 통해 법적인 갈등까지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일반 경호 업체들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대륜 경호센터는 수준 높은 경호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특수부대 출신, 3단 이상 유단자 등 까다로운 선발 기준을 통과한 전문 경호인단을 보유 중이며, 의전차량 및 각종 보안장비 제공, 사건의 위험성에 따라 최소 2인에서 4인 이상의 경호인력을 투입하고 있다.이어서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경호작전관리 표준 시스템을 채택하고 국내외 실제 사례에 맞춰 서비스 영역을 세분화 하는 등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도 큰 공을 들였다.우선, 스토킹 및 성범죄, 데이트 폭력 등 흉악범죄로 이어지기 쉬운 전조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안심생활 서비스'를 제공한다.경호대상의 모든 생활 범위와 습관, 상대방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 매뉴얼을 생성하며, 실시간 법률 자문과 채증, 민관합동 물리방어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의 범죄의지를 사전에 차단한다.또한, 학교폭력의 경우 '우리자녀 안심지원 프로그램'도 제공 중이다. 피해 학생에 대한 철저한 경호 서비스는 물론, 가해 학생이나 또래집단의 행동패턴과 하위문화, 심리까지 고려해 안전한 환경을 확보하고 위기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이 밖에도 법원이나 경찰서 출석 시 경호와 의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안심동행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영업방해, 채권채무관계, 강제집행이나 명도소송, 합의서 작성, 주주총회 등 다양한 갈등 현장에도 경호요원 파견이 가능하다.실제 지난 10월, 불구속 재판 중이던 조폭 배우자의 폭행과 협박으로 인해 이혼을 준비 중이던 한 여성 의뢰인이 대륜의 경호 서비스를 통해 큰 도움을 받았다.대륜 경호센터는 해당 배우자의 배후세력과 위험성을 조사한 뒤 체계적인 경호 계획을 세웠다.경호 과정에서 배우자와 관련 세력이 의뢰인에게 접근하며 협박을 하고 차량으로 미행까지 하였지만 모든 위협행위는 경호요원들에 의해 즉각 저지됐으며, 현장에서 채증한 각종 불법행위는 해당 사법당국에 전부 인계됐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적지 않은 의뢰인들이 소송 과정 중 의도치 않게 신변 위협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다"며 "의뢰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경호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대륜 경호센터는 발생 가능한 여러 위기 상황을 체계적으로 예측하고 분석해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의뢰인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무분별한 물리력 행사나 어떠한 위법 행위 없이 양질의 경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조세일보-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 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바로가기)한국경제- AI가 기업 HR에 미치는 영향은…세미나 여는 화우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아주경제- [로펌라운지]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11-26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 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 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경호 관련 수요 나날이 증가대륜, 인력 2배 충원, 업무 세분화 등 규모 확장일상생활 동행, 안전이별 관련 법률 자문 등 피해자 지원에 최선 최근 교제 살인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지난 5월에는 한 의대생이 결별 문제로 갈등을 겪던 여자친구를 계획적으로 살해한 일이 발생했다.이달 초 경북 구미에서는 경찰의 신변 보호를 받던 한 여성이 전 남자친구로부터 변을 당하기도 했다. 연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데이트 폭력 역시 다수 발생하고 있다.이처럼 연인관계에서 비롯되는 폭력·살인 사건이 끊이지 않으면서 맞춤형 순찰, 스마트워치 지급 등 현행 범죄피해자 보호제도만으로는 보호공백이 크고 근본적인 범죄 예방이 어렵다는 세간의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민간전문 경호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러한 수요에 발 맞춰 경호센터의 역량을 강화했다고 22일 밝혔다.전문 경호요원을 2배 이상 대거 충원하고, 경호 서비스 영역을 세분화해 체계적인 피해자 보호에 나설 계획이다.의뢰인에 대한 변호부터 경호서비스까지, 법무법인 차원에서 의뢰인의 법익 극대화는 물론, 신변 보호까지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대륜 경호센터는 민ㆍ형사ㆍ성범죄 사건 등 유형을 불문하고, 신변에 위협을 느끼는 의뢰인들이 보다 더 안전한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전문 경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담당 변호사의 현장 지원, 수 만 건의 형사사건 빅데이터 활용 등을 통해 법적인 갈등까지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일반 경호 업체들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대륜 경호센터는 수준 높은 경호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특수부대 출신, 3단 이상 유단자 등 까다로운 선발 기준을 통과한 전문 경호인단을 보유 중이며, 의전차량 및 각종 보안장비 제공, 사건의 위험성에 따라 최소 2인에서 4인 이상의 경호인력을 투입하고 있다.이어서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경호작전관리 표준 시스템을 채택하고 국내외 실제 사례에 맞춰 서비스 영역을 세분화 하는 등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도 큰 공을 들였다.우선, 스토킹 및 성범죄, 데이트 폭력 등 흉악범죄로 이어지기 쉬운 전조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안심생활 서비스'를 제공한다.경호대상의 모든 생활 범위와 습관, 상대방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 매뉴얼을 생성하며, 실시간 법률 자문과 채증, 민관합동 물리방어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의 범죄의지를 사전에 차단한다.또한, 학교폭력의 경우 '우리자녀 안심지원 프로그램'도 제공 중이다. 피해 학생에 대한 철저한 경호 서비스는 물론, 가해 학생이나 또래집단의 행동패턴과 하위문화, 심리까지 고려해 안전한 환경을 확보하고 위기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이 밖에도 법원이나 경찰서 출석 시 경호와 의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안심동행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영업방해, 채권채무관계, 강제집행이나 명도소송, 합의서 작성, 주주총회 등 다양한 갈등 현장에도 경호요원 파견이 가능하다.실제 지난 10월, 불구속 재판 중이던 조폭 배우자의 폭행과 협박으로 인해 이혼을 준비 중이던 한 여성 의뢰인이 대륜의 경호 서비스를 통해 큰 도움을 받았다.대륜 경호센터는 해당 배우자의 배후세력과 위험성을 조사한 뒤 체계적인 경호 계획을 세웠다.경호 과정에서 배우자와 관련 세력이 의뢰인에게 접근하며 협박을 하고 차량으로 미행까지 하였지만 모든 위협행위는 경호요원들에 의해 즉각 저지됐으며, 현장에서 채증한 각종 불법행위는 해당 사법당국에 전부 인계됐다.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적지 않은 의뢰인들이 소송 과정 중 의도치 않게 신변 위협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다"며 "의뢰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경호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대륜 경호센터는 발생 가능한 여러 위기 상황을 체계적으로 예측하고 분석해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의뢰인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무분별한 물리력 행사나 어떠한 위법 행위 없이 양질의 경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조세일보-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 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바로가기)한국경제- AI가 기업 HR에 미치는 영향은…세미나 여는 화우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아주경제- [로펌라운지] '안전 이별, 안심 귀가 책임진다'…대륜, 경호센터 운영 강화 (바로가기)
울산신문 등 6곳
2024-11-26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MOU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MOU
울산 울주군의회가 25일 의장실에서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서비스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최길영 의장을 비롯한 울주군의회 전 의원과 김낙형 법무법인 대륜 본부장, 황규화 울산지소장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법무법인 대륜은 제8대 울주군의회 임기가 마무리되는 2026년 6월 30일까지 의정활동 수행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법률문제에 대한 자문을 제공키로 했다. 김낙형 본부장은 "소속 변호사 외에도 회계사, 세무사 등 관련 전문가를 통한 모든 업무영역에 걸친 자문으로 울주군의회가 보다 효율적인 의정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어 최길영 의장은 "법률은 모든 사회적 활동의 기본 틀이자, 정책의 합법성과 공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의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울산신문 -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MOU (바로가기)울산제일일보 -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맞손 (바로가기)메트로신문 - 울주군의회,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 서비스 지원 MOU 체결 (바로가기)울산경제 - 울주군의회,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서비스 지원’ MOU (바로가기)울산종합일보 - 울산 울주군의회,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연합뉴스 -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업무협약 (바로가기)
울산신문 등 6곳
2024-11-26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MOU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MOU
울산 울주군의회가 25일 의장실에서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서비스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최길영 의장을 비롯한 울주군의회 전 의원과 김낙형 법무법인 대륜 본부장, 황규화 울산지소장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법무법인 대륜은 제8대 울주군의회 임기가 마무리되는 2026년 6월 30일까지 의정활동 수행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법률문제에 대한 자문을 제공키로 했다. 김낙형 본부장은 "소속 변호사 외에도 회계사, 세무사 등 관련 전문가를 통한 모든 업무영역에 걸친 자문으로 울주군의회가 보다 효율적인 의정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어 최길영 의장은 "법률은 모든 사회적 활동의 기본 틀이자, 정책의 합법성과 공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의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울산신문 -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MOU (바로가기)울산제일일보 -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맞손 (바로가기)메트로신문 - 울주군의회,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 서비스 지원 MOU 체결 (바로가기)울산경제 - 울주군의회,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서비스 지원’ MOU (바로가기)울산종합일보 - 울산 울주군의회,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연합뉴스 - 울주군의회-법무법인 대륜, 법률서비스 지원 업무협약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2024-11-25
법무법인 대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법무법인 대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법학전문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한다.대륜은 내년 1월 7일부터 23일까지 실제 변호사 업무를 체험하고 관련 실무강의를 들을 수 있는 인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지원을 원하는 학생은 다음달 15일까지 대륜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서를 작성하고, 법학전문대학원과 대학교의 성적증명서를 첨부해 접수하면 된다. 필요한 경우, 면접전형이 진행될 수 있다. 결과는 12월 중순 합격자에게 개별 통지될 예정이다.대륜 관계자는 “대륜과 함께 법률 실무를 경험하고자 하는 학생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2024-11-25
법무법인 대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법무법인 대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법학전문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한다.대륜은 내년 1월 7일부터 23일까지 실제 변호사 업무를 체험하고 관련 실무강의를 들을 수 있는 인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지원을 원하는 학생은 다음달 15일까지 대륜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서를 작성하고, 법학전문대학원과 대학교의 성적증명서를 첨부해 접수하면 된다. 필요한 경우, 면접전형이 진행될 수 있다. 결과는 12월 중순 합격자에게 개별 통지될 예정이다.대륜 관계자는 “대륜과 함께 법률 실무를 경험하고자 하는 학생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동계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1-25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1심 이어 항소심서도 무죄…이유는?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1심 이어 항소심서도 무죄…이유는?
20대 A씨,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해 현금 수거·전달 혐의로 기소1심 ‘무죄’에 검찰 항소했지만…2심 재판부 “사기 고의성 없어”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수거해 전달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여성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인천지방법원 제2-1형사부는 지난 15일 사기, 공문서위조, 위조공문서행사 등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1심 무죄 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2022년 보이스피싱 조직의 현금 수거책 역할을 담당하며, 피해자 6명으로부터 1억 2000여 만원을 건네 받아 전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또, 금융위원회 명의의 허위 공문서를 인쇄해 피해자들 일부에게 나눠준 혐의도 받았다.재판 과정에서 A씨 측은 사기의 고의가 없었음을 주장했다. 경매회사 직원으로 가장한 보이스피싱 조직원이 구직사이트에 게재된 A씨의 이력서를 보고 먼저 입사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또 이력서를 제출하고, 근로계약서도 작성하는 등 채용 절차 역시 다른 회사와 다르지 않아 의심을 가질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또한 A씨는 당시 현금 수거를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카드로 택시비를 결제했고, 피해자들에게 실명을 밝히기도 했는데, 이는 A씨가 자신의 행위를 범죄로 인식하지 못했음을 방증한다고도 덧붙였다.1심 재판부는 지난해 10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관련 배상신청을 모두 각하했다. 당시 재판부는 “피고인은 회사 관계자로부터 ‘경매 관련 서류 및 납부금 전달’을 주 업무로 부여받았다”며 “이 같은 일은 실제 경매회사에서 취급하는 일이라고 오해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또한 피고인은 피해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서로 신원을 확인하지 않았고, 회사 관계자로부터 허위 사실을 말하라는 지시도 받은 적이 없다”며 “피고인 역시 보이스피싱 범죄 실현을 위한 도구로 이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이에 검찰이 항소했지만 2심 재판부의 판단도 원심과 같았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로서는 단순히 경매회사에 소속돼 외근업무를 수행한다고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또 “A씨가 받은 일당 역시 보이스피싱 범행에 가담해 형사처벌을 받을 것을 감수할 정도로 큰 금액으로 보이지 않고, 금융위원회 명의의 허위 공문서를 출력한 것 역시 단순한 회사 지시로 생각해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장호철 변호사는 “A씨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후 제대로 된 사회생활을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이었다”며 “때문에 자신이 보이스피싱이라는 특정 범죄에 가담됐다는 점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는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해 고의성이 없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1심 이어 항소심서도 무죄…이유는?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1-25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1심 이어 항소심서도 무죄…이유는?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1심 이어 항소심서도 무죄…이유는?
20대 A씨,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해 현금 수거·전달 혐의로 기소1심 ‘무죄’에 검찰 항소했지만…2심 재판부 “사기 고의성 없어” 보이스피싱 피해자들로부터 현금을 수거해 전달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여성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인천지방법원 제2-1형사부는 지난 15일 사기, 공문서위조, 위조공문서행사 등 혐의로 기소된 20대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1심 무죄 판결을 유지했다.A씨는 2022년 보이스피싱 조직의 현금 수거책 역할을 담당하며, 피해자 6명으로부터 1억 2000여 만원을 건네 받아 전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또, 금융위원회 명의의 허위 공문서를 인쇄해 피해자들 일부에게 나눠준 혐의도 받았다.재판 과정에서 A씨 측은 사기의 고의가 없었음을 주장했다. 경매회사 직원으로 가장한 보이스피싱 조직원이 구직사이트에 게재된 A씨의 이력서를 보고 먼저 입사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또 이력서를 제출하고, 근로계약서도 작성하는 등 채용 절차 역시 다른 회사와 다르지 않아 의심을 가질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또한 A씨는 당시 현금 수거를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카드로 택시비를 결제했고, 피해자들에게 실명을 밝히기도 했는데, 이는 A씨가 자신의 행위를 범죄로 인식하지 못했음을 방증한다고도 덧붙였다.1심 재판부는 지난해 10월 A씨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관련 배상신청을 모두 각하했다. 당시 재판부는 “피고인은 회사 관계자로부터 ‘경매 관련 서류 및 납부금 전달’을 주 업무로 부여받았다”며 “이 같은 일은 실제 경매회사에서 취급하는 일이라고 오해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또한 피고인은 피해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서로 신원을 확인하지 않았고, 회사 관계자로부터 허위 사실을 말하라는 지시도 받은 적이 없다”며 “피고인 역시 보이스피싱 범죄 실현을 위한 도구로 이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이에 검찰이 항소했지만 2심 재판부의 판단도 원심과 같았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로서는 단순히 경매회사에 소속돼 외근업무를 수행한다고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또 “A씨가 받은 일당 역시 보이스피싱 범행에 가담해 형사처벌을 받을 것을 감수할 정도로 큰 금액으로 보이지 않고, 금융위원회 명의의 허위 공문서를 출력한 것 역시 단순한 회사 지시로 생각해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장호철 변호사는 “A씨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후 제대로 된 사회생활을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이었다”며 “때문에 자신이 보이스피싱이라는 특정 범죄에 가담됐다는 점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는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해 고의성이 없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수거책’ 20대 여성, 1심 이어 항소심서도 무죄…이유는? (바로가기)
고대신문
2024-11-25
이혼 상식 바르게 알기
이혼 상식 바르게 알기
의뢰인 중 5060 많아양육권, 애착 관계·부양 능력 고려돼“양보할 수 없는 것을 선별해야” 이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혼을 터부시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 존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법조인들은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체감하고 있을까.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해 7년째 가사 전문 변호사로 일하고 있는 조경희 변호사에게 최근 이혼 양상과 소송 과정을 물었다. - 대표적인 이혼 사유는 “이혼 사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하나는 ‘성격 차이’이고, 나머지 하나는 ‘배우자의 유책 사유’입니다. 유책 사유에는 폭행, 폭언, 부정행위 등이 있어요. 부정행위는 쉽게 말해서 불륜이죠. 이 중에서 배우자의 부정행위가 이혼소송으로 가장 많이 이어집니다.” - 황혼 이혼이 늘고 있는데 “이혼 사유는 부부마다 다르고 복합적이기에 하나로 특정 짓기 어려워요. 오랜 세월 여러 문제가 누적되며 부부 사이가 굉장히 나빠지는 경우가 많죠. 다만 최근 황혼 이혼이 유독 증가하는 것은 과거에 비해 이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 이혼한 여성 배우자에겐 ‘이혼한 사람’이라는 낙인이 찍혔죠. 홀로 생활을 꾸리기 어려운 경우도 많았고요. 그러나 지금은 이혼했다는 사실이나 여성 홀로 생활을 꾸려나가는 일이 이상하지 않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생겼습니다. 이혼 청구를 하는 남성도 늘었죠. 그러면서 노년층에서 이혼을 좀 더 수월하게 결심할 수 있는 분위기가 나타났다고 봅니다. 실제로 의뢰인 중에서도 50~60대가 많습니다.” - 연령대별로 이혼 과정이 달라지나 “나이 자체는 소송 과정에서 변수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대신 이혼을 예정한 부부 사이에 미성년 자녀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소송 양상이 크게 달라지죠.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엔 양육권 다툼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육에 필요한 비용 때문에 양육권은 재산 분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재산 분할의 주목적은 부부의 재산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누가 얼마나 이바지했는지 판단해 청산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민법 제839조의2에 따라 재산 분할에선 ‘청산적 요소’뿐만 아니라 ‘부양적 요소’도 고려하게 돼 있어요. 앞으로 부담하게 될 양육 책임은 재산 분할에서 고려되는 ‘부양적 요소’ 중 하나죠. 그만큼 앞으로 누가 자녀를 키우는지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 친권·양육권 지정 과정은 “과거엔 아이는 엄마가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 때문에 이혼 소송에서 양육권이 엄마에게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어요. 하지만 최근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법원이 양육자 및 친권자로 누가 적정한지를 결정하죠. 친권자로 아빠가 지정되는 경우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법원은 우선 부모와 자녀 간 애착 관계를 고려합니다. 유책 배우자라 하더라도 아이와 관계가 친밀하고 훗날 아이에게 해악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양육권자로 지정될 수 있어요. 아이와 애착 관계를 판단하기 위해 법원은 부모의 ‘주 양육 기간’과 ‘혼인 기간 중 양육에서 한 역할’을 평가합니다. 재판상 필요한 경우 법원 내 *면접교섭실에서 임시 면접교섭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판사는 면접교섭 내용을 판결에 고려하도록 돼있거든요. 부모의 부양 능력도 평가됩니다. 부모의 경제적인 능력, 그리고 아이들과 홀로 살아갈 능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죠. 아이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생활 능력도 부양 능력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의 의사가 중요합니다. 아이가 만 13세 이상이면 친권·양육권자 지정 단계에서 아이의 의사를 반드시 참고하게 돼 있습니다.” - 이혼 소송을 결정할 때 유의할 점은 “이혼 소송은 하나의 심급에 보통 1년에서 1년 반 정도가 걸립니다. 그리고 소송을 하는 동안 변호사를 선임하는 데 적지 않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죠. 물론 소송을 거쳐 위자료를 받으면 그동안의 비용을 충당하고 상대방의 잘못을 공식적으로 확인받을 수 있습니다. 상처를 치유하는 하나의 방법이죠. 다만 본격적으로 소송을 진행할 때 느끼는 여러 스트레스가 있으니 이러한 심적 고통을 원치 않는다면 협의이혼, 조정이혼 등의 대안을 생각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협의이혼은 대리인의 조력 없이 당사자끼리 협의만 거치는 형태고, 조정이혼은 협의이혼과 소송이혼의 절충적인 형태예요. 힘들었던 만큼 금전적 보상을 원하는 의뢰인 분도 계시고, 어떻게든 양육권을 확보하려는 분도 계십니다. 이혼을 결심한 경우 본인에게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인지, 양보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하셔야 해요. 소송 과정이 고통스러워서 나중에 아이를 데려오자는 생각으로 양육권을 포기하면 아이와 관계가 멀어진 후 크게 후회할 수도 있거든요. 가장 소중하고, 상대방에게 양보할 수 없는 것들을 지키는 방향으로 목표를 세우시길 바랍니다.” [기사전문보기] - 이혼 상식 바르게 알기 (바로가기)
고대신문
2024-11-25
이혼 상식 바르게 알기
이혼 상식 바르게 알기
의뢰인 중 5060 많아양육권, 애착 관계·부양 능력 고려돼“양보할 수 없는 것을 선별해야” 이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혼을 터부시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 존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법조인들은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체감하고 있을까.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해 7년째 가사 전문 변호사로 일하고 있는 조경희 변호사에게 최근 이혼 양상과 소송 과정을 물었다. - 대표적인 이혼 사유는 “이혼 사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하나는 ‘성격 차이’이고, 나머지 하나는 ‘배우자의 유책 사유’입니다. 유책 사유에는 폭행, 폭언, 부정행위 등이 있어요. 부정행위는 쉽게 말해서 불륜이죠. 이 중에서 배우자의 부정행위가 이혼소송으로 가장 많이 이어집니다.” - 황혼 이혼이 늘고 있는데 “이혼 사유는 부부마다 다르고 복합적이기에 하나로 특정 짓기 어려워요. 오랜 세월 여러 문제가 누적되며 부부 사이가 굉장히 나빠지는 경우가 많죠. 다만 최근 황혼 이혼이 유독 증가하는 것은 과거에 비해 이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 이혼한 여성 배우자에겐 ‘이혼한 사람’이라는 낙인이 찍혔죠. 홀로 생활을 꾸리기 어려운 경우도 많았고요. 그러나 지금은 이혼했다는 사실이나 여성 홀로 생활을 꾸려나가는 일이 이상하지 않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생겼습니다. 이혼 청구를 하는 남성도 늘었죠. 그러면서 노년층에서 이혼을 좀 더 수월하게 결심할 수 있는 분위기가 나타났다고 봅니다. 실제로 의뢰인 중에서도 50~60대가 많습니다.” - 연령대별로 이혼 과정이 달라지나 “나이 자체는 소송 과정에서 변수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대신 이혼을 예정한 부부 사이에 미성년 자녀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소송 양상이 크게 달라지죠.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엔 양육권 다툼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육에 필요한 비용 때문에 양육권은 재산 분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재산 분할의 주목적은 부부의 재산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누가 얼마나 이바지했는지 판단해 청산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민법 제839조의2에 따라 재산 분할에선 ‘청산적 요소’뿐만 아니라 ‘부양적 요소’도 고려하게 돼 있어요. 앞으로 부담하게 될 양육 책임은 재산 분할에서 고려되는 ‘부양적 요소’ 중 하나죠. 그만큼 앞으로 누가 자녀를 키우는지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 친권·양육권 지정 과정은 “과거엔 아이는 엄마가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 때문에 이혼 소송에서 양육권이 엄마에게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어요. 하지만 최근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법원이 양육자 및 친권자로 누가 적정한지를 결정하죠. 친권자로 아빠가 지정되는 경우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법원은 우선 부모와 자녀 간 애착 관계를 고려합니다. 유책 배우자라 하더라도 아이와 관계가 친밀하고 훗날 아이에게 해악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양육권자로 지정될 수 있어요. 아이와 애착 관계를 판단하기 위해 법원은 부모의 ‘주 양육 기간’과 ‘혼인 기간 중 양육에서 한 역할’을 평가합니다. 재판상 필요한 경우 법원 내 *면접교섭실에서 임시 면접교섭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판사는 면접교섭 내용을 판결에 고려하도록 돼있거든요. 부모의 부양 능력도 평가됩니다. 부모의 경제적인 능력, 그리고 아이들과 홀로 살아갈 능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죠. 아이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생활 능력도 부양 능력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의 의사가 중요합니다. 아이가 만 13세 이상이면 친권·양육권자 지정 단계에서 아이의 의사를 반드시 참고하게 돼 있습니다.” - 이혼 소송을 결정할 때 유의할 점은 “이혼 소송은 하나의 심급에 보통 1년에서 1년 반 정도가 걸립니다. 그리고 소송을 하는 동안 변호사를 선임하는 데 적지 않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죠. 물론 소송을 거쳐 위자료를 받으면 그동안의 비용을 충당하고 상대방의 잘못을 공식적으로 확인받을 수 있습니다. 상처를 치유하는 하나의 방법이죠. 다만 본격적으로 소송을 진행할 때 느끼는 여러 스트레스가 있으니 이러한 심적 고통을 원치 않는다면 협의이혼, 조정이혼 등의 대안을 생각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협의이혼은 대리인의 조력 없이 당사자끼리 협의만 거치는 형태고, 조정이혼은 협의이혼과 소송이혼의 절충적인 형태예요. 힘들었던 만큼 금전적 보상을 원하는 의뢰인 분도 계시고, 어떻게든 양육권을 확보하려는 분도 계십니다. 이혼을 결심한 경우 본인에게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인지, 양보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하셔야 해요. 소송 과정이 고통스러워서 나중에 아이를 데려오자는 생각으로 양육권을 포기하면 아이와 관계가 멀어진 후 크게 후회할 수도 있거든요. 가장 소중하고, 상대방에게 양보할 수 없는 것들을 지키는 방향으로 목표를 세우시길 바랍니다.” [기사전문보기] - 이혼 상식 바르게 알기 (바로가기)
한국경제 등 3곳
2024-11-22
서강대 로스쿨과 손잡은 대륜... 율촌, 글로벌환경규제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서강대 로스쿨과 손잡은 대륜... 율촌, 글로벌환경규제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한국경제신문의 법조·로펌 전문 미디어 로앤비즈(Law&Biz)가 22일 로펌업계 뉴스를 브리핑합니다. 대륜, 서강대 로스쿨과 '글로벌 시대 법조인 양성' MOU 법무법인 대륜이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과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MOU 체결식은 20일 서강대 본관에서 열렸다. 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와 안승진·한민영 변호사, 전성훈 서강대 교학부총장, 홍대식 법학전문대학원장 등이 참석했다.이번 MOU는 경쟁이 심화되는 국내 법조계 시장에서 해외 진출 법조인을 양성하는 것이 골자다. △각종 법률분야 이론에 대한 공동연구 △국내외 법률시장 분석 △지속적인 세미나 등이 골자다. 대륜은 다음 학기부터 리걸클리닉 강좌와 특강을 열고, 해외 법제도·관행에 대한 교육과 인턴십 등을 제공할 방침이다. 율촌, 글로벌 기후변화 규제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율촌이 이달 29일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와 '글로벌 기후변화 규제 강화 동향 대응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COP29의 주요 결과와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동향 및 국내외 탄소시장 전망이 다뤄진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 방향 및 정부 정책 방향과 온실가스 감축방안이 논의된다.세미나에는 김경혜 외교부 기후변화외교과장, 최선두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감축목표팀장, 송인범 한국환경공단 국제환경협력사업부장 등이 발표한다. 이민호 율촌 ESG 연구소장과 윤용희 율촌 변호사 등이 종합토론에 참여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되며, 신청 기간은 11월 27일 수요일까지다.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 - 서강대 로스쿨과 손잡은 대륜... 율촌, 글로벌환경규제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 로스쿨과 '글로벌시대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서강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우수 법조인 양성’ MOU (바로가기)
한국경제 등 3곳
2024-11-22
서강대 로스쿨과 손잡은 대륜... 율촌, 글로벌환경규제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서강대 로스쿨과 손잡은 대륜... 율촌, 글로벌환경규제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한국경제신문의 법조·로펌 전문 미디어 로앤비즈(Law&Biz)가 22일 로펌업계 뉴스를 브리핑합니다. 대륜, 서강대 로스쿨과 '글로벌 시대 법조인 양성' MOU 법무법인 대륜이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과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MOU 체결식은 20일 서강대 본관에서 열렸다. 김국일 대륜 경영총괄대표와 안승진·한민영 변호사, 전성훈 서강대 교학부총장, 홍대식 법학전문대학원장 등이 참석했다.이번 MOU는 경쟁이 심화되는 국내 법조계 시장에서 해외 진출 법조인을 양성하는 것이 골자다. △각종 법률분야 이론에 대한 공동연구 △국내외 법률시장 분석 △지속적인 세미나 등이 골자다. 대륜은 다음 학기부터 리걸클리닉 강좌와 특강을 열고, 해외 법제도·관행에 대한 교육과 인턴십 등을 제공할 방침이다. 율촌, 글로벌 기후변화 규제 세미나 개최 법무법인 율촌이 이달 29일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와 '글로벌 기후변화 규제 강화 동향 대응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COP29의 주요 결과와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동향 및 국내외 탄소시장 전망이 다뤄진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 방향 및 정부 정책 방향과 온실가스 감축방안이 논의된다.세미나에는 김경혜 외교부 기후변화외교과장, 최선두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감축목표팀장, 송인범 한국환경공단 국제환경협력사업부장 등이 발표한다. 이민호 율촌 ESG 연구소장과 윤용희 율촌 변호사 등이 종합토론에 참여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되며, 신청 기간은 11월 27일 수요일까지다. [기사전문보기] 한국경제 - 서강대 로스쿨과 손잡은 대륜... 율촌, 글로벌환경규제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서강대 로스쿨과 '글로벌시대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서강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우수 법조인 양성’ MOU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21
"201호 입주했는데, 202호 내놓으라니"..法 "출입문 표시 따라야"
"201호 입주했는데, 202호 내놓으라니"..法 "출입문 표시 따라야"
부동산 관련 서류상 호실과 문패상 호실이 다를 때 방에 대한 소유권은 임대차 계약이 성립된 기준을 따라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18일 신탁회사가 세입자 A씨를 상대로 제기한 건물인도 소송에서 원고 청구 기각 판결을 내렸다고 21일 밝혔습니다.서울의 한 오피스텔을 빌린 A씨는 올해 2월 신탁회사로부터 임대 중인 방을 인도하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앞서 이 오피스텔은 건물을 둘러싸고 부동산 담보신탁 계약이 체결됐는데, 건물 소유주가 2018년 소유권을 신탁 회사에 넘기고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겁니다.이후 소유주는 2021년 오피스텔 16개 호실 중 하나인 201호에 대해 A씨와 전세 계약을 맺었습니다.이어 A씨에게 받은 보증금을 바탕으로 대출금 일부를 변제해 201호에 대한 소유권 이전을 완료했습니다.다만 같은 층의 202호는 여전히 신탁회사의 소유였는데, 소유주가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서 처분 절차가 시작됐습니다.문제는 문패에 기재된 호수와 건축물현황도상 호수가 일치하지 않으면서 발생했습니다.A씨의 호실은 문패상 201호였지만, 건축물현황도에는 202호로 적혀있었던 겁니다.신탁회사는 이를 근거로 소유권이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했습니다.하지만 A씨는 소유주와 계약하고 입주한 곳은 현관문에 표시된 201호라며, 신탁회사 측에 소유권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방을 인도할 의무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이에 재판부는 "집주인과 A씨는 계약한 방을 출입문에 표시된 201호로 인식했다"며 "다른 호실 세입자들도 문패를 기준으로 법적 관계를 형성했다"고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그러면서 "심지어 원고 또한 과거 문패상 202호(서류상 201호) 세입자에게 건물인도 청구를 진행해 법적 권리를 취득한 바 있다"며 "실질적으로 원고를 포함한 건물 관계자들이 출입문에 기재된 호수대로 소유권을 나눴기 때문에, 서류에 따라 소유권이 성립됐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주현도 변호사는 "건축물현황도와 문패가 일치하지 않은 이유는 건축 당시부터 문패가 다르게 부착됐기 때문"이라며 "A씨를 비롯한 세입자들은 출입문에 표시된 대로 계약을 했을 뿐 이에 대한 과실을 묻기 어렵고, 오히려 원고에게 이를 시정 또는 정정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201호 입주했는데, 202호 내놓으라니"..法 "출입문 표시 따라야"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21
"201호 입주했는데, 202호 내놓으라니"..法 "출입문 표시 따라야"
"201호 입주했는데, 202호 내놓으라니"..法 "출입문 표시 따라야"
부동산 관련 서류상 호실과 문패상 호실이 다를 때 방에 대한 소유권은 임대차 계약이 성립된 기준을 따라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18일 신탁회사가 세입자 A씨를 상대로 제기한 건물인도 소송에서 원고 청구 기각 판결을 내렸다고 21일 밝혔습니다.서울의 한 오피스텔을 빌린 A씨는 올해 2월 신탁회사로부터 임대 중인 방을 인도하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앞서 이 오피스텔은 건물을 둘러싸고 부동산 담보신탁 계약이 체결됐는데, 건물 소유주가 2018년 소유권을 신탁 회사에 넘기고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겁니다.이후 소유주는 2021년 오피스텔 16개 호실 중 하나인 201호에 대해 A씨와 전세 계약을 맺었습니다.이어 A씨에게 받은 보증금을 바탕으로 대출금 일부를 변제해 201호에 대한 소유권 이전을 완료했습니다.다만 같은 층의 202호는 여전히 신탁회사의 소유였는데, 소유주가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서 처분 절차가 시작됐습니다.문제는 문패에 기재된 호수와 건축물현황도상 호수가 일치하지 않으면서 발생했습니다.A씨의 호실은 문패상 201호였지만, 건축물현황도에는 202호로 적혀있었던 겁니다.신탁회사는 이를 근거로 소유권이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했습니다.하지만 A씨는 소유주와 계약하고 입주한 곳은 현관문에 표시된 201호라며, 신탁회사 측에 소유권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방을 인도할 의무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이에 재판부는 "집주인과 A씨는 계약한 방을 출입문에 표시된 201호로 인식했다"며 "다른 호실 세입자들도 문패를 기준으로 법적 관계를 형성했다"고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그러면서 "심지어 원고 또한 과거 문패상 202호(서류상 201호) 세입자에게 건물인도 청구를 진행해 법적 권리를 취득한 바 있다"며 "실질적으로 원고를 포함한 건물 관계자들이 출입문에 기재된 호수대로 소유권을 나눴기 때문에, 서류에 따라 소유권이 성립됐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A씨의 법률 대리를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 주현도 변호사는 "건축물현황도와 문패가 일치하지 않은 이유는 건축 당시부터 문패가 다르게 부착됐기 때문"이라며 "A씨를 비롯한 세입자들은 출입문에 표시된 대로 계약을 했을 뿐 이에 대한 과실을 묻기 어렵고, 오히려 원고에게 이를 시정 또는 정정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201호 입주했는데, 202호 내놓으라니"..法 "출입문 표시 따라야"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21
갈수록 증가하는 음식점 '먹튀'…철저한 대응으로 피해보전 해야
갈수록 증가하는 음식점 '먹튀'…철저한 대응으로 피해보전 해야
최근 한 식당에서 발생한 사건이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가 됐다. 연인으로 보이는 두 사람이 탕수육, 탄탄면 등의 음식을 주문한 후 계산도 없이 자리를 떠난 것이다. 인터넷 게시판에 이러한 피해 사실을 털어놓은 점주는 경찰에 신고는 했지만 아직도 범인을 잡지 못했다며 울분을 토했다. 무전취식, 이른바 '먹튀' 사건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무전취식·무임승차로 접수된 신고 건수는 12만 818건으로 최근 10년간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도 6월까지 총 6만 3,729건의 신고가 집계돼 전년과 비슷하거나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무전취식이란 가게나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먹은 후 값을 지불하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인 경우, 경범죄처벌법에 의해 1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 음식 값을 냈다고 착각했거나 깜빡 잊어버린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 돈을 낼 의사는 충분히 있지만 지갑을 놓고 왔다거나, 현금이 부족한 경우 등 지불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은 사안도 포함된다.그러나 음식 값을 낼 생각이 처음부터 없었다면 형사 처벌 대상이 된다. 이는 형법상 사기죄에 해당하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다만 피해액이 크거나 고의적, 상습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경범죄로 처벌이 이뤄지고 있다.무전취식으로 인한 피해를 당했다면 우선 CCTV 영상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 사용한 물건이나 식기를 옮기거나 세척하지 말고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현장이 보존되면 증거 수집에 필요한 수고가 줄어들고 사건 해결이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범인이 검거되면 피해 금액 변제와 합의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합의가 성사되지 않았거나 피해 금액이 커 영업상 추가적 손실이 발생했다면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청구를 진행할 수 있다.만약 형사 처벌을 원하는 점주라면 가장 중요한 '고의성'을 증명할 증거를 확보해야 한다.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CCTV 영상, 주변 목격자의 진술 등 증거 자료를 토대로 손해 발생 상황에 대한 설명과 책임 발생 원인 규명에 힘써야 한다. 고의성에 대한 입증이 성사되면 사기죄로 처벌이 가능해진다.반대로, 실수로 무전취식 행위를 저지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순하게 억울함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범죄 사안에 대한 소명이 불가능하다. 은행 계좌나 주변인 진술 등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지불 능력과 의사가 있음을 피력해 형사 처벌을 피하고 합의금을 최대한 낮추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그렇기에 이 경우에도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갈수록 증가하는 음식점 '먹튀'…철저한 대응으로 피해보전 해야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21
갈수록 증가하는 음식점 '먹튀'…철저한 대응으로 피해보전 해야
갈수록 증가하는 음식점 '먹튀'…철저한 대응으로 피해보전 해야
최근 한 식당에서 발생한 사건이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가 됐다. 연인으로 보이는 두 사람이 탕수육, 탄탄면 등의 음식을 주문한 후 계산도 없이 자리를 떠난 것이다. 인터넷 게시판에 이러한 피해 사실을 털어놓은 점주는 경찰에 신고는 했지만 아직도 범인을 잡지 못했다며 울분을 토했다. 무전취식, 이른바 '먹튀' 사건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무전취식·무임승차로 접수된 신고 건수는 12만 818건으로 최근 10년간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도 6월까지 총 6만 3,729건의 신고가 집계돼 전년과 비슷하거나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무전취식이란 가게나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먹은 후 값을 지불하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인 경우, 경범죄처벌법에 의해 1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 음식 값을 냈다고 착각했거나 깜빡 잊어버린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 돈을 낼 의사는 충분히 있지만 지갑을 놓고 왔다거나, 현금이 부족한 경우 등 지불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은 사안도 포함된다.그러나 음식 값을 낼 생각이 처음부터 없었다면 형사 처벌 대상이 된다. 이는 형법상 사기죄에 해당하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다만 피해액이 크거나 고의적, 상습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경범죄로 처벌이 이뤄지고 있다.무전취식으로 인한 피해를 당했다면 우선 CCTV 영상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 사용한 물건이나 식기를 옮기거나 세척하지 말고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현장이 보존되면 증거 수집에 필요한 수고가 줄어들고 사건 해결이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범인이 검거되면 피해 금액 변제와 합의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합의가 성사되지 않았거나 피해 금액이 커 영업상 추가적 손실이 발생했다면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청구를 진행할 수 있다.만약 형사 처벌을 원하는 점주라면 가장 중요한 '고의성'을 증명할 증거를 확보해야 한다.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CCTV 영상, 주변 목격자의 진술 등 증거 자료를 토대로 손해 발생 상황에 대한 설명과 책임 발생 원인 규명에 힘써야 한다. 고의성에 대한 입증이 성사되면 사기죄로 처벌이 가능해진다.반대로, 실수로 무전취식 행위를 저지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순하게 억울함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범죄 사안에 대한 소명이 불가능하다. 은행 계좌나 주변인 진술 등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지불 능력과 의사가 있음을 피력해 형사 처벌을 피하고 합의금을 최대한 낮추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그렇기에 이 경우에도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갈수록 증가하는 음식점 '먹튀'…철저한 대응으로 피해보전 해야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1-21
임대인 의무 안지켰다며 월세 안 낸 세입자…“건물 반환해야”
임대인 의무 안지켰다며 월세 안 낸 세입자…“건물 반환해야”
건물 인도청구소송 당한 세입자 “건물주, 정보 제공 의무 불이행” 주장법원 “세입자들, 계약 당시 건물 충분히 살펴봤을 것” 건물주 승소 판결 임대인이 지켜야 할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장기간 월세를 내지 않은 세입자가 강제퇴거 민사소송에서 패했다.창원지방법원은 지난 10월 건물주 A씨가 상가 세입자 B씨와 C씨를 상대로 낸 건물인도청구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인용했다.A씨는 2022년 6월 B씨와 한 상가의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한 달 뒤 B씨의 요청에 따라 임차인 명의가 C씨로 변경됐으나 실질적인 상가 운영은 두 사람이 함께 하고 있었다.문제는 세입자들이 계약 이후 건물 환경을 문제 삼아 1년간 월세를 납부하지 않으면서 발생했다. 이에 A씨는 계약서상 월세 2회 미납 시 임대차 계약 해지가 가능하다는 조항에 따라 명도소송을 제기했다.하지만 세입자들은 A씨가 정보제공 의무를 지키지 않아 월세 지급 의무 또한 없다고 주장했다. 계약 당시 건물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전해 듣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상가 내부에 식당 운영을 위해 필요한 주방, 정화조 등의 시설이 부족해 불가피하게 증설 공사를 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추가 비용 투입, 영업일 지연 등의 손해가 발생했다고 강조했다.또 비가 오면 건물에 물이 새고 흙과 쓰레기가 유입됐는데, A씨가 이에 대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씨의 건물인도 소송은 갑질이라며 소 취하를 요구했다.이에 A씨는 계약 당시 세입자들이 건물 상태를 확인했다고 반박했다. 계약서에 ‘현재 건물 상태대로 임대한다’고 명시돼 있고, 증설 공사 또한 C씨로 임차인 명의 변경을 진행했을 때 함께 약속한 사안이었다고 설명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월세 납부 의무가 없다는 피고 측 주장은 공사비 발생, 빗물 유입 등 손해가 생겼다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면서도 “세입자들이 계약 당시 필요에 의해 증설 공사를 추진한 점에서 건물을 충분히 살펴봤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계약서에도 현 상태대로 임대한다는 사안이 포함돼 있다”며 “이러한 점들을 봤을 때 A씨가 건물에 대한 정보 제공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이 사건에서 A씨 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공사 과정에서 비용은 세입자가 부담하고 이에 대한 모든 권리는 임대인이 갖기로 합의했다”며 “세입자들은 필요에 따라 A씨와의 합의를 거쳐 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정보 제공이 없어 손해를 입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임대인 의무 안지켰다며 월세 안 낸 세입자…“건물 반환해야”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1-21
임대인 의무 안지켰다며 월세 안 낸 세입자…“건물 반환해야”
임대인 의무 안지켰다며 월세 안 낸 세입자…“건물 반환해야”
건물 인도청구소송 당한 세입자 “건물주, 정보 제공 의무 불이행” 주장법원 “세입자들, 계약 당시 건물 충분히 살펴봤을 것” 건물주 승소 판결 임대인이 지켜야 할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장기간 월세를 내지 않은 세입자가 강제퇴거 민사소송에서 패했다.창원지방법원은 지난 10월 건물주 A씨가 상가 세입자 B씨와 C씨를 상대로 낸 건물인도청구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인용했다.A씨는 2022년 6월 B씨와 한 상가의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한 달 뒤 B씨의 요청에 따라 임차인 명의가 C씨로 변경됐으나 실질적인 상가 운영은 두 사람이 함께 하고 있었다.문제는 세입자들이 계약 이후 건물 환경을 문제 삼아 1년간 월세를 납부하지 않으면서 발생했다. 이에 A씨는 계약서상 월세 2회 미납 시 임대차 계약 해지가 가능하다는 조항에 따라 명도소송을 제기했다.하지만 세입자들은 A씨가 정보제공 의무를 지키지 않아 월세 지급 의무 또한 없다고 주장했다. 계약 당시 건물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전해 듣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상가 내부에 식당 운영을 위해 필요한 주방, 정화조 등의 시설이 부족해 불가피하게 증설 공사를 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추가 비용 투입, 영업일 지연 등의 손해가 발생했다고 강조했다.또 비가 오면 건물에 물이 새고 흙과 쓰레기가 유입됐는데, A씨가 이에 대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씨의 건물인도 소송은 갑질이라며 소 취하를 요구했다.이에 A씨는 계약 당시 세입자들이 건물 상태를 확인했다고 반박했다. 계약서에 ‘현재 건물 상태대로 임대한다’고 명시돼 있고, 증설 공사 또한 C씨로 임차인 명의 변경을 진행했을 때 함께 약속한 사안이었다고 설명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월세 납부 의무가 없다는 피고 측 주장은 공사비 발생, 빗물 유입 등 손해가 생겼다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면서도 “세입자들이 계약 당시 필요에 의해 증설 공사를 추진한 점에서 건물을 충분히 살펴봤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계약서에도 현 상태대로 임대한다는 사안이 포함돼 있다”며 “이러한 점들을 봤을 때 A씨가 건물에 대한 정보 제공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이 사건에서 A씨 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한종훈 변호사는 “공사 과정에서 비용은 세입자가 부담하고 이에 대한 모든 권리는 임대인이 갖기로 합의했다”며 “세입자들은 필요에 따라 A씨와의 합의를 거쳐 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정보 제공이 없어 손해를 입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임대인 의무 안지켰다며 월세 안 낸 세입자…“건물 반환해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20
법무법인 대륜,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
법무법인 대륜,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15일 대륜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열린 MOU체결식에는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 정현경 회장, HnB컨설팅노무법인 한정봉 공인노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는 청년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각종 자문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정부기관, 지자체와 연계해 교육연수와 조사연구, 산학협력 등 각종 활동도 펼치고 있다.아울러 직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각종 교육도 제공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세무사, 노무사, 회계사, 변호사 등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여러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양 기관은 이번 MOU를 통해 ▲협회 운영 관련 법률 자문 제공,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부정책 공유, ▲멘토링 네트워크 참여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청년지식융합협회 정현경 회장은 “다양한 컨설팅과 교육을 통해 청년들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협회 설립 목적”이라면서, “대륜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보다 더 많은 청년들이 질높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청년지식융합협회가 진행하는 멘토링 교육에 더 많은 청년 기업가들이 참여해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 국내 41개 사무소뿐만 아니라 일본 등 해외 사무소까지 활용해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번 MOU를 계기로 대륜은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20
법무법인 대륜,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
법무법인 대륜,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15일 대륜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열린 MOU체결식에는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와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 정현경 회장, HnB컨설팅노무법인 한정봉 공인노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는 청년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각종 자문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정부기관, 지자체와 연계해 교육연수와 조사연구, 산학협력 등 각종 활동도 펼치고 있다.아울러 직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각종 교육도 제공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세무사, 노무사, 회계사, 변호사 등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여러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양 기관은 이번 MOU를 통해 ▲협회 운영 관련 법률 자문 제공,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부정책 공유, ▲멘토링 네트워크 참여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청년지식융합협회 정현경 회장은 “다양한 컨설팅과 교육을 통해 청년들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협회 설립 목적”이라면서, “대륜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보다 더 많은 청년들이 질높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는 “청년지식융합협회가 진행하는 멘토링 교육에 더 많은 청년 기업가들이 참여해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 국내 41개 사무소뿐만 아니라 일본 등 해외 사무소까지 활용해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번 MOU를 계기로 대륜은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청년지식융합협회와 MOU (바로가기)
아주경제
2024-11-20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그룹-오베네프, '청년 강소기업 활성화' MOU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그룹-오베네프, '청년 강소기업 활성화' MOU
온라인교육 플랫폼 전문기업 오베네프대륜, 중소기업을 위한 '스타트업 패키지' 법률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온라인 교육 플랫폼 전문 기업인 오베네프와 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지난 15일 여의도 파크원 대륜 본사 세미나실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오베네프 장철훈 대표 등이 참석했다. 오베네프는 2015년 설립 이래로 차세대 콘텐츠 관리 시스템 등 전문 시스템 개발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독자적인 AI플랫폼 개발에 매진한 결과, 2020년 개최된 이러닝에듀테크 비즈니스 모델 공모전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이라는 영광을 안았다. 이뿐만 아니라 임금·일, 생활균형·고용안정 등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아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택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미래교육환경을 구축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한 오베네프는 대륜에 각종 특허출원, 특허분쟁관리 등 지식재산권부터 인사노무 제도 개선까지 기업 운영 전반적인 사항에 법률자문을 제공받을 예정이다.대륜은 기업법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세부 그룹을 두고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이다. 최근에는 일본에 진출해 글로벌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대륜은 청년강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강소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특허분쟁 등 지식재산권 법률 대응 △콘텐츠·정보보안과 관련한 법률 검토 △각종 계약서 등 법률 자문 △공동사업을 위해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오베네프의 장 대표는 “교육시장에서 콘텐츠는 귀중한 자본이자 큰 자산이기 때문에 특허침해 등의 복잡한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다. 대륜에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분쟁 관리와 각종 회계적 법률 지원을 받고자 하는 이유”라면서 “현재 IT기업들은 전문기술 인력 관리와 관련해 노무분쟁 리스크가 더욱 커지는 상황이므로 이에 대해서도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대륜의 김 대표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에서는 성장단계에 있는 청년 중소기업들을 위해 ‘스타트업패키지’로 전문적인 기업 법률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비용적인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한 자문계약 시스템도 마련돼있다”며 “오베네프에도 이같은 시스템을 적용해 보다 세밀한 도움을 줄 예정이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그룹-오베네프, '청년 강소기업 활성화' MOU (바로가기)
아주경제
2024-11-20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그룹-오베네프, '청년 강소기업 활성화' MOU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그룹-오베네프, '청년 강소기업 활성화' MOU
온라인교육 플랫폼 전문기업 오베네프대륜, 중소기업을 위한 '스타트업 패키지' 법률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이 온라인 교육 플랫폼 전문 기업인 오베네프와 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지난 15일 여의도 파크원 대륜 본사 세미나실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경영총괄대표, 오베네프 장철훈 대표 등이 참석했다. 오베네프는 2015년 설립 이래로 차세대 콘텐츠 관리 시스템 등 전문 시스템 개발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독자적인 AI플랫폼 개발에 매진한 결과, 2020년 개최된 이러닝에듀테크 비즈니스 모델 공모전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이라는 영광을 안았다. 이뿐만 아니라 임금·일, 생활균형·고용안정 등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아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택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미래교육환경을 구축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한 오베네프는 대륜에 각종 특허출원, 특허분쟁관리 등 지식재산권부터 인사노무 제도 개선까지 기업 운영 전반적인 사항에 법률자문을 제공받을 예정이다.대륜은 기업법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세부 그룹을 두고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이다. 최근에는 일본에 진출해 글로벌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대륜은 청년강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강소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특허분쟁 등 지식재산권 법률 대응 △콘텐츠·정보보안과 관련한 법률 검토 △각종 계약서 등 법률 자문 △공동사업을 위해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오베네프의 장 대표는 “교육시장에서 콘텐츠는 귀중한 자본이자 큰 자산이기 때문에 특허침해 등의 복잡한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다. 대륜에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분쟁 관리와 각종 회계적 법률 지원을 받고자 하는 이유”라면서 “현재 IT기업들은 전문기술 인력 관리와 관련해 노무분쟁 리스크가 더욱 커지는 상황이므로 이에 대해서도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대륜의 김 대표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에서는 성장단계에 있는 청년 중소기업들을 위해 ‘스타트업패키지’로 전문적인 기업 법률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비용적인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한 자문계약 시스템도 마련돼있다”며 “오베네프에도 이같은 시스템을 적용해 보다 세밀한 도움을 줄 예정이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그룹-오베네프, '청년 강소기업 활성화' MOU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4곳
2024-11-19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딥페이크 범죄 신속 대응 위해 경험 풍부한 전문변호사 구성경찰 수사단계부터 공판 조력…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 전문가 협력김인원 형사그룹장 "대륜 전문변호사, 의뢰인에게 조사·재판 절차에 대한 전반적 조언 드리고 있어" 최근 타인의 얼굴을 음란물에 합성해 유포하는 이른바 '딥페이크 성범죄'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그룹이 사이버성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달 사이버범죄팀을 출범했다고 19일 밝혔다.사이버범죄팀은 소속 디지털포렌식센터와 협력해 딥페이크 영상 관련 증거 수집을 적극 조력할 계획이다.사이버범죄팀에는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해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들이 대거 투입됐다. 특히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출신의 김인원 형사그룹장을 비롯해 서울고검 부장검사·경찰간부 출신 박성동 변호사, 광주고검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 변호사, 인천지검 검사출신 박지영 변호사 등 평균 20년 이상 법조 경력을 가진 전문변호사들이 진두지휘한다. 형사, 성범죄사건에 특화된 신용훈 변호사, 조성근 변호사도 함께한다.먼저 김 그룹장은 부장검사 시절 성범죄 관련 사건을 다수 맡았으며, 강간, 준강간, 강제추행, 성착취물 소지 등 사건에서 높은 승소율을 기록하고 있는 성범죄전문변호사다.박 변호사는 서울경찰청 수사부, 정보외사부를 거친 경찰 출신으로 경찰과 검찰의 수사 절차를 모두 경험한 변호사다. 안 변호사 역시 성폭력, 마약 등 강력사건에 특화됐으며 검찰총장 표창까지 받은 능력자다.딥페이크와 같은 사이버성범죄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의거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는 중범죄다. 특히 영리를 목적으로 제작·반포했을 시 가중처벌되며 취업제한, 신상정보 공개 등 보안처분도 함께 부과될 수 있다.특히 불법촬영물을 제작하지 않았더라도 소지·배포·공유만 해도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이렇다 보니 사이버성범죄 사건은 증거 수집이 관건이다. 폐쇄적인 유통경로로 인해 추적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이에 대륜 사이버범죄팀은 관련 증거수집에 전문 인력을 투입한다. 수집된 데이터 중 수사기관에 제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민감정보를 삭제·변환하는 등 전반적인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이뿐만 아니라 기존 모의조사·법정 시스템 역시 적극 활용한다. 경찰수사 단계부터 공판까지 모든 절차에 밀착 변호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김 그룹장은 "대륜의 전문변호사가 의뢰인에게 조사·재판 절차에 대한 전반적인 조언을 드리고 있다"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불법영상물 단순 소지, 공유에 대해서도 김 그룹장은 "과거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성범죄와 달리 사이버성범죄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진화하는 범죄에 맞춰 처벌 기준 역시 달라지고 있다"며 "사이버범죄팀은 피해자에게는 증거수집을 돕고, 가해자에게는 정상 참작 사유를 수집함으로써 맞춤 조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BBS NEWS -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지디넷코리아 -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4곳
2024-11-19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딥페이크 범죄 신속 대응 위해 경험 풍부한 전문변호사 구성경찰 수사단계부터 공판 조력…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 전문가 협력김인원 형사그룹장 "대륜 전문변호사, 의뢰인에게 조사·재판 절차에 대한 전반적 조언 드리고 있어" 최근 타인의 얼굴을 음란물에 합성해 유포하는 이른바 '딥페이크 성범죄'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그룹이 사이버성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달 사이버범죄팀을 출범했다고 19일 밝혔다.사이버범죄팀은 소속 디지털포렌식센터와 협력해 딥페이크 영상 관련 증거 수집을 적극 조력할 계획이다.사이버범죄팀에는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해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들이 대거 투입됐다. 특히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출신의 김인원 형사그룹장을 비롯해 서울고검 부장검사·경찰간부 출신 박성동 변호사, 광주고검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 변호사, 인천지검 검사출신 박지영 변호사 등 평균 20년 이상 법조 경력을 가진 전문변호사들이 진두지휘한다. 형사, 성범죄사건에 특화된 신용훈 변호사, 조성근 변호사도 함께한다.먼저 김 그룹장은 부장검사 시절 성범죄 관련 사건을 다수 맡았으며, 강간, 준강간, 강제추행, 성착취물 소지 등 사건에서 높은 승소율을 기록하고 있는 성범죄전문변호사다.박 변호사는 서울경찰청 수사부, 정보외사부를 거친 경찰 출신으로 경찰과 검찰의 수사 절차를 모두 경험한 변호사다. 안 변호사 역시 성폭력, 마약 등 강력사건에 특화됐으며 검찰총장 표창까지 받은 능력자다.딥페이크와 같은 사이버성범죄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의거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는 중범죄다. 특히 영리를 목적으로 제작·반포했을 시 가중처벌되며 취업제한, 신상정보 공개 등 보안처분도 함께 부과될 수 있다.특히 불법촬영물을 제작하지 않았더라도 소지·배포·공유만 해도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이렇다 보니 사이버성범죄 사건은 증거 수집이 관건이다. 폐쇄적인 유통경로로 인해 추적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이에 대륜 사이버범죄팀은 관련 증거수집에 전문 인력을 투입한다. 수집된 데이터 중 수사기관에 제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민감정보를 삭제·변환하는 등 전반적인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이뿐만 아니라 기존 모의조사·법정 시스템 역시 적극 활용한다. 경찰수사 단계부터 공판까지 모든 절차에 밀착 변호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김 그룹장은 "대륜의 전문변호사가 의뢰인에게 조사·재판 절차에 대한 전반적인 조언을 드리고 있다"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불법영상물 단순 소지, 공유에 대해서도 김 그룹장은 "과거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성범죄와 달리 사이버성범죄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진화하는 범죄에 맞춰 처벌 기준 역시 달라지고 있다"며 "사이버범죄팀은 피해자에게는 증거수집을 돕고, 가해자에게는 정상 참작 사유를 수집함으로써 맞춤 조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BBS NEWS -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지디넷코리아 -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사이버범죄팀' 출범 (바로가기)
KBS
2024-11-18
“일용직 노동자 유족급여 반환” 요구에…법원 “급여 대상 맞아”
“일용직 노동자 유족급여 반환” 요구에…법원 “급여 대상 맞아”
[앵커]3년 전, 대구에서 유리창 청소 작업을 하던 일용직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습니다.유족은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 등을 신청해 받았지만 공단은 1년 반 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라며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는데요.소송 끝에 법원은 유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현예슬 기자입니다.[리포트]지난 2021년 6월 청소 노동자 50대 장모 씨가 건물 외부 유리창을 닦다 8미터 아래로 추락해 숨졌습니다.매달려 있던 간이 의자의 줄이 끊어진 겁니다.유족은 장 씨의 업무상 재해를 인정받아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유족급여와 장의비 등 1억 6천여만 원을 받았습니다.그런데 1년 반쯤 지난 뒤 근로복지공단은 부당이득징수결정 처분을 내리며 1억 6천여만 원 반환을 요구했습니다.장 씨가 하도급 업체로부터 일당을 받는 노동자로, 고용노동부 재조사 결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겁니다.유족은 반발하며 소송을 제기했는데 법원은 유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서울행정법원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는 고용계약 등의 형식보다 임금이 목적인 종속적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했는지 여부를 따져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그러면서 노동청의 최초 조사 과정에서 "장 씨에게 직접 작업 지시를 했다는 회사 관계자의 진술도 있었다"며 "회사 지시에 따라 노동을 제공해 그 보상 대상인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방인태/변호사 : "관리의 지배 범위에 있다고 사회상·상규 상 평가를 할 수 있다면 그거는 근로자로 봐야 한다는 의미로 (근로자에 대해) 조금 더 정밀한 잣대를 들이대기 시작한 거죠."]법원은 이와 함께 장 씨가 하도급업체의 취업규칙이나 복무규정 적용을 받지 않았다고 해도, 그런 사정만으로 '근로자가 아니다'라고 할 수는 없다고 밝혔습니다.KBS 뉴스 현예슬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김지혜 [기사전문보기] - “일용직 노동자 유족급여 반환” 요구에…법원 “급여 대상 맞아” (바로가기)
KBS
2024-11-18
“일용직 노동자 유족급여 반환” 요구에…법원 “급여 대상 맞아”
“일용직 노동자 유족급여 반환” 요구에…법원 “급여 대상 맞아”
[앵커]3년 전, 대구에서 유리창 청소 작업을 하던 일용직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습니다.유족은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 등을 신청해 받았지만 공단은 1년 반 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라며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는데요.소송 끝에 법원은 유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현예슬 기자입니다.[리포트]지난 2021년 6월 청소 노동자 50대 장모 씨가 건물 외부 유리창을 닦다 8미터 아래로 추락해 숨졌습니다.매달려 있던 간이 의자의 줄이 끊어진 겁니다.유족은 장 씨의 업무상 재해를 인정받아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유족급여와 장의비 등 1억 6천여만 원을 받았습니다.그런데 1년 반쯤 지난 뒤 근로복지공단은 부당이득징수결정 처분을 내리며 1억 6천여만 원 반환을 요구했습니다.장 씨가 하도급 업체로부터 일당을 받는 노동자로, 고용노동부 재조사 결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겁니다.유족은 반발하며 소송을 제기했는데 법원은 유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서울행정법원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는 고용계약 등의 형식보다 임금이 목적인 종속적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했는지 여부를 따져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그러면서 노동청의 최초 조사 과정에서 "장 씨에게 직접 작업 지시를 했다는 회사 관계자의 진술도 있었다"며 "회사 지시에 따라 노동을 제공해 그 보상 대상인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방인태/변호사 : "관리의 지배 범위에 있다고 사회상·상규 상 평가를 할 수 있다면 그거는 근로자로 봐야 한다는 의미로 (근로자에 대해) 조금 더 정밀한 잣대를 들이대기 시작한 거죠."]법원은 이와 함께 장 씨가 하도급업체의 취업규칙이나 복무규정 적용을 받지 않았다고 해도, 그런 사정만으로 '근로자가 아니다'라고 할 수는 없다고 밝혔습니다.KBS 뉴스 현예슬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김지혜 [기사전문보기] - “일용직 노동자 유족급여 반환” 요구에…법원 “급여 대상 맞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18
'고양이 학대'로 고발당한 남성, '무혐의' 처분..이유는?
'고양이 학대'로 고발당한 남성, '무혐의' 처분..이유는?
분양받은 고양이를 학대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서울 관악경찰서는 지난 1일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남성 A씨에게 '혐의없음' 처분을 내렸다고 18일 밝혔습니다.A씨는 지난 5월 한 웹사이트를 통해 B씨로부터 고양이 한 마리를 분양받았습니다.분양받은 고양이는 환경 변화로 인해 배변 실수가 잦았고, A씨는 B씨에게 연락해 이러한 사실을 알리며 훈련 시작 의사를 밝혔습니다.하지만 몇 주 뒤 B씨는 돌연 분양 계약 파기 의사를 전하며 고양이를 데려갔습니다.이후 A씨의 학대를 주장하며 치료비를 요구했습니다.A씨는 자신의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깨끗한 주거지에서 고양이를 양육했으며, 급수 시설과 사료, 화장실 등 필요한 물품들 역시 모두 구비해 제공했다는 이유입니다.학대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습니다.앞서 B씨는 경찰에 상처가 난 고양이 사진을 학대 근거로 제출했습니다.이에 대해 A씨 측은 "해당 상처는 외관상으로 전혀 보이지 않아 이를 인지하지 못했고, 분양 전부터 있었던 상처일 가능성도 높다"고 주장했습니다.해당 사건에 대해 경찰은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며 검찰에 송치하지 않기로 했습니다.A씨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의석 변호사는 "고발인은 수백만 원의 치료비를 물어내라는 자신의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 사건 고발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A씨는 고양이를 학대한 사실 자체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양육자로서 물, 음식, 주거공간 등을 제공하며 보호의무를 준수했기에 동물보호법 위반 소지가 전혀 없다"며 "수사기관 역시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고양이 학대'로 고발당한 남성, '무혐의' 처분..이유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18
'고양이 학대'로 고발당한 남성, '무혐의' 처분..이유는?
'고양이 학대'로 고발당한 남성, '무혐의' 처분..이유는?
분양받은 고양이를 학대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남성이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서울 관악경찰서는 지난 1일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남성 A씨에게 '혐의없음' 처분을 내렸다고 18일 밝혔습니다.A씨는 지난 5월 한 웹사이트를 통해 B씨로부터 고양이 한 마리를 분양받았습니다.분양받은 고양이는 환경 변화로 인해 배변 실수가 잦았고, A씨는 B씨에게 연락해 이러한 사실을 알리며 훈련 시작 의사를 밝혔습니다.하지만 몇 주 뒤 B씨는 돌연 분양 계약 파기 의사를 전하며 고양이를 데려갔습니다.이후 A씨의 학대를 주장하며 치료비를 요구했습니다.A씨는 자신의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깨끗한 주거지에서 고양이를 양육했으며, 급수 시설과 사료, 화장실 등 필요한 물품들 역시 모두 구비해 제공했다는 이유입니다.학대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습니다.앞서 B씨는 경찰에 상처가 난 고양이 사진을 학대 근거로 제출했습니다.이에 대해 A씨 측은 "해당 상처는 외관상으로 전혀 보이지 않아 이를 인지하지 못했고, 분양 전부터 있었던 상처일 가능성도 높다"고 주장했습니다.해당 사건에 대해 경찰은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며 검찰에 송치하지 않기로 했습니다.A씨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의석 변호사는 "고발인은 수백만 원의 치료비를 물어내라는 자신의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 사건 고발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A씨는 고양이를 학대한 사실 자체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양육자로서 물, 음식, 주거공간 등을 제공하며 보호의무를 준수했기에 동물보호법 위반 소지가 전혀 없다"며 "수사기관 역시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고양이 학대'로 고발당한 남성, '무혐의' 처분..이유는? (바로가기)
법률신문 등 5곳
2024-11-18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대표 김국일·고병준)은 판사 출신 박형건(49·사법연수원 33기)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박형건 변호사는 대전 명석고, 서울대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제43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육군법무관, 대전지법 판사, 청주지법 판사 등을 역임했다.박 변호사는 대륜 평택 분사무소에 상주해 전국 사건을 총괄할 예정이다.박 변호사는 "그동안의 경력으로 쌓은 법률 지식을 발휘해 변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배움과 성장, 행복은 한 몸'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의뢰인의 권리와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고 밝혔다.김국일(56·24기) 경영총괄 대표 변호사는 "법관으로서의 경력뿐 아니라 세무사, 변리사, 공인중개사 등 다양한 자격을 갖춘 박 변호사의 영입으로 의뢰인들에게 더 나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법률신문 등 5곳
2024-11-18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대표 김국일·고병준)은 판사 출신 박형건(49·사법연수원 33기)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박형건 변호사는 대전 명석고, 서울대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제43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육군법무관, 대전지법 판사, 청주지법 판사 등을 역임했다.박 변호사는 대륜 평택 분사무소에 상주해 전국 사건을 총괄할 예정이다.박 변호사는 "그동안의 경력으로 쌓은 법률 지식을 발휘해 변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배움과 성장, 행복은 한 몸'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의뢰인의 권리와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고 밝혔다.김국일(56·24기) 경영총괄 대표 변호사는 "법관으로서의 경력뿐 아니라 세무사, 변리사, 공인중개사 등 다양한 자격을 갖춘 박 변호사의 영입으로 의뢰인들에게 더 나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박형건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15
‘성관계 동의앱’ 무고 범죄 사라질까?
‘성관계 동의앱’ 무고 범죄 사라질까?
최근 여성들의 성폭력 무고 범죄를 피하기 위해 성관계 전 상호 동의를 명시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 등장해 관심과 우려를 낳고 있다. ‘무분별한 무고 범죄가 사라질 것’이란 기대와 함께 ‘자칫 강제 동의로 인한 성폭력 피해가 우려된다’는 걱정도 있다. 앞서 지난 7월 출시된 이 앱은 국내 최초로 변호사의 자문을 거쳤다고 홍보하며 유료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1000회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하지만 ‘자발적 동의’ 입증은 어려워 효력 인정은 미지수다. 앱상 '성관계 합의서'에는 '본 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제안자(갑)와 수락자(을) 상호 간의 스킨십과 성관계에 동의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여기서 스킨십은 '성적인 표현을 사용한 대화 및 신체 접촉 일체를 포괄한다'고 정의했다. 앱 사용자가 상대의 휴대전화로 합의서를 전송하고, 상대가 인증하면 성관계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해 향후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취지다. 즉 양측이 성관계에 합의했다는 증거를 남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논란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장치인 셈이다. 과연 이런 상호 간 합의가 성폭행 등 형사 사건에서 법적 효력을 지닐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앱은 성폭행이 아니라는 증거를 남겨놓는다는 의미에서는 유용할 수 있지만 단지 앱을 통해 동의했다는 사실만으로 법적인 면책을 완벽히 받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15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법적으로 완전 면책을 받을 순 없을 거 같지만 일부 효력이 있을 거 같다”고 조언했다. 김 변호사는 “두 가지 관점을 살펴야 한다”며 “폭행이나 협박은 상대의 의사와 반대되는 행동이다. 어떠한 식으로 던 증거물이 있다면 폭행이나 협박은 아닐 수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굳이 이 앱이 아니더라도 최근에 판례를 보면 피의자나 피해자가 직접 입증을 해야 하는 경우가 전보다 많이 늘었다”며 “상대가 동의했다는 점을 피의자가 밝히긴 어렵다. 이런 관점에서 앱을 통한 동의가 강제성이 없었다는 걸 입증할 수 있다면 법적으로 조금 더 도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완전 면책은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앱에서 동의가 있었더라도 동의에 의한 성폭행도 있다. 재판부는 판결할 때 행위나 진의에 의한 동의가 맞는지 등을 두루 살핀다”고 덧붙였다. 즉 앱의 사용 여부와 관련 없이 동의나 강제성이 없다는 걸 증명할 수 있을 때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다는 것으로, 앱 역시 이러한 과정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안타깝게도 이를 증명하지 못한다면 무고 피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기사전문보기] - ‘성관계 동의앱’ 무고 범죄 사라질까?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15
‘성관계 동의앱’ 무고 범죄 사라질까?
‘성관계 동의앱’ 무고 범죄 사라질까?
최근 여성들의 성폭력 무고 범죄를 피하기 위해 성관계 전 상호 동의를 명시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 등장해 관심과 우려를 낳고 있다. ‘무분별한 무고 범죄가 사라질 것’이란 기대와 함께 ‘자칫 강제 동의로 인한 성폭력 피해가 우려된다’는 걱정도 있다. 앞서 지난 7월 출시된 이 앱은 국내 최초로 변호사의 자문을 거쳤다고 홍보하며 유료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1000회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하지만 ‘자발적 동의’ 입증은 어려워 효력 인정은 미지수다. 앱상 '성관계 합의서'에는 '본 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제안자(갑)와 수락자(을) 상호 간의 스킨십과 성관계에 동의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여기서 스킨십은 '성적인 표현을 사용한 대화 및 신체 접촉 일체를 포괄한다'고 정의했다. 앱 사용자가 상대의 휴대전화로 합의서를 전송하고, 상대가 인증하면 성관계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해 향후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취지다. 즉 양측이 성관계에 합의했다는 증거를 남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논란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장치인 셈이다. 과연 이런 상호 간 합의가 성폭행 등 형사 사건에서 법적 효력을 지닐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앱은 성폭행이 아니라는 증거를 남겨놓는다는 의미에서는 유용할 수 있지만 단지 앱을 통해 동의했다는 사실만으로 법적인 면책을 완벽히 받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15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법적으로 완전 면책을 받을 순 없을 거 같지만 일부 효력이 있을 거 같다”고 조언했다. 김 변호사는 “두 가지 관점을 살펴야 한다”며 “폭행이나 협박은 상대의 의사와 반대되는 행동이다. 어떠한 식으로 던 증거물이 있다면 폭행이나 협박은 아닐 수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굳이 이 앱이 아니더라도 최근에 판례를 보면 피의자나 피해자가 직접 입증을 해야 하는 경우가 전보다 많이 늘었다”며 “상대가 동의했다는 점을 피의자가 밝히긴 어렵다. 이런 관점에서 앱을 통한 동의가 강제성이 없었다는 걸 입증할 수 있다면 법적으로 조금 더 도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완전 면책은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앱에서 동의가 있었더라도 동의에 의한 성폭행도 있다. 재판부는 판결할 때 행위나 진의에 의한 동의가 맞는지 등을 두루 살핀다”고 덧붙였다. 즉 앱의 사용 여부와 관련 없이 동의나 강제성이 없다는 걸 증명할 수 있을 때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다는 것으로, 앱 역시 이러한 과정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안타깝게도 이를 증명하지 못한다면 무고 피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기사전문보기] - ‘성관계 동의앱’ 무고 범죄 사라질까? (바로가기)
머니S
2024-11-15
[단독] 소비자들, 야놀자 집단소송 승소… "10분 지나 취소해도 환불"
[단독] 법원, 환불 거부한 야놀자에 "10분 지나 취소해도 환불하라"
결제 10분 이후 예약취소에 야놀자 환불 거부… 소비자 소송법원, 야놀자와 호텔 측에 청구금액 절반 지급 권고 숙박 예약금 환불을 거부한 야놀자가 예약금을 환불해주게 됐다. 법원은 숙박앱에서 결제 후 10분 이내에 취소했을 때만 환불이 가능하다는 야놀자의 규정이 불공정하다고 봤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14일 야놀자 외 1인(호텔) 측에 원고 측의 청구금액 절반을 지급하라는 화해권고결정을 내렸다. 지급 시한은 이달 20일까지다.소를 제기한 원고 A씨는 2023년 10월 야놀자 앱을 통해 호텔 숙박권을 구매했으나 2시간 만에 일정이 변경돼 숙박계약을 취소하려고 했다. 야놀자 측은 원고 측에 "예약 취소는 가능하지만 예약금의 100%에 해당하는 취소 수수료가 발생한다"고 답변했다. 사실상 취소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었다.A씨 측은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았음을 들어 재차 환불을 요청했으나 야놀자는 "예약 후 10분 이내에 취소하는 경우에 한해 취소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고 그 이후 취소하게 되면 어떠한 예외도 없이 환불이 불가하다"고 입장을 냈다.재판부는 "이달 20일까지 원고 측 청구 금액의 절반을 지급하되 기한을 넘기면 연 12%로 지연손해금을 가산해 지급하라"고 권고했다.관련 업계는 사실상 야놀자의 규정이 전자상거래법 위반이라는 점을 재판부가 인정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보고 있다. 결제 후 10분 이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취소했을 때만 전액 환불 가능하고 10분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취소 수수료가 100% 부과된다는 규정이 공정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소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진우 변호사는 "예약일이 얼마 안 남은 상태에서 환불하면 야놀자 측도 해당 상품을 재판매할 시간이 없어지는 건 이해하지만 10분이라는 시간은 너무 짧다"며 "10분 이내에만 취소할 수 있는 것은 판매자에 극히 유리하고 소비자에게 불리한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단독] 법원, 환불 거부한 야놀자에 "10분 지나 취소해도 환불하라" (바로가기)
머니S
2024-11-15
[단독] 소비자들, 야놀자 집단소송 승소… "10분 지나 취소해도 환불"
[단독] 법원, 환불 거부한 야놀자에 "10분 지나 취소해도 환불하라"
결제 10분 이후 예약취소에 야놀자 환불 거부… 소비자 소송법원, 야놀자와 호텔 측에 청구금액 절반 지급 권고 숙박 예약금 환불을 거부한 야놀자가 예약금을 환불해주게 됐다. 법원은 숙박앱에서 결제 후 10분 이내에 취소했을 때만 환불이 가능하다는 야놀자의 규정이 불공정하다고 봤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14일 야놀자 외 1인(호텔) 측에 원고 측의 청구금액 절반을 지급하라는 화해권고결정을 내렸다. 지급 시한은 이달 20일까지다.소를 제기한 원고 A씨는 2023년 10월 야놀자 앱을 통해 호텔 숙박권을 구매했으나 2시간 만에 일정이 변경돼 숙박계약을 취소하려고 했다. 야놀자 측은 원고 측에 "예약 취소는 가능하지만 예약금의 100%에 해당하는 취소 수수료가 발생한다"고 답변했다. 사실상 취소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었다.A씨 측은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았음을 들어 재차 환불을 요청했으나 야놀자는 "예약 후 10분 이내에 취소하는 경우에 한해 취소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고 그 이후 취소하게 되면 어떠한 예외도 없이 환불이 불가하다"고 입장을 냈다.재판부는 "이달 20일까지 원고 측 청구 금액의 절반을 지급하되 기한을 넘기면 연 12%로 지연손해금을 가산해 지급하라"고 권고했다.관련 업계는 사실상 야놀자의 규정이 전자상거래법 위반이라는 점을 재판부가 인정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보고 있다. 결제 후 10분 이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취소했을 때만 전액 환불 가능하고 10분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취소 수수료가 100% 부과된다는 규정이 공정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소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김진우 변호사는 "예약일이 얼마 안 남은 상태에서 환불하면 야놀자 측도 해당 상품을 재판매할 시간이 없어지는 건 이해하지만 10분이라는 시간은 너무 짧다"며 "10분 이내에만 취소할 수 있는 것은 판매자에 극히 유리하고 소비자에게 불리한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단독] 법원, 환불 거부한 야놀자에 "10분 지나 취소해도 환불하라"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15
‘문신사법’ 제정안 재발의···무면허 시술 허용 갈림길
‘문신사법’ 제정안 재발의···무면허 시술 허용 갈림길
의사가 아닌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는 이른바 ‘문신사법’이 지난달 다시 한번 국회에 발의됐다. 문신 합법화를 위한 움직임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매번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문신사법’ 제정안이 재발의되면서, 무면허 시술 허용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현재 비의료인 문신 시술은 불법의 영역이다. 1992년 대법원이 문신 시술을 의료 행위로 규정한 뒤 그 영향이 지금까지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당시 대법원은 문신 시술을 의료인이 행하지 않으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무면허 문신업자의 문신 시술은 의료법 제27조 제1항(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5조 제1항(무기 또는 2년 이상의 징역, 100만원 이상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위반에 해당한다.그러나 최근 눈썹 문신 등 미용을 목적으로 한 시술 수요가 늘면서, 법과 현실 간 괴리가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보건복지부의 ‘2023년 문신 시술 이용자 현황 조사 결과 보고서’를 살펴보면, 문신·반영구 화장을 받아본 적 있는 국민 절반 이상이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허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처럼 문신 시술 양성화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5월에는 이와 관련한 국민참여재판이 열리기도 했다. 대구지법은 의료인 자격이 없음에도 고객에게 눈썹 문신 시술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문신사 A씨(24)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벌금 100만 원을 선고했다.당시 배심원단은 일반 국민 7명으로 구성됐는데, 이 중 4명은 유죄 의견을, 나머지 3명은 무죄 의견을 냈다. 배심원단과 재판부는 눈썹 문신 시술이 ‘의료 행위’라는 검찰 측 주장에 손을 들어 준 것이다.다만, 일부 하급심에서는 기존 대법 판례를 거스르는 무죄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부산지법 동부지원은 지난해 12월 의료 면허 없이 반영구 화장 시술을 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여성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당시 재판부는 “눈썹 시술에 대한 대법원의 주류 판결 이후 무려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2018년 기준 반영구 화장시술을 경험한 누적인구는 1,000만 명이다. 특히 ‘눈썹 문신시술’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그 시술이 일반화됐다”며 “불법화가 오히려 불법과 위험을 조장하고, 국민의 건강을 위협한다”라고 판시했다. 이보다 앞선 2022년 청주지법에서도 눈썹 문신 시술을 한 미용학원 원장에게 1·2심 재판부가 모두 무죄 판결을 내린 바 있다.결국, 무면허 시술 허용과 관련해 법조계 내부에서도 엇갈린 판결이 나오면서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현재 대법원이 또 다른 문신 사건을 두고 전원합의체 심리를 진행 중이므로 기존 판례를 뒤엎을 판단이 나올지 두고 봐야 한다. 다만, 최근 국민참여재판을 통해 문신업자의 시술이 유죄로 인정된 만큼 아직까지는 무면허 문신 시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연유로 만약 관련 혐의가 적용된 상황이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 ‘문신사법’ 제정안 재발의···무면허 시술 허용 갈림길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15
‘문신사법’ 제정안 재발의···무면허 시술 허용 갈림길
‘문신사법’ 제정안 재발의···무면허 시술 허용 갈림길
의사가 아닌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는 이른바 ‘문신사법’이 지난달 다시 한번 국회에 발의됐다. 문신 합법화를 위한 움직임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매번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문신사법’ 제정안이 재발의되면서, 무면허 시술 허용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현재 비의료인 문신 시술은 불법의 영역이다. 1992년 대법원이 문신 시술을 의료 행위로 규정한 뒤 그 영향이 지금까지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당시 대법원은 문신 시술을 의료인이 행하지 않으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무면허 문신업자의 문신 시술은 의료법 제27조 제1항(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5조 제1항(무기 또는 2년 이상의 징역, 100만원 이상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위반에 해당한다.그러나 최근 눈썹 문신 등 미용을 목적으로 한 시술 수요가 늘면서, 법과 현실 간 괴리가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보건복지부의 ‘2023년 문신 시술 이용자 현황 조사 결과 보고서’를 살펴보면, 문신·반영구 화장을 받아본 적 있는 국민 절반 이상이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허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처럼 문신 시술 양성화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5월에는 이와 관련한 국민참여재판이 열리기도 했다. 대구지법은 의료인 자격이 없음에도 고객에게 눈썹 문신 시술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문신사 A씨(24)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벌금 100만 원을 선고했다.당시 배심원단은 일반 국민 7명으로 구성됐는데, 이 중 4명은 유죄 의견을, 나머지 3명은 무죄 의견을 냈다. 배심원단과 재판부는 눈썹 문신 시술이 ‘의료 행위’라는 검찰 측 주장에 손을 들어 준 것이다.다만, 일부 하급심에서는 기존 대법 판례를 거스르는 무죄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부산지법 동부지원은 지난해 12월 의료 면허 없이 반영구 화장 시술을 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여성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당시 재판부는 “눈썹 시술에 대한 대법원의 주류 판결 이후 무려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2018년 기준 반영구 화장시술을 경험한 누적인구는 1,000만 명이다. 특히 ‘눈썹 문신시술’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그 시술이 일반화됐다”며 “불법화가 오히려 불법과 위험을 조장하고, 국민의 건강을 위협한다”라고 판시했다. 이보다 앞선 2022년 청주지법에서도 눈썹 문신 시술을 한 미용학원 원장에게 1·2심 재판부가 모두 무죄 판결을 내린 바 있다.결국, 무면허 시술 허용과 관련해 법조계 내부에서도 엇갈린 판결이 나오면서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현재 대법원이 또 다른 문신 사건을 두고 전원합의체 심리를 진행 중이므로 기존 판례를 뒤엎을 판단이 나올지 두고 봐야 한다. 다만, 최근 국민참여재판을 통해 문신업자의 시술이 유죄로 인정된 만큼 아직까지는 무면허 문신 시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연유로 만약 관련 혐의가 적용된 상황이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 ‘문신사법’ 제정안 재발의···무면허 시술 허용 갈림길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14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생명과학과 MOU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생명과학과 MOU
특허·상표 지식재산권 보호 등 제약업계 특화 법률서비스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의약품 제조업체 하이플생명과학㈜과 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12일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하이플 본사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대륜의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과 하이플생명과학의 조재민 대표가 참석했다.하이플생명과학은 ㈜하이플의 자회사로 1970년에 설립된 업력 55년차의 제약회사다. ‘국내 유일 신장질환 치료제 전문회사’로서 성장한 하이플생명과학은 현재 각종 전문치료 의약품 생산으로 범위를 확장해 국내외 제약사에 유통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하이플생명과학에 ▲ 거래 계약 관련 법률 자문, ▲ 국내외 의약품 규제사항 검토, ▲ 제품 분쟁 해결 및 소송 지원 등 제약업계에 특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특히, 하이플생명과학이 신약 개발에 힘쓰고 있는 만큼 대륜의 제약바이오·헬스케어팀과 지식재산권팀 등 각 그룹에 소속된 전문팀이 협업해 종합적 시각에서 법률 조력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하이플생명과학㈜의 조재민 대표는 “하이플과 MOU를 체결해 법적 도움을 얻고 있는데 만족하면서 자회사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도 얻고자 MOU 희망 의사를 밝혔다”면서, “제약업계에서 지식재산권은 기업의 핵심 자산이자 경쟁력의 근본이다. 관련 경험이 풍부한 대륜의 전문적인 법률 지원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의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이번 MOU를 통해 하이플생명과학에 필요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며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라면서, “대륜은 기업법무그룹과 지식재산권그룹 운영과 더불어 하위 팀들이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특허·상표 등 기업의 권리를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지식재산이 경쟁력인 제약업계에서 하이플생명과학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힘쓰고 안정적인 사업 확장을 돕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생명과학과 MOU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14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생명과학과 MOU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생명과학과 MOU
특허·상표 지식재산권 보호 등 제약업계 특화 법률서비스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의약품 제조업체 하이플생명과학㈜과 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12일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하이플 본사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대륜의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과 하이플생명과학의 조재민 대표가 참석했다.하이플생명과학은 ㈜하이플의 자회사로 1970년에 설립된 업력 55년차의 제약회사다. ‘국내 유일 신장질환 치료제 전문회사’로서 성장한 하이플생명과학은 현재 각종 전문치료 의약품 생산으로 범위를 확장해 국내외 제약사에 유통하고 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하이플생명과학에 ▲ 거래 계약 관련 법률 자문, ▲ 국내외 의약품 규제사항 검토, ▲ 제품 분쟁 해결 및 소송 지원 등 제약업계에 특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특히, 하이플생명과학이 신약 개발에 힘쓰고 있는 만큼 대륜의 제약바이오·헬스케어팀과 지식재산권팀 등 각 그룹에 소속된 전문팀이 협업해 종합적 시각에서 법률 조력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하이플생명과학㈜의 조재민 대표는 “하이플과 MOU를 체결해 법적 도움을 얻고 있는데 만족하면서 자회사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도 얻고자 MOU 희망 의사를 밝혔다”면서, “제약업계에서 지식재산권은 기업의 핵심 자산이자 경쟁력의 근본이다. 관련 경험이 풍부한 대륜의 전문적인 법률 지원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의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이번 MOU를 통해 하이플생명과학에 필요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며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라면서, “대륜은 기업법무그룹과 지식재산권그룹 운영과 더불어 하위 팀들이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특허·상표 등 기업의 권리를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지식재산이 경쟁력인 제약업계에서 하이플생명과학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힘쓰고 안정적인 사업 확장을 돕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생명과학과 MOU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13
'임차인 연락두절' 권리 침해 당했다면 소송으로 건물인도 받아야
'임차인 연락두절' 권리 침해 당했다면 소송으로 건물인도 받아야
최용환 법무법인(유한) 대륜 수석변호사 법률칼럼 건물인도소송은 부동산에 대한 점유권을 상실했음에도 이를 불법 점유하는 임차인에 대해 임대인이 인도를 청구하는 소송이다. 보통 △차임 연체 △계약 만료로 인한 목적물 인도 등 임차인이 점유 권한이 없는 상황에서 무단 점유를 지속하게 될 경우 소송을 제기하게 된다. 정당한 계약해지 이후 임차인이 부동산을 무단 점거한 채 퇴거하지 않는다면 임대인은 큰 경제적 손실을 겪을 수밖에 없다. 또한 임차인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로 인해 무작정 퇴거를 요구할 수도 없어 임대인이 고통받는 일 역시 상당수 발생하고 있다.일례로 임차인의 사정을 고려해 수개월간 임대료 납부를 기다려준 임대인의 사연도 있다. 임대인은 임차인에 연체된 차임 지급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수차례 보냈지만 어떠한 답변도 듣지 못했다. 이에 최후의 수단으로 소송을 준비하게 된 것이다.소송 결과 임대인은 무사히 건물 인도 결정을 받을 수 있었다. 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8일 월차임 미지급을 이유로 상가 임대인이 임차인에 대해 제기한 '건물인도소송'에서 임대인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원고와 피고 사이의 임대차 계약은 적법하게 해지됐다"며 "피고들은 원고에게 건물을 인도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다.해당 소송의 쟁점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연체금 여부'가 첫 번째 쟁점이었다. 원고와 피고는 지난 2020년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해 임차보증금 2,000만원, 월차임 100만원의 조건으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했다. 피고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이유로 차임 지급을 미뤄왔는데, 원고는 피고들의 딱한 사정을 감안해 지급일을 늦춰줬다. 그러나 이후 원고는 약속한 기일이 경과했음에도 월차임을 받지 못했다. 이렇게 불어난 월차임은 9개월분에 달했고, 피고들은 상가 관리비조차 지급하지 않았다.둘째는 '적법한 임대차계약해지 통보'다. 상가임대차보호법 제10조 8항에 따르면 차임 연체액이 3기에 달하는 경우 임대인은 잔여 계약이 남아있더라도 임대차계약을 즉시 해지할 수 있다. 원고의 경우 이미 연체액이 9기에 달했고, 내용증명을 통해 계약해지에 대한 내용을 고지했다.원고 측 법률대리인으로서 계약해지 사유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했고, 이를 토대로 부동산 명도를 요구했다. 덕분에 원고는 부동산 소유권자로 목적물반환청구권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위 사례처럼 임대차계약 관계에서 임차인의 연락두절 문제로 곤란을 겪는 일은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때 부동산을 불법으로 점유하는 임차인에 대해 계약해지 통보나 퇴거 요구와 같은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을 시 오히려 임대인이 손해배상 청구를 당하는 등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또한 무작정 임차인을 찾아가거나, 계약해지 조건을 살피지 않고 일방적으로 해지 통보를 하는 식의 대응은 추후 법적 대응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부동산소송의 경우 수개월이 걸릴 수 있는 만큼 처음부터 부동산전문변호사의 조언을 받아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임차인 연락두절' 권리 침해 당했다면 소송으로 건물인도 받아야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13
'임차인 연락두절' 권리 침해 당했다면 소송으로 건물인도 받아야
'임차인 연락두절' 권리 침해 당했다면 소송으로 건물인도 받아야
최용환 법무법인(유한) 대륜 수석변호사 법률칼럼 건물인도소송은 부동산에 대한 점유권을 상실했음에도 이를 불법 점유하는 임차인에 대해 임대인이 인도를 청구하는 소송이다. 보통 △차임 연체 △계약 만료로 인한 목적물 인도 등 임차인이 점유 권한이 없는 상황에서 무단 점유를 지속하게 될 경우 소송을 제기하게 된다. 정당한 계약해지 이후 임차인이 부동산을 무단 점거한 채 퇴거하지 않는다면 임대인은 큰 경제적 손실을 겪을 수밖에 없다. 또한 임차인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로 인해 무작정 퇴거를 요구할 수도 없어 임대인이 고통받는 일 역시 상당수 발생하고 있다.일례로 임차인의 사정을 고려해 수개월간 임대료 납부를 기다려준 임대인의 사연도 있다. 임대인은 임차인에 연체된 차임 지급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수차례 보냈지만 어떠한 답변도 듣지 못했다. 이에 최후의 수단으로 소송을 준비하게 된 것이다.소송 결과 임대인은 무사히 건물 인도 결정을 받을 수 있었다. 창원지방법원은 지난달 8일 월차임 미지급을 이유로 상가 임대인이 임차인에 대해 제기한 '건물인도소송'에서 임대인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원고와 피고 사이의 임대차 계약은 적법하게 해지됐다"며 "피고들은 원고에게 건물을 인도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다.해당 소송의 쟁점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연체금 여부'가 첫 번째 쟁점이었다. 원고와 피고는 지난 2020년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해 임차보증금 2,000만원, 월차임 100만원의 조건으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했다. 피고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이유로 차임 지급을 미뤄왔는데, 원고는 피고들의 딱한 사정을 감안해 지급일을 늦춰줬다. 그러나 이후 원고는 약속한 기일이 경과했음에도 월차임을 받지 못했다. 이렇게 불어난 월차임은 9개월분에 달했고, 피고들은 상가 관리비조차 지급하지 않았다.둘째는 '적법한 임대차계약해지 통보'다. 상가임대차보호법 제10조 8항에 따르면 차임 연체액이 3기에 달하는 경우 임대인은 잔여 계약이 남아있더라도 임대차계약을 즉시 해지할 수 있다. 원고의 경우 이미 연체액이 9기에 달했고, 내용증명을 통해 계약해지에 대한 내용을 고지했다.원고 측 법률대리인으로서 계약해지 사유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했고, 이를 토대로 부동산 명도를 요구했다. 덕분에 원고는 부동산 소유권자로 목적물반환청구권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위 사례처럼 임대차계약 관계에서 임차인의 연락두절 문제로 곤란을 겪는 일은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때 부동산을 불법으로 점유하는 임차인에 대해 계약해지 통보나 퇴거 요구와 같은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을 시 오히려 임대인이 손해배상 청구를 당하는 등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또한 무작정 임차인을 찾아가거나, 계약해지 조건을 살피지 않고 일방적으로 해지 통보를 하는 식의 대응은 추후 법적 대응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부동산소송의 경우 수개월이 걸릴 수 있는 만큼 처음부터 부동산전문변호사의 조언을 받아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임차인 연락두절' 권리 침해 당했다면 소송으로 건물인도 받아야 (바로가기)
머니S
2024-11-13
전단지 잘못 뿌리면 과태료… 자영업자들 "배달앱 벗어나기 힘들어"
전단지 잘못 뿌리면 과태료… 자영업자들 "배달앱 벗어나기 힘들어"
무단 배포 금지는 동일… 사회적 인식 엄격해져 고발 사례↑자영업자들 "전단지 시대는 갔다… 앱 벗어나기 힘들어" 외식업계 자영업자들이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고자 아파트 내 전단지 배포 등 대안 마련을 시도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일부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자사 앱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자영업자들은 앱 없이는 홍보가 어렵다고 토로한다. 전단지 배포를 통한 광고 효과도 크지 않고 무단으로 전단지를 배포하면 고발당하는 사례도 과거에 비해 많아졌기 때문이다.최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배달앱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파트 단지 내에 직접 전단지를 뿌려 홍보했다가 재물손괴죄로 고발된 사연이 올라왔다.사연을 올린 A씨는 "배달앱 욕을 하던 친구가 전단지 뿌려서 홍보해보겠다고 (아파트) 단지부터 쫙 뿌리고 알바까지 구해서 뿌렸는데 2주 후 관리실에서 전화와서 경고를 받았다"며 "어제는 경찰서에서 영업방해 및 재물손괴로 고발됐다고 경찰서 왔다가라고 연락을 받았다. 이젠 철가방 시대로 돌아가는 건 절대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고 하소연했다.해당 게시물에는 "허가 받고 전단지를 뿌려도 비용 대비 효과도 좋지 않다. 전단지 시대로 가고 싶다는 열망은 있지만 지금은 앱 시대다" "그나마 당근 광고가 조금은 낫더라" 등의 댓글이 달렸다.게시물에는 "광고물 무단배포 금지는 당연한 상식이다. 가게 이미지도 버리고 불매 당하고 과태료도 부과된다" "정해진 틀 안에서 다른 분들에게 피해 안 주는 방법으로 홍보해야 한다"는 반응도 있었다.김다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에 따르면 아파트 내부 등에 전단지를 무단으로 배포하면 경범죄 처벌법 제3조 제1항 제9호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다. 다른 사람 또는 단체의 집, 인공구조물과 자동차 등에 함부로 광고물을 붙이는 등의 행위를 하면 1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의 형으로 처벌받는다.실제로 배달앱 등장 전에도 관리사무소 허가 없이 아파트 내부에 무단으로 전단지를 부착한 사안에 대한 고발과 처벌이 이뤄진 바 있다.김 변호사는 "배달앱 등장과 무관하게 기존부터 존재했던 규정이나 배달앱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아파트 내부에 광고물 부착이 다수 있다 보니 관행적으로 용인하는 분위기가 있어서 그게 처벌 대상인지조차 모르는 분들이 많았던 것 같다"며 "일단 고발이 이루어지면 법리적으로 적극적으로 다투지 않고서는 처벌을 면하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전단지 잘못 뿌리면 과태료… 자영업자들 "배달앱 벗어나기 힘들어" (바로가기)
머니S
2024-11-13
전단지 잘못 뿌리면 과태료… 자영업자들 "배달앱 벗어나기 힘들어"
전단지 잘못 뿌리면 과태료… 자영업자들 "배달앱 벗어나기 힘들어"
무단 배포 금지는 동일… 사회적 인식 엄격해져 고발 사례↑자영업자들 "전단지 시대는 갔다… 앱 벗어나기 힘들어" 외식업계 자영업자들이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고자 아파트 내 전단지 배포 등 대안 마련을 시도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일부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자사 앱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자영업자들은 앱 없이는 홍보가 어렵다고 토로한다. 전단지 배포를 통한 광고 효과도 크지 않고 무단으로 전단지를 배포하면 고발당하는 사례도 과거에 비해 많아졌기 때문이다.최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배달앱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파트 단지 내에 직접 전단지를 뿌려 홍보했다가 재물손괴죄로 고발된 사연이 올라왔다.사연을 올린 A씨는 "배달앱 욕을 하던 친구가 전단지 뿌려서 홍보해보겠다고 (아파트) 단지부터 쫙 뿌리고 알바까지 구해서 뿌렸는데 2주 후 관리실에서 전화와서 경고를 받았다"며 "어제는 경찰서에서 영업방해 및 재물손괴로 고발됐다고 경찰서 왔다가라고 연락을 받았다. 이젠 철가방 시대로 돌아가는 건 절대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고 하소연했다.해당 게시물에는 "허가 받고 전단지를 뿌려도 비용 대비 효과도 좋지 않다. 전단지 시대로 가고 싶다는 열망은 있지만 지금은 앱 시대다" "그나마 당근 광고가 조금은 낫더라" 등의 댓글이 달렸다.게시물에는 "광고물 무단배포 금지는 당연한 상식이다. 가게 이미지도 버리고 불매 당하고 과태료도 부과된다" "정해진 틀 안에서 다른 분들에게 피해 안 주는 방법으로 홍보해야 한다"는 반응도 있었다.김다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에 따르면 아파트 내부 등에 전단지를 무단으로 배포하면 경범죄 처벌법 제3조 제1항 제9호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다. 다른 사람 또는 단체의 집, 인공구조물과 자동차 등에 함부로 광고물을 붙이는 등의 행위를 하면 1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의 형으로 처벌받는다.실제로 배달앱 등장 전에도 관리사무소 허가 없이 아파트 내부에 무단으로 전단지를 부착한 사안에 대한 고발과 처벌이 이뤄진 바 있다.김 변호사는 "배달앱 등장과 무관하게 기존부터 존재했던 규정이나 배달앱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아파트 내부에 광고물 부착이 다수 있다 보니 관행적으로 용인하는 분위기가 있어서 그게 처벌 대상인지조차 모르는 분들이 많았던 것 같다"며 "일단 고발이 이루어지면 법리적으로 적극적으로 다투지 않고서는 처벌을 면하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전단지 잘못 뿌리면 과태료… 자영업자들 "배달앱 벗어나기 힘들어" (바로가기)
머니S
2024-11-13
"혼인신고 할 건데"… 결혼 빌미로 거액 가로챈 BJ 집행유예
"혼인신고 할 건데"… 결혼 빌미로 거액 가로챈 BJ 집행유예
'로맨스 스캠' 수법으로 7800만원 뜯어내 결혼을 빌미로 피해자를 속여 수천만원을 뜯어낸 30대 여성이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인천지방법원 형사7단독 문종철 판사는 사기 혐의로 기소된 여성 A씨에게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고 12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했다.A씨는 한 스트리밍 플랫폼 BJ로, 지난 2022년 3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전 남자친구 B씨로부터 7800만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았다.이들은 2016년부터 교제하다 2019년경 헤어졌는데, 3년 뒤 A씨가 B씨에게 다시 연락해 "무리한 사업으로 인해 돈이 필요하게 됐다"며 금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이후에도 A씨는 B씨에게 "결혼해서 함께 살며 갚아 나가면 된다"며 대출을 받을 것을 종용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당시 A씨는 이미 B씨가 아닌 다른 남성과 혼인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법원은 A씨의 행위에 고의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마치 피해자와 결혼을 전제로 한 연인관계에 있는 것처럼 피해자를 기망했다"며 "인적 신뢰관계를 이용한 범행"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범행기간이 길고 피해금액도 적지 않으며 피해가 완전히 회복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다만 재판부는 A씨가 자신의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점, B씨와 합의한 점 등을 감안해 형을 정했다고 덧붙였다.B씨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은 "A씨는 피해자와 결혼은커녕 교제를 할 마음조차 전혀 없었지만 금전적인 문제만 해결되면 혼인신고를 할 것처럼 피해자를 속였다"며 "이는 전형적인 로맨스 스캠 사례"라고 말했다.그러면서 "갚을 능력도, 의지도 없는 상황에서 자신을 향한 피해자의 호감을 이용해 거액의 돈을 편취한 것으로, 형법상 사기죄가 명백하게 성립된다"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인정해 유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혼인신고 할 건데"… 결혼 빌미로 거액 가로챈 BJ 집행유예 (바로가기)
머니S
2024-11-13
"혼인신고 할 건데"… 결혼 빌미로 거액 가로챈 BJ 집행유예
"혼인신고 할 건데"… 결혼 빌미로 거액 가로챈 BJ 집행유예
'로맨스 스캠' 수법으로 7800만원 뜯어내 결혼을 빌미로 피해자를 속여 수천만원을 뜯어낸 30대 여성이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인천지방법원 형사7단독 문종철 판사는 사기 혐의로 기소된 여성 A씨에게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고 12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했다.A씨는 한 스트리밍 플랫폼 BJ로, 지난 2022년 3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전 남자친구 B씨로부터 7800만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았다.이들은 2016년부터 교제하다 2019년경 헤어졌는데, 3년 뒤 A씨가 B씨에게 다시 연락해 "무리한 사업으로 인해 돈이 필요하게 됐다"며 금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이후에도 A씨는 B씨에게 "결혼해서 함께 살며 갚아 나가면 된다"며 대출을 받을 것을 종용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당시 A씨는 이미 B씨가 아닌 다른 남성과 혼인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법원은 A씨의 행위에 고의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마치 피해자와 결혼을 전제로 한 연인관계에 있는 것처럼 피해자를 기망했다"며 "인적 신뢰관계를 이용한 범행"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범행기간이 길고 피해금액도 적지 않으며 피해가 완전히 회복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다만 재판부는 A씨가 자신의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점, B씨와 합의한 점 등을 감안해 형을 정했다고 덧붙였다.B씨의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은 "A씨는 피해자와 결혼은커녕 교제를 할 마음조차 전혀 없었지만 금전적인 문제만 해결되면 혼인신고를 할 것처럼 피해자를 속였다"며 "이는 전형적인 로맨스 스캠 사례"라고 말했다.그러면서 "갚을 능력도, 의지도 없는 상황에서 자신을 향한 피해자의 호감을 이용해 거액의 돈을 편취한 것으로, 형법상 사기죄가 명백하게 성립된다"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인정해 유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혼인신고 할 건데"… 결혼 빌미로 거액 가로챈 BJ 집행유예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11-12
'한국피자헛 여파' 줄소송 예고…법무법인 대륜, 프랜차이즈팀 강화
'한국피자헛 여파' 줄소송 예고…법무법인 대륜, 프랜차이즈팀 강화
한국피자헛, 차액가맹금 관련 소송서 패소… 유통업계 흔들대륜,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 강화…"법리 준비 마쳤다"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피자헛의 차액가맹금 소송 여파에 대비해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을 강화했다고 12일 밝혔다.앞서 서울고등법원은 지난 9월 한국피자헛 가맹점주들이 본사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반환 청구소송에서 원고 일부승소 판결을 내렸다.본사가 가맹점 동의 없이 원·부재료 등 필수품목에 차액을 붙여 납품한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다.210억 원이 넘는 차액가맹금을 반환해야 할 위기에 처한 한국피자헛은 최근 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했다.아직 대법원의 최종 판단이 남아있긴 하지만, 이번 소송으로 인해 프랜차이즈 업계는 큰 혼란에 휩싸였다.국내 상당수의 프랜차이즈 본사들이 차액가맹금을 부과하며 수익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일부 프랜차이즈 업체의 가맹점주들은 관련 소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대륜은 이러한 업계 상황을 반영해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을 재정비하고 관련 소송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을 밝혔다.프랜차이즈팀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출신이자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장을 지낸 원형일 변호사를 필두로 각 분야의 전문 변호사들이 포진돼 있다.피자헛 부당이득금 반환소송에서 가맹점주들을 대리했던 김원상 변호사를 비롯해 나창수, 신종수, 박성윤, 김다은, 박종우, 정우영 변호사 등이 팀을 뒷받침한다.이들은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가맹사업분쟁조정위원회 등 다양한 관련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더 질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원형일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은 "한국피자헛 사건의 여파로 인해 유사 소송이 다수 제기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프랜차이즈 관련 소송을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는 변호사들을 추가 투입해 팀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실제 한국피자헛 소송에 직접 참가한 바 있는 프랜차이즈팀 김원상 변호사는 "사전 합의되지 않은 차액가맹금은 부당이득금이라는 것이 법원 판결의 요지"라며 "가맹점주와 프랜차이즈 본사 모두 이러한 쟁점을 잘 파악해 맞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대륜 프랜차이즈팀은 어떠한 사례가 접수돼도 대응할 수 있게 법리적인 준비를 끝마쳤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한국피자헛 여파' 줄소송 예고…법무법인 대륜, 프랜차이즈팀 강화 (바로가기)파이낸셜투데이 - 프랜차이즈 업계, 한국피자헛 ‘210억 패소’에 줄소송 우려↑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11-12
'한국피자헛 여파' 줄소송 예고…법무법인 대륜, 프랜차이즈팀 강화
'한국피자헛 여파' 줄소송 예고…법무법인 대륜, 프랜차이즈팀 강화
한국피자헛, 차액가맹금 관련 소송서 패소… 유통업계 흔들대륜,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 강화…"법리 준비 마쳤다" 법무법인 대륜이 한국피자헛의 차액가맹금 소송 여파에 대비해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을 강화했다고 12일 밝혔다.앞서 서울고등법원은 지난 9월 한국피자헛 가맹점주들이 본사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반환 청구소송에서 원고 일부승소 판결을 내렸다.본사가 가맹점 동의 없이 원·부재료 등 필수품목에 차액을 붙여 납품한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다.210억 원이 넘는 차액가맹금을 반환해야 할 위기에 처한 한국피자헛은 최근 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했다.아직 대법원의 최종 판단이 남아있긴 하지만, 이번 소송으로 인해 프랜차이즈 업계는 큰 혼란에 휩싸였다.국내 상당수의 프랜차이즈 본사들이 차액가맹금을 부과하며 수익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일부 프랜차이즈 업체의 가맹점주들은 관련 소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대륜은 이러한 업계 상황을 반영해 기업법무그룹 내 프랜차이즈팀을 재정비하고 관련 소송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을 밝혔다.프랜차이즈팀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출신이자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장을 지낸 원형일 변호사를 필두로 각 분야의 전문 변호사들이 포진돼 있다.피자헛 부당이득금 반환소송에서 가맹점주들을 대리했던 김원상 변호사를 비롯해 나창수, 신종수, 박성윤, 김다은, 박종우, 정우영 변호사 등이 팀을 뒷받침한다.이들은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가맹사업분쟁조정위원회 등 다양한 관련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더 질 높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원형일 대륜 기업법무그룹장은 "한국피자헛 사건의 여파로 인해 유사 소송이 다수 제기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프랜차이즈 관련 소송을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는 변호사들을 추가 투입해 팀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실제 한국피자헛 소송에 직접 참가한 바 있는 프랜차이즈팀 김원상 변호사는 "사전 합의되지 않은 차액가맹금은 부당이득금이라는 것이 법원 판결의 요지"라며 "가맹점주와 프랜차이즈 본사 모두 이러한 쟁점을 잘 파악해 맞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대륜 프랜차이즈팀은 어떠한 사례가 접수돼도 대응할 수 있게 법리적인 준비를 끝마쳤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한국피자헛 여파' 줄소송 예고…법무법인 대륜, 프랜차이즈팀 강화 (바로가기)파이낸셜투데이 - 프랜차이즈 업계, 한국피자헛 ‘210억 패소’에 줄소송 우려↑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1-12
직원이 몰래 만든 카드…법원 “발급 무효, 대금 변제 의무 없어”
직원이 몰래 만든 카드…법원 “발급 무효, 대금 변제 의무 없어”
도용된 명의로 발급된 신용카드는 이용 대금에 채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9월 30일 고객 A씨가 카드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채무 부존재 확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사업체를 운영하던 A씨는 2021년 한 직원이 자신의 명의를 도용해 신용카드를 발급 받은 사실을 뒤늦게 알게됐다. 카드 회사에 이용 내역을 확인한 결과, A씨 앞으로 약 2800만 원의 대금이 쌓여 있었다.A씨는 카드 발급 사실 자체를 부정했다. 직원이 자신 명의의 휴대폰과 신분증을 이용해 카드를 발급받았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용 대금을 변제할 의무 또한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카드 회사의 입장은 달랐다. 계약 당시 A씨와 직접 통화를 했고, A씨의 사업장으로 카드를 배송한 사실이 확인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직원이 신용카드를 무단으로 사용한 것은 A씨 본인이 개인정보를 부주의하게 관리해 발생한 일이라며, 채무 변제의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카드 회사가 제출한 통화 기록을 보면 녹음파일 속 목소리와 A씨의 목소리가 일치하지 않는다”며 “오히려 A씨를 사칭한 직원에 가깝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드를 발송한 주소도 A씨의 사업장이 아닌 직원의 주거지”라며 A씨가 직접 계약을 체결했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원고에 대한 신용카드 계약이 유효하지 않은 이상, 카드 회사가 주장하는 ‘관리상 부주의’는 성립하지 않는다”며 “해당 신용카드 이용 대금 채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시했다.원고 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카드사는 신용카드 발급 시 적법한 절차에 따른 본인 확인을 해야 한다”며 “카드를 교부할 때도 발급 요청자가 수령하는 것이 맞는지 면밀하게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이 변호사는 “카드사의 잘못으로 신용카드가 A씨가 아닌 직원에게 발급·교부됐다”면서 “이 외에도 직원이 A씨의 명의를 도용해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한 것을 인정한 점 등을 종합해 합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직원이 몰래 만든 카드…법원 “발급 무효, 대금 변제 의무 없어”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1-12
직원이 몰래 만든 카드…법원 “발급 무효, 대금 변제 의무 없어”
직원이 몰래 만든 카드…법원 “발급 무효, 대금 변제 의무 없어”
도용된 명의로 발급된 신용카드는 이용 대금에 채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9월 30일 고객 A씨가 카드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채무 부존재 확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사업체를 운영하던 A씨는 2021년 한 직원이 자신의 명의를 도용해 신용카드를 발급 받은 사실을 뒤늦게 알게됐다. 카드 회사에 이용 내역을 확인한 결과, A씨 앞으로 약 2800만 원의 대금이 쌓여 있었다.A씨는 카드 발급 사실 자체를 부정했다. 직원이 자신 명의의 휴대폰과 신분증을 이용해 카드를 발급받았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용 대금을 변제할 의무 또한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카드 회사의 입장은 달랐다. 계약 당시 A씨와 직접 통화를 했고, A씨의 사업장으로 카드를 배송한 사실이 확인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직원이 신용카드를 무단으로 사용한 것은 A씨 본인이 개인정보를 부주의하게 관리해 발생한 일이라며, 채무 변제의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카드 회사가 제출한 통화 기록을 보면 녹음파일 속 목소리와 A씨의 목소리가 일치하지 않는다”며 “오히려 A씨를 사칭한 직원에 가깝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드를 발송한 주소도 A씨의 사업장이 아닌 직원의 주거지”라며 A씨가 직접 계약을 체결했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원고에 대한 신용카드 계약이 유효하지 않은 이상, 카드 회사가 주장하는 ‘관리상 부주의’는 성립하지 않는다”며 “해당 신용카드 이용 대금 채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시했다.원고 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기은 변호사는 “카드사는 신용카드 발급 시 적법한 절차에 따른 본인 확인을 해야 한다”며 “카드를 교부할 때도 발급 요청자가 수령하는 것이 맞는지 면밀하게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이 변호사는 “카드사의 잘못으로 신용카드가 A씨가 아닌 직원에게 발급·교부됐다”면서 “이 외에도 직원이 A씨의 명의를 도용해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한 것을 인정한 점 등을 종합해 합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직원이 몰래 만든 카드…법원 “발급 무효, 대금 변제 의무 없어”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4-11-11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가족친화 경영 방침…모성보호제도 ‘눈길’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가족친화 경영 방침…모성보호제도 ‘눈길’
“출산 전부터 자녀 양육까지 보장”남성 변호사·직원도 복지 제도 수혜체계적 관리 시스템으로 업무 공백 우려 없어 “출산 전 준비 기간부터 회복, 어린 자녀 양육까지 모두 보장해줘 마음 편히 가정에 집중할 수 있었어요.”법무법인(유한) 대륜 곽지연 변호사는 지난 5월, 10개월간의 육아휴직을 마치고 사무실에 복귀했다. 처음 임신 사실을 알았을 당시 마음 한편에는 걱정이 가득했다. 변호사 역시 이른바 ‘임신·출산·육아’(임출육)로 인한 경력단절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그러나 예상과 달리 회사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회사 측은 충분히 육아에 집중해도 된다는 뜻을 전했고, 이러한 회사 측의 배려 덕분에 곽 변호사는 여유로운 출산 준비가 가능했다.곽 변호사는 “사실 제도가 있더라도 사용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형성되면 어쩔 수 없이 복귀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며 “휴직기를 거친 후에도 원하는 시기에 다시 돌아와 일할 수 있어 감사했다”고 말했다. 체계적 사건관리 시스템으로 업무 공백 없도록 운영대륜은 다양한 모성보호 지원 정책 시행을 통해 일과 가정의 양립에 힘을 보태고 있다.‘가족 친화 로펌’은 대륜의 핵심 경영 방침 중 하나다. 특히 임출육의 과정을 겪는 여성들이 안정적으로 회사 생활을 하고, 복귀 후 커리어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눈여겨볼 만한 점은 복귀 이후 선배 복직자로부터 업무 적응은 물론, 일·육아 병행 노하우까지 전수받는 등 복직 적응을 위한 다양한 도움까지 제공하는 점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육아휴직으로 경제적 타격을 걱정하는 직원들을 위해 ‘육아기 재택근무제’도 마련했다.이처럼 선도적으로 모성보호 정책을 펼쳐온 결과 대륜의 모성보호 정책은 업계 내에서 로펌 복지의 롤모델로 꼽힌다.모성보호제도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업무 공백 우려에 대해 대륜 관계자는 “보통 사건 하나에 전문인력이 최소 3명, 최대 20명까지 배치된다”며 “부장판사, 부장검사 출신 베테랑 변호사가 사건 전체를 총괄하고, 전문 변호사들로 이뤄진 팀이 끊임없이 소통하며 상황을 공유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공백으로 인한 우려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일·가정 양립 지원…남성 변호사·직원도 자유롭게 사용로펌 업계에서 남성변호사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대한변호사협회가 지난해 남성변호사 478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출산 휴가를 전혀 쓰지 못했다’는 응답이 30%에 달했다.대륜의 복지 제도는 남성변호사들에게도 열려있다. 남성 육아휴직의 수혜자 중 한 명인 김태환 변호사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성보호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장려해 유용하게 사용했다”며 “어린 자녀들이 있는 부모에게는 꼭 필요한 제도인데 이를 보장해주는 것 자체가 무척 좋은 복지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같은 정책은 변호사가 아닌 일반 직원들에게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현재 육아 단축근무를 이용 중인 직원을 비롯해 출산·육아 휴직 후 복귀해 수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이 여럿 있다.대륜은 앞으로도 임직원들이 출산, 육아 걱정 없이 업무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일·가정 양립을 위한 복지 제도를 더욱 확대해나갈 방침이다.한편, 대륜은 현재 모성보호제도 이외에 청년 및 중장년에 대한 고용 정책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성별, 나이를 불문하고 지원 분야에 뛰어난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발굴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가족친화 경영 방침…모성보호제도 ‘눈길’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출산 전부터 자녀 양육까지 보장"…대륜, 모성보호제도 '눈길'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4-11-11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가족친화 경영 방침…모성보호제도 ‘눈길’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가족친화 경영 방침…모성보호제도 ‘눈길’
“출산 전부터 자녀 양육까지 보장”남성 변호사·직원도 복지 제도 수혜체계적 관리 시스템으로 업무 공백 우려 없어 “출산 전 준비 기간부터 회복, 어린 자녀 양육까지 모두 보장해줘 마음 편히 가정에 집중할 수 있었어요.”법무법인(유한) 대륜 곽지연 변호사는 지난 5월, 10개월간의 육아휴직을 마치고 사무실에 복귀했다. 처음 임신 사실을 알았을 당시 마음 한편에는 걱정이 가득했다. 변호사 역시 이른바 ‘임신·출산·육아’(임출육)로 인한 경력단절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그러나 예상과 달리 회사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회사 측은 충분히 육아에 집중해도 된다는 뜻을 전했고, 이러한 회사 측의 배려 덕분에 곽 변호사는 여유로운 출산 준비가 가능했다.곽 변호사는 “사실 제도가 있더라도 사용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형성되면 어쩔 수 없이 복귀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며 “휴직기를 거친 후에도 원하는 시기에 다시 돌아와 일할 수 있어 감사했다”고 말했다. 체계적 사건관리 시스템으로 업무 공백 없도록 운영대륜은 다양한 모성보호 지원 정책 시행을 통해 일과 가정의 양립에 힘을 보태고 있다.‘가족 친화 로펌’은 대륜의 핵심 경영 방침 중 하나다. 특히 임출육의 과정을 겪는 여성들이 안정적으로 회사 생활을 하고, 복귀 후 커리어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눈여겨볼 만한 점은 복귀 이후 선배 복직자로부터 업무 적응은 물론, 일·육아 병행 노하우까지 전수받는 등 복직 적응을 위한 다양한 도움까지 제공하는 점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육아휴직으로 경제적 타격을 걱정하는 직원들을 위해 ‘육아기 재택근무제’도 마련했다.이처럼 선도적으로 모성보호 정책을 펼쳐온 결과 대륜의 모성보호 정책은 업계 내에서 로펌 복지의 롤모델로 꼽힌다.모성보호제도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업무 공백 우려에 대해 대륜 관계자는 “보통 사건 하나에 전문인력이 최소 3명, 최대 20명까지 배치된다”며 “부장판사, 부장검사 출신 베테랑 변호사가 사건 전체를 총괄하고, 전문 변호사들로 이뤄진 팀이 끊임없이 소통하며 상황을 공유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공백으로 인한 우려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일·가정 양립 지원…남성 변호사·직원도 자유롭게 사용로펌 업계에서 남성변호사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대한변호사협회가 지난해 남성변호사 478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출산 휴가를 전혀 쓰지 못했다’는 응답이 30%에 달했다.대륜의 복지 제도는 남성변호사들에게도 열려있다. 남성 육아휴직의 수혜자 중 한 명인 김태환 변호사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성보호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장려해 유용하게 사용했다”며 “어린 자녀들이 있는 부모에게는 꼭 필요한 제도인데 이를 보장해주는 것 자체가 무척 좋은 복지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같은 정책은 변호사가 아닌 일반 직원들에게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현재 육아 단축근무를 이용 중인 직원을 비롯해 출산·육아 휴직 후 복귀해 수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이 여럿 있다.대륜은 앞으로도 임직원들이 출산, 육아 걱정 없이 업무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일·가정 양립을 위한 복지 제도를 더욱 확대해나갈 방침이다.한편, 대륜은 현재 모성보호제도 이외에 청년 및 중장년에 대한 고용 정책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성별, 나이를 불문하고 지원 분야에 뛰어난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발굴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가족친화 경영 방침…모성보호제도 ‘눈길’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출산 전부터 자녀 양육까지 보장"…대륜, 모성보호제도 '눈길' (바로가기)
성대신문
2024-11-11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법적 분쟁, 해결책과 개선 방향은?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법적 분쟁, 해결책과 개선 방향은?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분쟁의 본질은 채무 불이행법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해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e-커머스 플랫폼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플랫폼이 중개하는 거래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 특히 대금 지급 및 소비자 보호와 관련된 분쟁은 끊이지 않고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추세다. 특히 최근 들어 △대금 지급 지연 △소비자 환불 문제 △플랫폼의 재정 불안정을 비롯한 각종 논란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운데, e-커머스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김유정 변호사를 만나 플랫폼과 이용자 간의 법적 분쟁에 대해 물었다.자기소개를 해달라.법무법인(유) 대륜의 공정거래 그룹에 소속돼 전자상거래 및 공정거래 분야의 소송과 자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로 e-커머스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분쟁, 그중에서도 특히 플랫폼과 플랫폼 이용자 간의 대금 지급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법적 문제를 다룬다.e-커머스 플랫폼의 거래 중개 과정을 설명해달라.판매자가 e-커머스 플랫폼에 등록한 상품을 소비자가 결제하면, 플랫폼은 대금을 판매자에게 직접 지급하지 않고 카드사와 같은 결제대행사에 예치한다. 이후 판매자가 상품을 배송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거래가 완료되면 플랫폼은 예치된 대금을 판매자에게 정산하게 된다. 만약 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할 경우 플랫폼은 분쟁을 중재하고 환불이나 교환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결제된 금액은 결제대행사를 거쳐 소비자에게 환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플랫폼은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를 관리하며 각자의 권리 및 의무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채무 관계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구조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e-커머스 플랫폼 이용자에 대한 피해 보상은 어떻게 이뤄지나.e-커머스 플랫폼 이용자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와 이를 판매하는 판매자를 뜻한다. 만약 e-커머스 플랫폼이 판매자에게 대금을 정산하지 않거나 소비자에게 약속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이용자는 플랫폼의 자체 고객지원센터를 통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랫폼 측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않아 해결이 어려운 경우, 이용자가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신고하면 공정위가 시정명령을 내리거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경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상거래법) 제17조에 따라 플랫폼 측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최근 발생한 ‘티몬-위메프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티몬-위메프 사태는 e-커머스 플랫폼의 재정 불안정성과 그로 인한 소비자 보호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내며, 거래 중개자로서 플랫폼의 책임을 법적으로 명확히 규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플랫폼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할 때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특히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신뢰를 저하시키는 상황에서 법적 장치가 미비하다는 점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에 플랫폼의 재정 상태와 자금 흐름의 투명성을 의무화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e-커머스 플랫폼의 대금 지급 능력 부족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은 어떻게 규정돼 있나.전자상거래법 제17조와 제18조에 따라 e-커머스 플랫폼은 재정 상태와 관계없이 판매자에게는 판매 대금을 지급하고 소비자의 환불 요청에 응할 의무가 있다. 특히 판매자와 소비자 간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대금 지급과 관련된 부정확한 정보 제공이나 지급 지연 문제가 반복될 경우, 공정거래법 제23조에 따라 1억 원 이하의 벌금이나 공정위로부터의 시정명령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e-커머스 플랫폼의 법적 책임 강화를 위해서는.현행 전자상거래법은 e-커머스 플랫폼의 책임을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더욱 구체적인 법적 개정이 필요하다. 먼저 소비자와 판매자 보호를 위해 플랫폼의 자금 유동성 문제를 사전에 경고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대금 보증 제도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고 판매자가 대금을 지급받기 전까지 일정 기간 결제 금액을 보호하는 제도다. 또한 대금 흐름을 관리하고 결제 과정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역할인 결제대행사가 플랫폼의 재정 문제에 따른 책임을 일부 분담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구체적인 법적 보완책도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법적 분쟁, 해결책과 개선 방향은? (바로가기)
성대신문
2024-11-11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법적 분쟁, 해결책과 개선 방향은?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법적 분쟁, 해결책과 개선 방향은?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분쟁의 본질은 채무 불이행법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해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e-커머스 플랫폼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플랫폼이 중개하는 거래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 특히 대금 지급 및 소비자 보호와 관련된 분쟁은 끊이지 않고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추세다. 특히 최근 들어 △대금 지급 지연 △소비자 환불 문제 △플랫폼의 재정 불안정을 비롯한 각종 논란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운데, e-커머스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김유정 변호사를 만나 플랫폼과 이용자 간의 법적 분쟁에 대해 물었다.자기소개를 해달라.법무법인(유) 대륜의 공정거래 그룹에 소속돼 전자상거래 및 공정거래 분야의 소송과 자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로 e-커머스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분쟁, 그중에서도 특히 플랫폼과 플랫폼 이용자 간의 대금 지급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법적 문제를 다룬다.e-커머스 플랫폼의 거래 중개 과정을 설명해달라.판매자가 e-커머스 플랫폼에 등록한 상품을 소비자가 결제하면, 플랫폼은 대금을 판매자에게 직접 지급하지 않고 카드사와 같은 결제대행사에 예치한다. 이후 판매자가 상품을 배송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거래가 완료되면 플랫폼은 예치된 대금을 판매자에게 정산하게 된다. 만약 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할 경우 플랫폼은 분쟁을 중재하고 환불이나 교환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결제된 금액은 결제대행사를 거쳐 소비자에게 환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플랫폼은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를 관리하며 각자의 권리 및 의무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채무 관계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구조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e-커머스 플랫폼 이용자에 대한 피해 보상은 어떻게 이뤄지나.e-커머스 플랫폼 이용자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와 이를 판매하는 판매자를 뜻한다. 만약 e-커머스 플랫폼이 판매자에게 대금을 정산하지 않거나 소비자에게 약속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이용자는 플랫폼의 자체 고객지원센터를 통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랫폼 측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않아 해결이 어려운 경우, 이용자가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신고하면 공정위가 시정명령을 내리거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경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상거래법) 제17조에 따라 플랫폼 측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최근 발생한 ‘티몬-위메프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티몬-위메프 사태는 e-커머스 플랫폼의 재정 불안정성과 그로 인한 소비자 보호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내며, 거래 중개자로서 플랫폼의 책임을 법적으로 명확히 규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플랫폼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할 때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특히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신뢰를 저하시키는 상황에서 법적 장치가 미비하다는 점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에 플랫폼의 재정 상태와 자금 흐름의 투명성을 의무화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e-커머스 플랫폼의 대금 지급 능력 부족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은 어떻게 규정돼 있나.전자상거래법 제17조와 제18조에 따라 e-커머스 플랫폼은 재정 상태와 관계없이 판매자에게는 판매 대금을 지급하고 소비자의 환불 요청에 응할 의무가 있다. 특히 판매자와 소비자 간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대금 지급과 관련된 부정확한 정보 제공이나 지급 지연 문제가 반복될 경우, 공정거래법 제23조에 따라 1억 원 이하의 벌금이나 공정위로부터의 시정명령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e-커머스 플랫폼의 법적 책임 강화를 위해서는.현행 전자상거래법은 e-커머스 플랫폼의 책임을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더욱 구체적인 법적 개정이 필요하다. 먼저 소비자와 판매자 보호를 위해 플랫폼의 자금 유동성 문제를 사전에 경고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대금 보증 제도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고 판매자가 대금을 지급받기 전까지 일정 기간 결제 금액을 보호하는 제도다. 또한 대금 흐름을 관리하고 결제 과정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역할인 결제대행사가 플랫폼의 재정 문제에 따른 책임을 일부 분담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구체적인 법적 보완책도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e-커머스 플랫폼과 이용자 간 법적 분쟁, 해결책과 개선 방향은?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11
“육아휴직 하자마자 자리 뺏겨” 아직도 힘든 육아휴직
“육아휴직 하자마자 자리 뺏겨” 아직도 힘든 육아휴직
“육아휴직 다음날 회사로부터 책상을 치우겠다. 새로 출근한 직원이 앉을 예정이란 말을 듣게 됐습니다. 후회 되네요” 최근 아내의 출산으로 유아휴직을 한 A씨는 6개월 후가 두렵다고 푸념한다. 회사 측은 육아휴직을 장려한다면서도 그가 휴가에 돌입하자 바로 자리를 정리하고 다른 직원 그의 자리에 앉혔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동료에게 전해들은 A씨는 “마음이 편치 않다”고 하소연한다. 만에 하나 인사상 불이익이나 복직 후 차별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저출산 고령화기 심각해지는 지금 정부는 육아휴직을 장려하며 출산율 높이기에 안간힘을 쓰지만 우리사회 일부에서는 A씨처럼 육아휴직을 고민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실제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전날인 10일 출산·육아에 대한 갑질 실태 및 제도 개선 등의 내용을 담은 보고서 '임신 출산 육아가 가능한 일터를 위한 제언’을 보면 A씨와 유사한 고민으로 상담 받은 이들이 많았다. 단체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접수된 임신·출산·육아 갑질 관련 이메일 제보 중 신원이 확인된 41건을 분석한 결과 불이익의 유형(중복집계)은 '직장 내 괴롭힘'이 63.4%(26건)로 가장 많았다. 그밖에 '부당평가·인사발령'(31.7%, 13건), '단축 근무 등 거부'(24.3%, 10건), '해고·권고사직'(12.2%, 5건), '연차사용 불허'(12.2%, 5건) 순이었다. 단체가 공개모집을 통해 찾은 갑질 사례자 8명 역시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등 기본적 제도조차 사용이 쉽지 않다고 이야기했다. A씨는 “출산휴가에 이어 육아휴직을 사용하겠다고 하자 부장이 굉장히 불쾌해하며 휴가 사용을 말라고 회유했다”고 전했다. 단체는 이와 관련 “모부성 권리 제도를 개선하거나 및 '저출생 해소' 당위성을 강조하는 것만으론 문제 해결이 어렵다”며 “전체 노동조건을 상향시키고 성평등 관점에서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 사회가 여성의 노동권과 모부성 권리 보호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이 현장에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육아 휴직과 관련 법무법인 대륜 김다은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현재 육아휴직 제도는 계속해서 대상자들의 필요에 따라 개편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가 높아짐에 따라 육아휴직 제도는 기본으로 보장해주되 이에 더 나아가 육아 휴직자를 위한 더 적극적인 제도를 선제적으로 시행하는 기업도 생기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실제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기존의 육아휴직 제도는 기본으로 보장해주고, 이에 더하여 육아와 소득 수준 유지 모두를 보장해주기 위하여 재택근무도 보장해주고 있다”고 예를 들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아직 모성보호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지 못하여,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는 기업들이 많고, 그에 따라 육아휴직을 보장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제재 역시 점차 강해지고 있으며 육아휴직자에 대한 처우 보장에 대한 판단기준 역시 점차 엄격화, 정교화되고 있다”며 “육아휴직 후 복직시 업무에 대해서도, 육아휴직 종료 후 휴직 전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업무로 복귀시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에, 사업주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에 복귀시키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조직개편 등으로 인하여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다른 업무로 복귀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에도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업무일 것이 요구된다”면서 “그럼에도 모든 기업에서 이러한 제도들이 충분히 보장되기 어려우며, 그 경우에도 휴직자들은 모성보호센터와 같이 관련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덧붙여 “따라서 신고를 기다리기 보다는, 선제적으로 각 기업들이 이러한 제도를 제대로 보장하고 있는지 검사하거나 혹은 육아휴직 제도를 충분히 보장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정부 보조금이나 기업평가 등에서의 혜택을 주는 등의 제도가 시행되는 것도 각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육아휴직을 적극적으로 보장하도록 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육아휴직 하자마자 자리 뺏겨” 아직도 힘든 육아휴직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11
“육아휴직 하자마자 자리 뺏겨” 아직도 힘든 육아휴직
“육아휴직 하자마자 자리 뺏겨” 아직도 힘든 육아휴직
“육아휴직 다음날 회사로부터 책상을 치우겠다. 새로 출근한 직원이 앉을 예정이란 말을 듣게 됐습니다. 후회 되네요” 최근 아내의 출산으로 유아휴직을 한 A씨는 6개월 후가 두렵다고 푸념한다. 회사 측은 육아휴직을 장려한다면서도 그가 휴가에 돌입하자 바로 자리를 정리하고 다른 직원 그의 자리에 앉혔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동료에게 전해들은 A씨는 “마음이 편치 않다”고 하소연한다. 만에 하나 인사상 불이익이나 복직 후 차별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저출산 고령화기 심각해지는 지금 정부는 육아휴직을 장려하며 출산율 높이기에 안간힘을 쓰지만 우리사회 일부에서는 A씨처럼 육아휴직을 고민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실제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전날인 10일 출산·육아에 대한 갑질 실태 및 제도 개선 등의 내용을 담은 보고서 '임신 출산 육아가 가능한 일터를 위한 제언’을 보면 A씨와 유사한 고민으로 상담 받은 이들이 많았다. 단체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접수된 임신·출산·육아 갑질 관련 이메일 제보 중 신원이 확인된 41건을 분석한 결과 불이익의 유형(중복집계)은 '직장 내 괴롭힘'이 63.4%(26건)로 가장 많았다. 그밖에 '부당평가·인사발령'(31.7%, 13건), '단축 근무 등 거부'(24.3%, 10건), '해고·권고사직'(12.2%, 5건), '연차사용 불허'(12.2%, 5건) 순이었다. 단체가 공개모집을 통해 찾은 갑질 사례자 8명 역시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등 기본적 제도조차 사용이 쉽지 않다고 이야기했다. A씨는 “출산휴가에 이어 육아휴직을 사용하겠다고 하자 부장이 굉장히 불쾌해하며 휴가 사용을 말라고 회유했다”고 전했다. 단체는 이와 관련 “모부성 권리 제도를 개선하거나 및 '저출생 해소' 당위성을 강조하는 것만으론 문제 해결이 어렵다”며 “전체 노동조건을 상향시키고 성평등 관점에서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 사회가 여성의 노동권과 모부성 권리 보호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이 현장에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육아 휴직과 관련 법무법인 대륜 김다은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현재 육아휴직 제도는 계속해서 대상자들의 필요에 따라 개편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가 높아짐에 따라 육아휴직 제도는 기본으로 보장해주되 이에 더 나아가 육아 휴직자를 위한 더 적극적인 제도를 선제적으로 시행하는 기업도 생기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실제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기존의 육아휴직 제도는 기본으로 보장해주고, 이에 더하여 육아와 소득 수준 유지 모두를 보장해주기 위하여 재택근무도 보장해주고 있다”고 예를 들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아직 모성보호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지 못하여,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는 기업들이 많고, 그에 따라 육아휴직을 보장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제재 역시 점차 강해지고 있으며 육아휴직자에 대한 처우 보장에 대한 판단기준 역시 점차 엄격화, 정교화되고 있다”며 “육아휴직 후 복직시 업무에 대해서도, 육아휴직 종료 후 휴직 전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업무로 복귀시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에, 사업주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에 복귀시키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조직개편 등으로 인하여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다른 업무로 복귀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에도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업무일 것이 요구된다”면서 “그럼에도 모든 기업에서 이러한 제도들이 충분히 보장되기 어려우며, 그 경우에도 휴직자들은 모성보호센터와 같이 관련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덧붙여 “따라서 신고를 기다리기 보다는, 선제적으로 각 기업들이 이러한 제도를 제대로 보장하고 있는지 검사하거나 혹은 육아휴직 제도를 충분히 보장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정부 보조금이나 기업평가 등에서의 혜택을 주는 등의 제도가 시행되는 것도 각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육아휴직을 적극적으로 보장하도록 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육아휴직 하자마자 자리 뺏겨” 아직도 힘든 육아휴직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11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처분..행정 절차 결함 있다면 '무효'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처분..행정 절차 결함 있다면 '무효'
음주운전으로 운전면허 취소 처분을 받았지만, 적법하지 않은 절차였다면 무효 처리될 수 있다는 행정 심판 결과가 나왔습니다.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지난달 11일 운전자 A씨가 경찰의 자동차 운전면허 취소 처분에 불복해 제기한 행정심판에서 처분 취소 판단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6월 4일 음주운전 단속에 적발되면서 운전면허 취소 처분 사전통지서를 받았습니다.통지서에는 같은 달 24일까지 가까운 경찰서로 출석해 의견을 제출하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그러나 경찰이 통지한 의견 제출일 보다 엿새 빠른 18일, A씨의 면허 취소 절차가 마무리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A씨 측은 "출석요구일 전에 사건을 처분한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이와 함께 "경찰이 제시한 진술서 하단에는 의견제출 기한이 지나지 않더라도 이의가 없음을 인정하고 행정 처분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문구가 추가로 기재돼 있었다"며, "이 문구가 도로교통법과 맞지 않는 내용이고 이는 의견을 진술할 기회 자체를 상실하게 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이와 관련 행정심판위는 "통지서에 처분 진행 동의 여부를 묻는 문구가 있었지만, 이는 규정된 서식과 달리 임의적으로 추가된 것"이라며 "A씨가 의미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동의 표시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또 "도로교통법은 해당 진술서 문구처럼 임의로 추가된 내용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의견 제출 기한 전 이뤄진 행정 처분은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A씨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상범 변호사는 "사전통지 제도의 취지는 당사자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함"이라면서, "경찰이 의견제출 기한을 지키지 않은 것은 행정절차법 제21조를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이어 "진술서 하단에 있던 문구 역시, 피의자 신분이던 A씨가 동의 표시를 하라는 경찰의 요구를 쉽게 거절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처분..행정 절차 결함 있다면 '무효'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1-11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처분..행정 절차 결함 있다면 '무효'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처분..행정 절차 결함 있다면 '무효'
음주운전으로 운전면허 취소 처분을 받았지만, 적법하지 않은 절차였다면 무효 처리될 수 있다는 행정 심판 결과가 나왔습니다.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지난달 11일 운전자 A씨가 경찰의 자동차 운전면허 취소 처분에 불복해 제기한 행정심판에서 처분 취소 판단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6월 4일 음주운전 단속에 적발되면서 운전면허 취소 처분 사전통지서를 받았습니다.통지서에는 같은 달 24일까지 가까운 경찰서로 출석해 의견을 제출하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그러나 경찰이 통지한 의견 제출일 보다 엿새 빠른 18일, A씨의 면허 취소 절차가 마무리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A씨 측은 "출석요구일 전에 사건을 처분한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이와 함께 "경찰이 제시한 진술서 하단에는 의견제출 기한이 지나지 않더라도 이의가 없음을 인정하고 행정 처분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문구가 추가로 기재돼 있었다"며, "이 문구가 도로교통법과 맞지 않는 내용이고 이는 의견을 진술할 기회 자체를 상실하게 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이와 관련 행정심판위는 "통지서에 처분 진행 동의 여부를 묻는 문구가 있었지만, 이는 규정된 서식과 달리 임의적으로 추가된 것"이라며 "A씨가 의미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동의 표시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또 "도로교통법은 해당 진술서 문구처럼 임의로 추가된 내용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의견 제출 기한 전 이뤄진 행정 처분은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A씨 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박상범 변호사는 "사전통지 제도의 취지는 당사자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함"이라면서, "경찰이 의견제출 기한을 지키지 않은 것은 행정절차법 제21조를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이어 "진술서 하단에 있던 문구 역시, 피의자 신분이던 A씨가 동의 표시를 하라는 경찰의 요구를 쉽게 거절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처분..행정 절차 결함 있다면 '무효'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08
동료 차량 손괴 혐의로 약식기소된 50대···정식재판 청구해 무죄
동료 차량 손괴 혐의로 약식기소된 50대···정식재판 청구해 무죄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전아람 부장판사 “손괴 현장 직접 증거 없고, 범행 동기도 입증 안돼” 직장 동료의 차량을 훼손한 혐의로 벌금형의 약식명령을 받은 50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해 무죄를 선고받은 사례가 나왔다.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형사1단독 전아람 부장판사는 재물손괴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에게 10월 25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21년 10월 자신이 재직 중이던 회사 앞 도로에 주차된 동료 B씨의 차량을 불상의 뾰족한 도구로 긁어 300만 원 상당의 수리비가 발생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기소됐다.검찰은 이 사건 당일 회사 정문을 나선 A씨가 피해 차량 조수석 쪽으로 들어갔다가 되돌아 나오는 장면이 담긴 CCTV 영상을 증거로 유죄를 주장했다.A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회사에 사직서를 제출한 뒤 차량으로 돌아가던 중이었고, 담벼락 안 회사 쪽에서 누군가가 자신을 부르는 것 같아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잠시 안쪽으로 들어갔을 뿐이라는 것이다.그러면서 A씨는 “평소 도보로 출근해 직원들의 차량을 알지 못하고, 사건 당일 역시 해당 차량이 B씨의 것인지도 알지 못했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전아람 부장판사는 “CCTV 영상을 확대한 사진을 보더라도, 피고인이 피해 차량 조수석 쪽을 통해 담벼락 가까이 갔다가 되돌아 오는 장면만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차량을 훼손한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A씨의 손을 들어줬다.전아람 부장판사는 아울러 A씨의 범행 동기를 밝힐 만한 증거 역시 부족하다고 판단했다.앞서 재판 과정에서 B씨는 A씨와 업무 문제로 몇 차례 갈등을 빚은 바 있고, A씨로부터 위협적인 말을 들은 적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전아람 부장판사는 “위협적인 말을 들은 경위에 대해 B씨가 분명히 진술하지 못했고, 피고인이 피해자의 차량을 알고 있었다고 인정할 만한 증거 역시 없다”고 판시했다.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최용환 변호사는 “당초 A씨에게 벌금형의 약식명령이 내려졌지만, 정식 재판을 청구해 무죄를 적극 주장했다”고 밝혔다.최용환 변호사는 이어 “재물손괴죄로 처벌하기 위해서는 ‘고의성’이 명백하게 입증돼야 한다”면서, “이번 사건의 경우 차량 손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뿐만 아니라 명확한 범행 동기 또한 없었는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동료 차량 손괴 혐의로 약식기소된 50대···정식재판 청구해 무죄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08
동료 차량 손괴 혐의로 약식기소된 50대···정식재판 청구해 무죄
동료 차량 손괴 혐의로 약식기소된 50대···정식재판 청구해 무죄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전아람 부장판사 “손괴 현장 직접 증거 없고, 범행 동기도 입증 안돼” 직장 동료의 차량을 훼손한 혐의로 벌금형의 약식명령을 받은 50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해 무죄를 선고받은 사례가 나왔다.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형사1단독 전아람 부장판사는 재물손괴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에게 10월 25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21년 10월 자신이 재직 중이던 회사 앞 도로에 주차된 동료 B씨의 차량을 불상의 뾰족한 도구로 긁어 300만 원 상당의 수리비가 발생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기소됐다.검찰은 이 사건 당일 회사 정문을 나선 A씨가 피해 차량 조수석 쪽으로 들어갔다가 되돌아 나오는 장면이 담긴 CCTV 영상을 증거로 유죄를 주장했다.A씨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당시 회사에 사직서를 제출한 뒤 차량으로 돌아가던 중이었고, 담벼락 안 회사 쪽에서 누군가가 자신을 부르는 것 같아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잠시 안쪽으로 들어갔을 뿐이라는 것이다.그러면서 A씨는 “평소 도보로 출근해 직원들의 차량을 알지 못하고, 사건 당일 역시 해당 차량이 B씨의 것인지도 알지 못했다”고 강조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전아람 부장판사는 “CCTV 영상을 확대한 사진을 보더라도, 피고인이 피해 차량 조수석 쪽을 통해 담벼락 가까이 갔다가 되돌아 오는 장면만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차량을 훼손한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A씨의 손을 들어줬다.전아람 부장판사는 아울러 A씨의 범행 동기를 밝힐 만한 증거 역시 부족하다고 판단했다.앞서 재판 과정에서 B씨는 A씨와 업무 문제로 몇 차례 갈등을 빚은 바 있고, A씨로부터 위협적인 말을 들은 적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전아람 부장판사는 “위협적인 말을 들은 경위에 대해 B씨가 분명히 진술하지 못했고, 피고인이 피해자의 차량을 알고 있었다고 인정할 만한 증거 역시 없다”고 판시했다.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최용환 변호사는 “당초 A씨에게 벌금형의 약식명령이 내려졌지만, 정식 재판을 청구해 무죄를 적극 주장했다”고 밝혔다.최용환 변호사는 이어 “재물손괴죄로 처벌하기 위해서는 ‘고의성’이 명백하게 입증돼야 한다”면서, “이번 사건의 경우 차량 손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뿐만 아니라 명확한 범행 동기 또한 없었는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동료 차량 손괴 혐의로 약식기소된 50대···정식재판 청구해 무죄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07
처벌 수위 높아지는 '불법 암표 거래', 초기 대응이 중요
처벌 수위 높아지는 '불법 암표 거래', 초기 대응이 중요
넷플릭스 요리경연 프로그램 흑백요리사가 인기리에 방영된 후 출연진들의 음식점 예약권이 웃돈에 거래되는 이른바 '암표거래'가 성행하고 있다. 프로그램 최종 우승자 식당 예약에는 11만명이 넘는 이용자가 몰리는 상황까지 발생하면서 예약권을 사기란 하늘의 별따기 수준에 이르렀다. 실제로 각종 중고거래 사이트에는 해당 식당 2인 예약권을 70만원에 구매하겠다는 글까지 등장했다. 그러나 당초 판매가는 10만원에 불과해 불법 암표 거래의 심각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이같은 불법 암표 거래는 우리 일상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스포츠경기부터 유명 가수 콘서트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8월까지 프로스포츠 암표 신고센터에 접수된 암표 거래 건수는 5만 1,405건으로, 지난 2020년 6,237건과 비교했을 때 8배 가까이 늘었다. 암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대중음악 공연 분야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암표 모니터링센터 통계에 따르면, 공연 분야 암표 신고 건수는 지난 2020년 359건, 2021년 785건, 2022년 4,224건, 지난해 10월까지 1,973건으로 매년 가파르게 늘고 있다.분야를 가리지 않고 암표상이 활개를 칠 수 있게 된 데는 처벌이 턱없이 약했기 때문이다. 암표 판매는 경범죄로 분류돼 2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졌다. 하지만 이마저도 현장에서 이뤄지는 암표 매매에 대해서만 벌금을 부과해 온라인상 암표는 처벌하지 못했다.이에 온·오프라인 상에서 이뤄지는 모든 암표 판매행위에 대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고, 법 개정 논의가 본격화됐다. 이후 부정판매 기준을 보완해 지난 3월, 9월 공연법과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이 이뤄졌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처벌이 대폭 강화된 점으로 암표 거래 시 판매자는 1년 이하 징역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된다. 정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처벌 기준을 이득액 크기별로 세분화하고, 처벌 수위를 현재보다 상향한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이처럼 암표 유통과 관련해 사회적 문제인식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최대한 불법적인 경로를 통한 티켓 거래는 지양해야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암표 거래는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사안이므로 되도록 공식 예매처를 통해 티켓을 예매하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죄에 연루된 경우라면 전문가와 상의를 통해 혐의를 방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사전문보기] - 처벌 수위 높아지는 '불법 암표 거래', 초기 대응이 중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1-07
처벌 수위 높아지는 '불법 암표 거래', 초기 대응이 중요
처벌 수위 높아지는 '불법 암표 거래', 초기 대응이 중요
넷플릭스 요리경연 프로그램 흑백요리사가 인기리에 방영된 후 출연진들의 음식점 예약권이 웃돈에 거래되는 이른바 '암표거래'가 성행하고 있다. 프로그램 최종 우승자 식당 예약에는 11만명이 넘는 이용자가 몰리는 상황까지 발생하면서 예약권을 사기란 하늘의 별따기 수준에 이르렀다. 실제로 각종 중고거래 사이트에는 해당 식당 2인 예약권을 70만원에 구매하겠다는 글까지 등장했다. 그러나 당초 판매가는 10만원에 불과해 불법 암표 거래의 심각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이같은 불법 암표 거래는 우리 일상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스포츠경기부터 유명 가수 콘서트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8월까지 프로스포츠 암표 신고센터에 접수된 암표 거래 건수는 5만 1,405건으로, 지난 2020년 6,237건과 비교했을 때 8배 가까이 늘었다. 암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대중음악 공연 분야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암표 모니터링센터 통계에 따르면, 공연 분야 암표 신고 건수는 지난 2020년 359건, 2021년 785건, 2022년 4,224건, 지난해 10월까지 1,973건으로 매년 가파르게 늘고 있다.분야를 가리지 않고 암표상이 활개를 칠 수 있게 된 데는 처벌이 턱없이 약했기 때문이다. 암표 판매는 경범죄로 분류돼 2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졌다. 하지만 이마저도 현장에서 이뤄지는 암표 매매에 대해서만 벌금을 부과해 온라인상 암표는 처벌하지 못했다.이에 온·오프라인 상에서 이뤄지는 모든 암표 판매행위에 대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고, 법 개정 논의가 본격화됐다. 이후 부정판매 기준을 보완해 지난 3월, 9월 공연법과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이 이뤄졌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처벌이 대폭 강화된 점으로 암표 거래 시 판매자는 1년 이하 징역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된다. 정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처벌 기준을 이득액 크기별로 세분화하고, 처벌 수위를 현재보다 상향한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이처럼 암표 유통과 관련해 사회적 문제인식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최대한 불법적인 경로를 통한 티켓 거래는 지양해야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암표 거래는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사안이므로 되도록 공식 예매처를 통해 티켓을 예매하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죄에 연루된 경우라면 전문가와 상의를 통해 혐의를 방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사전문보기] - 처벌 수위 높아지는 '불법 암표 거래', 초기 대응이 중요 (바로가기)
MBC 등 8곳
2024-11-07
[단독] 검찰, '용인 아파트 전단지 사건' 혐의없음 처분‥"증거 불충분"
[단독] 검찰, '용인 아파트 전단지 사건' 혐의없음 처분‥"증거 불충분"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붙은 게시물을 떼 재물손괴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던 중학생이 혐의없음 처분을 받았습니다.수원지검은 재물손괴 혐의로 송치된 안 모 양에 대해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지난 5일 혐의없음 처분을 통보했습니다.앞서 지난 8월 8일 경기 용인동부경찰서는 용인시 기흥구의 한 아파트에 사는 중학생 안 모 양을 재물손괴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습니다.경찰은 당시 안 모 양이 지난 5월11일 아파트 승강기를 타고 귀가하던 중 거울에 붙어있는 비인가 게시물을 뜯은 것이 재물손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그러나 이후 안 모 양의 아버지는 국민신문고를 통해 "거울에 붙어 시야를 가리는 게시물을 다른 의도 없이 제거한 행위에 재물손괴죄를 적용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상급기관인 경기남부경찰청은 용인동부서의 판단에 추가로 고려할 사항이 있다고 보고, 경찰은 지난 9월 직접 검찰에 보완수사를 요청해 사건을 돌려받아 수사를 이어왔습니다.사건을 담당한 용인동부경찰서 형사과장은 "보완수사 결과 게시물을 뗀 것에 고의가 없다고 판단했다"며 "불송치 의견을 지난달 29일 검찰에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이에 대해 안 모 양 측은 "신고 대상이 되면 법적인 조력 없이는 처벌까지 이뤄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며 "불편함을 야기하는 기계적인 법 적용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중학생 측을 대리해 온 법무법인 대륜의 김다은 변호사는 MBC에 "엘리베이터 내 불법게시물을 떼어 내었다는 이유만으로 전과자가 될 상황에 놓였다는 소식을 듣고 국가의 사법권 행사가 기계적으로 작동했다고 생각했다"며 "어린 학생의 억울함을 풀어줄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전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MBC - [단독] 검찰, '용인 아파트 전단지 사건' 혐의없음 처분‥"증거 불충분" (바로가기)뉴시스 - 승강기 전단지 뜯어 검찰 송치된 여중생, 보완수사 끝 '혐의 없음' (바로가기)이데일리 - 승강기 전단 뜯었다가 '전과자' 될 뻔한 여중생...결말은? (바로가기)남도일보 - 승강기 전단지 뜯어 검찰 송치된 여중생, 보완수사 끝 ‘혐의 없음’ (바로가기)조선일보 - 엘베 게시물 뗐다가 ‘재물손괴’로 검찰 송치된 여중생… 결과는 (바로가기)세계일보 - ‘아파트 전단지’ 뗀 여중생에 검찰 ‘혐의없음’ 처분…전문가 “사법기관 기계적 행동” 지적 (바로가기)동아일보 - “거울 안보여” 전단 뗐다가 ‘재물손괴’…여중생 결국 ‘무혐의’ (바로가기)로리더 - 승강기 전단지 손괴 혐의로 송치된 여중생···결국 ‘혐의없음’ 처분 (바로가기)
MBC 등 8곳
2024-11-07
[단독] 검찰, '용인 아파트 전단지 사건' 혐의없음 처분‥"증거 불충분"
[단독] 검찰, '용인 아파트 전단지 사건' 혐의없음 처분‥"증거 불충분"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붙은 게시물을 떼 재물손괴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던 중학생이 혐의없음 처분을 받았습니다.수원지검은 재물손괴 혐의로 송치된 안 모 양에 대해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지난 5일 혐의없음 처분을 통보했습니다.앞서 지난 8월 8일 경기 용인동부경찰서는 용인시 기흥구의 한 아파트에 사는 중학생 안 모 양을 재물손괴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습니다.경찰은 당시 안 모 양이 지난 5월11일 아파트 승강기를 타고 귀가하던 중 거울에 붙어있는 비인가 게시물을 뜯은 것이 재물손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그러나 이후 안 모 양의 아버지는 국민신문고를 통해 "거울에 붙어 시야를 가리는 게시물을 다른 의도 없이 제거한 행위에 재물손괴죄를 적용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상급기관인 경기남부경찰청은 용인동부서의 판단에 추가로 고려할 사항이 있다고 보고, 경찰은 지난 9월 직접 검찰에 보완수사를 요청해 사건을 돌려받아 수사를 이어왔습니다.사건을 담당한 용인동부경찰서 형사과장은 "보완수사 결과 게시물을 뗀 것에 고의가 없다고 판단했다"며 "불송치 의견을 지난달 29일 검찰에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이에 대해 안 모 양 측은 "신고 대상이 되면 법적인 조력 없이는 처벌까지 이뤄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며 "불편함을 야기하는 기계적인 법 적용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중학생 측을 대리해 온 법무법인 대륜의 김다은 변호사는 MBC에 "엘리베이터 내 불법게시물을 떼어 내었다는 이유만으로 전과자가 될 상황에 놓였다는 소식을 듣고 국가의 사법권 행사가 기계적으로 작동했다고 생각했다"며 "어린 학생의 억울함을 풀어줄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전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MBC - [단독] 검찰, '용인 아파트 전단지 사건' 혐의없음 처분‥"증거 불충분" (바로가기)뉴시스 - 승강기 전단지 뜯어 검찰 송치된 여중생, 보완수사 끝 '혐의 없음' (바로가기)이데일리 - 승강기 전단 뜯었다가 '전과자' 될 뻔한 여중생...결말은? (바로가기)남도일보 - 승강기 전단지 뜯어 검찰 송치된 여중생, 보완수사 끝 ‘혐의 없음’ (바로가기)조선일보 - 엘베 게시물 뗐다가 ‘재물손괴’로 검찰 송치된 여중생… 결과는 (바로가기)세계일보 - ‘아파트 전단지’ 뗀 여중생에 검찰 ‘혐의없음’ 처분…전문가 “사법기관 기계적 행동” 지적 (바로가기)동아일보 - “거울 안보여” 전단 뗐다가 ‘재물손괴’…여중생 결국 ‘무혐의’ (바로가기)로리더 - 승강기 전단지 손괴 혐의로 송치된 여중생···결국 ‘혐의없음’ 처분 (바로가기)
머니S
2024-11-07
형제 사는 집에 수 차례 쪽지 붙인 남성… 검찰 "스토킹 아냐"
형제 사는 집에 수 차례 쪽지 붙인 남성… 검찰 "스토킹 아냐"
남성 A씨, 스토킹처벌법 위반 등 혐의로 검찰 송치검찰 "쪽지에 위협적인 내용 없어" 불기소 처분 형제들이 사는 집에 여러 차례 찾아가 쪽지를 붙인 남성이 스토킹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지만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수원지검 안산지청은 지난달 18일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를 받는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다.A씨는 지난 2022년 11월부터 1년6개월여 동안 자기 형제들이 사는 거주지를 찾아가 대문에 여러 차례 쪽지를 붙인 혐의 등으로 수사를 받았다.수사 과정에서 A씨는 "큰 누나가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다른 형제들로부터 사실상 방치됐고, 그 때문에 길거리를 전전하고 다니는 모습을 자주 보여 안부를 확인하기 위해 방문했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하지만 경찰은 A씨에게 스토킹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고 사건을 검찰로 넘겼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A씨가 남긴 쪽지를 검토한 결과 누나의 안부를 걱정하거나 다음 방문 일시를 알려주는 내용일 뿐 위협적인 내용은 없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검찰은 또 해당 주거지를 둘러싸고 형제들 사이에 상속 관련 분쟁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피해자들 역시 신고 당시까지 피의자에게 찾아오지 말라는 명시적인 의사 표현을 하지 않은 점 등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두연 변호사는 "스토킹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정당한 이유' 없이 행위가 이뤄졌는지, 또 피해자에게 '공포심'을 줄 만한 정도였는지 등이 명확히 입증돼야 한다"며 "A씨의 경우 안부를 묻는 쪽지를 남겼을 뿐 위협적인 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스토킹 처벌법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가족 또는 이웃 사이에 발생한 분쟁에도 스토킹 혐의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며 "스토킹과 관련된 사회적 인식이 보다 더 엄격해진 만큼 관련 혐의를 받고 있다면 전문가로부터 반드시 조력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형제 사는 집에 수 차례 쪽지 붙인 남성… 검찰 "스토킹 아냐" (바로가기)
머니S
2024-11-07
형제 사는 집에 수 차례 쪽지 붙인 남성… 검찰 "스토킹 아냐"
형제 사는 집에 수 차례 쪽지 붙인 남성… 검찰 "스토킹 아냐"
남성 A씨, 스토킹처벌법 위반 등 혐의로 검찰 송치검찰 "쪽지에 위협적인 내용 없어" 불기소 처분 형제들이 사는 집에 여러 차례 찾아가 쪽지를 붙인 남성이 스토킹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지만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수원지검 안산지청은 지난달 18일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를 받는 A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다.A씨는 지난 2022년 11월부터 1년6개월여 동안 자기 형제들이 사는 거주지를 찾아가 대문에 여러 차례 쪽지를 붙인 혐의 등으로 수사를 받았다.수사 과정에서 A씨는 "큰 누나가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다른 형제들로부터 사실상 방치됐고, 그 때문에 길거리를 전전하고 다니는 모습을 자주 보여 안부를 확인하기 위해 방문했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하지만 경찰은 A씨에게 스토킹의 고의가 있었다고 보고 사건을 검찰로 넘겼다.검찰은 A씨에게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A씨가 남긴 쪽지를 검토한 결과 누나의 안부를 걱정하거나 다음 방문 일시를 알려주는 내용일 뿐 위협적인 내용은 없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검찰은 또 해당 주거지를 둘러싸고 형제들 사이에 상속 관련 분쟁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피해자들 역시 신고 당시까지 피의자에게 찾아오지 말라는 명시적인 의사 표현을 하지 않은 점 등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A씨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두연 변호사는 "스토킹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정당한 이유' 없이 행위가 이뤄졌는지, 또 피해자에게 '공포심'을 줄 만한 정도였는지 등이 명확히 입증돼야 한다"며 "A씨의 경우 안부를 묻는 쪽지를 남겼을 뿐 위협적인 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스토킹 처벌법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가족 또는 이웃 사이에 발생한 분쟁에도 스토킹 혐의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며 "스토킹과 관련된 사회적 인식이 보다 더 엄격해진 만큼 관련 혐의를 받고 있다면 전문가로부터 반드시 조력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형제 사는 집에 수 차례 쪽지 붙인 남성… 검찰 "스토킹 아냐"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06
1억2천 피해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징역 2년 3월’·법정구속
1억2천 피해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징역 2년 3월’·법정구속
피해자 대부분 서민들, 전 재산 사기 당하기도신정일 부장판사 “범행 완성에 필수적 현금수거책 역할···엄중 처벌 불가피”피해자 법률대리인 “서민 노린 범죄 피해 극심···사기의 고의성 입증 사례”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조직의 현금수거책을 맡아 약 1억2천만 원의 금전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 조직원에게 중형을 선고하면서 법정구속한 판결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제1형사부(신정일 부장판사)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보이스피싱 조직원 A씨에게 지난달 16일 '징역 2년 3월'의 형을 선고하면서 법정구속했다.A씨는 2023년 8월경부터 12월경까지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의 현금수거책으로 활동해 전기통신금융사기 혐의를 받았다.A씨는 “금융감독원 김영주 과장이다. 당신 명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김수길 검사다. 명의도용 피해자임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직원을 보낼 테니 현금을 전달하라”는 등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전화 거짓말에 속은 피해자 B씨 등 4명으로부터 각각 현금 수천만 원을 전달받아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에 건넸다.이러한 방식으로 A씨가 편취한 돈은 총 1억1천8백만 원에 달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재판부는 A씨를 유죄로 판단하면서 “보이스피싱 범행은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를 상대로 계획적,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로 방대한 피해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킨다”면서, “비록 피고인이 범행을 주도하지 않았더라도 범행의 완성에 필수적인 현금수거책 역할을 수행한 이상 그에 상응하는 엄중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양형의 이유를 밝혔다.이 사건의 피해자 B씨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종현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사기범죄로 재판장에 서는 가해자들은 보통 말단 조직원인데, 이 경우 범죄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혐의를 방어한다. 하지만 피해자는 범죄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피해자는 대부분 서민들로 범죄 발생 이후 피해 회복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이번 사건 피해자도 전 재산을 사기 당한 케이스다”라고 밝혔다.이종현 변호사는 이어 “이 사건 피고인의 경우 SNS를 통해 다른 공범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왔는데, 이를 토대로 단순 아르바이트가 아님을 강조했다”면서, “재판부 역시 피고인 행위에 사기의 고의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1억2천 피해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징역 2년 3월’·법정구속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06
1억2천 피해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징역 2년 3월’·법정구속
1억2천 피해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징역 2년 3월’·법정구속
피해자 대부분 서민들, 전 재산 사기 당하기도신정일 부장판사 “범행 완성에 필수적 현금수거책 역할···엄중 처벌 불가피”피해자 법률대리인 “서민 노린 범죄 피해 극심···사기의 고의성 입증 사례”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조직의 현금수거책을 맡아 약 1억2천만 원의 금전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 조직원에게 중형을 선고하면서 법정구속한 판결이 나왔다.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제1형사부(신정일 부장판사)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보이스피싱 조직원 A씨에게 지난달 16일 '징역 2년 3월'의 형을 선고하면서 법정구속했다.A씨는 2023년 8월경부터 12월경까지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의 현금수거책으로 활동해 전기통신금융사기 혐의를 받았다.A씨는 “금융감독원 김영주 과장이다. 당신 명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김수길 검사다. 명의도용 피해자임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직원을 보낼 테니 현금을 전달하라”는 등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전화 거짓말에 속은 피해자 B씨 등 4명으로부터 각각 현금 수천만 원을 전달받아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에 건넸다.이러한 방식으로 A씨가 편취한 돈은 총 1억1천8백만 원에 달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재판부는 A씨를 유죄로 판단하면서 “보이스피싱 범행은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를 상대로 계획적,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로 방대한 피해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킨다”면서, “비록 피고인이 범행을 주도하지 않았더라도 범행의 완성에 필수적인 현금수거책 역할을 수행한 이상 그에 상응하는 엄중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양형의 이유를 밝혔다.이 사건의 피해자 B씨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종현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사기범죄로 재판장에 서는 가해자들은 보통 말단 조직원인데, 이 경우 범죄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혐의를 방어한다. 하지만 피해자는 범죄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피해자는 대부분 서민들로 범죄 발생 이후 피해 회복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이번 사건 피해자도 전 재산을 사기 당한 케이스다”라고 밝혔다.이종현 변호사는 이어 “이 사건 피고인의 경우 SNS를 통해 다른 공범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왔는데, 이를 토대로 단순 아르바이트가 아님을 강조했다”면서, “재판부 역시 피고인 행위에 사기의 고의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1억2천 피해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징역 2년 3월’·법정구속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06
헐값에 ‘길몽’ 판 아내, 남편은 10억 당첨…당첨금 주인은 누구?
헐값에 ‘길몽’ 판 아내, 남편은 10억 당첨…당첨금 주인은 누구?
자신이 꾼 ‘길몽’(좋은 꿈) 덕에 남편이 복권 1등에 당첨돼 소유권을 묻는 질문이 전해졌다. 전문가는 “당첨금은 남편의 것”이라며 길몽을 헐값에 판 아내에게 위로를 건넸다. 앞선 4일 JTBC에는 이같은 내용의 사연이 전해다. 이날 사연에 따르면 여성 A씨는 남편 B씨와 남부러운 것 없는 결혼 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문제라면 남편이 너무 짠돌이라는 것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라고 A씨는 말했다. 그러던 어느 날 A씨는 길몽을 꾸게 됐고, 이 이야기를 남편에게 하니 “자신에게 꿈을 팔라”고 했다. 남편의 제안에 A씨는 꿈을 단돈 몇만 원에 팔았는데, 남편은 즉석 복권 1등에 당첨돼 10억원을 받게 됐다.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된다. B씨는 복권 당첨 사실을 숨겼다. 그는 자신의 부모님에게는 물론 가족에게도 비밀로 했고, 되레 평소보다 생활비를 더 줄이며 더욱 구두쇠 같은 모습을 보였다고 A씨는 주장한다. 그는 B씨에게 “이젠 돈도 많으니 가방 하나만 사달라”고 하자 “이 돈은 노후 자금이라 안 된다”며 단호히 거절했다. 반면 남편은 친구에겐 너그러웠다. A씨는 길을 가던 중 우연히 남편의 친구를 만났는데, 그 친구가 “덕분에 급한 불을 끄게 됐다”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고 한다. 남편이 친구에게 2억을 빌려줬던 것이다. 이 일로 서운함을 느낀 A씨는 남편과 결국 부부싸움을 벌이게 됐다. A씨는 남편에게 서운함을 토로했다. 하지만 남편은 “부부간 복권 당첨금은 노터치”라며 A씨의 하소연을 일축했다.A씨는 “남편이 수령한 복권 1등 당첨금에 저는 아무런 권한이 없나”라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이 사연에 대해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핵심은 인과관계로 살피면 좋을 거 같다”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 정서상 꿈을 판다는 건 납득이 되는 부분이지만 로또를 구매한 것과 인과관계는 없다”고 짚었다. 이어 “복권 당첨에 대한 기여도를 살필 때 결과에 대해 행위나 노력 등이 들어갔을 경우 인정된다”면서 “단순 꿈을 꿨다고 기여했다곤 볼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꿈과 로또 당첨을 연관 짓는 건 미신적인 부분이라며 인과관계가 없다. 복권 당첨금은 남편의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복권 당첨금은 이혼 시 재산분할 대상도 안 된다. 만약 좋을 꿈을 꿨다면 팔기보다 복권을 구매해 1등 당첨을 노리는 게 좋겠다. [기사전문보기] - 헐값에 ‘길몽’ 판 아내, 남편은 10억 당첨…당첨금 주인은 누구?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11-06
헐값에 ‘길몽’ 판 아내, 남편은 10억 당첨…당첨금 주인은 누구?
헐값에 ‘길몽’ 판 아내, 남편은 10억 당첨…당첨금 주인은 누구?
자신이 꾼 ‘길몽’(좋은 꿈) 덕에 남편이 복권 1등에 당첨돼 소유권을 묻는 질문이 전해졌다. 전문가는 “당첨금은 남편의 것”이라며 길몽을 헐값에 판 아내에게 위로를 건넸다. 앞선 4일 JTBC에는 이같은 내용의 사연이 전해다. 이날 사연에 따르면 여성 A씨는 남편 B씨와 남부러운 것 없는 결혼 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문제라면 남편이 너무 짠돌이라는 것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라고 A씨는 말했다. 그러던 어느 날 A씨는 길몽을 꾸게 됐고, 이 이야기를 남편에게 하니 “자신에게 꿈을 팔라”고 했다. 남편의 제안에 A씨는 꿈을 단돈 몇만 원에 팔았는데, 남편은 즉석 복권 1등에 당첨돼 10억원을 받게 됐다.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된다. B씨는 복권 당첨 사실을 숨겼다. 그는 자신의 부모님에게는 물론 가족에게도 비밀로 했고, 되레 평소보다 생활비를 더 줄이며 더욱 구두쇠 같은 모습을 보였다고 A씨는 주장한다. 그는 B씨에게 “이젠 돈도 많으니 가방 하나만 사달라”고 하자 “이 돈은 노후 자금이라 안 된다”며 단호히 거절했다. 반면 남편은 친구에겐 너그러웠다. A씨는 길을 가던 중 우연히 남편의 친구를 만났는데, 그 친구가 “덕분에 급한 불을 끄게 됐다”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고 한다. 남편이 친구에게 2억을 빌려줬던 것이다. 이 일로 서운함을 느낀 A씨는 남편과 결국 부부싸움을 벌이게 됐다. A씨는 남편에게 서운함을 토로했다. 하지만 남편은 “부부간 복권 당첨금은 노터치”라며 A씨의 하소연을 일축했다.A씨는 “남편이 수령한 복권 1등 당첨금에 저는 아무런 권한이 없나”라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이 사연에 대해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핵심은 인과관계로 살피면 좋을 거 같다”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 정서상 꿈을 판다는 건 납득이 되는 부분이지만 로또를 구매한 것과 인과관계는 없다”고 짚었다. 이어 “복권 당첨에 대한 기여도를 살필 때 결과에 대해 행위나 노력 등이 들어갔을 경우 인정된다”면서 “단순 꿈을 꿨다고 기여했다곤 볼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꿈과 로또 당첨을 연관 짓는 건 미신적인 부분이라며 인과관계가 없다. 복권 당첨금은 남편의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복권 당첨금은 이혼 시 재산분할 대상도 안 된다. 만약 좋을 꿈을 꿨다면 팔기보다 복권을 구매해 1등 당첨을 노리는 게 좋겠다. [기사전문보기] - 헐값에 ‘길몽’ 판 아내, 남편은 10억 당첨…당첨금 주인은 누구?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04
대법원 “학생 팔 끌어올렸다고 학대신고···정당한 교육” 판결 의미
대법원 “학생 팔 끌어올렸다고 학대신고···정당한 교육” 판결 의미
최근 발표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6월까지 접수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159건으로 집계됐다. 수사기관은 이 중 약 70%에 해당하는 111건을 불기소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사가 기소된 사례는 24건으로 15%를 기록했다.이처럼 교육 현장에서 여전히 ‘아동학대’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대법원에서 관련 판결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사건의 경위는 이렇다. A교사는 지난 2019년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아프면 어떻게 하지’라는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 수업은 학생들이 모둠을 구성해 토의를 하고, 모둠 대표가 관련 내용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B학생이 속한 모둠은 가위바위보를 통해 발표자를 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B학생이 발표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이에 불만을 가진 B학생은 토라진 채 발표를 하지 않았고, 이후 수업에서 이뤄진 다른 활동 역시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그렇게 점심시간이 됐고, A교사는 B학생에게 급식실로 이동할 것을 지시했지만 B학생은 이를 따르지 않았다. 이에 A교사는 B학생에게 다가가 “야 일어나”라고 말하며, 팔을 잡아 일으키려 시도했다. 그러나 B학생은 요지부동이었다. 결국 A교사는 B학생의 어머니에게 전화를 걸어 “아이가 고집을 피우고 버텨 다칠까 봐 힘을 쓸 수가 없다”고 설명하며, 어머니의 동의에 따라 B학생을 교실에 둔 채 급식실로 이동했다.원심법원은 A교사가 B학생의 팔을 잡아 들어 올린 것이 학대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대화나 비신체적인 제재 등 다른 교육적 수단을 통한 훈육이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면서 재판부는 A교사에게 벌금 100만 원과 아동학대 치료 프로그램 40시간 이수 명령을 내렸다.하지만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원심판결을 파기해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돌려보낸 것이다. 대법원은 A교사의 이러한 행위를 교육의 일환으로 해석했다. 팔을 끌어올리려 한 행위는 학생에게 필수적인 교육활동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이뤄졌기 때문에 타당한 지도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대법원은 피고인이 교사로서 가지는 합리적인 재량의 범위 안에서 적절한 지도 방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대법원은 이번 판결을 통해 ‘교사가 학생에게 일부 신체적 고통을 느끼게 했더라도, 그 행위가 교육의 범위 내에 있다면 학대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는 교사의 교육 행위를 판단할 때, 아동복지법뿐만 아니라 교육기본법 등 관련 법령까지 폭넓게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교사의 재량권을 인정한 본 판결은 추후 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아동학대 관련 소송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기사전문보기] - 대법원 “학생 팔 끌어올렸다고 학대신고···정당한 교육” 판결 의미 (바로가기)
로리더
2024-11-04
대법원 “학생 팔 끌어올렸다고 학대신고···정당한 교육” 판결 의미
대법원 “학생 팔 끌어올렸다고 학대신고···정당한 교육” 판결 의미
최근 발표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6월까지 접수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159건으로 집계됐다. 수사기관은 이 중 약 70%에 해당하는 111건을 불기소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사가 기소된 사례는 24건으로 15%를 기록했다.이처럼 교육 현장에서 여전히 ‘아동학대’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대법원에서 관련 판결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사건의 경위는 이렇다. A교사는 지난 2019년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아프면 어떻게 하지’라는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 수업은 학생들이 모둠을 구성해 토의를 하고, 모둠 대표가 관련 내용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B학생이 속한 모둠은 가위바위보를 통해 발표자를 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B학생이 발표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이에 불만을 가진 B학생은 토라진 채 발표를 하지 않았고, 이후 수업에서 이뤄진 다른 활동 역시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그렇게 점심시간이 됐고, A교사는 B학생에게 급식실로 이동할 것을 지시했지만 B학생은 이를 따르지 않았다. 이에 A교사는 B학생에게 다가가 “야 일어나”라고 말하며, 팔을 잡아 일으키려 시도했다. 그러나 B학생은 요지부동이었다. 결국 A교사는 B학생의 어머니에게 전화를 걸어 “아이가 고집을 피우고 버텨 다칠까 봐 힘을 쓸 수가 없다”고 설명하며, 어머니의 동의에 따라 B학생을 교실에 둔 채 급식실로 이동했다.원심법원은 A교사가 B학생의 팔을 잡아 들어 올린 것이 학대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대화나 비신체적인 제재 등 다른 교육적 수단을 통한 훈육이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면서 재판부는 A교사에게 벌금 100만 원과 아동학대 치료 프로그램 40시간 이수 명령을 내렸다.하지만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원심판결을 파기해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돌려보낸 것이다. 대법원은 A교사의 이러한 행위를 교육의 일환으로 해석했다. 팔을 끌어올리려 한 행위는 학생에게 필수적인 교육활동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이뤄졌기 때문에 타당한 지도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대법원은 피고인이 교사로서 가지는 합리적인 재량의 범위 안에서 적절한 지도 방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대법원은 이번 판결을 통해 ‘교사가 학생에게 일부 신체적 고통을 느끼게 했더라도, 그 행위가 교육의 범위 내에 있다면 학대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는 교사의 교육 행위를 판단할 때, 아동복지법뿐만 아니라 교육기본법 등 관련 법령까지 폭넓게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교사의 재량권을 인정한 본 판결은 추후 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아동학대 관련 소송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기사전문보기] - 대법원 “학생 팔 끌어올렸다고 학대신고···정당한 교육” 판결 의미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등 2곳
2024-11-04
'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재판부 판단은 '무죄'
'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재판부 판단은 '무죄'
회식 자리에서 직장동료를 추행한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에 대해 무죄가 선고됐습니다."피해자의 증언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는 게 재판부의 판단입니다.4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은 지난달 15일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살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1월 경기 평택시의 한 노래방에서 같은 회사 동료인 52살 B씨를 강제로 추행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경찰 조사에서 B씨는 명백한 거부 의사에도 불구하고 A씨가 뒤에서 껴안는 등 스킨십을 시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성적 혐오감 등을 일으키게 하는 행위를 한 적이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고, 함께 회식 자리에 있던 동료들도 A씨의 추행을 목격한 적이 없다고 진술했습니다.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피해자의 고소 내용이 객관적 사실에 반하며, 피고인에게 추행의 고의를 인정할 만한 부분이 없다"면서 당시 회식 참석자에 대한 진술서, 사실확인서 등을 증거로 제출했습니다.재판부 또한 "피해자 진술에 따르면 피고인의 추행으로 피해자가 소리를 지르는 등 심각한 상황이 벌어졌다는 것인데 이를 목격한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객관적인 사정을 살펴 피고인이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시했습니다.해당 사건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의 강은혜 변호사는 "강제추행 혐의는 상대방 의사에 반해 폭행이나 협박을 통해 추행할 경우 성립된다. 특히 성범죄 자체가 증거 수집이 어렵기 때문에 피해자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며 "추행 성립 기준이 완화돼 처벌 범위 역시 넓어졌기 때문에 억울하게 추행범으로 몰렸다면 사건 초기부터 전문가의 체계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KBC광주방송 - '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재판부 판단은 '무죄' (바로가기)세계일보 - 여성의 일관된 주장 안 통했다…'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무죄’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등 2곳
2024-11-04
'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재판부 판단은 '무죄'
'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재판부 판단은 '무죄'
회식 자리에서 직장동료를 추행한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에 대해 무죄가 선고됐습니다."피해자의 증언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는 게 재판부의 판단입니다.4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은 지난달 15일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50살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A씨는 지난 1월 경기 평택시의 한 노래방에서 같은 회사 동료인 52살 B씨를 강제로 추행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경찰 조사에서 B씨는 명백한 거부 의사에도 불구하고 A씨가 뒤에서 껴안는 등 스킨십을 시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나 A씨는 성적 혐오감 등을 일으키게 하는 행위를 한 적이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고, 함께 회식 자리에 있던 동료들도 A씨의 추행을 목격한 적이 없다고 진술했습니다.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피해자의 고소 내용이 객관적 사실에 반하며, 피고인에게 추행의 고의를 인정할 만한 부분이 없다"면서 당시 회식 참석자에 대한 진술서, 사실확인서 등을 증거로 제출했습니다.재판부 또한 "피해자 진술에 따르면 피고인의 추행으로 피해자가 소리를 지르는 등 심각한 상황이 벌어졌다는 것인데 이를 목격한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객관적인 사정을 살펴 피고인이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시했습니다.해당 사건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의 강은혜 변호사는 "강제추행 혐의는 상대방 의사에 반해 폭행이나 협박을 통해 추행할 경우 성립된다. 특히 성범죄 자체가 증거 수집이 어렵기 때문에 피해자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며 "추행 성립 기준이 완화돼 처벌 범위 역시 넓어졌기 때문에 억울하게 추행범으로 몰렸다면 사건 초기부터 전문가의 체계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KBC광주방송 - '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재판부 판단은 '무죄' (바로가기)세계일보 - 여성의 일관된 주장 안 통했다…'동료 직원 추행' 혐의 50대 '무죄’ (바로가기)
MBN
2024-1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850759?sid=102
"대기업 총수가 이웃이면 견뎌야 하나요, 소음 공해" [올댓체크]
총수 자택 앞 민폐 시위에 주민 '고충' “밤낮 구분 없이 이어지는 확성기 소음 때문에 아이들이 잠을 못 자고 있어요” 최근 고위 공직자나 기업인 자택 앞에서 자극적인 내용의 현수막과 욕설, 상복을 입고 장송곡을 부르는 등 ‘민폐 시위’가 증가하면서, 인근 주민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올해 중순, 충남 천안의 일부 조합원들은 서울 삼성동의 한 기업 총수 자택 앞에서 공사비 인상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고, 현대트랜시스 노조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자택 앞에서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심지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자택 앞에서는 빈 집을 대상으로 한 시위도 있었습니다.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택 앞 시위로 인해 피해를 겪은 주민들이 “소음 신고 외에는 소용이 없다”,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거슬린다”, “욕설도 들려서 아이가 들을까 겁난다”며 피해를 호소하는 글이 다수 올라와 있습니다.이처럼 주민들은 주거지에서의 시위가 평온한 생활을 방해하고 ‘불법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고 비판하는 반면, 시위자들은 정당한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는 것이라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에 누리꾼들도 엇갈린 반응을 내놓고 있습니다. 일부는 “주택가에서의 집회는 원천금지 시켜야 한다”, “자택 앞에서 대체 뭐하는 행동?”, “주거지역은 안되지 공장 앞이라면 모를까”, “집회의 자유와 함께 모든 일반 국민들이 방해받지 않고 조용하게 인간답게 살 권리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또한 “표현의 자유가 지켜져야 한다”, “집시법은 민주화운동권의 주권이다”, “본사 앞에서 백날 해봐야 아무도 만나주지도 않다가 회장님 집앞에 가면 바로 비서실에서 전화온다. 기업 문화가 만든 시위문화다”라며 시위자들의 권리를 지지하는 반응도 있었습니다.자택 앞까지 찾아가 시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회사에서는 경비가 있고 경계가 심하지만 자택은 그렇지 않아 시위 대상자가 직접적이고 심각한 위협을 느낄 수 있다"며 "집은 사적인 공간으로, 상대에게 더 위협적이며 메시지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장소"라고 시위 대상이 책임감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하는 의도가 포함돼 있다고 분석했습니다.곽 교수는 특히 "회사 시위는 다수의 책임으로 분산되지만, 집 앞 시위는 온전히 상대방 개인의 몫이 되기 때문에 더 큰 심리적 압박을 느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헌법 제21조 제1항은 모든 국민에게 집회와 시위의 자유를 보장하며,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에 따라 시위는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운영됩니다. 그러나 헌법 제37조 제2항은 공공의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이 권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국가적 안전이나 공공질서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경우 일부 제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즉, 자택 앞 시위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어려우나, 소음 정도나 시간대 등을 제한할 수는 있다는 겁니다.지난 8월 개정된 집시법 시행령에서는 주거지역 등에서의 소음 기준치를 한층 강화해, 등가소음 기준 주간 60dB, 야간 50dB, 심야(자정~오전 7시)에는 45dB 이하로, 최고소음 기준으로 주간 80dB, 야간 70dB, 심야 65dB 이하로 낮췄습니다.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의 기준에 따르면, 80dB은 지하철이 지나가는 소음 정도, 65dB는 사람이 많이 모인 카페에서의 대화 소리 정도, 60dB는 사무실에서 사람들과 대화하는 소음 수준입니다. 국내 환경부는 65dB 이하를 주거지의 낮 시간대 소음 기준으로 제시하며, 이를 넘어갈 경우 주민들의 불편이 커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주거지에서의 시위를 막을 방법은 없는 걸까요?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주거지에서의 시위를 완전히 차단할 방법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며 "주민들이 소음으로 인한 피해 보상을 받으려면 민사소송을 통해야 하며, 이는 집시법에서 정한 기준 데시벨을 초과했을 때만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65dB도 지속되면 상당히 불편할 수 있으므로, 향후에는 데시벨 기준을 더욱 낮추거나 주거지역에서는 확성기 사용을 금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대기업 총수가 이웃이면 견뎌야 하나요, 소음 공해" [올댓체크] (바로가기)
MBN
2024-1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850759?sid=102
"대기업 총수가 이웃이면 견뎌야 하나요, 소음 공해" [올댓체크]
총수 자택 앞 민폐 시위에 주민 '고충' “밤낮 구분 없이 이어지는 확성기 소음 때문에 아이들이 잠을 못 자고 있어요” 최근 고위 공직자나 기업인 자택 앞에서 자극적인 내용의 현수막과 욕설, 상복을 입고 장송곡을 부르는 등 ‘민폐 시위’가 증가하면서, 인근 주민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올해 중순, 충남 천안의 일부 조합원들은 서울 삼성동의 한 기업 총수 자택 앞에서 공사비 인상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고, 현대트랜시스 노조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자택 앞에서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심지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자택 앞에서는 빈 집을 대상으로 한 시위도 있었습니다.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택 앞 시위로 인해 피해를 겪은 주민들이 “소음 신고 외에는 소용이 없다”,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거슬린다”, “욕설도 들려서 아이가 들을까 겁난다”며 피해를 호소하는 글이 다수 올라와 있습니다.이처럼 주민들은 주거지에서의 시위가 평온한 생활을 방해하고 ‘불법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고 비판하는 반면, 시위자들은 정당한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는 것이라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에 누리꾼들도 엇갈린 반응을 내놓고 있습니다. 일부는 “주택가에서의 집회는 원천금지 시켜야 한다”, “자택 앞에서 대체 뭐하는 행동?”, “주거지역은 안되지 공장 앞이라면 모를까”, “집회의 자유와 함께 모든 일반 국민들이 방해받지 않고 조용하게 인간답게 살 권리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또한 “표현의 자유가 지켜져야 한다”, “집시법은 민주화운동권의 주권이다”, “본사 앞에서 백날 해봐야 아무도 만나주지도 않다가 회장님 집앞에 가면 바로 비서실에서 전화온다. 기업 문화가 만든 시위문화다”라며 시위자들의 권리를 지지하는 반응도 있었습니다.자택 앞까지 찾아가 시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회사에서는 경비가 있고 경계가 심하지만 자택은 그렇지 않아 시위 대상자가 직접적이고 심각한 위협을 느낄 수 있다"며 "집은 사적인 공간으로, 상대에게 더 위협적이며 메시지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장소"라고 시위 대상이 책임감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하는 의도가 포함돼 있다고 분석했습니다.곽 교수는 특히 "회사 시위는 다수의 책임으로 분산되지만, 집 앞 시위는 온전히 상대방 개인의 몫이 되기 때문에 더 큰 심리적 압박을 느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헌법 제21조 제1항은 모든 국민에게 집회와 시위의 자유를 보장하며,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에 따라 시위는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운영됩니다. 그러나 헌법 제37조 제2항은 공공의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이 권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국가적 안전이나 공공질서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경우 일부 제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즉, 자택 앞 시위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어려우나, 소음 정도나 시간대 등을 제한할 수는 있다는 겁니다.지난 8월 개정된 집시법 시행령에서는 주거지역 등에서의 소음 기준치를 한층 강화해, 등가소음 기준 주간 60dB, 야간 50dB, 심야(자정~오전 7시)에는 45dB 이하로, 최고소음 기준으로 주간 80dB, 야간 70dB, 심야 65dB 이하로 낮췄습니다.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의 기준에 따르면, 80dB은 지하철이 지나가는 소음 정도, 65dB는 사람이 많이 모인 카페에서의 대화 소리 정도, 60dB는 사무실에서 사람들과 대화하는 소음 수준입니다. 국내 환경부는 65dB 이하를 주거지의 낮 시간대 소음 기준으로 제시하며, 이를 넘어갈 경우 주민들의 불편이 커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주거지에서의 시위를 막을 방법은 없는 걸까요?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주거지에서의 시위를 완전히 차단할 방법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며 "주민들이 소음으로 인한 피해 보상을 받으려면 민사소송을 통해야 하며, 이는 집시법에서 정한 기준 데시벨을 초과했을 때만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65dB도 지속되면 상당히 불편할 수 있으므로, 향후에는 데시벨 기준을 더욱 낮추거나 주거지역에서는 확성기 사용을 금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대기업 총수가 이웃이면 견뎌야 하나요, 소음 공해" [올댓체크] (바로가기)
교수신문 등 7곳
2024-11-01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재학생 실무경험 제공 및 공동연구 · 학술세미나 개최 등 법률연구 및 교육활성화 도모 위해 업무협약 체결인천대학교 법학부와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인재양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월 31일 오후 2시 인천대학교 대학본부 502호실에서 인천대 노영돈 대외협력부총장·이충훈 법학부장·진도왕 교수와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변 호사·이광우 최고총괄변호사·임성원 변호사가 참석한 가운데 양 기관이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상호간 협력적 발전을 도모하기로 뜻을 모았다. 세부적으로 대륜측은 인천대 법학부 학생들에게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박람회와 인턴쉽 프로그램 참여 등에 대해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이어 인천대학교 법학부와 대륜의 공동연구 및 학술세미나 개최·초청강연 등을 통해 법률 연구 및 교육 활성화에 적극 나서기로 하였으며, 법률자문과 무료 법률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로 했다. 이날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인천대학교 노영돈 대외협력부총장은“법학을 전공하는 재학생들과 교류하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멀리서 발걸음한 법무법인 김국일 대표변호사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금일 협약을 통해 상호실천이 뒷받침되는 프로그램을 성사 시키도록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이에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변호사는“금일 인천대학교 방문이 처음인데 마치 미국의 어느 공과대학 같은 차분하고 쾌적한 캠퍼스가 인상적”이라면서, “법무법인 대륜의 대중성과 접근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인천대 법학부와 상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만전을 다하겠다”고 하였다.인천대학교 이충훈 법학부장은 “법무법인 대륜과의 업무협약이 법학부 재학생들의 전공능력 강화와 진로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올 겨울 방학 때부터 인턴십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교수신문 -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바로가기)경인방송 - 인천대 법학부·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 '맞손' (바로가기)시민일보 - 인천대 법학부-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 (바로가기)일간투데이 - 인천대 법학부, 법무법인 대륜과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바로가기)컨슈머타임스 - 인천대 법학부, 법무법인 대륜과 '인재양성·법률연구' 맞손 (바로가기)경기매일 -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바로가기)미디어인천신문 - 인천대 법학부-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 업무협약 (바로가기)
교수신문 등 7곳
2024-11-01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재학생 실무경험 제공 및 공동연구 · 학술세미나 개최 등 법률연구 및 교육활성화 도모 위해 업무협약 체결인천대학교 법학부와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인재양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월 31일 오후 2시 인천대학교 대학본부 502호실에서 인천대 노영돈 대외협력부총장·이충훈 법학부장·진도왕 교수와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변 호사·이광우 최고총괄변호사·임성원 변호사가 참석한 가운데 양 기관이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상호간 협력적 발전을 도모하기로 뜻을 모았다. 세부적으로 대륜측은 인천대 법학부 학생들에게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박람회와 인턴쉽 프로그램 참여 등에 대해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이어 인천대학교 법학부와 대륜의 공동연구 및 학술세미나 개최·초청강연 등을 통해 법률 연구 및 교육 활성화에 적극 나서기로 하였으며, 법률자문과 무료 법률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로 했다. 이날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인천대학교 노영돈 대외협력부총장은“법학을 전공하는 재학생들과 교류하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멀리서 발걸음한 법무법인 김국일 대표변호사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금일 협약을 통해 상호실천이 뒷받침되는 프로그램을 성사 시키도록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이에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변호사는“금일 인천대학교 방문이 처음인데 마치 미국의 어느 공과대학 같은 차분하고 쾌적한 캠퍼스가 인상적”이라면서, “법무법인 대륜의 대중성과 접근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인천대 법학부와 상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만전을 다하겠다”고 하였다.인천대학교 이충훈 법학부장은 “법무법인 대륜과의 업무협약이 법학부 재학생들의 전공능력 강화와 진로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올 겨울 방학 때부터 인턴십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교수신문 -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바로가기)경인방송 - 인천대 법학부·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 '맞손' (바로가기)시민일보 - 인천대 법학부-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 (바로가기)일간투데이 - 인천대 법학부, 법무법인 대륜과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바로가기)컨슈머타임스 - 인천대 법학부, 법무법인 대륜과 '인재양성·법률연구' 맞손 (바로가기)경기매일 - 인천대 법학부와 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과 법률연구 동행한다 (바로가기)미디어인천신문 - 인천대 법학부-법무법인 대륜, 인재양성 업무협약 (바로가기)
머니S
2024-10-30
'사기 혐의' 1심서 집행유예 받은 60대… 2심 '무죄' 원심 뒤집혀
'사기 혐의' 1심서 집행유예 받은 60대… 2심 '무죄' 원심 뒤집혀
한 상가에 동일한 진료과목의 병원이 입점할 수 없음에도 이를 숨기고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혐의로 기소된 60대 여성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서울서부지법 제2-1형사부(부장판사 이주현)는 지난 8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60대 A씨에게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한 1심 판결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의사이자 상가 소유주로 지난 2018년 치과의사 B씨와 건물 내 일부 호실을 임대하는 계약을 맺고 보증금 명목으로 5000만 원을 받았다.그러나 '동일 업종제한 약정'이 B씨의 발목을 잡았다. 당시 건물에는 이미 다른 치과병원이 입점 돼 있었는데 해당 병원 의사가 B씨에게 개원 중단을 요구하며 영업금지 가처분 신청 소송을 제기했다.이에 B씨는 A씨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같은 진료과목의 병원이 한 건물에 입점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이를 숨긴 채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는 것이다. B씨는 계약 당시 A씨에게 "다른 층에 치과가 있는데, 또 들어가도 괜찮냐"며 우려를 표했음에도 A씨가 "가능하다"고 답변했다고도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20여 년 전 다른 동업자와 병원 설립을 약속하며 해당 호실을 공동 분양 받았는데, 당시 동업자가 분양계약서를 관리해 관련 약정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1심 재판부는 A씨의 혐의를 유죄로 인정하며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법원은 "과거 두 사람이 중복된 업종을 피하기 위해 지정된 진료과목을 분양 받았던 사실을 언급하며, 이렇게 중요한 사항을 A씨만 몰랐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설명했다.하지만 항소심 재판부의 판단은 달랐다. A씨가 고의를 갖고 피해자를 기망했다는 사실이 합리적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봤다.재판부는 "병원 운영 중 피고인과 큰 갈등을 빚은 동업자가 실제 동업 해지 후 분양계약서를 돌려주지 않은 사실이 인정된다"며 "피고인이 이 사건 호실의 분양 계약서를 보지 못해 업종 제한 관련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또 "해당 건물에 입점해있던 약국이나 다른 병원들 역시 업종 제한 약정을 두고 갈등을 빚은 바 있는데, 매번 법원이 업종제한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던 만큼 피고인 또한 이러한 내용을 몰랐다고 볼 소지가 높다"고 밝혔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오경록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사기죄 성립의 핵심 쟁점은 '고의성 입증'에 달려있다"며 "피고인은 20년 전 분양계약서에 서명한 이후 이를 다시 들여다 볼 기회가 없었으며, 당시 업종 제한에 대한 문구 역시 매우 작은 글씨로 기재돼 있던 터라 관련 내용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재판부 역시 피고인이 업종 제한 사실을 알았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전혀 없는 점 등을 참작해 원심을 뒤집고 무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사기 혐의' 1심서 집행유예 받은 60대… 2심 '무죄' 원심 뒤집혀 (바로가기)
머니S
2024-10-30
'사기 혐의' 1심서 집행유예 받은 60대… 2심 '무죄' 원심 뒤집혀
'사기 혐의' 1심서 집행유예 받은 60대… 2심 '무죄' 원심 뒤집혀
한 상가에 동일한 진료과목의 병원이 입점할 수 없음에도 이를 숨기고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혐의로 기소된 60대 여성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서울서부지법 제2-1형사부(부장판사 이주현)는 지난 8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60대 A씨에게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한 1심 판결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의사이자 상가 소유주로 지난 2018년 치과의사 B씨와 건물 내 일부 호실을 임대하는 계약을 맺고 보증금 명목으로 5000만 원을 받았다.그러나 '동일 업종제한 약정'이 B씨의 발목을 잡았다. 당시 건물에는 이미 다른 치과병원이 입점 돼 있었는데 해당 병원 의사가 B씨에게 개원 중단을 요구하며 영업금지 가처분 신청 소송을 제기했다.이에 B씨는 A씨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같은 진료과목의 병원이 한 건물에 입점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이를 숨긴 채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는 것이다. B씨는 계약 당시 A씨에게 "다른 층에 치과가 있는데, 또 들어가도 괜찮냐"며 우려를 표했음에도 A씨가 "가능하다"고 답변했다고도 주장했다.A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20여 년 전 다른 동업자와 병원 설립을 약속하며 해당 호실을 공동 분양 받았는데, 당시 동업자가 분양계약서를 관리해 관련 약정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1심 재판부는 A씨의 혐의를 유죄로 인정하며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법원은 "과거 두 사람이 중복된 업종을 피하기 위해 지정된 진료과목을 분양 받았던 사실을 언급하며, 이렇게 중요한 사항을 A씨만 몰랐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설명했다.하지만 항소심 재판부의 판단은 달랐다. A씨가 고의를 갖고 피해자를 기망했다는 사실이 합리적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봤다.재판부는 "병원 운영 중 피고인과 큰 갈등을 빚은 동업자가 실제 동업 해지 후 분양계약서를 돌려주지 않은 사실이 인정된다"며 "피고인이 이 사건 호실의 분양 계약서를 보지 못해 업종 제한 관련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또 "해당 건물에 입점해있던 약국이나 다른 병원들 역시 업종 제한 약정을 두고 갈등을 빚은 바 있는데, 매번 법원이 업종제한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던 만큼 피고인 또한 이러한 내용을 몰랐다고 볼 소지가 높다"고 밝혔다.A씨 법률대리를 맡은 오경록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사기죄 성립의 핵심 쟁점은 '고의성 입증'에 달려있다"며 "피고인은 20년 전 분양계약서에 서명한 이후 이를 다시 들여다 볼 기회가 없었으며, 당시 업종 제한에 대한 문구 역시 매우 작은 글씨로 기재돼 있던 터라 관련 내용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재판부 역시 피고인이 업종 제한 사실을 알았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전혀 없는 점 등을 참작해 원심을 뒤집고 무죄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사기 혐의' 1심서 집행유예 받은 60대… 2심 '무죄' 원심 뒤집혀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10-30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인터뷰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의 새로운 목표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글로벌 로펌으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최근 대륜은 김국일, 고병준 변호사를 경영총괄대표로 선임했다.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급변하는 경영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략적 의사 결정을 강화하기 위함이다.지난 2018년 설립된 대륜은 6년 만에 빠른 성장을 이뤄낸 결과 2024년 10월 기준 240여 명의 변호사를 보유한 대형 로펌으로 자리잡았다. 대륜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목표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방침이다.두 대표는 취임 이후 가장 먼저 기업법무 강화 행보에 나섰다. 기존의 기업법무그룹을 분야별로 세분화해 센터로 가동하면서 더욱 효율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해외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의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업무협약을 맺고, 일본 내 사무소 개소를 준비하는 등 글로벌 로펌으로의 첫 발을 내디뎠다.로펌 업계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륜은 끊임없는 발전과 도전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아래는 대륜에서 제공한 인터뷰 전문.Q. 대륜의 경영총괄대표로 새롭게 선임된 소감은?김국일 대표(이하 김) : 기쁘면서도 어깨가 무겁다. 대륜의 변호사, 직원 등 수많은 인원을 이끄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부담이 크지만, 대륜이 앞으로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병준 대표(이하 고) : 저 역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대륜의 빠른 성장세와 확장된 글로벌 인프라를 유지하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Q. 올해 대륜의 여러 행보 중 눈에 띄는 건 '해외 진출'이었다. 먼저 지난 8월에는 일본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며 첫 발을 디뎠는데, 해외 진출 첫 국가로 일본을 선택한 특별한 이유가 있나?김 : 일본은 경제·법률 양 측면에서 접근하기 쉬운 국가다. 일본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도 많고, 한국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일본 기업 역시 다수다. 여기에 재일 교포와 일본 국민까지 고려하면, 법률 수요가 가장 높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고 : 일본은 또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일본이야말로 대륜이 추구하는 '법률 상담의 대중화', '법률 서비스의 고급화'를 시험해 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국제 무대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일본을 첫 해외 진출 국가로 선택했다.Q. 현재 일본 진출 상황과 일본에서 대륜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가?김 : 일본 내 사무소와 주거지가 마련된 상황이다. 일본인을 대상으로 채용 공고도 진행중이며 이미 지원한 변호사들도 있다. 곧 일본에서 면접을 진행할 예정이다. 일본 사무소는 일본 기업과 국민, 일본에 진출한 한국 기업과 재일교포가 필요로 하는 법률 서비스 등 모든 분야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고 : 기업 법무와 관련해서는 일본 내에서 현지 기업과 다국적 기업에 대한 법률 지원 및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일본 내에서도 글로벌 법률 수요가 커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Q. 일본 외에도 해외 진출을 생각하고 있는 다른 국가가 있는가? 해외 진출과 관련된 최종 목표는?김 : 미국 뉴욕에 진출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우리와 합작할만한 미국의 법률사무소, 로펌을 물색하고 접촉하는 단계를 진행 중이다. 일본 진출을 먼저 시작했지만, 미국 진출도 이어서 하게 될 것이다.고 : 해외 진출의 최종 목표는 글로벌 인프라를 구축해 어느 국가에서든지 대륜의 법률 서비스를 필요로하는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Q. 최근 기업법무 강화 행보가 눈에 띈다. 기업법무그룹 내에 센터를 여러 개로 세분화했는데, 이유가 있는지 또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궁금하다.김 : 기업들의 편의성을 위함이다. 기업법무그룹만 놓고 보면 이 그룹이 어떤 업무를 다루는지 파악하기 힘들다. 센터 이름을 보고 기업 담당자들이 관련 업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센터들은 보유한 강점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때문에 다양한 사건에 대해 전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고 : 기업법무그룹 내 센터들은 각각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나눠져 신속하고 정확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세분화된 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을 가지고 운영 중에 있다.Q. 올해 티메프, 갤러리K 등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기업과 관련한 사건을 다수 맡아 화제가 됐다. 이 부분에 대한 생각은?김 : 대륜이 티메프와 갤러리K 사건을 담당하게 됐다는 것은 대중성을 확보했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고객들에게 대륜이 더 많이 알려져 앞으로도 여러 이슈가 되는 사건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 대륜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들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대륜은 관련 사건의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실제로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사건은 법적 절차에 따라 진행 중이며, 최종적인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Q. 대륜은 2018년 문을 처음 연 이후 빠르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그 핵심이 무엇이라 생각하는가?김 : 신속한 대응이다. 대륜의 대표들은 매일 회의를 통해 고객 만족 상태, 직원 동향 등을 살핀다. 이를 통해 문제에 따른 해결책을 빠르게 제시하고 실행하는 것이야말로 대륜이 성장해 온 또 하나의 동력이라고 생각한다.고 : 이와 함께 대륜 성장의 중요한 핵심은 고객 중심의 사고다. 이를 바탕으로 법률 상담의 대중화를 실현시켰다. 누구나 쉽게 변호사를 찾아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든 것. 이와 함께 차별화된 고급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상담은 편하게, 법률 서비스는 고급'을 실현시켰다.Q. 대형 로펌 중 최초로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는 것 역시 비슷한 취지라고 보면 되는 것인가?김 : 그렇다. 변호사를 선임할 때만 적극적이고 이후로는 부실하게 대응하는 타 로펌에 대한 불만이 언론 매체를 통해 보도되고 있다. 대륜도 이를 가장 걱정한다. 고객들이 불만을 제기하기 전에 먼저 나서서 관리하고, 불만이 나오더라도 커지기 전에 원인을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 대륜 경영의 제1원칙은 고객 중심의 사고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고객과의 소통이다. 따라서 어떠한 로펌에서도 시도하지 못했던 고객만족센터를 출범시켜 직접적인 소통에 나섰고, 법률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있다.Q. 앞으로 대륜의 목표와 방향성은?김 : 대륜 재팬, 대륜 아메리카 등 모든 나라에서 대륜이 순위권 안에 들어가는 글로벌 로펌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로펌의 현지화, 그리고 현지에 적합한 체계를 구축하는 시스템화, 마지막으로 인재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륜 소속 법조인이 현지에서 빠른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할 것이다.고 : 대륜의 목표는 글로벌 리더 로펌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국내 시장을 넘어 세계적인 법률 서비스 문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로펌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지금의 성장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 유수 로펌들과의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는 회사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인터뷰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세계 선도하는 로펌될 것"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새 경영총괄대표에 김국일·고병준 변호사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10-30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인터뷰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의 새로운 목표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글로벌 로펌으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김국일 경영총괄대표)최근 대륜은 김국일, 고병준 변호사를 경영총괄대표로 선임했다.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급변하는 경영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략적 의사 결정을 강화하기 위함이다.지난 2018년 설립된 대륜은 6년 만에 빠른 성장을 이뤄낸 결과 2024년 10월 기준 240여 명의 변호사를 보유한 대형 로펌으로 자리잡았다. 대륜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목표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방침이다.두 대표는 취임 이후 가장 먼저 기업법무 강화 행보에 나섰다. 기존의 기업법무그룹을 분야별로 세분화해 센터로 가동하면서 더욱 효율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해외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의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업무협약을 맺고, 일본 내 사무소 개소를 준비하는 등 글로벌 로펌으로의 첫 발을 내디뎠다.로펌 업계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륜은 끊임없는 발전과 도전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아래는 대륜에서 제공한 인터뷰 전문.Q. 대륜의 경영총괄대표로 새롭게 선임된 소감은?김국일 대표(이하 김) : 기쁘면서도 어깨가 무겁다. 대륜의 변호사, 직원 등 수많은 인원을 이끄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부담이 크지만, 대륜이 앞으로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병준 대표(이하 고) : 저 역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대륜의 빠른 성장세와 확장된 글로벌 인프라를 유지하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Q. 올해 대륜의 여러 행보 중 눈에 띄는 건 '해외 진출'이었다. 먼저 지난 8월에는 일본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며 첫 발을 디뎠는데, 해외 진출 첫 국가로 일본을 선택한 특별한 이유가 있나?김 : 일본은 경제·법률 양 측면에서 접근하기 쉬운 국가다. 일본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도 많고, 한국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일본 기업 역시 다수다. 여기에 재일 교포와 일본 국민까지 고려하면, 법률 수요가 가장 높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고 : 일본은 또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일본이야말로 대륜이 추구하는 '법률 상담의 대중화', '법률 서비스의 고급화'를 시험해 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국제 무대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일본을 첫 해외 진출 국가로 선택했다.Q. 현재 일본 진출 상황과 일본에서 대륜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가?김 : 일본 내 사무소와 주거지가 마련된 상황이다. 일본인을 대상으로 채용 공고도 진행중이며 이미 지원한 변호사들도 있다. 곧 일본에서 면접을 진행할 예정이다. 일본 사무소는 일본 기업과 국민, 일본에 진출한 한국 기업과 재일교포가 필요로 하는 법률 서비스 등 모든 분야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고 : 기업 법무와 관련해서는 일본 내에서 현지 기업과 다국적 기업에 대한 법률 지원 및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일본 내에서도 글로벌 법률 수요가 커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Q. 일본 외에도 해외 진출을 생각하고 있는 다른 국가가 있는가? 해외 진출과 관련된 최종 목표는?김 : 미국 뉴욕에 진출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우리와 합작할만한 미국의 법률사무소, 로펌을 물색하고 접촉하는 단계를 진행 중이다. 일본 진출을 먼저 시작했지만, 미국 진출도 이어서 하게 될 것이다.고 : 해외 진출의 최종 목표는 글로벌 인프라를 구축해 어느 국가에서든지 대륜의 법률 서비스를 필요로하는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Q. 최근 기업법무 강화 행보가 눈에 띈다. 기업법무그룹 내에 센터를 여러 개로 세분화했는데, 이유가 있는지 또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궁금하다.김 : 기업들의 편의성을 위함이다. 기업법무그룹만 놓고 보면 이 그룹이 어떤 업무를 다루는지 파악하기 힘들다. 센터 이름을 보고 기업 담당자들이 관련 업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센터들은 보유한 강점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때문에 다양한 사건에 대해 전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고 : 기업법무그룹 내 센터들은 각각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나눠져 신속하고 정확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세분화된 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을 가지고 운영 중에 있다.Q. 올해 티메프, 갤러리K 등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기업과 관련한 사건을 다수 맡아 화제가 됐다. 이 부분에 대한 생각은?김 : 대륜이 티메프와 갤러리K 사건을 담당하게 됐다는 것은 대중성을 확보했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고객들에게 대륜이 더 많이 알려져 앞으로도 여러 이슈가 되는 사건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 대륜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들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대륜은 관련 사건의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실제로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사건은 법적 절차에 따라 진행 중이며, 최종적인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Q. 대륜은 2018년 문을 처음 연 이후 빠르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그 핵심이 무엇이라 생각하는가?김 : 신속한 대응이다. 대륜의 대표들은 매일 회의를 통해 고객 만족 상태, 직원 동향 등을 살핀다. 이를 통해 문제에 따른 해결책을 빠르게 제시하고 실행하는 것이야말로 대륜이 성장해 온 또 하나의 동력이라고 생각한다.고 : 이와 함께 대륜 성장의 중요한 핵심은 고객 중심의 사고다. 이를 바탕으로 법률 상담의 대중화를 실현시켰다. 누구나 쉽게 변호사를 찾아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든 것. 이와 함께 차별화된 고급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상담은 편하게, 법률 서비스는 고급'을 실현시켰다.Q. 대형 로펌 중 최초로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는 것 역시 비슷한 취지라고 보면 되는 것인가?김 : 그렇다. 변호사를 선임할 때만 적극적이고 이후로는 부실하게 대응하는 타 로펌에 대한 불만이 언론 매체를 통해 보도되고 있다. 대륜도 이를 가장 걱정한다. 고객들이 불만을 제기하기 전에 먼저 나서서 관리하고, 불만이 나오더라도 커지기 전에 원인을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 대륜 경영의 제1원칙은 고객 중심의 사고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고객과의 소통이다. 따라서 어떠한 로펌에서도 시도하지 못했던 고객만족센터를 출범시켜 직접적인 소통에 나섰고, 법률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있다.Q. 앞으로 대륜의 목표와 방향성은?김 : 대륜 재팬, 대륜 아메리카 등 모든 나라에서 대륜이 순위권 안에 들어가는 글로벌 로펌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로펌의 현지화, 그리고 현지에 적합한 체계를 구축하는 시스템화, 마지막으로 인재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륜 소속 법조인이 현지에서 빠른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할 것이다.고 : 대륜의 목표는 글로벌 리더 로펌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국내 시장을 넘어 세계적인 법률 서비스 문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로펌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지금의 성장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 유수 로펌들과의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는 회사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김국일·고병준 경영총괄대표 인터뷰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글로벌 법률서비스 경쟁력 확보…세계 선도하는 로펌될 것"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새 경영총괄대표에 김국일·고병준 변호사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2024-10-29
[로펌은 지금]법무법인(유한) 대륜, ㈜범우와 MOU 체결
[로펌은 지금]법무법인(유한) 대륜, ㈜범우와 MOU 체결
범우 본사·사무소 및 자회사 전반에 법률적 지원 제공대륜 "해외 시장 진출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 적극 조력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건설 자재 제조 기업 ㈜범우와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지난 24일 여의도 파크원 대륜 본사 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력을 위한 MOU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이경민, 박정규, 김형진, 원형일 변호사, 범우 김정봉 대표, 김봉호 감사 등이 참석했다.범우는 1995년 설립 이래 30여년 간 C형강 및 각관 등 건설 철강 자재를 주로 제조하고 있다. 국내 다수 건설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자재 ‘데크플레이트’의 생산 업체로는 전라권역 내에서 유일하다.대륜은 범우의 광주 본사 및 대전 사무소를 비롯해 자회사인 범우화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이슈에 대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는 ▲계약 체결 및 규제 준수 관련 법률 자문 ▲법적 분쟁 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해결 방안 모색 ▲법적 리스크 사전 분석 및 예방 등 기업 법무 관련 전반에 걸쳐 조력할 계획이다.특히, 지난 2010년 범우가 데크플레이트 특허권을 취득한 이후 해외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나선 만큼 관련 법률 자문 및 분쟁 해결에도 힘쓸 방침이다.범우 김정봉 대표는 “풍부한 기업 법무 경험을 가진 대륜과의 협력은 사업 확장에 있어 든든한 지원군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륜과의 MOU 체결을 통해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더 넓은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이번 MOU를 통해 범우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겪을 수 있는 법적 문제도 적극적으로 해결하겠다”며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세분화해 기업에 필요한 다양한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철강업계의 동향에 따른 법률적 요구에 신속하고 전문적으로 대응하며 범우와 함께 성공적인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유한) 대륜, ㈜범우와 MOU 체결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2024-10-29
[로펌은 지금]법무법인(유한) 대륜, ㈜범우와 MOU 체결
[로펌은 지금]법무법인(유한) 대륜, ㈜범우와 MOU 체결
범우 본사·사무소 및 자회사 전반에 법률적 지원 제공대륜 "해외 시장 진출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 적극 조력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건설 자재 제조 기업 ㈜범우와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지난 24일 여의도 파크원 대륜 본사 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력을 위한 MOU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이경민, 박정규, 김형진, 원형일 변호사, 범우 김정봉 대표, 김봉호 감사 등이 참석했다.범우는 1995년 설립 이래 30여년 간 C형강 및 각관 등 건설 철강 자재를 주로 제조하고 있다. 국내 다수 건설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자재 ‘데크플레이트’의 생산 업체로는 전라권역 내에서 유일하다.대륜은 범우의 광주 본사 및 대전 사무소를 비롯해 자회사인 범우화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이슈에 대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는 ▲계약 체결 및 규제 준수 관련 법률 자문 ▲법적 분쟁 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해결 방안 모색 ▲법적 리스크 사전 분석 및 예방 등 기업 법무 관련 전반에 걸쳐 조력할 계획이다.특히, 지난 2010년 범우가 데크플레이트 특허권을 취득한 이후 해외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나선 만큼 관련 법률 자문 및 분쟁 해결에도 힘쓸 방침이다.범우 김정봉 대표는 “풍부한 기업 법무 경험을 가진 대륜과의 협력은 사업 확장에 있어 든든한 지원군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륜과의 MOU 체결을 통해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더 넓은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이번 MOU를 통해 범우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겪을 수 있는 법적 문제도 적극적으로 해결하겠다”며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세분화해 기업에 필요한 다양한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철강업계의 동향에 따른 법률적 요구에 신속하고 전문적으로 대응하며 범우와 함께 성공적인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유한) 대륜, ㈜범우와 MOU 체결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3곳
2024-10-29
법무법인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기업법무 활성화 방안 간담회
법무법인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기업법무 활성화 방안 간담회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일본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비즈니스 파트너십 강화 및 양국의 기업 법무 활성화를 위한 대표 간담회를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4일 대륜 서울 본사에서 열린 회의에는 대륜 고병준, 박동일 대표, 김광덕 변호사와 베리베스트 사카이 스스무, 아사노 켄타로 대표 등이 참석했다. 베리베스트는 일본의 대형 법무법인으로 현재 고양시의 일산테크노밸리 투자유치를 돕고, 콘텐츠 기업을 대상으로 일본 진출에 필요한 법률 자문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 대륜은 고양시와 베리베스트 사이의 원활한 업무 진행에 적극 조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두 법인은 양국 기업의 활발한 각국 진출 및 사업 수행에 필요한 법률 지원에 협력하고 이를 발전·개선시키기로 했다. 특히 법률 서비스의 선진화를 위해 양사가 가진 우수한 시스템을 공유하고 이를 연구 및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베리베스트 아사노 켄타로 대표는 "양국의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서로의 법률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기업 자문, 자산 운용, 공정 거래 등 다양한 기업 법무 경험을 보유한 대륜과 함께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을 돕겠다"고 말했다. 대륜 박동일 대표는 "베리베스트와 MOU 체결 이후 구체적인 기업 법무 활성화 방안에 대해 많은 고민이 있었다. 대륜의 강점과 베리베스트의 강점을 조합해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양국의 기업들이 한국과 일본에 원활하게 진출하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법적 조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기업법무 활성화 방안 간담회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간담회…기업법무 활성화 논의 (바로가기)한국경제 - '상속증여'에 꽂힌 로펌업계…바른·광장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3곳
2024-10-29
법무법인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기업법무 활성화 방안 간담회
법무법인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기업법무 활성화 방안 간담회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일본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비즈니스 파트너십 강화 및 양국의 기업 법무 활성화를 위한 대표 간담회를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4일 대륜 서울 본사에서 열린 회의에는 대륜 고병준, 박동일 대표, 김광덕 변호사와 베리베스트 사카이 스스무, 아사노 켄타로 대표 등이 참석했다. 베리베스트는 일본의 대형 법무법인으로 현재 고양시의 일산테크노밸리 투자유치를 돕고, 콘텐츠 기업을 대상으로 일본 진출에 필요한 법률 자문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 대륜은 고양시와 베리베스트 사이의 원활한 업무 진행에 적극 조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두 법인은 양국 기업의 활발한 각국 진출 및 사업 수행에 필요한 법률 지원에 협력하고 이를 발전·개선시키기로 했다. 특히 법률 서비스의 선진화를 위해 양사가 가진 우수한 시스템을 공유하고 이를 연구 및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베리베스트 아사노 켄타로 대표는 "양국의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서로의 법률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기업 자문, 자산 운용, 공정 거래 등 다양한 기업 법무 경험을 보유한 대륜과 함께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을 돕겠다"고 말했다. 대륜 박동일 대표는 "베리베스트와 MOU 체결 이후 구체적인 기업 법무 활성화 방안에 대해 많은 고민이 있었다. 대륜의 강점과 베리베스트의 강점을 조합해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양국의 기업들이 한국과 일본에 원활하게 진출하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법적 조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기업법무 활성화 방안 간담회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日 로펌 베리베스트와 간담회…기업법무 활성화 논의 (바로가기)한국경제 - '상속증여'에 꽂힌 로펌업계…바른·광장 세미나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일요시사
2024-10-29
<직격 인터뷰> 1000억 피해 아트테크 사건 맡은 김명석 변호사
<직격 인터뷰> 1000억 피해 아트테크 사건 맡은 김명석 변호사
“수익률 9%? 사채만 가능” 최근 MZ들이 열광하는 투자 상품이 있다. 바로 미술품에 투자하는 ‘아트테크’다. 미술품에 대해 무지한 사람들이 ‘원금 보장’과 ‘높은 이자율’에 쏠리자 이들에 대한 폰지사기가 성행하고 있다. 는 이 같은 아트테크 사기 피해자를 구제하고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명석 최고총괄변호사를 만났다. 미술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술품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다각화되자 미술품에 대한 투자가 새로운 재테크 수단으로 각광받으며 예술과 재테크를 합친 ‘아트테크(Art-Tech)’란 신조어까지 탄생했다. 게다가 고가의 미술품을 조각투자로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아트테크에 관한 진입장벽이 낮아진 것도 투자가 몰리게 된 계기가 됐다. 이런 흐름에 편승해 미술품 재판매 보장 등으로 투자자를 모으는 업체도 많이 생겨났다. 하지만 당초 홍보 내용과 달리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고 있는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업체는 ‘갤러리K’다. 현재 피해자들은 오픈 채팅방으로 소통하고 있으며, 400여명이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투자금 원금 미반환 사태가 지속되면 그 피해 금액은 1000억원대에 이른다. 이런 상황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하 대륜)은 갤러리K 아트테크 사기 피해자 구제를 위해 팀(이하 구제팀)을 구성하고 이들을 대신해 집단소송에 나섰다. 는 갤러리K 아트테크 사기 변호팀 김명석 최고총괄변호사를 만나 현재 수사를 진행 상황, 피해 액수 등을 물어봤다. 다음은 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 -구제팀에 대해 설명 부탁드린다. ▲부장검사 출신의 총괄변호사 1명, 동종 사건 변론 경험이 많은 변호사 2명, 법무실장 1명이 사건을 전담해 상담, 서면 작성, 수사기관과의 소통 등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사기 사건에 대해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피해자 구제에 나서게 된 경위는 무엇인가? ▲처음에 한두명의 피해자와 상담을 했다. 은행이자가 많아야 연 4% 정도인데, 월 79%는 고리사채 수준의 수익률이다. 아트딜러에게 5%를 주려면 회사 유지비용도 있어야 하니, 최소한 미술품 렌털료를 20% 가까이 받아야 유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갤러리K’ 폰지사기 집단 고소사기 전문가 4명 구제팀 꾸려 하지만 모나리자가 아닌 이상 미술품 가격의 20%를 월 리스비로 주고 리스를 한다는 설명을 듣고 현실적으로 유지 불가능한 약정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종류의 사기는 피해자 한 명이 고소할 경우 혐의 입증이 어렵고, 다수 피해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피해를 당했음이 인정돼야 사기 범의를 입증할 수 있으므로, 집단고소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해 팀을 꾸려 집단고소를 진행하게 됐다. -해당 사건과 관련해 고소를 의뢰한 피해자는 몇 명이며, 피해금액은 어느 정도인지? ▲구제팀은 지난 9월 초에 1차 고소를 진행했고, 9월 말에 2차 고소를 접수했다. 고소인은 총 25명이고 2차 고소 이후 계속 상담 의뢰가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피해 금액은 합계 14억여원이다. 다만 400여명이 넘는 피해자가 있고 피해 금액이 1000억원에 달하지만 다른 법무법인도 고소를 담당하고 있어 상담 인원이 얼마나 늘어날지 예상할 수 없다. -아크테크 사기 수법이 여러 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갤러리K의 수법은 어떤 것이었는지 설명 부탁드린다. ▲이 사건 피해자들은 미술품에는 관심이 없고 원금을 보장해주고 매월 많은 수익금을 배당한다는 것에 끌려 투자한 소액투자자들이다. 갤러리K는 이런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용해 돈을 투자하면 투자한 돈으로 미술품을 구입하고, 구입한 미술품을 다른 곳에 렌트해 렌탈료를 받는 방법으로 재테크한다. 현실적으로 유지 불가능한 약정“25명 대리 고소…상담 계속 늘어” 이 모든 과정을 대행해주고, 매월 투자금액의 79%를 수익금으로 지급하고, 약정기간 만료 시 미술품을 되팔아 원금도 회수해주겠다며 투자자들을 모았다. 중간에 투자자를 모집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아트딜러)에게는 한 사람을 모집해 올 때마다 그사람이 투자한 금액의 5%를 수수료로 주겠다며 다단계 식으로 아트딜러와 투자자를 모집해 왔다. 결국 아트딜러를 동원해서 투자자를 모집하고 투자금으로 종전 투자자들의 수익금을 충당하는 ‘돌려막기’ 식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고, 이 ‘돌려막기’도 한계에 부딫쳐 결국 두 손을 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경찰서도 아트테크 사기 사건 수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 수사 상황에 대한 팀의 의견은? ▲당초 우리 구제팀은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하지만 회사 소재지인 동대문경찰서로 이첩했다가, 고소가 계속 접수돼 규모가 커지니까 다시 광역수사단으로 이첩돼 수사 중이다. 우리 구제팀서 집단고소를 진행해 수사가 커진 것은 아니다. 우리가 고소한 인원들 외에도 다른 고소인들이 다수 고소를 제기하고 있어 경찰 입장에서는 의도적으로 수사를 확대한다기보다 그냥 고소인 숫자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사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트테크 사기 등 폰지사기 사건을 많이 담당해 본 입장으로 독자들에게 당부할 것이 있다면? ▲세상은 상식선서 움직이고 공짜는 없다. 누가 뭐라고 하든 비상식적으로 고수익이 보장된다는 말은 반드시 뒤탈이 따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능한 스토리 내에서 투자든 뭐든 결정하셔야 한다. 또 투자가 비상식적인지 여부가 애매하다면 반드시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고 결정하시길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 1000억 피해 아트테크 사건 맡은 김명석 변호사 (바로가기)
일요시사
2024-10-29
<직격 인터뷰> 1000억 피해 아트테크 사건 맡은 김명석 변호사
<직격 인터뷰> 1000억 피해 아트테크 사건 맡은 김명석 변호사
“수익률 9%? 사채만 가능” 최근 MZ들이 열광하는 투자 상품이 있다. 바로 미술품에 투자하는 ‘아트테크’다. 미술품에 대해 무지한 사람들이 ‘원금 보장’과 ‘높은 이자율’에 쏠리자 이들에 대한 폰지사기가 성행하고 있다. 는 이 같은 아트테크 사기 피해자를 구제하고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명석 최고총괄변호사를 만났다. 미술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술품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다각화되자 미술품에 대한 투자가 새로운 재테크 수단으로 각광받으며 예술과 재테크를 합친 ‘아트테크(Art-Tech)’란 신조어까지 탄생했다. 게다가 고가의 미술품을 조각투자로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아트테크에 관한 진입장벽이 낮아진 것도 투자가 몰리게 된 계기가 됐다. 이런 흐름에 편승해 미술품 재판매 보장 등으로 투자자를 모으는 업체도 많이 생겨났다. 하지만 당초 홍보 내용과 달리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고 있는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업체는 ‘갤러리K’다. 현재 피해자들은 오픈 채팅방으로 소통하고 있으며, 400여명이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투자금 원금 미반환 사태가 지속되면 그 피해 금액은 1000억원대에 이른다. 이런 상황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하 대륜)은 갤러리K 아트테크 사기 피해자 구제를 위해 팀(이하 구제팀)을 구성하고 이들을 대신해 집단소송에 나섰다. 는 갤러리K 아트테크 사기 변호팀 김명석 최고총괄변호사를 만나 현재 수사를 진행 상황, 피해 액수 등을 물어봤다. 다음은 김 변호사와의 일문일답. -구제팀에 대해 설명 부탁드린다. ▲부장검사 출신의 총괄변호사 1명, 동종 사건 변론 경험이 많은 변호사 2명, 법무실장 1명이 사건을 전담해 상담, 서면 작성, 수사기관과의 소통 등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사기 사건에 대해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피해자 구제에 나서게 된 경위는 무엇인가? ▲처음에 한두명의 피해자와 상담을 했다. 은행이자가 많아야 연 4% 정도인데, 월 79%는 고리사채 수준의 수익률이다. 아트딜러에게 5%를 주려면 회사 유지비용도 있어야 하니, 최소한 미술품 렌털료를 20% 가까이 받아야 유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갤러리K’ 폰지사기 집단 고소사기 전문가 4명 구제팀 꾸려 하지만 모나리자가 아닌 이상 미술품 가격의 20%를 월 리스비로 주고 리스를 한다는 설명을 듣고 현실적으로 유지 불가능한 약정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종류의 사기는 피해자 한 명이 고소할 경우 혐의 입증이 어렵고, 다수 피해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피해를 당했음이 인정돼야 사기 범의를 입증할 수 있으므로, 집단고소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해 팀을 꾸려 집단고소를 진행하게 됐다. -해당 사건과 관련해 고소를 의뢰한 피해자는 몇 명이며, 피해금액은 어느 정도인지? ▲구제팀은 지난 9월 초에 1차 고소를 진행했고, 9월 말에 2차 고소를 접수했다. 고소인은 총 25명이고 2차 고소 이후 계속 상담 의뢰가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피해 금액은 합계 14억여원이다. 다만 400여명이 넘는 피해자가 있고 피해 금액이 1000억원에 달하지만 다른 법무법인도 고소를 담당하고 있어 상담 인원이 얼마나 늘어날지 예상할 수 없다. -아크테크 사기 수법이 여러 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갤러리K의 수법은 어떤 것이었는지 설명 부탁드린다. ▲이 사건 피해자들은 미술품에는 관심이 없고 원금을 보장해주고 매월 많은 수익금을 배당한다는 것에 끌려 투자한 소액투자자들이다. 갤러리K는 이런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용해 돈을 투자하면 투자한 돈으로 미술품을 구입하고, 구입한 미술품을 다른 곳에 렌트해 렌탈료를 받는 방법으로 재테크한다. 현실적으로 유지 불가능한 약정“25명 대리 고소…상담 계속 늘어” 이 모든 과정을 대행해주고, 매월 투자금액의 79%를 수익금으로 지급하고, 약정기간 만료 시 미술품을 되팔아 원금도 회수해주겠다며 투자자들을 모았다. 중간에 투자자를 모집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아트딜러)에게는 한 사람을 모집해 올 때마다 그사람이 투자한 금액의 5%를 수수료로 주겠다며 다단계 식으로 아트딜러와 투자자를 모집해 왔다. 결국 아트딜러를 동원해서 투자자를 모집하고 투자금으로 종전 투자자들의 수익금을 충당하는 ‘돌려막기’ 식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고, 이 ‘돌려막기’도 한계에 부딫쳐 결국 두 손을 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경찰서도 아트테크 사기 사건 수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 수사 상황에 대한 팀의 의견은? ▲당초 우리 구제팀은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하지만 회사 소재지인 동대문경찰서로 이첩했다가, 고소가 계속 접수돼 규모가 커지니까 다시 광역수사단으로 이첩돼 수사 중이다. 우리 구제팀서 집단고소를 진행해 수사가 커진 것은 아니다. 우리가 고소한 인원들 외에도 다른 고소인들이 다수 고소를 제기하고 있어 경찰 입장에서는 의도적으로 수사를 확대한다기보다 그냥 고소인 숫자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사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트테크 사기 등 폰지사기 사건을 많이 담당해 본 입장으로 독자들에게 당부할 것이 있다면? ▲세상은 상식선서 움직이고 공짜는 없다. 누가 뭐라고 하든 비상식적으로 고수익이 보장된다는 말은 반드시 뒤탈이 따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능한 스토리 내에서 투자든 뭐든 결정하셔야 한다. 또 투자가 비상식적인지 여부가 애매하다면 반드시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고 결정하시길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 1000억 피해 아트테크 사건 맡은 김명석 변호사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0-29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날로 치밀해지는 보이스피싱 수법…대응 방법은?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날로 치밀해지는 보이스피싱 수법…대응 방법은?
최근 경찰청이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총 8,434건, 피해액은 무려 2,563억원에 달했다. 지난 2006년 관련 신고가 처음 접수된 이후 해마다 피해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보이스피싱은 이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정부 역시 보이스피싱을 민생 범죄로 규정하며 여러 대책을 내놓고 대대적인 예방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피해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모양새다. 각종 대응책이 무색할 만큼 범죄 수법이 나날이 빠른 속도로 고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의 전략은 한층 더 치밀해졌다. 수 년 전 미디어를 통해 희화화됐던 어눌한 말투는 사라진 지 오래다. 허위 전화번호, 가짜 웹사이트, 조작된 공문서에 더해 악성 프로그램까지 등장했다. 피해자의 휴대폰을 해킹해 모든 상황을 마음대로 통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검사, 금융감독원 직원, 카드사 상담원 등 다양한 역할 분담 역시 필수가 됐다.문제는 이들의 수법이 지능화되면서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되레 가해자로 여겨지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 역시 현장에서 이러한 사례를 다수 목격한 바 있다. 실제 한 여성 A씨의 경우 올해 초 보이스피싱 수거책으로 지목돼 경찰 조사를 받게 됐는데, 자세한 경위를 살펴보니 그녀 역시 피해자였다.A씨는 어느 날 검사를 사칭한 이들로부터 금융 범죄에 연루됐다는 연락을 받았다. 이들은 처음부터 '구속 가능성'을 언급하며 A씨를 몰아붙였다. 당시 A씨는 금감원과 검찰에 전화를 걸어 해당 사실을 직접 확인받았는데, 이 역시 A씨의 휴대폰을 해킹한 이들이 직원인 척 가장해 허위 답변을 내놓은 것이었다. 이들은 또 A씨에게 모든 연락 내용을 캡처해 보고하게 하고, 지시를 무시할 경우 받을 불이익 사항을 매일 필기하도록 했다. 가스라이팅을 당한 A씨는 결국 이들 조직에 수천만원을 송금했다.보이스피싱 조직의 범행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A씨를 현금 수거책으로도 활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A씨는 피해자였지만, 동시에 피의자 신분으로도 경찰 조사를 받아야 했다. 사기 혐의로 입건된 A씨는 다행히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자신이 날린 수천만원에 대한 피해는 제대로 회복하지 못했다.취업을 미끼로 사람들을 유인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일반적인 회사인 것처럼 채용 공고를 올려 사람을 모집한 뒤 수거책 임무를 떠넘기는 방식이다. 초기에는 약속된 업무를 부여하다가 신뢰가 쌓이면 각종 이유를 붙여 현금 전달 업무를 시키는 것이 대체적인 흐름이다. 사회 초년생들이나 경제적 이유로 취업이 절실한 3,40대가 주 타깃이 된다. 그러나 본인 역시 큰 경제적 피해를 입은 A씨의 사례와 달리, 이러한 경우는 처벌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이 범죄에 연루됐다는 사실을 전혀 인식하지 못했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그렇기에 만약 어떠한 경우로든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면, 반드시 빠른 대처에 나서야 한다. 수거책의 경우 '고의성' 입증이 유·무죄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수사기관 혹은 법정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정황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주장해야 한다. 피해자 역시 전문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신속하게 신고 절차를 밟은 뒤 가해자 검거에 도움이 될 만한 증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날로 치밀해지는 보이스피싱 수법…대응 방법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0-29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날로 치밀해지는 보이스피싱 수법…대응 방법은?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날로 치밀해지는 보이스피싱 수법…대응 방법은?
최근 경찰청이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총 8,434건, 피해액은 무려 2,563억원에 달했다. 지난 2006년 관련 신고가 처음 접수된 이후 해마다 피해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보이스피싱은 이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정부 역시 보이스피싱을 민생 범죄로 규정하며 여러 대책을 내놓고 대대적인 예방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피해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모양새다. 각종 대응책이 무색할 만큼 범죄 수법이 나날이 빠른 속도로 고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의 전략은 한층 더 치밀해졌다. 수 년 전 미디어를 통해 희화화됐던 어눌한 말투는 사라진 지 오래다. 허위 전화번호, 가짜 웹사이트, 조작된 공문서에 더해 악성 프로그램까지 등장했다. 피해자의 휴대폰을 해킹해 모든 상황을 마음대로 통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검사, 금융감독원 직원, 카드사 상담원 등 다양한 역할 분담 역시 필수가 됐다.문제는 이들의 수법이 지능화되면서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되레 가해자로 여겨지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 역시 현장에서 이러한 사례를 다수 목격한 바 있다. 실제 한 여성 A씨의 경우 올해 초 보이스피싱 수거책으로 지목돼 경찰 조사를 받게 됐는데, 자세한 경위를 살펴보니 그녀 역시 피해자였다.A씨는 어느 날 검사를 사칭한 이들로부터 금융 범죄에 연루됐다는 연락을 받았다. 이들은 처음부터 '구속 가능성'을 언급하며 A씨를 몰아붙였다. 당시 A씨는 금감원과 검찰에 전화를 걸어 해당 사실을 직접 확인받았는데, 이 역시 A씨의 휴대폰을 해킹한 이들이 직원인 척 가장해 허위 답변을 내놓은 것이었다. 이들은 또 A씨에게 모든 연락 내용을 캡처해 보고하게 하고, 지시를 무시할 경우 받을 불이익 사항을 매일 필기하도록 했다. 가스라이팅을 당한 A씨는 결국 이들 조직에 수천만원을 송금했다.보이스피싱 조직의 범행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A씨를 현금 수거책으로도 활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A씨는 피해자였지만, 동시에 피의자 신분으로도 경찰 조사를 받아야 했다. 사기 혐의로 입건된 A씨는 다행히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자신이 날린 수천만원에 대한 피해는 제대로 회복하지 못했다.취업을 미끼로 사람들을 유인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일반적인 회사인 것처럼 채용 공고를 올려 사람을 모집한 뒤 수거책 임무를 떠넘기는 방식이다. 초기에는 약속된 업무를 부여하다가 신뢰가 쌓이면 각종 이유를 붙여 현금 전달 업무를 시키는 것이 대체적인 흐름이다. 사회 초년생들이나 경제적 이유로 취업이 절실한 3,40대가 주 타깃이 된다. 그러나 본인 역시 큰 경제적 피해를 입은 A씨의 사례와 달리, 이러한 경우는 처벌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이 범죄에 연루됐다는 사실을 전혀 인식하지 못했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그렇기에 만약 어떠한 경우로든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면, 반드시 빠른 대처에 나서야 한다. 수거책의 경우 '고의성' 입증이 유·무죄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수사기관 혹은 법정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정황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주장해야 한다. 피해자 역시 전문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신속하게 신고 절차를 밟은 뒤 가해자 검거에 도움이 될 만한 증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날로 치밀해지는 보이스피싱 수법…대응 방법은?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10-28
법무법인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ESG경영 전략 공유 등 다방면 협력 예정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4일 교보스틸과 법률자문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대륜 본사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은 대륜 김국일 대표, 이경민, 원형일, 박정규, 김형진 변호사, 교보스틸 김미성 대표이사, 김봉호 감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주식회사 교보스틸은 지난 2013년 설립된 철강제 제조 업체다. 현재 전라남도 광양 국가산업단지에서 연간 1만 4,000톤 규모의 구조관 및 6만톤 슬리팅 공정라인을 가동 중이며, 올 하반기 공장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대륜은 2024년 10월 기준 240명의 변호사를 보유한 대형로펌으로 기업법무그룹을 강화해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철강제 사업과 관련한 법률적 검토 △ESG경영 전략 공유 △각종 계약서 자문 △교류를 위한 교육·세미나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교보스틸 김미성 대표이사는 "철강업은 ESG경영 트렌드에 맞춰 격변의 시기를 맞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여타 철강사들도 동참하는 추세"라며 "ESG경영과 관련해 다양한 법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싶다. 기업법무 쪽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대륜은 파트너십을 맺기에 최적의 로펌이라고 생각했다. 앞으로 서로의 발전을 위해 많은 교류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친환경 사업과 관련한 법률자문 요청이 최근 증가했다. 철강업에서도 친환경 공정 전환이 떠오르는 이슈인 만큼 공장 증설을 계획 중인 교보스틸에 최적의 자문을 제공할 것"이라며 "기업 내 전반적인 사항에 컨설팅을 제공하고자 기업법무그룹 내 소속 변호사 이외에도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 인력이 양사의 발전을 위해 모든 자원을 활용해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철강금속신문 - 교보스틸,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체결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10-28
법무법인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ESG경영 전략 공유 등 다방면 협력 예정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4일 교보스틸과 법률자문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대륜 본사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은 대륜 김국일 대표, 이경민, 원형일, 박정규, 김형진 변호사, 교보스틸 김미성 대표이사, 김봉호 감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주식회사 교보스틸은 지난 2013년 설립된 철강제 제조 업체다. 현재 전라남도 광양 국가산업단지에서 연간 1만 4,000톤 규모의 구조관 및 6만톤 슬리팅 공정라인을 가동 중이며, 올 하반기 공장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대륜은 2024년 10월 기준 240명의 변호사를 보유한 대형로펌으로 기업법무그룹을 강화해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철강제 사업과 관련한 법률적 검토 △ESG경영 전략 공유 △각종 계약서 자문 △교류를 위한 교육·세미나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교보스틸 김미성 대표이사는 "철강업은 ESG경영 트렌드에 맞춰 격변의 시기를 맞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여타 철강사들도 동참하는 추세"라며 "ESG경영과 관련해 다양한 법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싶다. 기업법무 쪽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대륜은 파트너십을 맺기에 최적의 로펌이라고 생각했다. 앞으로 서로의 발전을 위해 많은 교류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친환경 사업과 관련한 법률자문 요청이 최근 증가했다. 철강업에서도 친환경 공정 전환이 떠오르는 이슈인 만큼 공장 증설을 계획 중인 교보스틸에 최적의 자문을 제공할 것"이라며 "기업 내 전반적인 사항에 컨설팅을 제공하고자 기업법무그룹 내 소속 변호사 이외에도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 인력이 양사의 발전을 위해 모든 자원을 활용해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교보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철강금속신문 - 교보스틸, 법무법인 대륜과 법률자문 MOU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10-28
법무법인 대륜, 킹스꼬마김밥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킹스꼬마김밥과 MOU 체결
공정거래 등 법률 조력…풍부한 경험 바탕으로 법적 리스크 최소화법무법인 대륜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맞는 법률 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김밥 전문 프랜차이즈 '킹스꼬마김밥'과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지난 23일 대륜 대구총괄본부 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킹스꼬마김밥 이은덕 대표 등이 참석했다.킹스꼬마김밥은 2019년 설립된 꼬마김밥 전문 브랜드로 현재 전국에 65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김밥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우면서 급속도로 성장해, 2021년 한국프리미엄브랜드진흥원이 주최한 '대한민국 고객만족지수 1위' 시상식에서 프랜차이즈(분식) 부문 1위를 수상하기도 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공급·유통·판매 관련 계약서 작성 검토 ▲상표 등록을 포함한 지적 재산권 관리 ▲계약 위반 등 법적 분쟁 해결을 위해 조력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프랜차이즈 본사의 경우 상황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관련 법적 이슈를 사전 검토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예정이다.킹스꼬마김밥 이은덕 대표는 "외식업계가 힘든 상황 속에서도 성장을 거듭해 여기까지 왔다"며 "대륜의 전문적인 자문을 통해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앞으로 더 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기업법무, 공정거래법 검토 및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대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킹스꼬마김밥과 협력해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며 "급변하는 외식 산업 환경에 맞춰 효과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산업 분야별 전문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세무사·변호사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공정거래그룹을 운영 중이다. 전국 각지의 기업 관계자에 필요한 법률 자문, 사업 문제 검토 등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킹스꼬마김밥과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10-28
법무법인 대륜, 킹스꼬마김밥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킹스꼬마김밥과 MOU 체결
공정거래 등 법률 조력…풍부한 경험 바탕으로 법적 리스크 최소화법무법인 대륜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맞는 법률 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김밥 전문 프랜차이즈 '킹스꼬마김밥'과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지난 23일 대륜 대구총괄본부 사무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킹스꼬마김밥 이은덕 대표 등이 참석했다.킹스꼬마김밥은 2019년 설립된 꼬마김밥 전문 브랜드로 현재 전국에 65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김밥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우면서 급속도로 성장해, 2021년 한국프리미엄브랜드진흥원이 주최한 '대한민국 고객만족지수 1위' 시상식에서 프랜차이즈(분식) 부문 1위를 수상하기도 했다.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공급·유통·판매 관련 계약서 작성 검토 ▲상표 등록을 포함한 지적 재산권 관리 ▲계약 위반 등 법적 분쟁 해결을 위해 조력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프랜차이즈 본사의 경우 상황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관련 법적 이슈를 사전 검토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예정이다.킹스꼬마김밥 이은덕 대표는 "외식업계가 힘든 상황 속에서도 성장을 거듭해 여기까지 왔다"며 "대륜의 전문적인 자문을 통해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앞으로 더 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기업법무, 공정거래법 검토 및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대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킹스꼬마김밥과 협력해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며 "급변하는 외식 산업 환경에 맞춰 효과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산업 분야별 전문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세무사·변호사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공정거래그룹을 운영 중이다. 전국 각지의 기업 관계자에 필요한 법률 자문, 사업 문제 검토 등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킹스꼬마김밥과 MOU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28
법무법인 대륜, 영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영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철강업계 이슈 공유부터 산업재해 예방 등 기업 활동 전반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주식회사 영스틸과 법률자문을 위한 MOU를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24일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 본사에서 열린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대표, 이경민·원형일·박정규·김형진 변호사와 영스틸의 김미영 대표, 김봉호 감사 등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주식회사 영스틸은 2009년 설립된 철강제품 제조·판매업체로, 각종 철구조물 제작에 사용되는 각관 제품 등을 생산해 전국 200여 개의 업체에 판매하면서 2023년 매출액 315억 1백만 원을 기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법인은 ▲제품 판매 관련 계약서 검토,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산업재해 예방 및 대책 마련, ▲인사·노무 시스템 검토, ▲철강업계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법무법인 대륜은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 노무사, 세무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투입해 질 높은 기업법률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영스틸 김미영 대표는 “충청, 호남권에도 영업을 확대하는 등 회사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2030년까지 매출액 1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공장 설비를 증설하고 판매유통 네트워크도 크게 넓힌 상황으로 기업 법무와 관련해 전문적인 법률 자문이 가장 필요한 시기다. 이번 협약을 통해 그간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에 세밀한 자문을 받아 사업 운영 개선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영스틸과 파트너십을 통해 철강업계의 주요 이슈와 법적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스틸의 사업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라면서, “기업자문 등에 특화된 변호사를 비롯해 각종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여러 사안을 검토하고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영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28
법무법인 대륜, 영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영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철강업계 이슈 공유부터 산업재해 예방 등 기업 활동 전반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주식회사 영스틸과 법률자문을 위한 MOU를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24일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 본사에서 열린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대표, 이경민·원형일·박정규·김형진 변호사와 영스틸의 김미영 대표, 김봉호 감사 등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주식회사 영스틸은 2009년 설립된 철강제품 제조·판매업체로, 각종 철구조물 제작에 사용되는 각관 제품 등을 생산해 전국 200여 개의 업체에 판매하면서 2023년 매출액 315억 1백만 원을 기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법인은 ▲제품 판매 관련 계약서 검토,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산업재해 예방 및 대책 마련, ▲인사·노무 시스템 검토, ▲철강업계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법무법인 대륜은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 노무사, 세무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투입해 질 높은 기업법률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영스틸 김미영 대표는 “충청, 호남권에도 영업을 확대하는 등 회사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2030년까지 매출액 1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공장 설비를 증설하고 판매유통 네트워크도 크게 넓힌 상황으로 기업 법무와 관련해 전문적인 법률 자문이 가장 필요한 시기다. 이번 협약을 통해 그간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에 세밀한 자문을 받아 사업 운영 개선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영스틸과 파트너십을 통해 철강업계의 주요 이슈와 법적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스틸의 사업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라면서, “기업자문 등에 특화된 변호사를 비롯해 각종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여러 사안을 검토하고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영스틸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0-27
숙박 플랫폼 ‘취소 수수료’ 논란 여전…법적 공방으로 번져
숙박 플랫폼 ‘취소 수수료’ 논란 여전…법적 공방으로 번져
숙박시설 이용 관련 피해구제 신청 중 75.8%가 ‘위약금’ 불만법무법인 대륜 “플랫폼 횡포, 소비자 보호 필요” 최근 온라인 숙박 플랫폼을 통해 숙소를 예약했다가 취소하는 과정에서 환불을 거부당하는 여행객들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숙박업소는 플랫폼에 책임을 떠넘기고, 플랫폼은 일방적인 ‘환불 불가’ 정책만을 고수하면서 소비자들의 피해만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3년간 접수된 숙박시설 이용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은 총 4118건이었다. 자세한 신청 사유를 살펴보면, 계약해제 시 발생하는 위약금에 대한 불만이 78.5%(3234건)로 가장 높았다.환급, 배상, 계약해제 등 피해 회복에 합의한 사례 역시 그리 많지 않았다. 주요 7개 숙박 플랫폼의 합의율은 평균 64.8%였는데, 부킹닷컴이 39.6%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야놀자와 티몬 역시 각각 58%, 43.8%의 낮은 합의율을 기록했다. 해당 플랫폼을 이용한 소비자 중 절반은 제대로 된 피해 구제를 받지 못한 셈이다.실제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취소 수수료를 둘러싼 불만 섞인 글이 다수 속출하고 있다. 몇십만 원에 이르는 숙박비를 날렸다는 A씨는 게시글을 통해 “여행 일정이 바뀌어 결제 몇 시간 뒤 다시 플랫폼에 접속했는데, 취소란이 막혀있었다”고 토로하면서 “고객센터에 문의해도 도와줄 수 없다는 답변뿐이었고, 나중에야 10분 이내 취소 약관에 대해 알게 돼 당황스러웠다”고 덧붙였다.취소 수수료를 둘러싼 법적 공방도 본격 시작됐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2일 소비자들이 숙박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반환 청구 소송의 첫 변론 기일을 진행했다.앞서 야놀자는 특가 상품을 예약한 소비자들이 10분 내 취소 요청을 했음에도 내부 규정을 이유로 숙박비를 환불해주지 않아 문제가 됐다. 이에 소비자들은 야놀자에 대한 집단소송에 나섰다.이날 양측은 전자상거래법 위반, 약관법 위반을 두고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렸다.전자상거래법 제17조 청약 철회 관련 규정에 따르면 통신판매업자와 재화 등을 구매한 소비자는 일정 기간 안으로 청약 철회를 할 수 있다. 또, 약관법 제6조에 따라 고객에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 처리된다.원고인 소비자 측은 “야놀자가 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 중개자에 해당한다”며 “전자상거래법 제17조의 적용 대상”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야놀자 측은 “통신판매업자가 아닌 중개자에 불과해 법 적용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규제에 관한 법률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에 환불 책임 역시 없다는 것이다.‘10분 이내 환불규정’과 관련해서도 양측은 맞섰다. 야놀자 측은 “소비자에 미리 고지된 부분으로 동의받은 부분”이라며 “원칙적으로 환불이 불가한 상품에 대해 10분 이내 취소하는 경우에 한해 취소 수수료를 면제해 주는 것은 소비자 편의를 생각한 조항”이라고 강조했다.이에 소비자 측은 “소비자들을 현혹해 숙박일 하루 전까지 예약되지 않은 상품들을 떠넘기듯 판매한 것에 불과하므로 혜택이라 보기 어렵다”며 “숙박업은 공실인 경우 당일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업종이라는 점에서 소비자의 청약철회권 행사를 제한하는 예외 규정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재판부는 이날 기일에서 합의를 제안하며 야놀자 측에 숙박비를 절반 이상 반환하는 것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양측 모두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재판은 다음 기일로 넘어갔다.소비자 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진우 변호사는 “소비자들이 한순간 잘못된 판단으로 적게는 10만 원부터 많게는 100만 원에 달하는 숙박료를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벌어진다”며 “전자상거래법의 본취지는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인 만큼, 더 이상 억울한 소비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판부의 현명한 판단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숙박 플랫폼 ‘취소 수수료’ 논란 여전…법적 공방으로 번져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0-27
숙박 플랫폼 ‘취소 수수료’ 논란 여전…법적 공방으로 번져
숙박 플랫폼 ‘취소 수수료’ 논란 여전…법적 공방으로 번져
숙박시설 이용 관련 피해구제 신청 중 75.8%가 ‘위약금’ 불만법무법인 대륜 “플랫폼 횡포, 소비자 보호 필요” 최근 온라인 숙박 플랫폼을 통해 숙소를 예약했다가 취소하는 과정에서 환불을 거부당하는 여행객들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숙박업소는 플랫폼에 책임을 떠넘기고, 플랫폼은 일방적인 ‘환불 불가’ 정책만을 고수하면서 소비자들의 피해만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3년간 접수된 숙박시설 이용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은 총 4118건이었다. 자세한 신청 사유를 살펴보면, 계약해제 시 발생하는 위약금에 대한 불만이 78.5%(3234건)로 가장 높았다.환급, 배상, 계약해제 등 피해 회복에 합의한 사례 역시 그리 많지 않았다. 주요 7개 숙박 플랫폼의 합의율은 평균 64.8%였는데, 부킹닷컴이 39.6%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야놀자와 티몬 역시 각각 58%, 43.8%의 낮은 합의율을 기록했다. 해당 플랫폼을 이용한 소비자 중 절반은 제대로 된 피해 구제를 받지 못한 셈이다.실제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취소 수수료를 둘러싼 불만 섞인 글이 다수 속출하고 있다. 몇십만 원에 이르는 숙박비를 날렸다는 A씨는 게시글을 통해 “여행 일정이 바뀌어 결제 몇 시간 뒤 다시 플랫폼에 접속했는데, 취소란이 막혀있었다”고 토로하면서 “고객센터에 문의해도 도와줄 수 없다는 답변뿐이었고, 나중에야 10분 이내 취소 약관에 대해 알게 돼 당황스러웠다”고 덧붙였다.취소 수수료를 둘러싼 법적 공방도 본격 시작됐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2일 소비자들이 숙박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반환 청구 소송의 첫 변론 기일을 진행했다.앞서 야놀자는 특가 상품을 예약한 소비자들이 10분 내 취소 요청을 했음에도 내부 규정을 이유로 숙박비를 환불해주지 않아 문제가 됐다. 이에 소비자들은 야놀자에 대한 집단소송에 나섰다.이날 양측은 전자상거래법 위반, 약관법 위반을 두고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렸다.전자상거래법 제17조 청약 철회 관련 규정에 따르면 통신판매업자와 재화 등을 구매한 소비자는 일정 기간 안으로 청약 철회를 할 수 있다. 또, 약관법 제6조에 따라 고객에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 처리된다.원고인 소비자 측은 “야놀자가 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 중개자에 해당한다”며 “전자상거래법 제17조의 적용 대상”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야놀자 측은 “통신판매업자가 아닌 중개자에 불과해 법 적용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규제에 관한 법률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에 환불 책임 역시 없다는 것이다.‘10분 이내 환불규정’과 관련해서도 양측은 맞섰다. 야놀자 측은 “소비자에 미리 고지된 부분으로 동의받은 부분”이라며 “원칙적으로 환불이 불가한 상품에 대해 10분 이내 취소하는 경우에 한해 취소 수수료를 면제해 주는 것은 소비자 편의를 생각한 조항”이라고 강조했다.이에 소비자 측은 “소비자들을 현혹해 숙박일 하루 전까지 예약되지 않은 상품들을 떠넘기듯 판매한 것에 불과하므로 혜택이라 보기 어렵다”며 “숙박업은 공실인 경우 당일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업종이라는 점에서 소비자의 청약철회권 행사를 제한하는 예외 규정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재판부는 이날 기일에서 합의를 제안하며 야놀자 측에 숙박비를 절반 이상 반환하는 것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양측 모두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재판은 다음 기일로 넘어갔다.소비자 측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진우 변호사는 “소비자들이 한순간 잘못된 판단으로 적게는 10만 원부터 많게는 100만 원에 달하는 숙박료를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벌어진다”며 “전자상거래법의 본취지는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인 만큼, 더 이상 억울한 소비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판부의 현명한 판단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숙박 플랫폼 ‘취소 수수료’ 논란 여전…법적 공방으로 번져 (바로가기)
뉴시스
2024-10-25
'기적의 치료기'에 다리 마비…노인 상대 불법 기기 체험방 '기승'
'기적의 치료기'에 다리 마비…노인 상대 불법 기기 체험방 '기승'
전문인력 아닌 무자격자가 사용 진행기기 무료체험방 과대광고 주의 필요 지난 8월 김순례(78·가명)씨는 A의료기기업체로부터 '전기치료를 받으면 아픈 다리가 나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서울 중랑구 소재 체험방을 방문했다. 지병이 있던 김씨는 이곳에서 근육통을 완화해 준다는 개인용조합자극기를 사용했고, 이내 우측 다리에 마비 증상이 나타나 병원으로 옮겨졌다. 김씨는 "기기 사용을 도와주던 직원이 온도를 너무 높게 올렸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당초 A업체는 이 개인용조합자극기를 사용하면 신체 곳곳의 아픈 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심지어는 해당 기기를 얼굴에 부착하면 주름이 펴진다고 광고해 손님을 끌어모았다. 그러나 개인용조합자극기는 전극을 통해 인체에 전류를 가하는 의료기기로, 당초 근육통 완화를 목적으로 허가됐다.24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실버 헬스케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노인들을 상대로 허위·과대 홍보를 해 상품을 판매하는 불법 의료기기·용구 체험방이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3년 간(2021년~2024년 3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의료용구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188건으로 매년 350건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 3월까지는 총 98건이 접수돼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연령대를 살펴보면 60대 이상 고령 소비자 피해가 28.4%(333건)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온라인 판매 비중이 낮았는데, 60대 이상은 일반판매와 방문판매 비중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신경의 58%가 손상됐다는 소견을 받고 입원한 김씨는 A업체에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하지만 돌아오는 답변은 "해당 의료기기에는 문제가 없고 다친 것은 김씨의 잘못"이라는 말뿐이었다.A업체는 노인들이 무료체험방을 방문하면 비누와 치약 등 생필품을 공짜로 나눠줬다. 이런 방식으로 환심을 산 뒤 자사 의료기기를 구매하도록 판촉행위를 했다.그러나 체험방에서 의료인과 의료기관 개설자, 의료기관 종사자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거짓·과대광고를 하거나 표시·기재 사항을 위반할 경우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이서형 대륜 의료소송그룹 변호사는 "허가 사항인 근육통 완화 이외에 비만, 허리디스크에도 효과가 있다고 하는 등 의료기기의 성능·효능·효과 등에 대한 거짓·과대광고를 하거나, 공산품임에도 불구하고 목디스크의 개선 등 의료적 목적을 표방해 의료기기로 오인하게 하는 광고, 거짓이나 오해할 염려가 있는 사항의 표시·기재를 하는 경우에는 의료기기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실제로 A업체는 허위·과대광고로 2017년 1월에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이른바 '떴다방' 단속 감시망에 적발된 적이 있다. 당시 식약처는 A업체 등 의료기기 체험방 52곳을 적발해 형사고발 조치했다.특히 이같은 불법 체험방은 대개 전문인력이 아닌 무자격자가 기기 사용을 주도하며, 피해 발생 시에도 관련 보상이나 구제 방안은 마련돼 있지 않아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이서형 대륜 의료소송그룹 변호사는 "무자격자가 단순히 의료기기 이용을 도와주는 것을 넘어 의료기기를 사용해 근육통 완화 등 의료행위를 한 경우, 의료법 제27조에서 금지하는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한편 A업체는 뉴시스에 "해당 기기에는 문제가 없다"며 "체험방이 의료법과 무슨 관계성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기적의 치료기'에 다리 마비…노인 상대 불법 기기 체험방 '기승' (바로가기)
뉴시스
2024-10-25
'기적의 치료기'에 다리 마비…노인 상대 불법 기기 체험방 '기승'
'기적의 치료기'에 다리 마비…노인 상대 불법 기기 체험방 '기승'
전문인력 아닌 무자격자가 사용 진행기기 무료체험방 과대광고 주의 필요 지난 8월 김순례(78·가명)씨는 A의료기기업체로부터 '전기치료를 받으면 아픈 다리가 나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서울 중랑구 소재 체험방을 방문했다. 지병이 있던 김씨는 이곳에서 근육통을 완화해 준다는 개인용조합자극기를 사용했고, 이내 우측 다리에 마비 증상이 나타나 병원으로 옮겨졌다. 김씨는 "기기 사용을 도와주던 직원이 온도를 너무 높게 올렸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당초 A업체는 이 개인용조합자극기를 사용하면 신체 곳곳의 아픈 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심지어는 해당 기기를 얼굴에 부착하면 주름이 펴진다고 광고해 손님을 끌어모았다. 그러나 개인용조합자극기는 전극을 통해 인체에 전류를 가하는 의료기기로, 당초 근육통 완화를 목적으로 허가됐다.24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실버 헬스케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노인들을 상대로 허위·과대 홍보를 해 상품을 판매하는 불법 의료기기·용구 체험방이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3년 간(2021년~2024년 3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의료용구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188건으로 매년 350건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 3월까지는 총 98건이 접수돼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연령대를 살펴보면 60대 이상 고령 소비자 피해가 28.4%(333건)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온라인 판매 비중이 낮았는데, 60대 이상은 일반판매와 방문판매 비중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신경의 58%가 손상됐다는 소견을 받고 입원한 김씨는 A업체에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하지만 돌아오는 답변은 "해당 의료기기에는 문제가 없고 다친 것은 김씨의 잘못"이라는 말뿐이었다.A업체는 노인들이 무료체험방을 방문하면 비누와 치약 등 생필품을 공짜로 나눠줬다. 이런 방식으로 환심을 산 뒤 자사 의료기기를 구매하도록 판촉행위를 했다.그러나 체험방에서 의료인과 의료기관 개설자, 의료기관 종사자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거짓·과대광고를 하거나 표시·기재 사항을 위반할 경우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이서형 대륜 의료소송그룹 변호사는 "허가 사항인 근육통 완화 이외에 비만, 허리디스크에도 효과가 있다고 하는 등 의료기기의 성능·효능·효과 등에 대한 거짓·과대광고를 하거나, 공산품임에도 불구하고 목디스크의 개선 등 의료적 목적을 표방해 의료기기로 오인하게 하는 광고, 거짓이나 오해할 염려가 있는 사항의 표시·기재를 하는 경우에는 의료기기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실제로 A업체는 허위·과대광고로 2017년 1월에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이른바 '떴다방' 단속 감시망에 적발된 적이 있다. 당시 식약처는 A업체 등 의료기기 체험방 52곳을 적발해 형사고발 조치했다.특히 이같은 불법 체험방은 대개 전문인력이 아닌 무자격자가 기기 사용을 주도하며, 피해 발생 시에도 관련 보상이나 구제 방안은 마련돼 있지 않아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이서형 대륜 의료소송그룹 변호사는 "무자격자가 단순히 의료기기 이용을 도와주는 것을 넘어 의료기기를 사용해 근육통 완화 등 의료행위를 한 경우, 의료법 제27조에서 금지하는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한편 A업체는 뉴시스에 "해당 기기에는 문제가 없다"며 "체험방이 의료법과 무슨 관계성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기적의 치료기'에 다리 마비…노인 상대 불법 기기 체험방 '기승'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0-24
'스토킹 처벌법' 시행 3년…올바른 대처 방법은?
'스토킹 처벌법' 시행 3년…올바른 대처 방법은?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이른바 '스토킹 처벌법'이 올해로 시행 3년을 맞았다. 이 법안은 정당한 이유 없이 상대방 혹은 그 가족에게 반복적으로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주거지 혹은 직장 등에서 기다리는 행위, 물건을 두거나 전달하는 행위 모두 '스토킹'에 포함된다. SNS 등을 이용해 연락을 취하며 상대에게 불안감을 줘도 처벌이 가능한데, 만약 스토킹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스토킹 처벌법의 적용 범위는 점차 넓어지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배포·게시하는 행위를 스토킹으로 간주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기도 했다. 최근 집단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의사들의 명단을 작성해 인터넷에 올린 한 전공의가 스토킹 처벌법 적용을 받아 구속된 것 역시 이러한 개정안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스토킹 처벌법의 핵심은 '지속성'과 '반복성'이다. 가해자의 스토킹 행위가 얼마나 자주, 오래 이어져 피해자에게 공포심과 불안감을 줬는지 여부가 유·무죄를 가르는 중요한 요건이 되는 것이다. 스토킹 행위가 있었더라도 단발성에 그쳤다면 혐의가 인정되기 힘들며, 피해자 의사에 반해 여러 차례 접근했다고 하더라도 스토킹의 의도가 모두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무죄가 선고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문제는 스토킹 처벌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여전히 부재하다는 점이다. '지속·반복'이라는 개념 자체가 다소 주관적이고, '공포감·불안감'에 대한 해석 역시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상황이 이렇기에 스토킹 신고를 했음에도 피해 사실을 인정받지 못하는 사례들 역시 다수 발생하고 있다.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스토킹 처벌법 시행 이후 검찰 수사 선상에 오른 피의자 수가 지난 한 해에만 1만명을 넘어섰지만 대부분이 약식 기소·불기소 처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구속된 피의자 비율도 3%에 미치지 못했다.그렇기에 만약 스토킹 범죄를 당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먼저 통화 기록, SNS 등 반복·지속적인 스토킹을 입증할 만한 자료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상대의 스토킹 행위가 자신의 의사에 반해 이뤄졌다는 점을 증명해야 하므로 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반대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처벌 대상 자체가 넓어지면서 의도치 않게 스토킹 범죄 피의자로 지목되는 상황 역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스토킹 처벌법의 경우 반의사불벌죄가 폐지됨에 따라 한 번 신고가 접수되면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수사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문가와 함께 조기 대응에 힘쓰며 억울한 혐의를 벗을 수 있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 '스토킹 처벌법' 시행 3년…올바른 대처 방법은?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0-24
'스토킹 처벌법' 시행 3년…올바른 대처 방법은?
'스토킹 처벌법' 시행 3년…올바른 대처 방법은?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이른바 '스토킹 처벌법'이 올해로 시행 3년을 맞았다. 이 법안은 정당한 이유 없이 상대방 혹은 그 가족에게 반복적으로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주거지 혹은 직장 등에서 기다리는 행위, 물건을 두거나 전달하는 행위 모두 '스토킹'에 포함된다. SNS 등을 이용해 연락을 취하며 상대에게 불안감을 줘도 처벌이 가능한데, 만약 스토킹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스토킹 처벌법의 적용 범위는 점차 넓어지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배포·게시하는 행위를 스토킹으로 간주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기도 했다. 최근 집단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의사들의 명단을 작성해 인터넷에 올린 한 전공의가 스토킹 처벌법 적용을 받아 구속된 것 역시 이러한 개정안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스토킹 처벌법의 핵심은 '지속성'과 '반복성'이다. 가해자의 스토킹 행위가 얼마나 자주, 오래 이어져 피해자에게 공포심과 불안감을 줬는지 여부가 유·무죄를 가르는 중요한 요건이 되는 것이다. 스토킹 행위가 있었더라도 단발성에 그쳤다면 혐의가 인정되기 힘들며, 피해자 의사에 반해 여러 차례 접근했다고 하더라도 스토킹의 의도가 모두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무죄가 선고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문제는 스토킹 처벌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여전히 부재하다는 점이다. '지속·반복'이라는 개념 자체가 다소 주관적이고, '공포감·불안감'에 대한 해석 역시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상황이 이렇기에 스토킹 신고를 했음에도 피해 사실을 인정받지 못하는 사례들 역시 다수 발생하고 있다.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스토킹 처벌법 시행 이후 검찰 수사 선상에 오른 피의자 수가 지난 한 해에만 1만명을 넘어섰지만 대부분이 약식 기소·불기소 처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구속된 피의자 비율도 3%에 미치지 못했다.그렇기에 만약 스토킹 범죄를 당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먼저 통화 기록, SNS 등 반복·지속적인 스토킹을 입증할 만한 자료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상대의 스토킹 행위가 자신의 의사에 반해 이뤄졌다는 점을 증명해야 하므로 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반대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처벌 대상 자체가 넓어지면서 의도치 않게 스토킹 범죄 피의자로 지목되는 상황 역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스토킹 처벌법의 경우 반의사불벌죄가 폐지됨에 따라 한 번 신고가 접수되면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수사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문가와 함께 조기 대응에 힘쓰며 억울한 혐의를 벗을 수 있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 '스토킹 처벌법' 시행 3년…올바른 대처 방법은?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24
퇴직금 지급안해 고발·송치된 사업주···‘불기소·항고기각’이유는?
퇴직금 지급안해 고발·송치된 사업주···‘불기소·항고기각’이유는?
고용노동청이 실제 근무한 지 10년이 지난 직원의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혐의로 송치한 사업주에 대해 검찰이 불기소처분에 이어 항고도 기각한 결정이 나왔다.서울고등검찰청은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지난해 9월 사업주 B씨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한 사건의 항고사건에 대해, 지난달 12일 '퇴직 직원 A씨'의 항고를 기각했다.A씨는 2012년 5월 B씨의 회사에 채용됐다가 입사한 지 두 달 만인 그해 7월 경 부상을 입어 산재 요양에 들어갔다. 이후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근무를 하지 않았다. 다만 A씨의 4대 보험은 10년이 지난 2023년 2월에서야 상실됐다.그런데 A씨는 그제서야 B씨에게 퇴직금 약 2100만 원을 요구했다. 이는 A씨가 일을 시작한 2012년 5월부터 4대 보험이 만료된 날짜까지를 근로기간으로 보고 산정한 금액이었다.그러나 B씨는 A씨에 대한 퇴직금 지급을 거절했다.그러자 A씨는 관할 고용노동청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관련 조사를 마친 고용노동청은 퇴직금 미지급 혐의로 B씨를 의정부지방검찰청에 송치했다.B씨는 “A씨의 실제 근로 기간은 2개월에 불과한데다, 다친 A씨가 건강보험을 유지하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4대보험 신고를 뒤늦게 했다”면서,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의정부지방검찰청은 B씨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에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A씨가 부상 이후 한 번도 근무를 한 적이 없고, 실제 근로 기간도 1년이 채 되지 않는 점이 그 주된 이유였다.검찰은 불기소결정서에서 “근로 종료일로부터 10년 이상이 지났기에 사업주 입장에서는 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늦어진 4대보험 상실도 행정상 처리일 뿐 실질적인 근로 기간 종료일로 볼 수 없다”면서, “B씨가 A씨에게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인식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불기소 이유를 밝혔다.A씨는 이에 불복해 항고장을 제출했다.하지만 서울고등검찰청에서도 B씨의 혐의를 수사한 결과, 증거불충분으로 항고를 기각하면서 B씨에 대한 불기소 처분은 유지됐다.이 사건에서 사업주 B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허성국 변호사는 “임금이나 퇴직금 등을 지급하지 않은 데에 착오 또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었다면 고의로 볼 수 없다”면서, “사업주 입장에서는 A씨가 실제로 일한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퇴직금이 발생했을 것이라 생각하기 어려웠다. 이 외에도 회사 경영의 악화 등으로 실질적 지급에 어려움이 있었던 상황이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퇴직금 지급안해 고발·송치된 사업주···‘불기소·항고기각’이유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24
퇴직금 지급안해 고발·송치된 사업주···‘불기소·항고기각’이유는?
퇴직금 지급안해 고발·송치된 사업주···‘불기소·항고기각’이유는?
고용노동청이 실제 근무한 지 10년이 지난 직원의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혐의로 송치한 사업주에 대해 검찰이 불기소처분에 이어 항고도 기각한 결정이 나왔다.서울고등검찰청은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지난해 9월 사업주 B씨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한 사건의 항고사건에 대해, 지난달 12일 '퇴직 직원 A씨'의 항고를 기각했다.A씨는 2012년 5월 B씨의 회사에 채용됐다가 입사한 지 두 달 만인 그해 7월 경 부상을 입어 산재 요양에 들어갔다. 이후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근무를 하지 않았다. 다만 A씨의 4대 보험은 10년이 지난 2023년 2월에서야 상실됐다.그런데 A씨는 그제서야 B씨에게 퇴직금 약 2100만 원을 요구했다. 이는 A씨가 일을 시작한 2012년 5월부터 4대 보험이 만료된 날짜까지를 근로기간으로 보고 산정한 금액이었다.그러나 B씨는 A씨에 대한 퇴직금 지급을 거절했다.그러자 A씨는 관할 고용노동청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관련 조사를 마친 고용노동청은 퇴직금 미지급 혐의로 B씨를 의정부지방검찰청에 송치했다.B씨는 “A씨의 실제 근로 기간은 2개월에 불과한데다, 다친 A씨가 건강보험을 유지하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4대보험 신고를 뒤늦게 했다”면서,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을 수사한 의정부지방검찰청은 B씨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에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A씨가 부상 이후 한 번도 근무를 한 적이 없고, 실제 근로 기간도 1년이 채 되지 않는 점이 그 주된 이유였다.검찰은 불기소결정서에서 “근로 종료일로부터 10년 이상이 지났기에 사업주 입장에서는 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늦어진 4대보험 상실도 행정상 처리일 뿐 실질적인 근로 기간 종료일로 볼 수 없다”면서, “B씨가 A씨에게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인식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불기소 이유를 밝혔다.A씨는 이에 불복해 항고장을 제출했다.하지만 서울고등검찰청에서도 B씨의 혐의를 수사한 결과, 증거불충분으로 항고를 기각하면서 B씨에 대한 불기소 처분은 유지됐다.이 사건에서 사업주 B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허성국 변호사는 “임금이나 퇴직금 등을 지급하지 않은 데에 착오 또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었다면 고의로 볼 수 없다”면서, “사업주 입장에서는 A씨가 실제로 일한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퇴직금이 발생했을 것이라 생각하기 어려웠다. 이 외에도 회사 경영의 악화 등으로 실질적 지급에 어려움이 있었던 상황이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퇴직금 지급안해 고발·송치된 사업주···‘불기소·항고기각’이유는?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0-23
채팅 어플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한 학원강사, 항소심서 감형
채팅 어플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한 학원강사, 항소심서 감형
채팅어플로 알게 된 미성년자를 수차례 성폭행하고, 불법 촬영물까지 전송받은 20대 학원강사가 항소심에서 감형됐습니다.23일 대구고등법원 제1형사부는 미성년자의제강간, 아동·청소년의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성 착취물 제작·배포)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9살 A씨에게 징역 4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했다고 밝혔습니다.이와 함께 A씨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강의 수강과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에 5년간 취업제한도 명령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8월 대구 서구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 있는 자신의 차량에서 당시 12살이던 B양을 유인해 성관계를 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채팅어플을 통해 B양과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모두 10차례에 걸쳐 성관계를 맺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그는 B양에게 노출 사진을 찍어 전송할 것을 강요하기도 했습니다.이뿐만 아니라 "벗어달라" 등의 내용이 담긴 음란 메시지를 47회 이상 전송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1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12세에 불과한 피해자를 간음하고, 성 착취물을 촬영해 전송하도록 하는 등 그 죄질이 매우 좋지 않다"며 "성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이 아직 정립되지 않아 보호가 필요한 아동·청소년인 피해자를 자신의 성적 욕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엄중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하며 징역 4년을 선고했습니다.이후 항소심 과정에서 A씨 측은 피해자로부터 전송받은 불법 촬영물을 자발적으로 모두 삭제한 점과 A씨가 잘못을 인지한 후 피해자와의 만남을 정리하기 위해 노력했던 점 등을 참작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습니다.피해자 측에서 A씨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고도 변론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폭행, 협박 등의 강제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이지 않고, 제작한 성 착취물이 외부로 유출된 정황도 보이지 않는다"며 "실형 집행보다는 보호관찰 등과 함께 징역형의 집행을 유예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판시했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신규 변호사는 "어플을 통해 미성년자와 만남을 가져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추세다. 미성년자의제강간죄 규정은 13세에서 16세로 연령이 상향됐는데, 범위가 넓어져 입건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 미성년자인지 여부, 동의 여부 등을 면밀히 따져 피고인에 유리한 양형 요소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미성년자 성범죄 건은 폭행, 협박 일체가 없었더라도 형사 처벌을 피하기 힘들다"며 "유죄 판결이 나오게 되면 취업제한, 전자발찌 부착, 신상정보 등록·공개 등 각종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내려지므로 수사단계부터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채팅 어플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한 학원강사, 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0-23
채팅 어플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한 학원강사, 항소심서 감형
채팅 어플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한 학원강사, 항소심서 감형
채팅어플로 알게 된 미성년자를 수차례 성폭행하고, 불법 촬영물까지 전송받은 20대 학원강사가 항소심에서 감형됐습니다.23일 대구고등법원 제1형사부는 미성년자의제강간, 아동·청소년의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성 착취물 제작·배포)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9살 A씨에게 징역 4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했다고 밝혔습니다.이와 함께 A씨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강의 수강과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에 5년간 취업제한도 명령했습니다.A씨는 지난해 8월 대구 서구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 있는 자신의 차량에서 당시 12살이던 B양을 유인해 성관계를 한 혐의를 받습니다.A씨는 채팅어플을 통해 B양과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모두 10차례에 걸쳐 성관계를 맺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그는 B양에게 노출 사진을 찍어 전송할 것을 강요하기도 했습니다.이뿐만 아니라 "벗어달라" 등의 내용이 담긴 음란 메시지를 47회 이상 전송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1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12세에 불과한 피해자를 간음하고, 성 착취물을 촬영해 전송하도록 하는 등 그 죄질이 매우 좋지 않다"며 "성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이 아직 정립되지 않아 보호가 필요한 아동·청소년인 피해자를 자신의 성적 욕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엄중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하며 징역 4년을 선고했습니다.이후 항소심 과정에서 A씨 측은 피해자로부터 전송받은 불법 촬영물을 자발적으로 모두 삭제한 점과 A씨가 잘못을 인지한 후 피해자와의 만남을 정리하기 위해 노력했던 점 등을 참작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습니다.피해자 측에서 A씨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고도 변론했습니다.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폭행, 협박 등의 강제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이지 않고, 제작한 성 착취물이 외부로 유출된 정황도 보이지 않는다"며 "실형 집행보다는 보호관찰 등과 함께 징역형의 집행을 유예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판시했습니다.A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신규 변호사는 "어플을 통해 미성년자와 만남을 가져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추세다. 미성년자의제강간죄 규정은 13세에서 16세로 연령이 상향됐는데, 범위가 넓어져 입건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번 사건의 경우 미성년자인지 여부, 동의 여부 등을 면밀히 따져 피고인에 유리한 양형 요소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미성년자 성범죄 건은 폭행, 협박 일체가 없었더라도 형사 처벌을 피하기 힘들다"며 "유죄 판결이 나오게 되면 취업제한, 전자발찌 부착, 신상정보 등록·공개 등 각종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내려지므로 수사단계부터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채팅 어플서 만난 미성년자 성폭행한 학원강사, 항소심서 감형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4-10-21
“코인투자 재미 못보셨다면 맡겨만 주세요”...코인 대리투자 주의보
“코인투자 재미 못보셨다면 맡겨만 주세요”...코인 대리투자 주의보
코인판 유명인을 사칭한 유튜버대리 거래 명목 1800만원 뜯어가“전문가 아닌 개인의 대리투자 위험”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회사원 A씨는 최근 한 코인 유튜버 L에게 코인 대리 거래 명목으로 1만3000달러(약 1800만원)을 송금했다. L은 자신을 코인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인물로 소개했고 어렵고 힘든 사람들을 위해 개인 상담까지 해주겠다며 약 3500명의 구독자를 끌어들였다. 이에 A씨도 약 2달 반동안 L과 1:1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틀 통해 대화를 나눴고 절박한 상황에서 그를 믿게 됐다. 하지만 L은 대리 거래 명목으로 1800만원을 받은 뒤 잠적한 상황이다. A씨는 “다시 돌아보면 말이 안되는데 요즘 힘든 시기를 겪고 있어 진지하게 상담해주면서 접근하니 눈과 귀가 멀었던 것 같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19일 가상자산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한 코인 유튜버로 인해 1800만원가량을 손해 본 피해자가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했다.해당 피해자는 코인 유튜버 L에게 대리 코인 거래 명목으로 1800만원을 지급했고 이 중 약 400달러(약 55만원)만 돌려받았다고 주장했다. L은 A씨에게 대리 코인 거래를 해줄 수 있다고 꼬셨고 이미 많은 투자자가 참여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를 권유했다.A씨는 “처음엔 400달러만 주더니 그 다음날엔 거래에서 손실이 발생했다며 돈을 주지 않았다”며 “보증금인 3000달러(약 400만원)을 먼저 돌려달라고 했지만 여러 핑계를 대면서 듣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 유튜버 L은 채널을 삭제했다. 그와 나눈 대화내역도 삭제된 상황이다.코인 유튜버 L은 유명 코인 투자자라고 본인을 소개했고, 코인 투자가 어려운 투자자들에게 투자 방법이나 투자관 등을 설명해주며 구독자를 끌어모았다.피해자 A씨는 힘들거나 어려운 사람들은 1:1로 상담을 신청하라는 유튜버 L의 말을 믿고 그에게 조언을 구했다. A씨는 지난 8월 초부터 10월 중순까지 두달반 동안 L과 대화를 나눴고 대화 과정에서 신뢰감을 얻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처음부터 유튜버 L이 A씨에게 대리 코인 거래를 제안한 것은 아니었다.L은 두 달반 동안 신뢰를 쌓은 뒤 어느 날 ‘양방향 거래’에 대한 얘기를 꺼냈다. 양방향 거래는 선물 거래를 통해 유튜버 L이 지정한 거래소와 A씨가 반대 포지션을 잡아, 거래소의 물량이 청산되면 일정 부분 수수료를 받는 식의 거래였다.유튜버 L은 A씨에게 거래소를 하나 지정해줬고, 해당 거래소에서 ‘테터’ 코인을 사기 위해 돈을 달라고 했다. L은 코인을 사기 위해 지정된 계좌로 현금을 입금해 달라고 했다. A씨는 직접 코인을 구매하는 게 아니라 계좌 입금하면 거래소가 구매하는 방식이라 꺼림칙함을 느꼈다고 한다.가령 100만원을 L이 지정한 계좌에 넣으면 거래소에 일정 테더 물량이 들어오고 그 물량으로 선물 거래를 실시한다. 거래소 계정이 100배 레버리지로 숏(매도) 포지션 잡으면 A씨는 본 계정으로 5배 레버리지로 롱(매수) 포지션을 잡는다. 여기에서 100배 레버리지 숏은 코인 가격이 1%만 하락해도 투자 원금 대비 수익률 100%를 얻는다는 뜻이다. 유튜버 L은 여기에서 100배 숏 포지션을 잡은 거래소 물량이 청산되면 거래소로 물량이 들어가고 본인이 일정 수수료를 받으니 그 수수료의 30% 가량을 A씨에게 페이백(환급)해주겠다고 말했다.얼핏 보면 거래소 물량을 청산시키면 되고, 피해자도 본 계정으로 반대 포지션을 취하니 손해가 없을 것 같지만 그렇진 않다. 초보 투자자가 선물거래에서 돈을 버는 일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A씨도 이런 방법을 딱 두 차례 해봤지만 결국 수십만원의 손해를 봤다.나중에 알고 보니 해당 거래소는 테더 코인을 출금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춰지지 않았다. 정상적인 거래소라면 구매한 테더는 출금할 수 있다. 또 금융위원회 금융안전정보원에 신고되지 않은 거래소였다.이 과정에서 A씨는 더 이상 거래를 하지 않겠다고 했고, 이 때 신뢰감을 형성했던 유튜버 L이 선심 쓰듯 친근하게 다가와 대리 코인 거래를 제안한 것이다. A씨는 신뢰감이 생겨 유튜버 L을 믿었던 게 화근이었다고 말했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전문 자격이 아닌 개인에게 투자를 일임하는 건 리스크가 크니 굉장히 위험하다”며 “단기간에 고수익을 담보로 한 거래는 사기일 가능성도 크니 금융소비자의 주의가 특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코인투자 재미 못보셨다면 맡겨만 주세요”...코인 대리투자 주의보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4-10-21
“코인투자 재미 못보셨다면 맡겨만 주세요”...코인 대리투자 주의보
“코인투자 재미 못보셨다면 맡겨만 주세요”...코인 대리투자 주의보
코인판 유명인을 사칭한 유튜버대리 거래 명목 1800만원 뜯어가“전문가 아닌 개인의 대리투자 위험”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회사원 A씨는 최근 한 코인 유튜버 L에게 코인 대리 거래 명목으로 1만3000달러(약 1800만원)을 송금했다. L은 자신을 코인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인물로 소개했고 어렵고 힘든 사람들을 위해 개인 상담까지 해주겠다며 약 3500명의 구독자를 끌어들였다. 이에 A씨도 약 2달 반동안 L과 1:1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틀 통해 대화를 나눴고 절박한 상황에서 그를 믿게 됐다. 하지만 L은 대리 거래 명목으로 1800만원을 받은 뒤 잠적한 상황이다. A씨는 “다시 돌아보면 말이 안되는데 요즘 힘든 시기를 겪고 있어 진지하게 상담해주면서 접근하니 눈과 귀가 멀었던 것 같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19일 가상자산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한 코인 유튜버로 인해 1800만원가량을 손해 본 피해자가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했다.해당 피해자는 코인 유튜버 L에게 대리 코인 거래 명목으로 1800만원을 지급했고 이 중 약 400달러(약 55만원)만 돌려받았다고 주장했다. L은 A씨에게 대리 코인 거래를 해줄 수 있다고 꼬셨고 이미 많은 투자자가 참여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를 권유했다.A씨는 “처음엔 400달러만 주더니 그 다음날엔 거래에서 손실이 발생했다며 돈을 주지 않았다”며 “보증금인 3000달러(약 400만원)을 먼저 돌려달라고 했지만 여러 핑계를 대면서 듣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 유튜버 L은 채널을 삭제했다. 그와 나눈 대화내역도 삭제된 상황이다.코인 유튜버 L은 유명 코인 투자자라고 본인을 소개했고, 코인 투자가 어려운 투자자들에게 투자 방법이나 투자관 등을 설명해주며 구독자를 끌어모았다.피해자 A씨는 힘들거나 어려운 사람들은 1:1로 상담을 신청하라는 유튜버 L의 말을 믿고 그에게 조언을 구했다. A씨는 지난 8월 초부터 10월 중순까지 두달반 동안 L과 대화를 나눴고 대화 과정에서 신뢰감을 얻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처음부터 유튜버 L이 A씨에게 대리 코인 거래를 제안한 것은 아니었다.L은 두 달반 동안 신뢰를 쌓은 뒤 어느 날 ‘양방향 거래’에 대한 얘기를 꺼냈다. 양방향 거래는 선물 거래를 통해 유튜버 L이 지정한 거래소와 A씨가 반대 포지션을 잡아, 거래소의 물량이 청산되면 일정 부분 수수료를 받는 식의 거래였다.유튜버 L은 A씨에게 거래소를 하나 지정해줬고, 해당 거래소에서 ‘테터’ 코인을 사기 위해 돈을 달라고 했다. L은 코인을 사기 위해 지정된 계좌로 현금을 입금해 달라고 했다. A씨는 직접 코인을 구매하는 게 아니라 계좌 입금하면 거래소가 구매하는 방식이라 꺼림칙함을 느꼈다고 한다.가령 100만원을 L이 지정한 계좌에 넣으면 거래소에 일정 테더 물량이 들어오고 그 물량으로 선물 거래를 실시한다. 거래소 계정이 100배 레버리지로 숏(매도) 포지션 잡으면 A씨는 본 계정으로 5배 레버리지로 롱(매수) 포지션을 잡는다. 여기에서 100배 레버리지 숏은 코인 가격이 1%만 하락해도 투자 원금 대비 수익률 100%를 얻는다는 뜻이다. 유튜버 L은 여기에서 100배 숏 포지션을 잡은 거래소 물량이 청산되면 거래소로 물량이 들어가고 본인이 일정 수수료를 받으니 그 수수료의 30% 가량을 A씨에게 페이백(환급)해주겠다고 말했다.얼핏 보면 거래소 물량을 청산시키면 되고, 피해자도 본 계정으로 반대 포지션을 취하니 손해가 없을 것 같지만 그렇진 않다. 초보 투자자가 선물거래에서 돈을 버는 일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A씨도 이런 방법을 딱 두 차례 해봤지만 결국 수십만원의 손해를 봤다.나중에 알고 보니 해당 거래소는 테더 코인을 출금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춰지지 않았다. 정상적인 거래소라면 구매한 테더는 출금할 수 있다. 또 금융위원회 금융안전정보원에 신고되지 않은 거래소였다.이 과정에서 A씨는 더 이상 거래를 하지 않겠다고 했고, 이 때 신뢰감을 형성했던 유튜버 L이 선심 쓰듯 친근하게 다가와 대리 코인 거래를 제안한 것이다. A씨는 신뢰감이 생겨 유튜버 L을 믿었던 게 화근이었다고 말했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전문 자격이 아닌 개인에게 투자를 일임하는 건 리스크가 크니 굉장히 위험하다”며 “단기간에 고수익을 담보로 한 거래는 사기일 가능성도 크니 금융소비자의 주의가 특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코인투자 재미 못보셨다면 맡겨만 주세요”...코인 대리투자 주의보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0-21
비밀 정보 경쟁사 유출로 소송당한 퇴직자..法 "영업비밀 아냐"
비밀 정보 경쟁사 유출로 소송당한 퇴직자..法 "영업비밀 아냐"
구체적 항목 특정 불가, 영업상 비밀 조건 갖추지 못해전직 금지약정 자체 위법, 문제 삼을 수 없어 경쟁업체에 핵심 정보를 유출했다는 이유로 회사로부터 손해배상 소송을 당한 퇴직자에 대해 배상할 필요가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회사가 주장하는 핵심 정보가 영업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입니다.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민사3부(부장판사 송인권)는 지난달 20일 회사 측이 퇴직자 A씨와 B씨, 경쟁업체 C사를 상대로 낸 전직 금지 및 영업비밀 침해금지 가처분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A씨와 B씨는 재직 당시 영업부에서 관리자급으로 근무했으며, 지난 2020년 초 퇴사했습니다.이후 이들은 같은 해 8월 동종 영업을 하고 있는 C주식회사에 이직했습니다.원고 측은 정보 접근이 가능한 직급인 피고 A, B씨가 재직 중 습득한 정보 자산을 C사에 넘겨 영업에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며, 2억 1,000여만 원을 배상할 것을 요구했습니다.또한, A, B씨가 전직 금지 약정을 체결하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현행법상 회사의 영업비밀을 다루는 직원이 기밀 사항을 외부로 반출하면 최대 15년 이하의 징역 혹은 15억 원 이하의 벌금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또,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져야 합니다.하지만 법원은 해당 사건의 정보가 영업상 비밀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재판부는 "원고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 A, B씨가 이 사건 정보를 몰래 반출했다거나 이를 이용해 영업활동을 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이어 "어떤 정보를 반출했는지 알 수 있는 자료도 존재하지 않고, C사가 거래한 업체 중 일부가 원고의 거래처와 일치한다는 이유만으로 A, B씨가 해당 업체에 관한 이 사건 정보를 반출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A, B씨는 이 사건과 관련해 업무상 배임죄 및 영업비밀 누설 등 죄로 기소되었으나, 모두 무죄가 선고된 바 있다. C사의 경우에도 검찰이 혐의없음 의견으로 불기소처분을 내렸다"고 덧붙였습니다.피고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용태 변호사는 "원고 측이 주장하는 핵심 정보는 실체가 모호하고 대상이 특정될 수 없으며, 특정되더라도 영업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전직 금지약정이 문제된다 하더라도 금지 기간이 3년에 달하는 등 약정 자체가 민법 제103조에 위배돼 무효라는 점에서 원고의 주장은 성립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비밀 정보 경쟁사 유출로 소송당한 퇴직자..法 "영업비밀 아냐"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0-21
비밀 정보 경쟁사 유출로 소송당한 퇴직자..法 "영업비밀 아냐"
비밀 정보 경쟁사 유출로 소송당한 퇴직자..法 "영업비밀 아냐"
구체적 항목 특정 불가, 영업상 비밀 조건 갖추지 못해전직 금지약정 자체 위법, 문제 삼을 수 없어 경쟁업체에 핵심 정보를 유출했다는 이유로 회사로부터 손해배상 소송을 당한 퇴직자에 대해 배상할 필요가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회사가 주장하는 핵심 정보가 영업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입니다.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민사3부(부장판사 송인권)는 지난달 20일 회사 측이 퇴직자 A씨와 B씨, 경쟁업체 C사를 상대로 낸 전직 금지 및 영업비밀 침해금지 가처분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A씨와 B씨는 재직 당시 영업부에서 관리자급으로 근무했으며, 지난 2020년 초 퇴사했습니다.이후 이들은 같은 해 8월 동종 영업을 하고 있는 C주식회사에 이직했습니다.원고 측은 정보 접근이 가능한 직급인 피고 A, B씨가 재직 중 습득한 정보 자산을 C사에 넘겨 영업에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며, 2억 1,000여만 원을 배상할 것을 요구했습니다.또한, A, B씨가 전직 금지 약정을 체결하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현행법상 회사의 영업비밀을 다루는 직원이 기밀 사항을 외부로 반출하면 최대 15년 이하의 징역 혹은 15억 원 이하의 벌금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또,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져야 합니다.하지만 법원은 해당 사건의 정보가 영업상 비밀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재판부는 "원고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 A, B씨가 이 사건 정보를 몰래 반출했다거나 이를 이용해 영업활동을 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이어 "어떤 정보를 반출했는지 알 수 있는 자료도 존재하지 않고, C사가 거래한 업체 중 일부가 원고의 거래처와 일치한다는 이유만으로 A, B씨가 해당 업체에 관한 이 사건 정보를 반출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그러면서 "A, B씨는 이 사건과 관련해 업무상 배임죄 및 영업비밀 누설 등 죄로 기소되었으나, 모두 무죄가 선고된 바 있다. C사의 경우에도 검찰이 혐의없음 의견으로 불기소처분을 내렸다"고 덧붙였습니다.피고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용태 변호사는 "원고 측이 주장하는 핵심 정보는 실체가 모호하고 대상이 특정될 수 없으며, 특정되더라도 영업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전직 금지약정이 문제된다 하더라도 금지 기간이 3년에 달하는 등 약정 자체가 민법 제103조에 위배돼 무효라는 점에서 원고의 주장은 성립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비밀 정보 경쟁사 유출로 소송당한 퇴직자..法 "영업비밀 아냐" (바로가기)
머니S
2024-10-21
"딥페이크는 심각한 범죄"… 법조계, 첨단 기술 활용해 총력 대응해야
"딥페이크는 심각한 범죄"… 법조계, 첨단 기술 활용해 총력 대응해야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인원 형사그룹장 타인의 사진을 음란물에 합성·유포하는 딥페이크 범죄가 대학가를 넘어 초중고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법조계가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섰다.법무법인 대륜도 최근 급증하는 딥페이크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을 선언했다. 증거조사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증거수집을 위해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 그룹과 연계한 사이버범죄팀을 구성했다. 모의조사실·법정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경찰 수사 단계부터 공판에 이르기까지 모든 절차에 밀착 변호를 제공한다.김인원 형사그룹장은 딥페이크 범죄 대응에 있어 법적 조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다음은 김 그룹장과의 일문일답이다.-최근 딥페이크 기술로 인해 사회가 떠들썩하다. 어떤 기술이고 범죄 양상은 어떤지.▶딥페이크는 Deep Learning(딥러닝)과 Fake(가짜)의 합성어로 AI를 활용해 진위를 확인할 수 없는 이미지나 영상물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지나가는 시민의 몸에 유명 배우의 얼굴을 합성함으로써 유명 배우가 걸어가는 영상을 만들어낸다면 그것이 바로 딥페이크 영상이다. 딥페이크를 단순히 취미용으로 건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유명 정치인의 합성영상을 만들어 명예를 훼손하거나 지인의 얼굴을 합성해 성범죄 동영상을 만들어 유포하는 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딥페이크 자료를 다운로드받거나 유포할 경우 어떤 처벌을 받나.▶딥페이크 영상을 제작, 반포, 편집할 경우 모두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영리 목적으로 영상을 유포했다면 최대 7년 이하의 징역형으로 가중처벌 될 수 있다. 실제로 동문 여성의 얼굴을 음란물과 합성해서 성착취물을 제작한 이른바 '서울대 N번방 사건'에서도 피고인 중 한명이 1심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단순히 영상이 공유되는 채팅방에 참여만 해도 처벌받나.▶현재 딥페이크 영상을 단순 시청하거나 소지하는 것에 대한 처벌 조항은 없다. 다만 최근 늘어나는 텔레그램 성범죄 사건으로 인해 단순 참여자에 대해서도 방조 혐의를 적용해 처벌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만큼 채팅방에 아예 참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딥페이크 범죄 피해자에게 변호사가 어떤 조력을 줄 수 있는지.▶딥페이크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이버성범죄는 증거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폐쇄적인 유통경로로 인해 혼자서 진행하는 것이 다소 어렵다. 이때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다면 피해 입증을 위한 증거 수집이 훨씬 더 수월해진다. 대륜의 경우 디지털포렌식센터를 운영해 삭제된 자료 복구나 영상 유포 현황에 대한 합법적인 증거 수집을 지원한다. 개인정보나 민감정보를 삭제한 뒤 수사기관에 제출하는 것까지 조력할 수 있다.-사이버성범죄에 연루됐을 때 해줄 수 있는 조언은.▶사이버성범죄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만큼 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혐의를 적용해 처벌받을 수 있으니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 피해자라면 신속한 증거 수집을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하며, 가해자의 경우 감형 요소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변호사와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기사전문보기] - "딥페이크는 심각한 범죄"… 법조계, 첨단 기술 활용해 총력 대응해야 (바로가기)
머니S
2024-10-21
"딥페이크는 심각한 범죄"… 법조계, 첨단 기술 활용해 총력 대응해야
"딥페이크는 심각한 범죄"… 법조계, 첨단 기술 활용해 총력 대응해야
[인터뷰] 법무법인 대륜 김인원 형사그룹장 타인의 사진을 음란물에 합성·유포하는 딥페이크 범죄가 대학가를 넘어 초중고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법조계가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섰다.법무법인 대륜도 최근 급증하는 딥페이크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을 선언했다. 증거조사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증거수집을 위해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 그룹과 연계한 사이버범죄팀을 구성했다. 모의조사실·법정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경찰 수사 단계부터 공판에 이르기까지 모든 절차에 밀착 변호를 제공한다.김인원 형사그룹장은 딥페이크 범죄 대응에 있어 법적 조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다음은 김 그룹장과의 일문일답이다.-최근 딥페이크 기술로 인해 사회가 떠들썩하다. 어떤 기술이고 범죄 양상은 어떤지.▶딥페이크는 Deep Learning(딥러닝)과 Fake(가짜)의 합성어로 AI를 활용해 진위를 확인할 수 없는 이미지나 영상물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지나가는 시민의 몸에 유명 배우의 얼굴을 합성함으로써 유명 배우가 걸어가는 영상을 만들어낸다면 그것이 바로 딥페이크 영상이다. 딥페이크를 단순히 취미용으로 건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유명 정치인의 합성영상을 만들어 명예를 훼손하거나 지인의 얼굴을 합성해 성범죄 동영상을 만들어 유포하는 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딥페이크 자료를 다운로드받거나 유포할 경우 어떤 처벌을 받나.▶딥페이크 영상을 제작, 반포, 편집할 경우 모두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영리 목적으로 영상을 유포했다면 최대 7년 이하의 징역형으로 가중처벌 될 수 있다. 실제로 동문 여성의 얼굴을 음란물과 합성해서 성착취물을 제작한 이른바 '서울대 N번방 사건'에서도 피고인 중 한명이 1심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단순히 영상이 공유되는 채팅방에 참여만 해도 처벌받나.▶현재 딥페이크 영상을 단순 시청하거나 소지하는 것에 대한 처벌 조항은 없다. 다만 최근 늘어나는 텔레그램 성범죄 사건으로 인해 단순 참여자에 대해서도 방조 혐의를 적용해 처벌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만큼 채팅방에 아예 참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딥페이크 범죄 피해자에게 변호사가 어떤 조력을 줄 수 있는지.▶딥페이크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이버성범죄는 증거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폐쇄적인 유통경로로 인해 혼자서 진행하는 것이 다소 어렵다. 이때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다면 피해 입증을 위한 증거 수집이 훨씬 더 수월해진다. 대륜의 경우 디지털포렌식센터를 운영해 삭제된 자료 복구나 영상 유포 현황에 대한 합법적인 증거 수집을 지원한다. 개인정보나 민감정보를 삭제한 뒤 수사기관에 제출하는 것까지 조력할 수 있다.-사이버성범죄에 연루됐을 때 해줄 수 있는 조언은.▶사이버성범죄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만큼 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혐의를 적용해 처벌받을 수 있으니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 피해자라면 신속한 증거 수집을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하며, 가해자의 경우 감형 요소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변호사와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기사전문보기] - "딥페이크는 심각한 범죄"… 법조계, 첨단 기술 활용해 총력 대응해야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18
법무법인 대륜, 경일렌탈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경일렌탈과 법률자문 MOU 체결
각종 계약서 검토부터 부동산 사업 법률 이슈 대응까지사업구조 개선, 사업 다각화 위한 맞춤형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경일렌탈과 법률자문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이날 대륜 대전총괄본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대표, 이기준 변호사와 경일렌탈의 전재숙 대표이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경일렌탈은 부동산 개발 및 임대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충청남도와 경상남도를 거점으로 토지 매입·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이번 협약은 부동산 거래와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법률 리스크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부동산 사업 분쟁 대응, ▲각종 계약서검토, ▲사업구조 개선을 위한 자문,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경일렌탈 전재숙 대표이사는 “기업을 운영하면서 법률적인 부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사업을 넓혀가는 과정에서 여러 제약이 따르는데, 계약서 검토 등에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좋은 기회로 대륜과 인연을 맺게 됐는데, 앞으로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신규 사업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의뢰인들을 위해 언제 어디서든 화상 상담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덕분에 경일렌탈의 크고 작은 법률문제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면서, “부동산, 회계, 노무 등 각 분야의 전문팀이 협업해 최적의 자문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양사가 협력해 함께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면서, 사건 규모에 따라 기업전문변호사 및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해 사건을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기업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경일렌탈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18
법무법인 대륜, 경일렌탈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경일렌탈과 법률자문 MOU 체결
각종 계약서 검토부터 부동산 사업 법률 이슈 대응까지사업구조 개선, 사업 다각화 위한 맞춤형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경일렌탈과 법률자문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이날 대륜 대전총괄본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대표, 이기준 변호사와 경일렌탈의 전재숙 대표이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경일렌탈은 부동산 개발 및 임대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충청남도와 경상남도를 거점으로 토지 매입·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이번 협약은 부동산 거래와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법률 리스크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부동산 사업 분쟁 대응, ▲각종 계약서검토, ▲사업구조 개선을 위한 자문,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경일렌탈 전재숙 대표이사는 “기업을 운영하면서 법률적인 부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사업을 넓혀가는 과정에서 여러 제약이 따르는데, 계약서 검토 등에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좋은 기회로 대륜과 인연을 맺게 됐는데, 앞으로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신규 사업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의뢰인들을 위해 언제 어디서든 화상 상담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덕분에 경일렌탈의 크고 작은 법률문제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면서, “부동산, 회계, 노무 등 각 분야의 전문팀이 협업해 최적의 자문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양사가 협력해 함께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면서, 사건 규모에 따라 기업전문변호사 및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해 사건을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기업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경일렌탈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4-10-18
[IB토마토]여기어때, 취소 수수료로 '돈벌이'…소비자 보호는 뒷전
[IB토마토]여기어때, 취소 수수료로 '돈벌이'…소비자 보호는 뒷전
소비자 피해 구제 신청 3년간 523건으로 '1위'일부 상품 10분 이내 취소만 무료에 불만 가중취소 수수료 포함 수수료수입 급증해 이익률 높아 #서울에 살고 있는 소비자 A씨는 최근 여기어때를 통해 숙소를 예약했다. 새벽에 예약한 이후 다음날 아침에 취소했지만 업체로부터 "규정대로면 이미 적용된 수수료는 환불이 어렵다"라는 통보를 받았다. "다른 방안 확인 후 안내 드릴 예정"이라던 여기어때는 당초 오후 2시에 확인 후 답변을 주겠다고 했지만 다음날에도 묵묵부답이었다. 여기어때를 비롯한 숙박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민원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A씨처럼 숙소를 예약했지만 취소 버튼을 잘못 눌렀거나, 단순 변심으로 취소를 했다가 환불이나 취소 결정 철회 등이 불가능하자 발생한 민원이 주를 이룬다. 소비자피해 구제 신청 1위…3년새 79.38% 증가 1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접수된 숙박시설 이용 관련 소비자 피해 구제 신청은 매년 증가세를 보여왔다. 이에 지난 2021년 1047건에 불과했던 피해구제 현황은 2022년 1428건, 2023년 1643건으로 늘었다. 신청 사유별로 살펴보면 계약해제 시 위약금 불만이 78.5%로 가장 많았다. 일부 숙박시설에서 사전에 환불 불가 약관을 고지했다는 이유로 계약취소 요청 시점과 관계없이 무조건 환불을 거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위약금 불만은 2021년 848건으로 1000개 미만을 기록했지만 지난 2022년 1115건, 2023년 1271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플랫폼별로는 여기어때가 3년간 총 523건으로 가장 많은 피해구제 신청을 받았다. 이어 아고다가 505건, 야놀자가 502건, 네이버가 358건 순으로 피해구제 신청이 많았다. 매년 증감을 반복했지만, 여기어때의 플랫폼별 피해구제 신청건은 앞서 2021년 97건에서 지난해 174건으로 79.38% 증가했다. 이 같은 소비자 불만은 까다로운 취소 수수료 정책과 취소수수료 확인의 어려움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앞서 한국소비자원은 계약체결 당일 취소 시 환불거부 사례가 접수된 숙박예약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개선을 유도해왔다. 이에 지난 2017년부터 데일리호텔·야놀자·여기어때·호텔엔조이 등은 환불불가 조건 상품을 포함한 전체 상품에 대해 계약체결 후 짧게는 10분에서 길게는 1시간 이내 취소시 전액 환불하기로 했다. 하지만 여전히 소비자들의 불만은 높은 상황이다. 특히 예약 전 취소수수료를 한눈에 알아볼 수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소비자 A씨는 "취소수수료 규정은 약관에 빨간 글자를 직접 누르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려웠다"라며 "이전에 같은 숙박업체를 이용했을 때는 방이 모두 차서 취소 요청을 해달라는 요청에 따랐었는데 정작 소비자가 손해보는 상황일 때는 환불 동의를 해주지 않는 것도 문제"라고 토로했다. 숙박플랫폼에 유리한 '불공정 계약'에 불만 확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는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는 해당 계약에 관한 청약철회 등이 가능하다. 하지만 숙박 플랫폼에서는 A씨와 같이 당일 취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환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에 최근 경쟁사인 야놀자는 소비자들로부터 집단소송을 받기도 했다. 전자상거래법으로 거래한 상품은 일주일 이내로 철회할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일부 상품이 10분 이내로만 무료취소가 가능해 플랫폼에만 유리한 구조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약관법 제6조 2항에 따르면 △고객한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 △ 예상하기 어려운 조항 △ 본질적인 권리를 제한하는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로 처리된다. 소송을 진행한 법무법인 대륜은 환불 규정이 고객에게 불리해 공정성을 잃었다고 꼬집었다. 여기어때에서도 국내 호텔·리조트·팬션·게스트하우스·캠핑·홈앤빌라 상품 중 일부는 예약·결제 후 10분 이내에만 무료취소가 가능하고 이후에는 해당 숙소의 취소·환불 규정이 적용된다고 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규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3~4장의 이미지와 객실정보에 대한 내용을 지난 스크롤 하단에 위치해 직관적인 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였다. 플랫폼을 통하지 않고 직접 호텔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하는 경우와도 차이를 보였다. 롯데호텔은 약관을 통해 고객 측의 사정으로 숙박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했을 경우 숙박예정일 1일 전 오후 6시(호텔현지시간)까지 해제·해지할 경우 수수료를 받지 않았다. 6시 이후에는 1박 요금만 내면 취소가 가능했다. 예약 방식에 따라 상이한 취소수수료 정책에 소비자들의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한 업계관계자는 와 통화에서 "숙박플랫폼별로 계약에 의해서 제공되는 객실의 물량이 있는데 이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판촉이나 마케팅 등을 진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때문에 취소수수료 등에 대해서도 여유롭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도 소비자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인해 계약해제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예정일 10일 이전 또는 계약체결일 당일 취소 시 계약금을 고스란히 환급해주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은 말 그대로 '권고사항'이므로 구속력을 갖고 있지 않아, 실제로 보상을 받기 어렵다. 취소수수료 일부 플랫폼 수익으로…실적도 성장세 매년 소비자 불만이 높아지는 가운데 여기어때의 실적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객실판매수입이 1331억원에서 1031억원으로 직전년도 대비 22.54%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수입이 1095억원에서 1242억원으로 13.42%, 광고료수입이 628억원에서 819억원으로 30.41% 성장하면서 매출 성장세를 유지했다. 수수료수입은 예약과 관련된 모든 수수료를 포함한 수입을 일컫는다. 취소 수수료는 기본적으로 제휴점에 지급되지만 그 중 일부는 여기어때에 지급된다. 이 같은 수수료수입이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18%에 달했다. 이는 직전연도 35.85%대비 약 4.3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특히 여기어때의 수수료수입은 2021년 691억원에서 2022년 1095억원으로 58.47%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직전연도 대비 13.42% 늘어난 124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기간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3.7%, 35.8%, 40.2%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수수료수입은 경쟁사인 야놀자의 별도기준 판매수수료수익(2095억원)의 59.28% 수준에 불과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월 사용자 평균은 여기어때가 220만명으로 야놀자(228만명) 대비 8만명 적었다. 그럼에도 2022년부터 피해구제 신청 현황은 야놀자보다 많게 나타났다. 플랫폼별 피해구제 신청현황을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결과, 여기어때에 대한 신청 건수는 2021년 97건에서 2022년 252건으로 급증했다. 다만, 지난해에는 174건으로 직전년도 대비 31.0% 감소했다. 같은기간 야놀자의 피해구제 신청건은 133건, 198건, 171건으로 증감을 반복했다. 다만 여기어때의 피해구제 처리(합의율)이 2021년 63.9%, 2022년 71.8%, 2023년 78.2%로 늘어난 점은 긍정적이다. 이 가운데 여기어때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영업이익률은 2021년 7.56%, 2022년 10.64%, 2023년 15.01%로 증가했다. 3년새 약 2배 가까이 수익성이 확대된 셈이다. 같은기간 영업이익도 155억원, 325억원, 464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현금곳간도 넉넉한 편이다. 지난해 말 유동비율은 130.98%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단기금융상품을 포함한 여기어때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총 1002억원으로, 매입채무와 미지급금의 합산액인 549억원을 상회했다.이와 관련, 여기어때 관계자는 와 통화에서 "민원 해결을 위한 CS 등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IB토마토]여기어때, 취소 수수료로 '돈벌이'…소비자 보호는 뒷전 (바로가기)
뉴스토마토
2024-10-18
[IB토마토]여기어때, 취소 수수료로 '돈벌이'…소비자 보호는 뒷전
[IB토마토]여기어때, 취소 수수료로 '돈벌이'…소비자 보호는 뒷전
소비자 피해 구제 신청 3년간 523건으로 '1위'일부 상품 10분 이내 취소만 무료에 불만 가중취소 수수료 포함 수수료수입 급증해 이익률 높아 #서울에 살고 있는 소비자 A씨는 최근 여기어때를 통해 숙소를 예약했다. 새벽에 예약한 이후 다음날 아침에 취소했지만 업체로부터 "규정대로면 이미 적용된 수수료는 환불이 어렵다"라는 통보를 받았다. "다른 방안 확인 후 안내 드릴 예정"이라던 여기어때는 당초 오후 2시에 확인 후 답변을 주겠다고 했지만 다음날에도 묵묵부답이었다. 여기어때를 비롯한 숙박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민원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A씨처럼 숙소를 예약했지만 취소 버튼을 잘못 눌렀거나, 단순 변심으로 취소를 했다가 환불이나 취소 결정 철회 등이 불가능하자 발생한 민원이 주를 이룬다. 소비자피해 구제 신청 1위…3년새 79.38% 증가 1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접수된 숙박시설 이용 관련 소비자 피해 구제 신청은 매년 증가세를 보여왔다. 이에 지난 2021년 1047건에 불과했던 피해구제 현황은 2022년 1428건, 2023년 1643건으로 늘었다. 신청 사유별로 살펴보면 계약해제 시 위약금 불만이 78.5%로 가장 많았다. 일부 숙박시설에서 사전에 환불 불가 약관을 고지했다는 이유로 계약취소 요청 시점과 관계없이 무조건 환불을 거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위약금 불만은 2021년 848건으로 1000개 미만을 기록했지만 지난 2022년 1115건, 2023년 1271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플랫폼별로는 여기어때가 3년간 총 523건으로 가장 많은 피해구제 신청을 받았다. 이어 아고다가 505건, 야놀자가 502건, 네이버가 358건 순으로 피해구제 신청이 많았다. 매년 증감을 반복했지만, 여기어때의 플랫폼별 피해구제 신청건은 앞서 2021년 97건에서 지난해 174건으로 79.38% 증가했다. 이 같은 소비자 불만은 까다로운 취소 수수료 정책과 취소수수료 확인의 어려움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앞서 한국소비자원은 계약체결 당일 취소 시 환불거부 사례가 접수된 숙박예약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개선을 유도해왔다. 이에 지난 2017년부터 데일리호텔·야놀자·여기어때·호텔엔조이 등은 환불불가 조건 상품을 포함한 전체 상품에 대해 계약체결 후 짧게는 10분에서 길게는 1시간 이내 취소시 전액 환불하기로 했다. 하지만 여전히 소비자들의 불만은 높은 상황이다. 특히 예약 전 취소수수료를 한눈에 알아볼 수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소비자 A씨는 "취소수수료 규정은 약관에 빨간 글자를 직접 누르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려웠다"라며 "이전에 같은 숙박업체를 이용했을 때는 방이 모두 차서 취소 요청을 해달라는 요청에 따랐었는데 정작 소비자가 손해보는 상황일 때는 환불 동의를 해주지 않는 것도 문제"라고 토로했다. 숙박플랫폼에 유리한 '불공정 계약'에 불만 확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는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는 해당 계약에 관한 청약철회 등이 가능하다. 하지만 숙박 플랫폼에서는 A씨와 같이 당일 취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환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에 최근 경쟁사인 야놀자는 소비자들로부터 집단소송을 받기도 했다. 전자상거래법으로 거래한 상품은 일주일 이내로 철회할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일부 상품이 10분 이내로만 무료취소가 가능해 플랫폼에만 유리한 구조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약관법 제6조 2항에 따르면 △고객한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 △ 예상하기 어려운 조항 △ 본질적인 권리를 제한하는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로 처리된다. 소송을 진행한 법무법인 대륜은 환불 규정이 고객에게 불리해 공정성을 잃었다고 꼬집었다. 여기어때에서도 국내 호텔·리조트·팬션·게스트하우스·캠핑·홈앤빌라 상품 중 일부는 예약·결제 후 10분 이내에만 무료취소가 가능하고 이후에는 해당 숙소의 취소·환불 규정이 적용된다고 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규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3~4장의 이미지와 객실정보에 대한 내용을 지난 스크롤 하단에 위치해 직관적인 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였다. 플랫폼을 통하지 않고 직접 호텔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하는 경우와도 차이를 보였다. 롯데호텔은 약관을 통해 고객 측의 사정으로 숙박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했을 경우 숙박예정일 1일 전 오후 6시(호텔현지시간)까지 해제·해지할 경우 수수료를 받지 않았다. 6시 이후에는 1박 요금만 내면 취소가 가능했다. 예약 방식에 따라 상이한 취소수수료 정책에 소비자들의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한 업계관계자는 와 통화에서 "숙박플랫폼별로 계약에 의해서 제공되는 객실의 물량이 있는데 이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판촉이나 마케팅 등을 진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때문에 취소수수료 등에 대해서도 여유롭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도 소비자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인해 계약해제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예정일 10일 이전 또는 계약체결일 당일 취소 시 계약금을 고스란히 환급해주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은 말 그대로 '권고사항'이므로 구속력을 갖고 있지 않아, 실제로 보상을 받기 어렵다. 취소수수료 일부 플랫폼 수익으로…실적도 성장세 매년 소비자 불만이 높아지는 가운데 여기어때의 실적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객실판매수입이 1331억원에서 1031억원으로 직전년도 대비 22.54%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수입이 1095억원에서 1242억원으로 13.42%, 광고료수입이 628억원에서 819억원으로 30.41% 성장하면서 매출 성장세를 유지했다. 수수료수입은 예약과 관련된 모든 수수료를 포함한 수입을 일컫는다. 취소 수수료는 기본적으로 제휴점에 지급되지만 그 중 일부는 여기어때에 지급된다. 이 같은 수수료수입이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18%에 달했다. 이는 직전연도 35.85%대비 약 4.3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특히 여기어때의 수수료수입은 2021년 691억원에서 2022년 1095억원으로 58.47%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직전연도 대비 13.42% 늘어난 124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기간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3.7%, 35.8%, 40.2%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수수료수입은 경쟁사인 야놀자의 별도기준 판매수수료수익(2095억원)의 59.28% 수준에 불과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월 사용자 평균은 여기어때가 220만명으로 야놀자(228만명) 대비 8만명 적었다. 그럼에도 2022년부터 피해구제 신청 현황은 야놀자보다 많게 나타났다. 플랫폼별 피해구제 신청현황을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결과, 여기어때에 대한 신청 건수는 2021년 97건에서 2022년 252건으로 급증했다. 다만, 지난해에는 174건으로 직전년도 대비 31.0% 감소했다. 같은기간 야놀자의 피해구제 신청건은 133건, 198건, 171건으로 증감을 반복했다. 다만 여기어때의 피해구제 처리(합의율)이 2021년 63.9%, 2022년 71.8%, 2023년 78.2%로 늘어난 점은 긍정적이다. 이 가운데 여기어때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영업이익률은 2021년 7.56%, 2022년 10.64%, 2023년 15.01%로 증가했다. 3년새 약 2배 가까이 수익성이 확대된 셈이다. 같은기간 영업이익도 155억원, 325억원, 464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현금곳간도 넉넉한 편이다. 지난해 말 유동비율은 130.98%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단기금융상품을 포함한 여기어때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총 1002억원으로, 매입채무와 미지급금의 합산액인 549억원을 상회했다.이와 관련, 여기어때 관계자는 와 통화에서 "민원 해결을 위한 CS 등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IB토마토]여기어때, 취소 수수료로 '돈벌이'…소비자 보호는 뒷전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4곳
2024-10-18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대거 배치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대거 배치
법무법인(유한) 대륜(경영총괄변호사 김국일)이 수임사건의 맞춤 관리를 위한 소송관리센터를 강화한다고 18일 밝혔다.기존의 소송관리 시스템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법인 내 사건 관리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현재 대륜 소송관리센터는 컨트롤타워인 서울 본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국 사무소와 연계되어 있어, 각 지역 사무소에서 진행 중인 사건을 본사가 모두 관리·점검하는 방식이다.이는 수사 혹은 소송이 진행되기 전, 법인 자체적으로 재판부나 수사기관의 시각에서 사건을 체계적으로 검토해 승소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수임과 동시에 사건 종류와 난이도에 따라 최소 2명부터 최대 20명 이상의 변호사가 배치된다. 필요시 회계사, 세무사 등 다른 분야 전문가들도 투입된다.지역 사무소에서 사건을 수임하더라도, 본사가 이를 총괄 관리해 각 사건에 적절한 변호사를 지정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대륜은 여기에 소송관리센터 소속 변호인단을 부장판사 출신으로 대거 지정해, 사건을 보다 더 정확히 판단하고 소송 방향성을 명확히 잡는 등 수행 전 과정을 철저히 관리하는 데 몰입하겠다는 계획이다.기존에는 변호사 다수가 토론하는 방식으로 사건을 검토했다면, 강화된 소송관리센터에는 오랜 법조 경력의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들이 다수 소속됨으로써 서면, 재판 등 전 과정에 대해 보다 더 면밀히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김국일 대표는 "현재 일부 로펌들에서 소송 지연, 소송 수행 태만 등 여러 법조계의 고질적 사안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험이 많은 부장판사급 변호사들이 전문팀 소속 변호사를 이끌고, 사건 전반을 담당해 소송 수행에 문제가 없도록 관리하는 이유"라며 "소송관리센터에서 법인 내 진행 중인 사건을 면밀히 살피면서 서면, 재판 처리의 퀄리티를 높였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대거 배치 (바로가기)이뉴스투데이 -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소송별 맞춤 관리 (바로가기)한국경제 - 지평, 싱가포르국제조정센터와 공동 워크숍…대륜, 소송관리 강화[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소송별 맞춤 관리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4곳
2024-10-18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대거 배치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대거 배치
법무법인(유한) 대륜(경영총괄변호사 김국일)이 수임사건의 맞춤 관리를 위한 소송관리센터를 강화한다고 18일 밝혔다.기존의 소송관리 시스템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법인 내 사건 관리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현재 대륜 소송관리센터는 컨트롤타워인 서울 본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국 사무소와 연계되어 있어, 각 지역 사무소에서 진행 중인 사건을 본사가 모두 관리·점검하는 방식이다.이는 수사 혹은 소송이 진행되기 전, 법인 자체적으로 재판부나 수사기관의 시각에서 사건을 체계적으로 검토해 승소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수임과 동시에 사건 종류와 난이도에 따라 최소 2명부터 최대 20명 이상의 변호사가 배치된다. 필요시 회계사, 세무사 등 다른 분야 전문가들도 투입된다.지역 사무소에서 사건을 수임하더라도, 본사가 이를 총괄 관리해 각 사건에 적절한 변호사를 지정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대륜은 여기에 소송관리센터 소속 변호인단을 부장판사 출신으로 대거 지정해, 사건을 보다 더 정확히 판단하고 소송 방향성을 명확히 잡는 등 수행 전 과정을 철저히 관리하는 데 몰입하겠다는 계획이다.기존에는 변호사 다수가 토론하는 방식으로 사건을 검토했다면, 강화된 소송관리센터에는 오랜 법조 경력의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들이 다수 소속됨으로써 서면, 재판 등 전 과정에 대해 보다 더 면밀히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김국일 대표는 "현재 일부 로펌들에서 소송 지연, 소송 수행 태만 등 여러 법조계의 고질적 사안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험이 많은 부장판사급 변호사들이 전문팀 소속 변호사를 이끌고, 사건 전반을 담당해 소송 수행에 문제가 없도록 관리하는 이유"라며 "소송관리센터에서 법인 내 진행 중인 사건을 면밀히 살피면서 서면, 재판 처리의 퀄리티를 높였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대거 배치 (바로가기)이뉴스투데이 -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소송별 맞춤 관리 (바로가기)한국경제 - 지평, 싱가포르국제조정센터와 공동 워크숍…대륜, 소송관리 강화[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소송관리센터 강화…소송별 맞춤 관리 (바로가기)
머니S
2024-10-17
일하다 다친 직원 연락 무시하다가… 위자료까지 물게 된 사연
일하다 다친 직원 연락 무시하다가… 위자료까지 물게 된 사연
업주, 화재 진압하다 다친 직원의 보상 요구에 '모르쇠' 일관재판부 "근무 중 발생한 상해, 점주 책임 있어…정신적 충격도 보상해야" 화재를 진압하다 화상을 입은 직원의 손해배상 요구를 무시하던 업주가 위자료를 포함한 배상을 하게 됐다. 법원은 업주의 성의 없는 태도로 인한 정신적 손해도 배상해야 한다고 판단했다.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은 지난 8월 직원 A씨가 음식점 업주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A씨는 올해 초 B씨가 운영하는 음식점에서 근무하던 중 화상을 입었다. B씨가 음식 조리를 위해 불을 켜놓은 채 자리를 비운 사이 화재가 발생했고 이를 진압하려는 과정에서 다치게 됐다.3도 이상의 화상을 입은 A씨는 병원 의료진으로부터 1년 이상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소견을 들었다. 이후 B씨에게 치료비 등 피해 보상을 요구했지만 B씨는 "큰 금액은 줄 수 없다"며 연락을 피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근무 시간에 화재가 발생했고 충분한 안전교육과 보호장구 구비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비춰볼 때 점주의 과실이 인정된다"며 A씨에게 2800여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A씨와 A씨 모친에게 각 300만 원씩 위자료도 지급할 것을 명령했다. 재판부는 "심한 화상으로 인해 원고가 받은 정신적 충격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여기에 제대로 된 사과와 보상조차 이뤄지지 않아 원고뿐만 아니라 원고의 모친까지 극심한 고통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훈 변호사는 "고용주는 근로자가 일하는 과정에서 생명, 신체, 건강 등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근로 환경을 정비할 의무가 있다"며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결을 위해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취업준비생이던 A씨가 장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상처를 입었음에도 점주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고, 이에 A씨 가족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가중됐다"며 "재판부가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위자료 지급 명령까지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일하다 다친 직원 연락 무시하다가… 위자료까지 물게 된 사연 (바로가기)
머니S
2024-10-17
일하다 다친 직원 연락 무시하다가… 위자료까지 물게 된 사연
일하다 다친 직원 연락 무시하다가… 위자료까지 물게 된 사연
업주, 화재 진압하다 다친 직원의 보상 요구에 '모르쇠' 일관재판부 "근무 중 발생한 상해, 점주 책임 있어…정신적 충격도 보상해야" 화재를 진압하다 화상을 입은 직원의 손해배상 요구를 무시하던 업주가 위자료를 포함한 배상을 하게 됐다. 법원은 업주의 성의 없는 태도로 인한 정신적 손해도 배상해야 한다고 판단했다.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은 지난 8월 직원 A씨가 음식점 업주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A씨는 올해 초 B씨가 운영하는 음식점에서 근무하던 중 화상을 입었다. B씨가 음식 조리를 위해 불을 켜놓은 채 자리를 비운 사이 화재가 발생했고 이를 진압하려는 과정에서 다치게 됐다.3도 이상의 화상을 입은 A씨는 병원 의료진으로부터 1년 이상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소견을 들었다. 이후 B씨에게 치료비 등 피해 보상을 요구했지만 B씨는 "큰 금액은 줄 수 없다"며 연락을 피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근무 시간에 화재가 발생했고 충분한 안전교육과 보호장구 구비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비춰볼 때 점주의 과실이 인정된다"며 A씨에게 2800여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A씨와 A씨 모친에게 각 300만 원씩 위자료도 지급할 것을 명령했다. 재판부는 "심한 화상으로 인해 원고가 받은 정신적 충격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여기에 제대로 된 사과와 보상조차 이뤄지지 않아 원고뿐만 아니라 원고의 모친까지 극심한 고통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A씨 측 법률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신용훈 변호사는 "고용주는 근로자가 일하는 과정에서 생명, 신체, 건강 등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근로 환경을 정비할 의무가 있다"며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결을 위해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취업준비생이던 A씨가 장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상처를 입었음에도 점주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고, 이에 A씨 가족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가중됐다"며 "재판부가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위자료 지급 명령까지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일하다 다친 직원 연락 무시하다가… 위자료까지 물게 된 사연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0-17
성병 감염 사실 숨긴 채 성관계, 범죄 성립될 수 있을까?
성병 감염 사실 숨긴 채 성관계, 범죄 성립될 수 있을까?
성병에 걸린 사실을 알고도 이를 숨겨 상대방에게 전염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프로축구 리그 소속 현역 선수가 여성에게 성병을 옮겨 검찰에 넘겨지기도 했다. 이처럼 질병을 인지하고 성관계 해 상대를 감염시켰다면 법적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성병 감염 사건의 경우에는 상해죄나 과실치상죄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해죄는 타인에 폭력을 가해 물리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고의적으로 상대에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는 경우에도 상해죄가 적용될 수 있다.대법원 판례를 살펴보면 상해는 피해자의 신체의 완전성을 훼손하거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반드시 외부적인 상처가 동반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성병 감염 사실을 숨겨 질병을 전염시켰다면 상대로부터 고소를 당할 수 있는 것이다.여기서 관건은 '고의성'이다. 성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고도 성관계를 했다면 상해죄, 만약 인지하지 못한 채 감염시킨 것이라면 과실치상죄 혐의를 받게 된다. 이들 범죄 모두 혐의가 인정될 시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 형법 제257조에는 사람의 신체를 상해한 자에 대해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고 명시돼 있다. 동법 제266조에서는 과실로 인해 사람의 신체를 상해에 이르게 한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진다고 규정하고 있다.다만 성병 감염 사건의 경우 입증이 어려워 사실상 처벌로 이어지는 일이 드물다. 상대로 인해 감염됐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감염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고의성과 상대방과의 성관계로 인해 감염됐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비로소 증거로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일례로 한 남성이 헤르페스 2형 감염 사실을 숨겨 연인 관계였던 상대방이 피해를 입은 사건도 있다. 성 접촉으로 전염되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고지하지 않고 성관계를 이어간 결과, 피해자는 평생 관리가 필요한 영구적인 피해를 입게 됐다. 이때 변호인의 조력을 받은 피해자는 대화내역, 진료기록 등 유효한 증거를 통해 피해 사실을 입증했다. 또 형사처벌 이외에 피해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을 함께 진행해 금전적 보상도 받았다.반대로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 경우도 있다. 상대로부터 고소를 당해 가해자로 몰리는 상황이 벌어지곤 하는데, 다른 사람에 의해 감염됐음에도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면 속수무책으로 고소를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럴 경우 사건 초기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속하게 혐의를 벗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성병 감염 사실 숨긴 채 성관계, 범죄 성립될 수 있을까?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10-17
성병 감염 사실 숨긴 채 성관계, 범죄 성립될 수 있을까?
성병 감염 사실 숨긴 채 성관계, 범죄 성립될 수 있을까?
성병에 걸린 사실을 알고도 이를 숨겨 상대방에게 전염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프로축구 리그 소속 현역 선수가 여성에게 성병을 옮겨 검찰에 넘겨지기도 했다. 이처럼 질병을 인지하고 성관계 해 상대를 감염시켰다면 법적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성병 감염 사건의 경우에는 상해죄나 과실치상죄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해죄는 타인에 폭력을 가해 물리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고의적으로 상대에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는 경우에도 상해죄가 적용될 수 있다.대법원 판례를 살펴보면 상해는 피해자의 신체의 완전성을 훼손하거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반드시 외부적인 상처가 동반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성병 감염 사실을 숨겨 질병을 전염시켰다면 상대로부터 고소를 당할 수 있는 것이다.여기서 관건은 '고의성'이다. 성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고도 성관계를 했다면 상해죄, 만약 인지하지 못한 채 감염시킨 것이라면 과실치상죄 혐의를 받게 된다. 이들 범죄 모두 혐의가 인정될 시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 형법 제257조에는 사람의 신체를 상해한 자에 대해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고 명시돼 있다. 동법 제266조에서는 과실로 인해 사람의 신체를 상해에 이르게 한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진다고 규정하고 있다.다만 성병 감염 사건의 경우 입증이 어려워 사실상 처벌로 이어지는 일이 드물다. 상대로 인해 감염됐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감염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고의성과 상대방과의 성관계로 인해 감염됐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비로소 증거로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일례로 한 남성이 헤르페스 2형 감염 사실을 숨겨 연인 관계였던 상대방이 피해를 입은 사건도 있다. 성 접촉으로 전염되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고지하지 않고 성관계를 이어간 결과, 피해자는 평생 관리가 필요한 영구적인 피해를 입게 됐다. 이때 변호인의 조력을 받은 피해자는 대화내역, 진료기록 등 유효한 증거를 통해 피해 사실을 입증했다. 또 형사처벌 이외에 피해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을 함께 진행해 금전적 보상도 받았다.반대로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 경우도 있다. 상대로부터 고소를 당해 가해자로 몰리는 상황이 벌어지곤 하는데, 다른 사람에 의해 감염됐음에도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면 속수무책으로 고소를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럴 경우 사건 초기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속하게 혐의를 벗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성병 감염 사실 숨긴 채 성관계, 범죄 성립될 수 있을까? (바로가기)
MBN
2024-10-16
아이돌도 '근로자'? 하니 증언이 남긴 의문 [올댓체크]
아이돌도 '근로자'? 하니 증언이 남긴 의문 [올댓체크]
노동부, 고용부 과거 연예인 근로자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연예인 전속계약은 민법상 위임계약으로 판단돼근로자 인정 위해서는 '종속성', '강제성' 있어야 걸그룹 뉴진스 멤버 하니가 연예 기획사 하이브 안에서 따돌림을 당했다며 직장 내 괴롭힘 문제를 증언하기 위해 지난 15일 국회 국정감사장에 출석했습니다.이날 하니는 이런 일이 처음이 아니라며, 서로 인간으로 존중한다면 이런 일이 없었을 거라고 눈물을 흘렸습니다.뉴진스 팬들은 어도어와 하이브 담당자들을 경찰에 고발했고, 고용노동부에도 100여 건의 진정서가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이제 공은 노동부로 넘어갔습니다.쟁점은 소속사와 개별 계약을 맺은 뉴진스 멤버들의 근로자성이 인정받느냐인데요. 누리꾼들은 “프리랜서 개인사업자가 근로자? 비고용 자영업자도 다 근로자 만들어줘라”, “아이돌이 근로자냐? 소속사에 속해 있지만 정해진 월급을 받는 것도 아니고”, “몇십억 받는 근로자가 어딨냐?”, “전국 월급 300 미만 직장인 전부 국감 나가야 하는 거 아니냐”, “아이돌이 근로소득자냐? 사업소득자지?”라며 급여 수준이 다른 연예인은 근로자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반면 “노동자 밖 근로자도 사람이다. 보호해 줘야 한다”, “다 같은 인간인데 근로자니 아니리 따지는 게 참”, “돈을 얼마나 버냐 근로자가 맞냐 틀리냐 하는 것은 핵심을 오도하는 것이고 이번 국감의 목적은 연예인을 포함한 특수노동자들의 인권 보장이다”, “어린 연습생들 수많은 아이돌들이 사각지대에서 말하지 못하던 부당함 많았을 텐데”라는 반응도 있었습니다.과거 정부 판단으로 보면, 근로기준법상 전속계약을 맺는 연예인들을 근로자로 분류하기 어렵다였습니다.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종속돼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 정의됩니다.대부분의 연예인은 소속사와 전속계약을 맺고 활동하는데, 소속사는 연예인의 활동을 관리하고 수익을 나누는 구조를 띱니다. 하지만 소속사가 연예인의 업무를 위임 받아 성실하게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계약은 민법상 위임계약 또는 위임계약을 본질로 한 계약으로 판단돼 고용 계약으로 보지 않습니다. 연예인이 근로자성을 인정받으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할까요?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소속사에 종속돼 일방적인 지시, 지휘, 감독을 받는 고용관계에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연예인이 활동 하는데 독자적인 의사결정권을 갖지 못하고 소속사의 일방적인 지시(정해진 업무)를 준수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또 그 업무 과정에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휘ㆍ감독을 받는 경우 등 여러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다만, 연예인 전속계약의 대부분이 위임계약을 기반으로 해 고용계약과 도급계약이 섞여 있는 비전형 계약이라, 연예인이 매니지먼트 회사에 완전히 종속된 순수한 근로자라고 인정받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이렇다보니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돌 노동 인권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직장갑질119 측은 아이돌의 경우 어리다 보니, 일단 소속사와 종속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더더욱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했습니다.최 변호사는 또 아직까지 연예인 전속 계약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는 법 체계가 부족하다며 연예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입법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해외에서는 연예인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을까요?미국과 영국의 경우, 대체로 연예인을 근로자로 보진 않습니다. 미국은 ‘독립 계약자’로 분류돼 소득세와 사회보장세를 스스로 납부해야 하며, 고용주가 제공하는 복지 혜택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국에서 연예인은 주로 ‘자영업자’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연극, 방송, 영화 등의 작업에 참여하는 계약을 맺지만, 고용주로부터 직접적인 지시를 받기보다는 자유롭게 작업을 수행합니다. [기사전문보기] - 아이돌도 '근로자'? 하니 증언이 남긴 의문 [올댓체크] (바로가기)
MBN
2024-10-16
아이돌도 '근로자'? 하니 증언이 남긴 의문 [올댓체크]
아이돌도 '근로자'? 하니 증언이 남긴 의문 [올댓체크]
노동부, 고용부 과거 연예인 근로자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연예인 전속계약은 민법상 위임계약으로 판단돼근로자 인정 위해서는 '종속성', '강제성' 있어야 걸그룹 뉴진스 멤버 하니가 연예 기획사 하이브 안에서 따돌림을 당했다며 직장 내 괴롭힘 문제를 증언하기 위해 지난 15일 국회 국정감사장에 출석했습니다.이날 하니는 이런 일이 처음이 아니라며, 서로 인간으로 존중한다면 이런 일이 없었을 거라고 눈물을 흘렸습니다.뉴진스 팬들은 어도어와 하이브 담당자들을 경찰에 고발했고, 고용노동부에도 100여 건의 진정서가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이제 공은 노동부로 넘어갔습니다.쟁점은 소속사와 개별 계약을 맺은 뉴진스 멤버들의 근로자성이 인정받느냐인데요. 누리꾼들은 “프리랜서 개인사업자가 근로자? 비고용 자영업자도 다 근로자 만들어줘라”, “아이돌이 근로자냐? 소속사에 속해 있지만 정해진 월급을 받는 것도 아니고”, “몇십억 받는 근로자가 어딨냐?”, “전국 월급 300 미만 직장인 전부 국감 나가야 하는 거 아니냐”, “아이돌이 근로소득자냐? 사업소득자지?”라며 급여 수준이 다른 연예인은 근로자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반면 “노동자 밖 근로자도 사람이다. 보호해 줘야 한다”, “다 같은 인간인데 근로자니 아니리 따지는 게 참”, “돈을 얼마나 버냐 근로자가 맞냐 틀리냐 하는 것은 핵심을 오도하는 것이고 이번 국감의 목적은 연예인을 포함한 특수노동자들의 인권 보장이다”, “어린 연습생들 수많은 아이돌들이 사각지대에서 말하지 못하던 부당함 많았을 텐데”라는 반응도 있었습니다.과거 정부 판단으로 보면, 근로기준법상 전속계약을 맺는 연예인들을 근로자로 분류하기 어렵다였습니다.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종속돼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 정의됩니다.대부분의 연예인은 소속사와 전속계약을 맺고 활동하는데, 소속사는 연예인의 활동을 관리하고 수익을 나누는 구조를 띱니다. 하지만 소속사가 연예인의 업무를 위임 받아 성실하게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계약은 민법상 위임계약 또는 위임계약을 본질로 한 계약으로 판단돼 고용 계약으로 보지 않습니다. 연예인이 근로자성을 인정받으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할까요?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소속사에 종속돼 일방적인 지시, 지휘, 감독을 받는 고용관계에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이어 "연예인이 활동 하는데 독자적인 의사결정권을 갖지 못하고 소속사의 일방적인 지시(정해진 업무)를 준수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또 그 업무 과정에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휘ㆍ감독을 받는 경우 등 여러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다만, 연예인 전속계약의 대부분이 위임계약을 기반으로 해 고용계약과 도급계약이 섞여 있는 비전형 계약이라, 연예인이 매니지먼트 회사에 완전히 종속된 순수한 근로자라고 인정받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이렇다보니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돌 노동 인권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직장갑질119 측은 아이돌의 경우 어리다 보니, 일단 소속사와 종속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더더욱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했습니다.최 변호사는 또 아직까지 연예인 전속 계약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는 법 체계가 부족하다며 연예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입법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해외에서는 연예인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을까요?미국과 영국의 경우, 대체로 연예인을 근로자로 보진 않습니다. 미국은 ‘독립 계약자’로 분류돼 소득세와 사회보장세를 스스로 납부해야 하며, 고용주가 제공하는 복지 혜택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국에서 연예인은 주로 ‘자영업자’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연극, 방송, 영화 등의 작업에 참여하는 계약을 맺지만, 고용주로부터 직접적인 지시를 받기보다는 자유롭게 작업을 수행합니다. [기사전문보기] - 아이돌도 '근로자'? 하니 증언이 남긴 의문 [올댓체크] (바로가기)
서울경제
2024-10-15
법무부 '이사의 주주보호 노력' 조항 검토…개정위 패싱 논란도
법무부 '이사의 주주보호 노력' 조항 검토…개정위 패싱 논란도
기업인 등 의견청취 안 끝낸채상법·자본시장법 개정안 강행일각선 "정무적 개정" 비판도 법무부가 ‘주주의 이익 보호’ 내용을 담은 상법과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관계부처 사이 혼선이 나오거나 준비가 미흡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당초 상법을 개정할 때마다 법무부는 전문가들로 이뤄진 개정위원회를 만들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만 이번 개정안에서는 이례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는 움직임이 없다. 기업인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청취도 마무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정안 발표를 서두르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주주 이익 보호’ 등을 골자로 하는 상법 개정안을 추진하면서 이를 위한 상법 개정위원회를 꾸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법 개정을 위해 위원회를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크고 작은 개정을 할 때 항상 위원회를 만들고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취합한 전례가 있다.수차례 개정위원회에 위원으로 활동한 법조계 인사는 “위원회 없이 개정안을 만든다는 것은 그만큼 개정안을 서두르고 있다는 것이고 다소 정무적인 개정안이라는 방증”이라고 해석했다. 법무부 관계자는 “위원회 없이도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며 “당장은 개정 여부도 부처 간 이견이 있다 보니 위원회 구성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법무부는 이번 개정안에 상법 제382조의 3에서 ‘이사는 직무 수행을 하면서 주주의 정당한 이익이 보호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을 2항에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상장 계열사 간 합병 비율 자율화 △합병 시 기업가치 평가 결과 공개 의무 등을 개정안에 포함시킬 것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날 법무부는 “상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한다면서도 아직 내용과 발표 시점에 대해서는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이 같은 개정안은 법무부 내부에서도 일부 혼선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지 않은 것뿐 아니라 기업인 등 실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도 이제 막 듣기 시작한 단계기 때문이다.외부의 이견도 많다. 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주주의) 정당한 이익 보호를 위해 노력한다는 개정안 내용 중 정당한 이익이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없는 상태”라며 “예컨대 절차적인 것만 다 갖추면 정당한 이익인지 등 합의가 없는 상태에서 상법 개정을 밀어붙이면 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방인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도 “소수주주들이 경영진을 상대로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법 제403조 주주대표소송 제도도 사문화될 수 있다”며 “이러한 경영진의 부담 증가는 기업 비용 증가뿐 아니라 기업의 핵심 경쟁력과 관련된 내부 정보가 외부로 공개될 위험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부 '이사의 주주보호 노력' 조항 검토…개정위 패싱 논란도 (바로가기)
서울경제
2024-10-15
법무부 '이사의 주주보호 노력' 조항 검토…개정위 패싱 논란도
법무부 '이사의 주주보호 노력' 조항 검토…개정위 패싱 논란도
기업인 등 의견청취 안 끝낸채상법·자본시장법 개정안 강행일각선 "정무적 개정" 비판도 법무부가 ‘주주의 이익 보호’ 내용을 담은 상법과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관계부처 사이 혼선이 나오거나 준비가 미흡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당초 상법을 개정할 때마다 법무부는 전문가들로 이뤄진 개정위원회를 만들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만 이번 개정안에서는 이례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는 움직임이 없다. 기업인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청취도 마무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정안 발표를 서두르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15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주주 이익 보호’ 등을 골자로 하는 상법 개정안을 추진하면서 이를 위한 상법 개정위원회를 꾸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법 개정을 위해 위원회를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크고 작은 개정을 할 때 항상 위원회를 만들고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취합한 전례가 있다.수차례 개정위원회에 위원으로 활동한 법조계 인사는 “위원회 없이 개정안을 만든다는 것은 그만큼 개정안을 서두르고 있다는 것이고 다소 정무적인 개정안이라는 방증”이라고 해석했다. 법무부 관계자는 “위원회 없이도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며 “당장은 개정 여부도 부처 간 이견이 있다 보니 위원회 구성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법무부는 이번 개정안에 상법 제382조의 3에서 ‘이사는 직무 수행을 하면서 주주의 정당한 이익이 보호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을 2항에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상장 계열사 간 합병 비율 자율화 △합병 시 기업가치 평가 결과 공개 의무 등을 개정안에 포함시킬 것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날 법무부는 “상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한다면서도 아직 내용과 발표 시점에 대해서는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이 같은 개정안은 법무부 내부에서도 일부 혼선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지 않은 것뿐 아니라 기업인 등 실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도 이제 막 듣기 시작한 단계기 때문이다.외부의 이견도 많다. 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주주의) 정당한 이익 보호를 위해 노력한다는 개정안 내용 중 정당한 이익이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없는 상태”라며 “예컨대 절차적인 것만 다 갖추면 정당한 이익인지 등 합의가 없는 상태에서 상법 개정을 밀어붙이면 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방인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도 “소수주주들이 경영진을 상대로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법 제403조 주주대표소송 제도도 사문화될 수 있다”며 “이러한 경영진의 부담 증가는 기업 비용 증가뿐 아니라 기업의 핵심 경쟁력과 관련된 내부 정보가 외부로 공개될 위험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부 '이사의 주주보호 노력' 조항 검토…개정위 패싱 논란도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14
법원 “매제에게 송금한 6천만 원···대여금 입증 못해 ‘증여금’”
법원 “매제에게 송금한 6천만 원···대여금 입증 못해 ‘증여금’”
대여금소송에서 대여 입증책임은 원고에게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윤동현 판사 “대여금 증명할 객관적 근거 없어” 사망한 남편이 생전 자신의 매제 계좌로 송금한 돈을 ‘증여금’으로 판단해 원고들의 대여금 청구를 기각한 판결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민사4단독 윤동현 판사는 망인 A씨의 아내와 자녀가 A씨의 매제를 상대로 낸 대여금 반환청구 소송에서 지난달 5일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것으로 14일 확인됐다.A씨는 2020년 자신의 매제 B씨 명의의 통장으로 6천만 원을 송금했다. B씨에 따르면, 오랜 시간 가족과 단절된 채 살아가던 자신을 여동생과 B씨가 살뜰히 챙겨준 것에 대한 보답의 의미였다.그러나 몇 년 뒤 A씨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6천만 원’을 둘러싼 갈등이 본격 시작됐다. 뒤늦게 거액의 행방을 알게 된 A씨의 아내와 자녀는 B씨를 상대로 대여금 청구소송을 제기하고 나섰다.이들은 재판에서 B씨 부부가 A씨로부터 받았던 6천만 원이 ‘대여금’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B씨 부부는 급히 아파트를 구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는데, 자금이 부족해 가족인 A씨로부터 돈을 빌렸다는 것이다.이에 B씨 측은 “아파트 구입 자금은 이미 충분히 마련된 상황이었기에 돈을 빌릴 이유가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윤동현 판사는 “6천만 원이 대여금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근거가 부족하다. 원고들은 송금 경위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제반 사정에 기반한 추측만 주장하고 있다”고 판단했다.윤동현 판사는 아울러 “여러 증거를 종합할 때 돈을 송금한 2020년경 망인은 자신의 가족이 아닌 동생 부부에게 생활을 의존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피고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고 판시하면서,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이 재판에서 승소한 피고 B씨의 소송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 대륜의 김해린 변호사는 “대여금 소송에서 만일 원고와 달리 피고가 대여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대여 여부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에게 있다”고 말했다.김해린 변호사는 이어 “원고들은 오랜시간 A씨와 교류가 거의 없어 송금 사실 조차 모르고 있었다”면서, “금전 소비대차 계약서 등 관련 자료 없이 대여금을 주장해 법적 효력을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매제에게 송금한 6천만 원···대여금 입증 못해 ‘증여금’”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14
법원 “매제에게 송금한 6천만 원···대여금 입증 못해 ‘증여금’”
법원 “매제에게 송금한 6천만 원···대여금 입증 못해 ‘증여금’”
대여금소송에서 대여 입증책임은 원고에게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윤동현 판사 “대여금 증명할 객관적 근거 없어” 사망한 남편이 생전 자신의 매제 계좌로 송금한 돈을 ‘증여금’으로 판단해 원고들의 대여금 청구를 기각한 판결이 나왔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민사4단독 윤동현 판사는 망인 A씨의 아내와 자녀가 A씨의 매제를 상대로 낸 대여금 반환청구 소송에서 지난달 5일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것으로 14일 확인됐다.A씨는 2020년 자신의 매제 B씨 명의의 통장으로 6천만 원을 송금했다. B씨에 따르면, 오랜 시간 가족과 단절된 채 살아가던 자신을 여동생과 B씨가 살뜰히 챙겨준 것에 대한 보답의 의미였다.그러나 몇 년 뒤 A씨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6천만 원’을 둘러싼 갈등이 본격 시작됐다. 뒤늦게 거액의 행방을 알게 된 A씨의 아내와 자녀는 B씨를 상대로 대여금 청구소송을 제기하고 나섰다.이들은 재판에서 B씨 부부가 A씨로부터 받았던 6천만 원이 ‘대여금’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B씨 부부는 급히 아파트를 구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는데, 자금이 부족해 가족인 A씨로부터 돈을 빌렸다는 것이다.이에 B씨 측은 “아파트 구입 자금은 이미 충분히 마련된 상황이었기에 돈을 빌릴 이유가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윤동현 판사는 “6천만 원이 대여금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근거가 부족하다. 원고들은 송금 경위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제반 사정에 기반한 추측만 주장하고 있다”고 판단했다.윤동현 판사는 아울러 “여러 증거를 종합할 때 돈을 송금한 2020년경 망인은 자신의 가족이 아닌 동생 부부에게 생활을 의존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피고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고 판시하면서,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이 재판에서 승소한 피고 B씨의 소송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 대륜의 김해린 변호사는 “대여금 소송에서 만일 원고와 달리 피고가 대여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대여 여부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에게 있다”고 말했다.김해린 변호사는 이어 “원고들은 오랜시간 A씨와 교류가 거의 없어 송금 사실 조차 모르고 있었다”면서, “금전 소비대차 계약서 등 관련 자료 없이 대여금을 주장해 법적 효력을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매제에게 송금한 6천만 원···대여금 입증 못해 ‘증여금’”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0-11
"주민 반대한다" 기피시설 설립 불허에..法 "부당한 결정"
"주민 반대한다" 기피시설 설립 불허에..法 "부당한 결정"
주민들의 반대만으로 기피시설 설립을 허가하지 않은 것은 부당한 결정이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청주지방법원 제1행정부는 지난 8월 22일 충주시가 폐기물 처리장 사업자 A씨에게 내린 폐기물 처리업 불허가 통보처분을 취소한다고 최근 판결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1월 충주시에 폐기물처리 사업계획서를 제출해 조건부 적합 통보를 받았습니다.충주시는 당시 적합 조건으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시설 유지관리 등 사업장 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제시했습니다.이후 A씨는 사업계획서 내용에 따라 시설·장비를 갖추고 시에 허가 신청을 제출했지만, 불허가 처분을 받았습니다.악취 문제를 제기한 주민들의 반대 민원이 접수됐다는 게 이유였습니다.이에 A씨는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재판부는 "인근 주민들의 반대 민원을 폐기물 처리업 허가 요건으로 볼 수 없다"며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그러면서 "악취방지시설 설치가 예정돼 있었고, 해당 시설 가동 시 악취측정값이 배출허용기준 이하였으며, 심각한 악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만한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또 "원고가 사업계획서에 대한 적합 통보를 받은 후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투입해 시설 등을 설치했다"며 "처분으로 인해 위와 같은 노력이 모두 허사가 되어 막대한 불이익을 입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A씨 측 소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이동은 변호사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관련 시설은 단순 설치 반대 등을 이유로 반려 또는 부적정 통보를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이런 경우의 처분은 재량권을 남용하거나 그 범위를 일탈한 조치로서 위법하다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이어 "폐기물 처리시설은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지만 동시에 선호되지 않는 시설"이라면서 "지역사회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롭기 어렵기에 행정청은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근거를 토대로 판단해야 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주민 반대한다" 기피시설 설립 불허에..法 "부당한 결정"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10-11
"주민 반대한다" 기피시설 설립 불허에..法 "부당한 결정"
"주민 반대한다" 기피시설 설립 불허에..法 "부당한 결정"
주민들의 반대만으로 기피시설 설립을 허가하지 않은 것은 부당한 결정이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청주지방법원 제1행정부는 지난 8월 22일 충주시가 폐기물 처리장 사업자 A씨에게 내린 폐기물 처리업 불허가 통보처분을 취소한다고 최근 판결했습니다.A씨는 지난 2023년 1월 충주시에 폐기물처리 사업계획서를 제출해 조건부 적합 통보를 받았습니다.충주시는 당시 적합 조건으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시설 유지관리 등 사업장 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제시했습니다.이후 A씨는 사업계획서 내용에 따라 시설·장비를 갖추고 시에 허가 신청을 제출했지만, 불허가 처분을 받았습니다.악취 문제를 제기한 주민들의 반대 민원이 접수됐다는 게 이유였습니다.이에 A씨는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재판부는 "인근 주민들의 반대 민원을 폐기물 처리업 허가 요건으로 볼 수 없다"며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그러면서 "악취방지시설 설치가 예정돼 있었고, 해당 시설 가동 시 악취측정값이 배출허용기준 이하였으며, 심각한 악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만한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또 "원고가 사업계획서에 대한 적합 통보를 받은 후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투입해 시설 등을 설치했다"며 "처분으로 인해 위와 같은 노력이 모두 허사가 되어 막대한 불이익을 입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A씨 측 소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이동은 변호사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관련 시설은 단순 설치 반대 등을 이유로 반려 또는 부적정 통보를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이런 경우의 처분은 재량권을 남용하거나 그 범위를 일탈한 조치로서 위법하다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이어 "폐기물 처리시설은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지만 동시에 선호되지 않는 시설"이라면서 "지역사회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롭기 어렵기에 행정청은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근거를 토대로 판단해야 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주민 반대한다" 기피시설 설립 불허에..法 "부당한 결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0-07
학부모 속여 수십억 원 갈취한 학원 원장…징역 3년 6개월 선고
학부모 속여 수십억 원 갈취한 학원 원장…징역 3년 6개월 선고
학부모를 상대로 수십억 원을 갈취한 혐의를 받는 학원 원장이 징역형을 선고 받았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형사1부(부장판사 이동기)는 지난 8월 23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영어학원 원장 A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자신이 운영하는 학원의 학부모에게 “프랜차이즈 본사에 전집 교재 매출을 보여줘야 한다”며 400만 원을 빌려달라고 요구했다.당초 A씨는 곧바로 빌린 금액을 상환하며 약속을 지키는 것처럼 행동했지만, 몇 시간 뒤 계좌 오류 등을 이유로 재입금을 요구하며 B씨를 속였다.A씨의 금전 요구는 이후에도 계속됐다. A씨는 동업자의 배신 등 어려운 사정을 호소하면서 높은 한도의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해 대여금을 갚겠다고 B씨를 설득했다.이런 방식으로 B씨가 20여 일 동안 A씨에게 지급한 금액은 총 24억 9000여 만 원에 이른다.재판부는 “피고인은 인터넷 도박 등에 사용할 목적으로 학부모를 기망했다”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그 죄질이 불량하고, 피고인의 사기죄 전력과 피해자로부터 용서받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비난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A씨가 빌려 간 돈 중 68%가량을 상환했다는 점이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됐지만, A씨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피해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진원 변호사는 “변제할 능력이 없는데도 변제할 것처럼 가장해 금원을 차용하는 등의 사례가 빈번하다”며 “이번 사건은 단순한 금전 문제가 아니라, 피해자의 신뢰를 악용해 막대한 금액을 갈취한 중대한 범죄”라고 밝혔다.이어 “약속한 변제일을 연기하는 것도 재산상의 이익이 되므로 이 경우에도 사기죄가 성립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학부모 속여 수십억 원 갈취한 학원 원장…징역 3년 6개월 선고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10-07
학부모 속여 수십억 원 갈취한 학원 원장…징역 3년 6개월 선고
학부모 속여 수십억 원 갈취한 학원 원장…징역 3년 6개월 선고
학부모를 상대로 수십억 원을 갈취한 혐의를 받는 학원 원장이 징역형을 선고 받았다.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형사1부(부장판사 이동기)는 지난 8월 23일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영어학원 원장 A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자신이 운영하는 학원의 학부모에게 “프랜차이즈 본사에 전집 교재 매출을 보여줘야 한다”며 400만 원을 빌려달라고 요구했다.당초 A씨는 곧바로 빌린 금액을 상환하며 약속을 지키는 것처럼 행동했지만, 몇 시간 뒤 계좌 오류 등을 이유로 재입금을 요구하며 B씨를 속였다.A씨의 금전 요구는 이후에도 계속됐다. A씨는 동업자의 배신 등 어려운 사정을 호소하면서 높은 한도의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해 대여금을 갚겠다고 B씨를 설득했다.이런 방식으로 B씨가 20여 일 동안 A씨에게 지급한 금액은 총 24억 9000여 만 원에 이른다.재판부는 “피고인은 인터넷 도박 등에 사용할 목적으로 학부모를 기망했다”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그 죄질이 불량하고, 피고인의 사기죄 전력과 피해자로부터 용서받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비난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A씨가 빌려 간 돈 중 68%가량을 상환했다는 점이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됐지만, A씨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피해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진원 변호사는 “변제할 능력이 없는데도 변제할 것처럼 가장해 금원을 차용하는 등의 사례가 빈번하다”며 “이번 사건은 단순한 금전 문제가 아니라, 피해자의 신뢰를 악용해 막대한 금액을 갈취한 중대한 범죄”라고 밝혔다.이어 “약속한 변제일을 연기하는 것도 재산상의 이익이 되므로 이 경우에도 사기죄가 성립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학부모 속여 수십억 원 갈취한 학원 원장…징역 3년 6개월 선고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04
공사장 추락사고로 전치 12주 중상···안전관리자 무죄 이유는?
공사장 추락사고로 전치 12주 중상···안전관리자 무죄 이유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현장 안전관리자 기소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전재현 판사 “피고인의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 증명 안돼” 공사장 안전 관리를 소홀히 해 작업자가 전치 12주의 상해를 입게 한 혐의로 기소된 안전관리자에게 무죄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형사5단독 전재현 판사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기소된 안전관리자 A씨에게 지난 8월 28일 “피고인은 무죄”라는 판결을 선고했다.A씨는 2020년 한 단독주택 공사현장에서 현장 안전관리자로 근무했다. 당시 A씨가 책임자로 있던 현장에서 일하던 일용직 근로자 B씨는 3층 천장에 석고보드를 붙이는 작업을 하던 중 발을 헛디뎌 1.5m 아래 바닥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B씨는 84일간의 치료가 필요한 외상성 지주막하출혈 등의 중상을 입었다.이 사건에서는 안전관리자인 A씨가 현장에서 안전상 필요한 조치를 다 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다. 검찰은 사고의 책임이 주의의무를 다 하지 않은 A씨에게 있다고 판단해 기소했다.하지만 법원의 판단은 달랐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전재현 판사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업무상 주의의무를 위반해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게 했다는 점이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공소사실이 범죄의 증명이 없는 때에 해당해 무죄를 선고한다”고 판시했다.전재현 판사는 구체적으로 변호인이 제출한 현장 다른 동 사진과 B씨 동료들의 진술 등을 종합해 “피고인이 이 사건 사고 발생 전에는 바닥 전체에 나무 발판을 설치하는 등 추락을 방지할 주의의무를 이행했다고 볼 여지가 있다”면서, “천장 작업이 마무리됨에 따라 피고인이 해당 발판을 모두 치웠지만, 이후 B씨가 별도의 지시 또는 승인이나 동의 없이 홀로 다른 접이식 발판(속칭 ‘우마’)을 쌓고 작업을 진행하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그러면서 “결국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할 당시 피해자가 공사를 한 작업은 지시받거나 예정된 작업이 아닐 가능성이 있고, 피고인이 예측하기 곤란한 방법으로 이 사건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 대륜의 나창수 변호사는 “이번 사례는 사건 발생 1년 6개월 뒤 고소장이 접수돼 관련 자료를 얻기까지 난관이 많았다”면서, “당시 함께 일했던 동료들의 진술과 현장 사진들을 어렵게 확보해 안전 조치가 잘 이뤄졌음을 강조했다”고 밝혔다.나창수 변호사는 아울러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피고인의 주의의무 소홀과 사고에 뚜렷한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무죄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기사전문보기] - 공사장 추락사고로 전치 12주 중상···안전관리자 무죄 이유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4-10-04
공사장 추락사고로 전치 12주 중상···안전관리자 무죄 이유는?
공사장 추락사고로 전치 12주 중상···안전관리자 무죄 이유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현장 안전관리자 기소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전재현 판사 “피고인의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 증명 안돼” 공사장 안전 관리를 소홀히 해 작업자가 전치 12주의 상해를 입게 한 혐의로 기소된 안전관리자에게 무죄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형사5단독 전재현 판사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기소된 안전관리자 A씨에게 지난 8월 28일 “피고인은 무죄”라는 판결을 선고했다.A씨는 2020년 한 단독주택 공사현장에서 현장 안전관리자로 근무했다. 당시 A씨가 책임자로 있던 현장에서 일하던 일용직 근로자 B씨는 3층 천장에 석고보드를 붙이는 작업을 하던 중 발을 헛디뎌 1.5m 아래 바닥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B씨는 84일간의 치료가 필요한 외상성 지주막하출혈 등의 중상을 입었다.이 사건에서는 안전관리자인 A씨가 현장에서 안전상 필요한 조치를 다 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다. 검찰은 사고의 책임이 주의의무를 다 하지 않은 A씨에게 있다고 판단해 기소했다.하지만 법원의 판단은 달랐다.이 사건을 심리한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전재현 판사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업무상 주의의무를 위반해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게 했다는 점이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공소사실이 범죄의 증명이 없는 때에 해당해 무죄를 선고한다”고 판시했다.전재현 판사는 구체적으로 변호인이 제출한 현장 다른 동 사진과 B씨 동료들의 진술 등을 종합해 “피고인이 이 사건 사고 발생 전에는 바닥 전체에 나무 발판을 설치하는 등 추락을 방지할 주의의무를 이행했다고 볼 여지가 있다”면서, “천장 작업이 마무리됨에 따라 피고인이 해당 발판을 모두 치웠지만, 이후 B씨가 별도의 지시 또는 승인이나 동의 없이 홀로 다른 접이식 발판(속칭 ‘우마’)을 쌓고 작업을 진행하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그러면서 “결국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할 당시 피해자가 공사를 한 작업은 지시받거나 예정된 작업이 아닐 가능성이 있고, 피고인이 예측하기 곤란한 방법으로 이 사건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 대륜의 나창수 변호사는 “이번 사례는 사건 발생 1년 6개월 뒤 고소장이 접수돼 관련 자료를 얻기까지 난관이 많았다”면서, “당시 함께 일했던 동료들의 진술과 현장 사진들을 어렵게 확보해 안전 조치가 잘 이뤄졌음을 강조했다”고 밝혔다.나창수 변호사는 아울러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피고인의 주의의무 소홀과 사고에 뚜렷한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무죄를 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기사전문보기] - 공사장 추락사고로 전치 12주 중상···안전관리자 무죄 이유는? (바로가기)
아주경제 등 2곳
2024-10-02
[로펌라운지]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로펌라운지]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지역 주민 위한 법률서비스 제공…송정동 위치로 접근성↑민·형사부터 노동분쟁까지 다양한 업무 다룰 전망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9월 30일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를 개소하고 지역 맞춤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김천구미 분사무소는 구미시의 행정 중심지인 송정동에 위치, 주거지를 비롯해 시청·경찰서·소방서 등 관공서와 기업이 밀집해 있어 접근성을 높였다.특히 구미시청, 구미종합터미널, 구미국가산단 등에서 10분 내외로 접근 가능하며, 인근 지역인 김천시까지 아울러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앞으로 김천구미 분사무소는 민·형사 사건부터 이혼, 행정, 학교폭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해 법적 문제를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또 구미지역 공업단지, 김천산단 등 다수의 기업이 밀집된 만큼 노동분쟁 및 관련 법률자문 업무도 함께 다루겠다는 방침이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분사무소를 만들 때 지역적 특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번 김천구미 사무소 역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기획된 것”이라며 “김천과 구미는 경북 지역에서 포항과 함께 경제를 이끌어 가는 주요 도시인 만큼 다양한 법률 수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이어 “대륜은 본사와 협력해 전국 모든 분사무소에서 본사와 동일한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개소를 통해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여 의뢰인과 더욱 가까이서 체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머니S - 법무법인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
아주경제 등 2곳
2024-10-02
[로펌라운지]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로펌라운지]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지역 주민 위한 법률서비스 제공…송정동 위치로 접근성↑민·형사부터 노동분쟁까지 다양한 업무 다룰 전망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9월 30일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를 개소하고 지역 맞춤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김천구미 분사무소는 구미시의 행정 중심지인 송정동에 위치, 주거지를 비롯해 시청·경찰서·소방서 등 관공서와 기업이 밀집해 있어 접근성을 높였다.특히 구미시청, 구미종합터미널, 구미국가산단 등에서 10분 내외로 접근 가능하며, 인근 지역인 김천시까지 아울러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앞으로 김천구미 분사무소는 민·형사 사건부터 이혼, 행정, 학교폭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해 법적 문제를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또 구미지역 공업단지, 김천산단 등 다수의 기업이 밀집된 만큼 노동분쟁 및 관련 법률자문 업무도 함께 다루겠다는 방침이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분사무소를 만들 때 지역적 특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번 김천구미 사무소 역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기획된 것”이라며 “김천과 구미는 경북 지역에서 포항과 함께 경제를 이끌어 가는 주요 도시인 만큼 다양한 법률 수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이어 “대륜은 본사와 협력해 전국 모든 분사무소에서 본사와 동일한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개소를 통해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여 의뢰인과 더욱 가까이서 체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머니S - 법무법인 대륜, 김천·구미에 41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09-30
'내 땅 아니지만'..오래 사용했다면 '법적 보호' 받을 수 있어
'내 땅 아니지만'..오래 사용했다면 '법적 보호' 받을 수 있어
자신이 소유한 토지가 아니더라도 오랜 기간 무상으로 사용했다면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춘천지방법원 속초지원은 지난 8월 원고 A씨가 토지 소유주 B씨를 상대로 낸 통행지역권설정 관련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01년 강원도 양양 소재의 토지를 구매해 주택을 지어 생활했습니다.이후 2019년 해당 주택을 매각하려 했지만, 부동산으로부터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주변 도로와 연결되는 길이 없는 땅, 이른바 '맹지'라는 이유에서였습니다.하지만 A씨의 입장은 달랐습니다.주택 건축 이전부터 해당 토지와 일반 도로를 잇는 통행로가 존재했다는 입장입니다.A씨는 20여 년 전 해당 토지가 파손되자 이를 직접 복구해 통행로로 사용해 왔다고도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A씨가 2003년부터 주택에 진입하기 위한 통로로 해당 통행로를 사용하고 있었다"며 "(토지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가 20년 이상이므로 2023년 말쯤에는 통행권 취득 조건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습니다.A씨 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황서영 변호사는 "A씨가 이 사건에서 쟁점이 된 통행로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동안, 주인 B씨는 통행료를 부과하는 등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통로 개설을 용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모두 고려해, A씨가 해당 토지를 무상으로 통행할 수 있는 권한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내 땅 아니지만'..오래 사용했다면 '법적 보호' 받을 수 있어
KBC광주방송
2024-09-30
'내 땅 아니지만'..오래 사용했다면 '법적 보호' 받을 수 있어
'내 땅 아니지만'..오래 사용했다면 '법적 보호' 받을 수 있어
자신이 소유한 토지가 아니더라도 오랜 기간 무상으로 사용했다면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춘천지방법원 속초지원은 지난 8월 원고 A씨가 토지 소유주 B씨를 상대로 낸 통행지역권설정 관련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A씨는 지난 2001년 강원도 양양 소재의 토지를 구매해 주택을 지어 생활했습니다.이후 2019년 해당 주택을 매각하려 했지만, 부동산으로부터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주변 도로와 연결되는 길이 없는 땅, 이른바 '맹지'라는 이유에서였습니다.하지만 A씨의 입장은 달랐습니다.주택 건축 이전부터 해당 토지와 일반 도로를 잇는 통행로가 존재했다는 입장입니다.A씨는 20여 년 전 해당 토지가 파손되자 이를 직접 복구해 통행로로 사용해 왔다고도 주장했습니다.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재판부는 "A씨가 2003년부터 주택에 진입하기 위한 통로로 해당 통행로를 사용하고 있었다"며 "(토지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가 20년 이상이므로 2023년 말쯤에는 통행권 취득 조건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습니다.A씨 측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황서영 변호사는 "A씨가 이 사건에서 쟁점이 된 통행로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동안, 주인 B씨는 통행료를 부과하는 등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통로 개설을 용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러면서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모두 고려해, A씨가 해당 토지를 무상으로 통행할 수 있는 권한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내 땅 아니지만'..오래 사용했다면 '법적 보호' 받을 수 있어
아시아투데이
2024-09-29
[고려아연 사모펀드 사태] 기술 해외 유출 가능성에 전문가들 “돈 되면 다하는 사모펀드…법적 제재도 없어”
[고려아연 사모펀드 사태] 기술 해외 유출 가능성에 전문가들 “돈 되면 다하는 사모펀드…법적 제재도 없어”
고려아연·영풍, 해외 유출 우려 상반된 주장전문가 "사모펀드 손잡은 것 자체 잘못됐다""국가기간산업에 대한 정부 관심·법적규제必" 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 간 경영권 분쟁에서 대내외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해외로의 기술 유출 여부'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사모펀드는 돈 되면 다 하는 집단"이라며 "막상 해외로 팔려나가면 어쩔 도리가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들은 국가 기술을 강탈한 기업에 대한 법적 조치가 약한 현실을 짚으면서도, 고려아연이 보유한 기술에 대한 중요성 등을 강조하며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9일 산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과 영풍-MBK 파트너스 사이에서 향후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했을 경우 해외로 되팔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면서 양측은 서로 '맞다' '아니다'라는 상반된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고려아연 측은 "(영풍-MBK가) 고려아연의 핵심 기술들을 매각하거나 중국 등 해외에 기술 공유를 통해 적극적인 수익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며 "MBK가 투자금 회수라는 투기적 사모펀드 속성을 고려해 향후 고려아연 배당금뿐만 아니라 핵심 자산 매각과 인력 구조조정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강성두 영풍 사장은 지난 27일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저와 김광일 MBK 부회장이 있는 한 회사를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 매각할 일은 절대 없다"고 공언했다.이에 대해 고려아연의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시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제기된다.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MBK에 중국 지분이 있는 것 자체가 (해외로 빠져나갈) 어떤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사모펀드 특성상 돈만 되면 다한다. 국가 자원이든 국가 기밀, 기술이든 그런 게 없다"고 주장했다.이어 "고려아연 측을 보면 협력사와 한화 등 연대 조짐이 명확하고, 원파트너 느낌이 강하다"면서도 "사모펀드는 오합지졸 그 자체다. 그냥 자본의 논리로 움직이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했다.위정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영풍이 사모펀드와 손 잡은 것 자체가 잘못됐다"며 "사모펀드를 동원한 건 마치 독이 든 성배와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MBK가 영풍에 불리한 내용을 요구하고, 영풍이 이를 수용했을 가능성도 높다"며 "인수합병이 성공한 다음에는 그게 굉장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기업 전문인 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도 "사실 사모펀드가 기업을 사들어거나 팔 때 국가 핵심 산업 등은 신경 안 쓴다. 구조적으로 어쩔 수 없이 저쪽 입장에선 중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전문가들은 특히 우려가 현실이 됐을 때 손쓸 도리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지민희 변호사는 "사모펀드가 함부로 기술 유출을 못하도록 하는 법 개정안이 지난해 나오긴 했는데,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제재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안다"며 "그리고 사실 말이 유출이지, 기업을 사고파는 거라서 이걸로 처벌받긴 어렵다. 이 부분은 법적으로도 좀 더 촘촘하게 개정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손승우 한국지식재산연구원장 역시 "과거에는 해외에서 기술자를 데려가는 등의 방식을 택했는데 요즘에는 M&A 방식으로 기술을 가져가고 있다. 특히 MBK 같은 사모펀드를 앞세우는 경우가 많다"며 "다만 이를 규제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려아연은 아연, 니켈 분야를 포함해 이차전지, 신재생에너지 등에서 앞서나가고 있어 경제안보 차원에서도 굉장히 중요한 기업이다. 그런데도 아직 국회의원들도 그렇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이를 보호할 인식이 좀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전문가들은 매각에 재매각, 최소 두 차례 걸쳐지는 인수 과정에서 생길 법한 문제도 언급했다. 권재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MBK에서 사들이고, 이후 매각을 하면 또 한번 경영권이 넘어가게 된다. 경영권이 최소한 2번 바뀌는 것"이라며 "경영과 고용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 제 아무리 MBK 측에서 고용을 유지하겠다 하더라도 나중에 한번 더 팔려서 다른 기업이 고용을 어떻게 할진 또 다른 문제"라고 주장했다.권 교수는 또 이번 사태가 다른 우량 기업에게도 위기의식을 느끼게 할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 교수는 "세계적인 시장 점유율 1위를 갖고 있는 고려아연이 사모펀드로 넘어간다면 고려아연처럼 탄탄한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는 기업들도 안심하지 못할 것이라는 시그널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한편, 고려아연은 지난 24일 정부에 이차전지 소재인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신청했다. 해당 기술이 국가핵심기술로 판정될 경우, 정부는 경제안보상 이유로 외국기업에 의한 인수합병을 승인할 권한을 갖게 된다. [기사전문보기] - [고려아연 사모펀드 사태] 기술 해외 유출 가능성에 전문가들 “돈 되면 다하는 사모펀드…법적 제재도 없어”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9-29
[고려아연 사모펀드 사태] 기술 해외 유출 가능성에 전문가들 “돈 되면 다하는 사모펀드…법적 제재도 없어”
[고려아연 사모펀드 사태] 기술 해외 유출 가능성에 전문가들 “돈 되면 다하는 사모펀드…법적 제재도 없어”
고려아연·영풍, 해외 유출 우려 상반된 주장전문가 "사모펀드 손잡은 것 자체 잘못됐다""국가기간산업에 대한 정부 관심·법적규제必" 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 간 경영권 분쟁에서 대내외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해외로의 기술 유출 여부'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사모펀드는 돈 되면 다 하는 집단"이라며 "막상 해외로 팔려나가면 어쩔 도리가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들은 국가 기술을 강탈한 기업에 대한 법적 조치가 약한 현실을 짚으면서도, 고려아연이 보유한 기술에 대한 중요성 등을 강조하며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9일 산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과 영풍-MBK 파트너스 사이에서 향후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했을 경우 해외로 되팔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면서 양측은 서로 '맞다' '아니다'라는 상반된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고려아연 측은 "(영풍-MBK가) 고려아연의 핵심 기술들을 매각하거나 중국 등 해외에 기술 공유를 통해 적극적인 수익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며 "MBK가 투자금 회수라는 투기적 사모펀드 속성을 고려해 향후 고려아연 배당금뿐만 아니라 핵심 자산 매각과 인력 구조조정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강성두 영풍 사장은 지난 27일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저와 김광일 MBK 부회장이 있는 한 회사를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 매각할 일은 절대 없다"고 공언했다.이에 대해 고려아연의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시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제기된다.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MBK에 중국 지분이 있는 것 자체가 (해외로 빠져나갈) 어떤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사모펀드 특성상 돈만 되면 다한다. 국가 자원이든 국가 기밀, 기술이든 그런 게 없다"고 주장했다.이어 "고려아연 측을 보면 협력사와 한화 등 연대 조짐이 명확하고, 원파트너 느낌이 강하다"면서도 "사모펀드는 오합지졸 그 자체다. 그냥 자본의 논리로 움직이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했다.위정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영풍이 사모펀드와 손 잡은 것 자체가 잘못됐다"며 "사모펀드를 동원한 건 마치 독이 든 성배와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MBK가 영풍에 불리한 내용을 요구하고, 영풍이 이를 수용했을 가능성도 높다"며 "인수합병이 성공한 다음에는 그게 굉장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기업 전문인 지민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도 "사실 사모펀드가 기업을 사들어거나 팔 때 국가 핵심 산업 등은 신경 안 쓴다. 구조적으로 어쩔 수 없이 저쪽 입장에선 중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전문가들은 특히 우려가 현실이 됐을 때 손쓸 도리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지민희 변호사는 "사모펀드가 함부로 기술 유출을 못하도록 하는 법 개정안이 지난해 나오긴 했는데,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제재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안다"며 "그리고 사실 말이 유출이지, 기업을 사고파는 거라서 이걸로 처벌받긴 어렵다. 이 부분은 법적으로도 좀 더 촘촘하게 개정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손승우 한국지식재산연구원장 역시 "과거에는 해외에서 기술자를 데려가는 등의 방식을 택했는데 요즘에는 M&A 방식으로 기술을 가져가고 있다. 특히 MBK 같은 사모펀드를 앞세우는 경우가 많다"며 "다만 이를 규제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려아연은 아연, 니켈 분야를 포함해 이차전지, 신재생에너지 등에서 앞서나가고 있어 경제안보 차원에서도 굉장히 중요한 기업이다. 그런데도 아직 국회의원들도 그렇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이를 보호할 인식이 좀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전문가들은 매각에 재매각, 최소 두 차례 걸쳐지는 인수 과정에서 생길 법한 문제도 언급했다. 권재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MBK에서 사들이고, 이후 매각을 하면 또 한번 경영권이 넘어가게 된다. 경영권이 최소한 2번 바뀌는 것"이라며 "경영과 고용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 제 아무리 MBK 측에서 고용을 유지하겠다 하더라도 나중에 한번 더 팔려서 다른 기업이 고용을 어떻게 할진 또 다른 문제"라고 주장했다.권 교수는 또 이번 사태가 다른 우량 기업에게도 위기의식을 느끼게 할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 교수는 "세계적인 시장 점유율 1위를 갖고 있는 고려아연이 사모펀드로 넘어간다면 고려아연처럼 탄탄한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는 기업들도 안심하지 못할 것이라는 시그널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한편, 고려아연은 지난 24일 정부에 이차전지 소재인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신청했다. 해당 기술이 국가핵심기술로 판정될 경우, 정부는 경제안보상 이유로 외국기업에 의한 인수합병을 승인할 권한을 갖게 된다. [기사전문보기] - [고려아연 사모펀드 사태] 기술 해외 유출 가능성에 전문가들 “돈 되면 다하는 사모펀드…법적 제재도 없어”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등 7곳
2024-09-27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 대응”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 대응”
SBS플러스·ENA 예능 프로그램 ‘나는솔로’ 22기 돌싱특집 출연자 순자(가명)가 악플러에 대한 법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26일 순자는 법률 대리인을 통해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허위사실이 유포되고 있다. 외모 비하부터 성희롱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더는 참을 수 없어 악플러들에 대해 고소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이어 “허위사실을 진짜로 믿는 사람까지 나오고 있고, 개인정보까지 노출되고 있어 피해가 크다”고 고통을 호소했다.순자는 반도체 회사에서 야간 업무와 미용 학위 공부를 병행 중으로 슬하에 10세, 6세 자녀를 두고 있다.특히 프로그램 출연 이후 문신, 잦은 음주 등을 이유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악플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앞서 순자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직접 글과 사진을 올리며, 문신은 흉터를 가리기 위해 자녀들의 태어난 날짜와 시간을 새겼다고 해명한 바 있다.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타인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해 공연히 (허위) 사실을 적시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등으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순자의 법률 대리를 맡고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담 대응팀 차원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충분한 증거를 수집했다. 이를 토대로 10월 초 고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스포츠경향 -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 대응” (바로가기)이투데이 - '나는 솔로' 22기 순자 법적 대응 나섰다…무슨 일? (바로가기)톱스타뉴스 - ‘나는 솔로’ 22기 순자, 문신-음주 루머에 입 열었다…“10월 초 고소장 접수 예정” (바로가기)국제뉴스 - '나는솔로' 22기 순자, 외모비하·성희롱 피해 고소 "고소장 제출 예정" (바로가기), “악플 넘어 성희롱까지” ‘나는 솔로’ 22기 순자, 무거워진 어깨 (바로가기)스포츠투데이 -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한 법적 대응할 것" [공식] (바로가기)셀럽미디어 -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 피해 호소…"10월 초 고소장 제출 예정" (바로가기)싱글리스트 - '나솔'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외모 비하부터 성희롱까지 나와" [공식입장] (바로가기)
스포츠경향 등 7곳
2024-09-27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 대응”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 대응”
SBS플러스·ENA 예능 프로그램 ‘나는솔로’ 22기 돌싱특집 출연자 순자(가명)가 악플러에 대한 법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26일 순자는 법률 대리인을 통해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허위사실이 유포되고 있다. 외모 비하부터 성희롱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더는 참을 수 없어 악플러들에 대해 고소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이어 “허위사실을 진짜로 믿는 사람까지 나오고 있고, 개인정보까지 노출되고 있어 피해가 크다”고 고통을 호소했다.순자는 반도체 회사에서 야간 업무와 미용 학위 공부를 병행 중으로 슬하에 10세, 6세 자녀를 두고 있다.특히 프로그램 출연 이후 문신, 잦은 음주 등을 이유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악플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앞서 순자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직접 글과 사진을 올리며, 문신은 흉터를 가리기 위해 자녀들의 태어난 날짜와 시간을 새겼다고 해명한 바 있다.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타인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해 공연히 (허위) 사실을 적시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등으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순자의 법률 대리를 맡고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담 대응팀 차원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충분한 증거를 수집했다. 이를 토대로 10월 초 고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스포츠경향 -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 대응” (바로가기)이투데이 - '나는 솔로' 22기 순자 법적 대응 나섰다…무슨 일? (바로가기)톱스타뉴스 - ‘나는 솔로’ 22기 순자, 문신-음주 루머에 입 열었다…“10월 초 고소장 접수 예정” (바로가기)국제뉴스 - '나는솔로' 22기 순자, 외모비하·성희롱 피해 고소 "고소장 제출 예정" (바로가기), “악플 넘어 성희롱까지” ‘나는 솔로’ 22기 순자, 무거워진 어깨 (바로가기)스포츠투데이 -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 "엄중한 법적 대응할 것" [공식] (바로가기)셀럽미디어 - '나는 솔로' 22기 순자, 악플 피해 호소…"10월 초 고소장 제출 예정" (바로가기)싱글리스트 - '나솔' 22기 순자, 악플러 고소…"외모 비하부터 성희롱까지 나와" [공식입장]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09-23
"비웃고 놀렸다"..학폭 가해자 지목된 여중생, '무혐의' 받은 이유?
"비웃고 놀렸다"..학폭 가해자 지목된 여중생, '무혐의' 받은 이유?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중학생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서 '조치 없음' 처분을 받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집니다.23일 지역 법조계에 따르면 울산강남교육지원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는 지난 2월 같은 학교 동급생을 괴롭힌 혐의를 받은 중학생 A양에 대해 '조치 없음' 처분을 내렸습니다.A양은 지난해 같은 학교에 재학 중인 동급생 B양의 신고로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됐습니다."A양이 다른 동급생들과 함께 있는 자리에서 비웃거나 놀리는 언행을 일삼아 수치심을 느꼈다"는 주장이었습니다.그러나 A양은 "B양과 평소 친분이 있는 사이도 아니었다"며 "특별한 사건이나 일화가 전혀 없었다"고 관련 주장에 대해 전면 부인했습니다.보조인 자격으로 학폭위 심의 과정에 참여한 법무법인 '대륜'의 황규화 변호사는 "명확한 증거 없이 신고가 이뤄졌다"고 주장했습니다.황 변호사는 "심지어 B양이 주장하는 내용 중 일부는 타인을 통해 전해 들은 것이 많아 모호한 부분이 많다"며 "A양은 신고된 내용 중 그 어느 행위도 한 바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또 "이러한 신고는 무고한 A양에게 또 다른 상처이자 커다란 충격"이라며 "어느 학생이라도 억울하게 학교폭력 가해자로 낙인찍히는 일이 없도록 현명한 판단이 내려져야 한다"고 의견을 전했습니다.해당 사건을 심리한 울산강남교육지원청 학폭위는 A양에 대해 '혐의 없음' 처분을 내렸습니다.황 변호사는 "최근 언어폭력, 사이버불링 등 학교폭력으로 인정되는 학교폭력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관련 신고도 늘어나고 있다"며 "피해 학생의 진술만으로도 신고 접수가 가능해 무고나 역가해성 신고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학교폭력 관련 처분을 받을 경우 대학 입시 등 향후 장래 신상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학교폭력에 연루됐다면 빨리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비웃고 놀렸다"..학폭 가해자 지목된 여중생, '무혐의' 받은 이유? (바로가기)
KBC광주방송
2024-09-23
"비웃고 놀렸다"..학폭 가해자 지목된 여중생, '무혐의' 받은 이유?
"비웃고 놀렸다"..학폭 가해자 지목된 여중생, '무혐의' 받은 이유?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중학생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서 '조치 없음' 처분을 받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집니다.23일 지역 법조계에 따르면 울산강남교육지원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는 지난 2월 같은 학교 동급생을 괴롭힌 혐의를 받은 중학생 A양에 대해 '조치 없음' 처분을 내렸습니다.A양은 지난해 같은 학교에 재학 중인 동급생 B양의 신고로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됐습니다."A양이 다른 동급생들과 함께 있는 자리에서 비웃거나 놀리는 언행을 일삼아 수치심을 느꼈다"는 주장이었습니다.그러나 A양은 "B양과 평소 친분이 있는 사이도 아니었다"며 "특별한 사건이나 일화가 전혀 없었다"고 관련 주장에 대해 전면 부인했습니다.보조인 자격으로 학폭위 심의 과정에 참여한 법무법인 '대륜'의 황규화 변호사는 "명확한 증거 없이 신고가 이뤄졌다"고 주장했습니다.황 변호사는 "심지어 B양이 주장하는 내용 중 일부는 타인을 통해 전해 들은 것이 많아 모호한 부분이 많다"며 "A양은 신고된 내용 중 그 어느 행위도 한 바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또 "이러한 신고는 무고한 A양에게 또 다른 상처이자 커다란 충격"이라며 "어느 학생이라도 억울하게 학교폭력 가해자로 낙인찍히는 일이 없도록 현명한 판단이 내려져야 한다"고 의견을 전했습니다.해당 사건을 심리한 울산강남교육지원청 학폭위는 A양에 대해 '혐의 없음' 처분을 내렸습니다.황 변호사는 "최근 언어폭력, 사이버불링 등 학교폭력으로 인정되는 학교폭력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관련 신고도 늘어나고 있다"며 "피해 학생의 진술만으로도 신고 접수가 가능해 무고나 역가해성 신고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학교폭력 관련 처분을 받을 경우 대학 입시 등 향후 장래 신상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학교폭력에 연루됐다면 빨리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비웃고 놀렸다"..학폭 가해자 지목된 여중생, '무혐의' 받은 이유? (바로가기)
월요신문
2024-09-23
[칼럼] 사주팔자와 법 해석
[칼럼] 사주팔자와 법 해석
취미삼아 명리학(사주팔자)을 공부하는 법조인이 많다고 한다. 고시생 시절 마음이 불안하니 재미삼아 운세도 많이 봤을 것이며 그러다 공부로 이어진 경우들이 종종 있을 것 같다. 그런데 법학과 명리학이 유사점이 있어 명리학 공부를 하는 법조인이 많다는 얘기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면 법 해석과 일맥상통한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법을 해석할 때 구체적인 사실관계에서 어떤 법과 조문을 적용할 지, 그 사실관계가 그 조문의 적용 요건을 충족하는 지 살핀다. 특정 사례에 두 가지 이상의 법 또는 조문이 적용되기도 한다. 특정 사례의 면밀한 법적 검토를 위해 이와 관련된 모든 법적 쟁점과 적용할 법 조문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그 조문의 원칙과 예외의 해석에도 주의하여야 한다.예외 해당 여부 등 그 해석이 모호하면 판례를 찾아본다. 그러나 단순히 판례 문구 하나가 이 특정 사례와 언뜻 보기에 일치한다고 하여 함부로 적용 했다가는 엉뚱한 결론이 날 수 있다. 모든 사건은 사건 수만큼 다르기 때문이다.실무는 더욱 복잡하다. 특정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만 알아야 할 것이 아니라 세상사를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두 회사 간 거래 중 하자담보책임 사건이 있다고 하자. 단순히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법리를 아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실제로 그 분야 거래 관행, 제품의 구성 등 기술까지 알아야 법을 활용하여 이에 최적화된 법적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다. 게다가 의뢰인을 위한 해결 방향을 정할 때 의뢰인과 상대방의 니즈도 파악하여야 한다. 정말 그 사람 또는 회사가 되어본 뒤 그 중 법적 문제만 솎아낸다고 보면 된다. 결국 법조인이라면 모름지기 인간과 세상의 이치에 관심을 가져야 할 노릇이다.그럼 이제 명리학을 살펴보자. 명리학은 형이상학적 해석의 학문이다. 정해진 생년월일시를 만세력으로 본 후 사주팔자와 대운(10년 단위 운)을 함께 본다. 나무, 불, 흙, 금, 물 속성이 있으나 이 속성도 음양에 따라 달라지고,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조합에 따라 달라진다. 법과 같이 엉켜 있는 사건의 관계와 맥락이 중요한 것이다. 게다가 법과 같이 원칙과 예외의 해석이 있어 예외의 해석을 놓치면 전혀 엉뚱한 결론이 탄생한다 (다음에 구체적인 설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길 바라본다).예를 들어, 술사가 누군가에게 직업 조언을 줄 때 단순히 '넌 사주에 "관"이 있으니 법조인을 해라' 라고 단정하여서는 안 된다. 주입식은 위험하다. 법의 입법취지와 전체적인 맥락을 살펴서 법을 해석하듯이 관의 속성과 법조인의 속성이 무엇인지 각각 살펴봐야 한다. 누군가는 오히려 사주에 관이 없기 때문에 법조인이 잘 맞기도 한다. 법조인을 관직이 아닌 좋은 밥벌이 수완으로 보는 자일 수도 있지 않은가. 이처럼 유연한 사고로 세상의 이치를 생각하지 못하고 '관은 관직이다'라는 암기와 같은 주입식 공부로는 누군가의 인생에 사주팔자를 풀어준다는 핑계로 훈수를 둘 자격을 가질 수 없다. 결국 술사들이 누군가의 사주를 풀어줄 때 유연한 사고로 세상의 흐름과 개인에 대한 이해를 가져야 하는 것이다.명리학을 공부할수록 아이러니하게도 인생은 개척해 나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 헌법의 근간 철학을 제공한 철학자 존 롤스가 '베일의 장벽'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듯이 우연한 요소는 인생에 상당히 많은 것을 결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 안에서도 우리의 소극적 자유를 찾는다. 사주팔자도 마찬가지다. 명리학은 베일의 장벽처럼 나의 운세를 알려줄 뿐이다. 그 안에서 나를 살아가게 하는 것은 '나'이다. 결국, 명리학도 우리에게 소극적 자유가 있음을 알려주며, 오늘 하루에 집중하며 자유의지를 실천하라는 교훈을 시사하는 것 아닌 가 싶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사주팔자와 법 해석 (바로가기)
월요신문
2024-09-23
[칼럼] 사주팔자와 법 해석
[칼럼] 사주팔자와 법 해석
취미삼아 명리학(사주팔자)을 공부하는 법조인이 많다고 한다. 고시생 시절 마음이 불안하니 재미삼아 운세도 많이 봤을 것이며 그러다 공부로 이어진 경우들이 종종 있을 것 같다. 그런데 법학과 명리학이 유사점이 있어 명리학 공부를 하는 법조인이 많다는 얘기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면 법 해석과 일맥상통한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법을 해석할 때 구체적인 사실관계에서 어떤 법과 조문을 적용할 지, 그 사실관계가 그 조문의 적용 요건을 충족하는 지 살핀다. 특정 사례에 두 가지 이상의 법 또는 조문이 적용되기도 한다. 특정 사례의 면밀한 법적 검토를 위해 이와 관련된 모든 법적 쟁점과 적용할 법 조문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그 조문의 원칙과 예외의 해석에도 주의하여야 한다.예외 해당 여부 등 그 해석이 모호하면 판례를 찾아본다. 그러나 단순히 판례 문구 하나가 이 특정 사례와 언뜻 보기에 일치한다고 하여 함부로 적용 했다가는 엉뚱한 결론이 날 수 있다. 모든 사건은 사건 수만큼 다르기 때문이다.실무는 더욱 복잡하다. 특정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만 알아야 할 것이 아니라 세상사를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두 회사 간 거래 중 하자담보책임 사건이 있다고 하자. 단순히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법리를 아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실제로 그 분야 거래 관행, 제품의 구성 등 기술까지 알아야 법을 활용하여 이에 최적화된 법적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다. 게다가 의뢰인을 위한 해결 방향을 정할 때 의뢰인과 상대방의 니즈도 파악하여야 한다. 정말 그 사람 또는 회사가 되어본 뒤 그 중 법적 문제만 솎아낸다고 보면 된다. 결국 법조인이라면 모름지기 인간과 세상의 이치에 관심을 가져야 할 노릇이다.그럼 이제 명리학을 살펴보자. 명리학은 형이상학적 해석의 학문이다. 정해진 생년월일시를 만세력으로 본 후 사주팔자와 대운(10년 단위 운)을 함께 본다. 나무, 불, 흙, 금, 물 속성이 있으나 이 속성도 음양에 따라 달라지고,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조합에 따라 달라진다. 법과 같이 엉켜 있는 사건의 관계와 맥락이 중요한 것이다. 게다가 법과 같이 원칙과 예외의 해석이 있어 예외의 해석을 놓치면 전혀 엉뚱한 결론이 탄생한다 (다음에 구체적인 설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길 바라본다).예를 들어, 술사가 누군가에게 직업 조언을 줄 때 단순히 '넌 사주에 "관"이 있으니 법조인을 해라' 라고 단정하여서는 안 된다. 주입식은 위험하다. 법의 입법취지와 전체적인 맥락을 살펴서 법을 해석하듯이 관의 속성과 법조인의 속성이 무엇인지 각각 살펴봐야 한다. 누군가는 오히려 사주에 관이 없기 때문에 법조인이 잘 맞기도 한다. 법조인을 관직이 아닌 좋은 밥벌이 수완으로 보는 자일 수도 있지 않은가. 이처럼 유연한 사고로 세상의 이치를 생각하지 못하고 '관은 관직이다'라는 암기와 같은 주입식 공부로는 누군가의 인생에 사주팔자를 풀어준다는 핑계로 훈수를 둘 자격을 가질 수 없다. 결국 술사들이 누군가의 사주를 풀어줄 때 유연한 사고로 세상의 흐름과 개인에 대한 이해를 가져야 하는 것이다.명리학을 공부할수록 아이러니하게도 인생은 개척해 나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 헌법의 근간 철학을 제공한 철학자 존 롤스가 '베일의 장벽'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듯이 우연한 요소는 인생에 상당히 많은 것을 결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 안에서도 우리의 소극적 자유를 찾는다. 사주팔자도 마찬가지다. 명리학은 베일의 장벽처럼 나의 운세를 알려줄 뿐이다. 그 안에서 나를 살아가게 하는 것은 '나'이다. 결국, 명리학도 우리에게 소극적 자유가 있음을 알려주며, 오늘 하루에 집중하며 자유의지를 실천하라는 교훈을 시사하는 것 아닌 가 싶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사주팔자와 법 해석 (바로가기)
한겨레21
2024-09-22
[단독] 경찰 “키스방 알리미 운영자 재수사 검토할 것”
[단독] 경찰 “키스방 알리미 운영자 재수사 검토할 것”
[보도 그 뒤]미온적 수사 태도 비판 나오자… 한겨레21 탐사 보도 뒤 고발사건 다시 들여다보기로 경찰이 성매매 알선 플랫폼인 ‘키스방 알리미’(제1529호 참조) 운영자를 불러 조사하고도 불송치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키스방 알리미는 성구매자에게 돈을 받고 키스방 예약 정보를 텔레그램 등 메신저로 보내주는 신종 회원제 온라인 성매매 알선업체인데, 경찰이 수사를 미온적으로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불송치·불입건… ‘노○’ 운영자는 잠적해 수사 중지2024년 9월9일 한겨레21 탐사팀 취재를 종합하면, 성매매 업소를 모니터링하는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다시함께센터)는 2023년 11월 대표적인 키스방 알리미 ‘노○’과 ‘렛츠○’을 서울경찰청에 성매매 알선·광고 혐의로 고발했다. 성구매자들이 키스방에서 성매매할 수 있도록 키스방 알리미 두 곳이 성매매 알선 사이트에 올라오는 성매매 여성들의 출근 정보를 크롤링(데이터 끌어모으기) 해서 성구매들에게 전송하는 성매매 알선·광고를 했다는 혐의다.이 사건을 배당받은 서울 종암경찰서는 ‘렛츠○’의 운영자 신원을 확인한 뒤 이 운영자를 소환 조사해놓고도 “‘렛츠○’가 인터넷 정보를 전하는 것에 그치는 것으로 광고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2024년 5월 불송치했다. “업소에서 성매매가 이뤄지는지 또는 회원들이 해당 업소에 방문해 성매매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혐의를 부인한 ‘렛츠○’ 운영자의 주장을 경찰이 받아들인 셈이다. 가장 유명한 키스방 알리미인 ‘노○’의 경우 운영자인 조아무개(39)씨가 현재 잠적 상태로 경찰이 신병을 확보하지 못해 수사가 중지됐다.특히 ‘노○’의 경우 다시함께센터의 고발 외에도 두 차례 더 경찰에 수사가 의뢰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화이트해커 최준영(가명)씨가 2023년 6월과 2024년 6월 ‘노○’ 운영자 조씨가 서버 증설·이전 과정에서 실수로 노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씨의 신원을 특정해 “‘노○’이 불법 성매매를 알선하고 있다”며 경찰에 수사해달라고 민원을 제기했다. 하지만 이 민원을 받은 경기 일산서부경찰서와 일산동부경찰서 모두 “실제 유료회원들이 성매매했는지 알 수 없다”며 입건조차 하지 않았다.키스방 알리미는 현행 성매매처벌법의 알선과 광고 죄에 해당하는 명백한 처벌 대상이다. 대법원은 알선죄에 대해 “성매매를 하려는 당사자들의 의사를 연결하여 더 이상 알선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당사자 사이에 성매매에 이를 수 있을 정도의 주선 행위만 있으면 족하다”고 밝혔다.(대법원 2020도3626 판결) 법무법인 대륜의 이승호 변호사도 “키스방 알리미가 성매매 여성의 출근 정보를 알려 실제로 성매매가 이뤄지는 게 확인된다면, 그 중간 플랫폼 운영자도 성매매 알선죄를 물을 수 있다”고 말했다.현행법으로도 명백한 처벌 대상특히 성구매자들이 성매매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키스방 알리미의 죄는 성립한다. 대법원은 “성매매 알선죄는 성매매죄 정범의 존재와 관계없이 그 자체로 독자적인 정범”이라며 “알선자가 위와 같은 주선행위를 했다면 성매수자에게 실제로는 성매매에 나아가려는 의사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성매매 알선죄가 성립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2020도3626 판결)결국 경찰이 두 키스방 알리미들을 불송치·불입건한 것은 수사 의지가 부족했던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세 경찰서는 공통적으로 ‘실제 성매매가 이뤄지는 것인지 확인되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키스방 알리미 비밀 게시판과 각종 성매매 커뮤니티를 보면 매일같이 키스방 알리미를 통해 키스방을 예약해 성매매했다는 후기가 올라오는 것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노○’과 ‘렛츠○’ 등 키스방 알리미들은 공통적으로 유료회원을 위한 비밀 게시판이나 비밀 텔레그램 대화방을 직접 운영하는데, 유료회원들은 이곳에 적나라한 성매매 후기를 남기고, 여성들의 스킨십 수위 등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겨 평가하기 때문이다. 다시함께센터와 최씨 역시 경찰에 성매매 후기들과 키스방에서 쓰이는 은어 등이 담긴 자료를 수집해 전달했다.비밀 게시판에 올라오는 이런 성착취 관련 글은 현행법으로 이미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4년 7월 성매매 여성 평가·후기 게시 등 성매매와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명시하는 정보통신망법·성매매처벌법 개정안을 발의했고, 이 개정안들은 현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와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하지만 김건오 국회 과방위 수석전문위원은 2024년 8월26일 이 개정안에 대한 법률 검토보고서에서 “(법 개정이 없어도) 이미 현행 성매매처벌법상 (성매매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를) 처벌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이런 상황임에도 경찰이 ‘ 노○’의 비밀게시판이나 텔레그램 대화방 등에서 공유되는 성매매 관련 불법촬영물에 대해 입건조차 하지 않은 것을 두고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권경란 다시함께센터 감시사업팀장은 “경찰이 성매매 알선죄를 법리적으로 너무 협소하게 판단해서 불송치한 것 같다. 성매매 여성은 에스엔에스(SNS)에 광고를 올린 것만으로도 처벌하면서, 키스방 알리미는 너무 쉽게 풀어줬다”며 “키스방 알리미는 성구매자가 직접 성매매 알선에 뛰어들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스방 알리미가 대중화하면 성매매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성매매 알선·홍보 혐의 관련 법리 재검토”경찰은 한겨레21이 키스방 알리미를 고발하는 탐사 보도를 내보낸 뒤에야 뒤늦게 고발 사건을 다시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키스방에서는 은밀하게 성매매가 이뤄지기 때문에 혐의를 입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키스방 알리미의 성매매 알선·홍보 혐의에 대한 법리 검토를 다시 하고 재수사를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단독] 경찰 “키스방 알리미 운영자 재수사 검토할 것” (바로가기)
한겨레21
2024-09-22
[단독] 경찰 “키스방 알리미 운영자 재수사 검토할 것”
[단독] 경찰 “키스방 알리미 운영자 재수사 검토할 것”
[보도 그 뒤]미온적 수사 태도 비판 나오자… 한겨레21 탐사 보도 뒤 고발사건 다시 들여다보기로 경찰이 성매매 알선 플랫폼인 ‘키스방 알리미’(제1529호 참조) 운영자를 불러 조사하고도 불송치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키스방 알리미는 성구매자에게 돈을 받고 키스방 예약 정보를 텔레그램 등 메신저로 보내주는 신종 회원제 온라인 성매매 알선업체인데, 경찰이 수사를 미온적으로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불송치·불입건… ‘노○’ 운영자는 잠적해 수사 중지2024년 9월9일 한겨레21 탐사팀 취재를 종합하면, 성매매 업소를 모니터링하는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다시함께센터)는 2023년 11월 대표적인 키스방 알리미 ‘노○’과 ‘렛츠○’을 서울경찰청에 성매매 알선·광고 혐의로 고발했다. 성구매자들이 키스방에서 성매매할 수 있도록 키스방 알리미 두 곳이 성매매 알선 사이트에 올라오는 성매매 여성들의 출근 정보를 크롤링(데이터 끌어모으기) 해서 성구매들에게 전송하는 성매매 알선·광고를 했다는 혐의다.이 사건을 배당받은 서울 종암경찰서는 ‘렛츠○’의 운영자 신원을 확인한 뒤 이 운영자를 소환 조사해놓고도 “‘렛츠○’가 인터넷 정보를 전하는 것에 그치는 것으로 광고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2024년 5월 불송치했다. “업소에서 성매매가 이뤄지는지 또는 회원들이 해당 업소에 방문해 성매매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혐의를 부인한 ‘렛츠○’ 운영자의 주장을 경찰이 받아들인 셈이다. 가장 유명한 키스방 알리미인 ‘노○’의 경우 운영자인 조아무개(39)씨가 현재 잠적 상태로 경찰이 신병을 확보하지 못해 수사가 중지됐다.특히 ‘노○’의 경우 다시함께센터의 고발 외에도 두 차례 더 경찰에 수사가 의뢰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화이트해커 최준영(가명)씨가 2023년 6월과 2024년 6월 ‘노○’ 운영자 조씨가 서버 증설·이전 과정에서 실수로 노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씨의 신원을 특정해 “‘노○’이 불법 성매매를 알선하고 있다”며 경찰에 수사해달라고 민원을 제기했다. 하지만 이 민원을 받은 경기 일산서부경찰서와 일산동부경찰서 모두 “실제 유료회원들이 성매매했는지 알 수 없다”며 입건조차 하지 않았다.키스방 알리미는 현행 성매매처벌법의 알선과 광고 죄에 해당하는 명백한 처벌 대상이다. 대법원은 알선죄에 대해 “성매매를 하려는 당사자들의 의사를 연결하여 더 이상 알선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당사자 사이에 성매매에 이를 수 있을 정도의 주선 행위만 있으면 족하다”고 밝혔다.(대법원 2020도3626 판결) 법무법인 대륜의 이승호 변호사도 “키스방 알리미가 성매매 여성의 출근 정보를 알려 실제로 성매매가 이뤄지는 게 확인된다면, 그 중간 플랫폼 운영자도 성매매 알선죄를 물을 수 있다”고 말했다.현행법으로도 명백한 처벌 대상특히 성구매자들이 성매매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키스방 알리미의 죄는 성립한다. 대법원은 “성매매 알선죄는 성매매죄 정범의 존재와 관계없이 그 자체로 독자적인 정범”이라며 “알선자가 위와 같은 주선행위를 했다면 성매수자에게 실제로는 성매매에 나아가려는 의사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성매매 알선죄가 성립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2020도3626 판결)결국 경찰이 두 키스방 알리미들을 불송치·불입건한 것은 수사 의지가 부족했던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세 경찰서는 공통적으로 ‘실제 성매매가 이뤄지는 것인지 확인되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키스방 알리미 비밀 게시판과 각종 성매매 커뮤니티를 보면 매일같이 키스방 알리미를 통해 키스방을 예약해 성매매했다는 후기가 올라오는 것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노○’과 ‘렛츠○’ 등 키스방 알리미들은 공통적으로 유료회원을 위한 비밀 게시판이나 비밀 텔레그램 대화방을 직접 운영하는데, 유료회원들은 이곳에 적나라한 성매매 후기를 남기고, 여성들의 스킨십 수위 등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겨 평가하기 때문이다. 다시함께센터와 최씨 역시 경찰에 성매매 후기들과 키스방에서 쓰이는 은어 등이 담긴 자료를 수집해 전달했다.비밀 게시판에 올라오는 이런 성착취 관련 글은 현행법으로 이미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4년 7월 성매매 여성 평가·후기 게시 등 성매매와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명시하는 정보통신망법·성매매처벌법 개정안을 발의했고, 이 개정안들은 현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와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하지만 김건오 국회 과방위 수석전문위원은 2024년 8월26일 이 개정안에 대한 법률 검토보고서에서 “(법 개정이 없어도) 이미 현행 성매매처벌법상 (성매매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를) 처벌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이런 상황임에도 경찰이 ‘ 노○’의 비밀게시판이나 텔레그램 대화방 등에서 공유되는 성매매 관련 불법촬영물에 대해 입건조차 하지 않은 것을 두고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권경란 다시함께센터 감시사업팀장은 “경찰이 성매매 알선죄를 법리적으로 너무 협소하게 판단해서 불송치한 것 같다. 성매매 여성은 에스엔에스(SNS)에 광고를 올린 것만으로도 처벌하면서, 키스방 알리미는 너무 쉽게 풀어줬다”며 “키스방 알리미는 성구매자가 직접 성매매 알선에 뛰어들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스방 알리미가 대중화하면 성매매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성매매 알선·홍보 혐의 관련 법리 재검토”경찰은 한겨레21이 키스방 알리미를 고발하는 탐사 보도를 내보낸 뒤에야 뒤늦게 고발 사건을 다시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키스방에서는 은밀하게 성매매가 이뤄지기 때문에 혐의를 입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키스방 알리미의 성매매 알선·홍보 혐의에 대한 법리 검토를 다시 하고 재수사를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단독] 경찰 “키스방 알리미 운영자 재수사 검토할 것” (바로가기)
로리더
2024-09-20
법무법인 대륜, 제주 솔담한방병원과 의료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제주 솔담한방병원과 의료자문 MOU
각종 의료 분쟁 대응···전문가 협업으로 의료법률문제 개선세미나, 교육 등 제주 지역사회 의료발전 위한 상호협력 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이 솔담한방병원과 각종 의료분쟁에 대한 법률 자문 MOU를 맺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3일 솔담한방병원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와 솔담한방병원의 현경철 병원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의료분쟁중재원 비상임의원, 의료재판부 출신 변호사를 비롯해 다수의 병원출신 의료변호사들로 구성된 의료소송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들을 중심으로 소속 세무사, 회계사, 변리사 등 전문가들과 협업해 의료자문뿐만 아니라 병원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법률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솔담한방병원은 한의학과 양의학의 장점을 살린 선진 의료 시스템을 갖춘 통합병원으로 한의사와 의사를 비롯해 물리치료사, 간호사 등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제주도민들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병원 내 발생하는 각종 의료분쟁 대응, ▲병원 광고·홍보 시 적법성 검토, ▲의료기기 인·허가 및 품질 문제 대응 등을 지원한다. 또한 중대 사건 발생 방지를 위한 교육과 점검을 수시로 진행함으로써 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문제를 미리 예방한다는 계획이다.솔담한방병원 현경철 병원장은 “한방과 양방을 모두 제공하는 우리 병원에는 각종 법률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문가가 필요했다”면서, “이번 업무 협약으로 병원 임직원 법률상담부터 의료 분쟁, 행정 소송 등에 대한 자문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지속적인 소통으로 양사가 함께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병원이 겪을 수 있는 형사·민사·행정 등 여러 법률 문제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변호사들과 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가 신속한 법률 자문을 제공할 것”이라면서, “솔담한방병원이 제주 지역 사회 의료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조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 각지의 병·의원 및 의료법인과 MOU를 체결해 의료소송그룹의 전문성을 더해가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제주 솔담한방병원과 의료자문 MOU (바로가기)
로리더
2024-09-20
법무법인 대륜, 제주 솔담한방병원과 의료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제주 솔담한방병원과 의료자문 MOU
각종 의료 분쟁 대응···전문가 협업으로 의료법률문제 개선세미나, 교육 등 제주 지역사회 의료발전 위한 상호협력 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이 솔담한방병원과 각종 의료분쟁에 대한 법률 자문 MOU를 맺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3일 솔담한방병원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와 솔담한방병원의 현경철 병원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의료분쟁중재원 비상임의원, 의료재판부 출신 변호사를 비롯해 다수의 병원출신 의료변호사들로 구성된 의료소송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들을 중심으로 소속 세무사, 회계사, 변리사 등 전문가들과 협업해 의료자문뿐만 아니라 병원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법률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솔담한방병원은 한의학과 양의학의 장점을 살린 선진 의료 시스템을 갖춘 통합병원으로 한의사와 의사를 비롯해 물리치료사, 간호사 등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제주도민들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병원 내 발생하는 각종 의료분쟁 대응, ▲병원 광고·홍보 시 적법성 검토, ▲의료기기 인·허가 및 품질 문제 대응 등을 지원한다. 또한 중대 사건 발생 방지를 위한 교육과 점검을 수시로 진행함으로써 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문제를 미리 예방한다는 계획이다.솔담한방병원 현경철 병원장은 “한방과 양방을 모두 제공하는 우리 병원에는 각종 법률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문가가 필요했다”면서, “이번 업무 협약으로 병원 임직원 법률상담부터 의료 분쟁, 행정 소송 등에 대한 자문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지속적인 소통으로 양사가 함께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병원이 겪을 수 있는 형사·민사·행정 등 여러 법률 문제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변호사들과 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가 신속한 법률 자문을 제공할 것”이라면서, “솔담한방병원이 제주 지역 사회 의료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조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 각지의 병·의원 및 의료법인과 MOU를 체결해 의료소송그룹의 전문성을 더해가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제주 솔담한방병원과 의료자문 MOU (바로가기)
머니S
2024-09-20
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제주Y신협, '금융 디지털 전환' 맞손
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제주Y신협, '금융 디지털 전환' 맞손
금융 분야에 특화된 협업…시스템 안착 위한 법률 서비스 제공 법무법인 대륜(유한)이 디지털 시스템 도입을 위한 법률 서비스 제공과 금융 분야 네트워킹 확장에 나섰다.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이 지난 13일 제주Y신협과 디지털 금융 시스템 전환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신협 본점에서 진행된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 오경훈 변호사가, 제주Y신협 여혜숙 이사장, 부경남 상무, 김진희 지점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양사는 세미나와 교육 등을 개최하고 디지털 활용 방안과 법률적 고려사항에 대한 논의를 지속해서 진행할 계획이다.제주Y신협은 서민과 중산층 지위 향상을 위해 비영리로 운영되고 있는 협동조합 금융기관으로 조합원과 지역민을 위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디지털 금융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해결하고 디지털 금융 서비스 구축에 대한 법률 자문을 지원한다. 이번 협약으로 금융 시장 내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사업 전문성을 강화할 전망이다.구체적으로 대륜은 제주Y신협에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위한 ▲IT 시스템 구축 ▲데이터 보안 ▲규제 환경 ▲분쟁 해결 등에 대한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제주Y신협은 시스템 혁신과 더불어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제주Y신협 여혜숙 이사장은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는 금융 환경에서 당사는 조합원과 고객의 안전과 믿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있다"며 "법무법인 대륜의 법률 자문을 통해 고객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금융 환경을 조성하겠다. 대륜의 글로벌 법률 서비스를 통한 해외 협력도 기대한다"라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최근 금융 환경은 핀테크, 블록체인,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규제 변화로 격변기를 맞고 있다"며 "대륜은 제주 사무소와 본사 간 화상 상담이 가능하고 부동산, 회계, 노무 등 각 분야의 전문팀과 즉각적인 협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주Y신협의 안정적인 금융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제주Y신협, '금융 디지털 전환' 맞손 (바로가기)
머니S
2024-09-20
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제주Y신협, '금융 디지털 전환' 맞손
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제주Y신협, '금융 디지털 전환' 맞손
금융 분야에 특화된 협업…시스템 안착 위한 법률 서비스 제공 법무법인 대륜(유한)이 디지털 시스템 도입을 위한 법률 서비스 제공과 금융 분야 네트워킹 확장에 나섰다.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이 지난 13일 제주Y신협과 디지털 금융 시스템 전환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신협 본점에서 진행된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 오경훈 변호사가, 제주Y신협 여혜숙 이사장, 부경남 상무, 김진희 지점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양사는 세미나와 교육 등을 개최하고 디지털 활용 방안과 법률적 고려사항에 대한 논의를 지속해서 진행할 계획이다.제주Y신협은 서민과 중산층 지위 향상을 위해 비영리로 운영되고 있는 협동조합 금융기관으로 조합원과 지역민을 위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디지털 금융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해결하고 디지털 금융 서비스 구축에 대한 법률 자문을 지원한다. 이번 협약으로 금융 시장 내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사업 전문성을 강화할 전망이다.구체적으로 대륜은 제주Y신협에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위한 ▲IT 시스템 구축 ▲데이터 보안 ▲규제 환경 ▲분쟁 해결 등에 대한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제주Y신협은 시스템 혁신과 더불어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제주Y신협 여혜숙 이사장은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는 금융 환경에서 당사는 조합원과 고객의 안전과 믿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있다"며 "법무법인 대륜의 법률 자문을 통해 고객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금융 환경을 조성하겠다. 대륜의 글로벌 법률 서비스를 통한 해외 협력도 기대한다"라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최근 금융 환경은 핀테크, 블록체인,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규제 변화로 격변기를 맞고 있다"며 "대륜은 제주 사무소와 본사 간 화상 상담이 가능하고 부동산, 회계, 노무 등 각 분야의 전문팀과 즉각적인 협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주Y신협의 안정적인 금융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제주Y신협, '금융 디지털 전환' 맞손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9-20
법무법인(유한) 대륜, (사)제주다움포럼과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 (사)제주다움포럼과 MOU
제주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결을 위한 상호협력 약속법무법인(유한) 대륜, 취약 계층을 상대로 법률 상담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과 제주 지역 발전을 위한 법률 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 사무실에서 진행된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 제주다움포럼 송문희 이사장, 박수정 사무국장 등이 참석했다.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은 참여와 나눔의 가치 아래, 제주의 발전과 공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법인 단체다. 장애인과 다문화 가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봉사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 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협력 체계 마련 ▲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 ▲ 공정한 제주 사회 만들기 등을 위해 노력할 전망이다.이를 위해 법무법인 대륜은 장애인, 다문화가정 등 소외계층 복지 증진을 위한 각종 법률 자문은 물론 법 제도 개선을 위한 법적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또한 법률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주도민들을 위해 법률 상담을 지원하는 등 법적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서도 노력할 방침이다.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 송문희 이사장은 “제주 사회 발전을 위해 협약에 응해준 법무법인 대륜에 감사드린다”라며 “이 협약은 제주 지역 내 복지 수준을 상향 평등화해 제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좋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는 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과 협약을 진행할 수 있어 기쁘다. 제주다움포럼과 함께 연합해 취약계층을 위한 봉사활동을 진행하는 등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제주 분사무소를 포함해 전국 39개의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각 지역 법인 단체와 법률 자문 업무협약을 맺어 지역 발전을 위한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사)제주다움포럼과 MOU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9-20
법무법인(유한) 대륜, (사)제주다움포럼과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 (사)제주다움포럼과 MOU
제주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결을 위한 상호협력 약속법무법인(유한) 대륜, 취약 계층을 상대로 법률 상담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과 제주 지역 발전을 위한 법률 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 사무실에서 진행된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 제주다움포럼 송문희 이사장, 박수정 사무국장 등이 참석했다.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은 참여와 나눔의 가치 아래, 제주의 발전과 공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법인 단체다. 장애인과 다문화 가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봉사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 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협력 체계 마련 ▲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 ▲ 공정한 제주 사회 만들기 등을 위해 노력할 전망이다.이를 위해 법무법인 대륜은 장애인, 다문화가정 등 소외계층 복지 증진을 위한 각종 법률 자문은 물론 법 제도 개선을 위한 법적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또한 법률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주도민들을 위해 법률 상담을 지원하는 등 법적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서도 노력할 방침이다.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 송문희 이사장은 “제주 사회 발전을 위해 협약에 응해준 법무법인 대륜에 감사드린다”라며 “이 협약은 제주 지역 내 복지 수준을 상향 평등화해 제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좋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는 사단법인 제주다움포럼과 협약을 진행할 수 있어 기쁘다. 제주다움포럼과 함께 연합해 취약계층을 위한 봉사활동을 진행하는 등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제주 분사무소를 포함해 전국 39개의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각 지역 법인 단체와 법률 자문 업무협약을 맺어 지역 발전을 위한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사)제주다움포럼과 MOU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4-09-20
법무법인 대륜,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 개소
춘천, 원주에 이어 강릉까지…형사·이혼·민사·군형사 사건 다룰 전망김국일 대표 "거리 문제로 방문 어려웠던 지역 사회에 대한 책임 보여줄 것""고품질 법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본사 차원에서 모든 사건 관리할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강릉에 새로운 분사무소를 개소한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춘천, 원주에 이어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를 개소한다. 이로써 대륜은 강원도 내 총 3개의 분사무소를 운영하게 됐다.강릉 분사무소는 형사, 이혼, 민사, 군형사 등 사건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다.지역 특성상 군부대가 많아 군사 관련 법률 사건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을 고려해 군형사 사건에 대한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대륜은 고품질 법률 서비스에 대한 지역민들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전국 각지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다. 운영 중인 주·분사무소는 현재 총 40개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강릉 분사무소 개소는 대륜에 의뢰하고 싶어도 거리상 문제로 방문이 어려웠던 지역 사회에 대한 책임과 의지를 보여주고자 한다"고 설명했다.이어 김 대표는 "미국의 선진 로펌 문화를 받아들여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는 경영 이념 아래 지속적인 확장 중"이라며 "분사무소를 찾은 고객들이 본사의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본사 차원에서 모든 사건을 일괄 관리하고, 전 구성원이 협력과 토론을 통해 한 사건마다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회사형 로펌' 지방 분사무소 개설 경쟁 치열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2곳
2024-09-20
법무법인 대륜,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 개소
춘천, 원주에 이어 강릉까지…형사·이혼·민사·군형사 사건 다룰 전망김국일 대표 "거리 문제로 방문 어려웠던 지역 사회에 대한 책임 보여줄 것""고품질 법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본사 차원에서 모든 사건 관리할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강릉에 새로운 분사무소를 개소한다.20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춘천, 원주에 이어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를 개소한다. 이로써 대륜은 강원도 내 총 3개의 분사무소를 운영하게 됐다.강릉 분사무소는 형사, 이혼, 민사, 군형사 등 사건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다.지역 특성상 군부대가 많아 군사 관련 법률 사건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을 고려해 군형사 사건에 대한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대륜은 고품질 법률 서비스에 대한 지역민들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전국 각지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다. 운영 중인 주·분사무소는 현재 총 40개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강릉 분사무소 개소는 대륜에 의뢰하고 싶어도 거리상 문제로 방문이 어려웠던 지역 사회에 대한 책임과 의지를 보여주고자 한다"고 설명했다.이어 김 대표는 "미국의 선진 로펌 문화를 받아들여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는 경영 이념 아래 지속적인 확장 중"이라며 "분사무소를 찾은 고객들이 본사의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본사 차원에서 모든 사건을 일괄 관리하고, 전 구성원이 협력과 토론을 통해 한 사건마다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강릉에 40번째 분사무소 개소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회사형 로펌' 지방 분사무소 개설 경쟁 치열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4-09-19
전단지 뗐다고 검찰 송치된 여중생···대형로펌에서 손길 건네
전단지 뗐다고 검찰 송치된 여중생···대형로펌에서 손길 건네
엘리베이터 전단지 뗐다가 재물손괴 혐의법무법인(유한) 대륜, A학생 변호 맡아 “기계적인 사건 처리 민낯 드러내”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부착된 전단지를 뗐다가 검찰에 송치된 여중생의 사연이 알려져 시민들의 항의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여중생이 대형 로펌의 도움을 받아 수사 단계 대응에 나선다.법조 관계자에 따르면,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A학생 측의 위임을 받아 경기 용인 동부경찰서에 변호인 선임신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특히, 이번 사안은 언론을 통해 사건을 접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에서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민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A학생은 지난 5월 자신이 거주하는 경기도 용인시의 한 아파트 엘리베이터 거울에 붙어있던 전단지를 뜯어냈다는 이유로 재물손괴 혐의를 받고 있다.해당 전단지는 아파트 내 주민 자치조직이 작성한 것으로, 관리사무소 도장이 찍히지 않은 비인가 게시물이었다. 당시 A학생은 엘리베이터에서 거울을 보던 중 전단지가 시야를 가리자 이를 별다른 의도 없이 제거한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경찰은 A학생에게 재물손괴 혐의를 적용해 사건을 검찰로 송치했다.경찰은 기소 의견의 송치 근거로, 관리 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은 게시물을 적법하게 철거하기 위해서는 부착한 당사자에게 자진 철거를 청구하거나 민사소송을 제기해 강제집행을 해야한다는 내용의 2022년 평택지원 판례를 들었다.이에 A학생의 부모는 국민신문고와 언론 등을 통해 이의를 제기했으며, 이 사건이 알려지자 경기 용인 동부경찰서 홈페이지에는 과잉수사를 지적하는 항의글이 쏟아졌다. 경찰서장까지 답글을 달며 사과의 뜻을 밝혔지만, 비판 여론은 아직도 잦아들지 않고 있다.논란이 계속되자 용인 동부경찰서의 상급기관인 경기남부경찰청은 보완수사를 결정하고, 검찰로부터 다시 사건을 돌려받았다.A학생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 대륜의 김다은 변호사는 “언론을 통해 A학생의 사건을 접한 뒤 분노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수소문 끝에 A학생과 연락이 닿아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고 밝혔다.아울러 “이 사건은 구체적인 타당성을 결여한 채 기계적으로 사건을 처리한 경찰수사의 민낯을 보여주는 사례”라면서, “재수사에 나선 경찰이 설령 사건을 불송치 결정을 내린다고 하더라도, 이는 사태를 무마시키기 위한 미봉책일 뿐”이라고 지적했다.김다은 변호사는 “현재 A양은 전단지를 부착한 집단으로부터 온갖 비방, 협박성 글을 접하며 여전히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면서,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건 처리 기관의 진심 어린 자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전단지 뗐다고 검찰 송치된 여중생···대형로펌에서 손길 건네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전단지 뗐다고 손괴 혐의로 송치된 여중생 사건 맡아(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4-09-19
전단지 뗐다고 검찰 송치된 여중생···대형로펌에서 손길 건네
전단지 뗐다고 검찰 송치된 여중생···대형로펌에서 손길 건네
엘리베이터 전단지 뗐다가 재물손괴 혐의법무법인(유한) 대륜, A학생 변호 맡아 “기계적인 사건 처리 민낯 드러내”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부착된 전단지를 뗐다가 검찰에 송치된 여중생의 사연이 알려져 시민들의 항의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여중생이 대형 로펌의 도움을 받아 수사 단계 대응에 나선다.법조 관계자에 따르면,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A학생 측의 위임을 받아 경기 용인 동부경찰서에 변호인 선임신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특히, 이번 사안은 언론을 통해 사건을 접한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에서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민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A학생은 지난 5월 자신이 거주하는 경기도 용인시의 한 아파트 엘리베이터 거울에 붙어있던 전단지를 뜯어냈다는 이유로 재물손괴 혐의를 받고 있다.해당 전단지는 아파트 내 주민 자치조직이 작성한 것으로, 관리사무소 도장이 찍히지 않은 비인가 게시물이었다. 당시 A학생은 엘리베이터에서 거울을 보던 중 전단지가 시야를 가리자 이를 별다른 의도 없이 제거한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경찰은 A학생에게 재물손괴 혐의를 적용해 사건을 검찰로 송치했다.경찰은 기소 의견의 송치 근거로, 관리 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은 게시물을 적법하게 철거하기 위해서는 부착한 당사자에게 자진 철거를 청구하거나 민사소송을 제기해 강제집행을 해야한다는 내용의 2022년 평택지원 판례를 들었다.이에 A학생의 부모는 국민신문고와 언론 등을 통해 이의를 제기했으며, 이 사건이 알려지자 경기 용인 동부경찰서 홈페이지에는 과잉수사를 지적하는 항의글이 쏟아졌다. 경찰서장까지 답글을 달며 사과의 뜻을 밝혔지만, 비판 여론은 아직도 잦아들지 않고 있다.논란이 계속되자 용인 동부경찰서의 상급기관인 경기남부경찰청은 보완수사를 결정하고, 검찰로부터 다시 사건을 돌려받았다.A학생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 대륜의 김다은 변호사는 “언론을 통해 A학생의 사건을 접한 뒤 분노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수소문 끝에 A학생과 연락이 닿아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고 밝혔다.아울러 “이 사건은 구체적인 타당성을 결여한 채 기계적으로 사건을 처리한 경찰수사의 민낯을 보여주는 사례”라면서, “재수사에 나선 경찰이 설령 사건을 불송치 결정을 내린다고 하더라도, 이는 사태를 무마시키기 위한 미봉책일 뿐”이라고 지적했다.김다은 변호사는 “현재 A양은 전단지를 부착한 집단으로부터 온갖 비방, 협박성 글을 접하며 여전히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면서,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건 처리 기관의 진심 어린 자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전단지 뗐다고 검찰 송치된 여중생···대형로펌에서 손길 건네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전단지 뗐다고 손괴 혐의로 송치된 여중생 사건 맡아(바로가기)
아주경제
2024-09-19
[로펌라운지] 대륜-제주 의기총 MOU…의료기사 권익 보호 앞장
[로펌라운지] 대륜-제주 의기총 MOU…의료기사 권익 보호 앞장
제주 의기총, 지역 의료기사 권익 향상 및 도민 보건 의료 향상 목표대륜, 다양한 현장 경험 공유로 의료소송그룹 발전 기대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 제주도회(이하 제주 의기총)와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12일 법무법인(유한) 대륜 제주 사무소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 김창택 제주 의기총 대표회장, 정무상 제주한라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약사·한의사 등 병원 출신 전문가, 의료분쟁조정중재원 심사관 출신 변호사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 분야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각종 의료 분쟁에 대응하고 있다.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는 대한방사선사협회, 대한임상변리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등 8개 단체가 의료기사 등의 권익과 제도 개선을 위해 모인 단체다. 제주 의기총은 지난 4월 법인 등록과 함께 출범했으며, 현재 제주도 지역 내 의료기사의 권익 향상 및 도민 보건 의료 향상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기사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제주 의기총은 의료기사들이 오랜 시간 병원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과 공유하겠다는 방침이다. 제주 의기총 김창택 대표회장은 “의료 현장에서 피해자가 병원이 아닌 의료기사 개인에게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아 법률 자문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협약이 의료기사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제주 의기총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의료분야 자문에 도움을 구할 것”이라며 “두 기관이 힘을 합쳐 지역 사회의 건강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제주 의기총에 이어 전국 각 지역 의기총과 MOU 체결을 추진해 의료소송그룹의 입지를 다질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 - [로펌라운지] 대륜-제주 의기총 MOU…의료기사 권익 보호 앞장 (바로가기)
아주경제
2024-09-19
[로펌라운지] 대륜-제주 의기총 MOU…의료기사 권익 보호 앞장
[로펌라운지] 대륜-제주 의기총 MOU…의료기사 권익 보호 앞장
제주 의기총, 지역 의료기사 권익 향상 및 도민 보건 의료 향상 목표대륜, 다양한 현장 경험 공유로 의료소송그룹 발전 기대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 제주도회(이하 제주 의기총)와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12일 법무법인(유한) 대륜 제주 사무소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고승석 변호사, 김창택 제주 의기총 대표회장, 정무상 제주한라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약사·한의사 등 병원 출신 전문가, 의료분쟁조정중재원 심사관 출신 변호사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 분야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각종 의료 분쟁에 대응하고 있다.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는 대한방사선사협회, 대한임상변리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등 8개 단체가 의료기사 등의 권익과 제도 개선을 위해 모인 단체다. 제주 의기총은 지난 4월 법인 등록과 함께 출범했으며, 현재 제주도 지역 내 의료기사의 권익 향상 및 도민 보건 의료 향상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기사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제주 의기총은 의료기사들이 오랜 시간 병원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과 공유하겠다는 방침이다. 제주 의기총 김창택 대표회장은 “의료 현장에서 피해자가 병원이 아닌 의료기사 개인에게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아 법률 자문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협약이 의료기사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제주 의기총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의료분야 자문에 도움을 구할 것”이라며 “두 기관이 힘을 합쳐 지역 사회의 건강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제주 의기총에 이어 전국 각 지역 의기총과 MOU 체결을 추진해 의료소송그룹의 입지를 다질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 - [로펌라운지] 대륜-제주 의기총 MOU…의료기사 권익 보호 앞장 (바로가기)
제민일보
2024-09-13
"업무수행 중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
"업무수행 중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
제민일보 등, 업무협약 제민일보(대표이사 사장 오홍식) 법무법인(유한)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은 12일 제민일보 3층 사장실에서 회사 업무수행에서의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을 통해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제민일보의 요청에 따라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관련 분야 전문가를 통해 회사의 모든 업무영역에 걸쳐 법률 자문을 제공하기로 했다.제민일보는 대륜에 법인 수행 업무 및 법인 홍보 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오홍식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협약이 제민일보와 대륜이 서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법원·검찰·경찰 출신 변호사로 구성된 법무법인으로 기업법무, 조세, 금융, 지식재산권, 형사, 민사·손해배상, 증거조사·포렌식, 법률상담 등 분야별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기사전문보기] - "업무수행 중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 (바로가기)
제민일보
2024-09-13
"업무수행 중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
"업무수행 중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
제민일보 등, 업무협약 제민일보(대표이사 사장 오홍식) 법무법인(유한)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은 12일 제민일보 3층 사장실에서 회사 업무수행에서의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을 통해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제민일보의 요청에 따라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관련 분야 전문가를 통해 회사의 모든 업무영역에 걸쳐 법률 자문을 제공하기로 했다.제민일보는 대륜에 법인 수행 업무 및 법인 홍보 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오홍식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협약이 제민일보와 대륜이 서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법원·검찰·경찰 출신 변호사로 구성된 법무법인으로 기업법무, 조세, 금융, 지식재산권, 형사, 민사·손해배상, 증거조사·포렌식, 법률상담 등 분야별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기사전문보기] - "업무수행 중 법률 자문 협력관계 설정" (바로가기)
로리더
2024-09-13
‘상조가입 대출’ 전자제품렌탈 사기로 5억 편취···종범은 ‘집행유예’
‘상조가입 대출’ 전자제품렌탈 사기로 5억 편취···종범은 ‘집행유예’
인터넷 광고로 신용불량자 모집 후 ‘내구제’ 범행 공모상조 가입 후 제공받는 사은품 즉시 처분해 ‘현금화’ 은행에서 대출이 불가능한 신용불량자를 이용해 13억 원대의 ‘가전제품 렌탈 사기’를 저지른 범죄 조직원들 중 정범에게는 실형, 종범에게는 집행유예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형사1부(재판장 전경호 부장판사)는 지난 7월 15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혐의로 구속 기소된 A씨(41세)에게 징역 2년 형의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하고, 이 사건의 정범인 다른 피고인들에게는 각각 징역 3년과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이들은 상조회사의 특정 상품에 가입하면서 렌탈계약 등을 통해 제공받는 전자제품 등 고가의 상품을 바로 제3자에게 되팔아 필요한 자금을 지급받는 방식의 변종 대출인 이른바 전자제품 ‘내구제’(‘내 스스로 나를 구제한다’는 의미의 인터넷 신조어) 범행 방식을 활용해 총 13억여 원의 이득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이들 중 A씨는 2023년 4월부터 대출광고를 보고 연락한 대출희망자에게 상조 ‘내구제’ 범행을 제안하면서, 피해 회사 상품을 소개하고, 상조 상품 가입 이후에는 대출희망자가 제공 받은 고가의 제품을 처분해 이득을 챙겼다는 혐의를 받았다.대출희망자들은 대부분 신용불량자로 경제적 문제가 있어 상조 상품에 가입해도 상조부금과 가전제품 할부금을 정상적으로 납부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A씨는 특히 지인인 또 다른 피고인들과 함께 공모해 자신의 연고지를 중심으로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 ‘내구제’ 대출희망자를 모집한 후 위와 같은 범행을 165회에 걸쳐 저질렀으며, 5억 원 상당의 물품을 편취한 혐의로 기소됐다.이 형사재판에서 A씨의 변호인은 피고인이 이 사건의 정범이 아님을 강조하고, 이 사건 재물의 시가가 공소장에 기재된 편취 금액보다 낮은 수준임을 밝혀 참작해 줄 것을 주장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1부는 “피고인들이 조직적으로 역할을 분담해 저지른 소위 ‘내구제’ 범행은 직접적인 피해자인 피해 회사에 막대한 재산적 피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소액 대출조차 어려울 만큼 궁박한 처지에 있던 다수의 대출희망자들의 경제적 상황을 결과적으로 더욱 열악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그 사회적·경제적 폐해가 크다”면서도, “공범들이 각 역할별 가전제품 판매 수익을 나누는 ‘내구제’ 범행의 특성상 각 피고인이 이 사건 범행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은 각 범죄사실 기재 편취금액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재판부는 이어 A씨에 대한 양형이유로 “일부 피해액이 변제되고 합의해 피해 회사가 A씨에 대한 처벌을 원하고 있지 않은 점, 수사 초기부터 대체적으로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 등은 유리한 정상이다”라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임혜진 변호사는 “사기 범죄 양상이 다양해지면서 조직적 사기 유형에 대한 처벌 강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신종 사기 등에 대해 엄벌이 내려지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면서, “다행히 이번 사건의 경우에는 사건의 정범이 아닌 종범인 점을 강조하고, 실제 범죄수익이 크지 않음을 밝힌 덕분에 법정 구속을 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상조가입 대출’ 전자제품렌탈 사기로 5억 편취···종범은 ‘집행유예’ (바로가기)
로리더
2024-09-13
‘상조가입 대출’ 전자제품렌탈 사기로 5억 편취···종범은 ‘집행유예’
‘상조가입 대출’ 전자제품렌탈 사기로 5억 편취···종범은 ‘집행유예’
인터넷 광고로 신용불량자 모집 후 ‘내구제’ 범행 공모상조 가입 후 제공받는 사은품 즉시 처분해 ‘현금화’ 은행에서 대출이 불가능한 신용불량자를 이용해 13억 원대의 ‘가전제품 렌탈 사기’를 저지른 범죄 조직원들 중 정범에게는 실형, 종범에게는 집행유예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형사1부(재판장 전경호 부장판사)는 지난 7월 15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혐의로 구속 기소된 A씨(41세)에게 징역 2년 형의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하고, 이 사건의 정범인 다른 피고인들에게는 각각 징역 3년과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이들은 상조회사의 특정 상품에 가입하면서 렌탈계약 등을 통해 제공받는 전자제품 등 고가의 상품을 바로 제3자에게 되팔아 필요한 자금을 지급받는 방식의 변종 대출인 이른바 전자제품 ‘내구제’(‘내 스스로 나를 구제한다’는 의미의 인터넷 신조어) 범행 방식을 활용해 총 13억여 원의 이득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이들 중 A씨는 2023년 4월부터 대출광고를 보고 연락한 대출희망자에게 상조 ‘내구제’ 범행을 제안하면서, 피해 회사 상품을 소개하고, 상조 상품 가입 이후에는 대출희망자가 제공 받은 고가의 제품을 처분해 이득을 챙겼다는 혐의를 받았다.대출희망자들은 대부분 신용불량자로 경제적 문제가 있어 상조 상품에 가입해도 상조부금과 가전제품 할부금을 정상적으로 납부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A씨는 특히 지인인 또 다른 피고인들과 함께 공모해 자신의 연고지를 중심으로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 ‘내구제’ 대출희망자를 모집한 후 위와 같은 범행을 165회에 걸쳐 저질렀으며, 5억 원 상당의 물품을 편취한 혐의로 기소됐다.이 형사재판에서 A씨의 변호인은 피고인이 이 사건의 정범이 아님을 강조하고, 이 사건 재물의 시가가 공소장에 기재된 편취 금액보다 낮은 수준임을 밝혀 참작해 줄 것을 주장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1부는 “피고인들이 조직적으로 역할을 분담해 저지른 소위 ‘내구제’ 범행은 직접적인 피해자인 피해 회사에 막대한 재산적 피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소액 대출조차 어려울 만큼 궁박한 처지에 있던 다수의 대출희망자들의 경제적 상황을 결과적으로 더욱 열악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그 사회적·경제적 폐해가 크다”면서도, “공범들이 각 역할별 가전제품 판매 수익을 나누는 ‘내구제’ 범행의 특성상 각 피고인이 이 사건 범행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은 각 범죄사실 기재 편취금액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재판부는 이어 A씨에 대한 양형이유로 “일부 피해액이 변제되고 합의해 피해 회사가 A씨에 대한 처벌을 원하고 있지 않은 점, 수사 초기부터 대체적으로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 등은 유리한 정상이다”라고 밝혔다.이 사건에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임혜진 변호사는 “사기 범죄 양상이 다양해지면서 조직적 사기 유형에 대한 처벌 강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신종 사기 등에 대해 엄벌이 내려지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면서, “다행히 이번 사건의 경우에는 사건의 정범이 아닌 종범인 점을 강조하고, 실제 범죄수익이 크지 않음을 밝힌 덕분에 법정 구속을 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상조가입 대출’ 전자제품렌탈 사기로 5억 편취···종범은 ‘집행유예’ (바로가기)
아주경제 등 3곳
2024-09-12
[로펌라운지] 대륜-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 업무협약 맺어
[로펌라운지] 대륜-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 업무협약 맺어
부산을 세계적인 축제 도시로 만들기 위한 상호 협력 약속대륜, 기획부터 개최까지 전단계 법적 조력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원회와 부산 축제 문화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11일 대륜 주사무소인 파크원 타워에서 진행된 이번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대륜의 심재국 의장, 고병준 대표, 정찬우 대표,신종수 변호사, 방인태 변호사, 한도영 변호사,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원회 김준호 위원장, 권영훈 사무국장, 조윤호 수석이 참석했다.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아시아 최초이자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는 코미디 페스티벌로, 부산 지역의 대표 축제 중 하나다. 올해로 12회를 맞은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지난 1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향후 △잠재적 법적 리스크 검토 △저작권 보호 관련 자문 △부산 축제 문화 발전 △코미디 인프라 확대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의 성공적 개최 등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대륜은 페스티벌 기획 단계에서부터 성공적인 개최까지 전 단계에 걸쳐 각종 법적 조력을 제공할 전망이다. 또한 조직위의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도 법률자문을 제공하는 등을 노력할 방침이다.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원회 김준호 위원장은 "부산의 축제 문화 발전과 코미디 인프라 확대를 위해 협약에 응해준 법무법인 대륜에 감사드린다"며 "국내 최고 로펌 중 하나인 대륜과의 협약을 통해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 세계화를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대륜 고병준 대표는 "웃음을 통해 부산을 국제적 교류의 장으로 만들고 있는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과 협약을 진행할 수 있어 기쁘다"며 "잠재적 법률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고 법적 의무를 성실히 준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 업무협약 맺어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한국경제 - 광장, 가상자산팀 2배로 확대…원, 웰다잉문화운동과 MOU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아주경제 등 3곳
2024-09-12
[로펌라운지] 대륜-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 업무협약 맺어
[로펌라운지] 대륜-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 업무협약 맺어
부산을 세계적인 축제 도시로 만들기 위한 상호 협력 약속대륜, 기획부터 개최까지 전단계 법적 조력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원회와 부산 축제 문화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11일 대륜 주사무소인 파크원 타워에서 진행된 이번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대륜의 심재국 의장, 고병준 대표, 정찬우 대표,신종수 변호사, 방인태 변호사, 한도영 변호사,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원회 김준호 위원장, 권영훈 사무국장, 조윤호 수석이 참석했다.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아시아 최초이자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는 코미디 페스티벌로, 부산 지역의 대표 축제 중 하나다. 올해로 12회를 맞은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지난 1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향후 △잠재적 법적 리스크 검토 △저작권 보호 관련 자문 △부산 축제 문화 발전 △코미디 인프라 확대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의 성공적 개최 등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대륜은 페스티벌 기획 단계에서부터 성공적인 개최까지 전 단계에 걸쳐 각종 법적 조력을 제공할 전망이다. 또한 조직위의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도 법률자문을 제공하는 등을 노력할 방침이다.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원회 김준호 위원장은 "부산의 축제 문화 발전과 코미디 인프라 확대를 위해 협약에 응해준 법무법인 대륜에 감사드린다"며 "국내 최고 로펌 중 하나인 대륜과의 협약을 통해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 세계화를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대륜 고병준 대표는 "웃음을 통해 부산을 국제적 교류의 장으로 만들고 있는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과 협약을 진행할 수 있어 기쁘다"며 "잠재적 법률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고 법적 의무를 성실히 준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 업무협약 맺어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조직위와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한국경제 - 광장, 가상자산팀 2배로 확대…원, 웰다잉문화운동과 MOU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9-12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 법원서 무죄 선고 받은 이유는?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 법원서 무죄 선고 받은 이유는?
보이스피싱 조직, 아파트 실태 조사 업무 위장해 취업 유인재판부 “보이스피싱 조직의 치밀한 수법에 속아” 보이스피싱 조직에서 현금 수거책으로 활동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아 주목받고 있다.서울동부지법 형사1단독(박희근 부장판사)은 지난 6월24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5월 보이스피싱 피해자 2명으로부터 수표 1억 500만원을 건네받고, 이를 2차 수거책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았다.평소 앓던 지병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오랜 기간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던 A씨는 일자리를 얻기 위해 구인·구직 사이트에 이력서를 등록했다.A씨는 한 회사 관계자로부터 부동산 실태 조사 업무를 제안받아 근로계약서를 체결했고, 실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수당을 받았다.이후 A씨는 아파트 계약금을 회수해달라는 추가 지시를 받았고, 해당 장소를 찾아 수표가 든 봉투를 수거한 뒤 이를 다른 수거책에 전달해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재판부는 “피고인이 증빙자료 없이 수표를 건네받고 이를 타인에게 건네준 정황을 보면 사기의 고의를 의심할 만하다”라면서도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했다거나 사기에 대한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는 사실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또 “피고인이 상당 기간 아파트 조사 업무를 수행한 점과 범행 직후 이상함을 감지하고 경찰서를 찾아간 경위 등을 보면 피고인 역시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보이스피싱 조직의 교묘한 수법에 속아 수거 행위를 했다고 볼 여지도 많다”라고 덧붙였다.해당 사건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범죄는 자신이 직접 경험해보지 않고는 범죄에 연루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힘들 정도로 그 수법이 지능화·고도화되고 있다”라며 “억울하게 사건에 연루됐어도 미필적 고의가 인정돼 처벌받는 사례가 많다”라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피고인 스스로 자신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정황이 상세히 입증돼 무죄 판결로 이어졌다”며 “보이스피싱 수거책의 경우 ‘고의성’ 입증이 재판부의 유·무죄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 법원서 무죄 선고 받은 이유는?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9-12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 법원서 무죄 선고 받은 이유는?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 법원서 무죄 선고 받은 이유는?
보이스피싱 조직, 아파트 실태 조사 업무 위장해 취업 유인재판부 “보이스피싱 조직의 치밀한 수법에 속아” 보이스피싱 조직에서 현금 수거책으로 활동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아 주목받고 있다.서울동부지법 형사1단독(박희근 부장판사)은 지난 6월24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40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지난해 5월 보이스피싱 피해자 2명으로부터 수표 1억 500만원을 건네받고, 이를 2차 수거책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았다.평소 앓던 지병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오랜 기간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던 A씨는 일자리를 얻기 위해 구인·구직 사이트에 이력서를 등록했다.A씨는 한 회사 관계자로부터 부동산 실태 조사 업무를 제안받아 근로계약서를 체결했고, 실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수당을 받았다.이후 A씨는 아파트 계약금을 회수해달라는 추가 지시를 받았고, 해당 장소를 찾아 수표가 든 봉투를 수거한 뒤 이를 다른 수거책에 전달해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재판부는 “피고인이 증빙자료 없이 수표를 건네받고 이를 타인에게 건네준 정황을 보면 사기의 고의를 의심할 만하다”라면서도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했다거나 사기에 대한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는 사실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또 “피고인이 상당 기간 아파트 조사 업무를 수행한 점과 범행 직후 이상함을 감지하고 경찰서를 찾아간 경위 등을 보면 피고인 역시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보이스피싱 조직의 교묘한 수법에 속아 수거 행위를 했다고 볼 여지도 많다”라고 덧붙였다.해당 사건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박성동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범죄는 자신이 직접 경험해보지 않고는 범죄에 연루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힘들 정도로 그 수법이 지능화·고도화되고 있다”라며 “억울하게 사건에 연루됐어도 미필적 고의가 인정돼 처벌받는 사례가 많다”라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피고인 스스로 자신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정황이 상세히 입증돼 무죄 판결로 이어졌다”며 “보이스피싱 수거책의 경우 ‘고의성’ 입증이 재판부의 유·무죄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나도 속았다” 보이스피싱 수거책, 법원서 무죄 선고 받은 이유는?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9-09
대륜 의료소송그룹 강화… "의료소송·운영 자문 등 전방위적 지원 가능"
대륜 의료소송그룹 강화… "의료소송·운영 자문 등 전방위적 지원 가능"
이재윤 변호사, 약학대학 및 의료분쟁조정원 심사관 출신…제약·바이오 등 헬스케어 분야도 전문성 갖춰이서형 변호사, 약사 면허 보유한 의료전문가“의료소송 초기 담당 변호사의 역량 가장 중요…병·의원 운영 자문도 가능한 규모” 최근 의료소송의 범위가 다양해지면서 의료 전문 변호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단순한 의료 과실 소송뿐만 아니라 병원영업정지, 사무장병원, 의료인폭행, 행정 처분 등 여러 법적 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법률 자문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이런 흐름에 맞춰 '법무법인 대륜 의료소송그룹'이 의료소송에 특화된 판사 출신인 오경록 변호사를 필두로 각종 의료분쟁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또한 법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문 면허를 갖춘 인재 영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최근 의료소송그룹에 합류한 이재윤 변호사는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인재로 꼽힌다. 약학대학 한약학과를 졸업한 뒤 한약사 면허를 취득한 그는 의료분쟁조정중재원 심사관으로도 오랜 시간 일했다.이재윤 변호사는 "대학에서 인체나 약물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부한 덕분에 의료소송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 같다"며 "심사관으로서 400건이 넘는 의료사건을 수행한 바 있다. 의료 기관과 환자가 어떤 이유로 갈등을 빚는지, 또 해결 방안은 무엇인지 심도깊게 고민한 경험이 대륜에서 빛을 발하는 듯 하다"고 말했다.의료소송그룹의 또 다른 일원인 이서형 변호사 역시 약사 면허를 보유한 의료 전문가다. 이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또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다.이 변호사는 여러 대학병원에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데이터심의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는 등 보건 의료, 제약·바이오와 같은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이서형 변호사는 "임상연구가 적법하게 수행됐는지, 그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제대로 이뤄졌는지에 대해 심의하는 역할을 맡았다"며 "이 밖에도 정부 기관 등에서 의료 법률 관련 자문을 맡으며 의료 전문 변호사로서 입지를 다졌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최근 의료소송은 의사-환자 사이의 단순한 분쟁을 넘어 약사법, 의료기기법, 생명윤리법 등 여러 분야를 포함하는 추세"라며 "종합적인 의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대륜 의료소송그룹의 특장점을 묻는 질문에 이서형 변호사는 '신속성'을 꼽았다. 입증 절차가 까다로워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의료소송의 특성상 의뢰인이 겪는 스트레스는 커질 수밖에 없기에 이 변호사는 신속한 소송 진행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실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디지털포렌식그룹과 협업해 필요한 증거를 빠르게 수집하고 있으며, 여러 분야 전문가들로 TF를 구성해 사실관계 파악, 감정 신청 등 각 법적 절차에 대응 중이다.이 외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소속 전문가들과 협력해 병·의원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법적 자문 제공에도 뛰어나 현재 다수의 병·의원과 MOU를 진행한 상태다.이재윤 변호사는 대륜의 '접근성'을 장점으로 들었다. 전국 곳곳에 위치한 분사무소를 통해 상담을 신청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화상 시스템을 통해 전문 변호사와 직접적인 소통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의료소송은 일반 사건과 달리 승소가 쉽지 않아 상당한 고충이 뒤따른다. 그렇기에 어려운 상황 속에서 승소 판결을 받았을 때의 성취감 역시 남다를 수 밖에 없다.이서형 변호사는 청구액 12억 원 상당의 소송에서 진료기록과 신체 감정을 꼼꼼히 준비해 승소한 경험을 잊지 못한다고 전했다. 이재윤 변호사는 1심 패소 사건을 맡아 중요한 개념의 용어 오류를 바로잡고 재감정을 통해 승소를 이끈 사건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밝혔다.이처럼 의료소송의 경우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전문 변호사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의료 소송을 꺼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긴 소송 기간과 높은 소송 비용이 발목을 잡기 때문이다.이재윤 변호사는 "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경우 강제적인 판결을 내릴 권한이 없기에 양 측의 입장 차이가 큰 경우에는 곧바로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며 "특히 의료소송의 경우 감정 절차 등 여타 소송에서 진행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아 경험이 많은 전문 변호사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서형 변호사 역시 "의료 소송 역시 초기 대처가 가장 중요하다"며 "처음부터 의료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분쟁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의료소송그룹 강화… "의료소송·운영 자문 등 전방위적 지원 가능"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9-09
대륜 의료소송그룹 강화… "의료소송·운영 자문 등 전방위적 지원 가능"
대륜 의료소송그룹 강화… "의료소송·운영 자문 등 전방위적 지원 가능"
이재윤 변호사, 약학대학 및 의료분쟁조정원 심사관 출신…제약·바이오 등 헬스케어 분야도 전문성 갖춰이서형 변호사, 약사 면허 보유한 의료전문가“의료소송 초기 담당 변호사의 역량 가장 중요…병·의원 운영 자문도 가능한 규모” 최근 의료소송의 범위가 다양해지면서 의료 전문 변호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단순한 의료 과실 소송뿐만 아니라 병원영업정지, 사무장병원, 의료인폭행, 행정 처분 등 여러 법적 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법률 자문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이런 흐름에 맞춰 '법무법인 대륜 의료소송그룹'이 의료소송에 특화된 판사 출신인 오경록 변호사를 필두로 각종 의료분쟁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또한 법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문 면허를 갖춘 인재 영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최근 의료소송그룹에 합류한 이재윤 변호사는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인재로 꼽힌다. 약학대학 한약학과를 졸업한 뒤 한약사 면허를 취득한 그는 의료분쟁조정중재원 심사관으로도 오랜 시간 일했다.이재윤 변호사는 "대학에서 인체나 약물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부한 덕분에 의료소송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 같다"며 "심사관으로서 400건이 넘는 의료사건을 수행한 바 있다. 의료 기관과 환자가 어떤 이유로 갈등을 빚는지, 또 해결 방안은 무엇인지 심도깊게 고민한 경험이 대륜에서 빛을 발하는 듯 하다"고 말했다.의료소송그룹의 또 다른 일원인 이서형 변호사 역시 약사 면허를 보유한 의료 전문가다. 이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또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다.이 변호사는 여러 대학병원에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데이터심의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는 등 보건 의료, 제약·바이오와 같은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이서형 변호사는 "임상연구가 적법하게 수행됐는지, 그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제대로 이뤄졌는지에 대해 심의하는 역할을 맡았다"며 "이 밖에도 정부 기관 등에서 의료 법률 관련 자문을 맡으며 의료 전문 변호사로서 입지를 다졌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최근 의료소송은 의사-환자 사이의 단순한 분쟁을 넘어 약사법, 의료기기법, 생명윤리법 등 여러 분야를 포함하는 추세"라며 "종합적인 의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대륜 의료소송그룹의 특장점을 묻는 질문에 이서형 변호사는 '신속성'을 꼽았다. 입증 절차가 까다로워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의료소송의 특성상 의뢰인이 겪는 스트레스는 커질 수밖에 없기에 이 변호사는 신속한 소송 진행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실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디지털포렌식그룹과 협업해 필요한 증거를 빠르게 수집하고 있으며, 여러 분야 전문가들로 TF를 구성해 사실관계 파악, 감정 신청 등 각 법적 절차에 대응 중이다.이 외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소속 전문가들과 협력해 병·의원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법적 자문 제공에도 뛰어나 현재 다수의 병·의원과 MOU를 진행한 상태다.이재윤 변호사는 대륜의 '접근성'을 장점으로 들었다. 전국 곳곳에 위치한 분사무소를 통해 상담을 신청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화상 시스템을 통해 전문 변호사와 직접적인 소통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의료소송은 일반 사건과 달리 승소가 쉽지 않아 상당한 고충이 뒤따른다. 그렇기에 어려운 상황 속에서 승소 판결을 받았을 때의 성취감 역시 남다를 수 밖에 없다.이서형 변호사는 청구액 12억 원 상당의 소송에서 진료기록과 신체 감정을 꼼꼼히 준비해 승소한 경험을 잊지 못한다고 전했다. 이재윤 변호사는 1심 패소 사건을 맡아 중요한 개념의 용어 오류를 바로잡고 재감정을 통해 승소를 이끈 사건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밝혔다.이처럼 의료소송의 경우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전문 변호사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의료 소송을 꺼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긴 소송 기간과 높은 소송 비용이 발목을 잡기 때문이다.이재윤 변호사는 "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경우 강제적인 판결을 내릴 권한이 없기에 양 측의 입장 차이가 큰 경우에는 곧바로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며 "특히 의료소송의 경우 감정 절차 등 여타 소송에서 진행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아 경험이 많은 전문 변호사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서형 변호사 역시 "의료 소송 역시 초기 대처가 가장 중요하다"며 "처음부터 의료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분쟁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의료소송그룹 강화… "의료소송·운영 자문 등 전방위적 지원 가능"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9-04
해상병원 '격리 사망' 환자 유족, 민·형사 대응…"3억 손해배상"
해상병원 '격리 사망' 환자 유족, 민·형사 대응…"3억 손해배상"
지난 4월 서울 신길동 해상병원에 입원해 있다 사망한 박재구씨(58) 유족이 민·형사상 대응에 나섰다. (▶8월 26일자 한국경제신문 보도 ‘[단독] '정신질환자 방치 사고' 또 있었다…유족, 경찰 고소 방침' 참조)4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씨 유족을 대리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달 27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한국산업보건환경연구소를 상대로 박씨 사망에 따른 손해배상액에 연 5%의 지연 이자를 더한 약 3억2000만원을 지급할 것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해상병원은 한국산업보건환경연구소 부설 기관이다.유족 측은 박씨가 사망하기 전까지 도시 일용근로자에 준하는 소득을 창출해왔다는 점에 근거해 유족이 약 2억5000만원의 재산상 손해를 봤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정신적 고통에 따른 위자료 5000만원, 장례비 약 570만원 등을 함께 청구했다. 사망 사고가 발생한 지난 4월 18일부터 소장 송달일까지 연 5%, 그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도 별도로 요구했다.이와 함께 유족 측은 지난 2일 해상병원 의료진 4명을 업무상과실치사, 의료법 위반 등 혐의로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고소했다. 사건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대응그룹 소속 한민영 변호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을 통해서도 사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만큼, 박씨가 병원 측 과실로 사망에 이르게 됐는지 경찰 수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박씨는 지난 4월 18일 자해를 시도했다가 경찰에 스스로 신고했고, 경찰 의뢰로 해상병원에 입원했다. 이날 오후 10시께 입원한 뒤 약 8시간 만인 다음 날 새벽 6시께 박씨는 숨진 채 발견됐다. 사망 당시 박씨는 침대 머리맡과 격리실 벽 사이에 허벅지 부위가 낀 채 침대에 엎드린 상태로 발견됐다.유족 측은 박씨가 수 차례 의료진을 호출했는데도 적절한 의료 조치가 없었고, 4시간가량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한 채 방치된 것이 직접적인 사인이라고 주장한다. 정신건강사업의 격리·강박 지침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환자 격리 시 최소 1시간마다 관찰·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CCTV 영상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기사전문보기] - 해상병원 '격리 사망' 환자 유족, 민·형사 대응…"3억 손해배상"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9-04
해상병원 '격리 사망' 환자 유족, 민·형사 대응…"3억 손해배상"
해상병원 '격리 사망' 환자 유족, 민·형사 대응…"3억 손해배상"
지난 4월 서울 신길동 해상병원에 입원해 있다 사망한 박재구씨(58) 유족이 민·형사상 대응에 나섰다. (▶8월 26일자 한국경제신문 보도 ‘[단독] '정신질환자 방치 사고' 또 있었다…유족, 경찰 고소 방침' 참조)4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씨 유족을 대리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달 27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한국산업보건환경연구소를 상대로 박씨 사망에 따른 손해배상액에 연 5%의 지연 이자를 더한 약 3억2000만원을 지급할 것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해상병원은 한국산업보건환경연구소 부설 기관이다.유족 측은 박씨가 사망하기 전까지 도시 일용근로자에 준하는 소득을 창출해왔다는 점에 근거해 유족이 약 2억5000만원의 재산상 손해를 봤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정신적 고통에 따른 위자료 5000만원, 장례비 약 570만원 등을 함께 청구했다. 사망 사고가 발생한 지난 4월 18일부터 소장 송달일까지 연 5%, 그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도 별도로 요구했다.이와 함께 유족 측은 지난 2일 해상병원 의료진 4명을 업무상과실치사, 의료법 위반 등 혐의로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고소했다. 사건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대응그룹 소속 한민영 변호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을 통해서도 사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만큼, 박씨가 병원 측 과실로 사망에 이르게 됐는지 경찰 수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박씨는 지난 4월 18일 자해를 시도했다가 경찰에 스스로 신고했고, 경찰 의뢰로 해상병원에 입원했다. 이날 오후 10시께 입원한 뒤 약 8시간 만인 다음 날 새벽 6시께 박씨는 숨진 채 발견됐다. 사망 당시 박씨는 침대 머리맡과 격리실 벽 사이에 허벅지 부위가 낀 채 침대에 엎드린 상태로 발견됐다.유족 측은 박씨가 수 차례 의료진을 호출했는데도 적절한 의료 조치가 없었고, 4시간가량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한 채 방치된 것이 직접적인 사인이라고 주장한다. 정신건강사업의 격리·강박 지침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환자 격리 시 최소 1시간마다 관찰·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CCTV 영상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기사전문보기] - 해상병원 '격리 사망' 환자 유족, 민·형사 대응…"3억 손해배상" (바로가기)
아주경제 등 4곳
2024-09-04
[로펌라운지]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로펌라운지]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2023 검사평가서 우수검사 선정되기도…청주 분사무소 근무남상관 "모든 역량 발휘해 최고의 결과 만들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검사 출신인 남상관 변호사를 영입하면서 형사그룹 강화에 나섰다고 3일 밝혔다. 남상관 변호사는 서울북부지방검찰청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를 시작으로 대전고등검찰청 청주지부, 부산지검 공판부 등을 거치며 오랜 기간 부장검사로 재직했다. 검사 재직 당시 △담보부 부실채권 투자명목 사기사건 △수천명 상대 P2P 대출 사기 1심 무죄 항소사건 △10대 청소년 후배 폭행 사망 매장 사건 등 다수의 굵직한 사건을 맡아 활약했다. 아울러 지난해 대한변호사협회가 전국 검찰청 근무 검사들을 평가한 '2023 검사평가' 결과에서 우수검사로 선정돼 성과를 인정받기도 했다.남 변호사는 경제범죄·강력범죄·특수범죄에 특화됐고, 교통·조세·지식재산·금융 분야에서도 풍부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 분야에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제공할 전망이다.특히, 청주 분사무소에서 근무하며, 충청권 지역 의뢰인들의 사건을 직접 맡아 신속하고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남 변호사는 "그간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탁월한 역량을 법무법인 대륜에서 발휘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모든 역량을 발휘해 최고의 결과를 만들어 내겠다'는 좌우명처럼 대륜에서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최근 다양한 경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남 변호사를 영입함으로써 경제 사건 수사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법무법인 대륜은 경제 범죄 사건을 비롯한 각종 형사 사건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전국 주요사무소에 판사, 검사 출신 변호사가 상주해 의뢰인들에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前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바로가기)
아주경제 등 4곳
2024-09-04
[로펌라운지]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로펌라운지]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2023 검사평가서 우수검사 선정되기도…청주 분사무소 근무남상관 "모든 역량 발휘해 최고의 결과 만들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검사 출신인 남상관 변호사를 영입하면서 형사그룹 강화에 나섰다고 3일 밝혔다. 남상관 변호사는 서울북부지방검찰청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를 시작으로 대전고등검찰청 청주지부, 부산지검 공판부 등을 거치며 오랜 기간 부장검사로 재직했다. 검사 재직 당시 △담보부 부실채권 투자명목 사기사건 △수천명 상대 P2P 대출 사기 1심 무죄 항소사건 △10대 청소년 후배 폭행 사망 매장 사건 등 다수의 굵직한 사건을 맡아 활약했다. 아울러 지난해 대한변호사협회가 전국 검찰청 근무 검사들을 평가한 '2023 검사평가' 결과에서 우수검사로 선정돼 성과를 인정받기도 했다.남 변호사는 경제범죄·강력범죄·특수범죄에 특화됐고, 교통·조세·지식재산·금융 분야에서도 풍부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 분야에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제공할 전망이다.특히, 청주 분사무소에서 근무하며, 충청권 지역 의뢰인들의 사건을 직접 맡아 신속하고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남 변호사는 "그간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탁월한 역량을 법무법인 대륜에서 발휘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모든 역량을 발휘해 최고의 결과를 만들어 내겠다'는 좌우명처럼 대륜에서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최근 다양한 경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남 변호사를 영입함으로써 경제 사건 수사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법무법인 대륜은 경제 범죄 사건을 비롯한 각종 형사 사건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전국 주요사무소에 판사, 검사 출신 변호사가 상주해 의뢰인들에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前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대륜, '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대륜, 부장검사 출신 남상관 변호사 영입…형사그룹 강화 (바로가기)
머니S 등 6곳
2024-09-02
"피해액 10억원"… 대륜, '폰지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
대륜, 아트테크 사기 의혹 '갤러리K' 상대로 고소장 제출
2일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에 고소장 제출피해 금액 9억8000만원 추산… 2차 소송 불가피 예술품에 투자해 이익을 얻는 이른바 '아트 테크'를 둘러싼 사기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관련 집단 소송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이 고소장을 제출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대륜은 2일 오전 11시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금융범죄수사대에 대형 아트테크 업체 갤러리 K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고소 대상은 갤러리K와 대표이사·본부장이다. 이들은 갤러리K를 통해 미술품을 구입한 투자자들에게 매달 구매대금의 약 7~9%를 사용료로 지급하는 내용의 '위탁 렌탈 계약'을 체결했다.이들은 투자자들에게 "계약을 맺으면 3년 동안 위탁 렌탈 사용료를 지급하고, 3년 뒤 재판매 요구가 있을 시 구입한 가격 그대로 재판매를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만약 한달 동안 해당 미술품이 팔리지 않으면 갤러리K가 직접 이를 매입해 원금을 보장하겠다고 강조하며 투자자들을 유인했다.이후 약속과 달리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한 피해자들이 속출했다.돌려막기식 투자금 지급… 피해 금액 10억여원 2017년 12월 설립된 갤러리K는 ▲2020년 매출 130억원 ▲2021년 245억원 ▲2022년 546억원 ▲2023년 663억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지난해 영화배우 하정우를 광고모델로 발탁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왔다.갤러리K는 작가들에게 지급해야 할 대금 중 일부만 지급하고 나머지 금액을 위탁 수수료, 투자금으로 활용하는 등 유용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대륜에 따르면 피해자 A씨는 2021년 한 작가의 작품을 6000만 원에 구입하며 렌탈 계약을 체결했다. 갤러리K 측은 최근 회사 사정이 어려워져 더 이상 렌탈 사용료를 지급할 수 없게 됐으며 재판매 역시 불가능해졌다고 통보했다. 다른 피해자 B씨 역시 5200만 원을 지불하고 작품 두 점을 구입했지만 비슷한 내용의 통보를 받았다.이들은 갤러리K 측에 자신들이 구매한 미술품의 보관 위치를 물었지만 이에 대한 답변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대륜에 고소 의사를 밝힌 피해자만 18명이며 피해 금액은 10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대륜의 김명석 변호사는 "갤러리K는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갖추지 않은 채 후속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구매대금을 기존 투자자들에게 지급하는 일명 폰지사기 방식으로 회사를 운영한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자들에게 출자금의 전액 또는 이를 초과하는 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고 돈을 받은 만큼,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현재 추가 피해자들이 계속 고소를 의뢰하고 있어 조만간 2차 고소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피해 규모가 매우 큰 만큼 수사 기관이 신속히 수사를 시작해 범행의 전모를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머니S - "피해액 10억원"… 대륜, '폰지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법률신문 - 대륜, 아트테크 사기 의혹 '갤러리K' 상대로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폰지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아트테크'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폰지사기"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아트테크 폰지 사기 혐의 ‘갤러리K’ 집단 고소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아트테크 사기' 논란 갤러리K 상대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
머니S 등 6곳
2024-09-02
"피해액 10억원"… 대륜, '폰지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
대륜, 아트테크 사기 의혹 '갤러리K' 상대로 고소장 제출
2일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에 고소장 제출피해 금액 9억8000만원 추산… 2차 소송 불가피 예술품에 투자해 이익을 얻는 이른바 '아트 테크'를 둘러싼 사기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관련 집단 소송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이 고소장을 제출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대륜은 2일 오전 11시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금융범죄수사대에 대형 아트테크 업체 갤러리 K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고소 대상은 갤러리K와 대표이사·본부장이다. 이들은 갤러리K를 통해 미술품을 구입한 투자자들에게 매달 구매대금의 약 7~9%를 사용료로 지급하는 내용의 '위탁 렌탈 계약'을 체결했다.이들은 투자자들에게 "계약을 맺으면 3년 동안 위탁 렌탈 사용료를 지급하고, 3년 뒤 재판매 요구가 있을 시 구입한 가격 그대로 재판매를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만약 한달 동안 해당 미술품이 팔리지 않으면 갤러리K가 직접 이를 매입해 원금을 보장하겠다고 강조하며 투자자들을 유인했다.이후 약속과 달리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한 피해자들이 속출했다.돌려막기식 투자금 지급… 피해 금액 10억여원 2017년 12월 설립된 갤러리K는 ▲2020년 매출 130억원 ▲2021년 245억원 ▲2022년 546억원 ▲2023년 663억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지난해 영화배우 하정우를 광고모델로 발탁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왔다.갤러리K는 작가들에게 지급해야 할 대금 중 일부만 지급하고 나머지 금액을 위탁 수수료, 투자금으로 활용하는 등 유용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대륜에 따르면 피해자 A씨는 2021년 한 작가의 작품을 6000만 원에 구입하며 렌탈 계약을 체결했다. 갤러리K 측은 최근 회사 사정이 어려워져 더 이상 렌탈 사용료를 지급할 수 없게 됐으며 재판매 역시 불가능해졌다고 통보했다. 다른 피해자 B씨 역시 5200만 원을 지불하고 작품 두 점을 구입했지만 비슷한 내용의 통보를 받았다.이들은 갤러리K 측에 자신들이 구매한 미술품의 보관 위치를 물었지만 이에 대한 답변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대륜에 고소 의사를 밝힌 피해자만 18명이며 피해 금액은 10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대륜의 김명석 변호사는 "갤러리K는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갖추지 않은 채 후속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구매대금을 기존 투자자들에게 지급하는 일명 폰지사기 방식으로 회사를 운영한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자들에게 출자금의 전액 또는 이를 초과하는 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고 돈을 받은 만큼,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현재 추가 피해자들이 계속 고소를 의뢰하고 있어 조만간 2차 고소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피해 규모가 매우 큰 만큼 수사 기관이 신속히 수사를 시작해 범행의 전모를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머니S - "피해액 10억원"… 대륜, '폰지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법률신문 - 대륜, 아트테크 사기 의혹 '갤러리K' 상대로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폰지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아트테크' 사기 의혹 '갤러리K' 고소장 제출…"폰지사기"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아트테크 폰지 사기 혐의 ‘갤러리K’ 집단 고소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아트테크 사기' 논란 갤러리K 상대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
조선일보
2024-09-01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아무튼, 주말]스팸 문자 일부러 낚여보니여기에 속는다고? 하지만…“[국제발신] 오랜만이에요. 9월에 한국 가는데 시간 괜찮아?”“[국제발신] 31일 서울 도착해요. 공항 마중 나와주세요.”“[국제발신] 이혼한 지 5년 돼가니 많이 외로워요.”며칠 새 이런 문자메시지를 10통 넘게 받았다. 00777…로 시작되는 낯설고 긴 전화번호, 내용은 대동소이했다. 외국인 여성 행세를 하는 어설픈 한국어, 혼자 한국에 가는데 시간이 빈다는 유혹, 자신의 메신저앱 ID를 추가해달라는 부탁까지. 무차별 무작위 살포되는 미끼, 얼마 전 개그맨 박명수도 받아봤다고 한다. 진동하는 사기꾼의 입냄새. 문득 궁금해졌다. 대체 무슨 개수작일까? 잡아먹으려 오래 살찌운다 그리하여 저 수상한 메시지 중 하나를 골라 ‘친구 추가’하고 먼저 말을 걸어봤다. “저를 아세요?” 칼답이 왔다. “김직호 아닌가요?” 누가 봐도 방금 지어낸 엉터리 이름. “아닌데요.” “죄송합니다. 제 어시스턴트가 잘못된 전화번호를 보내서 실수로 귀하를 추가했을 수 있습니다. 방해가 되지 않았기를 바랍니다.” 온라인 번역기를 돌린 티가 역력했다. “그래도 어쩌면 일종의 운명일지 모르니, 우리가 친구가 되기를 바랍니다.”다른 ID에도 연락을 취해본 바, 이 같은 서론은 공통적 매뉴얼인 듯했다. 이제 속아줄 차례. “몇 살이냐”고 물었다. “하하, 제 이름은 장스이(Zhang Shiyi)이고 32세입니다. 홍콩 출신이고 현재 인천에 있어요.” 여성 의류 사업을 하고 있다며 바삐 손가락을 놀리던 그는 “오빠라고 불러도 되느냐”고 했다. “편한 대로 불러.” “결혼은 했나요?” “비밀이야.” “당신에게 아내가 있다면 우리의 대화가 영향을 받을까요?” “나한테 뭘 원해?” “하하, 지금은 그냥 친구일 뿐입니다.”매일 아침 먼저 인사가 도착했다. 끼니 때마다 내 안부를 챙겼다. 미용실에, 백화점에, 식당에 왔다며 사진과 영상을 보내왔다. 프로필 사진과 동일한 아리따운 동양인 여성. 사진을 다운받아 구글에서 ‘이미지 검색’ 해봤더니, 대만 광고 모델이었다. 도용한 것이다. “오빠의 사진도 보여주세요.” 일본 AV(성인물) 남자 배우 사진을 보내줬다. “신사 같고 성숙하다”는 칭찬 세례. 어서 마각(馬脚)을 드러내길 바랐으나 7일 동안 그는 계속 환심을 사려 애쓸 따름이었다. 인내심에 한계가 왔다. 먼저 승부수를 던졌다. “오늘 저녁에 만나자. 내가 인천으로 갈게.” 일론 머스크가 채팅을 걸어온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식의 접근 방식을 ‘돼지 도살 사기’라고 한다. 돼지를 키우듯 천천히 먹이(애정)를 먹여 신뢰 관계를 살찌운 뒤 단칼에 도살하는 금전 사기. 미인계와 거짓말로 현혹하는 ‘로맨스 스캠(Romance Scam)’이다. 관련 피해가 심각해지자 지난 2월부터 경찰청이 별도로 통계 작성을 시작했다. 6개월 새 791건, 피해 액수는 502억원에 달한다. 이 같은 범행의 특징은 서두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속여 먹기 위해 한 달, 징한 경우 1년까지 교제를 이어간다.다시 채팅창으로. “인천으로 가겠다”는 도발이 먹혔는지, 놈이 응수했다. “정말 나를 좋아해? 그냥 즐기고 싶은 거라면 필요 없어. 내게 필요한 것은 진정한 사랑.” 몇 마디 징그러운 대화가 오가고, 드디어 그가 본색을 드러냈다. “요새 내 쇼핑몰 벌이가 좋지 않아요…. 오늘은 214달러밖에 못 벌었어요. 투자만 해주면 당신은 내 이익의 10%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나는 내 연인에게만 이 일을 허락할 거예요. 감정은 장난이 아니잖아요.” 이윽고 ‘알리 익스프레스’ 로고가 들어간 조악한 웹사이트 주소를 안내한 뒤 이런저런 가입 등을 요구했다. 굿바이.당신이 아무리 선량하고 외로워도, 생면부지 타인이 질척댄다면 모질게 쳐내는 게 신상에 이롭다. 그게 설령 미국 갑부 일론 머스크일지라도. 지난해 7월 한국 여성 A씨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누군가의 ‘팔로잉’ 알림이 떴다. 이름도 사진도 일론 머스크였다. “나는 무작위로 팬들에게 먼저 연락한다”며 자신의 여권과 테슬라 CEO 신분증 인증샷을 전송했다. 물론 사칭 계정이었지만 A씨는 “의심하면서도 진짜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을 하고 말았다. 딥페이크 기술로 감쪽같은(?) 영상 통화까지 나눴다. 교류가 무르익자 천하의 일론 머스크가 A씨에게 코인 투자를 권유했다. 7000만원을 넣었다. 해당 코인 거래처는 가짜였다. 101세도 당했다… ‘대대적 광고’ 필요해 인간에 대한 믿음을 악용한다는 점에서 가장 비(非)인간적인 죄악이다. 현재 국내 ‘로맨스 스캠 피해자 모임’ 온라인 카페에는 약 4300명이 가입돼 있다. 황당한 사연이 매일 업데이트된다. 이 카페에 가입한 피해자들에게 “사기 피해를 해결해주겠다”며 접근한 2차 범죄도 있다. 법무법인 대륜 이승호 변호사는 “관련 상담 및 사건 의뢰 건수가 늘고 있다”면서 “소셜미디어로 사람을 사귀고 마음을 주는 것에 거부감이 적은 분들이 쉽게 표적이 된다”고 말했다. “사진과 외모가 다르기에 실제 만남은 결코 이뤄지지 않습니다. 달콤한 말로 호감을 사면서도 만남은 피하고 그러다 금전 거래를 요구하는 전형적인 수법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사칭 행세는 제각각. 주한 미군, 해외 파견 의사 등 ‘그럴듯한’ 직군을 연기한다. 지난 6월에는 ‘이스라엘 전장에 파견된 주한 미군 의사’라는 독특한 캐릭터도 등장했다. 강원도 양양에 사는 여성 B씨와 소셜미디어로 한 달 정도 채팅을 이어오다가 “가자지구에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5000달러(약 660만원)가 없어 비행기를 타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 못 가면 죽을지도 모른다”고 반(半)협박을 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B씨의 친구가 B씨를 택시에 태워 경찰서로 데려갔지만 B씨는 “빨리 송금해야 한다”며 신고를 완강히 거부했다고 한다. 주변의 설득 끝에 다행히도 피해는 면했다.피해자의 순진함을 비난할 수도 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물론 기본적인 합리성에만 기초하면 이런 사기 피해는 피할 수 있지만 사회적 고립이라는 틈을 파고드는 ‘맞춤형 접근’에 무장 해제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며 “민감한 요구를 받았을 때 피해자가 단 한 번이라도 관계기관에 ‘이게 맞나’ 물어라도 볼 수 있게 정부가 적극 홍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헷갈리면 잠깐 멈추고 경찰서에 전화 한 통 걸어보라는 것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이 같은 유형을 ‘10대 악성 사기’로 재편하고 근절 방안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불법 스팸 발송 업체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피싱 범죄 특별 단속을 10월까지 벌인다.‘외로움’을 이용하는 도살꾼들의 암약은 세계적인 추세다. 영국의 경우 최고령 피해자가 101세로 조사됐다. 올해 초 영국 정부는 TV·라디오·옥외광고 등으로 이 같은 ‘낚시’의 유형을 알리는 대규모 광고 캠페인 ‘STOP! THINK FRAUD’를 시작했다. 잠깐 멈춰 의심해보자는 구호. “사기로부터 면역인 사람은 없습니다. 돈이나 정보를 훔치기 전 범죄자들은 피해자를 감정적으로 조종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있습니다. 잠시 멈추고, 생각하고, 그들이 다가올 때마다 확인하는 것.” [기사전문보기] -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바로가기)
조선일보
2024-09-01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아무튼, 주말]스팸 문자 일부러 낚여보니여기에 속는다고? 하지만…“[국제발신] 오랜만이에요. 9월에 한국 가는데 시간 괜찮아?”“[국제발신] 31일 서울 도착해요. 공항 마중 나와주세요.”“[국제발신] 이혼한 지 5년 돼가니 많이 외로워요.”며칠 새 이런 문자메시지를 10통 넘게 받았다. 00777…로 시작되는 낯설고 긴 전화번호, 내용은 대동소이했다. 외국인 여성 행세를 하는 어설픈 한국어, 혼자 한국에 가는데 시간이 빈다는 유혹, 자신의 메신저앱 ID를 추가해달라는 부탁까지. 무차별 무작위 살포되는 미끼, 얼마 전 개그맨 박명수도 받아봤다고 한다. 진동하는 사기꾼의 입냄새. 문득 궁금해졌다. 대체 무슨 개수작일까? 잡아먹으려 오래 살찌운다 그리하여 저 수상한 메시지 중 하나를 골라 ‘친구 추가’하고 먼저 말을 걸어봤다. “저를 아세요?” 칼답이 왔다. “김직호 아닌가요?” 누가 봐도 방금 지어낸 엉터리 이름. “아닌데요.” “죄송합니다. 제 어시스턴트가 잘못된 전화번호를 보내서 실수로 귀하를 추가했을 수 있습니다. 방해가 되지 않았기를 바랍니다.” 온라인 번역기를 돌린 티가 역력했다. “그래도 어쩌면 일종의 운명일지 모르니, 우리가 친구가 되기를 바랍니다.”다른 ID에도 연락을 취해본 바, 이 같은 서론은 공통적 매뉴얼인 듯했다. 이제 속아줄 차례. “몇 살이냐”고 물었다. “하하, 제 이름은 장스이(Zhang Shiyi)이고 32세입니다. 홍콩 출신이고 현재 인천에 있어요.” 여성 의류 사업을 하고 있다며 바삐 손가락을 놀리던 그는 “오빠라고 불러도 되느냐”고 했다. “편한 대로 불러.” “결혼은 했나요?” “비밀이야.” “당신에게 아내가 있다면 우리의 대화가 영향을 받을까요?” “나한테 뭘 원해?” “하하, 지금은 그냥 친구일 뿐입니다.”매일 아침 먼저 인사가 도착했다. 끼니 때마다 내 안부를 챙겼다. 미용실에, 백화점에, 식당에 왔다며 사진과 영상을 보내왔다. 프로필 사진과 동일한 아리따운 동양인 여성. 사진을 다운받아 구글에서 ‘이미지 검색’ 해봤더니, 대만 광고 모델이었다. 도용한 것이다. “오빠의 사진도 보여주세요.” 일본 AV(성인물) 남자 배우 사진을 보내줬다. “신사 같고 성숙하다”는 칭찬 세례. 어서 마각(馬脚)을 드러내길 바랐으나 7일 동안 그는 계속 환심을 사려 애쓸 따름이었다. 인내심에 한계가 왔다. 먼저 승부수를 던졌다. “오늘 저녁에 만나자. 내가 인천으로 갈게.” 일론 머스크가 채팅을 걸어온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식의 접근 방식을 ‘돼지 도살 사기’라고 한다. 돼지를 키우듯 천천히 먹이(애정)를 먹여 신뢰 관계를 살찌운 뒤 단칼에 도살하는 금전 사기. 미인계와 거짓말로 현혹하는 ‘로맨스 스캠(Romance Scam)’이다. 관련 피해가 심각해지자 지난 2월부터 경찰청이 별도로 통계 작성을 시작했다. 6개월 새 791건, 피해 액수는 502억원에 달한다. 이 같은 범행의 특징은 서두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속여 먹기 위해 한 달, 징한 경우 1년까지 교제를 이어간다.다시 채팅창으로. “인천으로 가겠다”는 도발이 먹혔는지, 놈이 응수했다. “정말 나를 좋아해? 그냥 즐기고 싶은 거라면 필요 없어. 내게 필요한 것은 진정한 사랑.” 몇 마디 징그러운 대화가 오가고, 드디어 그가 본색을 드러냈다. “요새 내 쇼핑몰 벌이가 좋지 않아요…. 오늘은 214달러밖에 못 벌었어요. 투자만 해주면 당신은 내 이익의 10%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나는 내 연인에게만 이 일을 허락할 거예요. 감정은 장난이 아니잖아요.” 이윽고 ‘알리 익스프레스’ 로고가 들어간 조악한 웹사이트 주소를 안내한 뒤 이런저런 가입 등을 요구했다. 굿바이.당신이 아무리 선량하고 외로워도, 생면부지 타인이 질척댄다면 모질게 쳐내는 게 신상에 이롭다. 그게 설령 미국 갑부 일론 머스크일지라도. 지난해 7월 한국 여성 A씨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누군가의 ‘팔로잉’ 알림이 떴다. 이름도 사진도 일론 머스크였다. “나는 무작위로 팬들에게 먼저 연락한다”며 자신의 여권과 테슬라 CEO 신분증 인증샷을 전송했다. 물론 사칭 계정이었지만 A씨는 “의심하면서도 진짜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을 하고 말았다. 딥페이크 기술로 감쪽같은(?) 영상 통화까지 나눴다. 교류가 무르익자 천하의 일론 머스크가 A씨에게 코인 투자를 권유했다. 7000만원을 넣었다. 해당 코인 거래처는 가짜였다. 101세도 당했다… ‘대대적 광고’ 필요해 인간에 대한 믿음을 악용한다는 점에서 가장 비(非)인간적인 죄악이다. 현재 국내 ‘로맨스 스캠 피해자 모임’ 온라인 카페에는 약 4300명이 가입돼 있다. 황당한 사연이 매일 업데이트된다. 이 카페에 가입한 피해자들에게 “사기 피해를 해결해주겠다”며 접근한 2차 범죄도 있다. 법무법인 대륜 이승호 변호사는 “관련 상담 및 사건 의뢰 건수가 늘고 있다”면서 “소셜미디어로 사람을 사귀고 마음을 주는 것에 거부감이 적은 분들이 쉽게 표적이 된다”고 말했다. “사진과 외모가 다르기에 실제 만남은 결코 이뤄지지 않습니다. 달콤한 말로 호감을 사면서도 만남은 피하고 그러다 금전 거래를 요구하는 전형적인 수법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사칭 행세는 제각각. 주한 미군, 해외 파견 의사 등 ‘그럴듯한’ 직군을 연기한다. 지난 6월에는 ‘이스라엘 전장에 파견된 주한 미군 의사’라는 독특한 캐릭터도 등장했다. 강원도 양양에 사는 여성 B씨와 소셜미디어로 한 달 정도 채팅을 이어오다가 “가자지구에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5000달러(약 660만원)가 없어 비행기를 타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 못 가면 죽을지도 모른다”고 반(半)협박을 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B씨의 친구가 B씨를 택시에 태워 경찰서로 데려갔지만 B씨는 “빨리 송금해야 한다”며 신고를 완강히 거부했다고 한다. 주변의 설득 끝에 다행히도 피해는 면했다.피해자의 순진함을 비난할 수도 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물론 기본적인 합리성에만 기초하면 이런 사기 피해는 피할 수 있지만 사회적 고립이라는 틈을 파고드는 ‘맞춤형 접근’에 무장 해제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며 “민감한 요구를 받았을 때 피해자가 단 한 번이라도 관계기관에 ‘이게 맞나’ 물어라도 볼 수 있게 정부가 적극 홍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헷갈리면 잠깐 멈추고 경찰서에 전화 한 통 걸어보라는 것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이 같은 유형을 ‘10대 악성 사기’로 재편하고 근절 방안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불법 스팸 발송 업체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피싱 범죄 특별 단속을 10월까지 벌인다.‘외로움’을 이용하는 도살꾼들의 암약은 세계적인 추세다. 영국의 경우 최고령 피해자가 101세로 조사됐다. 올해 초 영국 정부는 TV·라디오·옥외광고 등으로 이 같은 ‘낚시’의 유형을 알리는 대규모 광고 캠페인 ‘STOP! THINK FRAUD’를 시작했다. 잠깐 멈춰 의심해보자는 구호. “사기로부터 면역인 사람은 없습니다. 돈이나 정보를 훔치기 전 범죄자들은 피해자를 감정적으로 조종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있습니다. 잠시 멈추고, 생각하고, 그들이 다가올 때마다 확인하는 것.” [기사전문보기] - ‘돼지 도살 사기꾼’과의 일주일… 놈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바로가기)
한겨레
2024-09-01
[단독]신종 성매매 창구 ‘키스방 알리미’ 확산…단속 난항
[단독]신종 성매매 창구 ‘키스방 알리미’ 확산…단속 난항
30조 성산업 불패의 공범들③성매매 정보구독 서비스까지업소 여러곳 정보 취합텔레그램 비밀방 통해 알선 성매매를 근절하기 위한 성매매처벌법과 성매매피해자보호법이 시행된 지 올해로 꼭 20년을 맞는다. 하지만 성매매는 더욱 치밀한 방법으로 활개 치고 있다. 성매매집결지들이 폐쇄됐을 뿐, 인터넷과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라 성산업은 더욱 고도화돼 일상을 파고들었다.한겨레 탐사팀은 성매매 예방·감시 활동을 하는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 화이트해커 최준영(가명)씨 등의 도움을 얻어 성매매 알선 플랫폼, 유료 비밀 채팅방 등을 운영하며 성매매를 확산시키는 ‘주범’을 추적했다. 신종 ‘범죄 산업’의 민낯을 폭로하기 위해 이곳에서 벌어지는 행태를 적나라하게 보도하는 것이 불가피했음을 밝히며 독자들께 양해를 구한다. “원하는 ‘매’ 빠르게 예약하는 꿀팁 같은 거 있습니까? ‘키스방 알리미’ 써야 하나요?”“알리미 없으면 ‘예압매’ 보기 힘듦.”지난 5월 한 비공개 성매매 후기 사이트 게시판에서 오간 대화다. 여기서 ‘매’는 성매매 여성을, ‘예압매’는 ‘예약 압박이 큰 성매매 여성’을 일컫는다. 한 성구매자가 원하는 여성을 빠르게 예약하려면 ‘키스방 알리미’를 써야 하냐고 묻자, 인기 많은 여성과 예약하려면 그 방법밖에 없다고 누군가 답한 것이다. 이 사이트는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국외 아이피(IP)로만 접속할 수 있다.키스방 알리미는 2020년께 새롭게 등장한 성매매 알선 플랫폼이다. 기존에는 성매매업소로부터 광고비를 받은 알선 사이트 위주로 온라인에서 성매매가 중개됐는데, 키스방 알리미는 여러 업소 성매매 여성들 출근 정보를 취합해 모바일 비밀대화방에서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회비를 내면 특정 텔레그램 아이디 또는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비밀대화방에 들어갈 수 있고, 여기서 성매매 여성들 정보를 받는 식이다.불법 성매매 예방·감시 활동을 펼쳐온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 쪽은 2024년 현재 키스방 알리미는 최소 5개 이상 존재한다고 말한다. 2년 가까이 성매매 산업 관련 온라인 사이트와 게시물을 추적해온 화이트해커 최준영(가명)씨도 ‘노○’, ‘매니저○○’, ‘렛츠○’, ‘오○○’ 등 키스방 알리미들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증언한다.■ 모바일 기반 성구매 원스톱서비스키스방 알리미들은 각종 성매매 알선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크롤링(데이터 끌어오기)해 알림을 보내는데, 성매매 여성들 출근 정보가 중심이고 예약 대행도 가능하다. 스케줄 체크에서 예약까지 ‘성매매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는 셈이다. 성산업의 또 다른 기생자인 키스방 알리미들은 최근 서울 강남 오피스텔에 똬리를 튼 마사지형 성매매 사업 등으로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한다.이 가운데서 가장 널리 알려진 키스방 알리미로 ‘노○’가 있다. 가입자 1만명, 유료회원(구독자) 1천명으로 추산되는데, ‘지난해 10월 기준 성매매 여성 9252명의 출근 기록 31만3339건을 수집해, 출근 알림 4만5245건을 성구매자에 보내왔다’고 홍보한다.기자가 회원 가입 뒤 8월20일 특정 성매매 여성의 출근 알림을 설정했더니, 다음날 오전 10시께 ‘○○○ 급출(1217시) 010-××××-××××’라는, 성매매 가능 시간과 예약 연락처 알림이 득달같이 날아왔다.유료회원은 월 1만원을 내는 ‘브론즈’부터 10만원을 내는 ‘브이아이피’(VIP)까지 등급이 나뉜다. 등급에 따라 알림을 받는 성매매 여성 수나 관련 정보의 양이 달라진다. 월 10만원을 내는 브이아이피 텔레그램방 인원은 50명 안팎이다.화이트해커 최씨는 유료회원 등급별 규모를 고려하면 ‘노○’의 회비 수익은 월 최대 525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했다. ‘노○’은 다른 키스방 알리미와 달리 별도 누리집(홈페이지)도 운영하는데, 누리집은 ‘매니저가 언제 출근하는지 사이트 새로고침을 계속하고 있기 너무 힘들지 않으세요? 등록해놓고 잊고 일상생활 하다가 알림이 오고 예약하시면 됩니다. 알림이 오기 때문에 남들보다 훨씬 빠르게 예약이 가능합니다!’라고 안내하고 있었다.■ 성착취성 대화·사진 공유 일상적‘노○’ 이외 다른 키스방 알리미들의 운영 규모나 추정 수익은 베일에 싸여 있다. 그러나 한겨레 탐사팀과 화이트해커 최씨는 다른 키스방 알리미 비밀대화방에서 오간 대화 일부분을 확보해 이곳에서 벌어지는 양태를 살펴봤다. 대화방에서는 성매매 여성 사진에 관한 적나라한 품평이 오갔다.이때 각종 비속어와 은어가 사용되는데, 얼굴 에프(F), 몸매 비(B), 대화 티(T), 성행위 수위 피(P)별로 상·중·하로 등급을 매겨 대화하는 식이다. ‘B: 중중. 키 크고 몸매도 괜찮은데 뱃살이 조금 있다. F: 중중. 시골 처자 느낌. 쥐상’ 등과 같은 성착취성 대화가 일상처럼 오가고, 이는 다른 성구매자들에게 여성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화이트해커 최씨는 “비밀대화방에 올라온 사진 중 절반 정도는 불법촬영물로 의심된다”고 말했다. 성매매 알선 사이트에서도 얼굴이나 문신, 액세서리 등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요소들은 가리는데, 비밀대화방에서는 모두 드러난 채로 유통되기 때문에 불법촬영물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인터넷 방송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한 유명 인플루언서를 도마에 올려놓고 예전에 키스방에서 일했던 ‘증거’를 언급하는 경우도 있었다. 비밀대화방에 동영상이 있다며 이를 볼 수 있는 방법을 묻기도 했다. 소수만이 입장 가능한 ‘비번방’에서 더 적나라한 불법촬영 영상이 공유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성매매 여성의 출근 기록을 달력으로 만들어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여성의 추정 수익을 추산하기도 했다. 특정 성매매 여성의 ‘은퇴’ 또는 복귀, 또는 다른 키스방으로 소속을 옮긴 경우를 추적하기도 했다.특히 한 텔레그램 비밀대화방에선 한 성매매 여성의 개인 에스엔에스(SNS)를 찾아내 공유하는 사례도 있었다. “인스타 털어서 지인들한테 싹 다 메시지 보냈대”, “실명이랑 친구들이랑 찍은 인스타 사진까지 다 유포된 애도 있다”는 대화가 등장했다. 성매매 행위 자체를 넘어 이에 연루된 개인의 일상을 철저히 파괴하는 수단까지 동원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손쉽게 성매매 조장…대책 마련을이렇듯 불법 성매매를 조장하고 불법적인 정보 공유가 이뤄지고 있지만, 키스방 알리미에 대한 사회적 대응 방안 논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화이트해커 최씨는 “키스방 알리미는 월 10만50만원 정도 서버 비용만 지출하면 쉽게 운영할 수 있다”며 “키스방 알리미 정도의 프로그래밍은 챗지피티(ChatGPT)에 물어봐도 짤 수 있는 정도의 어렵지 않은 코딩”이라고 말했다.다시함께상담센터 감시사업팀 관계자는 “키스방 알리미는 예약이 어려운 업종인 키스방을 중심으로 생겨났다”며 “이런 형태의 텔레그램형 성매매 알선 시스템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 성매매 알선의 새로운 수익 모델이 되어 우후죽순처럼 퍼져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법적으로 성매매 관련 정보를 공급한 부분은 성매매처벌법의 알선 행위로 처벌할 여지가 있다. 이승호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키스방 알리미가 성매매 여성의 출근 정보를 알려 실제로 성매매가 이뤄지는 게 확인된다면, 그 중간 플랫폼 운영자도 성매매 알선죄를 물을 수 있다”고 했다.하지만 수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박찬걸 충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해당 플랫폼(키스방 알리미)이 알려준 정보로 그 업소에서 성매매가 이뤄졌는지 입증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단독]신종 성매매 창구 ‘키스방 알리미’ 확산…단속 난항
한겨레
2024-09-01
[단독]신종 성매매 창구 ‘키스방 알리미’ 확산…단속 난항
[단독]신종 성매매 창구 ‘키스방 알리미’ 확산…단속 난항
30조 성산업 불패의 공범들③성매매 정보구독 서비스까지업소 여러곳 정보 취합텔레그램 비밀방 통해 알선 성매매를 근절하기 위한 성매매처벌법과 성매매피해자보호법이 시행된 지 올해로 꼭 20년을 맞는다. 하지만 성매매는 더욱 치밀한 방법으로 활개 치고 있다. 성매매집결지들이 폐쇄됐을 뿐, 인터넷과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라 성산업은 더욱 고도화돼 일상을 파고들었다.한겨레 탐사팀은 성매매 예방·감시 활동을 하는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 화이트해커 최준영(가명)씨 등의 도움을 얻어 성매매 알선 플랫폼, 유료 비밀 채팅방 등을 운영하며 성매매를 확산시키는 ‘주범’을 추적했다. 신종 ‘범죄 산업’의 민낯을 폭로하기 위해 이곳에서 벌어지는 행태를 적나라하게 보도하는 것이 불가피했음을 밝히며 독자들께 양해를 구한다. “원하는 ‘매’ 빠르게 예약하는 꿀팁 같은 거 있습니까? ‘키스방 알리미’ 써야 하나요?”“알리미 없으면 ‘예압매’ 보기 힘듦.”지난 5월 한 비공개 성매매 후기 사이트 게시판에서 오간 대화다. 여기서 ‘매’는 성매매 여성을, ‘예압매’는 ‘예약 압박이 큰 성매매 여성’을 일컫는다. 한 성구매자가 원하는 여성을 빠르게 예약하려면 ‘키스방 알리미’를 써야 하냐고 묻자, 인기 많은 여성과 예약하려면 그 방법밖에 없다고 누군가 답한 것이다. 이 사이트는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국외 아이피(IP)로만 접속할 수 있다.키스방 알리미는 2020년께 새롭게 등장한 성매매 알선 플랫폼이다. 기존에는 성매매업소로부터 광고비를 받은 알선 사이트 위주로 온라인에서 성매매가 중개됐는데, 키스방 알리미는 여러 업소 성매매 여성들 출근 정보를 취합해 모바일 비밀대화방에서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회비를 내면 특정 텔레그램 아이디 또는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비밀대화방에 들어갈 수 있고, 여기서 성매매 여성들 정보를 받는 식이다.불법 성매매 예방·감시 활동을 펼쳐온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 쪽은 2024년 현재 키스방 알리미는 최소 5개 이상 존재한다고 말한다. 2년 가까이 성매매 산업 관련 온라인 사이트와 게시물을 추적해온 화이트해커 최준영(가명)씨도 ‘노○’, ‘매니저○○’, ‘렛츠○’, ‘오○○’ 등 키스방 알리미들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증언한다.■ 모바일 기반 성구매 원스톱서비스키스방 알리미들은 각종 성매매 알선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크롤링(데이터 끌어오기)해 알림을 보내는데, 성매매 여성들 출근 정보가 중심이고 예약 대행도 가능하다. 스케줄 체크에서 예약까지 ‘성매매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는 셈이다. 성산업의 또 다른 기생자인 키스방 알리미들은 최근 서울 강남 오피스텔에 똬리를 튼 마사지형 성매매 사업 등으로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한다.이 가운데서 가장 널리 알려진 키스방 알리미로 ‘노○’가 있다. 가입자 1만명, 유료회원(구독자) 1천명으로 추산되는데, ‘지난해 10월 기준 성매매 여성 9252명의 출근 기록 31만3339건을 수집해, 출근 알림 4만5245건을 성구매자에 보내왔다’고 홍보한다.기자가 회원 가입 뒤 8월20일 특정 성매매 여성의 출근 알림을 설정했더니, 다음날 오전 10시께 ‘○○○ 급출(1217시) 010-××××-××××’라는, 성매매 가능 시간과 예약 연락처 알림이 득달같이 날아왔다.유료회원은 월 1만원을 내는 ‘브론즈’부터 10만원을 내는 ‘브이아이피’(VIP)까지 등급이 나뉜다. 등급에 따라 알림을 받는 성매매 여성 수나 관련 정보의 양이 달라진다. 월 10만원을 내는 브이아이피 텔레그램방 인원은 50명 안팎이다.화이트해커 최씨는 유료회원 등급별 규모를 고려하면 ‘노○’의 회비 수익은 월 최대 525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했다. ‘노○’은 다른 키스방 알리미와 달리 별도 누리집(홈페이지)도 운영하는데, 누리집은 ‘매니저가 언제 출근하는지 사이트 새로고침을 계속하고 있기 너무 힘들지 않으세요? 등록해놓고 잊고 일상생활 하다가 알림이 오고 예약하시면 됩니다. 알림이 오기 때문에 남들보다 훨씬 빠르게 예약이 가능합니다!’라고 안내하고 있었다.■ 성착취성 대화·사진 공유 일상적‘노○’ 이외 다른 키스방 알리미들의 운영 규모나 추정 수익은 베일에 싸여 있다. 그러나 한겨레 탐사팀과 화이트해커 최씨는 다른 키스방 알리미 비밀대화방에서 오간 대화 일부분을 확보해 이곳에서 벌어지는 양태를 살펴봤다. 대화방에서는 성매매 여성 사진에 관한 적나라한 품평이 오갔다.이때 각종 비속어와 은어가 사용되는데, 얼굴 에프(F), 몸매 비(B), 대화 티(T), 성행위 수위 피(P)별로 상·중·하로 등급을 매겨 대화하는 식이다. ‘B: 중중. 키 크고 몸매도 괜찮은데 뱃살이 조금 있다. F: 중중. 시골 처자 느낌. 쥐상’ 등과 같은 성착취성 대화가 일상처럼 오가고, 이는 다른 성구매자들에게 여성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화이트해커 최씨는 “비밀대화방에 올라온 사진 중 절반 정도는 불법촬영물로 의심된다”고 말했다. 성매매 알선 사이트에서도 얼굴이나 문신, 액세서리 등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요소들은 가리는데, 비밀대화방에서는 모두 드러난 채로 유통되기 때문에 불법촬영물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인터넷 방송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한 유명 인플루언서를 도마에 올려놓고 예전에 키스방에서 일했던 ‘증거’를 언급하는 경우도 있었다. 비밀대화방에 동영상이 있다며 이를 볼 수 있는 방법을 묻기도 했다. 소수만이 입장 가능한 ‘비번방’에서 더 적나라한 불법촬영 영상이 공유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성매매 여성의 출근 기록을 달력으로 만들어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여성의 추정 수익을 추산하기도 했다. 특정 성매매 여성의 ‘은퇴’ 또는 복귀, 또는 다른 키스방으로 소속을 옮긴 경우를 추적하기도 했다.특히 한 텔레그램 비밀대화방에선 한 성매매 여성의 개인 에스엔에스(SNS)를 찾아내 공유하는 사례도 있었다. “인스타 털어서 지인들한테 싹 다 메시지 보냈대”, “실명이랑 친구들이랑 찍은 인스타 사진까지 다 유포된 애도 있다”는 대화가 등장했다. 성매매 행위 자체를 넘어 이에 연루된 개인의 일상을 철저히 파괴하는 수단까지 동원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손쉽게 성매매 조장…대책 마련을이렇듯 불법 성매매를 조장하고 불법적인 정보 공유가 이뤄지고 있지만, 키스방 알리미에 대한 사회적 대응 방안 논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화이트해커 최씨는 “키스방 알리미는 월 10만50만원 정도 서버 비용만 지출하면 쉽게 운영할 수 있다”며 “키스방 알리미 정도의 프로그래밍은 챗지피티(ChatGPT)에 물어봐도 짤 수 있는 정도의 어렵지 않은 코딩”이라고 말했다.다시함께상담센터 감시사업팀 관계자는 “키스방 알리미는 예약이 어려운 업종인 키스방을 중심으로 생겨났다”며 “이런 형태의 텔레그램형 성매매 알선 시스템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 성매매 알선의 새로운 수익 모델이 되어 우후죽순처럼 퍼져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법적으로 성매매 관련 정보를 공급한 부분은 성매매처벌법의 알선 행위로 처벌할 여지가 있다. 이승호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키스방 알리미가 성매매 여성의 출근 정보를 알려 실제로 성매매가 이뤄지는 게 확인된다면, 그 중간 플랫폼 운영자도 성매매 알선죄를 물을 수 있다”고 했다.하지만 수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박찬걸 충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해당 플랫폼(키스방 알리미)이 알려준 정보로 그 업소에서 성매매가 이뤄졌는지 입증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단독]신종 성매매 창구 ‘키스방 알리미’ 확산…단속 난항
일요신문
2024-08-30
티메프에 이어 알렛츠까지…이커머스 ‘미정산 사태’ 해법 논란
티메프에 이어 알렛츠까지…이커머스 ‘미정산 사태’ 해법 논란
정부·정치권 ‘정산주기 단축’ 해결책 내놔…“획일적 규제가 되레 업계 망가뜨릴 수도” 우려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의 여파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가구‧가전제품 온라인 플랫폼 ‘알렛츠(ALLETS)’가 돌연 영업 종료를 선언하며 미정산‧환불지연 사태가 또다시 재연되고 있다. 알렛츠 입점 업체들 중에는 티메프로 이미 피해를 입은 상태에서 또 다시 알렛츠 미정산 사태가 터지며 이중고를 겪는 곳들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알렛츠가 고가의 가구‧가전 제품을 주력으로 판매하는 플랫폼이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의 피해 금액도 비교적 큰 편이다.유통업계에 따르면 알렛츠는 2015년 설립돼 미디어 콘텐츠와 프리미엄 쇼핑 플랫폼을 결합한 방식으로 사업을 벌여왔다. 문제는 알렛츠가 지난 16일 홈페이지에 공지문을 띄우고 “부득이한 경영상 사정으로 8월 31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음을 안내드린다”고 밝힌 후부터 불거졌다.알렛츠 입점 판매자들에 따르면 알렛츠가 공지문을 띄운 16일은 중간 정산일이었는데 당일 정산금 지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알렛츠 관계자들과의 연락도 두절됐다. 소비자들 역시 고객센터와 연락이 닿지 않았고 결제 후 물건을 받지 못했다는 피해 사례들이 속속 등장했다.강신욱 알렛츠 피해판매자 비상대책위원장은 ‘일요신문i’에 “해당 쇼핑몰은 하이엔드 가구‧가전 전문이다보니 많게는 수십억씩 피해를 본 판매자들도 있다”며 “공지문 발표 이후 알렛츠 직원들도 ‘본인들은 몰랐다’ ‘윗선과 연락이 안 된다’고 얘기를 하더라”며 답답함을 호소했다.현재는 알렛츠 전직원 45명이 모두 퇴사 처리된 상태로 피해자들의 불안감은 가중되고 있다. 29일 기준 현재 피해 소비자 모임 오픈채팅방 2곳에는 약 1600명, 판매업체 피해자 모임 오픈 채팅방 2곳에는 약 800명이 참여하고 있다. 26일부터 알렛츠의 결제대행사(PG사)인 키움페이에서 소비자 대상으로 이의제기 신청을 받고 있다. 이마저도 카드 결제 소비자들만 이의제기를 할 수 있고 현금 결제 소비자들은 직접 나서서 한국소비자원이나 금융감독원 등에 민원을 넣고 있는 상황이다. 이의제기나 피해 구제 방법 등도 피해자들끼리 오픈채팅방 등을 통해 주고 받는 정보를 통해서만 공유되고 있을 뿐이다. 지난 12일 알렛츠에서 300만 원대 세탁기를 현금결제 했다는 한 소비자는 “이사를 앞두고 세탁기를 구매했다가 물건은 받지도 못하고 구매금도 잃게 생겼다”며 “경찰‧한국소비자원 등에 민원을 넣었는데 (해결은 안 되고) 당장 세탁기는 필요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급히 구매하느라 이중으로 돈을 써 경제적으로도 부담되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이커머스 업계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한 정산대금 지연 사태의 핵심 원인을 정부와 정치권 모두 긴 정산주기에 따른 판매대금 유용으로 보고 있다. 티몬과 위메프의 정산 주기는 최장 70일, 알렛츠는 최장 60일 수준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피해액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다.이에 정부와 정치권은 이커머스 업체의 대금 정산기한을 40일 이내로 제한하는 방안을 해결책으로 내놓고 있다. 28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커머스의 판매대금 정산기한을 설정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전자상거래법 개정안)’은 9건 발의됐다.정부도 이달 초 관계부처 합동으로 티메프 사태 관련 제도개선안을 발표하며 판매대금 정산기한 준수와 별도 관리 의무 등을 부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산주기를 단축한다고 문제가 모두 해결되기 어려울뿐더러 오히려 획일적 규제가 이커머스 업계를 다 죽이는 꼴이 될 수 있다고 걱정한다.26일 벤처기업협회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로 구성된 혁신벤처단체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금번 사태의 본질적인 원인은 이커머스업체의 무리한 경영과 정산대금을 관리하는 PG사, 에스크로 사업자의 전자금융감독규정 위반 등에 있다”며 “과도한 정산기한 단축은 다양한 정산방식 제공을 어렵게 해 일일정산 및 송금에 따른 비용 부담을 급격하게 증가시킨다”고 주장했다. 또 “다양한 방법으로 확보한 유동성은 소비자에게 더 나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재투자로 이어지는데 획일적이고 과도한 정산주기 단축은 기업들이 자금을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 결과적으로 시장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정연승 단국대 경영대학원장은 지난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2차 소비자권익 포럼’에서 무리한 정산 기한 단축은 중소기업의 도산을 초래할 수 있다며 “정책이 유통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너무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업태별 정산 구조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유통 기업의 유동성 위기로 인한 경제적 리스크를 대비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티메프 피해자들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의 방인태 변호사도 “정산 일정을 줄이는 것보다 오히려 온라인 플랫폼 업계에 진출할 때 자본금 등을 확인하는 등 일정 수준의 진입 장벽을 둬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정부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핵심은 정산주기가 아니다. 정산주기를 당겼다고 망할 기업이 안 망하는 것 아니”라며 “애초에 공격적인 인수합병(M&A)로 단기간에 많은 기업을 인수해 통합한 큐텐을 허용해준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주장했다.강신욱 알렛츠 피해판매자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020년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알렛츠에 벤처투자 명목으로 20억 원을 투자했던 일을 언급하며 “알렛츠는 설립 이래 영업이익이 흑자인 적인 단 한 번도 없었던 기업인데 이런 회사에 산업은행이 왜 투자를 한 것인지(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획재정부가 90%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산업은행이 부실한 기업에 세금을 투자해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끼친 꼴”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사전문보기] - 티메프에 이어 알렛츠까지…이커머스 ‘미정산 사태’ 해법 논란 (바로가기)
일요신문
2024-08-30
티메프에 이어 알렛츠까지…이커머스 ‘미정산 사태’ 해법 논란
티메프에 이어 알렛츠까지…이커머스 ‘미정산 사태’ 해법 논란
정부·정치권 ‘정산주기 단축’ 해결책 내놔…“획일적 규제가 되레 업계 망가뜨릴 수도” 우려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의 여파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가구‧가전제품 온라인 플랫폼 ‘알렛츠(ALLETS)’가 돌연 영업 종료를 선언하며 미정산‧환불지연 사태가 또다시 재연되고 있다. 알렛츠 입점 업체들 중에는 티메프로 이미 피해를 입은 상태에서 또 다시 알렛츠 미정산 사태가 터지며 이중고를 겪는 곳들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알렛츠가 고가의 가구‧가전 제품을 주력으로 판매하는 플랫폼이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의 피해 금액도 비교적 큰 편이다.유통업계에 따르면 알렛츠는 2015년 설립돼 미디어 콘텐츠와 프리미엄 쇼핑 플랫폼을 결합한 방식으로 사업을 벌여왔다. 문제는 알렛츠가 지난 16일 홈페이지에 공지문을 띄우고 “부득이한 경영상 사정으로 8월 31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음을 안내드린다”고 밝힌 후부터 불거졌다.알렛츠 입점 판매자들에 따르면 알렛츠가 공지문을 띄운 16일은 중간 정산일이었는데 당일 정산금 지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알렛츠 관계자들과의 연락도 두절됐다. 소비자들 역시 고객센터와 연락이 닿지 않았고 결제 후 물건을 받지 못했다는 피해 사례들이 속속 등장했다.강신욱 알렛츠 피해판매자 비상대책위원장은 ‘일요신문i’에 “해당 쇼핑몰은 하이엔드 가구‧가전 전문이다보니 많게는 수십억씩 피해를 본 판매자들도 있다”며 “공지문 발표 이후 알렛츠 직원들도 ‘본인들은 몰랐다’ ‘윗선과 연락이 안 된다’고 얘기를 하더라”며 답답함을 호소했다.현재는 알렛츠 전직원 45명이 모두 퇴사 처리된 상태로 피해자들의 불안감은 가중되고 있다. 29일 기준 현재 피해 소비자 모임 오픈채팅방 2곳에는 약 1600명, 판매업체 피해자 모임 오픈 채팅방 2곳에는 약 800명이 참여하고 있다. 26일부터 알렛츠의 결제대행사(PG사)인 키움페이에서 소비자 대상으로 이의제기 신청을 받고 있다. 이마저도 카드 결제 소비자들만 이의제기를 할 수 있고 현금 결제 소비자들은 직접 나서서 한국소비자원이나 금융감독원 등에 민원을 넣고 있는 상황이다. 이의제기나 피해 구제 방법 등도 피해자들끼리 오픈채팅방 등을 통해 주고 받는 정보를 통해서만 공유되고 있을 뿐이다. 지난 12일 알렛츠에서 300만 원대 세탁기를 현금결제 했다는 한 소비자는 “이사를 앞두고 세탁기를 구매했다가 물건은 받지도 못하고 구매금도 잃게 생겼다”며 “경찰‧한국소비자원 등에 민원을 넣었는데 (해결은 안 되고) 당장 세탁기는 필요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급히 구매하느라 이중으로 돈을 써 경제적으로도 부담되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이커머스 업계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한 정산대금 지연 사태의 핵심 원인을 정부와 정치권 모두 긴 정산주기에 따른 판매대금 유용으로 보고 있다. 티몬과 위메프의 정산 주기는 최장 70일, 알렛츠는 최장 60일 수준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피해액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다.이에 정부와 정치권은 이커머스 업체의 대금 정산기한을 40일 이내로 제한하는 방안을 해결책으로 내놓고 있다. 28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커머스의 판매대금 정산기한을 설정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전자상거래법 개정안)’은 9건 발의됐다.정부도 이달 초 관계부처 합동으로 티메프 사태 관련 제도개선안을 발표하며 판매대금 정산기한 준수와 별도 관리 의무 등을 부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산주기를 단축한다고 문제가 모두 해결되기 어려울뿐더러 오히려 획일적 규제가 이커머스 업계를 다 죽이는 꼴이 될 수 있다고 걱정한다.26일 벤처기업협회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로 구성된 혁신벤처단체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금번 사태의 본질적인 원인은 이커머스업체의 무리한 경영과 정산대금을 관리하는 PG사, 에스크로 사업자의 전자금융감독규정 위반 등에 있다”며 “과도한 정산기한 단축은 다양한 정산방식 제공을 어렵게 해 일일정산 및 송금에 따른 비용 부담을 급격하게 증가시킨다”고 주장했다. 또 “다양한 방법으로 확보한 유동성은 소비자에게 더 나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재투자로 이어지는데 획일적이고 과도한 정산주기 단축은 기업들이 자금을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 결과적으로 시장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정연승 단국대 경영대학원장은 지난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2차 소비자권익 포럼’에서 무리한 정산 기한 단축은 중소기업의 도산을 초래할 수 있다며 “정책이 유통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너무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업태별 정산 구조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유통 기업의 유동성 위기로 인한 경제적 리스크를 대비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티메프 피해자들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의 방인태 변호사도 “정산 일정을 줄이는 것보다 오히려 온라인 플랫폼 업계에 진출할 때 자본금 등을 확인하는 등 일정 수준의 진입 장벽을 둬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정부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핵심은 정산주기가 아니다. 정산주기를 당겼다고 망할 기업이 안 망하는 것 아니”라며 “애초에 공격적인 인수합병(M&A)로 단기간에 많은 기업을 인수해 통합한 큐텐을 허용해준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주장했다.강신욱 알렛츠 피해판매자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020년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알렛츠에 벤처투자 명목으로 20억 원을 투자했던 일을 언급하며 “알렛츠는 설립 이래 영업이익이 흑자인 적인 단 한 번도 없었던 기업인데 이런 회사에 산업은행이 왜 투자를 한 것인지(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획재정부가 90%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산업은행이 부실한 기업에 세금을 투자해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끼친 꼴”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사전문보기] - 티메프에 이어 알렛츠까지…이커머스 ‘미정산 사태’ 해법 논란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8-28
법무법인 대륜, 박지영 변호사 영입…'강력범죄 전문' 검사 출신
법무법인 대륜, 박지영 변호사 영입…'강력범죄 전문' 검사 출신
수원지검 안산지청 검사로 임관 후…창원지검·인천지검·수원지검 거쳐검찰 재직시 미성년자 친족 강간·아동학대중상해 사건 성공적으로 이끌어박지영 변호사 "고객 권익 위하고…고객 니즈에 맞는 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검사 출신 박지영(사법연수원 42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8일 밝혔다.박 변호사는 지난 2013년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검사로 임관한 뒤 창원지검, 인천지검, 수원지검을 거치며 오랜 시간 검사로 재직했다.검사 재직 당시 미성년자 친족 강간 사건 등 성범죄 사건, 아동학대중상해 사건, 수십억 원대 사기 사건, 마약 밀수 및 매매 사건 등 다수의 강력범죄를 맡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특히 뛰어난 성과로 대검찰청 형사부 우수 수사사례로 선정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박 변호사 영입을 통해 강력범죄 등 형사 사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박 변호사는 검사로 재직하며 마약, 환경, 성범죄, 횡령 및 배임 등 다양한 형사 사건을 수행했다. 다수의 경험을 통해 쌓은 노하우를 토대로 형사 사건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제공할 전망이다.박 변호사는 "고객이 만족하는 변호사가 되겠다는 제 신념을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실현할 수 있어 기쁘다. 앞으로도 고객의 권익을 위하고, 고객 니즈에 맞는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최상의 결과를 도출하겠다"라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검사로서 전문성을 인정받은 박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은 강력범죄 등 형사 사건에서 강력한 파트너를 확보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각 분야 인재 영입 등을 통해 고객이 최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형사사건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초 기존 형사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별도 신설했다. 증거수집과 분석에 특화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프리미엄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박지영 변호사 영입…'강력범죄 전문' 검사 출신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8-28
법무법인 대륜, 박지영 변호사 영입…'강력범죄 전문' 검사 출신
법무법인 대륜, 박지영 변호사 영입…'강력범죄 전문' 검사 출신
수원지검 안산지청 검사로 임관 후…창원지검·인천지검·수원지검 거쳐검찰 재직시 미성년자 친족 강간·아동학대중상해 사건 성공적으로 이끌어박지영 변호사 "고객 권익 위하고…고객 니즈에 맞는 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검사 출신 박지영(사법연수원 42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8일 밝혔다.박 변호사는 지난 2013년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검사로 임관한 뒤 창원지검, 인천지검, 수원지검을 거치며 오랜 시간 검사로 재직했다.검사 재직 당시 미성년자 친족 강간 사건 등 성범죄 사건, 아동학대중상해 사건, 수십억 원대 사기 사건, 마약 밀수 및 매매 사건 등 다수의 강력범죄를 맡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특히 뛰어난 성과로 대검찰청 형사부 우수 수사사례로 선정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박 변호사 영입을 통해 강력범죄 등 형사 사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박 변호사는 검사로 재직하며 마약, 환경, 성범죄, 횡령 및 배임 등 다양한 형사 사건을 수행했다. 다수의 경험을 통해 쌓은 노하우를 토대로 형사 사건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제공할 전망이다.박 변호사는 "고객이 만족하는 변호사가 되겠다는 제 신념을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실현할 수 있어 기쁘다. 앞으로도 고객의 권익을 위하고, 고객 니즈에 맞는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최상의 결과를 도출하겠다"라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검사로서 전문성을 인정받은 박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은 강력범죄 등 형사 사건에서 강력한 파트너를 확보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각 분야 인재 영입 등을 통해 고객이 최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형사사건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초 기존 형사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별도 신설했다. 증거수집과 분석에 특화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프리미엄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박지영 변호사 영입…'강력범죄 전문' 검사 출신 (바로가기)
로리더
2024-08-26
미성년자 손녀 추행 혐의받은 할아버지···‘불기소’ 이유는?
미성년자 손녀 추행 혐의받은 할아버지···‘불기소’ 이유는?
검찰 “강제추행, 아동학대 혐의 송치됐으나 구체적 증거 없고 진술 신빙성 의문”변호인 “허위 고소로 볼만한 증거 다수 발견···고소 동기 명확히 밝혀” 13세 손녀를 강제추행하고 학대한 혐의로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된 70대 남성이 허위 고소 동기가 밝혀져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창원지방검찰청은 친족관계에 의한 강제추행과 아동학대 등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성폭력처벌법’) 및 아동복지법 혐의로 송치된 피의자 A씨(71세)에게 최근 '증거불충분에 의한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결정을 했다.검찰은 불기소 결정 이유로 “고소인의 진술을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인 증거를 찾지 못하고, 심리상담 과정에서 추행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던 점들을 생각하면 진술에 신빙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친족관계에 의한 강제추행, 준강간, 준강제추행 범죄는 성폭력처벌법 상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유죄가 인정되면 대부분 실형이 선고되는 사건이다.검찰에 따르면, A씨는 2019년부터 손녀인 B양을 상습적으로 추행하고, 학대한 혐의를 받았다.B양(2019년 당시 10세)은 부모 사망 이후 자신을 양육해 준 할아버지 A씨(2019년 당시 당시 66세)가 5년 동안 자신을 성추행했다고 주장하면서, 친족강제추행과 아동학대 혐의로 A씨를 고소했다.앞서 A씨는 손녀인 B양의 부모가 사망한 뒤 5년간 양육을 맡아 왔다. 그런데 B양은 우울증 등 정신질환 문제를 겪고 있었고, 이로 인해 조건만남 등 범죄에 노출됐다.이 사실을 알게 된 A씨가 B양을 훈육하자, 이에 앙심을 품은 B양은 성추행과 학대를 당했다며 경찰에 신고했다.검찰 조사에서 A씨의 변호인은 B양이 우울증에 따른 망상과 A씨에 대한 보복으로 허위 고소를 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심리상담센터 내역, 교내 조사 결과자료 등을 토대로 A씨가 B양을 추행하지 않았음을 입증했다.아울러, A씨가 홀로 남은 B양을 위해 노인 일자리에 참여하는 등 후견인으로서 성실하게 양육에 참여한 점을 강조했다.A씨의 변호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이 사건처럼 오해의 소지가 전혀 없는 경우 허위 고소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허위 고소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위해 그 동기를 밝히는 것이 큰 쟁점”이라면서, “허위 고소는 개인의 명예와 사회적 신뢰를 크게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자신의 결백을 입증하고 정당한 권리를 되찾아야 한다”고 말했다.[기사전문보기] - 미성년자 손녀 추행 혐의받은 할아버지···‘불기소’ 이유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4-08-26
미성년자 손녀 추행 혐의받은 할아버지···‘불기소’ 이유는?
미성년자 손녀 추행 혐의받은 할아버지···‘불기소’ 이유는?
검찰 “강제추행, 아동학대 혐의 송치됐으나 구체적 증거 없고 진술 신빙성 의문”변호인 “허위 고소로 볼만한 증거 다수 발견···고소 동기 명확히 밝혀” 13세 손녀를 강제추행하고 학대한 혐의로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된 70대 남성이 허위 고소 동기가 밝혀져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창원지방검찰청은 친족관계에 의한 강제추행과 아동학대 등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성폭력처벌법’) 및 아동복지법 혐의로 송치된 피의자 A씨(71세)에게 최근 '증거불충분에 의한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결정을 했다.검찰은 불기소 결정 이유로 “고소인의 진술을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인 증거를 찾지 못하고, 심리상담 과정에서 추행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던 점들을 생각하면 진술에 신빙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친족관계에 의한 강제추행, 준강간, 준강제추행 범죄는 성폭력처벌법 상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유죄가 인정되면 대부분 실형이 선고되는 사건이다.검찰에 따르면, A씨는 2019년부터 손녀인 B양을 상습적으로 추행하고, 학대한 혐의를 받았다.B양(2019년 당시 10세)은 부모 사망 이후 자신을 양육해 준 할아버지 A씨(2019년 당시 당시 66세)가 5년 동안 자신을 성추행했다고 주장하면서, 친족강제추행과 아동학대 혐의로 A씨를 고소했다.앞서 A씨는 손녀인 B양의 부모가 사망한 뒤 5년간 양육을 맡아 왔다. 그런데 B양은 우울증 등 정신질환 문제를 겪고 있었고, 이로 인해 조건만남 등 범죄에 노출됐다.이 사실을 알게 된 A씨가 B양을 훈육하자, 이에 앙심을 품은 B양은 성추행과 학대를 당했다며 경찰에 신고했다.검찰 조사에서 A씨의 변호인은 B양이 우울증에 따른 망상과 A씨에 대한 보복으로 허위 고소를 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심리상담센터 내역, 교내 조사 결과자료 등을 토대로 A씨가 B양을 추행하지 않았음을 입증했다.아울러, A씨가 홀로 남은 B양을 위해 노인 일자리에 참여하는 등 후견인으로서 성실하게 양육에 참여한 점을 강조했다.A씨의 변호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이 사건처럼 오해의 소지가 전혀 없는 경우 허위 고소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허위 고소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위해 그 동기를 밝히는 것이 큰 쟁점”이라면서, “허위 고소는 개인의 명예와 사회적 신뢰를 크게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자신의 결백을 입증하고 정당한 권리를 되찾아야 한다”고 말했다.[기사전문보기] - 미성년자 손녀 추행 혐의받은 할아버지···‘불기소’ 이유는? (바로가기)
법조신문
2024-08-26
“급변하는 사회, 법조 차원 대응을”… 변호사 2100여 명 한자리에
“급변하는 사회, 법조 차원 대응을”… 변호사 2100여 명 한자리에
대한변협, 26일 ‘제32회 법의 지배를 위한 변호사대회’ 개최대통령, 대법원장 등 축사… “법치주의에 열정, 지혜 발휘를”협회장 “사법제도 국민 위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발전시켜야”“실질적 법치주의로 국민 삶의 질 향상 위한 방향 제시 목표”한국법률문화상 김대휘 교수… 학술논문상·언론인상 시상도전국 변호사가 한자리에 모여 법치주의 확립을 다짐하고 실효적 법의 지배를 확대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대한변호사협회(협회장 김영훈)는 2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제32회 법의 지배를 위한 변호사대회’를 열었다. 이날 대회에는 변호사 2100여 명이 참여했다.변호사들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대응 방향과 법률서비스 보험, 변호사 비밀유지권(Attorney-Client Privilege·ACP) 도입 등에 대해 한 목소리를 냈다.● “법치주의 굳건히 다지기를”… 윤 대통령, 대법원장 등 축사이날 변호사대회에는 윤 대통령을 비롯한 각계 인사가 축사를 전했다.윤 대통령은 영상 축사를 통해 “변호사는 법조 3륜 한 축으로 법을 통해 인권을 지키고 정의를 실현하는 사명을 실천해 왔다”며 “또한 사회적 약자를 도우며 기업이 마음껏 뛸 수 있도록 지원해 민생·경제를 살리는 데도 역할을 해왔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대한민국 핵심 가치인 ‘자유’는 법치주의에서 더욱 발전한다”며 “법치주의를 굳건히 다지고 국민 자유가 확장될 수 있도록 열정·지혜를 발휘해 달라”고 했다.조희대 대법원장은 “법의 지배는 사회 갈등·대립을 법이 정한 기준·절차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사회를 안정적으로 조화롭고 균형 있게 발전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신속·공정한 재판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국민과 함께 소통하고 같이 호흡하는 변호사 역할이 중요하다”며 “여러분께서 이 같은 재판 실현에 관심을 두시고 지혜를 모아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은 “2017년 스티븐 호킹 박사는 ‘AI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사건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며 “우리가 AI 사용 방식과 유용성·위험성을 어떻게 이해·대비하는지에 따라 AI가 법조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또 “법률서비스 보험, 변호사 비밀유지권 문제는 국민 사법 접근성 확장과 관련해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한 분야”라며 “오늘 논의가 법률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박성재 법무부 장관은 “법치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사회 모든 작용은 법의 지배를 받는다”며 “변호사들께서 실천하는 지성인으로서 모범적 모습을 보여준 결과 국민 자유·인권·평등 보장은 강화되고, 법률제도는 개선됐다”고 전했다.이어 “오늘 심포지엄을 통해 법조계뿐만 아니라 국민 관심도가 높은 주제들에 대해 우리 사회가 진일보할 수 있는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했다.나경원(사법시험 34회) 국민의힘 의원(서울 동작구을)은 “대한민국 법치주의야말로 헌정 질서를 지킬 수 있는 최후 보루”라며 “법치주의 회복에 대해서 변호사 역할을 기대하면서 저 역시도 더 많이 고민하겠다고 약속드리겠다”고 말했다.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중랑구갑)은 “변호사 비밀유지권이 압수수색에 의해서 침해당할 줄 상상도 못했다”며 “여야가 함께 해서 변호사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곽상언(사시43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종로구)은 “변호사는 실질적으로 자신의 지혜·역량으로 법의 테두리 내에서 국가 거대 권력과 싸울 수 있는 직업”이라며 “이번 변호사대회가 변호사 권익 확대와, 다시 법의 지배를 꿈꿀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서면 축사에서 “앞으로도 대한민국 법치주의 발전을 위해 변호사 역할·사명을 기대한다”며 “저 역시 집권 여당 원내대표로서, 입법부 일원으로서, 국회가 법치주의 실현에 책임을 다하도록 소명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변호사 비밀유지권’ 입법에 전력”… 전국 변호사 “직역 침탈 시도, 수사기관 부정 등 대응을”김 협회장은 “헌법은 국민의 변호사 조력을 받을 권리를 규정, 법률은 변호사에게 법률 사무 전반을 독점시키며 직무 수행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며 “이는 법률 사무에 대한 전문성·공정성·신뢰성을 확보해 국민 기본권을 보호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변호사는 이러한 중대한 역할을 부여받은 데 대해 자부심·사명감을 가지고, 법치주의 정신에 기반해 사법제도를 국민을 위한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또 “최근 변호사가 변호사 본연 업무인 법률 지원을 했다는 이유로, 수사기관 소환 조사를 받거나 변호사 사무실 압수수색으로 변호사·의뢰인 간 의사 교환 자료가 압수됐다”며 “이는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러면서 “변협은 이 같은 현실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변호사 비밀유지권을 입법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검·경 수사권 조정 등 법조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대응을 언급하기도 했다.김 협회장은 “검·경 수사권 조정에 따라 경찰도 독립 수사기관으로서 법조에 편입됐다"며 "변호사는 이러한 구조적 변화에 대응해, 검찰은 물론 경찰도 법치주의에 근거한 적법·공정한 수사를 하도록 촉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변협은 수사기관이 어떠한 유형의 범죄 수사에도 독립적·객관적 태도로 철저하게 수사에 임해 법치를 바로 세우고 국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감시하겠다”고 강조했다.변협은 직역 수호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김 협회장은 “변협은 변호사 직역을 흔드려는 각종 입법적 시도에는 단호히 맞서면서, 법치주의와 국민 기본권 수호자로서 변호사 역할을 다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고 했다.이어 “구체적으로, 법조 인접 직역 자격사에게 소송대리권을 부여하는 법률안, 변협 변호사 광고규제 권한을 무력화하는 법률안, 최소한 공공성·공신력 기준도 없이 모든 리걸테크 기업을 허용해 공인된 사건 브로커로 만드는 법률안을 저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밖에 변협은 △‘케이리걸(K-LEGAL)’ 해외 전파 △공공 법률 플랫폼 ‘나의 변호사’ KOICA 원조사업을 통한 베트남 수출 △회관 건립 사업 추진 등을 위해 힘쓰고 있다.이날 대회에서는 14개 지방변호사회와 논의 결과 채택된 결의문도 발표했다.전국 변호사들은 결의문을 통해 “최근 변호사가 본연 업무인 법률 자문을 수행했다는 이유만으로 수사기관으로부터 소환받아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며 “변호사가 본연 업무를 수행했다는 이유만으로 수사기관 조사를 받거나 사무실이 압수수색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며 법치주의 후퇴가 현실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이어 “헌법상 국민 기본권인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보장을 위해서는 변호사·의뢰인 비밀유지권 도입이 절실하다”며 “지금이라도 국회가 조속한 입법을 통해 비밀유지권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또 “일부 제한된 법률서비스 영역에서 보조적 역할만 허용되는 법조인접직역 자격사 및 리걸테크 기업이 입법 등을 통한 변호사 직역 침탈을 시도하고 있다”며 “공공성에 기초한 변호사 직역에 대한 침탈 시도에 대하여 엄정히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밖에도 결의문에는 △수사기관 부정 감시 및 공정한 수사 독려 △법률 AI 도입·활용 주도·감시·견제 △유관 기관과 협력 강화 △변호사 국제 활동 지원 촉구 △단독회관 건립 등이 담겼다.● “급속한 사회변화, 대응 방안 제시를”… AI 방향성 제시, 법률서비스 보험 활성화 등이번 대회 대주제는 ‘급속한 사회 변화에 따른 변호사의 역량과 발전 과제’였다. 김철수(사법시험 34회) 변호사대회집행위원장은 “변호사들이 실질적 법치주의를 구현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고 주제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첫 심포지엄은 ‘생성형 인공지능-잠재적 위험과 새로운 방향성’을 주제로 진행됐다.이날 참석자들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방향성으로 ‘책임 있는 인공지능(Responsible AI)’을 제안했다.변순용 서울교육대 윤리학과 교수는 “인류가 인공지능을 개발·활용하고자 한다면 그에 대한 책임을 총체적·연속적·미래적으로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책임 있는 인공지능 고안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어 “책임 있는 인공지능은 인공지능과 관련된 구성원 모두가 책임을 다해 인공지능의 잠재적 위험을 관리하고, 인간 존엄성, 사회 공공선, 자연환경 지속성 등을 제고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안정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 우리가 지켜야 할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고 책임 주체가 확산돼 ‘책임 무책임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인공지능 개발·활용에서 책임 디자인이 이뤄져야 하고, 이에 근거해 책임 실현 방식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정종구(변시 8회) 법무법인 로고스 변호사는 “책임 있는 인공지능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방향성”이라며 “지속 가능한 AI를 위해서는 생태적·국제협력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김기원(변호사시험 5회) 서울변회 법제이사는 “인공지능 발달에 따라 가장 경계해야 할 미래는 사회 구성원이 인공지능에 길들여져 잠재적 역량이 저하되는 것”이라며 “‘귀찮고 피곤하게’ 직접 긴 글을 읽거나 직접 쓰지 않고, 수많은 지엽적 세부 사항에 대해 검토·고민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그러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과 함께 사람들이 자신의 역량으로 학습·훈련·인내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스스로에게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밖에도 이날 △법률서비스 보험 이해와 활성화 방안 △변호사의 변론권 침해 사례 및 그 대응 방안-ACP 및 변론 사건 공개를 중심으로- △상속의 제문제, 유류분과 헌재-최근 판례 등을 중심으로 등 주제로 한 심포지엄과 변호사 윤리 연수가 열렸다.● 한국법률문화상 수상자에 김대휘 교수… 학술논문상·우수언론인상 시상식도개회식에는 한국법률문화상·학술논문상 등 각종 시상식도 열렸다.제55회 한국법률문화상 수상자로는 김대휘(사시 19회) 세종대 법학과 석좌교수 겸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가 선정됐다. 김 교수는 뛰어난 학문적 성과와 사회 활동을 통해 학계·법조 실무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등 법률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았다.김 석좌교수는 1983년 판사로 임용돼 제주, 인천, 서울남부,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부산고법 및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거쳐 춘천지법 및 의정부지법 법원장 등을 역임했다. 변협 변호사 징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변호사 징계실무와 결정서 작성례를 확립했으며, 초대 사법정책연구심의관으로 재직할 당시에는 사법개혁 백서 작성·발간, 법원실무제요 형사편과 양형 실무 집필에 참여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법철학과 법이론 입문(상안당 刊)’이 있다.김 석좌교수는 “앞으로도 법률문화 발전과 기초법학 정립에 더 힘을 쓰겠다”고 소감을 밝혔다.학술논문상에는 정재훈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최우수상을, 김현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우수상을 수상했다.우수언론인상은 △송수연 서울신문 기자 △이호준 KBS 기자 △정원일 파이낸셜뉴스 기자가 받았다. [기사전문보기] - (종합) “급변하는 사회, 법조 차원 대응을”… 변호사 2100여 명 한자리에 (바로가기)
법조신문
2024-08-26
“급변하는 사회, 법조 차원 대응을”… 변호사 2100여 명 한자리에
“급변하는 사회, 법조 차원 대응을”… 변호사 2100여 명 한자리에
대한변협, 26일 ‘제32회 법의 지배를 위한 변호사대회’ 개최대통령, 대법원장 등 축사… “법치주의에 열정, 지혜 발휘를”협회장 “사법제도 국민 위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발전시켜야”“실질적 법치주의로 국민 삶의 질 향상 위한 방향 제시 목표”한국법률문화상 김대휘 교수… 학술논문상·언론인상 시상도전국 변호사가 한자리에 모여 법치주의 확립을 다짐하고 실효적 법의 지배를 확대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대한변호사협회(협회장 김영훈)는 2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제32회 법의 지배를 위한 변호사대회’를 열었다. 이날 대회에는 변호사 2100여 명이 참여했다.변호사들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대응 방향과 법률서비스 보험, 변호사 비밀유지권(Attorney-Client Privilege·ACP) 도입 등에 대해 한 목소리를 냈다.● “법치주의 굳건히 다지기를”… 윤 대통령, 대법원장 등 축사이날 변호사대회에는 윤 대통령을 비롯한 각계 인사가 축사를 전했다.윤 대통령은 영상 축사를 통해 “변호사는 법조 3륜 한 축으로 법을 통해 인권을 지키고 정의를 실현하는 사명을 실천해 왔다”며 “또한 사회적 약자를 도우며 기업이 마음껏 뛸 수 있도록 지원해 민생·경제를 살리는 데도 역할을 해왔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대한민국 핵심 가치인 ‘자유’는 법치주의에서 더욱 발전한다”며 “법치주의를 굳건히 다지고 국민 자유가 확장될 수 있도록 열정·지혜를 발휘해 달라”고 했다.조희대 대법원장은 “법의 지배는 사회 갈등·대립을 법이 정한 기준·절차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사회를 안정적으로 조화롭고 균형 있게 발전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신속·공정한 재판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국민과 함께 소통하고 같이 호흡하는 변호사 역할이 중요하다”며 “여러분께서 이 같은 재판 실현에 관심을 두시고 지혜를 모아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은 “2017년 스티븐 호킹 박사는 ‘AI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사건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며 “우리가 AI 사용 방식과 유용성·위험성을 어떻게 이해·대비하는지에 따라 AI가 법조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또 “법률서비스 보험, 변호사 비밀유지권 문제는 국민 사법 접근성 확장과 관련해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한 분야”라며 “오늘 논의가 법률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박성재 법무부 장관은 “법치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사회 모든 작용은 법의 지배를 받는다”며 “변호사들께서 실천하는 지성인으로서 모범적 모습을 보여준 결과 국민 자유·인권·평등 보장은 강화되고, 법률제도는 개선됐다”고 전했다.이어 “오늘 심포지엄을 통해 법조계뿐만 아니라 국민 관심도가 높은 주제들에 대해 우리 사회가 진일보할 수 있는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했다.나경원(사법시험 34회) 국민의힘 의원(서울 동작구을)은 “대한민국 법치주의야말로 헌정 질서를 지킬 수 있는 최후 보루”라며 “법치주의 회복에 대해서 변호사 역할을 기대하면서 저 역시도 더 많이 고민하겠다고 약속드리겠다”고 말했다.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중랑구갑)은 “변호사 비밀유지권이 압수수색에 의해서 침해당할 줄 상상도 못했다”며 “여야가 함께 해서 변호사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곽상언(사시43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종로구)은 “변호사는 실질적으로 자신의 지혜·역량으로 법의 테두리 내에서 국가 거대 권력과 싸울 수 있는 직업”이라며 “이번 변호사대회가 변호사 권익 확대와, 다시 법의 지배를 꿈꿀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서면 축사에서 “앞으로도 대한민국 법치주의 발전을 위해 변호사 역할·사명을 기대한다”며 “저 역시 집권 여당 원내대표로서, 입법부 일원으로서, 국회가 법치주의 실현에 책임을 다하도록 소명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변호사 비밀유지권’ 입법에 전력”… 전국 변호사 “직역 침탈 시도, 수사기관 부정 등 대응을”김 협회장은 “헌법은 국민의 변호사 조력을 받을 권리를 규정, 법률은 변호사에게 법률 사무 전반을 독점시키며 직무 수행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며 “이는 법률 사무에 대한 전문성·공정성·신뢰성을 확보해 국민 기본권을 보호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변호사는 이러한 중대한 역할을 부여받은 데 대해 자부심·사명감을 가지고, 법치주의 정신에 기반해 사법제도를 국민을 위한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또 “최근 변호사가 변호사 본연 업무인 법률 지원을 했다는 이유로, 수사기관 소환 조사를 받거나 변호사 사무실 압수수색으로 변호사·의뢰인 간 의사 교환 자료가 압수됐다”며 “이는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러면서 “변협은 이 같은 현실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변호사 비밀유지권을 입법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검·경 수사권 조정 등 법조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대응을 언급하기도 했다.김 협회장은 “검·경 수사권 조정에 따라 경찰도 독립 수사기관으로서 법조에 편입됐다"며 "변호사는 이러한 구조적 변화에 대응해, 검찰은 물론 경찰도 법치주의에 근거한 적법·공정한 수사를 하도록 촉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변협은 수사기관이 어떠한 유형의 범죄 수사에도 독립적·객관적 태도로 철저하게 수사에 임해 법치를 바로 세우고 국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감시하겠다”고 강조했다.변협은 직역 수호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김 협회장은 “변협은 변호사 직역을 흔드려는 각종 입법적 시도에는 단호히 맞서면서, 법치주의와 국민 기본권 수호자로서 변호사 역할을 다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고 했다.이어 “구체적으로, 법조 인접 직역 자격사에게 소송대리권을 부여하는 법률안, 변협 변호사 광고규제 권한을 무력화하는 법률안, 최소한 공공성·공신력 기준도 없이 모든 리걸테크 기업을 허용해 공인된 사건 브로커로 만드는 법률안을 저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밖에 변협은 △‘케이리걸(K-LEGAL)’ 해외 전파 △공공 법률 플랫폼 ‘나의 변호사’ KOICA 원조사업을 통한 베트남 수출 △회관 건립 사업 추진 등을 위해 힘쓰고 있다.이날 대회에서는 14개 지방변호사회와 논의 결과 채택된 결의문도 발표했다.전국 변호사들은 결의문을 통해 “최근 변호사가 본연 업무인 법률 자문을 수행했다는 이유만으로 수사기관으로부터 소환받아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며 “변호사가 본연 업무를 수행했다는 이유만으로 수사기관 조사를 받거나 사무실이 압수수색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며 법치주의 후퇴가 현실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이어 “헌법상 국민 기본권인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보장을 위해서는 변호사·의뢰인 비밀유지권 도입이 절실하다”며 “지금이라도 국회가 조속한 입법을 통해 비밀유지권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또 “일부 제한된 법률서비스 영역에서 보조적 역할만 허용되는 법조인접직역 자격사 및 리걸테크 기업이 입법 등을 통한 변호사 직역 침탈을 시도하고 있다”며 “공공성에 기초한 변호사 직역에 대한 침탈 시도에 대하여 엄정히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밖에도 결의문에는 △수사기관 부정 감시 및 공정한 수사 독려 △법률 AI 도입·활용 주도·감시·견제 △유관 기관과 협력 강화 △변호사 국제 활동 지원 촉구 △단독회관 건립 등이 담겼다.● “급속한 사회변화, 대응 방안 제시를”… AI 방향성 제시, 법률서비스 보험 활성화 등이번 대회 대주제는 ‘급속한 사회 변화에 따른 변호사의 역량과 발전 과제’였다. 김철수(사법시험 34회) 변호사대회집행위원장은 “변호사들이 실질적 법치주의를 구현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고 주제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첫 심포지엄은 ‘생성형 인공지능-잠재적 위험과 새로운 방향성’을 주제로 진행됐다.이날 참석자들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방향성으로 ‘책임 있는 인공지능(Responsible AI)’을 제안했다.변순용 서울교육대 윤리학과 교수는 “인류가 인공지능을 개발·활용하고자 한다면 그에 대한 책임을 총체적·연속적·미래적으로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책임 있는 인공지능 고안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어 “책임 있는 인공지능은 인공지능과 관련된 구성원 모두가 책임을 다해 인공지능의 잠재적 위험을 관리하고, 인간 존엄성, 사회 공공선, 자연환경 지속성 등을 제고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안정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 우리가 지켜야 할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고 책임 주체가 확산돼 ‘책임 무책임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인공지능 개발·활용에서 책임 디자인이 이뤄져야 하고, 이에 근거해 책임 실현 방식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정종구(변시 8회) 법무법인 로고스 변호사는 “책임 있는 인공지능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방향성”이라며 “지속 가능한 AI를 위해서는 생태적·국제협력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김기원(변호사시험 5회) 서울변회 법제이사는 “인공지능 발달에 따라 가장 경계해야 할 미래는 사회 구성원이 인공지능에 길들여져 잠재적 역량이 저하되는 것”이라며 “‘귀찮고 피곤하게’ 직접 긴 글을 읽거나 직접 쓰지 않고, 수많은 지엽적 세부 사항에 대해 검토·고민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그러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과 함께 사람들이 자신의 역량으로 학습·훈련·인내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스스로에게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밖에도 이날 △법률서비스 보험 이해와 활성화 방안 △변호사의 변론권 침해 사례 및 그 대응 방안-ACP 및 변론 사건 공개를 중심으로- △상속의 제문제, 유류분과 헌재-최근 판례 등을 중심으로 등 주제로 한 심포지엄과 변호사 윤리 연수가 열렸다.● 한국법률문화상 수상자에 김대휘 교수… 학술논문상·우수언론인상 시상식도개회식에는 한국법률문화상·학술논문상 등 각종 시상식도 열렸다.제55회 한국법률문화상 수상자로는 김대휘(사시 19회) 세종대 법학과 석좌교수 겸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가 선정됐다. 김 교수는 뛰어난 학문적 성과와 사회 활동을 통해 학계·법조 실무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등 법률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았다.김 석좌교수는 1983년 판사로 임용돼 제주, 인천, 서울남부,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부산고법 및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거쳐 춘천지법 및 의정부지법 법원장 등을 역임했다. 변협 변호사 징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변호사 징계실무와 결정서 작성례를 확립했으며, 초대 사법정책연구심의관으로 재직할 당시에는 사법개혁 백서 작성·발간, 법원실무제요 형사편과 양형 실무 집필에 참여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법철학과 법이론 입문(상안당 刊)’이 있다.김 석좌교수는 “앞으로도 법률문화 발전과 기초법학 정립에 더 힘을 쓰겠다”고 소감을 밝혔다.학술논문상에는 정재훈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최우수상을, 김현수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우수상을 수상했다.우수언론인상은 △송수연 서울신문 기자 △이호준 KBS 기자 △정원일 파이낸셜뉴스 기자가 받았다. [기사전문보기] - (종합) “급변하는 사회, 법조 차원 대응을”… 변호사 2100여 명 한자리에 (바로가기)
EBS
2024-08-26
징계권 삭제됐지만 체벌 여전…"긍정 양육에 국가 나서야" [아동학대 예방 기획]
징계권 삭제됐지만 체벌 여전…"긍정 양육에 국가 나서야" [아동학대 예방 기획]
[EBS 뉴스12]아동학대 대부분은 가정 안에서, 부모에 의해 일어납니다. 친권자는 아이를 징계할 수 있다는 내용의 '징계권'이 우리 법률에서 완전히 삭제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체벌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게 사실인데요. 체벌 없이도 아이와 부모 모두 행복하게 성장하려면 무엇이 필요할지, 송성환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같이 가지 않겠다는 6살 자녀의 팔을 강하게 잡아끈 엄마. 동생과 싸우고 울음을 그치지 않는다며 4살 아이를 현관문 밖에 혼자 있게 한 아빠. 내 자식이라는 생각으로 무심결에, 혹은 정당한 훈육이라고 생각하고 저지른 이 행동들 모두, 법원에서 아동학대로 판단한 실제 사례들입니다. 인터뷰: 이의석 변호사 / 법무법인 대륜"부부 싸움 과정에서 자녀가 노출되는 것도 아동학대죄로 처벌받을 수 있는 행위거든요. 그래서 자녀가 들을 수 있는 공간에서 서로 욕설을 한다든지…." 친권자는 자녀에게 필요한 징계를 할 수 있다는 내용의 '징계권. 민법 처음 만들어진 1958년부터 제915조에 명시돼 있던 이 조항은 지난 2021년, 제정 62년 만에 폐지됐습니다. 부모의 체벌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 이로써 우리나라 법 체계에서 부모가 자녀를 체벌할 수 있는 근거는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완정 교수 /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아동에 대한 체벌과 같은 징계 방식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고 아동의 권리와 복지를 강조하는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서 보다 좀 긍정적인 방식으로 훈육을 하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징계권이 사라진 지 3년이 더 지난 지금도 체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성인 10명 가운데 6명 이상은 여전히 훈육을 위해 신체적 체벌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응답자의 68%는 징계권이 삭제된 사실조차 몰랐습니다. 인터뷰: 체벌 경험 부모"회초리를 때린다든지 저도 모르게 손이 나간다든지 그렇게 되면 또 요즘 교육이 또 잘 돼 있어서 아이는 경찰에 신고를 해요. 그런 과정에 그럼 경찰이 저희 집에도 오는 경우가 있고 너무나 당혹스러웠죠." 그렇다면 체벌 없이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징계권 삭제 이후 아동보호 학계와 전문가들은 머리를 맞대고 아이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바라보는 것을 전제로 한 '긍정양육 129원칙'을 만들었습니다.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자녀와 부모 본인을 돌아보고, 함께 성장하는 긍정적 양육을 실천하자는 겁니다. 인터뷰: 정익중 원장 / 아동권리보장원"(자녀들이) 물론 훈육을 받아야 되고 교육을 받아야 되긴 하지만 같은 인간 대 인간으로서 하지 말아야 될 것들이 있는데 그런 것들을 생각할 수 있는, 그런 내용들이기 때문에 저절로 아동학대 예방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지만 이 같은 원칙을 알더라도, 실제 적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 방송과 육아 서적 등을 통해 자녀 양육 정보를 단편적으로 받아들이는 대다수 부모들은 가정으로 돌아와 다시 한 번 벽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이하나 교수 / 울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살펴봤더니 그 부모들의 특성이 지금 충분히 잘하고 있는 부모들도 많고 그런데 정작 아동학대 예방교육이라든지 부모교육이 필요한 그 부모들은 실제 참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다라는 게 문제입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부모 한명 한명의 양육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단순히 부모교육을 제공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양육에서 오는 부담과 고충을 가까운 거리 안에서 쉽게 해소할 수 있는 기반을 국가가 책임지고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인터뷰: 장영인 교수 /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언제라도 내가 궁금한 게 있고 어려움이 닥치면 자신이 살아가는 지역사회에서 어떤 지원을 신청해서 큰 비용 부담 없이 공신력 있는 어떤 기관, 공신력 있는 사람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그런 원스톱 시스템들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실제 서울 서초구는 지난 2021년 구청과 경찰, 민간이 힘을 모아 아동학대 신고 조사부터 교육과 치료, 상담 등 사후 관리까지 한 곳에서 이뤄지는, 국내 첫 아동학대대응센터를 만들었습니다. 개입이 필요한 지역 내 가정을 조기에 발견해, 부모교육 등 학대 예방 프로그램을 제때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다른 지자체로 확산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권윤연 아동보호팀장 /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지자체 예산이 전적으로 지원이 된 부분인 거죠. 그래서 저희가 더 열심히 아동학대 예방뿐만이 아니라 조사도 열심히 할 수 있고 사후 관리까지, 프로그램까지 (개발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처음이라 미숙할 수밖에 없는 아이를 키우는 일. 아이와 부모가 모두 행복한 환경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가 나설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저희가 해야 될 결혼을 해서 아이를 키워야 될 때 실질적으로 해야 되는 교육에 대해서는 전무하잖아요. 교육이 없잖아요. 그러니 아이를 어떻게 키우겠어요? 다들 막연하고 힘들고 어려우니 그냥 안 낳겠다라고 가는 거죠." EBS뉴스 송성환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징계권 삭제됐지만 체벌 여전…"긍정 양육에 국가 나서야" [아동학대 예방 기획] (바로가기)
EBS
2024-08-26
징계권 삭제됐지만 체벌 여전…"긍정 양육에 국가 나서야" [아동학대 예방 기획]
징계권 삭제됐지만 체벌 여전…"긍정 양육에 국가 나서야" [아동학대 예방 기획]
[EBS 뉴스12]아동학대 대부분은 가정 안에서, 부모에 의해 일어납니다. 친권자는 아이를 징계할 수 있다는 내용의 '징계권'이 우리 법률에서 완전히 삭제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체벌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게 사실인데요. 체벌 없이도 아이와 부모 모두 행복하게 성장하려면 무엇이 필요할지, 송성환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같이 가지 않겠다는 6살 자녀의 팔을 강하게 잡아끈 엄마. 동생과 싸우고 울음을 그치지 않는다며 4살 아이를 현관문 밖에 혼자 있게 한 아빠. 내 자식이라는 생각으로 무심결에, 혹은 정당한 훈육이라고 생각하고 저지른 이 행동들 모두, 법원에서 아동학대로 판단한 실제 사례들입니다. 인터뷰: 이의석 변호사 / 법무법인 대륜"부부 싸움 과정에서 자녀가 노출되는 것도 아동학대죄로 처벌받을 수 있는 행위거든요. 그래서 자녀가 들을 수 있는 공간에서 서로 욕설을 한다든지…." 친권자는 자녀에게 필요한 징계를 할 수 있다는 내용의 '징계권. 민법 처음 만들어진 1958년부터 제915조에 명시돼 있던 이 조항은 지난 2021년, 제정 62년 만에 폐지됐습니다. 부모의 체벌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 이로써 우리나라 법 체계에서 부모가 자녀를 체벌할 수 있는 근거는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완정 교수 /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아동에 대한 체벌과 같은 징계 방식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고 아동의 권리와 복지를 강조하는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서 보다 좀 긍정적인 방식으로 훈육을 하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징계권이 사라진 지 3년이 더 지난 지금도 체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성인 10명 가운데 6명 이상은 여전히 훈육을 위해 신체적 체벌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응답자의 68%는 징계권이 삭제된 사실조차 몰랐습니다. 인터뷰: 체벌 경험 부모"회초리를 때린다든지 저도 모르게 손이 나간다든지 그렇게 되면 또 요즘 교육이 또 잘 돼 있어서 아이는 경찰에 신고를 해요. 그런 과정에 그럼 경찰이 저희 집에도 오는 경우가 있고 너무나 당혹스러웠죠." 그렇다면 체벌 없이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징계권 삭제 이후 아동보호 학계와 전문가들은 머리를 맞대고 아이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바라보는 것을 전제로 한 '긍정양육 129원칙'을 만들었습니다.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자녀와 부모 본인을 돌아보고, 함께 성장하는 긍정적 양육을 실천하자는 겁니다. 인터뷰: 정익중 원장 / 아동권리보장원"(자녀들이) 물론 훈육을 받아야 되고 교육을 받아야 되긴 하지만 같은 인간 대 인간으로서 하지 말아야 될 것들이 있는데 그런 것들을 생각할 수 있는, 그런 내용들이기 때문에 저절로 아동학대 예방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지만 이 같은 원칙을 알더라도, 실제 적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 방송과 육아 서적 등을 통해 자녀 양육 정보를 단편적으로 받아들이는 대다수 부모들은 가정으로 돌아와 다시 한 번 벽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이하나 교수 / 울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살펴봤더니 그 부모들의 특성이 지금 충분히 잘하고 있는 부모들도 많고 그런데 정작 아동학대 예방교육이라든지 부모교육이 필요한 그 부모들은 실제 참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다라는 게 문제입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부모 한명 한명의 양육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단순히 부모교육을 제공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양육에서 오는 부담과 고충을 가까운 거리 안에서 쉽게 해소할 수 있는 기반을 국가가 책임지고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인터뷰: 장영인 교수 /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언제라도 내가 궁금한 게 있고 어려움이 닥치면 자신이 살아가는 지역사회에서 어떤 지원을 신청해서 큰 비용 부담 없이 공신력 있는 어떤 기관, 공신력 있는 사람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그런 원스톱 시스템들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실제 서울 서초구는 지난 2021년 구청과 경찰, 민간이 힘을 모아 아동학대 신고 조사부터 교육과 치료, 상담 등 사후 관리까지 한 곳에서 이뤄지는, 국내 첫 아동학대대응센터를 만들었습니다. 개입이 필요한 지역 내 가정을 조기에 발견해, 부모교육 등 학대 예방 프로그램을 제때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다른 지자체로 확산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권윤연 아동보호팀장 /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지자체 예산이 전적으로 지원이 된 부분인 거죠. 그래서 저희가 더 열심히 아동학대 예방뿐만이 아니라 조사도 열심히 할 수 있고 사후 관리까지, 프로그램까지 (개발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처음이라 미숙할 수밖에 없는 아이를 키우는 일. 아이와 부모가 모두 행복한 환경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가 나설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저희가 해야 될 결혼을 해서 아이를 키워야 될 때 실질적으로 해야 되는 교육에 대해서는 전무하잖아요. 교육이 없잖아요. 그러니 아이를 어떻게 키우겠어요? 다들 막연하고 힘들고 어려우니 그냥 안 낳겠다라고 가는 거죠." EBS뉴스 송성환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징계권 삭제됐지만 체벌 여전…"긍정 양육에 국가 나서야" [아동학대 예방 기획]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08-21
법무법인 대륜, 日 베리베스트와 글로벌 법률 파트너십 MOU
법무법인 대륜, 日 베리베스트와 글로벌 법률 파트너십 MOU
대륜, 글로벌 로펌 진입… 기업법무에 능통한 두 로펌 협력 주목대륜-베리베스트 국제 법률 서비스 제공… 글로벌 경쟁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21일 일본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베리베스트 도쿄 오피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고병준, 박동일 대표와 베리베스트 아사노 켄타로 대표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베리베스트는 일본 전역에 75개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약 360여 명의 변호사가 소속되어 있는 일본 대형 로펌이다. 특히, 일본 내 가장 많은 기업 자문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중국 등 해외 변호사를 영입해 국제 법무 분야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민국 전역에 39개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약 230여 명의 변호사가 소속되어 있는 국내 대형로펌이다. 특히, 매년 강화되고 있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전문성을 보유한 대규모 집단의 자문이 가능해 기업들의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국제적 법률 서비스 능력 확장 및 발전을 함께한다는 계획이다.두 기관은 ▲양국 기업 시장 진출 지원 ▲해외 M&A, 합작 투자, 국제 거래 관련 법률자문 ▲국제 분쟁 해결 ▲해외 진출을 위한 교류 ▲지식재산권(IP) 보호 ▲법률정보 공동연구 등 법률 서비스 발전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특히, 법무법인 대륜은 베리베스트가 보유한 국제 법무 분야 노하우를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기업의 해외 진출 위한 법률 지원법무법인 대륜과 베리베스트는 양국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법률 및 규제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법률 자문에 나선다.특히 해외 M&A, 국제 분쟁 해결과 관련해 법률 자문·계약서 작성 및 검토·현지 정보 교류 등 파트너십을 수행할 예정이다.기업의 핵심 기술과 브랜드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양사는 해외 특허, 상표,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분쟁 해결을 위해 현지 법률 기반 자문을 통해 기업의 안전한 해외 진출을 도울 것으로 전해졌다.■ 법률 전문성 강화 위한 상호 협력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맞춤형 법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기적인 법률 세미나 개최, 원격 법률 자문 제공을 진행해 법률 전문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역량 강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본과 한국 시장 공동 법률 데이터베이스 구축, 법률 뉴스레터 공동 발행, 법률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변호사 교류 프로그램 운영, 법률 문화 행사 공동 개최, 사회공헌 활동 등 양국 법률 문화 교류 활성화를 통해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예상된다.베리베스트 아사노 켄타로 대표는 "송무, 세무, 회계 등 기업법무 분야에 능통한 법무법인 대륜의 전문성을 당사도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돼 기쁘다"며 "한국 시장 진출을 원하는 일본 기업들을 상대로 더욱 효과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의 협력이 양국 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는 "이번 MOU 체결은 기업법무에 특화된 법무법인 대륜의 글로벌 로펌 도약의 첫발이다. 양사의 협력을 통해 아시아 법률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글로벌 법률 서비스 시장 진출을 가속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베리베스트와의 협력으로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차원에서의 한국 기업의 일본 진출, 일본 내 한국 기업에 대한 자문 등에서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日 베리베스트와 글로벌 법률 파트너십 MOU (바로가기)한국경제 - YK, 판사 출신 변호사 영입…대륜, 일본 대형 로펌과 '맞손'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전국 최다 사무소' 대륜, 日 로펌과 MOU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3곳
2024-08-21
법무법인 대륜, 日 베리베스트와 글로벌 법률 파트너십 MOU
법무법인 대륜, 日 베리베스트와 글로벌 법률 파트너십 MOU
대륜, 글로벌 로펌 진입… 기업법무에 능통한 두 로펌 협력 주목대륜-베리베스트 국제 법률 서비스 제공… 글로벌 경쟁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21일 일본 대형 로펌인 베리베스트와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베리베스트 도쿄 오피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고병준, 박동일 대표와 베리베스트 아사노 켄타로 대표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베리베스트는 일본 전역에 75개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약 360여 명의 변호사가 소속되어 있는 일본 대형 로펌이다. 특히, 일본 내 가장 많은 기업 자문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중국 등 해외 변호사를 영입해 국제 법무 분야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민국 전역에 39개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약 230여 명의 변호사가 소속되어 있는 국내 대형로펌이다. 특히, 매년 강화되고 있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전문성을 보유한 대규모 집단의 자문이 가능해 기업들의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국제적 법률 서비스 능력 확장 및 발전을 함께한다는 계획이다.두 기관은 ▲양국 기업 시장 진출 지원 ▲해외 M&A, 합작 투자, 국제 거래 관련 법률자문 ▲국제 분쟁 해결 ▲해외 진출을 위한 교류 ▲지식재산권(IP) 보호 ▲법률정보 공동연구 등 법률 서비스 발전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특히, 법무법인 대륜은 베리베스트가 보유한 국제 법무 분야 노하우를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기업의 해외 진출 위한 법률 지원법무법인 대륜과 베리베스트는 양국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법률 및 규제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법률 자문에 나선다.특히 해외 M&A, 국제 분쟁 해결과 관련해 법률 자문·계약서 작성 및 검토·현지 정보 교류 등 파트너십을 수행할 예정이다.기업의 핵심 기술과 브랜드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양사는 해외 특허, 상표,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분쟁 해결을 위해 현지 법률 기반 자문을 통해 기업의 안전한 해외 진출을 도울 것으로 전해졌다.■ 법률 전문성 강화 위한 상호 협력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맞춤형 법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기적인 법률 세미나 개최, 원격 법률 자문 제공을 진행해 법률 전문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역량 강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본과 한국 시장 공동 법률 데이터베이스 구축, 법률 뉴스레터 공동 발행, 법률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변호사 교류 프로그램 운영, 법률 문화 행사 공동 개최, 사회공헌 활동 등 양국 법률 문화 교류 활성화를 통해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예상된다.베리베스트 아사노 켄타로 대표는 "송무, 세무, 회계 등 기업법무 분야에 능통한 법무법인 대륜의 전문성을 당사도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돼 기쁘다"며 "한국 시장 진출을 원하는 일본 기업들을 상대로 더욱 효과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의 협력이 양국 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박동일 대표는 "이번 MOU 체결은 기업법무에 특화된 법무법인 대륜의 글로벌 로펌 도약의 첫발이다. 양사의 협력을 통해 아시아 법률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글로벌 법률 서비스 시장 진출을 가속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베리베스트와의 협력으로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차원에서의 한국 기업의 일본 진출, 일본 내 한국 기업에 대한 자문 등에서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日 베리베스트와 글로벌 법률 파트너십 MOU (바로가기)한국경제 - YK, 판사 출신 변호사 영입…대륜, 일본 대형 로펌과 '맞손'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전국 최다 사무소' 대륜, 日 로펌과 MOU (바로가기)
뉴스1 등 7곳
2024-08-20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
연구·교육 활성화 협력 부산대학교는 법무법인 대륜과 20일 교내 대학본부에서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우수한 법조인 양성을 위해 부산대 학생들에게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법률상담 지원, 공동연구와 학술세미나 개최, 초청 강연을 통한 연구·교육 활성화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최재원 부산대 총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우수한 법조인 양성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협력관계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대륜은 해외 진출을 위한 준비 작업을 착수했다. 본 협약으로 대륜의 분야별 전문 변호사들이 부산대의 다양한 법적 수요에 호응하는 사외 법무실과 같은 역할을 수행해 지역 내 법률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실무에 투입될 학생들이 대륜과 글로벌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방안도 모색해 보겠다"고 말했다.부산대는 법학전문대학원이 국내 최고 수준의 실력을 자랑하는 국립대 로스쿨로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학습환경을 제공해 매년 재판연구원이나 검사 임용 등에서 전국 대학 로스쿨 중 최상위의 실적과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부산대 로스쿨은 올해 신임 검사 9명을 배출하면서 전국 대학 로스쿨 중 2위에 오른 데 이어 신임 재판연구원도 네 번째로 많은 7명을 배출했다. 최근 6년간 부산대 출신 신임 법관 또한 26명으로 전국 4위에 올랐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전국 40개의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 지역에서도 3개의 사무소를 통해 지역의뢰인들과 소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뉴스1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바로가기)부산일보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MOU(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바로가기)CNB뉴스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바로가기)로이슈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체결(바로가기)대학저널 - 부산대-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바로가기)베리타스알파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MoU 체결(바로가기)이뉴스투데이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바로가기)법률저널 - 부산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 협약(바로가기)BBS뉴스 - 부산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법조인 양성 등 협약(바로가기)
뉴스1 등 7곳
2024-08-20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
연구·교육 활성화 협력 부산대학교는 법무법인 대륜과 20일 교내 대학본부에서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우수한 법조인 양성을 위해 부산대 학생들에게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법률상담 지원, 공동연구와 학술세미나 개최, 초청 강연을 통한 연구·교육 활성화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최재원 부산대 총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우수한 법조인 양성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협력관계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대륜은 해외 진출을 위한 준비 작업을 착수했다. 본 협약으로 대륜의 분야별 전문 변호사들이 부산대의 다양한 법적 수요에 호응하는 사외 법무실과 같은 역할을 수행해 지역 내 법률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실무에 투입될 학생들이 대륜과 글로벌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방안도 모색해 보겠다"고 말했다.부산대는 법학전문대학원이 국내 최고 수준의 실력을 자랑하는 국립대 로스쿨로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학습환경을 제공해 매년 재판연구원이나 검사 임용 등에서 전국 대학 로스쿨 중 최상위의 실적과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부산대 로스쿨은 올해 신임 검사 9명을 배출하면서 전국 대학 로스쿨 중 2위에 오른 데 이어 신임 재판연구원도 네 번째로 많은 7명을 배출했다. 최근 6년간 부산대 출신 신임 법관 또한 26명으로 전국 4위에 올랐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전국 40개의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 지역에서도 3개의 사무소를 통해 지역의뢰인들과 소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뉴스1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바로가기)부산일보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MOU(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협약(바로가기)CNB뉴스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바로가기)로이슈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체결(바로가기)대학저널 - 부산대-법무법인 대륜, ‘글로벌 법조인 양성’ 맞손(바로가기)베리타스알파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MoU 체결(바로가기)이뉴스투데이 - 부산대,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바로가기)법률저널 - 부산대 로스쿨, 법무법인 대륜과 “글로벌 법조인 양성” 업무 협약(바로가기)BBS뉴스 - 부산대 로스쿨-법무법인 대륜, 법조인 양성 등 협약(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8-19
재력 과시해 수억 원 갈취…‘로맨스 스캠’ 50대 구속기소
재력 과시해 수억 원 갈취…‘로맨스 스캠’ 50대 구속기소
상대방의 호감을 이용해 돈을 뜯어내는 이른바 ‘로맨스 스캠’ 수법으로 수억 원을 갈취한 50대 남성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서울중앙지검은 사기와 협박 등 혐의로 50대 A씨를 지난 14일 구속기소 했다고 밝혔다.A씨는 올해 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만난 여성 B씨에게 자신을 외국계 회사 임원으로 소개하며 접근했다.종교 등 공통 관심사가 많았던 두 사람은 빠르게 가까워져 교제에 이르게 됐다.이후 A씨는 부모님 앞으로 남아있는 빚을 급히 해결해야 한다며, B씨에게 780만원을 빌려달라고 요구했다.A씨의 범행은 더욱 대담해졌다. 780만 원을 받은 지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B씨에게 3억 2000여만 원을 빌려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그는 자신이 억대 연봉을 받고 있으며, 새로 추진하는 사업이 성공하면 수십억 원의 성과급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특히 결혼을 약속하고, 자기 부모님을 소개해주겠다며 B씨를 안심시켰다.이에 B씨는 3억 2000여만 원을 재차 송금했지만, A씨의 태도는 급변했다. 폭언을 일삼기 시작했고, 이별을 요구하는 B씨를 폭행하기도 했다.계속되는 금전 요구와 스토킹 행위에 결국 B씨는 A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경찰 수사를 받던 A씨는 지난 7월 구속됐으며,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은 A씨에 대해 구속기소를 결정했다.피해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광수 변호사는 “A씨는 자신의 사회 이력, 거주지, 학력 등 모든 정보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라며 “허위 정보를 과시하며 마치 변제자력이 있는 것처럼 상대를 속인 것은 명백한 기망행위로 사기죄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사랑을 가장해 금전을 갈취하는 전형적인 ‘로맨스 스캠’ 범죄”라며 “현재 피해자가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극심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만큼, 엄중한 처벌이 내려질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재력 과시해 수억 원 갈취…‘로맨스 스캠’ 50대 구속기소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8-19
재력 과시해 수억 원 갈취…‘로맨스 스캠’ 50대 구속기소
재력 과시해 수억 원 갈취…‘로맨스 스캠’ 50대 구속기소
상대방의 호감을 이용해 돈을 뜯어내는 이른바 ‘로맨스 스캠’ 수법으로 수억 원을 갈취한 50대 남성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서울중앙지검은 사기와 협박 등 혐의로 50대 A씨를 지난 14일 구속기소 했다고 밝혔다.A씨는 올해 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만난 여성 B씨에게 자신을 외국계 회사 임원으로 소개하며 접근했다.종교 등 공통 관심사가 많았던 두 사람은 빠르게 가까워져 교제에 이르게 됐다.이후 A씨는 부모님 앞으로 남아있는 빚을 급히 해결해야 한다며, B씨에게 780만원을 빌려달라고 요구했다.A씨의 범행은 더욱 대담해졌다. 780만 원을 받은 지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B씨에게 3억 2000여만 원을 빌려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그는 자신이 억대 연봉을 받고 있으며, 새로 추진하는 사업이 성공하면 수십억 원의 성과급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특히 결혼을 약속하고, 자기 부모님을 소개해주겠다며 B씨를 안심시켰다.이에 B씨는 3억 2000여만 원을 재차 송금했지만, A씨의 태도는 급변했다. 폭언을 일삼기 시작했고, 이별을 요구하는 B씨를 폭행하기도 했다.계속되는 금전 요구와 스토킹 행위에 결국 B씨는 A씨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경찰 수사를 받던 A씨는 지난 7월 구속됐으며,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은 A씨에 대해 구속기소를 결정했다.피해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광수 변호사는 “A씨는 자신의 사회 이력, 거주지, 학력 등 모든 정보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라며 “허위 정보를 과시하며 마치 변제자력이 있는 것처럼 상대를 속인 것은 명백한 기망행위로 사기죄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사랑을 가장해 금전을 갈취하는 전형적인 ‘로맨스 스캠’ 범죄”라며 “현재 피해자가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극심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만큼, 엄중한 처벌이 내려질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재력 과시해 수억 원 갈취…‘로맨스 스캠’ 50대 구속기소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8-19
성적 수치심 들면 성희롱?…법적 기준 뜯어보니 [법알못]
성적 수치심 들면 성희롱?…법적 기준 뜯어보니 [법알못]
시술 중 피해자 '성적 수치심' 느꼈는지 여부"진술 일관성 전제 돼야 증거 능력 인정 가능"'수치심' 기준도 '사회 통념'상 용인되는 수준'시술 범위' 사전 합의해야 법적 다툼 피한다 지난달 전통 무용가이자 한복 디자이너인 한 남성이 자신의 동성 고등학생 제자를 성추행해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아청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다. 그의 제자는 검찰 진술에서 "(가해자가) 마사지를 해준다는 핑계로 본인의 속옷 안으로 손을 넣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마사지 시술을 핑계로 성추행 범죄를 저지르는 사건이 지속해서 발생하면서, 두 행위를 가르는 법적 기준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피의자와 피해자 모두 억울한 경우를 막기 위해선 무엇보다 '고의성' 여부를 사전에 증거로 남기는 행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피해자 '성적 수치심'이 유일 증거? 과장된 것"동의서·녹취 통해 '시술 범위' 사전에 합의해야 치료 혹은 미용 목적으로 진행되는 마사지는 신체 접촉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성추행과 구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 시술 과정에서 옷을 일부 벗어야 하는 경우도 있어 보통 시술실 내부엔 폐쇄회로(CC)TV가 없고 주변 목격자도 찾기 어렵다.2002년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흔히 '성추행'이라고 일컬어지는 신체 접촉은 형법 제298조로 처벌한다. 해당 조항은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하여 추행을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한다. 대법원은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이 신체에 가해지는 것 역시 '기습 추행'이란 용어로 해당 법률에 저촉한다고 보고 있다.만약 강제 추행 피해자의 나이가 미성년자일 경우엔 아청법 제7조 제3항을 적용해 2년 이상의 유기 징역 또는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또 같은 법 제20조(공소시효에 관한 특례)에 따라 형사소송법상 공소 시효도 적용하지 않는다.보통 마사지 등 신체 접촉이 강제 추행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피해자가 느낀 '성적 수치심'이 기준이 된다고 알려졌지만, 전문가들은 법리 해석이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 주관성이 크게 개입하는 만큼, 반드시 일관된 진술이 있어야 재판에서 성적 수치심이 인정될 수 있단 설명이다.실제로 지난 2020년 법원은 경기도 성남의 한 운동 센터에서 발생한 강제 추행 사건에서 피해자의 진술 일관성이 부족하단 이유로 운동 관리사인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기도 했다. 그에게 마사지를 받았던 피해자는 접촉한 신체 부위가 진술 과정에서 바뀌면서 성적 수치심을 인정받지 못했다.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범죄에서 흔히 피해자가 무조건 중심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법원은 일반 수준의 사회 통념을 가진 '일반인' 기준에서 성적 수치심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따진다"며 "성범죄 재판에서 '피해자의 눈물이 증거다'란 식으로 알려진 것은 과장된 것"이라고 강조했다.한병철 법무법인 대한중앙 변호사는 "물론 피해자가 느낀 수치심이 기소 단계에서 경찰 등 수사관의 주요 판단 기준이 되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재판에 들어가면 수많은 자료와 전후 맥락을 파악하고 거짓말 탐지기까지 동원되기도 한다. 법원도 증언을 유일 증거로 인정하던 과거와 달리 경위도 정확하게 살피려는 경향이 강해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재판에서 마사지 시술과 강제 추행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은 '고의성' 여부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피의자와 피해자 간 법적 다툼을 방지하기 위해선 마사지의 시술 범위를 사전에 구체적으로 합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한병철 변호사는 "전문 마사지숍에서 시술받는 경우엔 사전에 시술 범위를 명확하게 고지한 뒤 동의서를 받는다면 불필요한 논란을 줄일 수 있다"며 "일상에서 마사지를 해주거나 받을 땐 당시 상황을 녹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대화 당사자 간 녹취는 동의가 없어도 불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피해자 역시 무고로 억울하게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선 신속한 신고와 함께 피의자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확보가 중요하다. 한 변호사는 "강제 추행으로 신고해도 실제 재판은 최소 6개월 후 진행되므로 이후 증언에서 당시 상황이 헷갈릴 수 있다"며 "사전에 여러 방식으로 증거를 남겨야 한다"고 강조했다.한 변호사는 "피해를 본 즉시 지인, 친구 등에 당시 상황을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로 남겨 놓거나, 혹시 성 상담을 받았다면 일지를 확보해놓는 것도 증언의 증거 능력을 키우는 방법"이라며 "다만 '사회 통념' 수준에서의 수치심이란 점을 명심하고 법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성적 수치심 들면 성희롱?…법적 기준 뜯어보니 [법알못]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8-19
성적 수치심 들면 성희롱?…법적 기준 뜯어보니 [법알못]
성적 수치심 들면 성희롱?…법적 기준 뜯어보니 [법알못]
시술 중 피해자 '성적 수치심' 느꼈는지 여부"진술 일관성 전제 돼야 증거 능력 인정 가능"'수치심' 기준도 '사회 통념'상 용인되는 수준'시술 범위' 사전 합의해야 법적 다툼 피한다 지난달 전통 무용가이자 한복 디자이너인 한 남성이 자신의 동성 고등학생 제자를 성추행해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아청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다. 그의 제자는 검찰 진술에서 "(가해자가) 마사지를 해준다는 핑계로 본인의 속옷 안으로 손을 넣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마사지 시술을 핑계로 성추행 범죄를 저지르는 사건이 지속해서 발생하면서, 두 행위를 가르는 법적 기준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피의자와 피해자 모두 억울한 경우를 막기 위해선 무엇보다 '고의성' 여부를 사전에 증거로 남기는 행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피해자 '성적 수치심'이 유일 증거? 과장된 것"동의서·녹취 통해 '시술 범위' 사전에 합의해야 치료 혹은 미용 목적으로 진행되는 마사지는 신체 접촉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성추행과 구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 시술 과정에서 옷을 일부 벗어야 하는 경우도 있어 보통 시술실 내부엔 폐쇄회로(CC)TV가 없고 주변 목격자도 찾기 어렵다.2002년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흔히 '성추행'이라고 일컬어지는 신체 접촉은 형법 제298조로 처벌한다. 해당 조항은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하여 추행을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한다. 대법원은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이 신체에 가해지는 것 역시 '기습 추행'이란 용어로 해당 법률에 저촉한다고 보고 있다.만약 강제 추행 피해자의 나이가 미성년자일 경우엔 아청법 제7조 제3항을 적용해 2년 이상의 유기 징역 또는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또 같은 법 제20조(공소시효에 관한 특례)에 따라 형사소송법상 공소 시효도 적용하지 않는다.보통 마사지 등 신체 접촉이 강제 추행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피해자가 느낀 '성적 수치심'이 기준이 된다고 알려졌지만, 전문가들은 법리 해석이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 주관성이 크게 개입하는 만큼, 반드시 일관된 진술이 있어야 재판에서 성적 수치심이 인정될 수 있단 설명이다.실제로 지난 2020년 법원은 경기도 성남의 한 운동 센터에서 발생한 강제 추행 사건에서 피해자의 진술 일관성이 부족하단 이유로 운동 관리사인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기도 했다. 그에게 마사지를 받았던 피해자는 접촉한 신체 부위가 진술 과정에서 바뀌면서 성적 수치심을 인정받지 못했다.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범죄에서 흔히 피해자가 무조건 중심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법원은 일반 수준의 사회 통념을 가진 '일반인' 기준에서 성적 수치심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따진다"며 "성범죄 재판에서 '피해자의 눈물이 증거다'란 식으로 알려진 것은 과장된 것"이라고 강조했다.한병철 법무법인 대한중앙 변호사는 "물론 피해자가 느낀 수치심이 기소 단계에서 경찰 등 수사관의 주요 판단 기준이 되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재판에 들어가면 수많은 자료와 전후 맥락을 파악하고 거짓말 탐지기까지 동원되기도 한다. 법원도 증언을 유일 증거로 인정하던 과거와 달리 경위도 정확하게 살피려는 경향이 강해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재판에서 마사지 시술과 강제 추행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은 '고의성' 여부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피의자와 피해자 간 법적 다툼을 방지하기 위해선 마사지의 시술 범위를 사전에 구체적으로 합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한병철 변호사는 "전문 마사지숍에서 시술받는 경우엔 사전에 시술 범위를 명확하게 고지한 뒤 동의서를 받는다면 불필요한 논란을 줄일 수 있다"며 "일상에서 마사지를 해주거나 받을 땐 당시 상황을 녹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대화 당사자 간 녹취는 동의가 없어도 불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피해자 역시 무고로 억울하게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선 신속한 신고와 함께 피의자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확보가 중요하다. 한 변호사는 "강제 추행으로 신고해도 실제 재판은 최소 6개월 후 진행되므로 이후 증언에서 당시 상황이 헷갈릴 수 있다"며 "사전에 여러 방식으로 증거를 남겨야 한다"고 강조했다.한 변호사는 "피해를 본 즉시 지인, 친구 등에 당시 상황을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로 남겨 놓거나, 혹시 성 상담을 받았다면 일지를 확보해놓는 것도 증언의 증거 능력을 키우는 방법"이라며 "다만 '사회 통념' 수준에서의 수치심이란 점을 명심하고 법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성적 수치심 들면 성희롱?…법적 기준 뜯어보니 [법알못]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8-19
티메프 채권단 체급 커지자…대형로펌도 참전
티메프 채권단 체급 커지자…대형로펌도 참전
자구안 놓고 법리다툼 전망광장·린·대륜·화현, 소송대리 나서태평양, 회생 전문 변호사 내세워채권자협의회에 법률 자문 제공지평은 '티메프 기업회생' 지원로펌들, 30일 회생 협의회 전까지자구안 실효성 놓고 대결 예고 법정으로 옮겨 온 ‘티메프’(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주요 로펌 간 법리 싸움으로 이어지고 있다. 티메프의 자율구조조정지원(ARS)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구조조정안을 두고 티메프와 협상을 벌일 채권자협의회가 구성되자 법무법인 태평양·광장 등 대형 로펌이 속속 뛰어들며 채권단 내 본격적인 줄다리기를 예고하고 있다.이미지 크게보기지평 vs 광장·태평양·린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비공개로 열린 1차 채권자협의회를 앞두고 법무법인 광장, 린, 대륜, 화현 등이 채권자 소송대리인 자격으로 위임장을 냈다. 린, 대륜 등은 사태 초기부터 전담 센터, 태스크포스(TF) 등을 출범시켜 피해 입점 업체 및 개인과 소통해오던 로펌이다. 대기업 채권단은 광장 같은 대형 로펌을 선임하며 가세했다. 태평양 등은 채권자 대리인 입장에서 의견서를 제출했다. 정식으로 소송 대리를 맡지는 않았더라도 채권자에게 법률 자문을 제공하면서 채권자 이익을 대변하고 있다는 의미다. 태평양은 한준성 전 하나은행 부행장이 이끄는 ‘미래금융전략센터’ 소속 회생 전문 변호사들이 채권자협의회에 소속된 채권자 여럿을 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현재 티몬 쪽 채권단은 SC제일은행, 시몬느자산운용 등으로, 위메프 쪽 채권단은 SC제일은행, 한국문화진흥 등으로 구성돼 있다. 채권자가 워낙 많아 앞으로 더 많은 로펌이 합류할 가능성이 크다.채무자인 티메프는 7월 29일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법무법인 지평을 선임했다. 지평은 예전부터 티메프 모기업 큐텐그룹의 법률 자문을 맡아왔다. 지평 대리인단 중에선 장품 변호사(사법연수원 39기)와 서동천 변호사(변시 2회)가 기업회생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다만 지평은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공동대표이사 등 경영진에 대한 형사 고소·고발 대리는 맡지 않을 방침이다. 구 대표의 형사사건 대응은 별도로 법무법인 화우가 맡는 것으로 전해졌다. ‘평등의 원칙’ 내세운 회생법원장티메프는 1차 채권자협의회에서 피해 금액이 200만원 이하인 소액 채권자 10만 명(티몬 4만 명, 위메프 6만 명)을 우선 변제 대상으로 하는 자구안을 제출했으나 법원이 사실상 거부했다. 안병욱 서울회생법원장은 회생 절차상 ‘평등의 원칙’을 들어 비판적 견해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법원장은 협의회에서 “똑같은 채권인데 소액이라는 이유로 먼저 변제받고, 거액 채권자는 변제받지 못하거나 변제 시점이 늦어지는 것은 평등의 원칙에 반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오는 30일 2차 협의회 전까지 자구안의 실효성을 둘러싸고 로펌 간 두뇌 싸움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티메프는 법원과 채권자의 지적을 받아들여 회사 정상화 방안을 우선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채권자들은 이달 말까지 투자 자금 확보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피해 업체를 대리하는 한 변호사는 “충분한 자금을 투입해줄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신규 법인 설립도, 회생 계획도 모두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협의회 구성원으로 선정되지 못한 채권자들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중소벤처기업부를 상대로 행정부작위·행정입법부작위 헌법소원 제기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전문보기] - 티메프 채권단 체급 커지자…대형로펌도 참전(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8-19
티메프 채권단 체급 커지자…대형로펌도 참전
티메프 채권단 체급 커지자…대형로펌도 참전
자구안 놓고 법리다툼 전망광장·린·대륜·화현, 소송대리 나서태평양, 회생 전문 변호사 내세워채권자협의회에 법률 자문 제공지평은 '티메프 기업회생' 지원로펌들, 30일 회생 협의회 전까지자구안 실효성 놓고 대결 예고 법정으로 옮겨 온 ‘티메프’(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주요 로펌 간 법리 싸움으로 이어지고 있다. 티메프의 자율구조조정지원(ARS)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구조조정안을 두고 티메프와 협상을 벌일 채권자협의회가 구성되자 법무법인 태평양·광장 등 대형 로펌이 속속 뛰어들며 채권단 내 본격적인 줄다리기를 예고하고 있다.이미지 크게보기지평 vs 광장·태평양·린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비공개로 열린 1차 채권자협의회를 앞두고 법무법인 광장, 린, 대륜, 화현 등이 채권자 소송대리인 자격으로 위임장을 냈다. 린, 대륜 등은 사태 초기부터 전담 센터, 태스크포스(TF) 등을 출범시켜 피해 입점 업체 및 개인과 소통해오던 로펌이다. 대기업 채권단은 광장 같은 대형 로펌을 선임하며 가세했다. 태평양 등은 채권자 대리인 입장에서 의견서를 제출했다. 정식으로 소송 대리를 맡지는 않았더라도 채권자에게 법률 자문을 제공하면서 채권자 이익을 대변하고 있다는 의미다. 태평양은 한준성 전 하나은행 부행장이 이끄는 ‘미래금융전략센터’ 소속 회생 전문 변호사들이 채권자협의회에 소속된 채권자 여럿을 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현재 티몬 쪽 채권단은 SC제일은행, 시몬느자산운용 등으로, 위메프 쪽 채권단은 SC제일은행, 한국문화진흥 등으로 구성돼 있다. 채권자가 워낙 많아 앞으로 더 많은 로펌이 합류할 가능성이 크다.채무자인 티메프는 7월 29일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법무법인 지평을 선임했다. 지평은 예전부터 티메프 모기업 큐텐그룹의 법률 자문을 맡아왔다. 지평 대리인단 중에선 장품 변호사(사법연수원 39기)와 서동천 변호사(변시 2회)가 기업회생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다만 지평은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공동대표이사 등 경영진에 대한 형사 고소·고발 대리는 맡지 않을 방침이다. 구 대표의 형사사건 대응은 별도로 법무법인 화우가 맡는 것으로 전해졌다. ‘평등의 원칙’ 내세운 회생법원장티메프는 1차 채권자협의회에서 피해 금액이 200만원 이하인 소액 채권자 10만 명(티몬 4만 명, 위메프 6만 명)을 우선 변제 대상으로 하는 자구안을 제출했으나 법원이 사실상 거부했다. 안병욱 서울회생법원장은 회생 절차상 ‘평등의 원칙’을 들어 비판적 견해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법원장은 협의회에서 “똑같은 채권인데 소액이라는 이유로 먼저 변제받고, 거액 채권자는 변제받지 못하거나 변제 시점이 늦어지는 것은 평등의 원칙에 반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오는 30일 2차 협의회 전까지 자구안의 실효성을 둘러싸고 로펌 간 두뇌 싸움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티메프는 법원과 채권자의 지적을 받아들여 회사 정상화 방안을 우선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채권자들은 이달 말까지 투자 자금 확보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피해 업체를 대리하는 한 변호사는 “충분한 자금을 투입해줄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신규 법인 설립도, 회생 계획도 모두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협의회 구성원으로 선정되지 못한 채권자들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중소벤처기업부를 상대로 행정부작위·행정입법부작위 헌법소원 제기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전문보기] - 티메프 채권단 체급 커지자…대형로펌도 참전(바로가기)
월요신문
2024-08-19
[칼럼] 안락한 죽음의 방향
[칼럼] 안락한 죽음의 방향
한 홍콩 변호사님으로부터 한국의 '사전의료지시'(Medical Directive) 제도는 어떠한 지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 홍콩의 사전 의료지시제도의 제도화를 연구 중이시라고 한다. 이는 환자가 의료 결정을 내릴 수 없는 때를 대비해 관련 결정을 미리 작성하는 것으로 연명치료중단 의사에 관한 것도 포함한다. 즉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제도로 안락사의 일종인 것이다.안락사는 크게 네 종류로 구별된다. 한 축에는 적극적, 소극적, 다른 축에는 타인, 자신이 있다. 즉, 적극적으로 타인이, 적극적으로 자신이, 소극적으로 타인이, 소극적으로 자신이 죽음을 택하는 것이다.우리나라는 2017년 '연명의료결정법'이 최초 시행되어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나 '타인에 의한 소극적 안락사'에 한하여 허용되고 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르면, 의학적으로 회생 가능성이 없고 사망에 임박한 상태인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에 한하여 임종과정의 기간만 무의미하게 연장하는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등 조치를 중단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에도 환자가 사전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즉, 위 사전의료지시서와 같은 것이다)를 담당 기관에 등록하거나 환자의 가족이 엄격한 절차를 거쳐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요건을 다 충족하기는 까다로우면서도 요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 모호한 영역이 많다. 가령, 현실에서는 어떤 환자가 임종과정에 있는지, 단순히 '말기환자'인지에 대한 판단이 쟁점이 될 수가 있다.그런데 2022년 서울대병원에서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에서 국민의 76.3%가 '안락사'에 찬성하였다고 한다. 찬성의 구체적인 이유는 '남은 삶의 무의미' 30.8%, '존엄한 죽음에 대한 권리' 26.0%, '고통의 경감' 20.6%, '가족 고통과 부담' 14.8%, '의료비 및 돌봄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 4.6%이다. 또한 2023년 서울신문과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81%가 '의사조력사망'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반대는 6.7%에 불과하였다. 찬성의 이유는 '자기 결정권 보장' 29.0%, '병으로 인한 고통 경감' 27.7%, '편안한 임종' 23.1%, '가족의 정신적 · 경제적 부담 경감' 18.0%, '사회적 부담 경감' 2.1%였다.이와 같은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론은 현재 안락사에 대해 긍정적이다. 물론 설문조사의 표본, 신뢰도 등에 따라 실제 여론은 이와 다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여론은 서울대병원의 설문조사의 찬성의 이유가 자기결정권보다 '남은 삶의 무의미'가 높은 점에서 안락사 논의의 본질인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에 대해 심사숙고하게 생각하지 않은 결과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 사회가 안락한 죽음에 대한 결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실제로 연명의료결정제도가 도입된 2018년부터 2022년 5월까지 이미 총 92만 4,271건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등록된 점에서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결국, 우리 사회는 안락사 허용 범위를 넓혀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궁극적으로는 그렇게 될 것이다. 다만 그 한계와 시기의 문제일 뿐이다. 지난 7월에는 '조력존엄사법'(제정안)이 발의되었다. 말기 환자가 죽을 시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법이다. 기존의 연명치료중단 제도보다 환자의 죽음에 대한 선택권을 넓히려는 시도이다.물론 소극적이든 적극적이든 안락사 또는 존엄사의 제도화에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자신의 진정한 의사가 아닐 수도 있고, 의료비 부족이나 가족의 눈치로 인한 경제적 · 심리적 압박에 의해 안락사를 선택할 가능성도 있으며, 그 외 제도를 남용 · 악용할 수도 있다는 여러 문제점이 남아있다. 이제 안락사 허부 논의는 그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일 것이다.누구든 자신의 선택으로 태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개인의 삶을 스스로 영위할 선택권이 존중되는 이 사회에서, 자신의 삶의 완결에 대한 선택도 존중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 '존중'이란 무엇일지 생각할 시간을 가져본다.[기사전문보기] - [칼럼] 안락한 죽음의 방향(바로가기)
월요신문
2024-08-19
[칼럼] 안락한 죽음의 방향
[칼럼] 안락한 죽음의 방향
한 홍콩 변호사님으로부터 한국의 '사전의료지시'(Medical Directive) 제도는 어떠한 지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 홍콩의 사전 의료지시제도의 제도화를 연구 중이시라고 한다. 이는 환자가 의료 결정을 내릴 수 없는 때를 대비해 관련 결정을 미리 작성하는 것으로 연명치료중단 의사에 관한 것도 포함한다. 즉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제도로 안락사의 일종인 것이다.안락사는 크게 네 종류로 구별된다. 한 축에는 적극적, 소극적, 다른 축에는 타인, 자신이 있다. 즉, 적극적으로 타인이, 적극적으로 자신이, 소극적으로 타인이, 소극적으로 자신이 죽음을 택하는 것이다.우리나라는 2017년 '연명의료결정법'이 최초 시행되어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나 '타인에 의한 소극적 안락사'에 한하여 허용되고 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르면, 의학적으로 회생 가능성이 없고 사망에 임박한 상태인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에 한하여 임종과정의 기간만 무의미하게 연장하는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등 조치를 중단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에도 환자가 사전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즉, 위 사전의료지시서와 같은 것이다)를 담당 기관에 등록하거나 환자의 가족이 엄격한 절차를 거쳐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요건을 다 충족하기는 까다로우면서도 요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 모호한 영역이 많다. 가령, 현실에서는 어떤 환자가 임종과정에 있는지, 단순히 '말기환자'인지에 대한 판단이 쟁점이 될 수가 있다.그런데 2022년 서울대병원에서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에서 국민의 76.3%가 '안락사'에 찬성하였다고 한다. 찬성의 구체적인 이유는 '남은 삶의 무의미' 30.8%, '존엄한 죽음에 대한 권리' 26.0%, '고통의 경감' 20.6%, '가족 고통과 부담' 14.8%, '의료비 및 돌봄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 4.6%이다. 또한 2023년 서울신문과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81%가 '의사조력사망'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반대는 6.7%에 불과하였다. 찬성의 이유는 '자기 결정권 보장' 29.0%, '병으로 인한 고통 경감' 27.7%, '편안한 임종' 23.1%, '가족의 정신적 · 경제적 부담 경감' 18.0%, '사회적 부담 경감' 2.1%였다.이와 같은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론은 현재 안락사에 대해 긍정적이다. 물론 설문조사의 표본, 신뢰도 등에 따라 실제 여론은 이와 다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여론은 서울대병원의 설문조사의 찬성의 이유가 자기결정권보다 '남은 삶의 무의미'가 높은 점에서 안락사 논의의 본질인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에 대해 심사숙고하게 생각하지 않은 결과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 사회가 안락한 죽음에 대한 결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실제로 연명의료결정제도가 도입된 2018년부터 2022년 5월까지 이미 총 92만 4,271건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등록된 점에서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결국, 우리 사회는 안락사 허용 범위를 넓혀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궁극적으로는 그렇게 될 것이다. 다만 그 한계와 시기의 문제일 뿐이다. 지난 7월에는 '조력존엄사법'(제정안)이 발의되었다. 말기 환자가 죽을 시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법이다. 기존의 연명치료중단 제도보다 환자의 죽음에 대한 선택권을 넓히려는 시도이다.물론 소극적이든 적극적이든 안락사 또는 존엄사의 제도화에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자신의 진정한 의사가 아닐 수도 있고, 의료비 부족이나 가족의 눈치로 인한 경제적 · 심리적 압박에 의해 안락사를 선택할 가능성도 있으며, 그 외 제도를 남용 · 악용할 수도 있다는 여러 문제점이 남아있다. 이제 안락사 허부 논의는 그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일 것이다.누구든 자신의 선택으로 태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개인의 삶을 스스로 영위할 선택권이 존중되는 이 사회에서, 자신의 삶의 완결에 대한 선택도 존중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 '존중'이란 무엇일지 생각할 시간을 가져본다.[기사전문보기] - [칼럼] 안락한 죽음의 방향(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4-08-16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법률 서비스로 지속 성장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법률 서비스로 지속 성장
모든 사건 본사 중심 관리, 고객 만족도 매년 상위권변호사 외 회계사·노무사 등 전문가 적극 영입네트워크 로펌 고질적 문제 '서비스 품질' 개선고객만족센터 운영…고객 피드백 실시간 반영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품질 좋은 법률서비스 제공과 핵심 가치인 고객 중심 경영 실현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16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컨트롤타워인 본사를 중심으로 사건 관리가 이뤄져 각 지역 사무소에서도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법률서비스의 지역 격차를 줄이고 상향 평준화했다.이는 기존 네트워크 로펌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혀온 법률서비스 품질 저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대조적인 행보다.특히, 대륜은 로펌 최초로 지난해 10월부터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면서 고객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에 힘쓰고 있다. 실제 고객의 목소리에 귀기울여 개선해 나가기 위한 목적이다.또한, 체계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종 전문가 영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계사·세무사·노무사를 비롯해 자격을 갖춘 증거조사전문가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전문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선발하고 있다.다만, 법조계 내부에서는 대륜의 고속 성장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규모가 커짐에 따라 법률 서비스 품질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는 우려다.법조계 관계자는 “대륜의 경우 전국 주요 지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어 많은 사건을 수임하고 있다. 광고 역시 적극적으로 하고 있어 영세한 변호사 사무실은 힘을 못 쓰는 상황이다”라며 “네트워크 로펌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성장에 비해 서비스품질이 좋은가’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고자 한다면 품질 제고를 위한 확실한 전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이 같은 우려와 달리 대륜은 원팀 기조를 유지하면서 전국 사무소 협력 시스템을 더욱 공고히해 여타 네트워크 로펌과 다른 행보를 보여 왔다.원팀 시스템이 가능한 이유는 전국 주요 사무소나 분사무소에 해당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판사, 검사 출신 변호사들 및 중심 축이 되는 변호사들이 상주하고 있기 때문이다.이와 함께 올해 초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며, 법원이 있는 서초동 인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일반적인 로펌의 틀을 깬 행보로 주목받기도 했다. 본사 이전은 기업 사건으로 활동 영역을 넓히면서 기업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실행됐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법률시장의 포화로 상대적으로 사건 수임을 많이 하는 로펌들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관계자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개선하고 있다”라며 “대륜은 고객이 시간과 장소를 고민하지 않고 편하게 법률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고객 중심 경영에 소홀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일부에서 나오는 우려의 목소리에 대해 김 대표는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부분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 관리·보수를 진행할 것”이라며 “규모가 커지는 것과 비례해 법률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도 구성원들과 함께 계속해서 고민해 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대륜은 미국 로펌들의 선진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전국 최다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하기 위해 올해 일본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법률 서비스로 지속 성장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원스톱 법률서비스로 법률시장 선도 (바로가기)머니S - "고객만족이 최우선"... 법무법인 대륜, 법률 시장 트렌드 바꾼다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4-08-16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법률 서비스로 지속 성장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법률 서비스로 지속 성장
모든 사건 본사 중심 관리, 고객 만족도 매년 상위권변호사 외 회계사·노무사 등 전문가 적극 영입네트워크 로펌 고질적 문제 '서비스 품질' 개선고객만족센터 운영…고객 피드백 실시간 반영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품질 좋은 법률서비스 제공과 핵심 가치인 고객 중심 경영 실현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16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륜은 컨트롤타워인 본사를 중심으로 사건 관리가 이뤄져 각 지역 사무소에서도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법률서비스의 지역 격차를 줄이고 상향 평준화했다.이는 기존 네트워크 로펌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혀온 법률서비스 품질 저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대조적인 행보다.특히, 대륜은 로펌 최초로 지난해 10월부터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면서 고객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에 힘쓰고 있다. 실제 고객의 목소리에 귀기울여 개선해 나가기 위한 목적이다.또한, 체계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종 전문가 영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계사·세무사·노무사를 비롯해 자격을 갖춘 증거조사전문가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전문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선발하고 있다.다만, 법조계 내부에서는 대륜의 고속 성장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규모가 커짐에 따라 법률 서비스 품질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는 우려다.법조계 관계자는 “대륜의 경우 전국 주요 지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어 많은 사건을 수임하고 있다. 광고 역시 적극적으로 하고 있어 영세한 변호사 사무실은 힘을 못 쓰는 상황이다”라며 “네트워크 로펌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성장에 비해 서비스품질이 좋은가’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고자 한다면 품질 제고를 위한 확실한 전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이 같은 우려와 달리 대륜은 원팀 기조를 유지하면서 전국 사무소 협력 시스템을 더욱 공고히해 여타 네트워크 로펌과 다른 행보를 보여 왔다.원팀 시스템이 가능한 이유는 전국 주요 사무소나 분사무소에 해당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판사, 검사 출신 변호사들 및 중심 축이 되는 변호사들이 상주하고 있기 때문이다.이와 함께 올해 초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며, 법원이 있는 서초동 인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일반적인 로펌의 틀을 깬 행보로 주목받기도 했다. 본사 이전은 기업 사건으로 활동 영역을 넓히면서 기업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실행됐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법률시장의 포화로 상대적으로 사건 수임을 많이 하는 로펌들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관계자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개선하고 있다”라며 “대륜은 고객이 시간과 장소를 고민하지 않고 편하게 법률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고객 중심 경영에 소홀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일부에서 나오는 우려의 목소리에 대해 김 대표는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부분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 관리·보수를 진행할 것”이라며 “규모가 커지는 것과 비례해 법률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도 구성원들과 함께 계속해서 고민해 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대륜은 미국 로펌들의 선진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전국 최다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글로벌 로펌으로 도약하기 위해 올해 일본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아시아경제 - [로펌은 지금]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법률 서비스로 지속 성장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고품질 원스톱 법률서비스로 법률시장 선도 (바로가기)머니S - "고객만족이 최우선"... 법무법인 대륜, 법률 시장 트렌드 바꾼다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4-08-15
강원일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협력관계 업무협약’ 체결
강원일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협력관계 업무협약’ 체결
강원일보 권익보호 위한 체계적 법률서비스 지원 기대대륜 분야별 전문변호인단 맞춤형 법률자문 제공 방침 강원일보의 권익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법률자문 서비스가 지원된다.강원일보(사장:박진오)와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김국일)은 14일 강원일보 회의실에서 ‘법률자문 협력관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강원일보와 임직원들의 업무수행 중 발생하는 법률문제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이 신속하고 정확한 자문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대륜은 강원일보 요청시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관련분야 전문가를 통해 회사의 모든 업무영역에 걸쳐 법률자문을 지원하기로 했다.대륜은 법조경력 20년 이상의 법원·검찰·경찰 출신 변호사단으로 구성된 국내 최고 법무법인이다. 독보적 경력의 분야별 전문변호인단이 의뢰인 권익보호를 위한 맞춤형 법률전략을 세우고 있다. 특히 기업법무, 조세, 금융, 지식재산권, 형사, 민사·손해배상, 증거조사·포렌식, 법률상담 등 총 22개의 분야별 전문센터를 운영해 최적화된 컨설팅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 또 서울본사 및 서울본부를 비롯해 춘천, 원주 등 법무법인 중 가장 많은 전국 40여 개 지점을 보유하며 국내 어디서든 특화된 법률 상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앞으로 도쿄지사, 뉴욕지사 등 해외법인도 설립해 글로벌 법무법인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신문사와의 법률자문 업무협약은 처음인데 강원일보와의 상생협력이 대륜의 지역 법률서비스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박진오 강원일보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이 강원일보는 전국 최고의 일간지로, 대륜은 세계 일류 법무법인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강원일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협력관계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강원일보
2024-08-15
강원일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협력관계 업무협약’ 체결
강원일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협력관계 업무협약’ 체결
강원일보 권익보호 위한 체계적 법률서비스 지원 기대대륜 분야별 전문변호인단 맞춤형 법률자문 제공 방침 강원일보의 권익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법률자문 서비스가 지원된다.강원일보(사장:박진오)와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김국일)은 14일 강원일보 회의실에서 ‘법률자문 협력관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강원일보와 임직원들의 업무수행 중 발생하는 법률문제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이 신속하고 정확한 자문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대륜은 강원일보 요청시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관련분야 전문가를 통해 회사의 모든 업무영역에 걸쳐 법률자문을 지원하기로 했다.대륜은 법조경력 20년 이상의 법원·검찰·경찰 출신 변호사단으로 구성된 국내 최고 법무법인이다. 독보적 경력의 분야별 전문변호인단이 의뢰인 권익보호를 위한 맞춤형 법률전략을 세우고 있다. 특히 기업법무, 조세, 금융, 지식재산권, 형사, 민사·손해배상, 증거조사·포렌식, 법률상담 등 총 22개의 분야별 전문센터를 운영해 최적화된 컨설팅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 또 서울본사 및 서울본부를 비롯해 춘천, 원주 등 법무법인 중 가장 많은 전국 40여 개 지점을 보유하며 국내 어디서든 특화된 법률 상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앞으로 도쿄지사, 뉴욕지사 등 해외법인도 설립해 글로벌 법무법인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신문사와의 법률자문 업무협약은 처음인데 강원일보와의 상생협력이 대륜의 지역 법률서비스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박진오 강원일보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이 강원일보는 전국 최고의 일간지로, 대륜은 세계 일류 법무법인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강원일보-법무법인 대륜 ‘법률자문 협력관계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8-13
"왠지 소름 돋아요"…3개월차 신입, 퇴사 고민 빠진 이유가 [법알못]
"왠지 소름 돋아요"…3개월차 신입, 퇴사 고민 빠진 이유가 [법알못]
3개월차 신입 직원 하소연한 이유"동의서 받았으면 끝?"…'직원 PC 감시' 위법성 없나'화면 녹화식'으로 카톡 등 메신저 확인시"정통망법 상 '비밀 침해' 저촉 가능성 커"재택근무 용 '카메라 녹화'도 위법성 다분"동의가 능사 아냐…'목적 범위' 꼭 확인" "감시당하면서 근무하는 기분이다. 왠지 소름 돋는다." 회사에 입사한 지 3개월째라고 밝힌 누리꾼 A씨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직원 컴퓨터 화면을 이렇게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회사가 있느냐"고 토로했다. 그는 "개인용 컴퓨터(PC) 내 모든 파일은 물론 카카오톡 채팅 공유까지 해야 한다"며 "이 회사를 계속 다녀야 할지 고민"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새로운 형태의 근무 환경으로 떠오르면서 직원들의 PC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다만 효과적인 근태 관리와 보안 유지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능이 사생활 침해 등 현행법에 저촉될 여지가 크단 지적이 나온다."편법적인 '메신저 감시'에 이용될 가능성 커"재택근무용 '카메라 녹화' 기능도 위법성 논란업무 시간에 PC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녹화 및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직원 동의만 받으면 현행법상 운영이 가능하지만, 문제는 바로 직원이 사용하는 개인 메신저다. 화면 중계를 통해 개인 메신저 내용이 실시간으로 노출될 경우 정보통신망법 제49조(비밀 등의 보호)에 저촉될 수 있어서다. 해당 조항은 정보통신망에 의해 처리·보관 또는 전송되는 타인의 비밀을 침해·도용·누설해선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만약 이를 어길 시 같은 법 제71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실제로 A 모니터링 업체의 경우 홈페이지에 대놓고 직원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등 메신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모두 실시간 화면 녹화를 통해서다. 이에 대해 해당 업체 관계자는 "설정을 통해 특정 메신저를 '음영 처리'할 수 있다"면서도 "그 권한은 관리자에 있다"고 밝혔다. 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회사가 직원의 비위 사실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나중에 '업무상 대화'를 확인해보는 것은 당연히 합법적"이라면서도 "다만 실시간 화면 녹화에 찍힌 당시 메신저 대화가 개인 목적인지 여부를 바로 판단하기 어렵다. 사실상 개인 대화 감청에 해당할 소지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병준 법무법인 인과율 변호사도 "직접 메신저 프로그램 서버를 통해 대화를 확인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다 보니 화면 녹화 식 모니터링이 자리 잡은 것 같다"며 "편법적인 메신저 대화 감시는 분명 위법적인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최근 재택근무가 늘면서 근태, 업무 태도 등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생긴 '카메라 녹화' 기능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회사는 해당 기능을 통해 별도의 화상 카메라나 노트북에 기본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재택근무 중인 직원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기능에 쓰이는 카메라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2조에 따라 영상정보처리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견해다. 앞서 유명 반려동물 조련사 강형욱 씨도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에서 흔히 폐쇄회로(CC)TV로 불리는 영상정보처리기기를 통해 직원을 감시했다는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최현덕 변호사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카메라 녹화 기능은 이동형 CCTV로 해석될 수 있다"며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 제2항에 따르면 이 같은 기기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할 때 사생활이 침해되는 영역에 설치가 금지된다. '집안'은 사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설령 모니터링에 동의했다고 하더라도 프로그램이 실제 목적상 사용 범위에 따라 운용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2009년 대법원은 직원이 동의한 상황이라도 회사가 메신저 및 이메일 등을 확인하려면 범죄 혐의를 구체적·합리적으로 의심할 수 있는 상황과 목적의 정당성이 존재해야 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 최 변호사는 "직원 감시의 형태·범위 등이 논란인 상황에서 최근 하급심 결과를 보면 기본적으로 법원은 개인 정보 열람 및 유출에 점차 엄격해지고 있다"며 "동의 해줬다고 하더라도 근태 관리, 보안 유지 등 개인정보 수집 목적에 정확하게 맞는 범위에서 프로그램이 사용됐는지 여부를 꼼꼼히 따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당 문제는 법조계에서도 아직 팽팽한 논쟁이 계속되는 사안"이라며 "실시간 녹화 식 프로그램 등 신기술을 이용한 직원 감시와 관련한 대법원 판례가 쌓이면 보다 더 명확한 법적 기준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왠지 소름 돋아요"…3개월차 신입, 퇴사 고민 빠진 이유가 [법알못]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8-13
"왠지 소름 돋아요"…3개월차 신입, 퇴사 고민 빠진 이유가 [법알못]
"왠지 소름 돋아요"…3개월차 신입, 퇴사 고민 빠진 이유가 [법알못]
3개월차 신입 직원 하소연한 이유"동의서 받았으면 끝?"…'직원 PC 감시' 위법성 없나'화면 녹화식'으로 카톡 등 메신저 확인시"정통망법 상 '비밀 침해' 저촉 가능성 커"재택근무 용 '카메라 녹화'도 위법성 다분"동의가 능사 아냐…'목적 범위' 꼭 확인" "감시당하면서 근무하는 기분이다. 왠지 소름 돋는다." 회사에 입사한 지 3개월째라고 밝힌 누리꾼 A씨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직원 컴퓨터 화면을 이렇게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회사가 있느냐"고 토로했다. 그는 "개인용 컴퓨터(PC) 내 모든 파일은 물론 카카오톡 채팅 공유까지 해야 한다"며 "이 회사를 계속 다녀야 할지 고민"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새로운 형태의 근무 환경으로 떠오르면서 직원들의 PC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다만 효과적인 근태 관리와 보안 유지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능이 사생활 침해 등 현행법에 저촉될 여지가 크단 지적이 나온다."편법적인 '메신저 감시'에 이용될 가능성 커"재택근무용 '카메라 녹화' 기능도 위법성 논란업무 시간에 PC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녹화 및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직원 동의만 받으면 현행법상 운영이 가능하지만, 문제는 바로 직원이 사용하는 개인 메신저다. 화면 중계를 통해 개인 메신저 내용이 실시간으로 노출될 경우 정보통신망법 제49조(비밀 등의 보호)에 저촉될 수 있어서다. 해당 조항은 정보통신망에 의해 처리·보관 또는 전송되는 타인의 비밀을 침해·도용·누설해선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만약 이를 어길 시 같은 법 제71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실제로 A 모니터링 업체의 경우 홈페이지에 대놓고 직원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등 메신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모두 실시간 화면 녹화를 통해서다. 이에 대해 해당 업체 관계자는 "설정을 통해 특정 메신저를 '음영 처리'할 수 있다"면서도 "그 권한은 관리자에 있다"고 밝혔다. 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회사가 직원의 비위 사실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나중에 '업무상 대화'를 확인해보는 것은 당연히 합법적"이라면서도 "다만 실시간 화면 녹화에 찍힌 당시 메신저 대화가 개인 목적인지 여부를 바로 판단하기 어렵다. 사실상 개인 대화 감청에 해당할 소지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병준 법무법인 인과율 변호사도 "직접 메신저 프로그램 서버를 통해 대화를 확인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다 보니 화면 녹화 식 모니터링이 자리 잡은 것 같다"며 "편법적인 메신저 대화 감시는 분명 위법적인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최근 재택근무가 늘면서 근태, 업무 태도 등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생긴 '카메라 녹화' 기능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회사는 해당 기능을 통해 별도의 화상 카메라나 노트북에 기본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재택근무 중인 직원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기능에 쓰이는 카메라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2조에 따라 영상정보처리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견해다. 앞서 유명 반려동물 조련사 강형욱 씨도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에서 흔히 폐쇄회로(CC)TV로 불리는 영상정보처리기기를 통해 직원을 감시했다는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최현덕 변호사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카메라 녹화 기능은 이동형 CCTV로 해석될 수 있다"며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 제2항에 따르면 이 같은 기기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할 때 사생활이 침해되는 영역에 설치가 금지된다. '집안'은 사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설령 모니터링에 동의했다고 하더라도 프로그램이 실제 목적상 사용 범위에 따라 운용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2009년 대법원은 직원이 동의한 상황이라도 회사가 메신저 및 이메일 등을 확인하려면 범죄 혐의를 구체적·합리적으로 의심할 수 있는 상황과 목적의 정당성이 존재해야 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 최 변호사는 "직원 감시의 형태·범위 등이 논란인 상황에서 최근 하급심 결과를 보면 기본적으로 법원은 개인 정보 열람 및 유출에 점차 엄격해지고 있다"며 "동의 해줬다고 하더라도 근태 관리, 보안 유지 등 개인정보 수집 목적에 정확하게 맞는 범위에서 프로그램이 사용됐는지 여부를 꼼꼼히 따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당 문제는 법조계에서도 아직 팽팽한 논쟁이 계속되는 사안"이라며 "실시간 녹화 식 프로그램 등 신기술을 이용한 직원 감시와 관련한 대법원 판례가 쌓이면 보다 더 명확한 법적 기준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왠지 소름 돋아요"…3개월차 신입, 퇴사 고민 빠진 이유가 [법알못]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2곳
2024-08-13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대학교 재학생 대상 20명 선발서면 초안 작성·판례 연구 등 운영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제1기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12일 개최된 발대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박동일 대표, 정찬우 대표, 심재국 의장 등이 참석했다. 제1기 대학생 서포터즈에는 대학생 20명이 홍보 서포터즈로 임명됐으며, 3주간 법무법인 대륜 홍보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법률 전문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원자를 모집했다. 발대식에서 임명된 20명의 서포터즈는 △홍보 콘텐츠 제작 △서면 초안 작성 연습 △실제 사례와 판례 연구 △승소 판례 및 최신 판례 등의 블로그 포스팅 △재판 참관 △변호사 인터뷰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해 법률 전문성을 키울 예정이다. 특히 LEET 시험, 체력관리 노하우, 시간관리 전략, 로펌 선택 기준에 대한 지도 등 전문변호사 멘토링을 통해 법률전문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들에 기회의 장이 될 전망이다. 제1기 대학생 서포터즈 전원에게 소정의 활동비가 지급되며 활동 종료 후 수료증 발급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프로그램 참여도, 활동 우수자에 한해 최우수 활동자 선발해 우수 수료증을 발급할 예정이다.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1기로 선발된 서포터즈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법조계를 이끌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이번 프로그램을 개최하게 됐다.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현장 경험과 이론 학습을 결합해 법률 전문가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법무법인 대륜은 법률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전국에 39개 분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전국 어디서든 균일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2곳
2024-08-13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대학교 재학생 대상 20명 선발서면 초안 작성·판례 연구 등 운영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제1기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12일 개최된 발대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박동일 대표, 정찬우 대표, 심재국 의장 등이 참석했다. 제1기 대학생 서포터즈에는 대학생 20명이 홍보 서포터즈로 임명됐으며, 3주간 법무법인 대륜 홍보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법률 전문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원자를 모집했다. 발대식에서 임명된 20명의 서포터즈는 △홍보 콘텐츠 제작 △서면 초안 작성 연습 △실제 사례와 판례 연구 △승소 판례 및 최신 판례 등의 블로그 포스팅 △재판 참관 △변호사 인터뷰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해 법률 전문성을 키울 예정이다. 특히 LEET 시험, 체력관리 노하우, 시간관리 전략, 로펌 선택 기준에 대한 지도 등 전문변호사 멘토링을 통해 법률전문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들에 기회의 장이 될 전망이다. 제1기 대학생 서포터즈 전원에게 소정의 활동비가 지급되며 활동 종료 후 수료증 발급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프로그램 참여도, 활동 우수자에 한해 최우수 활동자 선발해 우수 수료증을 발급할 예정이다.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1기로 선발된 서포터즈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법조계를 이끌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이번 프로그램을 개최하게 됐다.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현장 경험과 이론 학습을 결합해 법률 전문가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법무법인 대륜은 법률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전국에 39개 분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전국 어디서든 균일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대학생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바로가기)
서울신문
2024-08-13
줄 서는 ‘무상’ 소방교육, 돈 내면 즉각 출동… ‘안전’ 파는 소방관
줄 서는 ‘무상’ 소방교육, 돈 내면 즉각 출동… ‘안전’ 파는 소방관
일부, 외부 강의 유도해 강의료 수수2시간 15만원 제안하자 바로 수락소방청 “강의 신고하면 문제 없어”법조계 “미신고 땐 직무 관련 대가성”“내부규정 강화로 강의 유도 막아야” 서울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김모(55)씨는 ‘출장 소방안전교육’을 받고자 서울의 한 소방서에 문의했다가 예년과 달리 “비용을 내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다. 그동안 무상으로 교육받아 왔던 김씨가 정확한 비용을 묻자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책정해 달라”는 답이 돌아왔다. 결국 김씨는 2시간 강의에 15만원을 제안했고 소방서에선 바로 수락했다.12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일부 소방관들이 무상으로 진행해야 하는 출장 소방안전교육을 외부 강의 방식의 교육으로 유도해 강의 비용을 챙기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무상 교육을 받으려면 대기하거나 일정 조율이 필요하다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소방청은 “청탁금지법에 정해진 금액 이상으로는 강의 비용을 받지 않으며, 강의 이후 신고만 하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교육은 무상이 원칙인 데다 화재 대피법과 심폐소생술 등 안전과 직결된 내용인 만큼 악용 소지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소방청에 따르면 일선 소방서에서는 3~4명 규모로 교육팀을 꾸려 출장 소방안전교육 등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출장 소방안전교육은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안전교육은 아니지만 대피 훈련 등 실질적인 화재 대응법을 익힐 수 있어 수요가 높다. 서울소방재난본부만 봐도 2022년 22만 1115명, 지난해 39만 1161명이 교육을 받았다.소방청은 “기본적으로 출장 소방안전교육은 무상으로 진행되지만, 외부 강의 등 요청을 받았을 경우에는 12일 이내 신고하면 된다”며 “강의비는 청탁금지법에 따라 1시간에 40만원 이상, 하루 60만원 이상만 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강의비를 받고 교육한 이후 신고하지 않으면 강의 비용 환수와 함께 주의, 경고, 사이버 교육 이수 등의 조처가 취해진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소방공무원이 소속 기관에 신고도 하지 않고 교육 비용을 요구했다면, 공무원의 성실 의무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강의 신청은 인터넷이 아닌 전화로도 가능한 탓에 신고하지 않은 교육을 잡아 내기는 쉽지 않은 구조다. 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안전교육은 예방 차원에서 소방의 직무로 볼 수 있다”며 “일방적으로 금액을 요구했거나 외부 강의 후 신고하지 않았다면 공직자가 직무 관련 대가성이 있는 돈을 받았다고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소방 안전 전문가들은 내부 규정을 강화해 비용을 내야 하는 강의를 유도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미신고 교육에 대한 징계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봤다. 교육에 대한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조금이라도 돈을 받는 행위는 교육에 대한 신뢰성 하락으로 잘못된 인식을 심어 줄 수 있다”고 했다. 김경진 우석대 산업안전소방학과 교수는 “소방서 차원에서 교육 일정을 일괄적으로 관리해 무상 교육을 우선 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줄 서는 ‘무상’ 소방교육, 돈 내면 즉각 출동… ‘안전’ 파는 소방관 (바로가기)
서울신문
2024-08-13
줄 서는 ‘무상’ 소방교육, 돈 내면 즉각 출동… ‘안전’ 파는 소방관
줄 서는 ‘무상’ 소방교육, 돈 내면 즉각 출동… ‘안전’ 파는 소방관
일부, 외부 강의 유도해 강의료 수수2시간 15만원 제안하자 바로 수락소방청 “강의 신고하면 문제 없어”법조계 “미신고 땐 직무 관련 대가성”“내부규정 강화로 강의 유도 막아야” 서울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김모(55)씨는 ‘출장 소방안전교육’을 받고자 서울의 한 소방서에 문의했다가 예년과 달리 “비용을 내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다. 그동안 무상으로 교육받아 왔던 김씨가 정확한 비용을 묻자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책정해 달라”는 답이 돌아왔다. 결국 김씨는 2시간 강의에 15만원을 제안했고 소방서에선 바로 수락했다.12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일부 소방관들이 무상으로 진행해야 하는 출장 소방안전교육을 외부 강의 방식의 교육으로 유도해 강의 비용을 챙기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무상 교육을 받으려면 대기하거나 일정 조율이 필요하다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소방청은 “청탁금지법에 정해진 금액 이상으로는 강의 비용을 받지 않으며, 강의 이후 신고만 하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교육은 무상이 원칙인 데다 화재 대피법과 심폐소생술 등 안전과 직결된 내용인 만큼 악용 소지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소방청에 따르면 일선 소방서에서는 3~4명 규모로 교육팀을 꾸려 출장 소방안전교육 등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출장 소방안전교육은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안전교육은 아니지만 대피 훈련 등 실질적인 화재 대응법을 익힐 수 있어 수요가 높다. 서울소방재난본부만 봐도 2022년 22만 1115명, 지난해 39만 1161명이 교육을 받았다.소방청은 “기본적으로 출장 소방안전교육은 무상으로 진행되지만, 외부 강의 등 요청을 받았을 경우에는 12일 이내 신고하면 된다”며 “강의비는 청탁금지법에 따라 1시간에 40만원 이상, 하루 60만원 이상만 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강의비를 받고 교육한 이후 신고하지 않으면 강의 비용 환수와 함께 주의, 경고, 사이버 교육 이수 등의 조처가 취해진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소방공무원이 소속 기관에 신고도 하지 않고 교육 비용을 요구했다면, 공무원의 성실 의무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강의 신청은 인터넷이 아닌 전화로도 가능한 탓에 신고하지 않은 교육을 잡아 내기는 쉽지 않은 구조다. 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안전교육은 예방 차원에서 소방의 직무로 볼 수 있다”며 “일방적으로 금액을 요구했거나 외부 강의 후 신고하지 않았다면 공직자가 직무 관련 대가성이 있는 돈을 받았다고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소방 안전 전문가들은 내부 규정을 강화해 비용을 내야 하는 강의를 유도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미신고 교육에 대한 징계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봤다. 교육에 대한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조금이라도 돈을 받는 행위는 교육에 대한 신뢰성 하락으로 잘못된 인식을 심어 줄 수 있다”고 했다. 김경진 우석대 산업안전소방학과 교수는 “소방서 차원에서 교육 일정을 일괄적으로 관리해 무상 교육을 우선 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줄 서는 ‘무상’ 소방교육, 돈 내면 즉각 출동… ‘안전’ 파는 소방관 (바로가기)
로리더
2024-08-09
법원, 군복무 중 공문서 위조해 수차례 휴가 간 20대···‘징역형 선고유예’
법원, 군복무 중 공문서 위조해 수차례 휴가 간 20대···‘징역형 선고유예’
독립기념관 방문확인증, 코로나 양성판정 문자 위조공인회계사 2차 시험 앞둔 수험생울산지법 김정진 부장판사 “초범, 사회생활 이제 시작한 대학생인 점 등 참작” 근무 기피를 목적으로 기록을 위조하고 근무지를 무단이탈한 20대 군인에게 징역형의 선고를 유예한 판결이 나왔다. 울산지방법원 형사8단독 김정진 부장판사는 군형법상 근무기피목적위계, 무단이탈과 형법상 위계공무집행방해, 위작공전자기록등행사 등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 A씨에게 7월 16일 징역 6개월 형의 선고를 유예했다.검찰의 공소사실에 따르면, A씨는 2023년 1월경 근무 기피를 목적으로 기록을 위조하고, 공무집행을 방해하며 무단 이탈한 혐의를 받았다.A씨는 독립기념관을 방문하면 위로휴가를 받을 수 있는 제도를 이용하기로 마음먹고 동료 군인의 방문확인증을 위조해 휴가를 나갔다. 휴가 명령을 받은 사실이 없었던 A씨는 국방인사정보체계 시스템에 접속해 임의로 휴가기간을 입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공무원의 직무집행을 방해하는 범죄를 저질렀다.또한, 같은 해 휴가기간 중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지 않았음에도 허위로 감염 보고를 하고, 부대로 복귀 하지 않아 근무지를 이탈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울산지방법원 김정진 부장판사는 양형이유로 “피고인이 휴가를 받기 위해 독립기념관 방문을 가장하고, 코로나 감염을 가장해 근무지를 무단이탈한 것은 그 죄책이 가볍다고 보기 어렵다”면서도, “피고인이 초범이며 잘못을 반성하고 있고,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대학생인 점, 가족 및 지인들이 선처를 탄원하고 있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다.이 형사재판에서 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진원 변호사는 “피고인은 공인회계사 1차 시험에 합격해 2차 시험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었다. 회계사의 경우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 받고 유예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2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결격사유가 된다”면서, “이런 부분을 선처 받을 수 있도록 변호해 선고유예를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원, 군복무 중 공문서 위조해 수차례 휴가 간 20대···‘징역형 선고유예’ (전문보기)
로리더
2024-08-09
법원, 군복무 중 공문서 위조해 수차례 휴가 간 20대···‘징역형 선고유예’
법원, 군복무 중 공문서 위조해 수차례 휴가 간 20대···‘징역형 선고유예’
독립기념관 방문확인증, 코로나 양성판정 문자 위조공인회계사 2차 시험 앞둔 수험생울산지법 김정진 부장판사 “초범, 사회생활 이제 시작한 대학생인 점 등 참작” 근무 기피를 목적으로 기록을 위조하고 근무지를 무단이탈한 20대 군인에게 징역형의 선고를 유예한 판결이 나왔다. 울산지방법원 형사8단독 김정진 부장판사는 군형법상 근무기피목적위계, 무단이탈과 형법상 위계공무집행방해, 위작공전자기록등행사 등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 A씨에게 7월 16일 징역 6개월 형의 선고를 유예했다.검찰의 공소사실에 따르면, A씨는 2023년 1월경 근무 기피를 목적으로 기록을 위조하고, 공무집행을 방해하며 무단 이탈한 혐의를 받았다.A씨는 독립기념관을 방문하면 위로휴가를 받을 수 있는 제도를 이용하기로 마음먹고 동료 군인의 방문확인증을 위조해 휴가를 나갔다. 휴가 명령을 받은 사실이 없었던 A씨는 국방인사정보체계 시스템에 접속해 임의로 휴가기간을 입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공무원의 직무집행을 방해하는 범죄를 저질렀다.또한, 같은 해 휴가기간 중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지 않았음에도 허위로 감염 보고를 하고, 부대로 복귀 하지 않아 근무지를 이탈했다.이 사건을 심리한 울산지방법원 김정진 부장판사는 양형이유로 “피고인이 휴가를 받기 위해 독립기념관 방문을 가장하고, 코로나 감염을 가장해 근무지를 무단이탈한 것은 그 죄책이 가볍다고 보기 어렵다”면서도, “피고인이 초범이며 잘못을 반성하고 있고,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대학생인 점, 가족 및 지인들이 선처를 탄원하고 있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밝혔다.이 형사재판에서 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진원 변호사는 “피고인은 공인회계사 1차 시험에 합격해 2차 시험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었다. 회계사의 경우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 받고 유예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2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결격사유가 된다”면서, “이런 부분을 선처 받을 수 있도록 변호해 선고유예를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로리더 - 법원, 군복무 중 공문서 위조해 수차례 휴가 간 20대···‘징역형 선고유예’ (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2024-08-06
“구영배 사기·횡령 입증하려면 내부 문건·진술 나와야”
“구영배 사기·횡령 입증하려면 내부 문건·진술 나와야”
檢, 5일 3차 압수수색…재무본부장 휴대전화 확보재무위기 인지 규명 관건…경영진 '고의성' 부인할듯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계열사 간 자금 흐름을 총괄한 재무본부장의 2년 치 통화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 등 경영진의 사기·배임죄를 밝힐 스모킹건이 될지 주목되는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명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내부 문건이나 진술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한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티몬·위메프 전담수사팀(이준동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부터 서울 강남구 큐텐테크놀로지·티몬·위메프 사무실 등 3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3차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지난 1일과 2일 큐텐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지만 미정산 사태 관련 회계 자료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세 차례 압수수색을 통해 이시준 큐텐 그룹 재무본부장 휴대전화를 확보했다고 한다. 이 본부장은 구 대표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검찰은 이 본부장의 구 대표 등 경영진과 통화 내용을 바탕으로 '티메프 미정산 사태' 발생한 경위와 재무상황 변동, 그룹 경영진이 이를 인지한 시점 등을 조사한 뒤 이르면 이번 주중 구 대표를 소환할 방침이다.법조계에서는 모회사인 큐텐 그룹과 티몬·위메프 경영진이 심각한 재무 위기를 언제부터 인식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검찰 수사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본다.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거래 당시 약정된 의무를 이행할 의사와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고의로 상대방을 속여 거래했다는 것이 입증돼야 하기 때문이다.반면 구 대표 등은 이번 사태가 플랫폼 사업 특성상 시장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 투자를 하다 발생한 불가피한 일이었음을 피력하고 있다. 누적된 재무 위기 상황은 알고 있었지만 고의로 속일 의도는 없었다는 취지다. 검찰은 이 같은 논리를 타파하기 위해 다양한 인적·물적 증거를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피해자 측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티몬과 위메프는 자본 잠식 상태로 내실 있는 기업이 아니었다. (재무 위기를) 사전에 알고 있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라면서도 "어느 순간에 인지했는지 보다 객관적인 증거로 입증되기 위해서는 내부 보고 문건이나 내부자 진술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 “구영배 사기·횡령 입증하려면 내부 문건·진술 나와야” (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2024-08-06
“구영배 사기·횡령 입증하려면 내부 문건·진술 나와야”
“구영배 사기·횡령 입증하려면 내부 문건·진술 나와야”
檢, 5일 3차 압수수색…재무본부장 휴대전화 확보재무위기 인지 규명 관건…경영진 '고의성' 부인할듯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계열사 간 자금 흐름을 총괄한 재무본부장의 2년 치 통화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 등 경영진의 사기·배임죄를 밝힐 스모킹건이 될지 주목되는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명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내부 문건이나 진술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한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티몬·위메프 전담수사팀(이준동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부터 서울 강남구 큐텐테크놀로지·티몬·위메프 사무실 등 3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3차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지난 1일과 2일 큐텐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지만 미정산 사태 관련 회계 자료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세 차례 압수수색을 통해 이시준 큐텐 그룹 재무본부장 휴대전화를 확보했다고 한다. 이 본부장은 구 대표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검찰은 이 본부장의 구 대표 등 경영진과 통화 내용을 바탕으로 '티메프 미정산 사태' 발생한 경위와 재무상황 변동, 그룹 경영진이 이를 인지한 시점 등을 조사한 뒤 이르면 이번 주중 구 대표를 소환할 방침이다.법조계에서는 모회사인 큐텐 그룹과 티몬·위메프 경영진이 심각한 재무 위기를 언제부터 인식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검찰 수사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본다.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거래 당시 약정된 의무를 이행할 의사와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고의로 상대방을 속여 거래했다는 것이 입증돼야 하기 때문이다.반면 구 대표 등은 이번 사태가 플랫폼 사업 특성상 시장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 투자를 하다 발생한 불가피한 일이었음을 피력하고 있다. 누적된 재무 위기 상황은 알고 있었지만 고의로 속일 의도는 없었다는 취지다. 검찰은 이 같은 논리를 타파하기 위해 다양한 인적·물적 증거를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피해자 측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는 "티몬과 위메프는 자본 잠식 상태로 내실 있는 기업이 아니었다. (재무 위기를) 사전에 알고 있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라면서도 "어느 순간에 인지했는지 보다 객관적인 증거로 입증되기 위해서는 내부 보고 문건이나 내부자 진술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 “구영배 사기·횡령 입증하려면 내부 문건·진술 나와야” (전문보기)
머니투데이방송
2024-08-06
[이슈체크] 티메프 ARS는 사실상 '불가능'…대안은 딱 하나
[이슈체크] 티메프 ARS는 사실상 '불가능'…대안은 딱 하나
티메프는 왜 ARS(자율구조조정)로 갔나 법원이 티메프(티몬, 위메프)가 신청한 ARS(자율 구조조정 프로그램)에 대해 지난 2일 승인 결정을 내렸습니다. 채권자들과 자율적으로 협의해 구조조정을 할 수 있도록 약 13개월 가량의 시간이 부여된 건데요. 사실상 큐텐그룹이 공중분해된 상황에서 외부투자자를 유치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외에는 뾰족한 생존방안이 없는 상황입니다.■ARS은 사실상 불가능…P플랜 가기 위한 시간 벌기보통 기업이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거나 부채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면 법원에 회생을 신청해 생존을 모색합니다. 보통 회생을 신청하고 절차가 개시되는 데까지 약 한달 정도가 소요되는데요. ARS는 이 시간 간격을 활용하게끔 해주는 제도입니다. 이 기간 동안 기업과 채권자들이 구조조정을 자율적으로 협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죠.아래 표는 ARS 회생절차 흐름도입니다. 기업이 회생 신청 단계에서 ARS 의사를 밝히면 법원이 판단해 ARS 승인 결정을 내립니다. 이 시점부터는 채권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요. 기업은 채무상환 계획 등을 담은 사전계획안을 작성해 채권자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만장일치가 원칙입니다. 동의가 만장일치로 이뤄진다면 ①의 경우처럼 회생신청은 취소되고 사전계획안에 따라 구조조정이 진행됩니다. 채권단 만장일치를 거쳐 ARS에 성공하는 사례는 얼마나 될까요. 2018년 이 제도가 도입된 이후 ARS를 신청한 사례는 총 22곳에 불과했는데요. 이 곳 중 총 10곳이 ARS의 성공사례로 꼽힙니다. 이 기업들의 특징을 종합해보면 '10명 이하의 채권자'가 존재하거나 '소수의 채권자가 채권 대부분을 보유' 하는 경우입니다. 소수의 채권단을 설득해 ARS에 성공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이에 반해 티메프의 합산 채권단은 약 11만명으로 추산됩니다. 이 채권단의 만장일치 동의를 이끌어내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일부 채권자들이 사전계획안에 반대할 경우, ARS는 중단되고 다시 회생절차가 개시됩니다.회생절차 재개가 일반적인 회생 절차 코스를 다시 밟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ARS 기간 중에 마련한 사전계획안에 2분의 1 이상의 채권액을 보유한 채권자들이 동의했다면 법원은 사전계획안에 따라 회생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허가해줍니다. 이를 P플랜이라고 합니다. 이 단계가 위 표에 나와있는 ②번의 경우입니다.현실적으로 티몬과 위메프는 ②번의 경우를 고려할 것으로 보입니다. 11만명에 달하는 채권자 전원의 동의를 구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정인호 기업회생 전문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P플랜으로 넘어갈 경우, ARS 과정에서 작성된 사전계획안이 회생계획안이 되므로 신속한 회생절차를 밟을 수 있다"며 "만장일치가 불가능한 것을 티메프도 알았을 것이고 아마 P플랜을 고려하고 ARS를 신청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ARS 기간이 약 13개월 가량인데 시간을 벌기 위한 조치일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티몬, 위메프는 각자도생 걸을 수밖에 없는 이유 이번 판매 미정산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계열사별 생존 전략은 각자 다릅니다.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는 지난 1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해 K-커머스를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는데요. 10억원 이상 채권을 출자전환 해 판매자가 주주가 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그리고 두 회사 합병시킨 뒤, 합병 법인을 20252026년 상장시키겠다는 목표까지 밝혔죠.하지만 구 대표의 구상안에 대해 내부에서 적잖은 반발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주말 동안 진행된 줌(Zoom) 화상 회의에서 일부 임원들 간 고성이 오갔다는 이야기도 나오고요. 특히 "미정산 판매 대금을 어떻게 정산할지가 초점이 돼야 하는데 주식으로 전환하는 게 근본적인 보상일 수 있겠느냐"고 말한 임원도 있었다고 합니다.이 임원의 말처럼 현재 핵심은 미정산 판매 대금을 어떻게 처리할지입니다. 만약 출자전환을 하게 되면 미정산 대금(채권)은 주식으로 전환되므로 사실상 돈이 묶이게 됩니다. 현금이 급한 셀러들은 반발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구 대표는 20252026년 상장을 하겠다는 목표이지만 가능성은 현저히 낮습니다.류광진 티몬 대표는 구 대표의 K-커머스 구상안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분명히 했습니다. 류 대표는 그동안 "독자적 생존을 티몬 대표로서 모색해야 한다", "M&A나 투자 유치도 염두에 두고 소통하고 있고 노력 중이다", "티몬, 위메프는 합병 찬성을 얻기 힘들고 실현 가능성이 작다" 등 독자 노선을 걷겠다는 뜻을 피력해왔습니다.특히 티몬의 경우, 이번 사태 이전부터 독자 노선을 검토한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업계에 따르면 티몬은 판매 대금 미정산 사태 발생 며칠 전, A 이커머스사를 방문해 인수 의향을 물었다고 합니다.A 이커머스 관계자는 "판매 대금 미정산 사태가 발생하기 이틀 전, 티몬 측이 인수 의향을 물어왔다"며 "아마 이 사태가 날 것을 예상하고 인수의사를 타진해 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그동안 "피해자 복구에 도움이 된다는 전제 아래 K-커머스 안에 협력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혀 온 위메프 역시 최근에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류화현 대표는 머니투데이방송과의 통화를 통해 "컨트롤 타워가 부재한 느낌이 든다"며 "K-커머스가 성공하기 위해선 많은 준비가 필요하지만 현재 미비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ARS 승인 이후, 몇몇 투자자들로부터 인수 제의가 오고 있으며 3자 매각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티몬과 위메프가 독자 노선을 걷게 된 건 이번 ARS와도 연관이 깊습니다. 회생법원은 당시 "채권단 수를 줄이는 게 가장 첫번째"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하는데요. 채권단 수를 줄이라는 건 'ARS 기간 동안 판매대금 미정산 문제를 최대한 해결'하라는 뜻이기도 합니다.티몬과 위메프가 돈이 없다는 건 너무 자명한 사실입니다.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죠. 티몬과 위메프가 독자노선을 걸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위메프는 현재 판매 미정산 대금을 3500억4000억원, 미정산 셀러 수를 6만명으로 추산 중입니다. 이 중 100만원 이하 셀러를 약 5만명 내외로 추산하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약 500억원(100만원x5만명)의 신규 자금이 들어온다면 당장 급한 불은 끌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류 대표는 "500억원이 들어오면 78월 피해 예상 셀러 중에 7080%, 1000억원이면 약 95% 상환 가능하다"며 "나머지 금액(2500억3000억원)은 상위권 셀러인데 장기로 상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류 대표의 계획이 실행된다면 채권단 수는 확 줄어들 전망입니다. 티몬이 외부 투자자를 찾는 이유도 위메프와 같은 이유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규 자금을 조달해 소액 셀러들의 판매대금을 정산한 뒤, 상위권 셀러와는 협상을 통해 장기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이슈체크] 티메프 ARS는 사실상 '불가능'…대안은 딱 하나 (바로가기)
머니투데이방송
2024-08-06
[이슈체크] 티메프 ARS는 사실상 '불가능'…대안은 딱 하나
[이슈체크] 티메프 ARS는 사실상 '불가능'…대안은 딱 하나
티메프는 왜 ARS(자율구조조정)로 갔나 법원이 티메프(티몬, 위메프)가 신청한 ARS(자율 구조조정 프로그램)에 대해 지난 2일 승인 결정을 내렸습니다. 채권자들과 자율적으로 협의해 구조조정을 할 수 있도록 약 13개월 가량의 시간이 부여된 건데요. 사실상 큐텐그룹이 공중분해된 상황에서 외부투자자를 유치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외에는 뾰족한 생존방안이 없는 상황입니다.■ARS은 사실상 불가능…P플랜 가기 위한 시간 벌기보통 기업이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거나 부채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면 법원에 회생을 신청해 생존을 모색합니다. 보통 회생을 신청하고 절차가 개시되는 데까지 약 한달 정도가 소요되는데요. ARS는 이 시간 간격을 활용하게끔 해주는 제도입니다. 이 기간 동안 기업과 채권자들이 구조조정을 자율적으로 협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죠.아래 표는 ARS 회생절차 흐름도입니다. 기업이 회생 신청 단계에서 ARS 의사를 밝히면 법원이 판단해 ARS 승인 결정을 내립니다. 이 시점부터는 채권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요. 기업은 채무상환 계획 등을 담은 사전계획안을 작성해 채권자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만장일치가 원칙입니다. 동의가 만장일치로 이뤄진다면 ①의 경우처럼 회생신청은 취소되고 사전계획안에 따라 구조조정이 진행됩니다. 채권단 만장일치를 거쳐 ARS에 성공하는 사례는 얼마나 될까요. 2018년 이 제도가 도입된 이후 ARS를 신청한 사례는 총 22곳에 불과했는데요. 이 곳 중 총 10곳이 ARS의 성공사례로 꼽힙니다. 이 기업들의 특징을 종합해보면 '10명 이하의 채권자'가 존재하거나 '소수의 채권자가 채권 대부분을 보유' 하는 경우입니다. 소수의 채권단을 설득해 ARS에 성공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이에 반해 티메프의 합산 채권단은 약 11만명으로 추산됩니다. 이 채권단의 만장일치 동의를 이끌어내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일부 채권자들이 사전계획안에 반대할 경우, ARS는 중단되고 다시 회생절차가 개시됩니다.회생절차 재개가 일반적인 회생 절차 코스를 다시 밟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ARS 기간 중에 마련한 사전계획안에 2분의 1 이상의 채권액을 보유한 채권자들이 동의했다면 법원은 사전계획안에 따라 회생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허가해줍니다. 이를 P플랜이라고 합니다. 이 단계가 위 표에 나와있는 ②번의 경우입니다.현실적으로 티몬과 위메프는 ②번의 경우를 고려할 것으로 보입니다. 11만명에 달하는 채권자 전원의 동의를 구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정인호 기업회생 전문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P플랜으로 넘어갈 경우, ARS 과정에서 작성된 사전계획안이 회생계획안이 되므로 신속한 회생절차를 밟을 수 있다"며 "만장일치가 불가능한 것을 티메프도 알았을 것이고 아마 P플랜을 고려하고 ARS를 신청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ARS 기간이 약 13개월 가량인데 시간을 벌기 위한 조치일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티몬, 위메프는 각자도생 걸을 수밖에 없는 이유 이번 판매 미정산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계열사별 생존 전략은 각자 다릅니다.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는 지난 1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해 K-커머스를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는데요. 10억원 이상 채권을 출자전환 해 판매자가 주주가 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그리고 두 회사 합병시킨 뒤, 합병 법인을 20252026년 상장시키겠다는 목표까지 밝혔죠.하지만 구 대표의 구상안에 대해 내부에서 적잖은 반발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주말 동안 진행된 줌(Zoom) 화상 회의에서 일부 임원들 간 고성이 오갔다는 이야기도 나오고요. 특히 "미정산 판매 대금을 어떻게 정산할지가 초점이 돼야 하는데 주식으로 전환하는 게 근본적인 보상일 수 있겠느냐"고 말한 임원도 있었다고 합니다.이 임원의 말처럼 현재 핵심은 미정산 판매 대금을 어떻게 처리할지입니다. 만약 출자전환을 하게 되면 미정산 대금(채권)은 주식으로 전환되므로 사실상 돈이 묶이게 됩니다. 현금이 급한 셀러들은 반발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구 대표는 20252026년 상장을 하겠다는 목표이지만 가능성은 현저히 낮습니다.류광진 티몬 대표는 구 대표의 K-커머스 구상안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분명히 했습니다. 류 대표는 그동안 "독자적 생존을 티몬 대표로서 모색해야 한다", "M&A나 투자 유치도 염두에 두고 소통하고 있고 노력 중이다", "티몬, 위메프는 합병 찬성을 얻기 힘들고 실현 가능성이 작다" 등 독자 노선을 걷겠다는 뜻을 피력해왔습니다.특히 티몬의 경우, 이번 사태 이전부터 독자 노선을 검토한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업계에 따르면 티몬은 판매 대금 미정산 사태 발생 며칠 전, A 이커머스사를 방문해 인수 의향을 물었다고 합니다.A 이커머스 관계자는 "판매 대금 미정산 사태가 발생하기 이틀 전, 티몬 측이 인수 의향을 물어왔다"며 "아마 이 사태가 날 것을 예상하고 인수의사를 타진해 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그동안 "피해자 복구에 도움이 된다는 전제 아래 K-커머스 안에 협력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혀 온 위메프 역시 최근에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류화현 대표는 머니투데이방송과의 통화를 통해 "컨트롤 타워가 부재한 느낌이 든다"며 "K-커머스가 성공하기 위해선 많은 준비가 필요하지만 현재 미비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ARS 승인 이후, 몇몇 투자자들로부터 인수 제의가 오고 있으며 3자 매각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티몬과 위메프가 독자 노선을 걷게 된 건 이번 ARS와도 연관이 깊습니다. 회생법원은 당시 "채권단 수를 줄이는 게 가장 첫번째"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하는데요. 채권단 수를 줄이라는 건 'ARS 기간 동안 판매대금 미정산 문제를 최대한 해결'하라는 뜻이기도 합니다.티몬과 위메프가 돈이 없다는 건 너무 자명한 사실입니다.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죠. 티몬과 위메프가 독자노선을 걸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위메프는 현재 판매 미정산 대금을 3500억4000억원, 미정산 셀러 수를 6만명으로 추산 중입니다. 이 중 100만원 이하 셀러를 약 5만명 내외로 추산하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약 500억원(100만원x5만명)의 신규 자금이 들어온다면 당장 급한 불은 끌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류 대표는 "500억원이 들어오면 78월 피해 예상 셀러 중에 7080%, 1000억원이면 약 95% 상환 가능하다"며 "나머지 금액(2500억3000억원)은 상위권 셀러인데 장기로 상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류 대표의 계획이 실행된다면 채권단 수는 확 줄어들 전망입니다. 티몬이 외부 투자자를 찾는 이유도 위메프와 같은 이유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규 자금을 조달해 소액 셀러들의 판매대금을 정산한 뒤, 상위권 셀러와는 협상을 통해 장기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이슈체크] 티메프 ARS는 사실상 '불가능'…대안은 딱 하나 (바로가기)
로리더
2024-08-01
법무법인 대륜ㆍ건국대 로스쿨,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MOU
법무법인 대륜ㆍ건국대 로스쿨,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MOU
건국대 로스쿨, 특허소송·분쟁조정 전문 이론 공유하며 실무 경험 연계대륜, 학문연구 공유로 지식재산권 및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 전문성 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지난 24일 건국대 법전원 교수회의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정찬우 대표, 정상혁 변호사, 최인석 실장과 건국대 법전원의 김재윤 원장, 윤소현 교무부원장, 정한샘 학생부원장, 최윤철 교수, 김두한 행정실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과 건국대 법전원은 이번 MOU를 통해 ▲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 법조계 인재 양성, ▲ 법학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협력하면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건국대 법전원은 특허소송 변론경연대회 우승, KISA와 차세대 분쟁조정 전문가 양성 MOU 등으로 소송 및 분쟁 해결 관련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갖췄고, 특히, 부동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실천 능력을 갖춘 법률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건설·부동산그룹을 포함한 23개 그룹에 대한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로 다양한 분야 소송 및 분쟁 해결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국내 법조계를 이끌 건국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분쟁 해결 분야 등의 실무 경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건국대 법전원 학생들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인턴십 및 실습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또 양측은 법률 관련 연구 성과와 학술 정보를 공유해 전문성 강화에 나선다. 건국대 법전원은 분쟁 해결 분야 학문적 연구 등을 공유함으로써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더욱 신뢰성 높은 법률 자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건국대 법전원 김재윤 원장은 “법률시장의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력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면서, “우리 학생들이 대륜의 도움을 통해 공동체의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창의적 미래지향적 법률 전문가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 대표는 “대륜은 인재 양성을 통해 국내 법률 문화와 서비스 수준 향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우수한 법조 인재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 각 지역의 법학전문대학원과 MOU를 체결하면서, 법률서비스 사각지대를 줄이고, 지역 법조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ㆍ건국대 로스쿨,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MOU (바로가기)
로리더
2024-08-01
법무법인 대륜ㆍ건국대 로스쿨,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MOU
법무법인 대륜ㆍ건국대 로스쿨,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MOU
건국대 로스쿨, 특허소송·분쟁조정 전문 이론 공유하며 실무 경험 연계대륜, 학문연구 공유로 지식재산권 및 엔터테인먼트·스포츠 그룹 전문성 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지난 24일 건국대 법전원 교수회의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정찬우 대표, 정상혁 변호사, 최인석 실장과 건국대 법전원의 김재윤 원장, 윤소현 교무부원장, 정한샘 학생부원장, 최윤철 교수, 김두한 행정실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과 건국대 법전원은 이번 MOU를 통해 ▲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 법조계 인재 양성, ▲ 법학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협력하면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건국대 법전원은 특허소송 변론경연대회 우승, KISA와 차세대 분쟁조정 전문가 양성 MOU 등으로 소송 및 분쟁 해결 관련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갖췄고, 특히, 부동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실천 능력을 갖춘 법률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건설·부동산그룹을 포함한 23개 그룹에 대한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로 다양한 분야 소송 및 분쟁 해결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 MOU를 통해 국내 법조계를 이끌 건국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분쟁 해결 분야 등의 실무 경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건국대 법전원 학생들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인턴십 및 실습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또 양측은 법률 관련 연구 성과와 학술 정보를 공유해 전문성 강화에 나선다. 건국대 법전원은 분쟁 해결 분야 학문적 연구 등을 공유함으로써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더욱 신뢰성 높은 법률 자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건국대 법전원 김재윤 원장은 “법률시장의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력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면서, “우리 학생들이 대륜의 도움을 통해 공동체의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창의적 미래지향적 법률 전문가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 대표는 “대륜은 인재 양성을 통해 국내 법률 문화와 서비스 수준 향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우수한 법조 인재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 각 지역의 법학전문대학원과 MOU를 체결하면서, 법률서비스 사각지대를 줄이고, 지역 법조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ㆍ건국대 로스쿨, ‘분쟁 해결’ 분야 전문성 강화 MOU (바로가기)
SBS 등 4곳
2024-08-01
'미정산' 계열사 확산…"회생자격 없다" 큐텐 경영진 고소
'미정산' 계열사 확산…"회생자격 없다" 큐텐 경영진 고소
티몬과 위메프에 이어 큐텐의 다른 계열사로도 그 피해가 계속 번지고 있습니다.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대금 정산이 늦어지고 있는 건데, 모기업인 큐텐의 회생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입니다.노동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큐텐 계열사 인터파크커머스가 운영하는 도서 판매 사이트가 멈췄습니다.판매 대금을 못 받은 독점 입점사 교보문고가 거래를 중단했기 때문입니다.[교보문고 관계자 : 티몬·위메프 사태 때문에 주시를 하고 있다가 어제 정산이 안 돼서 서비스 일시 중단을 했고. 그거는 이제 사태가 사태인지라 뭐 당연한 수순입니다.]인터파크 쇼핑에서도 롯데백화점과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 입점업체들의 탈출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티메프 사태에 일부 PG사와 간편결제사가 인터파크 판매 대금을 묶어놔, 정상 운영되던 곳까지 위기가 확산하고 있는 겁니다.또 다른 계열사 AK몰도 마찬가지로, 사태가 장기화하며 판매업자들도 버티기 힘들어지고 있습니다.일례로 전자상가 점포들의 경우, 오프라인 고객이 거의 사라지다 보니 최저가 할인 판매를 내세운 이들 사이트와 활발히 거래를 해왔는데, 날벼락을 맞았습니다.[용산 전자상가 상인 : (티메프 대금 정산) 물리면 70일이에요. 지금 5월 거 이제 터졌지만, 6월, 7월 아직 남아 있어요. 어마어마할 겁니다.]법원이 기업회생 개시 여부를 따지기 시작한 가운데, 성난 판매자들은 피해자 양보가 필요한 기업회생을 말할 자격이 없다며, 큐텐 경영진을 검찰에 고소했습니다.[원형일 변호사/티메프 피해자 대리 : 큐텐 그룹 경영진들이 과연 기업회생 제도를 이용할 자격이 되는지, 개인적으로 책임져야 할 부분은 없는지, 수사당국의 판단을 받아보기 위해서….]티몬과 위메프 측은 법원 감독하에 영업을 정상화하겠다고 했지만, 어떻게 갚겠다는 건지 구체안은 없습니다.[구영배/큐텐 대표 : (판매대금 받은 것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제가 알기로는 현재 회사에 자본이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결국 자구노력은 믿기 어렵고, 사라진 판매 자금을 추적해 최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게 수사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기사전문보기]SBS - '미정산' 계열사 확산…"회생자격 없다" 큐텐 경영진 고소 (바로가기)YTN - '티메프' 판매자도 형사 고소 참여...檢 '불법 흔적 ' 조준 (바로가기)MBC - '티메프'가 끝 아니다‥'해피머니' 사실상 정지 (바로가기)KBS - 인터파크커머스·AK몰까지…‘정산 지연’ 피해 확산 (바로가기)연합뉴스TV - '티메프' 사태 전방위 확산…판매대금 행방은 (바로가기)
SBS 등 4곳
2024-08-01
'미정산' 계열사 확산…"회생자격 없다" 큐텐 경영진 고소
'미정산' 계열사 확산…"회생자격 없다" 큐텐 경영진 고소
티몬과 위메프에 이어 큐텐의 다른 계열사로도 그 피해가 계속 번지고 있습니다.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대금 정산이 늦어지고 있는 건데, 모기업인 큐텐의 회생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입니다.노동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큐텐 계열사 인터파크커머스가 운영하는 도서 판매 사이트가 멈췄습니다.판매 대금을 못 받은 독점 입점사 교보문고가 거래를 중단했기 때문입니다.[교보문고 관계자 : 티몬·위메프 사태 때문에 주시를 하고 있다가 어제 정산이 안 돼서 서비스 일시 중단을 했고. 그거는 이제 사태가 사태인지라 뭐 당연한 수순입니다.]인터파크 쇼핑에서도 롯데백화점과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 입점업체들의 탈출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티메프 사태에 일부 PG사와 간편결제사가 인터파크 판매 대금을 묶어놔, 정상 운영되던 곳까지 위기가 확산하고 있는 겁니다.또 다른 계열사 AK몰도 마찬가지로, 사태가 장기화하며 판매업자들도 버티기 힘들어지고 있습니다.일례로 전자상가 점포들의 경우, 오프라인 고객이 거의 사라지다 보니 최저가 할인 판매를 내세운 이들 사이트와 활발히 거래를 해왔는데, 날벼락을 맞았습니다.[용산 전자상가 상인 : (티메프 대금 정산) 물리면 70일이에요. 지금 5월 거 이제 터졌지만, 6월, 7월 아직 남아 있어요. 어마어마할 겁니다.]법원이 기업회생 개시 여부를 따지기 시작한 가운데, 성난 판매자들은 피해자 양보가 필요한 기업회생을 말할 자격이 없다며, 큐텐 경영진을 검찰에 고소했습니다.[원형일 변호사/티메프 피해자 대리 : 큐텐 그룹 경영진들이 과연 기업회생 제도를 이용할 자격이 되는지, 개인적으로 책임져야 할 부분은 없는지, 수사당국의 판단을 받아보기 위해서….]티몬과 위메프 측은 법원 감독하에 영업을 정상화하겠다고 했지만, 어떻게 갚겠다는 건지 구체안은 없습니다.[구영배/큐텐 대표 : (판매대금 받은 것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제가 알기로는 현재 회사에 자본이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결국 자구노력은 믿기 어렵고, 사라진 판매 자금을 추적해 최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게 수사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기사전문보기]SBS - '미정산' 계열사 확산…"회생자격 없다" 큐텐 경영진 고소 (바로가기)YTN - '티메프' 판매자도 형사 고소 참여...檢 '불법 흔적 ' 조준 (바로가기)MBC - '티메프'가 끝 아니다‥'해피머니' 사실상 정지 (바로가기)KBS - 인터파크커머스·AK몰까지…‘정산 지연’ 피해 확산 (바로가기)연합뉴스TV - '티메프' 사태 전방위 확산…판매대금 행방은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51곳
2024-07-31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찰청 앞에서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원형일,신종수 정상혁‘ 변호사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티메프 사태TF 주도구영배·목주영·류광진·류화현 대표 고소"고객에 지급할 돈 유용…정산지연 발생""다수 피해자 양산…회생신청 자격 없어" 티몬·위메프 정산·환불 지연 사태 피해 판매업자들이 모회사 큐텐 구영배 대표와 큐텐코리아를 형사 고소했다. 티메프 피해자를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및 티메프 사태 태스크포스(TF)는 31일 오후 2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을 방문해 구영배 큐텐 대표와 목주영 큐텐코리아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 4인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했다.이날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큐텐 그룹 대표들이 위시 등 이커머스 업체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돈을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 인해 정산지연이 발생해 현재 피해가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전날 구 대표는 국회 정무위 현안 질의에 출석해 “위시 인수에 사용된 자금 400억원에 대해 일시적으로 티몬과 위메프 동원해서 차입해, 한 달 내에 이것을 상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원 그룹장은 이 역시 배임 혐의가 적용가능하다고 보고 있다.원 그룹장은 “큐텐 측이 기업회생을 신청 했는데 경영진이 회생 자격이 되는지, 다수 피해자 양산하는 것에 대해서 기업인으로서 개인적으로 책임져야 할 부분 있지 않은지 의뢰인 대리해 고소장 접수하게 됐다”며 “수사기관의 정당한 판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지난 28일 티몬과 위메프 두 회사는 최근 대규모 환불 사태와 거래처 이탈 등으로 자체적으로 재정 상황을 회복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며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법인회생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파탄에 직면한 기업에 대해 채권자, 주주·지분권자 등 여러 이해관계인의 법률관계를 조정해 효율적 회생을 도모하는 제도다.대륜 측은 구영배 대표 등 책임자를 상대로 민사로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를 진행한다 것이 가장 실효적인 피해구제 방안으로 보고 있다.원 그룹장은 “민사 소송의 경우 회생 신청이 받아들여지게 되면 제기하기 쉽지 않을 거 같다”며 “회생 절차 내에서 피해자 구제 받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 중”이라고 설명헀다.전날 회생법원은 티몬과 위메프에 대해 보전처분 및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보전처분 및 포괄적 금지명령은 이해관계인 사이의 불공평, 경영상의 혼란과 기업존속의 곤란으로 채무자 재건이 어려워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법원은 오는 2일 티몬과 위메프 대표자 심문을 통해 회생개시 결정 여부에 대해 들여다볼 전망이다. 향후 회생절차 개시결정이 있으면 채무자의 업무수행권과 재산의 관리·처분권은 관리인에게 전속된다. 또 이해관계인의 채무자에 대한 개별적인 권리행사가 금지된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바로가기)조선비즈 - 티몬·위메프 판매상들, 큐텐코리아 사기·배임·횡령으로 고소 (바로가기)연합뉴스 - 티몬·위메프 경영진 고소장 제출 기자회견 (바로가기)헤럴드경제 - “티메프 기업회생 자격 없어…도덕적 책임 져야” 입점업체 집단소송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티몬·위메프 셀러들, 구영배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아이뉴스24 - 티메프' 판매자들 뿔났다…서울중앙지검에 구영배 대표 고소 (바로가기)뉴시스 - 티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IT조선 - 티메프 판매자들, 큐텐코리아 고소…사기·배임·횡령 혐의 (바로가기)뉴스핌 - 티메프 미정산 사태' 큐텐 검찰에 형사 고소 (바로가기)KBS - 티몬·위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 고소 (바로가기)오피니언뉴스 - 티메프' 피해 입점업체들, 구영배 큐텐 대표 등 4인 고소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등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티몬·위메프 입점 판매 업체, 집단소송 개시 (바로가기)뉴스1 - 티메프 입점사, 구영배 등 경영진 '배임·횡령·사기'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경향신문 - 티몬·위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경영진 형사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바로가기)데일리안 - 티메프' 판매자들, 검찰에 구영배 고소…횡령·배임·사기 혐의 (바로가기)CJB청주방송 - 티몬 위메프 판매상 '고소장' 제출...판매자 소송 첫 사례 (바로가기)TV조선 - 티몬·위메프 판매업체, 경영진 檢 고소…"회생 자격 있나" (바로가기)연합뉴스 - "티메프 사태에 횡령·배임·사기 의혹" 연일 고소·고발 (바로가기)파이낸셜뉴스 - 티메프' 판매자들도 검찰 고소...법조계 "사기, 횡령, 배임 적용 가능성" (바로가기)머니S - 구영배 형사 고소한 티메프 판매자들 "회생 이용 자격 없다" (바로가기)kbc광주방송 - 티메프 판매자들, 큐텐 형사 고소.."횡령·배임·사기 혐의" (바로가기)한국경제 -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대표 등 고소…사기·횡령·배임혐의 (바로가기)전남일보 - 티메프 판매자들도 결국 소송전…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고소 (바로가기)세계비즈 - 티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고소…셀러 소송 첫 사례 (바로가기)서울경제 - 고소·고발 잇따라…‘티메프 사태’ 대대적 수사 들어가나 (바로가기)한스경제 - 티메프' 피해 소비자 이어 판매자도...구영배 큐텐 대표 등 고소 (바로가기)YTN - "티메프 사태로 피해"...판매자들도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대전일보 - 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 셀러들, "우리 자금, 인수 자금 유용했나" (바로가기)OBS - "티메프, 횡령·배임"…판매자들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세계비즈 - ‘우려가 현실로’…인터파크커머스·AK몰까지 정산 지연 (바로가기)컨슈머타임스 - 티메프 사태' 책임 묻는다…경영진에 대한 고소·고발 잇따라 (바로가기)중앙일보 - 구영배 “돈 없다”에 티메프 판매자들 검찰에 집단고소 나섰다 (바로가기)법률방송뉴스 - 티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한국일보 - "판매자 줄 돈으로 인수자금 유용"... 줄잇는 티메프 고소장 (바로가기)로이슈 - 변호인단, "티메프 사태에 횡령·배임·사기 의혹" 연일 고소·고발 (바로가기)MBC - "티메프 사태에 횡령·배임·사기 의혹" 연일 고소·고발 (바로가기)뉴스트리코리아 - 티메프' 미정산 사태 직전 할인행사...현금 돌려막기 의도였나? (바로가기)OBS - 회생절차 밟는 티메프…피해자들, 집단 소송 (바로가기)연합뉴스TV - 티몬·위메프 피해 셀러들, 경영진에 잇단 고소 (바로가기)세계일보 - 티메프 판매자들, 큐텐 대표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금융위원장 “사태 신속히 수습” (바로가기)YTN - "티메프 사태로 피해"...판매자들도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이투데이 - [사설] “국민 뒤통수를 치고 있다”는 공분 키우는 티메프 (바로가기)머니S - 티메프 셀러 첫 형사 고소… "구영배, 횡령·배임·사기 혐의" (바로가기)시사저널 - 시한폭탄 터지고서야 '흔적' 찾았다는 정부…"재앙 키웠다"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검찰, ‘정산지연’ 티몬·위메프 동시다발 압수수색 (바로가기)마이데일리 - [티메프 사태] “민관, 집단 분쟁조정과 형사 고소로 피해자 구제 본격화” (바로가기)내일신문 - 검찰, 티몬·위메프 강제수사 착수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회생? 파산? 갈림길 선 티메프…셀러, 피해구제 가능한가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티메프 ‘환불’ 시작됐지만… 실제 지급까진 ‘산 넘어 산’ (바로가기)한겨레21 - 빨간불 켜졌는데 결국 터진 ‘티메프 사태’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51곳
2024-07-31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찰청 앞에서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원형일,신종수 정상혁‘ 변호사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티메프 사태TF 주도구영배·목주영·류광진·류화현 대표 고소"고객에 지급할 돈 유용…정산지연 발생""다수 피해자 양산…회생신청 자격 없어" 티몬·위메프 정산·환불 지연 사태 피해 판매업자들이 모회사 큐텐 구영배 대표와 큐텐코리아를 형사 고소했다. 티메프 피해자를 대리하는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및 티메프 사태 태스크포스(TF)는 31일 오후 2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을 방문해 구영배 큐텐 대표와 목주영 큐텐코리아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 4인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했다.이날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큐텐 그룹 대표들이 위시 등 이커머스 업체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돈을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 인해 정산지연이 발생해 현재 피해가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전날 구 대표는 국회 정무위 현안 질의에 출석해 “위시 인수에 사용된 자금 400억원에 대해 일시적으로 티몬과 위메프 동원해서 차입해, 한 달 내에 이것을 상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원 그룹장은 이 역시 배임 혐의가 적용가능하다고 보고 있다.원 그룹장은 “큐텐 측이 기업회생을 신청 했는데 경영진이 회생 자격이 되는지, 다수 피해자 양산하는 것에 대해서 기업인으로서 개인적으로 책임져야 할 부분 있지 않은지 의뢰인 대리해 고소장 접수하게 됐다”며 “수사기관의 정당한 판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지난 28일 티몬과 위메프 두 회사는 최근 대규모 환불 사태와 거래처 이탈 등으로 자체적으로 재정 상황을 회복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며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법인회생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파탄에 직면한 기업에 대해 채권자, 주주·지분권자 등 여러 이해관계인의 법률관계를 조정해 효율적 회생을 도모하는 제도다.대륜 측은 구영배 대표 등 책임자를 상대로 민사로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를 진행한다 것이 가장 실효적인 피해구제 방안으로 보고 있다.원 그룹장은 “민사 소송의 경우 회생 신청이 받아들여지게 되면 제기하기 쉽지 않을 거 같다”며 “회생 절차 내에서 피해자 구제 받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 중”이라고 설명헀다.전날 회생법원은 티몬과 위메프에 대해 보전처분 및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보전처분 및 포괄적 금지명령은 이해관계인 사이의 불공평, 경영상의 혼란과 기업존속의 곤란으로 채무자 재건이 어려워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법원은 오는 2일 티몬과 위메프 대표자 심문을 통해 회생개시 결정 여부에 대해 들여다볼 전망이다. 향후 회생절차 개시결정이 있으면 채무자의 업무수행권과 재산의 관리·처분권은 관리인에게 전속된다. 또 이해관계인의 채무자에 대한 개별적인 권리행사가 금지된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바로가기)조선비즈 - 티몬·위메프 판매상들, 큐텐코리아 사기·배임·횡령으로 고소 (바로가기)연합뉴스 - 티몬·위메프 경영진 고소장 제출 기자회견 (바로가기)헤럴드경제 - “티메프 기업회생 자격 없어…도덕적 책임 져야” 입점업체 집단소송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티몬·위메프 셀러들, 구영배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아이뉴스24 - 티메프' 판매자들 뿔났다…서울중앙지검에 구영배 대표 고소 (바로가기)뉴시스 - 티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IT조선 - 티메프 판매자들, 큐텐코리아 고소…사기·배임·횡령 혐의 (바로가기)뉴스핌 - 티메프 미정산 사태' 큐텐 검찰에 형사 고소 (바로가기)KBS - 티몬·위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 고소 (바로가기)오피니언뉴스 - 티메프' 피해 입점업체들, 구영배 큐텐 대표 등 4인 고소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등 검찰에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티몬·위메프 입점 판매 업체, 집단소송 개시 (바로가기)뉴스1 - 티메프 입점사, 구영배 등 경영진 '배임·횡령·사기'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경향신문 - 티몬·위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경영진 형사 고소…사기·횡령·배임 혐의 (바로가기)데일리안 - 티메프' 판매자들, 검찰에 구영배 고소…횡령·배임·사기 혐의 (바로가기)CJB청주방송 - 티몬 위메프 판매상 '고소장' 제출...판매자 소송 첫 사례 (바로가기)TV조선 - 티몬·위메프 판매업체, 경영진 檢 고소…"회생 자격 있나" (바로가기)연합뉴스 - "티메프 사태에 횡령·배임·사기 의혹" 연일 고소·고발 (바로가기)파이낸셜뉴스 - 티메프' 판매자들도 검찰 고소...법조계 "사기, 횡령, 배임 적용 가능성" (바로가기)머니S - 구영배 형사 고소한 티메프 판매자들 "회생 이용 자격 없다" (바로가기)kbc광주방송 - 티메프 판매자들, 큐텐 형사 고소.."횡령·배임·사기 혐의" (바로가기)한국경제 - 티메프' 피해 셀러들 구영배 대표 등 고소…사기·횡령·배임혐의 (바로가기)전남일보 - 티메프 판매자들도 결국 소송전…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고소 (바로가기)세계비즈 - 티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고소…셀러 소송 첫 사례 (바로가기)서울경제 - 고소·고발 잇따라…‘티메프 사태’ 대대적 수사 들어가나 (바로가기)한스경제 - 티메프' 피해 소비자 이어 판매자도...구영배 큐텐 대표 등 고소 (바로가기)YTN - "티메프 사태로 피해"...판매자들도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대전일보 - 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 셀러들, "우리 자금, 인수 자금 유용했나" (바로가기)OBS - "티메프, 횡령·배임"…판매자들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세계비즈 - ‘우려가 현실로’…인터파크커머스·AK몰까지 정산 지연 (바로가기)컨슈머타임스 - 티메프 사태' 책임 묻는다…경영진에 대한 고소·고발 잇따라 (바로가기)중앙일보 - 구영배 “돈 없다”에 티메프 판매자들 검찰에 집단고소 나섰다 (바로가기)법률방송뉴스 - 티메프 판매자들, 구영배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 (바로가기)한국일보 - "판매자 줄 돈으로 인수자금 유용"... 줄잇는 티메프 고소장 (바로가기)로이슈 - 변호인단, "티메프 사태에 횡령·배임·사기 의혹" 연일 고소·고발 (바로가기)MBC - "티메프 사태에 횡령·배임·사기 의혹" 연일 고소·고발 (바로가기)뉴스트리코리아 - 티메프' 미정산 사태 직전 할인행사...현금 돌려막기 의도였나? (바로가기)OBS - 회생절차 밟는 티메프…피해자들, 집단 소송 (바로가기)연합뉴스TV - 티몬·위메프 피해 셀러들, 경영진에 잇단 고소 (바로가기)세계일보 - 티메프 판매자들, 큐텐 대표 등 사기·횡령·배임 혐의로 고소…금융위원장 “사태 신속히 수습” (바로가기)YTN - "티메프 사태로 피해"...판매자들도 고소장 제출 (바로가기)이투데이 - [사설] “국민 뒤통수를 치고 있다”는 공분 키우는 티메프 (바로가기)머니S - 티메프 셀러 첫 형사 고소… "구영배, 횡령·배임·사기 혐의" (바로가기)시사저널 - 시한폭탄 터지고서야 '흔적' 찾았다는 정부…"재앙 키웠다"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검찰, ‘정산지연’ 티몬·위메프 동시다발 압수수색 (바로가기)마이데일리 - [티메프 사태] “민관, 집단 분쟁조정과 형사 고소로 피해자 구제 본격화” (바로가기)내일신문 - 검찰, 티몬·위메프 강제수사 착수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회생? 파산? 갈림길 선 티메프…셀러, 피해구제 가능한가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티메프 ‘환불’ 시작됐지만… 실제 지급까진 ‘산 넘어 산’ (바로가기)한겨레21 - 빨간불 켜졌는데 결국 터진 ‘티메프 사태’ (바로가기)
서울경제 등 2곳
2024-07-30
티몬 위메프 티메프 기업회생 신청
점점 멀어지는 피해자 구제…처음부터 돈 줄 생각 없었다 분통
['티메프' 기업회생 신청]◆ 판매자 줄도산 공포회생절차 동의땐 당분간 채권 동결무산땐 파산 외 다른 선택지 없어어느쪽이든 추가 피해 가능성 커져정부 지원책 사실상 무용지물 전락 대규모 판매자 대금 정산 및 구매자 환불 지연 사태를 빚은 티몬과 위메프가 29일 법원에 회생 개시 신청을 함에 따라 피해자들이 구제받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회생(법정관리)을 신청하면 법원이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이 경우 법정관리 개시가 결정될 때까지 금융채권, 상거래 채권 등 모든 채권이 동결돼 판매자들이 미정산 대금을 돌려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판매자를 비롯한 채권단의 법정관리 동의를 구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채권단 반대로 법정관리가 불발될 경우 티몬·위메프의 모기업 큐텐의 구영배 대표가 사재를 털지 않는 이상 티몬·위메프는 파산할 가능성이 높다. 어느 쪽이든 피해자들은 판매 대금이나 환불을 받기 어려워진다.이날 업계에 따르면 티몬·위메프가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판매자 및 구매자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게 됐다. 이날 기업회생 신청 직후 티몬·위메프는 입장문을 통해 “현재의 악순환을 방지하고 판매 회원과 소비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회생 개시 신청을 하게 됐다”며 “신자율구조조정지원(ARS) 프로그램을 신청해 바로 강제 회생절차를 개시하는 대신 구조조정 펀드 조성을 통한 자금 조달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RS 프로그램은 법원이 강제 회생절차 개시를 보류하고 먼저 기업과 채권자들이 구조조정을 자율적으로 협의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다.하지만 티몬·위메프의 설명과 달리 판매자와 소비자의 피해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법정관리가 성사되려면 채권단 3분의 2, 담보권자 4분의 3 이상의 동의가 필요한데 채권단이 동의할 가능성이 낮다. 심지어 티몬·위메프조차 판매자의 피해 규모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채권자 수 및 채권 규모 파악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한 법정관리 전문 변호사는 “티몬·위메프 때문에 부도 위기에 내몰린 판매자들 중에 누가 법정관리에 동의하겠느냐”고 지적했다.실제로 정부가 추산한 판매자 피해 금액은 당초 1000억 원 수준에서 이날 기준 2134억 원으로 늘어났다. 정산 기한이 남은 67월 거래분을 포함한 89월 미정산 대금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티몬 사무실에서는 전체 피해 금액이 1조 원 이상 될 것으로 예측한 직원의 메모가 발견되기도 했다.법정관리가 무산될 경우 구 대표가 사재를 출연하지 않는다면 티몬·위메프가 선택할 카드는 파산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티몬·위메프가 파산 신청을 하면 피해자 보상은 더욱 어려워진다.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티몬과 위메프에 자산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중소 판매자들이 정산금을 거의 돌려받을 수 없게 돼 연쇄 부도가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그나마 판매자는 선순위 채권자일 가능성이 높다. 구매자의 경우 소송 등 다른 구제 절차를 밟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더라도 피해는 불가피하다. 법정관리가 개시되면 한동안 대금이 동결된다. 대금 미정산으로 도산 위기에 처한 판매자 상당수를 더욱더 벼랑 끝으로 몰게 되는 셈이다.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자들의 집단소송을 검토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방인태 변호사는 “기업회생절차를 밟는다는 의미는 회생을 신청해서 기존에 돈을 많이 빌려준 사람들에게는 채권을 주식으로 바꾼다든지, 이런 식으로 채권을 일부 포기하게 하는 방식으로 빚을 탕감받는다는 것”이라며 “현재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자들이 진행하려고 했던 손해배상 채권은 이미 회생 신청 전에 발생한 채권이라서 회생 신청으로 영향을 받지는 않겠지만 변제받기까지 오래 걸릴 가능성이 크다. 소송 대응 전략도 많이 바뀔 것 같다”고 언급했다.티몬·위메프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이날 정부가 내놓은 56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 방안 등도 사실상 무용지물이 될 처지가 됐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뜩이나 정부 대책이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비판이 거셌다”며 “대금 정산을 받을 수 없다면 저리로 대출을 받거나 대출을 연장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티몬·위메프가 나서 판매 대금을 정산하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던 판매자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티몬·위메프가 애초부터 돈을 지급할 생각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대금을 받지 못한 한 판매자는 “현재 셀러들은 회생 신청 소식을 듣고 모두 죽을상”이라며 “오늘 오전만 해도 사재 출연해서 정산하겠다고 하다가 오후 돼서 회생 신청하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회생절차를 밟게 되면 돈을 다 받지 못할까 봐 걱정된다”며 “정산금의 10~20% 정도만 받을 수 있다는 얘기도 돌고 있다”고 우려했다. [기사전문보기] 서울경제 - 점점 멀어지는 피해자 구제…"처음부터 돈 줄 생각 없었다" 분통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티몬·위메프, 법원에 기업회생 신청…피해자 보상 ‘안갯속’ (바로가기)서울경제 - 오전엔 사재 턴다더니 오후엔 기업회생 신청…피해자들 피눈물 (바로가기)
서울경제 등 2곳
2024-07-30
티몬 위메프 티메프 기업회생 신청
점점 멀어지는 피해자 구제…처음부터 돈 줄 생각 없었다 분통
['티메프' 기업회생 신청]◆ 판매자 줄도산 공포회생절차 동의땐 당분간 채권 동결무산땐 파산 외 다른 선택지 없어어느쪽이든 추가 피해 가능성 커져정부 지원책 사실상 무용지물 전락 대규모 판매자 대금 정산 및 구매자 환불 지연 사태를 빚은 티몬과 위메프가 29일 법원에 회생 개시 신청을 함에 따라 피해자들이 구제받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회생(법정관리)을 신청하면 법원이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이 경우 법정관리 개시가 결정될 때까지 금융채권, 상거래 채권 등 모든 채권이 동결돼 판매자들이 미정산 대금을 돌려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판매자를 비롯한 채권단의 법정관리 동의를 구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채권단 반대로 법정관리가 불발될 경우 티몬·위메프의 모기업 큐텐의 구영배 대표가 사재를 털지 않는 이상 티몬·위메프는 파산할 가능성이 높다. 어느 쪽이든 피해자들은 판매 대금이나 환불을 받기 어려워진다.이날 업계에 따르면 티몬·위메프가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판매자 및 구매자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게 됐다. 이날 기업회생 신청 직후 티몬·위메프는 입장문을 통해 “현재의 악순환을 방지하고 판매 회원과 소비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회생 개시 신청을 하게 됐다”며 “신자율구조조정지원(ARS) 프로그램을 신청해 바로 강제 회생절차를 개시하는 대신 구조조정 펀드 조성을 통한 자금 조달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RS 프로그램은 법원이 강제 회생절차 개시를 보류하고 먼저 기업과 채권자들이 구조조정을 자율적으로 협의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다.하지만 티몬·위메프의 설명과 달리 판매자와 소비자의 피해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법정관리가 성사되려면 채권단 3분의 2, 담보권자 4분의 3 이상의 동의가 필요한데 채권단이 동의할 가능성이 낮다. 심지어 티몬·위메프조차 판매자의 피해 규모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채권자 수 및 채권 규모 파악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한 법정관리 전문 변호사는 “티몬·위메프 때문에 부도 위기에 내몰린 판매자들 중에 누가 법정관리에 동의하겠느냐”고 지적했다.실제로 정부가 추산한 판매자 피해 금액은 당초 1000억 원 수준에서 이날 기준 2134억 원으로 늘어났다. 정산 기한이 남은 67월 거래분을 포함한 89월 미정산 대금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티몬 사무실에서는 전체 피해 금액이 1조 원 이상 될 것으로 예측한 직원의 메모가 발견되기도 했다.법정관리가 무산될 경우 구 대표가 사재를 출연하지 않는다면 티몬·위메프가 선택할 카드는 파산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티몬·위메프가 파산 신청을 하면 피해자 보상은 더욱 어려워진다.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티몬과 위메프에 자산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중소 판매자들이 정산금을 거의 돌려받을 수 없게 돼 연쇄 부도가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그나마 판매자는 선순위 채권자일 가능성이 높다. 구매자의 경우 소송 등 다른 구제 절차를 밟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더라도 피해는 불가피하다. 법정관리가 개시되면 한동안 대금이 동결된다. 대금 미정산으로 도산 위기에 처한 판매자 상당수를 더욱더 벼랑 끝으로 몰게 되는 셈이다.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자들의 집단소송을 검토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방인태 변호사는 “기업회생절차를 밟는다는 의미는 회생을 신청해서 기존에 돈을 많이 빌려준 사람들에게는 채권을 주식으로 바꾼다든지, 이런 식으로 채권을 일부 포기하게 하는 방식으로 빚을 탕감받는다는 것”이라며 “현재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자들이 진행하려고 했던 손해배상 채권은 이미 회생 신청 전에 발생한 채권이라서 회생 신청으로 영향을 받지는 않겠지만 변제받기까지 오래 걸릴 가능성이 크다. 소송 대응 전략도 많이 바뀔 것 같다”고 언급했다.티몬·위메프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이날 정부가 내놓은 56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 방안 등도 사실상 무용지물이 될 처지가 됐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뜩이나 정부 대책이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비판이 거셌다”며 “대금 정산을 받을 수 없다면 저리로 대출을 받거나 대출을 연장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티몬·위메프가 나서 판매 대금을 정산하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던 판매자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티몬·위메프가 애초부터 돈을 지급할 생각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대금을 받지 못한 한 판매자는 “현재 셀러들은 회생 신청 소식을 듣고 모두 죽을상”이라며 “오늘 오전만 해도 사재 출연해서 정산하겠다고 하다가 오후 돼서 회생 신청하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회생절차를 밟게 되면 돈을 다 받지 못할까 봐 걱정된다”며 “정산금의 10~20% 정도만 받을 수 있다는 얘기도 돌고 있다”고 우려했다. [기사전문보기] 서울경제 - 점점 멀어지는 피해자 구제…"처음부터 돈 줄 생각 없었다" 분통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티몬·위메프, 법원에 기업회생 신청…피해자 보상 ‘안갯속’ (바로가기)서울경제 - 오전엔 사재 턴다더니 오후엔 기업회생 신청…피해자들 피눈물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30
일반인 ‘무단촬영’ 유튜버 책임 인정돼…법원 “1300만 원 배상해야”
일반인 ‘무단촬영’ 유튜버 책임 인정돼…법원 “1300만 원 배상해야”
■ 70대 A씨, 유튜버 무단 생방송 진행에 개인정보 노출■ 재판부 “유튜브 파급력 큰 만큼 피해도 막심…정당성 없어” 허위 사실이 포함된 자극적인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빌미로 이득을 취하는 일명 ‘사이버 렉카’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면서, 이들에 대한 법적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29일 이원석 검찰총장은 “김유철 수원지검장에게 ‘사이버 렉카’ 수사 상황과 계획을 보고받고 수익 창출과 영리 목적으로 혐오를 조장해 유명인과 일반인을 가리지 않고 극심한 명예훼손과 모욕을 가하는 사이버 렉카의 악성 콘텐츠 유포와 협박, 공갈 범행에 엄정 대응하고 범죄수익을 박탈하라”고 지시했다. 사이버 렉카 범죄에서 형사처벌의 경우 상대를 협박해 돈을 갈취했다면 공갈죄, 비방을 목적으로 타인의 사생활을 공공연하게 드러냈다면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 적용이 가능하다. 피해자가 별도로 민사소송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 악의적인 콘텐츠로 인해 발생한 물적·정신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해 배상금을 받는 것이다. 실제 법원에서는 최근 당사자 동의 없이 무단으로 영상을 촬영한 유튜버들에게 손해배상의 책임을 묻는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대전지방법원 민사13부(강길연 부장판사)는 지난 3일 70대 남성 A씨가 유튜버 2명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피고들은 공동으로 원고에게 1,300만 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해당 유튜버들은 지난 2022년 A씨가 운영 중이던 견사에 손님인 척 위장 잠입해 실시간 방송을 진행했다. 생방송 과정에서 A씨의 얼굴과 집 주소, 차량 번호판, 견사 내·외부 전경 등이 그대로 노출됐으며, 이들이 A씨를 향해 욕설을 내뱉는 장면 역시 그대로 송출됐다. 이들은 이후 해당 영상을 편집·가공해 다시 게재했고, 견사가 철거된 뒤에도 재차 A씨의 주거지를 찾아가 허가 없이 촬영을 이어가며 시청자들로부터 후원금을 모금하기도 했다. A씨 측은 영상물 삭제 및 게재 금지 등을 구하는 가처분을 신청해 법원으로부터 인용 결정을 받았지만, 이들은 수개월이 지나도록 해당 영상을 삭제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피고들은 원고가 불법으로 개를 도축한다고 주장하며 원고를 모욕하고 비난하는 내용이 담긴 영상물을 게재했지만, 실제로 원고가 불법으로 개를 도축했다는 근거자료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또 “설사 원고가 불법적인 행위를 했다 하더라도, 관할 관청 등에 신고하는 것을 넘어 자신들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게시하며 모욕적이고 협박적인 언행을 하는 것은 그 수단과 방법에 있어 정당하다고 볼 수 없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튜브라는 인터넷 매체의 특성상 파급력이 커 그 피해가 심각하고, 영상물의 게시 기간이 길게는 약 1년 7개월에 이르는 점 등을 고려했다”라고 덧붙였다. 원고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은 “피고들의 초상권 침해, 모욕 및 명예훼손 등의 행위로 피해자는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다”라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유튜버들의 수가 급증하면서 동의 없는 촬영과 방송으로 인해 여러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라며 “유튜브의 경우 한 번 영상이 게재되면 끊임없는 재생산이 가능해 파급력이 클 수밖에 없는 만큼 인식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일반인 ‘무단촬영’ 유튜버 책임 인정돼…법원 “1300만 원 배상해야”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30
일반인 ‘무단촬영’ 유튜버 책임 인정돼…법원 “1300만 원 배상해야”
일반인 ‘무단촬영’ 유튜버 책임 인정돼…법원 “1300만 원 배상해야”
■ 70대 A씨, 유튜버 무단 생방송 진행에 개인정보 노출■ 재판부 “유튜브 파급력 큰 만큼 피해도 막심…정당성 없어” 허위 사실이 포함된 자극적인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빌미로 이득을 취하는 일명 ‘사이버 렉카’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면서, 이들에 대한 법적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29일 이원석 검찰총장은 “김유철 수원지검장에게 ‘사이버 렉카’ 수사 상황과 계획을 보고받고 수익 창출과 영리 목적으로 혐오를 조장해 유명인과 일반인을 가리지 않고 극심한 명예훼손과 모욕을 가하는 사이버 렉카의 악성 콘텐츠 유포와 협박, 공갈 범행에 엄정 대응하고 범죄수익을 박탈하라”고 지시했다. 사이버 렉카 범죄에서 형사처벌의 경우 상대를 협박해 돈을 갈취했다면 공갈죄, 비방을 목적으로 타인의 사생활을 공공연하게 드러냈다면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 적용이 가능하다. 피해자가 별도로 민사소송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 악의적인 콘텐츠로 인해 발생한 물적·정신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해 배상금을 받는 것이다. 실제 법원에서는 최근 당사자 동의 없이 무단으로 영상을 촬영한 유튜버들에게 손해배상의 책임을 묻는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대전지방법원 민사13부(강길연 부장판사)는 지난 3일 70대 남성 A씨가 유튜버 2명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피고들은 공동으로 원고에게 1,300만 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해당 유튜버들은 지난 2022년 A씨가 운영 중이던 견사에 손님인 척 위장 잠입해 실시간 방송을 진행했다. 생방송 과정에서 A씨의 얼굴과 집 주소, 차량 번호판, 견사 내·외부 전경 등이 그대로 노출됐으며, 이들이 A씨를 향해 욕설을 내뱉는 장면 역시 그대로 송출됐다. 이들은 이후 해당 영상을 편집·가공해 다시 게재했고, 견사가 철거된 뒤에도 재차 A씨의 주거지를 찾아가 허가 없이 촬영을 이어가며 시청자들로부터 후원금을 모금하기도 했다. A씨 측은 영상물 삭제 및 게재 금지 등을 구하는 가처분을 신청해 법원으로부터 인용 결정을 받았지만, 이들은 수개월이 지나도록 해당 영상을 삭제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피고들은 원고가 불법으로 개를 도축한다고 주장하며 원고를 모욕하고 비난하는 내용이 담긴 영상물을 게재했지만, 실제로 원고가 불법으로 개를 도축했다는 근거자료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또 “설사 원고가 불법적인 행위를 했다 하더라도, 관할 관청 등에 신고하는 것을 넘어 자신들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게시하며 모욕적이고 협박적인 언행을 하는 것은 그 수단과 방법에 있어 정당하다고 볼 수 없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튜브라는 인터넷 매체의 특성상 파급력이 커 그 피해가 심각하고, 영상물의 게시 기간이 길게는 약 1년 7개월에 이르는 점 등을 고려했다”라고 덧붙였다. 원고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측은 “피고들의 초상권 침해, 모욕 및 명예훼손 등의 행위로 피해자는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다”라며 “재판부 역시 이러한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유튜버들의 수가 급증하면서 동의 없는 촬영과 방송으로 인해 여러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라며 “유튜브의 경우 한 번 영상이 게재되면 끊임없는 재생산이 가능해 파급력이 클 수밖에 없는 만큼 인식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일반인 ‘무단촬영’ 유튜버 책임 인정돼…법원 “1300만 원 배상해야”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5곳
2024-07-30
공수처 김명석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공수처 김명석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검사 재직 기간 마약·조폭 범죄 다룬 강력부 근무마약대응그룹장으로 부임…마약 및 강력범죄 분야 경쟁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 부장검사 출신 김명석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30일 밝혔다.김 변호사는 지난 2001년 창원지방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고, 의정부지검과 수원지검 성남지청에서 부부장검사로 재직했다.특히 2022년 10월 공수처 수사1부장으로 활약했고, 지난해 10월에는 인권수사정책관을 맡기도 했다. 사의를 표명한 김 변호사는 사표 수리 이후 법무법인 대륜에 합류했다.그는 약 16년간 검찰에 재직하며 마약·조폭 등 강력범죄는 물론 뇌물·횡령 수사, 은닉 범죄수익 환수 등 인지수사로 전문성을 발휘해 검찰 내 대표적인 '강력통'으로 손꼽혔다.또한, 마약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을 받았고, 대통령 표창, 검찰총장 표창, 법무부 장관 표창을 받으며 능력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았다.법무법인 대륜은 김 변호사를 마약대응그룹장으로 임명하고, 김 변호사의 총괄 아래 마약대응그룹의 경쟁력 강화와 전문성을 더한다는 계획이다.김 변호사는 "대륜 마약대응그룹장으로 부임하게 되어 기쁜 마음"이라며 "의뢰인의 사건 해결을 위한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 최적의 법률 결과를 안겨드리겠다"라고 밝혔다.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강력범죄에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한 김 변호사의 영입으로 대륜의 마약대응그룹은 역량이 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대륜은 계속해서 경험이 풍부한 인재를 영입해 고객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로펌으로 '고객 중심 경영' 기조 아래 365일 24시간 상담접수 등 상시 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률신문 - 김명석 전 공수처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조세일보 - 공수처 김명석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TV조선 - 공수처 출신 김명석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마약 사건 역량 강화" (바로가기)뉴스1 - '강력통' 김명석 前 공수처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법무법인 대륜, 김명석 전 공수처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5곳
2024-07-30
공수처 김명석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공수처 김명석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검사 재직 기간 마약·조폭 범죄 다룬 강력부 근무마약대응그룹장으로 부임…마약 및 강력범죄 분야 경쟁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 부장검사 출신 김명석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30일 밝혔다.김 변호사는 지난 2001년 창원지방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고, 의정부지검과 수원지검 성남지청에서 부부장검사로 재직했다.특히 2022년 10월 공수처 수사1부장으로 활약했고, 지난해 10월에는 인권수사정책관을 맡기도 했다. 사의를 표명한 김 변호사는 사표 수리 이후 법무법인 대륜에 합류했다.그는 약 16년간 검찰에 재직하며 마약·조폭 등 강력범죄는 물론 뇌물·횡령 수사, 은닉 범죄수익 환수 등 인지수사로 전문성을 발휘해 검찰 내 대표적인 '강력통'으로 손꼽혔다.또한, 마약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을 받았고, 대통령 표창, 검찰총장 표창, 법무부 장관 표창을 받으며 능력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았다.법무법인 대륜은 김 변호사를 마약대응그룹장으로 임명하고, 김 변호사의 총괄 아래 마약대응그룹의 경쟁력 강화와 전문성을 더한다는 계획이다.김 변호사는 "대륜 마약대응그룹장으로 부임하게 되어 기쁜 마음"이라며 "의뢰인의 사건 해결을 위한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 최적의 법률 결과를 안겨드리겠다"라고 밝혔다.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강력범죄에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한 김 변호사의 영입으로 대륜의 마약대응그룹은 역량이 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대륜은 계속해서 경험이 풍부한 인재를 영입해 고객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로펌으로 '고객 중심 경영' 기조 아래 365일 24시간 상담접수 등 상시 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법률신문 - 김명석 전 공수처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조세일보 - 공수처 김명석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TV조선 - 공수처 출신 김명석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마약 사건 역량 강화" (바로가기)뉴스1 - '강력통' 김명석 前 공수처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법무법인 대륜, 김명석 전 공수처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7-29
개인정보 팔아먹을라…탈퇴 잇따르는 ‘티메프’
개인정보 팔아먹을라…탈퇴 잇따르는 ‘티메프’
SNS서 인증글 잇따라…"개인정보 허위로 바꾼 뒤 탈퇴" 조언도법조계 "정보 유출 및 불법 매매 빈번…의무조항 마련해야" 티몬·위메프(티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의 여파가 웹사이트 탈퇴 행렬로 이어지고 있다. 부도 위기에 내몰린 회사의 보안 관리가 허술해지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불법 판매될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다.29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이른바 '티메프 사태' 이후 SNS에는 티몬과 위메프 탈퇴를 인증하거나 네이버, 카카오 등 타 SNS와의 연동을 완전히 해제하는 방법 등을 알려주는 게시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웹사이트를 탈퇴해도 사이트 규정상 가입자의 일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각에선 개인정보를 모두 허위로 바꾼 뒤에 탈퇴하라고 조언하기도 한다.최근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중국 판매업체에 제공하는 등 이커머스 업계의 대규모 정보 유출 사태와 맞물리면서 소비자들의 이같은 불안감이 가중됐다. 논란이 커지자 개인정보위원회는지난 26일 티몬·위메프의 개인정보 관리를 위탁받은 큐텐테크놀로지 유한회사의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를 통해 개인정보 처리실태를 확인한 뒤 "현재까지 개인정보 처리 관련 문제점은 발견된 바 없다"고 밝혔다.그러나 법조계에선 실제 파산한 기업들에서 개인정보 유출 및 불법 매매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만큼 정부와 소비자들의 엄격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법무법인 대륜의 방인태 기업자문센터 수석변호사는 "원칙적으로 기업이 파산한다고 해서 보유하고 있었던 개인정보가 채권자 등에게 이전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부도 위기에 처한 기업의 관리 부실로 정보가 유출되고, 그 과정에서 제3자 등이 이른바 '돈이 되는' 개인정보들을 불법적으로 구매하는 일들은 실제로 일어나기도 한다"고 전했다.방 변호사는 "다만 이 같은 경우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강하게 처벌돼야 하고, 그러한 행위를 하는 사람들 모두 중한 형사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도 "기업 파산 시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자산들이 채무자들에게 모니터링이 되면서 '시스템 안의 정보 데이터들도 같이 넘기면 돈을 더 주겠다'고 하면 보통 넘겨 주는 경우가 숱하다"며 "개인정보보호법상 폐업 수순을 밟고 있거나 이미 해산한 기업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보호 의무가 구체적으로 정의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규정하는 법적 조항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이어 김 교수는 "현재로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더 자세히 파산 절차 과정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며 "소비자들 또한 계속해서 경각심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 개인정보 팔아먹을라…탈퇴 잇따르는 ‘티메프’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7-29
개인정보 팔아먹을라…탈퇴 잇따르는 ‘티메프’
개인정보 팔아먹을라…탈퇴 잇따르는 ‘티메프’
SNS서 인증글 잇따라…"개인정보 허위로 바꾼 뒤 탈퇴" 조언도법조계 "정보 유출 및 불법 매매 빈번…의무조항 마련해야" 티몬·위메프(티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의 여파가 웹사이트 탈퇴 행렬로 이어지고 있다. 부도 위기에 내몰린 회사의 보안 관리가 허술해지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불법 판매될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다.29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이른바 '티메프 사태' 이후 SNS에는 티몬과 위메프 탈퇴를 인증하거나 네이버, 카카오 등 타 SNS와의 연동을 완전히 해제하는 방법 등을 알려주는 게시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웹사이트를 탈퇴해도 사이트 규정상 가입자의 일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각에선 개인정보를 모두 허위로 바꾼 뒤에 탈퇴하라고 조언하기도 한다.최근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중국 판매업체에 제공하는 등 이커머스 업계의 대규모 정보 유출 사태와 맞물리면서 소비자들의 이같은 불안감이 가중됐다. 논란이 커지자 개인정보위원회는지난 26일 티몬·위메프의 개인정보 관리를 위탁받은 큐텐테크놀로지 유한회사의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를 통해 개인정보 처리실태를 확인한 뒤 "현재까지 개인정보 처리 관련 문제점은 발견된 바 없다"고 밝혔다.그러나 법조계에선 실제 파산한 기업들에서 개인정보 유출 및 불법 매매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만큼 정부와 소비자들의 엄격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법무법인 대륜의 방인태 기업자문센터 수석변호사는 "원칙적으로 기업이 파산한다고 해서 보유하고 있었던 개인정보가 채권자 등에게 이전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부도 위기에 처한 기업의 관리 부실로 정보가 유출되고, 그 과정에서 제3자 등이 이른바 '돈이 되는' 개인정보들을 불법적으로 구매하는 일들은 실제로 일어나기도 한다"고 전했다.방 변호사는 "다만 이 같은 경우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강하게 처벌돼야 하고, 그러한 행위를 하는 사람들 모두 중한 형사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도 "기업 파산 시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자산들이 채무자들에게 모니터링이 되면서 '시스템 안의 정보 데이터들도 같이 넘기면 돈을 더 주겠다'고 하면 보통 넘겨 주는 경우가 숱하다"며 "개인정보보호법상 폐업 수순을 밟고 있거나 이미 해산한 기업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보호 의무가 구체적으로 정의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규정하는 법적 조항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이어 김 교수는 "현재로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더 자세히 파산 절차 과정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며 "소비자들 또한 계속해서 경각심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 개인정보 팔아먹을라…탈퇴 잇따르는 ‘티메프’ (바로가기)
로이슈 등 2곳
2024-07-29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설명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설명
소액 피해자들은 법원에 의한 집단소송 진행 유리고액 용역이나 재화 판매업체는 개별소송 진행 유리 법무법인(유) 대륜 기업법무그룹 방인태 수석변호사는 29일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관련(피해규모 1700억 원~1조원), 대금 지급 구조, 피해 사안별 죄목, 집단 분쟁조정 절차와 집단소송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했다.(티몬, 위메프 대금 지급구조) 티몬, 위메프는 통신판매중개업자이자 전자지급결제대행업체(PG)로서, 소비자들이 상품을 결제하면 1차 PG사를 거쳐 2차 PG사에 대금이 갔다가 판매자에게 대금이 최종적으로 지급되는 구조이다. 고객이 통신판매업자에게서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면서 신용카드로 대금을 결제하는 경우, 해당 대금은 [고객→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PG사)→통신판매업자] 순으로 옮겨 간다. 대표적인 제1차 PG사로 나이스정보통신, KG이니시스 등이 있다.그런데 티몬, 위메프의 경우 자금 이동단계에서 [고객→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1차 PG사)→티몬,위메프(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2차 PG사)→ 통신판매업자]순으로 대금이 이동하고 있다.이처럼 티몬과 위메프가 2차 PG사로서 개입하게 된 이유는 티몬과 같은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에 입점한 영세 업체가 1차 PG사와 직접 가맹계약을 맺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티몬,위메프가 직접 1차 PG사와 가맹 계약 맺고, 대금을 지급받아 영세업체에게 결산(정산)해주는 구조가 성립된 것이다. 즉, 결제대행 자체는 1차 PG사에 맡기고, 티몬, 위메프가 2차 PG사로서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이 입점 업체를 대신하여 수수료와 대금의 정산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다.(피해 사안별 죄목) 구매대금을 지급하고도 재화용역을 공급받지 못한 소비자=결제대금이 1차PG에서 티몬, 위메프로 완전히 이전된 경우 티몬과 위메프에 대해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채무불이행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재화용역을 구매자에게 공급했지만 그에 대한 대금을 지급(정산)받지 못한 판매자=티몬, 위메프로부터 소비자의 청약 정보를 수령한 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비자에게 정상적으로 재화용역을 공급한 사실을 입증하여 티몬, 위메프에게 정산금청구 및 채무불이행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티몬, 위메프가 1차 PG로부터 수령한 결제대금은 판매자를 위해 보관하고 있다고 해석되므로,이를 정산 외의 다른 용도에 사용했다면 업무상횡령죄가 성립할 것으로 보인다.만에 하나 자금 사정상 판매자에게 대금결제가 불가능할 것임을 알면서도 결제할의사 없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 청약을 판매자에게 전달하여 판매자로 하여금 소비자에게 재화용역을 공급하게 했다면 사기죄도 성립할 여지가 있다.(집단분쟁조정 절차와 집단소송의 차이점) 집단분쟁조정절차는 [한국소비보호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에서 진행하는 집단적 피해에 대한 구제절차이다.법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소송과는 다르고, 조정안을 양 당사자가 모두 수용해야 법원 판결과 같은 효력이 있다. 흔히들 말하는 집단소송은 법적인 용어로는 다수당사자 소송으로, 이 사건에서는 다수의 원고가 티몬 또는 위메프를 상대로 제기할 소송이 되겠다.방인태 변호사는 "피해규모가 크고 자료가 방대하며, 그에 따른 배상액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임의적인 집단분쟁조정절차보다는 아무래도 법원에 의한 집단소송 절차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며 "소액 피해자들은 법원에 의한 집단소송으로 진행하는 것이, 고액 용역이나 재화 판매업체는 개별소송으로 진행하는 것이 입증 편의, 소송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된다"고 이같이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설명 (바로가기)세계일보 - 티몬·위메프 미정산액 “1조원 넘을 수도”…검찰 ‘법리검토’ (바로가기)
로이슈 등 2곳
2024-07-29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설명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설명
소액 피해자들은 법원에 의한 집단소송 진행 유리고액 용역이나 재화 판매업체는 개별소송 진행 유리 법무법인(유) 대륜 기업법무그룹 방인태 수석변호사는 29일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관련(피해규모 1700억 원~1조원), 대금 지급 구조, 피해 사안별 죄목, 집단 분쟁조정 절차와 집단소송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했다.(티몬, 위메프 대금 지급구조) 티몬, 위메프는 통신판매중개업자이자 전자지급결제대행업체(PG)로서, 소비자들이 상품을 결제하면 1차 PG사를 거쳐 2차 PG사에 대금이 갔다가 판매자에게 대금이 최종적으로 지급되는 구조이다. 고객이 통신판매업자에게서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면서 신용카드로 대금을 결제하는 경우, 해당 대금은 [고객→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PG사)→통신판매업자] 순으로 옮겨 간다. 대표적인 제1차 PG사로 나이스정보통신, KG이니시스 등이 있다.그런데 티몬, 위메프의 경우 자금 이동단계에서 [고객→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1차 PG사)→티몬,위메프(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2차 PG사)→ 통신판매업자]순으로 대금이 이동하고 있다.이처럼 티몬과 위메프가 2차 PG사로서 개입하게 된 이유는 티몬과 같은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에 입점한 영세 업체가 1차 PG사와 직접 가맹계약을 맺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티몬,위메프가 직접 1차 PG사와 가맹 계약 맺고, 대금을 지급받아 영세업체에게 결산(정산)해주는 구조가 성립된 것이다. 즉, 결제대행 자체는 1차 PG사에 맡기고, 티몬, 위메프가 2차 PG사로서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이 입점 업체를 대신하여 수수료와 대금의 정산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다.(피해 사안별 죄목) 구매대금을 지급하고도 재화용역을 공급받지 못한 소비자=결제대금이 1차PG에서 티몬, 위메프로 완전히 이전된 경우 티몬과 위메프에 대해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채무불이행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재화용역을 구매자에게 공급했지만 그에 대한 대금을 지급(정산)받지 못한 판매자=티몬, 위메프로부터 소비자의 청약 정보를 수령한 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비자에게 정상적으로 재화용역을 공급한 사실을 입증하여 티몬, 위메프에게 정산금청구 및 채무불이행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티몬, 위메프가 1차 PG로부터 수령한 결제대금은 판매자를 위해 보관하고 있다고 해석되므로,이를 정산 외의 다른 용도에 사용했다면 업무상횡령죄가 성립할 것으로 보인다.만에 하나 자금 사정상 판매자에게 대금결제가 불가능할 것임을 알면서도 결제할의사 없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 청약을 판매자에게 전달하여 판매자로 하여금 소비자에게 재화용역을 공급하게 했다면 사기죄도 성립할 여지가 있다.(집단분쟁조정 절차와 집단소송의 차이점) 집단분쟁조정절차는 [한국소비보호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에서 진행하는 집단적 피해에 대한 구제절차이다.법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소송과는 다르고, 조정안을 양 당사자가 모두 수용해야 법원 판결과 같은 효력이 있다. 흔히들 말하는 집단소송은 법적인 용어로는 다수당사자 소송으로, 이 사건에서는 다수의 원고가 티몬 또는 위메프를 상대로 제기할 소송이 되겠다.방인태 변호사는 "피해규모가 크고 자료가 방대하며, 그에 따른 배상액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임의적인 집단분쟁조정절차보다는 아무래도 법원에 의한 집단소송 절차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며 "소액 피해자들은 법원에 의한 집단소송으로 진행하는 것이, 고액 용역이나 재화 판매업체는 개별소송으로 진행하는 것이 입증 편의, 소송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된다"고 이같이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방인태 변호사,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사태 설명 (바로가기)세계일보 - 티몬·위메프 미정산액 “1조원 넘을 수도”…검찰 ‘법리검토’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7-29
현장결제보다 비싼 숙박앱… 소비자 ‘중개수수료 호갱’ 분통
[아투포커스] 현장결제보다 비싼 숙박앱… 소비자 ‘중개수수료 호갱’ 분통
광고비 등 입점 업체들 지출 상당소비자에 전가… 가격 부담 커져숙박 예약 플랫폼 규제 마련 필요 "숙박 예약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가 저렴한 가격 때문인데 현장 결제가 더 싸게 나오니 이건 뭐 '호갱' 된 기분이죠. 전화해서 항의라도 하면 내부 규정상 자세한 설명도 듣기 어렵고 연결 자체도 너무 오래 걸려요."여름 휴가철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여행을 계획한 30대 직장인 A씨는 체크인 당일 호텔 직원으로부터 숙박 앱을 통한 가격보다 약 8만원 저렴한 금액대로 투숙이 가능하다는 설명을 듣게 됐다. A씨는 "숙박 앱에 문의했더니 '이미 결제할 때 동의한 사안이라 환불도 어렵고 가격 차이는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오히려 당당하게 나오더라. 수수료 정책 등에 대한 문의에도 '설명해 줄 수 없다'고 하더라"며 불만을 터뜨렸다. 결국 A씨는 1박에 8만원 가량을 더 주고 2박 3일을 투숙했다.여름 성수기를 맞아 이 같은 불만을 호소하는 여행객들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값비싼 광고비와 높은 입점 수수료 등 숙박 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된 상황에서 숙박 플랫폼에 대한 규제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28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숙박 예약 플랫폼의 평균 입점 중개수수료는 11%가량이다. 입점업체별 중개거래 및 위수탁거래 판매수수료에 따라 적게는 8%, 많게는 17%의 예약(중개)수수료를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숙박업체들은 높은 중개수수료뿐만 아니라 광고비 지출도 큰 상황이다. 실제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숙박앱 입점업체가 플랫폼에 지출하는 월평균 광고비는 107만9000원으로 노출 광고비가 82만2000원, 쿠폰 광고비가 25만7000원을 각각 차지했다.이런 플랫폼 수수료는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되면서 가격 편차가 커지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이중가격에 대해 온라인 플랫폼에 법적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고 설명한다. 대부분의 온라인 플랫폼 사건의 경우 3000만원 미만의 소액 사건이 대부분이라 소송이 진행되더라도 플랫폼사들이 회사 방침을 수정하거나 약관을 변경하는 등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조용한 합의'에 나서는 실정이다.김진우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만약 플랫폼사에서 취소 수수료 등을 받지 않는다고 했다가 받으면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로 간주해 사기죄로 형사처벌이 가능하겠지만 그런게 아니면 사실상의 처벌은 어렵다. 피해자들도 금전적인 보상을 더 원하는 측면이 있어 플랫폼사들이 소비자와 조용히 합의해 돈을 주는 경우도 있다. 만약 항소심을 가고 대법원까지 판결이 확정되면 플랫폼 기업 입장에서는 판례가 확립되기 때문에 조용히 넘어가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다만 최근 피해를 입은 소비자들이 개인이 아닌 집단소송 등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에 강력한 법적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사례들이 속속 나오고 있어 기업들이 경각심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 변호사는 "집단소송의 경우 좀 더 기업에게 강하게 항의할 수 있는 방안이 되기도 한다. 이런 움직임들이 최근 법조계에서 일어나고 있으니 기업들도 경각심을 가지고 약관들을 수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도 "숙박 앱들이 독재자 행세를 하면서 이중결제를 틈 타 소비자들을 좌지우지를 하는데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의 일환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서명을 받아 단체로 피해 사실을 알리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 [아투포커스] 현장결제보다 비싼 숙박앱… 소비자 ‘중개수수료 호갱’ 분통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7-29
현장결제보다 비싼 숙박앱… 소비자 ‘중개수수료 호갱’ 분통
[아투포커스] 현장결제보다 비싼 숙박앱… 소비자 ‘중개수수료 호갱’ 분통
광고비 등 입점 업체들 지출 상당소비자에 전가… 가격 부담 커져숙박 예약 플랫폼 규제 마련 필요 "숙박 예약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가 저렴한 가격 때문인데 현장 결제가 더 싸게 나오니 이건 뭐 '호갱' 된 기분이죠. 전화해서 항의라도 하면 내부 규정상 자세한 설명도 듣기 어렵고 연결 자체도 너무 오래 걸려요."여름 휴가철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여행을 계획한 30대 직장인 A씨는 체크인 당일 호텔 직원으로부터 숙박 앱을 통한 가격보다 약 8만원 저렴한 금액대로 투숙이 가능하다는 설명을 듣게 됐다. A씨는 "숙박 앱에 문의했더니 '이미 결제할 때 동의한 사안이라 환불도 어렵고 가격 차이는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오히려 당당하게 나오더라. 수수료 정책 등에 대한 문의에도 '설명해 줄 수 없다'고 하더라"며 불만을 터뜨렸다. 결국 A씨는 1박에 8만원 가량을 더 주고 2박 3일을 투숙했다.여름 성수기를 맞아 이 같은 불만을 호소하는 여행객들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값비싼 광고비와 높은 입점 수수료 등 숙박 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된 상황에서 숙박 플랫폼에 대한 규제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28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숙박 예약 플랫폼의 평균 입점 중개수수료는 11%가량이다. 입점업체별 중개거래 및 위수탁거래 판매수수료에 따라 적게는 8%, 많게는 17%의 예약(중개)수수료를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숙박업체들은 높은 중개수수료뿐만 아니라 광고비 지출도 큰 상황이다. 실제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숙박앱 입점업체가 플랫폼에 지출하는 월평균 광고비는 107만9000원으로 노출 광고비가 82만2000원, 쿠폰 광고비가 25만7000원을 각각 차지했다.이런 플랫폼 수수료는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되면서 가격 편차가 커지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이중가격에 대해 온라인 플랫폼에 법적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고 설명한다. 대부분의 온라인 플랫폼 사건의 경우 3000만원 미만의 소액 사건이 대부분이라 소송이 진행되더라도 플랫폼사들이 회사 방침을 수정하거나 약관을 변경하는 등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조용한 합의'에 나서는 실정이다.김진우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만약 플랫폼사에서 취소 수수료 등을 받지 않는다고 했다가 받으면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로 간주해 사기죄로 형사처벌이 가능하겠지만 그런게 아니면 사실상의 처벌은 어렵다. 피해자들도 금전적인 보상을 더 원하는 측면이 있어 플랫폼사들이 소비자와 조용히 합의해 돈을 주는 경우도 있다. 만약 항소심을 가고 대법원까지 판결이 확정되면 플랫폼 기업 입장에서는 판례가 확립되기 때문에 조용히 넘어가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다만 최근 피해를 입은 소비자들이 개인이 아닌 집단소송 등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에 강력한 법적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사례들이 속속 나오고 있어 기업들이 경각심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 변호사는 "집단소송의 경우 좀 더 기업에게 강하게 항의할 수 있는 방안이 되기도 한다. 이런 움직임들이 최근 법조계에서 일어나고 있으니 기업들도 경각심을 가지고 약관들을 수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도 "숙박 앱들이 독재자 행세를 하면서 이중결제를 틈 타 소비자들을 좌지우지를 하는데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의 일환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서명을 받아 단체로 피해 사실을 알리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시아투데이 - [아투포커스] 현장결제보다 비싼 숙박앱… 소비자 ‘중개수수료 호갱’ 분통 (바로가기)
로이슈 등 4곳
2024-07-29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 구성…피해구제 착수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 구성…피해구제 착수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 계열 e커머스 플랫폼의 미정산 사태에 따른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를 구성해 피해구제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유통업계에 따르면 현재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그룹 계열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한 6만 곳 중 상당수가 소상공인으로 확인됐다. 대부분 자금 사정이 열악해 정산이이뤄지지 못할 경우 영업을 중단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시기가 불투명해지자 중소 판매자의 자금난은 지속해서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회사 도산 위기에 봉착한 판매자들은 법인회생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TF에는 대기업 출신 변호사를 비롯해 법인회생·파산 등 특수분야 전문가들이 합류했다. 특히 변호사 이외에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가가 함께해 전문성을 더했다.TF의 중심축은 기업법무그룹장인 원형일(사법연수원28기) 변호사가 맡았다. 포스코홀딩스(前 포스코) 법무실 상무·법무실장, 포스코퓨처엠(前 포스코케미칼) 법무실장 전무를 지낸 원 변호사는 법무실 재직 당시 다수의 기업소송을 다뤘으며, 기업법무 연계 법률 자문에 특화된 전문가다.이 외에도 ▲김앤장 파트너변호사 출신으로 기업법무와 조세 분야에 특화된 신종수(31기) 변호사 ▲15년 이상 중·대형 로펌을 거치며 노무, 공정거래 등 특수 기업법무에 능통한 김광덕(32기) 변호사 ▲기업회생파산센터장의 김원상(43기) 변호사 ▲서울중앙지검, 서울서부지검 등에서 부장검사로 재직하며 다수의 기업범죄를 다룬 나창수(31기) 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노동전문변호사인 방인태(41기) 변호사 ▲LG이노텍 사내변호사를 지내고 국제거래에 방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한 지민희 변호사 ▲인사·노무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겸비한 정상혁 변호사가 이번 티몬·위메프 사태로 줄도산을 겪는 법인에 필요한 조력을 제공한다.TF에는 ▲다수의 상장·비상장 법인회생 조사위원을 경험한 박성아 회계사 ▲기업 감사업무, 단체교섭 실무를 담당한 원용일 노무사 ▲IT·서비스·제조·유통 등 다수 기업의 노무 법률자문을 수행한 남서혜 노무사 ▲다양한 업종의 세무 조정 및 자문을 진행한 임정오 세무사가 투입된다. 특수 분야 전문가의 투입으로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은 판매자와 소비자에 신속한 후속 조치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TF를 이끄는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현재 티몬·위메프 사태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그 금액을 추산할 수 없을 정도로 막심한 상황이다”며 “이번 TF 구성으로 피해자들이 집단소송에 나설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 구성…피해구제 착수 (바로가기)세계일보 - 2500명 환불 대기하는데 “1000명까지만”…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티메프’ 사태 TF 구성… 피해구제 착수 (바로가기)뉴시스 - '티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움직임에…법무법인, TF 구성 분주 (바로가기)
로이슈 등 4곳
2024-07-29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 구성…피해구제 착수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 구성…피해구제 착수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 계열 e커머스 플랫폼의 미정산 사태에 따른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를 구성해 피해구제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유통업계에 따르면 현재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그룹 계열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한 6만 곳 중 상당수가 소상공인으로 확인됐다. 대부분 자금 사정이 열악해 정산이이뤄지지 못할 경우 영업을 중단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시기가 불투명해지자 중소 판매자의 자금난은 지속해서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회사 도산 위기에 봉착한 판매자들은 법인회생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TF에는 대기업 출신 변호사를 비롯해 법인회생·파산 등 특수분야 전문가들이 합류했다. 특히 변호사 이외에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전문가가 함께해 전문성을 더했다.TF의 중심축은 기업법무그룹장인 원형일(사법연수원28기) 변호사가 맡았다. 포스코홀딩스(前 포스코) 법무실 상무·법무실장, 포스코퓨처엠(前 포스코케미칼) 법무실장 전무를 지낸 원 변호사는 법무실 재직 당시 다수의 기업소송을 다뤘으며, 기업법무 연계 법률 자문에 특화된 전문가다.이 외에도 ▲김앤장 파트너변호사 출신으로 기업법무와 조세 분야에 특화된 신종수(31기) 변호사 ▲15년 이상 중·대형 로펌을 거치며 노무, 공정거래 등 특수 기업법무에 능통한 김광덕(32기) 변호사 ▲기업회생파산센터장의 김원상(43기) 변호사 ▲서울중앙지검, 서울서부지검 등에서 부장검사로 재직하며 다수의 기업범죄를 다룬 나창수(31기) 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노동전문변호사인 방인태(41기) 변호사 ▲LG이노텍 사내변호사를 지내고 국제거래에 방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한 지민희 변호사 ▲인사·노무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겸비한 정상혁 변호사가 이번 티몬·위메프 사태로 줄도산을 겪는 법인에 필요한 조력을 제공한다.TF에는 ▲다수의 상장·비상장 법인회생 조사위원을 경험한 박성아 회계사 ▲기업 감사업무, 단체교섭 실무를 담당한 원용일 노무사 ▲IT·서비스·제조·유통 등 다수 기업의 노무 법률자문을 수행한 남서혜 노무사 ▲다양한 업종의 세무 조정 및 자문을 진행한 임정오 세무사가 투입된다. 특수 분야 전문가의 투입으로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은 판매자와 소비자에 신속한 후속 조치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TF를 이끄는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현재 티몬·위메프 사태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그 금액을 추산할 수 없을 정도로 막심한 상황이다”며 “이번 TF 구성으로 피해자들이 집단소송에 나설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사태 대응 TF 구성…피해구제 착수 (바로가기)세계일보 - 2500명 환불 대기하는데 “1000명까지만”…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티메프’ 사태 TF 구성… 피해구제 착수 (바로가기)뉴시스 - '티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움직임에…법무법인, TF 구성 분주 (바로가기)
뉴스1 등 8곳
2024-07-26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우수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우수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법무법인 (유)대륜이 우수한 법조인 양성에 힘을 모은다.양 기관은 25일 전북대 법전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정영선 법전원장과 김국일 대표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대륜은 앞으로 전북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다양한 실무경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교육과 연구분야에서도 인·물적 교류를 이어나가기로 했다.정영선 전북대 법전원장은 “우리 학생들이 법조 실무에 필요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양 기관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우수한 법조인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고, 공동 연구를 통해 법학 분야의 공동 발전도 모색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세계적인 로펌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인 대륜의 비전 실현을 위해서는 각 대학과의 협력도 매우 중요하다”라며 “전북대와의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우리 학생들이 우수한 법조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뉴스1 -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우수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바로가기)노컷뉴스 -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협약…교육·연구 교류 (바로가기)전북도민일보 - 전북대 법전원,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약 체결 (바로가기)전민일보 -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법무법인 대륜, 인턴십 등 상호협력 협약 (바로가기)NSP통신 -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업무협력 협약 (바로가기)베리타스알파 - 전북대 법전원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약 체결 (바로가기)법률저널 - 전북대 로스쿨, 학생 역량 강화...로펌 대륜과 협약 체결 (바로가기)한국강사신문 -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맞손’ (바로가기)
뉴스1 등 8곳
2024-07-26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우수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우수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법무법인 (유)대륜이 우수한 법조인 양성에 힘을 모은다.양 기관은 25일 전북대 법전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정영선 법전원장과 김국일 대표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대륜은 앞으로 전북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다양한 실무경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교육과 연구분야에서도 인·물적 교류를 이어나가기로 했다.정영선 전북대 법전원장은 “우리 학생들이 법조 실무에 필요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양 기관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우수한 법조인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고, 공동 연구를 통해 법학 분야의 공동 발전도 모색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세계적인 로펌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인 대륜의 비전 실현을 위해서는 각 대학과의 협력도 매우 중요하다”라며 “전북대와의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우리 학생들이 우수한 법조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뉴스1 -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우수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바로가기)노컷뉴스 -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협약…교육·연구 교류 (바로가기)전북도민일보 - 전북대 법전원,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약 체결 (바로가기)전민일보 -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법무법인 대륜, 인턴십 등 상호협력 협약 (바로가기)NSP통신 - 전북대 법전원-법무법인 대륜, 업무협력 협약 (바로가기)베리타스알파 - 전북대 법전원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약 체결 (바로가기)법률저널 - 전북대 로스쿨, 학생 역량 강화...로펌 대륜과 협약 체결 (바로가기)한국강사신문 -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맞손’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5곳
2024-07-26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소비자·판매자 피해 잇따라- 소송 관련 문의 폭증…회계사, 세무사, 노무사까지 TF 합류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가 확산하면서 소비자와 판매업체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관련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소송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싱가포르 전자상거래 업체 큐텐의 계열사인 티몬·위메프는 지난 5월 판매된 상품 대금을 정산하지 않아 논란에 휩싸였다. 6~7월 판매대금에 대한 정산 여부 역시 불투명해 판매 업체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소상공인 커뮤니티 등에는 ‘들어온 주문을 모두 취소했다’, ‘미정산금만 수 천 만원이라 불안하다’는 내용의 우려 섞인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일부 판매자들은 집단소송에 참여할 피해자를 모집하는 등 사태 장기화를 대비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자금난에 봉착한 일부 판매업체들이 상품 판매를 취소하면서 소비자들의 피해 역시 커지고 있다. 특히 여행상품을 예약한 소비자들의 피해가 막심한데, 대금을 받지 못한 여행사들이 기존 결제 취소·자사 재결제 방침을 내세우고 있어 소비자들이 여행을 취소해야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의 경우 50인 이상이 유사한 피해를 입었을 때 집단 분쟁조정 절차를 밟을 수 있다. 하지만 조정이 불성립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조정안이 도출된다고 해도 ‘권고’ 수준에 그쳐 기업이 이에 응하지 않으면 손해배상 소송 등 별도의 법적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현재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피해액이 수억 원에 이르는 피해자들의 소송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티몬·위메프 사태를 둘러싼 문의가 소비자와 판매자 구분없이 잇따른 것을 파악하고, 집단소송 TF를 구성, 신속한 대응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는 입장이다. 특히, 기업 도산까지 고려해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소속 전문가들도 TF에 합류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채무불이행 손해배상청구, 부당이득 반환소송 등을 제기할 수 있다”며 “피해 규모와 정도가 심각한만큼, 집단소송을 통해 소비자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급 지연 사태가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중소 판매업자들의 줄도산이 우려된다”며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회계사와 세무사, 노무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하며 소송을 준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집단소송 신청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홈페이지 상담 예약 페이지에서 가능하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불공정한 숙박 플랫폼의 환불 정책에 문제를 제기하며 현재 국내 유명 숙박 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추진하고 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티몬·위메프와 야놀자 관련 소송 모두 사회적 파급력이 큰 사안인만큼,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들로 TF를 구성해 피해자들을 조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머니S - "줄도산 우려"…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연합뉴스 - 로펌들, 티몬·위메프 피해자 모집해 공동소송 추진 (바로가기)이데일리 - "티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법무법인 대륜 TF 구성 (바로가기)메디컬투데이 -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피해자들,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5곳
2024-07-26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소비자·판매자 피해 잇따라- 소송 관련 문의 폭증…회계사, 세무사, 노무사까지 TF 합류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가 확산하면서 소비자와 판매업체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관련 피해자들을 모아 집단소송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싱가포르 전자상거래 업체 큐텐의 계열사인 티몬·위메프는 지난 5월 판매된 상품 대금을 정산하지 않아 논란에 휩싸였다. 6~7월 판매대금에 대한 정산 여부 역시 불투명해 판매 업체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소상공인 커뮤니티 등에는 ‘들어온 주문을 모두 취소했다’, ‘미정산금만 수 천 만원이라 불안하다’는 내용의 우려 섞인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일부 판매자들은 집단소송에 참여할 피해자를 모집하는 등 사태 장기화를 대비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자금난에 봉착한 일부 판매업체들이 상품 판매를 취소하면서 소비자들의 피해 역시 커지고 있다. 특히 여행상품을 예약한 소비자들의 피해가 막심한데, 대금을 받지 못한 여행사들이 기존 결제 취소·자사 재결제 방침을 내세우고 있어 소비자들이 여행을 취소해야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의 경우 50인 이상이 유사한 피해를 입었을 때 집단 분쟁조정 절차를 밟을 수 있다. 하지만 조정이 불성립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조정안이 도출된다고 해도 ‘권고’ 수준에 그쳐 기업이 이에 응하지 않으면 손해배상 소송 등 별도의 법적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현재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피해액이 수억 원에 이르는 피해자들의 소송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티몬·위메프 사태를 둘러싼 문의가 소비자와 판매자 구분없이 잇따른 것을 파악하고, 집단소송 TF를 구성, 신속한 대응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는 입장이다. 특히, 기업 도산까지 고려해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소속 전문가들도 TF에 합류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은 “채무불이행 손해배상청구, 부당이득 반환소송 등을 제기할 수 있다”며 “피해 규모와 정도가 심각한만큼, 집단소송을 통해 소비자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급 지연 사태가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중소 판매업자들의 줄도산이 우려된다”며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회계사와 세무사, 노무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하며 소송을 준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집단소송 신청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홈페이지 상담 예약 페이지에서 가능하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불공정한 숙박 플랫폼의 환불 정책에 문제를 제기하며 현재 국내 유명 숙박 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추진하고 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티몬·위메프와 야놀자 관련 소송 모두 사회적 파급력이 큰 사안인만큼,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들로 TF를 구성해 피해자들을 조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머니S - "줄도산 우려"… 티몬·위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연합뉴스 - 로펌들, 티몬·위메프 피해자 모집해 공동소송 추진 (바로가기)이데일리 - "티메프 피해자 집단소송 추진" 법무법인 대륜 TF 구성 (바로가기)메디컬투데이 -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피해자들,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로리더
2024-07-26
법원, 연인과 영상통화 중 나체·속옷차림 캡쳐·보관한 남성···재판결과는?
법원, 연인과 영상통화 중 나체·속옷차림 캡쳐·보관한 남성···재판결과는?
성폭력처벌법 저촉 촬영·복제물 여부, 반포, 소지 행위 관건정은영 부장판사 “상대방 의사 반해 촬영된 것 아냐···무죄” 연인과 영상통화 중 상대방의 나체 및 속옷 차림 모습을 수차례 캡처하고, 이를 보관하다 기소된 남성에게 무죄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형사1단독 정은영 부장판사는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물소지등)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지난 12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교제하던 B씨와 영상통화 도중 약 4회에 걸쳐 상대의 신체가 보이는 휴대전화 화면을 캡처했다. 해당 영상 속 상대는 속옷만 입고 있거나 나체 상태였다는 점에서 A씨에게는 성폭력처벌법 위반 혐의가 적용됐다.경찰 수사기록에 따르면, B씨는 A씨와 불륜 관계였다가 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A씨의 아내가 해당 캡처본을 발견하고 B씨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하자, B씨는 영상통화가 자신의 의사에 반한 것이라며 신고를 했다.이 형사재판에서는 피해자인 B씨가 직접 촬영한 촬영물로,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는 상황에서 촬영되지 않았다는 점이 주요하게 작용했다.정은영 부장판사는 “피고인이 소지한 영상정보는 영상통화를 통해 피해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를 촬영한 촬영물로,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된 것이 아니다”라면서, “피고인은 캡처한 사진들을 삭제하지 않은 채 단지 보관하고 있었을 뿐 반포 등 행위를 하지 않았다. 소지행위에 대하여는 처벌규정을 소급적용할 수 없다”는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카메라 등 이용 촬영, 불법촬영물 소지 등 혐의의 경우 사건 영상정보가 성폭력처벌법에서 규정하는 촬영물과 복제물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입증이 재판부의 유·무죄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이번 사건은 피고인의 행위가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지지 않았고 반포 등 행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정황을 입증해 무죄 판결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이어 “위 사건처럼 연인 간 친밀한 관계에서 행해지는 것들이 헤어지고 난 뒤 형사 고소로 이어지기도 한다”면서, “잊고 살다가 하루아침에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신속한 법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연인과 영상통화 중 나체·속옷차림 캡쳐·보관한 남성···재판결과는? (바로가기)
로리더
2024-07-26
법원, 연인과 영상통화 중 나체·속옷차림 캡쳐·보관한 남성···재판결과는?
법원, 연인과 영상통화 중 나체·속옷차림 캡쳐·보관한 남성···재판결과는?
성폭력처벌법 저촉 촬영·복제물 여부, 반포, 소지 행위 관건정은영 부장판사 “상대방 의사 반해 촬영된 것 아냐···무죄” 연인과 영상통화 중 상대방의 나체 및 속옷 차림 모습을 수차례 캡처하고, 이를 보관하다 기소된 남성에게 무죄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형사1단독 정은영 부장판사는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물소지등) 혐의로 기소된 50대 남성 A씨에게 지난 12일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교제하던 B씨와 영상통화 도중 약 4회에 걸쳐 상대의 신체가 보이는 휴대전화 화면을 캡처했다. 해당 영상 속 상대는 속옷만 입고 있거나 나체 상태였다는 점에서 A씨에게는 성폭력처벌법 위반 혐의가 적용됐다.경찰 수사기록에 따르면, B씨는 A씨와 불륜 관계였다가 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A씨의 아내가 해당 캡처본을 발견하고 B씨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하자, B씨는 영상통화가 자신의 의사에 반한 것이라며 신고를 했다.이 형사재판에서는 피해자인 B씨가 직접 촬영한 촬영물로,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는 상황에서 촬영되지 않았다는 점이 주요하게 작용했다.정은영 부장판사는 “피고인이 소지한 영상정보는 영상통화를 통해 피해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를 촬영한 촬영물로,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된 것이 아니다”라면서, “피고인은 캡처한 사진들을 삭제하지 않은 채 단지 보관하고 있었을 뿐 반포 등 행위를 하지 않았다. 소지행위에 대하여는 처벌규정을 소급적용할 수 없다”는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A씨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카메라 등 이용 촬영, 불법촬영물 소지 등 혐의의 경우 사건 영상정보가 성폭력처벌법에서 규정하는 촬영물과 복제물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입증이 재판부의 유·무죄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이번 사건은 피고인의 행위가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지지 않았고 반포 등 행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정황을 입증해 무죄 판결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이어 “위 사건처럼 연인 간 친밀한 관계에서 행해지는 것들이 헤어지고 난 뒤 형사 고소로 이어지기도 한다”면서, “잊고 살다가 하루아침에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신속한 법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연인과 영상통화 중 나체·속옷차림 캡쳐·보관한 남성···재판결과는? (바로가기)
머니S
2024-07-26
큐텐 잔고는 바닥, 티메프에 물린 1조 정산금 어쩌나
큐텐 잔고는 바닥, 티메프에 물린 1조 정산금 어쩌나
피해 금액 금감원 추정 "1700억원" vs 셀러들 주장 "1조원"큐텐그룹 유동성 '바닥'에 정산 지연 장기화 우려 티몬·위메프(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좀처럼 진화되지 않으면서 정산받지 못한 입점 업체들이 줄줄이 파산 위기에 놓였다는 주장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미정산 금액을 1700억원으로 봤지만 셀러들은 1조원 규모라는 입장이다. 유동성이 바닥까지 떨어진 큐텐이 난국을 타개할 수 있을지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지난 25일 금융감독원은 브리핑에서 티몬과 위메프의 미정산 금액을 1700억원으로 추정했다. 티메프 입점 셀러들은 양사의 월간 정산액이 금감원 발표보다 훨씬 큰 규모인 5000억원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티메프는 두달 이후에 정산하는 시스템을 취하고 있는데 두달이면 정산액이 1조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동성이 부족한 큐텐의 지급 능력에 의구심을 표했다.지난해 위메프매출액은 1268억으로 3년 연속 하향선을 그리고 있다. 티몬은 2023년 실적을 기한이 지나도록 제출하지 않았다. 2022년 매출액은 1204억9700만원, 영업손실은 1527억원에 이른다.업계는 티메프의 월평균 거래 규모를 1조원 정도로 본다. 셀러들 사이에서는 티메프 정산 지연에 대한 의혹이 두달 전부터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티몬은 매월 마지막 날에 +40일, 위메프는 월 매출 마감일로부터 익익월 +7일에 정산이 되는 시스템이다. 통상적으로 티몬은 두달, 위메프는 석달이 지나야 통장에 현금이 들어온다는 뜻이다.정산지연이 공론화된 것은 5월 이전 판매분이다. 6~7월 정산이 불투명한 지금 셀러들의 주장대로라면 피해 금액은 더 불어날 수 있다.입점 셀러 6만… 피해 규모 수천만원에서 수십억원까지 입점 업체 도산이 이어지면 연쇄 반응으로 은행 등 금융권 피해도 막심해진다. 업계에 따르면 티메프 입점 셀러 수는 6만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중소기업이거나 소상공인이다. 플랫폼에서 제때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사 운영에 차질이 생긴다. 이날 강남구 티몬 본사를 찾은 셀러들은 "판매자 피해 금액이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십억원에 이른다"며 "당장 직원들 월급을 어떻게 줘야 할지 막막하다" "티몬과 위메프에서 판매대금 정산을 해주지 않으면 우리 회사가 망할 수도 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한 대형 커뮤니티에서 스스로를 티메프 셀러라고 밝힌 A씨는 "대부분의 셀러가 정산 지연을 인지했지만 플랫폼 평판이 나빠져 소비자가 줄어들 것을 우려해 애써 공론화를 미뤄왔다"고 토로했다.업계는 수천억원대의 손실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M&A를 잇달아 진행한 것은 누가 봐도 무리였다며 "결국 터질 것이 터졌다"는 반응이다. 그동안 큐텐은 에스크로(구매안전 거래 시스템)를 적용하지 않고 소비자들이 결제한 금액을 직접 관리했다. 일각에서는 큐텐그룹이 M&A를 추진하기 위해 셀러들에게 지급해야 할 정산 금액을 운용했을 것이라는 추측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기업자문센터 방인태 수석변호사는 "소비자가 구매대금을 지불했는데 물건을 받지 못했고 이 금액을 플랫폼사가 판매자 지급 용도가 아닌 다른 곳에 사업비로 썼다면 횡령에 해당한다"면서 "이 경우 형사 사건이 되며 위메프와 티몬의 최고 경영자는 처벌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큐텐 잔고는 바닥, 티메프에 물린 1조 정산금 어쩌나 (바로가기)
머니S
2024-07-26
큐텐 잔고는 바닥, 티메프에 물린 1조 정산금 어쩌나
큐텐 잔고는 바닥, 티메프에 물린 1조 정산금 어쩌나
피해 금액 금감원 추정 "1700억원" vs 셀러들 주장 "1조원"큐텐그룹 유동성 '바닥'에 정산 지연 장기화 우려 티몬·위메프(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좀처럼 진화되지 않으면서 정산받지 못한 입점 업체들이 줄줄이 파산 위기에 놓였다는 주장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미정산 금액을 1700억원으로 봤지만 셀러들은 1조원 규모라는 입장이다. 유동성이 바닥까지 떨어진 큐텐이 난국을 타개할 수 있을지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지난 25일 금융감독원은 브리핑에서 티몬과 위메프의 미정산 금액을 1700억원으로 추정했다. 티메프 입점 셀러들은 양사의 월간 정산액이 금감원 발표보다 훨씬 큰 규모인 5000억원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티메프는 두달 이후에 정산하는 시스템을 취하고 있는데 두달이면 정산액이 1조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동성이 부족한 큐텐의 지급 능력에 의구심을 표했다.지난해 위메프매출액은 1268억으로 3년 연속 하향선을 그리고 있다. 티몬은 2023년 실적을 기한이 지나도록 제출하지 않았다. 2022년 매출액은 1204억9700만원, 영업손실은 1527억원에 이른다.업계는 티메프의 월평균 거래 규모를 1조원 정도로 본다. 셀러들 사이에서는 티메프 정산 지연에 대한 의혹이 두달 전부터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티몬은 매월 마지막 날에 +40일, 위메프는 월 매출 마감일로부터 익익월 +7일에 정산이 되는 시스템이다. 통상적으로 티몬은 두달, 위메프는 석달이 지나야 통장에 현금이 들어온다는 뜻이다.정산지연이 공론화된 것은 5월 이전 판매분이다. 6~7월 정산이 불투명한 지금 셀러들의 주장대로라면 피해 금액은 더 불어날 수 있다.입점 셀러 6만… 피해 규모 수천만원에서 수십억원까지 입점 업체 도산이 이어지면 연쇄 반응으로 은행 등 금융권 피해도 막심해진다. 업계에 따르면 티메프 입점 셀러 수는 6만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중소기업이거나 소상공인이다. 플랫폼에서 제때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사 운영에 차질이 생긴다. 이날 강남구 티몬 본사를 찾은 셀러들은 "판매자 피해 금액이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십억원에 이른다"며 "당장 직원들 월급을 어떻게 줘야 할지 막막하다" "티몬과 위메프에서 판매대금 정산을 해주지 않으면 우리 회사가 망할 수도 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한 대형 커뮤니티에서 스스로를 티메프 셀러라고 밝힌 A씨는 "대부분의 셀러가 정산 지연을 인지했지만 플랫폼 평판이 나빠져 소비자가 줄어들 것을 우려해 애써 공론화를 미뤄왔다"고 토로했다.업계는 수천억원대의 손실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M&A를 잇달아 진행한 것은 누가 봐도 무리였다며 "결국 터질 것이 터졌다"는 반응이다. 그동안 큐텐은 에스크로(구매안전 거래 시스템)를 적용하지 않고 소비자들이 결제한 금액을 직접 관리했다. 일각에서는 큐텐그룹이 M&A를 추진하기 위해 셀러들에게 지급해야 할 정산 금액을 운용했을 것이라는 추측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기업자문센터 방인태 수석변호사는 "소비자가 구매대금을 지불했는데 물건을 받지 못했고 이 금액을 플랫폼사가 판매자 지급 용도가 아닌 다른 곳에 사업비로 썼다면 횡령에 해당한다"면서 "이 경우 형사 사건이 되며 위메프와 티몬의 최고 경영자는 처벌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큐텐 잔고는 바닥, 티메프에 물린 1조 정산금 어쩌나 (바로가기)
로리더
2024-07-26
대전 지역 아파트 재개발 관련 잇단 분쟁···핵심은 ‘속도전’
대전 지역 아파트 재개발 관련 잇단 분쟁···핵심은 ‘속도전’
재건축·재개발 조합 시공사선정 및 공사비책정 등 분쟁 지속추진위원회 자금 관련 잡음…권한남용 법적 다툼으로관련 분쟁 휘말린 경우 권익 확보 필요 대전 지역의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관련 잇단 분쟁이 과열돼 주의가 요구된다.장기전으로 이어지는 사업인 만큼 분쟁에 휘말렸다면 신속한 대응으로 권익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최근 부동산정비업계에 따르면 대전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와 재개발조합 내 분쟁으로 도시 정비사업에 제동이 걸렸다.재개발은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 및 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으로 보통 조합설립인가,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계획인가 등 절차를 거쳐 완공 후 실제 입주까지는 10년 이상이 소요된다.재개발조합의 운영 비용을 두고 법적 다툼이 이어져 소요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이미 대전 지역 전역에서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초기 시공사 선정 및 공사비 책정 분쟁부터 중도금 지연이자, 재개발 현금청산 문제 등 여러 리스크가 터져 나오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조합과 조합원 사이의 갈등은 소송전으로 번지기도 해 자칫 사업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 분담금 유용, 조합장 횡령·배임과 같은 재건축, 재개발을 둘러싼 부동산 분쟁은 책임 소재 유무 등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그만큼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있고, 신속한 대응이 결과를 좌우한다. 소송 진행 시 시간도 오래 걸리고, 금액도 적게는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 함께 관련 사안을 꼼꼼하게 따져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대전 지역 아파트 재개발 관련 잇단 분쟁···핵심은 ‘속도전’ (바로가기)
로리더
2024-07-26
대전 지역 아파트 재개발 관련 잇단 분쟁···핵심은 ‘속도전’
대전 지역 아파트 재개발 관련 잇단 분쟁···핵심은 ‘속도전’
재건축·재개발 조합 시공사선정 및 공사비책정 등 분쟁 지속추진위원회 자금 관련 잡음…권한남용 법적 다툼으로관련 분쟁 휘말린 경우 권익 확보 필요 대전 지역의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관련 잇단 분쟁이 과열돼 주의가 요구된다.장기전으로 이어지는 사업인 만큼 분쟁에 휘말렸다면 신속한 대응으로 권익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최근 부동산정비업계에 따르면 대전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와 재개발조합 내 분쟁으로 도시 정비사업에 제동이 걸렸다.재개발은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 및 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으로 보통 조합설립인가,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계획인가 등 절차를 거쳐 완공 후 실제 입주까지는 10년 이상이 소요된다.재개발조합의 운영 비용을 두고 법적 다툼이 이어져 소요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이미 대전 지역 전역에서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초기 시공사 선정 및 공사비 책정 분쟁부터 중도금 지연이자, 재개발 현금청산 문제 등 여러 리스크가 터져 나오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조합과 조합원 사이의 갈등은 소송전으로 번지기도 해 자칫 사업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 분담금 유용, 조합장 횡령·배임과 같은 재건축, 재개발을 둘러싼 부동산 분쟁은 책임 소재 유무 등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그만큼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있고, 신속한 대응이 결과를 좌우한다. 소송 진행 시 시간도 오래 걸리고, 금액도 적게는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 함께 관련 사안을 꼼꼼하게 따져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대전 지역 아파트 재개발 관련 잇단 분쟁···핵심은 ‘속도전’ (바로가기)
베리타스알파
2024-07-24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 법무법인(유한)대륜, MOU 체결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 법무법인(유한)대륜, MOU 체결
예비 법조인을 위한 실무 기회 확대 노력.. 제주대 법전원, 재학생들 실력 향상 '기대'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법전원)은 법무법인(유한)대륜과 23일 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제주대 법전원 교수회의실에서 진행된 이날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김국일 대표와 오경훈 변호사, 고승석 변호사, 송의석 변호사, 제주대 법전원의 이윤석 원장과 김상헌 학과장, 고준성 교수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현재 전국 39개의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제주 지역에서는 제주지방법원, 제주지방검찰청에서 도보 5분 내외로 접근할 수 있는 입지에 제주분사무소가 위치해 고객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지난 2009년 개원 이후 수많은 법조인을 배출한 제주대 법전원은 올해 재판연구원 선발 전형에서 4명의 합격자를 배출하는 등 우수 법조인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이번 협약은 제주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실무수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 및 연구 차원의 인적교류를 위해 기획됐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한국을 넘어 일본 미국 등에도 지사를 설립함으로써 세계적인 로펌으로의 도약을 준비중에 있다. 이러한 대륜의 비전을 실현함에 있어 각 지방에서의 협력관계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제주대와 협력을 통해 인재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 인턴쉽을 포함해 대륜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도울 것"라는 포부를 밝혔다.제주대 법전원 이윤석 원장은 "이번 MOU를 통해 실무에 필수적인 주제선정, 사례 분석/실습 위주 수업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제주대는 한인변호사 다수와 인연을 맺고 있어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일본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돕겠다"며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탄탄한 계획을 토대로 재학생들이 진정한 법조인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앞으로도 전국 각 지역 대학 법전원과 긴밀한 업무 협력을 통해 학생들에 질 높은 실무 기회를 제공하고, 유능한 법조인 양성에 나설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 법무법인(유한)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베리타스알파
2024-07-24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 법무법인(유한)대륜, MOU 체결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 법무법인(유한)대륜, MOU 체결
예비 법조인을 위한 실무 기회 확대 노력.. 제주대 법전원, 재학생들 실력 향상 '기대'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법전원)은 법무법인(유한)대륜과 23일 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제주대 법전원 교수회의실에서 진행된 이날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김국일 대표와 오경훈 변호사, 고승석 변호사, 송의석 변호사, 제주대 법전원의 이윤석 원장과 김상헌 학과장, 고준성 교수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현재 전국 39개의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제주 지역에서는 제주지방법원, 제주지방검찰청에서 도보 5분 내외로 접근할 수 있는 입지에 제주분사무소가 위치해 고객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지난 2009년 개원 이후 수많은 법조인을 배출한 제주대 법전원은 올해 재판연구원 선발 전형에서 4명의 합격자를 배출하는 등 우수 법조인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이번 협약은 제주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실무수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 및 연구 차원의 인적교류를 위해 기획됐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한국을 넘어 일본 미국 등에도 지사를 설립함으로써 세계적인 로펌으로의 도약을 준비중에 있다. 이러한 대륜의 비전을 실현함에 있어 각 지방에서의 협력관계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제주대와 협력을 통해 인재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 인턴쉽을 포함해 대륜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도울 것"라는 포부를 밝혔다.제주대 법전원 이윤석 원장은 "이번 MOU를 통해 실무에 필수적인 주제선정, 사례 분석/실습 위주 수업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제주대는 한인변호사 다수와 인연을 맺고 있어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일본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돕겠다"며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탄탄한 계획을 토대로 재학생들이 진정한 법조인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앞으로도 전국 각 지역 대학 법전원과 긴밀한 업무 협력을 통해 학생들에 질 높은 실무 기회를 제공하고, 유능한 법조인 양성에 나설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 법무법인(유한)대륜,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3곳
2024-07-24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검찰청 성범죄 관련 사건 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공정위 재직 경험…공정거래 사건 전문성 갖춰 성범죄 관련 사건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을 받은 오세영 전 부장검사가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합류했다.23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오 변호사는 대구지방검찰청 김천지청, 대전지방검찰청,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서울북부지방검찰청 검사를 거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인천지방검찰청, 서울남부지방검찰청,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특히 오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 TF 팀장을 맡아 박사방, 제2의 n번방 사건을 수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외에도 대기업 회장 성매매 의혹 사건, 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강제추행 사건, 유명 프로 야구선수 준강간 사건, 남성 아동·청소년 대상 성착취물 제작·배포 사건 등 사회적으로 문제된 성범죄 사건을 다수 맡았다.검찰 재직 당시인 지난 2020년 성범죄 관련 사건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을 받아 성범죄, 아동학대범죄, 소년범죄 등 부분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도 했다.또 2002년부터 3년 간 공정거래위원회 심판관리관실 심결 전문 사무관으로 재직하며 부당 공동행위,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행위, 부당 지원행위 등 위원회에 상정되는 다양한 사건을 처리한 바 있다.오 변호사는 "성범죄 사건 뿐만 아니라 공정위 심결 전문관으로 다양한 사건을 처리했다"며 "그간 공직 생활을 통해 축적한 각종 성범죄 사건과 공정거래 사건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오 변호사 영입으로 성범죄대응그룹과 공정거래그룹의 전문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를 시작으로 각 그룹의 전문성을 강화해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이 되겠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로펌으로 '고객 중심 경영'을 가치 아래 전국 어디서든 가장 가까이서 만날 수 있는 대형로펌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법무법인 대륜, '박사방 사건' 오세영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3곳
2024-07-24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검찰청 성범죄 관련 사건 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공정위 재직 경험…공정거래 사건 전문성 갖춰 성범죄 관련 사건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을 받은 오세영 전 부장검사가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합류했다.23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오 변호사는 대구지방검찰청 김천지청, 대전지방검찰청,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서울북부지방검찰청 검사를 거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인천지방검찰청, 서울남부지방검찰청,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특히 오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 TF 팀장을 맡아 박사방, 제2의 n번방 사건을 수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외에도 대기업 회장 성매매 의혹 사건, 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강제추행 사건, 유명 프로 야구선수 준강간 사건, 남성 아동·청소년 대상 성착취물 제작·배포 사건 등 사회적으로 문제된 성범죄 사건을 다수 맡았다.검찰 재직 당시인 지난 2020년 성범죄 관련 사건분야 공인전문검사 인증을 받아 성범죄, 아동학대범죄, 소년범죄 등 부분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도 했다.또 2002년부터 3년 간 공정거래위원회 심판관리관실 심결 전문 사무관으로 재직하며 부당 공동행위,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행위, 부당 지원행위 등 위원회에 상정되는 다양한 사건을 처리한 바 있다.오 변호사는 "성범죄 사건 뿐만 아니라 공정위 심결 전문관으로 다양한 사건을 처리했다"며 "그간 공직 생활을 통해 축적한 각종 성범죄 사건과 공정거래 사건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오 변호사 영입으로 성범죄대응그룹과 공정거래그룹의 전문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를 시작으로 각 그룹의 전문성을 강화해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이 되겠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로펌으로 '고객 중심 경영'을 가치 아래 전국 어디서든 가장 가까이서 만날 수 있는 대형로펌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박사방 그 검사' 오세영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리걸타임즈 - [로펌 iN] 법무법인 대륜, '박사방 사건' 오세영 전 부장검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24
누가 잘못?…“예단도 안 해와” vs “실수로 스치듯 시어머니 뺨 때려”
누가 잘못?…“예단도 안 해와” vs “실수로 스치듯 시어머니 뺨 때려”
결혼 후 고부갈등을 빚은 한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해당 여성은 시어머니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당했다고 주장하는데, 전문가는 “이혼 및 위자료 청구가 가능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앞선 22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이런 고부갈등으로 억울하다는 여성 A씨의 사연이 전해졌다. 30대인 A씨는 남편과 결혼을 준비하며 양가 어른의 도움을 받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예단이나 예물 없이 ‘간소화 웨딩’을 치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알게 된 시어머니 B씨는 정색했다. 남들 다받는 예단조차 못 받는 게 서운했던 모양이다. B씨는 그 길로 A씨에게 전화해 “해도 해도 너무한다”고 질타했다. 이어 “딸이랑 아들이 같냐”라며 “아들에게 얘기하지 말고 예단 값을 1000만원 보내라”라고 했다. 결혼이 예정되어 있었기에 A씨는 갈등을 만들기 싫어 시어머니에게 예단 값을 뒤늦게 보냈고, 이를 남편에게 얘기하여 친정어머니께 드릴 예단값 1000만원을 받아냈다. 이후 결혼한 A씨는 임신했는데, 임신 후에도 시어머니와의 마찰이 계속된다. 소식을 들은 시어머니는 “임신했어도 남편 밥은 삼시세끼 다 챙겨줘야 한다”면서 “아내는 밤에 이거 사 달라, 저거 사 달라 요구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또 출산 예정일을 앞두고 입원한 A씨에게 의료진들이 응급 제왕절개 수술을 권했지만, 시어머니는 “자연분만해야 아이가 똑똑하고 건강하다”는 이유로 한사코 제왕절개를 만류했다. 그러면서 자연분만이 되는 다른 병원을 찾아가자고 했다. 결국 화가 난 A씨의 남편이 시어머니를 산부인과에서 내쫓고 제왕절개로 아이를 낳았다. A씨는 출산 전 남편과 자신의 이름을 한 글자씩 따 아이의 이름을 지어놓기도 했는데 시어머니는 유명한 스님에게 이름을 받아놨다며 이름을 제안했고, 단식 투쟁까지 나서면서 결국 그 이름을 쓰게 됐다. 이뿐만 아니었다. 시어머니는 시골에서 A씨의 친정어머니가 만들어 보내온 반찬을 쓰레기통에 버렸다. 다만 머리카락이 통에 다 묻어있는데, 시어머니는 “이걸 어떻게 아들과 손자에게 먹이냐”는 것이었다. 하지만 A씨는 서운했다. A씨는 시어머니에게 서운함을 토로했다. 시어머니는 “어디 건방지게 말대꾸하냐. 네 부모한테 그렇게 배웠니?”라며 얼굴을 툭툭 쳤다. A씨는 손길을 피하려고 얼굴을 돌렸지만, 시어머니는 “그 엄마에 그 딸이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손가락으로 머리를 툭툭 밀면서 친정 부모님을 욕했다. 화가 난 A씨는 시어머니의 손을 확 뿌리쳤는데 이 과정에서 실수로 시어머니의 뺨을 스치듯 치게 됐다고 그는 주장했다. 스친 것이든 시어머니 뺨을 건드린 건 A씨의 잘못이다. 이에 B씨는 A씨의 뺨을 때리며 크게 화냈다. 또 몸 부위 등을 때리기도 했고, 버렸던 음식 쓰레기를 꺼내어 집안에 집어 던졌다. 시어머니는 아들이 귀가하자 울면서 “며느리가 나를 이렇게 때렸다”며 서럽게 눈물을 쏟았다. A씨는 “그게 아니었다”라고 해명하자 남편은 “우리 어머니한테 무릎 꿇고 빌어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A씨는 아들을 데리고 집을 나왔다. 이 사연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의 김동진 변호사는 24일 세계일보에 “민법 840조 3호를 보면 배우자 직계존속 가족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이혼사유가 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상대방의 유책사유로 이혼을 청구할 수 있다”며 “폭행, 폭언은 부당한 사유에 해당한다, 위자료 청구가 가능한 사안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입증에 대한 문제가 있다.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 어떠한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입증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누가 잘못?…“예단도 안 해와” vs “실수로 스치듯 시어머니 뺨 때려”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24
누가 잘못?…“예단도 안 해와” vs “실수로 스치듯 시어머니 뺨 때려”
누가 잘못?…“예단도 안 해와” vs “실수로 스치듯 시어머니 뺨 때려”
결혼 후 고부갈등을 빚은 한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해당 여성은 시어머니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당했다고 주장하는데, 전문가는 “이혼 및 위자료 청구가 가능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앞선 22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이런 고부갈등으로 억울하다는 여성 A씨의 사연이 전해졌다. 30대인 A씨는 남편과 결혼을 준비하며 양가 어른의 도움을 받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예단이나 예물 없이 ‘간소화 웨딩’을 치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알게 된 시어머니 B씨는 정색했다. 남들 다받는 예단조차 못 받는 게 서운했던 모양이다. B씨는 그 길로 A씨에게 전화해 “해도 해도 너무한다”고 질타했다. 이어 “딸이랑 아들이 같냐”라며 “아들에게 얘기하지 말고 예단 값을 1000만원 보내라”라고 했다. 결혼이 예정되어 있었기에 A씨는 갈등을 만들기 싫어 시어머니에게 예단 값을 뒤늦게 보냈고, 이를 남편에게 얘기하여 친정어머니께 드릴 예단값 1000만원을 받아냈다. 이후 결혼한 A씨는 임신했는데, 임신 후에도 시어머니와의 마찰이 계속된다. 소식을 들은 시어머니는 “임신했어도 남편 밥은 삼시세끼 다 챙겨줘야 한다”면서 “아내는 밤에 이거 사 달라, 저거 사 달라 요구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또 출산 예정일을 앞두고 입원한 A씨에게 의료진들이 응급 제왕절개 수술을 권했지만, 시어머니는 “자연분만해야 아이가 똑똑하고 건강하다”는 이유로 한사코 제왕절개를 만류했다. 그러면서 자연분만이 되는 다른 병원을 찾아가자고 했다. 결국 화가 난 A씨의 남편이 시어머니를 산부인과에서 내쫓고 제왕절개로 아이를 낳았다. A씨는 출산 전 남편과 자신의 이름을 한 글자씩 따 아이의 이름을 지어놓기도 했는데 시어머니는 유명한 스님에게 이름을 받아놨다며 이름을 제안했고, 단식 투쟁까지 나서면서 결국 그 이름을 쓰게 됐다. 이뿐만 아니었다. 시어머니는 시골에서 A씨의 친정어머니가 만들어 보내온 반찬을 쓰레기통에 버렸다. 다만 머리카락이 통에 다 묻어있는데, 시어머니는 “이걸 어떻게 아들과 손자에게 먹이냐”는 것이었다. 하지만 A씨는 서운했다. A씨는 시어머니에게 서운함을 토로했다. 시어머니는 “어디 건방지게 말대꾸하냐. 네 부모한테 그렇게 배웠니?”라며 얼굴을 툭툭 쳤다. A씨는 손길을 피하려고 얼굴을 돌렸지만, 시어머니는 “그 엄마에 그 딸이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손가락으로 머리를 툭툭 밀면서 친정 부모님을 욕했다. 화가 난 A씨는 시어머니의 손을 확 뿌리쳤는데 이 과정에서 실수로 시어머니의 뺨을 스치듯 치게 됐다고 그는 주장했다. 스친 것이든 시어머니 뺨을 건드린 건 A씨의 잘못이다. 이에 B씨는 A씨의 뺨을 때리며 크게 화냈다. 또 몸 부위 등을 때리기도 했고, 버렸던 음식 쓰레기를 꺼내어 집안에 집어 던졌다. 시어머니는 아들이 귀가하자 울면서 “며느리가 나를 이렇게 때렸다”며 서럽게 눈물을 쏟았다. A씨는 “그게 아니었다”라고 해명하자 남편은 “우리 어머니한테 무릎 꿇고 빌어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A씨는 아들을 데리고 집을 나왔다. 이 사연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의 김동진 변호사는 24일 세계일보에 “민법 840조 3호를 보면 배우자 직계존속 가족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이혼사유가 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상대방의 유책사유로 이혼을 청구할 수 있다”며 “폭행, 폭언은 부당한 사유에 해당한다, 위자료 청구가 가능한 사안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입증에 대한 문제가 있다.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 어떠한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입증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누가 잘못?…“예단도 안 해와” vs “실수로 스치듯 시어머니 뺨 때려” (바로가기)
더팩트
2024-07-23
양육비 청구, 자녀 성인 된 후 10년까지만 가능
[기고] 양육비 청구, 자녀 성인 된 후 10년까지만 가능
법무법인(유한) 대륜 현병희 변호사 부부가 이혼하게 되더라도 미성년 자녀가 있다면 양육의 의무를 지게 된다. 이혼할 때 부모 중 한쪽이 양육권자가 돼 자녀를 보살피고, 양육권을 갖지 못한 한쪽은 양육비를 부담함으로써 양육의 의무를 이행하게 된다.만약 양육비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도 자녀를 키우며 발생한 비용을 상환받을 수 있다. 본래 확정된 양육비가 없거나 양육비 부담조서 시행 전 양육비 협의 없이 협의이혼했다면, 자녀가 성인이 된 이후라도 과거 양육비 청구 소송을 통해 비용을 지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하지만 대법원이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의 소멸시효는 자녀가 미성년이어서 양육 의무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진행하지 않고, 자녀가 성년이 되어 양육 의무가 종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판단해 자녀가 성인이 된 후부터 10년까지만 과거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게 됐다.지난 18일 미성년 자녀의 양육비를 사후에 청구할 수 있는 권리는 자녀가 성인이 된 때로부터 10년 동안만 유효하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단이 나왔다. 양육비의 경우, 당사자 간 협의나 가정법원의 심판에 의해 구체적인 청구권이 생기기 전에는 소멸시효가 진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던 대법원 판례가 13년 만에 변경된 것이다.현행법에 따라 양육비는 미성년 자녀가 만 19세 성인이 될 때까지 지급해야 하고, 양육비를 받지 못했다면 자녀가 성인이 된 후더라도 과거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다. 하지만 과거 양육비를 무기한 청구할 수 있다면, 청구를 당하는 입장의 경우 평생을 불안정한 상태로 보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부분에서 대법원은 소멸시효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미성년 자녀가 성년이 된 때부터 10년의 소멸시효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소멸시효는 일정 기간 권리의 불행사로 그 권리의 소멸을 인정하는 제도다. 일반 민사 채권 소멸시효의 경우 10년으로 기간 내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시 법적 효력이 사라진다. 이번 판결로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도 일반적인 채권과 마찬가지로 자녀가 성인이 된 후부터 소멸시효 계산이 시작되는 것이다.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의 소멸시효는 자녀가 미성년이어서 양육 의무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진행하지 않고, 자녀가 성년이 되어 양육 의무가 종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밝혔다.자녀가 미성년인 동안에는 양육비의 변동 가능성이 있으므로 완전한 재산권으로 볼 수 없으나, 성인이 되면 금액이 확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채권과 마찬가지로 소멸시효 계산이 시작된다는 취지다.이에 따라 자녀 양육비를 받지 못했다면, 청구권이 소멸되기 전 빠르게 과거 양육비 청구 소송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권리가 소멸된 뒤에는 법적으로 대응할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이때 과거 양육비는 청구한 금액과 다르게 인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과거 양육비를 산정할 때는 양육에 들어갔던 객관적인 비용 외에도 당사자들의 재산상황, 부담의 형평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만약 청구 금액을 최대한 인정받고 싶다면, 법률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 재판에서 인정하는 자료를 개인이 준비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양육권자의 권리인 양육비를 받지 못했다면, 금액 산정 등 첫 단추부터 잘 꿰어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 [기고] 양육비 청구, 자녀 성인 된 후 10년까지만 가능 (바로가기)
더팩트
2024-07-23
양육비 청구, 자녀 성인 된 후 10년까지만 가능
[기고] 양육비 청구, 자녀 성인 된 후 10년까지만 가능
법무법인(유한) 대륜 현병희 변호사 부부가 이혼하게 되더라도 미성년 자녀가 있다면 양육의 의무를 지게 된다. 이혼할 때 부모 중 한쪽이 양육권자가 돼 자녀를 보살피고, 양육권을 갖지 못한 한쪽은 양육비를 부담함으로써 양육의 의무를 이행하게 된다.만약 양육비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도 자녀를 키우며 발생한 비용을 상환받을 수 있다. 본래 확정된 양육비가 없거나 양육비 부담조서 시행 전 양육비 협의 없이 협의이혼했다면, 자녀가 성인이 된 이후라도 과거 양육비 청구 소송을 통해 비용을 지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하지만 대법원이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의 소멸시효는 자녀가 미성년이어서 양육 의무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진행하지 않고, 자녀가 성년이 되어 양육 의무가 종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판단해 자녀가 성인이 된 후부터 10년까지만 과거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게 됐다.지난 18일 미성년 자녀의 양육비를 사후에 청구할 수 있는 권리는 자녀가 성인이 된 때로부터 10년 동안만 유효하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단이 나왔다. 양육비의 경우, 당사자 간 협의나 가정법원의 심판에 의해 구체적인 청구권이 생기기 전에는 소멸시효가 진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던 대법원 판례가 13년 만에 변경된 것이다.현행법에 따라 양육비는 미성년 자녀가 만 19세 성인이 될 때까지 지급해야 하고, 양육비를 받지 못했다면 자녀가 성인이 된 후더라도 과거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다. 하지만 과거 양육비를 무기한 청구할 수 있다면, 청구를 당하는 입장의 경우 평생을 불안정한 상태로 보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부분에서 대법원은 소멸시효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미성년 자녀가 성년이 된 때부터 10년의 소멸시효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소멸시효는 일정 기간 권리의 불행사로 그 권리의 소멸을 인정하는 제도다. 일반 민사 채권 소멸시효의 경우 10년으로 기간 내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시 법적 효력이 사라진다. 이번 판결로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도 일반적인 채권과 마찬가지로 자녀가 성인이 된 후부터 소멸시효 계산이 시작되는 것이다.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의 소멸시효는 자녀가 미성년이어서 양육 의무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진행하지 않고, 자녀가 성년이 되어 양육 의무가 종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밝혔다.자녀가 미성년인 동안에는 양육비의 변동 가능성이 있으므로 완전한 재산권으로 볼 수 없으나, 성인이 되면 금액이 확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채권과 마찬가지로 소멸시효 계산이 시작된다는 취지다.이에 따라 자녀 양육비를 받지 못했다면, 청구권이 소멸되기 전 빠르게 과거 양육비 청구 소송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권리가 소멸된 뒤에는 법적으로 대응할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이때 과거 양육비는 청구한 금액과 다르게 인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과거 양육비를 산정할 때는 양육에 들어갔던 객관적인 비용 외에도 당사자들의 재산상황, 부담의 형평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만약 청구 금액을 최대한 인정받고 싶다면, 법률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 재판에서 인정하는 자료를 개인이 준비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양육권자의 권리인 양육비를 받지 못했다면, 금액 산정 등 첫 단추부터 잘 꿰어야 한다. [기사전문보기] - [기고] 양육비 청구, 자녀 성인 된 후 10년까지만 가능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23
‘36주차 낙태’ 의혹 20대, 떨고 있나…경찰 피의자 특정 나서
‘36주차 낙태’ 의혹 20대, 떨고 있나…경찰 피의자 특정 나서
전문가 “출산 당시 아이 생사가 관건” 한 20대 여성이 ‘임신 36주 차에 낙태했다’는 내용의 영상을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낙태죄가 폐지된 뒤 벌어진 이 사건에 보건복지부는 해당 여성을 ‘살인 혐의’로 경찰에 진정을 접수하는가 하면 경찰은 엄정대응 방침을 밝히며 피의자 특정에 나섰다. 22일 경찰에 따르면 최근 한 유튜버가 ‘임신 36주 차에 낙태 수술을 받았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영상 속 피의자 특정을 위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지난 12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수사 의뢰를 받은 경찰은 사건을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에 배정하고 이튿날 복지부 관계자를 진정인 조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관계자는 이날(22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피의자 특정을 위한 압수수색 영장을 지난주 집행했다”고 밝혔다. 그는 ‘유튜브 코리아를 압수수색 한 것이냐’는 질문에 “영상이 올라온 매체에 대해 한 것”이라고 답했다. 해당 유튜버가 누구인지, 임신 중단 시술을 담당한 의사가 누구인지도 아직은 특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영상 게시자를 특정하고 사실 여부 및 태아 상황 파악 등에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정확한 상황과 태아 상태를 확인해야 죄명도 정해진다. 낙태죄가 헌법불합치가 나와서 보건복지부에서 의견을 주면 살인죄로 법리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한 전문가는 “임신 36주면 출산이 가능한 시기”라면서 “아이의 사망 여부가 살인죄 성립을 좌우할 거로 보인다”고 밝혔다. 낙태는 형법상 낙태를 하게 한 임신부나 낙태를 한 의사 모두에게 불법이었지만, 지난 2019년 4월 관련 조항에 헌법불합치 결정이 내려지며 낙태죄가 없어져 처벌 규정이 없는 상태다. 하지만 복지부 관계자는 “34주 태아를 낙태한 의사에게 살인죄를 적용한 법원 판례를 참조해 수사 의뢰를 했다”며 “(낙태가 실제로 이뤄졌는지 등) 사실이 맞는다면 처벌을 해달라는 의미로 진정을 넣었다”고 전했다. 헌법불합치 결정이 난 규정은 형법으로, 모자보건법 시행령(15조)은 임신 24주 이내에만 낙태 수술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임신 24주를 넘기는 낙태는 모자보건법상 불법이다. 복지부는 형법상 낙태죄에 처벌 효력이 없는 점을 고려, 모자보건법 위반 대신 살인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다. 법조계는 아이의 출생 당시 사망 여부를 관건으로 보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박나리 변호사는 “민법상 아이가 태어났을 때 살아있는지를 여부가 중요하다”며 “만약 아이가 생존해 있었다면 살인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아이가 사망한 상태였다면 살인으로 볼 수 없다”며 “임신 36개월은 바로 출산할 수 있는 시기다. 분명 제왕절개 또는 유도분만으로 출산했을 건데 살아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의 쟁점은 검찰이 출산 후 기록을 파악하는 것”이라며 “진료기록 또는 폐쇄회로(CC)TV가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을 거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실제 지난 2021년 판례를 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한 산부인과 의사가 임신 34주 때 유도 분만으로 출산한 후 아이를 물어넣어 사망하게 해 실형을 선고받았다”며 “당시도 낙태죄 는 폐지된 상태였다”고 부연했다. [기사전문보기] - ‘36주차 낙태’ 의혹 20대, 떨고 있나…경찰 피의자 특정 나서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23
‘36주차 낙태’ 의혹 20대, 떨고 있나…경찰 피의자 특정 나서
‘36주차 낙태’ 의혹 20대, 떨고 있나…경찰 피의자 특정 나서
전문가 “출산 당시 아이 생사가 관건” 한 20대 여성이 ‘임신 36주 차에 낙태했다’는 내용의 영상을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낙태죄가 폐지된 뒤 벌어진 이 사건에 보건복지부는 해당 여성을 ‘살인 혐의’로 경찰에 진정을 접수하는가 하면 경찰은 엄정대응 방침을 밝히며 피의자 특정에 나섰다. 22일 경찰에 따르면 최근 한 유튜버가 ‘임신 36주 차에 낙태 수술을 받았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영상 속 피의자 특정을 위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지난 12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수사 의뢰를 받은 경찰은 사건을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에 배정하고 이튿날 복지부 관계자를 진정인 조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관계자는 이날(22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피의자 특정을 위한 압수수색 영장을 지난주 집행했다”고 밝혔다. 그는 ‘유튜브 코리아를 압수수색 한 것이냐’는 질문에 “영상이 올라온 매체에 대해 한 것”이라고 답했다. 해당 유튜버가 누구인지, 임신 중단 시술을 담당한 의사가 누구인지도 아직은 특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영상 게시자를 특정하고 사실 여부 및 태아 상황 파악 등에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정확한 상황과 태아 상태를 확인해야 죄명도 정해진다. 낙태죄가 헌법불합치가 나와서 보건복지부에서 의견을 주면 살인죄로 법리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한 전문가는 “임신 36주면 출산이 가능한 시기”라면서 “아이의 사망 여부가 살인죄 성립을 좌우할 거로 보인다”고 밝혔다. 낙태는 형법상 낙태를 하게 한 임신부나 낙태를 한 의사 모두에게 불법이었지만, 지난 2019년 4월 관련 조항에 헌법불합치 결정이 내려지며 낙태죄가 없어져 처벌 규정이 없는 상태다. 하지만 복지부 관계자는 “34주 태아를 낙태한 의사에게 살인죄를 적용한 법원 판례를 참조해 수사 의뢰를 했다”며 “(낙태가 실제로 이뤄졌는지 등) 사실이 맞는다면 처벌을 해달라는 의미로 진정을 넣었다”고 전했다. 헌법불합치 결정이 난 규정은 형법으로, 모자보건법 시행령(15조)은 임신 24주 이내에만 낙태 수술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임신 24주를 넘기는 낙태는 모자보건법상 불법이다. 복지부는 형법상 낙태죄에 처벌 효력이 없는 점을 고려, 모자보건법 위반 대신 살인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다. 법조계는 아이의 출생 당시 사망 여부를 관건으로 보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박나리 변호사는 “민법상 아이가 태어났을 때 살아있는지를 여부가 중요하다”며 “만약 아이가 생존해 있었다면 살인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아이가 사망한 상태였다면 살인으로 볼 수 없다”며 “임신 36개월은 바로 출산할 수 있는 시기다. 분명 제왕절개 또는 유도분만으로 출산했을 건데 살아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의 쟁점은 검찰이 출산 후 기록을 파악하는 것”이라며 “진료기록 또는 폐쇄회로(CC)TV가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을 거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실제 지난 2021년 판례를 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한 산부인과 의사가 임신 34주 때 유도 분만으로 출산한 후 아이를 물어넣어 사망하게 해 실형을 선고받았다”며 “당시도 낙태죄 는 폐지된 상태였다”고 부연했다. [기사전문보기] - ‘36주차 낙태’ 의혹 20대, 떨고 있나…경찰 피의자 특정 나서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19
법무법인(유한) 대륜, 숙박 플랫폼 피해자를 위한 집단소송 추진
법무법인(유한) 대륜, 숙박 플랫폼 피해자를 위한 집단소송 추진
■ ‘10분 내 취소해야 환불 가능’ 규정에 소비자 분통…추가 피해자 다수 확인■ 숙박비 반환 청구 소송 진행 중인 피해자, 채권 가압류 결정 받기도 최근 온라인 숙박 플랫폼을 통해 숙소를 예약·취소하는 과정에서 환불을 거부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피해 소비자들을 모집해 집단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특히, 휴가철이 가까워지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상에는 숙박 플랫폼의 환불 규정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는 글들이 속출하고 있다. 적법한 기간 안에 예약 취소 의사를 밝혔음에도, 숙박 플랫폼들이 일방적인 환불 불가 정책을 내세워 피해가 막심하다는 것이다.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여름휴가 성수기인 지난해 8월 한 달 동안 접수된 소비자 상담 건수는 4만 6084건으로, 전월 대비 ‘호텔·펜션’ 관련 상담이 96.4%로 가장 많이 늘었다. 상담 내용은 과도한 취소 위약금에 대한 불만이 주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전자상거래법 제17조에 따르면, 통신판매업자와 재화 등의 구매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소비자는 계약 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청약 철회 의사를 밝힐 수 있다.소비자가 적법하게 청약철회권을 행사했다면 판매업자는 사유를 불문하고 대금을 반환해야 하지만, 많은 숙박 플랫폼은 10분 이내 취소 요청을 하는 경우에 한해 환불이 가능하다는 식의 별도 약관을 만들어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숙박 플랫폼 측은 중개만 담당했을 뿐 계약당사자가 아니므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숙박업체 역시 계약에 있어 당사자가 아니라고 주장한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숙박 플랫폼의 환불 불가 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다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피해자들을 위한 법적 대리에 나선다는 입장이다.앞서 대륜은 임직원 A씨를 대리해 한 차례 숙박 플랫폼을 상대로 부당이득 반환금 소송을 제기했다. A씨는 한 숙박 플랫폼을 통해 호텔을 예약했으나, 즉각 예약 취소를 요청했다. 하지만 해당 숙박 플랫폼은 10분 이내에 예약을 취소하지 않아 환불이 어렵다며 A씨의 요청을 거절했다.이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현재 A씨를 대리해 숙박 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해당 소송의 보전 조치로 채권 가압류를 신청해 법원으로부터 가압류 결정을 받아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A씨의 소송을 진행하던 중 다른 피해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인지해 집단 소송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라며 “현재 비슷한 사례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숙박 플랫폼이 만든 환불 규정은 전자상거래법과 약관법 등 여러 법률을 위반한 것으로, 합리적인 이유 없이 소비자의 취소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이어서 부당하다”라며 “소비자들이 합당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숙박 플랫폼 피해자를 위한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19
법무법인(유한) 대륜, 숙박 플랫폼 피해자를 위한 집단소송 추진
법무법인(유한) 대륜, 숙박 플랫폼 피해자를 위한 집단소송 추진
■ ‘10분 내 취소해야 환불 가능’ 규정에 소비자 분통…추가 피해자 다수 확인■ 숙박비 반환 청구 소송 진행 중인 피해자, 채권 가압류 결정 받기도 최근 온라인 숙박 플랫폼을 통해 숙소를 예약·취소하는 과정에서 환불을 거부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피해 소비자들을 모집해 집단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특히, 휴가철이 가까워지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상에는 숙박 플랫폼의 환불 규정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는 글들이 속출하고 있다. 적법한 기간 안에 예약 취소 의사를 밝혔음에도, 숙박 플랫폼들이 일방적인 환불 불가 정책을 내세워 피해가 막심하다는 것이다.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여름휴가 성수기인 지난해 8월 한 달 동안 접수된 소비자 상담 건수는 4만 6084건으로, 전월 대비 ‘호텔·펜션’ 관련 상담이 96.4%로 가장 많이 늘었다. 상담 내용은 과도한 취소 위약금에 대한 불만이 주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전자상거래법 제17조에 따르면, 통신판매업자와 재화 등의 구매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소비자는 계약 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청약 철회 의사를 밝힐 수 있다.소비자가 적법하게 청약철회권을 행사했다면 판매업자는 사유를 불문하고 대금을 반환해야 하지만, 많은 숙박 플랫폼은 10분 이내 취소 요청을 하는 경우에 한해 환불이 가능하다는 식의 별도 약관을 만들어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숙박 플랫폼 측은 중개만 담당했을 뿐 계약당사자가 아니므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숙박업체 역시 계약에 있어 당사자가 아니라고 주장한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숙박 플랫폼의 환불 불가 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다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피해자들을 위한 법적 대리에 나선다는 입장이다.앞서 대륜은 임직원 A씨를 대리해 한 차례 숙박 플랫폼을 상대로 부당이득 반환금 소송을 제기했다. A씨는 한 숙박 플랫폼을 통해 호텔을 예약했으나, 즉각 예약 취소를 요청했다. 하지만 해당 숙박 플랫폼은 10분 이내에 예약을 취소하지 않아 환불이 어렵다며 A씨의 요청을 거절했다.이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현재 A씨를 대리해 숙박 플랫폼 야놀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해당 소송의 보전 조치로 채권 가압류를 신청해 법원으로부터 가압류 결정을 받아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A씨의 소송을 진행하던 중 다른 피해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인지해 집단 소송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라며 “현재 비슷한 사례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숙박 플랫폼이 만든 환불 규정은 전자상거래법과 약관법 등 여러 법률을 위반한 것으로, 합리적인 이유 없이 소비자의 취소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이어서 부당하다”라며 “소비자들이 합당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숙박 플랫폼 피해자를 위한 집단소송 추진 (바로가기)
머니S
2024-07-19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돼… 뿔난 소비자 집단소송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돼"… 뿔난 소비자 집단소송
기한 내 환불 요청에도 '내부 규정' 들어 환불 거부법무법인 대륜, 소비자 모아 집단 소송 준비야놀자 "10분 이내 환불, 오히려 '소비자 보호 정책'" 숙박플랫폼 야놀자의 횡포가 수면 위로 떠 오르고 있다. 소비자들이 숙소 예약 이후 적법한 기간에 환불을 요청해도 숙박플랫폼 내부 규정 등을 이유로 환불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법과 약관법 위반 등을 근거로 집단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19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숙박플랫폼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을 모집해 집단소송을 제기한다.소비자들이 적법한 기간 안에 청약 철회 의사표시를 했지만 숙박플랫폼이 내부 규정을 내세워 환불을 거부하는 점 등이 문제가 됐다.대륜이 법적으로 문제 삼은 부분은 ▲전자상거래법 위반 ▲약관법 위반 두가지다.우선 전자상거래법 제17조 청약 철회 관련 규정에 따르면 통신판매업자와 재화 등을 구매한 소비자는 일정 기간 안으로 청약 철회를 할 수 있다. 대부분 전자상거래법으로 거래한 상품은 일주일 이내로 철회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야놀자에서는 특가에 나온 상품에 한해 10분 이내로 취소하지 않으면 돈을 돌려받을 수 없게 돼 있다.약관법 제6조 2항에 따르면 ▲고객한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 ▲예상하기 어려운 조항 ▲본질적인 권리를 제한하는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다. 대륜은 야놀자의 환불 규정이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이라고 봤다. 환불 규정이 야놀자 측에 유리하고 고객에게 불리해 공정성을 잃었다는 지적이다.대륜 관계자는 "예약일이 얼마 안 남은 상태에서 환불하면 야놀자 측도 해당 상품을 재판매할 시간이 없어지는 건 이해하지만 10분이라는 시간은 너무 짧다"며 "10분 이내에만 취소할 수 있는 것은 판매자에 극히 유리하고 소비자에게 불리한 조건"이라고 설명했다.이에 대해 야놀자 측은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자' 지위로 고객과 제휴점 간 숙박 계약을 체결하면서 어느 한쪽 당사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숙박상품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재판매 기회를 상실해 전자상거래법 규정에도 청약 철회를 적용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히려 10분 이내 환불은 고객 과실 또는 단순 변심에도 취소를 허용하는 '소비자 보호 장치'라는 입장이다.약관법에 대해서는 "적용 대상은 법률에 명확히 정의돼 있고 해당 사안에서 당사 약관이 적용된 사실이 없으므로 애초에 약관법 위반을 논할 계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앞서 대륜은 숙박플랫폼 야놀자와의 숙박비반환소송에서 채권 가압류 결정을 받아 냈다. 현재 당일 예약 취소 불가 규정으로 숙박비 반환 소송도 진행하고 있다.2016년 인터넷 쇼핑몰에서 산 항공권을 일주일 안에 취소하면 항공사 규정과 상관없이 전액 환불을 받을 수 있다는 법원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정을 무효로 규정한 전자상거래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취지다. [기사전문보기] -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돼"… 뿔난 소비자 집단소송 (바로가기)
머니S
2024-07-19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돼… 뿔난 소비자 집단소송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돼"… 뿔난 소비자 집단소송
기한 내 환불 요청에도 '내부 규정' 들어 환불 거부법무법인 대륜, 소비자 모아 집단 소송 준비야놀자 "10분 이내 환불, 오히려 '소비자 보호 정책'" 숙박플랫폼 야놀자의 횡포가 수면 위로 떠 오르고 있다. 소비자들이 숙소 예약 이후 적법한 기간에 환불을 요청해도 숙박플랫폼 내부 규정 등을 이유로 환불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법과 약관법 위반 등을 근거로 집단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19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숙박플랫폼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을 모집해 집단소송을 제기한다.소비자들이 적법한 기간 안에 청약 철회 의사표시를 했지만 숙박플랫폼이 내부 규정을 내세워 환불을 거부하는 점 등이 문제가 됐다.대륜이 법적으로 문제 삼은 부분은 ▲전자상거래법 위반 ▲약관법 위반 두가지다.우선 전자상거래법 제17조 청약 철회 관련 규정에 따르면 통신판매업자와 재화 등을 구매한 소비자는 일정 기간 안으로 청약 철회를 할 수 있다. 대부분 전자상거래법으로 거래한 상품은 일주일 이내로 철회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야놀자에서는 특가에 나온 상품에 한해 10분 이내로 취소하지 않으면 돈을 돌려받을 수 없게 돼 있다.약관법 제6조 2항에 따르면 ▲고객한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 ▲예상하기 어려운 조항 ▲본질적인 권리를 제한하는 조항은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해 무효다. 대륜은 야놀자의 환불 규정이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이라고 봤다. 환불 규정이 야놀자 측에 유리하고 고객에게 불리해 공정성을 잃었다는 지적이다.대륜 관계자는 "예약일이 얼마 안 남은 상태에서 환불하면 야놀자 측도 해당 상품을 재판매할 시간이 없어지는 건 이해하지만 10분이라는 시간은 너무 짧다"며 "10분 이내에만 취소할 수 있는 것은 판매자에 극히 유리하고 소비자에게 불리한 조건"이라고 설명했다.이에 대해 야놀자 측은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자' 지위로 고객과 제휴점 간 숙박 계약을 체결하면서 어느 한쪽 당사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숙박상품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재판매 기회를 상실해 전자상거래법 규정에도 청약 철회를 적용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히려 10분 이내 환불은 고객 과실 또는 단순 변심에도 취소를 허용하는 '소비자 보호 장치'라는 입장이다.약관법에 대해서는 "적용 대상은 법률에 명확히 정의돼 있고 해당 사안에서 당사 약관이 적용된 사실이 없으므로 애초에 약관법 위반을 논할 계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앞서 대륜은 숙박플랫폼 야놀자와의 숙박비반환소송에서 채권 가압류 결정을 받아 냈다. 현재 당일 예약 취소 불가 규정으로 숙박비 반환 소송도 진행하고 있다.2016년 인터넷 쇼핑몰에서 산 항공권을 일주일 안에 취소하면 항공사 규정과 상관없이 전액 환불을 받을 수 있다는 법원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정을 무효로 규정한 전자상거래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취지다. [기사전문보기] - 야놀자 "10분 지나면 환불 안 돼"… 뿔난 소비자 집단소송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4-07-18
법무법인 대륜·충남대 로스쿨, 우수 법조인 양성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충남대 로스쿨, 우수 법조인 양성 MOU 체결
충남대 로스쿨, 법 이론·실무 모두 정통한 지역 법조 인재 양성대륜, 민·형사부터 기업법무까지 다양한 분야 실무 경험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우수 법조인 양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9일 충남대 법학전문도서관 교수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대표와 이기준 변호사, 충남대 법전원의 서보국 원장과 김기선 부원장, 최윤석 법학과장, 우미형 특허법무대학원 부원장이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의 분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충남 지역에서도 2개의 사무소를 통해 지역 의뢰인들과 소통하고 있다.충남대 법전원은 2009년 설립해 꾸준히 성장하면서, 올해 재판연구관 6명·검사 5명을 배출하는 등 중부권 최고의 법조 인력 양성기관으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법 이론과 실무에 모두 정통한 인재를 키워 지역 법률서비스의 질을 높여간다는 방침이다.충남대 법전원 학생들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실무 수습 기회를 제공받아 현장 경험을 쌓고, 법률 관련 연구 성과와 학술 정보를 공유하며 예비 법조인들의 이론 역량 강화를 위해 힘을 합칠 계획이다.충남대 법전원의 서보국 원장은 “법조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단순한 이론 학습에서 벗어나 다양한 실무 역량도 함께 쌓을 필요가 있다”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대륜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축적한다면, 훌륭한 법조인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대륜 대전사무소의 발전 속도가 빠른 만큼 사무소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면서, “충남대 법전원 학생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대륜은 일본과 미국 등 해외 진출을 위한 준비 작업에도 착수했다”며, “실무에 투입되는 학생들이 대륜의 해외 지사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전문적인 커리큘럼을 설계하겠다”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앞으로도 전국 각 지역의 법전원과 MOU를 체결해 법률서비스 사각지대를 줄이고, 지역 법조 인재 양성에 앞장설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충남대 로스쿨, 우수 법조인 양성 MOU 체결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법무법인 대륜, 이번엔 충남대 로스쿨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로리더 등 2곳
2024-07-18
법무법인 대륜·충남대 로스쿨, 우수 법조인 양성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충남대 로스쿨, 우수 법조인 양성 MOU 체결
충남대 로스쿨, 법 이론·실무 모두 정통한 지역 법조 인재 양성대륜, 민·형사부터 기업법무까지 다양한 분야 실무 경험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우수 법조인 양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9일 충남대 법학전문도서관 교수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대표와 이기준 변호사, 충남대 법전원의 서보국 원장과 김기선 부원장, 최윤석 법학과장, 우미형 특허법무대학원 부원장이 참석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의 분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충남 지역에서도 2개의 사무소를 통해 지역 의뢰인들과 소통하고 있다.충남대 법전원은 2009년 설립해 꾸준히 성장하면서, 올해 재판연구관 6명·검사 5명을 배출하는 등 중부권 최고의 법조 인력 양성기관으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법 이론과 실무에 모두 정통한 인재를 키워 지역 법률서비스의 질을 높여간다는 방침이다.충남대 법전원 학생들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에서 실무 수습 기회를 제공받아 현장 경험을 쌓고, 법률 관련 연구 성과와 학술 정보를 공유하며 예비 법조인들의 이론 역량 강화를 위해 힘을 합칠 계획이다.충남대 법전원의 서보국 원장은 “법조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단순한 이론 학습에서 벗어나 다양한 실무 역량도 함께 쌓을 필요가 있다”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대륜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축적한다면, 훌륭한 법조인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대륜 대전사무소의 발전 속도가 빠른 만큼 사무소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면서, “충남대 법전원 학생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대륜은 일본과 미국 등 해외 진출을 위한 준비 작업에도 착수했다”며, “실무에 투입되는 학생들이 대륜의 해외 지사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전문적인 커리큘럼을 설계하겠다”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앞으로도 전국 각 지역의 법전원과 MOU를 체결해 법률서비스 사각지대를 줄이고, 지역 법조 인재 양성에 앞장설 예정이다. [기사전문보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충남대 로스쿨, 우수 법조인 양성 MOU 체결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법무법인 대륜, 이번엔 충남대 로스쿨과 업무협약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7-18
조세 대응 힘주는 대륜·YK…세종, 메디컬 경쟁력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조세 대응 힘주는 대륜·YK…세종, 메디컬 경쟁력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한국경제신문의 법조·로펌 전문 미디어 플랫폼 로앤비즈가 17일 로펌업계 뉴스를 브리핑합니다. 대륜, 조세 소송 대응 능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기업법무·조세행정 그룹을 필두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을 포함한 조세 소송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각 그룹장의 지휘하에 조세 전문 변호사뿐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으로 3~20인 규모의 팀을 구성했다. 기업법무그룹을 이끄는 원형일 변호사(사법연수원 28기·사진 오른쪽)는 판사 출신으로 포스코홀딩스와 자회사인 포스코퓨처엠의 법무실에서 법무실장을 지내며 여러 기업 분쟁 사건을 다뤘다. 조세행정그룹장인 곽내원 변호사(25기)는 2004년 서울행정법원 근무 당시 조세·행정 소송을 전담했고, 대한변호사협회에 행정·상속 전문 변호사로 등록돼 있다. YK, ‘조세법 대가’ 한만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YK가 한만수 변호사(13기·사진)를 대표변호사로 영입했다. 한 변호사는 20여 년 동안 김앤장, 율촌 등 대형 로펌에서 조세 자문을 해 온 조세법 전문가다. 1998년부터 재정경제부 세제실 고문, 재경부 세제발전심의위원, 조세심판원 비상임심판관,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정부 세제 개편 작업에 참여했다. 리먼브라더스의 우리은행 부실채권 매각, 론스타의 강남파이낸스센터 매각 등 굵직한 매각 건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한 변호사의 합류로 YK의 변호사 수는 300명을 넘어섰다. 세종, 5대 로펌 최초 ISO17100 인증 취득 법무법인 세종이 영국계 국제표준화기구(ISO) 심사기관인 로이드인증원(LRQA)으로부터 ‘국제 ISO17100 번역 서비스 관리시스템 인증’을 취득했다. 국내 5대 로펌 중 최초다. ISO17100은 ISO에서 2015년 제정한 번역 서비스 분야 국제표준 인증으로, 취득사가 우수한 품질의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증한다. 세종, 메디컬 기업 키메디와 MOU 법무법인 세종이 약 4만7000명 규모의 의료 관계자를 고객으로 두고 있는 메디컬 플랫폼 기업 키메디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세무, 상속·증여, 인사노무 등 의료·제약 분야 고객들이 직면할 수 있는 법적 이슈를 사전에 점검하고, 관련 산업 분야 최신 동향과 규제 대응 노하우를 공유하는 데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취지다. 세종 헬스케어 전문팀은 김앤장 출신 김성태 변호사(32기), 약가업무 전문가인 변영식 고문, 보건복지부 출신 배병준 고문, 약사 출신 판사를 지낸 이진희 변호사(35기), 박혜영 전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 부장검사(34기) 등을 영입하며 메디컬 분야 경쟁력을 높였다. [기사전문보기] - 조세 대응 힘주는 대륜·YK…세종, 메디컬 경쟁력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7-18
조세 대응 힘주는 대륜·YK…세종, 메디컬 경쟁력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조세 대응 힘주는 대륜·YK…세종, 메디컬 경쟁력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한국경제신문의 법조·로펌 전문 미디어 플랫폼 로앤비즈가 17일 로펌업계 뉴스를 브리핑합니다. 대륜, 조세 소송 대응 능력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기업법무·조세행정 그룹을 필두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을 포함한 조세 소송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각 그룹장의 지휘하에 조세 전문 변호사뿐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으로 3~20인 규모의 팀을 구성했다. 기업법무그룹을 이끄는 원형일 변호사(사법연수원 28기·사진 오른쪽)는 판사 출신으로 포스코홀딩스와 자회사인 포스코퓨처엠의 법무실에서 법무실장을 지내며 여러 기업 분쟁 사건을 다뤘다. 조세행정그룹장인 곽내원 변호사(25기)는 2004년 서울행정법원 근무 당시 조세·행정 소송을 전담했고, 대한변호사협회에 행정·상속 전문 변호사로 등록돼 있다. YK, ‘조세법 대가’ 한만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YK가 한만수 변호사(13기·사진)를 대표변호사로 영입했다. 한 변호사는 20여 년 동안 김앤장, 율촌 등 대형 로펌에서 조세 자문을 해 온 조세법 전문가다. 1998년부터 재정경제부 세제실 고문, 재경부 세제발전심의위원, 조세심판원 비상임심판관,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정부 세제 개편 작업에 참여했다. 리먼브라더스의 우리은행 부실채권 매각, 론스타의 강남파이낸스센터 매각 등 굵직한 매각 건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한 변호사의 합류로 YK의 변호사 수는 300명을 넘어섰다. 세종, 5대 로펌 최초 ISO17100 인증 취득 법무법인 세종이 영국계 국제표준화기구(ISO) 심사기관인 로이드인증원(LRQA)으로부터 ‘국제 ISO17100 번역 서비스 관리시스템 인증’을 취득했다. 국내 5대 로펌 중 최초다. ISO17100은 ISO에서 2015년 제정한 번역 서비스 분야 국제표준 인증으로, 취득사가 우수한 품질의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증한다. 세종, 메디컬 기업 키메디와 MOU 법무법인 세종이 약 4만7000명 규모의 의료 관계자를 고객으로 두고 있는 메디컬 플랫폼 기업 키메디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세무, 상속·증여, 인사노무 등 의료·제약 분야 고객들이 직면할 수 있는 법적 이슈를 사전에 점검하고, 관련 산업 분야 최신 동향과 규제 대응 노하우를 공유하는 데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취지다. 세종 헬스케어 전문팀은 김앤장 출신 김성태 변호사(32기), 약가업무 전문가인 변영식 고문, 보건복지부 출신 배병준 고문, 약사 출신 판사를 지낸 이진희 변호사(35기), 박혜영 전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 부장검사(34기) 등을 영입하며 메디컬 분야 경쟁력을 높였다. [기사전문보기] - 조세 대응 힘주는 대륜·YK…세종, 메디컬 경쟁력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3곳
2024-07-17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유형별 대응책 마련…특화 그룹 협업 대응팀 구축법인세·소득세 감면 과세당국 조사 등거래실체 해명 통해 처분 축소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법무, 조세행정 등 특화 그룹이 연계해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및 조세소송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대륜은 조세포탈범죄와 관련한 민·형사, 행정 사건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업법무·조세행정 그룹이 선두로 나선다.기업법무그룹장인 원형일 변호사는 서울중앙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로 지냈으며,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에서 법무실장을 역임하고 다수의 기업분쟁 사건을 다뤘다.조세행정그룹장 곽내원 변호사는 서울행정법원에서 조세, 행정 소송을 전담했으며,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된 행정·상속전문변호사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에 핵심 주축이다.그룹장 지휘 아래 사건 규모에 따라 각 분야 조세전문변호사 및 회계사, 세무사,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 3~20인으로 팀을 구성, 대응하고 있다.특히 최근 국세청에서 법인세·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집중 세무조사를 실시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앞서 과세당국은 기업의 지역 분산, 과밀 억제 지역 외에 창업을 하는 경우 법인세, 소득세를 일정 비율 내에서 감면해주는 지원책을 내놓은 바 있다. 현재 혜택을 악용하는 사례가 늘자 국가 차원 점검을 위해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대륜에서는 세무조사 과정부터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추징 세액을 줄이기 위해 자료를 은닉하거나 허위 자료를 제출하는 등 세무조사에 잘못된 대처를 하는 경우를 막고, 조세범칙조사로 비화하지 않도록 돕는다.원형일 변호사는 “세무조사는 통상적인 법률행위 해석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사건 당사자가 보는 것과 회계적인, 과세적인 관점에서 보는 것이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하다”며 “조세행정그룹과의 연계로 다소 어렵게 풀릴 수 있는 사건도 사안이 커지기 전에 사전에 대비를 철저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곽내원 변호사는 “세무조사 단계에서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어려운 사건도 조세소송으로 가지 않고 손쉽게 끝나는 경우가 많다. 초동대처가 결과를 판가름하게 되는 것이다”며 “관련 사건에 휘말린 경우 사실관계와 법규정, 법리를 명확히 분석할 수 있는 조세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바로가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3곳
2024-07-17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유형별 대응책 마련…특화 그룹 협업 대응팀 구축법인세·소득세 감면 과세당국 조사 등거래실체 해명 통해 처분 축소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법무, 조세행정 등 특화 그룹이 연계해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및 조세소송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대륜은 조세포탈범죄와 관련한 민·형사, 행정 사건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업법무·조세행정 그룹이 선두로 나선다.기업법무그룹장인 원형일 변호사는 서울중앙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로 지냈으며,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에서 법무실장을 역임하고 다수의 기업분쟁 사건을 다뤘다.조세행정그룹장 곽내원 변호사는 서울행정법원에서 조세, 행정 소송을 전담했으며,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된 행정·상속전문변호사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에 핵심 주축이다.그룹장 지휘 아래 사건 규모에 따라 각 분야 조세전문변호사 및 회계사, 세무사,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 3~20인으로 팀을 구성, 대응하고 있다.특히 최근 국세청에서 법인세·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집중 세무조사를 실시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앞서 과세당국은 기업의 지역 분산, 과밀 억제 지역 외에 창업을 하는 경우 법인세, 소득세를 일정 비율 내에서 감면해주는 지원책을 내놓은 바 있다. 현재 혜택을 악용하는 사례가 늘자 국가 차원 점검을 위해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대륜에서는 세무조사 과정부터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추징 세액을 줄이기 위해 자료를 은닉하거나 허위 자료를 제출하는 등 세무조사에 잘못된 대처를 하는 경우를 막고, 조세범칙조사로 비화하지 않도록 돕는다.원형일 변호사는 “세무조사는 통상적인 법률행위 해석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사건 당사자가 보는 것과 회계적인, 과세적인 관점에서 보는 것이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하다”며 “조세행정그룹과의 연계로 다소 어렵게 풀릴 수 있는 사건도 사안이 커지기 전에 사전에 대비를 철저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곽내원 변호사는 “세무조사 단계에서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어려운 사건도 조세소송으로 가지 않고 손쉽게 끝나는 경우가 많다. 초동대처가 결과를 판가름하게 되는 것이다”며 “관련 사건에 휘말린 경우 사실관계와 법규정, 법리를 명확히 분석할 수 있는 조세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바로가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조세행정그룹, 조세소송 대응 '풀가동'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17
‘36주차 낙태’ 경찰 “엄중수사”·전문가 “살인죄 가능성”…단순 ‘비만’ 가능성도
‘36주차 낙태’ 경찰 “엄중수사”·전문가 “살인죄 가능성”…단순 ‘비만’ 가능성도
보건복지부, 살인 혐의로 경찰 진정 한 20대 여성이 ‘임신 36주차에 낙태했다’는 내용의 영상을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낙태죄가 폐지된 뒤 벌어진 이 사건에 복지부는 해당 여성을 ‘살인 혐의’로 경찰에 진정을 접수하는가 하면 경찰은 엄정대응 방침을 밝혔다. 17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한 전문가는 “임신 36면 출산이 가능한 시기”라면서 “아이의 사망 여부가 살인죄 성립을 좌우할 거로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일각에서는 ‘조작’을 의심하며 “단순 비만한 여성의 관심끌기”라는 주장도 나온다. 구독수를 높이기 위해 개인 유튜버들이 조작 방송하는 경우도 상당 수 있기 때문이다. 경찰이 수사에 나선만큼 조만간 진위가 밝혀질 거로 보인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유튜버 여성 A씨(20대 주장)와 A씨 수술 담당 의사에 대해 살인 혐의로 수사를 해달라는 진정을 경찰에 접수했다. 자신을 20대 여성이라고 주장한 A씨는 지난달 27일 유튜브에 ‘총 수술비용 900만원, 지옥 같던 120시간’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리며 임신 36주차에 낙태수술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처음에 임신인 것을 모르고 있다가 그냥 살이 많이 쪘구나 생각했다. 무심한 내 태도가 만든 결과에 죽어버리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A씨는 여러 병원으로부터 낙태 수술을 거절당하다 한 병원에서 절개수술을 받았다고 전했다. A씨의 이런 주장에 대해 복지부는 법률자문을 거쳐 수사를 의뢰했다. 복지부가 만삭 낙태 사례에 대해 수사를 의뢰한 것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낙태는 형법상 낙태를 하게 한 임신부나 낙태를 한 의사 모두에게 불법이었지만, 지난 2019년 4월 관련 조항에 헌법불합치 결정이 내려지며 낙태죄가 없어져 처벌 규정이 없는 상태다. 하지만 복지부 관계자는 “34주 태아를 낙태한 의사에게 살인죄를 적용한 법원 판례를 참조해 수사 의뢰를 했다”며 “(낙태가 실제로 이뤄졌는지 등) 사실이 맞는다면 처벌을 해달라는 의미로 진정을 넣었다”고 전했다. 헌법불합치 결정이 난 규정은 형법으로, 모자보건법 시행령(15조)은 임신 24주 이내에만 낙태 수술을 허용하고 있다. 임신 24주를 넘어가는 낙태는 모자보건법상 불법이다. 복지부는 형법상 낙태죄에 처벌 효력이 없는 점을 고려, 모자보건법 위반 대신 살인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다. 이와 관련해 조지호 서울경찰청장은 이날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36주면 자궁 밖으로 나와 독립생활이 가능한 정도라는 전문가 의견이 있다”며 “다른 일반적인 낙태 사건과는 다르게 무게 있게 수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낙태 관련 전통적인 학설과 판례는 살인죄를 인정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경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자궁 안 또는 자궁 밖 사망 등 여러 태양(형태)에 대한 종합적 사실 확인을 거쳐 적용 법조와 죄명을 보겠다”고 말했다. 법조계도 조 청장과 같은 입장이다.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박나리 변호사는 “민법상 아이가 태어났을 때 살아있는지를 여부가 중요하다”며 “만약 아이가 생존해 있었다면 살인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아이가 사망한 상태였다면 살인으로 볼 수 없다”며 “임신 36개월은 바로 출산할 수 있는 시기다. 분명 제왕절개 또는 유도분만으로 출산했을 건데 살아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의 쟁점은 검찰이 출산 후 기록을 파악하는 것”이라며 “진료기록 또는 폐쇄회로(CC)TV가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을 거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실제 지난 2021년 판례를 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한 산부인과 의사가 임신 34주 때 유도 분만으로 출산한 후 아이를 물어넣어 사망하게 해 실형을 선고받았다”며 “당시도 낙태죄 는 폐지된 상태였다”고 부연했다. 한편 ‘임신중단 수술’ 주장이 사실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사실이라는 전제로 수사를 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일부에서는 “비만한 여성의 자작극”이란 주장도 나온다. 다만 이 역시 확인된 내용은 없다. 문제의 여성은 언론을 통해 공론화되자 관련 영상을 모두 삭제한 상태다. [기사전문보기] - ‘36주차 낙태’ 경찰 “엄중수사”·전문가 “살인죄 가능성”…단순 ‘비만’ 가능성도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17
‘36주차 낙태’ 경찰 “엄중수사”·전문가 “살인죄 가능성”…단순 ‘비만’ 가능성도
‘36주차 낙태’ 경찰 “엄중수사”·전문가 “살인죄 가능성”…단순 ‘비만’ 가능성도
보건복지부, 살인 혐의로 경찰 진정 한 20대 여성이 ‘임신 36주차에 낙태했다’는 내용의 영상을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낙태죄가 폐지된 뒤 벌어진 이 사건에 복지부는 해당 여성을 ‘살인 혐의’로 경찰에 진정을 접수하는가 하면 경찰은 엄정대응 방침을 밝혔다. 17일 세계일보와 통화한 한 전문가는 “임신 36면 출산이 가능한 시기”라면서 “아이의 사망 여부가 살인죄 성립을 좌우할 거로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일각에서는 ‘조작’을 의심하며 “단순 비만한 여성의 관심끌기”라는 주장도 나온다. 구독수를 높이기 위해 개인 유튜버들이 조작 방송하는 경우도 상당 수 있기 때문이다. 경찰이 수사에 나선만큼 조만간 진위가 밝혀질 거로 보인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유튜버 여성 A씨(20대 주장)와 A씨 수술 담당 의사에 대해 살인 혐의로 수사를 해달라는 진정을 경찰에 접수했다. 자신을 20대 여성이라고 주장한 A씨는 지난달 27일 유튜브에 ‘총 수술비용 900만원, 지옥 같던 120시간’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리며 임신 36주차에 낙태수술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처음에 임신인 것을 모르고 있다가 그냥 살이 많이 쪘구나 생각했다. 무심한 내 태도가 만든 결과에 죽어버리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A씨는 여러 병원으로부터 낙태 수술을 거절당하다 한 병원에서 절개수술을 받았다고 전했다. A씨의 이런 주장에 대해 복지부는 법률자문을 거쳐 수사를 의뢰했다. 복지부가 만삭 낙태 사례에 대해 수사를 의뢰한 것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낙태는 형법상 낙태를 하게 한 임신부나 낙태를 한 의사 모두에게 불법이었지만, 지난 2019년 4월 관련 조항에 헌법불합치 결정이 내려지며 낙태죄가 없어져 처벌 규정이 없는 상태다. 하지만 복지부 관계자는 “34주 태아를 낙태한 의사에게 살인죄를 적용한 법원 판례를 참조해 수사 의뢰를 했다”며 “(낙태가 실제로 이뤄졌는지 등) 사실이 맞는다면 처벌을 해달라는 의미로 진정을 넣었다”고 전했다. 헌법불합치 결정이 난 규정은 형법으로, 모자보건법 시행령(15조)은 임신 24주 이내에만 낙태 수술을 허용하고 있다. 임신 24주를 넘어가는 낙태는 모자보건법상 불법이다. 복지부는 형법상 낙태죄에 처벌 효력이 없는 점을 고려, 모자보건법 위반 대신 살인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다. 이와 관련해 조지호 서울경찰청장은 이날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36주면 자궁 밖으로 나와 독립생활이 가능한 정도라는 전문가 의견이 있다”며 “다른 일반적인 낙태 사건과는 다르게 무게 있게 수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낙태 관련 전통적인 학설과 판례는 살인죄를 인정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경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자궁 안 또는 자궁 밖 사망 등 여러 태양(형태)에 대한 종합적 사실 확인을 거쳐 적용 법조와 죄명을 보겠다”고 말했다. 법조계도 조 청장과 같은 입장이다.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박나리 변호사는 “민법상 아이가 태어났을 때 살아있는지를 여부가 중요하다”며 “만약 아이가 생존해 있었다면 살인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아이가 사망한 상태였다면 살인으로 볼 수 없다”며 “임신 36개월은 바로 출산할 수 있는 시기다. 분명 제왕절개 또는 유도분만으로 출산했을 건데 살아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의 쟁점은 검찰이 출산 후 기록을 파악하는 것”이라며 “진료기록 또는 폐쇄회로(CC)TV가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을 거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실제 지난 2021년 판례를 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한 산부인과 의사가 임신 34주 때 유도 분만으로 출산한 후 아이를 물어넣어 사망하게 해 실형을 선고받았다”며 “당시도 낙태죄 는 폐지된 상태였다”고 부연했다. 한편 ‘임신중단 수술’ 주장이 사실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사실이라는 전제로 수사를 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일부에서는 “비만한 여성의 자작극”이란 주장도 나온다. 다만 이 역시 확인된 내용은 없다. 문제의 여성은 언론을 통해 공론화되자 관련 영상을 모두 삭제한 상태다. [기사전문보기] - ‘36주차 낙태’ 경찰 “엄중수사”·전문가 “살인죄 가능성”…단순 ‘비만’ 가능성도 (바로가기)
머니S
2024-07-16
[법률S토리] "나이 속이고 접근"… 미성년 추행 혐의 억울하다면
[법률S토리] "나이 속이고 접근"… 미성년 추행 혐의 억울하다면
'미성년자 의제강간죄 연령 확대' 만장일치로 합헌 결정미성년 사전 인지 여부가 주요 쟁점 지난 1일 헌법재판소에서 13세이상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에 대해 간음할 경우 미성년자 의제강간죄를 적용해 처벌하는 형법 조항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재의 판단이 나왔다.미성년자 간음과 추행에 대한 처벌을 규정한 형법 제305조 제2항 중 제297조, 제297조의 2항, 제298조에 관한 헌법소원 사건(2022헌바106 등)에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합헌 결정했다.형법 제305조(미성년자에 대한 간음, 추행) 제2항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이 13세 이상 16세 미만의 미성년자를 상대로 간음이나 추행을 한 경우 강간·유사강간·강제추행으로 간주해 처벌한다. 상대 동의 여부와는 상관없다.종전에는 피해자가 13세 미만인 경우에만 적용된 조항이었다. 그러나 이른바 'N번방·박사방 사건'을 계기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가 논란이 되자 2000년 5월 형법을 개정했다. 제2항을 신설하고 연령 기준을 '16세 미만'으로 상향했다. 이번 결정은 위 조항이 신설된 후 첫 판단이다.헌법재판소는 해당 조항이 미성년자에 대한 부적절한 성적 자극이나 침해 행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법적 조치이기에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다.헌재는 "13세 이상 16세 미만의 사람도 13세 미만의 사람과 마찬가지로 성적 자기결정권을 온전히 행사할 수 없다"며 "설령 동의에 의해 성적 행위를 한 경우라도 성적 행위의 의미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온전한 성적 자기결정권의 행사에 의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없다"고 합헌 이유를 밝혔다.성적 자기결정권이 부족한 미성년자들을 상대로 한 디지털 성범죄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어 미성년자를 더 넓게 보호해야 한다는 취지다.이번 헌법 소원 청구인은 연령 기준 상향을 적용받아 기소된 피고인들이다. 청구인들은 해당 조항이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하고 성적 자기결정권, 사생활 비밀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주장했다.특히 이 조항이 피해자 연령이나 신체적·정신적 성숙도,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구체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했다. 처벌 대상을 19세 이상으로 한정하는 것도 문제 삼았다. 합의금 노리고 고의로 나이 속였다면 유엔 아동권리위원회(UN CRC)의 연령 상향 권고 등으로 연령기준 상향에 대한 논의는 꾸준히 제기돼왔다. 헌재의 이번 결정은 'N번방 사건'처럼 SNS 활성화로 청소년의 성범죄 위험 노출이 증가하자 논의를 넘어 실질적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최근 법원은 미성년자 성범죄에 더욱 강한 처벌을 내리고 있다. 형법 제302조에서는 미성년자 또는 심신미약자에 대해 위계 또는 위력으로써 간음 또는 추행을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만일 폭행 또는 협박을 통해 이루어진 강간이라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7조 제1항'에 따라 처벌되어 무기 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간혹 피해자 측이 합의금을 노리고 고의로 나이를 속인 채 접근하거나 피해자의 나이 식별이 어려워 성인으로 알고 행위가 이루어졌다면 억울하게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재판 과정에서 피해자가 13세 미만이었다는 사실에 대한 사전 인지 여부가 중요한 쟁점이 된다. 이 때 객관적인 증거를 통해 피해자의 나이를 몰랐음을 입증해야 한다.이처럼 억울하게 혐의를 받았다면 사건 초기부터 전문변호사와 상담을 통해 피해자와의 만남 당시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객관적인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도록 법률 조력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법률S토리] "나이 속이고 접근"… 미성년 추행 혐의 억울하다면 (바로가기)
머니S
2024-07-16
[법률S토리] "나이 속이고 접근"… 미성년 추행 혐의 억울하다면
[법률S토리] "나이 속이고 접근"… 미성년 추행 혐의 억울하다면
'미성년자 의제강간죄 연령 확대' 만장일치로 합헌 결정미성년 사전 인지 여부가 주요 쟁점 지난 1일 헌법재판소에서 13세이상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에 대해 간음할 경우 미성년자 의제강간죄를 적용해 처벌하는 형법 조항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재의 판단이 나왔다.미성년자 간음과 추행에 대한 처벌을 규정한 형법 제305조 제2항 중 제297조, 제297조의 2항, 제298조에 관한 헌법소원 사건(2022헌바106 등)에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합헌 결정했다.형법 제305조(미성년자에 대한 간음, 추행) 제2항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이 13세 이상 16세 미만의 미성년자를 상대로 간음이나 추행을 한 경우 강간·유사강간·강제추행으로 간주해 처벌한다. 상대 동의 여부와는 상관없다.종전에는 피해자가 13세 미만인 경우에만 적용된 조항이었다. 그러나 이른바 'N번방·박사방 사건'을 계기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가 논란이 되자 2000년 5월 형법을 개정했다. 제2항을 신설하고 연령 기준을 '16세 미만'으로 상향했다. 이번 결정은 위 조항이 신설된 후 첫 판단이다.헌법재판소는 해당 조항이 미성년자에 대한 부적절한 성적 자극이나 침해 행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법적 조치이기에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다.헌재는 "13세 이상 16세 미만의 사람도 13세 미만의 사람과 마찬가지로 성적 자기결정권을 온전히 행사할 수 없다"며 "설령 동의에 의해 성적 행위를 한 경우라도 성적 행위의 의미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온전한 성적 자기결정권의 행사에 의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없다"고 합헌 이유를 밝혔다.성적 자기결정권이 부족한 미성년자들을 상대로 한 디지털 성범죄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어 미성년자를 더 넓게 보호해야 한다는 취지다.이번 헌법 소원 청구인은 연령 기준 상향을 적용받아 기소된 피고인들이다. 청구인들은 해당 조항이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하고 성적 자기결정권, 사생활 비밀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주장했다.특히 이 조항이 피해자 연령이나 신체적·정신적 성숙도,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구체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했다. 처벌 대상을 19세 이상으로 한정하는 것도 문제 삼았다. 합의금 노리고 고의로 나이 속였다면 유엔 아동권리위원회(UN CRC)의 연령 상향 권고 등으로 연령기준 상향에 대한 논의는 꾸준히 제기돼왔다. 헌재의 이번 결정은 'N번방 사건'처럼 SNS 활성화로 청소년의 성범죄 위험 노출이 증가하자 논의를 넘어 실질적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최근 법원은 미성년자 성범죄에 더욱 강한 처벌을 내리고 있다. 형법 제302조에서는 미성년자 또는 심신미약자에 대해 위계 또는 위력으로써 간음 또는 추행을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만일 폭행 또는 협박을 통해 이루어진 강간이라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7조 제1항'에 따라 처벌되어 무기 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간혹 피해자 측이 합의금을 노리고 고의로 나이를 속인 채 접근하거나 피해자의 나이 식별이 어려워 성인으로 알고 행위가 이루어졌다면 억울하게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재판 과정에서 피해자가 13세 미만이었다는 사실에 대한 사전 인지 여부가 중요한 쟁점이 된다. 이 때 객관적인 증거를 통해 피해자의 나이를 몰랐음을 입증해야 한다.이처럼 억울하게 혐의를 받았다면 사건 초기부터 전문변호사와 상담을 통해 피해자와의 만남 당시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객관적인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도록 법률 조력이 필요하다. [기사전문보기] - [법률S토리] "나이 속이고 접근"… 미성년 추행 혐의 억울하다면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2곳
2024-07-15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마약·강력범죄 수사 도맡아형사 그룹 역량 강화 기대다양한 형사 사건 수임해 무죄 이끌어내 법무법인 대륜이 부장검사 출신 김철(60·24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 김철 변호사는 지난 1999년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로 임관한 뒤 광주지검, 인천지검을 거쳤고, 부산지검 공판부장검사, 광주지검 강력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검사로 재직하며 이중섭 위작 관련 명예훼손 사건과 수 백억원 대의 저금리 사채 사기 사건 등 다양한 사건에 대한 수사를 지휘했다.특히 광주지검과 부산지검, 서울중앙지검에서 근무할 당시 마약수사 전담부서에서 활약했으며, 필로폰 10kg 밀수 사건 등 마약 관련 수사를 도맡기도 했다.2012년 법복을 벗은 뒤에도 성범죄, 배임, 사기방조 등 복잡한 형사사건을 다수 수임해 법원으로부터 무죄 판결을 이끌어냈다.현재는 새마을금고중앙회 감독위원, 주식회사 스타비젼 감사 등을 맡아 폭넓은 분야에서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광주지검, 광주지검 해남지청에서 검사를 지낸 김 변호사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본부에서 호남 지방의 형사사건을 도맡을 예정이다.김 변호사는 “최근 범죄 유형이 다양해지고 그 수법 또한 더욱 교묘해지고 있어 전문적인 대응이 꼭 필요하다”며 “특히 마약 범죄의 경우 발생 건수가 매년 폭증하고 있는데, 오랜 마약 수사 경험을 살려 의뢰인을 조력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김철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 그룹이 한층 더 단단해졌다”며 “대륜을 찾은 의뢰인들이 보다 더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전문 인재 영입에 힘쓰겠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은 형사사건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초 기존 형사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별도 신설했다. 증거수집과 분석을 위해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프리미엄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2곳
2024-07-15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마약·강력범죄 수사 도맡아형사 그룹 역량 강화 기대다양한 형사 사건 수임해 무죄 이끌어내 법무법인 대륜이 부장검사 출신 김철(60·24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 김철 변호사는 지난 1999년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로 임관한 뒤 광주지검, 인천지검을 거쳤고, 부산지검 공판부장검사, 광주지검 강력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검사로 재직하며 이중섭 위작 관련 명예훼손 사건과 수 백억원 대의 저금리 사채 사기 사건 등 다양한 사건에 대한 수사를 지휘했다.특히 광주지검과 부산지검, 서울중앙지검에서 근무할 당시 마약수사 전담부서에서 활약했으며, 필로폰 10kg 밀수 사건 등 마약 관련 수사를 도맡기도 했다.2012년 법복을 벗은 뒤에도 성범죄, 배임, 사기방조 등 복잡한 형사사건을 다수 수임해 법원으로부터 무죄 판결을 이끌어냈다.현재는 새마을금고중앙회 감독위원, 주식회사 스타비젼 감사 등을 맡아 폭넓은 분야에서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광주지검, 광주지검 해남지청에서 검사를 지낸 김 변호사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본부에서 호남 지방의 형사사건을 도맡을 예정이다.김 변호사는 “최근 범죄 유형이 다양해지고 그 수법 또한 더욱 교묘해지고 있어 전문적인 대응이 꼭 필요하다”며 “특히 마약 범죄의 경우 발생 건수가 매년 폭증하고 있는데, 오랜 마약 수사 경험을 살려 의뢰인을 조력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김철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 그룹이 한층 더 단단해졌다”며 “대륜을 찾은 의뢰인들이 보다 더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전문 인재 영입에 힘쓰겠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은 형사사건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초 기존 형사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별도 신설했다. 증거수집과 분석을 위해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프리미엄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마약수사 전담 부장검사 출신 김철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더팩트 등 2곳
2024-07-14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 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돌입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 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돌입
대륜, 숙박비 반환 청구소송서 채권 가압류 결정 받아내 당일 예약 취소를 해주지 않아 결국 소송을 당한 한 숙박플랫폼이 채권 가압류 결정을 받은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하 대륜)이 피해를 입은 소비자들을 모집해 집단소송을 제기한다고 12일 밝혔다.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등에서 예약한 숙소보다 품질이 현저히 떨어져 환불을 요청했지만 숙박플랫폼은 내부규정을 들며 환불을 거부한다는 등의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대륜은 "소비자들이 적법한 기간 내 청약 철회 의사표시를 행사했음에도 환불 불가 정책을 내세우는 숙박플랫폼으로 인해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법조계는 숙박플랫폼 측이 중개만 담당했을 뿐 계약당사자가 아니므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약관법)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주장하고 있으며, 숙박업체 역시 계약에 있어 당사자가 아님을 강조한다고 입을 모았다.하지만 대륜은 "피해자들이 계속해서 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비슷한 사례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며 "숙박비 반환은 물론 손해배상 청구를 위해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이며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먼저 시작한 숙박비 반환 소송의 결과가 앞으로 제기될 집단소송의 첫 단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대륜은 숙박플랫폼을 상대로 숙박비 반환 소송에서 채권 가압류 결정을 받아낸 바 있다.대륜은 "숙박플랫폼 측 환불 규정은 전자상거래법, 약관법 등 다수의 법률을 위반하고 있다"며 "피해를 입은 소비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는 정당한 요구이며, 해당 환불 규정은 무효라고 볼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기사전문보기]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 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돌입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모집 (바로가기)
더팩트 등 2곳
2024-07-14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 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돌입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 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돌입
대륜, 숙박비 반환 청구소송서 채권 가압류 결정 받아내 당일 예약 취소를 해주지 않아 결국 소송을 당한 한 숙박플랫폼이 채권 가압류 결정을 받은 가운데, 법무법인(유한) 대륜(이하 대륜)이 피해를 입은 소비자들을 모집해 집단소송을 제기한다고 12일 밝혔다.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등에서 예약한 숙소보다 품질이 현저히 떨어져 환불을 요청했지만 숙박플랫폼은 내부규정을 들며 환불을 거부한다는 등의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대륜은 "소비자들이 적법한 기간 내 청약 철회 의사표시를 행사했음에도 환불 불가 정책을 내세우는 숙박플랫폼으로 인해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법조계는 숙박플랫폼 측이 중개만 담당했을 뿐 계약당사자가 아니므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약관법)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주장하고 있으며, 숙박업체 역시 계약에 있어 당사자가 아님을 강조한다고 입을 모았다.하지만 대륜은 "피해자들이 계속해서 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비슷한 사례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며 "숙박비 반환은 물론 손해배상 청구를 위해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이며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먼저 시작한 숙박비 반환 소송의 결과가 앞으로 제기될 집단소송의 첫 단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대륜은 숙박플랫폼을 상대로 숙박비 반환 소송에서 채권 가압류 결정을 받아낸 바 있다.대륜은 "숙박플랫폼 측 환불 규정은 전자상거래법, 약관법 등 다수의 법률을 위반하고 있다"며 "피해를 입은 소비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는 정당한 요구이며, 해당 환불 규정은 무효라고 볼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기사전문보기]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 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돌입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숙박플랫폼 불공정 환불정책 피해자 집단소송 모집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12
근로자 추락 사망…양벌규정으로 재판받았으나 공공기관 관계자 무죄
근로자 추락 사망…양벌규정으로 재판받았으나 공공기관 관계자 무죄
지하 기계실에서 가스배관 점검하던 근로자 1명 추락사재판부 "안전조치 없이 작업 지시, 또는 방치 증거 없어… 무죄 선고" 근로자가 지하 기계실에서 가스 배관을 점검하던 중 추락해 숨진 사고로 기소된 공공기관 관계자들이 업무상과실치사 등 혐의와 관련해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김수홍 부장판사)은 지난 5월 22일 산업안전보건법위반과 업무상과실치사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국가보훈부 산하 A공공기관과 관리부장 B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동일한 혐의로 기소된 시설과 담당자 C씨에게는 금고 6개월에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40시간을 선고했다.앞서 지난 2021년 7월 부산시 한 병원 지하 1층 기계실에서 근로자 D씨가 질소가스 배관에 문제가 생겨 이를 점검 및 작업하는 과정에서 추락했다. 이후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받았으나 숨졌다.해당 사건은 A공공기관 내 부산지소에서 발생했지만, 양벌규정으로 기소당한 건이다. 양벌규정은 대표나 임직원이 법을 위반하면 행위자 처벌과 함께 법인 또는 개인에게도 책임을 묻는 제도다.재판부는 “피고인 A공공기관과 B씨는 행정업무 담당으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하도록 지시, 또는 방치하였다고 볼 증거가 없다”라며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이어 “시설과 담당자 C씨는 작업을 직접적으로 관리·감독하는 실무자로서 필요한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업무상 과실로 보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피고인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사업주 또는 행위자가 사업장에서 법으로 규정된 안전상의 위험성이 있는 작업과 관련해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작업을 지시하거나 안전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 이를 방치하는 경우에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이 적용된다”라며 “피고인 B씨는 행정 담당자로서 기계실의 구체적인 업무를 알지 못했다. 작업일지 역시 형식적으로 작성돼 있었고, 이를 인지했다고 볼만한 증거 역시 없었다. 이에 따라 공단 역시 양벌규정으로 처벌이 불가하다는 결론에 이른 것”이라고 설명했다.또한 “피고인 C씨는 피해자에게 안전상 문제를 이유로 작업에서 제외 지시하는 등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다고 할 순 없고, 유족들과도 합의돼 그들이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한편,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란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 조치 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재해를 발생시킨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법인 등의 처벌을 규정한 것으로 올해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시행됐다.의무 미이행으로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는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법인 또한 양벌규정으로 최대 50억 원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 근로자 추락 사망…양벌규정으로 재판받았으나 공공기관 관계자 무죄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12
근로자 추락 사망…양벌규정으로 재판받았으나 공공기관 관계자 무죄
근로자 추락 사망…양벌규정으로 재판받았으나 공공기관 관계자 무죄
지하 기계실에서 가스배관 점검하던 근로자 1명 추락사재판부 "안전조치 없이 작업 지시, 또는 방치 증거 없어… 무죄 선고" 근로자가 지하 기계실에서 가스 배관을 점검하던 중 추락해 숨진 사고로 기소된 공공기관 관계자들이 업무상과실치사 등 혐의와 관련해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김수홍 부장판사)은 지난 5월 22일 산업안전보건법위반과 업무상과실치사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국가보훈부 산하 A공공기관과 관리부장 B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동일한 혐의로 기소된 시설과 담당자 C씨에게는 금고 6개월에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40시간을 선고했다.앞서 지난 2021년 7월 부산시 한 병원 지하 1층 기계실에서 근로자 D씨가 질소가스 배관에 문제가 생겨 이를 점검 및 작업하는 과정에서 추락했다. 이후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받았으나 숨졌다.해당 사건은 A공공기관 내 부산지소에서 발생했지만, 양벌규정으로 기소당한 건이다. 양벌규정은 대표나 임직원이 법을 위반하면 행위자 처벌과 함께 법인 또는 개인에게도 책임을 묻는 제도다.재판부는 “피고인 A공공기관과 B씨는 행정업무 담당으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하도록 지시, 또는 방치하였다고 볼 증거가 없다”라며 무죄 선고 이유를 밝혔다.이어 “시설과 담당자 C씨는 작업을 직접적으로 관리·감독하는 실무자로서 필요한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업무상 과실로 보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피고인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사업주 또는 행위자가 사업장에서 법으로 규정된 안전상의 위험성이 있는 작업과 관련해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작업을 지시하거나 안전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 이를 방치하는 경우에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이 적용된다”라며 “피고인 B씨는 행정 담당자로서 기계실의 구체적인 업무를 알지 못했다. 작업일지 역시 형식적으로 작성돼 있었고, 이를 인지했다고 볼만한 증거 역시 없었다. 이에 따라 공단 역시 양벌규정으로 처벌이 불가하다는 결론에 이른 것”이라고 설명했다.또한 “피고인 C씨는 피해자에게 안전상 문제를 이유로 작업에서 제외 지시하는 등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다고 할 순 없고, 유족들과도 합의돼 그들이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한편,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란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 조치 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재해를 발생시킨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법인 등의 처벌을 규정한 것으로 올해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시행됐다.의무 미이행으로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는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법인 또한 양벌규정으로 최대 50억 원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 근로자 추락 사망…양벌규정으로 재판받았으나 공공기관 관계자 무죄 (바로가기)
로리더
2024-07-11
법원, 미성년자 노출사진 전송요구 혐의 30대 남성···법정구속 면한 사연
법원, 미성년자 노출사진 전송요구 혐의 30대 남성···법정구속 면한 사연
미성년자 성착취목적대화, 성적 접촉 없어도 실형 처벌 가능인천지법 김샛별 판사, 초범, 피해자합의 등 양형요소 참작···집행유예 판결 채팅앱을 이용해 미성년자인 피해자와 노출사진을 주고받은 30대 남성에게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인천지방법원 형사11단독 김샛별 판사는 최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청소년성보호법’)위반(성착취목적대화등) 혐의로 기소된 A씨(32세)에게 ‘징역 4개월에 집행유예 2년’의 형을 선고했다.검찰의 공소사실에 따르면, A씨는 2023년 3월 한 채팅앱을 통해 알게 된 피해자와 음란채팅을 하고 총 12회에 걸쳐 신체 사진 등을 전송받은 혐의를 받았다. 음란행위 등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100회 이상 전송한 혐의 등도 함께 적용됐다.당시 피해자의 나이는 15세로 확인됐다.미성년자 성착취목적대화는 ‘온라인 그루밍’ 범죄 중 성적인 대화를 반복하는 행위 자체를 처벌하도록 2021년 청소년성보호법 제15조의2로 신설된 범죄로, 법정형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어서 성적인 접촉이 없다 해도 실형이 선고될 수 있는 중범죄다.특히 상대를 미성년자로 인식한 상태에서 성착취 목적의 대화를 한 경우 더욱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이 형사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피고인이 의도적으로 피해자에게 접근한 것은 아니며,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어 심리적으로 심약한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성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피해자의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범행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또한, A씨가 이 사건 이외에 처벌을 받은 적 없는 초범이고, 피해자 측과 합의해 피해자 측에서 A씨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변론했다.이 사건 법률대리인으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신용훈 변호사는 “이번 사건의 경우 피해자의 적극적인 주도하에 피고인 역시 자신의 신체 사진을 보낸 사건이다. 이런 경우 피해자에게만 유리한 방향으로 사건이 흐르지 않도록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과 전략적인 방어가 필요하다”면서, “피해자가 미성년자임을 인지한 상황이라면 더욱 엄히 처벌되는 것이 현실이다. 다만 이번 사건의 경우 초범인 점, 처벌불원서 등이 참작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미성년자 노출사진 전송요구 혐의 30대 남성···법정구속 면한 사연 (바로가기)
로리더
2024-07-11
법원, 미성년자 노출사진 전송요구 혐의 30대 남성···법정구속 면한 사연
법원, 미성년자 노출사진 전송요구 혐의 30대 남성···법정구속 면한 사연
미성년자 성착취목적대화, 성적 접촉 없어도 실형 처벌 가능인천지법 김샛별 판사, 초범, 피해자합의 등 양형요소 참작···집행유예 판결 채팅앱을 이용해 미성년자인 피해자와 노출사진을 주고받은 30대 남성에게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한 판결이 나왔다.인천지방법원 형사11단독 김샛별 판사는 최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청소년성보호법’)위반(성착취목적대화등) 혐의로 기소된 A씨(32세)에게 ‘징역 4개월에 집행유예 2년’의 형을 선고했다.검찰의 공소사실에 따르면, A씨는 2023년 3월 한 채팅앱을 통해 알게 된 피해자와 음란채팅을 하고 총 12회에 걸쳐 신체 사진 등을 전송받은 혐의를 받았다. 음란행위 등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100회 이상 전송한 혐의 등도 함께 적용됐다.당시 피해자의 나이는 15세로 확인됐다.미성년자 성착취목적대화는 ‘온라인 그루밍’ 범죄 중 성적인 대화를 반복하는 행위 자체를 처벌하도록 2021년 청소년성보호법 제15조의2로 신설된 범죄로, 법정형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어서 성적인 접촉이 없다 해도 실형이 선고될 수 있는 중범죄다.특히 상대를 미성년자로 인식한 상태에서 성착취 목적의 대화를 한 경우 더욱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이 형사재판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피고인이 의도적으로 피해자에게 접근한 것은 아니며,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어 심리적으로 심약한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성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피해자의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범행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또한, A씨가 이 사건 이외에 처벌을 받은 적 없는 초범이고, 피해자 측과 합의해 피해자 측에서 A씨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변론했다.이 사건 법률대리인으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신용훈 변호사는 “이번 사건의 경우 피해자의 적극적인 주도하에 피고인 역시 자신의 신체 사진을 보낸 사건이다. 이런 경우 피해자에게만 유리한 방향으로 사건이 흐르지 않도록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과 전략적인 방어가 필요하다”면서, “피해자가 미성년자임을 인지한 상황이라면 더욱 엄히 처벌되는 것이 현실이다. 다만 이번 사건의 경우 초범인 점, 처벌불원서 등이 참작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미성년자 노출사진 전송요구 혐의 30대 남성···법정구속 면한 사연 (바로가기)
머니S
2024-07-09
"장난인데 뭐 어때"… 동성 부하 직원 성추행한 40대 실형
"장난인데 뭐 어때"… 동성 부하 직원 성추행한 40대 실형
다른 성범죄 사건 연루된 상황에서 부하 직원 상대로 여러 차례 범행재판부 "동종 전과있고 피해자로부터 용서도 못 받아…실형 불가피"변호인 측 "강제추행죄 객체는 동성·이성 불문" 동성 부하 직원을 상습 성추행 한 40대가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은 지난 6월19일 강제추행과 폭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 A씨에게 강제추행죄로 징역 1년, 폭행죄로 징역 2개월을 각각 선고했다. 이와 함께 A씨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와 3년 간의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취업 제한을 명했다.A씨는 2021년 6월부터 1년여 동안 같은 회사 부하 직원에게 여러 차례 강제추행한 혐의로 기소됐다. 피해 직원이 대화에 끼어들었다는 이유로 폭행을 가한 혐의도 추가됐다.범행 직후 피해 직원이 이 사실을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면서 관련 조사가 진행됐고 A씨에게 출근정지 30일의 징계가 내려졌다.범행 당시 A씨는 비슷한 성범죄 사건의 가해자로 지목돼 수사 및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재판부는 "피해자가 매번 명확한 거부 의사를 밝혔음에도 피고인은 이를 장난으로 치부하며 다른 직장동료들에게도 비슷한 행위를 저질렀다"며 실형 선고 이유를 밝혔다. 이어 "사과를 위해 피해자와 대면했을 당시에도 또다시 피해자의 동의 없이 신체를 접촉해 불쾌감을 줬다"며 "이러한 행위가 피고인의 버릇이라면 따끔하게 혼을 내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재판부는 A씨에게 동종 범죄 처벌 전력이 있는 점과 피해자가 엄벌을 탄원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형을 정했다고 덧붙였다. 피해자는 A씨로부터 제대로 된 사과를 받지 못했고 같은 공간에서 계속 A씨를 마주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피해자 측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은 "형법이 정한 강제추행죄의 객체는 동성 및 이성을 불문한다"며 "당사자의 의사에 반한 성적 행위는 엄하게 처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장난인데 뭐 어때"… 동성 부하 직원 성추행한 40대 실형 (바로가기)
머니S
2024-07-09
"장난인데 뭐 어때"… 동성 부하 직원 성추행한 40대 실형
"장난인데 뭐 어때"… 동성 부하 직원 성추행한 40대 실형
다른 성범죄 사건 연루된 상황에서 부하 직원 상대로 여러 차례 범행재판부 "동종 전과있고 피해자로부터 용서도 못 받아…실형 불가피"변호인 측 "강제추행죄 객체는 동성·이성 불문" 동성 부하 직원을 상습 성추행 한 40대가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은 지난 6월19일 강제추행과 폭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40대 남성 A씨에게 강제추행죄로 징역 1년, 폭행죄로 징역 2개월을 각각 선고했다. 이와 함께 A씨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와 3년 간의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취업 제한을 명했다.A씨는 2021년 6월부터 1년여 동안 같은 회사 부하 직원에게 여러 차례 강제추행한 혐의로 기소됐다. 피해 직원이 대화에 끼어들었다는 이유로 폭행을 가한 혐의도 추가됐다.범행 직후 피해 직원이 이 사실을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면서 관련 조사가 진행됐고 A씨에게 출근정지 30일의 징계가 내려졌다.범행 당시 A씨는 비슷한 성범죄 사건의 가해자로 지목돼 수사 및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재판부는 "피해자가 매번 명확한 거부 의사를 밝혔음에도 피고인은 이를 장난으로 치부하며 다른 직장동료들에게도 비슷한 행위를 저질렀다"며 실형 선고 이유를 밝혔다. 이어 "사과를 위해 피해자와 대면했을 당시에도 또다시 피해자의 동의 없이 신체를 접촉해 불쾌감을 줬다"며 "이러한 행위가 피고인의 버릇이라면 따끔하게 혼을 내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재판부는 A씨에게 동종 범죄 처벌 전력이 있는 점과 피해자가 엄벌을 탄원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형을 정했다고 덧붙였다. 피해자는 A씨로부터 제대로 된 사과를 받지 못했고 같은 공간에서 계속 A씨를 마주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피해자 측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은 "형법이 정한 강제추행죄의 객체는 동성 및 이성을 불문한다"며 "당사자의 의사에 반한 성적 행위는 엄하게 처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장난인데 뭐 어때"… 동성 부하 직원 성추행한 40대 실형 (바로가기)
시사IN
2024-07-09
[단독] 전주시 의심스러운 전셋집 지금도 ‘매물 거래 중’
[단독] 전주시 의심스러운 전셋집 지금도 ‘매물 거래 중’
전북 전주에서 대규모 전세사기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시사IN〉은 세입자들의 증언과 전세로 나온 부동산 매물을 바탕으로 임대인 곽 아무개씨가 차명 소유한 건물을 추적했다. 전북 전주에서 대규모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태가 발생했다.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들은 전세사기 의혹을 제기하며 임차권등기를 비롯한 법적 대응을 하고 있다. 임대인은 곽 아무개씨. 〈시사IN〉 취재 결과, 현재까지 임대인 곽 아무개씨가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부동산은 전주에서만 다세대주택 89세대(건물 6채)이며, 다가구주택 94가구(6동)에 달했다. 〈시사IN〉이 등기부등본을 확인한 임차 세대 가운데 34곳에 이미 임차권등기(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를 보호하는 장치)가 설정돼 있었다. 전북 전주 지역에서 대규모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태가 일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전북 전주에 사는 직장인 이재형씨(가명·30)는 2021년 6월 일터와 가까운 전주 완산구 A 다가구주택으로 이사했다. 전세보증금은 8500만원, 계약기간은 2년이었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가입이 안 된다고 했다. 등기부등본(등기사항전부증명서)에 적힌 소유주는 김 아무개씨였지만, 실질적인 임대인 역할은 김씨의 아들인 곽씨가 도맡았다. 곽씨는 “10년 전에 사업하면서 신용불량자가 됐다. (쓸 수 있는) 명의가 어머니밖에 없어서” 모친 명의를 사용했다고 말했다.이재형씨는 전세 계약을 앞두고 공인중개사 김 아무개씨에게 안전한 건물이 맞는지 물었다. 곽씨가 2020년 11월 모친 명의로 7억5000만원에 매입한 건물에는 근저당권 5억3800만원이 설정돼 있었다. 중개사 김씨는 불안해하는 이씨에게 “임대인 곽씨가 사업도 크게 하고 건물 등 부동산이 많으니 보증금 반환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라고 했다. 이씨뿐만 아니라 중개사 김씨를 통해 곽씨와 계약한 이웃 세입자 6명도 똑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대부분 이씨 또래의 2030대 청년이다.이재형씨가 전세 계약을 맺고 1년9개월이 흘렀다. 전세 계약 만료를 3개월 앞둔 지난해 3월, 이씨는 임대인 곽씨에게 계약이 끝나면 다른 곳으로 이사하겠다고 밝혔다. 곽씨도 알겠다고 답했다. 그런데 새로운 세입자가 구해지지 않았다. 임대인 곽씨는 이씨에게 그해 4월 같은 건물에 살던 세입자 조 아무개씨(31)가 임차권등기를 설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계약 만기일에도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는 바로 다음 날부터 임차권등기 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 임차권등기가 설정된 집은 임대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은 집이라는 의미다. 새로 집을 구하는 세입자 입장에서 꺼릴 수밖에 없다. 2023년 6월 초 임대인 곽씨는 이재형씨에게 “두 달만 더 기다려달라”고 했다. ‘전주 덕진구에 있는 H 건물을 45억원에 경매 낙찰받았는데, 거기 돈이 묶여 있다. 두 달 후인 2023년 8월쯤 H 건물에서 대출이 나온다’고 설득했다. 이씨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사정이 있다고 하니 “두 달만 기다리겠다”라고 답했다. “45억짜리를 180억원짜리로 만들어놔”‘전세금 반환은 문제없다’고 설득했던 공인중개사 김씨가 임대인 곽씨와 경제적 이해관계로 얽혀 있다는 사실은 나중에야 알게 됐다. 〈시사IN〉에 전한 임대인 곽씨의 설명에 따르면, 중개사 김씨는 곽씨가 소유한 부동산 매물 중 6070%를 중개한다(〈그림 1〉 참조). H 건물을 경매로 구입한 ‘R 컴퍼니’의 대표이사가 중개사 김씨다. R 컴퍼니 법인 등기부등본에는 임대인 곽씨의 모친이 이 회사의 이사로 등재돼 있다. ‘R 컴퍼니’의 대표이사인 중개사 김씨는 〈시사IN〉에 “(곽씨가 임차인들에게 돌려줘야 할) 전세보증금하고 상관 없다. 나는 명의를 빌려줬을 뿐이고, 운영은 그분(곽씨)이 한다. 거기(R 컴퍼니)에서 돈 한 푼 받은 적 없다”라고 말했다. 임대인 곽씨는 이재형씨가 전세보증금 반환을 기다리던 2023년 4월, R 컴퍼니 법인 명의로 H 건물을 45억원에 인수했다. 곽씨는 〈시사IN〉에 “원래 나는 임대업과 인테리어업을 하는 사람이다. ‘빌라왕, 전세사기 사건’ 때문에 (전세) 수요자가 줄어버렸다. 그래서 사업 방향을 전환했다. 전세금을 가지고 150억원짜리 건물을 45억원에 경매 낙찰받은 뒤 리모델링해서 180억원짜리를 만들어놨다. 나는 상환능력이 있다. 전세금 10억20억원 갚는 건 아무것도 아니다. 세입자들과도 자주 소통하고 열에 아홉 명은 매달 (전세금 대출) 이자를 준다”라고 주장한다.세입자 이재형씨의 이야기는 다르다. 2023년 7월부터 임대인 곽씨는 전화를 잘 받지 않았다. ‘전화 주세요’라는 문자를 7월10일, 7월24일, 7월25일에 걸쳐 반복적으로 남겨야 했다. 전세금을 돌려주기로 한 2023년 8월이 돼도 연락이 어려웠다. 곽씨는 이씨에게 대출이자를 줄 테니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고 했다. 곽씨가 보증금을 돌려주겠다던 날짜는 차일피일 미뤄졌다.이재형씨는 계속 연락을 시도한 끝에 2023년 11월11일 임대인 곽씨를 만났다. 곽씨는 그해 12월 말까지 “전세금 8500만원 일체를 즉시 반환하겠다”라는 각서를 썼다. 이씨는 곽씨가 쓴 각서를 믿었다. 그해 12월1일 새로 이사 갈 집을 계약했다. 계약금 2600만원이 들었다. 그런데 전세금 반환 일자가 다가오자 또다시 곽씨와 통화가 어려워졌다. ‘전화 주세요(12월4일)’ ‘전화 좀 주세요(12월5일)’ ‘전화 왜 안 주세요?(12월6일)’ 곽씨에게 연락을 남겼다. 12월7일에야 곽씨는 ‘2개월만 연장해달라’는 문자를 보내왔다. ‘안 돼요. 저 이제 사장님 못 믿어요.’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면 이씨가 낸 계약금 2600만원도 날아갈 상황이었다. 곽씨는 이재형씨의 전화를 피하는 대신 ‘집안에 안 좋은 일이 있다’ ‘상중이라 경황이 없다’ ‘이자 납부할 테니 6개월 연장해달라’는 문자만 남겼다. 이씨는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이렇게 말했다. “너무 힘들었다. 잠이 안 와서 매일 술을 엄청 마셨다. 그러더니 급성췌장염이 오더라. 정신과에서 우울증을 진단받고 우울증 약과 수면제를 먹으면서 버텼다. 수면제는 한번 먹으니까 끊을 수가 없어서 지금도 먹고 있다.” 더는 참고 기다릴 수 없었던 이씨는 2023년 12월12일 부동산 가압류 접수를 시작으로 전세금반환청구 소송 등 법적 대응을 시작했다. 임대인을 살려내야 한다고?임대인 곽씨와 연락이 닿지 않는 세입자는 이재형씨뿐만이 아니다. 전주 덕진구에 위치한 H 건물 앞에는 종종 곽씨의 세입자들이 찾아온다. H 건물 인근에서 자영업을 하는 신 아무개씨는 “어느 날은 20대, 많이 먹어봤자 서른쯤 돼 보이는 젊은 사람들이 가게로 찾아왔다. 사장(임대인 곽씨)이 여기(H 건물) 나오느냐고 물어보더라. 전주대 쪽 원룸에 살다 이사 갈 날짜 맞춰서 다른 곳을 계약했는데 사장이 보증금을 안 빼준다고 했다. 그거를 받아야 자기네가 나가는데 사장이 전화를 안 받는다고 하더라”고 말했다.올해 2월22일, 이재형씨가 사는 A 다가구주택에 강제경매 개시가 결정됐다. 2월 말에야 이재형씨도 이 건물이 경매에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는 걸 알게 됐다. 각 세대 현관문마다 ‘주택 경매 절차 개시’ 안내문이 부착돼 있었기 때문이다. 어떻게 된 거냐는 이씨의 물음에 임대인 곽씨는 “어차피 3월에 (H 건물에 대한) 대출 나오면 다 정산할 거니 걱정하지 마라. 내일모레 은행에서 대출금액과 시점을 연락 주기로 했다”라면서 오히려 이씨에게 다른 세입자들 집 현관 앞에 붙은 경매통지서까지 모두 수거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씨는 다른 세입자들도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 그럴 순 없다고 거절했다. 3월에 대출이 나오면 다 정산할 거라며 걱정 말라던 임대인 곽씨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시사IN〉 취재 결과, 곽씨는 최근까지 대출받을 은행도 정하지 못한 상태였다. 곽씨는 〈시사IN〉과의 통화에서 “이제 여러 은행에 접촉을 할 거다. 경매 물건을 보수적으로 보는 전북보다 경기나 서울 쪽에서 (대출)할 거다. (H 건물) 감정가가 110억원 나와서 (대출은) 70억원 정도 (나올 거다)”라고 주장하며 임차인들의 전세보증금을 89월 중에 돌려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5월 중순 이재형씨 건물 세입자들 10명이 모여 단체 카톡방을 만들었다. 전세계약이 종료됐지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와 계약기간이 아직 남은 세입자가 섞여 있다. 이씨는 단체 고소도 고려해보자고 제안했지만, 지금까지는 ‘조금만 기다려보자’는 의견이 우세하다. 일부 임차인들은 ‘곽씨는 여러 사업을 하며 열심히 사는 사람이다. 사업이 꼬여서 이렇게 된 거니 더 기다려보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중개사 김씨도 이 지점을 강조하며 곽씨를 변호했다. 중개사 김씨는 〈시사IN〉에 “(소송을 걸어봤자) 정부에서 임차인 보증금 한 푼도 안 내준다. 아직 임대인의 자본력이 조금이라도 있으니, 우리가 다 같이 임대인을 살려내야 한다. 임차인 입장에서도 (대출이자) 조금이라도 받아놓고 기다리는 게 낫다”라고 말했다.이재형씨는 다른 세입자들의 이런 조심스러운 태도가 이해된다고 말했다. “곽씨가 무턱대고 기다려달라는 게 아니라 사정을 설명하니까 나도 처음엔 기다렸다. 조금만 더, 조금만 더 하다가 1년이 지났다. 처음에는 나한테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걸 진짜, 엄청 부정했다. 그다음에 화가 났고, 그다음에는 우울했다. ‘뭐가 진짜일까’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마지막 단계는, 포기다.”임대인 곽씨는 “이 사업을 2020년 겨울부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 오래된 다가구주택이나 다세대주택을 매입해 인테리어를 한 뒤, 매매가보다 비싸게 전세를 내놓는 방식이다. 곽씨는 “인테리어 비용 때문에 월세하고는 안 맞는다. 다 전세다. 우리가 인테리어로 가치를 올려놓은 걸 보고 임차인들이 와서 계약하는 거다”라고 말했다. 〈시사IN〉은 중개사 김씨가 부동산 플랫폼에 전세로 내놓은 부동산 매물과 세입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곽씨가 실질적으로 소유한 건물을 추적했다. 〈시사IN〉 취재 결과, 곽씨는 2020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약 2년 동안 다가구주택 6동과 다세대주택 6동을 구입했다. 세대수로 따지만 도합 183세대에 달한다(〈그림 2〉 참조). 곽씨의 부동산 매입 과정에는 의문점이 많이 남는다. 가장 큰 문제는 차명 매입이다. 곽씨는 이들 주택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어머니 김씨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명의를 추가로 사용했다. “(소유주로 적힌 사람들은) 지인들이다. 취등록세 때문에 그렇게 된 거다. 관리는 다 내가 한다”라는 게 곽씨의 설명이다. 곽씨의 부동산 매물을 중개한 중개사 김씨도 이들 주택이 사실상 곽씨 소유라고 증언했다.이들 주택 상당수에 이미 임차권등기가 설정되어 있었다. 지난해 2월13일부터 올해 6월20일까지 설정된 임차권등기 건수는 총 34건이다. 등기부등본상, 임차권등기 설정액으로 확인할 수 있는 미반환 전세보증금만 도합 23억4310만원이다. 임차권등기가 설정되지 않은, 아직 법적 대응이 이뤄지지 않은 전세보증금 미반환 금액은 이보다 클 것으로 추정된다.상황이 이렇게 심각하지만, 임대인 곽씨와 중개사 김씨는 오히려 임차권등기를 한 임차인들을 “이기적”이라고 비난한다. 중개사 김씨는 “어떤 임차인은 자기만 생각하고 임차권등기 명령을 신청한다. 내가 하지 말라고 그랬다. 임차권등기를 다 해버리면 전세자금 대출이 안 나오고 집주인이 감당이 안 된다. 집주인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내가 부동산을 20년 동안 하면서 (얻은)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하나의 노하우다”라고 말했다.임대인 곽씨의 (차명) 소유 다가구주택 중 I 다가구주택만 유일하게 임차권등기가 설정돼 있지 않다. 중개사 김씨는 “I 다가구주택 임차인에게 임차권등기 명령이 답은 아니라고 설명하고 설득했다. 방법을 제시한 거다. I 다가구주택은 (올해 4월에도) 새로운 임차인을 뽑아서(중개해서) 전세금을 반환해줬다”라고 말했다. 참고 기다리면 다른 임차인을 들일 수 있고, 그들로부터 전세보증금을 받아 돌려받을 수 있다며 설득했다는 것이다. 이 말은 여전히 곽씨 (차명) 소유 주택이 이 지역 임대차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로 〈시사IN〉 취재 결과, 중개사 김씨가 중개하는 곽씨 (차명) 소유 주택이 임대 매물로 소개되고 있었다. 한 부동산 중개 플랫폼에는 7월8일 현재에도 중개사 김씨의 이름으로 ‘애완동물과 함께, 혼자 살기 좋은 집입니다’, ‘월세도 가능합니다’라는 소개와 함께 I 다가구주택 매물이 전세로 올라와 있다.일부 임차인들은 ‘애초에 너무 높은 가격에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아차리고도 울며 겨자 먹기로 임대차 계약을 연장하고 있다. 곽씨가 차명으로 소유한 다세대주택에 거주하는 한 임차인은 전세금 대출 이자를 곽씨가 책임지는 조건으로 보증금 반환 기일을 한 차례 더 연장했다. 8000만원에 전세 임대차 계약을 맺은 한 임차인은 “현재 공동주택 공시가격(1400만원)과 전세보증금 차액이 6600만원으로 너무 크다. 대항력을 갖고 경매에 내놔도 온전히 전세금을 돌려받기 힘들다는 걸 알아버렸기 때문에 어떻게든 임대인 사정을 봐주면서 잘 해결하려고 눈물을 머금고 연장을 거듭하고 있다. 임대인을 신뢰해서가 아니다. 상황이 나를 이렇게 만든 거다”라고 말했다. 이재형씨가 사는 다가구주택은 법률상 단독주택이지만 한 건물에 여러 가구(최대 19가구)가 살고, 세입자들의 우선순위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선순위로 은행 대출을 담보하는 근저당권이 있다면, 은행 대출 채권이 1순위다. 그다음 세입자들의 확정일자 순서에 따라 최대 20순위까지 순위가 매겨진다. 그래서 다가구주택에 전세로 들어가기 전에는 은행 대출 채권액과 함께 먼저 사는 세입자들의 보증금(선순위 전세금) 규모를 꼭 알아야 한다. 임대인이 체납한 세금이 전세금보다 우선순위가 앞선 경우도 있어 납세증명서도 확인해야 한다.김태근 변호사(주택세입자 법률지원센터 ‘세입자114’ 운영위원장)는 다세대주택의 경우, 근저당권과 전세금이 주택 매매 시장가격보다 클 때 전세사기가 성립된다고 설명한다. 다가구주택 전세사기는 선순위 전세금의 합계를 감춘 채, 근저당권과 전세금 합계가 주택 시장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 성립된다. 이재형씨 전세계약서에는 ‘근저당권 설정과 세대별 보증금 내역을 확인 후 계약하는 것’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지만, 이씨는 그에 대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그러나 임대인 곽씨는 자신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현 상황이 ‘전세사기’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곽씨가 세대당 2500만3000만원을 들여 인테리어를 했기 때문에 시세가 올라 ‘깡통 전세’가 아니라는 논리다. 곽씨의 계산법은 이렇다. “A 다가구주택을 7억5000만원(근저당권 5억3800만원)에 싸게 매입했다. (매입가에 더해) 취등록세에 인테리어 비용까지 14억원이 들었다. 계산을 해보면 매매가가 실질적으로 18억원 정도 된다. (A 다가구주택) 전세금이 10억11억원 정도니까 전세금 다 해도 여기에 못 미친다.”임차인들을 대신해 임대인 곽씨를 경찰에 고발한 이하늘 변호사(법무법인 대륜)의 생각은 다르다. 지난 5월 이하늘 변호사는 임대인 곽씨와 곽씨의 모친, 중개사 김씨를 전세사기(사기 및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이 변호사는 “(매매가에서 근저당권을 제외하면) 소유권 취득일인 2020년 11월경 건물의 실제 가치는 2억2000만원에 불과했다. 이미 A 다가구주택은 전세금을 전액 담보할 수 없는 소위 ‘깡통 건물’이다.”임대인 곽씨는 여전히 자신이 전세금 상환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H 건물에서 대출 약 70억원이 나올 예정이고, 현재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건 일시적인 자금 경색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앞서 중개사 김씨의 말에 따르면, 곽씨는 다른 세입자들의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한 지난 4월에도 전세 계약을 이어갔다. 중개사 김씨는 〈시사IN〉에 “임대인이 아예 무일푼이면 나도 (전세금 반환) 장담을 못한다. 하지만 아직 0원은 아니다. 조금 있는 돈 가지고 수많은 세입자들 이자 정도는 줄 수 있다. 근데 목돈 6000만원, 7000만원을 주기에는 가지고 있는 돈이 많지 않다. 그래도 (곽씨가) 노력하고 있다. 집주인이 자기 자본을 마련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그러나 임대인 곽씨는 현재 재판에서 패소한 사건에 대해서도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4월 A 다가구주택에 임차권등기를 설정했던 임차인 조 아무개씨(31)는 곽씨를 상대로 한 전세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최근 승소했다. 1월17일 전주지방법원은 임대인 곽씨에게 A 다가구주택 세입자 조씨의 전세금 6000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소송을 제기하는 동안 전주에서 대전으로 일터를 옮긴 조씨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탓에 집을 옮기지 못해 3개월 동안 전주에서 대전까지 매일 출퇴근하기도 했다. 조씨 아버지는 “우리 입장에서는 생돈이 떼이는 거다. 하루하루 피가 마른다”라고 말했다. “인천 미추홀구 전세사기도 똑같았다”곽씨 (차명) 소유 주택에 사는 임차인 가운데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된 사례도 나왔다. 전북도청 주택건축과 관계자는 “올해 초 B 다세대주택 전세사기 피해 신청이 1건 들어왔고, 피해자로 인정됐다. 5월 말 A 다가구주택에서도 2건이 접수됐는데 아직까지 (피해자 인정 여부가) 결정된 건 없다”라고 말했다. 현행 기준에 따르면 다음의 4가지 요건을 충족했을 때 전세사기 피해자 등으로 인정된다. 전입신고를 마치고 확정일자를 갖춘 경우, 임차보증금이 3억원 이하인 경우(최대 5억원 이하), 다수의 임차인이 임차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피해가 발생했거나 발생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그리고 임차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의도가 있다고 임차인이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다. 곽씨가 차명으로 소유한 주택에 거주 중인 임차인 가운데에는 임대인 곽씨의 사정이 나아지기를 더 기다리겠다는 세입자들이 많다. 이원호 ‘전세사기·깡통전세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대표적 전세사기범인 ‘인천 미추홀구 건축왕’도 재판에서 (임대인 곽씨처럼) ‘자기는 사기를 치려던 게 아니다. 지금 경기 상황 때문에 매매가 이뤄지지 않아 일시적으로 발생한 문제다. 그렇지 않으면 해결할 수 있다’는 식의 논리를 펼쳤다. 이런 상황에서 세입자들은 ‘내가 전세사기 피해자가 맞나’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바뀐 제도에 의해 지원을 받기 위해서라도 전세사기 피해자 인정은 받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앞서 전북도청 주택건축과 관계자는 “일단은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 우리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하는 요건 중에 임대인 수사가 개시됐는지 여부를 본다. 수사 개시 여부가 제일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전북경찰청은 6월13일부터 이 사건을 들여다보고 있다. 현재까지 〈시사IN〉이 등기부등본 확인과 탐문, 각종 취재 과정을 통해 확인한 곽씨의 (차명 소유) 주택 건물만 12채(183가구)다. 타인 명의로 건물을 구입하는 만큼 〈시사IN〉이 자체적으로 확인한 건물 외에도 곽씨가 실질적으로 소유한 주택이 더 있을 수 있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관계자는 “현재 사건을 취합하고 있다. 피해 규모를 파악해 신속하게 수사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재형씨는 “전세금 반환청구 소송을 넣은 지 6개월이 됐는데 아직도 기일이 안 잡혔다. 속이 타고 답답하다”라고 했다. 이씨와 인터뷰한 지 일주일, 이씨에게서 다시 연락이 왔다. “기자님, 혹시 전세사기 피해 신청 어디서 하는지 아시나요?” [기사전문보기] - [단독] 전주시 의심스러운 전셋집 지금도 ‘매물 거래 중’ (바로가기)
시사IN
2024-07-09
[단독] 전주시 의심스러운 전셋집 지금도 ‘매물 거래 중’
[단독] 전주시 의심스러운 전셋집 지금도 ‘매물 거래 중’
전북 전주에서 대규모 전세사기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시사IN〉은 세입자들의 증언과 전세로 나온 부동산 매물을 바탕으로 임대인 곽 아무개씨가 차명 소유한 건물을 추적했다. 전북 전주에서 대규모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태가 발생했다.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들은 전세사기 의혹을 제기하며 임차권등기를 비롯한 법적 대응을 하고 있다. 임대인은 곽 아무개씨. 〈시사IN〉 취재 결과, 현재까지 임대인 곽 아무개씨가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부동산은 전주에서만 다세대주택 89세대(건물 6채)이며, 다가구주택 94가구(6동)에 달했다. 〈시사IN〉이 등기부등본을 확인한 임차 세대 가운데 34곳에 이미 임차권등기(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를 보호하는 장치)가 설정돼 있었다. 전북 전주 지역에서 대규모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태가 일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전북 전주에 사는 직장인 이재형씨(가명·30)는 2021년 6월 일터와 가까운 전주 완산구 A 다가구주택으로 이사했다. 전세보증금은 8500만원, 계약기간은 2년이었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가입이 안 된다고 했다. 등기부등본(등기사항전부증명서)에 적힌 소유주는 김 아무개씨였지만, 실질적인 임대인 역할은 김씨의 아들인 곽씨가 도맡았다. 곽씨는 “10년 전에 사업하면서 신용불량자가 됐다. (쓸 수 있는) 명의가 어머니밖에 없어서” 모친 명의를 사용했다고 말했다.이재형씨는 전세 계약을 앞두고 공인중개사 김 아무개씨에게 안전한 건물이 맞는지 물었다. 곽씨가 2020년 11월 모친 명의로 7억5000만원에 매입한 건물에는 근저당권 5억3800만원이 설정돼 있었다. 중개사 김씨는 불안해하는 이씨에게 “임대인 곽씨가 사업도 크게 하고 건물 등 부동산이 많으니 보증금 반환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라고 했다. 이씨뿐만 아니라 중개사 김씨를 통해 곽씨와 계약한 이웃 세입자 6명도 똑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대부분 이씨 또래의 2030대 청년이다.이재형씨가 전세 계약을 맺고 1년9개월이 흘렀다. 전세 계약 만료를 3개월 앞둔 지난해 3월, 이씨는 임대인 곽씨에게 계약이 끝나면 다른 곳으로 이사하겠다고 밝혔다. 곽씨도 알겠다고 답했다. 그런데 새로운 세입자가 구해지지 않았다. 임대인 곽씨는 이씨에게 그해 4월 같은 건물에 살던 세입자 조 아무개씨(31)가 임차권등기를 설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계약 만기일에도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는 바로 다음 날부터 임차권등기 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 임차권등기가 설정된 집은 임대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은 집이라는 의미다. 새로 집을 구하는 세입자 입장에서 꺼릴 수밖에 없다. 2023년 6월 초 임대인 곽씨는 이재형씨에게 “두 달만 더 기다려달라”고 했다. ‘전주 덕진구에 있는 H 건물을 45억원에 경매 낙찰받았는데, 거기 돈이 묶여 있다. 두 달 후인 2023년 8월쯤 H 건물에서 대출이 나온다’고 설득했다. 이씨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사정이 있다고 하니 “두 달만 기다리겠다”라고 답했다. “45억짜리를 180억원짜리로 만들어놔”‘전세금 반환은 문제없다’고 설득했던 공인중개사 김씨가 임대인 곽씨와 경제적 이해관계로 얽혀 있다는 사실은 나중에야 알게 됐다. 〈시사IN〉에 전한 임대인 곽씨의 설명에 따르면, 중개사 김씨는 곽씨가 소유한 부동산 매물 중 6070%를 중개한다(〈그림 1〉 참조). H 건물을 경매로 구입한 ‘R 컴퍼니’의 대표이사가 중개사 김씨다. R 컴퍼니 법인 등기부등본에는 임대인 곽씨의 모친이 이 회사의 이사로 등재돼 있다. ‘R 컴퍼니’의 대표이사인 중개사 김씨는 〈시사IN〉에 “(곽씨가 임차인들에게 돌려줘야 할) 전세보증금하고 상관 없다. 나는 명의를 빌려줬을 뿐이고, 운영은 그분(곽씨)이 한다. 거기(R 컴퍼니)에서 돈 한 푼 받은 적 없다”라고 말했다. 임대인 곽씨는 이재형씨가 전세보증금 반환을 기다리던 2023년 4월, R 컴퍼니 법인 명의로 H 건물을 45억원에 인수했다. 곽씨는 〈시사IN〉에 “원래 나는 임대업과 인테리어업을 하는 사람이다. ‘빌라왕, 전세사기 사건’ 때문에 (전세) 수요자가 줄어버렸다. 그래서 사업 방향을 전환했다. 전세금을 가지고 150억원짜리 건물을 45억원에 경매 낙찰받은 뒤 리모델링해서 180억원짜리를 만들어놨다. 나는 상환능력이 있다. 전세금 10억20억원 갚는 건 아무것도 아니다. 세입자들과도 자주 소통하고 열에 아홉 명은 매달 (전세금 대출) 이자를 준다”라고 주장한다.세입자 이재형씨의 이야기는 다르다. 2023년 7월부터 임대인 곽씨는 전화를 잘 받지 않았다. ‘전화 주세요’라는 문자를 7월10일, 7월24일, 7월25일에 걸쳐 반복적으로 남겨야 했다. 전세금을 돌려주기로 한 2023년 8월이 돼도 연락이 어려웠다. 곽씨는 이씨에게 대출이자를 줄 테니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고 했다. 곽씨가 보증금을 돌려주겠다던 날짜는 차일피일 미뤄졌다.이재형씨는 계속 연락을 시도한 끝에 2023년 11월11일 임대인 곽씨를 만났다. 곽씨는 그해 12월 말까지 “전세금 8500만원 일체를 즉시 반환하겠다”라는 각서를 썼다. 이씨는 곽씨가 쓴 각서를 믿었다. 그해 12월1일 새로 이사 갈 집을 계약했다. 계약금 2600만원이 들었다. 그런데 전세금 반환 일자가 다가오자 또다시 곽씨와 통화가 어려워졌다. ‘전화 주세요(12월4일)’ ‘전화 좀 주세요(12월5일)’ ‘전화 왜 안 주세요?(12월6일)’ 곽씨에게 연락을 남겼다. 12월7일에야 곽씨는 ‘2개월만 연장해달라’는 문자를 보내왔다. ‘안 돼요. 저 이제 사장님 못 믿어요.’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면 이씨가 낸 계약금 2600만원도 날아갈 상황이었다. 곽씨는 이재형씨의 전화를 피하는 대신 ‘집안에 안 좋은 일이 있다’ ‘상중이라 경황이 없다’ ‘이자 납부할 테니 6개월 연장해달라’는 문자만 남겼다. 이씨는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이렇게 말했다. “너무 힘들었다. 잠이 안 와서 매일 술을 엄청 마셨다. 그러더니 급성췌장염이 오더라. 정신과에서 우울증을 진단받고 우울증 약과 수면제를 먹으면서 버텼다. 수면제는 한번 먹으니까 끊을 수가 없어서 지금도 먹고 있다.” 더는 참고 기다릴 수 없었던 이씨는 2023년 12월12일 부동산 가압류 접수를 시작으로 전세금반환청구 소송 등 법적 대응을 시작했다. 임대인을 살려내야 한다고?임대인 곽씨와 연락이 닿지 않는 세입자는 이재형씨뿐만이 아니다. 전주 덕진구에 위치한 H 건물 앞에는 종종 곽씨의 세입자들이 찾아온다. H 건물 인근에서 자영업을 하는 신 아무개씨는 “어느 날은 20대, 많이 먹어봤자 서른쯤 돼 보이는 젊은 사람들이 가게로 찾아왔다. 사장(임대인 곽씨)이 여기(H 건물) 나오느냐고 물어보더라. 전주대 쪽 원룸에 살다 이사 갈 날짜 맞춰서 다른 곳을 계약했는데 사장이 보증금을 안 빼준다고 했다. 그거를 받아야 자기네가 나가는데 사장이 전화를 안 받는다고 하더라”고 말했다.올해 2월22일, 이재형씨가 사는 A 다가구주택에 강제경매 개시가 결정됐다. 2월 말에야 이재형씨도 이 건물이 경매에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는 걸 알게 됐다. 각 세대 현관문마다 ‘주택 경매 절차 개시’ 안내문이 부착돼 있었기 때문이다. 어떻게 된 거냐는 이씨의 물음에 임대인 곽씨는 “어차피 3월에 (H 건물에 대한) 대출 나오면 다 정산할 거니 걱정하지 마라. 내일모레 은행에서 대출금액과 시점을 연락 주기로 했다”라면서 오히려 이씨에게 다른 세입자들 집 현관 앞에 붙은 경매통지서까지 모두 수거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씨는 다른 세입자들도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 그럴 순 없다고 거절했다. 3월에 대출이 나오면 다 정산할 거라며 걱정 말라던 임대인 곽씨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시사IN〉 취재 결과, 곽씨는 최근까지 대출받을 은행도 정하지 못한 상태였다. 곽씨는 〈시사IN〉과의 통화에서 “이제 여러 은행에 접촉을 할 거다. 경매 물건을 보수적으로 보는 전북보다 경기나 서울 쪽에서 (대출)할 거다. (H 건물) 감정가가 110억원 나와서 (대출은) 70억원 정도 (나올 거다)”라고 주장하며 임차인들의 전세보증금을 89월 중에 돌려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5월 중순 이재형씨 건물 세입자들 10명이 모여 단체 카톡방을 만들었다. 전세계약이 종료됐지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와 계약기간이 아직 남은 세입자가 섞여 있다. 이씨는 단체 고소도 고려해보자고 제안했지만, 지금까지는 ‘조금만 기다려보자’는 의견이 우세하다. 일부 임차인들은 ‘곽씨는 여러 사업을 하며 열심히 사는 사람이다. 사업이 꼬여서 이렇게 된 거니 더 기다려보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중개사 김씨도 이 지점을 강조하며 곽씨를 변호했다. 중개사 김씨는 〈시사IN〉에 “(소송을 걸어봤자) 정부에서 임차인 보증금 한 푼도 안 내준다. 아직 임대인의 자본력이 조금이라도 있으니, 우리가 다 같이 임대인을 살려내야 한다. 임차인 입장에서도 (대출이자) 조금이라도 받아놓고 기다리는 게 낫다”라고 말했다.이재형씨는 다른 세입자들의 이런 조심스러운 태도가 이해된다고 말했다. “곽씨가 무턱대고 기다려달라는 게 아니라 사정을 설명하니까 나도 처음엔 기다렸다. 조금만 더, 조금만 더 하다가 1년이 지났다. 처음에는 나한테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걸 진짜, 엄청 부정했다. 그다음에 화가 났고, 그다음에는 우울했다. ‘뭐가 진짜일까’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마지막 단계는, 포기다.”임대인 곽씨는 “이 사업을 2020년 겨울부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 오래된 다가구주택이나 다세대주택을 매입해 인테리어를 한 뒤, 매매가보다 비싸게 전세를 내놓는 방식이다. 곽씨는 “인테리어 비용 때문에 월세하고는 안 맞는다. 다 전세다. 우리가 인테리어로 가치를 올려놓은 걸 보고 임차인들이 와서 계약하는 거다”라고 말했다. 〈시사IN〉은 중개사 김씨가 부동산 플랫폼에 전세로 내놓은 부동산 매물과 세입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곽씨가 실질적으로 소유한 건물을 추적했다. 〈시사IN〉 취재 결과, 곽씨는 2020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약 2년 동안 다가구주택 6동과 다세대주택 6동을 구입했다. 세대수로 따지만 도합 183세대에 달한다(〈그림 2〉 참조). 곽씨의 부동산 매입 과정에는 의문점이 많이 남는다. 가장 큰 문제는 차명 매입이다. 곽씨는 이들 주택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어머니 김씨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명의를 추가로 사용했다. “(소유주로 적힌 사람들은) 지인들이다. 취등록세 때문에 그렇게 된 거다. 관리는 다 내가 한다”라는 게 곽씨의 설명이다. 곽씨의 부동산 매물을 중개한 중개사 김씨도 이들 주택이 사실상 곽씨 소유라고 증언했다.이들 주택 상당수에 이미 임차권등기가 설정되어 있었다. 지난해 2월13일부터 올해 6월20일까지 설정된 임차권등기 건수는 총 34건이다. 등기부등본상, 임차권등기 설정액으로 확인할 수 있는 미반환 전세보증금만 도합 23억4310만원이다. 임차권등기가 설정되지 않은, 아직 법적 대응이 이뤄지지 않은 전세보증금 미반환 금액은 이보다 클 것으로 추정된다.상황이 이렇게 심각하지만, 임대인 곽씨와 중개사 김씨는 오히려 임차권등기를 한 임차인들을 “이기적”이라고 비난한다. 중개사 김씨는 “어떤 임차인은 자기만 생각하고 임차권등기 명령을 신청한다. 내가 하지 말라고 그랬다. 임차권등기를 다 해버리면 전세자금 대출이 안 나오고 집주인이 감당이 안 된다. 집주인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내가 부동산을 20년 동안 하면서 (얻은)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하나의 노하우다”라고 말했다.임대인 곽씨의 (차명) 소유 다가구주택 중 I 다가구주택만 유일하게 임차권등기가 설정돼 있지 않다. 중개사 김씨는 “I 다가구주택 임차인에게 임차권등기 명령이 답은 아니라고 설명하고 설득했다. 방법을 제시한 거다. I 다가구주택은 (올해 4월에도) 새로운 임차인을 뽑아서(중개해서) 전세금을 반환해줬다”라고 말했다. 참고 기다리면 다른 임차인을 들일 수 있고, 그들로부터 전세보증금을 받아 돌려받을 수 있다며 설득했다는 것이다. 이 말은 여전히 곽씨 (차명) 소유 주택이 이 지역 임대차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로 〈시사IN〉 취재 결과, 중개사 김씨가 중개하는 곽씨 (차명) 소유 주택이 임대 매물로 소개되고 있었다. 한 부동산 중개 플랫폼에는 7월8일 현재에도 중개사 김씨의 이름으로 ‘애완동물과 함께, 혼자 살기 좋은 집입니다’, ‘월세도 가능합니다’라는 소개와 함께 I 다가구주택 매물이 전세로 올라와 있다.일부 임차인들은 ‘애초에 너무 높은 가격에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아차리고도 울며 겨자 먹기로 임대차 계약을 연장하고 있다. 곽씨가 차명으로 소유한 다세대주택에 거주하는 한 임차인은 전세금 대출 이자를 곽씨가 책임지는 조건으로 보증금 반환 기일을 한 차례 더 연장했다. 8000만원에 전세 임대차 계약을 맺은 한 임차인은 “현재 공동주택 공시가격(1400만원)과 전세보증금 차액이 6600만원으로 너무 크다. 대항력을 갖고 경매에 내놔도 온전히 전세금을 돌려받기 힘들다는 걸 알아버렸기 때문에 어떻게든 임대인 사정을 봐주면서 잘 해결하려고 눈물을 머금고 연장을 거듭하고 있다. 임대인을 신뢰해서가 아니다. 상황이 나를 이렇게 만든 거다”라고 말했다. 이재형씨가 사는 다가구주택은 법률상 단독주택이지만 한 건물에 여러 가구(최대 19가구)가 살고, 세입자들의 우선순위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선순위로 은행 대출을 담보하는 근저당권이 있다면, 은행 대출 채권이 1순위다. 그다음 세입자들의 확정일자 순서에 따라 최대 20순위까지 순위가 매겨진다. 그래서 다가구주택에 전세로 들어가기 전에는 은행 대출 채권액과 함께 먼저 사는 세입자들의 보증금(선순위 전세금) 규모를 꼭 알아야 한다. 임대인이 체납한 세금이 전세금보다 우선순위가 앞선 경우도 있어 납세증명서도 확인해야 한다.김태근 변호사(주택세입자 법률지원센터 ‘세입자114’ 운영위원장)는 다세대주택의 경우, 근저당권과 전세금이 주택 매매 시장가격보다 클 때 전세사기가 성립된다고 설명한다. 다가구주택 전세사기는 선순위 전세금의 합계를 감춘 채, 근저당권과 전세금 합계가 주택 시장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 성립된다. 이재형씨 전세계약서에는 ‘근저당권 설정과 세대별 보증금 내역을 확인 후 계약하는 것’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지만, 이씨는 그에 대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그러나 임대인 곽씨는 자신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현 상황이 ‘전세사기’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곽씨가 세대당 2500만3000만원을 들여 인테리어를 했기 때문에 시세가 올라 ‘깡통 전세’가 아니라는 논리다. 곽씨의 계산법은 이렇다. “A 다가구주택을 7억5000만원(근저당권 5억3800만원)에 싸게 매입했다. (매입가에 더해) 취등록세에 인테리어 비용까지 14억원이 들었다. 계산을 해보면 매매가가 실질적으로 18억원 정도 된다. (A 다가구주택) 전세금이 10억11억원 정도니까 전세금 다 해도 여기에 못 미친다.”임차인들을 대신해 임대인 곽씨를 경찰에 고발한 이하늘 변호사(법무법인 대륜)의 생각은 다르다. 지난 5월 이하늘 변호사는 임대인 곽씨와 곽씨의 모친, 중개사 김씨를 전세사기(사기 및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이 변호사는 “(매매가에서 근저당권을 제외하면) 소유권 취득일인 2020년 11월경 건물의 실제 가치는 2억2000만원에 불과했다. 이미 A 다가구주택은 전세금을 전액 담보할 수 없는 소위 ‘깡통 건물’이다.”임대인 곽씨는 여전히 자신이 전세금 상환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H 건물에서 대출 약 70억원이 나올 예정이고, 현재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건 일시적인 자금 경색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앞서 중개사 김씨의 말에 따르면, 곽씨는 다른 세입자들의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한 지난 4월에도 전세 계약을 이어갔다. 중개사 김씨는 〈시사IN〉에 “임대인이 아예 무일푼이면 나도 (전세금 반환) 장담을 못한다. 하지만 아직 0원은 아니다. 조금 있는 돈 가지고 수많은 세입자들 이자 정도는 줄 수 있다. 근데 목돈 6000만원, 7000만원을 주기에는 가지고 있는 돈이 많지 않다. 그래도 (곽씨가) 노력하고 있다. 집주인이 자기 자본을 마련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그러나 임대인 곽씨는 현재 재판에서 패소한 사건에 대해서도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4월 A 다가구주택에 임차권등기를 설정했던 임차인 조 아무개씨(31)는 곽씨를 상대로 한 전세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최근 승소했다. 1월17일 전주지방법원은 임대인 곽씨에게 A 다가구주택 세입자 조씨의 전세금 6000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소송을 제기하는 동안 전주에서 대전으로 일터를 옮긴 조씨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탓에 집을 옮기지 못해 3개월 동안 전주에서 대전까지 매일 출퇴근하기도 했다. 조씨 아버지는 “우리 입장에서는 생돈이 떼이는 거다. 하루하루 피가 마른다”라고 말했다. “인천 미추홀구 전세사기도 똑같았다”곽씨 (차명) 소유 주택에 사는 임차인 가운데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된 사례도 나왔다. 전북도청 주택건축과 관계자는 “올해 초 B 다세대주택 전세사기 피해 신청이 1건 들어왔고, 피해자로 인정됐다. 5월 말 A 다가구주택에서도 2건이 접수됐는데 아직까지 (피해자 인정 여부가) 결정된 건 없다”라고 말했다. 현행 기준에 따르면 다음의 4가지 요건을 충족했을 때 전세사기 피해자 등으로 인정된다. 전입신고를 마치고 확정일자를 갖춘 경우, 임차보증금이 3억원 이하인 경우(최대 5억원 이하), 다수의 임차인이 임차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피해가 발생했거나 발생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그리고 임차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의도가 있다고 임차인이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다. 곽씨가 차명으로 소유한 주택에 거주 중인 임차인 가운데에는 임대인 곽씨의 사정이 나아지기를 더 기다리겠다는 세입자들이 많다. 이원호 ‘전세사기·깡통전세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대표적 전세사기범인 ‘인천 미추홀구 건축왕’도 재판에서 (임대인 곽씨처럼) ‘자기는 사기를 치려던 게 아니다. 지금 경기 상황 때문에 매매가 이뤄지지 않아 일시적으로 발생한 문제다. 그렇지 않으면 해결할 수 있다’는 식의 논리를 펼쳤다. 이런 상황에서 세입자들은 ‘내가 전세사기 피해자가 맞나’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바뀐 제도에 의해 지원을 받기 위해서라도 전세사기 피해자 인정은 받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앞서 전북도청 주택건축과 관계자는 “일단은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 우리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하는 요건 중에 임대인 수사가 개시됐는지 여부를 본다. 수사 개시 여부가 제일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전북경찰청은 6월13일부터 이 사건을 들여다보고 있다. 현재까지 〈시사IN〉이 등기부등본 확인과 탐문, 각종 취재 과정을 통해 확인한 곽씨의 (차명 소유) 주택 건물만 12채(183가구)다. 타인 명의로 건물을 구입하는 만큼 〈시사IN〉이 자체적으로 확인한 건물 외에도 곽씨가 실질적으로 소유한 주택이 더 있을 수 있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관계자는 “현재 사건을 취합하고 있다. 피해 규모를 파악해 신속하게 수사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재형씨는 “전세금 반환청구 소송을 넣은 지 6개월이 됐는데 아직도 기일이 안 잡혔다. 속이 타고 답답하다”라고 했다. 이씨와 인터뷰한 지 일주일, 이씨에게서 다시 연락이 왔다. “기자님, 혹시 전세사기 피해 신청 어디서 하는지 아시나요?” [기사전문보기] - [단독] 전주시 의심스러운 전셋집 지금도 ‘매물 거래 중’ (바로가기)
스마트타임스 등 4곳
2024-07-09
법무법인 대륜-인하대, 예비 법조인 육성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인하대, 예비 법조인 육성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예비 법조인 육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4일 대륜 인천총괄본부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김광덕 변호사, 이광우 변호사,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정영진 원장, 손영화 교무부원장, 김린 기획협력부원장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은 예전보다 법조계 채용 시장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의 우수한 예비 법조인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후진 양성을 위해 체결됐다.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법률 서비스의 지역 편차 개선 ▲지역 법률 사회 발전 기여 ▲ 법률전문가 후진 양성 등에 나선다.법무법인 대륜은 인하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현장에서 직접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 과정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이론을 실무에 접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양측은 변론경연대회 등도 개최할 예정이다. 학생들은 실무에서 행해지는 법정변론 방식을 직접 경험해 보며 구두변론 능력과 정보 전달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인하대 법전원 정영진 원장은 "채용 시장 분위기가 예전 같지 않은 상황 속에서 체결된 이번 협약은 의미가 크다"면서 "법무법인 대륜이라는 대형 로펌과의 협약으로 학생들의 실무 경험 축적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인하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대륜의 인재 개발 시스템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지역 우수 인재들의 성장 촉진제 역할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이어 "인하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법률상담 지원, 공동연구와 초청 강연 등 연구 및 교육 활성화에 협력하겠다" 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스마트타임스 - 법무법인 대륜-인하대, 예비 법조인 육성 MOU 체결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법조인 육성, 함께 하겠습니다" 법무법인 대륜ㆍ인하대 로스쿨 업무협약 (바로가기)기호일보 - 인하대 법전원, 법무법인 대륜과 예비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바로가기)법률저널 - 법무법인 대륜, 지역 로스쿨과 ‘예비 법조인 육성’ 상생 (바로가기)
스마트타임스 등 4곳
2024-07-09
법무법인 대륜-인하대, 예비 법조인 육성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인하대, 예비 법조인 육성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예비 법조인 육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4일 대륜 인천총괄본부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김광덕 변호사, 이광우 변호사,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정영진 원장, 손영화 교무부원장, 김린 기획협력부원장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은 예전보다 법조계 채용 시장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의 우수한 예비 법조인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후진 양성을 위해 체결됐다.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법률 서비스의 지역 편차 개선 ▲지역 법률 사회 발전 기여 ▲ 법률전문가 후진 양성 등에 나선다.법무법인 대륜은 인하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현장에서 직접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 과정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이론을 실무에 접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양측은 변론경연대회 등도 개최할 예정이다. 학생들은 실무에서 행해지는 법정변론 방식을 직접 경험해 보며 구두변론 능력과 정보 전달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인하대 법전원 정영진 원장은 "채용 시장 분위기가 예전 같지 않은 상황 속에서 체결된 이번 협약은 의미가 크다"면서 "법무법인 대륜이라는 대형 로펌과의 협약으로 학생들의 실무 경험 축적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인하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대륜의 인재 개발 시스템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지역 우수 인재들의 성장 촉진제 역할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이어 "인하대 법전원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법률상담 지원, 공동연구와 초청 강연 등 연구 및 교육 활성화에 협력하겠다" 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스마트타임스 - 법무법인 대륜-인하대, 예비 법조인 육성 MOU 체결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법조인 육성, 함께 하겠습니다" 법무법인 대륜ㆍ인하대 로스쿨 업무협약 (바로가기)기호일보 - 인하대 법전원, 법무법인 대륜과 예비 법조인 양성 업무협약 (바로가기)법률저널 - 법무법인 대륜, 지역 로스쿨과 ‘예비 법조인 육성’ 상생 (바로가기)
로리더 등 3곳
2024-07-08
법무법인 대륜·영남대 로스쿨, 법률 교육ㆍ실무 발전 위해 맞손
법무법인 대륜·영남대 로스쿨, 법률 교육ㆍ실무 발전 위해 맞손
영남대 로스쿨, 이론·실무 연계 교육 통해 이해도 높여대륜, 산학협력 통해 법률 문화·서비스 수준 향상 기여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2일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영남대 법학전문도서관 세미나2실에서 진행된 이날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 대륜의 김국일 대표와 권민경 변호사, 영남대 법전원의 이동형 원장과 원종배 부원장, 박건우 부원장, 이청호 행정실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미국 선진 로펌의 시스템을 도입하고 전국 최다 분사무소를 개소해 법률 사각지대를 없애는 데에 일조하고 있는 법무법인(유) 대륜은 영남대가 소재한 경북 지역에만 4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전신인 영남대 법학과 시절부터 지방자치단체장이나 공공기관장, 대법관 등을 배출해 온 영남대 법전원은 2024년도에는 검사임용 합격률(입학정원 대비 재학생 합격률)에서 전국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법무법인(유) 대륜과 영남대 법전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법률 분야 교육과 실무 모두에서 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우선 영남대 법전원 학생들은 법무법인(유) 대륜에서 실습 기회를 제공받는다. 영남대 법전원 학생들은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육을 받고, 현장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다.양측은 법률 연구 및 자료 공유 등을 통해 전문성 강화에도 나선다. 영남대 법전원은 최신 법률 연구 결과와 논문 등을 제공하고, 법무법인(유) 대륜은 실제 사건 데이터를 제공해 서로의 연구와 법무 실무에 협력할 예정이다.대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법전원 교수진은 로펌의 실제 사례와 문제 해결 과정 자료를 통해 보다 실무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법무법인(유) 대륜 변호사들은 법전원에서 제공하는 학문 세미나와 워크숍으로 최신 법률 지식을 업데이트하고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영남대 법전원 이동형 원장은 “실무는 이론이고, 이론은 곧 실무다. 법학이론을 사건에 적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실제 실무에서 법학 이론을 적용해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 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무법인과 법전원의 협력은 사회 전체의 법률 문화와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이라면서, “대륜은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법률 서비스 질 향상, 법률 지식의 확산 및 교육, 공익 법률 활동 활성화, 법률 시스템 개선 및 정책 개발 등 지역사회 발전과 공익 증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영남대 로스쿨, 법률 교육ㆍ실무 발전 위해 맞손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법무법인 대륜, 영남대 로스쿨과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법률저널 - 법무법인 대륜, 지역 로스쿨과 ‘예비 법조인 육성’ 상생 (바로가기)
로리더 등 3곳
2024-07-08
법무법인 대륜·영남대 로스쿨, 법률 교육ㆍ실무 발전 위해 맞손
법무법인 대륜·영남대 로스쿨, 법률 교육ㆍ실무 발전 위해 맞손
영남대 로스쿨, 이론·실무 연계 교육 통해 이해도 높여대륜, 산학협력 통해 법률 문화·서비스 수준 향상 기여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과 2일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영남대 법학전문도서관 세미나2실에서 진행된 이날 MOU 체결식에는 법무법인(유) 대륜의 김국일 대표와 권민경 변호사, 영남대 법전원의 이동형 원장과 원종배 부원장, 박건우 부원장, 이청호 행정실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미국 선진 로펌의 시스템을 도입하고 전국 최다 분사무소를 개소해 법률 사각지대를 없애는 데에 일조하고 있는 법무법인(유) 대륜은 영남대가 소재한 경북 지역에만 4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전신인 영남대 법학과 시절부터 지방자치단체장이나 공공기관장, 대법관 등을 배출해 온 영남대 법전원은 2024년도에는 검사임용 합격률(입학정원 대비 재학생 합격률)에서 전국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법무법인(유) 대륜과 영남대 법전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법률 분야 교육과 실무 모두에서 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우선 영남대 법전원 학생들은 법무법인(유) 대륜에서 실습 기회를 제공받는다. 영남대 법전원 학생들은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육을 받고, 현장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다.양측은 법률 연구 및 자료 공유 등을 통해 전문성 강화에도 나선다. 영남대 법전원은 최신 법률 연구 결과와 논문 등을 제공하고, 법무법인(유) 대륜은 실제 사건 데이터를 제공해 서로의 연구와 법무 실무에 협력할 예정이다.대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법전원 교수진은 로펌의 실제 사례와 문제 해결 과정 자료를 통해 보다 실무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법무법인(유) 대륜 변호사들은 법전원에서 제공하는 학문 세미나와 워크숍으로 최신 법률 지식을 업데이트하고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영남대 법전원 이동형 원장은 “실무는 이론이고, 이론은 곧 실무다. 법학이론을 사건에 적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실제 실무에서 법학 이론을 적용해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 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무법인과 법전원의 협력은 사회 전체의 법률 문화와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이라면서, “대륜은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법률 서비스 질 향상, 법률 지식의 확산 및 교육, 공익 법률 활동 활성화, 법률 시스템 개선 및 정책 개발 등 지역사회 발전과 공익 증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영남대 로스쿨, 법률 교육ㆍ실무 발전 위해 맞손 (바로가기)로스쿨타임즈 - 법무법인 대륜, 영남대 로스쿨과 업무협약 체결 (바로가기)법률저널 - 법무법인 대륜, 지역 로스쿨과 ‘예비 법조인 육성’ 상생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5곳
2024-07-04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경쟁력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경쟁력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올해 초 에이치엠컴퍼니와 MOU도 맺어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디지털포렌식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해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대륜은 법적 증거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이하 그룹)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에는 전직 법원 및 검찰·경찰 출신의 형사 전문 변호사, 탐정 자격을 보유한 전문 조사관,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소속돼 있다. 개인의 가정사부터 기업의 기술 유출, 횡령·배임 등 각종 민·형사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식 장비를 도입해 전문적인 증거 수집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초 대륜은 에이치엠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상호 기술 협력 MOU를 체결, 첨단 수사 기법을 도입해 증거 수집 및 분석 능력을 한 단계 더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에이치엠컴퍼니는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내부 감사 전문기업이다. PC와 휴대폰, 서버 등 1만건 이상의 디지털 기기를 디지털포렌식 한 경험을 보유했다.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KOLAS(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협업으로 에이치엠컴퍼니의 경험과 기술력을 활용해 민·형사 등 다양한 사건에서 전문적인 증거 수집을 하게 됐다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로 기업 경영과 횡령·배임, 기술 유출, 공정 거래 위반 등의 컴플라이언스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또 대륜은 KOLAS 공인시험성적서를 디지털포렌식 의뢰 결과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KOLAS 공인기관에서 발급한 성적서는 전 세계 주요 국가와 기구로부터 상호 인정받아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국제 기업 간 소송 및 분쟁에서도 유효하다는 평가다. 기업법무, 민·형사 등 다양한 법적 대응 시 공신력 높은 증거 제출이 가능하다. 대륜은 디지털포렌식 역량 시너지가 더해지면 맞춤형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 사건 해결 능력이 이전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국일 대륜 대표는 “기업법무, 민·형사 등 다양한 법적 대응을 위한 증거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증거의 중요성이 증가했다”며 “앞으로 고객이 안전하게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다분야에 디지털포렌식을 활용, 증거수집 및 분석에 대한 로펌의 전문성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경쟁력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바로가기)한국경제 - '트럼프 리스크' 율촌 세미나…대륜,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바로가기) 로리더 -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 역량 강화···보이지 않는 증거까지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5곳
2024-07-04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경쟁력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경쟁력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올해 초 에이치엠컴퍼니와 MOU도 맺어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디지털포렌식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해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대륜은 법적 증거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이하 그룹)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에는 전직 법원 및 검찰·경찰 출신의 형사 전문 변호사, 탐정 자격을 보유한 전문 조사관,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소속돼 있다. 개인의 가정사부터 기업의 기술 유출, 횡령·배임 등 각종 민·형사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식 장비를 도입해 전문적인 증거 수집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초 대륜은 에이치엠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상호 기술 협력 MOU를 체결, 첨단 수사 기법을 도입해 증거 수집 및 분석 능력을 한 단계 더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에이치엠컴퍼니는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내부 감사 전문기업이다. PC와 휴대폰, 서버 등 1만건 이상의 디지털 기기를 디지털포렌식 한 경험을 보유했다.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KOLAS(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협업으로 에이치엠컴퍼니의 경험과 기술력을 활용해 민·형사 등 다양한 사건에서 전문적인 증거 수집을 하게 됐다는 게 대륜의 설명이다.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로 기업 경영과 횡령·배임, 기술 유출, 공정 거래 위반 등의 컴플라이언스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또 대륜은 KOLAS 공인시험성적서를 디지털포렌식 의뢰 결과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KOLAS 공인기관에서 발급한 성적서는 전 세계 주요 국가와 기구로부터 상호 인정받아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국제 기업 간 소송 및 분쟁에서도 유효하다는 평가다. 기업법무, 민·형사 등 다양한 법적 대응 시 공신력 높은 증거 제출이 가능하다. 대륜은 디지털포렌식 역량 시너지가 더해지면 맞춤형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 사건 해결 능력이 이전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국일 대륜 대표는 “기업법무, 민·형사 등 다양한 법적 대응을 위한 증거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증거의 중요성이 증가했다”며 “앞으로 고객이 안전하게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다분야에 디지털포렌식을 활용, 증거수집 및 분석에 대한 로펌의 전문성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경쟁력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바로가기)한국경제 - '트럼프 리스크' 율촌 세미나…대륜,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 [로앤비즈 브리핑] (바로가기)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바로가기)아주경제 - [로펌라운지] 대륜, 디지털포렌식 역량 강화…사건 해결능력 향상 (바로가기) 로리더 -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 역량 강화···보이지 않는 증거까지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02
‘시청역 사고’ 운전자 입건…전문가 “금고형 가능성, 급발진은 현재 논의할 단계 아냐”
‘시청역 사고’ 운전자 입건…전문가 “금고형 가능성, 급발진은 현재 논의할 단계 아냐”
경찰, 60대 운전자 입건 시청역 역주행 사고로 사망자 9명을 포함해 총 1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경찰은 60대 운전자 A씨(68)를 입건해 수사 중이라고 2일 밝혔다. A씨는 현재 갈비뼈 등을 다쳐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정용우 서울 남대문경찰서 교통과장은 이날 기자단 브리핑에서 “사망 사고를 발생시킨 운전자 A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했다”고 밝혔다. 정 과장은 “향후 면밀한 사실관계 확인 등 엄정하고 신속하게 수사하겠다”면서 “사건을 진행하면서 구속영장 신청 여부를 다각도로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정 과장은 A씨가 ‘급발진’ 때문에 사고가 났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서는 “급발진의 근거는 현재까지는 피의자 측 진술뿐이고 급발진이라고 해도 적용 혐의가 달라지지는 않는다”며 “추가 확인을 위해 차량에 대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에 감식을 의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날 오전 사고 차량에 가림막을 씌운 상태로 국과수로 이동시켰다. 국과수의 차량 사고기록장치(EDR) 분석에는 통상적으로 1∼2개월이 소요된다. 경찰은 사건관계인과 목격자 진술, 폐쇄회로(CC)TV 및 블랙박스 영상 등을 토대로 사고 당시 상황과 가해 차량의 동선을 재구성하고 있다. 정 과장은 “사고 수습과 현장 보존에 이어 지금은 증거를 수집하는 단계”라며 “아직 영상분석을 하지 않아 가속이 됐는지, 어떻게 주행해 어디에 부딪혔는지 등 구체적인 사고 내용을 아직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했다. 경찰은 사고 현장에서 A씨가 도주를 시도하지 않았으며, 음주 측정과 마약 간이 검사를 한 결과 음주나 마약 흔적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현재 정황상으로 급발진 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지만, 이를 증명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는 견해를 드러냈다.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일단 급발진이 인정되면 차량의 결함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 경우 운전자 과실이 없어서 혐의 적용은 힘들다고 말했다. 최 변호사는 경찰이 A씨에게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를 적용한 것과 관련해서는 “현재로선 교통사고로 보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급발진 여부를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운전자 과실이 밝혀진다면 교통사고 처벌의 특례를 규정하고 있는 교특법 제3조 1항에 따라 운전자의 교통사고로 인해 ‘형법’ 제268조의 죄(업무상과실·중과실 치사상죄)를 범한 경우에는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고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있다고 최 변호사는 설명했다. 그는 “교통사고 사상자로 인한 금고형은 기본이 8개월에서 최장 2년 사이”라며 “이번 사고는 사상자가 많다. 최대 금고 2년 형도 내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피해자와의 합의 등 피해회복도 안된다면 감형은 어려워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급발진 의혹에 대해서는 “‘급발진이 아니다’라는 내용의 목격자 전문가 의견이 현재 주를 이룬다”면서도 “국내 급발진 인정된 경우가 아직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언론이 공개한 차량이 점진적으로 멈추는 영상만 보고 급발진이 아니다라고 단정할 수 없다”며 “정황상으로 급발진을 여부를 논의하는 게 모순적”이라고 했다. 덧붙여 “이번 사고의 경우 차량 급발진 입증 문제로 귀결되는데, 재판부도 증거가 없으면 증거로 인정 못 한다”면서 “다만 양형 기준에 참작할 수 있어 보인다. 급발진이 인정 안 되면 운전자 과실이므로 과중처벌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시청역 사고’ 운전자 입건…전문가 “금고형 가능성, 급발진은 현재 논의할 단계 아냐”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7-02
‘시청역 사고’ 운전자 입건…전문가 “금고형 가능성, 급발진은 현재 논의할 단계 아냐”
‘시청역 사고’ 운전자 입건…전문가 “금고형 가능성, 급발진은 현재 논의할 단계 아냐”
경찰, 60대 운전자 입건 시청역 역주행 사고로 사망자 9명을 포함해 총 1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경찰은 60대 운전자 A씨(68)를 입건해 수사 중이라고 2일 밝혔다. A씨는 현재 갈비뼈 등을 다쳐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정용우 서울 남대문경찰서 교통과장은 이날 기자단 브리핑에서 “사망 사고를 발생시킨 운전자 A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했다”고 밝혔다. 정 과장은 “향후 면밀한 사실관계 확인 등 엄정하고 신속하게 수사하겠다”면서 “사건을 진행하면서 구속영장 신청 여부를 다각도로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정 과장은 A씨가 ‘급발진’ 때문에 사고가 났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서는 “급발진의 근거는 현재까지는 피의자 측 진술뿐이고 급발진이라고 해도 적용 혐의가 달라지지는 않는다”며 “추가 확인을 위해 차량에 대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에 감식을 의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날 오전 사고 차량에 가림막을 씌운 상태로 국과수로 이동시켰다. 국과수의 차량 사고기록장치(EDR) 분석에는 통상적으로 1∼2개월이 소요된다. 경찰은 사건관계인과 목격자 진술, 폐쇄회로(CC)TV 및 블랙박스 영상 등을 토대로 사고 당시 상황과 가해 차량의 동선을 재구성하고 있다. 정 과장은 “사고 수습과 현장 보존에 이어 지금은 증거를 수집하는 단계”라며 “아직 영상분석을 하지 않아 가속이 됐는지, 어떻게 주행해 어디에 부딪혔는지 등 구체적인 사고 내용을 아직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했다. 경찰은 사고 현장에서 A씨가 도주를 시도하지 않았으며, 음주 측정과 마약 간이 검사를 한 결과 음주나 마약 흔적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현재 정황상으로 급발진 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지만, 이를 증명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는 견해를 드러냈다.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일단 급발진이 인정되면 차량의 결함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 경우 운전자 과실이 없어서 혐의 적용은 힘들다고 말했다. 최 변호사는 경찰이 A씨에게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를 적용한 것과 관련해서는 “현재로선 교통사고로 보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급발진 여부를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운전자 과실이 밝혀진다면 교통사고 처벌의 특례를 규정하고 있는 교특법 제3조 1항에 따라 운전자의 교통사고로 인해 ‘형법’ 제268조의 죄(업무상과실·중과실 치사상죄)를 범한 경우에는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고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있다고 최 변호사는 설명했다. 그는 “교통사고 사상자로 인한 금고형은 기본이 8개월에서 최장 2년 사이”라며 “이번 사고는 사상자가 많다. 최대 금고 2년 형도 내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피해자와의 합의 등 피해회복도 안된다면 감형은 어려워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급발진 의혹에 대해서는 “‘급발진이 아니다’라는 내용의 목격자 전문가 의견이 현재 주를 이룬다”면서도 “국내 급발진 인정된 경우가 아직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언론이 공개한 차량이 점진적으로 멈추는 영상만 보고 급발진이 아니다라고 단정할 수 없다”며 “정황상으로 급발진을 여부를 논의하는 게 모순적”이라고 했다. 덧붙여 “이번 사고의 경우 차량 급발진 입증 문제로 귀결되는데, 재판부도 증거가 없으면 증거로 인정 못 한다”면서 “다만 양형 기준에 참작할 수 있어 보인다. 급발진이 인정 안 되면 운전자 과실이므로 과중처벌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시청역 사고’ 운전자 입건…전문가 “금고형 가능성, 급발진은 현재 논의할 단계 아냐”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02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사기범죄 양형기준 강화 예정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사기범죄 양형기준 강화 예정
갭투자 방식 수백 명의 피해자 양산, ‘180억’ 전세 사기범 징역 15년 ‘법정 최고형’양형위, 전세 사기·보험사기·보이스피싱 등 양형 기준 신설 논의…8월 심의 최근 보이스피싱, 부동산 사기 등 서민 대상 재산범죄가 증가하는 가운데, 180억 원대의 전세 사기를 저지른 50대가 2심에서도 중형을 선고받았다. 앞으로 사기 범죄 양형 기준에 변화가 예고된다.부산지법 형사항소 4-1부는 지난 20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여성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피고인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 형량인 징역 15년을 유지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1심 형량이 무겁다고 항소했지만, 양형을 변경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보이지 않는다”라며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했다.피고인은 지난 2020년부터 부산 지역에서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건물 임대사업을 하면서 229명의 피해자에게 전세보증금 총 180억 원을 받은 뒤 돌려주지 않은 혐의다.1심 재판부는 범죄의 중대성과 그로 인해 야기된 사회적 해악, 회복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등을 고려해 검찰이 구형한 13년형보다 더 높은 법정 최고형인 징역 15년을 선고했다.피해자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수연 변호사는 “지금은 경제범죄 특히 사기죄에 있어 피의자 피고인이 피해액이 높아도 초범인 경우 피해회복을 하지 않더라도 집행유예는 나오겠지라고 막연히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제는 실질적 피해 회복이 되지 않는다면 초범이라도 실형도 고려가 될 수 있다”라고 밝혔다.이어 “피해자들에게는 사기 범죄자 처벌 강화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실제 피해 회복의 길이 열릴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대법원 역시 13년 만에 사기 범죄에 대한 양형 기준을 손보고 처벌 강화를 논의한다고 밝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대법원 양형위원회(양형위)는 지난 4월 전체 회의를 통해 사기 범죄 양형기준 수정안을 심의 계획을 밝혔다. 지난 2011년 설정, 시행된 사기 범죄 양형 기준에 대한 수정 논의는 이번이 처음이다.앞서 보험사기, 보이스피싱, 코인·다단계 사기, 부동산 사기 등 서민을 대상으로 한 사기 범죄가 끊이지 않아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기존 사기죄 형량의 경우 피해자별 피해액이 5억 원이 넘을 경우 가중처벌 대상이 된다. 특경법상 사기에 따른 이득액이 50억 원 이상일 때 무기징역까지 선고가 가능하지만,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상 손해액이 50억 원 이상 300억 원 미만 범죄에 기본 58년을 선고하게 돼 있다.특히, 보험사기의 경우 지난 2018년2022년 선고된 구공판 사건이 6209건으로 양형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범죄 중 사건명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로 집계됐다. 하지만 처벌은 일반 사기에 비해 벌금형 비율이 5배가 넘는 솜방망이 처분에 그친다.또한, 보이스피싱 역시 서민들을 노린 범죄로 조직적으로 행해지고 피해 역시 큰 편에 속한다.양형위는 “부동산 사기나 보이스피싱, 보험사기 등 범죄가 늘면서 조직적 사기 유형에 대한 처벌 강화 요구가 높다”라며 “사기 범죄 양형기준은 2011년 설정·시행 이후 권고 형량 범위가 수정되지 않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양상이나 국민 인식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양형위는 일반 사기보다 조직적 사기의 권고 형량 범위를 수정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사기 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이 강화된다면 서민 피해 범죄와 관련해 그간 내려졌던 솜방망이 처벌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양형위는 오는 8월 12일 사기 범죄 양형기준 수정안을 심의, 확정할 예정이다. 이후 공개청문회를 거쳐 내년 3월 각 양형기준을 최종 의결할 방침이다. [기사전문보기] -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사기범죄 양형기준 강화 예정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7-02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사기범죄 양형기준 강화 예정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사기범죄 양형기준 강화 예정
갭투자 방식 수백 명의 피해자 양산, ‘180억’ 전세 사기범 징역 15년 ‘법정 최고형’양형위, 전세 사기·보험사기·보이스피싱 등 양형 기준 신설 논의…8월 심의 최근 보이스피싱, 부동산 사기 등 서민 대상 재산범죄가 증가하는 가운데, 180억 원대의 전세 사기를 저지른 50대가 2심에서도 중형을 선고받았다. 앞으로 사기 범죄 양형 기준에 변화가 예고된다.부산지법 형사항소 4-1부는 지난 20일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여성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피고인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 형량인 징역 15년을 유지했다.재판부는 “피고인은 1심 형량이 무겁다고 항소했지만, 양형을 변경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보이지 않는다”라며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했다.피고인은 지난 2020년부터 부산 지역에서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건물 임대사업을 하면서 229명의 피해자에게 전세보증금 총 180억 원을 받은 뒤 돌려주지 않은 혐의다.1심 재판부는 범죄의 중대성과 그로 인해 야기된 사회적 해악, 회복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등을 고려해 검찰이 구형한 13년형보다 더 높은 법정 최고형인 징역 15년을 선고했다.피해자 측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수연 변호사는 “지금은 경제범죄 특히 사기죄에 있어 피의자 피고인이 피해액이 높아도 초범인 경우 피해회복을 하지 않더라도 집행유예는 나오겠지라고 막연히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제는 실질적 피해 회복이 되지 않는다면 초범이라도 실형도 고려가 될 수 있다”라고 밝혔다.이어 “피해자들에게는 사기 범죄자 처벌 강화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실제 피해 회복의 길이 열릴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대법원 역시 13년 만에 사기 범죄에 대한 양형 기준을 손보고 처벌 강화를 논의한다고 밝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대법원 양형위원회(양형위)는 지난 4월 전체 회의를 통해 사기 범죄 양형기준 수정안을 심의 계획을 밝혔다. 지난 2011년 설정, 시행된 사기 범죄 양형 기준에 대한 수정 논의는 이번이 처음이다.앞서 보험사기, 보이스피싱, 코인·다단계 사기, 부동산 사기 등 서민을 대상으로 한 사기 범죄가 끊이지 않아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기존 사기죄 형량의 경우 피해자별 피해액이 5억 원이 넘을 경우 가중처벌 대상이 된다. 특경법상 사기에 따른 이득액이 50억 원 이상일 때 무기징역까지 선고가 가능하지만,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상 손해액이 50억 원 이상 300억 원 미만 범죄에 기본 58년을 선고하게 돼 있다.특히, 보험사기의 경우 지난 2018년2022년 선고된 구공판 사건이 6209건으로 양형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범죄 중 사건명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로 집계됐다. 하지만 처벌은 일반 사기에 비해 벌금형 비율이 5배가 넘는 솜방망이 처분에 그친다.또한, 보이스피싱 역시 서민들을 노린 범죄로 조직적으로 행해지고 피해 역시 큰 편에 속한다.양형위는 “부동산 사기나 보이스피싱, 보험사기 등 범죄가 늘면서 조직적 사기 유형에 대한 처벌 강화 요구가 높다”라며 “사기 범죄 양형기준은 2011년 설정·시행 이후 권고 형량 범위가 수정되지 않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양상이나 국민 인식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양형위는 일반 사기보다 조직적 사기의 권고 형량 범위를 수정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사기 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이 강화된다면 서민 피해 범죄와 관련해 그간 내려졌던 솜방망이 처벌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양형위는 오는 8월 12일 사기 범죄 양형기준 수정안을 심의, 확정할 예정이다. 이후 공개청문회를 거쳐 내년 3월 각 양형기준을 최종 의결할 방침이다. [기사전문보기] -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사기범죄 양형기준 강화 예정 (바로가기)
머니S 등 2곳
2024-07-02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맞손… '저작권' 지킨다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맞손… '저작권' 지킨다
디지털 기술 발달로 저작권 침해 사례 증가캘리그라퍼 권익보호 및 저작권 침해 사례 대응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며 창작물에 대한 무단 복제가 늘어나는 가운데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전문적인 대응이 절실해졌다. 손글씨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은 아직 인식조차 못 하는 이들이 많아 더욱 관심이 요구된다.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6월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대륜 본사 파크원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대륜 고병준 대표, 지민희 변호사,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 이사장 김성태 회장, 이상현 부회장, 오민준 부회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는 캘리그라피 저변 확대와 문화 발전을 위해 2008년 창립된 단체다. 캘리그라피를 통해 대한민국 글씨 문화를 알리고 있으며 국내 캘리그라퍼들의 창업과 취업, 진학을 돕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에 캘리그라피 저작권 및 캘리그라퍼 권익보호 등을 위한 법률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캘리그라피협회의 자격증 제도 도입 관련 자문 ▲작품에 대한 저작권 등록 및 보호 지원 ▲불법 복제 및 저작권 침해 사례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캘리그라피협회 이사장 김성태 회장은 "최근 캘리그라피 작품을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며 사용해 무단 복제가 만연하고 있다. 캘리그라피는 저작권 침해 이슈를 예방하며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륜의 법률 자문을 통해 캘리그라퍼 권익 보호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대륜 고병준 대표는 "한국 캘리그라피 문화를 이끌고 있는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함께 하게 되어 기쁘다"며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빠르게 생성·유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 침해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저작권 보호에 대한 전문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하고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해 지식재산권그룹,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등을 강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S -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맞손… '저작권' 지킨다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MOU…‘저작권 권리’ 지킨다 (바로가기)
머니S 등 2곳
2024-07-02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맞손… '저작권' 지킨다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맞손… '저작권' 지킨다
디지털 기술 발달로 저작권 침해 사례 증가캘리그라퍼 권익보호 및 저작권 침해 사례 대응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며 창작물에 대한 무단 복제가 늘어나는 가운데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전문적인 대응이 절실해졌다. 손글씨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은 아직 인식조차 못 하는 이들이 많아 더욱 관심이 요구된다.법무법인 대륜이 지난 6월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대륜 본사 파크원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대륜 고병준 대표, 지민희 변호사,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 이사장 김성태 회장, 이상현 부회장, 오민준 부회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는 캘리그라피 저변 확대와 문화 발전을 위해 2008년 창립된 단체다. 캘리그라피를 통해 대한민국 글씨 문화를 알리고 있으며 국내 캘리그라퍼들의 창업과 취업, 진학을 돕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에 캘리그라피 저작권 및 캘리그라퍼 권익보호 등을 위한 법률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캘리그라피협회의 자격증 제도 도입 관련 자문 ▲작품에 대한 저작권 등록 및 보호 지원 ▲불법 복제 및 저작권 침해 사례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캘리그라피협회 이사장 김성태 회장은 "최근 캘리그라피 작품을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며 사용해 무단 복제가 만연하고 있다. 캘리그라피는 저작권 침해 이슈를 예방하며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륜의 법률 자문을 통해 캘리그라퍼 권익 보호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대륜 고병준 대표는 "한국 캘리그라피 문화를 이끌고 있는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함께 하게 되어 기쁘다"며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빠르게 생성·유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 침해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저작권 보호에 대한 전문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하고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해 지식재산권그룹,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등을 강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S -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맞손… '저작권' 지킨다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와 MOU…‘저작권 권리’ 지킨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06-30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21세기 스테이지와 MOU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21세기 스테이지와 MOU
전문 법률서비스 통해 공연문화 산업 발전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은 ㈜21세기 스테이지와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협약식은 지난 14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법무법인 대륜의 고병준 대표, 21세기 스테이지의 박수경 대표, 김정한 감독, 이순성 팀장, 김서휘 연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공연문화 콘텐츠 관련 법적 쟁점 △각종 계약서 검토 △공연문화 산업 관련 분쟁 대책 마련 △공연문화 산업 내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21세기 스테이지는 현직 교수, 예술감독, 아티스트 등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모여 대한민국 연극업계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협회다.박수경 21세기 스테이지 대표는 "지속적인 공연 콘텐츠 제작과 공연문화 산업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법무법인 대륜과의 상호 협력으로 우리 극단의 공연 콘텐츠 제작에 날개를 달아줄 것이라 생각한다"며 "가보지 않은 길을 개척하면서 법률시장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과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는 21세기 스테이지의 이번 협약이 공연문화 산업의 발전에 힘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고병준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해외로 뻗어나가는 우리나라 공연문화 산업을 위해 힘쓰고 있는 21세기 스테이지의 여정에 합류하게 되어 기쁘다"며 "우리나라와 같은 지식재산 강국에서는 문화 및 체육 콘텐츠의 중요성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높다고 볼 수 있다.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내 풍부한 경험과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이 합심하여 21세기 스테이지가 추구하는 공연문화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21세기 스테이지와 MOU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06-30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21세기 스테이지와 MOU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21세기 스테이지와 MOU
전문 법률서비스 통해 공연문화 산업 발전 지원 법무법인(유한)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은 ㈜21세기 스테이지와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협약식은 지난 14일 법무법인 대륜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법무법인 대륜의 고병준 대표, 21세기 스테이지의 박수경 대표, 김정한 감독, 이순성 팀장, 김서휘 연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공연문화 콘텐츠 관련 법적 쟁점 △각종 계약서 검토 △공연문화 산업 관련 분쟁 대책 마련 △공연문화 산업 내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21세기 스테이지는 현직 교수, 예술감독, 아티스트 등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모여 대한민국 연극업계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협회다.박수경 21세기 스테이지 대표는 "지속적인 공연 콘텐츠 제작과 공연문화 산업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법무법인 대륜과의 상호 협력으로 우리 극단의 공연 콘텐츠 제작에 날개를 달아줄 것이라 생각한다"며 "가보지 않은 길을 개척하면서 법률시장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과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는 21세기 스테이지의 이번 협약이 공연문화 산업의 발전에 힘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고병준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해외로 뻗어나가는 우리나라 공연문화 산업을 위해 힘쓰고 있는 21세기 스테이지의 여정에 합류하게 되어 기쁘다"며 "우리나라와 같은 지식재산 강국에서는 문화 및 체육 콘텐츠의 중요성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높다고 볼 수 있다.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내 풍부한 경험과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이 합심하여 21세기 스테이지가 추구하는 공연문화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 21세기 스테이지와 MOU (바로가기)
서울경제 등 7곳
2024-06-27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 가동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 가동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사업 전부서 구성원 참여 기반 기업 소통 강화무료 법률상담, 금융 지원 등 지원사업도 확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지역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현장 중심, 기업 맞춤형 지원 행보를 대폭 강화하고 나섰다.27일 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이 기관은 사업 전부서 참여 기반의 지원기업 밀착 현장소통 지원체계를 신설해 운영한다. 해당 지원체계는 보직에 관계 없이 진흥원 구성원 별로 3~5개 기업을 전담해 밀착 관리하는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다.지원기업에 전담 직원을 배정해 정기적인 현장소통으로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규제와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빠르고 밀도 높은 지원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1차적으로 400여 개 소통 기업 풀을 구축했으며 점진적으로 기업 수를 확대할 계획이다.현재 진흥원은 전직원 참여 기반의 ‘소통트래커 플랫폼’을 운영하며 기업 이슈와 건의사항을 관리하고 소통 중이다. 김태열 원장은 올해 100개 기업 방문을 목표로 매주 현장에서 지역기업과 소통하며 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함께 모색 중이다.기업지원 서비스 강화한다. 진흥원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과도 업무협약을 맺고 중소기업도 법률, 세무, 노무 등 전문적인 고품질 법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문턱을 낮추는 가교 역할을 수행 중이다. 부산신용보증재단과는 신용보증과 보증료 감면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김 원장은 “발로 뛰는 기업지원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기업의 니즈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그에 맞는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서울경제 -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 가동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바로가기)스포츠동아 - BIPA, 지원 기업 현장 소통 지원체계 강화 (바로가기)부산일보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 현장소통 지원체계 강화 (바로가기)아이뉴스24 - “현장에 답이 있다”…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 프로젝트 가동 (바로가기)국제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현장소통 지원체계 강화 (바로가기)메트로신문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기업 밀착’ 현장 소통 지원 강화 (바로가기)CNB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기업 밀착 현장소통 지원체계 구축 (바로가기)
서울경제 등 7곳
2024-06-27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 가동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 가동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사업 전부서 구성원 참여 기반 기업 소통 강화무료 법률상담, 금융 지원 등 지원사업도 확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지역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현장 중심, 기업 맞춤형 지원 행보를 대폭 강화하고 나섰다.27일 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이 기관은 사업 전부서 참여 기반의 지원기업 밀착 현장소통 지원체계를 신설해 운영한다. 해당 지원체계는 보직에 관계 없이 진흥원 구성원 별로 3~5개 기업을 전담해 밀착 관리하는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다.지원기업에 전담 직원을 배정해 정기적인 현장소통으로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규제와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빠르고 밀도 높은 지원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1차적으로 400여 개 소통 기업 풀을 구축했으며 점진적으로 기업 수를 확대할 계획이다.현재 진흥원은 전직원 참여 기반의 ‘소통트래커 플랫폼’을 운영하며 기업 이슈와 건의사항을 관리하고 소통 중이다. 김태열 원장은 올해 100개 기업 방문을 목표로 매주 현장에서 지역기업과 소통하며 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함께 모색 중이다.기업지원 서비스 강화한다. 진흥원은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과도 업무협약을 맺고 중소기업도 법률, 세무, 노무 등 전문적인 고품질 법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문턱을 낮추는 가교 역할을 수행 중이다. 부산신용보증재단과는 신용보증과 보증료 감면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김 원장은 “발로 뛰는 기업지원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기업의 니즈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그에 맞는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서울경제 - 지원기업 밀착성장 프로젝트 가동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바로가기)스포츠동아 - BIPA, 지원 기업 현장 소통 지원체계 강화 (바로가기)부산일보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 현장소통 지원체계 강화 (바로가기)아이뉴스24 - “현장에 답이 있다”…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 프로젝트 가동 (바로가기)국제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원기업 밀착...현장소통 지원체계 강화 (바로가기)메트로신문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기업 밀착’ 현장 소통 지원 강화 (바로가기)CNB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기업 밀착 현장소통 지원체계 구축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4곳
2024-06-27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탁월한 재판 진행 능력 인정받아 2014년 우수 법관 선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판사 출신인 박정규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7일 밝혔다. 박 변호사는 1999년 대구지방법원에서 처음 법관 생활을 시작한 뒤 수원지방법원과 서울중앙지법, 서울동부지법을 거쳤다.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청주지법 충주지원장을 역임했으며, 2014년에는 충북지방변호사회가 실시한 법관 평가에서 우수 법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법관으로 근무할 당시, 공무원 음주운전·위계에 의한 성범죄 사건과 같은 굵직한 형사 사건부터 수 억원대의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대학병원 의료 소송 등 복잡한 민사 재판까지 두루 담당했다. 특히, 서울고법, 서울중앙지법 재직 중에는 고속도로 사업을 맡은 대형 건설회사를 둘러싼 민사 소송을 심리하는 등 건설 전담부 판사로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아울러 공장 영업정지처분 취소 사건, 입찰 참가자 자격 제한 처분취소 사건, 상표법 위반 사건 등 다수의 기업, 행정 소송도 처리했다. 현재는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위원, 교육부 대학설립개편심사위원회 위원, 중소벤처기업부 의무고발심사위원회 위원 등을 맡으며 여러 분야에서 관련 법률 자문을 맡고 있다. 박 변호사는 “20년 가까이 법관으로 근무하며 단순 민·형사 재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설·기업 관련 소송도 맡은 바 있다”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 변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국일 대표는 “풍부한 재판 경험을 갖춘 박 변호사의 합류로 보다 더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재 영입에 힘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륜은 현재 국내 38곳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오는 7월 인천본부 신규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세계일보 등 4곳
2024-06-27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탁월한 재판 진행 능력 인정받아 2014년 우수 법관 선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판사 출신인 박정규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7일 밝혔다. 박 변호사는 1999년 대구지방법원에서 처음 법관 생활을 시작한 뒤 수원지방법원과 서울중앙지법, 서울동부지법을 거쳤다.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청주지법 충주지원장을 역임했으며, 2014년에는 충북지방변호사회가 실시한 법관 평가에서 우수 법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법관으로 근무할 당시, 공무원 음주운전·위계에 의한 성범죄 사건과 같은 굵직한 형사 사건부터 수 억원대의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대학병원 의료 소송 등 복잡한 민사 재판까지 두루 담당했다. 특히, 서울고법, 서울중앙지법 재직 중에는 고속도로 사업을 맡은 대형 건설회사를 둘러싼 민사 소송을 심리하는 등 건설 전담부 판사로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아울러 공장 영업정지처분 취소 사건, 입찰 참가자 자격 제한 처분취소 사건, 상표법 위반 사건 등 다수의 기업, 행정 소송도 처리했다. 현재는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위원, 교육부 대학설립개편심사위원회 위원, 중소벤처기업부 의무고발심사위원회 위원 등을 맡으며 여러 분야에서 관련 법률 자문을 맡고 있다. 박 변호사는 “20년 가까이 법관으로 근무하며 단순 민·형사 재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설·기업 관련 소송도 맡은 바 있다”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 변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국일 대표는 “풍부한 재판 경험을 갖춘 박 변호사의 합류로 보다 더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재 영입에 힘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륜은 현재 국내 38곳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오는 7월 인천본부 신규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세계일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리더 - 법무법인 대륜, ‘건설소송 특화’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 출신 박정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로리더
2024-06-25
대륜, 고객만족센터 접수 1,000건 돌파···“피드백으로 성장하는 로펌”
대륜, 고객만족센터 접수 1,000건 돌파···“피드백으로 성장하는 로펌”
지난 10월부터 고객만족센터 운영··· 고객과 쌍방향 소통 확대“실제 후기가 예비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이드 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며 고객중심 경영을 강화한 가운데 최근 고객만족센터에 누적된 후기가 약 1,000건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대륜은 고객 중심 경영의 하나로, 자사 법률서비스를 경험한 고객의 생생한 후기와 문의, 법률서비스 진행에 대한 평가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한 피드백을 접수하는 정보의 장을 마련하고자 지난해 10월부터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해오고 있다.대륜 고객만족센터는 고객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의 문의 사항을 파악해 신속하게 대안을 제시하고,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내부 발전을 이룬다는 목표다.특히, 고객만족센터는 문의부터 피드백까지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전국에서 법률서비스를 받은 고객들이 센터로 접수한 피드백을 대륜은 전 사무소 구성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구성원 사기 진작 및 법률서비스 개선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고 한다.더불어 사무소, 변호사에 대한 후기는 홈페이지에도 게시하면서, 이를 통해 비슷한 상황에 놓인 고객에게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평이다.대륜의 법률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제안하고 싶은 고객은 대륜 공식 홈페이지 내 고객만족센터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고객의 피드백으로 성장해나가는 로펌이다.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법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게 됐다.”면서, “고객이 직접 이야기 해준 실제 후기를 보고 결정하는 예비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이드를 제공하겠다. 더 나아가 고객 만족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법률서비스 개선으로 고객만족센터가 최상의 서비스로 유지되고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고객만족센터 접수 1,000건 돌파···“피드백으로 성장하는 로펌” (바로가기)
로리더
2024-06-25
대륜, 고객만족센터 접수 1,000건 돌파···“피드백으로 성장하는 로펌”
대륜, 고객만족센터 접수 1,000건 돌파···“피드백으로 성장하는 로펌”
지난 10월부터 고객만족센터 운영··· 고객과 쌍방향 소통 확대“실제 후기가 예비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이드 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며 고객중심 경영을 강화한 가운데 최근 고객만족센터에 누적된 후기가 약 1,000건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대륜은 고객 중심 경영의 하나로, 자사 법률서비스를 경험한 고객의 생생한 후기와 문의, 법률서비스 진행에 대한 평가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한 피드백을 접수하는 정보의 장을 마련하고자 지난해 10월부터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해오고 있다.대륜 고객만족센터는 고객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의 문의 사항을 파악해 신속하게 대안을 제시하고,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내부 발전을 이룬다는 목표다.특히, 고객만족센터는 문의부터 피드백까지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전국에서 법률서비스를 받은 고객들이 센터로 접수한 피드백을 대륜은 전 사무소 구성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구성원 사기 진작 및 법률서비스 개선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고 한다.더불어 사무소, 변호사에 대한 후기는 홈페이지에도 게시하면서, 이를 통해 비슷한 상황에 놓인 고객에게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평이다.대륜의 법률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제안하고 싶은 고객은 대륜 공식 홈페이지 내 고객만족센터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고객의 피드백으로 성장해나가는 로펌이다.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법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객만족센터를 운영하게 됐다.”면서, “고객이 직접 이야기 해준 실제 후기를 보고 결정하는 예비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이드를 제공하겠다. 더 나아가 고객 만족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법률서비스 개선으로 고객만족센터가 최상의 서비스로 유지되고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고객만족센터 접수 1,000건 돌파···“피드백으로 성장하는 로펌”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6-24
법무법인 대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나선다
법무법인 대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나선다
기업법무그룹장 원형일 변호사·조세행정그룹장 곽내원 변호사 인터뷰법인세·소득세 감면 과세당국 조사, 허위세금계산, 조세범처벌 등 선제 대응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과 조세행정그룹이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대륜은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하며 금융, 조세 분야와 기업법무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정했다고 전했다.기업법무그룹은 조세포탈범죄와 관련해 조세행정그룹과 연계를 통해 효과적으로 사건을 해결해나갈 방침이다. 특히, 사건 규모에 따라 기업법무, 조세, 민·형사 등 전문변호사를 포함해 회계사,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 3~20인으로 TF 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선다.대륜 기업법무그룹장 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 조세행정그룹장 곽내원 최고총괄변호사는 최근 조세포탈 사건 등에서 특히 법률전문가와의 상담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견을 24일 밝혔다.원형일 변호사는 '최근 국세청에서 법인세·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은 중소기업 등을 상대로 집중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점'에 대해 "기업의 지역 분산, 과밀 억제 지역 외에 창업이 되는 경우 법인세, 소득세를 일정비율 내에서 감면해주는 지원책들이 많이 나오게 됐다"며 "조세 특례제도를 통해 감면 받은 세액이 상당해지자 국가 차원에서도 올바른 목적에서 쓰였는지 확인이 필요했고, 현재 부족한 세수 충원에도 쓰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그러면서 "당시 창업했던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상당한 규모의 세무조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곽내원 변호사는 "각종 세무조사에 대해 저희 법인에서도 대응을 하고 있다. 세무조사가 개시된다는 사실만으로 지나치게 긴장하여 본인이 주장할 수 있는 정당한 내용도 주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추징 세액을 줄이려고 자료를 은닉하거나 허위 자료를 제출함으로써 단순 세금추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사안이 조세범칙사건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고 전하면서 "세무조사를 받더라도 전문가와 상의하고, 거래의 실체에 맞게 해명을 하면 세무당국을 설득할 수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기 때문에 혼자 해결하려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원 변호사는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조세 사건에 대한 경험을 전하면서 "세무조사는 통상적인 법률행위 해석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법에 따라 실질적으로 거래를 하는 사람이 문제가 되므로 관련 사건에 휘말린 경우 본인이 생각하는 것과 회계적인, 과세적인 관점에서 보는 것이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곽 변호사 역시 법원에서 판사로 재직한 경험을 소개하며 "조세, 행정을 특별히 전문분야로 다뤘고, 변호사로 활동하며 20년을 근무하면서 수없이 많은 케이스를 접했지만, 조세와 행정 분야는 늘 어려운 분야"라며 "때문에 어려운 조세나 행정 소송을 시작해야 한다면 가급적 그 분야의 전문가인 변호사에게 소송을 의뢰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조세포탈 사건에서 대륜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 원 변호사는 "대륜의 경우 △기업에 근무하면서 세무조사에 직접 대응한 경험이 있는 변호사 △조세범처벌법 위반 등 각종 조세 관련 형사, 행정사건을 직접 처리한 법원·검찰·경찰 출신 변호사 △삼일, 삼정회계법인 등 국내 주요 회계법인에서 조세 부분을 담당한 회계사들이 세무조사 착수단계부터 최종 법원 판결 단계까지 원스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소개했다.곽 변호사 역시 "조세포탈 사건이 제일 처음 시작되는 단계가 세무조사 단계다. 세무조사 단계에서 국세청 담당 공무원과 충분한 소통을 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거래 실체에 대해 명확한 자료를 통해 소명하거나, 의도한 바대로 사건이 해결되지 않더라도 세금을 납부하는 형식으로 사건이 마무리 될 수 있도록 3자간 사이에서 우호적인 소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륜에서는 1차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 부분이 대륜만의 장점이 아닐까라는 조심스런 입장을 전했다.조세범죄에 연루됐을 때의 대처 방안에 대해 원 변호사는 "현재 문제되고 있는 청년창업이나 과밀억제권역 외 창업 관련 세액감면 사건의 경우, 기업이 아닌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세무조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포탈, 감면세액에 따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위반죄로 무기징역까지 선고 받을 수 있다"며 "최근 수임하거나, 상담한 사건의 경우 개인사업자로 세무조사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아 세무당국이 요청하는 기본자료까지도 제출을 거부하거나 주요 자료를 은닉하는 등 조사에 비협조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필요한 자료를 제출하면서 거래실체와 관련하여 설명할 경우 의외로 설득이 어렵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단 대륜과 같은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기를 바란다"고 조언했다.곽 변호사는 "최근 대륜에서는 '창업'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관련 계약서 내용에 대한 변호사 의견서를 제출하여 세무당국으로부터 '창업'으로 인정받아 감면세액에 대한 처분을 면제받은 사례도 있다"고 소개하면서 "거듭 강조하지만 관련 내용으로 조사나 수사를 받는 경우라면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원 변호사는 기업 조세 범죄와 관련해 대륜의 방향성에 대해 "기업은 상당히 보수적인 의뢰인"이라며 "의뢰인 사건의 사실관계를 다듬고 올바르게 과세당국에 전달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다른 그룹과 긴밀하게 소통, 연계하여 사건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곽 변호사는 이 문제에 대해 "기업 고객이 국세청으로부터 조세포탈 혐의를 받고 조사를 받게 될 경우 초동단계에서부터 기업법무그룹 소속 변호사 및 법인 내 공인회계사와 함께 사실관계와 법규정, 법리를 파헤쳐서 신속히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며 "국세청 조사입회와 수사기관의 수사 입회, 재판을 통해 고객의 이익이 적법한 절차를 통해 보호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나선다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6-24
법무법인 대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나선다
법무법인 대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나선다
기업법무그룹장 원형일 변호사·조세행정그룹장 곽내원 변호사 인터뷰법인세·소득세 감면 과세당국 조사, 허위세금계산, 조세범처벌 등 선제 대응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과 조세행정그룹이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대륜은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하며 금융, 조세 분야와 기업법무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정했다고 전했다.기업법무그룹은 조세포탈범죄와 관련해 조세행정그룹과 연계를 통해 효과적으로 사건을 해결해나갈 방침이다. 특히, 사건 규모에 따라 기업법무, 조세, 민·형사 등 전문변호사를 포함해 회계사,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 3~20인으로 TF 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선다.대륜 기업법무그룹장 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 조세행정그룹장 곽내원 최고총괄변호사는 최근 조세포탈 사건 등에서 특히 법률전문가와의 상담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견을 24일 밝혔다.원형일 변호사는 '최근 국세청에서 법인세·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은 중소기업 등을 상대로 집중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점'에 대해 "기업의 지역 분산, 과밀 억제 지역 외에 창업이 되는 경우 법인세, 소득세를 일정비율 내에서 감면해주는 지원책들이 많이 나오게 됐다"며 "조세 특례제도를 통해 감면 받은 세액이 상당해지자 국가 차원에서도 올바른 목적에서 쓰였는지 확인이 필요했고, 현재 부족한 세수 충원에도 쓰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그러면서 "당시 창업했던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상당한 규모의 세무조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곽내원 변호사는 "각종 세무조사에 대해 저희 법인에서도 대응을 하고 있다. 세무조사가 개시된다는 사실만으로 지나치게 긴장하여 본인이 주장할 수 있는 정당한 내용도 주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추징 세액을 줄이려고 자료를 은닉하거나 허위 자료를 제출함으로써 단순 세금추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사안이 조세범칙사건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고 전하면서 "세무조사를 받더라도 전문가와 상의하고, 거래의 실체에 맞게 해명을 하면 세무당국을 설득할 수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기 때문에 혼자 해결하려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원 변호사는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조세 사건에 대한 경험을 전하면서 "세무조사는 통상적인 법률행위 해석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법에 따라 실질적으로 거래를 하는 사람이 문제가 되므로 관련 사건에 휘말린 경우 본인이 생각하는 것과 회계적인, 과세적인 관점에서 보는 것이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곽 변호사 역시 법원에서 판사로 재직한 경험을 소개하며 "조세, 행정을 특별히 전문분야로 다뤘고, 변호사로 활동하며 20년을 근무하면서 수없이 많은 케이스를 접했지만, 조세와 행정 분야는 늘 어려운 분야"라며 "때문에 어려운 조세나 행정 소송을 시작해야 한다면 가급적 그 분야의 전문가인 변호사에게 소송을 의뢰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조세포탈 사건에서 대륜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 원 변호사는 "대륜의 경우 △기업에 근무하면서 세무조사에 직접 대응한 경험이 있는 변호사 △조세범처벌법 위반 등 각종 조세 관련 형사, 행정사건을 직접 처리한 법원·검찰·경찰 출신 변호사 △삼일, 삼정회계법인 등 국내 주요 회계법인에서 조세 부분을 담당한 회계사들이 세무조사 착수단계부터 최종 법원 판결 단계까지 원스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소개했다.곽 변호사 역시 "조세포탈 사건이 제일 처음 시작되는 단계가 세무조사 단계다. 세무조사 단계에서 국세청 담당 공무원과 충분한 소통을 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거래 실체에 대해 명확한 자료를 통해 소명하거나, 의도한 바대로 사건이 해결되지 않더라도 세금을 납부하는 형식으로 사건이 마무리 될 수 있도록 3자간 사이에서 우호적인 소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륜에서는 1차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 부분이 대륜만의 장점이 아닐까라는 조심스런 입장을 전했다.조세범죄에 연루됐을 때의 대처 방안에 대해 원 변호사는 "현재 문제되고 있는 청년창업이나 과밀억제권역 외 창업 관련 세액감면 사건의 경우, 기업이 아닌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세무조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포탈, 감면세액에 따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위반죄로 무기징역까지 선고 받을 수 있다"며 "최근 수임하거나, 상담한 사건의 경우 개인사업자로 세무조사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아 세무당국이 요청하는 기본자료까지도 제출을 거부하거나 주요 자료를 은닉하는 등 조사에 비협조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필요한 자료를 제출하면서 거래실체와 관련하여 설명할 경우 의외로 설득이 어렵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단 대륜과 같은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기를 바란다"고 조언했다.곽 변호사는 "최근 대륜에서는 '창업'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관련 계약서 내용에 대한 변호사 의견서를 제출하여 세무당국으로부터 '창업'으로 인정받아 감면세액에 대한 처분을 면제받은 사례도 있다"고 소개하면서 "거듭 강조하지만 관련 내용으로 조사나 수사를 받는 경우라면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원 변호사는 기업 조세 범죄와 관련해 대륜의 방향성에 대해 "기업은 상당히 보수적인 의뢰인"이라며 "의뢰인 사건의 사실관계를 다듬고 올바르게 과세당국에 전달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다른 그룹과 긴밀하게 소통, 연계하여 사건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곽 변호사는 이 문제에 대해 "기업 고객이 국세청으로부터 조세포탈 혐의를 받고 조사를 받게 될 경우 초동단계에서부터 기업법무그룹 소속 변호사 및 법인 내 공인회계사와 함께 사실관계와 법규정, 법리를 파헤쳐서 신속히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며 "국세청 조사입회와 수사기관의 수사 입회, 재판을 통해 고객의 이익이 적법한 절차를 통해 보호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조세포탈 리스크 선제 대응 나선다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6-23
음주 뺑소니 20대 ‘위험운전’ 혐의 ‘무죄’…왜?
음주 뺑소니 20대 ‘위험운전’ 혐의 ‘무죄’…왜?
法 ‘집행유예 2년’ 선고 혈중알코올농도 0.170% 수치 정도로 술을 마시고 운전하다 사고를 낸 뒤 그대로 달아났다가 자수한 운전자가 법원에서 ‘위험운전’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인정받았다. 법원은 “취한 상태에서 운전했다고 해서 곧바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법 5-3형사부(재판장 이효선)는 위험운전치상, 도주치상, 사고후미조치, 음주운전 등 4개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 A씨에게 1심과 마찬가지로 위험운전 혐의를 무죄로 판단했다. 다만, 나머지 3개 혐의 공소사실은 인정해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A씨는 2021년 12월 12일 0시 1분쯤 술을 마시고 운전하다 충남 태안 장산교차로에서 다른 쪽으로부터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과 충돌했다. 충격으로 상대방 차량이 파손되고 차 안에 있던 20대 4명이 다쳤지만, 조치하지 않고 달아났다. 그러나 곧바로 돌아와 경찰에 자수했고, 당시 측정한 A씨의 혈중알코올 수치는 0.170%였다. 검찰은 A씨가 술을 마신 영향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피해자를 다치게 했다고 주장했다.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혈중알코올 수치 0.1% 이상인 경우 보통 1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1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 현행법상 혈중알코올농도 0.03%만 되더라도 음주운전으로 처벌이 이뤄지는데, 검찰도 이같은 상황을 근거로 삼았다. 하지만 1, 2심 재판부는 A씨에게 위험운전치상 혐의가 없다고 봤다. 재판부는 △정지선에 정차해있던 A씨가 자정을 기준으로 신호등이 점멸 신호로 바뀌고 교차로를 가로지르는 다른 차량 2대가 지나가자 천천히 움직인 점 △A씨 차량이 교차로 중간을 지날 때 측면에서 피해자 차량이 속도를 줄이지 않고 상당한 속도로 교차로에 뒤늦게 진입한 점 △A씨 차량을 뒤늦게 발견한 피해자 차량이 우측으로 방향을 튼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또 A씨가 0.170% 수치의 취한 상태에서 운전했다고 해서 곧바로 정상적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1심 재판부는 오히려 이 사고의 주된 과실이 피해자 차량에 있다고 봤고, 2심 재판부 역시 좌우를 살펴야 하는 의무를 소홀히 한 A씨의 과실에 피해자 과실이 경합해 발생했다고 판단했다. 2심 재판부는 “원심이 무죄의 근거로 든 사정들과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의한 사실 및 사정까지 보태면,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 '음주의 영향으로 실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가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원심의 무죄 판단에 검사가 주장한 사실오인이나 법리 오해의 위법이 없기에 검사가 주장한 '위험운전치상' 부분 항소는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음주운전으로 적발이 되면 형사처분과 동시에 행정처분까지 받게 된다.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0.08% 미만인 경우 벌점 100점(100일 면허정지)의 처분을 받게 된다. 혈중알코올농도 0.08% 이상인 경우 운전면허취소 1년에 처한다. 이때 음주 측정을 거부한 사람 역시 1년간 면허취소가 되며 2회 이상 단속에 걸린 사람은 2년 동안 면허가 취소된다. [기사전문보기] - 음주 뺑소니 20대 ‘위험운전’ 혐의 ‘무죄’…왜?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6-23
음주 뺑소니 20대 ‘위험운전’ 혐의 ‘무죄’…왜?
음주 뺑소니 20대 ‘위험운전’ 혐의 ‘무죄’…왜?
法 ‘집행유예 2년’ 선고 혈중알코올농도 0.170% 수치 정도로 술을 마시고 운전하다 사고를 낸 뒤 그대로 달아났다가 자수한 운전자가 법원에서 ‘위험운전’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인정받았다. 법원은 “취한 상태에서 운전했다고 해서 곧바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법 5-3형사부(재판장 이효선)는 위험운전치상, 도주치상, 사고후미조치, 음주운전 등 4개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 A씨에게 1심과 마찬가지로 위험운전 혐의를 무죄로 판단했다. 다만, 나머지 3개 혐의 공소사실은 인정해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A씨는 2021년 12월 12일 0시 1분쯤 술을 마시고 운전하다 충남 태안 장산교차로에서 다른 쪽으로부터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과 충돌했다. 충격으로 상대방 차량이 파손되고 차 안에 있던 20대 4명이 다쳤지만, 조치하지 않고 달아났다. 그러나 곧바로 돌아와 경찰에 자수했고, 당시 측정한 A씨의 혈중알코올 수치는 0.170%였다. 검찰은 A씨가 술을 마신 영향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피해자를 다치게 했다고 주장했다.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혈중알코올 수치 0.1% 이상인 경우 보통 1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1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 현행법상 혈중알코올농도 0.03%만 되더라도 음주운전으로 처벌이 이뤄지는데, 검찰도 이같은 상황을 근거로 삼았다. 하지만 1, 2심 재판부는 A씨에게 위험운전치상 혐의가 없다고 봤다. 재판부는 △정지선에 정차해있던 A씨가 자정을 기준으로 신호등이 점멸 신호로 바뀌고 교차로를 가로지르는 다른 차량 2대가 지나가자 천천히 움직인 점 △A씨 차량이 교차로 중간을 지날 때 측면에서 피해자 차량이 속도를 줄이지 않고 상당한 속도로 교차로에 뒤늦게 진입한 점 △A씨 차량을 뒤늦게 발견한 피해자 차량이 우측으로 방향을 튼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또 A씨가 0.170% 수치의 취한 상태에서 운전했다고 해서 곧바로 정상적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1심 재판부는 오히려 이 사고의 주된 과실이 피해자 차량에 있다고 봤고, 2심 재판부 역시 좌우를 살펴야 하는 의무를 소홀히 한 A씨의 과실에 피해자 과실이 경합해 발생했다고 판단했다. 2심 재판부는 “원심이 무죄의 근거로 든 사정들과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의한 사실 및 사정까지 보태면,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 '음주의 영향으로 실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가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원심의 무죄 판단에 검사가 주장한 사실오인이나 법리 오해의 위법이 없기에 검사가 주장한 '위험운전치상' 부분 항소는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음주운전으로 적발이 되면 형사처분과 동시에 행정처분까지 받게 된다.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0.08% 미만인 경우 벌점 100점(100일 면허정지)의 처분을 받게 된다. 혈중알코올농도 0.08% 이상인 경우 운전면허취소 1년에 처한다. 이때 음주 측정을 거부한 사람 역시 1년간 면허취소가 되며 2회 이상 단속에 걸린 사람은 2년 동안 면허가 취소된다. [기사전문보기] - 음주 뺑소니 20대 ‘위험운전’ 혐의 ‘무죄’…왜?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6-20
음주혐의 벗어난 김호중, 시민들 ‘공분’…법조계 “용서받기 힘들 것”
음주혐의 벗어난 김호중, 시민들 ‘공분’…법조계 “용서받기 힘들 것”
음주 뺑소니 후 도주(사법방해)로 알코올 측정 불가민주 신영대 ‘김호중 방지법’ 발의 음주운전 뺑소니 혐의를 받는 트로트 가수 김호중(33)씨와 소속사 대표 등이 구속기소 된 가운데 김씨에 대한 ‘음주운전 혐의’가 제외돼 공분이 일고 있다. “술은 먹었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라는 주장이 현실이 된 것으로 사법 제도의 허점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비판이 나온다. 급기야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의원은 분노한 여론을 담은 이른바(가칭) ‘김호중 방지법’까지 발의했다. 전문가는 그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 연예인인 점을 지적하며 “용서받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5부(김태헌 부장검사)는 앞선 18일 김씨를 특가법위반(위험운전치상, 도주치상), 도로교통법위반(사고후미조치), 범인도피교사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 검찰은 사건 송치 후 피고인들의 휴대폰 포렌식·통화내역과 폐쇄회로(CC)TV 화질개선 등을 통해 김씨가 음주 영향으로 정상 운전이 곤란했음을 뚜렷하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김씨의 운전자 바꿔치기 등 사법방해로 인해 혈중알코올농도의 측정이 불가능해져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부분은 기소하지 않았다.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으로는 음주 수치를 특정하기 어렵다고 본 것이다. ‘위드마크’ 공식은 일반적인 감소 수치를 적용하여 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를 추정하는 것인데, 김씨의 사법 방해(범행 후 도주)로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매니저를 앞세워 음주운전 혐의를 부인하며 시간을 끌었다. 결국 사고 당시 김씨의 정확한 음주 수치를 측정하지 못한 경찰은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해 사고 당시 김씨의 혈중알코올농도가 면허취소 기준(0.03%)을 넘는다고 판단해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죄에 상응한 형이 선고되도록 공소 유지에 만전을 기하고, 앞으로도 무고한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음주 교통사고 후 도주’와 사법시스템을 농락하는 사법방해에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법의 허점이 드러나자 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제2의 김호중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위드마크 정확도 개선, 의도적인 측정 방해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른바 ‘김호중 방지법’(도로교통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전날(19일) 발의했다. 신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술에 취한 상태의 측정을 곤란하게 할 목적으로 술을 추가로 마시는 것을 금지하고, 위반 시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내용이다. 신 의원은 “의도적인 추가 음주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사법 절차를 고의로 방해하는 중대한 범죄”라고 지적했다. 법조계에서는 그가 실형을 피할 순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법무법인 대륜 김인원 변호사는 이날(20일)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김씨는 음주운전으로 기소되지 않았더라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위험운전치상·도주치상, 도로교통법상 사고후미조치, 범인도피교사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됐다”며 “정확한 음주 측정이 되지 않았더라도 CCTV에 나오는 차량을 보면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상해를 가했고, 특히 구호 조치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씨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 연예인으로 그간 팬들의 사랑과 지지를 받았다”며 “그런데도 공연을 앞두고 술을 마셨다. 이는 음악인(테너)으로서 문제가 있어 보인다. 변호사이자 같은 음악인으로서 공연을 앞두고 술을 마신다는 건 상상조차 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팬들이 느낄 배신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김씨에게는 이런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음주운전 자체도 나쁘지만 팬의 믿을 저버려 용서받기 힘들다”고 했다. 아울러 김 변호사는 “이는 정상에 관한 사유에 해당하고, 형이 가중할 수 있다”며 “피해자와 합의 했지만 실형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한편 김씨는 지난달 9일 밤 11시40분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도로에서 반대편 도로에 있는 택시를 들이받는 사고를 낸 뒤 달아난 혐의를 받는다. 사고 직후 도주한 김씨 대신 김씨 매니저가 허위 자수하며 '운전자 바꿔치기' 의혹이 제기됐다. 김씨는 잠적했다가 17시간이 지나서야 경찰에 출석해 운전 사실을 인정했다. 음주 의혹을 부인하던 김씨는 CCTV 영상 등 음주 정황이 드러나자 지난 19일 음주 사실을 인정했고 24일 구속됐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지난달 31일 김씨와 소속사 관계자들을 서울중앙지검에 송치했다. 김씨는 사고가 일어난 지 35일만인 지난 13일 피해자와 합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호중 측은 “경찰이 연락처를 알려주지 않아 피해자와 합의가 늦어졌다”고 주장하지만 경찰은 “본인이 노력하지 않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경찰은 “개인정보인데 경찰이 번호를 알려주면 안 된다. (연락처를) 안 알려준 경찰이 규정을 잘 지킨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본인이 피해자를 확인해서 택시회사를 찾는다든지 노력해서 해야지 경찰을 탓할 게 아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음주혐의 벗어난 김호중, 시민들 ‘공분’…법조계 “용서받기 힘들 것”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6-20
음주혐의 벗어난 김호중, 시민들 ‘공분’…법조계 “용서받기 힘들 것”
음주혐의 벗어난 김호중, 시민들 ‘공분’…법조계 “용서받기 힘들 것”
음주 뺑소니 후 도주(사법방해)로 알코올 측정 불가민주 신영대 ‘김호중 방지법’ 발의 음주운전 뺑소니 혐의를 받는 트로트 가수 김호중(33)씨와 소속사 대표 등이 구속기소 된 가운데 김씨에 대한 ‘음주운전 혐의’가 제외돼 공분이 일고 있다. “술은 먹었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라는 주장이 현실이 된 것으로 사법 제도의 허점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비판이 나온다. 급기야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의원은 분노한 여론을 담은 이른바(가칭) ‘김호중 방지법’까지 발의했다. 전문가는 그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 연예인인 점을 지적하며 “용서받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5부(김태헌 부장검사)는 앞선 18일 김씨를 특가법위반(위험운전치상, 도주치상), 도로교통법위반(사고후미조치), 범인도피교사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 검찰은 사건 송치 후 피고인들의 휴대폰 포렌식·통화내역과 폐쇄회로(CC)TV 화질개선 등을 통해 김씨가 음주 영향으로 정상 운전이 곤란했음을 뚜렷하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김씨의 운전자 바꿔치기 등 사법방해로 인해 혈중알코올농도의 측정이 불가능해져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부분은 기소하지 않았다.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으로는 음주 수치를 특정하기 어렵다고 본 것이다. ‘위드마크’ 공식은 일반적인 감소 수치를 적용하여 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를 추정하는 것인데, 김씨의 사법 방해(범행 후 도주)로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매니저를 앞세워 음주운전 혐의를 부인하며 시간을 끌었다. 결국 사고 당시 김씨의 정확한 음주 수치를 측정하지 못한 경찰은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해 사고 당시 김씨의 혈중알코올농도가 면허취소 기준(0.03%)을 넘는다고 판단해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죄에 상응한 형이 선고되도록 공소 유지에 만전을 기하고, 앞으로도 무고한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음주 교통사고 후 도주’와 사법시스템을 농락하는 사법방해에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법의 허점이 드러나자 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제2의 김호중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위드마크 정확도 개선, 의도적인 측정 방해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른바 ‘김호중 방지법’(도로교통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전날(19일) 발의했다. 신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술에 취한 상태의 측정을 곤란하게 할 목적으로 술을 추가로 마시는 것을 금지하고, 위반 시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내용이다. 신 의원은 “의도적인 추가 음주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사법 절차를 고의로 방해하는 중대한 범죄”라고 지적했다. 법조계에서는 그가 실형을 피할 순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법무법인 대륜 김인원 변호사는 이날(20일)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김씨는 음주운전으로 기소되지 않았더라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위험운전치상·도주치상, 도로교통법상 사고후미조치, 범인도피교사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됐다”며 “정확한 음주 측정이 되지 않았더라도 CCTV에 나오는 차량을 보면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상해를 가했고, 특히 구호 조치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씨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 연예인으로 그간 팬들의 사랑과 지지를 받았다”며 “그런데도 공연을 앞두고 술을 마셨다. 이는 음악인(테너)으로서 문제가 있어 보인다. 변호사이자 같은 음악인으로서 공연을 앞두고 술을 마신다는 건 상상조차 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팬들이 느낄 배신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김씨에게는 이런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음주운전 자체도 나쁘지만 팬의 믿을 저버려 용서받기 힘들다”고 했다. 아울러 김 변호사는 “이는 정상에 관한 사유에 해당하고, 형이 가중할 수 있다”며 “피해자와 합의 했지만 실형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한편 김씨는 지난달 9일 밤 11시40분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도로에서 반대편 도로에 있는 택시를 들이받는 사고를 낸 뒤 달아난 혐의를 받는다. 사고 직후 도주한 김씨 대신 김씨 매니저가 허위 자수하며 '운전자 바꿔치기' 의혹이 제기됐다. 김씨는 잠적했다가 17시간이 지나서야 경찰에 출석해 운전 사실을 인정했다. 음주 의혹을 부인하던 김씨는 CCTV 영상 등 음주 정황이 드러나자 지난 19일 음주 사실을 인정했고 24일 구속됐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지난달 31일 김씨와 소속사 관계자들을 서울중앙지검에 송치했다. 김씨는 사고가 일어난 지 35일만인 지난 13일 피해자와 합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호중 측은 “경찰이 연락처를 알려주지 않아 피해자와 합의가 늦어졌다”고 주장하지만 경찰은 “본인이 노력하지 않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경찰은 “개인정보인데 경찰이 번호를 알려주면 안 된다. (연락처를) 안 알려준 경찰이 규정을 잘 지킨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본인이 피해자를 확인해서 택시회사를 찾는다든지 노력해서 해야지 경찰을 탓할 게 아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음주혐의 벗어난 김호중, 시민들 ‘공분’…법조계 “용서받기 힘들 것”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6-20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 체결
투엠 장현국 대표 "대륜과의 MOU 통한 유기적 협업 큰 도움될 것"대륜 고병준 대표 "전문가들의 수준 높은 법률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은 지난 14일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20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여의도 본사에서 진행된 지난 14일 MOU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고병준 대표, 엔터테인먼트 투엠 장현국 대표, 한은정 이사, 박상국 총괄실장, 조승현 기획실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엔터테인먼트 투엠은 2022 청년 동행 간담회 자유 청년 연대 선언식, 2023 청년의 날 등의 행사 운영 및 공연 기획, 광고 대행, 디자인 등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크리에이티브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이번 협약을 통해 ▲계약 및 거래구조 컨설팅 ▲각종 계약서 검토 ▲엔터테인먼트산업 관련 분쟁 대책 마련 ▲엔터테인먼트 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엔터테인먼트 투엠 장현국 대표는 "대륜과의 MOU를 통한 유기적 협업이 투엠엔터테인먼트가 추구하고 있는 건전한 공연 문화 창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며 "엔터테인먼트 투엠은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산업을 이끌어 나가는 데 있어 문화예술 분야의 전반에 법률 자문이 필요하다. 대륜이 힘이 되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에 대륜 고병준 대표는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양적·질적 성장 속도에 비하여 법적, 제도적 규율은 산업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이로 인해 수많은 법적 분쟁들이 발생할 수 있다"며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은 다양한 법률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스포츠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가들의 수준 높은 법률서비스 제공으로 문화 산업 육성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분야가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을 신설해 각종 법률 문제 등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6-20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 체결
투엠 장현국 대표 "대륜과의 MOU 통한 유기적 협업 큰 도움될 것"대륜 고병준 대표 "전문가들의 수준 높은 법률서비스 제공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은 지난 14일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20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여의도 본사에서 진행된 지난 14일 MOU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고병준 대표, 엔터테인먼트 투엠 장현국 대표, 한은정 이사, 박상국 총괄실장, 조승현 기획실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엔터테인먼트 투엠은 2022 청년 동행 간담회 자유 청년 연대 선언식, 2023 청년의 날 등의 행사 운영 및 공연 기획, 광고 대행, 디자인 등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크리에이티브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이번 협약을 통해 ▲계약 및 거래구조 컨설팅 ▲각종 계약서 검토 ▲엔터테인먼트산업 관련 분쟁 대책 마련 ▲엔터테인먼트 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엔터테인먼트 투엠 장현국 대표는 "대륜과의 MOU를 통한 유기적 협업이 투엠엔터테인먼트가 추구하고 있는 건전한 공연 문화 창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며 "엔터테인먼트 투엠은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산업을 이끌어 나가는 데 있어 문화예술 분야의 전반에 법률 자문이 필요하다. 대륜이 힘이 되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에 대륜 고병준 대표는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양적·질적 성장 속도에 비하여 법적, 제도적 규율은 산업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이로 인해 수많은 법적 분쟁들이 발생할 수 있다"며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은 다양한 법률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스포츠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가들의 수준 높은 법률서비스 제공으로 문화 산업 육성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대륜은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분야가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엔터테인먼트·스포츠그룹을 신설해 각종 법률 문제 등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엔터테인먼트 투엠과 MOU 체결 (바로가기)
오마이뉴스
2024-06-20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 중형 유지... 피해배상은?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 중형 유지... 피해배상은?
부산지법 "피고인 항소 기각"... 피해자들 "대법원까지 가선 안 돼" 지난달 부산의 180억대 전세사기 사건 1심에서 재판부는 "서민들의 전 재산이나 다름없는 임대차 보증금을 이익추구 수단으로 삼는 중대 범죄"라며 검찰의 구형보다 더 높은 중형을 선고했다. 20일 항소심 재판부도 이러한 판단을 유지했다. 피해자들과 시민사회는 당연한 결론이 내려졌단 반응이다. 부산지법 형사4-1부는 이날 354호 법정에서 열린 선고공판에서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최아무개씨의 항소를 기각했다. 원심의 양형이 적절하다고 본 재판부는 "이를 변경할만한 특별한 사정이 보이지 않는다"라며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1심 선고 이후 최씨는 형이 무겁다며 바로 항소장을 제출했다. 최씨는 2020년부터 지난해 1월까지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원룸 등 9개 건물 세입자 229명에게 받은 전세보증금 180억 원을 돌려주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애초 기소 단계에서 피해액은 160억 원이었으나, 추가 피해가 확인되면서 금액이 더 늘어났다. 이를 놓고 최씨 변호인은 "변제 노력을 하고 있다"라며 항변했지만, 검찰은 범행 부인과 반성 부족 등을 이유로 징역 13년형을 재판부에 요청했다. 하지만 사건을 맡은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1단독은 실제 선고에서 형량을 15년으로 높였다. 범죄가 중대하고, 사회적 해악이 커 중형 선고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당시 판결에서는 피해자를 울린 판사의 법정 발언이 주목받기도 했다. 최씨로부터 전세금을 떼인 이들의 이름과 탄원서 내용까지 소개한 박주영 부장판사는 "절대로 자신을 원망하거나 자책하지 말아달라"라며 선량한 피해자를 만든 사회시스템의 문제를 꼬집었다. 그는 이들의 일상 복귀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항소심 역시 1심의 판결이 문제가 없다고 본 만큼 최씨가 상급심의 문을 두드리지 않는다면 이대로 형이 확정될 수 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대법원으로 갈 가능성을 우려했다. 법정을 빠져나온 전세사기 피해자 30대 최아무개씨는 "보증금을 받지도 못했고, 사과도 없다. 이렇게 고통을 줘놓고 상고한다면 도저히 용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잇단 유죄 판결에도 이들이 겪고 있는 피해에 대한 배상은 해결이 막막한 상황이다. 피해자측의 손수연(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형량 유지에도 실질적으로 피해가 복구된 게 없어 민사 등을 검토해야 할 것 같다"라며 "피해자들은 이 정도면 보통 합의 시도를 할 법도 한데, 뻔뻔하다고 할 정도로 사과 한마디 없는 피고인에게 참담함을 느끼는 분위기"라고 상황을 전했다. 시민사회도 피해자의 주장과 재판부의 판단에 동의했다. 부산참여연대, 부산민변 등으로 꾸려진 전세사기·깡통전세 문제 해결을 위한 부산시민사회대책위의 한 관계자는 "전세사기가 심각한 사회적 범죄란 점을 다시 재확인한 결과"라며 "법정 진술에서 최씨가 용서와 죗값을 말한 만큼 형을 받아들이고 피해자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전문보기] -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 중형 유지... 피해배상은? (바로가기)
오마이뉴스
2024-06-20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 중형 유지... 피해배상은?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 중형 유지... 피해배상은?
부산지법 "피고인 항소 기각"... 피해자들 "대법원까지 가선 안 돼" 지난달 부산의 180억대 전세사기 사건 1심에서 재판부는 "서민들의 전 재산이나 다름없는 임대차 보증금을 이익추구 수단으로 삼는 중대 범죄"라며 검찰의 구형보다 더 높은 중형을 선고했다. 20일 항소심 재판부도 이러한 판단을 유지했다. 피해자들과 시민사회는 당연한 결론이 내려졌단 반응이다. 부산지법 형사4-1부는 이날 354호 법정에서 열린 선고공판에서 사기 혐의로 기소된 50대 최아무개씨의 항소를 기각했다. 원심의 양형이 적절하다고 본 재판부는 "이를 변경할만한 특별한 사정이 보이지 않는다"라며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1심 선고 이후 최씨는 형이 무겁다며 바로 항소장을 제출했다. 최씨는 2020년부터 지난해 1월까지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원룸 등 9개 건물 세입자 229명에게 받은 전세보증금 180억 원을 돌려주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애초 기소 단계에서 피해액은 160억 원이었으나, 추가 피해가 확인되면서 금액이 더 늘어났다. 이를 놓고 최씨 변호인은 "변제 노력을 하고 있다"라며 항변했지만, 검찰은 범행 부인과 반성 부족 등을 이유로 징역 13년형을 재판부에 요청했다. 하지만 사건을 맡은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1단독은 실제 선고에서 형량을 15년으로 높였다. 범죄가 중대하고, 사회적 해악이 커 중형 선고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당시 판결에서는 피해자를 울린 판사의 법정 발언이 주목받기도 했다. 최씨로부터 전세금을 떼인 이들의 이름과 탄원서 내용까지 소개한 박주영 부장판사는 "절대로 자신을 원망하거나 자책하지 말아달라"라며 선량한 피해자를 만든 사회시스템의 문제를 꼬집었다. 그는 이들의 일상 복귀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항소심 역시 1심의 판결이 문제가 없다고 본 만큼 최씨가 상급심의 문을 두드리지 않는다면 이대로 형이 확정될 수 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대법원으로 갈 가능성을 우려했다. 법정을 빠져나온 전세사기 피해자 30대 최아무개씨는 "보증금을 받지도 못했고, 사과도 없다. 이렇게 고통을 줘놓고 상고한다면 도저히 용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잇단 유죄 판결에도 이들이 겪고 있는 피해에 대한 배상은 해결이 막막한 상황이다. 피해자측의 손수연(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형량 유지에도 실질적으로 피해가 복구된 게 없어 민사 등을 검토해야 할 것 같다"라며 "피해자들은 이 정도면 보통 합의 시도를 할 법도 한데, 뻔뻔하다고 할 정도로 사과 한마디 없는 피고인에게 참담함을 느끼는 분위기"라고 상황을 전했다. 시민사회도 피해자의 주장과 재판부의 판단에 동의했다. 부산참여연대, 부산민변 등으로 꾸려진 전세사기·깡통전세 문제 해결을 위한 부산시민사회대책위의 한 관계자는 "전세사기가 심각한 사회적 범죄란 점을 다시 재확인한 결과"라며 "법정 진술에서 최씨가 용서와 죗값을 말한 만큼 형을 받아들이고 피해자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전문보기] - 180억 전세사기범 2심도 징역 15년 중형 유지... 피해배상은?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6-19
2번째 음주운전에 무죄?…‘처벌기준 미치지 못 해’
2번째 음주운전에 무죄?…‘처벌기준 미치지 못 해’
위드마크 공식, 음주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계산 기법 적용실제 음주운전 시점 혈중알코올농도 처벌기준치 초과 단정 못해 적발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운전 당시 더 낮았을 것으로 추정 강조 음주운전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40대 남성이 또다시 음주운전을 하였으나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은 지난 12일 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42)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앞서 지난 1월 가족들과 떠난 여행지에서 반주를 마신 뒤 운전대를 잡아 현장에서 음주단속을 하던 경찰관에 적발됐다. 적발 당시 A씨는 혈중알코올농도 0.030%로 면허정지 수준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A씨는 동종 범죄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현행법상 음주운전으로 인해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경우 가중 처벌을 받는다.재판에서 A씨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음주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하여 음주운전 처벌기준(0.03%)을 초과하였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측정 당시 상승기에 도달했으며 실제 운전 당시에는 측정치보다 낮은 혈중알코올농도였을 것이라는 추정이다.법원은 무죄 판결 이유에 대해 “위드마크 공식의 적용에 있어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인 위드마크를 적용했을 때 피고인은 도로교통법 제148조의2 제3항 제3호, 제44조 제1항이 규정한 음주운전의 처벌기준인 혈중알코올농도 0.03%를 하회한다.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때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위드마크 음주 측정 공식은 음주운전 뒤 시간이 많이 지나 운전자가 술이 깨어 버렸거나, 한계 수치 이하인 경우 등에 음주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계산하는 기법이다”라며 “운전자의 체중, 성별, 섭취한 술의 종류, 음주량 등을 모두 고려해 당시 주취 상태를 계산하게 된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시간당 알코올 분해 값이 개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다소 억울하게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경우 해당 방식을 이용해 음주 측정 시점이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였음을 입증해야 한다”라며 “이번 사건 역시 위드마크 공식을 이용,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여 운전 당시는 처벌 기준인 0.03%에 미치지 못함을 입증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2번째 음주운전에 무죄?…‘처벌기준 미치지 못 해’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2024-06-19
2번째 음주운전에 무죄?…‘처벌기준 미치지 못 해’
2번째 음주운전에 무죄?…‘처벌기준 미치지 못 해’
위드마크 공식, 음주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계산 기법 적용실제 음주운전 시점 혈중알코올농도 처벌기준치 초과 단정 못해 적발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운전 당시 더 낮았을 것으로 추정 강조 음주운전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40대 남성이 또다시 음주운전을 하였으나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은 지난 12일 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42)에게 무죄를 선고했다.A씨는 앞서 지난 1월 가족들과 떠난 여행지에서 반주를 마신 뒤 운전대를 잡아 현장에서 음주단속을 하던 경찰관에 적발됐다. 적발 당시 A씨는 혈중알코올농도 0.030%로 면허정지 수준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A씨는 동종 범죄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현행법상 음주운전으로 인해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경우 가중 처벌을 받는다.재판에서 A씨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음주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하여 음주운전 처벌기준(0.03%)을 초과하였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측정 당시 상승기에 도달했으며 실제 운전 당시에는 측정치보다 낮은 혈중알코올농도였을 것이라는 추정이다.법원은 무죄 판결 이유에 대해 “위드마크 공식의 적용에 있어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인 위드마크를 적용했을 때 피고인은 도로교통법 제148조의2 제3항 제3호, 제44조 제1항이 규정한 음주운전의 처벌기준인 혈중알코올농도 0.03%를 하회한다.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때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길세철 변호사는 “위드마크 음주 측정 공식은 음주운전 뒤 시간이 많이 지나 운전자가 술이 깨어 버렸거나, 한계 수치 이하인 경우 등에 음주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계산하는 기법이다”라며 “운전자의 체중, 성별, 섭취한 술의 종류, 음주량 등을 모두 고려해 당시 주취 상태를 계산하게 된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시간당 알코올 분해 값이 개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다소 억울하게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경우 해당 방식을 이용해 음주 측정 시점이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였음을 입증해야 한다”라며 “이번 사건 역시 위드마크 공식을 이용,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여 운전 당시는 처벌 기준인 0.03%에 미치지 못함을 입증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2번째 음주운전에 무죄?…‘처벌기준 미치지 못 해’ (바로가기)
월요신문
2024-06-17
[칼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남은 과제
[칼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남은 과제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드디어 시행된다. 한국은 가상자산 시장이 활발한 데에 비해 명확한 지침이나 규제가 미흡해 가상자산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체이널리시스(Chain Analysis,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가 발표한 '2023 국가별 가상자산 수익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가상자산 투자 수익은 전 세계 8위라 하는데, 아직도 싱가포르·일본 등 다른 선진국들과 달리 가상자산에 관한 법과 제도가 미흡한 상태다.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가상자산 사용자에 대해 정부의 권한을 설정하고 가상자산 이용자 자산 보호 의무를 지움으로써 가상자산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가상자산시장의 투명하고 건전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제정됐다.그동안 우리나라는 가상자산의 법적 성질부터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상자산의 불공정거래나 부당한 투기가 발생하더라도 증권을 규율 대상으로 하는 자본시장법과 같은 기존의 법을 유추 적용했고 그에 따른 무리가 있었다.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면 가상자산 회색지대의 많은 부분이 획정될 것이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가상자산 사업자에게 가상자산 이용자의 예치금 보호 의무, 이용자의 가상자산 분리 보관 의무(일명 cold wallet 보관 의무) 등을 부과하고 있고, 미공개 중요 정보 이용행위, 부당한 시세 조종 행위 처벌 조항을 마련하고 있다.특히 가상자산 분리 보관 의무는 해킹 피해 예방을 위해 부여됐다. 코인은 해킹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한 번 해킹이 발생하면 해킹범을 찾고 피해 재산을 회수하기도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기술적으로 추적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해킹범이 주로 국외에 적을 두고 있어 국제 공조를 받기 쉬울 리가 없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가상자산 해킹 예방이 최선일 것이다.미공개 중요정보 이용행위나 부당한 시세 조종 행위는 증권을 대상으로 하는 자본시장법에서 동일하게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상자산을 증권으로 볼 것인지 결론이 나지 않아 가상자산과 관련해 자본시장법을 바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많은 경우 기소가 되었으나 처벌 근거 조항이 없어 무죄 판결이 나곤 했다. 이제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 이를 명시적으로 금지함으로써 가상자산과 관련한 불공정거래행위를 제재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된 것이다. 이로써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가 두터워지며 가상자산 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물론 당연한 얘기지만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더라도 아직도 풀어나갈 법적 과제가 쌓여있다. 예를 들어 ICO 논의가 있다. ICO(Initial Coin Offering)란 새로운 암호화폐를 만들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초기 개발 자금을 모집하는 것으로 크라우드펀딩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한국은 2017년 9월 ICO를 투기라 판단해 전면 금지시켰다. 참고로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경우 규제는 하되 허용되는 길은 열려 있으며, 중국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전면 금지하고 있다.ICO는 곧 시행될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그러나 주식 시장에서는 IPO(Initial Public Offering)가 행해지고 있고, 비트코인이 ETF로 승인됐으며 엘살바도르에서는 법정 화폐로 채택되었듯이 가상자산은 전 세계적으로 화폐로서 자리매김 중이다. 따라서 '코인 강국' 대한민국에서 언제까지나 ICO를 전면 금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조만간 ICO 제도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건전한 가상자산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길 바라본다.또 다른 예로, 법 적용 범위에 관한 것이 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국외에서 이루어진 행위로서 그 효과가 국내에 미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가상자산 사업자는 싱가포르 등 해외에 사업자를 두고 있지만 국내 투자사로부터 투자를 받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렇다면 해외 회사라 하더라도 국내 투자사로부터 투자를 받는 경우라면, 그 효과가 국내에 미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서도 다양한 사례가 검토되며 보편적인 법리를 확립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한편, 6월에 일본에서 482억 엔(약 4200억 원) 규모 비트코인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다고 한다. 오프라인 보관처(콜드월렛)에서 관리하던 일부 비트코인을 온라인 보관처(핫월렛)로 옮기던 중 해킹당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처럼 이용자입장에서는 법의 보호를 받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가상자산 재산 피해를 방심할 수 없다.앞으로 가상자산과 그 규제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는 모른다. 가상자산과 관련해 탐구해야 할 법적 과제가 한가득 남아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이 성숙한 가상자산 시장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길 바라본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남은 과제 (바로가기)
월요신문
2024-06-17
[칼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남은 과제
[칼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남은 과제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드디어 시행된다. 한국은 가상자산 시장이 활발한 데에 비해 명확한 지침이나 규제가 미흡해 가상자산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체이널리시스(Chain Analysis,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가 발표한 '2023 국가별 가상자산 수익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가상자산 투자 수익은 전 세계 8위라 하는데, 아직도 싱가포르·일본 등 다른 선진국들과 달리 가상자산에 관한 법과 제도가 미흡한 상태다.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가상자산 사용자에 대해 정부의 권한을 설정하고 가상자산 이용자 자산 보호 의무를 지움으로써 가상자산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가상자산시장의 투명하고 건전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제정됐다.그동안 우리나라는 가상자산의 법적 성질부터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상자산의 불공정거래나 부당한 투기가 발생하더라도 증권을 규율 대상으로 하는 자본시장법과 같은 기존의 법을 유추 적용했고 그에 따른 무리가 있었다.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면 가상자산 회색지대의 많은 부분이 획정될 것이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가상자산 사업자에게 가상자산 이용자의 예치금 보호 의무, 이용자의 가상자산 분리 보관 의무(일명 cold wallet 보관 의무) 등을 부과하고 있고, 미공개 중요 정보 이용행위, 부당한 시세 조종 행위 처벌 조항을 마련하고 있다.특히 가상자산 분리 보관 의무는 해킹 피해 예방을 위해 부여됐다. 코인은 해킹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한 번 해킹이 발생하면 해킹범을 찾고 피해 재산을 회수하기도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기술적으로 추적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해킹범이 주로 국외에 적을 두고 있어 국제 공조를 받기 쉬울 리가 없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가상자산 해킹 예방이 최선일 것이다.미공개 중요정보 이용행위나 부당한 시세 조종 행위는 증권을 대상으로 하는 자본시장법에서 동일하게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상자산을 증권으로 볼 것인지 결론이 나지 않아 가상자산과 관련해 자본시장법을 바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많은 경우 기소가 되었으나 처벌 근거 조항이 없어 무죄 판결이 나곤 했다. 이제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 이를 명시적으로 금지함으로써 가상자산과 관련한 불공정거래행위를 제재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된 것이다. 이로써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가 두터워지며 가상자산 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물론 당연한 얘기지만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더라도 아직도 풀어나갈 법적 과제가 쌓여있다. 예를 들어 ICO 논의가 있다. ICO(Initial Coin Offering)란 새로운 암호화폐를 만들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초기 개발 자금을 모집하는 것으로 크라우드펀딩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한국은 2017년 9월 ICO를 투기라 판단해 전면 금지시켰다. 참고로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경우 규제는 하되 허용되는 길은 열려 있으며, 중국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전면 금지하고 있다.ICO는 곧 시행될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그러나 주식 시장에서는 IPO(Initial Public Offering)가 행해지고 있고, 비트코인이 ETF로 승인됐으며 엘살바도르에서는 법정 화폐로 채택되었듯이 가상자산은 전 세계적으로 화폐로서 자리매김 중이다. 따라서 '코인 강국' 대한민국에서 언제까지나 ICO를 전면 금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조만간 ICO 제도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건전한 가상자산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길 바라본다.또 다른 예로, 법 적용 범위에 관한 것이 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국외에서 이루어진 행위로서 그 효과가 국내에 미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가상자산 사업자는 싱가포르 등 해외에 사업자를 두고 있지만 국내 투자사로부터 투자를 받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렇다면 해외 회사라 하더라도 국내 투자사로부터 투자를 받는 경우라면, 그 효과가 국내에 미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서도 다양한 사례가 검토되며 보편적인 법리를 확립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한편, 6월에 일본에서 482억 엔(약 4200억 원) 규모 비트코인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다고 한다. 오프라인 보관처(콜드월렛)에서 관리하던 일부 비트코인을 온라인 보관처(핫월렛)로 옮기던 중 해킹당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처럼 이용자입장에서는 법의 보호를 받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가상자산 재산 피해를 방심할 수 없다.앞으로 가상자산과 그 규제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는 모른다. 가상자산과 관련해 탐구해야 할 법적 과제가 한가득 남아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이 성숙한 가상자산 시장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길 바라본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남은 과제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4-06-14
“심신미약하니 감형합니다”…이런 열불나는 판결, 더는 안통하네
“심신미약하니 감형합니다”…이런 열불나는 판결, 더는 안통하네
10년간 정신과 치료 이력에도재판부 “정신병력에 감형 안돼” 강력범죄를 저지른후 정신병을 앓고 있다는 이유로 감형을 주장하는 피의자들이 있다. 그러나 최근 법정에선 이른바 ‘심신 미약’을 앞세운 감형 주장이 잘 먹히지 않고 있다.12일 서부지법 제11형사부(부장판사 배성중)는 특수상해 혐의로 기소된 미국 국적의 한인 최 모씨(45)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그는 올해 1월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한 골목에서 처음 본 20대 남성에게 칼을 휘둘러 3년간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국민참여재판으로 열린 이번 재판에서 법정에 선 일반인 배심원들 7명은 최씨에 대한 유무죄 평결과 양형 의견을 제시했다.재판 과정에서 피고인 최씨가 2015년부터 114회에 걸쳐 조현병을 치료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최씨의 변호인은 최후변론에서 “오랜 정신병력으로 치료 받아왔고 외국인이다 보니 방치된 부분이 있다”며 감형을 호소했다. 배심원 7명은 그러나 모두 유죄로 평결했다. 이 중 6명은 징역 3년을, 1명은 징역 5년을 권고했다.재판부 역시 “피고인의 정신질환으로 장기간 치료받았고 해당 질환이 범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중이 다니는 장소에 흉기를 준비해 일면식 없는 피해자에게 상해를 가해 그 죄질이 무겁다”고 판시했다.앞서 2022년 서울 동대문구 거리에서 80대 남성을 흉기로 찌른 남성이 ‘망상증’의 정신질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재판부는 ‘분별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심신미약을 인정하지 않았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심신미약 감형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이 갈수록 강해져 흉악범죄에 대해서는 심신장애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 추세”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심신미약하니 감형합니다”…이런 열불나는 판결, 더는 안통하네 (바로가기)
매일경제
2024-06-14
“심신미약하니 감형합니다”…이런 열불나는 판결, 더는 안통하네
“심신미약하니 감형합니다”…이런 열불나는 판결, 더는 안통하네
10년간 정신과 치료 이력에도재판부 “정신병력에 감형 안돼” 강력범죄를 저지른후 정신병을 앓고 있다는 이유로 감형을 주장하는 피의자들이 있다. 그러나 최근 법정에선 이른바 ‘심신 미약’을 앞세운 감형 주장이 잘 먹히지 않고 있다.12일 서부지법 제11형사부(부장판사 배성중)는 특수상해 혐의로 기소된 미국 국적의 한인 최 모씨(45)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그는 올해 1월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한 골목에서 처음 본 20대 남성에게 칼을 휘둘러 3년간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국민참여재판으로 열린 이번 재판에서 법정에 선 일반인 배심원들 7명은 최씨에 대한 유무죄 평결과 양형 의견을 제시했다.재판 과정에서 피고인 최씨가 2015년부터 114회에 걸쳐 조현병을 치료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최씨의 변호인은 최후변론에서 “오랜 정신병력으로 치료 받아왔고 외국인이다 보니 방치된 부분이 있다”며 감형을 호소했다. 배심원 7명은 그러나 모두 유죄로 평결했다. 이 중 6명은 징역 3년을, 1명은 징역 5년을 권고했다.재판부 역시 “피고인의 정신질환으로 장기간 치료받았고 해당 질환이 범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중이 다니는 장소에 흉기를 준비해 일면식 없는 피해자에게 상해를 가해 그 죄질이 무겁다”고 판시했다.앞서 2022년 서울 동대문구 거리에서 80대 남성을 흉기로 찌른 남성이 ‘망상증’의 정신질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재판부는 ‘분별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심신미약을 인정하지 않았다.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심신미약 감형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이 갈수록 강해져 흉악범죄에 대해서는 심신장애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 추세”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심신미약하니 감형합니다”…이런 열불나는 판결, 더는 안통하네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6-14
방탄소년단 BTS 진 강제추행
방탄소년단 BTS 진, 팬 이벤트서 성추행 피해…분노한 팬 ‘성폭력처벌법’ 고발
방탄소년단 BTS 진, 기습 ‘키스’ 당하기도 앞선 12일 군 복무를 마치고 팬들에게 돌아온 방탄소년단(BTS)의 맏형 진이 성추행 피해를 당했다. BTS의 팬 ‘아미’는 ‘명백한 성추행’ 아라며 불쾌한 감정을 드러냈다. 이러한 가운데 한 팬은 해당행위를 한 이들을 고발했다. 사고는 전날인 13일 서울 송파구 일대에서 열린 '2024 페스타(FESTA)'에서 발생했다. 진은 전역 전 자신을 기다려주고 끝까지 응원해준 팬들과 보다 가까운 곳에서 만나기 위해 팬과 함께하는 이벤트를 직접 제안했고 이날 이벤트에 참석했다. 문제는 팬 이벤트 1부 ‘진스 그리팅’(진‘s Greetings)에서 발생했다. 진은 이날 1000명의 팬과 만나 포옹했다. 이 이벤트에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 팬도 참여해 훈훈함을 자아내기까지 했다. 1000명이라는 많은 인파에 허그는 짧은 순간으로 끝났지만, 팬들은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일부 팬들의 도 넘은 행동은 문제로 지적됐다. 일부 여성 팬들은 진의 볼과 입술에 기습적으로 뽀뽀를 시도했다. 갑작스러운 이들의 행동에 진을 얼굴을 돌리며 피하려는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자칫 엉뚱한 오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진도 불쾌한 모습을 드러냈지만 이내 밝은 웃음을 되찾았다. 행사를 마친 뒤 진은 “생각보다 더 재밌고 신났다”며 “진짜 몸만 여러 개였어도 하루에 더 많은 분께 허그를 해드릴 수 있었을 텐데 오늘 1000명밖에 못 해 드려서 좀 아쉽다. 다음에 죽기 전에 한 번쯤은 더 할 수 있으면 해 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미들은 “성추행”이라면서 불편한 심정을 드러냈고, 해당 팬들을 고소했다. 14일 한 제보자는 세계일보에 “‘허그회’를 진행하는 상황에서 일부 팬들이 ‘뽀뽀’를 하여 성추행 논란에 휩싸였다”며 “이날(14일) 국민신문고를 통해 해당 팬들을 ‘성폭력처벌법’ 위반으로 고발했다”고 전했다. 이어 “BTS의 일부 팬들은 ‘허그회’ 행사의 특성상 명시적·적극적인 저항이나 회피가 어려운 상황을 이용하여,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게 하고 선량한 성적 도덕관념에 반하는 ‘성추행’을 하여 피해자 진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경찰은 해당 팬들을 성폭력처벌법 제11조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 위반 혐의로 즉시 수사해 엄벌에 처할 수 있도록 하여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사건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과 강제추행 두 가지 형법에 성립 요건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팬이 한 행동(기습 뽀뽀)는 ‘기습 추행’에도 해당할 수 있다”면서 “즉 기습 뽀뽀는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서 폭행 범죄에 해당하면서 동시에 추행행위이므로, 이는 기습추행으로서 형법상 강제추행이 성립된다”고 조언했다. 최 변호사는 “폭행의 모습을 볼 때 검찰이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보다 형량이 더 높은 강제추행으로 기소할 가능성도 있다”며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은 3년 이하의 징역 30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할 수 있고 강제추행은 10년 이하의 징역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방탄소년단 BTS 진, 팬 이벤트서 성추행 피해…분노한 팬 ‘성폭력처벌법’ 고발
세계일보
2024-06-14
방탄소년단 BTS 진 강제추행
방탄소년단 BTS 진, 팬 이벤트서 성추행 피해…분노한 팬 ‘성폭력처벌법’ 고발
방탄소년단 BTS 진, 기습 ‘키스’ 당하기도 앞선 12일 군 복무를 마치고 팬들에게 돌아온 방탄소년단(BTS)의 맏형 진이 성추행 피해를 당했다. BTS의 팬 ‘아미’는 ‘명백한 성추행’ 아라며 불쾌한 감정을 드러냈다. 이러한 가운데 한 팬은 해당행위를 한 이들을 고발했다. 사고는 전날인 13일 서울 송파구 일대에서 열린 '2024 페스타(FESTA)'에서 발생했다. 진은 전역 전 자신을 기다려주고 끝까지 응원해준 팬들과 보다 가까운 곳에서 만나기 위해 팬과 함께하는 이벤트를 직접 제안했고 이날 이벤트에 참석했다. 문제는 팬 이벤트 1부 ‘진스 그리팅’(진‘s Greetings)에서 발생했다. 진은 이날 1000명의 팬과 만나 포옹했다. 이 이벤트에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 팬도 참여해 훈훈함을 자아내기까지 했다. 1000명이라는 많은 인파에 허그는 짧은 순간으로 끝났지만, 팬들은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일부 팬들의 도 넘은 행동은 문제로 지적됐다. 일부 여성 팬들은 진의 볼과 입술에 기습적으로 뽀뽀를 시도했다. 갑작스러운 이들의 행동에 진을 얼굴을 돌리며 피하려는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자칫 엉뚱한 오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진도 불쾌한 모습을 드러냈지만 이내 밝은 웃음을 되찾았다. 행사를 마친 뒤 진은 “생각보다 더 재밌고 신났다”며 “진짜 몸만 여러 개였어도 하루에 더 많은 분께 허그를 해드릴 수 있었을 텐데 오늘 1000명밖에 못 해 드려서 좀 아쉽다. 다음에 죽기 전에 한 번쯤은 더 할 수 있으면 해 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미들은 “성추행”이라면서 불편한 심정을 드러냈고, 해당 팬들을 고소했다. 14일 한 제보자는 세계일보에 “‘허그회’를 진행하는 상황에서 일부 팬들이 ‘뽀뽀’를 하여 성추행 논란에 휩싸였다”며 “이날(14일) 국민신문고를 통해 해당 팬들을 ‘성폭력처벌법’ 위반으로 고발했다”고 전했다. 이어 “BTS의 일부 팬들은 ‘허그회’ 행사의 특성상 명시적·적극적인 저항이나 회피가 어려운 상황을 이용하여,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게 하고 선량한 성적 도덕관념에 반하는 ‘성추행’을 하여 피해자 진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경찰은 해당 팬들을 성폭력처벌법 제11조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 위반 혐의로 즉시 수사해 엄벌에 처할 수 있도록 하여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사건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과 강제추행 두 가지 형법에 성립 요건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팬이 한 행동(기습 뽀뽀)는 ‘기습 추행’에도 해당할 수 있다”면서 “즉 기습 뽀뽀는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서 폭행 범죄에 해당하면서 동시에 추행행위이므로, 이는 기습추행으로서 형법상 강제추행이 성립된다”고 조언했다. 최 변호사는 “폭행의 모습을 볼 때 검찰이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보다 형량이 더 높은 강제추행으로 기소할 가능성도 있다”며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은 3년 이하의 징역 30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할 수 있고 강제추행은 10년 이하의 징역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방탄소년단 BTS 진, 팬 이벤트서 성추행 피해…분노한 팬 ‘성폭력처벌법’ 고발
뉴시스 등 5곳
2024-06-13
공수처, 신규 검사 임용 추진…내주 중 임용 공고
공수처, 신규 검사 임용 추진…내주 중 임용 공고
오동운 처장 취임 후 첫 인사위인력 공백 메울 방안 등 논의해부장검사·평검사 동시 충원할듯오는 19일 임용 공고 게시 예정 오동운 신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이 13일 취임 후 첫 인사위원회(인사위)를 열고 신규 검사 임용을 비롯한 조직 운영 전반에 관해 논의했다.공수처는 이날 오전 10시30분께부터 1시간가량 업무 추진 현황 및 향후 검사 임용 계획 등을 인사위에 보고한 후 위원들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인사위는 공수처 처장과 차장을 제외한 인사 전반을 심의·의결하는 기구다. 처장과 차장, 여당 추천 위원 2명, 야당 추천 위원 2명, 공수처장 추천 위원 1명 등 총 7명이 참여하게 돼 있다. 다만 차장 공백 사태로 인해 이번 인사위는 공수처법이 규정한 7명이 아닌 6명이 참여한 상태에서 진행됐다.이날 인사위에는 오 처장을 비롯해 여당이 추천한 이선봉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 전강진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야당이 추천한 좌세준 법무법인 한맥 변호사, 이창민 법률사무소 창덕 변호사, 처장이 위촉한 이준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등이 참석했다.인사위에 참석한 위원들은 공수처 신규 검사 채용의 시급성에 특히 공감했다고 한다.이달 기준 공수처 재직 검사는 19명으로, 처장과 차장을 포함해 검사 25명이라는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지난달 말 차장 직무대행을 해오던 김선규 전 수사1부장이 제출한 사표가 수리된 데 이어 인권수사정책관인 김명석 부장검사도 사의를 표명한 상태다.김 부장검사 사직서까지 처리되면 공수처에서 근무하는 검사는 18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부장검사 여섯 자리 중 두 자리가 비게 된다.이날 인사위에 참석했던 한 변호사는 뉴시스에 "공수처 검사 결원이 6명 정도인데, 이를 어떤 절차에 따라 충원할지에 관한 설명을 들었다"며 "부장검사와 평검사를 동시에 충원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공수처는 오는 19일께 임용 공고를 게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오는 8월에는 검사 연임을 논의하기 위한 두 번째 인사위를 개최할 계획이다.오 처장은 "공수처를 강하고 안정적인 조직으로 만들고자 한다"며 "인사위원회가 국민 기대와 여망에 부응하며 공수처법상 인사위 구성 취지인 합의 정신에 입각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뉴시스 - 공수처, 신규 검사 임용 추진…내주 중 임용 공고 (바로가기)뉴스1 - 공수처, 2기 인사위 첫 회의 "검사 신속 충원 필요성 공감대" (바로가기)이데일리 - 공수처, 인사위 첫 회의 개최…오동운 "강하고 안정적 조직 만들 것" (바로가기)더팩트 - 2기 공수처 첫 인사위…오동운 "강한 조직 기대"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공수처, 2기 인사위 첫발…후속 인사 속도 (바로가기)
뉴시스 등 5곳
2024-06-13
공수처, 신규 검사 임용 추진…내주 중 임용 공고
공수처, 신규 검사 임용 추진…내주 중 임용 공고
오동운 처장 취임 후 첫 인사위인력 공백 메울 방안 등 논의해부장검사·평검사 동시 충원할듯오는 19일 임용 공고 게시 예정 오동운 신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이 13일 취임 후 첫 인사위원회(인사위)를 열고 신규 검사 임용을 비롯한 조직 운영 전반에 관해 논의했다.공수처는 이날 오전 10시30분께부터 1시간가량 업무 추진 현황 및 향후 검사 임용 계획 등을 인사위에 보고한 후 위원들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인사위는 공수처 처장과 차장을 제외한 인사 전반을 심의·의결하는 기구다. 처장과 차장, 여당 추천 위원 2명, 야당 추천 위원 2명, 공수처장 추천 위원 1명 등 총 7명이 참여하게 돼 있다. 다만 차장 공백 사태로 인해 이번 인사위는 공수처법이 규정한 7명이 아닌 6명이 참여한 상태에서 진행됐다.이날 인사위에는 오 처장을 비롯해 여당이 추천한 이선봉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 전강진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야당이 추천한 좌세준 법무법인 한맥 변호사, 이창민 법률사무소 창덕 변호사, 처장이 위촉한 이준희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등이 참석했다.인사위에 참석한 위원들은 공수처 신규 검사 채용의 시급성에 특히 공감했다고 한다.이달 기준 공수처 재직 검사는 19명으로, 처장과 차장을 포함해 검사 25명이라는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지난달 말 차장 직무대행을 해오던 김선규 전 수사1부장이 제출한 사표가 수리된 데 이어 인권수사정책관인 김명석 부장검사도 사의를 표명한 상태다.김 부장검사 사직서까지 처리되면 공수처에서 근무하는 검사는 18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부장검사 여섯 자리 중 두 자리가 비게 된다.이날 인사위에 참석했던 한 변호사는 뉴시스에 "공수처 검사 결원이 6명 정도인데, 이를 어떤 절차에 따라 충원할지에 관한 설명을 들었다"며 "부장검사와 평검사를 동시에 충원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공수처는 오는 19일께 임용 공고를 게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오는 8월에는 검사 연임을 논의하기 위한 두 번째 인사위를 개최할 계획이다.오 처장은 "공수처를 강하고 안정적인 조직으로 만들고자 한다"며 "인사위원회가 국민 기대와 여망에 부응하며 공수처법상 인사위 구성 취지인 합의 정신에 입각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뉴시스 - 공수처, 신규 검사 임용 추진…내주 중 임용 공고 (바로가기)뉴스1 - 공수처, 2기 인사위 첫 회의 "검사 신속 충원 필요성 공감대" (바로가기)이데일리 - 공수처, 인사위 첫 회의 개최…오동운 "강하고 안정적 조직 만들 것" (바로가기)더팩트 - 2기 공수처 첫 인사위…오동운 "강한 조직 기대" (바로가기)아시아투데이 - 공수처, 2기 인사위 첫발…후속 인사 속도 (바로가기)
뉴시스
2024-06-13
벌금형보다 더 무거운 집행유예 요구한 피고인…왜?
벌금형보다 더 무거운 집행유예 요구한 피고인…왜?
당장의 금전적 부담 없는 집행유예 선호피고인의 경제적 사정·가치관에 따라 달라져벌금형 실효성 높이기 위해 '일수 벌금제' 도입 주장 "이거 완전히 잘못됐는데." 최근 부산법원종합청사 형사재판에서 한 피고인이 재판부로부터 벌금형으로 선처를 받자 내뱉은 말이다.이어 그는 재판부에 "변호사와 상의했을 때 범행을 시인하면 집행유예를 선고받을 것이라고 해서 자백한 것"이라면서 자신에게 벌금형보다 더 중한 형인 집행유예를 선고해달라고 떼를 썼다. 집행유예는 벌금형보다 더 중한 형벌이어서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재판부는 "항소해서 다시 판단을 받아봐라"는 말과 함께 피고인을 돌려보냈다.이처럼 피고인이 집행유예 판결을 내려달라고 하는 것은 집행유예가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와 금전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벌금형을 선고받게 되면 판결확정일로부터 30일 내에 전액 일시 납부하는 것이 원칙으로, 당장 금전적인 지출이 발생한다. 반면 집행유예는 금전적인 손실이 없을 뿐더러 징역도 살지 않기 때문에 몸도 자유롭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벌금형은 당장 돈을 내야 하지만 집행유예는 징역을 장래로 이월시키고 사라지는 리스크라고 (피고인들은) 생각한다"면서 "각자가 처한 경제적 상황이나 가치관에 따라 집행유예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의 직종은 규정에 따라 집행유예를 받게 되면 직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반면 어딘가 소속되지 않은 자영업자의 경우 벌금형보다 집행유예를 훨씬 더 선호한다"고 설명했다.우리나라 형벌은 ▲벌금형 ▲자격정지 ▲자격상실 ▲유기금고 ▲유기징역 ▲무기금고 ▲무기징역 ▲사형 순으로 무겁다.이중 법원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할 경우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집행유예를 선고할 수 있다. 집행유예는 유죄의 형을 선고하면서 이를 곧바로 집행하지 않고 일정 기간 그 형의 집행을 미뤄주는 제도로, 형법상 벌금형보다 훨씬 무거운 처벌이다.또 집행유예를 받게 되면 흔히 '빨간 줄이 그어진다'는 표현처럼 범죄기록이 남으며, 집행유예 기간 중 범죄를 저질러 법정에 또 서게 된다면 새로 선고받은 형에 이전에 집행이 유예됐던 형까지 함께 복역해야 한다.하지만 경제적인 상황이 어렵거나, 집행유예로 빨간 줄이 그여도 큰 지장이 없는 사람들은 집행유예를 받아도 당장의 피해가 없기 때문에 이를 더 선호하는 것이다.이 같은 불합리함에 대해 전문가들은 벌금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피고인들의 경제적인 사정에 따라 벌금을 책정하는 '일수 벌금제' 도입을 제안한다.우리나라는 '총액 벌금제'를 취하고 있다. 이 제도는 법정형의 범위 내에서 피고인에게 일정 금액을 총액 형태로 부과하는 벌금제다. 일수 벌금제는 범죄자의 하루 수입을 단위로 벌금을 책정하는 제도다. 경제적 부담 능력에 비례해 벌금을 부과한다는 취지다.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박경규 박사는 "법조인들은 벌금형보다 집행유예가 훨씬 무거운 형벌로 본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힘든 피고인이 느끼기엔 벌금형은 당장 돈을 내야 하는 등 생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집행유예보다 더 꺼린다"고 설명했다.이어 "벌금형은 자유를 제한하는 중한 범죄가 아닌 가벼운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생계형 범죄와 같은 가벼운 범죄들에 대해선 대부분 벌금형을 선고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총액 벌금제를 취하고 있어 피고인의 경제적인 사정에 대해 깊게 헤아리지 않는다"며 "이에 벌금형을,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독일 등 일부 유럽 국가들이 취하고 있는 일수 벌금제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벌금형보다 더 무거운 집행유예 요구한 피고인…왜? (바로가기)
뉴시스
2024-06-13
벌금형보다 더 무거운 집행유예 요구한 피고인…왜?
벌금형보다 더 무거운 집행유예 요구한 피고인…왜?
당장의 금전적 부담 없는 집행유예 선호피고인의 경제적 사정·가치관에 따라 달라져벌금형 실효성 높이기 위해 '일수 벌금제' 도입 주장 "이거 완전히 잘못됐는데." 최근 부산법원종합청사 형사재판에서 한 피고인이 재판부로부터 벌금형으로 선처를 받자 내뱉은 말이다.이어 그는 재판부에 "변호사와 상의했을 때 범행을 시인하면 집행유예를 선고받을 것이라고 해서 자백한 것"이라면서 자신에게 벌금형보다 더 중한 형인 집행유예를 선고해달라고 떼를 썼다. 집행유예는 벌금형보다 더 중한 형벌이어서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재판부는 "항소해서 다시 판단을 받아봐라"는 말과 함께 피고인을 돌려보냈다.이처럼 피고인이 집행유예 판결을 내려달라고 하는 것은 집행유예가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와 금전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벌금형을 선고받게 되면 판결확정일로부터 30일 내에 전액 일시 납부하는 것이 원칙으로, 당장 금전적인 지출이 발생한다. 반면 집행유예는 금전적인 손실이 없을 뿐더러 징역도 살지 않기 때문에 몸도 자유롭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벌금형은 당장 돈을 내야 하지만 집행유예는 징역을 장래로 이월시키고 사라지는 리스크라고 (피고인들은) 생각한다"면서 "각자가 처한 경제적 상황이나 가치관에 따라 집행유예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의 직종은 규정에 따라 집행유예를 받게 되면 직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반면 어딘가 소속되지 않은 자영업자의 경우 벌금형보다 집행유예를 훨씬 더 선호한다"고 설명했다.우리나라 형벌은 ▲벌금형 ▲자격정지 ▲자격상실 ▲유기금고 ▲유기징역 ▲무기금고 ▲무기징역 ▲사형 순으로 무겁다.이중 법원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할 경우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집행유예를 선고할 수 있다. 집행유예는 유죄의 형을 선고하면서 이를 곧바로 집행하지 않고 일정 기간 그 형의 집행을 미뤄주는 제도로, 형법상 벌금형보다 훨씬 무거운 처벌이다.또 집행유예를 받게 되면 흔히 '빨간 줄이 그어진다'는 표현처럼 범죄기록이 남으며, 집행유예 기간 중 범죄를 저질러 법정에 또 서게 된다면 새로 선고받은 형에 이전에 집행이 유예됐던 형까지 함께 복역해야 한다.하지만 경제적인 상황이 어렵거나, 집행유예로 빨간 줄이 그여도 큰 지장이 없는 사람들은 집행유예를 받아도 당장의 피해가 없기 때문에 이를 더 선호하는 것이다.이 같은 불합리함에 대해 전문가들은 벌금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피고인들의 경제적인 사정에 따라 벌금을 책정하는 '일수 벌금제' 도입을 제안한다.우리나라는 '총액 벌금제'를 취하고 있다. 이 제도는 법정형의 범위 내에서 피고인에게 일정 금액을 총액 형태로 부과하는 벌금제다. 일수 벌금제는 범죄자의 하루 수입을 단위로 벌금을 책정하는 제도다. 경제적 부담 능력에 비례해 벌금을 부과한다는 취지다.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박경규 박사는 "법조인들은 벌금형보다 집행유예가 훨씬 무거운 형벌로 본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힘든 피고인이 느끼기엔 벌금형은 당장 돈을 내야 하는 등 생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집행유예보다 더 꺼린다"고 설명했다.이어 "벌금형은 자유를 제한하는 중한 범죄가 아닌 가벼운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생계형 범죄와 같은 가벼운 범죄들에 대해선 대부분 벌금형을 선고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총액 벌금제를 취하고 있어 피고인의 경제적인 사정에 대해 깊게 헤아리지 않는다"며 "이에 벌금형을,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독일 등 일부 유럽 국가들이 취하고 있는 일수 벌금제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벌금형보다 더 무거운 집행유예 요구한 피고인…왜?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6-12
강제력 없었다는 선생님과 여고생의 교제, 사랑일까?
강제력 없었다는 선생님과 여고생의 교제, 사랑일까?
40대 교사와 10대 제자가 교제해 온 사실이 전해져서 논란이 되고 있다. 11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남성 교사 A씨(40대)와 B양의 부적절한 만남은 대전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했다. A씨는 해당 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재직 중 제자인 B양과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넘었다. 이들은 최근까지 교제를 이어오다 B양이 사실을 털어놓으며 알려지게 됐다. B양은 학교 상담교사와 상담 중 이런 사실을 털어놨고, 뒤늦게 문제를 파악한 학교 측은 시교육청에 보고하고 경찰에 신고했다. A씨는 이 일로 학교를 떠나게 됐다. B양은 현재 극심한 심리 불안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교육청과 학교 측은 해당 학생을 외부 상담·치유기관과도 연계할 예정이다. 시 교육청은 “학생 보호가 최우선”이라며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는 대로 해당 교사를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 사건의 경우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처벌법 위반 혐의가 부여될 수 있고, 교사로서 특수신분관계였다는 점이 고려돼 미성년자 간음죄가 추가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 반면 이들의 관계는 강제성이 없었던 거로 전해졌다. 특히 B양이 A씨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 상황이다. 시 교육청은 “(B양이 처벌을 원치 않더라도) 교사가 미성년자인 제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가진 것이기 때문에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라고 했다. 이 사건과 관련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한 변호사는 “B양이 학교를 졸업한 뒤 만났더라면 아무 문제 없었을 것”이라면서도 “B양이 미성년자인 점, 학교에서 발생한 사건인 점 등으로 미뤄 볼 때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B양의 나이에 따라 미성년자의제강간죄 적용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B양의 정확한 나이는 공개되지 않았다. 미성년자의제강간죄는 19세 이상의 사람이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에게 간음 또는 추행을 했거나, 19세 미만의 사람이 13세 미만 미성년자에게 간음 또는 추행을 하는 경우, 폭행이나 협박을 사용하여 발생한 강간죄나 강제추행 죄와 동일한 수준의 처벌된다. 16세 혹은 13세 미만의 미성년자와 협의 하에 이뤄진 성접촉이라 해도 위의 연령 조건에 해당할 경우 처벌 대상이 되며, 공소시효도 적용되지 않는 등 일반 성범죄에 대한 처벌보다 엄중하게 처벌하고 있다.(「형법」 제305조 및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0조제3항). 본 죄는 피해자의 동의가 있는 때에도 성립된다. [기사전문보기] - 강제력 없었다는 선생님과 여고생의 교제, 사랑일까? (바로가기)
세계일보
2024-06-12
강제력 없었다는 선생님과 여고생의 교제, 사랑일까?
강제력 없었다는 선생님과 여고생의 교제, 사랑일까?
40대 교사와 10대 제자가 교제해 온 사실이 전해져서 논란이 되고 있다. 11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남성 교사 A씨(40대)와 B양의 부적절한 만남은 대전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했다. A씨는 해당 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재직 중 제자인 B양과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넘었다. 이들은 최근까지 교제를 이어오다 B양이 사실을 털어놓으며 알려지게 됐다. B양은 학교 상담교사와 상담 중 이런 사실을 털어놨고, 뒤늦게 문제를 파악한 학교 측은 시교육청에 보고하고 경찰에 신고했다. A씨는 이 일로 학교를 떠나게 됐다. B양은 현재 극심한 심리 불안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교육청과 학교 측은 해당 학생을 외부 상담·치유기관과도 연계할 예정이다. 시 교육청은 “학생 보호가 최우선”이라며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는 대로 해당 교사를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 사건의 경우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처벌법 위반 혐의가 부여될 수 있고, 교사로서 특수신분관계였다는 점이 고려돼 미성년자 간음죄가 추가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 반면 이들의 관계는 강제성이 없었던 거로 전해졌다. 특히 B양이 A씨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 상황이다. 시 교육청은 “(B양이 처벌을 원치 않더라도) 교사가 미성년자인 제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가진 것이기 때문에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라고 했다. 이 사건과 관련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한 변호사는 “B양이 학교를 졸업한 뒤 만났더라면 아무 문제 없었을 것”이라면서도 “B양이 미성년자인 점, 학교에서 발생한 사건인 점 등으로 미뤄 볼 때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B양의 나이에 따라 미성년자의제강간죄 적용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B양의 정확한 나이는 공개되지 않았다. 미성년자의제강간죄는 19세 이상의 사람이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에게 간음 또는 추행을 했거나, 19세 미만의 사람이 13세 미만 미성년자에게 간음 또는 추행을 하는 경우, 폭행이나 협박을 사용하여 발생한 강간죄나 강제추행 죄와 동일한 수준의 처벌된다. 16세 혹은 13세 미만의 미성년자와 협의 하에 이뤄진 성접촉이라 해도 위의 연령 조건에 해당할 경우 처벌 대상이 되며, 공소시효도 적용되지 않는 등 일반 성범죄에 대한 처벌보다 엄중하게 처벌하고 있다.(「형법」 제305조 및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0조제3항). 본 죄는 피해자의 동의가 있는 때에도 성립된다. [기사전문보기] - 강제력 없었다는 선생님과 여고생의 교제, 사랑일까?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등 4곳
2024-06-11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의료분쟁 특화"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의료분쟁 특화"
서울중앙지방법원 등 활약… 의료분쟁 전문성 강화 초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판사 출신의 오경록 변호사를 영입하고, 의료 분야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오경록 변호사는 울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뒤 수원지법 여주지원, 서울중앙지방법원을 거쳐 서울동부지방법원 판사로 재직했다. 서울중앙지법, 서울동부지법에서는 의료, 부동산 사건을 전담했으며, 특히 의학적 분석을 통한 정확한 법률적 검토가 필요한 의료소송에 특화돼 있다.의료법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재판 경험을 토대로 변호사 시절에도 의료분쟁 사건을 주로 맡았으며, 각종 형사·민사·행정 분야가 복잡하게 얽힌 의료분쟁 사건을 신속하게 해결하는 의료전문변호사로 정평이 나 있다.이 외에도 기업·개인회생, 지적재산, 각종 손해배상, 민·형사 등을 담당하며 그 능력을 인정받았다.오경록 변호사는 "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맡아왔다"면서 "앞으로 대륜에서 의료소송과 관련해 최적의 대응 해법을 찾아 제시하겠다. 그리고 의뢰인에게 적합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변호사를 영입하고 있다"며 "특히 의료소송 같은 경우에 복잡한 법률 사건으로 얽힐 수 있기에 다양한 경험을 보유한 오 변호사의 합류는 대륜의 그룹 역량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대형 로펌으로 550인 이상의 전문가단으로 구성돼 있다. [기사전문보기]머니투데이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의료분쟁 특화"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 특화’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법률신문-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 강화한다"...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 특화’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등 4곳
2024-06-11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의료분쟁 특화"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의료분쟁 특화"
서울중앙지방법원 등 활약… 의료분쟁 전문성 강화 초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판사 출신의 오경록 변호사를 영입하고, 의료 분야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오경록 변호사는 울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뒤 수원지법 여주지원, 서울중앙지방법원을 거쳐 서울동부지방법원 판사로 재직했다. 서울중앙지법, 서울동부지법에서는 의료, 부동산 사건을 전담했으며, 특히 의학적 분석을 통한 정확한 법률적 검토가 필요한 의료소송에 특화돼 있다.의료법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재판 경험을 토대로 변호사 시절에도 의료분쟁 사건을 주로 맡았으며, 각종 형사·민사·행정 분야가 복잡하게 얽힌 의료분쟁 사건을 신속하게 해결하는 의료전문변호사로 정평이 나 있다.이 외에도 기업·개인회생, 지적재산, 각종 손해배상, 민·형사 등을 담당하며 그 능력을 인정받았다.오경록 변호사는 "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맡아왔다"면서 "앞으로 대륜에서 의료소송과 관련해 최적의 대응 해법을 찾아 제시하겠다. 그리고 의뢰인에게 적합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변호사를 영입하고 있다"며 "특히 의료소송 같은 경우에 복잡한 법률 사건으로 얽힐 수 있기에 다양한 경험을 보유한 오 변호사의 합류는 대륜의 그룹 역량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대형 로펌으로 550인 이상의 전문가단으로 구성돼 있다. [기사전문보기]머니투데이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의료분쟁 특화" (바로가기)세계일보 -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 특화’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법률신문-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 강화한다"...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의료분쟁 특화’ 판사 출신 오경록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6-07
밀양 성폭행 피해자 반박 "가해자 44명 공개 동의한 적 없다"
밀양 성폭행 피해자 반박 "가해자 44명 공개 동의한 적 없다"
유튜브 채널, 밀양 성폭행 가해자 순차적 공개나락 보관소 측 "피해자 가족과 공개 결론"피해자 지원단체 "영상 공개 전 알지 못했다""44명 공개 동의한 바 없고 삭제요청한 상태" "2004년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측은 유튜브 채널 '나락 보관소'가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에 대해 첫 영상을 게시하기 전까지 해당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고 사전 동의를 받은 바도 없습니다."앞서 유튜버 '나락 보관소'가 밀양 여중생 성폭행 사건에 가담한 44명의 가해자를 모두 공개하겠다고 발표하며 가해자 공개에 대해 피해자 가족에게 허락받았다고 밝힌 것을 공식 반박한 것이다.5일 '나락 보관소'는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제게 '(가해자 공개에 대해) 피해자에게 허락을 구했냐'고 질문하는 분들이 많다"며 "피해자 가족 측과 직접 메일로 대화 나눴고 44명 모두 공개하는 쪽으로 결론이 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에 밀양 피해자 지원단체 중 한 곳인 한국성폭력상담소는 보도자료를 내고 "해당 채널에서 피해자 가족 측과 직접 메일로 대화를 나눴고 가해자를 공개하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한국성폭력상담소는 "피해자 측은 첫 영상이 게시되기 전까지 해당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면서 "영상 업로드된 후 지난 3일 영상 삭제 요청을 했다"고 강조했다.이어 "피해자 가족이 동의해 44명 모두 공개하기로 했다는 공지에 대해 삭제, 수정할 것을 재차 요청했으나 (채널 측이) 정정하지 않고 있다"면서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피해자 측은 피해자의 일상 회복, 피해자의 의사 존중과 거리가 먼 일방적인 영상 업로드와 조회수 경주에 당황스럽다"고 우려했다.그러면서 "'나락 보관소'는 피해자 가족이 동의했다는 공지를 삭제하고 상황을 바로잡기를 바란다"고 재차 요구했다. 이런 입장이 사실이라면 '나락 보관'소 측은 피해자의 동의를 받지 않고 가해자 신상을 연속적으로 올리며 해당 사건을 재조명한 셈이 된다. '나락 보관소'는 아랑곳없이 이날도 '밀양 사건 옹호자, 아이 2명 낳고 평범하게 사는 삶'이란 제목의 영상을 업로드했다. 이 여성은 해당 사건의 2차 가해자로 알려진 여성이다. 이는 백종원이 다녀간 유명 국밥집 직원, 볼보 판매원으로 일하던 가해자에 이어 3번째 영상이다. 해당 식당은 현재 파업했고 볼보는 해당 직원을 해고조치 했다.피해자 측의 동의 없이 해당 유튜브 채널이 일방적으로 가해자를 공개하며 사회적 공분을 이끌어 낸 것은 사적 보복을 자행하며 피해자를 향해 2차 가해를 가하는 것과 다름아니다.피해자가 사건을 잊고 일상생활로 복귀하는데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는 사회적 반향이 오히려 방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나창수 법무법인 대륜 총괄변호사는 "국민들이 생각하는 정당한 처벌 수준과 국가의 실제 처벌 수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경우 이 간극을 사적 제재로 채우려는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왜 이런 간극이 생겼는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면서도 "사적 보복이 다양한 미디어 수단의 발생으로 상업적 목적으로 이를 이용될 수 있다는 점과 사건 내용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억울한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한편 밀양 성폭행 사건은 지난 2004년 44명의 남학생이 여중생을 1년간 집단으로 성폭행한 사건이다. 당시 검찰은 성폭행에 직접 가담한 가해자 10명을 기소했고 기소된 이들은 보호관찰 처분 등을 받았다. 20명은 소년부에 송치하거나 풀어줬다. 나머지 14명은 합의로 공소권 상실 처리를 받았다.44명 중 단 한 명도 처벌받지 않아 전과기록이 남지 않으면서 국민적 공분을 샀다. 다음은 한국성폭력상담소 입장문 전문.1. 귀 언론사에 인권과 평등의 인사를 드립니다.2. 한국성폭력상담소는 2004년 밀양에서 발생한 청소년 성폭력 사건, 최근 유튜브 가 성폭력 가해자들을 공개하고 있는 사건 피해자 지원단체 중 한 기관입니다.3. 유튜브 가 2024년 6월 5일 “피해자 가족 측과 직접 메일로 대화 나눴고 44명 모두 공개하는 쪽으로 결론이 난 상태입니다.” 라고 쓴 공지는 사실과 다릅니다.2004년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은 가 ‘밀양 집단 성폭력 사건’에 대해 첫 영상을 게시하기 전까지 해당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고 사전 동의를 질문받은 바도 없습니다.해당 영상이 업로드된 후 6월 3일 영상 삭제 요청을 했습니다. 피해자와 가족측은 향후 44명 모두 공개하는 방향에 동의한 바 없습니다.4. 피해자 가족이 동의하여 44명 모두 공개하기로 했다는 공지에 대해 삭제, 수정할 것을 재차 요청했으나 정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시각 여러 언론에 "밀양 가해자 44명 전원공개, 피해자 가족과 합의", "밀양 성폭행범 44명 신상공개, 피해자 가족이 원한다", "밀양 가해자 44명 모두 공개 예정, 피해자 가족이 허락", "피해자 허락 구했다... 가해자 44명 모두 공개" 등 사실과 다른 내용이 게재되어 있습니다.5.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피해자 측은 피해자의 일상회복, 피해자의 의사존중과 거리가 먼, 갑자기 등장한 일방적 영상업로드와 조회수 경주에 당황스러움과 우려를 표합니다.6. 는 피해자 가족이 동의했다는 공지를 삭제 정정하고, 오인되는 상황을 즉시 바로 잡기 바랍니다.7. 언론에서도 이와 같은 피해자 측의 의사를 고려하여 영상을 바탕으로 한 자극적 형태의 보도를 자제해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기사전문보기] - 밀양 성폭행 피해자 반박 "가해자 44명 공개 동의한 적 없다" [전문] (바로가기)
한국경제
2024-06-07
밀양 성폭행 피해자 반박 "가해자 44명 공개 동의한 적 없다"
밀양 성폭행 피해자 반박 "가해자 44명 공개 동의한 적 없다"
유튜브 채널, 밀양 성폭행 가해자 순차적 공개나락 보관소 측 "피해자 가족과 공개 결론"피해자 지원단체 "영상 공개 전 알지 못했다""44명 공개 동의한 바 없고 삭제요청한 상태" "2004년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측은 유튜브 채널 '나락 보관소'가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에 대해 첫 영상을 게시하기 전까지 해당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고 사전 동의를 받은 바도 없습니다."앞서 유튜버 '나락 보관소'가 밀양 여중생 성폭행 사건에 가담한 44명의 가해자를 모두 공개하겠다고 발표하며 가해자 공개에 대해 피해자 가족에게 허락받았다고 밝힌 것을 공식 반박한 것이다.5일 '나락 보관소'는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제게 '(가해자 공개에 대해) 피해자에게 허락을 구했냐'고 질문하는 분들이 많다"며 "피해자 가족 측과 직접 메일로 대화 나눴고 44명 모두 공개하는 쪽으로 결론이 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에 밀양 피해자 지원단체 중 한 곳인 한국성폭력상담소는 보도자료를 내고 "해당 채널에서 피해자 가족 측과 직접 메일로 대화를 나눴고 가해자를 공개하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한국성폭력상담소는 "피해자 측은 첫 영상이 게시되기 전까지 해당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면서 "영상 업로드된 후 지난 3일 영상 삭제 요청을 했다"고 강조했다.이어 "피해자 가족이 동의해 44명 모두 공개하기로 했다는 공지에 대해 삭제, 수정할 것을 재차 요청했으나 (채널 측이) 정정하지 않고 있다"면서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피해자 측은 피해자의 일상 회복, 피해자의 의사 존중과 거리가 먼 일방적인 영상 업로드와 조회수 경주에 당황스럽다"고 우려했다.그러면서 "'나락 보관소'는 피해자 가족이 동의했다는 공지를 삭제하고 상황을 바로잡기를 바란다"고 재차 요구했다. 이런 입장이 사실이라면 '나락 보관'소 측은 피해자의 동의를 받지 않고 가해자 신상을 연속적으로 올리며 해당 사건을 재조명한 셈이 된다. '나락 보관소'는 아랑곳없이 이날도 '밀양 사건 옹호자, 아이 2명 낳고 평범하게 사는 삶'이란 제목의 영상을 업로드했다. 이 여성은 해당 사건의 2차 가해자로 알려진 여성이다. 이는 백종원이 다녀간 유명 국밥집 직원, 볼보 판매원으로 일하던 가해자에 이어 3번째 영상이다. 해당 식당은 현재 파업했고 볼보는 해당 직원을 해고조치 했다.피해자 측의 동의 없이 해당 유튜브 채널이 일방적으로 가해자를 공개하며 사회적 공분을 이끌어 낸 것은 사적 보복을 자행하며 피해자를 향해 2차 가해를 가하는 것과 다름아니다.피해자가 사건을 잊고 일상생활로 복귀하는데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는 사회적 반향이 오히려 방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나창수 법무법인 대륜 총괄변호사는 "국민들이 생각하는 정당한 처벌 수준과 국가의 실제 처벌 수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경우 이 간극을 사적 제재로 채우려는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왜 이런 간극이 생겼는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면서도 "사적 보복이 다양한 미디어 수단의 발생으로 상업적 목적으로 이를 이용될 수 있다는 점과 사건 내용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억울한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한편 밀양 성폭행 사건은 지난 2004년 44명의 남학생이 여중생을 1년간 집단으로 성폭행한 사건이다. 당시 검찰은 성폭행에 직접 가담한 가해자 10명을 기소했고 기소된 이들은 보호관찰 처분 등을 받았다. 20명은 소년부에 송치하거나 풀어줬다. 나머지 14명은 합의로 공소권 상실 처리를 받았다.44명 중 단 한 명도 처벌받지 않아 전과기록이 남지 않으면서 국민적 공분을 샀다. 다음은 한국성폭력상담소 입장문 전문.1. 귀 언론사에 인권과 평등의 인사를 드립니다.2. 한국성폭력상담소는 2004년 밀양에서 발생한 청소년 성폭력 사건, 최근 유튜브 가 성폭력 가해자들을 공개하고 있는 사건 피해자 지원단체 중 한 기관입니다.3. 유튜브 가 2024년 6월 5일 “피해자 가족 측과 직접 메일로 대화 나눴고 44명 모두 공개하는 쪽으로 결론이 난 상태입니다.” 라고 쓴 공지는 사실과 다릅니다.2004년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은 가 ‘밀양 집단 성폭력 사건’에 대해 첫 영상을 게시하기 전까지 해당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고 사전 동의를 질문받은 바도 없습니다.해당 영상이 업로드된 후 6월 3일 영상 삭제 요청을 했습니다. 피해자와 가족측은 향후 44명 모두 공개하는 방향에 동의한 바 없습니다.4. 피해자 가족이 동의하여 44명 모두 공개하기로 했다는 공지에 대해 삭제, 수정할 것을 재차 요청했으나 정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시각 여러 언론에 "밀양 가해자 44명 전원공개, 피해자 가족과 합의", "밀양 성폭행범 44명 신상공개, 피해자 가족이 원한다", "밀양 가해자 44명 모두 공개 예정, 피해자 가족이 허락", "피해자 허락 구했다... 가해자 44명 모두 공개" 등 사실과 다른 내용이 게재되어 있습니다.5.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피해자 측은 피해자의 일상회복, 피해자의 의사존중과 거리가 먼, 갑자기 등장한 일방적 영상업로드와 조회수 경주에 당황스러움과 우려를 표합니다.6. 는 피해자 가족이 동의했다는 공지를 삭제 정정하고, 오인되는 상황을 즉시 바로 잡기 바랍니다.7. 언론에서도 이와 같은 피해자 측의 의사를 고려하여 영상을 바탕으로 한 자극적 형태의 보도를 자제해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기사전문보기] - 밀양 성폭행 피해자 반박 "가해자 44명 공개 동의한 적 없다" [전문]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6-07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원에스엔피와 기업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원에스엔피와 기업자문 MOU 체결
대륜, 금융 전문 법률적 분쟁 해소 위한 서비스 제공할 방침변호사·회계사·세무사 등 전문가들, 기업 운영 자문 서비스 제공할 예정김연숙 대표 "전문변호사들이 전담팀 구성해 대응…높은 신뢰도 가져"김국일 대표 "다양한 분야의 법률서비스, 원스톱 시스템으로 지원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 금융법무그룹이 (주)원에스엔피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지난 4일 여의도 대륜 본사 세미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이광수 변호사, (주)원에스엔피 김연숙 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주)원에스엔피는 신협중앙회 대출 모집 등과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금융 전문 및 법률적 분쟁 해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관련 분야 전문가가 기업 운영 전반에 관한 자문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은 법원·검찰금융조사부·공정위 출신 금융전문변호사TF팀이 금융소송·기업금융·공정거래 등 모든 금융 사건에 대해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주)원에스엔피 김연숙 대표는 "금융 및 기업 운영 등에 있어 지속적인 법률자문이 필요했다"며 "대륜은 각 분야에서 전문변호사들이 전담팀을 구성하여 대응해주기 때문에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3~20인이 전담팀으로 구성되어 움직인다는 것 자체가 대륜의 업무 능력을 보여주는 일례"라며 "원에스엔피가 원활한 업무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법률서비스를 원스톱 시스템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고, 다수의 기업과 MOU를 체결하며 활동을 넓혀나가고 있다. 아울러 기업법무와 금융, 금융, 의료, 국방군사 등 각 그룹에 대한 확대를 개편하는 중에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원에스엔피와 기업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6-07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원에스엔피와 기업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원에스엔피와 기업자문 MOU 체결
대륜, 금융 전문 법률적 분쟁 해소 위한 서비스 제공할 방침변호사·회계사·세무사 등 전문가들, 기업 운영 자문 서비스 제공할 예정김연숙 대표 "전문변호사들이 전담팀 구성해 대응…높은 신뢰도 가져"김국일 대표 "다양한 분야의 법률서비스, 원스톱 시스템으로 지원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 금융법무그룹이 (주)원에스엔피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지난 4일 여의도 대륜 본사 세미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이광수 변호사, (주)원에스엔피 김연숙 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주)원에스엔피는 신협중앙회 대출 모집 등과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금융 전문 및 법률적 분쟁 해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관련 분야 전문가가 기업 운영 전반에 관한 자문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법무법인 대륜 금융법무그룹은 법원·검찰금융조사부·공정위 출신 금융전문변호사TF팀이 금융소송·기업금융·공정거래 등 모든 금융 사건에 대해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주)원에스엔피 김연숙 대표는 "금융 및 기업 운영 등에 있어 지속적인 법률자문이 필요했다"며 "대륜은 각 분야에서 전문변호사들이 전담팀을 구성하여 대응해주기 때문에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3~20인이 전담팀으로 구성되어 움직인다는 것 자체가 대륜의 업무 능력을 보여주는 일례"라며 "원에스엔피가 원활한 업무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법률서비스를 원스톱 시스템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고, 다수의 기업과 MOU를 체결하며 활동을 넓혀나가고 있다. 아울러 기업법무와 금융, 금융, 의료, 국방군사 등 각 그룹에 대한 확대를 개편하는 중에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원에스엔피와 기업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06-07
이혼해도 혼인 무효 가능…충분한 법적 준비 필요
이혼해도 혼인 무효 가능…충분한 법적 준비 필요
-현병희 법무법인(유한) 대륜 최고총괄변호사 법률칼럼이혼, 부부가 합의 또는 재판으로 혼인 관계를 인위적으로 해소시키는 것을 뜻한다. 아름답게 찍었다고 생각했던 웨딩 촬영과 사진, 그간의 기억과 시간을 사회적인 규율로 지우는 행위로 이해하면 되겠다. 그런데 이 이혼이란 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 더구나 이혼이 아니라, 이혼 후의 혼인 자체를 무효로 한다면 더더욱. 어렵게만 보이던 이혼 후 '혼인 무효'가 앞으로는 가능해진다. 지난달 23일 이미 이혼했더라도 혼인 무효 처분을 할 수 있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단이 나왔다. 부부가 이미 이혼했다면 혼인 무효 처분을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던 대법원 판례가 40년 만에 변경된 것이므로 이목이 집중되는 건 당연한 사안이겠다.혼인 무효는 처음부터 혼인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혼은 이혼 후에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혼 전 혼인을 전제로 발생한 법률관계는 여전히 유효하다. 따라서 혼인 무효와 이혼의 법적 효과가 다르므로 이혼 후에도 혼인관계가 무효임을 확인할 실익이 존재할 수 있다. 혼인이 무효라면 민법상 인척간의 혼인금지 규정 및 형법상 친족상도례 규정이 적용되지 않으며, 민법상 일상가사채무에 대한 연대책임도 물을 수 없게 된다.이번 판결은 이혼 후 혼인 무효 확인 청구에 대하여 포괄적 법률분쟁을 한 번에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확인의 이익을 긍정해 무효인 혼인 전력이 잘못 기재된 가족관계등록부를 정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등 법률생활과 관련된 분쟁을 실질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당사자의 권리구제방법을 확대하였다는 아주 의미있는 판결이라 할 수 있다.혼인 무효가 가능해지면,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사람'으로 지위를 회복할 수 있다. 애초에 혼인을 한 적이 없던 것이 되기에 법적인 관계조차 소멸되어 다양한 법적 분쟁으로부터 좀 더 자유로워진다. 그리고 혼인 기록 때문에 누리지 못했던 다양한 복지 및 지원 사업 등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싱글대디와 싱글맘은 물론, 부정한 방식으로 혼인과 이혼을 한 이들에게 사회적 활동과 그 권리를 보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다만 이혼과 혼인 무효는 법적 효과가 다르다는 판단 하에, 이번 판결을 혼인 무효 확인을 구할 법적 이익이 있다고 결론지은 것이다. 혼인 무효 사유는 매우 제한적일 뿐더러 이번 사례가 그 사유를 폭넓게 인정한 것은 아닌 점을 꼭 숙지해야만 한다.하나의 예로 최근 유명 연예인 A씨가 B씨와 이혼 이후 혼인 무효 소송을 진행한 바 있다. 상대방인 B씨가 사실혼 관계에 있었던 여자의 존재를 숨긴 것이 주요 사유인데, A씨는 '속이고 결혼한 것이기에 혼인 취소'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존의 판례라면 이혼 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새롭게 혼인 취소하여 실익을 구할 게 있는가라는 의문이 든다. 하지만 이번 판결로 법원이 '법적 실익 있을 수 있다'라고 판단할 수 있기에 A씨의 무효 소송에 승소의 가능 여부를 주목할 수밖에 없다.이처럼 혼인 무효 청구 소송은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 한해 진행할 수 있는 점과 더불어, 법률상 이익이 발생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세부 사항과 각각의 사례를 살펴봐야 하는 점에서 전문변호사를 선임하여 충분한 준비와 상담을 해야만 한다.이혼 후에도 혼인 무효 소송을 청구할 수 있다는 구체적인 사례가 나타났다. 실타래처럼 엉키고 조각나고 삐뚤어졌던 기억을 다시금 맞출 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이다. 미소 짓고 찍었던 그날의 웨딩 촬영과 카메라 셔터를 '재차' 용기 있게 바라볼 날이 머지않았다. [기사전문보기] - 이혼해도 혼인 무효 가능…충분한 법적 준비 필요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06-07
이혼해도 혼인 무효 가능…충분한 법적 준비 필요
이혼해도 혼인 무효 가능…충분한 법적 준비 필요
-현병희 법무법인(유한) 대륜 최고총괄변호사 법률칼럼이혼, 부부가 합의 또는 재판으로 혼인 관계를 인위적으로 해소시키는 것을 뜻한다. 아름답게 찍었다고 생각했던 웨딩 촬영과 사진, 그간의 기억과 시간을 사회적인 규율로 지우는 행위로 이해하면 되겠다. 그런데 이 이혼이란 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 더구나 이혼이 아니라, 이혼 후의 혼인 자체를 무효로 한다면 더더욱. 어렵게만 보이던 이혼 후 '혼인 무효'가 앞으로는 가능해진다. 지난달 23일 이미 이혼했더라도 혼인 무효 처분을 할 수 있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단이 나왔다. 부부가 이미 이혼했다면 혼인 무효 처분을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던 대법원 판례가 40년 만에 변경된 것이므로 이목이 집중되는 건 당연한 사안이겠다.혼인 무효는 처음부터 혼인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혼은 이혼 후에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혼 전 혼인을 전제로 발생한 법률관계는 여전히 유효하다. 따라서 혼인 무효와 이혼의 법적 효과가 다르므로 이혼 후에도 혼인관계가 무효임을 확인할 실익이 존재할 수 있다. 혼인이 무효라면 민법상 인척간의 혼인금지 규정 및 형법상 친족상도례 규정이 적용되지 않으며, 민법상 일상가사채무에 대한 연대책임도 물을 수 없게 된다.이번 판결은 이혼 후 혼인 무효 확인 청구에 대하여 포괄적 법률분쟁을 한 번에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확인의 이익을 긍정해 무효인 혼인 전력이 잘못 기재된 가족관계등록부를 정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등 법률생활과 관련된 분쟁을 실질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당사자의 권리구제방법을 확대하였다는 아주 의미있는 판결이라 할 수 있다.혼인 무효가 가능해지면,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사람'으로 지위를 회복할 수 있다. 애초에 혼인을 한 적이 없던 것이 되기에 법적인 관계조차 소멸되어 다양한 법적 분쟁으로부터 좀 더 자유로워진다. 그리고 혼인 기록 때문에 누리지 못했던 다양한 복지 및 지원 사업 등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싱글대디와 싱글맘은 물론, 부정한 방식으로 혼인과 이혼을 한 이들에게 사회적 활동과 그 권리를 보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다만 이혼과 혼인 무효는 법적 효과가 다르다는 판단 하에, 이번 판결을 혼인 무효 확인을 구할 법적 이익이 있다고 결론지은 것이다. 혼인 무효 사유는 매우 제한적일 뿐더러 이번 사례가 그 사유를 폭넓게 인정한 것은 아닌 점을 꼭 숙지해야만 한다.하나의 예로 최근 유명 연예인 A씨가 B씨와 이혼 이후 혼인 무효 소송을 진행한 바 있다. 상대방인 B씨가 사실혼 관계에 있었던 여자의 존재를 숨긴 것이 주요 사유인데, A씨는 '속이고 결혼한 것이기에 혼인 취소'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존의 판례라면 이혼 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새롭게 혼인 취소하여 실익을 구할 게 있는가라는 의문이 든다. 하지만 이번 판결로 법원이 '법적 실익 있을 수 있다'라고 판단할 수 있기에 A씨의 무효 소송에 승소의 가능 여부를 주목할 수밖에 없다.이처럼 혼인 무효 청구 소송은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 한해 진행할 수 있는 점과 더불어, 법률상 이익이 발생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세부 사항과 각각의 사례를 살펴봐야 하는 점에서 전문변호사를 선임하여 충분한 준비와 상담을 해야만 한다.이혼 후에도 혼인 무효 소송을 청구할 수 있다는 구체적인 사례가 나타났다. 실타래처럼 엉키고 조각나고 삐뚤어졌던 기억을 다시금 맞출 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이다. 미소 짓고 찍었던 그날의 웨딩 촬영과 카메라 셔터를 '재차' 용기 있게 바라볼 날이 머지않았다. [기사전문보기] - 이혼해도 혼인 무효 가능…충분한 법적 준비 필요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06-05
공정거래법 공정거래변호사 공정거래법변호사 부정경쟁방지법
법무법인 대륜, 공정거래그룹 강화…공정위 대응 경험 풍부한 전문가 포진
공정위 공정거래분쟁조정협 위원, 대기업 공정거래 자율준수 관리 등 경험금융조사부 전담한 부장검사 출신도…기업 국내외 공정거래 이슈 효과적 대응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이 국내외 공정거래 사건에 특화된 공정거래그룹을 강화한다고 5일 밝혔다.대륜 공정거래그룹은 기업의 공정거래 이슈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고객사의 법률리스크를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대륜 공정거래그룹의 중심 인물로는 기업법무그룹장인 원형일(사법연수원28기),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위원 출신 현병희(사법연수원25기) 변호사가 있다.포스코홀딩스(前 포스코) 법무실 상무·법무실장, 포스코퓨처엠(前 포스코케미칼) 법무실장 전무를 지낸 원 변호사는 법무실 재직 당시 다수의 기업소송을 다룬 경험이 있다.원 변호사는 회사 현업부서에 공정거래법,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법 등 준법 교육, 계약서 검토 및 법률자문 등 관리·감독 활동을 했다. 구체적으로 협력회사와의 계약체결부터 이행완료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별 사전 모니터링, 해외 투자 관련 현지 법률 위반 여부 사전 검토 및 사후 대응 등 기업법무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다.특히, 원 변호사는 준법지원인, 공정거래자율준수관리자를 담당하기도 했다. 그는 포스코홀딩스 등에서 기업의 전반적인 법률문제를 검토하였으며 공정거래자율준수관리자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운영 총괄을 맡았다.공정위에서 관리하는 자율준수 프로그램은 운영이 잘되고 있는 기업에 좋은 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며, 등급에 따라 공정위 직권조사 면제 등의 혜택이 있어 많은 기업들이 운영하고 있는 제도다.공정위 공정거래분쟁조정협의회 위원을 2기 연속으로 맡은 현 변호사는 공정거래 이슈에 대한 실무를 직접 경험, 공정거래 전문가로 정평이 나 있다. 증권·금융쪽으로도 특화된 변호사로 기업 간 양수금·공탁금출급청구권 확인 소송 등을 맡아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그룹 내에는 기업의 공정거래 관련 분쟁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업변호사를 비롯해 법원·검찰 출신 공정거래 전문 변호사, 금융전문변호사 등 다분야 전문가가 포진해 있다.부장검사 출신으로는 검찰 금융조사부에서 오랜 기간 활약했던 김인원(사법연수원21기) 변호사가 공정거래 관련 형사사건을 총괄할 계획이다.대기업 법무팀장·총괄본부장을 거쳐 불공정거래·거래내부정보이용 등 사건을 다수 처리한 최한식(사법연수원30기) 변호사, 아우디 코리아, 한독상공회의소, MAN트럭버스 코리아 등 기업 법률자문에 능통한 장문규(사법연수원33기) 변호사, LG전자·코카콜라·농협유통 등 다수 기업에 대한 법률자문 및 공정거래 업무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김유정 변호사, 국제법에 능통한 손미리, 심수진 변호사, 관세사 자격을 보유한 김단하 변호사 등이 합류했다.다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대륜 공정거래그룹은 기업 공정거래 이슈와 더불어 글로벌 공정거래 사건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특히 공정위 전 단계 공정거래 검찰 수사 등을 대비한 공정거래형사팀도 운영한다.공정위는 최근 △반도체 제조 관련 입찰 담합 사건에 수백 억의 과징금 부과 △의료기기 유통 시장 불공정 행위에 대한 실태조사 착수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 도입 필요성을 강조 등 갑질, 불법행위에 더 엄격한 제재를 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륜에서도 이에 대한 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산업 관련 불법행위로 제재를 받기 이전 예방활동을 진행해 법무이슈에 지속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사후 대응책 마련을 위해 대응 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는 "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변호사가 공정거래 이슈 대응에도 효과적으로 나설 수 있다"며 "기업법무그룹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기업법무그룹장으로서 인재 영입에도 좀 더 신경을 쓸 예정"이라고 설명했다.한편,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한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하였으며, 본사 이전을 시작으로 국내 분사무소 확장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정거래그룹 강화…공정위 대응 경험 풍부한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공정거래그룹 강화…공정위 대응 경험 풍부 (바로가기)
조세일보 등 2곳
2024-06-05
공정거래법 공정거래변호사 공정거래법변호사 부정경쟁방지법
법무법인 대륜, 공정거래그룹 강화…공정위 대응 경험 풍부한 전문가 포진
공정위 공정거래분쟁조정협 위원, 대기업 공정거래 자율준수 관리 등 경험금융조사부 전담한 부장검사 출신도…기업 국내외 공정거래 이슈 효과적 대응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김국일)이 국내외 공정거래 사건에 특화된 공정거래그룹을 강화한다고 5일 밝혔다.대륜 공정거래그룹은 기업의 공정거래 이슈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고객사의 법률리스크를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대륜 공정거래그룹의 중심 인물로는 기업법무그룹장인 원형일(사법연수원28기),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위원 출신 현병희(사법연수원25기) 변호사가 있다.포스코홀딩스(前 포스코) 법무실 상무·법무실장, 포스코퓨처엠(前 포스코케미칼) 법무실장 전무를 지낸 원 변호사는 법무실 재직 당시 다수의 기업소송을 다룬 경험이 있다.원 변호사는 회사 현업부서에 공정거래법,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법 등 준법 교육, 계약서 검토 및 법률자문 등 관리·감독 활동을 했다. 구체적으로 협력회사와의 계약체결부터 이행완료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별 사전 모니터링, 해외 투자 관련 현지 법률 위반 여부 사전 검토 및 사후 대응 등 기업법무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다.특히, 원 변호사는 준법지원인, 공정거래자율준수관리자를 담당하기도 했다. 그는 포스코홀딩스 등에서 기업의 전반적인 법률문제를 검토하였으며 공정거래자율준수관리자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운영 총괄을 맡았다.공정위에서 관리하는 자율준수 프로그램은 운영이 잘되고 있는 기업에 좋은 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며, 등급에 따라 공정위 직권조사 면제 등의 혜택이 있어 많은 기업들이 운영하고 있는 제도다.공정위 공정거래분쟁조정협의회 위원을 2기 연속으로 맡은 현 변호사는 공정거래 이슈에 대한 실무를 직접 경험, 공정거래 전문가로 정평이 나 있다. 증권·금융쪽으로도 특화된 변호사로 기업 간 양수금·공탁금출급청구권 확인 소송 등을 맡아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그룹 내에는 기업의 공정거래 관련 분쟁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업변호사를 비롯해 법원·검찰 출신 공정거래 전문 변호사, 금융전문변호사 등 다분야 전문가가 포진해 있다.부장검사 출신으로는 검찰 금융조사부에서 오랜 기간 활약했던 김인원(사법연수원21기) 변호사가 공정거래 관련 형사사건을 총괄할 계획이다.대기업 법무팀장·총괄본부장을 거쳐 불공정거래·거래내부정보이용 등 사건을 다수 처리한 최한식(사법연수원30기) 변호사, 아우디 코리아, 한독상공회의소, MAN트럭버스 코리아 등 기업 법률자문에 능통한 장문규(사법연수원33기) 변호사, LG전자·코카콜라·농협유통 등 다수 기업에 대한 법률자문 및 공정거래 업무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김유정 변호사, 국제법에 능통한 손미리, 심수진 변호사, 관세사 자격을 보유한 김단하 변호사 등이 합류했다.다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대륜 공정거래그룹은 기업 공정거래 이슈와 더불어 글로벌 공정거래 사건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특히 공정위 전 단계 공정거래 검찰 수사 등을 대비한 공정거래형사팀도 운영한다.공정위는 최근 △반도체 제조 관련 입찰 담합 사건에 수백 억의 과징금 부과 △의료기기 유통 시장 불공정 행위에 대한 실태조사 착수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 도입 필요성을 강조 등 갑질, 불법행위에 더 엄격한 제재를 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륜에서도 이에 대한 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산업 관련 불법행위로 제재를 받기 이전 예방활동을 진행해 법무이슈에 지속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사후 대응책 마련을 위해 대응 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는 "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변호사가 공정거래 이슈 대응에도 효과적으로 나설 수 있다"며 "기업법무그룹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기업법무그룹장으로서 인재 영입에도 좀 더 신경을 쓸 예정"이라고 설명했다.한편,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한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하였으며, 본사 이전을 시작으로 국내 분사무소 확장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공정거래그룹 강화…공정위 대응 경험 풍부한 전문가 포진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공정거래그룹 강화…공정위 대응 경험 풍부 (바로가기)
뉴스핌
2024-06-04
[기고] 부동산 전세사기 피해 예방 실전 가이드
[기고] 부동산 전세사기 피해 예방 실전 가이드
법무법인 대륜 김정범 변호사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해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대신 변제해 주는 전세 보증사고 규모가 작년 한 해 4조3347억원을 기록했다고 한다. 내가 일하는 대전도 마찬가지로 작년부터 전세 사기 사건이 급증했고, 현재 진행 중인 사건 목록을 보면 대전에서 유명한 전세 사기 가해자들을 물론이고 여러 임대인과 공인중개사, 한국공인중개사협회를 상대로 한 각종 소송을 직접 진행하고 있다.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제도적 해결 방법론에 대해 구조적이고도 지속적인 사회적 논의가 당연히 필요하지만, 지극히 구체적인 현실을 살아가는 개인에게는 "전세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한 실전 가이드"가 시급하게 필요해 보인다. 소송을 진행하고 계약서 자문을 하며 아쉬웠던 점을 중심으로 당장의 쓸모 있는 피해 예방 가이드를 거래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거래 단계 이전'이라면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 확인"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임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목적물이 공동소유일 경우, 공유자 전원의 의사 확인이 명시적으로 필요하다. 만약 공유자 중 1인이 나오거나, 공유자들이 모두 나오지 않을 경우, 대리 계약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이 필요하다(위임장, 인감증명서의 위조 여부 확인하여야 하고 가능한, 직접 임대인과 공인중개사 사무소 현장에서 전세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다). 또한, 선순위 보증금 채권 존재(전입세대 열람내역서도 반드시 확인하시기를 바람), 근저당권 설정 등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 향후 해당 부동산 목적물이 종국적으로 경매 단계에 이르렀을 때, 나의 소중한 전세금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는지 계산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공인중개사를 통해 임대인의 세금 체납 여부를 확인하여, 전세 계약 체결일에 임대인 측으로부터 미납 국세·지방세 내용을 열람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계약서 작성 등 거래 단계'에 돌입했다면, 각종 특약을 계약서 내용에 포함시킴으로써 각종 '안전장치'를 마련해두는 것이 중요한데, 그 내용으로 ① 잔금 지급일 이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등으로 대항력 발생하기 전까지 해당 부동산 목적물의 양도를 금지하는 특약(이를 위배할 경우 임차인 측의 전세 계약 해지권 유보 및 손해배상액의 예정), ② 위와 같이 소유권 변동에 일시적 제한과 더불어, 저당권 등 담보권 일체 설정을 금지하는 특약(우선변제권을 확보하기 위함), ③ 목적물 하자로 인한 전세자금 대출이 불가능할 경우, 그 귀책 사유를 임대인에게 묻는 특약, ④ 세금 체납이 있을 경우, 잔금일 이전까지 이를 모두 상환하고 이를 위배할 경우 전세 계약을 무효로 하고 그 계약금의 배액을 배상하는 내용의 특약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거래 단계를 종료'하였다면, 전세 계약 체결 당일 즉시 전입신고와 함께 확정일자를 부여받아야 한다. 그리고 가능한 은행을 통해 전세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길 바란다. 그래도 무엇인가 미심쩍은 마음이 들면 변호사에게 적극적으로 상담받기를 권한다. 내 재산 중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전세금을 교부하면서 각종 안전장치를 달지 않는다면, 생면부지의 사람에게 내 재산을 마냥 호의에 기대어 맡기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김정범 변호사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대법원, 전주지방법원 국선변호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국선대리인- 한국 형사소송법학회 이사- 한국 행정법학회 운영이사- 대전청년내일센터 상담위원- 광주고등검찰청 영장심의위원회 위원 [기사전문보기] - [기고] 부동산 전세사기 피해 예방 실전 가이드
뉴스핌
2024-06-04
[기고] 부동산 전세사기 피해 예방 실전 가이드
[기고] 부동산 전세사기 피해 예방 실전 가이드
법무법인 대륜 김정범 변호사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해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대신 변제해 주는 전세 보증사고 규모가 작년 한 해 4조3347억원을 기록했다고 한다. 내가 일하는 대전도 마찬가지로 작년부터 전세 사기 사건이 급증했고, 현재 진행 중인 사건 목록을 보면 대전에서 유명한 전세 사기 가해자들을 물론이고 여러 임대인과 공인중개사, 한국공인중개사협회를 상대로 한 각종 소송을 직접 진행하고 있다.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제도적 해결 방법론에 대해 구조적이고도 지속적인 사회적 논의가 당연히 필요하지만, 지극히 구체적인 현실을 살아가는 개인에게는 "전세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한 실전 가이드"가 시급하게 필요해 보인다. 소송을 진행하고 계약서 자문을 하며 아쉬웠던 점을 중심으로 당장의 쓸모 있는 피해 예방 가이드를 거래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거래 단계 이전'이라면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 확인"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임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목적물이 공동소유일 경우, 공유자 전원의 의사 확인이 명시적으로 필요하다. 만약 공유자 중 1인이 나오거나, 공유자들이 모두 나오지 않을 경우, 대리 계약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이 필요하다(위임장, 인감증명서의 위조 여부 확인하여야 하고 가능한, 직접 임대인과 공인중개사 사무소 현장에서 전세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다). 또한, 선순위 보증금 채권 존재(전입세대 열람내역서도 반드시 확인하시기를 바람), 근저당권 설정 등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 향후 해당 부동산 목적물이 종국적으로 경매 단계에 이르렀을 때, 나의 소중한 전세금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는지 계산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공인중개사를 통해 임대인의 세금 체납 여부를 확인하여, 전세 계약 체결일에 임대인 측으로부터 미납 국세·지방세 내용을 열람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계약서 작성 등 거래 단계'에 돌입했다면, 각종 특약을 계약서 내용에 포함시킴으로써 각종 '안전장치'를 마련해두는 것이 중요한데, 그 내용으로 ① 잔금 지급일 이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등으로 대항력 발생하기 전까지 해당 부동산 목적물의 양도를 금지하는 특약(이를 위배할 경우 임차인 측의 전세 계약 해지권 유보 및 손해배상액의 예정), ② 위와 같이 소유권 변동에 일시적 제한과 더불어, 저당권 등 담보권 일체 설정을 금지하는 특약(우선변제권을 확보하기 위함), ③ 목적물 하자로 인한 전세자금 대출이 불가능할 경우, 그 귀책 사유를 임대인에게 묻는 특약, ④ 세금 체납이 있을 경우, 잔금일 이전까지 이를 모두 상환하고 이를 위배할 경우 전세 계약을 무효로 하고 그 계약금의 배액을 배상하는 내용의 특약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거래 단계를 종료'하였다면, 전세 계약 체결 당일 즉시 전입신고와 함께 확정일자를 부여받아야 한다. 그리고 가능한 은행을 통해 전세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길 바란다. 그래도 무엇인가 미심쩍은 마음이 들면 변호사에게 적극적으로 상담받기를 권한다. 내 재산 중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전세금을 교부하면서 각종 안전장치를 달지 않는다면, 생면부지의 사람에게 내 재산을 마냥 호의에 기대어 맡기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김정범 변호사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대법원, 전주지방법원 국선변호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국선대리인- 한국 형사소송법학회 이사- 한국 행정법학회 운영이사- 대전청년내일센터 상담위원- 광주고등검찰청 영장심의위원회 위원 [기사전문보기] - [기고] 부동산 전세사기 피해 예방 실전 가이드
뉴시스
2024-06-03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서 불법공유숙박업 운영 30대, 집유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서 불법공유숙박업 운영 30대, 집유
재판부, 징역1년·집행유예 2년 선고4년간 6억9000만원 챙긴 혐의"불법공유 숙박업소, 안전사고 위험 노출" 부산 대표 관광지인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에서 오피스텔 11채를 불법공유 숙박업소로 운영해 수억 원을 챙긴 30대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3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4단독 이범용 판사는 공중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A(30대)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고,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했다.1심이 인정한 범죄사실에 따르면 A씨는 2019년 8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부산 수영구에 있는 오피스텔 11채를 시장·구청장에게 신고하지 않고 불법공유 숙박업소로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A씨는 약 4년 동안 불법공유 숙박업소를 운영하면서 6억9000만원 상당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A씨가 운영한 숙박업소는 광안리해수욕장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 인터넷 숙박 공유 사이트를 통해 손님들의 예약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재판부는 "A씨는 동종 범죄로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벌금 100만원)이 있음에도 또다시 이 사건 범행을 저질렀다"며 "A씨가 숙박업을 영위한 기간이 약 4년, 총매출액이 6억9000만원을 초과하는 등 죄책이 가볍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오피스텔이나 아파트, 주택을 이용해 미신고 불법공유 숙박업소를 운영할 경우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라 징역 2년 이하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이를 이용하는 투숙객을 처벌하는 규정은 따로 없지만 화재나 안전사고, 각종 범죄 등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승호 변호사는 "공중위생법과 관광진흥법 등은 미신고 불법공유 숙박업을 운영한 자만 처벌 대상으로 하고, 이용자를 처벌하는 규정은 현행 법령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이어 "다만 불법공유 숙박업소는 소방 안전시설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안전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있고, 위생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면서 "또 실제로 안전사고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경우 적절한 보상을 받거나 책임을 따지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기사전문보기] -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서 불법공유숙박업 운영 30대, 집유 (바로가기)
뉴시스
2024-06-03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서 불법공유숙박업 운영 30대, 집유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서 불법공유숙박업 운영 30대, 집유
재판부, 징역1년·집행유예 2년 선고4년간 6억9000만원 챙긴 혐의"불법공유 숙박업소, 안전사고 위험 노출" 부산 대표 관광지인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에서 오피스텔 11채를 불법공유 숙박업소로 운영해 수억 원을 챙긴 30대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3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4단독 이범용 판사는 공중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A(30대)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고,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했다.1심이 인정한 범죄사실에 따르면 A씨는 2019년 8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부산 수영구에 있는 오피스텔 11채를 시장·구청장에게 신고하지 않고 불법공유 숙박업소로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A씨는 약 4년 동안 불법공유 숙박업소를 운영하면서 6억9000만원 상당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A씨가 운영한 숙박업소는 광안리해수욕장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 인터넷 숙박 공유 사이트를 통해 손님들의 예약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재판부는 "A씨는 동종 범죄로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벌금 100만원)이 있음에도 또다시 이 사건 범행을 저질렀다"며 "A씨가 숙박업을 영위한 기간이 약 4년, 총매출액이 6억9000만원을 초과하는 등 죄책이 가볍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오피스텔이나 아파트, 주택을 이용해 미신고 불법공유 숙박업소를 운영할 경우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라 징역 2년 이하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이를 이용하는 투숙객을 처벌하는 규정은 따로 없지만 화재나 안전사고, 각종 범죄 등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이승호 변호사는 "공중위생법과 관광진흥법 등은 미신고 불법공유 숙박업을 운영한 자만 처벌 대상으로 하고, 이용자를 처벌하는 규정은 현행 법령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이어 "다만 불법공유 숙박업소는 소방 안전시설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안전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있고, 위생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면서 "또 실제로 안전사고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경우 적절한 보상을 받거나 책임을 따지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기사전문보기] -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서 불법공유숙박업 운영 30대, 집유 (바로가기)
한국일보
2024-06-02
노태우의 '버티기'로 지킨 300억이 1.3조로... 그 돈, 환수할 수 있을까?
노태우의 '버티기'로 지킨 300억이 1.3조로... 그 돈, 환수할 수 있을까?
[뒤늦게 드러난 비자금 추징 두고 논란]수천억 추징금 내면서도 지킨 300억 존재"사회정의에 어긋나" 불법 자금 환수 주장 본인 사망·소급적용 불가... 추징은 어려워 "노태우가 준 비자금으로 그 딸이 이득을 봐도 문제다. 여기에 정의가 어디 있나?"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항소심 판단에,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의 존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과연 '이번 판결이 사회 정의에 부합하는지'를 두고 논란이 거세다. 노 전 대통령이 뇌물죄로 징역 17년을 받은 사실을 감안하면 그 비자금 역시 '검은돈'이었을 가능성이 적지 않은데, 그 돈을 딸의 '지참금'으로 인정해 대기업 확장에 따른 과실을 자식에게 몰아주는 것이 과연 온당한가를 문제 삼는 여론이다.다만 이런 지적 자체는 가능할 수 있어도, 법적으로 이를 국가에 환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자금 출처를 묻지 않는 가사소송의 특성이나 사건 자체가 매우 오래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는 추징할 방도가 없다고 보는 게 법조계 중론이다.2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고법 가사2부(부장 김시철)는 노 전 대통령이 1991년 최 회장 부친인 최종현 전 회장에게 지원한 자금의 불법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이를 재산 분할의 핵심 요소로 고려했다. 재판부는 "관련 사정이 (일찍이) 드러났다면 정부가 최 전 회장을 상대로도 추심 소송을 제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부정축재 가능성이 농후한 돈을 재산 분할 대상에 포함시킨 법원의 논리가 일견 납득되진 않지만, 이는 가사재판의 특성에서 기인했다는 게 법조계 설명이다. '관계 해소'가 쟁점이 되는 이혼 소송의 목적상 재산 분할에 있어서도 양쪽 기여도만 따질 뿐, 설사 재산 일부가 범죄수익으로 의심된다 할지라도 재판부 직권으로 형사 책임까지 물릴 수 없다는 것이다.가정법원 판사를 오래 지낸 이현곤 변호사(법률사무소 새올)는 "재산 분할에선 형성 과정의 불법성을 묻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이를 고려하는 순간 '한쪽이 불법 자산을 독식하는 것은 괜찮냐'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혼 전문인 김신혜 변호사(법무법인 한경)는 "범죄수익 납부를 명령하는 추징도 형벌의 한 종류이므로 (가사재판과) 별도의 형사재판을 거쳐야 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비자금의 환수 여부를 결정 짓는 것은 이혼 소송 영역 밖이라는 결론이다. 그렇다면 노 전 대통령 일가를 상대로 범죄수익을 추징하는 소송을 새로 진행하는 것은 가능할까. 여기선 노 전 대통령이 사망해 공소권 자체가 사라졌다는 사실이 문제가 된다. 1990년대에 이미 노 전 대통령과 선경그룹(SK 전신)의 금전 고리를 찾기 위한 대대적인 수사에서도 이 비자금의 존재는 끝내 드러나지 않았다. 특히나 노 전 대통령은 생전 대법원에서 확정된 2,628억 원의 추징금을 완납하면서 사법적 책임을 벗었다.SK 쪽에 책임을 묻기도 어렵다. 범죄수익은닉 관련 법은 사건 이후인 2001년에 만들어졌다. 이번 이혼 소송의 항소심 재판부가 "최소한 1991년 당시를 기준으로 보면 최 전 회장이 노 전 대통령으로부터 금전 지원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위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한 이유다. 한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는 "공소시효는 물론 소급적용 문제도 있어 혐의 적용이 불가하다"고 설명했다.특별법 제정을 대책으로 내놓는 주장도 있지만, 역시 회의적 시각이 지배적이다. 검사 출신 김국일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특별법을 만든다고 해도 형사처벌은 '사람'에 전속되는 것이 원칙이라 당사자들이 사망한 이상 어렵다"며 위헌적 소지를 언급했다.다만 법률적으로 책임을 묻기 어렵지만, 여론의 눈으로 볼 땐 '성공한 정경유착'이 '성공한 비자금 은닉'으로 이어지고 말았다는 자조적 평가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노 전 대통령 부인 김옥숙 여사는 친인척이나 지인에게 뭉칫돈을 맡긴 뒤 그 액수를 따로 기록(김옥숙 메모)해 뒀는데, 이 김옥숙 메모 중에서 끝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것은 사돈(선경)에게 제공한 300억 원이 유일했다. 노 전 대통령 부부가 수천억 원을 추징당하면서도 딸을 위해 입을 다물었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정황이다. 한 수도권의 부장판사는 이를 두고 "30년간 양가에서 그 존재를 꽁꽁 숨긴 덕에 딸에게 수혜가 돌아간 셈"이라고 꼬집었다. [기사전문보기] - 노태우의 '버티기'로 지킨 300억이 1.3조로... 그 돈, 환수할 수 있을까? (바로가기)
한국일보
2024-06-02
노태우의 '버티기'로 지킨 300억이 1.3조로... 그 돈, 환수할 수 있을까?
노태우의 '버티기'로 지킨 300억이 1.3조로... 그 돈, 환수할 수 있을까?
[뒤늦게 드러난 비자금 추징 두고 논란]수천억 추징금 내면서도 지킨 300억 존재"사회정의에 어긋나" 불법 자금 환수 주장 본인 사망·소급적용 불가... 추징은 어려워 "노태우가 준 비자금으로 그 딸이 이득을 봐도 문제다. 여기에 정의가 어디 있나?"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항소심 판단에,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의 존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과연 '이번 판결이 사회 정의에 부합하는지'를 두고 논란이 거세다. 노 전 대통령이 뇌물죄로 징역 17년을 받은 사실을 감안하면 그 비자금 역시 '검은돈'이었을 가능성이 적지 않은데, 그 돈을 딸의 '지참금'으로 인정해 대기업 확장에 따른 과실을 자식에게 몰아주는 것이 과연 온당한가를 문제 삼는 여론이다.다만 이런 지적 자체는 가능할 수 있어도, 법적으로 이를 국가에 환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자금 출처를 묻지 않는 가사소송의 특성이나 사건 자체가 매우 오래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는 추징할 방도가 없다고 보는 게 법조계 중론이다.2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고법 가사2부(부장 김시철)는 노 전 대통령이 1991년 최 회장 부친인 최종현 전 회장에게 지원한 자금의 불법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이를 재산 분할의 핵심 요소로 고려했다. 재판부는 "관련 사정이 (일찍이) 드러났다면 정부가 최 전 회장을 상대로도 추심 소송을 제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부정축재 가능성이 농후한 돈을 재산 분할 대상에 포함시킨 법원의 논리가 일견 납득되진 않지만, 이는 가사재판의 특성에서 기인했다는 게 법조계 설명이다. '관계 해소'가 쟁점이 되는 이혼 소송의 목적상 재산 분할에 있어서도 양쪽 기여도만 따질 뿐, 설사 재산 일부가 범죄수익으로 의심된다 할지라도 재판부 직권으로 형사 책임까지 물릴 수 없다는 것이다.가정법원 판사를 오래 지낸 이현곤 변호사(법률사무소 새올)는 "재산 분할에선 형성 과정의 불법성을 묻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이를 고려하는 순간 '한쪽이 불법 자산을 독식하는 것은 괜찮냐'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혼 전문인 김신혜 변호사(법무법인 한경)는 "범죄수익 납부를 명령하는 추징도 형벌의 한 종류이므로 (가사재판과) 별도의 형사재판을 거쳐야 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비자금의 환수 여부를 결정 짓는 것은 이혼 소송 영역 밖이라는 결론이다. 그렇다면 노 전 대통령 일가를 상대로 범죄수익을 추징하는 소송을 새로 진행하는 것은 가능할까. 여기선 노 전 대통령이 사망해 공소권 자체가 사라졌다는 사실이 문제가 된다. 1990년대에 이미 노 전 대통령과 선경그룹(SK 전신)의 금전 고리를 찾기 위한 대대적인 수사에서도 이 비자금의 존재는 끝내 드러나지 않았다. 특히나 노 전 대통령은 생전 대법원에서 확정된 2,628억 원의 추징금을 완납하면서 사법적 책임을 벗었다.SK 쪽에 책임을 묻기도 어렵다. 범죄수익은닉 관련 법은 사건 이후인 2001년에 만들어졌다. 이번 이혼 소송의 항소심 재판부가 "최소한 1991년 당시를 기준으로 보면 최 전 회장이 노 전 대통령으로부터 금전 지원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위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한 이유다. 한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는 "공소시효는 물론 소급적용 문제도 있어 혐의 적용이 불가하다"고 설명했다.특별법 제정을 대책으로 내놓는 주장도 있지만, 역시 회의적 시각이 지배적이다. 검사 출신 김국일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특별법을 만든다고 해도 형사처벌은 '사람'에 전속되는 것이 원칙이라 당사자들이 사망한 이상 어렵다"며 위헌적 소지를 언급했다.다만 법률적으로 책임을 묻기 어렵지만, 여론의 눈으로 볼 땐 '성공한 정경유착'이 '성공한 비자금 은닉'으로 이어지고 말았다는 자조적 평가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노 전 대통령 부인 김옥숙 여사는 친인척이나 지인에게 뭉칫돈을 맡긴 뒤 그 액수를 따로 기록(김옥숙 메모)해 뒀는데, 이 김옥숙 메모 중에서 끝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것은 사돈(선경)에게 제공한 300억 원이 유일했다. 노 전 대통령 부부가 수천억 원을 추징당하면서도 딸을 위해 입을 다물었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정황이다. 한 수도권의 부장판사는 이를 두고 "30년간 양가에서 그 존재를 꽁꽁 숨긴 덕에 딸에게 수혜가 돌아간 셈"이라고 꼬집었다. [기사전문보기] - 노태우의 '버티기'로 지킨 300억이 1.3조로... 그 돈, 환수할 수 있을까? (바로가기)
로스쿨타임즈
2024-05-31
[자유발언대] 로스쿨 선배 변호사가 16기 후배들에게 전하는 ‘로스쿨 생활 Tip’
[칼럼] [자유발언대] 로스쿨 선배 변호사가 16기 후배들에게 전하는 ‘로스쿨 생활 Tip’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자기소개서 첨삭 도움을 받았던 000입니다. 감사하게도 00로스쿨과 ΔΔ로스쿨에 모두 합격하였고, 00로스쿨은 수석 합격까지 하게 되었습니다ㅜㅜ 많이 도와주신 덕분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작년 12월 1일, 위 문자메시지를 받았을 때의 느낌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정말 제가 로스쿨에 합격했을 때만큼 기뻤고, 이것이 바로 가르치는 일의 기쁨과 보람임을 절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위 합격생을 비롯한 로스쿨 16기 후배들의 합격을 다시 한번 축하드리며, 앞으로 3년의 시간을 조금 더 효율적이고 보람되게 보낼 수 있도록 선배로서 몇 가지 조언을 드립니다.우선 여러분들이 로스쿨에서 하는 공부는 모두 제16회 변호사시험 합격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한순간도 잊지 마세요. 최대한 학교 수업과 교재를 중심으로 변호사시험을 대비하되, 개인적으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것, 예를 들어 사례형 답안 작성 요령이나 최신 판례 정리 등은 학원(인터넷) 강의를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혹시라도 학교 수업이나 교재가 마음에 안 든다고 학교 커리큘럼을 완전히 무시한 채 혼자 공부한다든가, 오로지 학원 강의에만 의존하여 공부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변호사시험 출제위원은 바로 여러분들의 로스쿨 교수님들이므로 학교 수업과 변호사시험 준비가 최대한 일치하도록 조정해 가는 것이 필요합니다.또한 여러분들의 로스쿨 생활은 수업 듣고, 열람실에서 예‧복습하고, 식사하고 계속 이를 반복하는 다람쥐 쳇바퀴 돌듯 단조로운 것입니다. 이는 변호사시험 수험생으로 당연하며, 생활이 단순할수록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일상을 최대한 단순화시키세요. 다만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면 위와 같은 단조로움 속에서도 자신만의 재밋거리를 찾아 즐겁게 3년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첫째, 로스쿨에는 종교, 운동, 법 전문영역 등을 중심으로 한 여러 동아리, 학회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동아리나 학회 중에서 최소한 자신의 마음에 맞는 하나에 가입하여 활동할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하루하루가 똑같은 로스쿨 생활에 새로운 자극으로 공부 의욕을 북돋워 줄 뿐만 아니라 학부 때와는 다른 여러 인간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둘째, 빠르면 1학년 겨울방학에 시작하여 보통 2학년 여름, 겨울 방학 때 각 2주 정도 외부의 로펌, 검찰, 법원, 기타 (공공)기관 등에서 실무실습을 할 기회가 있습니다. 이때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관심 분야 또는 앞으로 자신이 일해 보고 싶은 분야의 기관에 가서 강의 수강, 서면 작성 및 첨삭, 회식 등을 경험하며 공부로 지친 몸과 마음을 새롭게 충전하는 기회로 삼으세요. 또한 위 과정에서 다른 로스쿨 원우들도 많이 만나게 될 텐데, 그때 맺은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의 특강 자료나 여러 정보를 교환하는 장점까지 적극 누리시기를 바랍니다.셋째, 로스쿨에는 대외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여러 대회가 있습니다, 법원의 , 헌법재판소의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 한국인터넷진흥원의 등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들 중 하나에 참가하여 실무를 미리 접해본다면, 그때까지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이 장차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될지 명확히 알게 되어 훨씬 더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 것입니다.넷째, 만약 자기 학교에 해외 로스쿨과의 학점 교류 과정 또는 학위(LLM) 취득 제도가 운용되고 있다면 1년 정도의 시간을 들여 교환학생 경험을 해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우리나라와 다른 외국의 법제를 배우고 경험함으로써 넓어진 시야는 장래 진로 결정 및 취업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혹시라도 이를 통해 변호사시험을 1년 늦게 합격함으로써 입을 불이익이 걱정된다면, 가까운 교수님 또는 선배들에게 조언을 구해보세요. 할 수만 있다면 해보라는 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다섯째, 로스쿨 3년의 커리큘럼은 생각보다 길고 힘든 여정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적절한 운동(힘을 크게 소진하는 격렬한 운동이 아닌 가벼운 조깅이나 체조, 스트레칭, 수영, 헬스 등)과 영양제 섭취,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꾸준히 체력 관리를 해야 합니다. 건강한 체력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처럼 이렇게 꾸준히 닦아놓은 체력은 로스쿨 및 변호사시험에서뿐만 아니라 여러분들이 장차 실무를 할 때도 최고의 강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여섯째, 로스쿨은 전문석사과정입니다. 따라서 학부 때와는 달리 교수님들과의 소통 또한 훨씬 더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교수님들은 학업 관련 질의뿐만 아니라 인간관계, 진로, 취업 등 여러분이 직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에 관하여 언제든지 여러분을 도와줄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계십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그냥 먼저 도움을 구하기만 하면 됩니다. 교수님을 절대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다가가 조언을 구하세요.이상 제 친동생이 로스쿨 입학을 앞두고 있다 생각하고, 진심을 담아 몇 가지 조언을 드렸습니다. 이미 여러분들은 훌륭한 법조인이 될 자질과 적성을 충분히 검증받았습니다. 앞으로 3년 동안 그 자질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한 번에 변호사시험에 합격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행운을 빕니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자유발언대] 로스쿨 선배 변호사가 16기 후배들에게 전하는 ‘로스쿨 생활 Tip’
로스쿨타임즈
2024-05-31
[자유발언대] 로스쿨 선배 변호사가 16기 후배들에게 전하는 ‘로스쿨 생활 Tip’
[칼럼] [자유발언대] 로스쿨 선배 변호사가 16기 후배들에게 전하는 ‘로스쿨 생활 Tip’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자기소개서 첨삭 도움을 받았던 000입니다. 감사하게도 00로스쿨과 ΔΔ로스쿨에 모두 합격하였고, 00로스쿨은 수석 합격까지 하게 되었습니다ㅜㅜ 많이 도와주신 덕분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작년 12월 1일, 위 문자메시지를 받았을 때의 느낌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정말 제가 로스쿨에 합격했을 때만큼 기뻤고, 이것이 바로 가르치는 일의 기쁨과 보람임을 절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위 합격생을 비롯한 로스쿨 16기 후배들의 합격을 다시 한번 축하드리며, 앞으로 3년의 시간을 조금 더 효율적이고 보람되게 보낼 수 있도록 선배로서 몇 가지 조언을 드립니다.우선 여러분들이 로스쿨에서 하는 공부는 모두 제16회 변호사시험 합격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한순간도 잊지 마세요. 최대한 학교 수업과 교재를 중심으로 변호사시험을 대비하되, 개인적으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것, 예를 들어 사례형 답안 작성 요령이나 최신 판례 정리 등은 학원(인터넷) 강의를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혹시라도 학교 수업이나 교재가 마음에 안 든다고 학교 커리큘럼을 완전히 무시한 채 혼자 공부한다든가, 오로지 학원 강의에만 의존하여 공부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변호사시험 출제위원은 바로 여러분들의 로스쿨 교수님들이므로 학교 수업과 변호사시험 준비가 최대한 일치하도록 조정해 가는 것이 필요합니다.또한 여러분들의 로스쿨 생활은 수업 듣고, 열람실에서 예‧복습하고, 식사하고 계속 이를 반복하는 다람쥐 쳇바퀴 돌듯 단조로운 것입니다. 이는 변호사시험 수험생으로 당연하며, 생활이 단순할수록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일상을 최대한 단순화시키세요. 다만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면 위와 같은 단조로움 속에서도 자신만의 재밋거리를 찾아 즐겁게 3년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첫째, 로스쿨에는 종교, 운동, 법 전문영역 등을 중심으로 한 여러 동아리, 학회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동아리나 학회 중에서 최소한 자신의 마음에 맞는 하나에 가입하여 활동할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하루하루가 똑같은 로스쿨 생활에 새로운 자극으로 공부 의욕을 북돋워 줄 뿐만 아니라 학부 때와는 다른 여러 인간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둘째, 빠르면 1학년 겨울방학에 시작하여 보통 2학년 여름, 겨울 방학 때 각 2주 정도 외부의 로펌, 검찰, 법원, 기타 (공공)기관 등에서 실무실습을 할 기회가 있습니다. 이때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관심 분야 또는 앞으로 자신이 일해 보고 싶은 분야의 기관에 가서 강의 수강, 서면 작성 및 첨삭, 회식 등을 경험하며 공부로 지친 몸과 마음을 새롭게 충전하는 기회로 삼으세요. 또한 위 과정에서 다른 로스쿨 원우들도 많이 만나게 될 텐데, 그때 맺은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의 특강 자료나 여러 정보를 교환하는 장점까지 적극 누리시기를 바랍니다.셋째, 로스쿨에는 대외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여러 대회가 있습니다, 법원의 , 헌법재판소의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 한국인터넷진흥원의 등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들 중 하나에 참가하여 실무를 미리 접해본다면, 그때까지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이 장차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될지 명확히 알게 되어 훨씬 더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 것입니다.넷째, 만약 자기 학교에 해외 로스쿨과의 학점 교류 과정 또는 학위(LLM) 취득 제도가 운용되고 있다면 1년 정도의 시간을 들여 교환학생 경험을 해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우리나라와 다른 외국의 법제를 배우고 경험함으로써 넓어진 시야는 장래 진로 결정 및 취업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혹시라도 이를 통해 변호사시험을 1년 늦게 합격함으로써 입을 불이익이 걱정된다면, 가까운 교수님 또는 선배들에게 조언을 구해보세요. 할 수만 있다면 해보라는 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다섯째, 로스쿨 3년의 커리큘럼은 생각보다 길고 힘든 여정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적절한 운동(힘을 크게 소진하는 격렬한 운동이 아닌 가벼운 조깅이나 체조, 스트레칭, 수영, 헬스 등)과 영양제 섭취,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꾸준히 체력 관리를 해야 합니다. 건강한 체력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처럼 이렇게 꾸준히 닦아놓은 체력은 로스쿨 및 변호사시험에서뿐만 아니라 여러분들이 장차 실무를 할 때도 최고의 강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여섯째, 로스쿨은 전문석사과정입니다. 따라서 학부 때와는 달리 교수님들과의 소통 또한 훨씬 더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교수님들은 학업 관련 질의뿐만 아니라 인간관계, 진로, 취업 등 여러분이 직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에 관하여 언제든지 여러분을 도와줄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계십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그냥 먼저 도움을 구하기만 하면 됩니다. 교수님을 절대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다가가 조언을 구하세요.이상 제 친동생이 로스쿨 입학을 앞두고 있다 생각하고, 진심을 담아 몇 가지 조언을 드렸습니다. 이미 여러분들은 훌륭한 법조인이 될 자질과 적성을 충분히 검증받았습니다. 앞으로 3년 동안 그 자질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한 번에 변호사시험에 합격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행운을 빕니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자유발언대] 로스쿨 선배 변호사가 16기 후배들에게 전하는 ‘로스쿨 생활 Tip’
법률저널
2024-05-31
[칼럼] 불안감에 잠 못 이루는 수험생에 전하는 변호사시험 마무리 Tip
[칼럼] 불안감에 잠 못 이루는 수험생에 전하는 변호사시험 마무리 Tip
필자는 3년 전 변호사시험에 5번째 응시하는, 소위 5시생을 약 3개월간 가르친 적이 있다. 위 수험생은 그동안의 변호사시험 경력이 말해주듯 안 들은 학원 강의와 안 본 교재가 없을 정도로 공부를 많이 한 친구였으나, 당시 불안감에 제대로 잠조차 자지 못하는 상태였다. 볼 것이 너무 많은데 해도 해도 시험 당일까지 도저히 다 소화를 못 할 것 같다는 걱정 때문이었다. 기본서, 선택형·사례형·기록형 각 문제집과 해설집, 최신 판례집에 더하여 학교와 학원에서 나눠준 각종 특강 자료까지 정말 그 수는 엄청나지 않은가. 당시 필자는 위 수험생이 친동생이라 생각하고, 이렇게 하면 반드시 합격할 것이라는 필자만의 Tip을 전달했다. 그리고 시험 당일까지 계속 합격할 것이라며 확신을 불어넣어 주었다. 진심이었다.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당시 군 미필이었던 위 수험생은 생애 마지막으로 응시한 변호사시험에 여유 있게 합격하였고, 현재 군법무관 대위로서 내년 여름 전역을 앞두고 있다. 제13회 변호사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온 지금, 위 수험생처럼 불안감에 하루하루 겨우 버티고 있을 후배들을 위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가장 효율적인 마무리Tip’을 소개한다.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첫째, 우선 볼 교재의 양부터 확 줄이자. 지금과 같이 극도로 불안한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분량을 그것만 봐도 합격한다는 확신 하에서 보아야만 그나마 내용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그럼 남은 기간 무엇을 보아야 하나. 공·형·민사법 모두 ①최신 3개년 판례, ②올해 10, 8, 6월 법전협 모의고사, ③제11회 변호사시험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해서 본다. 그리고 위 내용을 다 소화하면 차츰 시간 역순으로 범위를 넓혀나간다. 즉 ④작년 10, 8, 6월 법전협 모의고사, ⑤제10회 변호사시험순으로 시험 당일까지 계속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에 자신이 공들여 정리해 온 서브노트가 있다면 그것만 추가한다. 특히 올해 10, 8, 6월 법전협 모의고사 중 최근 3개년 판례가 사례형과 기록형에 출제된 것이 있다면 최신 판례집에 한 번 더 체크해두고 완벽히 숙지하자. 실전 시험장에서 웃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부터는 무조건 인풋 위주로 공부한다. 즉 아웃풋(=답안작성연습)은 불안감 해소 차원에서 본인이 가장 취약한 과목으로 1~2회 정도 하면 충분하다. 결코 위의 법전협 모의고사와 변호사시험의 사례형, 기록형을 공부한답시고 시간 맞추어 답안 작성을 할 필요는 없다. 솔직히 그럴 시간도 없을 것이며, 시험 당일까지 하나라도 더 위 교재 내용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문제 읽고 머릿속으로 바로 또는 노트에 쟁점과 목차 정도 정리한 뒤 곧장 해설을 읽으면 된다. 다시 말해 위 기출문제와 해설이 기본서라 생각하고 공부하라는 것이고, 절대 문제를 풀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다. 여기까지 읽으면 혹시 이런 의문이 떠오르지 않는가? ‘만약 위 범위 밖에서 출제되면 어떻게 하지?’. 3년 전 수험생 역시 필자에게 같은 질문을 했었고, 그때 필자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최신 판례 3년 치, 최신 1개년 법전협 모의고사, 최근 1개년 변호사시험 기출문제를 완벽히 소화했음에도 그 밖의 범위에서 문제가 출제된다면, 그 문제는 지금부터 기본서를 본다고 해도 똑같이 풀 수가 없고, 아마 다른 수험생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본인이 제일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확신을 가져라.” 이 글을 읽고 있는 제13회 변호사시험 수험생분들 전부 합격해 내년 필드에서 만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끝까지 힘내시기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불안감에 잠 못 이루는 수험생에 전하는 변호사시험 마무리 Tip
법률저널
2024-05-31
[칼럼] 불안감에 잠 못 이루는 수험생에 전하는 변호사시험 마무리 Tip
[칼럼] 불안감에 잠 못 이루는 수험생에 전하는 변호사시험 마무리 Tip
필자는 3년 전 변호사시험에 5번째 응시하는, 소위 5시생을 약 3개월간 가르친 적이 있다. 위 수험생은 그동안의 변호사시험 경력이 말해주듯 안 들은 학원 강의와 안 본 교재가 없을 정도로 공부를 많이 한 친구였으나, 당시 불안감에 제대로 잠조차 자지 못하는 상태였다. 볼 것이 너무 많은데 해도 해도 시험 당일까지 도저히 다 소화를 못 할 것 같다는 걱정 때문이었다. 기본서, 선택형·사례형·기록형 각 문제집과 해설집, 최신 판례집에 더하여 학교와 학원에서 나눠준 각종 특강 자료까지 정말 그 수는 엄청나지 않은가. 당시 필자는 위 수험생이 친동생이라 생각하고, 이렇게 하면 반드시 합격할 것이라는 필자만의 Tip을 전달했다. 그리고 시험 당일까지 계속 합격할 것이라며 확신을 불어넣어 주었다. 진심이었다.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당시 군 미필이었던 위 수험생은 생애 마지막으로 응시한 변호사시험에 여유 있게 합격하였고, 현재 군법무관 대위로서 내년 여름 전역을 앞두고 있다. 제13회 변호사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온 지금, 위 수험생처럼 불안감에 하루하루 겨우 버티고 있을 후배들을 위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가장 효율적인 마무리Tip’을 소개한다.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첫째, 우선 볼 교재의 양부터 확 줄이자. 지금과 같이 극도로 불안한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분량을 그것만 봐도 합격한다는 확신 하에서 보아야만 그나마 내용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그럼 남은 기간 무엇을 보아야 하나. 공·형·민사법 모두 ①최신 3개년 판례, ②올해 10, 8, 6월 법전협 모의고사, ③제11회 변호사시험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해서 본다. 그리고 위 내용을 다 소화하면 차츰 시간 역순으로 범위를 넓혀나간다. 즉 ④작년 10, 8, 6월 법전협 모의고사, ⑤제10회 변호사시험순으로 시험 당일까지 계속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에 자신이 공들여 정리해 온 서브노트가 있다면 그것만 추가한다. 특히 올해 10, 8, 6월 법전협 모의고사 중 최근 3개년 판례가 사례형과 기록형에 출제된 것이 있다면 최신 판례집에 한 번 더 체크해두고 완벽히 숙지하자. 실전 시험장에서 웃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부터는 무조건 인풋 위주로 공부한다. 즉 아웃풋(=답안작성연습)은 불안감 해소 차원에서 본인이 가장 취약한 과목으로 1~2회 정도 하면 충분하다. 결코 위의 법전협 모의고사와 변호사시험의 사례형, 기록형을 공부한답시고 시간 맞추어 답안 작성을 할 필요는 없다. 솔직히 그럴 시간도 없을 것이며, 시험 당일까지 하나라도 더 위 교재 내용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문제 읽고 머릿속으로 바로 또는 노트에 쟁점과 목차 정도 정리한 뒤 곧장 해설을 읽으면 된다. 다시 말해 위 기출문제와 해설이 기본서라 생각하고 공부하라는 것이고, 절대 문제를 풀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다. 여기까지 읽으면 혹시 이런 의문이 떠오르지 않는가? ‘만약 위 범위 밖에서 출제되면 어떻게 하지?’. 3년 전 수험생 역시 필자에게 같은 질문을 했었고, 그때 필자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최신 판례 3년 치, 최신 1개년 법전협 모의고사, 최근 1개년 변호사시험 기출문제를 완벽히 소화했음에도 그 밖의 범위에서 문제가 출제된다면, 그 문제는 지금부터 기본서를 본다고 해도 똑같이 풀 수가 없고, 아마 다른 수험생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본인이 제일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확신을 가져라.” 이 글을 읽고 있는 제13회 변호사시험 수험생분들 전부 합격해 내년 필드에서 만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끝까지 힘내시기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불안감에 잠 못 이루는 수험생에 전하는 변호사시험 마무리 Tip
법률저널
2024-05-31
[칼럼] 로스쿨 자기소개서
[칼럼] 로스쿨 자기소개서
작년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시 학원에서 50여 명의 자기소개서를 검토하고 코멘트를 했던 경험자로서, 또 로스쿨 재학 시 지도교수로부터 얻은 조언 등을 토대로, 자기소개서 작성에 도움이 될 몇 가지 팁을 소개하려고 한다. 첫째, 자기소개서는 로스쿨 지원자의 인성과 지성 두 가지 요소를 평가하는 핵심 자료다. 지원자가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인성’과 변호사로서의 전문성 및 적절한 법적 조언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지성’을 보유하였는지 평가한다. 보다 직접적으로 말하면 나만 아는 이기주의자가 아닌지, 3년 뒤에 바로 변호사시험에 합격할 기본 자질을 갖추었는지를 본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소개서의 각 질문에 답을 함에서는 과연 그 질문이 위의 두 요소 중 무엇을 평가하려고 하는 것인지부터 먼저 생각해보기 바란다.둘째, 지원 동기를 작성할 때는 왜 해당 로스쿨에 지원했는지 명확하게 밝혀주는 것이 좋다. 특성화 내용, 선배의 추천, 우수한 교수진, 높은 변호사시험 합격률, 체계적인 커리큘럼, 다양한 장학금 혜택 등 해당 로스쿨의 장점을 강조함으로써 지원 동기를 분명히 전달함과 동시에 로스쿨과의 궁합까지 어필할 수 있다. 셋째, 단점 부분에는 다른 측면에서 장점으로 해석될 수 있는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적어주는 것이 좋다(ex. 완벽주의 성향 등). 또한, 이러한 단점을 자신이 명확히 인식하고 있고, 이의 개선을 위해 현재 또는 앞으로 어떤 노력을 할 것이라는 점도 반드시 언급하라. 그래서 그러한 단점이 앞으로의 로스쿨 생활 및 변호사시험 준비 등에 있어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평가자에게 심어줄 수 있다면 대성공이다.넷째, 로스쿨 입학 후의 학업 계획 관련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가 제공하는 커리큘럼을 충실히 이수할 것이라는 의지를 밝히고, 부족한 부분만 인터넷 강의 등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로스쿨 커리큘럼 이수와 변호사시험 준비가 하나가 되도록 하겠다는 점을 확실히 밝혀라. 실제 로스쿨 입학 후 학교 수업은 등한시한 채 인터넷 학원 강의만을 들으며 변호사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학업 계획에서 위와 같은 내용을 미리 언급한다면 분명 좋은 인상을 줄 것이다. 다섯째, 학부 때 이수한 과목과 성적에 관한 부분은 본격적으로 지원자의 지성적인 측면을 평가하겠다는 의도다. 여기서는 법학 과목을 미리 수강한 경험이 있다거나 법과목이 포함된 자격증 시험에 합격한 경험, 법 과목 성적이 특히 우수했다는 점 등을 어필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법 관련 이력이 전혀 없다고 할지라도 자신의 전공과목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것, 예를 들어 재수강을 통해 성적을 올린 적이 있다면 처음에 안 좋은 성적을 받았던 이유는 무엇인지, 어떤 점을 개선하였기에 재수강 시에는 성적이 올랐는지, 이로써 깨달은 점을 로스쿨에서는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에 관한 생각을 솔직하게 기술하면 된다. 굳이 변리사, 공인노무사, 행정고시 1차 시험 등을 준비하면서 법 공부에 미리 힘을 쏟을 필요까지는 없다. 여섯째, 봉사활동 및 학업 외 참여활동 부분은 인성적인 측면을 평가한다. 어떻게 협동심, 배려심, 리더십 등을 발휘하고 성장했는지 반드시 구체적인 에피소드를 통해 어필해야 한다. 단순히 이런 활동을 했다는 식의 일반적 내용을 나열하기보다는 자신의 구체적인 경험에서 얻은 인상과 교훈 등을 강조하는 것이 훨씬 좋다. 일곱째, 형식적인 부분 관련해, 한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하더라도 그 안에서 다시 소목차를 나누어가며 작성한 것이 보기에 훨씬 좋았다. 많은 자기소개서를 읽어본 필자에겐, 결국 잘 쓴 자기소개서란 그 사람의 구체적인 경험 속에서 개성, 가치관, 생각 등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글이었다. 같은 수업을 듣고 같은 동아리 활동을 했더라도 각자가 받아들인 내용과 인상은 모두 달랐다. 모든 경험이 자기소개서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최대한 일반론 추상론이 아닌 구체적인 에피소드를 담으려 노력하기 바란다. 로스쿨 진학 준비생 모두의 미래를 응원하며 성공적인 로스쿨 입학을 기원한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로스쿨 자기소개서
법률저널
2024-05-31
[칼럼] 로스쿨 자기소개서
[칼럼] 로스쿨 자기소개서
작년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시 학원에서 50여 명의 자기소개서를 검토하고 코멘트를 했던 경험자로서, 또 로스쿨 재학 시 지도교수로부터 얻은 조언 등을 토대로, 자기소개서 작성에 도움이 될 몇 가지 팁을 소개하려고 한다. 첫째, 자기소개서는 로스쿨 지원자의 인성과 지성 두 가지 요소를 평가하는 핵심 자료다. 지원자가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인성’과 변호사로서의 전문성 및 적절한 법적 조언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지성’을 보유하였는지 평가한다. 보다 직접적으로 말하면 나만 아는 이기주의자가 아닌지, 3년 뒤에 바로 변호사시험에 합격할 기본 자질을 갖추었는지를 본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소개서의 각 질문에 답을 함에서는 과연 그 질문이 위의 두 요소 중 무엇을 평가하려고 하는 것인지부터 먼저 생각해보기 바란다.둘째, 지원 동기를 작성할 때는 왜 해당 로스쿨에 지원했는지 명확하게 밝혀주는 것이 좋다. 특성화 내용, 선배의 추천, 우수한 교수진, 높은 변호사시험 합격률, 체계적인 커리큘럼, 다양한 장학금 혜택 등 해당 로스쿨의 장점을 강조함으로써 지원 동기를 분명히 전달함과 동시에 로스쿨과의 궁합까지 어필할 수 있다. 셋째, 단점 부분에는 다른 측면에서 장점으로 해석될 수 있는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적어주는 것이 좋다(ex. 완벽주의 성향 등). 또한, 이러한 단점을 자신이 명확히 인식하고 있고, 이의 개선을 위해 현재 또는 앞으로 어떤 노력을 할 것이라는 점도 반드시 언급하라. 그래서 그러한 단점이 앞으로의 로스쿨 생활 및 변호사시험 준비 등에 있어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평가자에게 심어줄 수 있다면 대성공이다.넷째, 로스쿨 입학 후의 학업 계획 관련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가 제공하는 커리큘럼을 충실히 이수할 것이라는 의지를 밝히고, 부족한 부분만 인터넷 강의 등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로스쿨 커리큘럼 이수와 변호사시험 준비가 하나가 되도록 하겠다는 점을 확실히 밝혀라. 실제 로스쿨 입학 후 학교 수업은 등한시한 채 인터넷 학원 강의만을 들으며 변호사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학업 계획에서 위와 같은 내용을 미리 언급한다면 분명 좋은 인상을 줄 것이다. 다섯째, 학부 때 이수한 과목과 성적에 관한 부분은 본격적으로 지원자의 지성적인 측면을 평가하겠다는 의도다. 여기서는 법학 과목을 미리 수강한 경험이 있다거나 법과목이 포함된 자격증 시험에 합격한 경험, 법 과목 성적이 특히 우수했다는 점 등을 어필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법 관련 이력이 전혀 없다고 할지라도 자신의 전공과목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것, 예를 들어 재수강을 통해 성적을 올린 적이 있다면 처음에 안 좋은 성적을 받았던 이유는 무엇인지, 어떤 점을 개선하였기에 재수강 시에는 성적이 올랐는지, 이로써 깨달은 점을 로스쿨에서는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에 관한 생각을 솔직하게 기술하면 된다. 굳이 변리사, 공인노무사, 행정고시 1차 시험 등을 준비하면서 법 공부에 미리 힘을 쏟을 필요까지는 없다. 여섯째, 봉사활동 및 학업 외 참여활동 부분은 인성적인 측면을 평가한다. 어떻게 협동심, 배려심, 리더십 등을 발휘하고 성장했는지 반드시 구체적인 에피소드를 통해 어필해야 한다. 단순히 이런 활동을 했다는 식의 일반적 내용을 나열하기보다는 자신의 구체적인 경험에서 얻은 인상과 교훈 등을 강조하는 것이 훨씬 좋다. 일곱째, 형식적인 부분 관련해, 한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하더라도 그 안에서 다시 소목차를 나누어가며 작성한 것이 보기에 훨씬 좋았다. 많은 자기소개서를 읽어본 필자에겐, 결국 잘 쓴 자기소개서란 그 사람의 구체적인 경험 속에서 개성, 가치관, 생각 등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글이었다. 같은 수업을 듣고 같은 동아리 활동을 했더라도 각자가 받아들인 내용과 인상은 모두 달랐다. 모든 경험이 자기소개서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최대한 일반론 추상론이 아닌 구체적인 에피소드를 담으려 노력하기 바란다. 로스쿨 진학 준비생 모두의 미래를 응원하며 성공적인 로스쿨 입학을 기원한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로스쿨 자기소개서
서울지방변호사회보
2024-05-31
[칼럼] 크리스마스의 추억
[에세이] 크리스마스의 추억
6살이었던 1987년, 나는 엄마 손에 이끌려 처음으로 유치원에 갔다. 당시 내가 갔던 유치원의 정확한 이름은 “새마을 유아원”이었는데 정부 보조로 다른 곳보다 원비가 저렴했고, 동네에서 유일하게 종일반(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을 운영하고 있었다. 어머니가 당시 ○○생명 보험아줌마(요즘 말로는 보험설계사) 일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를 따로 돌봐 줄 사람이 없어서 5살까지는 회사에 나를 데리고 다니다가(그래서 서울 및 경기 지역 곳곳을 어머니 손 잡고 지인들 보험 가입하러 다녔다), 6살이 돼 종일반 유아원 입학이 가능해지자 나를 입학시킨 것이었다. 아침 8시 30분경 집 앞에서 유아원 셔틀버스를 타면, 온 동네를 돌아 아이들을 태우고 9시경 유아원에 도착, 간식과 점심을 유아원에서 먹고, 낮잠도 자며 온종일 놀다가 어머니가 늦은 오후 무렵 퇴근해서 나를 데려가는 일상이었다. 크리스마스 때마다 떠오르는 추억 하나가 있는데, 이건 지금까지도 어머니가 내게 미안하다고 종종 이야기하는 일이다. 12월 23일인가 24일인가 당시 유아원에서 크리스마스 행사를 했는데, 아이들이 연극도 하고 웅변도 하고 부모님과 어울려 게임도 하는 그런 날이었다. 이날도 어김없이 어머니는 회사에 출근했다가 행사 느지막이 유아원에 도착했는데, 다른 아이 어머니들이 전부 포장된 선물을 하나씩 들고 있더란다. 그래서 어머니가 다른 아이 어머니에게 “아이고, 유아원에서 아이들 선물도 이렇게 챙겨줬나 보죠? 정말 감사하네요” 했더니, 질문을 받은 아이 어머니가 깜짝 놀라면서 “아, 영민 어머니 연락 못 받으셨어요? 오늘 아이들에게 나눠줄 거라고 엄마들더러 선물 준비해 오라고 했거든요. 회사 일 때문에 바쁘셔서 전달을 못 받으셨나 보다”라고 답을 하더란다. 즉, 아이 부모들이 자기 아이에게 줄 선물을 포장해서 가지고 오면, 행사 마지막 시간에 산타 분장을 한 셔틀 운전기사 아저씨가 선물을 나눠주는 것이었는데, 당시는 요즘처럼 온라인 키즈노트 알림장도 없고, 엄마들끼리 알음알음 전달을 하거나 유치원 종이 알림장에 적어주는 것이 전부였던 터라, 어머니가 깜빡 이를 놓쳤던 것이다. 그래서 어머니는 부리나케 유아원 건물 1층에 있는 슈퍼마켓에 가 손에 잡히는 대로 과자 한 봉지를 산 다음 옆 문방구에서 포장까지 한 후, 무사히 전달까지 마쳤는데... 드디어 기다리던 산타할아버지 선물 시간. 친구들이 하나둘씩 선물을 받아 신나게 포장지를 뜯는데, 당시 유행하던 킹라이온 합체 로봇 세트, 레고 선물 세트, 영 플레이모빌 선물 세트, 공주 주방 놀이 세트 등 아이들이 정말로 받고 싶어 하는 선물들이 줄줄이 나와 모두 기뻐하며 환호성을 지르고 있었다. 드디어 내 차례. 산타할아버지가 착하다며 선물을 주시는데, 모양부터 다른 친구들 것과 다르다. 친구들은 일단 큰 상자에 화려한 포장지로 싸여 리본 띠도 둘리어 있는데, 내건 크기도 작고 쭈글쭈글하다. 그래도 기대에 가득 차 신나게 포장지를 뜯었는데, 이런. 평소 먹기는 했지만, 크리스마스 선물로는 눈곱만큼도 기대하지 않았던 ‘스카치 캔디’ 한 봉지가 바로 내 선물이 아닌가. 당시 어머니가 내 표정을 살폈더니, 6살밖에 안 된 작은 아이인데도 그 얼굴에 실망한 표정이 너무 역력하더란다. 그러면서 다른 친구들을 살펴보는데 내 얼굴에 가득 차 보이던 그 부러움과 실망감이란...하늘에 반짝반짝 별이 가득했던 그 겨울밤을 손잡고 걸어오면서, 어머니가 내게 물었다. “가지고 싶은 선물이 안 나왔어? 산타할아버지가 조만간 더 좋은 걸로 다시 주실 거야” “응. 근데 난 이것도 좋아.” 불효자인 내가 당시 저렇게 말했을 리가 없는데, 어머니 기억으론 분명히 내가 저렇게 말했단다. 그래서 내가 사춘기 때 ‘어디서 저런 게 내 배에서 나왔는지 모르겠다’며 화를 내고 나서도, 어릴 때 위 크리스마스 사건만 떠올리면 금세 화가 가라앉았단다. 아무리 봐도 내가 천사 맞다나. 아무튼 위 일이 있고 며칠 뒤 나는 밤새 산타할아버지가 새로 놓고 갔다면서 당시 제일 인기 있었던 ‘제다이 광선검 무전기’를 선물로 또 받았다. 그리고 장롱 구석구석 이불 위에 올라가 아버지와 신나게 무전기 놀이를 즐겼던 기억이 난다. 그로부터 35년이 지난 작년 12월 23일. 이제 3살이 된 나의 딸 다원이의 어린이집 크리스마스 행사가 있었다. 내가 어릴 때와 마찬가지로 각자의 부모가 준비한 선물 증정식 순서가 있었는데... 선물을 준비하면서 나는 아내에게 ‘너무 큰 것을 준비하지 말고, 선물을 받더라도 그 자리에서 포장지를 벗겨 확인하지 말라’고 당부해 두었다. 혹시라도 부모님이 바빠서 선물을 준비 못 한 아이가 있거나 자기 선물보다 더 좋은 선물을 보고 실망하는 아이가 나올까 봐 한 말이었다. 다행히 위와 같은 나의 걱정은 기우였다. 다원이 어린이집 크리스마스 행사는 모든 아이의 보호자가 참석하여 선물을 주고받고, 아이들은 그 자리에서 선물을 뜯지 않은 채 집에 가서 확인했단다. 혹시라도 내가 어릴 때 겪었던 그 실망감을 막기 위한 어린이집의 배려였을까? 다원이의 이번 크리스마스 선물은 ‘콩콩이 병원 놀이 세트’였다. 그리고 크리스마스이브에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이모까지 모두 모여 따로 또 선물을 나눠주는 시간까지 있었다. 이제 80이 다 된 나의 아버지 어머니는 코로나가 의심되는 심한 기침 감기로 함께 하지 못해 영상통화만 하였는데, 전화기 너머로 손녀의 재롱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맘속 상처가 이제는 말끔히 아문 것 같았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은 끝이 없고, 이제 더 이상 어머니가 내게 미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스카치 캔디의 달콤한 추억과 함께 한 그 어느 때보다 행복한 크리스마스였다. [기사전문보기] - [에세이] 크리스마스의 추억 (바로가기)
서울지방변호사회보
2024-05-31
[칼럼] 크리스마스의 추억
[에세이] 크리스마스의 추억
6살이었던 1987년, 나는 엄마 손에 이끌려 처음으로 유치원에 갔다. 당시 내가 갔던 유치원의 정확한 이름은 “새마을 유아원”이었는데 정부 보조로 다른 곳보다 원비가 저렴했고, 동네에서 유일하게 종일반(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을 운영하고 있었다. 어머니가 당시 ○○생명 보험아줌마(요즘 말로는 보험설계사) 일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를 따로 돌봐 줄 사람이 없어서 5살까지는 회사에 나를 데리고 다니다가(그래서 서울 및 경기 지역 곳곳을 어머니 손 잡고 지인들 보험 가입하러 다녔다), 6살이 돼 종일반 유아원 입학이 가능해지자 나를 입학시킨 것이었다. 아침 8시 30분경 집 앞에서 유아원 셔틀버스를 타면, 온 동네를 돌아 아이들을 태우고 9시경 유아원에 도착, 간식과 점심을 유아원에서 먹고, 낮잠도 자며 온종일 놀다가 어머니가 늦은 오후 무렵 퇴근해서 나를 데려가는 일상이었다. 크리스마스 때마다 떠오르는 추억 하나가 있는데, 이건 지금까지도 어머니가 내게 미안하다고 종종 이야기하는 일이다. 12월 23일인가 24일인가 당시 유아원에서 크리스마스 행사를 했는데, 아이들이 연극도 하고 웅변도 하고 부모님과 어울려 게임도 하는 그런 날이었다. 이날도 어김없이 어머니는 회사에 출근했다가 행사 느지막이 유아원에 도착했는데, 다른 아이 어머니들이 전부 포장된 선물을 하나씩 들고 있더란다. 그래서 어머니가 다른 아이 어머니에게 “아이고, 유아원에서 아이들 선물도 이렇게 챙겨줬나 보죠? 정말 감사하네요” 했더니, 질문을 받은 아이 어머니가 깜짝 놀라면서 “아, 영민 어머니 연락 못 받으셨어요? 오늘 아이들에게 나눠줄 거라고 엄마들더러 선물 준비해 오라고 했거든요. 회사 일 때문에 바쁘셔서 전달을 못 받으셨나 보다”라고 답을 하더란다. 즉, 아이 부모들이 자기 아이에게 줄 선물을 포장해서 가지고 오면, 행사 마지막 시간에 산타 분장을 한 셔틀 운전기사 아저씨가 선물을 나눠주는 것이었는데, 당시는 요즘처럼 온라인 키즈노트 알림장도 없고, 엄마들끼리 알음알음 전달을 하거나 유치원 종이 알림장에 적어주는 것이 전부였던 터라, 어머니가 깜빡 이를 놓쳤던 것이다. 그래서 어머니는 부리나케 유아원 건물 1층에 있는 슈퍼마켓에 가 손에 잡히는 대로 과자 한 봉지를 산 다음 옆 문방구에서 포장까지 한 후, 무사히 전달까지 마쳤는데... 드디어 기다리던 산타할아버지 선물 시간. 친구들이 하나둘씩 선물을 받아 신나게 포장지를 뜯는데, 당시 유행하던 킹라이온 합체 로봇 세트, 레고 선물 세트, 영 플레이모빌 선물 세트, 공주 주방 놀이 세트 등 아이들이 정말로 받고 싶어 하는 선물들이 줄줄이 나와 모두 기뻐하며 환호성을 지르고 있었다. 드디어 내 차례. 산타할아버지가 착하다며 선물을 주시는데, 모양부터 다른 친구들 것과 다르다. 친구들은 일단 큰 상자에 화려한 포장지로 싸여 리본 띠도 둘리어 있는데, 내건 크기도 작고 쭈글쭈글하다. 그래도 기대에 가득 차 신나게 포장지를 뜯었는데, 이런. 평소 먹기는 했지만, 크리스마스 선물로는 눈곱만큼도 기대하지 않았던 ‘스카치 캔디’ 한 봉지가 바로 내 선물이 아닌가. 당시 어머니가 내 표정을 살폈더니, 6살밖에 안 된 작은 아이인데도 그 얼굴에 실망한 표정이 너무 역력하더란다. 그러면서 다른 친구들을 살펴보는데 내 얼굴에 가득 차 보이던 그 부러움과 실망감이란...하늘에 반짝반짝 별이 가득했던 그 겨울밤을 손잡고 걸어오면서, 어머니가 내게 물었다. “가지고 싶은 선물이 안 나왔어? 산타할아버지가 조만간 더 좋은 걸로 다시 주실 거야” “응. 근데 난 이것도 좋아.” 불효자인 내가 당시 저렇게 말했을 리가 없는데, 어머니 기억으론 분명히 내가 저렇게 말했단다. 그래서 내가 사춘기 때 ‘어디서 저런 게 내 배에서 나왔는지 모르겠다’며 화를 내고 나서도, 어릴 때 위 크리스마스 사건만 떠올리면 금세 화가 가라앉았단다. 아무리 봐도 내가 천사 맞다나. 아무튼 위 일이 있고 며칠 뒤 나는 밤새 산타할아버지가 새로 놓고 갔다면서 당시 제일 인기 있었던 ‘제다이 광선검 무전기’를 선물로 또 받았다. 그리고 장롱 구석구석 이불 위에 올라가 아버지와 신나게 무전기 놀이를 즐겼던 기억이 난다. 그로부터 35년이 지난 작년 12월 23일. 이제 3살이 된 나의 딸 다원이의 어린이집 크리스마스 행사가 있었다. 내가 어릴 때와 마찬가지로 각자의 부모가 준비한 선물 증정식 순서가 있었는데... 선물을 준비하면서 나는 아내에게 ‘너무 큰 것을 준비하지 말고, 선물을 받더라도 그 자리에서 포장지를 벗겨 확인하지 말라’고 당부해 두었다. 혹시라도 부모님이 바빠서 선물을 준비 못 한 아이가 있거나 자기 선물보다 더 좋은 선물을 보고 실망하는 아이가 나올까 봐 한 말이었다. 다행히 위와 같은 나의 걱정은 기우였다. 다원이 어린이집 크리스마스 행사는 모든 아이의 보호자가 참석하여 선물을 주고받고, 아이들은 그 자리에서 선물을 뜯지 않은 채 집에 가서 확인했단다. 혹시라도 내가 어릴 때 겪었던 그 실망감을 막기 위한 어린이집의 배려였을까? 다원이의 이번 크리스마스 선물은 ‘콩콩이 병원 놀이 세트’였다. 그리고 크리스마스이브에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이모까지 모두 모여 따로 또 선물을 나눠주는 시간까지 있었다. 이제 80이 다 된 나의 아버지 어머니는 코로나가 의심되는 심한 기침 감기로 함께 하지 못해 영상통화만 하였는데, 전화기 너머로 손녀의 재롱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맘속 상처가 이제는 말끔히 아문 것 같았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은 끝이 없고, 이제 더 이상 어머니가 내게 미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스카치 캔디의 달콤한 추억과 함께 한 그 어느 때보다 행복한 크리스마스였다. [기사전문보기] - [에세이] 크리스마스의 추억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2024-05-30
법무법인(유한) 대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 MOU 체결
뷰티 영역 상표권·특허권 보호 위해지식재산권 변호사 등 총동원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29일 대륜 여의도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력을 위한 MOU 체결식에는 대륜 고병준 대표, 김국일 대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 박미정 이사장, 한은정 이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사단법인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은 패션, 분장, 메이크업 등 뷰티영역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단체로 K-뷰티 산업의 선도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K-뷰티 분야의 발전 및 확대를 위한 공동사업 ▲협회 관련 분쟁 대응 ▲광고 및 홍보 진행 시 필요한 법률검토 ▲뷰티 분야 활성화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 박미정 이사장은 “우리 협회는 K-뷰티 산업의 확장을 위해 예술적·학술적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헤어디자인, 메이크업 아트, 네일 등 뷰티 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뷰티 콘텐츠의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중이다”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종사자 권익 보호, 기술 보호 등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전했다.대륜 고병준 대표는 "뷰티 기술과 같은 무형의 자산은 유형의 자산 못지 않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라며 "뷰티 영역에서 상표권, 특허권 등 보호를 위해 관련 분쟁에 신속하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발했다.이어 "대륜의 지식재산권 변호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을 총 동원해 사건을 처리하고 법률자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덧붙였다.전국 38개 사무소,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인 대륜은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만들어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한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했으며, 다수의 기업과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2024-05-30
법무법인(유한) 대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 MOU 체결
뷰티 영역 상표권·특허권 보호 위해지식재산권 변호사 등 총동원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29일 대륜 여의도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력을 위한 MOU 체결식에는 대륜 고병준 대표, 김국일 대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 박미정 이사장, 한은정 이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사단법인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은 패션, 분장, 메이크업 등 뷰티영역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단체로 K-뷰티 산업의 선도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K-뷰티 분야의 발전 및 확대를 위한 공동사업 ▲협회 관련 분쟁 대응 ▲광고 및 홍보 진행 시 필요한 법률검토 ▲뷰티 분야 활성화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 박미정 이사장은 “우리 협회는 K-뷰티 산업의 확장을 위해 예술적·학술적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헤어디자인, 메이크업 아트, 네일 등 뷰티 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뷰티 콘텐츠의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중이다”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종사자 권익 보호, 기술 보호 등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전했다.대륜 고병준 대표는 "뷰티 기술과 같은 무형의 자산은 유형의 자산 못지 않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라며 "뷰티 영역에서 상표권, 특허권 등 보호를 위해 관련 분쟁에 신속하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발했다.이어 "대륜의 지식재산권 변호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을 총 동원해 사건을 처리하고 법률자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덧붙였다.전국 38개 사무소,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인 대륜은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만들어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한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했으며, 다수의 기업과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과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더팩트
2024-05-30
아내 외도 사실 밝히려 몰래 녹음한 남편…검찰, 불기소 처분
아내 외도 사실 밝히려 몰래 녹음한 남편…검찰, 불기소 처분
이혼 소송 중 불륜 증거 확보 위해 아내 차량에 녹음기 설치 여러 남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아내와 이혼 소송을 하던 중 증거 확보를 위해 아내 차량에 녹음기를 설치한 남성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통신비밀보호법위반 혐의를 받는 A씨에게 기소유예 불기소 처분했다고 30일 밝혔다. 기소유예는 무혐의와 달리 혐의는 인정되나 사정을 참작해 법정에 세우지 않는 처분이다.A씨는 지난해 5월 22일 아내 B씨의 차량에 녹음기능을 켜둔 휴대전화를 설치해 공개되지 않은 타인 간의 대화를 녹음하려다 미수에 그쳐 통신비밀보호법위반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당시 A씨는 B씨와 이혼 소송 중이었으며 A씨는 B씨가 여러 남성들과 만남을 가진 사실을 알고 소송에 쓰일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던 것으로 조사됐다.검찰 조사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A씨가 B씨의 외도사실을 확인한 후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르고, 기기 설치 이후 곧바로 B씨에게 발각돼 범행이 미수에 그쳤으며 A씨가 어린 자녀들에 대한 양육자 및 친권자로서 양육책임을 전적으로 부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가 형사처벌 전력이 없는 점, 처벌이 이루어질 경우 경제적 활동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점, A씨가 범행을 뉘우치며 자녀양육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하는 점 등을 참작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해당 사건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장은민 수석변호사는 "타인 간의 전화 통화 내용을 몰래 녹음하는 것은 어떤 동기에서든 죄책이 가볍지 못하다. 다만, 이번 사건의 경우 자신의 배우자가 부정행위를 했다고 의심할 만한 상황에서 그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른 것"이라며 "배우자의 외도 사실을 알고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받아야 했던 부분이나 어린 자녀들을 양육하는 양육자임이 참작될 수 있도록 조력해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아내 외도 사실 밝히려 몰래 녹음한 남편…검찰,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더팩트
2024-05-30
아내 외도 사실 밝히려 몰래 녹음한 남편…검찰, 불기소 처분
아내 외도 사실 밝히려 몰래 녹음한 남편…검찰, 불기소 처분
이혼 소송 중 불륜 증거 확보 위해 아내 차량에 녹음기 설치 여러 남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아내와 이혼 소송을 하던 중 증거 확보를 위해 아내 차량에 녹음기를 설치한 남성이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통신비밀보호법위반 혐의를 받는 A씨에게 기소유예 불기소 처분했다고 30일 밝혔다. 기소유예는 무혐의와 달리 혐의는 인정되나 사정을 참작해 법정에 세우지 않는 처분이다.A씨는 지난해 5월 22일 아내 B씨의 차량에 녹음기능을 켜둔 휴대전화를 설치해 공개되지 않은 타인 간의 대화를 녹음하려다 미수에 그쳐 통신비밀보호법위반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당시 A씨는 B씨와 이혼 소송 중이었으며 A씨는 B씨가 여러 남성들과 만남을 가진 사실을 알고 소송에 쓰일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던 것으로 조사됐다.검찰 조사에서 A씨의 법률대리인은 A씨가 B씨의 외도사실을 확인한 후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르고, 기기 설치 이후 곧바로 B씨에게 발각돼 범행이 미수에 그쳤으며 A씨가 어린 자녀들에 대한 양육자 및 친권자로서 양육책임을 전적으로 부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검찰은 A씨가 형사처벌 전력이 없는 점, 처벌이 이루어질 경우 경제적 활동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점, A씨가 범행을 뉘우치며 자녀양육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하는 점 등을 참작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해당 사건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장은민 수석변호사는 "타인 간의 전화 통화 내용을 몰래 녹음하는 것은 어떤 동기에서든 죄책이 가볍지 못하다. 다만, 이번 사건의 경우 자신의 배우자가 부정행위를 했다고 의심할 만한 상황에서 그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른 것"이라며 "배우자의 외도 사실을 알고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받아야 했던 부분이나 어린 자녀들을 양육하는 양육자임이 참작될 수 있도록 조력해 불기소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아내 외도 사실 밝히려 몰래 녹음한 남편…검찰, 불기소 처분 (바로가기)
더팩트
2024-05-28
미성년자 상대 성범죄 혐의 30대 남성…정식재판서 무죄받은 까닭은? TF.CO.KR THE FACT
미성년자 상대 성범죄 혐의 30대 남성…정식재판서 무죄받은 까닭은?
위조 신분증에 속아 만남 가졌다는 점 밝혀 아청법 적용 피해 위조 신분증에 속아 미성년자와 스킨십 등을 한 뒤 성범죄 신고를 당한 30대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제5형사부(부장판사 장기석)는 강간, 강간미수 등 혐의를 받는 A(30)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27일 밝혔다.A 씨는 지난 2022년 12월 13일 지인들과 술자리가 끝난 후 처음 본 피해자 B(당시 15) 양에 스킨십을 시도하고 성관계를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A 씨는 첫 번째 만남에서 B 양에 입맞춤 등을 시도했으나 미수에 그친 뒤 같은 달 16일 술에 취한 B 양을 모텔로 데려가 강간한 혐의를 받는다.B 양은 사건 발생 이후 강간을 당했다며 신고했고, A 씨는 성관계는 없었다고 주장했다.재판에서 A 씨의 법률대리인은 피해자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고, 진술을 뒷받침할 객관적인 증거도 없으며 사건 이후 피해자는 사건 관련자들이 증인으로 출석하는 것을 꺼리는 등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변론했다.앞서 A 씨는 수사 과정에서 B 양이 미성년자임을 속이고 만남을 제안했다고 진술했다.A 씨의 법률대리인은 B 양이 위조 신분증을 A 씨에 보여주는 등 나이를 속였고, 이에 A 씨가 B 양이 미성년자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입증했다.검찰은 A 씨가 사건 당시 B 양이 아동·청소년임을 인식했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판단을 내려 해당 혐의에 대해서는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해당 사건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근수 최고총괄변호사는 "억울하게 강간범으로 몰리는 사건을 종종 접하곤 한다. 특히 미성년자가 나이를 속이고 접근하는 일도 많다"며 "성범죄 피해를 당하지 않았음에도 금전을 요구하기 위해 고소를 진행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피의자가 된 이후에는 무고함을 주장해도 피해자 진술 중심으로 사건 조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혐의 입증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김 변호사는 이어 "피해를 주장하는 쪽에서 진술이 일관되지 않고 신빙성이 떨어져도 제대로 방어하지 못할 시 재판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며 "이번 사건은 이런 부분을 악용해 억울하게 신고당한 사례이다. 다행히 검찰 단계에서 미성년자임을 인지하지 못한 점을 인정받고 재판에서 강간하지 않았음을 입증해 무죄를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미성년자 상대 성범죄 혐의 30대 남성…정식재판서 무죄받은 까닭은? (바로가기)
더팩트
2024-05-28
미성년자 상대 성범죄 혐의 30대 남성…정식재판서 무죄받은 까닭은? TF.CO.KR THE FACT
미성년자 상대 성범죄 혐의 30대 남성…정식재판서 무죄받은 까닭은?
위조 신분증에 속아 만남 가졌다는 점 밝혀 아청법 적용 피해 위조 신분증에 속아 미성년자와 스킨십 등을 한 뒤 성범죄 신고를 당한 30대 남성이 무죄를 선고받았다.부산지방법원 제5형사부(부장판사 장기석)는 강간, 강간미수 등 혐의를 받는 A(30)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27일 밝혔다.A 씨는 지난 2022년 12월 13일 지인들과 술자리가 끝난 후 처음 본 피해자 B(당시 15) 양에 스킨십을 시도하고 성관계를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A 씨는 첫 번째 만남에서 B 양에 입맞춤 등을 시도했으나 미수에 그친 뒤 같은 달 16일 술에 취한 B 양을 모텔로 데려가 강간한 혐의를 받는다.B 양은 사건 발생 이후 강간을 당했다며 신고했고, A 씨는 성관계는 없었다고 주장했다.재판에서 A 씨의 법률대리인은 피해자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고, 진술을 뒷받침할 객관적인 증거도 없으며 사건 이후 피해자는 사건 관련자들이 증인으로 출석하는 것을 꺼리는 등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변론했다.앞서 A 씨는 수사 과정에서 B 양이 미성년자임을 속이고 만남을 제안했다고 진술했다.A 씨의 법률대리인은 B 양이 위조 신분증을 A 씨에 보여주는 등 나이를 속였고, 이에 A 씨가 B 양이 미성년자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입증했다.검찰은 A 씨가 사건 당시 B 양이 아동·청소년임을 인식했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판단을 내려 해당 혐의에 대해서는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해당 사건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근수 최고총괄변호사는 "억울하게 강간범으로 몰리는 사건을 종종 접하곤 한다. 특히 미성년자가 나이를 속이고 접근하는 일도 많다"며 "성범죄 피해를 당하지 않았음에도 금전을 요구하기 위해 고소를 진행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피의자가 된 이후에는 무고함을 주장해도 피해자 진술 중심으로 사건 조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혐의 입증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김 변호사는 이어 "피해를 주장하는 쪽에서 진술이 일관되지 않고 신빙성이 떨어져도 제대로 방어하지 못할 시 재판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며 "이번 사건은 이런 부분을 악용해 억울하게 신고당한 사례이다. 다행히 검찰 단계에서 미성년자임을 인지하지 못한 점을 인정받고 재판에서 강간하지 않았음을 입증해 무죄를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미성년자 상대 성범죄 혐의 30대 남성…정식재판서 무죄받은 까닭은?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5-27
법무법인 대륜,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 체결
대륜, 의료지식 및 임상경험 보유한 자문단과 협력해…의료 분쟁 조정 나설 계획조상현 병원장 "어떤 의료분재이든 사실관계 입증하고 증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김국일 대표 "다수 의료법인과 의료자문 MOU 맺어…자문에 대한 신뢰성 방증" 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23일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서울연세병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최인석 매니저, 서울연세병원 조상현 병원장, 박용수 행정부장, 양광성 총무과장, 허순애 간호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서울연세병원은 팔·다리, 얼굴외상, 척추, 호흡기 등을 진료하는 24시간 응급수술 전문 병원이다. 최신 장비와 첨단 기술을 도입해 환자들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병원·한의사·약사 출신 전문가,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의료전문변호사, 의료분쟁조정중재원 비상임위원 출신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등으로 구성돼 의료분쟁에 특화되어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의료지식과 임상경험을 보유한 자문단과 협력해 각종 민·형사상 의료소송 대리 및 분쟁 조정에 나설 계획이다.특히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관련 분야 전문가가 병원 운영 전반에 관한 자문 서비스도 제공한다.서울연세병원 조상현 병원장은 "의료 보건 분야에서는 지속적인 법률자문이 필요하다. 어떤 의료분쟁이든 사실관계를 입증하고 이를 증명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면서도 "그런데 대륜에는 증거조사, 디지털포렌식 등을 직접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다수의 의료법인과 의료자문 MOU를 맺고 있는 것이 대륜 의료소송그룹의 자문에 대한 신뢰성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본다"며 "서울연세병원 운영에 법적 걸림돌이 없도록 전 영역에서 지속적인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고, 기업법무, 금융, 의료, 국방군사 등 각 그룹에 대한 확대 개편을 거듭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5-27
법무법인 대륜,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 체결
대륜, 의료지식 및 임상경험 보유한 자문단과 협력해…의료 분쟁 조정 나설 계획조상현 병원장 "어떤 의료분재이든 사실관계 입증하고 증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김국일 대표 "다수 의료법인과 의료자문 MOU 맺어…자문에 대한 신뢰성 방증" 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23일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서울연세병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최인석 매니저, 서울연세병원 조상현 병원장, 박용수 행정부장, 양광성 총무과장, 허순애 간호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서울연세병원은 팔·다리, 얼굴외상, 척추, 호흡기 등을 진료하는 24시간 응급수술 전문 병원이다. 최신 장비와 첨단 기술을 도입해 환자들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병원·한의사·약사 출신 전문가,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의료전문변호사, 의료분쟁조정중재원 비상임위원 출신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등으로 구성돼 의료분쟁에 특화되어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 의료소송그룹은 의료지식과 임상경험을 보유한 자문단과 협력해 각종 민·형사상 의료소송 대리 및 분쟁 조정에 나설 계획이다.특히 변호사뿐만 아니라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관련 분야 전문가가 병원 운영 전반에 관한 자문 서비스도 제공한다.서울연세병원 조상현 병원장은 "의료 보건 분야에서는 지속적인 법률자문이 필요하다. 어떤 의료분쟁이든 사실관계를 입증하고 이를 증명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면서도 "그런데 대륜에는 증거조사, 디지털포렌식 등을 직접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다수의 의료법인과 의료자문 MOU를 맺고 있는 것이 대륜 의료소송그룹의 자문에 대한 신뢰성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본다"며 "서울연세병원 운영에 법적 걸림돌이 없도록 전 영역에서 지속적인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고, 기업법무, 금융, 의료, 국방군사 등 각 그룹에 대한 확대 개편을 거듭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서울연세병원과 의료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여성동아
2024-05-22
“아일릿은 뉴진스를 정말 따라했나?
“아일릿은 뉴진스를 정말 따라했나?
콘셉트 비슷할 순 있으나 법적으론 문제 입증 어려워한 지붕 아래 유사성은 당연한 것? 지난 3월 25일 미니앨범 1집 ‘SUPER REAL ME’로 데뷔한 걸 그룹 아일릿은 하이브 산하 레이블 빌리프랩 소속이다. 서바이벌 프로그램 ‘알유넥스트’를 통해 멤버들을 선발했고, 방시혁 의장이 데뷔 앨범을 프로듀싱했다. 아일릿은 오디션 프로그램 종료 후 약 6개월 만에 데뷔했지만 ‘하이브 막내딸’이란 대대적인 홍보와 10대들의 ‘슈퍼 이끌림’을 만들어낸 틱톡 감성의 곡, 유행의 중심축인 Y2K 시절을 떠올리게 하면서도 알파를 더한 ‘몽환 청순’ 콘셉트 등이 어우러져 각종 신기록을 썼다. 다만 이번 사태가 터지기 전부터 뉴진스와 콘셉트가 비슷하단 의견이 있었던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일단 단순히 표면적으로 봤을 때 대중이 비슷하다고 느낄 만한 점이 3가지 있다. 인원수, 헤어스타일, 안무다. 두 그룹 모두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해외 멤버가 2명씩 포함돼 있다. 인원수는 안무 대형이나 단체 화보 등에서 비슷하단 느낌을 줄 수 있는 요소다. 또 아일릿 다섯 멤버 모두 검은색 긴 생머리 스타일로 통일해 청순함을 극대화한 점도 데뷔곡 ‘Attention’으로 뉴진스가 대중 앞에 처음 섰을 때와 같다. 물론 길고 검은 생머리가 뉴진스만이 처음 선보인 독창적인 스타일은 아니다. 그러나 소녀들이 단체로 긴 머리를 찰랑거리며 안무의 한 포인트로 활용했을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실제로 아일릿의 곡 ‘My World’에서 멤버들이 허리를 돌린 뒤 머리카락을 쓸어 넘기는 안무는 뉴진스의 ‘Attention’ 속 안무 동작과 흡사하다. 이 동작 외에도 뉴진스의 ‘Ditto’와 르세라핌의 ‘EASY’에서 본 듯한 동작이 화제였다. 또 최근 아일릿의 후속 활동 곡 ‘Lucky Girl Syndrome (Sped Up)’에서도 뉴진스의 맥도날드 CM송 안무와 유사한 손동작이 보인다.안무는 일부러 ‘대놓고’ 따라 해 화제성을 노린 전략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룹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콘셉트에 대해 특히 말이 많은 점은 이제 막 데뷔한 아일릿이 풀어야 할 과제다. 현재 음악을 제외한 뮤직비디오나 콘셉트 포토, 프로모션 방식 등 전체적으로 아일릿에서 뉴진스가 떠오른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콘셉트 비슷할 순 있으나 법적으론 문제 입증 어려워 다만 콘셉트가 비슷하다고 해서 표절로 판정 내리긴 쉽지 않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지식재산권 전문 김태환 변호사는 “아일릿과 뉴진스를 각각의 상품으로 봤을 때 유사하다 볼 여지가 높다”며 “하지만 콘셉트의 측면에서 상당히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법적 판단에 근거하여 보기 위해서는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부정경쟁방지법을 침해한 것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일단 콘셉트는 ‘아이디어’의 영역으로 저작권법상으로 보호받지 못한다. 저작권에서 이를 ‘아이디어와 표현의 이분법’이라 하는데, 저작권은 보호 대상을 ‘표현’에 한정하며 ‘아이디어’를 보호하지는 않는다. 이때 전체적인 콘셉트가 아닌 콘셉트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요소인 음악, 안무, 사진저작물 등 다른 저작물의 영역에서 실질적 유사성과 의거 관계가 인정된다면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다. 다만 김태환 변호사는 “두 그룹의 노래 가사와 멜로디가 다르고, 음악의 흐름에 따른 개별적인 안무도 세부적으로 표현을 달리하는 부분이 다수 존재한다”며 “이를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 법적 방어 논리가 다수 존재할 것으로 판단돼 저작권의 침해를 인정받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부정경쟁방지법 측면에서 살펴봐도 애매하다. 뉴진스와 아일릿의 경우에서 문제시될 조항은 영업 표지 등 혼동행위, 아이디어 탈취행위, 성과 등 무단도용행위 등이 있다. 이에 대해 김태환 변호사는 “피해자 측에서 ‘아이디어를 탈취한 자가 그 아이디어를 몰랐거나 동종 업계에서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까지 입증해야 하는데, 특수하거나 특이하다는 점까지 증명해야 하므로 쉽지 않다”면서 “뉴진스의 콘셉트가 보호받을 수 있는 대상인지에 대해서도 ‘고유의 성과’ 부분을 입증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콘셉트를 구성하는 개별 요소들이 전부 발표되지 않은 새로운 것이라는 점을 입증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하늘 아래 새로운 건 없다. 하지만 그래도 한 끗 차이를 만들어내려고 노력은 해야 하고, 그 노력이 보인다면 비슷하다고 느낀 점을 문제 삼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아일릿과 뉴진스 표절 논란은 하이브의 도덕성 문제로도 연결된다. 김태환 변호사는 “창작이나 예술과 같은 영역에서 콘셉트의 카피는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 경쟁사도 아닌 모기업에서 콘셉트를 카피했다고 논란이 나온 것은 도덕의식, 윤리의식 측면에서 비난받기에 충분한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한 지붕 아래 유사성은 당연한 것? 실제로 콘셉트의 유사성 정도는 둘째 치고 ‘같은 모기업을 둔 레이블끼리 이런 표절 논란을 일으켜도 되는가’의 문제를 두고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김영대 평론가는 ‘앰플리파이드’ 팟캐스트에서 “지금의 하이브는 신을 선도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데, 뭔가를 제시한다는 느낌보다 자신들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상태를 (반복적으로) 만들어내고 있다”고 아쉬워했다.하지만 같은 하이브 레이블들이라 문제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이 다음 버전 휴대폰을 만들 때 전작을 참고해 제작하듯, 같은 회사에서 내놓은 아이돌 그룹은 유사성이 허용돼야 한다”며 “다른 기획사도 소속 그룹끼리 비슷한 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민희진 대표는 현재 어도어를 이끌고 있긴 하지만 애초 2019년 하이브에 합류할 때 최고브랜드책임자(CBO)로 입사했다. 하이브로선 당연히 민희진의 역량을 전 그룹에 활용하고 싶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모회사와 자회사들 관계이기 때문에 뉴진스의 성공 문법을 활용해 그룹 차원의 이익을 도모했다면 이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일까. 현재 하이브 산하 각 레이블은 콘텐츠 제작을 전담하며, 홍보와 법무는 모회사인 하이브가 전담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김태환 변호사는 “하이브는 회사의 ‘안정적인 매출’을 위해 유사한 콘텐츠를 재생산하는 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판단을 했을 수 있다”며 참고할 만한 판례로 2017년 선고된 SPP조선 판결을 소개했다. 당시 이낙영 전 SPP조선 회장은 채권단 관리하에 있는 SPP조선의 자금으로 계열회사 자재를 구매하고 SPP조선 고철을 다른 계열회사에 넘겨 손해를 초래했다는 배임 혐의를 받았다. 하지만 대법원은 합리적 경영의 재량 범위 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해 배임의 고의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룹 내 계열사 간 지원 행위가 특정인이나 특정 회사를 위한 것이 아니라 그룹 공동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배임으로 볼 수 없다는 첫 대법원 판결이었다.김태환 변호사는 “이 판례를 대입해볼 때 분야는 다르지만 하이브(모회사)가 아일릿(자회사 소속)에 대한 지원 행위로 볼 수 있는지, 그렇다면 그룹 공동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는지 등에 따라 ‘배임죄’의 성립 여부에 영향을 줄 여지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만약 모회사 차원의 지원이 맞고, 또 그룹 공동의 이익으로 판단된다면 지금은 뉴진스의 성공 방식이 아일릿에게서 보이지만, 다음번에는 아일릿의 성공 방식을 차기 그룹에게서 발견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기사전문보기] - “아일릿은 뉴진스를 정말 따라했나?
여성동아
2024-05-22
“아일릿은 뉴진스를 정말 따라했나?
“아일릿은 뉴진스를 정말 따라했나?
콘셉트 비슷할 순 있으나 법적으론 문제 입증 어려워한 지붕 아래 유사성은 당연한 것? 지난 3월 25일 미니앨범 1집 ‘SUPER REAL ME’로 데뷔한 걸 그룹 아일릿은 하이브 산하 레이블 빌리프랩 소속이다. 서바이벌 프로그램 ‘알유넥스트’를 통해 멤버들을 선발했고, 방시혁 의장이 데뷔 앨범을 프로듀싱했다. 아일릿은 오디션 프로그램 종료 후 약 6개월 만에 데뷔했지만 ‘하이브 막내딸’이란 대대적인 홍보와 10대들의 ‘슈퍼 이끌림’을 만들어낸 틱톡 감성의 곡, 유행의 중심축인 Y2K 시절을 떠올리게 하면서도 알파를 더한 ‘몽환 청순’ 콘셉트 등이 어우러져 각종 신기록을 썼다. 다만 이번 사태가 터지기 전부터 뉴진스와 콘셉트가 비슷하단 의견이 있었던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일단 단순히 표면적으로 봤을 때 대중이 비슷하다고 느낄 만한 점이 3가지 있다. 인원수, 헤어스타일, 안무다. 두 그룹 모두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해외 멤버가 2명씩 포함돼 있다. 인원수는 안무 대형이나 단체 화보 등에서 비슷하단 느낌을 줄 수 있는 요소다. 또 아일릿 다섯 멤버 모두 검은색 긴 생머리 스타일로 통일해 청순함을 극대화한 점도 데뷔곡 ‘Attention’으로 뉴진스가 대중 앞에 처음 섰을 때와 같다. 물론 길고 검은 생머리가 뉴진스만이 처음 선보인 독창적인 스타일은 아니다. 그러나 소녀들이 단체로 긴 머리를 찰랑거리며 안무의 한 포인트로 활용했을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실제로 아일릿의 곡 ‘My World’에서 멤버들이 허리를 돌린 뒤 머리카락을 쓸어 넘기는 안무는 뉴진스의 ‘Attention’ 속 안무 동작과 흡사하다. 이 동작 외에도 뉴진스의 ‘Ditto’와 르세라핌의 ‘EASY’에서 본 듯한 동작이 화제였다. 또 최근 아일릿의 후속 활동 곡 ‘Lucky Girl Syndrome (Sped Up)’에서도 뉴진스의 맥도날드 CM송 안무와 유사한 손동작이 보인다.안무는 일부러 ‘대놓고’ 따라 해 화제성을 노린 전략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룹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콘셉트에 대해 특히 말이 많은 점은 이제 막 데뷔한 아일릿이 풀어야 할 과제다. 현재 음악을 제외한 뮤직비디오나 콘셉트 포토, 프로모션 방식 등 전체적으로 아일릿에서 뉴진스가 떠오른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콘셉트 비슷할 순 있으나 법적으론 문제 입증 어려워 다만 콘셉트가 비슷하다고 해서 표절로 판정 내리긴 쉽지 않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지식재산권 전문 김태환 변호사는 “아일릿과 뉴진스를 각각의 상품으로 봤을 때 유사하다 볼 여지가 높다”며 “하지만 콘셉트의 측면에서 상당히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법적 판단에 근거하여 보기 위해서는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부정경쟁방지법을 침해한 것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일단 콘셉트는 ‘아이디어’의 영역으로 저작권법상으로 보호받지 못한다. 저작권에서 이를 ‘아이디어와 표현의 이분법’이라 하는데, 저작권은 보호 대상을 ‘표현’에 한정하며 ‘아이디어’를 보호하지는 않는다. 이때 전체적인 콘셉트가 아닌 콘셉트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요소인 음악, 안무, 사진저작물 등 다른 저작물의 영역에서 실질적 유사성과 의거 관계가 인정된다면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다. 다만 김태환 변호사는 “두 그룹의 노래 가사와 멜로디가 다르고, 음악의 흐름에 따른 개별적인 안무도 세부적으로 표현을 달리하는 부분이 다수 존재한다”며 “이를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 법적 방어 논리가 다수 존재할 것으로 판단돼 저작권의 침해를 인정받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부정경쟁방지법 측면에서 살펴봐도 애매하다. 뉴진스와 아일릿의 경우에서 문제시될 조항은 영업 표지 등 혼동행위, 아이디어 탈취행위, 성과 등 무단도용행위 등이 있다. 이에 대해 김태환 변호사는 “피해자 측에서 ‘아이디어를 탈취한 자가 그 아이디어를 몰랐거나 동종 업계에서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까지 입증해야 하는데, 특수하거나 특이하다는 점까지 증명해야 하므로 쉽지 않다”면서 “뉴진스의 콘셉트가 보호받을 수 있는 대상인지에 대해서도 ‘고유의 성과’ 부분을 입증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콘셉트를 구성하는 개별 요소들이 전부 발표되지 않은 새로운 것이라는 점을 입증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하늘 아래 새로운 건 없다. 하지만 그래도 한 끗 차이를 만들어내려고 노력은 해야 하고, 그 노력이 보인다면 비슷하다고 느낀 점을 문제 삼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아일릿과 뉴진스 표절 논란은 하이브의 도덕성 문제로도 연결된다. 김태환 변호사는 “창작이나 예술과 같은 영역에서 콘셉트의 카피는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 경쟁사도 아닌 모기업에서 콘셉트를 카피했다고 논란이 나온 것은 도덕의식, 윤리의식 측면에서 비난받기에 충분한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한 지붕 아래 유사성은 당연한 것? 실제로 콘셉트의 유사성 정도는 둘째 치고 ‘같은 모기업을 둔 레이블끼리 이런 표절 논란을 일으켜도 되는가’의 문제를 두고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김영대 평론가는 ‘앰플리파이드’ 팟캐스트에서 “지금의 하이브는 신을 선도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데, 뭔가를 제시한다는 느낌보다 자신들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상태를 (반복적으로) 만들어내고 있다”고 아쉬워했다.하지만 같은 하이브 레이블들이라 문제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이 다음 버전 휴대폰을 만들 때 전작을 참고해 제작하듯, 같은 회사에서 내놓은 아이돌 그룹은 유사성이 허용돼야 한다”며 “다른 기획사도 소속 그룹끼리 비슷한 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민희진 대표는 현재 어도어를 이끌고 있긴 하지만 애초 2019년 하이브에 합류할 때 최고브랜드책임자(CBO)로 입사했다. 하이브로선 당연히 민희진의 역량을 전 그룹에 활용하고 싶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모회사와 자회사들 관계이기 때문에 뉴진스의 성공 문법을 활용해 그룹 차원의 이익을 도모했다면 이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일까. 현재 하이브 산하 각 레이블은 콘텐츠 제작을 전담하며, 홍보와 법무는 모회사인 하이브가 전담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김태환 변호사는 “하이브는 회사의 ‘안정적인 매출’을 위해 유사한 콘텐츠를 재생산하는 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판단을 했을 수 있다”며 참고할 만한 판례로 2017년 선고된 SPP조선 판결을 소개했다. 당시 이낙영 전 SPP조선 회장은 채권단 관리하에 있는 SPP조선의 자금으로 계열회사 자재를 구매하고 SPP조선 고철을 다른 계열회사에 넘겨 손해를 초래했다는 배임 혐의를 받았다. 하지만 대법원은 합리적 경영의 재량 범위 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해 배임의 고의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룹 내 계열사 간 지원 행위가 특정인이나 특정 회사를 위한 것이 아니라 그룹 공동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배임으로 볼 수 없다는 첫 대법원 판결이었다.김태환 변호사는 “이 판례를 대입해볼 때 분야는 다르지만 하이브(모회사)가 아일릿(자회사 소속)에 대한 지원 행위로 볼 수 있는지, 그렇다면 그룹 공동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는지 등에 따라 ‘배임죄’의 성립 여부에 영향을 줄 여지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만약 모회사 차원의 지원이 맞고, 또 그룹 공동의 이익으로 판단된다면 지금은 뉴진스의 성공 방식이 아일릿에게서 보이지만, 다음번에는 아일릿의 성공 방식을 차기 그룹에게서 발견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기사전문보기] - “아일릿은 뉴진스를 정말 따라했나?
중앙일보 등 2곳
2024-05-22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영입
김낙형, 횡령·상속·성범죄 등 다분야 사건 수행곽내원, 서울행정법원 판사 출신 행정소송 특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판사 출신 김낙형 최고총괄변호사와 판사 출신 곽내원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1일 밝혔다.김낙형 변호사는 울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후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부산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등을 거쳐 대구지방법원에서 부장판사를 역임했다.김 변호사는 판사로 재직하는 동안 횡령, 상속, 성범죄 등 다양한 사건을 처리했으며, 특히 기업의 영업 비밀 침해 사건과 횡령 및 배임 사건 등 기업범죄에 특화됐다.김 변호사는 "부장판사 재직 경험을 살려 각종 강력범죄 사건을 날카롭게 들여다 보고, 의뢰인에게 최적화된 전략을 수립하겠다"며 "대륜에서 고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최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곽내원 변호사는 대전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후 대전지방법원 공주지원, 수원지방법원, 서울중앙법원을 거쳐 서울행정법원 판사를 역임했다.행정소송에 특화된 곽 변호사는 부산광역시장을 상대로 한 광역교통시설 부담금 부과처분 취소 소송, 용산세무서장을 상대로 한 증여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을 상대로 한 개발행위불허가통보 취소 소송 등을 전담했다.이 외에도 산업재해 불승인 처분 취소,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건을 다수 다뤄 산재사건에서도 두각을 보였다.한국거래소(KRX) 코스닥기업상장폐지심사위원회 위원,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 하남도시공사 자문 변호사, 한국환경기자협회 고문 변호사 등을 맡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바 있다.곽 변호사는 "홀로 행정소송을 준비해서 승소하는 것은 쉽지 않다. 행정법원 판사를 지내며, 어떤 주장을 펼쳐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다"며 "전문가와 함께 소송을 준비했을 때 기대하게 되는 결과를 실제로 받아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기업 사건에 특화된 김 변호사와 행정소송 경험이 많은 곽 변호사의 활약이 기대된다. 두 변호사의 합류로 기업법무, 행정 등 분야에서 전문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꾸준히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중앙일보 -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영입
중앙일보 등 2곳
2024-05-22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영입
김낙형, 횡령·상속·성범죄 등 다분야 사건 수행곽내원, 서울행정법원 판사 출신 행정소송 특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판사 출신 김낙형 최고총괄변호사와 판사 출신 곽내원 최고총괄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1일 밝혔다.김낙형 변호사는 울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후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부산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등을 거쳐 대구지방법원에서 부장판사를 역임했다.김 변호사는 판사로 재직하는 동안 횡령, 상속, 성범죄 등 다양한 사건을 처리했으며, 특히 기업의 영업 비밀 침해 사건과 횡령 및 배임 사건 등 기업범죄에 특화됐다.김 변호사는 "부장판사 재직 경험을 살려 각종 강력범죄 사건을 날카롭게 들여다 보고, 의뢰인에게 최적화된 전략을 수립하겠다"며 "대륜에서 고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최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곽내원 변호사는 대전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후 대전지방법원 공주지원, 수원지방법원, 서울중앙법원을 거쳐 서울행정법원 판사를 역임했다.행정소송에 특화된 곽 변호사는 부산광역시장을 상대로 한 광역교통시설 부담금 부과처분 취소 소송, 용산세무서장을 상대로 한 증여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을 상대로 한 개발행위불허가통보 취소 소송 등을 전담했다.이 외에도 산업재해 불승인 처분 취소,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건을 다수 다뤄 산재사건에서도 두각을 보였다.한국거래소(KRX) 코스닥기업상장폐지심사위원회 위원,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 하남도시공사 자문 변호사, 한국환경기자협회 고문 변호사 등을 맡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바 있다.곽 변호사는 "홀로 행정소송을 준비해서 승소하는 것은 쉽지 않다. 행정법원 판사를 지내며, 어떤 주장을 펼쳐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다"며 "전문가와 함께 소송을 준비했을 때 기대하게 되는 결과를 실제로 받아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법무법인 대륜 대표는 "기업 사건에 특화된 김 변호사와 행정소송 경험이 많은 곽 변호사의 활약이 기대된다. 두 변호사의 합류로 기업법무, 행정 등 분야에서 전문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꾸준히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중앙일보 -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판사 출신 김낙형·곽내원 변호사 영입
월요신문
2024-05-20
[칼럼] 빗썸의 에어드랍과 국세청의 날벼락, 에어드랍 코인에 세금 부과될까?
[칼럼] 빗썸의 에어드랍과 국세청의 날벼락, 에어드랍 코인에 세금 부과될까?
2024년 5월 10일 빗썸은 화끈한 공지 하나를 게시했다. 이용자들에게 세금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빗썸은 2018년~2021년 이용자를 대상으로 가상자산 '에어드랍(Air-Drop)'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근래 국세청이 위 이벤트로 가상자산을 받은 이용자에 종합소득세 과세 예고를 통지했다.암호화폐 거래로 얻은 수익에는 아직까지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있기에 이용자들은 갑작스러운 세금 부과가 당혹스러울 수도 있을 터다.그래서 빗썸은 이용자들에게 에어드랍으로 발생한 세금을 지원키로 했다. 그리고 현재 과세처분에 대한 조세불복절차를 진행 중이다.암호화폐 거래, 즉 매매, 교환, 대여 소득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는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만 이는 매매, 교환, 대여로 인한 양도소득세에 대한 과세만 정책적인 측면에서 유예된 것일 뿐, 암호화폐의 상속이나 증여는 사실 현재도 세금 부과 대상이었다.그렇다면 에어드랍의 경우는 어떠할까? 에어드랍은, 코인 발행업체의 코인 무상제공행위를 뜻한다. 매매, 교환, 대여 등 양도는 일방이 무언가를 제공하면 상대방이 그 대가로 금전 등을 지급하는 것인 반면, 증여는 일방이 상대방에게 대가 없이 무상으로 제공하는 행위다.따라서 에어드랍은 양도가 아니라 증여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에어드랍으로 발생한 소득은 현재 세금 부과 대상이다. 문제는 에어드랍의 법적 성격이 무엇인지, 어떤 세금을 부과해야 하는지에 관해 구체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아 에어드랍 코인 과세는 성급한 처분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과세 대상인지 여부는 개별적인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무상제공행위라 하더라도 당사자 간 약정으로 일정기간의 구매수량이나 구매금액에 따른 사은품을 제공하는 경우 사업상 증여로 보지 않아 과세하지 않는다.반면 경품의 경우 수령자의 기타소득으로 보아 수령자에게 제세공과금이 부과된다. 경품은 구매실적에 따라 일률적으로 증정되는 사은품과 달리 추첨 등을 통해 한정된 수의 고객에게 증정하는 물품으로 보는 차이가 있다. 백화점에서 얼마 이상 구매 시 주는 백화점 상품권은 사은품이고, 선착순 당첨은 경품이다.빗썸이 진행했던 에어드랍의 경우, 이벤트성 에어드랍이었다. 즉, 코인 발행업체가 빗썸을 통해 이벤트를 열고 이벤트에서 제시한 조건이 충족되면 에어드랍으로 코인을 받을 수 있는 경우이다.빗썸은 이벤트성 에어드랍 코인의 성격을 이벤트성 보상으로서 사은품으로 보고 있으나 국세청은 경품으로 보고 과세하고 있는 듯하다. 참고로 개인이 에어드랍으로 취득한 코인에 대해서 미국, 일본은 소득세를 부과하나, 싱가포르나 호주에서는 과세하지 않는다고 한다.2018년 1년간 진행된 빗썸 에어드랍 이벤트를 살펴봤다. 약 36번의 에어드랍 이벤트 중 30번은 특정기간 또는 특정시점 기여도 비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차등 지급하는 내용으로 이벤트가 진행됐다. 이는 딱 백화점상품권 사은품 행사와 같은 행사로 보인다. 따라서 구매실적에 따라 일률적으로 에어드랍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이벤트를 통해 받은 에어드랍 코인은 사은품으로 보아 과세되지 않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나머지 6번의 경우, 이벤트 코인의 최저가 매수 또는 최고가 매수자, n번째 매수자에게 코인을 지급하겠다는 등 조금은 다른 지급 조건이 있었다. 이는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하거나 구매와 별개로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경우이므로 이렇게 받은 코인은 경품 코인으로 과세 대상일 것으로 보인다.구체적으로 어떤 이벤트 참여자에 과세처분이 되었는지 확인된 바는 없었다. 그러나 이벤트성 에어드랍 대다수의 경우가 '이 코인을 구매한 자에게 그 지분 비율에 따라 에어드랍' 한다는 내용인 점에서 대부분 사은품의 성격을 띈다고 본다.만일 국세청이 빗썸의 이벤트성 에어드랍 코인 수령자 모두에게 일괄적으로 세금을 부과한다면 빗썸은 이에 대해 할 말이 많을 것 같다.블록체인과 암호화폐시장에서 정립되지 않은 법적 과제가 무수히 많다. 이번 '빗썸 사건'은 암호화폐에 관한 법적 해석 중 리딩 케이스(leading case)가 될 것으로 보여 그 귀추가 주목된다. 우리 법과 법원이 건전한 블록체인 시장의 성장에 날개가 될 수 있기를 바라본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빗썸의 에어드랍과 국세청의 날벼락, 에어드랍 코인에 세금 부과될까? (바로가기)
월요신문
2024-05-20
[칼럼] 빗썸의 에어드랍과 국세청의 날벼락, 에어드랍 코인에 세금 부과될까?
[칼럼] 빗썸의 에어드랍과 국세청의 날벼락, 에어드랍 코인에 세금 부과될까?
2024년 5월 10일 빗썸은 화끈한 공지 하나를 게시했다. 이용자들에게 세금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빗썸은 2018년~2021년 이용자를 대상으로 가상자산 '에어드랍(Air-Drop)'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근래 국세청이 위 이벤트로 가상자산을 받은 이용자에 종합소득세 과세 예고를 통지했다.암호화폐 거래로 얻은 수익에는 아직까지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있기에 이용자들은 갑작스러운 세금 부과가 당혹스러울 수도 있을 터다.그래서 빗썸은 이용자들에게 에어드랍으로 발생한 세금을 지원키로 했다. 그리고 현재 과세처분에 대한 조세불복절차를 진행 중이다.암호화폐 거래, 즉 매매, 교환, 대여 소득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는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만 이는 매매, 교환, 대여로 인한 양도소득세에 대한 과세만 정책적인 측면에서 유예된 것일 뿐, 암호화폐의 상속이나 증여는 사실 현재도 세금 부과 대상이었다.그렇다면 에어드랍의 경우는 어떠할까? 에어드랍은, 코인 발행업체의 코인 무상제공행위를 뜻한다. 매매, 교환, 대여 등 양도는 일방이 무언가를 제공하면 상대방이 그 대가로 금전 등을 지급하는 것인 반면, 증여는 일방이 상대방에게 대가 없이 무상으로 제공하는 행위다.따라서 에어드랍은 양도가 아니라 증여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에어드랍으로 발생한 소득은 현재 세금 부과 대상이다. 문제는 에어드랍의 법적 성격이 무엇인지, 어떤 세금을 부과해야 하는지에 관해 구체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아 에어드랍 코인 과세는 성급한 처분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과세 대상인지 여부는 개별적인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무상제공행위라 하더라도 당사자 간 약정으로 일정기간의 구매수량이나 구매금액에 따른 사은품을 제공하는 경우 사업상 증여로 보지 않아 과세하지 않는다.반면 경품의 경우 수령자의 기타소득으로 보아 수령자에게 제세공과금이 부과된다. 경품은 구매실적에 따라 일률적으로 증정되는 사은품과 달리 추첨 등을 통해 한정된 수의 고객에게 증정하는 물품으로 보는 차이가 있다. 백화점에서 얼마 이상 구매 시 주는 백화점 상품권은 사은품이고, 선착순 당첨은 경품이다.빗썸이 진행했던 에어드랍의 경우, 이벤트성 에어드랍이었다. 즉, 코인 발행업체가 빗썸을 통해 이벤트를 열고 이벤트에서 제시한 조건이 충족되면 에어드랍으로 코인을 받을 수 있는 경우이다.빗썸은 이벤트성 에어드랍 코인의 성격을 이벤트성 보상으로서 사은품으로 보고 있으나 국세청은 경품으로 보고 과세하고 있는 듯하다. 참고로 개인이 에어드랍으로 취득한 코인에 대해서 미국, 일본은 소득세를 부과하나, 싱가포르나 호주에서는 과세하지 않는다고 한다.2018년 1년간 진행된 빗썸 에어드랍 이벤트를 살펴봤다. 약 36번의 에어드랍 이벤트 중 30번은 특정기간 또는 특정시점 기여도 비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차등 지급하는 내용으로 이벤트가 진행됐다. 이는 딱 백화점상품권 사은품 행사와 같은 행사로 보인다. 따라서 구매실적에 따라 일률적으로 에어드랍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이벤트를 통해 받은 에어드랍 코인은 사은품으로 보아 과세되지 않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나머지 6번의 경우, 이벤트 코인의 최저가 매수 또는 최고가 매수자, n번째 매수자에게 코인을 지급하겠다는 등 조금은 다른 지급 조건이 있었다. 이는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하거나 구매와 별개로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경우이므로 이렇게 받은 코인은 경품 코인으로 과세 대상일 것으로 보인다.구체적으로 어떤 이벤트 참여자에 과세처분이 되었는지 확인된 바는 없었다. 그러나 이벤트성 에어드랍 대다수의 경우가 '이 코인을 구매한 자에게 그 지분 비율에 따라 에어드랍' 한다는 내용인 점에서 대부분 사은품의 성격을 띈다고 본다.만일 국세청이 빗썸의 이벤트성 에어드랍 코인 수령자 모두에게 일괄적으로 세금을 부과한다면 빗썸은 이에 대해 할 말이 많을 것 같다.블록체인과 암호화폐시장에서 정립되지 않은 법적 과제가 무수히 많다. 이번 '빗썸 사건'은 암호화폐에 관한 법적 해석 중 리딩 케이스(leading case)가 될 것으로 보여 그 귀추가 주목된다. 우리 법과 법원이 건전한 블록체인 시장의 성장에 날개가 될 수 있기를 바라본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빗썸의 에어드랍과 국세청의 날벼락, 에어드랍 코인에 세금 부과될까?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05-17
'소득세·법인세 0원' 청년창업세액감면 악용 실태 파악 나선다
'소득세·법인세 0원' 청년창업세액감면 악용 실태 파악 나선다
청년 창업 장려를 위한 소득세·법인세 면제 제도가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과세당국이 실태 파악에 나선다. 청년창업세액감면은 청년(만 15~34세)이 창업을 하면 5년간 소득세·법인세 등을 감면해주는 제도다. 과밀억제권역 밖에서 창업하면 100%, 과밀억제권역에서 창업하면 50%를 5년간 감면받는다는 파격적인 세제혜택이다.과밀억제권역은 서울 및 수도권의 인구, 산업의 적정한 배치를 위해 과도하게 밀집됐거나 그럴 우려가 있어 정비가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서울, 경기 일부 지역을 제외한 곳에 사업체 주소를 두면 세금을 단 1원도 내지 않아도 된다.청년창업세액감면 수혜 규모는 지난 2016년과 비교했을 때 인원은 437.8%, 금액은 650.6% 증가하며 엄청난 속도를 보이며 급증했다. 같은 기간 조세특례제한법상 전체 세액 감면 규모 인원 54.0%, 금액 83.3% 증가 수치와 비교했을 때 엄청난 수치임을 알 수 있다.많은 이들이 세액 감면을 받고 있는 만큼 편법으로 세금 한 푼도 내지 않는 사람들 또한 늘어났다. 과밀억제권역 밖에 사업체 주소지만 옮겨 두고 허위로 사업자 등록을 한 채 소득세, 법인세 등을 감면받는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는 분명히 탈세 소지가 있다.국세청이 세금 감면을 받는 청년 창업자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세당국은 우선 사업장 등록 실태 등을 파악하고 법적 미비점이 없는지도 살필 예정이다.조세범처벌법 위반 등 장기간 조세 관련 사건을 처리해온 김인원 조세전문변호사는 "청년들이 창업 시 소득세, 법인세 등 세액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한 상담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과세당국의 엄정한 조사가 예고된 만큼, 창업을 했다면 비정기 세무조사에 대비해, 창업 예정이라면 창업 시 문제 되는 사항이 없는지 미리 세무자문을 받는 등 현 상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일반적으로 절세를 위해 적법한 절차를 거친다면 문제가 없으나, 부정한 행위를 통해 납세를 하지 않는 조세 포탈은 위법행위다. 때문에 조세 문제는 상황에 맞는 장기간 축적한 전문경험을 가진 전문가의 검토 등의 조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 '소득세·법인세 0원' 청년창업세액감면 악용 실태 파악 나선다 (바로가기)
머니투데이
2024-05-17
'소득세·법인세 0원' 청년창업세액감면 악용 실태 파악 나선다
'소득세·법인세 0원' 청년창업세액감면 악용 실태 파악 나선다
청년 창업 장려를 위한 소득세·법인세 면제 제도가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과세당국이 실태 파악에 나선다. 청년창업세액감면은 청년(만 15~34세)이 창업을 하면 5년간 소득세·법인세 등을 감면해주는 제도다. 과밀억제권역 밖에서 창업하면 100%, 과밀억제권역에서 창업하면 50%를 5년간 감면받는다는 파격적인 세제혜택이다.과밀억제권역은 서울 및 수도권의 인구, 산업의 적정한 배치를 위해 과도하게 밀집됐거나 그럴 우려가 있어 정비가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서울, 경기 일부 지역을 제외한 곳에 사업체 주소를 두면 세금을 단 1원도 내지 않아도 된다.청년창업세액감면 수혜 규모는 지난 2016년과 비교했을 때 인원은 437.8%, 금액은 650.6% 증가하며 엄청난 속도를 보이며 급증했다. 같은 기간 조세특례제한법상 전체 세액 감면 규모 인원 54.0%, 금액 83.3% 증가 수치와 비교했을 때 엄청난 수치임을 알 수 있다.많은 이들이 세액 감면을 받고 있는 만큼 편법으로 세금 한 푼도 내지 않는 사람들 또한 늘어났다. 과밀억제권역 밖에 사업체 주소지만 옮겨 두고 허위로 사업자 등록을 한 채 소득세, 법인세 등을 감면받는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는 분명히 탈세 소지가 있다.국세청이 세금 감면을 받는 청년 창업자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세당국은 우선 사업장 등록 실태 등을 파악하고 법적 미비점이 없는지도 살필 예정이다.조세범처벌법 위반 등 장기간 조세 관련 사건을 처리해온 김인원 조세전문변호사는 "청년들이 창업 시 소득세, 법인세 등 세액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한 상담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과세당국의 엄정한 조사가 예고된 만큼, 창업을 했다면 비정기 세무조사에 대비해, 창업 예정이라면 창업 시 문제 되는 사항이 없는지 미리 세무자문을 받는 등 현 상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일반적으로 절세를 위해 적법한 절차를 거친다면 문제가 없으나, 부정한 행위를 통해 납세를 하지 않는 조세 포탈은 위법행위다. 때문에 조세 문제는 상황에 맞는 장기간 축적한 전문경험을 가진 전문가의 검토 등의 조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사전문보기] - '소득세·법인세 0원' 청년창업세액감면 악용 실태 파악 나선다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5-17
법무법인 대륜,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법률자문 MOU
도시개발 관련 일체 업무에 고품질 법률 서비스 제공 법무법인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이경민 그룹장)은 16일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업무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이날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 홍성만 조합장, 김창선 감사, 박철웅 시행대행사(도시와 공간사랑) 부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을 위해 체결된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도시개발사업과 관련된 법률 검토 ▲도시개발사업 관련 계약서 검토 ▲도시개발사업 분쟁 대응 ▲발생 가능한 중대재해 예방 및 대책 마련 ▲도시개발사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 홍성만 조합장은 "온천이라는 지역자원을 활용하고 수소에너지와 스마트시티를 접목하여 새로운 도시 성장 동력 확보와 도시경쟁력 회복 방안을 모색하는 데 법무법인 대륜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이에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민·형사상 분쟁뿐 아니라 각종 행정 규제가 적용돼 다분야의 법률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건설·부동산 분야에 특화된 부동산전문변호사들이 조력하고 있다"며 "건설부동산그룹 부동산전문변호사들과 함께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앙성온천관광지구의 성공적인 도시개발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건설·부동산그룹 외에도 각 분야 특화된 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국 최다 직영 사무소 운영으로 법률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지방 소도시에도 사무소를 개설해 지역 불문 양질의 법률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법률자문 MOU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5-17
법무법인 대륜,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법률자문 MOU
도시개발 관련 일체 업무에 고품질 법률 서비스 제공 법무법인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이경민 그룹장)은 16일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업무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이날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원형일 기업법무그룹장,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 홍성만 조합장, 김창선 감사, 박철웅 시행대행사(도시와 공간사랑) 부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을 위해 체결된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도시개발사업과 관련된 법률 검토 ▲도시개발사업 관련 계약서 검토 ▲도시개발사업 분쟁 대응 ▲발생 가능한 중대재해 예방 및 대책 마련 ▲도시개발사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 홍성만 조합장은 "온천이라는 지역자원을 활용하고 수소에너지와 스마트시티를 접목하여 새로운 도시 성장 동력 확보와 도시경쟁력 회복 방안을 모색하는 데 법무법인 대륜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이에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민·형사상 분쟁뿐 아니라 각종 행정 규제가 적용돼 다분야의 법률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건설·부동산 분야에 특화된 부동산전문변호사들이 조력하고 있다"며 "건설부동산그룹 부동산전문변호사들과 함께 고품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 앙성온천관광지구의 성공적인 도시개발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건설·부동산그룹 외에도 각 분야 특화된 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국 최다 직영 사무소 운영으로 법률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지방 소도시에도 사무소를 개설해 지역 불문 양질의 법률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앙성온천관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과 법률자문 MOU (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3곳
2024-05-14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금융소송 전문가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금융소송 전문가
창원지법 판사로 임관…서울고법·서울서부지법 거친 뒤 의정부지법서 부장판사 역임판사 재직 중 뇌물·사기 등 각종 기업금융 경제범죄 사건부터 형사사건까지 두루 섭렵이준희 "법제처 법령심의위 위원으로도 활동…다양한 경험 바탕으로 고객 사건 해결할 것"대륜 대표 "대륜, 앞으로도 기업법무그룹 더 크게 기울 예정…시스템 발전시켜 나가겠다" 14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판사 출신 이준희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이 변호사는 창원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후 의정부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서울서부지방법원 등을 거쳐 제주지법,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에서 부장판사를 역임했다.이 변호사는 판사 재직 중 뇌물, 사기, 횡령 등 각종 기업금융 경제범죄 사건부터 금융실명법위반,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위반 사건까지 특별법상 형사사건까지 두루 섭렵했다.또한, 증권선물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 심의위원, 법제처 법령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맡으며 기업금융에 전문성을 키웠다.변호사로서는 부패 범죄 소송, 수십억 원대의 횡령 사건, 행정청 대상 징계처분취소 소송 등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기업금융, 형사, 행정 등 다수의 분야에서도 활약했다.이 변호사는 "판사로 재직하며 기업금융 관련 사건을 여러 차례 처리해왔다. 기업금융 사건으로 파생될 수 있는 형사, 행정 등 분야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증권선물위원회, 법제처 법령심의위원회 등에서 심의위원으로 활동한 점도 자본시장법위반과 같은 중요사건을 처리하는데 이점이 될 것이다. 다수의 분야를 다룬 경험을 대륜에서 고객들의 사건을 풀어나가는데 적용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본사를 여의로도 이전하면서 기업법무에 아낌없는 지원을 하고 있다"며 "기업금융에 특화된 이 변호사가 기업법무그룹에서 큰 활약을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판사 시절 더 나아가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축적된 노하우를 많이 전파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김 대표는 "대륜은 앞으로도 기업법무그룹을 더 크게 키울 예정이다. 이 변호사의 영입은 기업법무와 금융 두 분야를 키우기 위한 앞으로의 방향성을 보여준 것"이라며 "기업 고객들이 편하게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설명했다.한편, 최근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며 개소식을 진행하고 기업법무그룹 확장에 나선 대륜은 글로벌 로펌 도약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금융소송 전문가 (바로가기)블로터 -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前 부장판사 영입...'기업법무 강화'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부장판사 출신 이준희 변호사 영입(바로가기)
데일리안 등 3곳
2024-05-14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금융소송 전문가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금융소송 전문가
창원지법 판사로 임관…서울고법·서울서부지법 거친 뒤 의정부지법서 부장판사 역임판사 재직 중 뇌물·사기 등 각종 기업금융 경제범죄 사건부터 형사사건까지 두루 섭렵이준희 "법제처 법령심의위 위원으로도 활동…다양한 경험 바탕으로 고객 사건 해결할 것"대륜 대표 "대륜, 앞으로도 기업법무그룹 더 크게 기울 예정…시스템 발전시켜 나가겠다" 14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장판사 출신 이준희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이 변호사는 창원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후 의정부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서울서부지방법원 등을 거쳐 제주지법,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에서 부장판사를 역임했다.이 변호사는 판사 재직 중 뇌물, 사기, 횡령 등 각종 기업금융 경제범죄 사건부터 금융실명법위반,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위반 사건까지 특별법상 형사사건까지 두루 섭렵했다.또한, 증권선물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 심의위원, 법제처 법령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맡으며 기업금융에 전문성을 키웠다.변호사로서는 부패 범죄 소송, 수십억 원대의 횡령 사건, 행정청 대상 징계처분취소 소송 등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기업금융, 형사, 행정 등 다수의 분야에서도 활약했다.이 변호사는 "판사로 재직하며 기업금융 관련 사건을 여러 차례 처리해왔다. 기업금융 사건으로 파생될 수 있는 형사, 행정 등 분야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증권선물위원회, 법제처 법령심의위원회 등에서 심의위원으로 활동한 점도 자본시장법위반과 같은 중요사건을 처리하는데 이점이 될 것이다. 다수의 분야를 다룬 경험을 대륜에서 고객들의 사건을 풀어나가는데 적용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본사를 여의로도 이전하면서 기업법무에 아낌없는 지원을 하고 있다"며 "기업금융에 특화된 이 변호사가 기업법무그룹에서 큰 활약을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판사 시절 더 나아가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축적된 노하우를 많이 전파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김 대표는 "대륜은 앞으로도 기업법무그룹을 더 크게 키울 예정이다. 이 변호사의 영입은 기업법무와 금융 두 분야를 키우기 위한 앞으로의 방향성을 보여준 것"이라며 "기업 고객들이 편하게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설명했다.한편, 최근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며 개소식을 진행하고 기업법무그룹 확장에 나선 대륜은 글로벌 로펌 도약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금융소송 전문가 (바로가기)블로터 - 법무법인 대륜, 이준희 前 부장판사 영입...'기업법무 강화'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부장판사 출신 이준희 변호사 영입(바로가기)
전자신문 등 2곳
2024-05-14
KTNF, 법무법인 대륜과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KTNF, 법무법인 대륜과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기술보호 ‧ 인증 ‧ ESG 등 글로벌 기업 성장 위한 법률자문 서비스 제공 국산 서버 전문기업 케이티엔에프(이하 KTNF)가 고유 기술 및 영업비밀 보호, ESG 및 환경 관련 자문 등 법률 부문에서의 대응력을 강화했다.KTNF는 지난 9일 법무법인 대륜과 기술보호 및 성장을 위한 원스톱 법률자문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KTNF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보호 및 인증, 영업비밀 보호 등과 함께 ESG 및 환경 관련 자문 등 전반적인 법률자문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외에도 대륜은 기업 내부 인사·노무·세무 관련 자문 및 법률적 분쟁 해소를 위한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다. KTNF는 2001년 창립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x86 서버, 보안 서버, AI·빅데이터 서버, 엣지 서버, ODM 서버 등 다양한 국산 서버를 전문적으로 개발·제조하는 국내 기업이다. 연간 10만대를 제조할 수 있는 클린룸 제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기술력을 통해 정부의 서버 개발 과제를 총괄하는 등 국내 컴퓨팅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KTNF는 대륜과의 MOU를 통해 서버 시장에서의 국내 입지 강화와 해외 진출 확장 등을 위한 계약 및 리스크 검토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대륜은 최근 특허법원 판사 출신 변호사, 금융·AI 관련 기업 출신 변호사를 대거 영입하면서 기업 법무그룹·지식재산권 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IT 기업들의 지식재산권(IP) 보호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이중연 KTNF 대표는 “자체 기술로 개발한 코어리지(Coreridge) 서버는 각종 글로벌 인증 획득과 정부 혁신제품 지정으로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이를 기반으로 서버 시장 세계 최고를 지향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라며 “대륜은 일반 기업 자문뿐만 아니라 지식 재산권, 국제소송, 금융 등 다분야 전문가가 포진해 지속적인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최적의 로펌”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대륜은 각 분야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3~20인의 전담팀을 이뤄 IT 등 기술 관련 기업 자문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 의뢰인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라며 “경쟁력있는 국내 기업 대표인 KTNF의 해외 진출 및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각종 법률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이에서 조력하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전자신문 - KTNF, 법무법인 대륜과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아이티데일리 - KTNF-법무법인 대륜,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전자신문 등 2곳
2024-05-14
KTNF, 법무법인 대륜과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KTNF, 법무법인 대륜과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기술보호 ‧ 인증 ‧ ESG 등 글로벌 기업 성장 위한 법률자문 서비스 제공 국산 서버 전문기업 케이티엔에프(이하 KTNF)가 고유 기술 및 영업비밀 보호, ESG 및 환경 관련 자문 등 법률 부문에서의 대응력을 강화했다.KTNF는 지난 9일 법무법인 대륜과 기술보호 및 성장을 위한 원스톱 법률자문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KTNF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보호 및 인증, 영업비밀 보호 등과 함께 ESG 및 환경 관련 자문 등 전반적인 법률자문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외에도 대륜은 기업 내부 인사·노무·세무 관련 자문 및 법률적 분쟁 해소를 위한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다. KTNF는 2001년 창립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x86 서버, 보안 서버, AI·빅데이터 서버, 엣지 서버, ODM 서버 등 다양한 국산 서버를 전문적으로 개발·제조하는 국내 기업이다. 연간 10만대를 제조할 수 있는 클린룸 제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기술력을 통해 정부의 서버 개발 과제를 총괄하는 등 국내 컴퓨팅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KTNF는 대륜과의 MOU를 통해 서버 시장에서의 국내 입지 강화와 해외 진출 확장 등을 위한 계약 및 리스크 검토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대륜은 최근 특허법원 판사 출신 변호사, 금융·AI 관련 기업 출신 변호사를 대거 영입하면서 기업 법무그룹·지식재산권 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IT 기업들의 지식재산권(IP) 보호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이중연 KTNF 대표는 “자체 기술로 개발한 코어리지(Coreridge) 서버는 각종 글로벌 인증 획득과 정부 혁신제품 지정으로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이를 기반으로 서버 시장 세계 최고를 지향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라며 “대륜은 일반 기업 자문뿐만 아니라 지식 재산권, 국제소송, 금융 등 다분야 전문가가 포진해 지속적인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최적의 로펌”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대륜은 각 분야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3~20인의 전담팀을 이뤄 IT 등 기술 관련 기업 자문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 의뢰인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라며 “경쟁력있는 국내 기업 대표인 KTNF의 해외 진출 및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각종 법률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이에서 조력하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전자신문 - KTNF, 법무법인 대륜과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아이티데일리 - KTNF-법무법인 대륜, 원스톱 법률자문 MOU 체결 (바로가기)
매일신문
2024-05-09
제2기 경북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20일 출범식 개최
제2기 경북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20일 출범식 개최
앞으로 3년 간 경북 자치경찰위원회를 이끌 위원 구성이 완료됐다.경북도는 최근 제2기 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을 마쳐 오는 20일 출범식을 연다고 9일 밝혔다.관련법에 따라 각 시·도별 자치경찰위원회는 도지사, 도의회, 교육감, 국가경찰위원회, 위원 추천위원회의 지명·추천에 따라 총 7명으로 구성된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자치경찰위원장으로 전 대구고검 차장검사, 부산·대구 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한 손순혁 변호사(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를 임명했다.추천위는 나머지 위원 6명으로 ▷박두진 전 화랑교육원 원장 ▷박주영 안동대학교 법학과 교수 ▷배성훈 전 매일신문 경북본사장 ▷손영진 전 대구 동부경찰서장 ▷전점숙 민주평통 포항시협의회 자문위원 ▷제갈돈 안동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를 각각 추천했다.지명·추천 위원의 성비는 남성 5명, 여성 2명으로 여성 위원 비율이 30%다. 직업군은 교수 2명을 비롯해, 법조인·언론인·교육계·시민단체·경찰 등 각 1명이다.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은 출범식 이후 위원들 간 회의로 선출한다.이 도지사는 "차기 자치경찰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범적으로 구성된 만큼 지역의 민생치안 서비스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제2기 경북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20일 출범식 개최 (바로가기)
매일신문
2024-05-09
제2기 경북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20일 출범식 개최
제2기 경북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20일 출범식 개최
앞으로 3년 간 경북 자치경찰위원회를 이끌 위원 구성이 완료됐다.경북도는 최근 제2기 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을 마쳐 오는 20일 출범식을 연다고 9일 밝혔다.관련법에 따라 각 시·도별 자치경찰위원회는 도지사, 도의회, 교육감, 국가경찰위원회, 위원 추천위원회의 지명·추천에 따라 총 7명으로 구성된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자치경찰위원장으로 전 대구고검 차장검사, 부산·대구 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한 손순혁 변호사(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를 임명했다.추천위는 나머지 위원 6명으로 ▷박두진 전 화랑교육원 원장 ▷박주영 안동대학교 법학과 교수 ▷배성훈 전 매일신문 경북본사장 ▷손영진 전 대구 동부경찰서장 ▷전점숙 민주평통 포항시협의회 자문위원 ▷제갈돈 안동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를 각각 추천했다.지명·추천 위원의 성비는 남성 5명, 여성 2명으로 여성 위원 비율이 30%다. 직업군은 교수 2명을 비롯해, 법조인·언론인·교육계·시민단체·경찰 등 각 1명이다.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은 출범식 이후 위원들 간 회의로 선출한다.이 도지사는 "차기 자치경찰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범적으로 구성된 만큼 지역의 민생치안 서비스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제2기 경북자치경찰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20일 출범식 개최 (바로가기)
JTBC
2024-05-09
[사반 제보] '3000억원↑ 사기 의혹' 케이삼흥 김현재 회장…임직원도 "행방 모른다"
[사반 제보] '3000억원 사기 의혹' 케이삼흥 김현재 회장…임직원도 "행방 모른다"
부동산 투자 플랫폼 회사인 '케이삼흥'의 김현재 회장이 수천억원의 투자 사기를 벌였다는 제보가 오늘(8일) JTBC '사건반장'에 보도됐습니다.김현재 회장이 재직 중인 케이삼흥은 지난 2021년 설립된 이후 언론 등을 통해 자사를 홍보하며 투자자를 모집했습니다.이들이 내세운 투자 방식은 '토지보상투자'입니다. 정부나 지자체가 개발할 토지를 케이삼흥 측이 미리 매입한 뒤 개발이 확정되면 보상금을 받아 수익금을 나눠주겠다는 겁니다.투자 대상지 선정에 대해선 정부가 매입할 토지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예측할 수 있고, '구글'에서 전문가를 데려왔다고 홍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특히 수익금 등과 관련해 '원금 보장'과 '월 2% 이상의 배당 수익'(연 24% 이상 수익금) 등을 약속했습니다.한 피해 투자자는 "배당금과 원금이 꼬박꼬박 잘 들어와서 대부분 수익금을 재투자했다"라며 "지난 3월부터 갑자기 돈이 뚝 끊겨 경찰에 신고한 상태"라고 주장했습니다.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은 누구?...'기획 부동산 사기 전과자'2000년대 초반, 당시 삼흥그룹 회장이었던 김현재 회장은 '기획 부동산' 수법을 이용해 수백억원을 빼돌린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기획 부동산은 일정 구역의 토지를 사들인 후 잘게 분할한 뒤, 투자자들에게 '땅값이 오를 호재가 있는 땅' 등의 허위·과장 광고를 해 되파는 사기 수법입니다.김현재 회장은 2000년대 초반, 텔레마케터들을 고용해 부동산 호재를 지어내거나 과장해 투자자를 모집했고, 이후 헐값에 사들인 야산 등을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남겼습니다.이로 인해 김현재 회장은 245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징역 3년을 선고받았습니다. 케이삼흥 들여다보니...'자본금 100만원·영업손실 753억원'김현재 회장이 감옥에서 나와 설립한 케이삼흥. 부동산 투자업을 내세웠지만 '실체가 없었다'는 게 피해 투자자들의 주장입니다.실제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케이삼흥은 자본금 100만원으로 설립된 회사로, 지난해 약 753억원의 영업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약 3배(248억원)에 달합니다.피해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토지 매입비용으로 쓴 게 아니라 다른 곳에 빼돌리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면서 "수익금을 어떤 방식으로 주겠다는 건지, 어떻게 돈을 마련하겠다는 건지 제대로 된 설명조차 받지 못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피해 투자자들에 따르면 현재 파악된 피해액은 약 1300억원입니다. 특히 한 피해 투자자는 '사건반장'에 "피해자만 최소 1000명이 넘고, 피해액이 3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케이삼흥 측 "김현재 회장과 연락 안 닿아...드릴 말씀 없어"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사기,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김현재 회장 등 회사 운영진을 수사하고 있습니다.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케이삼흥의 사기 의혹에 대해 "'원금 보장', '수익률 80~250% 정도를 차등 지급하겠다' 얘기한 것 자체만으로 사기 사건에 대한 고의가 있다고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아울러 "피해자들은 차용증을 쓰기는 했지만 연대보증 없이 법인으로 차용증을 쓴 거라 법인이 해산하면 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제언했습니다.이와 관련 케이삼흥의 한 고위 관계자는 '사건반장'에 "김현재 회장이 수익금을 마련하기 위해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김 회장과) 연락이 닿지 않고 행방도 모른다. 저희가 드릴 말씀은 없다"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사반 제보] '3000억원 사기 의혹' 케이삼흥 김현재 회장…임직원도 "행방 모른다" (바로가기)
JTBC
2024-05-09
[사반 제보] '3000억원↑ 사기 의혹' 케이삼흥 김현재 회장…임직원도 "행방 모른다"
[사반 제보] '3000억원 사기 의혹' 케이삼흥 김현재 회장…임직원도 "행방 모른다"
부동산 투자 플랫폼 회사인 '케이삼흥'의 김현재 회장이 수천억원의 투자 사기를 벌였다는 제보가 오늘(8일) JTBC '사건반장'에 보도됐습니다.김현재 회장이 재직 중인 케이삼흥은 지난 2021년 설립된 이후 언론 등을 통해 자사를 홍보하며 투자자를 모집했습니다.이들이 내세운 투자 방식은 '토지보상투자'입니다. 정부나 지자체가 개발할 토지를 케이삼흥 측이 미리 매입한 뒤 개발이 확정되면 보상금을 받아 수익금을 나눠주겠다는 겁니다.투자 대상지 선정에 대해선 정부가 매입할 토지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예측할 수 있고, '구글'에서 전문가를 데려왔다고 홍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특히 수익금 등과 관련해 '원금 보장'과 '월 2% 이상의 배당 수익'(연 24% 이상 수익금) 등을 약속했습니다.한 피해 투자자는 "배당금과 원금이 꼬박꼬박 잘 들어와서 대부분 수익금을 재투자했다"라며 "지난 3월부터 갑자기 돈이 뚝 끊겨 경찰에 신고한 상태"라고 주장했습니다.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은 누구?...'기획 부동산 사기 전과자'2000년대 초반, 당시 삼흥그룹 회장이었던 김현재 회장은 '기획 부동산' 수법을 이용해 수백억원을 빼돌린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기획 부동산은 일정 구역의 토지를 사들인 후 잘게 분할한 뒤, 투자자들에게 '땅값이 오를 호재가 있는 땅' 등의 허위·과장 광고를 해 되파는 사기 수법입니다.김현재 회장은 2000년대 초반, 텔레마케터들을 고용해 부동산 호재를 지어내거나 과장해 투자자를 모집했고, 이후 헐값에 사들인 야산 등을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남겼습니다.이로 인해 김현재 회장은 245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징역 3년을 선고받았습니다. 케이삼흥 들여다보니...'자본금 100만원·영업손실 753억원'김현재 회장이 감옥에서 나와 설립한 케이삼흥. 부동산 투자업을 내세웠지만 '실체가 없었다'는 게 피해 투자자들의 주장입니다.실제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케이삼흥은 자본금 100만원으로 설립된 회사로, 지난해 약 753억원의 영업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약 3배(248억원)에 달합니다.피해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토지 매입비용으로 쓴 게 아니라 다른 곳에 빼돌리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러면서 "수익금을 어떤 방식으로 주겠다는 건지, 어떻게 돈을 마련하겠다는 건지 제대로 된 설명조차 받지 못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피해 투자자들에 따르면 현재 파악된 피해액은 약 1300억원입니다. 특히 한 피해 투자자는 '사건반장'에 "피해자만 최소 1000명이 넘고, 피해액이 3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케이삼흥 측 "김현재 회장과 연락 안 닿아...드릴 말씀 없어"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사기,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김현재 회장 등 회사 운영진을 수사하고 있습니다.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케이삼흥의 사기 의혹에 대해 "'원금 보장', '수익률 80~250% 정도를 차등 지급하겠다' 얘기한 것 자체만으로 사기 사건에 대한 고의가 있다고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아울러 "피해자들은 차용증을 쓰기는 했지만 연대보증 없이 법인으로 차용증을 쓴 거라 법인이 해산하면 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제언했습니다.이와 관련 케이삼흥의 한 고위 관계자는 '사건반장'에 "김현재 회장이 수익금을 마련하기 위해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김 회장과) 연락이 닿지 않고 행방도 모른다. 저희가 드릴 말씀은 없다"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사반 제보] '3000억원 사기 의혹' 케이삼흥 김현재 회장…임직원도 "행방 모른다"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4-05-09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 전문 변호사팀 구성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 전문 변호사팀 구성
군 사건 전문가 영입, 전국 네트워크 구축군 내부 사건 해결 경험 다수 군법무관 출신 사건 총괄…MOU 체결도 활발본사 컨트롤타워, 유기적 공조로 지방 군부대에도 균질한 법률서비스 제공 법무법인(유) 대륜이 군 사건에 특화된 국방군사그룹을 강화해 군 관련 체계적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9일 전했다.국방군사그룹은 사건 규모에 따라 3~20인의 분야별 전문팀을 구성해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대륜은 최근 그룹장인 김영수 변호사를 필두로 군전문변호사를 대거 영입했다. 군 내부 사건을 경험한 베테랑 전문가가 사건을 총괄해 승소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김영수 변호사(군법무관13회)는 해군 법무병과장·군사법원장,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출신으로 해군 고등검찰부장, 해군인권센터장 등 군 핵심 보직을 역임했다.김 변호사는 군부대 내 뇌물수수 사건, 성폭력 사건 등 굵직한 군형사 사건뿐만 아니라 퇴역군인 연금 과소지급 관련 단체소송 등 전례 없는 소송을 주도했다.김 변호사와 함께 육군 군판사·법무참모 출신 서인호 변호사(군법무관16회)는 육군본부, 합동참모본부 법무실을 거쳐 3군단(인제), 5군단(포천) 군판사 등 다양한 경력을 보유한 실력자로 전담팀을 이끌어 갈 예정이다.서 변호사는 30사단 법무참모(검찰부장), 3군단 군인권자문, 육군본부 국가배상 특별심의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기혼자 간 간통 관련 징계, 음주 징계, 명령불복종·지시불이행·품위의무위반 등 각종 징계 사건 등 군 관련 사건에 특화돼 있다.국방군사그룹에는 김 변호사, 서 변호사 외에도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법무실장, 공군 군검사 출신 김영형(변시7기), 해군 법무관을 역임한 해병대 제1사단 법무실장 출신 김경덕(변시7기), 육군 군수지원사령부 자문변호사 출신 지은혜(변시7기), 공군 징계조사관 및 송무장교 출신 최현덕(변시8기), 군검사·육군3사관학교 법무실장 출신 박용흘(변시9기) 등 군전문변호사가 합류해 군 사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한다.이들은 ▲공문서 위조해 군무 이탈한 사건 ▲후임병 폭행 사건 ▲강제추행, 강간 등 군인성범죄 사건 ▲상관모욕죄 사건 ▲병역법위반 사건 등 다수의 군형사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최근 군사법원법 개정으로 성폭력범죄를 포함한 일부 군 범죄는 군부대가 아닌 민간수사기관에서 수사를 맡고 민간법원에서 재판을 받는다. 고등군사법원의 폐지로 사실심에 대한 판단 역시 군이 아닌 외부 전문법관의 법률적 판단을 받아야 한다.다만 징계 절차의 경우 군부대 내부에서 이뤄지고 위원회 구성 등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게 법조계의 중론이다.이에 대해 김영수 변호사는 “징계 위원들은 법률전문가는 아니며 부대에서 근무하는 일반 장교들이 징계위원이 된다”며 “현장의 분위기를 잘 아는 전문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대륜 국방군사그룹은 방위산업비리, 군사기밀사건, IT 사업 국가계약 등 다수의 군 관련 사건을 기업법무그룹과 연계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영역을 넓히고 있다. 군전문변호사와 기업법무 전문가의 체계적인 협업으로 최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국방군사그룹 확장을 위한 군사 관련 업무협약도 활발하게 전개해 지난달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김 변호사는 “군 특수성에 따라 전국에 군부대가 있기 때문에 전국사무소가 유기적으로 움직여 한 팀으로 활약해야 한다”며 “지역은 다르지만 팀으로 서로 연계해 고객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트롤 타워가 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 전문 변호사팀 구성 (바로가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군전문변호사 팀이뤄 신속 대응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등 2곳
2024-05-09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 전문 변호사팀 구성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 전문 변호사팀 구성
군 사건 전문가 영입, 전국 네트워크 구축군 내부 사건 해결 경험 다수 군법무관 출신 사건 총괄…MOU 체결도 활발본사 컨트롤타워, 유기적 공조로 지방 군부대에도 균질한 법률서비스 제공 법무법인(유) 대륜이 군 사건에 특화된 국방군사그룹을 강화해 군 관련 체계적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9일 전했다.국방군사그룹은 사건 규모에 따라 3~20인의 분야별 전문팀을 구성해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대륜은 최근 그룹장인 김영수 변호사를 필두로 군전문변호사를 대거 영입했다. 군 내부 사건을 경험한 베테랑 전문가가 사건을 총괄해 승소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김영수 변호사(군법무관13회)는 해군 법무병과장·군사법원장,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출신으로 해군 고등검찰부장, 해군인권센터장 등 군 핵심 보직을 역임했다.김 변호사는 군부대 내 뇌물수수 사건, 성폭력 사건 등 굵직한 군형사 사건뿐만 아니라 퇴역군인 연금 과소지급 관련 단체소송 등 전례 없는 소송을 주도했다.김 변호사와 함께 육군 군판사·법무참모 출신 서인호 변호사(군법무관16회)는 육군본부, 합동참모본부 법무실을 거쳐 3군단(인제), 5군단(포천) 군판사 등 다양한 경력을 보유한 실력자로 전담팀을 이끌어 갈 예정이다.서 변호사는 30사단 법무참모(검찰부장), 3군단 군인권자문, 육군본부 국가배상 특별심의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기혼자 간 간통 관련 징계, 음주 징계, 명령불복종·지시불이행·품위의무위반 등 각종 징계 사건 등 군 관련 사건에 특화돼 있다.국방군사그룹에는 김 변호사, 서 변호사 외에도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법무실장, 공군 군검사 출신 김영형(변시7기), 해군 법무관을 역임한 해병대 제1사단 법무실장 출신 김경덕(변시7기), 육군 군수지원사령부 자문변호사 출신 지은혜(변시7기), 공군 징계조사관 및 송무장교 출신 최현덕(변시8기), 군검사·육군3사관학교 법무실장 출신 박용흘(변시9기) 등 군전문변호사가 합류해 군 사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한다.이들은 ▲공문서 위조해 군무 이탈한 사건 ▲후임병 폭행 사건 ▲강제추행, 강간 등 군인성범죄 사건 ▲상관모욕죄 사건 ▲병역법위반 사건 등 다수의 군형사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최근 군사법원법 개정으로 성폭력범죄를 포함한 일부 군 범죄는 군부대가 아닌 민간수사기관에서 수사를 맡고 민간법원에서 재판을 받는다. 고등군사법원의 폐지로 사실심에 대한 판단 역시 군이 아닌 외부 전문법관의 법률적 판단을 받아야 한다.다만 징계 절차의 경우 군부대 내부에서 이뤄지고 위원회 구성 등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게 법조계의 중론이다.이에 대해 김영수 변호사는 “징계 위원들은 법률전문가는 아니며 부대에서 근무하는 일반 장교들이 징계위원이 된다”며 “현장의 분위기를 잘 아는 전문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대륜 국방군사그룹은 방위산업비리, 군사기밀사건, IT 사업 국가계약 등 다수의 군 관련 사건을 기업법무그룹과 연계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영역을 넓히고 있다. 군전문변호사와 기업법무 전문가의 체계적인 협업으로 최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국방군사그룹 확장을 위한 군사 관련 업무협약도 활발하게 전개해 지난달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김 변호사는 “군 특수성에 따라 전국에 군부대가 있기 때문에 전국사무소가 유기적으로 움직여 한 팀으로 활약해야 한다”며 “지역은 다르지만 팀으로 서로 연계해 고객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트롤 타워가 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 전문 변호사팀 구성 (바로가기)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국방군사그룹 강화…군전문변호사 팀이뤄 신속 대응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4곳
2024-05-08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형량 늘어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형량 늘어
간병인 A씨 1심 징역 3년6월→2심 징역 5년병원장 벌금 2000만원→4000만원으로 증액 배변 처리가 힘들다는 이유로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항문에 위생 패드 조각을 집어넣은 60대 간병인이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지만, 항소심에서 원심보다 형량이 늘었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법원 형사항소2-3부(부장판사 신순영)는 이날 장애인복지법위반 혐의로 구속기소 된 중국 국적 간병인 A씨에게 징역 3년6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5년을 선고했다. 이와 함께 A씨에게 장애인 관련기관에 10년간 취업제한도 명령했다.항소심 재판부는 요양병원을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않은 혐의로 함께 기소된 병원장 B씨에 대해서도 벌금 20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벌금 4000만원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인천 남동구의 한 요양병원에서 뇌병변 환자 C씨의 항문에 여러 차례에 걸쳐 위생 패드 10장을 집어넣은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조사 결과, A씨는 병상에 까는 패드를 잘라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피고인 A씨는 조사 단계에서 “C씨가 묽은 변을 봐서 기저귀를 자주 갈아야 했다”며 “변 처리를 쉽게 하려고 패드 조각을 항문에 넣었다”고 주장했다.결국 C씨는 항문 열창과 배변 기능 장애를 앓다가 병세가 악화돼 대학병원으로 옮겨졌다.C씨 측 법률대리인은 피해자의 신체감정 및 진료기록감정을 근거로 A씨의 범행으로 인해 C씨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이 큰 점을 입증했다. 또한, A씨 등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B씨에 대해서도 1차 범행 이후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은 점을 증명했다.C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은 “환자를 성심성의껏 돌봐야하는 간병인이 의무를 저버리고 반인륜적인 행위를 자행했다”며 “피해자의 손해에 대한 위자료 소송도 진행하고 있다.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적절한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형량 늘어 (바로가기)더팩트 - 환자 항문에 위생패드 넣은 간병인, 항소심서 형량 늘어…3년 6월→5년 (바로가기)로이슈 -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되레 형량 늘어 (바로가기)연합뉴스 - 환자 항문에 위생패드 넣은 간병인…항소했다가 되레 형량 늘어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4곳
2024-05-08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형량 늘어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형량 늘어
간병인 A씨 1심 징역 3년6월→2심 징역 5년병원장 벌금 2000만원→4000만원으로 증액 배변 처리가 힘들다는 이유로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항문에 위생 패드 조각을 집어넣은 60대 간병인이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지만, 항소심에서 원심보다 형량이 늘었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인천지방법원 형사항소2-3부(부장판사 신순영)는 이날 장애인복지법위반 혐의로 구속기소 된 중국 국적 간병인 A씨에게 징역 3년6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5년을 선고했다. 이와 함께 A씨에게 장애인 관련기관에 10년간 취업제한도 명령했다.항소심 재판부는 요양병원을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않은 혐의로 함께 기소된 병원장 B씨에 대해서도 벌금 20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벌금 4000만원을 선고했다.A씨는 지난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인천 남동구의 한 요양병원에서 뇌병변 환자 C씨의 항문에 여러 차례에 걸쳐 위생 패드 10장을 집어넣은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조사 결과, A씨는 병상에 까는 패드를 잘라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피고인 A씨는 조사 단계에서 “C씨가 묽은 변을 봐서 기저귀를 자주 갈아야 했다”며 “변 처리를 쉽게 하려고 패드 조각을 항문에 넣었다”고 주장했다.결국 C씨는 항문 열창과 배변 기능 장애를 앓다가 병세가 악화돼 대학병원으로 옮겨졌다.C씨 측 법률대리인은 피해자의 신체감정 및 진료기록감정을 근거로 A씨의 범행으로 인해 C씨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이 큰 점을 입증했다. 또한, A씨 등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B씨에 대해서도 1차 범행 이후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은 점을 증명했다.C씨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은 “환자를 성심성의껏 돌봐야하는 간병인이 의무를 저버리고 반인륜적인 행위를 자행했다”며 “피해자의 손해에 대한 위자료 소송도 진행하고 있다.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적절한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이데일리 -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형량 늘어 (바로가기)더팩트 - 환자 항문에 위생패드 넣은 간병인, 항소심서 형량 늘어…3년 6월→5년 (바로가기)로이슈 - 환자 항문에 패드 넣은 간병인·병원장 항소심서 되레 형량 늘어 (바로가기)연합뉴스 - 환자 항문에 위생패드 넣은 간병인…항소했다가 되레 형량 늘어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5-07
판사출신변호사
“짧고 간결하게”… 사법부 내부서도 변화 조짐
④"'시루떡 문장' 이제 그만"서울행정법원 쉬운말 판결문 '눈길'"사법 신뢰도 향상에도 도움될 것" "비록 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원고 학생에게 당부와 부탁하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한참 어린 사춘기 학생에게 어른처럼 감정을 다스리라고 말하기는 어렵겠지요? 본 사건의 판사들 또한 그러한 시절이 있었고, 여타 어른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올해 1월 서울행정법원 행정11부(강우찬 부장판사)는 봉사시간 등 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리며 일반적인 사건과 다르게 '청소년인 원고를 위해 쉬운 말로 정리한 판결의 내용과 당부'를 판결문에 박스형태로 명시했다. 당시 강 부장판사는 "사건 당사자는 원고 학생 본인입니다. 본인 스스로 인생을 책임질 줄 아는 성숙한 어른이 되려면 자신에게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고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를 충분히 알고 이해한 후 그 일에서 배우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라며 단순 선고를 넘어 판결문을 읽게 될 원고를 위해 조언과 당부의 말을 아끼지 않았다. 강 부장판사가 이끈 행정11부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지 리드 판결문'을 처음 시도한 곳이기도 하다.7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법원 차원에서도 '행정11부'와 같이 판결문 쉽게 쓰기에 앞장설 재판부 찾기가 시작됐다. 법원행정처는 지난달 법원 내부 코트넷에 공지를 내고 오는 24일까지 판결서 적정화 시행에 참여할 재판부를 모집 중이다. 본지의 '판결문 쉽게 씁시다' 기획 시리즈가 시작된 이후 나온 반가운 소식이다.법원행정처는 향후 △민사·가사 중 단독 사건 및 그 항소심 사건(민사 소액사건 포함) △항소율 및 파기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건(대여금, 제3자이의·청구이의, 매매대금, 양수금, 배당이의) △사건 수가 많고 비교적 정형적인 사건(건물인도·철거, 사해행위취소, 자동차사고 손해배상, 임대차보증금)에 한해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판결문 작성을 위한 적정화에 나선다.해당 공지에는 기존에 논의됐던 '민사·가사 판결서 적정화' 예시도 첨부됐다. △완결된 문장 대신 개조식·나열식 작성 △기초사실 기재를 생략하고 쟁점 및 이에 대한 판단만 기재 △크게 다툼이 없는 기초·인정사실의 경우 별지로 대체 △당사자 주장을 제목으로 대체 △주장하는 항목이 많을 경우 표로 정리해 간단히 기재 방안 등으로 이를 기초로 보다 창의적인 방안까지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법원행정처 관계자는 "완결성을 위해 문장으로 쓰다 보면 '그런데' '그러나' '그리고' 와 같은 접속사가 많이 들어가는데, 보고서 형태로 나열해 적정화에 나서겠다는 것"이라며 "주어와 서술어만 있으니 작성도 수월하고, 읽는 사람도 가독성 좋아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법조계에서는 법원이 시도 중인 판결문 적정화가 판사 업무 부담을 덜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일반인의 사법접근성 향상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반인들에게 익숙하면서도 객관적·중립적 용어가 있는데도 굳이 난해한 한자식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이를 위한 일괄적 기준과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판사 출신의 문유진 변호사(판심 법무법인 대표변호사)는 "판사 재직 시절에 재판을 진행하면서 '재판이 갱신됐다'고 법정에서 말하면서도 '판사가 바뀌어서 다시 재판을 살펴본다는 뜻입니다'라고 설명해 준 적이 있다. 또 판결문에서도 '권리를 박탈당했다'고 하기보다는 '권리를 빼앗겼다'는 조금 더 쉬운 표현을 쓰는 것이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한다. 결국 법원이 현재 쓰이고 있는 어려운 용어를 익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바꿔 쓸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특히 민법의 경우 오래된 법일수록 한자어 등이 개정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가 많아 일반인들이 더욱 어렵게 생각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 때문에 입법적으로 낡은 법률 용어들이 정비되고 다음으로 판사들이 판결문에서 문장을 최대한 짧게 쓰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판사 출신의 박나리 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는 "'시루떡 문장'이라고도 하는데 '점, 점, 점, 점을 종합해 보면 ~라고 판단된다'는 식으로 여러 개의 문장(심할 때는 한 페이지를 넘기도 함)을 겹쳐 쓰는 식의 문단 구성을 지양하면 좋겠다"고 밝혔다.이어 박 변호사는 "판결문을 짧고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자는 시도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본다"며 "법원에서 국민들의 입장을 생각한 판결문을 작성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국민들의 법원에 대한 사법 신뢰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짧고 간결하게”… 사법부 내부서도 변화 조짐
아시아투데이
2024-05-07
판사출신변호사
“짧고 간결하게”… 사법부 내부서도 변화 조짐
④"'시루떡 문장' 이제 그만"서울행정법원 쉬운말 판결문 '눈길'"사법 신뢰도 향상에도 도움될 것" "비록 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원고 학생에게 당부와 부탁하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한참 어린 사춘기 학생에게 어른처럼 감정을 다스리라고 말하기는 어렵겠지요? 본 사건의 판사들 또한 그러한 시절이 있었고, 여타 어른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올해 1월 서울행정법원 행정11부(강우찬 부장판사)는 봉사시간 등 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리며 일반적인 사건과 다르게 '청소년인 원고를 위해 쉬운 말로 정리한 판결의 내용과 당부'를 판결문에 박스형태로 명시했다. 당시 강 부장판사는 "사건 당사자는 원고 학생 본인입니다. 본인 스스로 인생을 책임질 줄 아는 성숙한 어른이 되려면 자신에게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고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를 충분히 알고 이해한 후 그 일에서 배우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라며 단순 선고를 넘어 판결문을 읽게 될 원고를 위해 조언과 당부의 말을 아끼지 않았다. 강 부장판사가 이끈 행정11부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지 리드 판결문'을 처음 시도한 곳이기도 하다.7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법원 차원에서도 '행정11부'와 같이 판결문 쉽게 쓰기에 앞장설 재판부 찾기가 시작됐다. 법원행정처는 지난달 법원 내부 코트넷에 공지를 내고 오는 24일까지 판결서 적정화 시행에 참여할 재판부를 모집 중이다. 본지의 '판결문 쉽게 씁시다' 기획 시리즈가 시작된 이후 나온 반가운 소식이다.법원행정처는 향후 △민사·가사 중 단독 사건 및 그 항소심 사건(민사 소액사건 포함) △항소율 및 파기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건(대여금, 제3자이의·청구이의, 매매대금, 양수금, 배당이의) △사건 수가 많고 비교적 정형적인 사건(건물인도·철거, 사해행위취소, 자동차사고 손해배상, 임대차보증금)에 한해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판결문 작성을 위한 적정화에 나선다.해당 공지에는 기존에 논의됐던 '민사·가사 판결서 적정화' 예시도 첨부됐다. △완결된 문장 대신 개조식·나열식 작성 △기초사실 기재를 생략하고 쟁점 및 이에 대한 판단만 기재 △크게 다툼이 없는 기초·인정사실의 경우 별지로 대체 △당사자 주장을 제목으로 대체 △주장하는 항목이 많을 경우 표로 정리해 간단히 기재 방안 등으로 이를 기초로 보다 창의적인 방안까지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법원행정처 관계자는 "완결성을 위해 문장으로 쓰다 보면 '그런데' '그러나' '그리고' 와 같은 접속사가 많이 들어가는데, 보고서 형태로 나열해 적정화에 나서겠다는 것"이라며 "주어와 서술어만 있으니 작성도 수월하고, 읽는 사람도 가독성 좋아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법조계에서는 법원이 시도 중인 판결문 적정화가 판사 업무 부담을 덜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일반인의 사법접근성 향상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반인들에게 익숙하면서도 객관적·중립적 용어가 있는데도 굳이 난해한 한자식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이를 위한 일괄적 기준과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판사 출신의 문유진 변호사(판심 법무법인 대표변호사)는 "판사 재직 시절에 재판을 진행하면서 '재판이 갱신됐다'고 법정에서 말하면서도 '판사가 바뀌어서 다시 재판을 살펴본다는 뜻입니다'라고 설명해 준 적이 있다. 또 판결문에서도 '권리를 박탈당했다'고 하기보다는 '권리를 빼앗겼다'는 조금 더 쉬운 표현을 쓰는 것이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한다. 결국 법원이 현재 쓰이고 있는 어려운 용어를 익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바꿔 쓸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특히 민법의 경우 오래된 법일수록 한자어 등이 개정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가 많아 일반인들이 더욱 어렵게 생각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 때문에 입법적으로 낡은 법률 용어들이 정비되고 다음으로 판사들이 판결문에서 문장을 최대한 짧게 쓰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판사 출신의 박나리 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는 "'시루떡 문장'이라고도 하는데 '점, 점, 점, 점을 종합해 보면 ~라고 판단된다'는 식으로 여러 개의 문장(심할 때는 한 페이지를 넘기도 함)을 겹쳐 쓰는 식의 문단 구성을 지양하면 좋겠다"고 밝혔다.이어 박 변호사는 "판결문을 짧고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자는 시도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본다"며 "법원에서 국민들의 입장을 생각한 판결문을 작성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국민들의 법원에 대한 사법 신뢰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짧고 간결하게”… 사법부 내부서도 변화 조짐
머니투데이
2024-05-07
유류분반환청구소송
47년 만의 유류분 제도 위헌 결정…향후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전망은
지난 4월 25일 헌법재판소는 민법 제1112조 등 유류분 제도에 대한 위헌법률심판 및 헌법소원에서 일부 위헌 및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형제·자매 유류분은 위헌"고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형제·자매에게 일정 비율 이상의 유산을 상속하도록 정한 현행 민법이 헌법에 어긋난다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나왔다. 이로써 '피상속인의 형제·자매는 그 법정상속분의 3분의 1이 유류분'이라는 민법 제1112조 제4호 조문의 효력은 위헌 결정 당시 즉시 상실되었다.헌법재판소는 "형제·자매는 상속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나 상속재산에 대한 기대가 거의 인정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류분권을 부여하는 것은 그 타당한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전까지 유류분 청구권은 형제·자매도 주장할 수 있는 상속 권리였으나, 앞으로는 형제·자매는 유류분을 근거로 한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은 제기할 수 없다는 의미다."배우자와 직계 존·비속 유류분은 헌법불합치"헌법재판소는 배우자와 직계 존·비속의 법정상속분을 규정한 부분도 유류분 상실 사유를 규정하지 않아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부모를 장기간 유기하거나 정신적·신체적으로 학대하는 등 패륜적인 행위를 일삼은 상속인의 유류분을 인정하는 것은 일반 국민의 법감정과 상식에 반한다고 할 것이므로, 유류분 상실 사유를 별도로 규정하지 않은 민법 제1112조 제1호~제3호, 기여상속인은 비기여상속인의 유류분반환청구에 응해 증여재산을 반환해야 하는 부당·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하는 등 제1008조의 2를 유류분에 준용하는 규정을 두지 않은 입법부작위로 민법 제1118조에 대해서도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라고 판단한 것이다. 패륜, 자식 방치 부모 등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서는 유류분을 상실할 수 있다는 취지다.헌법불합치란 법률 공백에 따른 혼란을 우려하여 한시적으로 국회가 법을 개정할 때까지 효력을 유지하는 결정이다. 위 두 조항에 대해 2025년 12월 31일을 시한으로 입법자(국회)가 개정할 때까지만 효력을 유지한다며 입법 개선을 촉구했다.강제 유산 배분 제도, 47년 만의 헌법재판소 결정헌법재판소 관계자는 "유류분 제도의 정당성과 구체적 조항의 합헌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시한 최초의 결정"이라며 "유류분 제도는 오늘날에도 유족들의 생존권을 보호하고 가족 연대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점에서 헌법 정당성은 계속 인정했지만,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을 선언하고 입법 개선을 촉구한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현행 민법은 자녀,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가 상속받을 수 있는 지분(법정상속분)을 정하고 있다. 유류분 제도는 법이 정한 최소의 상속 금액으로, 특정상속인이 상속 재산을 독차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1977년 도입됐다. 쉽게 말해, 피상속인이 어느 특정상속인에게만 전 재산을 유언으로 상속했다 하더라도, 상속을 받지 못한 나머지 유족이 유류분 제도를 근거로 소송을 제기해 상속 재산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이러한 유류분 제도가 개인의 재산권을 지나치게 침해하는 등 사회 변화에 뒤떨어져 있다는 지적은 계속 제기돼 왔다. 또한 2019년 가수 구하라가 사망한 후 생전 왕래가 없었던 친모가 상속 권리를 주장하면서 유류분 제도에 대한 논란이 더욱 불거졌고, 국회에서 유류분 요청 권한을 제한하는 이른바 '구하라 법'이 발의되기도 했지만 20대 국회에서 회기 만료로 폐기했다. 이렇게 계속해서 위헌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되었던 유류분 제도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47년 만에 묵혀왔던 결정을 내렸다.박용두 상속전문변호사는 "헌재의 결정 이후 더욱 복잡해지는 상속관련 문제를 집중 연구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류분 관련 상속분쟁에서 패륜적인 행동의 정도, 유류분 기여도 등 그 입증 관계가 복잡해지는 것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이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유류분 소송을 제기하거나 유류분 소송 중인 경우 변호사의 역량에 따라 소송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에 보다 전문적인 변호사를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도움말=박용두 법무법인(유한) 대륜 상속·가사그룹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47년 만의 유류분 제도 위헌 결정…향후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전망은
머니투데이
2024-05-07
유류분반환청구소송
47년 만의 유류분 제도 위헌 결정…향후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전망은
지난 4월 25일 헌법재판소는 민법 제1112조 등 유류분 제도에 대한 위헌법률심판 및 헌법소원에서 일부 위헌 및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형제·자매 유류분은 위헌"고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형제·자매에게 일정 비율 이상의 유산을 상속하도록 정한 현행 민법이 헌법에 어긋난다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나왔다. 이로써 '피상속인의 형제·자매는 그 법정상속분의 3분의 1이 유류분'이라는 민법 제1112조 제4호 조문의 효력은 위헌 결정 당시 즉시 상실되었다.헌법재판소는 "형제·자매는 상속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나 상속재산에 대한 기대가 거의 인정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류분권을 부여하는 것은 그 타당한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전까지 유류분 청구권은 형제·자매도 주장할 수 있는 상속 권리였으나, 앞으로는 형제·자매는 유류분을 근거로 한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은 제기할 수 없다는 의미다."배우자와 직계 존·비속 유류분은 헌법불합치"헌법재판소는 배우자와 직계 존·비속의 법정상속분을 규정한 부분도 유류분 상실 사유를 규정하지 않아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부모를 장기간 유기하거나 정신적·신체적으로 학대하는 등 패륜적인 행위를 일삼은 상속인의 유류분을 인정하는 것은 일반 국민의 법감정과 상식에 반한다고 할 것이므로, 유류분 상실 사유를 별도로 규정하지 않은 민법 제1112조 제1호~제3호, 기여상속인은 비기여상속인의 유류분반환청구에 응해 증여재산을 반환해야 하는 부당·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하는 등 제1008조의 2를 유류분에 준용하는 규정을 두지 않은 입법부작위로 민법 제1118조에 대해서도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라고 판단한 것이다. 패륜, 자식 방치 부모 등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서는 유류분을 상실할 수 있다는 취지다.헌법불합치란 법률 공백에 따른 혼란을 우려하여 한시적으로 국회가 법을 개정할 때까지 효력을 유지하는 결정이다. 위 두 조항에 대해 2025년 12월 31일을 시한으로 입법자(국회)가 개정할 때까지만 효력을 유지한다며 입법 개선을 촉구했다.강제 유산 배분 제도, 47년 만의 헌법재판소 결정헌법재판소 관계자는 "유류분 제도의 정당성과 구체적 조항의 합헌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시한 최초의 결정"이라며 "유류분 제도는 오늘날에도 유족들의 생존권을 보호하고 가족 연대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점에서 헌법 정당성은 계속 인정했지만,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을 선언하고 입법 개선을 촉구한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현행 민법은 자녀,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가 상속받을 수 있는 지분(법정상속분)을 정하고 있다. 유류분 제도는 법이 정한 최소의 상속 금액으로, 특정상속인이 상속 재산을 독차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1977년 도입됐다. 쉽게 말해, 피상속인이 어느 특정상속인에게만 전 재산을 유언으로 상속했다 하더라도, 상속을 받지 못한 나머지 유족이 유류분 제도를 근거로 소송을 제기해 상속 재산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이러한 유류분 제도가 개인의 재산권을 지나치게 침해하는 등 사회 변화에 뒤떨어져 있다는 지적은 계속 제기돼 왔다. 또한 2019년 가수 구하라가 사망한 후 생전 왕래가 없었던 친모가 상속 권리를 주장하면서 유류분 제도에 대한 논란이 더욱 불거졌고, 국회에서 유류분 요청 권한을 제한하는 이른바 '구하라 법'이 발의되기도 했지만 20대 국회에서 회기 만료로 폐기했다. 이렇게 계속해서 위헌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되었던 유류분 제도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47년 만에 묵혀왔던 결정을 내렸다.박용두 상속전문변호사는 "헌재의 결정 이후 더욱 복잡해지는 상속관련 문제를 집중 연구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류분 관련 상속분쟁에서 패륜적인 행동의 정도, 유류분 기여도 등 그 입증 관계가 복잡해지는 것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이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유류분 소송을 제기하거나 유류분 소송 중인 경우 변호사의 역량에 따라 소송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에 보다 전문적인 변호사를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도움말=박용두 법무법인(유한) 대륜 상속·가사그룹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47년 만의 유류분 제도 위헌 결정…향후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전망은
MBC
2024-05-02
본질 들여다보려는 법원‥"2천 명 증원 '공공 이익' 부합하는지가 쟁점"
본질 들여다보려는 법원‥"2천 명 증원 '공공 이익' 부합하는지가 쟁점"
◀ 앵커 ▶정부와 의사협회의 갈등이 두 달 넘게 이어지고 있는데, 그 빌미가 된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 방침이, 법정에서 중대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의료계가 제기한 의대 증원 집행 정지 신청과 관련해서, 법원이 정부로부터 증원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출받아서 따져보겠다고 했기 때문인데요.또 이달 중순까지 증원을 확정하지 말라고도 요구했습니다.어떤 쟁점이 핵심 변수가 될지 전동혁 기자가 짚어 봤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의대 교수와 전공의, 의대생 등이 낸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은 1심 법원에서 판단을 받아보지도 못한 채 '각하' 됐습니다.증원의 직접 이해당사자는 대학 총장이므로, 교수나 전공의 등은 이의를 제기할 자격이 없다고 본 겁니다.하지만 서울고법 항고심 재판부는 증원으로 이익을 보는 총장이 법적 다툼에 나설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따라서 재판부는 신청인들의 적격 여부는 물론 증원 결정의 적법성까지 모두 판단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정부를 상대로 현장 실사 결과와 회의록부터 향후 지원 계획, 소요 예산까지, '2천 명 증원'의 근거를 조목조목 요구했습니다.[박나리/변호사] "'제출된 자료는 다 보고 그때부터 수주 이내에 결정을 하겠다' 이런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5월 안에 결정이 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행정 처분의 적법성을 따지는 사건의 성격상, 관건은 의대 증원이 본질적으로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가 될 걸로 보입니다.[성봉근/서경대 교수(행정법 전공)]"제일 중요한 것은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느냐. 자기(의사)들의 여러 가지 이익이 보호되지 못하는 사사로운 것이냐, 아니면 어떤 공익적인 그런 것이냐…"오늘 취임식을 연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은 법원이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제동을 걸었다며 환영했습니다.[임현택/대한의사협회장]"국립의대들이 정원을 자율적으로 조정토록 한 것은 2천 명이라는 숫자가 아무런 근거조차 없음을 정부 스스로 자인한 것.."최종 집계된 31개 의대의 내년도 입시 증원 규모는 1천 469명으로 파악됐습니다.대학교육협의회는 법원 결정이 나오는 이달 중순까지는 내년도 대입전형 시행 계획을 발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MBC뉴스 전동혁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본질 들여다보려는 법원‥"2천 명 증원 '공공 이익' 부합하는지가 쟁점" (바로가기)
MBC
2024-05-02
본질 들여다보려는 법원‥"2천 명 증원 '공공 이익' 부합하는지가 쟁점"
본질 들여다보려는 법원‥"2천 명 증원 '공공 이익' 부합하는지가 쟁점"
◀ 앵커 ▶정부와 의사협회의 갈등이 두 달 넘게 이어지고 있는데, 그 빌미가 된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 방침이, 법정에서 중대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의료계가 제기한 의대 증원 집행 정지 신청과 관련해서, 법원이 정부로부터 증원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출받아서 따져보겠다고 했기 때문인데요.또 이달 중순까지 증원을 확정하지 말라고도 요구했습니다.어떤 쟁점이 핵심 변수가 될지 전동혁 기자가 짚어 봤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의대 교수와 전공의, 의대생 등이 낸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은 1심 법원에서 판단을 받아보지도 못한 채 '각하' 됐습니다.증원의 직접 이해당사자는 대학 총장이므로, 교수나 전공의 등은 이의를 제기할 자격이 없다고 본 겁니다.하지만 서울고법 항고심 재판부는 증원으로 이익을 보는 총장이 법적 다툼에 나설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따라서 재판부는 신청인들의 적격 여부는 물론 증원 결정의 적법성까지 모두 판단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정부를 상대로 현장 실사 결과와 회의록부터 향후 지원 계획, 소요 예산까지, '2천 명 증원'의 근거를 조목조목 요구했습니다.[박나리/변호사] "'제출된 자료는 다 보고 그때부터 수주 이내에 결정을 하겠다' 이런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5월 안에 결정이 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행정 처분의 적법성을 따지는 사건의 성격상, 관건은 의대 증원이 본질적으로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가 될 걸로 보입니다.[성봉근/서경대 교수(행정법 전공)]"제일 중요한 것은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느냐. 자기(의사)들의 여러 가지 이익이 보호되지 못하는 사사로운 것이냐, 아니면 어떤 공익적인 그런 것이냐…"오늘 취임식을 연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은 법원이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제동을 걸었다며 환영했습니다.[임현택/대한의사협회장]"국립의대들이 정원을 자율적으로 조정토록 한 것은 2천 명이라는 숫자가 아무런 근거조차 없음을 정부 스스로 자인한 것.."최종 집계된 31개 의대의 내년도 입시 증원 규모는 1천 469명으로 파악됐습니다.대학교육협의회는 법원 결정이 나오는 이달 중순까지는 내년도 대입전형 시행 계획을 발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MBC뉴스 전동혁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본질 들여다보려는 법원‥"2천 명 증원 '공공 이익' 부합하는지가 쟁점" (바로가기)
더팩트
2024-04-29
사업 무산된 부산 지역주택조합…법원 "조합원에 분납금 전액 반환해야"
사업 무산된 부산 지역주택조합…법원 "조합원에 분납금 전액 반환해야"
추진위, 사업 무산됐으나 기 분납금 반환 이행 거부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계약금 등을 전액 돌려준다고 속이고 조합원 가입을 유도한 지역주택 조합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조합원에게 분담금 전액을 반환하게 됐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은 최근 조합원들이 부산 지역 한 추진위를 대상으로 제기한 부당이득반환 소송에서 원고 전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배판부는 "원고들에게 각 분담금 및 행정용역비와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 소송 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고 명령했다.조합원들은 해당 추진위가 ‘안심보장제’ 제도로 조합원 가입을 유도해 수천만 원의 금원을 납부하게 했으나, 분납금을 돌려주지 않았다며 소를 제기했다.모집 당시 추진위가 제시한 안심보장제는 조합설립 및 사업이 무산될 경우 조합 가입희망자가 납부한 계약금 등 전액을 환불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다. 당시 가입한 조합원들은 해당 내용의 확약서도 받았다.그러나 추진위는 관할관청에 조합설립인가 신청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사업 진행이 늦어지고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추진위는 임시총회를 개최해 사업비의 증가에 따른 조합원들 사이 갈등 및 사업 지연 등을 이유로 조합을 해산, 사업 관련 모든 권리를 포기했다.그럼에도 추진위는 납부한 금액을 돌려주지 않으려 했고, 이로 인해 일부 조합원은 생활고에 시달리는 상황에 처했다.이에 조합원들은 추진위를 상대로 사업 무산에 따른 분담금 등 반환 책임을 묻고자 지역주택조합 소송을 제기했다.조합원 측 법률대리인은 조합원 안심 보장 확약 및 조합 해산·정산 합의에 따라 조합원이 납부한 분담금은 반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조합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관계자는 "만약 반환 보장 약정이 없었다면 원고들은 이 사건 가입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고의적인 기망이 존재함을 강조한 끝에 추진위는 분담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말도 안되는 과장광고로 피해자들을 현혹하는 것은 명백한 사기 범죄"라며 "가입비 예치 이후 청약 철회를 하고 싶다거나 추진위, 조합을 상대로 탈퇴를 하려고 한다면, 법원에서 의도적인 기망을 적극적으로 입증해야 하는데 입증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사업 무산된 부산 지역주택조합…법원 "조합원에 분납금 전액 반환해야" (바로가기)
더팩트
2024-04-29
사업 무산된 부산 지역주택조합…법원 "조합원에 분납금 전액 반환해야"
사업 무산된 부산 지역주택조합…법원 "조합원에 분납금 전액 반환해야"
추진위, 사업 무산됐으나 기 분납금 반환 이행 거부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계약금 등을 전액 돌려준다고 속이고 조합원 가입을 유도한 지역주택 조합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조합원에게 분담금 전액을 반환하게 됐다.29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은 최근 조합원들이 부산 지역 한 추진위를 대상으로 제기한 부당이득반환 소송에서 원고 전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배판부는 "원고들에게 각 분담금 및 행정용역비와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 소송 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고 명령했다.조합원들은 해당 추진위가 ‘안심보장제’ 제도로 조합원 가입을 유도해 수천만 원의 금원을 납부하게 했으나, 분납금을 돌려주지 않았다며 소를 제기했다.모집 당시 추진위가 제시한 안심보장제는 조합설립 및 사업이 무산될 경우 조합 가입희망자가 납부한 계약금 등 전액을 환불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다. 당시 가입한 조합원들은 해당 내용의 확약서도 받았다.그러나 추진위는 관할관청에 조합설립인가 신청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사업 진행이 늦어지고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추진위는 임시총회를 개최해 사업비의 증가에 따른 조합원들 사이 갈등 및 사업 지연 등을 이유로 조합을 해산, 사업 관련 모든 권리를 포기했다.그럼에도 추진위는 납부한 금액을 돌려주지 않으려 했고, 이로 인해 일부 조합원은 생활고에 시달리는 상황에 처했다.이에 조합원들은 추진위를 상대로 사업 무산에 따른 분담금 등 반환 책임을 묻고자 지역주택조합 소송을 제기했다.조합원 측 법률대리인은 조합원 안심 보장 확약 및 조합 해산·정산 합의에 따라 조합원이 납부한 분담금은 반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조합원 측 법률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관계자는 "만약 반환 보장 약정이 없었다면 원고들은 이 사건 가입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고의적인 기망이 존재함을 강조한 끝에 추진위는 분담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말도 안되는 과장광고로 피해자들을 현혹하는 것은 명백한 사기 범죄"라며 "가입비 예치 이후 청약 철회를 하고 싶다거나 추진위, 조합을 상대로 탈퇴를 하려고 한다면, 법원에서 의도적인 기망을 적극적으로 입증해야 하는데 입증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사업 무산된 부산 지역주택조합…법원 "조합원에 분납금 전액 반환해야" (바로가기)
한겨레
2024-04-28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실제 행위에 착수했느냐가 관건‘계약서 유출’ 여부도 쟁점될 듯 기획사 하이브와 자회사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 사이 갈등이 경찰 고발로 이어지면서 하이브가 주장하는 민 대표의 업무상 배임 혐의가 입증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법조계에서는 현재까지 공개된 정황만으론, 배임의 내용과 대상 면에서 민 대표의 업무상 배임 혐의 인정이 쉽지 않다고 본다. 다만 양쪽이 추가 고발에 나설 수 있어 다른 혐의로 수사가 확대될 여지는 있다.28일 변호사와 법학자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민 대표에게 업무상 배임 혐의가 적용되려면 ‘실제 행위’가 있었는지, 행위가 있었다면 이 행위가 최대 주주인 하이브가 아닌 민희진씨가 대표이사로 재직 중인 ‘어도어’에 손해를 끼쳤는지가 핵심이다.업무상 배임은 예비·음모 단계를 처벌하지 않는다. ‘실행의 착수 또는 개시’가 필요하다. 박훈 변호사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하려면 가령 민 대표가 ‘뉴진스를 데려가겠다’는 말이 아니라, ‘뉴진스(를 데려가기 위해) 계약서를 쓴 행위’ 등 구체적인 행동에 착수했다는 증거가 나와야 한다”며 “경영권 탈취에 대한 문제도 메신저에서 한 얘기만으로는 처벌이 어렵다”고 했다.업무상 배임죄는 경영진이 회사에 손해를 끼쳤을 때 성립하지, 주주에 손해를 끼쳤을 때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번 사건에서 설사 ‘실행의 착수 또는 개시’가 있었다해도 민 대표의 업무상 배임죄의 피해자는 ‘법인 어도어’일 뿐, 어도어의 지분 80%를 보유한 ‘최대 주주 하이브’는 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가장 유명한 판례는 2009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에버랜드 전환사채 헐값 발행 사건의 대법원 판결이다. 당시 대법원은 전환사채를 헐값 발행했다해도 이는 ‘주주의 손해’일뿐 ‘회사의 손해’가 아니라는 논리로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 등의 배임 혐의에 무죄를 선고했다.다만 하이브가 문제 삼고 있는 민 대표의 ‘계약서 유출’ 등이 사실이고 이것이 결국 어도어에 손해를 끼쳤다면 업무상 배임을 포함해 다양한 형사처벌 가능성은 열려 있다. 하이브 쪽은 지난 26일 전날 열린 민 대표의 기자회견을 반박하며 “경영상 기밀에 해당하는 문서들이 유출된 걸 확인하고 (감사를) 시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양태정 변호사(법무법인 광야)는 “어도어 부대표가 하이브 내부 재무 자료와 아티스트 계약 자료를 유출하고 전략을 짰다는 (하이브의) 얘기가 맞다면,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비밀 유출에 해당한다. (주주 하이브가 아니라) 회사 어도어의 주가나 이미지 등을 훼손한 걸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진권 변호사(법무법인 소울)는 “무속인 등 제3자에게 인사 자료 같은 걸 보여줬다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도 성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향후 하이브와 민 대표 간 다툼이 민사소송으로 번지리라는 관측도 많다. 정진권 변호사는 “대주주인 하이브가 민 대표 해임을 위해 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한 상황에서, 민 대표 쪽에서 자리를 지킬 목적으로 주총 결의 무효 확인 소송 또는 이사 지위 확인 가처분 소송 등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지민희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하이브 쪽에서) 영업비밀 침해 등을 이유로 손해배상 청구를 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용산경찰서 관계자는 하이브의 민 대표 쪽 고발에 대해 “고발장을 검토해본 뒤 혐의 등을 살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바로가기)
한겨레
2024-04-28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실제 행위에 착수했느냐가 관건‘계약서 유출’ 여부도 쟁점될 듯 기획사 하이브와 자회사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 사이 갈등이 경찰 고발로 이어지면서 하이브가 주장하는 민 대표의 업무상 배임 혐의가 입증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법조계에서는 현재까지 공개된 정황만으론, 배임의 내용과 대상 면에서 민 대표의 업무상 배임 혐의 인정이 쉽지 않다고 본다. 다만 양쪽이 추가 고발에 나설 수 있어 다른 혐의로 수사가 확대될 여지는 있다.28일 변호사와 법학자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민 대표에게 업무상 배임 혐의가 적용되려면 ‘실제 행위’가 있었는지, 행위가 있었다면 이 행위가 최대 주주인 하이브가 아닌 민희진씨가 대표이사로 재직 중인 ‘어도어’에 손해를 끼쳤는지가 핵심이다.업무상 배임은 예비·음모 단계를 처벌하지 않는다. ‘실행의 착수 또는 개시’가 필요하다. 박훈 변호사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하려면 가령 민 대표가 ‘뉴진스를 데려가겠다’는 말이 아니라, ‘뉴진스(를 데려가기 위해) 계약서를 쓴 행위’ 등 구체적인 행동에 착수했다는 증거가 나와야 한다”며 “경영권 탈취에 대한 문제도 메신저에서 한 얘기만으로는 처벌이 어렵다”고 했다.업무상 배임죄는 경영진이 회사에 손해를 끼쳤을 때 성립하지, 주주에 손해를 끼쳤을 때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번 사건에서 설사 ‘실행의 착수 또는 개시’가 있었다해도 민 대표의 업무상 배임죄의 피해자는 ‘법인 어도어’일 뿐, 어도어의 지분 80%를 보유한 ‘최대 주주 하이브’는 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가장 유명한 판례는 2009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에버랜드 전환사채 헐값 발행 사건의 대법원 판결이다. 당시 대법원은 전환사채를 헐값 발행했다해도 이는 ‘주주의 손해’일뿐 ‘회사의 손해’가 아니라는 논리로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 등의 배임 혐의에 무죄를 선고했다.다만 하이브가 문제 삼고 있는 민 대표의 ‘계약서 유출’ 등이 사실이고 이것이 결국 어도어에 손해를 끼쳤다면 업무상 배임을 포함해 다양한 형사처벌 가능성은 열려 있다. 하이브 쪽은 지난 26일 전날 열린 민 대표의 기자회견을 반박하며 “경영상 기밀에 해당하는 문서들이 유출된 걸 확인하고 (감사를) 시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양태정 변호사(법무법인 광야)는 “어도어 부대표가 하이브 내부 재무 자료와 아티스트 계약 자료를 유출하고 전략을 짰다는 (하이브의) 얘기가 맞다면,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비밀 유출에 해당한다. (주주 하이브가 아니라) 회사 어도어의 주가나 이미지 등을 훼손한 걸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진권 변호사(법무법인 소울)는 “무속인 등 제3자에게 인사 자료 같은 걸 보여줬다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도 성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향후 하이브와 민 대표 간 다툼이 민사소송으로 번지리라는 관측도 많다. 정진권 변호사는 “대주주인 하이브가 민 대표 해임을 위해 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한 상황에서, 민 대표 쪽에서 자리를 지킬 목적으로 주총 결의 무효 확인 소송 또는 이사 지위 확인 가처분 소송 등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지민희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하이브 쪽에서) 영업비밀 침해 등을 이유로 손해배상 청구를 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용산경찰서 관계자는 하이브의 민 대표 쪽 고발에 대해 “고발장을 검토해본 뒤 혐의 등을 살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바로가기)
더팩트
2024-04-25
학교폭력예방법 학교폭력피해자 학교폭력가해자
학폭예방법 개정안 시행으로 가해자로 몰린 피해 학생 억울함 벗어
법무법인 대륜 "가해자에 엄중한 처분 및 피해자 최우선 보호 실현"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학교폭력예방법) 개정안이 지난 3월 1일부터 시행되면서 억울한 상황에 처했던 피해 학생이 구제됐다.25일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부산의 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A 군은 동급생인 B 군에게 이유 없는 괴롭힘을 지속해서 당했다.사건 당일 B 군에게 얼굴 등을 무차별 폭행 당하던 A 군은 일방적인 폭행을 당했음에도 방어를 위해 손을 들어 올렸다는 이유로 B 군 측의 신고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 회부됐다.이 사건으로 억울하게 학교폭력 가해자로 몰린 A 군은 3주 이상의 치료를 필요로하는 신체적 피해는 물론 정신적 피해를 입고 학교에 등교하지 못할 정도로 극심한 피해를 호소했다.이에 A 군의 법률 대리인은 폭력에 대한 방어 행위였으며, B 군이 피해를 입지 않았음을 입증했다.결국 B 군은 피해 학생에 대한 접촉 및 협박, 보복행위의 금지와 학급교체 처분을 받고 상해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A 군은 억울한 누명을 벗고 학교폭력 피해자 보호조치를 받게 됐다.A 군의 법률 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관계자는 "학폭위에 동행해 피해자의 억울한 부분을 강조한 덕분에 치료 및 치료를 위한 요양을 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지난 3월 개학과 동시에 학교폭력예방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가해자에 대한 엄중한 처분과 피해자 최우선 보호가 가능했다"고 말했다.개정된 법률에 따르면 학교폭력 가해자가 출석정지(6호), 학급교체(7호), 전학(3호) 처분을 받으면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이 기존 2년에서 늘어난 4년 동안 보존된다.6·7호 처분의 경우 졸업 직전 심의를 통해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 단서 조항은 유지됐다. 다만 졸업 직전 심의를 거쳐 학폭 기록을 삭제하더라도 가해자의 진정한 사과가 있어야 하는 등 삭제 기준은 까다롭게 규정됐다.대륜 관계자는 "엄중한 학폭위 조치를 받은 가해자는 고등학교 졸업 후 삼수·사수를 하더라도 가해자는 학폭위 처분이 기재된 학생부로 대입을 치러야 한다. 대입은 물론 취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학교폭력에 대한 엄벌주의 흐름이 확산되면서 앞날이 창창하다는 명목으로 학교폭력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주던 것이 없어진 셈"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학폭예방법 개정안 시행으로 가해자로 몰린 피해 학생 억울함 벗어 (바로가기)
더팩트
2024-04-25
학교폭력예방법 학교폭력피해자 학교폭력가해자
학폭예방법 개정안 시행으로 가해자로 몰린 피해 학생 억울함 벗어
법무법인 대륜 "가해자에 엄중한 처분 및 피해자 최우선 보호 실현"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학교폭력예방법) 개정안이 지난 3월 1일부터 시행되면서 억울한 상황에 처했던 피해 학생이 구제됐다.25일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부산의 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A 군은 동급생인 B 군에게 이유 없는 괴롭힘을 지속해서 당했다.사건 당일 B 군에게 얼굴 등을 무차별 폭행 당하던 A 군은 일방적인 폭행을 당했음에도 방어를 위해 손을 들어 올렸다는 이유로 B 군 측의 신고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 회부됐다.이 사건으로 억울하게 학교폭력 가해자로 몰린 A 군은 3주 이상의 치료를 필요로하는 신체적 피해는 물론 정신적 피해를 입고 학교에 등교하지 못할 정도로 극심한 피해를 호소했다.이에 A 군의 법률 대리인은 폭력에 대한 방어 행위였으며, B 군이 피해를 입지 않았음을 입증했다.결국 B 군은 피해 학생에 대한 접촉 및 협박, 보복행위의 금지와 학급교체 처분을 받고 상해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A 군은 억울한 누명을 벗고 학교폭력 피해자 보호조치를 받게 됐다.A 군의 법률 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 관계자는 "학폭위에 동행해 피해자의 억울한 부분을 강조한 덕분에 치료 및 치료를 위한 요양을 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지난 3월 개학과 동시에 학교폭력예방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가해자에 대한 엄중한 처분과 피해자 최우선 보호가 가능했다"고 말했다.개정된 법률에 따르면 학교폭력 가해자가 출석정지(6호), 학급교체(7호), 전학(3호) 처분을 받으면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이 기존 2년에서 늘어난 4년 동안 보존된다.6·7호 처분의 경우 졸업 직전 심의를 통해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 단서 조항은 유지됐다. 다만 졸업 직전 심의를 거쳐 학폭 기록을 삭제하더라도 가해자의 진정한 사과가 있어야 하는 등 삭제 기준은 까다롭게 규정됐다.대륜 관계자는 "엄중한 학폭위 조치를 받은 가해자는 고등학교 졸업 후 삼수·사수를 하더라도 가해자는 학폭위 처분이 기재된 학생부로 대입을 치러야 한다. 대입은 물론 취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학교폭력에 대한 엄벌주의 흐름이 확산되면서 앞날이 창창하다는 명목으로 학교폭력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주던 것이 없어진 셈"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학폭예방법 개정안 시행으로 가해자로 몰린 피해 학생 억울함 벗어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4-25
부장판사출신변호사
[법의 날 인터뷰] 박나리 변호사 “의뢰인도 때로는 ‘단호하게’ 설득하겠다”
17년 법관 생활 끝내고 올해 변호사로 변신"나머지 법조 인생 도움 필요한 분들 대면"소년범에 '10호 처분' 장면 지금도 회자돼"나쁜 기억 아닌, 자신 돌아볼 기회 됐으면" "어머니 일어나서 OOO 옆에 서보시겠어요? (어머니께) '걱정 끼쳐서 죄송합니다. 다시는 이런 일 없을 겁니다'라고 말해", "처분하겠습니다. 10호 처분합니다. 7일 이내에 법원에 항고할 수 있습니다."2013년 8월 방영된 KBS 1TV 다큐멘터리 '위기의 아이들-소년, 법정에 가다' 속 한 장면. 당시 비행 청소년을 선처할 듯하다 소년법상 가장 강력한 처분을 내린 수원지법 소년부 박나리 판사의 모습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덕분에 '단호박 판사'라는 별명이 붙은 그는 17년간 몸담은 법원을 나와, 올해부터 변호사로서 두 번째 인생을 시작했다. 25일 '제61회 법의 날'을 맞아 박나리 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를 만났다.박 변호사는 평생의 법조 인생 중 절반은 법관으로 지내봤으니, 남은 반은 변호사로서 의뢰인을 돕기 위해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게 됐다고 전했다. 박 변호사는 "그동안 보람도 있었지만 나머지 법조 인생은 도움이 필요한 분들과 직접 마주하며 돕고 싶었다"고 전했다.박 변호사는 화제가 됐던 '10호 처분' 사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다소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박 변호사는 "'사이다'라는 반응도 있었지만 '아이의 인생이 어떻게 됐을지 생각해 봤나'라는 댓글도 있었다. 저도 걱정이 됐다"며 "이후 근황은 모르지만, 그때 기억이 인생에 있어 나쁜 기억이 아니라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이어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니 예전에 저에게 소년 재판을 받은 적 있다는 연락이 SNS를 통해 왔었다"며 "그 친구는 '재판 이후로 마음을 다잡고 건실한 사회인으로 자라 잘 생활하고 있다. 감사하다'고 했다. 다행이라고 생각했고, 방송에 나왔던 친구도 잘 지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 변호사는 법관 시절 첫 형사단독 재판부를 맡아 첫 무죄를 선고한 사건도 기억에 남는다고 회상했다. 그는 "절도 사건이었다. 화장실에 물건을 두고 나왔다 다시 돌아가니 사라져있었고, 시간상 피고인이 물건을 갖고 나왔을 것이라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었다. 유일한 증거인 CCTV를 꼼꼼히 확인했지만, 유죄의 증명이 부족하다는 판단이 들어 무죄를 선고했고, 검찰이 항소하지 않아 무죄가 확정됐다"며 "피고인이 굉장히 고마워했던 장면이 아직도 생각난다"고 전했다.최근 사법부의 뜨거운 감자인 '재판 지연'에 대해선 "굉장히 답답하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고 의견을 내비쳤다. 박 변호사는 "불구속 형사 사건은 첫 기일을 잡는 데만 1년 이상이 걸린다고 들었다. 사건 발생 이후 4년 이상 걸려 선고받기도 하는데, 너무 느리다. 하지만 해결을 위해선 전체적으로 구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판사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마지막으로 '어떤 변호사로 남고 싶은지'에 대해 그는 "법정에 나가 하고 싶은 말을 시원하게 전달하는 변호사를 원할 수도 있겠지만,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게 변호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며 "의뢰인이 특정 부탁을 하더라도 의뢰인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 단호하게 설득할 수 있는 카리스마도 필요하다. 의뢰인이 믿고 따를 수 있는 변호사가 되고 싶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박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오랜 판사 생활을 마치고 변호사로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됐다. 특별한 계기가 있었나."한 17년 정도 판사 생활을 했다. 27살에 시작해 지금 40대 중반이 됐는데, 한 60대까지 법조인으로 살아간다고 한다면 절반 정도 지났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동안 보람도 있었지만, 나머지 법조 인생은 지금까지의 경험을 이용해 도움이 필요한 분들과 마주하며 직접 도와주는 삶을 살아보는 것도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판사와 변호사 업무 차이를 체감하고 있나."판사는 한 달 동안의 일정을 예측할 수 있다. 어떤 날 일하고 어떤 날 판결문 쓸지 예측 가능하고 조정할 수 있다. 변호사는 예상이 불가능하다. 상담도 갑자기 잡힐 수 있고, 재판 일정도 재판부가 정해주는 것에 맞출 수밖에 없다. 법원과 의뢰인에게 맞춰야 하는 '을'이 된 부분이 있다. 하지만 재미는 있다. 판사는 먼저 찾아오는 사람이 없고, 주변에서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다. 변호사는 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 누군가 도와달라고 하면 거기에 응답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어서 그런 부분이 잘 맞는 것 같다."-소년부 판사 재직 당시 비행 청소년에 '10호 처분'을 내렸던 다큐멘터리 장면이 여전히 회자되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사실 평소 재판할 때 그런 행동을 잘 하진 않는다. 당시 방송 촬영도 있었고, 아이의 어머니가 나오셨었다. 법정을 나가게 되면 아이가 어머니와 교감하거나 스스로 반성할 기회가 없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미 정해진 결론을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선고를 내렸는데, 그런 부분이 사람들에게 인상적이었던 것 같다."-당시 10호 처분과 관련해 기억나는 반응이 있다면?"변호사가 돼 SNS를 시작하니 알아보는 댓글이 많이 달렸었다. 한편 '이후 아이 인생이 어떻게 됐을지 생각해 본 적 있나요?'라는 댓글을 남기는 사람도 있었다. 저도 걱정이 됐다. 그 친구가 이후에 어떻게 됐는지 알 수 없지만, 그 친구 인생에 있어 나쁜 기억이 아니라 자기를 되돌아볼 좋은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그 친구 외에도 최근 SNS를 통해 '예전에 판사님에게 소년 재판을 여러 번 받았다'는 연락을 받았었다. '재판 이후로 마음을 다잡고 지금 건실한 사회인으로 자라서 잘 생활하고 있어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하더라. 참 다행이다 싶었고, 방송에 나갔던 그 친구도 잘 지내고 있으면 좋겠다."-소년 재판 외에도 보람 있었거나 기억에 남는 재판이 있다면 소개해 달라."형사단독을 처음 맡았을 때, 첫 무죄 선고 사건이 생각난다. 절도 사건이었다. 화장실에 물건을 두고 나왔다 다시 돌아가니 사라졌었고, 입구 CCTV를 확인하니 시간상 피고인이 물건을 갖고 나왔을 것이라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었다. 유일한 증거인 CCTV를 꼼꼼히 확인했지만, 유죄의 증명이 부족하다는 판단이 들어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이 항소하지 않아 무죄가 확정됐다. 선고 당시 피고인이 굉장히 고마워했던 장면이 아직도 생각난다. 진짜 억울함을 풀었다는 생각이 들어 기억에 남는다."-최근 사법부의 '재판 지연' 문제가 주요 화두로 거론되고 있다."형사 사건 항소심 재판은 피고인이 불구속 상태일 경우 1년 동안 첫 기일이 잡히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구속 사건은 구속 기간이 있어 먼저 기일을 잡다 보니 계속 밀리는 것이다. 이러다 보면 최초 재판 시작 이후 4년 이상 경과되는 일도 많다. 범죄를 저지른 때와 시점이 너무 지나 정의구현 관점에서 지연되는 부분이 있다. 민사 같은 경우에도 1년 정도 걸리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굉장히 답답하지만 뾰족한 수는 없는 것 같다. 판사 개인이 힘쓴다고 될 일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구상해야 하는 부분이다."-대륜 최고총괄변호사로서 '일반소송/중재센터장'을 맡았다. 어떤 업무인가."부동산이나 기업 등 특정 분류에 속하지 않는 일반 민사 사건들이나 중재 사건을 소속 변호사 적성이나 능력을 고려해 배당하는 등 후배 변호사들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하는 역할이다. 또 기업이나 당사자들 사이에서 소송으로 가기 전에 적절한 합의를 끌어 내는 역할도 맡았다. 법관으로서 해볼 수 없었던 일을 맡게 돼 새롭다."-'어떤 변호사'로 남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면?"의뢰인들은 결국 본인의 이익을 위해 싸워줄 사람을 원한다. 결국 '이기는 소송'을 말하는 것이다. 물론 법정에서 하고 싶은 말을 시원하게 전달하는 변호사를 원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보단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게 변호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의뢰인이 특정한 부탁을 하더라도 의뢰인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 '단호하게' 설득할 수 있는 카리스마도 필요한 것 같다. 의뢰인이 믿고 따를 수 있는 변호사가 되고 싶다." [기사전문보기] - [법의 날 인터뷰] 박나리 변호사 “의뢰인도 때로는 ‘단호하게’ 설득하겠다” (바로가기)
아시아투데이
2024-04-25
부장판사출신변호사
[법의 날 인터뷰] 박나리 변호사 “의뢰인도 때로는 ‘단호하게’ 설득하겠다”
17년 법관 생활 끝내고 올해 변호사로 변신"나머지 법조 인생 도움 필요한 분들 대면"소년범에 '10호 처분' 장면 지금도 회자돼"나쁜 기억 아닌, 자신 돌아볼 기회 됐으면" "어머니 일어나서 OOO 옆에 서보시겠어요? (어머니께) '걱정 끼쳐서 죄송합니다. 다시는 이런 일 없을 겁니다'라고 말해", "처분하겠습니다. 10호 처분합니다. 7일 이내에 법원에 항고할 수 있습니다."2013년 8월 방영된 KBS 1TV 다큐멘터리 '위기의 아이들-소년, 법정에 가다' 속 한 장면. 당시 비행 청소년을 선처할 듯하다 소년법상 가장 강력한 처분을 내린 수원지법 소년부 박나리 판사의 모습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덕분에 '단호박 판사'라는 별명이 붙은 그는 17년간 몸담은 법원을 나와, 올해부터 변호사로서 두 번째 인생을 시작했다. 25일 '제61회 법의 날'을 맞아 박나리 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를 만났다.박 변호사는 평생의 법조 인생 중 절반은 법관으로 지내봤으니, 남은 반은 변호사로서 의뢰인을 돕기 위해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게 됐다고 전했다. 박 변호사는 "그동안 보람도 있었지만 나머지 법조 인생은 도움이 필요한 분들과 직접 마주하며 돕고 싶었다"고 전했다.박 변호사는 화제가 됐던 '10호 처분' 사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다소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박 변호사는 "'사이다'라는 반응도 있었지만 '아이의 인생이 어떻게 됐을지 생각해 봤나'라는 댓글도 있었다. 저도 걱정이 됐다"며 "이후 근황은 모르지만, 그때 기억이 인생에 있어 나쁜 기억이 아니라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이어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니 예전에 저에게 소년 재판을 받은 적 있다는 연락이 SNS를 통해 왔었다"며 "그 친구는 '재판 이후로 마음을 다잡고 건실한 사회인으로 자라 잘 생활하고 있다. 감사하다'고 했다. 다행이라고 생각했고, 방송에 나왔던 친구도 잘 지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 변호사는 법관 시절 첫 형사단독 재판부를 맡아 첫 무죄를 선고한 사건도 기억에 남는다고 회상했다. 그는 "절도 사건이었다. 화장실에 물건을 두고 나왔다 다시 돌아가니 사라져있었고, 시간상 피고인이 물건을 갖고 나왔을 것이라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었다. 유일한 증거인 CCTV를 꼼꼼히 확인했지만, 유죄의 증명이 부족하다는 판단이 들어 무죄를 선고했고, 검찰이 항소하지 않아 무죄가 확정됐다"며 "피고인이 굉장히 고마워했던 장면이 아직도 생각난다"고 전했다.최근 사법부의 뜨거운 감자인 '재판 지연'에 대해선 "굉장히 답답하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고 의견을 내비쳤다. 박 변호사는 "불구속 형사 사건은 첫 기일을 잡는 데만 1년 이상이 걸린다고 들었다. 사건 발생 이후 4년 이상 걸려 선고받기도 하는데, 너무 느리다. 하지만 해결을 위해선 전체적으로 구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판사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마지막으로 '어떤 변호사로 남고 싶은지'에 대해 그는 "법정에 나가 하고 싶은 말을 시원하게 전달하는 변호사를 원할 수도 있겠지만,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게 변호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며 "의뢰인이 특정 부탁을 하더라도 의뢰인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 단호하게 설득할 수 있는 카리스마도 필요하다. 의뢰인이 믿고 따를 수 있는 변호사가 되고 싶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박 변호사와의 일문일답.-오랜 판사 생활을 마치고 변호사로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됐다. 특별한 계기가 있었나."한 17년 정도 판사 생활을 했다. 27살에 시작해 지금 40대 중반이 됐는데, 한 60대까지 법조인으로 살아간다고 한다면 절반 정도 지났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동안 보람도 있었지만, 나머지 법조 인생은 지금까지의 경험을 이용해 도움이 필요한 분들과 마주하며 직접 도와주는 삶을 살아보는 것도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판사와 변호사 업무 차이를 체감하고 있나."판사는 한 달 동안의 일정을 예측할 수 있다. 어떤 날 일하고 어떤 날 판결문 쓸지 예측 가능하고 조정할 수 있다. 변호사는 예상이 불가능하다. 상담도 갑자기 잡힐 수 있고, 재판 일정도 재판부가 정해주는 것에 맞출 수밖에 없다. 법원과 의뢰인에게 맞춰야 하는 '을'이 된 부분이 있다. 하지만 재미는 있다. 판사는 먼저 찾아오는 사람이 없고, 주변에서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다. 변호사는 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 누군가 도와달라고 하면 거기에 응답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어서 그런 부분이 잘 맞는 것 같다."-소년부 판사 재직 당시 비행 청소년에 '10호 처분'을 내렸던 다큐멘터리 장면이 여전히 회자되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사실 평소 재판할 때 그런 행동을 잘 하진 않는다. 당시 방송 촬영도 있었고, 아이의 어머니가 나오셨었다. 법정을 나가게 되면 아이가 어머니와 교감하거나 스스로 반성할 기회가 없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미 정해진 결론을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선고를 내렸는데, 그런 부분이 사람들에게 인상적이었던 것 같다."-당시 10호 처분과 관련해 기억나는 반응이 있다면?"변호사가 돼 SNS를 시작하니 알아보는 댓글이 많이 달렸었다. 한편 '이후 아이 인생이 어떻게 됐을지 생각해 본 적 있나요?'라는 댓글을 남기는 사람도 있었다. 저도 걱정이 됐다. 그 친구가 이후에 어떻게 됐는지 알 수 없지만, 그 친구 인생에 있어 나쁜 기억이 아니라 자기를 되돌아볼 좋은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그 친구 외에도 최근 SNS를 통해 '예전에 판사님에게 소년 재판을 여러 번 받았다'는 연락을 받았었다. '재판 이후로 마음을 다잡고 지금 건실한 사회인으로 자라서 잘 생활하고 있어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하더라. 참 다행이다 싶었고, 방송에 나갔던 그 친구도 잘 지내고 있으면 좋겠다."-소년 재판 외에도 보람 있었거나 기억에 남는 재판이 있다면 소개해 달라."형사단독을 처음 맡았을 때, 첫 무죄 선고 사건이 생각난다. 절도 사건이었다. 화장실에 물건을 두고 나왔다 다시 돌아가니 사라졌었고, 입구 CCTV를 확인하니 시간상 피고인이 물건을 갖고 나왔을 것이라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었다. 유일한 증거인 CCTV를 꼼꼼히 확인했지만, 유죄의 증명이 부족하다는 판단이 들어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이 항소하지 않아 무죄가 확정됐다. 선고 당시 피고인이 굉장히 고마워했던 장면이 아직도 생각난다. 진짜 억울함을 풀었다는 생각이 들어 기억에 남는다."-최근 사법부의 '재판 지연' 문제가 주요 화두로 거론되고 있다."형사 사건 항소심 재판은 피고인이 불구속 상태일 경우 1년 동안 첫 기일이 잡히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구속 사건은 구속 기간이 있어 먼저 기일을 잡다 보니 계속 밀리는 것이다. 이러다 보면 최초 재판 시작 이후 4년 이상 경과되는 일도 많다. 범죄를 저지른 때와 시점이 너무 지나 정의구현 관점에서 지연되는 부분이 있다. 민사 같은 경우에도 1년 정도 걸리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굉장히 답답하지만 뾰족한 수는 없는 것 같다. 판사 개인이 힘쓴다고 될 일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구상해야 하는 부분이다."-대륜 최고총괄변호사로서 '일반소송/중재센터장'을 맡았다. 어떤 업무인가."부동산이나 기업 등 특정 분류에 속하지 않는 일반 민사 사건들이나 중재 사건을 소속 변호사 적성이나 능력을 고려해 배당하는 등 후배 변호사들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하는 역할이다. 또 기업이나 당사자들 사이에서 소송으로 가기 전에 적절한 합의를 끌어 내는 역할도 맡았다. 법관으로서 해볼 수 없었던 일을 맡게 돼 새롭다."-'어떤 변호사'로 남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면?"의뢰인들은 결국 본인의 이익을 위해 싸워줄 사람을 원한다. 결국 '이기는 소송'을 말하는 것이다. 물론 법정에서 하고 싶은 말을 시원하게 전달하는 변호사를 원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보단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게 변호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의뢰인이 특정한 부탁을 하더라도 의뢰인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 '단호하게' 설득할 수 있는 카리스마도 필요한 것 같다. 의뢰인이 믿고 따를 수 있는 변호사가 되고 싶다." [기사전문보기] - [법의 날 인터뷰] 박나리 변호사 “의뢰인도 때로는 ‘단호하게’ 설득하겠다” (바로가기)
중앙일보 등 10곳
2024-04-23
고객중심 최고의 법률 서비스로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연다
고객중심 최고의 법률 서비스로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연다
대륜, 파크원타워로 본사 이전지방 등 전국 38개 사무소 보유200명 이상 변호사 각 사무소 상주내후년엔 미국 뉴욕에 진출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타워에서 본사 이전 개소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개막을 알렸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국일·정찬우·고병준·박동일 대표 등 대륜 내부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최근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된 최보윤 변호사를 비롯해 한국장애인재활협회·㈜톰슨로이터코리아·한국포스증권㈜·LG화학 등 외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고객 친화적 로펌으로 지속 성장 이뤄 개소식에서 정찬우 대표는 “‘고객중심·전문성·신뢰감’을 나타내는 대륜의 상징색은 고객들에게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대륜의 마음을 담고 있다”며 “밤에도 붉은 조명이 돋보이는 파크원타워는 대륜의 상징색인 붉은색과 일맥상통해 더욱 의미가 있다”라고 전했다. 대륜은 현재 전국에 38개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명 이상의 변호사가 각 사무소에 상주하고 있다. 기존 법률 사무소를 타파해 법원 앞뿐만 아니라 지방 등지에 여러 지점을 개소하면서 고객 친화적 로펌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뤘다. 이번 본사 이전 또한 대기업과 금융권이 밀집한 여의도에서 기업 고객 중심으로 신속한 법률 서비스 지원을 위해 결정됐다. 대륜은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는 마쳤다고 전했다. 자체적인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을 운영하고 있어 증거 확보를 통한 전문적이고 전략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중대재해대응TF, 선거대응TF 등 상황에 맞는 팀을 구성해 신속한 법률 지원을 하고 있다. 정 대표는 “기업법무·형사·회생파산·국방군사·의료·민사·가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는 변호사·변리사·회계사 등 전문가가 협업해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 다수의 기업 및 의료법인과 MOU를 체결하고 있다.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더욱 신속한 접촉이 가능해졌으며, 적시에 법률 자문을 지원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륜의 국내 확장은 법률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도전이었다. 지방에서도 본사와 같은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법률 문화를 조성해 온 것이다. 대륜은 이를 밑거름으로 대형로펌 대열에 올랐다. 국내에서 다진 입지를 기반으로 내년부터 일본과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나설 계획이다. 선진화된 해외 법률 서비스의 특장점을 받아들여 국내 로펌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형사, 기업 법무, 국방군사, 의료분쟁, 건설·부동산 등 다양한 그룹이 전문성을 갖춰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조력하고 있다”며 “어느 지역에 있든 대륜을 찾을 수 있도록 고객의 가장 가까이에 사무소를 개소하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살려 내년 일본, 내후년 미국 뉴욕에 진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더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선진화된 해외 법률 서비스로 경쟁력 제고 해외 진출 대상 국가로 일본과 미국을 선택한 데에 대해 박동일 대표는 “일반적으로 수익 창출을 위해 동남아를 선택하기도 하지만, 대륜은 수익보다 법률 선진화된 곳으로 진출을 계획하게 됐다”며 “대륜은 이미 세계에 선보일 만큼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선진화된 해외 법률 서비스 시스템을 받아들임으로써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개소식은 박동일 대표의 폐회사로 마무리됐다. 박 대표는 “회사가 커올 수 있었던 것은 어디까지나 고객의 권익을 수호하겠다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기 때문”이라며 “대륜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이 대륜의 실력과 정성에 감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마지막으로 “대륜의 목표는 대한민국 1위 로펌이다”며 “같은 목표를 추구하는 전문 변호사들과 앞으로도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대륜의 도전과 성과를 지켜봐 달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중앙일보 - 고객중심 최고의 법률 서비스로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연다 (바로가기)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기업법무 집중”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확장 이전…"기업법무 집중·해외진출 준비" (바로가기)파이낸셜뉴스 - 여의도에 둥지 튼 대륜 "기업법무에 집중…미국·일본 진출 준비"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 (바로가기)KBC뉴스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 파크원에 본사 확장 이전 (바로가기)이투데이 - 여의도 시대 여는 ‘법무법인 대륜’…‘금융+기업법무’ 투트랙 강화 [로펌人+로펌IN] (바로가기)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바로가기)KNN뉴스 - 법무법인 대륜, 서울 여의도로 본사 이전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 “기업 중심 법률서비스” (바로가기)
중앙일보 등 10곳
2024-04-23
고객중심 최고의 법률 서비스로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연다
고객중심 최고의 법률 서비스로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연다
대륜, 파크원타워로 본사 이전지방 등 전국 38개 사무소 보유200명 이상 변호사 각 사무소 상주내후년엔 미국 뉴욕에 진출 예정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타워에서 본사 이전 개소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개막을 알렸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국일·정찬우·고병준·박동일 대표 등 대륜 내부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최근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된 최보윤 변호사를 비롯해 한국장애인재활협회·㈜톰슨로이터코리아·한국포스증권㈜·LG화학 등 외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고객 친화적 로펌으로 지속 성장 이뤄 개소식에서 정찬우 대표는 “‘고객중심·전문성·신뢰감’을 나타내는 대륜의 상징색은 고객들에게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대륜의 마음을 담고 있다”며 “밤에도 붉은 조명이 돋보이는 파크원타워는 대륜의 상징색인 붉은색과 일맥상통해 더욱 의미가 있다”라고 전했다. 대륜은 현재 전국에 38개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명 이상의 변호사가 각 사무소에 상주하고 있다. 기존 법률 사무소를 타파해 법원 앞뿐만 아니라 지방 등지에 여러 지점을 개소하면서 고객 친화적 로펌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뤘다. 이번 본사 이전 또한 대기업과 금융권이 밀집한 여의도에서 기업 고객 중심으로 신속한 법률 서비스 지원을 위해 결정됐다. 대륜은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는 마쳤다고 전했다. 자체적인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을 운영하고 있어 증거 확보를 통한 전문적이고 전략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중대재해대응TF, 선거대응TF 등 상황에 맞는 팀을 구성해 신속한 법률 지원을 하고 있다. 정 대표는 “기업법무·형사·회생파산·국방군사·의료·민사·가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는 변호사·변리사·회계사 등 전문가가 협업해 최고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 다수의 기업 및 의료법인과 MOU를 체결하고 있다.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더욱 신속한 접촉이 가능해졌으며, 적시에 법률 자문을 지원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륜의 국내 확장은 법률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도전이었다. 지방에서도 본사와 같은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법률 문화를 조성해 온 것이다. 대륜은 이를 밑거름으로 대형로펌 대열에 올랐다. 국내에서 다진 입지를 기반으로 내년부터 일본과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나설 계획이다. 선진화된 해외 법률 서비스의 특장점을 받아들여 국내 로펌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형사, 기업 법무, 국방군사, 의료분쟁, 건설·부동산 등 다양한 그룹이 전문성을 갖춰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조력하고 있다”며 “어느 지역에 있든 대륜을 찾을 수 있도록 고객의 가장 가까이에 사무소를 개소하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살려 내년 일본, 내후년 미국 뉴욕에 진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더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선진화된 해외 법률 서비스로 경쟁력 제고 해외 진출 대상 국가로 일본과 미국을 선택한 데에 대해 박동일 대표는 “일반적으로 수익 창출을 위해 동남아를 선택하기도 하지만, 대륜은 수익보다 법률 선진화된 곳으로 진출을 계획하게 됐다”며 “대륜은 이미 세계에 선보일 만큼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선진화된 해외 법률 서비스 시스템을 받아들임으로써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개소식은 박동일 대표의 폐회사로 마무리됐다. 박 대표는 “회사가 커올 수 있었던 것은 어디까지나 고객의 권익을 수호하겠다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기 때문”이라며 “대륜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이 대륜의 실력과 정성에 감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마지막으로 “대륜의 목표는 대한민국 1위 로펌이다”며 “같은 목표를 추구하는 전문 변호사들과 앞으로도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대륜의 도전과 성과를 지켜봐 달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중앙일보 - 고객중심 최고의 법률 서비스로 본격적인 여의도 시대 연다 (바로가기)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기업법무 집중” (바로가기)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확장 이전…"기업법무 집중·해외진출 준비" (바로가기)파이낸셜뉴스 - 여의도에 둥지 튼 대륜 "기업법무에 집중…미국·일본 진출 준비" (바로가기)아시아경제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 (바로가기)KBC뉴스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 파크원에 본사 확장 이전 (바로가기)이투데이 - 여의도 시대 여는 ‘법무법인 대륜’…‘금융+기업법무’ 투트랙 강화 [로펌人+로펌IN] (바로가기)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바로가기)KNN뉴스 - 법무법인 대륜, 서울 여의도로 본사 이전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 “기업 중심 법률서비스” (바로가기)
중부일보
2024-04-22
의료자문
[현장속으로] "유명인이라서 믿고 샀는데"... 인플루언서 SNS 마케팅 논란
'약국템·전문가픽' SNS 리뷰 뒷광고... 암시적 효과 표현도 처벌대상 "품절이에요. 저희도 제품 못 받은 지가 벌써 몇 개월 됐어요", "품절, 품절. 재고 들어오는 날 아침 일찍 오셔야 해요. 안 그럼 없어요."소셜네트워크(SNS) 플랫폼에서 인플루언서로부터 추천을 받은 후 지난해 상반기부터 일반의약품인 A연고와 B할인매장에서 판매하는 화장품 C샷의 품귀현상이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이처럼 파급력이 큰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SNS 홍보가 판매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광고에 준하는 직접적인 홍보를 할 경우 광고 관련 법규에 위배될 수 있어서 논란이 예상된다.광고업계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해 상품에 대한 신뢰와 선호도를 높이는 마케팅이 실용적인 방법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런 마케팅은 광고와는 무관한 콘텐츠를 통해 인기를 얻은 개인이 특정 상품을 직접 사용하고 평가하는 모습을 본인의 기존 콘텐츠와 유사한 형식으로 SNS 개인 채널을 통해 자연스럽게 노출시키는 방식이다.하지만 광고주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은 상업적 광고임에도 인플루언서의 상품에 대한 평가와 추천이 광고주와 상관 없는 독자적인 의견처럼 소비자들에게 인식돼 구매 선택에 영향을 끼칠 경우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등에 위배되는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특히 전문의약품의 경우에는 일반의약품과는 다르게 광고 자체가 아예 금지돼 있다. 또한 약사나 의사와 같은 전문직 외에도 일반인이 특정 매체를 통해 광고로 볼 수 있을 만한 행위를 해도 식품표시광고법과 약사법 47·68조,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78조에 의거해 동일하게 처벌이 가능하다.A연고와 C샷 두 제품은 다수의 유튜버가 ‘피부 개선에 좋은 제품’으로 영상 속에서 추천 및 소개한 이력이 있어서 관련 법규 위반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일반의약품인 ‘A연고’의 경우 약사가 직접 나와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는 제품으로서 추천한 이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실제 이들 제품의 판매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중부일보 취재진이 지난 20일 수원과 안산, 안양 및 군포 지역의 약국과 C할인매장을 취재한 결과 매장 관계자로부터 해당 제품들에 관한 ‘품귀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했다.수원의 한 약국에서 근무 중인 약사는 A연고의 경우 "못 구해서 못 팔 정도"라고 말했다. 군포시의 B할인 매장 관계자는 C샷 제품에 대해 "그 제품을 사려면 무조건 ‘오픈 런(Open Run)’을 뛰셔야 한다. 재고가 들어오는 즉시 매진되는 제품이다"고는 답변했다.심지어 사재기를 통해 제품을 다수 확보해서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기존 구매 가격 보다 비싸게 파는 행위도 벌어지고 있다.중고거래 마켓에 플러스 가격(기존 가격보다 높은 금액으로 책정하는 행위)을 붙여 되팔이하는 소비자들도 나타났다.이처럼 무의식 속에서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의 ‘효과성’을 유명인 또는 인플루언서의 추천을 믿고 구매하는 경향이 있기에, 광고로 규정하고 엄격한 규제를 하고 있다.장혜영 법무법인(유한) 대륜 최고 총괄 변호사는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매체를 통해서 영상 등의 방법으로 제품 추천 이유를 설명할 때 해당 물품의 정보(효과성)를 나타내거나 알리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면 광고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장 변호사는 "특히 약사법에서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에 관해 소비자를 유인하는 행위’를 엄격히 금하고 있다"며 "본인이 직접 효과나 효능에 관한 부분을 명시적으로 말하지 않았더라도 암시적으로 표현될 수 있을 만한 방법을 사용하는 광고는 처벌의 여지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이어 "최근 SNS를 통해 영양제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 등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가 많아진 것 같다"며 "식품표시광고법률에 의해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우려가 있는 행위는 법 위반 사항으로 형사처벌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현장속으로] "유명인이라서 믿고 샀는데"... 인플루언서 SNS 마케팅 논란
중부일보
2024-04-22
의료자문
[현장속으로] "유명인이라서 믿고 샀는데"... 인플루언서 SNS 마케팅 논란
'약국템·전문가픽' SNS 리뷰 뒷광고... 암시적 효과 표현도 처벌대상 "품절이에요. 저희도 제품 못 받은 지가 벌써 몇 개월 됐어요", "품절, 품절. 재고 들어오는 날 아침 일찍 오셔야 해요. 안 그럼 없어요."소셜네트워크(SNS) 플랫폼에서 인플루언서로부터 추천을 받은 후 지난해 상반기부터 일반의약품인 A연고와 B할인매장에서 판매하는 화장품 C샷의 품귀현상이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이처럼 파급력이 큰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SNS 홍보가 판매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광고에 준하는 직접적인 홍보를 할 경우 광고 관련 법규에 위배될 수 있어서 논란이 예상된다.광고업계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해 상품에 대한 신뢰와 선호도를 높이는 마케팅이 실용적인 방법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런 마케팅은 광고와는 무관한 콘텐츠를 통해 인기를 얻은 개인이 특정 상품을 직접 사용하고 평가하는 모습을 본인의 기존 콘텐츠와 유사한 형식으로 SNS 개인 채널을 통해 자연스럽게 노출시키는 방식이다.하지만 광고주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은 상업적 광고임에도 인플루언서의 상품에 대한 평가와 추천이 광고주와 상관 없는 독자적인 의견처럼 소비자들에게 인식돼 구매 선택에 영향을 끼칠 경우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등에 위배되는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특히 전문의약품의 경우에는 일반의약품과는 다르게 광고 자체가 아예 금지돼 있다. 또한 약사나 의사와 같은 전문직 외에도 일반인이 특정 매체를 통해 광고로 볼 수 있을 만한 행위를 해도 식품표시광고법과 약사법 47·68조,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78조에 의거해 동일하게 처벌이 가능하다.A연고와 C샷 두 제품은 다수의 유튜버가 ‘피부 개선에 좋은 제품’으로 영상 속에서 추천 및 소개한 이력이 있어서 관련 법규 위반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일반의약품인 ‘A연고’의 경우 약사가 직접 나와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는 제품으로서 추천한 이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실제 이들 제품의 판매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중부일보 취재진이 지난 20일 수원과 안산, 안양 및 군포 지역의 약국과 C할인매장을 취재한 결과 매장 관계자로부터 해당 제품들에 관한 ‘품귀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했다.수원의 한 약국에서 근무 중인 약사는 A연고의 경우 "못 구해서 못 팔 정도"라고 말했다. 군포시의 B할인 매장 관계자는 C샷 제품에 대해 "그 제품을 사려면 무조건 ‘오픈 런(Open Run)’을 뛰셔야 한다. 재고가 들어오는 즉시 매진되는 제품이다"고는 답변했다.심지어 사재기를 통해 제품을 다수 확보해서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기존 구매 가격 보다 비싸게 파는 행위도 벌어지고 있다.중고거래 마켓에 플러스 가격(기존 가격보다 높은 금액으로 책정하는 행위)을 붙여 되팔이하는 소비자들도 나타났다.이처럼 무의식 속에서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의 ‘효과성’을 유명인 또는 인플루언서의 추천을 믿고 구매하는 경향이 있기에, 광고로 규정하고 엄격한 규제를 하고 있다.장혜영 법무법인(유한) 대륜 최고 총괄 변호사는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매체를 통해서 영상 등의 방법으로 제품 추천 이유를 설명할 때 해당 물품의 정보(효과성)를 나타내거나 알리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면 광고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장 변호사는 "특히 약사법에서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에 관해 소비자를 유인하는 행위’를 엄격히 금하고 있다"며 "본인이 직접 효과나 효능에 관한 부분을 명시적으로 말하지 않았더라도 암시적으로 표현될 수 있을 만한 방법을 사용하는 광고는 처벌의 여지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이어 "최근 SNS를 통해 영양제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 등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가 많아진 것 같다"며 "식품표시광고법률에 의해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우려가 있는 행위는 법 위반 사항으로 형사처벌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현장속으로] "유명인이라서 믿고 샀는데"... 인플루언서 SNS 마케팅 논란
아시아경제
2024-04-22
의료분쟁 법률자문
법무법인 대륜, 소피스의원과 의료분쟁 법률자문 협약
의료사건·분쟁대응 각 분야 전문가 협업의료특화전담팀 병·의원 맞춤 법률자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18일 소피스의원과 각종 의료분쟁에 관한 법률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전했다.부산 해운대구 센트럴메디타워 소피스의원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 대륜 박동일 대표, 소피스의원 노희석 대표원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두 기관은 ▲병·의원 내 발생하는 각종 사건 및 의료분쟁 대응 ▲병·의원 업무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광고 및 홍보 진행 시 필요한 법률검토 ▲의료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상호협력을 골자로 협약했다. 소피스의원 노희석 대표 원장은 “법무법인인 대륜의 법률자문을 바탕으로 모교인 한양대학교병원과 협진해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노 원장은 이어 “의료분쟁의 경우 과실 여부를 다투는 과정이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대륜의 법적 도움을 받아 병·의원 내 발생하는 의료 사건 및 의료분쟁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소피아의원은 이번 협약으로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 괴롭힘 또는 성폭력 관련 교육은 물론 급변하는 의료법에 신속하게 대응해 임직원 보호와 질 높은 고객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대륜 박동일 대표는 “복잡한 의료분쟁에 있어 전문적인 법률자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의료자문 MOU를 맺는 것은 병·의원에 있어 의료분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며, “대륜 의료소송그룹을 두고 의료분쟁 사건을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는 병원 출신 의료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분야별 전문가들이 의료특화전담팀을 이뤄 법률자문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대륜 의료소송그룹은 최근 의료법인 토마스의료재단의 윌스기념병원, 의료법인 녹산의료재단 동수원병원 등과 의료법률자문 MOU를 체결하고 전문적인 의료분쟁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하며 기업법무·조세·노동 등 분야별 특화그룹을 확대 개편해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소피스의원과 의료분쟁 법률자문 협약
아시아경제
2024-04-22
의료분쟁 법률자문
법무법인 대륜, 소피스의원과 의료분쟁 법률자문 협약
의료사건·분쟁대응 각 분야 전문가 협업의료특화전담팀 병·의원 맞춤 법률자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18일 소피스의원과 각종 의료분쟁에 관한 법률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전했다.부산 해운대구 센트럴메디타워 소피스의원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 대륜 박동일 대표, 소피스의원 노희석 대표원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두 기관은 ▲병·의원 내 발생하는 각종 사건 및 의료분쟁 대응 ▲병·의원 업무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광고 및 홍보 진행 시 필요한 법률검토 ▲의료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상호협력을 골자로 협약했다. 소피스의원 노희석 대표 원장은 “법무법인인 대륜의 법률자문을 바탕으로 모교인 한양대학교병원과 협진해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노 원장은 이어 “의료분쟁의 경우 과실 여부를 다투는 과정이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대륜의 법적 도움을 받아 병·의원 내 발생하는 의료 사건 및 의료분쟁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소피아의원은 이번 협약으로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 괴롭힘 또는 성폭력 관련 교육은 물론 급변하는 의료법에 신속하게 대응해 임직원 보호와 질 높은 고객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대륜 박동일 대표는 “복잡한 의료분쟁에 있어 전문적인 법률자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의료자문 MOU를 맺는 것은 병·의원에 있어 의료분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며, “대륜 의료소송그룹을 두고 의료분쟁 사건을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는 병원 출신 의료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분야별 전문가들이 의료특화전담팀을 이뤄 법률자문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대륜 의료소송그룹은 최근 의료법인 토마스의료재단의 윌스기념병원, 의료법인 녹산의료재단 동수원병원 등과 의료법률자문 MOU를 체결하고 전문적인 의료분쟁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본사를 여의도로 이전하며 기업법무·조세·노동 등 분야별 특화그룹을 확대 개편해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소피스의원과 의료분쟁 법률자문 협약
스포츠서울 등 3곳
2024-04-22
이광우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형사사건 전문 변호사 활약 기대
이광우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형사사건 전문 변호사 활약 기대
연쇄살인-조직폭력범죄-마약밀수 등 강력 형사사건 전담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형사그룹 강화를 위해 부장검사 출신 이광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2일 밝혔다.이광우 변호사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고, 대구지방검찰청 김천지청, 서울북부지방검찰청 검사를 거쳐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서울남부지방검찰청 등에서 부부장검사를 지냈다. 마지막으로 대전지방검찰청 부장검사를 역임하고,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형사사건 전담 변호사로 합류했다.이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 목사부부 사망실종 사건, 재벌 3세 마약밀수 사건, 사립학교 교사 채용 시험지 부정유출 사건, 검사실 농약테러 및 방화사건, 불법 조직폭력 범죄단체 결성 사건 등 강력범죄 사건을 다수 맡았다.특히, 마약범죄와 연쇄살인 사건 등 강력범죄뿐만 아니라 재산범죄, 불법비자금 조성 등 굵직한 형사 사건에도 잔뼈가 굵다.이 변호사는 “복잡한 형사사건은 다각도로 사건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많은 강력범죄 사건을 처리한 경험은 앞으로 대륜에서도 성과를 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대륜은 형사그룹을 세분화하고, 수사 단계부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형사사건 전 단계에서 소속 전문가들과 함께 전략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사회가 발전하면서 형사사건 역시 진화하고 있다. 법정에서도 형사전문 변호사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형사사건에 특화된 이 변호사의 활약이 기대된다”며 “대륜에서는 형사그룹을 강화하며 수사대응팀을 새롭게 출범했다. 이 변호사의 노하우를 대륜 형사그룹에도 전수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이어 “앞으로도 부장판사, 검찰지청장, 경찰수사관 출신 변호사를 지속적으로 영입함과 동시에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과 협업 및 모의조사실·법정 운영 등 여러 방안을 총동원하고 있으니 고객에게 한층 더 높은 수준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대륜은 최근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며 성황리에 개소식을 마무리했다. 기업법무, 형사, 민사 등 다분야에 특화그룹을 확대 개편해 전문성을 높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스포츠서울 - 이광우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형사사건 전문 변호사 활약 기대 (바로가기)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전문 변호사 잇단 영입…"법률자문 전문성 강화"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부장검사 출신 이광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등 3곳
2024-04-22
이광우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형사사건 전문 변호사 활약 기대
이광우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형사사건 전문 변호사 활약 기대
연쇄살인-조직폭력범죄-마약밀수 등 강력 형사사건 전담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형사그룹 강화를 위해 부장검사 출신 이광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2일 밝혔다.이광우 변호사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고, 대구지방검찰청 김천지청, 서울북부지방검찰청 검사를 거쳐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서울남부지방검찰청 등에서 부부장검사를 지냈다. 마지막으로 대전지방검찰청 부장검사를 역임하고, 법무법인(유한) 대륜에 형사사건 전담 변호사로 합류했다.이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 목사부부 사망실종 사건, 재벌 3세 마약밀수 사건, 사립학교 교사 채용 시험지 부정유출 사건, 검사실 농약테러 및 방화사건, 불법 조직폭력 범죄단체 결성 사건 등 강력범죄 사건을 다수 맡았다.특히, 마약범죄와 연쇄살인 사건 등 강력범죄뿐만 아니라 재산범죄, 불법비자금 조성 등 굵직한 형사 사건에도 잔뼈가 굵다.이 변호사는 “복잡한 형사사건은 다각도로 사건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많은 강력범죄 사건을 처리한 경험은 앞으로 대륜에서도 성과를 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대륜은 형사그룹을 세분화하고, 수사 단계부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형사사건 전 단계에서 소속 전문가들과 함께 전략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사회가 발전하면서 형사사건 역시 진화하고 있다. 법정에서도 형사전문 변호사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형사사건에 특화된 이 변호사의 활약이 기대된다”며 “대륜에서는 형사그룹을 강화하며 수사대응팀을 새롭게 출범했다. 이 변호사의 노하우를 대륜 형사그룹에도 전수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이어 “앞으로도 부장판사, 검찰지청장, 경찰수사관 출신 변호사를 지속적으로 영입함과 동시에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과 협업 및 모의조사실·법정 운영 등 여러 방안을 총동원하고 있으니 고객에게 한층 더 높은 수준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대륜은 최근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하며 성황리에 개소식을 마무리했다. 기업법무, 형사, 민사 등 다분야에 특화그룹을 확대 개편해 전문성을 높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스포츠서울 - 이광우 전 부장검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형사사건 전문 변호사 활약 기대 (바로가기)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전문 변호사 잇단 영입…"법률자문 전문성 강화"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부장검사 출신 이광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3곳
2024-04-22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영입
대한변호사협회 등록된 노동법 전문 변호사…인사·노무에 특화된 인사바른·태평양 등 대형로펌서 기업법무 및 노동 관련 자문 꾸준히 맡아와방인태 "한 분야에 특정되지 않고…전 분야 아우르는 법률자문 가능"대륜 "기업법률자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 영입에 최선 다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최근 기업·노동법전문변호사 방인태 수석변호사를 영입하고, 기업법률자문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22일 밝혔다.방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된 노동법 전문 변호사로, 인사·노무 분야 기업법률자문에 특화돼 있다. 앞서 법무법인 바른, 태평양 등 대형로펌에서 기업법무 및 노동 관련 자문을 전문적으로 맡아왔다.현대로템, 주식회사 에스원 등에서 사내변호사로 재직해 임금·퇴직금 소송, 주주총회 자문을 다수 수행하는 등 현장 실무 경험을 갖췄다는 평도 받는다.특히 방 변호사는 공정거래법, 산업안전보건법, 근로기준법, 하도급법, 파견법 등 형사사건 뿐만 아니라 해외투자, 합작법인 설립 등 자문에도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방 변호사는 "법적 리스크 검토 및 내부 체계 수립 등 기업법률자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으로 매번 기업 의뢰인의 만족을 얻어 왔다"며 "한 분야에 특정되지 않고 한 기업에 대한 전 분야를 아우르는 법률자문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대륜은 산업재해, 중대재해 등 형사사건 경험이 풍부한 방 변호사의 영입으로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에 발맞춰 중소기업 법률자문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대륜은 "금융·노무 관련 리스크 대응에 최적화된 노동법 전문가인 방 변호사가 합류하게 돼 최신 법적 이슈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하면서 많은 기업 의뢰인이 찾고 있는데 이러한 기업법률자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 영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확대 개편을 거듭하면서 다수의 기업법률자문 MOU를 체결하고 있다. [기업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전문 변호사 잇단 영입…"법률자문 전문성 강화"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가’ 방인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한국경제TV 등 3곳
2024-04-22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영입
대한변호사협회 등록된 노동법 전문 변호사…인사·노무에 특화된 인사바른·태평양 등 대형로펌서 기업법무 및 노동 관련 자문 꾸준히 맡아와방인태 "한 분야에 특정되지 않고…전 분야 아우르는 법률자문 가능"대륜 "기업법률자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 영입에 최선 다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최근 기업·노동법전문변호사 방인태 수석변호사를 영입하고, 기업법률자문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한다고 22일 밝혔다.방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된 노동법 전문 변호사로, 인사·노무 분야 기업법률자문에 특화돼 있다. 앞서 법무법인 바른, 태평양 등 대형로펌에서 기업법무 및 노동 관련 자문을 전문적으로 맡아왔다.현대로템, 주식회사 에스원 등에서 사내변호사로 재직해 임금·퇴직금 소송, 주주총회 자문을 다수 수행하는 등 현장 실무 경험을 갖췄다는 평도 받는다.특히 방 변호사는 공정거래법, 산업안전보건법, 근로기준법, 하도급법, 파견법 등 형사사건 뿐만 아니라 해외투자, 합작법인 설립 등 자문에도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방 변호사는 "법적 리스크 검토 및 내부 체계 수립 등 기업법률자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으로 매번 기업 의뢰인의 만족을 얻어 왔다"며 "한 분야에 특정되지 않고 한 기업에 대한 전 분야를 아우르는 법률자문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대륜은 산업재해, 중대재해 등 형사사건 경험이 풍부한 방 변호사의 영입으로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에 발맞춰 중소기업 법률자문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대륜은 "금융·노무 관련 리스크 대응에 최적화된 노동법 전문가인 방 변호사가 합류하게 돼 최신 법적 이슈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법무그룹을 확대 개편하면서 많은 기업 의뢰인이 찾고 있는데 이러한 기업법률자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 영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확대 개편을 거듭하면서 다수의 기업법률자문 MOU를 체결하고 있다. [기업전문보기] 한국경제TV - 법무법인 대륜, 전문 변호사 잇단 영입…"법률자문 전문성 강화" (바로가기)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가’ 방인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기업·노동법 전문 방인태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주간조선
2024-04-22
최보윤 변호사 국회의원 비례대표
"장애와 비장애의 삶 모두 경험… 사회적 약자 편에 서겠다
"[인터뷰] 국민의미래 비례 1번 최보윤 당선자" 22대 국회에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1번으로 입성하는 최보윤(45) 당선자는 여성 장애인 변호사다. 사법연수원 시절 의료사고로 지체장애 판정을 받은 그는 손해배상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장애인과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에 힘써 왔다. 최 당선자는 이번에 직접 비례대표 공천 신청을 했다고 한다. 정치와 먼 길을 걸어왔는데 어떻게 스스로 정치에 발을 들이게 됐을까.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4월 17일 서울 용산구 법무법인대륜 사무실에서 최 당선자를 만났다.- 정치에 입문한 계기는. "저는 의료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가 있다 보니까 비장애인으로서의 삶과 장애인으로서의 삶을 모두 경험했다. 장애인이 느끼는 어려움이 더 크게 다가왔다. 변호사로서 약자의 권익을 보호할 때는 법적 테두리 안에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손해배상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이게 저만의 어려움이 아니라 많은 분들의 어려움이고,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느꼈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했던 '제6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에 제가 제안했던 부분이 반영됐다. 이때 장애인을 비롯한 약자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큰 보람을 느꼈다. 이를 계기로 정치인이라는 꿈을 꾸게 됐다."- 국민의미래 비례 1번이었는데. "영입인재는 아니었고 직접 비례대표 후보 신청을 했다. 1번이라는 것도 지인이 전화로 '당선됐다, 1번이다'라고 얘기해줘서 알았다. '어떻게 알았느냐'고 하니까 '지금 생방송 뉴스 나온다'고 하더라. 약자의 권익을 증진하려는 의미에서 (당에서 1번을) 주신 것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해보려 한다."- 왜 더불어민주당이 아닌 국민의힘인가. "지속 가능한 복지를 통해 모든 국민의 삶을 향상시키는 방식은 국민의미래에서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 저는 시장경제가 활성화되고 국가 경제력이 강화되면서 장애인을 비롯한 소외된 분들의 삶이 개선되는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봤다. 그래서 보수의 가치가 더 와 닿았다. 특히 '장애인 개인예산제'에 많이 공감했다. 개인의 니즈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유는 모두에게 있다. 새롭게 도입되는 제도가 잘 안착했으면 좋겠다."장애인 개인예산제란 획일적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장애인이 자신의 욕구에 따라 유연하게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가 취임 후 국정과제로 채택됐다. 지난 3월 28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2026년부터는 본격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 급여의 20% 범위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방식이다.- 최근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사건'을 맡으셨는데. "이와 관련해 의료 행위에서 장애에 대한 장벽을 없애야 한다는 '배리어 프리'를 강조하고 싶다. 의료진은 수술을 받는 발달장애인에게 의료 행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야 하며 그것이 당사자가 이해 가능한 수준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보호자에게 설명을 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사건은 발달장애인을 사망에 이르게 한 수술 후유증에 대해 당사자에게 아예 설명하지 않았다. 발달장애인은 진료 거부도 많이 당하는 상황이다. 누구든지 편안하게 의료 서비스를 받아야 하고 정당한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법률 전문가인 최 당선자는 자신의 강점으로 '공감'과 '전문성'을 꼽았다. "저는 장애인 당사자이기도 하고 병원 생활을 통해 다양한 분들을 만났다. 손해배상 전문 변호사를 하면서 교통사고, 의료사고,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로 인해 후천적 장애를 입은 분들과 가족들도 많이 만났다. 장애인단체분들과도 지속적으로 소통했으며 복지관에 다니면서, 사회보장 서비스를 받으면서 관련 종사자분들과도 계속 교감을 해왔다. 또한 오랜 기간 변호사로서의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현실을 정확히 직시하고 입법 공백을 찾아내는 역할을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법률적 분석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싶다."최 당선자는 22대 국회 시작 전부터 장애 정책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다. 1호 법안을 묻자 최 당선자는 "들여다보고 있는 것이 많아 무엇이 먼저가 될지 모르겠다"며 "'장애 고령화 정책' '포괄적 접근권'을 비롯해 '장애 주류화' 등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다. 많은 분들과 소통하면서 순서를 정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2022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이 52.8%에 달한다. 장애인이면서 고령자인 경우에는 입법 공백으로 인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촘촘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세밀한 정책이 필요하다."포괄적 접근권과 관련해서는 "유럽연합(EU)은 최근에 '접근가능EU센터'를 설립하는 등 장애인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세계적 기준에 맞출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점심으로 버거를 먹는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갈 수 있는 곳인지에 대해 시청각·지체발달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들이 이용할 정보가 필요하다. 음식점으로는 지팡이를 짚거나 휠체어를 타는 등의 방식으로 이동해야 한다. 도착한 후에는 입구에 턱이 있는지, 들어가서 앉을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모두 다 접근이 가능할 때 최종적으로 버거를 먹을 수 있다. 정보, 이동, 시설 접근 등을 포함한 '포괄적 접근'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다."최 당선자는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분야를 비롯해 이동권, 정보 접근권 부문에서 앞으로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장애 주류화'를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서 모든 정책에 장애에 대한 관점이 반영돼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물건을 만들 때 장애인이나 약자들이 이용하기 편한 방법이 무엇인지 한 번 더 생각한다면 모두가 같이 쓸 수 있는 물건이 개발될 수 있다. 전기차를 예로 들면 장애인이 충전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만약 전기차 충전소가 모두 만들어졌는데 장애인들이 접근 가능하지 않아서 나중에 고치게 된다면 많은 불편함이 생기고 예산도 낭비된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제도와 정책이 마련되는 초기 단계에 장애인에 대한 관점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다."최 당선자는 변호사 업무가 정치와도 많이 닮아있다고 했다. "의뢰인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문제 해결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는다는 측면에서 정치와도 굉장히 비슷하다. 다만 법률전문가는 의뢰인 한 사람과 소통하는 반면 정치인은 많은 국민과 약자분들과 만나고 더 많은 분들이 제도의 혜택을 볼 수 있게 한다는 차이가 있다. 저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여성, 어르신, 다문화, 한부모, 자립준비청년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어려움을 정치가 해소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선거 초반, 손글씨로 적은 다짐 문구가 '힘겨움을 겪고 계실 모든 분들의 편에서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였다. 그때의 초심을 잃지 않고 계속 이들의 권익을 위한 활동을 하겠다." [기사전문보기] - "장애와 비장애의 삶 모두 경험… 사회적 약자 편에 서겠다
주간조선
2024-04-22
최보윤 변호사 국회의원 비례대표
"장애와 비장애의 삶 모두 경험… 사회적 약자 편에 서겠다
"[인터뷰] 국민의미래 비례 1번 최보윤 당선자" 22대 국회에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1번으로 입성하는 최보윤(45) 당선자는 여성 장애인 변호사다. 사법연수원 시절 의료사고로 지체장애 판정을 받은 그는 손해배상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장애인과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에 힘써 왔다. 최 당선자는 이번에 직접 비례대표 공천 신청을 했다고 한다. 정치와 먼 길을 걸어왔는데 어떻게 스스로 정치에 발을 들이게 됐을까.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4월 17일 서울 용산구 법무법인대륜 사무실에서 최 당선자를 만났다.- 정치에 입문한 계기는. "저는 의료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가 있다 보니까 비장애인으로서의 삶과 장애인으로서의 삶을 모두 경험했다. 장애인이 느끼는 어려움이 더 크게 다가왔다. 변호사로서 약자의 권익을 보호할 때는 법적 테두리 안에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손해배상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이게 저만의 어려움이 아니라 많은 분들의 어려움이고,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느꼈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했던 '제6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에 제가 제안했던 부분이 반영됐다. 이때 장애인을 비롯한 약자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큰 보람을 느꼈다. 이를 계기로 정치인이라는 꿈을 꾸게 됐다."- 국민의미래 비례 1번이었는데. "영입인재는 아니었고 직접 비례대표 후보 신청을 했다. 1번이라는 것도 지인이 전화로 '당선됐다, 1번이다'라고 얘기해줘서 알았다. '어떻게 알았느냐'고 하니까 '지금 생방송 뉴스 나온다'고 하더라. 약자의 권익을 증진하려는 의미에서 (당에서 1번을) 주신 것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해보려 한다."- 왜 더불어민주당이 아닌 국민의힘인가. "지속 가능한 복지를 통해 모든 국민의 삶을 향상시키는 방식은 국민의미래에서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 저는 시장경제가 활성화되고 국가 경제력이 강화되면서 장애인을 비롯한 소외된 분들의 삶이 개선되는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봤다. 그래서 보수의 가치가 더 와 닿았다. 특히 '장애인 개인예산제'에 많이 공감했다. 개인의 니즈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유는 모두에게 있다. 새롭게 도입되는 제도가 잘 안착했으면 좋겠다."장애인 개인예산제란 획일적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장애인이 자신의 욕구에 따라 유연하게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가 취임 후 국정과제로 채택됐다. 지난 3월 28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2026년부터는 본격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 급여의 20% 범위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방식이다.- 최근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사건'을 맡으셨는데. "이와 관련해 의료 행위에서 장애에 대한 장벽을 없애야 한다는 '배리어 프리'를 강조하고 싶다. 의료진은 수술을 받는 발달장애인에게 의료 행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야 하며 그것이 당사자가 이해 가능한 수준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보호자에게 설명을 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사건은 발달장애인을 사망에 이르게 한 수술 후유증에 대해 당사자에게 아예 설명하지 않았다. 발달장애인은 진료 거부도 많이 당하는 상황이다. 누구든지 편안하게 의료 서비스를 받아야 하고 정당한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법률 전문가인 최 당선자는 자신의 강점으로 '공감'과 '전문성'을 꼽았다. "저는 장애인 당사자이기도 하고 병원 생활을 통해 다양한 분들을 만났다. 손해배상 전문 변호사를 하면서 교통사고, 의료사고,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로 인해 후천적 장애를 입은 분들과 가족들도 많이 만났다. 장애인단체분들과도 지속적으로 소통했으며 복지관에 다니면서, 사회보장 서비스를 받으면서 관련 종사자분들과도 계속 교감을 해왔다. 또한 오랜 기간 변호사로서의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현실을 정확히 직시하고 입법 공백을 찾아내는 역할을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법률적 분석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싶다."최 당선자는 22대 국회 시작 전부터 장애 정책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다. 1호 법안을 묻자 최 당선자는 "들여다보고 있는 것이 많아 무엇이 먼저가 될지 모르겠다"며 "'장애 고령화 정책' '포괄적 접근권'을 비롯해 '장애 주류화' 등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다. 많은 분들과 소통하면서 순서를 정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2022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이 52.8%에 달한다. 장애인이면서 고령자인 경우에는 입법 공백으로 인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촘촘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세밀한 정책이 필요하다."포괄적 접근권과 관련해서는 "유럽연합(EU)은 최근에 '접근가능EU센터'를 설립하는 등 장애인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세계적 기준에 맞출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점심으로 버거를 먹는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갈 수 있는 곳인지에 대해 시청각·지체발달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들이 이용할 정보가 필요하다. 음식점으로는 지팡이를 짚거나 휠체어를 타는 등의 방식으로 이동해야 한다. 도착한 후에는 입구에 턱이 있는지, 들어가서 앉을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모두 다 접근이 가능할 때 최종적으로 버거를 먹을 수 있다. 정보, 이동, 시설 접근 등을 포함한 '포괄적 접근'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다."최 당선자는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분야를 비롯해 이동권, 정보 접근권 부문에서 앞으로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장애 주류화'를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서 모든 정책에 장애에 대한 관점이 반영돼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물건을 만들 때 장애인이나 약자들이 이용하기 편한 방법이 무엇인지 한 번 더 생각한다면 모두가 같이 쓸 수 있는 물건이 개발될 수 있다. 전기차를 예로 들면 장애인이 충전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만약 전기차 충전소가 모두 만들어졌는데 장애인들이 접근 가능하지 않아서 나중에 고치게 된다면 많은 불편함이 생기고 예산도 낭비된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제도와 정책이 마련되는 초기 단계에 장애인에 대한 관점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다."최 당선자는 변호사 업무가 정치와도 많이 닮아있다고 했다. "의뢰인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문제 해결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는다는 측면에서 정치와도 굉장히 비슷하다. 다만 법률전문가는 의뢰인 한 사람과 소통하는 반면 정치인은 많은 국민과 약자분들과 만나고 더 많은 분들이 제도의 혜택을 볼 수 있게 한다는 차이가 있다. 저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여성, 어르신, 다문화, 한부모, 자립준비청년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어려움을 정치가 해소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선거 초반, 손글씨로 적은 다짐 문구가 '힘겨움을 겪고 계실 모든 분들의 편에서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였다. 그때의 초심을 잃지 않고 계속 이들의 권익을 위한 활동을 하겠다." [기사전문보기] - "장애와 비장애의 삶 모두 경험… 사회적 약자 편에 서겠다
머니투데이
2024-04-19
관세전문변호사
법무법인(유한) 대륜, 배지현 변호사 영입…국내외 기업 리스크 대응 강화
WTO, FTA, 무역구제 등 전문…공정거래 분야 베테랑 법무법인(유한)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은 공정거래 분야에 특화된 배지현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 배지현 변호사는 재정경제부 FTA국내대책본부, 한국무역협회 등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WTO, FTA, 무역구제, 반덤핑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서울지방변호사회 국제위원회 위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육 출강 등 국제통상 관련 외부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관세·무역 분야에 능통한 배 변호사는 국내 기업들의 국제무역 상황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고 구제하는 기업자문을 다수 수행하고 있다. 특히 공정거래법, 세법 등에 해박한 지식을 보유해 기업의 세법 및 공정거래법 위반 리스크 예방,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대응 등에 나서고 있다.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은 주로 국내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법률적 지원 및 검토를 수행하고 있다. 배 변호사는 국제무역 영문 계약서, 공정거래 법률 위반 위험요소, 현지 법률 등에 대한 사전 검토뿐만 아니라 국제무역 리스크 발견 및 대응, 사후적 관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는 "국제무역, 공정거래 시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크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법률자문을 통해 국내외 기업의 리스크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관세·국제통상그룹에는 대기업 법무실장, 해외기업 등 출신 변호사들이 소속돼 있다"며 "국제무역, 공정거래 등 풍부한 현장 경험을 갖춘 배 변호사의 합류로 그룹이 포용할 수 있는 기업 법률자문 분야가 더욱 폭넓게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관세·국제통상그룹 외에도 기업법무그룹 등 각 분야 특화된 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분야별 전문가 영입을 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배지현 변호사 영입…국내외 기업 리스크 대응 강화
머니투데이
2024-04-19
관세전문변호사
법무법인(유한) 대륜, 배지현 변호사 영입…국내외 기업 리스크 대응 강화
WTO, FTA, 무역구제 등 전문…공정거래 분야 베테랑 법무법인(유한) 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은 공정거래 분야에 특화된 배지현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 배지현 변호사는 재정경제부 FTA국내대책본부, 한국무역협회 등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WTO, FTA, 무역구제, 반덤핑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서울지방변호사회 국제위원회 위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육 출강 등 국제통상 관련 외부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관세·무역 분야에 능통한 배 변호사는 국내 기업들의 국제무역 상황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고 구제하는 기업자문을 다수 수행하고 있다. 특히 공정거래법, 세법 등에 해박한 지식을 보유해 기업의 세법 및 공정거래법 위반 리스크 예방,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대응 등에 나서고 있다.대륜 관세·국제통상그룹은 주로 국내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법률적 지원 및 검토를 수행하고 있다. 배 변호사는 국제무역 영문 계약서, 공정거래 법률 위반 위험요소, 현지 법률 등에 대한 사전 검토뿐만 아니라 국제무역 리스크 발견 및 대응, 사후적 관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는 "국제무역, 공정거래 시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크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법률자문을 통해 국내외 기업의 리스크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관세·국제통상그룹에는 대기업 법무실장, 해외기업 등 출신 변호사들이 소속돼 있다"며 "국제무역, 공정거래 등 풍부한 현장 경험을 갖춘 배 변호사의 합류로 그룹이 포용할 수 있는 기업 법률자문 분야가 더욱 폭넓게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관세·국제통상그룹 외에도 기업법무그룹 등 각 분야 특화된 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분야별 전문가 영입을 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배지현 변호사 영입…국내외 기업 리스크 대응 강화
더팩트 등 2곳
2024-04-19
마약변호사 마약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조 변호사는 형사로 일할 당시 마약범죄, 성범죄를 포함해 매년 100여 건 이상의 사건을 맡았다. 경찰청, 대검찰청의 과학수사, 언더커버, 디지털포렌식 등 최신 수사기법에도 해박한 인사로 정평이 나있다.마약범죄에 특화된 만큼, 조 변호사는 각종 매체에서 마약범죄 관련 법률자문이나 인터뷰 활동도 다수 진행해 왔다. 실제로 대치동 학원가 마약 음료 사건, 유명 연예인의 마약범죄 사건 등을 자문한 바 있다.조 변호사는 "마약범죄는 시도만 해도 처벌 대상이 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수사기관의 집중 단속이 증가하고 있어 전문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쌓아온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대륜은 "집중단속, 양형기준 강화 등 마약범죄에 대해 수사기관과 재판부가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조 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최신 흐름에 대한 신속한 대응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최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마약류를 유통할 경우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는 등 양형기준을 최종 의결했다. 마약을 대량으로 제조·유통하는 경우에도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다.한편, 대륜은 전국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대형 로펌으로, 마약대응그룹, 형사그룹, 기업법무그룹 등 분야별 전문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더팩트 등 2곳
2024-04-19
마약변호사 마약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조 변호사는 형사로 일할 당시 마약범죄, 성범죄를 포함해 매년 100여 건 이상의 사건을 맡았다. 경찰청, 대검찰청의 과학수사, 언더커버, 디지털포렌식 등 최신 수사기법에도 해박한 인사로 정평이 나있다.마약범죄에 특화된 만큼, 조 변호사는 각종 매체에서 마약범죄 관련 법률자문이나 인터뷰 활동도 다수 진행해 왔다. 실제로 대치동 학원가 마약 음료 사건, 유명 연예인의 마약범죄 사건 등을 자문한 바 있다.조 변호사는 "마약범죄는 시도만 해도 처벌 대상이 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수사기관의 집중 단속이 증가하고 있어 전문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쌓아온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대륜은 "집중단속, 양형기준 강화 등 마약범죄에 대해 수사기관과 재판부가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조 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최신 흐름에 대한 신속한 대응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최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마약류를 유통할 경우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는 등 양형기준을 최종 의결했다. 마약을 대량으로 제조·유통하는 경우에도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다.한편, 대륜은 전국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대형 로펌으로, 마약대응그룹, 형사그룹, 기업법무그룹 등 분야별 전문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강력형사·마약범죄 전문’ 조성근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등 2곳
2024-04-18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경찰조사 대응 역량 강화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경찰조사 대응 역량 강화
수사심사관 활약…수사대응 역량 강화 기대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최근 경찰조사에 특화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정 변호사는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수사과,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과에서 수사심사관으로 활약해 다수의 경찰조사를 지켜본 전문가다.수사심사관은 해양경찰이 검경 수사권 조정 시행을 앞두고 도입한 직책으로, 객관적인 시각에서 경찰 수사를 평가 및 점검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변호사 자격증 소지자 또는 수사 경력 7년 이상의 경찰관 중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발된다.정 변호사는 상당 기간을 수사심사관, 영장심사관으로 재직하면서 경찰조사를 지켜보거나 진행해왔다.대표적으로 2020년 중국인 21명이 태안으로 밀입국한 사건 수사 및 심사,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영장 심사 등을 맡았다.법무법인 대륜은 정 변호사가 합류하면서 경찰조사 등 수사 대응 역량 강화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정 변호사는 “성범죄, 아동학대, 횡령 등 사건들은 경찰조사 단계에서 확실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수사심사관으로서 여러 경찰조사를 지켜본 경험을 토대로 의뢰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조력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대륜은 현재 형사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신설해 경찰 출신 변호사, 각 경찰서 수사관 출신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있다.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 협업 체계를 마련하고, 모의 수사실을 운영해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전 경험 시스템을 마련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경찰조사 대응 역량 강화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스포츠서울 등 2곳
2024-04-18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경찰조사 대응 역량 강화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경찰조사 대응 역량 강화
수사심사관 활약…수사대응 역량 강화 기대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최근 경찰조사에 특화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정 변호사는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수사과,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과에서 수사심사관으로 활약해 다수의 경찰조사를 지켜본 전문가다.수사심사관은 해양경찰이 검경 수사권 조정 시행을 앞두고 도입한 직책으로, 객관적인 시각에서 경찰 수사를 평가 및 점검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변호사 자격증 소지자 또는 수사 경력 7년 이상의 경찰관 중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발된다.정 변호사는 상당 기간을 수사심사관, 영장심사관으로 재직하면서 경찰조사를 지켜보거나 진행해왔다.대표적으로 2020년 중국인 21명이 태안으로 밀입국한 사건 수사 및 심사,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영장 심사 등을 맡았다.법무법인 대륜은 정 변호사가 합류하면서 경찰조사 등 수사 대응 역량 강화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정 변호사는 “성범죄, 아동학대, 횡령 등 사건들은 경찰조사 단계에서 확실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수사심사관으로서 여러 경찰조사를 지켜본 경험을 토대로 의뢰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조력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대륜은 현재 형사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신설해 경찰 출신 변호사, 각 경찰서 수사관 출신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있다.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 협업 체계를 마련하고, 모의 수사실을 운영해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전 경험 시스템을 마련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경찰조사 대응 역량 강화 (바로가기)로이슈 - 대륜, 해양경찰청 수사심사관 출신 정두연 변호사 영입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4-17
대륜 최보윤 변호사 비례대표 당선…"사회적약자 위한 입법활동 할 것"
대륜 최보윤 변호사 비례대표 당선…"사회적약자 위한 입법활동 할 것"
최보윤 변호사, 10년간 장애 분야 헌신 법무법인 대륜 소속 최보윤 변호사가 최근 비례대표(국민의미래)에 당선됐다. 최 변호사는 지난 10년간 장애 분야에 헌신한 변호사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정활동이 기대된다.대륜은 16일 성명을 통해 소속 변호사인 최 당선인이 국민의힘 비례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1번으로 당선된 것을 축하한다고 밝혔다.대륜은 "최 당선인과 함께 사회적 약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활동을 진행, 지원했다"며 "최 당선인은 10년간 장애 분야에 헌신했다. 그런 최 당선인의 국회 입성을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밝혔다.제2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최 당선인은 10년간 장애 분야에 헌신한 인물로 대륜과 함께 그 길을 걸어온 대표적 인물이다.최 당선인은 사법시험 준비 중 왼팔의 마비 증세를 겪고 후천적 장애 진단을 받은 바 있다. 이후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나, 사법연수원 시절 의료사고를 당해 지체장애 판정을 받았다.최 당선인은 대륜에 재직하면서 로펌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장애인,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활동을 이어왔다.최 당선인의 주요 활동으로는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격 중지처분 및 부당지급급여 징수처분에 대해 취소 판결 받은 사례, 응급실에서 손가락 수술로 영구장해 의료사고를 당한 피해자를 대리하여 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승소한 사례, 수영강습에서 사지마비 사고를 당한 피해자의 손해배상소송을 진행해 승소한 사례 등이 있다.최 당선인은 "대륜에서 변호사로서 약자들을 위해 여러 사건을 해결해왔다. 대륜이 장애인권 보호 등에 앞장 선 덕분에 관련 사건 해결에 어려움이 없었다"라며 "법률전문가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소외 계층의 이야기를 정책으로 풀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의 일원이 큰 뜻을 가지고 국회에 입성하게 됐다. 최 당선인이 약자 보호를 위한 정책을 만드는데 뜻을 잘 펼 수 있기를 마음으로 응원한다"고 전했다.한편 대륜은 "기업의 사회적 기여를 핵심 가치로 삼고 성장했으며, 창사 이래 법률사각지대를 없애고자 전국 각지에 38개의 직영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며 "법률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지방 소도시에도 사무소를 개설해 서울 본사와 같은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최보윤 변호사 비례대표 당선…"사회적약자 위한 입법활동 할 것" (바로가기)
조세일보
2024-04-17
대륜 최보윤 변호사 비례대표 당선…"사회적약자 위한 입법활동 할 것"
대륜 최보윤 변호사 비례대표 당선…"사회적약자 위한 입법활동 할 것"
최보윤 변호사, 10년간 장애 분야 헌신 법무법인 대륜 소속 최보윤 변호사가 최근 비례대표(국민의미래)에 당선됐다. 최 변호사는 지난 10년간 장애 분야에 헌신한 변호사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정활동이 기대된다.대륜은 16일 성명을 통해 소속 변호사인 최 당선인이 국민의힘 비례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1번으로 당선된 것을 축하한다고 밝혔다.대륜은 "최 당선인과 함께 사회적 약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활동을 진행, 지원했다"며 "최 당선인은 10년간 장애 분야에 헌신했다. 그런 최 당선인의 국회 입성을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밝혔다.제2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최 당선인은 10년간 장애 분야에 헌신한 인물로 대륜과 함께 그 길을 걸어온 대표적 인물이다.최 당선인은 사법시험 준비 중 왼팔의 마비 증세를 겪고 후천적 장애 진단을 받은 바 있다. 이후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나, 사법연수원 시절 의료사고를 당해 지체장애 판정을 받았다.최 당선인은 대륜에 재직하면서 로펌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장애인,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활동을 이어왔다.최 당선인의 주요 활동으로는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격 중지처분 및 부당지급급여 징수처분에 대해 취소 판결 받은 사례, 응급실에서 손가락 수술로 영구장해 의료사고를 당한 피해자를 대리하여 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승소한 사례, 수영강습에서 사지마비 사고를 당한 피해자의 손해배상소송을 진행해 승소한 사례 등이 있다.최 당선인은 "대륜에서 변호사로서 약자들을 위해 여러 사건을 해결해왔다. 대륜이 장애인권 보호 등에 앞장 선 덕분에 관련 사건 해결에 어려움이 없었다"라며 "법률전문가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소외 계층의 이야기를 정책으로 풀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의 일원이 큰 뜻을 가지고 국회에 입성하게 됐다. 최 당선인이 약자 보호를 위한 정책을 만드는데 뜻을 잘 펼 수 있기를 마음으로 응원한다"고 전했다.한편 대륜은 "기업의 사회적 기여를 핵심 가치로 삼고 성장했으며, 창사 이래 법률사각지대를 없애고자 전국 각지에 38개의 직영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며 "법률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지방 소도시에도 사무소를 개설해 서울 본사와 같은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최보윤 변호사 비례대표 당선…"사회적약자 위한 입법활동 할 것"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4-17
법무법인 대륜, 그린요양병원과 MOU…의료소송 법률자문 나선다
법무법인 대륜, 그린요양병원과 MOU…의료소송 법률자문 나선다
곽민섭 변호사 "글로벌 메디컬그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안수기 원장 "법률문제 초기에 대응할 수 있게 돼…직원들 부담 감소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광주 그린요양병원과 의료소송 등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업무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 그린요양병원 안수기 원장이 참석했다.대륜은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건 및 분쟁 대응, 홍보·광고 관련 문제 사전 검토, 의료기관 인허가 관련 의료자문, 계약서 법률적 검토 등을 지원한다. 또 공동 세미나 또는 교육 등을 개최해 직원 및 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대륜은 병원 출신 변호사, 자문단으로 구성된 의료소송그룹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속 노무사,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가들과 협업해 사건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그린요양병원은 양·한방 협진 생태요양병원으로 480병상을 갖추고 있으며,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내과, 외과, 산부인과, 한의과 등 진료가 가능하다.그린요양병원 안수기 원장은 "간병인과 분쟁, 인허가 문제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사건사고가 발생한다"며 "대륜과의 이번 업무협약으로 법률문제를 초기에 대응할 수 있게 됐고, 직원들의 부담이 매우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는 "대륜은 의료, 형사, 민사, 조세, 행정 등 다분야의 그룹을 보유하고 있어 전 분야에 걸친 신속한 의료자문을 제공할 수 있다"며 "그린요양병원이 글로벌 메디컬그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분쟁 관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한편, 대륜은 전국 38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최다 분사무소를 보유한 로펌으로 본사 중심 사건 관리로 전국에서 동일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본사를 여의도 파크원타워로 이전하면서 분야별 그룹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그린요양병원과 MOU…의료소송 법률자문 나선다 (바로가기)
데일리안
2024-04-17
법무법인 대륜, 그린요양병원과 MOU…의료소송 법률자문 나선다
법무법인 대륜, 그린요양병원과 MOU…의료소송 법률자문 나선다
곽민섭 변호사 "글로벌 메디컬그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안수기 원장 "법률문제 초기에 대응할 수 있게 돼…직원들 부담 감소할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광주 그린요양병원과 의료소송 등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업무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 그린요양병원 안수기 원장이 참석했다.대륜은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건 및 분쟁 대응, 홍보·광고 관련 문제 사전 검토, 의료기관 인허가 관련 의료자문, 계약서 법률적 검토 등을 지원한다. 또 공동 세미나 또는 교육 등을 개최해 직원 및 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대륜은 병원 출신 변호사, 자문단으로 구성된 의료소송그룹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속 노무사,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가들과 협업해 사건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그린요양병원은 양·한방 협진 생태요양병원으로 480병상을 갖추고 있으며,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내과, 외과, 산부인과, 한의과 등 진료가 가능하다.그린요양병원 안수기 원장은 "간병인과 분쟁, 인허가 문제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사건사고가 발생한다"며 "대륜과의 이번 업무협약으로 법률문제를 초기에 대응할 수 있게 됐고, 직원들의 부담이 매우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는 "대륜은 의료, 형사, 민사, 조세, 행정 등 다분야의 그룹을 보유하고 있어 전 분야에 걸친 신속한 의료자문을 제공할 수 있다"며 "그린요양병원이 글로벌 메디컬그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분쟁 관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한편, 대륜은 전국 38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최다 분사무소를 보유한 로펌으로 본사 중심 사건 관리로 전국에서 동일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본사를 여의도 파크원타워로 이전하면서 분야별 그룹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그린요양병원과 MOU…의료소송 법률자문 나선다 (바로가기)
이데일리 등 9곳
2024-04-16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
기업 고객 접근성 고려해 여의도로 이전38개 분사무소서 전문 법률서비스 제공전문그룹 확대 개편…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수익보다 법률 선진화된 곳으로 서비스” 법무법인 대륜이 기업 고객들과의 접근성을 고려해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했다. 특히 국내 분사무소 확장 이외에도 일본과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대한 계획도 밝혔다. 15일 대륜은 서울 여의도 파크원 타워1에서 본사 이전 개소식을 진행했다. 여의도 본사 이전은 기업 고객들과의 접근성, 신속한 법률자문 지원 등을 위해 결정됐다. 대륜의 서울 사무소는 여의도를 비롯해 강남, 용산, 서초, 종로, 도봉 등 6곳에 달한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국일, 정찬우, 고병준, 박동일 대표 등 내부 관계자들을 포함해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된 최보윤 변호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톰슨로이터코리아 등 외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국일 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고객과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목표를 실현하게 됐다. 법원 근처에 다수의 로펌이 자리한 것과 달리 대륜은 기업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여의도에 본사를 이전했다”면서도 “개인 고객 또한 전국 38개 분사무소에서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사는 장소적인 의미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륜은 변호사 숫자로만 늘려가는 것은 더 이상 하지 않으려고 한다. 오히려 더 전문적이고, 고객들과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때”라며 “전국 최다 분사무소를 보유한 대륜은 본사를 포함한 38개 지점을 기반으로 형사, 가사, 기업법무, 건설·부동산, 국방군사 등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있다.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제는 해외 진출에 나서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정찬우 대표는 “대륜을 상징하는 붉은 색은 고객 중심, 전문성, 신뢰감 등을 상징하고 있으며,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대륜의 마음을 담고 있다”며 “저녁에 켜지는 파크원타워의 붉은색 조명은 대륜의 상징색과 비슷해 이번 본사 이전이 더욱 의미가 있다. 대륜은 앞으로도 최선을 다해 법조계에 더욱 일조하겠다”고 설명했다. 대륜은 현재 전국 38개 분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민사, 가사, 조세, 회파, 국방군사, 행정, 노동, 국제소송 등 200인 이상의 분야별 전문 변호사와 회계사, 변리사 등 전문가가 협업해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비대면으로 협력하면서 사건에 따라 3~20인의 전문가가 투입되고 있다. 박동일 대표는 “대륜은 고객 친화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경영가치의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며 “변호사가 없는 소외된 지방에도 서울과 같은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전국에 많은 사무소를 개소했다. 이는 법률문화를 바꿔보기 위한 도전이었고, 대륜이 고속 성장할 수 있었던 밑거름”이라고 말했다. 대륜은 여의도 본사 이전을 시작으로 국내 분사무소 확장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나설 계획이다. 박 대표는 “법률시장, 법률서비스의 한계는 없다고 생각한다. 국내 로펌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해외 진출을 선택하게 됐다”며 “일반적으로 로펌은 수익 창출을 위해 동남아를 선택하기도 하지만, 대륜은 수익보다 법률 선진화된 곳으로 진출을 계획하게 됐다. 대륜의 법률서비스는 이미 세계에 선보일 만큼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날 외부 참석자들과 함께 안내데스크, 고객대기실, 상담실, 세미나실 등을 함께 돌아보며 회사를 소개하는 본사 투어를 진행했다. 개소식은 박동일 대표의 폐회사로 마무리됐다. 박 대표는 “회사가 커올 수 있었던 것은 어디까지나 고객의 권익을 수호하겠다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기 때문”이라며 “대륜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이 대륜의 실력과 정성에 감동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같은 목표를 추구하는 전문 변호사들과 함께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성장을 지켜봐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기업법무 집중”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확장 이전…"기업법무 집중·해외진출 준비"파이낸셜뉴스 - 여의도에 둥지 튼 대륜 "기업법무에 집중…미국·일본 진출 준비"아시아경제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KBC뉴스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 파크원에 본사 확장 이전이투데이 - 여의도 시대 여는 ‘법무법인 대륜’…‘금융+기업법무’ 투트랙 강화 [로펌人+로펌IN]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KNN뉴스 - 법무법인 대륜, 서울 여의도로 본사 이전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 “기업 중심 법률서비스”
이데일리 등 9곳
2024-04-16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
기업 고객 접근성 고려해 여의도로 이전38개 분사무소서 전문 법률서비스 제공전문그룹 확대 개편…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수익보다 법률 선진화된 곳으로 서비스” 법무법인 대륜이 기업 고객들과의 접근성을 고려해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했다. 특히 국내 분사무소 확장 이외에도 일본과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대한 계획도 밝혔다. 15일 대륜은 서울 여의도 파크원 타워1에서 본사 이전 개소식을 진행했다. 여의도 본사 이전은 기업 고객들과의 접근성, 신속한 법률자문 지원 등을 위해 결정됐다. 대륜의 서울 사무소는 여의도를 비롯해 강남, 용산, 서초, 종로, 도봉 등 6곳에 달한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국일, 정찬우, 고병준, 박동일 대표 등 내부 관계자들을 포함해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된 최보윤 변호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톰슨로이터코리아 등 외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국일 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고객과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목표를 실현하게 됐다. 법원 근처에 다수의 로펌이 자리한 것과 달리 대륜은 기업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여의도에 본사를 이전했다”면서도 “개인 고객 또한 전국 38개 분사무소에서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사는 장소적인 의미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륜은 변호사 숫자로만 늘려가는 것은 더 이상 하지 않으려고 한다. 오히려 더 전문적이고, 고객들과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때”라며 “전국 최다 분사무소를 보유한 대륜은 본사를 포함한 38개 지점을 기반으로 형사, 가사, 기업법무, 건설·부동산, 국방군사 등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그룹을 확대 개편하고 있다.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제는 해외 진출에 나서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정찬우 대표는 “대륜을 상징하는 붉은 색은 고객 중심, 전문성, 신뢰감 등을 상징하고 있으며,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대륜의 마음을 담고 있다”며 “저녁에 켜지는 파크원타워의 붉은색 조명은 대륜의 상징색과 비슷해 이번 본사 이전이 더욱 의미가 있다. 대륜은 앞으로도 최선을 다해 법조계에 더욱 일조하겠다”고 설명했다. 대륜은 현재 전국 38개 분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민사, 가사, 조세, 회파, 국방군사, 행정, 노동, 국제소송 등 200인 이상의 분야별 전문 변호사와 회계사, 변리사 등 전문가가 협업해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비대면으로 협력하면서 사건에 따라 3~20인의 전문가가 투입되고 있다. 박동일 대표는 “대륜은 고객 친화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경영가치의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며 “변호사가 없는 소외된 지방에도 서울과 같은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전국에 많은 사무소를 개소했다. 이는 법률문화를 바꿔보기 위한 도전이었고, 대륜이 고속 성장할 수 있었던 밑거름”이라고 말했다. 대륜은 여의도 본사 이전을 시작으로 국내 분사무소 확장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에 나설 계획이다. 박 대표는 “법률시장, 법률서비스의 한계는 없다고 생각한다. 국내 로펌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해외 진출을 선택하게 됐다”며 “일반적으로 로펌은 수익 창출을 위해 동남아를 선택하기도 하지만, 대륜은 수익보다 법률 선진화된 곳으로 진출을 계획하게 됐다. 대륜의 법률서비스는 이미 세계에 선보일 만큼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날 외부 참석자들과 함께 안내데스크, 고객대기실, 상담실, 세미나실 등을 함께 돌아보며 회사를 소개하는 본사 투어를 진행했다. 개소식은 박동일 대표의 폐회사로 마무리됐다. 박 대표는 “회사가 커올 수 있었던 것은 어디까지나 고객의 권익을 수호하겠다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기 때문”이라며 “대륜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이 대륜의 실력과 정성에 감동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같은 목표를 추구하는 전문 변호사들과 함께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성장을 지켜봐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이데일리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기업법무 집중”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확장 이전…"기업법무 집중·해외진출 준비"파이낸셜뉴스 - 여의도에 둥지 튼 대륜 "기업법무에 집중…미국·일본 진출 준비"아시아경제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 첫발"KBC뉴스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 파크원에 본사 확장 이전이투데이 - 여의도 시대 여는 ‘법무법인 대륜’…‘금융+기업법무’ 투트랙 강화 [로펌人+로펌IN]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본사 이전 개소식 성료…“글로벌 로펌 도약”KNN뉴스 - 법무법인 대륜, 서울 여의도로 본사 이전법률신문 - 법무법인 대륜, '여의도'로 본사 이전… “기업 중심 법률서비스”
아시아경제
2024-04-12
법무법인 대륜,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계약서 검토 등 지원
법무법인 대륜,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계약서 검토 등 지원
각종 군수산업 계약서 검토 등 다양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1일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김영수 국방군사그룹장, 군수산업연합회 이정근 상근부회장, 강재구 산업본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군수산업연합회는 국방부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군수품 품질 제고, 국방경영 효율화 지원 등 군수산업 발전을 위해 설립됐다.군수산업 육성을 위해 체결된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군수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군납, 무기 및 장비품 관련 계약서 검토 ▲국방안보 분쟁 대응 ▲국방기밀 보안과 관련된 법률 검토 ▲업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대재해 예방 및 대책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군수산업연합회 이정근 상근부회장은 "군수업체 품질 제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방 분야의 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며 "대륜 국방군사그룹과의 협약은 군수산업과 관련된 계약서 검토, 법률 이슈 등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 국방군사그룹은 군사건전문팀을 이뤄 사건 대응 및 예방을 위한 자문에 조력하고 있다"라며 "법무병과장·군사법원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의 지휘 아래 체계적인 법률 자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라고 말했다.이어 "이번 협약이 한국 군수산업 경쟁력 강화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며 각 지역에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는 로펌이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계약서 검토 등 지원
아시아경제
2024-04-12
법무법인 대륜,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계약서 검토 등 지원
법무법인 대륜,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계약서 검토 등 지원
각종 군수산업 계약서 검토 등 다양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1일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김영수 국방군사그룹장, 군수산업연합회 이정근 상근부회장, 강재구 산업본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군수산업연합회는 국방부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군수품 품질 제고, 국방경영 효율화 지원 등 군수산업 발전을 위해 설립됐다.군수산업 육성을 위해 체결된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군수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군납, 무기 및 장비품 관련 계약서 검토 ▲국방안보 분쟁 대응 ▲국방기밀 보안과 관련된 법률 검토 ▲업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대재해 예방 및 대책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군수산업연합회 이정근 상근부회장은 "군수업체 품질 제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방 분야의 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며 "대륜 국방군사그룹과의 협약은 군수산업과 관련된 계약서 검토, 법률 이슈 등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 국방군사그룹은 군사건전문팀을 이뤄 사건 대응 및 예방을 위한 자문에 조력하고 있다"라며 "법무병과장·군사법원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의 지휘 아래 체계적인 법률 자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라고 말했다.이어 "이번 협약이 한국 군수산업 경쟁력 강화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며 각 지역에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는 로펌이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대한민국 군수산업연합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계약서 검토 등 지원
더팩트 등 9곳
2024-04-11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MOU 체결
정보통신 및 문화콘텐츠산업 보호 위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기업 법률 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디지털 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디지털 분야 분쟁 대응 △콘텐츠·정보보안과 관련한 법률 검토 △각종 계약서 등 법률 자문 △중대재해 위반 관련 자문 △공동사업을 위하여 세미나, 교육 등 추진 △기타 세무, 노무 관련 상담 등 종합적인 법률 문제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김태열 부산정보산업진흥원장은 "이번 협약으로 부산 디지털 융복합 기술, 산업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고도화를 추진 중이기에 기밀정보 및 재산권을 보호하는 데 대륜이 결정적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최근 데이터, AI 확산 등 디지털 관련 산업이 확장하고 있다. 다수의 기업, 재단 등에서 앞다투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관련 법적 분쟁에 대륜 내 기업 법무 전문 변호사가 법률 자문을 제공할 것"이라며 "지식재산권, 정보통신보안 등은 물론, 업무 중 생길 수 있는 중대재해 및 노사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MOU 체결쿠키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 부산 IT·CT기업 법률자문 MOU 부산일보 - “지역기업의 법률 고민을 해소해드립니다~!”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국제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 부산 IT·CT 기업 법률자문CNB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 IT·CT기업 법률자문 업무협약아이뉴스24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역 IT·CT 기업 법률 자문 지원메트로신문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역 IT·CT 기업 법률 자문 지원전자신문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디지털 비즈 법률지원 서비스 제공디지털타임스 -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협약
더팩트 등 9곳
2024-04-11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MOU 체결
정보통신 및 문화콘텐츠산업 보호 위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기업 법률 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디지털 기업 관련 각종 이슈 공유 △디지털 분야 분쟁 대응 △콘텐츠·정보보안과 관련한 법률 검토 △각종 계약서 등 법률 자문 △중대재해 위반 관련 자문 △공동사업을 위하여 세미나, 교육 등 추진 △기타 세무, 노무 관련 상담 등 종합적인 법률 문제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김태열 부산정보산업진흥원장은 "이번 협약으로 부산 디지털 융복합 기술, 산업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고도화를 추진 중이기에 기밀정보 및 재산권을 보호하는 데 대륜이 결정적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국일 대륜 대표는 "최근 데이터, AI 확산 등 디지털 관련 산업이 확장하고 있다. 다수의 기업, 재단 등에서 앞다투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관련 법적 분쟁에 대륜 내 기업 법무 전문 변호사가 법률 자문을 제공할 것"이라며 "지식재산권, 정보통신보안 등은 물론, 업무 중 생길 수 있는 중대재해 및 노사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더팩트 -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MOU 체결쿠키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 부산 IT·CT기업 법률자문 MOU 부산일보 - “지역기업의 법률 고민을 해소해드립니다~!”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국제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 부산 IT·CT 기업 법률자문CNB뉴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법무법인 대륜, IT·CT기업 법률자문 업무협약아이뉴스24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역 IT·CT 기업 법률 자문 지원메트로신문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지역 IT·CT 기업 법률 자문 지원전자신문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디지털 비즈 법률지원 서비스 제공디지털타임스 - 법무법인 대륜, 부산정보산업진흥원과 IT·CT 기업법률자문 협약
조세일보
2024-04-08
중대재해처벌법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확대 시행… 로펌 대륜 TF, '사고 전후 현장 즉각 조력'
사고 예방을 위한 자문부터 발생 후 대응까지 조력하는 종합 법무지원 확대전국 최다규모 사무소 운영으로 지방 소재 기업도 실시간 현장투입 가능중대재해 TF '기업고객과의 상생 중시, 비용 대비 효율 높이기 위한 컨트롤타워 구축' 중대재해처벌법이 확대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로펌 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지난 1월부터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중대재해법이 적용된 만큼 대응책 강화에 나서는 모양새다. 비용과 인력 부족 문제로 대비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도 증가하고 있다.법 개정 직후의 혼란을 틈타 긴급한 기업의 상황을 악용해 과도한 수임료를 책정하거나, 개정안에 대한 아무런 대비 없이 무책임한 수임 등으로 인한 기업의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8일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중대재해사건 대응 TF팀'을 운영하고 있다"며 "개정법 및 실무사례에 대한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사고 발생 현장에 직접 대응팀을 파견하여 중대재해 사건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밝혔다.중대재해사건 대응TF팀은 기업법무그룹 내 노동특화변호인단으로 구성됐으며, 변호사 이외에도 노무사, 노동전문위원 등 전문가도 포함돼 있다. 분야별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신속하게 사건을 대응하겠다는 각오다.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실무상 근로감독관 및 사법경찰관이 각 적용 법조를 달리하여 별도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처벌규정), 제7조(양벌규정)의 적용 범위가 확대돼 죄명이 추가될 수 있다.대륜 관계자는 "이렇다 보니 고용노동부와 경찰 수사당국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중대재해사건 대응TF팀의 중요성이 커지는 셈"이라고 설명했다.대륜은 사고 발생 전후의 대처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이다. 기업법무 자문을 통해 위법 우려가 높은 사안을 적기에 교정하고, 계약서 검토를 진행하는 등 법적인 분쟁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킨다는 계획이다.이후 불가피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지역 인근에 위치한 지사가 현장에 선두로 나서 즉각 대응한다. 특히 컨트롤타워인 기업법무그룹과 유기적으로 협업하여 초기 대응에 신속하게 나설 전망이다.골든타임이 중요한 만큼,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체제를 정비한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중대재해사건 대응TF팀은 사고 발생 시 이어지는 노동부 조사에 전국 지사 단위로 선제 대응한다. 실시간 업데이트 되는 내용은 선진화된 시스템으로 소통 가능하게 만들었다. 수사 단계에서부터 밀착 조력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중대재해와 관련한 업무협약(MOU) 체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협약을 통해 중대재해 초동대응을 위한 법률자문, 세미나 개최 등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기업에 협력한다. 현재 ㈜하이플, ㈜고광산업, ㈜한국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 등 다수의 기업 및 기관과 협약을 맺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유무는 초기 대응에 달려 있다. 대상 역시 확대되었으므로 이제 더 많은 사업장에 중대재해가 적용될 것"이라며 "아직 법 시행 초기인 만큼 관련 사건에 대한 실무 경험이 많은 전문 대응팀이 신속하게 사건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륜에서는 기업법무그룹이 컨트롤타워가 되어 각 지사와 유기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확대 시행… 로펌 대륜 TF, '사고 전후 현장 즉각 조력'
조세일보
2024-04-08
중대재해처벌법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확대 시행… 로펌 대륜 TF, '사고 전후 현장 즉각 조력'
사고 예방을 위한 자문부터 발생 후 대응까지 조력하는 종합 법무지원 확대전국 최다규모 사무소 운영으로 지방 소재 기업도 실시간 현장투입 가능중대재해 TF '기업고객과의 상생 중시, 비용 대비 효율 높이기 위한 컨트롤타워 구축' 중대재해처벌법이 확대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로펌 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지난 1월부터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중대재해법이 적용된 만큼 대응책 강화에 나서는 모양새다. 비용과 인력 부족 문제로 대비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도 증가하고 있다.법 개정 직후의 혼란을 틈타 긴급한 기업의 상황을 악용해 과도한 수임료를 책정하거나, 개정안에 대한 아무런 대비 없이 무책임한 수임 등으로 인한 기업의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8일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중대재해사건 대응 TF팀'을 운영하고 있다"며 "개정법 및 실무사례에 대한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사고 발생 현장에 직접 대응팀을 파견하여 중대재해 사건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밝혔다.중대재해사건 대응TF팀은 기업법무그룹 내 노동특화변호인단으로 구성됐으며, 변호사 이외에도 노무사, 노동전문위원 등 전문가도 포함돼 있다. 분야별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신속하게 사건을 대응하겠다는 각오다.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실무상 근로감독관 및 사법경찰관이 각 적용 법조를 달리하여 별도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처벌규정), 제7조(양벌규정)의 적용 범위가 확대돼 죄명이 추가될 수 있다.대륜 관계자는 "이렇다 보니 고용노동부와 경찰 수사당국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중대재해사건 대응TF팀의 중요성이 커지는 셈"이라고 설명했다.대륜은 사고 발생 전후의 대처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이다. 기업법무 자문을 통해 위법 우려가 높은 사안을 적기에 교정하고, 계약서 검토를 진행하는 등 법적인 분쟁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킨다는 계획이다.이후 불가피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지역 인근에 위치한 지사가 현장에 선두로 나서 즉각 대응한다. 특히 컨트롤타워인 기업법무그룹과 유기적으로 협업하여 초기 대응에 신속하게 나설 전망이다.골든타임이 중요한 만큼,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체제를 정비한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중대재해사건 대응TF팀은 사고 발생 시 이어지는 노동부 조사에 전국 지사 단위로 선제 대응한다. 실시간 업데이트 되는 내용은 선진화된 시스템으로 소통 가능하게 만들었다. 수사 단계에서부터 밀착 조력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중대재해와 관련한 업무협약(MOU) 체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협약을 통해 중대재해 초동대응을 위한 법률자문, 세미나 개최 등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기업에 협력한다. 현재 ㈜하이플, ㈜고광산업, ㈜한국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 등 다수의 기업 및 기관과 협약을 맺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유무는 초기 대응에 달려 있다. 대상 역시 확대되었으므로 이제 더 많은 사업장에 중대재해가 적용될 것"이라며 "아직 법 시행 초기인 만큼 관련 사건에 대한 실무 경험이 많은 전문 대응팀이 신속하게 사건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륜에서는 기업법무그룹이 컨트롤타워가 되어 각 지사와 유기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확대 시행… 로펌 대륜 TF, '사고 전후 현장 즉각 조력'
KNN 외
2024-04-04
법무법인 대륜,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
임직원 권익 보호 위한 법률상담 및 방송·통신 분야 법률적 이슈 공유 예정KNN 이오상 대표 "가깝고 낮은 문턱으로 고품질 법률서비스 이용하게 돼"대륜 김국일 대표 "중대재해 전문 변호사 다수 영입…의뢰인 만족도 높아"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3일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협약식에는 대륜로펌의 김국일 대표, 박동일 대표, 손수연 부대표, 이일권 최고총괄변호사, KNN 이오상 대표이사, 경영본부 김호진 전무이사, 사업본부 김백수 이사, 보도국 추종탁 보도국장, 제작국 이근호 국장, 마케팅국 단유정 국장, 현승훈 차장, 장은진 PD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임직원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방송·통신 분야 법률적 이슈 공유 ▲사내 인사·노무 법리적 검토 ▲취재보도 관련 자문 ▲중대재해 대응 ▲콘텐츠 관련 지식재산권, IT 분야 자문 ▲공동 캠페인 및 세미나 추진 등에 협력한다.KNN 본사 사옥과 법무법인 대륜 부산본부가 센텀지역 내 위치하고 있어 신속한 법률적 지원이 가능할 전망이다.KNN은 부산, 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광역방송사로 지역민영방송사 중 자체 콘텐츠 제작비율이 가장 높다. 특히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공급하고 있어 지역민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울산·경남 지역에도 총 6곳의 사무소를 두고 있다. 해운대구 소재 부산총괄본부 사무소에는 부장검사출신 변호사 3인을 비롯해 분야별 변호사가 상주하고 있다.KNN 이오상 대표이사는 "전국 굴지의 로펌으로 성장한 법무법인 대륜과 이번 업무협약식을 갖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앞으로 지역민들이 가깝고, 낮은 문턱으로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이 대표는 "KNN은 양사 공동 캠페인을 통해 법률정보의 친숙한 접근과 쉬운 해석으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로 약속했다"고 강조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무법인 대륜은 인사·노무 분야뿐만 아니라 지식재산권, 중대재해 분야에 대한 전문 변호사를 다수 영입하면서 원스톱 법률자문에 대한 기업 의뢰인의 만족도가 높다"며 "기업법무그룹 소속의 부산 사무소 변호사들과 함께 본사 차원에서의 고품질 법률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KNN - 법무법인 대륜 지역사회 발전 공동노력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로이슈 - 법무법인(유한)대륜, KNN과 법률자문 MOU체결
KNN 외
2024-04-04
법무법인 대륜,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
임직원 권익 보호 위한 법률상담 및 방송·통신 분야 법률적 이슈 공유 예정KNN 이오상 대표 "가깝고 낮은 문턱으로 고품질 법률서비스 이용하게 돼"대륜 김국일 대표 "중대재해 전문 변호사 다수 영입…의뢰인 만족도 높아"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3일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협약식에는 대륜로펌의 김국일 대표, 박동일 대표, 손수연 부대표, 이일권 최고총괄변호사, KNN 이오상 대표이사, 경영본부 김호진 전무이사, 사업본부 김백수 이사, 보도국 추종탁 보도국장, 제작국 이근호 국장, 마케팅국 단유정 국장, 현승훈 차장, 장은진 PD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임직원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방송·통신 분야 법률적 이슈 공유 ▲사내 인사·노무 법리적 검토 ▲취재보도 관련 자문 ▲중대재해 대응 ▲콘텐츠 관련 지식재산권, IT 분야 자문 ▲공동 캠페인 및 세미나 추진 등에 협력한다.KNN 본사 사옥과 법무법인 대륜 부산본부가 센텀지역 내 위치하고 있어 신속한 법률적 지원이 가능할 전망이다.KNN은 부산, 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광역방송사로 지역민영방송사 중 자체 콘텐츠 제작비율이 가장 높다. 특히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공급하고 있어 지역민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울산·경남 지역에도 총 6곳의 사무소를 두고 있다. 해운대구 소재 부산총괄본부 사무소에는 부장검사출신 변호사 3인을 비롯해 분야별 변호사가 상주하고 있다.KNN 이오상 대표이사는 "전국 굴지의 로펌으로 성장한 법무법인 대륜과 이번 업무협약식을 갖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앞으로 지역민들이 가깝고, 낮은 문턱으로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이 대표는 "KNN은 양사 공동 캠페인을 통해 법률정보의 친숙한 접근과 쉬운 해석으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로 약속했다"고 강조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법무법인 대륜은 인사·노무 분야뿐만 아니라 지식재산권, 중대재해 분야에 대한 전문 변호사를 다수 영입하면서 원스톱 법률자문에 대한 기업 의뢰인의 만족도가 높다"며 "기업법무그룹 소속의 부산 사무소 변호사들과 함께 본사 차원에서의 고품질 법률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KNN - 법무법인 대륜 지역사회 발전 공동노력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부산경남대표방송 KNN과 법률자문 MOU로이슈 - 법무법인(유한)대륜, KNN과 법률자문 MOU체결
스포츠서울 외
2024-04-04
법무법인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
강력사건에 강점...마약 등 형사사건 활약의료소송 전문변호사로 전문성 극대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검사 출신 장혜영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장혜영 변호사는 부산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한 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등 여러 검찰청 검사 및 부부장검사,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장 변호사는 검사로 재직하는 동안 살인, 마약 등 강력사건과 유사수신, 다수 피해자가 발생한 사기 사건을 비롯한 재산범죄 사건 등 다양한 사건을 전담했다. 뿐만 아니라 일반소송에 비해 의학적 분석 및 법적 구성요건 충족 여부, 관련 판례 등 정확한 법률적 검토가 필요한 의료소송에 특화돼 형사·민사·행정분야가 복잡하게 얽힌 의료분쟁 사건을 전담하며 신속하게 풀어가고 있다.장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부터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맡아왔다. 특히 고도화된 전문성을 요하는 의료소송과 관련한 경험은 대륜에서 의료분쟁 대응 전략을 짜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모든 사건을 진심으로 대하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의료소송은 과실 여부 입증에 어려움을 겪어 승소율이 낮은 편에 속한다. 대륜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포섭하고 있다. 의료소송에 특화된 장 변호사 역시 마찬가지다”라면서 “단순 손해배상을 넘어 고의성 유무에 따라 형사사건으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다분야에서 강점을 지닌 장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 내 의료소송그룹의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어 김 대표는 “대륜의 혁신은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의뢰인이 만족할 수 있는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문가 550인으로 구성, 전국 최다 사무소를 운영하며 단기간에 10대 로펌 반열에 올랐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특화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
스포츠서울 외
2024-04-04
법무법인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
강력사건에 강점...마약 등 형사사건 활약의료소송 전문변호사로 전문성 극대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검사 출신 장혜영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장혜영 변호사는 부산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한 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등 여러 검찰청 검사 및 부부장검사,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장 변호사는 검사로 재직하는 동안 살인, 마약 등 강력사건과 유사수신, 다수 피해자가 발생한 사기 사건을 비롯한 재산범죄 사건 등 다양한 사건을 전담했다. 뿐만 아니라 일반소송에 비해 의학적 분석 및 법적 구성요건 충족 여부, 관련 판례 등 정확한 법률적 검토가 필요한 의료소송에 특화돼 형사·민사·행정분야가 복잡하게 얽힌 의료분쟁 사건을 전담하며 신속하게 풀어가고 있다.장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부터 다양한 분야의 사건을 맡아왔다. 특히 고도화된 전문성을 요하는 의료소송과 관련한 경험은 대륜에서 의료분쟁 대응 전략을 짜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모든 사건을 진심으로 대하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의료소송은 과실 여부 입증에 어려움을 겪어 승소율이 낮은 편에 속한다. 대륜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포섭하고 있다. 의료소송에 특화된 장 변호사 역시 마찬가지다”라면서 “단순 손해배상을 넘어 고의성 유무에 따라 형사사건으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다분야에서 강점을 지닌 장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 내 의료소송그룹의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어 김 대표는 “대륜의 혁신은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의뢰인이 만족할 수 있는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문가 550인으로 구성, 전국 최다 사무소를 운영하며 단기간에 10대 로펌 반열에 올랐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마약 등 강력범죄·의료소송 특화 전문변호사 장혜영 前 부장검사 영입
조세일보 외
2024-04-01
부동산전문변호사 건설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와 MOU
중개거래 법적 검토, 거래사고 예방 법정 교육 등 계획"건전한 부동산 거래 환경 만들기 위해 적극 지원"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9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이하 제주공인중개사협회)와 업무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날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제주공인중개사협회 고성찬 회장이 참석했다.한국공인중개사 제주특별자치도회는 개업공인중개사 회원의 전문성을 향상하고, 법규를 준수하며 공정한 책임 중개로 부동산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구성된 협회이다.대륜은 부동산 중개 거래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 검토, 건전한 부동산 거래를 위한 방안 마련 등을 적극 지원한다.특히, 전국적으로 전세사기 피해가 급증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회원 대상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 및 손해배상 책임에 대한 법정 교육 및 세미나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 고성찬 회장은 "전세사기를 주도하는 중개사는 극히 드물지만, 전국적으로 전세사기가 이슈화되면서 중개사들에 대한 불산이 있는 편"이라며 "대륜과의 협약으로 소속 중개사들의 권리 보호, 중개 사고 방지 등 긍정적인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공인중개사 자격이 있거나 전세사기 대응 경험이 풍부한 변호사 등으로 구성돼 있다"며 "지역 공인중개사와 거래당사자 모두가 보호받을 수 있는 건전한 부동산 거래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건설·부동산 외 기업법무, 형사, 의료소송, 국방·군사 등 각 분야에 특화된 전담 그룹을 운영 중이며, 지속적인 인재 영입으로 현재 550명의 전문가가 상주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와 MOU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와 MOU헤드라인제주 - 법무법인 대륜, 제주공인중개사협회와 '건전한 부동산 거래환경 만들기' 협약
조세일보 외
2024-04-01
부동산전문변호사 건설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와 MOU
중개거래 법적 검토, 거래사고 예방 법정 교육 등 계획"건전한 부동산 거래 환경 만들기 위해 적극 지원"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9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이하 제주공인중개사협회)와 업무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날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제주공인중개사협회 고성찬 회장이 참석했다.한국공인중개사 제주특별자치도회는 개업공인중개사 회원의 전문성을 향상하고, 법규를 준수하며 공정한 책임 중개로 부동산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구성된 협회이다.대륜은 부동산 중개 거래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 검토, 건전한 부동산 거래를 위한 방안 마련 등을 적극 지원한다.특히, 전국적으로 전세사기 피해가 급증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회원 대상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 및 손해배상 책임에 대한 법정 교육 및 세미나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 고성찬 회장은 "전세사기를 주도하는 중개사는 극히 드물지만, 전국적으로 전세사기가 이슈화되면서 중개사들에 대한 불산이 있는 편"이라며 "대륜과의 협약으로 소속 중개사들의 권리 보호, 중개 사고 방지 등 긍정적인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공인중개사 자격이 있거나 전세사기 대응 경험이 풍부한 변호사 등으로 구성돼 있다"며 "지역 공인중개사와 거래당사자 모두가 보호받을 수 있는 건전한 부동산 거래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건설·부동산 외 기업법무, 형사, 의료소송, 국방·군사 등 각 분야에 특화된 전담 그룹을 운영 중이며, 지속적인 인재 영입으로 현재 550명의 전문가가 상주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와 MOU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와 MOU헤드라인제주 - 법무법인 대륜, 제주공인중개사협회와 '건전한 부동산 거래환경 만들기' 협약
연합뉴스TV
2024-04-01
부장판사출신변호사
[다다를 인터뷰] '10호 처분' 참교육 판사 "법원 떠나며 판사들에 하고 싶은 말은"
수 년 전, 청소년 계도 목적의 TV 프로그램에서 실제 재판 장면이 전파를 탄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소년 재판부 판사였던 한 젊은 판사가 소년범에게 가장 센 처분인 '10호 처분'을 내리는, 이른바 '참교육 영상'이 화제를 모았었는데요, 최근 퇴직한 박나리 판사를 박현우 기자가 이번주 다다를 인터뷰에서 만나봤습니다.#10호처분 #판사 #참교육 #법원 #재판 #소년부 #다다를인터뷰 #다다를이야기 #연합뉴스TV [기사전문보기] - [다다를 인터뷰] '10호 처분' 참교육 판사 "법원 떠나며 판사들에 하고 싶은 말은"
연합뉴스TV
2024-04-01
부장판사출신변호사
[다다를 인터뷰] '10호 처분' 참교육 판사 "법원 떠나며 판사들에 하고 싶은 말은"
수 년 전, 청소년 계도 목적의 TV 프로그램에서 실제 재판 장면이 전파를 탄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소년 재판부 판사였던 한 젊은 판사가 소년범에게 가장 센 처분인 '10호 처분'을 내리는, 이른바 '참교육 영상'이 화제를 모았었는데요, 최근 퇴직한 박나리 판사를 박현우 기자가 이번주 다다를 인터뷰에서 만나봤습니다.#10호처분 #판사 #참교육 #법원 #재판 #소년부 #다다를인터뷰 #다다를이야기 #연합뉴스TV [기사전문보기] - [다다를 인터뷰] '10호 처분' 참교육 판사 "법원 떠나며 판사들에 하고 싶은 말은"
스포츠서울
2024-04-01
법률자문
법무법인 대륜,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와 법률자문 MOU
농가 법률자문, 환경 규제 및 각종 법리 검토 나서“본사 차원의 고품질 법률서비스 제공 위해 최선”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달 29일 (사)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와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한우협회 제주도지회 박창석 회장이 참석했다.전국한우협회는 식량안보 확립, 일자리 창출, 지방소멸 극복 등 사회 전체를 선순환 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공익 목적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 한우 사업을 도모하고자 설립된 협회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 회원 농가들에 법률 자문 서비스, 환경 규제 및 각종 법리 검토 등을 제공한다.특히, 대륜 제주사무소를 활용해 지역 변호사가 신속하게 현장을 찾아 살펴보고, 본사 차원에서 곧바로 대응에 나설 수 있도록 고품질 법률서비스 제공 체계를 마련했다.박창석 회장은 “농가 민원 처리, 환경 규제 등 법률 자문을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다수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효과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전국 어디서든 동일한 법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비대면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며 “한우 산업의 발전, 농가 환경의 개선 등을 위해 먼 곳에서도 본사 차원의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와 법률자문 MOU
스포츠서울
2024-04-01
법률자문
법무법인 대륜,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와 법률자문 MOU
농가 법률자문, 환경 규제 및 각종 법리 검토 나서“본사 차원의 고품질 법률서비스 제공 위해 최선”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지난달 29일 (사)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와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한우협회 제주도지회 박창석 회장이 참석했다.전국한우협회는 식량안보 확립, 일자리 창출, 지방소멸 극복 등 사회 전체를 선순환 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공익 목적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 한우 사업을 도모하고자 설립된 협회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 회원 농가들에 법률 자문 서비스, 환경 규제 및 각종 법리 검토 등을 제공한다.특히, 대륜 제주사무소를 활용해 지역 변호사가 신속하게 현장을 찾아 살펴보고, 본사 차원에서 곧바로 대응에 나설 수 있도록 고품질 법률서비스 제공 체계를 마련했다.박창석 회장은 “농가 민원 처리, 환경 규제 등 법률 자문을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다수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효과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전국 어디서든 동일한 법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비대면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며 “한우 산업의 발전, 농가 환경의 개선 등을 위해 먼 곳에서도 본사 차원의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와 법률자문 MOU
스포츠서울 외
2024-03-28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단호박판사’ 박나리 前부장판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17년 이상 판사로 지내며 기업형사부터 소년보호사건에 이르는 다분야의 사건 처리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판사 출신 박나리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박나리 변호사는 부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하고, 수원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등을 거쳐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부장판사를 역임했다.특히 박 변호사는 지난 2013년 소년부 판사로 재직하던 때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10대 가출 청소년 사건을 재판하는 모습이 화제가 된 바 있다.당시 박 변호사는 다수 절도 범죄를 저지른 가출 청소년에 선처 없이 처분을 내려 일명 ‘단호박 판사’로 불리며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다.이후 17년 이상 법관으로 지내며 민사, 가사, 행정 등 다양한 사건을 처리해왔으며, 특히 대기업들의 민사사건과 행정처분취소 관련 사건을 다뤄 기업 사건에 특화됐다.박 변호사는 “판사로 임관 후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부장판사까지 역임할 수 있었다. 오랜 기간 판사로 재직한 경험을 살려 다양한 분야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기업 관련 분쟁부터 소년보호사건까지, 안 맡아본 사건이 없을 정도로 다분야의 사건을 수행한 만큼 관련 사건에 전략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현장에서 직접 수행했던 경험을 살려 대륜에서도 이를 적용해 의뢰인 변호에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법관의 입장에서 사건을 검토할 수 있는 박 변호사의 합류로 다방면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대륜은 의뢰인 맞춤 변호를 위해 전문가들이 팀을 이뤄 사건을 처리하고 있다. 앞으로도 법률 서비스 개선을 위해 전문 인력 영입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설립 이후 국내 최다 규모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선진 리걸테크를 기반으로 국내 10대 로펌으로 가파르게 성장하여 내달 중순 여의도 본사 확장이전 개소식을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단호박판사’ 박나리 前부장판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단호박 판사' 회자 부장판사 출신 박나리 변호사 영입
스포츠서울 외
2024-03-28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
‘단호박판사’ 박나리 前부장판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17년 이상 판사로 지내며 기업형사부터 소년보호사건에 이르는 다분야의 사건 처리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판사 출신 박나리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박나리 변호사는 부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하고, 수원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등을 거쳐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부장판사를 역임했다.특히 박 변호사는 지난 2013년 소년부 판사로 재직하던 때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10대 가출 청소년 사건을 재판하는 모습이 화제가 된 바 있다.당시 박 변호사는 다수 절도 범죄를 저지른 가출 청소년에 선처 없이 처분을 내려 일명 ‘단호박 판사’로 불리며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다.이후 17년 이상 법관으로 지내며 민사, 가사, 행정 등 다양한 사건을 처리해왔으며, 특히 대기업들의 민사사건과 행정처분취소 관련 사건을 다뤄 기업 사건에 특화됐다.박 변호사는 “판사로 임관 후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부장판사까지 역임할 수 있었다. 오랜 기간 판사로 재직한 경험을 살려 다양한 분야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기업 관련 분쟁부터 소년보호사건까지, 안 맡아본 사건이 없을 정도로 다분야의 사건을 수행한 만큼 관련 사건에 전략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현장에서 직접 수행했던 경험을 살려 대륜에서도 이를 적용해 의뢰인 변호에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김국일 대표는 “법관의 입장에서 사건을 검토할 수 있는 박 변호사의 합류로 다방면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대륜은 의뢰인 맞춤 변호를 위해 전문가들이 팀을 이뤄 사건을 처리하고 있다. 앞으로도 법률 서비스 개선을 위해 전문 인력 영입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설립 이후 국내 최다 규모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선진 리걸테크를 기반으로 국내 10대 로펌으로 가파르게 성장하여 내달 중순 여의도 본사 확장이전 개소식을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단호박판사’ 박나리 前부장판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로이슈 - 법무법인 대륜, '단호박 판사' 회자 부장판사 출신 박나리 변호사 영입
디지털타임스 외
2024-03-27
경찰출신변호사
경찰출신 김영민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경찰대 14기 출신… 수사단계부터 사건 수행 경험 적극 반영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경찰 출신 김영민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7일 밝혔다.김영민 변호사는 부산지방경찰청 경찰로 임관 후 경기지방경찰청 시흥경찰서 수사과 등을 거친 경찰수사관 출신이다. 이후 변호사 자격도 취득해 수사 단계에 강점을 지닌 변호사로 주목받고 있다.특히 경찰, 공기업 공무원들의 뇌물수수 사건, 수천 억원 대 사기 사건, 회사 임직원들의 업무상 배임 사건 등 규모가 큰 형사 사건에서 수사 경험을 살려 초기 대응에 힘쓰고 있다.김영민 변호사는 "대륜은 명실상부한 대형 로펌으로 자리 잡았다. 변호사들 간 소통이 중요한 사건이 많은데 대륜에서는 선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야별 변호사들이 함께 협업하고 있다"라며 "수사관을 해본 경험에서 나온 좌우명이 '포기하지 않으면 실패란 없다'이다. 좌우명대로 대륜에서도 맡은 사건을 끝까지 해결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현재 대륜에는 실제 수사 경험이 있는 경검출신 변호사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다. 김 변호사의 수사경험도 분쟁 해소 과정에서 큰 메리트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그는 수사대응은 물론 기업 사건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수십억 원에 달하는 법인세부과처분소송에서 승소하거나, 뇌물수수 사건에서 무죄를 입증하는 등 우수한 사례를 다수 이끌어냈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다수의 부장판사, 검찰지청장, 경찰 출신 변호사를 중심으로 분야별 전문대응그룹을 만들어 사건의 특성에 맞는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디지털타임스 - 법무법인 대륜, 경찰 출신 김영민 변호사 영입조세일보 - 경찰출신 김영민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디지털타임스 외
2024-03-27
경찰출신변호사
경찰출신 김영민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경찰대 14기 출신… 수사단계부터 사건 수행 경험 적극 반영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경찰 출신 김영민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7일 밝혔다.김영민 변호사는 부산지방경찰청 경찰로 임관 후 경기지방경찰청 시흥경찰서 수사과 등을 거친 경찰수사관 출신이다. 이후 변호사 자격도 취득해 수사 단계에 강점을 지닌 변호사로 주목받고 있다.특히 경찰, 공기업 공무원들의 뇌물수수 사건, 수천 억원 대 사기 사건, 회사 임직원들의 업무상 배임 사건 등 규모가 큰 형사 사건에서 수사 경험을 살려 초기 대응에 힘쓰고 있다.김영민 변호사는 "대륜은 명실상부한 대형 로펌으로 자리 잡았다. 변호사들 간 소통이 중요한 사건이 많은데 대륜에서는 선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야별 변호사들이 함께 협업하고 있다"라며 "수사관을 해본 경험에서 나온 좌우명이 '포기하지 않으면 실패란 없다'이다. 좌우명대로 대륜에서도 맡은 사건을 끝까지 해결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현재 대륜에는 실제 수사 경험이 있는 경검출신 변호사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다. 김 변호사의 수사경험도 분쟁 해소 과정에서 큰 메리트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그는 수사대응은 물론 기업 사건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수십억 원에 달하는 법인세부과처분소송에서 승소하거나, 뇌물수수 사건에서 무죄를 입증하는 등 우수한 사례를 다수 이끌어냈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다수의 부장판사, 검찰지청장, 경찰 출신 변호사를 중심으로 분야별 전문대응그룹을 만들어 사건의 특성에 맞는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디지털타임스 - 법무법인 대륜, 경찰 출신 김영민 변호사 영입조세일보 - 경찰출신 김영민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합류
중앙일보
2024-03-21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연내 뉴욕사무소 오픈
[대륜]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연내 뉴욕사무소 오픈
직영점 형태 전국 36개 사무소 운영국내외 기업 법률자문 서비스 확대의뢰인 보호 위해 경호그룹도 신설 법무법인 대륜의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이다. 올해 중으로 미국 뉴욕사무소를 오픈하는 것을 계기로 다양한 분야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법률시장 자체를 확장하겠다는 목표다.올해부터 자문 분야 서비스를 확대한 게 그 시작이다. 해외에서 활동하고 바이어 대응 경험이 있는 변호사들을 뽑아 국내외 기업들의 법률자문 서비스를 매끄럽게 연결해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판사와 대기업을 거치며 산업안전보건법·노동법·영업비밀침해 등 기업법무에 정통한 원형일(사법연수원 28기)변호사를 지난 1월 영입한 것을 시작으로 국제분쟁·국제거래 분야도 점차 늘릴 계획이다. 이달 말 본사를 여의도 파크원 35층으로 옮기는 것도 새 출발을 염두에 뒀다. 김국일(24기) 대표변호사는 “현재 법률시장은 국내·해외 법률서비스가 칸막이로 막힌 형태라 상당히 제한이 많고, 국내 시장은 송무·기업자문에 국한된 면이 크다”며 “미국은 주치의처럼 개인이 ‘전담 변호사’를 두고 여러 가지 법률적 도움을 받는 서비스가 보편화돼있는데, 올해는 해외로든, 국내에서든 다양한 서비스 확장의 개척자가 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소속 변호사 225명, 국내 10위권 규모 성장대륜이 해외진출 및 서비스 확대로 눈을 돌린 건, 국내에서 대륜의 법률서비스가 닿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전국 분사무소를 충분히 열었다는 판단에서다. 가장 최근 문을 연 군산 사무소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 모세혈관처럼 뻗어있는 36개 분사무소가 ‘어디서든 접근성이 좋다’는 대륜이 갖는 자부심의 근간이다. 서울에만 본사를 포함해 사무소가 5곳이다. 2018년 문을 연 대륜은 3월 현재 기준 36개 사무소에서 소속 변호사 225명으로, 국내 10위권에 드는 규모로 성장했다. 자문 및 지원을 하는 다양한 전문가도 550명에 달한다.대륜은 작게는 변호사 3명이 일하는 목포 사무소부터 서울 본사까지 ‘어느 사무소에서든 동일한 퀄리티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서울 본사에서 소송을 진행하며 지켜야 할 매뉴얼을 정해놨기 때문이다. 자칫 사건이 몰려 기존 사건이 지연되는 걸 막기 위해, ‘종결 매뉴얼’을 따로 두고 사건을 제때 집중해서 마무리하도록 했다.김국일 대표변호사는 “통일된 매뉴얼이 있기 때문에, 지역의 아무리 작은 사건이라도 소홀하게 대응하는 법 없이 똑같은 소송대응을 기대할 수 있다”며 “좀 크고 복잡하거나, 전문적인 사건은 서울이나 인근 큰 사무소에서 협업할 변호사가 지정돼 함께 대응한다”고 설명했다.구속 사건에서 피고인 접견도 꽤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접견 시간을 잡기도 어려울뿐더러 구치소가 먼 경우 이동에만 몇 시간을 쓰는 일도 다반사다. 대륜은 구치소 인근 사무소에서 지원을 받아, 접견 업무를 함께 맡는 형태로 분업·협업하며 효율을 높인다. 가까운 만큼 주기적으로 수월하게 접견할 수 있고, 그만큼 의뢰인의 방어권을 지키는 데 유리하다.이런 시스템은 대륜의 모든 분사무소를 본사 ‘직영점’ 형태로 운영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변호사 채용은 물론 주요 사건 배당까지 본사가 직접 관리하며 필요한 경우 인력 지원과 배분 등을 조율한다. 일례로, 가장 작은 분사무소인 목포에 의뢰인 수십명, 수십억 규모의 사건이 들어왔을 때는 서울과 부산에서 변호사 여럿이 함께 투입돼 팀으로 일하기도 했다. 전국 고등법원이 있는 서울·대전·대구·부산·광주·수원이 거점 사무소의 역할을 하고, 인근 지역의 주요 사건 인력 지원과 사건 배분 등 실무를 맡는다. 각 거점 사무소마다 전문분야 변호사들이 있기 때문에 웬만한 사건은 거점 내에서 해결이 가능할 정도다. 포렌식·경호·전문변호사로 형사그룹 힘 더해형사 분야에선 전국 사무소에서 하루 40~50건, 월 1000건 이상 사건이 들어올 정도로 수임 규모가 늘어 형사전담그룹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특히 최근 중요도가 높아진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팀을 강화했다. 지난해 신설한 디지털포렌식팀에는 경력 10년 이상의 분석 인력 4명이 증거 분석에 힘을 보태고 있다. 경호그룹도 최근에 신설했다. 스토킹, 학교폭력 등 사건에 따라 의뢰인 등의 신변 보호가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사건 수임과 함께 안전확보도 한번에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그간 음주운전·교통사고·성범죄 등 세부 분야를 나눠 대응하고, 마약 등 전문가도 충원했다. 변호사협회에서 특정 종류의 사건을 평균의 2.5배 이상 수임한 변호사에게 부여하는 ‘특정변호사’에 김용태(30기)·최성호(34기)·심재국(변시2회)·박동일(변시8회)·권민경(변시8회)·신용훈(변시9회)가 선정되기도 했다.형사그룹의 구조도 싹 개편했다. 살인·기업횡령·성범죄 사건을 다수 맡아 높은 승소율을 기록하고 있는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21기) 변호사가 그룹장을 맡았다. 각 팀 총괄은 20년 이상 법조 경력을 가진 변호사가 맡는데, 마약류·범인은닉·특경법 위반 등 강력범죄를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28기) 변호사, 선거·마약·지식재산권 등 형사사건 베테랑인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18기) 변호사 등이 각 팀을 진두지휘한다. 수사대응팀도 신설해, 경찰서 수사관 출신을 다수 영입하고 모의조사실·법정 등으로 수사·재판 상황을 사전에 경험해볼 수 있게 했다. ‘핫한’ 분야에 특화된 변호사도 다수 영입최근 사건이 급증한 소위 ‘핫한’ 분야에 특화된 변호사도 여럿 영입했다. 올해 1월 합류한 김영수(군법무관 13회) 변호사는 해군법무과장, 군 부장판사를 거친 군사재판 전문가다. 공직선거법·미성년자성범죄·방화살인사건 등 굵직한 형사사건 변호를 다수 맡아 승소로 이끈 부장판사 출신 곽민섭(27기) 변호사도 대륜에 새로 둥지를 틀었다. 대륜은 총선 이후 쏟아질 선거사건을 대비해 선거대응TF도 운영하고 있다.김국일 대표변호사는 “대륜의 성장동력인 변호사·직원·전문가 협력시스템으로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강화하고, 해외에서도 이 점을 선보이며 ‘한국의 베이커맥켄지(미국계 다국적 로펌)’가 아닌 ‘글로벌 대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연내 뉴욕사무소 오픈
중앙일보
2024-03-21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연내 뉴욕사무소 오픈
[대륜]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연내 뉴욕사무소 오픈
직영점 형태 전국 36개 사무소 운영국내외 기업 법률자문 서비스 확대의뢰인 보호 위해 경호그룹도 신설 법무법인 대륜의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이다. 올해 중으로 미국 뉴욕사무소를 오픈하는 것을 계기로 다양한 분야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법률시장 자체를 확장하겠다는 목표다.올해부터 자문 분야 서비스를 확대한 게 그 시작이다. 해외에서 활동하고 바이어 대응 경험이 있는 변호사들을 뽑아 국내외 기업들의 법률자문 서비스를 매끄럽게 연결해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판사와 대기업을 거치며 산업안전보건법·노동법·영업비밀침해 등 기업법무에 정통한 원형일(사법연수원 28기)변호사를 지난 1월 영입한 것을 시작으로 국제분쟁·국제거래 분야도 점차 늘릴 계획이다. 이달 말 본사를 여의도 파크원 35층으로 옮기는 것도 새 출발을 염두에 뒀다. 김국일(24기) 대표변호사는 “현재 법률시장은 국내·해외 법률서비스가 칸막이로 막힌 형태라 상당히 제한이 많고, 국내 시장은 송무·기업자문에 국한된 면이 크다”며 “미국은 주치의처럼 개인이 ‘전담 변호사’를 두고 여러 가지 법률적 도움을 받는 서비스가 보편화돼있는데, 올해는 해외로든, 국내에서든 다양한 서비스 확장의 개척자가 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소속 변호사 225명, 국내 10위권 규모 성장대륜이 해외진출 및 서비스 확대로 눈을 돌린 건, 국내에서 대륜의 법률서비스가 닿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전국 분사무소를 충분히 열었다는 판단에서다. 가장 최근 문을 연 군산 사무소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 모세혈관처럼 뻗어있는 36개 분사무소가 ‘어디서든 접근성이 좋다’는 대륜이 갖는 자부심의 근간이다. 서울에만 본사를 포함해 사무소가 5곳이다. 2018년 문을 연 대륜은 3월 현재 기준 36개 사무소에서 소속 변호사 225명으로, 국내 10위권에 드는 규모로 성장했다. 자문 및 지원을 하는 다양한 전문가도 550명에 달한다.대륜은 작게는 변호사 3명이 일하는 목포 사무소부터 서울 본사까지 ‘어느 사무소에서든 동일한 퀄리티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서울 본사에서 소송을 진행하며 지켜야 할 매뉴얼을 정해놨기 때문이다. 자칫 사건이 몰려 기존 사건이 지연되는 걸 막기 위해, ‘종결 매뉴얼’을 따로 두고 사건을 제때 집중해서 마무리하도록 했다.김국일 대표변호사는 “통일된 매뉴얼이 있기 때문에, 지역의 아무리 작은 사건이라도 소홀하게 대응하는 법 없이 똑같은 소송대응을 기대할 수 있다”며 “좀 크고 복잡하거나, 전문적인 사건은 서울이나 인근 큰 사무소에서 협업할 변호사가 지정돼 함께 대응한다”고 설명했다.구속 사건에서 피고인 접견도 꽤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접견 시간을 잡기도 어려울뿐더러 구치소가 먼 경우 이동에만 몇 시간을 쓰는 일도 다반사다. 대륜은 구치소 인근 사무소에서 지원을 받아, 접견 업무를 함께 맡는 형태로 분업·협업하며 효율을 높인다. 가까운 만큼 주기적으로 수월하게 접견할 수 있고, 그만큼 의뢰인의 방어권을 지키는 데 유리하다.이런 시스템은 대륜의 모든 분사무소를 본사 ‘직영점’ 형태로 운영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변호사 채용은 물론 주요 사건 배당까지 본사가 직접 관리하며 필요한 경우 인력 지원과 배분 등을 조율한다. 일례로, 가장 작은 분사무소인 목포에 의뢰인 수십명, 수십억 규모의 사건이 들어왔을 때는 서울과 부산에서 변호사 여럿이 함께 투입돼 팀으로 일하기도 했다. 전국 고등법원이 있는 서울·대전·대구·부산·광주·수원이 거점 사무소의 역할을 하고, 인근 지역의 주요 사건 인력 지원과 사건 배분 등 실무를 맡는다. 각 거점 사무소마다 전문분야 변호사들이 있기 때문에 웬만한 사건은 거점 내에서 해결이 가능할 정도다. 포렌식·경호·전문변호사로 형사그룹 힘 더해형사 분야에선 전국 사무소에서 하루 40~50건, 월 1000건 이상 사건이 들어올 정도로 수임 규모가 늘어 형사전담그룹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특히 최근 중요도가 높아진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팀을 강화했다. 지난해 신설한 디지털포렌식팀에는 경력 10년 이상의 분석 인력 4명이 증거 분석에 힘을 보태고 있다. 경호그룹도 최근에 신설했다. 스토킹, 학교폭력 등 사건에 따라 의뢰인 등의 신변 보호가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사건 수임과 함께 안전확보도 한번에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그간 음주운전·교통사고·성범죄 등 세부 분야를 나눠 대응하고, 마약 등 전문가도 충원했다. 변호사협회에서 특정 종류의 사건을 평균의 2.5배 이상 수임한 변호사에게 부여하는 ‘특정변호사’에 김용태(30기)·최성호(34기)·심재국(변시2회)·박동일(변시8회)·권민경(변시8회)·신용훈(변시9회)가 선정되기도 했다.형사그룹의 구조도 싹 개편했다. 살인·기업횡령·성범죄 사건을 다수 맡아 높은 승소율을 기록하고 있는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21기) 변호사가 그룹장을 맡았다. 각 팀 총괄은 20년 이상 법조 경력을 가진 변호사가 맡는데, 마약류·범인은닉·특경법 위반 등 강력범죄를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28기) 변호사, 선거·마약·지식재산권 등 형사사건 베테랑인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18기) 변호사 등이 각 팀을 진두지휘한다. 수사대응팀도 신설해, 경찰서 수사관 출신을 다수 영입하고 모의조사실·법정 등으로 수사·재판 상황을 사전에 경험해볼 수 있게 했다. ‘핫한’ 분야에 특화된 변호사도 다수 영입최근 사건이 급증한 소위 ‘핫한’ 분야에 특화된 변호사도 여럿 영입했다. 올해 1월 합류한 김영수(군법무관 13회) 변호사는 해군법무과장, 군 부장판사를 거친 군사재판 전문가다. 공직선거법·미성년자성범죄·방화살인사건 등 굵직한 형사사건 변호를 다수 맡아 승소로 이끈 부장판사 출신 곽민섭(27기) 변호사도 대륜에 새로 둥지를 틀었다. 대륜은 총선 이후 쏟아질 선거사건을 대비해 선거대응TF도 운영하고 있다.김국일 대표변호사는 “대륜의 성장동력인 변호사·직원·전문가 협력시스템으로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강화하고, 해외에서도 이 점을 선보이며 ‘한국의 베이커맥켄지(미국계 다국적 로펌)’가 아닌 ‘글로벌 대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올해 키워드는 ‘글로벌’과 ‘확장’…연내 뉴욕사무소 오픈
스포츠서울 외
2024-03-18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법무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KEISA,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법무 MOU
전국 중소·중견기업 자문-에너지 관련 사업 추진 등 협력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15일 (사)한국전력산업중소사업자협회(KEISA)와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대응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조준호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매니저, KEISA 김지곤 회장, 박동원 자문위원이 참석했다.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일반 회원사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자문 △ESG, 에너지 관련 사업 추진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KEISA는 국내 전력 분야 중소·중견기업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비영리사단법인 인가를 받아 출범했다.특히 에너지 민간 중소·중견기업, 국내외 공기업 및 대기업, 중·대형 로펌 등이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조직을 구성했다.대륜은 기업의 최대 이슈인 중대재해처벌법, ESG 등과 관련해 중소·중견기업 사업장 특성에 맞춘 가이드라인을 신속하게 제시하고 사후 관리까지 나설 계획이다.김지곤 회장은 “대륜은 기존 KEISA 특별회원사 로펌과는 다른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로펌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지방 소재 회원사들이 더욱 다양한 법률서비스를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KEISA와 업무협약 및 특별회원 가입을 통해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전반적인 노동 이슈 공유 등으로 상호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협회 및 회원사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업무 영역에 법률자문을 아낌없이 지원해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되겠다”고 말했다.이어 “전국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어 회원사들이 가까운 곳에서 법률자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본사에서 전국 지원이 가능하도록 협업체계를 마련하고 있어 신속한 자문 및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대륜은 전국 36개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변호사 230인이 상주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유한) 대륜-KEISA,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법무 MOU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KEISA,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 법무 MOU 체결
스포츠서울 외
2024-03-18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법무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KEISA,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법무 MOU
전국 중소·중견기업 자문-에너지 관련 사업 추진 등 협력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15일 (사)한국전력산업중소사업자협회(KEISA)와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대응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서울본부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조준호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매니저, KEISA 김지곤 회장, 박동원 자문위원이 참석했다.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일반 회원사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자문 △ESG, 에너지 관련 사업 추진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KEISA는 국내 전력 분야 중소·중견기업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비영리사단법인 인가를 받아 출범했다.특히 에너지 민간 중소·중견기업, 국내외 공기업 및 대기업, 중·대형 로펌 등이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조직을 구성했다.대륜은 기업의 최대 이슈인 중대재해처벌법, ESG 등과 관련해 중소·중견기업 사업장 특성에 맞춘 가이드라인을 신속하게 제시하고 사후 관리까지 나설 계획이다.김지곤 회장은 “대륜은 기존 KEISA 특별회원사 로펌과는 다른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로펌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지방 소재 회원사들이 더욱 다양한 법률서비스를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KEISA와 업무협약 및 특별회원 가입을 통해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전반적인 노동 이슈 공유 등으로 상호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협회 및 회원사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업무 영역에 법률자문을 아낌없이 지원해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되겠다”고 말했다.이어 “전국 최다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어 회원사들이 가까운 곳에서 법률자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본사에서 전국 지원이 가능하도록 협업체계를 마련하고 있어 신속한 자문 및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대륜은 전국 36개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변호사 230인이 상주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유한) 대륜-KEISA,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법무 MOU파이낸셜뉴스 - 법무법인 대륜-KEISA,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등 기업 법무 MOU 체결
스포츠서울
2024-03-15
기업법무 법률자문
법무법인 대륜, 에스비일렉트릭·삼백태양광과 기업법무 법률자문 MOU 체결
“신재생에너지 등 사업 성장 위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에스비일렉트릭, 삼백태양광과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에스비일렉트릭 본사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조우리 책임변호사, 에스비일렉트릭 서석년 대표, 삼백태양광 김대견 대표, 김학조 본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에스비일렉트릭은 전기공사, RPS사업(태양광)컨설팅, 태양광발전소 구조물제조 및 설치업을 주요산업으로 하는 업체다.삼백태양광은 에스비일렉트릭 자회사로 에스비일렉트릭과 같은 업종이며 신재생에너지설비 제조에도 투자를 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고품질 법률서비스의 대중화를 선언하며 국내 10대 로펌으로 급등하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 중인 로펌이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에너지 사업과 관련한 법률 검토 △계약서 등 법률 자문 △공동사업을 위하여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에스비일렉트릭 서석년 대표는 “태양광 등 친환경 사업의 성장을 위해 이번 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며 “법적 분쟁 등에 도움을 받아 신재생에너지 사업 다각화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삼백태양광 김대견 대표는 “태양광 에너지는 현재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라며 “이번 협약이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신사업 개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법률적 자문을 제공하겠다”라며 “현재 대륜 내 기업·법무그룹을 두고 있으며 변호사를 포함해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이 함께 협업하고 있다.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에스비일렉트릭·삼백태양광과 기업법무 법률자문 MOU 체결
스포츠서울
2024-03-15
기업법무 법률자문
법무법인 대륜, 에스비일렉트릭·삼백태양광과 기업법무 법률자문 MOU 체결
“신재생에너지 등 사업 성장 위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에스비일렉트릭, 삼백태양광과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에스비일렉트릭 본사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조우리 책임변호사, 에스비일렉트릭 서석년 대표, 삼백태양광 김대견 대표, 김학조 본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에스비일렉트릭은 전기공사, RPS사업(태양광)컨설팅, 태양광발전소 구조물제조 및 설치업을 주요산업으로 하는 업체다.삼백태양광은 에스비일렉트릭 자회사로 에스비일렉트릭과 같은 업종이며 신재생에너지설비 제조에도 투자를 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고품질 법률서비스의 대중화를 선언하며 국내 10대 로펌으로 급등하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 중인 로펌이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에너지 사업과 관련한 법률 검토 △계약서 등 법률 자문 △공동사업을 위하여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에스비일렉트릭 서석년 대표는 “태양광 등 친환경 사업의 성장을 위해 이번 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며 “법적 분쟁 등에 도움을 받아 신재생에너지 사업 다각화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삼백태양광 김대견 대표는 “태양광 에너지는 현재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라며 “이번 협약이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신사업 개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법률적 자문을 제공하겠다”라며 “현재 대륜 내 기업·법무그룹을 두고 있으며 변호사를 포함해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들이 함께 협업하고 있다.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에스비일렉트릭·삼백태양광과 기업법무 법률자문 MOU 체결
리걸타임즈
2024-03-14
[노동] 현대제철 순천공장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41명에 '파견관계' 인정
[노동] 현대제철 순천공장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41명에 '파견관계' 인정
[대법] 기계정비 등 11명 제외 현대제철 지휘 · 명령 받아현대제철과 도급계약을 체결한 사내협력업체 소속으로 현대제철의 순천공장에서 냉연강판 생산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 근로자 41명이 현대제철과의 근로자파견관계가 인정되어 현대제철 직원으로 채용되게 되었다.대법원 제2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3월 12일 현대제철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52명이 "고용의 의사표시를 하고, 현대제철 정규직 근로자들이 받은 임금과의 차액 상당의 손해배상을 지급하라"며 현대제철을 상대로 낸 소송의 상고심(2019다28966 등)에서 "원고들 중 11명을 제외한 41명과 피고는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며 "현대제철은 이들 41명에게 고용의 의사표시를 하라"고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다만, 기계정비와 전기정비의 레벨 0 업무, 유틸리티 시설 유지 · 관리 업무를 수행한 근로자 11명에 대해선, "피고로부터 지휘 · 명령을 받는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근로자파견관계를 인정한 원심을 깨고, 해당 부분 사건을 광주고법에 환송했다.대법원은 "원심은 원고들(41명)이 피고의 사내협력업체에 고용되어 해당 원고들이 주장하는 고용의무 발생의 요건이 되는 기간 또는 시점 동안 피고의 순천공장에서 냉연강판 등의 생산에 필요한 지원공정 업무나 차량경량화 제품 생산공정 업무를 수행한 것이 피고로부터 지휘 · 명령을 받는 근로자파견관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며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근로자파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잘못이 없다"고 밝혔다.대법원은 원심을 인용, "원고들을 포함하여 사내협력업체의 근로자들은 피고 순천공장의 냉연강판 등 생산과정의 일부라 볼 수 있는 공정에서 비교적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면서 피고로부터 작업수행에 관한 지시나 감독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피고는 상세한 내용의 작업표준 등을 작성하여 사내협력업체에 교부하였고,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은 피고가 정해주는 작업방법, 작업순서, 작업내용, 작업속도, 작업장소를 위반하거나 임의로 변경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또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이 수행한 업무는 순천공장의 냉연강판 등 생산과정의 흐름과 연동되어 함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업무시간과 휴게시간이 피고의 근로자들과 동일하게 정해지는 등 각 공정별로 피고의 근로자들과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은 사실상 하나의 작업집단을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피고는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인사, 근태상황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이고, 사내협력업체가 폐업하고 새로운 사내협력업체가 도급계약을 체결하여 업무를 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인 작업 내용의 변경 없이 기존 근로자를 승계하여 기존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는 등 사내협력업체가 소속 근로자들에게 업무배치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였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항소심 재판부에 따르면, 사내협력업체들은 해당 도급업무에 관한 전문성과 기술력이나 업무수행에 필요한 물적 시설과 고정자산을 갖추지 않은 채 순천공장에서만 사업을 영위하였고, 대부분은 현대제철과의 용역도급계약을 위하여 설립되었다가 계약이 해지된 후에는 곧바로 폐업했다.상고심에서 김기덕 변호사와 법무법인 대륜이 원고들을 대리했다. 현대제철은 법무법인 지평이 대리했다. [기사전문보기] - [노동] 현대제철 순천공장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41명에 '파견관계' 인정
리걸타임즈
2024-03-14
[노동] 현대제철 순천공장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41명에 '파견관계' 인정
[노동] 현대제철 순천공장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41명에 '파견관계' 인정
[대법] 기계정비 등 11명 제외 현대제철 지휘 · 명령 받아현대제철과 도급계약을 체결한 사내협력업체 소속으로 현대제철의 순천공장에서 냉연강판 생산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 근로자 41명이 현대제철과의 근로자파견관계가 인정되어 현대제철 직원으로 채용되게 되었다.대법원 제2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3월 12일 현대제철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52명이 "고용의 의사표시를 하고, 현대제철 정규직 근로자들이 받은 임금과의 차액 상당의 손해배상을 지급하라"며 현대제철을 상대로 낸 소송의 상고심(2019다28966 등)에서 "원고들 중 11명을 제외한 41명과 피고는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며 "현대제철은 이들 41명에게 고용의 의사표시를 하라"고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다만, 기계정비와 전기정비의 레벨 0 업무, 유틸리티 시설 유지 · 관리 업무를 수행한 근로자 11명에 대해선, "피고로부터 지휘 · 명령을 받는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근로자파견관계를 인정한 원심을 깨고, 해당 부분 사건을 광주고법에 환송했다.대법원은 "원심은 원고들(41명)이 피고의 사내협력업체에 고용되어 해당 원고들이 주장하는 고용의무 발생의 요건이 되는 기간 또는 시점 동안 피고의 순천공장에서 냉연강판 등의 생산에 필요한 지원공정 업무나 차량경량화 제품 생산공정 업무를 수행한 것이 피고로부터 지휘 · 명령을 받는 근로자파견관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며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근로자파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잘못이 없다"고 밝혔다.대법원은 원심을 인용, "원고들을 포함하여 사내협력업체의 근로자들은 피고 순천공장의 냉연강판 등 생산과정의 일부라 볼 수 있는 공정에서 비교적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면서 피고로부터 작업수행에 관한 지시나 감독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피고는 상세한 내용의 작업표준 등을 작성하여 사내협력업체에 교부하였고,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은 피고가 정해주는 작업방법, 작업순서, 작업내용, 작업속도, 작업장소를 위반하거나 임의로 변경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또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이 수행한 업무는 순천공장의 냉연강판 등 생산과정의 흐름과 연동되어 함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업무시간과 휴게시간이 피고의 근로자들과 동일하게 정해지는 등 각 공정별로 피고의 근로자들과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은 사실상 하나의 작업집단을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피고는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인사, 근태상황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이고, 사내협력업체가 폐업하고 새로운 사내협력업체가 도급계약을 체결하여 업무를 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인 작업 내용의 변경 없이 기존 근로자를 승계하여 기존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는 등 사내협력업체가 소속 근로자들에게 업무배치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였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항소심 재판부에 따르면, 사내협력업체들은 해당 도급업무에 관한 전문성과 기술력이나 업무수행에 필요한 물적 시설과 고정자산을 갖추지 않은 채 순천공장에서만 사업을 영위하였고, 대부분은 현대제철과의 용역도급계약을 위하여 설립되었다가 계약이 해지된 후에는 곧바로 폐업했다.상고심에서 김기덕 변호사와 법무법인 대륜이 원고들을 대리했다. 현대제철은 법무법인 지평이 대리했다. [기사전문보기] - [노동] 현대제철 순천공장 사내협력업체 근로자 41명에 '파견관계' 인정
머니투데이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
창업 계약 등 법률 정보 지원…분쟁 대응 조력도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달 28일 사단법인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업무협약식에는 곽민섭 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와 위태겸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 회장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대륜은 창업지원사업과 관련하여 법률 정보를 지원하고 각종 분쟁 등에 대응한다.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는 창업 유관기관과 협업하여 창업 활성화에 나선다.특히 대륜과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는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을 개최하여 지역 실정에 맞는 창업지원을 위한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 대륜은 대기업·공공기관 법률자문단 등 기업법무에 특화된 변호사들로 구성된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창업에 필요한 모든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는 "현재 대륜은 각 분야별 그룹을 보유하고 있어 기업법무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도 대응할 수 있다"며 "대륜 내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를 도와 지역 창업 사업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위태겸 회장은 "창업 시 많은 법률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며 "대륜과 협약을 맺은 만큼 법적으로 문제될 만한 모든 부분에 도움을 받고자 한다. 지역 창업 생태계 조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기대가 크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선진화된 디지털 협업 체계를 통해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
머니투데이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
창업 계약 등 법률 정보 지원…분쟁 대응 조력도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달 28일 사단법인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업무협약식에는 곽민섭 법무법인 대륜 최고총괄변호사와 위태겸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 회장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대륜은 창업지원사업과 관련하여 법률 정보를 지원하고 각종 분쟁 등에 대응한다.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는 창업 유관기관과 협업하여 창업 활성화에 나선다.특히 대륜과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는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을 개최하여 지역 실정에 맞는 창업지원을 위한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 대륜은 대기업·공공기관 법률자문단 등 기업법무에 특화된 변호사들로 구성된 기업법무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창업에 필요한 모든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는 "현재 대륜은 각 분야별 그룹을 보유하고 있어 기업법무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도 대응할 수 있다"며 "대륜 내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를 도와 지역 창업 사업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위태겸 회장은 "창업 시 많은 법률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며 "대륜과 협약을 맺은 만큼 법적으로 문제될 만한 모든 부분에 도움을 받고자 한다. 지역 창업 생태계 조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기대가 크다"고 전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선진화된 디지털 협업 체계를 통해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광주전남창업지원사업협회와 법률자문 MOU
스포츠서울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HM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HM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역량 강화 기대 법무법인(유한)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지난 8일 에이치엠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 날 업무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한민영 부대표, 안승진 총괄본부장,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신용학 매니저, HM컴퍼니 조근호 대표, 이용훈 부대표, 박재현 상무, 박명찬 이사가 참석했다.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은 자체 포렌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탐정 자격을 취득한 전문 조사관들이 소속되어 있다. 의뢰인의 필요에 따라 사건 초기단계에서부터 증거수집을 직접 진행하고 있다.에이치엠컴퍼니는 디지털포렌식 기술을 활용한 내부 감사 및 컴플라이언스 리스크 진단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자체 기술연구소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리뷰 플랫폼, 메신저 복호화 솔루션, 이미징 장비 등을 개발하여 다양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이번 업무협약은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보유한 전문 인력 및 기술력에 에이치엠컴퍼니의 경험과 기술력 및 역량을 접목해 증가하는 기업의 디지털포렌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 마련했다.또한,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뿐만 아니라 각종 민·형사 사건에서도 더욱 신속하고 전문적인 증거수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조근호 대표는 “다양한 규제 기관들이 기업들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수사·조사를 수행하는 경우가 급증했다”며 “디지털포렌식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 소통하며 아낌없이 역량을 공유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각종 기업, 형사사건에서 디지털포렌식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마련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추진했다”며 “에이치엠컴퍼니와의 정보 공유 및 공동 세미나, 교육 등을 추진해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HM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
스포츠서울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HM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HM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역량 강화 기대 법무법인(유한)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지난 8일 에이치엠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 날 업무협약식에는 법무법인 대륜 김국일 대표, 한민영 부대표, 안승진 총괄본부장,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신용학 매니저, HM컴퍼니 조근호 대표, 이용훈 부대표, 박재현 상무, 박명찬 이사가 참석했다.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은 자체 포렌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탐정 자격을 취득한 전문 조사관들이 소속되어 있다. 의뢰인의 필요에 따라 사건 초기단계에서부터 증거수집을 직접 진행하고 있다.에이치엠컴퍼니는 디지털포렌식 기술을 활용한 내부 감사 및 컴플라이언스 리스크 진단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자체 기술연구소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리뷰 플랫폼, 메신저 복호화 솔루션, 이미징 장비 등을 개발하여 다양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이번 업무협약은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보유한 전문 인력 및 기술력에 에이치엠컴퍼니의 경험과 기술력 및 역량을 접목해 증가하는 기업의 디지털포렌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 마련했다.또한, 법무법인 대륜은 기업뿐만 아니라 각종 민·형사 사건에서도 더욱 신속하고 전문적인 증거수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조근호 대표는 “다양한 규제 기관들이 기업들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수사·조사를 수행하는 경우가 급증했다”며 “디지털포렌식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 소통하며 아낌없이 역량을 공유하겠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각종 기업, 형사사건에서 디지털포렌식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마련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추진했다”며 “에이치엠컴퍼니와의 정보 공유 및 공동 세미나, 교육 등을 추진해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HM컴퍼니와 디지털포렌식 분야 상호 협력 MOU
데일리안 외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하이플과 의료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하이플과 의료법률자문 MOU 체결
대륜, 임직원 법률상담·국제거래 법률자문·사내 인사 및 노무 자문 예정공정거래법·근로기준법·산업안전보건법 포함 주요 법적 이슈도 관리대륜 김국일 대표 "하이플과 현안 논의 이어가며…상생 발전 이루겠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주식회사 하이플과 상생 발전을 위한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11일 대륜은 서울 본사인 KDB 생명타워에서 진행된 협약식에 대륜의 김국일 대표, 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와 주식회사 하이플 조재민 대표이사가 참석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주식회사 하이플은 의약품 도매업을 영위하는 원료의약품 분야 선도회사다. 의약품 연구개발과 제조, 유통을 통해 국내외 제약사에 원료를 공급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임직원 법률상담 ▲국제거래 관련 법률자문 ▲인증 및 특허에 대한 검토 ▲사내 인사·노무 자문 ▲민·형사상 소송 대리 등을 지원한다.뿐만 아니라 대륜은 의료, 기업법무 지식재산권, 공정거래, 관세·국제통상 등 각 분야 특화그룹을 활용해 전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법률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이외에도 공정거래법,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주요 법적 이슈를 관리하고, 해외 투자 관련 현지 법률 위반 여부 검토에도 나설 계획이다.대륜 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는 "공정거래, 중대재해 등 지속적인 이슈가 나오고 있어 이에 대한 중점적인 법률자문 지원을 할 것"이라며 "국제 계약, 해외투자 등에 나서고 있는 하이플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하이플 조재민 대표이사는 "미국, 일본, 유럽 선진국들의 규제를 총 집합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국내 의약품 규제가 매우 심하다. 여러 과정에서 일탈 등의 문제가 다른 직무보다 많은 곳이 의약업계"라며 "대륜의 법적 지원으로 공정거래, 중복거래규제, 동인당 제약 인수하고 나서의 구조조정 전략기획 등에 있어 업무 효율성이 증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의 의료전문그룹은 의약품 관련 사건·사고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연계 사건도 유연하게 풀어갈 수 있는 민·형사 등 각종 전문그룹도 운영하고 있다"며 "하이플 측과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안, 기업 자문 분야 확대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며 상생 발전을 이룰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하이플과 의료법률자문 MOU 체결라포르시안 -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과 ‘의료 법률 자문’ 업무협약 체결
데일리안 외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하이플과 의료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하이플과 의료법률자문 MOU 체결
대륜, 임직원 법률상담·국제거래 법률자문·사내 인사 및 노무 자문 예정공정거래법·근로기준법·산업안전보건법 포함 주요 법적 이슈도 관리대륜 김국일 대표 "하이플과 현안 논의 이어가며…상생 발전 이루겠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주식회사 하이플과 상생 발전을 위한 법률자문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11일 대륜은 서울 본사인 KDB 생명타워에서 진행된 협약식에 대륜의 김국일 대표, 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와 주식회사 하이플 조재민 대표이사가 참석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주식회사 하이플은 의약품 도매업을 영위하는 원료의약품 분야 선도회사다. 의약품 연구개발과 제조, 유통을 통해 국내외 제약사에 원료를 공급하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임직원 법률상담 ▲국제거래 관련 법률자문 ▲인증 및 특허에 대한 검토 ▲사내 인사·노무 자문 ▲민·형사상 소송 대리 등을 지원한다.뿐만 아니라 대륜은 의료, 기업법무 지식재산권, 공정거래, 관세·국제통상 등 각 분야 특화그룹을 활용해 전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법률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이외에도 공정거래법,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주요 법적 이슈를 관리하고, 해외 투자 관련 현지 법률 위반 여부 검토에도 나설 계획이다.대륜 원형일 최고총괄변호사는 "공정거래, 중대재해 등 지속적인 이슈가 나오고 있어 이에 대한 중점적인 법률자문 지원을 할 것"이라며 "국제 계약, 해외투자 등에 나서고 있는 하이플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하이플 조재민 대표이사는 "미국, 일본, 유럽 선진국들의 규제를 총 집합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국내 의약품 규제가 매우 심하다. 여러 과정에서 일탈 등의 문제가 다른 직무보다 많은 곳이 의약업계"라며 "대륜의 법적 지원으로 공정거래, 중복거래규제, 동인당 제약 인수하고 나서의 구조조정 전략기획 등에 있어 업무 효율성이 증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대륜의 의료전문그룹은 의약품 관련 사건·사고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연계 사건도 유연하게 풀어갈 수 있는 민·형사 등 각종 전문그룹도 운영하고 있다"며 "하이플 측과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안, 기업 자문 분야 확대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며 상생 발전을 이룰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주식회사 하이플과 의료법률자문 MOU 체결라포르시안 - 법무법인 대륜, 하이플과 ‘의료 법률 자문’ 업무협약 체결
아이뉴스24 외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업무협약
도시정비 사업 성장 위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을 비롯한 다분야의 기업법무 관련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1일 대륜에 따르면 지난 10일 건은도시정비시스템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에는 박성동 대륜 최고총괄변호사, 김성건 건은도시정비시스템 대표이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건은도시정비시스템은 정비사업에 있어 전반적인 사업관리를 담당하는 정비사업전문관리 기업으로 조합설립과 각종인허가,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인가 등을 전문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조합 정비사업의 분쟁 대응 △정비사업과 관련한 법률 검토 △정비사업 문제 사전 방지 및 예측 △각종 계약서 등 법률 자문 △공동사업을 위해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김성건 건은도시정비시스템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으로 조합 정비사업의 분쟁 또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정비사업 추진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법률적 도움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박성동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는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어 감회가 새롭다”면서 “대륜에서는 정비사업을 넘어 각종 사업 수행에 차질이 없도록 법률적 자문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이뉴스24 - 법무법인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업무협약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MOU
아이뉴스24 외
2024-03-13
법무법인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업무협약
도시정비 사업 성장 위한 법적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을 비롯한 다분야의 기업법무 관련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1일 대륜에 따르면 지난 10일 건은도시정비시스템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에는 박성동 대륜 최고총괄변호사, 김성건 건은도시정비시스템 대표이사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건은도시정비시스템은 정비사업에 있어 전반적인 사업관리를 담당하는 정비사업전문관리 기업으로 조합설립과 각종인허가,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인가 등을 전문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조합 정비사업의 분쟁 대응 △정비사업과 관련한 법률 검토 △정비사업 문제 사전 방지 및 예측 △각종 계약서 등 법률 자문 △공동사업을 위해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김성건 건은도시정비시스템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으로 조합 정비사업의 분쟁 또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정비사업 추진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법률적 도움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박성동 대륜 최고총괄변호사는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어 감회가 새롭다”면서 “대륜에서는 정비사업을 넘어 각종 사업 수행에 차질이 없도록 법률적 자문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아이뉴스24 - 법무법인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업무협약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은도시정비시스템과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MOU
아시아경제
2024-03-13
법무법인(유한) 대륜, ‘2024 선거대응TF’ 구성… 공직선거법 전문 변호사 중심
법무법인(유한) 대륜, ‘2024 선거대응TF’ 구성… 공직선거법 전문 변호사 중심
다수의 공직선거법 사건 수행 경험 토대로 전국 대응 체계 마련"전관 변호사 및 전문가 협업… 신속한 대응 강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오는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응하기 위해 ‘2024 선거대응TF’를 별도로 구성해 전문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지난 2월 출범한 선거대응TF는 기존 형사그룹 및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소속 전문 변호사 및 전문가 중 선거 관련 사건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등에 전문성이 있는 인원을 별도로 선별해 구성했다.선거대응 TF 구성원은 모두 오랜 법조 경력을 갖춘 법원, 검찰, 경찰 출신으로, 다양한 사건 대응 경험을 갖추고 있다.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를 역임한 김인원 최고총괄변호사가 팀장, 김국일 대표가 부팀장을 맡았다.특히 대륜은 전국 36개 최다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을 활용, 지역 소재 사무소에 상주하는 전관 변호사들을 팀원에 포함시켜 전국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팀원으로는 ▲나창수, 박성동 최고총괄변호사, 김영민 총괄변호사(서울) ▲서봉하 최고총괄변호사(수원) ▲김은영 최고총괄변호사(고양) ▲손순혁 최고총괄변호사(대구) ▲강형윤 최고총괄변호사(대전)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광주) ▲김진원, 김근수, 이일권 최고총괄변호사(부산) 등이 합류했다.모든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고 있는 대륜은 이번 선거사범 관리 역시 본사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시스템을 마련했다.이들과 함께 수사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는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협업하고 있다.포렌식그룹이 보유한 역량과 기술을 활용해 여론 동향 분석 등을 마쳤고, 4·10 총선 관련 법·판례 검토를 마무리해 원스톱 법률서비스 전략을 수립했다.공직선거법상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확정받으면 의원직을 상실하게 된다.대륜 선거대응TF는 ▲선거준비·선거운동 단계의 법률자문 ▲공직선거법 위반에 대한 조사, 고소 및 고발 활동 ▲공직선거법 피의사건에 관한 수사·재판 과정에서의 변론 활동 ▲허위사실 유포 대응 등 분야별로 상황에 맞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그동안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관한 전문적인 변론 활동을 통해 의뢰인의 권리 보호에 앞장서 왔다.대표적인 사례로 A시 의원의 기부행위 제한 위반으로 인한 공직선거법 위반 방어 사건, B시 의원의 선거운동 기간 중 사조직 설립·설치로 인한 공직선거법 위반 방어 사건, C시 국회의원 당선자 선거운동 방해 공직선거법 위반 방어 사건 등이 있다.올해 4·10 총선과 관련해서는 전문적인 자문 활동을 통해 의뢰인이 공직선거법 위반 상황을 걱정하지 않고, 온전히 선거운동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있다.김국일 대표는 "전국에서 발생하는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맡으면서 누구보다 많은 데이터와 실무 경험을 쌓아 왔다"며 "전문성을 갖춘 법원, 검찰, 경찰 출신의 전문가들이 협업해 하나의 사건을 처리하게 함으로써 의뢰인의 권리 보호에 어느 로펌보다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2024 선거대응TF’ 구성… 공직선거법 전문 변호사 중심
아시아경제
2024-03-13
법무법인(유한) 대륜, ‘2024 선거대응TF’ 구성… 공직선거법 전문 변호사 중심
법무법인(유한) 대륜, ‘2024 선거대응TF’ 구성… 공직선거법 전문 변호사 중심
다수의 공직선거법 사건 수행 경험 토대로 전국 대응 체계 마련"전관 변호사 및 전문가 협업… 신속한 대응 강점"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오는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응하기 위해 ‘2024 선거대응TF’를 별도로 구성해 전문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지난 2월 출범한 선거대응TF는 기존 형사그룹 및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 소속 전문 변호사 및 전문가 중 선거 관련 사건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등에 전문성이 있는 인원을 별도로 선별해 구성했다.선거대응 TF 구성원은 모두 오랜 법조 경력을 갖춘 법원, 검찰, 경찰 출신으로, 다양한 사건 대응 경험을 갖추고 있다.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를 역임한 김인원 최고총괄변호사가 팀장, 김국일 대표가 부팀장을 맡았다.특히 대륜은 전국 36개 최다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을 활용, 지역 소재 사무소에 상주하는 전관 변호사들을 팀원에 포함시켜 전국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팀원으로는 ▲나창수, 박성동 최고총괄변호사, 김영민 총괄변호사(서울) ▲서봉하 최고총괄변호사(수원) ▲김은영 최고총괄변호사(고양) ▲손순혁 최고총괄변호사(대구) ▲강형윤 최고총괄변호사(대전)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광주) ▲김진원, 김근수, 이일권 최고총괄변호사(부산) 등이 합류했다.모든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고 있는 대륜은 이번 선거사범 관리 역시 본사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시스템을 마련했다.이들과 함께 수사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는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협업하고 있다.포렌식그룹이 보유한 역량과 기술을 활용해 여론 동향 분석 등을 마쳤고, 4·10 총선 관련 법·판례 검토를 마무리해 원스톱 법률서비스 전략을 수립했다.공직선거법상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확정받으면 의원직을 상실하게 된다.대륜 선거대응TF는 ▲선거준비·선거운동 단계의 법률자문 ▲공직선거법 위반에 대한 조사, 고소 및 고발 활동 ▲공직선거법 피의사건에 관한 수사·재판 과정에서의 변론 활동 ▲허위사실 유포 대응 등 분야별로 상황에 맞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륜은 그동안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관한 전문적인 변론 활동을 통해 의뢰인의 권리 보호에 앞장서 왔다.대표적인 사례로 A시 의원의 기부행위 제한 위반으로 인한 공직선거법 위반 방어 사건, B시 의원의 선거운동 기간 중 사조직 설립·설치로 인한 공직선거법 위반 방어 사건, C시 국회의원 당선자 선거운동 방해 공직선거법 위반 방어 사건 등이 있다.올해 4·10 총선과 관련해서는 전문적인 자문 활동을 통해 의뢰인이 공직선거법 위반 상황을 걱정하지 않고, 온전히 선거운동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있다.김국일 대표는 "전국에서 발생하는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맡으면서 누구보다 많은 데이터와 실무 경험을 쌓아 왔다"며 "전문성을 갖춘 법원, 검찰, 경찰 출신의 전문가들이 협업해 하나의 사건을 처리하게 함으로써 의뢰인의 권리 보호에 어느 로펌보다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2024 선거대응TF’ 구성… 공직선거법 전문 변호사 중심
세계일보
2024-03-07
의대 교수들, 정부 상대로 증원 취소소송 제기… 쟁점은? [‘의료대란’ 비상]
의대 교수들, 정부 상대로 증원 취소소송 제기… 쟁점은? [‘의료대란’ 비상]
아직 발표·계획 단계 머물러 있어교수협 ‘원고 자격’ 인정도 어려워경찰, 주수호 위원장 피의자 소환주 위원장 “혐의 사실 인정 안 해”경찰이 대한의사협회 관련 고소·고발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의협 전·현직 간부들에 대한 줄소환을 시작하는 한편 의협 집회에 제약회사 직원이 강제로 동원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진위를 확인할 예정이다. 의과대학 교수들 역시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취소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이번 소송이 법원의 판단을 받지 못한 채 각하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6일 주수호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을 교사하거나 방조했는지 등을 조사했다. 10시간 가량의 경찰 조사를 받고 나온 주 위원장은 “혐의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며 “나와 함께 소환되는 (의협) 관계자들과의 관계나 의혹 전반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주 위원장은 공공범죄수사대에 들어가기 전 기자회견을 열고 “(전공의 집단 사직을) 교사한 적이 없기 때문에 교사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면서 “MZ(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세대는 신인류다. 선배들이 이러쿵저러쿵한다고 따르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찰은 주 위원장을 시작으로 보건복지부가 고발한 의협 전·현직 간부들을 연달아 조사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제약회사 직원 집회 동원 의혹’에 대한 수사도 곧 시작될 전망이다. 전날 의협은 서울청에 정보통신망법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성명불상자 A씨를 고소했다. 정부의 사법 조치에 맞서 전국 33개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대표는 전날 서울행정법원에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2025학년도 의대 2000명 증원 취소소송을 제기했다. 본안 소송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집행을 정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도 냈다. 교수협의회 측은 크게 의대 증원 처분의 주체와 절차, 그 내용이 위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먼저 복지부 장관은 고등교육법상 대학교 입학 정원을 결정할 권한이 없는데 정원 확대를 늘렸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절차를 생략했고, 내용에서도 의료 분야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근거를 바탕으로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법조계에서는 의대 교수들의 주장과 달리, 우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가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 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판례상 행정처분은 ‘행정청이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법집행으로 국민의 권리의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공권력의 행사’여야 하는데, 정부의 정원 확대 방침은 아직 발표나 계획 단계에 머물러 있어 ‘행정처분성’이 없다는 것이다. 교수협의회가 원고로서 적합한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최현덕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취소소송 원고는 권리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람이어야 하는데 의대교수와 의대 증원이 이런 관계에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의대 교수들, 정부 상대로 증원 취소소송 제기… 쟁점은? [‘의료대란’ 비상]교수들이 제기한 ‘의대 증원 취소’ 가능할까… “각하 가능성 높아”
세계일보
2024-03-07
의대 교수들, 정부 상대로 증원 취소소송 제기… 쟁점은? [‘의료대란’ 비상]
의대 교수들, 정부 상대로 증원 취소소송 제기… 쟁점은? [‘의료대란’ 비상]
아직 발표·계획 단계 머물러 있어교수협 ‘원고 자격’ 인정도 어려워경찰, 주수호 위원장 피의자 소환주 위원장 “혐의 사실 인정 안 해”경찰이 대한의사협회 관련 고소·고발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의협 전·현직 간부들에 대한 줄소환을 시작하는 한편 의협 집회에 제약회사 직원이 강제로 동원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진위를 확인할 예정이다. 의과대학 교수들 역시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취소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이번 소송이 법원의 판단을 받지 못한 채 각하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6일 주수호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을 교사하거나 방조했는지 등을 조사했다. 10시간 가량의 경찰 조사를 받고 나온 주 위원장은 “혐의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며 “나와 함께 소환되는 (의협) 관계자들과의 관계나 의혹 전반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주 위원장은 공공범죄수사대에 들어가기 전 기자회견을 열고 “(전공의 집단 사직을) 교사한 적이 없기 때문에 교사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면서 “MZ(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세대는 신인류다. 선배들이 이러쿵저러쿵한다고 따르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찰은 주 위원장을 시작으로 보건복지부가 고발한 의협 전·현직 간부들을 연달아 조사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제약회사 직원 집회 동원 의혹’에 대한 수사도 곧 시작될 전망이다. 전날 의협은 서울청에 정보통신망법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성명불상자 A씨를 고소했다. 정부의 사법 조치에 맞서 전국 33개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대표는 전날 서울행정법원에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2025학년도 의대 2000명 증원 취소소송을 제기했다. 본안 소송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집행을 정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도 냈다. 교수협의회 측은 크게 의대 증원 처분의 주체와 절차, 그 내용이 위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먼저 복지부 장관은 고등교육법상 대학교 입학 정원을 결정할 권한이 없는데 정원 확대를 늘렸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절차를 생략했고, 내용에서도 의료 분야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근거를 바탕으로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법조계에서는 의대 교수들의 주장과 달리, 우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가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 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판례상 행정처분은 ‘행정청이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법집행으로 국민의 권리의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공권력의 행사’여야 하는데, 정부의 정원 확대 방침은 아직 발표나 계획 단계에 머물러 있어 ‘행정처분성’이 없다는 것이다. 교수협의회가 원고로서 적합한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최현덕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취소소송 원고는 권리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람이어야 하는데 의대교수와 의대 증원이 이런 관계에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의대 교수들, 정부 상대로 증원 취소소송 제기… 쟁점은? [‘의료대란’ 비상]교수들이 제기한 ‘의대 증원 취소’ 가능할까… “각하 가능성 높아”
APnews
2024-03-05
의료법
What’s next for South Korean doctors who face license suspensions because of walkouts
SEOUL, South Korea (AP) — South Korea’s government is pressing ahead with its vow to suspend the licenses of thousands of junior doctors who ignore its repeated demands to end their collective walkouts. Nearly 9,000 out of the country’s 13,000 medical interns and residents have been refusing to work for about two weeks to protest a government plan to increase South Korea’s medical school admission quota by about two thirds. Here are some questions and answers about what’s next in the strike: HOW DOES THE SUSPENSION WORK?After their walkouts caused hundreds of surgeries and other treatments to be canceled, the government ordered the junior doctors to return to work by Feb. 29 or face license suspensions and possible legal charges. Most of them missed the deadline. On Monday, the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s to about 50 hospitals to formally confirm the absence of striking doctors, before informing them of their license suspensions and giving them a chance to respond. Vice Health Minister Park Min-soo said the doctors face a minimum three-month suspension. Suspension records will leave them facing more than one year of delay in getting licenses for specialists and further barriers in landing jobs, Park said. Park suggested it would take weeks to complete procedures for suspending licenses. Once it’s done, some striking doctors will likely respond with legal action. Hyeondeok Choi, partner at the law firm Daeryun that specializes in medical law, said it would be “impossible” for the government to suspend the licenses of all the 9,000 doctors. He said the government would likely target less than 100 of the leading strikers.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which represents 140,000 doctors in South Korea, said it supports the junior doctors’ walkouts. Joo Sooho, a spokesperson at the KMA’s emergency committee, said Monday that senior doctors are considering economic support for the strikers if their licenses are suspended. WHAT OTHER STEPS THE STRIKERS CAN FACE?South Korea’s medical law says doctors who refuse the government’s back-to-work order can face up to three years in prison or a 30 million won ($22,480) fine, as well as up to one year of license suspensions. Those sent to prison or given even suspended prison sentences automatically lose their licenses. The Health Ministry can file complaints with police, who then investigate and hand the case to prosecutors for a possible indictment, according to Choi, the law firm partner. Joo said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will provide lawyers to the striking doctors if they are summoned by police or prosecutors. South Korean police said they are investigating five senior members of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after the Health Ministry filed complaints against them for allegedly inciting and abetting the junior doctors’ walkouts. WHAT DO PEOPLE SAY?The doctors’ strikes have so far failed to generate public support, with a survey showing about 80% backing the government’s school enrollment plan. The government says South Korea urgently needs more doctors to deal with a rapidly aging population. Many doctors say a too-steep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ould eventually result in undermining medical service. Some critics say doctors, one of the highest-paid professions in South Korea, worry about losing their income. Lee Yeonha, 40, said the striking doctors were “too selfish” and a three-month license suspension is too little. “I wish the government would take more powerful legal action to get the doctors to fear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work as doctors in this country,” Lee said. Another Seoul resident, Sunny Shin, supports the arguments by doctors that the government must first resolve fundamental problems such as a lack of medical liability protection and a shortage of physicians in key yet low-paying specialties such as pediatrics and emergency departments. “As long as the crucial sector doctors are likely to be embroiled in lawsuits and still not highly paid, I cannot blame them for protesting against the government labeling them as privileged people neglecting their duties as doctors,” Shin said. [번역] 한국 서울(AP) — 한국 정부는 집단 파업을 중단하라는 반복적인 요구를 무시하는 수천 명의 후배 의사들의 면허를 정지하겠다는 공약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의과대학 전공의 13,000명 중 약 9,000명이 한국의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약 3분의 2로 늘리려는 정부 계획에 항의하기 위해 약 2주 동안 출근을 거부해 왔습니다. 다음은 파업의 다음 단계에 관한 몇 가지 질문과 답변입니다. 서스펜션은 어떻게 작동하나요?파업으로 인해 수백 건의 수술과 기타 치료가 취소된 후, 정부는 하급 의사들에게 2월 29일까지 직장에 복귀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면허 정지 및 법적 고발을 당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마감일을 놓쳤습니다. 정부는 월요일 약 50개 병원에 공무원을 파견해 파업 의사가 없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뒤 이들에게 면허 정지 사실을 알리고 대응 기회를 줬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의사들이 최소 3개월의 자격정지 처분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직 기록으로 인해 전문가 자격증 취득이 1년 이상 지연되고 취업에 더 많은 장벽이 생길 것이라고 박씨는 말했습니다. 박씨는 면허 정지 절차를 완료하는 데 몇 주가 걸릴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일단 완료되면 일부 파업 의사는 법적 조치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료법 전문 법무법인 대륜의 최현덕 파트너는 정부가 의사 9000명 전원의 면허를 정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주요 파업 참가자 중 100명 미만을 목표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대한민국 의사 14만 명을 대표하는 대한의사협회는 후배 의사들의 파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의협 주수호 비상대책본부 대변인은 월요일 고위 의사들이 파업자들에게 면허가 정지될 경우 경제적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트라이커가 직면할 수 있는 다른 단계는 무엇입니까?한국 의료법에 따르면 정부의 업무복귀 명령을 거부하는 의사는 최대 3년의 징역 또는 3천만원(22,480달러)의 벌금, 최대 1년의 면허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감옥에 갇히거나 심지어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사람은 자동으로 면허를 상실합니다. 법무법인 최 변호사에 따르면 보건부는 경찰에 고발장을 제출한 뒤 경찰이 사건을 조사한 뒤 기소 가능성이 있는 검찰에 넘길 수 있다고 한다. 주씨는 대한의사협회가 경찰이나 검찰이 소환할 경우 파업 의사들에게 변호사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후배 의사들의 파업을 선동·방조한 혐의로 보건복지부가 고발한 대한의사협회 고위 간부 5명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람들은 뭐라고 말하나요?의사들의 파업은 지금까지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80%가 정부의 학교 등록 계획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한국이 급속히 고령화되는 인구에 대처하기 위해 더 많은 의사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많은 의사들은 학생 수를 너무 가파르게 늘리면 결국 의료 서비스가 훼손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한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직업 중 하나인 의사들이 소득 손실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연하(40)씨는 파업 의사들이 “너무 이기적”이라며 면허정지 3개월은 너무 적다고 말했다. 이씨는 “의사들이 이 나라에서 의사로 일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정부가 더욱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서울 주민 써니신 씨는 정부가 의료 책임 보호 부족, 소아과, 응급실 등 핵심이지만 저임금 전문 분야의 의사 부족 등 근본적인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의사들의 주장을 지지합니다.신 교수는 “중요 분야 의사들이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고 여전히 높은 급여를 받지 못하는 이상, 정부가 의사로서의 직무를 소홀히 하는 특권층으로 낙인찍는 것에 항의하는 것을 비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What’s next for South Korean doctors who face license suspensions because of walkouts
APnews
2024-03-05
의료법
What’s next for South Korean doctors who face license suspensions because of walkouts
SEOUL, South Korea (AP) — South Korea’s government is pressing ahead with its vow to suspend the licenses of thousands of junior doctors who ignore its repeated demands to end their collective walkouts. Nearly 9,000 out of the country’s 13,000 medical interns and residents have been refusing to work for about two weeks to protest a government plan to increase South Korea’s medical school admission quota by about two thirds. Here are some questions and answers about what’s next in the strike: HOW DOES THE SUSPENSION WORK?After their walkouts caused hundreds of surgeries and other treatments to be canceled, the government ordered the junior doctors to return to work by Feb. 29 or face license suspensions and possible legal charges. Most of them missed the deadline. On Monday, the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s to about 50 hospitals to formally confirm the absence of striking doctors, before informing them of their license suspensions and giving them a chance to respond. Vice Health Minister Park Min-soo said the doctors face a minimum three-month suspension. Suspension records will leave them facing more than one year of delay in getting licenses for specialists and further barriers in landing jobs, Park said. Park suggested it would take weeks to complete procedures for suspending licenses. Once it’s done, some striking doctors will likely respond with legal action. Hyeondeok Choi, partner at the law firm Daeryun that specializes in medical law, said it would be “impossible” for the government to suspend the licenses of all the 9,000 doctors. He said the government would likely target less than 100 of the leading strikers.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which represents 140,000 doctors in South Korea, said it supports the junior doctors’ walkouts. Joo Sooho, a spokesperson at the KMA’s emergency committee, said Monday that senior doctors are considering economic support for the strikers if their licenses are suspended. WHAT OTHER STEPS THE STRIKERS CAN FACE?South Korea’s medical law says doctors who refuse the government’s back-to-work order can face up to three years in prison or a 30 million won ($22,480) fine, as well as up to one year of license suspensions. Those sent to prison or given even suspended prison sentences automatically lose their licenses. The Health Ministry can file complaints with police, who then investigate and hand the case to prosecutors for a possible indictment, according to Choi, the law firm partner. Joo said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will provide lawyers to the striking doctors if they are summoned by police or prosecutors. South Korean police said they are investigating five senior members of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after the Health Ministry filed complaints against them for allegedly inciting and abetting the junior doctors’ walkouts. WHAT DO PEOPLE SAY?The doctors’ strikes have so far failed to generate public support, with a survey showing about 80% backing the government’s school enrollment plan. The government says South Korea urgently needs more doctors to deal with a rapidly aging population. Many doctors say a too-steep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ould eventually result in undermining medical service. Some critics say doctors, one of the highest-paid professions in South Korea, worry about losing their income. Lee Yeonha, 40, said the striking doctors were “too selfish” and a three-month license suspension is too little. “I wish the government would take more powerful legal action to get the doctors to fear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work as doctors in this country,” Lee said. Another Seoul resident, Sunny Shin, supports the arguments by doctors that the government must first resolve fundamental problems such as a lack of medical liability protection and a shortage of physicians in key yet low-paying specialties such as pediatrics and emergency departments. “As long as the crucial sector doctors are likely to be embroiled in lawsuits and still not highly paid, I cannot blame them for protesting against the government labeling them as privileged people neglecting their duties as doctors,” Shin said. [번역] 한국 서울(AP) — 한국 정부는 집단 파업을 중단하라는 반복적인 요구를 무시하는 수천 명의 후배 의사들의 면허를 정지하겠다는 공약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의과대학 전공의 13,000명 중 약 9,000명이 한국의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약 3분의 2로 늘리려는 정부 계획에 항의하기 위해 약 2주 동안 출근을 거부해 왔습니다. 다음은 파업의 다음 단계에 관한 몇 가지 질문과 답변입니다. 서스펜션은 어떻게 작동하나요?파업으로 인해 수백 건의 수술과 기타 치료가 취소된 후, 정부는 하급 의사들에게 2월 29일까지 직장에 복귀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면허 정지 및 법적 고발을 당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마감일을 놓쳤습니다. 정부는 월요일 약 50개 병원에 공무원을 파견해 파업 의사가 없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뒤 이들에게 면허 정지 사실을 알리고 대응 기회를 줬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의사들이 최소 3개월의 자격정지 처분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직 기록으로 인해 전문가 자격증 취득이 1년 이상 지연되고 취업에 더 많은 장벽이 생길 것이라고 박씨는 말했습니다. 박씨는 면허 정지 절차를 완료하는 데 몇 주가 걸릴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일단 완료되면 일부 파업 의사는 법적 조치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료법 전문 법무법인 대륜의 최현덕 파트너는 정부가 의사 9000명 전원의 면허를 정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주요 파업 참가자 중 100명 미만을 목표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대한민국 의사 14만 명을 대표하는 대한의사협회는 후배 의사들의 파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의협 주수호 비상대책본부 대변인은 월요일 고위 의사들이 파업자들에게 면허가 정지될 경우 경제적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트라이커가 직면할 수 있는 다른 단계는 무엇입니까?한국 의료법에 따르면 정부의 업무복귀 명령을 거부하는 의사는 최대 3년의 징역 또는 3천만원(22,480달러)의 벌금, 최대 1년의 면허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감옥에 갇히거나 심지어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사람은 자동으로 면허를 상실합니다. 법무법인 최 변호사에 따르면 보건부는 경찰에 고발장을 제출한 뒤 경찰이 사건을 조사한 뒤 기소 가능성이 있는 검찰에 넘길 수 있다고 한다. 주씨는 대한의사협회가 경찰이나 검찰이 소환할 경우 파업 의사들에게 변호사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후배 의사들의 파업을 선동·방조한 혐의로 보건복지부가 고발한 대한의사협회 고위 간부 5명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람들은 뭐라고 말하나요?의사들의 파업은 지금까지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80%가 정부의 학교 등록 계획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한국이 급속히 고령화되는 인구에 대처하기 위해 더 많은 의사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많은 의사들은 학생 수를 너무 가파르게 늘리면 결국 의료 서비스가 훼손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한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직업 중 하나인 의사들이 소득 손실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연하(40)씨는 파업 의사들이 “너무 이기적”이라며 면허정지 3개월은 너무 적다고 말했다. 이씨는 “의사들이 이 나라에서 의사로 일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정부가 더욱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서울 주민 써니신 씨는 정부가 의료 책임 보호 부족, 소아과, 응급실 등 핵심이지만 저임금 전문 분야의 의사 부족 등 근본적인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의사들의 주장을 지지합니다.신 교수는 “중요 분야 의사들이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고 여전히 높은 급여를 받지 못하는 이상, 정부가 의사로서의 직무를 소홀히 하는 특권층으로 낙인찍는 것에 항의하는 것을 비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What’s next for South Korean doctors who face license suspensions because of walkouts
아시아타임즈
2024-03-04
'전문 사외이사' 시대...그들에게 기업 '신사업'이 보인다
'전문 사외이사' 시대...그들에게 기업 '신사업'이 보인다
삼성·현대·포스코 등 대기업, 신사업과 관련된 전문가 선임 예정"전문성 가진 후보를 사외이사 선임하는 것은 유의미한 전략" 3월은 주주총회 시즌이다. 기업들은 이달 정기 주총을 앞두고 자신들이 영위하는 사업과 연관성이 큰 '전문 사외이사' 영입에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다. 초기술, 선도기술을 확보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하는 일이 기업들의 절체절명 과제가 된 상황인만큼 이들을 통해 주력사업, 미래 신사업 추진에 도움을 받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HD현대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신사업 분야와 관련이 깊은 사외이사들을 선임하고 있다. 기업들은 늦어도 3월 내로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해 사외이사 선임 안건을 올릴 예정이다. 우선 삼성전자는 조혜경 한성대 AI응용학과 교수의 사외이사 선임을 준비하고 있다. 조 교수는 삼성전자 경계현 디바이스솔루션(DS) 사장의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직속 후배로 한국로봇학회 회장 등을 지낸 AI·로봇 전문가다. 삼성전자가 최근 AI·로봇 사업 육성에 속도를 내는 만큼 조 교수의 선임은 삼성전자의 미래 신사업의 의지를 보여준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021년 최초 여성 사외이사로 선임했던 이지윤 카이스트(KAIST) 항공우주학과 교수를 재선임한다. 이 교수는 현대차가 사업화 중인 도심항공교통(UAM), 미래항공교통(AAM) 등 미래 모빌리티에 적용되는 지능형 교통시스템, 자율 무인 시스템 전문가다. 현대차가 지속해서 모빌리티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는 만큼 신사업 조언자로서 역할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모비스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의 키스 위텍(57)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했다. 키스 위텍은 반도체 기업 AMD에서 부사장, 테슬라에서 R&D 디렉터, RISC-V 기반 반도체 설계 회사 SiFive(사이파이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최근 인터뷰에서 "향후 반도체시장에서 칩렛 기술이 핵심으로 부각되며 점차 대중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현대차가 반도체를 자동차에 적용하는 '칩투팩토리' 에 적극적인만큼 반도체를 직접 설계하고 파운드리와 직거래까지 했던 테슬라에서 요직을 지냈던 그가 이 분야에서 충분한 경영 조언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포스코홀딩스는 박성욱 전(前) SK하이닉스 부회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엔지니어 출신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R&D 전문성 및 기술혁신을 주도한 소재산업 전문가다. 현대전자 산업연구원으로 입사해 하이닉스 반도체 연구소장, SK하이닉스 연구개발·제조총괄(CTO)을 역임했다. 현재 포스코그룹이 SK그룹과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이차전지와 재활용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함께 전개하고 있는 만큼 박 전 부회장이 양 그룹 간 협력의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LX세미콘은 김남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한상범 전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를 신임 사외이사로 내정했다. 김남수 교수는 전기·전자 공학 전문가로서 인공지능, 신호처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1993년부터 5년간 삼성전자의 중앙연구소인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근무한 경력도 있다. 한상범 전 대표이사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에서 40년 가까이 활동해 오면서 개발, 공정, 생산, 장비 개발 등 관련 분야에서 독보적 전문성과 경험을 쌓은 인물이다. 최근 몇 년간 회사의 실적이 하락세에 있는 만큼 반등을 위한 전문가 선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기업들의 전문 사외이사 영입은 최근 호화 이사회로 배임과 청탁금지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된 포스코홀딩스 사외이사들과 대비되면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지민희 기업 전문 변호사는 “신사업에 정통한 전문가들이 선임되면 트렌드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고, 미래 비전 확보도 쉽게 가능할 것”이라면서 “미래 사업에 특화된 전문가들로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기업에 필요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국내 산업계가 변화가 필요한 시점인 만큼 미래 사업에 전문성을 가진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유의미하다”면서 “각자 역할에 집중하며 문제를 만들지 않는 것 또한 사외이사의 일이다.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되도록 사외이사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전문 사외이사' 시대...그들에게 기업 '신사업'이 보인다
아시아타임즈
2024-03-04
'전문 사외이사' 시대...그들에게 기업 '신사업'이 보인다
'전문 사외이사' 시대...그들에게 기업 '신사업'이 보인다
삼성·현대·포스코 등 대기업, 신사업과 관련된 전문가 선임 예정"전문성 가진 후보를 사외이사 선임하는 것은 유의미한 전략" 3월은 주주총회 시즌이다. 기업들은 이달 정기 주총을 앞두고 자신들이 영위하는 사업과 연관성이 큰 '전문 사외이사' 영입에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다. 초기술, 선도기술을 확보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하는 일이 기업들의 절체절명 과제가 된 상황인만큼 이들을 통해 주력사업, 미래 신사업 추진에 도움을 받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HD현대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신사업 분야와 관련이 깊은 사외이사들을 선임하고 있다. 기업들은 늦어도 3월 내로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해 사외이사 선임 안건을 올릴 예정이다. 우선 삼성전자는 조혜경 한성대 AI응용학과 교수의 사외이사 선임을 준비하고 있다. 조 교수는 삼성전자 경계현 디바이스솔루션(DS) 사장의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직속 후배로 한국로봇학회 회장 등을 지낸 AI·로봇 전문가다. 삼성전자가 최근 AI·로봇 사업 육성에 속도를 내는 만큼 조 교수의 선임은 삼성전자의 미래 신사업의 의지를 보여준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021년 최초 여성 사외이사로 선임했던 이지윤 카이스트(KAIST) 항공우주학과 교수를 재선임한다. 이 교수는 현대차가 사업화 중인 도심항공교통(UAM), 미래항공교통(AAM) 등 미래 모빌리티에 적용되는 지능형 교통시스템, 자율 무인 시스템 전문가다. 현대차가 지속해서 모빌리티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는 만큼 신사업 조언자로서 역할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모비스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의 키스 위텍(57)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했다. 키스 위텍은 반도체 기업 AMD에서 부사장, 테슬라에서 R&D 디렉터, RISC-V 기반 반도체 설계 회사 SiFive(사이파이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최근 인터뷰에서 "향후 반도체시장에서 칩렛 기술이 핵심으로 부각되며 점차 대중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현대차가 반도체를 자동차에 적용하는 '칩투팩토리' 에 적극적인만큼 반도체를 직접 설계하고 파운드리와 직거래까지 했던 테슬라에서 요직을 지냈던 그가 이 분야에서 충분한 경영 조언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포스코홀딩스는 박성욱 전(前) SK하이닉스 부회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엔지니어 출신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R&D 전문성 및 기술혁신을 주도한 소재산업 전문가다. 현대전자 산업연구원으로 입사해 하이닉스 반도체 연구소장, SK하이닉스 연구개발·제조총괄(CTO)을 역임했다. 현재 포스코그룹이 SK그룹과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이차전지와 재활용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함께 전개하고 있는 만큼 박 전 부회장이 양 그룹 간 협력의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LX세미콘은 김남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한상범 전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를 신임 사외이사로 내정했다. 김남수 교수는 전기·전자 공학 전문가로서 인공지능, 신호처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1993년부터 5년간 삼성전자의 중앙연구소인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근무한 경력도 있다. 한상범 전 대표이사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에서 40년 가까이 활동해 오면서 개발, 공정, 생산, 장비 개발 등 관련 분야에서 독보적 전문성과 경험을 쌓은 인물이다. 최근 몇 년간 회사의 실적이 하락세에 있는 만큼 반등을 위한 전문가 선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기업들의 전문 사외이사 영입은 최근 호화 이사회로 배임과 청탁금지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된 포스코홀딩스 사외이사들과 대비되면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지민희 기업 전문 변호사는 “신사업에 정통한 전문가들이 선임되면 트렌드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고, 미래 비전 확보도 쉽게 가능할 것”이라면서 “미래 사업에 특화된 전문가들로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기업에 필요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국내 산업계가 변화가 필요한 시점인 만큼 미래 사업에 전문성을 가진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유의미하다”면서 “각자 역할에 집중하며 문제를 만들지 않는 것 또한 사외이사의 일이다.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되도록 사외이사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전문 사외이사' 시대...그들에게 기업 '신사업'이 보인다
월요신문
2024-03-04
[칼럼] 메이플스토리 과징금과 밸런스
[칼럼] 메이플스토리 과징금과 밸런스
2003년이었다. 메이플스토리에서 메이플월드 모험을 시작한 때가. 천원 오천원 열심히 모은 용돈은 메이플스토리 캐시샵(게임 내 유료아이템 판매처)으로 직행했다. 20년이 지난 2023년 크리스마스, 여전히 캐시샵을 쇼핑했다. 메이플스토리 내 확률형 아이템 '큐브'를 구매하였다. 앉은 자리에서 12월 월급이 날아갈 뻔 했다 (아름다운 것은 어찌하여 이리도 쉽게 사라지는가). 한 달 후, 13년 역사의 큐브 아이템 판매 중단 소식이 들려왔다. 2024년 1월 3일 공정위가 넥슨에 시정명령 및 116억 원 상당 과징금을 부과한 여파였다.공정위에 따르면 넥슨은 큐브 아이템 판매에서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하였다. 전자상거래법 제21조제1항 제1호는 전자상거래 사업자의 거짓 또는 과장된 사실을 알리거나 기만적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를 유인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은 아이템의 종류, 성능, 효과 등이 우연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공정위는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변경은 소비자의 구매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이라고 보았다.넥슨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큐브의 확률 구조를 구매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였음에도 이 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점에서 기만적인 방법으로 큐브 구매자를 유인한 것이므로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한 것이다.구체적인 위반 대상은 (1) 큐브의 인기 옵션 및 블랙큐브(큐브의 일종) 출현 확률을 하락시킨 행위(이하 '확률하락행위')와 (2) 인기 옵션의 중복 출현(이른바 '보보보' 등) 확률을 0%로 변경한 행위(이하 '출현제한행위')이다.이에 넥슨은, 게임 밸런스 개선 목적으로 확률을 조정한 것이며 공정위가 법적으로 확률 공개 의무가 없던 시기의 사안을 위반으로 판단하였다며 공정위 판단의 부당성을 주장하였다. 공정위는 확률을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낮추고도 고지하지 않은 점을 문제 삼는 것이지 확률 자체에 대한 법적 공개 의무 여부와는 관계 없다고 재반박하였다. 넥슨과 공정위는 당분간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출현제한행위에는 변명의 여지가 없어 보이나 확률하락행위는 공정위의 판단에 의문의 여지가 있다. 2016년까지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에 대한 법적 의무나 관련 유권해석이 부재하였음에도 당시 확률 또는 그 변경이 해석의 여지 없이 당연히 전자상거래법상 공개 의무 있는 정보로 인정되는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2000년대 초반까지는 많은 온라인 게임이 정액제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2001년 넥슨은 게임을 무료로 이용하도록 하되 게임 내 유료 아이템을 판매하는 부분유료화 방식을 시도하며 성공적인 수익모델을 창출하였다. 2004년에는 일본 메이플스토리에서 '가챠포티켓'이라는 확률형 아이템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이후 국내 메이플스토리에도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그렇게 2010년 확률형 아이템인 큐브가 등장하고 메이플스토리 매출액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다.이러한 상황에서 당시로서는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은 게임의 재미를 위한 본질적인 부분이자 게임 '밸런스(balance)'를 고려하며 상당한 비용을 투자해 연구해야 하는 영업비밀로 여겨졌다.밸런스 개선 작업(또는 '밸런스 패치')은 메이플스토리와 같은 MMORPG 게임이 롱런(long-run)하기 위한 핵심 요소다. 밸런스는 캐릭터 직업, 장비, 난이도 등 게임에 등장하는 요소 간 균형을 말한다. 메이플스토리는 MMORPG인 만큼 이용자들이 게임 내에서 일종의 소규모 사회를 형성하고 서로 캐릭터의 스펙을 경쟁하며 게임 내 빈부격차가 발생하기도 한다.밸런스가 무너지면(또는 붕괴되면) 빈부격차 심화, 게임 난이도 불균형 등이 발생하여 이용자의 의욕을 상실시키고 기존 이용자의 이용 중단 및 신규 이용자 유입 감소로 이어져 게임사 수익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기도 한다.게임의 흥망성쇠가 밸런스 패치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메이플스토리는 주기적으로 밸런스 개선 작업을 진행해왔다. 특히 2010년 7월 캐릭터 직업, 육성 구조, 난이도 등을 개선하며 대규모 업데이트(이른바 '빅뱅 패치')를 진행한 이후 수차례 신규 직업을 생성하고 컨텐츠를 확장해가며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서 밸런스 개선 작업이 집중적으로 이어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큐브의 확률 변경은 밸런스 패치의 일환이었던 것이다.2017년경부터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2017년, 중국 정부에서 확률형아이템의 세부 정보 공개를 법적으로 의무화하였다.한국게임산업협회도 2015년에는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가이드라인으로 확률 공개 방법을 구간별 확률 공개(가령 확률별로 매우 낮음, 낮음, 보통으로 구분)로 제시하였으나, 2017년에 구체적인 확률 공개로 가이드라인을 변경하였다. 2018년이 되어서야 공정거래위원회는 넥슨이 운영하는 '서든어택' 게임에서 특정 확률형 아이템의 비공개가 전자상거래법 위반이라 판단하였다.당시 시대적 상황을 볼 때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은 영업비밀로 해석되기도 하였으며 그 변경은 밸런스 패치의 일환으로 본 것이다.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변경 미고지가 곧바로 전자상거래법 위반이라고 보는 것은 성급한 결론일 수도 있다.물론 넥슨이 고지 없이 큐브 확률을 변경한 것은 이용자들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분노를 일으킬 수 있다. 공정위는 근래 넥슨 포함 게임사들과 이용자 간 바닥나고 있는 신뢰관계까지 고려하여 넥슨에게 철퇴를 가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소급적인 처분과 규제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예측가능한 범위를 넘어선 광범위한 규제는 법적 안정성을 저해하고 게임산업 시장의 위축을 야기한다. 향후 확률하락행위 제재에 대한 입체적인 논의를 기대해본다.한편, 출현제한행위는 행위 시기나 게임 밸런스를 고려하더라도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한 것으로 보인다. 큐브 구매자로서는 당연히 여러 경우의 수 중 인기 옵션의 중복 출현을 포함하여 특정 옵션 조합의 출현도 존재할 것임을 기대할 수 있고, 인기 옵션 중복 출현은 보통의 거래 경험과 주의력을 가진 일반 소비자로서 큐브 구매자에게 중요한 큐브 구매 유인 중 하나임이 상당하다. 따라서 이러한 확률 구조 변경은 구매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보이므로 넥슨은 구매자에게 이를 고지했어야 한다고 귀결될 수밖에 없다.기업의 변호사이기 이전에 메이플스토리 이용자로서 공정위가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칼을 뽑아 든 것은 환영한다. 게임산업 시장의 위축은 환영하지 않는다. 어쩌면 공정위의 규제에도 밸런스 패치가 필요할 지 모른다. 어찌됐든 이번 사태를 계기로 메이플스토리 이용자들과 넥슨 간 신뢰관계를 다시 구축할 수 있기를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메이플스토리 과징금과 밸런스
월요신문
2024-03-04
[칼럼] 메이플스토리 과징금과 밸런스
[칼럼] 메이플스토리 과징금과 밸런스
2003년이었다. 메이플스토리에서 메이플월드 모험을 시작한 때가. 천원 오천원 열심히 모은 용돈은 메이플스토리 캐시샵(게임 내 유료아이템 판매처)으로 직행했다. 20년이 지난 2023년 크리스마스, 여전히 캐시샵을 쇼핑했다. 메이플스토리 내 확률형 아이템 '큐브'를 구매하였다. 앉은 자리에서 12월 월급이 날아갈 뻔 했다 (아름다운 것은 어찌하여 이리도 쉽게 사라지는가). 한 달 후, 13년 역사의 큐브 아이템 판매 중단 소식이 들려왔다. 2024년 1월 3일 공정위가 넥슨에 시정명령 및 116억 원 상당 과징금을 부과한 여파였다.공정위에 따르면 넥슨은 큐브 아이템 판매에서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하였다. 전자상거래법 제21조제1항 제1호는 전자상거래 사업자의 거짓 또는 과장된 사실을 알리거나 기만적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를 유인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은 아이템의 종류, 성능, 효과 등이 우연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공정위는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변경은 소비자의 구매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이라고 보았다.넥슨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큐브의 확률 구조를 구매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였음에도 이 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점에서 기만적인 방법으로 큐브 구매자를 유인한 것이므로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한 것이다.구체적인 위반 대상은 (1) 큐브의 인기 옵션 및 블랙큐브(큐브의 일종) 출현 확률을 하락시킨 행위(이하 '확률하락행위')와 (2) 인기 옵션의 중복 출현(이른바 '보보보' 등) 확률을 0%로 변경한 행위(이하 '출현제한행위')이다.이에 넥슨은, 게임 밸런스 개선 목적으로 확률을 조정한 것이며 공정위가 법적으로 확률 공개 의무가 없던 시기의 사안을 위반으로 판단하였다며 공정위 판단의 부당성을 주장하였다. 공정위는 확률을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낮추고도 고지하지 않은 점을 문제 삼는 것이지 확률 자체에 대한 법적 공개 의무 여부와는 관계 없다고 재반박하였다. 넥슨과 공정위는 당분간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출현제한행위에는 변명의 여지가 없어 보이나 확률하락행위는 공정위의 판단에 의문의 여지가 있다. 2016년까지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에 대한 법적 의무나 관련 유권해석이 부재하였음에도 당시 확률 또는 그 변경이 해석의 여지 없이 당연히 전자상거래법상 공개 의무 있는 정보로 인정되는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2000년대 초반까지는 많은 온라인 게임이 정액제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2001년 넥슨은 게임을 무료로 이용하도록 하되 게임 내 유료 아이템을 판매하는 부분유료화 방식을 시도하며 성공적인 수익모델을 창출하였다. 2004년에는 일본 메이플스토리에서 '가챠포티켓'이라는 확률형 아이템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이후 국내 메이플스토리에도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그렇게 2010년 확률형 아이템인 큐브가 등장하고 메이플스토리 매출액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다.이러한 상황에서 당시로서는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은 게임의 재미를 위한 본질적인 부분이자 게임 '밸런스(balance)'를 고려하며 상당한 비용을 투자해 연구해야 하는 영업비밀로 여겨졌다.밸런스 개선 작업(또는 '밸런스 패치')은 메이플스토리와 같은 MMORPG 게임이 롱런(long-run)하기 위한 핵심 요소다. 밸런스는 캐릭터 직업, 장비, 난이도 등 게임에 등장하는 요소 간 균형을 말한다. 메이플스토리는 MMORPG인 만큼 이용자들이 게임 내에서 일종의 소규모 사회를 형성하고 서로 캐릭터의 스펙을 경쟁하며 게임 내 빈부격차가 발생하기도 한다.밸런스가 무너지면(또는 붕괴되면) 빈부격차 심화, 게임 난이도 불균형 등이 발생하여 이용자의 의욕을 상실시키고 기존 이용자의 이용 중단 및 신규 이용자 유입 감소로 이어져 게임사 수익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기도 한다.게임의 흥망성쇠가 밸런스 패치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메이플스토리는 주기적으로 밸런스 개선 작업을 진행해왔다. 특히 2010년 7월 캐릭터 직업, 육성 구조, 난이도 등을 개선하며 대규모 업데이트(이른바 '빅뱅 패치')를 진행한 이후 수차례 신규 직업을 생성하고 컨텐츠를 확장해가며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서 밸런스 개선 작업이 집중적으로 이어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큐브의 확률 변경은 밸런스 패치의 일환이었던 것이다.2017년경부터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2017년, 중국 정부에서 확률형아이템의 세부 정보 공개를 법적으로 의무화하였다.한국게임산업협회도 2015년에는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가이드라인으로 확률 공개 방법을 구간별 확률 공개(가령 확률별로 매우 낮음, 낮음, 보통으로 구분)로 제시하였으나, 2017년에 구체적인 확률 공개로 가이드라인을 변경하였다. 2018년이 되어서야 공정거래위원회는 넥슨이 운영하는 '서든어택' 게임에서 특정 확률형 아이템의 비공개가 전자상거래법 위반이라 판단하였다.당시 시대적 상황을 볼 때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은 영업비밀로 해석되기도 하였으며 그 변경은 밸런스 패치의 일환으로 본 것이다.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변경 미고지가 곧바로 전자상거래법 위반이라고 보는 것은 성급한 결론일 수도 있다.물론 넥슨이 고지 없이 큐브 확률을 변경한 것은 이용자들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분노를 일으킬 수 있다. 공정위는 근래 넥슨 포함 게임사들과 이용자 간 바닥나고 있는 신뢰관계까지 고려하여 넥슨에게 철퇴를 가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소급적인 처분과 규제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예측가능한 범위를 넘어선 광범위한 규제는 법적 안정성을 저해하고 게임산업 시장의 위축을 야기한다. 향후 확률하락행위 제재에 대한 입체적인 논의를 기대해본다.한편, 출현제한행위는 행위 시기나 게임 밸런스를 고려하더라도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한 것으로 보인다. 큐브 구매자로서는 당연히 여러 경우의 수 중 인기 옵션의 중복 출현을 포함하여 특정 옵션 조합의 출현도 존재할 것임을 기대할 수 있고, 인기 옵션 중복 출현은 보통의 거래 경험과 주의력을 가진 일반 소비자로서 큐브 구매자에게 중요한 큐브 구매 유인 중 하나임이 상당하다. 따라서 이러한 확률 구조 변경은 구매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보이므로 넥슨은 구매자에게 이를 고지했어야 한다고 귀결될 수밖에 없다.기업의 변호사이기 이전에 메이플스토리 이용자로서 공정위가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칼을 뽑아 든 것은 환영한다. 게임산업 시장의 위축은 환영하지 않는다. 어쩌면 공정위의 규제에도 밸런스 패치가 필요할 지 모른다. 어찌됐든 이번 사태를 계기로 메이플스토리 이용자들과 넥슨 간 신뢰관계를 다시 구축할 수 있기를 바란다. [기사전문보기] - [칼럼] 메이플스토리 과징금과 밸런스
데일리안
2024-02-29
법무법인 대륜, 제주 광령 1리 마을주민 돕는다…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제주 광령 1리 마을주민 돕는다…MOU 체결
주민등 대상 법률상담·토지수용보상 대응 및 법률 검토 등 제공김국일 대표 "주민에게 큰 힘 되도록 본사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것"전국 최다 사무소 보유 중인 대륜…사건별 3인 이상 전담 팀 운영 중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지난 27일 제주 제주시 애월읍 광령1리 마을회와 지역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광령1리 마을회관에서 진행된 이날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김영수 최고총괄변호사, 김경덕 책임변호사, 제주사무소 김경욱 상담실장, 광령1리마을회 강창부 이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주민들 대상 법률상담, 토지수용보상 대응 및 법률적 검토, 지역 활성화를 위한 법적 자문, 마을 주민들의 권익 보호 등을 제공한다. 특히, 협약식 체결 이후 마을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토지수용보상에 대한 설명회 및 법률상담을 진행했다. 대륜은 향후 마을회 명의의 각종 행정, 손해배상, 부동산 등 소송에서 신속한 법률상담과 함께 서울본사 및 제주사무소가 동시에 대면·비대면 소송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도시에 비해 법률상담 지원을 받기 어려운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법률정보를 제공하면서 법률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창부 이장은 “법률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협약에 응해준 대륜에 감사드린다. 광령1리의 법률복지 증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국일 대표는 “고객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며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법률상담·자문을 지원하는 등 주민들에게 큰 힘이 되기 위해 본사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륜은 전국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로펌으로,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며 사건별 3인 이상 전담팀을 배치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제주 광령 1리 마을주민 돕는다…MOU 체결
데일리안
2024-02-29
법무법인 대륜, 제주 광령 1리 마을주민 돕는다…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제주 광령 1리 마을주민 돕는다…MOU 체결
주민등 대상 법률상담·토지수용보상 대응 및 법률 검토 등 제공김국일 대표 "주민에게 큰 힘 되도록 본사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것"전국 최다 사무소 보유 중인 대륜…사건별 3인 이상 전담 팀 운영 중 법무법인(유한)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지난 27일 제주 제주시 애월읍 광령1리 마을회와 지역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광령1리 마을회관에서 진행된 이날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김영수 최고총괄변호사, 김경덕 책임변호사, 제주사무소 김경욱 상담실장, 광령1리마을회 강창부 이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륜은 주민들 대상 법률상담, 토지수용보상 대응 및 법률적 검토, 지역 활성화를 위한 법적 자문, 마을 주민들의 권익 보호 등을 제공한다. 특히, 협약식 체결 이후 마을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토지수용보상에 대한 설명회 및 법률상담을 진행했다. 대륜은 향후 마을회 명의의 각종 행정, 손해배상, 부동산 등 소송에서 신속한 법률상담과 함께 서울본사 및 제주사무소가 동시에 대면·비대면 소송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도시에 비해 법률상담 지원을 받기 어려운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법률정보를 제공하면서 법률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창부 이장은 “법률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협약에 응해준 대륜에 감사드린다. 광령1리의 법률복지 증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국일 대표는 “고객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며 “대륜 건설·부동산그룹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법률상담·자문을 지원하는 등 주민들에게 큰 힘이 되기 위해 본사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륜은 전국 최다 사무소를 보유한 로펌으로,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며 사건별 3인 이상 전담팀을 배치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제주 광령 1리 마을주민 돕는다…MOU 체결
데일리안 외
2024-02-29
법무법인 대륜,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와 법률자문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와 법률자문 업무협약
의료 이슈 공유·의료법률 자문·임직원 법률상담 등 상호 협력 예정대륜 김국일 대표 "다양한 분야에 법률적 도움 줄 수 있도록 돕겠다"대륜, 전국 35개 사무소 운영 중…군산지역 신규 사무소 개소 앞둬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3일 광주광역시의사회, kbc광주방송과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 보건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 마련됐다. 광주무역센터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 대륜 김국일 대표, 광주광역시의사회 박유환 회장, kbc광주방송 임채영 사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 이슈 공유 △지역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의료법률 자문 △상호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임직원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하여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을 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의사회 박 회장은 “지역사회 보건 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이다. 광주 이주 고려인들의 의료 지원을 위해서도 나설 것”이라며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의 이익을 위해 협력해 나갈 것이다”이라고 말했다. kbc광주방송 임 사장은 “법률자문을 받아 지역민을 위한 정보 제공의 질을 높일 것”이라며 “추후 공동으로 방송 보도, 지식재산권 등에 대한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법적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 대표는 “지역민을 위해 마련된 협약인 만큼 의료,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 법률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돕겠다”라면서 “대륜 내 그룹, 센터 등을 총동원하여 지역사회 개선에 보탬이 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분야별 특화그룹을 조직하여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국내 최대 지점을 보유한 로펌 대륜은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만들어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국 35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군산지역에도 신규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와 업무 협약kbc광주방송 -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법무법인 대륜 업무 협약
데일리안 외
2024-02-29
법무법인 대륜,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와 법률자문 업무협약
법무법인 대륜,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와 법률자문 업무협약
의료 이슈 공유·의료법률 자문·임직원 법률상담 등 상호 협력 예정대륜 김국일 대표 "다양한 분야에 법률적 도움 줄 수 있도록 돕겠다"대륜, 전국 35개 사무소 운영 중…군산지역 신규 사무소 개소 앞둬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3일 광주광역시의사회, kbc광주방송과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 보건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 마련됐다. 광주무역센터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 대륜 김국일 대표, 광주광역시의사회 박유환 회장, kbc광주방송 임채영 사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 이슈 공유 △지역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의료법률 자문 △상호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임직원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하여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을 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의사회 박 회장은 “지역사회 보건 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이다. 광주 이주 고려인들의 의료 지원을 위해서도 나설 것”이라며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의 이익을 위해 협력해 나갈 것이다”이라고 말했다. kbc광주방송 임 사장은 “법률자문을 받아 지역민을 위한 정보 제공의 질을 높일 것”이라며 “추후 공동으로 방송 보도, 지식재산권 등에 대한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법적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 대표는 “지역민을 위해 마련된 협약인 만큼 의료,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 법률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돕겠다”라면서 “대륜 내 그룹, 센터 등을 총동원하여 지역사회 개선에 보탬이 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분야별 특화그룹을 조직하여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국내 최대 지점을 보유한 로펌 대륜은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만들어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국 35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군산지역에도 신규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와 업무 협약kbc광주방송 - KBC광주방송-광주의사회·법무법인 대륜 업무 협약
머니투데이
2024-02-27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지역의료발전 위해 다양한 영역에 도움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3일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의료 법률분쟁에 대응하고, 지역의료체계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광주무역센터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대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의 김종선 전임회장, 류진우 신임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대륜과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의료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의료법률 자문 협조 △상호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의료진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을 할 예정이다.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 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의료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의료진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지역의료체계 강화를 위해 의료 법률자문에 힘쓸 것"이라며 "대륜 내 의료 분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다수 포진해 있다. 형사, 민사, 행정 등 소송에 대응하고 수준 높은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의료법 개정으로 지역의료진에 대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와 관련한 분쟁 등에도 철저하게 대비해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선진화된 디지털 협업 체계를 통해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머니투데이
2024-02-27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지역의료발전 위해 다양한 영역에 도움 제공"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3일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의료 법률분쟁에 대응하고, 지역의료체계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광주무역센터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대륜의 김국일 대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의 김종선 전임회장, 류진우 신임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대륜과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의료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의료법률 자문 협조 △상호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의료진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을 할 예정이다.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 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의료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의료진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지역의료체계 강화를 위해 의료 법률자문에 힘쓸 것"이라며 "대륜 내 의료 분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다수 포진해 있다. 형사, 민사, 행정 등 소송에 대응하고 수준 높은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의료법 개정으로 지역의료진에 대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와 관련한 분쟁 등에도 철저하게 대비해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선진화된 디지털 협업 체계를 통해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광산구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APnews
2024-02-27
Seoul gives young doctors 4 days to end walkouts, threatening suspended licenses and prosecutions
Seoul gives young doctors 4 days to end walkouts, threatening suspended licenses and prosecutions
SEOUL, South Korea (AP) — Junior doctors in South Korea have four days to end their walkouts or they will have their medical licenses suspended and face prosecution, the government said Monday. About 9,000 medical interns and residents have stayed off the job since early last week to protest a government plan to increase medical school admissions by about 65%. The walkouts have severely hurt the operations of their hospitals, with numerous cancellations of surgeries and other treatments. Government officials say adding more doctors is necessary to deal with South Korea’s rapidly aging population. The country’s current doctor-to-patient ratio is among the lowest in the developed world. The strikers say universities can’t handle so many new students and argue the plan would not resolve a chronic shortage of doctors in some key but low-paying areas like pediatrics and emergency departments. Vice Health Minister Park Min-soo said during a televised briefing Monday that the government won’t seek any disciplinary action against striking doctors if they return to work by Thursday. “We want them to return to work by the end of this month, Feb. 29. If they return to the hospitals they had left by then, we won’t hold them responsible” for any damage caused by their walkouts, Park said. “It’s not too late. Please, return to patients immediately.” But he said those who don’t meet the deadline will be punished with a minimum three-month suspension of their medical licenses and face further legal steps such as investigations and possible indictments. Under South Korea’s medical law, the government can issue back-to-work orders to doctors and other medical personnel when it sees grave risks to public health. Refusing to abide by such an order can bring suspensions of their licenses and up to three years in prison or a 30 million won ($22,480) fine. Those who receive prison sentences would be stripped of their medical licenses. Hyeondeok Choi, a partner at the law firm Daeryun which specializes in medical law, said it’s highly unlikely the government will suspend the licenses of all doctors on strike, as that would cause “an enormous medical vacuum.” Other observers said authorities would likely punish strike leaders. There are about 13,000 medical interns and residents in South Korea, most of them working and training at 100 hospitals. They typically assist senior doctors during surgeries and deal with inpatients. They represent about 30% to 40% of total doctors at some major hospitals.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which represents about 140,000 doctors, has said it supports the striking doctors but hasn’t determined whether to join the trainee doctors’ walkouts. Senior doctors have held a series of rallies voicing opposition to the government’s plan in recent days. Earlier this month, the government announced universities would admit 2,000 more medical students starting next year, from the current 3,058. The government says it aims to add up to 10,000 doctors by 2035. Striking doctors have said they worry doctors faced with increased competition would engage in overtreatment, burdening public medical expenses. A public survey showed that about 80% of South Koreans back the plan. Critics suspect doctors, one of the best-paid professions in South Korea, oppose the recruitment plan because they worry they would face greater competition and lower incomes. Park said the country’s medical services for emergency and critical patients remain stable, with public medical facilities extending their working hours and military hospitals opening emergency rooms to ordinary patients. But local media reported that an octogenarian suffering a cardiac arrest was declared dead last Friday after seven hospitals turned her away citing a lack of medical staff or other reasons likely related to the walkouts. Hwang Byung-tae, a 55-year-old laryngeal cancer patient, said he has regularly visited a Seoul hospital for treatment for four years. Last week, he said he had to leave the hospital without receiving an anti-cancer injection because of the walkouts. Hwang accused both the government and doctors of holding the lives of patients hostage. “It’s patients like me who end up suffering and dying, not them,” Hwang said. [번역] 서울, 한국 (AP) — 한국의 주니어 의사들이 파업을 끝내려면 나흘 안에 의사 면허가 정지되고 기소될 것이라고 정부가 월요일 밝혔다.약 9,000명의 의료 인턴과 레지던트가 의과대학 입학을 약 65% 늘리려는 정부 계획에 항의하기 위해 지난주 초부터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파업으로 인해 수술 및 기타 치료가 수많은 취소되면서 병원 운영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습니다.정부 관계자들은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의사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사 대 환자 비율은 선진국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파업 참가자들은 대학이 그렇게 많은 신입생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하며, 이 계획이 소아과나 응급실과 같이 핵심이지만 급여가 낮은 일부 분야의 만성적인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월요일 방송된 브리핑에서 정부는 파업 의사들이 목요일까지 업무에 복귀하면 징계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박씨는 “이달 말인 2월 29일까지 업무에 복귀하길 바란다”며 “그때까지 퇴원했던 병원으로 복귀하더라도 파업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기한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은 최소 3개월의 의료 면허 정지 처분을 받고 조사와 기소 등 추가 법적 조치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한국 의료법에 따르면 정부는 공중보건에 심각한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의사와 기타 의료인에게 업무 복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한 명령을 따르지 않을 경우 면허정지 및 최대 3년의 징역 또는 3천만원($22,480)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의사면허가 박탈된다.의료법 전문 법무법인 대륜의 최현덕 변호사는 정부가 파업 중인 모든 의사의 면허를 정지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렇게 되면 “엄청난 의료 공백”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관찰자들은 당국이 파업 지도자들을 처벌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한국에는 약 13,000명의 의료 인턴과 레지던트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100개 병원에서 근무하고 훈련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수술 중에 고위 의사를 돕고 입원 환자를 다룹니다. 이들은 일부 주요 병원 전체 의사의 약 30~40%를 차지한다.약 14만 명의 의사를 대표하는 대한의사협회는 파업 의사들을 지지한다고 밝혔지만, 수련의사 파업 동참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최근 정부의 계획에 반대하는 의사들의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이달 초 정부는 대학들이 현재 3,058명의 의대생을 내년부터 2,000명 더 입학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2035년까지 의사 수를 1만 명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파업 의사들은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의사들이 과잉 진료를 하여 공공 의료비에 부담을 줄 것을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한 공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약 80%가 이 계획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평가들은 한국에서 가장 보수가 높은 직업 중 하나인 의사가 경쟁이 심화되고 소득이 낮아질 것을 우려하여 채용 계획에 반대한다고 의심합니다.박씨는 공공의료시설이 근무시간을 연장하고 군병원이 일반환자에게 응급실을 개방하는 등 응급환자와 중환자에 대한 국가의 의료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지 언론은 심장마비를 앓고 있는 80대 노인이 지난 금요일 의료진 부족이나 파업과 관련된 다른 이유로 7개 병원에서 그녀를 퇴원시킨 후 사망 선고를 받았다고 보도했습니다.후두암 환자 황병태(55)씨는 4년째 정기적으로 서울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주에는 파업 때문에 항암 주사도 맞지 않고 퇴원해야 했다고 한다.황씨는 정부와 의사 모두 환자의 생명을 인질로 잡고 있다고 비난했다. 황씨는 “결국 고통받고 죽는 건 나 같은 환자들이 아니라 그들”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Seoul gives young doctors 4 days to end walkouts, threatening suspended licenses and prosecutions
APnews
2024-02-27
Seoul gives young doctors 4 days to end walkouts, threatening suspended licenses and prosecutions
Seoul gives young doctors 4 days to end walkouts, threatening suspended licenses and prosecutions
SEOUL, South Korea (AP) — Junior doctors in South Korea have four days to end their walkouts or they will have their medical licenses suspended and face prosecution, the government said Monday. About 9,000 medical interns and residents have stayed off the job since early last week to protest a government plan to increase medical school admissions by about 65%. The walkouts have severely hurt the operations of their hospitals, with numerous cancellations of surgeries and other treatments. Government officials say adding more doctors is necessary to deal with South Korea’s rapidly aging population. The country’s current doctor-to-patient ratio is among the lowest in the developed world. The strikers say universities can’t handle so many new students and argue the plan would not resolve a chronic shortage of doctors in some key but low-paying areas like pediatrics and emergency departments. Vice Health Minister Park Min-soo said during a televised briefing Monday that the government won’t seek any disciplinary action against striking doctors if they return to work by Thursday. “We want them to return to work by the end of this month, Feb. 29. If they return to the hospitals they had left by then, we won’t hold them responsible” for any damage caused by their walkouts, Park said. “It’s not too late. Please, return to patients immediately.” But he said those who don’t meet the deadline will be punished with a minimum three-month suspension of their medical licenses and face further legal steps such as investigations and possible indictments. Under South Korea’s medical law, the government can issue back-to-work orders to doctors and other medical personnel when it sees grave risks to public health. Refusing to abide by such an order can bring suspensions of their licenses and up to three years in prison or a 30 million won ($22,480) fine. Those who receive prison sentences would be stripped of their medical licenses. Hyeondeok Choi, a partner at the law firm Daeryun which specializes in medical law, said it’s highly unlikely the government will suspend the licenses of all doctors on strike, as that would cause “an enormous medical vacuum.” Other observers said authorities would likely punish strike leaders. There are about 13,000 medical interns and residents in South Korea, most of them working and training at 100 hospitals. They typically assist senior doctors during surgeries and deal with inpatients. They represent about 30% to 40% of total doctors at some major hospitals.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which represents about 140,000 doctors, has said it supports the striking doctors but hasn’t determined whether to join the trainee doctors’ walkouts. Senior doctors have held a series of rallies voicing opposition to the government’s plan in recent days. Earlier this month, the government announced universities would admit 2,000 more medical students starting next year, from the current 3,058. The government says it aims to add up to 10,000 doctors by 2035. Striking doctors have said they worry doctors faced with increased competition would engage in overtreatment, burdening public medical expenses. A public survey showed that about 80% of South Koreans back the plan. Critics suspect doctors, one of the best-paid professions in South Korea, oppose the recruitment plan because they worry they would face greater competition and lower incomes. Park said the country’s medical services for emergency and critical patients remain stable, with public medical facilities extending their working hours and military hospitals opening emergency rooms to ordinary patients. But local media reported that an octogenarian suffering a cardiac arrest was declared dead last Friday after seven hospitals turned her away citing a lack of medical staff or other reasons likely related to the walkouts. Hwang Byung-tae, a 55-year-old laryngeal cancer patient, said he has regularly visited a Seoul hospital for treatment for four years. Last week, he said he had to leave the hospital without receiving an anti-cancer injection because of the walkouts. Hwang accused both the government and doctors of holding the lives of patients hostage. “It’s patients like me who end up suffering and dying, not them,” Hwang said. [번역] 서울, 한국 (AP) — 한국의 주니어 의사들이 파업을 끝내려면 나흘 안에 의사 면허가 정지되고 기소될 것이라고 정부가 월요일 밝혔다.약 9,000명의 의료 인턴과 레지던트가 의과대학 입학을 약 65% 늘리려는 정부 계획에 항의하기 위해 지난주 초부터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파업으로 인해 수술 및 기타 치료가 수많은 취소되면서 병원 운영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습니다.정부 관계자들은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의사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사 대 환자 비율은 선진국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파업 참가자들은 대학이 그렇게 많은 신입생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하며, 이 계획이 소아과나 응급실과 같이 핵심이지만 급여가 낮은 일부 분야의 만성적인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월요일 방송된 브리핑에서 정부는 파업 의사들이 목요일까지 업무에 복귀하면 징계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박씨는 “이달 말인 2월 29일까지 업무에 복귀하길 바란다”며 “그때까지 퇴원했던 병원으로 복귀하더라도 파업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기한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은 최소 3개월의 의료 면허 정지 처분을 받고 조사와 기소 등 추가 법적 조치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한국 의료법에 따르면 정부는 공중보건에 심각한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의사와 기타 의료인에게 업무 복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한 명령을 따르지 않을 경우 면허정지 및 최대 3년의 징역 또는 3천만원($22,480)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의사면허가 박탈된다.의료법 전문 법무법인 대륜의 최현덕 변호사는 정부가 파업 중인 모든 의사의 면허를 정지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렇게 되면 “엄청난 의료 공백”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관찰자들은 당국이 파업 지도자들을 처벌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한국에는 약 13,000명의 의료 인턴과 레지던트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100개 병원에서 근무하고 훈련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수술 중에 고위 의사를 돕고 입원 환자를 다룹니다. 이들은 일부 주요 병원 전체 의사의 약 30~40%를 차지한다.약 14만 명의 의사를 대표하는 대한의사협회는 파업 의사들을 지지한다고 밝혔지만, 수련의사 파업 동참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최근 정부의 계획에 반대하는 의사들의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이달 초 정부는 대학들이 현재 3,058명의 의대생을 내년부터 2,000명 더 입학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2035년까지 의사 수를 1만 명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파업 의사들은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의사들이 과잉 진료를 하여 공공 의료비에 부담을 줄 것을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한 공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약 80%가 이 계획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평가들은 한국에서 가장 보수가 높은 직업 중 하나인 의사가 경쟁이 심화되고 소득이 낮아질 것을 우려하여 채용 계획에 반대한다고 의심합니다.박씨는 공공의료시설이 근무시간을 연장하고 군병원이 일반환자에게 응급실을 개방하는 등 응급환자와 중환자에 대한 국가의 의료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지 언론은 심장마비를 앓고 있는 80대 노인이 지난 금요일 의료진 부족이나 파업과 관련된 다른 이유로 7개 병원에서 그녀를 퇴원시킨 후 사망 선고를 받았다고 보도했습니다.후두암 환자 황병태(55)씨는 4년째 정기적으로 서울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주에는 파업 때문에 항암 주사도 맞지 않고 퇴원해야 했다고 한다.황씨는 정부와 의사 모두 환자의 생명을 인질로 잡고 있다고 비난했다. 황씨는 “결국 고통받고 죽는 건 나 같은 환자들이 아니라 그들”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Seoul gives young doctors 4 days to end walkouts, threatening suspended licenses and prosecutions
더인디고
2024-02-27
최보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인터뷰
모든 영역에서 포괄적 접근이 고려되어야 한다
최보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인터뷰의료·이동권 등 모든 영역에서 장애인을 비롯한 다양한 당사자를 고려한 포괄적 접근 필요신기술이 가속화되는 흐름에서 배리어 프리도 반드시 고려해야 2022년 발목골절로 수술을 받고 사망한 발달장애인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지난달 12일 시작됐다. 첫 변론기일에서 제기된 쟁점은 장애인에 대한 병원의 ‘설명의무’ 범위다. 이에 유족의 법률대리를 맡았으며, 본인 역시 지체장애가 있는 최보윤 변호사(법무법인 대륜)에게 사건의 핵심과 우리 사회가 관심 가져야 할 사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사건의 핵심은 ‘배리어 프리’변론을 맡은 최 변호사는 소송 경과를 묻는 질문에 ‘배리어 프리’라는 장애계의 가장 큰 화두를 먼저 꺼냈다. 문자 그대로 의료에서도 장애에 대한 장벽을 없애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그는 “사건의 핵심 중 하나가 의료진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후유증에 대한 설명을 누락한채 심각한 발달장애가 있는 환자 본인에게만 관련 사항을 설명하고 서명을 받았다는 것이 ‘설명의무’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라고 말했다. 실제 사건 개요에 따르면 환자 A씨는 심각한 발달장애를 갖고 있어 통상적인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수술을 담당한 의료진은 보호자가 아닌 A씨 본인에게만 발목 골절 수술에 대한 설명 후 동의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A씨를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이자, 수술 후유증인 ‘색전증’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최 변호사는 “의료법 제24조의2(의료행위에 관한 설명)에 근거해 의사는 의사능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 법정대리인에게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을 해야하지만, 의사능력이 부족하거나 환자에게 발달장애가 있는 경우 등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나와있지 않다”며 “설명의무가 명확하지 않으니 법원이 해당 규정을 어떻게 해석하는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첫 변론기일에서 피해자의 사망에 의료상 과실이 있는지 법원에 감정이 채택되었고, (감정)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감정인의 감정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후속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법의 모호한 부분이 있는 만큼 관련 분야 전문가의 의견과 지식을 토대로 내려지는 감정결과를 확인하고, 의료진의 설명의무 이행과정의 문제점이나 기타 의료행위상 과실 등에 대한 변론 전략을 수립하겠다는 얘기다. 최 변호사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도 의료진의 부족한 설명이나 미진한 진료로 인해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사건의 판례가 앞으로 법적 기준으로 정립되면 그것만으로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번 사건이 가지는 의미를 설명했다. 배리어 프리, 포괄적 접근 영역에서의 문제최 변호사는 본인도 의료사고로 인해 장애를 가지게 되었고, 병원을 상대로 6년 간의 소송 끝에 승소판결을 이끌어 냈던 경험을 토대로 지금까지 다양한 손해배상 소송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다양한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직.간접적으로 겪었고, 정책에도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장애 이슈와 최근 최 변호사가 짚어보는 우리 사회에서 관심가져볼 사안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다. 오늘날 장애인 인구 중 90%가 후천적 장애인이라고 할 정도로 의료사고뿐만 아니라 다양한 원인으로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흐름에서 최 변호사는 배리어 프리는 특히 ‘포괄적 접근권’ 영역에서 중요하다고 꼽았다. 최 변호사는 “저는 신기술이 앞으로 계속 발전하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 없이 모두에게 개인의 욕구에 맞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라며, “특히 기술의 개발 및 정책 도입의 초기에 체계를 확립하는 단계에서부터 장애에 대한 고려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변호사는 ‘2023년 국제 보조공학기기 심포지엄’,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혁신과 도전을 향한 과제’에서 토론자로 참여한 바 있고,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장애인 이동 편의증진 특별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최 변호사는 이러한 활동에서 ‘포괄적 접근’을 강조한다. 장애인만을 위한 게 아니라 결국 모두를 위한 접근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접근성 하면 현재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장애인 이동권 투쟁을 떠올릴 수 있다. 최 변호사는 지하철의 경우에도 초기 설계를 하는 단계부터 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했다면 이런 상황까지 오지 않았을 거라고 했다. 최 변호사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개인형 이동장치),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자동차) 등 이동기기에 대한 신기술이 가속화되는 상황인데, 도시 중심으로 이동체계가 이뤄지면 안 되고 도시 이외의 지역 간 이동이 어려워지는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또한 이런 상황에서 장애인을 비롯해 다양한 당사자들이 지닌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결국 이동을 하려는 목적지의 정보가 꼭 필요한데, 정보 접근권 역시 AI 기술의 도입으로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되고, 이 부분 또한 그 초기 단계에서부터 장애인을 비롯한 다양한 당사자들의 특성과 욕구의 반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포괄적 접근권 기반한 권리보장 체계가 미흡한데, EU에서 접근성 센터가 설립된 것처럼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변화와 수준에 맞는 법과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최 변호사는 “이제 100세 시대, 초고령화 시대라고 불리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장애를 가지거나 거동이 불편해지기도 하니까 접근성은 앞으로 늘 강조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그래서 앞으로 이동권을 비롯한 어떤 영역에서든 기술을 개발할 때 포괄적 접근성을 꼭 고려하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모든 영역에서 포괄적 접근이 고려되어야 한다
더인디고
2024-02-27
최보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인터뷰
모든 영역에서 포괄적 접근이 고려되어야 한다
최보윤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인터뷰의료·이동권 등 모든 영역에서 장애인을 비롯한 다양한 당사자를 고려한 포괄적 접근 필요신기술이 가속화되는 흐름에서 배리어 프리도 반드시 고려해야 2022년 발목골절로 수술을 받고 사망한 발달장애인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지난달 12일 시작됐다. 첫 변론기일에서 제기된 쟁점은 장애인에 대한 병원의 ‘설명의무’ 범위다. 이에 유족의 법률대리를 맡았으며, 본인 역시 지체장애가 있는 최보윤 변호사(법무법인 대륜)에게 사건의 핵심과 우리 사회가 관심 가져야 할 사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사건의 핵심은 ‘배리어 프리’변론을 맡은 최 변호사는 소송 경과를 묻는 질문에 ‘배리어 프리’라는 장애계의 가장 큰 화두를 먼저 꺼냈다. 문자 그대로 의료에서도 장애에 대한 장벽을 없애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그는 “사건의 핵심 중 하나가 의료진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후유증에 대한 설명을 누락한채 심각한 발달장애가 있는 환자 본인에게만 관련 사항을 설명하고 서명을 받았다는 것이 ‘설명의무’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라고 말했다. 실제 사건 개요에 따르면 환자 A씨는 심각한 발달장애를 갖고 있어 통상적인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수술을 담당한 의료진은 보호자가 아닌 A씨 본인에게만 발목 골절 수술에 대한 설명 후 동의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A씨를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이자, 수술 후유증인 ‘색전증’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최 변호사는 “의료법 제24조의2(의료행위에 관한 설명)에 근거해 의사는 의사능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 법정대리인에게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을 해야하지만, 의사능력이 부족하거나 환자에게 발달장애가 있는 경우 등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나와있지 않다”며 “설명의무가 명확하지 않으니 법원이 해당 규정을 어떻게 해석하는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첫 변론기일에서 피해자의 사망에 의료상 과실이 있는지 법원에 감정이 채택되었고, (감정)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감정인의 감정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후속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법의 모호한 부분이 있는 만큼 관련 분야 전문가의 의견과 지식을 토대로 내려지는 감정결과를 확인하고, 의료진의 설명의무 이행과정의 문제점이나 기타 의료행위상 과실 등에 대한 변론 전략을 수립하겠다는 얘기다. 최 변호사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도 의료진의 부족한 설명이나 미진한 진료로 인해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사건의 판례가 앞으로 법적 기준으로 정립되면 그것만으로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번 사건이 가지는 의미를 설명했다. 배리어 프리, 포괄적 접근 영역에서의 문제최 변호사는 본인도 의료사고로 인해 장애를 가지게 되었고, 병원을 상대로 6년 간의 소송 끝에 승소판결을 이끌어 냈던 경험을 토대로 지금까지 다양한 손해배상 소송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다양한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직.간접적으로 겪었고, 정책에도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장애 이슈와 최근 최 변호사가 짚어보는 우리 사회에서 관심가져볼 사안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다. 오늘날 장애인 인구 중 90%가 후천적 장애인이라고 할 정도로 의료사고뿐만 아니라 다양한 원인으로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흐름에서 최 변호사는 배리어 프리는 특히 ‘포괄적 접근권’ 영역에서 중요하다고 꼽았다. 최 변호사는 “저는 신기술이 앞으로 계속 발전하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 없이 모두에게 개인의 욕구에 맞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라며, “특히 기술의 개발 및 정책 도입의 초기에 체계를 확립하는 단계에서부터 장애에 대한 고려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변호사는 ‘2023년 국제 보조공학기기 심포지엄’,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혁신과 도전을 향한 과제’에서 토론자로 참여한 바 있고,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장애인 이동 편의증진 특별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최 변호사는 이러한 활동에서 ‘포괄적 접근’을 강조한다. 장애인만을 위한 게 아니라 결국 모두를 위한 접근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접근성 하면 현재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장애인 이동권 투쟁을 떠올릴 수 있다. 최 변호사는 지하철의 경우에도 초기 설계를 하는 단계부터 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했다면 이런 상황까지 오지 않았을 거라고 했다. 최 변호사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개인형 이동장치),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자동차) 등 이동기기에 대한 신기술이 가속화되는 상황인데, 도시 중심으로 이동체계가 이뤄지면 안 되고 도시 이외의 지역 간 이동이 어려워지는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또한 이런 상황에서 장애인을 비롯해 다양한 당사자들이 지닌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결국 이동을 하려는 목적지의 정보가 꼭 필요한데, 정보 접근권 역시 AI 기술의 도입으로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되고, 이 부분 또한 그 초기 단계에서부터 장애인을 비롯한 다양한 당사자들의 특성과 욕구의 반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포괄적 접근권 기반한 권리보장 체계가 미흡한데, EU에서 접근성 센터가 설립된 것처럼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변화와 수준에 맞는 법과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최 변호사는 “이제 100세 시대, 초고령화 시대라고 불리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장애를 가지거나 거동이 불편해지기도 하니까 접근성은 앞으로 늘 강조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그래서 앞으로 이동권을 비롯한 어떤 영역에서든 기술을 개발할 때 포괄적 접근성을 꼭 고려하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모든 영역에서 포괄적 접근이 고려되어야 한다
조세일보
2024-02-23
법무법인 대륜, TJB대전방송과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TJB대전방송과 법률자문 MOU
"지역민 위한 정보 제공에 집중하도록 인적 자원 적극 활용"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2일 TJB대전방송과 법률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TJB대전방송 7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강정민 수석변호사, TJB대전방송 이광축 대표이사 사장, 정왕희 경영인프라국장, 민선기 광고공연사업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지역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저작물 개발 및 유통산업 관련 정보 교환 △방송 보도, 지식재산권(IP) 등 관련 법률자문 △임직원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볍률적 사안에 대한 취재 관련 법률자문 △신사업 발굴 등에 대해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특히, MOU체결식에 앞서 양 기관 관계자들간 차담을 진행하며, 업무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TJB대전방송 이광축 사장은 "대전시민들의 알 권리를 위해 명확한 보도와 악의적 소송으로 인한 법적 분쟁에서 대륜의 법률자문이 소속 직원들의 부담을 덜어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양 기관의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를 통해 시민에게 더욱 생산적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지역 언론이 위축되지 않고, 지역민을 위한 정보 제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겠다"며 "대륜은 디지털자산 분야에 대한 업무 역량이 풍부하다. 분야별 특화 그룹을 보유하고 있어 분야를 아우르는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조직하고, 선진화된 디지털 협업 체계를 마련해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TJB대전방송과 법률자문 MOU
조세일보
2024-02-23
법무법인 대륜, TJB대전방송과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 TJB대전방송과 법률자문 MOU
"지역민 위한 정보 제공에 집중하도록 인적 자원 적극 활용"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2일 TJB대전방송과 법률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TJB대전방송 7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강정민 수석변호사, TJB대전방송 이광축 대표이사 사장, 정왕희 경영인프라국장, 민선기 광고공연사업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지역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저작물 개발 및 유통산업 관련 정보 교환 △방송 보도, 지식재산권(IP) 등 관련 법률자문 △임직원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상담 △볍률적 사안에 대한 취재 관련 법률자문 △신사업 발굴 등에 대해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특히, MOU체결식에 앞서 양 기관 관계자들간 차담을 진행하며, 업무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TJB대전방송 이광축 사장은 "대전시민들의 알 권리를 위해 명확한 보도와 악의적 소송으로 인한 법적 분쟁에서 대륜의 법률자문이 소속 직원들의 부담을 덜어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양 기관의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를 통해 시민에게 더욱 생산적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지역 언론이 위축되지 않고, 지역민을 위한 정보 제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겠다"며 "대륜은 디지털자산 분야에 대한 업무 역량이 풍부하다. 분야별 특화 그룹을 보유하고 있어 분야를 아우르는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대륜은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조직하고, 선진화된 디지털 협업 체계를 마련해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TJB대전방송과 법률자문 MOU
스포츠서울
2024-02-23
의료 공백으로 피해 신고 지속…의료사고 손해배상 줄이을까
의료 공백으로 피해 신고 지속…의료사고 손해배상 줄이을까
수술 지연-진료 거절 등 피해 다수…“인과 입증 중요”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첨예한 의견 대립으로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해 환자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보건복지부는 지난 21일 오후 10시 기준 전국 수련병원 100곳에서 전공의 927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중 87%는 실제로 결근한 것으로 확인됐다.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가 의료 공백으로 이어지면서 우려대로 환자들의 피해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21일에만 정부의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로 접수된 신고는 57건이었다. 세부적으로는 수술 지연 44건, 진료 거절 6건, 진료 예약 취소 5건, 입원 지연 2건 등으로 나타났다. 1년 전 자녀 수술을 예약하고, 보호자가 휴직했으나 입원이 지연된 사례도 있었다.진료나 수술이 지연되는 등 불편을 겪은 환자들이 의료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도 점쳐진다.전공의들의 집단행동으로 수술이나 진료가 취소돼 환자가 피해를 보게 되면 해당 전공의나 병원에 의료사고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실제 2004년 병원 권유로 담췌관 조영술을 받은 뒤 복통을 호소하다 사망한 환자 유족이 의료사고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배상 판결을 내렸다.당시 의약분업 사태로 전공의들이 파업 중이었던 상황을 지적하고, 설명 의무를 다하지 않은 병원 측이 배상 책임을 진다고 판시했다.그러나 의료사고 손해배상에서 집단행동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매우 어렵다는 게 법조계 의견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예정돼 있던 수술이나 진료 일정을 환자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변경하거나 지연한 경우 의료사고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면서도 “전공의 개인의 불법행위와 환자의 건강 악화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지난해에는 핀 고정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병원은 수술 후 한 달이 지난 시점에 핀 제거를 권했으나, 제거 후 환부에 지연유합 및 부정유합 등 심각한 장애를 얻은 사례가 있다.법원은 1년이 지나야 제거 수술이 가능했는데, 주치의가 주의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하며 의료사고 손해배상 청구 금액을 지급하라고 판결 내렸다.최 변호사는 “진료 확인서, 수술비 상세 내역서, 수술 후 사진 등 증거자료를 기반으로 책임 소재를 명확히 가려야 한다”고 설명했다.한편, 정부는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 대응을 위해 수련병원 현장 10곳을 점검한 후 장기간 근무지에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전공의들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다.업무개시명령을 반복적으로 발령해도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에게는 ‘의사 면허정지 행정처분에 관한 사전통지서’를 보낼 예정이다.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개별적인 자유 의지로 사직한 전공의가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을 행사한 것”이라며 “정부가 사직해 직장이 없는 의료인들에게 근로기준법과 의료법을 위반한 강제 근로를 교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최 변호사는 “명확한 사전 공모 증거가 없으면 개별 사직만으로 처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개별적으로 계약을 연장하지 않는 것 역시 공모한 정황이 없다면 집단행동으로 처벌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기사전문보기] - 의료 공백으로 피해 신고 지속…의료사고 손해배상 줄이을까
스포츠서울
2024-02-23
의료 공백으로 피해 신고 지속…의료사고 손해배상 줄이을까
의료 공백으로 피해 신고 지속…의료사고 손해배상 줄이을까
수술 지연-진료 거절 등 피해 다수…“인과 입증 중요”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첨예한 의견 대립으로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해 환자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보건복지부는 지난 21일 오후 10시 기준 전국 수련병원 100곳에서 전공의 927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중 87%는 실제로 결근한 것으로 확인됐다.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가 의료 공백으로 이어지면서 우려대로 환자들의 피해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21일에만 정부의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로 접수된 신고는 57건이었다. 세부적으로는 수술 지연 44건, 진료 거절 6건, 진료 예약 취소 5건, 입원 지연 2건 등으로 나타났다. 1년 전 자녀 수술을 예약하고, 보호자가 휴직했으나 입원이 지연된 사례도 있었다.진료나 수술이 지연되는 등 불편을 겪은 환자들이 의료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도 점쳐진다.전공의들의 집단행동으로 수술이나 진료가 취소돼 환자가 피해를 보게 되면 해당 전공의나 병원에 의료사고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실제 2004년 병원 권유로 담췌관 조영술을 받은 뒤 복통을 호소하다 사망한 환자 유족이 의료사고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배상 판결을 내렸다.당시 의약분업 사태로 전공의들이 파업 중이었던 상황을 지적하고, 설명 의무를 다하지 않은 병원 측이 배상 책임을 진다고 판시했다.그러나 의료사고 손해배상에서 집단행동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매우 어렵다는 게 법조계 의견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예정돼 있던 수술이나 진료 일정을 환자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변경하거나 지연한 경우 의료사고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면서도 “전공의 개인의 불법행위와 환자의 건강 악화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지난해에는 핀 고정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병원은 수술 후 한 달이 지난 시점에 핀 제거를 권했으나, 제거 후 환부에 지연유합 및 부정유합 등 심각한 장애를 얻은 사례가 있다.법원은 1년이 지나야 제거 수술이 가능했는데, 주치의가 주의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하며 의료사고 손해배상 청구 금액을 지급하라고 판결 내렸다.최 변호사는 “진료 확인서, 수술비 상세 내역서, 수술 후 사진 등 증거자료를 기반으로 책임 소재를 명확히 가려야 한다”고 설명했다.한편, 정부는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 대응을 위해 수련병원 현장 10곳을 점검한 후 장기간 근무지에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전공의들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다.업무개시명령을 반복적으로 발령해도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에게는 ‘의사 면허정지 행정처분에 관한 사전통지서’를 보낼 예정이다.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개별적인 자유 의지로 사직한 전공의가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을 행사한 것”이라며 “정부가 사직해 직장이 없는 의료인들에게 근로기준법과 의료법을 위반한 강제 근로를 교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최 변호사는 “명확한 사전 공모 증거가 없으면 개별 사직만으로 처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개별적으로 계약을 연장하지 않는 것 역시 공모한 정황이 없다면 집단행동으로 처벌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기사전문보기] - 의료 공백으로 피해 신고 지속…의료사고 손해배상 줄이을까
조세일보 외
2024-02-23
법무법인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
"한의계 부흥을 위해 인적·물적·기술적 역량 집중"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1일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홀리데이 인 광주호텔 2층 아젤리아홀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 대륜 김국일 대표,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 광주광역시한의사회 김광겸 회장, 광주시한의사회대원총회 최명호 의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병·의원 업무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의료 활성화를 위한 법률자문 △상호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의료사업을 위한 법률상담 및 지원 등 한의학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광주광역시한의사회 김광겸 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한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우수 한방 의료인프라를 확산시키겠다"라며 "양 기관의 교류로 한의계의 부흥을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이어 "올해 사업계획 중 하나인 한의의료기관의 불이익 방지를 위한 의·약무사업에 필요한 법률적 조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대륜 김 대표변호사는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 한의계의 발전을 위해 의료 법률자문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의료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법적 검토, 소송 대응 등 각종 의료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물적, 인적, 기술적 역량을 최대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만들어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국 35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군산지역에도 신규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데일리안 -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업무협약 체결
조세일보 외
2024-02-23
법무법인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
"한의계 부흥을 위해 인적·물적·기술적 역량 집중"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1일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홀리데이 인 광주호텔 2층 아젤리아홀에서 진행된 MOU체결식에 대륜 김국일 대표, 곽민섭 최고총괄변호사, 광주광역시한의사회 김광겸 회장, 광주시한의사회대원총회 최명호 의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병·의원 업무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의료 활성화를 위한 법률자문 △상호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의료사업을 위한 법률상담 및 지원 등 한의학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 할 예정이다.광주광역시한의사회 김광겸 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한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우수 한방 의료인프라를 확산시키겠다"라며 "양 기관의 교류로 한의계의 부흥을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이어 "올해 사업계획 중 하나인 한의의료기관의 불이익 방지를 위한 의·약무사업에 필요한 법률적 조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대륜 김 대표변호사는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 한의계의 발전을 위해 의료 법률자문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의료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법적 검토, 소송 대응 등 각종 의료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물적, 인적, 기술적 역량을 최대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각 분야별 특화그룹을 만들어 세분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국 35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군산지역에도 신규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조세일보 - 법무법인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MOU 체결데일리안 - 법무법인(유한) 대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와 법률자문 업무협약 체결
스포츠서울
2024-02-22
주민 담합해 보조금 부정수급… 애꿎은 공무원 허위공문서작성죄 처벌받을 뻔
주민 담합해 보조금 부정수급… 애꿎은 공무원 허위공문서작성죄 처벌받을 뻔
농민들 보조금 부정수급 목적으로 사업 신청부터 공동범행 모의담당 공무원, 사업기간 촉박해 일부 사업장 점검 후 전수조사 완료 표기적극행정 나섰음에도 검찰 송치…퇴직, 징계 위기였으나 기소유예 처분 한 지자체에서 농민들의 작물 생산 독려를 위한 지원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이 담당 공무원을 속여 보조금 부정수급을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군민 혜택을 위한 적극행정에 나섰음에도 농민들의 부정행위로 애꿏은 담당 공무원이 검찰에 송치되는 등 피해를 입었다.사건에 따르면, 보조금 지원사업이 통과되면서 특정 작물을 재배하는 농민 전체가 자발적으로 결성한 단체가 보조금수령사업자로 확정됐다.이후 주민들의 요청으로 사업변경이 이루어지면서 지급 대상과 방법을 바꿔 보조금사업자가 농민단체가 아닌 개인사업장으로 변경됐다.해당 지원사업의 담당 공무원 A씨는 사업기간 내 진행이 촉박해진 상태에서 다수의 개인사업장에 대한 보조금 지급의 적정 여부를 심사해야 하는 입창에 처했다.현장검증을 할 시간이 부족하자 무작위로 선정해 일부 사업장을 조사하게 됐고, 방문하지 못한 경우에도 사진대장 등 자료를 검토한 뒤 이상이 없을 것이라 판단하고 보조금 지급을 진행했다.그러나 방문하지 않은 사업장 일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지급받은 사실이 확인됐다.특히, 허위 신청으로 직접적인 문제가 된 농민들이 초기 보조금사업자로 신청까지 한 것이 밝혀져 신청 단계에서부터 조직적인 범행을 모의한 것이 밝혀졌다.공동범행을 모의한 농민들이 A씨를 비롯한 지자체 농업기술센터를 속여 보조금 부정수급을 받을 목적으로 허위신청을 한 것이다.그러나 경찰에서는 A씨가 이를 알고도 농민들의 부정수급에 가담했다고 판단해 허위공문서작성죄 등 혐의로 검찰에 사건을 송치했다.A씨는 허위공문서작성죄 등 혐의에 대해 집행유예 판결을 받을 경우 퇴직 사유, 벌금형일 경우 징계대상 및 평생 진급에 불이익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았다.다행히 A씨 법률대리인은 위 사실과 함께 사업에 참여한 농민들의 고의성에 의해 발생한 사건이며, 어떠한 뇌물 및 청탁이 없었다는 점을 입증했다.부정청탁 내지 뇌물수수 사실 여부, 보조금 부정수급 인지 여부 등을 밝힌 결과 다행이 기소유예 처분으로 재판 전 사건을 마무리하게 됐다.해당 사건을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법리적으로 A씨는 허위공문서작성죄 등에 있어 그 고의가 부정된다. 이 사건의 본질은 각 사업장이 A씨를 속이고 부정수급을 한 범죄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라며 “객관적인 상황에서 부정행위를 전부 밝혀낸다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형태의 사업 진행이 처음이라는 점을 강조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주민 담합해 보조금 부정수급… 애꿎은 공무원 허위공문서작성죄 처벌받을 뻔
스포츠서울
2024-02-22
주민 담합해 보조금 부정수급… 애꿎은 공무원 허위공문서작성죄 처벌받을 뻔
주민 담합해 보조금 부정수급… 애꿎은 공무원 허위공문서작성죄 처벌받을 뻔
농민들 보조금 부정수급 목적으로 사업 신청부터 공동범행 모의담당 공무원, 사업기간 촉박해 일부 사업장 점검 후 전수조사 완료 표기적극행정 나섰음에도 검찰 송치…퇴직, 징계 위기였으나 기소유예 처분 한 지자체에서 농민들의 작물 생산 독려를 위한 지원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이 담당 공무원을 속여 보조금 부정수급을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군민 혜택을 위한 적극행정에 나섰음에도 농민들의 부정행위로 애꿏은 담당 공무원이 검찰에 송치되는 등 피해를 입었다.사건에 따르면, 보조금 지원사업이 통과되면서 특정 작물을 재배하는 농민 전체가 자발적으로 결성한 단체가 보조금수령사업자로 확정됐다.이후 주민들의 요청으로 사업변경이 이루어지면서 지급 대상과 방법을 바꿔 보조금사업자가 농민단체가 아닌 개인사업장으로 변경됐다.해당 지원사업의 담당 공무원 A씨는 사업기간 내 진행이 촉박해진 상태에서 다수의 개인사업장에 대한 보조금 지급의 적정 여부를 심사해야 하는 입창에 처했다.현장검증을 할 시간이 부족하자 무작위로 선정해 일부 사업장을 조사하게 됐고, 방문하지 못한 경우에도 사진대장 등 자료를 검토한 뒤 이상이 없을 것이라 판단하고 보조금 지급을 진행했다.그러나 방문하지 않은 사업장 일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지급받은 사실이 확인됐다.특히, 허위 신청으로 직접적인 문제가 된 농민들이 초기 보조금사업자로 신청까지 한 것이 밝혀져 신청 단계에서부터 조직적인 범행을 모의한 것이 밝혀졌다.공동범행을 모의한 농민들이 A씨를 비롯한 지자체 농업기술센터를 속여 보조금 부정수급을 받을 목적으로 허위신청을 한 것이다.그러나 경찰에서는 A씨가 이를 알고도 농민들의 부정수급에 가담했다고 판단해 허위공문서작성죄 등 혐의로 검찰에 사건을 송치했다.A씨는 허위공문서작성죄 등 혐의에 대해 집행유예 판결을 받을 경우 퇴직 사유, 벌금형일 경우 징계대상 및 평생 진급에 불이익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았다.다행히 A씨 법률대리인은 위 사실과 함께 사업에 참여한 농민들의 고의성에 의해 발생한 사건이며, 어떠한 뇌물 및 청탁이 없었다는 점을 입증했다.부정청탁 내지 뇌물수수 사실 여부, 보조금 부정수급 인지 여부 등을 밝힌 결과 다행이 기소유예 처분으로 재판 전 사건을 마무리하게 됐다.해당 사건을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법리적으로 A씨는 허위공문서작성죄 등에 있어 그 고의가 부정된다. 이 사건의 본질은 각 사업장이 A씨를 속이고 부정수급을 한 범죄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라며 “객관적인 상황에서 부정행위를 전부 밝혀낸다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형태의 사업 진행이 처음이라는 점을 강조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주민 담합해 보조금 부정수급… 애꿎은 공무원 허위공문서작성죄 처벌받을 뻔
조세일보
2024-02-21
법무법인 대륜, 선거대응팀 발족…선거법위반 등 대응
법무법인 대륜, 선거대응팀 발족…선거법위반 등 대응
4·10총선 관련 법률검토 마쳐… 여론 동향 분석 등 차별화선거 준비, 선관위 조사, 수사, 재판 등 원스톱 조력 제공 오는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법무법인 대륜이 선거대응팀을 출범했다고 21일 밝혔다.대륜 관계자는 이날 "선거폭력 및 신경전이 과열되고 있는 가운데, 대륜의 선거대응팀이 공약 분석 및 법적 분쟁 예방 등에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수사·재판 능숙한 전관 출신 변호사로 구성선거대응팀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수사 및 재판에 능숙한 전관 출신 변호사들로 구성됐다.정치인의 형사사건을 다수 맡아온 검찰 지청장 출신 김국일(사법연수원 24기) 대표와 선거법위반 사건 대응에 능숙한 손순혁(18기) 변호사가 팀장을 맡았다.김 대표는 공직공익비리신고 전국시민운동연합 부총재로 활동하고 있다. 유력 정치인의 형사사건을 다수 맡은 바 있다.손 변호사는 해운대, 기장을 국회의원 보궐선거 선거법위반, 기장군수, 해운대구청장, 금정구청장 후보 선거법위반 등 사건을 수행했다. 현재 대륜 지역 사무소에 상주하고 있어 비수도권 고객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김진원(21기) 변호사, 나창수(31기) 변호사, 서봉하(31기) 변호사, 강형윤(42기) 변호사 등은 다수의 대선 예비후보자,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법위반 사건을 다룬 전관 출신 변호사로 수사단계에서부터 대응할 예정이다.특히, 나 변호사는 감사교육원 공직자범죄 분야 외래강사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강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 공공수사 관련 전문가로 평가받았다.이 외에도 검찰 공안부에서 오랜기간 재직한 변호사, 지역 선거관리위원회 법률자문 등 경력이 있는 변호사들이 합류하면서 선거 관련 자문, 공직선거법위반 관련 대응 등에 적합한 조직을 구성했다는 평가다.김국일 대표는 "검찰과 법원에서 선거법위반 관련 실무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구성돼 최적의 대응팀이 됐다"며 "선거 준비부터 선관위 조사, 수사, 재판 등 전 단계에서 종합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특화그룹 업무 연계 원스톱 법률서비스 제공대륜 선거대응팀은 4·10 총선 관련 법령·판례 검토를 마무리했으며,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보유한 역량과 기술을 활용해 여론 동향 분석 등을 진행하면서 차별화를 뒀다.선거대응팀은 선거준비·선거운동 단계의 대응부터 자문, 수사 및 재판 조력까지 전 영역에서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특히, 확대 개편하면서 실력자들이 대거 포진한 형사그룹, 수사대응팀과의 유기적인 업무 연계도 진행한다. 이는 허위사실 유포, 가짜뉴스, 흑색선전 등에 따른 선관위 조사, 검경 수사, 상대 후보의 위법행위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다.검찰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22대 총선 관련 선거사범은 총 113명이 입건됐고 이 중 7명을 기소했으며, 85명은 수사 중이다.선거범죄 유형 중 흑색선전이 47건(41.6%)으로 가장 많았으며, 금품 선거범죄와 공무원과 단체의 불법행위가 각각 24건, 8건으로 뒤를 이었다. 선거 폭력·방해도 4건을 기록했다.형사그룹 및 그룹 내 수사대응팀은 허위사실 유포, 뇌물수수, 위증죄 등 사건 경험이 풍부해 검경 수사에서 초기 대응에 적극 투입될 예정이다.김 대표는 "선거법위반 사례는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총선에서 승리하더라도 선거법위반으로 기소되는 사례도 다수 있다"며 "일반 형사사건과 다르게 바라봐야 한다. 공소시효도 6개월로 짧아 조사나 수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대륜은 총선, 지방선거 등 선거에 따른 법적 이슈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만큼, 상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팀을 유지할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선거대응팀 발족…선거법위반 등 대응
조세일보
2024-02-21
법무법인 대륜, 선거대응팀 발족…선거법위반 등 대응
법무법인 대륜, 선거대응팀 발족…선거법위반 등 대응
4·10총선 관련 법률검토 마쳐… 여론 동향 분석 등 차별화선거 준비, 선관위 조사, 수사, 재판 등 원스톱 조력 제공 오는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법무법인 대륜이 선거대응팀을 출범했다고 21일 밝혔다.대륜 관계자는 이날 "선거폭력 및 신경전이 과열되고 있는 가운데, 대륜의 선거대응팀이 공약 분석 및 법적 분쟁 예방 등에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수사·재판 능숙한 전관 출신 변호사로 구성선거대응팀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수사 및 재판에 능숙한 전관 출신 변호사들로 구성됐다.정치인의 형사사건을 다수 맡아온 검찰 지청장 출신 김국일(사법연수원 24기) 대표와 선거법위반 사건 대응에 능숙한 손순혁(18기) 변호사가 팀장을 맡았다.김 대표는 공직공익비리신고 전국시민운동연합 부총재로 활동하고 있다. 유력 정치인의 형사사건을 다수 맡은 바 있다.손 변호사는 해운대, 기장을 국회의원 보궐선거 선거법위반, 기장군수, 해운대구청장, 금정구청장 후보 선거법위반 등 사건을 수행했다. 현재 대륜 지역 사무소에 상주하고 있어 비수도권 고객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김진원(21기) 변호사, 나창수(31기) 변호사, 서봉하(31기) 변호사, 강형윤(42기) 변호사 등은 다수의 대선 예비후보자,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법위반 사건을 다룬 전관 출신 변호사로 수사단계에서부터 대응할 예정이다.특히, 나 변호사는 감사교육원 공직자범죄 분야 외래강사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강 변호사는 검사 재직 시절 공공수사 관련 전문가로 평가받았다.이 외에도 검찰 공안부에서 오랜기간 재직한 변호사, 지역 선거관리위원회 법률자문 등 경력이 있는 변호사들이 합류하면서 선거 관련 자문, 공직선거법위반 관련 대응 등에 적합한 조직을 구성했다는 평가다.김국일 대표는 "검찰과 법원에서 선거법위반 관련 실무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구성돼 최적의 대응팀이 됐다"며 "선거 준비부터 선관위 조사, 수사, 재판 등 전 단계에서 종합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특화그룹 업무 연계 원스톱 법률서비스 제공대륜 선거대응팀은 4·10 총선 관련 법령·판례 검토를 마무리했으며,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이 보유한 역량과 기술을 활용해 여론 동향 분석 등을 진행하면서 차별화를 뒀다.선거대응팀은 선거준비·선거운동 단계의 대응부터 자문, 수사 및 재판 조력까지 전 영역에서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특히, 확대 개편하면서 실력자들이 대거 포진한 형사그룹, 수사대응팀과의 유기적인 업무 연계도 진행한다. 이는 허위사실 유포, 가짜뉴스, 흑색선전 등에 따른 선관위 조사, 검경 수사, 상대 후보의 위법행위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다.검찰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22대 총선 관련 선거사범은 총 113명이 입건됐고 이 중 7명을 기소했으며, 85명은 수사 중이다.선거범죄 유형 중 흑색선전이 47건(41.6%)으로 가장 많았으며, 금품 선거범죄와 공무원과 단체의 불법행위가 각각 24건, 8건으로 뒤를 이었다. 선거 폭력·방해도 4건을 기록했다.형사그룹 및 그룹 내 수사대응팀은 허위사실 유포, 뇌물수수, 위증죄 등 사건 경험이 풍부해 검경 수사에서 초기 대응에 적극 투입될 예정이다.김 대표는 "선거법위반 사례는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총선에서 승리하더라도 선거법위반으로 기소되는 사례도 다수 있다"며 "일반 형사사건과 다르게 바라봐야 한다. 공소시효도 6개월로 짧아 조사나 수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대륜은 총선, 지방선거 등 선거에 따른 법적 이슈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만큼, 상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팀을 유지할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선거대응팀 발족…선거법위반 등 대응
데일리메디
2024-02-19
법조계 "공모 없는 개별 사직은 처벌 불가능"
법조계 "공모 없는 개별 사직은 처벌 불가능"
개별사직-집단사직 판단 기준 없어…집단행동 입증 가능성 쉽지 않아 한 지역병원 인턴의 공개 사직이 신중함을 거듭하는 동료 의사들 움직임에 불을 지핀 가운데, 정부가 현 상황에 개별사직도 집단사직으로 볼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놨다.그러나 법조계는 명확한 공모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면 개별사직을 집단사직으로 간주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개별사직 사태를 막기 위한 일종의 엄포라는 지적이다.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사직서를 내는 사유가 통상적인 것을 벗어나는 부분은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항의의 표시”라며 “개별성을 띤다고 해도 사전에 동료들과 상의했다면 집단사직서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이어 “개별 병원에서 사직서를 받을 때 이유 등을 상담을 통해 면밀히 따져 개별적인 사유가 아닌 경우 정부가 내린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명령에 따라야 한다”며 “각 개별 병원, 주요 병원들에 대해서는 일일이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압박했다.박 차관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전공의들이 정부 압박 속에 일부 개별사직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나왔다.전날 대전성모병원 한 인턴은 유튜브를 통해 “개인적 사유로 사직한다”며 공개적으로 사직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이와 관련, 법무법인 대륜 C변호사는 “명확한 사전공모 증거가 없으면 개별사직만으로 처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봤다.이어 “전공의들이 개별적으로 사직서를 각 병원에 제출하는 것을 묶어서 집단사직이라고 간주할 수는 없다. 개별사직을 연달아 했을 때 몇 번째까지는 개별사직이고 몇 번째부터는 집단사직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다”고 설명했다.그는 사직 이유를 파악하겠다는 정부 입장에 “사직은 개인 양심이나 개별적 이유로 하는 건데 이를 일괄적으로 집단사직으로 판단하겠다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다만 의료단체나 병원별로 공모한 정황이나 증거가 나올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C변호사는 “전공의 단체나 병원별 회의 같은 데에서 ‘개별적으로 사직해서 하나의 집단행동처럼 보이게 하자’는 식의 공모한 증거가 있다면 집단행동으로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정부가 전공의들이 재계약을 하지 않는 것을 집단행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주장에 C변호사는 “계약 연장은 병원과 소속 의사 간에 계약자유 원칙을 따라야 한다. 개별적으로 계약을 연장하지 않는 것 역시 공모한 정황이 없다면 정부가 집단행동이라고 입증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이어 “전공의들이 개별적으로 사직하거나 재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 정부에서는 막기가 어렵다 보니 기우(杞憂)에서 비롯된 엄포가 아닐까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법조계 "공모 없는 개별 사직은 처벌 불가능"
데일리메디
2024-02-19
법조계 "공모 없는 개별 사직은 처벌 불가능"
법조계 "공모 없는 개별 사직은 처벌 불가능"
개별사직-집단사직 판단 기준 없어…집단행동 입증 가능성 쉽지 않아 한 지역병원 인턴의 공개 사직이 신중함을 거듭하는 동료 의사들 움직임에 불을 지핀 가운데, 정부가 현 상황에 개별사직도 집단사직으로 볼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놨다.그러나 법조계는 명확한 공모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면 개별사직을 집단사직으로 간주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개별사직 사태를 막기 위한 일종의 엄포라는 지적이다.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사직서를 내는 사유가 통상적인 것을 벗어나는 부분은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항의의 표시”라며 “개별성을 띤다고 해도 사전에 동료들과 상의했다면 집단사직서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이어 “개별 병원에서 사직서를 받을 때 이유 등을 상담을 통해 면밀히 따져 개별적인 사유가 아닌 경우 정부가 내린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명령에 따라야 한다”며 “각 개별 병원, 주요 병원들에 대해서는 일일이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압박했다.박 차관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전공의들이 정부 압박 속에 일부 개별사직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나왔다.전날 대전성모병원 한 인턴은 유튜브를 통해 “개인적 사유로 사직한다”며 공개적으로 사직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이와 관련, 법무법인 대륜 C변호사는 “명확한 사전공모 증거가 없으면 개별사직만으로 처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봤다.이어 “전공의들이 개별적으로 사직서를 각 병원에 제출하는 것을 묶어서 집단사직이라고 간주할 수는 없다. 개별사직을 연달아 했을 때 몇 번째까지는 개별사직이고 몇 번째부터는 집단사직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다”고 설명했다.그는 사직 이유를 파악하겠다는 정부 입장에 “사직은 개인 양심이나 개별적 이유로 하는 건데 이를 일괄적으로 집단사직으로 판단하겠다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다만 의료단체나 병원별로 공모한 정황이나 증거가 나올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C변호사는 “전공의 단체나 병원별 회의 같은 데에서 ‘개별적으로 사직해서 하나의 집단행동처럼 보이게 하자’는 식의 공모한 증거가 있다면 집단행동으로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정부가 전공의들이 재계약을 하지 않는 것을 집단행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주장에 C변호사는 “계약 연장은 병원과 소속 의사 간에 계약자유 원칙을 따라야 한다. 개별적으로 계약을 연장하지 않는 것 역시 공모한 정황이 없다면 정부가 집단행동이라고 입증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이어 “전공의들이 개별적으로 사직하거나 재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 정부에서는 막기가 어렵다 보니 기우(杞憂)에서 비롯된 엄포가 아닐까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법조계 "공모 없는 개별 사직은 처벌 불가능"
한국경제
2024-02-14
법무법인 대륜, 형사대응그룹 강화…수사대응팀 신설
법무법인 대륜, 형사대응그룹 강화…수사대응팀 신설
국내 10대 로펌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수준 높은 사건 처리 역량을 바탕으로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을 알리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4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형사분야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판사·검찰·경찰 출신 변호사 영입을 해오면서 본사에 형사대응그룹을 꾸려 사건 처리의 효율성을 높여왔다. 형사대응그룹은 기존 형사5부로 출범했으며, 20년 이상의 법조 경력을 가진 부장판사·부장검사·검찰 지청장·경찰 간부 출신의 변호사가 각 팀을 총괄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조세사범, 기업범죄, 성범죄 사건을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21기) 최고총괄변호사가 센터장을 맡아 오랜 법조 경력으로 축적한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다.더불어 강력범죄를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2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마약범죄 및 지식재산권 관련 범죄 사건에 능통한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1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산업재해 및 기업범죄 사건 경험이 풍부한 부장검사 출신 나창수(31기) 최고총괄변호사, 음주·교통사범 등 형사범죄 사건에 특화된 경찰 간부·부장검사 출신 박성동(24기) 최고총괄변호사가 각 팀장을 맡아 사건을 총괄한다.대륜은 소속 전문가가 500명을 넘어서며, 사건 분야마다 전문 변호사가 힘을 합쳐 폭넓은 협력 체계를 갖췄다.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며 형사대응그룹 소속 총괄 변호사, 전문 변호사 등 전문가의 내부 자문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전국 동일 법률서비스 제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올해 달라진 점은 검경의 수사 강화 기조에 따라 기존 형사대응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신설했다.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부, 정보외사부에서 근무한 박성동 변호사가 팀장을 맡아 서울 각 경찰서 수사관 출신의 팀원들과 더욱 높은 수준의 수사단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이를 통해 형사사건에 대한 원스톱 조력을 강화하는 한편 4·10 총선에 대비하는 선거수사팀, 50인 미만 업체의 중대재해수사팀 등 시의적절한 수사TF팀을 꾸려 선제 대응함으로써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현재 대륜은 사건의 시작인 법률상담부터 사건 종결까지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체 법률상담센터 운영 등 경로 다양화를 통해 상담에서부터 정확한 진단을 나선다는 방침이다.특히, 탐정 자격을 취득한 전문 조사관들이 소속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의 협업으로 첨단 수사기법을 활용한 증거수집 및 분석 절차부터 함께 한다.이후 경찰·검찰 수사단계 대응을 위해 모의조사실에서 조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수사기관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수사입회 등을 통한 초동 대응에 나서고 있다.대륜은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 이후 더욱 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서 사건 대응에 대한 밀착력이 높아졌다고 밝혔다.형사사건 종결뿐만 아니라 19개 전담 그룹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형사사건에서 파생되는 일반소송·중재, 금융법무, 조세 등 후속 대응에 대해서도 신속한 이행이 가능하도록 본사 중심 관리를 하고 있다.대륜은 지속적으로 경찰, 검찰 수사관 출신 팀원을 대폭 보강하고, 수사기관 근무 경력 변호사를 추가 충원해 규모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일반 형사사건 뿐만 아니라 총선, 중대재해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하여도 수사기관에 대응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을 위한 전문가 조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다수의 전문 인력이 힘을 보태면서 전문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실 강화를 마쳤고, 이제는 더욱 전진할 때”라며 “굵직한 형사사건들을 처리할 수 있는 사건 처리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올해 국내 일류 로펌으로서의 입지를 확실하게 다지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형사대응그룹 강화…수사대응팀 신설
한국경제
2024-02-14
법무법인 대륜, 형사대응그룹 강화…수사대응팀 신설
법무법인 대륜, 형사대응그룹 강화…수사대응팀 신설
국내 10대 로펌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수준 높은 사건 처리 역량을 바탕으로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을 알리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4일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형사분야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판사·검찰·경찰 출신 변호사 영입을 해오면서 본사에 형사대응그룹을 꾸려 사건 처리의 효율성을 높여왔다. 형사대응그룹은 기존 형사5부로 출범했으며, 20년 이상의 법조 경력을 가진 부장판사·부장검사·검찰 지청장·경찰 간부 출신의 변호사가 각 팀을 총괄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조세사범, 기업범죄, 성범죄 사건을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21기) 최고총괄변호사가 센터장을 맡아 오랜 법조 경력으로 축적한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다.더불어 강력범죄를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2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마약범죄 및 지식재산권 관련 범죄 사건에 능통한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1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산업재해 및 기업범죄 사건 경험이 풍부한 부장검사 출신 나창수(31기) 최고총괄변호사, 음주·교통사범 등 형사범죄 사건에 특화된 경찰 간부·부장검사 출신 박성동(24기) 최고총괄변호사가 각 팀장을 맡아 사건을 총괄한다.대륜은 소속 전문가가 500명을 넘어서며, 사건 분야마다 전문 변호사가 힘을 합쳐 폭넓은 협력 체계를 갖췄다.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며 형사대응그룹 소속 총괄 변호사, 전문 변호사 등 전문가의 내부 자문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전국 동일 법률서비스 제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올해 달라진 점은 검경의 수사 강화 기조에 따라 기존 형사대응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신설했다.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부, 정보외사부에서 근무한 박성동 변호사가 팀장을 맡아 서울 각 경찰서 수사관 출신의 팀원들과 더욱 높은 수준의 수사단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이를 통해 형사사건에 대한 원스톱 조력을 강화하는 한편 4·10 총선에 대비하는 선거수사팀, 50인 미만 업체의 중대재해수사팀 등 시의적절한 수사TF팀을 꾸려 선제 대응함으로써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현재 대륜은 사건의 시작인 법률상담부터 사건 종결까지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체 법률상담센터 운영 등 경로 다양화를 통해 상담에서부터 정확한 진단을 나선다는 방침이다.특히, 탐정 자격을 취득한 전문 조사관들이 소속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의 협업으로 첨단 수사기법을 활용한 증거수집 및 분석 절차부터 함께 한다.이후 경찰·검찰 수사단계 대응을 위해 모의조사실에서 조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수사기관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수사입회 등을 통한 초동 대응에 나서고 있다.대륜은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 이후 더욱 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서 사건 대응에 대한 밀착력이 높아졌다고 밝혔다.형사사건 종결뿐만 아니라 19개 전담 그룹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형사사건에서 파생되는 일반소송·중재, 금융법무, 조세 등 후속 대응에 대해서도 신속한 이행이 가능하도록 본사 중심 관리를 하고 있다.대륜은 지속적으로 경찰, 검찰 수사관 출신 팀원을 대폭 보강하고, 수사기관 근무 경력 변호사를 추가 충원해 규모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일반 형사사건 뿐만 아니라 총선, 중대재해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하여도 수사기관에 대응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을 위한 전문가 조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다수의 전문 인력이 힘을 보태면서 전문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실 강화를 마쳤고, 이제는 더욱 전진할 때”라며 “굵직한 형사사건들을 처리할 수 있는 사건 처리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올해 국내 일류 로펌으로서의 입지를 확실하게 다지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형사대응그룹 강화…수사대응팀 신설
스포츠서울
2024-02-13
법원, 뒤늦게 퇴사 번복한 근로자의 산업재해·손해배상訴 청구 전체 기각... 3년 소송 마무리
법원, 뒤늦게 퇴사 번복한 근로자의 산업재해·손해배상訴 청구 전체 기각... 3년 소송 마무리
근로자, 사직서 수리 전 철회했다며 부당해고 및 불법행위 주장산업재해 승인도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며 회사에 책임 물어법원 “근로자 주장 인정 어려워”…3년 간 법적 공방 마무리부당해고 구제 신청,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기각이 뒷받침 [스포츠서울 | 김수지 기자] 부당해고 등을 원인으로 한 산업재해를 주장하는 근로자의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산재손해배상 청구가 모두 기각된 사례가 나왔다. 서울남부지법은 근로자 A씨가 주식회사 B 및 임직원을 상대로 근로기준법 위반 및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배려의무 위반 등에 대한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근로자 A씨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A씨는 당시 속해 있던 부서를 폐지하기로 했다는 회사의 통보에 결국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후 수리되기 전에 철회했는데, 회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주요 임직원들 및 주식회사를 상대로 5,000만 원의 손해배상금을 청구했다. 주된 청구취지는 퇴직 과정에서 불법행위, 부당한 업무지시 등으로 산업재해가 발생했으며, 주식회사 B 및 임직원이 산업재해 발생을 부인하는 등 산업재해 승인이 늦어지도록 의도적으로 방해하였고,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정신적 피해를 입었기에 산업보험급부의 가액을 초과하는 손해에 관해 회사의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주식회사 B와 임직원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3년 이상 지속된 원고의 소송과 형사 고소 등에서 사실관계를 충분히 주장하고 다투었으며, 오히려 A씨의 행위로 인해 많은 고통과 재산상의 손해를 입었다고 호소했다. 주식회사 B의 주장에 따르면, A씨는 자발적인 의사로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과정에서 기망 또는 강박행위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A씨와 주식회사 B의 3년 간 지속된 법적 공방은 법원이 주식회사 B의 손을 들어주며 막을 내렸다. 법원은 “원고 주장과 같은 불법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어렵고, 사용자 등의 고의나 과실을 불문하고 법이 정하는 보상을 하는 사회보장제도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산업재해보상과 과실책임을 원칙으로 하는 손해배상 책임은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방노동위원회는 이 사건 사직서를 적법하게 수리함으로써 근로관계가 종료됐다며 A씨의 구제신청을 기각하는 판정을 내렸다. 재심까지 기각하자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를 구하는 내용의 부당해고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원고 패소 판결을 선고했다. 주식회사 B 및 임직원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근로자의 중대한 과실 혹은 자의에 의한 사직처리임을 입증하여 원고의 주장을 인정할 근거가 없다고 밝혀냈다”며 “회사측의 법률적·절차적 결함이나 과실이 없었음에도 장기간 소송이 이어져왔다. 이와 같은 산업재해, 부당해고 등 관련 사건은 끊이지 않고 있는데, 명확한 인과관계를 증명하고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뒤늦게 퇴사 번복한 근로자의 산업재해·손해배상訴 청구 전체 기각... 3년 소송 마무리
스포츠서울
2024-02-13
법원, 뒤늦게 퇴사 번복한 근로자의 산업재해·손해배상訴 청구 전체 기각... 3년 소송 마무리
법원, 뒤늦게 퇴사 번복한 근로자의 산업재해·손해배상訴 청구 전체 기각... 3년 소송 마무리
근로자, 사직서 수리 전 철회했다며 부당해고 및 불법행위 주장산업재해 승인도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며 회사에 책임 물어법원 “근로자 주장 인정 어려워”…3년 간 법적 공방 마무리부당해고 구제 신청,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기각이 뒷받침 [스포츠서울 | 김수지 기자] 부당해고 등을 원인으로 한 산업재해를 주장하는 근로자의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산재손해배상 청구가 모두 기각된 사례가 나왔다. 서울남부지법은 근로자 A씨가 주식회사 B 및 임직원을 상대로 근로기준법 위반 및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배려의무 위반 등에 대한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근로자 A씨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A씨는 당시 속해 있던 부서를 폐지하기로 했다는 회사의 통보에 결국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후 수리되기 전에 철회했는데, 회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주요 임직원들 및 주식회사를 상대로 5,000만 원의 손해배상금을 청구했다. 주된 청구취지는 퇴직 과정에서 불법행위, 부당한 업무지시 등으로 산업재해가 발생했으며, 주식회사 B 및 임직원이 산업재해 발생을 부인하는 등 산업재해 승인이 늦어지도록 의도적으로 방해하였고,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정신적 피해를 입었기에 산업보험급부의 가액을 초과하는 손해에 관해 회사의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주식회사 B와 임직원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3년 이상 지속된 원고의 소송과 형사 고소 등에서 사실관계를 충분히 주장하고 다투었으며, 오히려 A씨의 행위로 인해 많은 고통과 재산상의 손해를 입었다고 호소했다. 주식회사 B의 주장에 따르면, A씨는 자발적인 의사로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과정에서 기망 또는 강박행위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A씨와 주식회사 B의 3년 간 지속된 법적 공방은 법원이 주식회사 B의 손을 들어주며 막을 내렸다. 법원은 “원고 주장과 같은 불법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어렵고, 사용자 등의 고의나 과실을 불문하고 법이 정하는 보상을 하는 사회보장제도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산업재해보상과 과실책임을 원칙으로 하는 손해배상 책임은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방노동위원회는 이 사건 사직서를 적법하게 수리함으로써 근로관계가 종료됐다며 A씨의 구제신청을 기각하는 판정을 내렸다. 재심까지 기각하자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를 구하는 내용의 부당해고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원고 패소 판결을 선고했다. 주식회사 B 및 임직원 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근로자의 중대한 과실 혹은 자의에 의한 사직처리임을 입증하여 원고의 주장을 인정할 근거가 없다고 밝혀냈다”며 “회사측의 법률적·절차적 결함이나 과실이 없었음에도 장기간 소송이 이어져왔다. 이와 같은 산업재해, 부당해고 등 관련 사건은 끊이지 않고 있는데, 명확한 인과관계를 증명하고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원, 뒤늦게 퇴사 번복한 근로자의 산업재해·손해배상訴 청구 전체 기각... 3년 소송 마무리
중앙일보
2024-02-12
법무법인 대륜, 수사대응팀 신설
법무법인 대륜, 수사대응팀 신설
국내 10대 로펌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수준 높은 사건 처리 역량을 바탕으로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을 알리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형사분야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판사·검찰·경찰 출신 변호사 영입을 해오면서 본사에 형사대응그룹을 꾸려 사건 처리의 효율성을 높여왔다. 형사대응그룹은 기존 형사5부로 출범했으며, 20년 이상의 법조 경력을 가진 부장판사·부장검사·검찰 지청장·경찰 간부 출신의 변호사가 각 팀을 총괄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조세사범, 기업범죄, 성범죄 사건을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21기) 최고총괄변호사가 센터장을 맡아 오랜 법조 경력으로 축적한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다.더불어 강력범죄를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2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마약범죄 및 지식재산권 관련 범죄 사건에 능통한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1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산업재해 및 기업범죄 사건 경험이 풍부한 부장검사 출신 나창수(31기) 최고총괄변호사, 음주ㆍ교통사범 등 형사범죄 사건에 특화된 경찰 간부·부장검사 출신 박성동(24기) 최고총괄변호사가 각 팀장을 맡아 사건을 총괄한다.대륜은 소속 전문가가 500명을 넘어서며, 사건 분야마다 전문 변호사가 힘을 합쳐 폭넓은 협력 체계를 갖췄다.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며 형사대응그룹 소속 총괄 변호사, 전문 변호사 등 전문가의 내부 자문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전국 동일 법률서비스 제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올해 달라진 점은 검경의 수사 강화 기조에 따라 기존 형사대응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신설했다.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부, 정보외사부에서 근무한 박성동 변호사가 팀장을 맡아 서울 각 경찰서 수사관 출신의 팀원들과 한몸이 돼 더욱 높은 수준의 수사단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이를 통해 형사사건에 대한 원스톱 조력을 강화하는 한편 4ㆍ10 총선에 대비하는 선거수사팀, 50인 미만 업체의 중대재해수사팀 등 시의적절한 수사TF팀을 꾸려 선제 대응함으로써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현재 대륜은 사건의 시작인 법률상담부터 사건 종결까지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체 법률상담센터 운영 등 경로 다양화를 통해 상담에서부터 정확한 진단을 나선다는 방침이다.특히, 탐정 자격을 취득한 전문 조사관들이 소속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의 협업으로 첨단 수사기법을 활용한 증거수집 및 분석 절차부터 함께 한다.이후 경찰·검찰 수사단계 대응을 위해 모의조사실에서 조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수사기관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수사입회 등을 통한 초동 대응에 나서고 있다.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의 협업이 빛을 발한 사건도 있었다. 최근 술을 마시고 함께 잠들었다가 준유사강간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을 변호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는 휴대폰 포렌식 및 증거수집을 토대로 사건 이후 피해자의 태도, 피해자의 진술에서 보여지는 허점 등을 꼬집어 고소 경위가 부자연스럽고 의심스럽다는 점을 강조한 덕분이다.대륜은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 이후 더욱 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서 사건 대응에 대한 밀착력이 높아졌다고 밝혔다.형사사건 종결뿐만 아니라 19개 전담 그룹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형사사건에서 파생되는 일반소송·중재, 금융법무, 조세 등 후속 대응에 대해서도 신속한 이행이 가능하도록 본사 중심 관리를 하고 있다.대륜은 지속적으로 경찰, 검찰 수사관 출신 팀원을 대폭 보강하고, 수사기관 근무 경력 변호사를 추가 충원해 규모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일반 형사사건 뿐만 아니라 총선, 중대재해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하여도 수사기관에 대응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을 위한 전문가 조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다수의 전문 인력이 힘을 보태면서 전문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실 강화를 마쳤고, 이제는 더욱 전진할 때”라며 “대륜은 굵직한 형사사건들을 처리할 수 있는 사건 처리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올해 국내 일류 로펌으로서의 입지를 확실하게 다지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수사대응팀 신설
중앙일보
2024-02-12
법무법인 대륜, 수사대응팀 신설
법무법인 대륜, 수사대응팀 신설
국내 10대 로펌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수준 높은 사건 처리 역량을 바탕으로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을 알리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형사분야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판사·검찰·경찰 출신 변호사 영입을 해오면서 본사에 형사대응그룹을 꾸려 사건 처리의 효율성을 높여왔다. 형사대응그룹은 기존 형사5부로 출범했으며, 20년 이상의 법조 경력을 가진 부장판사·부장검사·검찰 지청장·경찰 간부 출신의 변호사가 각 팀을 총괄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조세사범, 기업범죄, 성범죄 사건을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21기) 최고총괄변호사가 센터장을 맡아 오랜 법조 경력으로 축적한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다.더불어 강력범죄를 주로 담당한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2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마약범죄 및 지식재산권 관련 범죄 사건에 능통한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18기) 최고총괄변호사, 선거사범, 산업재해 및 기업범죄 사건 경험이 풍부한 부장검사 출신 나창수(31기) 최고총괄변호사, 음주ㆍ교통사범 등 형사범죄 사건에 특화된 경찰 간부·부장검사 출신 박성동(24기) 최고총괄변호사가 각 팀장을 맡아 사건을 총괄한다.대륜은 소속 전문가가 500명을 넘어서며, 사건 분야마다 전문 변호사가 힘을 합쳐 폭넓은 협력 체계를 갖췄다.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며 형사대응그룹 소속 총괄 변호사, 전문 변호사 등 전문가의 내부 자문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전국 동일 법률서비스 제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올해 달라진 점은 검경의 수사 강화 기조에 따라 기존 형사대응그룹 내 ‘수사대응팀’을 신설했다.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부, 정보외사부에서 근무한 박성동 변호사가 팀장을 맡아 서울 각 경찰서 수사관 출신의 팀원들과 한몸이 돼 더욱 높은 수준의 수사단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이를 통해 형사사건에 대한 원스톱 조력을 강화하는 한편 4ㆍ10 총선에 대비하는 선거수사팀, 50인 미만 업체의 중대재해수사팀 등 시의적절한 수사TF팀을 꾸려 선제 대응함으로써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현재 대륜은 사건의 시작인 법률상담부터 사건 종결까지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체 법률상담센터 운영 등 경로 다양화를 통해 상담에서부터 정확한 진단을 나선다는 방침이다.특히, 탐정 자격을 취득한 전문 조사관들이 소속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의 협업으로 첨단 수사기법을 활용한 증거수집 및 분석 절차부터 함께 한다.이후 경찰·검찰 수사단계 대응을 위해 모의조사실에서 조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수사기관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수사입회 등을 통한 초동 대응에 나서고 있다.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그룹과의 협업이 빛을 발한 사건도 있었다. 최근 술을 마시고 함께 잠들었다가 준유사강간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을 변호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는 휴대폰 포렌식 및 증거수집을 토대로 사건 이후 피해자의 태도, 피해자의 진술에서 보여지는 허점 등을 꼬집어 고소 경위가 부자연스럽고 의심스럽다는 점을 강조한 덕분이다.대륜은 형사대응그룹 확대 출범 이후 더욱 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서 사건 대응에 대한 밀착력이 높아졌다고 밝혔다.형사사건 종결뿐만 아니라 19개 전담 그룹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형사사건에서 파생되는 일반소송·중재, 금융법무, 조세 등 후속 대응에 대해서도 신속한 이행이 가능하도록 본사 중심 관리를 하고 있다.대륜은 지속적으로 경찰, 검찰 수사관 출신 팀원을 대폭 보강하고, 수사기관 근무 경력 변호사를 추가 충원해 규모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일반 형사사건 뿐만 아니라 총선, 중대재해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하여도 수사기관에 대응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을 위한 전문가 조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다수의 전문 인력이 힘을 보태면서 전문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실 강화를 마쳤고, 이제는 더욱 전진할 때”라며 “대륜은 굵직한 형사사건들을 처리할 수 있는 사건 처리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올해 국내 일류 로펌으로서의 입지를 확실하게 다지겠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수사대응팀 신설
데일리메디
2024-02-12
政 "집단행동 금지"···업무개시명령→처벌 촉각
政 "집단행동 금지"···업무개시명령→처벌 촉각
의사면허취소법 적용여부 초미 관심···"파업, 적법 아니지만 취소 쉽지 않을듯" [서동준‧이슬비 기자] 지난 2000년 의약분업을 비롯해 2014년 원격의료, 2020년 의과대학 증원·공공의대 설립에 이어 2024년 의대 증원 2000명 확정으로 의료계 총파업 위기가 가시화되면서 파업으로 인한 의사 처벌 수위에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 2000년, 2020년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을 내렸지만 이번에는 파업 시작 전부터 정부가 ‘집단행동 금지명령’을 내렸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다만 이제는 의사의 생명과도 같은 ‘면허’와 엮여있다는 점에서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 지난해 11월 시행된 ‘의료인면허취소법’으로 금고 이상 형을 받으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는 극단적인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어 정부와 의료계의 ‘강(强) 대 강(强)’ 대치 구도가 어느 정도 처벌까지 이어질지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정부, 전담팀 배치·경찰 협조 등 ‘강경대응’···업무개시명령 불응 시 처벌 촉각지난 2월 6일 의대 증원 발표 이전에도 의료계에서 전공의 총파업 참여 투표 등 단체행동 분위기가 조성되자 정부는 의사 집단행동이 불법임을 분명히 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대 정원 확대 숫자가 어떻게 되든 의료계는 반발할 것”이라며 “노조는 노동 3권이 있지만 의사는 개원의·봉직의 모두 그러한 권한이 없어 집단행동 자체가 불법”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당일(6일) 오후 3시 의대 증원 발표 후에는 정부가 의협 집행부에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명령’을 내렸다. 보건복지부는 수련병원별 전담팀을 꾸리고 일부 병원에는 경찰 협조까지 준비해둔 상태다. 현재 전공의 등 의사들이 ‘정당한 사유 없이’ 거리로 나가 진료가 멈추면 내려질 수 있는 의료인 대상 업무개시명령도 의료법에 근거한다. 의료법 제59조(지도와 명령)는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명령을 위반하면 면허 정지, 형법상 업무방해죄 또는 교사 및 방조범으로 5년 이하 징역·1500만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의대 정원 발표 이후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과 집행부가 사퇴하면서 총파업 구심점이 흔들리고 있다.하지만 의협 비대위 구성과 함께 대한전공의협의회를 주축으로 전국 수련병원별로 파업 찬반투표를 시행하면서 파업 규모는 커질 수 있다. 문제는 금고 이상 형을 받은 의료인의 면허를 취소하는 의료인면허취소법을 골자로 하는 의료법 개정안이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돼 파업 참여에 따른 의사들의 리스크가 큰 상황이라는 것이다. 현재 일부 수련병원에서 전공의 뿐 아니라 봉직의·촉탁의 등이 설 연휴 이후 휴가 제출 및 사직 준비 등 정부의 처벌을 피하기 위한 이른바 새로운 형태의 파업 대책을 강구하는 분위기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 정책 반발, 합법적 파업 아니다” vs 금고형 이상 처벌은 의견 분분한편, 의료법 업무개시명령 발동 조건인 ‘정당한 사유 없이’, ‘국민 보건에 중대한 위해(危害)가 발생할 우려’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법 적용 여부가 판가름 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와 상반되는 의견도 제지된다. 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의사가 파업해서 의료법 15조 진료 거부에 해당할 경우 1년 이하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혹여나 의료기관을 점거하거나 다른 의사들의 진료행위를 방해할 경우 의료법 12조 위반으로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0만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만약 정부가 ‘타당한 이유를 들어’ 업무개시명령을 했음에도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의료법 59조 위반으로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최 변호사는 “이 세 가지 경우에 해당되면 벌금형이 나올 수도 있지만, 만약 금고형 이상의 실형이 나오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 집행유예나 선고유예가 나와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반면 이번 의료계 파업을 적법 파업으로는 볼 수 없지만 실제 면허 취소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정혜승 법무법인 반우 대표변호사는 “사업장에서 일어난 파업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에 반발해 파업하는 것은 근로기준법상 부여되는 합법적 파업권이 아니며, 이에 업무개시명령은 내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2000년 의사 파업으로 실형을 받은 이들은 파업을 주도했던 종주단체 장(長)이었다”며 “전공의들이 병원에 들어가 진료를 방해하면 업무방해죄로 처벌 수위가 높아질 수 있지만 그런 일은 가능해보이지 않는다. 금고형 이상은 나오지 않을 공산이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 쟁의행위에서 추구하는 목적이 다수이고 그중 일부가 정당하지 못한 경우에는 ‘주요한’ 목적의 옳고 그름 여부로 그 쟁의행위 정당성을 판단했다는 대법원 판례(1992년 선고)도 있다. 정부 업무개시명령·사직서 수리 금지명령…"위헌 소지 따져봐야"한편 업무개시명령과 관련해 위헌 소지 논란도 인 바 있다. 실제 某지방의료원 응급의학과 과장은 개인 SNS에 “헌법 제21조(집회·결사의 자유)를 무시하는 정부를 어떻게 더 믿으라는 건가”라는 반발했다. 이에 대해서도 정혜승 변호사는 “해당 사항은 기본권 제한이 맞지만 관련 위헌 여부는 단순 제한이 아니라 침해까지 따져 판단하게 된다”며 “이유, 결과 등을 한꺼번에 고려해 해석하는데 이는 헌법재판소의 몫”이라고 말했다. 최근 정부가 전국 수련병원에 내린 ‘전공의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도 헌법적 요소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최현덕 변호사는 “의료기관 측에서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다. 의료법 59조에 ‘보건의료정책을 위하여 필요하거나 국민보건에 중대한 위해(危害)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다’고 돼 있는데, 과연 사직서 수리가 이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업무개시명령이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위반해서 형사 처벌받은 사례는 지금까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선례가 없는 상태에서 정부가 형사처벌까지 이끌 수 있느냐가 미지수”라고 덧붙였다.그는 또 “헌법소원은 결정이 나오기까지 최소 수년 이상 걸리는 장기전이다. 정부와 의료계 주장이 서로 엇갈리고 있지만 결국 법적인 조치를 하기에는 양측 모두 쉽사리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기사전문보기] - 政 "집단행동 금지"···업무개시명령→처벌 촉각
데일리메디
2024-02-12
政 "집단행동 금지"···업무개시명령→처벌 촉각
政 "집단행동 금지"···업무개시명령→처벌 촉각
의사면허취소법 적용여부 초미 관심···"파업, 적법 아니지만 취소 쉽지 않을듯" [서동준‧이슬비 기자] 지난 2000년 의약분업을 비롯해 2014년 원격의료, 2020년 의과대학 증원·공공의대 설립에 이어 2024년 의대 증원 2000명 확정으로 의료계 총파업 위기가 가시화되면서 파업으로 인한 의사 처벌 수위에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 2000년, 2020년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을 내렸지만 이번에는 파업 시작 전부터 정부가 ‘집단행동 금지명령’을 내렸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다만 이제는 의사의 생명과도 같은 ‘면허’와 엮여있다는 점에서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 지난해 11월 시행된 ‘의료인면허취소법’으로 금고 이상 형을 받으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는 극단적인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어 정부와 의료계의 ‘강(强) 대 강(强)’ 대치 구도가 어느 정도 처벌까지 이어질지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정부, 전담팀 배치·경찰 협조 등 ‘강경대응’···업무개시명령 불응 시 처벌 촉각지난 2월 6일 의대 증원 발표 이전에도 의료계에서 전공의 총파업 참여 투표 등 단체행동 분위기가 조성되자 정부는 의사 집단행동이 불법임을 분명히 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대 정원 확대 숫자가 어떻게 되든 의료계는 반발할 것”이라며 “노조는 노동 3권이 있지만 의사는 개원의·봉직의 모두 그러한 권한이 없어 집단행동 자체가 불법”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당일(6일) 오후 3시 의대 증원 발표 후에는 정부가 의협 집행부에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명령’을 내렸다. 보건복지부는 수련병원별 전담팀을 꾸리고 일부 병원에는 경찰 협조까지 준비해둔 상태다. 현재 전공의 등 의사들이 ‘정당한 사유 없이’ 거리로 나가 진료가 멈추면 내려질 수 있는 의료인 대상 업무개시명령도 의료법에 근거한다. 의료법 제59조(지도와 명령)는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명령을 위반하면 면허 정지, 형법상 업무방해죄 또는 교사 및 방조범으로 5년 이하 징역·1500만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의대 정원 발표 이후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과 집행부가 사퇴하면서 총파업 구심점이 흔들리고 있다.하지만 의협 비대위 구성과 함께 대한전공의협의회를 주축으로 전국 수련병원별로 파업 찬반투표를 시행하면서 파업 규모는 커질 수 있다. 문제는 금고 이상 형을 받은 의료인의 면허를 취소하는 의료인면허취소법을 골자로 하는 의료법 개정안이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돼 파업 참여에 따른 의사들의 리스크가 큰 상황이라는 것이다. 현재 일부 수련병원에서 전공의 뿐 아니라 봉직의·촉탁의 등이 설 연휴 이후 휴가 제출 및 사직 준비 등 정부의 처벌을 피하기 위한 이른바 새로운 형태의 파업 대책을 강구하는 분위기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 정책 반발, 합법적 파업 아니다” vs 금고형 이상 처벌은 의견 분분한편, 의료법 업무개시명령 발동 조건인 ‘정당한 사유 없이’, ‘국민 보건에 중대한 위해(危害)가 발생할 우려’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법 적용 여부가 판가름 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와 상반되는 의견도 제지된다. 최현덕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의사가 파업해서 의료법 15조 진료 거부에 해당할 경우 1년 이하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혹여나 의료기관을 점거하거나 다른 의사들의 진료행위를 방해할 경우 의료법 12조 위반으로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0만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만약 정부가 ‘타당한 이유를 들어’ 업무개시명령을 했음에도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의료법 59조 위반으로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최 변호사는 “이 세 가지 경우에 해당되면 벌금형이 나올 수도 있지만, 만약 금고형 이상의 실형이 나오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 집행유예나 선고유예가 나와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반면 이번 의료계 파업을 적법 파업으로는 볼 수 없지만 실제 면허 취소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정혜승 법무법인 반우 대표변호사는 “사업장에서 일어난 파업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에 반발해 파업하는 것은 근로기준법상 부여되는 합법적 파업권이 아니며, 이에 업무개시명령은 내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2000년 의사 파업으로 실형을 받은 이들은 파업을 주도했던 종주단체 장(長)이었다”며 “전공의들이 병원에 들어가 진료를 방해하면 업무방해죄로 처벌 수위가 높아질 수 있지만 그런 일은 가능해보이지 않는다. 금고형 이상은 나오지 않을 공산이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 쟁의행위에서 추구하는 목적이 다수이고 그중 일부가 정당하지 못한 경우에는 ‘주요한’ 목적의 옳고 그름 여부로 그 쟁의행위 정당성을 판단했다는 대법원 판례(1992년 선고)도 있다. 정부 업무개시명령·사직서 수리 금지명령…"위헌 소지 따져봐야"한편 업무개시명령과 관련해 위헌 소지 논란도 인 바 있다. 실제 某지방의료원 응급의학과 과장은 개인 SNS에 “헌법 제21조(집회·결사의 자유)를 무시하는 정부를 어떻게 더 믿으라는 건가”라는 반발했다. 이에 대해서도 정혜승 변호사는 “해당 사항은 기본권 제한이 맞지만 관련 위헌 여부는 단순 제한이 아니라 침해까지 따져 판단하게 된다”며 “이유, 결과 등을 한꺼번에 고려해 해석하는데 이는 헌법재판소의 몫”이라고 말했다. 최근 정부가 전국 수련병원에 내린 ‘전공의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도 헌법적 요소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최현덕 변호사는 “의료기관 측에서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다. 의료법 59조에 ‘보건의료정책을 위하여 필요하거나 국민보건에 중대한 위해(危害)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다’고 돼 있는데, 과연 사직서 수리가 이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업무개시명령이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위반해서 형사 처벌받은 사례는 지금까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선례가 없는 상태에서 정부가 형사처벌까지 이끌 수 있느냐가 미지수”라고 덧붙였다.그는 또 “헌법소원은 결정이 나오기까지 최소 수년 이상 걸리는 장기전이다. 정부와 의료계 주장이 서로 엇갈리고 있지만 결국 법적인 조치를 하기에는 양측 모두 쉽사리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기사전문보기] - 政 "집단행동 금지"···업무개시명령→처벌 촉각
스포츠서울 외
2024-02-08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
10분 지나서 취소 안 된다는 환불 정책으로 갈등… 숙박비 반환 소송 제기- 야놀자 측 전세보증금에 채권 가압류 결정받아[스포츠서울 | 김수지 기자] 숙박 예약 플랫폼 야놀자의 당일 예약 취소 불가 규정이 숙박비반환청구소송으로 번진 가운데, 야놀자에게 가압류 결정이 내려져 향후 본안 소송의 귀추가 주목된다.앞서 숙박비 환불 규정을 두고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야놀자 사이 갈등이 발생했다. 대륜은 야놀자 앱을 통해 특가 상품을 예약했고, 예약 직후 일정 변경으로 인해 취소를 요청했다.그러나 야놀자 측은 ‘10분’ 내에 취소한 것은 아니라는 이유로 환불이 불가하다는 답변을 내놓았고, 끝내 환불 불가 입장을 고수하여 갈등이 불거졌다. 이에 대륜은 법적 절차를 통해 숙박비를 돌려받고자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대륜은 피고 야놀자의 이 사건 숙박 계약에 관한 환불 규정은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해 무효이며, 적법한 기간 내에 청약 철회의 의사표시를 행사했으므로 당연히 청약은 철회된 것이어서 야놀자가 숙박비를 환불해 줘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다.대륜 소속 변호사는 “법리와 판례에 기초할 때 ‘10분’이 지나면 환불 불가라는 야놀자의 환불 약관은 무효이므로, 야놀자는 법률상 원인 없이 숙박 계약의 결제 대금을 받은 것이 되고, 따라서 야놀자는 이 사건 숙박 계약의 결제 대금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대륜은 이러한 주장에 기초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야놀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과 함께 야놀자 측 전세보증금에 대한 채권가압류 신청을 했는데, 서울중앙지방법원이 대륜의 채권가압류 신청을 받아들인 것이다.가압류란 채권자가 장래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집행할 수 있도록 미리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는 것으로, 채권자의 주장이 법원에 소명되어야 가압류 결정이 나온다는 것이 법조계의 일반적 해석이다.대륜 소속 변호사는 “전체 소비자를 대상으로 고려하면 야놀자의 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더는 소비자들의 피해가 계속되지 않도록 본안소송 준비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번 소송을 통해 소비자의 취소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야놀자의 행태에 경종을 울릴 것”이라고 전해, 본안 소송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브릿지경제 -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내세우던 숙박어플 야놀자에 대한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비지니스코리아 -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스포츠서울 외
2024-02-08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
10분 지나서 취소 안 된다는 환불 정책으로 갈등… 숙박비 반환 소송 제기- 야놀자 측 전세보증금에 채권 가압류 결정받아[스포츠서울 | 김수지 기자] 숙박 예약 플랫폼 야놀자의 당일 예약 취소 불가 규정이 숙박비반환청구소송으로 번진 가운데, 야놀자에게 가압류 결정이 내려져 향후 본안 소송의 귀추가 주목된다.앞서 숙박비 환불 규정을 두고 법무법인(유한) 대륜과 야놀자 사이 갈등이 발생했다. 대륜은 야놀자 앱을 통해 특가 상품을 예약했고, 예약 직후 일정 변경으로 인해 취소를 요청했다.그러나 야놀자 측은 ‘10분’ 내에 취소한 것은 아니라는 이유로 환불이 불가하다는 답변을 내놓았고, 끝내 환불 불가 입장을 고수하여 갈등이 불거졌다. 이에 대륜은 법적 절차를 통해 숙박비를 돌려받고자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대륜은 피고 야놀자의 이 사건 숙박 계약에 관한 환불 규정은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해 무효이며, 적법한 기간 내에 청약 철회의 의사표시를 행사했으므로 당연히 청약은 철회된 것이어서 야놀자가 숙박비를 환불해 줘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다.대륜 소속 변호사는 “법리와 판례에 기초할 때 ‘10분’이 지나면 환불 불가라는 야놀자의 환불 약관은 무효이므로, 야놀자는 법률상 원인 없이 숙박 계약의 결제 대금을 받은 것이 되고, 따라서 야놀자는 이 사건 숙박 계약의 결제 대금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대륜은 이러한 주장에 기초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야놀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과 함께 야놀자 측 전세보증금에 대한 채권가압류 신청을 했는데, 서울중앙지방법원이 대륜의 채권가압류 신청을 받아들인 것이다.가압류란 채권자가 장래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집행할 수 있도록 미리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는 것으로, 채권자의 주장이 법원에 소명되어야 가압류 결정이 나온다는 것이 법조계의 일반적 해석이다.대륜 소속 변호사는 “전체 소비자를 대상으로 고려하면 야놀자의 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더는 소비자들의 피해가 계속되지 않도록 본안소송 준비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번 소송을 통해 소비자의 취소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야놀자의 행태에 경종을 울릴 것”이라고 전해, 본안 소송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브릿지경제 - ‘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내세우던 숙박어플 야놀자에 대한 채권 가압류 결정… 본안소송 눈길비지니스코리아 - 숙박어플에 채권 가압류 결정...‘10분 지나면 취소 불가’
조세일보
2024-02-08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고광산업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고광산업과 MOU 체결
특허 및 인증, 중대재해 등 법률자문 및 법령 제개정 공유키로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7일 고광산업과 기업 발전을 위한 법적 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고광산업 고광칠 대표이사, 김완수 관리이사 등이 참석했다.고광산업은 플라스틱 단프라를 이용한 제품을 제작하는 업체로, 최근 층간소음 차단제U를 개발해 건설업체 등에 납품하고 있는 업체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고광산업 측은 법령 제개정에 대한 조언을 할 예정이다.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투입해 계약서 법률적 검토, 법률자문, 임직원 법률상담 지원 등을 지원한다.고광칠 대표이사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현장에서 준수해야 할 부분이 많은데 대륜과의 협약으로 이에 대한 법적 자문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허 및 인증, 계약서 작성 등을 법적인 부분에서 검토할 부분도 전문성을 갖춘 대륜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법률자문에 특화된 변호사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회계사, 노무사, 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가 함께 협업하고 있는 만큼, 다 분야에 걸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특허권, 중대재해처벌법 등 관련 정보도 적극적으로 고광산업에 공유하는 등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상호 발전을 거듭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10대 대형로펌으로 성장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고광산업과 MOU 체결
조세일보
2024-02-08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고광산업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고광산업과 MOU 체결
특허 및 인증, 중대재해 등 법률자문 및 법령 제개정 공유키로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7일 고광산업과 기업 발전을 위한 법적 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대륜 김국일 대표, 고광산업 고광칠 대표이사, 김완수 관리이사 등이 참석했다.고광산업은 플라스틱 단프라를 이용한 제품을 제작하는 업체로, 최근 층간소음 차단제U를 개발해 건설업체 등에 납품하고 있는 업체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고광산업 측은 법령 제개정에 대한 조언을 할 예정이다. 대륜은 기업법무그룹을 투입해 계약서 법률적 검토, 법률자문, 임직원 법률상담 지원 등을 지원한다.고광칠 대표이사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현장에서 준수해야 할 부분이 많은데 대륜과의 협약으로 이에 대한 법적 자문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허 및 인증, 계약서 작성 등을 법적인 부분에서 검토할 부분도 전문성을 갖춘 대륜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김국일 대표는 "대륜 기업법무그룹은 법률자문에 특화된 변호사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회계사, 노무사, 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가 함께 협업하고 있는 만큼, 다 분야에 걸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특허권, 중대재해처벌법 등 관련 정보도 적극적으로 고광산업에 공유하는 등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상호 발전을 거듭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대륜은 국내 최다 지점을 보유한 로펌으로,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10대 대형로펌으로 성장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그룹, 고광산업과 MOU 체결
조세일보
2024-02-07
대륜, 해군 법무병과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 영입…군형사·징계 전문
대륜, 해군 법무병과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 영입…군형사·징계 전문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해군 군사법원장, 인권센터장 등 지내국방군사그룹 중추적 역할… 군납, 방위산업에도 능통 법무법인 대륜은 해군 법무병과장을 지낸 김영수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7일 밝혔다. 김영수 변호사는 1999년 해군 중위로 임관한 후 해군교육사령부, 제주방어사령부(현 해병대9여단), 해병대2사단, 해군작전사령부, 해군본부 등의 법무실장 보직과 해군 고등검찰부장, 해군 군사법원장,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해군인권센터장 등 군사법업무와 인권 업무 관련 요직을 두루 거쳤다.특히 해군 군사법원장, 국방부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등 군판사 업무와 해군 고등검찰부장 등 군검사 업무를 통하여 다양한 군형사 사건을 처리한 것은 물론 군내 주요 징계 사건을 처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군인권센터를 창설하는 등 군 형사, 징계, 인권 업무 등에 대한 전문성을 축적했다.뿐만 아니라 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방위산업이나 군수조달 업무와 관련하여서도 법적 검토 및 조언을 하기도 했다.김영수 변호사는 해군 법무병과장(대령) 직을 마지막으로 22년간의 공직 생활을 마쳤다. 해군 법무병과장은 해군의 21개 법무실을 지휘·감독하고, 해군과 해병대 군사법업무를 담당하는 해군 법무병과의 최고 수장이다.김 변호사는 현재도 해군본부 청원심의위원회 심의위원으로 활동하는 것은 물론 해군 사관후보생장교(OSC)중앙회 부회장, 글로벌국방연구포럼 감사 등 군 예비역단체의 직책을 맡아 군의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군법무관으로 근무하면서 군 조직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 변호사는 사법연수원장 표창, 해군참모총장 표창, 국방부장관 표창, 법무부장관 표창, 합참의장 표창, 보국훈장 삼일장 등을 수상했다.군형사, 징계 및 인권 업무는 물론 방위산업, 군수조달 등 국방·군사 분야 전문가인 김 변호사가 대륜에 합류하면서 국방군그룹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김 변호사는 "군사법업무와 군 인권업무 발전을 비롯하여 국가안보에 기여한 지난날처럼 대륜의 끝없는 성장에도 일조하겠다"고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김 변호사는 군형사, 징계뿐만 아니라 방위산업 전반의 계약 및 입찰, 방산비리 감사 및 수사대응 등에도 능통해 군 사건, 행정 사건 등 전 분야에 걸친 대응이 가능해졌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해군 법무병과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 영입…군형사·징계 전문
조세일보
2024-02-07
대륜, 해군 법무병과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 영입…군형사·징계 전문
대륜, 해군 법무병과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 영입…군형사·징계 전문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해군 군사법원장, 인권센터장 등 지내국방군사그룹 중추적 역할… 군납, 방위산업에도 능통 법무법인 대륜은 해군 법무병과장을 지낸 김영수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7일 밝혔다. 김영수 변호사는 1999년 해군 중위로 임관한 후 해군교육사령부, 제주방어사령부(현 해병대9여단), 해병대2사단, 해군작전사령부, 해군본부 등의 법무실장 보직과 해군 고등검찰부장, 해군 군사법원장,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해군인권센터장 등 군사법업무와 인권 업무 관련 요직을 두루 거쳤다.특히 해군 군사법원장, 국방부 고등군사법원 부장군판사 등 군판사 업무와 해군 고등검찰부장 등 군검사 업무를 통하여 다양한 군형사 사건을 처리한 것은 물론 군내 주요 징계 사건을 처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군인권센터를 창설하는 등 군 형사, 징계, 인권 업무 등에 대한 전문성을 축적했다.뿐만 아니라 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방위산업이나 군수조달 업무와 관련하여서도 법적 검토 및 조언을 하기도 했다.김영수 변호사는 해군 법무병과장(대령) 직을 마지막으로 22년간의 공직 생활을 마쳤다. 해군 법무병과장은 해군의 21개 법무실을 지휘·감독하고, 해군과 해병대 군사법업무를 담당하는 해군 법무병과의 최고 수장이다.김 변호사는 현재도 해군본부 청원심의위원회 심의위원으로 활동하는 것은 물론 해군 사관후보생장교(OSC)중앙회 부회장, 글로벌국방연구포럼 감사 등 군 예비역단체의 직책을 맡아 군의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군법무관으로 근무하면서 군 조직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 변호사는 사법연수원장 표창, 해군참모총장 표창, 국방부장관 표창, 법무부장관 표창, 합참의장 표창, 보국훈장 삼일장 등을 수상했다.군형사, 징계 및 인권 업무는 물론 방위산업, 군수조달 등 국방·군사 분야 전문가인 김 변호사가 대륜에 합류하면서 국방군그룹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김 변호사는 "군사법업무와 군 인권업무 발전을 비롯하여 국가안보에 기여한 지난날처럼 대륜의 끝없는 성장에도 일조하겠다"고 전했다.대륜 김국일 대표는 "김 변호사는 군형사, 징계뿐만 아니라 방위산업 전반의 계약 및 입찰, 방산비리 감사 및 수사대응 등에도 능통해 군 사건, 행정 사건 등 전 분야에 걸친 대응이 가능해졌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기사전문보기] - 대륜, 해군 법무병과장 출신 김영수 변호사 영입…군형사·징계 전문
스포츠서울
2024-02-05
“왜 나 모른척해?” 비즈니스 자리서 무차별 폭행… 합의했어도 상해죄 처벌 대상
“왜 나 모른척해?” 비즈니스 자리서 무차별 폭행… 합의했어도 상해죄 처벌 대상
과거 이야기 지속 언급 후 수차례 폭행…피해자 전치 8주 이상 중상피해자 회사 고소 나서…수천만 원 합의금 지급, 처벌불원 받았음에도 전과 남는 형사처분 [스포츠서울 | 김수지 기자] 자신을 못 알아본다는 이유로 비즈니스 접대 자리에서 무차별 폭행을 가한 A씨가 피해자 B씨에게 수천만원의 합의금을 지급하고 B씨로부터 처벌불원을 받았으나, 상해죄 처벌이 내려졌다.A씨와 B씨는 과거 특별한 인적관계를 구성하고 있지 않았으며 어떠한 일면식이 없었다. 그러나 비즈니스 미팅에서 만난 A씨는 ‘이전에 B씨와 만난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본인을 무시했다’고 언급했다.자리를 옮기면서도 계속해서 같은 말을 반복했고 이후 언쟁이 높아진 상태에서 A씨는 B씨의 얼굴을 가격하며 폭행이 시작됐다.A씨는 바닥에 쓰러진 B씨를 발로 밟고 온몸을 때리는 등 수차례 구타했고, 이로 인해 기절한 피해자에 대해 어떠한 구호조치도 하지 않았다.결국 B씨는 병원에 이송됐으며, 전치 8주 이상의 상해를 입은 것을 전해 들은 B씨의 회사는 B씨의 피해를 파악하고 A씨에 대한 상해죄 고소에 나섰다.A씨는 수천만원에 달하는 합의금을 지급하고, B씨와 처벌불원 합의를 하였으나, 결국 벌금형 구약식 처분이 내려졌다.B씨측 고소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A씨는 앙심을 품고 폭력을 행사했으며, 격투기 등 무술을 수련한 자로 상해 정도가 매우 중하고, 당시 B씨는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라며 “계획적인 보복성 무차별 폭력에 해당하며, 합의와 별도로 상해죄 처벌 대상으로 인정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혐의가 인정돼도 사안에 따라 기소유예 등 전과가 남는 형사처분을 받지 않은 경우도 있다.본 사건 역시 B씨가 A씨와 합의 후 처벌불원의 의사를 밝힌 상황이며, 초범이라는 점에서 빠른 종결이 예상되었으나 고소 진행 과정에서 A씨의 범행 고의성과 이로 인한 피해를 구체적으로 입증해 유죄 처분이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 “왜 나 모른척해?” 비즈니스 자리서 무차별 폭행… 합의했어도 상해죄 처벌 대상
스포츠서울
2024-02-05
“왜 나 모른척해?” 비즈니스 자리서 무차별 폭행… 합의했어도 상해죄 처벌 대상
“왜 나 모른척해?” 비즈니스 자리서 무차별 폭행… 합의했어도 상해죄 처벌 대상
과거 이야기 지속 언급 후 수차례 폭행…피해자 전치 8주 이상 중상피해자 회사 고소 나서…수천만 원 합의금 지급, 처벌불원 받았음에도 전과 남는 형사처분 [스포츠서울 | 김수지 기자] 자신을 못 알아본다는 이유로 비즈니스 접대 자리에서 무차별 폭행을 가한 A씨가 피해자 B씨에게 수천만원의 합의금을 지급하고 B씨로부터 처벌불원을 받았으나, 상해죄 처벌이 내려졌다.A씨와 B씨는 과거 특별한 인적관계를 구성하고 있지 않았으며 어떠한 일면식이 없었다. 그러나 비즈니스 미팅에서 만난 A씨는 ‘이전에 B씨와 만난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본인을 무시했다’고 언급했다.자리를 옮기면서도 계속해서 같은 말을 반복했고 이후 언쟁이 높아진 상태에서 A씨는 B씨의 얼굴을 가격하며 폭행이 시작됐다.A씨는 바닥에 쓰러진 B씨를 발로 밟고 온몸을 때리는 등 수차례 구타했고, 이로 인해 기절한 피해자에 대해 어떠한 구호조치도 하지 않았다.결국 B씨는 병원에 이송됐으며, 전치 8주 이상의 상해를 입은 것을 전해 들은 B씨의 회사는 B씨의 피해를 파악하고 A씨에 대한 상해죄 고소에 나섰다.A씨는 수천만원에 달하는 합의금을 지급하고, B씨와 처벌불원 합의를 하였으나, 결국 벌금형 구약식 처분이 내려졌다.B씨측 고소대리를 맡은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A씨는 앙심을 품고 폭력을 행사했으며, 격투기 등 무술을 수련한 자로 상해 정도가 매우 중하고, 당시 B씨는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라며 “계획적인 보복성 무차별 폭력에 해당하며, 합의와 별도로 상해죄 처벌 대상으로 인정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혐의가 인정돼도 사안에 따라 기소유예 등 전과가 남는 형사처분을 받지 않은 경우도 있다.본 사건 역시 B씨가 A씨와 합의 후 처벌불원의 의사를 밝힌 상황이며, 초범이라는 점에서 빠른 종결이 예상되었으나 고소 진행 과정에서 A씨의 범행 고의성과 이로 인한 피해를 구체적으로 입증해 유죄 처분이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 “왜 나 모른척해?” 비즈니스 자리서 무차별 폭행… 합의했어도 상해죄 처벌 대상
매경이코노미
2024-02-04
“홀덤펍 불법 도박 처벌합니다”…관광진흥법 개정안 통과 [국회 방청석]
“홀덤펍 불법 도박 처벌합니다”…관광진흥법 개정안 통과 [국회 방청석]
관광진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홀덤펍 내 불법 도박 처벌 근거 마련“다른 사행 산업과의 처벌 형평성 문제 해결”이용호 “불법 홀덤펍 단속 실효성 높일 것” 최근 대학가와 번화가를 중심으로 ‘홀덤펍’이 인기를 끌면서 홀덤펍 내 환전, 상품권 교환 등 불법 현금거래가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그동안 입법 사각지대에 있었던 홀덤펍 내 불법 도박 등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돼 관심이 쏠린다. 국회는 지난 2월 1일 오후 본회의를 통해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정의하고 카지노업 유사 행위 시 제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관광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재석 209명, 찬성 207명, 기권 2명으로 의결했다. 이번 개정으로 홀덤펍 내 불법 도박 근절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홀덤펍’은 홀덤(Holdem·딜러와 함께하는 카드 게임의 한 종류)과 펍(Pub)의 합성어로, 입장료를 받고 게임 장소와 칩을 제공하며 주류를 판매하는 곳을 말한다. 최근 현금을 칩으로 바꾼 뒤 게임을 진행하고 다시 현금화하는 수법으로 불법 도박을 진행하는 ‘변칙 홀덤펍’이 성행하면서 단속과 규제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적잖았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홀덤펍 불법 도박 등 집중 단속을 펼쳐 1004명을 적발하고 이 중 8명을 구속한 바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홀덤펍은 전국적으로 3000여개가 영업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개정안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에 관한 정의를 신설하고 이를 금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개정안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카지노 사업자가 아닌 자가 영리 목적으로 관광진흥법상 카지노업 영업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에게 재산상의 이익·손실을 주는 행위’로 정의했다. 이번 정의 규정 신설로 홀덤펍 내 불법 도박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로서 관광진흥법상 금지 행위에 포함된다. 현행 관광진흥법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 금지 규정을 두지 않아 홀덤펍 내 불법 도박에 대해 형법상 도박죄·도박장소개설죄로만 처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법 개정에 따라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7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게 된다. 이는 형법상 도박장소개설죄가 규정하는 처벌 수위인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보다 높은 수준이다. 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형사전문 변호사는 “카지노업과 함께 사행 산업으로 분류되는 경마, 경륜 등 유사 행위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7년 이하 징역이나 7000만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하지만, 홀덤펍의 경우 형법상 도박장개설죄가 적용돼 상대적으로 처벌 수위가 낮다는 비판이 있었다”며 “이번 입법을 통해 다른 사행 산업과의 처벌 형평성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들려줬다. 아울러 이번 개정안 통과로 카지노업 유사 행위가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사감위)의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신고자에게는 최대 5000만원까지 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그간 적발이 어려웠던 홀덤펍 내 불법 도박의 특성상 내부 신고·제보 활성화를 통해 단속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개정안을 발의한 이용호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개정안 통과의 의의는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불법 홀덤펍을 법 테두리 안으로 끌어들인 것”이라며 “카지노업 유사 행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마련돼 불법 홀덥펍 단속의 실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문체부는 홀덤펍 내 불법 행위 확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난해 7월 사감위, 여성가족부, 경찰청,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관계부처 합동으로 ‘홀덤펍 불법 대응 특별전담팀(TF)’을 구성, 불법 행위 근절 대책을 마련했다. 특별전담팀에서는 관광진흥법 개정 외에도 전국 홀덤펍 운영 실태조사, 홀덤펍 내 불법 행위 집중 단속 강화, 홀덤펍 청소년 유해업소 지정 등을 추진 중이다. 김근호 문체부 관광산업정책관은 “이번 관광진흥법 개정을 통해 홀덤펍 등에서 발생하는 불법적인 현금 거래를 실효성 있게 단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진식 사감위 사무처장은 “이번 개정안 통과는 홀덤펍 내 불법 도박을 근절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관계부처가 협력해 홀덤펍 내 불법 행위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홀덤펍 불법 도박 처벌합니다”…관광진흥법 개정안 통과 [국회 방청석]
매경이코노미
2024-02-04
“홀덤펍 불법 도박 처벌합니다”…관광진흥법 개정안 통과 [국회 방청석]
“홀덤펍 불법 도박 처벌합니다”…관광진흥법 개정안 통과 [국회 방청석]
관광진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홀덤펍 내 불법 도박 처벌 근거 마련“다른 사행 산업과의 처벌 형평성 문제 해결”이용호 “불법 홀덤펍 단속 실효성 높일 것” 최근 대학가와 번화가를 중심으로 ‘홀덤펍’이 인기를 끌면서 홀덤펍 내 환전, 상품권 교환 등 불법 현금거래가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그동안 입법 사각지대에 있었던 홀덤펍 내 불법 도박 등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돼 관심이 쏠린다. 국회는 지난 2월 1일 오후 본회의를 통해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정의하고 카지노업 유사 행위 시 제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관광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재석 209명, 찬성 207명, 기권 2명으로 의결했다. 이번 개정으로 홀덤펍 내 불법 도박 근절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홀덤펍’은 홀덤(Holdem·딜러와 함께하는 카드 게임의 한 종류)과 펍(Pub)의 합성어로, 입장료를 받고 게임 장소와 칩을 제공하며 주류를 판매하는 곳을 말한다. 최근 현금을 칩으로 바꾼 뒤 게임을 진행하고 다시 현금화하는 수법으로 불법 도박을 진행하는 ‘변칙 홀덤펍’이 성행하면서 단속과 규제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적잖았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홀덤펍 불법 도박 등 집중 단속을 펼쳐 1004명을 적발하고 이 중 8명을 구속한 바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홀덤펍은 전국적으로 3000여개가 영업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개정안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에 관한 정의를 신설하고 이를 금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개정안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카지노 사업자가 아닌 자가 영리 목적으로 관광진흥법상 카지노업 영업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에게 재산상의 이익·손실을 주는 행위’로 정의했다. 이번 정의 규정 신설로 홀덤펍 내 불법 도박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로서 관광진흥법상 금지 행위에 포함된다. 현행 관광진흥법은 카지노업 유사 행위 금지 규정을 두지 않아 홀덤펍 내 불법 도박에 대해 형법상 도박죄·도박장소개설죄로만 처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법 개정에 따라 카지노업 유사 행위를 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7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게 된다. 이는 형법상 도박장소개설죄가 규정하는 처벌 수위인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보다 높은 수준이다. 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형사전문 변호사는 “카지노업과 함께 사행 산업으로 분류되는 경마, 경륜 등 유사 행위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7년 이하 징역이나 7000만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하지만, 홀덤펍의 경우 형법상 도박장개설죄가 적용돼 상대적으로 처벌 수위가 낮다는 비판이 있었다”며 “이번 입법을 통해 다른 사행 산업과의 처벌 형평성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들려줬다. 아울러 이번 개정안 통과로 카지노업 유사 행위가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사감위)의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신고자에게는 최대 5000만원까지 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그간 적발이 어려웠던 홀덤펍 내 불법 도박의 특성상 내부 신고·제보 활성화를 통해 단속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개정안을 발의한 이용호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개정안 통과의 의의는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불법 홀덤펍을 법 테두리 안으로 끌어들인 것”이라며 “카지노업 유사 행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마련돼 불법 홀덥펍 단속의 실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문체부는 홀덤펍 내 불법 행위 확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난해 7월 사감위, 여성가족부, 경찰청,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관계부처 합동으로 ‘홀덤펍 불법 대응 특별전담팀(TF)’을 구성, 불법 행위 근절 대책을 마련했다. 특별전담팀에서는 관광진흥법 개정 외에도 전국 홀덤펍 운영 실태조사, 홀덤펍 내 불법 행위 집중 단속 강화, 홀덤펍 청소년 유해업소 지정 등을 추진 중이다. 김근호 문체부 관광산업정책관은 “이번 관광진흥법 개정을 통해 홀덤펍 등에서 발생하는 불법적인 현금 거래를 실효성 있게 단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진식 사감위 사무처장은 “이번 개정안 통과는 홀덤펍 내 불법 도박을 근절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관계부처가 협력해 홀덤펍 내 불법 행위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 “홀덤펍 불법 도박 처벌합니다”…관광진흥법 개정안 통과 [국회 방청석]
중앙일보
2024-01-31
"발기부전 약 200정에 13만원"…횡재한 줄 알았더니 '직구 먹튀'
"발기부전 약 200정에 13만원"…횡재한 줄 알았더니 '직구 먹튀'
지난해 11월 A(34)씨는 해외 직구(직접 구매) 사이트에서 발기부전 치료제 비달리스타(시알리스 복제약) 200정을 13만원에 주문했다. 국내에서 의사의 처방을 받아 살 경우보다 5분의 1 이하 헐값이어서다. 하지만 두 달이 지나도록 약이 오지 않았다. 업체에 문의하니 “곧 배송이 시작될 것”이란 답변만 반복했다. 수상하게 여긴 A씨가 수소문했더니 열흘 만에 같은 피해를 본 사람이 100명 넘게 모였다. A씨는 “8년간 해외 직구로 약을 사 왔다”며 “할인율이 높은 업체여서 선택했는데 사기를 당했다”고 말했다. A씨는 다른 피해자들과 업체 측을 경찰에 고소할 예정이다.최근 A씨처럼 해외 직구로 의약품을 샀다가 물건을 받지 못하는 이른바 ‘해외 직구 먹튀 사기’ 피해자가 늘고 있다.최근 몇 년 사이 온라인에서 탈모 치료제, 성기능 향상 의약품 등을 해외 직구로 판다는 사이트가 우후죽순으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등록된 해외 직구 사기 의심 사이트 수도 지난 2020년 249개에서 지난해 325개로 크게 늘었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단속한 결과, 온라인에서 의약품을 판매·유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1만 8331건에 달했다.실제 30일 구글을 통해 의약품 구매로 검색한 결과 단번에 직구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었다. 업체 상당수는 의약품을 많이 구매할수록 할인율을 높이거나, 새 가입자가 추천인을 적으면 양쪽 모두에 포인트를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사이트 가입 및 구매를 유도하고 있었다.문제는 의약품을 식약처의 수입 허가를 받지 않고 국내에 들여오는 것 자체가 약사법을 위반한 범죄 행위라는 점이다. 게다가 불법 직구 사이트들이 주로 판매하는 탈모·발기부전 치료제 등은 국내에선 전문 의약품이어서 의사 처방 없이 팔 수 없게 돼 있다. 의약품 직구 사기 피해를 보더라도 구제받기가 쉽지 않다. 사기 사이트가 주로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의약품을 불법 판매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5000만원 이하 벌금형으로 처벌하게 돼 있지만 현실적으로 수사가 쉽지 않다. 경찰 관계자는 “직구 업체 IP가 해외에 있으면 국제 수사 협조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긴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스테로이드·에페드린·에토미데이트 등 성분이 포함된 전문 의약품의 경우엔 구매자도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약사법 98조) 최근 해외 의약품 직구 업체가 증가한 건 그만큼 국내 수요가 급증하면서다. 국내에 없는 무허가 의약품을 구하거나 국내에서 팔더라도 헐값에 대량 구매하기 위해 직구 사이트를 찾는다. 2022년 인천본부세관이 국내에선 허가되지 않은 임신중절약을 중국에서 5만7000여정을 밀반입해 판매한 일당 6명을 적발하기도 했다.허혈성 뇌경색, 고령자 인지장애, 기면증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일부 약품은 ‘스마트 드럭(머리가 좋아지는 약)’으로 오남용되기도 한다. 해당 약을 해외 직구로 산 경험이 있는 C씨는 “이 의약품은 치매 판정받은 환자가 아니면 처방받을 수 없어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말했다.탈모약과 성기능 개선 의약품은 비용 절감 목적의 해외 직구가 끊이지 않는다. 실제로 한 탈모약의 경우 약국에서 구매할 경우 10정에 1만6500원이지만, 해외 직구로 살 경우 2600원에 살 수 있었다. 바르는 탈모약을 해외 직구한 이모(36)씨는 “처방을 받으려면 병원 대기가 길고 가격도 비싸 부작용을 감수하고라도 사는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직구 업체가 관세 당국의 눈을 피하는 수법도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포장 용기를 바꾸는 일명 ‘통 갈이’를 하거나, 스테로이드·에페드린·에토미데이트 등 통관 금지 성분을 제품명에서 고의로 누락시키기도 한다. 미화 150달러(약 20만원) 이하의 제품은 수입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점을 악용해 실제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고하기도 한다.의약품 해외 불법 직구를 막기 위해선 구매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판매자에 비해 처벌이 가볍고, 처벌 가능한 약 성분이 제한돼있기 때문이다.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근본적으로 구매자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약사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발기부전 약 200정에 13만원"…횡재한 줄 알았더니 '직구 먹튀'
중앙일보
2024-01-31
"발기부전 약 200정에 13만원"…횡재한 줄 알았더니 '직구 먹튀'
"발기부전 약 200정에 13만원"…횡재한 줄 알았더니 '직구 먹튀'
지난해 11월 A(34)씨는 해외 직구(직접 구매) 사이트에서 발기부전 치료제 비달리스타(시알리스 복제약) 200정을 13만원에 주문했다. 국내에서 의사의 처방을 받아 살 경우보다 5분의 1 이하 헐값이어서다. 하지만 두 달이 지나도록 약이 오지 않았다. 업체에 문의하니 “곧 배송이 시작될 것”이란 답변만 반복했다. 수상하게 여긴 A씨가 수소문했더니 열흘 만에 같은 피해를 본 사람이 100명 넘게 모였다. A씨는 “8년간 해외 직구로 약을 사 왔다”며 “할인율이 높은 업체여서 선택했는데 사기를 당했다”고 말했다. A씨는 다른 피해자들과 업체 측을 경찰에 고소할 예정이다.최근 A씨처럼 해외 직구로 의약품을 샀다가 물건을 받지 못하는 이른바 ‘해외 직구 먹튀 사기’ 피해자가 늘고 있다.최근 몇 년 사이 온라인에서 탈모 치료제, 성기능 향상 의약품 등을 해외 직구로 판다는 사이트가 우후죽순으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등록된 해외 직구 사기 의심 사이트 수도 지난 2020년 249개에서 지난해 325개로 크게 늘었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단속한 결과, 온라인에서 의약품을 판매·유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1만 8331건에 달했다.실제 30일 구글을 통해 의약품 구매로 검색한 결과 단번에 직구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었다. 업체 상당수는 의약품을 많이 구매할수록 할인율을 높이거나, 새 가입자가 추천인을 적으면 양쪽 모두에 포인트를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사이트 가입 및 구매를 유도하고 있었다.문제는 의약품을 식약처의 수입 허가를 받지 않고 국내에 들여오는 것 자체가 약사법을 위반한 범죄 행위라는 점이다. 게다가 불법 직구 사이트들이 주로 판매하는 탈모·발기부전 치료제 등은 국내에선 전문 의약품이어서 의사 처방 없이 팔 수 없게 돼 있다. 의약품 직구 사기 피해를 보더라도 구제받기가 쉽지 않다. 사기 사이트가 주로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의약품을 불법 판매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5000만원 이하 벌금형으로 처벌하게 돼 있지만 현실적으로 수사가 쉽지 않다. 경찰 관계자는 “직구 업체 IP가 해외에 있으면 국제 수사 협조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긴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스테로이드·에페드린·에토미데이트 등 성분이 포함된 전문 의약품의 경우엔 구매자도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약사법 98조) 최근 해외 의약품 직구 업체가 증가한 건 그만큼 국내 수요가 급증하면서다. 국내에 없는 무허가 의약품을 구하거나 국내에서 팔더라도 헐값에 대량 구매하기 위해 직구 사이트를 찾는다. 2022년 인천본부세관이 국내에선 허가되지 않은 임신중절약을 중국에서 5만7000여정을 밀반입해 판매한 일당 6명을 적발하기도 했다.허혈성 뇌경색, 고령자 인지장애, 기면증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일부 약품은 ‘스마트 드럭(머리가 좋아지는 약)’으로 오남용되기도 한다. 해당 약을 해외 직구로 산 경험이 있는 C씨는 “이 의약품은 치매 판정받은 환자가 아니면 처방받을 수 없어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말했다.탈모약과 성기능 개선 의약품은 비용 절감 목적의 해외 직구가 끊이지 않는다. 실제로 한 탈모약의 경우 약국에서 구매할 경우 10정에 1만6500원이지만, 해외 직구로 살 경우 2600원에 살 수 있었다. 바르는 탈모약을 해외 직구한 이모(36)씨는 “처방을 받으려면 병원 대기가 길고 가격도 비싸 부작용을 감수하고라도 사는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직구 업체가 관세 당국의 눈을 피하는 수법도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포장 용기를 바꾸는 일명 ‘통 갈이’를 하거나, 스테로이드·에페드린·에토미데이트 등 통관 금지 성분을 제품명에서 고의로 누락시키기도 한다. 미화 150달러(약 20만원) 이하의 제품은 수입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점을 악용해 실제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고하기도 한다.의약품 해외 불법 직구를 막기 위해선 구매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판매자에 비해 처벌이 가볍고, 처벌 가능한 약 성분이 제한돼있기 때문이다. 법무법인 대륜 최현덕 변호사는 “근본적으로 구매자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약사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발기부전 약 200정에 13만원"…횡재한 줄 알았더니 '직구 먹튀'
데일리메디 외
2024-01-29
길에서 폭행당한 치과대생…항소심 배상 '2배 ↑'
길에서 폭행당한 치과대생…항소심 배상 '2배 ↑'
법원, 미래 소득 기준 ‘의료진료 전문가’ 인정…"2억7316만원 지급" 판결 길거리에서 폭행당한 예비 의료인에 대한 항소심에서 손해배상금이 1심보다 2배 가까이 높아졌다.예비 의료인 미래 소득 기준이 1심에서는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이었지만, 2심에서 ‘의료진료 전문가’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부산지방법원이 치의학전문대학원생인 A씨가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상해를 가한 B에게 약 2억7316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는 지난해 2월 선고된 1심 손해배상금 약 1억4359만원보다 약 2배 많은 액수다.A씨는 지난 2020년 4월 부산 금정구 한 길가에서 B씨와 어깨를 부딪혔다. 이에 A씨가 ‘아씨’라며 불평하자, B씨가 주먹으로 A씨 얼굴을 수차례 가격하고 바닥에 넘어진 A씨를 발로 걷어차기도 했다.이로 인해 A씨는 입술 양쪽 끝인 구각부의 근육이 완전히 파열되고, 턱관절염이 발생해 21일간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었다. 이듬해 2월에는 폭행으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및 우울증, 공황장애도 진단받았다.이에 B씨는 2020년 10월 벌금 200만원의 약식명령을 확정받았고 A씨는 B씨를 상대로 약 2억9706만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1심 재판부는 A씨가 입을 벌릴 때 입술이 틀어지고, 구강 부위에 신경증상이 남아 있는 등 심미적 문제가 직종 선택에 영향을 줄 정도의 노동능력상실이 있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입술 부위 깊은 흉터가 “치과의사로서 환자 등을 유치하는 데 영향을 미칠 정도”라고 봤다.재판부는 이번 사건이 없었을 경우 얻을 수 있었을 수익(일실수익)을 산정했다. 사고 당시 21세였던 A씨는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을 정도로 치과의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고려돼, 오는 2026년 인턴 과정부터 65세가 되는 2063년까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 기준으로 일실수익이 계산됐다.이와 함께 진료비, 향후 치료비, 위자료 등을 포함해 약 1억4359만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를 두고 A씨와 B씨는 모두 항소했다. A씨 측은 미래 수익이 낮게 평가됐다고 보고, 2022년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보고서’ 상의 ‘의료진료전문가’ 기준을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다.반대로 B씨는 치대생이라는 사실 때문에 미래 수익이 과도하게 산정됐다고 주장했다.이에 항소심 재판부는 B씨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1심보다 2배 증액한 "손해배상금 약 2억7316만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재판부는 “원고는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고, 우수한 성적을 받는 등 학업 성과가 뛰어나다. 연령, 학업 성과 등을 고려하면 향후 치과의사로서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상당한 개연성이 인정된다”며 “A씨가 치과의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여러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보윤 변호사는 “최근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보고서에 의료진료전문가 직업군이 신설된 것을 확인하고, 이를 대법원 판례를 토대로 적극 주장한 덕에 치과의사의 합당한 소득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메디 - 길에서 폭행당한 치과대생…항소심 배상 '2배 ↑'스포츠서울 - 의료인 폭행 통계소득 배상액 2배가량 늘어났다
데일리메디 외
2024-01-29
길에서 폭행당한 치과대생…항소심 배상 '2배 ↑'
길에서 폭행당한 치과대생…항소심 배상 '2배 ↑'
법원, 미래 소득 기준 ‘의료진료 전문가’ 인정…"2억7316만원 지급" 판결 길거리에서 폭행당한 예비 의료인에 대한 항소심에서 손해배상금이 1심보다 2배 가까이 높아졌다.예비 의료인 미래 소득 기준이 1심에서는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이었지만, 2심에서 ‘의료진료 전문가’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부산지방법원이 치의학전문대학원생인 A씨가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상해를 가한 B에게 약 2억7316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는 지난해 2월 선고된 1심 손해배상금 약 1억4359만원보다 약 2배 많은 액수다.A씨는 지난 2020년 4월 부산 금정구 한 길가에서 B씨와 어깨를 부딪혔다. 이에 A씨가 ‘아씨’라며 불평하자, B씨가 주먹으로 A씨 얼굴을 수차례 가격하고 바닥에 넘어진 A씨를 발로 걷어차기도 했다.이로 인해 A씨는 입술 양쪽 끝인 구각부의 근육이 완전히 파열되고, 턱관절염이 발생해 21일간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었다. 이듬해 2월에는 폭행으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및 우울증, 공황장애도 진단받았다.이에 B씨는 2020년 10월 벌금 200만원의 약식명령을 확정받았고 A씨는 B씨를 상대로 약 2억9706만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1심 재판부는 A씨가 입을 벌릴 때 입술이 틀어지고, 구강 부위에 신경증상이 남아 있는 등 심미적 문제가 직종 선택에 영향을 줄 정도의 노동능력상실이 있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입술 부위 깊은 흉터가 “치과의사로서 환자 등을 유치하는 데 영향을 미칠 정도”라고 봤다.재판부는 이번 사건이 없었을 경우 얻을 수 있었을 수익(일실수익)을 산정했다. 사고 당시 21세였던 A씨는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을 정도로 치과의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고려돼, 오는 2026년 인턴 과정부터 65세가 되는 2063년까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 기준으로 일실수익이 계산됐다.이와 함께 진료비, 향후 치료비, 위자료 등을 포함해 약 1억4359만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를 두고 A씨와 B씨는 모두 항소했다. A씨 측은 미래 수익이 낮게 평가됐다고 보고, 2022년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보고서’ 상의 ‘의료진료전문가’ 기준을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다.반대로 B씨는 치대생이라는 사실 때문에 미래 수익이 과도하게 산정됐다고 주장했다.이에 항소심 재판부는 B씨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1심보다 2배 증액한 "손해배상금 약 2억7316만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재판부는 “원고는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고, 우수한 성적을 받는 등 학업 성과가 뛰어나다. 연령, 학업 성과 등을 고려하면 향후 치과의사로서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상당한 개연성이 인정된다”며 “A씨가 치과의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여러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 최보윤 변호사는 “최근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보고서에 의료진료전문가 직업군이 신설된 것을 확인하고, 이를 대법원 판례를 토대로 적극 주장한 덕에 치과의사의 합당한 소득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메디 - 길에서 폭행당한 치과대생…항소심 배상 '2배 ↑'스포츠서울 - 의료인 폭행 통계소득 배상액 2배가량 늘어났다
한국경제
2024-01-29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대기업 사내 변호사들이 연이어 로펌으로 옮기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28일 로펌업계에 따르면 전재우 대우건설 국내법무실장(사법연수원 32기)과 박삼근 삼성전자서비스 법무팀장(33기)은 최근 법무법인 화우에 합류했다. 전 변호사는 대우건설에서 15년간 부동산 개발 및 계약에 관한 법률 검토와 공사에 얽힌 분쟁 등을 다뤄왔다. 노사분쟁 전문가인 박 변호사는 고용노동부에서 퇴직한 2011년 삼성전자에 입사한 뒤 인사팀과 법무팀을 거쳐 삼성전자서비스에서 협력업체 직원 직접고용 태스크포스(TF)를 총괄했다.원형일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장(28기)도 최근 중견급 로펌인 대륜으로 이직했다. 판사 출신인 원 변호사는 2012년부터 포스코그룹에서 근무해왔다. 포스코(현 포스코홀딩스) 법무실 상무와 실장을 거쳐 2019년부터 포스코퓨처엠에서 근무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한국경제 지면신문 2024년 01월 29일 A25면)[기사원문보기] -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한국경제
2024-01-29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대기업 사내 변호사들이 연이어 로펌으로 옮기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28일 로펌업계에 따르면 전재우 대우건설 국내법무실장(사법연수원 32기)과 박삼근 삼성전자서비스 법무팀장(33기)은 최근 법무법인 화우에 합류했다. 전 변호사는 대우건설에서 15년간 부동산 개발 및 계약에 관한 법률 검토와 공사에 얽힌 분쟁 등을 다뤄왔다. 노사분쟁 전문가인 박 변호사는 고용노동부에서 퇴직한 2011년 삼성전자에 입사한 뒤 인사팀과 법무팀을 거쳐 삼성전자서비스에서 협력업체 직원 직접고용 태스크포스(TF)를 총괄했다.원형일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장(28기)도 최근 중견급 로펌인 대륜으로 이직했다. 판사 출신인 원 변호사는 2012년부터 포스코그룹에서 근무해왔다. 포스코(현 포스코홀딩스) 법무실 상무와 실장을 거쳐 2019년부터 포스코퓨처엠에서 근무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한국경제 지면신문 2024년 01월 29일 A25면)[기사원문보기] - 대기업 사내변호사 3인방, 법무법인 화우·대륜 합류
머니투데이 외
2024-01-29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지식재산권 소송 대리 및 기업자문 다수 수행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부장판사 출신의 곽민섭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9일 밝혔다.곽민섭 변호사는 1996년 광주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하고, 특허법원 판사, 광주지법 해남지원 부장판사 겸 지원장을 역임했다. 특히 특허법원 판사로 오래 재직해 현재 지식재산권 분야 특화 변호사로서 특허무효소송, 특허침해소송 등 다수의 특허소송을 수행하고 있으며, 상표권, 디자인권 등과 관련한 기업 지식재산권 소송 대리 및 기업자문을 맡고 있다.부장판사 겸 지원장을 지내면서는 공직선거법위반,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방화살인, 업무상횡령 사건 등 굵직한 범죄를 다수 맡은 경험이 있다. 곽 변호사는 "국내 10위 대형 로펌 대륜의 구성원으로 합류하게 되어서 기쁘다"며 "부장판사 재직 경험을 살려 성범죄, 지식재산권 등 전문 분야에서 강자로 우뚝 설 수 있도록 대륜의 성장에 일조하겠다"고 전했다. 김국일 대표는 "지식재산권 관련 기업자문 수요가 늘면서 곽 변호사 영입을 통해 전 분야를 아우르는 기업법무 특화 로펌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대륜은 판·검사 출신 변호사들을 다수 영입해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전국에서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2018년 설립 후 국내 최다 규모의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로펌으로 국내 10위권 대형 로펌으로 성장했다. 판사, 지청장, 검사, 경찰 재직 경험이 있는 변호사를 중심으로 사건을 총괄하고 있으며, 500인 이상의 전문가단으로 구성돼 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
머니투데이 외
2024-01-29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지식재산권 소송 대리 및 기업자문 다수 수행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부장판사 출신의 곽민섭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9일 밝혔다.곽민섭 변호사는 1996년 광주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하고, 특허법원 판사, 광주지법 해남지원 부장판사 겸 지원장을 역임했다. 특히 특허법원 판사로 오래 재직해 현재 지식재산권 분야 특화 변호사로서 특허무효소송, 특허침해소송 등 다수의 특허소송을 수행하고 있으며, 상표권, 디자인권 등과 관련한 기업 지식재산권 소송 대리 및 기업자문을 맡고 있다.부장판사 겸 지원장을 지내면서는 공직선거법위반,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방화살인, 업무상횡령 사건 등 굵직한 범죄를 다수 맡은 경험이 있다. 곽 변호사는 "국내 10위 대형 로펌 대륜의 구성원으로 합류하게 되어서 기쁘다"며 "부장판사 재직 경험을 살려 성범죄, 지식재산권 등 전문 분야에서 강자로 우뚝 설 수 있도록 대륜의 성장에 일조하겠다"고 전했다. 김국일 대표는 "지식재산권 관련 기업자문 수요가 늘면서 곽 변호사 영입을 통해 전 분야를 아우르는 기업법무 특화 로펌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대륜은 판·검사 출신 변호사들을 다수 영입해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전국에서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2018년 설립 후 국내 최다 규모의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로펌으로 국내 10위권 대형 로펌으로 성장했다. 판사, 지청장, 검사, 경찰 재직 경험이 있는 변호사를 중심으로 사건을 총괄하고 있으며, 500인 이상의 전문가단으로 구성돼 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기업자문 특화"로이슈 - 법무법인(유한) 대륜, 곽민섭 전 부장판사 영입
데일리안 외
2024-01-26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 전문' 원형일 전 판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 전문' 원형일 전 판사 영입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출신 원형일 변호사…민사소송·형사사건 전담포스코홀딩스 법무실장 경험도…기업법무 사건 다루며 전문성 쌓아와원형일 "현직서 쌓은 노하우 바탕으로 대륜과 제2의 전성기 맞을 것"김국일 대륜 대표 "기업 간 분쟁 대응에 전략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판사 출신 원형일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 원 변호사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북부지법, 전주지법 군산지원 판사를 역임했다. 법관 재임 시절 원 변호사는 민사소송, 형사사건 재판을 주로 전담했다. 원 변호사는 이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포스코홀딩스 법무실 상무 및 법무실장,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장(전무)으로 지내며 준법지원인, 공정거래 자율 준수관리자 담당 및 공정거래 자율 준수 프로그램 운영 총괄을 맡았다. 이후 해외투자를 해야할 일이 있을 때마다 현지 관련 법률을 사전 분석하고, 그룹 계열사와의 거래 관련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 확인 및 대응 등 다수의 기업법무 사건을 다루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원 변호사는 국제 거래와 기업 간 공정거래법 관련 법적 리스크 검토 및 사후 대응 등 경험을 토대로 기업소송과 분쟁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원 변호사는 "민사소송, 형사사건 재판을 전담했던 경험이 앞으로 사건 수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직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륜과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국일 대표는 "기업법무 분야에 특화된 원 변호사의 영입으로 기업 간 분쟁 대응에 전략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대륜에서는 계속해서 각 분야에 특화된 전문 변호사를 영입해 전문성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로펌이다. 현재 대륜에서는 20명의 판사, 검사, 경찰 출신 변호사가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 전문' 원형일 전 판사 영입부천e뉴스 - 법무법인(유한) 대륜, 원형일 前 판사 영입
데일리안 외
2024-01-26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 전문' 원형일 전 판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 전문' 원형일 전 판사 영입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출신 원형일 변호사…민사소송·형사사건 전담포스코홀딩스 법무실장 경험도…기업법무 사건 다루며 전문성 쌓아와원형일 "현직서 쌓은 노하우 바탕으로 대륜과 제2의 전성기 맞을 것"김국일 대륜 대표 "기업 간 분쟁 대응에 전략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판사 출신 원형일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 원 변호사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북부지법, 전주지법 군산지원 판사를 역임했다. 법관 재임 시절 원 변호사는 민사소송, 형사사건 재판을 주로 전담했다. 원 변호사는 이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포스코홀딩스 법무실 상무 및 법무실장, 포스코퓨처엠 법무실장(전무)으로 지내며 준법지원인, 공정거래 자율 준수관리자 담당 및 공정거래 자율 준수 프로그램 운영 총괄을 맡았다. 이후 해외투자를 해야할 일이 있을 때마다 현지 관련 법률을 사전 분석하고, 그룹 계열사와의 거래 관련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 확인 및 대응 등 다수의 기업법무 사건을 다루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원 변호사는 국제 거래와 기업 간 공정거래법 관련 법적 리스크 검토 및 사후 대응 등 경험을 토대로 기업소송과 분쟁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원 변호사는 "민사소송, 형사사건 재판을 전담했던 경험이 앞으로 사건 수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직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륜과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국일 대표는 "기업법무 분야에 특화된 원 변호사의 영입으로 기업 간 분쟁 대응에 전략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대륜에서는 계속해서 각 분야에 특화된 전문 변호사를 영입해 전문성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로펌이다. 현재 대륜에서는 20명의 판사, 검사, 경찰 출신 변호사가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데일리안 - 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 전문' 원형일 전 판사 영입부천e뉴스 - 법무법인(유한) 대륜, 원형일 前 판사 영입
데일리굿뉴스
2024-01-24
마약운전 증가하는데...단속‧처벌 규정은 미비
마약운전 증가하는데...단속‧처벌 규정은 미비
작년 약물운전 면허취소 82건…2019년보다 41% 증가단속 규정 없어 실제 약물운전사례 더 많을 듯단순 약물운전 처벌, 음주운전보다 약해 [데일리굿뉴스] 박상우 기자 = 최근 약물에 취해 운전하는 ‘약물 운전’이 증가하고 있지만 단속 및 처벌 규정이 미흡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찰청에 따르면 마약을 투약한 뒤 발생한 2차 범죄는 ▲2020년 182건 ▲20221년 230건 ▲2022년 214건에 달한다.이 가운데 교통범죄가 ▲2020년 45건 ▲2021년 67건 ▲2022년 66건으로 집계됐다. 마약투약 후 일어나는 2차 범죄 4건 중 1건이 교통범죄인 셈이다. 또 약물 투약으로 운전면허 취소 처분 받은 사례가 2019년 58건에서 2023년(110월) 82건으로 41% 급증했다. 이같이 약물운전이 증가한 것은 마약사범이 늘어난 때문이다. 검찰에 따르면 2018년 1만2,613건이던 마약사범 단속건수는 2022년 1만8,395건으로 45.8% 증가했다. 문제는 약물 운전에 대한 단속 및 처벌 규정이 미흡하다는 데 있다.미국 아이오와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히스타민제 성분인 ‘디펜히드라민’이 함유된 약물을 복용한 후 운전하는 것은 혈중알코올농도 0.1% 상태의 음주운전보다 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혈중알코올농도 0.1%는 운전면허취소처분과 1년 이상 2년 이하 징역이나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약물의존증으로 심각한 정신운동장애를 초래하는 약물중독환자들은 혈중알코올농도 1.73.0% 이상에 상응하는 효과와 증상들을 나타낸다.여기에 마약 투약자들은 마약 투약 후 자기만의 특정 행동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김낭희 연구위원은 “마약 투약자 특성 중 하나가 마약 투약 후 꼭 해야 하는 행동패턴을 보인다”며 “예를 들어 방구석에 들어가서 음악을 틀어놓고 가만히 있다든지, 꼭 운전을 해야 한다든지 등 종류가 많은데 이런 사람들이 더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그런데 현재 관련규정에는 약물 운전을 단속할 규정이 없어 운전자가 횡설수설하거나 비정상적 행동을 보임에도 마약류 검사는 음주 측정이 안되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시행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다보니 경찰도 단속규정이 없는 것을 빌미로 관련 단속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마약투여 사실이 적발되지 않기도 한다. 이 때문에 실제 약물운전 사례가 경찰에 단속된 건수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는 추정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약물운전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진다. 이는 혈중알코올농도 0.2% 이상의 음주운전을 2년 이상 5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 벌금형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특히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서 약물 운전 처벌 규정이 있으나 이는 사상 사고로 이어져야만 적용된다. 즉 단순 약물운전 처벌이 오히려 음주운전보다 처벌이 약한 셈이다.실례로 지난 2021년 경기도 수원에서 향정신성의약품을 복용한 후 운전하다 연쇄추돌사고를 일으키고 현장을 이탈한 운전자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됐다. 이에 지난 2022년 4월 약물 운전 처벌 형량을 ‘3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서 ‘5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발의됐다.지난해에는 약물운전으로 상해를 입히면 2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상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을 처벌하는 내용의 개정안과, 약물운전이 의심되는 운전자의 약물 영향 정도를 측정하고 운전이 금지되는 상태의 기준과 측정의 방법, 절차 등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정안이 발의됐다.그런데 이런 법안들은 지난해 12월 9일에 문을 닫은 21대 국회의 마지막 정기국회에 상정되지 못했다. 현재 국회는 임시국회를 열고 계류 중인 법안들을 논의하고 있다. 오는 25일과 내달 1일에 열리는 본회의에서 처리되지 않는다면 해당 법안 논의는 22대 국회에서 원점부터 시작해야 할 수도 있다.전문가들은 약물 운전 단속 및 처벌 규정을 조속히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익명을 요구한 법률전문가는 “음주운전을 하면 단속된다는 인식이 있는 것처럼 약물운전 관련 단속 기준을 마련해 경각심을 줘야 한다”며 “음주와 투약 여부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규정과 음주운전처럼 복용 정도에 따라 처벌하는 기준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약물운전 단속에 대한 일선 경찰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김동진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일선 지구대나 경찰서 교통조사팀에 (약물운전 단속을 위한) 마약 진단 키트가 잘 구비되어 있지 않는데다 마약 검사의 강제성도 없어 체모 채취 등을 이행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며 "경찰서에 마약수사팀을 갖추고 마약 진단 키트 보급 및 교육을 통해 일선 경찰서의 마약운전 단속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마약운전 증가하는데...단속‧처벌 규정은 미비
데일리굿뉴스
2024-01-24
마약운전 증가하는데...단속‧처벌 규정은 미비
마약운전 증가하는데...단속‧처벌 규정은 미비
작년 약물운전 면허취소 82건…2019년보다 41% 증가단속 규정 없어 실제 약물운전사례 더 많을 듯단순 약물운전 처벌, 음주운전보다 약해 [데일리굿뉴스] 박상우 기자 = 최근 약물에 취해 운전하는 ‘약물 운전’이 증가하고 있지만 단속 및 처벌 규정이 미흡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찰청에 따르면 마약을 투약한 뒤 발생한 2차 범죄는 ▲2020년 182건 ▲20221년 230건 ▲2022년 214건에 달한다.이 가운데 교통범죄가 ▲2020년 45건 ▲2021년 67건 ▲2022년 66건으로 집계됐다. 마약투약 후 일어나는 2차 범죄 4건 중 1건이 교통범죄인 셈이다. 또 약물 투약으로 운전면허 취소 처분 받은 사례가 2019년 58건에서 2023년(110월) 82건으로 41% 급증했다. 이같이 약물운전이 증가한 것은 마약사범이 늘어난 때문이다. 검찰에 따르면 2018년 1만2,613건이던 마약사범 단속건수는 2022년 1만8,395건으로 45.8% 증가했다. 문제는 약물 운전에 대한 단속 및 처벌 규정이 미흡하다는 데 있다.미국 아이오와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히스타민제 성분인 ‘디펜히드라민’이 함유된 약물을 복용한 후 운전하는 것은 혈중알코올농도 0.1% 상태의 음주운전보다 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혈중알코올농도 0.1%는 운전면허취소처분과 1년 이상 2년 이하 징역이나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약물의존증으로 심각한 정신운동장애를 초래하는 약물중독환자들은 혈중알코올농도 1.73.0% 이상에 상응하는 효과와 증상들을 나타낸다.여기에 마약 투약자들은 마약 투약 후 자기만의 특정 행동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김낭희 연구위원은 “마약 투약자 특성 중 하나가 마약 투약 후 꼭 해야 하는 행동패턴을 보인다”며 “예를 들어 방구석에 들어가서 음악을 틀어놓고 가만히 있다든지, 꼭 운전을 해야 한다든지 등 종류가 많은데 이런 사람들이 더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그런데 현재 관련규정에는 약물 운전을 단속할 규정이 없어 운전자가 횡설수설하거나 비정상적 행동을 보임에도 마약류 검사는 음주 측정이 안되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시행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다보니 경찰도 단속규정이 없는 것을 빌미로 관련 단속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마약투여 사실이 적발되지 않기도 한다. 이 때문에 실제 약물운전 사례가 경찰에 단속된 건수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는 추정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약물운전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진다. 이는 혈중알코올농도 0.2% 이상의 음주운전을 2년 이상 5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 벌금형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특히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서 약물 운전 처벌 규정이 있으나 이는 사상 사고로 이어져야만 적용된다. 즉 단순 약물운전 처벌이 오히려 음주운전보다 처벌이 약한 셈이다.실례로 지난 2021년 경기도 수원에서 향정신성의약품을 복용한 후 운전하다 연쇄추돌사고를 일으키고 현장을 이탈한 운전자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됐다. 이에 지난 2022년 4월 약물 운전 처벌 형량을 ‘3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서 ‘5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발의됐다.지난해에는 약물운전으로 상해를 입히면 2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상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을 처벌하는 내용의 개정안과, 약물운전이 의심되는 운전자의 약물 영향 정도를 측정하고 운전이 금지되는 상태의 기준과 측정의 방법, 절차 등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정안이 발의됐다.그런데 이런 법안들은 지난해 12월 9일에 문을 닫은 21대 국회의 마지막 정기국회에 상정되지 못했다. 현재 국회는 임시국회를 열고 계류 중인 법안들을 논의하고 있다. 오는 25일과 내달 1일에 열리는 본회의에서 처리되지 않는다면 해당 법안 논의는 22대 국회에서 원점부터 시작해야 할 수도 있다.전문가들은 약물 운전 단속 및 처벌 규정을 조속히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익명을 요구한 법률전문가는 “음주운전을 하면 단속된다는 인식이 있는 것처럼 약물운전 관련 단속 기준을 마련해 경각심을 줘야 한다”며 “음주와 투약 여부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규정과 음주운전처럼 복용 정도에 따라 처벌하는 기준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약물운전 단속에 대한 일선 경찰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김동진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일선 지구대나 경찰서 교통조사팀에 (약물운전 단속을 위한) 마약 진단 키트가 잘 구비되어 있지 않는데다 마약 검사의 강제성도 없어 체모 채취 등을 이행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며 "경찰서에 마약수사팀을 갖추고 마약 진단 키트 보급 및 교육을 통해 일선 경찰서의 마약운전 단속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마약운전 증가하는데...단속‧처벌 규정은 미비
부천e뉴스
2024-01-19
법무법인(유한) 대륜, 서봉하 전 부장검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 서봉하 전 부장검사 영입
비리, 경제, 형사 분야 범죄 전문통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검사 출신 서봉하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서봉하 변호사는 2002년 제주지검 검사로 임관하고, 광주지검, 청주지검, 인천지검 부천지청, 서울북부지검, 전주지검 검사를 역임했다. 이후 대검찰청 감찰본부 연구관을 맡아 각종 비위에 관한 조사를 진행했다. 대구지검 서부지청 부부장검사를 거쳐 의정부지검 공판송무부장, 부산지검 서부지청 형사3부장검사를 지냈다. 검찰 재직 중 업무상횡령, 배임, 강력 살인범죄, 금품수수 등 사건을 다수 맡았다. 현재 성범죄, 공정거래, 경제범죄 등 형사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서 변호사는 “대륜이 변호사 간 협력 및 소통을 통해 승소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대륜에 합류하게 되어 기쁘다”며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형사 분야에서 대륜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현장에서 활약한 판사, 검사 출신 변호사들을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있다.”며 “전국에서 동일한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전문가 영입 및 서비스 개선 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국내 최대 규모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로펌으로, 국내 10위 대형로펌으로 성장했다. 현재 다수의 판사, 지청장, 검사, 경찰 출신 변호사가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수임 사건을 총괄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서봉하 전 부장검사 영입
부천e뉴스
2024-01-19
법무법인(유한) 대륜, 서봉하 전 부장검사 영입
법무법인(유한) 대륜, 서봉하 전 부장검사 영입
비리, 경제, 형사 분야 범죄 전문통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검사 출신 서봉하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서봉하 변호사는 2002년 제주지검 검사로 임관하고, 광주지검, 청주지검, 인천지검 부천지청, 서울북부지검, 전주지검 검사를 역임했다. 이후 대검찰청 감찰본부 연구관을 맡아 각종 비위에 관한 조사를 진행했다. 대구지검 서부지청 부부장검사를 거쳐 의정부지검 공판송무부장, 부산지검 서부지청 형사3부장검사를 지냈다. 검찰 재직 중 업무상횡령, 배임, 강력 살인범죄, 금품수수 등 사건을 다수 맡았다. 현재 성범죄, 공정거래, 경제범죄 등 형사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서 변호사는 “대륜이 변호사 간 협력 및 소통을 통해 승소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대륜에 합류하게 되어 기쁘다”며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형사 분야에서 대륜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현장에서 활약한 판사, 검사 출신 변호사들을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있다.”며 “전국에서 동일한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전문가 영입 및 서비스 개선 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국내 최대 규모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로펌으로, 국내 10위 대형로펌으로 성장했다. 현재 다수의 판사, 지청장, 검사, 경찰 출신 변호사가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수임 사건을 총괄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서봉하 전 부장검사 영입
에이블뉴스 외
2024-01-12
억울한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 “재판부가 진실 밝혀달라”
억울한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 “재판부가 진실 밝혀달라”
발목 골절 수술 후 후유증 폐색전증으로 수술 9일 만에 사망“설명만 잘했어도”‥유가족, 주의·설명의무 위반 손해배상청구 “간단하다던 발목 골절 수술의 후유증으로 건강하던 아들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의료진 그 누구도 사과하지도, 책임을 지지도 않습니다. 후유증이 예방 가능했으리라는 생각에 더욱 억울하고 마음이 아픕니다. 아들의 억울함을 달랠 수 있도록, 사과하지 않는 이들에게 법적으로나마 책임을 묻고자 합니다.”발목 골절 수술을 받은 뒤 수술 후유증인 폐색전증으로 아들 김동호 씨를 황망하게 떠나보낸 고인의 아버지는 소송 1차 변론기일을 앞두고 이같이 호소했다.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이하 장추련)와 피플퍼스트서울센터는 12일 오전 10시 30분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앞에서 발달장애인 김동호 씨의 수술 후 사망 사건 손해배상청구소송 1차 변론기일을 약 30분 앞두고 기자회견을 개최했다.장추련에 따르면 지난 2022년 7월 발달장애인 김동호 씨는 출근길에 넘어지면서 좌측 발목 골절로 외과적 수술을 받았다. A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이후 요양을 위해 한방병원은 B병원으로 병원을 옮겼으나 그는 수술 후 9일 만에 사망했다.부검 결과 사인은 수술 후유증인 폐색전증이었다. 유가족들은 동호 씨가 사망에 이르게 된 경위에 당사자가 발달장애인이기에 수술 후 경과가 제대로 소통되지 않고 당사자의 상황도 제대로 확인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었다고 주장했다.“건강하고 꿈 많던 동호가 간단하다던 발목 골절 수술 이후 정말 거짓말같이 우리의 곁을 예고도 없이 떠났습니다. 믿을 수 없는 황망한 현실에 저희 가족은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슬픔에 빠져 살고 있습니다. 그때를 생각하면 너무도 후회되고 아들을 생각하면 너무도 미안합니다.”“아들이 그렇게 세상을 떠났는데도 그 누구도 사과도 없고 책임지려 하지 않고 회피하려고만 합니다. 만약 폐색전증 전조증상에 관해 본인이나 가족에게 자세하게 설명하고 적극적으로 검사나 진료를 했다면 동호가 이렇게 허망하게 하늘나라로 갔을까요. 예방이 가능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에 더욱 안타깝고 억울합니다.”(고인 김동호 씨의 아버지)이에 유가족들은 “아들의 죽음에 사과조차 하지 않는 이들에게 법적으로나마 책임을 묻고자 한다”며 2023년 7월 26일 A병원과 B병원을 상대로 발달장애인 김동호 씨에 대한 주의의무 및 설명의무를 위반한 의료상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이번 사건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최보윤 변호사는 “의료진의 설명은 이후 의료진의 진료상 주의의무인 예방조치, 경과관찰 주의의무 및 응급치료로 이어지는 중요한 시발점이고 특히 폐색전증은 발병 가능성 또는 그 사실을 신속하게 감지하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설명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대법원 판례에서도 ‘폐색전증의 발병사실 또는 그 가능성을 신속히 감지하지 못하여 그에 대한 조속한 진단 및 응급치료의 시기를 놓쳤다면, 의료상의 과실이 인정된다 할 것’이라고 판시하고 있다.하지만 김동호 씨에게 외과적 수술과 입원 치료를 한 A병원과 이후 전원한 B병원 모두 고인이나 그 가족에게 발생 가능했던 폐색전증의 진단명, 전형적으로 발생 예상되는 증상, 중대한 결과 예방을 위해 환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 등을 전혀 설명하지 않았기에 의료법 위반이 명백하다는 것이다.최 변호사는 “A병원과 B병원 의료진도 폐색전증을 설명하지 않았음을 자인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소송에 들어서자 ‘회진 돌 때 기침하고 있지 않아 몰랐다’며 회피하고 ‘하필이면 간호사 인수인계 시간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꼬집었다.뿐만아니라 ‘장애 상태를 보호자가 얘기하지 않아 잘 몰랐다’면서 김동호 씨의 장애 상태를 유가족이 알리지 않아 인지할 수 없었기에 유가족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는 것.하지만 동호 씨는 발달장애 중 심한 지적장애 판정을 받았을 만큼 언어 사용과 말투 등에서 지적장애와 그 상태의 정도가 드러난다. 이에 법무법인 대륜은 그의 생전 활동 영상, 녹취록 등을 증거자료로 제출했다.최보윤윤 변호사는 “의료법은 의사결정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장애인은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며 “의료진은 적극적으로 환자의 장애에 따라 적절한 설명 및 의료행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특히 대법원은 의료진이 환자의 연령, 교육 정도, 심신상태 등의 사정에 맞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환자의 사정에 맞추어 중대한 결과가 초래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가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의 방법 기타 건강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상세히 설명하여 후유증 등에 대비하도록 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한 바 있다는 설명이다.이어 “환자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회피하고 막연히 보호자가 더 자세히 얘기해주지 않았다며 책임을 떠넘기는 듯한 취지의 피고 병원들의 주장은 장애인차별금지법 위반이고 의료법 및 관련 판례에도 반한다”고 주장했다.마지막으로 “해당 사건이 앞으로 발달장애인들을 포함한 모든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고 적절한 진료를 받게 되는 선례가 되길 바란다”면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의료시스템도 개선돼 모든 국민이 최선의 의료서비스를 받게 되길 기대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에이블뉴스 - 억울한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 “재판부가 진실 밝혀달라”일간경기 - 발목골절 수술 후 사망 발달장애인 가족 "억울함 풀어달라"더인디고 - “병원 설명만 잘했어도…” 발달장애인 발목골절 수술 후 사망 논란
에이블뉴스 외
2024-01-12
억울한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 “재판부가 진실 밝혀달라”
억울한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 “재판부가 진실 밝혀달라”
발목 골절 수술 후 후유증 폐색전증으로 수술 9일 만에 사망“설명만 잘했어도”‥유가족, 주의·설명의무 위반 손해배상청구 “간단하다던 발목 골절 수술의 후유증으로 건강하던 아들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의료진 그 누구도 사과하지도, 책임을 지지도 않습니다. 후유증이 예방 가능했으리라는 생각에 더욱 억울하고 마음이 아픕니다. 아들의 억울함을 달랠 수 있도록, 사과하지 않는 이들에게 법적으로나마 책임을 묻고자 합니다.”발목 골절 수술을 받은 뒤 수술 후유증인 폐색전증으로 아들 김동호 씨를 황망하게 떠나보낸 고인의 아버지는 소송 1차 변론기일을 앞두고 이같이 호소했다.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이하 장추련)와 피플퍼스트서울센터는 12일 오전 10시 30분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앞에서 발달장애인 김동호 씨의 수술 후 사망 사건 손해배상청구소송 1차 변론기일을 약 30분 앞두고 기자회견을 개최했다.장추련에 따르면 지난 2022년 7월 발달장애인 김동호 씨는 출근길에 넘어지면서 좌측 발목 골절로 외과적 수술을 받았다. A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이후 요양을 위해 한방병원은 B병원으로 병원을 옮겼으나 그는 수술 후 9일 만에 사망했다.부검 결과 사인은 수술 후유증인 폐색전증이었다. 유가족들은 동호 씨가 사망에 이르게 된 경위에 당사자가 발달장애인이기에 수술 후 경과가 제대로 소통되지 않고 당사자의 상황도 제대로 확인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었다고 주장했다.“건강하고 꿈 많던 동호가 간단하다던 발목 골절 수술 이후 정말 거짓말같이 우리의 곁을 예고도 없이 떠났습니다. 믿을 수 없는 황망한 현실에 저희 가족은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슬픔에 빠져 살고 있습니다. 그때를 생각하면 너무도 후회되고 아들을 생각하면 너무도 미안합니다.”“아들이 그렇게 세상을 떠났는데도 그 누구도 사과도 없고 책임지려 하지 않고 회피하려고만 합니다. 만약 폐색전증 전조증상에 관해 본인이나 가족에게 자세하게 설명하고 적극적으로 검사나 진료를 했다면 동호가 이렇게 허망하게 하늘나라로 갔을까요. 예방이 가능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에 더욱 안타깝고 억울합니다.”(고인 김동호 씨의 아버지)이에 유가족들은 “아들의 죽음에 사과조차 하지 않는 이들에게 법적으로나마 책임을 묻고자 한다”며 2023년 7월 26일 A병원과 B병원을 상대로 발달장애인 김동호 씨에 대한 주의의무 및 설명의무를 위반한 의료상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이번 사건의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최보윤 변호사는 “의료진의 설명은 이후 의료진의 진료상 주의의무인 예방조치, 경과관찰 주의의무 및 응급치료로 이어지는 중요한 시발점이고 특히 폐색전증은 발병 가능성 또는 그 사실을 신속하게 감지하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설명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대법원 판례에서도 ‘폐색전증의 발병사실 또는 그 가능성을 신속히 감지하지 못하여 그에 대한 조속한 진단 및 응급치료의 시기를 놓쳤다면, 의료상의 과실이 인정된다 할 것’이라고 판시하고 있다.하지만 김동호 씨에게 외과적 수술과 입원 치료를 한 A병원과 이후 전원한 B병원 모두 고인이나 그 가족에게 발생 가능했던 폐색전증의 진단명, 전형적으로 발생 예상되는 증상, 중대한 결과 예방을 위해 환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 등을 전혀 설명하지 않았기에 의료법 위반이 명백하다는 것이다.최 변호사는 “A병원과 B병원 의료진도 폐색전증을 설명하지 않았음을 자인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소송에 들어서자 ‘회진 돌 때 기침하고 있지 않아 몰랐다’며 회피하고 ‘하필이면 간호사 인수인계 시간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꼬집었다.뿐만아니라 ‘장애 상태를 보호자가 얘기하지 않아 잘 몰랐다’면서 김동호 씨의 장애 상태를 유가족이 알리지 않아 인지할 수 없었기에 유가족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는 것.하지만 동호 씨는 발달장애 중 심한 지적장애 판정을 받았을 만큼 언어 사용과 말투 등에서 지적장애와 그 상태의 정도가 드러난다. 이에 법무법인 대륜은 그의 생전 활동 영상, 녹취록 등을 증거자료로 제출했다.최보윤윤 변호사는 “의료법은 의사결정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장애인은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며 “의료진은 적극적으로 환자의 장애에 따라 적절한 설명 및 의료행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특히 대법원은 의료진이 환자의 연령, 교육 정도, 심신상태 등의 사정에 맞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환자의 사정에 맞추어 중대한 결과가 초래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가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의 방법 기타 건강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상세히 설명하여 후유증 등에 대비하도록 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한 바 있다는 설명이다.이어 “환자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회피하고 막연히 보호자가 더 자세히 얘기해주지 않았다며 책임을 떠넘기는 듯한 취지의 피고 병원들의 주장은 장애인차별금지법 위반이고 의료법 및 관련 판례에도 반한다”고 주장했다.마지막으로 “해당 사건이 앞으로 발달장애인들을 포함한 모든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고 적절한 진료를 받게 되는 선례가 되길 바란다”면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의료시스템도 개선돼 모든 국민이 최선의 의료서비스를 받게 되길 기대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에이블뉴스 - 억울한 발달장애인 의료사고 사망 “재판부가 진실 밝혀달라”일간경기 - 발목골절 수술 후 사망 발달장애인 가족 "억울함 풀어달라"더인디고 - “병원 설명만 잘했어도…” 발달장애인 발목골절 수술 후 사망 논란
스포츠서울 외
2024-01-12
법무법인 대륜, 메가스터디 그룹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메가스터디 그룹과 MOU 체결
[스포츠서울 | 김수지기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메가스터디 그룹과 업무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메가스터디 그룹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박성동 최고총괄변호사, 메가스터디 그룹 손주은 회장 등이 참석했다.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메가스터디의 교육 법률 자문 △구성원에 대한 법률상담 지원 △상호 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추진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특히, 대륜은 형사사건 전담팀,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센터의 역량을 발휘해 사이버범죄에 대한 초동 대응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손주은 회장은 “내·외부 컴플라이언스, 계약 서류 검토, 형사적 대응 등 다각적인 법적 자문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륜은 풍부한 자문 경험을 갖춰 메가스터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대륜의 전문적인 법적 자문을 바탕으로 입시교육 분야의 1위를 하겠다”고 말했다.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형사센터, 기업법무센터, 학교폭력센터 등을 각각 운영할 만큼, 분야별 자문 역량을 고루 갖췄다”며 “사이버침해 사고, 사이버 폭력 등 범죄의 증가에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대륜의 도움이 필요한 모든 영역에서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메가스터디 그룹과 MOU 체결동양일보 - 대륜·메가스터디, MOU
스포츠서울 외
2024-01-12
법무법인 대륜, 메가스터디 그룹과 MOU 체결
법무법인 대륜, 메가스터디 그룹과 MOU 체결
[스포츠서울 | 김수지기자]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메가스터디 그룹과 업무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메가스터디 그룹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박성동 최고총괄변호사, 메가스터디 그룹 손주은 회장 등이 참석했다.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메가스터디의 교육 법률 자문 △구성원에 대한 법률상담 지원 △상호 교류에 필요한 정보 교환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추진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특히, 대륜은 형사사건 전담팀,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센터의 역량을 발휘해 사이버범죄에 대한 초동 대응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손주은 회장은 “내·외부 컴플라이언스, 계약 서류 검토, 형사적 대응 등 다각적인 법적 자문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륜은 풍부한 자문 경험을 갖춰 메가스터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대륜의 전문적인 법적 자문을 바탕으로 입시교육 분야의 1위를 하겠다”고 말했다.김국일 대표는 “대륜은 형사센터, 기업법무센터, 학교폭력센터 등을 각각 운영할 만큼, 분야별 자문 역량을 고루 갖췄다”며 “사이버침해 사고, 사이버 폭력 등 범죄의 증가에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대륜의 도움이 필요한 모든 영역에서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스포츠서울 - 법무법인 대륜, 메가스터디 그룹과 MOU 체결동양일보 - 대륜·메가스터디, MOU
한국경제
2024-01-02
대륜, 윌스기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MOU
대륜, 윌스기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9일 의료법인 토마스의료재단의 윌스기념병원과 의료분야 법률 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국일 대륜 대표변호사와 박춘근 윌스기념병원 이사장 겸 의료원장 등이 참석했다. 경기 수원에 있는 윌스기념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하는 척추전문병원으로 네 차례 연속 지정된 곳이다.대륜은 앞으로 윌스기념병원과 협력해 △의료·보건분야 법률 자문 정보 교환 세미나 교육 등을 할 예정이다. 최근 의료전담팀 규모를 키우고 있는 이 로펌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의료분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김 대표변호사는 “그동안 쌓아온 의료전담팀의 법률 자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윌스기념병원의 위상에 걸맞은 법률 서비스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윌스기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MOU
한국경제
2024-01-02
대륜, 윌스기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MOU
대륜, 윌스기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MOU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9일 의료법인 토마스의료재단의 윌스기념병원과 의료분야 법률 자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국일 대륜 대표변호사와 박춘근 윌스기념병원 이사장 겸 의료원장 등이 참석했다. 경기 수원에 있는 윌스기념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하는 척추전문병원으로 네 차례 연속 지정된 곳이다.대륜은 앞으로 윌스기념병원과 협력해 △의료·보건분야 법률 자문 정보 교환 세미나 교육 등을 할 예정이다. 최근 의료전담팀 규모를 키우고 있는 이 로펌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의료분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김 대표변호사는 “그동안 쌓아온 의료전담팀의 법률 자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윌스기념병원의 위상에 걸맞은 법률 서비스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대륜, 윌스기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MOU
스포츠서울
2023-12-26
법무법인(유한) 대륜-동수원병원, 의료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동수원병원, 의료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0일 의료법인 녹산의료재단 동수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녹산의료재단 변영훈 이사장,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의료·보건 문제에 대한 법률자문 △계약서 법률적 검토 △의료법인 임직원 법률상담 지원 △상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의료전담팀을 중심으로 민사, 행정, 형사, 계약 분야 법률자문, 소송대리에 나설 계획이다. 김국일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서비스 향상과 최상의 법률자문으로 상호 지속가능한 발전적 관계를 형성하길 바란다”며 “로펌이 보유한 역량과 인적 자원을 아낌없이 활용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변영훈 이사장은 “병원 운영에 법률자문이 필요한 상황이 다수 있다. 대륜의 협조로 더욱 체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10위 규모의 대형 로펌으로, 의료, 형사, 기업법무등 22개의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 35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동수원병원, 의료 법률자문 MOU 체결
스포츠서울
2023-12-26
법무법인(유한) 대륜-동수원병원, 의료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동수원병원, 의료 법률자문 MOU 체결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0일 의료법인 녹산의료재단 동수원병원과 의료 법률자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녹산의료재단 변영훈 이사장,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의료·보건 문제에 대한 법률자문 △계약서 법률적 검토 △의료법인 임직원 법률상담 지원 △상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 △공동사업을 위한 세미나, 교육 등 추진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의료전담팀을 중심으로 민사, 행정, 형사, 계약 분야 법률자문, 소송대리에 나설 계획이다. 김국일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서비스 향상과 최상의 법률자문으로 상호 지속가능한 발전적 관계를 형성하길 바란다”며 “로펌이 보유한 역량과 인적 자원을 아낌없이 활용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변영훈 이사장은 “병원 운영에 법률자문이 필요한 상황이 다수 있다. 대륜의 협조로 더욱 체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10위 규모의 대형 로펌으로, 의료, 형사, 기업법무등 22개의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 35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동수원병원, 의료 법률자문 MOU 체결
머니투데이
2023-12-26
법무법인(유한) 대륜,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 MOU
법률자문, 법률 세미나 등 상호 협력키로…현장 리스크 최소화 목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1일 한국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 송기인 본부장,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최고총괄변호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중대재해 초동대응 법률자문 △중대재해 관련 법률적 교육 및 세미나 추진 △상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 △중대재해처벌법 강의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기존 50인 이상 사업장과 공사 금액 50억원 이상 사업장에서만 적용되던 중대재해처벌법은 오는 2024년 1월 27일부터 5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과 50억원 미만의 사업장에서도 적용된다. 적용범위 확대에 앞서 두 기관은 활발한 교류를 통해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업무 수행 중 근로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보건 관련 사건을 예방하고,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법률자문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방침이다.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 송기인 본부장은 "중대재해는 초동대응 및 대처가 가장 중요하다. 중대재해 초동대응뿐만 아니라 기타 법률적 문제에 대한 자문도 필요함에 있어 다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적합하다고 생각했다"며 "자문과 교육 진행에 있어 원활한 협조와 상호 간 활발한 교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중대재해 초동대응에는 반드시 전문성이 있는 변호사가 옆에 있게 하여 수시로 자문을 얻고, 즉각 대응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마련돼야 한다"며 "대륜에는 현장·기업 출신 변호사들이 다수 있다. 중대재해 관련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현장을 조성하는 데 인적 자원을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10위 규모의 대형 로펌으로, 노동·산재,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등 22개의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 MOU
머니투데이
2023-12-26
법무법인(유한) 대륜,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 MOU
법률자문, 법률 세미나 등 상호 협력키로…현장 리스크 최소화 목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21일 한국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 송기인 본부장,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최고총괄변호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중대재해 초동대응 법률자문 △중대재해 관련 법률적 교육 및 세미나 추진 △상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 △중대재해처벌법 강의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기존 50인 이상 사업장과 공사 금액 50억원 이상 사업장에서만 적용되던 중대재해처벌법은 오는 2024년 1월 27일부터 5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과 50억원 미만의 사업장에서도 적용된다. 적용범위 확대에 앞서 두 기관은 활발한 교류를 통해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업무 수행 중 근로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보건 관련 사건을 예방하고,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법률자문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방침이다.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 송기인 본부장은 "중대재해는 초동대응 및 대처가 가장 중요하다. 중대재해 초동대응뿐만 아니라 기타 법률적 문제에 대한 자문도 필요함에 있어 다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적합하다고 생각했다"며 "자문과 교육 진행에 있어 원활한 협조와 상호 간 활발한 교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국일 대표는 "중대재해 초동대응에는 반드시 전문성이 있는 변호사가 옆에 있게 하여 수시로 자문을 얻고, 즉각 대응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마련돼야 한다"며 "대륜에는 현장·기업 출신 변호사들이 다수 있다. 중대재해 관련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현장을 조성하는 데 인적 자원을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국내 10위 규모의 대형 로펌으로, 노동·산재, 건설·부동산, 기업법무 등 22개의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남부발전 하동빛드림본부와 중대재해 초동대응 MOU
매일경제
2023-12-20
“층간소음 복수? 어디 한번 해봐”…스토킹으로 줄줄이 잡혀갈판
“층간소음 복수? 어디 한번 해봐”…스토킹으로 줄줄이 잡혀갈판
대법원, 보복행위에 스토킹 처벌확정판례에 따라 관련 고소고발 줄이을듯층간소음 ‘유발자’ 처벌은 사각지대 최근 층간소음 보복 행위를 ‘스토킹’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대법원의 첫 판단이 나오면서 층간소음과 관련해 형사고소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4일 대법원은 층간소음 분쟁 과정에서 윗집에 의도적으로 소음을 일으켜 이웃을 괴롭힌 30대 남성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형을 확정했다. 층간소음 보복을 스토킹 범죄로 인정한 대법원의 첫 판결이다. 대법원 판례에 따라 층간소음 보복 행위를 스토킹으로 묶어 고소하는 사례가 지금보다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021년 10월 스토킹 처벌법이 시행되면서 층간소음 보복 행위가 스토킹의 조건이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스토킹 처벌법을 정립할 때 층간소음을 고려해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며 “당시 입법 취지는 원치 않은 상대에 메시지, 음성 등을 보내는 것을 제지하기 위해 만들었을 텐데 어쩌다 보니 층간소음 보복 행위에 들어맞게 됐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층간소음 보복 행위에 대한 처벌의 길은 열렸지만 층간소음을 유발해 원인을 제공한 이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단은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조 변호사는 “일반적으로 층간소음을 유발한 것에 대해서 형사 고소는 어렵다”라며 “일부러 아랫집에 소음을 도달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소명되는 경우만 스토킹처벌법 위반으로 신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층간소음 분쟁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공동주택 층간소음 민원은 2019년 3만2785건에서 2022년 5만5504건으로 약 70% 늘어났다. 층간소음 분쟁이 잦아지면서 층간소음 유발자의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차상곤 주거문화주거개선연구소장은 “층간소음 피해자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라며 “보복 행위를 두둔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인 제공자를 처벌 할 수 있는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기사전문보기] - “층간소음 복수? 어디 한번 해봐”…스토킹으로 줄줄이 잡혀갈판
매일경제
2023-12-20
“층간소음 복수? 어디 한번 해봐”…스토킹으로 줄줄이 잡혀갈판
“층간소음 복수? 어디 한번 해봐”…스토킹으로 줄줄이 잡혀갈판
대법원, 보복행위에 스토킹 처벌확정판례에 따라 관련 고소고발 줄이을듯층간소음 ‘유발자’ 처벌은 사각지대 최근 층간소음 보복 행위를 ‘스토킹’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대법원의 첫 판단이 나오면서 층간소음과 관련해 형사고소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4일 대법원은 층간소음 분쟁 과정에서 윗집에 의도적으로 소음을 일으켜 이웃을 괴롭힌 30대 남성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형을 확정했다. 층간소음 보복을 스토킹 범죄로 인정한 대법원의 첫 판결이다. 대법원 판례에 따라 층간소음 보복 행위를 스토킹으로 묶어 고소하는 사례가 지금보다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021년 10월 스토킹 처벌법이 시행되면서 층간소음 보복 행위가 스토킹의 조건이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조성근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스토킹 처벌법을 정립할 때 층간소음을 고려해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며 “당시 입법 취지는 원치 않은 상대에 메시지, 음성 등을 보내는 것을 제지하기 위해 만들었을 텐데 어쩌다 보니 층간소음 보복 행위에 들어맞게 됐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층간소음 보복 행위에 대한 처벌의 길은 열렸지만 층간소음을 유발해 원인을 제공한 이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단은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조 변호사는 “일반적으로 층간소음을 유발한 것에 대해서 형사 고소는 어렵다”라며 “일부러 아랫집에 소음을 도달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소명되는 경우만 스토킹처벌법 위반으로 신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층간소음 분쟁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공동주택 층간소음 민원은 2019년 3만2785건에서 2022년 5만5504건으로 약 70% 늘어났다. 층간소음 분쟁이 잦아지면서 층간소음 유발자의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차상곤 주거문화주거개선연구소장은 “층간소음 피해자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라며 “보복 행위를 두둔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인 제공자를 처벌 할 수 있는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기사전문보기] - “층간소음 복수? 어디 한번 해봐”…스토킹으로 줄줄이 잡혀갈판
머니투데이
2023-12-12
황혼이혼 시 가정주부도 억대 재산분할 청구·아파트 공동명의 가능
황혼이혼 시 가정주부도 억대 재산분할 청구·아파트 공동명의 가능
시대의 변화와 자녀들의 독립으로 홀로서기를 결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혼 부부 10쌍 중 3쌍이 황혼이혼에 해당할 정도이다. 황혼이혼은 소위 '새벽이혼'이라 불리는 결혼 초 이혼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녀들이 성인이 되어 양육비에 대해 다루지 않게 되며, 손해배상 청구의 소멸시효가 지나 위자료에 대한 다툼이 있는 경우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그래서 황혼이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쟁은 재산분할이다. 재산분할은 혼인 기간 중 부부가 공동의 협력으로 쌓은 재산을 각자의 기여도에 따라 분할하는 행위인데, 지금 황혼이혼을 준비하는 세대의 경우 맞벌이 가정이 흔치 않았기에 '가정주부의 재산분할'에 관한 갈등을 빚게 된다.그러나 자녀 양육이나 가사도 간접적인 재산 형성에 해당하므로 혼인기간 내내 가정주부로 지내온 경우도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 현금뿐만 아니라 자동차, 아파트 등 채권이나 물권에 대한 분할도 인정된다.최이선 이혼전문변호사는 "공동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를 정할 때에는 결혼생활 전반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소득활동만이 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로 보는 것은 아니므로 가정주부도 황혼이혼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 단, 기여에 대한 입증이 중요하다"며 "얼마 전에도 가정주부로 지내왔지만 억원대 재산분할을 받게 되거나, 거주 중인 아파트의 절반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받은 사례가 있다. 혼인 기간 중 협력도에 관한 구체적 입증을 통해 이뤄낸 결과"라고 말했다.도움말=최이선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황혼이혼 시 가정주부도 억대 재산분할 청구·아파트 공동명의 가능
머니투데이
2023-12-12
황혼이혼 시 가정주부도 억대 재산분할 청구·아파트 공동명의 가능
황혼이혼 시 가정주부도 억대 재산분할 청구·아파트 공동명의 가능
시대의 변화와 자녀들의 독립으로 홀로서기를 결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혼 부부 10쌍 중 3쌍이 황혼이혼에 해당할 정도이다. 황혼이혼은 소위 '새벽이혼'이라 불리는 결혼 초 이혼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녀들이 성인이 되어 양육비에 대해 다루지 않게 되며, 손해배상 청구의 소멸시효가 지나 위자료에 대한 다툼이 있는 경우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그래서 황혼이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쟁은 재산분할이다. 재산분할은 혼인 기간 중 부부가 공동의 협력으로 쌓은 재산을 각자의 기여도에 따라 분할하는 행위인데, 지금 황혼이혼을 준비하는 세대의 경우 맞벌이 가정이 흔치 않았기에 '가정주부의 재산분할'에 관한 갈등을 빚게 된다.그러나 자녀 양육이나 가사도 간접적인 재산 형성에 해당하므로 혼인기간 내내 가정주부로 지내온 경우도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 현금뿐만 아니라 자동차, 아파트 등 채권이나 물권에 대한 분할도 인정된다.최이선 이혼전문변호사는 "공동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를 정할 때에는 결혼생활 전반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소득활동만이 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로 보는 것은 아니므로 가정주부도 황혼이혼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 단, 기여에 대한 입증이 중요하다"며 "얼마 전에도 가정주부로 지내왔지만 억원대 재산분할을 받게 되거나, 거주 중인 아파트의 절반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받은 사례가 있다. 혼인 기간 중 협력도에 관한 구체적 입증을 통해 이뤄낸 결과"라고 말했다.도움말=최이선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황혼이혼 시 가정주부도 억대 재산분할 청구·아파트 공동명의 가능
뉴시스
2023-12-05
장애인주차구역 주차표지 위조·사용 40대女 집행유예
장애인주차구역 주차표지 위조·사용 40대女 집행유예
[부산=뉴시스]권태완 기자 =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를 위조한 40대 여성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5단독(문경훈 판사)은 공문서위조 및 위조공문서행사 등의 혐의로 기소된 A(40대·여)씨에게 징역 4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재판부는 또 A씨에게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했다.1심이 인정한 범죄사실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부산의 주거지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이미지를 내려받은 뒤 위조한 혐의를 받고 있다.A씨는 또 올해 2월 18일 부산 해운대구의 한 백화점 주차장에서 위조한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를 자신의 차량 운전석 앞 유리창 하단해 비치한 혐의도 받고 있다.A씨의 위조된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를 본 한 시민이 고발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처럼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 표지를 위조한 경우 7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 등 강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공문서위조 및 위조공문서행사죄는 사회적으로 공공의 신용을 저하시키는 범죄이기 때문에 엄중하게 처벌하고 있다"면서 "시민들이 예전과 달리 위조공문서행사와 같은 범죄에 대해 예전처럼 참고 지내지 않고 있다. 법원 또한 처벌 수위를 이전보다 강화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이번 사건이 범행의 기간이 길거나 범행의 정도가 가격하지 않지만 법원은 집행유예를 선고하며 엄히 처벌하고 있고, 그만큼 우리 사회가 장애인 보호 등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장애인주차구역 주차표지 위조·사용 40대女 집행유예
뉴시스
2023-12-05
장애인주차구역 주차표지 위조·사용 40대女 집행유예
장애인주차구역 주차표지 위조·사용 40대女 집행유예
[부산=뉴시스]권태완 기자 =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를 위조한 40대 여성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5단독(문경훈 판사)은 공문서위조 및 위조공문서행사 등의 혐의로 기소된 A(40대·여)씨에게 징역 4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재판부는 또 A씨에게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했다.1심이 인정한 범죄사실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부산의 주거지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이미지를 내려받은 뒤 위조한 혐의를 받고 있다.A씨는 또 올해 2월 18일 부산 해운대구의 한 백화점 주차장에서 위조한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를 자신의 차량 운전석 앞 유리창 하단해 비치한 혐의도 받고 있다.A씨의 위조된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를 본 한 시민이 고발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처럼 장애인주차구역 주차가능 표지를 위조한 경우 7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 등 강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는 "공문서위조 및 위조공문서행사죄는 사회적으로 공공의 신용을 저하시키는 범죄이기 때문에 엄중하게 처벌하고 있다"면서 "시민들이 예전과 달리 위조공문서행사와 같은 범죄에 대해 예전처럼 참고 지내지 않고 있다. 법원 또한 처벌 수위를 이전보다 강화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이번 사건이 범행의 기간이 길거나 범행의 정도가 가격하지 않지만 법원은 집행유예를 선고하며 엄히 처벌하고 있고, 그만큼 우리 사회가 장애인 보호 등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장애인주차구역 주차표지 위조·사용 40대女 집행유예
MBN
2023-11-27
[양성포용] 주거침입 강제추행죄 입법 공백…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은 '무섭다'
[양성포용] 주거침입 강제추행죄 입법 공백…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은 '무섭다'
【 앵커멘트 】저희가 양성평등을 넘어 이제는 양성포용으로 가자는 내용을 연중 기획으로 다루고 있죠.그런데 여성들이 성범죄로부터 안전하지 못해 항상 불안해 한다면 남녀 간 평등을 넘어 기본적인 생활조차 할 수가 없을 겁니다.최근 주거침입 강제추행죄가 지나치게 과중한 처벌로 위헌 판단을 받으며 입법 공백이 생겼는데요.그렇다보니 피해를 입고 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더군다나 혼자 사는 여성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어서 입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최희지 기자입니다.【 기자 】객실 앞을 서성이던 남성이 마스터키를 소지한 숙박업소 직원을 불러오더니 자연스레 문을 열고 들어갑니다.방 안에는 20대 여성이 혼자 자고 있었고 이 남성은 여성의 옷을 강제로 벗기는 등 추행을 범했습니다.사건 피해자인 A씨는 그날 사건만 생각하면 지금도 공포감에 휩싸입니다.▶ 인터뷰 : A 씨 / 주거침입 강제추행 피해자- "안심할 수 있는 공간에서 강제추행을 당한 거기 때문에 여성 입장에서 어떤 공간에서도 안심할 수 없다는…."1년이 넘는 수사와 재판 끝에 형량 선고만을 앞두고 있었는데지난달 헌법재판소가 '주거침입 강제추행죄'를 위헌으로 판단하면서 다시 공판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감형되더라도 최소 3년 이상의 실형이 예상됐지만 법이 없어지면서 집행유예로 풀려날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인터뷰 : A 씨 / 주거침입 강제추행 피해자- "(초범이라) 집행유예까지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고 보복의 그런 가능성도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두렵기도 하고…."현재 국내 여성 1인 가구는 300만 명 이상으로, 이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범죄가 바로 주거침입입니다.성범죄 피해를 당한 여성들은 자신만의 공간에서조차 안심할 수 없다며 고통을 호소합니다.강제추행과 강간미수를 당한 여성 피해자를 대리하고 있는 한 변호사가 가장 많이 듣는 애기도 바로 집에서 당한 거라 더 힘들다는 겁니다.▶ 인터뷰 : 조성근 / 성폭력 전문 변호사- "(제가 변호하는) 피해자가 하루 중 절반 가까운 시간을 보내는 주거에서 공포감에 떨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일부 극단적인 선택…."법무부 관계자는 "구체적 내용이나 계획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지만 헌재 결정 이후 한 달이 지난 지금까지 피해자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후속 입법 논의는 없습니다.▶ 스탠딩 : 최희지 / 기자- "주거침입 강제추행 조항이 형량 하한선만 문제가 됐었던 만큼 이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조속한 입법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최희지입니다." [기사 전문보기] - [양성포용] 주거침입 강제추행죄 입법 공백…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은 '무섭다'
MBN
2023-11-27
[양성포용] 주거침입 강제추행죄 입법 공백…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은 '무섭다'
[양성포용] 주거침입 강제추행죄 입법 공백…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은 '무섭다'
【 앵커멘트 】저희가 양성평등을 넘어 이제는 양성포용으로 가자는 내용을 연중 기획으로 다루고 있죠.그런데 여성들이 성범죄로부터 안전하지 못해 항상 불안해 한다면 남녀 간 평등을 넘어 기본적인 생활조차 할 수가 없을 겁니다.최근 주거침입 강제추행죄가 지나치게 과중한 처벌로 위헌 판단을 받으며 입법 공백이 생겼는데요.그렇다보니 피해를 입고 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더군다나 혼자 사는 여성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어서 입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최희지 기자입니다.【 기자 】객실 앞을 서성이던 남성이 마스터키를 소지한 숙박업소 직원을 불러오더니 자연스레 문을 열고 들어갑니다.방 안에는 20대 여성이 혼자 자고 있었고 이 남성은 여성의 옷을 강제로 벗기는 등 추행을 범했습니다.사건 피해자인 A씨는 그날 사건만 생각하면 지금도 공포감에 휩싸입니다.▶ 인터뷰 : A 씨 / 주거침입 강제추행 피해자- "안심할 수 있는 공간에서 강제추행을 당한 거기 때문에 여성 입장에서 어떤 공간에서도 안심할 수 없다는…."1년이 넘는 수사와 재판 끝에 형량 선고만을 앞두고 있었는데지난달 헌법재판소가 '주거침입 강제추행죄'를 위헌으로 판단하면서 다시 공판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감형되더라도 최소 3년 이상의 실형이 예상됐지만 법이 없어지면서 집행유예로 풀려날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인터뷰 : A 씨 / 주거침입 강제추행 피해자- "(초범이라) 집행유예까지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고 보복의 그런 가능성도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두렵기도 하고…."현재 국내 여성 1인 가구는 300만 명 이상으로, 이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범죄가 바로 주거침입입니다.성범죄 피해를 당한 여성들은 자신만의 공간에서조차 안심할 수 없다며 고통을 호소합니다.강제추행과 강간미수를 당한 여성 피해자를 대리하고 있는 한 변호사가 가장 많이 듣는 애기도 바로 집에서 당한 거라 더 힘들다는 겁니다.▶ 인터뷰 : 조성근 / 성폭력 전문 변호사- "(제가 변호하는) 피해자가 하루 중 절반 가까운 시간을 보내는 주거에서 공포감에 떨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일부 극단적인 선택…."법무부 관계자는 "구체적 내용이나 계획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지만 헌재 결정 이후 한 달이 지난 지금까지 피해자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후속 입법 논의는 없습니다.▶ 스탠딩 : 최희지 / 기자- "주거침입 강제추행 조항이 형량 하한선만 문제가 됐었던 만큼 이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조속한 입법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최희지입니다." [기사 전문보기] - [양성포용] 주거침입 강제추행죄 입법 공백…소송 중인 피해 여성들은 '무섭다'
MBN
2023-11-27
실수로 마신 마약 처벌 안 되는데 '쉬쉬'…"신고 많아야 윗선 추적 쉬워"
실수로 마신 마약 처벌 안 되는데 '쉬쉬'…"신고 많아야 윗선 추적 쉬워"
【 앵커멘트 】현재까지 마약 음료를 마셨다며 신고한 피해자는 7명입니다.더 많은 피해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행여나 자녀에게 더 큰 피해가 있을까 우려해 신고를 꺼리는 학부모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그렇다면 실수로 마신 마약 음료는 처벌 대상이 될까요?최희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여느 때처럼 학생들로 북적이는 대치동 학원가.평소와 비슷해 보이지만 지난 3일 발생한 마약 음료 사건으로 학생과 학부모들은 여전히 긴장 상태입니다.▶ 인터뷰 : 김민재 / 서울 대치동- "놀라는 것 같기도 하고 이런 일이 많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보니까 애들도 막 걱정하기도 하고…."특히 자녀에게 괜한 낙인이 찍히거나 경찰 조사를 받느라 시간적, 정신적 피해를 볼까봐 신고를 망설이는 부모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최영희 / 서울 대치동- "아이들 한참 자라날 아이들에게 이렇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것 같고요. 아이들 보호차원에서 누가 선뜻 신고를 하겠어요. 누가 신고하라고 권할수는 없는…."▶ 스탠딩 : 최희지 / 기자- "마약 음료를 마신 학부모를 포함해 피해자 7명도 처벌 대상인지 알아봤습니다. 현행법에서는 모르고 마약을 투약, 투여한 경우에는 처벌받지 않습니다."다만, 단순 아르바이트라 하더라도 마약을 건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 조성근 / 변호사- "어렴풋이라도 마약류라는 것을 알고 전달을 해줬다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경찰은 피해 사례가 많이 확인돼야 사건 가해 일당의 형량이 높아질 수 있고, 윗선 추적이 쉽다며 적극적인 신고와 제보를 당부했습니다. [기사 전문보기] - 실수로 마신 마약 처벌 안 되는데 '쉬쉬'…"신고 많아야 윗선 추적 쉬워"
MBN
2023-11-27
실수로 마신 마약 처벌 안 되는데 '쉬쉬'…"신고 많아야 윗선 추적 쉬워"
실수로 마신 마약 처벌 안 되는데 '쉬쉬'…"신고 많아야 윗선 추적 쉬워"
【 앵커멘트 】현재까지 마약 음료를 마셨다며 신고한 피해자는 7명입니다.더 많은 피해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행여나 자녀에게 더 큰 피해가 있을까 우려해 신고를 꺼리는 학부모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그렇다면 실수로 마신 마약 음료는 처벌 대상이 될까요?최희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여느 때처럼 학생들로 북적이는 대치동 학원가.평소와 비슷해 보이지만 지난 3일 발생한 마약 음료 사건으로 학생과 학부모들은 여전히 긴장 상태입니다.▶ 인터뷰 : 김민재 / 서울 대치동- "놀라는 것 같기도 하고 이런 일이 많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보니까 애들도 막 걱정하기도 하고…."특히 자녀에게 괜한 낙인이 찍히거나 경찰 조사를 받느라 시간적, 정신적 피해를 볼까봐 신고를 망설이는 부모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최영희 / 서울 대치동- "아이들 한참 자라날 아이들에게 이렇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것 같고요. 아이들 보호차원에서 누가 선뜻 신고를 하겠어요. 누가 신고하라고 권할수는 없는…."▶ 스탠딩 : 최희지 / 기자- "마약 음료를 마신 학부모를 포함해 피해자 7명도 처벌 대상인지 알아봤습니다. 현행법에서는 모르고 마약을 투약, 투여한 경우에는 처벌받지 않습니다."다만, 단순 아르바이트라 하더라도 마약을 건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 조성근 / 변호사- "어렴풋이라도 마약류라는 것을 알고 전달을 해줬다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경찰은 피해 사례가 많이 확인돼야 사건 가해 일당의 형량이 높아질 수 있고, 윗선 추적이 쉽다며 적극적인 신고와 제보를 당부했습니다. [기사 전문보기] - 실수로 마신 마약 처벌 안 되는데 '쉬쉬'…"신고 많아야 윗선 추적 쉬워"
조선일보
2023-11-10
이선균도 “마약인줄 몰랐다”… 연예인들은 왜?
이선균도 “마약인줄 몰랐다”… 연예인들은 왜?
마약류 투약 혐의를 받고 있는 배우 이선균(48)씨가 경찰 조사에서 “마약인 줄 모르고 투약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인천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 등에 따르면, 이씨는 소환 조사에서 “유흥업소 실장 A씨가 나를 속이고 무언가를 줬다”고 말했다고 한다. 마약 투약 자체는 사실상 인정했지만, 고의성은 부인한 것이다. 이씨는 전날 3시간 동안 조사를 받고 나온 뒤 기자들과 만나 “여러 가지 질문에 성의 있게 사실대로 다 말씀드렸다”고 했었다. 이씨가 마약류 투약의 고의성을 부정하면서 법조계에서는 이번 수사 역시 이전의 다른 연예인 마약 수사처럼 흘러가는 게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연예계 인사들은 대부분 마약 수사를 받으면서 “몰랐다”고 했고, 중형을 피해 왔다. 지난 2011년 K팝 그룹 빅뱅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35)은 대마를 흡입한 사실을 인정했지만,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당시 권씨는 “모르는 사람이 한번 피워보라고 준 물건을 담배로 착각하고 한 번 흡입했다”고 했다. 권씨는 최근에도 마약 투약 의혹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지만 “마약을 투약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 그는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 진행을 위해 6일 경찰에 자진 출석하겠다”고도 했다. 마약 투약 혐의로 지난달 기소된 유아인(본명 엄홍식·37)씨는 “졸피뎀 투약은 수면 장애를 위한 치료 목적이었다”고 했다. 마약류를 복용했지만 의료용이었으며, 고의적으로 투약하지 않았다는 취지다. 검찰은 엄씨에 대해 두 차례 구속 영장을 청구했지만 기각됐다. 배우 하정우(본명 김성훈·45)씨 역시 프로포폴 투약 논란이 일었던 지난 2020년 “병원장의 판단하에 수면 마취를 시행한 것”이었다고 부인했다. 김씨는 법원에서 30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일반적으로 마약류 투약 사범에겐 징역 5년 이하, 벌금 5000만원 이하로 처벌하게 돼 있다. 형량은 고의성이나 투약량 등을 고려해 결정된다. 부장검사 출신 법무법인 대륜 나창수 변호사는 “이선균씨에게 적용된 대마 혐의의 경우 고의성이나 횟수, 기간 등의 정황에 따라 기소유예 처분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며 “향정 혐의는 벌금형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 이선균도 “마약인줄 몰랐다”… 연예인들은 왜?
조선일보
2023-11-10
이선균도 “마약인줄 몰랐다”… 연예인들은 왜?
이선균도 “마약인줄 몰랐다”… 연예인들은 왜?
마약류 투약 혐의를 받고 있는 배우 이선균(48)씨가 경찰 조사에서 “마약인 줄 모르고 투약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인천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 등에 따르면, 이씨는 소환 조사에서 “유흥업소 실장 A씨가 나를 속이고 무언가를 줬다”고 말했다고 한다. 마약 투약 자체는 사실상 인정했지만, 고의성은 부인한 것이다. 이씨는 전날 3시간 동안 조사를 받고 나온 뒤 기자들과 만나 “여러 가지 질문에 성의 있게 사실대로 다 말씀드렸다”고 했었다. 이씨가 마약류 투약의 고의성을 부정하면서 법조계에서는 이번 수사 역시 이전의 다른 연예인 마약 수사처럼 흘러가는 게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연예계 인사들은 대부분 마약 수사를 받으면서 “몰랐다”고 했고, 중형을 피해 왔다. 지난 2011년 K팝 그룹 빅뱅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35)은 대마를 흡입한 사실을 인정했지만,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당시 권씨는 “모르는 사람이 한번 피워보라고 준 물건을 담배로 착각하고 한 번 흡입했다”고 했다. 권씨는 최근에도 마약 투약 의혹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지만 “마약을 투약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 그는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 진행을 위해 6일 경찰에 자진 출석하겠다”고도 했다. 마약 투약 혐의로 지난달 기소된 유아인(본명 엄홍식·37)씨는 “졸피뎀 투약은 수면 장애를 위한 치료 목적이었다”고 했다. 마약류를 복용했지만 의료용이었으며, 고의적으로 투약하지 않았다는 취지다. 검찰은 엄씨에 대해 두 차례 구속 영장을 청구했지만 기각됐다. 배우 하정우(본명 김성훈·45)씨 역시 프로포폴 투약 논란이 일었던 지난 2020년 “병원장의 판단하에 수면 마취를 시행한 것”이었다고 부인했다. 김씨는 법원에서 30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일반적으로 마약류 투약 사범에겐 징역 5년 이하, 벌금 5000만원 이하로 처벌하게 돼 있다. 형량은 고의성이나 투약량 등을 고려해 결정된다. 부장검사 출신 법무법인 대륜 나창수 변호사는 “이선균씨에게 적용된 대마 혐의의 경우 고의성이나 횟수, 기간 등의 정황에 따라 기소유예 처분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며 “향정 혐의는 벌금형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기사전문보기] - 이선균도 “마약인줄 몰랐다”… 연예인들은 왜?
리걸타임즈
2023-11-06
 [손배] 퇴사 직원 요청에도 근무 당시 동영상 삭제 안 한 이벤트업체 대표에 손해배상 판결
[손배] 퇴사 직원 요청에도 근무 당시 동영상 삭제 안 한 이벤트업체 대표에 손해배상 판결
A씨는 이벤트업체 대표인 B씨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2014년 8월부터 위 업체에서 근무하면서 이벤트 사회자, 댄스 출연자 등으로 업무를 수행했다. B씨는 A씨가 위 업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이를 인터넷 웹페이지에 게시했다. A씨는 2017년 8월 퇴사한 후 2021년 11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B씨에게 위 동영상의 삭제를 요청했다. 그러나 B씨가 이를 삭제하지 않자 B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등을 청구하는 소송(2022가합207602)을 냈다. B씨는 소장 부본을 송달받은 2023년 3월 27일 무렵 이를 삭제했다. 대구지법 민사12부(재판장 채성호 부장판사)는 10월 5일 초상권 침해를 인정, "피고는 원고에게 위자료 300만원을 지급하고, 피고는 인터넷 웹페이지에 동영상을 게재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판결했다.재판부는 먼저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얼굴 기타 사회통념상 특정인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신체적 특징에 관하여 함부로 촬영 또는 그림묘사되거나 공표되지 아니하며 영리적으로 이용당하지 않을 권리를 가지는데, 이러한 초상권은 우리 헌법 제10조 제1문에 의하여 헌법적으로 보장되는 권리"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부당한 침해는 불법행위를 구성하고, 그 침해를 당한 사람에게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정신적 고통이 수반된다고 봄이 타당하다(대법원 2012. 1. 27. 선고 2010다39277 판결 등 참조)"고 밝혔다. 이어 "타인의 얼굴 기타 사회통념상 특정인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신체적 특징이 나타나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공표하고자 하는 사람은 피촬영자로부터 촬영에 관한 동의를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야 하고,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를 받았다 하더라도 사진촬영에 동의하게 된 동기 및 경위, 사진의 공표에 의하여 달성하려는 목적, 거래관행, 당사자의 지식, 경험 및 경제적 지위, 수수된 급부가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 사진촬영 당시 당해 공표방법이 예견 가능하였는지 및 그러한 공표방법을 알았더라면 당사자가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 당시 다른 내용의 약정을 하였을 것이라고 예상되는지 여부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볼 때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 당시에 피촬영자가 사회 일반의 상식과 거래의 통념상 허용하였다고 보이는 범위를 벗어나 이를 공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관하여도 피촬영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 경우 피촬영자로부터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를 받았다는 점이나, 촬영된 사진의 공표가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 당시에 피촬영자가 허용한 범위 내의 것이라는 점에 관한 증명책임은 그 촬영자나 공표자에게 있다(대법원 2021. 7. 21. 선고 2021다219116 판결 등 참조)"고 밝혔다. 재판부는 "피고는 동영상의 촬영 및 게시에 관하여 원고의 명시적 또는 묵시적 동의가 있었다고 주장하나 원고의 명시적 동의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고, 원고가 피고의 직원으로 근무하는 동안 동영상의 촬영 및 게시에 묵시적으로 동의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동의의 동기 및 경위, 동영상의 내용과 사용 목적, 광범위한 유포가능성 등에 비추어 보면, 그와 같은 묵시적인 동의는 원고가 직원으로 근무하는 기간 동안으로 한정된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지적하고, "피고는 원고가 동의한 범위를 넘어 원고를 촬영한 동영상을 사용하거나 원고의 근로계약 해지 이후 삭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게시한 동영상을 삭제하지 않고 방치함으로써 원고의 초상권을 침해하였다고 봄이 타당하므로, 그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에 따르면, 원고가 2017. 8.경 피고와 근로계약을 해지한 뒤 여러 차례 피고에게 동영상의 삭제를 요청하였음에도 피고는 이를 삭제하지 않았고, 2017. 8.경부터 이 사건 소장 부본을 송달받은 2023. 3. 27. 무렵까지 5년 6개월 이상 동영상을 게시했다. 또 피고는 동영상의 촬영 및 게시로 인하여 일정한 홍보 효과를 얻었을 것으로 보이나 원고에게는 그에 대한 대가를 별도로 지급하지 않았다.A씨는 B씨가 동영상의 게재금지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그 위반행위 종료일까지 매월 1,000만원의 간접강제금을 지급할 것도 청구했다. 재판부는 그러나 이에 대해선, "피고는 2021. 4. 7. 폐업신고를 한 사실이 인정되고,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가 이 판결 선고 이후 단기간 내에 동영상의 게재금지의무를 위반할 개연성이 있다고 보기에 부족하고, 나아가 피고가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원고가 별도로 간접강제 신청을 할 수 있으므로, 아직까지 피고가 위 의무를 위반할 개연성이 입증되지 아니한 이 사건에서 피고에게 간접강제를 명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무법인 대륜이 A씨를 대리했다. [기사전문보기] - [손배] 퇴사 직원 요청에도 근무 당시 동영상 삭제 안 한 이벤트업체 대표에 손해배상 판결
리걸타임즈
2023-11-06
 [손배] 퇴사 직원 요청에도 근무 당시 동영상 삭제 안 한 이벤트업체 대표에 손해배상 판결
[손배] 퇴사 직원 요청에도 근무 당시 동영상 삭제 안 한 이벤트업체 대표에 손해배상 판결
A씨는 이벤트업체 대표인 B씨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2014년 8월부터 위 업체에서 근무하면서 이벤트 사회자, 댄스 출연자 등으로 업무를 수행했다. B씨는 A씨가 위 업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이를 인터넷 웹페이지에 게시했다. A씨는 2017년 8월 퇴사한 후 2021년 11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B씨에게 위 동영상의 삭제를 요청했다. 그러나 B씨가 이를 삭제하지 않자 B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등을 청구하는 소송(2022가합207602)을 냈다. B씨는 소장 부본을 송달받은 2023년 3월 27일 무렵 이를 삭제했다. 대구지법 민사12부(재판장 채성호 부장판사)는 10월 5일 초상권 침해를 인정, "피고는 원고에게 위자료 300만원을 지급하고, 피고는 인터넷 웹페이지에 동영상을 게재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판결했다.재판부는 먼저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얼굴 기타 사회통념상 특정인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신체적 특징에 관하여 함부로 촬영 또는 그림묘사되거나 공표되지 아니하며 영리적으로 이용당하지 않을 권리를 가지는데, 이러한 초상권은 우리 헌법 제10조 제1문에 의하여 헌법적으로 보장되는 권리"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부당한 침해는 불법행위를 구성하고, 그 침해를 당한 사람에게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정신적 고통이 수반된다고 봄이 타당하다(대법원 2012. 1. 27. 선고 2010다39277 판결 등 참조)"고 밝혔다. 이어 "타인의 얼굴 기타 사회통념상 특정인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신체적 특징이 나타나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공표하고자 하는 사람은 피촬영자로부터 촬영에 관한 동의를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야 하고,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를 받았다 하더라도 사진촬영에 동의하게 된 동기 및 경위, 사진의 공표에 의하여 달성하려는 목적, 거래관행, 당사자의 지식, 경험 및 경제적 지위, 수수된 급부가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 사진촬영 당시 당해 공표방법이 예견 가능하였는지 및 그러한 공표방법을 알았더라면 당사자가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 당시 다른 내용의 약정을 하였을 것이라고 예상되는지 여부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볼 때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 당시에 피촬영자가 사회 일반의 상식과 거래의 통념상 허용하였다고 보이는 범위를 벗어나 이를 공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관하여도 피촬영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 경우 피촬영자로부터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를 받았다는 점이나, 촬영된 사진의 공표가 사진촬영에 관한 동의 당시에 피촬영자가 허용한 범위 내의 것이라는 점에 관한 증명책임은 그 촬영자나 공표자에게 있다(대법원 2021. 7. 21. 선고 2021다219116 판결 등 참조)"고 밝혔다. 재판부는 "피고는 동영상의 촬영 및 게시에 관하여 원고의 명시적 또는 묵시적 동의가 있었다고 주장하나 원고의 명시적 동의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고, 원고가 피고의 직원으로 근무하는 동안 동영상의 촬영 및 게시에 묵시적으로 동의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동의의 동기 및 경위, 동영상의 내용과 사용 목적, 광범위한 유포가능성 등에 비추어 보면, 그와 같은 묵시적인 동의는 원고가 직원으로 근무하는 기간 동안으로 한정된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지적하고, "피고는 원고가 동의한 범위를 넘어 원고를 촬영한 동영상을 사용하거나 원고의 근로계약 해지 이후 삭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게시한 동영상을 삭제하지 않고 방치함으로써 원고의 초상권을 침해하였다고 봄이 타당하므로, 그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에 따르면, 원고가 2017. 8.경 피고와 근로계약을 해지한 뒤 여러 차례 피고에게 동영상의 삭제를 요청하였음에도 피고는 이를 삭제하지 않았고, 2017. 8.경부터 이 사건 소장 부본을 송달받은 2023. 3. 27. 무렵까지 5년 6개월 이상 동영상을 게시했다. 또 피고는 동영상의 촬영 및 게시로 인하여 일정한 홍보 효과를 얻었을 것으로 보이나 원고에게는 그에 대한 대가를 별도로 지급하지 않았다.A씨는 B씨가 동영상의 게재금지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그 위반행위 종료일까지 매월 1,000만원의 간접강제금을 지급할 것도 청구했다. 재판부는 그러나 이에 대해선, "피고는 2021. 4. 7. 폐업신고를 한 사실이 인정되고,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가 이 판결 선고 이후 단기간 내에 동영상의 게재금지의무를 위반할 개연성이 있다고 보기에 부족하고, 나아가 피고가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원고가 별도로 간접강제 신청을 할 수 있으므로, 아직까지 피고가 위 의무를 위반할 개연성이 입증되지 아니한 이 사건에서 피고에게 간접강제를 명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무법인 대륜이 A씨를 대리했다. [기사전문보기] - [손배] 퇴사 직원 요청에도 근무 당시 동영상 삭제 안 한 이벤트업체 대표에 손해배상 판결
비욘드포스트
2023-11-06
고액 손실 채무자 회생 기회 열리나, 첫 인가 결정 나와
고액 손실 채무자 회생 기회 열리나, 첫 인가 결정 나와
[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지난 SG증권발 주가 하한가 사태가 발생하면서 하루아침에 막대한 손실을 본 채무자들이 다수 발생한 가운데, 채무자를 대상으로 회생계획 인가 결정을 받은 사례가 있어 주목받고 있다. SG 사태는 증권사 CFD(차액결제거래) 계좌에서 대량 발생한 반대매매로 인해 9개 종목 주가가 동시에 폭락했던 사태다. 이와 관련한 불공정거래 의혹이 불거진 키움증권은 임원의 특수관계인이 주가 급락일 전 특정 종목을 약 150억 원 매도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번 사태로 채무자들은 투자 원금은 물론이고 원금의 2.5배에 이르는 손실을 보기도 했다. 손실을 본 채무자들은 개인회생과 파산 신청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회생은 채무 한도 등 자격 제한으로 인해 전문직 등은 신청이 사실상 불가능해 구제 방안이 없어 피해가 더욱 막심했다. 현재 채무자 중 일부는 증권사와의 협상을 시도하는 기획소송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진행할 경우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어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례적으로 SG 사태발 과도한 투자 탓에 발생한 채무로 개인회생 신청이 불가능한 고액 채무자에게도 처음으로 일반회생계획안 인가 결정례가 나왔다. 과도한 투자로 인한 개인 채무 면제에 대한 부정적 여론, 전례 없는 상황으로 인한 증권사 및 회생법원과의 조율 등 쉽지 않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가 결정을 받아 ‘빚투족’들에게도 회생길이 열리는 게 아닌지 귀추가 주목된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본 사안에 대해 “조사위원 및 관리인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최대채권자인 증권사를 설득한 결과 동의를 얻어 인가 결정이 나왔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결정례가 투자로 발생한 채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께 한 줄기 희망이 되어 새 출발 기회를 얻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 [기사전문보기] - 고액 손실 채무자 회생 기회 열리나, 첫 인가 결정 나와
비욘드포스트
2023-11-06
고액 손실 채무자 회생 기회 열리나, 첫 인가 결정 나와
고액 손실 채무자 회생 기회 열리나, 첫 인가 결정 나와
[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지난 SG증권발 주가 하한가 사태가 발생하면서 하루아침에 막대한 손실을 본 채무자들이 다수 발생한 가운데, 채무자를 대상으로 회생계획 인가 결정을 받은 사례가 있어 주목받고 있다. SG 사태는 증권사 CFD(차액결제거래) 계좌에서 대량 발생한 반대매매로 인해 9개 종목 주가가 동시에 폭락했던 사태다. 이와 관련한 불공정거래 의혹이 불거진 키움증권은 임원의 특수관계인이 주가 급락일 전 특정 종목을 약 150억 원 매도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번 사태로 채무자들은 투자 원금은 물론이고 원금의 2.5배에 이르는 손실을 보기도 했다. 손실을 본 채무자들은 개인회생과 파산 신청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회생은 채무 한도 등 자격 제한으로 인해 전문직 등은 신청이 사실상 불가능해 구제 방안이 없어 피해가 더욱 막심했다. 현재 채무자 중 일부는 증권사와의 협상을 시도하는 기획소송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진행할 경우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어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례적으로 SG 사태발 과도한 투자 탓에 발생한 채무로 개인회생 신청이 불가능한 고액 채무자에게도 처음으로 일반회생계획안 인가 결정례가 나왔다. 과도한 투자로 인한 개인 채무 면제에 대한 부정적 여론, 전례 없는 상황으로 인한 증권사 및 회생법원과의 조율 등 쉽지 않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가 결정을 받아 ‘빚투족’들에게도 회생길이 열리는 게 아닌지 귀추가 주목된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는 본 사안에 대해 “조사위원 및 관리인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최대채권자인 증권사를 설득한 결과 동의를 얻어 인가 결정이 나왔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결정례가 투자로 발생한 채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께 한 줄기 희망이 되어 새 출발 기회를 얻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 [기사전문보기] - 고액 손실 채무자 회생 기회 열리나, 첫 인가 결정 나와
이데일리
2023-11-02
방심위, 통신자문 등 5개 분과 특위 위원 위촉
방심위, 통신자문 등 5개 분과 특위 위원 위촉
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류희림)가 20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5개 분과 특별위원회 위원 위촉식을 개최했다.앞서, 방심위는 5개 분과 특별위원회 위원 45명의 위촉을 의결했다. 방심위 특별위원회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성되는 법정위원회로, 현재 ▲방송자문 ▲광고자문 ▲방송언어 ▲통신자문 ▲권익보호 5개 분과 특별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각 특별위원회 위원은 위원장 포함 총 9인으로, 각 분과별 위원장은 아래와 같다.한은경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방송자문특별위원회), 지연옥 대진대 대외협력 부총장(광고자문특별위원회), 최지우 최지우 법률사무소(법률사무소 자유) 대표 변호사(방송언어특별위원회), 이욱한 숙명여대 법과대학 교수(통신자문특별위원회), 김주성 법무법인 반우 대표 변호사(권익보호특별위원회)다. 특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위촉된 특별위원은 2023년 10월 17일부터 2024년 10월 16일까지 각 분과별 소관 직무에 관한 자문기능을 수행하게 된다.■각 분과별 특별위원회 위원 명단●방송자문특별위원회한은경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김덕규 전 SBS 고충처리인(언론중재법)위원신창섭 서울문화재단 이사 위원원영일 법률사무소 가온앤라온 변호사 위원윤길용 전 울산MBC 대표이사임종화 청운대 교양학부 교수장영희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어진흥부장(2급)채명성 법무법인 선정 변호사허 진 KBS 다큐멘터리국 국장●광고자문특별위원회지연옥 대진대 대외협력 부총장김재호 인하공업전문대 관광경영학과 교수안택호 전 안동MBC 대표이사오지은 이화여대 신산업융합대학 교수오태윤 성균관대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흉부외과 교수이상윤 (유)법무법인 동인 변호사이형관 전 MBC 스포츠 국장이홍렬 공정언론국민연대 운영위원 겸 공정언론감시단장임한순 경일대 특임교수●방송언어특별위원회최지우 최지우 법률사무소(법률사무소 자유) 대표 변호사강성곤 KBS 한국어진흥원 운영위원김흥수 공영홈쇼핑 사외이사박우귀 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2국장배석준 법률신문사 편집국장유애리 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 초빙교수이종기 전 예원학교 교장전미영 법무법인 호민 교육자문위원조희수 (사)한국방송비평학회 수석 부회장●통신자문특별위원회이욱한 숙명여대 법과대학 교수문재철 전 KT스카이라이프 대표이사·전 YTN 워싱턴지국장박승용 전 바른미래당 정책위원안소양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이영미 (사)여성청소년미디어협회 중앙회장장옥님 전 KBS 라디오센터장지대범 전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원장황선욱 전 YTN 디지털센터장황성현 에델만코리아(주) 전무●권익보호특별위원회김주성 법무법인 반우 대표변호사김강현 대한의사협회 정책자문위원김인영 전 KBS 보도본부장서정호 가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용남 영화사 무명 대표 겸 영화감독이정현 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회 위원이지연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교수이현민 로앤컬쳐 대표황승경 대경대 연극영화과 겸임교수 [기사전문보기] - 방심위, 통신자문 등 5개 분과 특위 위원 위촉
이데일리
2023-11-02
방심위, 통신자문 등 5개 분과 특위 위원 위촉
방심위, 통신자문 등 5개 분과 특위 위원 위촉
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류희림)가 20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5개 분과 특별위원회 위원 위촉식을 개최했다.앞서, 방심위는 5개 분과 특별위원회 위원 45명의 위촉을 의결했다. 방심위 특별위원회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성되는 법정위원회로, 현재 ▲방송자문 ▲광고자문 ▲방송언어 ▲통신자문 ▲권익보호 5개 분과 특별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각 특별위원회 위원은 위원장 포함 총 9인으로, 각 분과별 위원장은 아래와 같다.한은경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방송자문특별위원회), 지연옥 대진대 대외협력 부총장(광고자문특별위원회), 최지우 최지우 법률사무소(법률사무소 자유) 대표 변호사(방송언어특별위원회), 이욱한 숙명여대 법과대학 교수(통신자문특별위원회), 김주성 법무법인 반우 대표 변호사(권익보호특별위원회)다. 특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위촉된 특별위원은 2023년 10월 17일부터 2024년 10월 16일까지 각 분과별 소관 직무에 관한 자문기능을 수행하게 된다.■각 분과별 특별위원회 위원 명단●방송자문특별위원회한은경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김덕규 전 SBS 고충처리인(언론중재법)위원신창섭 서울문화재단 이사 위원원영일 법률사무소 가온앤라온 변호사 위원윤길용 전 울산MBC 대표이사임종화 청운대 교양학부 교수장영희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어진흥부장(2급)채명성 법무법인 선정 변호사허 진 KBS 다큐멘터리국 국장●광고자문특별위원회지연옥 대진대 대외협력 부총장김재호 인하공업전문대 관광경영학과 교수안택호 전 안동MBC 대표이사오지은 이화여대 신산업융합대학 교수오태윤 성균관대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흉부외과 교수이상윤 (유)법무법인 동인 변호사이형관 전 MBC 스포츠 국장이홍렬 공정언론국민연대 운영위원 겸 공정언론감시단장임한순 경일대 특임교수●방송언어특별위원회최지우 최지우 법률사무소(법률사무소 자유) 대표 변호사강성곤 KBS 한국어진흥원 운영위원김흥수 공영홈쇼핑 사외이사박우귀 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2국장배석준 법률신문사 편집국장유애리 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 초빙교수이종기 전 예원학교 교장전미영 법무법인 호민 교육자문위원조희수 (사)한국방송비평학회 수석 부회장●통신자문특별위원회이욱한 숙명여대 법과대학 교수문재철 전 KT스카이라이프 대표이사·전 YTN 워싱턴지국장박승용 전 바른미래당 정책위원안소양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이영미 (사)여성청소년미디어협회 중앙회장장옥님 전 KBS 라디오센터장지대범 전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원장황선욱 전 YTN 디지털센터장황성현 에델만코리아(주) 전무●권익보호특별위원회김주성 법무법인 반우 대표변호사김강현 대한의사협회 정책자문위원김인영 전 KBS 보도본부장서정호 가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용남 영화사 무명 대표 겸 영화감독이정현 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회 위원이지연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교수이현민 로앤컬쳐 대표황승경 대경대 연극영화과 겸임교수 [기사전문보기] - 방심위, 통신자문 등 5개 분과 특위 위원 위촉
에이블뉴스
2023-10-31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정책토론회 리뷰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정책토론회 리뷰
지난 24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혁신과 도전을 향한 과제”란 주제로 정책토론회가 개최되었다.이 행사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와 이종성 국회의원 의원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공동 주최했고,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최근 쳇GPT 등 빅데이타를 이용하거나 로봇기술, 인공지능 등의 혁신 기술들이 장애인 보조공학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사례를 살펴보고, 혁신적인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개발과 보급,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장애인의 자립과 삶의 질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정책토론회였다.나사렛대학교 재활의료공학과 손병창 교수가 “AI 기술을 활용한 보조공학기기: 활용 현형과 도전과제”란 주제로 발제를 하였다.손 교수는 먼저 쳇GPT에게 너는 강인공지능인가, 약인공지능인가를 물어보았더니 자신은 강인공지능이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혹시 약인공지능이 아닌가라고 다시 물으니 저는 강인공지능이 맞다고 했으며, 거짓말을 하는 것은 아닌가라고 재차 물었더니 저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했다. 쳇GPT는 거짓말도 잘한다고 하면서, 활용하는 요령이 필요하다고 했다.1950년대에 이미 AI에 대한 개념이 주창되었는데, AI는 장애인에게는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이라고 했다. AI(인공지능)는 양방향 음성대화, 이미지 인식, 가상현실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인에게는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에게는 문서인식, 이미지 인식이 지식접근과 환경인식에 큰 도움이 기대된다고 하였다. 오캠 마이아이(OrCam MyEye) 인공지능 사물인식기를 예로 들면서 물체나 상대의 얼굴인식, 문서 읽기가 가능하다고 하였다.글을 빠르게 읽으며, 손가락으로 글을 가리키면 그 부분을 읽어주기도 하고, 미리 기억된 얼굴이 나타나면 알려주는 기능과 손등을 보이면 날짜와 시간을 말해주는 기능이 신기했다는 ‘IT조선’에 게재된 이용자의 소감을 소개하였다.청각장애인은 XPERT사에서 음성-문자-자막 자동 번역기가 공급되고 있고, 소보로 탭 비즈니스, 티키타캡션 등도 의사소통기로 활용되고 있다고 하였다. 줌에서 현재는 수어통역사에 의해 수어가 제공되지만, 자동 수어 통역기는 현재 기술 고도화 중이며 멀지 않은 미래에 사용이 현실화될 것이다.비상 상황을 촉각으로 알려주는 시스템도 외국에서는 시판되고 있다. 언어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은 언어훈련과 원거리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드림폰과 같은 제품이 나와 있다.지체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로는 Amazon Alexa, Google Assistant, Apple Siri 등 음성명령을 통하여 환경을 제어하는 기술이 나와 있고, 휠체어 작동을 인공지능으로 하는 제품도 휴림로봇 등과 같이 인공지능 로봇휠체어 자율운전도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하였다.뇌병변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로는 Tobii Dynavox, Grid3, Snap Core First 등의 의사소통 기기가 나와 있으며, Neofect와 같이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디지털 치료제도 나와 있다. 한편 SKT에서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관찰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앞으로 인공지능의 활용은 개인정보 보호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기술도 필요하다고 했다. 인공지능 보조공학기기 개발에 있어 사용자 의견 반영과 고가의 제품으로 인한 구입비의 지원정책 등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제품의 기술 아이디어는 훌륭하나 실제 이용자의 편의성이나 환경이 고려되지 않은 사례가 많으며, 개발된 제품의 인지도가 낮은 점들도 새로운 장애인 보조공학기기의 사장 활성화의 방해 요소라고 지적해 주었다.국립재활원 안광옥 연구사는 현재 세계 보조공학 시장이 40조원 규모로 매년 6퍼센트의 성장을 보이고 있는데,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은 17%의 성장을 보이고 있어 3배나 더 빠른 속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에 국립재활원도 노인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은 사용자 니즈를 반영하고 보조기기의 혁신과 열린 플랫폼 고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하였다.그리고 개발 계획으로 5가지 개발사업을 예를 들어 주었다. “다양한 모빌리티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안전 제어장치”, “IoT 기술을 활용한 커넥티브 모빌리티 및 서비스 플랫폼”, “성장기 장애아동을 adaptive mobility 보조기 개발”, “배뇨관리를 위한 방광용적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스마트 안경, AI를 이용한 상황 인지능력 보조 서비스 개발” 등을 소개하였다.법무법인 대륜의 최보윤 변호사는 수요자 중심 체계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제목의 토론에서 연구개발, 제조, 인증등록, 공급, 사용, 평가 등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연구의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여 체계적 관리가 어렵다는 지적과, 인증 절차의 신속성, 흩어져 있는 관련 법률, 대여 활성화 부족, 나에게 맞는 보조기기 정보 부족 등을 동영상 사례를 통해 지적하였고,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에서 리빙맵에 대한 계획이 포함되어 있는데, 수요자 중심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한국장애인고용공단 보조공학센터 박중서 센터장은 토론에서 근로환경에서 보조기기의 지원은 직무수행의 정확성은 49.3%가 증가됐고, 작업수행 속도는 49.3% 증가, 생산성은 46.6%, 전반적 직무 만족도는 47.2%가 증가됐다고 하였다.박 센터장은 지원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의 대표적 제품들을 소개하고, 연구개발 지원으로 22년 사업에서는 음성인식 기반 높낮이 조절 배드가 시각장애 안마업종 종사자에게서 매우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고 했다.또한 불안 스트레스 완화 기능의 스마트 조끼, 장애, 비장애인 양방향 음성통화 구현, IoT 기술 기반 맞춤 장루관리 패키지, on device 실시간 이미지 인식, 모션 인식 스마트 점자 DP, 지능형 안전관리 스마트케어시스템, 영상인식 안내로봇 등도 소개해 주었다. 그리고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한 AI 로봇 융합 플렛폼 기반 최신 기술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했다.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설리반 플러스와 설리반 A라는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투아트사의 조수원 대표는 토론에서 시장이 좁아 투자에 대한 경제성이 취약한 점, 사용자가 정부의 지원이 있다고 하더라도 고가의 비용이 든다는 점 등 개발사로서의 어려운 점을 토로하고, ‘와우 포인트’를 잘 맞추지 못하는 점도 논했다.처음에는 새로운 시도와 가능성에 ‘와우!’ 하고 감탄사를 연발하지만 실제 사용해 보면 불편함이 많고 기대 이하라서 외면을 당한다는 의미다. 앞으로 여러 난관들을 잘 해결하고 연관된 기관들, 수요자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시도를 끝없이 해 나갈 것이라는 각오도 밝혔다.청취자 질의는 대부분 가격을 낮추고 대중화하기 위한 개발과 보급에서의 문제해결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는데, 대기업이 참여하면 소규모 중소기업의 수익성 부족 문제에도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정부의 지원과 대기업이 손을 잡으면 좋은 제품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하는 등의 아이디어가 나왔다.하지만 대기업은 의사결정 구조가 복잡고 느리며, 장애인 보조공학에 대한 관심도가 낮고, 혁신적 보유 기술은 풍부하니 대기업이 사회공헌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기술을 지원하고 전문 중소기업이 잘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방안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반론제시도 있었다. [기사전문보기] -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정책토론회 리뷰
에이블뉴스
2023-10-31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정책토론회 리뷰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정책토론회 리뷰
지난 24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혁신과 도전을 향한 과제”란 주제로 정책토론회가 개최되었다.이 행사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와 이종성 국회의원 의원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공동 주최했고,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최근 쳇GPT 등 빅데이타를 이용하거나 로봇기술, 인공지능 등의 혁신 기술들이 장애인 보조공학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사례를 살펴보고, 혁신적인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개발과 보급,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장애인의 자립과 삶의 질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정책토론회였다.나사렛대학교 재활의료공학과 손병창 교수가 “AI 기술을 활용한 보조공학기기: 활용 현형과 도전과제”란 주제로 발제를 하였다.손 교수는 먼저 쳇GPT에게 너는 강인공지능인가, 약인공지능인가를 물어보았더니 자신은 강인공지능이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혹시 약인공지능이 아닌가라고 다시 물으니 저는 강인공지능이 맞다고 했으며, 거짓말을 하는 것은 아닌가라고 재차 물었더니 저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했다. 쳇GPT는 거짓말도 잘한다고 하면서, 활용하는 요령이 필요하다고 했다.1950년대에 이미 AI에 대한 개념이 주창되었는데, AI는 장애인에게는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이라고 했다. AI(인공지능)는 양방향 음성대화, 이미지 인식, 가상현실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인에게는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에게는 문서인식, 이미지 인식이 지식접근과 환경인식에 큰 도움이 기대된다고 하였다. 오캠 마이아이(OrCam MyEye) 인공지능 사물인식기를 예로 들면서 물체나 상대의 얼굴인식, 문서 읽기가 가능하다고 하였다.글을 빠르게 읽으며, 손가락으로 글을 가리키면 그 부분을 읽어주기도 하고, 미리 기억된 얼굴이 나타나면 알려주는 기능과 손등을 보이면 날짜와 시간을 말해주는 기능이 신기했다는 ‘IT조선’에 게재된 이용자의 소감을 소개하였다.청각장애인은 XPERT사에서 음성-문자-자막 자동 번역기가 공급되고 있고, 소보로 탭 비즈니스, 티키타캡션 등도 의사소통기로 활용되고 있다고 하였다. 줌에서 현재는 수어통역사에 의해 수어가 제공되지만, 자동 수어 통역기는 현재 기술 고도화 중이며 멀지 않은 미래에 사용이 현실화될 것이다.비상 상황을 촉각으로 알려주는 시스템도 외국에서는 시판되고 있다. 언어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은 언어훈련과 원거리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드림폰과 같은 제품이 나와 있다.지체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로는 Amazon Alexa, Google Assistant, Apple Siri 등 음성명령을 통하여 환경을 제어하는 기술이 나와 있고, 휠체어 작동을 인공지능으로 하는 제품도 휴림로봇 등과 같이 인공지능 로봇휠체어 자율운전도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하였다.뇌병변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로는 Tobii Dynavox, Grid3, Snap Core First 등의 의사소통 기기가 나와 있으며, Neofect와 같이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디지털 치료제도 나와 있다. 한편 SKT에서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관찰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앞으로 인공지능의 활용은 개인정보 보호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기술도 필요하다고 했다. 인공지능 보조공학기기 개발에 있어 사용자 의견 반영과 고가의 제품으로 인한 구입비의 지원정책 등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제품의 기술 아이디어는 훌륭하나 실제 이용자의 편의성이나 환경이 고려되지 않은 사례가 많으며, 개발된 제품의 인지도가 낮은 점들도 새로운 장애인 보조공학기기의 사장 활성화의 방해 요소라고 지적해 주었다.국립재활원 안광옥 연구사는 현재 세계 보조공학 시장이 40조원 규모로 매년 6퍼센트의 성장을 보이고 있는데,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은 17%의 성장을 보이고 있어 3배나 더 빠른 속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에 국립재활원도 노인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은 사용자 니즈를 반영하고 보조기기의 혁신과 열린 플랫폼 고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하였다.그리고 개발 계획으로 5가지 개발사업을 예를 들어 주었다. “다양한 모빌리티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안전 제어장치”, “IoT 기술을 활용한 커넥티브 모빌리티 및 서비스 플랫폼”, “성장기 장애아동을 adaptive mobility 보조기 개발”, “배뇨관리를 위한 방광용적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스마트 안경, AI를 이용한 상황 인지능력 보조 서비스 개발” 등을 소개하였다.법무법인 대륜의 최보윤 변호사는 수요자 중심 체계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제목의 토론에서 연구개발, 제조, 인증등록, 공급, 사용, 평가 등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연구의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여 체계적 관리가 어렵다는 지적과, 인증 절차의 신속성, 흩어져 있는 관련 법률, 대여 활성화 부족, 나에게 맞는 보조기기 정보 부족 등을 동영상 사례를 통해 지적하였고,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에서 리빙맵에 대한 계획이 포함되어 있는데, 수요자 중심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한국장애인고용공단 보조공학센터 박중서 센터장은 토론에서 근로환경에서 보조기기의 지원은 직무수행의 정확성은 49.3%가 증가됐고, 작업수행 속도는 49.3% 증가, 생산성은 46.6%, 전반적 직무 만족도는 47.2%가 증가됐다고 하였다.박 센터장은 지원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의 대표적 제품들을 소개하고, 연구개발 지원으로 22년 사업에서는 음성인식 기반 높낮이 조절 배드가 시각장애 안마업종 종사자에게서 매우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고 했다.또한 불안 스트레스 완화 기능의 스마트 조끼, 장애, 비장애인 양방향 음성통화 구현, IoT 기술 기반 맞춤 장루관리 패키지, on device 실시간 이미지 인식, 모션 인식 스마트 점자 DP, 지능형 안전관리 스마트케어시스템, 영상인식 안내로봇 등도 소개해 주었다. 그리고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한 AI 로봇 융합 플렛폼 기반 최신 기술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했다.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설리반 플러스와 설리반 A라는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투아트사의 조수원 대표는 토론에서 시장이 좁아 투자에 대한 경제성이 취약한 점, 사용자가 정부의 지원이 있다고 하더라도 고가의 비용이 든다는 점 등 개발사로서의 어려운 점을 토로하고, ‘와우 포인트’를 잘 맞추지 못하는 점도 논했다.처음에는 새로운 시도와 가능성에 ‘와우!’ 하고 감탄사를 연발하지만 실제 사용해 보면 불편함이 많고 기대 이하라서 외면을 당한다는 의미다. 앞으로 여러 난관들을 잘 해결하고 연관된 기관들, 수요자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시도를 끝없이 해 나갈 것이라는 각오도 밝혔다.청취자 질의는 대부분 가격을 낮추고 대중화하기 위한 개발과 보급에서의 문제해결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는데, 대기업이 참여하면 소규모 중소기업의 수익성 부족 문제에도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정부의 지원과 대기업이 손을 잡으면 좋은 제품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하는 등의 아이디어가 나왔다.하지만 대기업은 의사결정 구조가 복잡고 느리며, 장애인 보조공학에 대한 관심도가 낮고, 혁신적 보유 기술은 풍부하니 대기업이 사회공헌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기술을 지원하고 전문 중소기업이 잘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방안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반론제시도 있었다. [기사전문보기] -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보조공학 정책토론회 리뷰
머니투데이 외
2023-10-13
법무법인(유한) 대륜-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한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한 MOU
| UNCRPD 분석 지표 개발, 민·형사 법률상담 지원 등 약속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11일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 법률자문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UN장애인권리협약(UNCRPD) 국내법 조화를 위한 연구를 시작한다. 두 기관은 △UNCRPD 분석 지표 개발 △장애 법률 검토 제·개정안 제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회원 민·형사 법률상담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장애인 권익 보호를 위한 교육, 공익 세미나 등 공동사업을 추진해 법률분야에서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정찬우 최고총괄변호사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에 대한 법률 지원으로 장애인 권익 증진에 기여하게 돼 뜻깊다"며 "협회를 위해 대륜이 보유한 역량과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함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인규 협회장 역시 "법조계의 참여로 인해 협회의 전문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장애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뜻을 모아준 대륜에 감사한다"며 "향후 상호 조력 하에 장애인들이 합당한 권익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법률의 제정 등 법적인 조력이 필요한 분야에서의 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라는 소감을 밝혔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2018년 설립 후 5년 만에 국내 10위 규모로 올라선 국내 대형 로펌으로, 형사, 기업법무, 학교폭력, 성범죄, 건설·부동산 등 22개의 전문센터를 두고 있다. 현재 전국 32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대구·광주지역에 기존 사무소와 별개의 새로운 사무소를 추가로 개소하고 안양지역에도 신규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한 MOU더인디고 - 재활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장애시민 권익 위한 법률 자문’ 업무협약
머니투데이 외
2023-10-13
법무법인(유한) 대륜-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한 MOU
법무법인(유한) 대륜-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한 MOU
| UNCRPD 분석 지표 개발, 민·형사 법률상담 지원 등 약속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지난 11일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 법률자문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UN장애인권리협약(UNCRPD) 국내법 조화를 위한 연구를 시작한다. 두 기관은 △UNCRPD 분석 지표 개발 △장애 법률 검토 제·개정안 제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회원 민·형사 법률상담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장애인 권익 보호를 위한 교육, 공익 세미나 등 공동사업을 추진해 법률분야에서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정찬우 최고총괄변호사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에 대한 법률 지원으로 장애인 권익 증진에 기여하게 돼 뜻깊다"며 "협회를 위해 대륜이 보유한 역량과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함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인규 협회장 역시 "법조계의 참여로 인해 협회의 전문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장애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뜻을 모아준 대륜에 감사한다"며 "향후 상호 조력 하에 장애인들이 합당한 권익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법률의 제정 등 법적인 조력이 필요한 분야에서의 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라는 소감을 밝혔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2018년 설립 후 5년 만에 국내 10위 규모로 올라선 국내 대형 로펌으로, 형사, 기업법무, 학교폭력, 성범죄, 건설·부동산 등 22개의 전문센터를 두고 있다. 현재 전국 32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대구·광주지역에 기존 사무소와 별개의 새로운 사무소를 추가로 개소하고 안양지역에도 신규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머니투데이 - 법무법인(유한) 대륜-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한 MOU더인디고 - 재활협회, 법무법인 대륜과 ‘장애시민 권익 위한 법률 자문’ 업무협약
머니투데이
2023-10-11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순혁·나창수 전 부장검사 합류…"형사·기업법무 역량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순혁·나창수 전 부장검사 합류…"형사·기업법무 역량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검사 출신의 손순혁·나창수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손순혁 변호사는 부산지검·울산지검·대구지검 등의 부장검사를 역임해왔으며, 국회의원 선거법 위반사건 등 세간의 주목을 받은 사건을 다수 맡아온 베테랑이다. 손 변호사는 "대륜은 혁신을 거듭하여 사무소 확장과 전문성 강화를 동시에 이뤄내며 5년 내에 10위권 로펌으로 급성장을 이뤄냈다. 이러한 대륜의 경이로운 행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하며 의뢰인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나창수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부산지검·창원지검 등의 부장검사를 역임해왔으며, 우수한 실적을 인정받아 검찰총장 표창 및 법무부장관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나 변호사는 "현직에서 쌓아온 경험을 토대로 상황에 맞는 정교한 전략을 제시하겠다. 대륜은 의뢰인의 요구사항을 신속히 파악하여 사건 전담팀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두 변호사는 대륜에서 형사사건과 기업법무 사건을 중심으로 사건을 수행하며, 형사사건과 연계된 각종 금융·조세·지적재산권 관련 분야에서도 활약할 예정이다.정찬우 대표변호사는 "여러 사례를 접하며 전문성을 인정받은 전관변호사들의 합류는 대륜의 의뢰인들과 구성원들에게 크나큰 이점이 될 것"이라며 "대륜은 전 사무소에서 균질한 고품질 법률서비스의 제공 및 고객중심의 리걸테크 실현을 위해 인재영입 및 교육과 모니터링을 상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2018년 설립 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로펌으로 이달 중 안양, 광주, 대구에 새로운 사무소 오픈을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순혁·나창수 전 부장검사 합류…"형사·기업법무 역량강화"
머니투데이
2023-10-11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순혁·나창수 전 부장검사 합류…"형사·기업법무 역량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순혁·나창수 전 부장검사 합류…"형사·기업법무 역량강화"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최근 부장검사 출신의 손순혁·나창수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손순혁 변호사는 부산지검·울산지검·대구지검 등의 부장검사를 역임해왔으며, 국회의원 선거법 위반사건 등 세간의 주목을 받은 사건을 다수 맡아온 베테랑이다. 손 변호사는 "대륜은 혁신을 거듭하여 사무소 확장과 전문성 강화를 동시에 이뤄내며 5년 내에 10위권 로펌으로 급성장을 이뤄냈다. 이러한 대륜의 경이로운 행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하며 의뢰인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나창수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부산지검·창원지검 등의 부장검사를 역임해왔으며, 우수한 실적을 인정받아 검찰총장 표창 및 법무부장관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나 변호사는 "현직에서 쌓아온 경험을 토대로 상황에 맞는 정교한 전략을 제시하겠다. 대륜은 의뢰인의 요구사항을 신속히 파악하여 사건 전담팀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두 변호사는 대륜에서 형사사건과 기업법무 사건을 중심으로 사건을 수행하며, 형사사건과 연계된 각종 금융·조세·지적재산권 관련 분야에서도 활약할 예정이다.정찬우 대표변호사는 "여러 사례를 접하며 전문성을 인정받은 전관변호사들의 합류는 대륜의 의뢰인들과 구성원들에게 크나큰 이점이 될 것"이라며 "대륜은 전 사무소에서 균질한 고품질 법률서비스의 제공 및 고객중심의 리걸테크 실현을 위해 인재영입 및 교육과 모니터링을 상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2018년 설립 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로펌으로 이달 중 안양, 광주, 대구에 새로운 사무소 오픈을 앞두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 대륜, 손순혁·나창수 전 부장검사 합류…"형사·기업법무 역량강화"
웰페어뉴스
2023-10-04
한국장애인재활협회, UNCRPD 실현 ‘국내법 개선 방향’ 논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UNCRPD 실현 ‘국내법 개선 방향’ 논의
UNCRPD 국내법 조화 위해 조사분석 TFT 발족현장과 연대해 당사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개선 모색 한국장애인재활협회는 지난달 18일 열린 ‘제52회 RI Korea 재활대회’에서 전국 장애계, 학계 전문가 약 100명이 참여한 가운데 UNCRPD 국내법 조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세션 ‘UN장애인권리협약(이하 UNCRPD) 실현을 위한 국내법 개선 방향과 과제’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장애인재활협회는 1954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장애인 단체로, 국내·외 다양한 장애 현안과 대안을 모색하는 공론의 장인 RI Korea 재활대회를 매년 9월 개최해오고 있다. 218명의 전국 각계 교수와 센터장이 속한 RI Korea 전문위원회와 함께 준비한 이번 제52회 재활대회는 총 9개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장애인 기본권을 바탕으로 헌법 개정, UNCRPD 국내법 조화 등 거시적 영역의 쟁점에서부터 건강, 직업, 교육 등 각 세부 분야별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UNCRPD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기본권을 논하기 위한 기획세션은 장애주류화정책포럼 김동호 대표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나사렛대학교 우주형 교수가 발제에 나섰다. 뒤이어 한국장애인인권포럼 이용석 정책위원, 법무법인 대륜 최보윤 수석변호사, 한국장애인개발원 유경민 팀장이 토론자로 나섰다.우주형 교수는 발제를 통해 “UNCRPD 발효 15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국가 단위의 액션 플랜이 미비하다.”며 “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현행 국내법과 UNCRPD의 상충 여부, 그리고 어느 법률에 보완이 필요한지도 알기 어렵다.”고 현실을 짚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우 교수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함께 UNCRPD 실현을 위한 국내법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TF팀 발족을 알렸다. 우 교수는 생명권과 충돌되는 모자보건법 시행령, 건강권과 상충되는 상법 732조 등 개선이 시급한 쟁점 법률들을 언급하며 “이처럼 UNCRPD에 어긋나거나 보완이 필요한 법률들을 개선해나가기 위해 조사분석TF팀과 현장TF팀 투 트랙으로 다년 간 접근해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조사분석TF팀은 법률 상충 여부를 결정짓는 지표와 법률 개정(안)을 수립하는데 중점을 둘 예정이며, 이렇게 마련된 법률 개정안은 장애계 연대로 구성된 현장TF팀을 통해 실현해나갈 예정이다. 이용석 정책위원은 토론을 통해 “외국인 등록 장애인 차등적 처우 문제, 심리·사회적 장애인 사법 입원 논쟁, 장애아동을 합법적으로 유기하는데 악용될 수 있는 보호출산제까지 우리 삶에 녹아들어있는 다양한 쟁점들이 바로 UNCRPD와 상충되는 현안들.”이라며 UNCRPD의 국내법 조화 시급성을 역설했다.최보윤 변호사는 “UNCRPD는 별도의 이행 입법 절차가 없이도 국내법으로 편입되는 국제 조약.”이라고 밝히며 “국내법 상충 시 정부의 입장이나 규정이 부재한 점, 상충법률에 대한 조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논의가 부족한 점, 구체적 사례 발굴이 적은 점이 아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이어 “이번 TF팀 운영을 통한 본격적인 국내법 개선 논의가 UNCRPD 국내법 조화에 있어 큰 발걸음이 되는 만큼 더욱 공론화되고, 정부와 국회에서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유경민 팀장은 “지난 6월 UNCRPD 국내법 조화를 주제로 UN장애인권리당사국회의가 개최되는 등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국제적 이슈인 UNCRPD 국내법 조화를 위해서는 법제 정비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나, 여전히 용어에 대한 혼란이 있다.”며 “앞으로 진행될 UNCRPD 국내법 조화를 위한 활동에서 개념과 지표를 명확하게 정의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토론회를 주최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김인규 협회장은 “UNCRPD 국내법 조화는 장애인 기본권 보장을 위한 장애 정책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으로 장애계와의 연대는 필수.”라며 “하나 된 모습으로 국회와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장애계에 있는 모든 이들이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연대 의지를 다졌다.[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기사전문보기]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UNCRPD 실현 ‘국내법 개선 방향’ 논의
웰페어뉴스
2023-10-04
한국장애인재활협회, UNCRPD 실현 ‘국내법 개선 방향’ 논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UNCRPD 실현 ‘국내법 개선 방향’ 논의
UNCRPD 국내법 조화 위해 조사분석 TFT 발족현장과 연대해 당사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개선 모색 한국장애인재활협회는 지난달 18일 열린 ‘제52회 RI Korea 재활대회’에서 전국 장애계, 학계 전문가 약 100명이 참여한 가운데 UNCRPD 국내법 조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세션 ‘UN장애인권리협약(이하 UNCRPD) 실현을 위한 국내법 개선 방향과 과제’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장애인재활협회는 1954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장애인 단체로, 국내·외 다양한 장애 현안과 대안을 모색하는 공론의 장인 RI Korea 재활대회를 매년 9월 개최해오고 있다. 218명의 전국 각계 교수와 센터장이 속한 RI Korea 전문위원회와 함께 준비한 이번 제52회 재활대회는 총 9개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장애인 기본권을 바탕으로 헌법 개정, UNCRPD 국내법 조화 등 거시적 영역의 쟁점에서부터 건강, 직업, 교육 등 각 세부 분야별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UNCRPD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기본권을 논하기 위한 기획세션은 장애주류화정책포럼 김동호 대표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나사렛대학교 우주형 교수가 발제에 나섰다. 뒤이어 한국장애인인권포럼 이용석 정책위원, 법무법인 대륜 최보윤 수석변호사, 한국장애인개발원 유경민 팀장이 토론자로 나섰다.우주형 교수는 발제를 통해 “UNCRPD 발효 15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국가 단위의 액션 플랜이 미비하다.”며 “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현행 국내법과 UNCRPD의 상충 여부, 그리고 어느 법률에 보완이 필요한지도 알기 어렵다.”고 현실을 짚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우 교수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함께 UNCRPD 실현을 위한 국내법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TF팀 발족을 알렸다. 우 교수는 생명권과 충돌되는 모자보건법 시행령, 건강권과 상충되는 상법 732조 등 개선이 시급한 쟁점 법률들을 언급하며 “이처럼 UNCRPD에 어긋나거나 보완이 필요한 법률들을 개선해나가기 위해 조사분석TF팀과 현장TF팀 투 트랙으로 다년 간 접근해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조사분석TF팀은 법률 상충 여부를 결정짓는 지표와 법률 개정(안)을 수립하는데 중점을 둘 예정이며, 이렇게 마련된 법률 개정안은 장애계 연대로 구성된 현장TF팀을 통해 실현해나갈 예정이다. 이용석 정책위원은 토론을 통해 “외국인 등록 장애인 차등적 처우 문제, 심리·사회적 장애인 사법 입원 논쟁, 장애아동을 합법적으로 유기하는데 악용될 수 있는 보호출산제까지 우리 삶에 녹아들어있는 다양한 쟁점들이 바로 UNCRPD와 상충되는 현안들.”이라며 UNCRPD의 국내법 조화 시급성을 역설했다.최보윤 변호사는 “UNCRPD는 별도의 이행 입법 절차가 없이도 국내법으로 편입되는 국제 조약.”이라고 밝히며 “국내법 상충 시 정부의 입장이나 규정이 부재한 점, 상충법률에 대한 조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논의가 부족한 점, 구체적 사례 발굴이 적은 점이 아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이어 “이번 TF팀 운영을 통한 본격적인 국내법 개선 논의가 UNCRPD 국내법 조화에 있어 큰 발걸음이 되는 만큼 더욱 공론화되고, 정부와 국회에서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유경민 팀장은 “지난 6월 UNCRPD 국내법 조화를 주제로 UN장애인권리당사국회의가 개최되는 등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국제적 이슈인 UNCRPD 국내법 조화를 위해서는 법제 정비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나, 여전히 용어에 대한 혼란이 있다.”며 “앞으로 진행될 UNCRPD 국내법 조화를 위한 활동에서 개념과 지표를 명확하게 정의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토론회를 주최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김인규 협회장은 “UNCRPD 국내법 조화는 장애인 기본권 보장을 위한 장애 정책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으로 장애계와의 연대는 필수.”라며 “하나 된 모습으로 국회와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장애계에 있는 모든 이들이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연대 의지를 다졌다.[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기사전문보기]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UNCRPD 실현 ‘국내법 개선 방향’ 논의
머니투데이
2023-09-27
교권보호 4법 통과에도 '정당한 훈육 기준 모호'
교권보호 4법 통과에도 '정당한 훈육 기준 모호'
최근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등이 계기가 된 비보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와 교육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교권보호 4법'이 지난 15일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했다.교권보호 4법이란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교원지위법) △초·중등교육법 △유아교육법 △교육기본법 개정안 등을 총칭하며,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나 일부 학부모의 반복된 악성 민원, 교육활동 침해 학생에 대한 조치내역 등 교권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내용들이 담겼다.기존에는 학부모의 민원을 담당 교사가 오롯이 책임지도록 하고, 악의적인 무고성 신고에도 교육감의 권한으로 사안의 중대성 등을 따져 임의로 직위해제 처분을 내려 다른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수업권을 침해받는다는 지적이 이어져왔다. 이러한 내용을 보완하여 협의체에서 사안을 검토한 후 직위해제 여부를 결정하므로 교사가 억울하게 피해를 입게 되는 일을 방지하고, 학생들의 안정적인 학습권도 보장받게 될 전망이다.또한 학교장이 교육활동 침해행위를 축소하거나 은폐할 경우 징계조치를 받게 되며, 교육활동에 관련된 소송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하기 위한 공제사업을 실시하여 학교안전공제회 등에 위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로써 과도한 제약과 무분별한 신고로 인해 적절한 생활지도조차 할 수 없는 작금의 상황이 한결 개선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다만 여전히 기준이 모호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처벌법의 조속한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4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2학년 담임교사였던 A씨는 친구들을 괴롭히고, 수업을 반복적으로 방해하는 B군에게 "이러니까 애들이 널 싫어하는 거야", "B군 때문에 학폭위를 열어달라는 학부모가 있어"라고 말했다. 이 사건으로 A씨는 교직생활 40년 만에 처음으로 담임교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정당한 훈육의 일환임을 소명한 결과 검찰은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이와 관련해 A씨의 법률대리인은 "아동복지법, 아동학대처벌법 개정이 추진 중인 가운데 정서학대에 대한 법리적 판단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가해자로 지목되면 마녀사냥, 신상털기 등 2차적 피해를 입게 되니 사실관계 정리, 행위에 이르게 된 동기와 경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 초동 대응에 나서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도움말=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사전문보러가기] - 교권보호 4법 통과에도 '정당한 훈육 기준 모호'
머니투데이
2023-09-27
교권보호 4법 통과에도 '정당한 훈육 기준 모호'
교권보호 4법 통과에도 '정당한 훈육 기준 모호'
최근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등이 계기가 된 비보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와 교육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교권보호 4법'이 지난 15일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했다.교권보호 4법이란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교원지위법) △초·중등교육법 △유아교육법 △교육기본법 개정안 등을 총칭하며,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나 일부 학부모의 반복된 악성 민원, 교육활동 침해 학생에 대한 조치내역 등 교권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내용들이 담겼다.기존에는 학부모의 민원을 담당 교사가 오롯이 책임지도록 하고, 악의적인 무고성 신고에도 교육감의 권한으로 사안의 중대성 등을 따져 임의로 직위해제 처분을 내려 다른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수업권을 침해받는다는 지적이 이어져왔다. 이러한 내용을 보완하여 협의체에서 사안을 검토한 후 직위해제 여부를 결정하므로 교사가 억울하게 피해를 입게 되는 일을 방지하고, 학생들의 안정적인 학습권도 보장받게 될 전망이다.또한 학교장이 교육활동 침해행위를 축소하거나 은폐할 경우 징계조치를 받게 되며, 교육활동에 관련된 소송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하기 위한 공제사업을 실시하여 학교안전공제회 등에 위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로써 과도한 제약과 무분별한 신고로 인해 적절한 생활지도조차 할 수 없는 작금의 상황이 한결 개선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다만 여전히 기준이 모호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처벌법의 조속한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4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2학년 담임교사였던 A씨는 친구들을 괴롭히고, 수업을 반복적으로 방해하는 B군에게 "이러니까 애들이 널 싫어하는 거야", "B군 때문에 학폭위를 열어달라는 학부모가 있어"라고 말했다. 이 사건으로 A씨는 교직생활 40년 만에 처음으로 담임교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정당한 훈육의 일환임을 소명한 결과 검찰은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이와 관련해 A씨의 법률대리인은 "아동복지법, 아동학대처벌법 개정이 추진 중인 가운데 정서학대에 대한 법리적 판단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가해자로 지목되면 마녀사냥, 신상털기 등 2차적 피해를 입게 되니 사실관계 정리, 행위에 이르게 된 동기와 경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 초동 대응에 나서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도움말=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사전문보러가기] - 교권보호 4법 통과에도 '정당한 훈육 기준 모호'
아주경제
2023-09-27
폐기물 불법투기 단속 고삐…"모르고 무허가 업체와 거래해도 처벌"
폐기물 불법투기 단속 고삐…"모르고 무허가 업체와 거래해도 처벌"
환경부가 다음달 1일부터 폐기물 무단 투기·매립 등 불법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 현장 정보 전송 제도를 시행하면서 폐기물 불법 투기에 대한 단속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폐기물 처리 현장 정보 전송 제도는 사업장 폐기물 처리자의 폐기물 인계·인수량 허위 입력과 무허가 차량을 이용한 수집·운반을 막아 불법 폐기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다. 지난해 건설 폐기물부터 시행됐으며 내달부터 지정 폐기물까지 확대된다. 더불어 오는 29일부터 건설 폐기물 재활용 촉진을 위해 건설폐기물법 위반 시 기존 최대 1억원이던 영업정지 대체과징금을 매출액의 5% 범위 내(최대 2억원)에서 부과한다. 이에 따라 영업정지 1, 3, 6개월의 행정처분을 과징금으로 대체할 경우 2000만원, 5000만원, 1억원이 과징금으로 부과됐으나 앞으로는 직전 3개 연도 연평균 매출액의 2%, 3%, 5%에 해당하는 과징금을 부과한다. 여전히 불법 무허가 폐기물처리장, 폐기물 불법 투기가 성행하고 있는데 이번 제도 시행 및 법안 개정 등을 통해 토지 소유자의 피해 예방, 폐기물 정상 순환 등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무허가 폐기물처리업을 운영하는 업체들은 치밀하게 역할 분담을 하고 있다. 지난 22일 창원에서는 몇 개월에 걸쳐 야영장 조성 공사현장에 폐석고 1만7500t을 무단으로 매립한 업체를 적발하기도 했다. 이러한 업체들에게 낮은 금액으로 폐기물을 처리한 업자들도 기소될 수 있다. 무허가 업체인지 모르고 계약을 했다가는 법적 처벌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 6월 수원에서는 무허가 폐기물처리업을 영위하는 A씨와 사업장 폐기물 위탁 계약 체결한 회사의 상임이사 B씨는 폐기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A씨는 적정 시가보다 저렴한 금액을 제시하고 계약을 체결한 뒤 폐합성수지 등 사업장폐기물을 고소인들의 토지에 불법적으로 투기해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 받았다. B씨는 무허가업자인 사실을 모르고 폐기물 처리를 위탁을 위해 소개했다고 주장했다. 여러 양형조건을 고려해 B씨는 무죄 선고를 받았다. 이에 대해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무허가 폐기물처리업체인지 모르고 계약을 했다고 해도 폐기물관리법을 위반한 것으로 처벌받게 된다”며 “더불어 영업정지 또는 허가 취소 등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도 있다. 계약 시 정상적인 업체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어 “중대재해처벌법 상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등은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폐기물관리법도 포함된다”면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처벌 및 법적 책임의 무게가 커진 상태이므로 억울하게 혐의에 연루됐다면 신속한 대응을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러가기] - 폐기물 불법투기 단속 고삐…"모르고 무허가 업체와 거래해도 처벌"
아주경제
2023-09-27
폐기물 불법투기 단속 고삐…"모르고 무허가 업체와 거래해도 처벌"
폐기물 불법투기 단속 고삐…"모르고 무허가 업체와 거래해도 처벌"
환경부가 다음달 1일부터 폐기물 무단 투기·매립 등 불법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 현장 정보 전송 제도를 시행하면서 폐기물 불법 투기에 대한 단속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폐기물 처리 현장 정보 전송 제도는 사업장 폐기물 처리자의 폐기물 인계·인수량 허위 입력과 무허가 차량을 이용한 수집·운반을 막아 불법 폐기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다. 지난해 건설 폐기물부터 시행됐으며 내달부터 지정 폐기물까지 확대된다. 더불어 오는 29일부터 건설 폐기물 재활용 촉진을 위해 건설폐기물법 위반 시 기존 최대 1억원이던 영업정지 대체과징금을 매출액의 5% 범위 내(최대 2억원)에서 부과한다. 이에 따라 영업정지 1, 3, 6개월의 행정처분을 과징금으로 대체할 경우 2000만원, 5000만원, 1억원이 과징금으로 부과됐으나 앞으로는 직전 3개 연도 연평균 매출액의 2%, 3%, 5%에 해당하는 과징금을 부과한다. 여전히 불법 무허가 폐기물처리장, 폐기물 불법 투기가 성행하고 있는데 이번 제도 시행 및 법안 개정 등을 통해 토지 소유자의 피해 예방, 폐기물 정상 순환 등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무허가 폐기물처리업을 운영하는 업체들은 치밀하게 역할 분담을 하고 있다. 지난 22일 창원에서는 몇 개월에 걸쳐 야영장 조성 공사현장에 폐석고 1만7500t을 무단으로 매립한 업체를 적발하기도 했다. 이러한 업체들에게 낮은 금액으로 폐기물을 처리한 업자들도 기소될 수 있다. 무허가 업체인지 모르고 계약을 했다가는 법적 처벌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 6월 수원에서는 무허가 폐기물처리업을 영위하는 A씨와 사업장 폐기물 위탁 계약 체결한 회사의 상임이사 B씨는 폐기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A씨는 적정 시가보다 저렴한 금액을 제시하고 계약을 체결한 뒤 폐합성수지 등 사업장폐기물을 고소인들의 토지에 불법적으로 투기해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 받았다. B씨는 무허가업자인 사실을 모르고 폐기물 처리를 위탁을 위해 소개했다고 주장했다. 여러 양형조건을 고려해 B씨는 무죄 선고를 받았다. 이에 대해 법률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무허가 폐기물처리업체인지 모르고 계약을 했다고 해도 폐기물관리법을 위반한 것으로 처벌받게 된다”며 “더불어 영업정지 또는 허가 취소 등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도 있다. 계약 시 정상적인 업체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어 “중대재해처벌법 상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등은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폐기물관리법도 포함된다”면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처벌 및 법적 책임의 무게가 커진 상태이므로 억울하게 혐의에 연루됐다면 신속한 대응을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러가기] - 폐기물 불법투기 단속 고삐…"모르고 무허가 업체와 거래해도 처벌"
아주경제
2023-09-06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법무법인 대륜 "현장 혼선 지속될 듯"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법무법인 대륜 "현장 혼선 지속될 듯"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21일 공직자들이 받을 수 있는 농수산물 선물의 상한 가액을 현행 10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높이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청탁금지법(김영란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설날·추석 명절 역시 기존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된다.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해당 개정안으로 인해 특정인에서 선물로 쓸 수 있는 한도 금액은 늘어났지만, 일상생활 및 업무 현장에서의 혼선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청탁금지법은 2012년 국민권익위 제안으로 2016년 9월 28일 시행되었으나, 법 시행 7년간 여러 차례 개정하면서 현장에서는 잦은 혼란을 빚어왔다. 특히 이번 개정이 경기 침체를 막고 내수 활성화를 위한 시행령 개정이라고 하지만, 청탁금지법 도입 취지 근간을 훼손하는 것 아니냐며 청탁금지법 무용론과 폐지론 등 부정적인 반응도 나오고 있다. 청탁금지법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도 있다. 국민권익위가 발표한 ‘지난해 공공기관 청탁금지법 운영 실태 점검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접수된 청탁금지법 위반 신고는 총 1404건으로 4년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9건 증가한 수준이다.그중에서도 금품수수 신고 건수가 967건으로 전년과 비교해 96.9% 증가했다. 반면 부정청탁의 경우 369건으로 전년 대비 52.54% 감소했다. 최근에는 현행 교사가 업체에 돈을 받고 문항을 만들어 주는 ‘사교육 카르텔’이 주목받으면서 청탁금지법에 대한 주목도가 높다. 공직자, 언론인, 국·공립·사립학교 등 법안 적용 대상자들이 직무 관련성이나 대가성에 상관없이 1회 100만원 또는 연간 3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을 수수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청탁금지법 위반에 어떤 행위가 포함되는지 여전히 현장에서는 혼란을 겪는 경우도 있다. 단순하게 100만원을 넘는 선물을 받았다고 신고되는 경우도 있다. 지난 5월 인천에서는 교사들이 유치원 원장인 A씨에게 명절 또는 스승의 날, 생일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총 100만원에 달하는 선물을 교부했다며 신고했다가 혼란이 빚어졌다. 일부 교사들은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두려움으로 선물을 했다고 진술해 A씨에게 불리한 상황이었는데,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는 경찰 단계에서 불입건 처리되면서 사건이 종결됐다. 과태료 처분도 면할 수 있었다. 당시 재판부는 교부행위마다 교사 1인당 부담한 금액이 시행령에서 정하는 선물의 가액을 초과해 지급했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A씨의 강요가 있었던 것을 증명할 수 없어 직장 내 괴롭힘 등 교사들의 주관적 사정만으로 원활한 직무수행 등을 위한 선물 제공이라고 할 수 없다며 A씨에게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에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적용이 모호한 경우나 혼선으로 인한 신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억울하게 혐의를 받을 경우 행정처분뿐만 아니라 신분상 불이익도 가해지기 때문에 법에서 정한 일정한 허용 범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수사 과정에서 정확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법무법인 대륜 현장 혼선 지속될 듯 | 아주경제 (ajunews.com)
아주경제
2023-09-06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법무법인 대륜 "현장 혼선 지속될 듯"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법무법인 대륜 "현장 혼선 지속될 듯"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21일 공직자들이 받을 수 있는 농수산물 선물의 상한 가액을 현행 10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높이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청탁금지법(김영란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설날·추석 명절 역시 기존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된다.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해당 개정안으로 인해 특정인에서 선물로 쓸 수 있는 한도 금액은 늘어났지만, 일상생활 및 업무 현장에서의 혼선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청탁금지법은 2012년 국민권익위 제안으로 2016년 9월 28일 시행되었으나, 법 시행 7년간 여러 차례 개정하면서 현장에서는 잦은 혼란을 빚어왔다. 특히 이번 개정이 경기 침체를 막고 내수 활성화를 위한 시행령 개정이라고 하지만, 청탁금지법 도입 취지 근간을 훼손하는 것 아니냐며 청탁금지법 무용론과 폐지론 등 부정적인 반응도 나오고 있다. 청탁금지법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도 있다. 국민권익위가 발표한 ‘지난해 공공기관 청탁금지법 운영 실태 점검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접수된 청탁금지법 위반 신고는 총 1404건으로 4년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9건 증가한 수준이다.그중에서도 금품수수 신고 건수가 967건으로 전년과 비교해 96.9% 증가했다. 반면 부정청탁의 경우 369건으로 전년 대비 52.54% 감소했다. 최근에는 현행 교사가 업체에 돈을 받고 문항을 만들어 주는 ‘사교육 카르텔’이 주목받으면서 청탁금지법에 대한 주목도가 높다. 공직자, 언론인, 국·공립·사립학교 등 법안 적용 대상자들이 직무 관련성이나 대가성에 상관없이 1회 100만원 또는 연간 3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을 수수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청탁금지법 위반에 어떤 행위가 포함되는지 여전히 현장에서는 혼란을 겪는 경우도 있다. 단순하게 100만원을 넘는 선물을 받았다고 신고되는 경우도 있다. 지난 5월 인천에서는 교사들이 유치원 원장인 A씨에게 명절 또는 스승의 날, 생일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총 100만원에 달하는 선물을 교부했다며 신고했다가 혼란이 빚어졌다. 일부 교사들은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두려움으로 선물을 했다고 진술해 A씨에게 불리한 상황이었는데,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는 경찰 단계에서 불입건 처리되면서 사건이 종결됐다. 과태료 처분도 면할 수 있었다. 당시 재판부는 교부행위마다 교사 1인당 부담한 금액이 시행령에서 정하는 선물의 가액을 초과해 지급했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A씨의 강요가 있었던 것을 증명할 수 없어 직장 내 괴롭힘 등 교사들의 주관적 사정만으로 원활한 직무수행 등을 위한 선물 제공이라고 할 수 없다며 A씨에게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다.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이번에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적용이 모호한 경우나 혼선으로 인한 신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억울하게 혐의를 받을 경우 행정처분뿐만 아니라 신분상 불이익도 가해지기 때문에 법에서 정한 일정한 허용 범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수사 과정에서 정확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법무법인 대륜 현장 혼선 지속될 듯 | 아주경제 (ajunews.com)
라온신문
2023-08-28
법무법인 대륜, 설립 5년 만에 국내 10위 로펌으로 발돋움…“한국의 베이커맥킨지로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 설립 5년 만에 국내 10위 로펌으로 발돋움…“한국의 베이커맥킨지로 만들 것”
[라온신문 기현희 기자]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41·8회), 고병준(49·9회), 박동일(37·8회) 경영총괄대표변호사는 “로펌의 승패는 고객 중심 서비스와 승소율에 달려있다. 구성원이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선진적인 업무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출신이며, 이례적으로 단기간 경영총괄 직책에 올라 주목받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빠른 성장 비결은.“이전에 경영총괄을 맡았던 심재국(42·2회) 대표변호사가 2018년 창원에서 설립했다. 4명이서 전국 일대를 돌아다니며 사무실을 찾고 채용을 진행하는 등 빠듯한 생활을 했다. 설립 1년 만에 부산, 서울 등에 사무소를 개소하며 빠르게 확장해 현재 전국 32개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8월 기준 170명의 한국변호사가 소속돼 있다. 지난해 매출은 약 4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단기간 성장을 이뤘으며, 국내 10위 규모의 대형로펌으로 발돋움했다.” ━전국에 사무소가 있는데,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대륜은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변호사들은 선진 디지털 업무처리 시스템을 통해 한 사건에 팀을 이뤄 협업해 담당 사건의 승소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사건별 특화된 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3인 이상 전담팀을 구성하고, 법원·검찰·경찰 출신 전관 변호사가 사건 총괄을 맡아 체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형사, 기업 법무, 이혼,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 등 분야별 21개 전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초의 법률상담전문센터를 운영하며, 의뢰인의 요구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명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시스템을 조성했다. 전문 변호사가 직접 상담을 진행해 구체적인 사건 진단을 기반으로 신속한 초동 대응이 가능해졌다.” ━큰 성장을 이뤄낸 경영 철학이 궁금하다.“대륜을 한국의 베이커맥캔지로 만드는 것이 꿈이다. 미국의 대형로펌들은 미국 전역과 전 세계에 분사무소가 최소 수십 개가 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글로벌 로펌인 베이커맥킨지도 지점이 76개다. 대륜은 이런 로펌들의 선진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전 사무소에서 균질한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소속 변호사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사내 환경을 조성했다. 소속변호사의 역량이 곧 로펌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대륜은 철저히 소속 변호사들의 능력과 기여도를 따져 중요 직책을 부여한다. 소속 변호사들의 기여도를 인정하고, 로펌은 질 좋은 복지로 보답하고 있다. 타 로펌 대비 높은 연봉, 수평적 문화, 유연근무제, 세분된 직책, 3년 근속자 안식휴가 등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다음 목표가 있는가.“이제 다음 단계로 도약해야 할 시기다. 전문분야인 기업 법무 대상을 확장하고, 튼튼한 기반을 다진 국내 사무소들을 바탕으로 해외진출에 나서겠다. 현재 국내 우수 중소기업, 대기업 등에 법률리스크 감경 및 기업의 시장 경쟁력 향상이 가능한 종합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넘어 해외진출 국내기업과 외국 다국적 기업에 대한 법률서비스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미국에 사무소를 두고 국제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세계적인 로펌으로 거듭나겠다. 대륜의 성장엔 마침표가 없다. 열의와 성장 가능성이 충분한 변호사, 책임감 있는 변호사, 능력 있는 변호사들과 소속 직원들이 협력해 대륜의 성장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의뢰인에게 맞춤형 전략을 제시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다.” [기자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설립 5년 만에 국내 10위 로펌으로 발돋움…“한국의 베이커맥킨지로 만들 것” (raonnews.com)
라온신문
2023-08-28
법무법인 대륜, 설립 5년 만에 국내 10위 로펌으로 발돋움…“한국의 베이커맥킨지로 만들 것”
법무법인 대륜, 설립 5년 만에 국내 10위 로펌으로 발돋움…“한국의 베이커맥킨지로 만들 것”
[라온신문 기현희 기자] 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41·8회), 고병준(49·9회), 박동일(37·8회) 경영총괄대표변호사는 “로펌의 승패는 고객 중심 서비스와 승소율에 달려있다. 구성원이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선진적인 업무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출신이며, 이례적으로 단기간 경영총괄 직책에 올라 주목받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빠른 성장 비결은.“이전에 경영총괄을 맡았던 심재국(42·2회) 대표변호사가 2018년 창원에서 설립했다. 4명이서 전국 일대를 돌아다니며 사무실을 찾고 채용을 진행하는 등 빠듯한 생활을 했다. 설립 1년 만에 부산, 서울 등에 사무소를 개소하며 빠르게 확장해 현재 전국 32개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8월 기준 170명의 한국변호사가 소속돼 있다. 지난해 매출은 약 4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단기간 성장을 이뤘으며, 국내 10위 규모의 대형로펌으로 발돋움했다.” ━전국에 사무소가 있는데,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대륜은 전 사건을 본사 중심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변호사들은 선진 디지털 업무처리 시스템을 통해 한 사건에 팀을 이뤄 협업해 담당 사건의 승소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사건별 특화된 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3인 이상 전담팀을 구성하고, 법원·검찰·경찰 출신 전관 변호사가 사건 총괄을 맡아 체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형사, 기업 법무, 이혼,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 등 분야별 21개 전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초의 법률상담전문센터를 운영하며, 의뢰인의 요구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명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시스템을 조성했다. 전문 변호사가 직접 상담을 진행해 구체적인 사건 진단을 기반으로 신속한 초동 대응이 가능해졌다.” ━큰 성장을 이뤄낸 경영 철학이 궁금하다.“대륜을 한국의 베이커맥캔지로 만드는 것이 꿈이다. 미국의 대형로펌들은 미국 전역과 전 세계에 분사무소가 최소 수십 개가 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글로벌 로펌인 베이커맥킨지도 지점이 76개다. 대륜은 이런 로펌들의 선진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전 사무소에서 균질한 고품질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소속 변호사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사내 환경을 조성했다. 소속변호사의 역량이 곧 로펌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대륜은 철저히 소속 변호사들의 능력과 기여도를 따져 중요 직책을 부여한다. 소속 변호사들의 기여도를 인정하고, 로펌은 질 좋은 복지로 보답하고 있다. 타 로펌 대비 높은 연봉, 수평적 문화, 유연근무제, 세분된 직책, 3년 근속자 안식휴가 등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다음 목표가 있는가.“이제 다음 단계로 도약해야 할 시기다. 전문분야인 기업 법무 대상을 확장하고, 튼튼한 기반을 다진 국내 사무소들을 바탕으로 해외진출에 나서겠다. 현재 국내 우수 중소기업, 대기업 등에 법률리스크 감경 및 기업의 시장 경쟁력 향상이 가능한 종합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넘어 해외진출 국내기업과 외국 다국적 기업에 대한 법률서비스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미국에 사무소를 두고 국제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세계적인 로펌으로 거듭나겠다. 대륜의 성장엔 마침표가 없다. 열의와 성장 가능성이 충분한 변호사, 책임감 있는 변호사, 능력 있는 변호사들과 소속 직원들이 협력해 대륜의 성장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의뢰인에게 맞춤형 전략을 제시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다.” [기자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설립 5년 만에 국내 10위 로펌으로 발돋움…“한국의 베이커맥킨지로 만들 것” (raonnews.com)
서울신문
2023-08-24
여전한 전세사기…집주인 연락 두절 시 보증금 받을 수 있나
여전한 전세사기…집주인 연락 두절 시 보증금 받을 수 있나
정부가 지난 6월부터 전세사기 특별법을 시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세사기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다.전세 사기는 서민층과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 5월에는 대전에서 20~30대 사회초년생을 상대로 전세 사기를 벌인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이들은 사회초년생 37명에게 30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 전세사기를 조직적·계획적으로 하는 범행이 증가하고 있어 피해규모도 만만치 않은 상태다. 지난 7월 기준 법원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한 건수가 5000건을 넘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임차권등기는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이 등기부등본에 미반환된 보증금 채권이 있다는 사실을 명시하는 제도다. 7월 주택임대차보호법이 개정 시행되면서 법원의 임차권등기명령 결정이 고지되기 전 임차권등기가 가능해졌다. 집주인과 연락이 닿지 않아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법원 공시송달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공시송달은 소장을 전달할 수 없을 때 법원이 게시판이나 관보 등에 송달할 내용을 게재한 뒤 내용이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지난 3월 경기도에서 발생한 전세사기 사건을 살펴보면, 임차인은 임대차계약을 중개했던 부동산으로부터 등기사항전부증명서를 받았는데 전세계약 건물의 체납에 따른 압류 사실이 기재된 것을 확인했다. 집주인이 압류를 곧 해결한다는 설명을 여러 차례 했지만 해결이 계속 늦어지자 임차인은 보증금반환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집주인이 소장을 받지 않자 공시송달을 신청해 억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었다.해당 사건을 담당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세사기범에 대한 중형이 잇따라 선고되고 있으나 피해자들이 보증금 반환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전세사기 유형은 매우 다양하고 증거 수집 등 신속한 법적 대응이 필요한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여전한 전세사기…집주인 연락 두절 시 보증금 받을 수 있나 | 서울신문 (seoul.co.kr)
서울신문
2023-08-24
여전한 전세사기…집주인 연락 두절 시 보증금 받을 수 있나
여전한 전세사기…집주인 연락 두절 시 보증금 받을 수 있나
정부가 지난 6월부터 전세사기 특별법을 시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세사기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다.전세 사기는 서민층과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 5월에는 대전에서 20~30대 사회초년생을 상대로 전세 사기를 벌인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이들은 사회초년생 37명에게 30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 전세사기를 조직적·계획적으로 하는 범행이 증가하고 있어 피해규모도 만만치 않은 상태다. 지난 7월 기준 법원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한 건수가 5000건을 넘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임차권등기는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이 등기부등본에 미반환된 보증금 채권이 있다는 사실을 명시하는 제도다. 7월 주택임대차보호법이 개정 시행되면서 법원의 임차권등기명령 결정이 고지되기 전 임차권등기가 가능해졌다. 집주인과 연락이 닿지 않아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법원 공시송달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공시송달은 소장을 전달할 수 없을 때 법원이 게시판이나 관보 등에 송달할 내용을 게재한 뒤 내용이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지난 3월 경기도에서 발생한 전세사기 사건을 살펴보면, 임차인은 임대차계약을 중개했던 부동산으로부터 등기사항전부증명서를 받았는데 전세계약 건물의 체납에 따른 압류 사실이 기재된 것을 확인했다. 집주인이 압류를 곧 해결한다는 설명을 여러 차례 했지만 해결이 계속 늦어지자 임차인은 보증금반환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집주인이 소장을 받지 않자 공시송달을 신청해 억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었다.해당 사건을 담당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전세사기범에 대한 중형이 잇따라 선고되고 있으나 피해자들이 보증금 반환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전세사기 유형은 매우 다양하고 증거 수집 등 신속한 법적 대응이 필요한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여전한 전세사기…집주인 연락 두절 시 보증금 받을 수 있나 | 서울신문 (seoul.co.kr)
KTV
2023-08-07
건강기능식품 꼼꼼히 따져 먹고 가려 먹자 [KTV생활&정책]
건강기능식품 꼼꼼히 따져 먹고 가려 먹자 [KTV생활&정책]
KTV생활&정책2023년 8월 3일 방영분▶건강기능식품, 제대로 선택하는 방법▶건강기능식품 제대로 따져 먹자▶시청자 질문&사연 소개[전체영상보기] - 건강기능식품 꼼꼼히 따져 먹고 가려 먹자 [KTV생활&정책] - YouTube
KTV
2023-08-07
건강기능식품 꼼꼼히 따져 먹고 가려 먹자 [KTV생활&정책]
건강기능식품 꼼꼼히 따져 먹고 가려 먹자 [KTV생활&정책]
KTV생활&정책2023년 8월 3일 방영분▶건강기능식품, 제대로 선택하는 방법▶건강기능식품 제대로 따져 먹자▶시청자 질문&사연 소개[전체영상보기] - 건강기능식품 꼼꼼히 따져 먹고 가려 먹자 [KTV생활&정책] - YouTube
서울경제TV
2023-08-02
촉법소년 범죄, 손해배상청구 등 피해 회복 방법은
촉법소년 범죄, 손해배상청구 등 피해 회복 방법은
만 14세 미만 촉법소년은 형사사건에 연루되면 형사처벌 대신 보호처분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소년범죄가 흉악해지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근본적인 해결책 및 제재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촉법소년이 경찰관을 폭행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 촉법소년 범죄가 증가하고 있지만 처벌이 관대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법에서는 촉법소년에 대한 처벌이 6개월 미만 보호처분은 만 10세부터, 최장 2년 소년원 보호처분은 만 12세부터 가능하며, 형벌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전과 기록도 남지 않는다. 이에 법무부는 촉법소년 연령을 기존 만 14세 미만에서 만 13세 미만으로 하향하는 내용의 소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근본적인 해결이 이뤄질 수 없다며 반대 입장이 담긴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하는 등 찬반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형사처벌은 불가능하지만, 아무런 제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촉법소년 및 그 보호자(감독인)를 상대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은 가능하다. 최근 학교폭력 사건 판결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학생과 부모가 학교폭력 가해학생 및 그 보호자(부모)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해 손해배상금을 받은 바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해학생들은 피해학생을 지속적으로 괴롭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는 소년보호처분 1호와 2호 긴급조치를 추인하고, 3호 조치를 결정했다. 법원은 피해학생과 그 부모가 정신적 고통을 입었음을 인정했다. 재판부는 “가해학생들은 만 13세에 불과한 미성년자로서 부모들의 보호감독을 받고 있었으므로, 이 사건 가해행위로 인하여 피해학생과 그 부모가 입은 정신적 손해는 가해학생들의 부모가 감독의무 위반과 상당인과관계가 있다”며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다시 말해 촉법소년 범죄는 형사처벌 대상이 아닐 뿐 민사상 소송 대상은 가능하며, 피해자는 손해배상청구소송, 강제집행 등을 통해 피해 회복을 할 수 있다. 도움말: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사전문보기] - 촉법소년 범죄, 손해배상청구 등 피해 회복 방법은 (sentv.co.kr)
서울경제TV
2023-08-02
촉법소년 범죄, 손해배상청구 등 피해 회복 방법은
촉법소년 범죄, 손해배상청구 등 피해 회복 방법은
만 14세 미만 촉법소년은 형사사건에 연루되면 형사처벌 대신 보호처분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소년범죄가 흉악해지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근본적인 해결책 및 제재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촉법소년이 경찰관을 폭행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 촉법소년 범죄가 증가하고 있지만 처벌이 관대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법에서는 촉법소년에 대한 처벌이 6개월 미만 보호처분은 만 10세부터, 최장 2년 소년원 보호처분은 만 12세부터 가능하며, 형벌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전과 기록도 남지 않는다. 이에 법무부는 촉법소년 연령을 기존 만 14세 미만에서 만 13세 미만으로 하향하는 내용의 소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근본적인 해결이 이뤄질 수 없다며 반대 입장이 담긴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하는 등 찬반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형사처벌은 불가능하지만, 아무런 제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촉법소년 및 그 보호자(감독인)를 상대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은 가능하다. 최근 학교폭력 사건 판결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학생과 부모가 학교폭력 가해학생 및 그 보호자(부모)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해 손해배상금을 받은 바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해학생들은 피해학생을 지속적으로 괴롭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는 소년보호처분 1호와 2호 긴급조치를 추인하고, 3호 조치를 결정했다. 법원은 피해학생과 그 부모가 정신적 고통을 입었음을 인정했다. 재판부는 “가해학생들은 만 13세에 불과한 미성년자로서 부모들의 보호감독을 받고 있었으므로, 이 사건 가해행위로 인하여 피해학생과 그 부모가 입은 정신적 손해는 가해학생들의 부모가 감독의무 위반과 상당인과관계가 있다”며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다시 말해 촉법소년 범죄는 형사처벌 대상이 아닐 뿐 민사상 소송 대상은 가능하며, 피해자는 손해배상청구소송, 강제집행 등을 통해 피해 회복을 할 수 있다. 도움말: 법무법인(유한) 대륜 [기사전문보기] - 촉법소년 범죄, 손해배상청구 등 피해 회복 방법은 (sentv.co.kr)
스타데일리뉴스
2023-07-25
불륜 사실이어도 위자료는 반타작… 간통죄 폐지 후 대응 방안은?
불륜 사실이어도 위자료는 반타작… 간통죄 폐지 후 대응 방안은?
[스타데일리뉴스=황규준 기자] 간통죄가 폐지되면서 부부 중 일방이 부정행위를 하는 경우 형사 처벌이 불가능해졌다. 대신 정신적 고통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상간자 위자료 청구소송은 부부가 이혼하지 않더라도 제기할 수 있다.통상적으로 상간남, 상간녀 소송 시 위자료로 3,000만 원 이상을 청구하지만 전액이 인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설령 불륜관계가 인정되더라도 소명 내용에 따라 절반정도 감액되는 경우가 흔하다.그러나 부정행위와 혼인관계 파탄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입증한다면 청구금액 전액이 인용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도 춘천지방법원에서 청구금액 전액이 인용된 판례가 나왔다. 춘천지법은 원고의 배우자와 외도행위를 일삼은 피고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3,000만 원 및 소송비용을 부담하라는 원고 A씨의 청구를 모두 인용했다.자세한 전말은 이렇다. 지인으로부터 자신의 남편과 B씨의 불륜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들은 A씨는 남편과 B씨를 추궁했다. 그러자 두 사람은 A씨에게 모함하지 말라며 되려 화를 내면서 불륜관계를 부정하였는데, 뒤로는 A씨 몰래 만남을 지속해왔다. A씨는 자신을 나무라던 두 사람이 실제 불륜관계임을 알게된 후 상간소송을 결심했다.A씨가 B씨의 행동이 A씨 부부의 혼인관계 파탄 사유에 해당된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소명한 결과, 재판부는 “B씨는 A씨의 배우자로서의 권리를 명백히 침해하였으므로, 이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정신적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여 A씨가 청구한 위자료 전액을 인용했다.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은 주장한 사실에 대한 객관적 입증이다. 소송을 제기하는 원고는 소송 상대방인 피고가 유부녀·유부남인 것을 알고도 만남을 지속했는지에 대한 입증을 해야 하는데, 이때 불법적인 방법을 이용한다면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나 명예훼손 등으로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도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간통죄의 폐지로 원고가 입은 정신적 피해보상으로써 유일하게 금액으로 밖에 위자 받을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해 3,000만 원을 청구했다”며 “증거확보 확보 및 분석에 협력하여 문자내역, 대화 녹취록, 블랙박스 영상 등 구체적 자료를 토대로 적극 변론해 인과관계를 밝혀냈다”고 말했다.이어 “경우에 따라 향후 상간자와 배우자가 다시 만남을 가지게 되면 만남 횟수마다 비용을 지급하도록 하는 위약벌을 정할 수도 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법의 법적 대응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기사전문보기] - 불륜 사실이어도 위자료는 반타작… 간통죄 폐지 후 대응 방안은? :: 스타데일리뉴스 (stardailynews.co.kr)
스타데일리뉴스
2023-07-25
불륜 사실이어도 위자료는 반타작… 간통죄 폐지 후 대응 방안은?
불륜 사실이어도 위자료는 반타작… 간통죄 폐지 후 대응 방안은?
[스타데일리뉴스=황규준 기자] 간통죄가 폐지되면서 부부 중 일방이 부정행위를 하는 경우 형사 처벌이 불가능해졌다. 대신 정신적 고통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상간자 위자료 청구소송은 부부가 이혼하지 않더라도 제기할 수 있다.통상적으로 상간남, 상간녀 소송 시 위자료로 3,000만 원 이상을 청구하지만 전액이 인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설령 불륜관계가 인정되더라도 소명 내용에 따라 절반정도 감액되는 경우가 흔하다.그러나 부정행위와 혼인관계 파탄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입증한다면 청구금액 전액이 인용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도 춘천지방법원에서 청구금액 전액이 인용된 판례가 나왔다. 춘천지법은 원고의 배우자와 외도행위를 일삼은 피고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3,000만 원 및 소송비용을 부담하라는 원고 A씨의 청구를 모두 인용했다.자세한 전말은 이렇다. 지인으로부터 자신의 남편과 B씨의 불륜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들은 A씨는 남편과 B씨를 추궁했다. 그러자 두 사람은 A씨에게 모함하지 말라며 되려 화를 내면서 불륜관계를 부정하였는데, 뒤로는 A씨 몰래 만남을 지속해왔다. A씨는 자신을 나무라던 두 사람이 실제 불륜관계임을 알게된 후 상간소송을 결심했다.A씨가 B씨의 행동이 A씨 부부의 혼인관계 파탄 사유에 해당된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소명한 결과, 재판부는 “B씨는 A씨의 배우자로서의 권리를 명백히 침해하였으므로, 이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정신적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여 A씨가 청구한 위자료 전액을 인용했다.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은 주장한 사실에 대한 객관적 입증이다. 소송을 제기하는 원고는 소송 상대방인 피고가 유부녀·유부남인 것을 알고도 만남을 지속했는지에 대한 입증을 해야 하는데, 이때 불법적인 방법을 이용한다면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나 명예훼손 등으로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도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간통죄의 폐지로 원고가 입은 정신적 피해보상으로써 유일하게 금액으로 밖에 위자 받을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해 3,000만 원을 청구했다”며 “증거확보 확보 및 분석에 협력하여 문자내역, 대화 녹취록, 블랙박스 영상 등 구체적 자료를 토대로 적극 변론해 인과관계를 밝혀냈다”고 말했다.이어 “경우에 따라 향후 상간자와 배우자가 다시 만남을 가지게 되면 만남 횟수마다 비용을 지급하도록 하는 위약벌을 정할 수도 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법의 법적 대응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기사전문보기] - 불륜 사실이어도 위자료는 반타작… 간통죄 폐지 후 대응 방안은? :: 스타데일리뉴스 (stardailynews.co.kr)
아주경제
2023-07-11
스토킹 처벌법 '반의사 불벌죄' 폐지...허위고소 우려도
스토킹 처벌법 '반의사 불벌죄' 폐지...허위고소 우려도
스토킹 범죄 피해자가 원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가 폐지 수순을 밟게 된다. 다만 허위 고소에 대한 우려도 나오면서 초동대응에 대한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반의사불벌죄 폐지, 온라인 스토킹 행위 유형 신설 등을 골자로 한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스토킹 처벌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해 음성·문자·사진·영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행위도 스토킹범죄 유형으로 규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 상대방 개인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배포·게시하거나 신분을 도용해 사칭하는 행위도 스토킹 행위로 명시하고 있다. 반의사불벌죄 폐지로 가해자가 합의를 빌미로 2차 스토킹범죄, 보복범죄를 저지를 수 없게 된다. 가해자의 압박에 고소를 취하하는 문제는 해결됐지만, 허위고소가 잇따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예를 들어 지난 해 경북에서 발생한 한 사례를 보면 피의자 A씨는 지인 모임에서 고소인 B씨를 만나 불륜관계를 이어 나갔다. 그러다 불륜이 적발되자 A씨는 B씨에게 이혼을 면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A씨는 이혼을 하게 됐고 이후 B씨는 지속해서 A씨에게 연락을 시도했다. A씨가 연락을 받지 않자 B씨는 과거 A씨와 나눈 메시지와 전화 내용을 스토킹이라며 고소했다. 해당 사례는 피해자인 A씨가 오히려 피의자가 된 스토킹 처벌법 위반 사건이다. 반의사불벌죄가 적용된다면 피해자와 합의하더라도 재판까지 가야 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신중한 초동 대응으로 재판 단계까지 가지 않고 불기소 처분으로 종결됐다. 그렇다 보니 반의사불벌죄 폐지로 이같은 허위고소에서 무고함을 밝히기 위한 초동대응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당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은 “스토킹 피해자들은 수사단계에서 처벌의사를 유지하더라도 재판 과정에서 처벌불원 의사를 밝히는 경우도 많다"며 "반의사불벌죄 폐지로 2차 가해는 예방될 것으로 기대되나 허위고소를 당한 피의자들의 정신적 고통이 상당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어 "앞선 사례처럼 경찰조사 단계에서 확실하게 피의자 행위가 정당하고, 이 행위가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을 밝혀 재판 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초동 대응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스토킹 처벌법 '반의사 불벌죄' 폐지...허위고소 우려도
아주경제
2023-07-11
스토킹 처벌법 '반의사 불벌죄' 폐지...허위고소 우려도
스토킹 처벌법 '반의사 불벌죄' 폐지...허위고소 우려도
스토킹 범죄 피해자가 원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가 폐지 수순을 밟게 된다. 다만 허위 고소에 대한 우려도 나오면서 초동대응에 대한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반의사불벌죄 폐지, 온라인 스토킹 행위 유형 신설 등을 골자로 한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스토킹 처벌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해 음성·문자·사진·영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행위도 스토킹범죄 유형으로 규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 상대방 개인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배포·게시하거나 신분을 도용해 사칭하는 행위도 스토킹 행위로 명시하고 있다. 반의사불벌죄 폐지로 가해자가 합의를 빌미로 2차 스토킹범죄, 보복범죄를 저지를 수 없게 된다. 가해자의 압박에 고소를 취하하는 문제는 해결됐지만, 허위고소가 잇따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예를 들어 지난 해 경북에서 발생한 한 사례를 보면 피의자 A씨는 지인 모임에서 고소인 B씨를 만나 불륜관계를 이어 나갔다. 그러다 불륜이 적발되자 A씨는 B씨에게 이혼을 면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A씨는 이혼을 하게 됐고 이후 B씨는 지속해서 A씨에게 연락을 시도했다. A씨가 연락을 받지 않자 B씨는 과거 A씨와 나눈 메시지와 전화 내용을 스토킹이라며 고소했다. 해당 사례는 피해자인 A씨가 오히려 피의자가 된 스토킹 처벌법 위반 사건이다. 반의사불벌죄가 적용된다면 피해자와 합의하더라도 재판까지 가야 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신중한 초동 대응으로 재판 단계까지 가지 않고 불기소 처분으로 종결됐다. 그렇다 보니 반의사불벌죄 폐지로 이같은 허위고소에서 무고함을 밝히기 위한 초동대응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당시 A씨를 변호한 법무법인 대륜은 “스토킹 피해자들은 수사단계에서 처벌의사를 유지하더라도 재판 과정에서 처벌불원 의사를 밝히는 경우도 많다"며 "반의사불벌죄 폐지로 2차 가해는 예방될 것으로 기대되나 허위고소를 당한 피의자들의 정신적 고통이 상당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어 "앞선 사례처럼 경찰조사 단계에서 확실하게 피의자 행위가 정당하고, 이 행위가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을 밝혀 재판 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초동 대응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스토킹 처벌법 '반의사 불벌죄' 폐지...허위고소 우려도
아주경제 외
2023-07-05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최종 판결' 대법원 손에 달렸다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최종 판결' 대법원 손에 달렸다
미성년자 성착취물을 유포한 텔레그램 '박사방'의 운영진 공지에 따라 '실검 챌린지'에 참여한 20대가 항소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1심 유죄 판결을 뒤집은 결과다. 실검 챌린지란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에 오르게 하는 것으로, 박사방 운영진은 피해자 이름을 키워드로 검색해 검색어 순위에 오르게 지시한 바 있다. 서울고법 제4-1형사부는 지난해 12월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위반(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 배포·전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법원에 따르면 A씨는 불특정 다수를 박사방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박사방 운영진인 조주빈 등의 ‘실검 챌린지’ 지시에 따랐다. A씨는 특정 시간에 피해자 이름을 검색해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에 오르게 했고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 배포·전시 행위를 용이하게 했다. 당시 박사방 운영진은 홍보 목적으로 실검 챌린지와 링크 홍보를 지시했다. 가담자들은 누적 채팅 개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참여했고 A씨도 관련 키워드를 몇 차례 검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고인 A씨는 박사방의 실검 챌린지 키워드를 몇 차례 검색해 본 것이 전부이며, 이벤트에 기여한 사실이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재판부는 피고인 A씨의 손을 들어주었다. 재판부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인이 인터넷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서 피해자의 이름 등을 검색한 행위가 조주빈 등 정범이 이 사건 대화방 및 피해자에 대한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을 홍보하고 이를 배포·전시함에 있어서 현실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하기 부족하다"고 밝혔다. 검찰은 곧바로 대법원에 상고했다. 검찰 측은 피고인의 검색행위와 정범들의 성착취물 유포 행위 사이에 명백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피고인 A씨 측은 "검색어 입력행위와 정범들의 배포행위에는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다"며 "실검 순위에 오르지도 않았으므로 박사방 참여자 증가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다. A씨를 대리하는 법무법인(유한)대륜은 "피고인의 검색어 입력행위가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된다거나 박사방에 유입되었다고 볼 수 없다"며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 배포·전시 행위에 관한 정범들의 범행 결의가 강화됐다고 볼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과관계 인정 여부는 대법원 손에 달렸다. 특히 박사방 사건을 비롯한 N번방 사건 이후 아동·청소년 대상 성착취물을 제작·배포·구입·소지·시청하는 경우 벌금형 없이 징역형 만을 선고하도록 개정된 상태. 그렇다 보니 이번 판결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아주경제 -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최종 판결' 대법원 손에 달렸다 하비엔뉴스 - N번방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대법 손에 달렸다?
아주경제 외
2023-07-05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최종 판결' 대법원 손에 달렸다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최종 판결' 대법원 손에 달렸다
미성년자 성착취물을 유포한 텔레그램 '박사방'의 운영진 공지에 따라 '실검 챌린지'에 참여한 20대가 항소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1심 유죄 판결을 뒤집은 결과다. 실검 챌린지란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에 오르게 하는 것으로, 박사방 운영진은 피해자 이름을 키워드로 검색해 검색어 순위에 오르게 지시한 바 있다. 서울고법 제4-1형사부는 지난해 12월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위반(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 배포·전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법원에 따르면 A씨는 불특정 다수를 박사방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박사방 운영진인 조주빈 등의 ‘실검 챌린지’ 지시에 따랐다. A씨는 특정 시간에 피해자 이름을 검색해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에 오르게 했고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 배포·전시 행위를 용이하게 했다. 당시 박사방 운영진은 홍보 목적으로 실검 챌린지와 링크 홍보를 지시했다. 가담자들은 누적 채팅 개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참여했고 A씨도 관련 키워드를 몇 차례 검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고인 A씨는 박사방의 실검 챌린지 키워드를 몇 차례 검색해 본 것이 전부이며, 이벤트에 기여한 사실이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재판부는 피고인 A씨의 손을 들어주었다. 재판부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인이 인터넷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서 피해자의 이름 등을 검색한 행위가 조주빈 등 정범이 이 사건 대화방 및 피해자에 대한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을 홍보하고 이를 배포·전시함에 있어서 현실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하기 부족하다"고 밝혔다. 검찰은 곧바로 대법원에 상고했다. 검찰 측은 피고인의 검색행위와 정범들의 성착취물 유포 행위 사이에 명백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피고인 A씨 측은 "검색어 입력행위와 정범들의 배포행위에는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다"며 "실검 순위에 오르지도 않았으므로 박사방 참여자 증가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다. A씨를 대리하는 법무법인(유한)대륜은 "피고인의 검색어 입력행위가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된다거나 박사방에 유입되었다고 볼 수 없다"며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 배포·전시 행위에 관한 정범들의 범행 결의가 강화됐다고 볼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과관계 인정 여부는 대법원 손에 달렸다. 특히 박사방 사건을 비롯한 N번방 사건 이후 아동·청소년 대상 성착취물을 제작·배포·구입·소지·시청하는 경우 벌금형 없이 징역형 만을 선고하도록 개정된 상태. 그렇다 보니 이번 판결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아주경제 -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최종 판결' 대법원 손에 달렸다 하비엔뉴스 - N번방 박사방 ‘실검챌린지’ 가담 항소심서 무죄…대법 손에 달렸다?
법률신문
2023-06-26
[인터뷰] 정찬우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 변호사
[인터뷰] 정찬우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 변호사
"국내 12대 로펌으로 성장했지만 한국시장을 넘어 세계적 로펌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설립된 지 5년 만에 국내 12위 로펌으로 성장한 대륜을 이끄는 정찬우(41·변호사시험 8회) 경영총괄대표변호사 의 말이다. 정 대표변호사는 국내 주요 로펌의 경영총괄대표 중 드물게 로스쿨 출신이다. 2019년 변호사시험에 합격하고 4년 만에 수장 자리에 올랐다. 로펌 내부에서 통용되는 대표변호사를 넘어 전체 경영을 책임지는 경영총괄대표라는 점에서 더 이례적이다. 법무법인 대륜은 2018년 3월 진주에서 설립됐다. 정 대표변호사 이전에 경영총괄을 맡았던 심재국(42·2회) 대표변호사가 세웠다. 다음해 부산, 서울 등에 사무소를 개소하며 빠르게 확장해 현재 전국 32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 4월 말 기준으로 한국변호사 137명이 소속됐다. 변호사 수 기준으로 국내 12위 규모다. 6월 기준으로는 165명이다. 대륜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약 350억 원에 육박한다. 정 대표변호사는 심 대표변호사와 보폭을 맞추며 설립 초기부터 대륜의 성장을 이끌었다. 정 대표변호사는 "초반에 심 대표변호사와 전국 일대를 돌아다니며 사무실을 찾고 채용을 진행했다. 로펌의 기반을 닦는 데만 4~5년이 걸렸다. 균질한 서비스와 가격을 제공하는 데 주력했다"고 말했다. 그는 대륜만의 시스템을 강조했다. 정 대표변호사는 "우리 로펌을 지탱하는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것은 '고객 관리 시스템'과 '사건 관리 시스템'"이라며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 도입해 고객에게 홍보하고, 메신저와 업무 툴을 활용해 협업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국 사무소들을 관리하려면 튼튼한 시스템이 중요하다. 비록 후발주자지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시스템 등 시대 변화를 적극 반영했다"고 말했다. 시스템을 정비하는 동시에 구성원의 역량을 최대로 이끌어내는 데 집중했다. 로펌의 승패는 구성원에게 달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정 대표변호사는 "대륜에는 연공서열이 없다. 기수가 높다고 중요한 직책을 주지도 않는다. 대륜의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좋은 성과를 가져오는 구성원을 승진시키고 소장 등 중요 직책을 맡긴다"고 했다. 이어 "변호사의 대우는 최대한 높여주려고 노력했다. 대륜의 1년 차 신입변호사의 기본급은 세전 9360만 원이고, 여기에 성과급과 수당을 합치면 1억에 육박한다. 대륜만의 기준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고, 전체적으로 유연근무제도 실시한다. 육아를 하는 변호사들에게 상당히 만족도가 높다"고 했다. 일반·선임·책임·수석·총괄·최고총괄로 세분된 직책, 3년 근속자에게 지급되는 보너스 및 안식휴가로 장기근속을 독려하기도 한다. 정 대표변호사는 마지막으로 '넥스트 레벨(next level)'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최근 진행한 워크숍의 주제가 넥스트 레벨이었다. 이제 규모와 매출 면에서 성장을 거뒀으니 다음 단계로의 도약이 중요하다"라며 "기업 법무 등 전문 분야를 확실하게 다잡고 대륜의 브랜드 이미지도 강화해서, 새로운 차원의 성장을 이루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인터뷰] 정찬우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 변호사
법률신문
2023-06-26
[인터뷰] 정찬우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 변호사
[인터뷰] 정찬우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 변호사
"국내 12대 로펌으로 성장했지만 한국시장을 넘어 세계적 로펌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설립된 지 5년 만에 국내 12위 로펌으로 성장한 대륜을 이끄는 정찬우(41·변호사시험 8회) 경영총괄대표변호사 의 말이다. 정 대표변호사는 국내 주요 로펌의 경영총괄대표 중 드물게 로스쿨 출신이다. 2019년 변호사시험에 합격하고 4년 만에 수장 자리에 올랐다. 로펌 내부에서 통용되는 대표변호사를 넘어 전체 경영을 책임지는 경영총괄대표라는 점에서 더 이례적이다. 법무법인 대륜은 2018년 3월 진주에서 설립됐다. 정 대표변호사 이전에 경영총괄을 맡았던 심재국(42·2회) 대표변호사가 세웠다. 다음해 부산, 서울 등에 사무소를 개소하며 빠르게 확장해 현재 전국 32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 4월 말 기준으로 한국변호사 137명이 소속됐다. 변호사 수 기준으로 국내 12위 규모다. 6월 기준으로는 165명이다. 대륜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약 350억 원에 육박한다. 정 대표변호사는 심 대표변호사와 보폭을 맞추며 설립 초기부터 대륜의 성장을 이끌었다. 정 대표변호사는 "초반에 심 대표변호사와 전국 일대를 돌아다니며 사무실을 찾고 채용을 진행했다. 로펌의 기반을 닦는 데만 4~5년이 걸렸다. 균질한 서비스와 가격을 제공하는 데 주력했다"고 말했다. 그는 대륜만의 시스템을 강조했다. 정 대표변호사는 "우리 로펌을 지탱하는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것은 '고객 관리 시스템'과 '사건 관리 시스템'"이라며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 도입해 고객에게 홍보하고, 메신저와 업무 툴을 활용해 협업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국 사무소들을 관리하려면 튼튼한 시스템이 중요하다. 비록 후발주자지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시스템 등 시대 변화를 적극 반영했다"고 말했다. 시스템을 정비하는 동시에 구성원의 역량을 최대로 이끌어내는 데 집중했다. 로펌의 승패는 구성원에게 달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정 대표변호사는 "대륜에는 연공서열이 없다. 기수가 높다고 중요한 직책을 주지도 않는다. 대륜의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좋은 성과를 가져오는 구성원을 승진시키고 소장 등 중요 직책을 맡긴다"고 했다. 이어 "변호사의 대우는 최대한 높여주려고 노력했다. 대륜의 1년 차 신입변호사의 기본급은 세전 9360만 원이고, 여기에 성과급과 수당을 합치면 1억에 육박한다. 대륜만의 기준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고, 전체적으로 유연근무제도 실시한다. 육아를 하는 변호사들에게 상당히 만족도가 높다"고 했다. 일반·선임·책임·수석·총괄·최고총괄로 세분된 직책, 3년 근속자에게 지급되는 보너스 및 안식휴가로 장기근속을 독려하기도 한다. 정 대표변호사는 마지막으로 '넥스트 레벨(next level)'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최근 진행한 워크숍의 주제가 넥스트 레벨이었다. 이제 규모와 매출 면에서 성장을 거뒀으니 다음 단계로의 도약이 중요하다"라며 "기업 법무 등 전문 분야를 확실하게 다잡고 대륜의 브랜드 이미지도 강화해서, 새로운 차원의 성장을 이루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인터뷰] 정찬우 법무법인 대륜 경영총괄대표 변호사
MBC뉴스
2023-06-23
금감원이 '투자 손실'을 보상해 준다고?‥믿었던 주식투자자들 20억 털려
금감원이 '투자 손실'을 보상해 준다고?‥믿었던 주식투자자들 20억 털려
[앵커]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점점 다양해집니다. 이번에 붙잡힌 조직은 주식 투자에 실패한 사람들에게 금융감독원이라고 속이고 접근해 '손실금을 보상해 준다'고 했는데요. 귀가 솔깃해진 피해자들은 이들 일당이 하라는 대로 끌려다니다가 20억 원대의 거액을 털렸습니다. 김세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의 한 사무실로 경찰관들이 들이닥칩니다. 칸막이 책상들이 늘어서 있고, 벽에는 직원들의 업무 실적이 '바를 정' 자로 기록돼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범죄 현장입니다. 일당은 한 유명 투자자문업체 회원들을 노렸습니다. 최근 투자 손실을 본 회원들을 골라, 금융감독원에 있지도 않은 '피해보상팀'을 사칭하며 접근했습니다. [한영준/피해자 측 법률대리인/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 "'현재 금감원에서 손실금 피해 복구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라고 하면서 '많이 투자할수록 금감원으로부터 피해 복구를 많이 받을 수 있다'‥" 일당은 자신들의 계좌로 돈을 보내주면 더 많은 액수의 유명 가상화폐로 돌려주겠다고 피해자들을 꾀었습니다. 그러면서 가상화폐 지갑 앱을 내려받으라며 링크를 보냈습니다. 실제 가상화폐가 앱을 통해 들어온 걸 확인하자 피해자들은 경계심을 풀었습니다. 일당이 '환전에 필요하다'며 요구한 개인정보까지 넘겨준 겁니다. 하지만 가상화폐는 가짜였습니다. 일당은 손에 넣은 개인정보로 피해자들 명의의 대출을 받아 가로챘습니다. [김용섭 경위/경기 남양주남부경찰서 수사2팀] "투자리딩방 가입자들한테 보상을 해주겠다, 코인으로. (이렇게) 접근한 게 좀 특이한 점이고요. 이들도 피해금을 진짜 코인으로 지급받아서 (금융당국) 추적을 피하기 위해서‥" 피해자들을 두 번 울린 범행은 당국의 추적을 피해 1년 가까이 이어졌고, 지금까지 피해자는 72명, 피해액은 26억 원에 달합니다. 경찰은 이들 일당이 범행에 사용한 투자자 명단에 수만 명의 이름이 있는 것을 확인해 피해자가 더 많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조직원 14명을 검거해 총책인 30대 여성 등 7명을 구속하고, 투자자문사 명단이 유출된 경위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세영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금감원이 '투자 손실'을 보상해 준다고?‥믿었던 주식투자자들 20억 털려
MBC뉴스
2023-06-23
금감원이 '투자 손실'을 보상해 준다고?‥믿었던 주식투자자들 20억 털려
금감원이 '투자 손실'을 보상해 준다고?‥믿었던 주식투자자들 20억 털려
[앵커]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점점 다양해집니다. 이번에 붙잡힌 조직은 주식 투자에 실패한 사람들에게 금융감독원이라고 속이고 접근해 '손실금을 보상해 준다'고 했는데요. 귀가 솔깃해진 피해자들은 이들 일당이 하라는 대로 끌려다니다가 20억 원대의 거액을 털렸습니다. 김세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의 한 사무실로 경찰관들이 들이닥칩니다. 칸막이 책상들이 늘어서 있고, 벽에는 직원들의 업무 실적이 '바를 정' 자로 기록돼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범죄 현장입니다. 일당은 한 유명 투자자문업체 회원들을 노렸습니다. 최근 투자 손실을 본 회원들을 골라, 금융감독원에 있지도 않은 '피해보상팀'을 사칭하며 접근했습니다. [한영준/피해자 측 법률대리인/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 "'현재 금감원에서 손실금 피해 복구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라고 하면서 '많이 투자할수록 금감원으로부터 피해 복구를 많이 받을 수 있다'‥" 일당은 자신들의 계좌로 돈을 보내주면 더 많은 액수의 유명 가상화폐로 돌려주겠다고 피해자들을 꾀었습니다. 그러면서 가상화폐 지갑 앱을 내려받으라며 링크를 보냈습니다. 실제 가상화폐가 앱을 통해 들어온 걸 확인하자 피해자들은 경계심을 풀었습니다. 일당이 '환전에 필요하다'며 요구한 개인정보까지 넘겨준 겁니다. 하지만 가상화폐는 가짜였습니다. 일당은 손에 넣은 개인정보로 피해자들 명의의 대출을 받아 가로챘습니다. [김용섭 경위/경기 남양주남부경찰서 수사2팀] "투자리딩방 가입자들한테 보상을 해주겠다, 코인으로. (이렇게) 접근한 게 좀 특이한 점이고요. 이들도 피해금을 진짜 코인으로 지급받아서 (금융당국) 추적을 피하기 위해서‥" 피해자들을 두 번 울린 범행은 당국의 추적을 피해 1년 가까이 이어졌고, 지금까지 피해자는 72명, 피해액은 26억 원에 달합니다. 경찰은 이들 일당이 범행에 사용한 투자자 명단에 수만 명의 이름이 있는 것을 확인해 피해자가 더 많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조직원 14명을 검거해 총책인 30대 여성 등 7명을 구속하고, 투자자문사 명단이 유출된 경위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세영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금감원이 '투자 손실'을 보상해 준다고?‥믿었던 주식투자자들 20억 털려
서울신문
2023-06-22
업무상 배임 등 22건 무혐의 결론난 지점…어떻게 가능했나
업무상 배임 등 22건 무혐의 결론난 지점…어떻게 가능했나
회사 본사가 독립재산제로 운영되는 지점을 상대로 업무상배임 등 22건의 고소를 진행했으나 모두 수사 단계에서 불송치, 불기소 결정을 받으며 사건이 종결됐다. 22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사건의 주요 내용은 이렇다. 피의자의 회사는 법인을 새로 설립하면서 합병하는 조건으로 주식회사와 합병됐다. 그러나 갈등이 발생하면서 A지점을 피의자가 담당하고 독립재산제, 즉 별개의 법인으로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매출과 수익금 등을 본사와 분리하여 회계 처리해왔는데 회사 본사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고 피의자 담당 A지점은 매출이 증가했다. 이에 본사는 외상매입금, 페이백 등으로 회사에 수십억 원대 손해를 끼쳤다고 주장하며, 피의자를 상대로 업무상횡령, 업무상배임 등 22건의 고소를 했다. 오히려 피의자는 사업초기 법인 양도 및 양수 시부터 수십억 원대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했다. 사건은 경찰조사 단계에서 21건 불송치로 마무리되고, 1건은 검찰 송치 후 일주일 만에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관할검찰청은 “피의자 변호인의 자료에 따르면 적정한 송금과 그에 따른 적정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음을 알 수 있다”며 “고소인의 추측성 주장만으로 피의사실을 인정하기 어렵고 달리 피의사실을 인정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피의자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은 “특수부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가 수사에 직접 입회해 진술 대응하는 등 사건 초기부터 동행했다”며 “법인의 매출과 수익금을 피의자가 임의로 사용한 것에는 문제가 있어 보였으나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이 없고 지점 운영에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불법영득의사가 없는 점을 적극 주장하여 무혐의 처분을 받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업무상 배임 등 22건 무혐의 결론난 지점…어떻게 가능했나
서울신문
2023-06-22
업무상 배임 등 22건 무혐의 결론난 지점…어떻게 가능했나
업무상 배임 등 22건 무혐의 결론난 지점…어떻게 가능했나
회사 본사가 독립재산제로 운영되는 지점을 상대로 업무상배임 등 22건의 고소를 진행했으나 모두 수사 단계에서 불송치, 불기소 결정을 받으며 사건이 종결됐다. 22일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사건의 주요 내용은 이렇다. 피의자의 회사는 법인을 새로 설립하면서 합병하는 조건으로 주식회사와 합병됐다. 그러나 갈등이 발생하면서 A지점을 피의자가 담당하고 독립재산제, 즉 별개의 법인으로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매출과 수익금 등을 본사와 분리하여 회계 처리해왔는데 회사 본사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고 피의자 담당 A지점은 매출이 증가했다. 이에 본사는 외상매입금, 페이백 등으로 회사에 수십억 원대 손해를 끼쳤다고 주장하며, 피의자를 상대로 업무상횡령, 업무상배임 등 22건의 고소를 했다. 오히려 피의자는 사업초기 법인 양도 및 양수 시부터 수십억 원대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했다. 사건은 경찰조사 단계에서 21건 불송치로 마무리되고, 1건은 검찰 송치 후 일주일 만에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관할검찰청은 “피의자 변호인의 자료에 따르면 적정한 송금과 그에 따른 적정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음을 알 수 있다”며 “고소인의 추측성 주장만으로 피의사실을 인정하기 어렵고 달리 피의사실을 인정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피의자를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은 “특수부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가 수사에 직접 입회해 진술 대응하는 등 사건 초기부터 동행했다”며 “법인의 매출과 수익금을 피의자가 임의로 사용한 것에는 문제가 있어 보였으나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이 없고 지점 운영에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불법영득의사가 없는 점을 적극 주장하여 무혐의 처분을 받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업무상 배임 등 22건 무혐의 결론난 지점…어떻게 가능했나
이투뉴스
2023-06-19
국가 공무원 행정처분 성범죄 벌금 100만원 이상 퇴직...영구퇴출 기준은?
국가 공무원 행정처분 성범죄 벌금 100만원 이상 퇴직...영구퇴출 기준은?
성범죄는 대표적인 강력 범죄로 타인의 신체의 자유와 성적인 자유를 침해하고 성적 수치심이나 불쾌감을 유발하는 일련의 모든 범죄 행위를 말하며, 직접적인 대면형 성범죄인 강간, 준강간, 강제추행 등부터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성범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성범죄는 형법과 성폭법에 의거하여 강도 높게 처벌되는데, 범죄를 저지른 자가 일반인이 아니라 나라를 위해 일하는 국가공무원일 경우에는 형사 처벌 외에도 별도의 행정처분이 함께 내려지게 된다. 지난 2019년 개정된 국가공무원법에 따르면 공무원이 성범죄로 벌금 100만원 이상의 판결을 받는 경우에는 당연 퇴직 또는 임용 결격 사유에 해당하게 된다.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서 정하는 ‘성폭력범죄’는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받으면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없도록 강하게 제한하고 있다. 또한 대면 범죄가 아닌 ‘온라인에서 음란물을 배포·판매·전시하는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에도 ‘성폭력범죄’에 준해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받으면 3년간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없도록 제한을 두고 있다. 이처럼 국가공무원이 성범죄로 벌금 100만원 이상 선고받을 경우 당연 퇴직 사유에 해당하는데, 피해자가 성인이 아닌 미성년자일 경우에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공직에서 영구적 퇴출 조치하고 공시생은 임용 자체를 제한한다. 또한 국가공무원의 성범죄 행위는 행위자 개인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끝나지 않는다. 성범죄 신고를 받은 소속기관장이 사건을 은폐·묵인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조직적으로 문제를 덮으려고 시도할 경우 인사혁신처가 인사감사가 실시된다. 문제가 적발될 경우 기관명과 관련 사실을 인사혁신처 홈페이지를 통해 3개월 이상 공표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성익 변호사는 “공무원의 성범죄 혐의는 그 죄가 무겁게 다뤄지고 형사처분만이 아니라 행정처분까지 양측 대응이 필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되도록 관련 사건 수행 경험이 많은 형사·행정전문변호사를 통해 법률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국가 공무원 행정처분 성범죄 벌금 100만원 이상 퇴직...영구퇴출 기준은?
이투뉴스
2023-06-19
국가 공무원 행정처분 성범죄 벌금 100만원 이상 퇴직...영구퇴출 기준은?
국가 공무원 행정처분 성범죄 벌금 100만원 이상 퇴직...영구퇴출 기준은?
성범죄는 대표적인 강력 범죄로 타인의 신체의 자유와 성적인 자유를 침해하고 성적 수치심이나 불쾌감을 유발하는 일련의 모든 범죄 행위를 말하며, 직접적인 대면형 성범죄인 강간, 준강간, 강제추행 등부터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성범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성범죄는 형법과 성폭법에 의거하여 강도 높게 처벌되는데, 범죄를 저지른 자가 일반인이 아니라 나라를 위해 일하는 국가공무원일 경우에는 형사 처벌 외에도 별도의 행정처분이 함께 내려지게 된다. 지난 2019년 개정된 국가공무원법에 따르면 공무원이 성범죄로 벌금 100만원 이상의 판결을 받는 경우에는 당연 퇴직 또는 임용 결격 사유에 해당하게 된다.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서 정하는 ‘성폭력범죄’는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받으면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없도록 강하게 제한하고 있다. 또한 대면 범죄가 아닌 ‘온라인에서 음란물을 배포·판매·전시하는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에도 ‘성폭력범죄’에 준해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받으면 3년간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없도록 제한을 두고 있다. 이처럼 국가공무원이 성범죄로 벌금 100만원 이상 선고받을 경우 당연 퇴직 사유에 해당하는데, 피해자가 성인이 아닌 미성년자일 경우에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공직에서 영구적 퇴출 조치하고 공시생은 임용 자체를 제한한다. 또한 국가공무원의 성범죄 행위는 행위자 개인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끝나지 않는다. 성범죄 신고를 받은 소속기관장이 사건을 은폐·묵인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조직적으로 문제를 덮으려고 시도할 경우 인사혁신처가 인사감사가 실시된다. 문제가 적발될 경우 기관명과 관련 사실을 인사혁신처 홈페이지를 통해 3개월 이상 공표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성익 변호사는 “공무원의 성범죄 혐의는 그 죄가 무겁게 다뤄지고 형사처분만이 아니라 행정처분까지 양측 대응이 필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되도록 관련 사건 수행 경험이 많은 형사·행정전문변호사를 통해 법률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국가 공무원 행정처분 성범죄 벌금 100만원 이상 퇴직...영구퇴출 기준은?
법률신문
2023-06-14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 ‘20대 로펌’ 이끈다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 ‘20대 로펌’ 이끈다
20대 로펌을 이끄는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단순히 대표 자리에 이름을 올리는 것을 넘어 경영총괄로서 법인을 이끈다. 한때 젊은 변호사로 인식되던 로스쿨 출신 변호사들은 20대 주요 로펌의 수장 자리에 오르는 등 새로운 법조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다. 국내 12위 규모의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정찬우(41·변호사시험 8회) 변호사가 경영총괄대표 자리에 올랐다. 그간 대륜의 대표변호사로 활약했던 그는 지난달 22일 경영총괄대표로서 임기를 시작했다. 대륜에는 4월 30일 기준으로 한국변호사 137명이 소속됐다. 변호사 수 기준으로 국내 12위 규모다. 6월 7일 기준으로는 158명의 한국변호사가 있을 정도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3월 심재국(42·2회) 변호사를 중심으로 설립된 설립된 대륜은 형사, 이혼, 노동 분야의 사건을 다수 수행한다. 형사전문센터를 운영할 정도로 형사 분야에 특화됐다. 하나의 법무법인을 표방하며 전국 주요 거점 지역에 분사무소를 내고 유기적인 공조 체제를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와이케이, 로엘과 같은 네트워크 로펌으로 분류된다. 심재국 변호사에 이어 대륜을 이끄는 정찬우 변호사는 업무상과실치사, 코인사기, 사해행위취소소송 등 민형사 분야의 사건을 폭넓게 수행했다. 대법원과 부산지법에서 형사 국선변호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현재 대륜에는 대표변호사를 의미하는 '최고총괄변호사'가 15명이다. 이 중에서 정찬우, 심재국 변호사 외에 고병준(49·9회), 박동일(37·8회) 변호사도 로스쿨 출신이다. 기사전문보기 -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 ‘20대 로펌’ 이끈다
법률신문
2023-06-14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 ‘20대 로펌’ 이끈다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 ‘20대 로펌’ 이끈다
20대 로펌을 이끄는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단순히 대표 자리에 이름을 올리는 것을 넘어 경영총괄로서 법인을 이끈다. 한때 젊은 변호사로 인식되던 로스쿨 출신 변호사들은 20대 주요 로펌의 수장 자리에 오르는 등 새로운 법조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다. 국내 12위 규모의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정찬우(41·변호사시험 8회) 변호사가 경영총괄대표 자리에 올랐다. 그간 대륜의 대표변호사로 활약했던 그는 지난달 22일 경영총괄대표로서 임기를 시작했다. 대륜에는 4월 30일 기준으로 한국변호사 137명이 소속됐다. 변호사 수 기준으로 국내 12위 규모다. 6월 7일 기준으로는 158명의 한국변호사가 있을 정도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3월 심재국(42·2회) 변호사를 중심으로 설립된 설립된 대륜은 형사, 이혼, 노동 분야의 사건을 다수 수행한다. 형사전문센터를 운영할 정도로 형사 분야에 특화됐다. 하나의 법무법인을 표방하며 전국 주요 거점 지역에 분사무소를 내고 유기적인 공조 체제를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와이케이, 로엘과 같은 네트워크 로펌으로 분류된다. 심재국 변호사에 이어 대륜을 이끄는 정찬우 변호사는 업무상과실치사, 코인사기, 사해행위취소소송 등 민형사 분야의 사건을 폭넓게 수행했다. 대법원과 부산지법에서 형사 국선변호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현재 대륜에는 대표변호사를 의미하는 '최고총괄변호사'가 15명이다. 이 중에서 정찬우, 심재국 변호사 외에 고병준(49·9회), 박동일(37·8회) 변호사도 로스쿨 출신이다. 기사전문보기 - ‘로스쿨 출신’ 대표변호사… ‘20대 로펌’ 이끈다
로리더
2023-06-14
군 고엽제후유증 환자 등록거부처분, 행정소송 통해 정당한 권리 찾아야
군 고엽제후유증 환자 등록거부처분, 행정소송 통해 정당한 권리 찾아야
국내에는 과거 베트남전에 파병을 나갔다 부상을 당하거나 혹은 후유증 장애로 인하여 고생을 하는 퇴역 군인들이 많다. 그중에는 고엽제로 인한 피해 보상 관련하여 환자 등록거부처분을 받아 아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고엽제란 나무를 고사하기 위하여 발포하는 제초제를 말하며, 독성이 강해서 베트남전에서 사용한 화학성 무기이다. 다이옥신이라고 말하는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은데, 이 물질의 독성은 청산가리보다도 강한 위험 물질이다. 고엽제에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아직까지 후유증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보상을 받아 치료에 집중해야 하는 만큼 환자 등록이 거부될 시 고엽제행정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베트남전 고엽제 피해를 입은 사람이라면 본인의 피해에 대하여 법적으로 소명할 준비를 마치고 이후 고엽제행정소송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자신이 고엽제 후유증의 대상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기준에 부합되는지 확인해야 하며 장해등급을 판정받을 수 있도록 객관적인 증빙서류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고엽제로 인해 입은 육체적인 그리고 정신적인 고통에서 일정 부분 해소를 받고 싶다면 고엽제 피해에 대한 것은 국가보훈처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국가보훈처는 이에 대하여 불승인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행정심판 그리고 고엽제행정소송을 통해 이의 제기를 하고 처분의 효력을 다투어 권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고엽제 피해자라면 환자 등록이 이뤄져야 금전적인 보상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하여 포기하면 안된다”면서 “군전문변호사와 함께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법률적 대응 방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아무리 전쟁이 끝난 지 시간이 오래 지났어도 법적으로 본인의 권리를 제대로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군 고엽제후유증 환자 등록거부처분, 행정소송 통해 정당한 권리 찾아야
로리더
2023-06-14
군 고엽제후유증 환자 등록거부처분, 행정소송 통해 정당한 권리 찾아야
군 고엽제후유증 환자 등록거부처분, 행정소송 통해 정당한 권리 찾아야
국내에는 과거 베트남전에 파병을 나갔다 부상을 당하거나 혹은 후유증 장애로 인하여 고생을 하는 퇴역 군인들이 많다. 그중에는 고엽제로 인한 피해 보상 관련하여 환자 등록거부처분을 받아 아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고엽제란 나무를 고사하기 위하여 발포하는 제초제를 말하며, 독성이 강해서 베트남전에서 사용한 화학성 무기이다. 다이옥신이라고 말하는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은데, 이 물질의 독성은 청산가리보다도 강한 위험 물질이다. 고엽제에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아직까지 후유증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보상을 받아 치료에 집중해야 하는 만큼 환자 등록이 거부될 시 고엽제행정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베트남전 고엽제 피해를 입은 사람이라면 본인의 피해에 대하여 법적으로 소명할 준비를 마치고 이후 고엽제행정소송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자신이 고엽제 후유증의 대상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기준에 부합되는지 확인해야 하며 장해등급을 판정받을 수 있도록 객관적인 증빙서류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고엽제로 인해 입은 육체적인 그리고 정신적인 고통에서 일정 부분 해소를 받고 싶다면 고엽제 피해에 대한 것은 국가보훈처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국가보훈처는 이에 대하여 불승인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행정심판 그리고 고엽제행정소송을 통해 이의 제기를 하고 처분의 효력을 다투어 권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고엽제 피해자라면 환자 등록이 이뤄져야 금전적인 보상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하여 포기하면 안된다”면서 “군전문변호사와 함께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법률적 대응 방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아무리 전쟁이 끝난 지 시간이 오래 지났어도 법적으로 본인의 권리를 제대로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군 고엽제후유증 환자 등록거부처분, 행정소송 통해 정당한 권리 찾아야
한국아파트신문
2023-06-12
분양전환 공공임대의 하자담보책임 기간 논란 [특별기고]
분양전환 공공임대의 하자담보책임 기간 논란 [특별기고]
공공임대주택은 공공주택특별법 제2조 제1호(가)목에 따라 임대 또는 임대한 후 분양전환을 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택이다. 임대의무기간이 지나면 승인을 받아 분양전환 할 수 있고, 일정한 요건을 갖춘 임차인은 우선해 분양전환 받을 수 있다. 공공임대주택에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공동주택관리법 제36조 내지 제37조에 의하면 입주자 등은 사업주체에게 하자보수를 청구할 수 있다. 과거에는 분양전환 이전의 공공임대주택의 임차인들이 사실상 분양전환권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건설회사에 하자보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없었다. 구 공동주택관리법(2018. 2. 10. 법률 제1485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제2항이 신설되면서 비로소 하자보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공공임대주택의 임차인들이 하자보수를 청구할 수 있게 된 것은 임차인 보호에 있어서는 환영할만한 일이다. 하지만 이후 공공임대주택의 분양전환이 이뤄질 때는 사업주체의 하자담보책임이 지나치게 장기간으로 연장돼 불합리한 결과를 낳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구 집합건물법(2014. 6. 3. 법률 제127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의 2에 의하면 ‘하자보수청구권의 제척기간은 전유부분에 대해서는 구분소유자에게 인도된 날부터, 공유부분에 대해서는 사용검사일 또는 사용승인일로부터 기산’해야 한다. 이 규정은 부칙 제1조에 따라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부칙 제3조에 따라 위 법 시행 전 분양된 건물의 담보책임에 관해서는 종전의 규정에 따르도록 한다. 따라서 2013. 6. 19. 이후에 분양된 공공임대주택 전유부분의 기산일은 분양전환 이후 최초의 구분소유자에게 인도된 날이 된다. 사업주체는 구 공동주택관리법(2018. 2. 10. 법률 제1485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제2항에 의해 분양전환 이전에도 이미 임차인들에 대한 하자보수 의무가 있었다. 결국 구 집합건물법 제9조의 2 신설로 인해 임차인이 장기간 사용한 건물에 대해 신규 분양한 건물과 동일한 하자담보책임을 다시 부담하는 것과 다를 바 없게 된 것이다. 사업주체의 입장에서는 지나치게 장기간 보수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는 점에서 불만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일부 사업주체들은 공공임대주택을 분양전환한 이후에도 전유부분 하자담보책임기간의 기산일을 ‘건축 후 최초 인도’한 때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대법원 2012. 5. 10. 선고 2011다66610 판결 등이 “임대 후 분양전환된 집합건물의 경우에도 분양전환 시점이 아닌 임대에 의해 집합건물을 인도받은 시점부터 하자담보책임의 제척기간이 진행한다고 할 것”이라고 판시한 것에 근거한다. 위 대법원 판결은 “구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05. 5. 26. 법률 제75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가 준용하는 민법 제671조 제1항 단서는 하자의 종류나 하자의 발생 시점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하자담보책임의 제척기간을 ‘인도’ 후 10년으로 정하고 있는데, 구 집합건물법 제9조와 민법 제667조 내지 제671조의 각 규정 내용에 비춰 위 ‘인도’는 인도의 원인관계를 불문하고 ‘건축 후 최초 인도’를 의미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봤다. 그러나 이러한 법원의 견해는 구 집합건물법(2014. 6. 3. 법률 제127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의 2가 신설된 이후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8다245184 판결 등이 “분양전환 세대의 경우 개정 집합건물법 제9조의 2 제2항 제1호의 ‘구분소유자에게 인도한 날’의 의미는 ‘임차인으로서 최초로 인도받은 날’이 아니라 ‘구분소유자의 지위에서 점유를 시작한 날’로 해석함이 합당하다”는 취지의 판결을 한 것으로 봐 자연스럽게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분양전환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둘러싼 사업주체와 구분소유자들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이후 10년간 공공임대 후 분양전환 예정인 주택이 총 7만4574세대에 이른다. 공동주택관리법 제39조에 따라 설치된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도 분양전환된 공공임대주택의 하자보수를 요청하는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법무부, 국토부, 감사원 등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조속한 시일 내에 집합건물법 제9조의 2를 비롯한 관련 법령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 분양전환 공공임대의 하자담보책임 기간 논란 [특별기고]
한국아파트신문
2023-06-12
분양전환 공공임대의 하자담보책임 기간 논란 [특별기고]
분양전환 공공임대의 하자담보책임 기간 논란 [특별기고]
공공임대주택은 공공주택특별법 제2조 제1호(가)목에 따라 임대 또는 임대한 후 분양전환을 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택이다. 임대의무기간이 지나면 승인을 받아 분양전환 할 수 있고, 일정한 요건을 갖춘 임차인은 우선해 분양전환 받을 수 있다. 공공임대주택에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공동주택관리법 제36조 내지 제37조에 의하면 입주자 등은 사업주체에게 하자보수를 청구할 수 있다. 과거에는 분양전환 이전의 공공임대주택의 임차인들이 사실상 분양전환권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건설회사에 하자보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없었다. 구 공동주택관리법(2018. 2. 10. 법률 제1485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제2항이 신설되면서 비로소 하자보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공공임대주택의 임차인들이 하자보수를 청구할 수 있게 된 것은 임차인 보호에 있어서는 환영할만한 일이다. 하지만 이후 공공임대주택의 분양전환이 이뤄질 때는 사업주체의 하자담보책임이 지나치게 장기간으로 연장돼 불합리한 결과를 낳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구 집합건물법(2014. 6. 3. 법률 제127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의 2에 의하면 ‘하자보수청구권의 제척기간은 전유부분에 대해서는 구분소유자에게 인도된 날부터, 공유부분에 대해서는 사용검사일 또는 사용승인일로부터 기산’해야 한다. 이 규정은 부칙 제1조에 따라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부칙 제3조에 따라 위 법 시행 전 분양된 건물의 담보책임에 관해서는 종전의 규정에 따르도록 한다. 따라서 2013. 6. 19. 이후에 분양된 공공임대주택 전유부분의 기산일은 분양전환 이후 최초의 구분소유자에게 인도된 날이 된다. 사업주체는 구 공동주택관리법(2018. 2. 10. 법률 제1485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제2항에 의해 분양전환 이전에도 이미 임차인들에 대한 하자보수 의무가 있었다. 결국 구 집합건물법 제9조의 2 신설로 인해 임차인이 장기간 사용한 건물에 대해 신규 분양한 건물과 동일한 하자담보책임을 다시 부담하는 것과 다를 바 없게 된 것이다. 사업주체의 입장에서는 지나치게 장기간 보수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는 점에서 불만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일부 사업주체들은 공공임대주택을 분양전환한 이후에도 전유부분 하자담보책임기간의 기산일을 ‘건축 후 최초 인도’한 때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대법원 2012. 5. 10. 선고 2011다66610 판결 등이 “임대 후 분양전환된 집합건물의 경우에도 분양전환 시점이 아닌 임대에 의해 집합건물을 인도받은 시점부터 하자담보책임의 제척기간이 진행한다고 할 것”이라고 판시한 것에 근거한다. 위 대법원 판결은 “구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05. 5. 26. 법률 제75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가 준용하는 민법 제671조 제1항 단서는 하자의 종류나 하자의 발생 시점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하자담보책임의 제척기간을 ‘인도’ 후 10년으로 정하고 있는데, 구 집합건물법 제9조와 민법 제667조 내지 제671조의 각 규정 내용에 비춰 위 ‘인도’는 인도의 원인관계를 불문하고 ‘건축 후 최초 인도’를 의미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봤다. 그러나 이러한 법원의 견해는 구 집합건물법(2014. 6. 3. 법률 제127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의 2가 신설된 이후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8다245184 판결 등이 “분양전환 세대의 경우 개정 집합건물법 제9조의 2 제2항 제1호의 ‘구분소유자에게 인도한 날’의 의미는 ‘임차인으로서 최초로 인도받은 날’이 아니라 ‘구분소유자의 지위에서 점유를 시작한 날’로 해석함이 합당하다”는 취지의 판결을 한 것으로 봐 자연스럽게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분양전환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둘러싼 사업주체와 구분소유자들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이후 10년간 공공임대 후 분양전환 예정인 주택이 총 7만4574세대에 이른다. 공동주택관리법 제39조에 따라 설치된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도 분양전환된 공공임대주택의 하자보수를 요청하는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법무부, 국토부, 감사원 등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조속한 시일 내에 집합건물법 제9조의 2를 비롯한 관련 법령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기사전문보기 - 분양전환 공공임대의 하자담보책임 기간 논란 [특별기고]
매일신문 외
2023-06-08
바른부모회-법무법인 대륜,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협력 위한 MOU 체결
바른부모회-법무법인 대륜,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협력 위한 MOU 체결
대구 지역 학부모단체인 바른부모회는 법무법인 대륜과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피해 학부모 또는 학생에 대한 지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달 31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학교폭력, 소년보호사건 등에서 피해학부모 또는 학생들이 어려운 법조계의 벽을 넘어 보다 쉽게 법률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학교폭력 관련 상담지원 ▷바른부모회 회원의 가족구성원의 법률서비스 제공 ▷상호 공동마케팅 방안 등이 있었다. 조승현 바른부모회 회장은 "상담직통전화 서비스 역시 흔쾌히 허락해주며 적극 지원에 나서준 법무법인 대륜에 감사를 전한다"며 "나아가 공익사업 및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나가길 희망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매일신문 - 바른부모회-법무법인 대륜,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협력 위한 MOU 체결 비욘드포스트 - 법무법인(유한)대륜, 바른부모회와 업무협력을 위한 MOU 체결
매일신문 외
2023-06-08
바른부모회-법무법인 대륜,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협력 위한 MOU 체결
바른부모회-법무법인 대륜,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협력 위한 MOU 체결
대구 지역 학부모단체인 바른부모회는 법무법인 대륜과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피해 학부모 또는 학생에 대한 지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달 31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학교폭력, 소년보호사건 등에서 피해학부모 또는 학생들이 어려운 법조계의 벽을 넘어 보다 쉽게 법률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학교폭력 관련 상담지원 ▷바른부모회 회원의 가족구성원의 법률서비스 제공 ▷상호 공동마케팅 방안 등이 있었다. 조승현 바른부모회 회장은 "상담직통전화 서비스 역시 흔쾌히 허락해주며 적극 지원에 나서준 법무법인 대륜에 감사를 전한다"며 "나아가 공익사업 및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나가길 희망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매일신문 - 바른부모회-법무법인 대륜, 아동청소년 관련 법적 분쟁에서 협력 위한 MOU 체결 비욘드포스트 - 법무법인(유한)대륜, 바른부모회와 업무협력을 위한 MOU 체결
KBS
2023-06-07
‘정유정 사건’ 검찰 수사 본격화…‘범행 동기’ 파악이 핵심
‘정유정 사건’ 검찰 수사 본격화…‘범행 동기’ 파악이 핵심
[KBS 부산] [앵커] 검찰이 전담수사팀을 꾸리고, 또래 여성을 살해한 정유정 사건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신분을 속이면서까지 범행을 저지른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만큼, 범행 이유와 목적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준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 지난 2일 신상공개 후 처음으로 언론 앞에 선 정유정.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짧은 사과의 말은 남겼지만, 범행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피해자를 왜 살해 하셨습니까?) …. (피해 여성을 범행 대상으로 특정한 이유가 뭔가요?) …."] 지금까지 알려진 건 살인을 해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고, 실제 행동으로 옮겼다는 게 답니다. 신분을 속이기 위해 학부모로 둔갑하고, 피해 여성 집을 찾을 때는 교복까지 입고 가는 등 상식적이지 않은 행동을 보였던 만큼 '살인 충동' 말고도 이른바 '신분 바꾸기' 등 또 다른 목적이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유정은 긴급체포된 뒤 경찰 조사에서 "피해 여성 집에 들어갔을 때 이미 여성이 숨져 있었다"며, 범행을 부인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살인을 저지른 사람이 자신에게 피해자 신분으로 살게 해줄 테니 시신을 유기하라고 시켰다"고 말했던 사실도 알려지고 있습니다.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이 검사실 3곳을 투입해 '전담수사팀'을 꾸린 것도 이처럼 아직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범행 동기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일권/변호사/前 검사 : "(검찰은) 이 사건에 대해서 심리 분석이나 동기에 중점을 두고 수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살인 사건의 경우에는 범행의 동기가 형량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검찰은 오는 11일, 구속 기한이 끝날 때까지 수사를 벌이고, 필요할 경우 구속 기한을 한 차례 더 연장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정유정 사건’ 검찰 수사 본격화…‘범행 동기’ 파악이 핵심
KBS
2023-06-07
‘정유정 사건’ 검찰 수사 본격화…‘범행 동기’ 파악이 핵심
‘정유정 사건’ 검찰 수사 본격화…‘범행 동기’ 파악이 핵심
[KBS 부산] [앵커] 검찰이 전담수사팀을 꾸리고, 또래 여성을 살해한 정유정 사건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신분을 속이면서까지 범행을 저지른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만큼, 범행 이유와 목적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준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 지난 2일 신상공개 후 처음으로 언론 앞에 선 정유정.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짧은 사과의 말은 남겼지만, 범행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피해자를 왜 살해 하셨습니까?) …. (피해 여성을 범행 대상으로 특정한 이유가 뭔가요?) …."] 지금까지 알려진 건 살인을 해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고, 실제 행동으로 옮겼다는 게 답니다. 신분을 속이기 위해 학부모로 둔갑하고, 피해 여성 집을 찾을 때는 교복까지 입고 가는 등 상식적이지 않은 행동을 보였던 만큼 '살인 충동' 말고도 이른바 '신분 바꾸기' 등 또 다른 목적이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유정은 긴급체포된 뒤 경찰 조사에서 "피해 여성 집에 들어갔을 때 이미 여성이 숨져 있었다"며, 범행을 부인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살인을 저지른 사람이 자신에게 피해자 신분으로 살게 해줄 테니 시신을 유기하라고 시켰다"고 말했던 사실도 알려지고 있습니다.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이 검사실 3곳을 투입해 '전담수사팀'을 꾸린 것도 이처럼 아직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범행 동기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일권/변호사/前 검사 : "(검찰은) 이 사건에 대해서 심리 분석이나 동기에 중점을 두고 수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살인 사건의 경우에는 범행의 동기가 형량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검찰은 오는 11일, 구속 기한이 끝날 때까지 수사를 벌이고, 필요할 경우 구속 기한을 한 차례 더 연장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정유정 사건’ 검찰 수사 본격화…‘범행 동기’ 파악이 핵심
더파워뉴스
2023-05-30
도산에 따른 개인회생, 신중하게 절차 진행해야
도산에 따른 개인회생, 신중하게 절차 진행해야
[더파워 민진 기자] 최근 금리 인상, 물가 상승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중에는 단순히 이전에 비해 살아가기 어렵다는 정도에서 벗어나 기본적인 생계를 유지하기조차 어려워진 사람들이 적지 않다. 자신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채무로 인한 이자와 원금을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면 개인회생 절차를 통해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인회생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파탄 위기에 처한 개인채무자가 장래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입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회생 제도이다. 개인회생 신청이 인용된 채무자는 자신의 소득 중 생계비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으로 3-5년간 빚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변제하면 나머지 부채를 탕감 받을 수 있다. 또한 개인회생을 받은 채무자는 채권자의 압류, 가압류, 독촉 등 강제집행을 중지 및 금할 수 있으며, 은행 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사용도 가능하다. 아울러 자신의 채무로 인해 배우자 및 자녀 등 가족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는다. 이처럼 혜택이 큰 만큼 개인회생은 아무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급여소득자 또는 영업소득자로 고정적이고 확실한 수입을 지속적으로 얻을 가능성이 있는 자, 총 채무액이 무담보채무의 경우 10억원, 담보채무의 경우 15억원 이하, 지급 불능 상태(재산보다 부채가 더 많은 경우)로 제한하고 있다. 신청 절차 역시 까다로운데, 개인회생채권자 목록 및 재산목록, 채무자의 수입 및 지출에 관한 상세 목록, 급여소득자 및 영업소득자를 증명하는 자료, 구체적인 변제계획안 작성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또한 주의해야 할 점은 개인회생 인가 결정을 받더라도 높은 변제금을 감당하지 못한다면 면책결정이 취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인가를 받았을 때 변제금을 어떻게 갚아 나갈 것인가에 대한 명확하고 현실적인 계획이 수립돼야만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영규 변호사는 “개인회생 도산 관련 문제는 구비해야 하는 서류가 많은 데다 실현 가능한 변제계획안을 작성하는 등 빈틈없이 준비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도산 전문 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신중하게 절차를 밟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도산에 따른 개인회생, 신중하게 절차 진행해야
더파워뉴스
2023-05-30
도산에 따른 개인회생, 신중하게 절차 진행해야
도산에 따른 개인회생, 신중하게 절차 진행해야
[더파워 민진 기자] 최근 금리 인상, 물가 상승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중에는 단순히 이전에 비해 살아가기 어렵다는 정도에서 벗어나 기본적인 생계를 유지하기조차 어려워진 사람들이 적지 않다. 자신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채무로 인한 이자와 원금을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면 개인회생 절차를 통해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인회생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파탄 위기에 처한 개인채무자가 장래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입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회생 제도이다. 개인회생 신청이 인용된 채무자는 자신의 소득 중 생계비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으로 3-5년간 빚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변제하면 나머지 부채를 탕감 받을 수 있다. 또한 개인회생을 받은 채무자는 채권자의 압류, 가압류, 독촉 등 강제집행을 중지 및 금할 수 있으며, 은행 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사용도 가능하다. 아울러 자신의 채무로 인해 배우자 및 자녀 등 가족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는다. 이처럼 혜택이 큰 만큼 개인회생은 아무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급여소득자 또는 영업소득자로 고정적이고 확실한 수입을 지속적으로 얻을 가능성이 있는 자, 총 채무액이 무담보채무의 경우 10억원, 담보채무의 경우 15억원 이하, 지급 불능 상태(재산보다 부채가 더 많은 경우)로 제한하고 있다. 신청 절차 역시 까다로운데, 개인회생채권자 목록 및 재산목록, 채무자의 수입 및 지출에 관한 상세 목록, 급여소득자 및 영업소득자를 증명하는 자료, 구체적인 변제계획안 작성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또한 주의해야 할 점은 개인회생 인가 결정을 받더라도 높은 변제금을 감당하지 못한다면 면책결정이 취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인가를 받았을 때 변제금을 어떻게 갚아 나갈 것인가에 대한 명확하고 현실적인 계획이 수립돼야만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영규 변호사는 “개인회생 도산 관련 문제는 구비해야 하는 서류가 많은 데다 실현 가능한 변제계획안을 작성하는 등 빈틈없이 준비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도산 전문 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신중하게 절차를 밟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도산에 따른 개인회생, 신중하게 절차 진행해야
제민일보
2023-05-24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노동 산업재해, 책임관리자는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처벌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노동 산업재해, 책임관리자는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처벌돼
사업 또는 사업장의 개인사업주 또는 법인이나 기관의 경영책임자 등은 반드시 준수해야 할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가 존재하며, 법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안전, 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 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 등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사업 또는 사업장의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장에 대한 구체적인 안전ㆍ보건에 관한 기준 및 그에 따른 사업주의 조치 의무와 해당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에 대한 책임자 등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아 근로자가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사업주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을 제공한 현장의 관리자가 처벌을 받게 된다. 현장 관리자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할 업무상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게을리해 근로자에게 사망이나 상해 등의 결과를 가져오게 한 것이므로 형법상 업무상 과실치상죄가 적용되어 처벌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공사현장에서 사망이나 상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하수급인의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은 형법상의 책임을 지게 되고, 그 이외 현장소장 등 현장에서 안전을 확보하여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들도 산업안전보건법 및 형법상 책임을 지게 된다. 실제로 산업현장에는 안전, 보건 확보 의무의 미흡뿐만 아니라, 현장 특성상 사고가 발생할 여러 가지 요인이 산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목적과 처벌 대상 설정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권지혜 변호사는 “경영 책임자는 물론 현장 관리자들까지 산업현장의 모든 인력들이 노동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보건을 위한 주의 의무를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면서 “현장에서 이미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산재ㆍ노동전문변호사를 통해 면밀하게 사안을 따져보고 업무상과실치상죄 등 적용에 대한 법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노동 산업재해, 책임관리자는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처벌돼
제민일보
2023-05-24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노동 산업재해, 책임관리자는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처벌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노동 산업재해, 책임관리자는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처벌돼
사업 또는 사업장의 개인사업주 또는 법인이나 기관의 경영책임자 등은 반드시 준수해야 할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가 존재하며, 법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안전, 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 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 등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사업 또는 사업장의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장에 대한 구체적인 안전ㆍ보건에 관한 기준 및 그에 따른 사업주의 조치 의무와 해당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에 대한 책임자 등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아 근로자가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사업주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을 제공한 현장의 관리자가 처벌을 받게 된다. 현장 관리자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할 업무상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게을리해 근로자에게 사망이나 상해 등의 결과를 가져오게 한 것이므로 형법상 업무상 과실치상죄가 적용되어 처벌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공사현장에서 사망이나 상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하수급인의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은 형법상의 책임을 지게 되고, 그 이외 현장소장 등 현장에서 안전을 확보하여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들도 산업안전보건법 및 형법상 책임을 지게 된다. 실제로 산업현장에는 안전, 보건 확보 의무의 미흡뿐만 아니라, 현장 특성상 사고가 발생할 여러 가지 요인이 산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목적과 처벌 대상 설정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권지혜 변호사는 “경영 책임자는 물론 현장 관리자들까지 산업현장의 모든 인력들이 노동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보건을 위한 주의 의무를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면서 “현장에서 이미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산재ㆍ노동전문변호사를 통해 면밀하게 사안을 따져보고 업무상과실치상죄 등 적용에 대한 법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노동 산업재해, 책임관리자는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처벌돼
이데일리
2023-05-19
아모레 짝퉁 사은품 증정 논란..."모방 아냐"vs"법 위반"
아모레 짝퉁 사은품 증정 논란..."모방 아냐"vs"법 위반"
공식 라이브서 대놓고 '짝퉁' 강조해놓고..."문제 없어" 전문가들 "'디자인보호법·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 아모레, 중국산 위조 화장품으로 골머리...모범 보여야 [이데일리 문다애 기자] [ 앵커 ] 국내 화장품업계 1위 아모레퍼시픽(090430)이 ‘짝퉁’ 사은품으로 모객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정 제품을 카피한 것이라 아니란 입장이지만, 정작 라이브 쇼핑에선 명품 제품과 동일한 디자인이라며 판촉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문제 소지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는데요. 실적 반등을 무리한 마케팅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문다애 기자입니다. [ 기자 ] 왼쪽은 H&M그룹의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코스(COS)의 ‘퀄티드백’, 오른쪽은 아모레퍼시픽의 라네즈가 판촉에 사용한 사은품 가방 ‘엠보백’입니다. 코스의 퀄티드백은 일명 ‘블랙핑크 제니 가방’으로 유명한 코스의 대표적인 가방. 재활용 폴리에스터로 만든 숄더백으로, 가방 전체가 푹신한 퀄트 질감으로 돼 있습니다. 특유의 엠보 디자인과 둥근 곡선 형태가 특징으로, 대표 색상이 하늘색이라 ‘구름백’이라고도 불립니다. 아모레가 제작한 가방도 코스 특유의 엠보 디자인과 색감, 크기 모두 비슷합니다. 나란히 두면 같은 브랜드 가방으로 오인할 소지가 커 보입니다. 지난 3월부터 라네즈는 주력 상품인 워터뱅크 제품 홍보를 위해 해당 가방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대대적으로 펼쳤습니다. 아모레 공식몰과 올리브영 등 주요 온라인 채널뿐만 아니라 라이브 쇼핑 방송에서도 이를 활용해 모객했습니다. “C브랜드(COS)의 가방 떠오르시죠? J로 시작하는 셀럽분(제니)이 공항에서 매일 메고 오는 그 보부상백, 바로 요거에요. (코스 가방과) 디자인 동일한데...” 라이브 쇼핑에선 대놓고 코스 ‘짝퉁’임을 강조했지만, 아모레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아모레 관계자는 “최근 트렌드인 가방 스타일로 제작한 것일뿐 특정 브랜드를 모방하진 않았다”며 “라네즈의 실적 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한 마케팅”이라고 말했습니다. 한정수량으로 제작된 아모레 가방은 입소문을 타고 현재 전량 소진됐고, 큰 인기에 중고거래시장에서 유가에 거래되고 있는 상황. 전문가들은 ‘디자인보호법’과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 즉, 물리적인 물건, 공산품의 외관, 생김새를 보호해주는 법으로, ‘다자인 등록, 출원 전에 국내 또는 국외에서 공지되었거나 공연히 실시된 디자인’도 보호 대상으로, 선출원 디자인뿐 아니라 공연히 알려진 디자인도 포함됩니다. 코스 퀼티드백의 경우 흔한 형태의 가방이 아닌 ‘퀄팅’이라는 재봉방식의 디자인화를 통한 제품으로, 시장에서 디자인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디자인보호법에 저촉될 확률이 높단 겁니다.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도 있습니다. 시장을 교란하는 부정경쟁행위를 막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타인이 제작한 상품의 형태를 모방한 상품을 양도, 대여 또는 이를 위한 전시, 수입·수출하는 행위’는 부정경쟁행위 중 하나. 코스 퀄티드백의 주지성이 인정된다면 아모레의 문제 소지가 충분하고, 타인의 투자와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물로 상업적 이익을 얻는 건 ‘성과물 모용’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단 겁니다. 때문에 디자인보호법 위반 여부를 주도적으로 살피고, 해당 법에서 보호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예비적으로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여부도 살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김동진 /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 “앞선 코스의 퀄팅 디자인과 차이점을 아모레퍼시픽이 충분히 가지고 있는지, 또 이를 통해서 아모레퍼시픽이 (코스의) 퀄팅의 권리를 침해했고 경제적 이익을 확보했는지를 살펴야 할 거 같은데, 이러한 시각에서 살필때 충분히 다툼의 소지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디자인의 경우 표절이 만연한데다 기준이 애매한만큼, 법적인 명확한 기준을 재정립하기보다 기업의 자성이 우선돼야 하고, 이와 함께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김동진 /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 “결국 이게 표절과 발전의 딜레마 사이에서 항상 있어왔던 예술에서의 오래된 논제 중 하나에요. 이런 것에 함부로 국회나 법원이 한쪽의 승기를 들어줬다가는 필연적으로 반대쪽의 억압을 탄압하는 것이 됩니다. 결국에는 디자인 종사자들이 자생적으로 회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에 대해서 여론의 지속적인 관심과 언론의 지속적인 감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살펴집니다.” 중국산 위조 화장품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아모레. K-뷰티의 대표기업인만큼 기업 스스로 엄격한 잣대를 정립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이데일리TV 문다애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아모레 짝퉁 사은품 증정 논란..."모방 아냐"vs"법 위반"
이데일리
2023-05-19
아모레 짝퉁 사은품 증정 논란..."모방 아냐"vs"법 위반"
아모레 짝퉁 사은품 증정 논란..."모방 아냐"vs"법 위반"
공식 라이브서 대놓고 '짝퉁' 강조해놓고..."문제 없어" 전문가들 "'디자인보호법·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 아모레, 중국산 위조 화장품으로 골머리...모범 보여야 [이데일리 문다애 기자] [ 앵커 ] 국내 화장품업계 1위 아모레퍼시픽(090430)이 ‘짝퉁’ 사은품으로 모객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정 제품을 카피한 것이라 아니란 입장이지만, 정작 라이브 쇼핑에선 명품 제품과 동일한 디자인이라며 판촉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문제 소지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는데요. 실적 반등을 무리한 마케팅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문다애 기자입니다. [ 기자 ] 왼쪽은 H&M그룹의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코스(COS)의 ‘퀄티드백’, 오른쪽은 아모레퍼시픽의 라네즈가 판촉에 사용한 사은품 가방 ‘엠보백’입니다. 코스의 퀄티드백은 일명 ‘블랙핑크 제니 가방’으로 유명한 코스의 대표적인 가방. 재활용 폴리에스터로 만든 숄더백으로, 가방 전체가 푹신한 퀄트 질감으로 돼 있습니다. 특유의 엠보 디자인과 둥근 곡선 형태가 특징으로, 대표 색상이 하늘색이라 ‘구름백’이라고도 불립니다. 아모레가 제작한 가방도 코스 특유의 엠보 디자인과 색감, 크기 모두 비슷합니다. 나란히 두면 같은 브랜드 가방으로 오인할 소지가 커 보입니다. 지난 3월부터 라네즈는 주력 상품인 워터뱅크 제품 홍보를 위해 해당 가방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대대적으로 펼쳤습니다. 아모레 공식몰과 올리브영 등 주요 온라인 채널뿐만 아니라 라이브 쇼핑 방송에서도 이를 활용해 모객했습니다. “C브랜드(COS)의 가방 떠오르시죠? J로 시작하는 셀럽분(제니)이 공항에서 매일 메고 오는 그 보부상백, 바로 요거에요. (코스 가방과) 디자인 동일한데...” 라이브 쇼핑에선 대놓고 코스 ‘짝퉁’임을 강조했지만, 아모레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아모레 관계자는 “최근 트렌드인 가방 스타일로 제작한 것일뿐 특정 브랜드를 모방하진 않았다”며 “라네즈의 실적 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한 마케팅”이라고 말했습니다. 한정수량으로 제작된 아모레 가방은 입소문을 타고 현재 전량 소진됐고, 큰 인기에 중고거래시장에서 유가에 거래되고 있는 상황. 전문가들은 ‘디자인보호법’과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 즉, 물리적인 물건, 공산품의 외관, 생김새를 보호해주는 법으로, ‘다자인 등록, 출원 전에 국내 또는 국외에서 공지되었거나 공연히 실시된 디자인’도 보호 대상으로, 선출원 디자인뿐 아니라 공연히 알려진 디자인도 포함됩니다. 코스 퀼티드백의 경우 흔한 형태의 가방이 아닌 ‘퀄팅’이라는 재봉방식의 디자인화를 통한 제품으로, 시장에서 디자인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디자인보호법에 저촉될 확률이 높단 겁니다.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도 있습니다. 시장을 교란하는 부정경쟁행위를 막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타인이 제작한 상품의 형태를 모방한 상품을 양도, 대여 또는 이를 위한 전시, 수입·수출하는 행위’는 부정경쟁행위 중 하나. 코스 퀄티드백의 주지성이 인정된다면 아모레의 문제 소지가 충분하고, 타인의 투자와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물로 상업적 이익을 얻는 건 ‘성과물 모용’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단 겁니다. 때문에 디자인보호법 위반 여부를 주도적으로 살피고, 해당 법에서 보호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예비적으로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여부도 살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김동진 /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 “앞선 코스의 퀄팅 디자인과 차이점을 아모레퍼시픽이 충분히 가지고 있는지, 또 이를 통해서 아모레퍼시픽이 (코스의) 퀄팅의 권리를 침해했고 경제적 이익을 확보했는지를 살펴야 할 거 같은데, 이러한 시각에서 살필때 충분히 다툼의 소지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디자인의 경우 표절이 만연한데다 기준이 애매한만큼, 법적인 명확한 기준을 재정립하기보다 기업의 자성이 우선돼야 하고, 이와 함께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김동진 /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 “결국 이게 표절과 발전의 딜레마 사이에서 항상 있어왔던 예술에서의 오래된 논제 중 하나에요. 이런 것에 함부로 국회나 법원이 한쪽의 승기를 들어줬다가는 필연적으로 반대쪽의 억압을 탄압하는 것이 됩니다. 결국에는 디자인 종사자들이 자생적으로 회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에 대해서 여론의 지속적인 관심과 언론의 지속적인 감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살펴집니다.” 중국산 위조 화장품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아모레. K-뷰티의 대표기업인만큼 기업 스스로 엄격한 잣대를 정립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이데일리TV 문다애입니다. 기사전문보기 - 아모레 짝퉁 사은품 증정 논란..."모방 아냐"vs"법 위반"
이투뉴스
2023-05-08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성동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성동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지난 3일 서울고등검찰청 부장검사출신 박성동(사법연수원 24기) 최고총괄변호사의 합류 소식을 알렸다. 새롭게 대륜에 합류하게 된 박성동 변호사는 서울경찰청 경찰 출신으로, 검찰 임용 후에는 부산지검, 수원중앙지검 검사 등을 거쳐 대구지검, 청주지검, 서울고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 대륜 관계자는 “경찰과 검찰의 수사 절차를 모두 경험해 본 박 변호사를 영입하여 경검 수사권 조정 등 변화하는 수사환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국제소송 등 고난도의 사건을 다수 경험해본 그는 폭력범죄·재산범죄·성범죄·교통범죄 등의 형사사건은 물론 민사와 가사사건에도 탁월한 멀티플레이어로, 복잡하게 다분야의 사건이 결합된 상황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국에 30개 사무소가 있으며, 형사, 기업법무, 군형사, 금융 등 사건별 전문변호사 중심의 전담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성동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변호사 영입
이투뉴스
2023-05-08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성동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성동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지난 3일 서울고등검찰청 부장검사출신 박성동(사법연수원 24기) 최고총괄변호사의 합류 소식을 알렸다. 새롭게 대륜에 합류하게 된 박성동 변호사는 서울경찰청 경찰 출신으로, 검찰 임용 후에는 부산지검, 수원중앙지검 검사 등을 거쳐 대구지검, 청주지검, 서울고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했다. 대륜 관계자는 “경찰과 검찰의 수사 절차를 모두 경험해 본 박 변호사를 영입하여 경검 수사권 조정 등 변화하는 수사환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국제소송 등 고난도의 사건을 다수 경험해본 그는 폭력범죄·재산범죄·성범죄·교통범죄 등의 형사사건은 물론 민사와 가사사건에도 탁월한 멀티플레이어로, 복잡하게 다분야의 사건이 결합된 상황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국에 30개 사무소가 있으며, 형사, 기업법무, 군형사, 금융 등 사건별 전문변호사 중심의 전담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성동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변호사 영입
글로벌에픽
2023-05-03
생명과 신체에 해가 되는 무면허의료행위, 의료법 위반으로 엄중 처벌
생명과 신체에 해가 되는 무면허의료행위, 의료법 위반으로 엄중 처벌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현행법에 따르면 오직 의료법에 규정된 의료인만이 의료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의료인이 아닌 자가의료행위를 할 경우 형사처분을 받게 된다. 사람의 생명과 신체를 다루는 의료행위의 중요성과 전문성 때문에 행위자의 자격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면허자격이 정지되거나 취소된 자의 의료행위는 무면허의료행위에 해당하며 설사 의료인일지라도 의료인 아닌 자의 의료행위나 의료인의 업무범위를 벗어난 무면허의료행위에 공모하여 가공하면 무면허의료행위의 공동정범 등으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의료법상 무면허의료행위 금지 규정은 비의료인이 의료행위를 한 경우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규제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나, 현장에 종사하는 의료인이더라도 각각의 업무범위를 넘어 다른 의료인의 업무범위 내의 행위를 한 경우 동일하게 무면허의료행위로 처벌된다. 예를 들어 본인이 의사임에도 병원 직원(간호사 등)의 허용범위를 벗어난 의료행위에 대해서 묵인하거나 지시할 경우 공범 혐의가 인정돼 의료법 위반으로 형사처분을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의사면허 자격정지 또는 의료기관 업무정지 등 행정처분이라는 큰 불이익을 받게 될 수 있다. 의료법 제2조에서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에 한하여 의료인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업무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의사가 간호사에게 진료의 보조행위를 하도록 지시하거나 위임할 수는 있으나,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진료행위 자체를 하도록 지시하거나 위임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의료인은 본인뿐만 아니라 함께 일하는 직원들의 무면허의료행위를 제대로 관리, 감독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아 무면허의료행위가 자행되면 공범으로 함께 처벌될 수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류시정변호사는 “무면허의료행위는 환자가 입은 손해에 대해 민사상 배상 책임이 따를뿐 아니라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거나 사망에 이르렀다면 별도의 처벌도 이루어지는 만큼 의료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철저히 대응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생명과 신체에 해가 되는 무면허의료행위, 의료법 위반으로 엄중 처벌
글로벌에픽
2023-05-03
생명과 신체에 해가 되는 무면허의료행위, 의료법 위반으로 엄중 처벌
생명과 신체에 해가 되는 무면허의료행위, 의료법 위반으로 엄중 처벌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현행법에 따르면 오직 의료법에 규정된 의료인만이 의료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의료인이 아닌 자가의료행위를 할 경우 형사처분을 받게 된다. 사람의 생명과 신체를 다루는 의료행위의 중요성과 전문성 때문에 행위자의 자격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면허자격이 정지되거나 취소된 자의 의료행위는 무면허의료행위에 해당하며 설사 의료인일지라도 의료인 아닌 자의 의료행위나 의료인의 업무범위를 벗어난 무면허의료행위에 공모하여 가공하면 무면허의료행위의 공동정범 등으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의료법상 무면허의료행위 금지 규정은 비의료인이 의료행위를 한 경우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규제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나, 현장에 종사하는 의료인이더라도 각각의 업무범위를 넘어 다른 의료인의 업무범위 내의 행위를 한 경우 동일하게 무면허의료행위로 처벌된다. 예를 들어 본인이 의사임에도 병원 직원(간호사 등)의 허용범위를 벗어난 의료행위에 대해서 묵인하거나 지시할 경우 공범 혐의가 인정돼 의료법 위반으로 형사처분을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의사면허 자격정지 또는 의료기관 업무정지 등 행정처분이라는 큰 불이익을 받게 될 수 있다. 의료법 제2조에서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에 한하여 의료인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업무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의사가 간호사에게 진료의 보조행위를 하도록 지시하거나 위임할 수는 있으나,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진료행위 자체를 하도록 지시하거나 위임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의료인은 본인뿐만 아니라 함께 일하는 직원들의 무면허의료행위를 제대로 관리, 감독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아 무면허의료행위가 자행되면 공범으로 함께 처벌될 수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류시정변호사는 “무면허의료행위는 환자가 입은 손해에 대해 민사상 배상 책임이 따를뿐 아니라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거나 사망에 이르렀다면 별도의 처벌도 이루어지는 만큼 의료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철저히 대응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생명과 신체에 해가 되는 무면허의료행위, 의료법 위반으로 엄중 처벌
로이슈
2023-04-26
법무법인(유한)대륜, 드림연합치과와 MOU체결
법무법인(유한)대륜, 드림연합치과와 MOU체결
[로이슈 진가영 기자] 지난 13일 법무법인(유한)대륜과 드림연합치과 관계자가 참석하여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의료 관련 법률분쟁 자문에 관한 상호 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뜻을 모았다. 드림연합치과는 치과를 두려워하는 환자의 마음에 공감하며, 안정성이 검증된 제품 사용 및 자연치아 보존을 우선시하며 책임 있는 진료 진행을 원칙으로 한다. 보건복지부 인증 전문의 5인의 협진 및 자체 기공소 운영을 통한 맞춤 진료를 제공하며 지역민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의료전문센터는 “의료기술의 첨단화로 인해 난도가 높은 의료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며 ‘보건복지부 인증 치과전문의가 소속되어있는 드림연합치과와의 MOU체결을 통해 의과와는 구분되는 치과 관련 법률분쟁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대륜은 의료 관련 각종 분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의료전문센터를 운영 중이다. 의료진과의 전략적 협약 관계 체결 및 의료법 개정안 등 변화하는 의료 관련 법률에 대한 상시 검토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서울남부사무소를 개소하였으며, 전국 30개 지소를 운영하는 국내 최다규모 로펌이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드림연합치과와 MOU체결
로이슈
2023-04-26
법무법인(유한)대륜, 드림연합치과와 MOU체결
법무법인(유한)대륜, 드림연합치과와 MOU체결
[로이슈 진가영 기자] 지난 13일 법무법인(유한)대륜과 드림연합치과 관계자가 참석하여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의료 관련 법률분쟁 자문에 관한 상호 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뜻을 모았다. 드림연합치과는 치과를 두려워하는 환자의 마음에 공감하며, 안정성이 검증된 제품 사용 및 자연치아 보존을 우선시하며 책임 있는 진료 진행을 원칙으로 한다. 보건복지부 인증 전문의 5인의 협진 및 자체 기공소 운영을 통한 맞춤 진료를 제공하며 지역민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의료전문센터는 “의료기술의 첨단화로 인해 난도가 높은 의료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며 ‘보건복지부 인증 치과전문의가 소속되어있는 드림연합치과와의 MOU체결을 통해 의과와는 구분되는 치과 관련 법률분쟁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대륜은 의료 관련 각종 분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의료전문센터를 운영 중이다. 의료진과의 전략적 협약 관계 체결 및 의료법 개정안 등 변화하는 의료 관련 법률에 대한 상시 검토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서울남부사무소를 개소하였으며, 전국 30개 지소를 운영하는 국내 최다규모 로펌이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드림연합치과와 MOU체결
잡포스트
2023-04-26
[법률상식] 산재 피해자라면 산업재해 인정과 별도의 손해배상도 받아내야
[법률상식] 산재 피해자라면 산업재해 인정과 별도의 손해배상도 받아내야
[잡포스트] 김명기 기자 = 오늘날 산업체의 근로 현장에서는 사고로 인해 근로자가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사례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 꼭 물리적인 사고가 아니더라도 지나치게 많은 업무량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또는 과로로 인해 쓰러지는 일, 유해 물질에 의해 질병을 얻는 일도 있다. 이러한 것을 통틀어 산업재해라고 한다. 선업재해 당사자인 근로자는 자신이 산재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한 보상을 받고 책임자 처벌 역시 촉구할 수 있다. 우선 기본적으로 산재보험을 신청하여 산재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근로기준법에 따른 재해보상, 민법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가 각각 가능하다. 특히 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질병 또는 사망 등이 사용자나 제3자의 불법행위에 의해서 발생한 경우에 민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는 산재를 신청하고 승인을 받아서 받게 되는 보험급여와는 별도이다. 산재보험 급여에는 정신적 피해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지 않을뿐더러 해당만으로 충족되지 않는 나머지 손해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산재 승인으로 받을 수 있는 보험급여와 별도로 민사소송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금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청구해야 한다. 산재에 대한 민사 손해배상은 적극적 손해, 소극적 손해, 위자료로 구분하여 완전한 배상을 하며 정신적 손해를 포함한다. 위자료 액수는 사실심 법원이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민사 손해배상책임은 고의 또는 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인정되기에 사업주에게 고의 또는 과실이 있다는 사실을 재해 근로자 측에서 입증하지 못하면 패소로 이어질 수 있다. 때문에 관련 증거를 빠르게 확보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히고 꼼꼼하게 따져서 청구할 수 있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현병희 변호사는 “산재 인정과는 별도인 민사 손해배상은 피해 사실과 고용주의 인과관계를 제대로 입증해야 하므로 산재 후 손해배상 사건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산재·노동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률상식] 산재 피해자라면 산업재해 인정과 별도의 손해배상도 받아내야
잡포스트
2023-04-26
[법률상식] 산재 피해자라면 산업재해 인정과 별도의 손해배상도 받아내야
[법률상식] 산재 피해자라면 산업재해 인정과 별도의 손해배상도 받아내야
[잡포스트] 김명기 기자 = 오늘날 산업체의 근로 현장에서는 사고로 인해 근로자가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사례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 꼭 물리적인 사고가 아니더라도 지나치게 많은 업무량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또는 과로로 인해 쓰러지는 일, 유해 물질에 의해 질병을 얻는 일도 있다. 이러한 것을 통틀어 산업재해라고 한다. 선업재해 당사자인 근로자는 자신이 산재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한 보상을 받고 책임자 처벌 역시 촉구할 수 있다. 우선 기본적으로 산재보험을 신청하여 산재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근로기준법에 따른 재해보상, 민법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가 각각 가능하다. 특히 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질병 또는 사망 등이 사용자나 제3자의 불법행위에 의해서 발생한 경우에 민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는 산재를 신청하고 승인을 받아서 받게 되는 보험급여와는 별도이다. 산재보험 급여에는 정신적 피해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지 않을뿐더러 해당만으로 충족되지 않는 나머지 손해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산재 승인으로 받을 수 있는 보험급여와 별도로 민사소송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금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청구해야 한다. 산재에 대한 민사 손해배상은 적극적 손해, 소극적 손해, 위자료로 구분하여 완전한 배상을 하며 정신적 손해를 포함한다. 위자료 액수는 사실심 법원이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민사 손해배상책임은 고의 또는 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인정되기에 사업주에게 고의 또는 과실이 있다는 사실을 재해 근로자 측에서 입증하지 못하면 패소로 이어질 수 있다. 때문에 관련 증거를 빠르게 확보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히고 꼼꼼하게 따져서 청구할 수 있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현병희 변호사는 “산재 인정과는 별도인 민사 손해배상은 피해 사실과 고용주의 인과관계를 제대로 입증해야 하므로 산재 후 손해배상 사건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산재·노동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률상식] 산재 피해자라면 산업재해 인정과 별도의 손해배상도 받아내야
더인디고
2023-04-20
법무법인 대륜,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해 맞손
법무법인 대륜,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해 맞손
**· 일선 로펌과 장애인단체의 업무협약, 일상의 장애인 권익 보호 목적 · 교통·산재·의료사고 등 장애 발생 후 손배 등 구체적 법률 지원 기대 · 고병준 대표변호사, 학대나 경제적 어려움 등 법률 등 실질적 지원 노력할 터** [더인디고 = 이용석 편집장] 오늘(20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서울특별시협회(이하,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두 기관이 ▲장애인 권익 보호, ▲사회·건강·인권 분야 정책, ▲법률복지 증진 등과 관련해 상호협력하기로 손을 맞잡았다. 최근 의료센터, 지식재산권센터, 노동센터 등을 추가적으로 개소한 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의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의료손해배상,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사회복귀 등과 관련한 법률복지 증진을 위해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기존 상속·가사센터와 함께 성년후견에 관한 제도 연구 및 장애인 관련한 법률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척수장애인 서울협회는 그동안 척수장애인들의 일상의 삶을 발전시키고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해온 단체인 만큼 이번 법무법인 대륜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장애인의 복지와 권익 증진은 물론 직업 재활, 사회복귀 등과 관련한 사업 확장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고병준 법무법인 대륜의 대표변호사는 “장애인 학대, 경제적 어려움, 권익 및 법률 지원 등을 로펌 차원에서 실질적인 지원을 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면서, “대륜은 맞춤형 기업자문 및 소송업무 등을 지속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서울특별시협회가 필요로 하는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소회를 밝혔다. 대륜은 한국성악가협회, 드림연합치과 등 기업이나 사회단체와의 꾸준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법률 지원을 확대하는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공헌 활동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한편, 이번 업무협약을 이끈 최보윤 변호사는 “손해배상 소송을 통해, 갑작스러운 장애를 입은 분들의 정당한 권리를 찾는 것이야말로, 경제적 자립과 사회복귀의 첫걸음이 된다”면서, “앞으로도 교통사고나 산재, 의료사고를 포함한 기타 손해배상 소송을 통해 피해자들의 억울함을 풀어드리고 영구 장애를 갖게 된 분들에게는 적절한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연계해 주는 등의 법률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이번 업무협약의 의미를 더했다. 대륜에서 손해배상 전문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최보윤 변호사는 척수장애를 가진 장애당사자로 윤석열 정부의 국민통합위원회 장애인이동편의증진특별위원회에 참여해 장애계에서도 논의된 바 없었던 교통약자법 상의 특별교통수단의 법적 개념의 개정을 제안했다. 특히, 최 변호사가 주장한 장애인의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의 정책 로드맵에 포함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해 맞손
더인디고
2023-04-20
법무법인 대륜,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해 맞손
법무법인 대륜,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해 맞손
**· 일선 로펌과 장애인단체의 업무협약, 일상의 장애인 권익 보호 목적 · 교통·산재·의료사고 등 장애 발생 후 손배 등 구체적 법률 지원 기대 · 고병준 대표변호사, 학대나 경제적 어려움 등 법률 등 실질적 지원 노력할 터** [더인디고 = 이용석 편집장] 오늘(20일) 법무법인(유한) 대륜이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서울특별시협회(이하,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두 기관이 ▲장애인 권익 보호, ▲사회·건강·인권 분야 정책, ▲법률복지 증진 등과 관련해 상호협력하기로 손을 맞잡았다. 최근 의료센터, 지식재산권센터, 노동센터 등을 추가적으로 개소한 법무법인 대륜은 이번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의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의료손해배상,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사회복귀 등과 관련한 법률복지 증진을 위해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기존 상속·가사센터와 함께 성년후견에 관한 제도 연구 및 장애인 관련한 법률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척수장애인 서울협회는 그동안 척수장애인들의 일상의 삶을 발전시키고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해온 단체인 만큼 이번 법무법인 대륜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장애인의 복지와 권익 증진은 물론 직업 재활, 사회복귀 등과 관련한 사업 확장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고병준 법무법인 대륜의 대표변호사는 “장애인 학대, 경제적 어려움, 권익 및 법률 지원 등을 로펌 차원에서 실질적인 지원을 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면서, “대륜은 맞춤형 기업자문 및 소송업무 등을 지속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서울특별시협회가 필요로 하는 법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소회를 밝혔다. 대륜은 한국성악가협회, 드림연합치과 등 기업이나 사회단체와의 꾸준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법률 지원을 확대하는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공헌 활동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한편, 이번 업무협약을 이끈 최보윤 변호사는 “손해배상 소송을 통해, 갑작스러운 장애를 입은 분들의 정당한 권리를 찾는 것이야말로, 경제적 자립과 사회복귀의 첫걸음이 된다”면서, “앞으로도 교통사고나 산재, 의료사고를 포함한 기타 손해배상 소송을 통해 피해자들의 억울함을 풀어드리고 영구 장애를 갖게 된 분들에게는 적절한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연계해 주는 등의 법률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이번 업무협약의 의미를 더했다. 대륜에서 손해배상 전문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최보윤 변호사는 척수장애를 가진 장애당사자로 윤석열 정부의 국민통합위원회 장애인이동편의증진특별위원회에 참여해 장애계에서도 논의된 바 없었던 교통약자법 상의 특별교통수단의 법적 개념의 개정을 제안했다. 특히, 최 변호사가 주장한 장애인의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의 정책 로드맵에 포함되기도 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척수장애인 서울협회와 ‘장애인 권익 증진’ 위해 맞손
IT비즈뉴스
2023-04-17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국일 前 고양지청장 변호사 합류… 기업·형사사건 역량 강화 기대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국일 前 고양지청장 변호사 합류… 기업·형사사건 역량 강화 기대
지난 3일 법무법인(유한)대륜에 의정부지검 고양지청 지청장 출신 김국일 최고총괄변호사(사진, 사법연수원24기)가 합류했다. 김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광주지검 목포지청 지청장, 전주지검 남원지청 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 지청장 등을 역임하며 다수의 사건을 수행해왔다. 그는 소위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의혹사건’의 성남도시개발공사 전 기획본부장의 변호를 지휘하였으며, 대기업 횡령사건ㆍ도시개발사업 사기사건ㆍ총선관련 공직선거법위반 사건 등 주목도가 높은 고난도의 사건들을 도맡아온 기업법무 및 형사사건에 특화된 베테랑이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성범죄, 재산범죄, 마약, 중대재해 등 다분야에서 우수한 실적을 이끌어낸 그는 기업법무 및 형사사건 전문변호사다.”며 “영장기각ㆍ기소유예처분ㆍ무죄판결 등 쉽게 이뤄낼 수 없는 결과를 다수 이끌어낸 그의 합류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사건 체계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대륜의 관계자는 “이번 김 변호사의 합류를 비롯, 오랜 경력과 우수한 실적의 변호인단을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있다.”라며 “대륜에 소속된 법원, 검찰출신변호사들의 평균 법조경력은 25년을 넘어선다. 의뢰인 만족을 위해 끊임없이 법률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이달 개소한 서울남부사무소를 비롯하여 전국 30개 지소를 운영 중인 로펌으로, 이는 전국 최다 규모에 해당한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국일 前 고양지청장 변호사 합류… 기업·형사사건 역량 강화 기대
IT비즈뉴스
2023-04-17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국일 前 고양지청장 변호사 합류… 기업·형사사건 역량 강화 기대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국일 前 고양지청장 변호사 합류… 기업·형사사건 역량 강화 기대
지난 3일 법무법인(유한)대륜에 의정부지검 고양지청 지청장 출신 김국일 최고총괄변호사(사진, 사법연수원24기)가 합류했다. 김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광주지검 목포지청 지청장, 전주지검 남원지청 지청장, 의정부지검 고양지청 지청장 등을 역임하며 다수의 사건을 수행해왔다. 그는 소위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의혹사건’의 성남도시개발공사 전 기획본부장의 변호를 지휘하였으며, 대기업 횡령사건ㆍ도시개발사업 사기사건ㆍ총선관련 공직선거법위반 사건 등 주목도가 높은 고난도의 사건들을 도맡아온 기업법무 및 형사사건에 특화된 베테랑이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성범죄, 재산범죄, 마약, 중대재해 등 다분야에서 우수한 실적을 이끌어낸 그는 기업법무 및 형사사건 전문변호사다.”며 “영장기각ㆍ기소유예처분ㆍ무죄판결 등 쉽게 이뤄낼 수 없는 결과를 다수 이끌어낸 그의 합류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사건 체계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대륜의 관계자는 “이번 김 변호사의 합류를 비롯, 오랜 경력과 우수한 실적의 변호인단을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있다.”라며 “대륜에 소속된 법원, 검찰출신변호사들의 평균 법조경력은 25년을 넘어선다. 의뢰인 만족을 위해 끊임없이 법률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이달 개소한 서울남부사무소를 비롯하여 전국 30개 지소를 운영 중인 로펌으로, 이는 전국 최다 규모에 해당한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국일 前 고양지청장 변호사 합류… 기업·형사사건 역량 강화 기대
더파워뉴스
2023-04-14
법무법인대륜, 30번째지소 서울남부사무소 개소…전국 최다규모
법무법인대륜, 30번째지소 서울남부사무소 개소…전국 최다규모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이달 서울남부사무소를 개소했다. 의뢰인 편의를 고려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동일하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경영이념에 맞게 목동에도 신규 사무소를 개소했다. 전국 지소를 통틀어 30번째 사무소 개소이며, 이는 국내 로펌 중 최다 규모에 해당한다. 대륜은 특정 지역을 국한되지 않고 전 사무소 구성원 중 의뢰인의 사건에 특화된 변호사들이 TF팀을 만들어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대응하고 있으며, 풍부한 사건처리데이터를 기반으로 △형사 △성범죄 △학교폭력 △기업법무 △이혼 △상속 △부동산 △민사 △행정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센터에서 각 사건에 맞는 법률조력을 이어가고 있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모든 지소에서 법률서비스의 품질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협력, 교육, 관리 등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의뢰인들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전 구성원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륜 관계자는 “접근 편의를 높이기 위한 신규 사무소 개소 외에도, 일반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법률 절차 진행을 쉽게 풀어가고자 증거조사전문센터도 운영 중이다. 디지털포렌식 및 증거수집 대행을 통해 법적인 분쟁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함께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대륜, 30번째지소 서울남부사무소 개소…전국 최다규모
더파워뉴스
2023-04-14
법무법인대륜, 30번째지소 서울남부사무소 개소…전국 최다규모
법무법인대륜, 30번째지소 서울남부사무소 개소…전국 최다규모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이달 서울남부사무소를 개소했다. 의뢰인 편의를 고려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동일하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경영이념에 맞게 목동에도 신규 사무소를 개소했다. 전국 지소를 통틀어 30번째 사무소 개소이며, 이는 국내 로펌 중 최다 규모에 해당한다. 대륜은 특정 지역을 국한되지 않고 전 사무소 구성원 중 의뢰인의 사건에 특화된 변호사들이 TF팀을 만들어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대응하고 있으며, 풍부한 사건처리데이터를 기반으로 △형사 △성범죄 △학교폭력 △기업법무 △이혼 △상속 △부동산 △민사 △행정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센터에서 각 사건에 맞는 법률조력을 이어가고 있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모든 지소에서 법률서비스의 품질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협력, 교육, 관리 등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의뢰인들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전 구성원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륜 관계자는 “접근 편의를 높이기 위한 신규 사무소 개소 외에도, 일반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법률 절차 진행을 쉽게 풀어가고자 증거조사전문센터도 운영 중이다. 디지털포렌식 및 증거수집 대행을 통해 법적인 분쟁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함께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대륜, 30번째지소 서울남부사무소 개소…전국 최다규모
치의신보
2023-04-10
‘어깨빵’ 홧김에 치대생 폭행 1억4천 손배
‘어깨빵’ 홧김에 치대생 폭행 1억4천 손배
치대생이 길가에서 어깨를 부딪친 뒤 불평을 했다는 이유로 전치 3주 수준의 폭행을 가한 K씨가 1억4000만 원 손해배상을 물게 됐다. 부산지방법원은 최근 K씨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치전원생 A씨에게 이 같은 판결을 내렸다. 판결문에 따르면 K씨는 부산의 한 길가에서 치대생 A씨와 어깨를 부딪쳤다. 이때 A씨가 반사적으로 “아씨”라며 불평했고, 이에 분개한 K씨는 주먹으로 A씨의 얼굴을 수회 가격했다. 주먹질에 A씨가 바닥에 넘어지자, K씨는 A씨의 얼굴을 발로 걷어차는 등 전치 3주 수준의 폭행을 가했다. 사건은 소송까지 이어졌고, 재판에서 K씨는 A씨에게 원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A씨가 당시 K씨에게 말한 불평이 이 같은 폭행을 유발할 만한 사유가 안 된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A씨가 현재 치의학전문대학원 석사과정에 있고,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는 등 학업이 뛰어나 추후 치과의사로서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개연성이 인정되는 만큼 이에 관한 후유장해를 고려, 1억4000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불법행위로 인한 후유장애로 외모에 문제가 생긴 경우, 부위 및 정도, 피해자의 성별, 나이 등과 관련해 장래의 취직, 직종 등에 영향을 미칠 정도인 경우에 한해 추상장애로 인한 노동능력 상실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어깨빵’ 홧김에 치대생 폭행 1억4천 손배
치의신보
2023-04-10
‘어깨빵’ 홧김에 치대생 폭행 1억4천 손배
‘어깨빵’ 홧김에 치대생 폭행 1억4천 손배
치대생이 길가에서 어깨를 부딪친 뒤 불평을 했다는 이유로 전치 3주 수준의 폭행을 가한 K씨가 1억4000만 원 손해배상을 물게 됐다. 부산지방법원은 최근 K씨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치전원생 A씨에게 이 같은 판결을 내렸다. 판결문에 따르면 K씨는 부산의 한 길가에서 치대생 A씨와 어깨를 부딪쳤다. 이때 A씨가 반사적으로 “아씨”라며 불평했고, 이에 분개한 K씨는 주먹으로 A씨의 얼굴을 수회 가격했다. 주먹질에 A씨가 바닥에 넘어지자, K씨는 A씨의 얼굴을 발로 걷어차는 등 전치 3주 수준의 폭행을 가했다. 사건은 소송까지 이어졌고, 재판에서 K씨는 A씨에게 원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A씨가 당시 K씨에게 말한 불평이 이 같은 폭행을 유발할 만한 사유가 안 된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A씨가 현재 치의학전문대학원 석사과정에 있고,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는 등 학업이 뛰어나 추후 치과의사로서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개연성이 인정되는 만큼 이에 관한 후유장해를 고려, 1억4000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불법행위로 인한 후유장애로 외모에 문제가 생긴 경우, 부위 및 정도, 피해자의 성별, 나이 등과 관련해 장래의 취직, 직종 등에 영향을 미칠 정도인 경우에 한해 추상장애로 인한 노동능력 상실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전문보기 - ‘어깨빵’ 홧김에 치대생 폭행 1억4천 손배
에이블뉴스
2023-04-05
누림센터,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모델 구축’ 추진
누림센터,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모델 구축’ 추진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이하 누림센터)는 지난 10일 센터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모델 구축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자문위원회의를 개최했다. 2004년 경기도장애인종합복지관으로 건축된 누림센터는 2016년 한차례 리모델링을 거쳐 2017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우수’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하지만 건물 노후화로 장애인 차량 주차공간, 화장실 등 편의시설로서 한계가 드러나면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 맞는 전면적 리모델링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돼왔다. 이번 자문위원회의는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 한국유니버설 디자인협회 우창윤 회장, 국민통합위원회 최보윤 변호사, 조봉현 세무사, 정기영 성남시 보호작업장 원장, 에이블뉴스 박종태 기자 등 장애인 당사자이자 유니버설 디자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자문위원들은 경기도 장애인편의시설 증진센터 이기표 국장과 함께 누림센터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둘러보고, 유니버설 디자인 구축 방향 등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자문위원회에서 도출된 주요 내용은 외부 보행구역의 차량 진입 분리, 중증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 개조, 이용이 편리한 비가림막 설치, 주 출입로 바닥재 교체, 무전력 구동 완강기로의 화재 대피시설 교체, 교통약자를 배려한 전기차 충전기 설치 등이다. 기존의 BF(barrier-free) 인증 기준을 뛰어넘어 유니버설 디자인적 관점에서 새롭게 발전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으며, 특히 우창윤 회장은 누림센터를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의 ‘모델 하우스(Model House)’가 될 수 있도록 리모델링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누림센터는 자문위원회의를 시작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모델화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 누림센터,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모델 구축’ 추진
에이블뉴스
2023-04-05
누림센터,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모델 구축’ 추진
누림센터,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모델 구축’ 추진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이하 누림센터)는 지난 10일 센터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모델 구축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자문위원회의를 개최했다. 2004년 경기도장애인종합복지관으로 건축된 누림센터는 2016년 한차례 리모델링을 거쳐 2017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우수’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하지만 건물 노후화로 장애인 차량 주차공간, 화장실 등 편의시설로서 한계가 드러나면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 맞는 전면적 리모델링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돼왔다. 이번 자문위원회의는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 한국유니버설 디자인협회 우창윤 회장, 국민통합위원회 최보윤 변호사, 조봉현 세무사, 정기영 성남시 보호작업장 원장, 에이블뉴스 박종태 기자 등 장애인 당사자이자 유니버설 디자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자문위원들은 경기도 장애인편의시설 증진센터 이기표 국장과 함께 누림센터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둘러보고, 유니버설 디자인 구축 방향 등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자문위원회에서 도출된 주요 내용은 외부 보행구역의 차량 진입 분리, 중증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 개조, 이용이 편리한 비가림막 설치, 주 출입로 바닥재 교체, 무전력 구동 완강기로의 화재 대피시설 교체, 교통약자를 배려한 전기차 충전기 설치 등이다. 기존의 BF(barrier-free) 인증 기준을 뛰어넘어 유니버설 디자인적 관점에서 새롭게 발전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으며, 특히 우창윤 회장은 누림센터를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의 ‘모델 하우스(Model House)’가 될 수 있도록 리모델링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누림센터는 자문위원회의를 시작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모델화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기사전문보기 - 누림센터,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모델 구축’ 추진
글로벌에픽
2023-03-31
‘학교폭력 가해자’ 학폭위 처분에 형사처벌까지...오해 있다면 초기 대응해야
‘학교폭력 가해자’ 학폭위 처분에 형사처벌까지...오해 있다면 초기 대응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최근 사회적으로 점점 그 문제성이 크게 부각되는 사건 중 하나는 학교폭력이다. 학교폭력은 학교 내에서 미성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행위이므로 소년범죄에 해당하게 되는데, 학창시절 지속적인 따돌림에 노출되었던 피해자들은 평생 트라우마에 시달리기도 한다. 학교폭력은 그 유형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특히나 요즘은 직접적인 신체적 피해보다 정신적 피해를 야기하는 케이스의 비중이 커지면서 가해자들이 졸업 후에 사회에 나와서도 마음의 상처를 쉽게 회복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학교폭력 사건은 관련 법에 따라 해당 사건을 교육지원청으로 이관하여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일명 ‘학폭위’)에서 처분 여부를 다루게 된다. 심의와 회의를 통해 가해학생에게 어떤 처벌을 내릴지 결정하는 것이다. 학폭위의 처분 강도는 서면사과, 봉사활동, 학교내특별교육 및 심리치료, 출석정지, 학급교체, 전학처분, 퇴학처분 등 사안에 따라 다르게 내려질 수 있다. 또한 교육부의 제도 개정으로 학폭위 처분 기록이 졸업 후에도 2년간 보전될 수 있기에 사회생활에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 그치는 게 아니라 학교폭력 가해 사실이 있을 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피해자 측에게 형사고소를 당할 수 있는 데다 형법 또는 소년법의 적용대상이 됨과 동시에 자칫 징역형 선고를 받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만역 자녀가 학교폭력 사건에 억울하게 휘말렸다면 사건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대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급적 감정적인 사안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자녀에게 자초지종을 자세하게 들어본 후 상황에 맞는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학교폭력은 가해사실이 있더라도 원래보다 크게 부풀어져 있어 과도한 처분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고, 가해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 않았음에도 가해자와 함께 어울렸다는 이유로 처분을 받기도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임선준 변호사는 “억울하게 학교폭력 가해자가 되거나, 과도한 처분을 받았다면 경우가 학교폭력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사실관계를 제대로 파악하고 바로잡아 전략적인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학교폭력 가해자’ 학폭위 처분에 형사처벌까지...오해 있다면 초기 대응해야
글로벌에픽
2023-03-31
‘학교폭력 가해자’ 학폭위 처분에 형사처벌까지...오해 있다면 초기 대응해야
‘학교폭력 가해자’ 학폭위 처분에 형사처벌까지...오해 있다면 초기 대응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최근 사회적으로 점점 그 문제성이 크게 부각되는 사건 중 하나는 학교폭력이다. 학교폭력은 학교 내에서 미성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행위이므로 소년범죄에 해당하게 되는데, 학창시절 지속적인 따돌림에 노출되었던 피해자들은 평생 트라우마에 시달리기도 한다. 학교폭력은 그 유형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특히나 요즘은 직접적인 신체적 피해보다 정신적 피해를 야기하는 케이스의 비중이 커지면서 가해자들이 졸업 후에 사회에 나와서도 마음의 상처를 쉽게 회복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학교폭력 사건은 관련 법에 따라 해당 사건을 교육지원청으로 이관하여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일명 ‘학폭위’)에서 처분 여부를 다루게 된다. 심의와 회의를 통해 가해학생에게 어떤 처벌을 내릴지 결정하는 것이다. 학폭위의 처분 강도는 서면사과, 봉사활동, 학교내특별교육 및 심리치료, 출석정지, 학급교체, 전학처분, 퇴학처분 등 사안에 따라 다르게 내려질 수 있다. 또한 교육부의 제도 개정으로 학폭위 처분 기록이 졸업 후에도 2년간 보전될 수 있기에 사회생활에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 그치는 게 아니라 학교폭력 가해 사실이 있을 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피해자 측에게 형사고소를 당할 수 있는 데다 형법 또는 소년법의 적용대상이 됨과 동시에 자칫 징역형 선고를 받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만역 자녀가 학교폭력 사건에 억울하게 휘말렸다면 사건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대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급적 감정적인 사안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자녀에게 자초지종을 자세하게 들어본 후 상황에 맞는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학교폭력은 가해사실이 있더라도 원래보다 크게 부풀어져 있어 과도한 처분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고, 가해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 않았음에도 가해자와 함께 어울렸다는 이유로 처분을 받기도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임선준 변호사는 “억울하게 학교폭력 가해자가 되거나, 과도한 처분을 받았다면 경우가 학교폭력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사실관계를 제대로 파악하고 바로잡아 전략적인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학교폭력 가해자’ 학폭위 처분에 형사처벌까지...오해 있다면 초기 대응해야
KNN
2023-03-30
이일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인물포커스] - 이일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KNN 인물포커스입니다. 최근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학교폭력'. 하지만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현실 학폭 사건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법무법인 대륜의 이일권 변호사와 함께 학교폭력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오. -안녕하십니까, 변호사 이일권입니다. Q. 우선 최근 OTT 콘텐츠도 그렇고 각종 뉴스에서도 그렇고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선 우리 부산에서 얼마나 많은 학교폭력이 발생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교육부에서 매년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한 후에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4월 10일부터 한 달간 학교폭력 실태조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작년 '2022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피해 응답률이 1.7%로 나타났습니다. 학생 100명 중 1.7명이 학교폭력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통계이고요, 학교폭력 피해 유형을 보면 언어폭력이 40.8%로 가장 많습니다. 그다음으로 신체폭력이 14.8%이고요, 그다음에 따돌림, 그리고 사이버폭력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은 학교폭력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역시 언어폭력과 사이버폭력이 많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Q. 이와 동시에 언론 등을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어가 '학폭위'라는 단어입니다. 막상 사건이 발생하면 실제로 학폭위에서 어떻게 사건을 처리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인데, 어떤 일을 어떤 과정으로 처리합니까? A. 지금 학폭위는 학교폭력 사건이 신고가 되면 위원회가 소집이 됩니다. 학폭위는 사실상 재판이나 청문과 같은 유사한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요, 학폭위가 개최가 되면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을 불러서 양 당사자의 주장을 듣습니다. 그리고 양 당사자가 제출한 자료를 검토를 합니다. 그리고 위원들이 주장과 자료를 검토한 후에 이 사건이 학교폭력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요, 그리고 피해 학생에 대한 보호조치, 그리고 가해 학생에 대한 징계조치를 결정합니다. 피해학생에 대한 보호조치는 주로 전문가 상담이나 조언 또는 치료, 또는 그런 것들을 주로 위주로 하고요, 가해자에 대한 징계조치는 서면 사과부터 사회봉사, 특별교육까지 있습니다. 다만 조금 더 사안이 중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학급교체나 출석 정지, 그리고 퇴학*전학까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학폭위 조사 결과가 결국에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Q. 무엇보다 학폭위 절차까지 가기 전 예방도 중요할 것 같고 그 이후 대처도 중요할 것 같은데, 그렇다면 학폭 위험에 노출됐을 때 피해 학생들은 어떻게 대처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A. 피해학생들은 학교폭력 위험에 노출되어도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자기가 놀림을 당한, 그리고 맞은 그런 사안에 대해서 수치심을 느끼기도 하고, 또 부모님이 속상해할까 봐 그런 죄책감을 갖기도 합니다. 그리고 교사한테 알려지더라도 그 상황이 더 악화된다 또는 자신이 보복을 받을 수 있다, 따돌림을 받을 수 있다는 걱정과 불안 속에서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해학생이 적극적으로 피해사실을 신고해야 하지만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가족, 특히 부모님께 이야기를 드리고 솔직한 대화를 통해서 학교폭력 피해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그리고 학교에도 신고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Q. 그렇다면 피해학생이 부모님이나 교사에게 이 사실을 알렸을 때, 교사나 학부모 대응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만약에 학부모들이 피해자라는 사실을 알고, 혹은 본인 자녀들이 가해자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어떻게 대응을 해야 되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A. 먼저 피해학생의 학부모는 자녀와 충분히 대화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녀로부터 따뜻한 말로 대화를 이끌어줘야 되고요, 구체적으로는 너무 많이 힘들었겠다, 지금이라도 이야기해 줘서 정말 고맙다라고 하면서 자녀를 위로하고 배려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학교에 학교폭력을 신고하고, 신고하기 전에 자녀의 주장과 그리고 그것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충분히 수집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해학생의 학부모는 사실상 학교로부터 학교폭력 사실을 전해 듣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만일 가해학생 자녀의 잘못이 명백하다면 우선적으로 피해학생에게 진정으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알겠습니다. Q. 그럼 마지막으로 학교폭력이 없는 안전한 학교를 만들어야 되지 않겠습니까? 이를 위해서 교육계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한 말씀해 주시죠. A. 지금 학교폭력예방법이 2004년도에 제정되어서 벌써 20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교육부가 8차례에 걸쳐 걸쳐서 종합대책을 발표를 했는데, 아직도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먼저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해서는 합당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 무관용주의 또는 엄벌주의가 대두되는 의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엄벌주의만으로는 학교 폭력을 근절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피해학생을 보호해야 됩니다. 서로 용서하고 관계를 회복할 때 피해학생의 상처도 치유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무엇보다 학교폭력은 사회 구성원 전부가 동참해서 존중하고 배려하는 문화, 그리고 화해하고 치유하는 사회 공동체를 만들어 나간다면 안전한 학교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는 안타까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많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인물포커스] - 이일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KNN
2023-03-30
이일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인물포커스] - 이일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KNN 인물포커스입니다. 최근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학교폭력'. 하지만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현실 학폭 사건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법무법인 대륜의 이일권 변호사와 함께 학교폭력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오. -안녕하십니까, 변호사 이일권입니다. Q. 우선 최근 OTT 콘텐츠도 그렇고 각종 뉴스에서도 그렇고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선 우리 부산에서 얼마나 많은 학교폭력이 발생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교육부에서 매년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한 후에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4월 10일부터 한 달간 학교폭력 실태조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작년 '2022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피해 응답률이 1.7%로 나타났습니다. 학생 100명 중 1.7명이 학교폭력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통계이고요, 학교폭력 피해 유형을 보면 언어폭력이 40.8%로 가장 많습니다. 그다음으로 신체폭력이 14.8%이고요, 그다음에 따돌림, 그리고 사이버폭력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은 학교폭력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역시 언어폭력과 사이버폭력이 많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Q. 이와 동시에 언론 등을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어가 '학폭위'라는 단어입니다. 막상 사건이 발생하면 실제로 학폭위에서 어떻게 사건을 처리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인데, 어떤 일을 어떤 과정으로 처리합니까? A. 지금 학폭위는 학교폭력 사건이 신고가 되면 위원회가 소집이 됩니다. 학폭위는 사실상 재판이나 청문과 같은 유사한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요, 학폭위가 개최가 되면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을 불러서 양 당사자의 주장을 듣습니다. 그리고 양 당사자가 제출한 자료를 검토를 합니다. 그리고 위원들이 주장과 자료를 검토한 후에 이 사건이 학교폭력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요, 그리고 피해 학생에 대한 보호조치, 그리고 가해 학생에 대한 징계조치를 결정합니다. 피해학생에 대한 보호조치는 주로 전문가 상담이나 조언 또는 치료, 또는 그런 것들을 주로 위주로 하고요, 가해자에 대한 징계조치는 서면 사과부터 사회봉사, 특별교육까지 있습니다. 다만 조금 더 사안이 중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학급교체나 출석 정지, 그리고 퇴학*전학까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학폭위 조사 결과가 결국에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Q. 무엇보다 학폭위 절차까지 가기 전 예방도 중요할 것 같고 그 이후 대처도 중요할 것 같은데, 그렇다면 학폭 위험에 노출됐을 때 피해 학생들은 어떻게 대처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A. 피해학생들은 학교폭력 위험에 노출되어도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자기가 놀림을 당한, 그리고 맞은 그런 사안에 대해서 수치심을 느끼기도 하고, 또 부모님이 속상해할까 봐 그런 죄책감을 갖기도 합니다. 그리고 교사한테 알려지더라도 그 상황이 더 악화된다 또는 자신이 보복을 받을 수 있다, 따돌림을 받을 수 있다는 걱정과 불안 속에서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해학생이 적극적으로 피해사실을 신고해야 하지만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가족, 특히 부모님께 이야기를 드리고 솔직한 대화를 통해서 학교폭력 피해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그리고 학교에도 신고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Q. 그렇다면 피해학생이 부모님이나 교사에게 이 사실을 알렸을 때, 교사나 학부모 대응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만약에 학부모들이 피해자라는 사실을 알고, 혹은 본인 자녀들이 가해자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어떻게 대응을 해야 되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A. 먼저 피해학생의 학부모는 자녀와 충분히 대화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녀로부터 따뜻한 말로 대화를 이끌어줘야 되고요, 구체적으로는 너무 많이 힘들었겠다, 지금이라도 이야기해 줘서 정말 고맙다라고 하면서 자녀를 위로하고 배려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학교에 학교폭력을 신고하고, 신고하기 전에 자녀의 주장과 그리고 그것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충분히 수집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해학생의 학부모는 사실상 학교로부터 학교폭력 사실을 전해 듣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만일 가해학생 자녀의 잘못이 명백하다면 우선적으로 피해학생에게 진정으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알겠습니다. Q. 그럼 마지막으로 학교폭력이 없는 안전한 학교를 만들어야 되지 않겠습니까? 이를 위해서 교육계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한 말씀해 주시죠. A. 지금 학교폭력예방법이 2004년도에 제정되어서 벌써 20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교육부가 8차례에 걸쳐 걸쳐서 종합대책을 발표를 했는데, 아직도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먼저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해서는 합당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 무관용주의 또는 엄벌주의가 대두되는 의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엄벌주의만으로는 학교 폭력을 근절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피해학생을 보호해야 됩니다. 서로 용서하고 관계를 회복할 때 피해학생의 상처도 치유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무엇보다 학교폭력은 사회 구성원 전부가 동참해서 존중하고 배려하는 문화, 그리고 화해하고 치유하는 사회 공동체를 만들어 나간다면 안전한 학교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는 안타까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많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기사전문보기 - [인물포커스] - 이일권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로이슈
2023-03-29
이광수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로 합류
이광수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로 합류
[로이슈 진가영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지난 16일 서울고등검찰청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 최고총괄변호사(사진, 사업연수원 18기)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 변호사는 인천지검, 광주지검, 서울동부지검, 부산지검, 서울중앙지검, 춘천지검, 대전지검, 수원지검 등을 거치며 공안, 환경, 보건, 문화재, 지적재산권, 강력범죄, 마약, 부동산, 식품 등 여러 사건을 수행해왔다. 대륜 관계자는 “이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부를 졸업 후 미국 펜실베니아 로스쿨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유엔마약회의 법무부 대표로 참가하는 등 국제적인 법률감각을 지니고 있다.” 며 “더구나 그는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는 등 검찰업무 분야에서 검증된 실력을 가진 베테랑이다.”라고 덧붙였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신기술을 활용한 범죄 및 지식재산권 관련 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재권 및 경제범죄 분야에 뛰어난 두각을 나타내는 이광수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전담센터의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업급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국에 29개 운영 중인 로펌으로, 형사, 기업법무, 마약, 군형사, 지식재산권 등 사건별 전담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이광수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로 합류
로이슈
2023-03-29
이광수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로 합류
이광수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로 합류
[로이슈 진가영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지난 16일 서울고등검찰청 부장검사 출신 이광수 최고총괄변호사(사진, 사업연수원 18기)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 변호사는 인천지검, 광주지검, 서울동부지검, 부산지검, 서울중앙지검, 춘천지검, 대전지검, 수원지검 등을 거치며 공안, 환경, 보건, 문화재, 지적재산권, 강력범죄, 마약, 부동산, 식품 등 여러 사건을 수행해왔다. 대륜 관계자는 “이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부를 졸업 후 미국 펜실베니아 로스쿨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유엔마약회의 법무부 대표로 참가하는 등 국제적인 법률감각을 지니고 있다.” 며 “더구나 그는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는 등 검찰업무 분야에서 검증된 실력을 가진 베테랑이다.”라고 덧붙였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신기술을 활용한 범죄 및 지식재산권 관련 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재권 및 경제범죄 분야에 뛰어난 두각을 나타내는 이광수 변호사의 합류로 대륜의 형사전담센터의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업급했다. 한편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국에 29개 운영 중인 로펌으로, 형사, 기업법무, 마약, 군형사, 지식재산권 등 사건별 전담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이광수 전 서울고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한)대륜 변호사로 합류
더파워뉴스
2023-03-29
법무법인(유한)대륜, 한국성악가협회와 MOU체결
법무법인(유한)대륜, 한국성악가협회와 MOU체결
[더파워=최수영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과 한국성악가협회가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지난 주 대륜의 고병준 대표변호사와 한국성악가협회의 김상곤 대표이사 등이 참석하여 원활한 업무수행 및 상호 교류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적절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뜻을 모았다. 한국성악가협회는 음악교육 현장이 현저히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위해 건의하며, 성악인들이 공연 출연료를 정당하게 받을 수 있도록 대응하며, 저작권을 십분 활용할 수 있도록 협회 차원에서 안내하는 등 성악인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대륜은 지재권 관련 분쟁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MOU체결로 기업법률 자문 및 협회원들의 법률상담 지원 제공에 나선다. 전국에 지소를 운영하고 있어서 전국 각지의 한국성악가 협회 회원들이 거주지나 직장 가까이에서 편하게 법률지원을 받을 수 있을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엔터테인먼트ㆍ음악저작권 등 IP 관련 사업에 특화된 대륜의 지식재산권전문센터를 통해 협회 회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폭넓은 법률 지원을 제공하겠다.”라며 포부를 밝히며 “비영리단체와의 업무협약 및 법률지원을 통해 대형로펌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한국성악가협회와 MOU체결
더파워뉴스
2023-03-29
법무법인(유한)대륜, 한국성악가협회와 MOU체결
법무법인(유한)대륜, 한국성악가협회와 MOU체결
[더파워=최수영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과 한국성악가협회가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지난 주 대륜의 고병준 대표변호사와 한국성악가협회의 김상곤 대표이사 등이 참석하여 원활한 업무수행 및 상호 교류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적절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뜻을 모았다. 한국성악가협회는 음악교육 현장이 현저히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위해 건의하며, 성악인들이 공연 출연료를 정당하게 받을 수 있도록 대응하며, 저작권을 십분 활용할 수 있도록 협회 차원에서 안내하는 등 성악인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대륜은 지재권 관련 분쟁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MOU체결로 기업법률 자문 및 협회원들의 법률상담 지원 제공에 나선다. 전국에 지소를 운영하고 있어서 전국 각지의 한국성악가 협회 회원들이 거주지나 직장 가까이에서 편하게 법률지원을 받을 수 있을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병준 대표변호사는 “엔터테인먼트ㆍ음악저작권 등 IP 관련 사업에 특화된 대륜의 지식재산권전문센터를 통해 협회 회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폭넓은 법률 지원을 제공하겠다.”라며 포부를 밝히며 “비영리단체와의 업무협약 및 법률지원을 통해 대형로펌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한국성악가협회와 MOU체결
이투뉴스
2023-03-24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불법 사무장병원에 대한 요양급여환수 조치 관련 근거를 명확히 하는 법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하면서 향후에는 적발된 사무장병원에 대해 형사처분, 행정처분 외에도 요양급여환수처분까지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는 사무장병원 적발 시에도 건보법상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요양급여 환수 조치가 어려웠으나, 불법 사무장병원과 면대약국 등에 대한 요양급여비 환수 근거를 명확히 하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이 지난 2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되면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진 것이다. 불법 사무장병원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의료인의 명의를 대여하여 병원을 세우고, 의사를 고용해 운영하거나 의사라고 할지라도 복수병원을 운영할 수 없음에도 다른 의사의 명의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병원을 뜻한다. 이러한 사무장병원 개설 및 운영은 의료법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불법운영 기간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하여 수령한 요양급여가 모두 사기죄로 인정되어 처벌 및 환수 조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운영기간이 길면 길수록 금고이상의 실형에 처해질 확률이 높아지고, 해당 병원이 사무장병원이라는 것을 알고도 고용된 의사는 의사 면허 취소 처분이 이루어질 여지가 높다. 봉직의 경우에도 방조혐의가 적용되어 형사처벌과 함께 1년 이내의 자격정지 처분이 내려진다. 현행 의료법 제33조 제2항에 따르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있는 자격을 의료인 등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의료인 등이 아니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다. 의료법이 이와 같은 규정을 둔 이유는 건전한 의료질서를 확립하고 영리목적으로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경우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국민 건강상의 위험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취지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은영변호사는 “사무장병원으로 인정될 시 의료법상 처벌수위가 매우 높은데다 건보 요양급여 환수 및 의사면허취소 등 뒤따르는 행정조치 역시 강도 높게 이루어진다”면서 “만약 사무장병원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근무하였다면 의료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확실하게 대처해야만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이투뉴스
2023-03-24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불법 사무장병원에 대한 요양급여환수 조치 관련 근거를 명확히 하는 법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하면서 향후에는 적발된 사무장병원에 대해 형사처분, 행정처분 외에도 요양급여환수처분까지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는 사무장병원 적발 시에도 건보법상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요양급여 환수 조치가 어려웠으나, 불법 사무장병원과 면대약국 등에 대한 요양급여비 환수 근거를 명확히 하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이 지난 2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되면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진 것이다. 불법 사무장병원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의료인의 명의를 대여하여 병원을 세우고, 의사를 고용해 운영하거나 의사라고 할지라도 복수병원을 운영할 수 없음에도 다른 의사의 명의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병원을 뜻한다. 이러한 사무장병원 개설 및 운영은 의료법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불법운영 기간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하여 수령한 요양급여가 모두 사기죄로 인정되어 처벌 및 환수 조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운영기간이 길면 길수록 금고이상의 실형에 처해질 확률이 높아지고, 해당 병원이 사무장병원이라는 것을 알고도 고용된 의사는 의사 면허 취소 처분이 이루어질 여지가 높다. 봉직의 경우에도 방조혐의가 적용되어 형사처벌과 함께 1년 이내의 자격정지 처분이 내려진다. 현행 의료법 제33조 제2항에 따르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있는 자격을 의료인 등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의료인 등이 아니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다. 의료법이 이와 같은 규정을 둔 이유는 건전한 의료질서를 확립하고 영리목적으로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경우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국민 건강상의 위험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취지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은영변호사는 “사무장병원으로 인정될 시 의료법상 처벌수위가 매우 높은데다 건보 요양급여 환수 및 의사면허취소 등 뒤따르는 행정조치 역시 강도 높게 이루어진다”면서 “만약 사무장병원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근무하였다면 의료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확실하게 대처해야만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글로벌에픽
2023-03-24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 과실비율 분쟁 시 손해배상소송 준비해야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 과실비율 분쟁 시 손해배상소송 준비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의료과실이란 의사의 업무상 주의 의무를 위반하는 것으로 환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손해를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실로 의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관련 의료인은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 의료과실을 저지른 의료인에게는 형법상의 책임(업무상 과실치사상죄), 민사상의 책임(불법행위,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 행정상의 책임(의료법에 의한 의사 면허취소 등)이 뒤따르게 된다. 우선 의료분쟁이 발생하면 형사소송을 제기해 과실 치상죄 또는 업무상 과실, 중과실치상죄부터 다툴 수 있는데, 해당 혐의의 경우는 분쟁이 발생한 의료사고의 책임이 명백하게 의료인의 과실에 기인한 것인지를 여부를 의학적,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하므로 비교적 까다롭다. 행정상의 책임인 의료법 위반에 따른 면허취소의 경우도 의료사고가 일어나게 된 것에 대해 의료인의 진담 및 처치 과정이 정당하고 절차적으로 올바른 것이었는지를 여부를 따져 면허취소에 해당되는 수준의 과실인지를 판단해야만 한다. 따라서 의료과실의 피해자인 환자라면 앞선 두가지 책임을 물음과 동시에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피해 입은 것에 대한 배상액을 받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손해배상액은 의료사고의 성격, 의료기관의 종류, 환자와의 관계, 당사자의 합의 의지, 보험사 중재 수용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의료분쟁 발생 시엔 기본적으로 보험사 손해사정인이 사고에 대한 검토를 거쳐 의료과실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손해배상액을 제시하고 환자 동의를 얻어 보험금을 지급하고 합의를 하는 방식으로 분쟁 해결에 나서게 되는데, 환자가 보험접수를 거부하거나 보험사에서 제시하는 손해배상액을 환자가 수용하지 않을 경우엔 배상책임보험에 가입했음에도 민사소송 법적 절차가 진행된다. 민사에서의 손해배상 의료소송은 법원의 감독 하에 신체감정, 진료기록감정절차를 진행한 후 감정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의 과실 여부와 과실 비율 및 손해와의 인과관계 여부를 면밀히 판단해 과실이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손해배상액을 산정하게 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최보윤 변호사는 “당사자간 합의나 보험처리 및 조정절차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재판으로 이어질 경우 부당한 판결로 손해를 보지 않도록 의료사고 소송 경험이 많은 의료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철저하게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 과실비율 분쟁 시 손해배상소송 준비해야
글로벌에픽
2023-03-24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 과실비율 분쟁 시 손해배상소송 준비해야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 과실비율 분쟁 시 손해배상소송 준비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의료과실이란 의사의 업무상 주의 의무를 위반하는 것으로 환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손해를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실로 의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관련 의료인은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 의료과실을 저지른 의료인에게는 형법상의 책임(업무상 과실치사상죄), 민사상의 책임(불법행위,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 행정상의 책임(의료법에 의한 의사 면허취소 등)이 뒤따르게 된다. 우선 의료분쟁이 발생하면 형사소송을 제기해 과실 치상죄 또는 업무상 과실, 중과실치상죄부터 다툴 수 있는데, 해당 혐의의 경우는 분쟁이 발생한 의료사고의 책임이 명백하게 의료인의 과실에 기인한 것인지를 여부를 의학적,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하므로 비교적 까다롭다. 행정상의 책임인 의료법 위반에 따른 면허취소의 경우도 의료사고가 일어나게 된 것에 대해 의료인의 진담 및 처치 과정이 정당하고 절차적으로 올바른 것이었는지를 여부를 따져 면허취소에 해당되는 수준의 과실인지를 판단해야만 한다. 따라서 의료과실의 피해자인 환자라면 앞선 두가지 책임을 물음과 동시에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피해 입은 것에 대한 배상액을 받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손해배상액은 의료사고의 성격, 의료기관의 종류, 환자와의 관계, 당사자의 합의 의지, 보험사 중재 수용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의료분쟁 발생 시엔 기본적으로 보험사 손해사정인이 사고에 대한 검토를 거쳐 의료과실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손해배상액을 제시하고 환자 동의를 얻어 보험금을 지급하고 합의를 하는 방식으로 분쟁 해결에 나서게 되는데, 환자가 보험접수를 거부하거나 보험사에서 제시하는 손해배상액을 환자가 수용하지 않을 경우엔 배상책임보험에 가입했음에도 민사소송 법적 절차가 진행된다. 민사에서의 손해배상 의료소송은 법원의 감독 하에 신체감정, 진료기록감정절차를 진행한 후 감정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의 과실 여부와 과실 비율 및 손해와의 인과관계 여부를 면밀히 판단해 과실이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손해배상액을 산정하게 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최보윤 변호사는 “당사자간 합의나 보험처리 및 조정절차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재판으로 이어질 경우 부당한 판결로 손해를 보지 않도록 의료사고 소송 경험이 많은 의료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철저하게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 과실비율 분쟁 시 손해배상소송 준비해야
로리더
2023-03-24
입증책임으로 인한 피해 줄이려면 체계적 소송증거 수집 선행되어야
입증책임으로 인한 피해 줄이려면 체계적 소송증거 수집 선행되어야
‘입증책임’이란 소송상 어느 증명이 필요한 사실이 진실인지 허위인지가 불명확할 때, 그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되어 법률 판단을 받게 되는 당사자 일방의 위험 또는 불이익을 말한다. 소송절차가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은 미흡한 증거수집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과 불이익이 클 수밖에 없다. 법조인들 역시 입증책임이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데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큰 상황이다. 실제로 대법원 법원행정처의 ‘디스커버리 제도에 대한 법관 인식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94%가 ‘현행 민사소송 제도하에서 법원이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민사소송 제도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입증책임과 관련하여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디스커버리 제도는 소송법상의 당사자 사이에 쌍방이 소지하고 있는 증거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재판이 시작되기 전에 양측 당사자들이 서로가 가진 증거와 서류를 상호 공개하도록 하는 미국의 법률 제도이다. 상대방이 가진 증거들을 제출 받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거의 누락 없이 쟁점을 명확히 하도록 해주고 사실관계가 제대로 정리될 수 있도록 해주므로 법원의 심리 기간도 단축되고 재판 절차 역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국내는 미국처럼 디스커버리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 않지만, 결국은 명확한 증거수집이 선행되는 것이 중요하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명확한 증거수집이 선행될 경우 서로의 주장 및 근거에 확실한 입장을 가지게 되어 당사자 간 합의나 조정으로 단기간에 사건이 해결 될 수 있다는 기대효과도 있다. 설령 상대방이 증거를 부정하여 재판절차를 진행하더라도구체적 모든 증거가 정리되어 있어 이에 기반한 객관적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재판이 진행되므로 보다 합리적인 판단을 이끌어낼 수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이경민 변호사는 “개인정보법 강화 등 개인이 증거를 확보하고 분석 하는데 한계가 있는 만큼 전문변호사에게 조력을 구해 위법성을 배제한 증거 수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입증책임으로 인한 피해 줄이려면 체계적 소송증거 수집 선행되어야
로리더
2023-03-24
입증책임으로 인한 피해 줄이려면 체계적 소송증거 수집 선행되어야
입증책임으로 인한 피해 줄이려면 체계적 소송증거 수집 선행되어야
‘입증책임’이란 소송상 어느 증명이 필요한 사실이 진실인지 허위인지가 불명확할 때, 그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되어 법률 판단을 받게 되는 당사자 일방의 위험 또는 불이익을 말한다. 소송절차가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은 미흡한 증거수집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과 불이익이 클 수밖에 없다. 법조인들 역시 입증책임이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데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큰 상황이다. 실제로 대법원 법원행정처의 ‘디스커버리 제도에 대한 법관 인식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94%가 ‘현행 민사소송 제도하에서 법원이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민사소송 제도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입증책임과 관련하여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디스커버리 제도는 소송법상의 당사자 사이에 쌍방이 소지하고 있는 증거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재판이 시작되기 전에 양측 당사자들이 서로가 가진 증거와 서류를 상호 공개하도록 하는 미국의 법률 제도이다. 상대방이 가진 증거들을 제출 받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거의 누락 없이 쟁점을 명확히 하도록 해주고 사실관계가 제대로 정리될 수 있도록 해주므로 법원의 심리 기간도 단축되고 재판 절차 역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국내는 미국처럼 디스커버리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 않지만, 결국은 명확한 증거수집이 선행되는 것이 중요하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명확한 증거수집이 선행될 경우 서로의 주장 및 근거에 확실한 입장을 가지게 되어 당사자 간 합의나 조정으로 단기간에 사건이 해결 될 수 있다는 기대효과도 있다. 설령 상대방이 증거를 부정하여 재판절차를 진행하더라도구체적 모든 증거가 정리되어 있어 이에 기반한 객관적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재판이 진행되므로 보다 합리적인 판단을 이끌어낼 수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이경민 변호사는 “개인정보법 강화 등 개인이 증거를 확보하고 분석 하는데 한계가 있는 만큼 전문변호사에게 조력을 구해 위법성을 배제한 증거 수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입증책임으로 인한 피해 줄이려면 체계적 소송증거 수집 선행되어야
로이슈
2023-03-22
산업현장 노동자의 업무상재해, 종류 및 인정여부 꼼꼼히 따져봐야
산업현장 노동자의 업무상재해, 종류 및 인정여부 꼼꼼히 따져봐야
[로이슈 진가영 기자] 산업재해는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란 계약의 형식보다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산업재해에 대해 생각하면 건설현장이나 제조업 공장에서 발생하는 인사사고를 떠올리기 쉽지만, 반드시 직접적인 물리 요인이 아니더라도 질병에 노출되어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근로자가 퇴직 후에도 자신이 수행했던 업무로 인해 발생한 질병임을 입증하면 산재로 승인받을 수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에서는 업무와 상당 인과관계가 있는 부상, 질병 또는 사망의 경우 업무상 재해로 보고 있다. 해당 법에서는 업무상 재해의 구체적 종류로 업무상 사고, 업무상 질병, 출퇴근 재해를 규정하고 있다. 업무상 사고는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하는 사고로써 업무를 할 때 발생한 사고뿐만 아니라 회사 주관 행사 중 발생한 사고도 포함한다. 업무상 질병이란 업무 수행 과정에서 물리적 요인, 화학물질, 분진, 병원체, 신체에 부담을 주는 업무 등 근로자의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취급하거나 그것에 노출돼 발생한 질병을 말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준 변호사는 “산재가 발생한 근로자 입장에서는 일을 하지 못해 당장 수입원이 없어지므로 충분한 산재 보상을 통해 생계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재해 사고 혹은 업무상 질병은 사실 관계를 입증하는 것부터 쉽지 않기 때문에 노동전문변호사와 함께 증거를 수집하고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산업현장 노동자의 업무상재해, 종류 및 인정여부 꼼꼼히 따져봐야
로이슈
2023-03-22
산업현장 노동자의 업무상재해, 종류 및 인정여부 꼼꼼히 따져봐야
산업현장 노동자의 업무상재해, 종류 및 인정여부 꼼꼼히 따져봐야
[로이슈 진가영 기자] 산업재해는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란 계약의 형식보다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산업재해에 대해 생각하면 건설현장이나 제조업 공장에서 발생하는 인사사고를 떠올리기 쉽지만, 반드시 직접적인 물리 요인이 아니더라도 질병에 노출되어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근로자가 퇴직 후에도 자신이 수행했던 업무로 인해 발생한 질병임을 입증하면 산재로 승인받을 수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에서는 업무와 상당 인과관계가 있는 부상, 질병 또는 사망의 경우 업무상 재해로 보고 있다. 해당 법에서는 업무상 재해의 구체적 종류로 업무상 사고, 업무상 질병, 출퇴근 재해를 규정하고 있다. 업무상 사고는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하는 사고로써 업무를 할 때 발생한 사고뿐만 아니라 회사 주관 행사 중 발생한 사고도 포함한다. 업무상 질병이란 업무 수행 과정에서 물리적 요인, 화학물질, 분진, 병원체, 신체에 부담을 주는 업무 등 근로자의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취급하거나 그것에 노출돼 발생한 질병을 말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준 변호사는 “산재가 발생한 근로자 입장에서는 일을 하지 못해 당장 수입원이 없어지므로 충분한 산재 보상을 통해 생계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재해 사고 혹은 업무상 질병은 사실 관계를 입증하는 것부터 쉽지 않기 때문에 노동전문변호사와 함께 증거를 수집하고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산업현장 노동자의 업무상재해, 종류 및 인정여부 꼼꼼히 따져봐야
한국강사신문
2023-03-22
시사기획 창, 내 건강을 부탁해?…건강정보프로그램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
시사기획 창, 내 건강을 부탁해?…건강정보프로그램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
[한국강사신문 이미숙 기자] 다이어트 보조제, 노화 방지, 관절 보호…유튜브에는 추천 제품이 넘치고 인스타그램의 실감 나는 체험담은 ‘구매하기’를 클릭하라고 유혹한다. TV 건강정보프로그램에선 의사, 약사, 한의사 등 전문가들이 나와 친절하게 ‘과학적 근거’를 설명한다. 은 소비자단체인 ‘소비자시민모임’과 함께 네이버, 카카오, 인스타그램, 유튜브, 쿠팡 등 5개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기능성 광고) 온라인 광고 400건을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모호한 표현으로 과장이긴 하지만 정확히 부당 광고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을 제외하고서도 무려 233건의 부당 광고가 드러났다. 약인 것처럼 광고하거나 원료나 제품의 기능을 과장, 허위 사실을 쓴 경우, 효과를 과장한 체험 후기가 많았다. 관절 보호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인기를 얻은 A사의 ‘초록입홍합’ 제품은 관절염 치료, 천식·심혈관 질환 예방, 염증 완화 등 의약품 수준의 치료 효과를 광고했다. SNS 인플루언서가 동원된 B사의 ‘시서스’ 제품, 체지방을 감소시켜 주는 건 물론이고 먹으면 당뇨 예방, 뼈 건강, 통증과 염증 완화 등의 효능이 있다고 버젓이 말하고 있다. 광고에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논문이 제시된다. 과연 ‘최신 연구 결과’라고 내세운 이 논문의 내용은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취재진은 광고에 사용된 여러 논문을 검증했다. 유리한 부분만 발췌했거나 출처를 제대로 밝히지 않은 것들, 25년 전 논문을 최신 연구 결과라고 주장한 것들이 확인됐다. 또 하나,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실험도 등장한다. 빵이나 기름 덩어리가 녹아내리고, 치킨 위로 기름이 분리돼 둥둥 뜨기도 한다. ‘와’감탄하며 보게 되는 그 실험들, 편에서 실험의 실체를 볼 수 있다. 의사, 한의사, 약사, 전문가들이 나의 건강을 염려해주고 문제 해결책을 알려주는 TV 건강정보프로그램. 김은정 교수(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는 건강정보프로그램을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이라고 말했다. 취재진은 전문가들과 함께 건강정보프로그램 8개, 24편의 방송 내용을 분석했다. 그들은 어떻게 우리의 마음을 흔들어 지갑을 열게 하는가. 방송의 탈을 쓴 거대한 광고와 그 광고에 동원되는 의사, 한의사, 약사 등 전문가들이 어떤 방법으로 우리를 유혹하는지 3월 21일 밤 10시 KBS 410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사직격'은 한국방송공사의 탐사보도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 탐사 보도의 노하우와 정통 다큐멘터리의 기획력을 바탕으로 한 시사 프로그램이다. 은 과 을 통합하며, 급변하는 시사 현안에 보다 빨리 대응하고 심도 있는 탐사 기획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이다. 진행자(출연진)는 임재성 변호사이다. 다양한 이슈 정보를 제공해 공식영상, 회차정보 등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시사기획 창, 내 건강을 부탁해?…건강정보프로그램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
한국강사신문
2023-03-22
시사기획 창, 내 건강을 부탁해?…건강정보프로그램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
시사기획 창, 내 건강을 부탁해?…건강정보프로그램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
[한국강사신문 이미숙 기자] 다이어트 보조제, 노화 방지, 관절 보호…유튜브에는 추천 제품이 넘치고 인스타그램의 실감 나는 체험담은 ‘구매하기’를 클릭하라고 유혹한다. TV 건강정보프로그램에선 의사, 약사, 한의사 등 전문가들이 나와 친절하게 ‘과학적 근거’를 설명한다. 은 소비자단체인 ‘소비자시민모임’과 함께 네이버, 카카오, 인스타그램, 유튜브, 쿠팡 등 5개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기능성 광고) 온라인 광고 400건을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모호한 표현으로 과장이긴 하지만 정확히 부당 광고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을 제외하고서도 무려 233건의 부당 광고가 드러났다. 약인 것처럼 광고하거나 원료나 제품의 기능을 과장, 허위 사실을 쓴 경우, 효과를 과장한 체험 후기가 많았다. 관절 보호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인기를 얻은 A사의 ‘초록입홍합’ 제품은 관절염 치료, 천식·심혈관 질환 예방, 염증 완화 등 의약품 수준의 치료 효과를 광고했다. SNS 인플루언서가 동원된 B사의 ‘시서스’ 제품, 체지방을 감소시켜 주는 건 물론이고 먹으면 당뇨 예방, 뼈 건강, 통증과 염증 완화 등의 효능이 있다고 버젓이 말하고 있다. 광고에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논문이 제시된다. 과연 ‘최신 연구 결과’라고 내세운 이 논문의 내용은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취재진은 광고에 사용된 여러 논문을 검증했다. 유리한 부분만 발췌했거나 출처를 제대로 밝히지 않은 것들, 25년 전 논문을 최신 연구 결과라고 주장한 것들이 확인됐다. 또 하나,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실험도 등장한다. 빵이나 기름 덩어리가 녹아내리고, 치킨 위로 기름이 분리돼 둥둥 뜨기도 한다. ‘와’감탄하며 보게 되는 그 실험들, 편에서 실험의 실체를 볼 수 있다. 의사, 한의사, 약사, 전문가들이 나의 건강을 염려해주고 문제 해결책을 알려주는 TV 건강정보프로그램. 김은정 교수(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는 건강정보프로그램을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이라고 말했다. 취재진은 전문가들과 함께 건강정보프로그램 8개, 24편의 방송 내용을 분석했다. 그들은 어떻게 우리의 마음을 흔들어 지갑을 열게 하는가. 방송의 탈을 쓴 거대한 광고와 그 광고에 동원되는 의사, 한의사, 약사 등 전문가들이 어떤 방법으로 우리를 유혹하는지 3월 21일 밤 10시 KBS 410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사직격'은 한국방송공사의 탐사보도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 탐사 보도의 노하우와 정통 다큐멘터리의 기획력을 바탕으로 한 시사 프로그램이다. 은 과 을 통합하며, 급변하는 시사 현안에 보다 빨리 대응하고 심도 있는 탐사 기획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이다. 진행자(출연진)는 임재성 변호사이다. 다양한 이슈 정보를 제공해 공식영상, 회차정보 등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시사기획 창, 내 건강을 부탁해?…건강정보프로그램 ‘크고 잘 짜여진 광고 전략’
비욘드포스트
2023-03-21
회사와 노동자 양측 부담되는 부당해고 문제, 면밀한 법률적 검토 선행되야
회사와 노동자 양측 부담되는 부당해고 문제, 면밀한 법률적 검토 선행돼야
[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근로자들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하면 생계유지에 큰 곤란을 겪게 된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에서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들이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여러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우선은 부당해고를 사유로 법률 분쟁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법률상 근로자의 지위가 인정되는지를 우선하여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여부는 형식적 내용이 아닌 업무의 실질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근로자가 회사에 종속되어 그 회사의 지휘·감독 아래 일정 기간 이상 근로를 행해왔는지가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규직이 아니라 기간제 근로자라고 하더라도 최초의 근로계약을 갱신하여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업무를 지속해 온 경우라면 근로자의 지위가 인정될 수 있다. 또한 근로소득세가 아닌 사업소득세를 공제한 금액을 급여로 지급받았거나, 4대 보험에 미가입 되어 있다는 사유만으로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지위에서 제외되는 것이 아니다. 만약 사측이 이와 같은 점들을 배제한 채 해고조치를 하였다면 이는 명백히 부당해고에 해당되므로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하거나, 부당해고 취소 소송 등의 법률적 대응까지도 고려해야 한다.지방노동위원회 구제는 근로자가 근무했던 사업장 소재지에 위치한 지방노동위원회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지방노동위원회의 결정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하려면 중앙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에 대한 심사를 추가로 신청할 수 있으며, 재심에서도 불복할 때에는 부당해고취소소송을 제기하여 해고의 정당성에 대해 다퉈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안승진 변호사는 “부당해고가 인정될 시 근로자는 다시 복직할 수 있으며 해고 기간 동안 받지 못한 임금 역시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부당해고를 둘러싼 근로자와 기업의 갈등은 양측 모두에게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이므로 관련 사건 경험이 풍부한 노동전문변호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하여 판례와 법리를 충분히 참고한 뒤 논리적으로 대응하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회사와 노동자 양측 부담되는 부당해고 문제, 면밀한 법률적 검토 선행되야
비욘드포스트
2023-03-21
회사와 노동자 양측 부담되는 부당해고 문제, 면밀한 법률적 검토 선행되야
회사와 노동자 양측 부담되는 부당해고 문제, 면밀한 법률적 검토 선행돼야
[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근로자들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하면 생계유지에 큰 곤란을 겪게 된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에서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들이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여러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우선은 부당해고를 사유로 법률 분쟁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법률상 근로자의 지위가 인정되는지를 우선하여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여부는 형식적 내용이 아닌 업무의 실질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근로자가 회사에 종속되어 그 회사의 지휘·감독 아래 일정 기간 이상 근로를 행해왔는지가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규직이 아니라 기간제 근로자라고 하더라도 최초의 근로계약을 갱신하여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업무를 지속해 온 경우라면 근로자의 지위가 인정될 수 있다. 또한 근로소득세가 아닌 사업소득세를 공제한 금액을 급여로 지급받았거나, 4대 보험에 미가입 되어 있다는 사유만으로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지위에서 제외되는 것이 아니다. 만약 사측이 이와 같은 점들을 배제한 채 해고조치를 하였다면 이는 명백히 부당해고에 해당되므로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하거나, 부당해고 취소 소송 등의 법률적 대응까지도 고려해야 한다.지방노동위원회 구제는 근로자가 근무했던 사업장 소재지에 위치한 지방노동위원회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지방노동위원회의 결정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하려면 중앙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에 대한 심사를 추가로 신청할 수 있으며, 재심에서도 불복할 때에는 부당해고취소소송을 제기하여 해고의 정당성에 대해 다퉈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안승진 변호사는 “부당해고가 인정될 시 근로자는 다시 복직할 수 있으며 해고 기간 동안 받지 못한 임금 역시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부당해고를 둘러싼 근로자와 기업의 갈등은 양측 모두에게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이므로 관련 사건 경험이 풍부한 노동전문변호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하여 판례와 법리를 충분히 참고한 뒤 논리적으로 대응하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 회사와 노동자 양측 부담되는 부당해고 문제, 면밀한 법률적 검토 선행되야
더파워뉴스
2023-03-21
임금·퇴직금 체불 문제 등 노동 분쟁 시 법적 대응 나서야
임금·퇴직금 체불 문제 등 노동 분쟁 시 법적 대응 나서야
[더파워=유연수 기자] 최근 오랜 시간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많은 고용주들이 사업 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근로자들 또한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심지어 해고당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고용주와 근로자 간에 체불된 임금이나 퇴직금 등의 문제로 법적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임금은 매달 지출해야 하는 공과금과 적금, 생활비 등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 생존권을 지키는 수단이다. 때문에 근로자들에게 임금 수령과 인상 협상 문제는 그 무엇보다도 민감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회사 경영이 악화되었다는 이유로 임금의 지급을 미루기도 하고 임금의 일부만 조금씩 지급하기도 한다. 또한 아예 퇴직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거나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급여를 지급하는 일도 허다하다. 근로기준법에 따른 임금 지급 원칙을 따르지 않는 임금체불이 발생할 시 근로자는 우선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임금체불진정서를 제출하여 근로감독관의 판단을 촉구할 수 있다. 근로감독관은 당사자 및 사실조사를 거쳐 임금체불이 확인되면 사업주에게 체불임금 지급을 촉구할 수 있으며, 이때 합의를 통해 체불임금 지급 문제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근로감독관이 지급을 촉구했음에도 사업자가 계속해서 임금을 체불할 경우엔 사업주를 법 위반으로 고발할 수 있다. 이때 근로감독관은 체불임금에 대한 확인서를 발급해주어 근로자가 민사소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용주가 지급해야 할 임금 체불할 경우 형사적인 처벌이 이뤄진다. 임금체불에 대한 처벌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내려지며, 최저임금법을 위반했다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또한 임금 등 체불로 2회 이상 유죄 확정 판결을 받거나, 체불총액이 3천만원 이상인 경우 임금체불 사업장으로 명단이 공개돼 사업 유지 및 사업주의 신용 관리에 큰 불이익을 받게 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광덕 변호사는 “임금체불은 사업자, 근로자 모두 무작정 버틴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법률상 분쟁이 발생하였다면 노동전문변호사에게 조언을 구해 원만하게 풀어갈 수 있도록 대응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임금·퇴직금 체불 문제 등 노동 분쟁 시 법적 대응 나서야
더파워뉴스
2023-03-21
임금·퇴직금 체불 문제 등 노동 분쟁 시 법적 대응 나서야
임금·퇴직금 체불 문제 등 노동 분쟁 시 법적 대응 나서야
[더파워=유연수 기자] 최근 오랜 시간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많은 고용주들이 사업 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근로자들 또한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심지어 해고당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고용주와 근로자 간에 체불된 임금이나 퇴직금 등의 문제로 법적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임금은 매달 지출해야 하는 공과금과 적금, 생활비 등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 생존권을 지키는 수단이다. 때문에 근로자들에게 임금 수령과 인상 협상 문제는 그 무엇보다도 민감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회사 경영이 악화되었다는 이유로 임금의 지급을 미루기도 하고 임금의 일부만 조금씩 지급하기도 한다. 또한 아예 퇴직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거나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급여를 지급하는 일도 허다하다. 근로기준법에 따른 임금 지급 원칙을 따르지 않는 임금체불이 발생할 시 근로자는 우선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임금체불진정서를 제출하여 근로감독관의 판단을 촉구할 수 있다. 근로감독관은 당사자 및 사실조사를 거쳐 임금체불이 확인되면 사업주에게 체불임금 지급을 촉구할 수 있으며, 이때 합의를 통해 체불임금 지급 문제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근로감독관이 지급을 촉구했음에도 사업자가 계속해서 임금을 체불할 경우엔 사업주를 법 위반으로 고발할 수 있다. 이때 근로감독관은 체불임금에 대한 확인서를 발급해주어 근로자가 민사소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용주가 지급해야 할 임금 체불할 경우 형사적인 처벌이 이뤄진다. 임금체불에 대한 처벌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내려지며, 최저임금법을 위반했다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또한 임금 등 체불로 2회 이상 유죄 확정 판결을 받거나, 체불총액이 3천만원 이상인 경우 임금체불 사업장으로 명단이 공개돼 사업 유지 및 사업주의 신용 관리에 큰 불이익을 받게 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광덕 변호사는 “임금체불은 사업자, 근로자 모두 무작정 버틴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법률상 분쟁이 발생하였다면 노동전문변호사에게 조언을 구해 원만하게 풀어갈 수 있도록 대응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임금·퇴직금 체불 문제 등 노동 분쟁 시 법적 대응 나서야
빅데이터뉴스
2023-03-17
사이버학교폭력 사건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 증명할 증거 확보 중요
사이버학교폭력 사건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 증명할 증거 확보 중요
[빅데이터뉴스 박경호 기자] 최근 온라인상으로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학생들이 우울증에 시달리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사이버 불링이 학교폭력 유형 중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사이버 학교폭력은 온라인, 사이버 상에서 이뤄지는 사이버 학교폭력은 학교 내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피해학생이 학교를 벗어난 후에도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사이버 불링을 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버 불링은 상대방의 명예를 훼손하는 구체적인 말을 하거나 그런 내용의 글을 인터넷 등으로 퍼뜨리는 행위, 여러 사람 앞에서 상대방을 비하하는 모욕적인 용어를 지속적으로 말하거나 그런 내용의 글을 인터넷 등으로 퍼뜨리는 행위 등을 포함한다. 사이버 학교폭력 사건은 스마트기기 보급률이 높아지고 비대면 소통이 많아지면서 발생 빈도와 그 수위는 점점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피해자들의 고통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각하며 우울증에 시달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 의해 집단 폭력을 당할 수 있으며, 단순히 정신적 피해뿐만 아니라 기프티콘을 요구하거나 피해자의 데이터를 갈취하는 등의 금전적 피해를 입기도 한다. 또한 일반적인 기존 대면 학교폭력과는 다르게 부모나 지인이 눈치채기 어렵도록 상당히 지능적이면서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가해자들의 일방적 괴롭힘이 계속된다면 시간을 오래 지체하지 말고 법적 대응에 나설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이버학교폭력의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을 증명할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피해 상황을 녹음을 하거나 대화 내역을 남겨두고 일기장 등에 피해 사실을 기재하는 등 구체적인 자료를 남겨놓는 게 좋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상의변호사는 사이버학교폭력은 사실상 겉으로 피해가 쉽게 드러나지 않아 자녀가 오랜 시간 고통을 받아 상처가 깊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들은 학폭 피해가 의심된다면 자신의 자녀를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학교폭력은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학교폭력 인정 여부 및 조치처분의 수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학교폭력 사건 경험이 많은 학교폭력전문변호사의 상담을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사이버학교폭력 사건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 증명할 증거 확보 중요
빅데이터뉴스
2023-03-17
사이버학교폭력 사건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 증명할 증거 확보 중요
사이버학교폭력 사건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 증명할 증거 확보 중요
[빅데이터뉴스 박경호 기자] 최근 온라인상으로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학생들이 우울증에 시달리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사이버 불링이 학교폭력 유형 중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사이버 학교폭력은 온라인, 사이버 상에서 이뤄지는 사이버 학교폭력은 학교 내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피해학생이 학교를 벗어난 후에도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사이버 불링을 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버 불링은 상대방의 명예를 훼손하는 구체적인 말을 하거나 그런 내용의 글을 인터넷 등으로 퍼뜨리는 행위, 여러 사람 앞에서 상대방을 비하하는 모욕적인 용어를 지속적으로 말하거나 그런 내용의 글을 인터넷 등으로 퍼뜨리는 행위 등을 포함한다. 사이버 학교폭력 사건은 스마트기기 보급률이 높아지고 비대면 소통이 많아지면서 발생 빈도와 그 수위는 점점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피해자들의 고통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각하며 우울증에 시달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 의해 집단 폭력을 당할 수 있으며, 단순히 정신적 피해뿐만 아니라 기프티콘을 요구하거나 피해자의 데이터를 갈취하는 등의 금전적 피해를 입기도 한다. 또한 일반적인 기존 대면 학교폭력과는 다르게 부모나 지인이 눈치채기 어렵도록 상당히 지능적이면서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가해자들의 일방적 괴롭힘이 계속된다면 시간을 오래 지체하지 말고 법적 대응에 나설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이버학교폭력의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을 증명할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피해 상황을 녹음을 하거나 대화 내역을 남겨두고 일기장 등에 피해 사실을 기재하는 등 구체적인 자료를 남겨놓는 게 좋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상의변호사는 사이버학교폭력은 사실상 겉으로 피해가 쉽게 드러나지 않아 자녀가 오랜 시간 고통을 받아 상처가 깊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들은 학폭 피해가 의심된다면 자신의 자녀를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학교폭력은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학교폭력 인정 여부 및 조치처분의 수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학교폭력 사건 경험이 많은 학교폭력전문변호사의 상담을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사이버학교폭력 사건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 증명할 증거 확보 중요
이투뉴스
2023-03-17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 출신 성인욱 변호사 합류···형사사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 출신 성인욱 변호사 합류···형사사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지난 6일 전 인천지방검찰청 검사 출신 성인욱 수석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그는 법학전문대학원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검사로 임용된 후 전주지검, 수원안산지청, 인천지검 검사 등을 역임하며 강력범죄, 교통사고, 학교폭력, 소년범죄 등의 여러 형사사건을 담당해왔다.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수사권 조정 등 사건처리절차의 흐름이 급변하는 현 상황에서 지난달 24일 퇴임 직후 대륜에 합류한 성인욱 변호사로 인해 수사 방식의 변화에 더욱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라며 “성 변호사의 합류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범죄 및 마약, 성범죄 등을 담당하는 형사전담팀의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관계자는 “형사사건은 초기 수사단계부터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 사법부 전관예우 분석자료에 따르면 전관변호사의 집행유예 비율은 일반변호사의 2배에 달한다고 한다.”라며 “의뢰인들에게 수사단계부터 법원 단계로 이어지는 전문적인 조력을 제공하고자 법원·검찰출신변호사들을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륜은 최근 부산 강서구에 부산서부사무소를 개소하여 전국 29개의 사무소를 운영 중인 로펌으로, 기업법무·조세·군형사 등 사건별 전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 출신 성인욱 변호사 합류···형사사건 역량 강화
이투뉴스
2023-03-17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 출신 성인욱 변호사 합류···형사사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 출신 성인욱 변호사 합류···형사사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지난 6일 전 인천지방검찰청 검사 출신 성인욱 수석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그는 법학전문대학원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검사로 임용된 후 전주지검, 수원안산지청, 인천지검 검사 등을 역임하며 강력범죄, 교통사고, 학교폭력, 소년범죄 등의 여러 형사사건을 담당해왔다.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수사권 조정 등 사건처리절차의 흐름이 급변하는 현 상황에서 지난달 24일 퇴임 직후 대륜에 합류한 성인욱 변호사로 인해 수사 방식의 변화에 더욱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라며 “성 변호사의 합류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범죄 및 마약, 성범죄 등을 담당하는 형사전담팀의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관계자는 “형사사건은 초기 수사단계부터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 사법부 전관예우 분석자료에 따르면 전관변호사의 집행유예 비율은 일반변호사의 2배에 달한다고 한다.”라며 “의뢰인들에게 수사단계부터 법원 단계로 이어지는 전문적인 조력을 제공하고자 법원·검찰출신변호사들을 지속적으로 영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륜은 최근 부산 강서구에 부산서부사무소를 개소하여 전국 29개의 사무소를 운영 중인 로펌으로, 기업법무·조세·군형사 등 사건별 전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 출신 성인욱 변호사 합류···형사사건 역량 강화
글로벌에픽
2023-03-16
억울하게 교통사고 보험사기 혐의로 의심받는다면 즉각 대응해야
억울하게 교통사고 보험사기 혐의로 의심받는다면 즉각 대응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최근 보험금을 노리고 의도적으로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자들의 보험사기 행각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보험사기 범죄는 고의로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내용을 조작해 보험회사를 속이고 보험금을 타내는 것이다. 교통사고로 위장해 거액의 보험금을 수령하거나, 보험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발생한 것처럼 꾸미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보험금을 최대한 많이 받기 위해 자동차 수리 견적 부풀리기, 의사와 결탁해 부상의 정도나 장해등급 높이기, 일부러 장기간 입원하는 행위 등을 이용해 피해 규모를 과장한다. 보험사기 범죄는 형사처벌 대상이고 보험사를 속여 보험금까지 청구할 경우 보험사기죄도 성립한다. 보험사기는 ‘보험사기방지특별법’에 따라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보험사기로 인한 이득액이 5억원 이상이거나 상습범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중 처벌을 받게 되며, 취업이 제한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기행각이 들통나 보험금을 수령하지 못한 채 미수에 그쳐도 처벌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보험사기 범죄의 급증으로 억울하게 의심받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는데, 보험금이 거액이거나 보험금 청구 횟수가 많다는 점을 이유로 선량한 사고 피해자나 보험 가입자가 보험사기 혐의를 받는 것이다.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신영 변호사는 “보험사기 범행을 적발하기 위한 수사과정에서 위법행위를 하지 않은 의료인이나 환자가 단순히 의심되는 정황만으로 혐의를 받거나 처벌 대상이 되는 사례가 많다”라고 말했다. 이어 “억대 보험사기 일당이 검거되는 등 보험사기 문제가 불거지자 처벌 수위가 높아지고 보험사에서도 대응을 위한 팀을 꾸리는 상황인 만큼 억울하게 보험사기로 의심받는다면 부당한 처분을 받지 않도록 사건 초기부터 보험전문변호사 및 교통사고전문변호사의 조력을 구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억울하게 교통사고 보험사기 혐의로 의심받는다면 즉각 대응해야
글로벌에픽
2023-03-16
억울하게 교통사고 보험사기 혐의로 의심받는다면 즉각 대응해야
억울하게 교통사고 보험사기 혐의로 의심받는다면 즉각 대응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최근 보험금을 노리고 의도적으로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자들의 보험사기 행각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보험사기 범죄는 고의로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내용을 조작해 보험회사를 속이고 보험금을 타내는 것이다. 교통사고로 위장해 거액의 보험금을 수령하거나, 보험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발생한 것처럼 꾸미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보험금을 최대한 많이 받기 위해 자동차 수리 견적 부풀리기, 의사와 결탁해 부상의 정도나 장해등급 높이기, 일부러 장기간 입원하는 행위 등을 이용해 피해 규모를 과장한다. 보험사기 범죄는 형사처벌 대상이고 보험사를 속여 보험금까지 청구할 경우 보험사기죄도 성립한다. 보험사기는 ‘보험사기방지특별법’에 따라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보험사기로 인한 이득액이 5억원 이상이거나 상습범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중 처벌을 받게 되며, 취업이 제한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기행각이 들통나 보험금을 수령하지 못한 채 미수에 그쳐도 처벌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보험사기 범죄의 급증으로 억울하게 의심받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는데, 보험금이 거액이거나 보험금 청구 횟수가 많다는 점을 이유로 선량한 사고 피해자나 보험 가입자가 보험사기 혐의를 받는 것이다. 법무법인(유한)대륜 박신영 변호사는 “보험사기 범행을 적발하기 위한 수사과정에서 위법행위를 하지 않은 의료인이나 환자가 단순히 의심되는 정황만으로 혐의를 받거나 처벌 대상이 되는 사례가 많다”라고 말했다. 이어 “억대 보험사기 일당이 검거되는 등 보험사기 문제가 불거지자 처벌 수위가 높아지고 보험사에서도 대응을 위한 팀을 꾸리는 상황인 만큼 억울하게 보험사기로 의심받는다면 부당한 처분을 받지 않도록 사건 초기부터 보험전문변호사 및 교통사고전문변호사의 조력을 구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억울하게 교통사고 보험사기 혐의로 의심받는다면 즉각 대응해야
비욘드포스트
2023-03-14
교통사고손해배상, 과실비율 분쟁을 겪고 있다면 소송 진행 고려해야
교통사고손해배상, 과실비율 분쟁을 겪고 있다면 소송 진행 고려해야
[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교통사고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막상 교통사고가 발생해 피해를 입게 된 경우 정신없는 와중에 따져봐야 하는 문제가 많다. 그중에서도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 과실비율에 대해 분쟁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험회사 측에서 합의금을 줄이기 위해 과실비율을 지나치게 축소하는 사례가 있어 유의해야 하며, 급하게 합의금을 결정하기보다는 모든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과실비율에 이견이 있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다면 소송을 제기하여 합당한 배상을 청구해야 한다. 교통사고 손해보상의 핵심은 치료비를 포함해, 향후 발생하는 치료비까지 정확하게 판단해 소송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민사에서 손해배상 항목은 적극적 손해, 소극적 손해, 위자료로 나뉘며, 적극적 손해에는 병원 치료비와 입원비, 간병비용, 장례비 등이 포함되며, 소극적 손해에는 사고를 당하지 않았을 때 벌 수 있는 향후 수입이 해당된다. 급여소득 및 사업소득자 외에도 소득 입증이 곤란하거나 무직자, 주부 등에 따라 배상금이 달라지므로 정해진 기준 내에서 적절한 배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손해배상은 소멸시효 내에 소송을 제기해 항목마다 손해를 주장 및 입증해야 하며, 판결이 확정되면 더는 되돌릴 수 없어 신중히 진행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현병희 변호사는 “교통사고 손해배상 청구 시에는 사건발생경위와 과실비율, 사고 원인 등에 대한 명확한 사실 입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합의부터 소송까지 필요한 각종 법률적 판단을 일반인이 진행하기에 한계가 있다”면서 “다양한 교통사고 사건을 다루어 본 교통사고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대응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교통사고손해배상, 과실비율 분쟁을 겪고 있다면 소송 진행 고려해야
비욘드포스트
2023-03-14
교통사고손해배상, 과실비율 분쟁을 겪고 있다면 소송 진행 고려해야
교통사고손해배상, 과실비율 분쟁을 겪고 있다면 소송 진행 고려해야
[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교통사고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막상 교통사고가 발생해 피해를 입게 된 경우 정신없는 와중에 따져봐야 하는 문제가 많다. 그중에서도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 과실비율에 대해 분쟁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험회사 측에서 합의금을 줄이기 위해 과실비율을 지나치게 축소하는 사례가 있어 유의해야 하며, 급하게 합의금을 결정하기보다는 모든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과실비율에 이견이 있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다면 소송을 제기하여 합당한 배상을 청구해야 한다. 교통사고 손해보상의 핵심은 치료비를 포함해, 향후 발생하는 치료비까지 정확하게 판단해 소송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민사에서 손해배상 항목은 적극적 손해, 소극적 손해, 위자료로 나뉘며, 적극적 손해에는 병원 치료비와 입원비, 간병비용, 장례비 등이 포함되며, 소극적 손해에는 사고를 당하지 않았을 때 벌 수 있는 향후 수입이 해당된다. 급여소득 및 사업소득자 외에도 소득 입증이 곤란하거나 무직자, 주부 등에 따라 배상금이 달라지므로 정해진 기준 내에서 적절한 배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손해배상은 소멸시효 내에 소송을 제기해 항목마다 손해를 주장 및 입증해야 하며, 판결이 확정되면 더는 되돌릴 수 없어 신중히 진행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현병희 변호사는 “교통사고 손해배상 청구 시에는 사건발생경위와 과실비율, 사고 원인 등에 대한 명확한 사실 입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합의부터 소송까지 필요한 각종 법률적 판단을 일반인이 진행하기에 한계가 있다”면서 “다양한 교통사고 사건을 다루어 본 교통사고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대응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교통사고손해배상, 과실비율 분쟁을 겪고 있다면 소송 진행 고려해야
로리더
2023-03-14
증가하는 제조물책임법·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기업소송 대응 전략은?
증가하는 제조물책임법·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기업소송 대응 전략은?
최근 국내에서는 기업들의 산업재해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해 관련한 법적 분쟁이 불거지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문제는 법적으로 제조물책임법,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해서 다뤄진다. 기업에서 만든 제조물을 소비자가 소비했다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면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업이 생산한 만두를 섭취한 소비자가 집단 식중독에 걸리면 해당 제품이 정부의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받은 식품일지라도 제조물 결함이 인정되는 것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원료·제조물, 공중이용시설, 공중교통수단의 결함이 원인으로 발생한 재해를 중대시민재해로 규정하고 인명 피해가 발생하면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한다. 해당 법률에서 말하는 제조물에는 자동차나 식품, 의약품 등이 모두 해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업 입장에서는 제조물책임법상 규정하고 있는 면책 사유를 들어 항변하게 된다. 제조물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제조물책임법은 4조 3항에 제조물의 결함이 제조업자가 해당 제조물을 공급한 당시의 법령에서 정하는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발생한 사실을 입증하면 책임을 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물책임법상 면책 사유에 해당해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사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 결함 사고로 소비자가 사망하면 제조물책임법에 따른 면책을 받을 수는 있지만,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제조물책임법,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 및 유권 해석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중대재해처벌법은 재해예방의 수단임과 동시에 산업현장의 안전불감증을 없애고 산업안전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형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의 처벌 규정에 대한 특별법 성격이 강하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기업 입장에서의 대응전략은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다하였음에도 사고를 막을 수 없었거나, 사업주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 위험요인을 통제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중대재해처벌법의 의율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면서 “법 시행 초기인 만큼 관련 사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기업법무전문변호사를 통해 법률자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증가하는 제조물책임법·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기업소송 대응 전략은?
로리더
2023-03-14
증가하는 제조물책임법·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기업소송 대응 전략은?
증가하는 제조물책임법·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기업소송 대응 전략은?
최근 국내에서는 기업들의 산업재해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해 관련한 법적 분쟁이 불거지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문제는 법적으로 제조물책임법,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해서 다뤄진다. 기업에서 만든 제조물을 소비자가 소비했다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면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업이 생산한 만두를 섭취한 소비자가 집단 식중독에 걸리면 해당 제품이 정부의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받은 식품일지라도 제조물 결함이 인정되는 것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원료·제조물, 공중이용시설, 공중교통수단의 결함이 원인으로 발생한 재해를 중대시민재해로 규정하고 인명 피해가 발생하면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한다. 해당 법률에서 말하는 제조물에는 자동차나 식품, 의약품 등이 모두 해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업 입장에서는 제조물책임법상 규정하고 있는 면책 사유를 들어 항변하게 된다. 제조물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제조물책임법은 4조 3항에 제조물의 결함이 제조업자가 해당 제조물을 공급한 당시의 법령에서 정하는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발생한 사실을 입증하면 책임을 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물책임법상 면책 사유에 해당해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사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 결함 사고로 소비자가 사망하면 제조물책임법에 따른 면책을 받을 수는 있지만,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제조물책임법,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 및 유권 해석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중대재해처벌법은 재해예방의 수단임과 동시에 산업현장의 안전불감증을 없애고 산업안전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형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의 처벌 규정에 대한 특별법 성격이 강하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재봉 변호사는 “기업 입장에서의 대응전략은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다하였음에도 사고를 막을 수 없었거나, 사업주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 위험요인을 통제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중대재해처벌법의 의율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면서 “법 시행 초기인 만큼 관련 사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기업법무전문변호사를 통해 법률자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증가하는 제조물책임법·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분쟁···기업소송 대응 전략은?
더인디고
2023-03-14
발달장애인 대상 친족상도례 범죄, ‘지정고소인 제도’로 처벌 가능해졌다
발달장애인 대상 친족상도례 범죄, ‘지정고소인 제도’로 처벌 가능해졌다
[더인디고 = 이용석 편집장] 앞으로 학대나 범죄 피해를 당한 장애당사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나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장애인단체 등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을 비롯한 주요 언론들은 지난 9일 한 지적장애를 여성 A씨의 남편 사망보험금을 가로채는 등 명백한 시동생 B씨의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지정고소인 제도’를 활용했다는 기사가 일제히 보도했다. 사건은 지적장애 등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전형적인 친족간 재산 가로채기 범죄다. B씨는 형이 죽자 사망보험금 2억 3500만원을 형수인 A씨 대신 수령해 가로챘고, A씨 집도 자신의 명의로 바꿨다. 이 같은 범죄사실을 인지한 전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지난해 1월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수사가 시작되자 B씨 측은 ‘가족 내부의 사안이므로 수사를 즉시 중단해 달라’는 처벌불원서를 경찰에 제출했다. 형법 제328조에 규정된 친족간의 범죄는 그 형을 면제한다는 소위 친족상도례를 주장한 것이다. 친족간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직접 고소를 해야 하는 ‘친고죄’인 만큼 A씨의 고소가 있어야 했지만, 되레 A씨는 처벌불원서에 직접 서명까지 했으니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은 마무리되는 듯했다. 하지만 B씨는 지난달 24일 횡령 및 공전자기록등불실기재·동행사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 같은 결과가 나오기까지 담당 검사인 전주지검 정읍지청의 진동화 검사의 역할이 컸다. 우선 진 검사는 피해가 분명한데도 지적장애로 인해 자신의 피해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A씨의 ‘처벌 의사’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재조사에 착수했고, 마침내 A씨로부터 시동생인 B씨가 “혼났으면 좋겠다”고 답변을 얻어냈다고 한다. 피해자의 처벌 의사를 확인한 진 검사는 곧 ‘지정고소인 제도’에서 규정한 ‘이해관계인’을 찾아나섰다. A씨의 아들인 C씨를 고려했지만 삼촌을 처벌해 달라는 의사를 이미 철회한 만큼 삼촌인 B씨에게 금전적 지원을 받았을 확률이 컸고, 지역의 장애인 관련 시설도 B씨와 관계를 맺고 있어 제외했다. 결국 진 검사는 처음 이 사건을 의뢰한 전북장애인권익옹기관을 ‘이해관계인’으로 해 고소인 지정 신청을 했고, 지정 신청이 인정되자 전북권익옹호기관 측에 국선변호사를 선임케 했다. 그리고 국선변호인을 고소인으로 지정해 정식으로 고소장을 제출받아 B씨를 재판에 넘길 수 있었다. 이번 사건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의 최보윤 변호사는 “고소는 일반범죄에서는 단순히 수사의 단서에 불과하지만 친고죄에서는 고소가 있어야 사건이 진행이 된다”고 하며, “‘지정고소인 제도’는 친고죄에 대하여 ‘고소할자가 없는 경우’ ‘이해관계인’의 신청이 있어야 고소인이 지정되는 만큼, ‘법규에 정해진 고소권자(친족 등)가 없는 경우 또는 예를 들어 피해자의 부모 등 법정대리인이 가해자인 경우’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만, ‘이해관계인’의 범위에 고민이 있겠지만, 넓게 해석될 것이라 보이고, 특히 이번 사건의 경우 신고기관인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이해관계인이 되는 선례가 된 만큼 발달장애인법 제15조의 신고의무자나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등도 친고죄에 대한 대응체계를 갖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2021년 장애인 학대 범죄에 대해서는 친족상도례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어 시행되고는 있지만, 법 개정 이전에 발생한 범죄는 여전히 친고죄 적용을 받는 만큼 ‘지정고소인 제도’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또한 이번 사례를 통해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등 장애인단체들도 ‘이해관계인’으로 고소인 지정 신청이 가능한 만큼 관련 단체나 기관들이 적극 나선다면 친족에게 재산 갈취 당하는 피해를 입어도 친족상도례에 막혀 법적 권리조차 제한받았던 장애당사자들의 피해 구제가 상당 부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 발달장애인 대상 친족상도례 범죄, ‘지정고소인 제도’로 처벌 가능해졌다
더인디고
2023-03-14
발달장애인 대상 친족상도례 범죄, ‘지정고소인 제도’로 처벌 가능해졌다
발달장애인 대상 친족상도례 범죄, ‘지정고소인 제도’로 처벌 가능해졌다
[더인디고 = 이용석 편집장] 앞으로 학대나 범죄 피해를 당한 장애당사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나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장애인단체 등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을 비롯한 주요 언론들은 지난 9일 한 지적장애를 여성 A씨의 남편 사망보험금을 가로채는 등 명백한 시동생 B씨의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지정고소인 제도’를 활용했다는 기사가 일제히 보도했다. 사건은 지적장애 등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전형적인 친족간 재산 가로채기 범죄다. B씨는 형이 죽자 사망보험금 2억 3500만원을 형수인 A씨 대신 수령해 가로챘고, A씨 집도 자신의 명의로 바꿨다. 이 같은 범죄사실을 인지한 전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지난해 1월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수사가 시작되자 B씨 측은 ‘가족 내부의 사안이므로 수사를 즉시 중단해 달라’는 처벌불원서를 경찰에 제출했다. 형법 제328조에 규정된 친족간의 범죄는 그 형을 면제한다는 소위 친족상도례를 주장한 것이다. 친족간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직접 고소를 해야 하는 ‘친고죄’인 만큼 A씨의 고소가 있어야 했지만, 되레 A씨는 처벌불원서에 직접 서명까지 했으니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은 마무리되는 듯했다. 하지만 B씨는 지난달 24일 횡령 및 공전자기록등불실기재·동행사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 같은 결과가 나오기까지 담당 검사인 전주지검 정읍지청의 진동화 검사의 역할이 컸다. 우선 진 검사는 피해가 분명한데도 지적장애로 인해 자신의 피해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A씨의 ‘처벌 의사’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재조사에 착수했고, 마침내 A씨로부터 시동생인 B씨가 “혼났으면 좋겠다”고 답변을 얻어냈다고 한다. 피해자의 처벌 의사를 확인한 진 검사는 곧 ‘지정고소인 제도’에서 규정한 ‘이해관계인’을 찾아나섰다. A씨의 아들인 C씨를 고려했지만 삼촌을 처벌해 달라는 의사를 이미 철회한 만큼 삼촌인 B씨에게 금전적 지원을 받았을 확률이 컸고, 지역의 장애인 관련 시설도 B씨와 관계를 맺고 있어 제외했다. 결국 진 검사는 처음 이 사건을 의뢰한 전북장애인권익옹기관을 ‘이해관계인’으로 해 고소인 지정 신청을 했고, 지정 신청이 인정되자 전북권익옹호기관 측에 국선변호사를 선임케 했다. 그리고 국선변호인을 고소인으로 지정해 정식으로 고소장을 제출받아 B씨를 재판에 넘길 수 있었다. 이번 사건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의 최보윤 변호사는 “고소는 일반범죄에서는 단순히 수사의 단서에 불과하지만 친고죄에서는 고소가 있어야 사건이 진행이 된다”고 하며, “‘지정고소인 제도’는 친고죄에 대하여 ‘고소할자가 없는 경우’ ‘이해관계인’의 신청이 있어야 고소인이 지정되는 만큼, ‘법규에 정해진 고소권자(친족 등)가 없는 경우 또는 예를 들어 피해자의 부모 등 법정대리인이 가해자인 경우’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만, ‘이해관계인’의 범위에 고민이 있겠지만, 넓게 해석될 것이라 보이고, 특히 이번 사건의 경우 신고기관인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이해관계인이 되는 선례가 된 만큼 발달장애인법 제15조의 신고의무자나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등도 친고죄에 대한 대응체계를 갖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2021년 장애인 학대 범죄에 대해서는 친족상도례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어 시행되고는 있지만, 법 개정 이전에 발생한 범죄는 여전히 친고죄 적용을 받는 만큼 ‘지정고소인 제도’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또한 이번 사례를 통해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등 장애인단체들도 ‘이해관계인’으로 고소인 지정 신청이 가능한 만큼 관련 단체나 기관들이 적극 나선다면 친족에게 재산 갈취 당하는 피해를 입어도 친족상도례에 막혀 법적 권리조차 제한받았던 장애당사자들의 피해 구제가 상당 부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기사전문보기 - 발달장애인 대상 친족상도례 범죄, ‘지정고소인 제도’로 처벌 가능해졌다
로이슈
2023-03-07
혼인신고 안 하는 부부 증가···사실혼 이혼 시 위자료·재산분할 청구 가능
혼인신고 안 하는 부부 증가···사실혼 이혼 시 위자료·재산분할 청구 가능 | 이혼전문변호사가 알려주는 사실혼
사실혼 이혼에 관한 언론보도 전문[로이슈 진가영 기자] 최근 젊은 부부들 사이에선 혼인신고를 미루거나 아예 하지 않고 함께 사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서로에게 지나치게 구속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법적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인데, 이러한 부부들을 사실혼 부부라고 정의한다. 사실혼 부부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혼인신고를 한 부부가 아니기에 상속권 등 법률혼에 근거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지만 단순 동거가 아닌 사실혼 관계였음을 입증한다면 헤어지는 과정에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사실혼 부부는 이혼이라는 법적 절차 없이도 당사자의 합의나 일방의 의사표시로서 관계를 해소할 수 있지만, 외도와 같은 명백한 유책사유를 이유로 관계를 파기할 시 그 상대에게 혼인관계 해소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실혼 관계에서도 상대가 저지른 외도를 이유로 혼인관계를 해소하게 되면 위자료청구소송을 상대방에게 제기하면 된다. 또한 사실혼관계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법률혼과 동일하게 상대에게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 만일 사실혼 관계를 해소하는 부부 사이에 자녀가 있는 경우 양육권과 친권은 당사자 간 협의로 정하거나 법원의 지정을 구할 수 있으며 양육권자가 자녀의 양육비도 청구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모든 부분은 상대와 자신이 단순 동거가 아닌 ‘사실혼관계’였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사실혼이혼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사회통념상 부부공동생활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의 혼인의 실체가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면 두 사람이 같은 주소지상에서 오랜 기간 함께 생활을 해왔음을 알 수 있는 증빙서류, 경제공동체를 형성해왔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서류 등이 필요하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상의변호사는 “사실혼은 배우자의 외도 등 유책 사유가 분명해도 사실혼관계 여부를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하는 만큼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을 받아 체계적으로 증거를 수집하여 소송에 확실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혼인신고 안 하는 부부 증가···사실혼 이혼 시 위자료·재산분할 청구 가능 혼인신고 안 하고 이혼 가능할까?혼인신고 안 하고 이혼은 불가능합니다. 이혼이란, 법적인 혼인관계를 청산하는 과정인데 사실혼의 경우 법률상 부부관계가 아니므로 해소할 법률관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법률상 부부가 아닌 경우에는 이혼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습니다. 이혼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별거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관계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사실혼 이혼 재산분할 청구 가능할까?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계를 해소하는 사실혼이혼을 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 청구가 가능합니다. 만약 회복 불가능한 관계에 이르게 된 경위가 일방에 있다면, 다른 일방이 위자료를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단, 단순 동거 등이 아닌 법률혼 관계에 준하는, ‘사실상 혼인관계’를 입증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결혼식을 했다면 청첩장이나 결혼사진 등을 혼인관계 입증을 위한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결혼식을 안 했더라도 양가 가족간의 교류 및 지인들이 부부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증언 등을 통해 혼인관계를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사실혼이혼 소송을 고민하고 있다면?법률혼 관계와 달리 사실혼 관계라면 혼인관계 입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더욱 빠른 준비가 필요한 만큼, 이혼전문변호사 상담 등 법률조력을 받아 법률상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로이슈
2023-03-07
혼인신고 안 하는 부부 증가···사실혼 이혼 시 위자료·재산분할 청구 가능
혼인신고 안 하는 부부 증가···사실혼 이혼 시 위자료·재산분할 청구 가능 | 이혼전문변호사가 알려주는 사실혼
사실혼 이혼에 관한 언론보도 전문[로이슈 진가영 기자] 최근 젊은 부부들 사이에선 혼인신고를 미루거나 아예 하지 않고 함께 사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서로에게 지나치게 구속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법적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인데, 이러한 부부들을 사실혼 부부라고 정의한다. 사실혼 부부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혼인신고를 한 부부가 아니기에 상속권 등 법률혼에 근거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지만 단순 동거가 아닌 사실혼 관계였음을 입증한다면 헤어지는 과정에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사실혼 부부는 이혼이라는 법적 절차 없이도 당사자의 합의나 일방의 의사표시로서 관계를 해소할 수 있지만, 외도와 같은 명백한 유책사유를 이유로 관계를 파기할 시 그 상대에게 혼인관계 해소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실혼 관계에서도 상대가 저지른 외도를 이유로 혼인관계를 해소하게 되면 위자료청구소송을 상대방에게 제기하면 된다. 또한 사실혼관계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법률혼과 동일하게 상대에게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 만일 사실혼 관계를 해소하는 부부 사이에 자녀가 있는 경우 양육권과 친권은 당사자 간 협의로 정하거나 법원의 지정을 구할 수 있으며 양육권자가 자녀의 양육비도 청구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모든 부분은 상대와 자신이 단순 동거가 아닌 ‘사실혼관계’였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사실혼이혼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사회통념상 부부공동생활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의 혼인의 실체가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면 두 사람이 같은 주소지상에서 오랜 기간 함께 생활을 해왔음을 알 수 있는 증빙서류, 경제공동체를 형성해왔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서류 등이 필요하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정상의변호사는 “사실혼은 배우자의 외도 등 유책 사유가 분명해도 사실혼관계 여부를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하는 만큼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을 받아 체계적으로 증거를 수집하여 소송에 확실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혼인신고 안 하는 부부 증가···사실혼 이혼 시 위자료·재산분할 청구 가능 혼인신고 안 하고 이혼 가능할까?혼인신고 안 하고 이혼은 불가능합니다. 이혼이란, 법적인 혼인관계를 청산하는 과정인데 사실혼의 경우 법률상 부부관계가 아니므로 해소할 법률관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법률상 부부가 아닌 경우에는 이혼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습니다. 이혼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별거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관계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사실혼 이혼 재산분할 청구 가능할까?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계를 해소하는 사실혼이혼을 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 청구가 가능합니다. 만약 회복 불가능한 관계에 이르게 된 경위가 일방에 있다면, 다른 일방이 위자료를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단, 단순 동거 등이 아닌 법률혼 관계에 준하는, ‘사실상 혼인관계’를 입증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결혼식을 했다면 청첩장이나 결혼사진 등을 혼인관계 입증을 위한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결혼식을 안 했더라도 양가 가족간의 교류 및 지인들이 부부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증언 등을 통해 혼인관계를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사실혼이혼 소송을 고민하고 있다면?법률혼 관계와 달리 사실혼 관계라면 혼인관계 입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더욱 빠른 준비가 필요한 만큼, 이혼전문변호사 상담 등 법률조력을 받아 법률상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더파워뉴스
2023-03-07
투자금 임의로 사용하는 금융 투자사기·횡령 등 형사사건 연루되었다면
투자금 임의로 사용하는 금융 투자사기·횡령 등 형사사건 연루되었다면
[더파워=유연수 기자] 최근 경기불황 속에 투자 사기, 횡령 등의 금융범죄에 연루돼 큰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사기죄는 형법상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득을 취하는 범죄를 말한다. 횡령죄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사적으로 사용하거나 반환을 거부하는 행위를 말한다. 투자 사기는 주로 주식이나 코인을 미끼로 투자금을 몇 배로 불려주겠다고 하거나, 전도유망한 새로운 사업아이템이 있으니 투자금 배이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식의 수법이다. ‘사기죄’의 성립요건은 ‘기망행위’, 즉 의도적으로 속였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다. 따라서 사기 혐의가 인정되는 핵심 근거는 단순히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한 점이 아니라, 애초에 해당 사업 구조상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전혀 없었다는 점을 밝히고 의도적으로 투자금을 끌어들인 후 임의대로 사용했다는 횡령 전횡을 드러내는 것이다. 투자금을 특정한 용도로 사용하는 대신 일정 금액을 수익금으로 분배하기로 약정한 경우, 사업 구조상 수익 발생 자체가 불가능했던 경우, 투자금 및 수익금과 관련해 실적을 낸 것처럼 서류를 위조하는 행위, 투자금을 투자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 등이 대표적인 기망 행위이며, 이는 투자금의 흐름만 확인하면 횡령 사실까지 입증하기 용이하다. 사기죄는 기본적으로 형법에 의해 10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나, 취득한 이득액의 규모가 클수록 처벌은 더욱 무거워진다.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사기를 통한 이득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일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 50억원 이상일 경우 5년 이상의 징역 또는 무기징역으로 처벌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투자 관련 사기죄는 어떤 부분이 기망행위인지, 그로 인한 손해는 무엇인지, 기망과 손해 사이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등을 증거자료와 함께 객관적으로 밝혀야 한다”면서 “투자자 및 투자금을 유치하는 과정부터 실제 투자에 이르기까지 사기죄 성립요건에 충족하는지를 여부를 꼼꼼히 파악한 후 구체적인 전략을 세워야 하는 만큼 사기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금융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사기 피해를 입증하고 투자금 피해 역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투자금 임의로 사용하는 금융 투자사기·횡령 등 형사사건 연루되었다면
더파워뉴스
2023-03-07
투자금 임의로 사용하는 금융 투자사기·횡령 등 형사사건 연루되었다면
투자금 임의로 사용하는 금융 투자사기·횡령 등 형사사건 연루되었다면
[더파워=유연수 기자] 최근 경기불황 속에 투자 사기, 횡령 등의 금융범죄에 연루돼 큰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사기죄는 형법상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득을 취하는 범죄를 말한다. 횡령죄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사적으로 사용하거나 반환을 거부하는 행위를 말한다. 투자 사기는 주로 주식이나 코인을 미끼로 투자금을 몇 배로 불려주겠다고 하거나, 전도유망한 새로운 사업아이템이 있으니 투자금 배이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식의 수법이다. ‘사기죄’의 성립요건은 ‘기망행위’, 즉 의도적으로 속였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다. 따라서 사기 혐의가 인정되는 핵심 근거는 단순히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한 점이 아니라, 애초에 해당 사업 구조상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전혀 없었다는 점을 밝히고 의도적으로 투자금을 끌어들인 후 임의대로 사용했다는 횡령 전횡을 드러내는 것이다. 투자금을 특정한 용도로 사용하는 대신 일정 금액을 수익금으로 분배하기로 약정한 경우, 사업 구조상 수익 발생 자체가 불가능했던 경우, 투자금 및 수익금과 관련해 실적을 낸 것처럼 서류를 위조하는 행위, 투자금을 투자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 등이 대표적인 기망 행위이며, 이는 투자금의 흐름만 확인하면 횡령 사실까지 입증하기 용이하다. 사기죄는 기본적으로 형법에 의해 10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나, 취득한 이득액의 규모가 클수록 처벌은 더욱 무거워진다.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사기를 통한 이득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일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 50억원 이상일 경우 5년 이상의 징역 또는 무기징역으로 처벌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이일권 변호사는 “투자 관련 사기죄는 어떤 부분이 기망행위인지, 그로 인한 손해는 무엇인지, 기망과 손해 사이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등을 증거자료와 함께 객관적으로 밝혀야 한다”면서 “투자자 및 투자금을 유치하는 과정부터 실제 투자에 이르기까지 사기죄 성립요건에 충족하는지를 여부를 꼼꼼히 파악한 후 구체적인 전략을 세워야 하는 만큼 사기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금융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사기 피해를 입증하고 투자금 피해 역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투자금 임의로 사용하는 금융 투자사기·횡령 등 형사사건 연루되었다면
빅데이터뉴스
2023-03-06
억울하게 군성범죄 연루되었다면 초기 대응이 중요해
억울하게 군성범죄 연루되었다면 초기 대응이 중요해
[빅데이터뉴스 박경호 기자] 군대는 일반적인 사회와 달리 상명하복, 계급 간 질서가 엄격한 또 하나의 사회이기 때문에 군형법 등 법률을 따로 두고 1심을 군사재판소에서 진행한다. 군대라는 특수성이 때로는 개개인의 권리를 침해하여 논란이 되기도 한다. 군 성범죄는 폐쇄적이고 강압적인 서열 문화가 조직화되어 있고, 피해 신고 시 상관 등 조직으로부터 2차 가해를 받을 가능성이 컸다. 때문에 2차 가해와 추가 피해를 우려해 성범죄 피해를 당하고도 덮고 넘어가는 사례가 많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군 역시 관련 법을 개정하고 군인 간 발생한 성범죄 사건에 대해선 군형법으로 엄중하게 다루고 있다. 일반 형법에서는 강간한 자에 대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을 부과하는데 반해 군형법상 군인 등을 강간한 자는 5년 이상 유기징역에 처한다. 이처럼 성범죄 군형사 사건은 민간과 달리 법정형 수위가 높은 편이며, 수사 및 조사 과정은 일반 형사 사건과 비슷한 양상으로 진행된다. 단, 사실 관계, 직급, 군대 내에서 발생했는지 등의 여부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수사 강도나 방향 역시 달라질 수 있다. 군 형사 사건에 연루되면 형사 처분 결과에 따라 행정적 처분, 민사 소송까지 이어질 수 있다. 대체로 가해자는 상위계급, 피해자는 하위계급인 경우가 많으며, 이는 상급자라는 지위를 앞세워 하급자에게 범죄 피해를 입히는 군대 내 성범죄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군인은 민간의 성범죄와 달리 군사재판에 회부돼 군형법으로 처벌받을 시 실형 외에 군대 징계 처분도 뒤따른다. 적게는 군인 견책, 감봉 처분부터 계급 강등과 정직, 군인 신분을 박탈당하는 해임∙파면까지 다양한 처분이 존재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근수 변호사는 “억울하게 군인성범죄 혐의를 받게 된 경우라면 초기 증거 확보 및 진술 방향 설정이 중요하므로 전문 변호사와 협력해 최대한 초기에 확보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고, 사건에 대한 진술을 어떻게 할지 준비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억울하게 군성범죄 연루되었다면 초기 대응이 중요해
빅데이터뉴스
2023-03-06
억울하게 군성범죄 연루되었다면 초기 대응이 중요해
억울하게 군성범죄 연루되었다면 초기 대응이 중요해
[빅데이터뉴스 박경호 기자] 군대는 일반적인 사회와 달리 상명하복, 계급 간 질서가 엄격한 또 하나의 사회이기 때문에 군형법 등 법률을 따로 두고 1심을 군사재판소에서 진행한다. 군대라는 특수성이 때로는 개개인의 권리를 침해하여 논란이 되기도 한다. 군 성범죄는 폐쇄적이고 강압적인 서열 문화가 조직화되어 있고, 피해 신고 시 상관 등 조직으로부터 2차 가해를 받을 가능성이 컸다. 때문에 2차 가해와 추가 피해를 우려해 성범죄 피해를 당하고도 덮고 넘어가는 사례가 많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군 역시 관련 법을 개정하고 군인 간 발생한 성범죄 사건에 대해선 군형법으로 엄중하게 다루고 있다. 일반 형법에서는 강간한 자에 대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을 부과하는데 반해 군형법상 군인 등을 강간한 자는 5년 이상 유기징역에 처한다. 이처럼 성범죄 군형사 사건은 민간과 달리 법정형 수위가 높은 편이며, 수사 및 조사 과정은 일반 형사 사건과 비슷한 양상으로 진행된다. 단, 사실 관계, 직급, 군대 내에서 발생했는지 등의 여부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수사 강도나 방향 역시 달라질 수 있다. 군 형사 사건에 연루되면 형사 처분 결과에 따라 행정적 처분, 민사 소송까지 이어질 수 있다. 대체로 가해자는 상위계급, 피해자는 하위계급인 경우가 많으며, 이는 상급자라는 지위를 앞세워 하급자에게 범죄 피해를 입히는 군대 내 성범죄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군인은 민간의 성범죄와 달리 군사재판에 회부돼 군형법으로 처벌받을 시 실형 외에 군대 징계 처분도 뒤따른다. 적게는 군인 견책, 감봉 처분부터 계급 강등과 정직, 군인 신분을 박탈당하는 해임∙파면까지 다양한 처분이 존재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근수 변호사는 “억울하게 군인성범죄 혐의를 받게 된 경우라면 초기 증거 확보 및 진술 방향 설정이 중요하므로 전문 변호사와 협력해 최대한 초기에 확보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고, 사건에 대한 진술을 어떻게 할지 준비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억울하게 군성범죄 연루되었다면 초기 대응이 중요해
글로벌에픽
2023-03-03
생계형 운전자도 음주운전, 면허정지·취소처분 불가피
생계형 운전자도 음주운전, 면허정지·취소처분 불가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음주운전은 주취 상태에서 차량이나 기타 도로교통법상의 이동수단을 운전하는 행위로 행위자 자신은 물론 타인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특히 타인을 다치게 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도로교통법상 강한 처벌이 내려진다. 면허취소는 물론 특가법상 위험운전치사상 혐의가 추가 적용되어 가중처벌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음주운전은 도로교통법상 명백한 불법행위이며, 그로 인해 인명피해를 발생시켰다면 이는 마땅히 처벌받아야 할 만한 사안임에 틀림없다. 도로교통법에서는 혈중알코올농도가 0.03%를 넘어설 경우 형사처분 대상으로 정하고 있으며, 음주운전범죄에 대한 처분수위는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다. 그러나 형사처분과 별개로 행정처분인 면허취소에는 예외가 존재한다. 운전 행위 자체가 생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인 경우다. 버스기사, 택시기사, 화물트럭 기사 등 운수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면허취소 행정처분에 대하여 구제 신청을 할 수 있는데, 이때는 법률적 제도인 이의신청, 행정심판 등의 절차와 요건을 잘 살펴야 한다. 이 중 이의신청은 운전면허 취소처분이 있는 날부터 60일 이내에 주소지 관할 지방 경찰청에게 신청하는 것이다.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만 신청 가능한데, 혈중 알코올 농도가 0.1% 미만이어야 하며, 5년 내에 음주운전 교통사고나 음주측정 불응, 도주 등의 사실이 없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최정운 변호사는 “음주운전 전력이 있으면 면허 재발급 요건이 한층 까다로워진 만큼, 운수업이 생계유지의 수단인 사람은 행정전문변호사와 함께 음주운전 운전면허정지취소 등 구제방안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생계형 운전자도 음주운전, 면허정지·취소처분 불가피
글로벌에픽
2023-03-03
생계형 운전자도 음주운전, 면허정지·취소처분 불가피
생계형 운전자도 음주운전, 면허정지·취소처분 불가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음주운전은 주취 상태에서 차량이나 기타 도로교통법상의 이동수단을 운전하는 행위로 행위자 자신은 물론 타인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특히 타인을 다치게 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도로교통법상 강한 처벌이 내려진다. 면허취소는 물론 특가법상 위험운전치사상 혐의가 추가 적용되어 가중처벌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음주운전은 도로교통법상 명백한 불법행위이며, 그로 인해 인명피해를 발생시켰다면 이는 마땅히 처벌받아야 할 만한 사안임에 틀림없다. 도로교통법에서는 혈중알코올농도가 0.03%를 넘어설 경우 형사처분 대상으로 정하고 있으며, 음주운전범죄에 대한 처분수위는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다. 그러나 형사처분과 별개로 행정처분인 면허취소에는 예외가 존재한다. 운전 행위 자체가 생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인 경우다. 버스기사, 택시기사, 화물트럭 기사 등 운수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면허취소 행정처분에 대하여 구제 신청을 할 수 있는데, 이때는 법률적 제도인 이의신청, 행정심판 등의 절차와 요건을 잘 살펴야 한다. 이 중 이의신청은 운전면허 취소처분이 있는 날부터 60일 이내에 주소지 관할 지방 경찰청에게 신청하는 것이다.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만 신청 가능한데, 혈중 알코올 농도가 0.1% 미만이어야 하며, 5년 내에 음주운전 교통사고나 음주측정 불응, 도주 등의 사실이 없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최정운 변호사는 “음주운전 전력이 있으면 면허 재발급 요건이 한층 까다로워진 만큼, 운수업이 생계유지의 수단인 사람은 행정전문변호사와 함께 음주운전 운전면허정지취소 등 구제방안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생계형 운전자도 음주운전, 면허정지·취소처분 불가피
더파워뉴스
2023-03-02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해야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해야
[더파워=유연수 기자] 최근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나이대가 점점 어려지면서 초등, 중, 고등학교에서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데, 전체 학교폭력 유형 중 사이버 학교폭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넘어선 상황이다.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 규정하고 있는 사이버 학교폭력은 인터넷, 휴대전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특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 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가하거나, 특정 학생과 관련된 개인정보 또는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정보통신 매체가 발달하면서 과거 단순한 폭행이나 대면 폭행만이 아니라 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한 언어폭력, 모욕적인 사진 전송 같은 행위도 포괄적으로 학교폭력의 유형으로 규정한 것이다. 주로 SNS나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학교폭력은 신체적, 물리적인 가해는 없으나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피해학생에게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주어 단순한 신체적 폭행보다 더 큰 정신적 충격과 트라우마를 가져올 수 있다. 학교폭력 사건은 학생들의 생활기록부에 기록되거나 자칫하면 경찰조사까지 받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나 사이버 학교폭력은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모욕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명예훼손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통신매체 이용 음란죄 등으로 인해 형사처분 또는 소년보호처분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사이버 학교폭력은 직접 따돌림을 가하지 않더라도 단체 채팅방에 속해 사건을 방관하거나 동조했다면 피해학생을 괴롭힌 것으로 보기 때문에 학폭위에서 높은 수위의 조치 결정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단체 대화방에 있다가 함께 가해학생으로 지목되지 않도록 친구의 언행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이에 동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현병희 변호사는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사건 초기부터 학교폭력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야 하며,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하여 사건 해결을 위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해야
더파워뉴스
2023-03-02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해야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해야
[더파워=유연수 기자] 최근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나이대가 점점 어려지면서 초등, 중, 고등학교에서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데, 전체 학교폭력 유형 중 사이버 학교폭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넘어선 상황이다.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 규정하고 있는 사이버 학교폭력은 인터넷, 휴대전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특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 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가하거나, 특정 학생과 관련된 개인정보 또는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정보통신 매체가 발달하면서 과거 단순한 폭행이나 대면 폭행만이 아니라 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한 언어폭력, 모욕적인 사진 전송 같은 행위도 포괄적으로 학교폭력의 유형으로 규정한 것이다. 주로 SNS나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학교폭력은 신체적, 물리적인 가해는 없으나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피해학생에게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주어 단순한 신체적 폭행보다 더 큰 정신적 충격과 트라우마를 가져올 수 있다. 학교폭력 사건은 학생들의 생활기록부에 기록되거나 자칫하면 경찰조사까지 받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나 사이버 학교폭력은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모욕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명예훼손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통신매체 이용 음란죄 등으로 인해 형사처분 또는 소년보호처분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사이버 학교폭력은 직접 따돌림을 가하지 않더라도 단체 채팅방에 속해 사건을 방관하거나 동조했다면 피해학생을 괴롭힌 것으로 보기 때문에 학폭위에서 높은 수위의 조치 결정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단체 대화방에 있다가 함께 가해학생으로 지목되지 않도록 친구의 언행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이에 동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현병희 변호사는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사건 초기부터 학교폭력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야 하며,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하여 사건 해결을 위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사이버 학교폭력 피해자라면 학폭위부터 소송까지 고려해야
비욘드포스트
2023-03-02
공무원 징계 처분, 부당하다면 소청심사 통해 취소 및 변경 가능해
공무원 징계 처분, 부당하다면 소청심사 통해 취소 및 변경 가능해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하는 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 등 법령을 위반할 경우나 직무상 의무를 위반하거나 직무를 게을리한 경우, 또는 직무 연관성을 불문하고 체면이나 위신을 손상시킨 경우에 징계를 받을 수 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업무를 처리하는 공무원은 국민에 대한 봉사자로서 여러가지 의무를 지고 있는 일종의 공인인데, 개인이 사적 또는 공적인 행위로 공무원 조직 전체의 위신이 손상되는 행위를 했다면 그 비위 행위의 종류와 수위 등을 고려해 징계 처분을 받게 된다. 공무원이나 교원이 잘못을 저지르게 되면 내부적으로 감찰, 감사 조사를 받아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그에 따라 징계처분이 내려지는데, 이때 징계 처분이 부당하거나 과도하다고 여겨질 경우 소청심사를 신청하여 징계를 취소 또는 변경해 정당한 자기 권익을 회복할 수 있다. 이때 소청심사는 행정심판 제도로서 사법절차를 준용하여 당사자 대심 구조, 증거조사 등 재판 절차에 준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청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징계처분에 대하여 부당함을 입증해야 한다. 더불어 신속한 대응도 중요한데, 처분사유설명서를 받게 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제기해야 심사가 접수된다. 소청심사 신청 서류에는 해당 징계가 왜 위법, 부당한지에 대해 법령의 근거를 바탕으로 꼼꼼하게 작성, 제출해야 징계의 감경 또는 취소를 이끌어낼 수 있다. 무효확인 소청심사의 경우 불복기간의 제한을 받지 않지만, 하자가 중대하교 명백해야만 인정이되어 무효 요건이 성립되는 경우는 드물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다. 특히나 소청심사위원회에서 청구인에 대한 인용률은 비교적 낮은 편이라 징계처분에 대한 불복절차를 진행할 경우에는 징계처분을 받은 때부터 철저한 준비를 통해 징계 취소 또는 감경의 근거를 충분히 찾아내 소청심사를 청구할 필요가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근수 변호사는 “억울한 징계처분으로 인하여 공무원 소청심사를 진행할 때 징계의 부당함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해 각하되지 않으려면 증거자료 수집, 효과적인 법리 주장 등 법률적으로 전문적인 조력이 필수적인 만큼 행정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소청심사위원회의 심사 기준과 법원이 보는 심리 기준은 다르므로 소청심사위원회에서 구제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단념할 필요는 없다. 소청심사에서 기각되었더라도 행정소송을 통해 법원으로부터 승소 판결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공무원 징계 처분, 부당하다면 소청심사 통해 취소 및 변경 가능해
비욘드포스트
2023-03-02
공무원 징계 처분, 부당하다면 소청심사 통해 취소 및 변경 가능해
공무원 징계 처분, 부당하다면 소청심사 통해 취소 및 변경 가능해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하는 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 등 법령을 위반할 경우나 직무상 의무를 위반하거나 직무를 게을리한 경우, 또는 직무 연관성을 불문하고 체면이나 위신을 손상시킨 경우에 징계를 받을 수 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업무를 처리하는 공무원은 국민에 대한 봉사자로서 여러가지 의무를 지고 있는 일종의 공인인데, 개인이 사적 또는 공적인 행위로 공무원 조직 전체의 위신이 손상되는 행위를 했다면 그 비위 행위의 종류와 수위 등을 고려해 징계 처분을 받게 된다. 공무원이나 교원이 잘못을 저지르게 되면 내부적으로 감찰, 감사 조사를 받아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그에 따라 징계처분이 내려지는데, 이때 징계 처분이 부당하거나 과도하다고 여겨질 경우 소청심사를 신청하여 징계를 취소 또는 변경해 정당한 자기 권익을 회복할 수 있다. 이때 소청심사는 행정심판 제도로서 사법절차를 준용하여 당사자 대심 구조, 증거조사 등 재판 절차에 준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청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징계처분에 대하여 부당함을 입증해야 한다. 더불어 신속한 대응도 중요한데, 처분사유설명서를 받게 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제기해야 심사가 접수된다. 소청심사 신청 서류에는 해당 징계가 왜 위법, 부당한지에 대해 법령의 근거를 바탕으로 꼼꼼하게 작성, 제출해야 징계의 감경 또는 취소를 이끌어낼 수 있다. 무효확인 소청심사의 경우 불복기간의 제한을 받지 않지만, 하자가 중대하교 명백해야만 인정이되어 무효 요건이 성립되는 경우는 드물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다. 특히나 소청심사위원회에서 청구인에 대한 인용률은 비교적 낮은 편이라 징계처분에 대한 불복절차를 진행할 경우에는 징계처분을 받은 때부터 철저한 준비를 통해 징계 취소 또는 감경의 근거를 충분히 찾아내 소청심사를 청구할 필요가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근수 변호사는 “억울한 징계처분으로 인하여 공무원 소청심사를 진행할 때 징계의 부당함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해 각하되지 않으려면 증거자료 수집, 효과적인 법리 주장 등 법률적으로 전문적인 조력이 필수적인 만큼 행정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소청심사위원회의 심사 기준과 법원이 보는 심리 기준은 다르므로 소청심사위원회에서 구제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단념할 필요는 없다. 소청심사에서 기각되었더라도 행정소송을 통해 법원으로부터 승소 판결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공무원 징계 처분, 부당하다면 소청심사 통해 취소 및 변경 가능해
데일리팝
2023-02-27
공사대금청구소송, 하도급법 위반 여부에 따라 대응전략 달라져야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공사대금청구소송, 하도급법 위반 여부에 따라 대응전략 달라져야
최근 부동산 시장이 경색되면서 국내 건설업계에서는 공사대금미지급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약정 시기에 제대로 대금 지금이 되지 않거나 당초 예상과는 달리 작업 기간이 길어지면서 추가적인 금액이 발생하게 된 경우 등 다양한 상황으로 분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공사대금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으면 자재 수급이 늦어지게 되고 자연히 작업일정 역시 지연돼 분쟁이 해소되지 못해 건물이 미완성의 상태로 계속 남게 되니 경제적인 상황은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사대금청구소송을 통해 법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공사대금청구소송은 말 그대로 공사를 계약한 대로 진행하고, 완료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약속한 대금을 주지 않은 경우 지급을 촉구하기 위한 법적인 절차를 말한다. 해당 소송은 계약서를 비롯하여 공사대금에 대한 상대방과의 채무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야 하며, 소멸시효가 3년으로 비교적 짧아 신속히 대응해 정당한 권리를 되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공사대금을 받지 못한 상황이라면 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공사현장을 점유하는 유치권 행사가 가능한데, 단, 계약 당시 유치권을 배제하는 특약조항이 없어야 하고 현장 점유 유지 등의 성립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공사대금청구소송은 계약 내용에 의한 권리 또는 의무에 대해 당사자들의 입장이나 주장이 엇갈리면 발생하기 때문에 증거가 중요하며, 금액이 부풀려 작성된 공사도급계약서 등 명확한 하도급법 위반 사항을 입증하는 게 핵심이다. 정당하고 합법적인 계약에 따라 공사를 진행했다면 공사대금을 제대로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공사대금과 관련해서 법적대응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입증자료, 유치권행사, 강제집행 대비를 위한 보전조치 등이 필요하다. 도움말 : 법무법인(유한)대륜 신성민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공사대금청구소송, 하도급법 위반 여부에 따라 대응전략 달라져야
데일리팝
2023-02-27
공사대금청구소송, 하도급법 위반 여부에 따라 대응전략 달라져야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공사대금청구소송, 하도급법 위반 여부에 따라 대응전략 달라져야
최근 부동산 시장이 경색되면서 국내 건설업계에서는 공사대금미지급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약정 시기에 제대로 대금 지금이 되지 않거나 당초 예상과는 달리 작업 기간이 길어지면서 추가적인 금액이 발생하게 된 경우 등 다양한 상황으로 분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공사대금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으면 자재 수급이 늦어지게 되고 자연히 작업일정 역시 지연돼 분쟁이 해소되지 못해 건물이 미완성의 상태로 계속 남게 되니 경제적인 상황은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사대금청구소송을 통해 법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공사대금청구소송은 말 그대로 공사를 계약한 대로 진행하고, 완료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약속한 대금을 주지 않은 경우 지급을 촉구하기 위한 법적인 절차를 말한다. 해당 소송은 계약서를 비롯하여 공사대금에 대한 상대방과의 채무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야 하며, 소멸시효가 3년으로 비교적 짧아 신속히 대응해 정당한 권리를 되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공사대금을 받지 못한 상황이라면 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공사현장을 점유하는 유치권 행사가 가능한데, 단, 계약 당시 유치권을 배제하는 특약조항이 없어야 하고 현장 점유 유지 등의 성립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공사대금청구소송은 계약 내용에 의한 권리 또는 의무에 대해 당사자들의 입장이나 주장이 엇갈리면 발생하기 때문에 증거가 중요하며, 금액이 부풀려 작성된 공사도급계약서 등 명확한 하도급법 위반 사항을 입증하는 게 핵심이다. 정당하고 합법적인 계약에 따라 공사를 진행했다면 공사대금을 제대로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공사대금과 관련해서 법적대응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입증자료, 유치권행사, 강제집행 대비를 위한 보전조치 등이 필요하다. 도움말 : 법무법인(유한)대륜 신성민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공사대금청구소송, 하도급법 위반 여부에 따라 대응전략 달라져야
미디어파인
2023-02-27
학교폭력 가해자, 기록 졸업 후에도 남아...억울한 혐의 있다면? [강은혜 변호사 칼럼]
학교폭력 가해자, 기록 졸업 후에도 남아...억울한 혐의 있다면? [강은혜 변호사 칼럼]
[미디어파인 시사칼럼] 학교폭력은 학교 내외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발생한 폭행, 협박, 성폭력 등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학창시절 아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가볍게 여기기 쉬우나, 엄연한 폭력 사건이므로 엄중히 책임을 물어야 하는 사안이다. 이러한 학교폭력 사건의 가해자는 그 사안이 심각하거나 피해자와의 합의, 피해회복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을 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의 절차를 통해 강제 퇴학이나 강제 전학 등 각종 처분을 받을 수 있다. 학교폭력심의위원회는 심의위원들이 가해학생이 피해학생에게 저지른 잘못된 행동들에 관하여 가해학생에게 일정 수준의 처분(징계)을 내린다. 이때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서 받은 처분은 생활기록부에서 2년간 삭제할 수 없어 상급학교 진학에 큰 지장을 받으며, 졸업 후에도 꼬리표처럼 따라다닌다. 허나 만약, 억울하게 가해학생으로 연루되었다면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서 부당한 처분을 받지 않도록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 대비해 대처해야 한다. 더욱 큰 문제는 사안이 중대하거나 피해학생의 고통이 클 경우 학폭위 처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민, 형사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학교폭력 사안의 경우 사건 당사자들이 미성년자이고, 관련학생 및 이를 목격한 학생들의 진술만으로는 사안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보니 부당하게 가해자로 몰리거나, 실제로 한 행위보다 중한 처분을 받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학교폭력은 억울한 가해자 혐의에 대해 자신의 책임 소지에 대해 확실하게 선을 그어야 하는데, 이는 개인이 해결하기엔 법률상, 절차상 따르는 어려움이 많다. 일어난 사안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 및 객관적인 법리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과중하거나 부당한 처분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으니 전문 변호사를 통해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 강은혜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학교폭력 가해자, 기록 졸업 후에도 남아...억울한 혐의 있다면? [강은혜 변호사 칼럼]
미디어파인
2023-02-27
학교폭력 가해자, 기록 졸업 후에도 남아...억울한 혐의 있다면? [강은혜 변호사 칼럼]
학교폭력 가해자, 기록 졸업 후에도 남아...억울한 혐의 있다면? [강은혜 변호사 칼럼]
[미디어파인 시사칼럼] 학교폭력은 학교 내외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발생한 폭행, 협박, 성폭력 등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학창시절 아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가볍게 여기기 쉬우나, 엄연한 폭력 사건이므로 엄중히 책임을 물어야 하는 사안이다. 이러한 학교폭력 사건의 가해자는 그 사안이 심각하거나 피해자와의 합의, 피해회복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을 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의 절차를 통해 강제 퇴학이나 강제 전학 등 각종 처분을 받을 수 있다. 학교폭력심의위원회는 심의위원들이 가해학생이 피해학생에게 저지른 잘못된 행동들에 관하여 가해학생에게 일정 수준의 처분(징계)을 내린다. 이때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서 받은 처분은 생활기록부에서 2년간 삭제할 수 없어 상급학교 진학에 큰 지장을 받으며, 졸업 후에도 꼬리표처럼 따라다닌다. 허나 만약, 억울하게 가해학생으로 연루되었다면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서 부당한 처분을 받지 않도록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 대비해 대처해야 한다. 더욱 큰 문제는 사안이 중대하거나 피해학생의 고통이 클 경우 학폭위 처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민, 형사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학교폭력 사안의 경우 사건 당사자들이 미성년자이고, 관련학생 및 이를 목격한 학생들의 진술만으로는 사안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보니 부당하게 가해자로 몰리거나, 실제로 한 행위보다 중한 처분을 받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학교폭력은 억울한 가해자 혐의에 대해 자신의 책임 소지에 대해 확실하게 선을 그어야 하는데, 이는 개인이 해결하기엔 법률상, 절차상 따르는 어려움이 많다. 일어난 사안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 및 객관적인 법리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과중하거나 부당한 처분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으니 전문 변호사를 통해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 강은혜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학교폭력 가해자, 기록 졸업 후에도 남아...억울한 혐의 있다면? [강은혜 변호사 칼럼]
빅데이터뉴스
2023-02-24
공무원 비위 음주운전 등 부당한 징계 대응, 소청심사 절차 이용해야
공무원 비위 음주운전 등 부당한 징계 대응, 소청심사 절차 이용해야
[빅데이터뉴스 박경호 기자] 최근 사회적으로 모범이 되어야 할 공무원들의 음주운전, 성희롱, 금품수수 등 각종 일탈행위가 여러 곳에서 포착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실제로 행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징계처분을 받은 지방 공무원의 수가 1380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은 높은 청렴도와 도덕수준이 요구되는 직업이며, 국가공무원법에는 공무원의 성실의무, 비밀엄수 의무, 청렴의무, 품위 유지 의무 등을 규정하고 있어 이를 어길 시 법률 위반으로 징계위원회로부터 징계처분을 받게 된다. 일탈행위의 위법 정도에 따라서 처벌이 정해지나, 파면이나 해임 등의 중징계 처분을 받게 되면 직을 내려놔야 한다. 공무원, 교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징계는 파면과 해임, 강등 등이 있다. 파면, 해임은 중징계이자 배제 징계에 해당하고 강등, 정직은 중징계로 분류되며 감봉과 견책은 경징계에 해당한다. 또한 불명예스러운 사건으로 실형을 받게 되면 공무원연금을 받지 못할 수 있다. 특히 공직사회의 특성상 이른바 ‘갑질’ 비위, 성추행, 성희롱 등 성 비위에 대해서는 엄중한 징계책임을 묻게 된다. 음주운전이나 강력범죄 역시 마찬가지이다. 만약 징계위원회의 처분이 부당하거나 과도한 경우엔 소청심사를 통해 징계 처분의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해야 한다. 소청심사란 공무원의 징계처분, 그 밖에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 등에 대한 특별행정심판제도를 말한다. 공무원은 자신이 어떠한 징계를 받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 나와 있는 처분사유설명서를 교부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소청심사위원회에 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이때 청구서에는 소청취지와 이유를 상세히 기재하고 징계 최소 및 변경에 필요한 입증자료를 정리해 함께 제출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전희원 변호사는 “공무원 징계 소청심사는 법적 근거를 토대로 신속히 소청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징계 수위를 낮추기 위해서는 감찰 감사 조사를 받는 시점부터 징계위원회 절차까지 모든 과정에서 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공무원 비위 음주운전 등 부당한 징계 대응, 소청심사 절차 이용해야
빅데이터뉴스
2023-02-24
공무원 비위 음주운전 등 부당한 징계 대응, 소청심사 절차 이용해야
공무원 비위 음주운전 등 부당한 징계 대응, 소청심사 절차 이용해야
[빅데이터뉴스 박경호 기자] 최근 사회적으로 모범이 되어야 할 공무원들의 음주운전, 성희롱, 금품수수 등 각종 일탈행위가 여러 곳에서 포착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실제로 행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징계처분을 받은 지방 공무원의 수가 1380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은 높은 청렴도와 도덕수준이 요구되는 직업이며, 국가공무원법에는 공무원의 성실의무, 비밀엄수 의무, 청렴의무, 품위 유지 의무 등을 규정하고 있어 이를 어길 시 법률 위반으로 징계위원회로부터 징계처분을 받게 된다. 일탈행위의 위법 정도에 따라서 처벌이 정해지나, 파면이나 해임 등의 중징계 처분을 받게 되면 직을 내려놔야 한다. 공무원, 교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징계는 파면과 해임, 강등 등이 있다. 파면, 해임은 중징계이자 배제 징계에 해당하고 강등, 정직은 중징계로 분류되며 감봉과 견책은 경징계에 해당한다. 또한 불명예스러운 사건으로 실형을 받게 되면 공무원연금을 받지 못할 수 있다. 특히 공직사회의 특성상 이른바 ‘갑질’ 비위, 성추행, 성희롱 등 성 비위에 대해서는 엄중한 징계책임을 묻게 된다. 음주운전이나 강력범죄 역시 마찬가지이다. 만약 징계위원회의 처분이 부당하거나 과도한 경우엔 소청심사를 통해 징계 처분의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해야 한다. 소청심사란 공무원의 징계처분, 그 밖에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 등에 대한 특별행정심판제도를 말한다. 공무원은 자신이 어떠한 징계를 받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 나와 있는 처분사유설명서를 교부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소청심사위원회에 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이때 청구서에는 소청취지와 이유를 상세히 기재하고 징계 최소 및 변경에 필요한 입증자료를 정리해 함께 제출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전희원 변호사는 “공무원 징계 소청심사는 법적 근거를 토대로 신속히 소청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징계 수위를 낮추기 위해서는 감찰 감사 조사를 받는 시점부터 징계위원회 절차까지 모든 과정에서 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공무원 비위 음주운전 등 부당한 징계 대응, 소청심사 절차 이용해야
글로벌에픽
2023-02-24
보이스피싱 전달책도 사기방조 처벌 대상…통장대여·취업사기 등 주의해야
보이스피싱 전달책도 사기방조 처벌 대상…통장대여·취업사기 등 주의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최근 보이스피싱 사건이 또다시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나이 든 부모 세대나 어르신들을 노리는 형태가 아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고수익을 빌미로 끌어들여 보이스피싱전달책으로 범죄에 가담시키는 방식이다. 자신들에게 일을 주는 주체가 범죄조직이라는 사실은 모른 채 회사 거래대금 전달이나 대출금 회수 등 단순 업무만으로 고액의 보수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해 시키는 대로 했다가 보이스피싱 전달책·수거책 등으로 처벌받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범죄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고의성이 없었더라도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된 경우에는 수사기관에 대해 적절한 방어를 하지 못하면 자신의 의도나 고의성에 상관없이 사기방조죄 등으로 형사처분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보이스피싱 범죄는 범죄에 동조하거나 도움을 주기만 해도 사기 방조죄에 해당할 수 있다. 범죄 가담 정도에 따라 다르나 사기죄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되며, 사기 방조 혐의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5년 이하의 징역 혹은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피싱은 계획적으로 타인의 재산을 편취하려 드는 수법이 민생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악질적인 범죄인만큼 행위자에 대한 처벌 형량은 갈수록 무거워지는 추세다. 보이스피싱 피해자라면 가장 먼저 경찰청 112콜센터 또는 금융회사 콜센터를 통해 신속하게 신고 접수를 하고 사기 계좌에 대해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또한 억울하게 범죄조직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행위가 가담하게 된 경우엔 반드시 보이스피싱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통해 자신의 무고를 증명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이경민 변호사는 “보이스피싱은 피해자도, 억울한 가담자도 애초에 피싱 조직이 던지는 미끼에 현혹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보이스피싱인 것을 몰라도 범법행위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면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으므로 무혐의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 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원만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전달책도 사기방조 처벌 대상…통장대여·취업사기 등 주의해야
글로벌에픽
2023-02-24
보이스피싱 전달책도 사기방조 처벌 대상…통장대여·취업사기 등 주의해야
보이스피싱 전달책도 사기방조 처벌 대상…통장대여·취업사기 등 주의해야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최근 보이스피싱 사건이 또다시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나이 든 부모 세대나 어르신들을 노리는 형태가 아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고수익을 빌미로 끌어들여 보이스피싱전달책으로 범죄에 가담시키는 방식이다. 자신들에게 일을 주는 주체가 범죄조직이라는 사실은 모른 채 회사 거래대금 전달이나 대출금 회수 등 단순 업무만으로 고액의 보수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해 시키는 대로 했다가 보이스피싱 전달책·수거책 등으로 처벌받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범죄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고의성이 없었더라도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된 경우에는 수사기관에 대해 적절한 방어를 하지 못하면 자신의 의도나 고의성에 상관없이 사기방조죄 등으로 형사처분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보이스피싱 범죄는 범죄에 동조하거나 도움을 주기만 해도 사기 방조죄에 해당할 수 있다. 범죄 가담 정도에 따라 다르나 사기죄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되며, 사기 방조 혐의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5년 이하의 징역 혹은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피싱은 계획적으로 타인의 재산을 편취하려 드는 수법이 민생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악질적인 범죄인만큼 행위자에 대한 처벌 형량은 갈수록 무거워지는 추세다. 보이스피싱 피해자라면 가장 먼저 경찰청 112콜센터 또는 금융회사 콜센터를 통해 신속하게 신고 접수를 하고 사기 계좌에 대해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또한 억울하게 범죄조직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행위가 가담하게 된 경우엔 반드시 보이스피싱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통해 자신의 무고를 증명해야 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이경민 변호사는 “보이스피싱은 피해자도, 억울한 가담자도 애초에 피싱 조직이 던지는 미끼에 현혹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보이스피싱인 것을 몰라도 범법행위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면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으므로 무혐의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 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원만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전달책도 사기방조 처벌 대상…통장대여·취업사기 등 주의해야
더파워뉴스
2023-02-20
군성범죄 등 군형사사건 군형법 적용, 부당한 오해라면 신속히 전문적 대응해야
군성범죄 등 군형사사건 군형법 적용, 부당한 오해라면 신속히 전문적 대응해야
[더파워=최수영 기자] 군인 성범죄 사건이 해마다 늘어나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실제로 국방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군인 간 강간, 추행 사건은 2018년 405건에서 2021년 682건으로 68.3%나 증가했다. 군은 국가 안보라는 큰 사회적 책임을 지고 있는 주요 기관으로 정치적 독립이 보장되며, 그 권한에 걸맞은 책임도 부여된다. 하나 군은 계급에 의해 움직이는 특수조직이라는 점 때문에 개개인의 권리는 자주 무시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지기 쉬웠고, 그로 인해 피해가 증폭되는 사태가 종종 빚어지곤 했다. 그러나 기존에 군 관련 범죄의 수사 및 재판 권한이 민간의 수사기관이나 법원이 아니라 군대 내 조직인 군검찰 및 군사법경찰과 군사법원에 있었기 때문에 부조리와 잘못된 처분들이 현실적으로 바로잡히기 어렵다는 점이 꾸준히 지적되어왔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 군사법원법 개정안이 시행된 후로는 군대 안에서 일어난 범죄라 할지라도 성범죄나 피해자가 사망에 이른 사건, 입대 전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는 민간 사법기관이 수사와 1심 재판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개정안을 통해 수사 및 재판 과정에서의 독립성이 확보되었다고는 하나, 군성범죄를 비롯한 군형사사건은 형사처벌 시 일반 형법이 아닌 군형법이 우선 적용되며 군형법 상 규정되어 있지 않은 범죄나 피해자가 민간인인 경우라면 형법 및 기타 특별법이 적용된다. 특히나 군인이 군인을 상대로 저지르는 성범죄는 개인의 성적 자유를 침해하고 군대의 기강을 저해하는 중대한 위법 행위이기 때문에 군형법에 따라 가중 처벌된다. 민간에서의 강간죄는 형법상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지만, 군형법상 강간죄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조우리 변호사는 “만약 부당하게 군성범죄 사건에 연루되었다면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최선인데, 군사법원법이 적용되는 관련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해 군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군성범죄 등 군형사사건 군형법 적용, 부당한 오해라면 신속히 전문적 대응해야
더파워뉴스
2023-02-20
군성범죄 등 군형사사건 군형법 적용, 부당한 오해라면 신속히 전문적 대응해야
군성범죄 등 군형사사건 군형법 적용, 부당한 오해라면 신속히 전문적 대응해야
[더파워=최수영 기자] 군인 성범죄 사건이 해마다 늘어나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실제로 국방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군인 간 강간, 추행 사건은 2018년 405건에서 2021년 682건으로 68.3%나 증가했다. 군은 국가 안보라는 큰 사회적 책임을 지고 있는 주요 기관으로 정치적 독립이 보장되며, 그 권한에 걸맞은 책임도 부여된다. 하나 군은 계급에 의해 움직이는 특수조직이라는 점 때문에 개개인의 권리는 자주 무시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지기 쉬웠고, 그로 인해 피해가 증폭되는 사태가 종종 빚어지곤 했다. 그러나 기존에 군 관련 범죄의 수사 및 재판 권한이 민간의 수사기관이나 법원이 아니라 군대 내 조직인 군검찰 및 군사법경찰과 군사법원에 있었기 때문에 부조리와 잘못된 처분들이 현실적으로 바로잡히기 어렵다는 점이 꾸준히 지적되어왔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 군사법원법 개정안이 시행된 후로는 군대 안에서 일어난 범죄라 할지라도 성범죄나 피해자가 사망에 이른 사건, 입대 전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는 민간 사법기관이 수사와 1심 재판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개정안을 통해 수사 및 재판 과정에서의 독립성이 확보되었다고는 하나, 군성범죄를 비롯한 군형사사건은 형사처벌 시 일반 형법이 아닌 군형법이 우선 적용되며 군형법 상 규정되어 있지 않은 범죄나 피해자가 민간인인 경우라면 형법 및 기타 특별법이 적용된다. 특히나 군인이 군인을 상대로 저지르는 성범죄는 개인의 성적 자유를 침해하고 군대의 기강을 저해하는 중대한 위법 행위이기 때문에 군형법에 따라 가중 처벌된다. 민간에서의 강간죄는 형법상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지만, 군형법상 강간죄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법무법인(유한)대륜 조우리 변호사는 “만약 부당하게 군성범죄 사건에 연루되었다면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최선인데, 군사법원법이 적용되는 관련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해 군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군성범죄 등 군형사사건 군형법 적용, 부당한 오해라면 신속히 전문적 대응해야
비욘드포스트
2023-02-09
법무법인 대륜, 포항·부산 서부사무소 로펌 개소...전국적 법률조력 확대
법무법인 대륜, 포항·부산 서부사무소 로펌 개소...전국적 법률조력 확대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이달 중 경북 포항사무소와 부산 서부사무소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대륜은 법률서비스의 대중화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해 전국적 협업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국 130인의 전문변호사 중 사건에 적합한 구성원을 중심으로 TF팀을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 지역의 의뢰인들이 본사와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개소를 앞둔 포항과 부산서부지역에서도 수천건의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형사 △성범죄 △학교폭력 △기업법무 △이혼 △상속 △부동산 △민사 △행정 △도산 △노동 △조세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본사와 동일한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변호사법에서 규정한 엄격한 요건을 갖춘 상위 법민만 취득할 수 있는 유한법인에 해당하는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지역민들의 법률적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포항과 부산서부지역 추가 개소로 전국적 법률 인프라 강화에 앞장서겠다.”며 ”무엇보다도 법률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내부 시스템 향상 및 각 분야에 특화된 전문변호사ㆍ전관변호사 영입에 힘쓰며 수사 단계부터 법원 단계까지 폭넓은 조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륜 관계자는 “의뢰인들을 위해 토요일과 공휴일에도 법률상담 접수를 진행하고 있다. 의뢰인 가까이에서 체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구성원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포항·부산 서부사무소 로펌 개소...전국적 법률조력 확대
비욘드포스트
2023-02-09
법무법인 대륜, 포항·부산 서부사무소 로펌 개소...전국적 법률조력 확대
법무법인 대륜, 포항·부산 서부사무소 로펌 개소...전국적 법률조력 확대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이 이달 중 경북 포항사무소와 부산 서부사무소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대륜은 법률서비스의 대중화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해 전국적 협업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국 130인의 전문변호사 중 사건에 적합한 구성원을 중심으로 TF팀을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 지역의 의뢰인들이 본사와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개소를 앞둔 포항과 부산서부지역에서도 수천건의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형사 △성범죄 △학교폭력 △기업법무 △이혼 △상속 △부동산 △민사 △행정 △도산 △노동 △조세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본사와 동일한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변호사법에서 규정한 엄격한 요건을 갖춘 상위 법민만 취득할 수 있는 유한법인에 해당하는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지역민들의 법률적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포항과 부산서부지역 추가 개소로 전국적 법률 인프라 강화에 앞장서겠다.”며 ”무엇보다도 법률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내부 시스템 향상 및 각 분야에 특화된 전문변호사ㆍ전관변호사 영입에 힘쓰며 수사 단계부터 법원 단계까지 폭넓은 조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륜 관계자는 “의뢰인들을 위해 토요일과 공휴일에도 법률상담 접수를 진행하고 있다. 의뢰인 가까이에서 체계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구성원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포항·부산 서부사무소 로펌 개소...전국적 법률조력 확대
비욘드포스트
2023-02-01
보이스피싱 억울하게 연루될 시 대응 방안
보이스피싱 억울하게 연루될 시 대응 방안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최근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사기 피해자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이 커지고 있지만, 수사기관이 범행을 주도한 보이스피싱 총책을 검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실효성 있는 강도 높은 처벌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다. 보이스피싱은 휴대전화 등 전기통신수단을 이용해 타인을 속이거나 협박해, 자금을 송금•이체하도록 하게 하거나 개인 정보를 알아내는 범죄를 뜻한다. 최근에는 피싱 수법이 진화하면서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고액 알바를 미끼로 꼬여낸 아르바이트생을 전달책 또는 수거책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큰 사례비 액수에 넘어가 보이스피싱임을 알지 못하고 통장을 양도 또는 대여해주는 사례 역시 많다. 실제 보이스피싱 조직은 점조직 형태로 움직여 총책 등의 관리자급 조직원은 해외로 도피했거나, 처음부터 국외에서 지시만 내리는 것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국내에서 보이스피싱으로 처벌받는 대상은 대부분 자신도 모르게 범죄에 가담하게 된 아르바이트생이거나 주부다. 이들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은 현금 수거책 등의 단순 가담자를 낚기 위한 수법으로 인터넷 구직 사이트나 커뮤니티 등에 고액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내용의 아르바이트 공고를 내어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만약 현금 전달책 역할을 하다가 보이스피싱 사기방조 혐의로 입건되면 보이스피싱인지 몰랐다는 이유만으로 형사 책임을 면할 수 없다. 또한 업무를 대가를 고액의 급여를 지급받은 내역이 분명할 때에는 더욱이 혐의를 벗기 어렵다. 형법상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해 사기혐의를 인정받는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되며, 단순 가담자는 물론이고 미수범까지도 처벌받을 수 있다. 사회적 악영향과 피해를 고려해 기본적으로 구속수사가 이루어지는 비율이 높고, 법원에서 실형 선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장은민 변호사는 “통상 전달책, 수거책 혐의로 입건된 단순 가담자에 대해서는 사기 방조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따지는 것이 핵심이 되는 만큼 단순히 '억울하다', '몰랐다'라는 입장으로 일관하지 말고 무혐의 혹은 무죄 처분을 받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사건 진행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억울하게 연루될 시 대응 방안
비욘드포스트
2023-02-01
보이스피싱 억울하게 연루될 시 대응 방안
보이스피싱 억울하게 연루될 시 대응 방안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최근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사기 피해자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이 커지고 있지만, 수사기관이 범행을 주도한 보이스피싱 총책을 검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실효성 있는 강도 높은 처벌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다. 보이스피싱은 휴대전화 등 전기통신수단을 이용해 타인을 속이거나 협박해, 자금을 송금•이체하도록 하게 하거나 개인 정보를 알아내는 범죄를 뜻한다. 최근에는 피싱 수법이 진화하면서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고액 알바를 미끼로 꼬여낸 아르바이트생을 전달책 또는 수거책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큰 사례비 액수에 넘어가 보이스피싱임을 알지 못하고 통장을 양도 또는 대여해주는 사례 역시 많다. 실제 보이스피싱 조직은 점조직 형태로 움직여 총책 등의 관리자급 조직원은 해외로 도피했거나, 처음부터 국외에서 지시만 내리는 것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국내에서 보이스피싱으로 처벌받는 대상은 대부분 자신도 모르게 범죄에 가담하게 된 아르바이트생이거나 주부다. 이들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은 현금 수거책 등의 단순 가담자를 낚기 위한 수법으로 인터넷 구직 사이트나 커뮤니티 등에 고액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내용의 아르바이트 공고를 내어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만약 현금 전달책 역할을 하다가 보이스피싱 사기방조 혐의로 입건되면 보이스피싱인지 몰랐다는 이유만으로 형사 책임을 면할 수 없다. 또한 업무를 대가를 고액의 급여를 지급받은 내역이 분명할 때에는 더욱이 혐의를 벗기 어렵다. 형법상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해 사기혐의를 인정받는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되며, 단순 가담자는 물론이고 미수범까지도 처벌받을 수 있다. 사회적 악영향과 피해를 고려해 기본적으로 구속수사가 이루어지는 비율이 높고, 법원에서 실형 선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장은민 변호사는 “통상 전달책, 수거책 혐의로 입건된 단순 가담자에 대해서는 사기 방조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따지는 것이 핵심이 되는 만큼 단순히 '억울하다', '몰랐다'라는 입장으로 일관하지 말고 무혐의 혹은 무죄 처분을 받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사건 진행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억울하게 연루될 시 대응 방안
글로벌에픽
2023-02-01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이혼소송절차, 핵심인 재산분할의 쟁점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이혼소송절차, 핵심인 재산분할의 쟁점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부부는 법적으로 혼인관계를 맺었지만 언제든 이혼을 통해 그 혼인관계를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이혼 과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이혼은 쌍방 합의하에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위자료, 양육권, 재산분할 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고 서로의 의견이 달라 대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그중에서도 부부가 결혼생활 중 공동으로 얻은 재산을 기여도에 따라 나누는 재산분할 문제는 이후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인 만큼 자신의 기여도를 명확히 입증함으로써 제 몫을 확실히 챙겨야 한다. 재산분할은 경제적인 문제인 만큼 아무리 자신과 살던 배우자일지라도 상대방이 본인의 재산을 일부 은닉했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재산 분할 대상이 누락되지 않도록 부부 공동재산을 살펴봐야 하며, 상대방에게 은닉 재산이 있으면 가압류나 가처분 등의 보전처분을 신청해 놓는 것이 좋다. 재산분할 대상은 예적금, 부동산, 자동차 등은 물론이고 연금, 퇴직금 그리고 채무까지 모두 포함된다. 공동의 채무는 나누어 부담하게 되며 일방의 사치나 도박 등을 사유로 발생한 채무라면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 책임진다. 이 외에 혼인 전부터 가지고 있었거나 상속, 증여 등으로 발생한 특유 재산은 이혼재산분할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재산분할의 비율은 기여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때 기여도는 반드시 직접적인 소득만 포함되는 것은 아니라,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전업주부라 하더라도 가사 노동, 육아 참여도 등을 기여도로 인정받을 수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유지원 변호사는 “이혼재산분할에 대한 갈등은 긴 법정 다툼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신혼 이혼부터 황혼 이혼까지 모두 까다롭고 어려운 이혼소송절차를 거치게 된다”면서 “이혼 재산분할 시 자신의 몫을 제대로 챙기고자 한다면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사안을 면밀히 살펴 치밀한 소송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이혼소송절차, 핵심인 재산분할의 쟁점
글로벌에픽
2023-02-01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이혼소송절차, 핵심인 재산분할의 쟁점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이혼소송절차, 핵심인 재산분할의 쟁점
[글로벌에픽 황성수 기자] 부부는 법적으로 혼인관계를 맺었지만 언제든 이혼을 통해 그 혼인관계를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이혼 과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이혼은 쌍방 합의하에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위자료, 양육권, 재산분할 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고 서로의 의견이 달라 대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그중에서도 부부가 결혼생활 중 공동으로 얻은 재산을 기여도에 따라 나누는 재산분할 문제는 이후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인 만큼 자신의 기여도를 명확히 입증함으로써 제 몫을 확실히 챙겨야 한다. 재산분할은 경제적인 문제인 만큼 아무리 자신과 살던 배우자일지라도 상대방이 본인의 재산을 일부 은닉했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재산 분할 대상이 누락되지 않도록 부부 공동재산을 살펴봐야 하며, 상대방에게 은닉 재산이 있으면 가압류나 가처분 등의 보전처분을 신청해 놓는 것이 좋다. 재산분할 대상은 예적금, 부동산, 자동차 등은 물론이고 연금, 퇴직금 그리고 채무까지 모두 포함된다. 공동의 채무는 나누어 부담하게 되며 일방의 사치나 도박 등을 사유로 발생한 채무라면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 책임진다. 이 외에 혼인 전부터 가지고 있었거나 상속, 증여 등으로 발생한 특유 재산은 이혼재산분할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재산분할의 비율은 기여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때 기여도는 반드시 직접적인 소득만 포함되는 것은 아니라,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전업주부라 하더라도 가사 노동, 육아 참여도 등을 기여도로 인정받을 수 있다. 법무법인(유한)대륜의 유지원 변호사는 “이혼재산분할에 대한 갈등은 긴 법정 다툼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신혼 이혼부터 황혼 이혼까지 모두 까다롭고 어려운 이혼소송절차를 거치게 된다”면서 “이혼 재산분할 시 자신의 몫을 제대로 챙기고자 한다면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사안을 면밀히 살펴 치밀한 소송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이혼소송절차, 핵심인 재산분할의 쟁점
에이블뉴스
2023-01-31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 尹정부 향한 제안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 尹정부 향한 제안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 6가지 정책과제 도출장애인이동편의증진 인식 확산·이동편의증진 인식 등 내용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이하 특위)가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를 위해 정부를 향해 장애친화적 이동편의증진 인식 확산과 개별이동수단 개선 등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30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 제안 설명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9월 26일 출범한 특위는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 법·의료· 사회복지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돼 약 4개월간 사전 준비와 숙의, 17차례의 정례회의 등 활동을 이어왔다. 그 결과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개선 ▲대중교통의 유니버설디자인화 ▲개별이동수단 개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장애인 이동편의 및 접근성 정보 구축·활용 강화 ▲장애친화적 이동편의증진 인식 환산 등 6가지 정책과제를 도출했다. 방문석 특위위원장은 “특별교통수단과 대중교통의 접근성은 장애인의 입장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며 “다양하게 구성된 특위는 여태껏 공급자 입장에서 추진됐던 장애인 이동권 문제를 수요자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했다. 장애인이 장벽과 차별 편견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때 건강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책·법 개선도 중요하지만, 장애인 이동권 인식교육 우선돼야” 공마리아 특위위원(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교수)은 “일반시민이 큰 생각 없이 점자블럭 위에 놓은 자전거 등은 시각장애인에게는 벽과 같다. 또 지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보며 장애에 대해 공감하던 사람들은 실제로 벌어지는 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경우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책과 법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우선돼야 하는 것은 인식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장애에 대한 인식은 사회에서 다양한 역역에서 장애인의 삶에 영항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다만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식개선은 이뤄지고 있어도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이에 공 특위위원은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개선 공익광고와 장애인 이동 관련 종사자 및 공무원에 대한 장애인 이동권 인식개선 관련 교육 실시를 제안했다. ‘자가용’ 교통수단 이용 30%‥근로자뿐 아닌 장애인 구입·개조 지원 시급 최보윤 특위위원(법무법인 (유한)대륜 변호사)은 “장애인들은 이동할 때 가까운 거리는 휠체어 등 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고 먼 곳을 이동할 때는 교통수단을 이용한다”며 “이동보조기기 보행자 지위에 대한 법체계가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동보조기기에는 의료용 전동휠체어와 의료용 스쿠터, 휠체어 보조동력 장치 등이 있는데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은 휠체어 보조동력 장치에 대한 보행자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 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교통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장애인 교통수단 이용의 30%를 자가용이 차지하는데 자가용은 주요 장애인 대책에서 다뤄지지 않고 있다. 자가용에 대한 구입 및 개조에 대한 지원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근로자에 한해 이뤄지고 있을 뿐 장애인 가족을 둔 가정이나 장애학생에 대해서는 지원이 열악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은 비장애인 일상적 이동보다 추가적인 제품을 구매해야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 이에 공적지원을 통해 급여를 확대하고 장애인 욕구에 다른 다양하고 유연한 지원을 해야 한다”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신기술 발전에서 장애인이 소외되지 않도록 인증제도를 개선하고 연구콘트롤타워를 확립하며 관계부처의 협력이 강화되는 방안들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장애인 이동권 향상 ‘장애인 접근·이동편의 정보 제공’ 제안 홍윤희 특위위원(협동조합 무의 이사장)은 “우리나라 법은 장애인의 시설접근권과 이동권을 잘 보장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법은 시설과 설비,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예외조항을 통해 편의시설 설치를 하지 않도록 하는 등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건축물과 같은 개별 시설물 및 도시 등을 접근하고 이용할 때 불편이 없도록 편의시설 설치와 관리에 대해 평가해 인증하는 BF인증제도 또한 인증대상이 공공·일부민간시설로 한정돼 있어, 우리가 실질적으로 동네 약국, 편의점, 식당에 가기에는 제한이 크다”고 꼬집었다. 이에 홍 특별위원은 "장애인의 이동권이 향상될 수 있도록 휠체어 접근 가능 장소 등 접근·이동편의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나라는 교통수단 이동편의시설 정보, 건축물 접근가능 편의시설 정보, 지하철 승강기 및 승강기 단차 정보 등 많은 공공데이터가 생성·관리 주체에 따라 분산돼 있기에 이동편의 및 접근성 데이터 국가 중요 공공데이터로 관리, 민간데이터와 공공데이터의 연계·결합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기사전문보기 -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 尹정부 향한 제안
에이블뉴스
2023-01-31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 尹정부 향한 제안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 尹정부 향한 제안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 6가지 정책과제 도출장애인이동편의증진 인식 확산·이동편의증진 인식 등 내용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이하 특위)가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를 위해 정부를 향해 장애친화적 이동편의증진 인식 확산과 개별이동수단 개선 등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30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 제안 설명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9월 26일 출범한 특위는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 법·의료· 사회복지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돼 약 4개월간 사전 준비와 숙의, 17차례의 정례회의 등 활동을 이어왔다. 그 결과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개선 ▲대중교통의 유니버설디자인화 ▲개별이동수단 개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장애인 이동편의 및 접근성 정보 구축·활용 강화 ▲장애친화적 이동편의증진 인식 환산 등 6가지 정책과제를 도출했다. 방문석 특위위원장은 “특별교통수단과 대중교통의 접근성은 장애인의 입장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며 “다양하게 구성된 특위는 여태껏 공급자 입장에서 추진됐던 장애인 이동권 문제를 수요자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했다. 장애인이 장벽과 차별 편견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때 건강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책·법 개선도 중요하지만, 장애인 이동권 인식교육 우선돼야” 공마리아 특위위원(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교수)은 “일반시민이 큰 생각 없이 점자블럭 위에 놓은 자전거 등은 시각장애인에게는 벽과 같다. 또 지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보며 장애에 대해 공감하던 사람들은 실제로 벌어지는 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경우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책과 법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우선돼야 하는 것은 인식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장애에 대한 인식은 사회에서 다양한 역역에서 장애인의 삶에 영항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다만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식개선은 이뤄지고 있어도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이에 공 특위위원은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개선 공익광고와 장애인 이동 관련 종사자 및 공무원에 대한 장애인 이동권 인식개선 관련 교육 실시를 제안했다. ‘자가용’ 교통수단 이용 30%‥근로자뿐 아닌 장애인 구입·개조 지원 시급 최보윤 특위위원(법무법인 (유한)대륜 변호사)은 “장애인들은 이동할 때 가까운 거리는 휠체어 등 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고 먼 곳을 이동할 때는 교통수단을 이용한다”며 “이동보조기기 보행자 지위에 대한 법체계가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동보조기기에는 의료용 전동휠체어와 의료용 스쿠터, 휠체어 보조동력 장치 등이 있는데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은 휠체어 보조동력 장치에 대한 보행자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 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교통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장애인 교통수단 이용의 30%를 자가용이 차지하는데 자가용은 주요 장애인 대책에서 다뤄지지 않고 있다. 자가용에 대한 구입 및 개조에 대한 지원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근로자에 한해 이뤄지고 있을 뿐 장애인 가족을 둔 가정이나 장애학생에 대해서는 지원이 열악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은 비장애인 일상적 이동보다 추가적인 제품을 구매해야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 이에 공적지원을 통해 급여를 확대하고 장애인 욕구에 다른 다양하고 유연한 지원을 해야 한다”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신기술 발전에서 장애인이 소외되지 않도록 인증제도를 개선하고 연구콘트롤타워를 확립하며 관계부처의 협력이 강화되는 방안들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장애인 이동권 향상 ‘장애인 접근·이동편의 정보 제공’ 제안 홍윤희 특위위원(협동조합 무의 이사장)은 “우리나라 법은 장애인의 시설접근권과 이동권을 잘 보장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법은 시설과 설비,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예외조항을 통해 편의시설 설치를 하지 않도록 하는 등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건축물과 같은 개별 시설물 및 도시 등을 접근하고 이용할 때 불편이 없도록 편의시설 설치와 관리에 대해 평가해 인증하는 BF인증제도 또한 인증대상이 공공·일부민간시설로 한정돼 있어, 우리가 실질적으로 동네 약국, 편의점, 식당에 가기에는 제한이 크다”고 꼬집었다. 이에 홍 특별위원은 "장애인의 이동권이 향상될 수 있도록 휠체어 접근 가능 장소 등 접근·이동편의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나라는 교통수단 이동편의시설 정보, 건축물 접근가능 편의시설 정보, 지하철 승강기 및 승강기 단차 정보 등 많은 공공데이터가 생성·관리 주체에 따라 분산돼 있기에 이동편의 및 접근성 데이터 국가 중요 공공데이터로 관리, 민간데이터와 공공데이터의 연계·결합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기사전문보기 -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 尹정부 향한 제안
MBN
2023-01-26
[뉴스7/포커스M] 장애인 차량 개조 지원금은 근로자만?…"보험도 안 돼 사고 겁나"
[뉴스7/포커스M] 장애인 차량 개조 지원금은 근로자만?…"보험도 안 돼 사고 겁나"
【 앵커멘트 】장애인 단체의 지하철 지연 시위에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9월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장애인 이동권을 논의하고 있는데요.장애인 이동수단 조사에서는 자가용이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그런데 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게 차량을 개조하려 해도, 일하는 장애인만 지원금을 주고 자동차 보험은꿈도 못 꿉니다.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이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포커스M입니다.【 기자 】운전석에 탑승한 홍서윤 씨가 리프트를 이용해 휠체어를 차량 위 보관함에 싣습니다.손으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방향지시등을 조작하는 핸드컨트롤러를 능숙하게 다룹니다.홍 씨는 아침 일찍 서울 한강로 3가에서 운동을 한 뒤 동교동으로 출근하는데, 지하철로 1시간 거리를 차로 20분 만에 도착합니다.리프트 900만 원, 핸드컨트롤러 100만 원, 할부가 안 돼 일시불로 지불해야 했고, 보험에서 제외돼 늘 사고가 날까 조마조마합니다.▶ 인터뷰 : 홍서윤 / 지체 장애인"해당 부분은 불법 개조물이다, 자동차 아니기 때문에 보험 적용할 수 없다고 해서 제외한 거죠."장애인이 운전을 하는데 필수적인 핸드컨트롤러는 새 차의 운전석 배선 부분을 다 뜯어내고 작업합니다.애당초 핸드컨트롤러 설치를 고려하지 않고 만든 탓입니다.운전면허시험장 차량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터뷰 : 박형석 / 장애인 운전보조장치 업체 대표"요즘은 전자장비들이 많아져서 배선 연결하는 게 굉장히 힘들어졌죠. 보통 차 한 대당 3시간에서 하루 이틀까지 걸립니다."▶ 스탠딩 : 이혁준 / 기자"영상을 하나 보시겠습니다. 해외에서는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차에 바로 들어가고 휠체어를 운전석으로 쓰는 장애인 차량을 개발해 상용화한 지 오래입니다."해외에서는 완성차 업체까지 뛰어들어 장애인도 편안하게 탑승하고 운전하도록 만드는데, 국내와의 가장 큰 차이는 차별 없는 정부의 금액 지원입니다.우리나라는 장애인고용공단이 일하는 장애인만 운전보조장치 설치를 지원해 지난해엔 12억 원만 쓰였습니다.2020년 실태조사에서 장애인 3명 중 1명꼴로 외출할 때 자가용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답했습니다.그동안 지원책을 마련했을 법한데, 취재 결과 정부는 이를 외면해왔습니다.▶ 인터뷰(☎) : 보건복지부 관계자"장애인 이동권은 국토교통부가 주관이 돼서 여러 조치를 하고 있거든요."▶ 인터뷰 : 최보윤 /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현실적으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에는 자가 차량이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 교통약자법상 특별교통수단의 정의에 따라 장애인 자가 차량도 포함해 구체화해야 한다고 봅니다."장애인이 직접 운행하는 차량뿐 아니라 장애인을 위해 가족이 모는 차량에도 지원금은 없습니다.전동 휠체어도 바로 태울 수 있게 개조하는데 드는 추가 비용은 1,500만 원, 이 역시 개인은 사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 김익훈 / 장애인용 차량 개조업체 대표"차량 가격에 구조변경 비용을 얹혀서 사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가격 부담이 높습니다."자가 차량이 없을 경우 부르는 장애인 콜택시는 지자체 경계를 벗어나지 못해 개인 차량이 없는 장애인이 먼 거리를 자유롭게 이동하긴 거의 불가능합니다.▶ 스탠딩 : 이혁준 / 기자"차가 꽉 들어찬 주차장에 유독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은 텅 비어 있기 일쑤입니다. 장애인 자가 차량에 대한 우리 사회의 무관심이 낳은 결과입니다. MBN뉴스 이혁준입니다."기사전문보기 - [뉴스7/포커스M] 장애인 차량 개조 지원금은 근로자만?…"보험도 안 돼 사고 겁나"
MBN
2023-01-26
[뉴스7/포커스M] 장애인 차량 개조 지원금은 근로자만?…"보험도 안 돼 사고 겁나"
[뉴스7/포커스M] 장애인 차량 개조 지원금은 근로자만?…"보험도 안 돼 사고 겁나"
【 앵커멘트 】장애인 단체의 지하철 지연 시위에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9월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장애인 이동권을 논의하고 있는데요.장애인 이동수단 조사에서는 자가용이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그런데 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게 차량을 개조하려 해도, 일하는 장애인만 지원금을 주고 자동차 보험은꿈도 못 꿉니다.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이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포커스M입니다.【 기자 】운전석에 탑승한 홍서윤 씨가 리프트를 이용해 휠체어를 차량 위 보관함에 싣습니다.손으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방향지시등을 조작하는 핸드컨트롤러를 능숙하게 다룹니다.홍 씨는 아침 일찍 서울 한강로 3가에서 운동을 한 뒤 동교동으로 출근하는데, 지하철로 1시간 거리를 차로 20분 만에 도착합니다.리프트 900만 원, 핸드컨트롤러 100만 원, 할부가 안 돼 일시불로 지불해야 했고, 보험에서 제외돼 늘 사고가 날까 조마조마합니다.▶ 인터뷰 : 홍서윤 / 지체 장애인"해당 부분은 불법 개조물이다, 자동차 아니기 때문에 보험 적용할 수 없다고 해서 제외한 거죠."장애인이 운전을 하는데 필수적인 핸드컨트롤러는 새 차의 운전석 배선 부분을 다 뜯어내고 작업합니다.애당초 핸드컨트롤러 설치를 고려하지 않고 만든 탓입니다.운전면허시험장 차량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터뷰 : 박형석 / 장애인 운전보조장치 업체 대표"요즘은 전자장비들이 많아져서 배선 연결하는 게 굉장히 힘들어졌죠. 보통 차 한 대당 3시간에서 하루 이틀까지 걸립니다."▶ 스탠딩 : 이혁준 / 기자"영상을 하나 보시겠습니다. 해외에서는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차에 바로 들어가고 휠체어를 운전석으로 쓰는 장애인 차량을 개발해 상용화한 지 오래입니다."해외에서는 완성차 업체까지 뛰어들어 장애인도 편안하게 탑승하고 운전하도록 만드는데, 국내와의 가장 큰 차이는 차별 없는 정부의 금액 지원입니다.우리나라는 장애인고용공단이 일하는 장애인만 운전보조장치 설치를 지원해 지난해엔 12억 원만 쓰였습니다.2020년 실태조사에서 장애인 3명 중 1명꼴로 외출할 때 자가용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답했습니다.그동안 지원책을 마련했을 법한데, 취재 결과 정부는 이를 외면해왔습니다.▶ 인터뷰(☎) : 보건복지부 관계자"장애인 이동권은 국토교통부가 주관이 돼서 여러 조치를 하고 있거든요."▶ 인터뷰 : 최보윤 / 변호사 (법무법인 대륜)"현실적으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에는 자가 차량이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 교통약자법상 특별교통수단의 정의에 따라 장애인 자가 차량도 포함해 구체화해야 한다고 봅니다."장애인이 직접 운행하는 차량뿐 아니라 장애인을 위해 가족이 모는 차량에도 지원금은 없습니다.전동 휠체어도 바로 태울 수 있게 개조하는데 드는 추가 비용은 1,500만 원, 이 역시 개인은 사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 김익훈 / 장애인용 차량 개조업체 대표"차량 가격에 구조변경 비용을 얹혀서 사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가격 부담이 높습니다."자가 차량이 없을 경우 부르는 장애인 콜택시는 지자체 경계를 벗어나지 못해 개인 차량이 없는 장애인이 먼 거리를 자유롭게 이동하긴 거의 불가능합니다.▶ 스탠딩 : 이혁준 / 기자"차가 꽉 들어찬 주차장에 유독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은 텅 비어 있기 일쑤입니다. 장애인 자가 차량에 대한 우리 사회의 무관심이 낳은 결과입니다. MBN뉴스 이혁준입니다."기사전문보기 - [뉴스7/포커스M] 장애인 차량 개조 지원금은 근로자만?…"보험도 안 돼 사고 겁나"
경상일보
2023-01-25
횡령죄 및 업무상횡령죄, 적용 범위 넓고 처벌 수위도 높아
횡령죄 및 업무상횡령죄, 적용 범위 넓고 처벌 수위도 높아
횡령죄는 다른 사람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이를 횡령하거나 반환을 거부할 때 성립하는 범죄이다. 모임 회비, 곗돈 등을 함부로 사용하는 것부터 회사 자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은행 예금을 몰래 빼돌리는 경우 등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해당 혐의가 확정되어 실형을 받게 되면 5년 이하의 징역형이나 15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지며, 횡령죄 중에서도 업무상 임무에 위배하여 업무상 횡령죄를 저지른 경우엔 10년 이하의 징역형,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 수위가 높아진다.특히 업무상 횡령죄는 횡령한 재물 가액이 5억원 이상 50억 미만인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이 적용되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할 수 있다. 피해 액수가 50억 원 이상일 시엔 특경법에 의거하여 무기징역 혹은 5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업무상 횡령죄의 경우 주로 회사나 은행에서 거금을 횡령한 사건들이 잇달아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얼마 전에도 수원지방법원에서 업무상횡령죄 등으로 1년 6개월 실형을 선고받은 후, 또 다시 적발되어 재차 실형을 선고받은 소식이 보도되며 네티즌 사이에 갑을론박이 오가기도 했다. 이 업무상 횡령죄의 중요한 성립요건은 불법영득의사다.불법영득의사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위탁의 취지에 반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권한 없이 재물을 자기의 소유인 것처럼 사실상 또는 법률상 처분하고자 하는 의사를 말한다.따라서 업무상 횡령죄 혐의를 받는 사람은 자신이 불법영득의사가 없음을 뚜렷한 증거를 입증하지 못하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업무는 법령이나 계약에 의해 수행하는 경우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례나 사실상의 지위, 같은 행위를 반복할 지위에 있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강동훈 변호사는 “업무상 횡령죄에서 불법 영득의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행위 태양이나 횡령에 이르게 된 경위, 횡령한 금액과 사용처 등을 세밀하게 확인 후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야한다”고 조언했다.이어 “객관적인 정황 증거를 바탕으로 사건의 실체를 파악해야 하므로 사건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에게 상담을 받아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횡령죄 및 업무상횡령죄, 적용 범위 넓고 처벌 수위도 높아 < 기업 < 전국뉴스 < 기사본문 - 경상일보 (ksilbo.co.kr)
경상일보
2023-01-25
횡령죄 및 업무상횡령죄, 적용 범위 넓고 처벌 수위도 높아
횡령죄 및 업무상횡령죄, 적용 범위 넓고 처벌 수위도 높아
횡령죄는 다른 사람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이를 횡령하거나 반환을 거부할 때 성립하는 범죄이다. 모임 회비, 곗돈 등을 함부로 사용하는 것부터 회사 자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은행 예금을 몰래 빼돌리는 경우 등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해당 혐의가 확정되어 실형을 받게 되면 5년 이하의 징역형이나 15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지며, 횡령죄 중에서도 업무상 임무에 위배하여 업무상 횡령죄를 저지른 경우엔 10년 이하의 징역형,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 수위가 높아진다.특히 업무상 횡령죄는 횡령한 재물 가액이 5억원 이상 50억 미만인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이 적용되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할 수 있다. 피해 액수가 50억 원 이상일 시엔 특경법에 의거하여 무기징역 혹은 5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업무상 횡령죄의 경우 주로 회사나 은행에서 거금을 횡령한 사건들이 잇달아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얼마 전에도 수원지방법원에서 업무상횡령죄 등으로 1년 6개월 실형을 선고받은 후, 또 다시 적발되어 재차 실형을 선고받은 소식이 보도되며 네티즌 사이에 갑을론박이 오가기도 했다. 이 업무상 횡령죄의 중요한 성립요건은 불법영득의사다.불법영득의사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위탁의 취지에 반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권한 없이 재물을 자기의 소유인 것처럼 사실상 또는 법률상 처분하고자 하는 의사를 말한다.따라서 업무상 횡령죄 혐의를 받는 사람은 자신이 불법영득의사가 없음을 뚜렷한 증거를 입증하지 못하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업무는 법령이나 계약에 의해 수행하는 경우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례나 사실상의 지위, 같은 행위를 반복할 지위에 있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강동훈 변호사는 “업무상 횡령죄에서 불법 영득의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행위 태양이나 횡령에 이르게 된 경위, 횡령한 금액과 사용처 등을 세밀하게 확인 후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야한다”고 조언했다.이어 “객관적인 정황 증거를 바탕으로 사건의 실체를 파악해야 하므로 사건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에게 상담을 받아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덧붙였다. 기사전문보기 - 횡령죄 및 업무상횡령죄, 적용 범위 넓고 처벌 수위도 높아 < 기업 < 전국뉴스 < 기사본문 - 경상일보 (ksilbo.co.kr)
시사매거진
2023-01-25
법무법인(유한)대륜, 판사출신 현병희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대륜, 판사출신 현병희 변호사 영입
[시사매거진]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 인천지방법원 출신 현병희 대표변호사(사진·사법연수원 25기)를 영입했다고 밝혔다.현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후 인천지방법원 민사·형사재판 판사 및 서울가정법원 가사재판 판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정거래위원회 공정거래분쟁조정협회 제1, 2기 위원 및 서울지방변호사회 성년후견제도특별위원회 위원, 서울고등법원 상임조정위원 등 다양한 활동을 기반으로 형사사건 외에도 가사 및 민사사건에도 특화되어 있어 다분야의 사건을 담당할 예정이다.대륜은 “여러 분야의 사건을 경험해본 경험이 있는 그는 판사출신으로, 재판부의 시선에서 사건을 풀어가며 대륜의 역량을 더욱 끌어올리게 됐다”며 “전국연계사건처리시스템을 통해 얼마 전 개소한 강남과 평택사무소를 포함한 전국 사무소에 적용하여 의뢰인들이 가까운 곳에서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현병희 변호사는 “변호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자라고 생각한다. 의뢰인들이 겪고 있는 성범죄, 손해배상, 조세, 공정거래 등 여러 법률적 문제들을 하루빨리 풀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판사출신 현병희 변호사 영입 < 생활/문화 < 뉴스 < 기사본문 - 시사매거진 (sisamagazine.co.kr)
시사매거진
2023-01-25
법무법인(유한)대륜, 판사출신 현병희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유한)대륜, 판사출신 현병희 변호사 영입
[시사매거진]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 인천지방법원 출신 현병희 대표변호사(사진·사법연수원 25기)를 영입했다고 밝혔다.현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후 인천지방법원 민사·형사재판 판사 및 서울가정법원 가사재판 판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정거래위원회 공정거래분쟁조정협회 제1, 2기 위원 및 서울지방변호사회 성년후견제도특별위원회 위원, 서울고등법원 상임조정위원 등 다양한 활동을 기반으로 형사사건 외에도 가사 및 민사사건에도 특화되어 있어 다분야의 사건을 담당할 예정이다.대륜은 “여러 분야의 사건을 경험해본 경험이 있는 그는 판사출신으로, 재판부의 시선에서 사건을 풀어가며 대륜의 역량을 더욱 끌어올리게 됐다”며 “전국연계사건처리시스템을 통해 얼마 전 개소한 강남과 평택사무소를 포함한 전국 사무소에 적용하여 의뢰인들이 가까운 곳에서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현병희 변호사는 “변호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자라고 생각한다. 의뢰인들이 겪고 있는 성범죄, 손해배상, 조세, 공정거래 등 여러 법률적 문제들을 하루빨리 풀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판사출신 현병희 변호사 영입 < 생활/문화 < 뉴스 < 기사본문 - 시사매거진 (sisamagazine.co.kr)
폴리뉴스
2023-01-25
尹대통령, 국민통합보고회에서 “자유 삭제하려는 대규모 세력 존재, 통합 어려운 국가”
尹대통령, 국민통합보고회에서 “자유 삭제하려는 대규모 세력 존재, 통합 어려운 국가”
민주당 등 야권 진영을 ‘자유 삭제 세력’으로 인식, ‘자유’가치로 국민들을 이념적으로 갈라김한길 “尹대통령 국민 적극적 자유와 행복 실현 위해서 일로매진, 정책 지향점이자 방법론”[폴리뉴스 정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국민통합 추진전략 및 성과보고회’에서 야당과 진보진영을 “자유를 지워서 삭제하려는 세력”으로 인식을 감추지 않으며 국민통합은 어렵다는 뜻을 나타냈다.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에서 “저는 법학을 공부한 사람이라, 독일에서는 소위 국민통합의 어떤 기제라고 할까, 그것을 헌법으로 잡고 있다. 그래서 헌법이라는 것을 국민들의 어떤 동화적 통합을 해 나가는 과정이자 하나의 기제로서 보고 있는데 결국은 헌법이 담고 있는 어떤 가치 지향적인 통합 과정을 말하는 것 같다”고 헌법적 의미에서 통합을 언급했다.이어 “우리나라에서는 지금 헌법의 자유민주주의에서 또 자유를 지워서 삭제해야 된다고 주장하는 이런 대규모의 의견을 가진 세력들도 존재하고, 그래서 과연 안정적인 통합이 참 어려운 그런 국가”라고 얘기했다. 현재의 민주당 등 야권 진영을 ‘자유’를 인정하지 않는 반헌법적 세력이기 때문에 국민통합은 여의치 않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그러나 현재 야권이 자유민주주의 의미를 부정하지 않고 ‘민주주의’라는 용어 속에 ‘자유민주주의’의 함의가 포함돼 있다고 보고 있는 점을 부정했다. 오롯이 윤 대통령 자신과 보수진영의 ‘자유’가치만을 강조한 것으로 이념적으로 국민들을 가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나아가 윤 대통령은 “정부가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경제적인 도약을 해 나가면 또 그 과정에서 어떤 통합이 이루어질지도 모르겠다”며 지금의 현실에서는 통합보다는 시장자유에 기반한 보수적인 정책기조로 경제성장을 추구해야 한다는 뜻도 나타냈다.다만 윤 대통령은 “사회갈등이 그리고 분열이 심각하면 우리가 복지로서 누려야 되는 소중한 우리의 생산가치가 전부 분열과 갈등으로 싸움하는데 소모가 되기 때문에 정말 사회적으로도 낭비가 많고, 미래 세대가 누려야 될 것들을 소위 말해 이 싸움에 무기로 소진해 가는 그런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이 사회갈등과 분열을 좀 줄이고, 국민이 하나로 통합해서 나가는 것이 정말 국가 발전과 위기 극복에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가 없다”고 갈등해소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국민통합위원회는 또한 국민통합을 위해서 꼭 해야 할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검토해서 앞으로 5년간 추진할 로드맵으로 국민통합 추진전략과 핵심과제를 선정했다. 특히 내년 2023년에는 청년과 사회적 약자라는 두 주제를 큰 틀로 하고, 국민적 관심과 시의성이 높은 과제들을 택해서 그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보고했다.이어 “윤 대통령께서는 여느 대통령들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국민의 적극적 자유와 행복 실현을 위해서 일로매진하고 계시다. 국민통합은 그러한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열정을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피부에 와닿게 풀어내는 정책적 지향점이자 방법론”이라고 했다.또 김 위원장은 “대통령께서 연일 예측 불허의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빡빡한 일정에도 지치지 않고 애쓰시는 모습을 볼 때마다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은 비단 저만의 심정이 아닐 것”이라며 “부단히 국민통합을 향해서 다가가는 길이야말로 행복한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인 동시에 윤석열 대통령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모시는 길”이라고 했다.보고회에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최재천 법무법인헤리티지 대표변호사, 이우영 서울대 교수, 차인순 국회의정연수원 겸임교수, 김민전 경희대 교수, 김영우 전 국회의원, 이현출 건국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특위위원 및 관계부처에서는 한지아 WHO본부건강노화컨소시엄 전문위원, 최보윤 변호사, 임채운 서강대 명예교수, 국토·교육·문화체육·고용노동·행정안전·보건복지·여성가족·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법무부 차관, 공정거래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대통령실에서는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최철규 국민통합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기사전문보기 - 尹대통령, 국민통합보고회에서 “자유 삭제하려는 대규모 세력 존재, 통합 어려운 국가” < 정부 < 정치 < 기사본문 - 폴리뉴스 Polinews
폴리뉴스
2023-01-25
尹대통령, 국민통합보고회에서 “자유 삭제하려는 대규모 세력 존재, 통합 어려운 국가”
尹대통령, 국민통합보고회에서 “자유 삭제하려는 대규모 세력 존재, 통합 어려운 국가”
민주당 등 야권 진영을 ‘자유 삭제 세력’으로 인식, ‘자유’가치로 국민들을 이념적으로 갈라김한길 “尹대통령 국민 적극적 자유와 행복 실현 위해서 일로매진, 정책 지향점이자 방법론”[폴리뉴스 정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국민통합 추진전략 및 성과보고회’에서 야당과 진보진영을 “자유를 지워서 삭제하려는 세력”으로 인식을 감추지 않으며 국민통합은 어렵다는 뜻을 나타냈다.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에서 “저는 법학을 공부한 사람이라, 독일에서는 소위 국민통합의 어떤 기제라고 할까, 그것을 헌법으로 잡고 있다. 그래서 헌법이라는 것을 국민들의 어떤 동화적 통합을 해 나가는 과정이자 하나의 기제로서 보고 있는데 결국은 헌법이 담고 있는 어떤 가치 지향적인 통합 과정을 말하는 것 같다”고 헌법적 의미에서 통합을 언급했다.이어 “우리나라에서는 지금 헌법의 자유민주주의에서 또 자유를 지워서 삭제해야 된다고 주장하는 이런 대규모의 의견을 가진 세력들도 존재하고, 그래서 과연 안정적인 통합이 참 어려운 그런 국가”라고 얘기했다. 현재의 민주당 등 야권 진영을 ‘자유’를 인정하지 않는 반헌법적 세력이기 때문에 국민통합은 여의치 않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그러나 현재 야권이 자유민주주의 의미를 부정하지 않고 ‘민주주의’라는 용어 속에 ‘자유민주주의’의 함의가 포함돼 있다고 보고 있는 점을 부정했다. 오롯이 윤 대통령 자신과 보수진영의 ‘자유’가치만을 강조한 것으로 이념적으로 국민들을 가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나아가 윤 대통령은 “정부가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경제적인 도약을 해 나가면 또 그 과정에서 어떤 통합이 이루어질지도 모르겠다”며 지금의 현실에서는 통합보다는 시장자유에 기반한 보수적인 정책기조로 경제성장을 추구해야 한다는 뜻도 나타냈다.다만 윤 대통령은 “사회갈등이 그리고 분열이 심각하면 우리가 복지로서 누려야 되는 소중한 우리의 생산가치가 전부 분열과 갈등으로 싸움하는데 소모가 되기 때문에 정말 사회적으로도 낭비가 많고, 미래 세대가 누려야 될 것들을 소위 말해 이 싸움에 무기로 소진해 가는 그런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이 사회갈등과 분열을 좀 줄이고, 국민이 하나로 통합해서 나가는 것이 정말 국가 발전과 위기 극복에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가 없다”고 갈등해소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국민통합위원회는 또한 국민통합을 위해서 꼭 해야 할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검토해서 앞으로 5년간 추진할 로드맵으로 국민통합 추진전략과 핵심과제를 선정했다. 특히 내년 2023년에는 청년과 사회적 약자라는 두 주제를 큰 틀로 하고, 국민적 관심과 시의성이 높은 과제들을 택해서 그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보고했다.이어 “윤 대통령께서는 여느 대통령들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국민의 적극적 자유와 행복 실현을 위해서 일로매진하고 계시다. 국민통합은 그러한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열정을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피부에 와닿게 풀어내는 정책적 지향점이자 방법론”이라고 했다.또 김 위원장은 “대통령께서 연일 예측 불허의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빡빡한 일정에도 지치지 않고 애쓰시는 모습을 볼 때마다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은 비단 저만의 심정이 아닐 것”이라며 “부단히 국민통합을 향해서 다가가는 길이야말로 행복한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인 동시에 윤석열 대통령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모시는 길”이라고 했다.보고회에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최재천 법무법인헤리티지 대표변호사, 이우영 서울대 교수, 차인순 국회의정연수원 겸임교수, 김민전 경희대 교수, 김영우 전 국회의원, 이현출 건국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특위위원 및 관계부처에서는 한지아 WHO본부건강노화컨소시엄 전문위원, 최보윤 변호사, 임채운 서강대 명예교수, 국토·교육·문화체육·고용노동·행정안전·보건복지·여성가족·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법무부 차관, 공정거래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대통령실에서는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최철규 국민통합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기사전문보기 - 尹대통령, 국민통합보고회에서 “자유 삭제하려는 대규모 세력 존재, 통합 어려운 국가” < 정부 < 정치 < 기사본문 - 폴리뉴스 Polinews
더파워뉴스
2023-01-25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통매음 처벌]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통매음 처벌]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더파워=최병수 기자] 최근 온라인 게임을 하다가 상대방과 시비가 붙어 상대방의 성별을 비하하는 등 성적인 욕설을 하거나 패륜적 농담을 해 통매음 혐의로 고소를 당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홧김에 내뱉은 말이라 가볍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엄연히 법적 책임이 따르는 위법행위이다.온라인 게임뿐 아니라 최근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SNS를 이용한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아직 분별력이 부족한 어린 학생들이 인스타그램이나 카카오톡 등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야한 농담이나 성적 목적의 대화를 주고받다가 통신매체이용음란죄 혐의로 고소당하는 사례가 많다. 소위 ‘통매음헌터’라 불리는 기획고소에 연루되어 통매음변호사를 찾는 경우도 적지 않다.온라인일지라도 수치심을 유발하는 인신공격이나 성적 발언 등은 성폭력처벌법상 '통신매체이용음란죄(제13조)'로 처벌될 수 있는 사안이다. 통신매체이용음란죄는 컴퓨터 등 통신매체를 통해 상대방에게 성적 수치심⋅불쾌감을 일으키는 말이나 이미지, 영상 등을 상대방에게 도달했을 때 성립하는 성범죄다.해당 성범죄를 저지른 자는 유죄 시 성폭력처벌법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며, 동종범죄 전과가 있거나 동종 누범인 경우나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를 대상으로 범행한 경우, 상당한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범행한 경우 등은 가중처벌이 이루어진다.행위가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킬 정도가 아니라면 통신매체이용음란죄가 성립되지 않으나, 이때 성적수치심이나 혐오감의 유발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회 평균인의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지 살핀다.통신매체이용음란죄는 대체로 캡처 이미지나 녹음 등 증거가 충분한데다 반의사불벌죄가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장난이나 실수였다고 해명하거나, 피해자와 합의를 한다 해도 처벌을 피할 수 없다.다만 사건 초기부터 신중히 대응하여 처벌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지난달에도 서울서부지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 불건전한 그림 등을 올린 행위가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한 행위’가 아니라며 무죄가 선고된 사례도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전문센터 소속 김광덕변호사는 “통매음은 성범죄이기 때문에 벌금형 이상의 처벌이 이뤄지면 형사 처벌과 별개로 보안처분이 부과되어 사회 복귀 시 각종 불이익이 뒤따를 수 있다”면서 “애초에 범죄에 연루되지 않는 게 좋지만, 만약 관련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게 됐다면 성폭력 사건 경험이 많은 통매음·성범죄전문변호사와 상담을 받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 더파워뉴스
더파워뉴스
2023-01-25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통매음 처벌]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통매음 처벌]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더파워=최병수 기자] 최근 온라인 게임을 하다가 상대방과 시비가 붙어 상대방의 성별을 비하하는 등 성적인 욕설을 하거나 패륜적 농담을 해 통매음 혐의로 고소를 당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홧김에 내뱉은 말이라 가볍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엄연히 법적 책임이 따르는 위법행위이다.온라인 게임뿐 아니라 최근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SNS를 이용한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아직 분별력이 부족한 어린 학생들이 인스타그램이나 카카오톡 등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야한 농담이나 성적 목적의 대화를 주고받다가 통신매체이용음란죄 혐의로 고소당하는 사례가 많다. 소위 ‘통매음헌터’라 불리는 기획고소에 연루되어 통매음변호사를 찾는 경우도 적지 않다.온라인일지라도 수치심을 유발하는 인신공격이나 성적 발언 등은 성폭력처벌법상 '통신매체이용음란죄(제13조)'로 처벌될 수 있는 사안이다. 통신매체이용음란죄는 컴퓨터 등 통신매체를 통해 상대방에게 성적 수치심⋅불쾌감을 일으키는 말이나 이미지, 영상 등을 상대방에게 도달했을 때 성립하는 성범죄다.해당 성범죄를 저지른 자는 유죄 시 성폭력처벌법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며, 동종범죄 전과가 있거나 동종 누범인 경우나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를 대상으로 범행한 경우, 상당한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범행한 경우 등은 가중처벌이 이루어진다.행위가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킬 정도가 아니라면 통신매체이용음란죄가 성립되지 않으나, 이때 성적수치심이나 혐오감의 유발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회 평균인의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지 살핀다.통신매체이용음란죄는 대체로 캡처 이미지나 녹음 등 증거가 충분한데다 반의사불벌죄가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장난이나 실수였다고 해명하거나, 피해자와 합의를 한다 해도 처벌을 피할 수 없다.다만 사건 초기부터 신중히 대응하여 처벌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지난달에도 서울서부지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 불건전한 그림 등을 올린 행위가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한 행위’가 아니라며 무죄가 선고된 사례도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전문센터 소속 김광덕변호사는 “통매음은 성범죄이기 때문에 벌금형 이상의 처벌이 이뤄지면 형사 처벌과 별개로 보안처분이 부과되어 사회 복귀 시 각종 불이익이 뒤따를 수 있다”면서 “애초에 범죄에 연루되지 않는 게 좋지만, 만약 관련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게 됐다면 성폭력 사건 경험이 많은 통매음·성범죄전문변호사와 상담을 받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유튜브·게임 통매음, 형사처분과 함께 보안처분도 뒤따라 - 더파워뉴스
비욘드포스트
2023-01-25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출신 이경민 최고총괄변호사 합류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출신 이경민 최고총괄변호사 합류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 부장판사 출신 이경민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다채로운 실무 경험을 갖추고 있는 전관변호사 영입으로 역량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대륜은 검사, 판사 출신의 전관변호사 영입을 이어보여 송무 역량을 높이고 있다.이 변호사는 창원지법 마산지원, 청주지법 충주지원, 인천지법 등을 거쳐 서울남부법원과 대전지법 홍성지원·인천지법의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였고, 안전행정부 소청심사위 비상임위원 및 인천시 행정심판, 소청심사위 위원으로 지내왔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관계자는 “헌법재판소 연구관으로 지내며 다분야의 사건에 대한 심리 및 심판에 관한 조사와 연구 경험이 있고, 여러 지역의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며 형사, 마약, 성범죄, 이혼, 학교폭력, 기업법무, 민사, 부동산, 등 다양한 실무 사례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이경민 변호사를 영입하게 되었다. 대륜은 전관변호사·전문변호사의 영입 및 내부 시스템 개편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이경민 변호사는 “모든 사건을 최대한 성실하게 처리하겠다. 지적재산권(IP), 의료, 행정, 가사를 비롯한 여러 사건에서 의뢰인의 법률적 분쟁 해소를 위해 조력하겠다.”라며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출신 이경민 최고총괄변호사 합류 (beyondpost.co.kr)
비욘드포스트
2023-01-25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출신 이경민 최고총괄변호사 합류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출신 이경민 최고총괄변호사 합류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전 부장판사 출신 이경민 변호사를 최고총괄변호사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다채로운 실무 경험을 갖추고 있는 전관변호사 영입으로 역량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대륜은 검사, 판사 출신의 전관변호사 영입을 이어보여 송무 역량을 높이고 있다.이 변호사는 창원지법 마산지원, 청주지법 충주지원, 인천지법 등을 거쳐 서울남부법원과 대전지법 홍성지원·인천지법의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였고, 안전행정부 소청심사위 비상임위원 및 인천시 행정심판, 소청심사위 위원으로 지내왔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관계자는 “헌법재판소 연구관으로 지내며 다분야의 사건에 대한 심리 및 심판에 관한 조사와 연구 경험이 있고, 여러 지역의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며 형사, 마약, 성범죄, 이혼, 학교폭력, 기업법무, 민사, 부동산, 등 다양한 실무 사례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이경민 변호사를 영입하게 되었다. 대륜은 전관변호사·전문변호사의 영입 및 내부 시스템 개편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이경민 변호사는 “모든 사건을 최대한 성실하게 처리하겠다. 지적재산권(IP), 의료, 행정, 가사를 비롯한 여러 사건에서 의뢰인의 법률적 분쟁 해소를 위해 조력하겠다.”라며 포부를 밝혔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 대륜, 부장판사출신 이경민 최고총괄변호사 합류 (beyondpost.co.kr)
이투뉴스
2023-01-25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출신 김은영변호사 합류… 형사·기업법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출신 김은영변호사 합류… 형사·기업법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 형사·기업법무전문센터에서 전 서울남부지방 검찰청 검사출신 김은영 총괄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새롭게 합류한 김 변호사는 서울남부지방 검찰청 검사,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검사,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국가기관 및 기업 M&A, 횡령, 사기, 상장폐지관련 사건 등을 수행해오며 실무 능력을 쌓아왔다.대륜 관계자는 “기업 운영에 관한 법률자문 및 공정거래, 투자, 횡령, 인수합병, 산업재해 등에 특화된 김 변호사의 합류로 형사·기업법무센터의 역량이 한층 더 강화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전문변호사 및 전관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법원단계에서 보다 체계적인 조력을 제공하여 의뢰인 만족도 향상 및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서울 등 27개 사무소를 운영하는 전국구 로펌으로, 특정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사건에 특화된 구성원이 TF팀을 형성하여 대응하는 의뢰인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출신 김은영변호사 합류… 형사·기업법무 역량 강화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e2news.com)
이투뉴스
2023-01-25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출신 김은영변호사 합류… 형사·기업법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출신 김은영변호사 합류… 형사·기업법무 역량 강화
법무법인(유한)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 형사·기업법무전문센터에서 전 서울남부지방 검찰청 검사출신 김은영 총괄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새롭게 합류한 김 변호사는 서울남부지방 검찰청 검사,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검사,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국가기관 및 기업 M&A, 횡령, 사기, 상장폐지관련 사건 등을 수행해오며 실무 능력을 쌓아왔다.대륜 관계자는 “기업 운영에 관한 법률자문 및 공정거래, 투자, 횡령, 인수합병, 산업재해 등에 특화된 김 변호사의 합류로 형사·기업법무센터의 역량이 한층 더 강화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전문변호사 및 전관변호사의 영입을 통해 법원단계에서 보다 체계적인 조력을 제공하여 의뢰인 만족도 향상 및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한편, 법무법인(유한)대륜은 서울 등 27개 사무소를 운영하는 전국구 로펌으로, 특정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사건에 특화된 구성원이 TF팀을 형성하여 대응하는 의뢰인 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전문보기 - 법무법인(유한)대륜, 검사출신 김은영변호사 합류… 형사·기업법무 역량 강화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e2news.com)
로이슈
2022-12-19
억울하게 업무상 횡령죄 형사처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억울하게 업무상 횡령죄 형사처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로이슈 진가영 기자] 업무상 횡령죄는 기업을 비롯해 단체, 사적 모임 등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재산범죄다. 업무상 임무를 저버리고 범죄를 저지른다는 점에서 단순 횡령에 비해 비난가능성이 큰 범죄이며, 처벌도 더욱 강하게 적용된다.형법 제355조에 따라 횡령 및 배임의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나, 업무상 횡령죄는 본인의 이익을 위해 범죄를 행한다는 점에서 단순 횡령에 비해 죄질이 무겁게 다뤄진다.업무상횡령 및 업무상배임이라면 형법 제355조에 명시된 죄를 범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된다.업무상 횡령죄는 타인의 재물에 대해 저지르는 재산범죄라는 점에서 결코 처벌이 가볍지 않기 때문에 업무상 횡령죄를 비롯한 재산범죄는 성립요건을 전문적으로 꼼꼼하게 확인하고 자신의 입장에서 부당한 혐의가 적용, 성립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또한 업무상횡령 및 배임을 통해 취득하게 된 재물 또는 재산상 이익의 가액(이하 ‘이득액’)이 5억원 이상인 경우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에 대한 법률이 적용된다. 이득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이라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지고 이득액이 50억원 이상이라면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을 받을 수 있다.업무상횡령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면 횡령의 경위나 민사적 소유권의 귀속 등이 주요 쟁점이 되며, 입증 여부에 따라 판결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법리적 검토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더불어 유죄가 인정되더라도 변제, 합의 등을 통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특히 불법영득의사가 중요한데, 소유권자의 위탁 취지에 반해 임의로 처분행위를 했는지 여부와 그 과정에서 재물을 불법으로 취득하려는 고의성이 있었는지에 대한 여부가 소송의 중요 쟁점이 된다.법무법인(유한)대륜 김소율 변호사는 “업무상횡령죄 혐의를 받게 되면 자신의 행위가 개인의 이득을 위해 한 것이 아니라는 걸 입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억울하게 연루되었다면 형사전문변호사와 함께 철저히 소송을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억울하게 업무상 횡령죄 형사처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lawissue.co.kr)
로이슈
2022-12-19
억울하게 업무상 횡령죄 형사처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억울하게 업무상 횡령죄 형사처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로이슈 진가영 기자] 업무상 횡령죄는 기업을 비롯해 단체, 사적 모임 등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재산범죄다. 업무상 임무를 저버리고 범죄를 저지른다는 점에서 단순 횡령에 비해 비난가능성이 큰 범죄이며, 처벌도 더욱 강하게 적용된다.형법 제355조에 따라 횡령 및 배임의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나, 업무상 횡령죄는 본인의 이익을 위해 범죄를 행한다는 점에서 단순 횡령에 비해 죄질이 무겁게 다뤄진다.업무상횡령 및 업무상배임이라면 형법 제355조에 명시된 죄를 범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된다.업무상 횡령죄는 타인의 재물에 대해 저지르는 재산범죄라는 점에서 결코 처벌이 가볍지 않기 때문에 업무상 횡령죄를 비롯한 재산범죄는 성립요건을 전문적으로 꼼꼼하게 확인하고 자신의 입장에서 부당한 혐의가 적용, 성립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또한 업무상횡령 및 배임을 통해 취득하게 된 재물 또는 재산상 이익의 가액(이하 ‘이득액’)이 5억원 이상인 경우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에 대한 법률이 적용된다. 이득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이라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지고 이득액이 50억원 이상이라면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을 받을 수 있다.업무상횡령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면 횡령의 경위나 민사적 소유권의 귀속 등이 주요 쟁점이 되며, 입증 여부에 따라 판결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법리적 검토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더불어 유죄가 인정되더라도 변제, 합의 등을 통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특히 불법영득의사가 중요한데, 소유권자의 위탁 취지에 반해 임의로 처분행위를 했는지 여부와 그 과정에서 재물을 불법으로 취득하려는 고의성이 있었는지에 대한 여부가 소송의 중요 쟁점이 된다.법무법인(유한)대륜 김소율 변호사는 “업무상횡령죄 혐의를 받게 되면 자신의 행위가 개인의 이득을 위해 한 것이 아니라는 걸 입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억울하게 연루되었다면 형사전문변호사와 함께 철저히 소송을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억울하게 업무상 횡령죄 형사처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lawissue.co.kr)
더파워뉴스
2022-12-15
상간자위자료이혼소송, 부정행위 사실 입증 못하면 패소
상간자위자료이혼소송, 부정행위 사실 입증 못하면 패소
[더파워=최병수 기자] 불륜은 배우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의 육체적 관계 외에도 부부로서 지켜야 할 정조의 의무를 저버리는 일체의 행위를 지칭한다. 간통죄가 폐지되어 배우자와 상간자에 대한 형사적인 처벌은 불가능하지만 민법 제840조에 해당하는 이혼 사유임과 동시에 손해배상의 책임이 따른다.상간자위자료소송은 배우자와 상간자 사이의 외도로 인해 혼인관계가 파탄되거나 그로 인한 정신적인 피해를 입었을 때 위자료를 청구하는 소송이며, 기혼자임을 상간자가 알면서도 부정행위를 하였다고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불륜 증거는 과거 간통죄와 달리 반드시 성관계가 전제되지 않아도 되며, 연인 관계로 추측할 수 있을 만한 문자메시지, 숙박업소 출입 내역과 CCTV, 카드 영수증, 차량 블랙박스, 녹음자료, 카카오톡 대화내용, 동반 출입국 기록 등 다양하다.증거자료는 반드시 합법적으로 수집되어야 한다. 불법적으로 증거를 수집하거나 분에 못 이겨 상간남, 상간녀의 직장에 찾아가 폭력을 휘두르거나 불륜사실을 폭로하면 명예훼손이나 폭행죄로 역고소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필요에 따라 불륜 증거의 경우 수집 전에 배우자나 상간자가 증거를 없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별도로 증거 보전 신청을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상적인 증거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미리 조치하는 것이다.확실한 입증, 합법적인 방법을 통한 증거 수집이 필요하기 때문에 증거보전 역시 구체적으로 어떤 내역에 대한 것인지 파악해 신청할 필요가 있다.상간자위자료소송의 시효는 배우자의 외도를 알게 된 날로부터 3년 이내, 불법행위가 있던 날로부터 10년 내에 소송을 제기해야 하며, 승소 시 위자료는 사건마다 마르지만 통상 1천만원에서 3천만원 선으로 책정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권민경 변호사는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은 단순 외도 증거 외에도 기혼임을 알면서도 부정행위를 하였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한다”면서 “불륜 행위 자체를 부정하는 경우가 많기에 섬세한 전략이 필요하니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상간자위자료이혼소송, 부정행위 사실 입증 못하면 패소 (thepowernews.co.kr)
더파워뉴스
2022-12-15
상간자위자료이혼소송, 부정행위 사실 입증 못하면 패소
상간자위자료이혼소송, 부정행위 사실 입증 못하면 패소
[더파워=최병수 기자] 불륜은 배우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의 육체적 관계 외에도 부부로서 지켜야 할 정조의 의무를 저버리는 일체의 행위를 지칭한다. 간통죄가 폐지되어 배우자와 상간자에 대한 형사적인 처벌은 불가능하지만 민법 제840조에 해당하는 이혼 사유임과 동시에 손해배상의 책임이 따른다.상간자위자료소송은 배우자와 상간자 사이의 외도로 인해 혼인관계가 파탄되거나 그로 인한 정신적인 피해를 입었을 때 위자료를 청구하는 소송이며, 기혼자임을 상간자가 알면서도 부정행위를 하였다고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불륜 증거는 과거 간통죄와 달리 반드시 성관계가 전제되지 않아도 되며, 연인 관계로 추측할 수 있을 만한 문자메시지, 숙박업소 출입 내역과 CCTV, 카드 영수증, 차량 블랙박스, 녹음자료, 카카오톡 대화내용, 동반 출입국 기록 등 다양하다.증거자료는 반드시 합법적으로 수집되어야 한다. 불법적으로 증거를 수집하거나 분에 못 이겨 상간남, 상간녀의 직장에 찾아가 폭력을 휘두르거나 불륜사실을 폭로하면 명예훼손이나 폭행죄로 역고소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필요에 따라 불륜 증거의 경우 수집 전에 배우자나 상간자가 증거를 없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별도로 증거 보전 신청을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상적인 증거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미리 조치하는 것이다.확실한 입증, 합법적인 방법을 통한 증거 수집이 필요하기 때문에 증거보전 역시 구체적으로 어떤 내역에 대한 것인지 파악해 신청할 필요가 있다.상간자위자료소송의 시효는 배우자의 외도를 알게 된 날로부터 3년 이내, 불법행위가 있던 날로부터 10년 내에 소송을 제기해야 하며, 승소 시 위자료는 사건마다 마르지만 통상 1천만원에서 3천만원 선으로 책정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권민경 변호사는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은 단순 외도 증거 외에도 기혼임을 알면서도 부정행위를 하였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한다”면서 “불륜 행위 자체를 부정하는 경우가 많기에 섬세한 전략이 필요하니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상간자위자료이혼소송, 부정행위 사실 입증 못하면 패소 (thepowernews.co.kr)
비욘드포스트
2022-12-14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되거나 가담했다면 형사처벌 피하기 어려워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되거나 가담했다면 형사처벌 피하기 어려워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보이스피싱은 전화나 문자 등 기타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해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빼돌리거나 돈을 편취하는 대표적인 사기범죄로 불법 사금융이나 사이버 도박 및 사행성 게임 등과 함께 민생 경제를 해치는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특히나 최근에는 오랜 기간 경기악화 속에 가계 경제가 어려움에 처하면서 당장 먹고 살 길이 없거나 돈이 급한 사람들의 약점을 악용해 피싱 범죄에 가담시키다 보니 억울하게 범죄자가 되는 사례가 많다.이와 같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하여 금융 당국에서 대포 통장 근절을 위해 서류에 대한 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실제로 거래할 때 거래 목적에 대해 이중으로 체크하고 있으나 범죄 조직 역시 교묘한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다.해외에 근거지를 둔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은 다양한 범행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구인구직 사이트나 커뮤니티에 거액의 일당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으로 글을 작성한 뒤 연락하는 사람들에게 통장만 잠시 빌려준다면 대가를 지급하겠다고 하거나 알려주는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해 오라고 지시하는 등 꼬리 자르기 식 수법을 많이 사용한다.이러한 식으로 범죄가 이뤄지다 보니 조직의 총책이나 간부급이 아닌 전달책 또는 수거책이 자세한 내막도 모른 채 시키는 대로 했다가 검거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이들이 불법적으로 피싱 피해액을 현금 인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의심할만한 정황이 있었다면 미필적 고의에 포함되므로 초범이라 해도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신동훈 변호사는 “범죄방식이 날로 지능화되고 있는 만큼 일반인들은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만약 보이스피싱 조직의 덫에 걸려들어 범행에 가담하는 등 보이스피싱 연루 시 반드시 전문 법률지식을 보유한 보이스피싱 전문변호사를 통해 문제해결 및 감형을 위한 적극적인 대처에 나서야만 한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되거나 가담했다면 형사처벌 피하기 어려워 (beyondpost.co.kr)
비욘드포스트
2022-12-14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되거나 가담했다면 형사처벌 피하기 어려워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되거나 가담했다면 형사처벌 피하기 어려워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보이스피싱은 전화나 문자 등 기타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해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빼돌리거나 돈을 편취하는 대표적인 사기범죄로 불법 사금융이나 사이버 도박 및 사행성 게임 등과 함께 민생 경제를 해치는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특히나 최근에는 오랜 기간 경기악화 속에 가계 경제가 어려움에 처하면서 당장 먹고 살 길이 없거나 돈이 급한 사람들의 약점을 악용해 피싱 범죄에 가담시키다 보니 억울하게 범죄자가 되는 사례가 많다.이와 같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하여 금융 당국에서 대포 통장 근절을 위해 서류에 대한 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실제로 거래할 때 거래 목적에 대해 이중으로 체크하고 있으나 범죄 조직 역시 교묘한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다.해외에 근거지를 둔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은 다양한 범행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구인구직 사이트나 커뮤니티에 거액의 일당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으로 글을 작성한 뒤 연락하는 사람들에게 통장만 잠시 빌려준다면 대가를 지급하겠다고 하거나 알려주는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해 오라고 지시하는 등 꼬리 자르기 식 수법을 많이 사용한다.이러한 식으로 범죄가 이뤄지다 보니 조직의 총책이나 간부급이 아닌 전달책 또는 수거책이 자세한 내막도 모른 채 시키는 대로 했다가 검거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이들이 불법적으로 피싱 피해액을 현금 인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의심할만한 정황이 있었다면 미필적 고의에 포함되므로 초범이라 해도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신동훈 변호사는 “범죄방식이 날로 지능화되고 있는 만큼 일반인들은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만약 보이스피싱 조직의 덫에 걸려들어 범행에 가담하는 등 보이스피싱 연루 시 반드시 전문 법률지식을 보유한 보이스피싱 전문변호사를 통해 문제해결 및 감형을 위한 적극적인 대처에 나서야만 한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되거나 가담했다면 형사처벌 피하기 어려워 (beyondpost.co.kr)
글로벌에픽
2022-12-13
업무상횡령죄, 불법편취 금액만큼 형사처벌도 무거워져
업무상횡령죄, 불법편취 금액만큼 형사처벌도 무거워져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업무상 횡령죄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횡령하거나 반환을 거부하는 범죄로 기업을 비롯해 단체, 사적 모임 등 여러 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다. 혐의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주로 금융기관의 직원이나 기업 내 회계 담당자 등이 연루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곳에서도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동문회나 동호회 등 사적인 모임에서도 회원끼리 회비를 거두고 보관하는 것이 업무상 보관에 해당하므로, 공금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경우 해당 혐의가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횡령죄에서 말하는 업무는 법령이나 계약에 의해 수행하는 경우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례나 사실상의 지위, 같은 행위를 반복할 지위에 있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된다. 따라서 금전을 직접 다루는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다 해도 현실적으로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지위에 있다면 업무상 횡령죄가 성립할 여지가 충분하다.단, 업무상횡령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행위자에게 고의나 불법 영득의 의사가 확인되어야 한다. 불법 영득의 의사는 타인의 재물을 위탁하고 있는 자가 그 재물을 위탁하고 있는 목적이나 취지에 반해 자기나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그 재물을 처분하려는 의사를 말한다. 불법 영득의 의사는 횡령 경위, 횡령 금액과 사용처 등 객관적인 정황 증거를 바탕으로 판단해야 한다.업무상 횡령죄와 같은 재산 범죄는 횡령 피해를 입힌 금액 규모에 따라 더욱 무거운 처벌이 이뤄지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업무상 횡령으로 5억원 이상의 이득액을 취했다면 특정경제 범죄가중처벌법에 따라서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할 수 있다.횡령 범죄는 어떠한 혐의가 적용되어 인정되는지에 따라 처벌의 무게가 달라질 수밖에 없으며, 소송 과정이 길어질 경우 당사자는 힘들어진다. 또한 사실관계가 복잡하고 증거 확보가 어렵다는 특징도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최한식 변호사는 “업무상 횡령죄는 성립요건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경우 구제를 받거나 오해를 풀기 어려운 사건으로 해당 분야의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체계적으로 수사와 재판에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업무상횡령죄, 불법편취 금액만큼 형사처벌도 무거워져 (globalepic.co.kr)
글로벌에픽
2022-12-13
업무상횡령죄, 불법편취 금액만큼 형사처벌도 무거워져
업무상횡령죄, 불법편취 금액만큼 형사처벌도 무거워져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업무상 횡령죄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횡령하거나 반환을 거부하는 범죄로 기업을 비롯해 단체, 사적 모임 등 여러 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다. 혐의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주로 금융기관의 직원이나 기업 내 회계 담당자 등이 연루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곳에서도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동문회나 동호회 등 사적인 모임에서도 회원끼리 회비를 거두고 보관하는 것이 업무상 보관에 해당하므로, 공금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경우 해당 혐의가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횡령죄에서 말하는 업무는 법령이나 계약에 의해 수행하는 경우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례나 사실상의 지위, 같은 행위를 반복할 지위에 있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된다. 따라서 금전을 직접 다루는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다 해도 현실적으로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지위에 있다면 업무상 횡령죄가 성립할 여지가 충분하다.단, 업무상횡령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행위자에게 고의나 불법 영득의 의사가 확인되어야 한다. 불법 영득의 의사는 타인의 재물을 위탁하고 있는 자가 그 재물을 위탁하고 있는 목적이나 취지에 반해 자기나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그 재물을 처분하려는 의사를 말한다. 불법 영득의 의사는 횡령 경위, 횡령 금액과 사용처 등 객관적인 정황 증거를 바탕으로 판단해야 한다.업무상 횡령죄와 같은 재산 범죄는 횡령 피해를 입힌 금액 규모에 따라 더욱 무거운 처벌이 이뤄지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업무상 횡령으로 5억원 이상의 이득액을 취했다면 특정경제 범죄가중처벌법에 따라서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할 수 있다.횡령 범죄는 어떠한 혐의가 적용되어 인정되는지에 따라 처벌의 무게가 달라질 수밖에 없으며, 소송 과정이 길어질 경우 당사자는 힘들어진다. 또한 사실관계가 복잡하고 증거 확보가 어렵다는 특징도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최한식 변호사는 “업무상 횡령죄는 성립요건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경우 구제를 받거나 오해를 풀기 어려운 사건으로 해당 분야의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체계적으로 수사와 재판에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업무상횡령죄, 불법편취 금액만큼 형사처벌도 무거워져 (globalepic.co.kr)
데일리팝
2022-12-13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도주 시 구속될 수도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도주 시 구속될 수도
술을 마시고 운전대를 잡아 사고를 내는 음주운전은 재발률이 높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피해나 재산 피해의 규모가 크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위협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그 죄질이 절대 가볍지 않고 피해자가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특히나 음주운전은 운전자가 술에 취한 상태라서 이성적 판단을 흐려지게 만들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음주운전교통사고로 사람이 다쳤다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위험운전치사상죄가 성립하게 된다. 피해자가 사망에 이를 경우 무기징역 등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는 사안이다.이러한 형사 책임뿐 아니라 민사, 행정에 대한 책임도 피할 수 없는데, 혈중알코올농도에 따라 면허정지 혹은 면허취소 처분이 내려진다 또한 보험 기준개정으로 인해 음주운전은 사고는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는 경우도 있어 피의자의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음주 상태에서 운전하다 사고를 냈을 때 처벌이 두려워 피해자 구호 조치나 신고없이 현장을 도주할 경우 뺑소니로 가중처벌 받게 된다. 이는 도주치상죄가 적용돼 처벌만 무거워진다.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도로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로 전과가 없어도 실형이 선고될 우려가 있다. 사고 후 조치를 취하지 않아서 피해자가 상해나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면 그 죄질이 무겁게 다뤄질 수밖에 없다.음주운전교통사고 후 도주하는 행위는 중범죄에 해당하며, 운전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이라면 신용을 위해서라도 음주운전 및 뺑소니 행위는 저지르지 말아야 한다.도움말 : 법무법인(유한)대륜 조원균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도주 시 구속될 수도 - 데일리팝 (dailypop.kr)
데일리팝
2022-12-13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도주 시 구속될 수도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도주 시 구속될 수도
술을 마시고 운전대를 잡아 사고를 내는 음주운전은 재발률이 높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피해나 재산 피해의 규모가 크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위협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그 죄질이 절대 가볍지 않고 피해자가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특히나 음주운전은 운전자가 술에 취한 상태라서 이성적 판단을 흐려지게 만들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음주운전교통사고로 사람이 다쳤다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위험운전치사상죄가 성립하게 된다. 피해자가 사망에 이를 경우 무기징역 등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는 사안이다.이러한 형사 책임뿐 아니라 민사, 행정에 대한 책임도 피할 수 없는데, 혈중알코올농도에 따라 면허정지 혹은 면허취소 처분이 내려진다 또한 보험 기준개정으로 인해 음주운전은 사고는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는 경우도 있어 피의자의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음주 상태에서 운전하다 사고를 냈을 때 처벌이 두려워 피해자 구호 조치나 신고없이 현장을 도주할 경우 뺑소니로 가중처벌 받게 된다. 이는 도주치상죄가 적용돼 처벌만 무거워진다.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도로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로 전과가 없어도 실형이 선고될 우려가 있다. 사고 후 조치를 취하지 않아서 피해자가 상해나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면 그 죄질이 무겁게 다뤄질 수밖에 없다.음주운전교통사고 후 도주하는 행위는 중범죄에 해당하며, 운전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이라면 신용을 위해서라도 음주운전 및 뺑소니 행위는 저지르지 말아야 한다.도움말 : 법무법인(유한)대륜 조원균 변호사 기사전문보기 - [알쓸신잡 변호사 이야기]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도주 시 구속될 수도 - 데일리팝 (dailypop.kr)
로이슈
2022-12-12
음주운전 교통사고, 특가법 위반 시 초범도 가중처벌 대상
음주운전 교통사고, 특가법 위반 시 초범도 가중처벌 대상
[로이슈 진가영 기자] 음주운전은 갈수록 처벌이 강화되고 음주 운전을 지탄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는 좀처럼 단절되지 않고 있다. 음주운전은 자신만이 아니라 피해자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중범죄라고 할 수 있다.잘못된 음주습관으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피해 정도가 심각하고 약간의 사고라도 피해 정도가 커서 사고 이후 수습이나 처벌, 피해자 보상에 대한 법률적 상담이 필요하다.도로교통법에는 음주운전을 금지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형량은 법원이 과거 음주운전 적발 횟수 및 적발 경위 등을 고려하여 확정한다. 이때 상습적으로 음주 운전을 한 이력이 있다면 더 엄하게 처벌받게 된다.또한 음주로 인해 혈중알코올농도 0.03%이상이 되어 정상적인 사고와 판단이 불가한 상태에서 운전대를 잡았다가 자동차 사고를 낸 경우라면 교통사고 처벌법상 12대 중대 과실에 해당하므로 초범일지라도 기소된 후 재판을 거쳐 범행 수위에 따라 처벌된다.음주운전으로 사고를 내면 일반 교통사고와는 다르게 합의 여부나 보험 가입 여부에 상관없이 처벌을 면하기 어렵다. 12대 중과실에 해당하는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일반 교통사고와 달리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아 피해자와 합의했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받을 수밖에 없다.따라서 음주운전 교통사고의 가해자가 되었다면 일반인이 직접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고, 사고 발생 당시 현장 상황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하므로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이 필수적이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오창근 변호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를 일으켰다면 특가법 위반으로 가중처벌 받을 가능성이 높은 중대범죄인 만큼 초기부터 사건 경험이 풍부한 음주운전 교통사고전문변호사를 선임해 최대한 자신의 양형 요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음주운전 교통사고, 특가법 위반 시 초범도 가중처벌 대상 (lawissue.co.kr)
로이슈
2022-12-12
음주운전 교통사고, 특가법 위반 시 초범도 가중처벌 대상
음주운전 교통사고, 특가법 위반 시 초범도 가중처벌 대상
[로이슈 진가영 기자] 음주운전은 갈수록 처벌이 강화되고 음주 운전을 지탄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는 좀처럼 단절되지 않고 있다. 음주운전은 자신만이 아니라 피해자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중범죄라고 할 수 있다.잘못된 음주습관으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피해 정도가 심각하고 약간의 사고라도 피해 정도가 커서 사고 이후 수습이나 처벌, 피해자 보상에 대한 법률적 상담이 필요하다.도로교통법에는 음주운전을 금지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형량은 법원이 과거 음주운전 적발 횟수 및 적발 경위 등을 고려하여 확정한다. 이때 상습적으로 음주 운전을 한 이력이 있다면 더 엄하게 처벌받게 된다.또한 음주로 인해 혈중알코올농도 0.03%이상이 되어 정상적인 사고와 판단이 불가한 상태에서 운전대를 잡았다가 자동차 사고를 낸 경우라면 교통사고 처벌법상 12대 중대 과실에 해당하므로 초범일지라도 기소된 후 재판을 거쳐 범행 수위에 따라 처벌된다.음주운전으로 사고를 내면 일반 교통사고와는 다르게 합의 여부나 보험 가입 여부에 상관없이 처벌을 면하기 어렵다. 12대 중과실에 해당하는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일반 교통사고와 달리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아 피해자와 합의했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받을 수밖에 없다.따라서 음주운전 교통사고의 가해자가 되었다면 일반인이 직접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고, 사고 발생 당시 현장 상황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하므로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이 필수적이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오창근 변호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를 일으켰다면 특가법 위반으로 가중처벌 받을 가능성이 높은 중대범죄인 만큼 초기부터 사건 경험이 풍부한 음주운전 교통사고전문변호사를 선임해 최대한 자신의 양형 요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기 - 음주운전 교통사고, 특가법 위반 시 초범도 가중처벌 대상 (lawissue.co.kr)
글로벌에픽
2022-12-09
미수금 소멸시효 전 물품대금청구소송 진행 필요, 손해배상까지 받아내야
미수금 소멸시효 전 물품대금청구소송 진행 필요, 손해배상까지 받아내야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자영업자와 사업가들은 기업이나 가게를 운영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알게 모르게 많은 계약이 성립되어 수많은 채권·채무관계가 형성된다. 이때 미수금, 즉 채권은 제때 반환 받지 못하면 사업에 차질을 빚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채권에 대한 권리는 민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에서는 일정한 기간 안으로 권리를 적절하게 행사하지 않는 경우 권리를 잃게 되는 소멸시효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반드시 소멸시효가 지나기 전에 청구소송을 진행해 미수금을 받아내야만 한다.대표적으로 물품대금의 경우 상대방과 앞으로의 거래관계에 대한 문제 때문에 대금을 변제 받고 있지 못하는 상태임에도 기다리다가 물품대금 소멸시효가 지나버려 손해를 보는 사례들이 적지 않다.이러한 케이스는 시장 내에서 공급처를 잃을지 모른다는 부담 때문에 무조건 대금지급을 독촉하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어 대금 반환을 기다려주느라 돈을 받아야 하는 사람임에도 각종 대출 이자와 세금 등의 부담을 끌어안다 보니 사업적 부담이 가중된다.물품대금 소멸시효는 민법 제163조에 의거해 상사채권의 시효인 3년이 적용되도록 명시되어 있으나, 이는 변제기 즉 대금을 지급하기로 되어있는 날로부터 시작이 되므로 각 계약마다 시효기간 역시 다르게 적용된다.따라서 물품대금청구소송을 제기할 때는 정확한 시효기간이나 시효를 중단시켰던 요소(소송제기나 지급명령신청 또는 구두 또는 변제독촉장이나 내용증명) 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이와 더불어 상대방과의 사이에 거래과정에서 오간 세금계산서, 문자 등을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 장문규 변호사는 “거래(계약)관계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미수금에 관한 문제는 대금청구소송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면서 “법적 절차에 따른 진행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손해배상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러가기 - 미수금 소멸시효 전 물품대금청구소송 진행 필요, 손해배상까지 받아내야 (globalepic.co.kr)
글로벌에픽
2022-12-09
미수금 소멸시효 전 물품대금청구소송 진행 필요, 손해배상까지 받아내야
미수금 소멸시효 전 물품대금청구소송 진행 필요, 손해배상까지 받아내야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자영업자와 사업가들은 기업이나 가게를 운영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알게 모르게 많은 계약이 성립되어 수많은 채권·채무관계가 형성된다. 이때 미수금, 즉 채권은 제때 반환 받지 못하면 사업에 차질을 빚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채권에 대한 권리는 민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에서는 일정한 기간 안으로 권리를 적절하게 행사하지 않는 경우 권리를 잃게 되는 소멸시효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반드시 소멸시효가 지나기 전에 청구소송을 진행해 미수금을 받아내야만 한다.대표적으로 물품대금의 경우 상대방과 앞으로의 거래관계에 대한 문제 때문에 대금을 변제 받고 있지 못하는 상태임에도 기다리다가 물품대금 소멸시효가 지나버려 손해를 보는 사례들이 적지 않다.이러한 케이스는 시장 내에서 공급처를 잃을지 모른다는 부담 때문에 무조건 대금지급을 독촉하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어 대금 반환을 기다려주느라 돈을 받아야 하는 사람임에도 각종 대출 이자와 세금 등의 부담을 끌어안다 보니 사업적 부담이 가중된다.물품대금 소멸시효는 민법 제163조에 의거해 상사채권의 시효인 3년이 적용되도록 명시되어 있으나, 이는 변제기 즉 대금을 지급하기로 되어있는 날로부터 시작이 되므로 각 계약마다 시효기간 역시 다르게 적용된다.따라서 물품대금청구소송을 제기할 때는 정확한 시효기간이나 시효를 중단시켰던 요소(소송제기나 지급명령신청 또는 구두 또는 변제독촉장이나 내용증명) 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이와 더불어 상대방과의 사이에 거래과정에서 오간 세금계산서, 문자 등을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 장문규 변호사는 “거래(계약)관계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미수금에 관한 문제는 대금청구소송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면서 “법적 절차에 따른 진행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손해배상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기사전문보러가기 - 미수금 소멸시효 전 물품대금청구소송 진행 필요, 손해배상까지 받아내야 (globalepic.co.kr)
비욘드포스트
2022-12-09
상간자 소송, 이혼하지 않고도 위자료청구 소송 가능해
상간자 소송, 이혼하지 않고도 위자료청구 소송 가능해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불륜은 배우자 이외에 다른 이성과 부정한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하며, 이는 민법상 명백한 이혼 사유이다. 지난 2015년 간통죄가 폐지되면서 상대 배우자와 상간자에 대한 형사 처벌은 불가능해졌으나, 불륜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개념의 위자료 청구는 가능하다.민법상 불륜을 저지른 배우자와 상간자에 대해서는 부정행위에 대해 위자료청구 소송을 걸 수가 있으며, 재판 이혼 진행과는 별개의 사건이므로 배우자와 이혼을 진행하지 않고 상간자에 대해서만 위자료 청구를 할 수도 있다.상간자위자료 청구소송의 소멸시효는 불륜 사실을 안 날로부터 3년 이내, 불륜이 있던 첫 시기부터 10년 이내에 소를 제기해야 한다. 위자료는 유책사유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천만원에서 3천만원 선으로 책정된다.이러한 상간자 소송은 만족스러운 보상을 받아내는 것이 목적이므로 치밀하게 소송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유책 배우자와 상간자가 지속적으로 부정한 만남을 이어왔다는 점을 객관적 증거로 입증해야 한다.기혼자와의 외도로 가정이 파탄이 났고, 그로 인해서 배우자가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는 부분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있어야 손해배상을 받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불륜 증거로는 배우자와 상간자가 서로 나눈 메신저 대화, SNS 내역과 차량 블랙박스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이러한 불륜 증거는 흥신소, 심부름 센터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획득할 시 법원에서 증거 효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경우도 적지 않으므로 반드시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수집해야 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곽혜진 변호사는 “배우자의 불륜 사실을 알게 되었다면 감정적인 부분만을 앞세워 주장하는 것은 옳지 못하며,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 결과가 모두 합법적이며 명백해야만 본인에게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이어 “꼭 이혼을 하지 않아도 상간자에게만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으며, 소송 후 또다시 부정행위를 한다면 반복해서 소를 청구할 수 있으니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기사전문보러가기 - 상간자 소송, 이혼하지 않고도 위자료청구 소송 가능해 (beyondpost.co.kr)
비욘드포스트
2022-12-09
상간자 소송, 이혼하지 않고도 위자료청구 소송 가능해
상간자 소송, 이혼하지 않고도 위자료청구 소송 가능해
[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불륜은 배우자 이외에 다른 이성과 부정한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하며, 이는 민법상 명백한 이혼 사유이다. 지난 2015년 간통죄가 폐지되면서 상대 배우자와 상간자에 대한 형사 처벌은 불가능해졌으나, 불륜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개념의 위자료 청구는 가능하다.민법상 불륜을 저지른 배우자와 상간자에 대해서는 부정행위에 대해 위자료청구 소송을 걸 수가 있으며, 재판 이혼 진행과는 별개의 사건이므로 배우자와 이혼을 진행하지 않고 상간자에 대해서만 위자료 청구를 할 수도 있다.상간자위자료 청구소송의 소멸시효는 불륜 사실을 안 날로부터 3년 이내, 불륜이 있던 첫 시기부터 10년 이내에 소를 제기해야 한다. 위자료는 유책사유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천만원에서 3천만원 선으로 책정된다.이러한 상간자 소송은 만족스러운 보상을 받아내는 것이 목적이므로 치밀하게 소송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유책 배우자와 상간자가 지속적으로 부정한 만남을 이어왔다는 점을 객관적 증거로 입증해야 한다.기혼자와의 외도로 가정이 파탄이 났고, 그로 인해서 배우자가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는 부분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있어야 손해배상을 받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불륜 증거로는 배우자와 상간자가 서로 나눈 메신저 대화, SNS 내역과 차량 블랙박스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이러한 불륜 증거는 흥신소, 심부름 센터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획득할 시 법원에서 증거 효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경우도 적지 않으므로 반드시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수집해야 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곽혜진 변호사는 “배우자의 불륜 사실을 알게 되었다면 감정적인 부분만을 앞세워 주장하는 것은 옳지 못하며,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 결과가 모두 합법적이며 명백해야만 본인에게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이어 “꼭 이혼을 하지 않아도 상간자에게만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으며, 소송 후 또다시 부정행위를 한다면 반복해서 소를 청구할 수 있으니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기사전문보러가기 - 상간자 소송, 이혼하지 않고도 위자료청구 소송 가능해 (beyondpost.co.kr)
잡포스트
2022-12-07
부장검사출신 안승진변호사, 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합류
부장검사출신 안승진변호사, 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합류
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에서 전 광주고검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 대표변호사(사진·사법연수원 28기)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안승진 변호사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여 대구지검·서울북부지검·창원지검 검사직 및 인천지검 부부장 검사, 전주지검 군산지청·광주지검 순천지청·광주고검 부장검사를 역임하였으며, 법무연수원에서 검사교수로서 신입검사를 교육하는 등 다양한 경력을 갖추고 있다.대륜은 “안변호사는 국가소송, 행정소송, 강력범죄, 가정폭력, 성폭력, 의약 등 다양한 사건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베테랑 검사 출신으로, 대륜의 형사센터 역량 강화를 위해 영입했다”고 밝히며 “서울 4개소를 비롯하여 전국 27개 지소에서 사건처리데이터를 공유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변화하는 실무 사례를 빠르게 적용시켜 법률서비스의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실시간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안승진 변호사는 “여러 형사사건을 접하며 국가소송이나 의료소송 등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사건에도 신속하게 조력할 수 있다. 의뢰인의 법률적 고민 해소를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기사전문보기 - https://www.jo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554
잡포스트
2022-12-07
부장검사출신 안승진변호사, 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합류
부장검사출신 안승진변호사, 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합류
법무법인(유한)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에서 전 광주고검 부장검사 출신 안승진 대표변호사(사진·사법연수원 28기)를 영입했다고 밝혔다.안승진 변호사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여 대구지검·서울북부지검·창원지검 검사직 및 인천지검 부부장 검사, 전주지검 군산지청·광주지검 순천지청·광주고검 부장검사를 역임하였으며, 법무연수원에서 검사교수로서 신입검사를 교육하는 등 다양한 경력을 갖추고 있다.대륜은 “안변호사는 국가소송, 행정소송, 강력범죄, 가정폭력, 성폭력, 의약 등 다양한 사건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베테랑 검사 출신으로, 대륜의 형사센터 역량 강화를 위해 영입했다”고 밝히며 “서울 4개소를 비롯하여 전국 27개 지소에서 사건처리데이터를 공유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변화하는 실무 사례를 빠르게 적용시켜 법률서비스의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실시간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안승진 변호사는 “여러 형사사건을 접하며 국가소송이나 의료소송 등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사건에도 신속하게 조력할 수 있다. 의뢰인의 법률적 고민 해소를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기사전문보기 - https://www.jo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554
이데일리
2022-11-30
유통 라이벌 CJ·롯데 '온스타일' 두고 상표권 분쟁
유통 라이벌 CJ·롯데 '온스타일' 두고 상표권 분쟁
롯데쇼핑, CJ온스타일 유사 플랫폼 출시 논란CJ "명백한 표절...법적 조치 준비중"롯데 "상표권 침해 의도 없어...법률 자문 중"[앵커]CJ는 롯데의 신규 플랫폼이 자사 대표 패션 플랫폼인 ‘온스타일’을 표절했다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CJ는 ‘온스타일’, 롯데는 ‘온앤더스타일’로, 이름부터 디자인까지 유사합니다. 특히 롯데는 광고 영상에선 아예 ‘온스타일’이라고 표기했습니다.CJ는 지난 25일 롯데에 법적 절차를 밟기 위한 내용증명을 보냈으며 롯데쇼핑은 외부 법률전문가 자문을 거쳐 대응 수위를 정할 방침입니다. 문다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기자]왼쪽은 롯데가 최근 론칭한 패션 플랫폼 ‘온앤더스타일(ON AND THE STYLE)’, 오른쪽은 CJ의 대표 유통 플랫폼이자 패션 사업자인 ‘CJ온스타일(ONSTYLE)’입니다.이름부터가 유사한 두 브랜드는 로고 이미지부터 마치 쌍둥이처럼 똑 닮아 있습니다.롯데는 ‘온앤더스타일’ 표기 중 ‘앤더(AND THE)’를 작은 글씨로 표기해 ‘온(ON)’과 ‘스타일(STYLE)’이 직접 연결돼도록 해, CJ의 ‘온스타일’을 떠올리게 합니다.특유의 디자인 콘셉트도 비슷합니다. CJ온스타일은 시그니처 컬러인 ‘보라색’을 사용한 ‘원형 디자인의 반복적 사용’이 특징. 이는 지난 2003년 CJ가 상표권으로 등록한 내용입니다.그런데 롯데도 ‘보라색’을 핵심 컬러로 선정하고, ‘원형 디자인’을 반복적으로 사용했습니다.영상 광고를 보면 구분은 더 힘듭니다. 롯데는 아예 영상광고에선 ‘온스타일’이라고 표기했습니다. 영상 첫 화면에는 ‘온스타일’이 나온 이후 ‘앤더’가 작은 글자로 표기된 뒤 없어집니다.브랜드명부터 로고 디자인, 광고 영상까지 ‘온스타일’을 부각해, 일반 소비자들이 CJ로 오인할 소지가 충분해 보입니다.CJ ENM의 대표 패션 라이프스타일 채널로 2004년 개국한 CJ온스타일은 20년 가까이 대중들에게 패션 브랜드로 알려져 있는 데다, CJ ENM의 패션 전문 채널 표지로도 널리 사용돼 대중에게 패션 관련 이커머스 서비스로 인식돼온지 오래.다수의 패션 PB 브랜드 전개 중인 CJ온스타일은 CJ 패션 사업의 핵심으로,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지난해 업계 최초로 ‘패션 1조 클럽’까지 입성한 바 있습니다.CJ는 후발 주자인 롯데가 소비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이같은 CJ의 브랜드 이미지를 무단으로 차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법적으로 저촉될 소지가 있다는 입장입니다.[김동진/법무법인 대륜 변호사]“CJ측과 롯데 측의 온스타일, 온앤더스타일에 대해서는 거래 통념상 유사하다는 점이 큰 문제가 될 것이고요. 롯데의 경우 온스타일 그 사이에 앤더를 첨가해서 결국 CJ온스타일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는 점, 메인 컬러가 보라색이라는 점, 결론적으로 영상광고까지 유사하다는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에 상표법 위반으로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상표권 등록 시기도 CJ가 훨씬 앞섭니다. CJ는 2003년 ‘온스타일’을 등록했고, 롯데는 2018년 ‘온앤더스타일’은 등록했습니다.하지만 롯데의 상표권은 오프라인에 한정돼 있었고 온라인 상표권은 없던 상황. 이에 롯데는 올해 8월 패션 사업을 온라인으로 확장하겠다며 전자상거래에 대한 상표권을 추가로 등록했습니다.그런데 이러한 롯데의 신규 상표권 등록 역시 표절 의혹을 키우고 있습니다.뷰티(온앤더뷰티)와 명품(온앤더럭셔리) 두 개의 서비스는 신규 로고 디자인을 등록했지만, 패션(온앤더스타일) 서비스 로고는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CJ와 상표권이 중첩돼 등록이 안될 경우를 고려한 것이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CJ 측은 “브랜드명은 물론 로고 이미지 표현 등 상당히 유사하게 보이도록 표현한 사례로 내부에서 심각성을 인지라고 있으며, 법적 조치 등 고려 중”이라고 밝혔습니다.반면 롯데는 “우연의 일치이며, 상표권 침해 의도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롯데쇼핑이 올해 온라인 사업인 ‘롯데온’을 강화하고자 상품군별 버티컬 서비스 ‘온앤더’ 시리즈를 론칭했는데, ‘온앤더스타일’도 그 일환이란 겁니다.광고 및 이미지 유사성에 대해서는 “보라색은 올해의 트렌드 컬러라 반영한 것”이라며 “광고 초반 온스타일이 강조되는 것은 단순히 ‘스타일’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해명했습니다.또한 패션(온앤더스타일) 사업만 로고 디자인을 등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당시 디자인을 확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롯데는 법률 자문을 거쳐 대응 방안을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이처럼 현재 양측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결과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입니다.[김동진/법무법인 대륜 변호사]“이러한 표절시비들이 계속 불거지고 일어난다면 결국 국내 산업 전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성이 있는 표절들은 자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이데일리TV 문다애입니다.기사전문보기 - [단독]유통 라이벌 CJ·롯데 &apos;온스타일&apos; 두고 상표권 분쟁 (edaily.co.kr)
이데일리
2022-11-30
유통 라이벌 CJ·롯데 '온스타일' 두고 상표권 분쟁
유통 라이벌 CJ·롯데 '온스타일' 두고 상표권 분쟁
롯데쇼핑, CJ온스타일 유사 플랫폼 출시 논란CJ "명백한 표절...법적 조치 준비중"롯데 "상표권 침해 의도 없어...법률 자문 중"[앵커]CJ는 롯데의 신규 플랫폼이 자사 대표 패션 플랫폼인 ‘온스타일’을 표절했다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CJ는 ‘온스타일’, 롯데는 ‘온앤더스타일’로, 이름부터 디자인까지 유사합니다. 특히 롯데는 광고 영상에선 아예 ‘온스타일’이라고 표기했습니다.CJ는 지난 25일 롯데에 법적 절차를 밟기 위한 내용증명을 보냈으며 롯데쇼핑은 외부 법률전문가 자문을 거쳐 대응 수위를 정할 방침입니다. 문다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기자]왼쪽은 롯데가 최근 론칭한 패션 플랫폼 ‘온앤더스타일(ON AND THE STYLE)’, 오른쪽은 CJ의 대표 유통 플랫폼이자 패션 사업자인 ‘CJ온스타일(ONSTYLE)’입니다.이름부터가 유사한 두 브랜드는 로고 이미지부터 마치 쌍둥이처럼 똑 닮아 있습니다.롯데는 ‘온앤더스타일’ 표기 중 ‘앤더(AND THE)’를 작은 글씨로 표기해 ‘온(ON)’과 ‘스타일(STYLE)’이 직접 연결돼도록 해, CJ의 ‘온스타일’을 떠올리게 합니다.특유의 디자인 콘셉트도 비슷합니다. CJ온스타일은 시그니처 컬러인 ‘보라색’을 사용한 ‘원형 디자인의 반복적 사용’이 특징. 이는 지난 2003년 CJ가 상표권으로 등록한 내용입니다.그런데 롯데도 ‘보라색’을 핵심 컬러로 선정하고, ‘원형 디자인’을 반복적으로 사용했습니다.영상 광고를 보면 구분은 더 힘듭니다. 롯데는 아예 영상광고에선 ‘온스타일’이라고 표기했습니다. 영상 첫 화면에는 ‘온스타일’이 나온 이후 ‘앤더’가 작은 글자로 표기된 뒤 없어집니다.브랜드명부터 로고 디자인, 광고 영상까지 ‘온스타일’을 부각해, 일반 소비자들이 CJ로 오인할 소지가 충분해 보입니다.CJ ENM의 대표 패션 라이프스타일 채널로 2004년 개국한 CJ온스타일은 20년 가까이 대중들에게 패션 브랜드로 알려져 있는 데다, CJ ENM의 패션 전문 채널 표지로도 널리 사용돼 대중에게 패션 관련 이커머스 서비스로 인식돼온지 오래.다수의 패션 PB 브랜드 전개 중인 CJ온스타일은 CJ 패션 사업의 핵심으로,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지난해 업계 최초로 ‘패션 1조 클럽’까지 입성한 바 있습니다.CJ는 후발 주자인 롯데가 소비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이같은 CJ의 브랜드 이미지를 무단으로 차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법적으로 저촉될 소지가 있다는 입장입니다.[김동진/법무법인 대륜 변호사]“CJ측과 롯데 측의 온스타일, 온앤더스타일에 대해서는 거래 통념상 유사하다는 점이 큰 문제가 될 것이고요. 롯데의 경우 온스타일 그 사이에 앤더를 첨가해서 결국 CJ온스타일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는 점, 메인 컬러가 보라색이라는 점, 결론적으로 영상광고까지 유사하다는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에 상표법 위반으로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상표권 등록 시기도 CJ가 훨씬 앞섭니다. CJ는 2003년 ‘온스타일’을 등록했고, 롯데는 2018년 ‘온앤더스타일’은 등록했습니다.하지만 롯데의 상표권은 오프라인에 한정돼 있었고 온라인 상표권은 없던 상황. 이에 롯데는 올해 8월 패션 사업을 온라인으로 확장하겠다며 전자상거래에 대한 상표권을 추가로 등록했습니다.그런데 이러한 롯데의 신규 상표권 등록 역시 표절 의혹을 키우고 있습니다.뷰티(온앤더뷰티)와 명품(온앤더럭셔리) 두 개의 서비스는 신규 로고 디자인을 등록했지만, 패션(온앤더스타일) 서비스 로고는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CJ와 상표권이 중첩돼 등록이 안될 경우를 고려한 것이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CJ 측은 “브랜드명은 물론 로고 이미지 표현 등 상당히 유사하게 보이도록 표현한 사례로 내부에서 심각성을 인지라고 있으며, 법적 조치 등 고려 중”이라고 밝혔습니다.반면 롯데는 “우연의 일치이며, 상표권 침해 의도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롯데쇼핑이 올해 온라인 사업인 ‘롯데온’을 강화하고자 상품군별 버티컬 서비스 ‘온앤더’ 시리즈를 론칭했는데, ‘온앤더스타일’도 그 일환이란 겁니다.광고 및 이미지 유사성에 대해서는 “보라색은 올해의 트렌드 컬러라 반영한 것”이라며 “광고 초반 온스타일이 강조되는 것은 단순히 ‘스타일’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해명했습니다.또한 패션(온앤더스타일) 사업만 로고 디자인을 등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당시 디자인을 확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롯데는 법률 자문을 거쳐 대응 방안을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이처럼 현재 양측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결과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입니다.[김동진/법무법인 대륜 변호사]“이러한 표절시비들이 계속 불거지고 일어난다면 결국 국내 산업 전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성이 있는 표절들은 자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이데일리TV 문다애입니다.기사전문보기 - [단독]유통 라이벌 CJ·롯데 &apos;온스타일&apos; 두고 상표권 분쟁 (edaily.co.kr)
로이슈
2022-11-30
부동산 지역주택조합 사기, 탈퇴·환불 어려우니 신중하게 가입해야
부동산 지역주택조합 사기, 탈퇴·환불 어려우니 신중하게 가입해야
지역주택조합은 해당 지역 내의 주민들이 조합을 만든 후 사업계획 승인을 얻어 집을 마련하는 방식의 부동산 사업이며, 조합에서 직접 토지를 매입하고 건축비용을 마련하는 등 사업을 추진한다.때문에 시행사가 관여하는 일반적인 아파트 건축이나 분양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아파트를 매입할 수 있다. 그리고 청약통장이 필요 없는 등 간단한 절차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내 집 마련 수단으로 여겨지는 지역주택조합사업은 사업 참여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과장광고에 현혹되어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으로 가입하였다가 사기피해를 입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도 청주에서 지역주택조합에 관한 290억원대 횡령 및 사기가 발각되며 조합원이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은 소식이 보도되었다.지역주택조합사업은 토지소유자의 알박기 등으로 매입에 난황을 겪어 수 년간 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조합이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거나 처음부터 금전적인 이득을 얻을 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등 지역주택조합 사기피해가 많이 발생한다.지역주택조합 조합원들은 조합가입계약 자체에 하자가 있는 경우 계약의 무효, 취소를 주장하며 탈퇴 및 납입금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관규제법상 명시, 설명의무위반 또는 반사회적 질서의 법률행위, 불공정한 법률행위인 경우, 사기나 강박에 의한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인 경우 등을 사유로 들 수 있다.단순히 사업이 늦춰진다는 이유만으로 사기죄가 성립하지는 않겠지만 명백한 허위사실을 이용해 조합원을 모집하거나 사실을 부풀려 분담금을 납부하도록 유도했다면 사기죄로 법적 처벌을 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김용태 변호사는 “지역주택조합 사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법이 개정되었지만 기본적으로 탈퇴 및 환불이 어려운 제도이므로 가입 자체를 신중해야 한다”면서 “사기 피해자라면 형사 및 부동산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당사자 사안에 알맞은 사안에 따라 관련 증거를 확보하고 유리한 전략을 세워 반환소송을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lawissue.co.kr/view.php?ud=2022113010351954996cf2d78c68_12
로이슈
2022-11-30
부동산 지역주택조합 사기, 탈퇴·환불 어려우니 신중하게 가입해야
부동산 지역주택조합 사기, 탈퇴·환불 어려우니 신중하게 가입해야
지역주택조합은 해당 지역 내의 주민들이 조합을 만든 후 사업계획 승인을 얻어 집을 마련하는 방식의 부동산 사업이며, 조합에서 직접 토지를 매입하고 건축비용을 마련하는 등 사업을 추진한다.때문에 시행사가 관여하는 일반적인 아파트 건축이나 분양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아파트를 매입할 수 있다. 그리고 청약통장이 필요 없는 등 간단한 절차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내 집 마련 수단으로 여겨지는 지역주택조합사업은 사업 참여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과장광고에 현혹되어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으로 가입하였다가 사기피해를 입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도 청주에서 지역주택조합에 관한 290억원대 횡령 및 사기가 발각되며 조합원이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은 소식이 보도되었다.지역주택조합사업은 토지소유자의 알박기 등으로 매입에 난황을 겪어 수 년간 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조합이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거나 처음부터 금전적인 이득을 얻을 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등 지역주택조합 사기피해가 많이 발생한다.지역주택조합 조합원들은 조합가입계약 자체에 하자가 있는 경우 계약의 무효, 취소를 주장하며 탈퇴 및 납입금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관규제법상 명시, 설명의무위반 또는 반사회적 질서의 법률행위, 불공정한 법률행위인 경우, 사기나 강박에 의한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인 경우 등을 사유로 들 수 있다.단순히 사업이 늦춰진다는 이유만으로 사기죄가 성립하지는 않겠지만 명백한 허위사실을 이용해 조합원을 모집하거나 사실을 부풀려 분담금을 납부하도록 유도했다면 사기죄로 법적 처벌을 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김용태 변호사는 “지역주택조합 사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법이 개정되었지만 기본적으로 탈퇴 및 환불이 어려운 제도이므로 가입 자체를 신중해야 한다”면서 “사기 피해자라면 형사 및 부동산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당사자 사안에 알맞은 사안에 따라 관련 증거를 확보하고 유리한 전략을 세워 반환소송을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lawissue.co.kr/view.php?ud=2022113010351954996cf2d78c68_12
KBS
2022-11-29
‘깡통전세’ 사기 피해 급증…유형과 예방법은?
‘깡통전세’ 사기 피해 급증…유형과 예방법은?
[앵커]전세 사기로 임대 보증금을 못 받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최근에는 한 사람이 480억 원대 사기 행각을 벌인 사례가 보도되기도 했었죠.이 경우를 포함해 하반기 광주와 전남 피해액만 550억 원에 이릅니다.오늘 &apos;이슈대담&apos; 전세 사기 유형과 예방법을 김소율 변호사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어서 오십시오.먼저 일명 &apos;깡통전세&apos; 사기라고 하죠.어떤 건지 설명해 주신다면요?[답변]임대인이 고의로 또는 공인중개사와 공모를 해서 임대 세입자가 보증금을 반환할 수 없게끔 만드는 전세계약을 만드는 것을 일명 전세사기, 깡통사기라고 하는데요.주로 시세가 형성되지 않은 신축 빌라의 경우에 보증금을 부풀려서 전세 계약을 체결하고 소유권을 넘겨버리고 잠적한다든가 아니면 지금처럼 부동산 값이 떨어지는 경우에 매물가보다 전세 보증금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깡통 전세가 주로 있습니다.[앵커]그게 어떻게 가능한 건지 제도적인 허점이 있는 겁니까?[답변]사실 임차인은 정보가 부족한 게 사실이잖아요.그래서 그 정보의 접근권 차이에서 많이 일단 유도가 되고요.임차인이 스스로 적절한 임대가를 모르고 또 임대인에 대한 체납 여부도 알지 못하고 선 순위 보증금이 어느 정도 설정돼 있는지도 잘 모르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가장 큰 원인이고, 두 번째는 지금처럼 부동산 값이 떨어지는 이런 상황에서 집주인은 손익을 따지다 보니까 전세보증금을 반환하는 것보다 집을 포기하는 게 낫다, 이런 판단이 서기도 하고요.세 번째로는 대항력의 허점을 이용하는 건데요.현재 주택임차보증법이 보면 그 대항력이 1일 0시에 발행해요.그러니까 효력이 다음날 발행하기 때문에 그 날 전세 계약을 체결하고 집주인이 집에 대해 담보권을 설정하고 담보를 대출을 받아버리면 세입자는 결국 후순위로 밀리게 됩니다.[앵커]그렇다면 결국에는 임차인 그러니까 집을 빌리는 사람들을 위한 정책이 좀 더 촘촘하게 보완돼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답변]그래서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임차인 보호 제도를 좀 보도자료를 낸 적이 있어요.그러니까 임차인의 정보가 부족한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했잖아요.그래서 &apos;자가진단 안심 전세 앱&apos;이라는 걸 구축을 한답니다.이게 내년 1월에 출시가 되는데요.이 앱 내에서 입주를 희망하는 주거지의 적정한 전세가라든지 아니면 악성 임대인에 대한 정보, 그리고 불법 무허가 건축물인지에 대한 정보 등도 여기에 제공이 된다고 하고요.임대 사업자에 대한 관리도 강화가 되고 신축빌라의 경우 이런 게 많이 일어나다 보니까 신축빌라에 대한 공정한 가격 산정 체계도 마련한다고 합니다.그리고 법적으로도 저희가 아까 말씀드렸지만,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입법 예고가 된 상태예요.그래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선순위 보증금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동의 요구권이 명문화되고, 임대인은 이에 동의할 것이 의무가 되게 개정이 되고요.두 번째로 임대인에게 납세 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납세 확인이나 국세 지방세 체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그런 게 되고, 세 번째로는 소액 임차인의 범위하고 우선 최우선 변제금이 상향 조정이 됩니다.지금 현재 광주광역시의 경우에는 7천만 원 이하인데 8,500만 원 이하로 상향 조정이 되고, 최우선 변제금도 2,300만 원 이하인데 500만 원 상향이 돼서 2,800만 원 이하로 상향이 됩니다.이에 맞춰서 주택 임대차 표준계약서도 개정이 되는데 그 대항력을 이용하는 사기를 막기 위해서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하기로 한 그다음 날까지 임대인은 그 집에 대한 담보권 설정이 금지되게 그렇게 명문화가 됩니다.[앵커]앞서 이야기해 주신 대로 계약을 진행할 때부터 꼼꼼하게 살피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그렇다면 세입자가 계약하기 전에 잘 살펴야 할 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답변]법적·제도적 제도보다 가장 중요한 게 세입자가 꼼꼼히 살피는 건데요.부동산을 여러 군데를 돌아다니셔서 주변 시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고 그다음에 부동산 등기부도 꼼꼼히 보셔서 선순위 보증금에 대한 내용도 확인하셔야 하고요.불법 건축물인지를 봐야 하니까 건축물 대장도 확인하시고 그리고 매매가하고 전세가가 비슷한 경우는 임대인이 임대사업자로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그런 경우는 보증 보험 가입도 의무니까 그 가입도 한번 확인을 해 보시고 임대인하고 집주인이 동일인인지 그리고 동일인이라고 하더라도 신분증 제대로 확인하시고 그다음에 건물 관리인이 따로 있다고 그러면 집주인으로부터 어느 범위까지 위임을 받은 것인지 그 범위도 꼼꼼히 살펴야겠습니다.[앵커]여러 가지 꼼꼼히 살펴야 할 점들 이야기해 주셨는데 이렇게 주의를 기울였는데도 만약에 보증금을 받지 못했거나 혹은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답변]사실 이렇게 잠적을 해 버리면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없어요.그러면 우리 소비자로서는 경찰 수사를 의지하는 수밖에 없고요.일단 경찰이 사기죄로 고소를 하시고 만약에 다행히도 소재가 파악이 되면 민사소송이 가능하겠지만 가능하더라도 회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을 거예요.그래서 최근에 이런 전세 사기 피해자를 위해서 원스톱 지원센터가 설립이 됐어요.그래서 보증금을 못 받은 사람들을 위해서 저리로 긴급 자금을 대출도 해 주고 당장 살 곳이 없는 세입자들을 위해서 임시 주거도 제공한다고 합니다.[앵커]마지막으로 이런 기획 부동산 사기, 어떤 처벌이 가능하고 또 어디까지 책임 물을 수 있는지 얘기해 주신다면요?[답변]그러니까 형법상으로는 &apos;사기죄&apos;나 유형에 따라서 &apos;사문서 위조죄&apos;도 가능하고요.사기죄는 형법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굉장히 중대한 범죄예요.공인중개사가 이 행위에 가담을 했다고 그러면 사기죄 공동정범이나 방조범도 가능하고 공인중개사는 그와 별도로 공인중개사법에 의해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손해배상 책임을 별도로 하고도 자격정지나 등록 취소까지 처해질 수 있는 아주 중대한 범죄입니다.[앵커]정말 서민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인 만큼 엄정한 처벌이 필요해 보입니다.오늘 이야기 여기까지 듣겠습니다.고맙습니다.기사본문보기-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611693&ref=A
KBS
2022-11-29
‘깡통전세’ 사기 피해 급증…유형과 예방법은?
‘깡통전세’ 사기 피해 급증…유형과 예방법은?
[앵커]전세 사기로 임대 보증금을 못 받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최근에는 한 사람이 480억 원대 사기 행각을 벌인 사례가 보도되기도 했었죠.이 경우를 포함해 하반기 광주와 전남 피해액만 550억 원에 이릅니다.오늘 &apos;이슈대담&apos; 전세 사기 유형과 예방법을 김소율 변호사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어서 오십시오.먼저 일명 &apos;깡통전세&apos; 사기라고 하죠.어떤 건지 설명해 주신다면요?[답변]임대인이 고의로 또는 공인중개사와 공모를 해서 임대 세입자가 보증금을 반환할 수 없게끔 만드는 전세계약을 만드는 것을 일명 전세사기, 깡통사기라고 하는데요.주로 시세가 형성되지 않은 신축 빌라의 경우에 보증금을 부풀려서 전세 계약을 체결하고 소유권을 넘겨버리고 잠적한다든가 아니면 지금처럼 부동산 값이 떨어지는 경우에 매물가보다 전세 보증금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깡통 전세가 주로 있습니다.[앵커]그게 어떻게 가능한 건지 제도적인 허점이 있는 겁니까?[답변]사실 임차인은 정보가 부족한 게 사실이잖아요.그래서 그 정보의 접근권 차이에서 많이 일단 유도가 되고요.임차인이 스스로 적절한 임대가를 모르고 또 임대인에 대한 체납 여부도 알지 못하고 선 순위 보증금이 어느 정도 설정돼 있는지도 잘 모르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가장 큰 원인이고, 두 번째는 지금처럼 부동산 값이 떨어지는 이런 상황에서 집주인은 손익을 따지다 보니까 전세보증금을 반환하는 것보다 집을 포기하는 게 낫다, 이런 판단이 서기도 하고요.세 번째로는 대항력의 허점을 이용하는 건데요.현재 주택임차보증법이 보면 그 대항력이 1일 0시에 발행해요.그러니까 효력이 다음날 발행하기 때문에 그 날 전세 계약을 체결하고 집주인이 집에 대해 담보권을 설정하고 담보를 대출을 받아버리면 세입자는 결국 후순위로 밀리게 됩니다.[앵커]그렇다면 결국에는 임차인 그러니까 집을 빌리는 사람들을 위한 정책이 좀 더 촘촘하게 보완돼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답변]그래서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임차인 보호 제도를 좀 보도자료를 낸 적이 있어요.그러니까 임차인의 정보가 부족한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했잖아요.그래서 &apos;자가진단 안심 전세 앱&apos;이라는 걸 구축을 한답니다.이게 내년 1월에 출시가 되는데요.이 앱 내에서 입주를 희망하는 주거지의 적정한 전세가라든지 아니면 악성 임대인에 대한 정보, 그리고 불법 무허가 건축물인지에 대한 정보 등도 여기에 제공이 된다고 하고요.임대 사업자에 대한 관리도 강화가 되고 신축빌라의 경우 이런 게 많이 일어나다 보니까 신축빌라에 대한 공정한 가격 산정 체계도 마련한다고 합니다.그리고 법적으로도 저희가 아까 말씀드렸지만,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입법 예고가 된 상태예요.그래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선순위 보증금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동의 요구권이 명문화되고, 임대인은 이에 동의할 것이 의무가 되게 개정이 되고요.두 번째로 임대인에게 납세 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납세 확인이나 국세 지방세 체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그런 게 되고, 세 번째로는 소액 임차인의 범위하고 우선 최우선 변제금이 상향 조정이 됩니다.지금 현재 광주광역시의 경우에는 7천만 원 이하인데 8,500만 원 이하로 상향 조정이 되고, 최우선 변제금도 2,300만 원 이하인데 500만 원 상향이 돼서 2,800만 원 이하로 상향이 됩니다.이에 맞춰서 주택 임대차 표준계약서도 개정이 되는데 그 대항력을 이용하는 사기를 막기 위해서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하기로 한 그다음 날까지 임대인은 그 집에 대한 담보권 설정이 금지되게 그렇게 명문화가 됩니다.[앵커]앞서 이야기해 주신 대로 계약을 진행할 때부터 꼼꼼하게 살피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그렇다면 세입자가 계약하기 전에 잘 살펴야 할 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답변]법적·제도적 제도보다 가장 중요한 게 세입자가 꼼꼼히 살피는 건데요.부동산을 여러 군데를 돌아다니셔서 주변 시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고 그다음에 부동산 등기부도 꼼꼼히 보셔서 선순위 보증금에 대한 내용도 확인하셔야 하고요.불법 건축물인지를 봐야 하니까 건축물 대장도 확인하시고 그리고 매매가하고 전세가가 비슷한 경우는 임대인이 임대사업자로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그런 경우는 보증 보험 가입도 의무니까 그 가입도 한번 확인을 해 보시고 임대인하고 집주인이 동일인인지 그리고 동일인이라고 하더라도 신분증 제대로 확인하시고 그다음에 건물 관리인이 따로 있다고 그러면 집주인으로부터 어느 범위까지 위임을 받은 것인지 그 범위도 꼼꼼히 살펴야겠습니다.[앵커]여러 가지 꼼꼼히 살펴야 할 점들 이야기해 주셨는데 이렇게 주의를 기울였는데도 만약에 보증금을 받지 못했거나 혹은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답변]사실 이렇게 잠적을 해 버리면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없어요.그러면 우리 소비자로서는 경찰 수사를 의지하는 수밖에 없고요.일단 경찰이 사기죄로 고소를 하시고 만약에 다행히도 소재가 파악이 되면 민사소송이 가능하겠지만 가능하더라도 회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을 거예요.그래서 최근에 이런 전세 사기 피해자를 위해서 원스톱 지원센터가 설립이 됐어요.그래서 보증금을 못 받은 사람들을 위해서 저리로 긴급 자금을 대출도 해 주고 당장 살 곳이 없는 세입자들을 위해서 임시 주거도 제공한다고 합니다.[앵커]마지막으로 이런 기획 부동산 사기, 어떤 처벌이 가능하고 또 어디까지 책임 물을 수 있는지 얘기해 주신다면요?[답변]그러니까 형법상으로는 &apos;사기죄&apos;나 유형에 따라서 &apos;사문서 위조죄&apos;도 가능하고요.사기죄는 형법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굉장히 중대한 범죄예요.공인중개사가 이 행위에 가담을 했다고 그러면 사기죄 공동정범이나 방조범도 가능하고 공인중개사는 그와 별도로 공인중개사법에 의해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손해배상 책임을 별도로 하고도 자격정지나 등록 취소까지 처해질 수 있는 아주 중대한 범죄입니다.[앵커]정말 서민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인 만큼 엄정한 처벌이 필요해 보입니다.오늘 이야기 여기까지 듣겠습니다.고맙습니다.기사본문보기-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611693&ref=A
비욘드포스트
2022-11-22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시 민사·형사소송 책임 불가피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시 민사·형사소송 책임 불가피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이 기존의 수법에서 발전한 대면 편취형 수법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 중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은 2만2752건에 달했다.기존 피싱 수법에 있어 필수적인 대포통장의 발급 심사와 단속이 강화되면서 범죄 수단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범행이 쉬운 대면 편취형 수법이 늘어난 것이다.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은 인출책(범죄 조직 등에서 타인의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는 일을 맡은 사람)이 직접 돈을 받아가는 방식을 말한다.이러한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범죄는 수사망을 피하고 조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피해자와 직접 만나 현금을 수거하고 그 돈을 보이스피싱 조직의 계좌에 이체해줄 심부름꾼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검거가 되더라도 조직에 타격이 오지 않도록 일반인을 끌어들여 활용한다.이러한 연유로 전체 범죄를 기획한 이른바 ‘총책’까지 조직 전체를 일망타진하기 어려우며, 경기 침체로 인해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운 취업준비생이나 구직자가 전달책, 수거책으로 활용되었다가 법적 책임을 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 문제이다.최근에도 수원에서 법률사무소 비서직에 합격했다는 연락을 받았으나, 지시받은 업무 내용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 경찰과 함께 현장에 나가서 피해를 막을 수 있었던 사례가 보도되며 큰 화제가 되었다.대면 편취형 범죄에 연루되면 단순 가담자라도 대한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면 사기 방조 혐의를 벗기 어렵고 범행으로 인한 피해 금액에 대해 금전적 책임까지 져야 한다.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재산 범죄로, 방조범 역시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더군다나 최근에는 현금전달책이나 송금책으로 활동한 사람들의 정황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범죄 여부를 판단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보이스피싱 자체를 중대한 혐의로 보고 있어 단순히 가담한 사람이나 초범임에도 불구하고 실형이 선고되기도 한다.부장검사 출신의 법무법인(유한)대륜 김인원 변호사는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범죄는 자신이 범죄 조직에게 억울하게 이용당했음을 법리적으로 증명해 공범 혐의를 최대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관련 사건 수행 경험이 많은 보이스피싱전문변호사의 전문적 조력을 구해 대응에 나서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기사본문보기-http://beyondpost.co.kr/view.php?ud=20221121103446759867114f971d_30
비욘드포스트
2022-11-22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시 민사·형사소송 책임 불가피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사건 연루시 민사·형사소송 책임 불가피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이 기존의 수법에서 발전한 대면 편취형 수법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 중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은 2만2752건에 달했다.기존 피싱 수법에 있어 필수적인 대포통장의 발급 심사와 단속이 강화되면서 범죄 수단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범행이 쉬운 대면 편취형 수법이 늘어난 것이다.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은 인출책(범죄 조직 등에서 타인의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는 일을 맡은 사람)이 직접 돈을 받아가는 방식을 말한다.이러한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범죄는 수사망을 피하고 조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피해자와 직접 만나 현금을 수거하고 그 돈을 보이스피싱 조직의 계좌에 이체해줄 심부름꾼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검거가 되더라도 조직에 타격이 오지 않도록 일반인을 끌어들여 활용한다.이러한 연유로 전체 범죄를 기획한 이른바 ‘총책’까지 조직 전체를 일망타진하기 어려우며, 경기 침체로 인해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운 취업준비생이나 구직자가 전달책, 수거책으로 활용되었다가 법적 책임을 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 문제이다.최근에도 수원에서 법률사무소 비서직에 합격했다는 연락을 받았으나, 지시받은 업무 내용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 경찰과 함께 현장에 나가서 피해를 막을 수 있었던 사례가 보도되며 큰 화제가 되었다.대면 편취형 범죄에 연루되면 단순 가담자라도 대한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면 사기 방조 혐의를 벗기 어렵고 범행으로 인한 피해 금액에 대해 금전적 책임까지 져야 한다.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재산 범죄로, 방조범 역시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더군다나 최근에는 현금전달책이나 송금책으로 활동한 사람들의 정황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범죄 여부를 판단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보이스피싱 자체를 중대한 혐의로 보고 있어 단순히 가담한 사람이나 초범임에도 불구하고 실형이 선고되기도 한다.부장검사 출신의 법무법인(유한)대륜 김인원 변호사는 “대면 편취형 보이스피싱 범죄는 자신이 범죄 조직에게 억울하게 이용당했음을 법리적으로 증명해 공범 혐의를 최대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관련 사건 수행 경험이 많은 보이스피싱전문변호사의 전문적 조력을 구해 대응에 나서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기사본문보기-http://beyondpost.co.kr/view.php?ud=20221121103446759867114f971d_30
어린이동아
2022-11-14
이혼 후 양육비 문제, 소송을 통해 미지급분 청구 가능해
이혼 후 양육비 문제, 소송을 통해 미지급분 청구 가능해
부부가 결혼생활 동안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이혼에 이르기도 한다. 이때 이혼을 한 상태라 하더라도 자녀에 대한 부모의 부양 의무는 사라지지 않으므로 양육권자로 지정되지 않은 일방은 양육비를 지급하여 자신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아이의 의식주를 해결하며 평균적인 생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특히나 아이를 홀로 키우는 이혼 가정에서는 부모 중 한사람만의 경제 활동으로 비용을 모두 충당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양육비 지급 의무는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 능력이 따라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양육비를 줄 수 없는 상황일 때에는 감액신청을 통해 최소한의 양육비만이라도 부담하도록 해야 한다.그러나 국내 이혼 부부들의 양육비 이행률은 낮은 편인데, 실제로 양육비 이행관리원을 통해 양육비 미지급자로부터 지급을 약속 받았다 하더라도 제대로 양육비를 받은 비율은 지난해 겨우 38.3%에 불과했다.이처럼 양육비 지급 의무가 있는 상대방이 이혼 후 양육비를 제 때 지급하지 않는다면 법적 절차를 밟아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는데, 양육비 직접지급명령제도나 담보제공, 일시금 지급명령제도 등을 이용해 미지급된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다.뿐만 아니라 한 번 결정한 양육비는 상황에 따라 부족하면 합당한 근거를 들어 감액 또는 증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녀가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병에 걸려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는 등 사정이 변경된 경우나 양육비를 지급해야 하는 당사자의 경제적 사정이 악화되어 양육비 감액이 필요한 경우 등에는 당사자의 합의나 법원에 청구하여 양육비를 증액하거나 줄일 수 있다.서울가정법원은 지난 해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개편하여 공개하고 있고, 여성가족부에서도 양육비 이행률을 높이기 위해 이행명령을 받고도 90일 이상 양육비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신상정보 공개 및 및 출국금지, 운전면허 정지 등의 요청 대상 채무자를 추가하여 제제를 가하고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 양보라 변호사는 “부모로서 책무를 다하지 않고 아무 조치 없이 일방적으로 양육비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여러 제재를 받을 수 있다”면서 “장기간에 걸쳐 상습적으로 양육비미지급이 이어져 왔다면 받지 못한 양육비는 소송을 통해서 얼마든지 청구할 수 있으므로 이혼˙가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길 바란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kids.donga.com/?ptype=article&no=20221111180717853503
어린이동아
2022-11-14
이혼 후 양육비 문제, 소송을 통해 미지급분 청구 가능해
이혼 후 양육비 문제, 소송을 통해 미지급분 청구 가능해
부부가 결혼생활 동안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이혼에 이르기도 한다. 이때 이혼을 한 상태라 하더라도 자녀에 대한 부모의 부양 의무는 사라지지 않으므로 양육권자로 지정되지 않은 일방은 양육비를 지급하여 자신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아이의 의식주를 해결하며 평균적인 생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특히나 아이를 홀로 키우는 이혼 가정에서는 부모 중 한사람만의 경제 활동으로 비용을 모두 충당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양육비 지급 의무는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 능력이 따라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양육비를 줄 수 없는 상황일 때에는 감액신청을 통해 최소한의 양육비만이라도 부담하도록 해야 한다.그러나 국내 이혼 부부들의 양육비 이행률은 낮은 편인데, 실제로 양육비 이행관리원을 통해 양육비 미지급자로부터 지급을 약속 받았다 하더라도 제대로 양육비를 받은 비율은 지난해 겨우 38.3%에 불과했다.이처럼 양육비 지급 의무가 있는 상대방이 이혼 후 양육비를 제 때 지급하지 않는다면 법적 절차를 밟아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는데, 양육비 직접지급명령제도나 담보제공, 일시금 지급명령제도 등을 이용해 미지급된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다.뿐만 아니라 한 번 결정한 양육비는 상황에 따라 부족하면 합당한 근거를 들어 감액 또는 증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녀가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병에 걸려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는 등 사정이 변경된 경우나 양육비를 지급해야 하는 당사자의 경제적 사정이 악화되어 양육비 감액이 필요한 경우 등에는 당사자의 합의나 법원에 청구하여 양육비를 증액하거나 줄일 수 있다.서울가정법원은 지난 해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개편하여 공개하고 있고, 여성가족부에서도 양육비 이행률을 높이기 위해 이행명령을 받고도 90일 이상 양육비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신상정보 공개 및 및 출국금지, 운전면허 정지 등의 요청 대상 채무자를 추가하여 제제를 가하고 있다.법무법인(유한)대륜 양보라 변호사는 “부모로서 책무를 다하지 않고 아무 조치 없이 일방적으로 양육비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여러 제재를 받을 수 있다”면서 “장기간에 걸쳐 상습적으로 양육비미지급이 이어져 왔다면 받지 못한 양육비는 소송을 통해서 얼마든지 청구할 수 있으므로 이혼˙가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길 바란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kids.donga.com/?ptype=article&no=20221111180717853503
로이슈
2022-11-07
특수폭행·상해사건, 피해자와 합의해도 형사처벌 피하기 어렵다
특수폭행·상해사건, 피해자와 합의해도 형사처벌 피하기 어렵다
술자리에서는 술에 취해 사소한 시비나 말싸움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때 감정이 앞서 폭력을 휘두르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폭력 사태는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특수폭행 또는 특수상해죄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우선 특수폭행은 단체 또는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을 보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폭행을 저지르는 범죄로 법정형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일반 폭행죄와 달리 반의사불벌죄가 아니기 때문에 피해자와 합의를 하더라도 형사소송 절차가 그대로 진행되어 처벌을 피하기 어렵다.특수상해는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다중 또는 단체의 위력을 보여 상해를 입힐 때 성립하는 범죄다.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처벌의 기본 수위가 매우 높은 편이다.일상적인 물건이라 해도 상대방이나 제3자가 생명이나 신체에 위험을 느끼거나 신체에 해를 입혔다면 특수폭행, 특수상해가 성립하므로 술잔이나 술병 등 테이블에 널린 물건을 집어 던지는 행동은 자제해야만 한다.식당이나 술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리잔이나 유리병, 집게, 가위 등도 사람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시 직접 맞지 않았다 해도 특수 폭행이 성립할 수 있다. 따라서 술에 취해 이성적인 판단력이 마비되기 쉬운 술자리에서는 우발적으로 행동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만약 특수폭행이 적용된 상황이라면 합의만으로 문제해결이 불가능하고 초범이라 하더라도 실형이 선고될 위험이 높으며, 경우에 따라 처벌이 크게 가중될 수 있으므로 사건의 경중을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법무법인 대륜의 부장검사 출신 김영흠 변호사는 “특수폭행, 상해 혐의를 받고 있다면 술자리에서 일어난 가벼운 문제를 생각하지 말고 사실관계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부당한 혐의로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lawissue.co.kr/view.php?ud=2022110116014723376cf2d78c68_12
로이슈
2022-11-07
특수폭행·상해사건, 피해자와 합의해도 형사처벌 피하기 어렵다
특수폭행·상해사건, 피해자와 합의해도 형사처벌 피하기 어렵다
술자리에서는 술에 취해 사소한 시비나 말싸움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때 감정이 앞서 폭력을 휘두르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폭력 사태는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특수폭행 또는 특수상해죄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우선 특수폭행은 단체 또는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을 보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폭행을 저지르는 범죄로 법정형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일반 폭행죄와 달리 반의사불벌죄가 아니기 때문에 피해자와 합의를 하더라도 형사소송 절차가 그대로 진행되어 처벌을 피하기 어렵다.특수상해는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다중 또는 단체의 위력을 보여 상해를 입힐 때 성립하는 범죄다.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처벌의 기본 수위가 매우 높은 편이다.일상적인 물건이라 해도 상대방이나 제3자가 생명이나 신체에 위험을 느끼거나 신체에 해를 입혔다면 특수폭행, 특수상해가 성립하므로 술잔이나 술병 등 테이블에 널린 물건을 집어 던지는 행동은 자제해야만 한다.식당이나 술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리잔이나 유리병, 집게, 가위 등도 사람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시 직접 맞지 않았다 해도 특수 폭행이 성립할 수 있다. 따라서 술에 취해 이성적인 판단력이 마비되기 쉬운 술자리에서는 우발적으로 행동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만약 특수폭행이 적용된 상황이라면 합의만으로 문제해결이 불가능하고 초범이라 하더라도 실형이 선고될 위험이 높으며, 경우에 따라 처벌이 크게 가중될 수 있으므로 사건의 경중을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법무법인 대륜의 부장검사 출신 김영흠 변호사는 “특수폭행, 상해 혐의를 받고 있다면 술자리에서 일어난 가벼운 문제를 생각하지 말고 사실관계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부당한 혐의로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lawissue.co.kr/view.php?ud=2022110116014723376cf2d78c68_12
이투뉴스
2022-10-31
법무법인 대륜 서울 강남 · 경기 평택 로펌 추가 개소
법무법인 대륜 서울 강남 · 경기 평택 로펌 추가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서울 강남사무소 및 경기 평택사무소를 개소하여 전국적인 법률서비스 역량 강화에 나선다.대륜은 형사, 기업법무, 가사(이혼·상속), 학교폭력, 민사, 행정, 도산 등 여러 분야의 전담센터를 운영하며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경검 수사권 조정 이후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를 연이어 영입하여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개소가 예정된 직영 분사무소에도 의뢰인이 상담을 신청하는 과정부터 사건 종결까지 본사와 동일한 협업시스템을 통해 신속하게 사건을 파악하여 조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한발 더 다가설 수 있도록 전국 주요지역에 사무소를 개소하고 있다”라며 “각 분야의 전문 변호사 추가 영입 및 지역 사무소 개소를 통해 전국 어디에서나 대륜의 법률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957
이투뉴스
2022-10-31
법무법인 대륜 서울 강남 · 경기 평택 로펌 추가 개소
법무법인 대륜 서울 강남 · 경기 평택 로펌 추가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서울 강남사무소 및 경기 평택사무소를 개소하여 전국적인 법률서비스 역량 강화에 나선다.대륜은 형사, 기업법무, 가사(이혼·상속), 학교폭력, 민사, 행정, 도산 등 여러 분야의 전담센터를 운영하며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경검 수사권 조정 이후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를 연이어 영입하여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개소가 예정된 직영 분사무소에도 의뢰인이 상담을 신청하는 과정부터 사건 종결까지 본사와 동일한 협업시스템을 통해 신속하게 사건을 파악하여 조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한발 더 다가설 수 있도록 전국 주요지역에 사무소를 개소하고 있다”라며 “각 분야의 전문 변호사 추가 영입 및 지역 사무소 개소를 통해 전국 어디에서나 대륜의 법률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957
시사매거진
2022-10-24
법무법인 대륜, 성남과 평택에 25, 26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 대륜, 성남과 평택에 25, 26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이달 말부터 내달 초까지 성남과 평택에 지점을 추가로 개소한다고 밝혔다.대륜은 전국구 대형 로펌으로, 법률적 문제로 고충을 겪는 사람들의 이용 편의를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지역사무소를 개소하고 있으며, 토요일과 공휴일에도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다.복잡한 사건의 경우 다양한 재판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특정 분야에 치우지지 않으면서 각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형사·민사·행정 등의 분야별 전담·전문센터를 운영하며 검사출신변호사와 각 분야별 전문변호사를 지속적으로 영입한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성남 및 평택지역에 로펌을 추가로 개소하여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각 지역 사무소에 사건을 맡기면 전체 구성원 중 사건에 적합한 변호사를 필두로 3인 이상의 구성원이 전담팀을 만들어 전국 어디에서나 동일한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에 개소할 성남과 평택사무실에도 이러한 협업 시스템이 적용된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0294
시사매거진
2022-10-24
법무법인 대륜, 성남과 평택에 25, 26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 대륜, 성남과 평택에 25, 26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이달 말부터 내달 초까지 성남과 평택에 지점을 추가로 개소한다고 밝혔다.대륜은 전국구 대형 로펌으로, 법률적 문제로 고충을 겪는 사람들의 이용 편의를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지역사무소를 개소하고 있으며, 토요일과 공휴일에도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다.복잡한 사건의 경우 다양한 재판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특정 분야에 치우지지 않으면서 각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형사·민사·행정 등의 분야별 전담·전문센터를 운영하며 검사출신변호사와 각 분야별 전문변호사를 지속적으로 영입한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성남 및 평택지역에 로펌을 추가로 개소하여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각 지역 사무소에 사건을 맡기면 전체 구성원 중 사건에 적합한 변호사를 필두로 3인 이상의 구성원이 전담팀을 만들어 전국 어디에서나 동일한 고품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에 개소할 성남과 평택사무실에도 이러한 협업 시스템이 적용된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0294
미디어파인
2022-10-19
음주운전 교통사고, 보험 가입해도 실형 받을 수 있어...초기 대응 중요 [김동진 변호사 칼럼]
음주운전 교통사고, 보험 가입해도 실형 받을 수 있어...초기 대응 중요 [김동진 변호사 칼럼]
최근 인천, 대전 등 전국적으로 큰 물의를 빚는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음주운전은 음주로 인해 혈중알코올농도 0.03%이상이 되어 정상적인 사고와 판단이 불가한 상태에서 운전대를 잡는 행위를 말한다.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교통사고 우려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며, 발생하는 사고의 피해 규모 및 정도 역시 크다. 운전자 본인뿐만 아니라 도로 위 다수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동으로 사고로 이어질 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음주운전으로 사고를 낸 경우에는 일반 교통사고와는 다르게 합의 여부나 보험 가입 여부에 상관없이 처벌을 면하기 어렵다. 일반 교통사고는 과실 비율을 따지고, 보험료 산정이나 보상금 지급 등의 문제로 다투게 되지만,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12대 중과실에 해당하는 사고이기 때문에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아 피해자와 합의했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받을 수밖에 없다.음주운전 상태로 자동차 사고를 내면 교통사고처리법상 12대 중과실에 해당되어 기소된 후 재판을 거쳐 범행 수위에 따라 처벌받는다. 음주운전 사고는 5년 이하의 금고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한 처벌이 두려워 현장에서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고 이탈하는 뺑소니 행위를 저지른 경우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인 일명 특가법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되어 가중처벌을 받게 될 수 있다.음주운전 교통사고를 일으켰다면 일반인이 직접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고, 사고 발생 당시 현장 상황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하므로 초기부터 사건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를 선임하여 최대한 자신의 양형 요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16
미디어파인
2022-10-19
음주운전 교통사고, 보험 가입해도 실형 받을 수 있어...초기 대응 중요 [김동진 변호사 칼럼]
음주운전 교통사고, 보험 가입해도 실형 받을 수 있어...초기 대응 중요 [김동진 변호사 칼럼]
최근 인천, 대전 등 전국적으로 큰 물의를 빚는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음주운전은 음주로 인해 혈중알코올농도 0.03%이상이 되어 정상적인 사고와 판단이 불가한 상태에서 운전대를 잡는 행위를 말한다.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교통사고 우려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며, 발생하는 사고의 피해 규모 및 정도 역시 크다. 운전자 본인뿐만 아니라 도로 위 다수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동으로 사고로 이어질 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음주운전으로 사고를 낸 경우에는 일반 교통사고와는 다르게 합의 여부나 보험 가입 여부에 상관없이 처벌을 면하기 어렵다. 일반 교통사고는 과실 비율을 따지고, 보험료 산정이나 보상금 지급 등의 문제로 다투게 되지만,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12대 중과실에 해당하는 사고이기 때문에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아 피해자와 합의했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받을 수밖에 없다.음주운전 상태로 자동차 사고를 내면 교통사고처리법상 12대 중과실에 해당되어 기소된 후 재판을 거쳐 범행 수위에 따라 처벌받는다. 음주운전 사고는 5년 이하의 금고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한 처벌이 두려워 현장에서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고 이탈하는 뺑소니 행위를 저지른 경우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인 일명 특가법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되어 가중처벌을 받게 될 수 있다.음주운전 교통사고를 일으켰다면 일반인이 직접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고, 사고 발생 당시 현장 상황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하므로 초기부터 사건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를 선임하여 최대한 자신의 양형 요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법무법인유한 대륜 김동진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16
시사매거진
2022-10-12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변호사, 형사 · 민사전문변호사 전문자격 등록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변호사, 형사 · 민사전문변호사 전문자격 등록
법무법인 대륜 소속 박동일 형사전문변호사가 최근 대한변호사협회의 민사법 전문분야를 추가로 등록했다.박 변호사는 “다양한 실무처리 경험을 통해 성범죄, 사기 등 형사분야의 전문자격에 이어 손해배상, 대여금, 부동산 등 민사분야의 전문자격도 등록할 수 있었다. 여러 송무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뢰인을 승자로 이끄는 칼과 방패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검사출신변호사 및 분야별 전문변호사를 꾸준히 영입하고 있다. 각 사건에 적합한 전문가들이 TF팀을 구성하여 의뢰인의 상황에 맞는 변론전략을 수립하여 여러 사건에서 8천건 이상의 성공사례를 이끌어냈다.최근 개소한 부천사무소를 비롯하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전국 주요지역에 직영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익월 중 성남사무소 개소가 예정되어 있다. 의뢰인들의 방문편의성을 향상시켜 형사, 민사, 행정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해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8141
시사매거진
2022-10-12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변호사, 형사 · 민사전문변호사 전문자격 등록
법무법인 대륜 박동일변호사, 형사 · 민사전문변호사 전문자격 등록
법무법인 대륜 소속 박동일 형사전문변호사가 최근 대한변호사협회의 민사법 전문분야를 추가로 등록했다.박 변호사는 “다양한 실무처리 경험을 통해 성범죄, 사기 등 형사분야의 전문자격에 이어 손해배상, 대여금, 부동산 등 민사분야의 전문자격도 등록할 수 있었다. 여러 송무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뢰인을 승자로 이끄는 칼과 방패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검사출신변호사 및 분야별 전문변호사를 꾸준히 영입하고 있다. 각 사건에 적합한 전문가들이 TF팀을 구성하여 의뢰인의 상황에 맞는 변론전략을 수립하여 여러 사건에서 8천건 이상의 성공사례를 이끌어냈다.최근 개소한 부천사무소를 비롯하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전국 주요지역에 직영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익월 중 성남사무소 개소가 예정되어 있다. 의뢰인들의 방문편의성을 향상시켜 형사, 민사, 행정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해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8141
비욘드포스트
2022-09-29
해마다 증가하는 노인학대문제, 무거운 형사처벌 대상이므로 주의 필요해
해마다 증가하는 노인학대문제, 무거운 형사처벌 대상이므로 주의 필요해
최근 노인학대 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모양새다. 실제로 경찰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노인 학대 112 신고 건수는 5958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이미 지난해 1만1918건의 절반 수준인 수치다.초고령사회에 가까워지면서 노인 인구는 날로 늘어나고 있지만 노인학대는 좀처럼 줄지 않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는 서울, 인천, 수원, 울산 등 전국 각지에 노인보호전문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학대피해 노인전용 쉼터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이와 같은 노인학대 문제는 대부분 가정 또는 복지시설 내에서 발생한다. 사회적 약자인 노인을 돌보고 보호하는 일은 국가의 책임이지만, 1차적으로는 가정 내 자녀들과 복지시설 종사자의 책임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을 때 학대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노인학대는 노인에 대해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성적 폭력 및 경제적 착취 또는 가혹행위를 하거나 유기 또는 방임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노인복지법 제1조의2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학대를 저지르는 자에 대해 처벌이 이뤄진다.어떠한 경우에도 타인의 일신을 합당한 사유 없이 구속하거나 학대하는 행위는 처벌받아 마땅하나, 가정 내 노인학대는 가족간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는 흔치 않다. 형사 고소는 처벌이 수반되는데 부모들이 자녀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고 고소를 취하하기 때문이다. 일부 사안에 대해 반의사불벌, 즉 합의를 할 경우 처벌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그러나 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인학대는 경우가 달라진다. 노인복지시설 등 시설 종사자가 노인복지법상 금지행위를 위반하는 경우 가중처벌의 대상이 되고, 법인이 위반행위 방지에 대한 주의감독의무를 게을리한 경우 양벌규정 적용이 가능하다.노인을 위하여 증여 또는 급여된 금품을 그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그 이외의 위법행위들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각각 처해질 수 있다.노인학대는 처벌의 대상이 되는 행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고, 취업제한명령의 대상이 되는 행위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노인학대 관련 사건으로 억울하게 처벌 위기에 놓였다면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자신의 행위가 노인학대에 해당되지 않음을 확실하게 소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도움말: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근수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beyondpost.co.kr/view.php?ud=202209291245212296cf2d78c68_30
비욘드포스트
2022-09-29
해마다 증가하는 노인학대문제, 무거운 형사처벌 대상이므로 주의 필요해
해마다 증가하는 노인학대문제, 무거운 형사처벌 대상이므로 주의 필요해
최근 노인학대 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모양새다. 실제로 경찰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노인 학대 112 신고 건수는 5958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이미 지난해 1만1918건의 절반 수준인 수치다.초고령사회에 가까워지면서 노인 인구는 날로 늘어나고 있지만 노인학대는 좀처럼 줄지 않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는 서울, 인천, 수원, 울산 등 전국 각지에 노인보호전문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학대피해 노인전용 쉼터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이와 같은 노인학대 문제는 대부분 가정 또는 복지시설 내에서 발생한다. 사회적 약자인 노인을 돌보고 보호하는 일은 국가의 책임이지만, 1차적으로는 가정 내 자녀들과 복지시설 종사자의 책임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을 때 학대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노인학대는 노인에 대해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성적 폭력 및 경제적 착취 또는 가혹행위를 하거나 유기 또는 방임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노인복지법 제1조의2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학대를 저지르는 자에 대해 처벌이 이뤄진다.어떠한 경우에도 타인의 일신을 합당한 사유 없이 구속하거나 학대하는 행위는 처벌받아 마땅하나, 가정 내 노인학대는 가족간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는 흔치 않다. 형사 고소는 처벌이 수반되는데 부모들이 자녀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고 고소를 취하하기 때문이다. 일부 사안에 대해 반의사불벌, 즉 합의를 할 경우 처벌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그러나 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인학대는 경우가 달라진다. 노인복지시설 등 시설 종사자가 노인복지법상 금지행위를 위반하는 경우 가중처벌의 대상이 되고, 법인이 위반행위 방지에 대한 주의감독의무를 게을리한 경우 양벌규정 적용이 가능하다.노인을 위하여 증여 또는 급여된 금품을 그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그 이외의 위법행위들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각각 처해질 수 있다.노인학대는 처벌의 대상이 되는 행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고, 취업제한명령의 대상이 되는 행위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노인학대 관련 사건으로 억울하게 처벌 위기에 놓였다면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자신의 행위가 노인학대에 해당되지 않음을 확실하게 소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도움말: 법무법인(유한)대륜 김근수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beyondpost.co.kr/view.php?ud=202209291245212296cf2d78c68_30
뉴스핌
2022-09-28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 두 번째 특위로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 특위 출범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 두 번째 특위로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 특위 출범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26일 여의도 이름센터에서 두 번째 특위인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위를 출범했다.특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장애인 맞춤형 통합지원을 통한 차별 없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시내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의무교체 등 장애인 이동권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동편의 보장은 지역사회 자립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애인 상당수가 교통수단 이용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이같은 필요성에 따라 국민통합위원회는 이날 두 번째 특별위원회인 &apos;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apos;를 출범했다.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는 총 10명으로 방문석 사회·문화분과위원을 특위위원장으로 했고, 장애인 이동편의 분야의 전문성·현장 경험을 갖춘 각계 전문가 및 사회활동가, 장애인의 의견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 단체를 중심으로 구성했다.위원은 공마리아 대구대 재활심리학과 교수, 양영희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부회장, 오지영 서울시립뇌성마비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 이연주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사무총장, 이찬우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정책위원장, 최보윤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 한지아 WHO 본부 건강노화 컨소시엄 전문위원, 홍윤희 협동조합 &apos;무의&apos; 이사장, 홍현근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사무총장이었다.이후 특위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정책 수요자의 시각에서 문제점과 해법을 재점검하고, 장애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 겪고 있는 이동상 어려움을 세심히 살필 예정이다.특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지역 내·지역 간 교통망의 연계뿐만 아니라, 지역 간 이동편의 격차 완화, 맞춤형 정보 제공 등 끊김 없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겠다"라며 "교통수단, 여객시설 등 물리적인 인프라 확충뿐만 아니라, 이 인프라가 활용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장애 친화적인 문화 확산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마지막으로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과 관련된 정부 중장기 계획이 잘 이행되도록 부처 간 연계 등 특위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찾겠다는 입장도 밝혔다.기사본문보기-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926000294
뉴스핌
2022-09-28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 두 번째 특위로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 특위 출범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 두 번째 특위로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 특위 출범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26일 여의도 이름센터에서 두 번째 특위인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위를 출범했다.특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장애인 맞춤형 통합지원을 통한 차별 없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시내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의무교체 등 장애인 이동권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동편의 보장은 지역사회 자립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애인 상당수가 교통수단 이용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이같은 필요성에 따라 국민통합위원회는 이날 두 번째 특별위원회인 &apos;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apos;를 출범했다.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는 총 10명으로 방문석 사회·문화분과위원을 특위위원장으로 했고, 장애인 이동편의 분야의 전문성·현장 경험을 갖춘 각계 전문가 및 사회활동가, 장애인의 의견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 단체를 중심으로 구성했다.위원은 공마리아 대구대 재활심리학과 교수, 양영희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부회장, 오지영 서울시립뇌성마비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 이연주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사무총장, 이찬우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정책위원장, 최보윤 법무법인(유한) 대륜 변호사, 한지아 WHO 본부 건강노화 컨소시엄 전문위원, 홍윤희 협동조합 &apos;무의&apos; 이사장, 홍현근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사무총장이었다.이후 특위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정책 수요자의 시각에서 문제점과 해법을 재점검하고, 장애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 겪고 있는 이동상 어려움을 세심히 살필 예정이다.특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지역 내·지역 간 교통망의 연계뿐만 아니라, 지역 간 이동편의 격차 완화, 맞춤형 정보 제공 등 끊김 없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겠다"라며 "교통수단, 여객시설 등 물리적인 인프라 확충뿐만 아니라, 이 인프라가 활용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장애 친화적인 문화 확산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마지막으로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과 관련된 정부 중장기 계획이 잘 이행되도록 부처 간 연계 등 특위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찾겠다는 입장도 밝혔다.기사본문보기-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926000294
전민일보
2022-09-27
[칼럼] 보이스피싱 범죄, 현금수거책으로 연루 시 법률 자문 구해야
[칼럼] 보이스피싱 범죄, 현금수거책으로 연루 시 법률 자문 구해야
최근 보이스피싱 조직인줄 모르고 현금수거책으로 연루되었던 50대 A씨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는 원심에서 1년 6개월을 선고받았으나, 보이스피싱 조직임을 알고도 범행에 가담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항소심 재판부의 판단으로 무죄 판결이 내려졌다.최근 고액 아르바이트나 대부업체 일인 줄 알고 업무에 투입되었다가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 역할에 연루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경기 악화 속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 사회 초년생, 주부 등을 대상으로 노리는 악질적인 보이스피싱 범죄가 시승을 부리는 탓이다.형법상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하여 사기죄 혐의를 받게 되면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나 보이스피싱 범죄의 경우 단순 가담자는 물론 미수범까지도 처벌할 수 있다. 따라서 꼬임에 넘어가 범죄인줄도 모르고 인출책이나 수거책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면 사기방조 내지는 사기 혐의가 적용된다.범죄 행각을 지휘한 주동자가 아니라 전체 사건 내용 중 일부 역할에 가담한 것만으로도 사기 방조죄 혐의를 받아 보이스피싱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따라서 억울하게 보이스피싱으로 사기죄 혐의를 받게 되면 용돈을 벌기 위해 일했을 뿐이라고 항변만 할 것이 아니라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범행에 이용당한 것일 뿐 불법이라는 점을 전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을 하였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단, 자신이 하는 일이 보이스피싱 범죄라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 하더라도 미필적 고의만 인정되면 사기방조죄가 성립할 수 있으므로 해당 부분에 주의해 변론해야 한다.서민들을 곤경에 빠트리는 악질 범죄인 보이스피싱은 수단과 방법이 갈수록 더 교묘해지면서 진화하고 있다. 어렵게 사는 서민들을 범행의 도구로 이용해 전혀 무관했던 선량한 사람을 한순간에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전락시키고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부장검사출신 김인원 변호사는 "보이스피싱인 줄 몰랐어도 이를 구체적으로 입증하지 못하면 처벌을 받는 안타까운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면서 “가능한 사건 초기부터 검사출신변호사 상담을 받아본 후 무죄를 입증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헤볼 것을 권해드린다”고 조언했다.도움말 :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인원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4200
전민일보
2022-09-27
[칼럼] 보이스피싱 범죄, 현금수거책으로 연루 시 법률 자문 구해야
[칼럼] 보이스피싱 범죄, 현금수거책으로 연루 시 법률 자문 구해야
최근 보이스피싱 조직인줄 모르고 현금수거책으로 연루되었던 50대 A씨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는 원심에서 1년 6개월을 선고받았으나, 보이스피싱 조직임을 알고도 범행에 가담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항소심 재판부의 판단으로 무죄 판결이 내려졌다.최근 고액 아르바이트나 대부업체 일인 줄 알고 업무에 투입되었다가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 역할에 연루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경기 악화 속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 사회 초년생, 주부 등을 대상으로 노리는 악질적인 보이스피싱 범죄가 시승을 부리는 탓이다.형법상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하여 사기죄 혐의를 받게 되면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나 보이스피싱 범죄의 경우 단순 가담자는 물론 미수범까지도 처벌할 수 있다. 따라서 꼬임에 넘어가 범죄인줄도 모르고 인출책이나 수거책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면 사기방조 내지는 사기 혐의가 적용된다.범죄 행각을 지휘한 주동자가 아니라 전체 사건 내용 중 일부 역할에 가담한 것만으로도 사기 방조죄 혐의를 받아 보이스피싱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따라서 억울하게 보이스피싱으로 사기죄 혐의를 받게 되면 용돈을 벌기 위해 일했을 뿐이라고 항변만 할 것이 아니라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범행에 이용당한 것일 뿐 불법이라는 점을 전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을 하였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단, 자신이 하는 일이 보이스피싱 범죄라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 하더라도 미필적 고의만 인정되면 사기방조죄가 성립할 수 있으므로 해당 부분에 주의해 변론해야 한다.서민들을 곤경에 빠트리는 악질 범죄인 보이스피싱은 수단과 방법이 갈수록 더 교묘해지면서 진화하고 있다. 어렵게 사는 서민들을 범행의 도구로 이용해 전혀 무관했던 선량한 사람을 한순간에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전락시키고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부장검사출신 김인원 변호사는 "보이스피싱인 줄 몰랐어도 이를 구체적으로 입증하지 못하면 처벌을 받는 안타까운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면서 “가능한 사건 초기부터 검사출신변호사 상담을 받아본 후 무죄를 입증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헤볼 것을 권해드린다”고 조언했다.도움말 : 법무법인(유한) 대륜 김인원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4200
시사매거진
2022-09-20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상속받았어도 부족하면 진행할 수 있어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상속받았어도 부족하면 진행할 수 있어
국세청이 공개한 지난해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직계존비속 사이 증여 신고는 15만 5,638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공동상속인 간 재산 분배에 관해 법적인 갈등을 겪는 사례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대법원 사법연감을 살펴보면 상속 관련 소송은 5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만약 지나지게 불공정한 재산 분할이 이뤄졌다면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진행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유류분이란 상속재산 중에서 상속을 받은 사람이 마음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일정한 상속인을 위해 법률상 반드시 남겨둬야 할 일정 부분이다.민법에서 정한 유류분은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은 법정상속분의 1/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은 법정상속분의 1/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는 법정상속분의 1/3이며, 혼인신고를 마친 법률혼 배우자의 유류분도 법정상속분의 1/2에 해당한다.유류분에는 상속재산분할을 통해 받은 재산 외에도 상속개시 이전 1년간 행한 증여 및 1년이 지났다 해도 특별수익에 해당하는 증여도 포함된다. 소송을 진행하기 전에는 유류분 산정의 범위 및 소멸시효를 상세히 확인한 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박용두 변호사는 “이미 상속을 받았어도 유류분에 못 미친다면 부족한 유류분에 대한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며 “다만 상속 소송은 시효에 엄격해서 소멸 시효가 끝난 후 소송을 제기하면 기각될 가능성이 높아서 유류분의 존재를 알게 된 즉시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유증이나 수증이 아닌 부정한 방식의 상속재산분할이 이뤄졌다면 유류분이 아닌 법정상속분 전체를 돌려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해 재산상의 손해를 입지 않도록 상속전문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가능한 많은 권리를 되찾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한다.기사본문보기-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4436
시사매거진
2022-09-20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상속받았어도 부족하면 진행할 수 있어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상속받았어도 부족하면 진행할 수 있어
국세청이 공개한 지난해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직계존비속 사이 증여 신고는 15만 5,638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공동상속인 간 재산 분배에 관해 법적인 갈등을 겪는 사례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대법원 사법연감을 살펴보면 상속 관련 소송은 5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만약 지나지게 불공정한 재산 분할이 이뤄졌다면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진행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유류분이란 상속재산 중에서 상속을 받은 사람이 마음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일정한 상속인을 위해 법률상 반드시 남겨둬야 할 일정 부분이다.민법에서 정한 유류분은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은 법정상속분의 1/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은 법정상속분의 1/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는 법정상속분의 1/3이며, 혼인신고를 마친 법률혼 배우자의 유류분도 법정상속분의 1/2에 해당한다.유류분에는 상속재산분할을 통해 받은 재산 외에도 상속개시 이전 1년간 행한 증여 및 1년이 지났다 해도 특별수익에 해당하는 증여도 포함된다. 소송을 진행하기 전에는 유류분 산정의 범위 및 소멸시효를 상세히 확인한 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박용두 변호사는 “이미 상속을 받았어도 유류분에 못 미친다면 부족한 유류분에 대한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며 “다만 상속 소송은 시효에 엄격해서 소멸 시효가 끝난 후 소송을 제기하면 기각될 가능성이 높아서 유류분의 존재를 알게 된 즉시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유증이나 수증이 아닌 부정한 방식의 상속재산분할이 이뤄졌다면 유류분이 아닌 법정상속분 전체를 돌려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해 재산상의 손해를 입지 않도록 상속전문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가능한 많은 권리를 되찾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한다.기사본문보기-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4436
베이비뉴스
2022-09-15
법무법인 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전 부장검사 김영흠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전 부장검사 김영흠 변호사 영입
김영흠 변호사 "성범죄 등 강력범죄와 재산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 실전 노하우 축적... 최선의 결과 도출할 것"법무법인 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에서 전 서울서부지검 부장검사 출신 김영흠 대표변호사(사진·사법연수원 14기)를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김 변호사는 서울남부지검 검사로 임관해 서울서부지검 부장검사, 의정부지검 부장검사, 전주지검 부장검사, 대전지검 홍성지청 부장검사, 광주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하고 부산경찰청 수사이의심사위원회 위원장, 부산광역시 고문변호사, 부산지방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등 다양한 경력와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검경 수사권 조정이 이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수사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특수수사 경험을 갖춘 김영흠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히며 “의뢰인들이 전국 어디에서나 본사와 동일한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달 개소한 부천사무소를 비롯한 24개 지소 연계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덧붙였다.김영흠 변호사는 “성범죄, 재산범죄, 강력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에 수십년간 실전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언제나 의뢰인과 깊이 소통하고 공감하며 최선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조력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794
베이비뉴스
2022-09-15
법무법인 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전 부장검사 김영흠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 전 부장검사 김영흠 변호사 영입
김영흠 변호사 "성범죄 등 강력범죄와 재산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 실전 노하우 축적... 최선의 결과 도출할 것"법무법인 대륜 형사·성범죄전문센터에서 전 서울서부지검 부장검사 출신 김영흠 대표변호사(사진·사법연수원 14기)를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김 변호사는 서울남부지검 검사로 임관해 서울서부지검 부장검사, 의정부지검 부장검사, 전주지검 부장검사, 대전지검 홍성지청 부장검사, 광주지검 부장검사 등을 역임하고 부산경찰청 수사이의심사위원회 위원장, 부산광역시 고문변호사, 부산지방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등 다양한 경력와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검경 수사권 조정이 이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수사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특수수사 경험을 갖춘 김영흠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히며 “의뢰인들이 전국 어디에서나 본사와 동일한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달 개소한 부천사무소를 비롯한 24개 지소 연계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덧붙였다.김영흠 변호사는 “성범죄, 재산범죄, 강력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에 수십년간 실전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언제나 의뢰인과 깊이 소통하고 공감하며 최선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조력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794
로이슈
2022-09-07
'황혼이혼 재산분할’ 노후를 위해 퇴직금, 연금까지 고려해야
'황혼이혼 재산분할’ 노후를 위해 퇴직금, 연금까지 고려해야
최근 자녀를 모두 성장시킨 뒤 황혼기를 앞두고 오랜 결혼 생활에 마침표를 찍는 부부가 늘고 있다. 결혼 기간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을 황혼이혼이라고 하는데, 그 비중이 꾸준히 늘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이혼의 38.7%에 달할 정도로 증가했다. 이혼한 부부 10쌍 중 4쌍이 황혼 이혼이었다는 얘기다.시대적 변화 속에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높아지고, 기대 수명도 늘어난 데다 이혼을 자연스러운 개인의 선택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도 한 몫 하면서 황혼이혼이 증가하게 되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대체로 황혼이혼으로 이어지는 케이스들을 살펴보면 아내는 남편의 일방적인 간섭과 잔소리 그리고 통제를 참다가 폭발해 이혼을 결심하는 경우가 많고, 남편은 아내의 잔소리나 경제적 요구가 싫어 자유를 택하겠다는 경우가 적지 않다.일반 젊은 부부의 이혼에서 위자료나 양육권, 양육비가 쟁점이라면 황혼이혼에서는 재산 분할이 가장 큰 쟁점이다. 분할 대상이 되는 자산은 원칙적으로 혼인 중 부부가 협력해 공동으로 축적해온 모든 재산이다.예금, 적금, 부동산, 주식 등은 물론이고 재산, 퇴직금이나 연금 등 장래 수입도 포함된다. 단, 혼인 전부터 배우자가 소유하고 있었거나 상속 또는 증여 받은 ‘특유재산’은 원칙상 분할 대상에서 제외된다.분할 비율을 정하는 기준은 재산 증식 및 유지에 기여한 정도를 가지고 판단하므로 직업이나 경제 활동이 없던 주부라도 그 재산의 유지 및 증식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가사노동과 육아를 전담하면서 상대 배우자를 내조했다면 절반은 자신의 몫이 된다.황혼이혼 시 재산분할은 그 결과에 따라 노후의 삶의 질이 결정되므로 첨예하게 대립할 수밖에 없는 문제이며, 나이가 들수록 사람에게 재산은 곧 생계 자체 또는 경제적인 자립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재산분할은 기여도는 혼인기간, 특유재산의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당한 몫을 인정받기 위해선 황혼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얻어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직권 또는 신청에 의해 당사자 명의의 재산 조회나 추적하는 등 법적인 증거방법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도움말: 법무법인(유한)대륜 최이선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lawissue.co.kr/view.php?ud=2022090711530421426cf2d78c68_12
로이슈
2022-09-07
'황혼이혼 재산분할’ 노후를 위해 퇴직금, 연금까지 고려해야
'황혼이혼 재산분할’ 노후를 위해 퇴직금, 연금까지 고려해야
최근 자녀를 모두 성장시킨 뒤 황혼기를 앞두고 오랜 결혼 생활에 마침표를 찍는 부부가 늘고 있다. 결혼 기간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을 황혼이혼이라고 하는데, 그 비중이 꾸준히 늘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이혼의 38.7%에 달할 정도로 증가했다. 이혼한 부부 10쌍 중 4쌍이 황혼 이혼이었다는 얘기다.시대적 변화 속에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높아지고, 기대 수명도 늘어난 데다 이혼을 자연스러운 개인의 선택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도 한 몫 하면서 황혼이혼이 증가하게 되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대체로 황혼이혼으로 이어지는 케이스들을 살펴보면 아내는 남편의 일방적인 간섭과 잔소리 그리고 통제를 참다가 폭발해 이혼을 결심하는 경우가 많고, 남편은 아내의 잔소리나 경제적 요구가 싫어 자유를 택하겠다는 경우가 적지 않다.일반 젊은 부부의 이혼에서 위자료나 양육권, 양육비가 쟁점이라면 황혼이혼에서는 재산 분할이 가장 큰 쟁점이다. 분할 대상이 되는 자산은 원칙적으로 혼인 중 부부가 협력해 공동으로 축적해온 모든 재산이다.예금, 적금, 부동산, 주식 등은 물론이고 재산, 퇴직금이나 연금 등 장래 수입도 포함된다. 단, 혼인 전부터 배우자가 소유하고 있었거나 상속 또는 증여 받은 ‘특유재산’은 원칙상 분할 대상에서 제외된다.분할 비율을 정하는 기준은 재산 증식 및 유지에 기여한 정도를 가지고 판단하므로 직업이나 경제 활동이 없던 주부라도 그 재산의 유지 및 증식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가사노동과 육아를 전담하면서 상대 배우자를 내조했다면 절반은 자신의 몫이 된다.황혼이혼 시 재산분할은 그 결과에 따라 노후의 삶의 질이 결정되므로 첨예하게 대립할 수밖에 없는 문제이며, 나이가 들수록 사람에게 재산은 곧 생계 자체 또는 경제적인 자립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재산분할은 기여도는 혼인기간, 특유재산의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당한 몫을 인정받기 위해선 황혼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얻어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직권 또는 신청에 의해 당사자 명의의 재산 조회나 추적하는 등 법적인 증거방법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도움말: 법무법인(유한)대륜 최이선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lawissue.co.kr/view.php?ud=2022090711530421426cf2d78c68_12
비욘드포스트
2022-08-29
대면수업 재개 후 학폭위 다시 증가, 폭행 없어도 학교폭력처벌대상
대면수업 재개 후 학폭위 다시 증가, 폭행 없어도 학교폭력처벌대상
코로나로 인해 지난해 학교폭력 건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으나, 대면 수업 등교 재개 이후 최근 다시 학교폭력 사건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학교폭력은 단순히 어린 학생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사건사고 정도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큰 오산이다.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의 신체와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직접적인 폭행을 가하지 않아도 언어폭력이나 은근한 따돌림 등도 포함된다.학교폭력의 형태는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유인, 명예훼손, 모욕, 공갈, 강요,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폭력 정보 유포 등 매우 다양하다.그 중에서도 언어폭력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실제로 가장 최근에 교육부가 발표한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apos;언어폭력&apos;이 4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폭력유형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학교폭력 사건은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가해자의 경우 생기부 기재, 유명인 학투 등으로 장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므로 신중하게 다뤄져야 한다.그러나 심의 접수된 사건 중 절반 이상이 학교장 자체 해결이 가능한 상황임에도 부모들이 자체 해결에 동의하지 않아 학폭위가 열리고 있으며, 학교폭력 인정 범위는 점차 넓어지고 처분수위는 무거워지고 있는 상황이다.실제로 학교폭력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강한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 때문에 비폭행 언어폭력 사건에도 조치가 내려지는 편이다. 또한 학폭위 결과가 정해진 후 재심을 청구해도 인용률이 낮으므로 초동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더군다나 만14세 이상은 형사처벌 대상이라 형사고소까지 가능하니 가급적 학교폭력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학폭위에 대리인 자격으로 참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도움말: 법무법인(유한)대륜 학교폭력전문변호사 고병준기사본문보기-http://beyondpost.co.kr/view.php?ud=2022082915210983456cf2d78c68_30
비욘드포스트
2022-08-29
대면수업 재개 후 학폭위 다시 증가, 폭행 없어도 학교폭력처벌대상
대면수업 재개 후 학폭위 다시 증가, 폭행 없어도 학교폭력처벌대상
코로나로 인해 지난해 학교폭력 건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으나, 대면 수업 등교 재개 이후 최근 다시 학교폭력 사건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학교폭력은 단순히 어린 학생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사건사고 정도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큰 오산이다.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의 신체와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직접적인 폭행을 가하지 않아도 언어폭력이나 은근한 따돌림 등도 포함된다.학교폭력의 형태는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유인, 명예훼손, 모욕, 공갈, 강요,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폭력 정보 유포 등 매우 다양하다.그 중에서도 언어폭력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실제로 가장 최근에 교육부가 발표한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apos;언어폭력&apos;이 4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폭력유형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학교폭력 사건은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가해자의 경우 생기부 기재, 유명인 학투 등으로 장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므로 신중하게 다뤄져야 한다.그러나 심의 접수된 사건 중 절반 이상이 학교장 자체 해결이 가능한 상황임에도 부모들이 자체 해결에 동의하지 않아 학폭위가 열리고 있으며, 학교폭력 인정 범위는 점차 넓어지고 처분수위는 무거워지고 있는 상황이다.실제로 학교폭력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강한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 때문에 비폭행 언어폭력 사건에도 조치가 내려지는 편이다. 또한 학폭위 결과가 정해진 후 재심을 청구해도 인용률이 낮으므로 초동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더군다나 만14세 이상은 형사처벌 대상이라 형사고소까지 가능하니 가급적 학교폭력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구해 학폭위에 대리인 자격으로 참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도움말: 법무법인(유한)대륜 학교폭력전문변호사 고병준기사본문보기-http://beyondpost.co.kr/view.php?ud=2022082915210983456cf2d78c68_30
전민일보
2022-08-23
법무법인대륜, 부천서 24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대륜, 부천서 24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내달 초 부천에서 24번째 지점을 개소한다고 밝혔다.대륜은 전국적으로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로펌이다. 형사전문센터, 성범죄전문센터, 학교폭력전문센터, 기업법무전문센터 등 각 분야별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합류한 정재봉 대표변호사를 비롯하여 다수의 전관변호사 및 전문변호사들이 소속되어 있다.이번에 새롭게 개소하는 부천로펌에서도 유기적 협업 시스템을 적용하여 본사와 동일하게 전문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전체 구성원 중 의뢰인의 사건에 적합한 전문가 3인 이상이 전담팀을 이뤄 하나의 사건을 처리하기에, 어느 지점을 방문하든 의뢰인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 전략을 신속하게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기존에는 부천지역 주민들이 인천사무소에 방문하였으나, 이번 개소를 통해 접근성 및 이용편의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들의 법률적 문제로 인한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2015
전민일보
2022-08-23
법무법인대륜, 부천서 24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대륜, 부천서 24번째 로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내달 초 부천에서 24번째 지점을 개소한다고 밝혔다.대륜은 전국적으로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로펌이다. 형사전문센터, 성범죄전문센터, 학교폭력전문센터, 기업법무전문센터 등 각 분야별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합류한 정재봉 대표변호사를 비롯하여 다수의 전관변호사 및 전문변호사들이 소속되어 있다.이번에 새롭게 개소하는 부천로펌에서도 유기적 협업 시스템을 적용하여 본사와 동일하게 전문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전체 구성원 중 의뢰인의 사건에 적합한 전문가 3인 이상이 전담팀을 이뤄 하나의 사건을 처리하기에, 어느 지점을 방문하든 의뢰인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 전략을 신속하게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기존에는 부천지역 주민들이 인천사무소에 방문하였으나, 이번 개소를 통해 접근성 및 이용편의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들의 법률적 문제로 인한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2015
전민일보
2022-08-17
[칼럼] 음주운전처벌, 2회 적발시에도 실형 피할 수 있을까?
[칼럼] 음주운전처벌, 2회 적발시에도 실형 피할 수 있을까?
음주운전은 일상에서 쉽게 저지르기 쉬운 잘못이다. 스스로 술에 취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여 운전대를 잡는 경우가 많고, 술에 취한 상태에서 판단력이 흐려져 호기롭게 운전에 나섰다가 적발되는 경우가 상당하다.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인 경우 운전이 금지된다. 주취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판단능력과 운동능력이 떨어져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통사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음주운전은 12대 중과실 중 하나로 보험 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징역 및 벌금형 등의 형사처분 대상이 된다. 형사적 책임 외에도 사고 발생 시, 운전자는 보험료 인상과 자기부담금 부과 등 민사적 책임을 비롯해 벌점 부과 및 운전면허 정지와 취소와 같은 행정적 책임을 모두 지게 된다.특히 음주운전으로 한 번 적발된 전력이 있는데, 또 다시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면 가중 처벌이 되어 실형을 피하기 어렵다. 윤창호법이라 불리는 음주운전자에 대한 처벌 중 2회 이상 가중처벌에 대한 내용이 위헌 결정이 났지만, 양형위원회에서 정한 양형기준을 살펴보면 여전히 누범에게 가중인자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실제로 과거에 음주운전 적발로 처벌을 받았던 한 의뢰인은 도로 약 100m 구간에서 혈중알코올 농도 0.169%의 술에 취한 상태로 자신의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적발되었고, 이미 과거에 음주운전으로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기에 실형 위기에 처한 적이 있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4조 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행위이다.의뢰인이 이 사건 범행을 인정하며 반성하고 있는 점, 의뢰인이 이 사건 음주운전으로 교통사고 등 추가 피해를 발생시키지 아니한 점, 그 밖에 음주운전에 이르게 된 경위, 의뢰인의 당시 혈중알코올 농도 수치, 음주운전 거리, 연령, 성행, 환경, 범행의 동기, 범행 후의 정황 등을 참작하여 주길 간곡히 호소하여 2회 적발에도 불구하고 실형을 면하게 됐다.재판부는 이러한 양형 사유의 내용을 받아들여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의 판결을 내렸다. 또 40시간의 준법운전강의 수강을 명했다. 음주운전 전력이 있어 실형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집행유예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이처럼 음주운전 전력으로 인해 가중처벌의 위기에 처한 상황이라면 혼자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수사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함께 대응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글 : 법무법인 대륜 정찬우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1551
전민일보
2022-08-17
[칼럼] 음주운전처벌, 2회 적발시에도 실형 피할 수 있을까?
[칼럼] 음주운전처벌, 2회 적발시에도 실형 피할 수 있을까?
음주운전은 일상에서 쉽게 저지르기 쉬운 잘못이다. 스스로 술에 취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여 운전대를 잡는 경우가 많고, 술에 취한 상태에서 판단력이 흐려져 호기롭게 운전에 나섰다가 적발되는 경우가 상당하다.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인 경우 운전이 금지된다. 주취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판단능력과 운동능력이 떨어져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통사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음주운전은 12대 중과실 중 하나로 보험 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징역 및 벌금형 등의 형사처분 대상이 된다. 형사적 책임 외에도 사고 발생 시, 운전자는 보험료 인상과 자기부담금 부과 등 민사적 책임을 비롯해 벌점 부과 및 운전면허 정지와 취소와 같은 행정적 책임을 모두 지게 된다.특히 음주운전으로 한 번 적발된 전력이 있는데, 또 다시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면 가중 처벌이 되어 실형을 피하기 어렵다. 윤창호법이라 불리는 음주운전자에 대한 처벌 중 2회 이상 가중처벌에 대한 내용이 위헌 결정이 났지만, 양형위원회에서 정한 양형기준을 살펴보면 여전히 누범에게 가중인자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실제로 과거에 음주운전 적발로 처벌을 받았던 한 의뢰인은 도로 약 100m 구간에서 혈중알코올 농도 0.169%의 술에 취한 상태로 자신의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적발되었고, 이미 과거에 음주운전으로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기에 실형 위기에 처한 적이 있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4조 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행위이다.의뢰인이 이 사건 범행을 인정하며 반성하고 있는 점, 의뢰인이 이 사건 음주운전으로 교통사고 등 추가 피해를 발생시키지 아니한 점, 그 밖에 음주운전에 이르게 된 경위, 의뢰인의 당시 혈중알코올 농도 수치, 음주운전 거리, 연령, 성행, 환경, 범행의 동기, 범행 후의 정황 등을 참작하여 주길 간곡히 호소하여 2회 적발에도 불구하고 실형을 면하게 됐다.재판부는 이러한 양형 사유의 내용을 받아들여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의 판결을 내렸다. 또 40시간의 준법운전강의 수강을 명했다. 음주운전 전력이 있어 실형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집행유예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이처럼 음주운전 전력으로 인해 가중처벌의 위기에 처한 상황이라면 혼자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수사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함께 대응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글 : 법무법인 대륜 정찬우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1551
미디어파인
2022-08-10
이혼소송으로 인한 재산분할, 주의할 점은? [이현지 변호사 칼럼]
이혼소송으로 인한 재산분할, 주의할 점은? [이현지 변호사 칼럼]
[미디어파인 시사칼럼]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 건수는 10만2,000건으로 집계됐다. 혼인지속기간별로 이혼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혼인지속기간 04년의 이혼율은 18.8%, 30년 이상 17.6%, 59년까지는 17.1% 순으로 많았다. 혼인지속기간이 30년 이상인 이혼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그중에서도 협의이혼은 8만6,000건, 재판이혼은 2만8,000건이다. 이는 소송을 통한 이혼도 결코 무시할 수 없을 수준으로 많다는 것을 뜻하는데, 이는 재산분할 등 중요 부분에서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이혼소송에서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바로 재산분할이다. 부부는 결혼 생활 당시 공동으로 모은 자금을 비롯해 부동산 등의 재산을 갖게 된다. 이러한 재산에 대한 분할을 재산분할이라고 하며, 이혼 후에는 부부 일방이 다른 일방에게 공동으로 모은 재산에 대한 분할을 청구할 수 있는 재산분할청구권을 지니게 된다.재산분할은 혼인 중 쌍방의 협력으로 형성된 공동재산의 청산이라는 점에서, 이혼의 책임 여부와 관계없이 부부 일방이 상대방에게 청구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법원에서는 사실혼이 파기된 경우 사실혼 관계에 있던 배우자, 혼인이 취소된 경우 부부 관계에 있던 배우자의 재산분할청구도 인정하고 있다.다만 재산분할청구권은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이 법령으로 정해져 있다. 이혼한 날부터 2년을 경과하면 재산분할청구권이 소멸하게 되며, 재판상 이혼을 하는 경우에는 재산분할청구를 이혼청구와 함께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행사기간이 경과할 우려가 거의 없는 편이다.문제는 재산분할을 해주겠다는 말만 듣고 협의이혼을 하게 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한 의뢰인은 남편으로부터 &apos;재판을 하면 돈과 비용이 더 들 거다. 내가 재산분할에 협조할 테니 협의이혼을 하자&apos;라는 말을 듣고 재산에 대한 문제를 정하지 않은 채 이혼을 했다. 그러나 남편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의뢰인의 연락을 피했고, 결국 재산분할청구권을 행사하게 됐다.재산분할 대상 재산은 예금과 적금, 부동산, 퇴직금, 연금 등이 모두 포함된다. 재산 기여도는 결혼 후 재산을 증식, 유지하는데 어느 정도 일조했는지에 따라 판단되기 때문에 많은 기여도를 인정받을수록 재산분할청구소송에서 유리하다.이에 성공적인 재산분할을 위해서는 이혼전문변호사의 자문을 받아 자신의 기여도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위의 사례처럼 재산분할을 믿고 협의이혼하였으나 상대방이 협의내용을 지키지 않는 경우, 또 다시 재산분할청구소송이 필요하다면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현지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09
미디어파인
2022-08-10
이혼소송으로 인한 재산분할, 주의할 점은? [이현지 변호사 칼럼]
이혼소송으로 인한 재산분할, 주의할 점은? [이현지 변호사 칼럼]
[미디어파인 시사칼럼]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 건수는 10만2,000건으로 집계됐다. 혼인지속기간별로 이혼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혼인지속기간 04년의 이혼율은 18.8%, 30년 이상 17.6%, 59년까지는 17.1% 순으로 많았다. 혼인지속기간이 30년 이상인 이혼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그중에서도 협의이혼은 8만6,000건, 재판이혼은 2만8,000건이다. 이는 소송을 통한 이혼도 결코 무시할 수 없을 수준으로 많다는 것을 뜻하는데, 이는 재산분할 등 중요 부분에서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이혼소송에서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바로 재산분할이다. 부부는 결혼 생활 당시 공동으로 모은 자금을 비롯해 부동산 등의 재산을 갖게 된다. 이러한 재산에 대한 분할을 재산분할이라고 하며, 이혼 후에는 부부 일방이 다른 일방에게 공동으로 모은 재산에 대한 분할을 청구할 수 있는 재산분할청구권을 지니게 된다.재산분할은 혼인 중 쌍방의 협력으로 형성된 공동재산의 청산이라는 점에서, 이혼의 책임 여부와 관계없이 부부 일방이 상대방에게 청구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법원에서는 사실혼이 파기된 경우 사실혼 관계에 있던 배우자, 혼인이 취소된 경우 부부 관계에 있던 배우자의 재산분할청구도 인정하고 있다.다만 재산분할청구권은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이 법령으로 정해져 있다. 이혼한 날부터 2년을 경과하면 재산분할청구권이 소멸하게 되며, 재판상 이혼을 하는 경우에는 재산분할청구를 이혼청구와 함께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행사기간이 경과할 우려가 거의 없는 편이다.문제는 재산분할을 해주겠다는 말만 듣고 협의이혼을 하게 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한 의뢰인은 남편으로부터 &apos;재판을 하면 돈과 비용이 더 들 거다. 내가 재산분할에 협조할 테니 협의이혼을 하자&apos;라는 말을 듣고 재산에 대한 문제를 정하지 않은 채 이혼을 했다. 그러나 남편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의뢰인의 연락을 피했고, 결국 재산분할청구권을 행사하게 됐다.재산분할 대상 재산은 예금과 적금, 부동산, 퇴직금, 연금 등이 모두 포함된다. 재산 기여도는 결혼 후 재산을 증식, 유지하는데 어느 정도 일조했는지에 따라 판단되기 때문에 많은 기여도를 인정받을수록 재산분할청구소송에서 유리하다.이에 성공적인 재산분할을 위해서는 이혼전문변호사의 자문을 받아 자신의 기여도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위의 사례처럼 재산분할을 믿고 협의이혼하였으나 상대방이 협의내용을 지키지 않는 경우, 또 다시 재산분할청구소송이 필요하다면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이현지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09
조세일보
2022-08-09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정재봉 대표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정재봉 대표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전 의정부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출신 정재봉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8일 밝혔다.정 대표변호사는 서울지방검찰청 의정부지청 검사로 임관해 의정부지방검찰청 형사3부장검사, 부산지방검찰청 형사4부장검사, 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 1부장검사,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형사3부장검사 등을 역임하며 형사 분야(성범죄) 전문성을 갖췄다.법무법인 대륜은 "수사 단계의 전문성 있는 대응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전관 출신, 부장검사 출신을 꾸준히 영입했고 형사전담센터와 그 외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까지 높이기 위해 정 대표변호사 영입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정 대표변호사는 "형사, 성범죄, 재산범죄,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법률 지식과 실전에서 축적해온 노하우로 형사전담센터에서 제공하는 법률서비스를 한층 강화해 제공할 수 있는 조력자가 되겠다"고 말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8/20220808462784.html
조세일보
2022-08-09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정재봉 대표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정재봉 대표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전 의정부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출신 정재봉 대표변호사를 영입했다고 8일 밝혔다.정 대표변호사는 서울지방검찰청 의정부지청 검사로 임관해 의정부지방검찰청 형사3부장검사, 부산지방검찰청 형사4부장검사, 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 1부장검사,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형사3부장검사 등을 역임하며 형사 분야(성범죄) 전문성을 갖췄다.법무법인 대륜은 "수사 단계의 전문성 있는 대응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전관 출신, 부장검사 출신을 꾸준히 영입했고 형사전담센터와 그 외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까지 높이기 위해 정 대표변호사 영입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정 대표변호사는 "형사, 성범죄, 재산범죄,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법률 지식과 실전에서 축적해온 노하우로 형사전담센터에서 제공하는 법률서비스를 한층 강화해 제공할 수 있는 조력자가 되겠다"고 말했다.기사본문보기-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8/20220808462784.html
베이비뉴스
2022-08-04
매년 꾸준히 아동학대 피해 증가… 형사처벌 강화
매년 꾸준히 아동학대 피해 증가… 형사처벌 강화
아동학대 범죄 양형 기준 대폭 상향... 지난 6월부터 적용아동학대 피해 건수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1만 1715건이던 아동학대 발생 건수는 2017년 2만 2367건으로, 2019년 3만 49건으로 크게 늘었다. 2019년 기준으로만 봐도 하루에 80명이 넘는 아동들이 폭력 피해를 본 것이다.2019년 발생한 아동학대 3만여 건 가운데 학대행위자의 75.6%(2만 2700건)는 부모로 나타났다. 대리양육자, 친인척 순으로 뒤를 이었으며, 가족이 아닌 타인인 경우는 2.2%(663건)에 그쳤다. 이처럼 아동학대는 가족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가해자와 피해자가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더 큰 피해로 이어진다.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재택근무와 비대면 수업이 자리를 잡으면서 가족이 집 안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에 아동 학대 발생률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이처럼 아동학대에 대한 꾸준한 사회적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아동학대 처벌 기준이 대폭 강화됐다. 지난 3월 대법원 양형위원회가 아동학대 범죄의 양형 기준을 대폭 상향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최종 의결했으며, 이 수정안은 지난 6월부터 적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에 따르면 아동학대처벌법상 아동학대치사의 양형 기준이 강화됐는데, 기존 양형 기준인 기본 47년을 48년으로 상한선으로 올렸다. 죄질이 나쁠 때 적용하는 가중 영역은 610년에서 715년으로 상향했다. 또 기존 양형 기준에 없었던 아동학대처벌법상 아동학대살해, 아동복지법상 아동성적학대, 아동매매의 징역형 권고 범위도 신설됐다”고 전했다.심재국 변호사는 “검사가 경미한 사건이라고 판단해 형벌 대신 보호 처분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사건을 가정법원으로 넘겨 아동보호사건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아동학대 사건에 연루되었다면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892
베이비뉴스
2022-08-04
매년 꾸준히 아동학대 피해 증가… 형사처벌 강화
매년 꾸준히 아동학대 피해 증가… 형사처벌 강화
아동학대 범죄 양형 기준 대폭 상향... 지난 6월부터 적용아동학대 피해 건수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1만 1715건이던 아동학대 발생 건수는 2017년 2만 2367건으로, 2019년 3만 49건으로 크게 늘었다. 2019년 기준으로만 봐도 하루에 80명이 넘는 아동들이 폭력 피해를 본 것이다.2019년 발생한 아동학대 3만여 건 가운데 학대행위자의 75.6%(2만 2700건)는 부모로 나타났다. 대리양육자, 친인척 순으로 뒤를 이었으며, 가족이 아닌 타인인 경우는 2.2%(663건)에 그쳤다. 이처럼 아동학대는 가족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가해자와 피해자가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더 큰 피해로 이어진다.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재택근무와 비대면 수업이 자리를 잡으면서 가족이 집 안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에 아동 학대 발생률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이처럼 아동학대에 대한 꾸준한 사회적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아동학대 처벌 기준이 대폭 강화됐다. 지난 3월 대법원 양형위원회가 아동학대 범죄의 양형 기준을 대폭 상향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최종 의결했으며, 이 수정안은 지난 6월부터 적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에 따르면 아동학대처벌법상 아동학대치사의 양형 기준이 강화됐는데, 기존 양형 기준인 기본 47년을 48년으로 상한선으로 올렸다. 죄질이 나쁠 때 적용하는 가중 영역은 610년에서 715년으로 상향했다. 또 기존 양형 기준에 없었던 아동학대처벌법상 아동학대살해, 아동복지법상 아동성적학대, 아동매매의 징역형 권고 범위도 신설됐다”고 전했다.심재국 변호사는 “검사가 경미한 사건이라고 판단해 형벌 대신 보호 처분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사건을 가정법원으로 넘겨 아동보호사건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아동학대 사건에 연루되었다면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기사본문보기-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892
전민일보
2022-07-28
[칼럼] 성범죄 처벌 증가세, 전문 법적 조력 중요
[칼럼] 성범죄 처벌 증가세, 전문 법적 조력 중요
검찰청의 범죄분석통계에 따르면 지난 10여 년간 성범죄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살인, 강도, 폭행, 절도 등 전체 형법범죄 중에서도 강간을 포함한 성폭력 범죄는 지난 2010년 40.2%에 불과했지만, 지난 2020년에는 58.1%로 대폭 상승했다.또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분기별 범죄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에 발생한 전체 범죄 41만7238건 중에서도 성폭력 범죄 발생 건수는 1만797건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7992건)에 비해 35.1%나 늘어난 수치다.이처럼 증가세에 있는 성범죄는 성인식에 대한 사회적 변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거에는 묻혀 있었을 법한 범죄들까지 신고와 처리가 더 많이 되고 있는 덕분이다. 이에 따라 성범죄 처벌도 매우 엄격해지고 있다.성범죄는 개인의 성적 자율권을 침해하는 정신적,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뜻한다. 상대방의 동의 없이 강제적으로 성적인 행위를 하도록 강요하는 폭력행위인데, 강제로 하는 입맞춤이나 포옹, 성교는 물론이거니와 음란 전화나 공공연한 음담패설도 해당된다.유형은 다양하다. 강간, 유사강간, 강제추행, 준강간 및 준강제추행, 강간 등 상해·치사, 미성년자 등에 대한 간음, 특수강도강간 등으로 나누어진다. 강간은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강간하는 것으로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진다.강간의 경우 성기와 성기의 결합으로 처벌되지만, 유사강간은 구강, 항문 등 성기를 제외한 신체 내부에 성기를 넣거나 성기, 항문에 신체 일부 또는 도구를 넣는 행위를 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2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또 강제추행은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하여 추행을 한 자로,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대표적인 성폭력 범죄 뿐만 아니라 공중밀집 장소에서의 추행,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 등의 범죄도 끊이지 않는 문제다.대중교통수단, 공연·집회 장소, 그 밖에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에서 사람을 추행한 사람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카메라나 그 밖에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 장치로 다른 사람의 신체를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하거나, 촬영물을 반포, 판매, 임대, 제공, 전시 및 상영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특히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의 경우, 촬영 당시에는 촬영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사후에 그 의사에 반해 촬영물을 배포, 판매, 임대, 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 및 상영하게 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이와 같은 성범죄 처벌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성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진술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사건의 구체적 정황을 분석 및 진단하여 이를 토대로 사건에 대응해야 한다. 이에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사건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글 :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0467
전민일보
2022-07-28
[칼럼] 성범죄 처벌 증가세, 전문 법적 조력 중요
[칼럼] 성범죄 처벌 증가세, 전문 법적 조력 중요
검찰청의 범죄분석통계에 따르면 지난 10여 년간 성범죄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살인, 강도, 폭행, 절도 등 전체 형법범죄 중에서도 강간을 포함한 성폭력 범죄는 지난 2010년 40.2%에 불과했지만, 지난 2020년에는 58.1%로 대폭 상승했다.또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분기별 범죄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에 발생한 전체 범죄 41만7238건 중에서도 성폭력 범죄 발생 건수는 1만797건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7992건)에 비해 35.1%나 늘어난 수치다.이처럼 증가세에 있는 성범죄는 성인식에 대한 사회적 변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거에는 묻혀 있었을 법한 범죄들까지 신고와 처리가 더 많이 되고 있는 덕분이다. 이에 따라 성범죄 처벌도 매우 엄격해지고 있다.성범죄는 개인의 성적 자율권을 침해하는 정신적,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뜻한다. 상대방의 동의 없이 강제적으로 성적인 행위를 하도록 강요하는 폭력행위인데, 강제로 하는 입맞춤이나 포옹, 성교는 물론이거니와 음란 전화나 공공연한 음담패설도 해당된다.유형은 다양하다. 강간, 유사강간, 강제추행, 준강간 및 준강제추행, 강간 등 상해·치사, 미성년자 등에 대한 간음, 특수강도강간 등으로 나누어진다. 강간은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강간하는 것으로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진다.강간의 경우 성기와 성기의 결합으로 처벌되지만, 유사강간은 구강, 항문 등 성기를 제외한 신체 내부에 성기를 넣거나 성기, 항문에 신체 일부 또는 도구를 넣는 행위를 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2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또 강제추행은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하여 추행을 한 자로,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대표적인 성폭력 범죄 뿐만 아니라 공중밀집 장소에서의 추행,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 등의 범죄도 끊이지 않는 문제다.대중교통수단, 공연·집회 장소, 그 밖에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에서 사람을 추행한 사람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카메라나 그 밖에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 장치로 다른 사람의 신체를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하거나, 촬영물을 반포, 판매, 임대, 제공, 전시 및 상영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특히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의 경우, 촬영 당시에는 촬영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사후에 그 의사에 반해 촬영물을 배포, 판매, 임대, 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 및 상영하게 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이와 같은 성범죄 처벌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성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진술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사건의 구체적 정황을 분석 및 진단하여 이를 토대로 사건에 대응해야 한다. 이에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사건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글 :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0467
미디어파인
2022-07-22
감당하기 어려운 채무, 개인회생 신청 자격 알아보려면 [심재국 변호사 칼럼]
감당하기 어려운 채무, 개인회생 신청 자격 알아보려면 [심재국 변호사 칼럼]
[미디어파인 시사칼럼] 코로나19 유행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난 2년여 간 코로나19로 인해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전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에 자영업을 비롯한 전 산업 분야에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특히 급격한 금리 인상 여파로, 고금리로 대출을 받은 채무자의 경우 감당하기 어려운 이자로 인해 채무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감당하기 어려운 채무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apos;개인회생&apos; 제도를 고려해볼 수 있다.개인회생은 채무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을 구제하기 위해 법원이 강제로 채무를 재조정하는 제도다. 장래 지속해서 또는 반복적으로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 3년 내지 5년간 일정한 금액을 변제하면 나머지 채무를 면제받을 수 있다.장래 지속해서 또는 반복하여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면, 개인회생의 신청 대상이 된다. 개인 채무자는 개인회생 신청 후, 일정 기간 동안 법원이 조정한 금액을 갚으면 나머지 원금과 이자에 대한 채무를 모두 면제받을 수 있다.개인회생을 신청해 승인이 될 경우에는 채권자로부터 방문, 전화, 문자 등 추심 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어 일상생활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모든 지급명령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당사자가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다.다만 개인회생도 아무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인회생 신청을 위한 자격요건이 갖춰져 있어야 하는데 첫째로 정기적인 월 소득이 있어야 한다. 일용직이나 프리랜서, 아르바이트, 임대업 등 고용형태와 4대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매월 생계비 이상의 수입이 발생해야 한다.채무는 1천만 원 이상, 25억 원 이하여야 한다. 또 보유 중인 모든 재산을 합친 것보다 채무가 더 많은 상황이어야 한다. 부동산, 임대보증금, 유체동산, 퇴직금, 채권, 예금, 보험해약 환급금 등 채무자 명의의 모든 자산이 재산에 해당하며, 이 재산보다 채무가 더 많은 경우에만 개인회생을 신청할 수 있다.개인회생 신청자격에 해당된 경우에는 법원이 필요로 하는 서류를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개인회생채권자 목록 및 재산목록, 채무자의 수입과 지출에 관한 상세목록 등을 비롯해 구체적인 변제계획안을 작성해야 한다.이처럼 개인회생 신청 서류가 까다롭고, 변제계획안이 구체적이지 않다면 개인회생 진행이 늦춰질 수 있기 때문에 전문 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98
미디어파인
2022-07-22
감당하기 어려운 채무, 개인회생 신청 자격 알아보려면 [심재국 변호사 칼럼]
감당하기 어려운 채무, 개인회생 신청 자격 알아보려면 [심재국 변호사 칼럼]
[미디어파인 시사칼럼] 코로나19 유행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난 2년여 간 코로나19로 인해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전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에 자영업을 비롯한 전 산업 분야에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특히 급격한 금리 인상 여파로, 고금리로 대출을 받은 채무자의 경우 감당하기 어려운 이자로 인해 채무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감당하기 어려운 채무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apos;개인회생&apos; 제도를 고려해볼 수 있다.개인회생은 채무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을 구제하기 위해 법원이 강제로 채무를 재조정하는 제도다. 장래 지속해서 또는 반복적으로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 3년 내지 5년간 일정한 금액을 변제하면 나머지 채무를 면제받을 수 있다.장래 지속해서 또는 반복하여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면, 개인회생의 신청 대상이 된다. 개인 채무자는 개인회생 신청 후, 일정 기간 동안 법원이 조정한 금액을 갚으면 나머지 원금과 이자에 대한 채무를 모두 면제받을 수 있다.개인회생을 신청해 승인이 될 경우에는 채권자로부터 방문, 전화, 문자 등 추심 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어 일상생활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모든 지급명령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당사자가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다.다만 개인회생도 아무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인회생 신청을 위한 자격요건이 갖춰져 있어야 하는데 첫째로 정기적인 월 소득이 있어야 한다. 일용직이나 프리랜서, 아르바이트, 임대업 등 고용형태와 4대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매월 생계비 이상의 수입이 발생해야 한다.채무는 1천만 원 이상, 25억 원 이하여야 한다. 또 보유 중인 모든 재산을 합친 것보다 채무가 더 많은 상황이어야 한다. 부동산, 임대보증금, 유체동산, 퇴직금, 채권, 예금, 보험해약 환급금 등 채무자 명의의 모든 자산이 재산에 해당하며, 이 재산보다 채무가 더 많은 경우에만 개인회생을 신청할 수 있다.개인회생 신청자격에 해당된 경우에는 법원이 필요로 하는 서류를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개인회생채권자 목록 및 재산목록, 채무자의 수입과 지출에 관한 상세목록 등을 비롯해 구체적인 변제계획안을 작성해야 한다.이처럼 개인회생 신청 서류가 까다롭고, 변제계획안이 구체적이지 않다면 개인회생 진행이 늦춰질 수 있기 때문에 전문 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98
법보신문
2022-07-13
심재국 변호사 “무리한 갭투자 하다가 실패하면,  사기 혐의로 처벌될 수도”
심재국 변호사 “무리한 갭투자 하다가 실패하면, 사기 혐의로 처벌될 수도”
요즘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와 기준금리 인상이 더해져 집을 마련하는 게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2013년도부터 갭투자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비교적 적은 돈으로 내 집 마련 혹은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어 관심을 받아왔다.하지만 최근 세 모녀 갭투자 사기 사건의 모친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다. 많은 사람들이 시세차익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위험성을 모르고 섣불리 투자를 한다면 어느새 사기 혐의로 피의자가 될 수 있다. 갭투자는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주택의 매매 가격과 전세금 간의 차액이 적은 집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투자방식이다. 예를 들자면 6억원짜리 집의 전세 시세가 5억 5천일 경우, 전세를 낀 채 5천만원으로 집을 사는 것이다. 시세차익으로 큰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시가가 오를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 갭투자 사기로 처벌 위기에 놓일 가능성이 높다. 만약 사기죄가 성립하게 되어 처벌을 받게 된다면 10년 이하의 징역형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게 된다. 그런데 갭투자와 관련된 사기행위의 경우 피해를 입는 사람이 수십명이 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피해 금액이 억대를 넘어간다. 따라서 이는 형법이 아닌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어 더욱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사기 범죄를 통해 얻게 된 수익이 5억원 이상에서 50억원 미만이라면 3년 이상의 징역형이 내려지며 그 피해 금액이 50억원을 넘어가게 된다면 5년 이상에서 최대 무기징역형에 처해지게 된다. 그렇지만 피의자의 입장에서도 억울한 점이 있을 수 있다. 처음부터 사기 범죄를 통해 피해를 주려는 악의적은 의도를 가진 것이라고 한다면 이는 당연히 엄중한 처벌이 내려져야 하겠지만 의도하지 않게 투자의 실패 혹은 어려워진 상황 때문에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면 법적 처분을 받는 것이 억울할 수 있다. 형사 처분에서 벗어나려면 계약 체결 시, 채무 이행에 관한 의지와 능력이 있었음을 증명해야 한다. 즉, 돈을 감당할 경제력과 방법이 있었다면 타인을 속여서 기망할 생각이 나 재산상 이득을 취하려는 의도가 없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당시 세입자의 금원을 편취할 생각이 없었고, 시장 가격 하락으로 의도치 않게 반환치 못하게 된 점을 주장해야 한다. 고의가 아니었지만 억울하게 혐의를 받아 갭투자 사기로 처벌받을 위기에 놓여있다면 법리적인 시각과 타당한 변론을 뒷받침해 줄 형사 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도움말 :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10951
법보신문
2022-07-13
심재국 변호사 “무리한 갭투자 하다가 실패하면,  사기 혐의로 처벌될 수도”
심재국 변호사 “무리한 갭투자 하다가 실패하면, 사기 혐의로 처벌될 수도”
요즘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와 기준금리 인상이 더해져 집을 마련하는 게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2013년도부터 갭투자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비교적 적은 돈으로 내 집 마련 혹은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어 관심을 받아왔다.하지만 최근 세 모녀 갭투자 사기 사건의 모친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다. 많은 사람들이 시세차익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위험성을 모르고 섣불리 투자를 한다면 어느새 사기 혐의로 피의자가 될 수 있다. 갭투자는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주택의 매매 가격과 전세금 간의 차액이 적은 집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투자방식이다. 예를 들자면 6억원짜리 집의 전세 시세가 5억 5천일 경우, 전세를 낀 채 5천만원으로 집을 사는 것이다. 시세차익으로 큰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시가가 오를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 갭투자 사기로 처벌 위기에 놓일 가능성이 높다. 만약 사기죄가 성립하게 되어 처벌을 받게 된다면 10년 이하의 징역형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게 된다. 그런데 갭투자와 관련된 사기행위의 경우 피해를 입는 사람이 수십명이 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피해 금액이 억대를 넘어간다. 따라서 이는 형법이 아닌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어 더욱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사기 범죄를 통해 얻게 된 수익이 5억원 이상에서 50억원 미만이라면 3년 이상의 징역형이 내려지며 그 피해 금액이 50억원을 넘어가게 된다면 5년 이상에서 최대 무기징역형에 처해지게 된다. 그렇지만 피의자의 입장에서도 억울한 점이 있을 수 있다. 처음부터 사기 범죄를 통해 피해를 주려는 악의적은 의도를 가진 것이라고 한다면 이는 당연히 엄중한 처벌이 내려져야 하겠지만 의도하지 않게 투자의 실패 혹은 어려워진 상황 때문에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면 법적 처분을 받는 것이 억울할 수 있다. 형사 처분에서 벗어나려면 계약 체결 시, 채무 이행에 관한 의지와 능력이 있었음을 증명해야 한다. 즉, 돈을 감당할 경제력과 방법이 있었다면 타인을 속여서 기망할 생각이 나 재산상 이득을 취하려는 의도가 없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당시 세입자의 금원을 편취할 생각이 없었고, 시장 가격 하락으로 의도치 않게 반환치 못하게 된 점을 주장해야 한다. 고의가 아니었지만 억울하게 혐의를 받아 갭투자 사기로 처벌받을 위기에 놓여있다면 법리적인 시각과 타당한 변론을 뒷받침해 줄 형사 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도움말 :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10951
BBS 뉴스
2022-07-07
윤자영 변호사 "'청주 여중생 사건' 2심서 형량 늘어…모든 혐의 인정됐다"
윤자영 변호사 "'청주 여중생 사건' 2심서 형량 늘어…모든 혐의 인정됐다"
■ 대담 : 윤자영 변호사■ 진행 : 연현철 기자■ 2022년 6월 14일 화요일 오전 8시 30분 &apos;충북저널967&apos; (청주FM 97MHz 충주FM 107MHz)■ 코너명 : 변호사의 눈*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연현철 : 매주 법률가의 시선으로 세상을 진단해보는 시간입니다. &apos;변호사의 눈&apos;시간입니다. 오늘도 윤자영 변호사 연결돼있습니다. 윤 변호사님, 안녕하세요.▶윤자영 : 네, 안녕하세요. ▷연현철 : 오늘 첫 사건인데, 참 가슴아픈 사건인데요. 이제야 마무리가 된 듯합니다. 청주 여중생 사건입니다. 최근 이 사건 항소심 선거가 있었는데요. 자세히 전해주시죠. ▶윤자영 : 이 사건 관련해서는 방송에서 많이 말씀드린 것 같은데요. 중학생인 의붓딸과 그 친구에게 성범죄를 저질러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몬 계부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가 지난 9일에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지난해 의붓딸친구인 B양의 부모가 피해사실을 경찰에 신고하면서 알려졌는데요.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는 동안 안타깝게도 두 피해 여중생은 극단적 선택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A씨는 성폭력범죄의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으로 기소되었고 대전고등법원 청주재판부는 A씨에 대해 지난 9일 징역25년을 선고했습니다. 또 아동청소년관련기관 취업제한 10년, 신상정보공개 등을 명령했는데요. 피고인의 연령 등을 고려해 위치추적전자장치부착명령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한편 1심은 A씨에 대해 징역 20년을 선고했습니다. 당시 재판부는 의붓딸에 대한 성추행, B양에 대한 성폭행, 성추행 혐의는 인정했지만 의붓딸을 성폭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무죄판결을 했는데요. 그러나 항소심 재판부는 이날 A씨가 의붓딸을 성폭행한 혐의도 유죄로 인정하고 징역 25년의 중형을 선고했습니다.▷연현철 : 5년 징역이 더 늘어난거잖아요. 맞습니다. 저도 이 사건을 취재해왔던 기자 중 한 사람으로서 참 가슴이 먹먹했는데요. 당시 재판장 분위기도 전해주실까요?▶윤자영 : 재판부는 판결이유를 설명하며 A씨에 대해 피해자를 건전하게 양육할 의무를 져버리고, 강간했다며 피고인과 피해자들의 관계, 범행수법등을 보면 극히 죄질이 불량하고 무겁다고 하면서 이어서 피고인은 수사과정에서 범행을 부인하며 피해자들에게 더 극심한 정신적고통을 주었다면서 피해자들이 주어진 현실을 더는 못 견디고 함께 극단적 선택을 했던 주요 원인이 됐다고 하였는데요. 재판부는 이날 판결문을 낭독하는 도중에 피해자의 심적고통을 언급하며 여러차례 말을 잇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또한 피해자 유가족 측은 이 사건 공판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A씨에 대해서 무기징역을 선고해달라며 눈물로 호소했는데요. 이 사건 판결에 관해서 형량은 다소 아쉽다면서도 모든 혐의가 인정된 부분에 대해서는 진실을 알아준 재판부에게 감사하다는 인사를 남기기도 했습니다.▷연현철 : 애초에 유족측이 요구했던 무기징역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유족측의 의견이 최대한 재판결과에 반영됐다고 보여지고요. 다시는 이런 안타까운 사건이 없도록 바라보겠습니다. 다음 사건 넘어가볼게요. 교도소에서 복역중인 남성이 재소자를 폭행해서 실형을 선고받았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히 좀 전해주시죠. ▶윤자영 : 네, A씨는 지난 2월경 같은 청주교도소 재소자 B씨의 얼굴 등을 여러차례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한편 A씨는 지난해 10월 야간 건조물 침입 절도죄로 징역 1년2개월을 선고받아 복역중이었는데요. A씨는 다른 재소자와 말다툼을 벌이던 중 B씨가 싸움을 말리자 홧김에 B씨를 폭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A씨는 폭행혐의로 기소가 됐고요. 청주지방법원은 A씨에게 징역 3월을 선고했습니다. ▷연현철 : 그러니까 단순폭행사건에 그쳤다고 보여지는데요. 실형까지 선고했다는 것이 다소 이례적입니다. 아무래도 폭행장소가 교도소 내부였다는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이야기가 있던데요. ▶윤자영 : 네. 재판부는 판결 이유를 설명하면서 반성의 시간을 가져야할 장소에서 폭력을 행사해 엄중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그 선고 이유를 밝혔는데요. 폭행사건이 교도소 내부에서 발생했다는 점, 또 다른 범죄로 복역 중에 또다시 폭행을 저질렀다는 점 등이 양형의 이유로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연현철 : 변호사님 교도소 내에 발생한 사건에 대한 수사는 교정당국이 진행하는 건가요?▶윤자영 : 다시 수사기관으로 넘어가서, 수사기관에서 똑같이 수사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연현철 : 그렇군요. 마지막 사건 짚어볼게요. 현직 경찰관이 지구대 화장실에 불법 촬영 카메라를 설치했다가 덜미를 잡힌 사건 아마 아실건데. 검찰이 최근 구형을 내렸습니다. 전해주시죠.▶윤자영 : A씨는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자신이 근무하던 충북 청주 청원 경찰서 관할 모 지구대 2층 남녀공용 화장실에 몰래카메라를 설치한 뒤 동료 여경을 불법촬영한 혐의 및 강제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이에 검찰은 7일자 공판에서 성폭력 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및 강제추행 혐의로 구속기소된 A씨에게 징역 5년을 구형했는데요. 검찰은 국민을 범죄로부터 보호해야할 경찰로서 본분을 망각하고 후배 경찰을 상대로 강제추행 및 카메라 촬영 범행을 한 것이 죄질이 중하다면서 피해자가 극심한 피해로 엄벌을 탄원하고 있는 점. 피고인이 범행을 일부 부인하고 있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구형 이유를 밝혔습니다. A씨는 증거수집 및 사고방지용으로 쓰는 소위 바디캠이라고 하는데요. 바디캠을 사비로 구입해서, 범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아가서 지난해 12월 동료 여경에 의해 바디캠 카메라가 발견되자 A씨는 이튿날 범행 사실을 털어놨고 이에 대한 수사과정에서 해당 여경을 성추행한 혐의도 드러났습니다.▷연현철 : 그렇군요. 아무래도 경찰이라는 신분 때문에 몰카 범죄를 저지르고도 5년이란 징역 구형이 내려진걸로 보이는데요. 검찰이 중형을 구형했다고 해서 지역에서도 떠들썩합니다. 보통 불법촬영의 경우에는 처벌의 정도가 어느정도인지도 설명해주시죠.▶윤자영 : 네. 성폭력 처벌법 14조에 의하면 카메라나 그밖에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를 이용해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촬영 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고요. 강제추행 혐의와 관련해서는 형법 제 298조에서 규정을 하고 있는데요.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한 추행을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해당 사안의 경우에는 해당 경찰관이 불법 촬영 혐의 및 강제 추행 혐의로 기소되었고, 두 죄를 참작해 중형을 구형한 것으로 보입니다. ▷연현철 : 몰카 범죄라는게 신체 주요 부위가 아니더라도 촬영한 경우, 마찬가지로 초상권 침해와는 별개의 내용 같은데요. 설명을 좀 쉽게 해주실 수 있을까요?▶윤자영 :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성폭력 처벌법에 의해서 불법촬영의 경우에는 성적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여, 허락을 받지 않고 찍은 경우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여기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그 대상으로 한다고 해서, 초상권과는 다른 의미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연현철 : 알겠습니다. 두 가지 요건이 가장 중요하다는 얘기죠.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오늘은 씁쓸한 사건만 다루게 됐습니다. 저희는 2주 뒤에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윤자영 : 네 감사합니다. ▷연현철 : 지금까지 윤자영 변호사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기사본문보기-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1050
BBS 뉴스
2022-07-07
윤자영 변호사 "'청주 여중생 사건' 2심서 형량 늘어…모든 혐의 인정됐다"
윤자영 변호사 "'청주 여중생 사건' 2심서 형량 늘어…모든 혐의 인정됐다"
■ 대담 : 윤자영 변호사■ 진행 : 연현철 기자■ 2022년 6월 14일 화요일 오전 8시 30분 &apos;충북저널967&apos; (청주FM 97MHz 충주FM 107MHz)■ 코너명 : 변호사의 눈*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연현철 : 매주 법률가의 시선으로 세상을 진단해보는 시간입니다. &apos;변호사의 눈&apos;시간입니다. 오늘도 윤자영 변호사 연결돼있습니다. 윤 변호사님, 안녕하세요.▶윤자영 : 네, 안녕하세요. ▷연현철 : 오늘 첫 사건인데, 참 가슴아픈 사건인데요. 이제야 마무리가 된 듯합니다. 청주 여중생 사건입니다. 최근 이 사건 항소심 선거가 있었는데요. 자세히 전해주시죠. ▶윤자영 : 이 사건 관련해서는 방송에서 많이 말씀드린 것 같은데요. 중학생인 의붓딸과 그 친구에게 성범죄를 저질러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몬 계부 A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가 지난 9일에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지난해 의붓딸친구인 B양의 부모가 피해사실을 경찰에 신고하면서 알려졌는데요.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는 동안 안타깝게도 두 피해 여중생은 극단적 선택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A씨는 성폭력범죄의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으로 기소되었고 대전고등법원 청주재판부는 A씨에 대해 지난 9일 징역25년을 선고했습니다. 또 아동청소년관련기관 취업제한 10년, 신상정보공개 등을 명령했는데요. 피고인의 연령 등을 고려해 위치추적전자장치부착명령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한편 1심은 A씨에 대해 징역 20년을 선고했습니다. 당시 재판부는 의붓딸에 대한 성추행, B양에 대한 성폭행, 성추행 혐의는 인정했지만 의붓딸을 성폭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무죄판결을 했는데요. 그러나 항소심 재판부는 이날 A씨가 의붓딸을 성폭행한 혐의도 유죄로 인정하고 징역 25년의 중형을 선고했습니다.▷연현철 : 5년 징역이 더 늘어난거잖아요. 맞습니다. 저도 이 사건을 취재해왔던 기자 중 한 사람으로서 참 가슴이 먹먹했는데요. 당시 재판장 분위기도 전해주실까요?▶윤자영 : 재판부는 판결이유를 설명하며 A씨에 대해 피해자를 건전하게 양육할 의무를 져버리고, 강간했다며 피고인과 피해자들의 관계, 범행수법등을 보면 극히 죄질이 불량하고 무겁다고 하면서 이어서 피고인은 수사과정에서 범행을 부인하며 피해자들에게 더 극심한 정신적고통을 주었다면서 피해자들이 주어진 현실을 더는 못 견디고 함께 극단적 선택을 했던 주요 원인이 됐다고 하였는데요. 재판부는 이날 판결문을 낭독하는 도중에 피해자의 심적고통을 언급하며 여러차례 말을 잇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또한 피해자 유가족 측은 이 사건 공판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A씨에 대해서 무기징역을 선고해달라며 눈물로 호소했는데요. 이 사건 판결에 관해서 형량은 다소 아쉽다면서도 모든 혐의가 인정된 부분에 대해서는 진실을 알아준 재판부에게 감사하다는 인사를 남기기도 했습니다.▷연현철 : 애초에 유족측이 요구했던 무기징역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유족측의 의견이 최대한 재판결과에 반영됐다고 보여지고요. 다시는 이런 안타까운 사건이 없도록 바라보겠습니다. 다음 사건 넘어가볼게요. 교도소에서 복역중인 남성이 재소자를 폭행해서 실형을 선고받았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히 좀 전해주시죠. ▶윤자영 : 네, A씨는 지난 2월경 같은 청주교도소 재소자 B씨의 얼굴 등을 여러차례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한편 A씨는 지난해 10월 야간 건조물 침입 절도죄로 징역 1년2개월을 선고받아 복역중이었는데요. A씨는 다른 재소자와 말다툼을 벌이던 중 B씨가 싸움을 말리자 홧김에 B씨를 폭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A씨는 폭행혐의로 기소가 됐고요. 청주지방법원은 A씨에게 징역 3월을 선고했습니다. ▷연현철 : 그러니까 단순폭행사건에 그쳤다고 보여지는데요. 실형까지 선고했다는 것이 다소 이례적입니다. 아무래도 폭행장소가 교도소 내부였다는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이야기가 있던데요. ▶윤자영 : 네. 재판부는 판결 이유를 설명하면서 반성의 시간을 가져야할 장소에서 폭력을 행사해 엄중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그 선고 이유를 밝혔는데요. 폭행사건이 교도소 내부에서 발생했다는 점, 또 다른 범죄로 복역 중에 또다시 폭행을 저질렀다는 점 등이 양형의 이유로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연현철 : 변호사님 교도소 내에 발생한 사건에 대한 수사는 교정당국이 진행하는 건가요?▶윤자영 : 다시 수사기관으로 넘어가서, 수사기관에서 똑같이 수사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연현철 : 그렇군요. 마지막 사건 짚어볼게요. 현직 경찰관이 지구대 화장실에 불법 촬영 카메라를 설치했다가 덜미를 잡힌 사건 아마 아실건데. 검찰이 최근 구형을 내렸습니다. 전해주시죠.▶윤자영 : A씨는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자신이 근무하던 충북 청주 청원 경찰서 관할 모 지구대 2층 남녀공용 화장실에 몰래카메라를 설치한 뒤 동료 여경을 불법촬영한 혐의 및 강제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이에 검찰은 7일자 공판에서 성폭력 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및 강제추행 혐의로 구속기소된 A씨에게 징역 5년을 구형했는데요. 검찰은 국민을 범죄로부터 보호해야할 경찰로서 본분을 망각하고 후배 경찰을 상대로 강제추행 및 카메라 촬영 범행을 한 것이 죄질이 중하다면서 피해자가 극심한 피해로 엄벌을 탄원하고 있는 점. 피고인이 범행을 일부 부인하고 있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구형 이유를 밝혔습니다. A씨는 증거수집 및 사고방지용으로 쓰는 소위 바디캠이라고 하는데요. 바디캠을 사비로 구입해서, 범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아가서 지난해 12월 동료 여경에 의해 바디캠 카메라가 발견되자 A씨는 이튿날 범행 사실을 털어놨고 이에 대한 수사과정에서 해당 여경을 성추행한 혐의도 드러났습니다.▷연현철 : 그렇군요. 아무래도 경찰이라는 신분 때문에 몰카 범죄를 저지르고도 5년이란 징역 구형이 내려진걸로 보이는데요. 검찰이 중형을 구형했다고 해서 지역에서도 떠들썩합니다. 보통 불법촬영의 경우에는 처벌의 정도가 어느정도인지도 설명해주시죠.▶윤자영 : 네. 성폭력 처벌법 14조에 의하면 카메라나 그밖에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를 이용해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촬영 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고요. 강제추행 혐의와 관련해서는 형법 제 298조에서 규정을 하고 있는데요.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한 추행을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해당 사안의 경우에는 해당 경찰관이 불법 촬영 혐의 및 강제 추행 혐의로 기소되었고, 두 죄를 참작해 중형을 구형한 것으로 보입니다. ▷연현철 : 몰카 범죄라는게 신체 주요 부위가 아니더라도 촬영한 경우, 마찬가지로 초상권 침해와는 별개의 내용 같은데요. 설명을 좀 쉽게 해주실 수 있을까요?▶윤자영 :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성폭력 처벌법에 의해서 불법촬영의 경우에는 성적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여, 허락을 받지 않고 찍은 경우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여기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그 대상으로 한다고 해서, 초상권과는 다른 의미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연현철 : 알겠습니다. 두 가지 요건이 가장 중요하다는 얘기죠.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오늘은 씁쓸한 사건만 다루게 됐습니다. 저희는 2주 뒤에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윤자영 : 네 감사합니다. ▷연현철 : 지금까지 윤자영 변호사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기사본문보기-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1050
국토일보
2022-06-23
법무법인 대륜, 2022년도 역량 강화 발전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 대륜, 2022년도 역량 강화 발전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유한)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정찬우)이 지난 11일 부산도시공사 아르피나에서 소속 변호사와 직원 등 구성원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년 역량 강화 발전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워크숍은 ‘대륜 법무 그룹 역량강화 및 발전’을 목적으로 경영계획 목표, 사건진행 프로세스, 형사 사건진행 실무교육, 민사 사건진행 실무교육 순으로 진행됐다.법무법인 대륜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의뢰인이 원하는 결과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자체 법률 서비스 제공을 할 예정이다.그 외 머신러닝 기술 개발 및 투자를 통해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간/중장기 업무 계획을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직원 전문성 제고를 독려했다.대륜만의 독자적인 사건진행 프로세스도 제공한다. 의뢰인에게 최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판례, 하급심판례 및 각종 중요 법률정보 및 전담팀의 변호사들의 의견 등을 즉각 검토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도입, 구축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최신의 법률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형사·민사 사건진행 실무교육도 진행했다. 부장검사출신 김인원 변호사 등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관 변호사들이 중요 승소사례와 사건처리 노하우등을 후배 변호사들에게 전수하고 질의응답하는 유익한 자리를 가졌다. 변호사로서 필요한 분석력과 논리력, 임기응변 능력을 향상시켜 재판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준비했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우리 법무법인 대륜은 설립 이후 급성장해 단기간에 변호사 수 기준 20위 안에 손꼽히는 로펌으로 성장했다. 급변하는 시대에 빠르게 대처하고 새로운 성장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원 모두 노력해주시기 바란다”며 “국내에서 가장 앞선 고객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륜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법률서비스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전국에 가장 많은 지점수를 보유하고 있어 균일화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56271
국토일보
2022-06-23
법무법인 대륜, 2022년도 역량 강화 발전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 대륜, 2022년도 역량 강화 발전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유한)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정찬우)이 지난 11일 부산도시공사 아르피나에서 소속 변호사와 직원 등 구성원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년 역량 강화 발전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워크숍은 ‘대륜 법무 그룹 역량강화 및 발전’을 목적으로 경영계획 목표, 사건진행 프로세스, 형사 사건진행 실무교육, 민사 사건진행 실무교육 순으로 진행됐다.법무법인 대륜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의뢰인이 원하는 결과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자체 법률 서비스 제공을 할 예정이다.그 외 머신러닝 기술 개발 및 투자를 통해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간/중장기 업무 계획을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직원 전문성 제고를 독려했다.대륜만의 독자적인 사건진행 프로세스도 제공한다. 의뢰인에게 최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판례, 하급심판례 및 각종 중요 법률정보 및 전담팀의 변호사들의 의견 등을 즉각 검토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도입, 구축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최신의 법률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형사·민사 사건진행 실무교육도 진행했다. 부장검사출신 김인원 변호사 등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관 변호사들이 중요 승소사례와 사건처리 노하우등을 후배 변호사들에게 전수하고 질의응답하는 유익한 자리를 가졌다. 변호사로서 필요한 분석력과 논리력, 임기응변 능력을 향상시켜 재판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준비했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우리 법무법인 대륜은 설립 이후 급성장해 단기간에 변호사 수 기준 20위 안에 손꼽히는 로펌으로 성장했다. 급변하는 시대에 빠르게 대처하고 새로운 성장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원 모두 노력해주시기 바란다”며 “국내에서 가장 앞선 고객맞춤형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륜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법률서비스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전국에 가장 많은 지점수를 보유하고 있어 균일화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56271
베이비뉴스
2022-06-21
법무법인 대륜, 이일권 변호사 합류... 성범죄·형사 분야 전문성 강화
법무법인 대륜, 이일권 변호사 합류... 성범죄·형사 분야 전문성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이달 형사사건 부장검사 출신 이일권 변호사를 영입해 형사 분야 전문성과 핵심 역량 강화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관계자에 따르면, 이일권 부장검사출신 변호사는 창원지검 검사로 임관해 ▲인천지검, 서울중앙지검 부부장검사 ▲전주지검, 광주지검, 부산지검 부장검사 ▲부산고등검찰청 부장검사 등을 역임하며 형사 분야에서 남다른 경험과 전문성을 쌓았다.법무법인 대륜은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변호사를 영입해 왔으며, 최근 검찰, 경찰 수사권 조정 등 각 수사단계의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각종 형사사건에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일권 변호사의 영입을 진행했다"고 말했다.이일권 변호사는 "오랜 기간 형사, 재산범죄, 기업, 성범죄 등 다양한 분야의 법률 지식과 실전에서 축적해온 노하우를 통해 법률적 조력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기사본문보기-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840
베이비뉴스
2022-06-21
법무법인 대륜, 이일권 변호사 합류... 성범죄·형사 분야 전문성 강화
법무법인 대륜, 이일권 변호사 합류... 성범죄·형사 분야 전문성 강화
법무법인 대륜이 이달 형사사건 부장검사 출신 이일권 변호사를 영입해 형사 분야 전문성과 핵심 역량 강화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관계자에 따르면, 이일권 부장검사출신 변호사는 창원지검 검사로 임관해 ▲인천지검, 서울중앙지검 부부장검사 ▲전주지검, 광주지검, 부산지검 부장검사 ▲부산고등검찰청 부장검사 등을 역임하며 형사 분야에서 남다른 경험과 전문성을 쌓았다.법무법인 대륜은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법률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변호사를 영입해 왔으며, 최근 검찰, 경찰 수사권 조정 등 각 수사단계의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각종 형사사건에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일권 변호사의 영입을 진행했다"고 말했다.이일권 변호사는 "오랜 기간 형사, 재산범죄, 기업, 성범죄 등 다양한 분야의 법률 지식과 실전에서 축적해온 노하우를 통해 법률적 조력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기사본문보기-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840
조세일보
2022-06-17
법무법인 대륜, 목포·안산서 22·23번째 법률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 목포·안산서 22·23번째 법률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오는 20일과 내달 4일 각각 목포와 안산에서 22~23번째 지점을 개소한다고 16일 밝혔다.대륜은 서울, 부산, 대전 등 전국에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형사전문센터, 성범죄전문센터, 기업법무전문센터, 이혼전문센터, 상속전문센터, 부동산전문센터, 민사전문센터, 회생파산전문센터, 행정전문센터 등 각 분야 전문센터를 운영 중이며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 대표변호사와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출신 김근수 대표변호사,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출신 최창무 대표변호사, 부산고등지검 부장검사 출신 이일권 대표변호사, 경찰자문위원 등이 합류했다.대륜은 목포·안산 지점의 경우 본사와 동일한 업무 시스템을 바탕으로 유기적 업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축하고 본사 및 각 지점과 유기적 협력 시스템을 통해 형사, 성범죄, 이혼·가사사건, 형사, 부동산, 건설, 경제범죄, 학교폭력 등 분야에서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기업법무, 민사, 형사, 이혼, 가사, 행정, 회생파산 등 모든 사건에 관해 본사 중심의 전문가 3인 이상이 전담팀을 이뤄 하나의 사건을 처리하고 있다"면서 "상담 단계부터 오판 없는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전문 변호사를 포함한 2인 이상의 전문가가 직접 참여한다"고 설명했다.이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온 것을 기반으로 목포, 안산 지점 또한 지역의 법률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지역 주민의 고충을 해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기사본문보기 -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6/20220616458146.html
조세일보
2022-06-17
법무법인 대륜, 목포·안산서 22·23번째 법률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 목포·안산서 22·23번째 법률사무소 개소
법무법인 대륜이 오는 20일과 내달 4일 각각 목포와 안산에서 22~23번째 지점을 개소한다고 16일 밝혔다.대륜은 서울, 부산, 대전 등 전국에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형사전문센터, 성범죄전문센터, 기업법무전문센터, 이혼전문센터, 상속전문센터, 부동산전문센터, 민사전문센터, 회생파산전문센터, 행정전문센터 등 각 분야 전문센터를 운영 중이며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출신 김인원 대표변호사와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출신 김근수 대표변호사,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출신 최창무 대표변호사, 부산고등지검 부장검사 출신 이일권 대표변호사, 경찰자문위원 등이 합류했다.대륜은 목포·안산 지점의 경우 본사와 동일한 업무 시스템을 바탕으로 유기적 업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축하고 본사 및 각 지점과 유기적 협력 시스템을 통해 형사, 성범죄, 이혼·가사사건, 형사, 부동산, 건설, 경제범죄, 학교폭력 등 분야에서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기업법무, 민사, 형사, 이혼, 가사, 행정, 회생파산 등 모든 사건에 관해 본사 중심의 전문가 3인 이상이 전담팀을 이뤄 하나의 사건을 처리하고 있다"면서 "상담 단계부터 오판 없는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전문 변호사를 포함한 2인 이상의 전문가가 직접 참여한다"고 설명했다.이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해온 것을 기반으로 목포, 안산 지점 또한 지역의 법률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지역 주민의 고충을 해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기사본문보기 -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6/20220616458146.html
연합뉴스
2022-06-14
피해자 측 "르세라핌 김가람 학폭가해 사실…2차가해 멈춰달라"
피해자 측 "르세라핌 김가람 학폭가해 사실…2차가해 멈춰달라"
&apos;하이브 첫 걸그룹&apos;으로 관심을 끈 르세라핌의 멤버 김가람을 둘러싼 학교 폭력 가해 의혹이 커지는 가운데 피해자 측이 학교 폭력이 사실이었다는 입장을 밝혔다.피해자 A씨 측은 19일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을 통해 공개한 입장문에서 "2018년 4월 말∼5월 초 경 김가람과 그 친구들로부터 학교 폭력을 당했고 이후 계속된 집단 가해를 견디지 못해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다"고 밝혔다.A씨 측은 "2018년 6월 4일 열린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학교폭력 가해 학생인 김가람은 특별교육 이수 6시간, 학부모 특별교육 이수 5시간 처분을 받았다"고 전했다.A씨 측은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개된 &apos;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apos;의 사실 여부와 관련해 "A씨로부터 제출받은 결과 통보서와 내용이 일치한다"고 밝혔다.이 문건에는 &apos;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apos; 제16조와 17조 조치사항을 통지한다고 적혀 있고, 가해 학생으로 &apos;1학년 3반 김가람&apos;이라고 적시돼 진위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A씨 측은 김가람의 학교 폭력 가해 의혹이 불거진 이후 악의적인 비난과 협박을 당하고 있다며 피해를 호소했다.A씨 측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로부터 &apos;악의적으로 음해한다&apos;, &apos;질투심으로 음해한다&apos;는 악의적 비난을 받았으며 일부 게시물은 A씨 사진을 공개하면서 협박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소속사인 쏘스뮤직이 학교폭력 연루 의혹을 두고 "교묘히 편집해 악의적으로 음해한 사안"이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한 뒤 2차 가해는 더욱 심해졌다고 A씨 측은 전했다.A씨 측은 "A씨가 김가람에 대한 폭로 글을 작성했다는 취지의 허위 댓글을 단 사람들에 대한 고소장을 서울 구로경찰서에 제출했고, 하이브에는 피해자 입장을 내용 증명으로 발송했다"고 밝혔다.이어 "(하이브에) 그 어떤 보상도 요구하지 않았으며 사실과 다른 입장문을 삭제해 줄 것과 사실에 근거한 입장 표명을 다시 해줄 것 등을 촉구했으나 하이브 측은 어떤 회신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A씨 측은 "2차 가해로 인한 극도의 불안과 공포를 견디지 못한 피해자는 결국 자살 시도를 하기에 이르렀고, 학업을 전면적으로 중단할 것을 결정하고 자퇴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이어 "피해자와 그 보호자는 2차 가해 중단을 간절히 원하고 있다"며 "하이브 측이 진정한 사과 없이 기존 입장을 유지한다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 전문 등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경고했다.A씨 측은 "하이브와 산하 쏘스뮤직은 2차 가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념해달라"며 "어린 학생에게 집단 가해의 경험은 심장 깊숙이 흉터로 남아 그 어떤 보상과 치료로도 돌이킬 수 없음을 엄중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www.yna.co.kr/view/AKR20220519150500005?input=1195m
연합뉴스
2022-06-14
피해자 측 "르세라핌 김가람 학폭가해 사실…2차가해 멈춰달라"
피해자 측 "르세라핌 김가람 학폭가해 사실…2차가해 멈춰달라"
&apos;하이브 첫 걸그룹&apos;으로 관심을 끈 르세라핌의 멤버 김가람을 둘러싼 학교 폭력 가해 의혹이 커지는 가운데 피해자 측이 학교 폭력이 사실이었다는 입장을 밝혔다.피해자 A씨 측은 19일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 대륜을 통해 공개한 입장문에서 "2018년 4월 말∼5월 초 경 김가람과 그 친구들로부터 학교 폭력을 당했고 이후 계속된 집단 가해를 견디지 못해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다"고 밝혔다.A씨 측은 "2018년 6월 4일 열린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학교폭력 가해 학생인 김가람은 특별교육 이수 6시간, 학부모 특별교육 이수 5시간 처분을 받았다"고 전했다.A씨 측은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개된 &apos;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apos;의 사실 여부와 관련해 "A씨로부터 제출받은 결과 통보서와 내용이 일치한다"고 밝혔다.이 문건에는 &apos;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apos; 제16조와 17조 조치사항을 통지한다고 적혀 있고, 가해 학생으로 &apos;1학년 3반 김가람&apos;이라고 적시돼 진위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A씨 측은 김가람의 학교 폭력 가해 의혹이 불거진 이후 악의적인 비난과 협박을 당하고 있다며 피해를 호소했다.A씨 측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로부터 &apos;악의적으로 음해한다&apos;, &apos;질투심으로 음해한다&apos;는 악의적 비난을 받았으며 일부 게시물은 A씨 사진을 공개하면서 협박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소속사인 쏘스뮤직이 학교폭력 연루 의혹을 두고 "교묘히 편집해 악의적으로 음해한 사안"이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한 뒤 2차 가해는 더욱 심해졌다고 A씨 측은 전했다.A씨 측은 "A씨가 김가람에 대한 폭로 글을 작성했다는 취지의 허위 댓글을 단 사람들에 대한 고소장을 서울 구로경찰서에 제출했고, 하이브에는 피해자 입장을 내용 증명으로 발송했다"고 밝혔다.이어 "(하이브에) 그 어떤 보상도 요구하지 않았으며 사실과 다른 입장문을 삭제해 줄 것과 사실에 근거한 입장 표명을 다시 해줄 것 등을 촉구했으나 하이브 측은 어떤 회신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A씨 측은 "2차 가해로 인한 극도의 불안과 공포를 견디지 못한 피해자는 결국 자살 시도를 하기에 이르렀고, 학업을 전면적으로 중단할 것을 결정하고 자퇴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이어 "피해자와 그 보호자는 2차 가해 중단을 간절히 원하고 있다"며 "하이브 측이 진정한 사과 없이 기존 입장을 유지한다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 전문 등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경고했다.A씨 측은 "하이브와 산하 쏘스뮤직은 2차 가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념해달라"며 "어린 학생에게 집단 가해의 경험은 심장 깊숙이 흉터로 남아 그 어떤 보상과 치료로도 돌이킬 수 없음을 엄중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www.yna.co.kr/view/AKR20220519150500005?input=1195m
미디어파인
2022-06-13
증가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 전문 형사법적 조력 필요 [심재국 변호사 칼럼]
증가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 전문 형사법적 조력 필요 [심재국 변호사 칼럼]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입은 10대들이 최근 3년새 10배 이상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따르면 2018년 1,315명으로 집계됐던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수는 2019년 2,087명, 2020년 4,937명으로 3년 새 3.7배 증가했다.그 중에서도 아동 청소년으로 분류되는 10대의 피해자 수는 3년 새 10.8배 증가했으며, 전체 연령대 중 10대의 비율은 2.8배 증가했다. 2018년 111명(8.4%), 2019년 321명(15.4%), 2020년 1,204명(24.2%) 등의 수치를 보이며 크게 증가한 것.이러한 디지털 성범죄는 디지털 기기와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 온 오프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를 말한다. 동의 없이 상대의 신체를 촬영하거나 유포, 저장, 전시하는 행위를 비롯해 행위와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의 성적 자율권과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 모두를 포괄한다.사회적 공분을 일으켰던 N번방 사건도 디지털 성범죄에 해당한다. 협박, 강요, 그루밍 등에 의한 촬영물을 포함한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을 비롯해 변형카메라를 이용한 불법촬영물, 합성 편집물(딥페이크) 등이 디지털 성범죄물의 범위에 속한다.디지털 성범죄의 처벌은 결코 가볍지 않다. 불법촬영의 경우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제1항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디지털 성범죄물을 소지하거나 구입, 저장, 시청만 하더라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내려진다.미성년인 10대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성범죄는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아청법)에 따라 다른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 대상 성범죄와 비교해 더 가중된 처벌이 내려진다.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성착취물 제작은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이다.아청법 위반은 죄질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초범이라도 실형이 선고될 확률이 높다. 미성년자에 대한 대부분의 성범죄에 대해 벌금형 없이 징역형만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외에도 신상정보 등록 및 고지 공개, 취업제한 등 강력한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내려진다.디지털 성범죄는 온라인 상에서 발생한다는 특성상 가해자의 범죄의식이 낮고, 피해자의 경우 막대한 정신적 피해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엄격하게 처벌하는 범죄다. 관련 정책이 개정되어 법규가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디지털 성범죄가 성행하고 있다.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아청법 피해는 SNS에서 메타버스로 옮겨지고 있는 추세다. 메타버스를 통해 역할극이나 상황극 등을 빌미로 접근해 온라인상 성적 괴롭힘으로 이어지는 경우, 또 오프라인으로 직접적 피해까지 이어진 경우에 속한다면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대응할 필요가 있다.(대륜 법무법인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 - http://m.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12
미디어파인
2022-06-13
증가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 전문 형사법적 조력 필요 [심재국 변호사 칼럼]
증가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 전문 형사법적 조력 필요 [심재국 변호사 칼럼]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입은 10대들이 최근 3년새 10배 이상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따르면 2018년 1,315명으로 집계됐던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수는 2019년 2,087명, 2020년 4,937명으로 3년 새 3.7배 증가했다.그 중에서도 아동 청소년으로 분류되는 10대의 피해자 수는 3년 새 10.8배 증가했으며, 전체 연령대 중 10대의 비율은 2.8배 증가했다. 2018년 111명(8.4%), 2019년 321명(15.4%), 2020년 1,204명(24.2%) 등의 수치를 보이며 크게 증가한 것.이러한 디지털 성범죄는 디지털 기기와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 온 오프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를 말한다. 동의 없이 상대의 신체를 촬영하거나 유포, 저장, 전시하는 행위를 비롯해 행위와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의 성적 자율권과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 모두를 포괄한다.사회적 공분을 일으켰던 N번방 사건도 디지털 성범죄에 해당한다. 협박, 강요, 그루밍 등에 의한 촬영물을 포함한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을 비롯해 변형카메라를 이용한 불법촬영물, 합성 편집물(딥페이크) 등이 디지털 성범죄물의 범위에 속한다.디지털 성범죄의 처벌은 결코 가볍지 않다. 불법촬영의 경우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제1항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디지털 성범죄물을 소지하거나 구입, 저장, 시청만 하더라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내려진다.미성년인 10대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성범죄는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아청법)에 따라 다른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 대상 성범죄와 비교해 더 가중된 처벌이 내려진다.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성착취물 제작은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이다.아청법 위반은 죄질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초범이라도 실형이 선고될 확률이 높다. 미성년자에 대한 대부분의 성범죄에 대해 벌금형 없이 징역형만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외에도 신상정보 등록 및 고지 공개, 취업제한 등 강력한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내려진다.디지털 성범죄는 온라인 상에서 발생한다는 특성상 가해자의 범죄의식이 낮고, 피해자의 경우 막대한 정신적 피해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엄격하게 처벌하는 범죄다. 관련 정책이 개정되어 법규가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디지털 성범죄가 성행하고 있다.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아청법 피해는 SNS에서 메타버스로 옮겨지고 있는 추세다. 메타버스를 통해 역할극이나 상황극 등을 빌미로 접근해 온라인상 성적 괴롭힘으로 이어지는 경우, 또 오프라인으로 직접적 피해까지 이어진 경우에 속한다면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대응할 필요가 있다.(대륜 법무법인 심재국 변호사)기사본문보기 - http://m.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12
법보신문
2022-05-25
심재국 변호사 “보이스피싱 알바, ATM 통해 피해액 송금했을 때 처벌 수위는”
심재국 변호사 “보이스피싱 알바, ATM 통해 피해액 송금했을 때 처벌 수위는”
보이스피싱 피의자 대부분은 청년층 중장년층까지 포함된 구직자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구직사이트에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올린 수십만 원 일당을 주는 고액아르바이트 공고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범죄 조직은 채권추심, 부동산 업체, 심부름 업체, 택배 및 사무보조 등 강도는 낮지만 일당은 높은 일자리에 현혹된 구직자에게 접근한 뒤, 현금을 피해자에게 직접 받는 수거책으로 활용하거나 성명불상자의 계좌를 전달하고 은행 자동화기기에서 돈을 인출 및 송금하는 방식으로 범죄에 가담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구직자에게 신용카드나 통장을 요구하는 등 필요한 개인정보를 받아 범죄에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금융기관을 사칭하고 피해자를 직접 만나 현금을 받는 ‘대면편취형’ 범죄를 저지르면 사기죄나 사기방조죄로 처벌될 수 있다. 통장이나 카드를 넘겨주게 되면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으로도 처벌된다. 현재 은행에서는 대검찰청과 함께 ATM 송금 시 보이스피싱에 대한 사전경고문을 띄우고 있으며 범죄 예방을 위해 무매체 입금 거래 한도를 1인 1일 100만원으로 제한하고 있다. 은행 ATM 기기를 이용하여 입금을 하기 위해서는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은행 ATM기기를 이용하여 지정한 계좌에 100만원씩 ‘쪼개기 송금’을 진행하게 되면 사기죄 적용 뿐만 아니라 업무방해죄, 주민등록법 위반으로 기소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사기죄가 인정되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사기방조가 인정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업무방해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다른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였다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최근 검찰은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무매체 입금을 하는 행위 역시 은행 업무에 지장을 준 것으로 보고 업무방해죄를 추가하여 기소하고 있으며 유사한 사건에서 유죄 판결을 이끌어낸 사례도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에서 타인의 개인정보로 현금을 송금한 사기범에게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죄’를 적용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것은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성립여부에 대한 문제다. 업무방해죄는 방법 또는 위력으로써 사람의 업무를 방해한 자를 처벌하는 조항이다. 업무에 관한 오인이나 착각을 일으킨 상대방이 있어야 위계에 해당하지만 대법원에서 ATM기기 사용은 은행 직원의 업무가 관여되었다고 볼 사정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보이스피싱 조직의 지시를 받고 이행한 이상, 처벌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여러 법리가 적용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사건에서 정황상 의심할 수 있었던 점이 조금이라도 발견되면 미필적 고의성이 인정되어 형사처벌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 경우라면 고의가 아니었다는 점을 법리적인 시각에 비춰 철저하게 밝혀내야 할 것이다. 보이스피싱 수법에 넘어가 곤란해졌다면 형사 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기사본문보기-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9688
법보신문
2022-05-25
심재국 변호사 “보이스피싱 알바, ATM 통해 피해액 송금했을 때 처벌 수위는”
심재국 변호사 “보이스피싱 알바, ATM 통해 피해액 송금했을 때 처벌 수위는”
보이스피싱 피의자 대부분은 청년층 중장년층까지 포함된 구직자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구직사이트에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올린 수십만 원 일당을 주는 고액아르바이트 공고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범죄 조직은 채권추심, 부동산 업체, 심부름 업체, 택배 및 사무보조 등 강도는 낮지만 일당은 높은 일자리에 현혹된 구직자에게 접근한 뒤, 현금을 피해자에게 직접 받는 수거책으로 활용하거나 성명불상자의 계좌를 전달하고 은행 자동화기기에서 돈을 인출 및 송금하는 방식으로 범죄에 가담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구직자에게 신용카드나 통장을 요구하는 등 필요한 개인정보를 받아 범죄에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금융기관을 사칭하고 피해자를 직접 만나 현금을 받는 ‘대면편취형’ 범죄를 저지르면 사기죄나 사기방조죄로 처벌될 수 있다. 통장이나 카드를 넘겨주게 되면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으로도 처벌된다. 현재 은행에서는 대검찰청과 함께 ATM 송금 시 보이스피싱에 대한 사전경고문을 띄우고 있으며 범죄 예방을 위해 무매체 입금 거래 한도를 1인 1일 100만원으로 제한하고 있다. 은행 ATM 기기를 이용하여 입금을 하기 위해서는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은행 ATM기기를 이용하여 지정한 계좌에 100만원씩 ‘쪼개기 송금’을 진행하게 되면 사기죄 적용 뿐만 아니라 업무방해죄, 주민등록법 위반으로 기소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사기죄가 인정되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사기방조가 인정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업무방해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다른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였다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최근 검찰은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무매체 입금을 하는 행위 역시 은행 업무에 지장을 준 것으로 보고 업무방해죄를 추가하여 기소하고 있으며 유사한 사건에서 유죄 판결을 이끌어낸 사례도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에서 타인의 개인정보로 현금을 송금한 사기범에게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죄’를 적용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것은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성립여부에 대한 문제다. 업무방해죄는 방법 또는 위력으로써 사람의 업무를 방해한 자를 처벌하는 조항이다. 업무에 관한 오인이나 착각을 일으킨 상대방이 있어야 위계에 해당하지만 대법원에서 ATM기기 사용은 은행 직원의 업무가 관여되었다고 볼 사정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보이스피싱 조직의 지시를 받고 이행한 이상, 처벌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여러 법리가 적용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사건에서 정황상 의심할 수 있었던 점이 조금이라도 발견되면 미필적 고의성이 인정되어 형사처벌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억울하게 혐의를 받는 경우라면 고의가 아니었다는 점을 법리적인 시각에 비춰 철저하게 밝혀내야 할 것이다. 보이스피싱 수법에 넘어가 곤란해졌다면 형사 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기사본문보기-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9688
YTN
2022-05-20
김가람 학폭 피해자 측 “하이브 입장 정정 없을시 욕설 메시지 공개” (공식입장)
김가람 학폭 피해자 측 “하이브 입장 정정 없을시 욕설 메시지 공개” (공식입장)
르세라핌 김가람 씨를 둘러싸고 학교폭력 가해자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피해자 측이 법무법인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19일 오후 김가람 씨로부터 학교 폭력 피해를 입은 유은서(가명) 씨는 법무법인 대륜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유은서 씨 측은 앞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공개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에 대해 “진위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는 본 법무법인이 의뢰인으로부터 제출받은 경인중학교장 직인이 날인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와 그 내용이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해자(가명 ‘유은서’)는 2018년 4월 말5월 초 경 김가람과 그 친구들로부터 학교폭력을 당하였고, 그 이후로도 계속된 집단가해를 견디지 못하고 사건 12주 만에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습니다. 이후 2018년 6월 4일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가 개최되었고, 학교폭력 가해학생인 김가람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17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특별교육이수 6시간, 동조 제9항에 따라 학부모 특별교육이수 5시간 처분을 받았고, 학교폭력의 피해자인 유은서는 동법 제 16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심리상담 및 조언 등의 보호조치를 받았습니다”라고 당시 상황을 밝혔다.또한, 유은서 씨 측은 “계속되는 집단가해를 견디지 못하여 자의에 의하여 전학을 간 것임에도 불구하고 ‘유은서의 잘못으로 강제전학을 당하였다.’는 악의적인 소문에 시달리며 전학 이후에도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라며 “약 4년이 흘러 2022년 4월경 르세라핌의 멤버로 김가람이 공개되었고, 당시 사건을 알고 있는 친구들이 유은서에게 연락하여 ‘어떻게 학교폭력 가해자가 연예인이 될 수 있느냐!’고 하면서 울분을 토로하였고, 유은서 역시 잊고 싶었던 당시 사건이 떠오르는 한편 앞으로 자신에게 학교폭력을 가한 가해자가 연예인으로 화려한 생활을 하는 것을 대중매체를 통하여 계속 보아야 한다는 생각에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라고 덧붙였다.이후 유은서 씨 측 법률대리인은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본인이 작성하지 않은 김가람 씨의 학혹 의혹 글이 올라온 후 댓글을 통해 피해자의 실명이 공개됐고 페이스북 메시지, 트위터 글 등을 통하여 각종 악성 메시지를 받고 협박까지 받았음을 공개했다. 또한, 유은서 씨 측 법률 대리인은 르세라핌의 소속사 하이브 측이 최초로 공개한 입장문에서 &apos;악의적 음해&apos;라는 표현에 대해 “하이브의 위 입장문까지 보태어지자, 유은서에 대한 무차별적 2차 가해는 더욱 거세어졌습니다. 이에 유은서가 울면서‘내가 죽어야 끝이 날 것 같다.’고 하고 등교를 거부하기에 이르렀고, 유은서의 보호자는 본 법무법인에 하이브에 대하여 피해자의 입장을 내용증명으로 발송하는 것과, 유은서가 김가람에 대한 폭로글을 게시하였다는 취지의 댓글에 대한 형사고소를 위임하였습니다”라며 이와 관련된 형사고소를 서울 구로 경찰서에 접수하고 하이브에 대해서도 내용증명을 발송했다고 진행상황을 전했다.하이브 측에 발송한 내용증명에는 김가람 씨가 유은서 씨에게 가한 집단가해행위의 내용, 김가람 씨를 악의적으로 음해했다는 오해로 인해 고통받는 현재 상황, 유은서 씨의 탄원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통보서가 첨부됐다.유은서 씨 측은 이와 같은 내용증명과 더불어 “사실과 다른 입장문을 삭제하여 줄 것과 사실에 근거한 입장표명을 다시 해줄 것, 피해자에 대한 사과를 표시해 줄 것, 추후 김가람과 그 친구들의 일방적인 진술만으로 사실과 다른 입장표명을 하지 아니할 것을 촉구하였다”면서 “그러나 하이브는 이에 대하여 어떠한 회신도 하지 아니하였고,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김가람의 연예활동은 계속되었습니다”라면서 르세라핌의 계속된 방송 활동으로 유은서 씨가 끝낸 극단적인 시도를 하게 되었고 학교에도 자퇴 의사를 밝혔다고 전해 충격을 안겼다.이어 유은서 씨 측은 “하이브에서 피해자에 대한 진정한 사과 없이 ‘해당 의혹은 악의적 음해이고 도리어 김가람이 피해자이다.’라는 입장을 계속하여 유지한다면 본 법무법인은 미성년자인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안개요서를 포함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통보서 전문을 공개하고, 사안개요서에는 다 담기지 아니한 당시 끔찍했던 학교폭력의 실상에 대한 피해자의 자세한 진술 및 집단가해현장으로 피해자를 불러내기 위한 욕설 등이 담긴 메시지 전문을 공개할 것 역시 검토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 2차 가해가 없도록 하이브 및 그 산하 쏘스뮤직은 이를 각별히 유념하여 주시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기사본문보기- https://star.ytn.co.kr/_sn/0117_202205191713394604
YTN
2022-05-20
김가람 학폭 피해자 측 “하이브 입장 정정 없을시 욕설 메시지 공개” (공식입장)
김가람 학폭 피해자 측 “하이브 입장 정정 없을시 욕설 메시지 공개” (공식입장)
르세라핌 김가람 씨를 둘러싸고 학교폭력 가해자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피해자 측이 법무법인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19일 오후 김가람 씨로부터 학교 폭력 피해를 입은 유은서(가명) 씨는 법무법인 대륜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유은서 씨 측은 앞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공개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에 대해 “진위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는 본 법무법인이 의뢰인으로부터 제출받은 경인중학교장 직인이 날인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 통보서와 그 내용이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해자(가명 ‘유은서’)는 2018년 4월 말5월 초 경 김가람과 그 친구들로부터 학교폭력을 당하였고, 그 이후로도 계속된 집단가해를 견디지 못하고 사건 12주 만에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습니다. 이후 2018년 6월 4일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가 개최되었고, 학교폭력 가해학생인 김가람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17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특별교육이수 6시간, 동조 제9항에 따라 학부모 특별교육이수 5시간 처분을 받았고, 학교폭력의 피해자인 유은서는 동법 제 16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심리상담 및 조언 등의 보호조치를 받았습니다”라고 당시 상황을 밝혔다.또한, 유은서 씨 측은 “계속되는 집단가해를 견디지 못하여 자의에 의하여 전학을 간 것임에도 불구하고 ‘유은서의 잘못으로 강제전학을 당하였다.’는 악의적인 소문에 시달리며 전학 이후에도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라며 “약 4년이 흘러 2022년 4월경 르세라핌의 멤버로 김가람이 공개되었고, 당시 사건을 알고 있는 친구들이 유은서에게 연락하여 ‘어떻게 학교폭력 가해자가 연예인이 될 수 있느냐!’고 하면서 울분을 토로하였고, 유은서 역시 잊고 싶었던 당시 사건이 떠오르는 한편 앞으로 자신에게 학교폭력을 가한 가해자가 연예인으로 화려한 생활을 하는 것을 대중매체를 통하여 계속 보아야 한다는 생각에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라고 덧붙였다.이후 유은서 씨 측 법률대리인은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본인이 작성하지 않은 김가람 씨의 학혹 의혹 글이 올라온 후 댓글을 통해 피해자의 실명이 공개됐고 페이스북 메시지, 트위터 글 등을 통하여 각종 악성 메시지를 받고 협박까지 받았음을 공개했다. 또한, 유은서 씨 측 법률 대리인은 르세라핌의 소속사 하이브 측이 최초로 공개한 입장문에서 &apos;악의적 음해&apos;라는 표현에 대해 “하이브의 위 입장문까지 보태어지자, 유은서에 대한 무차별적 2차 가해는 더욱 거세어졌습니다. 이에 유은서가 울면서‘내가 죽어야 끝이 날 것 같다.’고 하고 등교를 거부하기에 이르렀고, 유은서의 보호자는 본 법무법인에 하이브에 대하여 피해자의 입장을 내용증명으로 발송하는 것과, 유은서가 김가람에 대한 폭로글을 게시하였다는 취지의 댓글에 대한 형사고소를 위임하였습니다”라며 이와 관련된 형사고소를 서울 구로 경찰서에 접수하고 하이브에 대해서도 내용증명을 발송했다고 진행상황을 전했다.하이브 측에 발송한 내용증명에는 김가람 씨가 유은서 씨에게 가한 집단가해행위의 내용, 김가람 씨를 악의적으로 음해했다는 오해로 인해 고통받는 현재 상황, 유은서 씨의 탄원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통보서가 첨부됐다.유은서 씨 측은 이와 같은 내용증명과 더불어 “사실과 다른 입장문을 삭제하여 줄 것과 사실에 근거한 입장표명을 다시 해줄 것, 피해자에 대한 사과를 표시해 줄 것, 추후 김가람과 그 친구들의 일방적인 진술만으로 사실과 다른 입장표명을 하지 아니할 것을 촉구하였다”면서 “그러나 하이브는 이에 대하여 어떠한 회신도 하지 아니하였고,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김가람의 연예활동은 계속되었습니다”라면서 르세라핌의 계속된 방송 활동으로 유은서 씨가 끝낸 극단적인 시도를 하게 되었고 학교에도 자퇴 의사를 밝혔다고 전해 충격을 안겼다.이어 유은서 씨 측은 “하이브에서 피해자에 대한 진정한 사과 없이 ‘해당 의혹은 악의적 음해이고 도리어 김가람이 피해자이다.’라는 입장을 계속하여 유지한다면 본 법무법인은 미성년자인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안개요서를 포함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결과통보서 전문을 공개하고, 사안개요서에는 다 담기지 아니한 당시 끔찍했던 학교폭력의 실상에 대한 피해자의 자세한 진술 및 집단가해현장으로 피해자를 불러내기 위한 욕설 등이 담긴 메시지 전문을 공개할 것 역시 검토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 2차 가해가 없도록 하이브 및 그 산하 쏘스뮤직은 이를 각별히 유념하여 주시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기사본문보기- https://star.ytn.co.kr/_sn/0117_202205191713394604
매일경제
2022-05-17
"환율 쌀때 샀는데 배송 취소하라니"…해외직구 갈등 커져
"환율 쌀때 샀는데 배송 취소하라니"…해외직구 갈등 커져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로 물류 흐름이 막히면서 해외직구 배송이 지연된 데다 그사이 환율까지 급등하면서 수입품 배송을 둘러싼 갈등이 커지고 있다. 배송이 장기간 지연되면서 거래를 취소해야 할 경우가 생기는데, 봉쇄 조치가 내려진 최근 6주 사이 환율이 5% 이상 상승하면서 수입품 가격이 급격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A씨는 지난 4월 초 쿠팡을 통해 디올 자도르 향수를 구매했으나 배송 기간으로 안내된 2주가 지나도 상품을 받지 못했다. 일주일을 더 기다리다 쿠팡 측에 문의한 A씨는 수입 통관이 이뤄져 상품이 국내 배송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그러나 일주일을 더 기다려도 상품이 도착하지 않아 A씨가 쿠팡 측에 다시 한번 항의하자, 이번에는 해당 상품이 유실돼 결제를 취소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업체 측에서 배송 취소를 요구한 것은 배송이 지연되는 최근 한 달 사이 향수 판매가격이 급격히 올랐기 때문이다.A씨는 "4월 초만 해도 100㎖ 기준 10만원대 상품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고, 저는 그중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을 찾아 8만원대 상품을 구매했다"며 "지금 같은 상품을 사려면 12만13만원을 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판매사 말처럼 결제를 취소하고 새 상품을 구매할 경우 2만3만원의 웃돈을 줘야 하는 셈이다.명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매매계약 체결 후 상인이 매수자에게 물건을 인도하지 않은 경우 지체 책임은 상인에게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한 확대손해도 상인이 책임져야 한다"며 "다만 이 사건은 택배회사가 운송 중 분실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손해에 대한 책임은 택배회사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워낙 소액에 해당해 소비자들이 현실적으로 소송에 나서기 쉽지 않기 때문에 손해배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기사본문보기-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5/417356/
매일경제
2022-05-17
"환율 쌀때 샀는데 배송 취소하라니"…해외직구 갈등 커져
"환율 쌀때 샀는데 배송 취소하라니"…해외직구 갈등 커져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로 물류 흐름이 막히면서 해외직구 배송이 지연된 데다 그사이 환율까지 급등하면서 수입품 배송을 둘러싼 갈등이 커지고 있다. 배송이 장기간 지연되면서 거래를 취소해야 할 경우가 생기는데, 봉쇄 조치가 내려진 최근 6주 사이 환율이 5% 이상 상승하면서 수입품 가격이 급격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A씨는 지난 4월 초 쿠팡을 통해 디올 자도르 향수를 구매했으나 배송 기간으로 안내된 2주가 지나도 상품을 받지 못했다. 일주일을 더 기다리다 쿠팡 측에 문의한 A씨는 수입 통관이 이뤄져 상품이 국내 배송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그러나 일주일을 더 기다려도 상품이 도착하지 않아 A씨가 쿠팡 측에 다시 한번 항의하자, 이번에는 해당 상품이 유실돼 결제를 취소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업체 측에서 배송 취소를 요구한 것은 배송이 지연되는 최근 한 달 사이 향수 판매가격이 급격히 올랐기 때문이다.A씨는 "4월 초만 해도 100㎖ 기준 10만원대 상품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고, 저는 그중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을 찾아 8만원대 상품을 구매했다"며 "지금 같은 상품을 사려면 12만13만원을 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판매사 말처럼 결제를 취소하고 새 상품을 구매할 경우 2만3만원의 웃돈을 줘야 하는 셈이다.명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매매계약 체결 후 상인이 매수자에게 물건을 인도하지 않은 경우 지체 책임은 상인에게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한 확대손해도 상인이 책임져야 한다"며 "다만 이 사건은 택배회사가 운송 중 분실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손해에 대한 책임은 택배회사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워낙 소액에 해당해 소비자들이 현실적으로 소송에 나서기 쉽지 않기 때문에 손해배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기사본문보기-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5/417356/
조세일보
2022-04-27
음주측정거부, 음주운전보다 처벌 가볍지 않아
음주측정거부, 음주운전보다 처벌 가볍지 않아
운전자들은 대부분 음주 상태에서 운전한 사실이 적발되었을 때 형사처벌을 받게 되는 것이 두려워 거짓말을 하거나 음주측정을 거부한다.하지만 음주측정거부에 대한 처벌은 5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당히 무거운 편이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다가는 음주운전을 시인하고 반성하는 것보다 더욱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될 수 있다.운전자는 음주 측정 요구에 반드시 응해야 하며 만일 별다른 이유 없이 음주측정을 거부하면 음주측정거부 혐의로 체포되어 처벌을 받게 된다.음주측정거부는 경찰관의 요구를 1회 거절했다고 해서 성립되지는 않는다. 경찰관은 5분 간격으로 3회 이상 음주측정을 요구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3회 이상 거절했을 때에만 음주측정거부로 처벌할 수 있다.그럼에도 음주측정거부를 행사했을 경우 반성의 의지가 확고하고 면허취소 구제, 처벌 완화 등의 필요성이 있을 때 법률 전문가를 찾아 도움을 받을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실제로 얼마전 A씨는 음주 후 대리운전을 불러 귀가를 하다 상점에 들렸다. 집 근처에 있던 상점인지라 볼일을 본 후 상점에서부터는 스스로 운전을 하다 음주운전측정을 받게 됐다. 과거에 음주운전 기록이 있어 측정을 피하고 싶었던 A씨는 음주측정거부로 처벌 위기에 놓여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의뢰인이 반주를 한 후 술에 취한 상태로는 운전대를 잡지 않겠다는 의지로 대리운전을 이용한 사실, 집앞 상점에서 대리 운전기사를 돌려보내고 상점에 들렀다 집까지 가는 짧은 거리만을 스스로 운전한 사실, 과거 음주 운전 경력이 있어 처벌이 두려워 반사적으로 음주측정을 거부하게 되었다는 사실, 이 모든 사실을 반성하고 있으며 재범방지를 위해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방문해 심리상담을 수차례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 피고인 구금 시 부양가족의 생계가 위태롭다는 사실, 사고 이후 차량을 처분한 사실 등을 고려하여 법의 테두리 내에서 최대한의 관용을 베풀어 줄 것을 호소했고 그 결과 집행유예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최근 검찰, 경찰 수사권 조정 등 각 수사단계의 전문성 있는 대응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음주운전은 당연히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고, 측정 거부 또한 처벌을 피하기 어렵지만 부득이한 경우 처벌을 경감하기 위해 형사전문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하는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실전 경험이 충만한 부장검사, 전관출신의 변호사와 경찰출신 자문위원을 통해 현실적이고 날카로운 법리 해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이어 “전관 출신 변호사들이 주축이 돼 형사전담센터와 그 외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까지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청주를 비롯한 진주, 춘천, 전주, 천안 등 전국에서 21개 지점을 운영 중이다.기사본문보기 -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4/20220427453076.html
조세일보
2022-04-27
음주측정거부, 음주운전보다 처벌 가볍지 않아
음주측정거부, 음주운전보다 처벌 가볍지 않아
운전자들은 대부분 음주 상태에서 운전한 사실이 적발되었을 때 형사처벌을 받게 되는 것이 두려워 거짓말을 하거나 음주측정을 거부한다.하지만 음주측정거부에 대한 처벌은 5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당히 무거운 편이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다가는 음주운전을 시인하고 반성하는 것보다 더욱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될 수 있다.운전자는 음주 측정 요구에 반드시 응해야 하며 만일 별다른 이유 없이 음주측정을 거부하면 음주측정거부 혐의로 체포되어 처벌을 받게 된다.음주측정거부는 경찰관의 요구를 1회 거절했다고 해서 성립되지는 않는다. 경찰관은 5분 간격으로 3회 이상 음주측정을 요구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3회 이상 거절했을 때에만 음주측정거부로 처벌할 수 있다.그럼에도 음주측정거부를 행사했을 경우 반성의 의지가 확고하고 면허취소 구제, 처벌 완화 등의 필요성이 있을 때 법률 전문가를 찾아 도움을 받을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실제로 얼마전 A씨는 음주 후 대리운전을 불러 귀가를 하다 상점에 들렸다. 집 근처에 있던 상점인지라 볼일을 본 후 상점에서부터는 스스로 운전을 하다 음주운전측정을 받게 됐다. 과거에 음주운전 기록이 있어 측정을 피하고 싶었던 A씨는 음주측정거부로 처벌 위기에 놓여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의뢰인이 반주를 한 후 술에 취한 상태로는 운전대를 잡지 않겠다는 의지로 대리운전을 이용한 사실, 집앞 상점에서 대리 운전기사를 돌려보내고 상점에 들렀다 집까지 가는 짧은 거리만을 스스로 운전한 사실, 과거 음주 운전 경력이 있어 처벌이 두려워 반사적으로 음주측정을 거부하게 되었다는 사실, 이 모든 사실을 반성하고 있으며 재범방지를 위해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방문해 심리상담을 수차례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 피고인 구금 시 부양가족의 생계가 위태롭다는 사실, 사고 이후 차량을 처분한 사실 등을 고려하여 법의 테두리 내에서 최대한의 관용을 베풀어 줄 것을 호소했고 그 결과 집행유예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최근 검찰, 경찰 수사권 조정 등 각 수사단계의 전문성 있는 대응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음주운전은 당연히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고, 측정 거부 또한 처벌을 피하기 어렵지만 부득이한 경우 처벌을 경감하기 위해 형사전문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하는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실전 경험이 충만한 부장검사, 전관출신의 변호사와 경찰출신 자문위원을 통해 현실적이고 날카로운 법리 해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이어 “전관 출신 변호사들이 주축이 돼 형사전담센터와 그 외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까지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청주를 비롯한 진주, 춘천, 전주, 천안 등 전국에서 21개 지점을 운영 중이다.기사본문보기 -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4/20220427453076.html
조세일보
2022-03-10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김근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김근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김근수 전 부산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를 추가 영입했다고 7일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검찰, 경찰 수사권 조정 등 각 수사단계의 전문성 있는 대응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형사전담센터의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김 변호사 영입을 결정했다. 전관 출신 변호사의 합류로 각종 형사소송에 면밀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출신인 김 변호사는 서울지검 검사로 임관해 서울지검, 광주고등검찰청을 거쳐 서울동부지검 형사 5부장 및 형사 3부장 검사, 부산지방검찰청 형사 1부장 검사 등을 역임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올해 경력변호사 영입은 형사전문센터 강화를 위해 이뤄졌는데 실전경험이 충만한 차장·부장검사 출신의 변호사들이 영입되면서 형사사건에 대한 전문성과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차장·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들과 경찰출신전문위원들의 경력들을 살려 현실적이고 날카로운 법리 해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전관 출신 변호사들이 주축이 돼 형사전담센터와 그 외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까지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수원, 천안, 제주 등 전국에서 20개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기사본문보기-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3/20220307448270.html
조세일보
2022-03-10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김근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 부장검사 출신 김근수 변호사 영입
법무법인 대륜이 김근수 전 부산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를 추가 영입했다고 7일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은 최근 검찰, 경찰 수사권 조정 등 각 수사단계의 전문성 있는 대응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형사전담센터의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김 변호사 영입을 결정했다. 전관 출신 변호사의 합류로 각종 형사소송에 면밀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출신인 김 변호사는 서울지검 검사로 임관해 서울지검, 광주고등검찰청을 거쳐 서울동부지검 형사 5부장 및 형사 3부장 검사, 부산지방검찰청 형사 1부장 검사 등을 역임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올해 경력변호사 영입은 형사전문센터 강화를 위해 이뤄졌는데 실전경험이 충만한 차장·부장검사 출신의 변호사들이 영입되면서 형사사건에 대한 전문성과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차장·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들과 경찰출신전문위원들의 경력들을 살려 현실적이고 날카로운 법리 해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전관 출신 변호사들이 주축이 돼 형사전담센터와 그 외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까지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수원, 천안, 제주 등 전국에서 20개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기사본문보기-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2/03/20220307448270.html
미디어파인
2022-02-28
 미성년자 의제강간 무조건 처벌, 10대 청소년 범죄도 주의
미성년자 의제강간 무조건 처벌, 10대 청소년 범죄도 주의
취약계층 아동·청소년과 가출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잇따르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오갈 데 없는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성 착취와 촉법소년, 범죄소년 등의 문제도 심각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나온다. 우범지대에 노출된 10대 청소년들이 흉악한 범죄를 대담하게 저지르고 미성년자 신분을 악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형사 범죄 중에서는 미성년자 성 착취와 성범죄가 심각하다. 10대가 동료를 담뱃불로 지지고 불법 촬영을 하다 긴급 체포되거나 학교 동급생을 성추행, 성폭행해 구속되는 사례 등이 보기다.가해자 연령이 낮아 소년보호사건에 해당해도 사안이 중대하면 구속은 물론 가정법원이 아닌 형사법에 따라 처벌을 받기는 예도 있다. 현행법상 만 14~19세 미만에 해당하면 형사책임능력자로 범죄의 심각성에 따라 형사 절차와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다.초범임에도 실형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 범죄를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만 19세 이상의 성인이 미성년자에게 성 착취나 성매매를 요구하는 사건에도 주의해야 한다. 보호를 빌미로 성관계를 하게 되면 미성년자 의제강간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형법에 따르면 성인이 만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와 합의로 성관계를 했을 때는 강간죄에 준하는 처벌을 받는다. 미성년자의제강간은 일반 강간죄와 달리 폭행·협박, 피해자의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죄가 성립된다. 강간죄와 동일하게 3년 이상의 유기징역을 받을 수 있다. 의제강간이 아닌 강간죄로 밝혀지면 형량은 더 무거워질 수 있다.현재 대법원 2021 양형기준을 보면 만 13세 미만을 상대로 한 의제강간의 형량은 8년 이상으로 무겁게 적용되고 있다. 성관계가 있었다면 범죄 정황과 피해자 나이에 따라 적용되는 형량이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 실형과 함께 성범죄자 보안처분까지 내려지고 있어 조치가 필요하다.우리 법은 미성년자의 성적 자유를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지 않다. 사회적으로 보호해야 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 착취를 일삼거나 폭행·협박의 수단까지 충족된 강간은 아동·청소년 성보호법이 적용돼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는 등 일반 형사 범죄보다 더욱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만약, 사실 관계에 있어 억울한 부분이 있다면 합의로 했다는 진술을 하기보다는 관련 사건에 관한 형사전문변호사의 법적 조력이 필요할 수 있다.(대륜 법무법인 정찬우 변호사) 기사본문보기 - http://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48
미디어파인
2022-02-28
 미성년자 의제강간 무조건 처벌, 10대 청소년 범죄도 주의
미성년자 의제강간 무조건 처벌, 10대 청소년 범죄도 주의
취약계층 아동·청소년과 가출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잇따르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오갈 데 없는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성 착취와 촉법소년, 범죄소년 등의 문제도 심각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나온다. 우범지대에 노출된 10대 청소년들이 흉악한 범죄를 대담하게 저지르고 미성년자 신분을 악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형사 범죄 중에서는 미성년자 성 착취와 성범죄가 심각하다. 10대가 동료를 담뱃불로 지지고 불법 촬영을 하다 긴급 체포되거나 학교 동급생을 성추행, 성폭행해 구속되는 사례 등이 보기다.가해자 연령이 낮아 소년보호사건에 해당해도 사안이 중대하면 구속은 물론 가정법원이 아닌 형사법에 따라 처벌을 받기는 예도 있다. 현행법상 만 14~19세 미만에 해당하면 형사책임능력자로 범죄의 심각성에 따라 형사 절차와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다.초범임에도 실형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 범죄를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만 19세 이상의 성인이 미성년자에게 성 착취나 성매매를 요구하는 사건에도 주의해야 한다. 보호를 빌미로 성관계를 하게 되면 미성년자 의제강간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형법에 따르면 성인이 만 16세 미만의 미성년자와 합의로 성관계를 했을 때는 강간죄에 준하는 처벌을 받는다. 미성년자의제강간은 일반 강간죄와 달리 폭행·협박, 피해자의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죄가 성립된다. 강간죄와 동일하게 3년 이상의 유기징역을 받을 수 있다. 의제강간이 아닌 강간죄로 밝혀지면 형량은 더 무거워질 수 있다.현재 대법원 2021 양형기준을 보면 만 13세 미만을 상대로 한 의제강간의 형량은 8년 이상으로 무겁게 적용되고 있다. 성관계가 있었다면 범죄 정황과 피해자 나이에 따라 적용되는 형량이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 실형과 함께 성범죄자 보안처분까지 내려지고 있어 조치가 필요하다.우리 법은 미성년자의 성적 자유를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지 않다. 사회적으로 보호해야 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 착취를 일삼거나 폭행·협박의 수단까지 충족된 강간은 아동·청소년 성보호법이 적용돼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는 등 일반 형사 범죄보다 더욱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만약, 사실 관계에 있어 억울한 부분이 있다면 합의로 했다는 진술을 하기보다는 관련 사건에 관한 형사전문변호사의 법적 조력이 필요할 수 있다.(대륜 법무법인 정찬우 변호사) 기사본문보기 - http://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48
매일경제
2021-11-04
제이세라 "수면제 먹고 잠든 상태서 성범죄 당해, 법적대응"
제이세라 "수면제 먹고 잠든 상태서 성범죄 당해, 법적대응"
가수 제이세라(33)가 성폭행 무고 협박을 했다는 A씨의 주장을 정면 반박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제이세라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최이선 변호사는 3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제이세라는 2021. 8. 16. 밤, 수면제를 먹고 잠이 든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성범죄를 당했다”면서 “사건 이후 상대방이 제이세라에게 계속하여 사랑을 고백하면서 자신이 진심으로 제이세라를 좋아한다고 했고, 상대방은 제이세라가 방송준비 등을 위하여 꼭 필요한 인맥이기도 해 그날 일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지낸 것은 사실이다”라고 밝혔다.하지만 이후 A씨가 제이세라와 성적 접촉을 했다고 자랑처럼 이야기 하고 다녔고, 화가 난 제이세라는 “어떻게 수면제를 먹고 잠든 나를 성폭행 하고서, 어떻게 주변에 그걸 자랑처럼 떠벌리고 다닐 수 있니”라고 추궁했다고 최 변호사는 설명했다.최 변호사는 “제이세라가 상대방에게 ‘너 내가 수면제 먹은 걸 알면서도 그랬잖아. 그거 강간이야’라고 하자, 상대방은 ‘수면제 먹은 걸 그때는 몰랐고 며칠 뒤에 알았다’라고 하면서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말을 했다. 유튜브에 있는 녹음파일은 상대방이 자의적으로 편집한 것이고, 제이세라측은 원본을 가지고 있으며 수사기관에 제출할 예정이다”라고 했다.아울러 제이세라가 A씨를 숙박업소로 불렀고, 집주소도 알려줬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제이세라는 사건 당일 유튜브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방을 2개 예약하고 여러 인플루언서를 초대했다”며 “상대방을 숙박업소에 초대하는 목적이 ‘영상촬영을 위한 여러 인플루언서들의 모임’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는데, 상대방은 이러한 내용을 악의적으로 편집해 마치 제이세라가 성적인 의도로 숙박업소를 예약하고 상대방에게 접근 한 것 처럼 거짓주장을 펼쳤다”라고 설명했다.또 “세라뮤직은 소규모 개인소속사여서 제이세라의 집을 회사관련 미팅 등을 하는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지인, 직원 등은 업무를 위해 자주 집을 방문해야 하는 사람들은 집의 비밀번호를 알고 있었으며 이 사실을 상대방도 충분히 알고 있었다. 따라서 집에 초대한 것을 성적인 의도로 해석하는 것 역시 상대방의 일방적인 주장이다”라고 반박했다.최 변호사는 “이 사건의 증거와 법리를 면밀히 검토하고 여러분이 의아해 하시는 부분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과 그 증거를 확인했으며, 상대방 준강제추행, 명예훼손 혐의에 대하여 고소를 제기하고 정당한 법적 절차를 진행할 것이다”라고 법적 대응을 시사했다.지난 달 28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유명 가수 J양에게 협박당하고 있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해당 글에 따르면 J와 작업을 진행하며 친해진 A씨는 이후 J의 집에서 스킨십을 하다 J가 고백을 하자 이를 거절했다. 이후 급작스럽게 J가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욕설과 협박을 했다는 것.A씨는 이에 대한 증거로 J와 함께 나눈 카카오톡 대화 메시지 일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해당 대화 내용에는 J가 A씨에게 친근함을 전하고 자신의 집 비밀번호 등을 알려주는 내용이 담겼다.이후 J양으로 지목된 제이세라는 같은 달 30일 "전혀 제 이상형도 아니고 호감의 느낌을 받은 적도 없어서 고백을 고사했던 저에게 이런 피해를 주려고 하니 마음이 더 상하고 오히려 그분이 안타깝다"며 "명예훼손에 관련된 사항들을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2010년 싱글 앨범 &apos;론리 나이트(Lonely Night)&apos;로 데뷔한 제이세라는 &apos;내가 없어&apos;, &apos;열병&apos;, &apos;사랑한다고&apos; 등의 곡을 발매했다. 뿐만 아니라 &apos;여자의 비밀&apos;, &apos;빛나라 은수&apos;, &apos;여름아 부탁해&apos;, &apos;우아한 모녀&apos; 등 다수 드라마의 OST에 참여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4874057
매일경제
2021-11-04
제이세라 "수면제 먹고 잠든 상태서 성범죄 당해, 법적대응"
제이세라 "수면제 먹고 잠든 상태서 성범죄 당해, 법적대응"
가수 제이세라(33)가 성폭행 무고 협박을 했다는 A씨의 주장을 정면 반박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제이세라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대륜 최이선 변호사는 3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제이세라는 2021. 8. 16. 밤, 수면제를 먹고 잠이 든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성범죄를 당했다”면서 “사건 이후 상대방이 제이세라에게 계속하여 사랑을 고백하면서 자신이 진심으로 제이세라를 좋아한다고 했고, 상대방은 제이세라가 방송준비 등을 위하여 꼭 필요한 인맥이기도 해 그날 일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지낸 것은 사실이다”라고 밝혔다.하지만 이후 A씨가 제이세라와 성적 접촉을 했다고 자랑처럼 이야기 하고 다녔고, 화가 난 제이세라는 “어떻게 수면제를 먹고 잠든 나를 성폭행 하고서, 어떻게 주변에 그걸 자랑처럼 떠벌리고 다닐 수 있니”라고 추궁했다고 최 변호사는 설명했다.최 변호사는 “제이세라가 상대방에게 ‘너 내가 수면제 먹은 걸 알면서도 그랬잖아. 그거 강간이야’라고 하자, 상대방은 ‘수면제 먹은 걸 그때는 몰랐고 며칠 뒤에 알았다’라고 하면서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말을 했다. 유튜브에 있는 녹음파일은 상대방이 자의적으로 편집한 것이고, 제이세라측은 원본을 가지고 있으며 수사기관에 제출할 예정이다”라고 했다.아울러 제이세라가 A씨를 숙박업소로 불렀고, 집주소도 알려줬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제이세라는 사건 당일 유튜브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방을 2개 예약하고 여러 인플루언서를 초대했다”며 “상대방을 숙박업소에 초대하는 목적이 ‘영상촬영을 위한 여러 인플루언서들의 모임’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는데, 상대방은 이러한 내용을 악의적으로 편집해 마치 제이세라가 성적인 의도로 숙박업소를 예약하고 상대방에게 접근 한 것 처럼 거짓주장을 펼쳤다”라고 설명했다.또 “세라뮤직은 소규모 개인소속사여서 제이세라의 집을 회사관련 미팅 등을 하는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지인, 직원 등은 업무를 위해 자주 집을 방문해야 하는 사람들은 집의 비밀번호를 알고 있었으며 이 사실을 상대방도 충분히 알고 있었다. 따라서 집에 초대한 것을 성적인 의도로 해석하는 것 역시 상대방의 일방적인 주장이다”라고 반박했다.최 변호사는 “이 사건의 증거와 법리를 면밀히 검토하고 여러분이 의아해 하시는 부분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과 그 증거를 확인했으며, 상대방 준강제추행, 명예훼손 혐의에 대하여 고소를 제기하고 정당한 법적 절차를 진행할 것이다”라고 법적 대응을 시사했다.지난 달 28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유명 가수 J양에게 협박당하고 있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해당 글에 따르면 J와 작업을 진행하며 친해진 A씨는 이후 J의 집에서 스킨십을 하다 J가 고백을 하자 이를 거절했다. 이후 급작스럽게 J가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욕설과 협박을 했다는 것.A씨는 이에 대한 증거로 J와 함께 나눈 카카오톡 대화 메시지 일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해당 대화 내용에는 J가 A씨에게 친근함을 전하고 자신의 집 비밀번호 등을 알려주는 내용이 담겼다.이후 J양으로 지목된 제이세라는 같은 달 30일 "전혀 제 이상형도 아니고 호감의 느낌을 받은 적도 없어서 고백을 고사했던 저에게 이런 피해를 주려고 하니 마음이 더 상하고 오히려 그분이 안타깝다"며 "명예훼손에 관련된 사항들을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2010년 싱글 앨범 &apos;론리 나이트(Lonely Night)&apos;로 데뷔한 제이세라는 &apos;내가 없어&apos;, &apos;열병&apos;, &apos;사랑한다고&apos; 등의 곡을 발매했다. 뿐만 아니라 &apos;여자의 비밀&apos;, &apos;빛나라 은수&apos;, &apos;여름아 부탁해&apos;, &apos;우아한 모녀&apos; 등 다수 드라마의 OST에 참여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4874057
매일경제
2021-10-27
2억 받아간 현금수거책에 집행유예?... 보이스피싱 판치는데 처벌 솜방망이
2억 받아간 현금수거책에 집행유예?... 보이스피싱 판치는데 처벌 솜방망이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수법이 계좌이체 방식에서 직접 현금을 받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지만 오히려 처벌 수위는 낮아지고 있다. 현금을 직접 받으러 오는 일명 &apos;현금 수거책&apos;은 보이스피싱의 핵심 가담자이지만 이들에게 집행유예나 무죄가 선고되는 일이 늘고 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보이스피싱에 현금 수거책으로 가담해 총 11명에게 2억원 이상 피해를 입힌 A씨(43)는 지난 2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피고인 A씨는 지난해 11월 말 채용 사이트를 통해 아르바이트를 알아보다가 보이스피싱 조직원에게 제안을 받고 현금 수거책 역할을 맡았다. A씨는 피해자를 만나 금융기관 직원 행세를 하며 피해자를 재차 속이고 현금을 넘겨받았다. 이어 지정된 계좌로 현금을 송금하는 방식으로 작년 12월 한 달 사이에만 총 11명의 피해자에게 16회에 걸쳐 2억1750만원의 현금을 받았다. 피해자 1명당 평균 2000만원의 피해를 입힌 셈이다.A씨에 대해 보이스피싱 공범으로 &apos;사기&apos; 혐의가 인정됐지만, 그에게 선고된 형벌은 사회봉사 120시간과 추징금 400만원에 그쳤다. "보이스피싱을 의심하고도 이를 감수하기는 했으나 범행에 가담하기를 바라거나 심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양형 이유였다.법원 관계자는 "현금 수거책이 미필적 고의로 범행에 가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역시 보이스피싱 범죄의 공범에 해당한다는 점을 대중이 잘 모르기 때문에 처벌을 무겁게 해도 하위 조직원이 보이스피싱 범행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최근 대법원 판례에서도 이러한 추세가 나타난다. 지난 6월 대법원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구인광고에 속아 보이스피싱 범행의 현금 수거책 역할을 한 B씨(40)에 대해 무죄를 확정했다. 1심은 B씨에게 사기에 대한 &apos;미필적 고의&apos;가 있었다고 보고 징역 1년을 선고했다.반면 2심은 1심 판결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자신의 행위가 보이스피싱과 관련돼 있다고 인식했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법무법인 대륜의 명현준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총책과 관리책은 주로 해외에 거주해 검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과거에는 현금 수거책을 사기죄의 공범으로 쉽게 인정하면서 본범과 유사하게 실형을 내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방조의 고의를 쉽게 인정하는 것이 형사정책상 올바른 판단이냐는 논의가 일면서 처벌수위가 다소 낮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869992
매일경제
2021-10-27
2억 받아간 현금수거책에 집행유예?... 보이스피싱 판치는데 처벌 솜방망이
2억 받아간 현금수거책에 집행유예?... 보이스피싱 판치는데 처벌 솜방망이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수법이 계좌이체 방식에서 직접 현금을 받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지만 오히려 처벌 수위는 낮아지고 있다. 현금을 직접 받으러 오는 일명 &apos;현금 수거책&apos;은 보이스피싱의 핵심 가담자이지만 이들에게 집행유예나 무죄가 선고되는 일이 늘고 있다.26일 법조계에 따르면 보이스피싱에 현금 수거책으로 가담해 총 11명에게 2억원 이상 피해를 입힌 A씨(43)는 지난 2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피고인 A씨는 지난해 11월 말 채용 사이트를 통해 아르바이트를 알아보다가 보이스피싱 조직원에게 제안을 받고 현금 수거책 역할을 맡았다. A씨는 피해자를 만나 금융기관 직원 행세를 하며 피해자를 재차 속이고 현금을 넘겨받았다. 이어 지정된 계좌로 현금을 송금하는 방식으로 작년 12월 한 달 사이에만 총 11명의 피해자에게 16회에 걸쳐 2억1750만원의 현금을 받았다. 피해자 1명당 평균 2000만원의 피해를 입힌 셈이다.A씨에 대해 보이스피싱 공범으로 &apos;사기&apos; 혐의가 인정됐지만, 그에게 선고된 형벌은 사회봉사 120시간과 추징금 400만원에 그쳤다. "보이스피싱을 의심하고도 이를 감수하기는 했으나 범행에 가담하기를 바라거나 심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양형 이유였다.법원 관계자는 "현금 수거책이 미필적 고의로 범행에 가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역시 보이스피싱 범죄의 공범에 해당한다는 점을 대중이 잘 모르기 때문에 처벌을 무겁게 해도 하위 조직원이 보이스피싱 범행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최근 대법원 판례에서도 이러한 추세가 나타난다. 지난 6월 대법원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구인광고에 속아 보이스피싱 범행의 현금 수거책 역할을 한 B씨(40)에 대해 무죄를 확정했다. 1심은 B씨에게 사기에 대한 &apos;미필적 고의&apos;가 있었다고 보고 징역 1년을 선고했다.반면 2심은 1심 판결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자신의 행위가 보이스피싱과 관련돼 있다고 인식했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법무법인 대륜의 명현준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총책과 관리책은 주로 해외에 거주해 검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과거에는 현금 수거책을 사기죄의 공범으로 쉽게 인정하면서 본범과 유사하게 실형을 내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방조의 고의를 쉽게 인정하는 것이 형사정책상 올바른 판단이냐는 논의가 일면서 처벌수위가 다소 낮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869992
쿠키뉴스
2021-10-26
[동의하십니까] '제 2의 N번방' 온리팬스 사건 국제공조수사 촉구 청원
[동의하십니까] '제 2의 N번방' 온리팬스 사건 국제공조수사 촉구 청원
성착취물 영상을 제작·유포하는 디지털 성폭력 범죄가 또 발생했습니다. 지난해 ‘N번방 사건’ 이후에도 디지털 성범죄 관련 대책은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있습니다.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제2의 N번방, 온리팬스 사건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수사를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지난 23일 게재됐습니다. 25일 오후 5시30분 기준 378명이 동의했습니다. 해당 청원은 사전동의 100명을 넘어 관리자가 검토 중입니다.지난 19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정보통신망법,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 위반 혐의로 30대 A씨를 구속했다고 밝혔습니다. A씨는 약 1년간 성착취물 영상 성착취물 영상 256건을 제작, 해외 SNS에 판매해 총 4억5000만원의 불법 수익금을 챙긴 혐의를 받습니다. 경찰은 A씨의 범행에 가담한 10명도 성착취물 영상 유포 혐의로 입건했습니다.A씨는 트위터를 통해 남성 1명과 여성 9명을 모집한 뒤, 경기지역 곳곳에서 성 착취물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영상물 속 여성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있습니다. 제작된 영상물은 영국의 구독형 SNS인 ‘온리팬스’에 등록됐습니다. 해당 플랫폼은 이용자가 일정한 요금을 낸 후 콘텐츠를 시청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온리팬스의 문제는 성인용 SNS이지만, 청소년의 접근이 쉽다는 점입니다. 18세 이상만 가입할 수 있지만, 성인 인증 절차가 허술합니다. 음란물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보안 수준도 높습니다. 이 때문에 온리팬스 내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영국 BBC는 지난 5월 온리팬스 내 청소년 대상 음란물 배포 사례를 보도, 온리팬스가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디지털 성착취물 제작?유포 가해자들은 해외 SNS를 이용해 수사망을 피하고 있습니다. 청원인은 “디지털 성범죄자들은 해외 SNS를 통해 수사망을 회피하고 있다”며 “수사를 위해 타국에 국제 공조를 요청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N번방 사건’도 해외 SNS인 텔레그램을 통해 미성년자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했습니다. 가해자들은 텔레그램의 보안을 강조하며 경찰을 조롱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경찰은 인터폴 등 해외 법집행기관과의 협력과 외교 경로를 통한 디지털 성폭력 협력 수사를 강조했습니다.대책 마련에 나선 이후에도 디지털 성폭력 범죄 행위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고병준 성범죄전문센터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현재 경찰청이 사이버 안전국에 글로벌 기업 홍보 전담 팀을 신설해 수사기관뿐만 아니라 해외 SNS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해당 기업들이 해외 서버를 두고 있으며 국내법 적용을 받지 않다 보니 관습적으로 수사는 어렵다”라고 말했습니다. 고 변호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온리팬스 서비스에 대해 검토 중”이라면서 “온리팬스에서도 약관을 위반하는 내용일 경우 계정을 폐쇄한다는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이것만으로 불법 영상물 유통을 막기는 어렵다”라고 전했습니다. 여러분은 청원에 동의하십니까.기사본문보기 -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110250033
쿠키뉴스
2021-10-26
[동의하십니까] '제 2의 N번방' 온리팬스 사건 국제공조수사 촉구 청원
[동의하십니까] '제 2의 N번방' 온리팬스 사건 국제공조수사 촉구 청원
성착취물 영상을 제작·유포하는 디지털 성폭력 범죄가 또 발생했습니다. 지난해 ‘N번방 사건’ 이후에도 디지털 성범죄 관련 대책은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있습니다.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제2의 N번방, 온리팬스 사건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수사를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지난 23일 게재됐습니다. 25일 오후 5시30분 기준 378명이 동의했습니다. 해당 청원은 사전동의 100명을 넘어 관리자가 검토 중입니다.지난 19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정보통신망법,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 위반 혐의로 30대 A씨를 구속했다고 밝혔습니다. A씨는 약 1년간 성착취물 영상 성착취물 영상 256건을 제작, 해외 SNS에 판매해 총 4억5000만원의 불법 수익금을 챙긴 혐의를 받습니다. 경찰은 A씨의 범행에 가담한 10명도 성착취물 영상 유포 혐의로 입건했습니다.A씨는 트위터를 통해 남성 1명과 여성 9명을 모집한 뒤, 경기지역 곳곳에서 성 착취물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영상물 속 여성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있습니다. 제작된 영상물은 영국의 구독형 SNS인 ‘온리팬스’에 등록됐습니다. 해당 플랫폼은 이용자가 일정한 요금을 낸 후 콘텐츠를 시청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온리팬스의 문제는 성인용 SNS이지만, 청소년의 접근이 쉽다는 점입니다. 18세 이상만 가입할 수 있지만, 성인 인증 절차가 허술합니다. 음란물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보안 수준도 높습니다. 이 때문에 온리팬스 내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영국 BBC는 지난 5월 온리팬스 내 청소년 대상 음란물 배포 사례를 보도, 온리팬스가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디지털 성착취물 제작?유포 가해자들은 해외 SNS를 이용해 수사망을 피하고 있습니다. 청원인은 “디지털 성범죄자들은 해외 SNS를 통해 수사망을 회피하고 있다”며 “수사를 위해 타국에 국제 공조를 요청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N번방 사건’도 해외 SNS인 텔레그램을 통해 미성년자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했습니다. 가해자들은 텔레그램의 보안을 강조하며 경찰을 조롱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경찰은 인터폴 등 해외 법집행기관과의 협력과 외교 경로를 통한 디지털 성폭력 협력 수사를 강조했습니다.대책 마련에 나선 이후에도 디지털 성폭력 범죄 행위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고병준 성범죄전문센터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현재 경찰청이 사이버 안전국에 글로벌 기업 홍보 전담 팀을 신설해 수사기관뿐만 아니라 해외 SNS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해당 기업들이 해외 서버를 두고 있으며 국내법 적용을 받지 않다 보니 관습적으로 수사는 어렵다”라고 말했습니다. 고 변호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온리팬스 서비스에 대해 검토 중”이라면서 “온리팬스에서도 약관을 위반하는 내용일 경우 계정을 폐쇄한다는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이것만으로 불법 영상물 유통을 막기는 어렵다”라고 전했습니다. 여러분은 청원에 동의하십니까.기사본문보기 -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110250033
데일리안
2021-09-01
잇단 음주운전 사고.. '위험운전치사상' 가중 처벌 가능
잇단 음주운전 사고.. '위험운전치사상' 가중 처벌 가능
음주운전에 따른 사망사고 시 처벌을 강화하는 일명 &apos;윤창호법&apos; 시행 이후 주춤했던 교통사고 건수가 최근 다시 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287명으로 1년 전(295명)보다 2.7% 가량 줄었지만, 음주 교통사고 건수와 부상자는 1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낮술 문화로 낮 시간대 음주운전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현행 도로교통법은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3%이상인 경우를 음주운전으로 정하고 있다. 2회 이상 적발 시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상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규정한다. 만일 교통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할 경우 위험운전치사상으로 가중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위험운전치사상은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서 운전을 해 사상 사고를 낸 경우 성립한다. 일반 음주운전과 달리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만으로 판단하지 않고 운전자 언행 및 보행 상태, 혈색, 비정상적 주행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위험운전치사상 혐의를 적용한다. 혈중알코올농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운전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상태였다면 혐의를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심재국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특가법 개정으로 위험운전치사상에 대한 법정형이 상향됐다. 단순 음주운전에 비해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다”며, “피해자가 상해에 이르면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사망에 이른 경우 벌금형 없이 무기징역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이 내려질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변호인 조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도로교통법위반 및 위험운전치상의 혐의를 받은 자가 무죄 판결을 받은 사례로 상해에 대한 형법상 기준과 주취 상태에서 판단 능력 상실 여부를 따졌다며 “음주운전은 중범죄에 해당하는 만큼 판례와 법률 지식을 기반하여 사건 특성에 따라 조력이 돼야할 것”이라고 말했다.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로 법적 분쟁 발생 시 당시 정황을 확인할 수 있는 CCTV, 블랙박스 영상, 목격자 등 증거 확보가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설명이다. 심 변호사는 “음주운전은 타인의 생명을 한 순간에 앗아갈 수 있는 중대한 사고인 만큼 초기 단계부터 법리적 판단을 내려 신중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전한 법무법인 대륜은 부장 검사 출신 변호사 및 형사 전문 변호인단을 중심으로 자체 형사전문전담센터를 운영한다. 서울, 인천, 부산, 진주, 춘천, 제주 등 전국 사무소가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119&aid=0002525735
데일리안
2021-09-01
잇단 음주운전 사고.. '위험운전치사상' 가중 처벌 가능
잇단 음주운전 사고.. '위험운전치사상' 가중 처벌 가능
음주운전에 따른 사망사고 시 처벌을 강화하는 일명 &apos;윤창호법&apos; 시행 이후 주춤했던 교통사고 건수가 최근 다시 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287명으로 1년 전(295명)보다 2.7% 가량 줄었지만, 음주 교통사고 건수와 부상자는 1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낮술 문화로 낮 시간대 음주운전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현행 도로교통법은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3%이상인 경우를 음주운전으로 정하고 있다. 2회 이상 적발 시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상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규정한다. 만일 교통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할 경우 위험운전치사상으로 가중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위험운전치사상은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서 운전을 해 사상 사고를 낸 경우 성립한다. 일반 음주운전과 달리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만으로 판단하지 않고 운전자 언행 및 보행 상태, 혈색, 비정상적 주행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위험운전치사상 혐의를 적용한다. 혈중알코올농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운전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상태였다면 혐의를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심재국 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특가법 개정으로 위험운전치사상에 대한 법정형이 상향됐다. 단순 음주운전에 비해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다”며, “피해자가 상해에 이르면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사망에 이른 경우 벌금형 없이 무기징역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이 내려질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변호인 조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도로교통법위반 및 위험운전치상의 혐의를 받은 자가 무죄 판결을 받은 사례로 상해에 대한 형법상 기준과 주취 상태에서 판단 능력 상실 여부를 따졌다며 “음주운전은 중범죄에 해당하는 만큼 판례와 법률 지식을 기반하여 사건 특성에 따라 조력이 돼야할 것”이라고 말했다.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로 법적 분쟁 발생 시 당시 정황을 확인할 수 있는 CCTV, 블랙박스 영상, 목격자 등 증거 확보가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설명이다. 심 변호사는 “음주운전은 타인의 생명을 한 순간에 앗아갈 수 있는 중대한 사고인 만큼 초기 단계부터 법리적 판단을 내려 신중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전한 법무법인 대륜은 부장 검사 출신 변호사 및 형사 전문 변호인단을 중심으로 자체 형사전문전담센터를 운영한다. 서울, 인천, 부산, 진주, 춘천, 제주 등 전국 사무소가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119&aid=0002525735
데일리안
2021-08-20
형사전문변호사, “아동학대 피해·대응 변호인 조력 필요”
형사전문변호사, “아동학대 피해·대응 변호인 조력 필요”
아동학대 피해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학대로부터 아동을 지키는 일에 공공의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최근 폭행과 방임을 반복하며 잔인하게 학대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부모에게는 징역 30년이라는 중형이 선고되기도 했다. 또한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아동학대 치사 및 아동복지법상 상습유기방임 혐의로 친모가 구속되는 사건도 있었다.지난해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9 아동학대 주요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전국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례 3만 45건 중 방임은 2885건으로 9.6%를 차지했다. 이는 중복 학대 건수를 제외하면 정서 학대(7622건·25.4%)와 신체 학대(4179건·13.9%)에 이어 높은 수치다. 방임은 아동의 기본적인 필요를 불이행하는 학대의 유형으로 보호자의 태만 또는 거부로서의 유기, 기본적인 의식주 제공 불이행, 건강 상태가 손상될 만큼 충분한 관리를 하지 않는 것, 등교시키지 않는 것 등이 해당한다. 방임을 심각하게 여기지 않고 대응을 하지 않는 것 또한 법적 문제를 야기한다.우리 법은 아동을 살해한 때에는 사형,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고 사망에 이르게 할 경우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중상해에 이른 경우 3년 이상의 징역, 아동복지법 금지행위 중 성범죄를 제외한 신체적,정서적 학대 및 유기,방임,기타 학대행위가 인정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명시되어 있다.박동일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특히 어린이집 보육교사 등 아동학대신고의무자는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가 금지되어 있는 만큼 피해를 당한 아동의 부모들은 회복하기 어려운 마음의 상처를 입고 관련된 사람들의 엄벌을 탄원하고 싶을 것”이라며, 최근 한 보육교사가 아동을 학대한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된 사례를 소개했다.박 변호사는 “당시 CCTV 영상 등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다수의 피해자를 대상으로 상당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범행한 점을 밝혀 주장했으며 죄책에 상응한 처벌을 받도록 수사초기 단계부터 조력한 결과, 징역 3년형과 보호처분이 내려졌다”고 말했다.법조계에 따르면 아동학대 피해는 신체 학대 등 물적 증거가 명백한 경우를 제외하고 정서적 학대, 방임, 유기 등은 입증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반대로 아동학대 혐의를 받게 된 경우에도 변호인 조력이 변론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한다.박 변호사는 “법률전문가와 정상참작 될 수 있는 요소를 찾는 게 중요할 것”이라며 “아동학대 사건은 과거와 달리 학대 행위에 포함될 수 있는 행동이 많아졌기 때문에 사소한 행동과 말로도 충분히 학대라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 학대에 대한 점검이 쉽지 않은 만큼 관련 기관의 사전예방과 근본적 대책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 등 형사전문 변호인단을 강점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진주, 춘천, 제주 등 전국에 사무소가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522293
데일리안
2021-08-20
형사전문변호사, “아동학대 피해·대응 변호인 조력 필요”
형사전문변호사, “아동학대 피해·대응 변호인 조력 필요”
아동학대 피해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학대로부터 아동을 지키는 일에 공공의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최근 폭행과 방임을 반복하며 잔인하게 학대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부모에게는 징역 30년이라는 중형이 선고되기도 했다. 또한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아동학대 치사 및 아동복지법상 상습유기방임 혐의로 친모가 구속되는 사건도 있었다.지난해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9 아동학대 주요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전국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례 3만 45건 중 방임은 2885건으로 9.6%를 차지했다. 이는 중복 학대 건수를 제외하면 정서 학대(7622건·25.4%)와 신체 학대(4179건·13.9%)에 이어 높은 수치다. 방임은 아동의 기본적인 필요를 불이행하는 학대의 유형으로 보호자의 태만 또는 거부로서의 유기, 기본적인 의식주 제공 불이행, 건강 상태가 손상될 만큼 충분한 관리를 하지 않는 것, 등교시키지 않는 것 등이 해당한다. 방임을 심각하게 여기지 않고 대응을 하지 않는 것 또한 법적 문제를 야기한다.우리 법은 아동을 살해한 때에는 사형,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고 사망에 이르게 할 경우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중상해에 이른 경우 3년 이상의 징역, 아동복지법 금지행위 중 성범죄를 제외한 신체적,정서적 학대 및 유기,방임,기타 학대행위가 인정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명시되어 있다.박동일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특히 어린이집 보육교사 등 아동학대신고의무자는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가 금지되어 있는 만큼 피해를 당한 아동의 부모들은 회복하기 어려운 마음의 상처를 입고 관련된 사람들의 엄벌을 탄원하고 싶을 것”이라며, 최근 한 보육교사가 아동을 학대한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된 사례를 소개했다.박 변호사는 “당시 CCTV 영상 등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다수의 피해자를 대상으로 상당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범행한 점을 밝혀 주장했으며 죄책에 상응한 처벌을 받도록 수사초기 단계부터 조력한 결과, 징역 3년형과 보호처분이 내려졌다”고 말했다.법조계에 따르면 아동학대 피해는 신체 학대 등 물적 증거가 명백한 경우를 제외하고 정서적 학대, 방임, 유기 등은 입증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반대로 아동학대 혐의를 받게 된 경우에도 변호인 조력이 변론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한다.박 변호사는 “법률전문가와 정상참작 될 수 있는 요소를 찾는 게 중요할 것”이라며 “아동학대 사건은 과거와 달리 학대 행위에 포함될 수 있는 행동이 많아졌기 때문에 사소한 행동과 말로도 충분히 학대라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 학대에 대한 점검이 쉽지 않은 만큼 관련 기관의 사전예방과 근본적 대책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 등 형사전문 변호인단을 강점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진주, 춘천, 제주 등 전국에 사무소가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522293
데일리안
2021-08-05
전동킥보드 교통사고, 과실비율 적용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전동킥보드 교통사고, 과실비율 적용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최근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보행자, 자동차 등과 충돌하는 교통사고가 2년 만에 4배로 늘었다.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가 가해 운전자로 분류된 교통사고는 2018년 225건에서 지난해 897건으로 2년 만에 4배로 증가했으며 사상자 수는 995명으로 나타났다. 보행자와 충돌한 사고는 304건으로 2018년(61건)과 비교해 5배로 늘었다. 이에 손해보험협회에서는 PM과 자동차 간 교통사고로 인한 과실비율 분쟁과 소송을 예방하기 위해 PM 운전자에게 일방 과실 비율을 적용하는 등 과실비율 기준 총 38개를 신설하기도 했다.전동킥보드가 인도로 주행하거나, 헬멧을 쓰지 않았거나, 무면허로 운전하는 일 모두 도로교통법을 위반한 행위에 해당된다. 이로 인해 신체,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할 경우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이 따른다.정찬우 교통사고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교통사고로 피해를 입은 경우 불리한 합의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며, “합의금이 피해에 상응하는 수준이 아니라면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준비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라고 했다. 민사 소송에서 입증 책임이 원고에게 있는 까닭에 손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변호인의 조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또한 불법행위 손해배상 청구권 소멸시효는 피해자, 법정대리인이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가 발생한 날로부터 10년이다. 때문에 해당 기간 내에 소를 제기하지 않을 경우 청구권 효력이 상실될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특히 교통사고는 뒤늦게 후유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소멸시효가 완성돼 손해배상액을 청구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정 변호사는 “큰 피해를 입은 경우라면 더욱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중대한 사고라면 충분한 손해배상액을 받아야 마땅한데, 보험사 내부 약관에 의한 단순 합의를 해버리면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할 확률이 높다. 충분한 치료를 받은 뒤 손해배상액의 수준이 적절한지 법률적으로 검토해보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이어, “만일 손해배상액에 대한 양측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다면 법원 판결을 통해 금액을 산정해야 할 것”이라면서, “교통사고 손해배상 청구소송은 곧 과실비율의 다툼이라고 볼 수 있는 만큼 법률 전문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교통사고전문변호사로 구성된 자체 교통사고전문전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 진주, 제주, 춘천, 청주 등 전국에 분사무소가 분포돼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517815
데일리안
2021-08-05
전동킥보드 교통사고, 과실비율 적용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전동킥보드 교통사고, 과실비율 적용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최근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보행자, 자동차 등과 충돌하는 교통사고가 2년 만에 4배로 늘었다.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가 가해 운전자로 분류된 교통사고는 2018년 225건에서 지난해 897건으로 2년 만에 4배로 증가했으며 사상자 수는 995명으로 나타났다. 보행자와 충돌한 사고는 304건으로 2018년(61건)과 비교해 5배로 늘었다. 이에 손해보험협회에서는 PM과 자동차 간 교통사고로 인한 과실비율 분쟁과 소송을 예방하기 위해 PM 운전자에게 일방 과실 비율을 적용하는 등 과실비율 기준 총 38개를 신설하기도 했다.전동킥보드가 인도로 주행하거나, 헬멧을 쓰지 않았거나, 무면허로 운전하는 일 모두 도로교통법을 위반한 행위에 해당된다. 이로 인해 신체,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할 경우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이 따른다.정찬우 교통사고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교통사고로 피해를 입은 경우 불리한 합의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며, “합의금이 피해에 상응하는 수준이 아니라면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준비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라고 했다. 민사 소송에서 입증 책임이 원고에게 있는 까닭에 손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변호인의 조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또한 불법행위 손해배상 청구권 소멸시효는 피해자, 법정대리인이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가 발생한 날로부터 10년이다. 때문에 해당 기간 내에 소를 제기하지 않을 경우 청구권 효력이 상실될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특히 교통사고는 뒤늦게 후유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소멸시효가 완성돼 손해배상액을 청구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정 변호사는 “큰 피해를 입은 경우라면 더욱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중대한 사고라면 충분한 손해배상액을 받아야 마땅한데, 보험사 내부 약관에 의한 단순 합의를 해버리면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할 확률이 높다. 충분한 치료를 받은 뒤 손해배상액의 수준이 적절한지 법률적으로 검토해보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이어, “만일 손해배상액에 대한 양측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다면 법원 판결을 통해 금액을 산정해야 할 것”이라면서, “교통사고 손해배상 청구소송은 곧 과실비율의 다툼이라고 볼 수 있는 만큼 법률 전문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교통사고전문변호사로 구성된 자체 교통사고전문전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 진주, 제주, 춘천, 청주 등 전국에 분사무소가 분포돼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517815
한국경제TV
2021-07-30
부산 부동산변호사, "임대차보증금 반환분쟁 증가, 보증금 받으려면 법적장치 취해야"
부산 부동산변호사, "임대차보증금 반환분쟁 증가, 보증금 받으려면 법적장치 취해야"
최근 부동산 시장은 대출 규제 및 보유세 부담 등으로 서울을 비롯한 부산 등에도 아파트값은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집값의 하락으로 &apos;역전세난&apos;이 발생하면서 임차인이 임대인으로부터 임대차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도 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부동산전담팀 변호사는 "최근 코로나19 등 사회적 이슈와 겹친 영향으로 임대인의 자금 융통이 어려워지면서 전세금을 반환하지 않아 세입자가 입는 피해가 늘고 있다"라며 "계약 만료 시점에 전세금, 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해선 임대차계약 전부터 신중한 법리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관련하여 "임대차계약 체결 직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를 받아두어 우선변제권을 취득해야한다"라며 "우선변제권은 해당 부동산에 후순위로 전세권, 저당권, 가압류 등을 설정한 담보권자보다 우선하여 보증금을 변제받을 수 있는 수단"이라고 말했다. 이어 "계약 만료 최소 한달 전 내용증명을 통해 임대차계약을 종료할 것이라는 의사를 명확하게 밝혀 집주인과 세입자간 채무 관계를 공식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임대차보증금을 반환받는 방법으로는 내용증명 발송, 임차권등기명령신청, 지급명령신청, 임대차보증금 반환 청구 소송, 강제 경매 등이 있다. 이중 △임차권등기 명령 신청 시 이사를 하더라도 우선변제권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증금을 지킬 수 있게 된다. △지급명령신청은 세입자의 신청만으로도 재판이 가능하며 지급명령 후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이 없다면 압류, 경매 등 강제 집행을 행사할 수도 있다. △임대차보증금 반환 청구 소송을 통해 전세금, 보증금을 회수할 수도 있다. 승소 시 전세금, 지연이자는 물론 변호사 선임비 등 소송비용을 집주인에게 청구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 없이 진행할 수 있고, 돌려받을 금액이 3천만 원 미만이라면 소액사건심판법에 따라 단기간에 판결을 받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또한 부동산전담팀 변호사는 "전세금 반환 소송을 비롯한 부동산 분쟁의 경우 법적 권리가 복잡하다. 다양한 법적 수단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법률 조력자를 찾는 것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서초구(서초동) 사무소를 중심으로 수도권 및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 부동산(주택, 상가) 임대차 보증금 반환, 재개발 재건축 관련 소송과 지역 주택소송 등 건설 부동산 분야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0864935
한국경제TV
2021-07-30
부산 부동산변호사, "임대차보증금 반환분쟁 증가, 보증금 받으려면 법적장치 취해야"
부산 부동산변호사, "임대차보증금 반환분쟁 증가, 보증금 받으려면 법적장치 취해야"
최근 부동산 시장은 대출 규제 및 보유세 부담 등으로 서울을 비롯한 부산 등에도 아파트값은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집값의 하락으로 &apos;역전세난&apos;이 발생하면서 임차인이 임대인으로부터 임대차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도 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 부동산전담팀 변호사는 "최근 코로나19 등 사회적 이슈와 겹친 영향으로 임대인의 자금 융통이 어려워지면서 전세금을 반환하지 않아 세입자가 입는 피해가 늘고 있다"라며 "계약 만료 시점에 전세금, 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해선 임대차계약 전부터 신중한 법리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관련하여 "임대차계약 체결 직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를 받아두어 우선변제권을 취득해야한다"라며 "우선변제권은 해당 부동산에 후순위로 전세권, 저당권, 가압류 등을 설정한 담보권자보다 우선하여 보증금을 변제받을 수 있는 수단"이라고 말했다. 이어 "계약 만료 최소 한달 전 내용증명을 통해 임대차계약을 종료할 것이라는 의사를 명확하게 밝혀 집주인과 세입자간 채무 관계를 공식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임대차보증금을 반환받는 방법으로는 내용증명 발송, 임차권등기명령신청, 지급명령신청, 임대차보증금 반환 청구 소송, 강제 경매 등이 있다. 이중 △임차권등기 명령 신청 시 이사를 하더라도 우선변제권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증금을 지킬 수 있게 된다. △지급명령신청은 세입자의 신청만으로도 재판이 가능하며 지급명령 후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이 없다면 압류, 경매 등 강제 집행을 행사할 수도 있다. △임대차보증금 반환 청구 소송을 통해 전세금, 보증금을 회수할 수도 있다. 승소 시 전세금, 지연이자는 물론 변호사 선임비 등 소송비용을 집주인에게 청구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 없이 진행할 수 있고, 돌려받을 금액이 3천만 원 미만이라면 소액사건심판법에 따라 단기간에 판결을 받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또한 부동산전담팀 변호사는 "전세금 반환 소송을 비롯한 부동산 분쟁의 경우 법적 권리가 복잡하다. 다양한 법적 수단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법률 조력자를 찾는 것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서초구(서초동) 사무소를 중심으로 수도권 및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 부동산(주택, 상가) 임대차 보증금 반환, 재개발 재건축 관련 소송과 지역 주택소송 등 건설 부동산 분야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0864935
네이버뉴스
2021-07-30
 서초 상속변호사 "상속재산분할 및 유류분반환 등 법률조력 필요한 영역"
서초 상속변호사 "상속재산분할 및 유류분반환 등 법률조력 필요한 영역"
최근 상속 및 증여에 따른 법적 분쟁이 늘고 있는 추세다.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상속재산분할청구 건 접수는 △2016년 1233건, △2017년 1430건, △2018년 1710건으로 매년 높아지고 있으며 유류분반환청구 건 또한 2008년 295건에서 2018년 1371건으로 10년 사이 약 4.6배 급증했다.가족이 사망할 경우 유가족은 피상속인의 재산 권리를 승계할 수 있는 상속인이 된다. 이때 피상속인의 유언이 없는 경우 상속인들은 상속재산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를 정하는 상속재산 협의 분할을 위해 공동상속인 전원의 합의를 거치게 된다. 상속재산에 대한 증여 또는 유증이 있었다면 상속받지 못한 상속인이 다른 상속인들의 상속재산에 대해 자신의 유류분을 주장하고 최소한의 상속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상속분쟁팀에 따르면, 상속인들이 합의를 보지 못했거나 특정 상속인이 자신의 기여도를 주장하며 더 많은 재산을 분할 받으려는 경우, 또는 상속 개시 전 공동 상속인 중 일방이 불합리한 방법으로 상속 재산을 은닉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으로 상속인들 간 합의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해 법률 조력을 필요로 한다.상속재산분할심판은 소멸시효가 없고 유류분 반환 청구권은 유류분권자가 상속의 개시와 증여 또는 상속개시와 유증을 알게 된 날로부터 1년, 상속 개시 날로부터 10년 이내로 법적 권리를 주장해야한다.법무법인 대륜 상속분쟁팀 변호사는 “공동상속인 중 누군가가 상속재산을 빼돌려 발생하는 분쟁도 많다”며 “의뢰인의 부친이 사망하자 공동상속인인 새어머니는 피상속인 사망 전 부동산을 증여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상태에서 이를 상속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주장한 사례도 있다” “당시 증여계약 체결 당시 피상속인이 의사불능자였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소유권이전등기말소청구소송,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신청, 유류분 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해 상속재산규모를 재산정하고 의뢰인의 상속지분과 권리를 회복시켰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상속분쟁에서 상속재산규모를 정확히 파악해 자신의 권리 침해 정도를 산정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피상속인의 기초재산 파악, 기여분, 공동상속인의 특별수익 발생여부, 차명재산 등 다각도 검토와 분석은 개인이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법률 조력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상속분쟁팀은 상속재산분할심판, 기여분, 유류분, 상속한정승인, 상속포기, 상속회복, 유언, 친생부인, 명도소송, 소유권이전등기말소 등에 필요한 전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한기자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41&aid=0003018698
네이버뉴스
2021-07-30
 서초 상속변호사 "상속재산분할 및 유류분반환 등 법률조력 필요한 영역"
서초 상속변호사 "상속재산분할 및 유류분반환 등 법률조력 필요한 영역"
최근 상속 및 증여에 따른 법적 분쟁이 늘고 있는 추세다.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상속재산분할청구 건 접수는 △2016년 1233건, △2017년 1430건, △2018년 1710건으로 매년 높아지고 있으며 유류분반환청구 건 또한 2008년 295건에서 2018년 1371건으로 10년 사이 약 4.6배 급증했다.가족이 사망할 경우 유가족은 피상속인의 재산 권리를 승계할 수 있는 상속인이 된다. 이때 피상속인의 유언이 없는 경우 상속인들은 상속재산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를 정하는 상속재산 협의 분할을 위해 공동상속인 전원의 합의를 거치게 된다. 상속재산에 대한 증여 또는 유증이 있었다면 상속받지 못한 상속인이 다른 상속인들의 상속재산에 대해 자신의 유류분을 주장하고 최소한의 상속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상속분쟁팀에 따르면, 상속인들이 합의를 보지 못했거나 특정 상속인이 자신의 기여도를 주장하며 더 많은 재산을 분할 받으려는 경우, 또는 상속 개시 전 공동 상속인 중 일방이 불합리한 방법으로 상속 재산을 은닉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으로 상속인들 간 합의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해 법률 조력을 필요로 한다.상속재산분할심판은 소멸시효가 없고 유류분 반환 청구권은 유류분권자가 상속의 개시와 증여 또는 상속개시와 유증을 알게 된 날로부터 1년, 상속 개시 날로부터 10년 이내로 법적 권리를 주장해야한다.법무법인 대륜 상속분쟁팀 변호사는 “공동상속인 중 누군가가 상속재산을 빼돌려 발생하는 분쟁도 많다”며 “의뢰인의 부친이 사망하자 공동상속인인 새어머니는 피상속인 사망 전 부동산을 증여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상태에서 이를 상속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주장한 사례도 있다” “당시 증여계약 체결 당시 피상속인이 의사불능자였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소유권이전등기말소청구소송,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신청, 유류분 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해 상속재산규모를 재산정하고 의뢰인의 상속지분과 권리를 회복시켰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상속분쟁에서 상속재산규모를 정확히 파악해 자신의 권리 침해 정도를 산정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피상속인의 기초재산 파악, 기여분, 공동상속인의 특별수익 발생여부, 차명재산 등 다각도 검토와 분석은 개인이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법률 조력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상속분쟁팀은 상속재산분할심판, 기여분, 유류분, 상속한정승인, 상속포기, 상속회복, 유언, 친생부인, 명도소송, 소유권이전등기말소 등에 필요한 전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한기자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41&aid=0003018698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강간 및 강제추행 피의자 '불기소처분' 받아내
서초형사전문변호사, 강간 및 강제추행 피의자 '불기소처분' 받아내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강간 및 강제추행을 한 혐의로 고소당한 피의자가 불기소처분을 받았다.피의자 변호인이었던 법무법인 대륜(서초)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당시 자신의 차량, 고소인의 집에서 강간 및 강제추행을 한 혐의로 고소를 당한 피의자는 고소인과 연인관계였다”며 “관련 사실관계를 파악해 피의자가 억울하게 고소당한 상황을 면밀히 정리하고, 일관성 있게 합의된 관계였음을 주장했다. 특히 고소인의 진술이 사건 전후의 통화, 문자메시지 내용과 상반되는 등 모순점을 밝혀낸 변호인의견서를 통해 고소인 진술의 신빙성을 탄핵한 것이 주요했다”며 “결국 검찰 측에서도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여 의뢰인에 대해 혐의없음(증거불충분) 불기소처분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성추행으로 알려진 형법상 강제추행은 폭행이나 협박과 같은 유형력을 행사하여 상대방의 동의 없이 신체 접촉을 하는 범죄이다. 강제추행죄 처벌은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 폭행이나 협박을 수단으로 타인을 간음하는 강간의 처벌은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이와 같은 성범죄는 처벌에 따라 신상정보등록, 신상정보 공개 및 고지, 취업제한, 전자위치추적장치(전자발찌) 부착 등 강도 높은 보안처분이 병과 될 수 있다. 또한, 수사 과정에서 사건 정보가 주변에 알려질 경우 실제 혐의 여부를 떠나 직장 생활이나 인간관계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이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최근 n번방 사건 등으로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국민적 공분이 커진 가운데 성범죄 처벌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성범죄 혐의에 연루되는 경우 조금이라도 억울함이 있다면 지체 없이 법률조력을 요청해야 한다”며 “강제추행, 성폭력, 준강간 등 성폭행 사건에서 피해자의 진술이 핵심 증거로 작용하는 만큼 피의자 또는 피고인 입장에서는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할 수 있는 자료 수집과 변호인의 의견서가 중요하다”고 말했다.이어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부터 변호인을 선임하게 되면 불리한 증언을 막을 수 있고 억울한 혐의에서 벗어나 불기소처분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사건 초기에 형사전문변호사를 선임해 무혐의 처분 또는 무죄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전국 네트워크 로펌이다. 검사출신변호사, 형사전문변호사 등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성범죄전담팀은 유사강간, 강제추행, 카메라등을이용한촬영, 준강간, 강간 등 성범죄 분야에서 증거불충분, 공소권 없음, 기소유예 등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기사원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803000194#a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강간 및 강제추행 피의자 '불기소처분' 받아내
서초형사전문변호사, 강간 및 강제추행 피의자 '불기소처분' 받아내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강간 및 강제추행을 한 혐의로 고소당한 피의자가 불기소처분을 받았다.피의자 변호인이었던 법무법인 대륜(서초)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당시 자신의 차량, 고소인의 집에서 강간 및 강제추행을 한 혐의로 고소를 당한 피의자는 고소인과 연인관계였다”며 “관련 사실관계를 파악해 피의자가 억울하게 고소당한 상황을 면밀히 정리하고, 일관성 있게 합의된 관계였음을 주장했다. 특히 고소인의 진술이 사건 전후의 통화, 문자메시지 내용과 상반되는 등 모순점을 밝혀낸 변호인의견서를 통해 고소인 진술의 신빙성을 탄핵한 것이 주요했다”며 “결국 검찰 측에서도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여 의뢰인에 대해 혐의없음(증거불충분) 불기소처분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성추행으로 알려진 형법상 강제추행은 폭행이나 협박과 같은 유형력을 행사하여 상대방의 동의 없이 신체 접촉을 하는 범죄이다. 강제추행죄 처벌은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 폭행이나 협박을 수단으로 타인을 간음하는 강간의 처벌은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이와 같은 성범죄는 처벌에 따라 신상정보등록, 신상정보 공개 및 고지, 취업제한, 전자위치추적장치(전자발찌) 부착 등 강도 높은 보안처분이 병과 될 수 있다. 또한, 수사 과정에서 사건 정보가 주변에 알려질 경우 실제 혐의 여부를 떠나 직장 생활이나 인간관계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이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최근 n번방 사건 등으로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국민적 공분이 커진 가운데 성범죄 처벌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성범죄 혐의에 연루되는 경우 조금이라도 억울함이 있다면 지체 없이 법률조력을 요청해야 한다”며 “강제추행, 성폭력, 준강간 등 성폭행 사건에서 피해자의 진술이 핵심 증거로 작용하는 만큼 피의자 또는 피고인 입장에서는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할 수 있는 자료 수집과 변호인의 의견서가 중요하다”고 말했다.이어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부터 변호인을 선임하게 되면 불리한 증언을 막을 수 있고 억울한 혐의에서 벗어나 불기소처분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사건 초기에 형사전문변호사를 선임해 무혐의 처분 또는 무죄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전국 네트워크 로펌이다. 검사출신변호사, 형사전문변호사 등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성범죄전담팀은 유사강간, 강제추행, 카메라등을이용한촬영, 준강간, 강간 등 성범죄 분야에서 증거불충분, 공소권 없음, 기소유예 등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기사원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803000194#a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지하철에서 휴대전화로 여성을 불법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직 방송인이 지난 21일 공판에서 징역 1년을 구형 받았다.재판 추정 결정 전 구형량은 징역 6개월이었지만 검찰은 “성범죄에 대해 강화된 처벌을 필요로 하는 최근 상황을 고려하여 징역 1년과 신상정보 공개,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 취업 제한 3년, 성폭행치료프로그램 이수 등을 구형했다”고 밝혔다.실제로 불법촬영카메라를 이용한 범죄는 해마다 늘고 있다. 법무부가 발표한 ‘2020성범죄백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불법 촬영 범죄는 2013년 412건에서 2018년 5.8배 급증한 2,388건이 등록됐다. 특히 과거의 성범죄 수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동일 재범비율은 75%에 달했다.단추나 안경에 부착하는 초소형 카메라부터 라이터 속에 부착된 카메라까지 불법촬영범행 수법 또한 교묘해지고 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중화장실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불법 설치된 초소형 카메라를 적발하기 위해 단속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잇따라 발생하는 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때문에 수사당국의 태도도 매우 엄중해졌다. 최근 성폭력특별법이 개정되면서 카메라 등 이용촬영(몰카범죄)에 대한 처벌 수위가 징역 5년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서 징역 7년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향됐다”며 “타인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고 성적인 영상을 촬영한다는 것 자체가 엄중한 범죄이고, 이러한 영상물을 소지·구입·저장·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몰카범죄로 벌금형 이상의 유죄판결이 확정될 경우 신상정보등록, 공개고지, 취업제한 등 각종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돼 신분상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불법촬영혐의를 받고 있다면, 수사 초기부터 성범죄 사건 경험이 있는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심변호사는 “특히 몰카범죄가 문제된 경우 ‘성적 욕망이나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촬영하였는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피해자의 옷차림과 신체노출정도, 촬영자의 의도와 촬영에 이르게 된 경위, 찍은 장소와 각도 및 거리, 양형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체적, 개별적, 상대적으로 대응해야한다”며 “무엇보다 진실한 반성과 피해자와의 합의, 재범의 위험성이 없다는 점 등을 수사 초기에 전달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서초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은 카메라등이용촬영(몰카범죄/불법촬영범죄), 성적목적다중이용장소침입, 강제추행, 강간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723000859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지하철에서 휴대전화로 여성을 불법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직 방송인이 지난 21일 공판에서 징역 1년을 구형 받았다.재판 추정 결정 전 구형량은 징역 6개월이었지만 검찰은 “성범죄에 대해 강화된 처벌을 필요로 하는 최근 상황을 고려하여 징역 1년과 신상정보 공개,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 취업 제한 3년, 성폭행치료프로그램 이수 등을 구형했다”고 밝혔다.실제로 불법촬영카메라를 이용한 범죄는 해마다 늘고 있다. 법무부가 발표한 ‘2020성범죄백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불법 촬영 범죄는 2013년 412건에서 2018년 5.8배 급증한 2,388건이 등록됐다. 특히 과거의 성범죄 수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동일 재범비율은 75%에 달했다.단추나 안경에 부착하는 초소형 카메라부터 라이터 속에 부착된 카메라까지 불법촬영범행 수법 또한 교묘해지고 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중화장실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불법 설치된 초소형 카메라를 적발하기 위해 단속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잇따라 발생하는 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때문에 수사당국의 태도도 매우 엄중해졌다. 최근 성폭력특별법이 개정되면서 카메라 등 이용촬영(몰카범죄)에 대한 처벌 수위가 징역 5년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서 징역 7년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향됐다”며 “타인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고 성적인 영상을 촬영한다는 것 자체가 엄중한 범죄이고, 이러한 영상물을 소지·구입·저장·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몰카범죄로 벌금형 이상의 유죄판결이 확정될 경우 신상정보등록, 공개고지, 취업제한 등 각종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돼 신분상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불법촬영혐의를 받고 있다면, 수사 초기부터 성범죄 사건 경험이 있는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심변호사는 “특히 몰카범죄가 문제된 경우 ‘성적 욕망이나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촬영하였는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피해자의 옷차림과 신체노출정도, 촬영자의 의도와 촬영에 이르게 된 경위, 찍은 장소와 각도 및 거리, 양형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체적, 개별적, 상대적으로 대응해야한다”며 “무엇보다 진실한 반성과 피해자와의 합의, 재범의 위험성이 없다는 점 등을 수사 초기에 전달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서초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은 카메라등이용촬영(몰카범죄/불법촬영범죄), 성적목적다중이용장소침입, 강제추행, 강간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723000859
데일리안
2021-07-30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최근 남편의 외도 사실을 알게 된 아내가 상간모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에서 피고인들에 대해 총 6천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당시 의뢰인은 남편의 외도뿐만 아니라 외도 상대자들이 모녀관계라는 것을 알고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호소하고 있었다”며 “의뢰인과 함께 배우자가 상간자들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 상간자들이 부정행위를 인정하는 내용이 담긴 녹음파일 등을 입수하고, 의뢰인이 받은 정신적 충격에 대해서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입증해 손해배상을 받아냈다”고 말했다.사례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우자가 바람을 핀 경우 상간자를 상대로 위자료 청구소송을 진행할 수 있다.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간통죄 폐지로 불륜을 형사처벌 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진 이후 대신 상간녀·상간남을 상대로 민사소송의 방법으로 위자료에 해당하는 손해배상액을 청구하는 방법이다.법조계에 따르면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하여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심 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증거수집이 필수적이다. 변호사 조언 없이 개인이 증거수집을 하는 경우 주거침입, 통신비밀보호법위반, 신용정보법위반 등 의도치 않게 불법을 저지를 수 있다”며 “또한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 조력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그는 “상간자소송의 경우 일방의 오해로 송사에 휘말리는 경우도 많다. 이때 억울하게 누명을 쓴 상태로 무대응으로 일관한다면 자칫 상대가 청구한 위자료 액수를 모두 지급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원고가 주장하는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면 오해한 부분에 대한 증거와 변론으로 반박할 수 있어야 하고 상대가 기혼임을 알고 만남을 유지했을 경우는 위자료 액수 감액에 초점을 맞춰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혼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를 보유해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비청구, 상간자소송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14030
데일리안
2021-07-30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최근 남편의 외도 사실을 알게 된 아내가 상간모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에서 피고인들에 대해 총 6천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당시 의뢰인은 남편의 외도뿐만 아니라 외도 상대자들이 모녀관계라는 것을 알고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호소하고 있었다”며 “의뢰인과 함께 배우자가 상간자들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 상간자들이 부정행위를 인정하는 내용이 담긴 녹음파일 등을 입수하고, 의뢰인이 받은 정신적 충격에 대해서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입증해 손해배상을 받아냈다”고 말했다.사례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우자가 바람을 핀 경우 상간자를 상대로 위자료 청구소송을 진행할 수 있다.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간통죄 폐지로 불륜을 형사처벌 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진 이후 대신 상간녀·상간남을 상대로 민사소송의 방법으로 위자료에 해당하는 손해배상액을 청구하는 방법이다.법조계에 따르면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하여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심 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증거수집이 필수적이다. 변호사 조언 없이 개인이 증거수집을 하는 경우 주거침입, 통신비밀보호법위반, 신용정보법위반 등 의도치 않게 불법을 저지를 수 있다”며 “또한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 조력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그는 “상간자소송의 경우 일방의 오해로 송사에 휘말리는 경우도 많다. 이때 억울하게 누명을 쓴 상태로 무대응으로 일관한다면 자칫 상대가 청구한 위자료 액수를 모두 지급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원고가 주장하는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면 오해한 부분에 대한 증거와 변론으로 반박할 수 있어야 하고 상대가 기혼임을 알고 만남을 유지했을 경우는 위자료 액수 감액에 초점을 맞춰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혼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를 보유해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비청구, 상간자소송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14030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지하철에서 휴대전화로 여성을 불법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직 방송인이 지난 21일 공판에서 징역 1년을 구형 받았다.재판 추정 결정 전 구형량은 징역 6개월이었지만 검찰은 “성범죄에 대해 강화된 처벌을 필요로 하는 최근 상황을 고려하여 징역 1년과 신상정보 공개,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 취업 제한 3년, 성폭행치료프로그램 이수 등을 구형했다”고 밝혔다.실제로 불법촬영카메라를 이용한 범죄는 해마다 늘고 있다. 법무부가 발표한 ‘2020성범죄백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불법 촬영 범죄는 2013년 412건에서 2018년 5.8배 급증한 2,388건이 등록됐다. 특히 과거의 성범죄 수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동일 재범비율은 75%에 달했다.단추나 안경에 부착하는 초소형 카메라부터 라이터 속에 부착된 카메라까지 불법촬영범행 수법 또한 교묘해지고 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중화장실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불법 설치된 초소형 카메라를 적발하기 위해 단속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잇따라 발생하는 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때문에 수사당국의 태도도 매우 엄중해졌다. 최근 성폭력특별법이 개정되면서 카메라 등 이용촬영(몰카범죄)에 대한 처벌 수위가 징역 5년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서 징역 7년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향됐다”며 “타인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고 성적인 영상을 촬영한다는 것 자체가 엄중한 범죄이고, 이러한 영상물을 소지·구입·저장·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몰카범죄로 벌금형 이상의 유죄판결이 확정될 경우 신상정보등록, 공개고지, 취업제한 등 각종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돼 신분상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불법촬영혐의를 받고 있다면, 수사 초기부터 성범죄 사건 경험이 있는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심변호사는 “특히 몰카범죄가 문제된 경우 ‘성적 욕망이나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촬영하였는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피해자의 옷차림과 신체노출정도, 촬영자의 의도와 촬영에 이르게 된 경위, 찍은 장소와 각도 및 거리, 양형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체적, 개별적, 상대적으로 대응해야한다”며 “무엇보다 진실한 반성과 피해자와의 합의, 재범의 위험성이 없다는 점 등을 수사 초기에 전달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서초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은 카메라등이용촬영(몰카범죄/불법촬영범죄), 성적목적다중이용장소침입, 강제추행, 강간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723000859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폭법 개정으로 처벌 강화돼"
지하철에서 휴대전화로 여성을 불법 촬영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직 방송인이 지난 21일 공판에서 징역 1년을 구형 받았다.재판 추정 결정 전 구형량은 징역 6개월이었지만 검찰은 “성범죄에 대해 강화된 처벌을 필요로 하는 최근 상황을 고려하여 징역 1년과 신상정보 공개,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 취업 제한 3년, 성폭행치료프로그램 이수 등을 구형했다”고 밝혔다.실제로 불법촬영카메라를 이용한 범죄는 해마다 늘고 있다. 법무부가 발표한 ‘2020성범죄백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불법 촬영 범죄는 2013년 412건에서 2018년 5.8배 급증한 2,388건이 등록됐다. 특히 과거의 성범죄 수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동일 재범비율은 75%에 달했다.단추나 안경에 부착하는 초소형 카메라부터 라이터 속에 부착된 카메라까지 불법촬영범행 수법 또한 교묘해지고 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중화장실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불법 설치된 초소형 카메라를 적발하기 위해 단속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잇따라 발생하는 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때문에 수사당국의 태도도 매우 엄중해졌다. 최근 성폭력특별법이 개정되면서 카메라 등 이용촬영(몰카범죄)에 대한 처벌 수위가 징역 5년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서 징역 7년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향됐다”며 “타인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고 성적인 영상을 촬영한다는 것 자체가 엄중한 범죄이고, 이러한 영상물을 소지·구입·저장·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몰카범죄로 벌금형 이상의 유죄판결이 확정될 경우 신상정보등록, 공개고지, 취업제한 등 각종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돼 신분상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불법촬영혐의를 받고 있다면, 수사 초기부터 성범죄 사건 경험이 있는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심변호사는 “특히 몰카범죄가 문제된 경우 ‘성적 욕망이나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신체’를 촬영하였는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피해자의 옷차림과 신체노출정도, 촬영자의 의도와 촬영에 이르게 된 경위, 찍은 장소와 각도 및 거리, 양형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체적, 개별적, 상대적으로 대응해야한다”며 “무엇보다 진실한 반성과 피해자와의 합의, 재범의 위험성이 없다는 점 등을 수사 초기에 전달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서초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은 카메라등이용촬영(몰카범죄/불법촬영범죄), 성적목적다중이용장소침입, 강제추행, 강간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723000859
데일리안
2021-07-30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최근 남편의 외도 사실을 알게 된 아내가 상간모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에서 피고인들에 대해 총 6천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당시 의뢰인은 남편의 외도뿐만 아니라 외도 상대자들이 모녀관계라는 것을 알고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호소하고 있었다”며 “의뢰인과 함께 배우자가 상간자들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 상간자들이 부정행위를 인정하는 내용이 담긴 녹음파일 등을 입수하고, 의뢰인이 받은 정신적 충격에 대해서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입증해 손해배상을 받아냈다”고 말했다.사례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우자가 바람을 핀 경우 상간자를 상대로 위자료 청구소송을 진행할 수 있다.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간통죄 폐지로 불륜을 형사처벌 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진 이후 대신 상간녀·상간남을 상대로 민사소송의 방법으로 위자료에 해당하는 손해배상액을 청구하는 방법이다.법조계에 따르면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하여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심 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증거수집이 필수적이다. 변호사 조언 없이 개인이 증거수집을 하는 경우 주거침입, 통신비밀보호법위반, 신용정보법위반 등 의도치 않게 불법을 저지를 수 있다”며 “또한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 조력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그는 “상간자소송의 경우 일방의 오해로 송사에 휘말리는 경우도 많다. 이때 억울하게 누명을 쓴 상태로 무대응으로 일관한다면 자칫 상대가 청구한 위자료 액수를 모두 지급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원고가 주장하는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면 오해한 부분에 대한 증거와 변론으로 반박할 수 있어야 하고 상대가 기혼임을 알고 만남을 유지했을 경우는 위자료 액수 감액에 초점을 맞춰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혼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를 보유해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비청구, 상간자소송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14030
데일리안
2021-07-30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수원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서 "손해배상 위자료 지급 판결" 이끌어
최근 남편의 외도 사실을 알게 된 아내가 상간모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에서 피고인들에 대해 총 6천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을 대리한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당시 의뢰인은 남편의 외도뿐만 아니라 외도 상대자들이 모녀관계라는 것을 알고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호소하고 있었다”며 “의뢰인과 함께 배우자가 상간자들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 상간자들이 부정행위를 인정하는 내용이 담긴 녹음파일 등을 입수하고, 의뢰인이 받은 정신적 충격에 대해서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입증해 손해배상을 받아냈다”고 말했다.사례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우자가 바람을 핀 경우 상간자를 상대로 위자료 청구소송을 진행할 수 있다.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간통죄 폐지로 불륜을 형사처벌 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진 이후 대신 상간녀·상간남을 상대로 민사소송의 방법으로 위자료에 해당하는 손해배상액을 청구하는 방법이다.법조계에 따르면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하여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심 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증거수집이 필수적이다. 변호사 조언 없이 개인이 증거수집을 하는 경우 주거침입, 통신비밀보호법위반, 신용정보법위반 등 의도치 않게 불법을 저지를 수 있다”며 “또한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위자료 액수나 승소여부에 대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문가 조력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그는 “상간자소송의 경우 일방의 오해로 송사에 휘말리는 경우도 많다. 이때 억울하게 누명을 쓴 상태로 무대응으로 일관한다면 자칫 상대가 청구한 위자료 액수를 모두 지급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원고가 주장하는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면 오해한 부분에 대한 증거와 변론으로 반박할 수 있어야 하고 상대가 기혼임을 알고 만남을 유지했을 경우는 위자료 액수 감액에 초점을 맞춰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네트워크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혼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를 보유해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비청구, 상간자소송 등 분야에서 법률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14030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젠더폭력살인근절법 정책토론회' 기조 발제
서초형사전문변호사, '젠더폭력살인근절법 정책토론회' 기조 발제
미래통합당 김웅 의원(서울 송파구갑)의 주최로 ‘젠더 폭력 살인 근절법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오늘 7월 3일(금)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김웅 의원은 개회사에서 검찰 근무 시절 이야기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범죄가 전체적으로 많이 줄어들고 있지만 유독 데이트폭력, 스토킹, 성적소수자들에 대한 폭력은 늘어나 사회적 문제로 악화”라며 정책 토론회 마련 취지를 설명했다.토론회는 이미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의 기조발제로 시작됐다. 이어서 김한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윤정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김도연 한국데이트폭력연구소 소장, 조윤오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 교수의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기조 발제에 나선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데이트폭력의 실제 사례 및 사례별 진행을 통해 느꼈던 법제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했다.심 변호사는 실제 수행했던 데이트폭력 사례들을 소개하며 “데이트 폭력의 경우 연인관계라는 사실 때문에 성적폭력, 폭행 등에 동의가 전제되어 있다는 인식과 선입견으로 증거불충분, 불기소처분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다소 있어 데이트폭력의 특수성을 고려한 피해자 보호규정 마련과 법제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어 “현행법상 데이트폭력은 범죄명이 특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형법, 성폭력범죄의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의 특별법으로 규율되고 있다. 하지만 데이트폭력의 경우 정서적, 신체적, 성적 학대가 복합되어 상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현행법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다수”라며 “데이트 폭력의 의미와 해당 범위를 명시한 규정, 범죄와의 복합적 관계 설정 및 가중처벌 검토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또한 “데이트폭력과 피해자 보호 측면에서 민사절차인 접근금지가처분신청을 하더라도 최소 2개월이 소요되기 때문에 피해 구제가 늦고, 실효성이 다소 부족하다”며 “데이트 폭력 피해자 보호에 있어 미진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명확하고 실효성 있는 피해자보호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한편, 정책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석한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서울 서초구) 대표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증한 형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로서 데이트폭력, 성범죄, 가정폭력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에 대한 의뢰인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95080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젠더폭력살인근절법 정책토론회' 기조 발제
서초형사전문변호사, '젠더폭력살인근절법 정책토론회' 기조 발제
미래통합당 김웅 의원(서울 송파구갑)의 주최로 ‘젠더 폭력 살인 근절법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오늘 7월 3일(금)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김웅 의원은 개회사에서 검찰 근무 시절 이야기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범죄가 전체적으로 많이 줄어들고 있지만 유독 데이트폭력, 스토킹, 성적소수자들에 대한 폭력은 늘어나 사회적 문제로 악화”라며 정책 토론회 마련 취지를 설명했다.토론회는 이미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의 기조발제로 시작됐다. 이어서 김한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윤정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김도연 한국데이트폭력연구소 소장, 조윤오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 교수의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기조 발제에 나선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데이트폭력의 실제 사례 및 사례별 진행을 통해 느꼈던 법제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했다.심 변호사는 실제 수행했던 데이트폭력 사례들을 소개하며 “데이트 폭력의 경우 연인관계라는 사실 때문에 성적폭력, 폭행 등에 동의가 전제되어 있다는 인식과 선입견으로 증거불충분, 불기소처분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다소 있어 데이트폭력의 특수성을 고려한 피해자 보호규정 마련과 법제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어 “현행법상 데이트폭력은 범죄명이 특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형법, 성폭력범죄의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의 특별법으로 규율되고 있다. 하지만 데이트폭력의 경우 정서적, 신체적, 성적 학대가 복합되어 상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현행법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다수”라며 “데이트 폭력의 의미와 해당 범위를 명시한 규정, 범죄와의 복합적 관계 설정 및 가중처벌 검토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또한 “데이트폭력과 피해자 보호 측면에서 민사절차인 접근금지가처분신청을 하더라도 최소 2개월이 소요되기 때문에 피해 구제가 늦고, 실효성이 다소 부족하다”며 “데이트 폭력 피해자 보호에 있어 미진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명확하고 실효성 있는 피해자보호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한편, 정책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석한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서울 서초구) 대표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증한 형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로서 데이트폭력, 성범죄, 가정폭력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에 대한 의뢰인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95080
헤럴드경제
2021-07-30
부산성범죄변호사, 강제추행 피의자 "혐의없음" 소명
부산성범죄변호사, 강제추행 피의자 "혐의없음" 소명
최근 울산지검에서 피해자 의사에 반해 강제추행 한 혐의로 송치된 A씨에 불기소(혐의없음)처분이 내려졌다.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바 종업원으로 일하던 B씨와 술자리를 가진 후 강제로 신체부위를 만지는 등 피해자의 의사에 반해 강제 추행한 혐의를 받았으며 A씨와 피해자 간의 주장이 대립하면서 화제가 됐다.당시 피의자 변호인이었던 법무법인 대륜 성범죄전담팀 부산형사전문변호사는 “본 건은 피해자의 진술 외 CCTV 등 증거가 없는 사건이었다. 경찰 조사과정에서 피의자 진술이 일관적이었던 반면 피해자 측 진술은 일관성이 없는 데 주목했다”며 “참고인 진술이 피의자 진술과 일치하는 점, 사건 후 피해자와 피의자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친분을 유지한 점 등 상대방이 피해자의 행동으로 보이지 않는 언행을 해온 점 등으로 진술의 모순점을 꼬집어 불기소 처분을 받아냈다”고 말했다.이어 “성범죄 특성상 본 사건처럼 객관적인 증거자료 없이 관련자의 진술만으로 혐의를 다투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강제추행죄의 성립요건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불리한 처지에 놓일 수 있다”며 “성범죄는 물리적인 신체접촉이 없었던 경우라 할지라도 경우에 따라 강제추행죄, 성폭법상 공중밀집장소추행죄, 아청법상 미성년자추행죄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유죄가 확정 나면 범죄자로 낙인이 찍히며 신상정보 등록, 취업제한 등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된다. 억울하게 사건에 연루된다면 사건 초기부터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합의와 관련해서는 “강제추행 혐의를 의심받는 경우 처벌에 대한 두려움 또는 일이 알려질까 하는 걱정에 섣불리 피해자와 합의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혐의가 명백하지 않은 상황에서 피해자를 상대로 합의를 제안하는 것 자체가 혐의를 인정하는 의미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혐의가 사실관계와 다르다면 신중하게 대응해야만 불필요한 불이익과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성범죄전담팀 부산형사전문변호사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법률사무소에서 성범죄, 강력범죄, 교통범죄, 경제범죄 등 형사사건에 관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88813
헤럴드경제
2021-07-30
부산성범죄변호사, 강제추행 피의자 "혐의없음" 소명
부산성범죄변호사, 강제추행 피의자 "혐의없음" 소명
최근 울산지검에서 피해자 의사에 반해 강제추행 한 혐의로 송치된 A씨에 불기소(혐의없음)처분이 내려졌다.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바 종업원으로 일하던 B씨와 술자리를 가진 후 강제로 신체부위를 만지는 등 피해자의 의사에 반해 강제 추행한 혐의를 받았으며 A씨와 피해자 간의 주장이 대립하면서 화제가 됐다.당시 피의자 변호인이었던 법무법인 대륜 성범죄전담팀 부산형사전문변호사는 “본 건은 피해자의 진술 외 CCTV 등 증거가 없는 사건이었다. 경찰 조사과정에서 피의자 진술이 일관적이었던 반면 피해자 측 진술은 일관성이 없는 데 주목했다”며 “참고인 진술이 피의자 진술과 일치하는 점, 사건 후 피해자와 피의자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친분을 유지한 점 등 상대방이 피해자의 행동으로 보이지 않는 언행을 해온 점 등으로 진술의 모순점을 꼬집어 불기소 처분을 받아냈다”고 말했다.이어 “성범죄 특성상 본 사건처럼 객관적인 증거자료 없이 관련자의 진술만으로 혐의를 다투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강제추행죄의 성립요건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불리한 처지에 놓일 수 있다”며 “성범죄는 물리적인 신체접촉이 없었던 경우라 할지라도 경우에 따라 강제추행죄, 성폭법상 공중밀집장소추행죄, 아청법상 미성년자추행죄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유죄가 확정 나면 범죄자로 낙인이 찍히며 신상정보 등록, 취업제한 등 성범죄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된다. 억울하게 사건에 연루된다면 사건 초기부터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합의와 관련해서는 “강제추행 혐의를 의심받는 경우 처벌에 대한 두려움 또는 일이 알려질까 하는 걱정에 섣불리 피해자와 합의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혐의가 명백하지 않은 상황에서 피해자를 상대로 합의를 제안하는 것 자체가 혐의를 인정하는 의미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혐의가 사실관계와 다르다면 신중하게 대응해야만 불필요한 불이익과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성범죄전담팀 부산형사전문변호사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법률사무소에서 성범죄, 강력범죄, 교통범죄, 경제범죄 등 형사사건에 관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88813
서울경제
2021-07-30
변호사 취업난 속 단비.... 법무법인 대륜, 상반기 변호사 8명 채용
변호사 취업난 속 단비.... 법무법인 대륜, 상반기 변호사 8명 채용
법무법인 대륜은 코로나 19사태로 법조계 채용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도 지난해보다 채용인원을 늘려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1분기 경력직 변호사(2명)를 영입한 데 이어, 2분기 변호사 신규채용에서 경력직 변호사(1명), 수습 변호사(5명)를 채용했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의 인사담당자는 “2020년 2분기 대륜 변호사 신규채용에서 총187명의 변호사가 지원했다”며 “다양한 인재 영입으로 양질의 법조인을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앞으로도 법무법인 대륜에 많은 관심과 격려를 바란다”고 전했다.이어 인력 운용 계획에 대해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수습 변호사들은 오는 8일부터 본사에서 선임 변호사와의 1:1 OJT 교육을 마친 후 전지점으로 배치돼 근무하게 된다. 경력직 변호사는 서울사무소에 투입돼, 증가하고 있는 수도권 법률서비스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지난해 개점한 서초사무소의 법률서비스 수요 확대로 수원과 인천 신규 사무소 개점을 준비 중이다”라며 “올해 하반기 순차적으로 사무소를 개소해 기존 서초사무소에 집중됐던 수도권 고객을 분산하고 접근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748887
서울경제
2021-07-30
변호사 취업난 속 단비.... 법무법인 대륜, 상반기 변호사 8명 채용
변호사 취업난 속 단비.... 법무법인 대륜, 상반기 변호사 8명 채용
법무법인 대륜은 코로나 19사태로 법조계 채용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도 지난해보다 채용인원을 늘려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은 1분기 경력직 변호사(2명)를 영입한 데 이어, 2분기 변호사 신규채용에서 경력직 변호사(1명), 수습 변호사(5명)를 채용했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의 인사담당자는 “2020년 2분기 대륜 변호사 신규채용에서 총187명의 변호사가 지원했다”며 “다양한 인재 영입으로 양질의 법조인을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앞으로도 법무법인 대륜에 많은 관심과 격려를 바란다”고 전했다.이어 인력 운용 계획에 대해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수습 변호사들은 오는 8일부터 본사에서 선임 변호사와의 1:1 OJT 교육을 마친 후 전지점으로 배치돼 근무하게 된다. 경력직 변호사는 서울사무소에 투입돼, 증가하고 있는 수도권 법률서비스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지난해 개점한 서초사무소의 법률서비스 수요 확대로 수원과 인천 신규 사무소 개점을 준비 중이다”라며 “올해 하반기 순차적으로 사무소를 개소해 기존 서초사무소에 집중됐던 수도권 고객을 분산하고 접근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748887
데일리안
2021-07-30
'기획부동산 사기' 교묘한 진화... 부산 부동산변호사 "단순사기범죄와 다르게 접근해야"
'기획부동산 사기' 교묘한 진화... 부산 부동산변호사 "단순사기범죄와 다르게 접근해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개발이 어려운 토지나 임야를 싼값에 사들인 후 주변 개발 호재 등을 언급하며 토지를 지분으로 쪼개 높은 가격에 판매하는 이른바 ‘기획부동산 사기’ 피해 사례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특히 요즘같이 코로나19로 서민 경제에 위기가 닥치면서 고수익을 낼 수 있다는 미끼로 투자자들을 모집해 투자금과 토지매수 대금을 가로채는 사례를 포함하여 은퇴한 연금소득자, 소액의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를 악용한 일부 중개 법인이 접근해 지분 매수를 권유하는 방식의 피해 사례까지 다양하다.법무법인 대륜 기획부동산TF팀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개발 기대와 투기 심리를 조장하는 기획부동산의 난립과 투기적인 지분거래가 성행 중이다. 실제 공인중개사와 함께 현장답사까지 하는 등 수법도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며 특히, “관련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업체의 말만 믿고 투자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기본적으로 토지대장, 등기부등본 열람, 토지이용계획확인원,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등을 이용해 개발 가능성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올해 초, 국내 최대의 기획부동산 업체의 경영진이 사기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으면서 향후 유사 사건 또한 사기로 판명될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사기 혐의가 인정된다고 해서 피해자들의 손해가 원상복구되지는 않는다”며 “해당 부동산 계약이 사기였음이 인정되면 민사소송을 통해 이를 취소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투자금 반환 청구소송을 제기해 투자한 금액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전문 변호인의 도움으로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더불어 다단계식 신종 기획부동산 사기로 인해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도 있다며 “최근 기획부동산 사기는 다단계 판매 방식을 답습하면서 내부 직원의 지인을 중심으로 피해가 확산하기도 하는 추세이다. 기획부동산 업체는 개발 실익이 없는 맹지, 임야 등을 대량 매입한 뒤 지분을 잘게 쪼개 전국 각지 지점으로 할당량을 배분하고 이를 내부 직원, 상담원에게 세뇌 교육해 판매하기도 한다”며 “그들에게 설득당해 땅을 산 투자자들은 또 다른 사람에게 해당 부지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서로 속고 속이는 구조가 될 수 있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충분한 검토를 거쳐 수익을 예상하고 투자금을 유치했지만, 기획부동산 사기 혐의를 받고 있다면 변호사와 함께 자신의 행위에 정당성을 소명하는 등 무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법률전문가의 조력이 요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기획부동산TF팀은 기획부동산 사기사건과 관련하여 특경법위반, 허위 과장광고, 사문서 위조, 사해행위 취소소송, 공유물 분할청구, 분양소송, 임대차소송 등에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04593#
데일리안
2021-07-30
'기획부동산 사기' 교묘한 진화... 부산 부동산변호사 "단순사기범죄와 다르게 접근해야"
'기획부동산 사기' 교묘한 진화... 부산 부동산변호사 "단순사기범죄와 다르게 접근해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개발이 어려운 토지나 임야를 싼값에 사들인 후 주변 개발 호재 등을 언급하며 토지를 지분으로 쪼개 높은 가격에 판매하는 이른바 ‘기획부동산 사기’ 피해 사례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특히 요즘같이 코로나19로 서민 경제에 위기가 닥치면서 고수익을 낼 수 있다는 미끼로 투자자들을 모집해 투자금과 토지매수 대금을 가로채는 사례를 포함하여 은퇴한 연금소득자, 소액의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를 악용한 일부 중개 법인이 접근해 지분 매수를 권유하는 방식의 피해 사례까지 다양하다.법무법인 대륜 기획부동산TF팀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개발 기대와 투기 심리를 조장하는 기획부동산의 난립과 투기적인 지분거래가 성행 중이다. 실제 공인중개사와 함께 현장답사까지 하는 등 수법도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며 특히, “관련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업체의 말만 믿고 투자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기본적으로 토지대장, 등기부등본 열람, 토지이용계획확인원,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등을 이용해 개발 가능성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올해 초, 국내 최대의 기획부동산 업체의 경영진이 사기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으면서 향후 유사 사건 또한 사기로 판명될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사기 혐의가 인정된다고 해서 피해자들의 손해가 원상복구되지는 않는다”며 “해당 부동산 계약이 사기였음이 인정되면 민사소송을 통해 이를 취소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투자금 반환 청구소송을 제기해 투자한 금액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전문 변호인의 도움으로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더불어 다단계식 신종 기획부동산 사기로 인해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도 있다며 “최근 기획부동산 사기는 다단계 판매 방식을 답습하면서 내부 직원의 지인을 중심으로 피해가 확산하기도 하는 추세이다. 기획부동산 업체는 개발 실익이 없는 맹지, 임야 등을 대량 매입한 뒤 지분을 잘게 쪼개 전국 각지 지점으로 할당량을 배분하고 이를 내부 직원, 상담원에게 세뇌 교육해 판매하기도 한다”며 “그들에게 설득당해 땅을 산 투자자들은 또 다른 사람에게 해당 부지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서로 속고 속이는 구조가 될 수 있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충분한 검토를 거쳐 수익을 예상하고 투자금을 유치했지만, 기획부동산 사기 혐의를 받고 있다면 변호사와 함께 자신의 행위에 정당성을 소명하는 등 무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법률전문가의 조력이 요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기획부동산TF팀은 기획부동산 사기사건과 관련하여 특경법위반, 허위 과장광고, 사문서 위조, 사해행위 취소소송, 공유물 분할청구, 분양소송, 임대차소송 등에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04593#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가사전문변호사에게 듣는 상속재산분쟁, 유류분소송에 관한 Q&A
서초 가사전문변호사에게 듣는 상속재산분쟁, 유류분소송에 관한 Q&A
산업역군 세대가 저물면서 상속을 둘러싼 법적 분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정법원에 접수된 유류분 반환소송은 2010년 전국지방법원 1심 접수 기준 452건에서 지난해 1511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1960~1980년대 부를 일군 산업역군 세대가 노령으로 사망하면서 자녀들이 다툴만한 재산의 절대치가 충족됐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이와 관련 법무법인 대륜 상속전담팀을 통해 유류분 반환청구소송에 대해 들어봤다. Q. 유류분에 대해 설명 부탁한다.A. 유류분이란 상속인을 위해 법률상 유보된 상속재산의 일부를 의미한다. 이를 침해하는 증여나 유증이 있을 경우 수증자(재산을 상속받은 다른 상속인)에 대해 자기 상속분의 권리를 청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장남에게 모든 재산을 물려주겠다”라고 유언장을 작성했을 때 나머지 자녀들이 보장받을 수 있는 법적 상속 지분이다. 이때 유류분 반환청구는 상속 개시가 이루어진 날(사망)로부터 10년 이내, 반환 유증의 사실을 안 때로부터 1년 이내에 실행되어야 한다.Q. 유류분 반환청구 권리자는 어떻게 되나A. 유류분제도의 권리자는 4촌 이내의 방계혈족을 제외한 기존 법정 상속권자로서 직계비속, 배우자, 직계존속, 형제자매 순이다. 유류분 역시 선순위 상속권자가 없는 경우에 한해 권리를 가지게 되므로 만일 직계비속과 배우자가 있는 경우라면 직계존속과 형제자매는 유류분 반환 청구권이 인정되지 않는다.Q. 태아의 경우 유류분을 인정받을 수 있나A. 태아는 민법상 상속에 있어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태아도 상속에 있어 상속인으로서의 지위를 갖는다. 상속이 개시되기 전에 사망한 추정상속인에게 그 직계비속 등이 있는 경우 사망한 상속인을 대신하여 상속을 받게 하는 '대습상속권' 또는 유증이나 유류분에 관한 권리도 태아에게 모두 인정된다. 다만 태아에게 인정되는 이러한 권리들은 태아가 살아서 출생한 경우에야 비로소 취득 가능한데, 태아는 살아서 태어난 경우에 한해 가지고 있던 권리를 그 권리가 발생했던 시기로 소급해 그때부터 취득한 것으로 인정받게 된다.Q. 유류분 비율과 액수는 어떻게 산정되나A. 직계비속 및 배우자의 경우 법정상속분의 1/2, 직계존속 및 형제자매의 경우 법정상속분의 1/3이다. 유류분을 산정하려면 먼저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을 확정해야 한다. 상속 재산액 산정 방법은 기존 피상속인이 가지고 있던 재산과 채무를 합한 가액에 상속 개시 전 1년 이내에 제3자에게 증여한 재산 가액을 더한다. 이를 토대로 법정상속권자들의 유류분을 구하고 해당 금액을 유증 받은 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Q. 상속재산이 불평등하게 분배될 경우 조치는A. 법정 상속분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법리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당사자 개인이 직접 나서야 한다. 상속재산분할에는 유류분, 기여분, 한정승인과 상속포기 등 많은 분쟁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에 관련 법상 소멸 시효 전, 준비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꼼꼼히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유류분의 경우 반환청구 소송 제기에 앞서 가사전문변호사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소송의 실익이 있는지를 확인 후 조속히 분쟁을 마무리 지을 필요가 있다.법무법인 대륜 상속전단팀은 전국 네트워크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증한 가사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상속재산분할과 기여분, 유류분반환청구, 상속회복청구, 한정승인, 상속포기 문제 등 상속 분야에서 법률 조력을 제공 중이다. 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78916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가사전문변호사에게 듣는 상속재산분쟁, 유류분소송에 관한 Q&A
서초 가사전문변호사에게 듣는 상속재산분쟁, 유류분소송에 관한 Q&A
산업역군 세대가 저물면서 상속을 둘러싼 법적 분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정법원에 접수된 유류분 반환소송은 2010년 전국지방법원 1심 접수 기준 452건에서 지난해 1511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1960~1980년대 부를 일군 산업역군 세대가 노령으로 사망하면서 자녀들이 다툴만한 재산의 절대치가 충족됐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이와 관련 법무법인 대륜 상속전담팀을 통해 유류분 반환청구소송에 대해 들어봤다. Q. 유류분에 대해 설명 부탁한다.A. 유류분이란 상속인을 위해 법률상 유보된 상속재산의 일부를 의미한다. 이를 침해하는 증여나 유증이 있을 경우 수증자(재산을 상속받은 다른 상속인)에 대해 자기 상속분의 권리를 청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장남에게 모든 재산을 물려주겠다”라고 유언장을 작성했을 때 나머지 자녀들이 보장받을 수 있는 법적 상속 지분이다. 이때 유류분 반환청구는 상속 개시가 이루어진 날(사망)로부터 10년 이내, 반환 유증의 사실을 안 때로부터 1년 이내에 실행되어야 한다.Q. 유류분 반환청구 권리자는 어떻게 되나A. 유류분제도의 권리자는 4촌 이내의 방계혈족을 제외한 기존 법정 상속권자로서 직계비속, 배우자, 직계존속, 형제자매 순이다. 유류분 역시 선순위 상속권자가 없는 경우에 한해 권리를 가지게 되므로 만일 직계비속과 배우자가 있는 경우라면 직계존속과 형제자매는 유류분 반환 청구권이 인정되지 않는다.Q. 태아의 경우 유류분을 인정받을 수 있나A. 태아는 민법상 상속에 있어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태아도 상속에 있어 상속인으로서의 지위를 갖는다. 상속이 개시되기 전에 사망한 추정상속인에게 그 직계비속 등이 있는 경우 사망한 상속인을 대신하여 상속을 받게 하는 '대습상속권' 또는 유증이나 유류분에 관한 권리도 태아에게 모두 인정된다. 다만 태아에게 인정되는 이러한 권리들은 태아가 살아서 출생한 경우에야 비로소 취득 가능한데, 태아는 살아서 태어난 경우에 한해 가지고 있던 권리를 그 권리가 발생했던 시기로 소급해 그때부터 취득한 것으로 인정받게 된다.Q. 유류분 비율과 액수는 어떻게 산정되나A. 직계비속 및 배우자의 경우 법정상속분의 1/2, 직계존속 및 형제자매의 경우 법정상속분의 1/3이다. 유류분을 산정하려면 먼저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을 확정해야 한다. 상속 재산액 산정 방법은 기존 피상속인이 가지고 있던 재산과 채무를 합한 가액에 상속 개시 전 1년 이내에 제3자에게 증여한 재산 가액을 더한다. 이를 토대로 법정상속권자들의 유류분을 구하고 해당 금액을 유증 받은 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Q. 상속재산이 불평등하게 분배될 경우 조치는A. 법정 상속분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법리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당사자 개인이 직접 나서야 한다. 상속재산분할에는 유류분, 기여분, 한정승인과 상속포기 등 많은 분쟁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에 관련 법상 소멸 시효 전, 준비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꼼꼼히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유류분의 경우 반환청구 소송 제기에 앞서 가사전문변호사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소송의 실익이 있는지를 확인 후 조속히 분쟁을 마무리 지을 필요가 있다.법무법인 대륜 상속전단팀은 전국 네트워크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증한 가사전문변호사를 중심으로 상속재산분할과 기여분, 유류분반환청구, 상속회복청구, 한정승인, 상속포기 문제 등 상속 분야에서 법률 조력을 제공 중이다. 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78916
데일리안
2021-07-30
서초동 변호사, "금전, 채권 분쟁 종결하려면 법률 조력 활용해야"
서초동 변호사, "금전, 채권 분쟁 종결하려면 법률 조력 활용해야"
최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줄어들면서 내수시장의 경기는 점차 나아질 것으로 예측됐지만 이태원발 코로나 재확산 등으로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관련하여 개인과 기업의 현금 유동성이 떨어지면서 물품대금, 매매대금, 대여금 등 액수를 불문하고 금전적 거래로 인한 채무자와 채권자의 갈등도 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 채권분쟁팀에 따르면 채권추심과 관련한 상담 문의는 지난해 대비 증가 추세이며, ‘돈을 빌려주었는데 돈을 갚지 않는다’, ‘공사를 했는데 공사대금을 주지 않는다’ ‘자재를 구입했는데 자재대금을 주지 않는다’ ‘물품을 구매했는데 물품대금을 주지 않는다’ 등 어려운 경제상황과 맞물리며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법무법인 대륜 채권분쟁팀 변호사는 “금전 갈등에 놓인 상대방은 보통 돈이 없어서 줄 수 없다는 말만 한다는 것이 고질적인 문제”라며 “대여금, 대금 등을 분납으로 받기로 하는 등 서로 좋게 합의를 볼 수 있다면 좋겠지만 사실상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우선 상대방에게 지급명령신청을 하고 채무자의 재산여부를 조사한 후, 재산이 있다면 가압류 등 보전처분과 민사소송을 병행하여 추후 민사절차를 통한 강제집행으로 채권을 회수하는 방법이 있다”라고 말했다.이어 “그러나 민사소송을 염려한 상대방이 재산을 은닉, 회생 또는 파산신청을 통해 돈을 갚을 의무에서 벗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기망행위를 입증할 수 있다면 형법상 사기죄로 고소하는 것도 방법이다”라며 “일단 죄가 인정돼 기소될 경우 어느 정도의 돈을 갚지 않고서는 구속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태세를 전환해 합의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못 받은 돈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 민·형사적 소송뿐만 아니라 다각도의 신중한 법리적 분석이 요구된다”라고 덧붙였다.한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 채권분쟁팀은 대여금, 공사 및 자재대금, 투자금회수, 부당이득금, 임대차보증금 등의 변제 및 반환, 채권추심 등과 관련하여 소송 외의 합의에서부터 민·형사적인 문제 등을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03224
데일리안
2021-07-30
서초동 변호사, "금전, 채권 분쟁 종결하려면 법률 조력 활용해야"
서초동 변호사, "금전, 채권 분쟁 종결하려면 법률 조력 활용해야"
최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줄어들면서 내수시장의 경기는 점차 나아질 것으로 예측됐지만 이태원발 코로나 재확산 등으로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관련하여 개인과 기업의 현금 유동성이 떨어지면서 물품대금, 매매대금, 대여금 등 액수를 불문하고 금전적 거래로 인한 채무자와 채권자의 갈등도 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 채권분쟁팀에 따르면 채권추심과 관련한 상담 문의는 지난해 대비 증가 추세이며, ‘돈을 빌려주었는데 돈을 갚지 않는다’, ‘공사를 했는데 공사대금을 주지 않는다’ ‘자재를 구입했는데 자재대금을 주지 않는다’ ‘물품을 구매했는데 물품대금을 주지 않는다’ 등 어려운 경제상황과 맞물리며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법무법인 대륜 채권분쟁팀 변호사는 “금전 갈등에 놓인 상대방은 보통 돈이 없어서 줄 수 없다는 말만 한다는 것이 고질적인 문제”라며 “대여금, 대금 등을 분납으로 받기로 하는 등 서로 좋게 합의를 볼 수 있다면 좋겠지만 사실상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우선 상대방에게 지급명령신청을 하고 채무자의 재산여부를 조사한 후, 재산이 있다면 가압류 등 보전처분과 민사소송을 병행하여 추후 민사절차를 통한 강제집행으로 채권을 회수하는 방법이 있다”라고 말했다.이어 “그러나 민사소송을 염려한 상대방이 재산을 은닉, 회생 또는 파산신청을 통해 돈을 갚을 의무에서 벗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기망행위를 입증할 수 있다면 형법상 사기죄로 고소하는 것도 방법이다”라며 “일단 죄가 인정돼 기소될 경우 어느 정도의 돈을 갚지 않고서는 구속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태세를 전환해 합의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못 받은 돈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 민·형사적 소송뿐만 아니라 다각도의 신중한 법리적 분석이 요구된다”라고 덧붙였다.한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 채권분쟁팀은 대여금, 공사 및 자재대금, 투자금회수, 부당이득금, 임대차보증금 등의 변제 및 반환, 채권추심 등과 관련하여 소송 외의 합의에서부터 민·형사적인 문제 등을 종합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03224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삼진아웃 처벌 옛말... 음주운전 처벌 강화로 변호사 수임도 증가"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삼진아웃 처벌 옛말... 음주운전 처벌 강화로 변호사 수임도 증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음주운전 적발 건수는 크게 늘고 있다.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 사이 음주사고 사망자 수는 5년 만에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그중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4천101건 발생해 79명이 사망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음주사고는 24.4%, 음주사고 사망자는 6.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음주운전 혐의로 형사전문변호사 수임을 요구하는 수요 또한 늘고 있다. 도로교통법 개정 이후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 기준이 강화돼 음주운전 재범일 경우 약식명령으로 종결되기 어렵고 2년 이상의 징역형이 구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며 음주운전 단속 기준도 강화되었는데 현재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이면 면허 정지처분을, 0.08% 이상이면 면허 취소처분을 할 수 있다”며 “혈중알콜농도 0.03%는 소주 1잔을 마신 후 1시간 가량 후 측정되는 수치다. 애초에 ‘이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운전대를 잡는다면 한순간에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각별한 경각심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음주운전 상태에서 교통사고를 낸 경우 역시 중한 처벌로 이어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음주 운전 처벌을 피하려고 사고현장에서 아무런 조치 없이 도주를 한 경우라면 수사단계에서부터 구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강력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심 변호사는 “음주운전이나 음주사고 적발 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라는 명백한 물적 증거가 존재하기 때문에 혐의를 부인하거나 막연히 감정에 호소해 반성하는 태도만 보이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런 경우 반대로 죄질이 나쁘다고 판단해 더욱 무거운 형이 선고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하며 “사실관계 파악 및 음주운전 거리, 음주운전 전력, 계기, 차량 처분, 재범 방지를 위한 노력, 피해자와의 합의 등 양형 요소 및 감경 요소를 적극적으로 주장해 선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법률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음주운전, 교통사고 사건을 비롯한 사기 등 경제 범죄, 성범죄 등 형사소송 분야에서 높은 승소율을 나타내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79306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삼진아웃 처벌 옛말... 음주운전 처벌 강화로 변호사 수임도 증가"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삼진아웃 처벌 옛말... 음주운전 처벌 강화로 변호사 수임도 증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음주운전 적발 건수는 크게 늘고 있다.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 사이 음주사고 사망자 수는 5년 만에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그중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4천101건 발생해 79명이 사망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음주사고는 24.4%, 음주사고 사망자는 6.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음주운전 혐의로 형사전문변호사 수임을 요구하는 수요 또한 늘고 있다. 도로교통법 개정 이후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 기준이 강화돼 음주운전 재범일 경우 약식명령으로 종결되기 어렵고 2년 이상의 징역형이 구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며 음주운전 단속 기준도 강화되었는데 현재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이면 면허 정지처분을, 0.08% 이상이면 면허 취소처분을 할 수 있다”며 “혈중알콜농도 0.03%는 소주 1잔을 마신 후 1시간 가량 후 측정되는 수치다. 애초에 ‘이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운전대를 잡는다면 한순간에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각별한 경각심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음주운전 상태에서 교통사고를 낸 경우 역시 중한 처벌로 이어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음주 운전 처벌을 피하려고 사고현장에서 아무런 조치 없이 도주를 한 경우라면 수사단계에서부터 구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강력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심 변호사는 “음주운전이나 음주사고 적발 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라는 명백한 물적 증거가 존재하기 때문에 혐의를 부인하거나 막연히 감정에 호소해 반성하는 태도만 보이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런 경우 반대로 죄질이 나쁘다고 판단해 더욱 무거운 형이 선고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하며 “사실관계 파악 및 음주운전 거리, 음주운전 전력, 계기, 차량 처분, 재범 방지를 위한 노력, 피해자와의 합의 등 양형 요소 및 감경 요소를 적극적으로 주장해 선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법률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음주운전, 교통사고 사건을 비롯한 사기 등 경제 범죄, 성범죄 등 형사소송 분야에서 높은 승소율을 나타내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79306
헤럴드경제
2021-07-30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준강제추행죄 등 성범죄 연루... 초기대응이 중요"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준강제추행죄 등 성범죄 연루... 초기대응이 중요"
최근 미성년자를 이용해 성폭행 누명을 씌워 합의금을 뜯어내려던 남녀 공갈 사기단이 검찰 재수사 과정에서 적발됐다.2017년 남성 A씨는 당시 미성년자 B씨와 술을 마시다 모텔에 함께 투숙했다. 이후 B씨는 갑자기 C(27.남)씨에게 전화해 성폭행을 당했다며 도움을 요청했고, B씨의 이모라고 밝힌 F(55.여)씨가 나타나 A씨에게 성폭행 합의금을 요구했다.그러나 A씨는 이를 거절했고, B씨는 ‘술에 취해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추행당했다’며 고소장을 제출했다. A씨는 수사기관에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결백을 입증하지 못해 준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양측 주장이 팽팽하게 엇갈려 재판은 길어졌다.검찰에 따르면 B씨 일당은 재기 수사 과정에서 조직적 범행의 덜미를 잡혔고, 지난 7일 이들 일당 5명을 기소했다. 또한, 이들의 허위 고소로 재판 중인 피해자의 준강제추행에 대한 공소를 취소할 예정이다.유사 사례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준강제추행 혐의를 받던 의뢰인의 무죄를 입증한 바 있다”면서 “의뢰인은 친구의 지인과 새벽까지 술을 마시다 함께 모텔로 이동해 성폭행하려 한 혐의(준강제추행)로 기소됐다. 의뢰인은 당시 기억이 드문드문 끊겨 있는 상태로 매우 혼란스러워 하고 있었다”며 “피해자의 진술과 확보한 CCTV 자료, DNA 검사 결과 등을 대조해 모순점을 집요하게 찾아낸 것이 무죄 입증에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심 변호사는 “술자리에서 비롯되는 준강제추행의 경우 피해자만큼이나 피의자 역시 술에 취해 있는 경우가 많아 부당하게 혐의를 받는 사례도 다수 존재한다”며 “상황이 모호하거나 당시 상황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상대방의 주장에 따라 사건이 전개될 수 있으므로 억울하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당시 상황을 명확히 판단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또한 “준강제추행 등 다수의 성범죄 사건은 유죄가 인정될 경우 단순히 형사처벌로 끝나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준강제추행의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혹은 1천 500만 원의 벌금에 처하며 유죄 판결로 보안처분을 받게 될 경우 장기간 취업을 하지 못하게 되거나 신상정보가 온라인 사이트와 우편물 고지를 통해 알려지는 등 전반적인 사회적제약이 발생한다”며 “준강제추행 사건에 연루된 경우 성추행변호사와 논의, 사건 초기부터 철저한 대응을 통하여 과중한 처벌이 내려질 가능성을 방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공인한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을 운영하며 준강제추행, 준강간, 강제추행, 강간,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등 다양한 성범죄 사건에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73587
헤럴드경제
2021-07-30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준강제추행죄 등 성범죄 연루... 초기대응이 중요"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준강제추행죄 등 성범죄 연루... 초기대응이 중요"
최근 미성년자를 이용해 성폭행 누명을 씌워 합의금을 뜯어내려던 남녀 공갈 사기단이 검찰 재수사 과정에서 적발됐다.2017년 남성 A씨는 당시 미성년자 B씨와 술을 마시다 모텔에 함께 투숙했다. 이후 B씨는 갑자기 C(27.남)씨에게 전화해 성폭행을 당했다며 도움을 요청했고, B씨의 이모라고 밝힌 F(55.여)씨가 나타나 A씨에게 성폭행 합의금을 요구했다.그러나 A씨는 이를 거절했고, B씨는 ‘술에 취해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추행당했다’며 고소장을 제출했다. A씨는 수사기관에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결백을 입증하지 못해 준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양측 주장이 팽팽하게 엇갈려 재판은 길어졌다.검찰에 따르면 B씨 일당은 재기 수사 과정에서 조직적 범행의 덜미를 잡혔고, 지난 7일 이들 일당 5명을 기소했다. 또한, 이들의 허위 고소로 재판 중인 피해자의 준강제추행에 대한 공소를 취소할 예정이다.유사 사례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준강제추행 혐의를 받던 의뢰인의 무죄를 입증한 바 있다”면서 “의뢰인은 친구의 지인과 새벽까지 술을 마시다 함께 모텔로 이동해 성폭행하려 한 혐의(준강제추행)로 기소됐다. 의뢰인은 당시 기억이 드문드문 끊겨 있는 상태로 매우 혼란스러워 하고 있었다”며 “피해자의 진술과 확보한 CCTV 자료, DNA 검사 결과 등을 대조해 모순점을 집요하게 찾아낸 것이 무죄 입증에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심 변호사는 “술자리에서 비롯되는 준강제추행의 경우 피해자만큼이나 피의자 역시 술에 취해 있는 경우가 많아 부당하게 혐의를 받는 사례도 다수 존재한다”며 “상황이 모호하거나 당시 상황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상대방의 주장에 따라 사건이 전개될 수 있으므로 억울하게 혐의를 받고 있다면 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당시 상황을 명확히 판단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또한 “준강제추행 등 다수의 성범죄 사건은 유죄가 인정될 경우 단순히 형사처벌로 끝나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준강제추행의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혹은 1천 500만 원의 벌금에 처하며 유죄 판결로 보안처분을 받게 될 경우 장기간 취업을 하지 못하게 되거나 신상정보가 온라인 사이트와 우편물 고지를 통해 알려지는 등 전반적인 사회적제약이 발생한다”며 “준강제추행 사건에 연루된 경우 성추행변호사와 논의, 사건 초기부터 철저한 대응을 통하여 과중한 처벌이 내려질 가능성을 방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공인한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을 운영하며 준강제추행, 준강간, 강제추행, 강간,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등 다양한 성범죄 사건에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73587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상간녀 위자료청구소송... 불륜·외도사실 입증이 관건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상간녀 위자료청구소송... 불륜·외도사실 입증이 관건
법조계에 따르면 이혼, 친권 및 양육권 분쟁,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이혼 가정의 경우 복잡한 상황과 문제들을 직면하면서 치열한 법적 공방을 이어가게 된다. 이혼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실제 이혼 가정의 경우 드라마 보다 훨씬 자극적일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간통죄 폐지 이후 불륜에 대한 법적 대응도 달라졌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간통죄 폐지가 부정행위를 허용한다는 뜻은 아니다. 여전히 부정행위는 민법상 혼인 파탄 사유에 해당한다”라며 “형사처벌을 묻지는 못하더라도 민사상 배우자에게 이혼 소송과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으며 상간자를 상대로 책임을 물어 위자료를 청구할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상간자를 상대로 소송하는 경우는 △이혼과 별개로 상간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하거나 △배우자와 이혼한 후 상간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으며 △이혼 소송과 동시에 배우자와 상간자 모두에게 위자료를 청구할 수도 있다. 이때 이혼을 했거나 이혼 소송 중이라면 가정법원이, 이혼 전이라면 민사법원이 관할 법원이 된다.이혼전문변호사에 따르면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에서 위자료는 일반적으로 1천만 원에서 많게는 3천만 원 사이로 책정되나 부정행위의 구체적 사안과 혼인 파탄 귀책사유에 따라 액수는 달라질 수 있다. 단, 상간자소송은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를 적용받기 때문에 부정행위 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년 또는 외도를 한 날로부터 10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에서 상간자나 배우자가 유부남, 유부녀라는 사실을 알고 부정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증거수집 수단으로 도청, 미행, 흥신소 의뢰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얻은 자료는 법정에서 증거로 채택될 확률이 낮고 반대로 본인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법률 조력이 요구되는 영역이다”라고 덧붙였다.서울 서초구,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증받은 이혼전문변호사와 가사전문변호사가 이혼, 재산분할, 양육권 및 친권,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 등 이혼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법률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71171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상간녀 위자료청구소송... 불륜·외도사실 입증이 관건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상간녀 위자료청구소송... 불륜·외도사실 입증이 관건
법조계에 따르면 이혼, 친권 및 양육권 분쟁,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이혼 가정의 경우 복잡한 상황과 문제들을 직면하면서 치열한 법적 공방을 이어가게 된다. 이혼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실제 이혼 가정의 경우 드라마 보다 훨씬 자극적일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간통죄 폐지 이후 불륜에 대한 법적 대응도 달라졌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간통죄 폐지가 부정행위를 허용한다는 뜻은 아니다. 여전히 부정행위는 민법상 혼인 파탄 사유에 해당한다”라며 “형사처벌을 묻지는 못하더라도 민사상 배우자에게 이혼 소송과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으며 상간자를 상대로 책임을 물어 위자료를 청구할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상간자를 상대로 소송하는 경우는 △이혼과 별개로 상간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하거나 △배우자와 이혼한 후 상간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으며 △이혼 소송과 동시에 배우자와 상간자 모두에게 위자료를 청구할 수도 있다. 이때 이혼을 했거나 이혼 소송 중이라면 가정법원이, 이혼 전이라면 민사법원이 관할 법원이 된다.이혼전문변호사에 따르면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에서 위자료는 일반적으로 1천만 원에서 많게는 3천만 원 사이로 책정되나 부정행위의 구체적 사안과 혼인 파탄 귀책사유에 따라 액수는 달라질 수 있다. 단, 상간자소송은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를 적용받기 때문에 부정행위 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년 또는 외도를 한 날로부터 10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에서 상간자나 배우자가 유부남, 유부녀라는 사실을 알고 부정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증거수집 수단으로 도청, 미행, 흥신소 의뢰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얻은 자료는 법정에서 증거로 채택될 확률이 낮고 반대로 본인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법률 조력이 요구되는 영역이다”라고 덧붙였다.서울 서초구,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증받은 이혼전문변호사와 가사전문변호사가 이혼, 재산분할, 양육권 및 친권,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 등 이혼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법률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71171
연합뉴스
2021-07-30
집 앞에 나체사진 붙이고 반려견 폭행도... 도 넘은 데이트 폭력
집 앞에 나체사진 붙이고 반려견 폭행도... 도 넘은 데이트 폭력
(서울=연합뉴스) 화제의 드라마 JTBC &apos;부부의 세계&apos;. 의사 지선우(김희애 분)는 환자 민현서(심은우)가 동거 중인 남자친구에게 모질게 폭행당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구해줍니다.이후 남자친구를 폭행죄로 고소한 민현서는 지선우를 만나 말합니다."맞고 있는 날 도와준 사람, 선생님이 처음이었거든요."그러나 &apos;이 범죄&apos;로 고통받는 피해자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연인 사이 일이라서, 사랑하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apos;애정&apos;이란 이름 아래 저지르는 범죄, 데이트 폭력입니다.지난 14일 이별을 요구한 여자친구에게 성관계 영상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한 20대 남성이 구속됐습니다.이 남성은 여자친구 반려견을 벽돌로 폭행하는 잔인함도 보였습니다.앞서 같은 달, 헤어진 여자친구 집 현관문에 여자친구 나체 사진을 붙이고 협박한 혐의로 10대 남성이 입건됐습니다.이 남성은 여성 부모에게 사진을 봤는지 확인 전화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경찰청 통계(2019 경찰백서)에 따르면 데이트 폭력 신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2016년 9천364건, 2017년 1만4천136건, 2018년 1만8천671건이 신고됐습니다.이중 피해자는 여성이 70%를 차지합니다.검거인원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2014년 6천675명, 2015년 7천692명, 2016년 8천367명, 2017년 1만303명, 2018년 1만245명으로 집계됐습니다.이창훈 한남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데이트 폭력 자체가 증가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이 좀 더 확대됐고, 또 신고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신고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그러나 아직 국내에는 해당 범죄 특성을 고려한 데이트 폭력 방지 및 처벌 관련 법안이 없는데요. 유형에 따라 폭행죄, 협박죄, 강간죄 등 형법을 적용해 처벌합니다.이에 반해 영국과 미국에는 이미 데이트 폭력 관련 법안이 있습니다.영국의 일명 &apos;클레어법&apos;(가정폭력전과공개제도)은 2009년 남자친구에게 살해된 피해 여성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습니다. 교제 상대의 폭력 전과를 공개·열람할 수 있도록 한 법입니다.미국에선 1994년 제정한 &apos;여성폭력방지법&apos; 내에 데이트 폭력을 포함시켜 피해자 보호 제도를 강화했습니다.우리 국회에서도 지난 2017년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신보라 당시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 의원 등이 데이트 폭력 처벌 및 방지법을 발의했지만, 이 법안들은 처리되지 못했습니다. 별도 법안 제정에 대한 법조계, 학계의 이견도 있습니다.곽대경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문제 행동(데이트 폭력)과 관련, 우리 사회에서 적절하고 합리적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처벌 범위와 수준이 어떻게 되느냐에 대해 학계, 사회단체, 국회에서 좀 터놓고 이야기하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데이트 폭력 범죄 특례법이 제정된다면 성범죄처벌 특례법, 가정폭력처벌 특례법처럼 형사 절차에서 조금 더 피해자를 보호하는 조항들이 들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꾸준히 반복되고 있는 문제, 데이트 폭력.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16~2018년 해당 범죄로 사망한 이들은 51명.사랑싸움으로 치부되는 사회적 인식과 허술한 법 제도 속에서 안타까운 피해자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이은정 기자 김정후 인턴기자 / 내레이션 김정후 인턴기자기사원문보기 -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3161100797?input=1195m
연합뉴스
2021-07-30
집 앞에 나체사진 붙이고 반려견 폭행도... 도 넘은 데이트 폭력
집 앞에 나체사진 붙이고 반려견 폭행도... 도 넘은 데이트 폭력
(서울=연합뉴스) 화제의 드라마 JTBC &apos;부부의 세계&apos;. 의사 지선우(김희애 분)는 환자 민현서(심은우)가 동거 중인 남자친구에게 모질게 폭행당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구해줍니다.이후 남자친구를 폭행죄로 고소한 민현서는 지선우를 만나 말합니다."맞고 있는 날 도와준 사람, 선생님이 처음이었거든요."그러나 &apos;이 범죄&apos;로 고통받는 피해자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연인 사이 일이라서, 사랑하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apos;애정&apos;이란 이름 아래 저지르는 범죄, 데이트 폭력입니다.지난 14일 이별을 요구한 여자친구에게 성관계 영상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한 20대 남성이 구속됐습니다.이 남성은 여자친구 반려견을 벽돌로 폭행하는 잔인함도 보였습니다.앞서 같은 달, 헤어진 여자친구 집 현관문에 여자친구 나체 사진을 붙이고 협박한 혐의로 10대 남성이 입건됐습니다.이 남성은 여성 부모에게 사진을 봤는지 확인 전화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경찰청 통계(2019 경찰백서)에 따르면 데이트 폭력 신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2016년 9천364건, 2017년 1만4천136건, 2018년 1만8천671건이 신고됐습니다.이중 피해자는 여성이 70%를 차지합니다.검거인원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2014년 6천675명, 2015년 7천692명, 2016년 8천367명, 2017년 1만303명, 2018년 1만245명으로 집계됐습니다.이창훈 한남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데이트 폭력 자체가 증가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이 좀 더 확대됐고, 또 신고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신고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그러나 아직 국내에는 해당 범죄 특성을 고려한 데이트 폭력 방지 및 처벌 관련 법안이 없는데요. 유형에 따라 폭행죄, 협박죄, 강간죄 등 형법을 적용해 처벌합니다.이에 반해 영국과 미국에는 이미 데이트 폭력 관련 법안이 있습니다.영국의 일명 &apos;클레어법&apos;(가정폭력전과공개제도)은 2009년 남자친구에게 살해된 피해 여성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습니다. 교제 상대의 폭력 전과를 공개·열람할 수 있도록 한 법입니다.미국에선 1994년 제정한 &apos;여성폭력방지법&apos; 내에 데이트 폭력을 포함시켜 피해자 보호 제도를 강화했습니다.우리 국회에서도 지난 2017년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신보라 당시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 의원 등이 데이트 폭력 처벌 및 방지법을 발의했지만, 이 법안들은 처리되지 못했습니다. 별도 법안 제정에 대한 법조계, 학계의 이견도 있습니다.곽대경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문제 행동(데이트 폭력)과 관련, 우리 사회에서 적절하고 합리적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처벌 범위와 수준이 어떻게 되느냐에 대해 학계, 사회단체, 국회에서 좀 터놓고 이야기하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데이트 폭력 범죄 특례법이 제정된다면 성범죄처벌 특례법, 가정폭력처벌 특례법처럼 형사 절차에서 조금 더 피해자를 보호하는 조항들이 들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꾸준히 반복되고 있는 문제, 데이트 폭력.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16~2018년 해당 범죄로 사망한 이들은 51명.사랑싸움으로 치부되는 사회적 인식과 허술한 법 제도 속에서 안타까운 피해자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이은정 기자 김정후 인턴기자 / 내레이션 김정후 인턴기자기사원문보기 -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3161100797?input=1195m
아시아경제
2021-07-30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극성... 피고인 사기방조 무혐의 처분"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극성... 피고인 사기방조 무혐의 처분"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혼란을 틈탄 보이스피싱, 사기 등 경제 범죄가 늘어남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8일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법조계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조직은 ‘저금리 비대면 대출이 가능하다’,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으려면 계좌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 ‘당신의 계좌가 대포 통장으로 사용돼 전화 조사가 필요하다’ 등의 빌미로 접근하여 원격제어 앱을 설치하게 유도하고 모바일 뱅킹에 접속해 잔액을 갈취하는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계좌정보를 새로운 보이스피싱에 사용해 피해자를 범죄 가담자로 만드는 등 수법이 나날이 교묘해지고 있다.보이스피싱은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큰 중대 범죄로 분류되며 처벌기준이 엄격하다. 범행 주도자는 징역 10년, 콜센터 관리자 등 중간가담자는 징역 7년, 통장 모집책·수익분배자·인출책 등 단순 가담자는 징역 5년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가중처벌도 가능하다. 단순 가담자의 경우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인 경우도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보이스피싱은 엄연한 사기 사건으로 수법이나 심각성이 널리 알려졌지만, 막상 개인이 보이스피싱 문자를 받으면 범죄를 의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며 “금전적 피해뿐만 아니라 통장이나 개인 거래정보 노출 등으로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몰리는 경우도 있다”라고 말했다.유사사례로, “자신을 은행의 대출담당자라고 소개한 사람에게 저금리 비대면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자메시지를 받은 의뢰인이 본인 명의의 체크카드와 비밀번호를 퀵서비스로 제공해 통장이 지급 정지된 사례가 있다”라며 “의뢰인은 사기방조혐의가 적용돼 경찰 조사를 받았으나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으로 의뢰인의 무혐의를 주장했고, 혐의없음 불기소처분으로 사안을 마무리하기도 했다”라고 설명했다.형사전문변호사는 “사례와 같이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를 받는 경우 사건에 연루된 당혹감에 수사기관에서 본인에게 불리한 대답을 하는 일이 많다. 초기 대응이 판결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다분하기 때문에 관련 상황에 놓일 경우 보이스피싱 관련 법률 조력이 가능한 전문 변호사를 찾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며 “기소되기 전 혐의 적용의 정당성, 성립요건, 충족 여부 등을 살펴서 가담 동기와 전후 상황을 유리한 방향으로 확보해 과중하거나 부당한 처벌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네트워크 법인으로 경제범죄(보이스피싱, 사기, 횡령, 배임 등), 강력범죄(성범죄, 절도, 강도, 폭력, 살인 등) 등의 형사전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666962
아시아경제
2021-07-30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극성... 피고인 사기방조 무혐의 처분"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극성... 피고인 사기방조 무혐의 처분"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혼란을 틈탄 보이스피싱, 사기 등 경제 범죄가 늘어남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8일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법조계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조직은 ‘저금리 비대면 대출이 가능하다’,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으려면 계좌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 ‘당신의 계좌가 대포 통장으로 사용돼 전화 조사가 필요하다’ 등의 빌미로 접근하여 원격제어 앱을 설치하게 유도하고 모바일 뱅킹에 접속해 잔액을 갈취하는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계좌정보를 새로운 보이스피싱에 사용해 피해자를 범죄 가담자로 만드는 등 수법이 나날이 교묘해지고 있다.보이스피싱은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큰 중대 범죄로 분류되며 처벌기준이 엄격하다. 범행 주도자는 징역 10년, 콜센터 관리자 등 중간가담자는 징역 7년, 통장 모집책·수익분배자·인출책 등 단순 가담자는 징역 5년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가중처벌도 가능하다. 단순 가담자의 경우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인 경우도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보이스피싱은 엄연한 사기 사건으로 수법이나 심각성이 널리 알려졌지만, 막상 개인이 보이스피싱 문자를 받으면 범죄를 의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며 “금전적 피해뿐만 아니라 통장이나 개인 거래정보 노출 등으로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몰리는 경우도 있다”라고 말했다.유사사례로, “자신을 은행의 대출담당자라고 소개한 사람에게 저금리 비대면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자메시지를 받은 의뢰인이 본인 명의의 체크카드와 비밀번호를 퀵서비스로 제공해 통장이 지급 정지된 사례가 있다”라며 “의뢰인은 사기방조혐의가 적용돼 경찰 조사를 받았으나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으로 의뢰인의 무혐의를 주장했고, 혐의없음 불기소처분으로 사안을 마무리하기도 했다”라고 설명했다.형사전문변호사는 “사례와 같이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를 받는 경우 사건에 연루된 당혹감에 수사기관에서 본인에게 불리한 대답을 하는 일이 많다. 초기 대응이 판결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다분하기 때문에 관련 상황에 놓일 경우 보이스피싱 관련 법률 조력이 가능한 전문 변호사를 찾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며 “기소되기 전 혐의 적용의 정당성, 성립요건, 충족 여부 등을 살펴서 가담 동기와 전후 상황을 유리한 방향으로 확보해 과중하거나 부당한 처벌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네트워크 법인으로 경제범죄(보이스피싱, 사기, 횡령, 배임 등), 강력범죄(성범죄, 절도, 강도, 폭력, 살인 등) 등의 형사전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666962
해럴드경제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2020년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 대륜, ‘2020년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은 17일 부산디자인진흥원 강연장에서 구성원 변호사와 직원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0년 워크숍’을 가졌다고 밝혔다.이번 워크숍은 ‘대륜 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를 주제로 △경영전략 제안 △판례 강독 △고객서비스 마인드 함양 순으로 진행됐다.◆혁신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경영전략’ 제안‘혁신’을 키워드로 경영전략 분야를 제안하며 연간/중장기 업무 계획을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직원 전문성 제고를 독려하는 시간이 진행됐다. 이와 함께 열린 직원 다면 평가제도, 팀별 업무 및 기대 역량 브리핑과 함께 조직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창구 신설과 중복 업무 조정안 등 법인 경영 효율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 당면 실천과제를 도출했다.◆‘판례 강독 프로그램’을 통한 구술변론능력 배양이어 자체 개설한 ‘판례 강독 프로그램’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신규 변호사는 선배 법조인 앞에서 판례 내용을 분석하고 즉흥 질의응답을 이어가며 변호사로서 필요한 사고력, 발표력, 논리 허점 보완과 임기응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간이다. 판례 강독 프로그램을 기획한 이현지 구성원 변호사는 “변호인은 쟁점을 잘 파악하고 일목요연하게 강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법리적 주장을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구술변론능력을 갖추고 재판에 임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객서비스 마인드 함양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은 ‘고객서비스 마인드 함양’은 기본적 소양이라는 인식 개선을 확인하며 의뢰인과 법인이 만나는 접점을 단계별로 분석했다. 이에 바람직한 대응 솔루션을 제시하며 비즈니스 매너와 직무별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적용할 수 있는 고객 서비스 컨설팅 시간으로 워크숍은 종료됐다.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우리 법인은 지난해 12월 서울사무소를 개소하며 명실상부 중형 로펌으로 자리매김했다. 새로운 도약의 시대를 맞아 구성원 모두 노력해주시기를 바란다”라며 “새로이 출범하게 된 경영관리팀, 고객관계관리팀의 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 균일화된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륜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사무소 개점으로 수도권, 경북권, 동남권을 연결하는 광역 교류 체제를 마련했다는 평을 얻고 있다.real@heraldcorp.com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26567
해럴드경제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2020년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 대륜, ‘2020년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은 17일 부산디자인진흥원 강연장에서 구성원 변호사와 직원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0년 워크숍’을 가졌다고 밝혔다.이번 워크숍은 ‘대륜 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를 주제로 △경영전략 제안 △판례 강독 △고객서비스 마인드 함양 순으로 진행됐다.◆혁신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경영전략’ 제안‘혁신’을 키워드로 경영전략 분야를 제안하며 연간/중장기 업무 계획을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직원 전문성 제고를 독려하는 시간이 진행됐다. 이와 함께 열린 직원 다면 평가제도, 팀별 업무 및 기대 역량 브리핑과 함께 조직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창구 신설과 중복 업무 조정안 등 법인 경영 효율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 당면 실천과제를 도출했다.◆‘판례 강독 프로그램’을 통한 구술변론능력 배양이어 자체 개설한 ‘판례 강독 프로그램’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신규 변호사는 선배 법조인 앞에서 판례 내용을 분석하고 즉흥 질의응답을 이어가며 변호사로서 필요한 사고력, 발표력, 논리 허점 보완과 임기응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간이다. 판례 강독 프로그램을 기획한 이현지 구성원 변호사는 “변호인은 쟁점을 잘 파악하고 일목요연하게 강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법리적 주장을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구술변론능력을 갖추고 재판에 임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객서비스 마인드 함양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펌은 ‘고객서비스 마인드 함양’은 기본적 소양이라는 인식 개선을 확인하며 의뢰인과 법인이 만나는 접점을 단계별로 분석했다. 이에 바람직한 대응 솔루션을 제시하며 비즈니스 매너와 직무별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적용할 수 있는 고객 서비스 컨설팅 시간으로 워크숍은 종료됐다.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우리 법인은 지난해 12월 서울사무소를 개소하며 명실상부 중형 로펌으로 자리매김했다. 새로운 도약의 시대를 맞아 구성원 모두 노력해주시기를 바란다”라며 “새로이 출범하게 된 경영관리팀, 고객관계관리팀의 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 균일화된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륜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사무소 개점으로 수도권, 경북권, 동남권을 연결하는 광역 교류 체제를 마련했다는 평을 얻고 있다.real@heraldcorp.com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26567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데이트폭력, 몰카 촬영 유포 등 성범죄사건 다각적으로 대응해야”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데이트폭력, 몰카 촬영 유포 등 성범죄사건 다각적으로 대응해야”
최근 헤어진 여자친구 집 앞에 여자친구의 나체 사진 등을 부착하고 협박한 10대 남성이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경찰은 성폭력처리특례법 위반 등의 혐의로 A씨를 입건해 조사 중이다.A씨는 여자친구 B씨가 이별을 통보하자 B씨 집 현관문에 B씨 나체 사진 등을 붙이고 우편함과 택배함 등에도 해당 사진을 놓아둔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B씨 부모에게 사진을 봤는지 확인 전화를 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데이트폭력은 물리적 행위뿐만 아니라 연인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비물리적 행위까지 포함된다. 특히 성관계 강요나 피임 도구 사용 거부 등의 성적 유형이 있으며 망신 주기와 자살·자해 협박과 같은 감정적 유형, 가족이나 친구를 만나지 못하게 하는 행동 제약성 경제적 폭력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최근에는 성관계 영상 촬영 강요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는 추세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유사사례로, 연인과 동거하던 의뢰인은 약 5개월에 걸쳐 발생한 데이트폭력으로 도움을 요청했다”라며 “휴대전화 감시, 멱살잡이, 밀치기, 폭행, 식칼 위협, 성적 학대, 동영상 촬영과 유포 협박 등 사안이 심각했다. 성적 학대, 폭행, 폭언, 카메라 등 이용촬영 혐의로 형사고소대리를 했고, 보복성 접근 가능성이 높아 접근금지가처분신청을 진행했다”라고 말했다.이어 그는 “사회적으로 데이트폭력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연인 사이에서는 여전히 이를 범죄라고 인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피해 방지가 쉽지 않다”라며 “자신이 데이트폭력으로 인해 폭행, 성범죄 등을 당하고 있다면 그 즉시 성범죄 관련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으로 조치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또한, “안타까운 점은 데이트폭력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으며 오랜 기간 수차례에 걸쳐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더 이상 데이트폭력 사건을 단편적이고 획일적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라며 “피해에 대한 증거를 수집해 접근금지 가처분 신청, 손해배상, 폭행,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혐의 등 민형사상 다각적인 측면에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점에 법률사무소를 두고 있다. 성범죄전담팀은 데이트폭력, 강제추행 등을 비롯한 형사사건을 담당하고 있으며 성범죄피해자변호를 위한 여성변호사 비공개상담 등 법률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60750#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데이트폭력, 몰카 촬영 유포 등 성범죄사건 다각적으로 대응해야”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데이트폭력, 몰카 촬영 유포 등 성범죄사건 다각적으로 대응해야”
최근 헤어진 여자친구 집 앞에 여자친구의 나체 사진 등을 부착하고 협박한 10대 남성이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경찰은 성폭력처리특례법 위반 등의 혐의로 A씨를 입건해 조사 중이다.A씨는 여자친구 B씨가 이별을 통보하자 B씨 집 현관문에 B씨 나체 사진 등을 붙이고 우편함과 택배함 등에도 해당 사진을 놓아둔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B씨 부모에게 사진을 봤는지 확인 전화를 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데이트폭력은 물리적 행위뿐만 아니라 연인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비물리적 행위까지 포함된다. 특히 성관계 강요나 피임 도구 사용 거부 등의 성적 유형이 있으며 망신 주기와 자살·자해 협박과 같은 감정적 유형, 가족이나 친구를 만나지 못하게 하는 행동 제약성 경제적 폭력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최근에는 성관계 영상 촬영 강요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는 추세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유사사례로, 연인과 동거하던 의뢰인은 약 5개월에 걸쳐 발생한 데이트폭력으로 도움을 요청했다”라며 “휴대전화 감시, 멱살잡이, 밀치기, 폭행, 식칼 위협, 성적 학대, 동영상 촬영과 유포 협박 등 사안이 심각했다. 성적 학대, 폭행, 폭언, 카메라 등 이용촬영 혐의로 형사고소대리를 했고, 보복성 접근 가능성이 높아 접근금지가처분신청을 진행했다”라고 말했다.이어 그는 “사회적으로 데이트폭력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연인 사이에서는 여전히 이를 범죄라고 인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피해 방지가 쉽지 않다”라며 “자신이 데이트폭력으로 인해 폭행, 성범죄 등을 당하고 있다면 그 즉시 성범죄 관련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으로 조치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또한, “안타까운 점은 데이트폭력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으며 오랜 기간 수차례에 걸쳐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더 이상 데이트폭력 사건을 단편적이고 획일적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라며 “피해에 대한 증거를 수집해 접근금지 가처분 신청, 손해배상, 폭행,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혐의 등 민형사상 다각적인 측면에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점에 법률사무소를 두고 있다. 성범죄전담팀은 데이트폭력, 강제추행 등을 비롯한 형사사건을 담당하고 있으며 성범죄피해자변호를 위한 여성변호사 비공개상담 등 법률적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60750#
데일리안
2021-07-30
서초구 변호사, “코로나19로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 증가, 경영자의 신중한 판단 요구돼”
서초구 변호사, “코로나19로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 증가, 경영자의 신중한 판단 요구돼”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내수 및 수출 부진 등이 이어지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의 체감 경기는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전산업 통계를 시작한 이래 경기전망지수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설문에서도 경영 피해 및 위기에 대한 어려움이 나타났다.동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 64.1%가 코로나19 사태로 경영피해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지금의 경제 상태가 지속할 경우 감내할 수 있는 기간에 대해 36.9%는 13개월, 28%는 36개월라고 대답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심각성을 예고했다.기업 컨설팅 및 법률자문을 맡고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기업법무팀 변호사는 “최근 코로나19 이후 자금 상황이 좋지 않은 기업의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라며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은 각각의 절차와 장단점을 꼼꼼히 따져보고 적합한 방법을 도출해야하는 만큼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분야”라고 말했다.법인회생제도는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위기를 겪는 채무자에 대해 채권자, 주주, 지분권자 등 이해관계인의 법률관계를 조정하는 것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채무자 및 사업의 효율적인 회생을 도모하고 일시적 유동성 위기일 경우 회생절차를 거치고도 기존의 경영권과 대주주권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반면, 법인파산제도는 법인이 자신의 재산으로 채무변제가 불가능하여 법원이 파산을 선고하고 법인의 재산을 현금화하여 채권자들에게 권리의 우선순위와 채권액에 따라 분배하는 절차이다. 특히 파산 절차를 진행할 경우 채무로 인한 채권자 강제 집행이나 형사고소 등의 연쇄적 법률분쟁이 발생할 수 있어 전문가의 조력이 요구된다.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팀 변호사는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 결정은 기업존속가치와 기업청산가치를 따져 판단해야 한다”며 “일시적 혹은 구조적으로 자금난 등 유동성 위기를 겪는 단계라면 파산보다는 기업회생제도를, 급여지급 불능 또는 부채 초과 등으로 회생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기업파산제도로 고려해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덧붙여 "법인회생 및 파산을 위기관리를 위한 경영 전략으로 삼기 위해서는 오랜 노하우, 여러 케이스를 진행한 법률전문가를 통해 적절한 절차를 진행해야 채무자는 물론 이해관계인들의 손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상황이 더욱 악화돼 채무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위기관리 초기에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기업소송, 상장, 기업도산(기업회생, 기업파산), 구조조정 분야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시 서초구(서초동) 사무소를 중심으로 서울권 및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395973
데일리안
2021-07-30
서초구 변호사, “코로나19로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 증가, 경영자의 신중한 판단 요구돼”
서초구 변호사, “코로나19로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 증가, 경영자의 신중한 판단 요구돼”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내수 및 수출 부진 등이 이어지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의 체감 경기는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전산업 통계를 시작한 이래 경기전망지수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설문에서도 경영 피해 및 위기에 대한 어려움이 나타났다.동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 64.1%가 코로나19 사태로 경영피해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지금의 경제 상태가 지속할 경우 감내할 수 있는 기간에 대해 36.9%는 13개월, 28%는 36개월라고 대답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심각성을 예고했다.기업 컨설팅 및 법률자문을 맡고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기업법무팀 변호사는 “최근 코로나19 이후 자금 상황이 좋지 않은 기업의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라며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은 각각의 절차와 장단점을 꼼꼼히 따져보고 적합한 방법을 도출해야하는 만큼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분야”라고 말했다.법인회생제도는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위기를 겪는 채무자에 대해 채권자, 주주, 지분권자 등 이해관계인의 법률관계를 조정하는 것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채무자 및 사업의 효율적인 회생을 도모하고 일시적 유동성 위기일 경우 회생절차를 거치고도 기존의 경영권과 대주주권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반면, 법인파산제도는 법인이 자신의 재산으로 채무변제가 불가능하여 법원이 파산을 선고하고 법인의 재산을 현금화하여 채권자들에게 권리의 우선순위와 채권액에 따라 분배하는 절차이다. 특히 파산 절차를 진행할 경우 채무로 인한 채권자 강제 집행이나 형사고소 등의 연쇄적 법률분쟁이 발생할 수 있어 전문가의 조력이 요구된다.법무법인 대륜 기업법무팀 변호사는 “법인회생 및 법인파산 결정은 기업존속가치와 기업청산가치를 따져 판단해야 한다”며 “일시적 혹은 구조적으로 자금난 등 유동성 위기를 겪는 단계라면 파산보다는 기업회생제도를, 급여지급 불능 또는 부채 초과 등으로 회생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기업파산제도로 고려해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덧붙여 "법인회생 및 파산을 위기관리를 위한 경영 전략으로 삼기 위해서는 오랜 노하우, 여러 케이스를 진행한 법률전문가를 통해 적절한 절차를 진행해야 채무자는 물론 이해관계인들의 손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상황이 더욱 악화돼 채무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위기관리 초기에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기업소송, 상장, 기업도산(기업회생, 기업파산), 구조조정 분야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시 서초구(서초동) 사무소를 중심으로 서울권 및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395973
헤럴드경제
2021-07-30
부산 이혼전문변호사 “재산분할, 이혼소송의 핵심 쟁점”
부산 이혼전문변호사 “재산분할, 이혼소송의 핵심 쟁점”
매년 결혼과 출산율은 감소하는 반면, 이혼율은 증가하는 추세다. 부부의 가치관, 성격차이, 외도, 가정폭력, 고부갈등, 장서갈등 등 이혼의 사유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재산분할과 양육비 등 금전적인 문제가 이혼소송의 쟁점이 된다.현재 이혼소송을 전문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인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유책배우자의 책임이 크다 하더라도 위자료는 수천만 원 정도 선에서 책정되는 반면 재산분할의 경우 아파트와 같은 부동산, 주식, 예금, 보험금, 자동차 등을 모두 합치면 적어도 수천에서 수억, 수십억 원까지도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재산분할은 이혼소송에서 금전적인 다툼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재산분할 과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재산분할 대상을 확정하는 것”이라며 “이혼소송과 재산분할, 손해배상청구 등의 판결은 이혼 후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선 재판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고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재산분할은 유책 사유와 무관하게 배우자 양쪽이 모두 청구할 수 있다. 재산 형성 기여도 입증에 따라 판결이 나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춘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이 요구될 것”이라고 말했다.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대륜은 지난 10여 년 동안 법원의 이혼 재판에 관한 법리와 판례를 이해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기초로 이혼 청구는 물론 위자료, 재산분할, 자녀의 친권과 양육권 문제 등 전반적인 쟁점별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혼전담팀을 두고 있다”라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은 서울 서초구를 비롯하여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다. 대륜의 이혼전담팀은 유책증거 수집에서부터 조정, 협의, 재산분할에 필요한 재산파악 등 이혼소송 전체의 프로세스를 책임지는 법률서비스를 제공 중이다.헤럴드경제 real@heraldcorp.com기사원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408000777
헤럴드경제
2021-07-30
부산 이혼전문변호사 “재산분할, 이혼소송의 핵심 쟁점”
부산 이혼전문변호사 “재산분할, 이혼소송의 핵심 쟁점”
매년 결혼과 출산율은 감소하는 반면, 이혼율은 증가하는 추세다. 부부의 가치관, 성격차이, 외도, 가정폭력, 고부갈등, 장서갈등 등 이혼의 사유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재산분할과 양육비 등 금전적인 문제가 이혼소송의 쟁점이 된다.현재 이혼소송을 전문으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인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유책배우자의 책임이 크다 하더라도 위자료는 수천만 원 정도 선에서 책정되는 반면 재산분할의 경우 아파트와 같은 부동산, 주식, 예금, 보험금, 자동차 등을 모두 합치면 적어도 수천에서 수억, 수십억 원까지도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재산분할은 이혼소송에서 금전적인 다툼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재산분할 과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재산분할 대상을 확정하는 것”이라며 “이혼소송과 재산분할, 손해배상청구 등의 판결은 이혼 후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선 재판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고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재산분할은 유책 사유와 무관하게 배우자 양쪽이 모두 청구할 수 있다. 재산 형성 기여도 입증에 따라 판결이 나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춘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이 요구될 것”이라고 말했다.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대륜은 지난 10여 년 동안 법원의 이혼 재판에 관한 법리와 판례를 이해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기초로 이혼 청구는 물론 위자료, 재산분할, 자녀의 친권과 양육권 문제 등 전반적인 쟁점별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혼전담팀을 두고 있다”라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은 서울 서초구를 비롯하여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다. 대륜의 이혼전담팀은 유책증거 수집에서부터 조정, 협의, 재산분할에 필요한 재산파악 등 이혼소송 전체의 프로세스를 책임지는 법률서비스를 제공 중이다.헤럴드경제 real@heraldcorp.com기사원문보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408000777
아시아경제
2021-07-30
진주 민사전문변호사, “사해행위 취소소송, 입장에 맞는 대응전략 세워야”
진주 민사전문변호사, “사해행위 취소소송, 입장에 맞는 대응전략 세워야”
일상생활에서 부동산 거래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만큼 그에 수반하는 문제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부동산 거래 후 제삼자에 의해 계약이 취소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면서도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사해행위로 인한 계약의 취소’ 문제다.사해행위란 민법상 채무자가 채무변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자신의 일반 재산을 감소시키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해행위는 재산을 매매, 증여, 담보제공, 재산분할 등과 같은 형식을 이용해서 재산을 은닉, 손괴, 타인에게 속한 것처럼 이전시키는 것이다.이러한 경우 채권자는 민법 제406조에 따라 채무자가 빼돌린 재산을 되찾기 위해 수익자 또는 전득자를 대상으로 사해행위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이때 사해행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으로는 채권자에게 채권이 있어야 하고,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해가 됨을 알고서도 재산을 은닉하는 법률행위를 행해야 하며, 사해행위로 인해 채무자의 재산보다 채무, 즉 빚이 더 많아져야 한다.법무법인 대륜 이창희 민사전문변호사는 “채권자는 사해행위와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요건을 잘 살펴보고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 승소를 위해서는 사해행위 관련 대법원 판결 경향을 이해하고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라며 “사해행위 취소소송은 사실을 안 날로부터 1년 또는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 내에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반대로 사해행위 취소소송에 연루된 선의의 양수인에 대해서는 “억울하게 사해행위취소소송을 당하게 되면 당사자는 큰 혼란에 빠지게 된다. 사건에 대해 입장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주장할 수 있는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사법부를 설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양수인이 선의의 매수자임을 증명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매도인의 채무초과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해당 거래를 의심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어 정상적인 절차에 의해 거래를 진행한 사실 등 매수 경위에 대한 증거 자료를 철저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이창희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 공인 민사전문변호사로 부동산관련 소송, 사해행위취소소송, 배당이의소송, 개발금부담금소송 등을 수행하고 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55453
아시아경제
2021-07-30
진주 민사전문변호사, “사해행위 취소소송, 입장에 맞는 대응전략 세워야”
진주 민사전문변호사, “사해행위 취소소송, 입장에 맞는 대응전략 세워야”
일상생활에서 부동산 거래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만큼 그에 수반하는 문제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부동산 거래 후 제삼자에 의해 계약이 취소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면서도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사해행위로 인한 계약의 취소’ 문제다.사해행위란 민법상 채무자가 채무변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자신의 일반 재산을 감소시키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해행위는 재산을 매매, 증여, 담보제공, 재산분할 등과 같은 형식을 이용해서 재산을 은닉, 손괴, 타인에게 속한 것처럼 이전시키는 것이다.이러한 경우 채권자는 민법 제406조에 따라 채무자가 빼돌린 재산을 되찾기 위해 수익자 또는 전득자를 대상으로 사해행위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이때 사해행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으로는 채권자에게 채권이 있어야 하고,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해가 됨을 알고서도 재산을 은닉하는 법률행위를 행해야 하며, 사해행위로 인해 채무자의 재산보다 채무, 즉 빚이 더 많아져야 한다.법무법인 대륜 이창희 민사전문변호사는 “채권자는 사해행위와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요건을 잘 살펴보고 소송을 준비해야 한다. 승소를 위해서는 사해행위 관련 대법원 판결 경향을 이해하고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라며 “사해행위 취소소송은 사실을 안 날로부터 1년 또는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 내에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반대로 사해행위 취소소송에 연루된 선의의 양수인에 대해서는 “억울하게 사해행위취소소송을 당하게 되면 당사자는 큰 혼란에 빠지게 된다. 사건에 대해 입장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주장할 수 있는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사법부를 설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양수인이 선의의 매수자임을 증명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매도인의 채무초과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해당 거래를 의심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어 정상적인 절차에 의해 거래를 진행한 사실 등 매수 경위에 대한 증거 자료를 철저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 이창희 변호사는 대한변호사협회 공인 민사전문변호사로 부동산관련 소송, 사해행위취소소송, 배당이의소송, 개발금부담금소송 등을 수행하고 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55453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과 양육비 문제, 변호사 역량에 달려있어”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과 양육비 문제, 변호사 역량에 달려있어”
부부가 이혼하면서 합의되지 않는 쟁점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재산분할, 유책 배우자에 대한 위자료, 미성년 자녀의 친권, 양육권, 양육비 등이 대표적인 분쟁 요소로 꼽힌다. 그 중 첨예한 다툼을 보이는 재산분할과 양육권 문제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에게 물어봤다.- 재산분할 비율 어떻게 따져야 하나재산분할의 목적은 혼인관계 중 두 사람이 함께 이룩한 모든 재산을 각자의 기여도만큼 청산하는 것이다. 때문에 기여도를 많이 인정받을수록 재산분할 청구소송에서 유리해지는 게 일반적이다. 재산분할 기여도는 맞벌이 여부, 재테크 등 재산 형성 과정의 경제적 기여도와 혼인 파탄 시작 시점, 육아 분담 정도 등 다양한 상황이 종합적으로 지표가 될 수 있다. 이혼소송을 제기한 후 사실조회신청을 통해 상대방의 재산을 확인하는 등 여러 과정을 거쳐 재산분할액을 산정하고 재산 형성 과정의 기여도에 대한 입증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재산분할금을 지급받는 방법은만일 부부 공동의 재산이 배우자 일방의 명의로 되어 있다면 이혼소송 기간 동안 배우자가 현금과 부동산을 처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판결 결과 재산분할 금전을 받을 권리가 인정되었더라도 현실적으로 지급받기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이혼 소송 전 배우자가 가진 채권, 급여, 퇴직금, 예금, 임대차보증금에 대한 가압류 또는 토지, 부동산에 대한 가처분을 신청해 상대방의 재산 처분이나 은닉을 막는 방법이 있다.- 양육권 확보를 위한 조치는양육권은 미성년 자녀의 양육에 필요한 사항을 결정할 수 있는 부모의 권리로 혼인 중에는 부부가 공동으로 이를 행사하지만 이혼하는 경우 친권자 및 양육권자를 지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법원에서는 자녀의 연령, 부모의 재산 상황, 기타 사정을 비롯해 자녀와의 친밀도, 양육 비율 등 자녀의 성장과 복지 등을 고려해 양육권을 판단한다. 양육권이 지정되면 이에 대한 변경이 받아들여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양육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필요가 있다.- 양육비 미지급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양육비를 한 번도 지급받지 못했다면 양육비 이행명령 신청을 할 수 있다. 만일 양육비 이행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구치소 등 감치 처분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양육비 미지급자가 직장인이라면 양육비 직접 지급 명령을 신청할 수도 있다. 직접 지급 명령이란 양육비를 2회 이상 지급하지 않은 사람이 재직 중인 회사에서 급여를 압류해 양육비를 직접 지급하게 하는 방식이다. 과거 양육비를 포함해 장래에 받을 양육비도 사전처분 개념으로 받을 수 있지만 상황은 다양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상황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한편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가 대표로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전국에 15개의 법률사무소를 갖춘 종합 로펌이다. 현재 의뢰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이혼, 가사, 민사, 형사 분야별 전문 변호사를 통해 1:1 직접 상담 서비스를 진행하는 등 법률 서비스와 소송수행 서비스를 제공한다.해럴드 경제 real@heraldcorp.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57529#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과 양육비 문제, 변호사 역량에 달려있어”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과 양육비 문제, 변호사 역량에 달려있어”
부부가 이혼하면서 합의되지 않는 쟁점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재산분할, 유책 배우자에 대한 위자료, 미성년 자녀의 친권, 양육권, 양육비 등이 대표적인 분쟁 요소로 꼽힌다. 그 중 첨예한 다툼을 보이는 재산분할과 양육권 문제에 대해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에게 물어봤다.- 재산분할 비율 어떻게 따져야 하나재산분할의 목적은 혼인관계 중 두 사람이 함께 이룩한 모든 재산을 각자의 기여도만큼 청산하는 것이다. 때문에 기여도를 많이 인정받을수록 재산분할 청구소송에서 유리해지는 게 일반적이다. 재산분할 기여도는 맞벌이 여부, 재테크 등 재산 형성 과정의 경제적 기여도와 혼인 파탄 시작 시점, 육아 분담 정도 등 다양한 상황이 종합적으로 지표가 될 수 있다. 이혼소송을 제기한 후 사실조회신청을 통해 상대방의 재산을 확인하는 등 여러 과정을 거쳐 재산분할액을 산정하고 재산 형성 과정의 기여도에 대한 입증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재산분할금을 지급받는 방법은만일 부부 공동의 재산이 배우자 일방의 명의로 되어 있다면 이혼소송 기간 동안 배우자가 현금과 부동산을 처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판결 결과 재산분할 금전을 받을 권리가 인정되었더라도 현실적으로 지급받기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이혼 소송 전 배우자가 가진 채권, 급여, 퇴직금, 예금, 임대차보증금에 대한 가압류 또는 토지, 부동산에 대한 가처분을 신청해 상대방의 재산 처분이나 은닉을 막는 방법이 있다.- 양육권 확보를 위한 조치는양육권은 미성년 자녀의 양육에 필요한 사항을 결정할 수 있는 부모의 권리로 혼인 중에는 부부가 공동으로 이를 행사하지만 이혼하는 경우 친권자 및 양육권자를 지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법원에서는 자녀의 연령, 부모의 재산 상황, 기타 사정을 비롯해 자녀와의 친밀도, 양육 비율 등 자녀의 성장과 복지 등을 고려해 양육권을 판단한다. 양육권이 지정되면 이에 대한 변경이 받아들여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양육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필요가 있다.- 양육비 미지급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양육비를 한 번도 지급받지 못했다면 양육비 이행명령 신청을 할 수 있다. 만일 양육비 이행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구치소 등 감치 처분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양육비 미지급자가 직장인이라면 양육비 직접 지급 명령을 신청할 수도 있다. 직접 지급 명령이란 양육비를 2회 이상 지급하지 않은 사람이 재직 중인 회사에서 급여를 압류해 양육비를 직접 지급하게 하는 방식이다. 과거 양육비를 포함해 장래에 받을 양육비도 사전처분 개념으로 받을 수 있지만 상황은 다양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상황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한편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가 대표로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전국에 15개의 법률사무소를 갖춘 종합 로펌이다. 현재 의뢰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이혼, 가사, 민사, 형사 분야별 전문 변호사를 통해 1:1 직접 상담 서비스를 진행하는 등 법률 서비스와 소송수행 서비스를 제공한다.해럴드 경제 real@heraldcorp.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57529#
헤럴드경제
2021-07-30
대구 기업법무변호사 “코로나19 여파로 법인 도산 증가, 파산·회생 신중해야”
대구 기업법무변호사 “코로나19 여파로 법인 도산 증가, 파산·회생 신중해야”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법원에 접수된 개인파산 및 법인파산 건수는 전년 전월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법조계 관계자는 “매년 2월은 법원 정기 인사이동이 이뤄지는 만큼, 파산·회생 신청 건수가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라며 “법원행정처는 코로나19로 지난 2월 24일 전국 법원에 휴정을 권고했고 2월 법원 인사이동과 코로나19로 인한 휴정기에도 불구하고 파산·회생 신청은 증가세를 보였다”라고 말했다.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경기 악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도산(파산·회생)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법인 회생 및 파산 법률 자문을 맡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기업법무변호사는 “우리나라는 과도한 부채로 파산 위기에 처한 법인이나 경제활동 인구를 돕기 위해 도산제도(회생·파산)를 갖추고 있다.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회생·파산 제도와 같은 사회안전망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그는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과거 법인 회생 절차를 종결짓지 못해 파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면, 요즘은 회생 절차를 건너뛰고 파산 절차를 선택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며 “현 상황에서 안타까운 점은 회생을 통해 재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에 의해 파산 절차를 선행하는 경우”라고 밝혔다.덧붙여 “경영이 어려워진 상황이지만 사업을 청산하는 것보다 유지하는 것이 더 가치 있다면 회생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대안이 될 것”이라며 “법인파산과 법인회생에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현장 경험과 노하우가 있는 법률전문가의 조력을 받아볼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관련 법률 이슈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는지, 분쟁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등을 살펴 기업에 꼭 필요한 자문 제공 가능성을 따져본 후 법률 자문가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한편, ‘의뢰인 맞춤형,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전 지역에 지점을 두고 있다.real@heraldcorp.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54682
헤럴드경제
2021-07-30
대구 기업법무변호사 “코로나19 여파로 법인 도산 증가, 파산·회생 신중해야”
대구 기업법무변호사 “코로나19 여파로 법인 도산 증가, 파산·회생 신중해야”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법원에 접수된 개인파산 및 법인파산 건수는 전년 전월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법조계 관계자는 “매년 2월은 법원 정기 인사이동이 이뤄지는 만큼, 파산·회생 신청 건수가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라며 “법원행정처는 코로나19로 지난 2월 24일 전국 법원에 휴정을 권고했고 2월 법원 인사이동과 코로나19로 인한 휴정기에도 불구하고 파산·회생 신청은 증가세를 보였다”라고 말했다.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경기 악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도산(파산·회생)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법인 회생 및 파산 법률 자문을 맡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기업법무변호사는 “우리나라는 과도한 부채로 파산 위기에 처한 법인이나 경제활동 인구를 돕기 위해 도산제도(회생·파산)를 갖추고 있다.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회생·파산 제도와 같은 사회안전망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그는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과거 법인 회생 절차를 종결짓지 못해 파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면, 요즘은 회생 절차를 건너뛰고 파산 절차를 선택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며 “현 상황에서 안타까운 점은 회생을 통해 재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에 의해 파산 절차를 선행하는 경우”라고 밝혔다.덧붙여 “경영이 어려워진 상황이지만 사업을 청산하는 것보다 유지하는 것이 더 가치 있다면 회생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대안이 될 것”이라며 “법인파산과 법인회생에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현장 경험과 노하우가 있는 법률전문가의 조력을 받아볼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관련 법률 이슈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는지, 분쟁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등을 살펴 기업에 꼭 필요한 자문 제공 가능성을 따져본 후 법률 자문가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한편, ‘의뢰인 맞춤형, 원스톱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전 지역에 지점을 두고 있다.real@heraldcorp.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54682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동 형사전문변호사, “음란물 유포 등 디지털 성범죄 연루됐다면, 법률 조력 구해야…”
서초동 형사전문변호사, “음란물 유포 등 디지털 성범죄 연루됐다면, 법률 조력 구해야…”
최근 텔레그램을 이용하여 미성년자, 여성들을 협박해 성착취 음란 동영상을 촬영, 유포한 사건이 밝혀지면서 국민적 공분이 일고 있다.성착취 음란물을 시청ㆍ소지하거나 유포했다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될까.▲아동ㆍ청소년 음란물 소지 시아동·청소년 음란물이란 음란물에 아동·청소년으로 명백하게 인식될 수 있는 사람이나 표현물이 등장하여 성적 행위를 하거나 그 밖의 성적 행위를 하는 내용을 표현하는 음란물을 말한다. 아동·청소년 음란물임을 알면서 이를 소지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이 가능하다.▲아동ㆍ청소년 음란물 제작 및 배포 시아동·청소년의 성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을 제작·수입 또는 수출한 자는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징역형까지 처벌받게 된다. 또한 영리를 목적으로 판매·대여·배포·제공하거나 이를 목적으로 소지·운반하거나 공연히 전시 또는 상영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까지 가능하다. 영리목적이 아니더라도 배포·제공하거나 공연히 전시 또는 상영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게 되며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을 제작할 것이라는 정황을 알면서도 제작자에게 알선한 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단톡방’서 공유된 음란물 요구 시불법 촬영 음란물을 보내 줄 것을 부추겨 실제로 영상을 받는 경우 형법상 교사 또는 방조죄로 처벌이 가능하다.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더라도 침묵이 구체적으로 범죄행위에 조력한 경우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최근 유사 사례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형사전문변호사 심재국 변호사는 “디지털 성폭력이 성범죄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명백한 범죄행위”라며 “이와 같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고 사건에 연루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했다.이어 그는 “만약 성범죄에 연루되어 혐의를 받고 있다면 범행의 경위, 기간, 방식, 횟수, 수위 등에 따라 처벌의 수위는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수사 초기부터 관련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성범죄 혐의가 확정될 경우 신상정보 공개, 취업제한 등 각종 보안처분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혐의에 대해 변호인과 함께 충분한 법률적 검토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은 형사사건 성공사례를 기초로 전문가 조력이 필요한 성범죄, 강력 범죄 등을 위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서울을 비롯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지점을 두고 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50169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동 형사전문변호사, “음란물 유포 등 디지털 성범죄 연루됐다면, 법률 조력 구해야…”
서초동 형사전문변호사, “음란물 유포 등 디지털 성범죄 연루됐다면, 법률 조력 구해야…”
최근 텔레그램을 이용하여 미성년자, 여성들을 협박해 성착취 음란 동영상을 촬영, 유포한 사건이 밝혀지면서 국민적 공분이 일고 있다.성착취 음란물을 시청ㆍ소지하거나 유포했다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될까.▲아동ㆍ청소년 음란물 소지 시아동·청소년 음란물이란 음란물에 아동·청소년으로 명백하게 인식될 수 있는 사람이나 표현물이 등장하여 성적 행위를 하거나 그 밖의 성적 행위를 하는 내용을 표현하는 음란물을 말한다. 아동·청소년 음란물임을 알면서 이를 소지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이 가능하다.▲아동ㆍ청소년 음란물 제작 및 배포 시아동·청소년의 성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을 제작·수입 또는 수출한 자는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징역형까지 처벌받게 된다. 또한 영리를 목적으로 판매·대여·배포·제공하거나 이를 목적으로 소지·운반하거나 공연히 전시 또는 상영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까지 가능하다. 영리목적이 아니더라도 배포·제공하거나 공연히 전시 또는 상영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게 되며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을 제작할 것이라는 정황을 알면서도 제작자에게 알선한 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단톡방’서 공유된 음란물 요구 시불법 촬영 음란물을 보내 줄 것을 부추겨 실제로 영상을 받는 경우 형법상 교사 또는 방조죄로 처벌이 가능하다.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더라도 침묵이 구체적으로 범죄행위에 조력한 경우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최근 유사 사례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형사전문변호사 심재국 변호사는 “디지털 성폭력이 성범죄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명백한 범죄행위”라며 “이와 같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고 사건에 연루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했다.이어 그는 “만약 성범죄에 연루되어 혐의를 받고 있다면 범행의 경위, 기간, 방식, 횟수, 수위 등에 따라 처벌의 수위는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수사 초기부터 관련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성범죄 혐의가 확정될 경우 신상정보 공개, 취업제한 등 각종 보안처분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혐의에 대해 변호인과 함께 충분한 법률적 검토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은 형사사건 성공사례를 기초로 전문가 조력이 필요한 성범죄, 강력 범죄 등을 위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서울을 비롯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지점을 두고 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50169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소송 1심 뒤엎고 ‘승소’·전문가 조력이 관건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소송 1심 뒤엎고 ‘승소’·전문가 조력이 관건
최근 창원지방법원은 바람피운 남편을 상대로 아내가 제기한 이혼·재산분할·위자료 등 소송 항소심에서 원심을 뒤엎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당시 항소심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측에 따르면, “원고는 외도한 남편을 상대로 타 로펌을 통해 이혼 등 소송을 청구했지만 1심에서 패소했다”라며 “만약 그대로 판결이 확정된다면 이혼을 할 수도 없는 데다 소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라, 신속하게 항소심을 청구했다”라고 설명했다.소송을 지휘한 법무법인 대륜(서초) 이혼전문변호사는 “원심 결과를 뒤엎고 승소하기 위해 로펌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1심 패소 원인을 분석했다. 특히 이혼 청구 취지를 보강하고 재산분할 범위와 위자료 범위 등을 재산정하여 항소 취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수집해 재판 과정에서 입증하는데 주력했다”라고 말했다.끝내 재판은 원고의 손을 들었으며 이혼과 함께 재산분할, 친권자·양육자 지정, 양육비 등 모든 항목에서 승소 판결을 했다.2심 승소를 이끈 법무법인 대륜(서초) 이혼전문변호사는 “1심에서 패소했다고 해서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승소 경험으로 분쟁 해결 노하우가 많은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항소심을 진행한다면 결과는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섣불리 소송을 진행해 패소할 경우 상대방의 소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혼전문변호사를 선임해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재산분할청구, 위자료, 양육권 등의 이혼소송 문제 해결을 위해 이혼전문변호사와 가사전문변호사가 이끄는 이혼전담팀을 운영 중이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36704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소송 1심 뒤엎고 ‘승소’·전문가 조력이 관건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이혼소송 1심 뒤엎고 ‘승소’·전문가 조력이 관건
최근 창원지방법원은 바람피운 남편을 상대로 아내가 제기한 이혼·재산분할·위자료 등 소송 항소심에서 원심을 뒤엎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당시 항소심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측에 따르면, “원고는 외도한 남편을 상대로 타 로펌을 통해 이혼 등 소송을 청구했지만 1심에서 패소했다”라며 “만약 그대로 판결이 확정된다면 이혼을 할 수도 없는 데다 소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라, 신속하게 항소심을 청구했다”라고 설명했다.소송을 지휘한 법무법인 대륜(서초) 이혼전문변호사는 “원심 결과를 뒤엎고 승소하기 위해 로펌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1심 패소 원인을 분석했다. 특히 이혼 청구 취지를 보강하고 재산분할 범위와 위자료 범위 등을 재산정하여 항소 취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수집해 재판 과정에서 입증하는데 주력했다”라고 말했다.끝내 재판은 원고의 손을 들었으며 이혼과 함께 재산분할, 친권자·양육자 지정, 양육비 등 모든 항목에서 승소 판결을 했다.2심 승소를 이끈 법무법인 대륜(서초) 이혼전문변호사는 “1심에서 패소했다고 해서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승소 경험으로 분쟁 해결 노하우가 많은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항소심을 진행한다면 결과는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섣불리 소송을 진행해 패소할 경우 상대방의 소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혼전문변호사를 선임해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재산분할청구, 위자료, 양육권 등의 이혼소송 문제 해결을 위해 이혼전문변호사와 가사전문변호사가 이끄는 이혼전담팀을 운영 중이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36704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국민 불안 이용한 허위사실 유포 등 처벌 가능해”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국민 불안 이용한 허위사실 유포 등 처벌 가능해”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유포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범법 행위를 저질렀다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될까.-자가격리 거부의사의 검사 권유를 거부한 경우, 자가격리지침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 등 역학조사에서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방해·회피하는 경우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된다. △입원 및 치료 등 조치에 응하지 않는 환자 등 격리를 거부하는 경우는 3백만 원 이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감염병 환자, 전파 우려자, 감염의심자에 대한 보건 당국의 검사, 입원, 격리 명령을 거부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실제로 메르스가 성행하던 당시 자가격리 통보를 받고도 외출한 50대 여성에게 서울중앙지법은 2015년 12월 3백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한 바 있다.-마스크 매점매석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2일 물가안정법 제정 이후 처음으로 긴급수급 조정조치를 시작했다. 마스크 생산자는 생산량과 국내 출고량수출량을, 판매 업체는 대량 판매할 경우 구매자와 단가수량 등을 신고해야 한다.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매점매석하거나 긴급수급 조정조치를 위반한 경우 2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징역형과 벌금형을 함께 받을 수도 있다.-악성 스미싱최근 국민 불안을 이용해 ‘00지역 확진자 사망’, ‘마스크 무료로 드려요’, ‘코로나로 택배 배송 지연’ 등 정보를 가장한 허위 메시지가 불특정 다수에게 유포되고 있다. 이는 악성 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해 개인 정보를 빼가는 스미싱 사기 수법으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기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죄질, 피해 규모 등의 종합적인 내용을 검토하여 처벌 범위가 결정된다. 주의할 것은 직접 전자금융 사기 범행에 가담하지 않았더라도 통장이나 현금카드 등을 양도하거나 양수, 대여 등을 하는 경우에도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 처벌 받을 수 있다.-허위사실 유포각종 괴담과 가짜 뉴스를 생산하고 유포한 경우에도 처벌 대상이 된다. 또한 확진자의 이동 경로, 병원 등과 관련한 허위 사실을 게시해 특정 업체, 병원에 손해를 끼쳤다면 업무방해죄에 해당한다. 특히 정부에서 운영하는 보건소, 병원 등에 대한 가짜 뉴스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적용이 가능하다. 업무방해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으며 공무집행방해죄 역시 같은 처벌을 받게 된다.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일반인들이 가장 쉽게 가담할 수 있는 범죄는 가짜뉴스 유포이다. 이번 코로나19와 같이 상황이 심각한 경우 더 큰 처벌을 받을 수 있다”라며 “명예훼손죄, 업무방해죄로 형사상 처벌을 받았다면 민사 소송에서 위자료를 지급할 수도 있기 때문에 범죄행위에 연루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real@heraldcorp.com 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640304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국민 불안 이용한 허위사실 유포 등 처벌 가능해”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코로나19, 국민 불안 이용한 허위사실 유포 등 처벌 가능해”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유포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범법 행위를 저질렀다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될까.-자가격리 거부의사의 검사 권유를 거부한 경우, 자가격리지침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 등 역학조사에서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방해·회피하는 경우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된다. △입원 및 치료 등 조치에 응하지 않는 환자 등 격리를 거부하는 경우는 3백만 원 이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감염병 환자, 전파 우려자, 감염의심자에 대한 보건 당국의 검사, 입원, 격리 명령을 거부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실제로 메르스가 성행하던 당시 자가격리 통보를 받고도 외출한 50대 여성에게 서울중앙지법은 2015년 12월 3백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한 바 있다.-마스크 매점매석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2일 물가안정법 제정 이후 처음으로 긴급수급 조정조치를 시작했다. 마스크 생산자는 생산량과 국내 출고량수출량을, 판매 업체는 대량 판매할 경우 구매자와 단가수량 등을 신고해야 한다.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매점매석하거나 긴급수급 조정조치를 위반한 경우 2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징역형과 벌금형을 함께 받을 수도 있다.-악성 스미싱최근 국민 불안을 이용해 ‘00지역 확진자 사망’, ‘마스크 무료로 드려요’, ‘코로나로 택배 배송 지연’ 등 정보를 가장한 허위 메시지가 불특정 다수에게 유포되고 있다. 이는 악성 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해 개인 정보를 빼가는 스미싱 사기 수법으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기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죄질, 피해 규모 등의 종합적인 내용을 검토하여 처벌 범위가 결정된다. 주의할 것은 직접 전자금융 사기 범행에 가담하지 않았더라도 통장이나 현금카드 등을 양도하거나 양수, 대여 등을 하는 경우에도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 처벌 받을 수 있다.-허위사실 유포각종 괴담과 가짜 뉴스를 생산하고 유포한 경우에도 처벌 대상이 된다. 또한 확진자의 이동 경로, 병원 등과 관련한 허위 사실을 게시해 특정 업체, 병원에 손해를 끼쳤다면 업무방해죄에 해당한다. 특히 정부에서 운영하는 보건소, 병원 등에 대한 가짜 뉴스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적용이 가능하다. 업무방해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으며 공무집행방해죄 역시 같은 처벌을 받게 된다.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일반인들이 가장 쉽게 가담할 수 있는 범죄는 가짜뉴스 유포이다. 이번 코로나19와 같이 상황이 심각한 경우 더 큰 처벌을 받을 수 있다”라며 “명예훼손죄, 업무방해죄로 형사상 처벌을 받았다면 민사 소송에서 위자료를 지급할 수도 있기 때문에 범죄행위에 연루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real@heraldcorp.com 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640304
마이데일리
2021-07-30
진주변호사 “이혼재산분할, 배우자 재산처분 막으려면 가압류·가처분 검토해야”
진주변호사 “이혼재산분할, 배우자 재산처분 막으려면 가압류·가처분 검토해야”
재판상 이혼은 재산분할, 양육비, 위자료, 친권, 양육권 등 많은 쟁점을 배우자와 다투게 되는데 최근 많은 경우가 배우자의 재산은닉이나 처분으로 재산분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법률혼 부부는 부부공동재산을 한 사람의 명의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부부 공동재산 소유자로 등록된 배우자가 재산을 몰래 처분할 경우 재산 액수가 줄어들게 되어 소유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배우자는 재산분할 소송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든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혼소송 전 배우자의 재산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고 손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이혼소송으로 접근하기 위해선 전문가 조력도 요구된다.법무법인 대륜 진주 이혼전문변호사는 이혼 판결이 확정되기까지 배우자의 재산 은닉이나 처분을 막기 위해서는 배우자의 재산을 정확히 파악해 보전 처분을 진행해야 할 것을 조언한다. 특히 배우자 명의의 재산을 동결시키는 방법으로 이를테면 부동산 가압류나 가처분 또는 임대차보증금 가압류를 할 수 있는 재산이 없을 경우에는 배우자 명의의 급여나 예금통장 등에 대해서도 가압류를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또한 법무법이 대륜 진주 이혼전문변호사는 "가압류할 것인지 가처분할 것인지 여부는 재산분할로 금전을 받을지 아니면 소유권 자체를 이전 받을지에 따라 다르기에, 전략을 세우고 대응해야 한다"라며 "가압류나 가처분 신청서를 작성할 때에도 적정한 수준의 위자료 및 재산분할 액수를 산정해 기재하여야 하는 만큼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라고 덧붙였다.한편, 이혼전문변호사와 가사전문변호사로 구성된 이혼 전담팀을 운영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동남권, 경북권, 수도권에 분사무소를 두고 법률상담과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여동은 기자 deyuh@mydaily.co.kr)기사원문보기 -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2002141709188241&ext=na
마이데일리
2021-07-30
진주변호사 “이혼재산분할, 배우자 재산처분 막으려면 가압류·가처분 검토해야”
진주변호사 “이혼재산분할, 배우자 재산처분 막으려면 가압류·가처분 검토해야”
재판상 이혼은 재산분할, 양육비, 위자료, 친권, 양육권 등 많은 쟁점을 배우자와 다투게 되는데 최근 많은 경우가 배우자의 재산은닉이나 처분으로 재산분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법률혼 부부는 부부공동재산을 한 사람의 명의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부부 공동재산 소유자로 등록된 배우자가 재산을 몰래 처분할 경우 재산 액수가 줄어들게 되어 소유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배우자는 재산분할 소송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든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혼소송 전 배우자의 재산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고 손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이혼소송으로 접근하기 위해선 전문가 조력도 요구된다.법무법인 대륜 진주 이혼전문변호사는 이혼 판결이 확정되기까지 배우자의 재산 은닉이나 처분을 막기 위해서는 배우자의 재산을 정확히 파악해 보전 처분을 진행해야 할 것을 조언한다. 특히 배우자 명의의 재산을 동결시키는 방법으로 이를테면 부동산 가압류나 가처분 또는 임대차보증금 가압류를 할 수 있는 재산이 없을 경우에는 배우자 명의의 급여나 예금통장 등에 대해서도 가압류를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또한 법무법이 대륜 진주 이혼전문변호사는 "가압류할 것인지 가처분할 것인지 여부는 재산분할로 금전을 받을지 아니면 소유권 자체를 이전 받을지에 따라 다르기에, 전략을 세우고 대응해야 한다"라며 "가압류나 가처분 신청서를 작성할 때에도 적정한 수준의 위자료 및 재산분할 액수를 산정해 기재하여야 하는 만큼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라고 덧붙였다.한편, 이혼전문변호사와 가사전문변호사로 구성된 이혼 전담팀을 운영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동남권, 경북권, 수도권에 분사무소를 두고 법률상담과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여동은 기자 deyuh@mydaily.co.kr)기사원문보기 -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2002141709188241&ext=na
데일리안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배우자 불륜 대상을 상대로 한 ‘위자료 청구’ 이혼전문변호사 조력 받아야
법무법인 대륜, 배우자 불륜 대상을 상대로 한 ‘위자료 청구’ 이혼전문변호사 조력 받아야
지난 31일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은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에서 피고는 1천5백만 원을 배상하라는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은 배우자의 외도로 내연남, 내연녀를 상대로 혼인 파탄의 책임을 물어 위자료를 청구하는 것이다.2015년 간통죄가 폐지되면서 외도를 한 배우자와 상간자를 형사처벌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민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간자 소송으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이 증가하고 있다.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은 크게 세 가지다. △이혼소송과 함께 배우자와 불륜 대상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하거나 △배우자와 이혼 후 불륜 대상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다. 혼인생활을 유지하기로 결정한 경우 △불륜 대상자만을 상대로 위자료 청구도 가능하다. 단,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이므로 피고의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입증해야 한다.당시 원고 측 변호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정신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이다. 때문에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거나 결정적 증거가 없다면 소송이 기각될 수 있다”라며 “만일 소송이 기각될 경우 동일한 사유로 다시 소를 제기할 수 없으므로 섣불리 대응하기보다는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지식을 바탕으로 충분한 논의를 거친 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간혹 상간자 소송을 준비하는 의뢰인이 배우자의 직장 또는 차량에 위치 추적기나 녹음기 등을 설치해 불법적으로 증거를 모아오는 경우가 있다. 불법적인 방법을 동원해 증거를 수집할 경우 추후 상간자에게 불법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및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전략적으로 대응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가사·이혼전문분야 자격 등록을 마친 변호사로 구성된 이혼전담팀을 운영하고 있다. 이혼전담팀은 이혼소송, 위자료청구소송, 양육권·양육비, 재산분할 등 이혼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소송절차 및 이혼 시 쟁점, 이혼·가사소송대리, 맞춤형 비밀상담 등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19&aid=0002380953
데일리안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배우자 불륜 대상을 상대로 한 ‘위자료 청구’ 이혼전문변호사 조력 받아야
법무법인 대륜, 배우자 불륜 대상을 상대로 한 ‘위자료 청구’ 이혼전문변호사 조력 받아야
지난 31일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은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에서 피고는 1천5백만 원을 배상하라는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은 배우자의 외도로 내연남, 내연녀를 상대로 혼인 파탄의 책임을 물어 위자료를 청구하는 것이다.2015년 간통죄가 폐지되면서 외도를 한 배우자와 상간자를 형사처벌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민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간자 소송으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이 증가하고 있다.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은 크게 세 가지다. △이혼소송과 함께 배우자와 불륜 대상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하거나 △배우자와 이혼 후 불륜 대상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다. 혼인생활을 유지하기로 결정한 경우 △불륜 대상자만을 상대로 위자료 청구도 가능하다. 단,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이므로 피고의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입증해야 한다.당시 원고 측 변호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이혼전문변호사는 “상간자위자료청구소송은 정신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이다. 때문에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거나 결정적 증거가 없다면 소송이 기각될 수 있다”라며 “만일 소송이 기각될 경우 동일한 사유로 다시 소를 제기할 수 없으므로 섣불리 대응하기보다는 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지식을 바탕으로 충분한 논의를 거친 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어 “간혹 상간자 소송을 준비하는 의뢰인이 배우자의 직장 또는 차량에 위치 추적기나 녹음기 등을 설치해 불법적으로 증거를 모아오는 경우가 있다. 불법적인 방법을 동원해 증거를 수집할 경우 추후 상간자에게 불법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및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전략적으로 대응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가사·이혼전문분야 자격 등록을 마친 변호사로 구성된 이혼전담팀을 운영하고 있다. 이혼전담팀은 이혼소송, 위자료청구소송, 양육권·양육비, 재산분할 등 이혼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소송절차 및 이혼 시 쟁점, 이혼·가사소송대리, 맞춤형 비밀상담 등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19&aid=0002380953
서울경제
2021-07-30
울산 민사전문변호사, 30억 원대 매매대금반환소송서 승소 이끌어
울산 민사전문변호사, 30억 원대 매매대금반환소송서 승소 이끌어
[서울경제] 지난해 창원지방법원에서 33억 원에 체결된 부동산매매계약의 매매대금반환 소송이 열렸다.태양광, 신재생에너지 등 발전사업을 하는 원고(매수인)는 피고(매도인)와 2017년 8월 경북 성주군 일대의 땅을 33억 원에 매매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태양광 발전사업 허가를 받는다’, ‘발전허가를 취득하지 못하는 경우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즉시 계약금 및 중도금 전액을 반환한다’는 전제조건이 달린 조건부 계약이었다.원고는 특약사항 내용대로 피고측에서 발전허가를 위한 주변 민원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기대했지만, 매도인은 지자체와 인근 지역 주민들에 대한 주민동의서를 받는 등의 노력을 하지 않아 원고의 발전허가신청은 반려돼 매매계약은 파기됐다.그러나 매도인은 6개월이 경과하도록 매매대금을 반환하지 않았고 매수인은 민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매매대금을 반환받을 수 있는 모든 법적 조치를 취했다.사건을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의 민사전문변호사는 “매매대금반환소송 청구와 동시에 채권, 부동산 등에 대해 가압류신청을 했고, 법원에서도 이를 모두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이어 “매매계약서는 가장 중요한 증거이자 모든 문제 해결의 시작점”이라며, “원고의 경우 사전에 법무법인 대륜의 조력을 받아 계약 시 특약사항을 작성했기 때문에 만약의 상황에 대한 손해를 보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대륜 민사전문변호사는 “부동산 거래는 일반적으로 중개사가 준비해오는 계약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의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선 계약서의 모든 사항을 잘 살펴보고 구두로 협의한 사항도 반드시 옮겨 적어 특약사항으로 명시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의 민사전문변호사가 소속된 기업법무전담팀은 기업고객들의 정기 자문을 통해 계약서와 공문 등을 검토함으로써 법적분쟁가능성을 줄이고, 소송으로 번지게 될 경우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업종합법률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678977
서울경제
2021-07-30
울산 민사전문변호사, 30억 원대 매매대금반환소송서 승소 이끌어
울산 민사전문변호사, 30억 원대 매매대금반환소송서 승소 이끌어
[서울경제] 지난해 창원지방법원에서 33억 원에 체결된 부동산매매계약의 매매대금반환 소송이 열렸다.태양광, 신재생에너지 등 발전사업을 하는 원고(매수인)는 피고(매도인)와 2017년 8월 경북 성주군 일대의 땅을 33억 원에 매매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태양광 발전사업 허가를 받는다’, ‘발전허가를 취득하지 못하는 경우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즉시 계약금 및 중도금 전액을 반환한다’는 전제조건이 달린 조건부 계약이었다.원고는 특약사항 내용대로 피고측에서 발전허가를 위한 주변 민원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기대했지만, 매도인은 지자체와 인근 지역 주민들에 대한 주민동의서를 받는 등의 노력을 하지 않아 원고의 발전허가신청은 반려돼 매매계약은 파기됐다.그러나 매도인은 6개월이 경과하도록 매매대금을 반환하지 않았고 매수인은 민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매매대금을 반환받을 수 있는 모든 법적 조치를 취했다.사건을 담당한 법무법인 대륜의 민사전문변호사는 “매매대금반환소송 청구와 동시에 채권, 부동산 등에 대해 가압류신청을 했고, 법원에서도 이를 모두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이어 “매매계약서는 가장 중요한 증거이자 모든 문제 해결의 시작점”이라며, “원고의 경우 사전에 법무법인 대륜의 조력을 받아 계약 시 특약사항을 작성했기 때문에 만약의 상황에 대한 손해를 보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대륜 민사전문변호사는 “부동산 거래는 일반적으로 중개사가 준비해오는 계약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의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선 계약서의 모든 사항을 잘 살펴보고 구두로 협의한 사항도 반드시 옮겨 적어 특약사항으로 명시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의 민사전문변호사가 소속된 기업법무전담팀은 기업고객들의 정기 자문을 통해 계약서와 공문 등을 검토함으로써 법적분쟁가능성을 줄이고, 소송으로 번지게 될 경우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업종합법률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678977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구 민사변호사, 대여금반환청구 소송 ‘승소’…신속한 진행이 관건
서초구 민사변호사, 대여금반환청구 소송 ‘승소’…신속한 진행이 관건
법무법인 대륜(대표 심재국)이 지난달 18일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제1민사부에서 열린 대여금 분쟁에서 승소했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측에 따르면 당시 피고 A씨는 자신의 자녀와 같은 반 친구 학부모인 B씨와 봉사활동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친분이 형성되었고 이에 생활비 명목으로 B씨에게 돈을 빌린 후 상환하지 않았다. 이어 A씨는 캐피탈, 저축은행 등 5곳의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달라고 추가 설득했고 이를 들어준 B씨는 약 2억 이상의 재산상 피해를 보게 됐다.당시 원고의 소송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서울사무소(서초구) 민사전문변호사는 “만약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하고 회생이나 파산절차에 들어갈 경우 돈을 받기는 더욱 힘들어진다”며 “신속한 소송을 통해 채무와 지연손해금을 변제받는 것을 목표로 소송에 임했다”고 말했다.또한 그는 “당시 사건은 대여금반환청구 소송에 관한 것으로 승소 판결을 받아 집행권원을 취득할 경우 금융기관을 선택해 상대방의 계좌 등을 압류할 수 있고, 잔액이 있는 경우에는 추심명령 등을 통해 금액을 채권에 충당할 수 있다”라며 “직장을 알고 있다면 급여채권 압류, 사업자의 경우 카드매출채권 압류, 임대차보증금이나 부동산에 대한 압류 등을 통한 강제집행으로 금원을 회수할 수 있는 등의 방법이 있기 때문에 법적 조력가와 함께 처리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업계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돈을 돌려받지 못해 고통 받는 채권자들의 경우 설마 하는 마음에 별다른 절차 없이 돈부터 건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향후 법률분쟁이 야기됐을 시 경제적, 시간적, 정신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채권자가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챙겨야 한다”라며 “차용증을 작성하거나 녹음, 문자를 남겨두는 것도 방법이 된다. 현금거래보다는 증거가 남는 계좌이체나 기록이 남는 수표거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원문기사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00931
아시아경제
2021-07-30
서초구 민사변호사, 대여금반환청구 소송 ‘승소’…신속한 진행이 관건
서초구 민사변호사, 대여금반환청구 소송 ‘승소’…신속한 진행이 관건
법무법인 대륜(대표 심재국)이 지난달 18일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제1민사부에서 열린 대여금 분쟁에서 승소했다고 밝혔다.법무법인 대륜 측에 따르면 당시 피고 A씨는 자신의 자녀와 같은 반 친구 학부모인 B씨와 봉사활동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친분이 형성되었고 이에 생활비 명목으로 B씨에게 돈을 빌린 후 상환하지 않았다. 이어 A씨는 캐피탈, 저축은행 등 5곳의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달라고 추가 설득했고 이를 들어준 B씨는 약 2억 이상의 재산상 피해를 보게 됐다.당시 원고의 소송대리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서울사무소(서초구) 민사전문변호사는 “만약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하고 회생이나 파산절차에 들어갈 경우 돈을 받기는 더욱 힘들어진다”며 “신속한 소송을 통해 채무와 지연손해금을 변제받는 것을 목표로 소송에 임했다”고 말했다.또한 그는 “당시 사건은 대여금반환청구 소송에 관한 것으로 승소 판결을 받아 집행권원을 취득할 경우 금융기관을 선택해 상대방의 계좌 등을 압류할 수 있고, 잔액이 있는 경우에는 추심명령 등을 통해 금액을 채권에 충당할 수 있다”라며 “직장을 알고 있다면 급여채권 압류, 사업자의 경우 카드매출채권 압류, 임대차보증금이나 부동산에 대한 압류 등을 통한 강제집행으로 금원을 회수할 수 있는 등의 방법이 있기 때문에 법적 조력가와 함께 처리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업계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돈을 돌려받지 못해 고통 받는 채권자들의 경우 설마 하는 마음에 별다른 절차 없이 돈부터 건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향후 법률분쟁이 야기됐을 시 경제적, 시간적, 정신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채권자가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챙겨야 한다”라며 “차용증을 작성하거나 녹음, 문자를 남겨두는 것도 방법이 된다. 현금거래보다는 증거가 남는 계좌이체나 기록이 남는 수표거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원문기사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600931
아시아경제
2021-07-30
창원 민사전문변호사, 혼인 사실 숨기고 금전 편취한 여성에 손해배상 소송 승소
창원 민사전문변호사, 혼인 사실 숨기고 금전 편취한 여성에 손해배상 소송 승소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신을 미혼녀로 소개해 알고 만난 남성이 손해액과 위자료 소송을 내 승소했다.지난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창원지방법원은 남성 A씨가 유부녀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원인에 따라 손해액 6천여만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B씨는 A씨에게 자신의 남편을 형부, 자녀를 조카로 소개하면서 1년 가까이 유부녀인 사실을 속여 만남을 이어왔다. 또 생활비, 아버지의 빚 상환 등을 이유로 A씨에게 100여 차례에 걸쳐 돈을 빌려오다 A씨가 돈을 갚을 것을 요청하자 전화와 메시지를 차단하며 이를 변제하지 않았다.이를 이상하게 여긴 A씨는 B씨의 집으로 찾아가 직장정보와 가족관계가 모두 허위정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후 A씨는 B씨를 상대로 손해액과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소송을 냈다.이에 법원은 여성이 위법행위로 손해를 입힌 것으로 보고 손해액 6천여만 원을 배상할 것을 판결했다.당시 소송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민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기혼자가 자신을 미혼으로 속이고 상습적으로 금전적 손해를 끼침에 따라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진행하게 됐다”라며 “기망행위로 인한 현금 편취 등 변제하지 않은 금전 문제가 얽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형사전문변호사와 함께 사기죄로 고소를 진행 중이다”라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는 “최근 애플리케이션으로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돈을 목적으로 사기 행각을 벌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유사한 상황으로 피해를 볼 수 있는 경우 대화 내용, 통화 내용, 이체 내역 등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모아 법적 조력을 받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원문보기 -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1&oid=277&aid=0004596371
아시아경제
2021-07-30
창원 민사전문변호사, 혼인 사실 숨기고 금전 편취한 여성에 손해배상 소송 승소
창원 민사전문변호사, 혼인 사실 숨기고 금전 편취한 여성에 손해배상 소송 승소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신을 미혼녀로 소개해 알고 만난 남성이 손해액과 위자료 소송을 내 승소했다.지난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창원지방법원은 남성 A씨가 유부녀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원인에 따라 손해액 6천여만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B씨는 A씨에게 자신의 남편을 형부, 자녀를 조카로 소개하면서 1년 가까이 유부녀인 사실을 속여 만남을 이어왔다. 또 생활비, 아버지의 빚 상환 등을 이유로 A씨에게 100여 차례에 걸쳐 돈을 빌려오다 A씨가 돈을 갚을 것을 요청하자 전화와 메시지를 차단하며 이를 변제하지 않았다.이를 이상하게 여긴 A씨는 B씨의 집으로 찾아가 직장정보와 가족관계가 모두 허위정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후 A씨는 B씨를 상대로 손해액과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소송을 냈다.이에 법원은 여성이 위법행위로 손해를 입힌 것으로 보고 손해액 6천여만 원을 배상할 것을 판결했다.당시 소송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민사전문변호사에 따르면 “기혼자가 자신을 미혼으로 속이고 상습적으로 금전적 손해를 끼침에 따라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진행하게 됐다”라며 “기망행위로 인한 현금 편취 등 변제하지 않은 금전 문제가 얽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형사전문변호사와 함께 사기죄로 고소를 진행 중이다”라고 말했다.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는 “최근 애플리케이션으로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돈을 목적으로 사기 행각을 벌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유사한 상황으로 피해를 볼 수 있는 경우 대화 내용, 통화 내용, 이체 내역 등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모아 법적 조력을 받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기사원문보기 -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1&oid=277&aid=0004596371
네이버뉴스
2021-07-30
이웃에게 성희롱 피해 여성…부산변호사, 정신적 피해 주장 ‘법원 손해배상 결정’
이웃에게 성희롱 피해 여성…부산변호사, 정신적 피해 주장 ‘법원 손해배상 결정’
지난 10월 이웃 여성에게 성적인 수치심과 모욕감을 주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물건을 던져 상해를 입힌 남성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재판부는 상해, 모욕,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등의 혐의로 약식 기소된 A 씨(74)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와 5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당시 A 씨는 피해자에게 3차례에 걸쳐 성적 수치심과 혐오감을 일으키는 상당 내용을 담은 문자를 발송했으며, 피해자 집에 침입하고 플라스틱 우유박스를 던져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혔다.이에 피해자는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였고 법원은 550만 원의 손해배상을 확정했다. 당시 고소 대리인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에 따르면 "피고인은 수시로 성희롱 문자메시지를 보냈으며 주거침입, 상해, 업무방해 등으로 원고가 고통을 호소했다"며 "통화내역, 문자메시지, 112신고처리 내역, 진료확인서, 상해 진단서, 사실 확인서 등 증거 효력이 있는 자료를 확보해 원고의 정신적 피해를 입증했다"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는 피해자들에게 외상은 없지만 심각한 정신적 타격이 남을 수 있는 만큼, 성희롱 문자메시지 등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참아내기 보다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을 조언했다.온라인뉴스팀기자 onnews@dt.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76414
네이버뉴스
2021-07-30
이웃에게 성희롱 피해 여성…부산변호사, 정신적 피해 주장 ‘법원 손해배상 결정’
이웃에게 성희롱 피해 여성…부산변호사, 정신적 피해 주장 ‘법원 손해배상 결정’
지난 10월 이웃 여성에게 성적인 수치심과 모욕감을 주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물건을 던져 상해를 입힌 남성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재판부는 상해, 모욕,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등의 혐의로 약식 기소된 A 씨(74)에게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와 5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당시 A 씨는 피해자에게 3차례에 걸쳐 성적 수치심과 혐오감을 일으키는 상당 내용을 담은 문자를 발송했으며, 피해자 집에 침입하고 플라스틱 우유박스를 던져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혔다.이에 피해자는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였고 법원은 550만 원의 손해배상을 확정했다. 당시 고소 대리인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에 따르면 "피고인은 수시로 성희롱 문자메시지를 보냈으며 주거침입, 상해, 업무방해 등으로 원고가 고통을 호소했다"며 "통화내역, 문자메시지, 112신고처리 내역, 진료확인서, 상해 진단서, 사실 확인서 등 증거 효력이 있는 자료를 확보해 원고의 정신적 피해를 입증했다"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는 피해자들에게 외상은 없지만 심각한 정신적 타격이 남을 수 있는 만큼, 성희롱 문자메시지 등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참아내기 보다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을 조언했다.온라인뉴스팀기자 onnews@dt.co.kr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76414
서울경졔
2021-07-30
형사전문변호사, 공인중개사법 위반 피고인 2심서 무죄 받아내
형사전문변호사, 공인중개사법 위반 피고인 2심서 무죄 받아내
[서울경제] 지난 9월 공인중개사법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72)에 대해 항소심에서 무죄가 선고됐다.당시 1심은 유죄로 판단해 벌금형이 선고됐으나 창원지방법원 제1형사부는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다고 판단해 1심 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했다.현행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제20조)에 따르면 공인중개사는 매매 중개에 대한 보수는 중개의뢰인 쌍방으로부터 각각 받되, 그 일방으로부터 1천분의 9를 초과하는 보수를 받아서는 안 된다고 되어있다.3,100만 원의 부동산 거래를 체결하며 법정 보수를 초과한 매매 중개 사례비를 받은 혐의로 고소된 A씨는 혐의를 부인하며 결백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지난 2월 벌금 400만 원과 소송비용의 80% 부담을 선고받은 것이다.이에 A씨의 항소로 2심이 열렸고, 항소심 재판부는 A씨 손을 들어줬다. 당시 A씨의 항소심을 위해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는 “피고인이 어떤 방법으로 누구에게 돈을 받았는지에 대한 고소인의 진술이 일관성 없이 번복되고 있다는 점을 파고들어 증거와 변론을 준비했다”며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2항에 따르면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에 이르러야 함이 마땅하기에 무죄를 목표로 사건에 대응했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피고인이 사건 당일 자신의 계좌에 입금한 돈은 과거 채무자에게 상환 받은 대금이며, 고소인들이 중개비를 건넸다고 주장하는 장소와 시간, 금액이 판이하다는 사실 등의 반박할 수 없는 증거를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 결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한편, A씨는 1심 고소인에 무고죄와 위증죄로 고소를 진행 중이다. 고소대리인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 측에 따르면 “고소인은 2심에서 혐의를 벗을 수 있었지만, 재판에 임하는 상당 기간 본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등의 정신적·금전적 고통을 호소했다”며 “피고소인들의 엄벌을 원한다는 고소인의 의지에 따라 피고소인들의 무고,위증 행위에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666123
서울경졔
2021-07-30
형사전문변호사, 공인중개사법 위반 피고인 2심서 무죄 받아내
형사전문변호사, 공인중개사법 위반 피고인 2심서 무죄 받아내
[서울경제] 지난 9월 공인중개사법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72)에 대해 항소심에서 무죄가 선고됐다.당시 1심은 유죄로 판단해 벌금형이 선고됐으나 창원지방법원 제1형사부는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다고 판단해 1심 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했다.현행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제20조)에 따르면 공인중개사는 매매 중개에 대한 보수는 중개의뢰인 쌍방으로부터 각각 받되, 그 일방으로부터 1천분의 9를 초과하는 보수를 받아서는 안 된다고 되어있다.3,100만 원의 부동산 거래를 체결하며 법정 보수를 초과한 매매 중개 사례비를 받은 혐의로 고소된 A씨는 혐의를 부인하며 결백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지난 2월 벌금 400만 원과 소송비용의 80% 부담을 선고받은 것이다.이에 A씨의 항소로 2심이 열렸고, 항소심 재판부는 A씨 손을 들어줬다. 당시 A씨의 항소심을 위해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는 “피고인이 어떤 방법으로 누구에게 돈을 받았는지에 대한 고소인의 진술이 일관성 없이 번복되고 있다는 점을 파고들어 증거와 변론을 준비했다”며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2항에 따르면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에 이르러야 함이 마땅하기에 무죄를 목표로 사건에 대응했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피고인이 사건 당일 자신의 계좌에 입금한 돈은 과거 채무자에게 상환 받은 대금이며, 고소인들이 중개비를 건넸다고 주장하는 장소와 시간, 금액이 판이하다는 사실 등의 반박할 수 없는 증거를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 결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한편, A씨는 1심 고소인에 무고죄와 위증죄로 고소를 진행 중이다. 고소대리인 법무법인 대륜(대표변호사 심재국) 측에 따르면 “고소인은 2심에서 혐의를 벗을 수 있었지만, 재판에 임하는 상당 기간 본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등의 정신적·금전적 고통을 호소했다”며 “피고소인들의 엄벌을 원한다는 고소인의 의지에 따라 피고소인들의 무고,위증 행위에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666123
온 뉴스
2021-07-30
지역 기자 공갈미수·공갈 혐의…형사전문변호사 무죄 이끌어
지역 기자 공갈미수·공갈 혐의…형사전문변호사 무죄 이끌어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형사1단독 재판부는 공갈미수·공갈 혐의 등으로 기소된 지역 신문기자 A(50)씨의 공갈·공갈미수 혐의에 대해 지난 10월 17일 무죄를 선고했다.검사는 피고인 A씨가 지역신문기자로 일하면서 지역 기업체에 대한 비난 기사를 게재하여 광고 발주를 공갈해 광고비 명목으로 재물을 교부받았다며 공갈미수·공갈 혐의로 기소했다.검사 측 법정에 출석한 증인은 공갈미수 건에 대해 "피해자에게서 피고인이 협박이나 공갈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없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갈 피해자인 증인들 또한 "협박한 것 없고, 비난기사를 낸다는 소리도 안했다"며 협박 사실이 없었다는 취지의 내용으로 증언했다.당시 피고인측 변호인으로 선임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변론을 통해 "공갈죄 성립을 위한 협박이 인정되기 위해선 사람의 의사결정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의사실행의 자유를 방해할 정도로 겁을 먹게 할 만한 해악의 고지가 필요하다"며 "공갈 피해자가 운영하는 회사의 불법행위에 대해 보도하고 광고 게제를 부탁한 행위 자체만으로 갈취 행위가 성립한다고 인정해서는 안될 것"이라 주장했다.또 피고인의 혐의에 대해서 비판기사 및 사설을 보도하고 광고의뢰를 요청한 사실만으로 공갈죄의 수단으로서 그 상대방을 협박했다고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시를 근거로 들었다.또한 공갈미수 혐의에 대해서도 "지역신문의 기자인 피고인이 광고를 수주하는 것도 업무의 하나"라며 "기업의 불법 행위를 고발하고 군청의 비합리적인 부분을 기사로 쓰는 것은 신문기자인 피고인의 직업상 마땅한 일"임을 주장했다.이에 재판부는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25조 후단에 의하여 무죄를 선고했다.온라인뉴스팀기자 onnews@dt.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74043
온 뉴스
2021-07-30
지역 기자 공갈미수·공갈 혐의…형사전문변호사 무죄 이끌어
지역 기자 공갈미수·공갈 혐의…형사전문변호사 무죄 이끌어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형사1단독 재판부는 공갈미수·공갈 혐의 등으로 기소된 지역 신문기자 A(50)씨의 공갈·공갈미수 혐의에 대해 지난 10월 17일 무죄를 선고했다.검사는 피고인 A씨가 지역신문기자로 일하면서 지역 기업체에 대한 비난 기사를 게재하여 광고 발주를 공갈해 광고비 명목으로 재물을 교부받았다며 공갈미수·공갈 혐의로 기소했다.검사 측 법정에 출석한 증인은 공갈미수 건에 대해 "피해자에게서 피고인이 협박이나 공갈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없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갈 피해자인 증인들 또한 "협박한 것 없고, 비난기사를 낸다는 소리도 안했다"며 협박 사실이 없었다는 취지의 내용으로 증언했다.당시 피고인측 변호인으로 선임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변론을 통해 "공갈죄 성립을 위한 협박이 인정되기 위해선 사람의 의사결정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의사실행의 자유를 방해할 정도로 겁을 먹게 할 만한 해악의 고지가 필요하다"며 "공갈 피해자가 운영하는 회사의 불법행위에 대해 보도하고 광고 게제를 부탁한 행위 자체만으로 갈취 행위가 성립한다고 인정해서는 안될 것"이라 주장했다.또 피고인의 혐의에 대해서 비판기사 및 사설을 보도하고 광고의뢰를 요청한 사실만으로 공갈죄의 수단으로서 그 상대방을 협박했다고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시를 근거로 들었다.또한 공갈미수 혐의에 대해서도 "지역신문의 기자인 피고인이 광고를 수주하는 것도 업무의 하나"라며 "기업의 불법 행위를 고발하고 군청의 비합리적인 부분을 기사로 쓰는 것은 신문기자인 피고인의 직업상 마땅한 일"임을 주장했다.이에 재판부는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25조 후단에 의하여 무죄를 선고했다.온라인뉴스팀기자 onnews@dt.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74043
데일리안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황혼재혼으로 상속·유류분 갈등 증가...가사전문변호사 조력 있어야”
법무법인 대륜, “황혼재혼으로 상속·유류분 갈등 증가...가사전문변호사 조력 있어야”
최근 베이비 붐 세대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황혼이혼’과 ‘황혼재혼’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이혼과 재혼을 거치며 상속지위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상속과 관련된 문제도 새로운 갈등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다.특히 황혼재혼의 경우 주로 자녀가 있는 상태에서 재혼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혼 당사자 모두에게 자녀가 있는 경우나 재혼 당사자 사이에서 새로운 자녀가 탄생한 경우에도 야기될 수 있는 상황이다.법무법인 대륜의 사례다. #의뢰인의 아버지는 외국에서 거주 중이던 의뢰인에게 알리지 않고 재혼을 한뒤 배우자에게 재산을 증여하고 사망했다. 그러나 배우자는 이를 의도적으로 의뢰인에게 알리지 않고 단독으로 상속을 꾀했다. 뒤늦게 해당 사실을 알게 된 의뢰인은 결국 재산분쟁에 휘말리게 됐다.이에 대륜에서는 증여된 재산 규모를 파악을 위해 증여세 신고내역과 금융거래내역 사실조회, 부동산 등기원인 확인 등을 거쳐 유류분 기초 재산을 산정했다. 또, 객관적이고 충분한 검토를 거쳐 확보한 증거를 바탕으로 재판부를 납득시킨 결과 유류분반환청구소송에서 승소했다.당시 소송을 진행했던 법무법인 대륜의 가사전문변호사는 “유류분을 확보하려면 피상속인의 기초재산 파악 등 개인이 홀로 준비하기에는 어려운 과정”이라며 가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철저하게 대비할 것을 조언했다. 특히 “유류분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상속의 개시와 증여를 알게 된 날로부터 1년이며 상속 개시가 있는 날로부터 10년 이내로 매우 짧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이어 그는 “최근 황혼이혼으로 발생하는 상속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법무법인 대륜은 가사전문변호사가 지휘하는 상속전담팀과 이혼전문변호사가 지휘하는 이혼전담팀을 조직해 황혼이혼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속 문제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협업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지점에서 소송을 진행하며 쌓은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복잡한 상속 분쟁에 관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지원하고 있다.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19&aid=0002368588#
데일리안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황혼재혼으로 상속·유류분 갈등 증가...가사전문변호사 조력 있어야”
법무법인 대륜, “황혼재혼으로 상속·유류분 갈등 증가...가사전문변호사 조력 있어야”
최근 베이비 붐 세대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황혼이혼’과 ‘황혼재혼’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이혼과 재혼을 거치며 상속지위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상속과 관련된 문제도 새로운 갈등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다.특히 황혼재혼의 경우 주로 자녀가 있는 상태에서 재혼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혼 당사자 모두에게 자녀가 있는 경우나 재혼 당사자 사이에서 새로운 자녀가 탄생한 경우에도 야기될 수 있는 상황이다.법무법인 대륜의 사례다. #의뢰인의 아버지는 외국에서 거주 중이던 의뢰인에게 알리지 않고 재혼을 한뒤 배우자에게 재산을 증여하고 사망했다. 그러나 배우자는 이를 의도적으로 의뢰인에게 알리지 않고 단독으로 상속을 꾀했다. 뒤늦게 해당 사실을 알게 된 의뢰인은 결국 재산분쟁에 휘말리게 됐다.이에 대륜에서는 증여된 재산 규모를 파악을 위해 증여세 신고내역과 금융거래내역 사실조회, 부동산 등기원인 확인 등을 거쳐 유류분 기초 재산을 산정했다. 또, 객관적이고 충분한 검토를 거쳐 확보한 증거를 바탕으로 재판부를 납득시킨 결과 유류분반환청구소송에서 승소했다.당시 소송을 진행했던 법무법인 대륜의 가사전문변호사는 “유류분을 확보하려면 피상속인의 기초재산 파악 등 개인이 홀로 준비하기에는 어려운 과정”이라며 가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철저하게 대비할 것을 조언했다. 특히 “유류분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상속의 개시와 증여를 알게 된 날로부터 1년이며 상속 개시가 있는 날로부터 10년 이내로 매우 짧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이어 그는 “최근 황혼이혼으로 발생하는 상속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법무법인 대륜은 가사전문변호사가 지휘하는 상속전담팀과 이혼전문변호사가 지휘하는 이혼전담팀을 조직해 황혼이혼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속 문제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협업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지점에서 소송을 진행하며 쌓은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복잡한 상속 분쟁에 관한 전문적인 법률 조력을 지원하고 있다.데일리안 김윤성 기자 (kimys@dailian.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19&aid=0002368588#
네이버뉴스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사이버명예훼손’ 형사전문변호사 조력 필요해
법무법인 대륜, ‘사이버명예훼손’ 형사전문변호사 조력 필요해
최근 온라인상에서 일어나는 악플로 인한 스타들의 비보와 함께 ‘사이버 명예훼손’이 화두에 오르고 있다. 사이버 명예훼손은 비단 유명인만의 이야기는 아니다.경찰청에서 10월 공개한 ‘사이버 명예훼손 및 모욕 발생 건수’를 보더라도 2014년 8,880건에서 지난해 1만 5,926건으로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 명예훼손, 모욕 등으로 대한민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오프라인도 예외는 아니다. 자신도 모르게 찍힌 사진이 온라인상에서 ‘00충‘, ‘00남‘, ‘00녀’ 등으로 이름 붙여지며 곤욕을 치르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일명 ‘신상털기’로 나이, 직업, 성장환경 등 개인 정보가 유출돼 일상생활마저 어렵게 만드는 등의 2차 피해까지 양산되는 실정이다.법무법인 대륜의 부산형사전문변호사가 말하는 사례다. #강사였던 의뢰인 A씨의 수업에 불만을 품은 피고인이 SNS에 댓글로 불만을 토로했고, A씨는 오해를 풀려 했지만 피고인은 이를 무시하고 A씨의 개인 SNS 지인들에게까지 비방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며 의뢰인 A씨를 조롱한 사건이 있었다. A씨는 본 사건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등에 시달렸고 소문은 급속도로 퍼지면서 사실과 관계없이 강의가 취소되는 등 2차 손해까지 입게 된 사건이 있었다.당시, 담당 형사전문변호사는 사안의 무게를 두고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및 업무방해의 건’으로 법원에 고소장을 제출했고 이어 실효성과 대항력을 갖춘 증거를 수집하는 등 피해 사실을 바탕으로 대응한 결과 재판부는 피고인에게 5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고 설명했다.이처럼 사이버 명예훼손이나 모욕의 경우 그 확산속도가 빠르고 불특정 다수가 접하기 때문에 피해가 크고 회복도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조용히 사태가 지나가기를 기다리다 사태만 악화될 뿐이다. 초기에 빠르고 확실하게 대처해 피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순간의 실수로 의도치 않게 가해자가 됐다면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것”을 조언했다.한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대형 로펌으로 꼽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5일 서울사무소를 개소했다. 특히 형사전문변호사, 민사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 등 분야별 전문변호사가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다.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전자신문인터넷 형인우 기자 (inwoo@etnews.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0&aid=0002854444#
네이버뉴스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사이버명예훼손’ 형사전문변호사 조력 필요해
법무법인 대륜, ‘사이버명예훼손’ 형사전문변호사 조력 필요해
최근 온라인상에서 일어나는 악플로 인한 스타들의 비보와 함께 ‘사이버 명예훼손’이 화두에 오르고 있다. 사이버 명예훼손은 비단 유명인만의 이야기는 아니다.경찰청에서 10월 공개한 ‘사이버 명예훼손 및 모욕 발생 건수’를 보더라도 2014년 8,880건에서 지난해 1만 5,926건으로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 명예훼손, 모욕 등으로 대한민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오프라인도 예외는 아니다. 자신도 모르게 찍힌 사진이 온라인상에서 ‘00충‘, ‘00남‘, ‘00녀’ 등으로 이름 붙여지며 곤욕을 치르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일명 ‘신상털기’로 나이, 직업, 성장환경 등 개인 정보가 유출돼 일상생활마저 어렵게 만드는 등의 2차 피해까지 양산되는 실정이다.법무법인 대륜의 부산형사전문변호사가 말하는 사례다. #강사였던 의뢰인 A씨의 수업에 불만을 품은 피고인이 SNS에 댓글로 불만을 토로했고, A씨는 오해를 풀려 했지만 피고인은 이를 무시하고 A씨의 개인 SNS 지인들에게까지 비방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며 의뢰인 A씨를 조롱한 사건이 있었다. A씨는 본 사건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등에 시달렸고 소문은 급속도로 퍼지면서 사실과 관계없이 강의가 취소되는 등 2차 손해까지 입게 된 사건이 있었다.당시, 담당 형사전문변호사는 사안의 무게를 두고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및 업무방해의 건’으로 법원에 고소장을 제출했고 이어 실효성과 대항력을 갖춘 증거를 수집하는 등 피해 사실을 바탕으로 대응한 결과 재판부는 피고인에게 5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고 설명했다.이처럼 사이버 명예훼손이나 모욕의 경우 그 확산속도가 빠르고 불특정 다수가 접하기 때문에 피해가 크고 회복도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조용히 사태가 지나가기를 기다리다 사태만 악화될 뿐이다. 초기에 빠르고 확실하게 대처해 피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순간의 실수로 의도치 않게 가해자가 됐다면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것”을 조언했다.한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대형 로펌으로 꼽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25일 서울사무소를 개소했다. 특히 형사전문변호사, 민사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 등 분야별 전문변호사가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다.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전자신문인터넷 형인우 기자 (inwoo@etnews.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0&aid=0002854444#
서울경제
2021-07-30
상해치사 혐의 피고인 ‘무죄’...법무법인 대륜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사례 눈길
상해치사 혐의 피고인 ‘무죄’...법무법인 대륜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사례 눈길
[서울경제] 형사 사건은 사건 초기 변호사의 조력 없이는 불리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어 가능한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법리분석을 통한 초기대응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대형 로펌으로 꼽히는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형사사건의 경우 형사전문변호사의 전문적인 진술 분석을 통해 첨예하게 대립하는 주장의 모순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대륜에서 피고의 변호를 맡은 사례이다. 결혼을 앞두고 동거 중인 피고인과 피해자가 있다. 술에 취한 피해자가 화장실에서 칫솔을 보고 피고인의 내연관계를 의심하며 다툼이 생겼다. 이에 피해자는 경막하출혈로 치료를 받던 중 사망하여 피고인은 상해치사 혐의로 기소됐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당시 담당 변호사는 형사소송법이 규정하고 있는 증거재판주의 원칙을 대전제로 사건을 풀어갔다. 특히 상처의 양상에 주목했다. 피고인은 피해자에게 상해를 가해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검찰측 의견에 대해서 피해자가 거실 바닥에 넘어졌다는 피고인의 진술을 강조했다. 또, 피해자가 술에 취해 있었으며 피고인에게 던진 소주병과 뒤엎은 탁자 음식들로 인해 바닥이 미끄러웠던 사실도 주장했다.또한 알코올성 간 질환을 가진 피해자의 신체는 사소한 외력에도 멍이 잘 생길 수 있다는 상태였다. 피해자의 뒤통수를 제외한 머리와 목 등의 신체 부분에서 외상이 전혀 없었다는 부검감정서와 폭행을 방어하려는 흔적이 없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게다가 피해자가 쓰러져 피의자가 119에 신고한 이후 119 출동 여부를 재차 확인하며 구호 조치를 취한 사실과 최초 출동한 구급대원이 몸싸움의 흔적이 없었다고 한 증언, 피해 현장에서 발견된 혈흔이 피고인의 혈흔이었던 사실, 피해자가 부상 직전과 직후 2분 사이 통화를 나눴다는 사실로 재판을 이끌었다.이에 재판부는 “형사재판에서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의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엄격한 증거에 의해야 한다.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공소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당시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는 “형사사건은 당사자 간의 대립이 극명하거나 억울한 혐의로 인해 소명이 필요한 상황이 일반적으로, 초기 단계부터 형사전문변호사를 선임해 사건을 진행하는 게 중요하다”라며 “무엇보다 사건을 치밀하게 분석해 증거를 수집하고 기소 사실을 반박할 수 있는 논리 구조를 만들어 재판을 이끌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오는 25일 서울사무소 신규 개점을 앞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형사전문변호사, 민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를 보유하고 있다./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654314
서울경제
2021-07-30
상해치사 혐의 피고인 ‘무죄’...법무법인 대륜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사례 눈길
상해치사 혐의 피고인 ‘무죄’...법무법인 대륜 부산 형사전문변호사 사례 눈길
[서울경제] 형사 사건은 사건 초기 변호사의 조력 없이는 불리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어 가능한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법리분석을 통한 초기대응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대형 로펌으로 꼽히는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형사사건의 경우 형사전문변호사의 전문적인 진술 분석을 통해 첨예하게 대립하는 주장의 모순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대륜에서 피고의 변호를 맡은 사례이다. 결혼을 앞두고 동거 중인 피고인과 피해자가 있다. 술에 취한 피해자가 화장실에서 칫솔을 보고 피고인의 내연관계를 의심하며 다툼이 생겼다. 이에 피해자는 경막하출혈로 치료를 받던 중 사망하여 피고인은 상해치사 혐의로 기소됐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당시 담당 변호사는 형사소송법이 규정하고 있는 증거재판주의 원칙을 대전제로 사건을 풀어갔다. 특히 상처의 양상에 주목했다. 피고인은 피해자에게 상해를 가해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검찰측 의견에 대해서 피해자가 거실 바닥에 넘어졌다는 피고인의 진술을 강조했다. 또, 피해자가 술에 취해 있었으며 피고인에게 던진 소주병과 뒤엎은 탁자 음식들로 인해 바닥이 미끄러웠던 사실도 주장했다.또한 알코올성 간 질환을 가진 피해자의 신체는 사소한 외력에도 멍이 잘 생길 수 있다는 상태였다. 피해자의 뒤통수를 제외한 머리와 목 등의 신체 부분에서 외상이 전혀 없었다는 부검감정서와 폭행을 방어하려는 흔적이 없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게다가 피해자가 쓰러져 피의자가 119에 신고한 이후 119 출동 여부를 재차 확인하며 구호 조치를 취한 사실과 최초 출동한 구급대원이 몸싸움의 흔적이 없었다고 한 증언, 피해 현장에서 발견된 혈흔이 피고인의 혈흔이었던 사실, 피해자가 부상 직전과 직후 2분 사이 통화를 나눴다는 사실로 재판을 이끌었다.이에 재판부는 “형사재판에서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의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엄격한 증거에 의해야 한다.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공소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당시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는 “형사사건은 당사자 간의 대립이 극명하거나 억울한 혐의로 인해 소명이 필요한 상황이 일반적으로, 초기 단계부터 형사전문변호사를 선임해 사건을 진행하는 게 중요하다”라며 “무엇보다 사건을 치밀하게 분석해 증거를 수집하고 기소 사실을 반박할 수 있는 논리 구조를 만들어 재판을 이끌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오는 25일 서울사무소 신규 개점을 앞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형사전문변호사, 민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 가사전문변호사를 보유하고 있다./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654314
마이데일리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면 형사전문변호사 통한 초기 대응이 중요해”
법무법인 대륜,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면 형사전문변호사 통한 초기 대응이 중요해”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교묘해지면서 피해 양상도 다양해지고 있다.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하거나 가족납치 등으로 협박해 금전적 피해를 당하던 피해자뿐만 아니라 통장이나 개인 거래정보 노출로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몰려 법적 처벌을 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위와 같은 보이스피싱 중간 전달 및 인출책은 최근 경제 불황을 틈타 △긴급대출을 미끼로 계좌번호를 알아내 정체불명의 거액을 입금한 후 입금 오류의 이유로 재송금을 요청하거나 △취업을 이유로 계좌번호, 체크카드, 비밀번호를 요구하며 피해자가 입금한 돈을 출금하는 식 △발신자 번호표시 제한으로 전화를 걸어 현금을 보내주고 비트코인 대리 구매 요청을 하는 경우 △세금 감면을 위해 고객이 입금한 수익금을 차명 계좌로 송금해 달라는 등 그 수법도 다양해지고 있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통한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악성코드를 심어 피해자가 금융기관에 확인 전화를 걸면 보이스피싱 조직의 콜센터로 연결되기 때문에 의심할 여지 없이 범죄에 연루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처벌은 가볍지 않다. 범죄의 의도가 없었더라도 통장 대여 등의 행위로 피해자가 발생한 상황이라면 책임을 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전자금융거래법 위반의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고, 기망행위로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는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된다. 사기방조죄의 경우 사기죄에 얼마나 가담하였는가에 따라 처벌이 달라진다.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사기 수법에 속아 자신도 모르는 사이 보이스피싱 범죄의 공범자가 되지 않기 위해선 피해 사실을 알게 된 직후 형사전문변호사를 찾아 초기부터 확실히 대응해야 할 것을 조언한다. 억울함을 주장하더라도 실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역시 “고액 알바광고에 속아 몰랐다”고 주장해 법률적 도움 없이는 무죄를 입증하기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대륜은 이와 비슷한 사례로, 아르바이트를 하려면 계좌정보가 필요하니 체크카드와 비밀번호를 알려달라는 수법에 속아 자신의 체크카드 4개를 빌려주게 되면서 보이스피싱 중간책으로 사건에 연루된 의뢰인을 도와 결국 소액 벌금형으로 사건이 마무리됐다고 전한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형사전문 변호사는 “갑작스레 보이스피싱 중간책으로 해당 범죄에 연루된다면 다소 억울한 사항에도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조사 단계에서 하는 진술이 재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보이스피싱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 변호사를 찾아 고의가 없었음을 효과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잘 정리된 변호인의견서와 변론을 준비한다면 양형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을 거점으로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사기 무죄 판결 성공 사례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소송에 분야별 전문변호사, 법무사, 법률 사무원으로 구성된 전문 TF팀을 편성, 맞춤 대응을 통해 업계에서 좋은 평을 얻고 있다.보다 자세한 사항 및 문의는 법무법인 대륜 공식 홈페이지 및 대표번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사진=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17&aid=0003294636
마이데일리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면 형사전문변호사 통한 초기 대응이 중요해”
법무법인 대륜,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됐다면 형사전문변호사 통한 초기 대응이 중요해”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교묘해지면서 피해 양상도 다양해지고 있다.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하거나 가족납치 등으로 협박해 금전적 피해를 당하던 피해자뿐만 아니라 통장이나 개인 거래정보 노출로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몰려 법적 처벌을 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위와 같은 보이스피싱 중간 전달 및 인출책은 최근 경제 불황을 틈타 △긴급대출을 미끼로 계좌번호를 알아내 정체불명의 거액을 입금한 후 입금 오류의 이유로 재송금을 요청하거나 △취업을 이유로 계좌번호, 체크카드, 비밀번호를 요구하며 피해자가 입금한 돈을 출금하는 식 △발신자 번호표시 제한으로 전화를 걸어 현금을 보내주고 비트코인 대리 구매 요청을 하는 경우 △세금 감면을 위해 고객이 입금한 수익금을 차명 계좌로 송금해 달라는 등 그 수법도 다양해지고 있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통한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악성코드를 심어 피해자가 금융기관에 확인 전화를 걸면 보이스피싱 조직의 콜센터로 연결되기 때문에 의심할 여지 없이 범죄에 연루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처벌은 가볍지 않다. 범죄의 의도가 없었더라도 통장 대여 등의 행위로 피해자가 발생한 상황이라면 책임을 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전자금융거래법 위반의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고, 기망행위로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는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된다. 사기방조죄의 경우 사기죄에 얼마나 가담하였는가에 따라 처벌이 달라진다.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사기 수법에 속아 자신도 모르는 사이 보이스피싱 범죄의 공범자가 되지 않기 위해선 피해 사실을 알게 된 직후 형사전문변호사를 찾아 초기부터 확실히 대응해야 할 것을 조언한다. 억울함을 주장하더라도 실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역시 “고액 알바광고에 속아 몰랐다”고 주장해 법률적 도움 없이는 무죄를 입증하기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대륜은 이와 비슷한 사례로, 아르바이트를 하려면 계좌정보가 필요하니 체크카드와 비밀번호를 알려달라는 수법에 속아 자신의 체크카드 4개를 빌려주게 되면서 보이스피싱 중간책으로 사건에 연루된 의뢰인을 도와 결국 소액 벌금형으로 사건이 마무리됐다고 전한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형사전문 변호사는 “갑작스레 보이스피싱 중간책으로 해당 범죄에 연루된다면 다소 억울한 사항에도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조사 단계에서 하는 진술이 재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보이스피싱 사건 경험이 많은 형사전문 변호사를 찾아 고의가 없었음을 효과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잘 정리된 변호인의견서와 변론을 준비한다면 양형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을 거점으로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사기 무죄 판결 성공 사례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소송에 분야별 전문변호사, 법무사, 법률 사무원으로 구성된 전문 TF팀을 편성, 맞춤 대응을 통해 업계에서 좋은 평을 얻고 있다.보다 자세한 사항 및 문의는 법무법인 대륜 공식 홈페이지 및 대표번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사진=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17&aid=0003294636
BBS NEWS
2021-07-30
윤자영 변호사, "교통사고 뒤 상태만 묻고 현장 벗어난 운전자 '도주치상'"
윤자영 변호사, "교통사고 뒤 상태만 묻고 현장 벗어난 운전자 '도주치상'"
■ 대담 : 윤자영 변호사■ 진행 : 이호상 기자▷이호상 : 변호사의 눈 시간입니다. 오늘도 윤자영 변호사 연결돼있습니다. 변호사님, 나와계시죠·▶윤자영 : 네, 안녕하세요. 윤자영입니다.▷이호상 : 네, 변호사님. 잘 지내셨죠·▶윤자영 : 네, 잘 지내고 있습니다.▷이호상 : 첫번 째 짚어볼 사건, 교통사고를 내고 피해자에게 안부만 묻고 사라진 50대, 벌금형 선고를 받았군요·▶윤자영 : 그렇습니다. A씨는 지난 5월 16일 오전 11시 경에 청주시 청원구 소재의 한 도로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던 9살 B양을 차로 쳤는데요. 하지만 A씨는 사고 직후 B양에게 단순히 안부만 묻고 보호자나 경찰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습니다. 또한 자신의 신분을 특정할 수 있는 연락처라든가 이름이라든가 등의 정보를 전혀 남기지 않고 사건현장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한편, B양은 이 사고로 인해 2주간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게됐습니다. 이에 검찰은 A씨를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도주치상 혐의로 벌금 5백만원에 약식기소를 하였는데요. A씨는 보호조치를 다 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제 A씨는 공판 과정에서 피해자의 상태를 보았을 때 피해자가 괜찮다고 답했다면서 도로교통법상 구조조치 의무를 다했다라고 주장을 했는데요. 이에 재판부는 사람과 부딪힌 경우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음에도 만 9세 아이에게 "괜찮은지·"만 물었다고 강조를 한 뒤 피고인의 이름이나 연락처를 전혀 알려주지 않고 피해자에게 보호자 등의 연락을 취하지 않고 현장을 벗어난 점을 보면 도로교통법 5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구조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지적했습니다. 그래서 이어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피해자를 충격하고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피고인의 주장으로 어린 피해자가 증인으로서 법정에 출석하도록 했다면서 약식명령이 정한 형이 과소하므로 벌금을 증액해서 형을 정한다고 판시하면서 벌금 7백만 원을 선고했습니다.▷이호상 : 이게 그러니까 법원이 남성이 도주를 했다고 판단한거죠. 보호조치를 하지 않고. 운전자들이 이런 경우를 누구나 맞닥뜨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또 반대로, 변호사님. 도주를 하지 않았다라고 우리가 입증하기 위해서 이런 사고가 발생했을 때 운전자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좀 설명 좀 해주시죠.▶윤자영 : 네, 교통사고가 났을 때 간혹 피해자가 다친곳이 없다, 괜찮다고 하면서 병원 치료를 극구사양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판례는 피해자가 사상을 당한 사실을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고 사고 장소를 이탈하여 사고를 낸 사람이 누군지 확정할 수 없는 상태를 초래하는 경우, 조치를 하지 않고 도주하는 경우로 보고 있는데요. 특히 피해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보호자와 연락 또는 대면해야하고, 보호자와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 경찰에게 연락해 상황을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또 위의 상황과 같이 피해자가 괜찮다고 하는 답변만 믿고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는 것도 도주치상죄가 성립될 수 있고요. 이제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자신의 인적사항은 물론 경찰의 협조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이호상 : 그럼 변호사님, 우리가 예를 들어서 이런 사고를 유발했다고 하면, 다친 분에게 명함을 준다든지, 이 정도까지는 괜찮은 겁니까·▶윤자영 : 네, 앞서 판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사고를 낸 사람이 누군지 확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도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명함을 건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이호상 : 아, 그래도 아무튼 혹시 모르니 보험회사에 연락을 한다든지 경찰에 신고를 스스로 해서 이런 사건이 있었다라는 것을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죠·▶윤자영 : 네. 그렇습니다.▷이호상 : 다음 사건 알아보죠. 술에 취해 운전을 하다가 건물로 돌진한 60대, 이런 뉴스가 있던 것으로 저도 기억하는데요. 60대 집행유예가 선고가 됐군요·▶윤자영 : 네 A씨는 2월 4일 오전 2시경 증평읍 한 도로에서 면허취소 수치인 혈중알코올 농도 0.042%인 상태에서 승용차를 몰다가 인근 편의점으로 돌진하였고요. 편의점 출입구에 있던 B씨가 이를 피하려다가 넘어져서 전치 2주의 상해를 입은 일이 있었습니다. A씨에 대해서 운전치사상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요. 재판부는 징역 2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하면서 사회봉사 120시간과 준법운전강의 80시간 초강령 명령을 했습니다. 재판부는 A씨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나 범행을 반성하고 있고, 홀로 노모를 부양하고 있는 점들을 고려하여 형을 정했다고 판시를 했습니다.▷이호상 : 저희가 음주운전 사건을 많이 다뤄봤었는데, 그럴 때마다 느끼는 것이 음주 운전 사건의 경우 재범, 그러니까 상습범인 사건이 많은 것 같아요. 그럼에도 집행유예. 좀 더 상습범 같은 경우에는 형량이 세게 나오지 않습니까· 그런데 이 사건 같은 경우에는 상습범이고 편의점으로 돌진까지 했는데 집행유예를 받았다. 많이 선처를 한 것 같습니다.▶윤자영 : A씨도 2008년 음주운전으로 벌금 100만원의 약식 명령을 받은 사실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최초 음주운전으로 처벌 받은 시점으로 상당한 시간이 지났다는 점. 판결문에서 밝힌바와 같이 범행을 반성하고 있다는 점 등이 양형요소로 고려된 것으로 보입니다.▷이호상 : 그렇군요. 앞서 변호사님이 설명하실 때 재판부의 판시 내용을 보니까 피고인. 그러니까 음주운전자가 혼자서 노모를 부양하고 있다는 점도 참작이 됐다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가족 구성원 중에 피고인이 유일하게 경제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처벌 수위를 낮춰주는 이런 경우가 간혹 있는 것 같습니다.▶윤자영 : 예 그렇습니다. 가족 중에서 유일하게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피고인이 구속되는 경우에 사실상 나머지 가족들의 생계가 위협될 수 있는지 여부가 양형 자료로 참고 되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경제활동 여부도 수많은 양형 요소의 한 가지긴 하지만 이러한 사정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감형되거나 집행유예가 선고 되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에는 죄의 경중에 따라서 가벌성이 높은 경우라면 이와 같은 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구속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이호상 :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분이라면 더더욱 음주운전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데 말이죠. 마지막 사건 알아보죠. 수년 동안 회사 돈 13여억 원. 대단하군요. 30대 여성. 중형이 선고됐다는 사건이 있었군요.▶윤자영 : 네. 청주시 소재 한 회사에서 자금관리 업무를 맡은 A씨는 지난 2013년 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약 7년간 99회에 걸쳐 회사 돈 13억여 원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돼서 징역 6년을 선고 받았습니다. A씨는 대표이사 가지급금 지급 등의 명목으로 거래 내역을 조작하였고요. 이로써 회사 자금을 편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범행을 숨기기 위해서 자신의 친딸의 예금계좌까지 이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돈을 결국 A씨는 생활비와 주식 투자 등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재판부는 A씨에 대해서 범행 기간이 길고. 횡령의 규모도 크다면서 피곤인의 범행으로 피해 회사의 경영난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피해회복을 위한 진지한 노력도 없다고 지적하면서 범행 수법이 주도면밀하고 계획적이어서 죄질이 매우 좋이 않다는 이유에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이호상 : 죄질이 매우 좋지 않다고 밝혔군요. 갑자기 생각났는데 변호사님 일반횡령과 업무상 횡령은 어떤 차이가 있는겁니까·▶윤자영 : 일단 횡령에 대해서 잠깐 말씀을 드리면 횡령은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횡령하거나 반환을 거부하는 범죄로써 5년 이하의 징역.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쉽게 말씀드리면 렌터카를 빌렸다가 렌터카 기간이 끝났는데도 돌려주지 않는 경우도 횡령이 될 수 있고요. 위와 같은 사건의 경우에는 업무상 횡령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업무상 횡령은 가중된 처벌을 받게 됩니다. 업무상 다른 사람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이와 같은 행위를 하였을 때 업무상 횡령죄가 성립이 되고요. 따라서 일반 횡령죄와는 달리 10년 이하의 징역.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도록 되어 있고. 위 상황과 같이 횡령 금액이 5억 원 이상인 경우라면 특정법이 적용 돼서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이호상 : 간 큰 30대 여성입니다. 13억 원이나 빼돌렸군요. 알겠습니다. 변호사님 오늘 말씀 고맙고요 2주 후에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윤자영 : 네 감사합니다.▷이호상 : 지금까지 &apos;변호사의 눈&apos; 윤자영 변호사와 함께 하셨습니다. 출처 : BBS NEWS(https://news.bbsi.co.kr)기사원문보기 -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9622
BBS NEWS
2021-07-30
윤자영 변호사, "교통사고 뒤 상태만 묻고 현장 벗어난 운전자 '도주치상'"
윤자영 변호사, "교통사고 뒤 상태만 묻고 현장 벗어난 운전자 '도주치상'"
■ 대담 : 윤자영 변호사■ 진행 : 이호상 기자▷이호상 : 변호사의 눈 시간입니다. 오늘도 윤자영 변호사 연결돼있습니다. 변호사님, 나와계시죠·▶윤자영 : 네, 안녕하세요. 윤자영입니다.▷이호상 : 네, 변호사님. 잘 지내셨죠·▶윤자영 : 네, 잘 지내고 있습니다.▷이호상 : 첫번 째 짚어볼 사건, 교통사고를 내고 피해자에게 안부만 묻고 사라진 50대, 벌금형 선고를 받았군요·▶윤자영 : 그렇습니다. A씨는 지난 5월 16일 오전 11시 경에 청주시 청원구 소재의 한 도로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던 9살 B양을 차로 쳤는데요. 하지만 A씨는 사고 직후 B양에게 단순히 안부만 묻고 보호자나 경찰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습니다. 또한 자신의 신분을 특정할 수 있는 연락처라든가 이름이라든가 등의 정보를 전혀 남기지 않고 사건현장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한편, B양은 이 사고로 인해 2주간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게됐습니다. 이에 검찰은 A씨를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도주치상 혐의로 벌금 5백만원에 약식기소를 하였는데요. A씨는 보호조치를 다 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제 A씨는 공판 과정에서 피해자의 상태를 보았을 때 피해자가 괜찮다고 답했다면서 도로교통법상 구조조치 의무를 다했다라고 주장을 했는데요. 이에 재판부는 사람과 부딪힌 경우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음에도 만 9세 아이에게 "괜찮은지·"만 물었다고 강조를 한 뒤 피고인의 이름이나 연락처를 전혀 알려주지 않고 피해자에게 보호자 등의 연락을 취하지 않고 현장을 벗어난 점을 보면 도로교통법 5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구조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지적했습니다. 그래서 이어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피해자를 충격하고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피고인의 주장으로 어린 피해자가 증인으로서 법정에 출석하도록 했다면서 약식명령이 정한 형이 과소하므로 벌금을 증액해서 형을 정한다고 판시하면서 벌금 7백만 원을 선고했습니다.▷이호상 : 이게 그러니까 법원이 남성이 도주를 했다고 판단한거죠. 보호조치를 하지 않고. 운전자들이 이런 경우를 누구나 맞닥뜨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또 반대로, 변호사님. 도주를 하지 않았다라고 우리가 입증하기 위해서 이런 사고가 발생했을 때 운전자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좀 설명 좀 해주시죠.▶윤자영 : 네, 교통사고가 났을 때 간혹 피해자가 다친곳이 없다, 괜찮다고 하면서 병원 치료를 극구사양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판례는 피해자가 사상을 당한 사실을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고 사고 장소를 이탈하여 사고를 낸 사람이 누군지 확정할 수 없는 상태를 초래하는 경우, 조치를 하지 않고 도주하는 경우로 보고 있는데요. 특히 피해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보호자와 연락 또는 대면해야하고, 보호자와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 경찰에게 연락해 상황을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또 위의 상황과 같이 피해자가 괜찮다고 하는 답변만 믿고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는 것도 도주치상죄가 성립될 수 있고요. 이제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자신의 인적사항은 물론 경찰의 협조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이호상 : 그럼 변호사님, 우리가 예를 들어서 이런 사고를 유발했다고 하면, 다친 분에게 명함을 준다든지, 이 정도까지는 괜찮은 겁니까·▶윤자영 : 네, 앞서 판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사고를 낸 사람이 누군지 확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도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명함을 건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이호상 : 아, 그래도 아무튼 혹시 모르니 보험회사에 연락을 한다든지 경찰에 신고를 스스로 해서 이런 사건이 있었다라는 것을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죠·▶윤자영 : 네. 그렇습니다.▷이호상 : 다음 사건 알아보죠. 술에 취해 운전을 하다가 건물로 돌진한 60대, 이런 뉴스가 있던 것으로 저도 기억하는데요. 60대 집행유예가 선고가 됐군요·▶윤자영 : 네 A씨는 2월 4일 오전 2시경 증평읍 한 도로에서 면허취소 수치인 혈중알코올 농도 0.042%인 상태에서 승용차를 몰다가 인근 편의점으로 돌진하였고요. 편의점 출입구에 있던 B씨가 이를 피하려다가 넘어져서 전치 2주의 상해를 입은 일이 있었습니다. A씨에 대해서 운전치사상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요. 재판부는 징역 2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하면서 사회봉사 120시간과 준법운전강의 80시간 초강령 명령을 했습니다. 재판부는 A씨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나 범행을 반성하고 있고, 홀로 노모를 부양하고 있는 점들을 고려하여 형을 정했다고 판시를 했습니다.▷이호상 : 저희가 음주운전 사건을 많이 다뤄봤었는데, 그럴 때마다 느끼는 것이 음주 운전 사건의 경우 재범, 그러니까 상습범인 사건이 많은 것 같아요. 그럼에도 집행유예. 좀 더 상습범 같은 경우에는 형량이 세게 나오지 않습니까· 그런데 이 사건 같은 경우에는 상습범이고 편의점으로 돌진까지 했는데 집행유예를 받았다. 많이 선처를 한 것 같습니다.▶윤자영 : A씨도 2008년 음주운전으로 벌금 100만원의 약식 명령을 받은 사실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최초 음주운전으로 처벌 받은 시점으로 상당한 시간이 지났다는 점. 판결문에서 밝힌바와 같이 범행을 반성하고 있다는 점 등이 양형요소로 고려된 것으로 보입니다.▷이호상 : 그렇군요. 앞서 변호사님이 설명하실 때 재판부의 판시 내용을 보니까 피고인. 그러니까 음주운전자가 혼자서 노모를 부양하고 있다는 점도 참작이 됐다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가족 구성원 중에 피고인이 유일하게 경제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처벌 수위를 낮춰주는 이런 경우가 간혹 있는 것 같습니다.▶윤자영 : 예 그렇습니다. 가족 중에서 유일하게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피고인이 구속되는 경우에 사실상 나머지 가족들의 생계가 위협될 수 있는지 여부가 양형 자료로 참고 되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경제활동 여부도 수많은 양형 요소의 한 가지긴 하지만 이러한 사정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감형되거나 집행유예가 선고 되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에는 죄의 경중에 따라서 가벌성이 높은 경우라면 이와 같은 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구속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이호상 :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분이라면 더더욱 음주운전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데 말이죠. 마지막 사건 알아보죠. 수년 동안 회사 돈 13여억 원. 대단하군요. 30대 여성. 중형이 선고됐다는 사건이 있었군요.▶윤자영 : 네. 청주시 소재 한 회사에서 자금관리 업무를 맡은 A씨는 지난 2013년 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약 7년간 99회에 걸쳐 회사 돈 13억여 원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돼서 징역 6년을 선고 받았습니다. A씨는 대표이사 가지급금 지급 등의 명목으로 거래 내역을 조작하였고요. 이로써 회사 자금을 편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범행을 숨기기 위해서 자신의 친딸의 예금계좌까지 이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돈을 결국 A씨는 생활비와 주식 투자 등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재판부는 A씨에 대해서 범행 기간이 길고. 횡령의 규모도 크다면서 피곤인의 범행으로 피해 회사의 경영난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피해회복을 위한 진지한 노력도 없다고 지적하면서 범행 수법이 주도면밀하고 계획적이어서 죄질이 매우 좋이 않다는 이유에 양형 이유를 밝혔습니다.▷이호상 : 죄질이 매우 좋지 않다고 밝혔군요. 갑자기 생각났는데 변호사님 일반횡령과 업무상 횡령은 어떤 차이가 있는겁니까·▶윤자영 : 일단 횡령에 대해서 잠깐 말씀을 드리면 횡령은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횡령하거나 반환을 거부하는 범죄로써 5년 이하의 징역.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쉽게 말씀드리면 렌터카를 빌렸다가 렌터카 기간이 끝났는데도 돌려주지 않는 경우도 횡령이 될 수 있고요. 위와 같은 사건의 경우에는 업무상 횡령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업무상 횡령은 가중된 처벌을 받게 됩니다. 업무상 다른 사람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이와 같은 행위를 하였을 때 업무상 횡령죄가 성립이 되고요. 따라서 일반 횡령죄와는 달리 10년 이하의 징역.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도록 되어 있고. 위 상황과 같이 횡령 금액이 5억 원 이상인 경우라면 특정법이 적용 돼서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이호상 : 간 큰 30대 여성입니다. 13억 원이나 빼돌렸군요. 알겠습니다. 변호사님 오늘 말씀 고맙고요 2주 후에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윤자영 : 네 감사합니다.▷이호상 : 지금까지 &apos;변호사의 눈&apos; 윤자영 변호사와 함께 하셨습니다. 출처 : BBS NEWS(https://news.bbsi.co.kr)기사원문보기 -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9622
데일리안
2021-07-30
이혼전문변호사, '가정폭력 이혼소송 피해자 보호책 마련을'
이혼전문변호사, '가정폭력 이혼소송 피해자 보호책 마련을'
최근 접근 금지 명령을 위반하고 이혼소송 중인 아내를 찾아가 납치하려던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아내가 연락을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집 앞을 찾아가 납치를 시도했고 경찰은 가정폭력처벌법 위반 등 현행범으로 체포해 조사 중에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가해자로부터 수차례 폭력을 당할 경우 정신적 충격으로 위축되어 있는 게 일반적이며, 이혼 후 경제적 상황 등에 대한 고민으로 법적 조치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폭력은 방치할수록 심각해지게 되고 자녀에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법률 조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이현지 이혼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폭력을 행사한 가해자가 이혼에 응하지 않을 경우 재판상 이혼이 방법”이라며, “소송 전 조정과정, 가사조사 등 대응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이혼소송이 또 다른 고통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했다.우리나라는 이혼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혼인 파탄의 책임이 상대방에게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유책주의를 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정폭력을 당하고도 증거가 부족해 이혼 사유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이현지 변호사는 “이혼소송의 핵심은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라며, 또한 “피해자 보호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복에 대한 대비책으로 접근금치 가처분, 피해자 보호명령 등도 적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를 위해서는 △폭언 시 녹음을 하거나 상처는 사진을 찍어 보관해야 하고 △폭행을 인정한 메시지를 수집하거나 △의사 소견서 및 진단서, 진료기록도 증거로써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이 밖에 가해자와 피해자가 분리될 수 있도록 가정폭력처벌법의 임시조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이 변호사는 “피해자 보호책을 강화하고 가정폭력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위자료 청구, 양육권 양육비 확보, 재산분할청구까지 고려해 이혼 이후 안정적인 생활까지 도모할 방법을 강구함과 동시에 가정폭력 피해자 제도를 충분히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자체 이혼전문전담센터를 두고 가정폭력, 재산분할, 양육권 양육비 등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사무소가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512820
데일리안
2021-07-30
이혼전문변호사, '가정폭력 이혼소송 피해자 보호책 마련을'
이혼전문변호사, '가정폭력 이혼소송 피해자 보호책 마련을'
최근 접근 금지 명령을 위반하고 이혼소송 중인 아내를 찾아가 납치하려던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아내가 연락을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집 앞을 찾아가 납치를 시도했고 경찰은 가정폭력처벌법 위반 등 현행범으로 체포해 조사 중에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가해자로부터 수차례 폭력을 당할 경우 정신적 충격으로 위축되어 있는 게 일반적이며, 이혼 후 경제적 상황 등에 대한 고민으로 법적 조치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폭력은 방치할수록 심각해지게 되고 자녀에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법률 조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이현지 이혼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폭력을 행사한 가해자가 이혼에 응하지 않을 경우 재판상 이혼이 방법”이라며, “소송 전 조정과정, 가사조사 등 대응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이혼소송이 또 다른 고통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했다.우리나라는 이혼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혼인 파탄의 책임이 상대방에게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유책주의를 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정폭력을 당하고도 증거가 부족해 이혼 사유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이현지 변호사는 “이혼소송의 핵심은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라며, 또한 “피해자 보호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복에 대한 대비책으로 접근금치 가처분, 피해자 보호명령 등도 적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를 위해서는 △폭언 시 녹음을 하거나 상처는 사진을 찍어 보관해야 하고 △폭행을 인정한 메시지를 수집하거나 △의사 소견서 및 진단서, 진료기록도 증거로써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이 밖에 가해자와 피해자가 분리될 수 있도록 가정폭력처벌법의 임시조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이 변호사는 “피해자 보호책을 강화하고 가정폭력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위자료 청구, 양육권 양육비 확보, 재산분할청구까지 고려해 이혼 이후 안정적인 생활까지 도모할 방법을 강구함과 동시에 가정폭력 피해자 제도를 충분히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자체 이혼전문전담센터를 두고 가정폭력, 재산분할, 양육권 양육비 등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사무소가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512820
파이낸셜뉴스
2021-07-30
보이스피싱 '대면편취형'으로 진화..' 사기 휘말렸다면 전문가 조력이 필요
보이스피싱 '대면편취형'으로 진화..' 사기 휘말렸다면 전문가 조력이 필요
보이스피싱(전화금융통신사기) 범죄 수법이 피해자로 하여금 은행으로 가게 만들어 송금하는 유형에서 피해자를 직접 만나 돈을 가로채는 &apos;대면편취형&apos;으로 진화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빌린 돈을 직접 수금해 오면 수당을 주겠다’는 일자리 제안에 혹해 많게는 수천만 원이 넘는 현금을 넘겨받아 자신의 수당을 뺀 금액을 전달한 자에게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으로 실형을 선고한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수법을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이라고 하며, ‘계좌이체형’ 수법은 전년대비 3분의 1로 감소한 반면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은 지난해 1만 5천여 건으로 크게 늘었다.강두진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에서는 누구나 피해자, 피의자가 될 수 있다”며, “특히 보이스피싱 본부를 운용하는 총책 보다는 인출, 수거책이 먼저 검거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수익 알바라는 말에 속아 범죄에 가담하게 되면 결백을 주장한다 하더라도 미필적 고의 여부를 따져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법원은 범죄 가담 정도를 객관적 증거에 기준해 판단하나 사기죄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 처벌을 받게 돼 있다. 피해 금액에 따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까지 적용될 수 있으며 구속, 처벌과는 별개로 자신이 취한 돈의 수십 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피해자들에게 배상해야 할 수도 있다.강 변호사는 “만일 억울하게 공범 혐의를 받고 있는 상황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사기 조직이 본인을 철저히 기망했다는 점을 법리적으로 증명해야 할 것”이라며 “최근 법원은 보이스피싱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만큼 형량도 강화되는 추세다. 누구나 피해자, 피의자가 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은 변호사 조력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보이스피싱 사건을 전담하는 자체 형사전문전담센터를 운영한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의정부,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16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4&aid=0004674501
파이낸셜뉴스
2021-07-30
보이스피싱 '대면편취형'으로 진화..' 사기 휘말렸다면 전문가 조력이 필요
보이스피싱 '대면편취형'으로 진화..' 사기 휘말렸다면 전문가 조력이 필요
보이스피싱(전화금융통신사기) 범죄 수법이 피해자로 하여금 은행으로 가게 만들어 송금하는 유형에서 피해자를 직접 만나 돈을 가로채는 &apos;대면편취형&apos;으로 진화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빌린 돈을 직접 수금해 오면 수당을 주겠다’는 일자리 제안에 혹해 많게는 수천만 원이 넘는 현금을 넘겨받아 자신의 수당을 뺀 금액을 전달한 자에게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으로 실형을 선고한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수법을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이라고 하며, ‘계좌이체형’ 수법은 전년대비 3분의 1로 감소한 반면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은 지난해 1만 5천여 건으로 크게 늘었다.강두진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에서는 누구나 피해자, 피의자가 될 수 있다”며, “특히 보이스피싱 본부를 운용하는 총책 보다는 인출, 수거책이 먼저 검거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수익 알바라는 말에 속아 범죄에 가담하게 되면 결백을 주장한다 하더라도 미필적 고의 여부를 따져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법원은 범죄 가담 정도를 객관적 증거에 기준해 판단하나 사기죄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 처벌을 받게 돼 있다. 피해 금액에 따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까지 적용될 수 있으며 구속, 처벌과는 별개로 자신이 취한 돈의 수십 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피해자들에게 배상해야 할 수도 있다.강 변호사는 “만일 억울하게 공범 혐의를 받고 있는 상황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사기 조직이 본인을 철저히 기망했다는 점을 법리적으로 증명해야 할 것”이라며 “최근 법원은 보이스피싱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만큼 형량도 강화되는 추세다. 누구나 피해자, 피의자가 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은 변호사 조력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보이스피싱 사건을 전담하는 자체 형사전문전담센터를 운영한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의정부,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16개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4&aid=0004674501
파이낸셜뉴스
2021-07-30
성범죄전문변호사, 디지털성범죄 단속 강화..'청소년 온라인 그루밍'도 처벌
성범죄전문변호사, 디지털성범죄 단속 강화..'청소년 온라인 그루밍'도 처벌
최근 인터넷을 통해 일어나는 청소년 대상의 디지털 성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9월 24일부터 정보통신망 상에서 아동·청소년을 성적으로 착취하기 위한 목적의 대화와 성적 행위요구 등 온라인 ‘그루밍’ 행위를 처벌하기로 했다. 이밖에 위장수사를 할 수 있는 특례 조항을 신설하는 등 디지털성범죄 피해 예방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심재국 성범죄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디지털성범죄는 성인뿐만 아니라 10대 청소년들까지 피해 수준이 심각한 상태”라며, “아이들의 정서적 공허함을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는 처벌 수위가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남자아이들을 대상으로 성 착취물을 제작하고 유포한 자가 아동·청소년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검찰에 송치된 사례가 있었다. 피해 아동만 수십 명으로 사안이 심각하고 재범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한 경찰은 신상공개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현행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제작ㆍ수입 또는 수출한 자는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성착취물을 직접 다운로드한 뒤 이를 소지하고 시청한 것만으로도 1년 이상의 징역을 선고할 수 있다. 성범죄자로 분류된다면 신상정보공개고지 명령이 내려질 수 있으며 취업에 제한이 생기는 등 추가적인 제재도 이어진다.심 변호사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착취물을 배포하고 소지하는 행위는 사람들의 성의식을 심각히 왜곡시킨다는 점, 다른 성범죄로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점 등에 따라 처벌을 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영리를 목적으로 판매·대여·배포·제공한 것이 아니었던 점, 대량으로 배포하거나 소지하려고 했다는 의사가 강하지 않았다는 점,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이 없었다는 점, 자백하고 반성하는 점 등이 있다면 사건 수사 초기부터 성범죄전문변호사의 법적조력을 받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자체 성범죄전담센터를 두고 아청법 위반, 강제추행, 강간죄 등 성범죄에 대해 법률 조력을 제공한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사무소를 운영한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4&aid=0004665706
파이낸셜뉴스
2021-07-30
성범죄전문변호사, 디지털성범죄 단속 강화..'청소년 온라인 그루밍'도 처벌
성범죄전문변호사, 디지털성범죄 단속 강화..'청소년 온라인 그루밍'도 처벌
최근 인터넷을 통해 일어나는 청소년 대상의 디지털 성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9월 24일부터 정보통신망 상에서 아동·청소년을 성적으로 착취하기 위한 목적의 대화와 성적 행위요구 등 온라인 ‘그루밍’ 행위를 처벌하기로 했다. 이밖에 위장수사를 할 수 있는 특례 조항을 신설하는 등 디지털성범죄 피해 예방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심재국 성범죄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디지털성범죄는 성인뿐만 아니라 10대 청소년들까지 피해 수준이 심각한 상태”라며, “아이들의 정서적 공허함을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는 처벌 수위가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남자아이들을 대상으로 성 착취물을 제작하고 유포한 자가 아동·청소년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검찰에 송치된 사례가 있었다. 피해 아동만 수십 명으로 사안이 심각하고 재범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한 경찰은 신상공개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현행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제작ㆍ수입 또는 수출한 자는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성착취물을 직접 다운로드한 뒤 이를 소지하고 시청한 것만으로도 1년 이상의 징역을 선고할 수 있다. 성범죄자로 분류된다면 신상정보공개고지 명령이 내려질 수 있으며 취업에 제한이 생기는 등 추가적인 제재도 이어진다.심 변호사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착취물을 배포하고 소지하는 행위는 사람들의 성의식을 심각히 왜곡시킨다는 점, 다른 성범죄로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점 등에 따라 처벌을 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영리를 목적으로 판매·대여·배포·제공한 것이 아니었던 점, 대량으로 배포하거나 소지하려고 했다는 의사가 강하지 않았다는 점,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이 없었다는 점, 자백하고 반성하는 점 등이 있다면 사건 수사 초기부터 성범죄전문변호사의 법적조력을 받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자체 성범죄전담센터를 두고 아청법 위반, 강제추행, 강간죄 등 성범죄에 대해 법률 조력을 제공한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사무소를 운영한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4&aid=0004665706
데일리안
2021-07-30
부동산전문변호사, "깡통전세 사기 급증...반환소송으로 구제받아야"
부동산전문변호사, "깡통전세 사기 급증...반환소송으로 구제받아야"
최근 임대차 계약을 시세보다 높은 금액으로 체결한 뒤 불량 임대사업자에게 명의를 넘기는 이른바 ‘깡통 전세 사기’ 피해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주택도시보증공사(HUG)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올해 5월까지 전세 보증금 반환보증 전국 사고는 총 5천453건으로 사고금액은 약 1조 915억 원이며 사고의 77%는 수도권에서 일어난 것으로 집계됐다.법조계에서는 자구책으로 우선 지급명령신청을 방법으로 든다. 지급명령신청은 채무자의 동의가 없어도 신청이 가능하고 신청 취지와 소명자료에 대해 법원에서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리면 곧바로 지급명령 결정 등본이 송달돼 소송의 간소한 절차로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하지만 사안에 따라서는 전세금 반환소송이 적합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심재국 부동산전문변호사는 “전세금 반환 관련 분쟁이 예상된다면 처음부터 소송을 하는 것이 좋다. 지급명령신청은 상대측 이의신청이 들어오면 소송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라며 “청구 취지의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기각되거나 보정명령 처분을 받게 돼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낭비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일반적으로 전세금 반환소송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차인의 보증금 반환 의무를 입증해야 하고 뒷받침하는 자료를 잘 준비해야만 한다. 내용증명, 임대차 계약서, 묵시적 갱신 의사가 없었음을 증명하는 모든 자료가 해당한다.심 변호사는 “이른바 깡통 전세 문제는 부동산 시장의 오래된 폐해인 만큼 세입자가 이를 잘 알고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며, “근저당권 설정 여부, 선순위 채권 계산,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신고 가능 여부를 살펴보고 계약을 진행해야 하고 무엇보다 민사 소송은 증거를 통한 입증이 승소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세금 반환소송 등을 진행할 경우 법리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자체 부동산전담센터를 통해 관련 사건을 조력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각지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503144
데일리안
2021-07-30
부동산전문변호사, "깡통전세 사기 급증...반환소송으로 구제받아야"
부동산전문변호사, "깡통전세 사기 급증...반환소송으로 구제받아야"
최근 임대차 계약을 시세보다 높은 금액으로 체결한 뒤 불량 임대사업자에게 명의를 넘기는 이른바 ‘깡통 전세 사기’ 피해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주택도시보증공사(HUG)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올해 5월까지 전세 보증금 반환보증 전국 사고는 총 5천453건으로 사고금액은 약 1조 915억 원이며 사고의 77%는 수도권에서 일어난 것으로 집계됐다.법조계에서는 자구책으로 우선 지급명령신청을 방법으로 든다. 지급명령신청은 채무자의 동의가 없어도 신청이 가능하고 신청 취지와 소명자료에 대해 법원에서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리면 곧바로 지급명령 결정 등본이 송달돼 소송의 간소한 절차로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하지만 사안에 따라서는 전세금 반환소송이 적합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심재국 부동산전문변호사는 “전세금 반환 관련 분쟁이 예상된다면 처음부터 소송을 하는 것이 좋다. 지급명령신청은 상대측 이의신청이 들어오면 소송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라며 “청구 취지의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기각되거나 보정명령 처분을 받게 돼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낭비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일반적으로 전세금 반환소송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차인의 보증금 반환 의무를 입증해야 하고 뒷받침하는 자료를 잘 준비해야만 한다. 내용증명, 임대차 계약서, 묵시적 갱신 의사가 없었음을 증명하는 모든 자료가 해당한다.심 변호사는 “이른바 깡통 전세 문제는 부동산 시장의 오래된 폐해인 만큼 세입자가 이를 잘 알고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며, “근저당권 설정 여부, 선순위 채권 계산,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신고 가능 여부를 살펴보고 계약을 진행해야 하고 무엇보다 민사 소송은 증거를 통한 입증이 승소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세금 반환소송 등을 진행할 경우 법리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자체 부동산전담센터를 통해 관련 사건을 조력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각지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503144
데일리안
2021-07-30
도산전문변호사, "암호화폐 개인회생파산소송구조 강화... 초기대응 중요"
도산전문변호사, "암호화폐 개인회생파산소송구조 강화... 초기대응 중요"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세를 보이며 시장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가상화폐 투자(빚투)에 뛰어든 개인투자자들이 위험에 빠지고 있다는 경고 신호가 나오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빚을 내서 암호화폐를 사는 이른바 ‘레버리지 투자’로 결국 파탄에 직면한 개인투자자들은 개인회생제도를 고려해볼 수 있다고 조언한다.심재국 도산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파탄에 직면한 개인채무자가 향후 일정한 수입이 있는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변제하면 나머지 채무를 면제받을 수 있는 개인회생제도를 활용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최근 재판부에서는 투기성 행위로 보이는 암호화폐 투자로 채무를 크게 증대시킨 경우 개인회생절차 남용에 해당한다고 보고 신청기각한 사례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투기성 빚에 대해 재판부가 개인회생 제도의 남용결과인 ‘도덕적 해이’에 해당할 수 있어 채무에 제한이 없는 제도라 하더라도 신청이 성실하지 못하다면 기각될 수 있다는 점을 판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암호화폐 투자는 도박이나 투기와 달라 회생신청이 가능하다는 광고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심 변호사는 “회생 신청이 성실하지 않아 법원이 회생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회생 신청사유가 사행성이 심한 투자로 과도하게 채무가 발생했다면, 우선 법률상담을 이용해 빠른 법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심재국 도산전문변호사는 “투기성 빚이라도 채무의 정도, 투자를 하게 된 경위 등 개인마다 채무상황이 다를 수 있다. 재판부에 충분한 설득을 하면 개인회생 인가결정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라며, “특히 암호화폐, 주식투자 빚으로 개인회생파산을 신청할 경우 법원은 엄격하게 변제계획안을 살펴보기 때문에 신청서류에 대해 꼼꼼하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또한 “채무가 1천만 원 이상, 무담보채무 10억 원, 담보채무 15억 원 이하의 개인채무자로서 일정한 수입이 있는 소득자라면 회생신청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고 채무가 총 25억 원을 초과하거나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다면 파산신청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개인이 무리하게 빚을 진 상황일 경우 유리한 채무조정제도가 다를 수 있고, 회생파산 신청자가 많아진 만큼 법원은 신청서류와 자료를 엄정하게 판단하고 있어 법적 조력을 강조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회생파산에 대한 법률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각지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497878
데일리안
2021-07-30
도산전문변호사, "암호화폐 개인회생파산소송구조 강화... 초기대응 중요"
도산전문변호사, "암호화폐 개인회생파산소송구조 강화... 초기대응 중요"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세를 보이며 시장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가상화폐 투자(빚투)에 뛰어든 개인투자자들이 위험에 빠지고 있다는 경고 신호가 나오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빚을 내서 암호화폐를 사는 이른바 ‘레버리지 투자’로 결국 파탄에 직면한 개인투자자들은 개인회생제도를 고려해볼 수 있다고 조언한다.심재국 도산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파탄에 직면한 개인채무자가 향후 일정한 수입이 있는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변제하면 나머지 채무를 면제받을 수 있는 개인회생제도를 활용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최근 재판부에서는 투기성 행위로 보이는 암호화폐 투자로 채무를 크게 증대시킨 경우 개인회생절차 남용에 해당한다고 보고 신청기각한 사례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투기성 빚에 대해 재판부가 개인회생 제도의 남용결과인 ‘도덕적 해이’에 해당할 수 있어 채무에 제한이 없는 제도라 하더라도 신청이 성실하지 못하다면 기각될 수 있다는 점을 판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암호화폐 투자는 도박이나 투기와 달라 회생신청이 가능하다는 광고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심 변호사는 “회생 신청이 성실하지 않아 법원이 회생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회생 신청사유가 사행성이 심한 투자로 과도하게 채무가 발생했다면, 우선 법률상담을 이용해 빠른 법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심재국 도산전문변호사는 “투기성 빚이라도 채무의 정도, 투자를 하게 된 경위 등 개인마다 채무상황이 다를 수 있다. 재판부에 충분한 설득을 하면 개인회생 인가결정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라며, “특히 암호화폐, 주식투자 빚으로 개인회생파산을 신청할 경우 법원은 엄격하게 변제계획안을 살펴보기 때문에 신청서류에 대해 꼼꼼하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또한 “채무가 1천만 원 이상, 무담보채무 10억 원, 담보채무 15억 원 이하의 개인채무자로서 일정한 수입이 있는 소득자라면 회생신청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고 채무가 총 25억 원을 초과하거나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다면 파산신청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개인이 무리하게 빚을 진 상황일 경우 유리한 채무조정제도가 다를 수 있고, 회생파산 신청자가 많아진 만큼 법원은 신청서류와 자료를 엄정하게 판단하고 있어 법적 조력을 강조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회생파산에 대한 법률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 각지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497878
데일리안
2021-07-30
산재전문변호사, "업무상재해사망, 산재보험 보상과 사과 받아야"
산재전문변호사, "업무상재해사망, 산재보험 보상과 사과 받아야"
최근 화물 컨테이너 적재 작업에 투입된 근로자가 컨테이너에 깔려 안타깝게 숨진 사건이 있었다. 보도에 따르면 사측의 안전교육 및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된 안전관리자 등도 현장에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법조계에서는 안전관리 미흡에 의한 산재사고로 보고 있다.산업안전보건법(제38조)에 따르면 ‘중량물 등을 취급하거나 그 밖의 작업을 할 때 위험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되면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는 지방고용노동관서장에게 신고를 하게 되어 있다. 만일 사업주가 산재를 은폐하려 한다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또는 업무상 과실치사상죄와 같은 형사처벌까지 가능해진다. 또 이를 피하기 위해 근로자에게 합의서를 강요하거나 산재 신청 포기를 종용한다면 이 역시 불법적인 행위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정찬우 산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근로자의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상해, 장해 또는 사망이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려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업무상 사고 인정기준 또는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에 해당되어야 한다”라며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데 이에 대한 입증책임은 근로자가 지고 있어 현실적으로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사업장 내 시설물이 붕괴되고 재해가 발생한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에 대한 안전 배려 의무 위반 등을 이유로 재해보상 의무와 민법상 손해배상 의무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민사상 손해배상액이 산재 보상금액을 초과하게 된다면 손해배상책임 중 일부만 산재보험급여로 대체된다. 나머지 손해에 대해서는 근로자가 사업자에게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해야 한다.정 변호사는 “근로자 손해에 대한 위자료는 산업재해보험금으로 대체될 수 없기 때문에 사업주로부터 직접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청구를 하는 것이 좋다. 일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손해, 향후 치료비나 간병비, 사망보험금 등 총 손해 중 산재보험 급여로 보상되지 않는 부분을 산재전문변호사 등 법률전문가와 함께 꼼꼼히 따져보고 사업주에게 배상을 청구해야 추가 보상까지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이어 그는 “산업재해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증거를 수집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히는 게 중요하다”라며, “현재 산업재해와 손해배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음에도 근로자라면 당연히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분들도 있다. 법률 조력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밝히는 노력이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92826
데일리안
2021-07-30
산재전문변호사, "업무상재해사망, 산재보험 보상과 사과 받아야"
산재전문변호사, "업무상재해사망, 산재보험 보상과 사과 받아야"
최근 화물 컨테이너 적재 작업에 투입된 근로자가 컨테이너에 깔려 안타깝게 숨진 사건이 있었다. 보도에 따르면 사측의 안전교육 및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된 안전관리자 등도 현장에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법조계에서는 안전관리 미흡에 의한 산재사고로 보고 있다.산업안전보건법(제38조)에 따르면 ‘중량물 등을 취급하거나 그 밖의 작업을 할 때 위험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법조계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되면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는 지방고용노동관서장에게 신고를 하게 되어 있다. 만일 사업주가 산재를 은폐하려 한다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또는 업무상 과실치사상죄와 같은 형사처벌까지 가능해진다. 또 이를 피하기 위해 근로자에게 합의서를 강요하거나 산재 신청 포기를 종용한다면 이 역시 불법적인 행위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정찬우 산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근로자의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상해, 장해 또는 사망이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려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업무상 사고 인정기준 또는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에 해당되어야 한다”라며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데 이에 대한 입증책임은 근로자가 지고 있어 현실적으로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사업장 내 시설물이 붕괴되고 재해가 발생한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에 대한 안전 배려 의무 위반 등을 이유로 재해보상 의무와 민법상 손해배상 의무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민사상 손해배상액이 산재 보상금액을 초과하게 된다면 손해배상책임 중 일부만 산재보험급여로 대체된다. 나머지 손해에 대해서는 근로자가 사업자에게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해야 한다.정 변호사는 “근로자 손해에 대한 위자료는 산업재해보험금으로 대체될 수 없기 때문에 사업주로부터 직접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청구를 하는 것이 좋다. 일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손해, 향후 치료비나 간병비, 사망보험금 등 총 손해 중 산재보험 급여로 보상되지 않는 부분을 산재전문변호사 등 법률전문가와 함께 꼼꼼히 따져보고 사업주에게 배상을 청구해야 추가 보상까지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이어 그는 “산업재해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증거를 수집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히는 게 중요하다”라며, “현재 산업재해와 손해배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음에도 근로자라면 당연히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분들도 있다. 법률 조력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밝히는 노력이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92826
헤럴드경제
2021-07-30
“스토킹 처벌법, 피해자 권익보호 위한 ‘특별법’ 제정돼야”
“스토킹 처벌법, 피해자 권익보호 위한 ‘특별법’ 제정돼야”
정부는 지난달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스토킹 처벌법) 공포안 등을 심의·의결했다. 지난 15대 국회에서 처음 법안이 발의된 이래 22년 만이다. 그동안 스토킹은 가벼운 경범죄로만 처벌돼 더 큰 범죄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아 관련 법령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있어왔다.법조계에서는 이번 의결에 대해 스토킹 범죄는 단순한 여성의 문제가 아닌 누구나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인식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9월부터 시행되는 스토킹 범죄 행위는 5가지로 명시됐으며 높아진 범행 수위와 관련하여 경찰에서는 관련 매뉴얼을 마련해 적극적인 법 집행이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앞으로 지속적·반복적으로 스토킹을 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만약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이용하면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가중된다.특히 접근하거나 따라다니면서 진로를 방해하는 것, 주거·직장·학교 등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우편·전화·팩스의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물건과 글·말·부호·음향·그림·영상·화상을 도달하게 하는 행위, 직접 혹은 제3자를 통해 물건을 보내는 행위, 주거지에 놓인 물건을 훼손하는 행위 등을 모두 불안감과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행위로 규정했다.또한 신고를 받은 경찰은 즉시 현장에 나가야 하며 필요시 범죄중단 서면경고, 100m 이내 접근금지,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금지, 유치장 및 구치소 유치 등 긴급조치를 한 뒤 지방법원 판사의 사후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피해 정도가 심할 경우 긴급응급조치와 상담소 등으로 피해자를 인도하여 보호하는 방안도 마련됐다.한편 이번 스토킹 처벌법으로 적극적인 형사처벌은 가능해졌지만 우려하는 의견도 있다. 지난해 7월, 국회 젠더폭력살인근절법 토론회 기조발제에서 심재국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전문변호사는 “스토킹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이거나 반복됨을 입증해야 하고, 공포와 불안을 유발했다는 것을 밝히기 어렵다. 성범죄와 달리 반의사불벌죄로 규정되었기 때문에 가해자가 피해자와 무리한 합의를 시도할 수도 있는 게 문제”라고 했다.이에 대해 최근 심변호사는 “지난해 식당업주가 자주 오던 단골손님에게 살해당한 사건이 있었다. 당시 가해자는 오랜 기간 피해자를 스토킹 해왔지만 영업방해로 훈방 조치된 뒤 피해자를 살인해 20년을 선고 받았다”라며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에서 50km를 쫓아왔지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돌려보낸 경우 등 스토킹 범죄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피해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821512
헤럴드경제
2021-07-30
“스토킹 처벌법, 피해자 권익보호 위한 ‘특별법’ 제정돼야”
“스토킹 처벌법, 피해자 권익보호 위한 ‘특별법’ 제정돼야”
정부는 지난달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스토킹 처벌법) 공포안 등을 심의·의결했다. 지난 15대 국회에서 처음 법안이 발의된 이래 22년 만이다. 그동안 스토킹은 가벼운 경범죄로만 처벌돼 더 큰 범죄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아 관련 법령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있어왔다.법조계에서는 이번 의결에 대해 스토킹 범죄는 단순한 여성의 문제가 아닌 누구나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인식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9월부터 시행되는 스토킹 범죄 행위는 5가지로 명시됐으며 높아진 범행 수위와 관련하여 경찰에서는 관련 매뉴얼을 마련해 적극적인 법 집행이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앞으로 지속적·반복적으로 스토킹을 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만약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이용하면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가중된다.특히 접근하거나 따라다니면서 진로를 방해하는 것, 주거·직장·학교 등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우편·전화·팩스의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물건과 글·말·부호·음향·그림·영상·화상을 도달하게 하는 행위, 직접 혹은 제3자를 통해 물건을 보내는 행위, 주거지에 놓인 물건을 훼손하는 행위 등을 모두 불안감과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행위로 규정했다.또한 신고를 받은 경찰은 즉시 현장에 나가야 하며 필요시 범죄중단 서면경고, 100m 이내 접근금지,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금지, 유치장 및 구치소 유치 등 긴급조치를 한 뒤 지방법원 판사의 사후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피해 정도가 심할 경우 긴급응급조치와 상담소 등으로 피해자를 인도하여 보호하는 방안도 마련됐다.한편 이번 스토킹 처벌법으로 적극적인 형사처벌은 가능해졌지만 우려하는 의견도 있다. 지난해 7월, 국회 젠더폭력살인근절법 토론회 기조발제에서 심재국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전문변호사는 “스토킹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이거나 반복됨을 입증해야 하고, 공포와 불안을 유발했다는 것을 밝히기 어렵다. 성범죄와 달리 반의사불벌죄로 규정되었기 때문에 가해자가 피해자와 무리한 합의를 시도할 수도 있는 게 문제”라고 했다.이에 대해 최근 심변호사는 “지난해 식당업주가 자주 오던 단골손님에게 살해당한 사건이 있었다. 당시 가해자는 오랜 기간 피해자를 스토킹 해왔지만 영업방해로 훈방 조치된 뒤 피해자를 살인해 20년을 선고 받았다”라며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에서 50km를 쫓아왔지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돌려보낸 경우 등 스토킹 범죄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피해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821512
아시아경제
2021-07-30
흉기 휘두르는 연인... '데이트 폭력'처벌도 예방도 역부족
흉기 휘두르는 연인... '데이트 폭력'처벌도 예방도 역부족
데이트 폭력, '친밀한 사이'에서 일어나가해자 보복 두려워 합의하는 경우도데이트 폭력의 특수성 다룰 수 있는 법 제·개정 필요[아시아경제 이주미 기자] # 2018년 서울 관악구에서 30대 남성이 함께 살던 연인을 살해했다. 이 남성은 이미 연인 A씨에 지속적으로 폭행을 가해 모두 4차례 경찰 조사를 받은 바 있다. 또 살해 한 달 전에도 A씨를 폭행하고 집에 불을 지르려 한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했다. 경찰은 남성에게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법원은 피해자인 A씨가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영장을 기각했다. 남성은 풀려났고 한 달 뒤 결국 A씨를 흉기로 찔렀다.일반적인 폭력 사건과 달리 데이트 폭력은 연인 사이 등 친밀한 관계에서 일어난다. 피해자가 폭행을 당하면서도 '가스라이팅'을 당해 합의는 물론 선처를 바라는 경우도 있다. 가스라이팅이란 지속적인 심리적 지배를 통해 상대방이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없게 만드는 가해 행위로 심리학 용어다. 이 경우 가해자는 지속적인 폭행을 할 수 있고 결국 끔찍한 살인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또한, 친밀한 사이다 보니 가해자는 피해자의 집 주소 등 개인정보를 많이 알고 있어 피해자 처지에서는 보복이 두려워 선뜻 경찰에 신고할 수 없다. 이렇다 보니 데이트 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처벌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법 개정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현행법(형법)이 다루지 못하는 데이트 폭력의 특수성 중 하나는 '가해자와 피해자간의 친밀성'이다. 앞선 사례와 같이 데이트 폭력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폭행죄가 적용된다. 폭행죄는 '반의사불벌죄'로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으면 처벌을 할 수 없다. 피해자 입장에서는 연인 관계 또는 친밀한 사이인 상황이라 강력한 처벌을 촉구하기가 쉽지 않고, 풀려난 가해자는 결국 더 끔찍한 폭행이나 살인까지 저지를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또 다른 문제는 일반 폭행과 달리 데이트 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사이가 가까워 서로의 집, 직장 등을 알고 있을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피해자는 가해자의 보복이 두려운 마음에 합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결국, 가해자와 피해자의 합의로 제대로 처벌을 못 하게 되는 것이다.제주KBS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제주지역 데이트 폭력 사건 판결문을 분석한 결과 31건 중 피해자의 절반 가량이 가해자와 합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제주여성상담소 소장은 이를 두고 "(가해자가) 피해자의 모든 신상을 다 알고 있어 제 2차(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이렇다 보니 데이트 폭력은 같은 피해자를 상대로 반복되기 쉽고 폭행이 누적돼 살인 같은 더 큰 비극을 초래하기도 한다. 2018년 도입된 '데이트폭력 삼진아웃제'는 이 같은 데이트 폭력의 특성을 고려한 처벌 강화책이다.삼진아웃제는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같은 피해자를 대상으로 데이트 폭력을 3차례 이상 저지른 경우, 정식 기소를 원칙으로 사건을 처리하는 제도다.하지만 데이트 폭행을 현행법 안에서 계속 다루는 한 삼진아웃제 역시 처벌에 한계가 있다는 우려가 있다. 도입 당시 경찰대 교수 출신인 표창원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삼진아웃제는 미봉책일 수밖에 없다"며 "단순 형법에 폭행죄를 적용할 수밖에 없다 보니까 유사범죄에 대한 형평성 때문에 첫 번째 범죄부터 구속하거나 징역형 등을 부과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데이트 폭행에 관한 법이 따로 없다 보니 처벌은 물론 예방도 쉽지 않다. 예컨대 데이트 폭력처럼 친밀한 사이인 부부 관계에서 폭력이 일어났을 경우 가정폭력 특별법에 따라 가해자에게 접근금지 명령을 내려 긴급 임시 조처를 할 수 있다. 이때 경찰 선에서 가정폭력이 재발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접근금지 조치 명령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하지만 가정폭력 특별법은 혼인 관계만 규정해 데이트 폭력은 해당하지 않는다. 데이트 폭력 피해자 역시 접근금지 가처분 신청을 할 수 있다. 대신 법원의 판단이 필요한 탓에 최소 2개월이 소요돼 예방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지난해 7월 열린 '젠더 폭력 살인 근절법' 토론회에서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데이트 폭력이 갖는 특수성을 기존 형법과 성폭력특별법 등으로는 수용할 수 없다"면서 "접근금지가처분 신청에만 최소 2개월에 걸리고 있어 독자 법안 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이렇게 법 사각지대가 있다 보니 이미 피해를 입은 피해자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 2020년 7월 성관계를 강요하고 폭행을 일삼는 남자친구를 고소하고 이별을 통보한 여성 B 씨는 보복범죄를 당했다. 당시 가해 남성은 경찰에 연행됐지만 몇 시간 뒤 바로 풀려났고 며칠 뒤 전기충격기와 흉기를 들고 B 씨를 찾아가 흉기를 휘둘렀다.당시 피해 여성은 경찰에게 신변 보호용 스마트 워치를 받았지만 도움이 전혀 안됐다고 울분을 터트린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자를 가해자에게서 보호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제도가 마련돼야 하는 이유다.전문가 역시 데이트 폭력의 특성을 고려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정혜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여성정책연구팀장은 "현재 가정폭력 특별법은 가족이라는 범위를 굉장히 협소하게 규정한다"며 "범위를 교제 관계 등 연인까지 확대해 처벌 뿐 아니라 피해자 지원까지 적극적으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더불어 "데이트 폭력 사건은 많이 일어나고 있지만, 아직 데이트 폭력에 대한 사회적 정책이나 인식은 부족하다"며 "데이트 폭력이 살인이라는 더욱 심각한 범죄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정책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주미 기자 zoom_0114@asiae.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871823
아시아경제
2021-07-30
흉기 휘두르는 연인... '데이트 폭력'처벌도 예방도 역부족
흉기 휘두르는 연인... '데이트 폭력'처벌도 예방도 역부족
데이트 폭력, '친밀한 사이'에서 일어나가해자 보복 두려워 합의하는 경우도데이트 폭력의 특수성 다룰 수 있는 법 제·개정 필요[아시아경제 이주미 기자] # 2018년 서울 관악구에서 30대 남성이 함께 살던 연인을 살해했다. 이 남성은 이미 연인 A씨에 지속적으로 폭행을 가해 모두 4차례 경찰 조사를 받은 바 있다. 또 살해 한 달 전에도 A씨를 폭행하고 집에 불을 지르려 한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했다. 경찰은 남성에게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법원은 피해자인 A씨가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영장을 기각했다. 남성은 풀려났고 한 달 뒤 결국 A씨를 흉기로 찔렀다.일반적인 폭력 사건과 달리 데이트 폭력은 연인 사이 등 친밀한 관계에서 일어난다. 피해자가 폭행을 당하면서도 '가스라이팅'을 당해 합의는 물론 선처를 바라는 경우도 있다. 가스라이팅이란 지속적인 심리적 지배를 통해 상대방이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없게 만드는 가해 행위로 심리학 용어다. 이 경우 가해자는 지속적인 폭행을 할 수 있고 결국 끔찍한 살인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또한, 친밀한 사이다 보니 가해자는 피해자의 집 주소 등 개인정보를 많이 알고 있어 피해자 처지에서는 보복이 두려워 선뜻 경찰에 신고할 수 없다. 이렇다 보니 데이트 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처벌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법 개정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현행법(형법)이 다루지 못하는 데이트 폭력의 특수성 중 하나는 '가해자와 피해자간의 친밀성'이다. 앞선 사례와 같이 데이트 폭력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폭행죄가 적용된다. 폭행죄는 '반의사불벌죄'로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으면 처벌을 할 수 없다. 피해자 입장에서는 연인 관계 또는 친밀한 사이인 상황이라 강력한 처벌을 촉구하기가 쉽지 않고, 풀려난 가해자는 결국 더 끔찍한 폭행이나 살인까지 저지를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또 다른 문제는 일반 폭행과 달리 데이트 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사이가 가까워 서로의 집, 직장 등을 알고 있을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피해자는 가해자의 보복이 두려운 마음에 합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결국, 가해자와 피해자의 합의로 제대로 처벌을 못 하게 되는 것이다.제주KBS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제주지역 데이트 폭력 사건 판결문을 분석한 결과 31건 중 피해자의 절반 가량이 가해자와 합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제주여성상담소 소장은 이를 두고 "(가해자가) 피해자의 모든 신상을 다 알고 있어 제 2차(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이렇다 보니 데이트 폭력은 같은 피해자를 상대로 반복되기 쉽고 폭행이 누적돼 살인 같은 더 큰 비극을 초래하기도 한다. 2018년 도입된 '데이트폭력 삼진아웃제'는 이 같은 데이트 폭력의 특성을 고려한 처벌 강화책이다.삼진아웃제는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같은 피해자를 대상으로 데이트 폭력을 3차례 이상 저지른 경우, 정식 기소를 원칙으로 사건을 처리하는 제도다.하지만 데이트 폭행을 현행법 안에서 계속 다루는 한 삼진아웃제 역시 처벌에 한계가 있다는 우려가 있다. 도입 당시 경찰대 교수 출신인 표창원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삼진아웃제는 미봉책일 수밖에 없다"며 "단순 형법에 폭행죄를 적용할 수밖에 없다 보니까 유사범죄에 대한 형평성 때문에 첫 번째 범죄부터 구속하거나 징역형 등을 부과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데이트 폭행에 관한 법이 따로 없다 보니 처벌은 물론 예방도 쉽지 않다. 예컨대 데이트 폭력처럼 친밀한 사이인 부부 관계에서 폭력이 일어났을 경우 가정폭력 특별법에 따라 가해자에게 접근금지 명령을 내려 긴급 임시 조처를 할 수 있다. 이때 경찰 선에서 가정폭력이 재발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접근금지 조치 명령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하지만 가정폭력 특별법은 혼인 관계만 규정해 데이트 폭력은 해당하지 않는다. 데이트 폭력 피해자 역시 접근금지 가처분 신청을 할 수 있다. 대신 법원의 판단이 필요한 탓에 최소 2개월이 소요돼 예방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지난해 7월 열린 '젠더 폭력 살인 근절법' 토론회에서 심재국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는 "데이트 폭력이 갖는 특수성을 기존 형법과 성폭력특별법 등으로는 수용할 수 없다"면서 "접근금지가처분 신청에만 최소 2개월에 걸리고 있어 독자 법안 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이렇게 법 사각지대가 있다 보니 이미 피해를 입은 피해자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 2020년 7월 성관계를 강요하고 폭행을 일삼는 남자친구를 고소하고 이별을 통보한 여성 B 씨는 보복범죄를 당했다. 당시 가해 남성은 경찰에 연행됐지만 몇 시간 뒤 바로 풀려났고 며칠 뒤 전기충격기와 흉기를 들고 B 씨를 찾아가 흉기를 휘둘렀다.당시 피해 여성은 경찰에게 신변 보호용 스마트 워치를 받았지만 도움이 전혀 안됐다고 울분을 터트린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자를 가해자에게서 보호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제도가 마련돼야 하는 이유다.전문가 역시 데이트 폭력의 특성을 고려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정혜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여성정책연구팀장은 "현재 가정폭력 특별법은 가족이라는 범위를 굉장히 협소하게 규정한다"며 "범위를 교제 관계 등 연인까지 확대해 처벌 뿐 아니라 피해자 지원까지 적극적으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더불어 "데이트 폭력 사건은 많이 일어나고 있지만, 아직 데이트 폭력에 대한 사회적 정책이나 인식은 부족하다"며 "데이트 폭력이 살인이라는 더욱 심각한 범죄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정책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주미 기자 zoom_0114@asiae.co.kr 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871823
데일리안
2021-07-30
피의자 의사에 반한 기습추행도 '강제추행죄' 성립
피의자 의사에 반한 기습추행도 '강제추행죄' 성립
공개된 장소일지라도 여성의 머리를 감싸 당기는 행위는 강제추행죄가 성립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앞서 유죄를 인정한 1심과 달리 2심 재판부는 무죄를 선고한 데 이어 대법원에서는 유죄 판결을 내렸다.회사 대표 A씨는 회식 장소에서 여성 부하 직원의 머리를 잡아 가슴으로 당기는 등의 행위로 강제추행 혐의를 받아 재판에 넘겨졌다. 당시 여직원 및 회식에 참여했던 동석자들의 진술을 근거로 1심에서 유죄가 인정됐으나 2심에서는 공개된 장소에서 회식이 이루어진 점과 성적인 언동은 없었으며 사회통념상 머리, 어깨는 성과 관련된 특정 신체 부위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무죄가 나왔다.항소심 판단은 대법원에서 다시 뒤집혔다. 재판부는 폭행과 추행이 동시에 이뤄지는 기습추행은 동석자가 있는 공개된 장소에서 이뤄졌다고 해도 정상참작 요소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A씨의 팔이 여직원 목에, A씨의 가슴이 당시 여직원 머리에 닿은 것 역시 일반인에게 성적 수치심을 일으킬 수 있는 행위라고 봤다. 결과적으로 대법원은 당시 여직원은 성적 수치심을 느낀 것으로 봐야 한다며 추행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법조계에 따르면, ‘기습추행’도 강제추행죄에 해당한다고 보는 등 강제추행죄 성립 범위를 확대해서 해석하고 있는 추세라고 짚었다. 혐의가 인정된다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게 되며, 명확한 폭행이나 협박이 없었더라도 강제추행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강제추행 사건에 대해서는 해당 여부를 폭넓게 판단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신체 접촉을 한 경우에도 혐의가 인정돼 처벌 위기에 놓이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자신의 사건은 강제추행죄가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단하지 말고 성추행 사건에 연루됐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성범죄 혐의를 받았을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결백하다고 주장하면서도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잘못된 초기 대응으로 유죄 판결을 받게 되는 것”이라며 혐의가 억울하다면 반드시 형사전문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구해 사태를 조속히 해결할 것을 덧붙였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69881
데일리안
2021-07-30
피의자 의사에 반한 기습추행도 '강제추행죄' 성립
피의자 의사에 반한 기습추행도 '강제추행죄' 성립
공개된 장소일지라도 여성의 머리를 감싸 당기는 행위는 강제추행죄가 성립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앞서 유죄를 인정한 1심과 달리 2심 재판부는 무죄를 선고한 데 이어 대법원에서는 유죄 판결을 내렸다.회사 대표 A씨는 회식 장소에서 여성 부하 직원의 머리를 잡아 가슴으로 당기는 등의 행위로 강제추행 혐의를 받아 재판에 넘겨졌다. 당시 여직원 및 회식에 참여했던 동석자들의 진술을 근거로 1심에서 유죄가 인정됐으나 2심에서는 공개된 장소에서 회식이 이루어진 점과 성적인 언동은 없었으며 사회통념상 머리, 어깨는 성과 관련된 특정 신체 부위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무죄가 나왔다.항소심 판단은 대법원에서 다시 뒤집혔다. 재판부는 폭행과 추행이 동시에 이뤄지는 기습추행은 동석자가 있는 공개된 장소에서 이뤄졌다고 해도 정상참작 요소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A씨의 팔이 여직원 목에, A씨의 가슴이 당시 여직원 머리에 닿은 것 역시 일반인에게 성적 수치심을 일으킬 수 있는 행위라고 봤다. 결과적으로 대법원은 당시 여직원은 성적 수치심을 느낀 것으로 봐야 한다며 추행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법조계에 따르면, ‘기습추행’도 강제추행죄에 해당한다고 보는 등 강제추행죄 성립 범위를 확대해서 해석하고 있는 추세라고 짚었다. 혐의가 인정된다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게 되며, 명확한 폭행이나 협박이 없었더라도 강제추행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강제추행 사건에 대해서는 해당 여부를 폭넓게 판단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신체 접촉을 한 경우에도 혐의가 인정돼 처벌 위기에 놓이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자신의 사건은 강제추행죄가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단하지 말고 성추행 사건에 연루됐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성범죄 혐의를 받았을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결백하다고 주장하면서도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잘못된 초기 대응으로 유죄 판결을 받게 되는 것”이라며 혐의가 억울하다면 반드시 형사전문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구해 사태를 조속히 해결할 것을 덧붙였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69881
아이뉴스24
2021-07-30
기업회생, 무료법률상담 활용해 회생... 파산 적기에 실행해야
기업회생, 법률상담 활용해 회생... 파산 적기에 실행해야
코로나19 장기화와 경기 불황으로 기업파산을 신청한 기업의 수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법원 통계월보에 따르면 2019년 931건이었던 법인 파산 신청 건수는 2020년 1,069건으로 증가해 10% 이상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이는 통계월보에 법인 파산 신청을 별도 항목으로 기재하기 시작한 2013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많은 기업이 길어지는 불황을 버티지 못하고 기업의 존속이 어렵다고 판단, 법인 파산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인해 회사를 일시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업회생절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기업, 법인 파산 대신 기업을 살릴 방안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업회생, 기업회생 제도는 무엇이며 어떤 경우에 신청할 수 있을까.법인, 기업회생은 법원의 중재와 채권자의 동의를 전제로 기업의 채무부담을 감소시켜주는 제도이다.일시적인 자금 흐름의 경색으로 부도에 직면한 업체라면 현재의 자산을 처분해 채권자들에게 변제하는 것보다는, 사업을 운영을 지속해 그 수입으로 채권자들에게 변제하는 것이 업체나 채권자들에게도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즉, 기업회생신청을 하여 보전처분을 받는다면 채권자들에 대한 채무의 변제가 일시에 중단되고 수령할 금원들은 전부 수령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지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파산할 경우 청산하는 청산가치보다 영업활동을 계속해 존속할 경우의 존속가치가 더 높은 경우 절차 진행이 가능한 것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 변호사는 “신청 절차는 까다롭고 복잡하며 기업과 채무자, 직원 등 이해관계인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탄탄한 회생 계획안이 수반되어야 하기에 예상되는 변수나 리스크에 대한 대처 방안을 사전에 마련해가면서 손실이나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또한, 신청은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이미 경영상황이 극도로 악화, 매출 발생 및 회복의 가능성이 없는 경우라면 기업 회생절차를 진행하더라도 기각이나 폐지 결정을 면할 수 없다. 따라서 회사의 경영상황이 과도하게 악화하기 전, 적기를 놓치지 않고 신청하는 것도 중요하다.하지만 기업의 파산, 기업회생절차를 고려할 정도로 지속적인 운영이 힘겨운 상황이라면 변호사의 상담료나 수임료가 부담스럽게 다가와 선뜻 상담을 받기가 어려울 수 있다.그런 이유로 법인 파산, 회생을 앞둔 사업주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일부 법무법인에서도 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니 법률상담이 가능한 곳을 찾아 기업회생신청의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빠른 법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정찬우 변호사는 또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터넷 등의 부정확한 정보를 통해 회생, 파산 절차를 진행하기보다는 법률상담을 적극 이용해 방안을 세우는 것이 유익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위치하며 기업소송 및 법인회생·파산에 대한 법률상담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31/0000583412
아이뉴스24
2021-07-30
기업회생, 무료법률상담 활용해 회생... 파산 적기에 실행해야
기업회생, 법률상담 활용해 회생... 파산 적기에 실행해야
코로나19 장기화와 경기 불황으로 기업파산을 신청한 기업의 수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법원 통계월보에 따르면 2019년 931건이었던 법인 파산 신청 건수는 2020년 1,069건으로 증가해 10% 이상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이는 통계월보에 법인 파산 신청을 별도 항목으로 기재하기 시작한 2013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많은 기업이 길어지는 불황을 버티지 못하고 기업의 존속이 어렵다고 판단, 법인 파산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인해 회사를 일시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업회생절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기업, 법인 파산 대신 기업을 살릴 방안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업회생, 기업회생 제도는 무엇이며 어떤 경우에 신청할 수 있을까.법인, 기업회생은 법원의 중재와 채권자의 동의를 전제로 기업의 채무부담을 감소시켜주는 제도이다.일시적인 자금 흐름의 경색으로 부도에 직면한 업체라면 현재의 자산을 처분해 채권자들에게 변제하는 것보다는, 사업을 운영을 지속해 그 수입으로 채권자들에게 변제하는 것이 업체나 채권자들에게도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즉, 기업회생신청을 하여 보전처분을 받는다면 채권자들에 대한 채무의 변제가 일시에 중단되고 수령할 금원들은 전부 수령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지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파산할 경우 청산하는 청산가치보다 영업활동을 계속해 존속할 경우의 존속가치가 더 높은 경우 절차 진행이 가능한 것이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 변호사는 “신청 절차는 까다롭고 복잡하며 기업과 채무자, 직원 등 이해관계인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탄탄한 회생 계획안이 수반되어야 하기에 예상되는 변수나 리스크에 대한 대처 방안을 사전에 마련해가면서 손실이나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또한, 신청은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이미 경영상황이 극도로 악화, 매출 발생 및 회복의 가능성이 없는 경우라면 기업 회생절차를 진행하더라도 기각이나 폐지 결정을 면할 수 없다. 따라서 회사의 경영상황이 과도하게 악화하기 전, 적기를 놓치지 않고 신청하는 것도 중요하다.하지만 기업의 파산, 기업회생절차를 고려할 정도로 지속적인 운영이 힘겨운 상황이라면 변호사의 상담료나 수임료가 부담스럽게 다가와 선뜻 상담을 받기가 어려울 수 있다.그런 이유로 법인 파산, 회생을 앞둔 사업주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일부 법무법인에서도 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니 법률상담이 가능한 곳을 찾아 기업회생신청의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빠른 법적 조력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정찬우 변호사는 또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터넷 등의 부정확한 정보를 통해 회생, 파산 절차를 진행하기보다는 법률상담을 적극 이용해 방안을 세우는 것이 유익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위치하며 기업소송 및 법인회생·파산에 대한 법률상담을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31/0000583412
헤럴드경제
2021-07-30
학교폭력 변호사 찾는 이유는.. '줄어든 학교폭력, 늘어난 사이버 폭력'
학교폭력 변호사 찾는 이유는.. '줄어든 학교폭력, 늘어난 사이버 폭력'
최근 만난 한 변호사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 학생들의 등교일수가 예년 대비 확연히 줄었음에도 학교폭력 변호사를 찾은 사건의 수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인터넷과 SNS의 보급으로 학생들이 학교에서 얼굴을 맞대지 않더라도 학교폭력이 일어날 수 있으며, 온라인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폭력은 그 폭력의 수위나 집요함이 오히려 더 높아 경험 많은 학교폭력 변호사를 찾아야 할 정도의 사건도 빈번하다는 것이다.서울 모 초등학교 5학년 A양의 부모님은 최근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가 열릴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걱정이 많아졌다.A양을 추궁해 메시지 등을 확인한 결과, 본인은 적극적으로 가담하지 않았으나 평소 어울리던 B를 비롯한 친구들이 지난해 부산에서 전학 온 C에 사이버 폭력을 가한 것이 발각되어 학폭위가 열리는 것이기 때문이다.A와 B의 친구들이 벌인 행동은 단체 대화방에 초대해 욕설을 퍼붓고, 대화방을 나가면 다시 초대해 더욱 심한 욕설을 가했으며, 사진을 무단으로 SNS에 올리며 외모를 비하하는 등의 괴롭힘이었다.이어지는 괴롭힘에 결국 모든 SNS 계정을 삭제하고 “수시로 울리는 휴대전화 알람이 무섭다”며 학교폭력 신고를 한 C양.A양의 부모는 “C양이 큰 상처를 입을 동안 괴롭히는 친구들을 말리지 않은 것은 잘못이 분명하나, 혹여 아이의 장래에 문제가 생길지 걱정이 크기도 하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토로했다.교육부가 지난 21일에 발표한 ‘2020년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학교가 문을 닫은 사이 학교폭력은 전반적으로 줄었으나 장소와 양상을 달리하는 새로운 형태의 폭력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줄면서 대면 상태에서 이뤄지는 물리적인 학교폭력은 감소했으나 학생들이 사이버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사이버 폭력과 집단따돌림 비중이 증가한 것이다.사이버 폭력은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에게 가해지는 괴롭힘이다. 그 종류에는 SNS, 채팅방 등 사이버 공간에서 특정인에게 모욕적인 언어나 욕설 등을 행하는 사이버 모욕이 있고 허위의 내용을 온라인에 게시하거나 유포하는 사이버 명예훼손, 인터넷상에서 음란한 대화를 강요하거나 성적 수치심을 일으켜 상대방에게 정신적 피해를 주는 사이버 성희롱, 스토킹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보 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생겼고 사이버 폭력 처벌이 가능해졌다.신체적인 폭력이 없다고 가볍게 볼 수도 있으나 학교폭력 사건의 경중을 따짐에 있어서 물리력의 행사는 큰 요인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부분도 중요하다.교육부에서 규정한 학교폭력 사안 점수 기준 5개 항목 중 4개 항목은 신체적인 폭력 행사와 무관한 항목이며, 심각성 항목 또한 사이버 폭력의 정도에 따라 책정 가능한 부분으로 사이버 폭력만으로는 가벼운 조치로 끝내던 과거와는 달리 제8, 9호에 해당하는 전·퇴학 조치도 이뤄지고 있다.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마주하고 할 수 없는 말이라면 사이버 공간에서도 하지 않아야 한다”며 “학교폭력 사건은 당사자와 관계가 모두 각자가 생각하는 방향대로 흘러가지 않는 게 대부분”, “만일 그러한 의도가 아니었음에도 사이버폭력 신고를 받게 되었다고 한다면 이는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우며 부당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게 미리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이어 “학교폭력은 어느 상황에서도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피해 학생은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하여 가해 사실에 대한 인정과 반성 등 현명한 대처가 필수적이다”며 “부당하거나 솜방망이 처벌이 이뤄지지 않도록 균형 있게 조절하는 것이 우리 변호사의 역할이다”라고 설명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1791338
헤럴드경제
2021-07-30
학교폭력 변호사 찾는 이유는.. '줄어든 학교폭력, 늘어난 사이버 폭력'
학교폭력 변호사 찾는 이유는.. '줄어든 학교폭력, 늘어난 사이버 폭력'
최근 만난 한 변호사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 학생들의 등교일수가 예년 대비 확연히 줄었음에도 학교폭력 변호사를 찾은 사건의 수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인터넷과 SNS의 보급으로 학생들이 학교에서 얼굴을 맞대지 않더라도 학교폭력이 일어날 수 있으며, 온라인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폭력은 그 폭력의 수위나 집요함이 오히려 더 높아 경험 많은 학교폭력 변호사를 찾아야 할 정도의 사건도 빈번하다는 것이다.서울 모 초등학교 5학년 A양의 부모님은 최근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가 열릴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걱정이 많아졌다.A양을 추궁해 메시지 등을 확인한 결과, 본인은 적극적으로 가담하지 않았으나 평소 어울리던 B를 비롯한 친구들이 지난해 부산에서 전학 온 C에 사이버 폭력을 가한 것이 발각되어 학폭위가 열리는 것이기 때문이다.A와 B의 친구들이 벌인 행동은 단체 대화방에 초대해 욕설을 퍼붓고, 대화방을 나가면 다시 초대해 더욱 심한 욕설을 가했으며, 사진을 무단으로 SNS에 올리며 외모를 비하하는 등의 괴롭힘이었다.이어지는 괴롭힘에 결국 모든 SNS 계정을 삭제하고 “수시로 울리는 휴대전화 알람이 무섭다”며 학교폭력 신고를 한 C양.A양의 부모는 “C양이 큰 상처를 입을 동안 괴롭히는 친구들을 말리지 않은 것은 잘못이 분명하나, 혹여 아이의 장래에 문제가 생길지 걱정이 크기도 하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토로했다.교육부가 지난 21일에 발표한 ‘2020년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학교가 문을 닫은 사이 학교폭력은 전반적으로 줄었으나 장소와 양상을 달리하는 새로운 형태의 폭력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줄면서 대면 상태에서 이뤄지는 물리적인 학교폭력은 감소했으나 학생들이 사이버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사이버 폭력과 집단따돌림 비중이 증가한 것이다.사이버 폭력은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에게 가해지는 괴롭힘이다. 그 종류에는 SNS, 채팅방 등 사이버 공간에서 특정인에게 모욕적인 언어나 욕설 등을 행하는 사이버 모욕이 있고 허위의 내용을 온라인에 게시하거나 유포하는 사이버 명예훼손, 인터넷상에서 음란한 대화를 강요하거나 성적 수치심을 일으켜 상대방에게 정신적 피해를 주는 사이버 성희롱, 스토킹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보 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생겼고 사이버 폭력 처벌이 가능해졌다.신체적인 폭력이 없다고 가볍게 볼 수도 있으나 학교폭력 사건의 경중을 따짐에 있어서 물리력의 행사는 큰 요인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부분도 중요하다.교육부에서 규정한 학교폭력 사안 점수 기준 5개 항목 중 4개 항목은 신체적인 폭력 행사와 무관한 항목이며, 심각성 항목 또한 사이버 폭력의 정도에 따라 책정 가능한 부분으로 사이버 폭력만으로는 가벼운 조치로 끝내던 과거와는 달리 제8, 9호에 해당하는 전·퇴학 조치도 이뤄지고 있다.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법무법인 대륜)는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마주하고 할 수 없는 말이라면 사이버 공간에서도 하지 않아야 한다”며 “학교폭력 사건은 당사자와 관계가 모두 각자가 생각하는 방향대로 흘러가지 않는 게 대부분”, “만일 그러한 의도가 아니었음에도 사이버폭력 신고를 받게 되었다고 한다면 이는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우며 부당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게 미리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이어 “학교폭력은 어느 상황에서도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피해 학생은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하여 가해 사실에 대한 인정과 반성 등 현명한 대처가 필수적이다”며 “부당하거나 솜방망이 처벌이 이뤄지지 않도록 균형 있게 조절하는 것이 우리 변호사의 역할이다”라고 설명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1791338
아이뉴스24
2021-07-30
"변수 많은 부동산 명도소송, 준비부터 철저하게"
"변수 많은 부동산 명도소송, 준비부터 철저하게"
[아이뉴스24 박명진 기자] 장기 불황이 이어지며 임대차 계약이 해지되었음에도 집을 비워 주지 않거나 월세를 내지 않는 임차인 때문에 곤란을 겪는 임대인들이 부동산 변호사를 찾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임대인 A 씨는 수개월째 월세도 지급하지 않고 잠적해버린 임차인 B 씨 때문에 스트레스와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던 중 임차인의 보증금에서 월세를 차감할 수도 없을 정도로 보증금까지 전부 소진되어 버리자 더는 임차인을 기다릴 수 없게 됐고, 결국 부동산 변호사를 찾아 ‘명도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명도소송은 부동산 관련 소송 중 하나로 점유자가 불법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부동산의 인도를 요청하는 소송을 말한다. △임대차 계약기간이 종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입자가 부동산을 비우지 않았을 때, △주택 임대차 보호법은 2기, 상가 임대차 보호법은 3기에 달하는 월세 연차가 있을 때. 소유주는 명도소송을 통해 판결을 받고 이를 집행해 불법 점유자를 합법적으로 내보낼 수 있다. ◆왜 명도소송까지 해야 할까?뉴스 등 미디어에서는 대게 임대인으로 인해 곤경에 처한 임차인의 사연이 주로 알려지는 편이나, 실제 부동산 관련 분쟁으로 변호사를 찾는 사례에서는 임대인의 수도 상당하다.자신의 부동산이기 때문에 계약 사항을 이행하지 않는 임차인에 대하여 권리자로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분쟁이 예상되는 사안이라면 경험 많은 부동산 변호사의 조력을 우선하는 것이 좋다.임차인의 월세 연체 등 피해로 갈등을 겪던 중 부당한 행위를 한다고 해서 법률적 자문 없이 않고 개인적인 대응에 나섰다가는 해당 행위의 적법성 여부에 따라 형사 처분이나 손해배상의 책임을 이행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아무리 자신의 건물이라 하더라도 임대인이 주거 및 영업 공간에 임의로 들어가 짐을 꺼내거나 한다면 주거침입죄나 건조물침입죄 등 형사 처분으로 오히려 위기에 처할 뿐만 아니라 손해배상 책임까지 이행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체적인 실력행사보다는 부동산 변호사의 조력을 구하여 합법적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 변호사는 “최근 경기 불황으로 명도소송 진행하시려는 임대인이 늘어났다. 하지만 소송 진행하기에 앞서 점유 이전 가처분을 통해 사전에 철저하게 대비하지 않는다면 중간에 임차인이 여러 가지 편법을 사용하여 임대인이 낭패를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점유 이전 가처분은 부동산에 대한 인도 명도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가처분으로서 임차인이 악의적으로 제3자에게 점유를 넘긴다면 소유자는 임차인을 상대로 판결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강제집행을 할 수 없게 되므로 꼼꼼한 준비를 통해 피해를 입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덧붙였다.이처럼 명도소송은 소 제기에 앞서 경험이 많은 부동산 변호사와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고 점유 이전 가처분, 처분금지 가처분 등 필요한 보전처분을 해두어야 승소 확정 판결을 받은 후 강제 집행에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또한 재건축 등 정비 사업의 경우 도시 정비법 및 집합건물법의 체계와 법령 변화에 주목해야 하며 임차인 명도소송에서는 상가임대차보호법에 인정된 임차인의 여러 권리들을 유의해야 한다고 한다. 특히 법령은 개정이 자주 이루어지므로 부동산 변호사를 통해 최신 판례의 태도를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정찬우 변호사가 속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부동산 사건의 법률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inews24.com/view/1338858
아이뉴스24
2021-07-30
"변수 많은 부동산 명도소송, 준비부터 철저하게"
"변수 많은 부동산 명도소송, 준비부터 철저하게"
[아이뉴스24 박명진 기자] 장기 불황이 이어지며 임대차 계약이 해지되었음에도 집을 비워 주지 않거나 월세를 내지 않는 임차인 때문에 곤란을 겪는 임대인들이 부동산 변호사를 찾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임대인 A 씨는 수개월째 월세도 지급하지 않고 잠적해버린 임차인 B 씨 때문에 스트레스와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던 중 임차인의 보증금에서 월세를 차감할 수도 없을 정도로 보증금까지 전부 소진되어 버리자 더는 임차인을 기다릴 수 없게 됐고, 결국 부동산 변호사를 찾아 ‘명도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명도소송은 부동산 관련 소송 중 하나로 점유자가 불법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부동산의 인도를 요청하는 소송을 말한다. △임대차 계약기간이 종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입자가 부동산을 비우지 않았을 때, △주택 임대차 보호법은 2기, 상가 임대차 보호법은 3기에 달하는 월세 연차가 있을 때. 소유주는 명도소송을 통해 판결을 받고 이를 집행해 불법 점유자를 합법적으로 내보낼 수 있다. ◆왜 명도소송까지 해야 할까?뉴스 등 미디어에서는 대게 임대인으로 인해 곤경에 처한 임차인의 사연이 주로 알려지는 편이나, 실제 부동산 관련 분쟁으로 변호사를 찾는 사례에서는 임대인의 수도 상당하다.자신의 부동산이기 때문에 계약 사항을 이행하지 않는 임차인에 대하여 권리자로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분쟁이 예상되는 사안이라면 경험 많은 부동산 변호사의 조력을 우선하는 것이 좋다.임차인의 월세 연체 등 피해로 갈등을 겪던 중 부당한 행위를 한다고 해서 법률적 자문 없이 않고 개인적인 대응에 나섰다가는 해당 행위의 적법성 여부에 따라 형사 처분이나 손해배상의 책임을 이행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아무리 자신의 건물이라 하더라도 임대인이 주거 및 영업 공간에 임의로 들어가 짐을 꺼내거나 한다면 주거침입죄나 건조물침입죄 등 형사 처분으로 오히려 위기에 처할 뿐만 아니라 손해배상 책임까지 이행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체적인 실력행사보다는 부동산 변호사의 조력을 구하여 합법적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정찬우 변호사는 “최근 경기 불황으로 명도소송 진행하시려는 임대인이 늘어났다. 하지만 소송 진행하기에 앞서 점유 이전 가처분을 통해 사전에 철저하게 대비하지 않는다면 중간에 임차인이 여러 가지 편법을 사용하여 임대인이 낭패를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점유 이전 가처분은 부동산에 대한 인도 명도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가처분으로서 임차인이 악의적으로 제3자에게 점유를 넘긴다면 소유자는 임차인을 상대로 판결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강제집행을 할 수 없게 되므로 꼼꼼한 준비를 통해 피해를 입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덧붙였다.이처럼 명도소송은 소 제기에 앞서 경험이 많은 부동산 변호사와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고 점유 이전 가처분, 처분금지 가처분 등 필요한 보전처분을 해두어야 승소 확정 판결을 받은 후 강제 집행에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또한 재건축 등 정비 사업의 경우 도시 정비법 및 집합건물법의 체계와 법령 변화에 주목해야 하며 임차인 명도소송에서는 상가임대차보호법에 인정된 임차인의 여러 권리들을 유의해야 한다고 한다. 특히 법령은 개정이 자주 이루어지므로 부동산 변호사를 통해 최신 판례의 태도를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정찬우 변호사가 속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부동산 사건의 법률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inews24.com/view/1338858
머니투데이
2021-07-30
형사전문변호사가 말하는 사기죄 혐의, 치밀해진 사기범죄 주의해야
형사전문변호사가 말하는 사기죄 혐의, 치밀해진 사기범죄 주의해야
법무법인의 대표변호사로, 형사사건을 전문분야로 담당하는 형사전문변호사로 활동하며 겪은 많은 사건 중 특히 잦은 사건이 사기범죄다.‘1년에 원금의 2배 보장!’, 과연 가능한가? 그렇지 않다.코로나로 생산과 소비가 예전 같지 않은 위기 상황을 기회로 본 개인 투자자들이 늘어난 만큼 이들을 노리는 사기 수법도 치밀해져 주의가 필요하다.은행 저축과 달리 투자의 경우 이로 거둘 수 있는 이익에는 제한이 없다. 때로는 원금의 몇 배에 이르는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이러한 투자를 빌미로 한 사기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A씨는 서울,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 등 전국에 걸쳐 투자자로부터 투자금 명목으로 돈을 받더라도 이를 개인적인 용도에 사용하거나 다른 투자자들에게 소위 ‘돌려막기’식으로 지급할 생각이었으며, 원금 및 수익금을 돌려줄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펀드회사 직원인 것처럼 행세하며 직접 투자자들을 상대로 원금 및 수익금이 보장된다고 기망하거나 기존의 투자자를 통해 다른 투자자를 소개받는 방식으로 원금 및 수익금이 보장된다고 투자자를 기망하여 투자자에게 투자금 98억을 송금받았다.이에 피해자들은 적게는 수천 만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법원은 애초에 A씨가 투자할 의사도 능력도 없는 상태에서 투자자를 모집하여 금전을 받은 행위 자체가 사기죄에 성립된다고 봤다.1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었기게 범죄의 죄질이 나쁘다고 판단, A씨는 특정 경제 범죄 가중처벌 법률을 통하여 징역 8년에 설형을 선고받았다.이렇게 실제 자본금은 들이지 않고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끌어모은 후 나중에 투자하는 사람의 원금을 받아 앞사람의 수익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사기 수법이 대표적이다.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는 행위는 사기죄로 처벌된다. 죄가 성립되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사기죄에서 편취한 금액, 범죄로 얻은 수익금액에 따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어 처벌이 달라지는데, 만일 이득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인 때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 50억 이상인 때에는 5년 이상의 징역 또는 무기징역형을 받는다.사기죄가 성립되기 위한 기망은 사람을 착오에 빠뜨리는 것으로 어떠한 점에서 착오가 발생하였는가는 가리지 않는다. 반드시 법률행위의 중요한 요소에 관한 착오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기망된 의사표시가 민법상 무효한 것이라도 사가죄 성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기망의 수단과 방법에 대해서는 언어에 따르든, 동작에 따르든, 상대방이 이미 착오에 빠져있음을 알면서도 고의로 진실을 알리지 않는 부작위에 의하건 불문한다.그리고 상대방의 교부행위 즉, 처분행위에 의하여 재물을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또한 기망 당하는 사람과 재산상의 손해를 받는 사람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아내를 속여 남편의 재물을 편취한 경우라도 사기죄에 성립된다.따라서 투자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사기 사건 경험이 풍부한 형사전문변호사와 함께 기망행위가 있었는지, 그로 인한 착오가 있었는지, 피해자의 재산 처분행위와 이에 따른 손해 발생 및 재산상의 이익을 검토하여 죄의 성립 가능성을 먼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끝으로 형사재판을 진행하는 것은 상대방의 처벌만 받게 할 수 있을 뿐, 피해자들의 피해액을 복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투자사기 고소를 진행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해야한다.상대방의 재산에 대하여 가압류, 가처분 등의 조치를 취한 후에 안전하게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글 : 심재국 대표변호사 법무법인(유한) 대륜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4532841
머니투데이
2021-07-30
형사전문변호사가 말하는 사기죄 혐의, 치밀해진 사기범죄 주의해야
형사전문변호사가 말하는 사기죄 혐의, 치밀해진 사기범죄 주의해야
법무법인의 대표변호사로, 형사사건을 전문분야로 담당하는 형사전문변호사로 활동하며 겪은 많은 사건 중 특히 잦은 사건이 사기범죄다.‘1년에 원금의 2배 보장!’, 과연 가능한가? 그렇지 않다.코로나로 생산과 소비가 예전 같지 않은 위기 상황을 기회로 본 개인 투자자들이 늘어난 만큼 이들을 노리는 사기 수법도 치밀해져 주의가 필요하다.은행 저축과 달리 투자의 경우 이로 거둘 수 있는 이익에는 제한이 없다. 때로는 원금의 몇 배에 이르는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이러한 투자를 빌미로 한 사기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A씨는 서울,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 등 전국에 걸쳐 투자자로부터 투자금 명목으로 돈을 받더라도 이를 개인적인 용도에 사용하거나 다른 투자자들에게 소위 ‘돌려막기’식으로 지급할 생각이었으며, 원금 및 수익금을 돌려줄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펀드회사 직원인 것처럼 행세하며 직접 투자자들을 상대로 원금 및 수익금이 보장된다고 기망하거나 기존의 투자자를 통해 다른 투자자를 소개받는 방식으로 원금 및 수익금이 보장된다고 투자자를 기망하여 투자자에게 투자금 98억을 송금받았다.이에 피해자들은 적게는 수천 만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법원은 애초에 A씨가 투자할 의사도 능력도 없는 상태에서 투자자를 모집하여 금전을 받은 행위 자체가 사기죄에 성립된다고 봤다.1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었기게 범죄의 죄질이 나쁘다고 판단, A씨는 특정 경제 범죄 가중처벌 법률을 통하여 징역 8년에 설형을 선고받았다.이렇게 실제 자본금은 들이지 않고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끌어모은 후 나중에 투자하는 사람의 원금을 받아 앞사람의 수익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사기 수법이 대표적이다.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는 행위는 사기죄로 처벌된다. 죄가 성립되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사기죄에서 편취한 금액, 범죄로 얻은 수익금액에 따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어 처벌이 달라지는데, 만일 이득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인 때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 50억 이상인 때에는 5년 이상의 징역 또는 무기징역형을 받는다.사기죄가 성립되기 위한 기망은 사람을 착오에 빠뜨리는 것으로 어떠한 점에서 착오가 발생하였는가는 가리지 않는다. 반드시 법률행위의 중요한 요소에 관한 착오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기망된 의사표시가 민법상 무효한 것이라도 사가죄 성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기망의 수단과 방법에 대해서는 언어에 따르든, 동작에 따르든, 상대방이 이미 착오에 빠져있음을 알면서도 고의로 진실을 알리지 않는 부작위에 의하건 불문한다.그리고 상대방의 교부행위 즉, 처분행위에 의하여 재물을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또한 기망 당하는 사람과 재산상의 손해를 받는 사람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아내를 속여 남편의 재물을 편취한 경우라도 사기죄에 성립된다.따라서 투자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사기 사건 경험이 풍부한 형사전문변호사와 함께 기망행위가 있었는지, 그로 인한 착오가 있었는지, 피해자의 재산 처분행위와 이에 따른 손해 발생 및 재산상의 이익을 검토하여 죄의 성립 가능성을 먼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끝으로 형사재판을 진행하는 것은 상대방의 처벌만 받게 할 수 있을 뿐, 피해자들의 피해액을 복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투자사기 고소를 진행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해야한다.상대방의 재산에 대하여 가압류, 가처분 등의 조치를 취한 후에 안전하게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글 : 심재국 대표변호사 법무법인(유한) 대륜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4532841
헤럴드경제
2021-07-30
이혼전문변호사 "유책배우자도 이혼재산분할 유리할 수 있어"
이혼전문변호사 "유책배우자도 이혼재산분할 유리할 수 있어"
법조계에 따르면, 이혼소송에서 재산분할 시 유책배우자라고 해서 반드시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을 내놨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혼전문변호사는 “이혼재산분할은 위자료와 개념을 달리 적용해야 한다. 재산분할은 결혼 생활 동안 축적된 부부 공동재산을 각자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하는 것이고 위자료는 혼인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는 사람이 배우자의 정신적 손해를 배상하는 것”이라며 “법원은 각 사안에 대해 다른 기준을 대입하여 판결을 내린다”고 했다.다시 말해 유책사유가 상대방에게 있다고 하더라도 재산분할과는 별개의 문제라는 것이다. 도덕적인 여부와 재산을 형성하는데 들어가는 기여는 다르기 때문에 유책배우자 또한 권리를 올바로 주장하여 개개인의 몫을 잘 따질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유책배우자가 이혼소송을 청구할 때는 법원의 청구 허용 여부를 먼저 확인하게 된다. 이때 법원은 유책배우자의 책임 관련 정도, 상대방 배우자의 혼인지속 의사, 당사자의 연령 및 혼인기간, 별거기간, 혼인생활 파탄 이후 사정의 변경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이혼전문변호사는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재산 형성 기여도를 꼼꼼하게 밝힐 수 있는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혼소송에서 보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선, 특히 재산분할에서 정확한 재산 규모 파악과 기여도 주장에 포커스를 맞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를 위해 “이혼재산분할 과정에서 상대방 재산 파악을 위한 사실조회 신청, 가압류, 가처분 등의 절차를 개인이 스스로 처리하는 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명확한 재산분할 대상, 범위와 특유재산 분할 여부를 따져야하는 만큼 전문가 도움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유한)대륜은 현재 서울과 부산 본사(센텀시티/거제),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1779275
헤럴드경제
2021-07-30
이혼전문변호사 "유책배우자도 이혼재산분할 유리할 수 있어"
이혼전문변호사 "유책배우자도 이혼재산분할 유리할 수 있어"
법조계에 따르면, 이혼소송에서 재산분할 시 유책배우자라고 해서 반드시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을 내놨다.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이혼전문변호사는 “이혼재산분할은 위자료와 개념을 달리 적용해야 한다. 재산분할은 결혼 생활 동안 축적된 부부 공동재산을 각자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하는 것이고 위자료는 혼인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는 사람이 배우자의 정신적 손해를 배상하는 것”이라며 “법원은 각 사안에 대해 다른 기준을 대입하여 판결을 내린다”고 했다.다시 말해 유책사유가 상대방에게 있다고 하더라도 재산분할과는 별개의 문제라는 것이다. 도덕적인 여부와 재산을 형성하는데 들어가는 기여는 다르기 때문에 유책배우자 또한 권리를 올바로 주장하여 개개인의 몫을 잘 따질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유책배우자가 이혼소송을 청구할 때는 법원의 청구 허용 여부를 먼저 확인하게 된다. 이때 법원은 유책배우자의 책임 관련 정도, 상대방 배우자의 혼인지속 의사, 당사자의 연령 및 혼인기간, 별거기간, 혼인생활 파탄 이후 사정의 변경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법무법인(유한)대륜의 이혼전문변호사는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재산 형성 기여도를 꼼꼼하게 밝힐 수 있는 이혼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혼소송에서 보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선, 특히 재산분할에서 정확한 재산 규모 파악과 기여도 주장에 포커스를 맞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를 위해 “이혼재산분할 과정에서 상대방 재산 파악을 위한 사실조회 신청, 가압류, 가처분 등의 절차를 개인이 스스로 처리하는 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명확한 재산분할 대상, 범위와 특유재산 분할 여부를 따져야하는 만큼 전문가 도움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유한)대륜은 현재 서울과 부산 본사(센텀시티/거제),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 분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1779275
데일리안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유한법무법인으로 전환...'글로벌 로펌으로 도약'
법무법인 대륜, 유한법무법인으로 전환...'글로벌 로펌으로 도약'
법무법인 대륜이 유한회사로 조직을 새롭게 전환한다.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7일, “신속한 의사결정과 외부인재 영입 등으로 조직을 성장시키는데 무한법무법인 보다 유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으로 조직을 전환했다”고 밝혔다.유한법무법인은 기존의 무한책임 법무법인과 달리 업무상 발생한 손해에 대해 담당변호사 및 직접 지휘?감독한 구성원이 사전에 출자한 금액 한도 내에서 책임을 부담한다. 변호사의 연대책임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변호사를 모집할 수 있어 로펌 대형화 추진도 수월하다. 또한 법인 차원에서 손해배상 준비금을 적립하거나 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기 때문에 의뢰인 보호에도 도움이 되며 리스크 관리를 통한 경쟁력 확보에 유리해졌다는 평가다.무한책임 법무법인의 ‘구성원 변호사 만장일치’ 요건도 완화된다. 외부 전문가 영입이나 정관 변경 시 구성원 변호사 과반수의 합의만으로 의사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절차적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효율성,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참고로 유한법무법인으로 조직을 변경 또는 설립하기 위해서는 자본금 5억 원 이상이 요구되며 로펌 회계 처리 투명성 강화와 고객에 대한 손해배상시스템을 갖춰야 하는 등 기존 무한법무법인 체제보다 요건이 다소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유한회사 전환을 통해 구성원과 의뢰인 보호장치를 마련하고 조직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확보했다. 그동안 축적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로펌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함께 “코로나 팬데믹이 불러온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업무 시스템과 더불어 교육, 인력양성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며 새롭게 도입한 경영 전략을 소개했다.■비대면 업무 최적화 솔루션코로나19가 앞당긴 언택트 산업환경을 리드하기 위해 비대면 조직 생태계 정착을 2021 전략과제로 선포하고 경영시스템을 재정비한다. 본사와 11개의 지역사무소 협업을 위해 도입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코로나19로 대면이 제한되는 의뢰인에게도 적용해 비대면 상담을 제공한다.또한 협업 시스템을 통해 전국에 상주하고 있는 전문?전담 변호사가 사건전담팀을 꾸리고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법률대리인으로서 업무를 수행한다. 누적된 법률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속하고 전문적인 상담과 더불어 쟁점 분석, 변론 전략 설정, 논리 검증, 재판 등 법률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한다.■유연근무제 도입 준비재택근무가 일반화되면서 업무공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일과 삶을 분리하던 ‘워라밸(Work-Life Balanc)’을 대신해 일과 삶의 조화를 통해 커리어 개발을 이끄는 ‘워라블(Work-Life Blending)’이 새로운 업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이에 출근시간선택제를 시범운영하며 근무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업무환경이 확산되고 업무공간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회사에서 일하는 물리적 시간의 의미가 없어졌다는 것이 유연근무제의 도입 배경이다. 유연근무제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일함으로써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주목했다. 필요에 따라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안식휴가 등의 복지제도를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인재육성 노력 지속‘최고의 구성원에게 최고의 대우를 하며 인재를 소중히 한다’는 경영철학을 기초로 구성원 성장을 위해 교육비, 연수비, 도서구입비를 지원하며 사내 스터디 강의 등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대륜 관계자는 “현재 우수 인력 유입을 위해 분야와 상관없이 상시 채용제도를 도입했다. 업계 최고 수준의 연봉 가이드라인을 설정해 초봉을 책정하고 있으며, 능력 있는 구성원에 대한 연봉 상승률 역시 동종 산업 군 대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이어 “인재가 연봉을 문제로 법인에 지원하지 않는 것만큼 안타까운 일은 없을 것”이라며 “좋은 인재를 채용하고 그들과 오래 함께 일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변호사뿐만 아니라 송무, 경영, 서비스연구개발 등 전 분야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법인이 추구하는 가치관에 공감하는 지원자가 늘고 있어 훌륭한 인재를 선택할 후보군이 넓어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현재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 변호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민사, 형사, 기업법무, 글로벌 투자, 인수합병, 재산범죄, 금융증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변호사를 통해 의뢰인의 권익 보호를 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453510
데일리안
2021-07-30
법무법인 대륜, 유한법무법인으로 전환...'글로벌 로펌으로 도약'
법무법인 대륜, 유한법무법인으로 전환...'글로벌 로펌으로 도약'
법무법인 대륜이 유한회사로 조직을 새롭게 전환한다. 법무법인 대륜은 지난 7일, “신속한 의사결정과 외부인재 영입 등으로 조직을 성장시키는데 무한법무법인 보다 유리한 법무법인(유한) 대륜으로 조직을 전환했다”고 밝혔다.유한법무법인은 기존의 무한책임 법무법인과 달리 업무상 발생한 손해에 대해 담당변호사 및 직접 지휘?감독한 구성원이 사전에 출자한 금액 한도 내에서 책임을 부담한다. 변호사의 연대책임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변호사를 모집할 수 있어 로펌 대형화 추진도 수월하다. 또한 법인 차원에서 손해배상 준비금을 적립하거나 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기 때문에 의뢰인 보호에도 도움이 되며 리스크 관리를 통한 경쟁력 확보에 유리해졌다는 평가다.무한책임 법무법인의 ‘구성원 변호사 만장일치’ 요건도 완화된다. 외부 전문가 영입이나 정관 변경 시 구성원 변호사 과반수의 합의만으로 의사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절차적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효율성,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참고로 유한법무법인으로 조직을 변경 또는 설립하기 위해서는 자본금 5억 원 이상이 요구되며 로펌 회계 처리 투명성 강화와 고객에 대한 손해배상시스템을 갖춰야 하는 등 기존 무한법무법인 체제보다 요건이 다소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법무법인(유한)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유한회사 전환을 통해 구성원과 의뢰인 보호장치를 마련하고 조직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확보했다. 그동안 축적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로펌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함께 “코로나 팬데믹이 불러온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업무 시스템과 더불어 교육, 인력양성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며 새롭게 도입한 경영 전략을 소개했다.■비대면 업무 최적화 솔루션코로나19가 앞당긴 언택트 산업환경을 리드하기 위해 비대면 조직 생태계 정착을 2021 전략과제로 선포하고 경영시스템을 재정비한다. 본사와 11개의 지역사무소 협업을 위해 도입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코로나19로 대면이 제한되는 의뢰인에게도 적용해 비대면 상담을 제공한다.또한 협업 시스템을 통해 전국에 상주하고 있는 전문?전담 변호사가 사건전담팀을 꾸리고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법률대리인으로서 업무를 수행한다. 누적된 법률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속하고 전문적인 상담과 더불어 쟁점 분석, 변론 전략 설정, 논리 검증, 재판 등 법률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한다.■유연근무제 도입 준비재택근무가 일반화되면서 업무공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일과 삶을 분리하던 ‘워라밸(Work-Life Balanc)’을 대신해 일과 삶의 조화를 통해 커리어 개발을 이끄는 ‘워라블(Work-Life Blending)’이 새로운 업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이에 출근시간선택제를 시범운영하며 근무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업무환경이 확산되고 업무공간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회사에서 일하는 물리적 시간의 의미가 없어졌다는 것이 유연근무제의 도입 배경이다. 유연근무제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일함으로써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주목했다. 필요에 따라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안식휴가 등의 복지제도를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인재육성 노력 지속‘최고의 구성원에게 최고의 대우를 하며 인재를 소중히 한다’는 경영철학을 기초로 구성원 성장을 위해 교육비, 연수비, 도서구입비를 지원하며 사내 스터디 강의 등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대륜 관계자는 “현재 우수 인력 유입을 위해 분야와 상관없이 상시 채용제도를 도입했다. 업계 최고 수준의 연봉 가이드라인을 설정해 초봉을 책정하고 있으며, 능력 있는 구성원에 대한 연봉 상승률 역시 동종 산업 군 대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이어 “인재가 연봉을 문제로 법인에 지원하지 않는 것만큼 안타까운 일은 없을 것”이라며 “좋은 인재를 채용하고 그들과 오래 함께 일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변호사뿐만 아니라 송무, 경영, 서비스연구개발 등 전 분야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법인이 추구하는 가치관에 공감하는 지원자가 늘고 있어 훌륭한 인재를 선택할 후보군이 넓어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현재 법무법인(유한)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 변호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민사, 형사, 기업법무, 글로벌 투자, 인수합병, 재산범죄, 금융증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변호사를 통해 의뢰인의 권익 보호를 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453510
데일리안
2021-07-30
수원형사전문변호사, 소주병으로 상대 가격한 특수상해 피고인 집행유예 이끌어
수원형사전문변호사, 소주병으로 상대 가격한 특수상해 피고인 집행유예 이끌어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상해를 가해 특수상해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피고인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고 전했다.사례를 보면, 당시 피고인은 평소 친어머니처럼 따르던 A씨의 가게에서 술을 마시다 취객이 A씨에게 언성을 높이는 모습을 보고 이를 저지하던 중 소주병을 들고 피해자의 머리를 두 차례 내리친 혐의를 받았다.전문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상해의 고의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폭행으로 상해가 발생하면 폭행치상이 될 수 있다. 또, 단순히 상처가 생겼다고 해서 상해로 인정되지는 않지만 자연 치유가 어려워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정도의 피해라면 상해로 인정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피해자에게 육체적인 상처가 없어도 정신적인 충격으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이 또한 상해로 인정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특히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휴대한 상태로 폭행이나 상해를 저질렀다면 가중처벌이 가능하다. 특수상해는 법정형에 벌금형이 없는 중한 죄에 해당하며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으로 타인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에 해당되는데, 형법상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형이 규정되어 있는 만큼 초범이라도 엄벌을 피하기가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법무법인 대륜 수원형사전문변호사는 “당시 피고인은 만취상태에서 벌어진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사건에 대한 경위와 동기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처벌의 가중요소와 감경요소를 정확히 분석해 대응한 것이 집행유예를 이끄는데 주효했다”며 “대부분의 특수상해죄 사건을 보면 피의자들이 대부분 ’홧김에 그랬다’, ‘순간 욱해서 저지른 일’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용된 흉기에 따라서는 살인미수죄가 적용될 수 있는 만큼 사건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이어 “폭행죄라면 피해자와의 합의를 통해 처벌을 피할 수도 있으나 상해죄 혐의는 합의 여부를 떠나 형사처벌의 가능성이 높다”라며 “특수상해죄로 혐의를 받고 있다면 초범이라도 법정형에 벌금형이 없는 만큼, 사태의 심각성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한편, 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검사출신변호사, 형사전문변호사 등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형사사건전담팀은 현재 성범죄, 특수상해 등 강력범죄, 보이스피싱 사기, 불법스포츠토토 도박사건 등 형사사건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45277
데일리안
2021-07-30
수원형사전문변호사, 소주병으로 상대 가격한 특수상해 피고인 집행유예 이끌어
수원형사전문변호사, 소주병으로 상대 가격한 특수상해 피고인 집행유예 이끌어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상해를 가해 특수상해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피고인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고 전했다.사례를 보면, 당시 피고인은 평소 친어머니처럼 따르던 A씨의 가게에서 술을 마시다 취객이 A씨에게 언성을 높이는 모습을 보고 이를 저지하던 중 소주병을 들고 피해자의 머리를 두 차례 내리친 혐의를 받았다.전문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상해의 고의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폭행으로 상해가 발생하면 폭행치상이 될 수 있다. 또, 단순히 상처가 생겼다고 해서 상해로 인정되지는 않지만 자연 치유가 어려워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정도의 피해라면 상해로 인정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피해자에게 육체적인 상처가 없어도 정신적인 충격으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이 또한 상해로 인정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특히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휴대한 상태로 폭행이나 상해를 저질렀다면 가중처벌이 가능하다. 특수상해는 법정형에 벌금형이 없는 중한 죄에 해당하며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으로 타인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에 해당되는데, 형법상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형이 규정되어 있는 만큼 초범이라도 엄벌을 피하기가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법무법인 대륜 수원형사전문변호사는 “당시 피고인은 만취상태에서 벌어진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사건에 대한 경위와 동기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처벌의 가중요소와 감경요소를 정확히 분석해 대응한 것이 집행유예를 이끄는데 주효했다”며 “대부분의 특수상해죄 사건을 보면 피의자들이 대부분 ’홧김에 그랬다’, ‘순간 욱해서 저지른 일’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용된 흉기에 따라서는 살인미수죄가 적용될 수 있는 만큼 사건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이어 “폭행죄라면 피해자와의 합의를 통해 처벌을 피할 수도 있으나 상해죄 혐의는 합의 여부를 떠나 형사처벌의 가능성이 높다”라며 “특수상해죄로 혐의를 받고 있다면 초범이라도 법정형에 벌금형이 없는 만큼, 사태의 심각성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한편, 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법률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검사출신변호사, 형사전문변호사 등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형사사건전담팀은 현재 성범죄, 특수상해 등 강력범죄, 보이스피싱 사기, 불법스포츠토토 도박사건 등 형사사건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45277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에 적발된 음주운전 피고인 무죄 받아내
서초형사전문변호사,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에 적발된 음주운전 피고인 무죄 받아내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운전자의 음주측정시점이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였을 경우 실제 수치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처벌 근거로 삼을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고 전해졌다.판결의 사례를 보면, 동료들과 회식 자리에서 술을 마시고 약 한 시간 뒤 운전대를 잡았다가 단속반에 적발된 피고인은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결과 0.038%의 수치가 나왔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 단속기준은 혈줄알코올농도 0.03%이상으로 소주 한 잔만 마셨더라도 단속기준을 넘어설 수 있다. 이에 검사는 피고인을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 혐의로 기소했다. 피고인의 죄를 다투는 재판에서 첨예하게 대립된 쟁점은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시점과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다.당시 피고인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형사전문변호사는 “피고인의 음주단속 적발 시 측정된 혈중알코올농도는 단속기준치를 근소하게 넘긴 상황이었고, 음주측정을 한 시기는 운전을 종료한 때이자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에 해당하므로 운전을 마친 시점, 음주측정시점, 음주측정기에 의한 측정 오차 등을 따져볼 필요가 있어 보였다”고 말했다.일반적으로 음주를 하면 혈중알코올농도는 일정 수치를 유지하다가 음주 후 약 30분90분 사이 최고치로 올라간 뒤 서서히 감소한다. 이 때문에 실제 주행 시점과 적발 시 사이에 시간차가 있는 경우 혈중알코올농도 추정 방법인 ‘위드마크 공식’이 사용된다. 혈중알코올농도는 음주 후 3090분까지 상승한 뒤 하강하기 시작하는 점을 감안해 측정자가 섭취한 알콜의 종류와 양, 음주 시각, 체중, 체내 흡수율 등 제반 사항을 고려해 실제 음주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얼마였는지를 역추산하는 것이다.심재국 서초형사전문변호사는 “당시 유사한 상황이 명시된 대법원 판시를 제시하며 사건 발생 시간을 특정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가능성 등의 여러 사정을 고려할 때 피고인의 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가 처벌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단정할 수 없는 점을 주장했다. 또한 피고인이 치과치료처방에 따라 구강청결제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혈중알코올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 등 유리한 정황을 적극적으로 주장해 무죄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이어 “음주운전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해서는 안되는 행위”라며 “부득이 다양한 상황 등으로 과중한 처벌 위기에 놓였을 경우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증거 수집, 정상참작요소 등을 기초로 한 변론을 통해 자신을 보호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면허 취소 등 행정처분이 적합하더라도 결과가 부당한 경우 행정처분을 취소하거나 형량을 감경해주는 제도인 행정심판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음주사고와 관련해 음주측정거부, 음주운전 방조, 음주운전 동승자, 음주무면허운전, 음주치사상, 숙취운전 등과 함께 교통범죄, 경제범죄, 성범죄, 강력범죄 등 형사사건에 필요한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750493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에 적발된 음주운전 피고인 무죄 받아내
서초형사전문변호사,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에 적발된 음주운전 피고인 무죄 받아내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운전자의 음주측정시점이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였을 경우 실제 수치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처벌 근거로 삼을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고 전해졌다.판결의 사례를 보면, 동료들과 회식 자리에서 술을 마시고 약 한 시간 뒤 운전대를 잡았다가 단속반에 적발된 피고인은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결과 0.038%의 수치가 나왔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 단속기준은 혈줄알코올농도 0.03%이상으로 소주 한 잔만 마셨더라도 단속기준을 넘어설 수 있다. 이에 검사는 피고인을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 혐의로 기소했다. 피고인의 죄를 다투는 재판에서 첨예하게 대립된 쟁점은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시점과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다.당시 피고인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형사전문변호사는 “피고인의 음주단속 적발 시 측정된 혈중알코올농도는 단속기준치를 근소하게 넘긴 상황이었고, 음주측정을 한 시기는 운전을 종료한 때이자 혈중알코올농도 상승기에 해당하므로 운전을 마친 시점, 음주측정시점, 음주측정기에 의한 측정 오차 등을 따져볼 필요가 있어 보였다”고 말했다.일반적으로 음주를 하면 혈중알코올농도는 일정 수치를 유지하다가 음주 후 약 30분90분 사이 최고치로 올라간 뒤 서서히 감소한다. 이 때문에 실제 주행 시점과 적발 시 사이에 시간차가 있는 경우 혈중알코올농도 추정 방법인 ‘위드마크 공식’이 사용된다. 혈중알코올농도는 음주 후 3090분까지 상승한 뒤 하강하기 시작하는 점을 감안해 측정자가 섭취한 알콜의 종류와 양, 음주 시각, 체중, 체내 흡수율 등 제반 사항을 고려해 실제 음주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얼마였는지를 역추산하는 것이다.심재국 서초형사전문변호사는 “당시 유사한 상황이 명시된 대법원 판시를 제시하며 사건 발생 시간을 특정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가능성 등의 여러 사정을 고려할 때 피고인의 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가 처벌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단정할 수 없는 점을 주장했다. 또한 피고인이 치과치료처방에 따라 구강청결제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혈중알코올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 등 유리한 정황을 적극적으로 주장해 무죄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이어 “음주운전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해서는 안되는 행위”라며 “부득이 다양한 상황 등으로 과중한 처벌 위기에 놓였을 경우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증거 수집, 정상참작요소 등을 기초로 한 변론을 통해 자신을 보호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면허 취소 등 행정처분이 적합하더라도 결과가 부당한 경우 행정처분을 취소하거나 형량을 감경해주는 제도인 행정심판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음주사고와 관련해 음주측정거부, 음주운전 방조, 음주운전 동승자, 음주무면허운전, 음주치사상, 숙취운전 등과 함께 교통범죄, 경제범죄, 성범죄, 강력범죄 등 형사사건에 필요한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750493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호기심에 받은 불법촬영물 소지 또는 유포시 실형 가능"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호기심에 받은 불법촬영물 소지 또는 유포시 실형 가능"
디지털 매체를 통한 부적절한 성적 콘텐츠 노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한 유튜버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이른바 ‘몸캠 피싱’ 피해 사진으로 추정되는 타인의 나체 사진을 유출해 신고가 접수됐으며, 지난 8월에는 여행정보 소개 전문 유튜브 채널의 대표가 SNS에 부적절한 음란 동영상을 게시해 경찰이 내사에 착수한 바 있다.현행법상 사람의 신체를 촬영한 영상물을 허락 없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하거나, SNS로 다른 사람에게 전송, 출력해 유포한 경우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2항 유포죄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 돈을 위한 영리를 목적으로 피해자의 의사에 반해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해당 영상을 전송, 출력, 유포, 판매한 경우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이 밖에 성폭력처벌법 개정으로 불법촬영 성착취물의 판매자와 더불어 소지·구입·저장·시청 행위에 대해서도 모두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의 처벌 규정이 신설됐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지난 6일 불법촬영물 소지자를 처벌하는 규정이 신설된 개정 성폭력처벌법이 시행된 이후 불법촬영물을 소지한 20대가 처음으로 구속됐다. N번방 사태 이후 불법촬영물 소지와 구입, 저장, 유포에 대한 처벌 강화 목소리가 커지면서 초범이나 단순 호기심으로 한 행동에 대해서도 실형 선고가 이뤄질 수 있다”며 “성범죄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을 경우 신상정보등록, 공개고지, 취업제한, 비자발급 제한 등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되기 때문에 취직 등 사회생활을 하는데 심각한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고 설명했다.이어 “불법촬영물, 성착취물은 소지하거나 시청만 하더라도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채널에 접근해선 안된다. 특히 지인들과의 단체 대화방 또는 커뮤니티 채널을 통해 공유된 불법촬영물 또는 성착취물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휴대폰에 저장되는 등 시청하려는 의도가 없더라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유사한 이유로 억울하게 혐의를 받게 됐다면 관련 사건 경험이 있는 법률 전문가를 통해 혐의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공인한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을 두고 있으며 준강제추행, 준강간, 강제추행, 강간,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등 성범죄 관련 사건에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01021001000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호기심에 받은 불법촬영물 소지 또는 유포시 실형 가능"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호기심에 받은 불법촬영물 소지 또는 유포시 실형 가능"
디지털 매체를 통한 부적절한 성적 콘텐츠 노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한 유튜버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이른바 ‘몸캠 피싱’ 피해 사진으로 추정되는 타인의 나체 사진을 유출해 신고가 접수됐으며, 지난 8월에는 여행정보 소개 전문 유튜브 채널의 대표가 SNS에 부적절한 음란 동영상을 게시해 경찰이 내사에 착수한 바 있다.현행법상 사람의 신체를 촬영한 영상물을 허락 없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하거나, SNS로 다른 사람에게 전송, 출력해 유포한 경우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2항 유포죄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 돈을 위한 영리를 목적으로 피해자의 의사에 반해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해당 영상을 전송, 출력, 유포, 판매한 경우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이 밖에 성폭력처벌법 개정으로 불법촬영 성착취물의 판매자와 더불어 소지·구입·저장·시청 행위에 대해서도 모두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의 처벌 규정이 신설됐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형사전문변호사는 “지난 6일 불법촬영물 소지자를 처벌하는 규정이 신설된 개정 성폭력처벌법이 시행된 이후 불법촬영물을 소지한 20대가 처음으로 구속됐다. N번방 사태 이후 불법촬영물 소지와 구입, 저장, 유포에 대한 처벌 강화 목소리가 커지면서 초범이나 단순 호기심으로 한 행동에 대해서도 실형 선고가 이뤄질 수 있다”며 “성범죄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을 경우 신상정보등록, 공개고지, 취업제한, 비자발급 제한 등 보안처분도 함께 선고되기 때문에 취직 등 사회생활을 하는데 심각한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고 설명했다.이어 “불법촬영물, 성착취물은 소지하거나 시청만 하더라도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채널에 접근해선 안된다. 특히 지인들과의 단체 대화방 또는 커뮤니티 채널을 통해 공유된 불법촬영물 또는 성착취물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휴대폰에 저장되는 등 시청하려는 의도가 없더라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유사한 이유로 억울하게 혐의를 받게 됐다면 관련 사건 경험이 있는 법률 전문가를 통해 혐의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대한변호사협회에서 공인한 형사전문변호사가 있는 성범죄전담팀을 두고 있으며 준강제추행, 준강간, 강제추행, 강간,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등 성범죄 관련 사건에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01021001000
데일리안
2021-07-30
‘나홀로’ 이혼소송...서초이혼전문변호사 “1심 패소했다면 항소심은 전문가 조력 필요”
‘나홀로’ 이혼소송...서초이혼전문변호사 “1심 패소했다면 항소심은 전문가 조력 필요”
최근 법적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이른바 ‘나홀로’ 소송을 진행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법률적인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소송을 진행할 경우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특히 형사사건이 아닌 민사 혹은 상속, 이혼소송과 같은 가사사건의 경우 소송 당사자는 개인적인 일이란 이유로 혼자서 소송을 이끄는 경우가 있지만 재판에서는 각 당사자가 내놓는 주장에 따른 증거를 보고 사건을 판단하기 때문에 법원에 제출하는 서면 한 장, 변론 기일에서 발언 하나하나가 크게 작용하게 된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이혼전문변호사는 “일반인의 경우 소송 절차에 익숙하지 않아 시행착오를 겪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주장하고자 한 바를 재판부에 올바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상대방 측 주장에 휘말릴 수도 있기 때문에 1심 판결이 기대한 바보다 미흡하거나,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판결을 받게 될 수 있다”며 “섣불리 소송을 진행하다 패소할 경우 상대방의 소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만큼 나홀로 소송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이어 “소송 도중 도움을 청하거나 1심 판결 후 전문변호사를 찾아 항소심을 문의하는 경우가 많은데, 불리한 1심 판결을 선고받았다면 1심에서 누락되거나 부족했던 사안을 보강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라며 “원심 결과를 뒤엎고 승소하기 위해선 패소 원인을 분석하고 민사 혹은 상속, 이혼 등 가사사건의 경우 판결서가 송달된 시점부터 2주 이내에 항소해야 하는 만큼 기간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조언했다.이혼소송은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권 등 쟁점이 많기 때문에 나홀로 소송은 법률적 장치에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일례로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상대방이 재산을 은닉, 처분할 경우 원활한 재산분할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압류나 가처분 등으로 상대방의 재산을 보전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치는 소송 종료 이후, 판결금이 신속하고 원만하게 지급되게 하거나 이혼 재산분할 등에 필요하다.심변호사는 “이혼소송의 결과는 이혼 이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만큼 위자료, 재산분할 등 경제적인 문제와 친권, 양육권, 양육비 등 자녀와 관련된 문제를 종합하여 소송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며 “유리한 판결을 받아내기 위해선 치밀한 법리 구성과 법적 효력이 있는 증거를 얼마나 준비했느냐가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전체적인 소송 방향을 결정하고 준비할 것을 추천한다”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이혼전문변호사가 이혼재산분할, 위자료, 상간자위자료청구, 양육권 등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사무소가 있으며 올 하반기 광주 지점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31619
데일리안
2021-07-30
‘나홀로’ 이혼소송...서초이혼전문변호사 “1심 패소했다면 항소심은 전문가 조력 필요”
‘나홀로’ 이혼소송...서초이혼전문변호사 “1심 패소했다면 항소심은 전문가 조력 필요”
최근 법적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이른바 ‘나홀로’ 소송을 진행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법률적인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소송을 진행할 경우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특히 형사사건이 아닌 민사 혹은 상속, 이혼소송과 같은 가사사건의 경우 소송 당사자는 개인적인 일이란 이유로 혼자서 소송을 이끄는 경우가 있지만 재판에서는 각 당사자가 내놓는 주장에 따른 증거를 보고 사건을 판단하기 때문에 법원에 제출하는 서면 한 장, 변론 기일에서 발언 하나하나가 크게 작용하게 된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이혼전문변호사는 “일반인의 경우 소송 절차에 익숙하지 않아 시행착오를 겪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주장하고자 한 바를 재판부에 올바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상대방 측 주장에 휘말릴 수도 있기 때문에 1심 판결이 기대한 바보다 미흡하거나,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판결을 받게 될 수 있다”며 “섣불리 소송을 진행하다 패소할 경우 상대방의 소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만큼 나홀로 소송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이어 “소송 도중 도움을 청하거나 1심 판결 후 전문변호사를 찾아 항소심을 문의하는 경우가 많은데, 불리한 1심 판결을 선고받았다면 1심에서 누락되거나 부족했던 사안을 보강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라며 “원심 결과를 뒤엎고 승소하기 위해선 패소 원인을 분석하고 민사 혹은 상속, 이혼 등 가사사건의 경우 판결서가 송달된 시점부터 2주 이내에 항소해야 하는 만큼 기간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조언했다.이혼소송은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권 등 쟁점이 많기 때문에 나홀로 소송은 법률적 장치에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일례로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상대방이 재산을 은닉, 처분할 경우 원활한 재산분할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압류나 가처분 등으로 상대방의 재산을 보전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치는 소송 종료 이후, 판결금이 신속하고 원만하게 지급되게 하거나 이혼 재산분할 등에 필요하다.심변호사는 “이혼소송의 결과는 이혼 이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만큼 위자료, 재산분할 등 경제적인 문제와 친권, 양육권, 양육비 등 자녀와 관련된 문제를 종합하여 소송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며 “유리한 판결을 받아내기 위해선 치밀한 법리 구성과 법적 효력이 있는 증거를 얼마나 준비했느냐가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전체적인 소송 방향을 결정하고 준비할 것을 추천한다”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이혼전문변호사가 이혼재산분할, 위자료, 상간자위자료청구, 양육권 등 법률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사무소가 있으며 올 하반기 광주 지점 사무소 개소를 앞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31619
한국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에 연루된 경우 "수사 단계에서부터 충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 필요해"
서초형사전문변호사,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에 연루된 경우 "수사 단계에서부터 충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 필요해"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이 세분화되어 다양한 피해 사례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이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보이스피싱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막대한 재산상 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실제 범행에 필수적인 피해금 수거, 인출, 송금, 전달 등을 담당하는 &apos;행동책&apos; 역시 범행의 도구로 이용하며 전혀 무관했던 사람을 한순간에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전락시키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보이스피싱 전달책 혐의를 받던 피고인이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동안 보이스피싱에서 &apos;행동책&apos; 행위는 엄연한 &apos;사기 방조&apos;, &apos;사기&apos;, &apos;전자금융거래법 위반&apos; 등 범죄에 해당하기 때문에 처벌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풍조라 이번 무죄 판결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피고인은 온라인 채용사이트에서 구인광고를 보고 입사했다. 이후 대출금 회수 업무를 담당했고 3일간 고객들로부터 대출금을 회수하여 이를 회사의 계좌로 입금하는 일을 했다. 그러나 이 고객들은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자였고 의뢰인은 피해자의 신고로 체포됐다. 실제로 회사는 보이스피싱 일당이 만든 유령회사였다.피고인을 변호한 심재국 서초형사전문변호사는 "당시 구치소에 수감 중이던 의뢰인과의 접견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보이스피싱 일당들의 범행을 알았다고 할 수 없는 여러 정황을 찾을 수 있었다. 의뢰인에게 사기의 고의가 없었음을 뜻하는 여러 정황이 있음을 근거로 의뢰인의 무죄를 주장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무죄가 선고됐다"라고 전했다.심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에 연루된 경우 이러한 무죄판결이 자신의 사건에도 적용될 것이라는 생각은 버려야 할 것"이라며 "범행 기간, 횟수, 내용, 피해 규모 등 사안에 따라 변수가 많다. 또한, 정말 억울하게 연루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범죄 사실을 알면서도 금전적 이득을 취하기 위해 범행에 가담하는 경우도 있다. 조금이라도 범죄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범죄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돼 초범이라도 실형을 피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수사 단계에서부터 충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 형사전문변호사는 경제범죄, 강력범죄, 성범죄, 교통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의 전문성을 갖춘 형사전담팀을 운영 중이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15&aid=0000898869
한국경제
2021-07-30
서초형사전문변호사,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에 연루된 경우 "수사 단계에서부터 충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 필요해"
서초형사전문변호사,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에 연루된 경우 "수사 단계에서부터 충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 필요해"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이 세분화되어 다양한 피해 사례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이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보이스피싱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막대한 재산상 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실제 범행에 필수적인 피해금 수거, 인출, 송금, 전달 등을 담당하는 &apos;행동책&apos; 역시 범행의 도구로 이용하며 전혀 무관했던 사람을 한순간에 보이스피싱 가담자로 전락시키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보이스피싱 전달책 혐의를 받던 피고인이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동안 보이스피싱에서 &apos;행동책&apos; 행위는 엄연한 &apos;사기 방조&apos;, &apos;사기&apos;, &apos;전자금융거래법 위반&apos; 등 범죄에 해당하기 때문에 처벌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풍조라 이번 무죄 판결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피고인은 온라인 채용사이트에서 구인광고를 보고 입사했다. 이후 대출금 회수 업무를 담당했고 3일간 고객들로부터 대출금을 회수하여 이를 회사의 계좌로 입금하는 일을 했다. 그러나 이 고객들은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자였고 의뢰인은 피해자의 신고로 체포됐다. 실제로 회사는 보이스피싱 일당이 만든 유령회사였다.피고인을 변호한 심재국 서초형사전문변호사는 "당시 구치소에 수감 중이던 의뢰인과의 접견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보이스피싱 일당들의 범행을 알았다고 할 수 없는 여러 정황을 찾을 수 있었다. 의뢰인에게 사기의 고의가 없었음을 뜻하는 여러 정황이 있음을 근거로 의뢰인의 무죄를 주장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무죄가 선고됐다"라고 전했다.심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가담 혐의에 연루된 경우 이러한 무죄판결이 자신의 사건에도 적용될 것이라는 생각은 버려야 할 것"이라며 "범행 기간, 횟수, 내용, 피해 규모 등 사안에 따라 변수가 많다. 또한, 정말 억울하게 연루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범죄 사실을 알면서도 금전적 이득을 취하기 위해 범행에 가담하는 경우도 있다. 조금이라도 범죄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범죄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돼 초범이라도 실형을 피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수사 단계에서부터 충분한 법률 전문가의 조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 형사전문변호사는 경제범죄, 강력범죄, 성범죄, 교통범죄 등 다양한 형사사건의 전문성을 갖춘 형사전담팀을 운영 중이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15&aid=0000898869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소송 피고, 위자료 감액 위해선 법률 조력 필요"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소송 피고, 위자료 감액 위해선 법률 조력 필요"
법조계에 따르면, 간통죄 폐지 이후 최근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이는 과거 간통죄가 있던 시절, 외도를 한 배우자 또는 상대방에게 형사상 책임을 지도록 할 수 있었지만 간통죄 폐지로 인해 부정행위에 대한 처분으로 상간자(상간남, 상간녀) 위자료청구소송과 같은 민사상 손해배상을 통해 정신적 피해를 금전적으로 보상받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이혼전문변호사는 “간혹 상간자위자료소송 소장을 받은 피고가 원고가 주장하는 바를 인정하거나 반대로 죄가 없다고 하여 소장을 받고도 법적 대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경우 상대방이 청구한 위자료 금액을 전부 지급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원고가 주장하는 바가 사실과 다르거나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경우라도 위자료 감액 등을 위해서는 소장을 받은 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할 것”이라고 했다.상간자위자료소송 피고는 ▽부정행위가 없었지만 원고가 오해한 경우 ▽만남이 있었지만 상대가 유부남 또는 유부녀임을 몰랐던 경우 ▽부정행위가 있었고, 상대가 유부남 또는 유부녀임을 알았던 경우가 일반적이다.이에 대해 심 변호사는 “부정행위가 없었음에도 원고가 오해한 경우에는 원고가 증거로 제시한 증거들을 반박해 원고 청구 기각을 이끌어내야 하며, 상대방이 기혼 사실을 숨겼을 경우에도 상대방의 결혼 여부를 몰랐다는 점을 입증해 원고의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시켜야 할 것”이라고 했다.이어 “상대방이 이혼 의사를 밝혔거나 이미 혼인관계 파탄을 주장해 만남을 가진 경우, 부정행위가 있었고 상대가 기혼임을 알았던 경우에는 위자료 감액에 초점을 맞추는 게 좋다”며 “대부분 원고는 3,000~5,000만 원 선에서 위자료를 청구 하게 되나 전문 법률 조력가와 함께 부정행위 기간, 증거자료 등을 따져 유리한 정황을 확보한다면 위자료 감액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참고로 상간자위자료소송을 청구하는 원고가 분풀이를 위해 직장, 집에 찾아와 망신을 주거나 폭력 또는 온라인상에서 실명을 공개하는 경우에는 상간자위자료소송과 별개로 형사상 업무방해, 명예훼손, 모욕죄를 물을 수 있다.도움말을 제공한 심재국 서초 이혼전문변호사가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법률사무소를 운영 중이다.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권, 양육비, 상간자(상간남, 상간녀)위자료청구 등 다양한 쟁점을 다투는 이혼전담팀을 필두로 대한변호사협회가 인증한 이혼, 가사, 형사, 민사, 도산법 전문변호사와 차장검사 출신 변호사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717577
헤럴드경제
2021-07-30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소송 피고, 위자료 감액 위해선 법률 조력 필요"
서초 이혼전문변호사 "상간자위자료소송 피고, 위자료 감액 위해선 법률 조력 필요"
법조계에 따르면, 간통죄 폐지 이후 최근 상간자 위자료청구소송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이는 과거 간통죄가 있던 시절, 외도를 한 배우자 또는 상대방에게 형사상 책임을 지도록 할 수 있었지만 간통죄 폐지로 인해 부정행위에 대한 처분으로 상간자(상간남, 상간녀) 위자료청구소송과 같은 민사상 손해배상을 통해 정신적 피해를 금전적으로 보상받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이혼전문변호사는 “간혹 상간자위자료소송 소장을 받은 피고가 원고가 주장하는 바를 인정하거나 반대로 죄가 없다고 하여 소장을 받고도 법적 대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경우 상대방이 청구한 위자료 금액을 전부 지급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원고가 주장하는 바가 사실과 다르거나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경우라도 위자료 감액 등을 위해서는 소장을 받은 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할 것”이라고 했다.상간자위자료소송 피고는 ▽부정행위가 없었지만 원고가 오해한 경우 ▽만남이 있었지만 상대가 유부남 또는 유부녀임을 몰랐던 경우 ▽부정행위가 있었고, 상대가 유부남 또는 유부녀임을 알았던 경우가 일반적이다.이에 대해 심 변호사는 “부정행위가 없었음에도 원고가 오해한 경우에는 원고가 증거로 제시한 증거들을 반박해 원고 청구 기각을 이끌어내야 하며, 상대방이 기혼 사실을 숨겼을 경우에도 상대방의 결혼 여부를 몰랐다는 점을 입증해 원고의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시켜야 할 것”이라고 했다.이어 “상대방이 이혼 의사를 밝혔거나 이미 혼인관계 파탄을 주장해 만남을 가진 경우, 부정행위가 있었고 상대가 기혼임을 알았던 경우에는 위자료 감액에 초점을 맞추는 게 좋다”며 “대부분 원고는 3,000~5,000만 원 선에서 위자료를 청구 하게 되나 전문 법률 조력가와 함께 부정행위 기간, 증거자료 등을 따져 유리한 정황을 확보한다면 위자료 감액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참고로 상간자위자료소송을 청구하는 원고가 분풀이를 위해 직장, 집에 찾아와 망신을 주거나 폭력 또는 온라인상에서 실명을 공개하는 경우에는 상간자위자료소송과 별개로 형사상 업무방해, 명예훼손, 모욕죄를 물을 수 있다.도움말을 제공한 심재국 서초 이혼전문변호사가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법률사무소를 운영 중이다.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위자료, 재산분할, 양육권, 양육비, 상간자(상간남, 상간녀)위자료청구 등 다양한 쟁점을 다투는 이혼전담팀을 필두로 대한변호사협회가 인증한 이혼, 가사, 형사, 민사, 도산법 전문변호사와 차장검사 출신 변호사가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717577
데일리안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휴가철 음주운전 빈번...죄질 따라 엄벌 피하기 어려워”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휴가철 음주운전 빈번...죄질 따라 엄벌 피하기 어려워”
경찰청은 휴가철을 맞아 오는 9월 7일까지 음주운전을 집중적으로 단속한다.음주운전 사망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금요일을 포함해 주 1회 이상 피서지, 관광지 주변 유흥가, 고속도로 톨게이트, 휴게소, 음주사고 다발지역 등에서 지방청별로 일제히 단속에 나선다고 밝혔다. 경찰은 음주운전을 권유하거나 음주운전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 등 음주운전 방조 행위에 대해서도 처벌할 방침이다.음주운전은 혈중알코올농도에 따라 달리 처벌된다. 도로교통법은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0.08% 미만인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정하고 있다. 0.08% 이상 0.2% 미만인 경우에는 1년 이상 2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0.2% 이상인 경우에는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음주운전 방조죄로 처벌되는 경우는 ▽음주운전을 할 것을 알면서도 차 열쇠를 제공한 경우 ▽음주운전을 한 차량에 동승한 경우 ▽대리운전이 어려운 지역에서 술을 판매한 경우 ▽음주운전을 독려하거나 권유한 경우 등이 대표적이다. 혐의가 인정될 때에는 단순 방조의 경우 1년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적극적으로 독려했을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음주운전은 자칫 잘못하면 무고한 타인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범죄인만큼 술을 마셨다면 절대 운전대를 잡지 않아야 하나 다양한 상황에서 음주운전으로 적발 또는 사고를 일으켰다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며 “음주운전 혐의로 적발된 경우 사건 초기부터 법률 조력을 받아 사안의 경중에 따라 대처해야 하며 운전 경위와 음주운전 장소, 시간대, 거리 등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양형 및 감경 요소를 최대한 확보하는 게 방편일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자가 된 경우에도 법률 조력은 필요하다. 음주운전 사고로 상해나 사망에 이른 경우, 뺑소니를 당한 경우 등에는 단순 신고만으로 피해보상을 받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음주운전 피해 입증을 위한 진술, 증거 제출 등은 물론 가해자와의 합의 과정에서 쟁점이 다분하므로 전문가 조력을 충분히 활용해 피해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사건전문팀은 최근 차장검사 출신 변호사를 영입해 전문성을 제고하는 등 업계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21634
데일리안
2021-07-30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휴가철 음주운전 빈번...죄질 따라 엄벌 피하기 어려워”
서초 형사전문변호사, “휴가철 음주운전 빈번...죄질 따라 엄벌 피하기 어려워”
경찰청은 휴가철을 맞아 오는 9월 7일까지 음주운전을 집중적으로 단속한다.음주운전 사망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금요일을 포함해 주 1회 이상 피서지, 관광지 주변 유흥가, 고속도로 톨게이트, 휴게소, 음주사고 다발지역 등에서 지방청별로 일제히 단속에 나선다고 밝혔다. 경찰은 음주운전을 권유하거나 음주운전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 등 음주운전 방조 행위에 대해서도 처벌할 방침이다.음주운전은 혈중알코올농도에 따라 달리 처벌된다. 도로교통법은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0.08% 미만인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정하고 있다. 0.08% 이상 0.2% 미만인 경우에는 1년 이상 2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0.2% 이상인 경우에는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음주운전 방조죄로 처벌되는 경우는 ▽음주운전을 할 것을 알면서도 차 열쇠를 제공한 경우 ▽음주운전을 한 차량에 동승한 경우 ▽대리운전이 어려운 지역에서 술을 판매한 경우 ▽음주운전을 독려하거나 권유한 경우 등이 대표적이다. 혐의가 인정될 때에는 단순 방조의 경우 1년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적극적으로 독려했을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서초 형사전문변호사는 “음주운전은 자칫 잘못하면 무고한 타인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범죄인만큼 술을 마셨다면 절대 운전대를 잡지 않아야 하나 다양한 상황에서 음주운전으로 적발 또는 사고를 일으켰다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며 “음주운전 혐의로 적발된 경우 사건 초기부터 법률 조력을 받아 사안의 경중에 따라 대처해야 하며 운전 경위와 음주운전 장소, 시간대, 거리 등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양형 및 감경 요소를 최대한 확보하는 게 방편일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자가 된 경우에도 법률 조력은 필요하다. 음주운전 사고로 상해나 사망에 이른 경우, 뺑소니를 당한 경우 등에는 단순 신고만으로 피해보상을 받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음주운전 피해 입증을 위한 진술, 증거 제출 등은 물론 가해자와의 합의 과정에서 쟁점이 다분하므로 전문가 조력을 충분히 활용해 피해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도움말을 제공한 법무법인 대륜은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등 전국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사건전문팀은 최근 차장검사 출신 변호사를 영입해 전문성을 제고하는 등 업계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기사본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21634
데일리시큐
2021-07-29
창원 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음주운전 구제 조력필요"
창원 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음주운전 구제 조력필요"
음주운전 처벌을 강화하는 법개정으로, 혈중 알코올농도 수치가 면허정지 수준이라도 음주운전 재범자는 면허를 잃게 되며, 현행 혈중알코올 농도 기준도 0.05%를 0.03%로 강화하도록 개정 될 전망이다. 연말연시 음주운전 특별단속에 나섰다. 특히 기존 야간ㆍ심야 단속뿐만 아니라 평일과 휴일 점심 시간대 음주운전 예방을 위해 '대낮 단속'도 불시에 실시한다. 이에 경찰 관계자는 "음주운전은 언제 어디서든 단속된다는 인식이 확산하도록 교통경찰뿐 아니라 기동대, 지구대 등 가용경찰 인력을 최대한 동원해 횟수ㆍ시간을 최대한 늘려 단속할 계획이다"고 밝혔다.연말연시가 되어 각종 회식과 모임 등으로 음주운전 적발 및 갈등에 대한 사고가 많은 요즘이다.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에도 많은 음주운전 사례에 대한 사건이 접수되고 있다.의뢰인 A씨는 A씨의 사무실에서 약 4Km 구간을 혈중알코올 농도 0.252%의 술에 취한 상태로 운전하였다가 검사가 기소를 했다. 그러나, 형사재판에서 공소가 재기된 범죄사실에 대한 증명책임은 검사에게 있고, 유죄의 인정은 법관으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진실한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엄격한 증거의 의하여야 하므로, 그와 같은 증거가 없다면 설령 피고인에게 유죄의 의심이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 할 수밖에 없는바,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A씨의 음주운전 사실을 인정하기 부족하다는 판결을 이끌어 냈다.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성범죄, 경제 범죄, 음주운전, 청소년범죄 등 초기 대응에 특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성공사례를 통해 어렵고 힘든 시기에 놓인 이들을 위해 가족과 같이 편안하게 상의하고 의지할 수 있는 형사사건 전문 로펌으로 자리 매김 하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더불어, 내부적으로 자칫 소홀해지거나 부당해질 수 있는 수사를 정확하고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창원형사변호사가 수사기관의 요구 자료를 구성요건에 맞게 정리 및 제출해 사건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3006
데일리시큐
2021-07-29
창원 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음주운전 구제 조력필요"
창원 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음주운전 구제 조력필요"
음주운전 처벌을 강화하는 법개정으로, 혈중 알코올농도 수치가 면허정지 수준이라도 음주운전 재범자는 면허를 잃게 되며, 현행 혈중알코올 농도 기준도 0.05%를 0.03%로 강화하도록 개정 될 전망이다. 연말연시 음주운전 특별단속에 나섰다. 특히 기존 야간ㆍ심야 단속뿐만 아니라 평일과 휴일 점심 시간대 음주운전 예방을 위해 '대낮 단속'도 불시에 실시한다. 이에 경찰 관계자는 "음주운전은 언제 어디서든 단속된다는 인식이 확산하도록 교통경찰뿐 아니라 기동대, 지구대 등 가용경찰 인력을 최대한 동원해 횟수ㆍ시간을 최대한 늘려 단속할 계획이다"고 밝혔다.연말연시가 되어 각종 회식과 모임 등으로 음주운전 적발 및 갈등에 대한 사고가 많은 요즘이다.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에도 많은 음주운전 사례에 대한 사건이 접수되고 있다.의뢰인 A씨는 A씨의 사무실에서 약 4Km 구간을 혈중알코올 농도 0.252%의 술에 취한 상태로 운전하였다가 검사가 기소를 했다. 그러나, 형사재판에서 공소가 재기된 범죄사실에 대한 증명책임은 검사에게 있고, 유죄의 인정은 법관으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진실한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엄격한 증거의 의하여야 하므로, 그와 같은 증거가 없다면 설령 피고인에게 유죄의 의심이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 할 수밖에 없는바,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A씨의 음주운전 사실을 인정하기 부족하다는 판결을 이끌어 냈다.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성범죄, 경제 범죄, 음주운전, 청소년범죄 등 초기 대응에 특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성공사례를 통해 어렵고 힘든 시기에 놓인 이들을 위해 가족과 같이 편안하게 상의하고 의지할 수 있는 형사사건 전문 로펌으로 자리 매김 하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더불어, 내부적으로 자칫 소홀해지거나 부당해질 수 있는 수사를 정확하고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창원형사변호사가 수사기관의 요구 자료를 구성요건에 맞게 정리 및 제출해 사건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dailysecu.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3006
시사매거진
2021-07-29
부산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위자료 청구소송 승소사례
부산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위자료 청구소송 승소사례
이혼소송에서의 쟁점은 법이 정한 테두리 안에서 수집한 증거자료를 기반으로 위자료와 재산분할, 자녀에 대한 양육권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유책배우자로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는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법에서 인정하는 증거 수집 범위를 우선적으로 알아야 한다. 또한 소송을 진행하면서 위자료부터 재산분할과 양육권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합당한 결과를 위해서는 역시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하다.이혼소송에서 위자료 청구 대상은 유책배우자인 만큼 유책배우자로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수집이 필수라 할 수 있다. 유책배우자 이외의 제3자가 혼인파탄의 원인을 제공했다면 이들에게도 위자료 청구를 할 수 있다. 특히 배우자의 불륜으로 인한 이혼소송이라면 상간남, 상간녀에게도 민사상 위자료 청구가 가능하다.원고(의뢰인)는 피고1 배우자는 혼인신고를 한 법률상 부부 사이이고, 둘 사이의 자녀로 사건본인이 있다. 원고(의뢰인)는 피고 배우자가 혼인기간 중 A라는 남성, 피고2 B라는 남성과 각 부정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피고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하여 갈등이 지속되었고, 피고 배우자는 가출하여 일정 기간 동안 피고3 C와 동거를 하였다.이에 이혼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원고(의뢰인)와 함께 피고1 배우자와의 이혼 및 위자료, 자녀에 대한 양육권, 상간남 피고2, 피고3에 대한 위자료 청구소송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원고와 피고1은 이혼한다, 피고들은 공동하여 원고(의뢰인)에게 4,000만 원을 지급하라,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를 원고로 지정한다, 피고1은 자녀의 양육비로 매달 70만 원씩 지급하라는 판결을 받아냈다. 한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각 팀별 전담변호사 3인 이상의 공동변호원칙으로 사건을 다루어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이혼, 가사법, 형사법, 민사법 전문 분야에서 인정받아 이혼전문, 가사전문, 형사전문, 민사전문변호사로 활약하고 있는 대륜 변호사는 양육비, 양육권, 재산분할, 위자료 등 수 백 건 이상의 다양한 이혼, 가사소송 사건에 승소사례를 받아냈다.자세한 내용은 법무법인 대륜을 통해 알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776#09ne
시사매거진
2021-07-29
부산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위자료 청구소송 승소사례
부산이혼전문변호사 상간남 위자료 청구소송 승소사례
이혼소송에서의 쟁점은 법이 정한 테두리 안에서 수집한 증거자료를 기반으로 위자료와 재산분할, 자녀에 대한 양육권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유책배우자로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는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법에서 인정하는 증거 수집 범위를 우선적으로 알아야 한다. 또한 소송을 진행하면서 위자료부터 재산분할과 양육권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합당한 결과를 위해서는 역시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하다.이혼소송에서 위자료 청구 대상은 유책배우자인 만큼 유책배우자로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수집이 필수라 할 수 있다. 유책배우자 이외의 제3자가 혼인파탄의 원인을 제공했다면 이들에게도 위자료 청구를 할 수 있다. 특히 배우자의 불륜으로 인한 이혼소송이라면 상간남, 상간녀에게도 민사상 위자료 청구가 가능하다.원고(의뢰인)는 피고1 배우자는 혼인신고를 한 법률상 부부 사이이고, 둘 사이의 자녀로 사건본인이 있다. 원고(의뢰인)는 피고 배우자가 혼인기간 중 A라는 남성, 피고2 B라는 남성과 각 부정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피고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하여 갈등이 지속되었고, 피고 배우자는 가출하여 일정 기간 동안 피고3 C와 동거를 하였다.이에 이혼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원고(의뢰인)와 함께 피고1 배우자와의 이혼 및 위자료, 자녀에 대한 양육권, 상간남 피고2, 피고3에 대한 위자료 청구소송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원고와 피고1은 이혼한다, 피고들은 공동하여 원고(의뢰인)에게 4,000만 원을 지급하라,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를 원고로 지정한다, 피고1은 자녀의 양육비로 매달 70만 원씩 지급하라는 판결을 받아냈다. 한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각 팀별 전담변호사 3인 이상의 공동변호원칙으로 사건을 다루어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이혼, 가사법, 형사법, 민사법 전문 분야에서 인정받아 이혼전문, 가사전문, 형사전문, 민사전문변호사로 활약하고 있는 대륜 변호사는 양육비, 양육권, 재산분할, 위자료 등 수 백 건 이상의 다양한 이혼, 가사소송 사건에 승소사례를 받아냈다.자세한 내용은 법무법인 대륜을 통해 알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776#09ne
이투뉴스
2021-07-29
부산 법률분쟁, 전문 변호사의 해당 분야 조력 필요
부산 법률분쟁, 전문 변호사의 해당 분야 조력 필요
살다보면 의도치 않게 누구든 언제든 각종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 형사, 민사, 이혼, 가사, 행정 등 억울한 일로 나도 모르는 사이 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겪을 수 있는 금전거래, 부동산거래,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분쟁 등 민사사건을 비롯한 소위 ‘범죄’가 발생한 사기, 절도, 강제추행, 강간, 폭행, 상해, 명예훼손 등 형사사건 그리고 가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인 이혼, 상속 등 가사사건이 그 예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각종 소송, 형사재판의 경우 우선 사안의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변호사의 정성과 소송경험이다. 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변호사가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의뢰인의 사연을 귀 기울여 상세하게 들어보는 과정이 필수다”고 답했다.사건 유형별 승소를 위한 사실관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법관을 설득하기 위한 증거자료에는 무엇들이 필요한지, 어떻게 수집, 확보하고 또 소송과정에서 증거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는 수년간 다양한 사건들을 성공적으로 이뤄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승소노하우에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 다음 법관이 당사자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릴 수 있는 법률과 판례를 발견, 해석하여 법관에게 주장하는 것이다. 현재 수천 개의 법률, 시행령, 규칙 등이 존재한다. 이처럼 방대한 법률 등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폭넓은 지식과 오랜 경험이 중요하다.즉 소송 등에서 승소하기 위해서는 위처럼 변호사가 사건의 실체를 파악하고, 사건에 적용될 법률을 발견, 해석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176
이투뉴스
2021-07-29
부산 법률분쟁, 전문 변호사의 해당 분야 조력 필요
부산 법률분쟁, 전문 변호사의 해당 분야 조력 필요
살다보면 의도치 않게 누구든 언제든 각종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 형사, 민사, 이혼, 가사, 행정 등 억울한 일로 나도 모르는 사이 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겪을 수 있는 금전거래, 부동산거래,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분쟁 등 민사사건을 비롯한 소위 ‘범죄’가 발생한 사기, 절도, 강제추행, 강간, 폭행, 상해, 명예훼손 등 형사사건 그리고 가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인 이혼, 상속 등 가사사건이 그 예이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각종 소송, 형사재판의 경우 우선 사안의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변호사의 정성과 소송경험이다. 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변호사가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의뢰인의 사연을 귀 기울여 상세하게 들어보는 과정이 필수다”고 답했다.사건 유형별 승소를 위한 사실관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법관을 설득하기 위한 증거자료에는 무엇들이 필요한지, 어떻게 수집, 확보하고 또 소송과정에서 증거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는 수년간 다양한 사건들을 성공적으로 이뤄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승소노하우에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 다음 법관이 당사자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릴 수 있는 법률과 판례를 발견, 해석하여 법관에게 주장하는 것이다. 현재 수천 개의 법률, 시행령, 규칙 등이 존재한다. 이처럼 방대한 법률 등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폭넓은 지식과 오랜 경험이 중요하다.즉 소송 등에서 승소하기 위해서는 위처럼 변호사가 사건의 실체를 파악하고, 사건에 적용될 법률을 발견, 해석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176
대한금융신문
2021-07-29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대륜, 명예훼손 사건 협박 합의가 중요해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대륜, 명예훼손 사건 협박 합의가 중요해
명예훼손이란 이름이나 신분, 사회적 지위, 인격 등에 해를 끼쳐 손해를 입히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법적으로 말하면 &apos;명예&apos;란 사람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 즉 외부적 명예를 말한다. 따라서 명예훼손이란 사람의 품성, 덕행, 명성, 신용 등에 대한 객관적인 사회적 평가를 위법하게 저하시키는 행위를 말한다.형법상 명예훼손은 형법 307조에서 &apos;공연히 사실이나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apos;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명예의 주체에는 자연인, 법인뿐만 아니라 기타 단체도 포함된다. 또한 &apos;공연히&apos;라 함은 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apos;훼손&apos;은 반드시 현실로 명예를 침해함을 요하지 아니하고,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위험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판례는 해석하고 있다.피고인(의뢰인)은 A업체에 찾아가 업주인에게 사실은 피해자 B가 채권회수를 위하여 피고인(의뢰은)에게 깡패를 보낸 사실이 없음에도 “K씨는 병원장 자격이 없다. 내가 검찰청에 인맥이 있는데 사건화 하겠다. 나에게 깡패는 보낸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내가 언론에 기사화하고 XX병원에 300억 상당의 손실을 입힐 것이다.”고 말하여 공연히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였다.피곤은(의뢰인)은 피해자 C가 자신의 가게에 돈을 받기 위하여 사람들을 보낸 것에 대해 화가 난다는 이유로 찾아가 “사과 안하면 내가 원장 집에 폭력배를 보내고 하는 것에 대해 화가 난다는 이유로 찾아가 “사과를 안하면 내가 원장 집에 폭력배를 보내고 하는 것 같으면 넌 어찌되는지 알지? 난 전쟁이다 알겠나? 내 손가락 넣어서 입을 찢어줄까?”등 갖은 욕설을 하며, 피해자 C씨를 협박 하였다.피고인(의뢰인)은 A업체에서 그 곳 종업원인 D에게 위 가항과 같은 내용을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였다.위와 같은 협박으로 검사가 명예훼손, 협박죄로 기소를 하였다.이에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 변호사가 피해자들과의 원만한 합의가 성사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 합의를 이끌어 냈다. 그 결과 형법 조문에 따라 각 공소사실은 피해자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어, 이 사건 공소를 모두 기각한다는 판결을 받아냈다.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 변호사가 상주하는 법무법인 대륜은 위와 같은 협박, 명예훼손 관련 사건에 수 천 건의 승소 및 성공사례를 자랑한다.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다양한 승소사례와 내용을 접할 수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490
대한금융신문
2021-07-29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대륜, 명예훼손 사건 협박 합의가 중요해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대륜, 명예훼손 사건 협박 합의가 중요해
명예훼손이란 이름이나 신분, 사회적 지위, 인격 등에 해를 끼쳐 손해를 입히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법적으로 말하면 &apos;명예&apos;란 사람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 즉 외부적 명예를 말한다. 따라서 명예훼손이란 사람의 품성, 덕행, 명성, 신용 등에 대한 객관적인 사회적 평가를 위법하게 저하시키는 행위를 말한다.형법상 명예훼손은 형법 307조에서 &apos;공연히 사실이나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apos;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명예의 주체에는 자연인, 법인뿐만 아니라 기타 단체도 포함된다. 또한 &apos;공연히&apos;라 함은 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apos;훼손&apos;은 반드시 현실로 명예를 침해함을 요하지 아니하고,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위험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판례는 해석하고 있다.피고인(의뢰인)은 A업체에 찾아가 업주인에게 사실은 피해자 B가 채권회수를 위하여 피고인(의뢰은)에게 깡패를 보낸 사실이 없음에도 “K씨는 병원장 자격이 없다. 내가 검찰청에 인맥이 있는데 사건화 하겠다. 나에게 깡패는 보낸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내가 언론에 기사화하고 XX병원에 300억 상당의 손실을 입힐 것이다.”고 말하여 공연히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였다.피곤은(의뢰인)은 피해자 C가 자신의 가게에 돈을 받기 위하여 사람들을 보낸 것에 대해 화가 난다는 이유로 찾아가 “사과 안하면 내가 원장 집에 폭력배를 보내고 하는 것에 대해 화가 난다는 이유로 찾아가 “사과를 안하면 내가 원장 집에 폭력배를 보내고 하는 것 같으면 넌 어찌되는지 알지? 난 전쟁이다 알겠나? 내 손가락 넣어서 입을 찢어줄까?”등 갖은 욕설을 하며, 피해자 C씨를 협박 하였다.피고인(의뢰인)은 A업체에서 그 곳 종업원인 D에게 위 가항과 같은 내용을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였다.위와 같은 협박으로 검사가 명예훼손, 협박죄로 기소를 하였다.이에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 변호사가 피해자들과의 원만한 합의가 성사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 합의를 이끌어 냈다. 그 결과 형법 조문에 따라 각 공소사실은 피해자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어, 이 사건 공소를 모두 기각한다는 판결을 받아냈다.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 변호사가 상주하는 법무법인 대륜은 위와 같은 협박, 명예훼손 관련 사건에 수 천 건의 승소 및 성공사례를 자랑한다.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다양한 승소사례와 내용을 접할 수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490
머니투데이
2021-07-29
성범죄 혐의로 고통 받을 땐 창원형사전문변호사 조력이 필수
성범죄 혐의로 고통 받을 땐 창원형사전문변호사 조력이 필수
다양한 종류의 성범죄 사건이 매일 발생하고 있다, 민사 사건과 달리 형법을 따르는 성범죄 등 형사사건은 범죄와 관련된 일이기에 사건 하나하나 난이도가 높아 법적으로 밟아나가야 하는 절차들이 복잡하고 까다롭다.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마땅히 그에 따른 처벌을 받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처음 문제가 제기될 때와는 달리 나중에 무혐의나 무죄로 종결되었을 경우 사람들은 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보니 강간, 성추행 등 성범죄 혐의를 받은 피의자나 피고인이 해당 사실이 주변에 알려질까 두려워 적극 대응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성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면 막연히 스스로 상대방의 무고나 자신의 억울함만을 호소할 것이 아니라 관련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다.왜냐하면 강제추행과 강간죄 등 성범죄 형사사건은 대체로 ‘직접적이고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하고 목격자가 없이 ‘당사자들의 진술’과 ‘간접적이고 정확적인 사정’들만 존재하므로, 이러한 사정과 당사자들 진술의 신빙성을 겨루는 것이 주요 쟁점 중 하나이고 이러한 쟁점을 다루는 데에는 법률전문가의 판단과 조언이 필요하다. 성범죄는 그 처벌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어, 일반인으로서는 어떠한 행동이 범죄행위로 처벌받게 되는지 명확하게 예측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관련 혐의를 받고 있다면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권한다. 또한 성범죄는 피해자들의 진술만으로 유죄판결을 받을 수 있는 형사사건이어서 신중한 법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피의자 아니면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의 합의가 가장 중요하지만, 성범죄의 특성상 합의가 상당히 어렵거나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성폭력범의 신상정보 등록,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에 취업 제한과 같이 제재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결국, 성폭력 사건의 당사자들은 법의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변호사가 법률적인 도움이 필수적이다. 성범죄의 특성상 목격자나 CCTV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일이 잦은 만큼 혐의에 방어를 하기 위해서는 조사 단계의 피의자 초기 진술에 대응 초점을 맞춰야 한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법의 자의적 해석으로 행위자에게 책임의 정도를 넘어서는 형사책임을 지울 우려를 막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변론과 증거 수집 활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다"며 "의뢰인이 직면한 고통을 이해하고 다각도에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창원지방법원 국선변호인,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국선변호인, 진주경찰서 수사민원상담센터 자문변호사 등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사례의 형사사건을 접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형사전문변호사 인증을 받아 전략적인 법률 자문과 심화된 상담을 진행한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위치하면서 전국 전체를 관할하며 형사소송을 비롯해 민사, 이혼, 가사, 행정, 회생파산 등 다양한 사건사고 및 법률 분쟁에 대한 포괄적인 법률 조력 제공하고 있다. 한편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 변호사가 상주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수 천 건의 승소사례 및 성공사례를 자랑하며, 각 팀별 전담 변호사 3인 이상의 공동변호원칙으로 사건을 다루어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자세한 사항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이라고 검색하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19041515087849211
머니투데이
2021-07-29
성범죄 혐의로 고통 받을 땐 창원형사전문변호사 조력이 필수
성범죄 혐의로 고통 받을 땐 창원형사전문변호사 조력이 필수
다양한 종류의 성범죄 사건이 매일 발생하고 있다, 민사 사건과 달리 형법을 따르는 성범죄 등 형사사건은 범죄와 관련된 일이기에 사건 하나하나 난이도가 높아 법적으로 밟아나가야 하는 절차들이 복잡하고 까다롭다.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마땅히 그에 따른 처벌을 받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처음 문제가 제기될 때와는 달리 나중에 무혐의나 무죄로 종결되었을 경우 사람들은 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보니 강간, 성추행 등 성범죄 혐의를 받은 피의자나 피고인이 해당 사실이 주변에 알려질까 두려워 적극 대응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성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면 막연히 스스로 상대방의 무고나 자신의 억울함만을 호소할 것이 아니라 관련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다.왜냐하면 강제추행과 강간죄 등 성범죄 형사사건은 대체로 ‘직접적이고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하고 목격자가 없이 ‘당사자들의 진술’과 ‘간접적이고 정확적인 사정’들만 존재하므로, 이러한 사정과 당사자들 진술의 신빙성을 겨루는 것이 주요 쟁점 중 하나이고 이러한 쟁점을 다루는 데에는 법률전문가의 판단과 조언이 필요하다. 성범죄는 그 처벌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어, 일반인으로서는 어떠한 행동이 범죄행위로 처벌받게 되는지 명확하게 예측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관련 혐의를 받고 있다면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권한다. 또한 성범죄는 피해자들의 진술만으로 유죄판결을 받을 수 있는 형사사건이어서 신중한 법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피의자 아니면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의 합의가 가장 중요하지만, 성범죄의 특성상 합의가 상당히 어렵거나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성폭력범의 신상정보 등록,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에 취업 제한과 같이 제재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결국, 성폭력 사건의 당사자들은 법의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변호사가 법률적인 도움이 필수적이다. 성범죄의 특성상 목격자나 CCTV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일이 잦은 만큼 혐의에 방어를 하기 위해서는 조사 단계의 피의자 초기 진술에 대응 초점을 맞춰야 한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법의 자의적 해석으로 행위자에게 책임의 정도를 넘어서는 형사책임을 지울 우려를 막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변론과 증거 수집 활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다"며 "의뢰인이 직면한 고통을 이해하고 다각도에서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창원지방법원 국선변호인,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국선변호인, 진주경찰서 수사민원상담센터 자문변호사 등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사례의 형사사건을 접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형사전문변호사 인증을 받아 전략적인 법률 자문과 심화된 상담을 진행한다. 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위치하면서 전국 전체를 관할하며 형사소송을 비롯해 민사, 이혼, 가사, 행정, 회생파산 등 다양한 사건사고 및 법률 분쟁에 대한 포괄적인 법률 조력 제공하고 있다. 한편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 변호사가 상주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수 천 건의 승소사례 및 성공사례를 자랑하며, 각 팀별 전담 변호사 3인 이상의 공동변호원칙으로 사건을 다루어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자세한 사항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이라고 검색하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19041515087849211
CCTV NEWS
2021-07-29
창원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강제추행 실형 선고된 실제 사례 소개
창원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강제추행 실형 선고된 실제 사례 소개
일반적으로 강제추행죄는 상대의 의사에 반하여 폭행이나 협박으로 사람에게 성적 수치심을 일으키는 신체접촉 행위 등의 추행을 함으로써 성립하는 성범죄로써, 혐의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이에 대해 창원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은 강제추행으로 인한 실형 선고된 사례를 소개하려고 한다.피고인A씨는 피해자B씨의 뒤로 다가가 양손으로 피해자B씨의 가슴을 수 차례 주물러 만지고, 청바지 위로 피해자의 음부를 수 차례 만지고, 피해자의 손을 잡아 발기된 자신의 성기를 만지게 하고, 도망하는 피해자를 쫓아가 피해자의 가슴을 수 차례 만지고, 자신의 성기를 피해자의 엉덩이에 비비며 강제로 추행을 하였다.의뢰인인 피해자B씨는 이에 따라 법무법인 대륜에 방문하여 피해사실을 진술하고 고소대리를 의뢰하였다. 이에 법무법인 대륜은 전문변호사들로 전담팀을 구성하여 피해자를 위한 고소대리를 진행하였지만, 처음 피고인은 강제로 추행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였다.이에 창원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추행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한 후 이를 입증하기 위한 정황증거 등 직간접 증거를 수집 및 검토하여 피해자A씨의 진술에 신빙성을 입증하였다. 증거를 종합하면 피고인이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피고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징역 1년 6월에 처한다는 판결을 받아냈다.창원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의 관계자는 “성추행, 강제추행 등 사건에 대한 의뢰는 피해자의 진술에 의존하여 사건을 풀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자의 증언을 뒷받침할 증거수집이 가장 중요하다. 이번 강제추행 사건은 다른 성범죄 사건과는 다르게 집요한 조사와 자료수집으로 집행유예나 벌금형이 아닌 실형을 선고 받게 한 사건이다.”라고 말하였다.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수 천 건의 형사전문 사건에 승소 및 성공사례를 받아내었다.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분야 자격등록을 한 법무법인 대륜은 전문 변호사가 직접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서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175
CCTV NEWS
2021-07-29
창원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강제추행 실형 선고된 실제 사례 소개
창원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강제추행 실형 선고된 실제 사례 소개
일반적으로 강제추행죄는 상대의 의사에 반하여 폭행이나 협박으로 사람에게 성적 수치심을 일으키는 신체접촉 행위 등의 추행을 함으로써 성립하는 성범죄로써, 혐의가 인정될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이에 대해 창원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은 강제추행으로 인한 실형 선고된 사례를 소개하려고 한다.피고인A씨는 피해자B씨의 뒤로 다가가 양손으로 피해자B씨의 가슴을 수 차례 주물러 만지고, 청바지 위로 피해자의 음부를 수 차례 만지고, 피해자의 손을 잡아 발기된 자신의 성기를 만지게 하고, 도망하는 피해자를 쫓아가 피해자의 가슴을 수 차례 만지고, 자신의 성기를 피해자의 엉덩이에 비비며 강제로 추행을 하였다.의뢰인인 피해자B씨는 이에 따라 법무법인 대륜에 방문하여 피해사실을 진술하고 고소대리를 의뢰하였다. 이에 법무법인 대륜은 전문변호사들로 전담팀을 구성하여 피해자를 위한 고소대리를 진행하였지만, 처음 피고인은 강제로 추행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였다.이에 창원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의 형사전문변호사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추행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한 후 이를 입증하기 위한 정황증거 등 직간접 증거를 수집 및 검토하여 피해자A씨의 진술에 신빙성을 입증하였다. 증거를 종합하면 피고인이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피고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징역 1년 6월에 처한다는 판결을 받아냈다.창원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의 관계자는 “성추행, 강제추행 등 사건에 대한 의뢰는 피해자의 진술에 의존하여 사건을 풀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자의 증언을 뒷받침할 증거수집이 가장 중요하다. 이번 강제추행 사건은 다른 성범죄 사건과는 다르게 집요한 조사와 자료수집으로 집행유예나 벌금형이 아닌 실형을 선고 받게 한 사건이다.”라고 말하였다.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수 천 건의 형사전문 사건에 승소 및 성공사례를 받아내었다.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분야 자격등록을 한 법무법인 대륜은 전문 변호사가 직접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서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175
푸드경제
2021-07-29
창원진주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
창원진주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
살다 보면 이런 저런 사건사고로 소송의 당사자가 되는 일이 생긴다. 하지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법률적인 절차를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용어 자체가 생소할뿐더러 과정 역시도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이다. 형사소송 마찬가지이다. 형사 문제로 법적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 정상관계를 주장해 형사적 책임을 감경 받거나 혐의를 부인한 사실관계와 법리를 주장할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폭행, 상해, 사기, 횡령, 배임, 성범죄, 명예훼손, 음주운전 등 다양한 죄명에 대해 충분한 방어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풍부한 경험과 형사사건 진행의 노하우가 필요하다. 어떤 변호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천차만별이며, 형사전문변호사와 소송전략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대응해나가야 승소 확률이 높아진다.이에 창원진주 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각 분야 전문 변호사들이 수사 과정에 참여해 불리한 질문에 방어하며 필요한 소명자료를 제출해 대응하는 의뢰인 맞춤형 조력을 진행하고 있다.또한 피해자의 입장에서 고소를 하기 위해서는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고소대리를 하는 것이 좋다. 피해자들은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형사사건에 해당되는지 잘 모르거나 수사기관에 어떻게 진술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다.그리하여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풍부한 수사 경험을 통해 형사처분이 가능한지 상담 및 피해자별로 원하는 방향으로 피해 회복이 이루어지도록 수사기관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안정되게 진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이에 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성범죄, 경제 범죄, 음주운전, 청소년범죄 등 초기 대응에 특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성공사례를 통해 어렵고 힘든 시기에 놓인 이들을 위해 가족과 같이 편안하게 상의하고 의지할 수 있는 형사사건 전문 로펌으로 자리 매김 하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더불어, 내부적으로 자칫 소홀해지거나 부당해질 수 있는 수사를 정확하고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창원형사변호사가 수사기관의 요구 자료를 구성요건에 맞게 정리 및 제출해 사건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iloveorgan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88
푸드경제
2021-07-29
창원진주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
창원진주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
살다 보면 이런 저런 사건사고로 소송의 당사자가 되는 일이 생긴다. 하지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법률적인 절차를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용어 자체가 생소할뿐더러 과정 역시도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이다. 형사소송 마찬가지이다. 형사 문제로 법적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 정상관계를 주장해 형사적 책임을 감경 받거나 혐의를 부인한 사실관계와 법리를 주장할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폭행, 상해, 사기, 횡령, 배임, 성범죄, 명예훼손, 음주운전 등 다양한 죄명에 대해 충분한 방어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풍부한 경험과 형사사건 진행의 노하우가 필요하다. 어떤 변호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천차만별이며, 형사전문변호사와 소송전략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대응해나가야 승소 확률이 높아진다.이에 창원진주 형사변호사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각 분야 전문 변호사들이 수사 과정에 참여해 불리한 질문에 방어하며 필요한 소명자료를 제출해 대응하는 의뢰인 맞춤형 조력을 진행하고 있다.또한 피해자의 입장에서 고소를 하기 위해서는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고소대리를 하는 것이 좋다. 피해자들은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형사사건에 해당되는지 잘 모르거나 수사기관에 어떻게 진술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다.그리하여 법무법인 대륜에서는 풍부한 수사 경험을 통해 형사처분이 가능한지 상담 및 피해자별로 원하는 방향으로 피해 회복이 이루어지도록 수사기관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안정되게 진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이에 법무법인 대륜 관계자는 “성범죄, 경제 범죄, 음주운전, 청소년범죄 등 초기 대응에 특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성공사례를 통해 어렵고 힘든 시기에 놓인 이들을 위해 가족과 같이 편안하게 상의하고 의지할 수 있는 형사사건 전문 로펌으로 자리 매김 하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더불어, 내부적으로 자칫 소홀해지거나 부당해질 수 있는 수사를 정확하고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창원형사변호사가 수사기관의 요구 자료를 구성요건에 맞게 정리 및 제출해 사건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iloveorgan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88
교통신문
2021-07-29
가정폭력으로 인한 이혼소송, 부산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언
가정폭력으로 인한 이혼소송, 부산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언
서로 보듬고 의지하며 살아가야 하는 가정 내에서 폭력이 발생한다면 이는 결코 가벼운 사안이 아닐 것이다. 부부간의 다툼 등 각종 문제로 인해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라면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가정폭력은 우리 민법 제840조 제3호에 의해서 배우자 또는 직계존속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에 해당되며 이는 명백한 재판상 이혼사유다.부부가 다툼이 생겼을 때 대화를 통해서 합의를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협의이혼절차를 시도해볼 수 있으나 가정폭력은 사실상 배우자와 대화를 하는 것이 어렵다,따라서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이혼소송을 통해 혼인 관계를 해소하는 것을 권한다.의뢰인 A는 피고와 혼인신고를 마친 부부로, 피고는 의뢰인 A에게 욕설 및 폭언, 폭행, 상습적인 음주 등의 이혼사유를 들어 소송을 제기했다.법무법인 대륜의 이혼전담팀은 의뢰인의 입장에서 강력하게 대변하며 치밀한 전략으로 재판으로 임하였고, 그 결과 피고의 위와 같은 유책사유로 의뢰인A와 피고의 혼인관계가 파탄되었으므로 의뢰인 A와 피고는 이혼하고, 피고는 의뢰인 A에게 재산분할로 95,000,000원, 위자료로 2,0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이끌어냈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배우자로부터 폭언, 폭행 등의 피해를 입었다면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자료를 확보해 이혼 소송에서 활용을 해야 한다”며 “본인과 자식을 위해 가정폭력에서 벗어나고 위자료, 재산분할 등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관련 소송 경험이 풍부한 이혼전문변호사를 택해 조언을 구하라”고 전했다.또한 철저한 비밀이 보장되는 1:1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평일상담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사무소에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13시까지 토요일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한편 수 천 건의 승소 및 성공사례를 자랑하는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이혼사건 분야의 경력과 전문성을 인정받아 이혼전문변호사로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396
교통신문
2021-07-29
가정폭력으로 인한 이혼소송, 부산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언
가정폭력으로 인한 이혼소송, 부산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조언
서로 보듬고 의지하며 살아가야 하는 가정 내에서 폭력이 발생한다면 이는 결코 가벼운 사안이 아닐 것이다. 부부간의 다툼 등 각종 문제로 인해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라면 이혼전문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가정폭력은 우리 민법 제840조 제3호에 의해서 배우자 또는 직계존속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에 해당되며 이는 명백한 재판상 이혼사유다.부부가 다툼이 생겼을 때 대화를 통해서 합의를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협의이혼절차를 시도해볼 수 있으나 가정폭력은 사실상 배우자와 대화를 하는 것이 어렵다,따라서 이혼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이혼소송을 통해 혼인 관계를 해소하는 것을 권한다.의뢰인 A는 피고와 혼인신고를 마친 부부로, 피고는 의뢰인 A에게 욕설 및 폭언, 폭행, 상습적인 음주 등의 이혼사유를 들어 소송을 제기했다.법무법인 대륜의 이혼전담팀은 의뢰인의 입장에서 강력하게 대변하며 치밀한 전략으로 재판으로 임하였고, 그 결과 피고의 위와 같은 유책사유로 의뢰인A와 피고의 혼인관계가 파탄되었으므로 의뢰인 A와 피고는 이혼하고, 피고는 의뢰인 A에게 재산분할로 95,000,000원, 위자료로 2,0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이끌어냈다.법무법인 대륜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배우자로부터 폭언, 폭행 등의 피해를 입었다면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자료를 확보해 이혼 소송에서 활용을 해야 한다”며 “본인과 자식을 위해 가정폭력에서 벗어나고 위자료, 재산분할 등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관련 소송 경험이 풍부한 이혼전문변호사를 택해 조언을 구하라”고 전했다.또한 철저한 비밀이 보장되는 1:1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평일상담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사무소에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13시까지 토요일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한편 수 천 건의 승소 및 성공사례를 자랑하는 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이혼사건 분야의 경력과 전문성을 인정받아 이혼전문변호사로 대한변호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396
아시아경제
2021-07-29
법무법인 대륜, 혁신 성장으로 차별화된 경쟁력 ‘눈길’
법무법인 대륜, 혁신 성장으로 차별화된 경쟁력 ‘눈길’
국내 중형 로펌인 법무법인 대륜은 높은 승소율을 통한 의뢰인 신뢰를 기반으로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부산, 대구, 창원, 진주 등 동남권 지역을 거점으로 사무소를 확장 개점하며 대형 로펌에 출사표를 던진 ‘대륜’의 성장 비결을 들여다봤다.◆함께하는 ‘씽킹 시스템’에 주목...공동변호 시스템부터 지점별 소통까지심재국 대표변호사에 따르면, 의뢰인을 보호하고 정당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최우선 목표로 ‘승소’를 꼽는다.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공동변호 시스템’이 있다. 공동변호 시스템은 소송 사건 특성에 따라 전문 TF팀을 구성하고 쟁점 정리, 약점 보완, 변론 논리를 검증하는 업무 흐름도를 구축하는 것이다. 팀원이 된 전문변호사, 법무사, 법률 사무원은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변수에 따른 대응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해 전략을 끌어낸다.‘지점별 소통’도 눈길을 끈다. 각 지역사무소에서 수임 사건을 공유하고 유사 사건 판례와 변론 전략을 피드백하기 위해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했다. 이에 변호사가 사건에 주관적으로 매몰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과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륜만의 특화된 승소 솔루션이 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유연한 조직문화를 위한 ‘리버스 멘토링’ 도입도심재국 대표변호사는 로펌의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기업문화 쇄신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유연하고 의사결정이 빠른 조직 문화를 만드는 것”을 정론으로 실천하기 위해 일반 사원이 멘토가 되고 임원이 멘티가 되는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리버스 멘토링은 선배가 후배를 지도하는 전통적인 멘토링과는 반대로 선배가 후배에게서 새로운 지식과 트렌드를 배우고 영감을 얻는 비형식적인 학습 프로그램이다. 월 단위 1회 본사에서 열리는 리버스 멘토링으로 경영 회의 주요 안건을 자유롭게 토론하고 시장과 고객 동향을 파악하여 조직 전반의 경쟁력을 보완하고 있다. 또, 직원의 생산성을 높이고 자발적 몰입을 위해 업무 환경에도 변화를 꾀했다. 회의 시간 최소화, 보고 절차 및 행정 간소화, 불필요한 잔업과 특근 근절을 통해 업무 효율성 향상을 통해 직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현재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17명의 변호사가 소속되어 있다. 이혼, 가사, 형사, 민사에 특화된 전문변호사가 법률상담을 직접 진행하고 승소를 위한 맞춤형 전략을 제시한다.자세한 사항은 법무법인 대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547535
아시아경제
2021-07-29
법무법인 대륜, 혁신 성장으로 차별화된 경쟁력 ‘눈길’
법무법인 대륜, 혁신 성장으로 차별화된 경쟁력 ‘눈길’
국내 중형 로펌인 법무법인 대륜은 높은 승소율을 통한 의뢰인 신뢰를 기반으로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부산, 대구, 창원, 진주 등 동남권 지역을 거점으로 사무소를 확장 개점하며 대형 로펌에 출사표를 던진 ‘대륜’의 성장 비결을 들여다봤다.◆함께하는 ‘씽킹 시스템’에 주목...공동변호 시스템부터 지점별 소통까지심재국 대표변호사에 따르면, 의뢰인을 보호하고 정당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최우선 목표로 ‘승소’를 꼽는다.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공동변호 시스템’이 있다. 공동변호 시스템은 소송 사건 특성에 따라 전문 TF팀을 구성하고 쟁점 정리, 약점 보완, 변론 논리를 검증하는 업무 흐름도를 구축하는 것이다. 팀원이 된 전문변호사, 법무사, 법률 사무원은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변수에 따른 대응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해 전략을 끌어낸다.‘지점별 소통’도 눈길을 끈다. 각 지역사무소에서 수임 사건을 공유하고 유사 사건 판례와 변론 전략을 피드백하기 위해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했다. 이에 변호사가 사건에 주관적으로 매몰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과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륜만의 특화된 승소 솔루션이 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유연한 조직문화를 위한 ‘리버스 멘토링’ 도입도심재국 대표변호사는 로펌의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기업문화 쇄신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유연하고 의사결정이 빠른 조직 문화를 만드는 것”을 정론으로 실천하기 위해 일반 사원이 멘토가 되고 임원이 멘티가 되는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리버스 멘토링은 선배가 후배를 지도하는 전통적인 멘토링과는 반대로 선배가 후배에게서 새로운 지식과 트렌드를 배우고 영감을 얻는 비형식적인 학습 프로그램이다. 월 단위 1회 본사에서 열리는 리버스 멘토링으로 경영 회의 주요 안건을 자유롭게 토론하고 시장과 고객 동향을 파악하여 조직 전반의 경쟁력을 보완하고 있다. 또, 직원의 생산성을 높이고 자발적 몰입을 위해 업무 환경에도 변화를 꾀했다. 회의 시간 최소화, 보고 절차 및 행정 간소화, 불필요한 잔업과 특근 근절을 통해 업무 효율성 향상을 통해 직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현재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17명의 변호사가 소속되어 있다. 이혼, 가사, 형사, 민사에 특화된 전문변호사가 법률상담을 직접 진행하고 승소를 위한 맞춤형 전략을 제시한다.자세한 사항은 법무법인 대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547535
머니투데이
2021-07-29
법무법인 대륜, '강간사건 피고인 1심 무죄, 2심서도 항소 기각' 받아내 눈길
법무법인 대륜, '강간사건 피고인 1심 무죄, 2심서도 항소 기각' 받아내 눈길
그동안 성범죄는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서 은밀하게 발생되는 경우가 많고, 친분이 있는 사이에서 일어나는 사례가 많아 강제성 여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은 분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성범죄 특성상 목격자가 없거나 CCTV가 없는 공간에서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피해자의 진술 증거뿐만 아니라 객관적 사실과 물적 증거가 사건의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최근 강간사건 피고인으로 지목된 의뢰인의 억울함을 변호해 승소했다. 사건의 피해자는 피고인이 강제로 신체 일부를 이용해 수차례에 걸쳐 간음했다고 주장했으나 유전자감식결과 피해자 옷에서는 피해자의 DNA만 검출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모텔에 이동한 경로와 피해사실 등의 피해자 진술이 수사기관과 법정에서 일관성이 결여돼 이를 반박할 수 있는 객관적 증거를 확보했다. CCTV 영상, 문자 메시지, 피해자가 강하게 압박했다고 한 부위에 흔적이 남지 않은 점 등 물적 증거와 의사 소견서를 통해 피해자의 주장에서 허위사실을 가려냈다”라고 설명했다.이에 1심 재판부는 “본 사건은 공소사실을 인정하기 어렵고,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라며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이어진 2심에서도 “검사가 주장하는 사실오인의 위법은 없다”라며 기각 판결을 내렸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억울하게 성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면 해당 사실이 주변에 알려질까 두려워 말고 초기 단계부터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처벌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또한 그는 “현재 법무법인 대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은 법을 몰라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법적 약자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법률상담을 진행 중이다. 성범죄 사건의 경우 확실한 초기대응팀을 꾸려 억울한 사연으로 힘들어 하는 의뢰인의 무죄를 입증하고 구제하며 의뢰인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기&창업팀 이상연 기자 pond2580@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4274242
머니투데이
2021-07-29
법무법인 대륜, '강간사건 피고인 1심 무죄, 2심서도 항소 기각' 받아내 눈길
법무법인 대륜, '강간사건 피고인 1심 무죄, 2심서도 항소 기각' 받아내 눈길
그동안 성범죄는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서 은밀하게 발생되는 경우가 많고, 친분이 있는 사이에서 일어나는 사례가 많아 강제성 여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은 분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성범죄 특성상 목격자가 없거나 CCTV가 없는 공간에서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피해자의 진술 증거뿐만 아니라 객관적 사실과 물적 증거가 사건의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법무법인 대륜의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최근 강간사건 피고인으로 지목된 의뢰인의 억울함을 변호해 승소했다. 사건의 피해자는 피고인이 강제로 신체 일부를 이용해 수차례에 걸쳐 간음했다고 주장했으나 유전자감식결과 피해자 옷에서는 피해자의 DNA만 검출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모텔에 이동한 경로와 피해사실 등의 피해자 진술이 수사기관과 법정에서 일관성이 결여돼 이를 반박할 수 있는 객관적 증거를 확보했다. CCTV 영상, 문자 메시지, 피해자가 강하게 압박했다고 한 부위에 흔적이 남지 않은 점 등 물적 증거와 의사 소견서를 통해 피해자의 주장에서 허위사실을 가려냈다”라고 설명했다.이에 1심 재판부는 “본 사건은 공소사실을 인정하기 어렵고,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라며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이어진 2심에서도 “검사가 주장하는 사실오인의 위법은 없다”라며 기각 판결을 내렸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억울하게 성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면 해당 사실이 주변에 알려질까 두려워 말고 초기 단계부터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처벌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또한 그는 “현재 법무법인 대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은 법을 몰라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법적 약자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법률상담을 진행 중이다. 성범죄 사건의 경우 확실한 초기대응팀을 꾸려 억울한 사연으로 힘들어 하는 의뢰인의 무죄를 입증하고 구제하며 의뢰인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기&창업팀 이상연 기자 pond2580@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4274242
디지털타임스
2021-07-29
법무법인 대륜 "이혼 소송 시 승소 경험 풍부한 전문 변호사 도움 필요해"
법무법인 대륜 "이혼 소송 시 승소 경험 풍부한 전문 변호사 도움 필요해"
최근 간통죄 폐지 이후 배우자의 상간녀와 상간자를 상대로 위자료를 요구하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증가하고 있다. 한 사례로, 혼인식을 올린 후 혼인신고는 하지 않은 채 3년 동안 동거한 A군과 B양은 교대근무로 출퇴근 시간이 일정하지 않았던 A군이 사실혼 기간에 C양과 내연 관계를 맺었다. B양은 변호사의 도움으로 소송에 유리한 관련 영상, 메시지 기록, 녹취내용, 블랙박스 자료들을 수집/분석하여 증거자료로 제출하고 A군과 C양의 부정행위로 사실혼 관계가 파탄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혼인 관계 파탄에 따른 B양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을 책임질 의무가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법원은 B양의 주장과 증거자료를 인정해 A군과 C양의 유책행위로 사실혼 관계가 파탄되었다고 판단, A군과 C양에게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법무법인 대륜의 이혼 전문 대표 변호사로 활동 중인 심재국 변호사의 사례이다. 그는 "배우자의 상간자, 상간녀 존재를 알게 되고 소송을 준비하는 경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영상, 메시지 기록, 녹취내용 등 효력 있는 자료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고 이혼, 가사 전문 소송을 많이 수임해 본 변호사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했다. 또한 그는 "위자료 산정 시에도 무조건 높은 금액을 제시하기보다는 정신적 피해를 구체적으로 증명하고 이를 설득할 만한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해서 위자료를 산정해야만 인정받을 수 있다. 어떻게 입증하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에 소송 시 합리적인 비용과 승소 경험이 풍부한 이혼 전문변호사의 도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이혼, 가사, 형사, 민사를 전문 분야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 검색 시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81902109923005016&ref=naver
디지털타임스
2021-07-29
법무법인 대륜 "이혼 소송 시 승소 경험 풍부한 전문 변호사 도움 필요해"
법무법인 대륜 "이혼 소송 시 승소 경험 풍부한 전문 변호사 도움 필요해"
최근 간통죄 폐지 이후 배우자의 상간녀와 상간자를 상대로 위자료를 요구하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증가하고 있다. 한 사례로, 혼인식을 올린 후 혼인신고는 하지 않은 채 3년 동안 동거한 A군과 B양은 교대근무로 출퇴근 시간이 일정하지 않았던 A군이 사실혼 기간에 C양과 내연 관계를 맺었다. B양은 변호사의 도움으로 소송에 유리한 관련 영상, 메시지 기록, 녹취내용, 블랙박스 자료들을 수집/분석하여 증거자료로 제출하고 A군과 C양의 부정행위로 사실혼 관계가 파탄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혼인 관계 파탄에 따른 B양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을 책임질 의무가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법원은 B양의 주장과 증거자료를 인정해 A군과 C양의 유책행위로 사실혼 관계가 파탄되었다고 판단, A군과 C양에게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법무법인 대륜의 이혼 전문 대표 변호사로 활동 중인 심재국 변호사의 사례이다. 그는 "배우자의 상간자, 상간녀 존재를 알게 되고 소송을 준비하는 경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영상, 메시지 기록, 녹취내용 등 효력 있는 자료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고 이혼, 가사 전문 소송을 많이 수임해 본 변호사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했다. 또한 그는 "위자료 산정 시에도 무조건 높은 금액을 제시하기보다는 정신적 피해를 구체적으로 증명하고 이를 설득할 만한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해서 위자료를 산정해야만 인정받을 수 있다. 어떻게 입증하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에 소송 시 합리적인 비용과 승소 경험이 풍부한 이혼 전문변호사의 도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이혼, 가사, 형사, 민사를 전문 분야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 지역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 검색 시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81902109923005016&ref=naver
NBN내외경제 TV
2021-07-29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위증죄 성공사례”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위증죄 성공사례”
음주운전 기준과 처벌이 강화되는 윤창호법이 시행된 지 한 달이 넘었다. 이에 많은 음주운전 처벌자가 나오고 그 밖에도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을 하고 있는데, 부산 및 대구, 창원, 진주에 사무실을 두고 운영을 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음주와 관련된 특이한 사건이 접수가 되어 공개했다. 지인의 음주운전 사건의 증인으로 참석한 의뢰인이 증언에 대한 위증죄로 기소를 당한 내용이다.피고인(의뢰인)은 창원지방법원 법정에서, A씨에 대한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사건의 항소심 재판의 증인으로 출석하여 선서한 다음, 변호인의 “증인은 사건 당일 날 피고인하고 같이 피고인 소유의 승용차가 주차되어 있는 곳까지 도보로 이동한 사실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예”라고 대답하였고, 변호인의 “증인은 피고인과 같이 도보로 이동한 다음에 피고인이 자신의 승용차에 탑승하는 것을 본 사실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예”라고 대답하였고, 이어 변호인의 “어디에 타던가요”라는 질문에 “뒷좌석에 탔어요”라고 대답했다.그러나 사실 A씨가 음주상태로 운전을 하여 사고 장소에 이른 것으로, 피고인은 A씨와 함께 A씨 소유의 승용차가 주차되어 있던 사고 장소까지 보도로 이동하지 않았고, A씨가 위 승용차의 뒷좌석에 타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 이로써 피고인은 위와 같이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 허위의 증언을 하여 위증하였다고 기소 당했다.하여 법무법인 대륜의 변호인은 “피고인은 A씨가 벤치에 누워있는 것을 보고 A씨와 함께 임시주차장까지 걸어가다가 A씨가 주차되어 있던 자신의 차량에서 잠시 쉬어 가겠다고 하며 차량 뒷좌석에 타는 것을 보고 귀가하였을 뿐 그 이후에 일어난 상황은 알지 못하고, 법정에서도 당시 있었던 일을 기억나는 대로 증언하였다”고 적극 변론하여 무죄를 받아낼 수 있었다.재판부는 피고인의 증언은 A씨가 자신의 차량 뒷좌석에 타는 것을 보았다는 데까지이지 그 후 A씨가 주취 상태에서 운전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따라서 A씨가 음주운전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다는 것이 이 사건 위증의 공소사실에 대한 직접증거는 되지 않는다고 판단,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형사소송법에 의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대한변호사협회 인정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분야 자격등록을 등록한 법무법인 대륜의 관계자는 “지인의 기소로 시작된 이번 사건은 음주운전 유죄 판결로 인해 발생한 사건으로 의뢰인이 오히려 위증하지 않았던 내용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사건은 기소가 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전문인에게 조언을 구하면 간단하게 사건을 종결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 검색 시 확인할 수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nbntv.co.kr/news/view/528290
NBN내외경제 TV
2021-07-29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위증죄 성공사례”
부산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대륜’, "위증죄 성공사례”
음주운전 기준과 처벌이 강화되는 윤창호법이 시행된 지 한 달이 넘었다. 이에 많은 음주운전 처벌자가 나오고 그 밖에도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을 하고 있는데, 부산 및 대구, 창원, 진주에 사무실을 두고 운영을 하고 있는 법무법인 대륜에 따르면 음주와 관련된 특이한 사건이 접수가 되어 공개했다. 지인의 음주운전 사건의 증인으로 참석한 의뢰인이 증언에 대한 위증죄로 기소를 당한 내용이다.피고인(의뢰인)은 창원지방법원 법정에서, A씨에 대한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사건의 항소심 재판의 증인으로 출석하여 선서한 다음, 변호인의 “증인은 사건 당일 날 피고인하고 같이 피고인 소유의 승용차가 주차되어 있는 곳까지 도보로 이동한 사실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예”라고 대답하였고, 변호인의 “증인은 피고인과 같이 도보로 이동한 다음에 피고인이 자신의 승용차에 탑승하는 것을 본 사실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예”라고 대답하였고, 이어 변호인의 “어디에 타던가요”라는 질문에 “뒷좌석에 탔어요”라고 대답했다.그러나 사실 A씨가 음주상태로 운전을 하여 사고 장소에 이른 것으로, 피고인은 A씨와 함께 A씨 소유의 승용차가 주차되어 있던 사고 장소까지 보도로 이동하지 않았고, A씨가 위 승용차의 뒷좌석에 타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 이로써 피고인은 위와 같이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 허위의 증언을 하여 위증하였다고 기소 당했다.하여 법무법인 대륜의 변호인은 “피고인은 A씨가 벤치에 누워있는 것을 보고 A씨와 함께 임시주차장까지 걸어가다가 A씨가 주차되어 있던 자신의 차량에서 잠시 쉬어 가겠다고 하며 차량 뒷좌석에 타는 것을 보고 귀가하였을 뿐 그 이후에 일어난 상황은 알지 못하고, 법정에서도 당시 있었던 일을 기억나는 대로 증언하였다”고 적극 변론하여 무죄를 받아낼 수 있었다.재판부는 피고인의 증언은 A씨가 자신의 차량 뒷좌석에 타는 것을 보았다는 데까지이지 그 후 A씨가 주취 상태에서 운전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따라서 A씨가 음주운전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다는 것이 이 사건 위증의 공소사실에 대한 직접증거는 되지 않는다고 판단,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형사소송법에 의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대한변호사협회 인정 형사전문, 민사전문, 이혼전문, 가사전문분야 자격등록을 등록한 법무법인 대륜의 관계자는 “지인의 기소로 시작된 이번 사건은 음주운전 유죄 판결로 인해 발생한 사건으로 의뢰인이 오히려 위증하지 않았던 내용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사건은 기소가 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전문인에게 조언을 구하면 간단하게 사건을 종결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 검색 시 확인할 수 있다.기사원문보기 - http://nbntv.co.kr/news/view/528290
뉴스페이퍼
2021-07-29
심재국 부산이혼변호사  “사실혼 관계도 위자료, 재산분할 가능”
심재국 부산이혼변호사 “사실혼 관계도 위자료, 재산분할 가능”
최근에는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실제의 부부처럼 살아가는 사실혼 관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사실혼이란 법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아 법률상 혼인으로 인정받을 수는 없으나 실질적으로 부부관계에 있는 혼인상태를 말한다.사실혼이든 법률혼이든 혼인관계가 인정되면 동거, 부양, 협조, 정조와 같은 의무사항과 함께 다양한 권리가 주어진다. 그렇다면 사실혼으로 부부관계를 지속해왔다가 관계가 종료될 경우 어떠한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을까?법무법인 대륜 이혼전문변호사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사실혼 배우자는 법률혼 배우자와 마찬가지로 사실혼이 해소되는 경우 상대방 배우자에 대하여 재산 분할 청구 및 위자료 청구 소송이 가능하다. 다만 사실혼 상태에서는 친족 관계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혼 배우자가 사망하더라도 상속권이 발생하지 않는다.” 라고 설명했다.다만 재산 분할과 위자료를 청구하기 위해 사실혼 관계가 성립하려면 필요한 요건이 있다. 서로 합치되는 혼인의사가 있어야 하며, 한 집에 남녀 모두가 전입신고를 하여 함께 살고, 서로의 가족 경조사를 챙기며, 주변인들에게 서로를 배우자로 소개하는 등 혼인신고만 하지 않았을 뿐 실질적으로 부부로서의 관계를 구축해왔어야 한다. 하지만 법률혼과 다르게 사실혼 이혼소송은 사실혼 여부부터 입증해야 한다.심재국 변호사는 “사실혼 이혼소송은 법률혼 이혼 재판과 달리 사실혼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 우선이다. 상대방에게 재산 분할과 위자료를 주지 않기 위해 사실혼 관계를 부정하고 단순 동거 관계였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라며, “사실혼 재산 분할은 사실혼 관계, 기여도를 어떻게 입증하느냐에 따라, 사실혼 위자료는 사실혼 관계, 상대방의 이혼 귀책사유를 어떻게 증명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섣불리 진행할 경우 사실혼 관계를 입증하지 못해 소송 자체가 기각될 수 있으니 이혼 및 가사 소송을 많이 수임해 본 전문 변호사에 도움을 받을 것을 권한다.” 라고 조언했다.한편, 심재국 변호사가 대표변호사로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부산이혼변호사 및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도 이혼전담팀을 운영하며 활발히 활동 중인 법률사무소로, 3인의 변호사가 함께 사건을 처리하며 이혼 소송, 재산 분할 소송, 상간자 위자료 소송 등 가사 소송 전반에 풍부한 사건 경험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서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news-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420
뉴스페이퍼
2021-07-29
심재국 부산이혼변호사  “사실혼 관계도 위자료, 재산분할 가능”
심재국 부산이혼변호사 “사실혼 관계도 위자료, 재산분할 가능”
최근에는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실제의 부부처럼 살아가는 사실혼 관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사실혼이란 법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아 법률상 혼인으로 인정받을 수는 없으나 실질적으로 부부관계에 있는 혼인상태를 말한다.사실혼이든 법률혼이든 혼인관계가 인정되면 동거, 부양, 협조, 정조와 같은 의무사항과 함께 다양한 권리가 주어진다. 그렇다면 사실혼으로 부부관계를 지속해왔다가 관계가 종료될 경우 어떠한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을까?법무법인 대륜 이혼전문변호사 심재국 대표 변호사는 “사실혼 배우자는 법률혼 배우자와 마찬가지로 사실혼이 해소되는 경우 상대방 배우자에 대하여 재산 분할 청구 및 위자료 청구 소송이 가능하다. 다만 사실혼 상태에서는 친족 관계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혼 배우자가 사망하더라도 상속권이 발생하지 않는다.” 라고 설명했다.다만 재산 분할과 위자료를 청구하기 위해 사실혼 관계가 성립하려면 필요한 요건이 있다. 서로 합치되는 혼인의사가 있어야 하며, 한 집에 남녀 모두가 전입신고를 하여 함께 살고, 서로의 가족 경조사를 챙기며, 주변인들에게 서로를 배우자로 소개하는 등 혼인신고만 하지 않았을 뿐 실질적으로 부부로서의 관계를 구축해왔어야 한다. 하지만 법률혼과 다르게 사실혼 이혼소송은 사실혼 여부부터 입증해야 한다.심재국 변호사는 “사실혼 이혼소송은 법률혼 이혼 재판과 달리 사실혼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 우선이다. 상대방에게 재산 분할과 위자료를 주지 않기 위해 사실혼 관계를 부정하고 단순 동거 관계였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라며, “사실혼 재산 분할은 사실혼 관계, 기여도를 어떻게 입증하느냐에 따라, 사실혼 위자료는 사실혼 관계, 상대방의 이혼 귀책사유를 어떻게 증명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섣불리 진행할 경우 사실혼 관계를 입증하지 못해 소송 자체가 기각될 수 있으니 이혼 및 가사 소송을 많이 수임해 본 전문 변호사에 도움을 받을 것을 권한다.” 라고 조언했다.한편, 심재국 변호사가 대표변호사로 있는 법무법인 대륜은 부산이혼변호사 및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지역에서도 이혼전담팀을 운영하며 활발히 활동 중인 법률사무소로, 3인의 변호사가 함께 사건을 처리하며 이혼 소송, 재산 분할 소송, 상간자 위자료 소송 등 가사 소송 전반에 풍부한 사건 경험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맞춤형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서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news-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420
G밸리뉴스
2021-07-29
이혼소송 시, 이혼전문변호사 조언 필요해
이혼소송 시, 이혼전문변호사 조언 필요해
자라온 환경, 성격, 그 외의 주변 요인들이 각자 다른 두 사람이 결혼한 후,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건강한 결혼생활이 지속되기는 어렵다. 결국 원활한 관계가 유지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마침내 이혼을 고려하기까지 이른다.이 때, 합의로 이혼이 이뤄지지 않으면 재판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혼소송을 통해 재판이혼이 진행 될 경우 스스로 소송을 준비하기 보단 이혼전문 변호사와 함께 재판을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이혼소송은 소송 진행 시 조정절차, 가사조사절차, 부부상담 등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혼사유에 따라 진행 가능 여부는 물론 누구의 손을 들어주느냐는 객관적 증거로 판가름 나기 때문에 법정 다툼의 소지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재산분할, 위자료, 양육권 및 친권, 양육비 산정, 변호사선임비용까지 다양한 문제를 다루게 된다.특히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 시에는 공동협력을 통해 축적한 모든 재산을 대상으로 혼인기간 동안 재산형성 및 유지, 감소 방지를 위한 각자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하게 되는데 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도를 적극적으로 입증 및 주장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때 재산분할에 따른 자신의 기여도 입증, 친권 및 양육권을 위한 양육계획서와 진정성 있는 양육 의지, 상대방에 이혼 유책이 있음을 증명해야 하는 위자료 문제 등 이혼소송에 따른 전 과정에서 법률적 지식을 가진 변호사의 상담과 조력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법무법인 대륜의 이혼전문변호사인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이혼소송은 혼인의 해소뿐만 아니라 친권 및 양육권, 양육비, 재산분할, 위자료 등의 문제까지 면밀하게 검토해야 할 소송으로 그렇기에 이혼소송의 여러 과정에 있어 개인이 혼자 진행하기란 쉽지 않다”며 “섣불리 이혼소송을 청구하게 되면 증거가 충분하지 않아 주장·입증할 사실이 없을 수도 있고 청구 자체가 기각될 수도 있는 문제인데, 소송비용까지 고스란히 안게 될 수 있으므로 관련 경험이 풍부한 이혼변호사와의 충분한 상담 후 소송을 진행하는 것을 권한다”고 전했다.아울러 "이혼소송뿐만 아니라 가사소송 전반에 걸쳐 다년간 쌓아 온 다양한 케이스의 소송 경험으로 그 노하우까지 겸비해 의뢰인에게 유리한 판결을 이끌 수 있는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이혼 전문분야 자격등록을 마친 변호사를 통해 실제 이혼소송 사례를 기준으로 1:1 맞춤 법률상담으로 이혼소송을 준비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라고 조언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gvalle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289
G밸리뉴스
2021-07-29
이혼소송 시, 이혼전문변호사 조언 필요해
이혼소송 시, 이혼전문변호사 조언 필요해
자라온 환경, 성격, 그 외의 주변 요인들이 각자 다른 두 사람이 결혼한 후,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건강한 결혼생활이 지속되기는 어렵다. 결국 원활한 관계가 유지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마침내 이혼을 고려하기까지 이른다.이 때, 합의로 이혼이 이뤄지지 않으면 재판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혼소송을 통해 재판이혼이 진행 될 경우 스스로 소송을 준비하기 보단 이혼전문 변호사와 함께 재판을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이혼소송은 소송 진행 시 조정절차, 가사조사절차, 부부상담 등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혼사유에 따라 진행 가능 여부는 물론 누구의 손을 들어주느냐는 객관적 증거로 판가름 나기 때문에 법정 다툼의 소지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재산분할, 위자료, 양육권 및 친권, 양육비 산정, 변호사선임비용까지 다양한 문제를 다루게 된다.특히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 시에는 공동협력을 통해 축적한 모든 재산을 대상으로 혼인기간 동안 재산형성 및 유지, 감소 방지를 위한 각자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하게 되는데 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도를 적극적으로 입증 및 주장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때 재산분할에 따른 자신의 기여도 입증, 친권 및 양육권을 위한 양육계획서와 진정성 있는 양육 의지, 상대방에 이혼 유책이 있음을 증명해야 하는 위자료 문제 등 이혼소송에 따른 전 과정에서 법률적 지식을 가진 변호사의 상담과 조력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법무법인 대륜의 이혼전문변호사인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이혼소송은 혼인의 해소뿐만 아니라 친권 및 양육권, 양육비, 재산분할, 위자료 등의 문제까지 면밀하게 검토해야 할 소송으로 그렇기에 이혼소송의 여러 과정에 있어 개인이 혼자 진행하기란 쉽지 않다”며 “섣불리 이혼소송을 청구하게 되면 증거가 충분하지 않아 주장·입증할 사실이 없을 수도 있고 청구 자체가 기각될 수도 있는 문제인데, 소송비용까지 고스란히 안게 될 수 있으므로 관련 경험이 풍부한 이혼변호사와의 충분한 상담 후 소송을 진행하는 것을 권한다”고 전했다.아울러 "이혼소송뿐만 아니라 가사소송 전반에 걸쳐 다년간 쌓아 온 다양한 케이스의 소송 경험으로 그 노하우까지 겸비해 의뢰인에게 유리한 판결을 이끌 수 있는 양질의 법률 서비스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인정하는 이혼 전문분야 자격등록을 마친 변호사를 통해 실제 이혼소송 사례를 기준으로 1:1 맞춤 법률상담으로 이혼소송을 준비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라고 조언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gvalle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289
CCTV NEWS
2021-07-29
진주변호사 재판상이혼, 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이 필요
진주변호사 재판상이혼, 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이 필요
이혼율 또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급격한 이혼율 증가에 비해 이혼 준비과정이나 이혼에 있어 중요한 쟁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의뢰인들이 적다보니, 이로 인해 불편과 피해를 겪는 경우들 또한 적지 않다.이혼의 방식은 진행방식에 따라 합의이혼과 재판상 이혼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것, 또는 법원 내에서 재판상이혼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민법 제840조에 의거하고 있는 재판상이혼원인에 해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 등 일반인들이 이혼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 이해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의뢰인 A는 피고와 혼인신고를 마친 부부로, 피고는 혼인기간 내내 자신의 수입을 숨기고 의뢰인 A에게 생활비를 지급하지 않다가 일방적으로 집을 나간 후 연락이 닿지 않는 등의 이혼사유를 들어 소송을 제기했다.그 결과 피고의 위와 같은 유책 사유로 의뢰인A와 피고의 혼인관계가 파탄 되었으므로 의뢰인 A와 피고는 이혼하고, 피고는 의뢰인 A에게 위자료로 2,0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이끌어 냈다.법무법인 대륜 이혼전문변호사인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요즘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혼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을 쉽게 습득할 수가 있다. 하지만 법적 상황이나 사례마다 법리적인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법적 판단 없이 무작정 본인의 사건에 적용한다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전했다. 덧붙여, “재판상이혼을 진행하다 보면 부부 간의 재산분할과 위자료, 양육권, 양육비 청구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본인의 이익과 안정을 위해서 법률전문가로부터 법률적 조언과 충고를 바탕으로 이혼을 준비하는 것이 다른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각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2018년 한국소비자평가’, ‘2019년 소비자만족’ 법률서비스 부문에서 국내 1위를 수상하여 그 능력을 입증한 바 있다.또한 다양한 경험과 수천 건의 승소사례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혼부문에서 대륜만의 독자적인 법률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의뢰인들의 이혼고민을 해결하기 위하여 법률상담을 진행 중에 있다.진주변호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603
CCTV NEWS
2021-07-29
진주변호사 재판상이혼, 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이 필요
진주변호사 재판상이혼, 변호사의 법률적 도움이 필요
이혼율 또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급격한 이혼율 증가에 비해 이혼 준비과정이나 이혼에 있어 중요한 쟁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의뢰인들이 적다보니, 이로 인해 불편과 피해를 겪는 경우들 또한 적지 않다.이혼의 방식은 진행방식에 따라 합의이혼과 재판상 이혼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것, 또는 법원 내에서 재판상이혼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민법 제840조에 의거하고 있는 재판상이혼원인에 해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 등 일반인들이 이혼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 이해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의뢰인 A는 피고와 혼인신고를 마친 부부로, 피고는 혼인기간 내내 자신의 수입을 숨기고 의뢰인 A에게 생활비를 지급하지 않다가 일방적으로 집을 나간 후 연락이 닿지 않는 등의 이혼사유를 들어 소송을 제기했다.그 결과 피고의 위와 같은 유책 사유로 의뢰인A와 피고의 혼인관계가 파탄 되었으므로 의뢰인 A와 피고는 이혼하고, 피고는 의뢰인 A에게 위자료로 2,0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이끌어 냈다.법무법인 대륜 이혼전문변호사인 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요즘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혼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을 쉽게 습득할 수가 있다. 하지만 법적 상황이나 사례마다 법리적인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법적 판단 없이 무작정 본인의 사건에 적용한다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전했다. 덧붙여, “재판상이혼을 진행하다 보면 부부 간의 재산분할과 위자료, 양육권, 양육비 청구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본인의 이익과 안정을 위해서 법률전문가로부터 법률적 조언과 충고를 바탕으로 이혼을 준비하는 것이 다른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한편, 법무법인 대륜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창원, 청주, 전주, 의정부, 춘천, 진주, 제주에 각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2018년 한국소비자평가’, ‘2019년 소비자만족’ 법률서비스 부문에서 국내 1위를 수상하여 그 능력을 입증한 바 있다.또한 다양한 경험과 수천 건의 승소사례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혼부문에서 대륜만의 독자적인 법률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의뢰인들의 이혼고민을 해결하기 위하여 법률상담을 진행 중에 있다.진주변호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에 ‘법무법인 대륜’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603
G밸리뉴스
2021-07-29
변호사 민사소송, 법리적용과 해석에 따라 방향 달라질 수 있어 변호사의 조력 받는 것이 바람직
변호사 민사소송, 법리적용과 해석에 따라 방향 달라질 수 있어 변호사의 조력 받는 것이 바람직
살아가다보면 예기치 않게 법적 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있다. 부동산, 대여금, 손해배상, 임대차와 같은 민사소송 등. 그러나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나는 법적분쟁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란 쉽지 않다.민사소송은 개인 간의 법률관계 또는 사법상의 다툼이나 권리 등에 대한 존부를 확정하는 것이 목표인 재판과정이며, 이를 법원이 재판권으로 법률로써 강제 해결 하기 위한 절차다.이러한 민사소송의 핵심이 되는 원칙이 바로 변론주의다. 변론주의는 당사자들이 수집한 입증자료 및 사실 등을 확인하고 변론을 거친 후 판결을 내리는 방식으로,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부분 또는 제출하지 않는 자료 등을 기초로 판결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따라서 원활한 사건의 해결을 위해서는 철저한 입증자료 및 요건사실의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가 부족하여 패소 하였을 경우 이는 당사자의 권능이기에 당사자의 책임이 된다. 그러기에 승소를 위해서는 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이런 일상을 위협하는 법적 분쟁에 대해 "다양한 민사소송 등 사람과 사람 간의 갈등이 벌어지는 경우, 제대로 된 대처를 하는 것에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인다"라며 "지역민들이 복잡하고 어려운 법적 문제로 고통 받지 않도록 든든한 변호인으로서 조력하는 것은 물론 서로 간의 소통을 원활히 해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덧붙여 “다양한 민사소송 사건들은 사실관계와 증거, 법리의 해석과 적용에 따라 사안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gvalle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484
G밸리뉴스
2021-07-29
변호사 민사소송, 법리적용과 해석에 따라 방향 달라질 수 있어 변호사의 조력 받는 것이 바람직
변호사 민사소송, 법리적용과 해석에 따라 방향 달라질 수 있어 변호사의 조력 받는 것이 바람직
살아가다보면 예기치 않게 법적 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있다. 부동산, 대여금, 손해배상, 임대차와 같은 민사소송 등. 그러나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나는 법적분쟁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란 쉽지 않다.민사소송은 개인 간의 법률관계 또는 사법상의 다툼이나 권리 등에 대한 존부를 확정하는 것이 목표인 재판과정이며, 이를 법원이 재판권으로 법률로써 강제 해결 하기 위한 절차다.이러한 민사소송의 핵심이 되는 원칙이 바로 변론주의다. 변론주의는 당사자들이 수집한 입증자료 및 사실 등을 확인하고 변론을 거친 후 판결을 내리는 방식으로,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부분 또는 제출하지 않는 자료 등을 기초로 판결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따라서 원활한 사건의 해결을 위해서는 철저한 입증자료 및 요건사실의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가 부족하여 패소 하였을 경우 이는 당사자의 권능이기에 당사자의 책임이 된다. 그러기에 승소를 위해서는 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심재국 대표변호사는 이런 일상을 위협하는 법적 분쟁에 대해 "다양한 민사소송 등 사람과 사람 간의 갈등이 벌어지는 경우, 제대로 된 대처를 하는 것에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인다"라며 "지역민들이 복잡하고 어려운 법적 문제로 고통 받지 않도록 든든한 변호인으로서 조력하는 것은 물론 서로 간의 소통을 원활히 해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덧붙여 “다양한 민사소송 사건들은 사실관계와 증거, 법리의 해석과 적용에 따라 사안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변호사의 법률적 조력을 받아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기사원문보기 - http://www.gvalle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484
-4
-3
-2
-1
0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대륜법률 상담

전화상담 1800-7905

화살표
상담하기
상담하기

업무사례

풍부한 경험으로, 맞춤형 해결책 제시

화살표
바로가기
상담하기

변호사 소개

해외이민전문변호사

화살표
바로가기
상담하기

고객후기

만족으로 이어진 신뢰

화살표
바로가기
상담하기